팝업레이어 알림

팝업레이어 알림이 없습니다.
E D R , A S I H C RSS

봉준호

{{여러 문제|
{{출처 필요|날짜=2014-05-05}}
{{사실 여부 의심|날짜=2009-8-31}}
}}
{{영화인 정보
| 이름 = 봉준호
| 사진 =
| 사진설명 = 2013년 프랑스 도빌영화제에서의 봉준호
| 본명 =
출생일 = {{출생일과 나이
1969|9|14}}
| 출생지 = 대한민국 대구광역시
| 사망일 =
| 사망지 =
국적 = {{국기나라
대한민국}}
| 다른이름 =
| 직업 = 영화감독, 각본가, 영화제작자
| 종교 =
| 활동기간 = 1994년 ~ 현재
| 배우자 =
| 자녀 =
| 학력 = 연세대학교 사회학과 졸업
친척 = [[박태원 (1909년)
박태원]](외조부), 박문원(외종조부)
| 웹사이트 =
| 수상 =
}}
봉준호(1969년 9월 14일 ~ )는 대한민국영화감독, 각본가이다.<ref>씨네21 프로필</ref><ref>네이버영화 프로필</ref>

학력

* 잠실고등학교 졸업
* 연세대학교 사회학과 졸업

감독으로서의 행보

1993년 6mm 단편 영화 《백색인》을 연출하여 영화계에 데뷔했으며, 2번째 단편《지리멸렬》은 큰 화제가 되었다. 배두나가 출연하였던 첫 편 《플란다스의 개》가 흥행에 실패했으나 이후 송강호와 김상경이 출연한 《살인의 추억》을 개봉하였는데 크게 흥행하였고, 작품성과 상업성을 동시에 잡았다는 평을 받고 있다. 2006년 7월에 3번째 편 영화 《괴물》을 개봉했다. 2008년 그는 미셸 공드리, 레오 카락스 감독과 함께 도쿄를 주제로 한 옴니버스 프로젝트 영화 《도쿄!》에 참여하였다. 3편의 영화 중 "흔들리는 도쿄"에서 카가와 테루유키, 아오이 유우와 호흡을 맞췄다. 이 영화를 통해 멜로적 감수성 또한 인정 받았다.

2009년 5월 4번째 편 《마더》를 개봉했다. 살인 사건에 연루된 아들을 구하기 위해 고군분투하는 엄마의 이야기이며, 김혜자의 파격적인 연기 변신으로도 화제가 되었다. 일상적이고 평범한 소를 배경으로 비현실적이고, 이질적인 느낌이 드는 면을 포착하고, 영화 속 주인공들의 난감한 행동에 웃음을 터뜨리도록 유도하면서도 우스꽝스러운 상황에 서늘한 풍자를 심어 놓는 특유의 영화 감각을 가지고 있다.<ref>봉준호 감독 '무(無)평에 상처받은 적 있다', 마이 데일리, 2008년 5월</ref>
[[파일:Bong Joon-Ho at 2010 Independent Spirit Awards.jpg|섬네일|독립영화 정신상 시상식에서 (2010년 3월).]]
영화 《마더》가 한국 영화 최초로 미국 비평가 협회에서 받은 외국어 영화상만 무려 7개로 보스톤평론가협회, 남동부비평가협회, 샌프란시스코 영화비평가협회 등에서 수상했다. 뿐만 아니라, 여주인공인 김혜자는 헐리우드 톱배우들을 제치고 LA 평론가협회 여우주연상을 수상하며 해외에서 큰 주목을 받았다. 봉준호 감독은 2011년 미국 최고 독립영화제인 선댄스영화제의 심사위원으로 위촉되기도 했다.

