팝업레이어 알림

팝업레이어 알림이 없습니다.
E D R , A S I H C RSS

"weider in"을(를) 전체 찾아보기

weider in


역링크만 찾기
검색 결과 문맥 보기
대소문자 구별
  • 박근혜 . . . . 136회 일치
         |죄값 = 2심 징역 25년·벌금 200억 원, 검찰 단독 항소·상고로 상고심 진행중(최순실 및 블랙리스트 관련)<br>----<br>1심 징역 6년, 검찰 단독 항소로 항소심 진행중. (국고손실 유죄. 뇌물수수 무죄.)<br>----<br>징역 2년 확정<ref>https://news.joins.com/article/23164465</ref>(공직선거법 위반,공천개입)
         2017년 3월 10일 [[대한민국 헌법재판소|헌법재판소]]에서 만장일치로 [[박근혜 대통령 탄핵|탄핵 소추안을 인용]]하면서 박근혜는 대통령직에서 파면, 헌정 사상 최초로 탄핵된 대통령이라는 불명예를 안았다.<ref>{{웹 인용|url=https://www.ccourt.go.kr/cckhome/kor/event/adjuList.do|제목=선고목록 및 결정문 - 헌법재판소|확인날짜=2018-12-13}}</ref><ref>{{뉴스 인용|url=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hm&sid1=100&oid=056&aid=0010429073|제목=[영상] “대통령 박근혜를 파면한다”|언어=한국어|확인날짜=2017-03-10}}</ref> 탄핵 후에는 곧바로 3월 21일 검찰에 소환되어 대한민국의 전직 대통령 중 [[전두환]], [[노태우]], [[노무현]]에 이어 네 번째로 검찰 수사를 받았고,<ref>{{뉴스 인용 |title=[박근혜 검찰 출석] 최순실 ‘곰탕’·이재용 ‘자장면’…박근혜는? 미리 준비한 ‘도시락’ |url=http://news.donga.com/3/all/20170321/83428508/2 |work=동아일보 |date=2017-03-21 |accessdate=2017-05-18}}</ref> 3월 31일에는 [[구속영장]]이 발부되어 [[서울구치소]]에 수감되면서 전두환, 노태우에 이어 세 번째로 구속된 전직 대통령이 되었다.<ref>{{뉴스 인용 |title='최순실 국정농단 공범' 박근혜 구속…"혐의소명·증거인멸"(종합) |url=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7/03/30/0200000000AKR20170330171251004.HTML |work=연합뉴스 |date=2017-03-31}}</ref> 구속된 상태에서 수사와 재판을 진행하던 중에 2017년 10월 16일 6개월인 1심 구속기간이 만료되었으나 검사가 앞선 구속영장에 적시하지 않은 뇌물 공소사실에 대하여 다시 구속영장이 발부되어 구속기간이 최대 6개월 연장되었다. 이에 대하여 박 전 대통령 측은 반발하였고 모든 변호인단이 사임하였다.<ref>[http://biz.heraldcorp.com/culture/view.php?ud=201710171022138598395_1
         재판 보이콧’ 박근혜 “나라 바로 세우는 게 중요” 판흔들기?]</ref> 한편 2017년 11월 3일 [[자유한국당]]은 박근혜 전 대통령을 제명했으며 역대 대통령 중 최초로 강제출당된 대통령이 되었다.<ref>{{뉴스 인용|저자1=안정원|제목=한국당, '1호 당원' 박근혜 출당조치…'20년 관계' 청산|url=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ec&sid1=100&sid2=269&oid=001&aid=0009659037|날짜=2017-11-03|확인날짜=2017-11-03|뉴스=[[연합뉴스]]}}</ref>
         박근혜는 대기업 관련 범죄·[[박근혜 정부의 문화예술계 블랙리스트|문화예술계 블랙리스트]] 등 혐의 18개 와 [[대한민국 국가정보원|국정원]] 특활비 · 공천개입 등 혐의 3개에 대해 각각 재판을 받고 있다. 전자는 2심, 후자는 1심 판결이 나온 상태이다. 2018년 4월 6일 18개 혐의에 대한 1심에서는 혐의 16개에서 일부유죄 및 유죄가 인정되어 징역 24년 및 벌금 180억 원을 선고받았으며,<ref name=":0" /> 2018년 8월 24일 2심에서 징역 25년 및 벌금 200억 원으로 형량이 늘어났다.<ref name=":2" /> 2018년 7월 20일 혐의 3개에 대한 1심에서는 2개가 인정되어 징역 8년 및 추징금 33억 원을 선고받은 상태이다.<ref name=":1">{{뉴스 인용|url=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8/07/20/0200000000AKR20180720096900004.HTML|제목=박근혜 '국정원 특활비·공천개입' 1심 징역 8년…33억 추징(2보)|성=송진원|이름=|날짜=2018-07-20|뉴스=연합뉴스|출판사=|언어=ko-KR}}</ref> 2개 재판을 합치면 혐의가 총 21개, 형벌은 총 33년형과 벌금 200억 원과 추징금 33억 원이다.
         [[서울장충초등학교]]에 입학하여 [[1964년]] 2월 졸업하였으며, [[정몽준]] 전 국회의원과 [[김승연]] [[한화그룹]] 회장이 그의 초등학교 동창이다.<ref>[http://news.mt.co.kr/view/mtview.php?no=2011091114473659729&type=1&outlink=2&EVEC 초등 동창 박근혜-정몽준, 대선 앞둔 지금은?]</ref><ref>[http://weekly.khan.co.kr/khnm.html?mode=view&artid=19416&code=113 정몽준-박근혜 ‘외나무다리’ 만날까 - 위클리경향 814호]</ref> 그 뒤, 카톨릭계 미션스쿨인를 거쳐로 진학하였으며, [[1970년]] [[서강대학교]] [[공과대학]] [[전자공학]]과에 진학하여 [[1974년]]에 졸업하였다. 같은 해 프랑스 [[그르노블대학교]]에 입학하였다.
         이후 [[2000년]] 한나라당의 부총재로 선출되었지만 [[2002년]] 2월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이회창]]을 비판하며 한나라당에서 탈당하였다. 이후 [[한국미래연합]]을 창당<ref>[http://article.joinsmsn.com/news/article/article.asp?total_id=1158351&ctg=10 한국미래연합 창당…대표 박근혜의원 - 2002-05-17 중앙일보]</ref> 하였으나 대선 전에 복귀하였다. [[2002년]] [[5월 12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을 방문, [[5월 13일]] [[김정일]] 국방위원장과 만나 회담을 하고<ref name="visit_NK">{{웹 인용 |url=http://www.voanews.com/Korean/archive/2002-05/a-2002-05-14-12-1.cfm |제목=박근혜 의원, 북한방문 마치고 서울로 귀환 - 2002-05-14<!-- 봇이 붙인 제목 --> |확인날짜=2009-02-10 |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060722010557/http://www.voanews.com/Korean/archive/2002-05/a-2002-05-14-12-1.cfm |보존날짜=2006-07-22 |깨진링크=예 }}</ref> [[5월 14일]] 서울특별시로 돌아왔다.<ref name="visit_NK"/>
         한나라당이 '역풍 위기'에 처했을때, 착실하게 당 내에서 입지를 쌓고 있던 박근혜가 그의 뒤를 이어 [[3월 23일]] 당 대표가 되었다.<ref>대한민국에서 여성 정당 대표 중 [[박순천]]에 이어 두 번째다.</ref> 기존의 다선 의원, 중진 의원, [[운동권]]에서 포섭해 온 세력 등과 다르게 박근혜는 여러 차례 기자 회견을 통해 국민에게 사죄를 표명했다. 이후 [[대한민국 제17대 총선|제17대 총선]]에서 한나라당은 원내 1당의 자리는 내주었지만 121석을 차지하여 예상 외의 선전을 하였다. '탄핵 역풍 위기'에서 박근혜가 한나라당을 구해낸 것이다. 이때부터 박근혜의 영향력이 커지기 시작하면서, 잠재적 차기 대권 주자로 부상했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001&oid=022&aid=0000071934& 2004 정치권 뜬별진별]</ref>
         박근혜는 2007년 한나라당 대선 경선에 나와 '줄푸세'라는 정책을 내세웠다. '세금은 '''줄'''이고, 각종 규제는 '''풀'''고, 법기강은 '''세'''운다'는 뜻으로 그의 대통령후보 경선시 주요 정책구호였다. 이 정책은 그녀의 보수적인 성향을 보여주는 대표적 정책이라는 평가가 있다. 자유주의(liberalism)적이라고도 할 수 있지만, 정확히는 신분제 등으로부터 억압받는 개인의 자유를 옹호하던 '고전적 자유주의자(liberalist)'라기보다는, 분배보다 성장을 중시하고 각종 규제로부터 억압받는 자본의 자유로운 이동을 옹호한다는 점에서 '신자유주의자(neo-liberalist)'에 더 가깝다는 평가가 있다.<ref>[http://news.mt.co.kr/view/mtview.php?no=2007052913423936363&type=2 박근혜 바꿔야 산다.]<<[[머니투데이]]>> 2007-05-29 작성</ref> 이는 이후 제17대 이명박정부의 정책에도 많이 반영되었다.<ref>[http://www.donga.com/fbin/output?n=200703280135 李 “김정일은 만만치않은 터프가이” 朴 “줄푸세 운동해야”] <<[[동아일보]]>> 2007-03-28 작성</ref>
         폭로전은 경선 때부터 시작되었다. 전당 대회를 3일 앞둔 2007년 8월 17일, 박근혜 경선후보는 "거짓으로 한나라당이 과연 집권할 수 있습니까?"라고 발언하기도 했다.<ref>{{웹 인용 |url =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214&aid=0000056525|제목 = 되돌아 본 대선|저자 = MBC뉴스데스크|날짜 = 2007-12-20|확인날짜 = 2013-03-23}}</ref> 이명박 후보측은 도곡동 땅에 대한 검찰 발표가 판세에 별다른 영향을 주지 않았다고 주장하며, 자체 조사와 각 언론사 조사를 종합할 때 10% 이상 차이로 낙승할 거라고 주장했다.<ref name="imnews.imbc.com">{{웹 인용|url = http://imnews.imbc.com/replay/nwdesk/article/2058737_5780.html|제목 =  |저자 = MBC뉴스데스크|날짜 = 2007-08-17|확인날짜 = 2013-03-23|보존url = https://web.archive.org/web/20130927121334/http://imnews.imbc.com/replay/nwdesk/article/2058737_5780.html|보존날짜 = 2013-09-27|깨진링크 = 예}}</ref> 이와 관련해 진수희 대변인은 "1위 후보가 압승을 해야 경선 후유증이 최소화 된다라는 생각이 확산되어 있기 때문에 최종적으로 우리가 15% 격차로 압승할 것으로 예상을 하고 있습니다."라고 주장했다.<ref name="imnews.imbc.com"/> 그러나 박근혜 후보측은 자체 전수 조사 결과 근소하게나마 앞서기 시작했다면서 각종 의혹으로 이 후보에 불안감을 느낀 당심이 옮겨온다고 주장했다.<ref name="imnews.imbc.com"/> 당시 세대별 지지율을 보자면, 이명박 후보는 3,40대로부터 상대적으로 높은 지지를 얻은 반면, 박근혜 후보는 50대 이상으로부터 상대적으로 높은 지지를 얻었다.<ref name="imnews.imbc.com"/>
         [[2008년]] [[3월 12일]] 박근혜는 이명박 대통령과 현역 의원 50% 물갈이에 합의했다는 설에 대하여 "어마어마한 음모"라며 "나는 전혀 모르는 일"이라고 하였다. 박근혜는 "오늘 아침 기사를 보고 기가 막히기도 하면서 하다하다 이런 술수까지 난무하는구나라는 분노를 참을 수가 없었다"며 "이 쪽(친박계)에 다 뒤집어 씌우는 것이다."라고 흥분하였다. 그러면서 그는 "한나라당 [[이방호]] 사무총장이 우리 핵심 누구와 이야기를 했는지 분명하게 밝혀야 한다. 끝까지 밝혀 내겠다"며 "이방호 사무총장이 친박계 핵심 인사가 누군지 못밝힌다면 영남권 물갈이를 50% 한다고 해 놓고 우리한테 다 뒤집어 씌우려는 것이라고 볼 수밖에 없다"고 말하였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001&oid=003&aid=0001999130& 박근혜 "이방호 50% 물갈이 합의설 밝혀야"]</ref>
         박근혜는 [[정운찬]] 총리가 "자족기능 강화를 위해 세종시 계획을 수정해야 한다"고 하자 조목조목 반박하였다. 이 같은 비판은 10·28 재보선이 끝나자마자 정 총리가 세종시 수정 추진 행보에 속도를 붙이자 제동을 건 것으로 보였다.<ref>(http://www.mt.co.kr/view/mtview.php?type=1&no=2009103120144229109&outlink=1 박근혜 "세종시 국민과의 약속" 정운찬 비판)</ref>
         대한민국 제18대 국회에서 2009년 2월 5일에 대한민국 헌법 제24조에도 불구하고 해외에 거주하는 약 240만명 대한민국 국민의 금지되었던 [[재외국민]] 참정권을 회복하기 위하여 발의된 공직선거법 일부개정법률안(대안) (의안번호 1803725), 주민투표법 일부개정법률안 (의안번호1803724), 그리고 국민투표법 일부개정법률안(의안번호 1800737)에 모두 찬성하였다.<ref>[http://www.donga.com/fbin/output?n=200902050342 재외국민 투표 허용 법안 국회 통과 ] <<[[동아일보]]>> 2009-05-25 작성</ref><ref>[http://likms.assembly.go.kr/kms_data/record/data2/281/pdf/281za0004b.PDF "제 281회국회-제4차 (임시회) 국회본회의회의록"]</ref>
         박근혜는 [[2010년]]에 있었던 [[대한민국 제5회 지방 선거|지방 선거]]에서 [[대구광역시]] [[달성군|달성군수]]로 출마했던 한나라당의 이석원 후보를 적극적으로 지원하였지만 이석원 후보는 무소속의 김문호 후보에게 패배하였다. 박근혜는 "달성군민이 판단한 것도 존중한다"고만 입장을 밝혔다.<ref>[http://news.mk.co.kr/outside/view.php?year=2010&no=286840 상처입은`선거의 여왕 박근혜, 침묵 끝 한마디] {{웨이백|url=http://news.mk.co.kr/outside/view.php?year=2010&no=286840 |date=20100607172404 }} 매일경제 2010년 6월 3일</ref> 차기 대선 후보로써의 지지율은 사상 최저치로 떨어져 25.1%를 기록하는 등 박근혜의 정치적 입지가 점점 좁아지자<ref>(http://www.ccdailynews.com/section/?knum=152755 박근혜 지지율 2.3% 하락) 충청일보 2010년 6월 3일</ref> 박근혜는 2010년 하반기부터 차기 대선 행보에 초점을 두고 움직이기 시작했다. 12월 20일 열린 공청회에서 복지를 화두로 토론을 진행하였다. 박근혜는 인사말을 통해 "서구 선진국들의 전통적 복지제도가 한계에 이르렀다"며 맞춤식 생활 보장형 복지 국가를 제안하였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214&aid=0000163860 박근혜 대권 행보 시작‥공청회 '대선출정식' 방불] mbc 2010년 12월 20일</ref> 이후 12월 27일 박근혜의 대선 구상을 내놓을 '국가미래연구원'이 출범했다. 출범식에는 대한민국 내 학자들과 [[이한구 (정치인)|이한구]] 한나라당 의원 등이 참석했다.<ref>[http://imnews.imbc.com/replay/nwdesk/article/2767079_5780.html 박근혜, 빨라진 대권 행보‥'싱크탱크' 출범] {{웨이백|url=http://imnews.imbc.com/replay/nwdesk/article/2767079_5780.html |date=20130927121326 }} mbc 2010년 12월 27일</ref> 그러나 [[심재철 (1958년)|심재철]] 한나라당 의원은 "복지를 늘리려면 세금을 더 거둬야 하는데 그 얘기는 감추고 무조건 복지만 잘해주겠다고 하는 것은 솔직하지 못한 태도"라고 비판했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214&aid=0000164333 한나라당 심재철 "박근혜 복지, 솔직하지 못해"] mbc 2010년 12월 25일</ref>
         2010년 7월 10일 [[대한민국 제18대 대통령 선거]] 출마를 공식 선언하였다. 2012년 7월 5일 [[이상일]] 캠프 대변인은 오전 10시에 영등포 타임스퀘어 광장에서 대통령 선거 출마를 선언하기로 정하였다고 브리핑을 통하여 밝혔다. 이 대변인은 "각계각층 국민들이 다니는 열린 공간이라는 점이 고려되었다"고 설명하였다. 캠프명은 '국민행복캠프'로 정하였다고 이 대변인은 덧붙였다.<ref>[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2/07/05/0200000000AKR20120705160300001.HTML?sns 박근혜 10일 영등포 타임스퀘어서 대선출마 선언] 연합뉴스 2012년 7월 5일</ref>
         한편 경선 8일 뒤인 [[2012년]] [[8월 28일]] 박근혜는 [[전태일]]재단을 방문하려고 했으나, 유족과 노동자들의 거부와 반대로 무산되었다. [[전태일]]의 여동생이자 구 [[민주통합당]] [[대한민국의 국회의원|국회의원]]인 [[전순옥]]은 진정으로 [[전태일]] 정신을 생각한다면 쌍용차나 용산참사 희생자 등 고통 당하는 사람들을 먼저 찾았어야 한다고 말하고, 이른바 국민대통합에 대해서도, 정책적으로 접근을 하거나 현안이 일어나는 현장을 먼저 찾아가 문제를 어떻게 해결할 것인가를 이야기하며 희망을 줘야 한다고 말했다. 전 의원은 현재의 진실은 미래에 대한 지향과 과거의 삶이 일치할 때 빛을 발하는 것이라며 5·16 쿠데타와 유신, 군사 독재에서 지금의 정수장학회까지 과거에 대한 철저한 반성이 없다면 지금의 말과 행동은 그 진실을 의심받을 수 밖에 없다고 지적하였다.<ref name="전순옥 朴 고통당하는 사람 먼저 찾아야종합">[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2/08/28/0200000000AKR20120828048951001.HTML?did=1179m 전순옥 "朴 고통당하는 사람 먼저 찾아야"(종합)] 연합뉴스, 2012년 8월 28일</ref> 그러나 [[이상일]] 대변인은 "박 후보를 잘 이해하지 못하는 이들이 아무리 방해를 하고 장막을 친다 해도 국민을 통합하겠다는 박 후보의 행보를 막지 못할 것"이라며 "국민을 분열시켜 계층간, 세대간, 지역간 갈등을 조장하는 세력을 반드시 물리치고 국민대통합의 '100% 대한민국'을 건설할 것"이라고 말했다.
         박근혜 후보는 안철수 전 후보가 [[문재인]] [[민주통합당]] 후보의 지지 유세를 함으로써 고비를 맞았지만, 지지층 및 여론의 굳건한 지지를 받으며 대선 기간 중 시행된 거의 모든 여론조사에서 지속적으로 1위를 기록하였다. 한편 대통령 선거 후반에 국정원 여직원 사건이 발생했다. 당시 [[민주통합당]]은 2012년 12월 11일 [[국가정보원]] 소속 심리정보국 공무원들이 국가정보원의 지시에 따라 인터넷에 게시글을 남겨서 선거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공개했다. 이어서 해당 활동에 참여한 국가정보원 직원중 1명을 지목했다. 그러나 해당 직원은 오피스텔에서 경찰과의 대치 과정에서 나오지 않았고 그런 일을 한 적이 없다고 주장하였다. 결국 경찰은 수사에 들어갔으나, 국가정보원 요원은 전화를 통해 자신이 항상 정치적 중립을 지키고 있으며 대선과 관련한 어떤 글도 인터넷에 올린 적이 없다고 주장했다.<ref>조혜령,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79&aid=0002422919 국정원 직원 "문재인 후보 비방 댓글 단 적 없다"], 노컷뉴스, 2012년 12월 12일</ref>
         2012년 [[12월 13일]], 해당 요원은 경찰청에 임의 제출 형식으로 자료를 제출하였지만<ref>노현승,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421&aid=0000092711 '비방 댓글' 의혹 국정원 여직원, 경찰에 자료 임의제출], 뉴스원, 2012년 12월 13일</ref> 경찰과 선거관리위원회의 휴대전화와 이동식 저장장치 제출요청은 거부하였다.<ref>김동현, [http://www.yonhapnews.co.kr/vote2012/2012/12/13/2901010000AKR20121213161051004.HTML '국정원 女직원, 컴퓨터 등 증거자료 경찰에 제출(종합)], 연합뉴스 2012년 12월 13일</ref> 한편 민주통합당은 해당 조직의 실체와 업무 내용을 밝힐 것을 요구했다.<ref>정찬, [http://www.poli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64054 민주 "국정원 심리정보국 70여명 조직적으로 여론조작"], 폴리뉴스, 2012년 12월 12일</ref>
         한편 이른바 '국정원 직원 사건'에 대하여 새누리당 측은 반발하였고, [[윤정훈]] 목사가 운영하였다고 하는 새누리당측의 SNS 여론 조작 그룹인 [[십알단]] 연루 의혹이 제기되기도 했다. 12월 13일 영등포구 여의도동의 한 오피스텔에서 새누리당 관계자로 추정되는 인물들이 PC여러대로 작업하는 장면이 선관위에 의해 포착했다. 이곳에서는 박근혜 명의의 임명장과 새누리당 SNS 미디어본부장 명함이 발견됐다.<ref>이혜미,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112&aid=0002373449 朴 여론조작 불법사무소 '덜미', 현장 보니…], 헤럴드경제, 2012년 12월 13일</ref>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6/66/Korea_18th_Presidential_Inaugural_06.jpg/250px-Korea_18th_Presidential_Inaugural_06.jpg
         | url = http://www.nytimes.com/2013/09/03/world/asia/south-korea-pledges-aid-to-north-in-bid-to-ease-tension.html?ref=northkorea&_r=1&
  • FortuneCookies . . . . 120회 일치
          * "It seems strange to meet computer geeks who're still primarily running Windows... as if they were still cooking on a wood stove or something." - mbp
          * "Perl is executable line noise, Python is executable pseudo-code."
          * "Heck, I'm having a hard time imagining the DOM as civilized!" -- Fred L. Drake, Jr.
          * Good fortune in love, as well as a better position.
          * By failing to prepare, you are preparing to fail.
          * He who spends a storm beneath a tree, takes life with a grain of TNT.
          * You attempt things that you do not even plan because of your extreme stupidity.
          * Your mind understands what you have been taught; your heart, what is true.
          * A king's castle is his home.
          * Advancement in position.
          * You will soon meet a person who will play an important role in your life.
          * He who has a shady past knows that nice guys finish last.
          * The universe is laughing behind your back.
          * Money will say more in one moment than the most eloquent lover can in years.
          * You have a will that can be influenced by all with whom you come in contact.
          * You have the power to influence all with whom you come in contact.
          * You will be married within a year.
          * Stop searching forever. Happiness is just next to you.
          * Mind your own business, Spock. I'm sick of your halfbreed interference.
          * You are secretive in your dealings but never to the extent of trickery.
  • WikiSlide . . . . 115회 일치
          * a technology for collaborative creation of internet and intranet pages
         === Principles ===
          * '''Fast''' - fast editing, communicating and easy to learn
          * '''Open''' - everybody may read ''and'' edit everything
          * '''Uncomplicated''' - everything works in a standard browser
          * '''Secure''' - every change is archived, nothing gets lost
          * '''Interlinked''' - Links between pages are easy to make
          * 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Knowledgebases, Brainstorming
          * Collaboration, Coordination and Communication platform
          * Creating documentation and slide shows ;)
          * Email address for subscribing to page change emails and retrieving a lost login/password
          * Link with User-ID ( (!) ''in any case, put a bookmark on that'')
          * Navigation: Quicklinks, Icons link to system actions (HelpOnNavigation)
         Searching and Navigation:
          * Backlinks (click on title)
          * SiteNavigation: A list of the different indices of the Wiki
          * FindPage: Searching the Wiki by various methods
          * TitleIndex: A list of all pages in the Wiki
          * WordIndex: A list of all words in page titles (i.e. a list of keywords/concepts in the Wiki)
         == Using the Editor ==
  • 스틸오션/사령관 . . . . 113회 일치
          * 주포 관통력 강화 II(Enhanced Main Penetration II) - 주포 관통력 2% 증가.
          * 주포 조준 강화 III(Enhanced Main Aim III) - 주포 조준 속도 5% 증가.
          * 토마스 킨케이드(Thomas Kincaid)
          태평양 전쟁 당시 미국 제독. 정확한 스펠링은 Kinkaid지만 넘어가자.
          * 주포 안정성 강화 I(Enhanced Main Stability I) - 포탑 회전을 떨어진 주포 정확도 2% 보완.
          * 엔진 강화 I(Enhanced Engine I) - 최대 속도 1노트 상승.
          * 교활함(Cunning) - 함포 사격시 55%의 확률로 위장 손실을 15% 감소.
          * 주포 장전 강화 IV(Enhanced Main Reload IV) - 포수로 배치했을 때에만 발생. 주포 장전 속도 10% 증가.
          * 주포 관통력 강화 II(Enhanced Main Penetration II) - 주포 관통력 2% 증가.
          * 주포 보정 부스트(Main Artillery Adjust Boos) - 포수로 배치해야만 발동. 주포를 발사 할 때마다 조준 정확도 0.7% 증가.
          * 라인하르트 셰어(Reinhard Scheer)
          * 엔진 강화 I(Enhanced Engine I) - 최대 속도 1노트 상승.
          * 바다의 기사(Marine Knight) - 함장으로 배치했을 때만 발생. 정확도, 갑판 장갑, 측면 장갑, 방뢰 장갑 5% 증가.
          * 주포 장전 강화 III(Enhanced Main Reload III) - 주포 장전 속도 3% 증가.
          * 전투 본능(Battle Instinct) - 액티브. 2CP 소모. 사용한지 90초내에 적함에게 감지되면 경고 표시.
          * 생나제르의 유령(Phantom of Saint-Nazaire) - 함포 회전 속도, 어뢰발사관 회전 속도, 위장 3% 증가.
          * 주포 정확도 강화 II(Main Artillery Accuracy Boost II) - 주포 정확도 3% 증가.
          * 주포 관통력 강화 II(Enhanced Main Penetration II) - 주포 관통력 2% 증가.
          * 엔진 강화 I(Enhanced Engine I) - 최대 속도 1노트 상승.
          * 주포 장전 강화 III(Enhanced Main Reload III) - 주포 장전 속도 3% 증가.
  • 신혜성 . . . . 112회 일치
         | 웹사이트 = [http://www.lworks.co.kr/HYESUNG/ 라이브웍스컴퍼니 신혜성]<br>{{인스타그램|shinhyesung_official/}}
         05. Buen Camino (feat. [[강수지]])<br />
         07. Everything<br />
         05. Buen Camino (feat. [[강수지]])<br />
         07. Everything<br />
         16. 같은생각 (Inst.)}}
         :The Beginning, New Days...<br />
         01. The Beginning<br />
         Composed by Vink Arranged by Vink, 옥정용<br /><br />
         Lyrics by Rain Composed & Arranged by Vink<br /><br />
         :The Beginning, New Days
         01. The Beginning<br />
         Composed by Vink Arranged by Vink, 옥정용<br /><br />
         Lyrics by Rain Composed & Arranged by Vink<br /><br />
         Lyrics by 신동룡 Composed & Arranged by MINKEN<br /><br />
         Composed by Vink Arranged by Vink, 정구현<br /><br />
         Composed & Arranged by Vink Lyrics by Frog<br /><br />
         Composed & Arranged by Vink Lyrics by 윤사라<br /><br />
         Composed & Arranged by Vink<br /><br />
         07. Love Actually (Feat. Vink)<br />
  • Darkest Hour: A Hearts of Iron Game/연구진 . . . . 106회 일치
          * Medical Science(의학): 아이콘은 십자가. Medicine 트리나 Hospital System 트리에서 요구한다.
          * Training(훈련): 아이콘은 책.
          * Industrial Engineering(산업공학): 아이콘은 공장.
          * Naval Engineering(조선공학): 아이콘은 닻.
          * Submarine Design(잠수함 설계): 아이콘은 잠수함.
          * Vehicle Engineering(차량공학): 아이콘은 트럭과 톱니바퀴.
          * Airborne Training(공수 훈련): 아이콘은 프로펠러와 병사.
          * Marine Training(해병 훈련): 아이콘은 닻이 그려진 책.
          * Mountain Training(산악 훈련): 아이콘은 산과 병사.
          * Combined Arms Focus(합동군 중심): 아이콘은 병사와 전차.
          * Naval Training(해군 훈련): 아이콘은 닻이 그려진 책.
          * Piloting(조종): 아이콘은 비행기 조종간.
          * Individual Courage(개인의 용기): 아이콘은 독수리.
          * Infantry Tactics(보병 전술): 아이콘은 병사.
          * Submarine Tactics(잠수함 전술): 아이콘은 잠수함.
          * Nuclear Engineering(원자력공학): 아이콘은 방사능 마크.
