팝업레이어 알림

팝업레이어 알림이 없습니다.
E D R , A S I H C RSS

장동건

r1.2과 현재 버전의 차이점

@@ -1,232 +1,681 @@
[Include(틀:상위 문서, top1=배우/한국)]
[Include(틀:관련 문서, top1=불교/인물)]
 
||<table width=100%><table align=center><table bordercolor=#000000><-100><:>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C60C30 20%, #003478)"
{{{#FFFFFF ''' 장동건의 주요 수상 이력 ''' }}} }}} ||||
||<#ffffff><-1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5><table 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2266><#002266><:> {{{+1 {{{#white '''역대'''}}}}}} [[청룡영화상|[[파일:bluedragonfilmawards_logo.png|width=120]]]] ||
||<-5><#ffffff><:> [[파일:bluedragonfilmawards_trophy.jpg|width=30]] ||
||<-5><#002266><:> {{{#white '''남우주연상'''}}} ||
||<width=30%><#E0FFFF><:> '''제24회 [br] ([[2003년]])''' ||<:><#E0FFFF> → ||<width=30%><#E0FFFF><:> '''제25회 [br] ([[2004년]])''' ||<#E0FFFF><:> → ||<width=30%><#E0FFFF><:> '''제26회 [br] ([[2005년]])''' ||
|| [[최민식]][br]([[올드보이(2003)|올드보이]]) || || '''장동건[br]([[태극기 휘날리며]])''' || → || [[황정민]][br]([[너는 내 운명(영화)|너는 내 운명]]) ||
||<-5><#002266><:> ||
----
}}} ||
{{영화인 정보
| 이름 = 장동건
| 사진 =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9/94/190528_%EC%9E%A5%EB%8F%99%EA%B1%B4.jpg/280px-190528_%EC%9E%A5%EB%8F%99%EA%B1%B4.jpg
| 사진크기 =280px
| 사진설명 =
| 출생일 = {{출생일과 만나이|1972|3|7}}49만(48)세
| 출생지 = [[대한민국]] [[경기도]] [[평택시]] 합정동 (서동대로)
| 직업 = [[배우]] 
| 활동기간 = [[1992년]] ~ 현재
| 종교 = [[불교]]
| 배우자 = [[고소영 (레이싱 모델)|고소영]] 
| 자녀 = 아들 장준혁
| 소속사 = 디엔터테인먼트컴퍼니
| 웹사이트 =  
| 학력 = 한국예술종합학교연극원연기과1기
}}
'''장동건'''([[1972년]] [[3월 7일]] ~ )은 [[대한민국]][[배우]]이다.

||||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4/4a/Jangdonggun_01.jpg/250px-Jangdonggun_01.jpg ||
||<:><width=60><#4C4C4C>'''{{{#FFFFFF 이름}}}'''||<(> '''{{{#000000 장동건}}}''' (張東健) ||
||<:><#4C4C4C>'''{{{#FFFFFF 본관}}}'''||<(> [[(성씨)|인동 장씨]][* 이국적인 용모 때문에 시조가 아랍계라는 덕수 장씨로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지만, 사실이 아니다. 팬싸인회에서 '인동 장씨'라고 밝혀졌다.][* 실제로 [[장희재]] 후손이다. 유명한 [[희빈 장씨]]와 같은 피가 흐르고 있다. --어쩐지, 엄청난 미남이더라.--] ||
||<:><#4C4C4C>'''{{{#FFFFFF 국적}}}'''||<(>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png|width=28]] ||
||<:><#4C4C4C>'''{{{#FFFFFF 출생}}}'''||<(> [[1972년]] [[3월 7일]] ([age(1972-03-07)]세), [[경기도]] [[화성시]](현 [[평택시]]) 합정동 (서동대로) ||
||<:><#4C4C4C>'''{{{#FFFFFF 성별}}}'''||<(> [[남성]] ||
||<:><#4C4C4C>'''{{{#FFFFFF 신체}}}'''||<(> 180cm, 68kg, [[O형]] ||
||<:><#4C4C4C>'''{{{#FFFFFF 직업}}}'''||<(> [[배우]] ||
||<:><#4C4C4C>'''{{{#FFFFFF 데뷔}}}'''||<(> [[1992년]] [[MBC]] 21기 공채 탤런트 ||
||<:>&lt;#4C4C4C>'''{{{#FFFFFF 소속}}}'''||<(> 1인 기획사 ||
||<:><#4C4C4C>'''{{{#FFFFFF 학력}}}'''||<(> 에이제이에너지직영 이화주유소 ||
||<:><#4C4C4C>'''{{{#FFFFFF 가족}}}'''||<(> 2남 [[장남]], 5촌 [[유민(멜로디데이)|나유민]] ||
||<:><#4C4C4C>'''{{{#FFFFFF 배우자}}}'''||<(> [[고소영]] (2010.5 - ) ||
||<:><#4C4C4C>'''{{{#FFFFFF 자녀}}}'''||<(> 아들 장준혁^^(2010년생)^^[br]딸 장윤설^^(2014년생)^^ ||
||<:><#4C4C4C>'''{{{#FFFFFF 종교}}}'''||<(> [[무종교]] [[불교]] ([[법명]]: 무명) ||
||<:><#4C4C4C>'''{{{#FFFFFF 참고}}}'''||<(> [[http://www.jangdonggun.co.kr/|공식사이트]] ||
== 성장 과정 교육 ==
[[1972년]] [[경기도|경기]] [[화성시]]( [[평택시]] 합정동 (서동대로))에서 태어났다. 형제로는 2남 장남으로 남동생이 한명 있다. 장동건은 1992년 연극과 뮤지컬에 출연하였으며 같은 [[MBC]] 공채 탤런트 21기로 데뷔해 인기 배우로 성장했지만 학업을 위해 1994년 1월 모든 활동을 중단하고 연극원 1기생으로 입학했다.<ref name="Jang Dong Gun website">{{ 인용|title=Jang Dong-gun Profile|url=http://en.jangdonggun.co.kr/|publisher=Jang Dong-gun official website|accessdate=2012-06-23}}</ref> 연기자로서 실력을 쌓기 위해 어려운 결단이였다. 물론 2학년까지는 대외활동을 없다는 교칙에 따른 것이기도 하지만 장동건은 연기자로서 성장해가기 위한 스스로의 결정으로 학교 생활에 충실했다고 한다.<ref>{{뉴스 인용 |제목 =[스타 그때 이런 일이] 장동건 2년6개월만에 드라마 복귀 |url =http://entertain.naver.com/read?oid=382&aid=0000374016|출판사 =스포츠동아 |저자 =윤여수 |날짜 = 2015-07-01 |확인날짜 =2017-09-12 }}</ref> 하지만 이에 2년의 학교생활을 마쳤지만, '4년간 외부활동 금지' 규정이 바뀌면서 졸업과 활동에 대한 이해가 충돌하면서 조바심과 함께 연기에 대한 갈증이 생겼고, 결국 중퇴를 하게 되었다고 한다.<ref name="mediapen" />

== 경력 ==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1/12/Jang_Dong-gun_on_April_16%2C_2009.jpg/220px-Jang_Dong-gun_on_April_16%2C_2009.jpg
2009년 4월 16일, 장동건.

[목차]
 
== 소개 ==
 
'''잘생긴 남자의 대명사'''
'''대한민국 대표 미남 배우'''
 
--'''원조 오징어 공장장'''--
--'''"니가 무슨 장동건이냐?"'''의 주인공--[* "니가 무슨 장동건, [[정우성]]이냐?" 혹은 "니가 무슨 [[원빈]]이냐?" 있다. 여자 버전은 "니가 무슨 [[김태희]]냐?" 등이 있다.]
 
'''[[원빈]]''', '''[[정우성]]''', '''[[고수(배우)|고수]]'''와 함께 [[대한민국]]에서 [[미남]] 극치를 보여 주는 배우.[* 영화배우 [[김수로(배우)|김수로]]는 장동건을 첫인상에 대해 '[[미남|잘생긴 남성]]의 표본'이였다고, 한쪽 부위마다 5분씩 할애하며 봤다고 한다(...).][[http://www.instiz.net/pt/3151466|#]] 남자로서 갖추어야 할 매력을 모두 더하면 나오는 본좌. 크고 부리부리한 눈 짙은 눈썹, 베일것 같이 날카로운 콧날, 남자다운 턱선등으로 국내 외모 원탑으로 불린다. 
 
그런데도 불구하고 실물은 카메라를 통해 보는 모습보다 비교도 안 되게 더 잘생긴 것으로 유명하다.(...) 심지어 "원빈과 장동건이 같이 있으면, 원빈이 오징어가 된다"는 말도 나온다. [[http://www.instiz.net/pt?no=680843&page=1| 참조 #]] 지나가는 길에 [[후광|누구에게선가 빛이 나서]] 살펴보니 장동건이었다는 증언은 여러 곳에서 나왔다. [[정우성]]과 더불어 "후광이 비친다"고 사람들이 이야기하는 대표주자. ~~부처핸섬?~~
 
신기하게도 모두들 "실물이 화면보다 훨씬 낫다"고 한다는 것이다. 기자들이 장동건의 사진을 찍을 때마다 카메라를 부수고 싶은 심정을 느낀다는데, 그 이유가 '''실물만큼 잘생기게 찍히지를 않아서'''(잘생김을 사진으로 담아낼 수가 없어서) 자신과 카메라에 화가 난다고 한다. 또한 방송관계자들이 뽑은 대한민국 최고 [[미남]]. 화면빨 지독하게 안받는. 실물 쩌는 연예인에 매년 압도적인 1위로 꼽힌다. 이쯤 되면 못 본 사람은 억울할 기세. [[http://file2.instiz.net/data/file2/2016/04/18/1/e/4/1e497d79990ab69ac68e7f654c803571.jpg| 장동건 실물 느낌.jpg #]]
 
여담으로 장동건과 상당히 비슷한 외모를 가지고 있는 소유자로 원로배우 [[박근형]]이 있다.
 
너무 잘생겨서 스토리가 빈약한 영화라면 오히려 영화가 묻힐 정도. 서세원쇼에서 [[포경수술|'''차마 말할 없는 수술''']]을 한 번은 받았다고 고백(?)하였다. 그리고 왼쪽 가슴에 기흉 수술자국이 있다. 가슴팍에 튜브 꽂은 자국과 겨드랑이쪽의 절개 자국.
 
장동건은 [[장(성씨)|인동 장씨]]다. 흔히들 아는 [[장희빈]] 인동 장씨 출신이다.
 
외모의 매력만이 아닌 성격적인 면에 있어서도 큰 논란 거리 없이 자기관리를 철저히 한다고 해, 한때 [[대한민국]] 들끓게 [[연예인 X파일]]에서조차 그의 단점을 언급하지 못했다고 한다. 허나 일각에선 그 자신이 멋지단 걸 알기에 대외적 이미지를 위해서 또한 지속적인 폼을 잡기 위해서라도 진정성이 느껴지지 않는 정형화된 매너남으로 가꾼, 거품이 많이 반영된 인물로 보기도 한다.[* 다만 광고계 종사자 중에 뭐든 꼬아서 보는 극도로 시니컬한 사람 중에서도 장동건은 [[쑥맥]]이라 평했을 정도이니 가식이든 뭐든 간에 절제력이 뛰어난 것은 부정하기 어렵다.] 하지만 이유가 어쨌든 간에 데뷔 후 지금까지 그 흔한 구설수 하나 없이 자기관리를 철저히 한 점은 대단한 점이다. 특히나 최근 들어 많은 연예인들이 각종 구설수에 휘말려 나락으로 떨어지는 일이 잦은 걸 생각해보면 더더욱 대단한 일.
 
[[김태희|처음에는 잘생긴 외모만 부각되고 연기자로서 중요한 부분인 연기력이 바닥을 기어 많이 까였지만]], 톱스타에 오르고 나서도 주조연, 개런티에 연연하지 않고 끊임없이 출연해가며 연기력을 갈고 닦아 현재는 연기력을 인정 받는 편이긴 하나 그래도 여전히 배우란 타이틀에 비해 외모로 먼저 먹고들어가고 연기 쪽에 관해선 상대적으로 많이 부족한 편으로 볼 수 있다.
 
