팝업레이어 알림

팝업레이어 알림이 없습니다.
E D R , A S I H C RSS

"김천시"을(를) 전체 찾아보기

김천시


역링크만 찾기
검색 결과 문맥 보기
대소문자 구별
  • 박보생 . . . . 19회 일치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F15A38><-5><bgcolor=#FFFFFF><:>'''[[경상북도|{{{#005BAB 경상북도}}}]] [[김천시]]{{{#005BAB 김천시장}}}'''||
         ||<bgcolor=#808080> '''{{{#FFFFFF 출생지}}}''' ||<(> 경상북도 김천시 ||
         ||<bgcolor=#808080> '''{{{#FFFFFF 전직}}}''' ||<(> 제18~20대 김천시장(3선) ||
         ||<bgcolor=#808080> '''{{{#FFFFFF 경력}}}''' ||<(> 김천시청 기획실장[br]김천시청 행정지원국장[br]김천시청 사회사업국장[br]김천과학대학 책임연구위원[br]국제배드민턴연맹 한국대표단장[br]김천시체육회 회장[br]제18~20대 경상북도 김천시장[br]전국혁신도시지구 협의회 회장 ||
         [[대한민국]]의 [[공무원]] 출신 [[정치인]]이다. 전직 [[경상북도]] [[김천시]]장으로 당적은 [[자유한국당]]이다.
         1951년 경상북도 김천시에서 태어났다. 김천농공(농림/공업)고등학교(현 [[김천생명과학고등학교]]), [[한국방송통신대학교]] 행정학과, [[경북대학교]] 행정[[대학원]] 행정학 [[석사]] 및 [[박사]] 과정을 졸업하였다.
         김천농림고등학교 졸업 후 공무원으로 근무하였다. 김천시청에서 기획실장, 행정지원국장, 사회산업국장, [[경부고속철도]] 김천역 유치 행정지원단장, 예술단 부단장, 인사위원회 부위원장 등을 지냈다.
         2006년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한나라당]] 후보로 경상북도 김천시장 선거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2010년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한나라당 후보로 경상북도 김천시장 선거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2014년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새누리당]] 후보로 경상북도 김천시장 선거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 2006 || [[제4회 지방선거]] (경북 김천시장) || [[한나라당]] || '''36,031 (50.09%)''' || '''당선''' || ||
         || 2010 || [[제5회 지방선거]] (경북 김천시장) || [[한나라당]] || '''46,220 (69.78%)''' || '''당선''' || ||
         || 2014 || [[제6회 지방선거]] (경북 김천시장) || [[새누리당]] || '''46,598 (68.37%)''' || '''당선''' || ||
         [[분류:대한민국의 정치인]][[분류:김천시 출신 인물]]
  • 김충섭 . . . . 14회 일치
         ||<bgcolor=#808080> '''{{{#FFFFFF 출생지}}}''' ||<(> 경상북도 김천시 ||
         ||<bgcolor=#808080> '''{{{#FFFFFF 현직}}}''' ||<(> 제21대 김천시장(초선) ||
         ||<bgcolor=#808080> '''{{{#FFFFFF 약력}}}''' ||<(> 제21대 김천시장[br]경상북도 구미시 부시장[br]경상북도청소년수련원 원장[br]경상북도 김천시 부시장[br]경상북도청 문화관광체육국 국장[br]경상북도 청도군 부군수||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F15A38><-5><bgcolor=#FFFFFF><:>[[김천시|[[파일:김천시 심벌마크.jpg|width=50px]]]] '''[[경상북도|{{{#005BAB 경상북도}}}]] [[김천시|{{{#005BAB 김천시장}}}]]'''||
         1954년 [[경상북도]] [[김천시]]에서 태어났다. 김천봉곡초등학교, 김천중학교, [[김천고등학교]], [[영진전문대학]] 행정과를 졸업[* 여기에는 사연이 있는데 김 시장은 고등학교 재학시절 큰 병이 걸려 3번이나 큰 수술을 하였고 이로인해 1년 늦게 졸업하게 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김천고를 우수한 성적으로 졸업하였으나 집안이 가난하여 대학을 다닐 형편이 되지 않아 대학 진학을 포기하고 일찍이 공직에 진출하였다. 대학은 이후 공직에 있으며 [[영진전문대학]]을 졸업하였다.]하였으며. [[청도군]] 부군수, [[김천시]] 부시장, [[구미시]]의 부시장, 경북도청 문화관광체육국장과 경북청소년수련원 원장직을 역임했었다.
         공직을 퇴직한 이후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 무소속으로 김천시장에 출마하게된다. 김천시장직은 박보생 시장이 3선 연임제한에 걸려 출마할 수 없었기에 도전하는 사람이 많았는데 아무래도 TK지역 여당인 [[자유한국당]] 공천을 바라며 경선에 참여한 사람이 많았다. 하지만 공천을 정하는 과정에서 불투명한 여론조사와 당원투표 등 여러 문제로 공천 잡음 들이 생겨나게된다. 이러한 문제 들로 인해 이에 불복한 [[최대원|시장 후보 중 한명]]은 아예 탈당하고 체급을 올려 국회의원 재보궐 선거에 나가게 되었다. 공천 문제로 분열된 자유한국당은 원래 보수층의 지지를 받고 [[더불어 민주당|친여 세력]]의 지원사격까지 받으며 진보층 세력까지 흡수한 김충섭 후보에게 시장직을 내주고 [[이철우(1955)|전직 의원]]이 경북도지사 후보로 영전함에도 불구하고 후계자 격인 [[송언석]] 후보는 최대원 후보에게 1%정도 차이로 초박빙 승부를 벌이는 모습을 보이며 국회의원직도 겨우 당선되는 등 옆동네인 구미와 함께 자유한국당에게 엄청난 충격을 안겨주었다.
         || 2018 || [[제7회 지방선거]] (경북 김천시장) || [[무소속]] || '''40,775 (50.7%)''' || '''당선''' || '''초선''' ||
         [[분류:김천시 출신 인물]]
  • 송언석 . . . . 11회 일치
         [[분류:대한민국 국회의원]][[분류:김천시 출신 인물]][[분류:1963년 출생]][[분류:대한민국의 차관]]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70000B><-5><bgcolor=#FFFFFF><:>{{{#70000B 대한민국}}} {{{#70000B 국회의원}}}{{{#70000B 경북}}} {{{#70000B 김천시}}}||
         ||<bgcolor=#C9151E> '''{{{#FFFFFF 출생지}}}''' ||<(> 경상북도 김천시 ||
         ||<bgcolor=#C9151E> '''{{{#FFFFFF 지역구}}}''' ||<(> 경상북도 [[김천시(선거구)|김천시]] ||
         ||<bgcolor=#C9151E> '''{{{#FFFFFF 약력}}}''' ||<(> 제20대 국회의원[br]기획재정부 제2차관[br]기획재정부 예산실 실장[br]자유한국당 경상북도 김천시 당협위원장[br]국민대학교 특임교수[br]제29회 행정고시합격 ||
         [[대한민국]]의 [[공무원]] 출신 [[정치인]]이다. 현재 [[자유한국당]] [[제20대 국회의원]](경북 [[김천시(선거구)|김천시]]).