          * Oberschlesien Eisen Industrie AG(오버슐레이엔 강철산업 AG)
          * Hindenburg-Ludendorff(힌덴부르크와 루덴도르프)
          * Reinhardt Scheer(라인하르트 셰어)
          * AEG(Allgemeine Elektricitäts-Gesellschaft, 일반전자회사)
  • 김보름 . . . . 101회 일치
         | 종목 = [[파일:Speed skating pictogram.svg|25px]] [[스피드 스케이팅]] [[파일:Short track speed skating pictogram.svg|25px]] [[쇼트트랙]]
         *2017 MBN 여성스포츠대상 우수상<ref>{{뉴스 인용|url=http://news.joins.com/article/22204353?cloc=rss%7Cnews%7Ctotal_list|제목=우수상 수상하는 김보름|날짜=2017-12-14|뉴스=중앙일보|언어=ko|확인날짜=2017-12-15}}</ref>
         {{인용 상자|"스케이트는 내가 좋아서 시작한 것이다. 운동을 하면서 아쉬운 부분들도 많지만, 그 아쉬움은 좋은 성적이 나오면 다 잊을 수 있었다. 이젠 이런 생활을 하는 게 당연하다고 생각한다. 회사에 다니는 사람들로 우리와 다 똑같다. 다들 일하면서 자기가 하고 싶은 것을 못하고 살지 않나."<ref>{{뉴스 인용|url=http://sports.khan.co.kr/sports/sk_index.html?cat=view&art_id=201705160900003&sec_id=530101|제목=[창간특집] 김보름 “내 머리속엔 온통 평창올림픽…설렘보다 긴장감 더 크죠”|날짜=2017-05-16|언어=ko|확인날짜=2017-05-16}}</ref>}}
         2007년 1월 4일 춘천의암실내빙상장에서 열린 제22회 회장배 전국남녀 쇼트트랙 스피드스케이팅대회 중학부 1500m 준결승 2조에서 김보름(성화중 2학년)은 2분27초20으로 5위에 그쳐 결승전 진출에 실패했다.<ref>{{웹 인용|url=http://result.sports.or.kr/sk/schedule_result.jsp?classCd=2&toCd=207001&detailClassCd=04&rhCd=5&page=17&gameDate=&baseClassName=1500M&rhName=%EC%A4%80%EA%B2%B0%EC%8A%B9&kindCd=07&kindNm=%EC%97%AC%EC%9E%90%EC%A4%91%ED%95%99%EB%B6%80&pcntGbn=I&useGbn=|제목=정보제공 _ 대한빙상경기연맹|확인날짜=2017-04-04}}</ref> 3000m 준결승 2조에서는 김보름이 5분38초25로 6위에 그쳐 결승전 진출에 실패했다.<ref>{{웹 인용|url=http://result.sports.or.kr/sk/schedule_result.jsp?classCd=2&toCd=207001&detailClassCd=05&rhCd=5&page=17&gameDate=&baseClassName=3000M&rhName=%EC%A4%80%EA%B2%B0%EC%8A%B9&kindCd=07&kindNm=%EC%97%AC%EC%9E%90%EC%A4%91%ED%95%99%EB%B6%80&pcntGbn=I&useGbn=|제목=정보제공 _ 대한빙상경기연맹|확인날짜=2017-04-04}}</ref>
         2007년 2월 22일 고양어울림누리에서 열린 제88회 전국동계체육대회 1500m 준결승 3조에서 김보름은 3분05초02로 5위에 그쳐 결승전 진출에 실패했다.<ref>{{웹 인용|url=http://result.sports.or.kr/sk/schedule_result.jsp?classCd=2&toCd=207088&detailClassCd=04&rhCd=5&page=17&gameDate=&baseClassName=1500M&rhName=%EC%A4%80%EA%B2%B0%EC%8A%B9&kindCd=07&kindNm=%EC%97%AC%EC%9E%90%EC%A4%91%ED%95%99%EB%B6%80&pcntGbn=I&useGbn=|제목=정보제공 _ 대한빙상경기연맹|확인날짜=2017-04-04}}</ref> 23일 열린 3000m 준결승 1조에서는 김보름이 경기중 포기를 했다.<ref>{{웹 인용|url=http://result.sports.or.kr/sk/schedule_result.jsp?classCd=2&toCd=207088&detailClassCd=05&rhCd=5&page=17&gameDate=&baseClassName=3000M&rhName=%EC%A4%80%EA%B2%B0%EC%8A%B9&kindCd=07&kindNm=%EC%97%AC%EC%9E%90%EC%A4%91%ED%95%99%EB%B6%80&pcntGbn=I&useGbn=|제목=정보제공 _ 대한빙상경기연맹|확인날짜=2017-04-04}}</ref> 24일 열린 2000m계주에서는 김보름, 신아름, 김보라, 박연정으로 구성된 대구선발이 3분04초88로 동메달을 차지했다.<ref>{{웹 인용|url=http://result.sports.or.kr/sk/schedule_result.jsp?classCd=2&toCd=207088&detailClassCd=07&rhCd=9&page=17&gameDate=&baseClassName=2000M%EA%B3%84%EC%A3%BC&rhName=%EA%B2%B0%EC%8A%B9&kindCd=07&kindNm=%EC%97%AC%EC%9E%90%EC%A4%91%ED%95%99%EB%B6%80&pcntGbn=T&useGbn=|제목=정보제공 _ 대한빙상경기연맹|확인날짜=2017-04-04}}</ref>
         2008년 2월 19일 탄천종합운동장빙상장에서 열린 제89회 전국동계체육대회 1500m에서 김보름(성화중 3학년)은 2분38초35로 동메달을 차지했다.<ref>{{웹 인용|url=http://result.sports.or.kr/sk/schedule_result.jsp?classCd=2&toCd=02G089&detailClassCd=04&rhCd=9&page=17&gameDate=&baseClassName=1500M&rhName=%EA%B2%B0%EC%8A%B9&kindCd=07&kindNm=%EC%97%AC%EC%9E%90%EC%A4%91%ED%95%99%EB%B6%80&pcntGbn=I&useGbn=|제목=정보제공 _ 대한빙상경기연맹|확인날짜=2017-04-04}}</ref> 20일 열린 3000m에서는 김보름이 5분34초04로 6위를 차지했다.<ref>{{웹 인용|url=http://result.sports.or.kr/sk/schedule_result.jsp?classCd=2&toCd=02G089&detailClassCd=05&rhCd=9&page=17&gameDate=&baseClassName=3000M&rhName=%EA%B2%B0%EC%8A%B9&kindCd=07&kindNm=%EC%97%AC%EC%9E%90%EC%A4%91%ED%95%99%EB%B6%80&pcntGbn=I&useGbn=|제목=정보제공 _ 대한빙상경기연맹|확인날짜=2017-04-04}}</ref>
         2009년 2월 10일 탄천종합운동장빙상장에서 열린 제90회 전국동계체육대회 1500m에서 김보름(정화여고 1학년)은 2분35초64로 5위를 차지했다.<ref>{{웹 인용|url=http://result.sports.or.kr/sk/schedule_result.jsp?classCd=2&toCd=200902&detailClassCd=04&rhCd=9&page=16&gameDate=&baseClassName=1500M&rhName=%EA%B2%B0%EC%8A%B9&kindCd=08&kindNm=%EC%97%AC%EC%9E%90%EA%B3%A0%EB%93%B1%EB%B6%80&pcntGbn=I&useGbn=|제목=정보제공 _ 대한빙상경기연맹|확인날짜=2017-04-04}}</ref> 11일 열린 3000m에서는 김보름이 6분19초03으로 동메달을 차지했다.<ref>{{웹 인용|url=http://result.sports.or.kr/sk/schedule_result.jsp?classCd=2&toCd=200902&detailClassCd=05&rhCd=9&page=16&gameDate=&baseClassName=3000M&rhName=%EA%B2%B0%EC%8A%B9&kindCd=08&kindNm=%EC%97%AC%EC%9E%90%EA%B3%A0%EB%93%B1%EB%B6%80&pcntGbn=I&useGbn=|제목=정보제공 _ 대한빙상경기연맹|확인날짜=2017-04-04}}</ref>
         2010년 2월 2일 탄천종합운동장빙상장에서 열린 제91회 전국동계체육대회 1500m 준결승에서 김보름(정화여고 2학년)은 실격을 당했다.<ref>{{웹 인용|url=http://result.sports.or.kr/sk/schedule_result.jsp?classCd=2&toCd=201001&detailClassCd=04&rhCd=5&page=16&gameDate=&baseClassName=1500M&rhName=%EC%A4%80%EA%B2%B0%EC%8A%B9&kindCd=08&kindNm=%EC%97%AC%EC%9E%90%EA%B3%A0%EB%93%B1%EB%B6%80&pcntGbn=I&useGbn=|제목=정보제공 _ 대한빙상경기연맹|확인날짜=2017-04-04}}</ref> 3일 열린 3000m에서는 김보름이 6분00초10으로 은메달을 차지했다.<ref>{{웹 인용|url=http://result.sports.or.kr/sk/schedule_result.jsp?classCd=2&toCd=201001&detailClassCd=05&rhCd=9&page=16&gameDate=&baseClassName=3000M&rhName=%EA%B2%B0%EC%8A%B9&kindCd=08&kindNm=%EC%97%AC%EC%9E%90%EA%B3%A0%EB%93%B1%EB%B6%80&pcntGbn=I&useGbn=|제목=정보제공 _ 대한빙상경기연맹|확인날짜=2017-04-04}}</ref>
         초등학교 5학년 때 쇼트트랙 선수로 입문한 김보름은 두각을 나타내지 못했고, 결국 고등학교 2학년 때 스피드 스케이팅으로 전향했다.<ref>{{뉴스 인용|url=http://news.tvchosun.com/site/data/html_dir/2017/01/31/2017013190223.html|제목=[테마 인터뷰] '노란 머리' 김보름 "머리 색 같은 메달 따고 싶어요"|언어=ko|확인날짜=2017-03-29}}</ref> "아무래도 올림픽에서 이승훈 선수가 활약했던 게 영향이 가장 컸죠. 하지만 2010년도 전부터 스피드를 타고 싶다는 생각은 했었어요."<ref name=":8" /> "스피드 스케이팅의 혼자만의 싸움이 매력적이라 전향 결심했습니다."<ref name=":25">{{웹 인용|url=http://sbssports.sbs.co.kr/news/news_content.jsp?article_id=S10006106689|제목='얼짱 스피드 스케이터' 김보름의 꿈|언어=ko|확인날짜=2017-03-14}}</ref> "딱히 계기라고 할 건 없고 운동을 그만두려고 했어요. 그러다가 마지막으로 '스피드 스케이팅 한번 해보고 그만두자'해서 전향을 했는데 지금 여기까지 온 거죠. 쇼트트랙 할 때 그렇게 잘 탔던 선수도 아니었고 성적도 계속 안나왔고 대학에 가서 진로 결정을 확실히 해야 하던 시기여서 전향을 하게 됐어요.<ref>{{웹 인용|url=http://atmz.co.kr/?p=4474|제목=The Women Athlete {{!}} 김보름, 거침없이 멈춤없이 {{!}} athlete|성=athlete|언어=ko|확인날짜=2017-03-26}}</ref> "아무래도 시작이 늦다 보니 의욕과는 달리 또래 친구들과의 격차를 줄이기가 벅차더라고요. 결국엔 쇼트트랙에 흥미를 잃었고, 중학교 입학 후에는 운동을 그만 두게 됏죠. 다시 쇼트트랙을 시작하면서 이전보다는 확실히 괜찮았어요. 2009년 전국동계체육대회 쇼트트랙 1500m 부문에서 동메달을 딴 적도 있었거든요. 그렇지만 저는 쇼트트랙 선수로서의 가능성이 그렇게 큰 선수는 아니었죠. 쇼트트랙으로는 한계가 있다고 생각을 했어요"<ref>{{뉴스 인용|url=http://sports.news.naver.com/general/news/read.nhn?oid=064&aid=0000005293|제목=[매거진S] 김보름, 주저앉는 것이 꼭 실패를 말하는 것은 아니다|언어=ko|확인날짜=2017-04-18}}</ref> "전향에 대해 주위에서 반대를 많이 했어요. 열 명이면 열 명 다 좋지 않게 보시더라고요. 누군가 '그냥 쇼트트랙 타'라고 말했다면 오히려 괜찮았을 거예요. 그런데 다들 '네가 할 수 있을 것 같냐'고 하시더라고요. 스피드스케이팅에서도 그저그런 선수로 남으면 저를 비난했던 사람들의 생각처럼 되는 거잖아요. 뭔가 오기, 목표가 생겼어요."<ref>{{뉴스 인용|url=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7/01/26/2017012600349.html|제목=[스피드 인터뷰]금빛 질주 꿈꾸는 여제, 김보름의 반전 드라마|언어=ko|확인날짜=2017-03-27}}</ref> "쇼트트랙에 늦게 입문했고, 스피드스케이팅도 엄청나게 늦게 시작했지만, 왠지 모르게 마음이 편했다. 마지막 궁지에 몰린 터라 더 그랬던 것 같다."<ref>{{뉴스 인용|url=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7/01/03/0200000000AKR20170103089600007.HTML|제목=<평창유망주> ④ 쇼트트랙 꼴찌소녀 김보름, 스피드스케이팅 금메달 노린다|성=김경윤|날짜=2017-01-04|뉴스=연합뉴스|언어=ko|확인날짜=2017-03-29}}</ref> "이승훈은 쇼트트랙에서도 국가대표를 지냈지만 김보름은 다르다. 김보름은 쇼트트랙에서 크게 두각을 보이지 못하고 종목을 전환해 성공했다. 더 많은 선수들에게 희망을 주기도 한다."<ref>{{뉴스 인용|url=http://news1.kr/articles/?2887690|제목=[빙속] 이승훈-김보름이 가져온 매스스타트 붐 업…"긍정적 효과"|날짜=2017-01-17|뉴스=뉴스1|언어=ko|확인날짜=2017-03-29}}</ref> 실패했던 기간으로 보였던 쇼트트랙 경험이 훗날 주종목이 된 매스스타트를 위한 김보름의 가장 귀한 자산이 된다. "쇼트트랙 경험이 매스스타트에 많은 도움을 준다."<ref>{{뉴스 인용|url=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6/11/21/0200000000AKR20161121135300007.HTML|제목=이승훈·김보름 이구동성 "쇼트트랙이 매스스타트 선전 비결"|성=이영호|날짜=2016-11-21|뉴스=연합뉴스|언어=ko|확인날짜=2017-03-27}}</ref>
         2011년 2월 16일부터 18일까지 태릉국제스케이팅장에서 열린 제92회 전국동계체육대회 고등부 3000m에서 1위는 대회신기록인 4분17초42의 박도영(덕정고)이 차지했고 2위는 대회신기록인 4분22초21의 김보름이 차지했고 3위는 4분24초04의 임정수(청학고)가 차지했다. 1500m에서는 1위는 대회신기록인 2분4초37의 박도영이 차지했고 2위는 2분5초49의 김보름이 차지했고 3위는 2분7초16의 임정수가 차지했다.<ref name=":4">{{저널 인용|제목=제92회 전국동계체육대회 스피드 스케이팅|url=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EC%A0%9C92%ED%9A%8C_%EC%A0%84%EA%B5%AD%EB%8F%99%EA%B3%84%EC%B2%B4%EC%9C%A1%EB%8C%80%ED%9A%8C_%EC%8A%A4%ED%94%BC%EB%93%9C_%EC%8A%A4%EC%BC%80%EC%9D%B4%ED%8C%85&oldid=8386539|날짜=2012-03-11|언어=ko}}</ref>
         2013년 1월 7일 태릉국제스케이트장에서 열린 제43회 회장배 전국남녀 스피드스케이팅대회 1500m에서 김보름은 2분02초34의 대회신기록으로 1위를 차지했다.<ref>{{웹 인용|url=http://result.sports.or.kr/sk/schedule_result.jsp?classCd=1&toCd=201216&detailClassCd=03&rhCd=19&page=14&gameDate=&baseClassName=1500M&rhName=%EC%A2%85%ED%95%A9&kindCd=09&kindNm=%EC%97%AC%EC%9E%90%EB%8C%80%ED%95%99%EB%B6%80&pcntGbn=I&useGbn=|제목=정보제공 _ 대한빙상경기연맹|확인날짜=2017-04-04}}</ref> 8일 열린 1000m에서는 김보름이 1분20초37로 1위를 차지했다.<ref>{{웹 인용|url=http://result.sports.or.kr/sk/schedule_result.jsp?classCd=1&toCd=201216&detailClassCd=02&rhCd=19&page=14&gameDate=&baseClassName=1000M&rhName=%EC%A2%85%ED%95%A9&kindCd=09&kindNm=%EC%97%AC%EC%9E%90%EB%8C%80%ED%95%99%EB%B6%80&pcntGbn=I&useGbn=|제목=정보제공 _ 대한빙상경기연맹|확인날짜=2017-04-04}}</ref> 팀추월에서는 박도영, 김보름, 임정수로 구성된 한국체육대학교팀이 3분11초86으로 1위를 차지했다.<ref>{{웹 인용|url=http://result.sports.or.kr/sk/schedule_result.jsp?classCd=1&toCd=201216&detailClassCd=08&rhCd=19&page=14&gameDate=&baseClassName=6%EC%A3%BC%20%ED%8C%80%EC%B6%94%EC%9B%94&rhName=%EC%A2%85%ED%95%A9&kindCd=09&kindNm=%EC%97%AC%EC%9E%90%EB%8C%80%ED%95%99%EB%B6%80&pcntGbn=T&useGbn=S|제목=정보제공 _ 대한빙상경기연맹|확인날짜=2017-04-04}}</ref>
         김보름은 2013년 1월 21일 태릉국제스케이트장에서 열린 2013 전국남녀 종별종합스피드스케이팅선수권대회 500m에서 41초33으로 3위,<ref>{{웹 인용|url=http://result.sports.or.kr/sk/schedule_result.jsp?classCd=1&toCd=201217&detailClassCd=01&rhCd=19&page=14&gameDate=&baseClassName=500M&rhName=%EC%A2%85%ED%95%A9&kindCd=09&kindNm=%EC%97%AC%EC%9E%90%EB%8C%80%ED%95%99%EB%B6%80&pcntGbn=I&useGbn=S|제목=정보제공 _ 대한빙상경기연맹|확인날짜=2017-04-04}}</ref> 22일 열린 1000m에서 1분20초38의 대회신기록으로 1위,<ref>{{웹 인용|url=http://result.sports.or.kr/sk/schedule_result.jsp?classCd=1&toCd=201217&detailClassCd=02&rhCd=19&page=14&gameDate=&baseClassName=1000M&rhName=%EC%A2%85%ED%95%A9&kindCd=09&kindNm=%EC%97%AC%EC%9E%90%EB%8C%80%ED%95%99%EB%B6%80&pcntGbn=I&useGbn=S|제목=정보제공 _ 대한빙상경기연맹|확인날짜=2017-04-04}}</ref> 1500m에서 2분00초94의 대회신기록으로 1위,<ref>{{웹 인용|url=http://result.sports.or.kr/sk/schedule_result.jsp?classCd=1&toCd=201217&detailClassCd=03&rhCd=19&page=14&gameDate=&baseClassName=1500M&rhName=%EC%A2%85%ED%95%A9&kindCd=09&kindNm=%EC%97%AC%EC%9E%90%EB%8C%80%ED%95%99%EB%B6%80&pcntGbn=I&useGbn=Q|제목=정보제공 _ 대한빙상경기연맹|확인날짜=2017-04-04}}</ref> 23일 열린 3000m에서 4분18초04의 대회신기록으로 1위를 하며 종합우승을 차지했다.<ref>{{웹 인용|url=http://result.sports.or.kr/sk/schedule_result.jsp?classCd=1&toCd=201217&detailClassCd=04&rhCd=19&page=14&gameDate=&baseClassName=3000M&rhName=%EC%A2%85%ED%95%A9&kindCd=09&kindNm=%EC%97%AC%EC%9E%90%EB%8C%80%ED%95%99%EB%B6%80&pcntGbn=I&useGbn=Q|제목=정보제공 _ 대한빙상경기연맹|확인날짜=2017-04-04}}</ref>
         2013년 11월 8일 캐나다 캘거리에서 열린 2013-2014 국제빙상경기연맹 스피드스케이팅월드컵 1차 대회 3000m에서 김보름은 4분07초93의 기록으로 12위에 머물렀다.<ref>{{뉴스 인용|url=http://news.joins.com/article/13090996|제목=‘빙속 여제’ 이상화, 캘거리 월드컵 500m 금메달|날짜=2013-11-09|뉴스=중앙일보|언어=ko|확인날짜=2017-03-13}}</ref> 9일 열린 1500m에서는 김보름이 1분56초94 만에 결승선을 통과, 20명의 선수 중 최하위에 머물렀다.<ref>{{웹 인용|url=http://www.yonhapnews.co.kr/sports/2013/11/10/1007000000AKR20131110013951007.HTML|제목=-빙속월드컵- '여제' 이상화 500m 세계신기록(종합) {{!}} 연합뉴스|확인날짜=2017-03-13}}</ref> 10일 열린 팀추월에서는 김보름, 노선영, 양신영이 3분00초32로 5위를 차지했다. 2013년 11월 15일 미국 솔트레이크시티에서 열린 월드컵 2차 대회 3000m 디비전A에서 김보름은 4분04초62로 15위를 차지했다. 16일 열린 1500m 디비전B에서는 김보름이 1분56초12로 개인최고기록을 세우며 8위를 차지했다. 17일 열린 팀추월에서는 김보름, 노선영, 박도영이 2분58초32로 7위를 차지했다. 2013년 11월 29일 카자흐스탄 아스타나에서 열린 월드컵 2차 대회 5000m 디비전B에서 김보름은 7분09초99로 6위를 차지했다. 30일 열린 1500m 디비전B에서는 김보름이 1분58초12로 1위를 차지했다.<ref name=":24" /> 2013년 12월 9일 독일 베를린에서 열린 월드컵 4차 대회 팀추월에 김보름은 노선영(24-강원도청), 양신영(23-전라북도청)과 함께 출전해 3분02초04의 기록으로 네덜란드(2분58초19), 폴란드(3분1초18)에 이어 3위에 올랐다.<ref>{{뉴스 인용|url=http://www.jjan.kr/news/articleView.html?idxno=493417|제목=전북도청 양신영 국제빙상 월드컵 동메달 - 전북일보|언어=ko|확인날짜=2017-03-13}}</ref>
         김보름은 2013년 12월 23일 태릉국제스케이트장에서 열린 제68회 전국남녀 종합스피드스케이팅선수권대회 500m에서 41초77로 2위,<ref>{{웹 인용|url=http://result.sports.or.kr/sk/schedule_result.jsp?classCd=1&toCd=201315&detailClassCd=01&rhCd=19&page=11&gameDate=&baseClassName=500M&rhName=%EC%A2%85%ED%95%A9&kindCd=22&kindNm=%EC%97%AC%EC%9E%90%EB%B6%80&pcntGbn=I&useGbn=S|제목=정보제공 _ 대한빙상경기연맹|확인날짜=2017-04-04}}</ref> 3000m에서 4분18초76으로 1위,<ref>{{웹 인용|url=http://result.sports.or.kr/sk/schedule_result.jsp?classCd=1&toCd=201315&detailClassCd=04&rhCd=19&page=11&gameDate=&baseClassName=3000M&rhName=%EC%A2%85%ED%95%A9&kindCd=22&kindNm=%EC%97%AC%EC%9E%90%EB%B6%80&pcntGbn=I&useGbn=S|제목=정보제공 _ 대한빙상경기연맹|확인날짜=2017-04-04}}</ref> 24일 열린 1500m에서 2분03초54로 1위,<ref>{{웹 인용|url=http://result.sports.or.kr/sk/schedule_result.jsp?classCd=1&toCd=201315&detailClassCd=03&rhCd=19&page=11&gameDate=&baseClassName=1500M&rhName=%EC%A2%85%ED%95%A9&kindCd=22&kindNm=%EC%97%AC%EC%9E%90%EB%B6%80&pcntGbn=I&useGbn=S|제목=정보제공 _ 대한빙상경기연맹|확인날짜=2017-04-04}}</ref> 5000m에서 7분26초06의 대회신기록으로 1위를 하며 종합 우승을 차지했다.<ref>{{웹 인용|url=http://result.sports.or.kr/sk/schedule_result.jsp?classCd=1&toCd=201315&detailClassCd=05&rhCd=19&page=11&gameDate=&baseClassName=5000M&rhName=%EC%A2%85%ED%95%A9&kindCd=22&kindNm=%EC%97%AC%EC%9E%90%EB%B6%80&pcntGbn=I&useGbn=S|제목=정보제공 _ 대한빙상경기연맹|확인날짜=2017-04-04}}</ref>
         2014년 1월 7일 태릉국제스케이트장에서 열린 제44회 회장배 전국남녀 스피드스케이팅대회 1500m에서 김보름은 2분01초01의 대회신기록으로 1위를 차지했다.<ref>{{웹 인용|url=http://result.sports.or.kr/sk/schedule_result.jsp?classCd=1&toCd=201316&detailClassCd=03&rhCd=19&page=11&gameDate=&baseClassName=1500M&rhName=%EC%A2%85%ED%95%A9&kindCd=09&kindNm=%EC%97%AC%EC%9E%90%EB%8C%80%ED%95%99%EB%B6%80&pcntGbn=I&useGbn=|제목=정보제공 _ 대한빙상경기연맹|확인날짜=2017-04-04}}</ref> 8일 열린 1000m에서는 김보름이 1분19초94로 2위를 차지했다.<ref>{{웹 인용|url=http://result.sports.or.kr/sk/schedule_result.jsp?classCd=1&toCd=201316&detailClassCd=02&rhCd=19&page=11&gameDate=&baseClassName=1000M&rhName=%EC%A2%85%ED%95%A9&kindCd=09&kindNm=%EC%97%AC%EC%9E%90%EB%8C%80%ED%95%99%EB%B6%80&pcntGbn=I&useGbn=|제목=정보제공 _ 대한빙상경기연맹|확인날짜=2017-04-04}}</ref>
         2014년 2월 9일 러시아 소치 아들레르 아레나서 열린 소치 동계올림픽 3000m 부문에서 김보름(21)은 4분12초08의 기록으로로 13위를 차지했다. 이날 3조로 경기를 치른 김보름은 21초05로 200m 구간을 통과한 후 2분31초34로 1800m 구간을 지났다. 이후 2200m 구간 통과 순간부터 스피드를 올리며 후반 들어 스퍼트를 올렸고, 결국 하위권이 아닌 중위권 기록을 남겼다. 김보름의 순위인 13위는 지난 2006 토리노 올림픽, 2010 밴쿠버 올림픽 당시 노선영(25-강원도청)이 기록한 19위를 넘어 한국 여자 3000m 부문의 가장 높은 순위다. 5조의 노선영은 4분19초02를 기록했다. 노선영은 200m 구간에서 21초32의 기록으로 지난 이후 속도를 올리지 못한 채로 결승점을 통과했다. 결국 노선영은 전체 26위의 성적을 남기며 경기를 마쳤다. 6조에서 경기를 소화한 양신영(24-전북도청)은 4분23초67을 기록해 이날 대회를 뛴 28명 중 최저의 기록을 남겼다. 한편 이날 대회는 4분00초34의 이레네 부스트(네덜란드)가 2006년 토리노 동계올림픽 이후 8년 만에 금메달을 다시 가져갔다. 대회 2연패를 노린 2위 마르티나 사블리코바(체코-4분01초95)와 3위 올가 그라프(러시아-4분03초47)에 앞선 기록이다.<ref>{{웹 인용|url=http://www.newstomato.com/readNews.aspx?no=441654|제목=(소치올림픽)김보름, 스피드스케이팅 여자 3000m 13위..금메달 부스트|확인날짜=2017-03-21}}</ref> 16일 열린 1500m에서는 네덜란드의 요리엔 테르모르스가 1분53초51의 올림픽 기록으로 금메달을 차지했다. 은메달과 동메달도 네덜란드 선수들이 휩쓸었다. 은메달은 이레인 뷔스트(1분54초09)에게 돌아갔고 동메달은 하를로터 판바이크(1분54초54)가 주인이 됐다. 심지어 4위도 네덜란드 선수인 마리트 리엔스트라(1분56초40)가 차지했다. 김보름은 1분59초78로 21위에 올랐다. 노선영(25-강원도청)은 2분01초07로 29위, 양신영(24-전북도청)은 2분04초13으로 최하위인 36위에 그쳤다.<ref>{{웹 인용|url=http://starin.edaily.co.kr/news/NewsRead.edy?SCD=EB33&newsid=01079126605991504&DCD=A20402|제목=[소치올림픽]테르모르스, 전날 쇼트트랙 뛰고 빙속1500m 올림픽新 금|성=포털|이름=Ⓒ 함께 만들고 함께 즐기는 엔터테인먼트|성2=무단전재|이름2=‘이데일리 스타in’-|날짜=2014-02-17|확인날짜=2017-03-21|성3=금지|이름3=재배포}}</ref> 김보름은 무릎 통증이 있어 5000m를 기권했다.<ref>{{뉴스 인용|url=http://www.segye.com/content/html/2014/02/19/20140219004640.html|제목=빙속 김보름, 女 5000m 기권…팀추월 집중|성=세계일보|날짜=2014-02-19|뉴스=빙속 김보름, 女 5000m 기권…팀추월 집중 - 세상을 보는 눈, 글로벌 미디어 - 세계닷컴 -|확인날짜=2017-03-13}}</ref> 22일 열린 팀추월 파이널D(7-8위 결정전)에서 김보름, 노선영(25, 강원도청), 양신영(24, 전북도청)이 나란히 달린 여자 팀추월 대표팀은 노르웨이에 져 8위로 대회를 마쳤다. 전날 8강전에서 일본에 져 준결승 진출에 실패한 여자 대표팀은 이날 3분11초54만에 마지막 주자가 결승선을 통과해 3분8초35를 기록한 노르웨이에 패했다.<ref>{{뉴스 인용|url=http://www.newsway.co.kr/view.php?tp=1&ud=2014022223322278172|제목=김보름·노선영·양신영 여자 스피드스케이팅 팀추월 8위에 그쳐|뉴스=뉴스웨이|확인날짜=2017-03-13}}</ref>
         2014년 3월 8일 태릉국제스케이트장에서 열린 제49회 고빙상인추모 전국남녀 스피드스케이팅대회 1500m에서 김보름은 2분03초05의 대회신기록으로 1위를 차지했다.<ref>{{웹 인용|url=http://result.sports.or.kr/sk/schedule_result.jsp?classCd=1&toCd=201302&detailClassCd=03&rhCd=19&page=10&gameDate=&baseClassName=1500M&rhName=%EC%A2%85%ED%95%A9&kindCd=09&kindNm=%EC%97%AC%EC%9E%90%EB%8C%80%ED%95%99%EB%B6%80&pcntGbn=I&useGbn=Q|제목=정보제공 _ 대한빙상경기연맹|확인날짜=2017-04-05}}</ref> 9일 열린 3000m에서는 김보름이 4분21초75로 1위를 차지했다.<ref>{{웹 인용|url=http://result.sports.or.kr/sk/schedule_result.jsp?classCd=1&toCd=201302&detailClassCd=04&rhCd=19&page=10&gameDate=&baseClassName=3000M&rhName=%EC%A2%85%ED%95%A9&kindCd=09&kindNm=%EC%97%AC%EC%9E%90%EB%8C%80%ED%95%99%EB%B6%80&pcntGbn=I&useGbn=Q|제목=정보제공 _ 대한빙상경기연맹|확인날짜=2017-04-05}}</ref>
         2014년 3월 13일 태릉국제스케이트장에서 열린 제47회 전국남녀 대학대항스피드스케이팅대회 3000m에서 김보름은 4분24초88로 1위를 차지했다.<ref>{{웹 인용|url=http://result.sports.or.kr/sk/schedule_result.jsp?classCd=1&toCd=201326&detailClassCd=04&rhCd=19&page=10&gameDate=&baseClassName=3000M&rhName=%EC%A2%85%ED%95%A9&kindCd=09&kindNm=%EC%97%AC%EC%9E%90%EB%8C%80%ED%95%99%EB%B6%80&pcntGbn=I&useGbn=Q|제목=정보제공 _ 대한빙상경기연맹|확인날짜=2017-04-05}}</ref> 14일 열린 1500m에서는 김보름이 2분03초49로 1위를 차지했다.<ref>{{웹 인용|url=http://result.sports.or.kr/sk/schedule_result.jsp?classCd=1&toCd=201326&detailClassCd=03&rhCd=19&page=10&gameDate=&baseClassName=1500M&rhName=%EC%A2%85%ED%95%A9&kindCd=09&kindNm=%EC%97%AC%EC%9E%90%EB%8C%80%ED%95%99%EB%B6%80&pcntGbn=I&useGbn=Q|제목=정보제공 _ 대한빙상경기연맹|확인날짜=2017-04-05}}</ref>
         2014년 12월 23, 24일 이틀간 태릉국제스케이트장에서 열린 제69회 전국남녀 종합선수권대회에서 김보름은 23일 열린 500m, 3000m에 이어 24일 열린 1500m(2분04초58)와 5000m(7분34초40)까지 4개 종목 모두 1위를 휩쓸어 정상에 올라 국제빙상경기연맹 월드컵 5차 대회 결과를 바탕으로 정해지는 국가별 쿼터에 따라 내년 3월 캐나다 올라운드 세계선수권대회에 출전하게 되었다.<ref>{{웹 인용|url=http://enews.imbc.com/News/RetrieveNewsInfo/112803|제목=MBC 연예|언어=ko|확인날짜=2017-03-14}}</ref>
         2015년 1월 5일 태릉국제스케이트장에서 열린 제45회 회장배 전국남녀 스피드스케이팅대회 1500m에서 김보름은 2분02초49로 1위를 차지했다.<ref>{{웹 인용|url=http://result.sports.or.kr/sk/schedule_result.jsp?classCd=1&toCd=201416&detailClassCd=03&rhCd=19&page=8&gameDate=&baseClassName=1500M&rhName=%EC%A2%85%ED%95%A9&kindCd=09&kindNm=%EC%97%AC%EC%9E%90%EB%8C%80%ED%95%99%EB%B6%80&pcntGbn=I&useGbn=|제목=정보제공 _ 대한빙상경기연맹|확인날짜=2017-04-06}}</ref> 6일 열린 1000m에서는 김보름이 1분20초54로 3위를 차지했다.<ref>{{웹 인용|url=http://result.sports.or.kr/sk/schedule_result.jsp?classCd=1&toCd=201416&detailClassCd=02&rhCd=19&page=8&gameDate=&baseClassName=1000M&rhName=%EC%A2%85%ED%95%A9&kindCd=09&kindNm=%EC%97%AC%EC%9E%90%EB%8C%80%ED%95%99%EB%B6%80&pcntGbn=I&useGbn=|제목=정보제공 _ 대한빙상경기연맹|확인날짜=2017-04-06}}</ref> 팀추월에서는 전예진, 김보름, 박도여으로 구성된 한국체육대학교팀이 3분19초73으로 1위를 차지했다.<ref>{{웹 인용|url=http://result.sports.or.kr/sk/schedule_result.jsp?classCd=1&toCd=201416&detailClassCd=08&rhCd=19&page=8&gameDate=&baseClassName=6%EC%A3%BC%20%ED%8C%80%EC%B6%94%EC%9B%94&rhName=%EC%A2%85%ED%95%A9&kindCd=09&kindNm=%EC%97%AC%EC%9E%90%EB%8C%80%ED%95%99%EB%B6%80&pcntGbn=T&useGbn=|제목=정보제공 _ 대한빙상경기연맹|확인날짜=2017-04-06}}</ref>
