팝업레이어 알림
팝업레이어 알림이 없습니다.
- 국가원수 . . . . 10회 일치
한 [[국가]]의 대표자. [[국제법]] 상에서 해당 국가의 대외적인 대표권을 가진 인물 혹은 직위. 각국의 [[헌법]]에 의하여 규정되지만, [[관습법]]으로 국가원수의 지위를 맡는 경우도 있다.
의원내각제 국가의 의례적인 국가원수는, 총리나 내각 각료에 대한 임명권[* 사실상 의회의 선출을 그대로 받아들이며 형식적.], 외국 사절에 대한 신임장 및 소환장을 발행, 접수 등의 의례를 실시한다.
[[황제]], 혹은 [[국왕]], 이슬람 계통 군주국에서는 [[술탄]]이나 [[에미르]]가 국가원수가 된다.
[[대통령]]이 국가원수가 된다. [[대만]]은 [[총통]]이라는 용어를 쓴다.
[[소련]]의 경우, '최고 소비에트 상임간부회 주석'이 국가원수로서 지위를 가졌다. 하지만 이는 의전상의 지위에 불과하며, 실권은 거의 없었다. 실권은 소련 공산당 서기장이 쥐고 있었으며, 1977 년, 레오니트 브레즈네프가 겸임하게 된 이후로는 서기장이 겸임하는 지위로 전락했다. 1990년에 고르바초프가 대통령 직위를 만들고 대통령제를 실시하게 되었는데, '''그리고 소련은 멸망했다.'''
북한의 경우는, 매우 복잡한데, [[김일성]]이 '영원한 주석'으로서 헌법상 영구 국가원수의 지위를 가지고 있다. 하지만 김일성은 죽었으므로, 일단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위원장이 대외적으로 국가원수의 지위를 가진다. 그러나 실제로는 국방위원장 지위의 김정일, 국무위원장 지위의 김정은이 최고 지도자의 지위를 차지하고 있다.
* 안도라 : 프랑스 대통령과 우르헬 주교가 공동으로 국가원수가 된다.
* 스위스 : 7인으로 구성된 스위스 연방평의회가 국가원수의 역할을 맡는다. 7명 가운데 1명이 매년 연방대통령으로 선출된다.
* 리비아 : 무하마르 알 카다피는 형식상 공직에서 물러났으나, '혁명지도자'라는 비공식적인 직함으로 사실상 국가원수로 활동했다.
- Darkest Hour: A Hearts of Iron Game/장관 . . . . 4회 일치
각 국가의 장관진을 차지하는 인물들은 각자 하나의 특성을 가지고 있다. 해당 특성은 여러가지 요소에 보너스를 주기도 하지만, 반대로 패널티를 주기도 한다. 플레이어는 내각진 중 국가원수와 정부수반을 제외한 8명을 자기 입맛대로 갈아치울 수 있지만, 민간 분야 장관은 불만도가 2%, 군사 분야 장관은 불만도가 1% 올라간다.
== Head of State(국가원수) ==
>정치적 후배는 국가원수의 정치적 단짝 친구이다. 그는 많은 지지를 받지도, 유능하지도 않았지만 충직하면서도 광범위한 인맥을 가졌기에 이 자리에 앉을 수 있었다.
>과묵한 일꾼은 부족한 매력을 노력과 능력으로 보완한다. 그는 자신의 임무를 수행하며 국가원수를 태양과 같이 돋보이게 만든다. 그가 눈에 띄는 일은 드물다.
- Darkest Hour: A Hearts of Iron Game/디시전 . . . . 3회 일치
* 발동 조건: 자금 100, 국가원수가 아돌프 히틀러, 평화
* 발동 조건: "국제연맹 탈퇴" 디시전 발동, 국가원수가 아돌프 히틀러, 평화
* 발동 조건: "자르 국민투표" 디시전 발동 후 최소 180일이 지남, 국가원수가 아돌프 히틀러, 평화
- 김재규 . . . . 1회 일치
국가원수 암살이라는 극단적인 방식을 통해서 급진적 권력 교체를 시도한다면, 이를 뒷받침할 만한 치밀한 계획이 반드시 전제되어야 한다. 10.26이 역사에 긍정적 영향을 주려고 한 계획이었다면, 단순히 [[박정희]]를 암살하는 것으로 끝낼 것이 아니라, 자신이 직접 박정희를 암살했다는 사실을 철저하게 은폐하고 이와 관계된 사람들과 철저하게 입을 맞추었어야 했다. 그리고 난 이후 정권교체 및 민주화까지 질서있고 안정적으로 진행될 수 있도록 만들어야 했다. 그래야 진정으로 쿠데타가 성공할 수 있는 것이었다. 이런 중대한 일을 저지르는 입장에서 그는 너무나도 무능력한 모습을 보였다.
- 박근혜 . . . . 1회 일치
[[분류:박근혜]][[분류:1952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구광역시 출신]][[분류:대한민국의 수감자]][[분류:대한민국의 대통령]][[분류:옛 새누리당의 정치인]][[분류:박근혜-최순실 게이트 관련자]][[분류:탄핵 절차가 진행된 공직자]][[분류:서강대학교 동문]][[분류:대한민국 제17대 대통령 후보]][[분류:대한민국 제18대 대통령 후보]][[분류:대한민국 제3공화국]][[분류:대한민국 제4공화국]][[분류:대한민국 제6공화국]][[분류:박근혜 정부]][[분류:박정희]][[분류:박성빈 가]][[분류:고령 박씨]][[분류:여자 대통령]][[분류:친박]][[분류:국가원수의 자녀]][[분류:보스정치인]][[분류:대한민국의 범죄인]][[분류:대한민국의 무신론자]]
- 창작:왕국 . . . . 1회 일치
|| 국가원수 || 오드리 톤턴 여왕(Audrey Olivia of Taunton) ||
- 호민관 . . . . 1회 일치
현대로 치면 호민관은 거의 [[대통령]]에 준하는 지위라고 볼 수 있다. 다만 국가원수로서의 지위나, 군사적 권한 등은 모두 집정관이나 법무관 등에 있기 때문에, [[대통령제]]의 강력한 권한을 지닌 대통령이라기보다는 [[의원내각제]] 하의 제한적인 권한을 지닌 대통령에 가깝다.
11531의 페이지중에 7개가 발견되었습니다 (0개의 페이지가 검색됨)
여기을 눌러 제목 찾기를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