팝업레이어 알림

팝업레이어 알림이 없습니다.
E D R , A S I H C RSS

정좌관심

목차

1. 소개
2. 특징
3. 역사
4. 여담
5. 참조
6. 분류

1. 소개

靜坐觀心

송나라 이후 유교에서 주장하는 수행법이다. 정좌는 조용히 앉아서(정좌) 자신의 마음을 들여다보는 것(관심)으로서, 줄여서 정좌(靜坐)라고 하였다. 주희는 특히 이를 강조하고 어떤 상황에서도 마음을 안정 상태로 두는 거경(居敬)에 도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독서와 함께 수행법으로서 중시되었다.

2. 특징

주희는 『대학』에 나오는 '고요한 뒤에야 능히 안정이 되며 안정된 뒤에야 능히 생각할 수 있고 깊이 사색한 뒤에야 능히 얻을 수 있다(靜而後能安 安而後能慮 慮而後能得)'는 구절에 따라서, 정좌를 통하여 고요하고 안정된 마음을 얻는 것을 목표로 했다.

유교의 정좌는 불교와의 대립, 영향 관계에서 나타난 수행법으로 보인다.좌선 퍼가요~ 실제로 주희는 자신의 저작에서 유교의 '정좌'는 불교좌선과는 목적과 방법이 다르다는 것을 강조하였으나, 이후에는 오히려 불교와의 관련성을 지적받게 되었다. 정약용은 주희가 강조한 '본성'과 '명덕'이 『능엄경』의 '여래장'과 동일하며, 주희가 주장한 공부 방법 역시 불교좌선과 사실상 동일하다고 주장했다. 이러한 주장에는 주희가 불교와의 차별성을 강조했다는 점에서 반론도 있지만, 불교의 영향을 받았다는 것을 부정하기는 어렵다.

정좌관심은 간화선과 같이 한 순간에 얻어지는 깨달음(돈오돈수)가 아니라 독서와 병행한 '점진적'인 깨달음(돈오점수)을 강조한다는 점에서, 중국이나 한국 불교에서 주류가 되는 간화선보다는 이후 불교계에서 쇠퇴하여 사라지는 묵조선과 유사성이 있다고 여겨진다.

3. 역사

유교에서 정좌가 도입된 것이 언제인지는 확실하지 않다. 북송 시기에 주염계는 자신의 저서 『태극도설』에서 ‘주정입인극(主靜立人極)’이라고 주장하였으며, 그 뒤 명도와 이천이 정좌를 가르쳤고, 정좌 수행은 유교의 주류가 되었다.

주희의 스승 이동(李)은 "하루의 반은 독서 하루의 반은 정좌"(半日讀書 半日靜坐)라고 하여 정좌를 강조하였다. 주희 역시 이러한 가르침에 따라서 정좌를 강조하였으며, 정좌의 이론적 체계를 세웠다.

증국번은 "매일 시간을 가리지 말고 한 시간 정도 정좌하라"고 주장했다.

퇴계 이황은 정좌를 하는데 있어서 적절한 자세가 무엇인가에 대해서 연구한 바 있으며, 주희의 주장에 근거하여 정좌는 불교의 수행과 다르다는 것을 밝히려 했다.





4. 여담



6.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