  • 박신혜 . . . . 89회 일치
         | 사진 =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2/26/%28160204%29_Park_Shin_Hye_%40_the_%27DongJu_-_The_Portrait_of_A_Poet%27_Movie_Premiere.jpg/250px-%28160204%29_Park_Shin_Hye_%40_the_%27DongJu_-_The_Portrait_of_A_Poet%27_Movie_Premiere.jpg
         | 웹사이트 = [http://www.saltent.co.kr/artist/park-shin-hye/ 솔트엔터테인먼트 박신혜]<br>{{인스타그램|ssinz7}}
         박신혜는 [[1990년]] [[2월 18일]] [[대구광역시]]에서 1남 1녀 중 막내로 태어났다. 중학교 재학 시절 연예계 데뷔를 하면서 [[부산광역시]]로 이주하여 줄곧 그 곳에서 성장했다. 어린 시절 [[이승환 (가수)|이승환]]의 팬이었던 공부방 선생님들이 뮤직비디오에 출연할 배우 오디션을 한다는 소식을 듣고 박신혜의 사진을 드림팩토리에 보내게 되었다.<ref>{{웹 인용|url=http://m.star.naver.com/ssinz/news/end?id=2035593|title='The Inheritors' Park Shin Hye, a very good example of growing up of child actress|publisher=Naver|accessdate=2013-09-15}}</ref> 그 후 이승환이 대표로 있는 드림팩토리에 들어가게 되었고, 연기, 노래, 댄스 트레이닝을 받았다.<ref>{{웹 인용|url=http://m.star.naver.com/ssinz/news/end?id=2102028|title=[STARCAST] Park Shin Hye’s Life Graph "I hope to be someone who grows 1cm every year"|publisher=Naver|accessdate=2013-09-15}}</ref><ref>{{웹 인용|author=March 9, 2014 |url=http://www.soompi.com/2014/03/09/park-shin-hye-named-as-the-new-nations-little-sister/ |title=Park Shin Hye Named as the New "Nation’s Little Sister" |publisher=Soompi |date=2014-03-09 |accessdate=2016-12-29}}</ref>
         [[중앙대학교]] 수시 2학년 1학기 모집에서 미디어공연영상대학 연극영화학부 연극(연기) 전공에 응시하여 합격해 2008년 입학했다.<ref>{{뉴스 인용|제목=고아라·박신혜 중앙대 연극영화학부 수시합격 |url=http://entertain.naver.com/read?oid=079&aid=0000198659|출판사=노컷뉴스 |저자=이지현|날짜= 2007-10-31|확인날짜=2016-02-15}}</ref> 2016년 2월 15일, 8년만에 예술대학 학위를 수여 받고 졸업했다.<ref>{{뉴스 인용 |제목 =박신혜 8년만에 대학 졸업, 졸업장 들고 '함박 웃음' |url =http://entertain.naver.com/read?oid=008&aid=0003630219|출판사 =스타뉴스 |저자 =문지영|날짜 =2016-02-15|확인날짜=2016-02-15}}</ref><ref>{{웹 인용|url=http://star.mt.co.kr/view/stview.php?no=2016021514330231788&type=1&outlink=1|title=박신혜·유리·수영, 중앙대 연극과 졸업..캠퍼스와 작별(종합)|publisher=StarNews|accessdate=2016-02-15}}</ref><ref>{{웹 인용|url=http://star.mt.co.kr/view/stview.php?no=2016021514524686335&type=1&outlink=1|title=박신혜, 8년 만에 중앙대 졸업..캠퍼스 밝히는 미소|publisher=StarNews|accessdate=2016-02-15}}</ref>
         박신혜는 2001년, [[이승환]]의 7집 앨범 타이틀곡 〈사랑하나요〉 뮤직 비디오로 출연하며 데뷔하였다. 이후 2003년에도 이승환의 〈꽃〉 뮤직 비디오에 출연하며 얼굴을 알린 박신혜는 당초 배우지망생이 아닌 가수를 꿈꾸는 연습생이었다. 하지만 우연한 기회에 오디션을 본 2003년 12월 첫 방영 된 드라마 《[[천국의 계단 (드라마)|천국의 계단]]》에서 [[최지우]]의 아역인 한정서 역을 맡아 브라운관에 데뷔하였다.<ref>{{웹 인용|url=http://globerove.com/south-korea/tree-of-heaven-korean-drama/3740|title=Tree of Heaven Korean Drama|publisher=GlobalRove|accessdate=2014-09-08|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140908015531/http://globerove.com/south-korea/tree-of-heaven-korean-drama/3740|보존날짜=2014-09-08|깨진링크=예}}</ref><ref name="hancinema1">{{웹 인용|url=http://www.hancinema.net/-tree-of-heaven--a-new-tryout-for-a-resurgence-of-korean-wave-5387.html|title='Tree of Heaven': a new tryout for a resurgence of Korean Wave|publisher=The Korea Herald via Hancinema|accessdate=2013-10-08}}</ref><ref name="hancinema2">{{웹 인용|url=http://www.hancinema.net/park-sin-hye-invited-to-photo-exhibition-for-korean-top-stars-6302.html|title=Park Shin-hye Invited to Photo Exhibition for Korean Top Stars|publisher=KBS Global via Hancinema|accessdate=2013-10-08}}</ref> 이 작품에서 그녀는 14살 이제 막 중학교에 입학한 어린 소녀라고 믿을 수 없을 정도로 싱그럽고 풋풋한 첫사랑 감정을 첫 연기라고 믿을 수 없을 정도로 출중한 연기를 선보이며, 안방극장의 뜨거운 사랑과 지지를 받았고 그 당시 이례적으로 아역들의 분량이 1회 늘어나기도 했다. [[SBS 연기대상]] 아역상을 수상하였다. 당시 연출을 맡은 이장수 감독은 박신혜에 대해 다음과 같이 말했다.{{인용문2|“(박신혜씨 연기를) 정말 잘해요. 연기한 걸 직접 한 번 봐야하는데…우리나라 배우들이 자질이 정말 뛰어나다는 걸 신혜를 보면 느낄 수 있어요. 비록 신인이지만 잘 할 것으로 봐요”|MBN스타 2016년 7월 8일자 기사<ref name="mbn">{{뉴스 인용 |제목 =[M+TV피플] 박신혜, 꾸미지 않아 더 아름다운 |url =http://entertain.naver.com/read?oid=057&aid=0000989093|출판사 =MBN스타 |저자 =금빛나 |날짜 = 2016-07-08 |확인날짜 =2016-07-10 }}</ref> 중}}
         박신혜는 이후 단막극 《[[드라마시티]] - 첫차를 기다리며》(2004), 《[[MBC 베스트극장|베스트극장]] - 베리 메리 크리스마스》(2004), 《새 아빠는 스물 아홉》(2005)와 《한뼘 드라마》(2004), 《베스트극장 - 어느 멋진 날》(2005), 《드라마시티 - 키다리 아저씨》(2005)와 시트콤 《[[혼자가 아니야]]》(2004-05), 《[[귀엽거나 미치거나]]》(2005)에 출연하며 배우로서 연기력을 다져나갔다. 2004년부터 2005년까지 박신혜는 사전 제작 된 퓨전 사극 드라마 《[[비천무]]》에 캐스팅 되어 중국 로케 촬영하였다. 그리고 2006년 2월, 첫 방영한 드라마 《[[천국의 나무]]》에서 여주인공 하나 역에 캐스팅 되었고, ‘천국의 계단’에서 그녀를 발탁했던 이장수 감독은 여주인공으로 고등학생이었던 박신혜를 또다시 발탁했다.<ref>{{뉴스 인용 |제목 =<인터뷰> 드라마 '천국의 나무' 여주인공 박신혜 |url =http://entertain.naver.com/read?oid=001&aid=0001197151|출판사 =연합뉴스 |저자 =정열 |날짜 = 2006-01-16 |확인날짜 =2013-09-01 }}</ref> 같은 해 4월, 영화 《[[도마뱀 (영화)|도마뱀]]》으로 첫 스크린 데뷔를 하였다. 이듬해, 2007년 황인뢰 감독은 드라마 《[[비천무]]》의 제작 현장에서 눈여겨본 박신혜에게 드라마 《[[궁S]]》의 귀족 소녀 신세령 역으로 캐스팅했으나 이 드라마는 전작과 달리 진부한 내용과 설정으로 흥행에는 크게 실패하였다.<ref>{{뉴스 인용 |제목 =박신혜 잘 자라줘서 고마워 |url =http://entertain.naver.com/read?oid=312&aid=0000002569|출판사 =텐아시아 |저자 =최지은 |날짜 = 2009-10-28 |확인날짜 =2015-04-18 }}</ref> 같은 해 5월 개봉 된 호러 영화 《[[전설의 고향 (2007년 영화)|전설의 고향]]》과 드라마 《[[우리를 행복하게 하는 몇 가지 질문]]》에 출연했다. 7월부터 방영 된 드라마 《[[깍두기 (MBC)|깍두기]]》에서는 절에서 자란 여주인공 장사야 역을 맡아 지금까지 고수해왔던 긴 머리카락을 짧게 자르는 등 파격 변신을 하였다.<ref>{{뉴스 인용 |제목 =박신혜, '문희' 후속 드라마 '깍두기' 주인공 확정 |url =http://entertain.naver.com/read?oid=109&aid=0000081490|출판사 =OSEN |저자 =김지연 |날짜 = 2007-07-19 |확인날짜 =2013-09-01 }}</ref> 박신혜는 2007년부터 2008년까지 예능 프로그램 《[[환상의 짝꿍]]》의 진행을 맡아 [[MBC 방송연예대상]] 쇼버라이어티부문 여자신인상을 수상했다.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6/60/Park_Shin-Hye.jpg/170px-Park_Shin-Hye.jpg
         박신혜는 2009년, 드라마 《[[미남이시네요]]》로 이후 1년 반만에 브라운관에 복귀하였다. 극중 속세와 차단된 수녀원을 나와 쌍둥이 오빠 고미남을 대신해 비밀과 가십, 계산과 계약으로 움직이는 연예계에서 살아 나가는 고미녀 역을 연기하며 배우 인생 전환점을 맞이했고, 일본 및 중화권에서도 인지도를 높히며 한류 퀸으로 큰 인기를 끌기 시작했다.<ref>{{웹 인용|url=http://isplus.live.joins.com/news/article/article.asp?total_id=3851058 |title=‘미남이시네요’가 ‘아이리스’에 기죽지 않는 이유 |출판사=일간스포츠 |저자= 정지원|날짜=2009-10-30 |확인날짜=2016-12-29}}</ref><ref>{{웹 인용|url=http://www.hancinema.net/jang-geun-seok-you-re-beautiful-beats-winter-sonata-33223.html |title=Jang Geun-seok "You're Beautiful" beats "Winter Sonata" @ HanCinema :: The Korean Movie and Drama Database |publisher=Hancinema.net |date=2011-09-14 |accessdate=2016-12-29}}</ref> 나중에 박신혜는 인터뷰에서 “성인이 돼 처음 한 작품으로, 아역이 아닌 ‘박신혜’라는 한 여배우의 시작을 알리게 해준 작품”이라고 ‘미남이시네요’에 대해 말했다.<ref name="mbn" /> 이듬 해, 2010년 박신혜는 로맨틱 코미디 영화 《[[시라노; 연애조작단]]》에서 연애 조작 요원 오민영 역을 맡아 [[엄태웅]], [[이민정]], [[최다니엘]]과 공연하며 영화는 260만명의 관객수를 동원하며 많은 사랑을 받았다. 박신혜는 사전 제작 된 대만 드라마 《선풍관가 旋風管家》에서 샤오즈 역을 맡아 출연하였고, 2011년 방영되었다.
         박신혜는 2011년 드라마 《[[넌 내게 반했어]]》에서 가야금을 전공하는 상큼한 여대생 이규원 역을 연기해, [[정용화]]와 다시 공연했다. 예술대학을 배경으로 풋풋한 청춘의 사랑과 우정을 그려내겠다는 취지로 시작 됐지만 연이은 시청률 부진으로 15회로 조기 종영 되었다.<ref>{{뉴스 인용 |제목 =시청률 부진 속 <넌 내게 반했어>, 15회로 종영 |url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POD&mid=sec&oid=047&aid=0001984579|출판사 =오마이뉴스 |저자 =이미나 |날짜 = 201-08-09 |확인날짜 =2013-09-01 }}</ref><ref>https://www.soompi.com/2010/09/01/george-hu-is-park-shin-hyes-combat-butler/</ref> 이듬 해, 2012년에는 단막극 《[[KBS 드라마 스페셜]] - 걱정마세요 귀신입니다》에서 본인이 귀신이란 걸 자주 망각하는, 사람보다 더 사람같은 생기 넘치는 귀신 연화 역을 연기해 호평을 받아 [[KBS 연기대상]] 단막극 여자연기상을 수상했다. 박신혜는 2013년 초 개봉 되어 역대 여덟 번째로 천만 관객을 돌파한 영화 《[[7번방의 선물]]》에 성인 예승 역을 연기했다.<ref>{{웹 인용|title='Miracle in Cell No. 7' third most-viewed Korean film|url=http://english.yonhapnews.co.kr/culturesports/2013/03/15/27/0701000000AEN20130315007900315F.HTML|work=[[연합뉴스]]|accessdate=2013-03-20|date=15 March 2013}}</ref><ref>{{웹 인용|title='Miracle in Cell No. 7' third most-viewed Korean film|url=http://nwww.koreaherald.com/view.php?ud=20130315000902|work=The Korea Herald|accessdate=2013-03-20|date=15 March 2013}}</ref><ref>{{웹 인용|last=Ji|first=Yong-jin|title=MIRACLE IN CELL NO. 7 Passes MASQUERADE to Become 3rd Most Successful Korean Film|url=http://www.koreanfilm.or.kr/jsp/news/news.jsp?mode=VIEW&seq=2324|work=Korean Film Council|accessdate=2013-03-20|date=19 March 2013}}</ref> 같은 해 1월 첫방영 된 로맨틱 코미디 드라마 《[[이웃집 꽃미남]]》에서 사람 만나길 두려워 하는 히키코모리 고독미 역을 연기했고, 제 나이와 성격에 어울리는 밝고 씩씩한 여대생의 매력을 드러내기 시작했다.<ref name="mbn" /><ref>{{웹 인용|url=http://www.soompi.com/2012/10/31/park-shin-hye-and-yoon-shi-yoon-to-star-in-new-drama-flower-boy-next-door/|title=Park Shin Hye and Yoon Shi Yoon to Star in New Drama "Flower Boy Next Door"|date=June 26, 2012|accessdate=February 7, 2012|publisher=soompi}}</ref> 박신혜는 코오롱스포츠 40주년을 기념하여 제작 된 '웨이 투 네이처 필름 프로젝트 단편 영화 《사랑의 가위바위보》에 출연하였다.<ref>{{뉴스 인용 |제목 =김지운 감독의 로맨틱 코미디? '사랑의 가위바위보' |url =http://entertain.naver.com/read?oid=047&aid=0002023569|출판사 =오마이뉴스 |저자 =이선필 |날짜 = 2013-04-30 |확인날짜 =2013-09-01 }}</ref>
         박신혜는 이후, 2013년 10월부터 방영 된 하이틴 로맨스 드라마 《[[상속자들]]》에서 가난하지만 당당한 여고생 차은상 역을 맡아 성인 연기자로 이미지 변신에 성공하였다.<ref>{{웹 인용|url=http://www.kdramastars.com/articles/13557/20131228/2013-kdramas-that-got-the-best-ratings.htm |title=2013 Kdramas That Got The Best Ratings : Drama Stories |publisher=KDramaStars |date= |accessdate=2016-12-29}}</ref> 이 작품을 통해 국내를 넘어 아시아권에서도 크게 인기를 끌면서 여배우 최초로 ‘Dream of Angel’라는 타이틀의 아시아투어를 하는 등 부동의 인기를 누리는 한류스타로서 입지를 다졌다.<ref>{{뉴스 인용|title=Park Shin Hye First Female Actress to Tour Asia|url=http://www.kdramastars.com/articles/8567/20130315/park-shin-hye-first-female-actress-tour-asia.htm|accessdate=31 January 2014|newspaper=kdramastars|date=15 March 2013}}</ref> [[SBS 연기대상]] 중편드라마부문 여자우수연기상, 베스트 커플상, 10대스타상 3관왕을 수상했다.
         박신혜는 2014년 11월부터 방영 된 드라마 《[[피노키오 (드라마)|피노키오]]》에 캐스팅 되어 《[[천국의 나무]]》 PD였던 조수원 감독과 9년만에 재회하게 됐다.<ref>{{뉴스 인용 |제목 ='피노키오' 박신혜 "작품 기다리는 배우, 취준생의 심정" |url =http://entertain.naver.com/read?oid=311&aid=0000404814|출판사 =엑스포츠뉴스 |저자 =김승현 |날짜 = 2014-11-06 |확인날짜 =2014-11-10 }}</ref> 이 작품은 방송국 사회부 기자들의 삶과 24시간을 함께 하며 전쟁같이 보내는 이들이 설레는 관계로 발전해가는 풋풋한 청춘을 그린 드라마로 박신혜는 거짓말을 하면 딸꾹질을 하는 가상의 증후군인 '피노키오 증후군'을 앓고 있는 최인하 역을 연기하였고, 실제 사회부 기자들의 실상이나 문화를 현실적으로 잘 반영해 호평을 받았다.<ref>{{웹 인용|url=http://www.koreaherald.com/view.php?ud=20140904000373|title=Park Shin-hye confirmed to star in ‘Pinocchio’|publisher=The Korea Herald|accessdate=2014-09-08}}</ref><ref>{{웹 인용|title=Cultural Exports to Surpass 1 Trillion Won This Year|url=http://www.businesskorea.co.kr/english/news/lifestyle/8231-culture-trade-balance-cultural-exports-surpass-1-trillion-won-year|work=Business Korea|accessdate=2015-10-24|date=2014-12-26}}</ref><ref>{{웹 인용|title=‘Pinocchio’ sells distribution rights to China for record price|url=http://kpopherald.koreaherald.com/view.php?ud=201411241750324868840_2|work=Kpop Herald|accessdate=2015-10-24|date=2014-11-24}}</ref> 박신혜는 [[SBS 연기대상]] 중편드라마부문 여자최우수연기상과 베스트 커플상, 10대스타상 3관왕을 수상했다. 또한 제51회 [[백상예술대상]] TV부문 여자최우수연기상 후보에 올랐으며, 지난 2011년부터 2015년까지 5년 연속 인기상을 수상하는 대기록을 세웠다.<ref>{{뉴스 인용 |제목 =박신혜, 5년 연속 인기상 수상…대세 여배우 입증 [51th 백상] |url =http://entertain.naver.com/read?oid=117&aid=0002612085|출판사 =마이데일리 |저자 =이은지 |날짜 = 2015-05-26 |확인날짜 =2017-09-20 }}</ref> 같은 해 12월, 개봉 된 사극 영화 《[[상의원]]》에 왕비 역을 연기하였다.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2/26/%28160204%29_Park_Shin_Hye_%40_the_%27DongJu_-_The_Portrait_of_A_Poet%27_Movie_Premiere.jpg/170px-%28160204%29_Park_Shin_Hye_%40_the_%27DongJu_-_The_Portrait_of_A_Poet%27_Movie_Premiere.jpg
         2016년 6월, 첫 방영 된 메디컬 드라마 《[[닥터스 (드라마)|닥터스]]》에 캐스팅 된 박신혜는 학창시절 무기력한 반항아에서 사랑이 충만한 국일병원 신경외과 펠로우 의사로 성장하는 유혜정 역을 맡아<ref>{{뉴스 인용|제목=박신혜·김래원, '닥터스' 본방사수 독려 "오늘 첫방 아시죠?"|url=http://sports.chosun.com/news/ntype.htm?id=201606210100156110010947&servicedate=20160620|출판사=스포츠조선|저자=정유나|날짜=2016-06-20|확인날짜=2016-06-20}}</ref> 한층 더 발전한 연기력을 선보였고, 드라마는 최고 시청률 21.3%의 높은 시청률을 기록하며 많은 사랑을 받으며 따뜻한 감성 드라마로 호평를 받았다.<ref>{{뉴스 인용 |제목 ='닥터스' 박신혜, 이게 바로 인간 승리…'공부의 신' 됐다 (종합) |url =http://entertain.naver.com/read?oid=468&aid=0000162374|출판사 =스포츠서울 |저자 =김수현 |날짜 = 2016-06-21 |확인날짜 =2016-06-21 }}</ref> 연출을 맡은 오충환 감독은 제작발표회 당시 박신혜에 대해 “촬영장 공식 명칭이 ‘우리 신혜’다. 오전, 오후로 미담을 만들어 내고 있다. 처음으로 내가 열심히 해서 배우를 잘 되게 만들어 주고 싶다는 생각을 했다. 연기도 좋고 인성도 좋다”고 말했다.<ref name="mbn" /> 박신혜는 연말 [[SBS 연기대상]] 장르&판타지드라마부문 여자최우수연기상, 10대스타상 3관왕을 수상했우며, 제53회 [[백상예술대상]] TV부문 여자최우수연기상 후보에 올랐다. 이 작품을 통해 박신혜는 20대 여배우 중 가장 주목 받는 한류 스타이자 대표하는 ‘흥행배우’로 성장하였다.<ref>{{뉴스 인용 |제목 =['닥터스' 종영기획②] '3연속 흥행퀸' 박신혜, 믿고 보는 20대 女배우 우뚝 |url =http://entertain.naver.com/read?oid=117&aid=0002807409|출판사 = 마이데일리|저자 =최지예 |날짜 = 2016-08-24 |확인날짜 =2016-09-01 }}</ref><ref>{{뉴스 인용 |제목 =[SS이슈]'닥터스' 박신혜,안방 흥행여왕+20대 CF퀸 |url =http://entertain.naver.com/read?oid=468&aid=0000169345|출판사 =스포츠서울 |저자 =조현정 |날짜 = 2016-07-12 |확인날짜 =2013-09-01 }}</ref> 2016년 11월 개봉 된 코미디 영화 《[[형 (2016년 영화)|형]]》에서 국가대표급 오지랖 유도코치 이수현 역을 연기했다.<ref>{{뉴스 인용 |제목 =박신혜, 만났다하면 케미퀸…이번엔 조정석x도경수 |url =http://entertain.naver.com/read?oid=213&aid=0000923745|출판사 =TV리포트 |저자 =김수정 |날짜 = 2016-11-08 |확인날짜 =2016-11-10 }}</ref>
         박신혜는 2017년, [[정지우 (영화 감독)|정지우]] 감독의 영화 《[[침묵 (2017년 영화)|침묵]]》에서 변호사 최희정 역을 연기했다. 영화는 약혼녀가 살해당하고 그 용의자로 자신의 딸이 지목되자, 딸을 무죄로 만들기 위해 자신만의 방식으로 사건을 쫓는 남자 ‘임태산’의 이야기를 그린 작품으로<ref>{{뉴스 인용 |제목 =최민식x박신혜x류준열 '침묵' 11월 개봉 확정 |url =http://entertain.naver.com/read?oid=213&aid=0000988848|출판사 =TV리포트 |저자 =김수정 |날짜 = 2017-09-20 |확인날짜 =2017-09-20 }}</ref> 2017년 11월 개봉을 앞두고 있다. 박신혜는 2017년 6월부터는 지난 2013년 첫 투어 이후 4년만에 2017 아시아투어의 첫 스타트 무대를 홍콩에서 성황리에 마쳤으며, 이번 아시아투어는 올 해로 네 번째로 투어 수익금 전액은 기아대책에 기부되었다. 이외에도 대만, 필리핀, 일본, 싱가포르, 태국에서도 열릴 예정이다.<ref>{{뉴스 인용 |제목 =박신혜, 아시아투어 첫 무대 성료…"MC 없이 단독진행" |url =http://entertain.naver.com/read?oid=076&aid=0003105412|출판사 =스포츠조선 |저자 =정유나 |날짜 = 2017-06-12 |확인날짜 =2017-09-12 }}</ref><ref>{{뉴스 인용 |제목 =박신혜 ‘한류여제’ 파워 과시 |url =http://entertain.naver.com/read?oid=382&aid=0000576478|출판사 =스포츠동아 |저자 =이정연 |날짜 = 2017-07-04 |확인날짜 =2017-09-12 }}</ref>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c/c7/Park_Shin-hye_from_acrofan.jpg/170px-Park_Shin-hye_from_acrofan.jpg
         박신혜는 매년 팬미팅 수익금을 현지 NGO나 사회단체에 기부해오고 있다. 2007년, 박신혜는 드라마 《우리를 행복하게 하는 몇 가지 질문》의 순수제작비를 제외한 작가, 연출자, 연기자들의 원고료와 연출료 및 출연료 전액 등의 수익금을 NGO 단체를 기부하는 것에 동참했다.<ref>{{뉴스 인용 |제목 =원고료-출연료 기부...첫 도네이션 극 방영 |url =http://entertain.naver.com/read?oid=213&aid=0000006327|출판사 =TV리포트 |저자 =김진도 |날짜 = 2007-05-14 |확인날짜 =2013-09-01 }}</ref> 2012년에는 한국 공식팬클럽 ‘별빛천사’와 함께 한 한국 팬미팅 티켓 판매금 전액을 팬들과 대표적인 [[NGO]] 단체 ‘기아대책’에 기부하며, 박신혜가 봉사를 다녀온 아프리카 가나의 별빛 천사 마을을 위해 후원하였다.<ref>{{뉴스 인용 |제목 =박신혜 노래선물, ‘팬 위한 노래’ 직접 작사한 곡 ‘최초 공개’ |url =http://entertain.naver.com/read?oid=038&aid=0002231659|출판사 =리뷰스타 |저자 =김숙희 |날짜 = 2012-02-20 |확인날짜 =2013-09-01 }}</ref> 같은 해 7월, 드라마 《[[넌 내게 반했어]]》의 후지TV 방송을 기념해 [[정용화]]와 함께 7월 15일과 16일 두 차례에 걸쳐 열린 팬미팅 행사를 성공리에 마쳤고, 팬미팅 수익의 일부를 국제기아대책기구를 통해 동일본대지진의 지원금으로 기부했다.<ref>{{뉴스 인용 |제목 =박신혜-정용화, '넌 내게 반했어' 日 팬미팅 수익금 기부 |url =http://entertain.naver.com/read?oid=076&aid=0002236717|출판사 =스포츠조선|저자 =김표향 |날짜 = 2012-07-17 |확인날짜 =2013-09-01 }}</ref> 2013년 일본 팬미팅 후에는 기아대책 일본지부에, 필리핀 팬미팅의 수익금도 현지에 되돌려 한류의 이미지 제고에 앞장서오고 있다.<ref>{{뉴스 인용 |제목 =박신혜, 中 반려동물 성금 기부… 경시풍조에 경종 |url =http://entertain.naver.com/read?oid=469&aid=0000056438|출판사 =한국일보 |저자 =이현아 |날짜 = 2015-04-05 |확인날짜 =2015-04-07 }}</ref> 같은 해 1월, 드라마 《[[이웃집 꽃미남]]》 제작발표회에서 팬들에게 받은 쌀 화환을 나눔의 집에 기부했고, 같은 해 2월, 한국 팬미팅 수익 전액과 일본 팬미팅 수익 일부를 기아 대책에 기부했다. 4월에는, 서울 영등포 타임스퀘어 CGV 스타리움에서 영화 《사랑의 가위바위보》의 쇼케이스 행사에 참석한 박신혜를 응원하기 위해 일본 팬클럽과 공식 팬클럽 회원들은 쌀 화환 520kg과 공식 팬클럽은 '별빛천사는 사랑의 가위바위보를 응원합니다' 등의 메시지를 적은 쌀 화환을 보내고, 이날 받은 쌀 화환 520kg은 박신혜가 지정하는 기부처로 전달돼 어려운 이웃을 위해 기부 되었다.<ref>{{뉴스 인용 |제목 =박신혜, 쌀 화환 520kg 어려운 이웃에 기부 |url =http://entertain.naver.com/read?oid=111&aid=0000330294|출판사 =조이뉴스24 |저자 =권혜림 |날짜 = 2013-04-30 |확인날짜 =2013-09-01 }}</ref> 6월 24일, 영화 《사랑의 가위바위보》의 청각장애인을 위한 한국어 대사와 해설 자막, 시각장애인을 위시·청각 장애인들도 비장애인과 함께 영화를 감상할 수 있게 제작한 배리어프리 버전 녹음을 진행했고, 박신혜는 영화의 앞부분에 내레이터로 재능 기부에 참여했다.<ref>{{뉴스 인용 |제목 =김지운 감독·박신혜, 시청각 장애인 위해 재능기부 |url =http://entertain.naver.com/read?oid=117&aid=0002348112|출판사 =마이데일리 |저자 =김미리 |날짜 = 2013-06-24 |확인날짜 =2013-09-01}}</ref>
         박신혜는 또한 2011년부터 기아대책 홍보대사로 활동, 서부 아프리카 가나에 있는 결연아동 아반네를 결연후원 해오고 있으며 팬들과 해외 빈곤국에 센터 세우는 일에 동참했다.<ref>{{뉴스 인용 |제목 =팬과 함께 봉사활동 나선 별들 |url =http://entertain.naver.com/read?oid=382&aid=0000196660|출판사 =스포츠동아 |저자 =김원겸 |날짜 = 2014-04-08 |확인날짜 =2014-04-09}}</ref> 국내외 팬들과 전 세계 빈곤국가 아이들의 교육적, 정서적 지원을 위한 ‘별빛천사마을’ 만들기 프로젝트를 진행해왔다. 1호 센터로 서부 아프리카 가나 ‘신혜센터(Shin Hye Center)’가 2013년 11월 완공되어 5백여 명의 학생들이 이용하고 있다.<ref>{{뉴스 인용 |제목 =기아대책 홍보대사 박신혜, ‘러브백’ 특별행사 참여 |url =http://www.newsen.com/news_view.php?uid=201405291628173210|출판사 =뉴스엔 |저자 =김찬미 |날짜 = 2014-05-29 |확인날짜 =2014-05-30}}</ref> 2014년에는 세월호 희생자 가족을 위해 희망브리지 전국재해구호협회를 통해 5,000만원을 기부했다.<ref>{{뉴스 인용 |제목 =박신혜 이어 소속사도 1000만원 기부 "작게나마 위로가 됐으면" |url =http://entertain.naver.com/read?oid=009&aid=0003189349|출판사 =매일경제 |저자 =이슈팀 |날짜 = 2014-04-23 |확인날짜 =2014-04-24}}</ref><ref>{{뉴스 인용 |제목 =박신혜 이어 소속사도 1000만원 기부 "작게나마 위로가 됐으면" |url =http://stoo.asiae.co.kr/news/view.htm?idxno=2014042515493577725|출판사 =스포츠투데이 |저자 =김은애 |날짜 = 2014-04-25 |확인날짜 =2014-04-26 }}</ref> 또한 자신의 SNS 트위터 프로필 사진을 노란리본 사진으로 변경, 노란리본 캠페인에도 동참했다.<ref>{{뉴스 인용 |제목 =박신혜, 기부 이어 노란리본 캠페인 동참 |url =http://entertain.naver.com/read?oid=144&aid=0000242446|출판사 =스포츠경향 |저자 =온라인뉴스팀 |날짜 = 2014-04-23 |확인날짜 =2014-04-24 }}</ref> 2015년, 박신혜는 ‘2015 Dream of Angel’ 타이틀로 아시아투어에 나섰고, 상해 팬미팅 수익을 [[NGO]] 단체 ’기아대책’의 별빛천사마을 만들기와 중국의 유기동물 보호단체 ‘타소원’에 기부했다.<ref>{{뉴스 인용 |제목 =박신혜, 상해 팬미팅 수익금 전액 기부.."한류스타 이례적 행보" |url =http://entertain.naver.com/read?oid=018&aid=0003217288|출판사 =이데일리 |저자 =강민정 |날짜 = 2015-03-30 |확인날짜 =2013-09-01 }}</ref> 4월, 박신혜는 큰 피해를 입은 [[네팔]] 국민들을 위해 국제구호단체 기아대책를 통해 3,000만원을 기부했다.<ref>{{뉴스 인용 |제목 =네팔 지진 희생자 위해 3천만원 후원 |url =http://entertain.naver.com/read?oid=109&aid=0003054697|출판사 =OSEN |저자 =정유진 |날짜 = 2015-04-30 |확인날짜 =2013-09-01 }}</ref> 2016년 7월, 박신혜는 아프리카 가나의 신혜센터에 이어 필리핀 마닐라에 신혜센터의 건립을 진행했다. 이에 박신혜와 소속사 솔트 엔터테인먼트 직원들은 센터건립에 앞서 필리핀 쌈빨록 지역의 아이들과 1:1 결연을 맺었고, 지난 3월 박신혜는 필리핀의 결연아동의 집을 직접 방문하고 아동결연센터 아이들과 함께 즐거운 시간을 가지며 센터 건립에 앞서 건축기념식을 가졌다.<ref>{{뉴스 인용|url=http://entertain.naver.com/read?oid=382&aid=0000489585|제목=박신혜가 또… 필리핀에 아동복지시설 ‘신혜센터’ 건립|출판사 =스포츠동아 |저자=홍세영|날짜 = 2016-07-22|확인날짜=2016-12-09}}</ref>
         2016년 12월, 박신혜는 희망브리지 전국재해구호협회를 통해 대구 서문시장 화재피해 이웃돕기를 위해 5천만 원을 기부한데 이어<ref>{{뉴스 인용|url=http://entertain.naver.com/read?aid=0000931937&oid=213&lightVersion=off|제목=박신혜 측 "서문시장 5천만 원 기부, 소속사도 몰랐다" [공식입장]|출판사 =TV리포트|저자=박설이|날짜 = 2016-12-29|확인날짜=2016-12-09}}</ref> 밥상공동체복지재단를 통해서도 5,000만 원을 기부했다.<ref>{{뉴스 인용|url=http://entertain.naver.com/read?oid=382&aid=0000526953|제목=박신혜 또다시 선행…연탄은행에 5000만 원 기부 [공식]|출판사 =스포츠동아|저자=홍세영|날짜 = 2016-12-14|확인날짜=2017-01-01}}</ref>
         * {{인스타그램|ssinz7}}
         * {{언어링크|ja}} {{공식 웹사이트|http://www.parkshinhye.jp/}} (일본)
  • 스틸오션/일본 . . . . 78회 일치
         Minekaze의 어뢰를 연구하면 탈 수 있다.