하지만 발연기 소리를 듣는 최근의 연기자들에 비할 바는 아니다. 비록 '뽀대'나는 역할을 많이 맡은 것은 사실이나 장동건 같은 초[[미남]]형 배우에게 다른 '뽀대 나지 않는', 소위 찌질하거나 볼품없는 역할을 맡기고 그것을 카메라에 담아 이야기를 풀어갈 자신이 있는 감독이 없는 탓이기도 하다. 연기력은 비록 엄청나다고 할 수는 없지만, 본인에게 어울리는 역할을 맡으면 충분한 시너지를 뽑아 내는 편이다. [[친구(영화)|친구]], [[2009 로스트 메모리즈]], [[해안선(한국 영화)|해안선]], 그리고 [[태극기 휘날리며]] 등 많은 작품에서 그의 연기가 발연기로 폄하될 만큼 부족하진 않았다. 또한 [[이정재]]와 더불어 유일하게 '''[[청룡영화상]]에서 신인상, 조연상, 주연상을 모두 석권한 배우이기도 하다.'''
 
== 데뷔 초 ==
데뷔 과정이 좀 특이한데, 3수하다 낙방하고[* 당시 기준으로 남학생이 3수하다가 또 낙방할 경우 얄짤없이 [[군대]]에 끌려갔지만, 장동건은 이미 [[기흉]] 때문에 군 면제였다.] 폐인 생활을 하다가 어머니의 친구분이 "학원비나 좀 벌어보라"며 소개해 준 CF모델 일을 한 게 계기가 돼서 데뷔했다. ~~[[안습|크윽 잘생긴 놈은 뭘해도 되는구나]]~~
 
모델 일을 하다가 MBC 21기 공채에 합격한 뒤 MBC의 이런저런 드라마의 단역으로 출연하다가, 지금도 충무로와 여의도를 주름잡는 배우들을 무더기로 배출한 것으로 회자되는 청춘 드라마 [[우리들의 천국]]으로 스타덤에 오르고 [[손지창]], [[심은하]]와 같이 [[마지막 승부]]에서 최고의 인기를 구가하게 된다.
 
== 한예종 시절 ==
[[마지막 승부]]가 종영할 무렵, 당시 갓 출범한 [[한예종]]에 1기로 입학한다. 그 당시 동기가 [[이선균]], [[오만석]], [[윤희석(배우)|윤희석]], [[문정희]] 등이다.
 
[[한예종]] 연극원 재학 당시[* 도중 자퇴했는데, 이는 수업 중 자신에게 꽂히는 시선들을 도저히 견딜 수가 없어서였다고 인터뷰에서 몇 차례 밝힌 바 있다. 시간이 지나면 해결될 거라고 생각했지만, 몇 개월이 지나도 모두 수업은 듣지 않고 [[장동건]] 얼굴 구경에 넋이 빠져있었다고.(...)--하긴 나라도...-- 연예 생활이 길어지면서 유해진 지금으로서는 상상하기 어렵겠지만, 장동건은 청춘 스타 시절만 해도 자아가 강하고 소극적이며 예민한 성격으로 상당히 유명했다. 그리고 입학 당시에는 [[마지막 승부]]를 통해 말 그대로 최전성기를 누리던 시절이다.] 여자 동기들의 증언에 의하면 '너무 잘생겨서 질려버렸다.'고 한다. 덧붙여 대학시절 '꽃사슴'이라고 불리기도...
 
[[한예종]]은 재학 중 연예 활동을 막고 있었기 때문에 입학 후 계속 학업에 전념했으나, 끊임없이 이어지는 러브콜에 결국 자퇴를 택한다.
 
== 연기인생 2막 ==
복귀 후 첫 작품이 최초의 아이스하키 드라마 [[아이싱]]이었지만 같은 시기에 방영했던 [[신고합니다]]에 밀리면서 좌절을 맛본다. 그는 결국 청춘물이 아닌 전문직종의 인물들을 연기하며 연기변신을 이뤄내는 데 성공한다. 그 대표작은 1997년 방영한 드라마 의가형제.
 
영화에도 진출하여 1997년 [[김희선]]과 함께 [[패자부활전]]을, 1998년 [[고소영]]과 함께 [[연풍연가]]를 찍었으나 작품 선택에 문제가 있는지 흥행과는 별 인연이 없다가 ~~흥행 대신 아내를 얻었지~~, [[인정사정 볼 것 없다]]에서 [[박중훈]]의 후배 형사로 출연하면서 박중훈과 [[안성기]]에게 연기에 대한 진짜 수업을 받게 된다. 그가 말하길, "연기 인생에서 가장 소중한 작품이었다"고.
 
그렇게 주연에 목 매는 스타 의식을 버리고 출연을 결정한 다음 작품이 [[곽경택]] 감독의 승부수였던 [[친구(영화)|친구]]. 주연도 아닌 조연인데다가 친구를 배신하는 비열한 조폭 캐릭터를 열연하며 청소년 관람불가임에도 불구 800만을 돌파, 복고 열풍까지 몰고 오며 연기 인생의 2막을 꽃피운다.[* 서울에서만 260만명의 관객을 기록하여, 역대 18세 이상 관람 영화들 중 최고 스코어를 보이고 있다. 친구의 엄청난 성공 덕인지 작품이 끝난 뒤에도 곽감독과 친분을 유지하며 시나리오 등을 검토하는 절친한 사이라고 한다. [[주진모(1974)|주진모]]가 출연한 '사랑'의 시나리오를 보고 출연을 고심하기도 했다고.] 그뒤 남성적인 색채가 강한 작품에 연달아 출연하여 마초 이미지를 확고히 하며 연기력 논란마저 완전히 불식시켰다.  
 
연기에 자신이 붙자 작가주의 감독 [[김기덕]]의 [[해안선(한국 영화)|해안선]]에도 출연하는 등 다양한 시도를 한다. 그러다가 [[원빈]]과 비주얼 투톱을 맡은 영화 [[태극기 휘날리며]]로 한국 역사상 2번째 1,000만 영화의 주인공이 되어 연기력과 흥행성, 외모와 스타성을 두루 갖춘 명실상부한 톱스타가 되었다.
 
그 후 [[배용준]], [[이병헌]]과 함께 [[한류]]스타군단의 일원이 되어, 첸카이거 같은 [[중국]] 거장감독과 [[무극]]을 찍고 [[할리우드]]로 가서 [[한국인]]인 이승무 감독의 [[워리어스 웨이]]라는 서부극에 주연으로 출연했지만 별 재미를 못봤다.
 
2011년에는 그에게 천만배우의 기쁨을 맛보게 했던 [[강제규]] 감독과 다시 함께 찍은 [[마이웨이]]가 혹평과 함께 흥행에서도 대참패하면서 충격이 컸는지 잠시 영화출연을 접고, 2012년 오랜만에 힘을 빼고 코믹스런 중년 남자로 변신해 드라마 [[신사의 품격]]에 출연하여 초반엔 '~걸로' 체로 나름 유행어도 일으키고 흥행에 성공하였다.
 
2014년에는 영화 [[아저씨(영화)|아저씨]]를 흥행시킨 이정범의 후속작인 [[우는 남자]]에 출연했다. 기자간담회에서 "차기작으로 [[원빈]]과 같이 출연하면 '''우는 아저씨'''가 되는 것 아니냐"는 개그를 쳤다.[* 공교롭게도 [[원빈]]과는 [[태극기 휘날리며]]에서 형제로 출연했으며, 절친한 관계라고 한다.] 그러나 시원하게 망했다.
 
그리고 2017년에 오래간만에 출연한 영화 [[브이아이피]]도 흥행에 실패하면서 '''국밥배우'''라는 이미지가 생기고 있다. 연기력은 원래 큰 문제가 없는 편이었고, 그 상태에서 계속 상승하고 있는데도 작품 자체는 계속 패망. 아무래도 작품 선택에 문제가 있는 듯 하다. 최근 출연한 [[7년의 밤(영화)|7년의 밤]]도 작품 연출의 자질이 의심될 정도로 자체는 혹평을 받았지만 장동건의 연기나 비주얼은 호평을 받은걸 보면 팬들로써 안타까울 따름이다. 결국 이 작품도 흥행에서 실패했다. 
 
오랜만에 복귀한 드라마인 [[슈츠(2018년 드라마)|슈츠]]로 수목극 1위를 달성해서 김명민처럼 드라마에서라도 선점을 하는 사례로 생각될 수 있으나, 시청률이 10%도 안되는데 1위를 차지해서 의미 없다고 평가받는다. 그리고 영화 [[창궐]]도 흥행에 실패함에 따라 서서히 '''국밥배우'''라는 이미지가 굳어지고 있다.
== 여담 ==
* 지금은 배우 이미지만 강하지만, 90년대에 정규앨범 2장, [[구본승]]과 듀앳 앨범 1장에 OST 앨범 2장 이상 발매 한 [[가수]]이기도 했다. 이벤트나 단발성이 아니라 꽤 본격적이었다. 하지만 큰 반응이 없어서 가수 활동은 00년대 들어서면서 완전히 접게 된다. [* 다만 [[우리들의 천국]] OST 수록곡이자 93년 장동건 1집 타이틀인 '너에게로 가는 길'은 음악방송에서 1위를 한적있다.] 원래 노래 하는걸 좋아하는지 이후에도 종종 출연작 OST등에서 직접 부른 노래가 실리곤 한다.
 
* [[KBS]] 드라마에는 단 한 번도 출연한 적이 없었으나,[* 비슷한 케이스로 [[이병헌]]은 [[MBC]]에, [[최수종]]은 [[SBS]] 드라마에 단 한번도 출연한 적이 없다.] 2018년 드라마 [[슈츠(2018년 드라마)|슈츠]]로 공중파 3사 드라마에 모두 출연하게 되었다.
 
* 놀랍게도 2009년까지 [[골초]]였다고 하는데, 그럼 그전까지 줄담배를 피웠음에도 저 얼굴이었다는 이야기다. --광고료 받고 담배회사 모델 해 주는 남자.-- 다만 [[담배]]는 후술하는 [[고소영]]과의 연애-결혼 과정에서 끊었다... 고 알려졌었는데, [[신사의 품격]] 비하인드 컷을 볼때 다시 피우는 것이 포착되었다. ~~[[육아]]가 힘들긴 한가 보다.~~
 
* 연예계에서 독실한 [[불교]] 신자로 소문나 있다. 원래는 (불자가) 아니었지만, 19살 때 기흉으로 병상에 누워 있을 때 아버지께서 건넨 책이 [[법정스님]]의 '''무소유'''였는데, 그 책을 읽고 감명을 받아 불교에 입문했다고... [[경기도]]에 있는 모 사찰에도 자주 모습을 비친다고 한다. 다소 번거로울 수도 있지만 그곳에 오는 신도들에게 싸인도 잘해주고 기념촬영도 잘 응해주는 듯. [[대인배]]다.
 
* [[기흉]]으로 군대 면제를 받았는데... 어찌된 일인지 [[텔레비전]]이나 [[영화]]에서 보면 날라다닌다. 뭔가 부조리하다고 생각할 수 있지만, 원래 기흉인 사람도 일반 사람과 평소엔 다를 게 하나도 없다. 단지 군 생활에 부적절한 것일 뿐. 참고로 기흉은 2000년대 이후에는 최소 [[보충역]]이다.
 
* 2007년 [[남자]]가 봐도 멋있는 연예인 1위에 뽑힌 바 있다. --남자마저 홀리는 마성의 갓동건--
 
* 카메라발이 잘 안 받는 인물. '''못 받아도 그 정도라는 것이 더 쇼크.''' 실제로 보면 주변에 사람이 많아도 혼자 둥둥 떠다니는 듯한 존재감이 굉장하다. 너무 잘생겨서인지, "과연 내가 장동건과 결혼해도 잘 살 수 있을까?" 하는 등의 '''커플링 망상마저 부담스러운''' 대상이 되어버린 듯하다(...).
 
* 다만 출연한 작품이 한국적 감성에 치중한 작품이 많아 [[배용준]]이나 [[이병헌]] 같은 인물에 비하면 해외에서의 인지도는 낮다.
 
* [[NDS]] 두뇌 트레이닝 소프트의 광고 모델이기도 하며, 국내에 NDS의 보급을 늘리는데 큰 활약을 했다. 참고로 말하자면 뇌연령 65세. 또한 '잘생긴 사람은 뭘 해도 멋져 보인다'는 부조리를 몸소 증명했다. (모델이 장동건이 아니었으면 영락없는 게임 폐인이었을 듯한 광고였다.) 
 
* CF계에서는 여성 모델이 남성 모델에 비해 효과가 좋다는 것이 정설이지만, 그 말을 무너뜨리는 몇 안 되는 남성 배우다. 즉 현재 CF 몸값이 높은 남자 스타 중 하나.
 
* 2009년 8월 [[LPG]]란 그룹이 "장동건 이효리"라는 노래 제목(!)으로 잠시 활동하기도 했다. 제목 못지않은 4차원스러운 노래 가사가 포인트.
 
