{{왕족 정보
|이름 = 폐비 윤씨
|재위 = 1476년 8월 27일 ~ 1479년 6월 21일
|전임자 = 공혜왕후
|후임자 = 정현왕후
|별칭 = 숙의 윤씨(淑儀 尹氏) <br /> 제헌왕후(齊獻王后) 추후 삭탈
|자녀 = 이효신, 연산군, 왕자
|휘 =
|아버지 = 윤기견 (尹起畎)
|어머니 = 고령 신씨 (高靈 申氏)
|출생일 = 단종 3년(1455) 음력 윤 6월 1일
|출생지 = 경기도
|사망일 = 성종 13년(1482) 음력 8월 16일
|사망지 = 사저
|능묘 = 회묘
}}
폐비 윤씨(廢妃 尹氏, 1455년 7월 15일 (음력 윤 6월 1일)<ref name="tae">폐비 윤씨 태실의 태지에 기록된 내용이다. 현재 폐비 윤씨 태실 등은 국립고궁박물관에서 소장 중이며, 관련 내용을 국립중앙박물관의 전시 자료 http://www.museum.go.kr/NMK_DATA/redfish/cutator/2011/cu-253/book.html 에서 일부 확인 가능하다.</ref><ref name="ja">{{서적 인용
|이름 = 폐비 윤씨
왕비(폐비)]] |
|전임자 = 공혜왕후
|후임자 = 정현왕후
|별칭 = 숙의 윤씨(淑儀 尹氏) <br /> 제헌왕후(齊獻王后) 추후 삭탈
성종]] |
|휘 =
|아버지 = 윤기견 (尹起畎)
|어머니 = 고령 신씨 (高靈 申氏)
|출생일 = 단종 3년(1455) 음력 윤 6월 1일
|출생지 = 경기도
|사망일 = 성종 13년(1482) 음력 8월 16일
|사망지 = 사저
|능묘 = 회묘
}}
폐비 윤씨(廢妃 尹氏, 1455년 7월 15일 (음력 윤 6월 1일)<ref name="tae">폐비 윤씨 태실의 태지에 기록된 내용이다. 현재 폐비 윤씨 태실 등은 국립고궁박물관에서 소장 중이며, 관련 내용을 국립중앙박물관의 전시 자료 http://www.museum.go.kr/NMK_DATA/redfish/cutator/2011/cu-253/book.html 에서 일부 확인 가능하다.</ref><ref name="ja">{{서적 인용
|저자= 조원교
|제목= 제253회 큐레이터와의 대화 〈폐비 윤씨의 태실·태항아리·태지〉
|쪽= 4
|출판사= 국립중앙박물관
|날짜= 2011-07-20
|id=
}}</ref> ~ 1482년 8월 29일 (음력 8월 16일))는 봉상시 판사(奉常寺 判事) 윤기견(尹起畎, 또는 윤기무, 尹起畝)<ref>조선왕조실록에는 둘 모두 쓰였으나, 윤기무라는 이름이 비교적 적게 등장하므로 {{출처|날짜=2009-03-14|윤기견의 오기로 보는 설이 유력하다.}} 한편 작가 신봉승은 자신이 집필한 드라마 《한명회》의 제94회에서, 윤기무는 윤기견의 아우로 슬하에 자식이 없었음이 함안 윤씨의 세보에 기록되어 있다고 하고, 이를 드라마를 통해서라도 바로 잡아야 한다고 밝히고 있다.</ref> 와 고령 신씨(申氏)의 딸로 조선의 제9대 임금 성종의 계비이자 둘째부인으로 투기와 남편인 성종의 용안에 상처를 내어 폐위되었다.|제목= 제253회 큐레이터와의 대화 〈폐비 윤씨의 태실·태항아리·태지〉
|쪽= 4
|출판사= 국립중앙박물관
|날짜= 2011-07-20
|id=
1473년 성종의 후궁으로 간택되어 숙의(淑儀)의 지위에 있다가 공혜왕후가 죽자 왕비(王妃)로 책봉되었으나 남편 용안에 상처를 내어 폐비(廢妃)되어 사사되었다. 아들 연산군 즉위 후 제헌왕후(齊獻王后)로 추존되었으나 중종반정 이후 삭탈되면서 죽을 당시의 폐서인 신분으로 돌아갔다.
