팝업레이어 알림

팝업레이어 알림이 없습니다.
E D R , A S I H C RSS

남치근

r1.5과 현재 버전의 차이점

@@ -25,7 +25,7 @@

토포사가 된 남치근은 임꺽정의 책사로 활약하던 서림을 회유하여, 임꺽정의 본거지 등의 정보를 입수하고 황해도를 집중공격하러 나선다. 임꺽정 일당이 장악하고 있는 황해도에서 남치근은 잔혹한 명령을 내렸는데, 많은 아전과 양민이 임꺽정과 협력하고 있다는 정황을 파악하고, 도적을 숨기는 자, 도적에게 관군의 상황을 알리는 자, 도적에게 먹을 것을 주는 자, 심지어 '''도적을 보고도 관군에게 알리지 않은 자''' 까지 도적과 한패로 보고 처단하겠다는 엄명을 내린 것이다.

그리고 실제로 그 말을 실행하여, 임꺽정 일당에 협력하는 자는 가차없이 처단하면서 임꺽정을 포위한다. 임꺽정이 구월산으로 도주하자 포위망은 더욱 좁혀들어갔으며, [[서림]]을 이용하여 임꺽정 일당을 회유하고 참수하였다. 결국 임꺽정은 남치근에게 체포된다.[* 백과사전 등에서는 임꺽정이 체포되어 효수당했다고 소개되지만, 실록에는 임꺽정을 잡았다는 기사만 있을 뿐 그의 처리에 대해 논의한 기록이 없다. (명종실록 28권, 명종 17년 1월 8일 계사 1번째 기사) 야사인 <기재잡기>에서는 토벌대에게 쫓기다 화살을 맞고 사망했다고 하나, 기재잡기는 말 그대로 '야사'라서 기록의 신빙성에 문제가 있다.]
그리고 실제로 그 말을 실행하여, 임꺽정 일당에 협력하는 자는 가차없이 처단하면서 임꺽정을 포위한다. 임꺽정이 구월산으로 도주하자 포위망은 더욱 좁혀들어갔으며, [[서림]]을 이용하여 임꺽정 일당을 회유하고 참수하였다. 결국 임꺽정은 남치근에게 체포되어 처형된다.[* 백과사전 등에서는 임꺽정이 체포되어 효수당했다고 소개되지만, 실록에는 직접적인 기록이 없고, 다만 "도적의 괴수를 처단했다"는 짤막한 기사만 있다.]

## == 업적 ==
## 특기할 만한 활동



목차

1. 소개
2. 이력
3. 생애
4. 활동
4.1. 임꺽정 토벌
5. 가족사
6. 평가
7. 대중문화
8. 여담
9. 참조
10. 분류

1. 소개

南致勤

~1570(선조 3). 조선시대의 무신. 조선 명종 시기의 대표적인 장군. 시호는 무양(武襄).

을묘왜변에서 왜구를 물리쳤고, 황해도의 도적 수괴 임꺽정을 퇴치한 공적이 있다.

흔히 '포도대장 남치근'으로 유명하다.

2. 이력

  • 1528년(중종 23) 무과에 장원급제
  • 1552년(명종 7) 제주목사가 되어 제주도를 침공한 왜구를 격퇴.
  • 1555년 을묘왜변에서 왜구를 격퇴.
  • 1560년 한성부 판윤 재임, 경기,황해,평안 삼도토포사(三道討捕使)로 취임.
  • 1562년 임꺽정을 잡아서 효수.

3. 생애


4. 활동

4.1. 임꺽정 토벌

포도대장으로서 남치근은 한 차례 임꺽정에게 크게 얻어맞았는데, 명종 15년 좌포도대장으로 있던 남치근은, 서울에 기습공격해온 임꺽정 패거리의 공격을 미리 파악하지 못하고 서울 내에서 시가전을 벌였으며, 포도부장이 활을 맞고 사망하는 참패를 겪었다. 임꺽정은 유유히 달아났으며, 남치근은 임꺽정의 처 3명을 체포하였으며 임꺽정 일당을 계속 추적하려 했으나 사간원의 탄핵을 받는다. 이에 명종은 남치근을 파면하지는 않고 체직(벼슬을 깍는 것)하는 처분을 내렸다.(우포도대장 이몽린은 이 때 와병으로 움직이지 못하는 상태였다.)[1]

하지만 남치근은 좌절하지 않고, 임꺽정의 부하 서림이 한양 남대문 근처에 숨어사는 것을 적발하여 체포한다. 남치근은 서림을 심문하여 임꺽정의 부하들이 한양을 다시 기습하여 임꺽정의 처를 구하려 했다는 계획도 밝혀낸다. 이 공적으로 남치근은 임꺽정을 토벌하기 위한 삼도토포사에 임명되었다.

토포사가 된 남치근은 임꺽정의 책사로 활약하던 서림을 회유하여, 임꺽정의 본거지 등의 정보를 입수하고 황해도를 집중공격하러 나선다. 임꺽정 일당이 장악하고 있는 황해도에서 남치근은 잔혹한 명령을 내렸는데, 많은 아전과 양민이 임꺽정과 협력하고 있다는 정황을 파악하고, 도적을 숨기는 자, 도적에게 관군의 상황을 알리는 자, 도적에게 먹을 것을 주는 자, 심지어 도적을 보고도 관군에게 알리지 않은 자 까지 도적과 한패로 보고 처단하겠다는 엄명을 내린 것이다.

그리고 실제로 그 말을 실행하여, 임꺽정 일당에 협력하는 자는 가차없이 처단하면서 임꺽정을 포위한다. 임꺽정이 구월산으로 도주하자 포위망은 더욱 좁혀들어갔으며, 서림을 이용하여 임꺽정 일당을 회유하고 참수하였다. 결국 임꺽정은 남치근에게 체포되어 처형된다.[2]


5. 가족사

  • 그의 5대조 후예 남구만의 약천집에 남치근의 묘지명이 기록되어 있다.



6. 평가

을묘왜변, 임꺽정 토벌에서 대단한 공적을 세운 장군이다. 하지만 서민의 대변자로서 의적이라는 이미지가 강한 임꺽정을 토벌했다는 점, 그리고 황해도에서 상당히 잔혹한 토벌작전을 펼쳤다는 점 때문에 이미지가 그리 좋지는 않다. 사실 관서(황해도)에서의 토벌 당시 외에도 "제주 목사 시절에 왜선 5∼6척이 당물(唐物)을 가득 싣고 풍랑을 만나 표류해 와 정박해 있을 때, 왜인들을 전부 죽이고 금은 보화와 비단들을 공공연히 자신이 차지하고서 조금도 부끄러워함이 없었다"는 기록이 실록에 실려 있다.

7. 대중문화

  • 임꺽정 관련 작품에서 거의 언제나 최종보스로 등장. 잔인하게 토벌에 나서는 모습을 보여준다.

8. 여담


----
  • [1] 참조 : 조선의 포도대장
  • [2] 백과사전 등에서는 임꺽정이 체포되어 효수당했다고 소개되지만, 실록에는 직접적인 기록이 없고, 다만 "도적의 괴수를 처단했다"는 짤막한 기사만 있다.


10.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