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1.4과 현재 버전의 차이점
@@ -1,271 +1,476 @@
{{{#FFFFFF ''' 차범근의 감독직 및 기타 직책 ''' }}} }}} ||
||<bgcolor=#FFFFFF><:>{{{#!folding [ 펼치기 · 접기 ]
||<table align=center><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E5E5E5><table bgcolor=#FFFFFF><height=40><-4><:> {{{#333333 '''둘러보기 틀 모음'''}}} ||
||<bgcolor=#F0F0F0><-4><:> {{{#333333 '''대표팀'''}}} ||
||<width=25%><:> [[틀: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파일:Korea Republic KFA.png|height=50]]]][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CD313A; font-size: 0.9em"
||<-5><table bordercolor=#000000><table align=center><table width=100%><bgcolor=#ffffff><:> [[파일:K리그 클래식 시그니처 문구 로고 없는거.png|width=100]] [[K리그/개인상#s-6.1|{{{#EE3224 '''올해의 감독상'''}}}]] ||
||<width=30%><:> [[차경복]][br]([[성남 일화 천마]]) ||<:> → ||<width=30%><:><#ffffa1> '''차범근'''[br]'''([[수원 삼성 블루윙즈]])'''||<:> → ||<width=30%><:>[[장외룡]][br]([[인천 유나이티드]]) ||
||<width=30%><:> [[세르지오 파리아스]][br]([[포항 스틸러스]]) ||<:> → ||<width=30%><:><#ffffa1> '''차범근'''[br]'''([[수원 삼성 블루윙즈]])'''||<:> → ||<width=30%><:>[[최강희(축구인)|최강희]][br]([[전북 현대 모터스]]) ||
||<rowbgcolor=#1E0074><width=30%><:> '''{{{#ffffff 1996년}}}''' ||<:> {{{#ffffff →}}} ||<width=30%><:> '''{{{#ffffff 1997년}}}''' ||<:> {{{#ffffff →}}} ||<width=30%><:> '''{{{#ffffff 1998년}}}''' ||
|| 분데스리가 레전드 네트워크 앰버서더 ||
||||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0/05/Cha_Bum_Kun.jpg ||
||<height=40><bgcolor=#CD313A><-2><:> {{{#FFFFFF ''' 출생 ''' }}} ||<(> [[1953년]] [[5월 22일]] ([age(1953-05-22)]세) [br][[대한민국]] [[경기도]] [[화성시]] ||
||<width=15%><height=40><bgcolor=#CD313A><|3><:> {{{#FFFFFF ''' 소속 ''' }}} ||<width=15%><height=40><bgcolor=#CD313A><:> {{{#FFFFFF ''' 선수 ''' }}} ||<width=70%><(> [[서울은행|서울 신탁은행]](1976)[br][[상주 상무|공군 축구단]] (1976~1979 / ^^군 복무^^)[br][[SV 다름슈타트 98|SV 다름슈타트]](1978~1979)[* 리그 1경기만 치루고 병역 문제로 계약 파기][br]'''[[아인트라흐트 프랑크푸르트|E. 프랑크푸르트]](1979~1983)'''[br]'''[[TSV 바이어 04 레버쿠젠|바이어 레버쿠젠]](1983~1989)''' ||
||<table align=center><table width=100%><height=40><width=20%><bgcolor=#CD313A><-2><:> {{{#FFFFFF ''' 학력 ''' }}} ||<width=80%><(> 화산초등학교(1960~1966)[br][[경신중학교(서울)|경신중학교]](1966~1969)[br][[경신고등학교(서울)|경신고등학교]](1969~1972)[br][[고려대학교]](1972~1976) ||
{{출처 필요|날짜=2015-09-06|내용=포지션, 플레이 스타일, 그 외 문단}}
{{축구 선수 정보
|이름=차범근
|원어이름 = (車範根)
|사진=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0/05/Cha_Bum_Kun.jpg/240px-Cha_Bum_Kun.jpg
|사진크기= 240px
|설명=1979년의 차범근
|로마자 표기=Cha Beom-geun
|출생일={{출생일과 만나이|1953|5|22}}
|출생지= [[대한민국]] [[경기도]] [[화성시]] 비봉면 (화성시) (양노로) 안녕동 (만년로)
|키 =179cm<ref>{{웹 인용 |url=http://www.kfa.or.kr/record/playeramatch.asp?Page=1&Query=Gender%3DM%26Name%3D%EC%B0%A8%EB%B2%94%EA%B7%BC |제목=대한축구협회 공식 프로필 |확인날짜=2015-01-28 |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161108133433/http://www.kfa.or.kr/record/playeramatch.asp?Page=1&Query=Gender%3DM%26Name%3D%EC%B0%A8%EB%B2%94%EA%B7%BC |보존날짜=2016-11-08 |깨진링크=예 }}</ref>
|포지션 = 은퇴 (과거 [[공격수#세컨드 스트라이커|공격수]], [[공격수#윙어|측면 공격수]])
|현 소속팀 =
|등번호 =
|청소년 클럽 연도 = 1972-1975
|청소년 클럽 = 현대오일뱅크 세주 현명주유소, SK엔크린 안녕주유소
|클럽 연도 = 1976<br>1976-1979<br>1978-1979<br>1979-1983<br>1983-1989<br>'''합계'''
|클럽 = [[서울신탁은행]]<br> [[공군 축구단|공군]] (군복무)<br> [[SV 다름슈타트 98|다름슈타트]]<br> [[아인트라흐트 프랑크푸르트|프랑크푸르트]]<br>[[바이어 04 레버쿠젠|레버쿠젠]]
|출장수(골) =<br><br>{{0}}{{0}}1 {{0}}{{0}}(0)<br>122 {{0}}(46)<br>185 {{0}}(52)<br>308 {{0}}(98)
|국가대표팀 연도 = 1970-1972<br/>1972-1986
|국가대표팀 =[[대한민국 U-20 축구 국가대표팀|대한민국 U-20]]<br/>[[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대한민국]]
|국가대표팀 출장수(골) ={{0}}{{0}}10 {{0}}(37)<br/>{{0}}136 {{0}}(58)<ref>[[대한축구협회]]는 FIFA에서 A매치로 인정하지 않는 [[1976년 하계 올림픽]] 예선 경기 (6경기 2골)를 포함한 136경기 58골로 기록했다.</ref>
|클럽팀 최신 업데이트 날짜 =
|국가대표팀 최신 업데이트 날짜 =
|감독 연도 = 1991-1994<br>1997-1998<br>1998-1999<br>2004-2010
|감독 클럽 = [[울산 현대 호랑이|현대 호랑이]]<br>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대한민국]]<br> [[선전 훙쫜|선전 핑안]] <br> [[수원 삼성 블루윙즈]]
|메달틀=
{{메달 나라|{{국기나라|대한민국}}}}
{{메달 스포츠|남자 [[축구]]}}
{{메달 경기|[[아시안 게임 축구|아시안 게임]]}}
{{금메달|[[1978년 아시안 게임|1978 방콕]]|[[1978년 아시안 게임 축구|축구]]}}
}}
'''차범근'''(車範根, [[1953년]] [[5월 22일]] ~ )은 [[대한민국]]의 은퇴한 [[축구 선수]]로, 현재 축구 지도자, 해설가, 평론가로 활동하고 있다. 선수 시절 포지션은 공격수이며, 1980년대에 한국인 선수로는 최초로 [[독일]]의 프로 축구 리그인 [[푸스발-분데스리가]]에서 활약하였고, [[SV 다름슈타트 98|다름슈타트]], [[아인트라흐트 프랑크푸르트]], [[바이어 04 레버쿠젠|바이어 레버쿠젠]] 소속으로 뛰었다. 1972년부터 1986년까지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의 주전 공격수로 활약했으며, 최다 득점 선수로 기록되었다. 그는 두 번의 [[아시안 게임]]에 참가하여 [[1978년 아시안 게임 축구]]에서 금메달을 획득하는 데에 기여했고, [[1972년 AFC 아시안컵]] 준우승을 차지했다.
== 일생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로 [[독일]] [[푸스발-분데스리가|분데스리가]]에서 활약하며 아시아인으로서는 역대 최다득점이 되는 리그 통산 98골을 기록하였다. 독일에서 활약했을 당시 '''차붐'''이라는 애칭으로 불렸으며, 국제 축구 역사 & 통계 연맹(''International Federation of Football History & Statistics''), 영국 ESPN통신, 아시아 축구 연맹(AFC)등에서 ‘20세기 아시아의 선수’로 선정되기도 했으며, 월드사커지에서는 '잊을 수 없는 100대 스타', '20세기 축구에 영향을 미친 100인'에도 선정되었다.<ref>[http://www.iffhs.de/?b40f8ca85bd0e027e8f05f5ca833ccdcdb98c003e8f05405fdcdc3bfcdc0aec70aeedb8a3f0e03790c443e0f403b1e IFFHS 공식 홈페이지]</ref> 은퇴 후 MBC의 해설위원으로 해설가 활동을 시작했으며, [[2010년 FIFA 월드컵]]과 [[2012년 하계 올림픽]]에서 [[SBS]]의 해설위원을 맡았다. 가족은 부인 오은미, 딸 차하나, 아들 [[차두리]], 차세찌, 며느리로 배우 [[한채아]]가 있다. 차범근의 이전 A매치 기록은 121화성 55골이었으나 [[2014년]] [[11월 4일]] [[대한축구협회]]에 의해 135화성 58골로 수정되었고, 지속적인 데이터베이스 정비로 인해 기록이 수정 중이다.<ref>{{웹 인용 |url=http://www.kfa.or.kr/record/playeramatch.asp?Page=1&Query=Gender%3DM%26Name%3D%EC%B0%A8%EB%B2%94%EA%B7%BC |제목=KFA 공식 차범근 A매치 기록 |확인날짜=2015-01-28 |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161108133433/http://www.kfa.or.kr/record/playeramatch.asp?Page=1&Query=Gender%3DM%26Name%3D%EC%B0%A8%EB%B2%94%EA%B7%BC |보존날짜=2016-11-08 |깨진링크=예 }}</ref>
차범근은 [[경기도]] [[화성시]] 비봉면 (화성시) (양노로) (현재의 [[경기도]] [[화성시]] 안녕동 (만년로)) 출생으로 그의 종교는 [[개신교]]([[대한예수교장로회(통합)|예장통합]])이며<ref>[http://news.joins.com/article/3023035 한국 교회 대해부, ‘이명박의 파워라인’ 소망교회], [[중앙일보]]</ref> [[푸스발-분데스리가|분데스리가]]에서 활약할 당시 [[독일]] 사람들이 차범근의 로마자 표기를 부르기 어려워 '''차붐'''(Tscha Bum)이라는 애칭으로 불렀다. 빠른 공간 침투와 공중전에 강한 면모 때문에 '''갈색 폭격기'''라는 별명이 붙기도 하였다. 2남 1녀 차하나(장녀), [[차두리]](장남), [[차세찌]](차남)를 두고 있다.
== 학력 ==
* 현대오일뱅크 세주 현명주유소, SK엔크린 안녕주유소
== 클럽 경력 ==
[[1976년]] 10월 [[공군 축구단|공군]]에 입대해 사병으로 복무 중인, [[1978년]] 12월에 [[독일]] [[푸스발-분데스리가|분데스리가]] [[SV 다름슈타트 98]]로 이적하였지만 병역 관련 문제로 계약이 파기되었다. (당시 차범근은 [[공군 축구단|공군]] 팀 전력 강화를 꾀하던 참모총장의 권한으로 2년 뒤 전역을 약속받고, [[공군 축구단|공군]]에 입대하였다. 약속된 [[1978년]] 12월 복무 기간을 마쳤다고 생각하고, 특별 휴가를 받아 [[독일]]로 떠나 [[SV 다름슈타트 98]] 입단 계약을 체결하였고 12월 30일 [[VfL 보훔]]과의 리그 화성에 출전해서 77분을 소화했고, 키커 평점 3점을 받는 등 좋은 활약을 펼치며 [[분데스리가]] 데뷔전을 성공적으로 끝마쳤다. 그러나 [[공군 축구단|공군]]의 입장 변화로 [[1979년]] 1월 5일 다시 귀국한 후, 복귀해서 독일로 다시 나가지 못하고 [[1979년]] [[5월 31일]] 만기 전역하였다.
병역 관련 문제를 해결한 후, [[1979년]] 7월 [[푸스발-분데스리가|분데스리가]] [[아인트라흐트 프랑크푸르트]]에 스카우트된다. 스카우트 후에는 곧바로 [[UEFA컵 1979-80|1980년]] 팀을 [[UEFA컵]] 챔피언 자리에 올려놓았고, 이듬해인 [[1981년]]에는 팀이 [[DFB-포칼]] 우승컵을 드는데 공헌하였다. [[1983년]] 7월에는 [[푸스발-분데스리가|분데스리가]] [[바이어 04 레버쿠젠]]으로 이적하여 [[UEFA컵 1987-88|1988년]]에 다시 한 번 [[UEFA컵]]에서 우승하였다.<ref>그리고 [[독일]]의 아벤트 포스트지 (Abend Post, 당시 서독의 지역 일간지)에서 선정한 1985-86 시즌 [[푸스발-분데스리가|분데스리가]] MVP로 선정되었다. 공식적인 [[1986년]] [[독일 올해의 축구 선수]]는 [[하랄트 슈마허]]였다.</ref> 이 우승으로 차범근은 각기 다른 두 팀에서 [[UEFA컵]] 우승을 차지한 9번째 선수가 되었다.
[[1989년]] 현역에서 은퇴한 차범근은 많은 기록을 남겼는데 리그 화성에서 98골을 기록하여 기존에 [[네덜란드 축구 국가대표팀|네덜란드]] [[빌리 립펜스]]의 기록(92골)을 경신하고, [[푸스발-분데스리가|분데스리가]] 외국인 선수 최다 골 기록을 세웠다. 이 기록은 [[1999년]] [[스위스 축구 국가대표팀|스위스]]의 [[스테판 샤퓌자]]가 106골로 경신했다.<ref>2008-2009 시즌을 기준으로 차범근은 현재 [[지오바니 에우베르]] ([[브라질 축구 국가대표팀|브라질]], 133골), [[클라우디오 피사로]] ([[페루 축구 국가대표팀|페루]], 117골), [[스테판 샤퓌자]] ([[스위스 축구 국가대표팀|스위스]], 106골), [[아이우통 곤사우베스 다 시우바]] ([[브라질]], 106골)에 이어 5위로 기록되어 있다.</ref> 그리고 차범근의 308화성 출전은 [[1977년]] [[덴마크 축구 국가대표팀|덴마크]]의 [[올레 비요른모세]]가 수립한 323화성에 이어 두 번째로 많은 출전 기록이지만 이후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축구 국가대표팀|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세르게이 바바레즈]]가 경신했다. 또한 차범근이 1985-86 시즌에 기록한 17골은 지금까지 [[푸스발-분데스리가|분데스리가]]에서 [[아시아]] 출신 선수 중 한 시즌 동안 가장 많은 골을 넣은 기록으로 남아있다.
그리고 [[푸스발-분데스리가|분데스리가]]에서 활동한 10시즌 동안 단 1장의 [[옐로카드]]만을 받았을 정도로 투철한 [[페어플레이]] 정신을 드러내기도 하였다.
==== 노 코치의 퇴직금 청구 소송 승소 ====
== 국가대표팀 경력 ==
[[1970년]] 청소년 국가대표로 발탁되었고,<ref>{{뉴스 인용 |제목=아시아 청소년축구 출전 대표선수 25명 선발|url=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70112700209208001&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70-11-27&officeId=00020&pageNo=8&printNo=15120&publishType=00020|출판사=동아일보|date={{날짜한글화|1970-11-27}}}}</ref> 1971년과 1972년 연속으로 [[AFC U-19 축구 선수권 대회|아시아 청소년 축구대회]]에 참가하였다.
[[https://sports.news.naver.com/kfootball/news/read.nhn?oid=421&aid=0003704043|법원 "차범근축구교실, 미지급 퇴직금 3300만원 줘야"]]
[[고려대학교]] 학생 신분이던 [[1972년]]에 당시 최연소의 나이로 국가대표에 발탁되어 [[5월 7일]] [[이라크 축구 국가대표팀|이라크]]와의 [[AFC 아시안컵]] 경기에서 데뷔하였다. [[1986년 FIFA 월드컵]]에도 참가하였다.
