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화가 없습니다
{{인물 정보
|이름 = 오위영
|원어이름 = 吳緯泳
|사진 =
|출생지 = {{국기나라|대한제국}} 경상남도 울산시 <br />(現 울산광역시)
|본관 = 해주
|사망지 =
|별칭 = 호 석운(石耘)
|직업 = 금융인, 정치인
|소속 =
|종교 =
|부모 =
|배우자 =
|자녀 =
|상훈 =
|웹사이트 =
}}
오위영(吳緯泳, 1901년 5월 5일 ~ 1978년 10월 2일, 울산)은 일제 강점기의 금융인이자 대한민국의 금융인, 정치인으로 제2·4·5대 국회의원이었다. 일본 고베고등상업학교를 졸업하고 초계ㆍ진해금융조합이사, 조선신탁은행 두취(은행장), 제2대·4대 국회의원, 제5대 참의원, 자유당 중앙상임위원장, 민주당 중앙상위의장, 전원위ㆍ재경위ㆍ예결위원장을 역임하였다.
|이름 = 오위영
|원어이름 = 吳緯泳
|사진 =
1901|5|5}} |
대한민국}} |
|사망지 =
1978|10|2|1901|5|5}} |
고베고등상업학교]] |
|소속 =
|종교 =
|부모 =
|배우자 =
|자녀 =
|상훈 =
|웹사이트 =
}}
오위영(吳緯泳, 1901년 5월 5일 ~ 1978년 10월 2일, 울산)은 일제 강점기의 금융인이자 대한민국의 금융인, 정치인으로 제2·4·5대 국회의원이었다. 일본 고베고등상업학교를 졸업하고 초계ㆍ진해금융조합이사, 조선신탁은행 두취(은행장), 제2대·4대 국회의원, 제5대 참의원, 자유당 중앙상임위원장, 민주당 중앙상위의장, 전원위ㆍ재경위ㆍ예결위원장을 역임하였다.
약력 ¶
금융 활동 ¶
경상남도 울산 출신으로, 일찍이 일본으로 유학, 1928년 일본 고베고상(神戶高商, 고베 대학의 전신)을 졸업하고 바로 귀국하였다. 그해 금융조합이사에 선출되면서 금융계에 진출하였다. 그 뒤 초계군금융조합 이사, 진해군금융조합 이사를 역임했다.
금융계에서 활동하던 중 광복 직후 1945년 9월 미군정이 주둔하면서 금융계 경력이 인정되어 1947년 신탁은행의 이사로 선임되었다. 미군정 기간 중 신탁은행 이사로 있으면서 기반을 쌓아 이를 바탕으로 부산일원의 자산가로 급부상하였다. 1949년 신탁은행 총재가 되고, 그해 미국 시찰 중 주미한국대사 장면을 만났으며, 그의 청렴성에 감명받아 귀국후 대통령 이승만에게 이를 알리고, 후에 그를 총리로 천거하게 된다.
정치 활동 ¶
1950년 제2대민의원선거 때 울산에서 무소속으로 출마, 당선되었으며, 국회에서는 초선의원이면서도 자금력을 바탕으로 정계의 주목을 받았다. 이어 자유당에 입당하여 활동하였다. 1951년 이승만이 새 총리를 물색할 때 그는 장면을 적극 추천하여 총리로 기용시키기도 했다.
{{인용문|제 생각으로는 장면 박사가 제일 적임자라고 생각합니다. 그는 미국에서도 지지를 받고 있을 뿐만 아니라 6‧25 당시의 성공적인 외교 활동을 통해 국민들에게 잘 알려진 사람입니다. 지금의 시끄러운 사태를 수습할 수 있는 유일한 인물입니다.<ref>장면, 《한알의 밀이 죽지 않고는》 (가톨릭출판사, 1998 증보판) 373페이지</ref>}}
이어 자유당 중앙상임위원장에 선출되었다. 1952년 그는 장면, 현석호 등과 원내 자유당에 있었으나 원내 자유당 인사들의 장면을 대통령으로 추대하려는 계획과 장면을 내각책임제하 국무총리로 추대하려는 시도 등 내부에서 이견이 갈렸고 모두 실패함에 따라 1954년 자유당을 떠나 호헌동지회에 참여하였고 후에 민주당 창당에 가담하여 신파 정치인으로 활동하였다.
