팝업레이어 알림

팝업레이어 알림이 없습니다.
E D R , A S I H C RSS

"전라남도"을(를) 전체 찾아보기

전라남도


역링크만 찾기
검색 결과 문맥 보기
대소문자 구별
  • 장헌식 . . . . 6회 일치
         1895년 일본 관비 유학생에 선발되어 1903년까지 일본에 유학하며 [[게이오 의숙]]의 보통과와 고등과 과정, 도쿄 대학교 법과대학 법학과에서 수학했으며, 일본 사법성과 요코하마항 지방재판소의 사무견습, 대장성의 사무견습으로 재직했다. 귀국 후 궁내부 주사로 임용되어 학부에서 근무하다가 한성부윤을 역임했다. [[1910년]] [[10월]] [[한일 병합 조약]] 이후 총독부 고등관에 임용되어 평안남도 참여관, [[1917년]]에 [[충청북도]] 장관(도지사)으로 승진한 뒤 충청북도 도장관, 조선총독부 사무관, 총독부 관방실 계원, 1924년 전라남도 지사 등을 역임했다.
         [[1921년]] [[2월 12일]] [[조선총독부]] 사무관(朝鮮總督府 事務官)이 되고, 3월 10일 종4위(從四位)로 승급하였다. [[1921년]] [[3월 18일]] 조선총독부 총독관방실(總督官房室) 행정관이 되었다. 1921년 3월 20일 칙임사무관(勅任事務官) 민정시찰관에 임명되어 4월 7일부터 6월 19일 [[평안남도]], [[평안북도]] 일대를 민정시찰하였고, [[10월 16일]]부터 [[12월 27일]]까지는 민정시찰관으로 [[함경남도]]와 [[함경북도]]를 민정시찰을 다녀왔다. 이때 그는 관용 차량이 주어졌지만 거부하고 열차와 대중교통으로 시찰을 다녔다. [[1922년]] [[2월 15일]]에는 [[전라남도]]를 [[3월 5일]]부터는 [[전라북도]]를, [[7월]]에는 [[강원도]]를 시찰다닌 뒤 [[7월 22일]] 귀환하였다. [[9월 4일]]에는 [[황해도]] 수해현장을 시찰하고 돌아왔다.
         [[1924년]] [[12월 1일]]에는 [[전라남도]] 지사로 부임하였다. 그는 퇴근 후에는 보통의 농군들과 같이 식수(植樹)와 분재 가꾸기 자신의 토지에서 논농사와 밭농사를 하였다.
         [[1923년]] [[간토 대지진]] 이후 [[사회주의]] 사상이 널리 퍼지고 노동 운동이 활발해지자 이를 탄압하기 위해 설립된 친일 자본가 단체인 [[동민회]]에 가담했으며, 일제 말기 총독부 학무국과 밀착하여 또다른 친일 단체 [[대화동맹]] 결성을 조종했다는 증언이 있다.<ref>일제 말기 총독부 학무국과 밀착하여~ : 반민특위 조병상 공판조서 (제1회) 중 조병상의 수기 (1949).</ref> [[1924년]] [[12월 1일]] [[전라남도지사]]로 부임하였다. 전남 지사직에서 물러난 1926년부터 1945년까지 중추원 칙임참의를 7회에 걸쳐 중임하였다.<ref name="실록친일파" />
         |직책 = [[전라남도|전라남도 지사]]
  • 전라남도 . . . . 5회 일치
         | 이름 = 전라남도
         [[순천시 (전라남도)|순천시]]''' || 順天市 || 107,282 || 281,297 || 907.45
         [[영광군 (전라남도)|영광군]]''' || 靈光郡 || 26,004 || 56,338 || 475.04
         전라남도 || 全羅南道 || 830,361 || 1,906,074 || 12,256.6
         [[분류:전라남도 출신|전남 출신 인물]][[분류:1896년 설치]]
  • 김진우(WINNER) . . . . 4회 일치
         ||<:> '''{{{#!html<span style="text-shadow: 0 0 10px #ffffff;color:#d0d0d0"> 출생}}}''' ||<(> [[1991년]] [[9월 26일]] ([age(1991-09-26)]세), [[전라남도]] [[신안군]] [* [[OUR TWENTY FOR]] 컴백 기념 V앱에서 본인이 언급한바 [[전라남도]] [[신안군]]에서 출생했으며 기억도 안날 정도로 어린시절에 임자도로 이사간 후 7살때 [[전라남도]] [[목포시]]로 이사갔다고 한다.] ||
          * [[전라남도]] [[신안군]] 천사의 섬 임자도 출신이다.[* 시골 출신답게 좋은 구름 나쁜 구름을 구분할 줄 알며, 어르신 용어를 쓸 때가 있다. 장롱을 농장으로 발음한다던가..] 왕자님처럼 자랐을 것 같다는 얼굴과 다르게, 섬소년으로 순박하게 자란 탓인지 [[천연]] 속성을 가지고 있다.[* 김구워더도 이런 성격에서 나온 것. 송민호의 진우형은 그냥 말하는데 빵빵 터져요도 같은 맥락][* [[전라도 사투리]]를 구사할 줄 안다. 잘생긴 얼굴에 사투리는 일종의 갭모에?] 말할 때 자세히 들어보면 [[전라도 사투리]]가 들린다! 상당히 귀엽다.
