팝업레이어 알림
팝업레이어 알림이 없습니다.
- 하이큐/에피소드 . . . . 68회 일치
[[하이큐]]의 에피소드 일람.
[[하이큐/208화]]
[[하이큐/209화]]
[[하이큐/210화]]
[[하이큐/211화]]
[[하이큐/212화]]
[[하이큐/213화]]
[[하이큐/214화]]
[[하이큐/215화]]
[[하이큐/216화]]
[[하이큐/217화]]
[[하이큐/218화]]
[[하이큐/219화]]
[[하이큐/220화]]
[[하이큐/221화]]
[[하이큐/222화]]
[[하이큐/223화]]
[[하이큐/224화]]
[[하이큐/225화]]
[[하이큐/226화]]
- 페이데이 2/하이스트 . . . . 35회 일치
[[페이데이 2]]의 핵심 요소인 하이스트에 대해 다루는 페이지.
일부 하이스트들은 2일-3일에 걸쳐 진행되는데, 이 경우 2-3개의 게임이 연달아 이루어지고 마지막 날 보수를 받는다.
하이스트는 모두 여섯가지 난이도가 있다. 난이도가 높아질수록 강한 적들이 나오고 여러가지 변수도 나쁜 쪽으로 고정된다.
은밀하게 침투해 목적을 이루고 탈출하는 방식. 솔직히 말해서 신고만 안 들어가면 된다. 이 과정에서 들키면 플랜 B로 넘어가지만[* 스텔스 전용 하이스트의 경우에는 탈출할 시간을 준 다음에 그 전에 탈출하지 못하면 실패 처리. 탈출 지역의 경우 목적을 완수해야지만 표시된다.] 보통은 게임을 리스타트한다.
몇몇 하이스트의 경우 운이 나쁘면 짜증나는 탈출 미션을 해야한다.
하이스트에 도움이 되는 요소들. 하이스트를 시작하기 전 구매 할 수 있다.
사전계획의 경우, 하이스트를 뛰게 될 맵의 지도를 보며 여러 보기 중 원하는 자리에 도구를 배치할 수 있게 해준다. 특정 도구를 숨겨두거나 하는 특권에 비해 진입 방법이나 탈출 방법도 마음대로 선택 가능.[* 가장 많은 사람이 선택한 방법이 결정된다. 만일 동점이라면 호스트(방장)가 선택한 쪽으로 결정. 투표권을 잊지말고 행사하자.] 하지만 각 사전계획마다 특권(Favor)이라는 포인트를 소모하는데, 한 하이스트 당 정해진 특권을 넘어서 쓸 수 없다.
== 하이스트 목록 ==
페이데이 갱의 총 지도자이자 범죄 의뢰 사이트 Crime.Net의 운영자인 베인이 의뢰하는 하이스트들.
[[페이데이 2/하이스트/베인]] 페이지 참조.
페이데이 2 버전으로 리메이크된 [[페이데이: 더 하이스트]]의 하이스트들.
[[페이데이 2/하이스트/클래식]] 페이지 참조.
할로윈 이벤트마다 추가되는 하이스트들.
[[페이데이 2/하이스트/이벤트]] 페이지 참조.
컬럼비아계 마약 카르텔 보스 헥터가 의뢰하는 하이스트들. 대부분 라우드로 진행된다.
[[페이데이 2/하이스트/헥터]] 페이지 참조.
영화 [[하드코어 헨리]]와의 콜라보로 추가된 하이스트들.
[[페이데이 2/하이스트/지미]] 페이지 참조.
사설군사업체 머키워터 내의 배신자 로크가 의뢰하는 하이스트들.
[[페이데이 2/하이스트/로크]] 페이지 참조.
- 페이데이 2 . . . . 24회 일치
2013년 발매된 FPS 게임. [[페이데이: 더 하이스트]]의 후속작으로, 강도단 [[페이데이 갱]]의 범죄 행각을 다루고 있다. 그런데 스케일이 좀 커져서 범죄 수준이 아닌 것 같기도 하다.
== 하이스트 ==
[[페이데이 2/하이스트]] 페이지 참조.
수송차량을 습격하는 Transport 하이스트(의 5개 버전)와 기차에서 프로토타입 군용 병기를 훔치는 Transport: Train Heist 하이스트, 돌격소총(Commando 553), 기관단총(Swedish K), 권총(Gruber Kurz)이 들어있는 DLC
킹갓 DLC. 하이스트 중 획득 가능한 소포 상자들을 모아 전용 무기 부품을 얻을 수 있게 해준다.
저격총 세개(Rattlesnake, R93, Thanatos .50 cal)가 들어있는 DLC. 일부 하이스트에서 저격충들을 위한 저격지점인 Vantage Point 에셋도 쓸 수 있게 해준다.
X나 큰 은행을 터는 The Big Bank 하이스트와 돌격소총(Falcon)이 들어있는 DLC.
[[핫라인 마이애미]]와의 콜라보 DLC. 러시아 마피아 두목을 족치는 Hotline Miami 하이스트와 기관단총 3개(Cobra, Blaster 9mm, Uzi), 야구빠따, 식칼, 정글도, 소방도끼가 들어있다.
박물관에서 저주받은 다이아몬드를 훔치는 The Diamond 하이스트가 들어있는 DLC.
폭탄을 훔치는 The Bomb 하이스트(의 2개 버전)와 권총(LEO)이 들어있는 DLC.
스웨덴 DJ 알레소와의 콜라보 DLC. 알레소의 공연이 벌어지는 틈을 타 금고를 따는 The Alesso Heist 하이스트와 권총(Matever .357), 마이크, 톤파, 금속탐지기, 마이크 스탠드가 들어있다.
카지노를 터는 Golden Grin Casino 하이스트와 돌격소총(Cavity 9mm), 슬롯머신 손잡이, 스위치블레이드, 칩 수거용 막대기, 전기충격기가 들어있는 DLC.
영화 [[포인트 브레이크]]와의 콜라보 DLC. 산 지하의 PMC 기지를 털어먹는 Beneath the Mountain 하이스트와 수송기로 운송중인 현금을 털어먹는 Birth of Sky
하이스트, 권총(Baby Deagle), 아이스 바일, 다이빙 나이프, 셀카봉, 정글도가 들어있다. 솔직히 이게 콜라보인지 아닌지는 잘 모르겠다.
[[염소 시뮬레이터]]와의 콜라보 DLC. 염소를 이용한 마약 운반 중 일어난 사고를 수습하는 Goat Simulator 하이스트, 산탄총(GSPS 12G), 갈퀴, 칼, 가위, 지팡이가 들어있다.
위조지폐범을 털어먹는 Counterfeit 하이스트와 부패한 세무서 직원을 협박해 돈을 뜯어내는 Undercover 하이스트, 보조무기 유탄발사기(China Puff 40mm)와 네일건이 들어있는 DLC. [[페이데이: 더 하이스트]]의 Wolf Pack DLC가 있다면 무료로 얻을 수 있다,
러스트가 전에 속해있던 폭주족들을 털어먹는 The Biker Heist 하이스트, 기관단총(CR 805B), 투척용 도끼가 들어있는 DLC.
특정 조건을 추가로 만족해야 해금되는 하이-테크 유탄발사기(Arbiter)와 장전시간을 줄여주는 탄창과 같은 부품들이 들어있는 DLC.
영화 [[스카페이스]]와의 콜라보 DLC. 소사 카르텔의 두목 에르네스토 소사를 조지는 내용의 Scarface Mansion 하이스트와 4연장 로켓발사기인 Commando 101, 그리고 근접공격용 구식 휴대전화가 들어있다.
영화 [[존 윅: 리로드]]와의 콜라보 DLC. 위기에 빠진 컨티넨탈 호텔의 인물을 구출하는 Brooklyn 10-10 하이스트와 연회가 벌어지는 요트에 숨어들어가 돈을 훔치는 Yacht Heist 하이스트, 저격소총(Contractor .308), 갈고리가 들어있다.
- 페이데이 2/하이스트/블라드 . . . . 22회 일치
[[페이데이 2]]에서 블라드가 의뢰하는 [[페이데이 2/하이스트|하이스트]]의 목록.
정해진 네곳의 가게에서 만 5천 달러 가치의 물품을 훔치면 되는 하이스트.
Four Stores 하이스트를 메이헴 난이도 이상으로 클리어
Four Stores 하이스트를 데스위시 난이도 이상으로 클리어
Four Stores 하이스트를 오버킬 난이도 이상으로 클리어
Four Stores 하이스트에서 금고 안에 숨겨진 금괴를 확보
Mallcrasher 하이스트를 메이헴 난이도 이상으로 클리어
Mallcrasher 하이스트를 데스위시 난이도 이상으로 클리어
Mallcrasher 하이스트를 오버킬 난이도 이상으로 클리어
Mallcrasher 하이스트에서 모든 창문을 파괴
오버킬 난이도의 Mallcrasher 하이스트에서 시작한지 50초 내에 180만 달러를 확보. 도전과제 완수시 "Alfred" 가면과 "Dawn" 재질, "Dinosaur Skull" 무늬, AK 계열 총기용 부품인 "Scope Mount"와 "PBS Suppressor"가 해금됨
Meltdown 하이스트를 클리어
Meltdown 하이스트를 메이헴 난이도로 클리어
Meltdown 하이스트를 데스위시 난이도로 클리어
Meltdown 하이스트를 원다운 난이도로 클리어
Meltdown 하이스트에서 모든 추가 전리품을 확보
롱펠로를 사용하지 않고 Meltdown 하이스트를 클리어
Aftershock 하이스트를 메이헴 난이도 이상으로 클리어
Aftershock 하이스트를 데스위시 난이도 이상으로 클리어
Aftershock 하이스트를 원다운 난이도 이상으로 클리어
- 하이큐!! . . . . 20회 일치
* 공식 홈페이지 하이큐!!.com [[http://www.j-haikyu.com/]]
주간 [[소년 점프]]에서 2012년 12호부터 연재중인 후루다테 하루이치(古舘 春一)[* [[궤변학파 요츠야 선배의 괴담]]의 작가. 이 작품은 인기가 없어서 단 18화만에 연재 종료당했지만, 그런 것치고는 국내에서 인지도가 알게 모르게 있는 괴이한 작품. 자세한 것은 항목 참조.]의 [[배구]] 만화. 하이큐의 뜻은 배구(排球)의 일본어 독음.
2013년 골든 위크에 신쥬쿠 역사에 대형 브로마이드 전시를 하기도 했으며, 2013년 [[7월 22일]], 7권 발매 및 누계 250만부 판매 기념으로 슈에이샤 본사 1층 전시회실에서 하이큐!! 전을 개최, 예상 외의 호평에 9월 20일까지 연장되기도 했으며 2013년 10월에는 하이큐!! 점프샵 페어가 열렸다.
기존의 배구 만화들이 에이스 스파이커를 중심으로 이야기가 전개되었던 반면, 하이큐!!는 세터를 중심으로 이야기를 풀어가는 점에서 신선하다는 평을 받고 있다. 배구에서는 흔히 하는 말로, '[[야구]]를 [[투수]] 놀음이라 한다면 [[배구]]는 세터 놀음' 이라 한다. 그만큼 배구에서 세터란 포지션이 중요하며, 이는 작중에서 [[코즈메 켄마]]가 '세터는 가장 능력이 좋은 사람이 하는 포지션' 이란 대사로도 언급된다. 이처럼 현실 배구에서는 가장 중요한 포지션임에도 그 특성상 화려함은 떨어지는 포지션[* 아예 [[히나타 쇼요]]는 세터에 대해서 '수수하고 어려운 포지션'이라고 말한다.]이라, (시각 매체인) 만화에서 세터를 주인공으로 내세우려면 작가의 역량이 어느 정도 받쳐줘야 한다는 것이 정설이었다. 하이큐!!는 이 세터들을 중심으로 경기를 묘사한다. 그래서인지 작중 등장하는 세터들은 유독 [[사기캐]]와 [[먼치킨]]들이 많은데, 그 정점에 본작의 투탑 주인공 중 하나인 [[카게야마 토비오]]가 있다.
작품에 대한 평가로는, 대체적으로 '''평작 이상'''이라는 반응이다. 이전에 연재를 한 경험이 있어 그림체가 호불호가 갈린다곤 해도 상당히 안정된 편이고, 캐릭터가 주연 조연 모두 매력적이며 구성도 탄탄하다. 뿐만 아니라 만화 특유의 페이지를 넘겼을 때의 칸 연출에 상당히 능숙한 편. <하이큐!!>의 최대의 강점은 그 연출에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또한 허무맹랑한 필살기나 기술명이 난무하지 않고, 스포츠를 가장한 특수 [[능력자 배틀물]]의 성격을 띄는 경우[* 대표적인 만화가 테니스의 왕자다. 필살기 난무, 특수능력 난무로 만화 자체가 안드로메다로 가버린 후 이작품은 매너의 스포츠로 불리는 테니스를 모욕하는 경지에 이르게 된다.~~테니스 한 번 치면 사람이 다치고 인사불성~~]가 많은 점프계치고는 [[주인공 보정]]이나 만화적 연출을 제외하면 상당히 현실성 넘치는 경기 묘사[* 많은 [[덕후]]들이 잘 모르는 사실인데 [[스포츠물]]에서 진짜 100% 현실적인 묘사는 사실상 불가능하다. 설령 100% 현실적인 묘사로만 이루어진다해도 정말 ~~[[암]]을 유발할 것 같은~~ 답답한 전개가 펼쳐지기때문에 그야말로 독자들이 지쳐 나가떨어진다. 이는 현실의 스포츠 경기만 봐도 알 수 있다(…) 그래서 아무리 그나마 현실적인 묘사를 하더라도 약간의 판타지는 섞여있을 수 밖에 없다. 리얼계 스포츠물의 [[레전설]]로 불리는 <[[슬램덩크]]>도 사실 100% 현실적인 건 아니다. 비슷하게 현실적이라는 호평을 듣는 스포츠물인 <[[크게 휘두르며]]>도 100% 현실적이진 않다.]를 보여주고 있으며 이러한 점이 호감을 사는 면도 있다.
1회전에서 사라지는 수많은 약체팀들에도 포커스를 맞췄다. 이들을 단순히 주인공 학교의 1승 제물로 등장시키지 않고, 그들 역시 배구와 함께 고교시절을 보내는 청춘임을 묘사한다. 그 결과 나온 것이, 대부분의 팬들이 감동적인 에피소드를 꼽을 때 꼭 언급되는 40화 '승자와 패자' 편(애니메이션에서는 16화). 인터하이 1차전이 끝난 후 1회전에서 탈락한 23개 팀 모두를 '''한 컷씩 다 그려냈다''' .[* 애니메이션에서는 분량 문제인지 23개교가 전부 나오지 않아, 아쉬워하는 팬들도 있었다.] 그리고 이 장면에서 등장하는 ''' "우리들도 했어 배구" ''' 라는 대사는, 이 작품이 지향하는 바가 무엇인지를 정확히 보여준다.
[[카라스노 고교]]의 모델은 이와테현 구노헤 군 가루마이마치의 현립 가루마이 고교이다. 실제로 까마득한 산골로, 하이큐의 인기가 높아지면서 관광 코스를 소개하고 있다. [http://blogs.yahoo.co.jp/yosicosmic 블로그(일본어)] 작품의 배경은 미야기현이면서 카라스노 고교의 배경은 이와테현이 된 셈인데, 이는 작가가 미야기 출신이지만 이와테현에서 청소년기를 보내서 그런 것으로 보인다.
== [[하이큐!!/등장인물|등장인물]] ==
[[하이큐!!/등장인물]] 항목 참조.
== [[하이큐/에피소드|에피소드 목록]] ==
[[하이큐/에피소드]]
=== [[하이큐!!/애니메이션|애니메이션]] ===
[[하이큐!!/애니메이션]] 항목 참조.
* 2014년 9월 22일부터 소년 점프+에서 れっつ!ハイキュー!?(렛츠! 하이큐!?)가 연재되고 있다. [http://plus.shonenjump.com/rensai_detail.html?item_cd=SHSA_JP01PLUS00000087_57 소년 점프+ 홈페이지]에서 무료로 감상할 수 있다. 카게야마가 대놓고 왕관을 쓰고 백마를 끌고 다니고 킨다이치는 진짜 머리에 락교를 쓰고 있는 등, 본편 내용을 개그로 바꾼 내용이다. 때문에 [[캐붕]]에 민감한 사람에게는 추천하지 않을뿐더러 애초에 정상적인 캐릭터가 하나도 없다(...). 사실 그것보다는 본편과 개그 코드가 상당히 달라서 안 맞는 사람들은 정말 안 맞다. --그러나 고양이인간 쿠로오와 켄마가 정말 귀여운 데는 이견이 없을 듯--
* 마스코트 캐릭터인 '히나가라스'가 [[센다이]] 배구 친선 대사로 임명되었다. 임기는 2016년 8월 27일까지이다. 친선대사로 임명될 때 모습이 뭐라 설명할 수 없는 [[아방가르드]]함을 자랑한다. ~~크고 아름다워~~ 이 히나가라스는 전국을 돌아다니며 하이큐 홍보 활동도 하고 있다. 귀엽긴 귀여운데 거대하다.