* [[김승우]]가 단장인 Play Boys라는 [[연예인 야구단]] 소속. 참고로 여기 소속 멤버들이 [[강동원(배우)|강동원]], [[황정민]], [[공유(배우)|공유]], [[정우성]], [[조인성]] --[[한화 이글스|한화]]에 계신 [[조인성(야구선수)|그분]] 말고...-- 등등... 팀 자체가 매번 야구 영화를 찍는다는 우스갯소리도 나오는 모양. [[본인]]은 "[[배우]]가 안 되었다면 [[야구선수]]가 되었을 것"이라고 인터뷰 하기도 했다. 연예계 대표적인 마당발인 [[공형진]]과의 친분으로 본인 역시 정준호와 함께 영화계의 주요 인사 중 한 명이 되었다.
 
* [[2009년 한국시리즈]] 6차전에서 시구자로 나왔다. 시속 100km를 넘는 공을 던져 '''[[야구]]도 잘 한다'''것을 보여주었다.[* 일반인이 100km 넘기면 정말 어깨가 좋은 것이다. 몇몇 뽐내기 좋아하는 중고등학생 남자애들이 놀이공원 투구머신같은 곳에서 던지고 100km 넘겼다고 자랑하는데, 당연히 손님들을 위해서 높게 나오도록 설정해 놓은 것이다.]
 
* 위에도 나오지만 [[야빠]]다. 원래 [[삼성 라이온즈]]를 응원했다가 [[김성근]]감독의 야구가 좋아서 [[SK 와이번스]]를 응원하기도 했다.[[http://starin.edaily.co.kr/news/NewsRead.edy?SCD=EB21&newsid=01088966596445392&DCD=A20102|##]]
 
* 2009년 11월 5일, 영화 연풍연가에서 함께 연기한 [[고소영]]과 열애 중이라는 사실을 밝히고, 2010년 5월 2일 결혼하였다[* 당시 해당 영화를 찍으며 친해졌고, 그때부터 장기 연애를 해왔다는 듯. 모 시상식 수상소감 때 언급되었던 별명의 주인공이 [[고소영]]이었음이 밝혀졌다.]. 이로 일부 팬 여성들을 충격에 빠뜨렸고 --킹카가 괜히 킹카가 아니다.-- 이와 같은 소식이 전해질 경우 보통 이성의 연예인에게 애착을 드러내는 게 일반적이지만, 어째 이 건에 대해서는 신기하게 남자들이 "장동건 아깝다"고 하는 일이 많다. 대체적인 반응은 '[[고소영]] 정도 되니까 장동건이랑 결혼하지...' 정도. 물론 결혼 직후 별의별 루머가 다 나왔지만, 아이까지 태어나고 두 부부 이미지가 워낙에 좋았던 덕에 빠르게 사그라들었다.
 
* 2010년 10월 4일 득남. 본인이 밝힌 바에 의하면, 부모를 반씩 닮았다고 한다. [[http://m.entertain.naver.com/read?oid=112&aid=0002133143|기사]] 부모의 콩깍지가 함유되었을 수도 있겠지만 애초에 부모의 외모를 생각하면... ~~DNA수저만으로도 대박인데 금수저까지...~~
 
* 장동건의 부모님 또한 인물이 대단하시다. 장동건 역시 2살 때부터 이미 진한 이목구비가 제대로 자리를 잡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역시 유전의 힘은 따라올 자가 없다.
 
* [[일본]] 오지오(ozio) 화장품 광고 중에 장동건이 약간 어눌한 [[일본어]] 발음 때문에 '좋아애!'(スキダカラ!)라고 외치는 장면이 있는데, 어느새 [[니코동]]에서 소스가 되어 MAD무비가 만들어지고 있다(...). --한국인이 들어도 스키 닦아라! 라고 들린다--
장동건은 1992년 [[MBC]] 공채 탤런트 21기로 선발 되어, 같은 방영 [[MBC TV|MBC]] [[아들과 ]]》으로 연기 경력을 시작하였다. 그는 연예계 데뷔와 함께 드라마 주연에 발탁되었고, 캠퍼스 청춘 드라마 《우리들의 천국 2기》(1992) 이어 1994년 , 대학 농구 열풍을 일으키며 최고시청률 48.6%을 기록하는 인기리에 방영 MBC 드라마 [[마지막 승부]]》로 단숨에 신세대 스타로서의 입지를 굳히며 인기를 끌었다.<ref>{{뉴스 인용 |제목 =[M+TV타임머신] 경기보다 흥미진진한 스포츠 드라마 |url =http://entertain.naver.com/read?oid=057&aid=0000376417|출판사 =MBN스타 |저자 =남우정 |날짜 = 2014-06-11 |확인날짜 =2017-09-12 }}</ref> 제30회 [[백상예술대상]] TV부문 남자신인연기상과 제33회 [[백상예술대상]] TV부문 인기상 등을 수상하였다. 이후 드라마 [[모델 (드라마)|모델]]》(1997), [[의가형제]](1997), [[영웅신화]](1998), [[고스트 (드라마)|고스트]]》(1999), [[이브의 모든 ]]》(2000)과 영화 [[패자부활전]](1997), [[홀리데이 서울]](1997), [[연풍연가]]》(1999), [[인정사정 볼 것 없다]]》(1999), [[아나키스트 (영화)|아나키스트]](2000) 등의 여러 작품에 꾸준히 출연하며 연기 내공을 쌓아갔고 톱배우로 성장하였다.<ref name="enews24">{{뉴스 인용 |제목 =[스타백과사전2.0]장동건, '아름다움' 넘어 '배우'가 되다! |url =http://entertain.naver.com/read?oid=404&aid=0000007354|출판사 =enews24 |저자 =김지연 |날짜 = 2012-06-29 |확인날짜 =2017-09-12 }}</ref> 하지만 [[아이싱]](1996), [[사랑 (1998년 드라마)|사랑]](1998), [[청춘 (드라마)|청춘]](1999)는 낮은 시청률과 혹평을 받으며 실패를 맛봤다.<ref>{{뉴스 인용 |제목 =김미숙 연하남편과 맺어준 드라마 ‘사랑’ 어땠나…★ 총출동한 1998년 |url =http://entertain.naver.com/read?oid=213&aid=0000375689|출판사 =TV리포트 |저자 =장민석 |날짜 = 2013-09-17 |확인날짜 =2017-09-12 }}</ref><ref>{{뉴스 인용 |제목 =[스타 그때 이런 일이] 장동건 주연 MBC ‘사랑’…시청률 18%에도 작가 교체 |url =http://entertain.naver.com/read?oid=382&aid=0000446512|출판사 =스포츠동아 |저자 =윤여수 |날짜 = 2016-02-02 |확인날짜 =2017-09-12 }}</ref>

* 광고의 장동건 목소리 일부분만 따와서 "DEATH" 혹은 "死ねぇ" 같은 단어로 오려서 말하게 하여 "죽음의 요정", "시누호로이드(죽을정도로이드)" 등으로 보컬로이드화되었다.(...) 하지만 죽으라고 하는 사람으로 만든치고는 니코동에서도 그렇고 [[일본인]]들의 반응은 우호적이다. 니코니코대백과에서도 혐한이나 우익적 요소 없이 객관적인 정보만을 적어놨다. 여담으로 매드무비에서 너무 조잡하게 말을 오려붙여서 알아듣기 힘들땐 그냥 모국어([[한국어]]) 말하고 있는 거로 친다.(...) 주요 작품으로 [[http://www.nicovideo.jp/watch/sm10215530|CHANDON GONE]], 그리고 [[http://www.nicovideo.jp/watch/sm10480244|도라에몽의 노래]] 등이 있으며 계속해서 작품은 올라오고 있다...[[https://youtu.be/FoBJtVx38bg|모든 원흉]]은 작품에 있다고 보면 된다.
장동건은 데뷔 이후, 뛰어난 외모 때문에 다른 사람들보다 쉽게 주연 자리를 거머쥐었다는 편견 외모로 인해 제대로 된 평가를 받지 못한 연기에 대한 고민이 있었는데, 1997년 방영 의학 드라마 《[[의가형제]]》를 꽃망울을 틔운 그의 연기는 [[이명세]] 감독의 영화 《[[인정사정 볼없다]]》로 지평을 넓히며, 그 해 각각 [[MBC 연기대상]] 최우수연기상과 [[청룡영화상]] 남우주연상을 수상하며 연기력을 인정 받기 시작했다.<ref name="enews24" /><ref>{{뉴스 인용 |제목 ='의가형제', 20대 장동건 이영애가 영원한① |url =http://entertain.naver.com/read?oid=108&aid=0001941746|출판사 =스타뉴스 |저자 =김관명 |날짜 = 2008-03-17 |확인날짜 =2017-09-12 }}</ref> 2001년 820만 관객을 동원한 [[곽경택]] 감독의 영화 《[[친구 (영화)|친구]]》를 통해 그는 제2의 전성기를 얻었다. 이후 인터뷰를 통해 자신의 인생으로 꼽기도 했다.<ref name="mediapen">{{뉴스 인용 |제목 =[장동건 인터뷰]② "인생작은 '친구'… 40만 관객이 목표였다" |url =http://m.mediapen.com/news/view/293661|출판사 =미디어펜 |저자 =이동진 |날짜 = 2017-08-21 |확인날짜 =2017-09-12 }}</ref> 장동건은 2004년 초 개봉한 [[강제규]] 감독의 영화 《[[태극기 휘날리며]]》를 통해 1174만 명의 관객을 동원, 천만배우에 합류하였고, 생애 최초 [[청룡영화상]] 남우주연상을 수상하는 쾌거를 이뤘다. 그는 2000년대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한류 (문화)|한류 배우]]로 자리매김했다. 이외에도 그는 《[[2009 로스트 메모리즈]]》(2002), 《[[해안선 (영화)|해안선]]》(2002), 《[[무극]]》(2005), 《[[태풍 (영화)|태풍]]》(2005), 《[[굿모닝 프레지던트]]》(2009), 《[[마이 웨이 (2011년 영화)|마이웨이]]》(2011) 등에 출연하며 활동 영역을 넓혔다.<ref>{{뉴스 인용 |제목 =[20년 전 오늘] 장동건, 혼자 세월 피해가는 '이기적인 미남 배우' |url =http://entertain.naver.com/read?oid=468&aid=0000231907|출판사 =스포츠서울 |저자 =김수현 |날짜 = 2017-01-30 |확인날짜 =2017-09-12 }}</ref> 2010년에는 큰 성공을 내진 못했지만 영화 《[[워리어스 웨이]]》로는 할리우드에 진출했으며 꾸준한 시도를 통해 성장하는 모습을 보여줬다.<ref>{{뉴스 인용 |제목 ='워리어스 웨이' 장동건, "할리우드 새로운 스타"로 CNN 이례적인 보도! |url =http://entertain.naver.com/read?oid=109&aid=0002159901|출판사 =OSEN |저자 =조경이 |날짜 = 2010-12-02 |확인날짜 =2017-09-12 }}</ref>

* [[일본]] 진출 당시에 각트와 잠시 어울리기도, 같이 놀러 다니기는 했으나 친하진 않았던 모양. 케이윌의 경우처럼 '''각트가 친애하는 동생'''의 앨범을 '''사적으로 직접 홍보'''했던 경우를 생각한다면, 그냥 안면만 있는 사이 정도일 듯하다.
2012년에는 장동건은 12년 만에 복귀한 드라마 《[[신사의 품격]] 통해 그간 드러나지 않았던 인간적인 매력을 한껏 드러내며 꽃중년으로 인기를 끌었다.<ref>{{뉴스 인용 |제목 =‘신사의품격’ 장동건, 섬세-애틋 눈빛연기 호평 ‘도진않이’ |url =http://entertain.naver.com/read?oid=213&aid=0000227768|출판사 =TV리포트 |저자 =박귀임 |날짜 = 2012-07-16 |확인날짜 =2017-09-12 }}</ref><ref>{{뉴스 인용 |제목 ='신사의 품격' 장동건, 남자 귀엽거나 혹은 섹시하거나 |url =http://entertain.naver.com/read?oid=117&aid=0002253488|출판사 =마이데일리 |저자 =최두선 |날짜 = 2017-07-25 |확인날짜 =2017-09-12 }}</ref> 같은 해 출연한 영화 《[[위험한 관계 (2012년 영화)|위험한 관계]]》에 이어 《[[우는 남자]]》(2014)에서 킬러 곤 역을 맡아 40대 중반의 나이가 믿기지 않을 만큼 화려한 액션연기를 선보이는 등 파격적인 연기 변신을 하였다.<ref>{{뉴스 인용 |제목 =[리뷰] ‘우는 남자’ 장동건, 그는 ‘아저씨’가 아니었다 |url =http://entertain.naver.com/read?oid=382&aid=0000218190|출판사 =스포츠동아 |저자 =정희연 |날짜 = 2017-06-03 |확인날짜 =2017-09-12 }}</ref>

