팝업레이어 알림

팝업레이어 알림이 없습니다.
E D R , A S I H C RSS

설운도

r1.1과 현재 버전의 차이점

@@ -1,64 +1,475 @@
* 상위 문서: [[가수/한국]]
{{음악가 정보
|이름 = 설운도
|본명 = 이영춘
|그림 =
|그림크기 =
|그림설명 =
|출생일 = {{출생일과 만나이|1958|8|8}}
|출생지 = [[대한민국]] [[경기도]] [[이천시]] 창전동 (이천시) (영창로)
|장르 = [[트로트]]
|직업 = [[가수]]
|사용시기 = [[1982년]] ~
|레이블 =
|소속사 = 루체엔터테인먼트, 월드사운드엔터테인먼트
|학력 = 이천농협하나로마트본점
|배우자 = [[이수진 (배우)|이수진]]
|가족 = 슬하 2남 1녀
|자녀 = 아들 [[루민]], 이승민, 딸 이승아
|웹사이트 = [http://www.sulwoondo.com/ 설운도 홈페이지]
[https://www.youtube.com/channel/UCXIF1aXKmE6x5gyyt5z88YQ 유튜브-설운도TV]
}}
{| class="infobox bordered" style="width:21em; cellpadding=2; font-size:85%; text-align:center;"
! colspan="2" style="background:lightsteelblue" | 대표곡
|-
| style="width:80%;" | '''잃어버린 30년'''
| style="width:20%;" | [[1983년]]
|-
| '''나침반'''
| [[1984년]]
|-
| '''원점'''
| [[1986년]]
|-
| '''마음이 울적해서'''
| [[1989년]]
|-
| '''혼자이고 싶어요'''
| [[1990년]]
|-
| '''다함께 차차차'''
| [[1991년]]
|-
| '''여자 여자 여자'''
| [[1992년]]
|-
| '''너만을 사랑했다'''
| [[1994년]]
|-
| '''쌈바의 여인'''
| [[1995년]]
|-
| '''사랑의 트위스트'''
| [[1997년]]
|-
| '''누이 '''
| [[1999년]]
|-
| '''애인이 돼 주세요'''
| [[2001년]]
|-
| '''갈매기 사랑'''
| [[2002년]]
|-
| '''춘자야'''
| [[2004년]]
|-
| '''그런 여자 없나요'''
| [[2006년]]
|-
| '''귀여운 여인'''
| [[2008년]]
|-
| '''장미같은 여자'''
| [[2010년]]
|-
| '''추억속으로'''
| [[2011년]]
|-
| '''다시 한번만'''
| [[2013년]]
|-
| '''보고싶다 내 사랑'''
| [[2014년]] 
|}

[목차]
'''설운도'''(薛雲道, [[1958년]] [[8월 8일]] ([[1958년]] [[음력 6월 23일]]) ~ )는 대한민국의 트로트 가수이다.

|||| https://search.pstatic.net/common/?src=http%3A%2F%2Fblogfiles.naver.net%2F20150628_139%2F10sunmusa_1435472016062kA4hA_JPEG%2F0.JPG&type=n88_88 ||
||<#EEE156> '''{{{#878787 본명}}}''' ||<(> [[이영춘]] (李英春) ||
||<#EEE156> '''{{{#878787 본관}}}''' ||<(> 영천 이씨 ||
||<#EEE156> '''{{{#878787 출생}}}''' ||<(> [[1958년]] [[6월 23일]]([age(1958-06-23)]세)[br][[경기도]] [[이천시]] [br] 게자리/황금개띠(무술년) ||
||<#EEE156> '''{{{#878787 학력}}}''' ||<(> 경기이천고등학교 ||
||<#EEE156> '''{{{#878787 데뷔}}}''' ||<(> [[1982년]] [[KBS]] 신인탄생 ||
||<#EEE156> '''{{{#878787 가족}}}''' ||<(> 배우자 이수진[* 하와이에 이민갔다 배우가 되기 위해 귀국한 여성으로 흔히 에로배우로 알려져 있지만, 80년대는 아직 본격적인 비디오 시대가 아닌지라 에로 영화도 나름대로 충무로 주류로 유명 배우나 감독들이 참가하는 당당한 영화의 주류 쟝르였다. 90년대 비디오가 보편화되면서 주류 영화인들에게 천시받는 비디오용 에로물이 등장.], 아들 [[루민]], 이승민, 이승아 ||
||<#EEE156> '''{{{#878787 종교}}}''' ||<(> [[불교]] ||
== 생애 ==
설운도는 1958년 음력 6월 23일에 [[경기도]] [[이천시]] 창전동 (이천시) (영창로) 에서 아버지 이상택과 어머니 곽순자의 3남 3녀 장남으로 태어났다. 재학 아버지의 사업 실패로 가정 형편이 어려워지자 돈을 벌기 위해 연탄 배달에 나섰다. 이후 육군에 입대하여 전역한 뒤 1982년에 당시 서바이벌 오디션 프로그램이었던 [[KBS]] 《신인탄생》에 출연해 프로그램 5주 연속으로 우승하며 데뷔하였다. 이듬해인 1983년에 [[KBS]] 특별 생방송 《이산가족을 찾습니다》에 출연하여 데뷔 《잃어버린 30년》을 부르게 되었는데 하루 만에 빅히트를 기록하였다. 《잃어버린 30년》(원작: 남국인, 개작: 박건호/ 작곡: 남국인)은 원래 《아버지께》라는 제목으로 발표된 노래인데 이산가족 생방송을 하는걸 매니저가 보고 작사가 박건호에게 전화를 걸어 하룻밤에 작사 그다음날 녹음 모레에 방송 하루 만에 엄청난 히트를 하여 녹음 후 최단 기단의 히트한 곡으로 [[기네스북]] 기록되었다. 데뷔한 얼마되지 않아 이산가족의 설움을 그린 곡 《잃어버린 30년》으로 제3회 [[KBS]] 가요대상 7대 가수상을 수상하고 일약 스타덤에 오른 설운도는 1984년 12월에 발표한 정통 트로트 《나침반》(작사: 김상길/ 작곡: 설운도)으로 다시 인기를 이어나갔다.

== 개요 ==
[[현철]], [[태진아]], [[송대관]] 등과 함께 한국의 '''트로트 4대 천왕'''으로 꼽힌다.
1986년에 [[이호섭 (1959년)|이호섭]]이 작사하고 본인이 작곡한 정통 트로트 《원점》(작사: [[이호섭 (1959년)|이호섭]]/ 작곡: 설운도) 을 발표하였지만 크게 알려지지 못하였다. 하지만 3년이 지난 1989년에 《[[전국노래자랑]]》연말결선에서 1위를 차지한 오세근 씨가 심장병이 있는 자신의 딸의 치료비를 벌기 위해 출연하였다는 사연을 전하였는데 [[전국노래자랑]]》에서 《원점》을 부르는 참가자가 많아지며 이 곡이 히트하게 되었다. 하지만 설운도는 매니저의 부재로 방송에 출연하지 못해서 계속 무명 시절을 보내야만 하였다. 1988년 12월에는 국내 가수 최초로 중국 교포들의 초청을 받아 [[옌볜 조선족 자치주|연변]]에서 단독 콘서트를 개최하였다. 1989년 5월에는 일본 [[NHK]] TV의 인기 엔카 가요프로그램에 [[조용필]]과 [[나훈아]] 다음으로 [[일본]]에 진출하였으나 역시 큰 성과를 얻지 못하였다. 1989년에 경쾌한 폭스 트로트 《마음이 울적해서》(작사: 정월하/ 작곡: 김정일), 1990년에 정통 트로트 《혼자이고 싶어요》(작사: 이수진, 작곡: 설운도)를 발표하여 가수 활동을 하였으나 발표 당시 아무런 인기를 얻지 못하였고 이후에 히트하여 제 3회 고복수 가요제 남자 가수상, MBC 10대 가수상을 수상하였다.