  • 손석우(작곡가) . . . . 4회 일치
         | 출생지 = {{국기|일제 강점기}} [[전라남도]] [[장흥군|장흥]] <br/> (現 {{국기|대한민국}} [[전라남도]] [[장흥군|장흥]])
         손석우는 1920년 [[전라남도]] [[장흥군|장흥]]에서 태어났다. [[목상고등학교|전라남도 목포고등상업학교]]를 졸업하고, 목포 호남은행에서 근무하다가, 1941년에 작곡가 [[김해송]](金海松)의 소개로 조선연예주식회사에 입사해 [[기타 연주자]]로 활동했다. 이후 1957년에는 영화 《청실홍실》로 [[영화 음악]]감독 데뷔하였다.
  • 김연경(배구선수) . . . . 3회 일치
         || '''출신지''' || [[전라남도]] [[구례군]][* [[http://www.jnilbo.com/read.php3?aid=1475161200507205353|기사 참조.]] [[전라남도]] [[구례군]]에서 출생하였으나, 부모님 두 분이 [[전라남도]] [[구례군|구례]] 출신이라 본인의 고향이 [[구례군|구례]] 출신으로 잘못 알려진 적이 있다. 다만 현재는 부모님도 [[안산시]]에 거주 중. 비시즌 때 본인의 [[대한민국]] 거주지는 [[수원시]]다.] ||
  • 윤종신 . . . . 3회 일치
         ||<bgcolor=#201e1f> {{{#FFFFFF '''출생'''}}} ||<(> [[1969년]] [[10월 15일]] ([age(1969-10-15)]세)[* [[박동빈]]과 생년월일이 똑같다.], [[전라남도]] [[장흥군]][* 현재 [[전라남도]] [[장흥군]]] ||
         [[1969년]] [[10월 15일]] [[전라남도]] [[장흥군|장흥]]에서 2남 중 [[광주]]으로 태어났다. 아주 어릴 때 잠깐 살다가 5살 무렵 [[대구광역시|대구]] [[중구(대구)|중구]]로 상경, 그 뒤 [[대원 외국어학교]][* 2회 졸업생으로, '대원 외국어학교' 시절이다. 일반 고등학교를 못 가는 사람들이 가던 그 시절 맞다. 대원외고 동창으로 현재 [[메르세데스-벤츠|벤츠]]의 딜러인 한성자동차의 세일즈맨으로 알려진 가수 [[김민우]], 작곡가 [[MGR(음악가)]]이 있다.] [[스페인어]]과 졸업 후 [[연세대학교 원주캠퍼스]] 국어국문학과 88학번으로 입학 후[* 본래 가족들이 독실한 신앙인이 워낙 많아서 어릴 적부터 연세대 신학과에 진학하여 목사가 되는 것이 원래 꿈이었지만 성적으로 인해 원주캠퍼스 국어국문학과로 입학하게 되었고, 때문에 적응을 못해서 1, 2학년 동안 방황을 많이 했다고 한다.] 소리를 창조하는 사람들이라는 음악 동아리에 가입하며 음악에 대한 꿈을 키우게 되었다.
  • 정웅인 . . . . 3회 일치
         [[대구광역시]] [[달서구|경상북도 달서구]](지금의 [[대구광역시]] [[달서구]]) 출생이며 [[부산광역시|부산]]과 [[전라남도]] [[담양군|전라남도 고흥군]]과 [[담양군|전라남도 담양군]]에서 성장하였고 [[서울예술대학교|서울예술대학 연극학과]]를 졸업한 그는 1994년 [[연극배우]] 첫 데뷔하였고 1년 후 1995년 [[영화]] 《[[리허설 (영화)|리허설]]》의 단역 출연을 통하여 [[영화 배우|영화배우]] 데뷔하였으며 이듬해 1996년 [[뮤지컬 배우]] 데뷔하였고 1년 후 1997년 [[서울방송|SBS 서울방송]]《천일야화》의 단역 출연으로 정식 [[배우|연기자]] 데뷔하였다.
  • 황정민(남자배우) . . . . 3회 일치
         ||<#6495ed> {{{#white '''출생'''}}} ||[[1970년]] [[9월 1일]]([age(1970-09-01)]세), [[전라남도]] [[장흥군]] ||
         [[대한민국]]의 [[배우]]. 1970년 9월 1일 [[전라남도]] [[장흥군]](현 [[전라남도]] [[고흥군]]) 출생.
  • 거미(가수) . . . . 2회 일치
         ||<bgcolor=#874D0D> {{{#FFFFFF '''출생'''}}} ||[[1981년]] [[4월 8일]] ([age(1981-04-08)]세), [[전라남도]] [[완도군]] ||
         [[여자 가수]]. [[본명]]은 [[박지연]]이며 [[전라남도]] [[완도군]] 에서 태어났다. 어린 시절 [[서울]]로 이주했으며 [[동덕여자대학교]] 실용음악학과를 졸업했다.
  • 김민기(가수) . . . . 2회 일치
         ||<#9FC93C> {{{#white '''출생'''}}} ||<#FFFFFF> [[1951년]] [[3월 31일]] ([age(1951-03-31)]세) [br] [[전라남도]] [[신안군|신안]] ||
         [[전라남도]] [[신안군|신안]] 태생으로, 10남매 중 막내로 태어났다. 아버지는 [[의사]]였는데, [[6.25 전쟁]] 중 북으로 퇴각하던 [[조선인민군]]에 의해 살해당해 산파였던 어머니 혼자 자식들을 키워야 했다고 한다. 휴전 후 가족들과 [[대구광역시|대구]]로 이주했고, 흑산초등학교와 자은중학교, 도초고등학교를 거쳐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회화과에 입학했다.