프랑스 만화를 각색한 《설국열차》를 준비한후,<ref>네이버 책 '설국열차', 뱅자맹 르그랑, 마르크 로셰트, 자크 로브 저, 김예숙 역, 현실문화, 2009년 8월 5일</ref> 2012년 초 크랭크인하여 2013년 7월 31일에 개봉하였다.<ref name="설국열차">프랑스 만화 각색한 ‘설국열차’ 400억대작 이끄는 봉준호 감독, 동아일보, 2011년 8월 16일</ref>

특이 사항

* 봉준호의 외조부는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로 유명한 소설가 박태원으로서, 한국전쟁 당시 녀를 데리고 월북했고, 봉준호의 어머니를 포함한 그 외 2남 2녀는 서울에서 자랐다.<ref>'천변풍경'의 구보 박태원, 청계천변서 다시 만나다 프레시안. 2009년 06월 15일</ref> 2006년 6월 제14차 금강산 이산가족 상봉에서 이들 모녀가 재회화여 화제가 되었다.<ref>호랑이가 고양이 낳으랴..3대 이은 예술명문가 스타뉴스. 2009년 06월 30일</ref>

영화에 반복 출연한 배우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center;font-size:90%;"
|- style="vertical-align:bottom;"
! 배우 !! 플란다스의 개 !! 살인의 추억 !! 괴물 !! 마더 !! 설국열차 !! 옥자
|-
! 고아성
| {{체크표}} {{체크표}}
|-
! 김뢰하
{{체크표}}
| {{체크표}} {{체크표}}
|-
! 김진구
{{체크표}}
| {{체크표}}
|-
! 문희라
| {{체크표}} {{체크표}}
|-
! 박노식
| {{체크표}} {{체크표}}
|-
! 박해일
| {{체크표}} {{체크표}}
|-
! 배두나
{{체크표}}
| {{체크표}}
|-
! 변희봉
{{체크표}}
| {{체크표}} {{체크표}} {{체크표}}
|-
! 송강호
| {{체크표}} {{체크표}} {{체크표}}
|-
! 윤제문
| {{체크표}} {{체크표}} {{체크표}}
|-
! 이재응
| {{체크표}} {{체크표}}
|-
! 전미선
| {{체크표}} {{체크표}}
|-
! 고수희
{{체크표}}
| {{체크표}}
|-
! 틸다 스윈턴
| {{체크표}} {{체크표}}
|}

작품 목록


===편 영화===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center;font-size:100%;"
|-
! rowspan="2" style="width:50px;"| 연도
! rowspan="2" style="width:200px;"| 영화
! colspan="3" | 참여
! rowspan="2" style="text-align:center;| 배급
! rowspan="2" style="text-align:center; width:120px;"| 박스 오피스 수익
|-
! width=75 | 감독
! width=75 | 프로듀서
! width=75 | 각본
|- style="text-align:center;"

2000
| style="text-align:left;"| 플란다스의 개
| {{Yes}}
|
| {{Yes}}
| 시네마 서비스
매그놀리아 픽처스
| $44,767
|- style="text-align:center;"

2003
| style="text-align:left;"| 살인의 추억
| {{Yes}}
|
| {{Yes}}
| :en:Palm Pictures
CJ엔터테인먼트
| $229,652
|- style="text-align:center;"

2005
| style="text-align:left;"| 남극일기
|
|
| {{Yes}}
| 쇼박스
| $5,568,811
|- style="text-align:center;"

2006
| style="text-align:left;"| 괴물
| {{Yes}}
|
| {{Yes}}

매그놀리아 픽처스
쇼박스
| $89,431,890

|- style="text-align:center;"

2009
| style="text-align:left;"| 마더
| {{Yes}}
|
| {{Yes}}
| 매그놀리아 픽처스
CJ엔터테인먼트
| $17,112,713
|- style="text-align:center;"

2013
| style="text-align:left;"| 설국열차
| {{Yes}}
|
| {{Yes}}
| 와인스타인 컴퍼니
CJ엔터테인먼트
| $86,607,754
|- style="text-align:center;"

2014
| style="text-align:left;"| 해무
|
| {{Yes}}
| {{Yes}}
| 넥스트엔터테인먼트월드
| $11,383,034
|- style="text-align:center;"

2017
| style="text-align:left;"| 옥자
| {{Yes}}
|
| {{Yes}}
| 넷플릭스
넥스트엔터테인먼트월드
|
|- style="text-align:center;"

2019
| style="text-align:left;"| 패러사이트 (Parasite)
| {{Yes}}
|
|
| CJ엔터테인먼트
|
|- style="text-align:center;"
|}