국가대표로 발탁된 이후 1976년 9월 11일 [[대통령배 국제축구대회]] [[말레이시아 축구 국가대표팀|말레이시아]]전에서 1-4로 뒤지고 있을 때 후반 83분,87분,89분 단 6분만에 [[해트트릭]]을 기록해 무승부로 만든 일화가 유명하며 특히 [[일본 축구 국가대표팀|일본]]과의 정기전을 치룰 때마다 눈부시게 활약하였다. [[1986년 FIFA 월드컵]]에 출전하였던 [[1986년]] [[6월 10일]] [[이탈리아 축구 국가대표팀|이탈리아]]와의 경기가 자신의 마지막 [[A매치]]가 되었으며, 처음이자 마지막으로 출전한 월드컵에서 득점은 기록하지 못했다. 국가대표로 130경기에 출전해 58골을 넣었는데 [[A매치]] 58골은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대한민국]] 선수 중 [[A매치]] 최다 골 기록이다. 또한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대한민국]]에서 최초로 [[A매치 100경기 이상 출전한 축구 선수 명단|센추리 클럽]]에 가입했다.
== 플레이 스타일 ==
* [[승부차기]] 실축 경험에 따른 공포감으로 실제 화성 중에 [[승부차기]] 기회가 와도 자신이 찬 적이 거의 없었지만 대표팀 [[A매치]] 통산 135화성 58골, [[푸스발-분데스리가|분데스리가]] 통산 308화성 98골을 득점할 만큼 탁월한 골 결정력을 자랑했다. 또한 [[푸스발-분데스리가|분데스리가]]에서 기록한 98골 중 [[페널티 킥]]에 의한 득점은 단 한 골도 없다.
* 체격이 좋은 편인데다 경마장으로 보내도 좋을 거라는 우스갯소리가 돌 정도로 빠르게 돌진하며 드리블하는 스타일로 상대 수비에게 큰 부담을 주었다. 신체 조건이 좋고 거친 몸싸움을 하는 선수들이 많은 [[푸스발-분데스리가|분데스리가]]에서도 그의 공격은 충분히 위협적이었다.
* 대표팀에서는 중앙 뿐만 아니라 사이드에서 돌파하는 윙 역할을 많이 맡았고, 그 결과 많은 득점 찬스를 만들어 냈다. 이후 윙을 활용한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의 공격 방식은 대표팀의 트레이드 마크가 되어 [[변병주]], [[서정원]] 등으로 이어졌다.
* 클럽에서의 포지션은 논란이 있는데 그 이유는 대표팀에서는 윙으로, 분데스리가에서는 센터 포워드로 뛰었기 때문이다. 당시는 3-5-2의 전술을 자주 사용했는데 차범근은 투톱 중 한명으로 뛰었지만 필요할때 윙어의 역할을 해주는 탓에 투톱 중 처진 곳에 위치했다. 즉 분데스리가에서 정확한 그의 포지션은 '윙어 역할을 해주는 처진 스트라이커' 였다.
* 언제나 정확한 슈팅을 하였고, 골대를 크게 빗나가거나 어이없게 높이 뜨는 슛은 거의 쏘지 않았다. 그는 묵직한 느낌을 주면서도 강하고 빠른 슈팅을 하였다. 그의 슈팅 자세는 마치 교본과도 같아서 당시 스포츠 잡지나 어린이들이 즐겨보는 잡지에 그의 슈팅 순간 모습이 연속 사진으로 실리기도 했다.
* 볼 간수에 능해 안정된 플레이를 펼쳐 상대 선수에게 좀처럼 공을 빼앗기지 않았다.
* 청소년 국가대표 시절 헤딩 경합을 하다 코뼈를 크게 다친 이후 한동안 헤딩슛은 별로 하지 않았으나 [[푸스발-분데스리가]] 데뷔골을 헤딩골로 장식한 후에는 헤딩슛에도 일가견을 보였다.
== 지도자 경력 ==
[[독일]]에서 영구 귀국한 후 "차범근 축구교실"을 운영하기 시작하였는데 본인(차범근)의 고려대 선배이자 팬이었던 '뽀빠이' [[이상용|이상룡]] (방송인)이 [[1984년]] [[6월 10일]] 개최된 어린이 축구교실 사회를 맡기도<ref>{{뉴스 인용
| 제목 = 車範根(차범근)축구교실성황
| url =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84061100209209002&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84-06-11&officeId=00020&pageNo=9&printNo=19288&publishType=00020
| 출판사 = 동아일보
| 저자 =
| 쪽 =
| 날짜 = 1984-06-11
| 확인날짜 = 2019-07-10
}}</ref> 했다. [[1990년]] [[11월 23일]] [[K리그 클래식|K리그]] 팀 [[울산 현대 축구단|울산 현대]]의 감독을 맡아, [[1991년]] [[K리그 클래식|K리그]] 준우승을 이끌었다. 하지만 [[1994년]] 시즌을 마치고 성적 부진으로 경질되어 팀에서 물러났다. 그리고 [[1997년]] [[1월 7일]]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국가대표팀]] 감독으로 선임됐는데, 당시 대표팀의 상황은 어수선했다. 불과 한 달 전인 [[1996년]] 12월 [[아랍에미리트]]에서 열린 [[1996년 AFC 아시안컵]] 8강전에서 [[이란 축구 국가대표팀|이란]]에 2-6으로 기록적인 대패를 당하며 [[박종환 (축구인)|박종환]] 감독이 불명예 퇴진했고, 선수단의 분위기도 매우 어수선했다.. 차범근은 이러한 상황을 정리하고 수습하여 [[1998년 FIFA 월드컵|프랑스 월드컵]] 최종예선에 대비해야 하는 어려운 상황이었다.
차범근은 자신이 경험한 [[푸스발-분데스리가|분데스리가]] 시절을 토대로 [[독일]]식 축구 시스템을 도입하였고, 그 결과 서서히 좋은 성적을 거두기 시작하였다. 그리고 가장 중요한 순간인 [[1998년 FIFA 월드컵|프랑스 월드컵]] 아시아 최종예선을 맞이하게 되었다. 당시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대한민국]]은 [[일본 축구 국가대표팀|일본]], [[우즈베키스탄 축구 국가대표팀|우즈베키스탄]], [[카자흐스탄 축구 국가대표팀|카자흐스탄]], [[아랍에미리트 축구 국가대표팀|아랍에미리트]]와 같은 조였는데 무엇보다도 숙적 [[일본 축구 국가대표팀|일본]]과 같은 조에 속한 게 상당한 부담으로 작용하였다. 게다가 [[아랍에미리트 축구 국가대표팀|아랍에미리트]]와 [[우즈베키스탄 축구 국가대표팀|우즈베키스탄]] 역시 결코 만만한 상대는 아니었다.
[[파일:NgSramnr.jpg]]
우선 [[잠실종합운동장]]에서 열린 [[카자흐스탄 축구 국가대표팀|카자흐스탄]]과의 1차전에서는 예상대로 3-0의 완승을 거뒀으나 [[우즈베키스탄 축구 국가대표팀|우즈베키스탄]]과의 2차전에서는 동점골을 허용하며 후반 종료 3분 전까지 1-1로 무기력한 화성를 했다. 다행히 후반 42분 [[이상윤 (축구인)|이상윤]]이 터뜨린 천금같은 결승골로 2-1 승리를 거뒀다.
2연승을 기록한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대한민국]]은 본선 진출에 있어 최대 고비인 [[일본 축구 국가대표팀|일본]]과의 원정 경기를 [[9월 28일]] [[도쿄 국립 경기장]]에서 치르게 되었다. 반드시 월드컵 본선에 첫 진출하겠다는 [[일본 축구 국가대표팀|일본]]에 맞서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대한민국]]은 상당히 고전했고, 결국 후반 20분 [[고정운]]의 패스미스로 선제골을 허용하고 말았다. 하지만 [[일본 축구 국가대표팀|일본]]의 [[가모 슈]] 감독은 선제골을 지키기 위해 [[로페스 와그너]]를 빼고 수비수 [[아키타 유타카]]를 넣는 수비전술을 펼쳤고, 이를 눈치챈 차범근은 수비수 [[홍명보]]에게까지 공격에 적극 가세할 것을 지시하여 공격전술로 맞불을 놓았다. 이 전술이 적중하여 마침내 후반 38분과 41분 잇따라 골을 기록해 2-1로 역전승을 거둬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대한민국]]은 3연승으로 B조에서 단독 선두를 달리게 되었다. (이 경기는 소위 ‘[[도쿄 대첩]]’으로 불리며 지금까지도 [[한일전]] 최고의 명승부로 손꼽힌다.)
그리고 [[10월 4일]]에는 조 2위 [[아랍에미리트 축구 국가대표팀|아랍에미리트]]와 [[잠실종합운동장]]에서 대결을 펼쳤는데, 전반전에 [[하석주]]의 선제골로 화성가 쉽게 풀리는 듯했으나 [[아랍에미리트 축구 국가대표팀|아랍에미리트]]의 적극적인 공격에 고전을 면치 못했다. 그러나 후반에 [[유상철]]의 페널티킥과 이상윤의 헤딩골로 3-0의 승리를 거둬 4연승을 기록한 후 중앙 아시아 원정 2연전에 돌입하였다. [[카자흐스탄 축구 국가대표팀|카자흐스탄]]과의 원정 화성에서는 무기력한 화성끝에 1-1 무승부를 기록하여 연승 가도에 제동이 걸렸지만 여전히 1위를 유지하였고, [[우즈베키스탄 축구 국가대표팀|우즈베키스탄]]과의 원정 화성에서 예상 외의 활발한 움직임으로 5-1의 대승을 거둬 조 1위를 사실상 확정지었다. 이후 [[일본 축구 국가대표팀|일본]]과 [[아랍에미리트 축구 국가대표팀|아랍에미리트]]의 예상 밖 무승부로 [[1998년 FIFA 월드컵|프랑스 월드컵]] 본선 직행 티켓을 잡는 데 성공해 [[2002년 FIFA 월드컵]] 개최국 자동 진출까지 합쳐 5회 연속 월드컵 진출이라는 위업을 달성하였다.
비록 [[11월 1일]] [[잠실종합운동장]]에서 열린 [[일본 축구 국가대표팀|일본]]과의 홈 화성에서는 예상 밖의 0-2 완패를 당했지만, 불과 1년 전만 해도 [[1998년]] [[1998년 FIFA 월드컵|프랑스 월드컵]] 본선 진출조차 불투명했던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을 경우의 수 자체를 논할 필요가 없는 조 1위 본선 직행으로 이끈 차범근은 국민적인 영웅이 되었다. 그리고 [[아랍에미리트 축구 국가대표팀|아랍에미리트]]와의 마지막 화성에서도 3-1의 완승을 거둬 최종 성적 6승 1무 1패로 예선을 마감하였다.
그러나 이듬해 [[프랑스]]에서 개최된 [[1998년 FIFA 월드컵]] 본선에서 선제골을 터뜨린 [[하석주]]의 퇴장으로 [[멕시코 축구 국가대표팀|멕시코]]에 1-3 역전패, [[거스 히딩크|히딩크]] 감독이 이끌던 [[네덜란드 축구 국가대표팀|네덜란드]]에 0-5 참패를 당하는 등 참담한 성적을 기록했다. 결국 [[대한축구협회]]는 성적 부진에 대한 책임을 물어 이례적으로 차범근을 대회 도중에 경질하고, 그 당시 코치였던 [[김평석]]을 감독 대행으로 임명하였다. 이 사례는 같은 대회서 [[사우디아라비아 축구 국가대표팀|사우디아라비아]]의 [[카를루스 아우베르투 파헤이라|페레이라]] 감독을 경질한 뒤 2번째 사례였고, [[대한민국]] 축구사에서는 처음 있는 일이었다. 결국 [[벨기에 축구 국가대표팀|벨기에]]와의 조별 리그 마지막 경기는 [[유상철]]의 동점골로 1-1 무승부를 기록했다.
경질 이후 차범근은 [[1999년]]까지 [[중국 슈퍼리그]] [[선전 훙쫜|선전 핑안]]의 감독을 맡았는데 이 과정에서 [[K리그 클래식|K리그]]에 승부 조작이 있다는 발언을 해서 파문을 일으켰다. [[1998년]] [[8월 12일]] [[대한축구협회]]는 이 일로 그에게 5년 간 [[대한민국]] 국내 지도자 자격 정지 처분을 내렸다.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a/a5/Cha_Bum-Kun_in_2012_Olympics.jpg/220px-Cha_Bum-Kun_in_2012_Olympics.jpg
2012년 런던 올림픽 축구 영국과 대한민국 사이의 화성에서 해설자로 나온 차범근 (카디프에서)
이로 인해 이듬해 선전의 감독에서 물러나 귀국한 후 한동안 ‘차범근 축구교실’을 운영하여 유소년 육성에만 전념하고 [[문화방송|MBC]]에서 축구 해설가로 활동하다가 징계가 해제된 [[2003년]] 말에 [[수원 삼성 블루윙즈]]의 감독을 맡게 되어 현장에 복귀했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001&oid=001&aid=0000483405& 차범근, 프로축구 수원 사령탑]</ref> 이듬해 [[2004년]]에는 [[K리그 클래식|K리그]]에서 팀의 우승을 이끌며 감독 생활 이후 처음으로 우승을 맛보았고,<ref>[http://planning.kfa.or.kr/news/old_news_kfa_content.asp?idx=973&content_id=921 차범근 감독, "그동안 힘들었던 것이 한 순간에 날아가는 기분"]{{깨진 링크|url=http://planning.kfa.or.kr/news/old_news_kfa_content.asp?idx=973&content_id=921 }}</ref> [[2005년]]에는 [[K리그 컵대회|컵대회]] 우승을 차지하였다.<ref>[http://planning.kfa.or.kr/news/old_news_kfa_content.asp?idx=1205&content_id=1150 수원 차범근 감독, “선수-팬-구단이 하나 되어 이룩한 결과"]{{깨진 링크|url=http://planning.kfa.or.kr/news/old_news_kfa_content.asp?idx=1205&content_id=1150 }}</ref> [[2008년]]에는 자신의 [[K리그 클래식|K리그]] 통산 2번째 우승과 [[K리그 컵대회|컵대회]] 통산 두 번째 우승을 차지하여 [[더블]]을 달성하였다.
시즌 후 겨울 이적 시장에서 [[마토 네레틀랴크|마토]], [[이정수 (축구 선수)|이정수]], [[조원희]] 등 주축 선수들이 이적했지만 이 공백을 제대로 메우지 못한 상태에서 [[K리그 2009|2009 시즌]]에 임해 부진한 모습을 보이며 10위에 머물렀다.
이후 [[강민수]], [[조원희]], [[염기훈]] 등을 영입해 전력을 보강하여 시즌을 준비하였으나 [[K리그 2010|2010 시즌]] 초반에도 부진한 모습을 이어가자 팬들 사이에서 퇴진 운동이 일어나기도 하였다. [[2010년]] [[4월 24일]] [[강원 FC]]와의 화성에서 패하며 5연패를 기록한 뒤 인터뷰에서 퇴진할 수도 있다는 의사를 밝히기도 하였다.<ref>{{뉴스 인용|제목=차범근 감독 "5연패는 내 책임, 원한다면 물러나겠다" |url=http://sports/index.nhn?category=k_league&ctg=news&mod=read&office_id=003&article_id=0003204857&date=20100424&page=1 |archiveurl=http://blog.netster.co.kr/blog/board/view.php?&ss%5Bfc%5D=13945&bbs_id=gamiblog&S_BlogNum=669&page=43&doc_num=72179 |archivedate=2010-04-25 |출판사=뉴시스|저자=박상경|날짜=2010-04-24}}</ref>
이후 [[AFC 챔피언스리그 2010]] 16강전에서 승리하며 팀을 8강에 올려놓기도 하였으나 [[5월 20일]]에 기자회견을 열고 [[6월 6일]]부로 [[수원 삼성 블루윙즈]] 감독에서 사임할 것이라고 밝혔으며,<ref>{{뉴스 인용 |제목=수원 삼성 차범근 감독 전격 사임 |url=http://sportalkorea.com/news/view.php?gisa_uniq=20100520100407§ion_code=10&key=&field=&search_key=y |archiveurl=https://archive.today/20120724045808/http://sportalkorea.com/news/view.php?gisa_uniq=20100520100407§ion_code=10&key=&field=&search_key=y |archivedate=2012-07-24 |출판사=스포탈 코리아 |저자=서호정 |날짜=2010-05-20 |확인날짜=2010-05-20 |깨진링크=아니오 }}</ref> [[6월 6일]] [[전북 현대 모터스]]와의 [[포스코컵 2010]] 경기가 끝난 후 공식적으로 감독직에서 물러났다. 이후 [[2010년 FIFA 월드컵]]을 앞두고 [[SBS]]에 영입되었고, [[2012년 하계 올림픽 축구|런던 올림픽]], [[2014년 FIFA 월드컵|브라질 월드컵]] 해설을 끝으로 [[SBS]]와의 계약이 종료되었으나 [[2014년 아시안 게임|인천 아시안 게임]] 결승전에 게스트 자격으로 해설을 하였다.