남편 성종의 후궁들 문제로 시어머니인 인수대비와 고부갈등으로 유명하며, 성종의 용안에 상처를 낸 일로 인해 폐비(廢妃)된 후 사사되었다. 사사 당시 윤씨는 친정어머니 신씨에게 세자가 자라서 왕이되거든 피를 토한 금삼을 넘겨줄 것을 유언했고, 이는 후일 무오사화와 갑자사화의 도화선이 된다. 연산군은 자신의 어머니가 되는 윤씨를 제헌왕후(齊獻王后)로 왕비(王妃)의 작호를 추숭시켰다. 그러나 중종 반정이 일어난 후 왕후(王后)의 호는 삭탈되었다.
성종과의 슬하에 세명의 아들을 두었으며, 장남은 이효신(李孝信), 차남은 조선 10대 왕 연산군이고 셋째 아들은 조졸하였다. 신숙주는 윤씨의 외당숙이며, 명종 때의 권신 이량은 윤씨의 오빠 윤구의 손녀사위이다.
출생과 가계 ¶
흔히 생년이 불분명한 것으로 알려져있으나, 국립고궁박물관에 소장된 폐비 윤씨 태실의 태지에는 그녀가 1455년 음력 6월 1일에 태어난 것이 분명하게 기록되어 있다<ref name="tae"/><ref name="ja"/>.
본명은 '윤숙의'라고 알려저 있다.
봉상시 판사(奉常寺 判事)를 지낸 윤기견과 고령 신씨의 딸로 태어났으며, 3명의 이복 오빠와 1명의 친오빠가 있었다.<ref>한국역대인물종합정보</ref>.
봉상시 판사(奉常寺 判事)를 지낸 윤기견과 고령 신씨의 딸로 태어났으며, 3명의 이복 오빠와 1명의 친오빠가 있었다.<ref>한국역대인물종합정보</ref>.
할아버지 윤응(尹應)은 통훈대부(通訓大夫) 교하현감(交河縣監)이었고, 증조 할아버지 윤득룡(尹得龍)은 조선조정에 처음 벼슬하여 자헌대부 (資憲大夫) 와 호조판서 (戶曹典書) 를 역임했다.
일부 현대극이나 야사 등에서 그녀의 아버지 윤기견의 죽음으로 인해 집안의 생계가 어려워지자 궁녀로 입궁했다고 하지만<ref>2011년 방영된 JTBC의 드라마 《인수대비》 등에서는 폐비 윤씨가 궁녀로 입궁한 것으로 그렸다.</ref> 조선왕조실록에서는 정희왕후(자성대왕대비)가 그녀를 훗날의 정현왕후가 되는 윤호의 딸과 함께 입궁시켜 숙의(淑儀)의 첩지를 내린 사실이 명백히 표기되어 있다.
입궐과 간택 ¶
윤씨는 성종 4년(1473년) 4월 15일(음력 3월 19일)에 후궁간택으로 숙의(淑儀)에 봉해졌다.
성종 5년(1474년)에 성종의 첫 번째 왕비인 공혜왕후가 승하하자 성종은 2년 뒤 공혜왕후의 3년상을 마치고 1476년 7월 31일(음력 7월 11일)에 숙의(淑儀)였던 윤씨를 왕비(王妃)로 삼을 것을 전교하였다.
당시 윤씨는 임신 중인 몸으로, 8월 27일(음력 8월 9일) 왕비(王妃)로 책봉되어 3개월 뒤인 11월 23일(음력 11월 7일)에 적통대군인 원자를 낳아 중전(中殿)의 위치는 더욱 확고해졌다.
바로 그의 아버지는 의정부 영의정(議政府 領議政)에 추증되고 함안부원군(咸安府院君)에 추봉되었으며 두 어머니는 각각 정경부인 양성 이씨(貞敬夫人 陽城 李氏) 장흥부부인 고령 신씨(長興府夫人 高靈 申氏)로 추숭되었다.
폐출 ¶
평소에 질투심이 많았다고 알려져 있다고 하지만, 여자 관계가 복잡한 남편인 성종 때문에 어쩔 수 없이 그러할 수밖에 없었다는 것으로도 알려져 있다.
