팝업레이어 알림

팝업레이어 알림이 없습니다.
E D R , A S I H C RSS

켄카양성패

목차

1. 소개
2. 의미
3. 기원
4. 역사
5. 여담
6. 참조
7. 분류

1. 소개

喧嘩両成敗

2. 의미

켄카(喧嘩)는 싸움라는 뜻. 성패(成敗)는 처벌, 징계라는 뜻다. 것은 일단 싸움 일어나면 시비곡절에 관계없 양자를 모두 '싸움 그 자체'를 죄로 보고 처벌한다는 뜻다.

3. 기원

본래는 사무라(무사)들의 법도며, 양자를 모두 처벌하는 것은 사무라가 무력을 함부로 휘두르지 못하게 하는 의미가 있다. 런 관습 나타난 유는 사무라들은 특정한 가문 아래에서 봉건적으로 조직되어 있어, 무력을 휘둘러서 서로 정당한 유를 대고 보복전을 벌면 결국 끝 없고 러다보면 다른 세력에게 먹히기 때문으로 추측된다.

싸움을 억제할 유가 있었던 데는 사무라들의 호전성도 있었다. 무로마치 시대에서 일본 전국시대에 걸쳐서, 사무라들은 불합리할 정도로 복수심 강했다. 현대적인 관점에서는 피해자가 명백하게 자업자득인 경우조차도 집요하게 복수를 했다. 켄카양성패는 러한 문화에서 전국 다묘들 불합리하더라도 질서를 잡을 필요가 있었기 때문에 나타난 법다.

4. 역사

관습은 본래 사무라 계층의 것었지만, 무로마치 시대에서 에도 시대에 걸쳐서 사무라 계층의 풍습 관습법적으로 여겨져 사회 전반에 퍼지게 되었다.


5. 여담

잘잘못을 가리는 것보다 '집단의 화합'을 중시한다는 점에서는 문제가 있는 관습기도 하다.



6. 참조


7.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