팝업레이어 알림

팝업레이어 알림이 없습니다.
E D R , A S I H C RSS

이인

변화가 없습니다



{{다른 사람|이인 (동음이의)}}
{{공직자 정보
|이름 = 이인
|원래 이름 = 李仁
|직책 = 前 초대 대한민국 법무부 장관
|그림=
그림설명= 앞줄 왼쪽에서 5번째가 [[애산 이인
이인]]
|출생일= 1896년 10월 26일(음력 9월 20일)
출생지= [[조선]] [[대구광역시
경상북도 대구군]] 동상면 사일리<br />(現 대한민국 대구광역시 중구 사일동)
|사망지= {{국기나라|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강남구 논현동 산28의 22번지에서 16시 15분, 숙환으로 별세
사망일= {{사망일과 나이
1979|4|5|1896|10|26}}
|경력 = 前 서울 광신상업고등학교 재단 이사장
국적= {{국기나라
대한민국}}
|학력= 일본 니혼 대학교 대학원 법학석사
|직업= 정치가, 독립운동가, 법률가, 저술가
|종교=유교(성리학)
|배우자= 고경희(高慶熙)
|자녀= 슬하 6남 2녀 <br/> 장남 이옥(李鈺)
|부모= 이종영(부), 정복희(모)
친인척= 이관준(친조부), [[이시영 (1882년)
이시영]](숙부)
|정당=무소속
|웹사이트=
}}
이인(李仁, 1896년 10월 26일 ~ 1979년 4월 5일)은 한국의 독립운동가이며 법률가, 정치인이다. 자(字)는 자옥(子玉), 호(號)는 애산(愛山). 일본 유학 후, 1923년 변호사시험에 합격, 변호사를 개업하고 이후 일제 강점기 당시 김병로, 허헌과 함께 독립운동가 및 애국자, 사회저명인사들을 상대로 무료변호를 하여 등과 함께 3대 민족 인권 변호사로서 명망을 날렸다. 일제 강점기 말기에는 창씨개명을 거절하였고, 해방 후 우익 정치인으로 활동하다가 이승만의 단독정부 수립론에 가담하였다. 1948년 5월 제헌국회의원 선거에 출마하여 당선되었고, 정부수립 이후 국회의원과 법무부장관을 역임하였다. 1949년 7월에 반민특위 위원장에 임명되어 반민특위를 와해, 해체시켰다.<ref>{{서적 인용
|저자=허종
|제목=반민특위의 조직과 활동
|날짜=2003-06-25
|출판사=선인
|출판위치=서울
id={{ISBN
978-89-89205-51-7}}
|꺾쇠표=예
}}
</ref>

제1공화국 붕괴 이후에는 군사정권에 맞서 야당 정치인으로 활동하였으며, 야당 원로로서 범 야당통합을 주장하였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1954년 제3대 민의원에 당선되고 1960년 참의원(參議員)에 당선되었다. 1962년 유엔인권옹호한국연맹 이사에 임명되었고, 1972년 민족통일촉진회장 ·국토통일원 고문 등을 역임했다. 자(字)는 자옥(子玉), 아호는 애산(愛山)이며 본관은 경주(慶州)이다. 대구광역시 출신.

생애

생애 초기

출생과 가계

이인은 1896년 10월 26일 경상북도 대구부 사일동(射一洞)에서 아버지 이종영(李宗榮)과 어머니 연일 정씨 정복희(鄭福姬)의 아들로 출생하였다. 할아버지 이관준은 영남의 명망가이자 성리학자였고, 삼촌 이시영은 독립운동가로 순국하였다. 아버지 이종영은 대한제국 당시 애국 계몽운동단체인 자강회(自彊會)와 대한협회의 회원으로 활동하던 계몽운동가였다.

학창 시절

대구 달동의숙(達東義塾)에 입학하여 신학문을 배웠고, 경북실업보습학교(慶北實業補習學校)로 진학하였다. 1912년 경북실업보습학교를 졸업했다. 1912년 일본에 건너가서 세이소쿠 중학교(正則中學校)를 다니다가 1914년 졸업하였다. 그해 일본대학(日本大學) 전문부 법과 야간부에 입학했고, 1916년에는 수료후 메이지대학(明治大學) 전문부 법과에 편입했다. 메이지대학 법학부를 졸업한 후에는 대학원과정인 일본대학 고등전공과(高等專攻科)에 진학, 공부하였다.

