팝업레이어 알림

팝업레이어 알림이 없습니다.
E D R , A S I H C RSS

"EM 드라이브"을(를) 전체 찾아보기

EM 드라이브


역링크만 찾기
검색 결과 문맥 보기
대소문자 구별
  • EM 드라이브 . . . . 6회 일치
         원불 형태의 밀폐형 챔버에 빛 입자와 극초단파(마이크로웨이브)를 쏘면, 원뿔의 넓은 쪽으로 튕겨 흐르면서 추력이 발생한다. 물리학의 기본 법칙인 운동량 보존의 법칙을 위배하는 것이 아니냐는 논란이 있었으며, 당초는 [[상온핵융합]] 같은 여러 황당한 가짜 발명 가운데 하나 정도로 여겨졌으나, NASA의 연구 결과, EM 드라이브는 [[진공]]에서도 추진력을 얻을 수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EM 드라이브를 사용하면 기존의 로켓과는 달리 반작용에 필요한 연료 없이 반영구적으로 추진력을 얻을 수 있으나, 그 원리에 대해서는 논란이 많다. 2006년 처음 개념이 등장해서 일단 실험 결과 실현 가능성은 나타났으나, 구체적인 원리는 수수께끼인 부분이 많다.
          * EM 드라이브의 작동은 워프 버블과 관련이 있다는 주장도 있다.
  • 랑그릿사 . . . . 5회 일치
         첫 시리즈가 나왔던 시기에는 당시 [[메가드라이브]]를 이끌어가는 [[킬러 타이틀]]이었으며, 이 인기는 2에서 절정을 맞게 된다. 이 시점부터 사실상 랑그릿사라는 타이틀이 메사이어를 먹여 살리는 중심 소프트가 되었으며 각종 기기로 컨버전되어 발매하게 되는 등 최고의 절정을 맞게 된다.
         사실, 랑그릿사 시리즈는 기본적으로 닌텐도의 [[파이어 엠블렘 시리즈]]에 대항하는 메가드라이브 시장에서의 '대항마'라는 위치가 강하다.
         우선 닌텐도의 암흑룡과 빛의 검(1990)과 메가 드라이브의 랑그릿사(1991)는 발매 시기가 굉장히 비슷한데, 암흑룡과 빛의 검을 참조하여 이에 대항하는 방향으로 개발된 것이 랑그릿사라고 생각해보면 마케팅적 관점에서 이해하기 쉽다.
         반대로 파이어 엠블렘 역시 랑그릿사를 의식하는 모습을 보여주기도 한다. 성전의 계보(1996)에서는 먼저 나온 랑그릿사 2[* 정확히는 멀티엔딩 요소와 더불어 분기에 따른 연애까지 갈라지게 만드는 [[슈퍼패미컴]] 이식작 데어 랑그릿사를 가리킨다. 메가드라이브판 랑그릿사 2는 빛의 후예 엔딩 하나만 있는 리아나 일직선이다.]를 연상케 하는 '연애 요소'를 도입한데 더해서, 단순히 엔딩에서 맺어지는 상대를 정하는 수준을 넘어서 2대에 걸치는 싸움을 묘사하는 등 한 단계 더 나아간 모습을 보여준다.
         한국에서는 한글화와 PC판 발매, 애니메이션과 일러스트 덕분에 훨씬 높은 인기를 끌었던 게임이지만, 일본에서는 아무래도 인기 측면에서는 하드 자체가 마이너한 하드(메가드라이브, 세가 새턴)을 주로 나왔고 시리즈의 명맥이 아예 끊겨버린 상황이라, 현재는 인지도와 인기가 파이어 엠블렘에 훨씬 뒤쳐진 상황이다.
  • 은혼/609화 . . . . 4회 일치
         겐카이포는 EMP 종류로 보이는데 문명이 몇 배나 진보한 해방군 측이 EMP에 무방비했다는건 의외지만, 반대로 겐가이 영감이 그만큼 고출력 고성능의 EMP를 완성한 걸로 볼 수도 있다. 이래봬도 겐가이 영감은 지구측에선 손꼽히는 기술공학자인데 그런 사람이 평생을 투자해 만들었고 스스로 "천인의 기술을 흡수해 진화시켰다"고 자부할 만한 물건이니 그럴 만도 하다.
         결국 다음 에피소드인 [[은혼/610화]]에선 단순한 EMP가 아니라 나노머신 기반의 기계말살 병기임이 밝혀졌다.
  • 이호준 (프로게이머) . . . . 4회 일치
         스타크래프트 II : '''프리미어 개인리그 우승 3회, 준우승 2회'''<ref>NASL 2회 우승. IEM 1회 우승, 1회 준우승. 드림핵 1회 준우승.</ref>
         * 2011년: '''IEM Season VI - Global Challenge Cologne 우승'''
         * 2011년: IEM Season VI - Global Challenge Guangzhou 3위
         * 2012년: IEM Season VI - World Championship 준우승
  • 김도균 . . . . 2회 일치
         음악을 만들 때는 여러 대의 전자기기를 두고 디지털 방식으로 작업한다고 한다. 이펙터는 다른 전자기기 없이 매우 간단하게 쓰는데, 오버드라이브/볼륨 부스터/코러스/딜레이가 전부. [[마샬 앰프]]의 드라이브톤을 극대화시키는 성향이라고 할 수 있다.
