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1.1과 현재 버전의 차이점
@@ -1,71 +1,196 @@
[[분류:한국 여배우]][[분류:1940년 출생]][[분류:화성시 출신 인물]][[분류:2009년 사망]][[분류:1962년 데뷔]]
{{영화인 정보
| 이름 = 여운계
| 출생일 = {{출생일|1940|2|25}}
| 출생지 = {{국기|일제 강점기}} [[경기도]] [[수원시]] (현 [[경기도]] [[화성시]])
| 국적 = {{국기나라|대한민국}}
| 사망일 = {{사망일과 나이|2009|5|22|1940|2|25}}
| 사망지 = {{국기나라|대한민국}} [[인천광역시]] [[부평구]]
| 직업 = [[배우]]
| 활동기간 = [[1958년]] ~ [[2009년]]
| 종교 = [[불교]]
}}
||<width=30%> [* 첫 시상식] || → ||<width=30%><#FFFFA1> '''여운계[br](1974)''' || → ||<width=30%> [[김자옥]][br][[정혜선(배우)|정혜선]][br]안인숙[br](1975) ||
'''여운계'''(呂運計, [[1940년]] [[2월 25일]] ~ [[2009년]] [[5월 22일]])는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1958년]] [[연극배우]]로 데뷔하였으며, [[1962년]]에 [[한국방송공사|KBS]]의 공채 탤런트로 브라운관에도 데뷔하였다. [[2009년]] [[5월 22일]] 폐암으로 투병중 폐렴에 의해 향년 69세로 별세했다.<ref name=투병>{{뉴스 인용|url=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0905230116135&code=100402
|제목=‘대장금 큰상궁’탤런트 여운계씨 별세…폐암 투병끝 69세로
|출판사=경향신문
|날짜=2009년 5월 23일
|저자=문주영 기자}}</ref>
== 학력 ==
* [[고려대학교|고려대학교 인문과학대학]] 국어국문학과 (졸업)
[[대한민국]]의 [[배우]].
=== 초기 ===
[[1940년]] [[경기도]] [[수원시]](현 [[경기도]] [[화성시]])에서 태어나를 졸업하고 [[고려대학교]] 인문과학대학 국어국문학과에 입학하였다. 재학시절 방송반 및 합창반에서 활동하였으며, 대학시절에는 대학극회 단원으로 연기 활동을 시작하여 [[박근형]]과 함께 대학 연극 무대에서 활동했다. 생전에 친한 연기자로는 [[전원주]], [[나문희]], [[선우용여]] 등이 있다.<ref name="아시아경제">{{뉴스 인용
|제목= 여운계, 연기 인생 48년 그가 걸어온 길
|url=http://www.asiae.co.kr/uhtml/read.jsp?idxno=2009052009332099488
|출판사=아시아경제
|날짜=2009-05-22
|저자=임혜선 기자
}}</ref>
[[고려대학교]]를 졸업하고 1962년에 실험극단 단원으로 지내다가 KBS 공채 탤런트에 합격한 뒤 1964년 TBC의 공채 탤런트에 다시 합격하여 [[대한민국]] 최초의 일일 연속극 <눈이 나리는데>의 시골 다방 마담 역할로 안방극장에 데뷔했다.