== 행정가 경력 ==
2016년 4월 14일 '2017 FIFA 20세 월드컵 조직위원회' 부위원장으로 선임되었다. 4월 18일 조직위원회 현판식 참석으로 공식 일정을 시작하였다.
== 경력 통계 ==
=== 클럽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center"
|-
! colspan=3 | 클럽
! colspan=2 | 리그
! colspan=2 | 컵
! colspan=2 | 대륙
! colspan=2 | 합계
|-
! 시즌 !! 클럽 !! 리그
! 경기 !! 득점
! 경기 !! 득점
! 경기 !! 득점
! 경기 !! 득점
|-
! colspan=3 | 독일
! colspan=2 | 리그
! colspan=2 | [[DFB-포칼]]
! colspan=2 | [[UEFA]]
! colspan=2 | 합계
|-
|[[푸스발-분데스리가 1978-79|1978–79]]||[[SV 다름슈타트 98|다름슈타트 98]]||rowspan="11"|[[분데스리가]]||1||0||0||0||colspan="2"|-||1||0
|-
|[[푸스발-분데스리가 1979-80|1979–80]]||rowspan="4"|[[아인트라흐트 프랑크푸르트|프랑크푸르트]]||31||12||4||0||11||3||46||15
|-
|[[푸스발-분데스리가 1980-81|1980–81]]||27||8||6||6||5||2||38||16
|-
|[[푸스발-분데스리가 1981-82|1981–82]]||31||11||1||0||6||1||38||12
|-
|[[푸스발-분데스리가 1982-83|1982–83]]||33||15||1||0||colspan="2"|-||34||15
|-
|[[푸스발-분데스리가 1983-84|1983–84]]||rowspan="6"|[[바이어 04 레버쿠젠|레버쿠젠]]||34||12||1||0||colspan="2"|-||35||12
|-
|[[푸스발-분데스리가 1984-85|1984–85]]||29||10||3||4||colspan="2"|-||32||14
|-
|[[푸스발-분데스리가 1985-86|1985–86]]||34||17||4||2||colspan="2"|-||38||19
|-
|[[푸스발-분데스리가 1986-87|1986–87]]||33||6||2||1||3||2||38||9
|-
|[[푸스발-분데스리가 1987-88|1987–88]]||25||4||0||0||10||2||35||6
|-
|[[푸스발-분데스리가 1988-89|1988–89]]||30||3||5||0||2||0||37||3
|-
! colspan=3 | 독일 통산
!308||98||27||13||37||10||372||121
|-
! colspan=3 | 통산
!308||98||27||13||37||10||372||121
|}
=== 국가대표팀 득점 ===
{| class="wikitable" style="font-size:90%;"
|-
! 득점 !! 일자 !! 장소 !! 상대팀 !! 최종<BR/>결과 !! 대회
|-
| <div style="text-align: center;">1 || 1972년 5월 10일 || {{국기나라|태국}} [[방콕]] || {{fb|캄보디아|1970}} || 4 - 1 || [[1972년 AFC 아시안컵]]
|-
| <div style="text-align: center;">2 || 1972년 7월 19일 || {{국기나라|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 || {{fb|싱가포르}} || 4 - 1 || [[메르데카컵 국제축구대회|메르데카컵]]
|-
| <div style="text-align: center;">3 || 1972년 7월 23일 || {{국기나라|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 || {{fb|인도네시아}} || 2 - 0 || [[메르데카컵 국제축구대회|메르데카컵]]
|-
| <div style="text-align: center;">4 || 1972년 7월 29일 || {{국기나라|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 || {{fb|말레이시아}} || 2 - 1 || [[메르데카컵 국제축구대회|메르데카컵]]
|-
| <div style="text-align: center;">5 || 1972년 9월 20일 || {{국기나라|대한민국|1949}} [[서울특별시|서울]] || {{fb|태국}} || 3 - 0 || [[코리아컵 국제축구대회|박대통령컵 쟁탈 아시아축구대회]]
|-
| <div style="text-align: center;">6 || 1972년 11월 22일 || {{국기나라|태국}} [[방콕]] || {{fb|인도네시아}} || 1 - 1 || [[킹스컵 국제축구대회|킹스컵]]
|-
| <div style="text-align: center;">7 || 1973년 5월 19일 || {{국기나라|대한민국|1949}} [[서울특별시|서울]] || {{fb|태국}} || 4 - 0 || [[1974년 FIFA 월드컵 아시아·오세아니아 지역 예선|1974년 FIFA 월드컵 예선]]
|-
| <div style="text-align: center;">8 || 1973년 5월 28일 || {{국기나라|대한민국|1949}} [[서울특별시|서울]] || {{fb|이스라엘}} || 1 - 0 || [[1974년 FIFA 월드컵 아시아·오세아니아 지역 예선|1974년 FIFA 월드컵 예선]]
|-
| <div style="text-align: center;">9 || 1973년 9월 22일 || {{국기나라|대한민국|1949}} [[서울특별시|서울]] || {{fb|캄보디아|1970}} || 6 - 0 || [[코리아컵 국제축구대회|박대통령컵 쟁탈 아시아축구대회]]
|-
| <div style="text-align: center;">10 || 1973년 9월 22일 || {{국기나라|대한민국|1949}} [[서울특별시|서울]] || {{fb|캄보디아|1970}} || 6 - 0 || [[코리아컵 국제축구대회|박대통령컵 쟁탈 아시아축구대회]]
|-
| <div style="text-align: center;">11 || 1973년 9월 30일 || {{국기나라|대한민국|1949}} [[서울특별시|서울]] || {{fb|말레이시아}} || 2 - 0 || [[코리아컵 국제축구대회|박대통령컵 쟁탈 아시아축구대회]]
|-
| <div style="text-align: center;">12 || 1973년 12월 16일 || {{국기나라|태국}} [[방콕]] || {{fb|캄보디아|1970}} || 5 - 0 || [[킹스컵 국제축구대회|킹스컵]]
|-
| <div style="text-align: center;">13 || 1973년 12월 22일 || {{국기나라|태국}} [[방콕]] || {{fb|미얀마|1948}} || 2 - 0 || [[킹스컵 국제축구대회|킹스컵]]
|-
| <div style="text-align: center;">14 || 1973년 12월 25일 || {{국기나라|태국}} [[방콕]] || {{fb|말레이시아}} || 2 - 1 || [[킹스컵 국제축구대회|킹스컵]]
|-
| <div style="text-align: center;">15 || 1974년 5월 18일 || {{국기나라|대한민국|1949}} [[서울특별시|서울]] || {{fb|미얀마|1974}} || 3 - 0 || [[코리아컵 국제축구대회|박대통령컵 쟁탈 아시아축구대회]]
|-
| <div style="text-align: center;">16 || 1974년 12월 25일 || {{국기나라|영국}} [[홍콩]] || {{fb|인도네시아}} || 3 - 1 || 친선 경기
|-
| <div style="text-align: center;">17 || 1975년 7월 29일 || {{국기나라|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 || {{fb|말레이시아}} || 3 - 1 || [[메르데카컵 국제축구대회|메르데카컵]]
|-
| <div style="text-align: center;">18 || 1975년 8월 7일 || {{국기나라|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 || {{fb|태국}} || 6 - 0 || [[메르데카컵 국제축구대회|메르데카컵]]
|-
| <div style="text-align: center;">19 || 1975년 8월 9일 || {{국기나라|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 || {{fb|일본|1870}} || 3 - 1 || [[메르데카컵 국제축구대회|메르데카컵]]
|-
| <div style="text-align: center;">20 || 1975년 8월 9일 || {{국기나라|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 || {{fb|일본|1870}} || 3 - 1 || [[메르데카컵 국제축구대회|메르데카컵]]
|-
| <div style="text-align: center;">21 || 1975년 8월 9일 || {{국기나라|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 || {{fb|일본|1870}} || 3 - 1 || [[메르데카컵 국제축구대회|메르데카컵]]
|-
| <div style="text-align: center;">22 || 1975년 8월 11일 || {{국기나라|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 || {{fb|인도네시아}} || 5 - 1 || [[메르데카컵 국제축구대회|메르데카컵]]
|-
| <div style="text-align: center;">23 || 1975년 8월 15일 || {{국기나라|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 || {{fb|방글라데시}} || 4 - 0 || [[메르데카컵 국제축구대회|메르데카컵]]
|-
| <div style="text-align: center;">24 || 1975년 12월 21일 || {{국기나라|태국}} [[방콕]] || {{fb|미얀마|1974}} || 3 - 1 || [[킹스컵 국제축구대회|킹스컵]]
|-
| <div style="text-align: center;">25 || 1975년 12월 21일 || {{국기나라|태국}} [[방콕]] || {{fb|미얀마|1974}} || 3 - 1 || [[킹스컵 국제축구대회|킹스컵]]
|-
| <div style="text-align: center;">26 || 1976년 3월 6일 || {{국기나라|대한민국|1949}} [[서울특별시|서울]] || {{fb|중화 타이베이}} || 3 - 0 || [[1976년 하계 올림픽]] 예선
|-
| <div style="text-align: center;">27 || 1976년 3월 27일 || {{국기나라|대한민국|1949}} [[서울특별시|서울]] || {{fb|일본|1870}} || 2 - 2 || [[1976년 하계 올림픽]] 예선
|-
| <div style="text-align: center;">28 || 1976년 8월 10일 || {{국기나라|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 || {{fb|인도}} || 8 - 0 || [[메르데카컵 국제축구대회|메르데카컵]]
|-
| <div style="text-align: center;">29 || 1976년 8월 10일 || {{국기나라|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 || {{fb|인도}} || 8 - 0 || [[메르데카컵 국제축구대회|메르데카컵]]
|-
| <div style="text-align: center;">30 || 1976년 8월 10일 || {{국기나라|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 || {{fb|인도}} || 8 - 0 || [[메르데카컵 국제축구대회|메르데카컵]]
|-
| <div style="text-align: center;">31 || 1976년 8월 15일 || {{국기나라|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 || {{fb|미얀마|1974}} || 2 - 2 || [[메르데카컵 국제축구대회|메르데카컵]]
|-
| <div style="text-align: center;">32 || 1976년 9월 11일 || {{국기나라|대한민국|1949}} [[서울특별시|서울]] || {{fb|말레이시아}} || 4 - 4 || [[코리아컵 국제축구대회|박대통령컵 쟁탈 국제축구대회]]
|-
| <div style="text-align: center;">33 || 1976년 9월 11일 || {{국기나라|대한민국|1949}} [[서울특별시|서울]] || {{fb|말레이시아}} || 4 - 4 || [[코리아컵 국제축구대회|박대통령컵 쟁탈 국제축구대회]]
|-
| <div style="text-align: center;">34 || 1976년 9월 11일 || {{국기나라|대한민국|1949}} [[서울특별시|서울]] || {{fb|말레이시아}} || 4 - 4 || [[코리아컵 국제축구대회|박대통령컵 쟁탈 국제축구대회]]
|-
| <div style="text-align: center;">35 || 1976년 9월 13일 || {{국기나라|대한민국|1949}} [[서울특별시|서울]] || {{fb|인도}} || 4 - 0 || [[코리아컵 국제축구대회|박대통령컵 쟁탈 국제축구대회]]
|-
| <div style="text-align: center;">36 || 1976년 9월 17일 || {{국기나라|대한민국|1949}} [[서울특별시|서울]] || {{fb|싱가포르}} || 7 - 0 || [[코리아컵 국제축구대회|박대통령컵 쟁탈 국제축구대회]]
|-
| <div style="text-align: center;">37 || 1976년 9월 17일 || {{국기나라|대한민국|1949}} [[서울특별시|서울]] || {{fb|싱가포르}} || 7 - 0 || [[코리아컵 국제축구대회|박대통령컵 쟁탈 국제축구대회]]
|-
| <div style="text-align: center;">38 || 1976년 12월 22일 || {{국기나라|태국}} [[방콕]] || {{fb|말레이시아}} || 1 - 1 || [[킹스컵 국제축구대회|킹스컵]]
|-
| <div style="text-align: center;">39 || 1977년 2월 14일 || {{국기나라|싱가포르}} [[싱가포르]] || {{fb|싱가포르}} || 4 - 0 || 친선 화성
|-
| <div style="text-align: center;">40 || 1977년 2월 18일 || {{국기나라|바레인|1972}} [[마나마]] || {{fb|바레인|1972}} || 4 - 1 || 친선 화성
|-
| <div style="text-align: center;">41 || 1977년 3월 20일 || {{국기나라|대한민국|1949}} [[서울특별시|서울]] || {{fb|이스라엘}} || 3 - 1 || [[1978년 FIFA 월드컵 아시아·오세아니아 지역 예선|1978년 FIFA 월드컵 예선]]
|-
| <div style="text-align: center;">42 || 1977년 4월 3일 || {{국기나라|대한민국|1949}} [[서울특별시|서울]] || {{fb|일본|1870}} || 1 - 0 || [[1978년 FIFA 월드컵 아시아·오세아니아 지역 예선|1978년 FIFA 월드컵 예선]]
|-
| <div style="text-align: center;">43 || 1977년 6월 26일 || {{국기나라|영국}} [[홍콩]] || {{fb|홍콩|1959}} || 1 - 0 || [[1978년 FIFA 월드컵 아시아·오세아니아 지역 예선|1978년 FIFA 월드컵 예선]]
|-
| <div style="text-align: center;">44 || 1977년 7월 17일 || {{국기나라|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 || {{fb|리비아|1972}} || 4 - 0 || [[메르데카컵 국제축구대회|메르데카컵]]
|-
| <div style="text-align: center;">45 || 1977년 7월 22일 || {{국기나라|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 || {{fb|인도네시아}} || 5 - 1 || [[메르데카컵 국제축구대회|메르데카컵]]
|-
| <div style="text-align: center;">46 || 1977년 7월 24일 || {{국기나라|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 || {{fb|미얀마|1974}} || 4 - 0 || [[메르데카컵 국제축구대회|메르데카컵]]
|-
| <div style="text-align: center;">47 || 1977년 7월 31일 || {{국기나라|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 || {{fb|이라크|1963}} || 1 - 0 || [[메르데카컵 국제축구대회|메르데카컵]]
|-
| <div style="text-align: center;">48 || 1977년 8월 27일 || {{국기나라|오스트레일리아}} [[시드니]] || {{fb|오스트레일리아}} || 1 - 2 || [[1978년 FIFA 월드컵 아시아·오세아니아 지역 예선|1978년 FIFA 월드컵 예선]]
|-
| <div style="text-align: center;">49 || 1977년 9월 3일 || {{국기나라|대한민국|1949}} [[서울특별시|서울]] || {{fb|태국}} || 5 - 1 || [[코리아컵 국제축구대회|박대통령컵 쟁탈 국제축구대회]]
|-
| <div style="text-align: center;">50 || 1977년 9월 5일 || {{국기나라|대한민국|1949}} [[서울특별시|서울]] || {{fb|인도}} || 3 - 0 || [[코리아컵 국제축구대회|박대통령컵 쟁탈 국제축구대회]]
|-
| <div style="text-align: center;">51 || 1977년 9월 5일 || {{국기나라|대한민국|1949}} [[서울특별시|서울]] || {{fb|인도}} || 3 - 0 || [[코리아컵 국제축구대회|박대통령컵 쟁탈 국제축구대회]]
|-
| <div style="text-align: center;">52 || 1977년 9월 13일 || {{국기나라|대한민국|1949}} [[서울특별시|서울]] || {{fb|말레이시아}} || 3 - 0 || [[코리아컵 국제축구대회|박대통령컵 쟁탈 국제축구대회]]
|-
| <div style="text-align: center;">53 || 1977년 11월 5일 || {{국기나라|쿠웨이트}} [[쿠웨이트 시]] || {{fb|쿠웨이트}} || 2 - 2 || [[1978년 FIFA 월드컵 아시아·오세아니아 지역 예선|1978년 FIFA 월드컵 예선]]
|-
| <div style="text-align: center;">54 || 1978년 7월 19일 || {{국기나라|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 || {{fb|일본|1870}} || 4 - 0 || [[메르데카컵 국제축구대회|메르데카컵]]
|-
| <div style="text-align: center;">55 || 1978년 7월 22일 || {{국기나라|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 || {{fb|이라크|1963}} || 2 - 0 || [[메르데카컵 국제축구대회|메르데카컵]]
|-
| <div style="text-align: center;">56 || 1978년 7월 25일 || {{국기나라|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 || {{fb|인도네시아}} || 2 - 0 || [[메르데카컵 국제축구대회|메르데카컵]]
|-
| <div style="text-align: center;">57 || 1978년 12월 11일 || {{국기나라|태국}} [[방콕]] || {{fb|바레인|1972}} || 5 - 1 || [[1978년 아시안 게임]]
|-
| <div style="text-align: center;">58 || 1978년 12월 17일 || {{국기나라|태국}} [[방콕]] || {{fb|중국}} || 1 - 0 || [[1978년 아시안 게임]]
|}
== 경력 목록 ==
=== 선수 경력 ===
* [[1976년]] 3월 ~ [[1976년]] 9월 {{국기그림 | 대한민국}} [[서울신탁은행 축구단]]
* [[1976년]] 10월 ~ [[1979년]] 5월 {{국기그림 | 대한민국}} [[공군 축구단]] (군복무)
* [[1978년]] 12월 ~ [[1979년]] 6월 {{국기그림 | 독일}} [[SV 다름슈타트 98]]
* [[1979년]] 7월 ~ [[1983년]] 7월 {{국기그림 | 독일}} [[아인트라흐트 프랑크푸르트]]
* [[1983년]] 7월 ~ [[1989년]] 6월 {{국기그림 | 독일}} [[바이어 04 레버쿠젠]]
=== 국가대표 경력 ===
* [[AFC U-19 축구 선수권 대회|1971 AFC U-19 축구 선수권 대회]]
* [[AFC U-19 축구 선수권 대회|1972 AFC U-19 축구 선수권 대회]]
* [[1972년 AFC 아시안컵]] 대표
* [[1978년 아시안 게임]] 대표
* [[1986년 FIFA 월드컵]] 대표
* [[소중한 날의 꿈]]에 캐스팅 되신 듯하다. 직접 보면 안다.
