팝업레이어 알림

팝업레이어 알림이 없습니다.
E D R , A S I H C RSS

박문웅 (1890년)

r1.1과 현재 버전의 차이점

@@ -1,114 +1 @@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f/f3/Park_Mun-ung.png
박문웅
 
'''박문웅'''(朴文雄, 일본명:朴忠文雄 호추 후미오, [[1890년]] [[12월 7일]] ~ [[1959년]] [[8월 14일]])은 [[일제 강점기]] [[조선총독부]]의 관료이다. [[일제 강점기]]의 [[일본]] 유학파 관료로 [[1916년]] 판임관 공개채용 시험에 합격, [[김제군]]속, [[김천군]]속, [[전라북도]] 학무과 주사, [[군위군]] 총무과 서무주임 등을 거쳐 [[경북]] 달성군수, 경북 청송군수(1934.9.14~1938.3.25), 청도군수(1938.3.25~1943.3.6), 상주군수(1943.3.6~1944.12.21) 등을 역임하였다. 구한 말과 [[일제 강점기]]의 신념형 친일파 관료 [[박중양]]의 아들로, [[치과]][[의사]]이자 대학 내 [[치의학]]과 설립 운동을 한 [[이열희 (1924년)|이열희]]는 그의 사위였다. 다른 이름은 영문(泳文) 또는 순성(淳聖)이다.
 
== 생애 ==
=== 생애 초반 ===
박문웅은 [[1890년]] [[12월 7일]] 또는 [[1월 20일]] [[도지사]]를 지낸 신념형 친일파 [[박중양]]과 그의 부인 전주이씨 이주열의 장남으로 태어났다. 그의 선대 가계는 정확히 전하지 않는다. 그의 본관에 대해서도 불분명하여 반남 박씨라는 설과 밀양 박씨라는 설이 존재한다. 출생년대는 다소 불분명하여 [[1890년]]생 설과 [[1891년]]생 설이 있다. 형제자매로는 친동생 박무웅(朴武雄)과 몇 명의 이복 형제자매들이 있었다.
 
그의 선대는 [[대구]]에서 살았으며 조부 박정호와 아버지 [[박중양]]은 [[경기도]] [[양주군]]에서 살았다. 할아버지인 박정호는 [[양주군]]에서 마름으로 생활하였고<ref>아버지 박중양의 회고록인 술회에서 박중양은 자신의 아버지 박정호가 양주군에서 마름으로 생활했다고 기술하였다.</ref>, 아버지 [[박중양]]의 대에 다시 성공하여 선조들이 살던 [[대구]]로 내려와 정착하였다. 가계가 불확실한 탓에 보통 그의 가계는 [[중인]] 출신으로 본다.
 
[[일본]]으로 유학, [[일본]] [[시가현]](磁駕縣) [[하코네 중학교]](彦根中學校)를 졸업했다. [[세이소쿠 영어학교]]으로 진학, [[1914년]] [[세이소쿠 영어학교]]를 수료하고 귀국하였다. [[1914년]] [[11월]] [[판임관|판임문관]] 공개채용 시험에 합격한 뒤 [[1915년]] [[대구부]] [[판임관]] 견습(判任官見習)이 되었다.
 
=== 관료 생활 ===
[[1916년]] 다시 대구부 판임관 견습으로 발령되었다.<ref>박은경, 《일제하 조선인 관료 연구》 (학민사, 1999) 344페이지</ref> [[1919년]] [[평안북도]] [[의주군]] [[판임관]] 견습(判任官見習)이 되고, 그해 [[5월]] [[의주군]] 군서기(郡書記)에 임용되었다.
 
[[1921년]] [[김제군]] 군속(郡屬)으로 발령되어 [[김제시청|김제군청]] 군속, [[1923년]] [[김제군]] [[김제읍]] 주사로 근무하였다. [[1922년]] [[5월 1일]] [[경상북도]] 주왕산 고적 보존회의 창립에 참여하고 공동회장의 한 사람으로 선출되었다.<ref>한국민족운동사학회, 《한국민족운동사연구 58》 (한국민족운동사학회, 2009) 290페이지</ref> [[1925년]] [[전라북도]] [[내무부]] [[학무과]] [[주사]]로 발령되었다. [[1927년]] [[경상북도]] [[김천군]]속(屬)으로 배속되었고, [[1928년]] [[김천군]] 총무과 서무주임이 되었다. [[1930년]] [[군위군]]속으로 발령받았다. 이어 [[1931년]] [[11월 26일]] [[군위군]] 총무과 서무주임이 되었다.<ref>지방인사, 매일신보 1931년 11월 26일자, 3면</ref>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c/c0/%EB%AA%85%EB%A9%B4%EC%97%B0%EB%A7%B9%EA%B2%B0%EC%84%B1%EA%B8%B0%EB%8C%80.png/150px-%EB%AA%85%EB%A9%B4%EC%97%B0%EB%A7%B9%EA%B2%B0%EC%84%B1%EA%B8%B0%EB%8C%80.png
청도군 국민정신총동원연맹 각 읍면지부 조직 준비 기사, 매일신보 1938년 8월 15일자
 
