팝업레이어 알림

팝업레이어 알림이 없습니다.
E D R , A S I H C RSS

윤간 (군인)

변화가 없습니다



{{군인 정보
|이름= 윤간 (尹旰)
|생애= 1573년 - 1665년 2월 12일
|그림=
|별명= 자(字)는 유자(幼孜)
|태어난 곳= 조선
|죽은 곳= 조선
|설명=
|복무=조선
|복무 기간 = 1591년 ~ 1665년
|최종 계급= 병마절도사(종2품)
|부대= 조선 육군
|지휘= 조선 국군
|주요 참전 전투/전쟁=
서훈 내역= [[1591년]] [[광국공신
광국]]원종공신 3등(光國原從功臣三等)<br/>1604년 호성원종공신 3등<br/>1614년(광해군 6년) 8월 27일 위성원종공신 3등(衛聖原從功臣三等)
|추증 추봉=
|기타 이력=
|}}
윤간(尹旰, 1573년 - 1665년 2월 12일)은 조선 중기, 후기의 무신, 군인이다. 1591년 광국원종공신 3등(光國原從功臣三等)에 책록되었고 임진왜란 시 일가를 따라 의주 파천에 참여하였다. 1604년 호성원종공신 3등에 녹훈되고, 1609년(광해군 1)에 무과(武科)에 급제, 선전관, 종성부사 등을 거쳐 1617년~1618년 인목대비 폐비 논의 당시, 정청에 참여를 거부하였다.

이후 외직을 자처하여 1620년 전북도 경성부사, 1621년 종성부사, 1623년 호군을 거쳐 인조반정에 참여하였다. 호군아 되었다가 다시 종성부사를 거쳐 1628년 강서현령, 1629년 안주목사 겸 방어사 병마절도사에 이르렀다. 1614년(광해군 6년) 8월 27일 위성원종공신 3등(衛聖原從功臣三等)에 책록되었다. 본관은 해평(海平)으로 자(字)는 유자(幼孜)이고, 윤두수(尹斗壽)의 아들이다.

생애

조부는 군자감정 증 영의정 해징부원군 윤변(尹忭)이고, 오음 윤두수(尹斗壽)의 다섯째 아들이다. 어머니는 전북도 출신이다.

1591년(선조 24) 광국원종공신 3등(光國原從功臣三等)에 녹훈되었다.<ref>光國原從功臣錄券</ref>

1592년(선조 25) 선조의 어가가 의주로 몽양갈 때 호종한 공로로, 훗날 1604년 호성원종공신 3등에 녹훈되었다.<ref>호성원종공신록</ref> 전란 종결 이후 수문장(守門將)이 되고<ref>최립, 윤두수신도비문</ref>, 1601년 부친상으로 사직했다가 1603년 다시 수문장(守門將)으로 복직하고, 1604년 겸사복(兼司僕)을 역임했다. 1609년(광해군 1)에 증광 무과(增廣武科)에 급제, 선전관, 종성부사, 첨사 등을 거쳐 1614년(광해군 6년) 8월 27일 위성원종공신 3등(衛聖原從功臣三等)에 책록되었다. 1618년(광해군 10) 공론에 의해 인목대비의 폐모를 주청하는 논의에 형 윤방이 불참하자 그도 역시 참여를 거부하고 불참하였다. 그는 서자는 어머니도 없는가 라며 불만을 토로했다 한다. 이후 외직을 자청하여 1620년(광해군 13년) 전라북도 전북도부사, 1621년 종성부사(鍾城府使)로 부임하였다. 이때 김류 등이 외지로 부임해서는 안된다고 만류하였으나 외직을 자청하였다.

그 뒤 1623년인조 반정을 지지하였고 호군을 거쳐 1626년(인조 4) 4월 임기가 만료되면서 병조의 계로 경상도우수영 우후(慶尙道右水營虞候)에 추천되었으나, 전북도에서 아병(牙兵)을 모집하는 일을 담당하고 있다 하여, 계속 서도(西道)의 일에 전념하게 되었다.