* 종종 점프계열 행사가 열릴 때 공식 트위터로 하이큐 부스에서 키요코 코스프레를 한 남성이 찍혀있는데, 하이큐 편집 담당자 혼다[* 本田佑行. 2010년 6월부터 2011년 10월까지 은혼 담당을 했었다. 은혼 애니화 재기로 4기 1화 방영 이후 하이큐 트위터 계정을 통해 비화를 밝히기도. [https://twitter.com/haikyu_com/status/585738044281491456 이런 심한 얘기를 점프에 올린 사람이 누구?! 나인가?!]]다. [https://twitter.com/haikyu_com/status/546458211255992320 점프페스타 2015]
- That 70's show . . . . 16회 일치
키티, 레드, 에릭, 로리의 집. 왠지 에릭의 친구들은 자기 집처럼 들락날락 거린다. 하이드가 지하실에 세들어 살거나 재키나 페즈가 몰래 살기도 했다.--공유지의 비극--
포먼 일가의 집 지하실. 에릭과 친구들이 아지트처럼 삼아서 매일 같이 모여서 노는 장소이다. 지하실 안쪽에 작은 방이 있으며, 하이드는 이 방에서 살고 있다.
[[제럴드 포드]]가 대통령 재선을 위하여 포인트 플레이스에 선거 유세를 하러 온다. 대통령이 온다는 소식에 키티는 엄청나게 흥분하고, 밥 핀시오티, 재키 아버지 등 마을 유지들의 위원회는 대통령에게 질문을 던질 '일반 시민'으로 레드를 선정한다. 한편, 에릭과 하이드, 켈소, 페즈는 항의 시위로서 알몸으로 벗고 달리는 스트리킹 시위를 하기로 결심한다.
여주인공2. 거만하고 자기중심적인 성격. 미모에 자신감이 넘치고 [[공주병]]이 강하다. 도나와 친구, 켈소와 연인 관계라서 그룹에 끼어들었지만 사실 초반에는 아무도 재키를 좋아하진 않았다(…). 시즌이 갈수록 우정으로 그룹의 일원이 되어간다. 작중 내내 켈소, 하이드, 페즈를 오가다가 8시즌 최종화에서 페즈와 맺어진다.
아버지는 잘나가는 변호사였지만, 뇌물수수(…) 등의 혐의로 잡혀가고 어머니[* 나중에 게스트 등장하는데 배우가 '브룩 쉴즈'다.]는 멕시코로 도주(…)하여, 에릭네 지하실에서 하이드와 같이 얹혀 살거나 도나네 집에서 얹혀살게 되는 고난을 겪기도 한다.
'''스티븐 하이드'''(대니 매스터슨)
에릭의 베프. 반항하에 시니컬한 성격으로서 아프로와 선글래스가 특징. --왠지 [[도우너]]가 연상된다.-- 가정사가 매우 복잡한데, 어머니만 있는 편부모 가정에서 자라다가 그나마 어머니도 도망가서 에릭네 집 지하실에서 집세를 지불하며 얹혀 살게 된다. 실종됐던 아버지 버드가 돌아오면서 잠시 아버지네 집에 가기도 했는데, 아버지가 또 실종되면서 다시 지하실에 돌아온다. 6시즌에서 버드는 생부가 아니었고 윌리엄 바넷이란 사람이 생부였다는 것이 밝혀지는데, [[흑인]]으로 레코드 체인점을 소유한 [[부자]]였다. 흑백혼혈이었던 것, 하이드 본인은 자신의 반항적인 혈통의 기원을 찾았다며 아주 기뻐한다. 또 배다른 여동생 엔지 바넷이 생기게 된다.
중간 시즌 쯤에서 재키와 사귀게 됐으나, 재키가 시카고로 떠나고 켈소와 얽히는 일이 생기면서 깨지고 만다. 하이드는 한동안 라스베가스에서 방황하다가 돌아오는데, 라스베가스의 스트리퍼 사만다가 하이드와 결혼했다면서 쫓아오면서 재키와 완전히 깨진다(…). 게다가 사만다는 나중 시즌에서 다른 남자하고 이미 결혼한 상태였다는 것이 드러나서 또 헤어지게 되고, 8시즌에는 특별히 커플 라인이 없다.
직업은 레오의 포토헛에서 일하다가, 레오가 사라진 뒤에는 레스토랑에 취업, 6시즌 이후로는 아버지가 운영하는 레코드 체인에서 체인점을 하나 받아서 일하게 된다. 8시즌에서 하이드의 아버지는 레코드 체인점을 매각하고 그만두지만, 하이드의 가게만은 하이드에게 주게 되어 계속 운영하게 됐다.
1시즌에서는 재키와 사귀게 되지만, 도중에 로리와 바람을 피우면서 삼각관계가 되고, 그것이 재키에게 들키면서 깨진다. 그리고 또 재키와 사귀려다가 재키가 하이드와 사귀게 되고, 도서관 사서를 임신시켰다는게 드러났다가, 하이드의 여동생 엔지와 사귀게 되고, 아무튼 맹렬하게 난잡한 관계를 유지(…).
8시즌에서 에릭이 하차하면서 새로 들어온 인물. 하이드의 레코드 가게에서 일하는 점원. 잘 생기고 매너 좋고 센스 좋은 쿨가이이며, 8시즌에서 도나와 사귀게 된다. 하지만 랜디가 이전에 다른 여자들과 엄청 많이 사귀었다는걸 알고 도나가 질겁하게 되고, 서서히 헤어지면서 8시즌 최종화에서 완저히 헤어지고 떠난다.--에릭과 마주쳐서 수라장이 벌어지는 전개가 되지 않아서 유감.--
티나는 도나네 집에서 열린 파티에서 페즈와 만나고, 페즈는 예쁘다는 말을 던지고 티나도 기뻐하지만 곧바로 도나에게 저지. 페즈는 "우리나라에서는…."이라고 말하려고 하지만 하이드가 "여기선 불법이야."하고 일침을 날려서 막아버린다.
- 페이데이 2/하이스트/클래식 . . . . 15회 일치
[[페이데이 2]]의 클래식 하이스트 목록. 전작 [[페이데이: 더 하이스트]]의 하이스트들을 페이데이 2에 맞게 리메이크한 것들이다.
Undercover 하이스트를 메이헴 난이도 이상으로 클리어
Undercover 하이스트를 데스위시 난이도 이상으로 클리어
Undercover 하이스트를 원다운 난이도 이상으로 클리어
오버킬 난이도 이상의 Undercover 하이스트를 모든 팀원이 다운되거나 수갑이 채워진 적 없이 클리어
Undercover 하이스트에서 저격수를 사살하지 않고 클리어. 도전과제 완수시 "Hans" 가면과 , "Red Black" 재질, "Luse" 무늬가 해금됨
Undercover 하이스트에서 창문, 철조망, 환기구에 10개의 널빤지를 덧댐. 완수시 "Trickster Demon" 가면과, "Mushroom Cloud" 재질, "Split" 무늬가 해금됨
오버킬 난이도 이상의 Undercover 하이스트를 유탄발사기와 로켓발사기 만을 이용해 클리어
Panic Room 하이스트를 메이헴 난이도 이상으로 클리어
Panic Room 하이스트를 데스위시 난이도 이상으로 클리어
Panic Room 하이스트를 원다운 난이도 이상으로 클리어
Panic Room 하이스트에서 거대 칫솔을 확보
Panic Room 하이스트를 팀 전체 명중률 200% 이상으로 클리어
- 페이데이: 더 하이스트/하이스트 . . . . 15회 일치
게임 [[페이데이: 더 하이스트]]의 임무인 하이스트를 설명하는 페이지
[[은행강도]] 하이스트. 이지 난이도로도 플레이 가능.
C4가 폭발해 벽에 구멍을 내며 카운트다운이 시작된다. 이 카운트다운 내에 탈출 구역까지 가야한다. 구멍으로 들어가 화장실, 사무실을 거쳐 계단으로 내려가자. 노말 난이도부터 사무실에 특수 경찰이 있으니 조심하자. 이후 지하실 통로를 통해 주차장까지 가는데 테이저나 불도저가 양 옆에 있는 문을 박차고 튀어나오기도 한다. 이후 주차장에 온 쓰레기차에 올라타면 하이스트 성공.
맷에게 명령을 해 탈출 지역에 가게 한 후 플레이어들도 탈출 지역에 간다. 하이스트 성공.
민간인을 쏘기 좋은 하이스트다. "가만히 앉아있는건 날 쏘려는 경찰, 뛰어다니는건 위치 이동하는 경찰"정도로 보이는 거리에서도 총격전이 벌어지기 때문.
갱단의 마약 공장을 기습, 마약 공장에 설치된 패닉룸[* 긴급 상황이 발생했을 때를 대비한 소형 대피소.] 자체를 훔쳐가 그 안에 든 돈을 차지하는 하이스트.
헬리콥터가 패닉룸을 매달고 빠져나갔다. 이제 건물이 무너지기 전에 탈출할 시간. 제한 시간 내에 건물 뒷쪽에 있는 지하실 문을 폭파시키고 들어가자. 지하실에는 갱단원들이 있으니 주의. 탈출 구역에 도착하면 하이스트 완료.
죄수호송차를 습격, 지역 사업가의 아들을 빼낸 후 풀톤 회수장치로 빼돌리는 하이스트.
연회가 벌어지고 있는 가넷 그룹 빌딩에 잠입, 2억달러 상당의 다이아몬드를 훔치는 하이스트.
머키워터 용병단이 수송 중인 금괴운반차를 습격해 금괴를 컨테이너로 빼돌리는 하이스트.
제한시간 내에 탈출하자. 컨테이너를 따라 달리면 된다. 중간에 아까 설치한 덫이 있는데, 플레이어가 지나가면 불이 붙어서 경찰이 따라오지 못하게 된다. 탈출 구역까지 도망치면 하이스트 완료.
돈 세탁사이자 지폐 위조사인 미첼과 윌슨의 집을 습격하는 하이스트. 울프팩 DLC를 구매해야지만 플레이 가능하다.
부패한 세무서 직원이 대기업과 거래하는 현장을 습격, 세무서 직원을 납치해 서버를 해킹하게 하는 하이스트. 울프팩 DLC를 구매해야지만 플레이 가능하다.
머시 병원을 습격, 희귀병을 앓고 있는 환자의 혈액을 채취하는 하이스트.
- 페이데이: 더 하이스트 . . . . 12회 일치
== 하이스트 ==
[[페이데이: 더 하이스트/하이스트]] 페이지 참조.
체력을 보충할 수 있는 가방. 다운 횟수도 초기화된다. 소모품이니 아껴 쓰자. 하이스트 중 평판이 오르면 이걸 한번 사용한 효과가 난다.
운 나쁘게 하이스트에 말려든 시민들. 쏘면 인질 교환 협상이 느려진다. 하이스트 클리어 후 들어오는 돈도 적어지니 쏘지 않는게 좋다.
패닉룸 하이스트 초반에 상대하게 되는 적. 패닉룸 하이스트가 실내에서 이루어지는데, 이 놈들은 기관단총을 난사하기 때문에 주의가 필요하다.
도살장 하이스트 초반에 상대하게 되는 적. 돌격소총으로 무장했다.
테크니션 트리와 Counterfeit, Undercover 하이스트를 해금시켜주는 DLC.
[[http://store.steampowered.com/app/24240/|페이데이: 더 하이스트 스팀 상점 페이지]]
[[http://www.imfdb.org/wiki/Payday:_The_Heist|IMFDB의 페이데이: 더 하이스트 페이지]]
- 하이큐/267화 . . . . 11회 일치
|||||||||||| [[하이큐/에피소드]] ||
|| [[하이큐/266화]] |||| '''하이큐/267화''' |||| [[하이큐/268화]] ||
[[하이큐]] 267화. '''함정'''
* 세트업와 발맞춰 뛰어오른 [[하이바 리에프]]는 페이크. 진짜는 레프트에서 이동한 [[후쿠나가 쇼헤이]]였다. 후쿠나가가 스파이크로 득점. 스코어 19 대 18로 한 점 따라붙는다. 그러나 후쿠나가는 세트업 높이가 살짝 낮았다며 귀띔했고 하이바도 "선배가 너덜너덜하다"고 하는 걸 보면 코즈메의 체력 문제를 없는 셈칠 순 없었다.
중계진은 사루카와가 네코마의 센터 라인을 경계한다고 분석했다. 쿠로오와 하이바로 이어지는 센터 라인은 막강했다. 방금 전 사루카와의 공격도 하이바의 움직임을 의식할 측면이 컸고 그래서 좌측의 후쿠나가가 살아날 수 있었다.
[[분류:하이큐]] [[분류:하이큐/에피소드]]
- 하이큐/246화 . . . . 10회 일치
|||||||||||| [[하이큐/에피소드]] ||
|| [[하이큐/245화]] |||| '''하이큐/246화''' |||| [[하이큐/247화]] ||
[[하이큐]] 246화. '''밤'''
* 민박집에 도착해 보니 옆의 호화호텔로 여자 대회의 우승후보인 "여왕" 니야마 고교가 귀가 중이다. 여자부와 남자부의 차이는 있어도 저쪽은 우승 후보. 번쩍거리는 호텔로 들어가는 데서 격차를 느끼고 만다. 그러고 보니 카라스노도 여자부 쪽은 인터하이에서 우승한 시드교. 문자 그대로 "여왕" 같은 그녀들이다.
* 그렇게 민박집으로 들어가려는데, 어떤 소녀가 [[타나카 류노스케]]를 불러세운다. [[하이큐/231화|오전에]] 만났던 타나카의 지인 [[아마나이 카노카]]였다. 팀에서 잠깐 빠져나와서 타나카를 보러온 것이다. 오전에도 좀 어색해했던 타나카는 얼어서 딱딱하게 대답한다. 그녀는 카라스노의 승리를 축하하고 "열심히 해"라는 격려를 남긴채 돌아간다. 그런데 얼굴이 새빨개진게 분위기가 요상하다.
* 밤이 찾아왔다. 사와무라는 배란다에서 난간에 기대고 있다. 왠지 [[아즈마네 아사히]]도 따라나와 나란히 난간에 기댄다. 말없이 바깥을 바라보던 사와무라는 문득 지금이라면 말해도 된다고 하는데, 그건 아즈마네가 인터하이 때 "드디어 마지막 대회구나"라고 말하던걸 막은걸 가지고 하는 소리였다. 아즈마네는 할까? 하다가 "이렇게 할 얘기가 아니구만"하면서 그만둔다. 그러더니 사와무라가 여유가 없어진걸 보고 "니가 여유가 없을 땐 오히려 내가 여유로워지는 불가사의"라며 놀린다.
[[분류:하이큐]] [[분류:하이큐/에피소드]]
- 하이큐/247화 . . . . 10회 일치
|||||||||||| [[하이큐/에피소드]] ||
|| [[하이큐/246화]] |||| '''하이큐/247화''' |||| [[하이큐/248화]] ||
[[하이큐]] 247화. '''2일차'''
* 이나리자키 고교는 인터하이 준우승에 빛나는 강호로 팀을 긴장시키지만 [[히나타 쇼오]]와 [[카게야마 토비오]]는 승리를 한 치도 의심치 않는다.
쓰레기장 결전은 카라스노와 네코마가 3회전까지 올라가야 성립한다. 그러기엔 2회전 상대가 워낙에 난관이다. 선수들을 불러모은 우카이 코치가 "이제와서 현실은 바뀌지 않는다"며 내일의 상대 "이나리자키 고교"를 정식으로 소개한다. 인터하이 준우승에 빛나는 이 대회 시드교이자 우승 후보다. 말이 필요없는 강호.
리시버인 [[니시노야 유]]가 바로 눈치챈다. 실제로 어떻게 칠지는 공격이 시작되기 전까진 전혀 알 수 없다는 것. 타나카도 리시브 진형 짜기 힘들겠다고 투덜댄다. 여기에 카게야마는 중학생 때, 인터하이 때 모두 베스트 서버 상을 탔다고 정보를 추가한다. 아즈마네는 차라리 몰랐으면 좋았다고 좌절한다.
[[분류:하이큐]] [[분류:하이큐/에피소드]]
- 창작:티겔 왕국 . . . . 9회 일치
상티겔 왕국은 달순이 죽고난뒤 한번의 혼란기를 거치는데, 이이유는 그녀의 강력한 전제통치가 사실 그녀의 카리스마가 없으면 불가능할 정도였기때문이다. 숲을 개간하고 숲에 살던 거인들이나 토착 하이에나족든을 격퇴하면서 형성된 군사귀족들을 자신의 절대적인 카리스마로 누르고 있던 상황이었으니 그녀가 죽고난뒤엔 당연히 그것이 붕괴될 수밖에 없었고, 그결과 그녀가 죽고 그녀의 세손자들인 달건, 달휴, 달준이[* 달순에게 외동아들이 한명있었긴 했지만 장성후 개척을 손수진행하다 거인들과의 전투에서 전사했고 그의 세쌍둥이들만이 계승자였다.] 각자 자기가 왕위를 물려받아야 된다면서 자기편을 선 귀족들을 이끌고 내전을 벌인것. 이를 티겔 왕위계승전쟁이라 부르는데, 달순때 상당수 올려놨던 인구수를 이때 확줄어버려서 이후 50년간은 내정에 힘써아했을정도로 참혹한 전쟁이었다. 아무래도 첫째인 달건이 여러가지면에서 유리했기에[* 단순 정통성뿐만 아니라 개인무력도 가장 강력했으며, 침입한 레잉 왕국(레이먼 제국의 전신인 라이엘기스 대공국의 전신)의 개척자들 50여명을 자기 부하 5명과 함께 격퇴한적도 있는 실력있는 전사이자 전략가였다.] 세가 가장 약했던 막내달준을 항복시키고 둘째 달휴를 공격하러 갔는데, 이때 달휴가 최악의 선택을 해버린것.'''바로 외부세력을 끌어들인것이었다'''. 달휴는 레잉왕국의 왕의 손녀와 결혼하고 그들의 세를 끌어들였으며, 이것때문에 전선이 밀려나 패배직전에 몰린 달건은 하이엔 왕국을 끌어들이게 되었다. 순식간에 대륙 중북부의 패자들이 모조리 몰린 개싸움에서 승리한건 첫째였지만, 그결과로 티겔의 거의 모든 도시는 폐허가 되버렸고, 지쳐버린 달건은 모든 통치를 그의 막내동생[* 그가 죽고난뒤엔 달건의 맏아들]에게 맏기고 궁정안에만 틀어박혀있었다. 그가 그나마 유일하다시피 추진한게 있는게 작위상속법을 장자상속제로 만든것(...)~~어지간히 한이 실렸나보다~~ 내전의 결과가 참혹했던 만큼 당사자들의 최후도 비참했는데, 첫째 달건은 앞에서 설명했다시피 내전이 종결되자마자 작위상속법을 바꾸고 히키코모리화, 둘째 달규는 황폐화된 국토에 충격받아 자살. 셋째 달준은 그나마 항복뒤에 정신차리고 형편에서 싸웠으며 전쟁후엔 형대신 나라를 이끌었지만 결국 과로사했다.