  • 박용우(배우) . . . . 2회 일치
         <iframe title='혈액형의 허구' width='500px' height='281px' src='http://videofarm.daum.net/controller/video/viewer/Video.html?vid=RWW84B31aEM$&play_loc=undefined&c_bitrateSelectBox_visible=false' frameborder='0' scrolling='no' ></iframe>
          * 세이 예스 (2001) - 드라이브 커플 역
  • 승리(빅뱅) . . . . 2회 일치
         || [[REMEMBER(빅뱅 음반)]] || 5 || Strong Baby || G-DRAGON || G-DRAGON, JR Groove || JR Groove ||
         2009년 초에 활동했던 승리 솔로곡. 지드래곤이 피쳐링했다. 이효리가 직접 양현석에게 승리의 솔로 활동 지원을 요청했다고 한다. 그저 앨범 수록곡[* 빅뱅 두번째 정규 앨범 Remember]에 불과한 솔로곡만으로 '''트리플 크라운'''을 달성함으로써 팬들의 프라이드를 높여주기도 했다. 참고로 이후에 정식으로 발매한 앨범들보다 훨씬 성적이 좋다...
         리믹스버전이 여러개 있다. 예를들면 빅쇼2010에서 부른 Hitchhiker Remix버전이나 뮤직뱅크버전, MAMA에서 부른 Let's Talk About Love와 합쳐진 버전 등
         || '''7''' || 할 말 있어요 (Hard Remix ver.) (보너스 트랙) || 승리 || 승리, 함승천, 강욱진 || 함승천, 강욱진 ||
         1번 트랙 'Let's Talk About Love (Feat. G-DRAGON & 태양 from BIGBANG)'에는 [[BIGBANG|동일 그룹]]의 [[지드래곤]]과 [[태양(빅뱅)|태양]]의 피처링이 있다. 이번 앨범에서 가장 좋은 평가를 받은 곡이지만 이 평가에는 지드래곤과 태양 피쳐링의 비중이 크다. 2번 트랙 '할 말 있어요'는 극적인 훅(hook)의 비트의 변화와 Hustlin' 이라는 반복되는 후렴구가 인상적이다. 인터뷰에 따르면, Hustlin'은 별 의미는 없고 발음이 좋아서 선택한 단어라고. 각각 3번과 4번, 6번 트랙의 'GG BE'와 '그 딴 거 없어', 'LOVE BOX'는 2013년 승리가 진행했던 스타캐스트 속 팬들의 선택에서 승리 솔로곡 중 선호도가 가장 높은 곡이기도 했다. [[https://www.youtube.com/watch?v=3G_ZnI50c7U|꼭 이어폰으로 들어야 함]] --귀가 녹을뻔해써요-- 7번 트랙 '할 말 있어요 (Hard Remix ver.)'는 보너스 트랙으로, CD에서만 확인할 수 있다.
         || '''15''' || Gotta Talk to U(Hard Remix) -KR Ver.- || 승리 || 승리, 함승천, 강욱진 || 함승천, 강욱진 ||
          * 빅뱅의 화음 담당이다. 백코러스를 다른 멤버들보다 확연히 많이 하고 콘서트에서도 아름다운 미성이 귀에서 아른아른하면 승리가 화음을 넣고 있는 것이다. [[https://www.youtube.com/watch?v=UcoIuMUSq_8|빅뱅 히트곡 매들리]] [[https://www.youtube.com/watch?v=v8vAFUcnELI|171231 고척스카이돔 LAST DANCE 라이브]] (5분 14초 즈음부터 백코러스를 부른다.) [[https://www.youtube.com/watch?v=uFtM4m_D_bY|유투브 영상]] [[https://www.youtube.com/watch?v=emWr2Orx8vk|사랑먼지 메이킹 영상]] [[https://www.youtube.com/watch?v=6RGVeMw7sRI|도쿄돔 승리 화음모음]] 이것들 말고도 굉장히 많다 --콘서트 영상들 대부분에서 찾을 수 있다-- 승리의 목소리가 빠지면... (허전 그 자체)
  • 연정(우주소녀) . . . . 2회 일치
          * [[https://www.youtube.com/watch?v=e-MxFLehaeM|<취향저격(iKON)>]] with 엑시 - 김창렬의 올드스쿨
         || [[2017년]] [[8월 16일]] || || #드라이브 || #드라이브 || with [[딘딘]] ||
  • 태백석탄박물관 . . . . 2회 일치
         https://postfiles.pstatic.net/MjAxODAxMTlfMjIw/MDAxNTE2MzA5MzI4Mjgx.2KGFc9fOvg15RW6MJTL31LBaGGvnQ5TT0pDXZmWEmQwg.iNN9Fdn-yc3v37hS2zG8z-h9t3pnhlvtAdFuYRz7U9Yg.JPEG.kimsung7283/020180118_134104.jpg?type=w773
         https://postfiles.pstatic.net/MjAxODAxMTlfNTUg/MDAxNTE2MzA5MzI4NjE2.xblPeSbtyTa_hrN3YbC5PepNULB0Iwt5hkRMqtor0uMg.7e21vzBuC4ljB1IgjBCkPX0Vqn3N4HnaRT9yEMc55egg.JPEG.kimsung7283/020180118_134407.jpg?type=w773
         https://postfiles.pstatic.net/MjAxODAxMTlfOTAg/MDAxNTE2MzA5MzI4NzU4.jxpABv7OoFTGKglF2yirDtlSZrFF_wrz6lyRuDCT12Eg.U4ZJlZEmWbqkhdixL0z4jPsJ8PwXry7w8AoW1hRBTMcg.JPEG.kimsung7283/020180118_134452.jpg?type=w773
         https://postfiles.pstatic.net/MjAxODAxMTlfMjIw/MDAxNTE2MzA5MzI5Mjgx.TZ_2XU-VmWFjwEJYoi2EkWmeMzoKuRImEtJHqUVC6rgg.Q2ILs6e0X5ecCMLZiStfRGNfJ4NuNWT6w_a62Wdnhacg.JPEG.kimsung7283/020180118_134901.jpg?type=w773
         https://postfiles.pstatic.net/MjAxODAxMTlfMjgy/MDAxNTE2MzA5NjM5Njgx.bFpSOxixssnfFXsEPnBjNC8tTTDtWk8C07ea4od9Hlgg.GYgn64Uh2qdKmFSWPGahLySZ_dRTyseMDouYZ7oFeOwg.JPEG.kimsung7283/020180118_134936.jpg?type=w773
