팝업레이어 알림

팝업레이어 알림이 없습니다.
E D R , A S I H C RSS

박봉우

변화가 없습니다



{{작가 정보
| 이름 = 박봉우
| 원어이름 =
| 그림 =
| 그림 크기 =
| 설명 =
출생일 = {{출생일
1934|7|24}}
| 출생지 = 광주
사망일 = {{사망일과 나이
1990|3|2|1934|7|24}}
| 사망지 =
| 필명 =
| 별칭 =
| 직업 = 작가
| 언어 =
| 국적 = 대한민국
| 민족 =
| 시민권 =
| 학력 = 광주고등학교, 전남대학교
| 모교 =
| 활동 기간 = 1956년~1989년
| 등단시기 = 1956년
| 등단작 = 〈휴전선〉
| 장르 = 시
| 주제 =
| 문학 경향 =
| 주요 작품 = 〈휴전선〉
| 수상 =
| 배우자 =
| 부모 =
| 동거인 =
| 자녀 =
| 친척 =
| 종교 =
| 영향 받은 인물 =
| 영향 준 인물 =
| 서명 =
| 웹사이트 =
}}

박봉우(朴鳳宇, 1934년 7월 24일<ref>{{웹 인용
| url = https://terms.naver.com/entry.nhn?cid=958&docId=333446&mobile&categoryId=1992
| 제목 = 박봉우 朴鳳宇
| 출판사 = 네이버 지식백과
| 확인날짜 = 2013-02-18
}}</ref>~1990년 3월 2일<ref name="부음">{{웹 인용
| url =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90030400289107014&editNo=3&printCount=1&publishDate=1990-03-04&officeId=00028&pageNo=7&printNo=557&publishType=00010
| 제목 = 분단아픔·암울한 시대상 노래 타계한 시인 박봉우
| 출판사 = 한겨레신문
| 날짜 = 1990-03-04
| 확인날짜 = 2013-02-18
}}</ref>)는 대한민국의 시인이다. 호는 추풍령(秋風嶺)이며, 전라남도 광주(光州)출신이다. 분단 비극의 시인 또는 통일 지향의 시인이라고 할 수 있다. 폭음과 방랑과 가난으로 점철된 ‘아웃사이더의 삶’을 살아 김관식, 천상병과 더불어 한국 시단의 3대 기인으로 불렸다.<ref name="부음"/>

약력

서석국민학교, 광주서중학교, 광주고등학교를 거쳐 1959년 전남대학교 문리과대학 정치학과를 졸업하였다. 1956년 조선일보 신춘문예에 시 〈휴전선〉이 당선되어 문단에 등단하였다. 전라남도문화상·현대문학 신인상(1962)을 수상하였다.

작품 세계

그의 시는 분단 조국의 현실을 날카로이 응시하고 고발하는 시 <휴전선>으로부터 시작된다. 4·19 혁명 뒤에는 타락한 현실에 대한 허무감과 비판의식을 드러내는 데 관심을 두었다. <나비와 철조망>·<젊은 화산(火山)> 등을 통해서 분단의 현실을 노래하기도 했고, <서울 하야식(下野式)>에서는 독재정권에 대한 분노와 저항을 드러내기도 했다.

저서

산문집으로는 《시인(詩人)의 사랑》(1988)이 있다.
===시집===
* 《휴전선(休戰線)》(정음사 1957)
* 《겨울에도 피는 꽃나무》(백자사 1959)
* 《4월(四月)의 화요일(火曜日)》(성문각, 1962)
* 《황지(荒地)의 풀잎》(창작과비평사 1976)
* 《서울 하야식》(전예원 1986)
* 《딸의 손을 잡고》(사사연 1987)
* 《시인의 사랑》(일선출판사 1989)

각주

<references/>

외부 링크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E00339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