팝업레이어 알림

팝업레이어 알림이 없습니다.
E D R , A S I H C RSS

정성룡(야구선수)

정성룡(鄭成龍 /Sung-Ryong Jung)
생년월일 1964년 5월 19일
출신지 경상북도 포항시
학력 포철공고
포지션 외야수
투타 좌투좌타
프로입단 1984년 삼성 라온즈 1차 지명
소속팀 삼성 라온즈(1984~1992) br 해태 타거즈(1993~1995)

한국시리즈 우승 반지
{{{#ffffff 1993}}}

삼성 라온즈 등번호 11번(1984)
박영진(1982~1983) 정성룡(1984) 해창(1985~1986)
삼성 라온즈 등번호 32번(1985~1986)
정성룡(1985~1986) 손상득(1987~1988)
삼성 라온즈 등번호 44번(1987~1988)
박찬(1982~1985) 정성룡(1987~1988) 규창(1990~1993)
삼성 라온즈 등번호 10번(1989~1992)
장효조(1983~1988) 정성룡(1989~1992) 양준혁(1993~1998)
해태 타거즈 등번호 10번(1993~1995)
박노준(1992~1993) 정성룡(1993~1995) 장성호(1996)

목차

소개

삼성 라온즈해태 타거즈에서 뛰었던 야구선수. 골키퍼 정성룡 같다.[1]

선수 시절 유니폼에는 '정성'''용으로 적혔다.

선수 생활

포철공고 재학 시절 김성범[2], 류명선, 염창무, 정윤수, 최해명 등의 동기들과 팀의 첫 전국대회 진출을 끌었지만 전국대회에서 준우승만 3번 하는 데 그쳤다. 들 중 정성룡은 제2의 장효조라 불릴 정도로 타격에서 뛰어난 모습을 보면서 당시 매서운 타격으로 정평난 포철공고 타선의 선두에 있었다. 때문에 고교 졸업 후 삼성에 1차 지명되어, 바로 프로에 입단했다. 로 인해 한국 프로야구 최초의 고졸신인 3인 중 한 명 되었다.[3] 하지만 미 쟁쟁한 선배들 자리 잡은 상태였기에 결국 백업나 2군[4]을 전전해야 했다. 장효조가 1989년 롯데로 적한 후 그의 10번을 물려받을 정도로 여전히 기대받는 유망주였으나, 그동안 정성룡은 오랜 2군 생활 속에 제2의 장효조가 아닌 제2의 정동진라 불릴 정도로 살 쪘다.

1992년 시즌 종료 뒤 왼손 유망주라면 사족을 못쓰는 코감독에 의해 해태 타거즈로 트레드되었는데, 그해 해태가 삼성에게 완봉을 당한 경기가 있었는데 그경기에서 연타석 홈런을 쳤기 때문인 것 유력하다. 즉 그 시즌 홈런 3개중 2개를 코감독 앞에서 그것도 연타석으로 쳤으니 인생경기를 한 셈.[5] 1993~1995년까지 해태의 몇 안되는 좌타자로 활약하다가 은퇴했다. 원조 10번었던 장효조에 대한 올드 삼빠들의 대한 그리움과 그 후 10번을 단 양준혁의 인기에 의해 지금은 거의 잊혀지게 되었다. 그리고 해태에서 10번을 물려받은 선수는 당시 신인였던 장성호였지만 1년만에 1번으로 갈아탔다. 공교롭게도 그 후 10번을 단 선수가 최훈재 그리고 양준혁.

김응용 감독은 정성룡의 스윙을 보고 "저 스윙으로 3할을 못 치는 건 말 안 된다."며 큰 기대를 했으며, 1993년 시즌에는 해태 타선의 몇 안 되는 좌타자로서 원포인트 대타나 지명타자로 쏠쏠한 활약을 하여 해태의 우승에 공헌했다. 해 타율은 0.246고 홈런은 10개. 타율은 별로였지만 전반기에는 규정타석만 채우면 양준혁강기웅 등을 위협할정도로 3할1~2푼 수준을 유지했으나 후반기에서 까먹은 것. 홈런을 심심찮게 터뜨렸으며[6] 경기를 승리로 끄는 한방 많았다. 프로 데뷔 후 최다 출장인 107경기에 출장했다. 그리하여 당시 지명타자 골든글러브도 유력했으나 김기태의 지명도에 밀려[7] 타지 못했다.

고교 시절 그에 대한 평가를 생각해 본다면 졸업 후 바로 프로 입단한 게 독 됐다. 만약 류명선나 정윤수 등의 동기들처럼 대학에 진학했었더라면 1980년대 말 삼성 외야진 세대 교체를 할 즈음에 입단해, 입단하자 마자 많은 기회를 받을 수도 있었기 때문다. 그나마 위안거리라면 당시 정성룡과 같 포철공고의 타선을 끌었던 김성범과 염창무는 아예 프로 지명조차 받지 못했다.

국가대표 골키퍼를 지낸 동명의 축구선수에 지명도가 가려지고, 간혹 언급될 때에도 고향팀자 처음 입단한 삼성 선수보다는 유독 해태 선수로 언급되는 일 많다. 래저래 비운의 선수였던 셈. 그나마 해태 시절에 우승을 한번 해본 건 다행.

은퇴 후

모교 포철공고에서 감독으로 있었고, 2004년 10월부터 1년간 강릉고 감독을 맡았다.

연도별 성적

역대기록
연도 소속팀 경기수 타수 타율 안타 2루타 3루타 홈런 타점 득점 도루
1984삼성 라온즈 21 33 .273 9 0 0 0 2 3 0
1985 군복무
1986 58 84 .226 19 2 0 0 8 11 1
1987 8 18 .222 4 1 1 0 2 0 0
1988 23 43 .116 5 0 0 0 0 2 0
1989 44 91 .220 20 6 0 1 10 9 2
1990 33 64 .219 14 2 0 3 9 11 1
1991 77 132 .295 39 8 0 5 12 22 2
1992 63 104 .192 20 2 0 3 15 9 0
연도 소속팀 경기수 타수 타율 안타 2루타 3루타 홈런 타점 득점 도루
1993해태 타거즈 107 248 .246 61 15 0 10 43 35 2
1994 80 183 .208 38 10 0 5 23 15 1
1995 14 15 .133 2 0 0 0 1 0 0
통산 528 1015 .228 231 46 1 27 125 117 9


----
  • [1] 한자까지 똑같다., 심지어 출신고교도 같다!
  • [2] 1982년 영민 타격상 수상자.
  • [3] 다른 두 명은 해태의 문희수와 롯데의 조용호. 84년 지명되기 전까지 신인드래프트에서는 갓 고등학교를 졸업한 선수가 지명되지 않았다.
  • [4] 당시 2군 리그가 있기 전었지만 삼성에서는 미 2군을 운용하고 있었다.
  • [5] 다음 해에 김성래와 양준혁 괴물활약을 한 것을 보면.. 프로생활을 3년나 연장하고 한국시리즈 우승반지도 꼈으니 영광라고 할 수 있다.
  • [6] 1993년 126경기 체제에서는 가장 적은 18명의 두자릿수 홈런 타자를 배출했다.
  • [7] 팀 성적은 물론거니와 김기태 본인의 성적 별로였던 점을 감안하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