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1.2과 현재 버전의 차이점
@@ -1,8 +1,11 @@
{{음악가 정보
|이름 = 김교성
|출생 = [[1904년]] [[8월 5일]]
|사망지 =
|장르 = [[트로트]],신민요
|이름 = 김교성
|그림 =
|설명 =
|본명 =
|예명 = |출생 = [[1904년]] [[8월 5일]]
|출생지 = [[한성부]] [[서울특별시]]
|출생지 = [[한성부]]
|사망 = [[1961년]] [[2월 2일]]|사망지 =
|장르 = [[트로트]],신민요
@@ -64,4 +67,4 @@
== 각주 ==
<references/>
<references/>
[[분류:1904년 태어남]][[분류:1961년 죽음]][[분류:일제 강점기의 작곡가]][[분류:대한민국의 작곡가]][[분류:서울특별시 출신 인물]]
[[분류:1904년 태어남]][[분류:1961년 죽음]][[분류:일제 강점기의 작곡가]][[분류:대한민국의 작곡가]][[분류:서울특별시 출신]]
{{음악가 정보
|이름 = 김교성
|그림 =
|설명 =
|본명 =
|예명 =
|출생 = 1904년 8월 5일
|출생지 = 한성부
|사망 = 1961년 2월 2일
|사망지 =
|장르 = 트로트,신민요
|활동시기 = 1932년 ~ 1950년대
|관련활동 =
|웹사이트 =
|직업 =작곡가
}}
{| class="infobox bordered" style="width:21em; cellpadding=2; font-size:85%; text-align:center;"
! colspan="2" style="background:khaki" | 대표작
|-
| style="width:20%;" | 1936년
|-
| 〈사막의 애상곡〉
| 1939년
|-
| 〈마도로쓰 박〉
| 1941년
|-
| 〈찔레꽃〉
| 1942년
|-
| 〈울고 넘는 박달재〉
| 1948년
|}
김교성(金敎聲, 1904년 8월 5일 ~ 1961년 2월 2일)은 일제 강점기부터 활동한 대한민국의 대중음악 작곡가이다.
|이름 = 김교성
|그림 =
|설명 =
|본명 =
|예명 =
|출생 = 1904년 8월 5일
|출생지 = 한성부
|사망 = 1961년 2월 2일
|사망지 =
|장르 = 트로트,신민요
|활동시기 = 1932년 ~ 1950년대
|관련활동 =
|웹사이트 =
|직업 =작곡가
}}
{| class="infobox bordered" style="width:21em; cellpadding=2; font-size:85%; text-align:center;"
! colspan="2" style="background:khaki" | 대표작
|-
〈능수버들〉 |
|-
| 〈사막의 애상곡〉
| 1939년
|-
| 〈마도로쓰 박〉
| 1941년
|-
| 〈찔레꽃〉
| 1942년
|-
| 〈울고 넘는 박달재〉
| 1948년
|}
김교성(金敎聲, 1904년 8월 5일 ~ 1961년 2월 2일)은 일제 강점기부터 활동한 대한민국의 대중음악 작곡가이다.
생애 ¶
중동학교에 다니던 학창 시절에 독학으로 색소폰과 클라리넷을 연주하기 시작했으며 편곡에도 재능을 보인 것으로 알려졌으나, 초년기의 활동에 대해서는 잘 알려져 있지 않다. 1930년을 즈음하여 배우이자 가수인 나품심과 결혼했다가 이혼했다.
정식으로 작곡가로 데뷔한 것은 1932년에 빅타레코드에서 강석연이 부른 〈영객〉, 〈서울행진곡〉을 발표하면서부터이다. 이후 이애리수의 〈처녀 행진곡〉, 강홍식의 〈삼수갑산〉, 선우일선의 〈능수버들〉 등으로 이름을 얻었다.
최고의 히트작은 일제 강점기 말기에 백난아가 부른 〈찔레꽃〉이다. 고향을 그리는 가사 내용은 매우 애틋하지만 곡조와 창법이 포근하고 따뜻한 느낌을 주는 곡으로, "한국인이 언제 어디서나 가장 즐겨 부르는 민족의 노래"라는 평이 있을 만큼 오래 사랑받았다.<ref>{{뉴스 인용
|저자=이동순
|출판사=영남일보
|url=http://www.yeongnam.com/yeongnam/html/yeongnamdaily/culture/article.shtml?id=20071227.010190756390001
|제목=<nowiki>이동순의 가요이야기 .21 '찔레꽃'에 망향의 恨 담아낸 백난아</nowiki>
|날짜=2007-12-27
|확인날짜=2008-07-16
}}</ref>
|저자=이동순
|출판사=영남일보
|url=http://www.yeongnam.com/yeongnam/html/yeongnamdaily/culture/article.shtml?id=20071227.010190756390001
|제목=<nowiki>이동순의 가요이야기 .21 '찔레꽃'에 망향의 恨 담아낸 백난아</nowiki>
|날짜=2007-12-27
|확인날짜=2008-07-16
}}</ref>
태평양 전쟁 종전 후에도 〈울고 넘는 박달재〉와 〈자명고 사랑〉으로 1950년대까지 활발히 활동하면서 인기를 유지했다. 태평레코드 시절부터 콩쿠르의 심사위원을 맡으며 백난아와 태성호를 발굴했고, 박재홍과 박경원도 김교성에게 발탁되어 가수가 되었다.
참고자료 ¶
* {{서적 인용
|저자=강옥희,이영미,이순진,이승희
|제목=식민지시대 대중예술인 사전
|날짜=2006-12-15
|출판사=소도
|출판위치=서울
|페이지=26~27쪽
|저자=강옥희,이영미,이순진,이승희
|제목=식민지시대 대중예술인 사전
|날짜=2006-12-15
|출판사=소도
|출판위치=서울
9788990626264}} |
}}
각주 ¶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