이후 가의대부(嘉義大夫) 행용양위(行龍驤衛)로 승진하고, 1628년(인조 6) 5월 25일강서현령(江西縣令)을 거쳐 1629년 안주목사 겸 방어사(安州牧使兼防禦使)로 부임하였다. 이후 병마절도사에 이르렀다. 1637년(인조 14년) 아들 윤겸지가 남한산성에서 순국하여, 아들 겸지의 공로로 그에게 특별히 훈련도정(訓鍊都正)에 제수되었다.

묘소는 경기도 수원군 (현, 수원시 장안구) 입모봉(笠帽峰) 간좌(艮坐)에 매장되었다. 후처 정선전씨의 묘소와 쌍봉으로 되어 있다. 본처 여흥이씨의 묘소는 수원군 남부 구산동 자좌(子坐)에 있다.

가족 관계

* 증조부 : 윤희림(尹希琳)
** 조부 : 윤변(尹忭)
** 조모 : 이씨
*** 이복 백부 : 윤담수(尹聃壽)
*** 이복 백부 : 윤춘수(尹春壽)
*** 이복 백부 : 윤기수(尹期壽)
** 조모 : 현씨, 아버지 윤두수, 숙부 윤근수의 생모
*** 숙부 : 윤근수(尹根壽)
*** 숙모 : 조씨, 조안국(趙安國)의 딸
**** 사촌 : 윤환(尹晥, 1556년 - ?)
**** 사촌 : 윤질(尹晊)
**** 사촌 : 윤명(尹㫥)
**** 사촌 : 윤유(尹曘)
**** 사촌 : 윤환(尹㬇)
**** 사촌 : 윤민(尹旼)
*** 아버지 : 윤두수(尹斗壽)
*** 어머니 : 황씨
**** 이복형 : 윤방(尹昉), 윤덕영, 윤택영의 선조
**** 이복형 : 윤흔(尹昕), 윤영렬, 윤웅렬의 7대조
**** 이복형 : 윤휘(尹暉)
**** 이복형 : 윤훤(尹暄)
**** 형 : 윤우(尹旴)
* 부인 : 여흥이씨(驪州李氏), 이진(李鎭)의 딸
** 아들 : 윤연지(? ~ 1631년 윤11월 26일)
** 아들: 윤흠지(尹欽之, 1599년 ~ 1663년 3월 10일)
** 사위 : 한진겸(韓震謙)
** 사위 : 유몽립(柳夢立)
* 부인 : 정선전씨, 전인경(全仁慶)의 딸
** 아들: 윤겸지(尹謙之 1612년 ~ 1637년 1월 25일), 병자호란남한산성에서 전사
** 아들: 윤전지(尹全之)
** 아들: 윤임지(尹任之)
** 아들: 윤간지(尹柬之)
** 아들: 윤선지(尹善之)
* 첩 : 이름미상
** 서녀 : 해평윤씨
** 서녀사위 : 연성령 이충원(延城令 李忠元), 중종왕자 해안군 이기 후손 오산군 이현(烏山君 李㟓)의 아들

기타

아들 윤겸지는 무과에 급제하여 선전관, 훈련도감 우별초관(右別哨官)을 지내고 병자호란 때 전사하였다.

1636년(인조 14년) 1월 25일 훈련도감 우별초관으로 재직 중 술에 취하여 저지른 실수로, 훈련도감의 보고 후 태거(汰去)를 받았다.<ref>승정원일기 인조 14년 병자(1636) 1월 25일(신미) 맑음 3번째 기사</ref> 다시 선전관으로 강등당했다가 병자호란이 터지자 인조를 남한산성까지 수행하였다. 1637년 1월 25일 남한산성의 동쪽 성문을 지키다가 탄환에 맞고 죽었다. 그가 임종에 달하자 특지로 절충장군 훈련원도정에 제수하였다는 교지가 당도하여 선전관이 읽어주자마자 숨이 끊어졌다 한다. 시신은 병자호란 종결 후 선산 근처에 매장되었다.

1756년 홍상한이 윤겸지에게 다시 포증을 건의했는데 윤겸지의 추가 증직은 알려지지 않고 있다.<ref>승정원일기 1138책 (탈초본 63책) 영조 32년 11월 16일 기유 13번째 기사</ref>

관련 항목


==참고 자료 ==
* 광해군일기
* 해평윤씨 세보
*승정원일기
* 오음유고(梧陰遺稿)
* 기년편고

각주

{{각주}}

{{토막글|군인|조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