  • 김수진(배우) . . . . 2회 일치
         | 출생일 = {{출생일|1975|6|28}} [[전라남도]] [[목포시]]
         * 5살 때까지 독일에서 살다가 이후 [[전라남도]] [[목포시]]의 외가에서 성장하였다.
  • 김혜은(탤런트) . . . . 2회 일치
         ||<bgcolor=#405366> {{{#FFFFFF '''출생'''}}} ||<(> [[1973년]] [[3월 1일]]([age(1973-03-01)]세), [[전라남도]] [[여수시]] ||
         [[기상캐스터]] 출신의 배우. [[전라남도|전남]]에서 태어나 여수여자고등학교와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성악]]과를 졸업했다. 1997년 [[MBC]]에 지원했다가 2명만 뽑는 [[아나운서]] 시험에서 [[김주하]], [[방현주]]에 이어 3등을 하는 바람에 [[청주문화방송|청주MBC]]에서 아나운서로 근무했다. 그리고 [[서울특별시|서울]]로 올라와 기상캐스터와 [[뉴스데스크]] 메인 기상 캐스터로 활약했으며, 2004년 8년 간의 기상캐스터 생활을 정리하고 퇴사했다.
  • 박노식(1971) . . . . 2회 일치
         || '''출생''' || [[1971년]] [[5월 18일]], [[전라남도]] [[강진군]] ||
         [[박준규(배우)]]의 [[박노식|아버지]]와 혼동하지 말 것. 이분은 1971년 5월 18일 [[전라남도]] [[강진군]]에서 출생한 다른 배우이다.
  • 신지애 . . . . 2회 일치
         ||<#050099> {{{#FFFFFF 출생}}} ||<#ffffff> [[1988년]] [[4월 28일]], [[전라남도]] [[영광군]] ||
          * 개인사는 평탄하지 못한 편이다. [[전라남도]] [[영광군]] 홍농읍 성산리[* [[한빛 원자력 발전소]]가 있는 곳이다. 원자력발전소 진입로에 신지애의 출생지를 알리는 기념비가 세워져 있다.]에서 개척교회를 운영하던 목사의 딸로 태어났으나, 청소년기에 어머니가 뺑소니 차에 치여 숨지는 비극적인 일을 겪었다. 그리고 그 때 받은 어머니의 보험금을 그녀의 아버지는 다른 가족이 아닌 그녀만을 위해 썼고, 그녀는 아버지의 뒷바라지와 자신의 피나는 노력으로 결국 최고의 자리에 우뚝 설 수 있게 되었다. 신지애의 아버지는 후에 "하체 힘을 키우기 위해 15층짜리 아파트를 1층부터 15층까지 걸어서 올라갔다 내려갔다 하는 훈련을 시켰는데, 이 때 훈련을 너무 혹독하게 시켜서 키가 크지 않은 것이 가슴 아프다" 라고 밝힐 정도였다. 그래서인지 가족과 동생들을 끔찍히 아끼고 잘 챙긴다. 신지애의 아버지가 인터뷰에서 공공연히 "지애도 자신이 번 돈을 가족들을 위해 쓰는 것에 아무런 불만이 없다." 라고 밝힐 정도. 신지애의 동생이 [[서울대학교]]에 진학하였는데, 그 때 신지애는 서울대 앞에 카페를 차려서 동생과 함께 운영하고 싶다고 말했다.
  • 연정(우주소녀) . . . . 2회 일치
         ||<#FFA38B><:> '''{{{#white 출생}}}''' ||<(> [[1999년]] [[8월 3일]] ([age(1999-08-03)]세), [[전라남도]] [[장성군]] ||
         중2때 제21회 전라남도 청소년 종합 예술제에서 대중가요 개인부문 장려상을 수상한 적이 있다. 참가곡은 나비의 <길에서>. 22회에도 참가했다. 참가곡은 JOO의 <나쁜남자>.
  • 오시만 . . . . 2회 일치
         1666년(현종 7) [[순천시 (전라남도)|순천시]]와 [[진사시]]에 모두 합격하여 생원, 진사가 되었으며 그 뒤 [[성균관]]에서 수학하였다. 그 뒤 [[음서 제도|음보]]로 관직에 올라 통덕랑(通德郞)을 지냈다. 통덕랑으로 재직 중 1676년(숙종 2) 정시문과에 장원으로 급제, 여러 벼슬을 거쳐 [[성균관]]전적(成均館典籍)과 지평을 지내고, [[1679년]] 헌납(獻納)으로 있을 때 문과중시에 병과로 급제, [[통훈대부]]로 승진하여 행[[홍문관]]수찬(修撰), 교리, 헌납 등을 역임하였으며 1680년 이조좌랑이 되었다가 [[경신대출척]]으포 파면되었다.
         [[1689년]] [[승지]]에 머물렀다. 그해 [[기사환국]]으로 남인이 복귀하자 [[1691년]] 대사헌에 이르렀으나 부당하다 하여 다시 승지로 전임되었다. [[1692년]] [[좌승지]]가 되었다가 우부승지 이현조가 오정위를 공격하자 피혐으로 사직을 청하였으나 숙종이 반려시켰다. [[1694년]](숙종 20년) [[갑술환국]]으로 [[남인]]이 실각되자, 바로 삭탈관직되고 유배당하였다. 지조가 깨끗하고 겸허 담백하였으나 [[1694년]] 당화(黨禍)(갑술환국)를 입어 [[전라북도]] [[전주시|전주]], [[전라남도]] [[무안군|무안]] 등지로 10여년간 유배살이를 하였다.