         ||<bgcolor=#cccccc> '''소나 범위''' || 2,769 m ||<bgcolor=#cccccc> '''소나 빈도''' || 6.47 f/min ||
         ||<bgcolor=#cccccc> '''얕은 잠항''' || 0.43 %/min ||<bgcolor=#cccccc> '''깊은 잠항''' || 0.65 %/min ||
         ||<bgcolor=#cccccc> '''소나 범위''' || 2,880 m ||<bgcolor=#cccccc> '''소나 빈도''' || 6.73 f/min ||
         ||<bgcolor=#cccccc> '''얕은 잠항''' || 0.48 %/min ||<bgcolor=#cccccc> '''깊은 잠항''' || 0.69 %/min ||
         ||<bgcolor=#cccccc> '''소나 범위''' || 2,995 m ||<bgcolor=#cccccc> '''소나 빈도''' || 6.99 f/min ||
         ||<bgcolor=#cccccc> '''얕은 잠항''' || 0.4 %/min ||<bgcolor=#cccccc> '''깊은 잠항''' || 0.61 %/min ||
         ||<bgcolor=#cccccc> '''소나 범위''' || 3,115 m ||<bgcolor=#cccccc> '''소나 빈도''' || 7.27 f/min ||
         ||<bgcolor=#cccccc> '''얕은 잠항''' || 0.39 %/min ||<bgcolor=#cccccc> '''깊은 잠항''' || 0.6 %/min ||
         ||<bgcolor=#cccccc> '''소나 범위''' || 3,240 m ||<bgcolor=#cccccc> '''소나 빈도''' || 7.57 f/min ||
         ||<bgcolor=#cccccc> '''얕은 잠항''' || 0.42 %/min ||<bgcolor=#cccccc> '''깊은 잠항''' || 0.64 %/min ||
         ||<bgcolor=#cccccc> '''소나 범위''' || 3,369 m ||<bgcolor=#cccccc> '''소나 빈도''' || 7.87 f/min ||
         ||<bgcolor=#cccccc> '''얕은 잠항''' || 0.33 %/min ||<bgcolor=#cccccc> '''깊은 잠항''' || 0.51 %/min ||
         ||<bgcolor=#cccccc> '''소나 범위''' || 3,504 m ||<bgcolor=#cccccc> '''소나 빈도''' || 8.18 f/min ||
         ||<bgcolor=#cccccc> '''얕은 잠항''' || 0.35 %/min ||<bgcolor=#cccccc> '''깊은 잠항''' || 0.55 %/min ||
         ||<bgcolor=#cccccc> '''소나 범위''' || 3,644 m ||<bgcolor=#cccccc> '''소나 빈도''' || 8.51 f/min ||
         ||<bgcolor=#cccccc> '''얕은 잠항''' || 0.35 %/min ||<bgcolor=#cccccc> '''깊은 잠항''' || 0.42 %/min ||
         === Minekaze ===
         ||<bgcolor=#cccccc> '''소나 범위''' || 4,007 m ||<bgcolor=#cccccc> '''소나 빈도''' || 6.05 f/min ||
         ||<bgcolor=#cccccc> '''소나 범위''' || 4,087 m ||<bgcolor=#cccccc> '''소나 빈도''' || 6.23 f/min ||
  • 정용화 . . . . 73회 일치
         | 웹사이트 = [https://fncent.com/jungyonghwa/b/introduce/7670 FNC 엔터테인먼트 정용화]<br>{{인스타그램|jyheffect0622}}<br>{{트위터|JYHeffect}}
         * [[2010년]] [[1월 14일]] 락밴드 씨엔블루(CNBLUE)의 리더로 팀 안에서 보컬과 기타와 랩을 맡아, [[bluetory]]<ref name="album1">[http://starin.edaily.co.kr/news/NewsRead.edySCD=EA31&newsid=01315286592871176&DCD=A10102 씨엔블루, '씨엔블루토리'서 1집 전곡 첫 라이브 연주]{{깨진 링크|url=http://starin.edaily.co.kr/news/NewsRead.edySCD%3DEA31%26newsid%3D01315286592871176%26DCD%3DA10102 }}《이데일리스타in》, 2010년 2월 16일 작성.</ref> 음반 발매와 함께 가수 활동을 시작하였다. 수건남 효과에 힘입어 첫 방송후 각종 차트를 올킬하였으며,<ref name="all">[http://news.jkn.co.kr/article/news/20100117/6857237.htm “블루돌풍” CNBLUE, 첫 방송후 각종 차트 ‘올킬’]《재경일보》2010.01.17 작성.</ref> 한국 가요계에서 신인이 데뷔 후 14일만에 1위를 하는 기록을 세웠다.<ref name="chleks">[http://news.jkn.co.kr/article/news/20100129/7708991.htm 씨엔블루, 최단기간 1위 기록 세우며 정상 등극! ]《재경일보》2010.01.29 작성.</ref> 이는 지상파 데뷔 최단 기간 1위 기록이었지만 위너 이후에 기록이 깨졌다.* [[2010년]] [[5월 19일]], 씨엔블루는 두 번째 미니 앨범 《[[Bluelove]]》를 발매하였다.<ref>{{뉴스 인용
         * [[2010년]] [[6월 23일]] 일본에서 발매한 《The Way》앨범 타이틀 One Time 을[[작사]], [[작곡]] 하였고 이 곡으로 씨엔블루로는 오리콘 싱글차트 11위에 진입하였다.<ref>{{뉴스 인용|제목 = 씨엔블루, 日 싱글 'The Way' 오리콘 데일리 11위|url=http://joynews.inews24.com/php/news_view.php?g_menu=700100&g_serial=500570|출판사 = 조이뉴스24 |날짜 = [[2010년]] [[6월 24일]]}}</ref>
         * [[2009년]] [[12월 6일]]부터 [[2010년]] [[3월]]까지 [[문화방송|MBC]] 《[[우리들의 일밤|일요일 일요일 밤에]] - [[헌터스]] : [[헌터스|에코하우스]]》를 시작으로 예능활동을 시작하였다. [[2010년]] [[2월]]부터 [[2011년]] [[4월]]까지 [[문화방송|MBC]] 《[[우리 결혼했어요]] 시즌 2》에 고정출연하였고, [[2010년]] [[7월]]부터 [[2011년]] [[3월]]까지는 [[SBS]] 《[[인기가요]]》 [[사회자|MC]]를 맡았다.<ref name="ingi">[http://seoulntn.com/cindex.php?c=news&m=view&idx=41989 정용화-조권, '인기가요' 새 MC 발탁..'관심집중'], 《서울신문NTN》, 2010년 7월 18일 작성.</ref> 또한, [[2009년]], [[2010년]] 2년 연속 《[[SBS 가요대전]]》 MC로 활동하였다.<ref name="gayo1" /><ref name="gayo2" /> 이러한 고정 출연 외에도 [[황금어장]], [[런닝맨]] -게스트로 최다출연기록을 세웠다, [[강심장]], [[명받았습니다]], [[승승장구]], [[놀러와]], [[해피투게더 (텔레비전 프로그램)|해피투게더]], [[청춘불패]], [[대국민 토크쇼 안녕하세요]] 등 여러 예능 프로그램에 게스트로 출연하였다.
         * [[2011년]] [[1월 9일]], 일본에서 세 번째 싱글 ''[[RE-MAINTENANCE]]''를 발매하였다. 타이틀 "Try again, Smile again"을 작곡 및 작사하였고 오리콘 싱글차트 데일리 2위에 올랐다.<ref>{{뉴스 인용 |제목 = '씨엔블루' 日 투어 전석 매진 신기록…오리콘 챠트 2위 겹경사 |url = http://mystar.mdtoday.co.kr/mystar/index.html?no=426803 |출판사 = 마이스타뉴스 |날짜 = [[2011년]] [[1월 10일]] |확인날짜 = 2012년 8월 19일 |보존url = https://archive.today/20130111191550/http://mystar.mdtoday.co.kr/mystar/index.html?no=426803 |보존날짜 = 2013년 1월 11일 |깨진링크 = 예 }}</ref>
         * [[2011년]] [[3월 21일]], 첫 정규 음반 발매 및 게릴라 라이브 콘서트를 열었으며,<ref>{{뉴스 인용|제목 = 컴백 씨엔블루 오늘(21일) 앨범발매→쇼케이스→게릴라콘서트 3단콤보|url=http://www.newsen.com/news_view.php?uid=201103211126181002|출판사 = 뉴스엔 |날짜 = [[2011년]] [[3월 21일]]}}</ref><ref>{{뉴스 인용|제목 = 씨엔블루, 컴백과 함께 게릴라 콘서트…팬들 “역시 실력파 밴드는 달라”|url = http://mystar.mdtoday.co.kr/mystar/index.html?no=479272|출판사 = 마이스타뉴스|날짜 = [[2011년]] [[3월 21일]]}}{{깨진 링크|url=http://mystar.mdtoday.co.kr/mystar/index.html?no=479272 }}</ref> 선주문 10만장이 넘은 이 앨범은 발매 직 후 실시간차트와 일간차트 등에서 1위를 하였고, 컴백 일주일 후 [[3월 31일]] [[Mnet]] 《[[엠카운트다운]]》에서 1위를 시작으로 하여 공중파인 [[KBS]] 《[[뮤직뱅크]]》, [[SBS]] 《[[인기가요]]》에서 1위를 하였으며,<ref>{{뉴스 인용|제목 = 씨엔블루, 컴백 1주 만에 '엠카' 1위··"초심 잃지 않겠다"|url=http://www.asiae.co.kr/news/view.htm?idxno=2011033115421314776|출판사 = 아시아경제 |날짜 = [[2011년]] [[3월 31일]]}}</ref><ref>{{뉴스 인용|제목 = 씨엔블루 '직감' 잇따른 1위, 'FIRST STEP'의 놀라운 '직감'|url=http://bntnews.hankyung.com/apps/news?popup=0&nid=04&c1=04&c2=04&c3=00&nkey=201104021400073&mode=sub_view|출판사 = 한경닷컴 |날짜 = [[2011년]] [[4월 2일]]}}</ref> 데뷔 후 처음으로 [[Mnet]] 《[[엠카운트다운]]》과 [[KBS]]《[[뮤직뱅크]]》에서 트리플크라운을 달성하였다.
         * [[2011년]] [[9월 1일]]에 일본에서 인디즈 마지막 앨범인 《[[392(Thank you too(much))]]》를 발매하여 오리콘 데일리 앨범 3위와 인디즈 위클리 1위를 차지 하였다.<ref>{{뉴스 인용|제목 = 씨엔블루 日 앨범 ‘392’, 오리콘 데일리 앨범 차트 3위 |url=http://www.maxmovie.com/movie_info/ent_news_view.asp?mi_id=MI0093705691|출판사 = 맥스뉴스 |날짜 = [[2011년]] [[9월 2일]]}}</ref> 또한, [[2011년]][[9월 10일]]에 일본에서 열린 일본 마쿠하리 멧세(MAKUHARI MESSE)에서 열리는 [[린킨파크]](Linkin Park) 단독 공연의 오프닝 무대에 서게 됐다.<ref>{{뉴스 인용|제목= 씨엔블루(CNBLUE), 린킨파크(Linkin Park)와 '오프닝 무대' 가져|url= http://www.topstarnews.net/n_news/news/view.html?no=3065|출판사= 톱스타뉴스|날짜= [[2011년]] [[9월 9일]]|확인날짜= 2012년 8월 19일|보존url= https://web.archive.org/web/20130120220518/http://topstarnews.net/n_news/news/view.html?no=3065|보존날짜= 2013년 1월 20일|깨진링크= 예}}</ref>[[9월 17일]]~[[9월 18일]]에는 서울에서 열린 콘서트 "BLUE STORM"을 이틀에 걸쳐 진행하고,<ref>{{뉴스 인용|제목 = 씨엔블루, 아시아투어 콘서트…9월 제주에서 출발한다.|url=http://sportsworldi.segye.com/Articles/EntCulture/Article.asp?aid=20110801001713&subctg1=10&subctg2=00|출판사 = 스포츠월드 |날짜 = [[2011년]] [[8월 1일]]}}</ref> [[9월 25일]]에는 인디즈그룹으로는 유례없이 1만 5천석의 Yokohama Arena에서 인디즈 마지막 콘서트를 진행하였다.<ref>{{뉴스 인용|제목 = 씨엔블루 단독 콘서트, 요코하마의 밤을 불태운 ‘열정의 무대’|url=http://sstv.tvreport.co.kr/index.html?page=news/flypage&cid=24&nid=119144|출판사 = SSTV |날짜 = [[2011년]] [[9월 26일]]}}</ref><ref>{{뉴스 인용|제목 = 이것이 밴드다…'씨엔블루' 日콘서트,1만 5천 팬 열광 |url=http://www.nocutnews.co.kr/Show.asp?IDX=1927290|출판사 = 노컷뉴스 |날짜 = [[2011년]] [[9월 26일]]}}</ref>
         * [[2011년]] [[10월 19일]]에 2년여 시간의 인디즈 생활을 마감하고 《[[In My Head]]》로 메이저 데뷔를 하였다.<ref>{{뉴스 인용|제목 = 씨엔블루, 워너 뮤직 재팬과 계약 체결…日 메이저 사냥 나선다|url = http://tvdaily.mk.co.kr/read.php3?aid=1314836363197901011|출판사 = 티브이데일리|날짜 = [[2011년]] [[9월 1일]]|확인날짜 = 2012년 8월 19일|보존url = https://archive.today/20120720005549/http://tvdaily.mk.co.kr/read.php3?aid=1314836363197901011|보존날짜 = 2012년 7월 20일|깨진링크 = 예}}</ref><ref>{{뉴스 인용|제목 = 씨엔블루, 10월19일 'In my head' 발매 日정식데뷔 |url=http://star.mt.co.kr/view/stview.php?no=2011090609394071723&type=1&outlink=1|출판사 = 스타뉴스 |날짜 = [[2011년]] [[9월 6일]]}}</ref>《[[In My Head]]》의 타이틀 "In My Head" 를 작곡 하였고 "Mr.K.I.A(Know It All)" 작사 및 작곡, "In My Head(Inst.)" 작곡하였다. 이 앨범은 첫 날 오리콘 싱글 데일리 차트 3위를 하였다.<ref>{{뉴스 인용|제목= `씨엔블루, 日메이저 데뷔곡 '인 마이 헤드' 오리콘 3위 '쾌거' |url=http://www.mydaily.co.kr/news/read.html?newsid=201110200945231137&ext=na|출판사 = 마이데일리|날짜 = [[2011년]] [[10월 20일]]}}</ref> 메이저 음반 발매 기념으로 한 이벤트에 1만4000여명이 참가했다.<ref>{{뉴스 인용|제목= 씨엔블루 이벤트 1만4000명 동원 ‘日 메이저 데뷔 성공적’|url= http://news.donga.com/Culture/Music/3/0710/20111025/41382723/1|출판사= 스포츠동아|날짜= [[2011년]] [[10월 25일]]}}{{깨진 링크|url=http://news.donga.com/Culture/Music/3/0710/20111025/41382723/1 }}</ref>
         * 오리콘 싱글 위클리 차트에 일주일 만에 7만 1200장을 팔아 치우고 일본 메이저 데뷔를 했다.<ref>{{뉴스 인용|제목= 씨엔블루, 日 데뷔싱글 일주일 만에 7만장 판매|url=http://sports.chosun.com/news/utype.htm?id=201110270100197960017298&ServiceDate=20111026|출판사 = 스포츠조선|날짜 = [[2011년]] [[10월 26일]]}}</ref><ref>{{뉴스 인용 |제목= 씨엔블루 '인 마이 헤드', 日 오리콘 주간 차트 4위 랭크 |url= http://tvdaily.mk.co.kr/read.php3?aid=1319589921221164011 |출판사= 티브이데일리 |날짜= [[2011년]] [[10월 26일]] |확인날짜= 2012년 8월 19일 |보존url= https://archive.today/20120715225340/http://tvdaily.mk.co.kr/read.php3?aid=1319589921221164011 |보존날짜= 2012년 7월 15일 |깨진링크= 예 }}</ref> 《[[In My Head]]》는 [[2011년]][[11월 10일]]에 일본 레코드 협회에서 선정하는 골드 레코드가 되었다.<ref>{{뉴스 인용|제목= 씨엔블루 일본 데뷔싱글 10만장 넘겨, 日 '골드 레코드' 선정|url= http://tvdaily.mk.co.kr/read.php3?aid=1321064770229443011|출판사= 티브이데일리|날짜= [[2011년]] [[11월 12일]]|확인날짜= 2012년 8월 19일|보존url= https://archive.today/20130112003527/http://tvdaily.mk.co.kr/read.php3?aid=1321064770229443011|보존날짜= 2013년 1월 12일|깨진링크= 예}}</ref>
         * [[2012년]] [[1월 31일]] 일본 MTV '언플러그드' 출연하였다. 이 프로그램은 어쿠스틱한 연주와 청중과의 가까운 거리를 유지한 무대 등 라이브를 진행하는 것으로 유명하다.<ref>{{뉴스 인용|제목= 씨엔블루, 韓 가수 최초로 日 MTV '언플러그드' 출연|url=http://joynews.inews24.com/php/news_view.php?g_menu=700300&g_serial=634129&rrf=nv|출판사 = 조이뉴스24|날짜 = [[2012년]] [[2월 1일]]}}</ref> 또한, 수용인원 150명에 응모인원만 1만 5천여명이 응모하여 100배의 응모 수를 기록했다.<ref>{{뉴스 인용|제목= 씨엔블루, 日MTV ‘언플러그드’ 출연…티켓 응모 ‘정원의 100배’ 기염|url= http://www.eto.co.kr/news/outview.asp?Code=20120201170502960&ts=95729|출판사= 경제투데이|날짜= [[2012년]] [[2월 1일]]|확인날짜= 2012년 8월 19일|보존url= https://web.archive.org/web/20160304124520/http://www.eto.co.kr/news/outview.asp?Code=20120201170502960&ts=95729|보존날짜= 2016년 3월 4일|깨진링크= 예}}</ref>
         * [[2012년]] [[2월 1일]]에 일본에서 두 번째 싱글앨범인 ''[[Where you are]]''를 발매하였고 타이틀인 "Where you are"를 작사 및 작곡하고 "feeling" 작사 및 작곡, "Where you are(Inst.)" 작곡하였다. 이 앨범은 하루에 3만 2천여장이 나갔고 ''[[Where you are]]''는 오리콘 싱글 데일리 차트 1위에 올랐다.<ref>{{뉴스 인용|제목= 씨엔블루, 정용화 자작곡 日오리콘 차트 1위|url=http://star.mt.co.kr/view/stview.php?no=2012020208385422373&type=1&outlink=1|출판사 = 스타뉴스|날짜 = [[2012년]] [[2월 2일]]}}</ref><ref>{{뉴스 인용|제목= 아시아 대세 씨엔블루, 두 번째 싱글 ‘웨어 유 아’로 오리콘 차트 1위|url=http://sports.khan.co.kr/news/sk_index.html?cat=view&art_id=201202020838404&sec_id=540101&pt=nv|출판사 = 스포츠경향|날짜 = [[2012년]] [[2월 2일]]}}</ref><ref>{{뉴스 인용|제목= 씨엔블루 '록 한류' 통했다..인디서 日오리콘까지 |url=http://star.mt.co.kr/view/stview.php?no=2012020715142874966&type=1&outlink=1|출판사 = 스타뉴스|날짜 = [[2012년]] [[2월 7일]]}}</ref>
         * [[2012년]] [[3월 26일]]에 기자 간담회 쇼케이스에서 세 번째 미니 앨범 [[EAR FUN]]을 발표하고 본격적으로 활동을 시작하였다.<ref>{{뉴스 인용|제목= 씨엔블루, 컴백 쇼케이스를 왜 아침에? |url=http://osen.mt.co.kr/article/G1109369721|출판사 = OSEN|날짜 = [[2012년]] [[3월 23일]]}}</ref><ref>{{뉴스 인용|제목= '컴백' 씨엔블루 "음반 낼때 마다 부담, 초심으로 돌아가려고 노력" |url=http://www.mydaily.co.kr/news/read.html?newsid=201203261244591132&ext=na|출판사 = 마이데일리|날짜 = [[2012년]] [[3월 26일]]}}</ref> 음원은 발표와 동시에 1위를 기록하였으며,<ref>{{뉴스 인용|제목= '컴백' 씨엔블루 '헤이 유' 음원공개 직후 1위|url=http://star.mt.co.kr/view/stview.php?no=2012032608080291572&type=1&outlink=1|출판사 = 스타뉴스|날짜 = [[2012년]] [[3월 26일]]}}</ref> 앨범은 3일만에 4만장이상이 판매되는 기록을 세웠다.<ref>{{뉴스 인용 |제목= 씨엔블루, 3일 만에 4만장 돌파…'3월 전쟁' 최후의 승자 |url= http://news.sportsseoul.com/read/entertain/1022572.htm |출판사= 스포츠서울 |날짜= [[2012년]] [[3월 29일]] }}{{깨진 링크|url=http://news.sportsseoul.com/read/entertain/1022572.htm }}</ref><ref>{{뉴스 인용|제목= 씨엔블루 새 미니앨범 판매량 1위, 최단 시간 4만장 돌파|url=http://interview365.mk.co.kr/news/19427|출판사 = 인터뷰365|날짜 = [[2012년]] [[3월 30일]]}}</ref> 또한, 한터 주간 순위에서 음반 판매량 1위를 차지하였다.<ref>{{뉴스 인용 |제목= 씨엔블루 ‘EAR FUN’, 한터 주간차트 1위! '승승장구' |url= http://thestar.chosun.com/site/data/html_dir/2012/04/03/2012040300698.html |출판사= 더스타 |날짜= [[2012년]] [[4월 3일]] |확인날짜= 2012-08-19 |보존url= https://web.archive.org/web/20140908061211/http://thestar.chosun.com/site/data/html_dir/2012/04/03/2012040300698.html |보존날짜= 2014-09-08 |깨진링크= 예 }}</ref> 컴백 무대를 가진 일주일 후 [[4월 5일]] [[Mnet]] 《[[엠카운트다운]]》에서 1위를 차지하였으며,<ref>{{뉴스 인용 |제목= 씨엔블루, 무세운 상승세로 컴백 1주만에 '엠카 1위' |url= http://xportsnews.hankyung.com/?ac=article_view&entry_id=224780 |출판사= 엑스스포츠뉴스 |날짜= [[2012년]] [[4월 5일]] }}{{깨진 링크|url=http://xportsnews.hankyung.com/?ac=article_view&entry_id=224780 }}</ref> 《[[EAR FUN]]》의 타이틀 곡인 '''Hey you'''가 가온차트 4월 1주차에 1위를 등극하였다.<ref>{{뉴스 인용|제목= 씨엔블루, 가온차트 4월1주차 1위 등극 |url=http://osen.mt.co.kr/article/G1109378505|출판사 = OSEN|날짜 = [[2012년]] [[4월 8일]]}}</ref> 그리고 [[2012년]] [[4월 10일]]에 한 달간의 짧은 활동을 아쉬워하는 팬들을 위해서 《[[EAR FUN Special Limited Edition]]》을 발매하였다.<ref>{{뉴스 인용 |제목= 씨엔블루, 미국화보+DVD 수록된 'EAR FUN' 특별한정판 발매 |url= http://thestar.chosun.com/site/data/html_dir/2012/04/06/2012040600768.html |출판사= 더스타 |날짜= [[2012년]] [[4월 6일]] |확인날짜= 2012-08-19 |보존url= https://web.archive.org/web/20150925085809/http://thestar.chosun.com/site/data/html_dir/2012/04/06/2012040600768.html |보존날짜= 2015-09-25 |깨진링크= 예 }}</ref>
         * 공식적인 세 번째 미니 앨범 [[EAR FUN]]활동을 [[2012년]] [[4월 22일]]에 마무리하고, [[2012년]] [[5월 5일]]에 드디어 첫 번째 [[씨엔블루]] 팬미팅을 연세대학교 대강당에서 열렸다.<ref>{{뉴스 인용|제목= 씨엔블루 국내팬미팅 헤드뱅잉+제기차기 ‘폭발반응’ |url=http://www.newsen.com/news_view.php?uid=201205090735301002|출판사 = 뉴스엔|날짜 = [[2012년]] [[5월 9일]]}}</ref><ref>{{뉴스 인용 |제목= 씨엔블루, 팬들과 오붓한 팬미팅 개최 ‘함박웃음’ |url= http://star.fnnews.com/news/index.html?no=87198 |출판사= 파이낸셜뉴스 |날짜= [[2012년]] [[5월 9일]] }}{{깨진 링크|url=http://star.fnnews.com/news/index.html?no=87198 }}</ref>
         * 같은 소속사 가수 [[주니엘]]의 데뷔앨범에 작곡가로 참여하고 듀엣곡과 뮤직비디오 출연소식이 연이어 들리면서 팬들의 기대감을 상승시켰으며, 직접 출연한 선공개곡 ‘바보’라는 곡의 뮤직비디오의 티저가 공개되었다.<ref>{{뉴스 인용|제목= 씨엔블루 정용화 팔에 키운 완두콩, 주니엘 뮤비서 공개 |url=http://starin.edaily.co.kr/news/NewsRead.edy?newsid=01275926599530232|출판사 = 이데일리|날짜 = [[2012년]] [[5월 18일]]}}</ref> [[2012년]] [[5월 22일]]에 음원과 뮤직비디오가 공개되었다.<ref>{{뉴스 인용|제목= 씨엔블루 정용화와 주니엘의 듀엣곡 ‘바보’ 22일 선공개 |url=http://www.segye.com/Articles/SPN/ENTERTAINMENTS/Article.asp?aid=20120521022078&subctg1=&subctg2=|출판사 = 세계일보|날짜 = [[2012년]] [[5월 21일]]}}</ref><ref>{{뉴스 인용|제목= 주니엘-정용화 듀엣곡 '바보', 실시간 차트 2위로 기분좋은 출발 |url=http://www.etoday.co.kr/news/section/newsview.php?TM=news&SM=4101&idxno=587637|출판사 = 이투데이|날짜 = [[2012년]] [[5월 22일]]}}</ref>
         * [[2012년]] [[7월 30일]]에 본인이 모델로 있는 T.G.I프라이데이스 브랜드송을 발표하였다.<ref>{{뉴스 인용|제목= 씨엔블루 정용화, 자작곡 T.G.I프라이데이스 브랜드송 공개 |url=http://www.segye.com/Articles/SPN/ENTERTAINMENTS/Article.asp?aid=20120731021547&subctg1=&subctg2=|출판사 = 세계일보|날짜 = [[2012년]] [[7월 31일]]}}</ref>
         * [[2012년]] [[8월 29일]] 일본에서 첫 번째 정규앨범인 《[[CODE NAME BLUE]]》를 발매하였고<ref>{{뉴스 인용|제목= 씨엔블루, 일본 정규 1집 ‘CODE NAME BLUE’ 29일 발매|url=http://artsnews.mk.co.kr/news/214267|출판사 = 아츠뉴스|날짜 = [[2012년]] [[8월 2일]]}}</ref> 타이틀인 "Time is over"를 작사 및 작곡하고<ref>{{뉴스 인용|제목= 씨엔블루 정용화, 영화 '어벤져스' 영감 얻어 日 정규앨범 타이틀곡 제작 |url=http://bntnews.hankyung.com/apps/news?popup=0&nid=04&c1=04&c2=04&c3=00&nkey=201208070953443&mode=sub_view|출판사 = 한경닷컴 bnt뉴스|날짜 = [[2012년]] [[8월 7일]]}}</ref> "Intro 02" "Have a good night" "No more" "Where you are(English Ver.)"를 작사 및 작곡하였다. 이 앨범은 하루에 2만 2천여장이 나갔고 ''[[CODE NAME BLUE]]''는 오리콘 싱글 데일리 차트 1위에 올랐다.<ref>{{뉴스 인용|제목= 씨엔블루, 첫 정규앨범으로 日오리콘 주간 1위 |url=http://star.mt.co.kr/view/stview.php?no=2012090416303911913&type=1&outlink=1|출판사 = 파인낸셜뉴스|날짜 = [[2012년]] [[9월 4일]]}}</ref>
         * [[2012년]] [[11월 2일]]에 KBS에서 진행된 《MUSIC BANK IN CHILE》에서 본인의 솔로로 무대에 올라 기타 연주와 함께 ‘러브 미 텐더(Love Me Tender)’를 불러 스페셜 무대를 꾸몄는데, 이 곡 편곡자로 자신의 이름을 올렸다. 또한, 전 출연자가 무대에서 부른 ‘아리랑’의 편곡도 맡아 크레디트에 자신의 이름을 편곡자로 실어 눈길을 끌었다.<ref>{{뉴스 인용|제목= 정용화 아리랑 편곡 소식에 네티즌 호평 "진정한 싱어송라이터"|url=http://breaknews.com/sub_read.html?uid=239010§ion=sc4|출판사 = 브레이크뉴스|날짜 = [[2012년]] [[11월 18일]]}}</ref><ref>{{뉴스 인용 |제목= 정용화 아리랑 편곡, 전 출연진 열창 순서에 자막 ‘편곡:정용화’ |url= http://star.fnnews.com/news/index.html?no=144038 |출판사= 파이낸셜뉴스 |날짜= [[2012년]] [[10월 23일]] }}{{깨진 링크|url=http://star.fnnews.com/news/index.html?no=144038 }}</ref>
         |제목 = 성시경-윤아-정용화, '2012 KBS 가요대축제' MC 발탁 |url=http://joynews.inews24.com/php/news_view.php?g_menu=700200&g_serial=713456&rrf=nv |출판사 = 조이뉴스24 |날짜 = [[2012년]] [[12월 24일]]}}</ref>
         * 앨범발매로 바쁜 와중에 [[2013년]] [[1월 15일]] 말레이시아에서 진행된 제27회 골든디스크시상식의 MC를 맡아 진행했다.<ref>{{뉴스 인용|제목= 정용화-니콜, 이홍기-다솜 ‘골든디스크 시상식’ MC 확정|url= http://isplus.live.joinsmsn.com/news/article/article.asp?total_id=10392989&cloc=|출판사= 일간스포츠|날짜= [[2013년]] [[1월 11일]]}}{{깨진 링크|url=http://isplus.live.joinsmsn.com/news/article/article.asp?total_id=10392989&cloc= }}</ref><ref>{{뉴스 인용|제목= 말레이시아 팬들, ‘골든 MC’ 정용화-니콜 “환상의 커플” 극찬
         * [[2013년]] [[1월 25일]]에는 4번째 미니앨범 리:블루가 월드 앨범 차트 1위를 기록하였다.<ref>{{뉴스 인용|제목= 씨엔블루 '리:블루', 美 빌보드 월드 앨범 차트 1위 '쾌거' |url=http://enews24.interest.me/news/article.asp?nsID=103751 |출판사 = enews24 |날짜 = [[2013년]] [[1월 25일]] }}</ref>
  • 전인범 . . . . 66회 일치
         |그림 =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b/ba/Lt_General_Chun_In-bum.jpg/250px-Lt_General_Chun_In-bum.jpg
         |종교 = [[개신교]]<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3&oid=005&aid=0000270851 “하나님이 곁에… 두려움 없어져”… 전인범 준장 사순절 간증], 《국민일보》, 2007년 2월 20일</ref>
         전인범은 [[1958년]] [[9월 6일]]에 [[서울특별시]]에서 [[한의사]]인 아버지 전주화와 [[외교관]]인 어머니 [[홍숙자]] 사이에서 1남 1녀 중 장남으로 태어났다.<ref name="a">이혜민. 2016.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262&aid=0000009617 “부하들 적진 보내는 날 올까 두려웠다.”] 『新東亞』 통권 684호, 154-163.</ref> 유년 시절의 대부분은 서울에 살았으며, 1965년 부모의 이혼 후 대한민국 최초의 여성 외교관인 모친을 따라 [[미국]]으로 이주하여 4년 동안 [[뉴욕]] [[맨해튼]]에서 생활하였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32&aid=0002833122 [오래전 ‘이날’] 11월 20일 양파가 눈물 흘린 98 수능], 《경향신문》, 2017년 11월 20일</ref> 1969년 귀국한 뒤에도 그의 모친은 그가 영어를 잊지 않도록 [[AFN Korea|AFKN]]을 주로 시청하게 했으며 저녁식사 때만큼은 영어로 대화하게 했다. 그 또한 『[[:en:Reader's Digest|리더스 다이제스트]]』, 『[[:en:Newsweek|뉴스위크]]』, 『[[:en:Time (magazine)|타임]]』과 같은 시사 잡지를 빼놓지 않고 읽으며 어릴 때부터 국제관계에 대한 감각을 익혀나갔다. 당시 [[제2차 세계 대전]]을 다룬 미국 TV 프로그램 《[[:en:Combat!|Combat!]]》에 나오는 군인 샌더스 중사를 동경하던 그는 12살 때 외삼촌에게 “군인이 되려면 육군사관학교에 가야 한다”는 말을 듣고 육사 진학을 꿈꾸게 되었다. 그 뒤 [[리라초등학교|리라국민학교]]와 [[대경중학교 (서울)|대경중학교]]를 거쳐 1977년 경기고등학교를 졸업하고 육군사관학교 37기로 입교했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15&aid=0000813572 [人脈] 경기고등학교 출신 군장성들‥ 문·무겸비 군실세… 뜨는 KY그룹], 《한국경제》, 2005년 6월 26일</ref> 육사 동기생 중 성적이 꼴찌에서 두 번째였으나 영어 시험은 만점을 받았던 그는 1981년 4월 3일 육군사관학교 졸업과 동시에 [[대한민국 육군|육군]] [[소위]]로 임관했다.
