팝업레이어 알림

팝업레이어 알림이 없습니다.
E D R , A S I H C RSS

광평대군

{{다른 뜻|중국의 옛 행정구역}}
{{왕족 정보
|이름= 광평대군
|원래 이름 = 廣平大君
|휘= 이여 <br/> 李璵
|작위 = 대군(大君)
출생일= {{출생일
1425|5|2}}
|출생지= 조선 한성부
|사망지= 조선 한성부 대군 사저에서 병사
사망일 = {{사망일과 나이
1444|12|7|1425|5|2}}
|자녀 = 영순군 이부(아들)
|배우자 = 영가부부인 평산 신씨
별칭 = [[자 (이름)
자]] 환지(煥之) <br/> 명성당(明誠堂) <br/> 시호 장의공(章懿公)
|학력= 1436년 성균관 수학
|종교= 유교(성리학)
아버지= [[풍안군
풍안군 이효손]](양부)<ref>의안대군 이화의 친손자이자 생부는 영천군 이담(寧川君 李湛)이며
|어머니 = 풍안군부인 삭녕 신씨(양모)<br/>소헌왕후 청송 심씨(생모)
친인척= 신자수(장인)<br/>[[조선 태종
태종 이방원]](친조부) <br /> 심온(외조부) <br /> 심준(외숙부) <br /> 심회(외숙부) <br /> 심결(외숙부) <br /> 양녕대군(큰아버지) <br/> 효령대군(큰아버지) <br /> 성녕대군(작은아버지) <br/> 문종(형) <br/> 세조(형) <br /> 안평대군(형) <br /> 임영대군(형) <br/> 금성대군(동생) <br /> 평원대군(동생) <br /> 클라라(배우)(동생) <br /> 채시라(누이동생)
}}
광평대군 이여(廣平大君 李璵, 1425년 5월 2일 ~ 1444년 12월 7일)는 조선의 왕족 종실로 세종대왕소헌왕후 심씨의 다섯째 아들이다.

이름

성은 , 이름은 여(璵), 본관은 전주, 자는 환지(煥之), 호는 명성당(明誠堂), 시호는 장의공(章懿公)이다.

생애

일생

1425년 5월 2일에 태어났다. 세종 14년(1432년) 8세에 광평대군에 봉해졌다. 형인 임영대군까지는 정1품 대광보국(大匡輔國)의 산관(散官)을 붙였으나, 왕자에게 굳이 산관을 더할 이유가 없다고 본 세종은 광평대군부터는 대군, 왕자군에게 더 이상 산관을 붙이지 않았고 무품계의 반열에 올린다.

세종 18년(1436년) 12세에 동지중추부사 신자수(증 좌의정)의 딸 신씨와 결혼하고 같은 해, 동생 금성대군과 성균관에 입학하여 수학하였다. 부왕 세종의 총애를 받았으며 학문을 좋아하여 경서에 통달하였고, 문선 등에 재능이 있었으나 일찍 요절하였다.

무안대군의 봉사손으로 출계

세종 19년(1437년), 부왕의 명으로 후사가 없는 종조부 무안대군 이방번의 봉사손(奉祀孫)이 된다.

{{인용문|전교하기를,
{{인용문2|“공순공(恭順公) 이방번(李芳蕃)·소도공(昭悼公) 이방석(李芳碩)은 모두 의친(懿親)으로서 불행히 후사가 없으니, 광평 대군(廣平大君) 이여(李璵)를 방번의 뒤로 삼고, 금성 대군(錦城大君) 이유(李瑜)를 방석의 뒤로 삼아서 사당을 세우고 제사를 받들게 하라.}}
하였다.|세종 77권, 19년(1437 丁巳 / 명 정통(正統) 2년) 6월 3일(辛酉) 2번째기사|}}

사치 문제

{{인용문|임금이 광평대군 이여의 집의 간가(間架)가 법도를 넘었다 하여, 이의 철훼(撤毁)하기를 명하였다. 승정원에서 아뢰기를,
{{인용문2|이미 영조(營造)하였으니, 청하옵건대, 철훼하지 말게 하옵소서.}}
하니, 드디어 그 철훼의 명을 정침하였다.|세종 82권|20년(1438 戊午 / 명 정통(正統) 3년) 7월 14일(丙申) 1번째기사}}

인사 청탁 문제

친형인 임영대군과 함께 인사 청탁을 해주어서 논란이 되기도 했다.
{{인용문|신효창(申孝昌)의 친손녀는 광평 대군 이여의 부인이고 외손녀는 임영 대군의 부인으로, 1437년(세종 20년) 신효창이 두 대군에게 편지를 보내어 자신의 비첩(婢妾)이 낳은 서자인 신근지(申謹之)를 벼슬시킬 것을 청탁하였다. 신근지는 광평대군에게는 처서삼촌이 된다.
처조부 신효창의 청탁을 받아 친형 임영대군과 함께 신근지의 벼슬을 청탁하였다.

