팝업레이어 알림

팝업레이어 알림이 없습니다.
E D R , A S I H C RSS

김태정 (1963년)

변화가 없습니다



{{작가 정보
| 이름 = 김태정
| 출생일 = 1963년
| 출생지 = 서울특별시
| 사망일 = 2011년 9월 6일
| 사망지 = 전라남도 해남군
| 직업 = 작가
| 국적 = 대한민국
| 장르 = 시
}}
김태정(金兌貞<ref name="시집">《물푸레나무를 생각하는 저녁》 겉표지 앞 날개</ref>, 1963년~2011년 9월 6일<ref name="해남신문">{{뉴스 인용|성1=김해랑 |제목=미황사가족 보살핌 속 김태정 시인 타계 |url=http://www.hnews.co.kr/news/quickViewArticleView.html?idxno=26889 |날짜=2018-09-06 |확인날짜=2018-11-11 |뉴스=해남신문}}</ref>)은 대한민국의 시인이다. 문단에서 김태정의 시를 ‘민중서정시’라 평했으며, “80년대의 억센 민중시가 구현하지 못한 소담한 일상을 말갛고 깊게 표현했다”고 평가되었다.<ref name="문화통">{{뉴스 인용|성1=손옥연 |제목=‘물푸레 나무’ 시인 김태정씨 해남서 타계 ‘민중서정시인’ 평가…8일 오전 발인 |url=http://mtong.kr/read.php3?aid=13153169677745s8 |날짜=2011-09-06 |확인날짜=2018-11-11 |뉴스=문화통 |출판사=사단법인 광주문화발전소}}</ref>

생애

1963년 서울에서 태어났다. 1991년 《사상문예운동》에 〈雨水〉 외 6편을 발표하며, 작품 활동을 시작했다.<ref name="시집"/>

TV도 없이 라디오를 벗 삼고, 작은 마당에 반찬 거리 채소를 일구면서 시를 썼는데 생전 “시가 저를 숨쉬게 하는 유일한 통로”라며 시 쓰기 외에는 모든 것을 포기했다고 말한 것으로 알려졌다.<ref name="문화통"/>

전남 해남에서 살다가, 암에 걸려 병과 싸웠고, 미황사에서 절 가족들의 보살핌 속에서 2011년 9월 6일 숨졌다.<ref name="해남신문"/> 절에서는 김태정의 유해를 화장해 가장 빨리 피는 동백나무 아래 뿌렸다.<ref>{{웹 인용|성1=금강 |제목=미황사 갤러리 - 김태정시인 동백나무에.. |url=http://mihwangsa.com/bbs/board.php?bo_table=gallery&wr_id=1092&page=11 |웹사이트=미황사 |날짜=2011-11-09 |확인날짜=2018-11-11}}</ref>

저서

* 《물푸레나무를 생각하는 저녁》(창비, 2004)

시 속의 김태정

{{인용문|눈길 피하며 모자란 사람처럼 웃기나 잘하던/ 살림솜씨도 음식솜씨도 별로 없던/ 태정 태정 슬픈 태정/ 망초꽃처럼 말갛던 태정|김사인, 〈김태정〉 《창작과 비평》 2013년 가을호}}
{{인용문|죽음이 투명해질 때까지/ 죽음을 길들이느라 남은 힘을 다 써버린 사람/ 모든 발걸음이 멈추고/ 멀리서 수레국화 한 송이 피어나기 시작했다|나희덕, 〈식물적인 죽음 ― 故 김태정 시인을 생각하며〉 《말들이 돌아오는 시간》(문학과지성사, 2014)}}

각주

<reference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