이러한 성과의 결과는 (달제가 원하진 않았겠지만)상티겔 왕국 멸망이후 하티겔 왕국의 형성에 매우 큰 도움이 되었으며, 이후 하티겔의 형성이후까지 이뤄지는 사냥꾼과 티겔 왕국의 협력에 기반을 닦아두었다는 의미를 가진다. 이후 남쪽에 탐험가를 보내어 동부 대륙 남쪽에 농사짓기 좋은 평야가 있다는 소식을 듣고[* 현재의 티겔 평원] 그곳에 사람들을 이주시키기 시작한다.[* 다만, 거리가 거리다보니 대부분 일부만 겨우 도착했다.] 한편으론 동북쪽의 강자들인 하이엔 왕국과 츄프 왕국과 연합해 남진을 시도하는 레잉 왕국의 침략을 여러번 막아내면서 [* 특히, 북티겔 언덕에서 벌어진 회전에선 레잉의 왕과 태자까지 사살할 정도로 대승을 거뒀다.] 국경선에 요새를 쌓고 방어를 준비하는데 힘썼다.
그러나 상티겔 왕국은 달휴의 사후 점점 기울어져 갔는데, 우선 달휴가 죽고 그의 맏아들 '불운한' 달계가 즉위했으나, 그는 한달도 안되서 의문사하고(...) 그의 둘째 '천벌의' 달연이 왕위에 오른다.[* 호칭을 보면 알겠지만, 달계 암살의 유력 용의자이다.] 그러나 문제는 그가 왕위에 오르고 약 이틀도 안되어 그의 동생 달혜가 그를 암살하고(....) 또 왕위에 오르는데 그도 나흘이후 그의 제수의 명을 받은 암살자에게 죽을뻔 한다(...) 그에겐 다행히, 암기가 급소를 정말 아슬아슬하게 피하가서 살았고, 얼마 안돼 제수는 교수형, 그리고 그의 여동생은 가택연금을 시키는걸로 마무리시킨다. 달혜는 상티겔 왕국의 왕들중 최악의 왕중 하나로 평가받는데, 그전까지 충실한 우방이었던 하이엔 왕국을 괜히 외교적으로 도발해 적대관계로 가게 하고, 북쪽의 라이엘기스 대공국[* 레잉 왕국이 멸망하기전 마지막 왕의 동생(적자가 아닌 서자였다.)이 세운 국가.]에겐 지속적으로 병력을 갈리면서(...) 국력을 낭비했으며, 그나마 우방이었던 츄프왕국과는 지속적으로 국경 분쟁이 벌어지는 상태인 불안한 동맹관계였다.[* 상티겔 왕국이 메롱한대도 츄프왕국이 굳이 티겔과의 관계를 끊지않은 이유는 북쪽의 숙적 크누고 공국과 그들을 지원하던 하이엔왕국 때문이었다. 즉, 크누고 공국을 제압하면 얼마든지 티겔과의 관계도 끊을 수 있었다는 애기.] 이렇게 외교적으로 불한한 상태에서 내정을 잘한 편도 아니었다. 지속적으로 사자족 토벌이라면서 상당한 량의 세금을 걷어갔고, 이는 지속적인 반란의 원인이 되었다.[* 사서에만 기록된 반란의 횟수는 약 20여회정도이다... 사서가 훼손되어서 기록되지 못한 반란까지 포함하면 이횟수이상일 가능성이 높다.] 결국 달계의 아들이었던[* 달계가 죽었을당시 아직 태어나지 못해 계승받지 못했다.] 달유가 귀족들에 도움을 받아 왕위를 찬탈하고 왕위에 오른다.
달유는 상티겔 왕국의 멸망을 30년은 늦춘 왕으로 평가 받는데, 하이엔왕국 계승전쟁에 개입해 적자인 선왕의 손자를 왕위에 올려서 하이엔왕국과의 관계를 회복하고, 자신의 딸을 츄프왕에게 시집보내 동맹관계를 두텁게 하는데 성공했다. 이러한 외교적 성과는 지속적으로 북쪽 국경을 위협하던 라이엘기스 대공국쪽으로 안심하고 전력을 집중할 수 있게하는데 도움을 줬고, 최종적으로 나트렘 평원에서 벌어진 회전에서 라이엘기스 대공과 대공의 세아들을 모두 전사시키는 대승을 거둬, 라이엘기스대공국을 멸망시킬 수 있는 결정적인 기회를 얻어냈으나..... 기세를 몰아 라이엘기스로 공성을 곧장가는 도중에 병으로 달유가 급사하면서 급히 병력을 돌릴수 밖에 없었고, 이는 티겔 왕국이 마지막으로 라이엘기스대공국과 후신 레이먼 제국을 멸망시킬 수 있었던 기회로 평가받는다.
달유의 급사이후 왕위에 오른 그의 아들 달윤은 아직 어려 섭정자리를 두고 다툼이 생기게 되었는데, [* 평범한 경우라면 그의 어머니가 섭정직을 맞는게 정상이었으나, 남편이 죽기전에 먼저 병사 했다.] 우선 그의 새어머니였던 '에른 베트'를 중심으로 한 '북서부파'[* 레잉을 중심으로 모인 파벌로, 사자족이 많이 모여있는 지방을 지배하고 있었서 상당수가 이미 사자족의 문화를 받아들인 상황이었다. 사자족들과의 혼혈(후대의 라이거 일족)도 상당수 있음.]와 달제의 증손자이자 등퍼산맥 서쪽을 대부분 지배하고 있었으며 달유의 정변을 물심양면으로 도왔던 여쿨 공작 '달규'를 중심으로 한 '동부파'[* 단, 중심이 동부쪽 귀족들이란거지, 꼭 동부만 있던건 아니다. 실제로 라이엘기스와의 접경지대에 있었던 상당수의 귀족들은 라이엘기스를 싫어하는 만큼 사자족 역시 싫어했고, 그에따라 사자족을 학살하면서 거기에 호랑이족을 이주시키는짓도 서슴치 않은경우가 많다. 이러한 귀족들은 전부 동부파에 가담했다.]로 나뉘어 상당히 피튀기는 궁중 암투를 벌였다.[* 단적으로, 에른을 노린 암살사주만 해도 10여회정도 있었으며, 동부파쪽은 여쿨의 달규가 중간에 (아마도 에른이 사주한)암살자에게 암살당해 그의 아들이 우두머리를 맡기도 했다.] 이러한 궁중암투는 최종적으로 티겔의 사학자들이 '대내전'이라 부르는 내전으로 이어졌으며, 여기서 최종적으로 에른의 남동생 '용담공' 에른 보우드가 동부파의 본거지였던 여쿨을 함락시키면서 끝난다. 이 내전은 지금까지의 티겔에서 벌어진 내전중 가장 참혹한 전쟁으로 기록되며, 왕국의 인구중 절반이 이때 희생되었다. 이때 라이엘기스 대공국이 동부파에 가담했던 북부의 호랑이족 귀족들을 다수 굴복시키면서 다시한번 세를 키울 수 있었다. 그나마 이 내전의 의의가 있다면 북서부파가 권력을 잡으면서 티겔에도 레잉의 문화가 퍼졌다는것 정도? 이후 상티겔 왕국은 예전에 위세를 잃어버렸고, 하이엔 왕국과[* 그전까지 동맹관계였다만, '야심왕' 헤인켈이 동맹을 깨고 공격해 북동부쪽 땅을 상당수 빼앗아간 이후엔 적대관계로 돌아섰다.] 라이엘기스 대공국사이에 끼여 수많은 땅을 빼앗기는(...) 동네북이 되었다.
달윤은 죽기전에 자신의 성을 레잉식인 '다르트'로 바꿨는데 그때문에 역사가들은 달윤이후의 왕들을 '다르트'왕조로 묶는다. 다만 다르트 왕조에 대한 평은 그리 좋지못한데, 레잉 왕국빠라서 아예 왕국의 주요도시중 하나였던 레잉을 라이엘기스에 공짜로(..) 넘겨주려 한 베르코 1세[* 다만, 그의 동생이 그를 막으려고 정변을 일으켜서 성공하진 못했다.], 형보단 나았다가 중론이지만 어째 하는 원정마다 싹다 말아먹은 에르두른 1세, 하루 일과가 술먹고 여자꼬시는거였던 '시인' 그레두아[* 다만, 그의 시들은 꽤나 높은 평가를 받는다.], 고기를 너무 좋아해서 백성들 가축까지 뺏어먹으려들었던 '식탐왕' 세프등등.... 결국 온갖 암군들이 넘쳐났던 다르트 왕조덕에 상티겔 왕국은 패권을 다시 되찾는데 완전히 실패하고, 이후 하이엔 왕국을 제압하고 동부대륙의 중북부패권을 완벽히 장악하려 한 '대제' 샤를 1세[* 라이엘기스 대공으로 따지면 샤를 4세]에 의해 상티겔왕국은 멸망한다.
- 카라스노 고교 . . . . 9회 일치
* 상위 항목 : [하이큐!!], [하이큐!!/등장인물]
[[하이큐!!]]에 등장하는 고등학교. 상징동물은 '''까마귀'''[* 학교 이름인 카라스노(烏野)의 '카라스(烏)'는 까마귀라는 뜻이다].
인터하이 미야기현 예선에서는 현내 베스트4인 [[다테 공업 고교]]를 꺾는 파란을 일으키며 노장의 부활을 알렸다. 그러나 이어진 [[아오바죠사이 고교]]와의 시합에서는 풀세트까지 가는 접전 끝에 패퇴. 봄고 미야기 대표결정전에서 아오바죠사이 고교와 다시 한번 맞붙은 결과 설욕하는데 성공했다.
|| 3 || 인터하이 || 1차 예선 1회전 || [토코나미 고교] || 승리 || 2 : 0 || 센다이시 체육관 || 6월 2일 || 5권 ||
|| 4 || 인터하이 || 1차 예선 2회전 || [다테 공업 고교] || 승리 || 2 : 0 || 센다이시 체육관 || 6월 2일 || 5권 ~ 6권 ||
|| 5 || 인터하이 || 1차 예선 3회전 || [아오바죠사이 고교] || 패배 || 1 : 2 || 센다이시 체육관 || 6월 3일 || 6권 ~ 8권[* 애니화 1기까지의 줄거리.]||
|| 6 || 봄고 || 1차 예선 2회전[* 카라스노는 인터하이 시드배정교로 2차전에 자동진출했다.] || 오기미나미 고교[* 인터하이에서 1차전부터 시라토리자와를 만나 참패했던 팀.] || 승리 || 2 : 0 || 카지 고등학교 || 8월 11일 || 12권 ||
- 하이큐/239화 . . . . 9회 일치
|||||||||||| [[하이큐/에피소드]] ||
|| [[하이큐/238화]] |||| '''하이큐/239화''' |||| [[하이큐/240화]] ||
[[하이큐]] 239화. '''동료'''
* [[오오사도 타츠미]] 감독은 원래 핀치 서버란 "로우 리스크 하이 리턴"이고 히메카와에겐 "무엇보다 큰 아군"이 있으니 힘내라 조언한다.
* 오오사도 감독도 재등판하는 히메카와에게 조언을 한다. 원래 핀치 서버는 "로우 리스크 하이 리턴"이다. 적어도 츠바키하라에겐 핀치 서버가 실패해도 탓할 녀석이 없다. 고작 1점 잃었을 뿐이니 되찾아오면 그만.
[[분류:하이큐]] [[분류:하이큐/에피소드]]
- 하이큐/248화 . . . . 9회 일치
|||||||||||| [[하이큐/에피소드]] ||
|| [[하이큐/247화]] |||| '''하이큐/248화''' |||| [[하이큐/249화]] ||
[[하이큐]] 248화. '''격차'''
* 1회전부터 감초처럼 등장하던 바보커플이 2회전 관람 일정을 짜고 있다. 남자 쪽은 배구 지식이 상당한지 남녀 강호팀에 대해서 자세히 안다. 그들은 이나리자키 고교의 미야 형제를 보려고 대진표를 확인하는데 상대팀이 [[카라스노 고교]]인걸 발견한다. 그들은 꽤 인상깊은 팀이었는데 탈락확정이라고 생각한다. 이나리자키는 그만큼 강호로 작년 봄고와 인터하이에선 각각 3위를, 이번 인터하이에선 또다른 강호 "키류"를 누르고 2위를 기록했다. 결승에서도 패하긴 했으나 그 왕자 "이타치야마"에게 한 세트를 뺏어왔을 정도로 상승세. 지금 가장 주목 받는 팀이다. 여자 쪽은 개인적으로 미야형제팬인지 멋있다고 호들갑을 떨자 남자 쪽이 인상을 구긴다.
[[분류:하이큐]] [[분류:하이큐/에피소드]]
- 하이큐/265화 . . . . 9회 일치
|||||||||||| [[하이큐/에피소드]] ||
|| [[하이큐/264화]] |||| '''하이큐/265화''' |||| [[하이큐/266화]] ||
[[하이큐]] 265화. '''한편 그때 소극적인 네코마는'''
* 봄고 1일 차의 밤은 살아남은 모든 팀에게 주어졌다. 당연히 [[네코마 고교]]에게도 싱숭생숭한 밤이 왔다. 3학년 [[쿠로오 테츠로]], [[카이 노부유키]], [[야쿠 모리스케]]는 숙소 로비의 쇼파를 차지하고 시시덕 거렸다. 그들에게도 첫 전국대회였다. 인터하이와는 또다르게 들뜨는 밤이었다. 야쿠가 좀 더 멀리까지 가보고 싶은 기분이라고 말했다. 신칸센을 타고 싶다면서. 카이는 은퇴하고 나면 올해 인터하이 때 응원하러 가자고 제안했다. 야큐가 나갈 수는 있겠냐고 반쯤 빈정대자 쿠로오가 후배들을 좀 믿으라고 면박했다. 마침 그 후배가 근처에 있었다. 카이가 자판기에 들른 [[코즈메 켄마]]를 발견했다. 음료를 뽑으려는데 다른 학교 학생 둘이 그 앞에서 잡담 중이었다. 숫기가 없는 코즈메는 비켜달라고도 못하고 뒤에서 머뭇대고 있었다. 그러자 학생들 쪽에서 먼저 그를 발견, "자시키와라시"인 줄 알고 자리를 양보해준다.
[[분류:하이큐]] [[분류:하이큐/에피소드]]
- 미래소년 코난/설정 . . . . 8회 일치
하이하버에 한 기의 기체가 숨겨져 있었는데 이 비행정은 선술된 도토리 모양의 기체와 달리 크루저 스타일이며 속도는 750km/h에 앉을 자리에 주방도 준비되어 있다. 다만 전투력은 없으며 방탄도 지원되지 않아서 팔코에게 격추되었다.
현대의 시각에서 본다면, 무장을 어느 정도 갖추었지만, 본질적으로는 저속으로 항행(航行)하는 연안 순시선 정도에 불과하지만, 작품상 시기에서는 사실상 [[전함]] 취급을 받는 당당한 1급 전력이다. 당장 인더스트리아에서도 운항 시 다량의 석유가 필요한 이유 등으로 인해, 원로위원회의 허가가 없으면 출격할 수 없는 물건이며, 이 배의 침공을 받은 하이하버에서는 코난이 결사적으로 폭탄을 설치하는 개고생을 한 끝에야 격침이 가능했다.
대참사 당시 지구에서 탈출을 시도하던 우주선이 불시착하여 우주선에 타고 있었던 사람들이 정착하게 된 곳으로 여기서 코난이 태어났으며 코난의 부모를 비롯한 코난의 할아버지 동료들이 차례대로 세상을 떠났기 때문에 1화 시점에서는 [[코난(미래소년 코난)|코난]]과 코난의 할아버지 두 사람만이 거주하고 있었다. [[라나(미래소년 코난)|라나]]라는 여자아이를 통해 코난과 코난의 할아버지는 자신들만 살아남은 것이 아님을 알아차렸고 코난의 할아버지가 라나를 잡으러 온 몬스리를 비롯한 인더스트리아 군인 2명에게 저항하다가 죽은 뒤, 코난은 이 곳을 떠나게 된다. 마지막화에서 남겨진 섬이 지각변동으로 융기하여 대륙이 되면서 코난이 살던 집은 산 정상에 위치하게 되었는 데 대륙이 된 홀로 남은 섬(남겨진 섬)에 다이스, 몬스리, 류케를 비롯한 인더스트리아 피난민과 테라를 비롯한 하이하버의 일부 주민이 코난 일행과 함께 이주하게 된다. 홀로 남은 섬(남겨진 섬)은 작 중에서 새 시대의 시작을 알리는 지역이다.
* 하이하버 (ハイハーバー) [* 영어표기로는 '높은 항구 (High Harbor)'가 된다. 더빙판에서는 '하이하바'라는 일본식 발음으로 불렸다.]