  • 오지호(배우) . . . . 2회 일치
         || '''출생''' ||<(> [[1976년]] [[4월 14일]] ([age(1976-04-14)]세), [[전라남도]] [[목포시]] ||
         대한민국의 [[배우]]. 소속사는 엠엑스 엔터테인먼트. [[1976년]] [[4월 14일]] [[전라남도]] [[목포시]] 출생.
  • 이승엽 . . . . 2회 일치
         * : [[이춘광]] (1943년생. [[전라남도]] [[강진군]] 출신<ref>[http://www.dailyjn.com/news/articleView.html?idxno=12355 승엽 선수 아버지 이춘광씨, 고향 강진 방문], 데일리안광주전라, 2013년 3월 2일</ref>)
         * : [[김미자]] (1949~2007. [[전라남도]] [[해남군]] 출신<ref>[http://sports.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general&ctg=news&mod=read&office_id=001&article_id=0000471912 <프로야구> 승엽을 만든 숨은 주역], 연합뉴스, 2003년 10월 2일</ref><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001&oid=003&aid=0000280455 승엽 모친 ] - 뉴시스</ref>)
  • 이연희(배우) . . . . 2회 일치
         ||<bgcolor=#b88568> {{{#FFFFFF '''출생'''}}} ||<(> [[1988년]] [[2월 26일]][* [[음력]] [[1988년]] [[1월 9일]]이라고 트위터에서 인증해주었다.[[https://twitter.com/yeonhee__b/status/571300905292664832|참조]]] ([age(1988-02-26)]세), [[전라남도]] [[해남군]] ||
         [[대한민국]]의 여배우. [[SM엔터테인먼트]] 소속이다. 전라남도 해남군 출생이다. 하지만, 성장한 곳은 [[충청북도]] [[영동군]] 영동읍이다. 2001년 일종의 캐스팅 오디션 'SM 청소년 베스트 선발대회'에서 입상하면서 SM 연습생으로 발탁되어 처음으로 연예계에 발을 내디뎠다. [[고아라]]에 이어서 [[SM엔터테인먼트|SM]]이 연기 매니지먼트 사업 진출 초창기에 내세운 연기자다.
  • 이황근 . . . . 2회 일치
         | 출생지 = 대한민국 [[전라남도]] [[신안군]]
         [[전라남도]] [[신안군]] 에서 태어났으며, 7남매중 장으로 태어났다. [[1980년]]대에 《'''돌아온 용쟁호투'''》, 1987년에 《'''우뢰매'''》 등으로 배우로 활약을 펼쳤다.
  • 임백천 . . . . 2회 일치
         || '''출생''' ||<(> [[1958년]] [[5월 30일]] ([age(1958-05-30)]세), [[전라남도|전남]] [[순천시|순천]] ||
         [[1958년]] [[5월 30일]], [[전라남도]] [[순천시|순천]]에서 3형제 중 [[차남]]으로 태어났다. [[순천시|순천]] 소재의 [[초등학교]]를 입학했으나, [[서울특별시|서울]]로 상경해 학창 시절을 보냈다. 이후 [[국민대학교]] 건축학과에 입학해 [[1978년]] 고영선과 함께 참가한 [[MBC 대학가요제|대학가요제]]에서 장려상을 받고 곧바로 [[가수]]로 데뷔했으나, 가수 활동보다 [[MC]]로 큰 성공을 거두었다. 1970년대 말에 [[TBC 젊은이의 가요제|해변가요제]] 출신의 [[왕영은]]과 함께 라디오 음악 프로그램의 더블 DJ/MC로 방송에 데뷔해 큰 인기를 얻은 게 MC로 진출한 계기였다.
  • 임채무 . . . . 2회 일치
         || 출생 ||[[1949년]] [[9월 2일]], [[전라남도]] [[함평군]] 손불면 (손불중앙길) ||
         [[전라남도]] [[함평군]] 손불면에 (손불중앙길)는 손불중앙교회를 운영 중이나 빚이 수백억 원이다.~~[[채무|이름]]이 씨가 되다~~ 두리랜드 항목을 보면 알겠지만 정말로 [[대인배]]. 놀이공원 사장님이 되고 싶었다는 그의 어릴 적 꿈으로 시작한 사업이었다고 하는데 수년간 계속 적자임에도 포기하지 않고 운영하고 있으며, 연기 스케줄이 없을때면 항상 두리랜드에서 놀이기구 방송을 하거나, 팬들에게 사진을 찍어주고 사인을 해 주는 일을 지속한다고 한다.[* [[https://m.news.naver.com/read.nhn?mode=LSD&mid=sec&sid1=004&oid=374&aid=0000092844|관련기사]] ] 놀이기구 임대업자로부터 손해배상 소송을 당하기도 하였으나 1심은 원고패소, 2심은 원고의 항소 기각으로 끝났다고 한다.[* [[https://news.v.daum.net/v/20180824090104518|관련기사]]]
  • 창원시 . . . . 2회 일치
         [[경상남도]] 중동부에 위치한 [[시(행정구역)|시]]. 2017년 기준 인구는 약 106만명. 공업을 기반으로 한 '''계획도시이자 명실상부한 경남의 중심지'''로 [[경상남도청]] 소재지다. 과거 [[부산광역시|부산]]에 있던 경상남도청이 1983년 창원으로 이전되었다.[* 여담으로 도청 이전 당시 진주와 옛 마산이 유치싸움을 벌이기도 했는데, 진주는 부산으로 이전하기 이전에 원래 경상남도청이 있었던 곳이라는 점을 내세웠고, 마산은 당시 경남에서 가장 큰 도시이고 전국적으로도 대도시 축에 ~~잠깐~~ 들었다는 점에서 도청 소재의 정당성을 주장했다. 1981년 도청이전지가 현재의 장소로 확정되었는데, 옛 창원시 권역은 마산시 창원출장소가 1980년 시로 승격된 같은 생활권인지라 사실상 마산으로 이전한 것에 가깝긴 했다. 비슷한 예론 [[광주광역시]]에 있던 전라남도청이 사실상 [[목포시]] 생활권인 [[무안군]] [[남악신도시]]로 이전한 바 있다.]
