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1.1과 현재 버전의 차이점
@@ -1,10 +1,11 @@
{{다른 뜻|엄복동 (드라마)||드라마}}
{{다른 뜻|[[엄복동 (드라마)|드라마]]}}
{{다른 뜻|[[자전차왕 엄복동|영화]]}}
{{인물 정보| 이름 = 엄복동(嚴福童)
| 출생일 = 1892년
| 출생지 = [[조선]] [[한성부]]
| 사망일 = 1951년(58~59세)
| 사망지 = [[대한민국]] [[경기도]] [[양주군]] 이담면
| 사망지 = [[대한민국]] [[경기도]] [[양주시]]
| 국적 = {{국기|조선}}(1892~1910)</br>{{국기|일제강점기}}(1910~1945)</br>{{KOR}}(1948~1951)| 별칭 = 동양 자전거왕
| 경력 =
@@ -19,17 +20,17 @@
'''엄복동'''(嚴福童, [[1892년]]-[[1951년]])은 [[한국]]에서 [[일제강점기]]에 활동한 [[자전거]] 선수이다. 본관은 [[영월 엄씨|영월]](寧越).
==경력==
===삶의 봄===
===비참한 말년===
==기념사업==
===사이클 대회===
== 엄복동 자전거 ==
{{유형문화재 정보
==경력==
===삶의 봄===
[[1892년]] [[한성부]](현 [[서울특별시]])에서 태어났다. [[경기도]] [[진위군|진위]](현 [[평택시]])의 자전거 가게 일미상회에서 배달점원으로 일하면서 [[자전거]]를 배운 엄복동은 [[1910년]] [[자전거]] 경기대회, [[1913년]] [[4월 13일]] [[경성일보사]]와 [[매일신문사]]가 개최한 자전거 경주대회([[용산구|용산]] 연병장)에서 우승하는 등 수많은 자전거 대회에서 활약하였다. 1918년 장충단공원 경기에서도 우승했는데,당시 엄복동은 빨간 [[유니폼]]을 입고 경기하여 자신의 존재를 각인시켰다.
[[1892년]] [[한성부]](현 [[서울특별시]])에서 태어났다. [[경기도]] [[평택시|평택군]](현 [[평택시]])의 자전거 가게 일미상회에서 배달점원으로 일하면서 [[자전거]]를 배운 엄복동은 [[1910년]] [[자전거]] 경기대회, [[1913년]] [[4월 13일]] [[경성일보사]]와 [[매일신문사]]가 개최한 자전거 경주대회([[용산구|용산]] 연병장)에서 우승하는 등 수많은 자전거 대회에서 활약하였다. 1918년 장충단공원 서울에서도 우승했는데,당시 엄복동은 빨간 [[유니폼]]을 입고 서울하여 자신의 존재를 각인시켰다.
“떴다 보아라 [[안창남]] 비행기, 내려다보아라 엄복동의 자전거….”라는 [[유행가]]가 만들어질만큼 조선 [[민중]]들의 [[스타]]가 된 엄복동은 자전거 대회에서 초청선수로 참여하여 우승을 휩쓸었다. [[1922년]]에도 전 조선 자전거 대회에서 우승하자,일본 [[심판]]들은 [[1920년]] 경성시민대운동회에서 날이 저물었다며 경기를 중단시키는 등 비상식적인 판정을 내렸다. 이에 격분한 엄복동은 본부석으로 뛰어든 뒤, 우승기를 잡고 꺾어버림으로써 항의했다. 이 일로 일본 관객과 조선 관객 사이에서다툼이 일어났을 정도로 조선 사람들에게 엄복동은 영웅이었다. [[1928년]] 6월 [[전국운수조합]] 대회에도 참여했으며,[[1932년]] 4월에도 40세의 나이에 전 조선 남녀자전거대회 1만m 경주에 참여하여 당당히 우승하였다.