         https://postfiles.pstatic.net/MjAxODAxMTlfMjAz/MDAxNTE2MzA5NjM5Njcw.6HloEmvzg51ttXroDpa9BZs7MaFnV1LaqujQWPcvLyAg.WT84P1Z7FLPt6IaRYTaX-mBzCcfxx4DfWYCBw8K0VJkg.JPEG.kimsung7283/020180118_134957.jpg?type=w773
         https://postfiles.pstatic.net/MjAxODAxMTlfMTk5/MDAxNTE2MzA5NjM5OTIw.y-o4LM0MOIDUENUCAPQ8nWLC4O2K81RonaBJLWkuCX8g.APFKKRrGAjCUmXvEMY3f5aB560M4SUqIfI7ottZgSfog.JPEG.kimsung7283/020180118_135138.jpg?type=w773
         https://postfiles.pstatic.net/MjAxODAxMTlfMjg5/MDAxNTE2MzA5Njg4NzY0.sSa0mIZHP9VPsbWiHhUp-BcIXJ1tRMeMa6wzV0aZyMog.aSaQ9vteDUnXCxhkrO039KJNg9FZyiesDQO_hrnR4MYg.JPEG.kimsung7283/020180118_135452.jpg?type=w773
         https://postfiles.pstatic.net/MjAxODAxMTlfMTAy/MDAxNTE2MzA5Njg5MDM5.4L8wcJDlg1Ns0Z5Y_7RQj8heblMJmnqEm3JBOyoFmYsg.L-esHrWB36TNA-Dople5zHuU1AnrBZrpYKVPf45OCOUg.JPEG.kimsung7283/020180118_135720.jpg?type=w773
         https://postfiles.pstatic.net/MjAxODAxMTlfMjQ4/MDAxNTE2MzA5Njg5NDky.VKbnlJ5Xra13u5LiCJuOM-eMx_EyQwv9vXjOG7qCPfEg.0R_MrPDSADiD9IKpqFwh1xmUb2QRXDox17J9Peht8Hkg.JPEG.kimsung7283/020180118_140023.jpg?type=w773
         https://postfiles.pstatic.net/MjAxODAxMTlfOCAg/MDAxNTE2MzEwMDYzMDE2.5MNRqYkl-oJIAKYuXdA3IBnc06j9emvcd5z4VKTN0h4g.TbNrb__1t_djbXGjefK85HHhmxR2RYKSjPKK7ePvXTUg.JPEG.kimsung7283/020180118_141605.jpg?type=w773
         https://postfiles.pstatic.net/MjAxODAxMTlfMTky/MDAxNTE2MzEwMDYzMTI4.KGM0KPsOcLCRemVzqKKfJj2XlfHAxqoCgjbKS-wxx_Ig.zhrvOMgEKsDZHSxkTwNpHksm6Vyq1jZU015BaZP-zxcg.JPEG.kimsung7283/020180118_141754.jpg?type=w773
  • 퓨어킴 . . . . 2회 일치
         2016년 8월 3곡으로 구성된 맥시 싱글 <GEM>을 발표하였다.
         || GEM || 맥시 싱글 || Pearls || 2016.08.23 || Postino || 퓨어킴 ||
         <iframe width="560" height="315" src="//www.youtube.com/embed/ERyPNjXUUSg"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iframe width="560" height="315" src="https://www.youtube.com/embed/emxWG6Z2i18"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iframe width="560" height="315" src="https://www.youtube.com/embed/DOOTMZhxeYw"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iframe width="560" height="315" src="//www.youtube.com/embed/S-Kg4OF4jtE"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E-4B 나이트워치 . . . . 1회 일치
         [[핵전쟁]]에 대비한 만큼 그에 걸맞는 성능을 가지고 있는데, 핵폭발에서 발생하는 방사능과 [[EMP]]를 차폐하고, 공중 급유를 받으면서 3일 동안 비행할 수 있다. 완벽한 지휘 시설을 갖추고 있으며, 위성통신용 안테나를 갖추고 있어 핵잠수함이나 우주의 인공위성과 연락할 수 있다.
  • 강릉카페썬 . . . . 1회 일치
         https://postfiles.pstatic.net/MjAxODExMDFfMjQ5/MDAxNTQxMDYwMDM4NDU3.kZ9ejQ4Jrd8mdkT0CrX6ScxHbCFim9uP05XpmDkkcsYg.H7Xe5JSkL8Bn1C1uYhemJvaPL7fKT0sWuxrZYu2Whxgg.JPEG.xianjing0507/output_3223169365.jpg?type=w966
         https://postfiles.pstatic.net/MjAxODExMDFfMTgz/MDAxNTQxMDYwMDM4ODk3.cPDEtzmarRROoFkQNPvEMroDYsiauq4WUTeKLGNBVPog.cxSUzy1k37pAviS5QkdtTpog3rwZ6uzD-qppG-yUESEg.JPEG.xianjing0507/IMG_0311.jpg?type=w966
         https://postfiles.pstatic.net/MjAxODExMDFfNDQg/MDAxNTQxMDYwMDQwNDk2.sBQHOt3QEglP5qNBf5xcM5BgPhPrFj8Sz4qY8-oMfXMg.0GFP4sXkEJQEPwFzoFeMY8hJqrKhbp2_zw3wrh0Vddwg.JPEG.xianjing0507/output_3417469980.jpg?type=w966
  • 구승빈 . . . . 1회 일치
         그리고 지금 그 폭망한 LPL에서 믿었던 마린의 현지화와 티비큐 2호기, 3호기 같은 정글러, 그리고 IEM때 부터 제정신을 못차리는 중2병 골드 5에 고통받으며 다신 안할꺼같던 MVP White 시절의 소년 가장역을 또 다시 맡고있다.