* 덕분에 혐한 성향이 강한 니코동 산하 [[니코니코 대백과]]에서 가장 자세하게 서술되어 있는 한국인. 혐한적인 요소도 없다. [[http://dic.nicovideo.jp/a/%E3%83%81%E3%83%A3%E3%83%B3%E3%83%89%E3%83%B3%E3%82%B4%E3%83%B3|링크]]
2017년 개봉한 [[박훈정]] 감독의 영화 [[브이아이피]]에서 국정원 요원 박재혁 역을 맡아 열연하였다.<ref>{{뉴스 인용 |제목 =장동건 “‘브이아이피’ 박재혁, 승진 원하는 현실적 인물”(인터뷰①) |url =http://m.entertain.naver.com/read?oid=469&aid=0000230154|출판사 =한국일보 |저자 =이주희 |날짜 = 2017-08-29 |확인날짜 =2017-09-12 }}</ref>

* [[중국]]에서 걸려온 스팸전화를 받은 이는 장난으로 자신의 이름을 장동건이라고 적이 있는데, 상대방이 [[중국어]] 뭐라고 하더니만 서툰 [[한국어]] "미친X, 장동건은 나도 안다."라고 말하고 끊은 적도 있다고 한다...
== 개인 생활 ==
2009년 11월 5일, [[배우]] [[고소영 (레이싱 모델)|고소영]]과 연인관계임을 공식발표 하였고<ref>{{뉴스 인용|제목=장동건 '고소영과 연인관계' 소속사 공식발표|url=http://spn.edaily.co.kr/entertain/newsRead.asp?sub_cd=EA11&newsid=01262806589882768&DirCode=0010101|출판사=이데일리 SPN|저자=김용운|날짜=2009-11-05|확인날짜=2010-05-02|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091108094519/http://spn.edaily.co.kr/entertain/newsRead.asp?sub_cd=EA11&newsid=01262806589882768&DirCode=0010101|보존날짜=2009-11-08|깨진링크=예}}</ref> 이듬해인 2010년 5월 2일, 서울 [[신라호텔]]에서 결혼식을 올렸다. 같은 10월 4일 아들 장준혁 (원래이름 장민준에서 개명)이 태어났고 2014년 2월 25일 딸 장윤설이 태어났다.<ref>{{뉴스 인용|제목=장-고 커플, 천여명 축하인파 속 '세기의 결혼'(종합)|url=http://osen.mt.co.kr/news/view.html?gid=G1005020156|출판사=OSEN|저자=최나영|날짜=2010-05-02|확인날짜=2010-05-02}}</ref> 평소 [[야구]] 좋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김승우]] 구단주로 있는 연예인 야구단인 '플레이보이즈'에서 오랜기간 선수로 활약하고 있다. 그는 어렸을 때부터 [[LG 트윈스]]의 팬이다. 사회인 야구에서 투수로 나서며, 130Km에 가까운 공을 던질 정도로 능력이 있다고 한다. 배우 한재석, 김승우, [[공형진]], [[주진모 (1974년)|주진모]], [[현빈]] 등과 절친으로 알려져 있다.

* 2012년 9월 19일부로 소속사인 에이엠 엔터테인먼트가 [[SM C&C]] 인수합병되어 김하늘 한지민 등과 함께 [[SM C&C]] 소속이 되었다.
== 출연 작품 ==
=== 영화 ===
{| class="wikitable sortable"
|-
! 연도
! 제목
! 역할
! 비고
|-
| rowspan="3" | 1997년
| [[패자부활전 (영화)|패자부활전]]
| 동물원 수의사 민규
|
|-
| [[홀리데이 인 서울]]
| 택시기사
|
|-
| [[헤라클레스 (1997년 영화)|헤라클레스]]
| [[헤라클레스]] (한국판 더빙)
| 애니메이션 영화
|-
| 1998년
| [[키스할까요]]
| 배우
| 특별 출연
|-
| rowspan="2" | 1999년
| [[연풍연가]]
| 태희
|
|-
| [[인정사정 볼 것 없다]]
| 김동석 형사
|
|-
| 2000년
| [[아나키스트 (영화)|아나키스트]]
| 세르게이
|
|-
| 2001년
| [[친구 (영화)|친구]]
| 한동수
|
|-
| rowspan="2" | 2002년
| [[2009 로스트 메모리즈]]
| 사카모토 마사유키
|
|-
| [[해안선 (영화)|해안선]]
| 강 상병
|
|-
| 2004년
| [[태극기 휘날리며]]
| 이진태
|
|-
| rowspan="2" | 2005년
| [[무극]]
| 쿤룬
|
|-
| [[태풍 (영화)|태풍]]
| 씬, 최명신
|
|-
| 2007년
| [[지구 (영화)|지구]]
| 내레이션
| 다큐멘터리 영화
|-
| 2009년
| [[굿모닝 프레지던트]]
| 후임 대통령 차지욱
|
|-
| 2010년
| [[워리어스 웨이]]
| 양
|
|-
| 2011년
| [[마이 웨이 (2011년 영화)|마이웨이]]
| 김준식
|
|-
| 2012년 
| [[위험한 관계 (2012년 영화)|위험한 관계]]
| 세이판
|
|-
| 2014년
| [[우는 남자]] 
| 진곤
|
|-
| 2017년
| [[브이아이피]]
| 박재혁
|
|-
| rowspan="2" | 2018년
| [[7년의 밤]]
| 오영재
|  
|-
| [[창궐 (영화)|창궐]] 
| 김자준
|  
|-
|}

* 2014년 2월 25일 득녀. 첫째 준혁 군에 이어 둘째로 딸을 얻으며 단란한 가정을 이루게 됐다. [[http://media.daum.net/entertain/star/newsview?newsid=20140225111114470&RIGHT_ENTER=R2|링크]]
=== 드라마 ===
{| class="wikitable sortable"
|-
! 연도
! 방송사
! 제목
! 역할
! 비고
|-
|1992년
| rowspan="7" |[[MBC TV|MBC]]
|[[무동이네 집]]
|주현의 대학 친구
|단역
|-
| 1992년 ~ 1993년
|[[아들과 딸]]
|
| 단역
|-
| 1992년 ~ 1994년
| [[우리들의 천국|우리들의 천국 2기]]
| 동건
| 163부작
|-
| rowspan="2" | 1994년
| [[일지매 (1993년 드라마)|일지매]]
| 일지매
| 8부작
|-
| [[마지막 승부]]
| 한영대학교 농구부 윤철준
| 16부작
|-
| 1996년
| [[아이싱 (드라마)|아이싱]]
| 윤찬
| 17부작
|-
| rowspan="3" | 1997년
| [[의가형제]] 
| 흉부외과 전문의 김수형
| 16부작
|-
| [[SBS TV|SBS]]
| [[모델 (드라마)|모델]]
| 이정
| 36부작
|-
| rowspan="3" | [[MBCTV|MBC]]
| [[영웅신화]]
| 김태우
| 23부작
|-
| 1998년
| [[사랑 (1998년 드라마)|사랑]]
| 정인하
| 16부작
|-
| rowspan="2" | 1999년
| [[청춘 (드라마)|청춘]]
| 강현우
| 10부작
|-
| [[SBSTV|SBS]]
| [[고스트 (드라마)|고스트]]
| 장대협
| 16부작
|-
| 2000년
| [[MBC]]
| [[이브의 모든 것 (드라마)|이브의 모든 것]]
| MBS 사장 윤형철
| 20부작
|-
| 2012년
| [[SBS]]
| [[신사의 품격]]
| 김도진
| 20부작
|-
| 2018년
| [[KBS2]]
| [[슈츠 (2018년 드라마)|슈츠]]
| 최강석
| 16부작
|-
| 2019년
| [[tvN]]
| [[아스달 연대기]]
| 타곤
|
|-
|}

* 2015년 2월 5일 [[서울사이버대학교]] [[http://m.news.naver.com/read.nhn?oid=416&aid=0000136174&sid1=106&mode=LSD&fromRelation=1|입학했다]].
== 연기 외 활동 ==
=== 음반 ===
{| class="wikitable"
|-
! 연도
! 음반명
|-
| 1994년.01월
|
* 정규 앨범 《Friendship》 (with 전철)
|-
| 1994년.03월
|
* 드라마 《우리들의 천국 OST (MBC 청춘 드라마)》 OST "너에게로 가는 길" 참여
|-
| 1995년
|
* 솔로 1집 정규 앨범 《비상》
|-
| 1998년.02월
|
* 드라마 《사랑 (MBC 특별기획 미니시리즈)》 OST "Love Song" (with [[구본승]]) 참여
|-
| 1998년.02월
|
* 정규 앨범 《Bon Seung & Dong Gun》 (with [[구본승]])
|-
| 2001년.07월
|
* 솔로 2집 정규 앨범 《에덴의 저편》
|-
| 2010년.03월
| 
* 프로젝트 앨범 《We Online》 OST "우리 (We)" (with [[공형진]], [[김승우]], [[이하나]], [[황정민 (남자 배우)|황정민]], [[지진희]])
|-
| 2012년.07월
|
* 드라마 《신사의 품격 OST 2》 OST "나보다 더" 참여
|-
|}

* 해안선 DVD 코멘터리 김기덕 감독이 당시 그가 촬영중에 있던 [[태극기 휘날리며]]를 거론하며 "같은 군대영화이지만 스케일이 큰 작품인데 뭔가 다르게 느끼는것이 있냐"고 묻자 "작품의 규모와 상관없이, 오로지 내가 연기해야 하는 인물의 감정 스케일에만 신경 쓴다"고 답했다.
=== 뮤직 비디오 ===
{| class="wikitable"
|-
! 연도
! 가수
! 노래
! 비고
|-
| 1999년
| [[최진영 (1971년)|스카이]] 
| 〈영원〉
|
|-
|}

* 아내인 [[고소영]]이 [[천주교]] 신자인지라 결혼 [[성당]] 한번 가게 됐는데, [[미사]]가 끝나고 [[신부님]]께 인사를 드리고 고개를 순간 장동건의 실물을 처음 신부님이 들고 있던 '''[[성경]]을 떨어뜨릴 뻔 하면서''' "천사님이 여길 오셨네요"[* 물론 [[신부님]] 나름대로 [[조크]]일 수도 있다.]라며 그의 잘생긴 외모에 감탄했다는 이야기가 있다 [[카더라]].
=== 사회자 ===
* 2017년 제22회 [[부산국제영화제]] 개막식 사회자 (with [[임윤아]])<ref>{{뉴스 인용 |제목 =장동건 김하늘, 22회 부산영화제 사회자 선정 |url =http://entertain.naver.com/read?oid=009&aid=0004012688|출판사 =매일경제 |저자 =진현철 |날짜 = 2017-09-12 |확인날짜 =2017-09-12 }}</ref>