데뷔를 준비하던 시절에 본명 '이영춘'은 촌스러워서 예명을 생각하다가 스스로 '''나훈아'''처럼 최고의 가수가 되자는 뜻과 권투의 '''라운드'''처럼 가수 인생의 라운드를 열심히 살자는 뜻의 '''나운도'''라는 이름을 지었는데, 매니저가 '운도'괜찮은데 '나'라는 성이 좋지 않아서 성공하기 힘들 같다고 하여 다른 성을 연구해보자고 했고, 여러 성을 연구하다가 '설'이라는 성이 운도와 어울린다는 결론에 도달하여 '설운도'예명을 결정했다고 한다.
설운도는 트로트라는 장르를 다양성있게 새롭게 변화를 노래들을 주로 불렀는데 1991년에 [[차차차]]와 [[트로트]]가 어울러진 《다함께 차차차》(작사: 김병걸/ 작곡: [[이호섭 (1959년)|이호섭]]) 발표하였다. 곡의 작곡을 맡았던 [[이호섭 (1959년)|이호섭]]은 "설운도가 새벽에 갑자기 찾아와서 곡이 있으면 달라는 부탁을 하여 10분도 안되어 악보를 완성하였고, 작사를 맡았던 [[김병걸 (작곡가)|김병걸]] 역시 10분도 되지 않아 작사를 마쳤다. 그리고 편곡 담당이었던 송태호 또한 10분도 안되어 편곡을 마쳐서 《다함께 차차차》1시간도 지나지 않아 완성되었다."라고 밝혔다. 발표 초반에 노래를 들은 평론가들은 "무슨 수준이 이 모양이냐."라고 평가절하했으나, 경제파동이 있었던 당시 상황과 맞물려 곡은 남녀노소를 불문하고 많은 인기를 얻게 되어 2년 연속으로 [[MBC]] 10대 가수상을 수상하는 영광을 누렸다. 1992년에는 히트곡 《여자 여자 여자》(작사: 이수진, 작곡: 설운도)제 7회 [[골든 디스크]] 골든디스크상, 제 3회 대한민국 [[영상음반대상]] 본상을 1995년에는 [[삼바]]와 [[트로트]]가 조합된 《쌈바의 여인》(작사: 이수진, 작곡: 설운도)이 히트하여 제 2회 대한민국 연예예술상 전통가요 가수상, 제11회 [[골든 디스크]] 본상을 수상하는 영광을 누렸다. 1997년에 발표한 《[[사랑의 트위스트]]》는 댄스 트로트로 당시 트위스트 춤이 유행하여 제4회 대한민국 연예예술상 청소년 가수상을 수상하며 당시 청소년들에게 인지도가 높아졌다.
데뷔 후 꾸준히 대중들의 인기를 얻은 설운도는 1990년 대부터 [[현철 (가수)|현철]], [[송대관]], [[태진아]]와 나란히 견주며 [[트로트]] 4대 천왕으로 불리며 트로트를 부활시키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하였다. 특히 설운도는 주로 반짝이 의상을 입고 무대에 올라 대중들에게 반짝이 의상하면 생각나는 가수로 꼽혔다.

아들 이유([[본명]]: 이승현) 아이돌 그룹 [[포커즈]] 멤버였으나 탈퇴했다. 13년 10월부터 루민이라는 예명으로 6인조 아이돌 그룹이던 [[엠파이어(아이돌)|엠파이어]] 7번째 멤버로서 2번째 싱글부터 다시 활동하고 있다가 2016년 11월 14일 [[제20기계화보병사단]]으로 입대, 이후 자대도 20사단의 대대로 보직된 상황. [[http://hgc.bestiz.net/zboard/view.php?id=ghm2&page=1&sn1=&divpage=5&sn=off&ss=on&sc=off&select_arrange=headnum&desc=asc&no=27113|아들에게 단호박 먹은 태도는 화제가 되었다.]]
2004년에는 《춘자야》(작사: 이수진/ 작곡: 설운도)가 인기를 얻으며 당시 혜성처럼 나타나 전국에 일명 "어마나 열풍"을 일으켜 트로트의 세대 교체를 이룬 [[장윤정]] 제치고 성인가요 프로그램 ITV 성인가요 《베스트 30》, 《전국 TOP 10 가요쇼》에서 1위를 하였다. 2010년에는 [[부산광역시|부산]] [[금정구]]를 찬양하는 곡인 《내 사랑 금정》(금정구 구민들/설운도) 발표하였고 2011년에 〈추억 속으로〉([[이수진]]/설운도) 발표하였는데 노래 역시 즐거운 노래로 크게 인기를 얻었다. 2013년에는 지난 1992년에 발표된 〈미련의 블루스〉([[이수진]]/[[정원수]]) 인터넷과 SNS를 통해 전파되어 전국 노래교실 신청곡이 쇄도하여 리메이크해서 다시 녹음하였다.

== 활동 내역 ==
처음 음악활동 시작이 의외인데, 70년대 당시 [[훵크]]/소프트 록 밴드 트리퍼스의 대타 보컬리스트로 시작했다. 당시에는 [[나이트클럽]]에 여기저기 겹치기 출연을 하는 경우가 많았기 때문에 일정이 바쁘면 대타를 세우는 경우도 많았다고 한다.
주요 노래로는 '''"잃어버린 30년"''', '''"나침반"''', '''"원점"''', '''"삼바의 여인"''', '''"사랑의 트위스트"''', '''"누이"''', '''"추억속으로"''' 등이 있다.

데뷔 초엔 이런 장발 이미지로도 활동한 적이 있었다. --어쩐지 젊었을 적의 [[이경규]]와 닮았다. 이마가 이미 이때부터 벗겨지고 있다..-- ~~설운도 하면 대머리 혹은 가발이라고 심어진 인식을 뒤집는 파격적인 과거사 되겠다.~~[* 본인 이야기로는 파마약을 잘못 사용하여 부작용이 생겨서 그 이후로 머리숱이 없어지기 시작하였다고 하는데 사실 탈모는 유전의 영향이 크니...] --묘하게 지미 키멜을 닮았다.-- --김원준 닮은 거 같은데.-- --[[네이마르]]와 판박이다.-- --[[http://www.kvegas.com/wp-content/uploads/JimmyKimmel3.jpg|사진]] --[[비지스]] 형제들의 막내 동생인 [[앤디 깁]]도 닮았다.-- [[https://www.youtube.com/watch?v=VkNeoTcGwrc|동영상]]
== 가족 관계 ==
* 배우자는 영화배우 출신이자 작사가인 [[이수진 (배우)|이수진]]이다. 
* 장남은 음악 그룹 [[엠파이어 (음악 그룹)|엠파이어]]의 멤버인 [[루민]]이다.
* 차남은 이승민이다.
* 장녀는 이승아다.

