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1.1과 현재 버전의 차이점
@@ -1,25 +1,30 @@
{{중립 필요|날짜=2012-10-4}}
| 직업 = [[소설|소설가]], [[문학 평론|문학평론가]]
'''안회남'''(安懷南, [[1909년]] [[11월 15일]] ~ ?)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소설|소설가]]이며 [[문학 평론|문학평론가]]이다. [[아명|초명(初名)]]은 '''안필승'''(安必承)이며 나중에 '''안회남'''(安懷南)으로 개명하였다. 본관은 [[죽산 안씨|죽산]](竹山)이다.
== 생애 ==
[[이태준]], [[박태원 (1909년)|박태원]], [[이상 (작가)|이상]] 등 [[구인회 (문학 단체)|구인회]] 동인들과 함께 활동을 했던 안회남의 초기 작품은 심리 묘사 위주로 신변을 다룬 사소설(私小說)이 주를 이루었으나, 이후 급격한 경향의 변화를 보인다. [[태평양 전쟁]] 기간 중에 일본에 1년가량 징용으로 끌려갔다온 후로는 이때의 체험을 바탕으로 한 작품을 냈고, 월북 이후로 추정되는 [[1948년]] 발표된 중편인 《농민의 비애》는 [[미군정]]의 폭정으로 농민들의 생활이 일제 강점기보다 더 비참해지고 있다는 사회 고발적인 내용이다.
{{작가 정보
| 이름 = 안회남
| 원어이름 = 安懷南
| 출생일 = {{출생일|1909|11|15}}
| 출생지 = {{국기|대한제국}} [[한성부]]
| 사망일 = ?
| 필명 = [[아명|초명(初名)]]은 '''[[안필승]]'''(安必承)
| 국적 = {{국기|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소속 = 前 [[조선문학가동맹]] 소설분과위원장
| 학력 = [[휘문고등학교|경성 휘문고등보통학교]] 중퇴
| 활동 기간 = [[1931년]] ~ [[1954년]]
| 부모 = [[안국선]](부)
| 친척 = 안필수(할아버지) <br/> [[안막]](6촌 남동생)
| 장르 = 소설, 문학평론
| 웹사이트 =
{{공직자 정보
| 직책 = 前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문화선전성|북조선국 문화선전상]] 예하 차석보좌관<br />(前 北朝鮮國 文化宣傳相 隸下 次席補佐官)
| 이름 = 안회남
| 원래 이름 = 安懷南
| 출생일 = {{출생일|1909|11|15}}
| 출생지 = {{국기|대한제국}} [[한성부]]
| 사망일 = ?
| 주석 = [[김일성]]
| 장관 = [[허정숙]] (북조선국 문화선전상)
| 부주석 = [[김두봉]]
| 총리 = [[김일성]]
| 부총리 = [[박헌영]]<br/>[[홍명희]]<br/>[[김책]]<br />[[허가이]]<br />[[최창익]]<br />[[정준택]]
| 별명 = [[아명|초명(初名)]]은 '''안필승'''(安必承)
| 국적 = {{국기|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경력 = [[소설|소설가]], [[문학 평론|문학평론가]]<br/> 前 [[조선문학가동맹]] 소설분과위원장
| 학력 = [[휘문고등학교|경성 휘문고등보통학교]] 중퇴
| 임기 = [[1948년]] [[9월 16일]] ~ [[1954년]] [[1월 20일]]
| 부모 = [[안국선]](부)
| 친인척 = 안필수(할아버지) <br/> [[안막]](6촌 남동생)
| 정당 = [[무소속]]
| 웹사이트 =
}}'''안회남'''(安懷南, [[1909년]] [[11월 15일]] ~ ?)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소설|소설가]]이며 [[문학 평론|문학평론가]]이다. [[아명|초명(初名)]]은 '''안필승'''(安必承)이며 나중에 '''안회남'''(安懷南)으로 개명하였다. 본관은 [[죽산 안씨|죽산]](竹山)이다.
== 생애 ==
[[신소설]] 《[[금수회의록]]》의 작가 [[안국선]]의 외아들로, [[한성부]]에서 출생해서 [[휘문고등보통학교]]를 다녔다. 휘문고보 동창인 소설가 [[김유정 (소설가)|김유정]]과는 절친한 사이였으며, 김유정이 요절하기 전 마지막으로 쓴 편지글이 안회남에게 보내는 것이었다. [[1931년]] 《[[조선일보]]》 신춘문예에 〈발(髮)〉로 당선되면서 문단에 데뷔했다.
[[신소설]] 《[[금수회의록]]》의 작가 [[안국선]]의 외아들로, [[한성부]]에서 출생해서를 다녔다. 휘문고보 동창인 소설가 [[김유정 (소설가)|김유정]]과는 절친한 사이였으며, 김유정이 요절하기 전 마지막으로 쓴 편지글이 안회남에게 보내는 것이었다. [[1931년]] 《[[조선일보]]》 신춘문예에 〈발(髮)〉로 당선되면서 문단에 데뷔했다.
[[이태준]], [[박태원 (1909년)|박태원]], [[이상 (작가)|이상]] 등 [[구인회 (문학 단체)|구인회]] 동인들과 함께 활동을 했던 안회남의 초기 작품은 심리 묘사 위주로 신변을 다룬 사소설(私小說)이 주를 이루었으나, 이후 급격한 경향의 변화를 보인다. [[태평양 전쟁]] 기간 중에 일본에 1년가량 징용으로 끌려갔다온 후로는 이때의 체험을 바탕으로 한 작품을 냈고, 월북 이후로 추정되는 [[1948년]] 발표된 중편인 《농민의 비애》는 [[미군정]]의 폭정으로 농민들의 생활이 일제 강점기보다 더 비참해지고 있다는 사회 고발적인 내용이다.
