팝업레이어 알림

팝업레이어 알림이 없습니다.
E D R , A S I H C RSS

오세창

r1.1과 현재 버전의 차이점

@@ -1,4 +1,4 @@
{{다른 사람|오세창 (1951년)||대한민국의 공무원}}
{{다른 사람|[[오세창 (1951년)|대한민국의 공무원]]}}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d/d0/Sechang_O.jpg/200px-Sechang_O.jpg
청년 시절 오세창
'''오세창'''(吳世昌, [[1864년]] [[8월 6일]] ~ [[1953년]] [[4월 16일]])은 [[조선]] 말기와 [[대한제국]]의 문신, 정치인이자 계몽 운동가이자, [[일제 강점기]] [[한국]]의 언론인, 독립운동가, 서화가, [[대한민국]]의 정치인, 서화가이다. [[조선]] 말기에는 개화파 정치인이었고, [[일제 식민지]] 시대에는 [[3.1 만세 운동]]에 참여하였으며, 서화와 고미술품 감정 등의 활동도 하였다. [[한국]]의 역대 왕조의 서화가 인명사전인 《[[근역서화징]](槿域書畫徵)》(1928년)의 저자이다. [[1918년]] 설립된 [[조선]]인 미술가, 서예가, 조각가 단체인 [[서화협회]] 창립 발기인이기도 하다.
@@ -116,4 +116,4 @@
{{민족대표 33인}}
{{건국훈장 대통령장}}
[[분류:1864년 태어남]][[분류:1953년 죽음]][[분류:병사한 사람]][[분류:조선의 작가]][[분류:조선의 역관]][[분류:급진개화파]][[분류:한국의 기자]] <!-- 조선의 기자-->[[분류:대한제국의 정치인]][[분류:대한제국의 작가]][[분류:대한제국의 언론인]][[분류:일제 강점기의 천도교 교역자]][[분류:일제 강점기의 서예가]]
[[분류:일제 강점기의 작가]][[분류:일제 강점기의 언론인]][[분류:한국의 독립운동가]][[분류:건국훈장 대통령장 수훈자]][[분류:독립협회]][[분류:민족대표 33인]][[분류:한국의 군정기]][[분류:한국 전쟁 관련자]][[분류:한국독립당]][[분류:의친왕]][[분류:대한민국의 사회 운동가]][[분류:대한민국의 종교인]][[분류:대한민국의 미술가]][[분류:대한민국의 서예가]][[분류:김규식]][[분류:서재필]][[분류:윤치호]][[분류:이승만]][[분류:이회영]][[분류:해주 오씨]][[분류:서울특별시 출신 인물]]
[[분류:일제 강점기의 작가]][[분류:일제 강점기의 언론인]][[분류:한국의 독립운동가]][[분류:건국훈장 대통령장 수훈자]][[분류:독립협회]][[분류:민족대표 33인]][[분류:한국의 군정기]][[분류:한국 전쟁 관련자]][[분류:한국독립당]][[분류:의친왕]][[분류:대한민국의 사회 운동가]][[분류:대한민국의 종교인]][[분류:대한민국의 미술가]][[분류:대한민국의 서예가]][[분류:김규식]][[분류:서재필]][[분류:윤치호]][[분류:이승만]][[분류:이회영]][[분류:해주 오씨]][[분류:서울특별시 출신]]



{{다른 사람|대한민국의 공무원}}

청년 시절 오세창
오세창(吳世昌, 1864년 8월 6일 ~ 1953년 4월 16일)은 조선 말기와 대한제국의 문신, 정치인이자 계몽 운동가이자, 일제 강점기 한국의 언론인, 독립운동가, 서화가, 대한민국의 정치인, 서화가이다. 조선 말기에는 개화파 정치인이었고, 일제 식민지 시대에는 3.1 만세 운동에 참여하였으며, 서화와 고미술품 감정 등의 활동도 하였다. 한국의 역대 왕조의 서화가 인명사전인 《근역서화징(槿域書畫徵)》(1928년)의 저자이다. 1918년 설립된 조선인 미술가, 서예가, 조각가 단체인 서화협회 창립 발기인이기도 하다.

개화파 중인 역관 오경석의 아들로 조선 말기에는 개화운동에 동참했고, 을미사변으로 일본으로 망명했다가 귀국했으나 1902년 다시 일본으로 건너갔다. 귀국 후 만세보, 대한민보의 대표이사로 언론 활동을 하였고, 일제 강점기에는 독립운동과 천도교 사역 활동에 종사하였으며 1918년 말부터는 만세 운동 계획에 참여, 1919년 3월3.1 운동 당시 민족 대표 33인의 한사람이기도 했다. 예술 다방면에 조예가 깊은 서예가이기도 했다.