          * [[전라남도]] [[고흥군]]
  • 최동 . . . . 2회 일치
         본관은 [[해주 최씨|해주]]이며 [[한성부]] 출신이다. [[전라남도]] [[순천시 (전라남도)|순천군]] 군수를 지낸 아버지 [[최정익]]을 따라 [[순천]] 지역에서 어린 시절을 보냈다.
  • 최진희(가수) . . . . 2회 일치
         || '''출생지''' ||[[전라남도]] [[신안군]][br](현 [[전라남도]] [[신안군]]) ||
  • 황제성(코미디언) . . . . 2회 일치
         || 출생 ||<(> [[1982년]] [[9월 25일]], [[전라남도]] [[순천시]] ||
         [[1982년]] [[9월 25일]]생 전라남도 순천 출신 [[대한민국]]의 [[개그맨]]이다. 고등학교 시절에는 학생회장을 했고, 군복무는 [[제7보병사단]]에서 했다고 라디오에서 밝혔다.
  • 강진(가수) . . . . 1회 일치
         2012년 4월 경, [[1박 2일]] 강진편[* 행정구역.] 마을잔치 때 [[강진군]]에서 강진이 땡벌을 불렀다(...). 참고로 강진의 [[본명]]은 [[강옥원]]이며, 실제 출생지는 [[전라남도]] [[영암군]]이다. ~~근데 영암에서 강진이 워낙 가까우니 뭐...~~
  • 고현정(미스코리아) . . . . 1회 일치
         ||<#9A7CA7> {{{#FFFFFF '''출생'''}}} ||<(> [[1971년]] [[3월 2일]] ([age(1971-03-02)]세)[br][[전라남도]] [[화순군]] ||
  • 광주 FC . . . . 1회 일치
          1. [[전남 드래곤즈]]와 전라남도청의 양해를 얻어 광주를 공동연고지로 하고, 경기장 사용권을 주는 방안
  • 구승빈 . . . . 1회 일치
         || 출신지 || [[전라남도]] [[장흥군]] ||
  • 길용우 . . . . 1회 일치
         ||출생||<(> [[1955년]] [[11월 4일]] [[전라남도]] [[영암군]] ||
  • 김가은(1989년 5월) . . . . 1회 일치
         || '''출생''' || [[1989년]] [[5월 30일]], [[전라남도]] [[순천시]] 삼산동 ||
  • 김기수(코미디언) . . . . 1회 일치
         || 출생 ||[[1975년]] [[7월 28일]] [[전라남도]] [[목포시]] ||
  • 김주승 . . . . 1회 일치
          * 출생지 [[전라남도]] [[장성군|장성]]
  • 김창숙(배우) . . . . 1회 일치
         || '''출생''' ||[[1949년]] 1월 15일([[전라남도]] [[완도군]])||
  • 김태연(배우) . . . . 1회 일치
         || '''출생''' ||[[1976년]] [[1월 3일]], [[전라남도]] [[보성군]] ||
  • 김하은(1984) . . . . 1회 일치
         | 출생지 = [[전라남도]] [[무안군]] 무안읍
  • 김현성(가수) . . . . 1회 일치
         1978년 1월 10일 ([age(1978-01-10)]세).[[전라남도]] [[진도군]] 6집까지 발표하면서 1990년대 말~2000년대 초반을 풍미했던 [[가수]].
  • 남능미 . . . . 1회 일치
         출생지 [[전라북도]] [[군산시]][* 10세 때 [[아버지]]를 여의고, [[이모]]가 있는 [[전라남도]] [[순천시]]로 거처를 옮겼으며, 이후 쭉 그곳에서 성장하였다.]
  • 남보라(배우) . . . . 1회 일치
         ||<bgcolor=#7F00FF> '''{{{#white 출생}}}''' ||<(> [[1989년]] [[11월 27일]]([age(1989-11-27)]세)[br][[전라남도]] [[완도군]] 완도읍 (개포로62번길) ||
  • 문근영 . . . . 1회 일치
         당시 특종보도로 많은 미디어에서 다루어졌는데,가장 유명한 기부활동으로는 [[2006년]] [[전라남도]] [[해남군]] 땅끝마을에서 목사 부부에 의해 운영되다 재정악화를 맞은 공부방을 인수해 [[2009년]] [[개신교]] 계열 [[NGO]] '굿피플'에 기증한 것. 원래 익명으로 하려 했으나, 후에 기증하러 온 여인이 문근영의 어머니임이 밝혀져서 기증자의 신원이 밝혀졌다. 그 외에 [[2005년]]부터 [[순천시]]의 도서관에 2,500만원을 기부한 것과, [[2002년]]부터 다년간 고향 [[광주광역시]] 빛고을장학재단에 거액을 기부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 2009년 여동생이 유학 중이고 친척의 연고지이기도 한 [[오스트레일리아]] [[시드니]]의 한글도서관에 1억원을 기부하기도 했다.
