팝업레이어 알림

팝업레이어 알림이 없습니다.
E D R , A S I H C RSS

오시만

r1.2과 현재 버전의 차이점

@@ -9,11 +9,11 @@

그의 집안은 당색으로는 [[남인]]의 당원이었으나, 그의 부인은 [[서인]] [[한준겸]]의 4대손이었고, 그의 숙부이자 양아버지인 [[오정위]]는 자신의 서녀를 [[서인]] 당원인 [[김환]]의 첩으로 출가시키기도 했다. 그러나 [[경신환국]] 이후 [[허새의 옥사]]로 [[서인]]과는 원수가 된다.

1666년(현종 7) [[생원시]]와 [[진사시]]에 모두 합격하여 생원, 진사가 되었으며 그 뒤 [[성균관]]에서 수학하였다. 그 뒤 [[음서 제도|음보]]로 관직에 올라 통덕랑(通德郞)을 지냈다. 통덕랑으로 재직 중 1676년(숙종 2) 정시문과에 장원으로 급제, 여러 벼슬을 거쳐 [[성균관]]전적(成均館典籍)과 지평을 지내고, [[1679년]] 헌납(獻納)으로 있을 때 문과중시에 병과로 급제, [[통훈대부]]로 승진하여 행[[홍문관]]수찬(修撰), 교리, 헌납 등을 역임하였으며 1680년 이조좌랑이 되었다가 [[경신대출척]]으포 파면되었다.
1666년(현종 7) [[순천시 (전라남도)|순천시]]와 [[진사시]]에 모두 합격하여 생원, 진사가 되었으며 그 뒤 [[성균관]]에서 수학하였다. 그 뒤 [[음서 제도|음보]]로 관직에 올라 통덕랑(通德郞)을 지냈다. 통덕랑으로 재직 중 1676년(숙종 2) 정시문과에 장원으로 급제, 여러 벼슬을 거쳐 [[성균관]]전적(成均館典籍)과 지평을 지내고, [[1679년]] 헌납(獻納)으로 있을 때 문과중시에 병과로 급제, [[통훈대부]]로 승진하여 행[[홍문관]]수찬(修撰), 교리, 헌납 등을 역임하였으며 1680년 이조좌랑이 되었다가 [[경신대출척]]으포 파면되었다.

이때 [[서인]]에서 그의 양아버지이자 삼촌인 [[오정위]]의 서녀를 첩으로 둔 [[서인]]당원 [[김환]]을 사주하여 오정위 등이 역모를 꾸민다고 무고, [[김석주]], [[김익훈]] 등이 날조한 [[허영의 옥사]]에 연루되어 [[서인]]의 공격을 당했으나 [[조선 숙종|숙종]]이 듣지 않아 사형은 모면하였다.

[[1689년]] [[승지]]에 머물렀다. 그해 [[기사환국]]으로 남인이 복귀하자 [[1691년]] 대사헌에 이르렀으나 부당하다 하여 다시 승지로 전임되었다. [[1692년]] [[좌승지]]가 되었다가 우부승지 이현조가 오정위를 공격하자 피혐으로 사직을 청하였으나 숙종이 반려시켰다. [[1694년]](숙종 20년) [[갑술환국]]으로 [[남인]]이 실각되자, 바로 삭탈관직되고 유배당하였다. 지조가 깨끗하고 겸허 담백하였으나 [[1694년]] 당화(黨禍)(갑술환국)를 입어 [[평안북도]] [[용천]], [[평안남도]] [[강서]] 등지로 10여년간 유배살이를 하였다.
[[1689년]] [[승지]]에 머물렀다. 그해 [[기사환국]]으로 남인이 복귀하자 [[1691년]] 대사헌에 이르렀으나 부당하다 하여 다시 승지로 전임되었다. [[1692년]] [[좌승지]]가 되었다가 우부승지 이현조가 오정위를 공격하자 피혐으로 사직을 청하였으나 숙종이 반려시켰다. [[1694년]](숙종 20년) [[갑술환국]]으로 [[남인]]이 실각되자, 바로 삭탈관직되고 유배당하였다. 지조가 깨끗하고 겸허 담백하였으나 [[1694년]] 당화(黨禍)(갑술환국)를 입어 [[전라북도]] [[전주시|전주]], [[전라남도]] [[무안군|무안]] 등지로 10여년간 유배살이를 하였다.

유배중에도 경학에 힘써 학문 연구와 문인들을 길러냈으며 문장에 특히 뛰어났다. [[1700년]](숙종 26)에 병사하였다.