라나의 고향으로 농업, 어업, 목축, 수공업등에 종사하는 주민들이 살고 있는 지역으로 전원생활이 이루어지고 있다. 대참사 이전에는 주민들이 농업을 비롯한 1차 산업에 종사하지 않았지만 대참사 이후에는 생존을 위해 농업, 어업, 목축, 수공업등을 시작하면서 지금의 모습이 되었다. 다만 국가의 형태를 이루어진 것은 아니며 오로와 같이 전원생활에 대해 불만이 있는 반항적인 청년들이 독자적으로 무리를 이룬 경우도 있다. 17화에서 하이하버를 점령하는 데 그치지 않고 라나를 잡아가려는 데 혈안이 된 인더스트리아 군인들에 의해 점령당하기도 했지만 20화에서는 점령군으로 왔었던 인더스트리아 군인들이 하이하버의 주민이 되어 일을 하며 정착한다. 라오박사의 반중력 비행정이 하이하버에 있었는 데 인더스트리아에서 파르코 비행정에 의해 격추된다.
- 창작:맹수인 . . . . 8회 일치
각 맹수인은 서로의 생김새에 따라 호랑이족,사자족,곰족,하이에나족,늑대족으로 나뉘며, 서로간의 교배는 가능한것으로 알려져있다. 그러나, 서로의 혼혈들은 대개 배척받으며, 혼혈들은 보통 고산지등 '순혈'들에게 핍박받기 힘든 곳에서 자기들끼리의 소규모 마을을 이루고 산다. [* 단, 사자족과 호랑이족간의 혼혈인 '라이거일족'은 상티겔의 레잉정복과 적극적인 혼합,동화정책으로 인해 상당한 규모를 이루고 있었고, 이들은 이후 상티겔을 멸망시키고 그곳의 새로운 지배자가 된 레이먼의 탄압정책과, (하)티겔 왕국의 새로운 정착지를 줄테니 대신 복속해 달라는 제유에 의해 '라이겐프름 대공국'이라는, 하티겔의 새로운 봉신국이 된다.]
=== 하이에나족 ===
하이에나족은 '하이엔'지방에 서식하는 족속들로, 등에 갈기가 있다. 이들은 한때 중북부에 '하이엔 왕국'이란 상당히 큰 세력을 가지고 있었으나, 레이먼 제국의 창시자인 샤를 대제에 의해 멸망당하고 레이먼제국의 피지배민족으로 있게된다. 이후 이들은 수많은 반란을 일으키지만 모두 실패하고, '유일황제'샤를이 아라스 제국에 패배하면서 하이엔등 '상 하이엔'지방은 아라스 제국에게, 그외 ''하 하이엔'지방은 레이먼 제국에게로 분열된다.
- 하이큐/230화 . . . . 8회 일치
|||||||||||| [[하이큐/에피소드]] ||
|| [[하이큐/229화]] |||| '''하이큐/230화''' |||| [[하이큐/231화]] ||
[[하이큐]] 230화. '''저마다의 밤'''
* 바로 카라스노 멤버들의 파인 플레이 모음집. 선수마다 각각의 테마곡까지 할당된 하이퀄리티 영상이다. 참고로 니시노야는 록키의 테마. 기본적으로 선수별로 선호하는 음악이 배정된 모양이다. 우카이 코치는 영상과 음악의 힘을 빌려 긴장을 잡고 최상의 이미지를 각인시키고자 이 영상을 의뢰했다. 그 의도대로 뻣뻣했던 선수들의 분위기가 한순간에 풀리고 동영상에 집중한다.
[[분류:하이큐]] [[분류:하이큐/에피소드]]
- 하이큐/232화 . . . . 8회 일치
|||||||||||| [[하이큐/에피소드]] ||
|| [[하이큐/231화]] |||| '''하이큐/232화''' |||| [[하이큐/233화]] ||
[[하이큐]] 232화. '''전선'''
* 우카이 케이신 코치는 우선 선수들을 데리고 코트로 내려간다. 이제 문제는 가방 쪽. 키요코가 직접 다녀오겠다고 나선다. [[야치 히토카]]가 그런 일이라면 자신이 하겟다고 하지만 키요코가 "달리기도 체력도 자신있다"고 하며 납득시킨다.[* [[하이큐/231화|전 회]]에서 히토카는 키요코가 육상부 출신이란걸 알았다.] 키요코는 자신은 금방 돌아오겠지만 혼자 있는 동안 불안할 거라며 히토카의 마음을 읽는다.
[[분류:하이큐]] [[분류:하이큐/에피소드]]
- 하이큐/244화 . . . . 8회 일치
|||||||||||| [[하이큐/에피소드]] ||
|| [[하이큐/243화]] |||| '''하이큐/244화''' |||| [[하이큐/245화]] ||
[[하이큐]] 244화. '''역전 제 6'''
아까 아카아시가 궤변을 늘어놓긴 했지만, 완전히 거짓말만은 아니었다. 서브 아레나는 경기장이 작은 만큼 그 안의 환호성이 더 가깝고 크게 들리는 효과가 있었다. 아카아시의 언변이 효과를 거둬 보쿠토는 다른 사람이 된 것처럼 하이텐션 모드로 돌아왔다. 후쿠로다니 응원석 측에서는 열광. 사정을 잘 모르는 히나타와 야마구치오 그의 파인 플레이에 환호한다. 반면 에이와 측은 파랗게 질린다.
[[분류:하이큐]] [[분류:하이큐/에피소드]]
- 하이큐/250화 . . . . 8회 일치
|||||||||||| [[하이큐/에피소드]] ||
|| [[하이큐/249화]] |||| '''하이큐/250화''' |||| [[하이큐/251화]] ||
[[하이큐]] 250화. '''도전자'''
* 카라스노가 순식간에 밀려나는 상황. 문득 [[타케다 잇테츠]] 고문이 [[우카이 케이신]] 코치가 시작 직전에 언급했던 [[하이큐/248화|최강의 도전자]]라는 별명에 대해서 할 말이 있다.
[[분류:하이큐]] [[분류:하이큐/에피소드]]
- 하이큐/251화 . . . . 8회 일치
|||||||||||| [[하이큐/에피소드]] ||
|| [[하이큐/250화]] |||| '''하이큐/251화''' |||| [[하이큐/252화]] ||
[[하이큐]] 251화. '''리듬'''
* 이번엔 오사무의 서브. 그런데 [[스나 린타로]]가 [[하이큐/250화|호각 소리에 맞추다시피]] 바로 서브를 때린 것에 비해, 오사무의 움직임은 느긋하다.[* 주심이 서브 신호를 보내고 8초 안에 서브 해야 한다.] 거의 8초를 꽉 채운 뒤 서브. 이건 고의적으로 넣은 "간격"이다. 작전이 먹혔는지 카라스노의 리베로 [[니시노야 유]]가 반 걸음 느리게 반응한다. 그래도 제대로 리시브. [[타나카 류노스케]]가 놓치지 않고 스파이크로 연결, 1점 따라붙는다.
[[분류:하이큐]] [[분류:하이큐/에피소드]]
- 하이큐/253화 . . . . 8회 일치
|||||||||||| [[하이큐/에피소드]] ||
|| [[하이큐/252화]] |||| '''하이큐/253화''' |||| [[하이큐/254화]] ||
[[하이큐]] 253화. '''기습'''
* 본의 아니게 카게야마의 연기에 어울려준 히나타는 속으로 "완전히 나한테 오는 줄 알았다"고 그를 원망한다. 그러거나 말거나 외부에서 보기는 호흡이 척척 맞은 페이크였다. 응원단은 새삼 "카라스노 고교가 이렇게 강했구나"하고 감탄한다. 벤치의 [[타케다 잇테츠]] 고문은 이나리자키가 인터하이 2위에 으리으리한 응원단까지 갖춘 강호이긴 해도 필요이상으로 강대하게 보지 않았나 되짚어 본다. 옅에 앉은 [[시미즈 키요코]]는 열기를 더해가는 [[타나카 사요코]]의 태고팀의 응원을 들으며 담담히 대답한다.
[[분류:하이큐]] [[분류:하이큐/에피소드]]
- 하이큐/255화 . . . . 8회 일치
|||||||||||| [[하이큐/에피소드]] ||
|| [[하이큐/254화]] |||| '''하이큐/255화''' |||| [[하이큐/256화]] ||
[[하이큐]] 255화. '''찾다'''
* 그리고 이번 경기는 전일본 남자 대표팀의 감독 "히바리다 후키" 감독도 관람 중이다. [[하이큐/210화|카게야마의 전일본 유스 합숙]]에서도 감독 역할을 맡기도 했던 인물이다. 동행한 코치가 카라스노의 10번, 히나타를 거명하며 "키는 작지만 득점율이 높다."고 평한다. 하지만 유일무이한 필살기가 카피 당해서 풀이 죽은거 같다고 말하는데, 히바리다 감독의 견해는 조금 달랐다. 지금까지 히나타는 카게야마 없이는 별다른 평가를 받은 적이 없다. 그렇다고 앞으로 카게야마하고만 선수생활을 할 수도 없는 노릇. 하지만 괴짜 속공을 아츠무도 올릴 수 있다는게 증명됨으로써, 반대로 말하면 히나타는 카게야마 없이도 그 속공이 가능하다는 증명이기도 하다.
[[분류:하이큐]] [[분류:하이큐/에피소드]]
- 하이큐/256화 . . . . 8회 일치
|||||||||||| [[하이큐/에피소드]] ||
|| [[하이큐/255화]] |||| '''하이큐/256화''' |||| [[하이큐/257화]] ||
[[하이큐]] 256화. '''대보름'''
* 츠키시마가 공수를 가리지 않고 날뛴다. 벤치의 야마구치와 히나타가 입을 다물지 못하는 활약. 중계진의 말처럼 그야말로 "빛을 발한다". 그런데 이런 파인 플레이에도 불구하고 그걸 성공시킨 세터와 스파이커는 그 흔한 하이 파이브 조차 하지 않았다. [[스가와라 코시]]도 그걸 지적하며 쓴웃음을 짓는다. 언제라도 후려칠 것 같은 썩은 눈빛 교환. 이 눈빛에 관해서는 엔노시타가 해설한다. 츠키시마는 "잘 되고 있는건 인정하지만 거슬린다"는 눈빛, 카게야마는 "니가 노려보니까 나도 노려보겠다"는 눈빛. [[키노시타 히사시]]는 그걸 읽어내는 엔노시타가 더 신기한 모양이다.
[[분류:하이큐]] [[분류:하이큐/에피소드]]
- 하이큐/264화 . . . . 8회 일치
|||||||||||| [[하이큐/에피소드]] ||
|| [[하이큐/263화]] |||| '''하이큐/264화''' |||| [[하이큐/265화]] ||
[[하이큐]] 264화. '''실연'''
그렇다면, 어제 밤의 일도, 그때 했던 말도 그럴 것이다. "[[하이큐/246화|나한테는 마음에 담아둔 여성이 있다.]]". 이제 카노카가 인정할 차례였다. 그녀는 옆에서 "류 쨩"의 활약을 칭찬하고 있는 동료에게 이렇게 말했다.
[[분류:하이큐]] [[분류:하이큐/에피소드]]
- 하이큐/268화 . . . . 8회 일치
|||||||||||| [[하이큐/에피소드]] ||
|| [[하이큐/267화]] |||| '''하이큐/268화''' |||| [[하이큐/269화]] ||
[[하이큐]] 268화. '''코즈메 켄마의 근성론'''
* 1세트 중반. [[네코마 고교]]는 [[사루카와 공고]]의 부자연스러운 플레이를 눈치챘다. 첫 번째 TO는 그 위화감의 정체가 뭔지, 어떻게 대응할지에 대한 것. 우선 정체는 쉽게 알 수 있었다. 적은 네코마의 뇌이자 심장인 [[코즈메 켄마]]를 지치게 만들 심산이었다. [[야마모토 타케토라]]가 그렇게 상황을 정리했는데 [[하이바 리에프]]가 이해하지 못했다. [[시바야마 유우키]]가 적당히 설명. 그래도 그의 머리로는 알기 어려운 얘기였다.
[[분류:하이큐]] [[분류:하이큐/에피소드]]
- 페이데이 2/하이스트/베인 . . . . 7회 일치
[[페이데이 2]]에서 베인이 의뢰하는 [[페이데이 2/하이스트|하이스트]]의 목록.
하베스트&트러스티 뱅크라는 소규모 은행을 터는 하이스트. 네 종류로 나뉜다.
하베스트&트러스티 뱅크 내에 보관된 현금을 훔치는게 주 목표인 하이스트.
하베스트&트러스티 뱅크의 개인 금고들을 터는게 주 목표인 하이스트. 수많은 개인 금고를 일일이 손으로 따는 것은 괴로울 것이다. 누구 한명 정도는 톱과 탄약가방을 챙기자.
하베스트&트러스티 뱅크 내에 보관된 금괴를 훔치는게 주 목표인 하이스트.
대형 보석상을 터는 하이스트.