=== 작품 활동 ===
대학교 졸업 후 [[1962년]]에 실험극단 단원으로 지내다가 같은해에 [[KBS]] 공채 탤런트 2기에 합격하였다. 이후 [[1964년]]에는 [[동양방송|TBC]] 공채 탤런트 1기에 다시 합격하여 대한민국 최초의 일일 연속극 《눈이 나리는데》(극본 한운사, 연출 황운진)의 시골 다방 마담 역으로 안방극장에 데뷔하였다.<ref name="노컷뉴스">{{뉴스 인용
|제목=고(故) 여운계, 그녀는 누구인가
|url=http://www.cbs.co.kr/Nocut/Show.asp?IDX=1154953
|출판사=노컷뉴스
|날짜=2009-05-22
|저자=김재윤 기자
}}
</ref>
[[1968년]]에는 [[최무룡]]이 감독하고 주연을 맡은 영화인 《정 두고 가지마》로 영화에 첫 출연을 하였으며, 그밖에 《엄마의 일기》(1968년), 《별난 여자》([[1970년]]), 《팔 며느리》(1970년), 《목소리》([[1972년]]), 《땅콩 껍질 속의 연가》([[1979년]]), 《순악질 여사》([[1980년]]), 《만추》([[1982년]]), 《산딸기2》([[1985년]]), 《그녀와의 마지막 춤을》([[1988년]]), 《[[마파도]]》([[2005년]]), 《[[마파도 2]]》([[2007년]]) 많은 영화에 출연하였으며, [[한국방송공사]]의 《[[오필승 봉순영|오! 필승 봉순영]]》, 《며느리 전성시대》, [[문화방송]]의 《[[대장금]]》, 《[[내 이름은 김삼순]]》, [[SBS]]의 《[[쩐의 전쟁]]》등 텔레비전 드라마에도 많이 출연하였다.<ref name="아시아경제"/>
<ref name="노컷뉴스"/>
연극은 대학극 《성화(聖火)》로 데뷔하였다. 그 외에 주연한 주요 작품으로 《다리에서의 조망》·《안티고네》·《맥베스》·《우리읍내》·《무익조(無翼鳥)》·《맹진사댁 경사》·《세일즈맨의 죽음》·《밤으로의 긴 여로》·《포기와 베스》·《여름과 연기, 그리고 바람》 등이 있다.<ref name="글로벌">문화·민속/한국의 연극/한국의 신극/신극의 배우/여운계, 《글로벌 세계 대백과》</ref>
[[견미리]]와 친했다고 한다.
=== 투병 생활 ===
2007년 9월에 [[신장암]]으로 SBS《[[왕과 나 (드라마)|왕과 나]]》에서 하차, KBS 2TV《[[며느리 전성시대]]》의 촬영 활동을 중단하고 치료를 받아 석 달 후 재기에 성공했다. [[2009년]]에는 KBS 2TV《[[장화, 홍련 (드라마)|장화, 홍련]]》에 출연 중에 [[폐렴]]을 이유로 [[4월 23일]]에 중도 하차하였고, 뒤늦게 신장암의 폐전이라는 사실이 알려졌다. 같은 해 [[5월 22일]] 향년 70세로 별세했다.<ref name=투병 />
== 출연작 ==
== 약력 ==
* [[2001년]] ~ [[2009년]] : [[대한민국 법무부|법무부]] 범죄예방위원회 연예인위원
* [[2000년]] [[10월]] ~ [[2009년]] : 고려대학교 인문과학대학 국어국문학과 교우회 교우회장
=== [[SBS]] ===
== 수상 경력 ==
* TBC 연기대상 대상
* KBS 우수프로그램평가상 연기상
* [[1966년]] - 제3회 [[동아연극상]] 여우주연상
* [[1971년]] - 제7회 [[백상예술대상]] 연극부문 애독자인기상
* [[1974년]] - 제10회 [[백상예술대상]] TV부문 여자최우수연기상
* [[1996년]] - [[SBS 연기대상]] 특별상
* [[2000년]] - [[KBS 연기대상]] 공로상