         1963년 [[경상북도]] [[김천시]]에서 태어났다. 대구[[경북고등학교]], [[서울대학교]] 법학과, [[서울대학교]] [[대학원]] 행정학 [[석사]], [[미국]] [[뉴욕 주립대학교 시스템|뉴욕 주립대학교]] [[대학원]] 경제학 [[석사]] 및 [[박사]] 과정을 졸업하였다.
         [[이철우(1955)|이철우]]가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 출마하기 위해 당협위원장직을 사퇴하자 2018년 2월 자유한국당에 입당하여 김천시 당협위원장으로 임명되었다.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와 동시에 치러질 [[2018년 재보궐선거]]에서 경상북도 김천시 [[선거구]]에 출마할 후보로 [[공천]]되었다.
  • 김천시 . . . . 9회 일치
         |이름 = 김천시
         남면 (김천시)''' || 南面 || 1,718 || 3,516 || 70.58
         봉산면 (김천시)''' || 鳳山面 || 1,603 || 3,500 || 56.45
         감천면 (김천시)''' || 甘川面 || 956 || 2,134 || 27.51
         대덕면 (김천시)''' || 大德面 || 1,192 || 2,371 || 98.38
         자산동 (김천시)''' || 紫山洞 || 3,870 || 7,949 || 1.34 ||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e/ee/Gimcheonsine-map1.png/401px-Gimcheonsine-map1.png
         대신동 (김천시)''' || 大新洞 || 9,814 || 24,964 || 23.45
         대곡동 (김천시)''' || 大谷洞 || 8,710 || 20,617 || 13.93
         [[분류:김천시 출신|김천 출신 인물]][[분류:경상북도의 도시]][[분류:1949년 설치]][[분류:1995년 폐지]][[분류:1995년 설치]]
  • 이철우(1955) . . . . 8회 일치
         [[분류:대한민국 국회의원]][[분류:김천시 출신 인물]][[분류:1955년 출생]][[분류:대한민국의 자치단체장]]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70000B><-5><bgcolor=#FFFFFF><:>[[대한민국 국회|[[파일:국회상징.png|width=30px]]]] {{{#70000B '''[[대한민국|{{{#70000B 대한민국}}}]] [[대한민국 국회의원|{{{#70000B 국회의원}}}]] ([[경상북도|{{{#70000B 경북}}}]] [[김천시(선거구)|{{{#70000B 김천시}}}]])'''}}}||
         ||<height=40><bgcolor=#C9151E> {{{#FFFFFF ''' 출생 ''' }}} ||<(><bgcolor=#FCFEFE> [[1955년]] [[8월 15일]] ([age(1955-08-15)]세)[br][[경상북도]] [[김천시]] ||
         [[자유한국당]] 소속이며 [[김천시(선거구)|김천시]] 지역구 국회의원을 지냈으며, 현재는 민선 7기 제32대 [[경상북도지사]]를 지내고 있다.
         1955년 [[경상북도]] [[김천시]]에서 태어났다. 김천 곡송국민학교, 대구 [[영남중학교(대구)|영남중학교]], [[김천고등학교]], [[경북대학교]] [[사범대학]] 수학교육과를 졸업했다. 이후 상주 화령중학교, 의성 신평중학교와 단밀중학교 수학 [[교사]]를 역임하였다가 1985년 [[국가안전기획부]] 공채에 합격하여 정보공무원으로 근무했다. 이후 2005년 말부터 2008년 초까지 [[이의근]] 도지사와 [[김관용]] 도지사 밑에서 경상북도 정무부지사를 역임했다.
         2008년 [[제18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경상북도 김천시 선거구에 [[한나라당]]의 공천을 받아 출마하여 당선됐다. [[친이]]와 [[친박]]계의 대립이 심했던 제18대 국회에서 계파모임에 가담하지 않아 중립 성향으로 분류되는 편이었다. 국가정보원 출신으로 초선에 정보위원회 간사를 맡았다. 국회 교육과학기술위원회와 문화체육관광방송통신위원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소속으로 활동했고 한나라당 재해대책위원장과 국민공감위원장을 역임했다.
  • 홍서범 . . . . 7회 일치
         |출생지 = [[대한민국]] [[경상북도]] [[김천시]] 대광동 (김천시) (환경로)
         |학력 = 김천시장애인종합복지관
         홍서범은 [[1958년]] [[12월 7일]]에 [[경상북도|경북]] [[김천시|김천]] 대광동 (김천시) (환경로) 에서 2남 4녀 중 차남으로 태어났다. 재학 중 대학 2학년때 팀 '옥슨79'를 창설하면서 멤버로 활동했다. [[1980년]]에는 대학 캠퍼스 밴드 '옥슨80'의 멤버로 같은 해 [[동양방송|TBC]] '젊은이의 가요제'에 출전하여 '''불놀이야'''로 금상을 수상하며 데뷔하였다. '옥슨80'의 멤버로 활동하다 [[1989년]] 32세에 《나는 당신께 사랑을 원하지 않았어요》라는 자작 록 발라드 곡으로 솔로 가수가 되었다. 솔로 가수로 데뷔한 뒤에는 '''구인광고''', '''김삿갓''' 등이 히트를 치기도 했다. 라디오 프로그램과 TV 방송에도 출연, [[1994년]]에는 [[한국방송공사|KBS 한국방송공사]] 라디오 프로그램 홍서범의 뮤직쇼 DJ를 진행하였으며 그 해 영화 《[[커피 카피 코피]]》의 주연(영화배우)으로 스크린에도 데뷔하였다. [[2003년]]에는 라디오 DJ를 복귀하면서 [[서울방송|SBS]] 라디오 프로그램 '홍방불패'의 DJ로 활동하였다.