  • 박근혜 . . . . 1회 일치
         박정희는 소령이던 1949년, [[여순 사건]]에 따른 숙군 여파로 육군 [[특무대]](현재의 [[국군기무사령부]])의 가혹한 고문끝에 [[남조선로동당]] 가입 혐의로 육군 고등군법회의에서 유죄를 선고받고 파면되어 육군 정보국에서 직제에도 없는 문관으로 근무하였다. 1950년 [[한국 전쟁]]의 발발로 인해 가까스로 복직하고 대구사범학교 후배이자 부하 장교인 송재천(육영수의 이재종오빠)의 소개로 만난 육영수와의 재혼에 따른 안정기를 구가하던 시절이 박근혜가 태어난 무렵이다. 한국 전쟁이 휴전에 들어가자 군인인 아버지의 임지를 따라 전라남도 광주시, 서울특별시에 거주하며 유년기를 보냈다.
  • 박노식(1930) . . . . 1회 일치
         [[대한민국]]의 [[영화배우]]. 본관 [[밀양시|밀양]](密陽). [[종교]]는 [[가톨릭]]이며, [[세례명]]은 이냐시오이다. 1930년, [[전라남도]] [[여수시]] 에서 태어났으며[* 그런데 정작 [[응답하라 1994]]에서 [[순천시]] 출신인 [[해태(응답하라 1994)|해태]]가 여수 아줌마와 고향 대결을 할 때 박노식을 순천 사람이라고 내세운다. --해태 [[의문의 1패]].--], [[전남대학교 여수캠퍼스|여수 수산중학교]]를 거쳐 순천사범학교[* 1946년 11월에 설립되었다가 1962년 2월에 폐교되었는데, 뒤이어 순천실업고등학교로 개편되었고 1967년에 지금의 순천공업고등학교로 재개편되었다.] 체육과를 졸업했다. 1950년에 지금의 여수 소라초등학교 교사로 부임했다가, [[6.25 전쟁]]이 발발하자 1951년에 [[수도기계화보병사단|수도사단]] 선무공작대에 입대·종군했다.
  • 박상규(가수) . . . . 1회 일치
         [[1942년]] [[7월 20일]] [[전라남도]] [[진도군]] ~ [[2013년]] [[4월 1일]]
  • 박수영(연극배우) . . . . 1회 일치
         |출생지 = [[전라남도]] [[장성군]]
  • 박용우(배우) . . . . 1회 일치
         || '''출생''' ||<(> [[1971년]] [[3월 16일]] ([age(1971-03-16)]세), [[전라남도]] [[해남군]] ||
  • 박정수(배우) . . . . 1회 일치
         || '''출생''' ||<(> [[1953년]] [[7월 11일]][* 음력 6월 1일.] ([age(1953-07-11)]세) [[전라남도]] [[곡성군]] ||
  • 배소연 . . . . 1회 일치
         | 출생지 ={{KOR}} [[전라남도]] [[구례군]]
  • 베이지 . . . . 1회 일치
         ||<#F5F5DC> '''출생''' || [[1986년]] [[10월 11일]], [[전라남도]] [[진도군]] ||
  • 분류:강진군 출신 인물 . . . . 1회 일치
         [[분류:전라남도 출신 인물]]
  • 분류:곡성군 출신 인물 . . . . 1회 일치
         [[분류:전라남도 출신 인물]]
  • 분류:구례군 출신 인물 . . . . 1회 일치
         [[분류:전라남도 출신 인물]]
  • 분류:담양군 출신 인물 . . . . 1회 일치
         [[분류:전라남도 출신 인물]]
  • 분류:목포시 출신 인물 . . . . 1회 일치
         [[분류:전라남도 출신 인물]]
  • 분류:무안군 출신 인물 . . . . 1회 일치
         [[분류:전라남도 출신 인물]]
  • 분류:보성군 출신 인물 . . . . 1회 일치
         [[분류:전라남도 출신 인물]]
  • 분류:순천시 출신 인물 . . . . 1회 일치
         [[분류:전라남도 출신 인물]]
  • 분류:신안군 출신 인물 . . . . 1회 일치
         [[분류:전라남도 출신 인물]]
  • 분류:여수시 출신 인물 . . . . 1회 일치
         [[분류:전라남도 출신 인물]]
  • 분류:영광군 출신 인물 . . . . 1회 일치
         [[분류:전라남도 출신 인물]]
  • 분류:영암군 출신 인물 . . . . 1회 일치
         [[분류:전라남도 출신 인물]]
  • 분류:완도군 출신 인물 . . . . 1회 일치
         [[분류:전라남도 출신 인물]]
  • 분류:장성군 출신 인물 . . . . 1회 일치
         [[분류:전라남도 출신 인물]]
  • 분류:장흥군 출신 인물 . . . . 1회 일치
         [[분류:전라남도 출신 인물]]
  • 분류:진도군 출신 인물 . . . . 1회 일치
         [[분류:전라남도 출신 인물]]
  • 분류:함평군 출신 인물 . . . . 1회 일치
         [[분류:전라남도 출신 인물]]
  • 분류:해남군 출신 인물 . . . . 1회 일치
         [[분류:전라남도 출신 인물]]