트로트를 듣지 않는 사람들에게는 알려진 사실인데, [[싱어송라이터]]다. 그의 히트곡 태반이 본인 작곡이며 동료 가수들이 설운도의 곡을 받아 히트한 경우도 부지기수일 만큼[* 문희옥의 해변의 첫사랑, 우연이의 우연히 등.] 트로트 씬을 대표하는 탁월한 싱어송라이터 명이다. 또한 배우자인 이수진은 작사가로 활동하여 설운도의 많은 곡이 이수진 작사이다. 2집 히트곡 여자여자여자의 작사를 하기도 했는데 작사 경위는 장윤정과 함께 출연한 라스에서 밝혀졌다. 처음에 만나게 계기도 이수진이 작사가로 활동하고 싶었던 차에 설운도 본인이 작곡을 안다는 점을 어필하며 접근했다고.
{| class="wikitable"
!align="left"|번호
!align="left" width="250px"|음반 정보
!align="left"|트랙 리스트
|-  
|align="center"|'''1'''
|align="left"|《'''설운도 1집'''》
* 발매일 : [[1983년]] [[7월]]
|align="left" style="font-size: 95%;"|
# '''잃어버린 30년'''(작사 박건호/작곡 남국인)
# 잊어야할 사람
# 언제나 당신
# 어차피 떠난 사람(김동찬/김수환/한민(원곡))
# 너무합니다(윤향기(작사/작곡)/김수희(원곡))
# 일편단심(남국인(작사/작곡))
# 나룻배
# 인생길
# 가실래
# 한잔
# 파도(이인선/김영종/배호(원곡))
# 어허야 둥기둥기 (건전가요)
|-
|align="center"|'''2'''
|align="left"|《'''설운도 2집'''》
* 발매일 : [[1984년]] [[12월]]
|align="left" style="font-size: 95%;"|
# 이별의 기적소리
# 나의 사랑
# 인생 길목
# 경복궁의 봄
# 울지 않을래
# 돌고 도는 인생
# '''나침반'''(작사 김상길/작곡 이유림)
# 이별의 기로
# 아쉬운 이별
# 파고다
|-
|align="center"|'''3'''
|align="left"|《'''설운도 3집'''》
* 발매일 : [[1986년]] [[3월]]
|align="left" style="font-size: 95%;"|
# '''원점'''(작사 이호섭/작곡 설운도)
# 내 인생의 마지막 여인
# 나침반(작사 김상길/작곡 이유림)
# 서글판 애정
# 여름은 가고
# 그 사랑 그냥 그대로
# 사랑의 문
# 메마른 입술
# 유월의 사과밭
# 친구야 힘을 내
# 울고 싶은 소녀
# 빛나는 코리아
# 정화의 노래 (건전가요)
|-
|align="center"|'''4'''
|align="left"|《'''설운도 4집'''》
* 발매일 : [[1987년]] [[4월]]
|align="left" style="font-size: 95%;"|
# '''내 고향은 원산만'''(작사 박건호/작곡 설운도)
# 남자의 눈물
# 이별의 국제공항
# 그대 그림자
# 멀어진 사랑
# 마지막 한마디
# 마파람
# 당신은 나의 의사예요
# 사랑과 애정
# 영원 속으로
# 한강의 노래
# 평화의 노래
# 이나라 주인이 되어 (건전가요)
|-
|align="center"|'''5'''
|align="left"|《'''설운도 5집'''》
* 발매일 : [[1989년 4월]]
|align="left" style="font-size: 95%;"|
# '''마음이 울적해서(작사 정월하/작곡 김정일)'''
# 서울역
# 웃으며 돌아와요
# 못 잊을건 정
# 창가에
# 계절에 내리는 마지막 비처럼
# 타향의 모정
# 원점(작사 이호섭/작곡 설운도)
# 흙에 살리라(홍세민(원곡))
# 나침반(작사 김상길/작곡 이유림)
# 잃어버린 30년(작사 박건호/작곡 남국인)
# 마지막 블루스
|-
|align="center"|'''6'''
|align="left"|《'''설운도 6집'''》
* 발매일 : [[1990년 6월]]
|align="left" style="font-size: 95%;"|
# '''혼자이고 싶어요(작사 이수진/작곡 설운도)'''
# 숙명
# 무교동의
# 핑계
# 허상
# 항구의 나그네
# 후회하지 않겠어요
# 체면 때문에
# 생각 말아요
# 내 고향이 최고야
# 인생은 게임
# 말없이 떠나가주오
|-
|align="center"|'''7'''
|align="left"|《'''설운도 7집'''》
* 발매일 : [[1991년 9월]]
|align="left" style="font-size: 95%;"|
# '''다함께 차차차'''(작사 김병걸/작곡 이호섭)
# 돌아돌아 올꺼야
# 타인이 되버린 당신
# 떠나가는
# 빨간 립스틱
# 사나이 엘리지
# 이별의 블루스
# 타인
# 숙명
# 말없이 떠나가주오
|-
|align="center"|'''8'''
|align="left"|《'''설운도 8집'''》
* 발매일 : [[1992년 6월]]
|align="left" style="font-size: 95%;"|
# '''여자 여자 여자'''(작사 이수진/작곡 설운도)
# 노량대교
# 내 사랑도 가져 가세요
# 마라도 블루스
# 38선에 꽃이 피면
# 사나이 룸바(작사 이호섭/작곡 이호섭)
# 미련의 블루스(작사 이수진/작곡 정원수)
# 창밖에는 오늘도 비
# 슬픈 행복
# 그냥 가세요
|-
|align="center"|'''9'''
|align="left"|《'''설운도 9집'''》
* 발매일 : [[1995년]]
|align="left" style="font-size: 95%;"|
# '''쌈바의 여인'''(작사 이수진/작곡 설운도)
# 여자 여자 여자(작사 이수진/작곡 설운도)
# 노량대교
# 내 사랑도 가져 가세요
# 마라도 블루스
# 38선에 꽃이 피면
# 사나이 룸바
# 미련의 블루스(작사 김경아/작곡 정원수)
# 창밖에는 오늘도 비
# 슬픈 행복
# 그냥 가세요
|-
|align="center"|'''10'''
|align="left"|《'''설운도 10집'''》
* 발매일 : [[1997년]] [[9월 1일]]
|align="left" style="font-size: 95%;"|
# '''사랑의 트위스트'''(작사 이수진/작곡 설운도)
# 고향 하늘
# 나의 사랑
# 하파데이
# 다시 찾은 그대
# 하얀 백두산
# 나만은 사랑해줘요
# 희야
# 첫눈에 반한 그대
# 그대와의 탱고
# 보랏빛 엽서(작사 김연일/작곡 설운도)
# 상처
|-
|align="center"|'''11'''
|align="left"|《'''설운도 11집'''》
* 발매일 : [[1999년 6월]]
|align="left" style="font-size: 95%;"|
# '''누이'''(작사 이수진/작곡 설운도)
# 재회(작사 이수진/작곡 설운도)
# 사랑의 탱고
# 나의 어머님
# 잊혀진 세월
# 슬픈 여자
# 땅끝에서
# 재즈 카페에서
# 내 인생을 위하여
# 허상(작사 장경수/작곡 이유림)
# 아쉬운 세월
# 작은 행복
|-
|align="center"|'''12'''
|align="left"|《'''설운도 12집'''》
* 발매일 : [[2002년 7월]]
|align="left" style="font-size: 95%;"|
# 갈매기 사랑(작사 이수진/작곡 설운도)
# '''귀여운 여인'''(작사 이유림/작곡 설운도)
# 연극같은 사랑
# 마지막의 사랑
# 아카사카 아가씨
# 나비캍은 사랑
# 추억의 그림자
# 약속
# 추억
# 나만의 여인(작사 이유림/작곡 설운도)
|-
|align="center"|'''13'''
|align="left"|《'''[[설운도 13집]]'''》
* 발매일 : [[2004년 7월]]
|align="left" style="font-size: 95%;"|
# '''춘자야(작사 이수진/작곡 설운도)'''
# 고백(작사 이경원/작곡 설운도)
# 못다한 사랑
# 갈매기 사랑(작사 이수진/작곡 설운도)
# 약속
# 누이(작사 이수진/작곡 설운도)
# 아카사카 아가씨
# 쌈바의 여인(작사 이수진/작곡 설운도)
# 사랑의 트위스트(작사 이수진/작곡 설운도)
|-
|align="center"|'''14'''
|align="left"|《'''[[설운도 14집]]'''》
* 발매일 : [[2010년]] [[4월]]
|align="left" style="font-size: 95%;"|
# '''장미같은 여자(작사 이수진/작곡 설운도)'''
# 누이(작사 이수진/작곡 설운도)
# 귀여운 여자(작사 이유림/작곡 설운도)
# 그런 여자 없나요(작사 이수진/작곡 설운도)
# 갈매기 사랑(작사 이수진/작곡 설운도)
# 애인이 돼 주세요(작사 이수진/작곡 설운도)
# 원점(작사 이호섭/작곡 설운도)
# 잃어버린 30년(작사 박건호/작곡 남국인)
# 쌈바의 여인(작사 이수진/작곡 설운도)
# 나만의 여인(작사 이유림/작곡 설운도)
# 다함께 차차차(작사 김병걸/작곡 이호섭)
# 사랑의 트위스트(작사 이수진/작곡 설운도)
# 장미같은 여자 (MR)
|-
|

가수임에도 불구하고 [[일밤]]에 자주 불려가서 코미디 연기를 했다. 시네마천국에서는 미녀와 야수를 재현할 때 야수가 마법이 풀린 후 왕자님 역으로[* [[이경규]]가 가스통, [[신애라]]가 벨을 연기했다.] 연기를 했으며 TV인생극장에서는 이휘재의 악질 직장상사 역을 맡았다.
15
|《'''[[설운도 14집|설운도 15집]]'''》

2016년 2월 10일 설특집 프로그램 '신의 목소리'에서 본인에겐 생소한 장르(록발라드)의 곡인 [[http://tvcast.naver.com/v/736061|윤현석의 LOVE]]를 불렀는데, 송대관, 태진아보다 상대적으로 부족한 뽕끼를 가진 노래를 부르기에 이들보다 설운도를 아래로 봤던 사람들과 트로트에 대한 잘못된 인식을 가지고 있었던 사람들의 뒤통수를 후려치는 명공연을 보여주면서 찬사를 받았다.
* 발매일 : [[2010년|2011년]] [[4월]]
|
# 추억속으로'''(작사 이수진/작곡 설운도)'''
#'''장미같은 여자(작사 이수진/작곡 설운도)'''
#누이(작사 이수진/작곡 설운도)
#귀여운 여자(작사 이유림/작곡 설운도)
#갈매기 사랑(작사 이수진/작곡 설운도)
#애인이 주세요(작사 이수진/작곡 설운도)
#원점(작사 이호섭/작곡 설운도)
#잃어버린 30년(작사 박건호/작곡 남국인)
#쌈바의 여인(작사 이수진/작곡 설운도)
#나만의 여인(작사 이유림/작곡 설운도)
#다함께 차차차(작사 김병걸/작곡 이호섭)
#사랑의 트위스트(작사 이수진/작곡 설운도)
#추억속으로 (MR)
|}