* [[2009년]] - [[KBS 연기대상]] 특별 공로상
* [[2011년]] - 제38회 [[한국방송대상]] 특별 공로상
== 출연 작품 ==
{{Col-begin}}
{{Col-2}}
=== [[영화]] ===
* 1983년 [[열아홉살의 가을]]
* 1986년 [[여로]] 영구 계모역
* 2001년 [[몽중인]] 친할머니 역(특별출연)
* 2005년 [[마파도]]
=== 드라마 ===
;[[KBS]]
* [[장화, 홍련 (드라마)|장화, 홍련]]
* [[며느리 전성시대]]
* [[달래네 집]]
* [[오필승 봉순영]]
* [[헬로! 애기씨]]
* [[저 푸른 초원위에]]
* [[내사랑 누굴까]]
* [[아버지처럼 살기 싫었어]]
* [[비단향꽃무 (드라마)|비단향꽃무]]
* [[좋은걸 어떡해]]
* [[바보같은 사랑]]
* [[사람의 집]]
* [[왕과 비]]
* [[신부의 방]]
* [[모정의 강]]
* [[아씨]]
* [[그대 나를 부를 때]]
* [[사랑한다면서]]
* [[당신이 그리워질때]]
* [[위기의 남자 (1992년 드라마)|위기의 남자]]
* [[은혜의 땅]]
* [[그해 겨울은 따뜻했네 (드라마)|비단향꽃무]]
* [[사랑이 꽃피는 나무]]
* [[토지 (1987년 드라마)|토지]]
* [[욕망의 문]]
* [[즐거운 우리집 (드라마)|즐거운 우리집]]
* [[달동네 (드라마)|달동네]]
;[[SBS TV|SBS]]
* [[분례기 (드라마)|분례기]]
* [[LA아리랑]]
* [[아빠는 시장님]]
* [[사랑하니까 (드라마)|사랑하니까]]
* [[지평선 너머]]
* [[사랑해 사랑해]]
* [[7인의 신부]]
* [[청춘의 덫 (1999년 드라마)|청춘의 덫]]
* [[그녀의 선택]]
* [[소문난 여자]]
* [[해 뜨는 집]]
* [[파란만장 미스김 10억 만들기]]
* [[불량 주부]]
* [[불량가족]]
* [[내 사랑 못난이]]
* [[왕과 나 (드라마)|왕과 나]]
* [[쩐의 전쟁]]
* [[우리집에 왜왔니 (드라마)|우리집에 왜왔니]]
;[[MBC TV|MBC]]
* [[몽실언니]]
* [[사랑해 당신을 (1990년 드라마)|사랑해 당신을]]
* [[겨울 이야기 (1991년 드라마)|겨울 이야기]]
* [[사랑이 뭐길래]]
* [[폭풍의 계절]]
* [[서울의 달]]
* [[아들의 여자]]
* [[1.5 (드라마)|1.5]]
* [[세번째 남자]]
* [[애드버킷]]
* [[보고싶은 얼굴]]
* [[황금마차]]
* [[백조의 호수 (드라마)|백조의 호수]]
* [[얼마나 좋길래]]
* [[내 이름은 김삼순]]
* [[대장금]]
* [[안녕, 프란체스카]]
* [[자매바다]]
{{Col-2}}
=== 영화 ===
* [[저 하늘에도 슬픔이 (2007년 영화)|저 하늘에도 슬픔이]]
* [[마파도]]
* [[마파도 2]]
* [[몽중인 (2002년 영화)|몽중인]]
* [[꿈을 이루어]]
* [[혼자도는 바람개비]]
* [[언제나 막차를 타고 오는 사람]]
* [[별이 빛나는 밤에 (1991년 영화)|별이 빛나는 밤에]]
* [[여로 (영화)|여로]]
* [[그녀와의 마지막 춤을]]
* [[너와 나의 비밀일기]]
* [[고추밭에 양배추]]
* [[짧은 포옹 긴 이별]]
* [[연인들 (1984년 영화)|연인들]]
* [[만추 (1982년 영화)|만추]]
* [[오늘밤은 참으세요]]
* [[섬강에서 하늘까지]]