[[1922년]]에도 전 조선 자전거 대회에서 우승하자,일본 [[심판]]들은 [[1920년]] 경성시민대운동회에서 날이 저물었다며 서울를 중단시키는 등 비상식적인 판정을 내렸다. 이에 격분한 엄복동은 본부석으로 뛰어든 뒤, 우승기를 잡고 꺾어버림으로써 항의했다. 이 일로 일본 관객과 조선 관객 사이에서다툼이 일어났을 정도로 조선 사람들에게 엄복동은 영웅이었다. [[1928년]] 6월 [[전국운수조합]] 대회에도 참여했으며,[[1932년]] 4월에도 40세의 나이에 전 조선 남녀자전거대회 1만m 경주에 참여하여 당당히 우승하였다.
===비참한 말년===
하지만 엄복동의 말년은 비참했다. [[8·15]] [[광복]]후에 엄복동은 [[집]]이 없어 [[동두천]],[[의정부]] 일대를 떠돌았으며, [[1951년]] [[동두천]]의 야산에서 [[폭격]]에 맞아 세상을 떠났다.
하지만 엄복동의 말년은 비참했다. [[8·15]] [[광복]]후에 엄복동은 [[집]]이 없어 [[동두천시|동두천]],[[의정부시|의정부]] 일대를 떠돌았으며, [[1951년]] [[동두천시|동두천]]의 야산에서 [[폭격]]에 맞아 세상을 떠났다.
==기념사업==
===사이클 대회===
[[대한사이클연맹]]은 1977년부터 1999년까지 그를 기념하는 엄복동배 전국사이클경기대회를 열었다.
[[대한사이클연맹]]은 1977년부터 1999년까지 그를 기념하는 엄복동배 전국사이클서울대회를 열었다.
== 엄복동 자전거 ==
{{유형문화재 정보
@@ -49,7 +50,7 @@
엄복동이 사용한 자전거는 [[영국]]의 [[자전거]] 및 [[모터사이클]] 제조 회사 러지휘트워스([[:en:Rudge-Whitworth|Rudge-Whitworth]])가 [[1910년]]에서 [[1914년]] 사이에 만들어 [[일본]]에 수출한, 한국에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자전거로서 [[대한민국 문화재청|문화재청]]은 문화재 등록 당시 “전면 상표의 일련번호 ‘1065274’를 통해 세계적인 희귀 기종임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1920년]] 경기 당시 일미상회가 소유하고 있던 이 자전거를 엄복동이 우승한 후 증여받아 선수 생활 기간에 사용하다가 후배에게 물려주었으며, 이후 자전거를 물려받은 선수가 [[한국전쟁]] 때 들쳐메고 피난했다는 일화도 전해질 정도로 엄복동의 자전거는 [[한민족]]의 수난을 같이 한 자전거로 잘 알려져 있다.
[[1920년]] 서울 당시 일미상회가 소유하고 있던 이 자전거를 엄복동이 우승한 후 증여받아 선수 생활 기간에 사용하다가 후배에게 물려주었으며, 이후 자전거를 물려받은 선수가 [[한국전쟁]] 때 들쳐메고 피난했다는 일화도 전해질 정도로 엄복동의 자전거는 [[한민족]]의 수난을 같이 한 자전거로 잘 알려져 있다.
이 자전거가 등록문화재로 지정되기까지 하웅용 [[한국체육대학교]] 교수의 공이 컸던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제조 회사가 1930년대 폐업하고 관련 인물들도 모두 세상을 떠난 상태에서 영국 국립 자전거 박물관의 스콧퍼드 로런스(Scotford Lawrence)가 생산 시기를 확인할 수 있는 중요한 정보를 제공하였고, [[대한민국]] 자전거 원로들의 증언을 통해 이 자전거가 실제 엄복동이 사용했던 자전거임을 확실히 할 수 있었다고 한다.