이후 마리텔, 듀엣 가요제 각종 음악 관련 프로그램에 나오면서 클래스를 발휘하는 .
== 대표작 ==
설운도는 1984년부터 작곡을 시작하여 자신의 히트곡 중에서도 대부분은 설운도가 작곡하고 그의 아내 이수진이 작사를 하였다. 
*1984년: 설운도 - 《나침반》(작사: 김상길/ 작곡: 설운도)
*1986년: 설운도 - 《원점》(작사: [[이호섭 (1959년)|이호섭]]/ 작곡: 설운도)
*1990년: 설운도 - 《혼자이고 싶어요》(작사: 이수진/ 작곡: 설운도)
*1992년: 설운도 - 《여자 여자 여자》(작사: 이수진/ 작곡: 설운도)
*1994년: 설운도 - 《너만을 사랑했다》(작사: 장경수/ 작곡: 설운도)
*1994년: [[문희옥]] - 《해변의 첫사랑》(작사: 이수진/ 작곡: 설운도)
*1995년: 설운도 - 《쌈바의 여인》(작사: 이수진/ 작곡: 설운도)
*1997년: 설운도 - 《사랑의 트위스트》(작사: 이수진/ 작곡: 설운도)
*1997년: 설운도 - 《보라빛 엽서》(작사: 김연일/ 작곡: 설운도)
*1998년: [[양금석]] - 《파랑새》(작사: 설운도/ 작곡: 설운도)
*1998년: [[김혜연]] - 《더 늦기 전에》(작사: 서판석/ 작곡: 설운도)
*1999년: 설운도 - 《누이》(작사: 이수진/ 작곡: 설운도)
*2000년: [[최영철 (1960년)|최영철]] - 《함경도 트위스트》(작사: 최영철/ 작곡: 설운도)
*2000년: [[서수남]] - 《내 사랑 당신께》(작사: [[서수남]]/ 작곡: 설운도)
*2001년: [[박주희 (가수)|박주희]] - 《럭키》(작사: 홍상기/ 작곡: 설운도)
*2001년: 설운도 - 《애인이 돼 주세요》(작사: 설운도/ 작곡: 설운도)
*2002년: 설운도 - 《갈매기 사랑》(작사: 이수진/ 작곡: 설운도)
*2002년: [[박윤경 (1970년)|박윤경]] - 《꼭 한번만》(작사: 설운도/ 작곡: 설운도)
*2003년: [[문희옥]] - 《미스터 박》(작사: 이수진/ 작곡: 설운도)
*2004년: [[하동진]] - 《사랑을 한번 해보고 싶어요》(작사: 설운도/ 작곡: 설운도)
*2004년: 설운도 - 《춘자야》(작사: 이수진/ 작곡: 설운도)
*2005년: [[우연이]] - 《우연히》(작사: 설운도/ 작곡: 설운도)
*2007년: [[권성희]] - 《허상》(작사: 장경수/ 작곡: 설운도)
*2009년: 오은정 - 《서울아가씨》(작사: 설운도/ 작곡: 설운도)
*2009년: [[서지오]] - 《하니하니》(작사: 설운도/ 작곡: 설운도)
*2010년: 설운도 - 《장미같은 여자》(작사: 이수진/ 작곡: 설운도)
*2011년: [[하동진]] - 《나니까》(작사: 설운도/ 작곡: 설운도)
*2011년: 설운도 - 《추억속으로》(작사: 이수진/ 작곡: 설운도)
*2013년: [[우연이]] - 《몰랐네》(작사: 설운도/ 작곡: 설운도)
*2014년: 설운도 - 《보고싶다 내 사랑》(작사: 이수진/ 작곡: 설운도)
*2015년: [[우연이]] - 《그 남자》(작사: 이수진/ 작곡: 설운도)
*2016년: [[박진선]] - 《이제부터야》(작사: 이수진/ 작곡: 설운도)
*2018년: 설운도 - 《사랑이 이런건가요》(작사: 이수진/ 작곡: 설운도)

복면가왕 3차 경연에서 판정단으로 참여한 다음 2017년 [[복면가왕]] 47차 경연에서 [[나는야 웃기는 짬뽕]]으로 참가해서 예선 상대인 [[짜증날 짜장면]]을 이겼으며 준결승 상대인 [[용건만 간단히 여보세요]] 5표 접전을 벌였다. 워낙 엄청난 [[가수]]인지라 판정단들의 반응이 상당히 좋았으며, 결선 준비곡인 [[김현식]] "[[내 사랑 내 곁에]]"를 부르고 내려왔다.[* 참고로 1차 특별 생방송에서 [[감성보컬 귀뚜라미]] 불렀다.] 출연 계기는 나이에 대한 편견을 깨고 싶어서 나왔다고 밝혔으며 이날 경연에서 본인 주장르인 트로트 노래를 제외한 다른 장르의 노래로만 준비했다. [[네티즌]]들의 반응 역시 호평이 대부분으로, 준결승 석패를 많이 아쉬워하는 편. 그 뒤 50차와 84차 경연에서 판정단으로 다시 참가했다.[*스포일러 참고로 [[팥의 전사 호빵왕자|당시 가왕]]은 그가 복면가수로 나왔을 취임한 뒤 판정단으로 나왔을 때 [[물찬 강남제비|하차]]했다.]
== 출연작 ==
=== 드라마 ===
* 2015년 Mnet 뮤직드라마 [[칠전팔기 구해라]] - 심사위원
* 2013년 MBC 일일드라마 [[오로라 공주 (드라마)|오로라 공주]] - 백도
* 2009년 KBS 주말드라마 [[보석비빔밥]] - 설황도
* 2008년 MBC 일일시트콤 [[그분이 오신다]] - 설운도
* 2001년 SBS 일요시트콤 [[여고시절]] - 설운도
* 2001년 MBC 청춘시트콤 [[뉴 논스톱]] - 설운도
* 1993년 SBS 공개드라마 《사랑은 생방송 - 오월동주 편》 - 설운도

== 여담 ==
* [[한나라당]]-[[새누리당]]-[[자유한국당]] 적극적 지지자며 [[김성태(1958)|김성태]] 의원의 후원회장을 맡고 있다.[* [[박근혜]] 대통령을 의원 시절부터 지지했는데 같은 당이지만 비박계의 일원인 김성태 의원의 후원회장인 것은 사실 조금 신기한 일이긴 하다. 대선, 지방선거 등에서도 자한당의 지원유세를 했는데 유세 공연 선물/기부 행위는 불법이라 소절만 하고 끝내는 식으로 했다.] 홍보를 하기 위해서인지 진심으로 우러나오는 말인지는 몰라도 김성태 의원을 전적으로 지지하는 글을 썼는데 문제는 의원의 자동차관리법 개정 때문에 많은 비판을 받고 있다. 자세한 사항은 [[김성태(1958)|김성태]] 참조.
=== 방송 ===
* [[문화방송|MBC]] 《도전 추리 특급》
* [[KBS 2TV|KBS2]][[KBS 1TV|KBS1]][[가족오락관]] - 게스트 다수 출연
* [[KBS 1TV|KBS1]] 《[[전국노래자랑]]》, 《[[가요무대]]》 - 초대가수 다수 출연
* [[KNN]] 《[[쑈! TV유랑극단]]》 - 초대가수 출연
* 《[[전국 10 가요 쇼]]》 - 초대가수 다수 출연
* [[문화방송|MBC]] 《[[세상을 바꾸는 퀴즈]]》 - 게스트
* [[SBS (대한민국의 방송사) |SBS]] 《[[쇼! 노래하는 대한민국]]》 - 진행
* [[Mnet]] 《[[트로트 엑스]]》 - 심사위원
* [[SBS (대한민국의 방송사) |SBS]] 《[[보컬 전쟁 : 신의 목소리]]》 - 심사위원
* [[문화방송|MBC]] 《[[마이 리틀 텔레비전]]》 - 출연자
* [[문화방송|MBC]] 《[[미스터리 음악쇼 복면가왕]]》 - 나는야 웃기는 짬뽕
* [[문화방송|MBC]] 《[[은밀하게 위대하게 (텔레비전 프로그램) |은밀하게 위대하게]]》
* [[KBS 2TV|KBS2]] 《[[슈퍼맨이 돌아왔다]]》(특별출연)
* [[채널A]] 《[[행복한 아침 (채널A)|행복한 아침]]》(게스트)
이 외에도 다수의 프로그램에 출연.