          * 롤챔스 2013 섬머 4강에서 SKT가 승리한 이후 한 인터뷰에서 피글렛의 말에 따르면 경기전 SK선수 세 명이 모여있는데 "3:0!"이라 말하며 도발을 했다고 한다. 하지만 1:3으로 패배하며 보기 좋게 역관광당했다. 피글렛이 이를 언급하며 "우리가 이겼는데 어떡하죠?" 말하고 짓는 썩소...[[http://www.youtube.com/watch?feature=player_embedded&v=TvIomD-Im-s|*]]
  • 김기섭 (1939년) . . . . 1회 일치
         * [[세계경제 및 국제관계연구소]](IMEMO)
  • 김진우(WINNER) . . . . 1회 일치
          * 아직 개인적으로 여행을 가본 적이 없는데 칠레로 여행을 가고 싶다고. 이유는 칠레가 일자로 긴 나라이기때문에 쭉 길을 따라 드라이브를 하고 싶기때문이라고 한다. 아마 일자 나라이기때문에 도로도 일자라고 생각한 듯한데, 라디오스타 MC들에게 나라가 일자라고 도로가 쭉 일자로 뻗어 있지 않다는 말을 듣고 "아 그래요?"라는 반응을 보였다.[* 칠레 5번 도로가 북쪽에서부터 남쪽까지 뻗어있긴하다.] ~~그저 김모지리..~~
  • 김형준(배우,가수) . . . . 1회 일치
         'PAIN'에서는 'U R Man'때처럼 파트는 똑같았다. 'AH-HA'에서는 허영생이 거의 다 불러서 랩만하는 김규종을 제외하고 노래파트는 김형준이 제일 적게 배정받았다. 'REMOVE'에서 허영생이 단독으로 부르는 하이라이트를 제외하고 1, 2절을 김규종이랑 파트를 나누어서 바꿔 불러[* 김형준이 1절 첫 소절을 부르면 김규종이 뒤이어 1절을 마무리 지었고 2절 첫 소절을 김규종이 부르면 2절은 김형준이 마무리 지었다.] 'AH-HA'때보다 파트가 늘어났다. 가장 중요한 부분은 노래가 끝나는 마지막 후렴구에서 가성으로 부른다는 점이었다.
  • 뇌파 . . . . 1회 일치
         심전도(ECG;Electrocardiogram), 근전도(EMG;Electromyogram)에서 따와서 뇌전도(EEG;Electroencephalogram)라는 이름이 붙었다. 베르거의 공적을 기려 뇌파는 '베르거 리듬'이라고도 한다.
  • 도영(1996) . . . . 1회 일치
         NCT 2018 Empathy에 랩퍼라인인 태용, 마크, 루카스와 함께 참여한 [[https://www.youtube.com/watch?v=gUWDiXBNohY|Yestoday]]에서 장점인 음색이 제대로 발휘되었다. 본인이 밝히기를 쏟아내는 랩들 사이에서 보컬의 목소리가 어떤 식으로 나와야 매력적으로 들릴까를 고민했고 어떻게 하면 두개의 랩 verse 사이를 이어주는 좋은 이음새가 될수 있을까에 대한 생각을 하면서 불렀다고 한다. 마지막 후렴의 Sorry that I walked away는 해외팬들이 특히 좋아하는 부분.
         || 2018년 3월 14일 || [[NCT 2018 EMPATHY]] || NCT || 정규 ||
          * Empathy 앨범 이후 열린 단체 팬싸인회나 하이터치회 등 18명이 서는 대형에서 제일 왼쪽 사이드에 선다.[* MC가 있을 경우 MC 바로 옆자리라서 진행을 보조하기 위해 그렇게 정해진 것이 아닌가 하는 팬들의 추측이 있다.] 그래서 간혹 팬싸인회 시작이 늦어지거나 하는 경우가 생기면 첫타자인 도영이 1번부터 끝번까지 만나는 모든 팬에게 미안하다고 사과한다고(...)
  • 드라이브 스루 . . . . 1회 일치
         [[미국]]에서는 1930년대 부터 시작하여, 1950년대에 크게 발전하였다. 한국에서는 1992년에 맥도널드가 처음으로 드라이브 스루 매장을 개설했으며, 2010년대부터는 널리 퍼지고 있다.[[http://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13/09/09/2013090901478.html?Dep0=twitter (참조)]]
  • 디도(성우) . . . . 1회 일치
         || '''링크''' || [[http://cafe.naver.com/dreemyvoicedido|팬카페]] [[http://www.cyworld.com/did0|미니홈피]] [[https://twitter.com/4DVoiCe|트위터]] [[http://blog.naver.com/cjhunters|블로그]] [[https://www.instagram.com/4dvoice/|인스타그램]] ||
          * [[가면라이더 드라이브]] - 정현태
  • 레드 오케스트라 2: 스탈린그라드의 영웅들 . . . . 1회 일치
          * Rifleman
          * Elite Rifleman
          Rifleman의 주무장. 볼트액션이기에 한번 쏘고나면 노리쇠를 당겨야 한다. 무기 레벨이 25까지 올라가면 총검이 해금된다.