@@ -69,4 +70,4 @@
*[http://blog.ohmynews.com/comicbike/136369 엄복동 선수를 다룬 블로그]
*[http://sunday.joins.com/article/view.asp?aid=23472 톱니로 밝혀낸 제작 연대… ‘엄복동 자전거’ 비밀 풀었다] - 중앙SUNDAY
*[http://sunday.joins.com/article/view.asp?aid=23472 톱니로 밝혀낸 제작 연대… ‘엄복동 자전거’ 비밀 풀었다] - 중앙SUNDAY
[[분류:1892년 태어남]][[분류:1951년 죽음]][[분류:일제 강점기의 스포츠 선수]][[분류:자전거 경기 선수]][[분류:작전 중 사망자]][[분류:서울특별시 출신 인물]][[분류:영월 엄씨]]
[[분류:1892년 태어남]][[분류:1951년 죽음]][[분류:일제 강점기의 스포츠 선수]][[분류:자전거 경기 선수]][[분류:작전 중 사망자]][[분류:서울특별시 출신]][[분류:영월 엄씨]]
{{다른 뜻|드라마}}
{{다른 뜻|영화}}
{{인물 정보
| 이름 = 엄복동(嚴福童)
| 출생일 = 1892년
| 출생지 = 조선 한성부
| 사망일 = 1951년(58~59세)
| 사망지 = 대한민국 경기도 양주시
| 별칭 = 동양 자전거왕
| 경력 =
| 직업 = 자전거 선수
| 병역 =
| 소속 =
| 종교 =
| 배우자 =
| 상훈 =
| 웹사이트 =
}}
엄복동(嚴福童, 1892년-1951년)은 한국에서 일제강점기에 활동한 자전거 선수이다. 본관은 영월(寧越).
==경력==
===삶의 봄===
1892년 한성부(현 서울특별시)에서 태어났다. 경기도 평택군(현 평택시)의 자전거 가게 일미상회에서 배달점원으로 일하면서 자전거를 배운 엄복동은 1910년 자전거 경기대회, 1913년 4월 13일 경성일보사와 매일신문사가 개최한 자전거 경주대회(용산 연병장)에서 우승하는 등 수많은 자전거 대회에서 활약하였다. 1918년 장충단공원 서울에서도 우승했는데,당시 엄복동은 빨간 유니폼을 입고 서울하여 자신의 존재를 각인시켰다.
“떴다 보아라 안창남 비행기, 내려다보아라 엄복동의 자전거….”라는 유행가가 만들어질만큼 조선 민중들의 스타가 된 엄복동은 자전거 대회에서 초청선수로 참여하여 우승을 휩쓸었다.
{{다른 뜻|영화}}
{{인물 정보
| 이름 = 엄복동(嚴福童)
| 출생일 = 1892년
| 출생지 = 조선 한성부
| 사망일 = 1951년(58~59세)
| 사망지 = 대한민국 경기도 양주시
조선}}(1892~1910)</br>{{국기|일제강점기}}(1910~1945)</br>{{KOR}}(1948~1951) |
| 경력 =
| 직업 = 자전거 선수
| 병역 =
| 소속 =
| 종교 =
| 배우자 =
| 상훈 =
| 웹사이트 =
}}
엄복동(嚴福童, 1892년-1951년)은 한국에서 일제강점기에 활동한 자전거 선수이다. 본관은 영월(寧越).
==경력==
===삶의 봄===
1892년 한성부(현 서울특별시)에서 태어났다. 경기도 평택군(현 평택시)의 자전거 가게 일미상회에서 배달점원으로 일하면서 자전거를 배운 엄복동은 1910년 자전거 경기대회, 1913년 4월 13일 경성일보사와 매일신문사가 개최한 자전거 경주대회(용산 연병장)에서 우승하는 등 수많은 자전거 대회에서 활약하였다. 1918년 장충단공원 서울에서도 우승했는데,당시 엄복동은 빨간 유니폼을 입고 서울하여 자신의 존재를 각인시켰다.
“떴다 보아라 안창남 비행기, 내려다보아라 엄복동의 자전거….”라는 유행가가 만들어질만큼 조선 민중들의 스타가 된 엄복동은 자전거 대회에서 초청선수로 참여하여 우승을 휩쓸었다.
1922년에도 전 조선 자전거 대회에서 우승하자,일본 심판들은 1920년 경성시민대운동회에서 날이 저물었다며 서울를 중단시키는 등 비상식적인 판정을 내렸다. 이에 격분한 엄복동은 본부석으로 뛰어든 뒤, 우승기를 잡고 꺾어버림으로써 항의했다. 이 일로 일본 관객과 조선 관객 사이에서다툼이 일어났을 정도로 조선 사람들에게 엄복동은 영웅이었다. 1928년 6월 전국운수조합 대회에도 참여했으며,1932년 4월에도 40세의 나이에 전 조선 남녀자전거대회 1만m 경주에 참여하여 당당히 우승하였다.