         * 김천시장애인종합복지관
         [[분류:1958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김천시 출신]][[분류:1980년 데뷔]][[분류:대한민국의 남자 싱어송라이터]][[분류:대한민국의 록 가수]][[분류:대한민국의 기업인]][[분류:대한민국의 방송인]][[분류:대한민국의 라디오 진행자]][[분류:대한민국의 작사가]][[분류:대한민국의 작곡가]][[분류:대한민국의 남자 가수]][[분류:대한민국의 남자 영화 배우]][[분류:대한민국의 남자 뮤지컬 배우]][[분류:대한민국의 텔레비전 진행자]][[분류:비디오 자키]][[분류:미국에 거주한 대한민국인]][[분류:남양 홍씨 (당홍)]]
  • 박정수(정치인) . . . . 6회 일치
         1932년 2월 9일 [[경상북도]] [[김천시|김천군]]에서 태어났다. [[김천고등학교]]를 졸업하고 [[연세대학교]] 정치외교학과 3학년이던 1953년에 미국으로 유학을 가서 1958년 [[조지타운 대학교]]를 졸업하였다. 1965년에는 부인 [[이범준(동명이인)|이범준]]과 함께 미국 [[아메리칸 대학교]]에서 정치학박사 학위를 취득하고 귀국하였다. 이후 1968년 무임소장관 보좌관을, 1973년 [[국민대학교]] 교수를 지냈다.
         1978년 [[제10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김천시-금릉군-상주군 지역구에 [[무소속]]으로 출마해 [[민주공화당(1963년)|민주공화당]]의 [[백남억]] 후보를 누르는 한편 무소속 [[정휘동]] 후보와 동반 당선되어 정계에 입문하였다. 참고로 부인 [[이범준(동명이인)|이범준]]은 1973년 [[유신정우회]] [[국회의원]]이 되어 남편 박정수보다 일찍 정계에 입문하였다. 1979년 6월 [[이후락]], [[최치환]], [[김진만(정치인)|김진만]], [[변정일]], [[김수(정치인)|김수]], [[박용기]], [[함종빈]], [[윤재명]], [[정휘동]], [[임호(정치인)|임호]], [[임영득]], [[한갑수(정치인)|한갑수]], [[홍성우(1941)|홍성우]], [[권오태]] 등과 민주공화당에 입당하였다.
         [[전두환]]의 신군부가 집권하고 나서도 정치규제를 당하지 않아서 1981년 [[제11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김천시-금릉군-상주군 지역구에 무소속으로 출마하여 민주정의당 정휘동 후보와 동반 당선되었다. 그러나 1985년 [[제1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무소속으로 같은 지역구에 출마하였다가 민주정의당 [[김상구]] 후보와 [[신한민주당]] 이재옥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1988년 [[제1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민주정의당]]의 공천을 받아 김천시-금릉군 지역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1990년부터 1992년까지 [[대한민국 국회]] 외무위원장을 역임하였다. 1992년 [[제14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민주자유당]]의 공천을 받아 역시 김천시-금릉군 지역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분류:대한민국의 정치인]][[분류:김천시 출신 인물]]
  • 정봉수(역사) . . . . 5회 일치
         경상북도 김천시 출신의 체육인.
         정봉수(鄭奉守)는 1935년 김천시 증산면 유성리 옥동마을에서 부유한 농가의 삼형제 중 막내로 태어났다. 증산초등학교 3학년 때부터 육상을 시작해 경상북도 내 크고 작은 육상 대회에 출전해 입상하고 시온중학교에 진학한 후 16세에 경상북도 단거리 육상 대표로 선발되었다. 1950년 육군에 입대해 육군 육상 대표가 되었고 3군 대항 체육 대회에서 우승하고 육군 육상부 감독, 3군 대항 체육 대회 총감독, 88올림픽 꿈나무대표팀 감독을 지냈다.
         김천시 증산면민들은 우리나라 마라톤의 주역을 키워낸 정봉수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1999년 2월 기념비건립추진위원회를 구성하여, 700여 만 원의 성금을 모아 1999년 5월 6일 증산초등학교 운동장에 공적비를 세웠다. 높이 2m인 3단으로 된 오석에 정봉수의 업적이 새겨져 있다.
         정봉수는 2001년 7월 5일 말기 신부전으로 사망하여 7월 9일 김천시 봉산면 광천리 금릉공원묘원에 안장되었다.
         [[분류:김천시 출신 인물]]
  • 최대원(정치인,국회의원) . . . . 5회 일치
         [[분류:대한민국의 정치인]] [[분류:1956년 출생]] [[분류:김천시 출신 인물]]
         || '''출생지''' ||<(> [[경상북도]] [* 현 [[김천시]] ||
         1956년 3월 10일, [[경상북도]] [[김천시]] 에서 태어났다. 김천중학교를 졸업하고 [[검정고시]]를 거쳐 [[영남대학교]] 법정대학을 졸업했다. 고려장학회 이사장 등을 지낸 경력이 있다.
         [[자유한국당]] [[이철우(1955)|이철우]] 의원이 경북도지사 출마로 국회의원을 사퇴하게 되자, 해당 지역구인 [[경상북도]] [[김천시]] 선거구에 도전했다. 당초 자유한국당 소속으로 도전을 시도했으나 공천을 받지 못해 무소속으로 도전하게 되었다. [[더불어민주당]]이 후보를 내지 않은 관계로 자유한국당 [[송언석]] 후보와 맞붙게 되는데, 이로 인해 민주당 및 진보 지지자들의 기권 가능성이 높아졌으나, 민주당 도의원 후보의 암묵적인 지원사격을 받으면서 자유한국당 출신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사실상 친여무소속 취급을 받았다.
         || 2006 ||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경북 김천시장) || 무소속 || 33,496 (46.57%) || 낙선 (2위) || ||
  • 백남억 . . . . 4회 일치
         1914년 11월 11일 [[경상북도]] [[김천시|김천군]]에서 태어났다. 대구고등보통학교(현 [[경북고등학교]])를 졸업하고, [[보성전문학교]](현 [[고려대학교]]) [[고려대학교/학부/법과대학|법과]]를 1936년에 졸업하였다. 그리고 일본으로 유학을 가서 1939년 [[큐슈대학]] 법문학부를 졸업하였다.
         [[5.16 군사정변]] 이후 같은 민주당 소속이었던 박준규, [[김재순]], [[민관식]] 등과 함께 [[민주공화당(1963년)|민주공화당]]에 입당하였다. 이후 1963년 [[제6대 국회의원 선거]]부터 1971년 [[제8대 국회의원 선거]]까지 민주공화당 후보로 경상북도 김천시-금릉군 [[선거구]]에 출마하여 내리 당선되었다. 이때 민주공화당 정책위원회 의장과 당무의원을 지냈다.
         항명파동으로 박정희의 분노를 사면서 자연스레 4인체제는 무너졌고, 백남억은 권력의 중심에서 밀려났지만 쫓겨나지는 않았다. 1973년 [[제9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공화당 후보로 경상북도 김천시-금릉군-[[상주시|상주군]] 선거구에 출마하여 친여 [[무소속]] [[김윤하]] 후보와 동반 당선되었다. 1978년 [[제10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공화당 후보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친여 무소속 [[박정수(정치인)|박정수]] 후보와 정휘동 후보에 밀려 3위 이하 득표로 낙선하자 정계에서 은퇴하였다.