          Elite Rifleman의 주무장. 반자동이기에 노리쇠를 당길 필요가 없다. 무기 레벨이 25까지 올라가면 총검이 해금된다.
          무기 레벨이 25까지 올라가면 6배율 PEM 조준경이 해금된다.
  • 롬팩 . . . . 1회 일치
          * 메가 드라이브
  • 배영수 . . . . 1회 일치
         팀이 시리즈 전적 2승으로 앞선 2011년 10월 28일 인천 문학 경기장에서 열린 SK와의 한국시리즈 3차전, 팀이 1:2로 뒤진 8회말에 등판하여 [[정근우]]에게 안타, [[박재상#s-2|박재상]]에게 희생번트, [[최정]]에게 유격수 땅볼 진루타를 허용, 2사 3루에서 마운드를 내려왔다. 다음 투수인 [[권혁]]이 [[임훈]]을 운 좋게도 3루수 라인드라이브로 잡아내어 이닝을 끝낸 덕분에 배영수의 실점과 자책점은 없었다.
  • 분류:전자제품 . . . . 1회 일치
         [[EMP]]가 터지면 이건 다 내다버려도 된다.
  • 서신애 . . . . 1회 일치
         [[1대 100]] 476회 후반전 방영분에서 1인으로 참여했으며 5,000만원을 타게 되면 등록금 지불하는 데 쓰고 싶고 차를 사서 드라이브를 하고 싶다고 밝혔다. 그녀는 뛰어난 실력, 적절한 시기에 사용한 찬스, 그리고 모르면 3번을 찍겠다는 생각(?)으로 문제를 푼 결과 8단계에서 최후의 3인과 대결을 펼쳤으며 여기서 1, 3번을 고민하다가 3번이 너무 많이 나와서(선지분배 2:0:5) 정답 3번 대신 1번을 고르는 바람에 적립금 616만원과 우승 상금 5000만원 모두 [[안드로메다]]로......(최후의 3인 결과를 먼저 공개)
  • 송병구 . . . . 1회 일치
         * 2014년 IEM Season IX - Shenzhen 16강
  • 스틸오션/사령관 . . . . 1회 일치
          * 환기체계(Ventilation System) - 조타수로 배치했을 때에만 발생. 잠수함 산소 소모량 10% 감소.
          * 오토 린데만(Otto Lindeman)
          * 긴급 출동(Emergency Dispatch) - 액티브. 5CP 소모. 항공모함 배치시에만 사용 가능. 60초간 비행갑판 쿨타임 30% 감소. 항공기 속도 10% 증가.
          * 전자기파 방해(EMP DIsruption) - 액티브. 3CP 소모. 30초 간 800m 내의 아군 위장률 8% 증가. 쿨타임 100초.
          * 긴급 출동(Emergency Dispatch) - 액티브. 5CP 소모. 항공모함 배치시에만 사용 가능. 60초간 비행갑판 쿨타임 30% 감소. 항공기 속도 10% 증가.
  • 신동미 . . . . 1회 일치
         * 2002년 SK 네이트 드라이브 모르는 길 편 - 여자
  • 에이스 컴뱃 제로 : 더 벨칸 워 . . . . 1회 일치
          벨카가 개발한 레이저포. 스윽 그었더니 비행 중이던 [[수송기]] 편대가 격추될 정도로 강력하다. 사정거리도 생각보다 짧지 않은 듯. 근처에 건설된 네대의 [[발전소]]로부터 전력을 공급받고 있으며, 수많은 양의 [[대공포]]와 EMP 포드, 레일건을 탑재한 [[열차포]]의 방어를 받고있다.
  • 연경흠 . . . . 1회 일치
          * 야수로써는 체격이 작은 편이었으며 외야수이긴 했지만 '''[[좌익수]]'''밖에 못 본다는 게 흠이었다. '''게다가 리그 전체로 볼 땐 평균 이하의 수비력'''이었다. 빠른 뱃스피드로 공을 날려버리는 스타일이었으며 실제 그의 타구는 라인드라이브로 자주 날아갔다. 2009년 당시 SK전에서 [[정대현(1978)|정대현]]을 상대하기 위해 대타로 나왔을때 --상대전적 1타수 1안타 1홈런-- 중계하던 캐스터가 배트 스피드를 [[김재현(1975)|김재현]]에 이은 2위라고 소개했다. --그리고 그 타석에서 폭풍삼진--진정한 선풍기가 아닐까 싶다.
  • 오준 . . . . 1회 일치
         * 1999년 7월 ~ 2001년 외교통상부 외교정책실 ASEM업무담당 심의관
  • 우찬양 . . . . 1회 일치
         |||| https://search.pstatic.net/common/?src=http%3A%2F%2Fpost.phinf.naver.net%2FMjAxNzA1MTJfODUg%2FMDAxNDk0NTQ5NjYwMDgy.DoRd9Umeegnl0NuV90BHY2sXDUdPxmq7oRlIGPO8okYg.jQyilOyB6OBrLVEML02kAxGnnbVZ2j2CNE8wNgplygMg.PNG%2Fmug_obj_149454966402113942.jpg&type=n88_88 ||
  • 울펜슈타인 : 뉴오더 . . . . 1회 일치
          막대형 수류탄. EMP를 일으킨다. 폭발 범위 내의 메카닉은 정지한다. 폭발 범위 내에 들어가 있으면 데미지+에너지 무기 충전량 소실 콤보를 먹으니 주의.