* 외모 측면에서 완전 탈모가 있어서 [[가발]] 착용하고 있다. 이 사람도 [[이덕화]] 가발계의 레전드라 아내가 결혼 수년 후에야 가발인 걸 알았다고. 심지어 이덕화와 호형호제하는 코미디언 최병서는 나중에 그의 조카딸과 결혼했는데, 신혼여행을 갔다가 수영장에서 누가 아는 척을 하길래 최병서가 누구시냐고 묻자, "나야, 나! 설운도!"라고 대답했다고. 그걸 본 새색시가 깔깔 웃으면서 "어머, 우리 덕화 아저씨보다 심해!"라고 말했더란다. 그럼에도 이덕화 만큼이나 머리가 벗겨진 모습을 대놓고 보여준 적이 아예 없다. 구글에서도 찾아봐야 합성사진 몇 개뿐.
=== CF ===
* 2000년 《[[피자헛]] 치즈크러스트 피자》
* 1997년 [[동화약품]] 판콜》
* 1996년 [[피자헛]] 치즈크러스트 피자》(With. [[DJ DOC]])

* 재능TV에서 [[네모바지 스폰지밥]] 오징어 캐릭터를 [[철운도]] 로컬라이징했다.
== 수상 ==
* 2019년 팝켓 아시아 뮤직 어워드 10대 가수상
* 2012년 제12회 대한민국 전통가요대상 남자 7대가수상
* 2012년 미국 대통령 자원봉사상
* 2011년 제1회 대한민국 다문화예술대상 10대 예술인상
* 2011년 제1회 한국음악저작권대상 싱어송라이터상
* 2010년 제11회 대한민국 연예문화상 문화대상
* 2009년 제9회 자랑스런 한국인대상 대중가요 부문
* 2009년 제17회 대한민국 문화연예대상 10대 가수상
* 2008년 제15회 대한민국 연예예술상 대상
* 2007년 제15회 한국인기연예대상 전통가수대상
* 2006년 제1회 SBS 가요대축제 본상
* 2005년 제24회 [[KBS 가요대상]] 올해의 가수상
* 2004년 제8회 SBS [[가요대전]] 트로트 부문상
* 2003년 제7회 SBS [[가요대전]] 트로트 부문상
* 2000년 제15회 [[골든 디스크]] 트로트상
* 1999년 제6회 대한민국 연예예술상 전통가요 가수상
* 1999년 한국방송공사 올해의 가수상
* 1999년 제10회 대한민국 [[영상음반대상]] 골든디스크 본상
* 1999년 제14회 [[골든 디스크]] 본상
* 1998년 제5회 대한민국 연예예술상 전통가요 가수상
* 1998년 제13회 [[골든 디스크]] 본상
* 1997년 문화체육부 장관 표창
* 1997년 제10회 [[서울가요대상]] 특별상
* 1997년 제24회 [[한국방송대상]] 개인부문 남자가수상
* 1997년 제4회 대한민국 연예예술상 청소년가요 가수상
* 1997년 제12회 [[골든 디스크]] 본상
* 1996년 문화체육부 선정 96 오늘의 젊은 예술가상
* 1996년 제15회 [[KBS 가요대상]] 본상
* 1996년 제11회 [[골든 디스크]] 본상
* 1995년 제2회 대한민국 연예예술상 전통가요 가수상
* 1995년 제10회 [[골든 디스크]] 본상
* 1994년 제9회 [[골든 디스크]] 본상
* 1993년 제8회 [[골든 디스크]] 골든디스크상
* 1992년 제3회 대한민국 [[영상음반대상]] 본상
* 1992년 MBC 한국가요제전 올해를 빛낸 10인의 스타상
* 1992년 제11회 [[KBS 가요대상]] 본상
* 1992년 제7회 [[골든 디스크]] 골든디스크상
* 1990년 MBC 10대 가수상
* 1990년 제3회 고복수 가요제 남자 가수상
* 1983년 제3회 KBS 가요대상 7대 가수상
* 1974년 MBC 아마추어 노래자랑 최우수상

* 2005년 기준으로 [[가요무대]] 3번째 최다 출연자다.(438회)[* 2위는 [[현철]](470회), 1위는 [[주현미]](485회)다.]
== 주요 ==
* [[누이]] (언제나 내겐 오랜 친구 같은 사랑스런 누이가 있어요 ~ )
* 잃어버린 30년 (비가 오나 눈이 오나 바람이 부나 ~ ): [[1983년]]에 '[[이산가족을 찾습니다]]'를 대표하던 곡. 원래 이 곡의 제목은 '그리운 나의 아버지'였으나 [[이산가족]] 상봉 방송이 시작될 때 바로 제목과 가사를 바꿔 불렀고 그 이후 바로 히트가 됐다. 그래서 발표 후 최단기간 히트곡으로 [[기네스 북]]에 올랐다.[* 당시에는 지금처럼 디지털로 음원을 들을 수 없기 때문에 발매 후 몇 개월 지나고 방송이나 입소문 타고 노래가 히트곡이 되던 때였다.] 설운도 [[본인]]도 이산가족 상봉 방송 기간 내내 약 천여 번은 불렀다고 한다. 그런데 정작 공연을 위해 방북했을 때는 [[북한]] 당국에서 이 노래가 사상적으로 문제가 있다 하여 부르지 못했다고 한다. 2017.10.10 KBS 이산가족 관련 생방송(만남이 강은 흐른다)에서 2015년에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에 이산가족 상봉 방송 자료 중에 하나로 등재되었다.
* 여자 여자 여자 (아픔을 달래는 여자 고개 숙여 우는 그 여자 ~ )
* [[나침반(노래)|나침반]] (종로로 갈까요 명동으로 갈까요 차라리 청량리로 떠날까요 ~ ): [[아기공룡 둘리]] [[얼음별 대모험]]에서 [[고길동]]이 [[바요킹]]한테 잡혀가서 불렀던 [[노래]]. --정작 바요킹은 [[저질]]이라고 깠다.--
* 다함께 차차차 (근심을 털어놓고 다함께 차차차 슬픔을 묻어놓고 다함께 차차차 ~ ): 참고로 [[가요톱텐]]에서 1년간 30위 권 안에 있었던 곡이다.
* 사랑의 트위스트 (상하이 상하이 상하이 트위스트 추면서 온 동네를 주름잡았던 ~ ): 얼핏 들으면 '상 하의'로 들려서 설운도가 입는 옷은 상 하의라는 넌센스 퀴즈가 있다. --[[노잼]]......--
* 쌈바의 여인 (쌈바 쌈바 쌈바 쌈바 춤을 추고 있는 그대 ~ ): 다함께 차차차와 마찬가지로 이 곡도 [[가요톱텐]]에서 [[무려]] 10개월 동안 30위권 안에 있었다. 여담이지만 당시 [[가요톱텐]] 1996년 10월 2째 주에 순위 소개하는 장면에서 '쌈바의 후예'라는 자막 오타가 난 적도 있었다...[* 아마 23위에 올랐던 H.O.T의 '전사의 후예' 다음에 나오면서 오타가 난 것으로 보인다.]
* 갈매기 사랑 (갈매기야 갈매기야 부산항 갈매기야 ~ )
* 너만을 사랑했다 (약한 모습은 보이기 싫다 혼자가 될지라도 ~ )
* 마음이 울적해서 (마음이 울적해서 길을 나섰네 ~ )
* 원점 (사랑했던 그 사람을 말없이 돌려 보내고 원점으로 돌아서는 이 마음 그대는 몰라 ~ )
* 추억속으로 (야외전축 틀어놓고 너와 내가 밤새도록 춤을 추던 그 시절 ~ )
* 애인이 돼주세요 (그대여 나의 애인이 되어 애인이 돼주세요 ~ )
* 그런 여자 없나요 (친구도 좋아요 애인도 좋아요 누구라도 좋아요 ~ )
* 춘자야 (춘자야 보고 싶구나 그 옛날 선술집이 생각나구나 ~ )
* 보라빛 엽서 (다시 못 올 그대 모습 기다리는 사연 ~ )
* [[성남]] [[동광중학교]] [[교가]]
== 외부 링크 ==
* [http://www.sulwoondo.com/ 설운도 홈페이지]

[[분류:한국 남가수]][[분류:이천시 출신 인물]][[분류:1958년 출생]][[분류:미스터리 음악쇼 복면가왕 역대 출연자]][[분류:1982년 데뷔]] 
[[분류:1대 100 역대 1인]][[분류:라디오 스타의 역대 게스트]]
[[분류:1958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1982년 데뷔]][[분류:대한민국의 남자 가수]][[분류:대한민국의 작사가]][[분류:대한민국의 남자 영화 배우]][[분류:대한민국의 남자 뮤지컬 배우]][[분류:대한민국의 남자 싱어송라이터]][[분류:대한민국의 음악 프로듀서]][[분류:대한민국의 기업인]][[분류:이천시 출신]][[분류:골든디스크 본상 수상 음악가]][[분류:대한민국의 트로트 가수]][[분류:영천 이씨]]