         [[분류:대한민국의 정치인]][[분류:법학자]][[분류:김천시 출신 인물]]
  • 소냐(가수) . . . . 4회 일치
         || '''출생지''' ||<(> [[경상북도]] [[김천시]] ||
         [[김천시|김천]]에서 태어났으나 태어난 지 일주일 만에 아버지가 [[미국]]으로 떠나고 어머니를 8세 때 잃는 아픔을 겪었다. 이후 [[김천시|김천]]에 있는 외할머니 슬하에서 성장했다. 고등학교 시절에는 공장에서 일하며 고학을 했고, 1998년 5월 <박상원의 아름다운 TV-얼굴>을 통해 사연이 소개된 뒤 1999년 5월에 가수로 데뷔했다.
         [[분류:미스터리 음악쇼 복면가왕 역대 출연자]][[분류:한국 여가수]][[분류:김천시 출신 인물]][[분류:1980년 출생]][[분류:1999년 데뷔]]
  • 정해창(정무직공무원) . . . . 4회 일치
         [[대한민국]]의 법조인, [[정치인]]이다. 여담으로 두 동생 정해왕, 정해방 등과 함께 김천시의 3수재로 유명하다.
         1937년 [[경상북도]] [[김천시|김천군]]에서 태어났다. [[경북고등학교]], [[서울대학교]] 법과대학 법학과, [[서던 메소디스트 대학교]] [[대학원]] 과정을 졸업하였다.
         1996년 [[제15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무소속]]으로 경상북도 김천시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신한국당]] [[임인배]]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분류:대한민국의 정치인]][[분류:대한민국의 법조인]][[분류:김천시 출신 인물]]
  • 정형돈 . . . . 4회 일치
         | 출생지 = [[대한민국]] [[경상북도]] [[김천시]]
         정형돈은 경북 김천에서 출생하였고 한때 [[경상북도]] [[김천시|김천]]에서 잠시 유아기를 보낸 적이 있는 그는 아직 초등학교 입학하기 이전에 [[경상북도]] [[김천시]]으로 옮겨 유년시절과 학창시절을 보냈다.<ref>{{뉴스 인용|제목='불안장애' 정형돈은 누구? '웃기지 않은 개그맨'에서 '예능계 4대천왕' 섭렵|url=http://entertain.naver.com/read?oid=082&aid=0000550194|출판사=부산일보|저자=김상혁 기자|날짜=2015-11-12}}</ref> 고교 시절 '금강 소리 하나'라는 교내 연극부에서 학년 대표를 맡아 활동했다. 그러던 중 1994년 [[한국예술문화단체총연합회|한예총]] 산하 6개 지부가 주관한 제8회 '부산 청소년 예술제'에 참가하여 '청소년 연극축전' 부문에서 '연기상'을 수상하였으며, 이를 계기로 부산시 고등학교 대표로 서울에서 개최된 '동랑 청소년 연극제'에 참가하기도 하였다.
         [[분류:개그콘서트]][[분류:1994년 데뷔]][[분류:MBC 방송연예대상 대상 수상자]][[분류:대한민국의 남자 희극인]][[분류:대한민국의 남자 가수]][[분류:대한민국의 작사가]][[분류:학력 위조 의혹 피해자]][[분류:대한민국의 기업인]][[분류:20세기 대한민국 사람]][[분류:21세기 대한민국 사람]][[분류:대한민국의 텔레비전 진행자]][[분류:김천시 출신]][[분류:1978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동래 정씨]][[분류:FNC 엔터테인먼트 소속]]
  • 홍아름 . . . . 4회 일치
         | 출생지 = [[대한민국]] [[경상북도]] [[김천시]] 교동 (김천시) (교동택지4길) 삼락동 (김천시) (삼락택지길)
         [[분류:대한민국의 여자 모델]][[분류:2006년 데뷔]][[분류:김천시 출신]][[분류:황금촬영상 수상자]]
  • 김현철(교수) . . . . 3회 일치
         || '''출생지''' ||<(> [[경상북도]] [[김천시]] ||
         1962년 [[경상북도]] [[김천시]]에서 태어났다. 대구 [[심인고등학교]]와 [[서울대학교]] 경영학과를 졸업하고 [[일본]] [[게이오기주쿠대학]]에서 경영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분류:대한민국의 정치인]] [[분류:교수]][[분류:문재인 정부/인사]][[분류:1962년 출생]][[분류:김천시 출신 인물]]
  • 노행하 . . . . 3회 일치
         |출생지 = [[대한민국]] [[경상북도]] [[김천시]] 교동 (김천시) (한일길)
         [[분류:1990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여자 영화 배우]][[분류:대한민국의 여자 텔레비전 배우]][[분류:대한민국의 여자 모델]][[분류:김천시 출신]]
  • 문호근 . . . . 3회 일치
         | 출생지 = {{국기|대한민국}} [[경상북도]] [[김천시|금릉군 김천읍]]
         [[경상북도]] [[김천시|김천]] 출생이며 본관은 [[남평 문씨|남평]](南平)이다. 재야운동가 [[문익환]] 목사의 장남이자 [[영화배우]] [[문성근]]의 형이다. 서울 [[경기고등학교]]를 거쳐 [[서울대학교]] 작곡과를 졸업한 뒤 [[독일]] [[뮌헨 대학교]] 대학원에서 [[음악학]] [[석사]] 학위를 받았다.
         [[분류:심장질환으로 죽은 사람]][[분류:김천시 출신 인물]][[분류:남평 문씨]][[분류:경기고등학교 동문]][[분류:서울대학교 음악대학 동문]][[분류:평화민주당 (1987년)]][[분류:20세기 대한민국 사람]][[분류:21세기 대한민국 사람]][[분류:독일에 거주한 대한민국인]][[분류:뮌헨 대학교 동문]][[분류:대한민국의 음악 평론가]][[분류:대한민국의 미술 평론가]][[분류:대한민국의 영화 평론가]][[분류:대한민국의 연극 평론가]][[분류:대한민국의 문학 평론가]][[분류:문익환]][[분류:대한민국의 개신교도]]
  • 배기철(정치인) . . . . 3회 일치
         ||<bgcolor=#C9151E> '''{{{#FFFFFF 출생지}}}''' ||<(> 경상북도 김천시 ||
         1957년 [[경상북도]] [[김천시]]에서 태어났다. [[김천고등학교]], [[한국방송통신대학교]], [[계명대학교]] 대학원을 졸업하였다.