생애 후반 ¶
민주당 중앙상위의장에 선출되고 이어 국회 전원위ㆍ재경위ㆍ예결위원장을 두루 거쳤다. 1958년 제4대민의원이 되면서부터 같은 자유당 탈당파인 장면 등과 더욱 밀착되었다. 또한 장면과 민주당 신파 계열의 재정적 후견인 노릇도 겸하면서 그 정치자금 문제를 해결해주기도 하였다.
1960년 제2공화국 출범 후 입각이 유력시되었으나 구파의 집단 반발로 무산되었다. 그러나 그해 8월 조각 당시 국무원사무처장에 임명되었고, 1961년 초 개각 당시 무임소장관이 되었다. 그해 초 국무총리 장면에게 데모 방지법 마련에 대한 건의를 하였으나, 장면은 자유를 최대한 허용해야 된다며 그의 건의를 반대하였다.
역대 선거 결과 ¶
{| class="wikitable"
|-
!선거명||직책명||대수||정당||득표율||득표수||결과||당락
|-
|-
|-
|-
|}
|-
!선거명||직책명||대수||정당||득표율||득표수||결과||당락
|-
제2대 총선]] | 국회의원(경남 울산군 갑) | 2대 | 무소속 | {{막대|무|3|7|5|2}} 37.52% | 12,503표 | 1위 |
제3대 총선]] | 국회의원(경남 울산군 갑) | 3대 | 무소속 | {{막대|무|0|0|0|0}} 0.00% | 0표 | - | 낙선 |
제4대 총선]] | 국회의원(부산시 동구 을) | 4대 | 민주당 | {{막대|녹|5|9|1|4}} 59.14% | 19,468표 | 1위 |
제7대 총선]] | 국회의원(전국구) | 7대 | 민주당 | {{막대|녹|0|3|0|0}} 3.0% | 323,203표 | 전국구 1번 | 낙선 |
각주 ¶
<references/>
참고 자료 ¶
* {{헌정회|929|오위영}}
* 장면, 한알의 밀이 죽지 않고는 (가톨릭출판사, 1999)
* 장면, 한알의 밀이 죽지 않고는 (가톨릭출판사, 1999)
외부 링크 ¶
{{전임후임|
|대수 = 8
|임기 = 1960년 8월 20일 ~ 1960년 9월 11일
}}
{{전임후임|
|대수 = 6
|임기 = 1960년 9월 11일 ~ 1961년 5월 20일
}}
{{전임후임 국회의원|
|대수 = 2
|임기 = 1950년 5월 31일 ~ 1954년 5월 30일
|같은 지역구 의원 = (울산군 을)
}}
{{전임후임 국회의원|
|대수 = 4
|임기 = 1958년 5월 31일 ~ 1960년 7월 28일
}}
{{전임후임 국회의원|
|전임자 = (신설)
|후임자 = (폐지)
|대수 = 5
|임기 = 1960년 7월 29일 ~ 1961년 5월 16일
|소속정당 = 무소속
|분류 = 대한민국의 제5대 참의원
}}
|대수 = 8
국무원 사무처장]] |
}}
{{전임후임|
|대수 = 6
무임소 장관]] |
}}
{{전임후임 국회의원|
|대수 = 2
국회의원(울산군 갑)]] |
자유당]] → 무소속 |
}}
{{전임후임 국회의원|
|대수 = 4
국회의원(부산 동구 을)]] |
민주당]] |
{{전임후임 국회의원|
|전임자 = (신설)
|후임자 = (폐지)
|대수 = 5
참의원(경상남도 제1부)]] |
|소속정당 = 무소속
|분류 = 대한민국의 제5대 참의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