팝업레이어 알림

팝업레이어 알림이 없습니다.
E D R , A S I H C RSS

외척

外戚

목차

1. 개요
2. 사례
2.1. 삼국시대
2.2. 고려
2.3. 조선
2.4. 중국
2.5. 일본

1. 개요

외척(外戚)은 본래 단순히 '외가집'. 그러니까 당사자에서 보기에 어머니 쪽 집안의 친척들을 뜻한다.

동양사에서 '외척'이라는 용어가 나오면 대개는 '군주의 외척'을 뜻한다. 그야 일반인이나 신하의 외척이라고 해봤자 역사적으로는 별로 중요한 의미가 없으니까.

원칙적으로 군주의 권위는 막강하지만, 전통적으로 높이 여겨지는 어머니의 권위가 있기 때문에 군주의 어머니인 태후는 높은 권위를 가졌고, 태후의 친족인 외척들 역시 권세를 누리는 경우가 많았다. 특히 군주의 나이가 어리다면 수렴청정 등으로 실권까지 장악하는 경우가 많다. 애초에 황후를 배출할 정도면 외척 집안 자체가 원래 권세가 강력한 경우가 많았다.

외척 집안에서 황후를 배출하면서 다음 세대, 또 다음 세대로 이어서 장기적으로 외척으로서의 권세를 이어가기도 하다. 조사해보면 직접적으로 외척이 드러나지는 않더라도, 황후를 배출하는 집안은 몇몇 가문으로 한정된 경우가 상당히 많다. 이러한 가문이 아예 공인되어, 황족에 버금가는 '왕비족'을 형성하는 경우도 있다.

하지만 특정 가문이 권세를 장악하는 것은 국가의 기강을 흐트러뜨려서 좋지 않은 결과를 낳는다고 비판을 받는 경우가 많았다. 그리고 군주와 외척의 대립은 심각한 정치적 충돌로 끝나는 경우가 흔히 있었다.

2. 사례

2.1. 삼국시대

  • 고구려 : 초기에 왕비를 배출하는 것이 몇몇 부족으로 한정되었다는 기사가 있는 등, 일종의 '왕비족' 체계가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 백제 : 몇몇 귀족들이 외척 가문을 형성했던 것으로 보인다.
  • 신라 : 골품제를 통한 근친개족보형성(…)으로 외척을 막아내고 왕가 독재체계를 구축했다.

2.2. 고려

고려 태조 왕건은 각지의 호족과 결혼동맹을 맺어 수십 명의 아내를 두었다. 이 때문에 엄청난 수의 호족들이 외척이 되면서 외척 세력 간의 항쟁이 심각하게 벌어졌다.

고려 초기의 '이자겸'은 전형적인 외척 권신이다.

2.3. 조선

조선 전기에는 태종이 자기의 처가와 아들의 처가를 도륙내는 등(…) 외척을 억제하려 애썼지만, 아무래도 외척의 권위가 강해지는 것은 어쩔 수 없었기 때문에 윤원형 등의 외척 권신이 나타나게 되었다. 조선 후기에 가면 외척의 권세가 아주 강해져서, 세도정치 시기에는 한 가문이 국정을 장악하는 상황까지 갈 만큼 외척의 권세가 강했던 시기로 꼽힌다.

외척 세력으로 안동 김씨[1], 풍양 조씨, 여흥 민씨 등이 유명하다.

2.4. 중국

전통적으로 중국의 왕조는 외척의 권세가 강했는데, 특히 전한, 후한 시기는 외척의 권세가 아주 강력했던 시기이다. 황제들은 이것을 제어하려고 환관과 손을 잡고 외척을 타도하기도 했으나, 이로 인해 이번엔 환관이 반대로 지나치게 강해져서 환관 세력이 창궐하게 된다.

결국 후한은 붕괴하여 멸망하고, 중국은 삼국시대와 5호 16국, 남북조시대로 이어지는 막장에 빠진다. 에일리언 VS 프레데터

더군다나, 환관의 화는 외척보다 훨씬 오래 가서 나중에 명나라까지 좀먹었으니... 반면 외척 문제는 후한의 막장화 이후 이를 본보기로 삼아 역대 왕조에서 적극적으로 해결하려 했으며, 외척이 나대면 욕먹는 풍조가 널리 퍼지면서(…) 외척이 크게 억제되는 등 어느 정도 성과는 있었다.

2.5. 일본

일본에서는 후지와라 씨, 그 가운데서도 5개의 가문(고노에, 쿠죠, 니죠, 이치죠, 타카츠카사)인 고셋케, 일명 '후지와라 섭관가'가 오랬동안 황후를 배출하면서 외척으로서 권세를 누렸다. 사실상 후지와라 가문이 일본의 지배자였다.

일본 귀족 정치가 몰락하고 무가(武家) 정치가 대세가 되면서 섭관가는 물론 덴노가 까지 쩌리가 되고 실권은 쇼군이 차지하게 되어 섭관가 역시 실권을 잃었으나, 그래도 덴노의 외척이라는 권위는 근세까지 이어질 정도로 독보적이었으며 덴노가의 황후를 배출하는 것은 현대에 이르기 전까지 섭관가 출신으로 한정되었다. 관습적으로 후지와라 섭관가가 '왕비족'의 지위를 차지하였던 것이다.


----
  • [1] 정확히는 '장동 김씨'로 재분류되는 한양 장동 일대에 거주하던 안동 김씨 일문으로, 실제 안동 등 영남에 거주하던 안동 김씨는 권력에서 소외되어 있었으며, 당색에 있어서도 장동 김씨는 노론 계열이었던 데 비해 안동 김씨는 남인 색채가 짙었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