@@ -35,7 +40,6 @@
== 학력 ==
* [[서울수송초등학교|경성 수송보통학교]] 졸업
== 같이 보기 ==
* [[안국선]]
@@ -52,4 +56,4 @@
}}
[[분류:1909년 태어남]][[분류:몰년 미상]][[분류:20세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사람]][[분류:일제 강점기의 소설가]][[분류:일제 강점기의 문학 평론가]][[분류: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소설가]][[분류:서울특별시 출신 인물]][[분류:서울수송초등학교 동문]][[분류:죽산 안씨]][[분류:월북자]]
[[분류:1909년 태어남]][[분류:몰년 미상]][[분류:20세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사람]][[분류:일제 강점기의 소설가]][[분류:일제 강점기의 문학 평론가]][[분류: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소설가]][[분류:서울특별시 출신]][[분류:서울수송초등학교 동문]][[분류:죽산 안씨]][[분류:월북자]]
{{중립 필요|날짜=2012-10-4}}
{{공직자 정보
| 이름 = 안회남
| 원래 이름 = 安懷南
| 출생지 = {{국기|대한제국}} 한성부
| 사망일 = ?
| 주석 = 김일성
| 장관 = 허정숙 (북조선국 문화선전상)
| 부주석 = 김두봉
| 총리 = 김일성
| 부총리 = 박헌영<br/>홍명희<br/>김책<br />허가이<br />최창익<br />정준택
| 국적 = {{국기|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학력 = 경성 휘문고등보통학교 중퇴
| 임기 = 1948년 9월 16일 ~ 1954년 1월 20일
| 부모 = 안국선(부)
| 친인척 = 안필수(할아버지) <br/> 안막(6촌 남동생)
| 정당 = 무소속
| 웹사이트 =
}}
안회남(安懷南, 1909년 11월 15일 ~ ?)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소설가이며 문학평론가이다. 초명(初名)은 안필승(安必承)이며 나중에 안회남(安懷南)으로 개명하였다. 본관은 죽산(竹山)이다.
{{공직자 정보
북조선국 문화선전상]] 예하 차석보좌관<br />(前 北朝鮮國 文化宣傳相 隸下 次席補佐官) |
| 원래 이름 = 安懷南
1909|11|15}} |
| 사망일 = ?
| 주석 = 김일성
| 장관 = 허정숙 (북조선국 문화선전상)
| 부주석 = 김두봉
| 총리 = 김일성
| 부총리 = 박헌영<br/>홍명희<br/>김책<br />허가이<br />최창익<br />정준택
초명(初名)]]은 안필승(安必承) |
소설가]], 문학평론가<br/> 前 조선문학가동맹 소설분과위원장 |
| 임기 = 1948년 9월 16일 ~ 1954년 1월 20일
| 부모 = 안국선(부)
| 친인척 = 안필수(할아버지) <br/> 안막(6촌 남동생)
| 정당 = 무소속
| 웹사이트 =
}}
안회남(安懷南, 1909년 11월 15일 ~ ?)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소설가이며 문학평론가이다. 초명(初名)은 안필승(安必承)이며 나중에 안회남(安懷南)으로 개명하였다. 본관은 죽산(竹山)이다.
생애 ¶
신소설 《금수회의록》의 작가 안국선의 외아들로, 한성부에서 출생해서를 다녔다. 휘문고보 동창인 소설가 김유정과는 절친한 사이였으며, 김유정이 요절하기 전 마지막으로 쓴 편지글이 안회남에게 보내는 것이었다. 1931년 《조선일보》 신춘문예에 〈발(髮)〉로 당선되면서 문단에 데뷔했다.
이태준, 박태원, 이상 등 구인회 동인들과 함께 활동을 했던 안회남의 초기 작품은 심리 묘사 위주로 신변을 다룬 사소설(私小說)이 주를 이루었으나, 이후 급격한 경향의 변화를 보인다. 태평양 전쟁 기간 중에 일본에 1년가량 징용으로 끌려갔다온 후로는 이때의 체험을 바탕으로 한 작품을 냈고, 월북 이후로 추정되는 1948년 발표된 중편인 《농민의 비애》는 미군정의 폭정으로 농민들의 생활이 일제 강점기보다 더 비참해지고 있다는 사회 고발적인 내용이다.
광복 후 좌익 계열 문학 단체인 조선문학건설본부에 이어 조선문학동맹 결성에 참가하여 소설분과위원장을 맡았다. 1947년경에 월북하였고, 한국 전쟁 시기에 종군작가단에 참가하여 서울에 왔다가 박태원, 현덕, 설정식 등 아직 월북하지 않고 있던 문인들과 함께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으로 돌아갔다. 1960년대 숙청되었다는 설만 있을 뿐, 1954년경까지의 활동만 확인되었고 이후 행적은 전혀 알려지지 않았다.
가족 및 친척 관계 ¶
참고자료 ¶
* {{서적 인용
|저자=권영민
|제목=한국현대문학대사전
|날짜=2004-02-25
|출판사=서울대학교출판부
|출판위치=서울
|페이지=528쪽
|저자=권영민
|제목=한국현대문학대사전
|날짜=2004-02-25
|출판사=서울대학교출판부
|출판위치=서울
89-521-0461-7}}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