팝업레이어 알림

팝업레이어 알림이 없습니다.
E D R , A S I H C RSS

이금서

r1.1과 현재 버전의 차이점

@@ -1,41 +1,20 @@
{{인물 정보
|이름= 이금서(李金書)
 
|그림=
 
|그림제목=
|출생일=
|출생지= [[신라]] [[경상북도]]
|사망일=
|사망지= [[고려]] [[개성시|개경]]?
|거주지= [[신라]]?, [[고려]]
|국적= [[신라]]?, [[고려]]
|본관= [[경주 이씨|경주]]
|별명=
|학력=
|직업= 문신, 정치인
|부모= [[이금현]](부)
|배우자= 신란궁부인 김씨(고려 태조 외손녀, 신라 경순왕 3녀)
|자녀= 이윤홍(1남), 이윤장(2남), 이윤원(3남)
|친척= [[신라]] [[경순왕]](장인), [[낙랑공주 (고려)|낙랑공주 왕씨]](장모, 고려 태조 장녀), 대안군 [[김은열]](처남, 신라 경순왕 4남)
|서명=
|웹사이트=
|}}




{{인물 정보
|이름= 이금서(李金書)
|출생일=
|출생지= 신라 경상북도
|사망일=
사망지= [[고려]] [[개성시
개경]]?
|거주지= 신라?, 고려
|국적= 신라?, 고려
본관= [[경주 이씨
경주]]
|별명=
|학력=
|직업= 문신, 정치인
|부모= 이금현(부)
|배우자= 신란궁부인 김씨(고려 태조 외손녀, 신라 경순왕 3녀)
|자녀= 이윤홍(1남), 이윤장(2남), 이윤원(3남)
친척= [[신라]] [[경순왕]](장인), [[낙랑공주 (고려)
낙랑공주 왕씨]](장모, 고려 태조 장녀), 대안군 김은열(처남, 신라 경순왕 4남)
|서명=
|웹사이트=
|}}


이금서(李金書)는 고려초 문신으로, 호는 남계(南溪), 본관은 경주(慶州)이다<ref>경주이씨(慶州李氏)는 신라(新羅) 개국원훈(開國元勳) 표암공(瓢巖公) 이알평(李謁平)을 시조로 하고, 중시조는 효공왕(孝恭王)때 소판(蘇判) 이거명(李居明)이다</ref>. 경주 이씨(慶州李氏) 중시조 신라 말 소판(蘇判) 이거명(李居明)의 손자이다. 신라 경순왕(敬順王)의 사위이다.

고려 조정에 출사하여 태조(太祖) 때 삼한공신(三韓功臣)에 녹훈되었다.

생애

신라 때 중원태수(中原太守) 호부랑중(戶部郞中)을 역임하고, 935년(신라 경순왕 8년) 11월 신라 경순왕고려에 귀순할 때 함께하였다고 한다. 태조 때 개국공신 삼한공신에 책록되고, 고려조에 출사하여 광록대부를 역임하였다.

논란과 의혹

가계도 논란

일설에는 아버지로 알려진 이금현과 형제 관계라고 전한다. 이금현(李金現), 이금서(李金書) 부자의 이름상의 '금(金)'자가 같이 쓰인 점에서 비롯된 오해인 것 같다. 그러나, 신라와 고려의 옛 풍습에 아들의 이름에 아버지의 이름에 쓰인 글자를 사용하기도 하였으니, 권행(權幸, 안동권씨 시조)의 아들 인행(仁幸), 공직(龔直, ?~939, 연산공씨 시조)의 아들 직달(直達)이 그 예이다.

경주 이씨 대종보에 따르면 이금서의 아들은 1남 이윤홍(李潤弘), 2남 이윤원(李潤遠), 3남<ref>평창 이씨 본원 선계록에 의하면 "금서공은 신라 경순왕 김부의 셋째 딸 '신란궁부인'을 맞아 부마가 되어 두 아들을 두셨다. 장자는 휘 윤홍이니 경주 이씨의 선조가 되시고, 둘째 아들은 휘 윤장이니 평창 이씨의 시조이시다."라고 하여 이윤장을 2남으로 기록하고 있다.</ref> 이윤장(李潤張)이며, 이윤원은 가평 이씨(加平李氏)로 이윤장은 평창 이씨(平昌李氏)로 분적하였다고 한다. 그러나 평창 이씨경주 이씨 분적종이 아니라고 밝혀져 분적종에서 제외되었고, 가평 이씨(加平李氏)는 중국에서 유래되어 본래부터 분적종이 아니다. 평창 이씨 내부적으로 숙종 대의 족보를 근거로 이광(李匡)을 이윤장(李潤張)의 8세 손으로 보아 이윤장(李潤張)을 시조로 보는 분파와 이광(李匡)을 시조로 보는 분파의 대립이 있었으나, 숙종 대의 족보가 위작으로 밝혀져 이광(李匡)을 시조로 확정하고 이윤장과의 관련성에 선을 그었다.