  • 월드 인 컨플릭트/줄거리 . . . . 1회 일치
         >-[[https://youtu.be/SX2g8LOEMPs|컷신 유튜브 링크]]
  • 위키 작성 참고 자료 . . . . 1회 일치
         ttp://3.bp.blogspot.com/-Dy7ZQEMBVaw/VMyw00PigmI/AAAAAAAADB0/xdDWR5Zgo20/s1600/b4e4b4cec1b80425ad9aff143f1570f1-300x225%5B1%5D.jpg
  • 유미(가수) . . . . 1회 일치
         || '''소속사''' ||NH EMG||
          * 2008년 3집 Melody & Memory (타이틀곡 : 여자라서 하지 못한말)[* 01.한 남자 한 여자, 02.여자라서 하지 못한 말, 03.모른 척 할까요, 04.You & Me Music(Feat.장근), 05.살아간다, 06.Knock, 07.Please Me, 08.여자이니까, 09.참..., 10.Highway, 11.새.]
  • 윤태진(아나운서) . . . . 1회 일치
          * [[토미카 하이퍼 레스큐 드라이브 헤드]]에서 [[http://bbs.ruliweb.com/family/211/board/300015/read/2139149|아나운서 역으로 1~4화에 출연 한다고 한다.]]
  • 이선희 . . . . 1회 일치
         {| class="wikitable" style="width:46em;"
         ! style="width:4em;" | 연도
         * [[4월 6일]] [13집 앨범] '사춘기 (四春基)' 출반 (EMI), 20주년 기념콘서트 실황앨범 출반
         {| class="wikitable" style="width:46em;"
         ! style="width:4em;" | 연도
  • 저스디스 . . . . 1회 일치
         | 관련활동 = 래핏 (Rapit) <br /> 커먼콜드 (Common Cold) <br /> 도플갱음 (DOPPELGANGEM)
         |Peacemaker
         |Kill’em
         |로즈몬드 (Rosemond)
         |Emotions In Motion
         |나쁜 피 (Common Cold Remix)
         |One of Them
         |One of Them
         |Junk Drunk Love Remix
         |Junk Drunk Love Remix
  • 정명훈 (지휘자) . . . . 1회 일치
         줄리어드 재학 중이던 [[1976년]]에 뉴욕 청소년 교향악단을 [[지휘]]해 [[지휘자]]로 공식 데뷔했고, [[카를로 마리아 줄리니]]의 부지휘자로 프로 관현악단 지휘의 [[경험]]을 쌓았다. [[1980년]]에 [[로스앤젤레스 필하모닉]]의 부지휘자가 되어 상임 지휘자인 줄리니를 보좌하는 역할을 했고, [[1983년]] 가족들과 함께 [[유럽]]으로 거처를 옮겼다. [[1984년]]에는 자르브뤼켄 방송 교향악단의 음악 감독 겸 상임 지휘자로 발탁되었고, 재임 기간 동안 [[윤이상]]의 교향곡 제3번 세계 초연과 음반 녹음 등의 [[활동]]으로 주목을 받았다. [[1986년]]에는 [[파리 국립 오페라]]에서 [[프로코피에프]]의 '불의 천사' 를 [[지휘]]했고, 같은 해 [[미국]] [[뉴욕]] [[메트로폴리탄 오페라]]에서도 [[베르디]]의 '시몬 보카네그라' 를 [[지휘]]해 오페라 지휘자로도 본격적으로 [[활동]]하기 시작했다. 이듬해에는 [[이탈리아]] [[토스카나주]] [[피렌체]]에서 [[무소륵스키]]와 [[베르디]], [[모차르트]]의 [[오페라]]를 [[지휘]]해 절찬을 받았고, [[1988년]] 아르투로 토스카니니 상을 [[상 (표창)|수상]]했다. [[1989년]]에는 [[프랑스]] [[파리 (프랑스)|파리]] [[바스티유 감옥]] 부지에 새로 건립한 [[오페라극장]]의 전속 오페라단인 파리 바스티유 오페라(현.[[파리 국립 오페라]])의 음악 감독으로 부임했고, 신축된 [[오페라극장]]의 개관 공연에서 [[베를리오즈]]의 대작 오페라 '트로이인' 을 상연해 호평을 받았다. [[1990년 10월]]에는 [[도이치 그라모폰]]과 전속 계약을 맺고 음반 제작도 시작했으며, [[조르주 비제|비제]]의 관현악 작품들을 시작으로 [[생상]], [[메시앙]], [[베를리오즈]], [[앙리 뒤티외|뒤티외]] 등의 작품들과 [[드미트리 쇼스타코비치|쇼스타코비치]]의 '므첸스크의 맥베스 부인', 생상의 '삼손과 데릴라(EMI)', 베르디의 '오텔로' 등 오페라 전곡을 [[녹음]]했다. 특히 [[메시앙]]과는 생전에 각별한 친교를 맺고 있었고, 녹음들도 높은 평가를 받았다. 