* [[위자료 (영화)|위자료]]
* [[달려라 만석아]]
* [[순악질여사]]
* [[석양의 10번가]]
* [[사랑하는 아들 딸아]]
* [[늑대와 고양이들]]
=== 악극 ===
* [[아씨]]
=== 예능 ===
* [[가족오락관]] ([[KBS]]) - 게스트 출연
* [[퀴즈탐험 신비의 세계]] ([[KBS]]) - [[정재순]]과 함께 출연(1990.1.15, 1991.5.5)
=== 광고 ===
* [[1977년]] [[삼립식품]] 하이면
* [[1985년]] [[한일합섬]] 마이야 * 하니론 모포 (With. [[정재순]])
* [[1990년]] [[부광약품]] 쑥찜팩
* [[1991년]] ~ [[1994년]] ~[[1999년]] ~ [[2002년]] [[부광약품]] 파로돈탁스
* [[1992년]] [[크라운제과]] 카라멜콘과땅콩
* [[1996년]] [[롯데칠성음료]] 델몬트헬스오렌지주스사과주스선물세트
* [[2000년]] [[제일약품]] 케펜텍
* [[2003년]] [[크라운제과]] 참쌀 ("MBC 드라마 - 대장금" 팀으로 출연)
* [[2006년]] [[팔도 (기업)|팔도]] 장라면 (With. [[김수미]])
* [[2007년]] [[마파도 2]]
{{Col-end}}
== 각주 ==
<references/>
== 외부 링크 ==
* {{KMDb 사람|00000389|여운계}}
== 참고 자료 ==
{{글로벌세계대백과사전}}
{{백상예술대상 TV부문 여자 최우수연기}}
[[분류:1940년 태어남]][[분류:2009년 죽음]][[분류:함양 여씨]][[분류:화성시 출신]][[분류:고려대학교 동문]][[분류:1958년 데뷔]][[분류:대한민국의 여자 배우]][[분류:대한민국의 여자 연극 배우]][[분류:대한민국의 여자 텔레비전 배우]][[분류:대한민국의 여자 영화 배우]][[분류:대한민국의 불교 신자]][[분류:폐암으로 죽은 사람]]
{{영화인 정보
| 이름 = 여운계
| 출생지 = {{국기|일제 강점기}} 경기도 수원시 (현 경기도 화성시)
| 사망일 = {{사망일과 나이|2009|5|22|1940|2|25}}
| 직업 = 배우
| 활동기간 = 1958년 ~ 2009년
| 종교 = 불교
}}
| 이름 = 여운계
1940|2|25}} |
대한민국}} |
대한민국}} 인천광역시 부평구 |
| 활동기간 = 1958년 ~ 2009년
| 종교 = 불교
}}
여운계(呂運計, 1940년 2월 25일 ~ 2009년 5월 22일)는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1958년 연극배우로 데뷔하였으며, 1962년에 KBS의 공채 탤런트로 브라운관에도 데뷔하였다. 2009년 5월 22일 폐암으로 투병중 폐렴에 의해 향년 69세로 별세했다.<ref name=투병>{{뉴스 인용|url=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0905230116135&code=100402
|제목=‘대장금 큰상궁’탤런트 여운계씨 별세…폐암 투병끝 69세로
|출판사=경향신문
|날짜=2009년 5월 23일
|저자=문주영 기자}}</ref>
|제목=‘대장금 큰상궁’탤런트 여운계씨 별세…폐암 투병끝 69세로
|출판사=경향신문
|날짜=2009년 5월 23일
|저자=문주영 기자}}</ref>
학력 ¶
* 고려대학교 인문과학대학 국어국문학과 (졸업)
생애 ¶
초기 ¶