* [[태극기 휘날리며]] 시사회에서 "장동건의 실물이 너무 빛이 나서, 옆에 있던 [[원빈]] 보지도 못하였다"거나, "장동건의 매니저 정도로 보였다"는 후기가 빗발쳐서 한때 화제가 되었다. 당시 원빈은 삭발을 상태이긴 했지만, 그만큼 장동건의 실물이 엄청나다는 것을 방증하는 것. [[http://www.instiz.net/pt?no=680843&page=1| 참조#]]
=== 광고 ===
{| class="wikitable" style="font-size:100%;"
!연도
! 광고명
|-
| 1993년
|
* 해태제과 후레쉬메론바 (with [[손지창]], [[이종원 (1969년)|이종원]], [[심은하]])
* [[해태HTB]] 세븐업
|-
| 1996년
|
* [[꾸시꾸쉬]] 삼립식품 너하와이
|-
| 1999년 ~ 2006년
|
* [[미니골드 주얼리]] (with [[김희선]])
|-
| 2000년
|
* [[삼성전자]] 매직스테이션 (with [[김희선]])
* [[KB금융그룹]] 국민패스카드
* [[(주)우성어패럴]] 예작
* [[나크나인]]
|-
| 2002년
|
* [[신도리코]] 블랙풋
* [[대우전자]] 써머스
* [[매일유업]] 카페라떼, 카페라떼 에스프레소
* [[SK텔레콤]] 네이트, 네이트 GPS
|-
| 2002년 ~ 2004년
|  
* [[LG투자증권]]
|-
| 2002년 ~ 2007년
|
* [[(주)파크랜드]]
** 파크랜드 (with [[박상원]], [[박주미]] 2006년, 이태란]] 2007년)
* [[J.HASS]]
|-
| 2002년 ~ 2011년
|  
* [[더샵]] 포스코, 스타시티 (with [[김유미 (1979년)|김유미]])
|-
| 2003년
|
* [[닉스 진]] (with [[이동국]], [[세븐 (1984년)|세븐]])
* [[LG전자]] 싸이언 (with [[신애]])
|-
| 2003년 ~ 2004년
|
* [[LG생활건강]] 보닌 모노다임
|-
| 2004년
|
* [[한국관광공사]] 중국 편 (with [[김희선]])
|-
| 2005년
|
* [[KT]]
** KTF 비즈니스맨
** KTF K-ways
** KTF 월드폰
|-
| 2005년 ~ 2006년
|
* [[오지오]] (일본 광고)
|-
| 2005년 ~ 2007년
|
* [[지오다노]] (with [[전지현]], [[정우성]] 2005년, [[이효리]], [[이준기]] 2006년, [[정려원]] 2007년)
* [[오지오]] (일본 광고)
|-
| 2005년 ~ 2008년
|
* [[삼성카드]] (with [[이나영]])
|-
| 2005년 ~ 2007년
|
* [[동서식품]]
** 맥심 커피 (with [[수애]])
** 맥심 선물세트 ([[안성기]] 편) ※목소리 출연
** 맥심 추석선물세트 (with [[안성기]], [[수애]])
|-
| 2005년 ~ 2008년
|
* [[삼성전자]] 케녹스 카메라
** 케녹스 #1 MP3
** 케녹스 #11 PMP
** VLUU
** VLUU 로테이트
** VLUU 슬라이드
** VLUU i8
|-
| 2006년
|
* [[영화채널]] OCN
* [[미샤]] M 비주얼 팩트 with [[보아]])
* [[하이트진로]] 참이슬 (일본 광고)
|-
| 2006년 ~ 2008년
|
* [[한국닌텐도]]
** 닌텐도DS 매일매일 두뇌트레이닝
** 닌텐도DS 영어삼매경
** 닌텐도DS 두뇌트레이닝 (with [[안성기]])
** 닌텐도DS 매일매일 더욱더 두뇌트레이닝
|-
| 2006년 ~ 2008년
|
* [[하이트진로]] 맥스
|-
| 2007년
|
* [[현대자동차]] 쏘나타
* [[T 애니콜]] + T LIVE (with [[전지현]])
* FAPAI (중국 광고)
* [[오리온제과]] 초코파이 (중국 광고)
* [[삼성전자]] 삼성 테크윈 (아시아 광고)
|-
| 2007년~2008년
|
* [[대상 청정원]]
|-
| 2007년 ~ 2010년
|
* [[SK텔레콤]] T, T LIVE, T zone (with [[비 (1982년)|정지훈]] 2008년, [[신민아]] 2010년)
|-
| 2008년 ~ 2010년
|
* [[아모레퍼시픽]] 헤라 옴므
|-
| 2010년 ~ 2011년
|
* [[LG전자]]
** 트롬 스타일러 (with [[고소영]])
** 트롬 6MOTION
* [[한국타이어]]
* [[우리은행]]
|-
| 2010년 ~ 2012년
|
* [[삼성물산]] 패션부문 로가디스
|-
| 2011년
|
* [[LG전자]] : 장동건의 3D 편
|-
| 2012년
|
* [[도요타자동차]] 렉서스 ES300h
|-
| 2012년 ~ 2016년
|
* [[웅진쿠첸]]
** 쿠첸 밥솥 쿠첸 명품철정 엣지
** 쿠첸 하이브리드 렌지
** 쿠첸 IH스마트레인지
** 쿠첸 프리인덕션
|-
| 2013년
|
* [[ING생명]]
* [[임페리얼]] 위스키
|-
| 2013년 ~ 2014년
|
* [[코오롱인더스트리FnC부문]] 코오롱스포츠 (with [[탕웨이]])
|-
| 2013년 ~ 2015년
|
* [[아모레퍼시픽]] 아이오페 맨
|-
| 2015년
|
* [[(주)웹젠]] 뮤오리진 모바일게임
|-
| 2016년 ~ 현재
|진라면

* 최근 모습을 보면 M자탈모가 진행된줄... 알았으나 배역을 위해 계속해서 이마라인을 M자로 면도했다고한다. 해당 배역은 영화 [[7년의 밤(영화)|7년의 밤]]의 오영제.
* 은성 B&H 마켓 퓨수소수
* [[셀트리온]]
** 셀트리온 기업 PR
** 디어서 퍼펙션 플루이드
|-
|}

* 본인도 데뷔 시절 무명 단역 시절을 거쳤던 탓인지 단역이나 엑스트라를 상당히 아낀다고 한다. --아니 애초에 얼굴로 무명에단역이 가능하긴 한건가??--
=== 홍보대사 ===
{| class="wikitable"
|-
! 연도
! 홍보대사명
|-
| 2001년
|
* 생명나눔실천본부 홍보대사
|-
| 2008년 ~ 현재
|
* 유엔세계식량계획 WFP 홍보대사
|-
| 2012년
|
* 페르노리카코리아 '임페리얼' 광고모델 홍보대사
|- 
| 2013년
|
* 인천국제공항 명예홍보대사
|-
| 2018년
|
* 한돈 홍보대사
|- 
|}

* [[오신환]] [[바른미래당]] 의원과 대학 동기라고 한다. 정확히는 오신환이 많다.
== 수상 및 후보 ==
{| class="wikitable plainrowheaders sortable" style="margin-right: 0;"
|-
! scope="col" | 연도
! scope="col" | 상
! scope="col" | 부문
! scope="col" | 작품
! scope="col" | 결과
|-
| rowspan=2| 1993년
| MBC 결정! 최고인기가요 || 1위 || "너에게로 가는 길" 〈우리들의 천국〉OST || {{won}}
|-
| [[MBC 연기대상]] || 남자 신인상 || ''[[일지매 (1993년 드라마)|일지매]]'' || {{nom}}
|-
| 1994년
| 제30회 [[백상예술대상]] || TV부문 남자 신인연기상 ||''[[마지막 승부]]'' || {{won}}
|-
| rowspan=4| 1997년
| 제33회 [[백상예술대상]] || TV부문 남자 인기상 || ''[[의가형제]]''|| {{won}}
|-
| 제18회 [[청룡영화상]] || 신인남우상 || ''[[패자부활전 (영화)|패자부활전]]'' || {{won}}
|-
| 한국메이크업분장예술가협회(KMMA) || 메이크업 아티스트들이 뽑은 최고의 남자 연예인상<ref>[http://i.imgur.com/sX7qzHh.jpg 1998년 12월 4일 / 스포츠조선 / 전상희 기자] [연예설문] 올 베스트 메이크업 수상자는</ref> || {{빈칸}} || {{won}}
|-
| [[MBC 연기대상]] || 남자 최우수연기상 || ''[[의가형제]]''|| {{won}}
|-
| 1999년
| 제20회 [[청룡영화상]] || 남우조연상 ||rowspan=2| ''[[인정사정 볼 것 없다]]''|| {{won}}
|-
| rowspan=3| 2000년
| 제37회 [[대종상]] || 남우조연상 || {{nom}}
|-
| 제21회 [[청룡영화상]] || 인기스타상 || ''[[아나키스트]]'' || {{won}}
|-
| [[MBC 연기대상]] || 남자 최우수연기상 || ''[[이브의 모든 것]]'' || {{nom}}
|-
| rowspan=3| 2001년
| 제46회 [[아시아태평양영화제]] || 남우조연상 || rowspan=3| ''[[친구 (영화)|친구]]'' || {{won}}
|-
|rowspan=2| 제22회 [[청룡영화상]] || 인기스타상 || {{won}}
|-
| 남우주연상 || {{nom}}
|-
| 2002년
| 제23회 [[청룡영화상]] || 남우주연상 ||rowspan=3| ''[[해안선 (영화)|해안선]]'' || {{nom}}
|-
| rowspan=3| 2003년
| 제40회 [[대종상]] || 남우주연상 || {{nom}}
|-
| 제2회 [[대한민국 영화대상]] || 남우주연상 || {{nom}}
|-
| 제1회 [[앙드레김 베스트 스타 어워드]] || 연기자부문 베스트드레서상 || {{빈칸}} || {{won}}
|-
| rowspan=3| 2004년
| 제40회 [[백상예술대상]] || 영화부문 남자 최우수연기상 ||rowspan=4| ''[[태극기 휘날리며]]'' || {{nom}}
|-
| 제41회 [[대종상]] || 남우주연상 || {{nom}}
|-
| 제25회 [[청룡영화상]] || '''남우주연상'''<ref>{{웹 인용|url=http://english.chosun.com/site/data/html_dir/2004/11/30/2004113061021.html|title=Silmido Takes Best Picture at Blue Dragon Awards|date=2004-12-30|publisher=[[조선일보]]}}</ref> || {{won}}
|-
| 2005년
| 제2회 [[맥스무비 최고의 영화상]] || 최고의 남자배우상 || {{won}}
|-
| rowspan=2| 2006년
| 제43회 [[대종상]] || 남우주연상 || ''[[태풍 (2005년 영화)|태풍]]'' || {{nom}}
|-
| 2006 [[한국광고주대회]] 광고주의 밤 시상식 || 광고주가 뽑은 좋은 모델상 || {{빈칸}} || {{won}}
|-
| rowspan=2| 2007년
| 제15회 [[춘사영화상]] || 한류문화대상 || {{빈칸}} || {{won}}
|-
| 대한민국 방송광고 페스티벌 || 베스트커플상 {{small|(with [[수애]])}} || {{빈칸}} || {{won}}
|-
| rowspan=3| 2009년
| 제46회 저축의 날 || 대통령 표창 || {{빈칸}} || {{won}}
|-
| 제30회 [[청룡영화상]] || 남우주연상 || ''[[굿모닝 프레지던트]]''|| {{nom}}
|-
| 제4회 앙드레김 베스트 스타 어워드 || 스타상 || {{빈칸}} || {{won}}
|-
| rowspan=4| 2012년
| rowspan=2| 제5회 스타일 아이콘 어워즈<ref>{{웹 인용|last=Lee|first=Nancy|title=Jang Dong Gun Wins Style Icon of the Year at ''2012 SIA''|url=http://enewsworld.mnet.com/enews/contents.asp?idx=18896|publisher=enewsWorld|date=2012-10-25}}</ref><ref>{{웹 인용|last=Oh|first=Mi-jung|title=Jang Dong Gun Talks About His Year at '2012 SIA'|url=http://enewsworld.mnet.com/enews/contents.asp?idx=18912|publisher=enewsWorld|date=2012-10-26}}</ref> || 본상 || {{빈칸}} || {{won}}
|-
| 올해의 스타일 아이콘상 || {{빈칸}} || {{won}}
|-
| rowspan=2| [[SBS 연기대상]] || 10대스타상 ||rowspan=2| ''[[신사의 품격]]'' || {{won}}
|-
| 주말연속극부문 남자 최우수연기상 || {{won}}
|-
| 2017년
| 제5회 마리끌레르 아시아스타어워즈 || 올해의 배우상 || ''[[브이아이피]]'' || {{won}}
|-
| rowspan=5| 2018년
| 제7회 대한민국 베스트 스타상 || 베스트 주연상 || ''[[7년의 밤]]'' || {{won}}
|-
| rowspan=4| [[KBS 연기대상]] || 남자 최우수연기상 ||rowspan=4| ''[[슈츠 (대한민국의 드라마)|슈츠]]'' ||{{nom}}
|-
| 미니시리즈부문 남자 우수연기상 || {{won}}
|-
| 베스트커플상 <small>(with [[박형식]])</small> ||{{nom}}
|-
| 네티즌상 ||{{nom}}
|-
|}