         1986년 30사단 90연대 2대대 중대장 시절에는 육군의 우수 전투중대장에게 주는 [[강재구|재구상]]을 받기도 했다. 당시 초급 지휘관으로 중대원들의 사격 훈련 중 소총 사격 영점을 못 잡는 병사를 데려다가 실탄을 주고 자신은 표적지 앞에 서서 사격을 하게 해 영점을 잡게 했다는 일화가 있다.<ref name="c">[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81&aid=0002742447 ‘제설작업 하고, 전역사병에게 경례’ ‘괴짜장군’의 퇴임식], 《서울신문》, 2016년 7월 29일</ref> 군사정권 시절 그가 중대장을 역임한 부대는 대학생들의 데모가 일어나면 연세대학교를 점령하는 부대였는데, 그는 국민을 보호해야하는 군인이 대학생을 진압하라는 명령에 많은 갈등을 했다. 그래서 원래는 데모 때 중대장이 맨 뒤에 서서 진압을 지시하게 돼 있는데 그는 맨 앞으로 나가서 돌 맞더라도 제일 먼저 맞고 죽으려고 했다고 과거를 회고하였다.<ref name="b">[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47&aid=0002140702 [단독] 전인범 "내 문제, 문재인에게 부담 안 돼... 아내, 구시대 법에 걸려든 것"], 《오마이뉴스》, 2017년 2월 9일</ref> [[소령]]으로 진급한 뒤에는 육군참모총장실에서 정책장교 및 군사외교협력장교 보직을 받아 많은 통번역 임무를 수행하였고, 이에 대한 공로를 인정받아 1992년 한미연합사령관 [[:en:Robert W. RisCassi|로버트 리즈카시]] 대장으로부터 [[:en:Commendation Medal#Army|육군표창훈장]](Army Commendation Medal)을 받았다. [[중령]] 때에는 한미연합사 작전참모부 연습처 을지포커스렌즈 연습장교를 맡아 세계에서 가장 규모가 큰 연합모의 연습을 기획하고 실행한 공로로 2002년 [[:en:Meritorious Service Medal (United States)|근무공로훈장]](Meritorious Service Medal)을 받았다.
         2004년 12월에는 [[:en:Multi-National Force – Iraq|이라크 다국적군사령부]] 선거지원과장으로 근무하면서 공정한 선거업무의 주역으로 외국군(미국, 영국, 호주, 루마니아)을 지휘·감독, 이라크 민주주의 탄생에 기여한 것으로 평가받았다. 한국이 [[이라크 전쟁|이라크전]] 때 세 번째로 많은 병력을 보냈는데 다국적군사령부 참모 중에 한국군이 그 외에는 없어 처음에는 직속 부하들이 자신을 무시했다고 느낀 그였다. 그래서 바쁘다는 외국군 장군들 대신 브리핑을 하는 등 좋은 평가를 받고자 노력해 점차 조직을 장악하였다고 밝혔다.<ref name="a"/> 그는 [[:en:United States Armed Forces|미군]]과 [[:en:British Armed Forces|영국군]], [[:en:Australian Defence Force|호주군]] 장교 10여 명을 지휘해 5400개 선거구에서 치러지는 이라크 유권자 1400만 명의 투표를 지원 및 감독하였으며, 3500t에 이르는 선거 관련 물자를 각 투표소에 공급하고 치안 유지를 지원하는 일도 맡았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81&aid=0000030323 이라크 총선지원 전인범 대령 “이라크 민주주의 탄생 기여에 자부심”], 《서울신문》, 2005년 1월 31일</ref> 선거가 무사히 끝난 뒤 이라크 평화정착에 기여한 공로로 [[대한민국 정부]]로부터 [[화랑무공훈장]]을, [[대한민국 국군|한국 군인]]으로서는 최초로 [[미국 정부]]로부터 [[:en:Bronze Star Medal|동성훈장]](Bronze Star Medal)을 받았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01&aid=0001046950 노 대통령 전 이라크 다국적군사령부 선거지원과장], 《연합뉴스》, 2005년 7월 11일</ref><ref>[http://kookbang.dema.mil.kr/kookbangWeb/view.do?ntt_writ_date=20050706&parent_no=7&bbs_id=BBSMSTR_000000000004 이라크 총선 성공지원 공로, 전인범 육군 대령 美 동성무공훈장 받아], 《국방일보》, 2005년 7월 6일</ref>
         2007년 7월 국제 테러단체인 [[탈레반]]에 의한 [[탈레반 한국인 납치 사건|아프간 한국인 납치 사건]]이 발생했을 때 대한민국 정부를 대표한 카불 군사협조단장으로 급파, 인질 구출작전을 지휘하여 사건 발생 43일 만에 21명의 인질을 구출하는데 주도적인 역할을 하였다. 그의 임무는 군사협조단 단장으로서 [[:en:International Security Assistance Force|국제안보지원군사령부]]에 파견돼 협조체계를 구축하는 것으로, 외국군을 설득할 논리가 부족하니 그들에게 인간적으로 다가가자고 생각하였다. 우선 [[:en:Swedish Armed Forces|스웨덴군]] 소장에게 ‘사람들 살려야 한다’, ‘사무실이 필요하다’, ‘상황실 출입을 허가해달라’, ‘인터넷, 유선전화, 휴대전화 쓰게 해달라’, ‘숙식 제공해달라’ 등을 부탁했다. 상황실에서는 유학시절에 알고 지낸 [[:en:Bundeswehr|독일군]], 미군을 만나 사람들이 죽고 사는 문제이니 많이 도와달라고 요청하기도 했다.<ref name="a"/> 이렇게 군사협조단을 통해 수집된 인질 및 탈레반 세력의 동향 첩보 등은 정부가 대책을 마련하는데 기초자료가 됐고, 특히 인질 억류지역에서 동맹군의 불필요한 군사행동을 억제한 노력은 인질의 생명을 보호하는데 결정적으로 기여한 것으로 평가되었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01&aid=0001743352 <軍, 아프간 인질 석방 숨은 공로자>-1,2], 《연합뉴스》, 2007년 9월 2일</ref> 이 공로로 [[대통령 표창]]을 받았다.<ref>[http://kookbang.dema.mil.kr/kookbangWeb/view.do?ntt_writ_date=20080303&parent_no=8&bbs_id=BBSMSTR_000000000138 아프간 인질석방 공로 군인 '훈·포장' 수여], 《국방일보》, 2008년 3월 3일</ref>
         2009년 11월 [[2성 장군|소장]]으로 진급해 제27보병사단장에 임명되었다. 재임하면서 그는 전역하는 병사들을 위해 전역식을 열어주고 직접 참석해 “군 생활 하느라 고생했는데 내가 줄 건 육군 소장의 경례밖에 없다”며 전역병들에게 부동자세로 경례를 해주었고,<ref>[http://www.sisaweek.com/news/articleView.html?idxno=95508 [김준범 ‘오늘과 내일’] 박찬주 대장 사태로 돌아본 ‘병사들을 사랑한 장군들’], 《시사위크》, 2017년 8월 14일</ref> 부대를 방문한 군수사령관 앞에서 병사들에게 보급되는 슬리퍼의 열악함을 토로하며 보급에 대한 확답을 받을 때까지 사령관 앞에서 슬리퍼를 물고 있기도 하는 등 장병들의 처우 개선을 위해 노력했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81&aid=0002796411 전인범 전 특전사령관 끝없는 미담 “능력과 인품 두루 갖춘 진짜 장군”], 《서울신문》, 2017년 2월 7일</ref> 2011년 5월에는 한·미 연합작전 태세를 발전시킨 공과 한·미 우호관계 증진 노력을 인정받아 미국이 외국군에게 주는 최고등급 훈장인 [[:en:Legion of Merit|공로훈장]](Legion of Merit)을 수훈하였다.<ref>[http://www.breaknews.com/sub_read.html?uid=172160 전인범 육군 27사단장 '美 공로훈장' 수상], 《브레이크뉴스》, 2011년 5월 13일</ref> 그는 2008년 11월부터 2009년 11월까지 합동참모본부 전시작전통제권 전환 추진단장으로 근무 중 한미가 2007년에 합의한 전작권 전환을 구체적으로 진행하면서 150개에 달하는 전환 과제를 계발하고 진행을 감독하며 미측과의 긴밀한 협의를 추진, 복잡한 전환 과정을 관리하는 총 책임을 맡은 바 있다. 미국으로부터 이 훈장을 수훈한 외국인으로는 중화민국 총통 [[장제스]], 영국 국왕 [[조지 6세]], 소련군 총사령관 원수 [[게오르기 주코프]], 프랑스 대통령 [[샤를 드 골]] 등이 있다.
         2011년 11월 18일 [[:en:United States Department of Defense|미국 국방부]]와의 인터뷰에서 미국인들에게 전하고 싶은 메시지가 있느냐는 질문에 영화 《[[:en:Spider-Man in film|스파이더맨 시리즈]]》가 시사하는 교훈을 언급하였다. 그는 “《[[:en:Spider-Man (2002 film)|스파이더맨 1]]》은 우리에게 ‘큰 힘에는 큰 책임이 따른다([[:en:Uncle_Ben#.22With_great_power_comes_great_responsibility.22|With great power comes great responsibility]])’는 것을 가르쳐 주고 《[[:en:Spider-Man 2|스파이더맨 2]]》는 원하지 않아도 해야만 하는 일이 있음을 알려준다”며 안보의식 고취를 위해 미국인들은 《스파이더맨 1, 2》를 평생 동안 적어도 세 번 이상 보아야 한다고 권하기도 했다.<ref>[https://www.youtube.com/watch?v=pVrILCHQl1M Korean General tells Americans to watch Spiderman 1 & 2], 《USAG-Humphreys》, 2011년 11월 18일</ref> 같은 달 21일 사단장 임기를 마치고 한미연합군사령부 작전참모차장으로 영전했으며, 1년 5개월 뒤인 2013년 4월에는 유엔군사령부 군사정전위원회 수석대표 겸 한미연합사 부참모장에 임명되었다.
         [[파일:Lt General Chun In-bum with the Legion of Merit award.jpg|섬네일|230px|2013년 美 공로훈장을 수훈한 전인범]]
         2013년 10월 [[3성 장군|중장]] 진급과 함께 특수전사령관에 임명되었고, 동년 11월에는 한미연합방위체계 구축과 한미동맹 강화, 상호 유대관계 증진에 이바지한 공로를 인정받아 미국 정부로부터 공로훈장을 다시 한 번 수훈하였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01&aid=0006605771 전인범 특전사령관, 美 최고 공로훈장 받아], 《연합뉴스》, 2013년 11월 19일</ref> 2013년 현재 그는 한미 양국으로부터 총 8개의 훈장을 받아 대한민국 현역 장성 중 최다 훈장 수상자로 알려져 있다.<ref>[http://www.gunsa.kr/bbs/board.php?bo_table=B01&wr_id=151 대한민국 특전사 사령관 전인범], 《군사저널》, 2013년 12월 31일</ref>
         특전사령관 취임 후 부대의 장비 구입을 위한 예산 확보, 새로운 장비의 개발, 해외 특수부대와의 교류협력 등 특전사의 전투력 강화를 위한 개혁을 주도하고 있다는 평을 받았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81&aid=0002476150 [이일우의 밀리터리 talk] ‘괴짜 사령관’과 특전사의 환골탈태], 《서울신문》, 2014년 10월 23일</ref> [[:en:Picatinny rail|피카티니 레일]]이나 광학장비와 같이 관행적으로 몰래 사용하던 사제 장비들의 사용을 허용하는 등 기존의 과도한 제재 규정들은 폐지시켰으며, 특히 헬기 사격, 천리행군 인증제 도입과 같이 과거에 하지 않던 실전적 훈련들을 대거 강화하였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33&aid=0000028778 [한국군 코멘터리] 불굴의 ‘지옥훈련’ 더 독해진 특전사], 《주간경향》, 2014년 12월 17일</ref> 우선 일반 병사보다 3배 정도 총을 더 쏘는 특전사 요원의 사격량을 5배로 늘렸고 전진하면서 사격할 때 탄피받이를 못 쓰게 하였다. 탄피 하나 없어지면 전 부대원이 나서서 찾아야 하는 것이 매우 비생산적인 일이라고 생각한 그는 대신 탄피를 주울 필요가 없도록 전진 사격 훈련시 1명이 뒤따라가게 하여 실제 몇 발을 쏘는지 세게 하였다. 또한 사령관 취임 당시 특전사에 체계적인 체력 증진 프로그램이 없어 특전사에서 35년간 복무했고 체력 단련과 관련해 박사 학위를 받은 한 원사에게 12개 코스의 프로그램을 만들도록 지시했다. 그 결과 특전사 요원의 허벅지가 평균 1cm 커졌고 체력 프로그램 시행 후 6개월 뒤 미군 특전사 요원들과 경기를 해 수영을 제외한 나머지 종목을 한국 특전사 요원들이 다 이기게 하기도 하였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23&aid=0003210074 [Why] "특전사 허벅지 1cm 굵어졌다, 그게 내 자랑"], 《조선일보》, 2016년 9월 10일</ref> 이와 같은 훈련들은 특전사의 실제 전투력을 극대화하고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ref>[http://www.asiatoday.co.kr/view.php?key=20150108010004329 왜 우릴 특전용사라고 부르는가?], 《아시아투데이》, 2015년 1월 8일</ref><ref>[http://www.breaknews.com/sub_read.html?uid=344947§ion=sc2 육군 특수전사령부 설한지 극복-생존훈련], 《브레이크뉴스》, 2015년 1월 9일</ref> 그리고 긴박한 전장상황에서 오역 가능성을 최소화하고 한미 연합작전 수행능력 향상을 위해 전군 최초로 한국군은 영어로, 미군은 한국어로 브리핑하는 제도를 시행했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01&aid=0007500588 특전사 창설 57주년 기념식… 내년 2월 이천시대 개막], 《연합뉴스》, 2014년 4월 1일</ref> 전 사령관은 이러한 자신의 개혁적인 행보에 관해 “모든 3성 장군은 4성 장군이 되고 싶어하고 4성 장군이 되는 게 군인으로서 더 없는 영광이라는 것을 나 역시 알고 있다. 일각에선 내가 부대 훈련을 실전적으로 바꾸고 개혁을 하면서 무리수를 두어 4성 장군이 되지 못할 것이라고 걱정한다. 하지만 나는 특수전사령관이고 내 임무는 4성 장군이 되는 것이 아니라 싸워서 백전백승 할 수 있는 세계 최고의 특수전 부대를 만드는 게 나의 사명이다”라고 밝혔다.<ref>[http://www.newdaily.co.kr/news/article.html?no=317906 전인범 전 특수전사령관, 영원한 특전맨이자 진정한 군인의 퇴임], 《뉴데일리》, 2016년 7월 28일</ref> 훗날 그가 사령관을 이임한 뒤 특전사에 부대장비 및 개인물자를 납품하고 연구하는 특전사 출신의 한 예비역 대위는 “우리 군은 지나치게 ‘군복제 규정’에 얽매여 있다. 전인범 前 특전사령관은 유연한 사고를 가진 지휘관이었다. 그는 “‘군복제 규정’보다 임무와 전술향상이 더 중요하다. 사고를 유연히 하고 우수 장비라면 사제라도 활용하라”라고 이야기하면서 전술장비 및 피복의 사용과 발전을 장려했지만, 그가 교체되면서 이런 유연한 사고는 다시 움츠러들었다. 우리 군의 유연한 사고는 지휘관에 따라 들쑥날쑥 하다”며 아쉬움을 소회했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28&aid=0002286112 [무기와 사회] 한국군 전투복], 《한겨레》, 2015년 8월 19일</ref> 뉴데일리 군사전문기자 태상호는 “전인범 前 특수전사령관 같은 깨어 있는 특수전 지휘관들이 (특수부대의 역량을 강화시키기 위해) 고군분투를 했지만 특수작전에 대한 군내외부의 중요성 인식 부족과 비대칭 전력을 이해하지 못하고 큰 군(Big Army)만 중요시 하는 풍토로 인해 그 노력은 수포로 돌아갔다”라고 현 한국군에 대해 비판했다.<ref>[http://www.newdaily.co.kr/news/article.html?no=301915 [컬럼] 프로 대접을 못 받는 한국의 특수부대], 《뉴데일리》, 2016년 2월 22일</ref>
         2014년 12월에는 공무 출장 중 터키군 총사령부 재활병원을 방문, [[한국 전쟁|6·25 전쟁]] 참전용사인 알리 젱기스 투르크오울루를 위문하였다. 그는 6·25 전쟁 기간 가장 치열한 격전지 중 한 곳으로 꼽히는 평안북도 군우리 전투에서 터키군 1여단 소속 소대를 이끌었고, 보육원도 운영하며 많은 전쟁고아를 보살폈다. 전인범 중장은 “우리나라가 눈부신 경제성장을 이룩할 수 있었던 것은 참전용사들의 숭고한 희생정신이 있었기에 가능했다”고 말했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01&aid=0007309432 특전사령관, 터키 방문 참전용사 위문], 《연합뉴스》, 2014년 12월 18일</ref>
         2015년 4월 5일부터 12일까지는 [[:en:United States Special Operations Command|미국 통합특수전사령부]]와 [[:en:United States Army Special Operations Command|미 육군 특수전사령부]]를 직접 방문, 미 통합특전사령관 [[:en:Joseph Votel|조셉 보텔]] [[:en:General (United States)|대장]]과 미 육군 특전사령관 찰스 클리브렌드 [[:en:Lieutenant general (United States)|중장]]을 만나 한·미 연합 특수작전에 대한 실질적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그는 저격용 소총과 미군 주력 소총인 [[:en:M4 carbine|M4]], 권총, 산탄총, 박격포, 방탄복 등을 점검하고 체험하는 등 미군 특전사의 장비와 무기를 현장 견학하고 실제 사격도 하였다.<ref>[http://www.asiatoday.co.kr/view.php?key=20150413010008491 미군 주력 소총 M4 쏘는 전인범 특전사령관], 《아시아투데이》, 2015년 4월 13일</ref> 이와 함께 방미 기간 동안 [[시애틀]]에 있는 6·25 참전 기념공원을 찾아 참전용사비에 헌화하기도 했다.<ref>[https://www.youtube.com/watch?v=ZIB7y0ZvFJs 한미연합 특수작전사령부 시애틀 방문 6·25 참전용사비 헌화식], 《KOAM-TV》, 2015년 4월 10일</ref>
         2015년 4월 14일 특수전사령관 임기를 마치고 제1야전군 부사령관으로 영전하였다. 특전사령관 이임사에서 그는 “우리는 야수의 본능을 잃어가는 동물원의 사자가 아닌 초원을 질주하며 천하를 호령하는 용맹함을 간직한 대한민국 육군의 대표부대 특전사 검은 베레 용사들”이라며 “누구도 할 수 없다고 생각하지만 ‘안 되면 되게 하라’는 투철한 사명감으로 도전하고 노력하는 정신이 바로 특전 정신이다. 우리들 특전용사에게 결코 불가능은 없다”고 강조했다.<ref>[https://www.youtube.com/watch?v=H7RevwSahLk 육군 특수전사령관 이·취임식 - 전인범 25대 특전사령관 이임사], 2015년 4월 14일</ref><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03&aid=0006467562 전인범 前 특전사령관 "천하 호령하는 특전사 명예 지켜달라"], 《뉴시스》, 2015년 4월 16일</ref><ref>[http://www.asiatoday.co.kr/view.php?key=20150419010011577 특전사는 '적 도발은 곧 파멸 인식' 세계 최강 부대다], 《아시아투데이》, 2015년 4월 19일</ref>
         2015년 6월 뉴 웨스트민스터 대학(New Westminster College)의 특별연구원(Distinguished Fellow)으로 선정되었다.<ref>[http://newwestminstercollege.ca/lieutenant-general-in-bum-chun-phd-distinguished-fellow-of-new-westminster-college Lieutenant General In-Bum Chun, BA, MS, MA, PhD, MSM, BSM, LM, NSM], 《New Westminster College》, 2015년 6월 16일</ref> 뉴 웨스트민스터 대학 총장 로버트 굿윈 3세는 “그는 윤리적 리더십에서 괄목한 성과를 내었고 교육훈련에 평생 동안 헌신해왔다”며 “현 세계의 국가적 안보 위협에 대한 이해는 그가 정부의 국제적, 국가적, 지역 단위 이해관계자들의 민군 상호운용성과 방위협약에 대한 가치 있는 통찰력을 갖추게 하였다. 이것은 우리의 리더십, 외교와 사이버 보안에 관한 연구의 설계와 전달에 있어 가치를 따질 수 없을 정도로 귀중한 것이다. 위원회와 나는 그가 우리 뉴 웨스트민스터 대학의 새로운 특별연구원이 된 것을 매우 영광스럽게 생각한다”고 밝혔다. 전인범 중장은 특별연구원으로서 학문적 수월성의 최고위 기준에 대한 지원에 공헌해왔고, 뉴 웨스트민스터 대학과 연구원들의 세계적인 조직망 발전에 헌신해왔다고 알려졌다. 이 대학의 특별연구원으로는 필리핀 대통령 [[피델 라모스]], 체코 대통령 [[바츨라프 클라우스]], 캐나다 국방참모총장 대장 [[:en:Ray Henault|레이 헤노]] 등이 있으며, 특별연구원으로 선정된 인물 125명 가운데 한국인은 그가 최초이다.