변호사 활동 및 항일 변호 활동

항일 변호 활동


1917년 귀국했다가 1919년 다시 일본으로 건너가 1922년 일본변호사시험에 합격했다. 1923년 5월 경성부에서 변호사·변리사 개업을 하여 7월 첫 변론으로 의열단 사건 피고인들의 변호를 맡았다. 이후 계속 민족운동사건의 변론을 맡아 6·10 만세 운동·고려혁명당 사건·의열단 사건·원산총파업·통의부사건·정의부사건·신간회민중대회사건·수양동우회 사건 등과 각종 소작쟁의, 필화(筆禍)·설화(舌禍) 사건과 친일파나 일본관리의 암살사건 등의 변론을 맡았고, 자청하여 안창호(安昌浩)의 변호를 맡기도 했다. 그가 맡은 변호만도 약 1천 5백여건에 달한다.

이후 장택상 등과 고학생의 상조(相助)기관인 갈돕회를 조직했다. 1925년에는 갈돕회의 총재를 맡고 여자고학생상조회를 조직하는데 도움을 주어 고학생을 돕는 한편, 조선어연구회조선어사전편찬회 발기위원이 되어 사전편찬사업을 적극 지원했다. 1927년 신간회의 창립과 더불어 중앙위원으로 선출되었으며, 이후 신간회의 해소론이 제기되자 비타협적 민족주의자들만의 민족단체를 조직할 것을 주장했다. 1930년 수원고등농림학교 학생들의 흥농사(興農社) 사건을 변호하다 법정에서 일본의 학정(虐政)을 비난하여 법정불온변론 혐의로 6개월 동안 변호사 자격정지 및 정직처분을 받았다. 같은 해 조선물산장려회 회장이 되었다. 1931년에는 조선변호사협회 회장이 되었고, 1935년에는 이우식(李祐植)·김양수(金良洙) 등과 함께 조선어사전 편찬을 위한 비밀후원회를 조직하여 재정지원을 했다.

독립운동가들의 변호를 하면서도 그는 국선변호인이 아님에도 변호비용을 받지 않아 독립지사와 민중들의 감격을 받기도 했다.

태평양 전쟁 이후

이후 언론탄압반대연설회 등으로 여러 차례 유치장신세를 지기도 하였다. 조선어학회를 비밀리에 지원한다는 혐의로 곽상훈 등과 함께 요시찰 인물이 되었고, 1936년 이후 일제의 신사참배를 거부하여 소환하기도 했으며, 조선총독부는 그의 변호사 면허를 취소시키려는 음모를 꾸몄으나 깨끗한 처신으로 흠을 잡을수 없었다.

1939년 12월 18일 정동의 이화여전 강당에서 80여 명의 관계자들이 모인 가운데 후원회 창립총회가 개최되었다. 여기에서 12개조의 후원회 장정을 통과시키고 25명의 위원을 선출했다.<ref name="양현혜1">양현혜, 《빛과 소망의 숨결을 찾아》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2007) 104페이지</ref> 이인도 이화여전 후원회 위원의 한사람으로 선출되었다.<ref name="양현혜1"/>

1941년 창씨개명 강요가 들어왔으나 거절하였다. 1942년 11월 조선어학회 사건에 연루되어 구속되어 이듬해 1월 징역 2년에 집행유예 4년을 선고받고 수감되었다가 뒤에 풀려났다.

정치 활동

광복 직후

1945년 광복이후 백관수,김병로등과 함께 건국준비위원회 부위원장이던 안재홍과 협상을 적극적으로 벌으나, 건준위원장 여운형안재홍과 이인의 협상결과를 허락하지 않았다. 이후 1945년 9월 한국민주당이 창당되자 창당에 참여, 당무부장이 되었다가 10월 미군의 한반도 주둔 이후 미군정 특별범죄심사위원회 수석대법관(首席大法官) 겸 심사위원장이 되었다. 군정청 특별범죄심사회 수석대법관이 되면서 그는 한민당을 탈당하였다.