- 하이큐/208화 . . . . 7회 일치
|||||||||||| [[하이큐/에피소드]] ||
|| [[하이큐/207화]] |||| '''하이큐/208화''' |||| [[하이큐/209화]] ||
[[하이큐]] 208화. '''첫눈'''
[[분류:하이큐]] [[분류:하이큐/에피소드]]
- 하이큐/209화 . . . . 7회 일치
|||||||||||| [[하이큐/에피소드]] ||
|| [[하이큐/208화]] |||| '''하이큐/209화''' |||| [[하이큐/210화]] ||
[[하이큐]] 209화. '''자기소개'''
[[분류:하이큐]] [[분류:하이큐/에피소드]]
- 하이큐/210화 . . . . 7회 일치
|||||||||||| [[하이큐/에피소드]] ||
|| [[하이큐/209화]] |||| '''하이큐/210화''' |||| [[하이큐/211화]] ||
[[하이큐]] 210화. '''스타트 지점 미도달'''
[[분류:하이큐]] [[분류:하이큐/에피소드]]
- 하이큐/211화 . . . . 7회 일치
|||||||||||| [[하이큐/에피소드]] ||
|| [[하이큐/210화]] |||| '''하이큐/211화''' |||| [[하이큐/212화]] ||
[[하이큐]] 211화. '''미아'''
[[분류:하이큐]] [[분류:하이큐/에피소드]]
- 하이큐/212화 . . . . 7회 일치
|||||||||||| [[하이큐/에피소드]] ||
|| [[하이큐/211화]] |||| '''하이큐/212화''' |||| [[하이큐/213화]] ||
[[하이큐]] 212화. '''시점'''
[[분류:하이큐]] [[분류:하이큐/에피소드]]
- 하이큐/213화 . . . . 7회 일치
|||||||||||| [[하이큐/에피소드]] ||
|| [[하이큐/212화]] |||| '''하이큐/213화''' |||| [[하이큐/214화]] ||
[[하이큐]] 213화. '''볼보이 Lv1'''
[[분류:하이큐]] [[분류:하이큐/에피소드]]
- 하이큐/214화 . . . . 7회 일치
|||||||||||| [[하이큐/에피소드]] ||
|| [[하이큐/213화]] |||| '''하이큐/214화''' |||| [[하이큐/215화]] ||
[[하이큐]] 214화. '''괴물들'''
[[분류:하이큐]] [[분류:하이큐/에피소드]]
- 하이큐/215화 . . . . 7회 일치
|||||||||||| [[하이큐/에피소드]] ||
|| [[하이큐/214화]] |||| '''하이큐/215화''' |||| [[하이큐/216화]] ||
[[하이큐]] 215화. '''소리'''
[[분류:하이큐]] [[분류:하이큐/에피소드]]
- 하이큐/216화 . . . . 7회 일치
|||||||||||| [[하이큐/에피소드]] ||
|| [[하이큐/215화]] |||| '''하이큐/216화''' |||| [[하이큐/217화]] ||
[[하이큐]] 216화. '''미아2'''
[[분류:하이큐]] [[분류:하이큐/에피소드]]
- 하이큐/217화 . . . . 7회 일치
|||||||||||| [[하이큐/에피소드]] ||
|| [[하이큐/216화]] |||| '''하이큐/217화''' |||| [[하이큐/218화]] ||
[[하이큐]] 217화. '''편함'''
[[분류:하이큐]] [[분류:하이큐/에피소드]]
- 하이큐/218화 . . . . 7회 일치
|||||||||||| [[하이큐/에피소드]] ||
|| [[하이큐/217화]] |||| '''하이큐/218화''' |||| [[하이큐/219화]] ||
[[하이큐]] 218화. '''끝까지'''
[[분류:하이큐]] [[분류:하이큐/에피소드]]
- 하이큐/219화 . . . . 7회 일치
|||||||||||| [[하이큐/에피소드]] ||
|| [[하이큐/218화]] |||| '''하이큐/219화''' |||| [[하이큐/220화]] ||
[[하이큐]] 219화. '''공복'''
[[분류:하이큐]] [[분류:하이큐/에피소드]]
- 하이큐/220화 . . . . 7회 일치
|||||||||||| [[하이큐/에피소드]] ||
|| [[하이큐/219화]] |||| '''하이큐/220화''' |||| [[하이큐/221화]] ||
[[하이큐]] 220화. '''합류'''
[[분류:하이큐]] [[분류:하이큐/에피소드]]
- 하이큐/221화 . . . . 7회 일치
|||||||||||| [[하이큐/에피소드]] ||
|| [[하이큐/220화]] |||| '''하이큐/221화''' |||| [[하이큐/222화]] ||
[[하이큐]] 221화. '''벽, 또 다시'''
[[분류:하이큐]] [[분류:하이큐/에피소드]]
- 하이큐/222화 . . . . 7회 일치
|||||||||||| [[하이큐/에피소드]] ||
|| [[하이큐/221화]] |||| '''하이큐/222화''' |||| [[하이큐/223화]] ||
[[하이큐]] 222화. '''고양'''
[[분류:하이큐]] [[분류:하이큐/에피소드]]
- 하이큐/223화 . . . . 7회 일치
|||||||||||| [[하이큐/에피소드]] ||
|| [[하이큐/222화]] |||| '''하이큐/223화''' |||| [[하이큐/224화]] ||
[[하이큐]] 223화. '''삐쭉삐쭉'''
[[분류:하이큐]] [[분류:하이큐/에피소드]]
- 하이큐/224화 . . . . 7회 일치
|||||||||||| [[하이큐/에피소드]] ||
|| [[하이큐/223화]] |||| '''하이큐/224화''' |||| [[하이큐/225화]] ||
[[하이큐]] 224화. '''반환'''
[[분류:하이큐]] [[분류:하이큐/에피소드]]
- 하이큐/225화 . . . . 7회 일치
|||||||||||| [[하이큐/에피소드]] ||
|| [[하이큐/224화]] |||| '''하이큐/225화''' |||| [[하이큐/226화]] ||
[[하이큐]] 225화. '''삐걱삐걱'''
[[분류:하이큐]] [[분류:하이큐/에피소드]]
- 하이큐/226화 . . . . 7회 일치
|||||||||||| [[하이큐/에피소드]] ||
|| [[하이큐/225화]] |||| '''하이큐/226화''' |||| [[하이큐/227화]] ||
[[하이큐]] 226화. '''뒤섞여라'''
[[분류:하이큐]] [[분류:하이큐/에피소드]]
- 하이큐/227화 . . . . 7회 일치
|||||||||||| [[하이큐/에피소드]] ||
|| [[하이큐/226화]] |||| '''하이큐/227화''' |||| [[하이큐/228화]] ||
[[하이큐]] 227화. '''챌린저'''
[[분류:하이큐]] [[분류:하이큐/에피소드]]
- 하이큐/228화 . . . . 7회 일치
|||||||||||| [[하이큐/에피소드]] ||
|| [[하이큐/227화]] |||| '''하이큐/228화''' |||| [[하이큐/229화]] ||
[[하이큐]] 228화. '''변화'''
[[분류:하이큐]] [[분류:하이큐/에피소드]]
- 하이큐/229화 . . . . 7회 일치
|||||||||||| [[하이큐/에피소드]] ||
|| [[하이큐/228화]] |||| '''하이큐/229화''' |||| [[하이큐/230화]] ||
[[하이큐]] 229화. '''전날'''
[[분류:하이큐]] [[분류:하이큐/에피소드]]
- 하이큐/231화 . . . . 7회 일치
|||||||||||| [[하이큐/에피소드]] ||
|| [[하이큐/230화]] |||| '''하이큐/231화''' |||| [[하이큐/232화]] ||
[[하이큐]] 231화. '''개막과 해프닝'''
[[분류:하이큐]] [[분류:하이큐/에피소드]]
- 하이큐/233화 . . . . 7회 일치
|||||||||||| [[하이큐/에피소드]] ||
|| [[하이큐/232화]] |||| '''하이큐/233화''' |||| [[하이큐/234화]] ||
[[하이큐]] 233화. '''첫번째 적'''
[[분류:하이큐]] [[분류:하이큐/에피소드]]
- 하이큐/234화 . . . . 7회 일치
|||||||||||| [[하이큐/에피소드]] ||
|| [[하이큐/233화]] |||| '''하이큐/234화''' |||| [[하이큐/235화]] ||
[[하이큐]] 234화. '''적응'''
[[분류:하이큐]] [[분류:하이큐/에피소드]]
- 하이큐/235화 . . . . 7회 일치
|||||||||||| [[하이큐/에피소드]] ||
|| [[하이큐/234화]] |||| '''하이큐/235화''' |||| [[하이큐/236화]] ||
[[하이큐]] 235화. '''해방'''
[[분류:하이큐]] [[분류:하이큐/에피소드]]
- 하이큐/236화 . . . . 7회 일치
|||||||||||| [[하이큐/에피소드]] ||
|| [[하이큐/235화]] |||| '''하이큐/236화''' |||| [[하이큐/237화]] ||
[[하이큐]] 236화. '''적응2'''
[[분류:하이큐]] [[분류:하이큐/에피소드]]
- 하이큐/237화 . . . . 7회 일치
|||||||||||| [[하이큐/에피소드]] ||
|| [[하이큐/236화]] |||| '''하이큐/237화''' |||| [[하이큐/238화]] ||
[[하이큐]] 237화. '''성장기'''
[[분류:하이큐]] [[분류:하이큐/에피소드]]
- 하이큐/238화 . . . . 7회 일치
|||||||||||| [[하이큐/에피소드]] ||
|| [[하이큐/237화]] |||| '''하이큐/238화''' |||| [[하이큐/239화]] ||
[[하이큐]] 238화. '''공방'''
[[분류:하이큐]] [[분류:하이큐/에피소드]]
- 하이큐/240화 . . . . 7회 일치
|||||||||||| [[하이큐/에피소드]] ||
|| [[하이큐/239화]] |||| '''하이큐/240화''' |||| [[하이큐/241화]] ||
[[하이큐]] 240화. '''세례'''
[[분류:하이큐]] [[분류:하이큐/에피소드]]
- 하이큐/241화 . . . . 7회 일치
|||||||||||| [[하이큐/에피소드]] ||
|| [[하이큐/240화]] |||| '''하이큐/241화''' |||| [[하이큐/242화]] ||
[[하이큐]] 241화. '''맡겨 받은 기회'''
[[분류:하이큐]] [[분류:하이큐/에피소드]]
- 하이큐/242화 . . . . 7회 일치
|||||||||||| [[하이큐/에피소드]] ||
|| [[하이큐/241화]] |||| '''하이큐/242화''' |||| [[하이큐/243화]] ||
[[하이큐]] 242화. '''이어온 기회'''
[[분류:하이큐]] [[분류:하이큐/에피소드]]
- 하이큐/243화 . . . . 7회 일치
|||||||||||| [[하이큐/에피소드]] ||
|| [[하이큐/242화]] |||| '''하이큐/243화''' |||| [[하이큐/244화]] ||
[[하이큐]] 243화. '''제각각의 초전'''
[[분류:하이큐]] [[분류:하이큐/에피소드]]
- 하이큐/245화 . . . . 7회 일치
|||||||||||| [[하이큐/에피소드]] ||
|| [[하이큐/244화]] |||| '''하이큐/245화''' |||| [[하이큐/246화]] ||
[[하이큐]] 245화. '''선열'''
[[분류:하이큐]] [[분류:하이큐/에피소드]]
- 하이큐/249화 . . . . 7회 일치
|||||||||||| [[하이큐/에피소드]] ||
|| [[하이큐/248화]] |||| '''하이큐/249화''' |||| [[하이큐/250화]] ||
[[하이큐]] 249화. '''불협화음과 침묵'''
[[분류:하이큐]] [[분류:하이큐/에피소드]]
- 하이큐/252화 . . . . 7회 일치
|||||||||||| [[하이큐/에피소드]] ||
|| [[하이큐/251화]] |||| '''하이큐/252화''' |||| [[하이큐/253화]] ||
[[하이큐]] 252화. '''후방지원'''
[[분류:하이큐]] [[분류:하이큐/에피소드]]
- 하이큐/254화 . . . . 7회 일치
|||||||||||| [[하이큐/에피소드]] ||
|| [[하이큐/253화]] |||| '''하이큐/254화''' |||| [[하이큐/255화]] ||
[[하이큐]] 254화. '''괴짜.요괴.이매망량'''
[[분류:하이큐]] [[분류:하이큐/에피소드]]
- 하이큐/257화 . . . . 7회 일치
|||||||||||| [[하이큐/에피소드]] ||
|| [[하이큐/256화]] |||| '''하이큐/257화''' |||| [[하이큐/258화]] ||
[[하이큐]] 257화. '''정당'''
[[분류:하이큐]] [[분류:하이큐/에피소드]]
- 하이큐/258화 . . . . 7회 일치
|||||||||||| [[하이큐/에피소드]] ||
|| [[하이큐/257화]] |||| '''하이큐/258화''' |||| [[하이큐/259화]] ||
[[하이큐]] 258화. '''경험치'''
[[분류:하이큐]] [[분류:하이큐/에피소드]]
- 하이큐/259화 . . . . 7회 일치
|||||||||||| [[하이큐/에피소드]] ||
|| [[하이큐/258화]] |||| '''하이큐/259화''' |||| [[하이큐/260화]] ||
[[하이큐]] 259화. '''이겨라 이겨라 둥둥'''
[[분류:하이큐]] [[분류:하이큐/에피소드]]
- 하이큐/260화 . . . . 7회 일치
|||||||||||| [[하이큐/에피소드]] ||
|| [[하이큐/259화]] |||| '''하이큐/260화''' |||| [[하이큐/261화]] ||
[[하이큐]] 260화. '''필사'''
[[분류:하이큐]] [[분류:하이큐/에피소드]]
- 하이큐/261화 . . . . 7회 일치
|||||||||||| [[하이큐/에피소드]] ||
|| [[하이큐/260화]] |||| '''하이큐/261화''' |||| [[하이큐/262화]] ||
[[하이큐]] 261화. '''날붙이'''
[[분류:하이큐]] [[분류:하이큐/에피소드]]
- 하이큐/262화 . . . . 7회 일치
|||||||||||| [[하이큐/에피소드]] ||
|| [[하이큐/261화]] |||| '''하이큐/262화''' |||| [[하이큐/263화]] ||
[[하이큐]] 262화. '''언제나 앞으로 나아가며'''
[[분류:하이큐]] [[분류:하이큐/에피소드]]
- 하이큐/263화 . . . . 7회 일치
|||||||||||| [[하이큐/에피소드]] ||
|| [[하이큐/262화]] |||| '''하이큐/263화''' |||| [[하이큐/264화]] ||
[[하이큐]] 263화. '''선배의 의지'''
[[분류:하이큐]] [[분류:하이큐/에피소드]]
- 하이큐/266화 . . . . 7회 일치
|||||||||||| [[하이큐/에피소드]] ||
|| [[하이큐/265화]] |||| '''하이큐/266화''' |||| [[하이큐/267화]] ||
[[하이큐]] 266화. '''고양이 vs 원숭이'''
[[분류:하이큐]] [[분류:하이큐/에피소드]]
- 하이큐/269화 . . . . 7회 일치
|||||||||||| [[하이큐/에피소드]] ||
|| [[하이큐/268화]] |||| '''하이큐/269화''' |||| [[하이큐/270화]] ||
[[하이큐]] 269화.
[[분류:하이큐]] [[분류:하이큐/에피소드]]
- 하이큐/270화 . . . . 7회 일치
|||||||||||| [[하이큐/에피소드]] ||
|| [[하이큐/269화]] |||| '''하이큐/270화''' |||| [[하이큐/271화]] ||
[[하이큐]] 270화.
[[분류:하이큐]] [[분류:하이큐/에피소드]]
- 하이큐/271화 . . . . 7회 일치
|||||||||||| [[하이큐/에피소드]] ||
|| [[하이큐/270화]] |||| '''하이큐/271화''' |||| [[하이큐/272화]] ||
[[하이큐]] 271화. '''주포'''
[[분류:하이큐]] [[분류:하이큐/에피소드]]
- 하이큐/272화 . . . . 7회 일치
|||||||||||| [[하이큐/에피소드]] ||
|| [[하이큐/271화]] |||| '''하이큐/272화''' |||| [[하이큐/273화]] ||
[[하이큐]] 272화. '''최강의 도전자'''
[[분류:하이큐]] [[분류:하이큐/에피소드]]
- 하이큐/273화 . . . . 7회 일치
|||||||||||| [[하이큐/에피소드]] ||
|| [[하이큐/272화]] |||| '''하이큐/273화''' |||| [[하이큐/274화]] ||
[[하이큐]] 273화. '''흐름'''
[[분류:하이큐]] [[분류:하이큐/에피소드]]
- 히나타 쇼요 . . . . 7회 일치
* 상위 항목 : [[하이큐!!]], [[하이큐!!/등장인물]], [[카라스노 고교]]
日向 翔陽 . 만화 [[하이큐!!]]의 주인공. [[카라스노 고교]] 소속 선수로 포지션은 미들 블로커(센터). 일명 '''최강의 미끼'''로 불린다.
인터하이 이후 도쿄 합숙에서 카게야마의 좀 더 강화된 떨어지는 토스[* 직선으로 날아가다가 히나타의 타점부근에서 떨어져 멈춘것 처럼 보인다]와 우카이 전 감독의 훈련으로 볼 컨트롤이 늘은 히나타가 괴짜 속공과 보통 속공을 합친 신 속공을 만들어 내어 공격방법을 나눌 필요가 사라졌다.
* 작은 키와 어린애 같은 평소 모습과는 다르게 가끔 정말 상대의 기를 눌러버릴 만큼 위압감을 내보일 때가 있다.~~패기?~~ 평소의 생글거리는 얼굴과 대조되는 정색한 표정, [wiki:"죽은 눈" 동공이 열린 눈], 얼굴에 그늘진 음영 등 [[wiki:"얀데레" 똘기]]가 엿보이는 분위기를 자아내어 상대~~와 독자~~로 하여금 오싹한 느낌이 들게 한다. 덕분에 [[wiki:"마나미 산가쿠" 싸이클패스]]에 이은 ~~[[하이패스]]~~하이큐패스 드립까지 나오고 있다(...).
* 살면서 본 가장 무서운 장면이 '''뒤통수를 맞은 카게야마의 얼굴'''이다. [[아오바죠사이 고교]]와의 연습시합에서, 히나타가 서브 미스로 카게야마의 뒤통수를 때린 적이 있었는데 이 때 카게야마의 표정이 [[충격과 공포]]. ~~이 만화가 왜 호러배구라고 불리는지를 여실히 보여줬다~~ 인하이 시합 직전 긴장을 풀기 위해 지금까지 있었던 가장 무서운 일을 생각할 때, 히나타는 그 날의 카게야마를 떠올리더니 바로 [[해탈]]했다. ~~카게야마가 [[사다코]]를 이겼다~~
- 몽키 D. 루피/작중행적 . . . . 6회 일치
루피는 B블록 경기가 끝나고 이어진 C블록의 경기에 출전, 통칭 '''"콜로세움의 사신"'''이라고 불리우는 "브루탈 불(무자비한 소)"와 친해져서 우시라고 이름짓고 타고 다닌다... 이 때문에 콜로세움에서 인기인이 된다. 그렇게 우시와 함께 경기장을 휘젓고 다니던 도중 거인족 하이루딘의 발과 충돌하게 되고, 이에 자신에게 도전하는 것으로 간주한 하이루딘의 펀치 한방에 우시는 리타이어, 그에 열받은 루피는 하이루딘을 무장색 제트 피스톨로 한방에 때려눕힌다.
하이루딘을 쓰러트린 후, 떨어진 무기를 수집해 총알처럼 사용하는 참가자 "강도 쟝"[* 현상금 사냥꾼으로 현재 목표가 루피의 임펠다운 사건 당시 탈옥했던 죄수 전원을 잡아서 현상금을 받아내는 것이라고 한다. 실제로 그 중 ~~쩌리들~~몇십 명은 잡아서 현상금을 받은 듯.] 이 루피의 정체를 눈치채고 투구를 빼앗은 뒤 공격하지만 루피는 견문색으로 날아오는 무기들을 여유있게 피하며 접근해 투구를 되찾는다.[* 그리고 강도 쟝은 루피를 발견하고 뒤쫒아온 돈 칭자오가, '''하필 루피가 피한 무기들을 죄다 배에 맞는 바람에''' 아프다며 날린 박치기를 맞고 그대로 리타이어.] 뒤이어 계속 루피를 노려온 돈 칭자오와 서로 무장색 주먹을 부딪히며 마침내 맞붙는다. 둘은 실로 대등한 결투를 펼치나 늙은 돈 칭자오가 조금 밀리기 시작한다. 이후 돈 칭자오에게 '''늙은 자신과 호각을 이루는 정도라면 가망이 없다'''는 소리를 듣고, 겨우 이런 수준의 인간을 레일리가 선택했다면 레일리도 눈이 썩었다, 오히려 에이스를 죽인 해군의 판단이 옳았다 등등 여러가지로 화나게하는 말을 듣고 하늘높이 날아올라 칭자오에게 '''핵꿀밤'''(정확히는 고무고무 토르 엘리펀트 건)을 날려준다. 루피의 공격을 머리통에 직격으로 맞은 칭자오는 과거 가프에게 얻어맞아 찌그러졌던 두상이 다시 솟아오른다. [* 원피스 세계관의 골격변화는 참 경이롭다. 한데 젊은 시절의 가프가 특훈까지 해서 주저앉힌 두개골이 고작 루피의 펀치 정도로(?) 복구시킨 걸 보면 칭자오도 노화로 뼈가 약해진 것이 아닐까….] 그와 동시에 칭자오는 정신을 잃은 건지 경기장으로 곤두박질 치는데 뾰족해진 두개골에 경기장 바닥이 말 그대로 '''두동강'''나고 칭자오는 물에 빠져 장외 판정을 받는다. 이로써 루피는 C블록의 우승자가 된다.