         [[분류:대한민국의 정치인]][[분류:김천시 출신 인물]]
  • 우현(배우) . . . . 3회 일치
         || '''출생''' ||<(> [[1964년]] (만 53세) 용띠 [[경상북도]] [[김천시]] 봉산면 ||
          * 또한 현재 사는 아파트 말고도 [[경상북도]] [[김천시]] [[봉산면]] 에서도 주택이 있으며, 실제로 가족들과 3여 년간 살았었다. <유자식 상팔자>에서 김천에서 살게 된 이유가 밝혀졌는데, 주유소들이 학교 생활을 힘들어해서 장모님의 추천으로 아들의 정신 건강을 치료할 겸 진도에 내려와 집을 지었다고. 가족들은 김천에서 지냈고, 본인은 일 때문에 [[대구]]과 진도를 오가면서 살았었다.[* 때문에 몇 년간 주말부부로 지내야만 했고, 주변에서는 "이혼한 거 아니냐"고 종종 오해를 받기도 했다.] 참고로 그 진도 집은 [[동물농장]] 견스테이와 유자식 상팔자 특집 코너[* 대표적으로 아빠, 삼시세끼를 부탁해! 코너. [[홍서범]] 과 함께 코너를 진행했다]를 진행하기 위한 장소로 사용되었다.
         [[분류:김천시 출신 인물]][[분류:한국 남배우]][[분류:1964년 출생]][[분류:1998년 데뷔]][[분류:무한도전의 역대 게스트]][[분류:1대 100 역대 1인]]
  • 이장훈(배우) . . . . 3회 일치
         | 출생지 = [[대한민국]] [[경상북도]] [[김천시]] 교동 (부거리길)
         1972년 경상북도 김천시 교동 부거리길에서 태어난 이장훈은 연극, 뮤지컬, 영화 등 다양한 매체를 넘나들 뿐 아니라 다양한 장르를 아우르며 관객을 압도하는 카멜레온 같은 배우이다. 가족 뮤지컬《피노키오》부터 미스터리 영화《물고기》, 그리고 코믹적인 요소가 가득 담긴 드라마《푸른거탑》까지, 탁월한 집중력과 진짜인지 연기인지 모를만큼 훌륭한 연기력으로 어떤 배역이든 맛있게 소화해 낸다는 평을 받고 있다. 현재는 서울호서예술전문학교 연기예술학부의 교수직을 맡고 있으며, 기절 전문 대대장 이장훈 역할로 [[tvN]] 《[[푸른거탑]]》에서도 맹활약하였다.
         [[분류:1972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김천시 출신 인물]][[분류:대한민국의 배우]][[분류:대한민국의 방송인]][[분류:대한민국의 학원 강사]]
  • 임인배 . . . . 3회 일치
         [[분류:대한민국의 정치인]] [[분류:김천시 출신 인물]] [[분류:1954년 출생]]
         1954년 [[경상북도]] [[김천시]]에서 태어났다. [[김천고등학교]], [[영남대학교]] 법학과를 졸업하였다. 이후 [[대한민국 검찰청]] 수사관으로 근무하였다. 1995년 현직 검찰 수사관 신분으로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95012800329116014&editNo=20&printCount=1&publishDate=1995-01-28&officeId=00032&pageNo=16&printNo=15325&publishType=00010|"조국을 남기고 님은 가셨습니다"라는 소설을 발간하였다]]. 그리고 자신의 호를 따서 덕천장학회를 설립하여 운영하였다.
         1996년 [[제15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신한국당]] 후보로 경상북도 김천시 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같은 해 신한국당 원내부총무에 임명되었다. 1999년 한나라당 원내부총무에 임명되었다.
  • 허진(법조인) . . . . 3회 일치
         [[경상북도]] 금릉군(현 [[김천시]]) 출생이다. 김천시 개령면에 위치한 허진의 생가는 지역의 명물이었던 대저택으로 현재는 집터만 남아 있다.<ref>{{뉴스 인용
         [[분류:1894년 태어남]][[분류:김해 허씨]][[분류:1968년 죽음]][[분류:일제 강점기의 법조인]][[분류:대한민국의 판사]][[분류:대한민국의 대법관]][[분류:대한민국의 변호사]][[분류:대한민국의 교육인]][[분류:친일인명사전 수록자]][[분류:김천시 출신 인물]]
  • 황선필(1939년) . . . . 3회 일치
         | 출생지 = {{국기나라|대한민국}} [[경상북도]] [[김천시|김천]]
         '''황선필'''(黃善必,<ref>[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86021500329202015&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86-02-15&officeId=00032&pageNo=2&printNo=12427&publishType=00020 文化放送 사장에 黃善必씨를 선임] - 경향신문, 1986년 2월 15일</ref><ref>[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82060400209201008&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82-06-04&officeId=00020&pageNo=1&printNo=18666&publishType=00020 靑瓦臺 대변인에 黃善必씨를 任命] - 동아일보, 1982년 6월 4일</ref> [[1939년]] ~ , [[경상북도]] [[김천시|김천]])은 [[문화방송]] 사장을 역임한 [[대한민국]]의 [[언론인]]이자 공무원이다.
         [[분류:1939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기자]][[분류:대한민국의 대통령비서실 수석비서관]][[분류:경북고등학교 동문]][[분류: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문학부 동문]][[분류:김천시 출신 인물]][[분류:대한민국 제5공화국]]
  • 고원희 . . . . 2회 일치
         | 출생지 = [[대한민국]] [[경상북도]] [[김천시]] 모암동 (모암행복1길) (모암길)
         [[분류:1994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여자 텔레비전 배우]][[분류:대한민국의 여자 영화 배우]][[분류:대한민국의 여자 모델]][[분류:2011년 데뷔]][[분류:김천시 출신]][[분류:제주 고씨]]
  • 길은혜 . . . . 2회 일치
         | 출생지 = [[대한민국]] [[경상북도]] [[김천시]] 신음동
         [[분류:1988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2011년 데뷔]][[분류:대한민국의 여자 배우]][[분류:김천시 출신]][[분류:해평 길씨]][[분류:대한민국의 여자 텔레비전 배우]]
  • 김쌍수 . . . . 2회 일치
         [[대한민국]]의 [[기업인]]. [[LG그룹]] 부회장[* LG에 평사원으로 입사하여 부회장까지 올랐다. 이 때문에 윤종용, [[이학수]] 등과 더불어 대한민국의 공부잘하는 [[엄친아]], [[엄친딸]]들이 자신의 우상이자 롤모델로 삼는 인물들 중 하나이기도 하다. 대기업 부회장 자리는 게임으로 따지면 파이널 스테이지까지 클리어한 것이다.], 前 [[한국전력공사]] 사장, 現 [[수원 KEPCO45]] 프로배구단 구단주. 졸업 고교는 [[성의고등학교]]. [[경상북도]] [[김천시]] 출신이다.
         [[분류:김천시 출신 인물]]
  • 김연수(작가) . . . . 2회 일치
         [[대한민국]]의 [[작가]]. 1970년 [[경상북도]] [[김천시]]에서 태어났다. [[성균관대학교]] [[영어영문학과]] [[졸업]].