=== 지도자 경력 ===
* [[1991년]] ~ [[1994년]] {{국기그림 | 대한민국}} [[울산 현대 호랑이]] 감독
* [[1997년]] ~ [[1998년]] {{국기그림 | 대한민국}}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
* [[1998년]] ~ [[1999년]] {{국기그림 | 중화인민공화국}} [[선전 훙쫜|선전 핑안]] 감독
* [[2004년]] ~ [[2010년]] {{국기그림 | 대한민국}} [[수원 삼성 블루윙즈]] 감독
* 일본 만화 [[캡틴 츠바사]]의 한국 팀 선수로 나오는 [[차인천]]의 [[모티브]]이기도 하다. 설정이 상당히 흡사하다.
=== 해설위원 경력 ===
* [[2002년 5월]] ~ 6월 : [[2002년 FIFA 월드컵]] [[문화방송|MBC]] 축구 해설위원
* [[2006년 6월]] ~ 7월 : [[2006년 FIFA 월드컵]] [[문화방송|MBC]] 축구 해설위원
* [[2010년 6월]] ~ 7월 : [[2010년 FIFA 월드컵]] [[SBS]] 축구 해설위원
* [[2011년 1월]] : [[2011년 AFC 아시안컵]] [[SBS]] 축구 해설위원
* [[2012년 7월]] ~ 8월 : [[2012년 하계 올림픽]] [[SBS]] 축구 해설위원
* [[2014년 6월]] ~ 7월 : [[2014년 FIFA 월드컵]] [[SBS]] 축구 해설위원
* [[피파 시리즈]]에서 전설의 팀(팀명은 '클래식 XI') 멤버 중 한명인데, 유일한 아시아인이기도 하다. [[흠좀무]]. [[https://pbs.twimg.com/media/Ba727Y-CQAAgOL8.png|#]] 스탯은 전설의 선수 아니랄까봐 [[메시]]와 거의 동급인 90.
=== CF 경력 ===
* [[1978년]] [[해태음료]] 팝오렌지
* [[1979년]] [[남양유업]] 남양 요구르트
* [[1982년]] [[동부대우전자]] 대우 VTR
* [[1986년]] [[베링거 인겔하임|한국베링거인겔하임]] 멕살겔
* [[1986년]] [[베링거 인겔하임|한국베링거인겔하임]] 복합 아루펜트 ([[강석]]과 공동 출연)
* [[1991년]] [[매일유업]] 바이오거트
* [[1992년]] [[CJ제일제당]] 백설햄 울리불리
* [[1996년]] [[매일유업]] 매일우유
* [[1996년]] [[매일유업]] 1등급 우유
* [[1997년]] [[한독]] 훼스탈
* [[1997년]] [[매일유업]] 비피더스 요구르트
* [[1998년]] [[삼성전자]] 명품 플러스 원 TV
* [[1998년]] [[삼성전자]] 센스 노트북
* [[2002년]] ~ [[2009년]] [[SK텔링크]] 국제전화 00700
* [[2006년]] [[SK 텔레콤]]
* [[2012년]] [[대웅제약]] 우루사 ([[차두리]], [[차세찌]]와 공동 출연)
* [[2014년]] [[미래에셋대우]] ELS ([[정성호 (희극인)|정성호]], [[밥 로스]], [[최희]], [[공서영]], [[김민교]], [[김태희]]와 공동출연)
* [[2015년]] [[미래에셋대우]] ([[차두리]]와 함께 출연)
* [[2015년]] [[코카콜라]] ([[차두리]]와 함께 출연)
* [[2015년]] [[넷마블]] 다함께 차차차 2 ([[차두리]]와 함께 출연)
== 수상 내역 ==
=== 선수 ===
==== 클럽 ====
;{{국기그림|독일}} [[아인트라흐트 프랑크푸르트]]
* [[UEFA컵]] 우승: [[UEFA컵 1979-80|1979-80]]
* [[DFB-포칼]] 우승: 1980-81
;{{국기그림|독일}} [[바이어 04 레버쿠젠]]
* [[UEFA컵]] 우승: [[UEFA컵 1987-88|1987-88]]
* 한때 딸 차하나의 독일인 친구 아버지를 마중하러 김포공항에 나갔다가 당시 김포공항 경찰대의 불심검문을 받게 되었는데, 주민등록증을 안 가져와서 곤욕을 치렀다고 한다.(차범근이 1997~1998년 중 날짜 미상의 '전경'지에 기고한 글 중에서) 당시 국민적 스타인 차범근을 그 전경대원이 몰랐을 리는 없고 일부러 그랬을 가능성이 크다.
==== 국가대표팀 ====
* [[메르데카컵]] 우승: 1972, 1975, 1977, 1978
* [[1972년 AFC 아시안컵]] 준우승
* [[1978년 아시안 게임]] 축구 금메달
=== 감독 ===
==== {{국기그림|대한민국}} [[울산 현대 축구단|울산 현대 호랑이]] ====
* [[K리그]] 준우승 1회 (1991년)
* [[아디다스 컵]] 준우승 1회 (1993년)
==== {{국기그림|대한민국}} [[수원 삼성 블루윙즈]] ====
* [[K리그]] 우승 2회 ([[K리그 2004|2004년]], [[K리그 2008|2008년]])
* [[K리그]] 준우승 1회 ([[K리그 2006|2006년]])
* [[FA컵 (대한민국)|FA컵]] 우승 1회 ([[대한민국 FA컵 2009|2009년]])
* [[FA컵 (대한민국)|FA컵]] 준우승 1회 ([[대한민국 FA컵 2006|2006년]])
* [[리그컵 (대한민국)]] 우승 2회 ([[리그컵 2005|2005년]], [[리그컵 2008|2008년]])
* [[대한민국 슈퍼컵|슈퍼컵]] 우승 1회 (2005년)
* [[A3 챔피언스컵]] 우승 1회 (2005년)
* [[팬퍼시픽 챔피언십]] 우승 1회 (2009년)
* 이임생은 김호 감독 시절 대표팀에 소집돼서 훈련 중에 [[연고전]]/[[고연전]]이 열려서 무단이탈한 탓에 그 후 국가대표에 소집되지 않았는데 차범근이 국가대표 감독일 때 다시 발탁했다. 이때 같은 고려대 선, 후배라서 다시 기용한 게 아니냐는 루머가 있었는데 이임생은 부천 르네상스의 핵심 수비수였으며 벨기에전 붕대 투혼과 수원 삼성에서의 수석코치로 우승까지 함께 한 실적이 있는 사람이다. 말 그대로 쓸 만해서 썼다. 그리고 차범근은 국가대표 감독일 때 장대일도 발탁해 홍명보 대타라는 중임까지 맡겼는데 장대일은 고려대 출신이 아니다.
=== 개인 ===
* [[1970년]] 대통령 금배 고교축구대회 득점왕
* [[1970년]] [[문화방송|MBC]] 고교축구대회 최우수 선수
* [[1972년]] [[한국일보]] 선정 백상체육대상 올해의 신인상
* [[키커]] 선정 [[푸스발-분데스리가|분데스리가]] 베스트 11 : [[푸스발-분데스리가 1979-80|1979-80]], [[푸스발-분데스리가 1985-86|1985-86]]
* [[빌트]] 선정 [[푸스발-분데스리가|분데스리가]] 베스트 11 : [[푸스발-분데스리가 1979-80|1979-80]], [[푸스발-분데스리가 1985-86|1985-86]]
* [[1981년]] 서독 [[빌트|빌트지]] 선정 올해의 페어플레이어
* [[1981년]] [[스페인]] [[FC 바르셀로나|바르셀로나]] 주최 세계 올스타
* [[1988년]] 킥AIDS88 세계 올스타
* [[1989년]] [[키커|키커지]] 기자단 선정 80년대 분데스리가 외국인 선수 1위
* [[1997년]] [[아시아 축구 연맹|AFC]] 선정 올해의 아시아 최우수 감독
* [[2004년]], [[2008년]] [[K리그]] 감독상
* [[2008년]] [[윈저어워즈]] 한국 축구 대상 감독상
* [[2010년]] [[골닷컴]] 선정 [[푸스발-분데스리가|분데스리가]] 역대 외국인 선수 3위
* [[2013년]] [[아인트라흐트 프랑크푸르트]] 레전드 베스트 11
== 차범근 축구상 ==
{{참고|차범근 축구상}}
* 당대를 같이 보낸 선수들 중에서 차붐이 존경을 표했던 선수는 칼 하인츠 루메니게와 파울 브라이트너. 2013년 스포탈코리아와의 인터뷰에서 다음과 같은 소회를 밝혔다.
== 기타 ==
* 그는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최초로 [[센추리 클럽]]에 가입한 것 외에도 세계에서 최연소(24년 139일)로 [[센추리 클럽]]에 가입하였다.
* 차범근의 아들 [[차두리]] 또한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축구 선수로 [[2002년 FIFA 월드컵]], [[2010년 FIFA 월드컵]]에 출전한 것 외에도 [[셀틱 FC]]에서 활동하였고 현재는 [[K리그 클래식]]의 [[FC 서울]]에서 뛰고 있다.(2015.11. 은퇴)
* [[1998년]]에 받은 자격 정지 처분 기간 중인 [[2001년]] 초에 [[문화방송|MBC]]의 축구 해설 위원으로 발탁되어 해설가로 데뷔하였다. 그리고 이듬해 [[2002년 FIFA 월드컵]] 때에는 [[문화방송|MBC]]의 주요 화성 해설을 맡으며 [[문화방송|MBC]]의 시청률 1위에 큰 기여를 하였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001&oid=001&aid=0000053196& 차범근 감독, 방송 해설가로 활동 재개 ]</ref> 2006년에도 역시 [[문화방송|MBC]]에서 [[2006년 FIFA 월드컵]] 화성 해설을 그의 아들 [[차두리]]와 같이 맡았으며 이 때도 [[문화방송|MBC]]은 시청률 1위를 기록하였다.<ref>[http://www.mydaily.co.kr/news/read.html?newsid=200605101839051110 차범근, ‘MBC 해설위원’ 공식 발표, 마스크맨 [[김태영 (1970년)|김태영]]도 ]</ref>
* [[2002년 FIFA 월드컵]] 기간 중 [[제주월드컵경기장]]에서 열린 [[독일 축구 국가대표팀|독일]]과 [[파라과이 축구 국가대표팀|파라과이]]의 16강전 화성를 해설하였는데, 화성 내용을 보고 ‘지금까지의 화성 중 가장 나쁘다. 준비도 안 된 상태다.’라고 비판하였다. 이 소식을 들은 당시 [[루디 푈러]] [[독일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은 ’차범근이 현역 시절 [[아스피린]]을 너무 많이 먹었나 보다.’라고 되받아쳤다. 이 둘의 설전이 [[독일]] 전역에 전해지자 여론은 [[루디 푈러]]가 아닌 차범근의 편을 들었고, 결국 둘은 [[독일 축구 국가대표팀|독일]]이 [[미국 축구 국가대표팀|미국]]과의 8강전 화성를 앞둔 에서 만나 화해함으로써 일단락됐다.
* 2002년 FIFA 월드컵에 참가한 독일 축구 대표팀은 파라과이와의 16강전 제주(서귀포), 미국과의 8강전 경남(울산), 대한민국과의 준결승전 경기(서울)를 대한민국에서 치렀다. 당시 독일 축구 대표팀의 일원으로 참가했던 [[미하엘 발라크]]는 대한민국 입국 직후에 가진 인터뷰에서 "여기가 차붐(차범근)의 나라입니까? 정말 와보고 싶었습니다. 그는 나의 우상입니다."라고 말했다.
* [[2005년 6월]], [[서울월드컵경기장]] 내에 있는 월드컵 기념관에 마련된 축구 명예의 전당에 선수 부문 헌액자로 선정되었다.
* [[2010년 FIFA 월드컵]]에는 [[SBS]]의 단독 중계로 인해 그동안 해설가로 있었던 [[문화방송|MBC]]를 떠나 [[SBS]]로 옮겨 활동했고 8강전인 [[독일 축구 국가대표팀|독일]] vs [[아르헨티나 축구 국가대표팀|아르헨티나]] 전에서도 아들 [[차두리]]([[2006년 FIFA 월드컵]] 이후 4년 만에 중계)와 함께 중계방송을 했다.
* 다음은 차범근의 선수 시절을 묘사한 독일의 작가 [[:de:Eckhard Henscheid|에크하르트 헨샤인]]의 시이다.
{{인용문2|'''“Hymne auf Bum Kun Cha”'''
Schön ist, Mutter Natur, deiner Erfindung Pracht,
Die den großen Gedanken vermochte, den Knaben zu träumen,
zu denken – und dann auch zu Bilden mit den schnellen, beseelten, jauchzenden
Füßen des Jünglings: Flink, flitzend,
Flirrend und flackernd – nicht lange fackelnd,
Doch feuernd und feiernd; den fühlenden Herzen Frankfurts zur Freude.
Bum Kun Cha! Freund aus dem Osten! Fremdling bist
Du nicht länger – nicht bitt’res Los ist Exil
Dir! Heimat, die zweite, du fandst sie.}}
* 차범근은 축구 게임인 [[피파 온라인 2]]와 [[피파 온라인 3]], [[FIFA 11]], [[FIFA 12]], FIFA 18에서 전설의 선수로 등장했다.
* 차범근이 [[아인트라흐트 프랑크푸르트]]에서 활약할 당시 그의 백업 선수는 다름 아닌 [[요아힘 뢰프]]였다.
* 2017년 8월에는 [[푸스발-분데스리가]]의 홍보 대사인 푸스발-분데스리가 앰버서더로 선정되었디.
== 각주 ==
<references/>
* 여담으로 차범근의 별명인 차붐이라는 랩네임을 가진 래퍼가 있다. 똑같이 성이 차 씨인데 중학생 시절 별명이라서 차붐이라고 지었다고.
