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평(李坪, 1572년 8월 17일 - 1612년)은 조선 후기의 문신, 학자이다. 자(字)는 여원(汝遠)이고 본관은 우계(羽溪), 도촌 이수형(李秀亨)의 4대손이다. 경상북도 영천 출신이며 이잠(李埁)의 형이다.
1612년(광해군 4) 증광사마시에 합격하여 생원이 되고, 그 해 9월 9일 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으나 관직에 발령되기 전에 병으로 사망했다.
1612년 유영경의 추죄와 광해군에게 존호를 올리기를 상소하였다.
1612년 유영경의 추죄와 광해군에게 존호를 올리기를 상소하였다.
생애 ¶
경상북도 출신으로,도촌 이수형의 셋째 아들 참봉 이준근(李峻根)의 증손으로 아버지는 임진왜란 때의 의병장 이효린이고, 어머니는 영천 이씨(永川李氏)로 생원 이여량(李汝樑)의 딸이고 장악원 직장 찰방 이현준(李賢俊)의 손녀이다.
유학(儒學)으로 1612년(광해군 4년) 과거에 응시하기 위해 서울로 상경했다. 1612년(광해군 4년) 5월 12일 광해군의 즉위를 방해한 유영경(柳永慶)을 강경하게 탄핵하였다. 대동야승과 연려실기술, 광해군일기에 그가 유영경의 죄를 탄핵한 기록이 실려 있다. 유영경(柳永慶) 등을 추형(追刑)하고, 광해군에게 존호(尊號)를 올리고, 공신(功臣)을 녹훈하고, 역당(逆黨)의 흉서(兇書)를 중외에 반포할 것을 요청하는 상소였다.<ref>광해군일기 53권, 1612년(광해군 4년, 명 만력 40년) 5월 2일 을미 1번째기사, 이평이 유영경 등의 추형, 존호를 올리는 일, 공신을 녹훈하는 일 등을 상소하다</ref> 이에 그해 5월 29일 대신이 백관을 거느리고 존호를 올리는 일을 아뢰었는데 입계하였다. 광해군은 "임금은 부귀하기는 한 나라를 소유하였고 귀하기는 군왕이니, 그 영화와 높게 드러난 것이 그 이상 더할 수 없다. 저 존호를 올려 찬양하는 일은 하늘 끝의 한 점 뜬 구름에 지나지 않는다. 명예에 대해 옛날의 지사(志士)들은 얻고 잃고 가고 오는 것을 역시 개의치 않았으니, 임금에게 헛된 칭호를 가하는 것이 무슨 털끝만한 보탬이라도 있겠는가. 도리어 손상만 시키는 것이다. 나는 감히 과장하지 못하겠으며 명예도 원치 않고, 다만 본분을 지키다 자연을 따라 죽고자 할 뿐이다. 더구나 지금 이평(李坪)의 상소 하나로 인하여 경들이 정청(庭請)을 그치지 않으니, 내가 더욱 통탄스럽게 여긴다. 내가 비록 불초하지만 어찌 한 애숭이 유자의 망언으로 인하여 경솔하게 당치도 않은 큰 칭호를 받겠는가. 만에 하나라도 이럴 리는 없으니, 번잡하게 하지 말고 빨리 물러가도록 하라.<ref>광해군일기 53권, 1612년(광해군 4년, 명 만력 40년) 5월 29일 임술 3번째기사, 대신이 백관을 거느리고 존숭의 일을 아뢰었으나 윤허하지 않다</ref>" 하였다.
이후 이항복 등이 신하들을 데리고 입계하여 그에게 존호 올리기를 청하기도 했다.<ref>광해군일기 54권, 1612년(광해군 4년, 명 만력 40년) 6월 1일 갑자 4번째기사, 우의정 이항복이 백관을 거느리고 존호를 올릴 것을 재차 청하다</ref> 일설에는 이이첨이 이평을 사주하여 유영경의 추죄를 청하는 상소를 올리게 했다는 의견도 있다.<ref>광해군일기 54권, 1612년(광해군 4년, 명 만력 40년) 6월 4일 정묘 5번째기사, 양사에서 시관으로서 시험 출제를 잘못한 김시언을 국문할 것을 청하다</ref>
1612년(광해군 4) 임자(壬子) 증광시(增廣試) 생원에 합격하여 생원이 되고, 바로 전시에 응시할 자격이 주어져 그해의 9월 9일의 증광 문과(增廣文科)에 병과(丙科)로 급제하였으나 관직에 발령되기 전에 병으로 사망한다. 선교랑 홍문관 부수찬이 증직으로 추서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