이제현(李齊賢)의 묘지명(墓誌銘)에 의하면 "신라왕 김부(金溥 : 敬順王)가 국토를 바치고 고려 조정에 들어와 태조(太祖)의 딸인 낙랑공주(樂浪公主)에게 장가들어 딸<ref>신란궁부인 김씨이다. 낙랑공주 왕씨는 출가 후 신란궁부인으로 불렸는데, 그 딸인 김씨가 다시 신란궁부인에 봉작되었다.</ref>을 낳았으니 금서의 아내가 되어 윤홍을 낳았으며" 라고 기록하고 있으며, 또 이윤홍이 '신라말' 병정(兵正)을 했다는 기록을 들어 연대상 문제점을 지적하기도 한다.<ref>이에 대해 경주이씨 대종보 총편에 '고려 초 관제에 병부령(兵部令)을 설치할 때 병정(兵正)을 두었고 품계는 재상(宰相)과 같다.'고 설명하고 있다.</ref> 그러나 이금서가 중원태수(中原太守) 호부랑중(戶部郞中)으로 고려에서 처음 벼슬을 시작했고, 그 아들 이윤홍의 병정(兵正) 벼슬과 관련하여 고려 초 관제에 병부령(兵部令)을 설치하면서 병정(兵正)을 두었다는 기록이 있는 것으로 보아 이윤홍의 병정(兵正) 벼슬은 고려 초의 것으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

경순왕 3녀 김씨와 연대상 모순

경주이씨 세보에 의하면, 이금서는 고려조정에 처음 출사하였다 한다. 또한 태조고려의 삼한공신에 책록되었다. 그런데 경순왕고려에 귀부하면서 고려 태조의 장녀인 신란궁부인(神鸞宮夫人) 일명 낙랑공주 왕씨와 혼인한 것을 고려할 때, 여기서 태어난 경순왕 3녀 김씨가 이금서와 혼인할 연령이 되려면 경순왕고려에 귀부한 이후 15여 년 이상의 시간이 필요하고, 여기서 태어난 이금서의 아들들이 활약할 연령이 되려면 15여 년 이상의 시간이 더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이금서의 아들들이 경순왕고려 귀부 이전에 활약했다는 기록들은 이러한 사실과 30여 년 이상의 연대상 오차가 생기게 된다.

3남<ref>평창 이씨 측 기록에 의하면 2남. 현재는 이윤장과의 관련성 자체를 부인하는 듯하다.</ref> 이윤장은 고려의 대사마 대장군으로 후백제 견훤을 토평하고 개국공신이 되었다고 하는데, 이 경우 위에서 살펴본 것처럼 이윤장의 생모는 신란궁 부인 김씨가 될 수 없다.

1남 이윤홍이 신라말 병정(兵正)을 지냈다는 기록은 경순왕 3녀 김씨의 연대와 맞지 않을 뿐더러 이색이제현의 묘지명에서 이금서와 경순왕 3녀 김씨 사이에 이윤홍을 낳았다는 기록과도 모순이 발생한다.

대학자인 이색의 인품과 그가 지은 이제현의 묘지명의 기록연대를 고려할 때, 기록 연대가 뒤처지고 위조나 오기가 발생하기 쉬운 족보상의 기록보다는 이색이 찬한 이제현 묘지명의 신빙성이 더 큰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이에 근거하여 모순점들을 생각해볼 때, 경순왕 3녀 김씨의 높은 신분을 고려하여 그 소생인 이윤홍을 이복형들인 이윤장, 이윤원에 앞서 1남으로 기록했을 가능성이 크다 할 수 있다. 또한, '신라말' 병정을 역임했다는 부분은 앞에서도 밝혔듯이 '고려초'의 오기로 보인다.

증손자 이주좌 논란

고려사고려사절요에 이금서(李金書)의 증손자 이주좌(李周佐)를 한미한 가문 출신으로 기록하고 있어 논란의 여지가 있다. 이주좌의 증조부 이금서(李金書)는 중원태수 호부랑중을 역임하고 고려 태조의 외손녀이며 신라 경순왕의 딸인 신란궁부인 김씨와 혼인하였고, 조부 이윤홍은 병정(兵正)을 역임하였는데, 비록 부친 이승훈(李承訓)이 칠품 관직인 정조시랑(正朝侍郞)에 그쳤다고 한미한 가문이라고 볼 수 있는가 하는 점 때문이다.

가계<ref>이금현의 가계는 경주 이씨 족보를 기준으로 정리하였다. 2남과 3남의 순서 및 실존에 대하여 논란의 소지가 있다.</ref>

* 조부 : 이거명(李居明)
** 아버지 : 이금현(李金現)
*** 부인 : 신라 경순왕의 3녀
**** 1남 : 이윤홍(李潤弘)
***** 손자 : 이승훈(李承訓)
****** 증손 : 이주복(李周復)
****** 증손 : 이제정(李齊廷)
****** 증손 : 이주좌(李周佐) - 목종(穆宗) 때의 형부상서(刑部尙書)
***** 손자 : 이승겸(李承謙)
**** 2남 : 이윤원(李潤遠)<ref>가평 이씨의 시조라고 하나, 가평 이씨 족보상 그 시조가 중국에서 유래한 것으로 밝혀져, 가평 이씨경주 이씨의 분적종에서 제외되었다.</ref>
**** 3남 : 이윤장(李潤張)<ref>평창 이씨 족보에 따르면 이금현의 아들은 2명으로 이윤장은 그 중 2남으로서 시조 이광의 7대조라고 하였다. 이러한 기록이 있는 숙종 대의 족보를 근거로 그 시조를 이윤장으로 하는 족보가 간행되기도 하여 논란이 있었다. 그러나, 그 후 숙종대의 족보가 위작으로 밝혀져, 평창 이씨 측에서는 그 시조를 이광으로 확정하였고, 이윤장과의 관련성에 선을 그었다. 이에 따라 평창 이씨경주 이씨의 분적종에서 제외되었다. 그러나 여전히 이윤장을 평창 이씨의 시조로 주장하는 견해도 있어 논란의 소지가 있다.</ref>
** 장인 : 신라 경순왕
** 장모 : 낙랑공주 왕씨(고려 태조의 장녀)

각주

<references/>

같이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