===연출, 각본===
{|class="wikitable"
!영화 제목!!비고!!개봉(제작) 년도

| {{small|*}} 《백색인》 ||단편 영화||1993년
|-
{{small
*}} 《프레임 속의 기억들》단편 영화rowspan="2" | 1994년
|-
{{small
*}} 《지리멸렬》단편 영화
|-
{{small
*}} 《플란다스의 개 2000년
|-
{{small
*}} 《싱크&라이즈》 단편 영화rowspan="2" | 2003년
|-
{{small
*}} 《살인의 추억
|-
{{small
*}} 《인플루엔자》전주국제영화제 디지털 삼인삼색rowspan="2" | 2004년
|-
{{small
*}} 《이공옴니버스 영화
|-
{{small
*}} 《괴물 2006년
|-
{{small
*}} 《도쿄! - 흔들리는 도쿄》옴니버스 영화2008년
|-
{{small
*}} 《마더 2009년
|-
{{small
*}} 《이키단편영화2011년
|-
{{small
*}} 《설국열차 2013년<ref name="설국열차"/>
|}
<br />

===그외 참여, 특별출연===
{|class="wikitable"
!영화 제목!!비고!!개봉(제작) 년도!!역할(담당)
|-
{{small
*}} 《지리멸렬》단편영화rowspan="5" | 1994년배달소년 형 역 (각본, 조연, 편집, 연출)
|-
{{small
*}} 《2001 이매진》단편영화(촬영)
|-
{{small
*}} 《하늘 소리 땅 소리》단편영화(조명)
|-
{{small
*}} 《포도 씨앗의 사랑》단편영화(조명)
|-
{{small
*}} 《모자》단편영화(촬영)
|-
{{small
*}} 《맥주가 애인보다 좋은 일곱가지 이유》 1996년(각본, 연출부)
|-
{{small
*}} 《모텔 선인 1997년(각본, 조감독)
|-
{{small
*}} 《유령》 1999년(각본)
|-
{{small
*}} 《죽거나 혹은 나쁘거나》 2000년(편집지원)
|-
{{small
*}} 《피도 눈물도 없이》 2002년특별출연(취조형사 역)
|-
{{small
*}} 《남극일기》 2005년(각본)
|-
{{small
*}} 《미쓰 홍당무 2008년특별출연(학원 수강생 회사원 역)
|-
{{small
*}} 《불 좀 주소》단편영화2009년기타 남 역
|-
{{small
*}} 《인류멸망보고서 - 멋진 신세계》옴니버스영화2011년특별출연(멋진 신세계 - 패널 (이준호) 역)
|-
{{small
*}} 《거, 한국 최고의 흥행 영화 감독》다큐멘터리2013년에피소드2. 봉준호 감독 편
|-
{{small
*}} 《해무》 2014년(제작)
|}

뮤직비디오 연출

* 2000년 김돈규 - 〈단〉
* 2004년 한영애 - 〈외로운 가로등〉

출연 광고

* TU미디어 TU (2006년)
* 캐논 EOS400D (2006년)
* 르노삼성자동차 NEW SM5 (2010년) ※고현정과 공동출연
* 하이트진로 MAX (2010년) ※원빈과 공동출연

수상 내역

;옥자 (2017년작)
* 2017년 제17회 디렉터스 컷 시상식 올해의 감독상
* 2017년 제37회 한국영화평론가협회상 국제영화비평가연맹한국본부상
;설국열차 (2013년작)
* 2014년 제14회 디렉터스 컷 시상식 올해의 감독상
* 2014년 제50회 백상예술대상 영화부문 감독상
* 2014년 제5회 올해의 영화상 최우수작품상, 감독상
* 2013년 제14회 부산영화평론가협회상 각본상
* 2013년 제13회 대한민국청소년영화제 감독상
* 2013년 제33회 한국영화평론가협회상 최우수작품상, 감독상
* 2013년 제34회 청룡영화상 감독상
* 2013년 제22회 부일영화상 최우수작품상