{{음악가 정보
|이름 = 설운도
|본명 = 이영춘
|그림 =
|그림크기 =
|그림설명 =
출생일 = {{출생일과 만나이
1958|8|8}}
|출생지 = 대한민국 경기도 이천시 창전동 (이천시) (영창로)
|장르 = 트로트
|직업 = 가수
|사용시기 = 1982년 ~
|레이블 =
|소속사 = 루체엔터테인먼트, 월드사운드엔터테인먼트
|학력 = 이천농협하나로마트본점
배우자 = [[이수진 (배우)
이수진]]
|가족 = 슬하 2남 1녀
|자녀 = 아들 루민, 이승민, 딸 이승아
|웹사이트 = 설운도 홈페이지
유튜브-설운도TV
}}
{| class="infobox bordered" style="width:21em; cellpadding=2; font-size:85%; text-align:center;"
! colspan="2" style="background:lightsteelblue" | 대표곡
|-
style="width:80%;"
잃어버린 30년
| style="width:20%;" | 1983년
|-
| 나침반
| 1984년
|-
| 원점
| 1986년
|-
| 마음이 울적해서
| 1989년
|-
| 혼자이고 싶어요
| 1990년
|-
| 다함께 차차차
| 1991년
|-
| 여자 여자 여자
| 1992년
|-
| 너만을 사랑했다
| 1994년
|-
| 쌈바의 여인
| 1995년
|-
| 사랑의 트위스트
| 1997년
|-
| 누이
| 1999년
|-
| 애인이 돼 주세요
| 2001년
|-
| 갈매기 사랑
| 2002년
|-
| 춘자야
| 2004년
|-
| 그런 여자 없나요
| 2006년
|-
| 귀여운 여인
| 2008년
|-
| 장미같은 여자
| 2010년
|-
| 추억속으로
| 2011년
|-
| 다시 한번만
| 2013년
|-
| 보고싶다 내 사랑
| 2014년
|}

설운도(薛雲道, 1958년 8월 8일 (1958년 음력 6월 23일) ~ )는 대한민국의 트로트 가수이다.

생애

설운도는 1958년 음력 6월 23일에 경기도 이천시 창전동 (이천시) (영창로) 에서 아버지 이상택과 어머니 곽순자의 3남 3녀 중 장남으로 태어났다. 재학 중 아버지의 사업 실패로 가정 형편이 어려워지자 돈을 벌기 위해 연탄 배달에 나섰다. 이후 육군에 입대하여 전역한 뒤 1982년에 당시 서바이벌 오디션 프로그램이었던 KBS 《신인탄생》에 출연해 프로그램 5주 연속으로 우승하며 데뷔하였다. 이듬해인 1983년에 KBS 특별 생방송 《이산가족을 찾습니다》에 출연하여 데뷔 곡 《잃어버린 30년》을 부르게 되었는데 하루 만에 빅히트를 기록하였다. 《잃어버린 30년》(원작: 남국인, 개작: 박건호/ 작곡: 남국인)은 원래 《아버지께》라는 제목으로 발표된 노래인데 이산가족 생방송을 하는걸 매니저가 보고 작사가 박건호에게 전화를 걸어 하룻밤에 작사 그다음날 녹음 모레에 방송 하루 만에 엄청난 히트를 하여 녹음 후 최단 기단의 히트한 곡으로 기네스북에 기록되었다. 데뷔한 지 얼마되지 않아 이산가족의 설움을 그린 곡 《잃어버린 30년》으로 제3회 KBS 가요대상 7대 가수상을 수상하고 일약 스타덤에 오른 설운도는 1984년 12월에 발표한 정통 트로트 《나침반》(작사: 김상길/ 작곡: 설운도)으로 다시 인기를 이어나갔다.

1986년에 이호섭이 작사하고 본인이 작곡한 정통 트로트 《원점》(작사: 이호섭/ 작곡: 설운도) 을 발표하였지만 크게 알려지지 못하였다. 하지만 3년이 지난 1989년에 《전국노래자랑》연말결선에서 1위를 차지한 오세근 씨가 심장병이 있는 자신의 딸의 치료비를 벌기 위해 출연하였다는 사연을 전하였는데 《전국노래자랑》에서 《원점》을 부르는 참가자가 많아지며 이 곡이 히트하게 되었다. 하지만 설운도는 매니저의 부재로 방송에 출연하지 못해서 계속 무명 시절을 보내야만 하였다. 1988년 12월에는 국내 가수 최초로 중국 교포들의 초청을 받아 연변에서 단독 콘서트를 개최하였다. 1989년 5월에는 일본 NHK TV의 인기 엔카 가요프로그램에 조용필나훈아 다음으로 일본에 진출하였으나 역시 큰 성과를 얻지 못하였다. 1989년에 경쾌한 폭스 트로트 《마음이 울적해서》(작사: 정월하/ 작곡: 김정일), 1990년에 정통 트로트 《혼자이고 싶어요》(작사: 이수진, 작곡: 설운도)를 발표하여 가수 활동을 하였으나 발표 당시 아무런 인기를 얻지 못하였고 이후에 히트하여 제 3회 고복수 가요제 남자 가수상, MBC 10대 가수상을 수상하였다.

설운도는 트로트라는 장르를 다양성있게 새롭게 변화를 준 노래들을 주로 불렀는데 그 중 1991년에 차차차트로트가 어울러진 《다함께 차차차》(작사: 김병걸/ 작곡: 이호섭) 를 발표하였다. 이 곡의 작곡을 맡았던 이호섭은 "설운도가 새벽에 갑자기 찾아와서 곡이 있으면 달라는 부탁을 하여 10분도 안되어 악보를 완성하였고, 작사를 맡았던 김병걸 역시 10분도 되지 않아 작사를 마쳤다. 그리고 편곡 담당이었던 송태호 또한 10분도 안되어 편곡을 마쳐서 《다함께 차차차》는 1시간도 지나지 않아 완성되었다."라고 밝혔다. 발표 초반에 이 노래를 들은 평론가들은 "무슨 곡 수준이 이 모양이냐."라고 평가절하했으나, 경제파동이 있었던 당시 상황과 맞물려 이 곡은 남녀노소를 불문하고 많은 인기를 얻게 되어 2년 연속으로 MBC 10대 가수상을 수상하는 영광을 누렸다. 1992년에는 히트곡 《여자 여자 여자》(작사: 이수진, 작곡: 설운도)로 제 7회 골든 디스크 골든디스크상, 제 3회 대한민국 영상음반대상 본상을 1995년에는 삼바트로트가 조합된 《쌈바의 여인》(작사: 이수진, 작곡: 설운도)이 히트하여 제 2회 대한민국 연예예술상 전통가요 가수상, 제11회 골든 디스크 본상을 수상하는 영광을 누렸다. 1997년에 발표한 《사랑의 트위스트》는 댄스 트로트로 당시 트위스트 춤이 유행하여 제4회 대한민국 연예예술상 청소년 가수상을 수상하며 당시 청소년들에게 인지도가 높아졌다.
데뷔 후 꾸준히 대중들의 인기를 얻은 설운도는 1990년 대부터 현철, 송대관, 태진아와 나란히 견주며 트로트 4대 천왕으로 불리며 트로트를 부활시키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하였다. 특히 설운도는 주로 반짝이 의상을 입고 무대에 올라 대중들에게 반짝이 의상하면 생각나는 가수로 꼽혔다.

2004년에는 《춘자야》(작사: 이수진/ 작곡: 설운도)가 인기를 얻으며 당시 혜성처럼 나타나 전국에 일명 "어마나 열풍"을 일으켜 트로트의 세대 교체를 이룬 장윤정을 제치고 성인가요 프로그램 ITV 성인가요 《베스트 30》, 《전국 TOP 10 가요쇼》에서 1위를 하였다. 2010년에는 부산 금정구를 찬양하는 곡인 《내 사랑 금정》(금정구 구민들/설운도) 을 발표하였고 2011년에 〈추억 속으로〉(이수진/설운도) 를 발표하였는데 이 노래 역시 즐거운 노래로 크게 인기를 얻었다. 2013년에는 지난 1992년에 발표된 〈미련의 블루스〉(이수진/정원수) 가 인터넷과 SNS를 통해 전파되어 전국 노래교실 신청곡이 쇄도하여 리메이크해서 다시 녹음하였다.