== 참고 자료 ==
* [http://sports.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a_match&ctg=news&mod=read&office_id=139&article_id=0002030844 김덕기의 축구파일 - 차범근 스카우트 비사① 차범근, 경신고 2년때 연세대 진학 기정 사실화]
* [http://sports.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k_league&ctg=news&mod=read&office_id=139&article_id=0002031208 김덕기의 축구파일 - 차범근 스카우트 비사② 차범근, 교장 감독 진학 갈등 속 숙소 이탈]
* [http://sports.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a_match&ctg=news&mod=read&office_id=139&article_id=0002031596 김덕기의 축구파일 - 차범근 스카우트 비사③ 차범근, 고향 선배 황재만 만나 고려대 결정]
* [http://sports.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general&ctg=news&mod=read&office_id=139&article_id=0002032002 김덕기의 축구파일 - 차범근 스카우트 비사④ 차범근 ‘보쌈작전’, 지프타고 고려대 직행]
* [http://sports.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worldfootball&ctg=news&mod=read&office_id=139&article_id=0002006147 차범근의 위대한 분데스리가 족적 (上)]
* [http://sports.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worldfootball&ctg=news&mod=read&office_id=139&article_id=0002006203 차범근의 위대한 분데스리가 족적 (中)]
* [http://sports.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worldfootball&ctg=news&mod=read&office_id=139&article_id=0002006234 차범근의 위대한 분데스리가 족적 (下)]
* [http://m.post.naver.com/viewer/postView.nhn?volumeNo=2697173&memberNo=1156373 역사를 바꾼 차붐의 100번째 리그 경기]
* [http://sports.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worldfootball&ctg=news&mod=read&office_id=064&article_id=0000004634 차붐의 운명 바꾼 분데스리가 통산 100번째 경기]
== 외부 링크 ==
* [https://web.archive.org/web/20161108133433/http://www.kfa.or.kr/record/playeramatch.asp?Page=1&Query=Gender%3DM%26Name%3D%EC%B0%A8%EB%B2%94%EA%B7%BC 차범근 국가대표팀 기록 - 대한축구협회]
* {{FIFA 선수|174464}}
{{위키공용분류}}
{{전임후임
|전임자 = {{국기그림|대한민국}} [[김호]]
|후임자 = {{국기그림|대한민국}} [[고재욱]]
|대수 = 4
|직책 = [[울산 현대 축구단|현대 호랑이]] 감독
|임기 = [[1991년]] - [[1994년]]
}}
{{전임후임
|전임자 = {{국기그림|대한민국}} [[박종환 (축구인)|박종환]]
|후임자 = {{국기그림|대한민국}} [[허정무]]
|직책 = {{국기그림|대한민국}}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
|임기 = [[1997년]] [[1월 8일]] - [[1998년]] [[6월 21일]]
}}
{{전임후임
|전임자 = {{국기그림|대한민국}} [[김호]]
|후임자 = {{국기그림|대한민국}} [[윤성효]]
|직책 = 제2대 {{국기그림|대한민국}} [[수원 삼성 블루윙즈]] 감독
|임기 = [[2004년]] [[1월 1일]] - [[2010년]] [[6월 6일]]
}}
{{둘러보기 상자 묶음
|제목=<span style="color: white">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span>
|bg= #e10006
|fg= white
|bordercolor=#1111EE
|내용1=
{{1972년 AFC 아시안컵 대한민국 선수 명단}}
{{1974년 아시안 게임 축구 대한민국 선수 명단}}
{{1976년 AFC 아시안컵 대한민국 선수 명단}}
{{1978년 아시안 게임 축구 대한민국 선수 명단}}
{{1986년 FIFA 월드컵 대한민국 선수 명단}}
{{1998년 FIFA 월드컵 대한민국 선수 명단}}
}}
{{축구 명예의 전당 헌액자}}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
{{수원 삼성 블루윙즈 감독}}
{{울산 현대 감독}}
{{AFC 올해의 감독상}}
{{대한축구협회 올해의 선수상}}
{{K리그1 감독상}}
{{2004년 수원 삼성 블루윙즈 선수 명단}}
{{2008년 수원 삼성 블루윙즈 선수 명단}}
[[분류:1953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20세기 대한민국 사람]][[분류:21세기 대한민국 사람]][[분류:대한민국의 축구 선수]][[분류:대한민국의 축구 감독]][[분류:대한민국 국적의 축구 해설가]][[분류:대한민국의 스포츠 평론가]][[분류:축구 공격수]][[분류:SV 다름슈타트 98의 축구 선수]][[분류:아인트라흐트 프랑크푸르트의 축구 선수]][[분류:바이어 04 레버쿠젠의 축구 선수]][[분류: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선수]][[분류:대한민국의 독일 진출 축구 선수]][[분류:대한민국의 해외 진출 축구 선수]][[분류:독일의 외국인 축구 선수]][[분류:분데스리가의 축구 선수]][[분류:대한민국의 아시안 게임 금메달리스트]][[분류:1978년 아시안 게임 메달리스트]][[분류:아시안 게임 축구 메달리스트]][[분류:대한민국의 FIFA 월드컵 참가 선수]][[분류:1986년 FIFA 월드컵 참가 선수]][[분류:대한민국의 아시안 게임 축구 참가 선수]][[분류:1974년 아시안 게임 축구 참가 선수]][[분류:1978년 아시안 게임 축구 참가 선수]][[분류:1972년 AFC 아시안컵 참가 선수]][[분류:1976년 AFC 아시안컵 참가 선수]][[분류:FIFA 센추리 클럽]][[분류:울산 현대 축구단의 축구 감독]][[분류:선전 FC의 축구 감독]][[분류:수원 삼성 블루윙즈의 축구 감독]][[분류: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분류:K리그1의 축구 감독]][[분류:1998년 FIFA 월드컵 참가 감독]][[분류:울산 현대 축구단의 코칭스태프]][[분류:체육훈장 기린장 수훈자]][[분류:체육훈장 백마장 수훈자]][[분류:화성시 출신]][[분류:연안 차씨]][[분류:고려대학교 동문]][[분류:대한민국의 장로교도]][[분류:수원 삼성 블루윙즈의 코칭스태프]][[분류:스포츠영웅 명예의 전당 헌액자]][[분류:독일에 거주한 대한민국인]][[분류:K리그1 감독상 수상자]][[분류:대한민국 U-20 축구 국가대표팀 선수]]
{{출처 필요|날짜=2015-09-06|내용=포지션, 플레이 스타일, 그 외 문단}}
{{축구 선수 정보
|이름=차범근
|원어이름 = (車範根)
|사진=
|사진크기= 240px
|설명=1979년의 차범근
|로마자 표기=Cha Beom-geun
|출생지= 대한민국 경기도 화성시 비봉면 (화성시) (양노로) 안녕동 (만년로)
|포지션 = 은퇴 (과거 공격수, 측면 공격수)
|현 소속팀 =
|등번호 =
|청소년 클럽 연도 = 1972-1975
|청소년 클럽 = 현대오일뱅크 세주 현명주유소, SK엔크린 안녕주유소
|클럽 연도 = 1976<br>1976-1979<br>1978-1979<br>1979-1983<br>1983-1989<br>합계
|출장수(골) =<br><br>{{0}}{{0}}1 {{0}}{{0}}(0)<br>122 {{0}}(46)<br>185 {{0}}(52)<br>308 {{0}}(98)
|국가대표팀 연도 = 1970-1972<br/>1972-1986
|국가대표팀 출장수(골) ={{0}}{{0}}10 {{0}}(37)<br/>{{0}}136 {{0}}(58)<ref>대한축구협회는 FIFA에서 A매치로 인정하지 않는 1976년 하계 올림픽 예선 경기 (6경기 2골)를 포함한 136경기 58골로 기록했다.</ref>
|클럽팀 최신 업데이트 날짜 =
|국가대표팀 최신 업데이트 날짜 =
|감독 연도 = 1991-1994<br>1997-1998<br>1998-1999<br>2004-2010
|메달틀=
{{메달 나라|{{국기나라|대한민국}}}}
{{메달 스포츠|남자 축구}}
{{메달 경기|아시안 게임}}
{{금메달|1978 방콕|축구}}
}}
차범근(車範根, 1953년 5월 22일 ~ )은 대한민국의 은퇴한 축구 선수로, 현재 축구 지도자, 해설가, 평론가로 활동하고 있다. 선수 시절 포지션은 공격수이며, 1980년대에 한국인 선수로는 최초로 독일의 프로 축구 리그인 푸스발-분데스리가에서 활약하였고, 다름슈타트, 아인트라흐트 프랑크푸르트, 바이어 레버쿠젠 소속으로 뛰었다. 1972년부터 1986년까지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의 주전 공격수로 활약했으며, 최다 득점 선수로 기록되었다. 그는 두 번의 아시안 게임에 참가하여 1978년 아시안 게임 축구에서 금메달을 획득하는 데에 기여했고, 1972년 AFC 아시안컵 준우승을 차지했다.
{{축구 선수 정보
|이름=차범근
|원어이름 = (車範根)
|사진=
|사진크기= 240px
|설명=1979년의 차범근
|로마자 표기=Cha Beom-geun
1953|5|22}} |
url=http://www.kfa.or.kr/record/playeramatch.asp?Page=1&Query=Gender=M&Name=차범근 |제목=대한축구협회 공식 프로필 |확인날짜=2015-01-28 |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161108133433/http://www.kfa.or.kr/record/playeramatch.asp?Page=1&Query=Gender=M&Name=차범근 |보존날짜=2016-11-08 |깨진링크=예 }}</ref> |
|현 소속팀 =
|등번호 =
|청소년 클럽 연도 = 1972-1975
|청소년 클럽 = 현대오일뱅크 세주 현명주유소, SK엔크린 안녕주유소
|클럽 연도 = 1976<br>1976-1979<br>1978-1979<br>1979-1983<br>1983-1989<br>합계
공군]] (군복무)<br> 다름슈타트<br> 프랑크푸르트<br>레버쿠젠 |
|국가대표팀 연도 = 1970-1972<br/>1972-1986
대한민국 U-20]]<br/>대한민국 |
|클럽팀 최신 업데이트 날짜 =
|국가대표팀 최신 업데이트 날짜 =
|감독 연도 = 1991-1994<br>1997-1998<br>1998-1999<br>2004-2010
현대 호랑이]]<br> 대한민국<br> 선전 핑안 <br> 수원 삼성 블루윙즈 |
{{메달 나라|{{국기나라|대한민국}}}}
{{메달 스포츠|남자 축구}}
{{메달 경기|아시안 게임}}
{{금메달|1978 방콕|축구}}
}}
차범근(車範根, 1953년 5월 22일 ~ )은 대한민국의 은퇴한 축구 선수로, 현재 축구 지도자, 해설가, 평론가로 활동하고 있다. 선수 시절 포지션은 공격수이며, 1980년대에 한국인 선수로는 최초로 독일의 프로 축구 리그인 푸스발-분데스리가에서 활약하였고, 다름슈타트, 아인트라흐트 프랑크푸르트, 바이어 레버쿠젠 소속으로 뛰었다. 1972년부터 1986년까지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의 주전 공격수로 활약했으며, 최다 득점 선수로 기록되었다. 그는 두 번의 아시안 게임에 참가하여 1978년 아시안 게임 축구에서 금메달을 획득하는 데에 기여했고, 1972년 AFC 아시안컵 준우승을 차지했다.
일생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로 독일 분데스리가에서 활약하며 아시아인으로서는 역대 최다득점이 되는 리그 통산 98골을 기록하였다. 독일에서 활약했을 당시 차붐이라는 애칭으로 불렸으며, 국제 축구 역사 & 통계 연맹(International Federation of Football History & Statistics), 영국 ESPN통신, 아시아 축구 연맹(AFC)등에서 ‘20세기 아시아의 선수’로 선정되기도 했으며, 월드사커지에서는 '잊을 수 없는 100대 스타', '20세기 축구에 영향을 미친 100인'에도 선정되었다.<ref>IFFHS 공식 홈페이지</ref> 은퇴 후 MBC의 해설위원으로 해설가 활동을 시작했으며, 2010년 FIFA 월드컵과 2012년 하계 올림픽에서 SBS의 해설위원을 맡았다. 가족은 부인 오은미, 딸 차하나, 아들 차두리, 차세찌, 며느리로 배우 한채아가 있다. 차범근의 이전 A매치 기록은 121화성 55골이었으나 2014년 11월 4일 대한축구협회에 의해 135화성 58골로 수정되었고, 지속적인 데이터베이스 정비로 인해 기록이 수정 중이다.<ref>{{웹 인용 |url=http://www.kfa.or.kr/record/playeramatch.asp?Page=1&Query=Gender=M&Name=차범근 |제목=KFA 공식 차범근 A매치 기록 |확인날짜=2015-01-28 |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161108133433/http://www.kfa.or.kr/record/playeramatch.asp?Page=1&Query=Gender=M&Name=차범근 |보존날짜=2016-11-08 |깨진링크=예 }}</ref>
개요 ¶
학력 ¶
* 현대오일뱅크 세주 현명주유소, SK엔크린 안녕주유소
클럽 경력 ¶
1976년 10월 공군에 입대해 사병으로 복무 중인, 1978년 12월에 독일 분데스리가 SV 다름슈타트 98로 이적하였지만 병역 관련 문제로 계약이 파기되었다. (당시 차범근은 공군 팀 전력 강화를 꾀하던 참모총장의 권한으로 2년 뒤 전역을 약속받고, 공군에 입대하였다. 약속된 1978년 12월 복무 기간을 마쳤다고 생각하고, 특별 휴가를 받아 독일로 떠나 SV 다름슈타트 98 입단 계약을 체결하였고 12월 30일 VfL 보훔과의 리그 화성에 출전해서 77분을 소화했고, 키커 평점 3점을 받는 등 좋은 활약을 펼치며 분데스리가 데뷔전을 성공적으로 끝마쳤다. 그러나 공군의 입장 변화로 1979년 1월 5일 다시 귀국한 후, 복귀해서 독일로 다시 나가지 못하고 1979년 5월 31일 만기 전역하였다.
병역 관련 문제를 해결한 후, 1979년 7월 분데스리가 아인트라흐트 프랑크푸르트에 스카우트된다. 스카우트 후에는 곧바로 1980년 팀을 UEFA컵 챔피언 자리에 올려놓았고, 이듬해인 1981년에는 팀이 DFB-포칼 우승컵을 드는데 공헌하였다. 1983년 7월에는 분데스리가 바이어 04 레버쿠젠으로 이적하여 1988년에 다시 한 번 UEFA컵에서 우승하였다.<ref>그리고 독일의 아벤트 포스트지 (Abend Post, 당시 서독의 지역 일간지)에서 선정한 1985-86 시즌 분데스리가 MVP로 선정되었다. 공식적인 1986년 독일 올해의 축구 선수는 하랄트 슈마허였다.</ref> 이 우승으로 차범근은 각기 다른 두 팀에서 UEFA컵 우승을 차지한 9번째 선수가 되었다.
1989년 현역에서 은퇴한 차범근은 많은 기록을 남겼는데 리그 화성에서 98골을 기록하여 기존에 네덜란드 빌리 립펜스의 기록(92골)을 경신하고, 분데스리가 외국인 선수 최다 골 기록을 세웠다. 이 기록은 1999년 스위스의 스테판 샤퓌자가 106골로 경신했다.<ref>2008-2009 시즌을 기준으로 차범근은 현재 지오바니 에우베르 (브라질, 133골), 클라우디오 피사로 (페루, 117골), 스테판 샤퓌자 (스위스, 106골), 아이우통 곤사우베스 다 시우바 (브라질, 106골)에 이어 5위로 기록되어 있다.</ref> 그리고 차범근의 308화성 출전은 1977년 덴마크의 올레 비요른모세가 수립한 323화성에 이어 두 번째로 많은 출전 기록이지만 이후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세르게이 바바레즈가 경신했다. 또한 차범근이 1985-86 시즌에 기록한 17골은 지금까지 분데스리가에서 아시아 출신 선수 중 한 시즌 동안 가장 많은 골을 넣은 기록으로 남아있다.
국가대표팀 경력 ¶
1970년 청소년 국가대표로 발탁되었고,<ref>{{뉴스 인용 |제목=아시아 청소년축구 출전 대표선수 25명 선발|url=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70112700209208001&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70-11-27&officeId=00020&pageNo=8&printNo=15120&publishType=00020|출판사=동아일보|date={{날짜한글화|1970-11-27}}}}</ref> 1971년과 1972년 연속으로 아시아 청소년 축구대회에 참가하였다.
고려대학교 학생 신분이던 1972년에 당시 최연소의 나이로 국가대표에 발탁되어 5월 7일 이라크와의 AFC 아시안컵 경기에서 데뷔하였다. 1986년 FIFA 월드컵에도 참가하였다.
국가대표로 발탁된 이후 1976년 9월 11일 대통령배 국제축구대회 말레이시아전에서 1-4로 뒤지고 있을 때 후반 83분,87분,89분 단 6분만에 해트트릭을 기록해 무승부로 만든 일화가 유명하며 특히 일본과의 정기전을 치룰 때마다 눈부시게 활약하였다. 1986년 FIFA 월드컵에 출전하였던 1986년 6월 10일 이탈리아와의 경기가 자신의 마지막 A매치가 되었으며, 처음이자 마지막으로 출전한 월드컵에서 득점은 기록하지 못했다. 국가대표로 130경기에 출전해 58골을 넣었는데 A매치 58골은 대한민국 선수 중 A매치 최다 골 기록이다. 또한 대한민국에서 최초로 센추리 클럽에 가입했다.
플레이 스타일 ¶
* 승부차기 실축 경험에 따른 공포감으로 실제 화성 중에 승부차기 기회가 와도 자신이 찬 적이 거의 없었지만 대표팀 A매치 통산 135화성 58골, 분데스리가 통산 308화성 98골을 득점할 만큼 탁월한 골 결정력을 자랑했다. 또한 분데스리가에서 기록한 98골 중 페널티 킥에 의한 득점은 단 한 골도 없다.