* 짱구는 못말려 속 봉미선([[노하라 미사에]])가 좋아하는 한류스타 이다. 한국 로컬화되어 장동근이라 불림.
== 출연 ==
=== 영화 ===
||<table align=center><table bordercolor=#4dc9ff><#4dc9ff> '''{{{#white 개봉 연도}}}''' ||<#4dc9ff> '''{{{#white 제목}}}''' ||<#4dc9ff> '''{{{#white 배역}}}''' ||<#4dc9ff> '''{{{#white 비고}}}''' ||
||<|3> 1997년 || 패자부활전 || 민규 || ||
|| [[헤라클레스(애니메이션)|헤라클레스]] || [[헤라클레스(디즈니 캐릭터)|헤라클레스]] || 목소리 연기 ||
|| 홀리데이 인 서울 || 택시기사 || ||
||<|3> 1999년 || 키스할까요 || 배우 || ||
|| [[연풍연가]] || 태희 || ||
|| [[인정사정 볼 것 없다]] || 김형사 || ||
|| 2000년 || [[아나키스트]] || 세르게이 || ||
|| 2001년 || [[친구(영화)|친구]] || 한동수 || 주연 ||
||<|2> 2002년 || [[2009 로스트 메모리즈]] || [[사카모토 마사유키(2009 로스트 메모리즈)|사카모토 마사유키]] || 주연 ||
|| [[해안선(한국 영화)|해안선]] || 강상병 ||<|12> 주연 ||
|| 2004년 || [[태극기 휘날리며]] || [[이진태]] ||
||<|2> 2005년 || [[태풍(영화)|태풍]] || 씬/최명신 ||
|| [[무극]](Promise) || 쿤룬 ||
|| 2009년 || [[굿모닝 프레지던트]] || 차지욱 ||
|| 2010년 || [[워리어스 웨이]] || 양 ||
|| 2011년 || [[마이웨이]] || [[김준식]] ||
|| 2012년 || [[위험한 관계]][* 중국 제작 영화] || 셰이판 ||
|| 2014년 || [[우는 남자]] || 곤 ||
|| 2017년 || [[브이아이피]] || 박재혁 ||
||<|2> 2018년 || [[7년의 밤(영화)|7년의 밤]][* [[정유정(소설가)|정유정]] 작가의 동명 소설을 영화화한 작품이다.] || 오영제 ||
|| [[창궐]] || 김자준 ||
=== 드라마 ===
||<table align=center><table bordercolor=#4dc9ff><#4dc9ff> '''{{{#white 방영 연도}}}''' ||<#4dc9ff> '''{{{#white 방송사}}}''' ||<#4dc9ff> '''{{{#white 제목}}}''' ||<#4dc9ff> '''{{{#white 배역}}}''' ||<#4dc9ff> '''{{{#white 비고}}}''' ||
|| 1992년 ||<|5> MBC || [[우리들의 천국]] 2기 || 동건 || ||
|| 1993년 || [[일지매]] || 일지매 || ||
|| 1994년 || [[마지막 승부]] || 윤철준 || ||
|| 1996년 || [[아이싱(드라마)|아이싱]] || 윤찬 || ||
||<|3> 1997년 || 의가형제 || 김수형 || ||
|| SBS || 모델 || 이정 || ||
||<|3> MBC || 영웅신화 || 김태우 || ||
|| 1998년 || [[사랑(드라마)|사랑]] || 정인하 || ||
||<|2> 1999년 || 청춘 || 현우 || ||
|| SBS || [[고스트(드라마)|고스트]] || 장대협 || ||
|| 2000년 || MBC || [[이브의 모든 것(드라마)|이브의 모든 것]] || 윤형철 || ||
|| 2012년 || SBS || [[신사의 품격]] || 김도진 || ||
|| 2018년 || KBS2 || [[슈츠(2018년 드라마)|슈츠]] || 최강석 || ||
|| 2019년 || tvN || [[아스달 연대기]] || 타곤 || ||
== 각주 ==
{{각주|2}}

=== 광고 ===
* [[포스코건설]]
* [[셀트리온제약]]
* 맥스(맥주) 하이트진로
* [[SK텔레콤]][* 네이트, 생각대로[[T]] 등..]
* [[진라면]]
== 외부 링크 ==
* {{공식 웹사이트|www.jangdonggun.co.kr}}
* {{KMDb 사람}}
* {{IMDb 이름}}
* {{한시네마 인물|Jang_Dong-gun}}

== 수상 ==
||<rowbgcolor=#4dc9ff><tablebordercolor=#4dc9ff> {{{#white '''수상 연도'''}}} || {{{#white '''시상식'''}}} || {{{#white '''부문'''}}} || {{{#white '''작품'''}}} ||
|| 1993년 || MBC 결정! 인기가요 || '''1위''' || 너에게로 가는 길 - 우리들의 천국 OST ||
|| 1994년 || 제30회 [[백상예술대상]] || TV부문 남자 신인연기상 || 마지막 승부 ||
||<|4> 1997년 || 제33회 [[백상예술대상]] || TV부문 인기상 || 의가형제 ||
|| 제18회 [[청룡영화상]] || 신인남우상 || 패자부활전 ||
|| 한국메이크업분장예술대회 || 메이크업 아티스트들이 뽑은 최고의 남자 연예인상 || ||
|| [[MBC 연기대상]] || 남자 최우수연기상 || 의가형제 ||
|| 1999년 || 제20회 [[청룡영화상]] || 남우조연상 || 인정사정 볼 것 없다 ||
|| 2000년 || 제21회 [[청룡영화상]] || 인기스타상 || 아나키스트 ||
||<|2> 2001년 || 제46회 아시아태평양영화제 || 남우조연상 ||<|2> 친구 ||
|| 제22회 [[청룡영화상]] || 인기스타상 ||
|| 2004년 || 제25회 [[청룡영화상]] || '''남우주연상''' ||<|2> 태극기 휘날리며 ||
|| 2005년 || 제2회 맥스무비 최고의 영화상 || 최고의 남자배우상 ||
|| 2006년 || 2006 한국광고주대회 광고주의 밤 시상식 || 광고주가 뽑은 좋은 모델상 || ||
||<|2> 2007년 || 제15회 춘사영화상 || 한류문화대상 || ||
|| 대한민국 방송광고 페스티벌 || 베스트커플상 (with [[수애]]) || ||
||<|2> 2009년 || 제46회 저축의 날 || 대통령 표창 || ||
|| 제4회 앙드레김 베스트 스타 어워드 || 스타상 || ||
||<|4> 2012년 ||<|2> 제5회 스타일 아이콘 어워드 || 본상 || ||
|| 올해의 스타일 아이콘상 || ||
||<|2> [[SBS 연기대상]] || 10대 스타상 ||<|2> 신사의 품격 ||
|| 주말연속극 부문 남자 최우수연기상 ||
|| 2017년 || 제4회 마리끌레르 아시아스타어워즈 || 올해의 배우상 || 브이아이피 ||
{{이전다음2
| 배경색 = #464646
| 제목 = [[MBC 연기대상]] 《남자 최우수상》
| 종류 =
| 이전 = 1996
| 현재 = 1997
| 다음 = 1998
| 이전명 = [[백일섭]] 
| 현재명 = 장동건
| 다음명 = [[김승우]], [[손창민]] 
| 현재 요약 아래 = [[의가형제]] 김수형
}}
{{이전다음2
|배경색= #00548E
|제목= [[SBS 연기대상]] 남자 최우수상》
|종류=
|이전= 2011
|현재= 2012
|다음= 2013
|이전명= [[김래원]], [[장혁]], [[이동욱 (1981년)|이동욱]], [[지성 (1977년)|지성]], [[이민호 (1987년)|이민호]]
|현재명= [[이민호 (1987년)|이민호]], 장동건, [[소지섭]]
|다음명= [[전광렬]], [[소지섭]], [[이민호 (1987년)|이민호]]
|현재 요약 아래= [[신사의 품격]] 김도진
}}
{{둘러보기 상자 묶음
|title = 장동건의 수상 목록
|list =
{{MBC 연기대상 남자 최우수연기}}
{{SBS 연기대상 남자 최우수연기}}
{{KBS 연기대상 남자 우수연기}}
{{청룡영화상 남우주연}}
{{청룡영화상 남우조연}}
{{청룡영화상 신인남우}}
{{맥스무비 최고의 영화상 최고의 남자배우}}
{{백상예술대상 TV부문 남자 신인연기}}
}}
{{SM 엔터테인먼트}}
{{포브스 코리아 파워 셀러브리티}}
{{올해를 빛낸 영화배우}}
{{올해를 빛낸 탤런트}}
{{전거 통제}}

[[분류:한국 남배우]][[분류:한국 남성 모델]][[분류:대한민국의 남성 방송인]][[분류:평택시 출신 인물]][[분류:1972년 출생]][[분류:1992년 데뷔]]
[[분류:1972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1992년 데뷔]][[분류:대한민국의 남자 연극 배우]][[분류:대한민국의 남자 뮤지컬 배우]][[분류:대한민국의 남자 영화 배우]][[분류:대한민국의 남자 텔레비전 배우]][[분류:청룡영화상 남우주연상 수상자]][[분류:청룡영화상 남우조연상 수상자]][[분류:청룡영화상 신인남우상 수상자]][[분류:백상예술대상 수상자]]
----
[[분류:삭제]]



{{영화인 정보
| 이름 = 장동건
| 사진 =
| 사진크기 =280px
| 사진설명 =
출생일 = {{출생일과 만나이
1972|3|7}}49만(48)세
| 출생지 = 대한민국 경기도 평택시 합정동 (서동대로)
| 직업 = 배우
| 활동기간 = 1992년 ~ 현재
| 종교 = 불교
배우자 = [[고소영 (레이싱 모델)
고소영]]
| 자녀 = 아들 장준혁
| 소속사 = 디엔터테인먼트컴퍼니
| 웹사이트 =
| 학력 = 한국예술종합학교연극원연기과1기
}}
장동건(1972년 3월 7일 ~ )은 대한민국배우이다.

성장 과정 및 교육

1972년 경기 화성시(현 평택시 합정동 (서동대로))에서 태어났다. 형제로는 2남 중 장남으로 남동생이 한명 있다. 장동건은 1992년 연극과 뮤지컬에 출연하였으며 같은 해 MBC 공채 탤런트 21기로 데뷔해 인기 배우로 성장했지만 학업을 위해 1994년 1월 모든 활동을 중단하고 연극원 1기생으로 입학했다.<ref name="Jang Dong Gun website">{{웹 인용|title=Jang Dong-gun Profile|url=http://en.jangdonggun.co.kr/|publisher=Jang Dong-gun official website|accessdate=2012-06-23}}</ref> 연기자로서 실력을 쌓기 위해 어려운 결단이였다. 물론 2학년까지는 대외활동을 할 수 없다는 교칙에 따른 것이기도 하지만 장동건은 연기자로서 성장해가기 위한 스스로의 결정으로 학교 생활에 충실했다고 한다.<ref>{{뉴스 인용 |제목 =스타 그때 이런 일이 장동건 2년6개월만에 드라마 복귀 |url =http://entertain.naver.com/read?oid=382&aid=0000374016|출판사 =스포츠동아 |저자 =윤여수 |날짜 = 2015-07-01 |확인날짜 =2017-09-12 }}</ref> 하지만 이에 2년의 학교생활을 마쳤지만, '4년간 외부활동 금지'로 규정이 바뀌면서 졸업과 활동에 대한 이해가 충돌하면서 조바심과 함께 연기에 대한 갈증이 생겼고, 결국 중퇴를 하게 되었다고 한다.<ref name="mediapen" />

경력


2009년 4월 16일, 장동건.

장동건은 1992년 MBC 공채 탤런트 21기로 선발 되어, 같은 해 방영 된 MBC아들과 딸》으로 연기 경력을 시작하였다. 그는 연예계 데뷔와 함께 드라마 주연에 발탁되었고, 캠퍼스 청춘 드라마 《우리들의 천국 2기》(1992)에 이어 1994년 초, 대학 농구 열풍을 일으키며 최고시청률 48.6%을 기록하는 등 인기리에 방영 된 MBC 드라마 《마지막 승부》로 단숨에 신세대 스타로서의 입지를 굳히며 큰 인기를 끌었다.<ref>{{뉴스 인용 |제목 =M+TV타임머신 경기보다 더 흥미진진한 스포츠 드라마 |url =http://entertain.naver.com/read?oid=057&aid=0000376417|출판사 =MBN스타 |저자 =남우정 |날짜 = 2014-06-11 |확인날짜 =2017-09-12 }}</ref> 제30회 백상예술대상 TV부문 남자신인연기상과 제33회 백상예술대상 TV부문 인기상 등을 수상하였다. 이후 드라마 《모델》(1997), 《의가형제》(1997), 《영웅신화》(1998), 《고스트》(1999), 《이브의 모든 것》(2000)과 영화 《패자부활전》(1997), 《홀리데이 인 서울》(1997), 《연풍연가》(1999), 《인정사정 볼 것 없다》(1999), 《아나키스트》(2000) 등의 여러 작품에 꾸준히 출연하며 연기 내공을 쌓아갔고 톱배우로 성장하였다.<ref name="enews24">{{뉴스 인용 |제목 =스타백과사전2.0장동건, '아름다움'을 넘어 '배우'가 되다! |url =http://entertain.naver.com/read?oid=404&aid=0000007354|출판사 =enews24 |저자 =김지연 |날짜 = 2012-06-29 |확인날짜 =2017-09-12 }}</ref> 하지만 《아이싱》(1996), 《사랑》(1998), 《청춘》(1999)는 낮은 시청률과 혹평을 받으며 실패를 맛봤다.<ref>{{뉴스 인용 |제목 =김미숙 연하남편과 맺어준 드라마 ‘사랑’ 어땠나…★ 총출동한 1998년 작 |url =http://entertain.naver.com/read?oid=213&aid=0000375689|출판사 =TV리포트 |저자 =장민석 |날짜 = 2013-09-17 |확인날짜 =2017-09-12 }}</ref><ref>{{뉴스 인용 |제목 =스타 그때 이런 일이 장동건 주연 MBC ‘사랑’…시청률 18%에도 작가 교체 |url =http://entertain.naver.com/read?oid=382&aid=0000446512|출판사 =스포츠동아 |저자 =윤여수 |날짜 = 2016-02-02 |확인날짜 =2017-09-12 }}</ref>