1946년 군정청 검찰청 검찰총장이 되어 조선정판사위폐사건 등의 수사를 지휘하는 등 좌파 세력의 근절에 노력했으며 우익 정치인으로 활동하였다. 1947년 이후 단독정부 수립론이 나오자 그는 단정론을 지지하였다.

정부수립 참여

1948년 8월 초대 법무부장관이 되었으며, 같은 해 법전편찬위원회 부위원장을 역임했다 .이어 반민특위법이 제정되었을때, 이인은 다음과 같이 반민법에 반대를 표명했다.
{{인용문|* 새로운 출발의 시기에 또다른 민족분열을 조장할 우려가 있다.
* 지역적으로 남한사람들에게만 적용되는것은 법의 평등원칙에 어긋난다.
* 민족반역자 색출에 있어 악질적인 괴수에 그 처벌을 국한시키는것이 필요하다는 이유로 새로운 절충안을 작성하였다.<ref>1967년 8월 16일자 조선일보 기사 발췌</ref>}}

1949년 3월 서울 종로구의 국회의원인 장면이 주미대사 임명 관계로 국회의원직을 사퇴하자 그는 보궐선거에 출마하였다. 3월의 보궐선거에서 당선되어 제헌국회의원이 되었고, 6월에 법무부장관직을 사임하였다. 1949년 6월 경찰의 반민특위 특경대 습격사건 이후 7월 7일에 반민족행위특별조사위원회 위원장이 되었다. 이인은 반민특위 특경대를 해산시키고 신변보호를 담당하던 경찰마저도 모두 철수시켜 '더이상 반민족 행위자의 체포가 없을 것'임을 분명히 하였다.<ref>1949년 7월 16일자 조선일보 기사 발췌</ref> 나아가 이인은 반민특위 해체를 주요내용으로하는 반민법 개정안을 제출하였고, 그나마 기소된 친일파도 제대로 처벌하지 못하는 결과를 초래시켰다.

1950년 한국 전쟁이 발발하자 피신하여 납북 위기를 모면하였다.

1954년 3대 국회의원으로 당선되었고, 1957년에는 이범석(李範奭) 등과 함께 범야세력 통합운동을 벌였다. 1960년 4·19 혁명이 일어나자 재야정치인들과 함께 이승만(李承晩)의 하야와 체포된 학생들의 석방을 촉구하는 대정부 건의안을 발표했으며, 같은 해 참의원 의원으로 당선되었다.

야당 정치인

1963년 민정당(民政黨) 창당에 참여하고 최고위원이 되었으나 범국민단일야당운동 추진에 실패하자 정계에서 은퇴했다. 1965년 이인은 안재홍 사망 소식을 접하고, 서울 정의여고 강당에서 그의 장례식을 집행, 주관하였다. 당시 안재홍은 자진월북자라는 오해와 편견으로 금기시되었고, 꺼려했다. 그러나 이인은 이범석 등과 함께 안재홍의 시신없는 장례식을 진행하였다. 군사정권은 그의 의도가 불순함을 의심하여 내사하였으나 혐의점을 찾지는 못하였다. 1972년 민족통일촉진회를 결성했으며 국토통일원 고문에 선임되었다. 1974년에는 통일원 고문에 재선임되었다.

건국대학교·명지대학교에서 명예법학박사학위를 받았다. 1963년 건국훈장 국민장, 1969년 무궁화 국민훈장이 수여되었다.

사후

유언에 따라 재산은 한글학회에 기증되었고 장례는 사회장으로 치러졌다. 장지는 경기도 화성군 남양면 북양리 산51번지에 안장되었고 2011년 대전현충원(독립지사 제4묘역)으로 이장하였다. 저서로는 〈법률과 경제〉·〈법률과 여성〉·〈애산여적 愛山餘滴〉·〈반세기의 증언〉 등이 있다.