1940년 경기도 수원시(현 경기도 화성시)에서 태어나를 졸업하고 고려대학교 인문과학대학 국어국문학과에 입학하였다. 재학시절 방송반 및 합창반에서 활동하였으며, 대학시절에는 대학극회 단원으로 연기 활동을 시작하여 박근형과 함께 대학 연극 무대에서 활동했다. 생전에 친한 연기자로는 전원주, 나문희, 선우용여 등이 있다.<ref name="아시아경제">{{뉴스 인용
|제목= 여운계, 연기 인생 48년 그가 걸어온 길
|url=http://www.asiae.co.kr/uhtml/read.jsp?idxno=2009052009332099488
|출판사=아시아경제
|날짜=2009-05-22
|저자=임혜선 기자
}}</ref>
|제목= 여운계, 연기 인생 48년 그가 걸어온 길
|url=http://www.asiae.co.kr/uhtml/read.jsp?idxno=2009052009332099488
|출판사=아시아경제
|날짜=2009-05-22
|저자=임혜선 기자
}}</ref>
작품 활동 ¶
대학교 졸업 후 1962년에 실험극단 단원으로 지내다가 같은해에 KBS 공채 탤런트 2기에 합격하였다. 이후 1964년에는 TBC 공채 탤런트 1기에 다시 합격하여 대한민국 최초의 일일 연속극 《눈이 나리는데》(극본 한운사, 연출 황운진)의 시골 다방 마담 역으로 안방극장에 데뷔하였다.<ref name="노컷뉴스">{{뉴스 인용
|제목=고(故) 여운계, 그녀는 누구인가
|url=http://www.cbs.co.kr/Nocut/Show.asp?IDX=1154953
|출판사=노컷뉴스
|날짜=2009-05-22
|저자=김재윤 기자
}}
</ref>
|제목=고(故) 여운계, 그녀는 누구인가
|url=http://www.cbs.co.kr/Nocut/Show.asp?IDX=1154953
|출판사=노컷뉴스
|날짜=2009-05-22
|저자=김재윤 기자
}}
</ref>
1968년에는 최무룡이 감독하고 주연을 맡은 영화인 《정 두고 가지마》로 영화에 첫 출연을 하였으며, 그밖에 《엄마의 일기》(1968년), 《별난 여자》(1970년), 《팔 며느리》(1970년), 《목소리》(1972년), 《땅콩 껍질 속의 연가》(1979년), 《순악질 여사》(1980년), 《만추》(1982년), 《산딸기2》(1985년), 《그녀와의 마지막 춤을》(1988년), 《마파도》(2005년), 《마파도 2》(2007년) 많은 영화에 출연하였으며, 한국방송공사의 《오! 필승 봉순영》, 《며느리 전성시대》, 문화방송의 《대장금》, 《내 이름은 김삼순》, SBS의 《쩐의 전쟁》등 텔레비전 드라마에도 많이 출연하였다.<ref name="아시아경제"/>
<ref name="노컷뉴스"/>
<ref name="노컷뉴스"/>
연극은 대학극 《성화(聖火)》로 데뷔하였다. 그 외에 주연한 주요 작품으로 《다리에서의 조망》·《안티고네》·《맥베스》·《우리읍내》·《무익조(無翼鳥)》·《맹진사댁 경사》·《세일즈맨의 죽음》·《밤으로의 긴 여로》·《포기와 베스》·《여름과 연기, 그리고 바람》 등이 있다.<ref name="글로벌">문화·민속/한국의 연극/한국의 신극/신극의 배우/여운계, 《글로벌 세계 대백과》</ref>
투병 생활 ¶
수상 경력 ¶
출연 작품 ¶
{{Col-begin}}
{{Col-2}}
{{Col-2}}
드라마 ¶
;KBS
* 장화, 홍련
* 며느리 전성시대
* 달래네 집
* 오필승 봉순영
* 헬로! 애기씨
* 저 푸른 초원위에
* 내사랑 누굴까
* 아버지처럼 살기 싫었어
* 비단향꽃무
* 좋은걸 어떡해
* 바보같은 사랑