         2016년 7월 28일 특수전사령부 연병장에서 35년간의 군 생활을 마치는 전역식을 가졌고 같은 달 31일 전역하였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01&aid=0008572276 전인범 전 특수전사령관 이천 특전사서 전역], 《연합뉴스》, 2016년 7월 28일</ref><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23&aid=0003199207 [카드뉴스] "국회의원이 오든지 말든지, 병사들 고생시키지 말라"], 《조선일보》, 2016년 8월 5일</ref> 이날 전역식에는 한미연합사령관 [[:en:Vincent K. Brooks|빈센트 브룩스]] 대장, 미 8군사령관 토마스 밴달 중장, 미 2사단장 테드 마틴 소장 등 [[주한미군]] 수뇌부와 이기백, [[정호용]], [[김동진 (1938년)|김동진]], [[김태영 (1949년)|김태영]] 전 [[대한민국의 국방부 장관|국방부 장관]] 등 한미 양국 군 관계자들이 참석해 전 중장의 전역을 축하했다.<ref>[http://www.huffingtonpost.kr/heebum-hong/story_b_11295018.html 어느 ‘특별한 별’ 이야기 │ 전인범 중장 전역식], 《허핑턴포스트》, 2016년 8월 2일</ref><ref name="c"/> 그는 이 자리에서 국가안전보장에 기여한 공로로 한국 정부의 [[대한민국의_훈장#보국훈장|보국훈장 국선장]]과 한미동맹 강화에 기여한 공로로 미국 정부의 공로훈장을 각각 받았으며, 특히 보국훈장 국선장은 그가 중위 시절 합참의장으로 모셨던 이기백 전 국방장관이 걸어주었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55&aid=0000435078 33년 전 목숨 건 구출… 다시 만난 장군과 중위], 《SBS》, 2016년 7월 28일</ref> 전 중장은 전역사에서 선배 장군들과 미군 장성들, 동기, 후배들을 거론하면서 최선을 다했지만 부족했던 자신에게 아낌없는 지원과 후원을 보내준 것에 고마움을 표했다.<ref>[http://www.asiatoday.co.kr/view.php?key=20160728010013908 전인범 중장 전역식 "부하 잘 보살피면 부하들이 알아서 윗사람 보살핀다"], 《아시아투데이》, 2016년 7월 28일</ref> 그는 “군인들이 진급할 때마다 ‘국가와 국민을 보호하기 위하여 헌법을 수호하고 봉사와 헌신의 자세로 부여된 임무를 완수하고, 상관의 명령에 복종하겠다’고 약속하는데 저는 여러분과 함께 이 약속을 지켰다. 감사하다”고 말했으며, 마지막으로 “안 되면 되게 하라 검은 베레 영원하라”는 특전 정신을 외치며 전역사를 마쳤다.<ref>[https://www.youtube.com/watch?v=po9JyXV5Hyo 전인범 장군 전역사 영상(discharge speech of LTG. INBUM CHUN)], 《YouTube》, 2016년 7월 28일</ref>
         2016년 10월부터 [[:en:Brookings Institution|브루킹스 연구소]] 동아시아정책연구센터 방문연구원, [[:en:Paul H. Nitze School of Advanced International Studies|존스 홉킨스 대학교 국제관계대학원]] 객원연구원으로 1년 동안 활동했다. 미국 연구기관의 연수는 연수자가 주제를 선정해 그 분야를 연구하며 자신의 전문 분야를 다른 연구자들과 공유하는 활동을 하는데, 그는 전시작전통제권 문제, 한국의 핵무장, 한미 군사동맹 강화 방안 등을 중심으로 연구하였다.<ref>[http://www.asiatoday.co.kr/view.php?key=20170111010007259 전인범 전 특전사령관 “미국, 북핵 심각하게 평가... 미 공격 초래 상황 가고 있어”], 《아시아투데이》, 2017년 1월 12일</ref> 연수 3개월 동안 프린스턴 대학교 등 학교에서 특강, 브루킹스 연구소에서 주관하는 세미나 참여, 워싱턴 내의 많은 연구소와 기관 발표, 세미나, 회의에 참석해 미국의 생각을 이해하고 한국의 입장을 미국 전문가들에게 적극 설명하였다고 말했다.<ref>[http://kookbang.dema.mil.kr/kookbangWeb/view.do?parent_no=59&bbs_id=BBSMSTR_000000000138&ntt_writ_date=20170117 ‘한국 안정·동북아 평화=美 국익’ 각인시켜야], 《국방일보》, 2017년 1월 16일</ref> 2017년 1월에는 특전사 예비역들을 중심으로 결성되어 전국적으로 2만 6천여 명의 회원이 활동하고 있는 비영리 사단법인 봉사단체인 특전동지회의 제2대 총재로 취임하였다.<ref>[http://www.newdaily.co.kr/news/article.html?no=333180 전인범 전 특전사령관, 제2대 특전동지회 총재 취임], 《뉴데일리》, 2017년 1월 16일</ref> 전 총재는 취임사를 통해 “새로운 시대 변화에 부응하는 대한민국 친목단체의 새로운 章을 열겠다”고 다짐하며, “현역 후배들의 권익을 위해 앞장서고, 회원을 편애하지 않는 모두의 특전동지회로 만들어 나가겠다”고 포부를 역설했다. 같은 달 [[북한]]의 [[김정은]] [[조선로동당|노동당]] 위원장에게 [[대륙간탄도유도탄|대륙간탄도미사일]] 개발 등의 재고를 촉구하는 내용으로 A4 용지 4장 분량의 영문편지를 보내기도 하였다.<ref>[https://www.nknews.org/2017/01/dear-kim-jong-un-an-open-letter-from-a-former-s-korean-lieutenant-general Dear Kim Jong Un: An open letter from a former S. Korean lieutenant general], 《NK NEWS》, 2017년 1월 23일</ref> ‘김정은 위원장님께: 전 대한민국 육군 중장의 공개편지’라는 제목의 이 편지에서 그는 “평화를 추구할 기회는 언제나 열려 있습니다”라면서 “가장 필수적인 첫 단계는 공공연한 위협의 회피, 핵과 미사일 실험의 중단, 핵무기 개발부터 인권에 이르기까지 신뢰를 증진시킬 협상에 참여하는 것 등을 포함합니다”라고 평화 프로세스를 제안했다.<ref>[https://kr.nknews.org/%EA%B9%80%EC%A0%95%EC%9D%80-%EC%9C%84%EC%9B%90%EC%9E%A5%EB%8B%98%EA%BB%98-%EC%A0%84-%EB%8C%80%ED%95%9C%EB%AF%BC%EA%B5%AD-%EC%9C%A1%EA%B5%B0-%EC%A4%91%EC%9E%A5%EC%9D%98-%EA%B3%B5%EA%B0%9C-%ED%8E%B8/ 김정은 위원장님께: 전 대한민국 육군 중장의 공개 편지], 《NK NEWS》, 2017년 1월 25일</ref>
         저는 평생 나라 지키는데 노력했습니다. 제가 쉽지 않은 길을 택하게 된 바, 지속적인 성원을 부탁드립니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47&aid=0002140585 '특전사' 출신 전직 장성이 빨갱이라고?], 《오마이뉴스》, 2017년 2월 8일</ref>}}
         이에 앞서 그는 2월 4일 문재인 후보가 경희대학교 평화의 전당에서 자신의 저서인 《대한민국이 묻는다》를 주제로 연 북 콘서트에 국방·안보분야 패널로 참석<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01&aid=0009006981 문재인, 경희대서 '대한민국이 묻는다' 북 콘서트], 《연합뉴스》, 2017년 2월 4일</ref>, 문 후보를 가리키며 “이분하고 함께하면 우리나라 안보를 든든히 하고 한미 관계를 튼튼히 해 우리 국민들이 앞으로 걱정없이 살 수 있겠구나 하는 확신이 있었다. 문 전 대표는 빨갱이가 아닌 것으로 확신한다”고 말하며 문재인 캠프 합류 선언을 하였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28&aid=0002352238 특전사령관 출신 전인범도… 문재인 캠프 ‘전방위 수혈’], 《한겨레》, 2017년 2월 5일</ref> 3성 장군 출신의 대선 후보 지지 선언이 전례 없는 여론의 각광을 받자 조선일보는 “[[송영무]], [[박종헌]] 등 참모총장 출신 4성 장군 두 명을 포함, 장성 10명이 문재인 캠프에 참여했을 때는 이런 현상이 없었다. 그만큼 ‘의외’로 받아들여지는 것 같다”고 평했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10&oid=023&aid=0003252738 [만물상] 야당으로 간 특전사령관], 《조선일보》, 2017년 2월 7일</ref> 후일 전인범 영입을 기획한 것은 전적으로 문재인 후보의 작품임이 밝혀지기도 하였다.<ref>박성현. 2017. [http://jmagazine.joins.com/monthly/view/317089 “[집중분석] 파격인사! 문재인 대통령의 용인술(用人術).”] 『월간중앙』 201707호, 20-25.</ref> 당시 그를 영입하고자 다가온 많은 정치계 인사들에게 그는 군 개혁에 대하여 강하게 호소했으나 어느 누구도 그의 의견을 진지하게 들어주는 이가 없었고, 그중 유일하게 진지하게 들어준 사람이 문재인 후보였기에 안보자문 합류를 결정하였다. 하지만 문재인 대선 경선 캠프에서 호감형은 아니었다는 그는 문재인 캠프 내의 안보 인사들이 모인 자리에서 “군 복무도 제대로 안 한 사람들이 무슨 안보자문이냐”고 일갈했다는 일화가 있다.<ref>[http://www.newdaily.co.kr/site/data/html/2018/02/02/2018020200018.html [컬럼] 특전사 다목적대검 사태를 바라보며... #2], 《뉴데일리》, 2018년 2월 13일</ref> 자문위원 직은 맡았으나 [[더불어민주당]]에는 입당하지 않음을 강조한 그는 외교·안보 문제에 대해 문재인 전 대표와 차이가 있을 때는 적극적으로 대응하겠다고 밝혔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421&aid=0002546436 '文측' 전인범 "사드, 中 경제 압력 굴복 않아야"(종합)], 《뉴스1》, 2017년 2월 6일</ref> 이와 관련해 [[THAAD|사드]] 한반도 배치 문제에 대해서는 “중국의 경제적 압력에 굴복하지 않고, 기존 한미 정부 간 합의는 존중한다는 두 가지를 선언해야 한다”고 말함으로써, 그동안 한중관계를 고려해 사드 배치 재검토를 주장해온 야권과는 결이 다른 의견을 표명한 바 있다.<ref>[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144&aid=0000474843 문재인 캠프 전인범 전 특전사령관 ‘사드 해법’ 제시], 《스포츠경향》, 2017년 2월 7일</ref> 이에 문재인 전 대표도 “사드 배치는 차기 정부로 넘겨 국회 비준 등 공론화 과정을 거쳐야 한다”면서도 “한미간 합의가 이뤄진 것이라 쉽게 취소하기 어렵다”며 유연한 입장을 취했다.<ref>[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469&aid=0000186840 “中 경제적 압력 굴복 말고, 美와 사드 합의 존중해야”], 《한국일보》, 2017년 2월 6일</ref> 그의 문재인 캠프 합류에 실망한 일부 보수세력의 거센 비난이 쏟아지자 그는 페이스북을 통해 “충분히 분노하시는 마음을 이해합니다”라며 “제가 이번 결심의 결정적 이유는 지난번 특전사에 갔는데 그간 추진했던 많은 사업들이 원점으로 돌아가 있었습니다. 특히, 7만원짜리 특수작전 칼([[:en:Survival knife|서바이벌 칼]])을 부결시켰다는 얘기를 듣고 조용히 살 수 없겠다고 생각했습니다”라고 문재인 지지 선언의 이유를 설명했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23&aid=0003252237 文 캠프 합류 전인범 전 특전사령관, "페친 5000명 중 28명 이탈했다"], 《조선일보》, 2017년 2월 5일</ref> 친정인 군을 향한 비판에 육군은 공식 브리핑에서 “특전사 장병들이 생존용으로 사용하는 특수작전 칼을 당초 7만원씩에 구입하려고 했으나 더 나은 15만원짜리로 구입하기로 하고 2022년까지 모두 18억500만원을 예산에 편성했다”고 해명했으나, 2017년 예산에는 특수작전 칼 예산이 거의 반영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25&aid=0002683233 전인범과 육군의 ‘칼 싸움’], 《중앙일보》, 2017년 2월 7일</ref> 육군 관계자는 시범사업으로 구입했다가 나중에 평가에서 합격해야 향후 5년간 18억원으로 칼을 구입하게 된다는 뜻에서 “올해는 시범사업으로 소량만 구입할 예정이며 예산은 5000만원”이라고 재차 해명했다.
         그러나 그의 5·18 발언을 문제 삼은 정치권에서 부인인 [[심화진]] 성신여대 총장이 학교 공금 횡령 혐의로 1심에서 징역형을 선고 받은 것까지 싸잡아 공격하며 논란이 불거지자<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22&aid=0003143692 전인범 前 특전사령관 부인 심화진 성신여대 총장, 징역 1년 법정구속], 《세계일보》, 2017년 2월 8일</ref>, 그는 광주 항쟁에 대한 표현의 부족으로 심려를 끼쳐 사과드린다는 말과 함께 다시 미국 연수과정으로 돌아가겠다는 의사를 밝혔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25&aid=0002684649 文 영입 전인범 자진사퇴 "5·18 발언 백번천번 송구… 미국 돌아가겠다"], 《중앙일보》, 2017년 2월 10일</ref> 그는 “저는 다시 미국 연수과정으로 돌아가 북핵을 바라보는 엄중함과 심각함, 오랜 동안 지속돼온 혈맹으로서의 미국에 대한 변함없는 지지, 이를 통한 더욱 굳건한 한미 동맹관계 발전이라는 문 전 대표의 안보관을 알리는 데에 미력이나마 도움이 되도록 노력하겠다”며 “멀리서나마 문 전 대표와 대한민국의 승리를 기원하겠다”고 덧붙였다. 이에 문재인 후보 측 관계자는 “누를 끼친 데 대한 글을 올리시고 미국에서도 돕겠다고 한 것은 ‘자숙’으로 보면 된다”고 설명하며 “안보, 군사 분야에 대한 자문은 계속 하실 것”이라고 언급하였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03&aid=0007763546 文측, 전인범 미국行에 '선긋기'… "본인 판단"], 《뉴시스》, 2017년 2월 10일</ref> 문재인이 대통령에 당선되고 이틀 후 청와대 관계자는 “대선 과정에서 공을 들여 영입한 전인범 전 특전사령관이 문 대통령의 외교안보라인 구상의 한 축이었는데 그가 중도 하차하면서 인사가 꼬였다”고 발언함으로서 [[문재인 정부]]는 출범과 함께 그를 중용할 계획이었음을 나타냈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22&aid=0003172701 한반도 상황 긴박한데… 외교안보 라인 인선은 '설왕설래'], 《세계일보》, 2017년 5월 12일</ref>
  • 정형돈 . . . . 64회 일치
         | 웹사이트 = [https://www.fncent.com/JHD/b/introduce/10713 FNC 엔터테인먼트 정형돈]<br>[http://cafe.daum.net/kehaha 정형돈 공식 팬 카페]
         '''정형돈'''([[1978년]] [[2월 7일]]<ref>[https://entertain.v.daum.net/v/20160730070104091 정형돈, "시간을 최대한 활용해야 하는 시기"]</ref><ref>[https://www.fncent.com/JHD/b/introduce/10713 음력 1978년 2월 7일, 양력 1978년 3월 15일]</ref> ~ )은 [[대한민국]]의 [[희극 배우|희극인]], [[사회자]]이다. 본관은 [[동래 정씨|동래]].
         정형돈은 경북 김천에서 출생하였고 한때 [[경상북도]] [[김천시|김천]]에서 잠시 유아기를 보낸 적이 있는 그는 아직 초등학교 입학하기 이전에 [[경상북도]] [[김천시]]으로 옮겨 유년시절과 학창시절을 보냈다.<ref>{{뉴스 인용|제목='불안장애' 정형돈은 누구? '웃기지 않은 개그맨'에서 '예능계 4대천왕' 섭렵|url=http://entertain.naver.com/read?oid=082&aid=0000550194|출판사=부산일보|저자=김상혁 기자|날짜=2015-11-12}}</ref> 고교 시절 '금강 소리 하나'라는 교내 연극부에서 학년 대표를 맡아 활동했다. 그러던 중 1994년 [[한국예술문화단체총연합회|한예총]] 산하 6개 지부가 주관한 제8회 '부산 청소년 예술제'에 참가하여 '청소년 연극축전' 부문에서 '연기상'을 수상하였으며, 이를 계기로 부산시 고등학교 대표로 서울에서 개최된 '동랑 청소년 연극제'에 참가하기도 하였다.
         [[2009년]] [[9월 13일]] 서울 여의도 [[63빌딩]] 컨벤션센터에서 [[SBS TV|SBS]] 미스터리 특공대에서 만난 [[작가|방송작가]] [[한유라]]와 결혼하였다.<ref>{{뉴스 인용|제목=정형돈-한유라, 동료 연예인 축복 속 웨딩마치(종합)|url=http://joynews.inews24.com/php/news_view.php?g_menu=700100&g_serial=442470|출판사=조이뉴스24|저자=이미영 기자|날짜=2009-09-13}}</ref>
         * [[MBC]] 《MBC 스페셜 509회 - 일곱살 인생 (2월 11일) : 내레이션》<ref>{{뉴스 인용|제목=정형돈, 다큐 ‘일곱살 인생’ 첫 내레이션 호평 “재미+감동”|url=http://media.daum.net/entertain/broadcast/view.html?cateid=1032&newsid=20110212143606182&p=seoul|출판사=서울신문NTN|저자=연예뉴스팀|날짜=2011-02-12}}</ref>
         * [[MBC]] 《제38회 한국방송대상 (9월 2일) : 오프닝무대 보컬 및 시상자》<ref>{{뉴스 인용|제목=파리돼지앵 정형돈-정재형 ‘순정마초’ 생방송 공연, ‘무도’ 이후 처음 방송(한국방송대상)|url=http://media.daum.net/entertain/enews/view?cateid=1032&newsid=20110902151739420&p=newsen|출판사=뉴스엔|저자=최신애 기자|날짜=2011-09-02}}</ref><ref>{{뉴스 인용|제목=한국방송대상 시상맡은 정재형-정형돈 ‘손잡고 입장~’|url=http://media.daum.net/entertain/enews/view?cateid=1032&newsid=20110902152349207&p=newsen|출판사=뉴스엔|저자=정유진 기자|날짜=2011-09-02}}</ref>
         * [[SBS]] 《배기완 최영아 조형기의 좋은아침 3740회 (10월 17일) : 인터뷰》<ref>{{뉴스 인용|제목=정형돈 졸업사진 '이목구비 또렷한 날씬한 훈남'|url=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3&oid=008&aid=0002634347|출판사=머니투데이|저자=유재은 기자|날짜=2011-10-17}}</ref>
         * 2008년 《엘라의 모험 : 해피엔딩의 위기》 - 멍크 목소리 역(dubbing)
         * 2002년 11월 [http://music.naver.com/album/index.nhn?albumId=71352 《Very Merry Christmas》] - 갈갈이 패밀리(X-Mas 캐롤)
         * 2003년 6월 21일 [http://music.naver.com/album/index.nhn?albumId=4071 《Summertime》] - 갈갈이 패밀리
         * 2005년 9월 13일 [http://music.naver.com/album/index.nhn?albumId=34524 《사랑Two》] - [[논스톱5]] O.S.T.
         * 2006년 12월 19일 [http://music.naver.com/album/index.nhn?albumId=45288 《All You Need Is Love》] - with [[무한도전]]
         * 2007년 9월 4일 [http://music.naver.com/album/index.nhn?albumId=61367 《이러고 있다》] - [[무한도전]] 강변북로 가요제
         * 2009년 7월 13일 [http://music.naver.com/album/index.nhn?albumId=159321 《바베큐》] - [[무한도전]] 올림픽대로 듀엣가요제 : 삼자돼면 - with [[에픽하이]]
         * 2009년 [https://www.youtube.com/watch?v=OEWlP7Lf-x4&feature=player_embedded 《전자깡패》] - [[Remixing the Human Soul]] : 삼자돼면 - with [[에픽하이]]
         * 2010년 3월 16일 [http://music.naver.com/album/index.nhn?albumId=170336 《우정의 무대》] - Macho Museum : [[데프콘 (가수)|데프콘]] (Feat - MC빡돈, 변기수, 남창희)
         * 2010년 5월 31일 [http://music.naver.com/album/index.nhn?albumId=174046 《Go칼로리》] - [[뚱's]] (Feat - [[정인 (가수)|정인]])
         * 2011년 2월 20일 [http://music.naver.com/album/index.nhn?albumId=190693 《Jump♡》] - [[일밤]] 오늘을 즐겨라 록 프로젝트 - with [[루나 (가수)|루나]]<ref>{{뉴스 인용|제목=루나-정형돈 '반전', 혹평 딛고 '록스타' 등극|url=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6&oid=081&aid=0002163479|출판사=서울신문NTN|저자=연예뉴스팀|날짜=2011-02-20}}</ref>
         * 2011년 7월 2일 [http://music.naver.com/album/index.nhn?albumId=200515 《순정마초》] - [[무한도전]] 서해안 고속도로 가요제 : 파리돼지앵 - with [[정재형]]<ref>{{뉴스 인용|제목=정형돈-정재형 ‘순정마초’ 웃음싹~ 한편의 오페라 감미로운 무대(무한도전)|url=http://media.daum.net/entertain/enews/view?cateid=1032&newsid=20110702191512573&p=newsen|출판사=뉴스엔|저자=박정현 기자|날짜=2011-07-02}}</ref>
         * 2011년 8월 2일 [http://music.naver.com/album/index.nhn?albumId=203946 《Change The Game》] - Change The Game : [[무한도전]] 조정가 - with [[데프콘 (가수)|데프콘]], 제이디<ref>{{뉴스 인용|제목=정형돈-데프콘, ‘무한도전’ 조정가 ‘Change The Game’ 발표|url=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6&oid=213&aid=0000124490|출판사=TV리포트|저자=김예나 기자|날짜=2011-08-01}}</ref>
  • Darkest Hour: A Hearts of Iron Game/기술 . . . . 61회 일치
         == Infantry ==
          * Regular Infantry
          * Light /Mountain
          * Marines
          해병 사단에 관련된 연구. 1916 Infantry Division 연구와 1916 Light Infantry Division 연구가 선행되어야 한다.
          * Motorized Infantry
          차량화보병 사단에 관련된 연구. 1931 Infantry Division 연구가 선행되어야 한다.
          * Mechanized Infantry
          기계화보병 사단에 관련된 연구. 1942 Motorized Infantry 연구가 선행되어야 한다.
          * Combat Engineers
          * Airborne Infantry
          공수부대에 관련된 연구. 1926 Infantry Division 연구가 선행되어야 한다.
          * Submarines
          잠수정부터 현대식 잠수함까지의 잠수함, 기본 대형 잠수함에서 개선된 대형 잠수함까지의 대형 잠수함에 대한 연구. 외전격인 Super Heavy Submarine 외에는 잠수함을 연구하면 대형 잠수함도 함께 해금된다. 처음부터 연구할 수 있다.
          * Interceptors
          본격적인 요격기에 대한 연구. Early Fighters 트리의 Interceptor 1930 연구가 선행되어야 한다.
          호위전투기 여단에 대한 연구. Early Fighters 트리의 Interceptor 1930 연구가 선행되어야 한다. Supersonic Escort Fighter 1954 연구를 마지막으로 Fighters 트리에 통합된다.
         == Industry ==
          * Manufacturing
          공업력과 보급품 생산에 보너스를 더해주는 연구들. 처음부터 연구할 수 있다. 선체 개선 부속을 위해서는 이 트리의 Process Re-Engineering 연구가 필요하다.