약력

* 일본 메이지 대학교 법학부졸업
* 1922년 일본변호사 시험에 합격하고 변호사개업
* 2년간 경성법학원(京城法學院) 강사
* 조선변호사협회 회장
* 조선과학협회회장, 물산장려회장, 발명협회 회장, 과학보급회 회장, 어학회 간부
* 수원농림학교 학생사건으로 법정에서 불온한 변론을 해서 6개월의 정직처분 받음
* 조선어학회 사건에 관련되어 만 3년간 미결(未決)을 거쳐 2년형에 집행유예 3년으로 출옥
* 해방 후 한국민주당 총무 겸 당무부장
* 1945년 12월 1일 임시정부 봉영식에 참석하였다. 서울그라운드에서 윤보선의 사회로 임시정부 봉영식이 시작되었다. 이어 오세창의 개회사, 이인의 봉영문 낭독, 권동진의 만세삼창으로 이어졌다. 봉영문은 권동진, 김성수, 이인을 통해 김구에게 전달되었다.<ref>아 비운의 역사현장 경교장(백범사상실천운동연합, 1993), 145페이지</ref>
* 1947년 군정청 대법원장
* 대법관 겸 특별범죄수사위원장
* 이승만(李承晩)의 단정수립론에 참여
* 1948년 검찰청 총장
* 제헌 국회 의원 당시 법제사법위원회 위원장(1949년 12월 21일 ~ 1950년 5월 30일)
* 법무부 장관
* 1949년 8월 16일 김상덕, 곽상훈, 송필만 등과 반민족행위특별조사위원회를 설치하고 반민특위조사위원이 되었다.
* 반민특별조사위원회 위원장, 그러나 반민특위 강제해산으로 실패하였다.
* 국회법사위원장
* 1963년 8월 1일 서울 시민회관에서 국민의 당 창당발기인대회를 가졌을 때 참석하였다.<ref name="이영1">파벌로 보는 한국야당사(이영훈 지음 | 에디터 | 2006) 61페이지</ref> 이날 대회는 민정당 대표위원 김병로, 신정당 위원장 허정, 민우당 고문 이범석을 당 공동대표로, 김도연, 이응준, 이인, 안호상, 전진한을 당 지도위원에 선출했다.<ref name="이영1" />
* 1965년 일송 김동삼기념사업회 회장
* 1965년 안재홍 사망 소식을 접하고, 서울 정의여고 강당에서 그의 장례식을 집행, 주관하였다.
* 1967년 제헌동지회회장
* 고등고시 출제위원회 위원
* 제4대 국회에 출마하였으나 낙선
* 제5대 참의원(임기 3년)
* 1972년 1월 고 상허 유석창 장례위원회 위원장

상훈

* 1963년 건국공로훈장(現 건국훈장) 독립장 수상<ref>대구의 인물</ref>
* 1969년 국민훈장 무궁화장

명예 박사 학위

저서

* 「법률과 경제」
* 「애산여적(愛山餘滴)」
* 「반세기의 증언」

가족 관계

* 할아버지 : 이관준(李寬俊, 호는 만당, 성리학자)
** 아버지 : 이종영(李宗榮)
** 어머니 : 연일 정씨 정복희(鄭福姬)
*** 동생 : 이철 (李哲)
** 숙부 : 이시영(李始榮, 본명은 중현(仲賢), 호는 우재(又齋))


* 부인 : 고경희(高慶熙)
** 장남 : 이옥(李鈺)
*** 손자 : 이홍
*** 손자 : 이준
*** 손녀 : 이귀령
** 차남 : 이춘
*** 손녀 : 이미령
*** 손자 : 이만
** 삼남 : 이영(李英)
*** 손자 : 이관(李灌)
**** 증손자 : 이권(李權)
*** 손자 : 이담(李淡)
**** 증손녀 : 이채연
**** 증손녀 : 이시연
*** 손자 : 이찬(李澯)
** 사남 : 이정
*** 손녀 : 이애령
*** 손자 : 이황
** 오남 : 이강
*** 손녀 : 이주령
*** 손자 : 이원
*** 손녀 : 이희령
** 육남 : 이균
*** 손녀 : 이순령
*** 손자 : 이단