;마더 (2009년작)
* 2011년 미국 여성영화비평가협회 최우수 외국영화상
* 2011년 미국 온라인영화비평가협회 최우수 외국영화상
* 2011년 미국 캔자스시티비평가협회 최우수 외국영화상
* 2011년 미국 센트럴오하이오비평가협회 최우수 외국영화상
* 2011년 미국 남동부영화비평가협회 최우수 외국영화상
* 2011년 미국 샌프란시스코영화비평가협회 최우수 외국영화상
* 2011년 미국 보스톤영화비평가협회 최우수 외국영화상
* 2010년 제10회 대한민국청소년영화제 감독상
* 2010년 APN(Asia Pacific Producers Network)어워드 아시아 영화인상
* 2010년 제6회 두바이국제영화제 아시아-아프리카 편극 영화부분 각본상
* 2010년 미국 그린 플래닛 영화 시상식 최우수 외국영화 선정
* 2010년 제24회 마르델플라타 영화제 시그니스상
* 2010년 일본 닛칸스포츠영화상 외국작품상 수상
* 2010년 영화전문기자 선정 올해의 영화상
* 2010년 제28회 뮌헨 국제영화제 Arri-Zeiss 상
* 2010년 제25회 산타바바라 국제영화제 이스트 미츠 웨스트 시네마 상
* 2010년 제4회 아시안 필름 어워드 최우수작품상, 각본상
* 2009년 제30회 청룡영화상 최우수 작품상
* 2009년 제5회 대한민국 대학영화제 감독상
* 2009년 제29회 한국영화평론가협회상 최우수작품상, 각본상
* 2009년 제10회 부산영화평론가협회상 최우수 작품상
* 2009년 제18회 부일영화상 최우수 작품상

;괴물 (2006년작)
* 2007년 제25회 브뤼셀 판타스틱 영화제 금까마귀상
* 2007년 제43회 백상예술대상 영화부문 작품상
* 2007년 제1회 아시아 필름 어워드 최우수작품상
* 2007년 제44회 대종상 감독상
* 2007년 제27회 오포르토 국제 영화제 감독상
* 2007년 제4회 맥스무비 최고의 영화상 최고의 감독상
* 2006년 제5회 대한민국 영화대상 최우수작품상, 감독상
* 2006년 제39회 시체스 국제 영화제 오리엔탈 익스프레스상
* 2006년 제7회 부산영화평론가협회상 심사위원특별상
* 2006년 제27회 청룡영화상 최우수 작품상
* 2006년 제2회 대한민국 대학영화제 감독상

;살인의 추억 (2003년작)
* 2004년 제1회 맥스무비 최고의 영화상 최고의 감독상
* 2003년 제6회 디렉터스 컷 시상식 올해의 감독상
* 2003년 제16회 도쿄 국제 영화제 아시아영화상
* 2003년 제4회 부산영화평론가협회상 감독상, 각본상
* 2003년 제40회 대종상 감독상, 최우수작품상
* 2003년 제11회 춘사영화상 감독상, 각본상, 작품상
* 2003년 제2회 대한민국 영화대상 감독상, 각본상, 작품상
* 2003년 산세바스티안 국제 영화제 은조개 상, 신인 감독상

;플란다스의 개(2000년작)
* 2001년 뮌헨 영화제 신인 감독상
* 2001년 홍콩영화제 국제비평가상
* 2001년 제25회 홍콩 국제 영화제 국제 영화 비평가 상
* 2001년 디렉터스 컷 시상식 올해의 신인 감독상 수상

;백색인(1994년작)
* 1993년 신영 청소년 영화제 수상

각주

{{각주}}

외부 링크

{{위키공용분류}}
* {{KMDb 사람|00001843|봉준호}}
* {{언어링크|ko}} 봉준호 - Naver 영화
* {{언어링크|ko}} 봉준호 - Daum 영화
* {{언어링크|ko}} 봉준호 - CineSeoul
* {{언어링크|ko}} 봉준호 - Movist
* {{IMDb 이름|0094435|봉준호}}
* {{Amg 이름|365265|봉준호}}
* {{로튼 토마토 사람|joon_ho_bong|봉준호}}

{{봉준호의 영화}}
{{둘러보기 상자 묶음
|title = 봉준호의 수상 목록
|list =
{{부산영화평론가협회상 감독}}
{{춘사영화상 감독}}
{{한국영화평론가협회상 감독}}
{{백상예술대상 영화부문 감독}}
{{대한민국 영화대상 감독}}
{{청룡영화상 감독}}
{{대종상 감독}}
{{올해의 영화상 감독}}
{{디렉터스 컷 시상식 올해의 신인감독}}
{{디렉터스 컷 시상식 올해의 감독}}
{{맥스무비 최고의 영화상 최고의 감독}}
{{씨네21 올해의 감독}}
}}
{{전거 통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