  • 손예진 . . . . 58회 일치
         | 웹사이트 = [http://www.msteam.co.kr/hamil/ 엠에스팀엔터테인먼트 손예진]<br>{{인스타그램|yejinhand/}}<br>{{페이스북|OfficialSonYejin/}}
         손예진은 다수의 로맨스 장르 영화와 드라마에 출연하였고, 주요 출연작으로는 영화 《[[연애소설 (영화)|연애소설]]》(2002년), 《[[클래식 (영화)|클래식]]》(2003년), 《[[내 머리 속의 지우개]]》(2004년), 《[[외출 (영화)|외출]]》(2005년), 《[[아내가 결혼했다 (영화)|아내가 결혼했다]]》(2008년), 《[[오싹한 연애]]》(2011년), 《[[해적: 바다로 간 산적]]》(2014년), 《[[덕혜옹주 (영화)|덕혜옹주]]》(2016년)와 《[[맛있는 청혼]]》(2001년), 《[[여름향기]]》(2003년), 《[[연애시대]]》(2006년), 《[[개인의 취향]]》(2010년), 《[[상어 (드라마)|상어]]》(2013년), 《[[밥 잘 사주는 예쁜 누나]]》(2018년), 《[[협상 (영화)|협상]]》(2018년) 등이 있다.<ref>{{웹 인용|title=10LINE: Actress Son Ye-jin|url=http://www.asiae.co.kr/news/view.htm?idxno=2010051413121442059|work=10Asia|date=May 14, 2010}}</ref>
         손예진은 2000년 박기형 감독의 영화 《[[비밀 (2000년 영화)|비밀]]》에서 홍미조 역을 맡아 출연(목소리 출연)한 후, 오디션을 통해 이듬 해 2001년에 방영 된 TV 드라마 《[[맛있는 청혼]]》에서 여주인공 장희애 역을 맡아 본격적으로 연기 경력을 시작했다.<ref>{{웹 인용|url=http://koreajoongangdaily.joins.com/news/article/article.aspx?aid=1885703|title=Young, Charming and Innocent ? What More Could You Want?|date=12 March 2001|work=Korea JoongAng Daily}}</ref><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6&oid=038&aid=0000100807 '방송'손예진 MBC 최고 루키 선정], 《한국일보》. 2001년 9월 25일 작성.</ref> 첫 드라마 작품부터 주연으로 시작한 손예진은 데뷔와 동시에 큰 인기를 얻었고, 특유의 청순한 모습을 통하여 많은 사람들에게 첫사랑 이미지로 각인되었다. 같은 해 그녀는 연이어 《[[선희 진희]]》에 출연하며 [[MBC 연기대상]] 신인상을 수상하였다. 2002년, 손예진은 픽션사극 드라마 《[[대망 (2002년 드라마)|대망]]》과 [[임권택]] 감독의 영화 《[[취화선]]》에 출연하였고, 이 영화는 제55회 [[칸국제영화제]] 공식경쟁부문에 초청 되었다. 같은 해 출연한 영화 《[[연애소설]]》(2002)는 233만명의 관객수를 기록,《[[클래식 (영화)|클래식]]》(2003)은 154만명의 관객수를 기록하며 그녀의 초기 경력에서 가장 큰 성공을 안겨주었고, 점차 주목 받기 시작했다. 《클래식》은 현재까지도 아름다운 멜로 영화로 회자되며, 손예진의 맑고 순수한 이미지로 인해 단숨에 청순 아이콘으로 떠올랐다.<ref>{{웹 인용|url=http://kpopherald.koreaherald.com/view.php?ud=201606101410484008937_2|title=Korean stars dubbed ‘Nation’s first love’|website=The Korea Herald|date=10 June 2016}}</ref> 이 작품들을 통해 2002년 제22회 [[한국영화평론가협회상]] 신인여우상과, 2003년 제39회 [[백상예술대상]] 영화부문 여자신인연기상, 제40회 [[대종상 영화제]]에서 신인여우상을 수상하였다.<ref>{{뉴스 인용 |제목 ='살인의 추억' 대종상 4개부문 석권(종합) |url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3&oid=001&aid=0000396132|출판사 ='살인의 추억' 대종상 4개부문 석권(종합) |저자 =김병규 |날짜 = 2003-06-20 |확인날짜 =2017-09-16 }}</ref> 손예진은 2003년 TV 드라마 《[[여름향기]]》에서 여주인공 심혜원 역을 연기했다. 이 작품은 [[한류 (문화)|한류 문화]]의 주역인 [[윤석호 (연출가)|윤석호]] PD의 ‘[[가을동화]]’, ‘[[겨울연가]]’를 잇는 계절 시리즈 세 번째 작품으로 큰 주목을 받았다.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5/5d/Son-ye-jin.jpg/170px-Son-ye-jin.jpg
         손예진의 다음 작품으로는 영화 《[[내 머리 속의 지우개]]》(2004), 《[[외출 (영화)|외출]]》(2005)로 두 편의 영화 모두 [[일본]], [[중화인민공화국|중국]] 등 아시아 전역에서 대히트를 기록하였으며,<ref>{{웹 인용|title=The Best Selling Films of 2004|url=http://www.koreanfilm.org/kfilm04.html|work=Koreanfilm.org|accessdate=2013-08-08}}</ref><ref>{{웹 인용|title=A Moment to Remember breaks Japanese record|url=http://www.koreanfilm.or.kr/jsp/news/news.jsp?mode=VIEW&seq=326|work=Korean Film Council|date=14 December 2005}}</ref><ref>{{웹 인용|title=Son Ye-jin to Star Alongside Bae Yong-joon in New Film|url=http://www.koreanfilm.or.kr/jsp/news/news.jsp?mode=VIEW&seq=163|work=Korean Film Council|accessdate=24 December 2004}}</ref> 《내 머리 속의 지우개》는 국내에서도 256만명의 관객수를 동원하며 흥행하였다. 한편 일본에서는 각각 200만 관객을 동원하며 일본에서 개봉 된 역대 [[대한민국]] 영화중에서 흥행 기록 1, 2위를 기록하였다.<ref>{{뉴스 인용|제목=손예진, ‘日 2005 외국영화 흥행 톱10’서 2관왕|url=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6&oid=117&aid=0000032332|출판사=마이데일리|날짜=2005-12-16}}</ref><ref>{{웹 인용|title=Films Starring Sohn Ye-jin Attract 10 Mil. Viewers in Korea, Japan|url=http://english.kbs.co.kr/hallyu/entertainment_news_view.html?No=147|work=KBS Global|date=28 December 2005}}</ref> 특히 《외출》에서 손예진은 20대 중반 주부이면서 남편과 불륜 관계였던 여자의 남편에게 사랑의 감정을 느끼게 되는 여자 서영의 감정을 잔잔하면서 깊이 있게 그려내며 호평을 받알고, 이 영화로 제50회 [[아시아태평양영화제]] 여우주연상을 수상했다. 같은 해 출연한 영화 《[[작업의 정석]]》에서 손예진은 최고의 선수, 작업계의 고수 한지원 역을 맡아 이 작품에서 과감한 섹시 댄스를 선보이는 등 이미지 변신에 성공하였고, 234만 관객을 동원하며 흥행에 성공하였다.<ref>{{뉴스 인용 |제목 =<오싹한 연애> 손예진, <작업의 정석> 뛰어넘을까? |url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POD&mid=sec&oid=047&aid=0001991399|출판사 =오마이뉴스 |저자 =하성태 |날짜 = 2011-12-17 |확인날짜 =2017-09-16 }}</ref>
         손예진은 2006년 노자와 히사시의 동명 소설을 기반으로 한 TV 드라마 《[[연애시대]]》에서 수영강사 유은호 역을 연기했다.<ref>{{뉴스 인용 |제목 =손예진 "대본 보고 이런 게 사랑이라 생각했죠" |url =http://entertain.naver.com/read?oid=001&aid=0001240659|출판사 =연합뉴스 |저자 =백나리 |날짜 = 2006-03-09 |확인날짜 =2017-09-16 }}</ref> 이 드라마는 ‘이혼후 다시 시작하는 연애’라는 참신한 소재로 호평을 받았으며, 20대 여배우가 선뜻 마음먹기 힘든 이혼녀를 연기, 더 이상 예쁜 얼굴만 무기가 되는 여배우가 아님을 인정 받았고, 이혼 했지만 묘하게 남아있는 미련, 헤어진 뒤 비로소 시작된 사랑의 감정을 자연스럽고도 설득력있게 그려내며 드라마의 인기를 견인했다.<ref>{{뉴스 인용 |url=http://www.mydaily.co.kr/news/read.html?newsid=200704241121121116|제목=손예진, "'연애시대'통해 현실적사랑 생각하게됐다" |출판사=마이데일리|날짜=2007-04-24|확인날짜 =2017-09-09}}</ref> [[SBS 연기대상]] 여자최우수연기상, 제43회 [[백상예술대상]] TV부문 여자최우수연기상을 수상하는 등 연기력을 크게 인정받았다.<ref>{{뉴스 인용 |url=http://star.moneytoday.co.kr/view/stview.php?no=2007042514301218841&type=1&outlink=1|제목='연애시대' 손예진, 백상 TV부문 최우수여자연기상 |출판사=스타뉴스|날짜=2007-04-25|확인날짜 =2017-09-09}}</ref> 2007년 손예진은 국내 애니메이션 영화 《[[천년여우 여우비]]》에서 주인공 여우비의 목소리 연기를 하였다.<ref>{{뉴스 인용 |제목 =손예진 "성인 목소리 나올까봐 걱정했죠" |url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15&oid=001&aid=0001910455|출판사 =연합뉴스 |저자 =홍성록|날짜 = 2006-12-22|확인날짜 =2017-09-09}}</ref>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1/1d/Son_Ye-jin_%28cropped%29.jpg
         2008년, 손예진은 TV 드라마 《[[스포트라이트 (드라마)|스포트라이트]]》로 2년여만에 브라운관에 복귀하였다.<ref>[http://www.koreatimes.co.kr/www/news/art/2008/05/201_24097.html "Spotlight Shows Lives of Reporters"]. ''The Korea Times''. 13 May 2008.</ref><ref>{{웹 인용|title=SON Ye-jin as a Criminal Kingpin|url=http://www.koreanfilm.or.kr/jsp/news/news.jsp?mode=VIEW&seq=741|work=Korean Film Council|date=26 July 2007}}</ref> 같은 해 영화 《[[무방비도시 (2008년 영화)|무방비도시]]》에서 소매치기 조직을 진두지휘하는 리더 백장미 역을 연기했으며,<ref>{{뉴스 인용 |제목 =손예진, "섹시함 유지, 가장 힘들어" |url =http://entertain.naver.com/read?oid=076&aid=0000088606|출판사 =스포츠조선 |저자 =김경민 |날짜 = 2008-01-04 |확인날짜 =2017-09-16 }}</ref><ref>{{웹 인용|url=https://web.archive.org/web/20140202223903/http://twitchfilm.com/2006/09/alone-in-love-review.html|title=Alone in Love Review|성=|이름=|date=1 September 2006|work=Twitch Film|출판사=|확인날짜=2018-04-12}}</ref><ref>{{웹 인용|title=Actress Son Ye-jin's Movie Picks|url=http://www.asiae.co.kr/news/view.htm?idxno=2011122317340286147|work=10Asia|date=23 December 2011}}</ref> 박현욱 작가의 동명의 소설을 기반으로 영화 《[[아내가 결혼했다 (영화)|아내가 결혼했다]]》에서 자유로운 연애를 조건으로 달고 결혼한 후에도 다른 남자를 사랑하길 멈추지 않는 주인아 역을 연기했다.<ref>{{웹 인용|title=SON Ye-jin puts a new spin on marriage|url=http://www.koreanfilm.or.kr/jsp/news/news.jsp?mode=VIEW&seq=914|work=Korean Film Council|date=11 February 2008}}</ref> 그녀의 연기는 평단의 호평을 받아 제29회 [[청룡영화상]] 여우주연상, 제4회 [[대한민국 대학영화제]] 여우주연상, 제45회 [[백상예술대상]] 영화부문 여자최우수연기상을 수상하는 쾌거를 이뤘다.<ref>{{뉴스 인용 |url=http://www.newsen.com/news_view.php?uid=200811210837541003|제목=눈물의 손예진 유일무이 3관왕 석권 기염, 청룡 여우주연상-인기스타상-베스트커플상 |출판사=뉴스엔|날짜=2008-11-21}}</ref><ref>{{뉴스 인용|url=http://news.hankooki.com/lpage/sports/200812/h2008121108013691980.htm|제목=손예진 '대한민국 대학영화제' 여우주연상|출판사=한국일보|날짜=2008-12-11|확인날짜=2014-02-18|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081224030924/http://news.hankooki.com/lpage/sports/200812/h2008121108013691980.htm#|보존날짜=2008-12-24|깨진링크=예}}</ref><ref>{{뉴스 인용 |url=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6&oid=001&aid=0002411169|제목=김윤석.손예진, 영화학도가 뽑은 최고 배우|출판사=연합뉴스|날짜=2008-12-15}}</ref><ref>{{뉴스 인용 |url=http://star.mt.co.kr/view/stview.php?no=2009022720042800689&type=1&outlink=1|제목=손예진, '아내가 결혼했다'로 여우주연상 3연패 |출판사=머니투데이|날짜=2009-02-27}}</ref> 2009년, 동명의 소설을 기반으로 한 영화 《[[백야행 (영화)|백야행 - 하얀 어둠 속을 걷다]]》에서 욕망으로 가득찬 치명적인 매력의 여자 유미호 역을 연기하였다.<ref>{{뉴스 인용 |제목 =손예진, 차기작 ‘백야행’서 고수와 멜로호흡 |url =http://entertain.naver.com/read?oid=117&aid=0001996689|출판사 =마이데일리 |저자 =남안우 |날짜 = 2008-12-15 |확인날짜 =2017-09-16 }}</ref><ref>[http://www.koreatimes.co.kr/www/news/art/2009/11/141_53971.html "Son Ye-jin, Ko Soo to Bring Mystery Romance"]. ''The Korea Times''. 21 October 21 2009.</ref>
         2010년, 손예진은 이새인 작가의 동명 소설을 기반으로 한 TV 드라마 《[[개인의 취향]]》로 1년 9개월여만에 브라운관에 복귀하였고, 개인 날 태어났다고 개인이란 이름을 얻은, 이름처럼 밝고 털털하고 유쾌한 캐릭터이자 무늬만 여자인 덜렁이 아가씨 박개인 역을 연기했다.<ref>{{뉴스 인용 |제목 ='개인의 취향' 손예진 "나이에 맞는 역 하고싶었다" |url =http://entertain.naver.com/read?oid=108&aid=0002023820|출판사 =스타뉴스 |저자 =김현록 |날짜 = 2010-03-25 |확인날짜 =2017-09-16 }}</ref> 이듬 해, 2011년 TV 드라마 《[[시크릿 가든 (드라마)|시크릿 가든]]》의 최종회에서 톱스타 역할으로 특별 출연하였다.<ref>{{뉴스 인용 |제목 =손예진, '시크릿가든' 카메오…'숨길 수 없는 폭풍 미모' |url =http://entertain.naver.com/read?oid=117&aid=0002116195|출판사 =마이데일리 |저자 =강선애 기자|날짜 = 2011-01-17}}</ref> 같은 해 손예진은 호러 로맨스 코미디 영화 《[[오싹한 연애]]》로 2년 만에 스크린에 복귀했고, 기를 쓰고 쫓아다니는 귀신 때문에 연애는 커녕 가족과 친구로부터 버림받은 여자 강여리 역을 연기했다.<ref>{{뉴스 인용 |제목 =손예진 ‘오싹한 연애’로 컴백…그녀, 인생을 말하다 |url =http://entertain.naver.com/read?oid=081&aid=0002245920|출판사 =서울신문 |저자 =임일영 |날짜 = 2011-11-29 |확인날짜 =2017-09-16 }}</ref> 영화는 300만 관객수를 기록해 자신이 출연한 모든 로맨틱 코미디 영화를 흥행시키며 '로맨틱 코미디의 퀸'임을 입증했다.<ref>{{뉴스 인용 |제목 =역시 손예진, '오싹한 연애' 300만 개인 최고 흥행기록 달성 |url =http://entertain.naver.com/read?oid=396&aid=0000005946|출판사 =스포츠월드 |저자 =김용호 |날짜 = 2012-01-17 |확인날짜 =2017-09-16 }}</ref><ref>{{뉴스 인용 |url=http://news.maxmovie.com/movie_info/sha_news_view.asp?newsType=&page=&contain=&keyword=&mi_id=MI0094703987|제목=<오싹한 연애> 최근 6년간 개봉한 로맨틱 코미디 중 최고 성적 |출판사=맥스무비|날짜=2012-01-03|확인날짜 =2017-09-16}}</ref> 2012년에는 재난 영화 《[[타워 (영화)|타워]]》에 출연하였고, 영화는 518만명의 관객수를 기록하며 성공을 거뒀다.<ref>{{웹 인용|title=Queen of romance returns in disaster flick|url=http://nwww.koreaherald.com/view.php?ud=20121217000947|work=The Korea Herald|date=17 December 2012}}</ref>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d/dc/Son_ye_jin.jpg/170px-Son_ye_jin.jpg
         2013년, 손예진은 5월부터 7월까지 방영한 TV 드라마 《[[상어 (드라마)|상어]]》로 3년여만에 브라운관에 복귀하였다. 또한 10월 개봉한 스릴러 영화 《[[공범 (영화)|공범]]》에서 정다은 역을 연기했다. 영화는 대한민국을 충격에 빠뜨린 유괴살인사건 공소시효 15일 전, 범인의 목소리를 듣고 사랑하는 아빠를 떠올리게 되면서 잔인한 의심을 갖게 되는 딸의 이야기를 그린 작품이다. 본 영화에서 공동 주연을 맡게 된 [[김갑수 (배우)|김갑수]]와는 ‘연애시대’ 이후 두 번째로 호흡을 맞춘 작품이며, 김갑수의 부녀 역할을 맡아 연기했다.<ref>{{뉴스 인용 |제목 =[스투매거진] 공범, 손예진 당신을 스릴러의 여왕으로 임명합니다. |url =http://entertain.naver.com/read?oid=277&aid=0003140577|출판사 =아시아경제 |저자 =장영준 |날짜 = 2013-11-28 |확인날짜 =2017-09-16 }}</ref> 이 작품으로 제35회 [[청룡영화상]] 여우주연상 후보에 올랐다.<ref>{{뉴스 인용 |url=http://osen.mt.co.kr/article/G1110020088|제목=손예진, '해적'·'공범' 2관왕 후보가 의미하는 것|출판사=OSEN|날짜=2014-11-29}}</ref> 그리고 손예진은 2014년 영화 《[[해적: 바다로 간 산적]]》에서 카리스마 넘치는 해적단 대단주 여월 억을 연기했다. 영화는 조선의 옥새를 삼켜버린 귀신 고래를 잡기 위해 바다로 내려온 산적 장사정이 여자 해적 여월과 함께 바다를 누비며 벌어지는 이야기를 그리고 있다.<ref>{{뉴스 인용 |제목 ='해적' 손예진 "女해적 여월, '으리으리'한 캐릭터" |url =http://entertain.naver.com/read?oid=111&aid=0000384846|출판사 =조이뉴스24 |저자 =권혜림 |날짜 = 2014-07-02 |확인날짜 =2017-09-16 }}</ref> 866만명의 관객수를 동원하며 흥행에 크게 성공하였으며, 역대 출연작 중에서 가장 많은 관객수을 기록하였다.<ref>{{뉴스 인용 |제목 ='해적' 손예진, 알고보면 변신의 여왕 |url =http://entertain.naver.com/read?oid=312&aid=0000042336|출판사 =텐아시아 |저자 =최보란 |날짜 = 2014-08-25 |확인날짜 =2017-09-16 }}</ref> 작품의 성공으로 3000만 배우라는 타이틀을 얻게 되었다.<ref>{{뉴스 인용 |제목 ='3000만 배우' 손예진이 충무로서 갖는 의미 |url =http://entertain.naver.com/read?oid=213&aid=0000532716|출판사 =TV리포트 |저자 =김수정 |날짜 = 2014-08-20 |확인날짜 =2017-09-16 }}</ref> 손예진은 이 작품으로 제51회 [[대종상 영화제]] 여우주연상을 수상하였다.<ref>{{뉴스 인용 |url=http://osen.mt.co.kr/article/G1110014441|제목='대종상' 손예진, 연기·흥행 갖춘 유일무이 女우 탄생|출판사=OSEN|날짜=2014-11-22}}</ref> 2015년에는 한중합작 코미디 액션 영화 《[[나쁜놈은 죽는다]]》에 출연하였다.<ref>{{뉴스 인용 |제목 ='나쁜 놈은 죽는다' 손예진, 카리스마+살벌한 분위기 풍기는 액션배우로 변신 |url =http://www.kookje.co.kr/news2011/asp/newsbody.asp?code=0500&key=20170216.99002115403|출판사 =국제신문 |저자 =디지털뉴스부 |날짜 = 2017-02-16 |확인날짜 =2017-09-16 }}</ref>
         2016년에는 손예진이 주연을 맡은 두 편의 영화 《[[비밀은 없다]]》, 《[[덕혜옹주 (영화)|덕혜옹주]]》가 개봉 되었다.<ref>{{뉴스 인용 |제목 =손예진 "'비밀'덕혜'가 2016년의 나..말그대로 다사다난"(직격인터뷰①) |url =http://entertain.naver.com/read?oid=108&aid=0002578621|출판사 =스타뉴스 |저자 =김현록 |날짜 = 2016-12-21 |확인날짜 =2017-09-16 }}</ref> 이경미 감독의 영화 《비밀은 없다》는 비록 25만 관객을 동원하며 흥행에는 실패했지만, 손예진은 평론가의 호평을 받으며 제36회 [[한국영화평론가협회상]] 여우주연상, 제22회 [[춘사영화상]] 여우주연상을 받으며 연기력을 인정받았다.<ref>{{뉴스 인용 |제목 ='비밀은 없다' 손예진 연기, 촬영·미술이 살렸다? |url =http://www.munhwa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75111|출판사 =문화뉴스 |저자 =양미르 |날짜 = 2017-09-02 |확인날짜 =2017-09-16 }}</ref> 대한민국의 마지막 황녀 [[덕혜옹주]]의 삶을 그린 [[허진호]] 감독의 영화 《덕혜옹주》는 560만명의 관객수를 동원하며 여성 원톱 영화로서는 보기 드문 흥행도 일궈냈으며, 손예진의 인생작이라는 호평을 받았다.<ref>{{뉴스 인용 |제목 =[핫 아이콘★②] 손예진 "'덕혜옹주'·'비밀은 없다', 두려움 많았던 작품" |url =http://entertain.naver.com/read?oid=427&aid=0000026414|출판사 =OBS 독특한 연예뉴스 |저자 =조연수 |날짜 = 2017-01-02 |확인날짜 =2017-09-16 }}</ref> 이 작품으로 제37회 [[청룡영화상]] 여우주연상 후보에 올랐으며, 제53회 [[백상예술대상]] 영화부문 여자최우수연기상을 수상하였다.
         2017년 5월, 손예진은 스릴러 영화 《[[협상 (영화)|협상]]》에 캐스팅 되었다. 영화는 서울지방 경찰청 위기협상팀의 유능한 협상가가 상사를 납치한 인질범과 대치하며 벌어지는 사건을 그린 작품으로 위기협상팀 경위 하채윤 역을 연기한다.<ref>{{뉴스 인용 |제목 =[스타와치]덕혜옹주→경찰, 제복 입은 손예진에 거는 기대 |url =http://www.newsen.com/news_view.php?uid=201706231109536710|출판사 =뉴스엔 |저자 =배효주 |날짜 = 2017-06-23 |확인날짜 =2017-09-16 }}</ref> 그리고 다음 작품으로 [[지금 만나러 갑니다|동명의 영화]]를 기반으로 한 멜로 영화 《[[지금 만나러 갑니다 (2018년 영화)|지금 만나러 갑니다]]》에 캐스팅 되었다. 영화는 1년 후 비가 오는 날 다시 돌아오겠다는 믿기 힘든 약속을 남기고 세상을 떠난 아내가 기억을 잃은 채 남편과 아들 앞에 다시 나타나면서 시작되는 이야기를 그린 작품이다. 두 작품 모두 2018년 개봉되었다.<ref>{{뉴스 인용 |제목 =[취중토크③] 손예진 "치열했던 20대 보다 30대가 더 좋아요" |url =http://entertain.naver.com/read?oid=241&aid=0002682769 |출판사 =일간스포츠 |저자 =김연지 |날짜 =2017-06-16 |확인날짜 =2017-09-16 |보존url =https://web.archive.org/web/20170917033455/http://entertain.naver.com/read?oid=241&aid=0002682769# |보존날짜 =2017-09-17 |깨진링크 =예 }}</ref>
         2011년 9월, 손예진은 서울시 성동구 뚝섬 전망문화콤플렉스 자벌레에서 열리는 '레인보우 프로젝트'(무지개빛 꿈 & 맑은 나눔 잔치)를 위해 자신의 애장품들을 기부했다.<ref>{{뉴스 인용 |제목 ='배용준·손예진·비의 애장품을 아프리카로…' |url =http://entertain.naver.com/read?oid=008&aid=0002609009|출판사 =머니투데이 |저자1 =김동하 |저자2 =이규창 |저자3 =김건우 |저자4 =김하늬 |날짜 =2011-09-14 |확인날짜 =2017-09-16 }}</ref> 2013년 5월, 드라마 《[[상어 (드라마)|상어]]》 제작발표회 때 팬들(공식 팬클럽과 DC인사이드 손예진갤러리)에게 보내 온 응원 드리미 쌀화환 160kg 쌀화환을 손예진이 지정하는 독거노인 등 어려운 이웃에게 기부한다고 밝혔다.<ref>{{뉴스 인용 |제목 ='상어' 손예진, 쌀화환 기부 '얼굴만큼 예쁜 마음' |url =http://entertain.naver.com/read?oid=011&aid=0002335781|출판사 =리뷰스타 |저자 =편집팀 |날짜 = 2012-05-22 |확인날짜 = }}</ref> 2014년 8월, 손예진은 [[설경구]]로부터 아이스 버킷 챌린지를 지목 받았고, “경구 선배가 아이스 버킷 첼린지에 절 지목하셨더라고요. 저는 얼음물 대신 기부를 하도록 하겠습니다”고 말하며 루게릭병 환우들을 위한 아이스 버킷 챌린지 대신에 기부를 하겠다고 약속한 내용을 자신의 페이스북에 게재했다.<ref>{{뉴스 인용 |제목 =손예진, 얼음물 샤워 대신 기부 “좋은 일 기쁘다” |url =http://entertain.naver.com/read?oid=109&aid=0002860159|출판사 =OSEN |저자 =강서정 |날짜 = 2014-08-22 |확인날짜 =2017-09-16 }}</ref>
         * {{한시네마 인물|Son_Ye-jin}}
  • 전효성 . . . . 58회 일치
         [include(틀:시크릿 멤버)]
         [include(틀:오소녀)]
         ||<#00CED1> '''{{{#000000 신체}}}''' ||<(> 158.5cm[* 프로필에는 160cm로 되어있으나 본인은 어느 라디오 방송에서 160cm에 조금 미치지 않는다고 발언하였다. 그리고 진짜 사나이에 출연해서 측정한 결과 158.5cm가 나와서 확인사살. 그래서인지 [[아는 형님]]에서는 (반올림을 한 듯) 본인의 입으로 159라고 하였다.], 49.5kg[* [[http://entertain.naver.com/tvBrand/4show/news/read?oid=109&aid=0003069631&pid=hot.030.106.998217&cid=1002187|4가지쇼에서 본인이 직접 인증하였으나 진짜 사나이에 출연해서 측정시는 49.5kg이었다 인터뷰에서 비활동기라서 그렇다고 했다가 운동은 하지만 근육 운동위주라서 몸무게는 빠지지 않는다고 하는 등 횡설수설을 해서 웃음을 주었다.]]], [[B형]] ||
         ||<#00CED1> '''{{{#000000 SNS}}}''' ||<(> [[http://twitter.com/superstar_jhs|[[파일:트위터 아이콘.png|width=24]]]] [[http://www.instagram.com/superstar_jhs|[[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png|width=24]]]] [[http://weibo.com/u/5521613691|[[파일:external/icons.iconarchive.com/weibo-icon.png|width=24]]]] ||
         이후 곰티비의 곰뮤직차트쇼라는 인터넷 방송에 [[아이유]]의 후임으로 발탁되어 두번째 단독 MC 프로그램을 맞게 되었지만 5주만에 하차했다(...). 이유는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6&oid=087&aid=0000327156|이 기사를 참고하길 바란다...]] [[http://www.gomtv.com/414050|그 당시 방송영상]] [[https://www.youtube.com/watch?v=qPnGo1ahHvg|GMC 막방 당시 아쉬운 마음에 눈물을 보이기도 하였다.]]
         전효성은 [[방용국]]과 [[젤로]]가 [[B.A.P]]로 데뷔하기 전 유닛활동 겸인 Bang&Zelo의 <Never Give Up> [[http://www.youtube.com/watch?v=Sd4s1aVXKpU&list=UULLlKJZVbeUTzwjVM7Lx9kg&index=130|뮤직비디오]]와 [[http://www.youtube.com/watch?v=b4AMbmqn05Q&list=UULLlKJZVbeUTzwjVM7Lx9kg|티져 영상]]에서 여자 주인공으로 출연하였다. 원래 Bang&Zelo 컴백무대에 특별 게스트로도 무대에 설 예정이었지만 [[http://junglegalaxy.wo.tc/3523|아래에 언급할 부상으로 인해 무산되었다.]] 안습...
         2012년 12월 29일에 방송된 [[SBS]] [[가요대전]]에서 전효성은 '대즐링 레드(Dazzling Red)'라는 프로젝트 팀에 합류하여 [[씨스타]]의 [[효린]], [[포미닛]]의 [[현아(가수)|현아]], [[카라(아이돌)|카라]]의 [[니콜(가수)|니콜]], [[애프터스쿨]]의 [[나나(애프터스쿨)|나나]]와 함께 <이사람>이라는 노래를 발표했다. ~~[[세종대왕(문명 5)|아주 좋소!]]~~ 작곡은 [[용감한 형제]]가 했다.
         2014년 5월 30일[[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5&oid=030&aid=0002276417|퍼펙트 월드의 신작 게임이자 무협게임인 <영웅의 별 : 신조협려>의 단독 모델로 발탁되었다.]] [[http://www.youtube.com/watch?v=baJAFR681r4|티저 영상]] [[http://www.youtube.com/watch?v=3LmQ4-P5UUQ|광고]] 전효성은 이 광고에서 [[소용녀]] 역할로 나오며 [[http://blog.naver.com/unwiredk/220029120118|게임 로딩 화면 중간중간에 소용녀의 모습을 한 전효성의 모습을 볼 수 있다.]]
         2015년 3월 5일 Mnet 개국 20주년으로 꾸려진 [[엠카운트다운]] 스페셜 스테이지에 초청되어 [[이효리]]의 노래인 <텐미닛>과 <유고걸> 무대를 펼쳐 상큼하게 잘 소화해냈다고 호평을 받았다. 물론 이효리 위상 따라잡으려면 아직 멀었지만 이효리를 재현하는 무대에 전효성이 초청받았다는 것 만으로도 현재 아이돌 섹시가수의 대표주자라는 의미부여가 가능할듯... 다만 사전녹화를 새벽 1시에 해서 못가는 팬들이 많아서 아쉬웠다고... 의상은 이효리가 [[http://star.mt.co.kr/view/stview.php?no=2015030614191298299&type=1&outlink=1|활동 당시 직접 입었던 의상을 선물받았다고 한다.]]
         2015년 3월 27일 KBS W의 <뷰티바이블 2015>에 [[제국의아이들]]의 [[황광희]]와 [[모델]] [[강승현(모델)|강승현]]과 [[http://joynews.inews24.com/php/news_view.php?g_menu=700200&g_serial=889987&rrf=nv|공동 MC로 낙점되었다.]] 뷰티바이블 MC 발탁 후 시크릿 멤버들이 [[http://tvdaily.asiae.co.kr/read.php3?aid=1429583547890170019|개천에서 용났다고(...) 축하해줬다고 한다.]] 뷰티바이블 2015가 S/S 시즌(봄/여름)과 F/W 시즌(가을/겨울)으로 나누어지는데 F/W 시즌에 진행자가 변동되지 않음에 따라 [[http://entertain.naver.com/read?oid=109&aid=0003147452| F/W 시즌에도 MC로 출연하게 되었다.]]
         2015년 4월 10부터 스타캐스트의 <아이엠 효성>이라는 프로그램(?)에 출연한다. 매주 금요일마다 올라올 예정이다. 총 8회로 구성되어있다. [[http://m.star.naver.com/SECRET/special/1037/news/end?id=4875047|1편]] [[http://entertain.naver.com/read?oid=420&aid=0000002085|2편]][* 왁스타블렛을 만드는 과정이 담겨져 있다. 전효성이 왁스타블렛을 만든 곳에서 직접 [[http://blog.naver.com/maeryoc/220335786716|후기]]도 써서 올려줬다.] [[http://entertain.naver.com/read?oid=420&aid=0000002134|3편]][* 새 솔로앨범 작업 과정이 담겨있다.][[http://entertain.naver.com/read?oid=420&aid=0000002142|4편]][* 다른 회와 다르게 수요일에 업로드되었다.] [[http://m.star.naver.com/SECRET/news/end?id=5054150&langCode=ko|5편]][* 새 솔로앨범 판타지아의 수록곡 하이라이트 메들리, 뮤비 촬영 과정 등이 담겨있다.] [[http://m.star.naver.com/SECRET/news/end?id=5075799|6편]][* 컴백 당일날 활동 과정이 담겨있다.][[http://entertain.naver.com/read?oid=420&aid=0000002193|7편]] [[http://entertain.naver.com/read?oid=420&aid=0000002204|8편]]
         2015년 6월 6일 [[SNL 코리아]]에 [[http://entertain.naver.com/read?oid=213&aid=0000694678|단독 호스트로 출연하였다.]][* 같은 소속사인 ~~힙합좀비~~언터처블의 슬리피가 특별출연 하기도 하였다.] 콩트에 초점을 맞춰서 작년 만큼의 활약상(...)은 아니었던듯...
         2015년 6월 16일 <[[정글의 법칙]] - 히든킹덤편>에 출연이 확정되었다.[[http://www.tvreport.co.kr/?c=news&m=newsview&idx=729197|기사]] 일본 스케쥴을 모두 마치고 19일에 [[브루나이]]로 떠날 예정이라고 한다.[* 목격담에 의하면 [[http://gall.dcinside.com/board/view/?id=secret&no=566355&page=1&search_pos=&s_type=search_all&s_keyword=%ED%95%9C%EA%B5%AD|19일에 한국에 들어왔다가 20일에 브루나이로 출국했다고 한다.]]] 솔로활동 - 일본활동 이후 바로 타이트하게 진행되는 일정이라 팬들은 걱정하는 눈치. 히든킹덤편 첫화에는 일본 활동으로 인하여 오프닝에만 살짝 출연했고 2화에도 꼴랑 3분가량(...) 나왔다. 2회에서 몰카를 준비했지만 바로 뽀록나고 말았고 그나마 [[정준하]]의 배려로 번외로 한번 더 시도하여 놀라주는 척 하는 장면이 같이 나갔다. 3회,4회에서는 카사바와 바나나 먹방과 도마뱀을 거침없이 손질하는 모습으로 나름대로 활약.[* 같이 출연한 [[정진운]]과 함께 [[http://www.tvreport.co.kr/?c=news&m=newsview&idx=758965|정글의 법칙 OST에 참여했으며]] 방송 중간중간에 삽입곡으로 깔리기도 했다.]
         8월 26일에는 MBC 추석특집 <듀엣가요제 8>에 섭외되어 일반인과 듀엣 무대를 펼쳤다. [[http://entertain.naver.com/read?oid=079&aid=0002743099|#]] 100명중에 64표로 성적은 하위권...
         2016년 2월 12일 [[리얼입대 프로젝트 진짜 사나이]] 여군 특집 시즌 4에 합류한다고 한다. [[http://entertain.naver.com/read?oid=076&aid=0002888639&cid=1012951&gid=999339|#]] 자세한 내용은 [[리얼입대 프로젝트 진짜 사나이/출연 멤버/여군 특집]] 문서를 참고하길 바란다. 여담으로 [[차오루]]는 2세 아래의 "전효성 선배님은 몸매가 좋다"고 말했다.
         SNL코리아7의 <위캔드 업데이트> 코너에 [[이원석]]과 [[김풍]]을 대신해 고정으로 합류한다고 한다.[[http://entertain.naver.com/read?oid=311&aid=0000597743|기사]] 지난 9일에도 같은 코너에 게스트로 출연한 바 있는데 당시에 반응이 괜찮아서 고정이 된듯 하다.
         2018년 10월 29일 토미상회 엔터테인먼트와 새로 계약했음을 알렸으나, [[TS엔터테인먼트]]가 전속계약 위반을 주장하고 있다. 이후 11월 14일 전속계약효력부존재확인 소송에서 승소하면서 TS와의 관계를 일단락했다. 승소로 TS 측에서 전효성에게 1억 3000여만원과 소송 비용을 지불해야 한다.--경축 탈 TS!!-- 소송이 끝난 뒤 자신의 SNS에 게시물을 올리면서 후련한 마음을 표출하기도...[[https://www.instagram.com/p/BqJLhWKgkdx/?utm_source=ig_share_sheet&igshid=10ae4h7tbvsnj|#]][[https://www.instagram.com/p/BqJ-IUlAaVT/?utm_source=ig_share_sheet&igshid=1my9qr2d0tmde|#]]
         연초 <처용> 방송 직후에 가진 인터뷰를 통해 솔로 떡밥을 던지곤 했는데 2014년 4월 17일 [[이단옆차기]]의 곡으로 솔로앨범을 발표한다는 것이 공식적으로 확인되었다. [[http://star.mt.co.kr/view/stview.php?no=2014041708135750788&type=1&outlink=1|앨범 작업이 거의 다 끝나가며 큰 변수가 없는 한 5월 12일에 음반과 음원이 발표될 예정이라고 한다.]] [[http://www.tvreport.co.kr/?c=news&m=newsview&idx=493077|그런데 세월호 침몰 사건으로 인해 음악프로가 결방함에 따라 발매가 연기될 것으로 보였으나]] 5월 2일 소속사가 공식 SNS를 통해 [[https://m.facebook.com/story.php?story_fbid=712240712173658&substory_index=0&id=181948985202836|티저 이미지를 공개함에 따라 컴백이 확정되었다.]]
         5월 12일 [[https://youtu.be/HbNqVJdHlr8|뮤직비디오]]와 음원이 공개되었고 같은 날 [[http://www.melon.com/musicstory/inform.htm?mstorySeq=1551|쇼케이스]]가 열렸다. 앨범 공개 당일날 각종 포털사이트에 전효성의 이름이 검색어 상위권에 오르며 뜨거운 반응을 받았다.