그뒤 [[사무관]]을 거쳐 [[1934년]] [[9월 14일]] [[경상북도]] [[군속]]이 되었다. [[1934년]] [[9월 16일]] [[고등관]] 7등에 [[군수]]로 승진, [[청송]][[군수]](靑松郡守)가 되었다.<ref>동아일보 1934년 09월 16일자, 1면</ref> [[청송]][[군수]]로 재직 중 [[1935년]] 판임관 7등이 되고, [[1937년]] 판임관 6등으로 승진하였다. [[1938년]] [[3월 17일]] [[청도]][[군수]]가 되었다.<ref>동아일보 1938년 03월 27일자, 1면</ref> 그해 [[8월]] [[국민정신총동원연맹]] 청도군지회 이사장을 맡았다. 이후 달성군수, 청송군수 등을 지내고 [[1939년]] [[9월 30일]] 인사에서 [[고등관]] 4등(高等官四等)으로 승진하였다.<ref>동아일보 1939년 10월 01일자 1면</ref>
 
군수로 재직하면서 [[중일전쟁]]이 일어나자 [[1937년]] [[7월]]부터 [[1940년]]까지 군수품 공출, 강연회와 기원제를 통한 국방사상 보급, 국방헌금 모집 등 전시(戰時) 업무를 적극 수행하여 '지나사변공적조서'에 이름이 올랐다.
 
[[1939년]] [[12월 17일]] [[청도군]]의 [[유학자]] 모임인 [[청도유림회]](淸道儒林會) 결성에 참여하고 지부장에 추대되었다.<ref>동아일보 1939년 12월 20일자, 3면 사회면</ref> [[12월]] 훈6등 서보장을 받았다.
 
=== 생애 후반 ===
[[1940년]] [[판임관]] 5등이 되었다. 그해 [[5월]] [[창씨개명]]령이 떨어지자 그해 [[9월]] 박충으로 창씨개명하였다. [[1941년]] 다시 청도군수가 되었다가 [[1942년]] [[판임관]] 4등으로 승진하였다. [[1943년]] [[영천]][[군수]]가 되었다가 그해 [[3월 6일]] [[상주군|상주]][[군수]](尙州郡守)로 부임하였다. [[1943년]] [[8월 2일]] 각 도별로 [[일본적십자사]] 녹사(日本赤十字社錄事)를 선발할 때 [[경상북도]] 지역구 [[일본 적십자사]] 녹사의 한사람으로 선임되었다. [[12월 31일]] [[고등관]] 3급으로 승진하였다.
 
[[1944년]] [[12월 22일]] [[상주군|상주]][[군수]]에서 [[의원면직]]하였다. 이후 [[12월]]말 [[밀양]][[군수]]를 거쳐 [[1945년]] 해방 후 관직에서 물러난 뒤 [[대구]] 침산 근처로 낙향하였다. [[1945년]] [[9월 2일]] 미군정청 경상북도 자문관에 임명되었으나 12월 26일 사퇴하였다. [[미군정]]하에서 그의 능력을 인정하여 계속 채용하려 하였으나 사양하고 대구 침산 근처에서 아버지 [[박중양]]과 일본인 계모와 생활하였다.
 
[[1945년]] [[9월 12일]]부터 [[1946년]]까지 [[달성군|달성]][[군수]]를 역임하였다.
 
[[1959년]] [[8월 14일]]에 [[대구시]] [[북구]] [[침산동]]의 [[침산장]]에서 사망하였다.
 
=== 사후 ===
[[2008년]] [[민족문제연구소]]에서 [[친일인명사전]]에 수록하기 위해 정리한 [[민족문제연구소의 친일인명사전 수록예정자 명단|친일인명사전 수록예정자 명단]]에 선정되었다.<ref>[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0889220 <nowiki>[</nowiki>명단<nowiki>]</nowiki> 친일인명사전 수록 대상자 4776명] 오마이뉴스 2008.04.29</ref>
 
그의 묘소는 [[대구광역시]] [[북구 (대구광역시)|북구]] [[침산동]] [[오봉산]]에 있었으나 [[2004년]] 후손들에 의해 화장되었다.
 