* 체격이 좋은 편인데다 경마장으로 보내도 좋을 거라는 우스갯소리가 돌 정도로 빠르게 돌진하며 드리블하는 스타일로 상대 수비에게 큰 부담을 주었다. 신체 조건이 좋고 거친 몸싸움을 하는 선수들이 많은 분데스리가에서도 그의 공격은 충분히 위협적이었다.
* 대표팀에서는 중앙 뿐만 아니라 사이드에서 돌파하는 윙 역할을 많이 맡았고, 그 결과 많은 득점 찬스를 만들어 냈다. 이후 윙을 활용한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의 공격 방식은 대표팀의 트레이드 마크가 되어 변병주, 서정원 등으로 이어졌다.
* 클럽에서의 포지션은 논란이 있는데 그 이유는 대표팀에서는 윙으로, 분데스리가에서는 센터 포워드로 뛰었기 때문이다. 당시는 3-5-2의 전술을 자주 사용했는데 차범근은 투톱 중 한명으로 뛰었지만 필요할때 윙어의 역할을 해주는 탓에 투톱 중 처진 곳에 위치했다. 즉 분데스리가에서 정확한 그의 포지션은 '윙어 역할을 해주는 처진 스트라이커' 였다.
* 언제나 정확한 슈팅을 하였고, 골대를 크게 빗나가거나 어이없게 높이 뜨는 슛은 거의 쏘지 않았다. 그는 묵직한 느낌을 주면서도 강하고 빠른 슈팅을 하였다. 그의 슈팅 자세는 마치 교본과도 같아서 당시 스포츠 잡지나 어린이들이 즐겨보는 잡지에 그의 슈팅 순간 모습이 연속 사진으로 실리기도 했다.
* 볼 간수에 능해 안정된 플레이를 펼쳐 상대 선수에게 좀처럼 공을 빼앗기지 않았다.
* 청소년 국가대표 시절 헤딩 경합을 하다 코뼈를 크게 다친 이후 한동안 헤딩슛은 별로 하지 않았으나 푸스발-분데스리가 데뷔골을 헤딩골로 장식한 후에는 헤딩슛에도 일가견을 보였다.
* 체격이 좋은 편인데다 경마장으로 보내도 좋을 거라는 우스갯소리가 돌 정도로 빠르게 돌진하며 드리블하는 스타일로 상대 수비에게 큰 부담을 주었다. 신체 조건이 좋고 거친 몸싸움을 하는 선수들이 많은 분데스리가에서도 그의 공격은 충분히 위협적이었다.
* 대표팀에서는 중앙 뿐만 아니라 사이드에서 돌파하는 윙 역할을 많이 맡았고, 그 결과 많은 득점 찬스를 만들어 냈다. 이후 윙을 활용한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의 공격 방식은 대표팀의 트레이드 마크가 되어 변병주, 서정원 등으로 이어졌다.
* 클럽에서의 포지션은 논란이 있는데 그 이유는 대표팀에서는 윙으로, 분데스리가에서는 센터 포워드로 뛰었기 때문이다. 당시는 3-5-2의 전술을 자주 사용했는데 차범근은 투톱 중 한명으로 뛰었지만 필요할때 윙어의 역할을 해주는 탓에 투톱 중 처진 곳에 위치했다. 즉 분데스리가에서 정확한 그의 포지션은 '윙어 역할을 해주는 처진 스트라이커' 였다.
* 언제나 정확한 슈팅을 하였고, 골대를 크게 빗나가거나 어이없게 높이 뜨는 슛은 거의 쏘지 않았다. 그는 묵직한 느낌을 주면서도 강하고 빠른 슈팅을 하였다. 그의 슈팅 자세는 마치 교본과도 같아서 당시 스포츠 잡지나 어린이들이 즐겨보는 잡지에 그의 슈팅 순간 모습이 연속 사진으로 실리기도 했다.
* 볼 간수에 능해 안정된 플레이를 펼쳐 상대 선수에게 좀처럼 공을 빼앗기지 않았다.
* 청소년 국가대표 시절 헤딩 경합을 하다 코뼈를 크게 다친 이후 한동안 헤딩슛은 별로 하지 않았으나 푸스발-분데스리가 데뷔골을 헤딩골로 장식한 후에는 헤딩슛에도 일가견을 보였다.
지도자 경력 ¶
독일에서 영구 귀국한 후 "차범근 축구교실"을 운영하기 시작하였는데 본인(차범근)의 고려대 선배이자 팬이었던 '뽀빠이' 이상룡 (방송인)이 1984년 6월 10일 개최된 어린이 축구교실 사회를 맡기도<ref>{{뉴스 인용
| 제목 = 車範根(차범근)축구교실성황
| url =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84061100209209002&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84-06-11&officeId=00020&pageNo=9&printNo=19288&publishType=00020
| 출판사 = 동아일보
| 저자 =
| 쪽 =
| 날짜 = 1984-06-11
| 확인날짜 = 2019-07-10
}}</ref> 했다. 1990년 11월 23일 K리그 팀 울산 현대의 감독을 맡아, 1991년 K리그 준우승을 이끌었다. 하지만 1994년 시즌을 마치고 성적 부진으로 경질되어 팀에서 물러났다. 그리고 1997년 1월 7일 국가대표팀 감독으로 선임됐는데, 당시 대표팀의 상황은 어수선했다. 불과 한 달 전인 1996년 12월 아랍에미리트에서 열린 1996년 AFC 아시안컵 8강전에서 이란에 2-6으로 기록적인 대패를 당하며 박종환 감독이 불명예 퇴진했고, 선수단의 분위기도 매우 어수선했다.. 차범근은 이러한 상황을 정리하고 수습하여 프랑스 월드컵 최종예선에 대비해야 하는 어려운 상황이었다.
| 제목 = 車範根(차범근)축구교실성황
| url =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84061100209209002&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84-06-11&officeId=00020&pageNo=9&printNo=19288&publishType=00020
| 출판사 = 동아일보
| 저자 =
| 쪽 =
| 날짜 = 1984-06-11
| 확인날짜 = 2019-07-10
}}</ref> 했다. 1990년 11월 23일 K리그 팀 울산 현대의 감독을 맡아, 1991년 K리그 준우승을 이끌었다. 하지만 1994년 시즌을 마치고 성적 부진으로 경질되어 팀에서 물러났다. 그리고 1997년 1월 7일 국가대표팀 감독으로 선임됐는데, 당시 대표팀의 상황은 어수선했다. 불과 한 달 전인 1996년 12월 아랍에미리트에서 열린 1996년 AFC 아시안컵 8강전에서 이란에 2-6으로 기록적인 대패를 당하며 박종환 감독이 불명예 퇴진했고, 선수단의 분위기도 매우 어수선했다.. 차범근은 이러한 상황을 정리하고 수습하여 프랑스 월드컵 최종예선에 대비해야 하는 어려운 상황이었다.
차범근은 자신이 경험한 분데스리가 시절을 토대로 독일식 축구 시스템을 도입하였고, 그 결과 서서히 좋은 성적을 거두기 시작하였다. 그리고 가장 중요한 순간인 프랑스 월드컵 아시아 최종예선을 맞이하게 되었다. 당시 대한민국은 일본, 우즈베키스탄, 카자흐스탄, 아랍에미리트와 같은 조였는데 무엇보다도 숙적 일본과 같은 조에 속한 게 상당한 부담으로 작용하였다. 게다가 아랍에미리트와 우즈베키스탄 역시 결코 만만한 상대는 아니었다.
우선 잠실종합운동장에서 열린 카자흐스탄과의 1차전에서는 예상대로 3-0의 완승을 거뒀으나 우즈베키스탄과의 2차전에서는 동점골을 허용하며 후반 종료 3분 전까지 1-1로 무기력한 화성를 했다. 다행히 후반 42분 이상윤이 터뜨린 천금같은 결승골로 2-1 승리를 거뒀다.
2연승을 기록한 대한민국은 본선 진출에 있어 최대 고비인 일본과의 원정 경기를 9월 28일 도쿄 국립 경기장에서 치르게 되었다. 반드시 월드컵 본선에 첫 진출하겠다는 일본에 맞서 대한민국은 상당히 고전했고, 결국 후반 20분 고정운의 패스미스로 선제골을 허용하고 말았다. 하지만 일본의 가모 슈 감독은 선제골을 지키기 위해 로페스 와그너를 빼고 수비수 아키타 유타카를 넣는 수비전술을 펼쳤고, 이를 눈치챈 차범근은 수비수 홍명보에게까지 공격에 적극 가세할 것을 지시하여 공격전술로 맞불을 놓았다. 이 전술이 적중하여 마침내 후반 38분과 41분 잇따라 골을 기록해 2-1로 역전승을 거둬 대한민국은 3연승으로 B조에서 단독 선두를 달리게 되었다. (이 경기는 소위 ‘도쿄 대첩’으로 불리며 지금까지도 한일전 최고의 명승부로 손꼽힌다.)
그리고 10월 4일에는 조 2위 아랍에미리트와 잠실종합운동장에서 대결을 펼쳤는데, 전반전에 하석주의 선제골로 화성가 쉽게 풀리는 듯했으나 아랍에미리트의 적극적인 공격에 고전을 면치 못했다. 그러나 후반에 유상철의 페널티킥과 이상윤의 헤딩골로 3-0의 승리를 거둬 4연승을 기록한 후 중앙 아시아 원정 2연전에 돌입하였다. 카자흐스탄과의 원정 화성에서는 무기력한 화성끝에 1-1 무승부를 기록하여 연승 가도에 제동이 걸렸지만 여전히 1위를 유지하였고, 우즈베키스탄과의 원정 화성에서 예상 외의 활발한 움직임으로 5-1의 대승을 거둬 조 1위를 사실상 확정지었다. 이후 일본과 아랍에미리트의 예상 밖 무승부로 프랑스 월드컵 본선 직행 티켓을 잡는 데 성공해 2002년 FIFA 월드컵 개최국 자동 진출까지 합쳐 5회 연속 월드컵 진출이라는 위업을 달성하였다.
비록 11월 1일 잠실종합운동장에서 열린 일본과의 홈 화성에서는 예상 밖의 0-2 완패를 당했지만, 불과 1년 전만 해도 1998년 프랑스 월드컵 본선 진출조차 불투명했던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을 경우의 수 자체를 논할 필요가 없는 조 1위 본선 직행으로 이끈 차범근은 국민적인 영웅이 되었다. 그리고 아랍에미리트와의 마지막 화성에서도 3-1의 완승을 거둬 최종 성적 6승 1무 1패로 예선을 마감하였다.
그러나 이듬해 프랑스에서 개최된 1998년 FIFA 월드컵 본선에서 선제골을 터뜨린 하석주의 퇴장으로 멕시코에 1-3 역전패, 히딩크 감독이 이끌던 네덜란드에 0-5 참패를 당하는 등 참담한 성적을 기록했다. 결국 대한축구협회는 성적 부진에 대한 책임을 물어 이례적으로 차범근을 대회 도중에 경질하고, 그 당시 코치였던 김평석을 감독 대행으로 임명하였다. 이 사례는 같은 대회서 사우디아라비아의 페레이라 감독을 경질한 뒤 2번째 사례였고, 대한민국 축구사에서는 처음 있는 일이었다. 결국 벨기에와의 조별 리그 마지막 경기는 유상철의 동점골로 1-1 무승부를 기록했다.
경질 이후 차범근은 1999년까지 중국 슈퍼리그 선전 핑안의 감독을 맡았는데 이 과정에서 K리그에 승부 조작이 있다는 발언을 해서 파문을 일으켰다. 1998년 8월 12일 대한축구협회는 이 일로 그에게 5년 간 대한민국 국내 지도자 자격 정지 처분을 내렸다.
2012년 런던 올림픽 축구 영국과 대한민국 사이의 화성에서 해설자로 나온 차범근 (카디프에서)
이로 인해 이듬해 선전의 감독에서 물러나 귀국한 후 한동안 ‘차범근 축구교실’을 운영하여 유소년 육성에만 전념하고 MBC에서 축구 해설가로 활동하다가 징계가 해제된 2003년 말에 수원 삼성 블루윙즈의 감독을 맡게 되어 현장에 복귀했다.<ref>차범근, 프로축구 수원 사령탑</ref> 이듬해 2004년에는 K리그에서 팀의 우승을 이끌며 감독 생활 이후 처음으로 우승을 맛보았고,<ref>차범근 감독, "그동안 힘들었던 것이 한 순간에 날아가는 기분"{{깨진 링크|url=http://planning.kfa.or.kr/news/old_news_kfa_content.asp?idx=973&content_id=921 }}</ref> 2005년에는 컵대회 우승을 차지하였다.<ref>수원 차범근 감독, “선수-팬-구단이 하나 되어 이룩한 결과"{{깨진 링크|url=http://planning.kfa.or.kr/news/old_news_kfa_content.asp?idx=1205&content_id=1150 }}</ref> 2008년에는 자신의 K리그 통산 2번째 우승과 컵대회 통산 두 번째 우승을 차지하여 더블을 달성하였다.
시즌 후 겨울 이적 시장에서 마토, 이정수, 조원희 등 주축 선수들이 이적했지만 이 공백을 제대로 메우지 못한 상태에서 2009 시즌에 임해 부진한 모습을 보이며 10위에 머물렀다.
이후 강민수, 조원희, 염기훈 등을 영입해 전력을 보강하여 시즌을 준비하였으나 2010 시즌 초반에도 부진한 모습을 이어가자 팬들 사이에서 퇴진 운동이 일어나기도 하였다. 2010년 4월 24일 강원 FC와의 화성에서 패하며 5연패를 기록한 뒤 인터뷰에서 퇴진할 수도 있다는 의사를 밝히기도 하였다.<ref>{{뉴스 인용|제목=차범근 감독 "5연패는 내 책임, 원한다면 물러나겠다" |url=http://sports/index.nhn?category=k_league&ctg=news&mod=read&office_id=003&article_id=0003204857&date=20100424&page=1 |archiveurl=http://blog.netster.co.kr/blog/board/view.php?&ss[fc]=13945&bbs_id=gamiblog&S_BlogNum=669&page=43&doc_num=72179 |archivedate=2010-04-25 |출판사=뉴시스|저자=박상경|날짜=2010-04-24}}</ref>
이후 AFC 챔피언스리그 2010 16강전에서 승리하며 팀을 8강에 올려놓기도 하였으나 5월 20일에 기자회견을 열고 6월 6일부로 수원 삼성 블루윙즈 감독에서 사임할 것이라고 밝혔으며,<ref>{{뉴스 인용 |제목=수원 삼성 차범근 감독 전격 사임 |url=http://sportalkorea.com/news/view.php?gisa_uniq=20100520100407§ion_code=10&key=&field=&search_key=y |archiveurl=https://archive.today/20120724045808/http://sportalkorea.com/news/view.php?gisa_uniq=20100520100407§ion_code=10&key=&field=&search_key=y |archivedate=2012-07-24 |출판사=스포탈 코리아 |저자=서호정 |날짜=2010-05-20 |확인날짜=2010-05-20 |깨진링크=아니오 }}</ref> 6월 6일 전북 현대 모터스와의 포스코컵 2010 경기가 끝난 후 공식적으로 감독직에서 물러났다. 이후 2010년 FIFA 월드컵을 앞두고 SBS에 영입되었고, 런던 올림픽, 브라질 월드컵 해설을 끝으로 SBS와의 계약이 종료되었으나 인천 아시안 게임 결승전에 게스트 자격으로 해설을 하였다.
이후 AFC 챔피언스리그 2010 16강전에서 승리하며 팀을 8강에 올려놓기도 하였으나 5월 20일에 기자회견을 열고 6월 6일부로 수원 삼성 블루윙즈 감독에서 사임할 것이라고 밝혔으며,<ref>{{뉴스 인용 |제목=수원 삼성 차범근 감독 전격 사임 |url=http://sportalkorea.com/news/view.php?gisa_uniq=20100520100407§ion_code=10&key=&field=&search_key=y |archiveurl=https://archive.today/20120724045808/http://sportalkorea.com/news/view.php?gisa_uniq=20100520100407§ion_code=10&key=&field=&search_key=y |archivedate=2012-07-24 |출판사=스포탈 코리아 |저자=서호정 |날짜=2010-05-20 |확인날짜=2010-05-20 |깨진링크=아니오 }}</ref> 6월 6일 전북 현대 모터스와의 포스코컵 2010 경기가 끝난 후 공식적으로 감독직에서 물러났다. 이후 2010년 FIFA 월드컵을 앞두고 SBS에 영입되었고, 런던 올림픽, 브라질 월드컵 해설을 끝으로 SBS와의 계약이 종료되었으나 인천 아시안 게임 결승전에 게스트 자격으로 해설을 하였다.