'''코리다 콜로세움의 네임드들이 그에게 협력하게 된 것이다.''' 가장 먼저 루피 일행이 날아온 자리에 있던 [[캐번디시(원피스)|캐비지]]가 '갓' 우솝 덕분에 살았다며 루피 일행을 공격하지 않는다고 했고 ~~그러면서 동맹인 로는 잘만 죽이려 든다~~ 칭자오도 사이, 부와 함께 등장해 조력자로 참가하겠다고 하고 하이루딘 또한 콜로세움에서의 일을 모두 잊고 도움을 주기로 한다. 엘리자베로 2세 역시 ~~상금에 눈이 멀었던 다가마를 쥐어패고~~ 협력을 가했고 ~~상금에 눈이 멀 줄 알았던~~ 압둘라&제트, 올럼버스, 이데오, 술레이만, 블루 길리까지 합세한다. 그러고서는 상금에 눈이 먼 나머지 참가자들을 때려패고, 루피는 자신이 루시로 활동할 때 친해졌던 브루탈 불(우시)도 끌어들인다. 그렇게 해서 캐번디시는 '''인기'''를 위해, 칭자오는 '''인의'''를 위해, 하이루딘은 '''명예'''를 위해, 엘리자베로 2세는 '''리쿠 왕의 은혜에 보답'''하기 위해, 압둘라&제트는 '''참회'''를 위해, 이데오도, 올럼버스도, 술레이만도, 블루 길리도 각자의 목적을 위해, '''전원 도플라밍고 레이드에 참가하게 되었다.''' 그리고 그 현장에 다시 돌아갔을 때 그들을 최초로 발견한 어떤 해병의 시선으로 설명을 하자면, '''서로 도플라밍고를 자신이 죽이겠다고 아가리 파이팅을 신나게 벌이는 흉악한 녀석들 떼거지가 밀짚모자를 선두로 다 때려부술 듯이 무섭게 들이닥치고 있는 중이다'''(...).
- 미래소년 코난/등장인물 . . . . 6회 일치
몬스리의 부하. 하이하버의 해일 이후 그곳에 남는다.
몬스리의 부하. 비행정인 팔코의 파일럿. 하이하버의 해일 이후 그곳에 남는다.
== 하이하버(ハイハーバー) ==
하이하버의 촌장. 53세. 지각 변동 이전에는 기술자였다.
건달 패거리들의 우두머리. 17세,. 가족은 여동생인 테라가 있다. 거창하게 구나 대단치는 않은 녀석이며 코난 일행과 충돌한다. 인더스트리아측이 나타나자 덤볐다가 깨지고는 그들에게 붙어서 하이하버를 위협하는 것에 협력했다. 이후 호가호위스럽게 있다가 해일이 왔을 때, 코난에게 패하고는 등장이 없다. 후에 바라쿠다호가 출항할 때에 재등장. 이때는 갱생했는지 가르와 함께 축포를 올렸다.
하이하버 남쪽의 황무지에 거주하는 젊은이. 나이는 18세. 단체생활을 하나 오로 패거리들과는 다르다.
- 페어리 테일/492화 . . . . 6회 일치
* 전장에 있던 하이네와 줄리엣(아이린의 두 부하)는 미라젠에게 싸움을 걸고 미라젠은 동료들을 먼저 보내고 혼자 상대한다.
* 하이네와 줄리엣은 사실 두 자루의 검이었다. 아이린의 하이인첸터 능력으로 인간 모습을 하고 있던 것.
* 하이네는 강한 마력이 담긴 리본을 사용하고 줄리엣은 다양한 속성의 점액을 사용한다.
* 하이네와 줄리엣은 미라젠의 생각보다 훨씬 강했다.
* 그 마력은 바닷물이 마르고 하이네가 괴물이라고 경악하는 수준.
- 히치하이킹 . . . . 6회 일치
히치하이킹
왠지 아름다운 여성이 유혹적인 포즈로 히치하이킹을 시도하는 장면이 [[광고]] 등에서는 보편적으로 나타난다. 물론 치안이 불안하거나 인심이 야박한 곳에서는 범죄의 온상이 되기도 한다.
2014년 [[중국]]에서 상하이에 사는 한 여성이 [[여자친구]]가 되어주는 대신에 여행경비를 받겠다고 [[웨이보]]를 통하여 홍보하는 방식으로 중국 전역을 여행하고 있다(…)고 하여 화재가되었다.[http://insight.co.kr/view.php?ArtNo=8219 참조]
[[JTBC]] [[비정상회담]]에 출연한 러시아 출신 방송인 일리야의 증언에 따르면, 러시아에서는 히치하이킹이 보편적이며 아무나 다 태워준다고 한다. 역사적으로 [[소련]]에서는 [[택시]]가 보편화 되어 있지 않아서, 대중교통이 없는 곳이나 밤늦게 집에 갈 때는 히치하이킹을 이용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고 한다. 그래서 한국에서 히치하이킹이 되지 않아서 충격을 받았다고(…)[http://news.tf.co.kr/read/entertain/1476694.htm 참조]--훈훈한 소련 인심--
- 몬스리 . . . . 5회 일치
인더스트리아의 행정국 차장인 28살의 여성. [[레프카]]의 행동대장이자 부관으로, 항상 최전선에 서는 우수한 지휘관이자 여전사. 두뇌가 명석하고 냉정 침착한 성격으로 [[브라이아크 라오|라오 박사]] 추적과 하이하버 급습 같은 중요한 작전의 지휘를 맡았다.
첫등장 시기에는 악역이었다. [[라나(미래소년 코난)|라나]]를 잡아가기 위해 홀로 남은 섬으로 왔으며, 이 일이 계기가 되어 코난의 할아버지가 목숨을 잃었다. 이후 [[코난(미래소년 코난)|코난]]이 라나를 구하기 위해 모험을 떠나면서 충돌하게 된다. 이 시기 몬스리에게 코난은 적이었고, 코난에게도 아주 고의는 아니었으나 뭐가 됐건 할아버지의 목숨을 빼았은 원수다보니 처음에는 원한도 있었던 듯 하다. 그러면서도 그녀는 몇번이고 인더스트리아에게 물러서지 않으면서 라나를 구해내는 그 모습에 경탄을 느끼나 자기 일은 계속 이행했다. 그러던 중, 하이하버에서 일에 마음이 흐들리게 되었다.
하이하버를 일시적으로 점령했을 시기, 그녀는 살아있는 개를 보고는 평소와 다른 온화한 모습을 보이고는 과거를 회상한다.
회상이 끝나고, 이때의 모습은 그전까지의 냉혹함과 다른 모습이다. 그런 그녀를 보고 있던 코난이 모습을 보이는데 이때 서로 잠시 침묵하다 코난에게 라나를 구했는지 묻고, 그가 고개를 끄덕이자 놀라움을 숨기지 않는다. 그래도 봐주지는 않겠다며 권총을 빼들며, 코난은 도주. 그녀의 총알은 한 발도 명중하지 못했지만 이후 나타난 부하들이 코난을 추적하려 하자 소용없다는 말을 남기고 그냥 가버리는 것을 보면 일부러 코난을 놔준 듯도 하다. 그후 하이하버에 들이닥친 해일 탓에 잡히게 되는데 코난에게 라오 박사 구출에 동행해달라는 부탁을 받고, 이 진심어린 부탁에 당황한다.
코난과 싸움을 거듭하면서 점차 서로를 인정하게 되었고, 하이하버 해일 이후 아군으로 합류.
- 츠키시마 케이 . . . . 5회 일치
* 상위 항목 : [하이큐!!], [하이큐!!/등장인물], [카라스노 고교]
月島 蛍. [[하이큐!!]]의 등장인물. 성우는 [우치야마 코우키]. [* 재미있게도 우치야마는 동분기에 방영한 [[핑퐁]]의 [[츠키모토 마코토]] 성우를 맡았는데 서로 공통점이 많다. 성에 달 월月이 들어간다는 점, 안경을 쓰고 있다는 점, 표정 변화가 없고 독설가 기질을 보인다는 점, 쓸데없이 노력하는 것에 대해 부정적인 견해를 보인다는 점.] 카라스노 고교 1학년이다. 카라스노 배구부에는 없었던 장신의 선수.
인터하이 3차 예선, 아오바죠사이와의 시합에서 [wiki:"스가와라 코시" 스가] 및 [wiki:"카게야마 토비오" 카게야마]와 협동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스가는 카게야마와 교체되면서 카게야마에게 '츠키시마는 '''정면으로 말하는 것'''에 익숙하지 않으니 직접적으로 생각을 물어보아야 한다'는 뉘앙스의 조언을 했다. 이 조언을 들은 카게야마가 경기 중 츠키시마 본인에게 방금 토스는 어땠냐고 정면으로 물어오자 처음에는 '닥치고 이 공을 때려, 서민'이라고 말하는 것 같아 짜증난다고 답했다. 이후 카게야마가 무슨 뜻이냐고 되묻자, '생각을 하는 것은 너뿐만이 아니다, 내게도 나름대로의 방식이 있으니 균일한 토스를 달라'고 --웬일로 짜증을 내지 않고 차분하게-- 대답해 주었다. 카게야마는 그 말을 듣고 고분고분하게 츠키시마가 본인의 생각대로 공을 칠 수 있도록 보다 유연한 토스를 올려준다. 이 토스를 활용하여 츠키시마는 수준급의 페이크를 여러 번 보여주었고, 마지막에는 상대방의 허를 찌르는 스파이크로 결국 점수를 따낸다. ~~장하다 츳키~~
인터하이 예선 탈락 후, 코치로부터 히나타와 MB로서 시라토리자와의 우시와카도 막을 수 있는 블로커가 되어 달라고 부탁 받았다. 그러나 씩씩하게 대답한 히나타와는 달리 속으로 '우시와카는 무리…'라고 생각했다.
- 건포인트 . . . . 4회 일치
이를 수행하기 위해 여러 장비들이 준비되어 있다. 처음에는 불프로그 하이퍼트라우저 밖에 쓸 수 없지만, 임무를 수행하며 돈을 벌어 상점에서 장비를 구매할 수 있다.
* 불프로그 하이퍼트라우저(Bullfrog Hypertrousers)
이스트포인트에 거주하는 프리랜서 스파이인 리처드 콘웨이는 자신이 주문한 장비인 하이퍼트라우저를 받게된다. 실내에서 사용하지 말라는 경고문을 무시하고 하이퍼트라우저를 실험해 본 콘웨이는 자기가 사는 아파트 바로 옆에있는 총기 회사인 루크 파이어암즈 건물안에 처박힌다. 이때 콘웨이는 그곳에서 일하던 직원인 셀레나 델가도의 연락을 받게된다. 델가도는 콘웨이에게 일거리가 있으니 윗쪽에서 만나자고 하지만, 그가 도착했을 때에는 누군가에 의해 살해당해 있었다. 그 자리에서 도망친 콘웨이는 감시 카메라 기록에 의해 델다고를 죽인 용의자로 지목되게 된다.
- 미스터 하이드 . . . . 4회 일치
원래 뛰어난 의학자였으나 소설 <[[지킬 박사와 하이드]]>가 실제 이야기라 믿으면서 일이 꼬였다. 재보는 [[인간]] 본성의 짐승 같은 면을 해방시키는 화학 공식을 발견하는 연구에 몰두했는데 돈이 많이 들어서 고용주들에게서 갈취했고, 이걸 안 도널드 블레이크는 그의 고용을 거절했다. 그리고 분노한 그는 도널드 블레이크에게 복수를 다짐하여 연구에 몰두해 몇 달 뒤, 연구에 성공했다. 특수약품을 만든 재보는 이 약품을 써서 사악함과 괴력을 지닌 미스터 하이드가 되었고 자신을 진정한 악의 의인화라 믿으며 도널드 블레이크를 자신의 첫 번재 희생자로 점찍었다. 그런데 모두가 알다시피 도널드 블레이크는 [[토르]]의 인간 모습.(...)
능력은 선술했듯이 괴력의 소유자인 미스터 하이드로 변신하는 것이며 약점은 특수용액을 정기적으로 섭취해야 한다는 것. 또 정신피로나 상해가 변신능력에 지장을 줄 수 있다.
지킬 박사와 하이드가 모티브란 점에서 [[헐크]]와의 공통점이 있다. 단, 이쪽은 빌런.
- 브라우닝 하이파워 . . . . 4회 일치
2016년 12월 기준 신상 하이파워의 소비자가격은 $1,100~1,200 정도. 당신이 미국 시민이 아니라면 쓸모없는 정보다.
20세기 초반 [[존 M. 브라우닝]]이 설계를 시작하였다. 브라우닝 사후에는 [[FN 에르스탈]]의 총기 제작자인 [[디외도네 세브]](Dieudonne Saive)가 몇년간 설계해 브라우닝 하이파워의 설계를 끝맞췄다.
[[http://www.browning.com/products/firearms/pistols/hi-power-pistols.html|브라우닝사의 하이파워 소개 페이지(영어)]]
[[http://www.browning.com/content/dam/browning/support/owners-manuals/2016/12-BFA-323_HiPower%20OM_WEB.pdf|브라우닝 하이파워 매뉴얼 Pdf(영어)]]
- 식극의 소마/215화 . . . . 4회 일치
* 승리의 기쁨을 나누는 [[유키히라 소마]]와 쿄쿠세이 기숙사 학생들. [[미마사카 스바루]] 조차 하이파이브로 축하하는데 [[나키리 에리나]]만 츤츤거린다.
* 레분토 결전 1라운드 세 번째 스테이지의 승자는 [[유키히라 소마]]. 모두의 예상을 뒤엎은 승리. 십걸 6석 [[키노쿠니 네네]]는 패배를 인정하고 조용히 안경을 벗는다. 소마의 동료 쿄쿠세이 기숙사 학생들이 대환호. [[요시노 유키]]는 소마의 행보에 계속 불평만 해놓고 "승리를 의심치 않았다"고 개드립을 친다. 어쨌든 동료들과 하이파이브로 승리를 축하하는 소마.
* 팀멤버 [[타도코로 메구미]], [[타쿠미 알디니]], [[쿠가 테루노리]]와도 하이파이브.
* 그런데 반역자들이 갇힌 감옥 곁에 멀뚱거리고 서있는 [[나키리 에리나]]는 츤츤거리며 거부한다. [[미마사카 스바루]] 조차 흥쾌히 하이파이브를 하는데 말이다.
- 존 딜린저 . . . . 4회 일치
1933년 5월 10일, 8년 가까이 빵에서 썩은 딜린저는 오하이오 주립 교도서에서 가석방된다. 그리고 얼마 안 되어서 오하이오 주에 있는 은행을 털었다가 9월 22일 체포되었다. 딜린저는 재판에 앞서 오하이오 주 리마에 있는 감옥으로 보내진다. 그러자 피어폰트를 포함한 4명의 동료들[* 해리 피어폰트, 러셀 클라크(Russell Clark), 찰스 마클리(Charles Makley), 헨리 코프랜드(Harry Copeland)]은 감옥을 지키던 보안관을 속여[* 가석방 기간 도중 범죄를 저지른 딜린저를 인계받기 위해 오하이오 주립 교도소에서 왔다고 속인 다음 문을 열어준 보안관을 쏴죽였다.] 딜린저를 탈옥시킨다.
- 하이브리스토필리아 . . . . 4회 일치
소위 '나쁜 남자'에게 매력을 느끼는 취향. 하지만 하이브리스토필리아로 진단될 정도의 나쁜 남자는 평범한 수준이 아니다. 정말로 도저히 윤리적으로 받아들일 수 없는 악질 흉악 범죄자일수록 하이브리스토필리아가 성행한다.
하이브리스토필리아를 진화심리학으로 설명하는 주장도 있다. '사이코패스'가 생존에 유리하다는 주장하고 일맥 상통한다.
여담으로 은근히 '필리아' 류가 '포비아' 류보다 더 악질이다.(…)--페도, 네크로, 하이브리스토, 필리아 3대장-- 물론 '포비아'류 또한 '차별'을 조장한다는 부분에서 역시 질나쁠 때가 많지만.
- 고원희 . . . . 3회 일치
*2017년 [[하이라이트 (음악 그룹)|하이라이트]] - 아름답다
* [[하이마트]]
- 백진희 . . . . 3회 일치
| rowspan="2" | 시트콤 《[[하이킥! 짧은 다리의 역습]]》
| rowspan="2"| [[하이킥! 짧은 다리의 역습]]
| 제목 = [TV 하이라이트] (3일) '수요기획' ; '기분전환! 수요일' 등
- 비지란테 - 나의 히어로 아카데미아 Illegals - . . . . 3회 일치
히어로가 직업이 된 세상에서 면허가 없으면서 자경단원 활동을 하는 넉클 더스터와 그를 따르는 하이마와리 코우이치, 프리 아이돌 팝 스텝이 주역이다. 넉클 더스터가 [[올마이트]], 하이마와리가 [[미도리야 이즈쿠]]의 포지션을 떠올리게 하는데 둘의 관계는 본편쪽 인물들이 스승과 제자인 것과 달리 히어로와 사이드킥 느낌이다.
* 하이마와리 코우이치(灰廻航一, はいまわり こういち)
- 스틸오션/일본 . . . . 3회 일치
>유바리급은 히라가 유즈루가 설계한 실험용 경순양함이었다. 오로지 한척만이 건조되었다. 연장 포탑의 사용과 연장 어뢰 발사관 두개를 중심선에 배치하는 걸로 갑판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했다. 유바리의 설계는 이후 일본 군함 설계에 큰 영향을 끼쳤다. 제1차 상하이 사변에 참가하였고, 1937년 광저우에서 중국 순양함 차오호에게 피해를 입혔다. 제1차 솔로몬 해전에서는 미국 순양함 빈센스(Vincennes)를 뇌격했다. 1944년 초반 대규모 개장 이후 뛰어난 대공 성능을 보였다. 1944년 4월 26일, 수송임무를 수행하던 중 미국 잠수함 블루길(Bluegill)에게 격침되었다.
>카가는 토사급 전함이었다. 워싱턴 해군 조약 체결 이후, 카가는 관동대지진으로 파손된 아마기를 대신해 항공모함으로 개장되었다. 발진의 용이함을 위해 삼단 비행갑판으로 설계되었지만 효과는 미비했다. 1935년, 다시 개장된 카가는 비행갑판을 하나로 감소시켰다. 카가는 제1차 상하이 사변 당시 일본제국육군을 지원했다.