주요 노래로는 "잃어버린 30년", "나침반", "원점", "삼바의 여인", "사랑의 트위스트", "누이", "추억속으로" 등이 있다.

가족 관계

* 배우자는 영화배우 출신이자 작사가인 이수진이다.
* 장남은 음악 그룹 엠파이어의 멤버인 루민이다.
* 차남은 이승민이다.
* 장녀는 이승아다.

{| class="wikitable"
!align="left"|번호
!align="left" width="250px"|음반 정보
!align="left"|트랙 리스트
|-
align="center"
1
|align="left"|《설운도 1집
* 발매일 : 1983년 7월
align="left" style="font-size: 95%;"
# 잃어버린 30년(작사 박건호/작곡 남국인)
# 잊어야할 사람
# 언제나 당신
# 어차피 떠난 사람(김동찬/김수환/한민(원곡))
# 너무합니다(윤향기(작사/작곡)/김수희(원곡))
# 일편단심(남국인(작사/작곡))
# 나룻배
# 인생길
# 가실래
# 한잔
# 파도(이인선/김영종/배호(원곡))
# 어허야 둥기둥기 (건전가요)
|-
align="center"
2
|align="left"|《설운도 2집
* 발매일 : 1984년 12월
align="left" style="font-size: 95%;"
# 이별의 기적소리
# 나의 사랑
# 인생 길목
# 경복궁의 봄
# 울지 않을래
# 돌고 도는 인생
# 나침반(작사 김상길/작곡 이유림)
# 이별의 기로
# 아쉬운 이별
# 파고다
|-
align="center"
3
|align="left"|《설운도 3집
* 발매일 : 1986년 3월
align="left" style="font-size: 95%;"
# 원점(작사 이호섭/작곡 설운도)
# 내 인생의 마지막 여인
# 나침반(작사 김상길/작곡 이유림)
# 서글판 애정
# 여름은 가고
# 그 사랑 그냥 그대로
# 사랑의 문
# 메마른 입술
# 유월의 사과밭
# 친구야 힘을 내
# 울고 싶은 소녀
# 빛나는 코리아
# 정화의 노래 (건전가요)
|-
align="center"
4
|align="left"|《설운도 4집
* 발매일 : 1987년 4월
align="left" style="font-size: 95%;"
# 내 고향은 원산만(작사 박건호/작곡 설운도)
# 남자의 눈물
# 이별의 국제공항
# 그대 그림자
# 멀어진 사랑
# 마지막 한마디
# 마파람
# 당신은 나의 의사예요
# 사랑과 애정
# 영원 속으로
# 한강의 노래
# 평화의 노래
# 이나라 주인이 되어 (건전가요)
|-
align="center"
5
|align="left"|《설운도 5집
* 발매일 : 1989년 4월
align="left" style="font-size: 95%;"
# 마음이 울적해서(작사 정월하/작곡 김정일)
# 서울역
# 웃으며 돌아와요
# 못 잊을건 정
# 창가에
# 계절에 내리는 마지막 비처럼
# 타향의 모정
# 원점(작사 이호섭/작곡 설운도)
# 흙에 살리라(홍세민(원곡))
# 나침반(작사 김상길/작곡 이유림)
# 잃어버린 30년(작사 박건호/작곡 남국인)
# 마지막 블루스
|-
align="center"
6
|align="left"|《설운도 6집
* 발매일 : 1990년 6월
align="left" style="font-size: 95%;"
# 혼자이고 싶어요(작사 이수진/작곡 설운도)
# 숙명
# 무교동의 밤
# 핑계
# 허상
# 항구의 나그네
# 후회하지 않겠어요
# 체면 때문에
# 생각 말아요
# 내 고향이 최고야
# 인생은 게임
# 말없이 떠나가주오
|-
align="center"
7
|align="left"|《설운도 7집
* 발매일 : 1991년 9월
align="left" style="font-size: 95%;"
# 다함께 차차차(작사 김병걸/작곡 이호섭)
# 돌아돌아 올꺼야
# 타인이 되버린 당신
# 떠나가는 배
# 빨간 립스틱
# 사나이 엘리지
# 이별의 블루스
# 타인
# 숙명
# 말없이 떠나가주오
|-
align="center"
8
|align="left"|《설운도 8집
* 발매일 : 1992년 6월
align="left" style="font-size: 95%;"
# 여자 여자 여자(작사 이수진/작곡 설운도)
# 노량대교
# 내 사랑도 가져 가세요
# 마라도 블루스
# 38선에 꽃이 피면
# 사나이 룸바(작사 이호섭/작곡 이호섭)
# 미련의 블루스(작사 이수진/작곡 정원수)
# 창밖에는 오늘도 비
# 슬픈 행복
# 그냥 가세요
|-
align="center"
9
|align="left"|《설운도 9집
* 발매일 : 1995년
align="left" style="font-size: 95%;"
# 쌈바의 여인(작사 이수진/작곡 설운도)
# 여자 여자 여자(작사 이수진/작곡 설운도)
# 노량대교
# 내 사랑도 가져 가세요
# 마라도 블루스
# 38선에 꽃이 피면
# 사나이 룸바
# 미련의 블루스(작사 김경아/작곡 정원수)
# 창밖에는 오늘도 비
# 슬픈 행복
# 그냥 가세요
|-
align="center"
10
|align="left"|《설운도 10집
* 발매일 : 1997년 9월 1일
align="left" style="font-size: 95%;"
# 사랑의 트위스트(작사 이수진/작곡 설운도)
# 고향 하늘
# 나의 사랑
# 하파데이
# 다시 찾은 그대
# 하얀 백두산
# 나만은 사랑해줘요
# 희야
# 첫눈에 반한 그대
# 그대와의 탱고
# 보랏빛 엽서(작사 김연일/작곡 설운도)
# 상처
|-
align="center"
11
|align="left"|《설운도 11집
* 발매일 : 1999년 6월
align="left" style="font-size: 95%;"
# 누이(작사 이수진/작곡 설운도)
# 재회(작사 이수진/작곡 설운도)
# 사랑의 탱고
# 나의 어머님
# 잊혀진 세월
# 슬픈 여자
# 땅끝에서
# 재즈 카페에서
# 내 인생을 위하여
# 허상(작사 장경수/작곡 이유림)
# 아쉬운 세월
# 작은 행복
|-
align="center"
12
|align="left"|《설운도 12집
* 발매일 : 2002년 7월
align="left" style="font-size: 95%;"
# 갈매기 사랑(작사 이수진/작곡 설운도)
# 귀여운 여인(작사 이유림/작곡 설운도)
# 연극같은 사랑
# 마지막의 사랑
# 아카사카 아가씨
# 나비캍은 사랑
# 추억의 그림자
# 약속
# 추억
# 나만의 여인(작사 이유림/작곡 설운도)
|-
align="center"
13
|align="left"|《설운도 13집
* 발매일 : 2004년 7월
align="left" style="font-size: 95%;"
# 춘자야(작사 이수진/작곡 설운도)
# 고백(작사 이경원/작곡 설운도)
# 못다한 사랑
# 갈매기 사랑(작사 이수진/작곡 설운도)
# 약속
# 누이(작사 이수진/작곡 설운도)
# 아카사카 아가씨
# 쌈바의 여인(작사 이수진/작곡 설운도)
# 사랑의 트위스트(작사 이수진/작곡 설운도)
|-
align="center"
14
|align="left"|《설운도 14집
* 발매일 : 2010년 4월
align="left" style="font-size: 95%;"
# 장미같은 여자(작사 이수진/작곡 설운도)
# 누이(작사 이수진/작곡 설운도)
# 귀여운 여자(작사 이유림/작곡 설운도)
# 그런 여자 없나요(작사 이수진/작곡 설운도)
# 갈매기 사랑(작사 이수진/작곡 설운도)
# 애인이 돼 주세요(작사 이수진/작곡 설운도)
# 원점(작사 이호섭/작곡 설운도)
# 잃어버린 30년(작사 박건호/작곡 남국인)
# 쌈바의 여인(작사 이수진/작곡 설운도)
# 나만의 여인(작사 이유림/작곡 설운도)
# 다함께 차차차(작사 김병걸/작곡 이호섭)
# 사랑의 트위스트(작사 이수진/작곡 설운도)
# 장미같은 여자 (MR)
|-
|