== 가족 관계 ==
* 할아버지 : 박정호(朴鼎鎬, [[1840년]] ~ [[1892년]] [[9월 22일]])
* 할머니 : 전주이씨(全州李氏, [[1846년]] [[4월 21일]] ~ [[1929년]] [[6월 6일]])
** 큰 아버지 : 박원양(朴元陽, 생몰년 미상)
** 작은아버지 : 박계양(朴季陽, [[1877년]] ~ [[1925년]] [[5월 10일]])
** 작은어머니 : 홍씨(洪氏, [[1875년]] ~ [[1962년]] [[4월 29일]])
*** 사촌 동생 : 이름 미상, 요절
*** 사촌 동생 : 박정웅(朴正雄, 다른 이름은 순정(淳正), [[1910년]] [[3월 25일]] ~ ?)
*** 사촌제수 : 김해김씨(金海金氏, [[1911년]] [[8월 26일]] ~ ?)
**** 당조카 : 박인정(朴仁禎, [[1933년]] [[12월 18일]] ~ )
**** 당질녀 : 박씨(朴氏)
**** 당질녀사위 : 허보근(許寶瑾, 본관은 김해(金海))
**** 당질녀 : 박씨(朴氏)
**** 당질녀사위 : 이팔영(李八榮, 본관은 전주(全州))
 
* 아버지 : [[박중양]](朴重陽, [[1872년]] [[5월 3일]] ~ [[1959년]] [[4월 23일]])
* 어머니 : 이주열(李主悅, 본관은 전주(全州), [[1870년]] [[3월 4일]] ~ [[1961년]] [[5월 20일]])
** 동생 : 박무웅(朴武雄, 생몰년 미상)
** 동생 : 이름 미상
** 누이 : 박씨(朴氏)
** 누이 : 박씨(朴氏)
* 서모 : 일본 여자([[1909년]] ~ ?)
** 이복 여동생 : 박정자(朴政子, [[1936년]]<ref>"박중양씨 입건 '이 대통령'의 명예훼손 혐의", 동아일보 1957년 09월 15일자 3면, 사회면</ref> - )
 
* 부인 : 이름 미상
* 부인 : 남원양씨(南原梁氏, [[1907년]] [[8월 11일]] ~ ?), 양재형(梁在亨)의 딸
** 딸 : 박씨(朴氏)
** 사위 : 노영달(盧榮達, 본관은 상주(尙州))
** 딸 : [[박부남 (1932년)|박부남]](朴富南, [[1930년]] ~ [[2018년]] [[1월 11일]])
** 사위 : [[이열희 (1924년)|이열희]](李烈熙, 본관은 경주(慶州))
** 아들 : 박승효(朴勝孝, 다른 이름은 세정(世楨), [[1933년]] [[8월 1일]] ~ )
** 며느리 : 양근함씨(陽根咸氏, [[1937년]] [[11월 11일]] ~ ), [[함승호]](咸升鎬)의 딸
*** 손자 : 박영목(朴永睦, [[1964년]] ~ )
*** 손자 : ?
* 장인 : 양재형(梁在亨)
 
== 각주 ==
<references/>
 
== 관련 항목 ==
{{Col-begin}}
{{Col-2}}
* [[박중양]]
* [[박제순]]
* [[박영효]]
* [[서재필]]
* [[안경수]]
* [[윤치호]]
* [[유길준]]
* [[안창호]]
* [[일소대]]
* [[자제회]]
* [[자성단]]
* [[대구읍성]]
{{Col-2}}
* [[3.1 운동]]
* [[침산장]]
* [[김규식]]
* [[염농산]]
* [[유억겸]]
* [[유만겸]]
* [[유성준]]
* [[윤치영]]
* [[이승만]]
* [[정칠성]]
{{Col-end}}
 
== 외부 링크 ==
*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0889220 <nowiki>[</nowiki>명단<nowiki>]</nowiki> 친일인명사전 수록 대상자 4776명] 오마이뉴스 2008.04.29
 
 
[[분류:1890년 태어남]][[분류:1959년 죽음]][[분류:대한제국 사람]][[분류:일제 강점기의 관료]][[분류:일제 강점기의 유학자]][[분류:일제 강점기의 정치인]]
[[분류:성리학]][[분류:박중양]][[분류:세이소쿠가쿠엔 고등학교 동문]][[분류:친일인명사전 수록자]][[분류:대한민국 사람]][[분류:경상북도 출신 인물]]
[[분류:요리]]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