팝업레이어 알림

팝업레이어 알림이 없습니다.
E D R , A S I H C RSS

이은상(시조시인)

변화가 없습니다






이은상(李殷相, 1903~1982)

「가고파」
내 고향 남쪽 바다 그 파란 물이 눈에 보이네
꿈엔들 잊으리오 그 잔잔한 고향 바다
지금도 그 물새들 날으리 가고파라 가고파.
어릴 제 같이 놀던 그 동무들 그리워라.
어디 간들 잊으리오 그 뛰놀던 고향 동무
오늘은 다 무얼 하는고 보고파라 보고파.
그 물새 그 동무들 고향에 다 있는데
나는 왜 어이타가 떠나 살게 되었는고
온갖 것 다 뿌리치고 돌아갈까 돌아가.
가서 한데 얼려 옛날같이 살고지고
내마음 색동옷 입혀 웃고 웃고 지내고저
그 날 그 눈물 없던 때를 찾아가자 찾아가.
물 나면 모래판에서 가재 거이랑 달음질하고
물 들면 뱃장에 누워 별 헤다 잠들었지
세상 일 모르던 날이 그리워라 그리워.
여기 물어 보고 저기 가 알아 보나
내 몫엔 즐거움은 아무데도 없는 것을
두고 온 내 보금자리에 가 안기자 가 안겨.
처자들 어미 되고 동자들 아비 된 사이
인생의 가는 길이 나뉘어 이렇구나
잃어진 내 기쁨의 길이 아까와라 아까와.
일하여 시름 없고 단잠들어 죄 없는 몸이
그 바다 물소리를 밤낮에 듣는구나
벗들아 너희는 복된 자다 부러워라 부러워.
옛 동무 노젖는 배에 얻어 올라 치를 잡고
한바다 물을 따라 나명들명 살까이나
맛잡고 그물 던지며 노래하자 노래해
거기 아침은 오고 거기 석양은 져도
찬 얼음 센 바람은 들지 못하는 그 나라로
돌아가 알몸으로 살꺼니아 깨끗이도 깨끗이.



개요

한국의 시인이자 사학자, 교육자이다. 아호는 노산(蘆山)이다. 초기에는 동양적 인생무상과 관조의 정신을 담은 자유시를 창작하였으나 곧 시조시인으로 전향하였고[1] 1920년대 시조부흥운동에 활발하게 참여하였다. 유명한 가곡인 '가고파'의 시인으로 많은 사랑을 받는 한편 친독재 전력으로 논란의 대상에 놓여 있기도 하다.

일생

1903년 경상남도 마산합포구(현 마산합포구) 에서 태어났다. 1918년 아버지가 설립한 마산 창신학교 고등과를 졸업하였고, 1923년 경성 연희전문학교 문과에 입학하였다가 중퇴하고 1925년 도일하여 와세다대학 사학과에서 수학하였다.

1922년 조선문단을 통해 시조 '아버님을 여의고', '꿈 깬 뒤' 등을 발표하여 등단한 후 자유시를 창작하다가 1926년 이후 카프의 계급주의 문학의 반동으로 일어난 시조부흥운동의 영향으로 조국의 전통 문학과 국학에 깊은 관심을 갖게 되었고 시조시인으로 전향하였다.

1932년 노산시조집을 간행하였고 여기에 수록된 '|가고파 ', '| 성불사의 밤' 등은 지금도 가곡으로 애창되고 있다. 1930년대 이후 가람 이병기와 함께 한국의 대표적 시조시인으로 자리를 굳히면서 민요적 리듬을 살린 작품들을 많이 썼다.

1942년 조선어학회 사건에 연루되어 일제에 구금되었고 1945년 사상범 예비 검속으로 구속된 후 철창 속에서 해방을 맞게 된다. 1949년 동국대 교수에 부임하였고 이후 충무공 이순신장군기념사업회장, 안중근 의사 숭모회장, 통일촉진회 최고위원, 전두환 정부 국정자문위원 등을 역임하였다. 언론, 사학, 문학 쪽에서 다양한 저술을 남겼으며 난중일기를 초역하는 등 충무공 이순신 연구자로서도 명성이 높다.

1982년 9월 18일 지병으로 사망하였다. 사후 문화훈장 1등급 금관문화훈장에 추서되었고 국가 지원 사회장으로 국립묘지 현충원에 안장되었다.

기타

  • 행정동마산합포구 노산동은 그의 아호인 노산에서 따온 것이다. 노산동 노비산 정상에 이은상을 기리는 마산문학관이 있다.
  • 처음 호를 지을 때 재미있는 일이 있었다고 한다. 작명을 의뢰받고 한동안 이은상을 관찰해 보니 괴짜 기질이 있어 해오라기 노'자를 사용해 주로 바닷가에서 볼 수 있는 해오라기가 산에 있다는 뜻의 노산이라는 호가 만들어졌다고 한다. 어감이 좋았는지 한동안 이은상이 말없이 이 호를 사용했는데 언젠가 이 뜻을 알게 되었다. 이후로는 한자가 아닌 한글로 이 호를 사용했다고 한다.
  • 이은상의 시 '가고파'는 그의 고향인 마산의 상징으로서 마산 시민들에게 많은 사랑을 받고 있으며 가고파 국화축제, 가고파초등학교와 같이 지명, 축제명, 교명, 시비 등을 통해 마산 곳곳에서 기념되고 있다. | 링크

논란


친독재 행적

이은상은 친독재 전력이 뚜렷하다. 1960년 제4대 대통령 선거 당시 이승만 당선을 돕는 문인 유세단에서 활동하였고, 이어 박정희 유신정권·전두환 독재정권을 옹호하는 등 반민주 정권에 협력적이었다는 꼬리표가 따라다니고 있다.

