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물 정보
| 이름 = 이조년
| 그림 =
| 그림설명 = 19세기 말에 그려진 작자 미상의 이조년 초상
| 출생일 = 1269년
| 출생지 = 경상북도 성주군
| 사망일 = 1343년
| 사망지 =
| 국적 =
| 별칭 = 자 원로(元老)<br />호 매운당(梅雲堂)·백화헌(百化軒))<br />시호 문렬(文烈)
| 경력 =
| 학력 =
| 직업 = 학자, 시인, 문신
| 종교 =
| 배우자 =
| 상훈 =
| 웹사이트 =
}}
| 이름 = 이조년
| 그림 =
| 그림설명 = 19세기 말에 그려진 작자 미상의 이조년 초상
| 출생일 = 1269년
| 출생지 = 경상북도 성주군
| 사망일 = 1343년
| 사망지 =
| 국적 =
| 별칭 = 자 원로(元老)<br />호 매운당(梅雲堂)·백화헌(百化軒))<br />시호 문렬(文烈)
| 경력 =
| 학력 =
| 직업 = 학자, 시인, 문신
| 종교 =
| 배우자 =
| 상훈 =
| 웹사이트 =
}}
이조년(李兆年, 1269년 ~ 1343년)은 고려의 원종-충혜왕 때의 문신·시인·문인이며 학자이다. 자는 원로(元老), 호는 매운당(梅雲堂)·백화헌(百化軒)이며, 본관은 성주이다. 이장경의 아들이며 이인임, 이인복, 이인립의 할아버지이며 이제의 증조부이고, 이숭인의 종증조부이다.
경상북도 성주 출신으로 아버지는 이장경이며 어머니는 합천 이씨이다. 충렬왕 때 문과에 급제하였으며, 1306년 비서랑으로 왕을 모시고 원나라 수도 연경(燕京)에 갔을 때 왕유소·송방영 등의 모함으로 충렬왕과 왕자의 사이가 나빠졌다. 이때 그는 어느 편에도 가담하지 않았으나 화를 입고 유배되었다. 그 후 유배에서 풀려나 13년간 고향에 있다가, 1340년 충혜왕 때 예문관 대제학이 되어 성산군에 봉해졌다. 그는 천성이 결백 강직했으며 특히 시문에 뛰어났으며 시조 한 수가 《청구영언》 등에 실려 전해지고 있다. <ref name="글로벌">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이조년〉</ref> 공민왕 때 성산후에 추증되었고, 충혜왕의 사당에 배향되었다. 시호는 문렬(文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