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애 ¶
유명한 갑부이며 조선귀족인 민영휘의 소생 중 맏아들로 경성부 출신이다. 본래 군인이었다고 알려져 있으며 1920년 민영휘의 뒤를 이어 은행업에 뛰어든 뒤 조선 실업계의 거물로 활동했다. 민대식은 1931년에 호서은행을 합병하여 동일은행을 창설하고 은행장격인 두취가 되었다.
1935년에 총독부가 편찬한 《조선공로자명감》에 조선인 공로자 353명 중 한 명으로 수록되어 있다.<ref>{{뉴스 인용
|저자 = 성강현
|제목 = ‘조선공로자명감’친일 조선인 3백53명 기록 - 현역 국회의원 2002년 발표한 친일명단 일치 상당수
|url = http://www.ilyosisa.co.kr/SUNDAY/SUN_0426/TM_0301.html
|출판사 = 일요시사
|날짜 = 2004-03-18
|확인날짜 = 2008-06-16
|확인날짜 = 2008-03-06
|보존url = https://web.archive.org/web/20080627191258/http://www.ilyosisa.co.kr/SUNDAY/SUN_0426/TM_0301.html
|보존날짜 = 2008-06-27
|깨진링크 = 예
}}</ref><ref>{{뉴스 인용|제목 = ‘조선공로자명감’친일 조선인 3백53명 기록 - 현역 국회의원 2002년 발표한 친일명단 일치 상당수
|url = http://www.ilyosisa.co.kr/SUNDAY/SUN_0426/TM_0301.html
|출판사 = 일요시사
|날짜 = 2004-03-18
|확인날짜 = 2008-06-16
|확인날짜 = 2008-03-06
|보존url = https://web.archive.org/web/20080627191258/http://www.ilyosisa.co.kr/SUNDAY/SUN_0426/TM_0301.html
|보존날짜 = 2008-06-27
|깨진링크 = 예
|저자 = 성강현
|제목 = 3백53명 중 2백56명 명단
|url = http://www.ilyosisa.co.kr/SUNDAY/SUN_0426/TM_0302.html
|출판사 = 일요시사
|날짜 = 2004-03-18
|확인날짜 = 2008-06-16
|확인날짜 = 2008-03-06
|보존url = https://web.archive.org/web/20080627191303/http://www.ilyosisa.co.kr/SUNDAY/SUN_0426/TM_0302.html
|보존날짜 = 2008-06-27
|깨진링크 = 예
}}</ref> 이 책자에 따르면 "재계의 동향을 살펴 실무를 통제하는 일은 그의 독무대"였으며 "재계에 문제가 일어날 때마다 그가 나서서 조정역을 맡아 힘쓰지 않은 일이 없다"고 하여 민대식의 영향력을 알 수 있다.|제목 = 3백53명 중 2백56명 명단
|url = http://www.ilyosisa.co.kr/SUNDAY/SUN_0426/TM_0302.html
|출판사 = 일요시사
|날짜 = 2004-03-18
|확인날짜 = 2008-06-16
|확인날짜 = 2008-03-06
|보존url = https://web.archive.org/web/20080627191303/http://www.ilyosisa.co.kr/SUNDAY/SUN_0426/TM_0302.html
|보존날짜 = 2008-06-27
|깨진링크 = 예
조선토지개량주식회사, 조선신탁회사, 조선맥주주식회사 취체역과 경성전기사회 감사역을 지냈고, 조선금융제도조사위원회 촉탁으로도 활동했다. 1930년에는 경기도 에 관선 평의회원으로 들어갔고, 상공회의소 부대표로도 선출되었다.
1920년대부터 동민회, 조선불교단 등 여러 사회단체에서 활발한 활동을 펼쳤다.<ref>{{서적 인용
|저자=친일인명사전편찬위원회
|제목=일제협력단체사전 - 국내 중앙편
|날짜=2004-12-27
|출판사=민족문제연구소
|출판위치=서울
|페이지=237,570쪽}}</ref> 《조선공로자명감》에 실린 인물평에 따르면 소극적인 은행가가 아닌 용맹심을 갖춘 분투가, 정력가로 묘사되어 있어 활동적이고 진취적인 인물이었던 것으로 전해진다. 그러나 아버지의 재산을 많이 물려받고도 장례를 초라하게 치러 손가락질을 받았다는 일화도 있다.<ref>{{서적 인용
|저자=반민족문제연구소
|제목=친일파 99인 1
|날짜=1993-02-01
|출판사=돌베개
|출판위치=서울
|장=민영휘 : 가렴주구로 이룬 조선 최고의 재산가 (서영희)}}</ref>
|저자=친일인명사전편찬위원회
|제목=일제협력단체사전 - 국내 중앙편
|날짜=2004-12-27
|출판사=민족문제연구소
|출판위치=서울
8995330724}} |
|저자=반민족문제연구소
|제목=친일파 99인 1
|날짜=1993-02-01
|출판사=돌베개
|출판위치=서울
9788971990117}} |
광복 후 반민족행위처벌법이 발효되었을 때 생존해 있어 반민특위의 조사 대상자였으나, 반민특위 활동이 방해를 받으면서 무혐의 판정이 내려져 처벌은 받지 않았다.
사후 ¶
2008년 발표된 민족문제연구소의 친일인명사전 수록예정자 명단 중 경제 부문에 선정되었고, 곧이어 최종명단에도 등재되었다. 다만 요절한 동생인 민천식 및 민천식의 양자 민병도는 무혐의로 등재에서 제외되었다. 민병도는 가업을 이어 은행업에 종사하여 한국은행 총재를 지냈다.<ref>{{저널 인용
|저자=박미숙
|제목= “군사정권에 저항한 한은 총재” - 5일 타계한 故 민병도 전 한국은행 총재
|저널 =이코노미스트
|날짜 = 2006-03-21
|issue=제829호}}</ref>
|저자=박미숙
|제목= “군사정권에 저항한 한은 총재” - 5일 타계한 故 민병도 전 한국은행 총재
|저널 =이코노미스트
|날짜 = 2006-03-21
|issue=제829호}}</ref>
한편, 1937년에 강원도 춘천부 에서는 면민들이 성금을 모아 민형식과 민대식, 민규식 형제의 송덕비를 세웠으며, 2008년에 친일 행적 논란으로 비석이 철거되었다.<ref>{{저널 인용
|제목=초등학교에 서 있던 친일인사 송덕비 기증 받아
|저자=민족문제연구소
|저널=민족사랑
|연도=2008
|작성월=8
|쪽=7~8쪽}}</ref>
|제목=초등학교에 서 있던 친일인사 송덕비 기증 받아
|저자=민족문제연구소
|저널=민족사랑
|연도=2008
|작성월=8
|쪽=7~8쪽}}</re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