>카가는 토사급 전함이었다. 워싱턴 해군 조약 체결 이후, 카가는 관동대지진으로 파손된 아마기를 대신해 항공모함으로 개장되었다. 발진의 용이함을 위해 삼단 비행갑판으로 설계되었지만 효과는 미비했다. 1935년, 다시 개장된 카가는 비행갑판을 하나로 감소시켰다. 카가는 제1차 상하이 사변 당시 일본제국육군을 지원했다.
- 페이데이 2/적 . . . . 3회 일치
GenSec Security. 일부 하이스트에서 스크립트 상으로만 등장하는 적들. 붉은 옷과 베레모를 착용하고 있다. 별로 큰 위협은 되지 않는다.
민간군사업체 머키워터의 용병들. 머키워터가 관련된 하이스트 초반에 등장한다. 군인스러운 복장에 페이스가드가 포인트.
멀티플레이 하이스트에서 일정 확률로 등장하는 무리. 네빌 윈터스 대장과 정예 실드들로 이루어져 있다.
- 페이데이 갱 . . . . 3회 일치
Payday Gang. 게임 [[페이데이: 더 하이스트]]와 [[페이데이 2]]에 등장하는 범죄 조직. 페이데이 시리즈의 주인공이다. 멤버들이 범죄를 저지를 때 광대 가면을 쓰기 때문에 광대(Clown)라고도 불린다. 페이데이: 더 하이스트에서는 기껏해야 [[은행강도]], 금괴 운반차량 탈취 정도나 하는 4인조 범죄집단이었지만 페이데이 2에서는 [[FBI]] 건물을 습격하거나 러시아의 비밀 연구소를 레이드 뛰는 뭔가 대단한 조직이 되어버렸다.
[[잉글랜드]]인. 본명은 제임스 혹스워스(). [[페이데이: 더 하이스트]]와 [[페이데이 2]] 사이의 기간에 체포당해 [[교도소]]에 들어가 있었다. 페이데이 2에서 재심을 위해 호송되던 중 페이데이 갱에 의해 구출된다.
- Darkest Hour: A Hearts of Iron Game/연구진 . . . . 2회 일치
* Werner Heisenberg(베르너 하이젠베르크)
* Robert Oppenheimer(로버트 오펜하이머)
- Victoria II/기술 및 발명 목록/상업 . . . . 2회 일치
* Hyperinflation(하이퍼인플레이션)
* Friedrich Hayek(프리드리히 하이에크)
- 건포인트/도전과제 . . . . 2회 일치
불프로그 하이퍼트라우저를 즉시 뛰어오를 수 있도록 강화하십시오.
불프로그 하이퍼트라우저를 최대한 멀리 뛸 수 있게 강화하십시오.
- 나의 히어로 아카데미아/98화 . . . . 2회 일치
* "하이츠 얼라이언스"
* 하이츠 얼라이언스는 한 반이 하나의 동을 쓰되 좌우로 분리되어 있다.
- 내추럴 하이 . . . . 2회 일치
일본식 영어. [[내추럴]]과 [[하이]]를 결합한 말. 여기서 하이는 아마 마약의 고양 상태를 뜻하는 듯.
- 니세코이/229화 . . . . 2회 일치
* 클로드는 비하이브 보스에 취임. 츠구미는 치토게 전속 모델로 활동.
* 비하이브는 치토게의 아버지가 물러나고 클로드가 물려받았다.
- 마니교 . . . . 2회 일치
[[메소포타미아]]의 마니 하이이(216~277)를 [[교조]]로 하는 [[종교]].
[[교조]] 마니 하이이(216~277)가 활동했던 시기의 [[메소포타미아]] 지방은 여러 종교가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었다. [[유대교]], [[기독교]] 계통의 종파, [[이탈리아]]에서 나온 [[피타고라스 교단]][* [[윤회전생]]을 주장했다.], 소아시아의 마르키온 교회, 이집트의 발렌티누스 교단, [[이란]]계통의 조로아스터교나 미트라 숭배 등이 있었다.
- 몽키 D. 루피 . . . . 2회 일치
* 하이루딘 - 위에서도 기술되었듯이 타고 다니던 브루탈 불(우시)를 펀치 한 방으로 리타이어시킨 이유 하나로 빡쳐서 제트 피스톨 한 방으로 K.O.
|| 2009 - [[시엘 팬텀하이브]] || → || '''몽키 D. 루피''' || → || 2011 - [[키다 마사오미]] ||
- 아이유 . . . . 2회 일치
! scope="row" | [[드림하이]]
! scope="row" | [[드림하이 2]]
- 우현(배우) . . . . 2회 일치
그러다가 2003년 [[대한민국 헌법 제1조]]의 단역으로 영화에 데뷔하였고, 같은 해 [[황산벌(영화)|황산벌]]에도 출연한다. 2004년 [[시실리 2km]]의 해주로 강한 인상을 남기며, 일반인뿐만 아니라 영화계의 관심도 받게 된다. [[http://www.youtube.com/watch?v=ChRUT0rck9A|니가 94야 그럼?]] 흥행한 영화가 아니었음에도 '제일 늙은 막내 조폭'이라는 역할 설정의 매력으로 영화 하이라이트 프로그램에도 그 장면이 나오는 등, 출연자 중 우현만큼은 대중에게 얼굴을 꽤 알린다.
* [[하이킥 짧은 다리의 역습]](2011, MBC) - 우현 역 (특별출연)
- 원피스/866화 . . . . 2회 일치
링링에겐 거인족 친구가 한 명 더 있었는데, 그가 바로 [[하이루딘]]. 훗날 [[드레스로자]]에서 [[몽키 D. 루피]]와 만나는 그 거인족이다. 그도 링링, 게르즈와 친구사이였는데 이 시기에는 도리와 브로기가 돌아와 거병해적단이 부활할 때를 기다리며 수련에 매진하고 있었다. 링링과 게르즈는 동지제 이야기를 하며 그의 훈련을 구경했다.
* 마침 거인족 마을의 어른인 "폭포수염" [[요를]]와 "산수염" [[야를]]가 행차한다. 둘은 거병해적단의 전 선장이었으며 거인족의 영웅이자 "전세계 최고령 전사"라는 타이틀을 보유하고 있었다. 요를가 344세, 야를가 345세. 이들은 하이루딘의 수련을 보고 만족해한다. 그들은 카르멜이 "약탈보다는 교역이 좋다"고 한 말을 언급하는데 그 말은 좋지만 그래도 엘바프족이 전사라는 정체성을 잃어선 안 된다고 조언한다.
- 유키히라 소마 . . . . 2회 일치
[식극의 소마]의 주인공. VOMIC판 성우는 [오노 유우키]. TVA 성우는 [마츠오카 요시츠구].[* PV에서의 하이톤 때문에 방영 전부터 소마와 어울리지 않는다는 평가가 많다. 최근 인기 성우를 주역으로 기용하려는 경향의 폐해로 보는 시각도 있으나, 엄밀히 따지면 마츠오카를 비롯한 젊은 성우들이 주역으로 자주 기용되는 이유는 낮은 랭크 때문. --한마디로 저비용 고효율.--]
본격적으로 요리를 할 때는 늘 왼쪽 팔목에 감고 다니는 두건을 풀어서 머리에 묶는다. 기본적으로 열혈스럽고 시원한 성격이지만, 일단 진지해지면 평소 모습과는 비교도 안 될 만큼 눈매가 --간지--날카로워지고 검은자위의 하이라이트도 없어져서 거의 다른 사람 같다. 그리고 왼쪽 눈썹 부근에 흉터가 하나 있다. 요즘 만화 주인공 답지않게 [[간지]]를 제대로 살릴 줄 알아서 좋아하는 팬이 많다. 작 중 인물들에게도 매력적인지 쿠라세 마유미와 미토 이쿠미가 그를 좋아한다. 나중에는 [타도코로 메구미]도 포함. --과연 소년만화의 주인공.--
- 이유리(배우) . . . . 2회 일치
|| [[롯데하이마트]] || 2017 롯데하이마트 프리미엄 키친대전 || [[https://youtu.be/dH_g6z4u6Gk|영상]] ||
- 절대가련 칠드런/463화 . . . . 2회 일치
* 하지만 그러기 위해서는 하이레벨의 에스퍼인 더 더블 페이스 [[노와키 호타루]]와 [[토키와 나츠코]]를 속여야 한다.
* 입구의 경비병력은 효부와 유리의 최면으로 간단히 통과, 보안키도 미리 준비한 위조ID카드로 무사히 지나간다. 하지만 지금부터는 난관이다. 바벨 보안시스템의 최종 방어라인 더 더블 페이스. 하이 레벨 에스퍼인 [[노와키 호타루]]와 [[토키와 나츠코]]에겐 최면도 통하지 않는다. 일행이 나타나자 마자 더블 페이스는 초감각으로 투사가 안 되는걸 감지하고 경계한다.
- 페어리 테일/518화 . . . . 2회 일치
* 아이린은 멸룡마법의 힘으로 현룡으로 변화하여 자신의 하이 인챈트 마법을 "마스터 인챈트"로 강화한다.
>하이 인챈트의 상위, 마스터 인챈트로.
- 페이데이 2/하이스트/로크 . . . . 2회 일치
[[페이데이 2]]에서 로크가 의뢰하는 [[페이데이 2/하이스트|하이스트]]의 목록.
- 하이큐!!/등장인물 . . . . 2회 일치
* 상위 항목: [[하이큐!!]]
예정표를 건내주러 사와무라를 찾아왔을 때 첫 등장. 인터하이 여자 배구 대회에서 1회전 탈락했다. 남자 배구부의 주장 사와무라와 자주 대화한다. 은근히 사와무라를 신경쓰여하는 모습이 있었는데, 150화에서 제대로 플래그를 꽂았다. 시라토리자와와의 결승전을 앞둔 다이치에게 찾아가 결승 힘내라며 잔뜩 빨개진 얼굴로 오마모리(부적)을 전해주었다.
- 호소키 카즈코 . . . . 2회 일치
현재 알츠하이머와 치매로 활동 잠정중단.
* 팬클럽 사이트는 탈퇴할 수 없는 구조가 되어 있다. 주의하자. 현재 알츠하이머로 딸이 대신하여 마술과 사기를 치고 있음.[[https://twitter.com/OIympic2020/status/800311150856409088 (참조)]]
- Darkest Hour: A Hearts of Iron Game/디시전 . . . . 1회 일치
노구교 사건(aka 마르코 폴로 다리 사건)을 일으켜 중일전쟁을 일으킨다. 지둥방공자치정부를 합병하는 동시에 중화민국과 선전포고한다. 미국, 영국, 소련, 중화민국, 광서성 군벌, 산서성 군벌, 윈난성 군벌과의 관계도가 10-50 감소하며 일본의 국가 슬라이더가 간섭주의로 한 칸, 강경파로 두 칸 이동한다. 중화민국에게 광서성 군벌과 산서성 군벌을 합병하며 중국 공산당에 동맹을 제안하는 "통일 전선 구축" 이벤트가 발생하며, 3일 후 중화민국 군대의 약화를 불러오는 "상하이 사변" 이벤트가 발생한다.
- Darkest Hour: A Hearts of Iron Game/유닛 . . . . 1회 일치
하이브리드 타입 공군 부대.
- Darkest Hour: A Hearts of Iron Game/장관 . . . . 1회 일치
* The Hangman(교수인) - 독일의 라인하르트 하이드리히
- Europa Universalis 4/공략/아시아 . . . . 1회 일치
이게임시작지점에서 가장 많은 땅덩어리를 지니고 있으며, 가장 높은 총개발도(developement)를 지닌 국가. 상당히 많은 고유시스템을 들고있는데, 고유 팩션인 천조국 체제를 지니고 있는데 관료, 사원, 환관이 행정, 군사, 외교를 담당하고 있으며, 각 팩션의 영향력이 가장 높을경우 그 팩션이 보너스를 주는 형식이다. 그리고 고유 정부체제인 천조국(Celestial Empire)체제를 지니고 있는데, 기술비용과 안정도 비용을 10%줄여주며, 모든 땅의 수입이 반이된다. 천명이란 시스템으로 반란도를 5줄여준다. 만약에 정통성이 70이하이거나 안정도가 음수가 될경우엔, '천명을 잃음'이 뜨면서 천명의 보너스가 사라지고 반란도가 5상승해 최종적으로 반란도 10이 늘어난다(...) 거기다가 중국계 문화권이 엄청 세분화되어 천명한번 터질경우엔 오나라, 촉나라, 연나라, 제나라등 소국들이 죄다 반란일으키고 독립해 춘추전국시대를 만들기도 한다...~~안습~~ 내적 완결성등 명한테 들어있던 수많은 디버프들이 전부 사라져서 강력한 모습을 보여주긴 하지만 여전히 천명이란 고유시스템덕에 빵빵터지는 반군들을 맛볼 수 있다(...) 가능하면 최대한 빨리 서구화를 하도록 하자
- GLA . . . . 1회 일치
* 하이재커
- World Of Guns: Gun Disassembly . . . . 1회 일치
* [[브라우닝 하이파워]]
- 개인용 웹페이지 저장 서비스 . . . . 1회 일치
웹 아카이브와 같은 목적을 지니고 있으며, 웹페이지 하이퍼 링크가 깨지는 경우에 대비해서 만들어져 있다.
- 거대로봇 . . . . 1회 일치
말 그대로 '''거대(巨大)한 로봇'''. 어느 정도 크기가 되야 거대 로봇인지에 대한 명확한 기준은 없으나 일반적으로 인간보다 수배 이상 거대하면 거대로봇으로 취급한다. 10m 이하이건, 200m 이상이건 일반적인 사람보다 거대하기에 거대로봇의 범주에 든다.
- 권희동 . . . . 1회 일치
시즌 초부터 [[김경문]] 감독이 리빌딩을 공언하면서 베테랑인 [[이종욱(야구선수)|이종욱]], [[김종호(야구선수)|김종호]]를 대신하여 주전 좌익수로 나섰다. 그 결과 팀 내 야수 중 가장 많은 141경기에 나서 타출장 .286/.371/.458 135안타 19홈런 86타점 wRC+ 111.3 sWAR 2.43을 기록하면서 커리어 하이를 기록했다.
- 기간트 . . . . 1회 일치
레프카의 최종병기. 작품의 후반부에 등장한 강력한 비행체다. 플라잉 머신이나 몬스리의 팔코 [[비행정]], 하이하바에서 코난 일행이 사용한 비행체와는 차원이 다른 거체를 지닌 비행요새나 다름없는 존재로 곳곳에 무기가 설치되어 있다.
- 나의 히어로 아카데미아/122화 . . . . 1회 일치
이런 설명을 하다 보니 수업이 시작돼 버렸다. 다음은 [[프레젠트 마이크]]의 영어 시간. 아이자와와 180도 차이나는 하이텐션으로 수업이 시작된다.
- 나의 히어로 아카데미아/124화 . . . . 1회 일치
* 잠시 뒤 밀리오는 난데없는 노출에 대해 여학생들에게 사과하며 대련을 마무리한다. 하지만 대부분의 학생들은 "영문도 모른 채 배를 맞았다"고 투덜댄다. 밀리오는 자신의 "개성"이 어땠냐고 질문한다. [[세로 한타]]와 [[아시도 미나]]는 다짜고짜 "너무 강하다, 치사하다"같은 말을 해댄다. 아시도는 혹시 토도로키 같은 하이브리드 타입 개성이냐고 묻는다. 맨날 질문한 하던 네지레는 질문을 받자 자기가 대답하겠다고 나서는데 타마키가 제지해서 밀리오가 대답한다.
- 나의 히어로 아카데미아/에피소드 . . . . 1회 일치
하이
- 니쿠쟈가 . . . . 1회 일치
일단 데미글라스 소스를 사용한 하야시라이스(하이라이스)가 메이지 시대 초기에 나오고 있었으므로, 정황상 이 시대는 이미 서양 요리가 일본 요리사들에게 그리 낯선 것이 아니었다는 것이다. 그래서 제독 같은 높으신 분이 비프스튜를 주문했는데 간장이나 설탕으로 소스를 대체하는 일은 있을 수 없고 어디까지나 전설에 지나지 않는다는 반론이다.
- 닌텐도 . . . . 1회 일치
2017년에 [[닌텐도 스위치]]라는 하이브리드 게임기를 발매할 예정이다.
- 라나(미래소년 코난) . . . . 1회 일치
원래 하이하버에서 살고 있었으며 그곳에 혈육도 있다.
- 로버트 켈리 . . . . 1회 일치
미국 오하이오 주립대 정치학 박사 출신, 2008년 9월부터 공개채용을 받아 부산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로서 근무하고 있다.
- 로베르 기스카르 . . . . 1회 일치
그러나 그정도로 기스카르의 열정을 꺾을수는 없었다. 해전전 미리 육군을 상륙시켜뒀기에 육군은 건재했는데다가 그병력은 이미 디라키온을 포위했기 때문이다. 이에 알렉시오스는 그의 신뢰하는 부하이자 매제인 게오르기오스 팔라이올로고스를 소규모 병력과 함께 디라키온으로 보내면서 어떻게든 자신이 병력을 모집해 지원할때까지 병력을 묶어놓으라고 지시했고, 디라키온 수비군은 지원군이 온다는 소식에 더욱 격렬히 저항했다. 여름 내내 진행된 포위전은 상당히 격렬했는데, 하루는 게오르기오스가 투구에 화살촉이 박힌 상태로 하루종일 방어전을 진행했을 정도이다. 이윽고 그해 10월 15일에 알렉시오스가 직접 지원군을 몰고 왔고, 4일뒤 역공이 시작되었다.
- 마이클 페이 . . . . 1회 일치
오하이오 주 데이튼에 거주했다. 1994년 3월, 18세에 싱가포르에서 태형을 당했다.