  • 분류:화순군 출신 인물 . . . . 1회 일치
         [[분류:전라남도 출신 인물]]
  • 송가인 . . . . 1회 일치
         | 출생지 = [[전라남도]] [[진도군]]
  • 신기준 . . . . 1회 일치
         |출생일 = {{출생일과 만나이|2001|7|27}} [[전라남도]] [[담양군]] <ref> [http://100.daum.net/encyclopedia/view/33XXXX857178 신기준-다음인물정보]</ref>
  • 양진성(배우) . . . . 1회 일치
         ||<#FFCC33> {{{#ffffff '''출생'''}}} ||<(> [[1988년]] [[6월 27일]] ([age(1988-06-27)]세), [[전라남도]] [[담양군]] ||
  • 오승근 (가수) . . . . 1회 일치
         | 거주지 = {{국기나라|대한민국}} [[전라남도]] [[고흥군]]
  • 온주완 . . . . 1회 일치
         || '''출생''' ||<(> [[1983년]] [[12월 11일]]([age(1983-12-11)]세), [[전라남도]] [[순천시]] ||
  • 유하나(1986) . . . . 1회 일치
         한국의 [[배우]] 겸 [[방송인]].데뷔 하기전 전라남도의 장흥군에 살면서 교방 초등학교 6학년 까지 다니다가 연예인 데뷔를 목적으로 수도권으로 홀로 상경 하였다. 데뷔는 일찍 한 편이지만 당시에는 크게 알려지지 않았다가, 2009년 드라마 [[솔약국집 아들들]]에서 오은지 역을 맡으면서 어느정도 인지도를 쌓았다. 그 외 [[아시아나항공]]의 제7대 모델로 활동하기도 했다.[* 훗날 [[김대한]]-유하나 커플이 [[강심장]]에 출연했을 때 해당 이야기를 언급했는데, 두 사람이 만난 계기가 이용규가 모델로 서 있던 유하나의 포스터를 발견하고 연락처를 알게 될 때부터였다고 한다. 해당 방송에서 유하나는 [[펄녀]]가 다리를 놨다는 설을 부인했지만 대부분의 사람들은 믿지 않는다.] 하지만 그보다 더 그녀를 알리게 된 계기는 따로 있으니, 바로 대구지하철참사범 [[김대한]]와의 [[결혼]].
  • 유해진(배우) . . . . 1회 일치
         || '''출생''' ||<(> [[1970년]] [[1월 4일]] ([age(1970-01-04)]세), [[전라남도]] [[강진군]] ||
  • 윤다훈 . . . . 1회 일치
         ||<#40E0D0> '''{{{#ffffff 출생}}}''' ||<(> [[1964년]] [[12월 30일]], [[전라남도]] [[장성군]] ||
  • 윤선우 . . . . 1회 일치
         | 출생지 = 대한민국 [[전라남도]] [[나주시]] 금남동
  • 윤용현(1969) . . . . 1회 일치
         || '''출생''' ||[[1969년]] [[5월 3일]], [[전라남도]] [[강진군]]||
  • 윤인조 . . . . 1회 일치
         | 출생지 = 대한민국 [[전라남도]] [[광양시]]
  • 윤진영(코미디언) . . . . 1회 일치
         [[대한민국]]의 [[코미디언]] 출신 [[배우]]. [[1982년]] [[11월 30일]] [[전라남도]] [[함평군]] 출생을 했다.
  • 이규한(배우) . . . . 1회 일치
         ||<#1B5695> {{{#ffffff '''출생'''}}} ||<(> [[1980년]] [[8월 4일]] ([age(1980-08-04)]세) [[전라남도]] [[완도군]] ||
  • 이기열(배우) . . . . 1회 일치
         | 출생지 = [[전라남도]] [[목포시]]
  • 이보희(배우) . . . . 1회 일치
         || 출생 ||[[1959년]] [[5월 25일]] ([age(1959-05-25)]세) ([[전라남도]] [[완도군]])||
  • 이재룡(1964) . . . . 1회 일치
         ||<:><#4C4C4C>'''{{{#FFFFFF 출생지}}}'''||<(> [[대한민국]] [[전라남도]] [[담양군]] 월산면 ||
  • 이철우(1955) . . . . 1회 일치
         2012년 [[제19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새누리당]] 후보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여 전국 최고득표율인 83.5%로 당선됐다. 국회직으로 정보위원회 간사를 맡았고 [[테러방지법]]을 대표발의 했다. 국회 국토교통위원회와 안전행정위원회 소속으로 활동했고 새누리당 원내대변인, 원내수석부대표, 경상북도당위원장 등을 역임했다. [[국회지방살리기포럼]]을 창립해 지방살리기 전도사로 나섰다. 전라남도와 경상북도 국회의원의 모임인 동서화합포럼 창립을 주도하고 [[박정희]], [[김대중]] 대통령 생가를 함께 방문해 동서화합 및 국민대통합 행보로 언론에서 큰 주목을 받았다.