         [[분류:김천시 출신 인물]][[분류:소설가]]
  • 김중혁 . . . . 2회 일치
         [[대한민국]]의 [[작가]]. 1971년 [[경상북도]] [[김천시]]에서 태어났다. --슈퍼집 아들이었다고 한다.-- [[계명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졸업. [[소설가]] [[김연수]]--역전 앞 뉴욕제과 아들--, [[시인(문학)|시인]] [[문태준]]과는 고향 친구이자 중학교 동창이다.
         [[분류:김천시 출신 인물]]
  • 김지석(배우) . . . . 2회 일치
         ||<#595959><:> {{{#FFFFFF '''출생'''}}} ||<(> [[1981년]] [[4월 21일]] ([age(1981-04-21)]세), [[경상북도]] [[김천시]] 백옥동 (영남대로) ||
         [[분류:한국 남배우]][[분류:1981년 출생]][[분류:무한도전의 역대 게스트]][[분류:라디오 스타의 역대 게스트]][[분류:김천시 출신 인물]][[분류:2004년 데뷔]]
  • 김현정 (1979년) . . . . 2회 일치
         | 출생지 = [[대한민국]] [[경상북도]] [[김천시|김천]]
         [[분류:1979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1998년 데뷔]][[분류:대한민국의 여자 모델]][[분류:대한민국의 여자 연극 배우]][[분류:대한민국의 여자 뮤지컬 배우]][[분류:비디오 자키]][[분류:대한민국의 여자 영화 배우]][[분류:배화여자대학교 동문]][[분류:한국방송통신대학교 동문]][[분류:대한민국의 여자 텔레비전 배우]][[분류:대한민국의 화가]][[분류:대한민국의 로마 가톨릭교도]][[분류:김천시 출신]]
  • 문태준(시인, PD) . . . . 2회 일치
         1970년 [[경상북도]] [[김천시]]에서 태어났다. [[고려대학교]] 문과대학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였다.
         [[분류:김천시 출신 인물]] [[분류:시인(문학)|시인]] [[분류:PD(방송)|PD]]
  • 박영진(코미디언) . . . . 2회 일치
         || '''출생''' ||<(> [[1981년]] [[3월 27일]] ([age(1981-03-27)]세), [[경상북도]] [[김천시]] ||
         [[분류:1981년 출생]][[분류:2007년 데뷔]][[분류:김천시 출신 인물]][[분류:한국 남성 코미디언]][[분류:1대 100 역대 1인]]
  • 백진희 . . . . 2회 일치
         1990년 2월 8일 [[경상북도]] [[김천시]] 봉산면 (김천시) (봉산로) 에서 태어났다. 2008년 독립영화 《사람을 찾습니다》에 출연하며 본격적인 연기 활동을 시작했고, 《[[반두비]]》로 주목을 받았다.<ref>{{뉴스 인용|저자1=윤희성|제목=백진희│My name is…|url=http://tenasia.hankyung.com/archives/3538|날짜=2013-06-18|확인날짜=2016-01-27|뉴스=텐아시아}}</ref><ref>{{뉴스 인용|저자1=최은화|제목=[쿠키人터뷰]‘어쿠스틱’ 백진희, “한국판 아만다 사이프리드? 좋죠~”|url=http://news.kukinews.com/article/view.asp?page=1&gCode=ent&arcid=1288698003&cp=nv|날짜=2010-11-02|확인날짜=2016-01-27|뉴스=쿠키뉴스}}</ref>
  • 서상돈 . . . . 2회 일치
         1851년 [[경북]] [[김천시]]에서 출생한 그는 독실한 [[천주교]] 신자였는데, [[병인박해]]가 일어나면서 [[대구시]]로 몸을 피한 뒤 정착하였다. 대구에서 몇몇 천주교인의 도움으로 보부상을 시작한 그는 대구에서 손꼽히는 거상이 되었다.
         [[분류:김천시 출신 인물]]
  • 성현아 . . . . 2회 일치
         | 출생지 = [[경상북도]] [[김천시]] 신음동 (부거리4길)
         [[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여자 영화 배우]][[분류:1994년 데뷔]][[분류:대한민국의 여자 텔레비전 배우]][[분류:대한민국의 여자 뮤지컬 배우]][[분류:대한민국의 여자 가수]][[분류:대한민국의 마약범]][[분류:대한민국의 범죄인]][[분류:김천시 출신]]
  • 신은정 . . . . 2회 일치
         | 출생지 = {{KOR}} [[경상북도]] [[김천시]] 지례면 (도곡4길)
         [[분류:대한민국의 여자 연극 배우]][[분류:대한민국의 여자 텔레비전 배우]][[분류:대한민국의 여자 영화 배우]][[분류:대한민국의 여자 배우]][[분류:1974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김천시 출신]][[분류:1992년 데뷔]][[분류:대한민국의 개신교도]]
  • 신현준(군인) . . . . 2회 일치
         [[대한민국]]의 [[군인]], [[정치가]]로 [[경상북도]] [[김천시|김천]] 출신이며, 최종 계급은 [[해병]] [[중장]]이다. [[종교]]는 [[천주교]]이며, [[세례명]]은 요아킴이다.
         [[분류:일본군/조선인]][[분류:제2차 세계 대전/군인]][[분류:친일반민족행위자]][[분류:한국전쟁/군인]][[분류:대한민국의 군인]][[분류:김천시 출신 인물]][[분류:1915년 출생]][[분류:2007년 사망]]
  • 이근직 . . . . 2회 일치
         1903년 [[경상북도]] 김산군(현 [[김천시]])에서 태어났다. 이후 관상가의 조언으로 이근직으로 개명하였다. [[일본]]으로 [[유학]]가서 도쿄고료척식대학교 법학과를 졸업하였다.
         [[분류:대한민국의 정치인]][[분류:친일반민족행위자]][[분류:김천시 출신 인물]]
  • 이명규(국회의원) . . . . 2회 일치
         1956년 [[경상북도]] [[김천시]]에서 태어났다. 이후 어릴 때 경상북도 대구시(현 [[대구광역시]])로 이주하여 자랐다. 대구수창초등학교, 대구중학교, [[대구고등학교]], [[영남대학교]] 법학과, 동 대학교 [[대학원]] 법학 [[석사]] 및 [[박사]] 과정을 졸업하였다.
         [[분류:동명이인/ㅇ]][[분류:대한민국의 정치인]][[분류:대한민국의 법조인]][[분류:김천시 출신 인물]]
  • 이상무(만화가) . . . . 2회 일치
         한국의 만화가이다. 이상무는 필명으로, 본명은 박노철. 경북 [[김천시]] 출신이다.
