팝업레이어 알림

팝업레이어 알림이 없습니다.
E D R , A S I H C RSS

태학

변화가 없습니다



목차

1. 소개
2. 역사
2.1. 고대
2.2. 중국
2.3. 한국
2.4. 베트남
3. 여담
4. 참조
5. 분류

1. 소개

太學

중국, 한국, 베트남 등의 왕조국가에서 설치하던 고등교육기관.


2. 역사

2.1. 고대

유교 경전에서는 고대에 이미 비슷한 성격의 학교가 있었다고 하는데, 확실한 것은 알 수 없다. 예기에는 순 임금이 상상(上庠)이라는 상상력이 증진될듯한 학교를 만들었다고 하며, 주나라 천자는 벽옹(辟雍)이라는 학교를 만들었다고 한다. 이러한 학교들을 국학(國學), 태학(太學), 대학(大學)으로 총칭했다.

2.2. 중국

전한, 한무제가 동중서의 건의를 받아 들여 태학이 설치했다. 태학의 학생들은 '오경박사'의 강의를 받으며 공부를 하며, 시험 성적에 따라서 낭중 이하의 관직을 가지게 되었다. 태학에 쓸 교과서로서 유교 경전을 돌에 새긴 석경이 제작되어 설치됐다. 이 석경은 한나라 시기까지는 금문으로, 위나라 이후에는 고문으로 작성되었다.

태학은 수도에 설치하는 것이 관례였으며, 전한에서는 장안(현재의 시안)에, 후안에서는 낙양(뤄양)에 설치되었다. 여담으로 광무제 유수는 젊은 시절 태학에서 공부를 했는데 수업료를 내려고 장사를 하기도 했다고 한다.아르바이트

태학의 규모는 점차 발전, 확대되었는데, 태학이 생겨난 당초에는 학생 50여명에 불과했으나 후한 시대에는 무려 3만명에 달하게 됐으며, 학교 건물은 240채,1850실을 갖추게 되었다. 엄청난 수의 태학 학생들은 정치와 사회에 참여하려는 의식도 높아서, 후한말기에 태학은 청류파의 거점이 되어 외척과 환관 등 부패한 중앙 정치에 저항하는 역할을 했다.

그러나 후한 말기 난세가 닥치자 태학 역시 국가의 후원과 보호를 받지 못하여 쇠퇴하여 소멸했는데, 위나라가 중원을 지배하면서 안정된 정권을 갖추면서 낙양에 다시 태학이 설치됐다. 낙양의 태학은 서진 시기까지 계속되었으나, 팔왕의 난으로 중원이 초토화 되면서 태학도 깡그리 소멸한다. 동진 정권은 수도 건강(지금의 난징)에 태학을 재설치했다.건강한 태학

서진에서는 276년 공경, 대부 등 고위 관료의 자제를 교육하기 위하여 태학과는 별도로 국자학(國子學)이 설치된다. 국자학과 태학은 당날 때까지 병행하여 지속되었는데, 국자죄주(國子祭酒)가 관리했다. 당나라에서는 국자감(國子監)을 둬서, 국자학, 태학 이외에 사문학(四門學), 율학(律學), 서학(書學), 산학(算學) 등을 관리했다.

2.3. 한국

고구려에서 소수림왕 때 태학이 설치되었다. 신라에서는 국학을 설치했으며, 고려에서는 국자감을 설치했다. 국자감은 고려말에 성균관으로 개칭되며, 조선에서는 성균관으로 지속되었다.

2.4. 베트남

베트남에서도 태학-국자감을 두었다.





3. 여담



5.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