팝업레이어 알림

팝업레이어 알림이 없습니다.
E D R , A S I H C RSS

신동주(야구)

r1.2과 현재 버전의 차이점

@@ -1,6 +1,6 @@
* [[야구 관련 인물(KBO)]]

https://search.pstatic.net/common?type=a&size=120x150&quality=95&direct=true&src=http%3A%2F%2Fsstatic.naver.net%2Fpeople%2Fportrait%2F201503%2F20150312214824919.jpeg
|||| https://search.pstatic.net/common?type=a&size=120x150&quality=95&direct=true&src=http%3A%2F%2Fsstatic.naver.net%2Fpeople%2Fportrait%2F201503%2F20150312214824919.jpeg ||
||||<#074CA1><:> {{{#ffffff 삼성 라이온즈 No.70}}} ||
||||<#c0c0c0><:> {{{#000000 신동주(申東宙)}}} ||
||<:> '''생년월일''' || [[1972년]] [[12월 14일]] ||



삼성 라이온즈 No.70
신동주(申東宙)
생년월일 1972년 12월 14일
출신지 경상북도 포항시
학력 포철공고
포지션 외야수[1]
투타 우투우타
프로입단 1991년 삼성 라이온즈 고졸연고 자유계약
소속팀 삼성 라이온즈 (1991~2000) br KIA 타이거즈 (2001~2003) br 삼성 라이온즈 (2004~2005) br KIA 타이거즈 (2005~2006)
지도자 삼성 라이온즈 2군 타격코치(2014)br삼성 라이온즈 1군 타격코치(2015~2017)br 삼성 라이온즈 3군 타격코치(2017~)

삼성 라이온즈 등번호 70번
신동주(1991~1993) 최창양(1996~2000)
삼성 라이온즈 등번호 37번
최문호(1993) 신동주(1994~2000) 강영식(2001)
삼성 라이온즈 등번호 40번
주재필(2003) 신동주(2004) 차민규(2006~2007)
삼성 라이온즈 등번호 24번
최익성(2004) 신동주(2005) 최용호(2005~2006)
삼성 라이온즈 등번호 97번
전병호(2012~2013) 신동주(2014~2015) 정우양(2016)
삼성 라이온즈 등번호 70번
김태균(2012~2015) 신동주(2016~ )

목차

소개

삼성 라이온즈KIA 타이거즈에서 뛰었던 전 야구 선수. 등번호는 37번(삼성) - 25번(해태) - 37번(KIA) - 40번(삼성, 2004) - 24번(삼성, 2005, 트레이드 전) - 52번(KIA, 2005) - 37번(KIA, 2006). 마해영이 삼성으로 오기 전 이승엽-양준혁과 클린업을 구축하여 상대의 투수에게 공포를 선사하던 장본인. 그래서 임창용도 신동주가 해태로 이적하고 나서야 원래 등번호인 37번을 찾을 수 있었다. 그런데 삼성에서 상당한 활약을 하던 선수 치고는 항목이 엄청 짧다. 해태 타이거즈의 마지막 5번타자. 더불어 롯데 왕자의 난 덕에 기업인 동명이인에게 밀린 안습의 사나이

선수 시절

1991년 삼성 라이온즈에 입단해 1992년에 데뷔했으며, 백인천 감독의 휘하에 삼성의 중심 타선으로 자리잡았다. 롯데의 8888577의 암흑기였던 백인천이었으나 젊은 시절의 백인천은 1990년 LG의 우승을 이끌었는데다 삼성 감독으로서 최익성, 신동주, 이승엽의 타격 실력을 대폭 향상시킨 장본인이다. 1997년에는 도루 2개가 모자라 20-20을 달성하지 못했으나 21홈런에 .326에 .581의 장타율로 타율-장타율에서 이종범과 맞먹는 스탯을 자랑했다.[2] 게다가 그해 준플레이오프에서는 2개의 홈런을 쏘아올렸는데 1차전 전주경기에서는 결승홈런이었고 2차전 대구에서도 0:3에서 추격하는 홈런을 올렸다.[3] 1999년에는 .278 22홈런 26도루로 20-20을 달성하기도 하였다. 이 때 KBO 리그 역사상 전후무후한 기록을 세웠는데 이것은 1이닝 3도루이다.

1999년 6월 24일 대구에서 벌어진 LG와의 더블헤더 2차전에서 2회말 볼넷으로 출루한 뒤 2,3루 도루와 홈 스틸을 잇달아 성공시키며 대기록을 작성했다. 게다가 그의 이미지는 찬스에 강하며 '만루홈런의 사나이'라는 이미지를 갖고 있었다. 그도 그럴것이 삼성에서 뛰었던 2000년까지 6개의 만루 아치를 그렸으며 그것은 김기태(당시까지 8개)에 이은 2번째 기록이며 당시 한참 홈런을 많이 때리던먹튀의 흑역사로 상징되던 홍현우(5개)보다도 많은 수치였다.[4] 그러나 김기태마해영 등 거포영입에 혈안을 기울이던 삼성프런트의 정책에 따라 장타력이 그들에비해 어정쩡(?)한[5] 장타력을 가진 선수로 각인되어 김응용 감독 부임 직후 2001년 초 강영식과의 트레이드로 해태 타이거즈로 이적하여 해태-KIA에서도 주전 외야수로 뛰다가 2003년 시즌 후 KIA로 이적한 FA 마해영의 보상선수로 친정팀인 삼성에 복귀했다. 2005년 시즌 중 최용호와의 트레이드로 다시 KIA로 오고 이듬해인 2006년 시즌 중 웨이버 공시되어 은퇴했다.