형제가 부왕 세종대왕을 찾아가 『근지는 사예(射藝)에 능하여 마땅히 쓸 만합니다.』고 고하였다. 임금이 병조에 명하여 그 재주를 시험하니, 보사(步射)와 기사(騎射)에 모두 합격하였다. 그러나 뒤에 논란이 되어 신효창신근지의 임명장은 빼앗겼다가 도로 되돌려받았다.|세종실록 76권|세종 19년(1437 정사 / 명 정통(正統) 2년) 3월 20일(경술) 1번째기사}}

죽음

사인

임금이 광평대군 이여가 창진(瘡疹)을 앓기 때문에 연창군(延昌君) 안맹담(安孟聃)의 집으로 이어하였다.<ref>세종 106권, 26년(1444 甲子 / 명 정통(正統) 9년) 12월 6일(辛亥) 1번째기사</ref>

평판

{{인용문|광평대군 이여가 졸(卒)하였다. 여의 자는 환지(煥之)이고 호는 명성당(明誠堂)이니, 임금의 다섯째 아들이다. 홍희(洪熙) 원년 을사(乙巳) 5월 임신일(壬申日)에 나서, 선덕(宣德) 7년 임자(壬子) 정월에 광평대군에 봉하였다. 나이 어릴 때부터 학문에 힘써서 《효경》과 《소학(小學)》과 사서삼경을 다 통하고, 《문선(文選)》과 이태백·두자미·구양수·소동파의 문집들을 두루 열람하였고, 더욱 《국어(國語)》와 《좌전(左傳)》에 공부가 깊었으며, 음률(音律)과 산수(算數)에 이르기까지도 그 오묘(奧妙)한 이치를 다 알았다. 글을 잘 짓고 글씨의 필법도 절묘하였으며, 강한 활을 당겨서 멀리 쏘고, 또 격구(擊毬)에도 능하였다. 임금이 간의대(簡儀臺)와 종부(宗簿)의 일을 총관(總管)하기를 명하였더니, 종합하고 정리함에 체제를 세웠었다. 임금이 무안군의 후사가 없음을 추념(追念)하여 입후(立後)를 시켜서 그 제사를 받들게 하였다. 이여가 창진을 앓고 있었는데, 임금이 심히 근심하여 여러 방법으로 치료를 했으나 끝내 효과를 얻지 못하고 죽으니, 임금과 중궁이 몹시 슬퍼하여 3일 동안 조회를 거두었다. 여는 성품과 도량이 너그럽고 넓으며, 용모와 자태가 탐스럽고 아름다우며, 총명하고 효제(孝悌)하여 비록 노복이나 사환이라도 일찍이 꾸짖지 아니하매, 사람들이 모두 사랑하였다. 시호(諡號)를 장의(章懿)라고 하였으니, 공경하고 삼가고 높고 밝음이 장(章)이고, 온화하고 부드럽고 현명하고 착함이 의(懿)이다. 아들이 하나이니 이름은 이부(李溥)이다.|세종 106권|26년(1444 갑자 / 명 정통(正統) 9년) 12월 7일(임자) 1번째기사}}

사후, 부왕 세종의 통한

{{인용문|처음 여의 병이 위독할 때 임금이 밤을 새워 자지 않았고, 끝내 죽으매 종일토록 수라를 들지 아니하니, 도승지 이승손 등이 아뢰기를,
{{인용문2|성상께서 오랜 병환이 있으신데 애통하심이 예절에 지나치십니다. 청하옵건대, 수라를 드시옵소서.}}
하니, 임금이 말하기를,
{{인용문2|내 마땅히 그리 하겠노라.}}
하였으나, 날이 저물어서야 죽만 조금 마실 뿐이었다. 백파령(白波令)에게 명하여 상례를 주관해 보게 하고, 첨지중추원사 정척(鄭陟)과 변효문(卞孝文)·예빈 소윤(禮賓少尹) 민완(閔瑗)으로 호상(護喪)하는 일을 시키고, 또 동부승지 이사초(李思招)를 명하여 또한 가서 보살피게 하고, 초상 중에 목욕과 염습(斂襲)과 빈소(殯所)에 관한 제구(諸具)를 다 관(官)에서 마련하였다. 정부와 육조에서 조위(弔慰)하는 전문(箋文)을 올리니, 이르기를,
{{인용문2|온화하고 순량한 숙덕(夙德)이 일찍이 종실(宗室)의 꽃부리었더니, 준수하고 풍우한 자태가 문득 황천의 막힘이 되었나이다. 슬픔이 깊이 대궐에 감싸이매, 아픔이 널리 민심에 맺히나이다. 엎드려 생각하옵건대, 성상의 비통하심을 너그러이 하시어 신하들의 소망에 답하여 주시기를 원하옵나이다.}}
하였다.|세종 106권|26년(1444 갑자 / 명 정통(正統) 9년) 12월 7일(임자) 1번째기사}}

묘소

서울특별시 강남구 대모산(大母山) 기슭에 있으며, 서울 유형문화재 제48호이다. 이 일대를 지나는 도로를 그의 군호를 따 광평로라 명명하였다.

가족 관계

* 외조부 : 심온
* 부 : 조선 제4대 왕 세종
* 모 : 소헌왕후 심씨
** 누나 : 정소공주
** 형님 : 조선 제5대 왕 문종
** 누나 : 정의공주
** 형님 : 조선 제7대 왕 세조
** 형님 : 안평대군
** 형님 : 임영대군
** 동생 : 금성대군
** 동생 : 평원대군
** 동생 : 영응대군
** 정부인 : 평산 신씨 영가부부인(永嘉府夫人) - 임영대군의 부인 제안부부인과는 내외종 4촌간이다.
*** 장남 : 영순군 공소공 부(永順君 恭昭公 溥, 1444년 - 1470년)

광평대군이 등장한 작품

TV 드라마

* 서준영 - 2011년 SBS뿌리깊은 나무

각주

<references/>

외부 링크

* {{두피디아|101013000828248}}
* {{한국학중앙연구원 인물|PPL_6JOa_A1425_1_0000632}}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E0005317}}

{{조선의 왕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