- 맥스 페인 2: 맥스페인의 몰락 . . . . 1회 일치
맥스를 보안관이라고 부른다던가, 두번째로 만났을 때 "하이 눈"을 외치거나 하는걸 보면 [[서부개척시대]]에 관련된 걸 좋아하는 듯.
- 맥시멈즈 . . . . 1회 일치
* [[하이페리온]] - 스쿼드론 수프림, 수프림 파워
- 명탐정 코난 에피소드 "ONE" 작아진 명탐정 . . . . 1회 일치
* 후에 하이바라 아이가 되는 셰리가 연구하던 약물의 비밀과 조직의 진짜 목적 등
- 미스터 아톰 . . . . 1회 일치
[[미스터 마인드]]의 부하이며 [[몬스터 소사이어티 오브 이블]]의 멤버이기도 했다.
- 미즈우치 타카시 살인사건 . . . . 1회 일치
미즈우치의 사생활은 주변에서도 크게 알려지지 않았던 듯 하며, 주변에는 성실한 경찰관 청년으로 알려져 있었다. 초등학생 때부터 미즈우치의 동급생이었던 여성은 "'검도 성적이 좋아서 부경에 들어갈 수 있었다.'고 기뻐했었다. 믿을 수 없다."고 발언했으며, 지인인 여성은 "예의바르고 정의감이 강한 아이가 어째서."라고 말했다고 한다. 고등학교 때 검도를 지도했던 은사는 인터뷰에서 "바보야! 라고 말하고 싶다(アホや! と言いたい)"고 발언했다. 미즈우치의 3살 연하인 동생 역시 검도를 시작하여 [[인터하이]]에 선수로 출전했고, 경찰의 길로 나아갔다고 한다.
- 발 . . . . 1회 일치
물론, 하이힐이나 밀폐형 부츠등을 쉬지도 않고 장시간동안 신는다면 비단 발의 피부질병문제가 아니라 근육과 골격문제가 생길 수 있으므로 남녀노소 모두 바람직한 생활 습관으로 소중한 발을 잘 지키도록 하자. 발이 건강하다면 그 사람의 건강도 보장된다.
- 배경 세계 공유 . . . . 1회 일치
실사와 애니메이션의 하이브리드 스타일이 될 것이라 한다.
- 백운산 물고기 . . . . 1회 일치
백운산 종은 광둥성 백운산, [[홍콩]] 등에 서식하였으나, 개발로 서식지가 파괴되어 야생에서는 멸종된 것으로 알려졌다가, [[하이난 섬]]에서 새로운 서식지가 발견되었다.
- 병 속의 악마 . . . . 1회 일치
지킬박사와 하이드로 유명한 로버트 루이스 스티븐슨(Robert Louis Stevenson)의 소설. 안에 악마(Imp)가 들어있는 마법의 병을 소재로 한 이야기이다.
- 브라이아크 라오 . . . . 1회 일치
레프카와 대비되는 훌륭한 어른. 대이변 시절에도 비행정을 이용해 사람들을 돕기 위해 활동했고, 인더스트리아를 그냥 놔뒀으면 하이하버에서 행복하게 살 수 있었을 터이나 인더스트리아의 사람들을 구하기 위해 돌아갔고, 이후 몸이 망가진 후에도 라나의 도움을 받아가며 사람들을 도왔다.
- 블랙 클로버/119화 . . . . 1회 일치
* 시작 전만 해도 사이가 나쁠 거 같았던 세 사람은 승리의 하이파이브를 주고 받는다. 클라우스 조차도 기뻐하며 락에게 달려왔다. 푸리는 두 사람 모두 최고라고 칭찬을 아끼지 않았다. 아스타와 매그너는 동료의 승리를 기뻐하며 "너무 강해진게 아닌가" 투덜댔다.
- 블루 마블 . . . . 1회 일치
한국전쟁에 참가한 경력이 있는 해병 출신에 뛰어난 과학자다. 연구하다가 실수로 반물질을 만들어서 네거티브 존에 빠지게 되었고, 그 안의 네거티브 존 방사선에 의해 초능력을 얻게 되었다. [[슈퍼맨]]과 비슷한 능력에 [[반물질|반물질 에너지]]를 흡수하거나 조작할 수 있고, 일반적인 상태의 센트리에게 어느정도 대항하는 초음속의 스피드와 93,000톤 가량의 물체를 감당해내는 힘, [[센트리]]를 지구 밖으로 날려보낼 정도로 강력한 능력을 갖춘 초인. 같은 마블 코믹스 캐릭터인 [[하이페리온(마블 코믹스)|히페리온]], 센트리처럼 슈퍼맨과 비슷한 캐릭터.
- 서울특별시/인물 . . . . 1회 일치
* [[허유진(하이큐티)|허유진]] - 마포구
- 성현아 . . . . 1회 일치
* [[2001년]] [[SBS]] 단막극 《[[SBS 오픈드라마 남과여]] - 나는 Mr. 하이디와 결혼했다》 ... 영혜 역
- 소냐(가수) . . . . 1회 일치
* 지킬 앤 하이드
- 슈퍼걸(드라마)/1시즌 5화 . . . . 1회 일치
카라는 제임스를 추수감사절에 초대하려 하지만, 제임스는 루시와 함께 오하이오로 갈 예정이라고 한다. 알렉스는 엄마가 슈퍼걸 때문에 화가 났는데 안 하는 걸 거라고 생각하며 걱정하는데, 카라는 알렉스에게 DEO에이전트라는걸 고백하라고 조언한다.
- 슈퍼걸(드라마)/1시즌 8화 . . . . 1회 일치
캣 그랜트는 이메일이 해킹당해서 많은 사생활이 폭로된다. 카라와 윈, 제임스는 그 대응에 분주한다. 아스트라의 부하이자 남편인 라오는 카라에 대하여 아스트라에게 경고를 날린다.
- 스쿨 카스트 . . . . 1회 일치
>클래스 내의 하이어라키(계급제)
- 스트리트 파이터 시리즈 . . . . 1회 일치
* 하이퍼 스트리트 파이터 2
- 스틸오션/아이템 . . . . 1회 일치
* 하이퍼펄스 발생기(Hyper Pulse Generator)
- 시계태엽 오렌지(영화) . . . . 1회 일치
루드비코 요법을 마친 알렉스는 교도소에서 출소한다. 하지만 알렉스의 방은 다른 누군가가 차지한 상태였고, 알렉스가 가지고 있던 물건들도 부모님이 팔아치운 상태였다. 알렉스는 집에서 나와 떠돌다가 한 주정뱅이를 만난다. 알렉스와 동료들이 린치했던 주정뱅이였다. 알렉스는 주정뱅이와 그 동료들에게 구타당하고 소지품을 빼앗겼다. 도움을 청하기 위해 찾아간 경찰관들은 과거 그의 부하이던 딤과 조지였다. 결국 알렉스는 그들에게 물고문을 당하게 된다.
- 식극의 소마/229화 . . . . 1회 일치
* 결전 2일차에도 여전히 맛이간 [[카와시마 우라라]] 등장. 묘한 하이텐션 상태 그대로 오늘의 참전자들을 소개했다.
- 신은정 . . . . 1회 일치
* [[2015년]] [[SBS]] 드라마스페셜 《[[하이드 지킬, 나]]》 ... 강희애 역
- 어쌔신 크리드 III/임무일람/주요임무 . . . . 1회 일치
둘은 함께 처치를 쫓기로 한다. 하지만 코너고 헤이덤이고 처치가 어디 있는지는 모르는 상황. 코너는 주변을 조사해 마차가 어느 방향으로 갔는지를 알아낸다. 둘이 그 방향으로 가자, 그 곳에는 처치의 마부 하나가 고장난 마차를 두고 어쩔 줄 몰라하고 있었다. 코너가 그에게 다가가 "벤 처치의 부하이십니까?"라고 공손하게 물어보자 마부는 도망치기 시작한다.[* 헤이덤 曰 "잘했다."] 코너가 마부를 붙잡아 심문해 북쪽의 야영지로 간다는걸 알아내자, 헤이덤이 그거면 충분하다며 마부를 죽여버린다. 헤이덤은 죽일 필요까지는 없었다고 반발하는 코너에게 북쪽 야영지에 잠입해 뭔가를 알아내라고 한다.
- 영덕군 . . . . 1회 일치
* [[하이디]] : 가수.[* 2집 "진이"로 유명했던 댄스가수. 이후 [[포항문화방송|포항MBC]]에서 [[정오의 희망곡]] 자체 방송 DJ를 맡았고 현재는 [[포항시|포항]]에서 보컬트레이너로 활동 중이다.] 영덕여고 출신.
- 영천시 . . . . 1회 일치
인구 증가를 유도할 만한 것이 없어서 감소세를 보이며 2010년에는 9만 5천여 명으로 10만 이하로 감소했었으나 이후 10만명 으로 소폭 회복했다. 차후에 영천하이테크파크경제자유구역, [[렛츠런파크 영천]]이 들어올 예정이라 미래가 어둡지만은 않은 편이다.
- 원피스/867화 . . . . 1회 일치
그것은 야를에게도 뜻밖의 결론이었다. 야를이 고민하는 사이, 한때 링링의 친구이기도 했던 [[하이루딘]]은 "왜 링링을 죽이지 않느냐"고 아우성친다. 그 또한 링링을 용서할 수 없었다. 그러나 야를은 자비심이 생긴 건지, 카르멜을 결단을 봐서인지 그녀의 말에 따르기로 하고 칼을 거둬들인다. 그리고 링링이 정신을 차리는데, 폭주했을 때의 일을 기억 못할 뿐더러 요를의 죽음을 슬퍼하는 등, 남의 일처럼 행동해서 더욱 거인족들의 분노를 산다.
- 유태공 . . . . 1회 일치
사마천의 사기에 따르면, 유방은 황제가 되고 나서도 5일에 한 번은 태공을 방문하였다. 이야기를 주고 받는 모습은 서민과 같았기 때문에, 유태공의 가령(家令, 집사)이 아무리 부모 자식이라고 해도 유방은 황제, 태공은 신하이니 이런 태도로는 황제의 위엄이 손상된다고 의견을 냈다.
- 은혼/608화 . . . . 1회 일치
* 그 중에서도 사루토비는 닌자의 힘을 보여주겠다며 하이텐션으로 날뛰고 다닌다.
- 은혼/610화 . . . . 1회 일치
* 그 정체는 나노머신. 기계를 고장내는 나노머신을 살포하는 하이테크놀러지의 결정체였다.
- 저그 . . . . 1회 일치
스타일이 벌이나 개미와 비슷해서 각 개체의 파괴는 별 의미 없으며 중추에 해당하는 존재를 쳐야만 한다. 즉, 하이브 마인드. 워해머 40,000의 [[타이라니드]]와 비슷하다.
- 절대가련 칠드런/450화 . . . . 1회 일치
* 마기는 효부의 부하이자 가족으로서 요우와 모미지를 구하고 함께 판도라를 건설하게 된다.
- 절대가련 칠드런/473화 . . . . 1회 일치
카오루가 책임감을 느끼는 모습을 보여주자 시호와 아오이도 한 발 물러선다. 둘은 각각 "카오루가 파괴의 여왕이라면 "금단의 여제"(언터쳐블 엠프레스), "신속의 여신"(라이트스피드 가디스)인가"라고 중얼거린다. 이 말을 들은 유리가 흥분해서 "그런 나는 뭐야"라고 끼어드는데, 마츠카제가 "넌 그냥 "팬텀 도터"잖아"라고 대충 정해준다. 하지만 유리는 세트가 좋다며 "현혹의 여교황"(다즐링 하이프리스너스)같은 급조한 명칭을 제안한다. 여기서 마츠카제가 대항심을 느껴 "지옥의 타천사"같은 되도 안 되는 명칭을 들이밀어서 사이좋게 둘 다 츳코미 당한다.
- 주다영 . . . . 1회 일치
* [[2011년]] [[MBC]] 일일시트콤 《[[하이킥! 짧은 다리의 역습]]》 ... 안종석 팬클럽 회장 역
- 지무시 . . . . 1회 일치
라나가 코난이 처음 본 여자아이라면, 이쪽은 코난에게 처음으로 생긴 비슷한 연배의 친구. 하이하버에서 평화롭게 살수 있음에도 코난이 인더스트리아로 가서 라오 박사를 구하려 하자 처음에는 안간다고 하다 결국은 같이 간다.
- 착각 영국인 기사도 사건 . . . . 1회 일치
* --거침없이 하이킥 하지 말고-- [[로우킥]]을 쓰자.
- 창작:치킨교 . . . . 1회 일치
후라이드 치킨교도들이 흔히 "제1차 외식전쟁"에서 죽을 쑤자 나타난 종파였다. 제1차 외식전쟁은 미국의 위대한 선지자 맥도날드와 피자헛이 한반도에 선교를 하러 오고, 한국인지 일본인지 애매한 하이브리드인 롯데리아가 참전하면서 시장통을 지배하던 후라이드 치킨교에 도전장을 내밀면서 시작된 전쟁이었다. 이 전쟁 결과로 치킨교는 제법 상당한 피해를 감수할 수 밖에 없었으며, 이 피해로 인해 후라이드 교는 일종의 종교개혁이 불가피하게 되었다. 내부에서도 별도의 총대주교(소스) 세력에 불과하면 양념파가 따로 떨어져 나오는 결정적인 빌미가 된 것.
- 츠라츠라 와라지 . . . . 1회 일치
* 쿠라치 마사노스케 : 큐사쿠(쿠라치 큐타로)의 부친으로 '고큐소쿠오니와노모노시하이'(御休息御庭之者支配. 오니와반슈의 우두머리 직책으로 '고큐소쿠오니와노모노'는 오니와반의 정식 명칭). 큐사쿠를 하루타카의 다이묘 행렬을 염탐할 밀정으로 추천했다. 정치적인 판단을 일절 배제하고 오로지 밀정의 본연 임무를 중시하는 인물.
- 칼렉시트 . . . . 1회 일치
* 셜빈 피셔버(Shervin Pishevar) - 우버의 개발자이며, 하이퍼루프 원의 공동창업자. CNBC에서 "캘렉시트를 진지하게 고민하고 있다"고 발언하며, "이것은 내가 할 수 있는 가장 애국적인 일이고, 미국을 떠난 캘리포니아를 '뉴 캘리포니아'라고 부르겠다"고 주장했다.--[[뉴 캘리포니아 공화국]]?-- 셜빈 피셔버는 예스 캘리포니아 캠페인을 구상하고 있으며, 스페인 카탈루냐의 독립운동을 모델로 하여 2019년 국민투표를 제안하였다. 그는 캘리포니아가 국가가 된 뒤에 다시 연방에 들어와도 된다고 발언했다.
- 코난 월드 . . . . 1회 일치
[[하이퍼보리아]]를 참조. 현실과 비슷하지만 여러모로 다른 점이 많다.
- 토리스 위스키 . . . . 1회 일치
1946년에 "싸고 품질이 좋은 위스키"라는 모토로 발매되었다. 1950년에는 토리스 위스키를 취급하는 토리스 바(Tory's Bar)를 체인점으로 열게 되었다. 1956년에는 토리스 바를 위한 홍보용으로 약간 성인 대상 잡지 『양주천국』을 간행하기 시작했으며, 1958년에는 광고용 캐릭터 앙클 토리스가 선보였다. 2010년에는 토리스 하이홀이, 2015년에는 토리스 클래식이 발매되었다.
- 페어리 테일/486화 . . . . 1회 일치
* 한편 아이린은 줄리엣, 하이네에게 명해서 전선으로 향하게 한다.
- 페어리 테일/489화 . . . . 1회 일치
* 아크놀로기아는 아이린이 사물에 마법을 부가하는 하이 인첸터라고 판단한다.
- 페어리 테일/494화 . . . . 1회 일치
* 메이비스는 그런게 가능할리 없다고 생각하지만 제레프는 그녀가 하이 인첸트 마법의 천재라며 성공을 장담한다.
- 푸 파이터즈 . . . . 1회 일치
* 죠죠 베라(ジョジョベラー)에 따르면 미생물, 돌연변이, 외계인의 이미지로 디자인했으며, [[카멜레온]] 같은 파충류와 곤충적인 느낌을 넣었다고 한다. 디자인 면에서는 [[하이에로펀트 그린]]의 다른 버전이라고 한다.(말을 듣고 보면 약간 닮았다.)
- 핑커톤 . . . . 1회 일치
1890년대에는 2,000여명의 현직 직원과 30,000명의 예비 직원으로 구성된 거대한 규모를 뽐내게 되었다. 이 때문에 [[오하이오]] 주에서는 탐정사무소를 불법화했다.
- 하이모 . . . . 1회 일치
* 1999년 하이모로 상호 변경.
- 하이큐 . . . . 1회 일치
#redirect 하이큐!!
- 화표 . . . . 1회 일치
[[중국 공산당]]의 간부로서, 2012년 권력 투쟁에 패배하고 실각한 보시라이(薄熙來)가 [[다롄]] 시 시장으로 있을 때 세운 화표이다. 보시라이는 1993년 부터 2001년 까지 다롄에서 부시장, 시장을 지냈는데, 1997년 부터 4년에 걸쳐서 완성된 다롄의 싱하이광장은 베이징의 천안문광장보다도 넓은 면적으로 완성되었다. 그리고 이 광장의 중심에 화표가 건설되었는데, 높이가 19.97미터로 천안문 광장의 화표보다 2배 가량 높다. 또 베이징의 화표에는 용이 1마리만 새겨져 있으나, 다롄 화표는 9마리의 용을 새겨서 더욱 화려하였다.
11531의 페이지중에 185개가 발견되었습니다 (3060개의 페이지가 검색됨)
여기을 눌러 제목 찾기를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