1945년 광복 이후에도 독립촉성중앙회, 민주의원 등에 참여하였다. 서예가로도 전서, 예서, 초서에 능하고 조각도 하였으며, 둥그스름한 형태의 독특한 서체를 창안하여 위창체, 오세창체라 부른다. 본관은 해주, 자는 중명(仲銘), 아호는 위창(葦滄), 천도교 도호는 한암(閒菴)이다.

생애

생애 초기

출생과 소년기

위창 오세창은 1864년(고종 1년) 8월 6일 한성부 출생으로, 중국어 역관(譯官)이자 구한말의 선각자로 잘 알려진 오경석의 차남으로 태어났다. 본관은 해주. 아버지 역매(亦梅) 오경석은 역관으로 숭록대부(崇祿大夫, 종일품)까지 올랐으며, 구한 말의 개화당의 이론적 지주이기도 했다. 그의 집안은 역관 가문으로, 대대로 외국어를 익혀 개화 사상에 일찍 눈을 뜬 중인 집안에서 자란 데다 개화파의 거두인 스승 유홍기의 영향까지 받아 자연스럽게 개화 운동에 참가하게 되었다.

박규수의 문인이자 아버지 오경석의 문하에도 출입하던 박영효, 서재필, 서광범, 김옥균, 유길준, 윤치호 등과 교류하며 가깝게 지냈다.

관료생활과 개혁 운동


오세창의 친필 서신

1879년 역과에 합격하여 관직에 나아갔는데, 1885년 박문국에 발령받아 박문국주사시보로 주간 관보인 《한성주보》 기자가 되면서 언론인으로 입문했다. 1886년(고종 23년)에는 박문국주사가 되어 《한성순보》 기자를 겸했다. 이후 군국기무처, 농상공부, 우정국 등을 거쳤고, 1894년(고종 31년) 군국기무처 낭청총재 비서관(軍國機務處郎廳總栽秘書官)이 되었다가 관제 개정 이후 농상공부 참의(農商工部參議), 우정국 통신국장(郵政國通信局長) 등을 역임했다.

1895년 10월 을미사변 직후 권동진, 정난교 등과 함께 화를 피해 일본으로 망명했다.<ref>"生物進化論을 修正케한 世界的植物學者", 동아일보 1950년 01월 22일자 2면, 사회면</ref> 그러나 그는 직접적인 혐의점이 없어 곧 귀국했다.

1896년(건양 1년) 일본 문부성의 외국어학교 교사 초빙 당시 초빙되어, 도쿄외국어학교 조선어 교사로 부임하였다. 1897년에는 정식으로 토쿄외국어학교에 조선어과 교사로 파견되어 일본에서 1년 가량 교사 생활을 하면서 근대 문물을 직접 접했다.

대한제국기 활동

1902년(광무 5년) 개화당 사건으로 일본에 망명하였다. 후일 권동진삼천리 誌자에 당시 망명중이던 자신의 옛 동지를 소개할 때 한 사람으로 그를 소개하였다.

{{인용문2|청년시대의 제우(諸友)<br><br>먼저 청년시대의 나의 동무들을 말하면... 그때 동경에 망명하였든 인물들은 박영효, 조희연(군부대신 다니든 분), 장박(대신 지난이), 유길준(수상 지낸 이), 권영진(나의 중씨로 경무사), 유세남(내무차관 다니든 이), 김옥균, 그러고 우리 동렬로는 조희문, 이범래, 우범선, 이두황, 유혁로, 신응희, 정난교, 윤효정, 오세창 또 우리보담 조금 늦어 들어온 소장파에 이신(李申), 유동렬, 권석하, 이동휘 등 제인물이 있었다. 이 가운데는 1,2차 대면에 끈친 이도 있었지만은 대개는 여러 번 만났고 일도 도모하여 본 분들로 비교적 사람됨을 알 수 있었다.<ref>서정민, 《이동휘와 기독교》 (연세대학교출판부, 2007) 161페이지</ref>}}

고종일본 조정에 계속 사람을 보내 망명객들의 송환을 요구했지만 일본에서는 이를 거절했다.