야사로 전해지는 이야기에는 성종이 자신의 처소인 교태전에 들르지 않고 다른 후궁들의 처소만 찾자, 다른 후궁들을 질투하여 잡아다가 추궁, 취조하는 등의 행위를 하다 성종의 눈밖에 났는데, 남편과 말싸움 중 남편의 얼굴에 손톱자국을 낸 것이 발단이 되어 시어머니인 인수대비의 분노를 샀다는 설이 있고, 다른 설로는 삼사의 탄핵으로 폐출되었다는 설이 있으나 그녀에 대한 왕실의 사후 예우를 본다면 왕실의 눈밖에 나 폐위된 것이 유력하다.
연산군은 즉위 후 선왕의 후궁을 죽이면 안된다는 언관들의 간언을 묵살하고 성종의 후궁들 몇인을 처형한다.</ref>
폐비(廢妃)된 이후 조정에서는 하루가 멀다하고 원자의 생모이자 조강지처가 되는 윤씨를 다시 왕비(王妃)로 복위시켜야 된다는 상소와 시위가 끈임없이 반복되었으며, 많은 조정대신들이 파직당하거나 유배를 가게 되었다.
여기서 윤씨를 복위시켜야 된다고 하여 유배를 갔거나 파직당한 대신들은 연산군이 즉위함으로서 부귀영화를 누렸으나 반대로 윤씨 폐위에 앞장 섰거나 복위에 동참하지 않았던 대신들은 무자비한 보복을 당했다. 대표적으로 한명회 한치형 윤필상 등이 있다.
인수대비는 원자가 더 자라서 자신의 어미얼굴을 기억할까봐 하루빨리 새 중전(中殿)을 세워야 한다는 명분으로 훗날의 정현왕후가 되는 숙의 윤씨(淑儀 尹氏)를 왕비(王妃)로 책봉시켰다.
사사 사건 ¶
당시 조정에서는 그녀가 폐비(廢妃)가 된 이후 자신의 행동을 뉘우치고 있는 반성하는 점, 세자의 생모라는 점 등을 이유로 들어 그녀를 살려 두고자 하였으나, 숙의 엄씨와 귀인 정씨 등의 사주로 인해 궁녀들이 성종의 모후인 인수대비와 성종에게 허위 보고를 하였다.
결국 윤씨는 1482년 8월 29일(음력 8월 16일) 사약을 받아 사사되고 말았다. 윤씨의 나이 28살이었으며, 윤씨는 죽기 전 자신의 피가 묻은 금삼을 친정어머니 신씨에게 "세자가 자라거든 이를 전달해 달라"는 유언을 남기고 죽었다.
훗날 연산군이 왕위에 오르면서 이 사건에 대해 알게 되고, 결국 이 사건에 관련된 사람들을 처벌하면서 1504년에 갑자사화 등이 일어나게 된 것으로 알려져 있고 그로 인해 한명회, 한치형 등의 사람들이 부관참시를 당한 데 이어 그 이외의 사람들이 사사되거나 유배되었다.