15
[[설운도 14집
설운도 15집]]》

* 발매일 : 2011년 4월
|
# 추억속으로(작사 이수진/작곡 설운도)
#장미같은 여자(작사 이수진/작곡 설운도)
#누이(작사 이수진/작곡 설운도)
#귀여운 여자(작사 이유림/작곡 설운도)
#갈매기 사랑(작사 이수진/작곡 설운도)
#애인이 돼 주세요(작사 이수진/작곡 설운도)
#원점(작사 이호섭/작곡 설운도)
#잃어버린 30년(작사 박건호/작곡 남국인)
#쌈바의 여인(작사 이수진/작곡 설운도)
#나만의 여인(작사 이유림/작곡 설운도)
#다함께 차차차(작사 김병걸/작곡 이호섭)
#사랑의 트위스트(작사 이수진/작곡 설운도)
#추억속으로 (MR)
|}

대표작

설운도는 1984년부터 작곡을 시작하여 자신의 히트곡 중에서도 대부분은 설운도가 작곡하고 그의 아내 이수진이 작사를 하였다.
*1984년: 설운도 - 《나침반》(작사: 김상길/ 작곡: 설운도)
*1986년: 설운도 - 《원점》(작사: 이호섭/ 작곡: 설운도)
*1990년: 설운도 - 《혼자이고 싶어요》(작사: 이수진/ 작곡: 설운도)
*1992년: 설운도 - 《여자 여자 여자》(작사: 이수진/ 작곡: 설운도)
*1994년: 설운도 - 《너만을 사랑했다》(작사: 장경수/ 작곡: 설운도)
*1994년: 문희옥 - 《해변의 첫사랑》(작사: 이수진/ 작곡: 설운도)
*1995년: 설운도 - 《쌈바의 여인》(작사: 이수진/ 작곡: 설운도)
*1997년: 설운도 - 《사랑의 트위스트》(작사: 이수진/ 작곡: 설운도)
*1997년: 설운도 - 《보라빛 엽서》(작사: 김연일/ 작곡: 설운도)
*1998년: 양금석 - 《파랑새》(작사: 설운도/ 작곡: 설운도)
*1998년: 김혜연 - 《더 늦기 전에》(작사: 서판석/ 작곡: 설운도)
*1999년: 설운도 - 《누이》(작사: 이수진/ 작곡: 설운도)
*2000년: 최영철 - 《함경도 트위스트》(작사: 최영철/ 작곡: 설운도)
*2000년: 서수남 - 《내 사랑 당신께》(작사: 서수남/ 작곡: 설운도)
*2001년: 박주희 - 《럭키》(작사: 홍상기/ 작곡: 설운도)
*2001년: 설운도 - 《애인이 돼 주세요》(작사: 설운도/ 작곡: 설운도)
*2002년: 설운도 - 《갈매기 사랑》(작사: 이수진/ 작곡: 설운도)
*2002년: 박윤경 - 《꼭 한번만》(작사: 설운도/ 작곡: 설운도)
*2003년: 문희옥 - 《미스터 박》(작사: 이수진/ 작곡: 설운도)
*2004년: 하동진 - 《사랑을 한번 해보고 싶어요》(작사: 설운도/ 작곡: 설운도)
*2004년: 설운도 - 《춘자야》(작사: 이수진/ 작곡: 설운도)
*2005년: 우연이 - 《우연히》(작사: 설운도/ 작곡: 설운도)
*2007년: 권성희 - 《허상》(작사: 장경수/ 작곡: 설운도)
*2009년: 오은정 - 《서울아가씨》(작사: 설운도/ 작곡: 설운도)
*2009년: 서지오 - 《하니하니》(작사: 설운도/ 작곡: 설운도)
*2010년: 설운도 - 《장미같은 여자》(작사: 이수진/ 작곡: 설운도)
*2011년: 하동진 - 《나니까》(작사: 설운도/ 작곡: 설운도)
*2011년: 설운도 - 《추억속으로》(작사: 이수진/ 작곡: 설운도)
*2013년: 우연이 - 《몰랐네》(작사: 설운도/ 작곡: 설운도)
*2014년: 설운도 - 《보고싶다 내 사랑》(작사: 이수진/ 작곡: 설운도)
*2015년: 우연이 - 《그 남자》(작사: 이수진/ 작곡: 설운도)
*2016년: 박진선 - 《이제부터야》(작사: 이수진/ 작곡: 설운도)
*2018년: 설운도 - 《사랑이 이런건가요》(작사: 이수진/ 작곡: 설운도)

출연작

드라마

* 2015년 Mnet 뮤직드라마 《칠전팔기 구해라》 - 심사위원 역
* 2013년 MBC 일일드라마 《오로라 공주》 - 백도 역
* 2009년 KBS 주말드라마 《보석비빔밥》 - 설황도 역
* 2008년 MBC 일일시트콤 《그분이 오신다》 - 설운도 역
* 2001년 SBS 일요시트콤 《여고시절》 - 설운도 역
* 2001년 MBC 청춘시트콤 《뉴 논스톱》 - 설운도 역
* 1993년 SBS 공개드라마 《사랑은 생방송 - 오월동주 편》 - 설운도 역

방송

* MBC 《도전 추리 특급》
* KBS2KBS1가족오락관》 - 게스트 다수 출연
* KBS1전국노래자랑》, 《가요무대》 - 초대가수 다수 출연
* KNN쑈! TV유랑극단》 - 초대가수 출연
* 《전국 톱 10 가요 쇼》 - 초대가수 다수 출연
* MBC세상을 바꾸는 퀴즈》 - 게스트
* SBS쇼! 노래하는 대한민국》 - 진행
* Mnet트로트 엑스》 - 심사위원
* SBS보컬 전쟁 : 신의 목소리》 - 심사위원
* MBC마이 리틀 텔레비전》 - 출연자
* MBC미스터리 음악쇼 복면가왕》 - 나는야 웃기는 짬뽕
* MBC은밀하게 위대하게
* KBS2슈퍼맨이 돌아왔다》(특별출연)
* 채널A행복한 아침》(게스트)
이 외에도 다수의 프로그램에 출연.

CF

* 2000년 《피자헛 치즈크러스트 피자》
* 1997년 《동화약품 판콜》
* 1996년 《피자헛 치즈크러스트 피자》(With. DJ DOC)

수상

* 2019년 팝켓 아시아 뮤직 어워드 10대 가수상
* 2012년 제12회 대한민국 전통가요대상 남자 7대가수상
* 2012년 미국 대통령 자원봉사상
* 2011년 제1회 대한민국 다문화예술대상 10대 예술인상
* 2011년 제1회 한국음악저작권대상 싱어송라이터상
* 2010년 제11회 대한민국 연예문화상 문화대상
* 2009년 제9회 자랑스런 한국인대상 대중가요 부문
* 2009년 제17회 대한민국 문화연예대상 10대 가수상
* 2008년 제15회 대한민국 연예예술상 대상
* 2007년 제15회 한국인기연예대상 전통가수대상
* 2006년 제1회 SBS 가요대축제 본상
* 2005년 제24회 KBS 가요대상 올해의 가수상
* 2004년 제8회 SBS 가요대전 트로트 부문상
* 2003년 제7회 SBS 가요대전 트로트 부문상
* 2000년 제15회 골든 디스크 트로트상
* 1999년 제6회 대한민국 연예예술상 전통가요 가수상
* 1999년 한국방송공사 올해의 가수상
* 1999년 제10회 대한민국 영상음반대상 골든디스크 본상
* 1999년 제14회 골든 디스크 본상
* 1998년 제5회 대한민국 연예예술상 전통가요 가수상
* 1998년 제13회 골든 디스크 본상
* 1997년 문화체육부 장관 표창
* 1997년 제10회 서울가요대상 특별상
* 1997년 제24회 한국방송대상 개인부문 남자가수상
* 1997년 제4회 대한민국 연예예술상 청소년가요 가수상
* 1997년 제12회 골든 디스크 본상
* 1996년 문화체육부 선정 96 오늘의 젊은 예술가상
* 1996년 제15회 KBS 가요대상 본상
* 1996년 제11회 골든 디스크 본상
* 1995년 제2회 대한민국 연예예술상 전통가요 가수상
* 1995년 제10회 골든 디스크 본상
* 1994년 제9회 골든 디스크 본상
* 1993년 제8회 골든 디스크 골든디스크상
* 1992년 제3회 대한민국 영상음반대상 본상
* 1992년 MBC 한국가요제전 올해를 빛낸 10인의 스타상
* 1992년 제11회 KBS 가요대상 본상
* 1992년 제7회 골든 디스크 골든디스크상
* 1990년 MBC 10대 가수상
* 1990년 제3회 고복수 가요제 남자 가수상
* 1983년 제3회 KBS 가요대상 7대 가수상
* 1974년 MBC 아마추어 노래자랑 최우수상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