1902년부터 일본에 망명해 있던 중, 천도교 교주 손병희를 만나 손병희, 양한묵(梁漢默) 등의 거듭된 권고로 천도교에 입교했다. 1906년 천도교 기관지를 겸한 일간지 《만세보 (萬歲報)》 사장으로 계몽 운동을 펼치면서 국채보상운동을 벌였고, 1907년 3월에는 의친왕의 수행원으로 일본 도쿄에 갔다가 천장절 행사에 참석하지 못하고 그해 7월 10일에 귀환하였다. 11월 중추원 부찬의(中樞院副贊議) 주임관2등(奏任官二等)에 임명되었다.

이후 대한협회(大韓協會)의 부회장으로 추대되었으며 1909년 대한협회가 창간한 일간지로서 반일 논조를 분명히 한 《대한민보》 사장도 맡았다. 천도교 내부에서는 권동진과 함께 개화에는 찬성하되 일본과의 합병에 반대하는 이른바 문명개화파의 대표적인 인물로서, 합병 청원으로 개화할 것을 주장하는 일진회 계열과는 대립하여 결국 이용구를 몰아냈다.

일제 강점기 활동

일제 강점기 초반

1910년(융희 4년) 10월 1일 한일 병합 조약이 체결되자 남작 작위와 은사금이 내려졌지만 거절하고 받지 않았다. 안중식의 동양화 〈탑원도소회지도〉(1912년)는 한일 병합 조약 체결 이후 오세창의 정원 누각에 천도교 문명파 인사들이 모여서 술을 마시고 있는 장면을 그린 것이다.

1917년 다시 《만세보》와 《대한민보사》를 창설하여 사장 겸 주필로 활동하였다. 1919년 3·1 운동에는 민족대표 33인의 한 사람으로서 주도적으로 참여하여 징역 3년형을 선고 받고 2년여 동안 투옥되었다.

3.1 만세 운동 전후

1918년 11월 미국 대통령 우드로우 윌슨민족자결주의에 영향을 받아, 손병희, 최린(崔隣), 권동진(權東鎭)등과 함께 조선의 독립운동을 전개하기로 결의하고, 우선 동지를 포섭하기로 한다. 또한 일부 천도교 연락원들이 기독교 지도자 일부와 합의하자, 범거족적인 만세 시위 개최에 동의한다.

1919년 2월 10일 최린, 최남선 등이 협의하고, 최남선이 독립선언서를 초안하여 제출하자 그는 손병희, 권동진, 최린 등과 함께 독립선언서 내용을 검토하고 그 내용에 동의한다. 2월 25일 오세창은 손병희, 권동진과 함께 천도교 기도회 종료보고와 고종 국장에 참배할 목적으로 상경한 천도교도 박준승(朴準承), 홍기조(洪基兆), 홍병기(洪秉箕), 김완규(金完圭) 등에게 독립운동에 관한 계획을 알리고 이들을 설득하여 찬동을 얻었다. 이때 오세창은 그는 천도교 월보과장 옥파 이종일(李鍾一)을 설득하여 적극적으로 참여하게 했다.

1919년 2월 27일 오세창은 천도교 지도자들을 설득, 그들과 함께 경성부 재동(齋洞) 김상규(金相奎)의 집에 모여, 독립선언서와 기타 문서의 초안을 최종 확인하고 찬동, 민족대표자 33인의 한 사람으로서 서명 날인한다. 이어 그는 최남선의 독립선언서 용지 보급과 인쇄 등을 지원하였다.

3월 1일 오후 2시경 오세창은 경성부 인사동의 태화관(泰華館) 요리집에 손병희, 최남선 등 민족대표자들과 함께 민족대표의 한 사람으로 참석하여 독립선언서를 낭독하는데 함께 서고, 대한독립 만세삼창을 외쳤다. 바로 출동한 일본경찰에 의해 체포되어 경성경시청 총감부에 구금되었다. 이후 항소하였으나 유죄 판결을 받았다.

일제 강점기 후반

1920년 경성복심법원에서 보안법과 출판법 위반 혐의로 징역 3년형을 최종 선고받고, 서대문 형무소로 이감되어 투옥하였다. 1923년에 석방되었다.

이후로는 서예가, 전각가(篆刻家) 및 서예학과 금석학 역사가로 주로 활동했다. 1922년 초대 조선미술전람회가 열렸을 때 서예 부문에서 수상했고, 서화사 연구에도 뛰어들어 아버지 오경석과 자신이 수집한 풍부한 문헌과 고서화를 토대로 역대 한국의 서화가 인명사전인 《근역서화징 (槿域書畫徵)》(1928)과 고려조선의 서화들을 직접 찾아서 사진촬영 및 자신이 소장한 고미술품을 합친 화보집 《근역서화휘(槿域書畫彙)》를 출간하였다. 근역서화징은 이 책은 삼국시대부터 근대에 이르는 한국서화가들을 총망라한 인명 사전이다. 그 밖에도 《근역서휘》, 《근역화휘》, 《근묵》, 《근역인수》, 등을 펴내었다.