오시만(吳始萬, 1647년 - 1700년)은 조선후기의 문신이다. 1666년(현종 7) 생원시진사시에 모두 합격하였고 음서로 출사하여 통덕랑으로 재직 중 1676년(숙종 2) 정시문과(庭試文科)에 장원으로 합격, 성균관전적사헌부지평을 지냈다. 그 뒤 삼사의 요직을 거쳐 1679년 헌납으로 재직 중 문과중시에 병과로 급제하여 홍문관수찬, 부수찬, 부교리, 사간원헌납, 홍문관교리 등을 지냈다.

1680년(숙종 6년) 이조좌랑을 거쳐 경신대출척으로 파면되었다가 1689년 승지에 오르고 기사환국으로 남인이 중용되면서 1690년 대사헌에 올랐으나 부당하다 하여 다시 승지로 전임되었다. 1694년(숙종 20) 갑술환국으로 유배되었다. 서인 인사 일부와도 인척관계였으나 허새의 옥사를 전후하여 원수가 되었다. 본관은 동복이며, 자는 영석(永錫), 호는 춘헌(春軒)이다.

생애

1647년(인조 25)에 태어났으며 이조참판 만취 오백령(吳百齡)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관찰사 증오단(吳端)이고 아버지는 호조판서 오정일(吳挺一)이다. 어머니는 나주 정씨로 사인(舍人) 정호선(丁好善)의 딸이며, 삼촌인 예조판서 오정위(吳挺緯)의 양자로 입양되었다. 양어머니는 박씨로 박유경(朴由慶)의 딸이다.

부인은 청주한씨로, 인조의 장인인 서원부원군(西原府院君) 한준겸(韓浚謙)의 증손인 돈령부판관(敦寧府判官) 한두상(韓斗相)의 딸이다.

그의 집안은 당색으로는 남인의 당원이었으나, 그의 부인은 서인 한준겸의 4대손이었고, 그의 숙부이자 양아버지인 오정위는 자신의 서녀를 서인 당원인 김환의 첩으로 출가시키기도 했다. 그러나 경신환국 이후 허새의 옥사서인과는 원수가 된다.

1666년(현종 7) 순천시진사시에 모두 합격하여 생원, 진사가 되었으며 그 뒤 성균관에서 수학하였다. 그 뒤 음보로 관직에 올라 통덕랑(通德郞)을 지냈다. 통덕랑으로 재직 중 1676년(숙종 2) 정시문과에 장원으로 급제, 여러 벼슬을 거쳐 성균관전적(成均館典籍)과 지평을 지내고, 1679년 헌납(獻納)으로 있을 때 문과중시에 병과로 급제, 통훈대부로 승진하여 행홍문관수찬(修撰), 교리, 헌납 등을 역임하였으며 1680년 이조좌랑이 되었다가 경신대출척으포 파면되었다.

이때 서인에서 그의 양아버지이자 삼촌인 오정위의 서녀를 첩으로 둔 서인당원 김환을 사주하여 오정위 등이 역모를 꾸민다고 무고, 김석주, 김익훈 등이 날조한 허영의 옥사에 연루되어 서인의 공격을 당했으나 숙종이 듣지 않아 사형은 모면하였다.

1689년 승지에 머물렀다. 그해 기사환국으로 남인이 복귀하자 1691년 대사헌에 이르렀으나 부당하다 하여 다시 승지로 전임되었다. 1692년 좌승지가 되었다가 우부승지 이현조가 오정위를 공격하자 피혐으로 사직을 청하였으나 숙종이 반려시켰다. 1694년(숙종 20년) 갑술환국으로 남인이 실각되자, 바로 삭탈관직되고 유배당하였다. 지조가 깨끗하고 겸허 담백하였으나 1694년 당화(黨禍)(갑술환국)를 입어 전라북도 전주, 전라남도 무안 등지로 10여년간 유배살이를 하였다.

유배중에도 경학에 힘써 학문 연구와 문인들을 길러냈으며 문장에 특히 뛰어났다. 1700년(숙종 26)에 병사하였다.

가족 관계

* 증조부 : 오백령(吳百齡)
* 할아버지 : 오단(吳端)
* 양 아버지 : 오정위(吳挺緯)
* 양 어머니 : 박씨, 박유경(朴由慶)의 딸
* 양 서모 : 이름 미상
** 이복 서매 : 오씨
** 이복 서매부 : 김환
* 친 아버지 : 오정일(吳挺一)
* 친 어머니 : 나주 정씨, 사인(舍人) 정호선(丁好善)의 딸
* 부인 : 청주한씨로, 한두상(韓斗相)의 딸
* 장인 : 한두상(韓斗相), 한준겸(韓浚謙)의 증손, 한백겸의 종증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