팝업레이어 알림

팝업레이어 알림이 없습니다.
E D R , A S I H C RSS

이태현(씨름)

이름 이태현(李太鉉)
국적 대한민국width=25
출생 1976년 1월 17일,경상북도 김천시
학력 의성고학교br용인대학교 체육교육과 학사br용인대학교 대학원 체육교육학 석사br용인대학교 대학원 체육교육학 박사
종목 씨름
소속 청구건설 씨름단(1993~1997)br현대삼호중공업 씨름단(1998~2006)br구미시청 씨름단(2009~2011)
신체 196cm,138kg

목차

소개

모래판의 황태자 및 지존

대한민국의 전 씨름 선수이며 현재는 용인대학교 격기지도학과 교수로 재직중이다.

선수 경력

1990년대 중후반~2000년대 초반 씨름판을 지배했던 천하장사. 의성고학교를 거쳐 1993년 청구건설 씨름단에 입단하여 프로 씨름계에 데뷔했다. 1993년 데뷔부터 2006년 1차 은퇴까지의 전적은 630경기 472승 158패(승률 74.9%)를 기록하며 역대 최다 전적, 최다승 기록을 보유했고, 천하장사 3회(1994, 2000, 2002), 지역장사 12회, 백두장사 20회를 기록했다. 특히 백두장사 20회 기록은 이만기의 백두장사 18회를 뛰어넘는 기록이다. 2006년까지 역대 총 상금 역시 5억 9,000여 만원으로 1위. 모래판의 황태자의 위엄. 오오!

고교 때부터 그 연령대의 지존으로 통했으며, 1994년 절친이자 라이벌인 백승일[1]을 꺾고 처음으로 천하장사에 올랐다.[2] 이후 백승일을 비롯 이태현의 7개 대회 연속 우승을 저지했던 '모래판의 귀공자' 황규연, '들소' 김경수, 신봉민 과 라이벌리를 이루며 1990년대 씨름판의 인기 스타로 발돋움했다. 특히 당대 씨름선수들과는 달리 잘생긴 외모로 모래판의 황태자라는 별명으로 최고 인기 스타로 자리잡게 된다. 2000년대 들어 이태현보다 한 뼘 정도 큰 골리앗 김영현, 테크노 골리앗 최홍만 의 후배들이 장했지만, 이들도 이태현 앞에서는 버로우였다.

종합격투기

그러나 2006년 한국씨름연맹[3]의 막장 행정, 세력간 정치다툼으로 흑화가 되고 최홍만K-1에서 성공하는 모습을 보자, 이태현은 소속팀 현대삼호중공업과 2012년까지 맺었던 계약을 파기하며 종합격투기에 뛰어든다.[4] 이태현은 국내 복귀 후 인터뷰에서 "그저 관중이 있는 곳에서 시합만 할 수 있으면 좋겠다 하는 마음이었는데, 종합격투기의 화려한 조명과 관중들의 환호, 매스컴의 관심 을 보면서 엄청난 유혹에 시달렸다"고 당시를 회상했다.

하지만 2006년 9월에 있던 PRIDE 데뷔전에서 브라질의 히카르두 모라예스에게 1라운드 8분 8초만에 TKO패를 당했다.(얼굴에 싸커킥 '짝!') 1년 후 10월에 장충체육관에서 열린 K-1 히어로즈 대회에서 일본의 야마모토 요시히사를 1회 TKO로 꺾어 데뷔 첫 승을 거뒀지만 2008년에 네덜란드의 알리스타 오브레임에게 1라운드 36초만에 KO패를 당했다. 2006년부터 2008년까지 종합격투기에서 거둔 전적은 1승 2패. 이태현의 타고난 힘으로 상대를 테이크 다운하는 데는 어려움이 없었지만, 결국 타격부분에서는 밀릴 수 밖에 없었던게 실패의 요인이었다.

어쨌든 대한민국 최고의 천하장사가 종합격투기에서 엄청난 굴욕을 겪자, 씨름팬들은 비록 이태현이 씨름을 저버리고 종합격투기로 전향해서 비난했을지언정 이태현의 고전 앞에서는 눈물을 흘릴 수밖에 없었다. 특히 씨름계의 전설인 이만기는 이 장면을 보며 오열했다고 한다.[5] 씨름계의 흑화와 더불어 씁쓸하면서도 슬픈 장면이 오버랩되는 순간.

복귀

결국 이태현은 종합격투기를 떠나고 초학교 때 은사인 구미시청 김종화 감독의 권유로 씨름판에 복귀했다. 복귀 후 다시 씨름판에 잘 적응하며 백두장사 2회를 더 기록, 자신이 가지고 있는 백두장사 최다 기록을 20회로 경신했다.

2011년 2월에 현역 은퇴를 선언했다. 그리고 동년 3월에 모교인 용인대학교 격기학과의 씨름전공 교수로 정식 임용된 후 씨름 팀 감독으로 재직 중에 있으며, 이와 함께 2014년 부터 KBS에서 씨름 해설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아육대에도 출연해 여자 씨름 해설을 했으며, 출전자들을 지도해 주기도 했다.
각주

----
  • [1] 백승일은 2004년 LG투자증권 씨름단 해체 사태 후 순천시청에서 잠시 뛰다가 2005년 2월 설날 대회를 끝으로 은퇴했다. 은퇴 후 트로트 가수로 전향.
  • [2] 문제는 당시 5판 3선승제로 치뤄지던 결승전에서 서로를 너무나 잘 알고 있는 두 선수가 2:2의 상황이 되자 5차전에서 서로 섣불리 기술을 못걸고 눈치만 보는 상황이 이어지자 연맹에서는 긴급 이사회를 소집해서 경기시간이 계속 길어질경우 두 선수의 몸무게를 측정하여 더 가벼운 쪽에 우승을 준다는 계체승이라는 황당한 규칙을 신설하였고 당시 백승일을 의식하며 의도적으로 몸무게를 좀 더 가볍게 유지하던 이태현이 결국 계체승을 거두었고 이후 한동안 이태현에게는 저울장사라는 오명이 따라붙었고 제2의 이만기라 불리던 백승일이 의욕을 잃고 하락세를 타면서 프로씨름이 인기가 점차 시들해져 갔다.
  • [3] 흔히 (프로)씨름을 관장하는 단체가 대한씨름협회로 알려져 있지만 이는 잘못됐다. 쉽게 말하자면, 야구로 치면 대한씨름협회는 대한야구소프트볼협회, 한국씨름연맹은 한국야구위원회와 같은 위치의 단체들이다.
  • [4] 이 때 소속 팀인 현대삼호중공업이 이태현에게 계약파기에 대한 소송을 걸었다가 취하했을 정도로 이태현은 종합격투기 진출 선언으로 엄청난 비난을 받았었다.
  • [5] KBS가 2011년 추석특집 2부작 다큐멘터리로 제작했던 '천하장사 만만세'에서 이같이 술회했다. 당시 그의 표현을 빌리자면 "우리 씨름이 얻어터지는 기분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