기타

약간의 소아마비 증세를 앓고 있었으나 생활이나 대화하는 것에는 지장이 없었다. 그는 자신의 소아마비를 조금도 부끄럽게 여기지 않았다 한다. 1896년 같은 해에 태어난 김두종, 윤일선, 이병도, 이인, 이희승 등은 만년에 동갑 모임을 만들어 돈독한 우정을 나누곤 했다. 태어난 해가 병신(丙申)년이어서 모임명칭은 '병신회'로 하였다. '병신회'의 회장 선출을 놓고 설왕설래하던 중 애산 이인이 “병신회 회장이야 당연히 내가 맡아야지”라고 해서 만장일치로 애산을 회장으로 옹립했다고 한다.<ref>[여적당당한 장애인] 경향신문 2002년 04월 19일자</ref>

이인을 연기한 배우들

* 강계식 - 《제1공화국》(1981년, MBC 드라마)

관련 서적

* 대구광역시, 《대구의 문화인물 2》 (대구광역시, 2006)
* 강준만, 《한국현대사산책:1950년대편 1》 (인물과사상사, 2006)
* 한국국회인물사편찬회, 《역대국회의원총람》 (조세공론사, 1983)

역대 선거 결과

{| class="wikitable"
|-
!선거명||직책명||대수||정당||득표율||득표수||결과||당락
|-
[[1949년 대한민국 재보궐선거
3·30 재보궐선거]]국회의원(서울 종로구 을)1대무소속{{막대|무|3|0|5}} 30.5%10,351표1위25px|서울 종로구 국회의원 당선
|-
[[대한민국 제3대 국회의원 선거
제3대 총선]]국회의원(서울 영등포구)3대대한국민당{{막대|자|3|5|7|5}} 35.75%8,420표1위25px|서울 영등포구 국회의원 당선
|-
[[대한민국 제4대 국회의원 선거
제4대 총선]]국회의원(서울 종로구 갑)4대무소속{{막대|무|1|1|0|7}} 11.07%3,990표3위낙선
|}

각주

<references/>

참고 자료

* 《대한민국 의정총람》, 국회의원총람발간위원회, 1994년
* {{헌정회|1405}}
* {{독립유공자|8932|이인}}
* 국사편찬위원회
* 언론재단 《동아일보》(1979.4.6.) 7면

외부 링크

{{전임후임|
|전임자 = (초대)
|후임자 = 권승렬
|대수 =
직책 = 초대 [[대한민국의 법무부 장관
법무부 장관]]
|임기 = 1948년 8월 2일 ~ 1949년 6월 5일
}}
{{전임후임 국회의원|
|전임자 = 장면
|후임자 = (종로구 갑)박순천<br/>(종로구 을)오화영
|대수 = 1
직책 = [[서울 종로구의 국회의원
국회의원(종로구 을)]]
|임기 = 1949년 6월<ref>전임자인 장면이 1949년 2월에 주미국 대사로 부임하고, 1949년 3월에 종로구 을 선거구에 대한 보궐선거가 치러졌으며 이인은 1949년 6월 5일 법무부장관에서 해임되었으므로 임기가 1949년 6월경에 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ref> ~ 1950년 5월 30일
소속정당 = [[무소속]] → [[대한국민당 (1948년)
대한국민당]]
|같은 지역구 의원 = (종로구 갑)이윤영
}}
{{전임후임 국회의원|
|전임자 = (영등포구 갑)조광섭<br/>(영등포구 을)류홍
후임자 = (영등포구 갑)[[윤명운 (1911년)
윤명운]]<br/>(영등포구 을)류홍
|대수 = 3
직책 = [[서울 영등포구의 국회의원
국회의원(영등포구 을)]]
|임기 = 1954년 5월 31일 ~ 1958년 5월 30일
소속정당 = [[대한국민당 (1948년)
대한국민당]] → 무소속
|같은 지역구 의원 = (영등포구 갑)윤재욱
}}
{{전임후임 국회의원|
|전임자 = (신설)
|후임자 = (폐지)
|대수 = 5
직책 = [[대한민국 제5대 국회의원 목록 (지역구별)#참의원 지역구별 보기
참의원(서울특별시 제2부)]]
|임기 = 1960년 7월 29일 ~ 1961년 5월 16일
|소속정당 = 무소속
|분류 = 대한민국의 제5대 참의원
}}
{{민주회복국민선언 서명자}}
{{글로벌세계대백과사전}}

각주

<reference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