* 사람의 집
* 왕과 비
* 신부의 방
* 모정의 강
* 아씨
* 그대 나를 부를 때
* 사랑한다면서
* 당신이 그리워질때
* 위기의 남자
* 은혜의 땅
* 비단향꽃무
* 사랑이 꽃피는 나무
* 토지
* 욕망의 문
* 즐거운 우리집
* 달동네
* 장화, 홍련
* 며느리 전성시대
* 달래네 집
* 오필승 봉순영
* 헬로! 애기씨
* 저 푸른 초원위에
* 내사랑 누굴까
* 아버지처럼 살기 싫었어
* 비단향꽃무
* 좋은걸 어떡해
* 바보같은 사랑
* 사람의 집
* 왕과 비
* 신부의 방
* 모정의 강
* 아씨
* 그대 나를 부를 때
* 사랑한다면서
* 당신이 그리워질때
* 위기의 남자
* 은혜의 땅
* 비단향꽃무
* 사랑이 꽃피는 나무
* 토지
* 욕망의 문
* 즐거운 우리집
* 달동네
;SBS
* 분례기
* LA아리랑
* 아빠는 시장님
* 사랑하니까
* 지평선 너머
* 사랑해 사랑해
* 7인의 신부
* 청춘의 덫
* 그녀의 선택
* 소문난 여자
* 해 뜨는 집
* 파란만장 미스김 10억 만들기
* 불량 주부
* 불량가족
* 내 사랑 못난이
* 왕과 나
* 쩐의 전쟁
* 우리집에 왜왔니
* 분례기
* LA아리랑
* 아빠는 시장님
* 사랑하니까
* 지평선 너머
* 사랑해 사랑해
* 7인의 신부
* 청춘의 덫
* 그녀의 선택
* 소문난 여자
* 해 뜨는 집
* 파란만장 미스김 10억 만들기
* 불량 주부
* 불량가족
* 내 사랑 못난이
* 왕과 나
* 쩐의 전쟁
* 우리집에 왜왔니
;MBC
* 몽실언니
* 사랑해 당신을
* 겨울 이야기
* 사랑이 뭐길래
* 폭풍의 계절
* 서울의 달
* 아들의 여자
* 1.5
* 세번째 남자
* 애드버킷
* 보고싶은 얼굴
* 황금마차
* 백조의 호수
* 얼마나 좋길래
* 내 이름은 김삼순
* 대장금
* 안녕, 프란체스카
* 자매바다
* 몽실언니
* 사랑해 당신을
* 겨울 이야기
* 사랑이 뭐길래
* 폭풍의 계절
* 서울의 달
* 아들의 여자
* 1.5
* 세번째 남자
* 애드버킷
* 보고싶은 얼굴
* 황금마차
* 백조의 호수
* 얼마나 좋길래
* 내 이름은 김삼순
* 대장금
* 안녕, 프란체스카
* 자매바다
{{Col-2}}
영화 ¶
* 저 하늘에도 슬픔이
* 마파도
* 마파도 2
* 몽중인
* 꿈을 이루어
* 혼자도는 바람개비
* 언제나 막차를 타고 오는 사람
* 별이 빛나는 밤에
* 여로
* 그녀와의 마지막 춤을
* 너와 나의 비밀일기
* 고추밭에 양배추
* 짧은 포옹 긴 이별
* 연인들
* 만추
* 오늘밤은 참으세요
* 섬강에서 하늘까지
* 위자료
* 달려라 만석아
* 순악질여사
* 석양의 10번가
* 사랑하는 아들 딸아
* 늑대와 고양이들
* 마파도
* 마파도 2
* 몽중인
* 꿈을 이루어
* 혼자도는 바람개비
* 언제나 막차를 타고 오는 사람
* 별이 빛나는 밤에
* 여로
* 그녀와의 마지막 춤을
* 너와 나의 비밀일기
* 고추밭에 양배추
* 짧은 포옹 긴 이별
* 연인들
* 만추
* 오늘밤은 참으세요
* 섬강에서 하늘까지
* 위자료
* 달려라 만석아
* 순악질여사
* 석양의 10번가
* 사랑하는 아들 딸아
* 늑대와 고양이들
광고 ¶
각주 ¶
<references/>
외부 링크 ¶
* {{KMDb 사람|00000389|여운계}}
참고 자료 ¶
{{글로벌세계대백과사전}}
{{백상예술대상 TV부문 여자 최우수연기}}
{{백상예술대상 TV부문 여자 최우수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