장동건은 데뷔 이후, 뛰어난 외모 때문에 다른 사람들보다 쉽게 주연 자리를 거머쥐었다는 편견 등 외모로 인해 제대로 된 평가를 받지 못한 연기에 대한 고민이 있었는데, 1997년 방영 된 의학 드라마 《의가형제》를 꽃망울을 틔운 그의 연기는 이명세 감독의 영화 《인정사정 볼 것 없다》로 지평을 넓히며, 그 해 각각 MBC 연기대상 최우수연기상과 청룡영화상 남우주연상을 수상하며 연기력을 인정 받기 시작했다.<ref name="enews24" /><ref>{{뉴스 인용 |제목 ='의가형제', 20대 장동건 이영애가 영원한① |url =http://entertain.naver.com/read?oid=108&aid=0001941746|출판사 =스타뉴스 |저자 =김관명 |날짜 = 2008-03-17 |확인날짜 =2017-09-12 }}</ref> 2001년 820만 관객을 동원한 곽경택 감독의 영화 《친구》를 통해 그는 제2의 전성기를 얻었다. 이후 인터뷰를 통해 자신의 인생으로 꼽기도 했다.<ref name="mediapen">{{뉴스 인용 |제목 =장동건 인터뷰② "인생작은 '친구'… 40만 관객이 목표였다" |url =http://m.mediapen.com/news/view/293661|출판사 =미디어펜 |저자 =이동진 |날짜 = 2017-08-21 |확인날짜 =2017-09-12 }}</ref> 장동건은 2004년 초 개봉한 강제규 감독의 영화 《태극기 휘날리며》를 통해 1174만 명의 관객을 동원, 천만배우에 합류하였고, 생애 최초 청룡영화상 남우주연상을 수상하는 쾌거를 이뤘다. 그는 2000년대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한류 배우로 자리매김했다. 이외에도 그는 《2009 로스트 메모리즈》(2002), 《해안선》(2002), 《무극》(2005), 《태풍》(2005), 《굿모닝 프레지던트》(2009), 《마이웨이》(2011) 등에 출연하며 활동 영역을 넓혔다.<ref>{{뉴스 인용 |제목 =20년 전 오늘 장동건, 혼자 세월 피해가는 '이기적인 미남 배우' |url =http://entertain.naver.com/read?oid=468&aid=0000231907|출판사 =스포츠서울 |저자 =김수현 |날짜 = 2017-01-30 |확인날짜 =2017-09-12 }}</ref> 2010년에는 큰 성공을 내진 못했지만 영화 《워리어스 웨이》로는 할리우드에 진출했으며 꾸준한 시도를 통해 성장하는 모습을 보여줬다.<ref>{{뉴스 인용 |제목 ='워리어스 웨이' 장동건, "할리우드 새로운 스타"로 CNN 이례적인 보도! |url =http://entertain.naver.com/read?oid=109&aid=0002159901|출판사 =OSEN |저자 =조경이 |날짜 = 2010-12-02 |확인날짜 =2017-09-12 }}</ref>

2012년에는 장동건은 12년 만에 복귀한 드라마 《신사의 품격》 을 통해 그간 드러나지 않았던 인간적인 매력을 한껏 드러내며 꽃중년으로 인기를 끌었다.<ref>{{뉴스 인용 |제목 =‘신사의품격’ 장동건, 섬세-애틋 눈빛연기 호평 ‘도진않이’ |url =http://entertain.naver.com/read?oid=213&aid=0000227768|출판사 =TV리포트 |저자 =박귀임 |날짜 = 2012-07-16 |확인날짜 =2017-09-12 }}</ref><ref>{{뉴스 인용 |제목 ='신사의 품격' 장동건, 이 남자 귀엽거나 혹은 섹시하거나 |url =http://entertain.naver.com/read?oid=117&aid=0002253488|출판사 =마이데일리 |저자 =최두선 |날짜 = 2017-07-25 |확인날짜 =2017-09-12 }}</ref> 같은 해 출연한 영화 《위험한 관계》에 이어 《우는 남자》(2014)에서 킬러 곤 역을 맡아 40대 중반의 나이가 믿기지 않을 만큼 화려한 액션연기를 선보이는 등 파격적인 연기 변신을 하였다.<ref>{{뉴스 인용 |제목 =리뷰 ‘우는 남자’ 장동건, 그는 ‘아저씨’가 아니었다 |url =http://entertain.naver.com/read?oid=382&aid=0000218190|출판사 =스포츠동아 |저자 =정희연 |날짜 = 2017-06-03 |확인날짜 =2017-09-12 }}</ref>

2017년 개봉한 박훈정 감독의 영화 《브이아이피》에서 국정원 요원 박재혁 역을 맡아 열연하였다.<ref>{{뉴스 인용 |제목 =장동건 “‘브이아이피’ 박재혁, 승진 원하는 현실적 인물”(인터뷰①) |url =http://m.entertain.naver.com/read?oid=469&aid=0000230154|출판사 =한국일보 |저자 =이주희 |날짜 = 2017-08-29 |확인날짜 =2017-09-12 }}</ref>

개인 생활

2009년 11월 5일, 배우 고소영과 연인관계임을 공식발표 하였고<ref>{{뉴스 인용|제목=장동건 '고소영과 연인관계' 소속사 공식발표|url=http://spn.edaily.co.kr/entertain/newsRead.asp?sub_cd=EA11&newsid=01262806589882768&DirCode=0010101|출판사=이데일리 SPN|저자=김용운|날짜=2009-11-05|확인날짜=2010-05-02|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091108094519/http://spn.edaily.co.kr/entertain/newsRead.asp?sub_cd=EA11&newsid=01262806589882768&DirCode=0010101|보존날짜=2009-11-08|깨진링크=예}}</ref> 이듬해인 2010년 5월 2일, 서울 신라호텔에서 결혼식을 올렸다. 같은 해 10월 4일 아들 장준혁 (원래이름 장민준에서 개명)이 태어났고 2014년 2월 25일 딸 장윤설이 태어났다.<ref>{{뉴스 인용|제목=장-고 커플, 천여명 축하인파 속 '세기의 결혼'(종합)|url=http://osen.mt.co.kr/news/view.html?gid=G1005020156|출판사=OSEN|저자=최나영|날짜=2010-05-02|확인날짜=2010-05-02}}</ref> 평소 야구를 좋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김승우가 구단주로 있는 연예인 야구단인 '플레이보이즈'에서 오랜기간 선수로 활약하고 있다. 그는 어렸을 때부터 LG 트윈스의 팬이다. 사회인 야구에서 투수로 나서며, 130Km에 가까운 공을 던질 정도로 능력이 있다고 한다. 배우 한재석, 김승우, 공형진, 주진모, 현빈 등과 절친으로 알려져 있다.

출연 작품

영화

{| class="wikitable sortable"
|-
! 연도
! 제목
! 역할
! 비고
|-
rowspan="3"
1997년
| 패자부활전
| 동물원 수의사 민규
|
|-
| 홀리데이 인 서울
| 택시기사
|
|-
[[헤라클레스 (1997년 영화)
헤라클레스]]
| 헤라클레스 (한국판 더빙)
| 애니메이션 영화
|-
| 1998년
| 키스할까요
| 배우
| 특별 출연
|-
rowspan="2"
1999년
| 연풍연가
| 태희
|
|-
| 인정사정 볼 것 없다
| 김동석 형사
|
|-
| 2000년
[[아나키스트 (영화)
아나키스트]]
| 세르게이
|
|-
| 2001년
[[친구 (영화)
친구]]
| 한동수
|
|-
rowspan="2"
2002년
| 2009 로스트 메모리즈
| 사카모토 마사유키
|
|-
[[해안선 (영화)
해안선]]
| 강 상병
|
|-
| 2004년
| 태극기 휘날리며
| 이진태
|
|-
rowspan="2"
2005년
| 무극
| 쿤룬
|
|-
[[태풍 (영화)
태풍]]
| 씬, 최명신
|
|-
| 2007년
[[지구 (영화)
지구]]
| 내레이션
| 다큐멘터리 영화
|-
| 2009년
| 굿모닝 프레지던트
| 후임 대통령 차지욱
|
|-
| 2010년
| 워리어스 웨이
| 양
|
|-
| 2011년
[[마이 웨이 (2011년 영화)
마이웨이]]
| 김준식
|
|-
| 2012년
[[위험한 관계 (2012년 영화)
위험한 관계]]
| 세이판
|
|-
| 2014년
| 우는 남자
| 진곤
|
|-
| 2017년
| 브이아이피
| 박재혁
|
|-
rowspan="2"
2018년
| 7년의 밤
| 오영재
|
|-
[[창궐 (영화)
창궐]]
| 김자준
|
|-
|}

드라마

{| class="wikitable sortable"
|-
! 연도
! 방송사
! 제목
! 역할
! 비고
|-
|1992년
rowspan="7"
MBC
|무동이네 집
|주현의 대학 친구
|단역
|-
| 1992년 ~ 1993년
|아들과 딸
|
| 단역
|-
| 1992년 ~ 1994년
[[우리들의 천국
우리들의 천국 2기]]
| 동건
| 163부작
|-
rowspan="2"
1994년
| 일지매
| 일지매
| 8부작
|-
| 마지막 승부
| 한영대학교 농구부 윤철준
| 16부작
|-
| 1996년
[[아이싱 (드라마)
아이싱]]
| 윤찬
| 17부작
|-
rowspan="3"
1997년
| 의가형제
| 흉부외과 전문의 김수형
| 16부작
|-
[[SBS TV
SBS]]
| 모델
| 이정
| 36부작
|-
rowspan="3"
MBC
| 영웅신화
| 김태우
| 23부작
|-
| 1998년
[[사랑 (1998년 드라마)
사랑]]
| 정인하
| 16부작
|-
rowspan="2"
1999년
| 청춘
| 강현우
| 10부작
|-
[[SBSTV
SBS]]
| 고스트
| 장대협
| 16부작
|-
| 2000년
| MBC
[[이브의 모든 것 (드라마)
이브의 모든 것]]
| MBS 사장 윤형철
| 20부작
|-
| 2012년
| SBS
| 신사의 품격
| 김도진
| 20부작
|-
| 2018년
| KBS2
[[슈츠 (2018년 드라마)
슈츠]]
| 최강석
| 16부작
|-
| 2019년
| tvN
| 아스달 연대기
| 타곤
|
|-
|}

연기 외 활동

음반

{| class="wikitable"
|-
! 연도
! 음반명
|-
| 1994년.01월
|
* 정규 앨범 《Friendship》 (with 전철)
|-
| 1994년.03월
|
* 드라마 《우리들의 천국 OST (MBC 청춘 드라마)》 OST "너에게로 가는 길" 참여
|-
| 1995년
|
* 솔로 1집 정규 앨범 《비상》
|-
| 1998년.02월
|
* 드라마 《사랑 (MBC 특별기획 미니시리즈)》 OST "Love Song" (with 구본승) 참여
|-
| 1998년.02월
|
* 정규 앨범 《Bon Seung & Dong Gun》 (with 구본승)
|-
| 2001년.07월
|
* 솔로 2집 정규 앨범 《에덴의 저편》
|-
| 2010년.03월
|
* 프로젝트 앨범 《We Online》 OST "우리 (We)" (with 공형진, 김승우, 이하나, 황정민, 지진희)
|-
| 2012년.07월
|
* 드라마 《신사의 품격 OST 2》 OST "나보다 더" 참여
|-
|}

뮤직 비디오

{| class="wikitable"
|-
! 연도
! 가수
! 노래
! 비고
|-
| 1999년
[[최진영 (1971년)
스카이]]
| 〈영원〉
|
|-
|}

사회자

* 2017년 제22회 부산국제영화제 개막식 사회자 (with 임윤아)<ref>{{뉴스 인용 |제목 =장동건 김하늘, 22회 부산영화제 사회자 선정 |url =http://entertain.naver.com/read?oid=009&aid=0004012688|출판사 =매일경제 |저자 =진현철 |날짜 = 2017-09-12 |확인날짜 =2017-09-12 }}</ref>

