팝업레이어 알림

팝업레이어 알림이 없습니다.
E D R , A S I H C RSS

한무숙

변화가 없습니다



{{작가 정보
| 이름 = 한무숙
| 원어이름 = 韓茂淑
| 필명 = 호(號)는 향정(香庭)
| 출생일 = 1918년 10월 25일
출생지 = {{국기나라
일제강점기}} 경성부
| 사망일 = {{사망일과 나이|1993|1|30|1918|10|25}}
사망지 = {{국기나라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 직업 = 소설가, 삽화가, 극작가, 수필가
국적 = {{국기나라
대한민국}}
| 언어 = 한국어
학력 = [[경남여자고등학교
경상남도 부산여자고등보통학교]] 졸업
| 부모 = 한석명(부), 장숙명(모)
| 배우자 = 김진흥
| 자녀 = 슬하 2남 2녀 <br /> 장녀 김영기(金榮起) <br /> 장남 김호기(金虎起) <br /> 차녀 김현기(金賢起) <br /> 차남 김용기(金龍起)
| 종교 = 천주교(세례명 : 클라라)
친척 = [[한복 (1914년)
한복]](오빠) <br /> 한말숙(누이동생) <br /> 황병기(제부) <br /> 황준묵(이질)
| 장르 = 소설, 희곡, 수필
| 활동 기간 = 1940년 ~ 1993년
| 웹사이트 = 한무숙문학관
}}
한무숙(韓戊淑, 1918년 10월 25일 ~ 1993년 1월 30일)은 대한민국소설가, 삽화가, 극작가, 수필가이다. 본관은 청주(淸州)이고 호는 향정(香庭)이다.

생애


일제 강점기 말기인 1942년에 장편 《등불 드는 여인》으로 데뷔하고 희곡도 당선되어 문인으로 등단했다. 1948년에 장편소설 《역사는 흐른다》를 발표하고 다수의 단편을 집필했다. 첫 창작집은 1956년에 발간된 《월훈》이다. 동생인 한말숙도 소설가로 데뷔하여 자매 작가로 활동하였다.

장편 작품으로는 한국방송 대하드라마로 각색되어 유명해진 《역사는 흐른다》 외에 《빛의 계단》, 《석류나무집 이야기》, 《만남》 등이 있다. 정약용의 삶을 주제로 한 《만남》에서 보듯 한국 고유의 전통과 여인의 한에 대한 관심이 특징으로, 동양적 작가라는 평가를 받았다. 수필집으로는 《열길 물속은 알아도》, 《이 외로운 만남의 축복》, 《내 마음에 뜬 달》 등이 있다.

국제펜클럽 한국본부 부회장과 한국여류문학인회 중앙위원 등을 맡았다. 1958년에 단편 〈감정이 있는 심연〉으로 자유문학상을 수상했고, 신사임당상(1973)과 3·1문화상(1989) , 예술원상(1991) 등을 차례로 수상했다.

사후에 남편 김진흥(金振興)이 서울 종로구 명륜동의 고택을 개조하여 한무숙문학관으로 개관했다.<ref>{{뉴스 인용
|url=http://article.joins.com/article/article.asp?ctg=15&total_id=2908172
|제목=“책 읽어라” 등떠밀지 말고 문학관서 작품 체험시켜요 - 엄마랑 아이랑 책나들이 (1) 한무숙 문학관
|저자=오종택
|출판사=중앙일보
|날짜=2007-10-09
|확인날짜=2008-08-15
}}</ref> 한무숙을 기념한 한무숙문학상도 제정되었다.

가족 관계

* 아버지: 한석명(韓錫命)
* 어머니: 장숙명(張淑命)
* 오빠: 한복(韓宓, 1914년 9월 16일 ~ 1994년 1월 15일)
* 누이동생: 한말숙(韓末淑, 1931년 12월 27일 ~ . 소설가. 경성 숙명여자고등보통학교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언어학과 졸업. 가야금 연주가 황병기(黃秉冀)와 결혼.)
* 남편: 김진흥(金振興, 1916년 6월 26일 ~ 2003년)
** 슬하 2남 2녀
** 장녀: 김영기(金榮起, 1941년 2월 24일 ~ )
** 장남: 김호기(金虎起, 1942년 8월 20일 ~ )

참고 자료

* {{서적 인용
|저자=이호규
|제목=한무숙 문학세계
|날짜=2000-10-01
|출판사=새미
|출판위치=서울
id={{ISBN
89-89352-02-9}}}}

각주

{{각주}}

외부 링크


{{전거 통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