===비참한 말년===
하지만 엄복동의 말년은 비참했다. 8·15 광복후에 엄복동은 집이 없어 동두천,의정부 일대를 떠돌았으며, 1951년 동두천의 야산에서 폭격에 맞아 세상을 떠났다.
하지만 엄복동의 말년은 비참했다. 8·15 광복후에 엄복동은 집이 없어 동두천,의정부 일대를 떠돌았으며, 1951년 동두천의 야산에서 폭격에 맞아 세상을 떠났다.
엄복동 자전거 ¶
{{유형문화재 정보
| 소재_국가 = 대한민국
| 이름 = 엄복동 자전거
| 지정_번호 = 466
| 지정연월일 = 2010년 8월 24일
| 소재지 = 서울특별시 강동구
| 소유자 = 김근우(前 한국체육대학교 교수)
| 좌표 =
| 제작_시기 = 1910년~1914년
| 비고 =
}}
| 소재_국가 = 대한민국
등록문화재]] |
| 지정_번호 = 466
| 지정연월일 = 2010년 8월 24일
| 소재지 = 서울특별시 강동구
| 소유자 = 김근우(前 한국체육대학교 교수)
| 좌표 =
| 제작_시기 = 1910년~1914년
| 비고 =
}}
문화재청은 2010년 6월 8일 엄복동의 자전거를 근대문화재 등록을 예고하였으며, 동년 8월 24일 대한민국의 등록문화재 제466호로 지정하였다.<ref name="고시20100824">문화재청고시제2010-85호(문화재등록), 제17327호 / 관보(정호) / 발행일 : 2010. 8. 24. / 73 페이지 / 326.8KB</ref>
엄복동이 사용한 자전거는 영국의 자전거 및 모터사이클 제조 회사 러지휘트워스(Rudge-Whitworth)가 1910년에서 1914년 사이에 만들어 일본에 수출한, 한국에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자전거로서 문화재청은 문화재 등록 당시 “전면 상표의 일련번호 ‘1065274’를 통해 세계적인 희귀 기종임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1920년 서울 당시 일미상회가 소유하고 있던 이 자전거를 엄복동이 우승한 후 증여받아 선수 생활 기간에 사용하다가 후배에게 물려주었으며, 이후 자전거를 물려받은 선수가 한국전쟁 때 들쳐메고 피난했다는 일화도 전해질 정도로 엄복동의 자전거는 한민족의 수난을 같이 한 자전거로 잘 알려져 있다.
이 자전거가 등록문화재로 지정되기까지 하웅용 한국체육대학교 교수의 공이 컸던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제조 회사가 1930년대 폐업하고 관련 인물들도 모두 세상을 떠난 상태에서 영국 국립 자전거 박물관의 스콧퍼드 로런스(Scotford Lawrence)가 생산 시기를 확인할 수 있는 중요한 정보를 제공하였고, 대한민국 자전거 원로들의 증언을 통해 이 자전거가 실제 엄복동이 사용했던 자전거임을 확실히 할 수 있었다고 한다.
주요 제원 ¶
각주 ¶
{{각주}}
==출처==
*'사이클 황제' 엄복동] - 투르드서울
*‘엄복동 자전거’ 근대문화재 된다{{깨진 링크|url=http://tourdeseoul.com/bbs//bbs/board.php?bo_table=tds_notice&wr_id=8 }} - 한겨레
*엄복동 선수를 다룬 블로그
*톱니로 밝혀낸 제작 연대… ‘엄복동 자전거’ 비밀 풀었다 - 중앙SUNDAY
*'사이클 황제' 엄복동] - 투르드서울
*‘엄복동 자전거’ 근대문화재 된다{{깨진 링크|url=http://tourdeseoul.com/bbs//bbs/board.php?bo_table=tds_notice&wr_id=8 }} - 한겨레
*엄복동 선수를 다룬 블로그
*톱니로 밝혀낸 제작 연대… ‘엄복동 자전거’ 비밀 풀었다 - 중앙SUND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