그러나 [[1994년]]에 새로 부임한 프랑스 문화부 장관과 정치적 갈등을 겪으면서 음악 감독직에서 해임되었고, 이는 [[프랑스]] 뿐 아니라 [[한국]]에서도 사회적 이슈로 부각되기도 했다. [[1995년]] 유네스코 서울 협회 올해의 인물에 선정되었으며 같은 해에 [[대한민국의 훈장|금관문화훈장]]을 받았다. [[1997년]]에는 [[이탈리아]]의 [[산타 체칠리아 국립음악원 관현악단]]의 음악 감독으로 부임했고, [[도이체 그라모폰]]의 전속 계약을 유지하면서 녹음 활동도 병행했다. [[1998년]]에는 [[한국]]에서 첫 직책으로 [[KBS교향악단]]의 상임 지휘자를 맡기도 했지만, 악단원들과 [[갈등]]을 빚어 불과 수 개월 후 사임하기도 했다. [[2000년]]에는 [[프랑스]] [[라디오 프랑스 필하모닉 오케스트라]]의 음악 감독에 취임했고, 이듬해에는 신성 일본 교향악단을 흡수해 재구성된 [[일본]] [[도쿄 필하모닉 오케스트라]]의 특별 예술 고문으로 초청되었다. [[2005년]]에는 [[대한민국]] [[서울 시립 교향악단]]의 상임 지휘자로 임명되었다. [[2012년]]부터는 [[독일]] [[드레스덴 국립 관현악단]]의 역사상 첫 번째 수석 객원지휘자로 임명되어 [[활동]]을 시작한다. 이외에도 [[독일]] [[베를린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네덜란드]] [[콘세르트헤바우 관현악단|로열 콘세르트허바우 오케스트라]](RCO)나 [[영국]] [[런던 심포니 오케스트라]], [[미국]] [[시카고 심포니 오케스트라]], [[필라델피아 오케스트라]], [[영국]] [[필하모니아 오케스트라]], [[오스트리아]] [[빈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독일]] [[드레스덴 국립 관현악단]], [[뮌헨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등등 국제적으로 저명한 세계 각국의 주요 [[오케스트라]]와 오페라 극장들을 객원 [[지휘]]하고 있으며, 다수의 영상물과 음반들을 남기고 있다. [[아시아인]] 혹은 아시아계 연주자들을 중심으로 구성되는 비상설 관현악단인 [[아시아 필하모닉 오케스트라]]의 음악 감독도 맡고 있으며, [[대한민국]] [[인천]]과 [[서울]]에서 매년 정기적으로 공연하고 있다.
         * 1988년 제8회 이탈리아 음악평론가협회 선정 올해의 지휘자 상 "Premio Abbiati"
         * 2015년 제34회 이탈리아 음악평론가협회 "Premio Franco Abbiati" 올해의 지휘자 상(2014시즌) [[클라우디오 아바도|아바도]], [[리카르도 무티|무티]], [[유리 테미르카노프|테미르카노프]] 등과 더불어 1988년에 이어 역사상 네 번째로 2회 수상.<ref>역대 수상자 - [[레너드 번스타인]], [[세르주 첼리비다케]], [[카를로스 클라이버]], [[피에르 불레즈]], [[주세페 시노폴리]], [[리카르도 샤이]], [[주빈 메타]], [[카를로 마리아 줄리니]], [[로린 마젤]], [[다니엘 바렌보임]] 등</ref>
  • 차선우 . . . . 1회 일치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c/ce/Baro_at_the_Yongsan_I-Park_Mall_on_November_2013_02.jpg/145px-Baro_at_the_Yongsan_I-Park_Mall_on_November_2013_02.jpg
         ||<:> '''10''' ||<:> WONDERFUL TONIGHT [br] (UNPLUGGED REMIX) ||
         ||<|1> 일본 미니 9집 《'''Do You Remember'''》 ||<|1> [[2018년]] ||<|1> [[2월 7일]] || '''02''' || Paradise ||<#D6FF7F> 공동 ||<#D6FF7F> 공동 ||
  • 최홍만 . . . . 1회 일치
         이때쯤 입식 무대를 떠나 본격적으로 종합 무대로 전환을 감행한다. 그리하여 출전한 것이 MMA 역사에 길이 남을 막장 매치인 DREEM 2009 페더급 그랑프리 속칭 '슈퍼 헐크 토너먼트'였다.
  • 쿠우쿠우 김천혁신점 . . . . 1회 일치
         https://img1.daumcdn.net/thumb/R1920x0.q100/?fname=http%3A%2F%2Fpostfiles16.naver.net%2FMjAxODEwMTBfNSAg%2FMDAxNTM5MTU0NjY1ODE0.mSrHW1l3fs6NhRc18UC0DtZLM07BPy_NCurjhYCkxIUg.MhdC19lU3XMIEjmPbuckYacyFYkwY1xEeMrf6rjZDrUg.JPEG.hye3692%2F20181009_152329.jpg%3Ftype%3Dw773
         https://img1.daumcdn.net/thumb/R1920x0.q100/?fname=http%3A%2F%2Fpostfiles14.naver.net%2FMjAxODEwMDJfMjg5%2FMDAxNTM4NDA4OTMwNzI2.EaP1pYZeyHMDRGrfiMQbrbeleYWjZ_fEzgFpQvyJ_pwg.WZY_U25f-EMFOTtajMc1RUdkdk3dx0CZJJi67atNM_Yg.JPEG.yaong0528%2Fimage_291556351538408812149.jpg%3Ftype%3Dw966
  • 트로피코 4/건물 . . . . 1회 일치
          * The Academy 필요
          * Quick-dry Cement DLC 필요
          * 괜찮은 한 해: 소형 비행선에 대통령 각하의 광고판을 만듭니다. 광고문의는 1-800-HAEMIMONT로 주십시오. 광고 수익은 국고에 보태집니다.