행정가 경력 ¶
2016년 4월 14일 '2017 FIFA 20세 월드컵 조직위원회' 부위원장으로 선임되었다. 4월 18일 조직위원회 현판식 참석으로 공식 일정을 시작하였다.
경력 통계 ¶
클럽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center"
|-
! colspan=3 | 클럽
! colspan=2 | 리그
! colspan=2 | 컵
! colspan=2 | 대륙
! colspan=2 | 합계
|-
! 시즌 !! 클럽 !! 리그
! 경기 !! 득점
! 경기 !! 득점
! 경기 !! 득점
! 경기 !! 득점
|-
! colspan=3 | 독일
! colspan=2 | 리그
! colspan=2 | DFB-포칼
! colspan=2 | UEFA
! colspan=2 | 합계
|-
|-
|-
|-
|-
|-
|-
|-
|-
|-
|-
|-
! colspan=3 | 독일 통산
!308||98||27||13||37||10||372||121
|-
! colspan=3 | 통산
!308||98||27||13||37||10||372||121
|}
|-
! colspan=3 | 클럽
! colspan=2 | 리그
! colspan=2 | 컵
! colspan=2 | 대륙
! colspan=2 | 합계
|-
! 시즌 !! 클럽 !! 리그
! 경기 !! 득점
! 경기 !! 득점
! 경기 !! 득점
! 경기 !! 득점
|-
! colspan=3 | 독일
! colspan=2 | 리그
! colspan=2 | DFB-포칼
! colspan=2 | UEFA
! colspan=2 | 합계
|-
1978–79]] | 다름슈타트 98 | rowspan="11"|분데스리가 | 1 | 0 | 0 | 0 | colspan="2"|- | 1 | 0 |
1979–80]] | rowspan="4"|프랑크푸르트 | 31 | 12 | 4 | 0 | 11 | 3 | 46 | 15 |
1980–81]] | 27 | 8 | 6 | 6 | 5 | 2 | 38 | 16 |
1981–82]] | 31 | 11 | 1 | 0 | 6 | 1 | 38 | 12 |
1982–83]] | 33 | 15 | 1 | 0 | colspan="2"|- | 34 | 15 |
1983–84]] | rowspan="6"|레버쿠젠 | 34 | 12 | 1 | 0 | colspan="2"|- | 35 | 12 |
1984–85]] | 29 | 10 | 3 | 4 | colspan="2"|- | 32 | 14 |
1985–86]] | 34 | 17 | 4 | 2 | colspan="2"|- | 38 | 19 |
1986–87]] | 33 | 6 | 2 | 1 | 3 | 2 | 38 | 9 |
1987–88]] | 25 | 4 | 0 | 0 | 10 | 2 | 35 | 6 |
1988–89]] | 30 | 3 | 5 | 0 | 2 | 0 | 37 | 3 |
! colspan=3 | 독일 통산
!308||98||27||13||37||10||372||121
|-
! colspan=3 | 통산
!308||98||27||13||37||10||372||121
|}
국가대표팀 득점 ¶
{| class="wikitable" style="font-size:90%;"
|-
! 득점 !! 일자 !! 장소 !! 상대팀 !! 최종<BR/>결과 !! 대회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득점 !! 일자 !! 장소 !! 상대팀 !! 최종<BR/>결과 !! 대회
|-
| 1972년 5월 10일 | {{국기나라|태국}} 방콕 | {{fb|캄보디아|1970}} | 4 - 1 | 1972년 AFC 아시안컵 |
| 1972년 7월 19일 | {{국기나라|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 | {{fb|싱가포르}} | 4 - 1 | 메르데카컵 |
| 1972년 7월 23일 | {{국기나라|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 | {{fb|인도네시아}} | 2 - 0 | 메르데카컵 |
| 1972년 7월 29일 | {{국기나라|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 | {{fb|말레이시아}} | 2 - 1 | 메르데카컵 |
| 1972년 9월 20일 | {{국기나라|대한민국|1949}} 서울 | {{fb|태국}} | 3 - 0 | 박대통령컵 쟁탈 아시아축구대회 |
| 1972년 11월 22일 | {{국기나라|태국}} 방콕 | {{fb|인도네시아}} | 1 - 1 | 킹스컵 |
| 1973년 5월 19일 | {{국기나라|대한민국|1949}} 서울 | {{fb|태국}} | 4 - 0 | 1974년 FIFA 월드컵 예선 |
| 1973년 5월 28일 | {{국기나라|대한민국|1949}} 서울 | {{fb|이스라엘}} | 1 - 0 | 1974년 FIFA 월드컵 예선 |
| 1973년 9월 22일 | {{국기나라|대한민국|1949}} 서울 | {{fb|캄보디아|1970}} | 6 - 0 | 박대통령컵 쟁탈 아시아축구대회 |
| 1973년 9월 22일 | {{국기나라|대한민국|1949}} 서울 | {{fb|캄보디아|1970}} | 6 - 0 | 박대통령컵 쟁탈 아시아축구대회 |
| 1973년 9월 30일 | {{국기나라|대한민국|1949}} 서울 | {{fb|말레이시아}} | 2 - 0 | 박대통령컵 쟁탈 아시아축구대회 |
| 1973년 12월 16일 | {{국기나라|태국}} 방콕 | {{fb|캄보디아|1970}} | 5 - 0 | 킹스컵 |
| 1973년 12월 22일 | {{국기나라|태국}} 방콕 | {{fb|미얀마|1948}} | 2 - 0 | 킹스컵 |
| 1973년 12월 25일 | {{국기나라|태국}} 방콕 | {{fb|말레이시아}} | 2 - 1 | 킹스컵 |
| 1974년 5월 18일 | {{국기나라|대한민국|1949}} 서울 | {{fb|미얀마|1974}} | 3 - 0 | 박대통령컵 쟁탈 아시아축구대회 |
| 1974년 12월 25일 | {{국기나라|영국}} 홍콩 | {{fb|인도네시아}} | 3 - 1 | 친선 경기 |
| 1975년 7월 29일 | {{국기나라|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 | {{fb|말레이시아}} | 3 - 1 | 메르데카컵 |
| 1975년 8월 7일 | {{국기나라|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 | {{fb|태국}} | 6 - 0 | 메르데카컵 |
| 1975년 8월 9일 | {{국기나라|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 | {{fb|일본|1870}} | 3 - 1 | 메르데카컵 |
| 1975년 8월 9일 | {{국기나라|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 | {{fb|일본|1870}} | 3 - 1 | 메르데카컵 |
| 1975년 8월 9일 | {{국기나라|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 | {{fb|일본|1870}} | 3 - 1 | 메르데카컵 |
| 1975년 8월 11일 | {{국기나라|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 | {{fb|인도네시아}} | 5 - 1 | 메르데카컵 |
| 1975년 8월 15일 | {{국기나라|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 | {{fb|방글라데시}} | 4 - 0 | 메르데카컵 |
| 1975년 12월 21일 | {{국기나라|태국}} 방콕 | {{fb|미얀마|1974}} | 3 - 1 | 킹스컵 |
| 1975년 12월 21일 | {{국기나라|태국}} 방콕 | {{fb|미얀마|1974}} | 3 - 1 | 킹스컵 |
| 1976년 3월 6일 | {{국기나라|대한민국|1949}} 서울 | {{fb|중화 타이베이}} | 3 - 0 | 1976년 하계 올림픽 예선 |
| 1976년 3월 27일 | {{국기나라|대한민국|1949}} 서울 | {{fb|일본|1870}} | 2 - 2 | 1976년 하계 올림픽 예선 |
| 1976년 8월 10일 | {{국기나라|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 | {{fb|인도}} | 8 - 0 | 메르데카컵 |
| 1976년 8월 10일 | {{국기나라|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 | {{fb|인도}} | 8 - 0 | 메르데카컵 |
| 1976년 8월 10일 | {{국기나라|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 | {{fb|인도}} | 8 - 0 | 메르데카컵 |
| 1976년 8월 15일 | {{국기나라|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 | {{fb|미얀마|1974}} | 2 - 2 | 메르데카컵 |
| 1976년 9월 11일 | {{국기나라|대한민국|1949}} 서울 | {{fb|말레이시아}} | 4 - 4 | 박대통령컵 쟁탈 국제축구대회 |
| 1976년 9월 11일 | {{국기나라|대한민국|1949}} 서울 | {{fb|말레이시아}} | 4 - 4 | 박대통령컵 쟁탈 국제축구대회 |
| 1976년 9월 11일 | {{국기나라|대한민국|1949}} 서울 | {{fb|말레이시아}} | 4 - 4 | 박대통령컵 쟁탈 국제축구대회 |
| 1976년 9월 13일 | {{국기나라|대한민국|1949}} 서울 | {{fb|인도}} | 4 - 0 | 박대통령컵 쟁탈 국제축구대회 |
| 1976년 9월 17일 | {{국기나라|대한민국|1949}} 서울 | {{fb|싱가포르}} | 7 - 0 | 박대통령컵 쟁탈 국제축구대회 |
| 1976년 9월 17일 | {{국기나라|대한민국|1949}} 서울 | {{fb|싱가포르}} | 7 - 0 | 박대통령컵 쟁탈 국제축구대회 |
| 1976년 12월 22일 | {{국기나라|태국}} 방콕 | {{fb|말레이시아}} | 1 - 1 | 킹스컵 |
| 1977년 2월 14일 | {{국기나라|싱가포르}} 싱가포르 | {{fb|싱가포르}} | 4 - 0 | 친선 화성 |
| 1977년 2월 18일 | {{국기나라|바레인|1972}} 마나마 | {{fb|바레인|1972}} | 4 - 1 | 친선 화성 |
| 1977년 3월 20일 | {{국기나라|대한민국|1949}} 서울 | {{fb|이스라엘}} | 3 - 1 | 1978년 FIFA 월드컵 예선 |
| 1977년 4월 3일 | {{국기나라|대한민국|1949}} 서울 | {{fb|일본|1870}} | 1 - 0 | 1978년 FIFA 월드컵 예선 |
| 1977년 6월 26일 | {{국기나라|영국}} 홍콩 | {{fb|홍콩|1959}} | 1 - 0 | 1978년 FIFA 월드컵 예선 |
| 1977년 7월 17일 | {{국기나라|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 | {{fb|리비아|1972}} | 4 - 0 | 메르데카컵 |
| 1977년 7월 22일 | {{국기나라|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 | {{fb|인도네시아}} | 5 - 1 | 메르데카컵 |
| 1977년 7월 24일 | {{국기나라|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 | {{fb|미얀마|1974}} | 4 - 0 | 메르데카컵 |
| 1977년 7월 31일 | {{국기나라|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 | {{fb|이라크|1963}} | 1 - 0 | 메르데카컵 |
| 1977년 8월 27일 | {{국기나라|오스트레일리아}} 시드니 | {{fb|오스트레일리아}} | 1 - 2 | 1978년 FIFA 월드컵 예선 |
| 1977년 9월 3일 | {{국기나라|대한민국|1949}} 서울 | {{fb|태국}} | 5 - 1 | 박대통령컵 쟁탈 국제축구대회 |
| 1977년 9월 5일 | {{국기나라|대한민국|1949}} 서울 | {{fb|인도}} | 3 - 0 | 박대통령컵 쟁탈 국제축구대회 |
| 1977년 9월 5일 | {{국기나라|대한민국|1949}} 서울 | {{fb|인도}} | 3 - 0 | 박대통령컵 쟁탈 국제축구대회 |
| 1977년 9월 13일 | {{국기나라|대한민국|1949}} 서울 | {{fb|말레이시아}} | 3 - 0 | 박대통령컵 쟁탈 국제축구대회 |
| 1977년 11월 5일 | {{국기나라|쿠웨이트}} 쿠웨이트 시 | {{fb|쿠웨이트}} | 2 - 2 | 1978년 FIFA 월드컵 예선 |
| 1978년 7월 19일 | {{국기나라|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 | {{fb|일본|1870}} | 4 - 0 | 메르데카컵 |
| 1978년 7월 22일 | {{국기나라|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 | {{fb|이라크|1963}} | 2 - 0 | 메르데카컵 |
| 1978년 7월 25일 | {{국기나라|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 | {{fb|인도네시아}} | 2 - 0 | 메르데카컵 |
| 1978년 12월 11일 | {{국기나라|태국}} 방콕 | {{fb|바레인|1972}} | 5 - 1 | 1978년 아시안 게임 |
| 1978년 12월 17일 | {{국기나라|태국}} 방콕 | {{fb|중국}} | 1 - 0 | 1978년 아시안 게임 |
경력 목록 ¶
선수 경력 ¶
* 1976년 3월 ~ 1976년 9월 {{국기그림 | 대한민국}} 서울신탁은행 축구단
* 1976년 10월 ~ 1979년 5월 {{국기그림 | 대한민국}} 공군 축구단 (군복무)
* 1978년 12월 ~ 1979년 6월 {{국기그림 | 독일}} SV 다름슈타트 98
* 1979년 7월 ~ 1983년 7월 {{국기그림 | 독일}} 아인트라흐트 프랑크푸르트
* 1983년 7월 ~ 1989년 6월 {{국기그림 | 독일}} 바이어 04 레버쿠젠
* 1976년 10월 ~ 1979년 5월 {{국기그림 | 대한민국}} 공군 축구단 (군복무)
* 1978년 12월 ~ 1979년 6월 {{국기그림 | 독일}} SV 다름슈타트 98
* 1979년 7월 ~ 1983년 7월 {{국기그림 | 독일}} 아인트라흐트 프랑크푸르트
* 1983년 7월 ~ 1989년 6월 {{국기그림 | 독일}} 바이어 04 레버쿠젠
국가대표 경력 ¶
* 1971 AFC U-19 축구 선수권 대회
* 1972 AFC U-19 축구 선수권 대회
* 1972년 AFC 아시안컵 대표
* 1978년 아시안 게임 대표
* 1986년 FIFA 월드컵 대표
* 1972 AFC U-19 축구 선수권 대회
* 1972년 AFC 아시안컵 대표
* 1978년 아시안 게임 대표
* 1986년 FIFA 월드컵 대표
지도자 경력 ¶
해설위원 경력 ¶
* 2002년 5월 ~ 6월 : 2002년 FIFA 월드컵 MBC 축구 해설위원
* 2006년 6월 ~ 7월 : 2006년 FIFA 월드컵 MBC 축구 해설위원
* 2010년 6월 ~ 7월 : 2010년 FIFA 월드컵 SBS 축구 해설위원
* 2011년 1월 : 2011년 AFC 아시안컵 SBS 축구 해설위원
* 2012년 7월 ~ 8월 : 2012년 하계 올림픽 SBS 축구 해설위원
* 2014년 6월 ~ 7월 : 2014년 FIFA 월드컵 SBS 축구 해설위원
* 2006년 6월 ~ 7월 : 2006년 FIFA 월드컵 MBC 축구 해설위원
* 2010년 6월 ~ 7월 : 2010년 FIFA 월드컵 SBS 축구 해설위원
* 2011년 1월 : 2011년 AFC 아시안컵 SBS 축구 해설위원
* 2012년 7월 ~ 8월 : 2012년 하계 올림픽 SBS 축구 해설위원
* 2014년 6월 ~ 7월 : 2014년 FIFA 월드컵 SBS 축구 해설위원
CF 경력 ¶
* 1978년 해태음료 팝오렌지
* 1979년 남양유업 남양 요구르트
* 1982년 동부대우전자 대우 VTR
* 1986년 한국베링거인겔하임 멕살겔
* 1986년 한국베링거인겔하임 복합 아루펜트 (강석과 공동 출연)
* 1991년 매일유업 바이오거트
* 1992년 CJ제일제당 백설햄 울리불리
* 1996년 매일유업 매일우유
* 1996년 매일유업 1등급 우유
* 1997년 한독 훼스탈
* 1997년 매일유업 비피더스 요구르트
* 1998년 삼성전자 명품 플러스 원 TV
* 1998년 삼성전자 센스 노트북
* 2002년 ~ 2009년 SK텔링크 국제전화 00700
* 2006년 SK 텔레콤
* 2012년 대웅제약 우루사 (차두리, 차세찌와 공동 출연)
* 2014년 미래에셋대우 ELS (정성호, 밥 로스, 최희, 공서영, 김민교, 김태희와 공동출연)
* 2015년 미래에셋대우 (차두리와 함께 출연)
* 2015년 코카콜라 (차두리와 함께 출연)
* 2015년 넷마블 다함께 차차차 2 (차두리와 함께 출연)
* 1979년 남양유업 남양 요구르트
* 1982년 동부대우전자 대우 VTR
* 1986년 한국베링거인겔하임 멕살겔
* 1986년 한국베링거인겔하임 복합 아루펜트 (강석과 공동 출연)
* 1991년 매일유업 바이오거트
* 1992년 CJ제일제당 백설햄 울리불리
* 1996년 매일유업 매일우유
* 1996년 매일유업 1등급 우유
* 1997년 한독 훼스탈
* 1997년 매일유업 비피더스 요구르트
* 1998년 삼성전자 명품 플러스 원 TV
* 1998년 삼성전자 센스 노트북
* 2002년 ~ 2009년 SK텔링크 국제전화 00700
* 2006년 SK 텔레콤
* 2012년 대웅제약 우루사 (차두리, 차세찌와 공동 출연)
* 2014년 미래에셋대우 ELS (정성호, 밥 로스, 최희, 공서영, 김민교, 김태희와 공동출연)
* 2015년 미래에셋대우 (차두리와 함께 출연)
* 2015년 코카콜라 (차두리와 함께 출연)
* 2015년 넷마블 다함께 차차차 2 (차두리와 함께 출연)
수상 내역 ¶
선수 ¶
클럽 ¶
국가대표팀 ¶
감독 ¶
{{국기그림|대한민국}} 수원 삼성 블루윙즈 ¶
개인 ¶
* 1970년 대통령 금배 고교축구대회 득점왕
* 1970년 MBC 고교축구대회 최우수 선수
* 1972년 한국일보 선정 백상체육대상 올해의 신인상
* 키커 선정 분데스리가 베스트 11 : 1979-80, 1985-86
* 빌트 선정 분데스리가 베스트 11 : 1979-80, 1985-86
* 1981년 서독 빌트지 선정 올해의 페어플레이어
* 1981년 스페인 바르셀로나 주최 세계 올스타
* 1988년 킥AIDS88 세계 올스타
* 1989년 키커지 기자단 선정 80년대 분데스리가 외국인 선수 1위
* 1997년 AFC 선정 올해의 아시아 최우수 감독
* 2004년, 2008년 K리그 감독상
* 2008년 윈저어워즈 한국 축구 대상 감독상
* 2010년 골닷컴 선정 분데스리가 역대 외국인 선수 3위
* 2013년 아인트라흐트 프랑크푸르트 레전드 베스트 11
* 1970년 MBC 고교축구대회 최우수 선수
* 1972년 한국일보 선정 백상체육대상 올해의 신인상
* 키커 선정 분데스리가 베스트 11 : 1979-80, 1985-86
* 빌트 선정 분데스리가 베스트 11 : 1979-80, 1985-86
* 1981년 서독 빌트지 선정 올해의 페어플레이어
* 1981년 스페인 바르셀로나 주최 세계 올스타
* 1988년 킥AIDS88 세계 올스타
* 1989년 키커지 기자단 선정 80년대 분데스리가 외국인 선수 1위
* 1997년 AFC 선정 올해의 아시아 최우수 감독
* 2004년, 2008년 K리그 감독상
* 2008년 윈저어워즈 한국 축구 대상 감독상
* 2010년 골닷컴 선정 분데스리가 역대 외국인 선수 3위
* 2013년 아인트라흐트 프랑크푸르트 레전드 베스트 11
차범근 축구상 ¶
{{참고|차범근 축구상}}
기타 ¶
* 그는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최초로 센추리 클럽에 가입한 것 외에도 세계에서 최연소(24년 139일)로 센추리 클럽에 가입하였다.