         [[분류:김천시 출신 인물]]
  • 이영은(1982) . . . . 2회 일치
         ||<:> 출생 ||<(> 1982년 8월 9일 0시 20분 [[경상북도]] [[김천시]] 다수동 (새동네길) ||
         [[분류:한국 여배우]][[분류:김천시 출신 인물]]
  • 이유리(배우) . . . . 2회 일치
         ||<:><bgcolor=#353535>'''{{{#white 출생}}}'''||<(> [[1980년]] [[1월 28일]] ([age(1980-01-28)]세), [[경상북도]] [[김천시]] 율곡동 (혁신3로) ||
         [[분류:한국 여배우]][[분류:1980년 출생]][[분류:1999년 데뷔]][[분류:김천시 출신 인물]][[분류:라디오 스타의 역대 게스트]]
  • 이태현(씨름) . . . . 2회 일치
         ||<#FF8000> '''{{{#white 출생}}}''' || [[1976년]] [[1월 17일]],[[경상북도]] [[김천시]] ||
         [[분류:씨름 선수]][[분류:종합격투기 선수]][[분류:대한민국의 인물]][[분류:김천시 출신 인물]][[분류:1976년 출생]]
  • 이홍기(군인) . . . . 2회 일치
         [[1953년]] [[8월 25일]][* [[음력]]이다.], [[경상북도|경북]] [[김천시|김천]] 출신으로 [[김천고등학교]]를 졸업하고, 1973년 [[육군사관학교]] 33기로 입교해 1977년에 임관했다. 2012년 [[제3야전군사령관]] 이·취임식에서 이임과 동시에 36년간의 군 생활을 마치고 예편했다.
         [[분류:김천시 출신 인물]]
  • 전혜진(1970) . . . . 2회 일치
         ||<:> '''출생''' || [[1970년]] [[8월 9일]], [[경상북도]] [[김천시]] ||
         [[분류:한국 여배우]][[분류:미스코리아 출신 배우]][[분류:1970년 출생]][[분류:김천시 출신 인물]]
  • 정명환 . . . . 2회 일치
          | 출생지 = [[경상북도]] [[김천시]] 신음동 (시청6길)
         [[분류:대한민국의 남자 텔레비전 배우]][[분류:김천시 출신]][[분류:20세기 대한민국 사람]][[분류:21세기 대한민국 사람]][[분류:대한민국의 개신교도]]
  • 정승화(육군) . . . . 2회 일치
         [[분류:대한민국의 군인]][[분류:김천시 출신 인물]][[분류:1929년 출생]][[분류:2002년 사망]]
         [[경상북도]] 김천군(현 [[김천시]]) [[봉산면]] 출생이다. 상관을 잘못 만나서 고생을 많이 했었다. [[육군사관학교]] 5기 출신으로 [[임관]]한 뒤 자대배치를 받았는데 하필 강태무/표무원 [[소령]]이 [[월북]]해 버리는 사건이 터져 버렸다. 그리고 [[6.25 전쟁]] 당시 3사단 백골부대 예하 [[대대장]]으로 보임되어서 참전하였는데 [[군단장]]이 [[유재흥]] 장군이었고 그 전투는 [[현리 전투]]였다. 이 때 중공군에게 포로로 잡혔다가 탈출한 일도 있었다. 탈출할 때 한 화전민의 도움을 받았는데 이후 보답으로 여러 편의를 봐주었다고 한다.
  • 정혜선(배우) . . . . 2회 일치
         [[대한민국]]의 배우. [[본명]]은 정영자이며, [[1942년]] [[2월 21일]] [[경상북도]] [[김천시]] 다수동 출생([age(1942-02-21)]세)이다. [[종교]]는 [[천주교]]이며, [[세례명]]은 카타리나이다. [[1961년]]에 [[KBS]] 공채 1기 [[배우]]로 데뷔하였다. [[성우]] 출신이고, 공채 출신이라 초기에는 주로 KBS에서 활동하였으나 나중에는 타방송국에도 많이 김천서현교회 출연하였는데 대표작들은 주로 MBC쪽이 많다. 드라마 [[아들과 딸]]의 어머니가 대표적이다. [[최불암]], [[김수미]] 처럼 젊을 때부터 노역을 많이 맡은 편이다. 나이가 든 후에는 완고한 시어머니 역을 많이 맡는 편이다.
         [[분류:한국 여배우]][[분류:1942년 출생]][[분류:1961년 데뷔]][[분류:김천시 출신 인물]]
  • 주다영 . . . . 2회 일치
         | 출생지 = [[경상북도]] [[김천시]] 증산면 (평촌3길)
         [[분류:1995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여자 모델]][[분류:대한민국의 여자 영화 배우]][[분류:대한민국의 여자 텔레비전 배우]][[분류:대한민국의 여자 뮤지컬 배우]][[분류:비디오 자키]][[분류:대한민국의 여자 어린이 배우]][[분류:김천시 출신]][[분류:대한민국의 개신교도]]
  • 진창현(음악인) . . . . 2회 일치
         [[분류:1929년 출생]][[분류:2012년 사망]][[분류:김천시 출신 인물]]
         [[일제강점기]]에 [[경상북도]] [[김천시|김천]]에서 태어났다. 어릴 적부터 나무를 깎아 고무동력기를 만드는 등 손재주를 발휘했고, 이후 고향에서 약장수가 켜는 [[바이올린]] 소리를 들으면서 현악기의 매력에 심취하기 시작했다. [[초등학교|소학교]] 4학년 때 [[중일전쟁]]의 징병을 피하기 위해 조선으로 건너와 교사로 부임한 아이카와 키쿠에(相川喜久衛)가 집에서 하숙을 하면서 기초적인 바이올린 연주법을 가르쳐주기도 했다.
  • 최란(배우) . . . . 2회 일치
         ||<#878787> '''{{{#EEE156 출생}}}''' ||<(> [[1960년]] [[11월 30일]], [[경상북도]] [[김천시]] ||
         [[분류:한국 여배우]][[분류:김천시 출신 인물]][[분류:1960년 출생]]
  • 최민호(유도선수) . . . . 2회 일치
         ||<#131230> '''{{{#white 출생}}}''' ||<#ffffff> [[1980년]] [[8월 18일]], [[경상북도]] [[김천시]] ||
         [[분류:유도 선수]][[분류:대한민국의 인물]][[분류:김천시 출신 인물]][[분류:1980년 출생]][[분류:대한민국의 올림픽 메달리스트]]
  • 경상북도 . . . . 1회 일치
         [[김천시]]''' || 金泉市 || 1,009 || 137,052 || 55,964
  • 구미시 . . . . 1회 일치
         대동여지도의 선산부·인동현 지역. 서측(좌)으로 지금의 김천시의 일부인 개령현이 보이며, 남쪽으로 금오산성을 나타내는 금오(金烏)라는 글자가 보인다. 선산부 옆으로 노란 점이 바로 역참 구미(龜尾)를 말한다.