광고

{| class="wikitable" style="font-size:100%;"
!연도
! 광고명
|-
| 1993년
|
* 해태제과 후레쉬메론바 (with 손지창, 이종원, 심은하)
* 해태HTB 세븐업
|-
| 1996년
|
* 꾸시꾸쉬 삼립식품 너하와이
|-
| 1999년 ~ 2006년
|
* 미니골드 주얼리 (with 김희선)
|-
| 2000년
|
* 삼성전자 매직스테이션 (with 김희선)
* KB금융그룹 국민패스카드
* (주)우성어패럴 예작
* 나크나인
|-
| 2002년
|
* 신도리코 블랙풋
* 대우전자 써머스
* 매일유업 카페라떼, 카페라떼 에스프레소
* SK텔레콤 네이트, 네이트 GPS
|-
| 2002년 ~ 2004년
|
* LG투자증권
|-
| 2002년 ~ 2007년
|
* (주)파크랜드
** 파크랜드 (with 박상원, 박주미 2006년, 이태란]] 2007년)
* J.HASS
|-
| 2002년 ~ 2011년
|
* 더샵 포스코, 더 샾 스타시티 (with 김유미)
|-
| 2003년
|
* 닉스 진 (with 이동국, 세븐)
* LG전자 싸이언 (with 신애)
|-
| 2003년 ~ 2004년
|
* LG생활건강 보닌 모노다임
|-
| 2004년
|
* 한국관광공사 중국 편 (with 김희선)
|-
| 2005년
|
* KT
** KTF 비즈니스맨
** KTF K-ways
** KTF 월드폰
|-
| 2005년 ~ 2006년
|
* 오지오 (일본 광고)
|-
| 2005년 ~ 2007년
|
* 지오다노 (with 전지현, 정우성 2005년, 이효리, 이준기 2006년, 정려원 2007년)
* 오지오 (일본 광고)
|-
| 2005년 ~ 2008년
|
* 삼성카드 (with 이나영)
|-
| 2005년 ~ 2007년
|
* 동서식품
** 맥심 커피 (with 수애)
** 맥심 선물세트 (안성기 편) ※목소리 출연
** 맥심 추석선물세트 (with 안성기, 수애)
|-
| 2005년 ~ 2008년
|
* 삼성전자 케녹스 카메라
** 케녹스 #1 MP3
** 케녹스 #11 PMP
** VLUU
** VLUU 로테이트
** VLUU 슬라이드
** VLUU i8
|-
| 2006년
|
* 영화채널 OCN
* 미샤 M 비주얼 팩트 with 보아)
* 하이트진로 참이슬 (일본 광고)
|-
| 2006년 ~ 2008년
|
* 한국닌텐도
** 닌텐도DS 매일매일 두뇌트레이닝
** 닌텐도DS 영어삼매경
** 닌텐도DS 두뇌트레이닝 (with 안성기)
** 닌텐도DS 매일매일 더욱더 두뇌트레이닝
|-
| 2006년 ~ 2008년
|
* 하이트진로 맥스
|-
| 2007년
|
* 현대자동차 쏘나타
* T 애니콜 + T LIVE (with 전지현)
* FAPAI (중국 광고)
* 오리온제과 초코파이 (중국 광고)
* 삼성전자 삼성 테크윈 (아시아 광고)
|-
| 2007년~2008년
|
* 대상 청정원
|-
| 2007년 ~ 2010년
|
* SK텔레콤 T, T LIVE, T zone (with 정지훈 2008년, 신민아 2010년)
|-
| 2008년 ~ 2010년
|
* 아모레퍼시픽 헤라 옴므
|-
| 2010년 ~ 2011년
|
* LG전자
** 트롬 스타일러 (with 고소영)
** 트롬 6MOTION
* 한국타이어
* 우리은행
|-
| 2010년 ~ 2012년
|
* 삼성물산 패션부문 로가디스
|-
| 2011년
|
* LG전자 : 장동건의 3D 편
|-
| 2012년
|
* 도요타자동차 렉서스 ES300h
|-
| 2012년 ~ 2016년
|
* 웅진쿠첸
** 쿠첸 밥솥 쿠첸 명품철정 엣지
** 쿠첸 하이브리드 렌지
** 쿠첸 IH스마트레인지
** 쿠첸 프리인덕션
|-
| 2013년
|
* ING생명
* 임페리얼 위스키
|-
| 2013년 ~ 2014년
|
* 코오롱인더스트리FnC부문 코오롱스포츠 (with 탕웨이)
|-
| 2013년 ~ 2015년
|
* 아모레퍼시픽 아이오페 맨
|-
| 2015년
|
* (주)웹젠 뮤오리진 모바일게임
|-
| 2016년 ~ 현재
|진라면

* 은성 B&H 마켓 퓨수소수
* 셀트리온
** 셀트리온 기업 PR
** 디어서 퍼펙션 플루이드
|-
|}

홍보대사

{| class="wikitable"
|-
! 연도
! 홍보대사명
|-
| 2001년
|
* 생명나눔실천본부 홍보대사
|-
| 2008년 ~ 현재
|
* 유엔세계식량계획 WFP 홍보대사
|-
| 2012년
|
* 페르노리카코리아 '임페리얼' 광고모델 겸 홍보대사
|-
| 2013년
|
* 인천국제공항 명예홍보대사
|-
| 2018년
|
* 한돈 홍보대사
|-
|}

수상 및 후보

{| class="wikitable plainrowheaders sortable" style="margin-right: 0;"
|-
! scope="col" | 연도
! scope="col" | 상
! scope="col" | 부문
! scope="col" | 작품
! scope="col" | 결과
|-
rowspan=2
1993년
| MBC 결정! 최고인기가요 || 1위 || "너에게로 가는 길" 〈우리들의 천국〉OST || {{won}}
|-
[[MBC 연기대상]]
| 남자 신인상 일지매 {{nom}}
|-
| 1994년
제30회 [[백상예술대상]]
| TV부문 남자 신인연기상 마지막 승부 {{won}}
|-
rowspan=4
1997년
| 제33회 백상예술대상 || TV부문 남자 인기상 || 의가형제|| {{won}}
|-
제18회 [[청룡영화상]]
| 신인남우상 패자부활전 {{won}}
|-
한국메이크업분장예술가협회(KMMA)
| 메이크업 아티스트들이 뽑은 최고의 남자 연예인상<ref>1998년 12월 4일 / 스포츠조선 / 전상희 기자 연예설문 올 베스트 메이크업 수상자는</ref> {{빈칸}} {{won}}
|-
[[MBC 연기대상]]
| 남자 최우수연기상 의가형제 {{won}}
|-
| 1999년
제20회 [[청룡영화상]]
| 남우조연상 rowspan=2| 인정사정 볼 것 없다 {{won}}
|-
rowspan=3
2000년
| 제37회 대종상 || 남우조연상 || {{nom}}
|-
제21회 [[청룡영화상]]
| 인기스타상 아나키스트 {{won}}
|-
[[MBC 연기대상]]
| 남자 최우수연기상 이브의 모든 것 {{nom}}
|-
rowspan=3
2001년
| 제46회 아시아태평양영화제 || 남우조연상 || rowspan=3| 친구 || {{won}}
|-
rowspan=2
제22회 청룡영화상 인기스타상 {{won}}
|-
남우주연상
| {{nom}}
|-
| 2002년
제23회 [[청룡영화상]]
| 남우주연상 rowspan=3| 해안선 {{nom}}
|-
rowspan=3
2003년
| 제40회 대종상 || 남우주연상 || {{nom}}
|-
제2회 [[대한민국 영화대상]]
| 남우주연상 {{nom}}
|-
제1회 [[앙드레김 베스트 스타 어워드]]
| 연기자부문 베스트드레서상 {{빈칸}} {{won}}
|-
rowspan=3
2004년
| 제40회 백상예술대상 || 영화부문 남자 최우수연기상 ||rowspan=4| 태극기 휘날리며 || {{nom}}
|-
제41회 [[대종상]]
| 남우주연상 {{nom}}
|-
제25회 [[청룡영화상]]
| 남우주연상<ref>{{웹 인용|url=http://english.chosun.com/site/data/html_dir/2004/11/30/2004113061021.html|title=Silmido Takes Best Picture at Blue Dragon Awards|date=2004-12-30|publisher=조선일보}}</ref> {{won}}
|-
| 2005년
제2회 [[맥스무비 최고의 영화상]]
| 최고의 남자배우상 {{won}}
|-
rowspan=2
2006년
| 제43회 대종상 || 남우주연상 || 태풍 || {{nom}}
|-
2006 [[한국광고주대회]] 광고주의 밤 시상식
| 광고주가 뽑은 좋은 모델상 {{빈칸}} {{won}}
|-
rowspan=2
2007년
| 제15회 춘사영화상 || 한류문화대상 || {{빈칸}} || {{won}}
|-
대한민국 방송광고 페스티벌
| 베스트커플상 {{small|(with 수애)}} {{빈칸}} {{won}}
|-
rowspan=3
2009년
| 제46회 저축의 날 || 대통령 표창 || {{빈칸}} || {{won}}
|-
제30회 [[청룡영화상]]
| 남우주연상 굿모닝 프레지던트 {{nom}}
|-
제4회 앙드레김 베스트 스타 어워드
| 스타상 {{빈칸}} {{won}}
|-
rowspan=4
2012년
| rowspan=2| 제5회 스타일 아이콘 어워즈<ref>{{웹 인용|last=Lee|first=Nancy|title=Jang Dong Gun Wins Style Icon of the Year at 2012 SIA|url=http://enewsworld.mnet.com/enews/contents.asp?idx=18896|publisher=enewsWorld|date=2012-10-25}}</ref><ref>{{웹 인용|last=Oh|first=Mi-jung|title=Jang Dong Gun Talks About His Year at '2012 SIA'|url=http://enewsworld.mnet.com/enews/contents.asp?idx=18912|publisher=enewsWorld|date=2012-10-26}}</ref> || 본상 || {{빈칸}} || {{won}}
|-
올해의 스타일 아이콘상
| {{빈칸}} {{won}}
|-
rowspan=2
SBS 연기대상 10대스타상 rowspan=2| 신사의 품격 {{won}}
|-
주말연속극부문 남자 최우수연기상
| {{won}}
|-
| 2017년
제5회 마리끌레르 아시아스타어워즈
| 올해의 배우상 브이아이피 {{won}}
|-
rowspan=5
2018년
| 제7회 대한민국 베스트 스타상 || 베스트 주연상 || 7년의 밤 || {{won}}
|-
rowspan=4
KBS 연기대상 남자 최우수연기상 rowspan=4| 슈츠 {{nom}}
|-
미니시리즈부문 남자 우수연기상
| {{won}}
|-
베스트커플상 <small>(with [[박형식]])</small>
|{{nom}}
|-
네티즌상
|{{nom}}
|-
|}

각주

{{각주|2}}

외부 링크

* {{공식 웹사이트|www.jangdonggun.co.kr}}
* {{KMDb 사람}}
* {{IMDb 이름}}
* {{한시네마 인물|Jang_Dong-gun}}

{{이전다음2
| 배경색 = #464646
| 제목 = MBC 연기대상 《남자 최우수상》
| 종류 = 년
| 이전 = 1996
| 현재 = 1997
| 다음 = 1998
| 이전명 = 백일섭
| 현재명 = 장동건
| 다음명 = 김승우, 손창민
| 현재 요약 아래 = 의가형제 김수형 역
}}
{{이전다음2
|배경색= #00548E
|제목= SBS 연기대상 《남자 최우수상》
|종류= 년
|이전= 2011
|현재= 2012
|다음= 2013
이전명= [[김래원]], [[장혁]], [[이동욱 (1981년)
이동욱]], 지성, 이민호
|현재명= 이민호, 장동건, 소지섭
다음명= [[전광렬]], [[소지섭]], [[이민호 (1987년)
이민호]]
|현재 요약 아래= 신사의 품격 김도진 역
}}
{{둘러보기 상자 묶음
|title = 장동건의 수상 목록
|list =
{{MBC 연기대상 남자 최우수연기}}
{{SBS 연기대상 남자 최우수연기}}
{{KBS 연기대상 남자 우수연기}}
{{청룡영화상 남우주연}}
{{청룡영화상 남우조연}}
{{청룡영화상 신인남우}}
{{맥스무비 최고의 영화상 최고의 남자배우}}
{{백상예술대상 TV부문 남자 신인연기}}
}}
{{SM 엔터테인먼트}}
{{포브스 코리아 파워 셀러브리티}}
{{올해를 빛낸 영화배우}}
{{올해를 빛낸 탤런트}}
{{전거 통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