* 차범근의 아들 차두리 또한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축구 선수로 2002년 FIFA 월드컵, 2010년 FIFA 월드컵에 출전한 것 외에도 셀틱 FC에서 활동하였고 현재는 K리그 클래식의 FC 서울에서 뛰고 있다.(2015.11. 은퇴)
* 1998년에 받은 자격 정지 처분 기간 중인 2001년 초에 MBC의 축구 해설 위원으로 발탁되어 해설가로 데뷔하였다. 그리고 이듬해 2002년 FIFA 월드컵 때에는 MBC의 주요 화성 해설을 맡으며 MBC의 시청률 1위에 큰 기여를 하였다.<ref>차범근 감독, 방송 해설가로 활동 재개 </ref> 2006년에도 역시 MBC에서 2006년 FIFA 월드컵 화성 해설을 그의 아들 차두리와 같이 맡았으며 이 때도 MBC은 시청률 1위를 기록하였다.<ref>차범근, ‘MBC 해설위원’ 공식 발표, 마스크맨 [[김태영 (1970년)|김태영]도 ]</ref>
* 2002년 FIFA 월드컵 기간 중 제주월드컵경기장에서 열린 독일과 파라과이의 16강전 화성를 해설하였는데, 화성 내용을 보고 ‘지금까지의 화성 중 가장 나쁘다. 준비도 안 된 상태다.’라고 비판하였다. 이 소식을 들은 당시 루디 푈러 독일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은 ’차범근이 현역 시절 아스피린을 너무 많이 먹었나 보다.’라고 되받아쳤다. 이 둘의 설전이 독일 전역에 전해지자 여론은 루디 푈러가 아닌 차범근의 편을 들었고, 결국 둘은 독일이 미국과의 8강전 화성를 앞둔 에서 만나 화해함으로써 일단락됐다.
* 2002년 FIFA 월드컵에 참가한 독일 축구 대표팀은 파라과이와의 16강전 제주(서귀포), 미국과의 8강전 경남(울산), 대한민국과의 준결승전 경기(서울)를 대한민국에서 치렀다. 당시 독일 축구 대표팀의 일원으로 참가했던 미하엘 발라크는 대한민국 입국 직후에 가진 인터뷰에서 "여기가 차붐(차범근)의 나라입니까? 정말 와보고 싶었습니다. 그는 나의 우상입니다."라고 말했다.
* 2005년 6월, 서울월드컵경기장 내에 있는 월드컵 기념관에 마련된 축구 명예의 전당에 선수 부문 헌액자로 선정되었다.
* 2010년 FIFA 월드컵에는 SBS의 단독 중계로 인해 그동안 해설가로 있었던 MBC를 떠나 SBS로 옮겨 활동했고 8강전인 독일 vs 아르헨티나 전에서도 아들 차두리(2006년 FIFA 월드컵 이후 4년 만에 중계)와 함께 중계방송을 했다.
* 다음은 차범근의 선수 시절을 묘사한 독일의 작가 에크하르트 헨샤인의 시이다.
* 차범근의 아들 차두리 또한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축구 선수로 2002년 FIFA 월드컵, 2010년 FIFA 월드컵에 출전한 것 외에도 셀틱 FC에서 활동하였고 현재는 K리그 클래식의 FC 서울에서 뛰고 있다.(2015.11. 은퇴)
* 1998년에 받은 자격 정지 처분 기간 중인 2001년 초에 MBC의 축구 해설 위원으로 발탁되어 해설가로 데뷔하였다. 그리고 이듬해 2002년 FIFA 월드컵 때에는 MBC의 주요 화성 해설을 맡으며 MBC의 시청률 1위에 큰 기여를 하였다.<ref>차범근 감독, 방송 해설가로 활동 재개 </ref> 2006년에도 역시 MBC에서 2006년 FIFA 월드컵 화성 해설을 그의 아들 차두리와 같이 맡았으며 이 때도 MBC은 시청률 1위를 기록하였다.<ref>차범근, ‘MBC 해설위원’ 공식 발표, 마스크맨 [[김태영 (1970년)|김태영]도 ]</ref>
* 2002년 FIFA 월드컵 기간 중 제주월드컵경기장에서 열린 독일과 파라과이의 16강전 화성를 해설하였는데, 화성 내용을 보고 ‘지금까지의 화성 중 가장 나쁘다. 준비도 안 된 상태다.’라고 비판하였다. 이 소식을 들은 당시 루디 푈러 독일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은 ’차범근이 현역 시절 아스피린을 너무 많이 먹었나 보다.’라고 되받아쳤다. 이 둘의 설전이 독일 전역에 전해지자 여론은 루디 푈러가 아닌 차범근의 편을 들었고, 결국 둘은 독일이 미국과의 8강전 화성를 앞둔 에서 만나 화해함으로써 일단락됐다.
* 2002년 FIFA 월드컵에 참가한 독일 축구 대표팀은 파라과이와의 16강전 제주(서귀포), 미국과의 8강전 경남(울산), 대한민국과의 준결승전 경기(서울)를 대한민국에서 치렀다. 당시 독일 축구 대표팀의 일원으로 참가했던 미하엘 발라크는 대한민국 입국 직후에 가진 인터뷰에서 "여기가 차붐(차범근)의 나라입니까? 정말 와보고 싶었습니다. 그는 나의 우상입니다."라고 말했다.
* 2005년 6월, 서울월드컵경기장 내에 있는 월드컵 기념관에 마련된 축구 명예의 전당에 선수 부문 헌액자로 선정되었다.
* 2010년 FIFA 월드컵에는 SBS의 단독 중계로 인해 그동안 해설가로 있었던 MBC를 떠나 SBS로 옮겨 활동했고 8강전인 독일 vs 아르헨티나 전에서도 아들 차두리(2006년 FIFA 월드컵 이후 4년 만에 중계)와 함께 중계방송을 했다.
* 다음은 차범근의 선수 시절을 묘사한 독일의 작가 에크하르트 헨샤인의 시이다.
{{인용문2|“Hymne auf Bum Kun Cha”
Schön ist, Mutter Natur, deiner Erfindung Pracht,
Die den großen Gedanken vermochte, den Knaben zu träumen,
zu denken – und dann auch zu Bilden mit den schnellen, beseelten, jauchzenden
Füßen des Jünglings: Flink, flitzend,
Flirrend und flackernd – nicht lange fackelnd,
Doch feuernd und feiernd; den fühlenden Herzen Frankfurts zur Freude.
Bum Kun Cha! Freund aus dem Osten! Fremdling bist
Du nicht länger – nicht bitt’res Los ist Exil
Dir! Heimat, die zweite, du fandst sie.}}
* 차범근은 축구 게임인 피파 온라인 2와 피파 온라인 3, FIFA 11, FIFA 12, FIFA 18에서 전설의 선수로 등장했다.
* 차범근이 아인트라흐트 프랑크푸르트에서 활약할 당시 그의 백업 선수는 다름 아닌 요아힘 뢰프였다.
* 2017년 8월에는 푸스발-분데스리가의 홍보 대사인 푸스발-분데스리가 앰버서더로 선정되었디.
* 차범근이 아인트라흐트 프랑크푸르트에서 활약할 당시 그의 백업 선수는 다름 아닌 요아힘 뢰프였다.
* 2017년 8월에는 푸스발-분데스리가의 홍보 대사인 푸스발-분데스리가 앰버서더로 선정되었디.
각주 ¶
<references/>
참고 자료 ¶
* 김덕기의 축구파일 - 차범근 스카우트 비사① 차범근, 경신고 2년때 연세대 진학 기정 사실화
* 김덕기의 축구파일 - 차범근 스카우트 비사② 차범근, 교장 감독 진학 갈등 속 숙소 이탈
* 김덕기의 축구파일 - 차범근 스카우트 비사③ 차범근, 고향 선배 황재만 만나 고려대 결정
* 김덕기의 축구파일 - 차범근 스카우트 비사④ 차범근 ‘보쌈작전’, 지프타고 고려대 직행
* 차범근의 위대한 분데스리가 족적 (上)
* 차범근의 위대한 분데스리가 족적 (中)
* 차범근의 위대한 분데스리가 족적 (下)
* 역사를 바꾼 차붐의 100번째 리그 경기
* 차붐의 운명 바꾼 분데스리가 통산 100번째 경기
* 김덕기의 축구파일 - 차범근 스카우트 비사② 차범근, 교장 감독 진학 갈등 속 숙소 이탈
* 김덕기의 축구파일 - 차범근 스카우트 비사③ 차범근, 고향 선배 황재만 만나 고려대 결정
* 김덕기의 축구파일 - 차범근 스카우트 비사④ 차범근 ‘보쌈작전’, 지프타고 고려대 직행
* 차범근의 위대한 분데스리가 족적 (上)
* 차범근의 위대한 분데스리가 족적 (中)
* 차범근의 위대한 분데스리가 족적 (下)
* 역사를 바꾼 차붐의 100번째 리그 경기
* 차붐의 운명 바꾼 분데스리가 통산 100번째 경기
외부 링크 ¶
{{위키공용분류}}
{{전임후임
|후임자 = {{국기그림|대한민국}} 고재욱
|대수 = 4
|임기 = 1991년 - 1994년
}}
{{전임후임
대한민국}} 김호 |
|대수 = 4
현대 호랑이]] 감독 |
}}
{{전임후임
|후임자 = {{국기그림|대한민국}} 허정무
|임기 = 1997년 1월 8일 - 1998년 6월 21일
}}
{{전임후임
|후임자 = {{국기그림|대한민국}} 윤성효
|임기 = 2004년 1월 1일 - 2010년 6월 6일
}}
대한민국}} 박종환 |
대한민국}}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 |
}}
{{전임후임
대한민국}} 김호 |
대한민국}} 수원 삼성 블루윙즈 감독 |
}}
{{둘러보기 상자 묶음
|제목=<span style="color: white">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span>
|bg= #e10006
|fg= white
|bordercolor=#1111EE
|내용1=
{{1972년 AFC 아시안컵 대한민국 선수 명단}}
{{1974년 아시안 게임 축구 대한민국 선수 명단}}
{{1976년 AFC 아시안컵 대한민국 선수 명단}}
{{1978년 아시안 게임 축구 대한민국 선수 명단}}
{{1986년 FIFA 월드컵 대한민국 선수 명단}}
{{1998년 FIFA 월드컵 대한민국 선수 명단}}
}}
{{축구 명예의 전당 헌액자}}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
{{수원 삼성 블루윙즈 감독}}
{{울산 현대 감독}}
{{AFC 올해의 감독상}}
{{대한축구협회 올해의 선수상}}
{{K리그1 감독상}}
{{2004년 수원 삼성 블루윙즈 선수 명단}}
{{2008년 수원 삼성 블루윙즈 선수 명단}}
|제목=<span style="color: white">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span>
|bg= #e10006
|fg= white
|bordercolor=#1111EE
|내용1=
{{1972년 AFC 아시안컵 대한민국 선수 명단}}
{{1974년 아시안 게임 축구 대한민국 선수 명단}}
{{1976년 AFC 아시안컵 대한민국 선수 명단}}
{{1978년 아시안 게임 축구 대한민국 선수 명단}}
{{1986년 FIFA 월드컵 대한민국 선수 명단}}
{{1998년 FIFA 월드컵 대한민국 선수 명단}}
}}
{{축구 명예의 전당 헌액자}}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
{{수원 삼성 블루윙즈 감독}}
{{울산 현대 감독}}
{{AFC 올해의 감독상}}
{{대한축구협회 올해의 선수상}}
{{K리그1 감독상}}
{{2004년 수원 삼성 블루윙즈 선수 명단}}
{{2008년 수원 삼성 블루윙즈 선수 명단}}
분류
- 1953년 태어남
- 살아있는 사람
- 20세기 대한민국 사람
- 21세기 대한민국 사람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 대한민국의 축구 감독
- 대한민국 국적의 축구 해설가
- 대한민국의 스포츠 평론가
- 축구 공격수
- SV 다름슈타트 98의 축구 선수
- 아인트라흐트 프랑크푸르트의 축구 선수
- 바이어 04 레버쿠젠의 축구 선수
-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선수
- 대한민국의 독일 진출 축구 선수
- 대한민국의 해외 진출 축구 선수
- 독일의 외국인 축구 선수
- 분데스리가의 축구 선수
- 대한민국의 아시안 게임 금메달리스트
- 1978년 아시안 게임 메달리스트
- 아시안 게임 축구 메달리스트
- 대한민국의 FIFA 월드컵 참가 선수
- 1986년 FIFA 월드컵 참가 선수
- 대한민국의 아시안 게임 축구 참가 선수
- 1974년 아시안 게임 축구 참가 선수
- 1978년 아시안 게임 축구 참가 선수
- 1972년 AFC 아시안컵 참가 선수
- 1976년 AFC 아시안컵 참가 선수
- FIFA 센추리 클럽
- 울산 현대 축구단의 축구 감독
- 선전 FC의 축구 감독
- 수원 삼성 블루윙즈의 축구 감독
-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
- K리그1의 축구 감독
- 1998년 FIFA 월드컵 참가 감독
- 울산 현대 축구단의 코칭스태프
- 체육훈장 기린장 수훈자
- 체육훈장 백마장 수훈자
- 화성시 출신
- 연안 차씨
- 고려대학교 동문
- 대한민국의 장로교도
- 수원 삼성 블루윙즈의 코칭스태프
- 스포츠영웅 명예의 전당 헌액자
- 독일에 거주한 대한민국인
- K리그1 감독상 수상자
- 대한민국 U-20 축구 국가대표팀 선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