  • 황두진 . . . . 1회 일치
         전층이 단일용도로 되어있는 건축물을 시루떡에 비유한다면 층별로 서로 다른 기능을 갖는 건축물은 무지개떡에 비유할 수 있을 것이다. 그중에서도 5층 내외로 상층부에 주거가 들어가는 유형을 황두진건축에서는 특별히 무지개떡건축이라 부른다. 기본적으로 길과 면한 저층부에는 외부계단과 상가가, 중간층에는 사무실이, 상층부의 주거에는 옥상마당 등이 들어간다. 무지개떡건축은 도시의 밀도를 충분히 유지하면서도 거리의 활력과 개인의 프라이버시, 조망 등을 모두 확보할 수 있는, 간단하지만 탁월한 도시건축의 유형이다. 사회적으로는 상주인구와 유동인구를 모두 아우르는 방식으로서 도시재생에도 유리하다. <ref>{{웹 인용|url=http://djharch.com/home/theme/rca/ |웹사이트=황두진건축사사무소홈페이지|제목=무지개떡 건축 rainbow cake architecture|성=|이름=|날짜=|출판사=|확인날짜=}}</ref><ref>{{뉴스 인용|url=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512251347501&code=960205 |뉴스=경향신문|제목=무지개떡 건물에는 어떤 것들이 있나|저자=백승찬 기자|날짜=2015-12-25|출판사=|확인날짜=}}</ref>
         발코니, 테라스, 옥상마당, 중정 등 건물의 비워져 있는 부분은 내부와 외부가 만나는 곳이다. 채광과 환기, 그리고 인간의 다양한 활동을 품을 수 있는 공간으로서 특히 한반도의 기후조건에 적합한 개념이기도 하다. 이러한 다공성 건축의 대표적인 예가 바로 한옥이다. 황두진건축은 그간의 한옥 작업의 경험을 바탕으로 높은 다공성을 확보한 프로젝트를 지속적으로 수행해 오고 있다. 다공성의 개념은 배치와 공간에서 시작하여 입면과 단면, 그리고 세부적인 디테일에 이르기까지 모두 적용될 수 있다. <ref>{{웹 인용|url=http://djharch.com/home/theme/porosity/ |웹사이트=황두진건축사사무소 홈페이지|제목=다공성 porosity|성=|이름=|날짜=|출판사=|확인날짜=}}</ref><ref>{{뉴스 인용|url=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5/09/14/2015091400130.html?Dep0=twitter&d=2015091400130 |뉴스=조선일보|제목='구멍 숭숭' 벽돌 건물 차가운 유리도시 녹이다|저자=김미리 기자|날짜=2015-09-14|출판사=|확인날짜=}}</ref>
         <ref>{{웹 인용|url=http://djharch.com/home/theme/layered-geometry/ |웹사이트=황두진건축사사무소 홈페이지|제목=중첩된 기하학 layered geometry|성=|이름=|날짜=|출판사=}}</ref><ref>{{서적 인용|url=https://jdlib.sen.go.kr/jdlib/intro/search/detail.do?vCtrl=5304391852&isbn=9791195212804&menu_idx=4|제목=「황두진-다공성 구축술 시스템」, ISBN 9791195212804 p.271|저자=황두진|날짜=2016-03-01}}</ref><ref name=":1">{{웹 인용|url=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3578705&cid=58767&categoryId=58771 |제목=한국의 현대 건축 캐슬 오브 스카이워커스|저자=구본준|날짜=2014-10-08|웹사이트=네이버 지식백과|출판사=}}</ref>
         2012 
'컨템포러리 한옥', 클레이아크김해미술관<ref>{{웹 인용|url=http://sema.seoul.go.kr/korean/exhibition/exhibitionView03.jsp?seq=377&iPage=1&iListCont=10&sSrchType=x&sSrchValuEx=&iTcnt=0&iPageCont=10&iCurrPage=1&pDateGubun=PREV&pTypeGubunAll=&sStartDate=&sEndDate= |웹사이트=클레이아크김해미술관|제목=[기획전]컴템포러리 한옥 CONTEMPORARY HAN-OK|성=|이름=|날짜=|출판사=|확인날짜=}}</ref>
         2007-2009 
'메가시티 네트워크: 한국현대건축', 프랑크푸르트 독일건축박물관, 베를린 독일건축센터, 에스토니아 건축박물관, 스페인 바르셀로나카탈로니아건축사협회 에스파이피카소, 한국 국립현대미술관 순회<ref>{{서적 인용|url=https://www.jovis.de/en/books/product/megacity-network.html|제목=Contemporary Korean Architecture Megacity Network, ISBN 978-3-939633-37-2|성=Sung Hong Kim / Peter Cachola Schmal (eds.) in cooperation with KAI (Korea) / DAM (Germany)|이름=|날짜=|출판사=jovis|확인날짜=}}</ref>
  • 황효진(기업인) . . . . 1회 일치
         [[아프리카TV]]에서 [[스타크래프트]]를 방송했던 게임 BJ이며 [[BJ]] 소닉으로 알려져 있다. 2013년 설립한 신발 브랜드 [[스베누]]의 대표이기도 했다. 1988년 5월 31일생이며, 강원도 [[삼척시]] 출신이다. 아이디는 sonic_be. 현재는 glow`hyojin이라는 아이디를 사용한다. 소닉이란 닉네임의 유래는 [[소닉 더 헤지혹 시리즈]]의 [[소닉 더 헤지혹]].[* 본인의 언급에 의하면 어릴 때 [[메가드라이브|슈퍼겜보이]]로 [[소닉 더 헤지혹 3|소닉 3]][[소닉 & 너클즈| & 너클즈]]를 플레이한 것이 추억에 남아 닉네임을 소닉으로 지었다고 한다. 그래서인지 [[소닉 스타리그]]의 로고와 본인의 오너캐에도 소닉이 자주 출연한다.]
11531의 페이지중에 46개가 발견되었습니다 (5000개의 페이지가 검색됨)

여기을 눌러 제목 찾기를 할 수 있습니다.

Valid XHTML 1.0! Valid CSS! powered by MoniWiki
last modified 2016-11-24 15:35:27
Processing time 2.9687 se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