사후 ¶
연산군 사후 ¶
가족 관계 ¶
본가 함안 윤씨(咸安 尹氏)
* 본명 : 윤숙희
* 조부 : 교하현감 윤응 (交河縣監 尹應, 생몰년 미상)
* 조모 : 정부인 안동 권씨 (貞夫人 安東 權氏, 생몰년 미상)
** 아버지 : 봉상시판사 윤기견(奉常寺判事 尹起畎, 생몰년 미상)
* 외조부 : 사간원 정언 정은공 신평(司諫院 正言 靜隱公 申枰, 1390∼1455)
* 외조모 : 정부인 장흥 마씨 (貞夫人 長興 馬氏, 생몰년 미상)<ref>장흥부원군 충정공 마천목(長興府院君 忠靖公 馬天牧)의 딸</ref>
** 어머니 : 정부인 고령 신씨 (貞夫人 高靈 申氏, 생몰년 미상)
*** 오빠 : 병조참판 윤구(兵曹參判 尹遘, 미상~1513)
*** 올케 : 정부인 안동 권씨(貞夫人 安東 權氏, 생몰년 미상)
* 본명 : 윤숙희
* 조부 : 교하현감 윤응 (交河縣監 尹應, 생몰년 미상)
* 조모 : 정부인 안동 권씨 (貞夫人 安東 權氏, 생몰년 미상)
** 아버지 : 봉상시판사 윤기견(奉常寺判事 尹起畎, 생몰년 미상)
* 외조부 : 사간원 정언 정은공 신평(司諫院 正言 靜隱公 申枰, 1390∼1455)
* 외조모 : 정부인 장흥 마씨 (貞夫人 長興 馬氏, 생몰년 미상)<ref>장흥부원군 충정공 마천목(長興府院君 忠靖公 馬天牧)의 딸</ref>
** 어머니 : 정부인 고령 신씨 (貞夫人 高靈 申氏, 생몰년 미상)
*** 오빠 : 병조참판 윤구(兵曹參判 尹遘, 미상~1513)
*** 올케 : 정부인 안동 권씨(貞夫人 安東 權氏, 생몰년 미상)
왕가 전주 이씨(全州 李氏)
* 시아버지 : 추존 덕종(德宗, 1438~1457)
* 시어머니 : 소혜왕후 한씨(昭惠王后 韓氏, 1437~1504)
** 남편 : 제9대 성종(成宗, 1457~1495, 재위 1469~1495)
*** 아들 : 원자 이효신(元子 李孝信, 1475~1475)
*** 아들 : 제10대 연산군(燕山君, 1476~1506, 재위 1494~1506)
*** 며느리 : 폐비 거창군부인 신씨(廢妃 居昌郡夫人 愼氏, 1476~1537)
**** 손자 : 원자(元子): 요절<ref>성종 287권, 25년(1494 갑인 / 명 홍치(弘治) 7년) 2월 23일(임오) 5번째기사 왕세자빈이 원손을 탄생하다</ref><ref>성종 288권, 25년(1494 갑인 / 명 홍치(弘治) 7년) 3월 29일(무오) 1번째기사 원손이 졸하다</ref>
**** 손녀 : 휘신공주 이수억(徽愼公主 李壽億)
**** 손자 : 폐세자 황(廢世子 𩔇): 연산군 폐위 후 유배지 정선에서 사사됨 (10세)
**** 손자 : 창녕대군 성(昌寧大君 誠): 연산군 폐위 후 유배지 황해도 수안에서 사사됨 (5세)
*** 아들 : 대군(大君, 생몰년 미상)
* 시아버지 : 추존 덕종(德宗, 1438~1457)
* 시어머니 : 소혜왕후 한씨(昭惠王后 韓氏, 1437~1504)
** 남편 : 제9대 성종(成宗, 1457~1495, 재위 1469~1495)
*** 아들 : 원자 이효신(元子 李孝信, 1475~1475)
*** 아들 : 제10대 연산군(燕山君, 1476~1506, 재위 1494~1506)
*** 며느리 : 폐비 거창군부인 신씨(廢妃 居昌郡夫人 愼氏, 1476~1537)
**** 손자 : 원자(元子): 요절<ref>성종 287권, 25년(1494 갑인 / 명 홍치(弘治) 7년) 2월 23일(임오) 5번째기사 왕세자빈이 원손을 탄생하다</ref><ref>성종 288권, 25년(1494 갑인 / 명 홍치(弘治) 7년) 3월 29일(무오) 1번째기사 원손이 졸하다</ref>
**** 손녀 : 휘신공주 이수억(徽愼公主 李壽億)
**** 손자 : 폐세자 황(廢世子 𩔇): 연산군 폐위 후 유배지 정선에서 사사됨 (10세)
**** 손자 : 창녕대군 성(昌寧大君 誠): 연산군 폐위 후 유배지 황해도 수안에서 사사됨 (5세)
*** 아들 : 대군(大君, 생몰년 미상)
텔레비전 드라마 ¶
관련 항목 ¶
평가 ¶
그의 평가는 투기심과 질투심이 많은 여자로 평가받아왔다. 또한 유교적 가치관에 기반한 부녀자의 덕을 중시한 시어머니 인수대비와는 달리, 비교적 자유분방하고 사랑을 중시하였다고도 한다.<ref>네이버캐스트 인수대비</re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