현역 시절 우승과는 인연이 없었다. 1999년 롯데와의 플레이오프 당시 삼성의 주전 외야수였으나 팀은 7차전까지 간 접전 끝에 한국시리즈 진출에 실패했고, 그가 강영식과 트레이드되어 KIA에 있었을 때인 2002년에는 친정팀 삼성 라이온즈가 첫 한국시리즈 우승컵을 들어올린 해였다. 이후 2004년 다시 친정팀 삼성으로 돌아와 그해 한국시리즈 엔트리에 들며 생애 첫 한국시리즈 무대도 밟아봤으나 팀은 9차전까지 간 접전 끝에 준우승에 그쳤다. 이후 2005년 초 다시 KIA로 트레이드된 뒤 그해 한국시리즈에서 삼성이 우승하는 등 여러모로 현역 시절 우승과는 인연이 없었다.

현역 시절 당대 최고의 좌완투수였던 이상훈에게 무척 강한 모습을 보였고 불꽃 남자라는 별명을 지니고 있었고 찬스에 무척 강했다. 또한 타격 시에 배팅장갑을 착용하지 않고 타격을 하기로 유명했다.

연도별 성적

역대기록
연도 소속팀 경기수 타수 타율 안타 2루타 3루타 홈런 타점 득점 도루 4사구 장타율 출루율
1992삼성 라이온즈 9 5 .000 0 0 0 0 0 0 0 0 .000 .000
1993 4 1 .000 0 0 0 0 0 0 0 0 .000 .000
1994 25 32 .188 6 1 0 0 0 3 0 1 .219 .212
1995 115 328 .238 78 14 2 5 28 39 23 29 .338 .299
1996 75 174 .230 40 9 0 9 22 31 6 26 .437 .330
1997 120 399 .326br(5위) 130 37br(1위) 1 21 66 79 18 48 .581br(5위) .396
1998 78 238 .290 69 9 0 13 35 38 11 33 .492 .375
1999 122 431 .278 120 9 2 22 87 64 26 39 .462 .333
2000 97 310 .261 81 14 0 12 52 53 17 39 .423 .339
연도 소속팀 경기수 타수 타율 안타 2루타 3루타 홈런 타점 득점 도루 4사구 장타율 출루율
2001KIA 타이거즈 116 387 .284 110 24 1 11 52 64 13 43 .437 .353
2002 81 244 .311 76 9 1 7 33 34 6 27 .443 .377
2003 95 205 .263 54 8 1 8 31 29 1 29 .429 .353
연도 소속팀 경기수 타수 타율 안타 2루타 3루타 홈런 타점 득점 도루 4사구 장타율 출루율
2004 삼성 라이온즈 73 105 .219 23 5 1 2 9 11 1 11 .343 .291
연도 소속팀 경기수 타수 타율 안타 2루타 3루타 홈런 타점 득점 도루 4사구 장타율 출루율
2005 삼성 / KIA 23 32 .094 3 0 0 0 0 2 0 3 .094 .171
2006 KIA 타이거즈 8 13 .077 1 0 0 0 0 0 0 1 .077 .143
통산 1041 2904 .272 791 139 9 110 415 447 122 329 .440 .344

지도자 시절

은퇴 후 대구광역시 북구 침산2동에 B&G 스크린 골프연습장을 열었으며, 전 삼성 - 두산 - 롯데 투수 출신 이상훈을 티칭 프로로 맞이하여 함께 운영했다. 2012년 현장으로 복귀하여 친정 팀인 삼성의 원정 기록원으로 활동했다.

2014년부터 정식 코치가 되어 2군 타격코치로 보직이 결정됐는데, 실제로는 1군 선수단과 동행 중이다. 2015년부터 1군 타격코치로 김한수와 같이 타격코치를 맡게 됐다.

2016년부터는 신인시절에 달던 70번을 23년만에 달게 되었다. 2016년 4월 동안 부진하던 박해민개인훈련에 함께 하면서하며 박해민이 각성하는 데 일조했다.

2017년, 김한수 타격코치가 감독으로 승격되면서 단독으로 1군 타격코치를 맡았으나,[6] 삼성 라이온즈가 02 롯데, 13 한화 수준의 막장 경기력을 4월 내내 보여 주자 수비코치 이윤효와 묶여서 3군으로 강등되었다. 대신 김종훈이 1군 타격코치로 올라왔으며, 박진만도 수비코치로 왔다. 그리고 강기웅이 3군에서 2군으로 이동했다.

----
  • [1] 외야 전 포지션이 가능하지만, 주로 우익수를 많이 봤는편.
  • [2] 한편으로는 아쉬운 해였다. 이 해 외야 부문 KBO 골든글러브양준혁, 박재홍, 이병규가 탔는데, 양준혁, 박재홍이야 압도적인 실력이니 그렇다 쳐도 이병규와 비교해서는 타율, 홈런 등에서 압도적으로 우위를 점했음에도 골든글러브에서 떨어지며 결국 골든글러브는 인기투표임을 인증했다. 이병규도 2011년에 똑같이 당한 게 함정이병규는 그 해 신인왕인데 신인한테 인기에서 밀렸다고?
  • [3] 물론 그 준플레이오프는 선수생명의 마지막 불꽃을 태운 김상엽에게 mvp가 돌아갔다.
  • [4] 2000년 당시까지를 기준으로 김기태는 227홈런, 홍현우는 173홈런을 때려냈다. 신동주의 홈런수는 82개에 불과했다. 그가 얼마나 만루에 강했는지 알려주는 지표다.
  • [5] 물론 당시로 따져도 평균이상의 호쾌한 타구를 날리던 그였다.
  • [6] 2011년 류중일 감독 부임 이후 삼성에는 줄곧 1군에 2명의 타격코치를 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