팝업레이어 알림

팝업레이어 알림이 없습니다.
E D R , A S I H C RSS

이봉희

{{인물 정보
| 이름 = 이봉희 <br />李鳳羲
| 출생일 = 1868년 10월 15일
| 출생지 = 조선 경상북도 안동시
사망일 = {{사망일과 나이
1937|1|28|1868|10|15}}
| 사망지 = 중국 흑룡강성
| 사망원인 = 병사
| 직업 = 독립운동가 <br />
| 별칭 = 이계동(李啓東), 이상훈(李相勳), <br />이상희(李相熙), 이경식(李京植), <br />이기동(李基東), <br />자(字)는 덕초(德初), 호(號)는 척서(尺西)
| 국적 = 대한민국
본관 = [[고성 이씨
고성]]
| 종교 = 유교
| 소속 = 서로군정서, 광복단
| 부모 = 이승목(부)
| 자녀 = 이광민(아들) <br /> 이광국(아들)
친척 = [[이상룡 (1858년)
이상룡]](형) <br /> 이상동(형) <br />이준형(조카) <br />이형국(조카) <br />이운형(조카) <br />권세연(외숙부) <br /> 이병화(종손) <br />이승화(당숙)
}}

이봉희(李鳳羲 1868년 10월 15일 ~ 1937년 1월 28일)는 일제 강점기 독립운동가이다. 신흥학교 교장을 역임하며 독립운동 지도자를 양성했다. 본관은 고성(固城). 안동 출신. 임시정부 초대 국무령 이상룡(李相龍)의 동생이며, 정의부 재무위원인 이광민의 아버지다. 이계동(李啓東), 이상훈(李相勳), 이상희(李相熙), 이경식(李京植), 이기동(李基東) 등 여러 이름을 썼다. 자는 덕초(德初), 호는 척서(尺西). 1990년 대한민국 건국훈장 독립장이 추서되었다.

생애

3대에 걸쳐 독립유공자 9명을 배출한<ref>경북일보 고성 이씨 석주 이상룡 생가 임청각</ref> 안동 에서 태어났다. 1895년 을미의병에 참여했고, 1905년 이상룡, 박경종 등과 함께 가야산에 의병기지 건설을 도모했으나 일본군의 기습으로 실패했다.<ref name="대백과">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ref>.<ref>{{서적 인용 |저자=채영국 |날짜=2007 |제목=서간도 독립군의 개척자 이상룡의 독립정신 |쪽=61}}</ref> 1908년 대한협회 안동지회 설립에 참여해 구국운동을 했다. 1911년 만주로 망명, 경학사를 설립에 참여<ref name="기념관">경상북도독립운동기념관 학술정보</ref>하는 등 독립운동 기지 건설에 헌신했다. 1914년 신흥학교 교장을 맡아 수많은 독립운동 지도자들을 길렀다.<ref name="보훈처">국가보훈처 독립운동가(공훈록)</ref>

1915년에 광복단의 단원이 되어 간도에 거주하는 한인들의 생활기반 안정에 힘썼다.<ref name="보훈처" /> 같은 해, 국내에서 조직된 대한광복회 총사령 박상진(朴尙鎭)을 후원하기도 했다.<ref name="대백과" /> 1919년 서로군정서 창설요원으로 활동했고, 1920년 광복단의 서간도지역 외교원이 되어 중국정부와 교섭해 농토개척권을 얻어내는 한편 화룡현(和龍縣) 일대에서 군자금 모집활동을 했다.<ref name="보훈처" /> 1925년 서간도에서 흑룡강성으로 활동무대를 옮기고<ref name="허은1">{{서적 인용 |저자1=허은 |저자2=변창애 |날짜=2010 |제목=아직도 내 귀엔 서간도 바람소리가 |쪽=132}}</ref> 중국공산당 파견원으로서 한인 사회주의자들의 중국공산당 가입을 이끌었다.<ref name="기념관" />

1927년 2월부터 흑룡강성 탕원현(湯源縣) 오동하서(梧桐河西)에서 농토개척사업에 힘썼다.<ref name="대백과" /> 1932년 이상룡의 병이 깊다는 소식을 듣고 하얼빈에서 와서 환국할 것을 설득했으나 거부당했다.<ref name="허은2">{{서적 인용 |저자1=허은 |저자2=변창애 |날짜=2010 |제목=아직도 내 귀엔 서간도 바람소리가 |쪽=167}}</ref> 이상룡 사후 이준형 일가가 환국할 때 중국 내 구간을 동행하는 등 직접적인 도움을 주었다.<ref name="허은3">{{서적 인용 |저자1=허은 |저자2=변창애 |날짜=2010 |제목=아직도 내 귀엔 서간도 바람소리가 |쪽=182}}</ref> 1937년 1월 28일 하얼빈(哈爾濱) 취원창(聚源昶)에서 70세의 일기로 사망했다. 1990년 국가보훈처에 의해 이상룡(李相龍), 이승화(李承和), 이광민(李光民) 등 재만독립운동가들의 유해와 함께 국내로 봉환되어 국립대전현충원 안장됐다.<ref name="대백과" /> 1990년 건국훈장 독립장이 추서됐다.<ref name="보훈처" />

가계

* 부친 : 이승목(李承穆)
* 모친 : 권씨
*** 아들 : 이광민(李光民)
**** 손자: 이석화(李錫華)
*** 아들 : 이광국(李光國)
** 형 : 이상룡(李相龍)
*** 조카 : 이준형(李濬衡)
**** 종손 : 이병화(李炳華)
** 형 : 이상동(李相東)
*** 조카 : 이형국(李衡國)
*** 조카 : 이운형(李運衡)
* 당숙: 이승화(李承和)


참고 자료


* 이종서 《군자불기의 임청각, 안동 고성이씨 종가》2016
* 주동욱 《신흥무관학교 항일독립운동의 요람》 2013
* 허은 《아직도 내 귀엔 서간도 바람소리가》 2010
* 채영국 《서간도 독립군의 개척자 이상룡의 독립정신》 2007
* 국가보훈처 독립유공자(공훈록)
* 경상북도 독립운동 기념관
* 디지털안동문화대전
* 유교넷 (안동)독립운동가 700인

각주

<references/>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