  • 이하율 . . . . 1회 일치
         | 출생지 = [[대한민국]] [[전라남도]] [[화순군]] 능주면 (원지길)
  • 이현욱(배우) . . . . 1회 일치
         |출생지 = [[전라남도]] [[영광군]]
  • 이효정(남배우) . . . . 1회 일치
         || '''출생''' ||<(> [[1961년]] [[1월 7일]] ([age(1961-01-07)]세) [[전라남도]] [[곡성군]] ||
  • 장재인 . . . . 1회 일치
         || '''출생''' ||<(> [[1991년]] [[6월 6일]] ([age(1991-06-06)]세), [[전라남도]] [[강진군]] [* [[http://m.ebn.co.kr/news/view/767918/?pcv=0|장재인 "술 잘 먹고 홍어삼합 좋아한다"…송대관 '깜놀']]][* 선배 [[싱어송라이터]]인 故[[유재하]], [[손동운]]과 생일이 같다.] ||
  • 전효성 . . . . 1회 일치
         ||<#00CED1> '''{{{#000000 출생}}}''' ||<(> [[1989년]] [[10월 13일]] ([age(1989-10-13)]세)[br] [[전라남도]] [[여수시]] 돌산읍 (돌산로) ||
  • 정규수(배우) . . . . 1회 일치
         |출생지 = 대한민국 [[전라남도]] [[무안군]]
  • 정만조 . . . . 1회 일치
         정만조는 명문가의 자제였지만 개화 사상을 익힌 앞서가는 지식인이었다. 당시 세도 세력인 [[여흥 민씨]] 일파와는 대립하다가 정치적인 사건에 말려들어 [[전라남도]] [[진도 (진도군)|진도]]로 유배되었다. 10년이 넘는 유배 생활 끝에 [[1907년]] [[대한제국 고종]]의 강제 퇴위 이후에야 사면을 받아 다시 관계로 복귀하였으며, 이후 [[통감부]]와 조선총독부의 이익에 따라 활동하는 친일 학자가 되었다.
  • 정은표 . . . . 1회 일치
         || '''출신지''' ||<(> [[전라남도]] [[곡성군]] ||
  • 정흥채(배우) . . . . 1회 일치
         || '''출신지''' ||[[전라남도]] [[영암군]]||
  • 진도희(1971) . . . . 1회 일치
         1971년 [[전라남도]] [[강진군]] 출생.
  • 채동선 . . . . 1회 일치
         채동선은 1901년 [[대한제국]]령 전라남도 보성군 벌교에서 출생하였다. 만석꾼 집안에서 태어난 채동선은 일제강점기 시절 보통의 사람들보다는 유복하게 살았다고 한다. 그러나 유복하고 편안하였던 그의 인생은 그가 고등학생이 된 후 변화하기 시작했다. 더 나은 교육을 위해 채동선은 서울로 올라가 현재는 [[경기고등학교]]로 이름이 바뀐 경성제1고등학교를 다니게 되었다. 그러던 도중, [[3.1운동]]이 발생함에 따라 채동선은 만세 운동을 매우 열렬하게 하였고, 이러한 그의 행적은 일본경찰의 감시라는 낙인을 주었다. 3.1절 이후 일본에 회의감을 느끼며 학교를 중퇴하고, 일본으로 유학을 가서 [[와세다대학교]]를 졸업하게 된다. 이후 서양 음악에 관심을 갖게 된 채동선은 베를린 음악대학교에서 음악 공부를 계속하였다.
  • 최서일 . . . . 1회 일치
         1906년 서울에서 출생하였다.<ref>통천최씨 족보에는 전라남도 완도군 약산면 관산리에서 출생하였다고 기록되어 있다.</ref> [[도쿄 대학|동경제국대]] 수산대를 졸업하였다. 대학 졸업 이후 [[조선총독부]] 산업기사를 지냈다. 해방 이후 (주)조선수산개발 사장으로 사업을 펼치다 공직에 들어섰다.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 [[대한민국 상공부|상공부]] 수산국장과 초대 해무국장을 지냈다. [[1960년]] 해무청 청장에 임명되었다. 1963년 [[민주공화당 (대한민국)|민주공화당]] 소속으로 [[완도군]]에 국회의원으로 출마하여 제 6대 국회의원으로 선출되었다. 민주공화당 중앙상임위원을 지냈다. 1970년에 사망하였고, 묘는 양주군 모란공원에 위치하고 있다.
  • 최은주(배우) . . . . 1회 일치
         출생 [[1979년]] [[2월 22일]] [[전라남도]] [[구례군]]
  • 최재원(배우) . . . . 1회 일치
         [[1969년]] [[12월 15일]], [[전라남도]] [[순천시]]에서 출생. [[종교]]는 [[가톨릭|천주교]]이며, [[세례명]]은 요셉이다.
  • 퓨어킴 . . . . 1회 일치
         ||'''출생'''||[[1986년]] [[3월 3일]]([age(1986-03-03)]세), ([[전라남도]] [[신안군]])||
  • 하춘화 . . . . 1회 일치
         || 출생 ||[[1955년]] [[6월 28일]] ([age(1955-06-28)]세) [[전라남도]] [[영암군]] [br] 게자리/양띠||
  • 한가빈 . . . . 1회 일치
         |출생지 = [[전라남도]] [[장성군]]
  • 한현민(코미디언) . . . . 1회 일치
         [[1981년]] [[11월 10일]], [[전라남도]] [[보성군]] 에서 출생했다. [[부모님]]이 지금 [[현재]] 벌교초등학교 근처에서 [[아이비클럽|교복집]]을 운영하고 계신다.
  • 홍인영 . . . . 1회 일치
         ||<#FF0000><:> {{{#FFFFFF '''출생''' }}} ||<:>[[1985년]] [[10월 27일]], [[전라남도]] [[영암군]] ||
  • 홍인한 . . . . 1회 일치
         |사망지= [[조선]] [[전라남도]] [[완도군]] [[고금도]]
11531의 페이지중에 105개가 발견되었습니다 (5000개의 페이지가 검색됨)

여기을 눌러 제목 찾기를 할 수 있습니다.

Valid XHTML 1.0! Valid CSS! powered by MoniWiki
last modified 2019-08-03 06:22:03
Processing time 1.5369 se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