일제강점기 중반 이후 자택에 칩거하며 서예, 서체, 서화가 연구에 전념하였다. 그 밖에도 조선 초기부터 근대에 걸친 서화가, 서예가, 문인학자들의 날인(捺印)된 낙관, 인장 혹은 관련 정보들을 모아 《근역인수 (槿域印藪)》를 편찬하였으며, 여러 서화가들의 다양한 낙관과 아호 연구의 자료가 되었다. 그는 1918년에 근대적 미술가 단체의 효시인 서화협회가 결성될 때 13인의 발기인으로 참석하였으며, 서화협회의 창립 회원으로 활동하였다.

생애 후반

해방 이후

1945년 8월 광복 직후 9월 창당된 우익 계열의 보수 정당 한국민주당도 창당때 그를 공동 당수로 영입하려 시도했다. 그러나 그는 한민당 영수직을 거절하였다. 조선건국준비위원회 위원에도 추대되었으나 거절했다. 이어 매일신보(每日申報)의 명예사장과 서울신문 명예사장으로 추대되자 이를 수락하였다.


이승만 귀국환영식에 참석<br />(맨 왼쪽 테이블에 선 이가 오세창)


민주의원 회의에 참석 중(1946년 2월), 왼쪽에 앉은 이가 오세창, 가운데는 부의장 김규식, 오른쪽은 의장 이승만

10월 16일 이승만의 환국 때 김포공항을 방문하여 영접하였다. 이후 이승만을 중심으로 대한독립촉성국민회(大韓獨立促成國民會)가 조직되자 회장에 추대되었고, 전국애국단체총연협회 회장으로도 위촉되었다.

임정 환국 후 12월 1일 임시정부 봉영식에 참석하였다. 서울그라운드에서 윤보선의 사회로 임시정부 봉영식이 시작되었다. 이어 오세창의 개회사, 이인의 봉영문 낭독, 권동진의 만세삼창으로 이어졌다. 봉영문은 권동진, 김성수, 이인을 통해 김구에게 전달되었다.<ref>아 비운의 역사현장 경교장(백범사상실천운동연합, 1993), 145</ref>

46년 2월 남조선대한국민대표 민주의원(일명 민주의원) 의원, 서울신문 명예사장 등을 지냈다. 1946년 6월 15일 오후 5시 40분 서울역에 마중나가 서울역에 도착한 삼의사 유골을 영접하였다. 이어 태고사(太古寺)에 마련된 빈소에 참석하였다. 이후 남북협상과 단정수립론이 갈렸을 때는 입장표명을 하지 않다가 1948년 8월 15일 정부 수립에 참석하였다.

한국 전쟁과 최후

은퇴 후, 조용히 있다가 1950년 6월 25일 한국 전쟁이 터지자 대전을 거쳐 대구로 내려가, 1951년 4월 16일 나인협의 장례식 장례위원장을 맡았다. 대구 대봉동 31번지의 집에서 병석에 누운 지 1년만에, 1953년 12월 대구 대봉동 자택에서, 향년 90세의 나이로 병사하여, 장례식은 사회장(社會葬)으로 장례가 치러졌다.

사후

*일제강점기 동안 친일하지 않은 독립운동의 원로였기에, 광복후 고령에도 불구하고 조선건국준비위원회(건준) 위원, 남조선대한국민대표 민주의원(일명 민주의원) 의원, 서울신문 명예사장 등에 위촉되었다.
*대한민국 정부는 그의 공헌을 기려 1962년 3월 대한민국 건국공로훈장 복장(複章, 건국훈장 대통령장)을 추서하였다.

가족

* 아버지 : 오경석
* 아들 : 오일육(吳一六, 장면 비서관, 경무대·이기붕 비서관 역임)

저서

* 《근역서휘》
* 《근역화휘》
* 《근묵》
* 《근역인수》
* 《근역서화징》

기타

그와 비슷한 시대에 활동하던 황해도 옹진군 마산면 출신의 유학자 오세창(吳世昌, 1901년생)도 존재하였다.

각주

<references/>

외부 링크


{{2001년-이 달의 문화 인물}}
{{2004년-이 달의 독립운동가}}
{{민족대표 33인}}
{{건국훈장 대통령장}}
<! 조선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