이은상은 1960년 이승만 지원 유세에서 당시 시국을 임진왜란에 비유하면서 "이순신 같은 분이라야 민족을 구하리라, 그리고 그 같은 분은 오직 이 대통령이시다."라 밝힌 바가 있다. 또한 1960년 이승만 자유당 정권 부정선거에 항거하여 일어난 3·15의거를 '무모한 흥분' '지성을 잃어버린 데모', '불합리? 불합법이 빚어낸 불상사'로 비하하며 마산시민들에게 자중할 것을 당부하기도 하였다. | 링크

이후 이은상은 박정희 정권의 민주공화당 '창당선언문'을 작성했고 1972년 10월 청우회 중앙본부 회장으로 있으면서 "무질서와 비능률을 배제하여 국기를 공고히 하려는 박 대통령의 영단에 적극 찬동한다"는 뜻의 '10월 유신 지지 성명'을 발표했다. 1975년 5월 13일 박정희 정권이 긴급조치 9호를 선포한 후 이를 옹호하는 관변단체 총력안보 국민협의회 의장을 맡기도 하였다.

또한 전두환이 1979년 12.12 군사반란으로 집권하여 통일주체국민회의에서 대통령으로 선출되자 1980년 월간지 '정경문화'에 '한국의 특수한 상황으로 보아 무엇보다도 강력한 지도자를 원하는 것이 거의 일반적 여론'이라는 글을 기고하였고 다음 해 4월 전두환 정권의 국정자문위원이 되기도 하였다.

사후 평가에 대한 논란

이은상의 문학적 성취와 친독재 반민주 성향에 관해 그를 기념하고 추도하는 세력과 규탄하는 세력으로 나뉘어 현재까지도 논란은 계속되고 있다.

노산문학관 명칭 논란

상남동 노비산 정상에 건립할 예정이었던 문학관의 명칭은 당초 이은상의 아호를 딴 '노산문학관'이 될 예정이었지만 시민사회진영의 반발로 오랜 진통을 겪은 후에 시의회 의결로 '마산문학관'으로 변경되기도 하였다. | 링크

마산역 가고파 시비 논란

또한 마산역 정문 광장에 세워졌던 '가고파' 시비가 | 페인트 세례를 당하고, 시비 위에 그를 조소하는 내용을 담은 '검은 천'으로 덮는 | 퍼포먼스가 거행되고, 이은상의 독재 행적을 규탄하는 | 대응비가 세워지는 일이 벌어지기도 하였다.

안상수 창원시장 친독재 옹호 관련 논란

이은상과 가고파를 창원시의 문화적 자산으로 삼아 관광자원화시키려는 안상수 창원시장의 계획에 대해서도 시민사회와 진보진영에서많은 비판이 있었다. 특히 창원시의회 시의원 질의에 대한 "이은상 선생이 글을 쓸 때 독재를 찬양해서 대역무도한 짓을 한 것처럼 아는데 삼엄한 유신 시기에 문인에게 글 좀 쓰라고 군부가 총칼을 들이댈 때 견딜 수 있는 사람이 얼마나 있을지 의구심이 든다", "그 결과가 찬양이라고 얼마나 죄가 될지 모르나 모든 인간이 완벽할 수 없다" , "친일인명사전은 일부 진보세력이 만든 것으로 국가가 만든 게 아니니 인정할 수 없다", "이은상이 진보에서 말하는 친독재 발언을 했다고 하더라도 무수한 작품과 고향 사랑 곡까지 묻을 필요가 없다" 등의 | 발언은 친독재, 역사의식 결여 등의 문제로 논란이 되었다.

이에 대해 안상수 시장은 친일, 친독재 미화 의도는 없으며 '다만 작품은 예술 그 자체로 사랑받아야 한다'는 식의 논지로 항변하였다. | 링크

은상이샘 철거 문제 논란

마산합포구 노산동 북마산파출소 앞 3·15의거기념비와 그 옆에 나란히 놓인 은상이샘 문제에 대해서도 창원시와 시민 사회간의 논쟁이 계속되고 있다. 은상이샘은 북마산파출소 근처 이은상 생가가 도로 확장 공사로 편입되어 철거되자 문인들의 요구로 현 위치로 옮겨서 복원한 것인데, 3·15의거 기념비와 3·15를 모욕한 인물의 기념물이 한곳에 나란히 들어서게 된 것이다.

안상수 시장은 이에 대해 "복원당시 지역민들의 정서를 반영한 것인 만큼 역사적으로 평가하는 것이 타당하다"며 | 존치 의사를 밝혔지만, 시민단체는 반발하며 기념비와 은상이샘 사이에 벽돌 담장을 쌓아 이를 분리시키는 | 퍼포먼스를 하며 저항 의지를 드러내었다.

기타

저래놓고 이은상은 수필 소동파에서 소동파를 고려를 모독한 인물이라며 한국인은 왜 그를 존경하느냐? 라는 주장을 했다. 게다가, 이 수필 초반부에 이완용이 붓글씨를 잘 씀에도 그것들이 인정받지 못했다는 이유를 들이대며 친일한 것을 비난하고 있으니 더더욱 어이없는 일이다.
----
  • [1] 실제로 대표작인 '가고파'나 '성불사의 밤'은 현대시조로 분류되며 노래가 아닌 시 자체로 보면 정형적인 시조형식을 따르고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