  • 김수학 (법조인) . . . . 1회 일치
         * [[대구지방법원]] 김천지원 합의부 재판장으로 재직하던 1995년 9월 18일에 [[대한민국 제1회 지방선거]]에서 [[민자당]] 후보를 "돈을 주고 공천을 받았다"는 등의 허위사실을 수 차례 유포한 김천시장 박팔용에 대해 "특별한 전과가 없어 벌금형을 선고한다"며 벌금 500만원을 선고했다. <ref>동아일보 1995년 9월 19일자</ref>
  • 김형준(배우,가수) . . . . 1회 일치
          * 2017년 6월 24일 경상북도 김천시 문화예술회관 열리는 교통 봉사자와 함께하는 음악회 홍보단 뮤지컬 갈라 2곡 인스타 라이브에 나왔다.
  • 남능미 . . . . 1회 일치
         거주지 경상북도 [[김천시]] 부곡동
  • 남지현 . . . . 1회 일치
         출생 1995년 9월 17일 경상북도 김천시
  • 문호월 . . . . 1회 일치
         [[분류:1905년 태어남]][[분류:1949년 죽음]][[분류:일제 강점기의 작곡가]][[분류:대한민국의 작곡가]][[분류:대한민국의 기타 연주자]][[분류:휘문중학교 동문]][[분류:휘문고등학교 동문]][[분류:1927년 데뷔]][[분류:대한민국의 바이올린 연주자]][[분류:대한민국의 개신교도]][[분류:일제 강점기의 바이올린 연주자]][[분류:병사한 사람]][[분류:의문사한 사람]][[분류:김천시 출신 인물]]
  • 박영진 . . . . 1회 일치
         출생 1981년 3월 27일, 경상북도 김천시
  • 분류:경상북도 출신 인물 . . . . 1회 일치
         [[분류:김천시 출신 인물]]
  • 영주시 . . . . 1회 일치
         19대 대선에서는 ~~당연히~~ 홍준표가 압도적으로 이겼으나, 영주시청과 [[영주역]]이 인근에 있고 한국폴리텍 영주캠이 있는 시내 지역인 가흥 1동에서는 문재인 후보가 26.77%를 기록했고, 시내 지역에서는 그리고, 재외투표에서는 문재인이 압도적으로 승리. 여기다가 이 지역은 택지지구 개발로 인해, 김천시처럼 도시-농촌 간 지지도 격차가 벌어질 가능성이 있다.
  • 영천시 . . . . 1회 일치
         노인 인구 비율이 높아 인구에 대비해서도 절대적인 규모로 봐서도 5일장이 굉장히 크며 아직도 명맥을 잘 유지하고 있다.[* 그덕에 시장으로의 출근길이나 시장을 통과하는 출근길이나, 성남여중•여고를 제외한 시내 주요 중•고등학교의 등교길은 평소보다 지각할 확률이 배로 늘어난다.][* 특히 [[영천IC]] 근처 가와인아파트쪽에서 오는 버스는 원래 등교길이나 출근길이 오래걸려 2,3분씩 늦기 마련인데, 장날은 지각하는날로 확정된다. 하지만 이런사정을 알고 학교선생님들이 넉넉히 10분내외로 봐주신다.] 편리한 교통을 바탕으로 타 지역에서 생산된 농산품의 도매 거래활발하며 이를 통한 한약유통이 옛날부터 유명해 매년 한약축제도 벌인다.[* 한약은 생산량도많지만, 유통량이 조금 더많은데 큰 한약시장이 있기때문이다. 대구약령시장보다 더크며, 전국 유통량의 30%한약재중에 3분에1이 영천 것이라고 보면된다.] 내륙임에도 상어고기인 [[돔배기]]의 전국 물량 중 50%가 영천에서 팔린다. [[대구광역시|대구]]보다 높은 기온과 적게 오는 비로 포도를 많이 키워 '''전국 포도 생산량과 재배량 모두 1위를 차지한다.'''[* 참고로 똑같이 포도가 유명한 [[김천시]]는 생산량과 재배량이 2위이다.][* [[금호읍]]에서 재배되는 포도는 '''미국으로 수출도 한다.'''] 이 때문인지 21세기 초부터 한약재 대신 포도를 시에서 밀어주며 보현산 천문대가 있다는 점을 이용하여 '별빛포도' 라는 자체 브랜드도 존재. [[지리적 표시제/대한민국]]에도 영천 포도는 53로 등록되어있다. 비는 적게 와도 수리시설이 발달한데다 전국최고 수준의 일조량을 활용한 농산물 생산지로서 유명하며, 우수 특산물에 '별빛촌'이라는 공동 브랜드를 붙여 홍보하고 있다.
  • 오석락 . . . . 1회 일치
         1934년 [[경상북도]] [[김천시]]에서 태어난 오석락은 [[김천고등학교]]와 [[고려대학교]] 법학과를 졸업하고 [[김덕주]] 전 대법원장, [[최재호 (법조인)|최재호]] 대법관, [[이재성 (법조인)|이재성]] 대법관, [[김진우 (법조인)|김진우]] 헌법재판관, [[김태경 (법조인)|김태경]] 경기도지사, 김동환 변호사 등과 함께 30명을 선발한 1956년 제7회 [[고등고시]] 사법과에 합격해 판사에 임용되었다.
  • 장세용 . . . . 1회 일치
         8월, 북삼역 신설은 장기적 과제라는 의견을 밝히면서, 구미역에 다시 KTX를 정차하는 것을 추진한다고 밝혔고, 당연히 김천혁신도시/김천상공회의소에서는 반대 의견을 밝혔다.[* 김천구미역을 이용하는 사람은 혁신도시 주민이 아무리 이용하더라도 구미의 인구가 김천의 3배정도 되기에 당연히 수요는 구미에서 더 많을 수 밖에 없다. 참고로 혁신도시 인구는 약 2만명이다.][* 그런데, 애초에 김천구미역이 위치가 그렇게 된 이유 생각해보면... 그리고 원래 지어질 위치는 김천 시내 서부였다, 거기에 지었으면 아마도 김천시민만 이용했을 것이다. 지금 위치도 구미역에서 꽤 가야하는데, 더 멀면 안 봐도 뻔하다.]
  • 최윤수(정무직공무원) . . . . 1회 일치
         [[분류:대한민국의 법조인]][[분류:김천시 출신 인물]][[분류:1967년 출생]]
11531의 페이지중에 66개가 발견되었습니다 (0개의 페이지가 검색됨)

여기을 눌러 제목 찾기를 할 수 있습니다.

Valid XHTML 1.0! Valid CSS! powered by MoniWiki
last modified 2019-08-04 16:53:24
Processing time 0.0231 se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