         2015년 4월 23일 미니앨범 티저 이미지가 공개되었다. 앨범 이름은 판타지아, 타이틀곡은 '반해'. 작곡은 <Good - night Kiss>를 작곡했던 이단옆차기. 기사에 의하면 ‘판타지아’라는 제목은 총 다섯 곡이 수록된 첫 미니 앨범에 가장 나다운 모습과 그룹 활동을 통해서는 미처 다 보여주지 못했던 모습을 함께 담아냈다“며 ”전효성에 대한 ‘판타지’를 채울 수 있는 앨범으로 만들고 싶었다“고 본인이 말했다고 한다.[[http://m.entertain.naver.com/read?oid=421&aid=0001382103|기사1]] [[http://m.entertain.naver.com/read?oid=108&aid=0002409511|기사2]]
  • 창원시 . . . . 57회 일치
         [include(틀:상위 문서, top1=경상남도)]
         [include(틀:회원수정)]
         [include(틀:프로젝트 문서,프로젝트=나무위키 동남권 프로젝트)]
         [include(틀:대한민국의 특정시)]
         [include(틀:경상남도의 기초자치단체)]
         [include(틀:창원시의 일반구)]
         ||<-3><bgcolor=#FFFFFF> [include(틀:지도,장소=마산시청,너비=100%)] ||
         ||<:><bgcolor=#1870B9> [[파일:theminjooreverse.jpg|width=20]] '''[[더불어민주당|{{{#FFFFFF 더불어민주당}}}]]''' {{{#FFFFFF 21석}}}||
         ||<|14><-2><bgcolor=#008000> {{{#FFFFFF '''도의원'''}}} ||<:>[[더불어민주당|{{{#!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1870B9; font-size: .8em"
         ||<:>[[더불어민주당|{{{#!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1870B9; font-size: .8em"
         ||<:>[[더불어민주당|{{{#!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1870B9; font-size: .8em"
         ||<:>[[더불어민주당|{{{#!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1870B9; font-size: .8em"
         ||<:>[[더불어민주당|{{{#!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1870B9; font-size: .8em" ||
         ||<:>[[더불어민주당|{{{#!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1870B9; font-size: .8em"
         ||<:>[[더불어민주당|{{{#!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1870B9; font-size: .8em"
         ||<:>[[자유한국당|{{{#!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C9151E; font-size: .8em"
         ||<:>[[더불어민주당|{{{#!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1870B9; font-size: .8em"
         ||<:>[[자유한국당|{{{#!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C9151E; font-size: .8em"
         ||<:>[[더불어민주당|{{{#!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1870B9; font-size: .8em"
         ||<:>[[더불어민주당|{{{#!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1870B9; font-size: .8em"
  • 김재규 . . . . 56회 일치
         [include(틀:다른 뜻1, other1=다른 동명이인, rd1=김재규(동명이인))]
         [include(틀:회원수정)]
         ||<:> '''수상''' || ~~[[대한민국 훈장|충무무공훈장]]~~[* 삭선이 그어진 것은 서훈이 취소되었기 때문. [[2006년]] [[3월 21일]] 정부는 서훈을 취소할 수 있게 개정된 상훈법 규정에 따라 [[전두환]], [[노태우]] 전 대통령을 포함한 공직자 및 기업인 174명에 대한 서훈을 취소했으며, 10·26사태의 주범인 김재규 또한 그 대상에 포함되어 8개 훈·포장을 박탈당하였다. [[https://news.joins.com/article/2238076|기사]] ] [br]~~[[대한민국 훈장|보국훈장]] 천수장~~[br]~~[[대한민국 훈장|보국훈장]] 삼일장~~[br]~~[[대한민국 훈장|보국훈장]] 국선장~~[br]~~[[대한민국 훈장|보국훈장]] 광복장~~[br]~~[[대한민국 훈장|보국훈장]] 통일장~~[br]~~[[대한민국 훈장|청조근정훈장]]~~[br][[사우디아라비아]] 킹 압둘 아지즈 훈장[* 당시 건설부장관으로서 몸소 중동에 방문해 (한국 기업을 통한) 중동 개발에 적극적으로 협조한 공을 인정받아 획득했다.] ||
         [include(틀:-)]
         [[윤필용]] 전 수도경비사령관과는 악연이 좀 있었다. 윤필용이 [[1.21사태]] 때 [[김신조]]의 모가지 발언을 여과없이 보내는 바람에 윤필용이 방첩부대(현 [[국군기무사령부]])장에서 경질되고 김재규가 후임 방첩부대장이 되었다. 이후 김재규는 방첩부대를 육군보안사령부로 개편하고 자신은 육군보안사령관이 되었다.[* 이 시절 [[재일교포]] 서승 형제 간첩단 사건에 관여한 흑역사가 있다. 이 형제는 방한 전 [[재일교포]] 신분으로 [[북한]]에 방문하고 선물까지 받아온 전력이 문제가 되어 보안사에 체포되었다. 이들은 고문을 동반한 고강도의 조사를 받았는데, 고통을 이기지 못한 나머지 간첩 혐의를 인정하게 되고 실형을 선고받았으나 이는 훗날 고문에 의한 강제자백이었음이 밝혀졌다. 김재규를 긍정적으로 보는 학자들도 이 건에 대해서는 옹호하지 않는다.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01&aid=0000889025|기사]] ] 육군보안사령관이던 1971년 8월 수도경비사령관이던 윤필용의 전화를 도청하다가 발각되어 [[제3군단]]장으로 전보되었다.[* 하지만 이는 그저 표면적인 이유이고 박정희에게 3선까지만 하라는 직언을 해서 좌천됬다는 이야기도 있다. 사실, 군 내부에서 도청하는것이 당시 보안사령부의 일이었다.]
         1977년 박정희에게 [[직선제]]를 건의하기도 했다. 1979년에는 [[긴급조치]] 9호의 해제를 건의했다. 이때 김재규는 “긴급조치 9호는 효력을 다했으니 더 강력한 긴급조치 10호가 필요합니다.” 라며[[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3&oid=033&aid=0000007473&viewType=pc|긴급조치 10호를 건의했다가 반려당하기도 했는데]], 그 내용에는 노동및 종교의 추가탄압이 들어가있어 과격하기는 마찬가지였던지라 현재까지도 그에 대해 비판하는 이들이 존재한다. 다만 김재규는 훗날 법정에서 그 건에 대해 말하길 박정희의 눈을 속이고 긴급조치 9호의 독소를 제거하기 위해선 어쩔 수 없는 방법이었다고 해명했다.[* [[파일:walderppk-20161228-150640-001.jpg|width=600]][[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93102800209105001&edtNo=40&printCount=1&publishDate=1993-10-28&officeId=00020&pageNo=5&printNo=22327&publishType=00010|출처]] ] 김재규는 또한 당시 연금중이던 [[김대중]]의 외출을 눈감아주어서 [[김대중]]이 김영삼측 단합대회에 참석할 수 있게 해서 김영삼의 전당대회 당선을 도와주기도 했다.[* 그리고 여기에 책임을 진다는 구실로 중정부장 자리에서 물러나고 싶다고 사의를 표했으나 거절당했다.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2&aid=0002017191&viewType=pc|출처]] 이는 그가 권력욕에 취해 [[10.26 사태]]를 일으켰다는 주장에 대한 반박 논거로 쓰인다.] 당시 악화일로로 치닫고 있던 정국을 순리대로 풀기 위해서 나름대로 방법을 모색한 것. (물론 결과적으로는 남의 말을 들으려고도 하지 않는 박정희에게는 소귀에 경읽기였다.)
         [youtube(PaUOiNqWenA)]
         당시 대법관들 사이에서는 소수의견으로 대통령 [[박정희]]를 살해한 내란목적이 아니라 자연인 박정희를 살해한 단순살인에 불과하다는 의견도 있었다. 특히 형사3부 판사인 양병호와 서윤홍은 '''[[내란]] 목적이라기에는 암살후 김재규의 움직임이 너무나 어설펐기 때문에 내란을 목적하고 박정희를 죽인 게 아니고 그저 우발적으로 죽였다고 본 것'''이며 최종판결 당시 민윤기 등 6명의 판사들이 내란죄 불성립 의견을 냈다. 이로 인해 소수 의견을 낸 판사 6명은 신군부의 보복으로 전부 법복을 벗어야 했으며 특히 양병호는 보안사에 끌려가 온갖 고문을 당하였다. 훗날 양병호는 김재규가 자유민주주의 회복을 위해 박정희를 사살한 것이라고 평가하였다. 이 당시 판결문은 비공개 처리되어 묻혀버렸으나[* 80도306 판결 참조. 내란죄에 있어서 목적에 대한 인식의 정도는 미필적 인식, 즉 자신의 행위가 범죄발생의 가능성이 있음을 인식하고 있는 상태만 되도 행위자가 그러한 목적이 있었다고 볼 수 있으며, 이로인해 구성요건이 충족된다. 즉 김재규는 박정희를 죽일 때 국헌문란을 일으키고자 하는 목적은 없었으나, 대통령의 사망이 국헌문란을 가져올 것을 미필적이나마 인식하고 있었고 그것으로도 국헌문란에 대한 목적의 인식이 있었다고 볼 수 있다는 소리다.], 훗날 공개되면서 당시 몇몇 재판관들의 용기있는 소수의견들이 밝혀졌다.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28&aid=0002011034|한홍구, 사법부 - 회한과 오욕의 역사 참조]].
         또한 당시 [[한국]]과 [[미국]]의 사이가 좋지 않았다는 점을 생각해보면 [[박정희]]가 미국의 만류를 뿌리치고 강경진압을 했을 가능성도 존재했다.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28&aid=0002337787|서울에도 계엄을 내리고 군을 투입할 계획이 있었음]]을 고려하면 유혈사태로 번졌을 가능성도 존재한다. 김재규 역시 박정희 사망 이후 비상계엄령을 추진하려는 의도가 있었지만, 5개월 한정이라는 전재를 달았으며 부마민주항쟁 때도 유혈 진압을 비판했던 입장이기 때문에 강경한 방식으로 막가파 운영을 하지는 않았을 것이라는 시각도 있다. 군부의 시각을 돌리기 위해 그럴싸한 핑계를 대려고 했다가 뽀록이 났다는 견해다.
         그동안 김재규를 썩 좋게 평가하지 않았던 한홍구도 2013년에는 주장이 달라졌다.[[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28&aid=0002188416|#]]
         김재규의 변호인이었던 강신옥 변호사는 김재규를 의사라 칭하며 박정희는 절대로 스스로 물러날 사람이 아니기에 김재규의 거사가 없었으면 수많은 사람들의 희생이 불가피했을 거라고 평가하였다. 또한 최태민 문제 관련하여 박근혜와 최태민을 떼어놓아야 한다는 김재규의 충언을 무시하고 김재규의 주장이 모함이라는 박근혜의 말만 믿고 사건을 덮어버린 박정희의 행태도 10.26의 원인이 되었다고 증언하였다.[[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47&aid=0002152883|#]]
         김재규가 10.26을 일으킨 것은 결국 경호실장 [[차지철]]과의 '권력투쟁' 속에서 벌인것 이라는 해석이 있다. 2004년 국무총리 산하 민주화운동 관련자 명예회복 및 보상심의위원회에서도 김재규의 행위를 민주화운동으로 인정하지 않기로 결정했다고 보도했다.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28&aid=0000092551|출처]] 김재규는 자기보다 새파랗게 젊고 군대 계급도 낮은 차지철에게 면박을 당하거나 무시당하는 수모를 당했고 이에 대해서 격분했다는 증언이 주변 인물들로부터 흘러나온 바 있다.[* 대표적으로 김재규는 그가 교사 시절 제자였던 [[이만섭]] 전 국회의장과 가까웠는데, 10.26이 터지기 전 [[이만섭]]과의 식사 자리에서 "다른 건 다 참겠는데 [[차지철]]이 때문에 골치야"라는 말을 하기도 했다.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0908031802395|출처1]] ] [[http://news.donga.com/3/all/20130813/56988552/1|출처]] 이런 점들로 비추어 보았을 때 김재규가 민주화 운운하는 것도 자신의 쿠데타를 정당화하기 위해 내건 명분에 지나지 않는다는 주장이 있다. 그가 차지철이라고 하는 인물에 대비해보았을 때 '상대적으로' 온건성향으로 비쳐질 따름일뿐, 그 역시도 '''결국 독재정권에 부역한 인물에 지나지 않는다'''는 해석이다. [[http://www.breaknews.com/sub_read.html?uid=28100§ion=sectio|출처]]
         유신정권의 크게 3개의 권력 축인 대통령 경호실, 중앙정보부[* 강직한 군인 유능한 건설부장관 무능하고 유약한 중정부장을 보면 알듯이 폭주하던 중정을 제어한 것을 보면 이런 비난도 무색하다], 국군보안사령부를 대표하고 있는 인물이 바로 [[차지철]], [[김재규]], [[전두환]]이었던 것이다. 이들은 서로 간에 치열하게 견제하고 있었다. [[http://www.usjournal.kr/News/6936|출처]] 바로 이러한 구도 속에서 파장이 일어난 것이 10.26이라는 것.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92081500209211001&editNo=1&printCount=1&publishDate=1992-08-15&officeId=00020&pageNo=11&printNo=21914&publishType=00020|출처]] 드라마 [[제5공화국(드라마)]], [[제4공화국(드라마)]] 등 공화국시리즈 등에서도 바로 이러한 관점에서 묘사되고 있다. 특히 경호실과 중앙정보부의 대립과 반목은 그 이전부터 지속되어 왔다. 대표적으로 이후락 중앙정보부장 - 박종규 대통령 경호실장 시절에도 이들은 사이가 몹시 좋지 못했다. 더군다나 이 무렵에 [[차지철]]계로 분류되고 있던 [[김치열]] 법무부장관이 차기 중앙정보부장으로 갈 것이라는 소문이 나돌았고, [[박정희]]가 야당문제와 [[부마항쟁]] 등에 대한 미흡한 대처에 대해서 김재규를 책망하는 일이 잦아지자 김재규 본인도 파워게임에서 밀릴 것이라는 직감을 하게 될 공산이 컸다는 주장이 있다. [[http://news.donga.com/3/all/20130906/57493166/1|출처]]
         김재규는 [[10.26 사태]] 직후 유신의 잔재를 5개월 내로 설거지하겠다는 생각으로 전국으로 비상계엄령확대를 구상했는데,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1&aid=0004475563|출처1]], [[http://www10.breaknews.com/sub_read.html?uid=64710|출처2]] 민주공화당은 이러한 구상안에 동의했을 가능성이 낮다. 10.26 직후 [[김종필]]이 [[민주공화당(1963년)|민주공화당]]의 총재로 만장일치 추대되었는데, [[김종필|JP]]는 [[김재규]] 중앙정보부장 시절 청구동 가택수색과 협박까지 당한터라 김재규에게 호의적이기도 어려웠다.[[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92080100209211001&edtNo=1&printCount=1&publishDate=1992-08-01&officeId=00020&pageNo=11&printNo=21900&publishType=00020|#]] 거기다 10.26 이후 [[김종필|JP]]는 [[김영삼|YS]], [[김대중|DJ]]과 함께 개헌과 민주회복 이행에 공감하고 협조해나가고 있었기 때문에, 민주공화당 역시도 김재규의 구상에 동의하기 어려웠을 것이다.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80022600329201017&edtNo=2&printCount=1&publishDate=1980-02-26&officeId=00032&pageNo=1&printNo=10586&publishType=00020|#1]],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80022600099201012&edtNo=1&printCount=1&publishDate=1980-02-26&officeId=00009&pageNo=1&printNo=4299&publishType=00020|#2]]
         김재규는 10.26이후 전국비상계엄령 확대 조치를 취하고, 군 지휘관들을 중심으로 혁명위원회를 구성해서 자신이 위원장을 맡고 육군참모총장이 부위원장을 맡은 뒤 유신의 잔재를 제거하겠다는 방안을 구상했다고 밝혔다. [[http://casenote.kr/%EB%8C%80%EB%B2%95%EC%9B%90/80%EB%8F%84306|출처1]],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93122800209105001&editNo=40&printCount=1&publishDate=1993-12-28&officeId=00020&pageNo=5&printNo=22384&publishType=00010|출처2]] 대법원 판결에서는 김재규가 계엄군을 장악하여 무력으로 사태를 제압하고, 입법, 사법, 행정 권력을 장악한 이후 대통령 출마까지 계획했다고 판결하였는데, 김재규 본인은 대통령 출마 의사나 사리사욕은 없다고 부인하였다.[* 김재규 본인은 소위 설거지론을 얘기하며 5개월간 유신의 잔재를 처리하려 했다고 밝혔다. 대통령이라는 직위를 자신이 담당하는건 생각조차 하지 않았으며, 다만 혁명위원회를 구성해서 권력을 인수하겠다는 정도를 생각했다고 밝혔다.] 그러나 [[김영삼]]이나 [[김대중]] 등 야당이 과연 김재규의 계획에 동의하거나 협조할 생각이 없었기 때문에 계획대로 이루어지기는 거의 어려웠을 것이다.
         그리고 8:6으로 내란목적 살인죄가 적용되 사형판결을 받는다. [[http://glaw.scourt.go.kr/wsjo/panre/sjo100.do?contId=2173227&q=80%EB%8F%84306&nq=&w=yegu§ion=yegu_tot&subw=&subsection=&subId=&csq=&groups=&category=&outmax=1&msort=&onlycount=&sp=&d1=&d2=&d3=&d4=&d5=&pg=0&p1=&p2=01&p3=&p4=&p5=&p6=&p7=&p8=&p9=&p10=&p11=&p12=&sysCd=&tabGbnCd=&saNo=&joNo=&lawNm=&hanjaYn=N&userSrchHistNo=&poption=&srch=&range=&daewbyn=N&smpryn=N&tabId=|80도306]][* 민문기, 양병호, 임항준, 김윤행, 정태원, 서윤홍 이렇게 6명은 그냥 살인이라고 소수의견을 냈다. 적극적인 의견을 개진하지 않은 정태원 대법관을 제외한 나머지 5명은 고초를 겪다가 사표를 써야했다. 특히 양병호 대법관은 서빙고문실로 끌려가 고문까지 받았다. 그 당시 법원행정처장 서일교가 당시 이영섭 대법원장에게 대법원장이 사표를 수리해 주셔야만 양병호가 풀려날 수 있다면서 친필 사표를 내밀었고 결국 사표를 수리할 수 밖에 없었다. 그 후 한 시간 정도만에 양병호 판사가 대법원장실에 나타났고 양병호는 정말 아무 일도 없었다면서 커피를 마셨지만 커피가 입으로 들어가지 않고 가슴과 와이셔츠를 적시는데도 그것을 모른 채, 정신나간 사람처럼 눈에 초점이 풀려있었다고...] 사형 판결을 받은 김재규는 1980년 5월 24일에 [[교수형]]으로 숨진다. 사형집행일 김재규는 아침을 먹지 않고 냉수마찰을 한 뒤 새 옷으로 갈아입고 길을 나섰는데, 이는 이승에 남기고 갈 마지막 흔적을 더럽히지 않기 위함이였다고 한다.[[http://www2.donga.com/docs/magazine/new_donga/9810/nd98100020.html|#]] 당시 교도관의 증언에 의하면 김재규는 사형집행 직전까지 목숨을 구걸하지 않고 의연한 모습을 보였으며 "남길 말이 있으면 하라"는 참관 검사의 말에 아무런 말을 하지 않은 채 조용히 죽음을 받아들였다고 한다. 이때가 향년 54세. [[http://blog.naver.com/aa6753/220795466265|사형 집행 장면]] 그 비극은 김재규의 남은 가족들에게도 이어져, 부인 김영희와 동생 김항규는 무자비한 고문을 당하고 재산까지 빼앗기는 비극을 당했으며 '3족을 멸한다'는 말이 나올 정도로 주변인들 역시 갖은 고초에 시달려야 했다.
         김재규는 죽기전 아내 김영희씨에게 자신의 남은 재산으로 부하 가족들을 돌봐달라고 당부하였고, 김영희씨는 김재규의 유언에 따라 부하 가족들의 교육비와 생활비를 지원해주는 등 물심양면으로 뒷바라지를 해준 덕분에 김재규의 부하 자녀들은 무사히 학업을 마칠 수 있었다고 한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14&oid=036&aid=0000007347|#]]
         이 추모비는 아직까지도 금이 가고 글자가 훼손된 모습 그대로 남아있는데, 추모비를 새로 세우는 데 도움을 주겠다는 사람들도 있었지만 김재규의 유족과 송죽회가 현 상태 그대로 두겠다고 밝혀 그대로 남아있다고 한다. 추모비가 훼손되고 금이 가 있는 모습도 역사의 기록이라는 판단에서라고. [[https://storyfunding.daum.net/episode/17404|#]]
         그러나 민주화 이후 그에 대한 재평가가 점차 활발해지기 시작했다. 함세웅 신부의 재평가 주장을 비롯하여 시사in 등의 일부 언론과 문영심 작가, 김재규를 변호했던 안동일 변호사, 천정배 의원 등이 김재규 재평가에 힘을 실어줬고, 공화국 시리즈 등 드라마에서도 비교적 호의적으로 그려지기 시작했다. 또 월간지 신동아 1996년 10월호에선 김재규를 특집기사로 다루었고, 최후진술이 담긴 육성테이프를 최초로 공개하면서 신동아 독자들에 의한 재평가 여론이 일었다. 당시 김재규의 최후진술을 듣고 감동받은 많은 독자들이 신동아의 편집실로 전화하여 "김재규를 그동안 잘못 알았다. 명예회복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전달하였다고 한다. 허나 당시는 박정희 신드롬이 점점 떠오르던 시기라 김재규의 재평가 여론은 금세 묻히고 만다.[[https://news.naver.com/main/tool/print.nhn?oid=020&aid=0000006228|#]]
         [[http://www.insight.co.kr/newsRead.php?ArtNo=84600|1]] [[http://www.kcs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29102|2]] [[http://biz.heraldcorp.com/view.php?ud=20161116000475|3]] [[https://storyfunding.daum.net/episode/15531|4]] 그 결과 정치에 관심이 많은 반독재 인터넷 커뮤니티에서는 김재규에 대한 "진지한 재평가"가 보편화되었다. 여전히 김재규와 10.26 암살을 유머 소재로 써먹지만 예전처럼 단순히 박근혜와 박정희에 대한 조롱만을 담은 것이 아닌 김재규라고 하는 의사에 대한 존경심 또한 일반화 된 상황. 혹자는 박근혜가 박정희 신화를 무너뜨렸다고 평했는데 그와 동시에 김재규에 대한 재평가도 한껏 불러일으킨 셈. 물론 김재규 역시 독재 정권에 종사했기 때문에 과도 쌓았지만, 그렇기 때문에 독재자 변명거리용으로 자주 써먹히는 공7과3이란 단어가 사실은 김재규한테 진정 어울리는 평이란 느낌.
  • WikiSandBox . . . . 54회 일치
         '''Tip:''' Shift-click "HelpOnEditing" to open a second window with the help pages.
         Here is a link to the page titled: BizarStructuredText
         And here is another line of text. Incidentally, you might want to do one
         of the following:
         They were surprised about the first subsection on this page. Imagine the complete astonishment when they discovered that there was a ''second'' subsection! An important part of this section is its reference to the MissionStatement. Be ''sure'' to check it out.
         == What to Do When You're Getting Bored with the First Section ==
          1. Check for loose change in the sofa cushions.
          1. Clip your fingernails.
          1. Check out, http://www.halfbakery.com, for instance http://www.halfbakery.com/idea/Jehovah_27s_20Witness_20Delivery#979686222-5-1
         '''''Please Note:''''' ''There has been considerable controversy about several of the above listed alternatives to reading the First Section. Some people think they are silly. Some people think they are offensive. And some people just think that they are a waste of time. All of these may be true. However, we stand by them, as we firmly believe that they are '''all''' more interesting than the First Section.''
         Please feel free to experiment here, after the four dashes below... and please do '''NOT''' create new pages without any meaningful content just to try it out.
         '''Tip:''' Shift-click "HelpOnEditing" to open a second window with the help pages.
         == Formatting ==
         == Linking ==
         HelpOnEditing MoinMoin:InterWiki
         http://purl.net/wiki/moin/ [http://www.python.org/ Python]
         someone@the.inter.net
         == Single line LaTeX ==
          $$ \int_0^{2\pi}\sin\ x\ dx $$
         pre-formatted, No heading, No tables, No smileys. Only WikiLinks
  • Victoria II/기술 및 발명 목록/해군 . . . . 52회 일치
         == Navy Doctrine(해군 전술) ==
         === Battleship Column Doctrine(전함대형 교리) ===
          * '''Speedy Maneuvering Tactic(신속 기동 전술)'''
         === Raider Group Doctrine(습격대 교리) ===
          * '''Standard Raider Group Doctrine(표준 습격대 교리)'''
         === Modern Naval Doctrine(근대 해군 교리) ===
          * '''Decisive Firepower Doctrine(결정적인 화력 교리)'''
          * '''Naval Firepower Doctrine(해군 화력 교리)'''
          * '''Building Station Shipyard'''
          * '''Mechanized Fishing Vessels(기계화 어선)'''
          * '''Building Station Shipyard''' 발명 발견시 '''{{{#green +2%}}}'''
         === Steam Turbine Ships(증기터빈 선박) ===
         == Naval Engineering(조선공학) ==
          * '''Optical Rangefinders(광학 거리계)'''
          * '''Armour Piercing Projectiles(철갑탄)'''
          * '''Armour Piercing Exploding Projectiles(철갑폭발탄)'''
         === Main Armament(주무장) ===
          * '''Quick-firing Guns(속사포)'''
          * '''15-inch Main Armament(15인치 주포)'''
         === Alphabet Flag Signaling(알파벳 깃발 신호) ===
  • 김태희 . . . . 50회 일치
         | 출생지 = [[대한민국]] [[대구광역시]] [[달성군]] <ref>[http://entertain.naver.com/read?oid=008&aid=0003295599 '이기적인 유전자' 김태희-이완, 훈훈한 부부의 매력분석], 머니투데이, 2016년 4월 9일 확인</ref>
         '''김태희'''(金泰希<ref>{{뉴스 인용|저자1=장주영|제목=[인터뷰①] ‘그랑프리’ 김태희, “서른은 나를 당당해지게 했다”|url=https://entertain.naver.com/read?oid=009&aid=0002315791|날짜=2010-09-03|확인날짜=2018-07-05|뉴스=매일경제}}</ref>, [[1980년]] [[3월 29일]] ~ )는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2000년 "화이트" 광고 모델로 연예계에 데뷔해서 2001년 영화 《[[선물 (영화)|선물]]》에 [[이영애]]의 아역으로 출연하면서 연기자로 입문하였고, 2002년 독립 영화 《[[신도시인]]》에 출연했다. 이후 시트콤 《[[해변으로가요]]》(2004), 《[[스크린 (드라마)|스크린]]》, 《[[천국의나무]]》(2006)와 같은 텔레비전 드라마에 출연했다. 2003년에는 《[[천국의 계단]]》에서 악역 한유리 역할로 얼굴을 알리며 인기를 얻기 시작했고, 이 드라마로 [[SBS 연기대상]]에서 뉴스타상을 수상했다. 2004년에는 드라마 《[[작은아씨들]]》과 《[[목련꽃아래서]]》에 출연했다. 하지만 이후 영화 《[[중천 (영화)|중천]]》(2006), 《[[싸움 (영화)|싸움]]》(2007)에 출연했으나, 모두 흥행에 실패했다. 2009년에는 시청률 30%대를 기록한 드라마 《[[아이리스]]》에서 최승희 역할을 연기해 [[KBS 연기대상]]에서 우수연기상을 수상하였다. 이후 드라마 《[[마이프린세스]]》(2011), 《[[나와 스타의 99일]]》(2012), 《[[장옥정 사랑에 살다]]》(2013)에서 주연으로 출연했고, 2015년 드라마 《[[용팔이 (드라마)|용팔이]]》로 [[SBS 연기대상]] 최우수연기상을 수상했다.
         1980년 대구에서 태어났다. 이후 경북 구미 으로 이사 하였다. 김태희 본인의 가족으로는 부모와 언니 김희원, 남편 [[이완 (1984년)|이완]]이 있다. 연예인 [[비 (가수)|비]]와 동료.<ref name="씨네21">{{웹 인용 |제목=천천히 밝게 빛나는 별, <중천>의 김태희|url=http://www.cine21.com/news/view/mag_id/43569|출판사=[[씨네 21]]|저자=이혜정|날짜=2006-12-22|확인날짜=2014-02-25}}</ref> 6학년에는 언니를 대신해 교복 모델로 활동했다.<ref name="씨네21"/> 졸업하고,<ref>{{뉴스 인용 |제목=김태희, 중학내내 전과목 100점…공주대접도 당연 |url=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6&oid=003&aid=0003771618|출판사=뉴시스|저자=김지은|날짜=2011-03-30|확인날짜=2014-02-25}}</ref> 이후 재학 시절 학원 홍보 전단지 모델로도 활동했다.<ref>{{뉴스 인용 |제목=경북 구미 에서 김태희 모르면 간첩? 학창시절 인기-성적표 공개!|url=http://www.hankyung.com/news/app/newsview.php?aid=2009091530327|출판사=[[한국경제]]|저자=김명신|날짜=2009-09-15|확인날짜=2014-02-25}}</ref>
         김태희는 이후 [[대구 도시철도|도시철도]]에서 광고대행사 [[디자이너]]를 우연히 만나 2000년 "화이트" 광고를 찍으면서 연예계에 데뷔했다.<ref name="네이버">{{웹 인용|url= http://movie.naver.com/movie/bi/pi/basic.nhn?code=31893|제목=네이버 영화 김태희|웹사이트=[[네이버]]| 확인날짜=2011-01-20}}</ref><ref name="일요시사">{{웹 인용|url=http://www.ilyosisa.co.kr/news/article.html?no=45954|제목=<이색설문> 연예인 별별랭킹 베스트|웹사이트=일요시사|저자=최현경|날짜=2013-11-12|확인날짜=2014-02-25|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140228224215/http://www.ilyosisa.co.kr/news/article.html?no=45954#|보존날짜=2014-02-28|깨진링크=예}}</ref> 광고 촬영 이후 여러 곳에서 모델 제의가 들어왔고 그녀가 출신이라는 점 때문에 더 화제가 되었다.<ref name="MBC">{{에피소드 인용|제목=[MBC 스페셜] 태희의 재발견|url=http://www.imbc.com/broad/tv/culture/mbcspecial/commingsoon/1792451_27375.html|네트워크=[[MBC]]|날짜=2011년 4월 1일|회=516}}</ref> 2001년 영화 《[[선물 (영화)|선물]]》에서 중등 정연 역을 맡으며 스크린에 첫 데뷔했다.<ref name="네이버"/> 당시 [[영화 감독]] [[오기환]]은 잡지 표지모델로 섰던 김태희를 보고 테스트도 안 해도되니 그냥 데려 오라고 말했다.<ref name="MBC"/> 이후 대학생활의 숙원이었던 어학연수를 가기 전 홍두현 감독의 독립영화 《[[신도시인]]》 출연을 제안받아 출연했고 2002년 개봉했다.<ref name="씨네21"/> 같은 해 경험삼아 [[SBS 시트콤]] 《[[레츠고 (시트콤)|레츠고]]》에 출연했으나, 2개월만에 종영되고 배우의 길에 대한 고민을 했다.<ref name="MBC"/>
         그러던 중 2003년 [[SBS 주말 특별기획 드라마|SBS 드라마]] 《[[스크린 (드라마)|스크린]]》에 출연했는데, 연기력으로 좋지 않은 평을 받았다.<ref name="MBC"/> 같은 해 드라마 《[[흥부네 박터졌네]]》에 수진 역할로 출연했다.<ref>{{웹 인용|url=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11&oid=014&aid=0000092055|제목=권선징악 주제 현대판 흥부놀부전, SBS새 일일 드라마 ‘흥부네 박터졌네’|웹사이트=[[파이낸셜뉴스]]|저자=정명진|날짜=2003-10-23 |확인날짜=2014-02-25}}</ref> 이후 출연한 [[SBS 수목미니시리즈|SBS 드라마]] 《[[천국의 계단 (드라마)|천국의 계단]]》에서 처음으로 악역인 한유리 역할을 연기했다. 이 작품은 평균 시청률 38.4%, 최고 시청률 43.5%를 기록하며 큰 성공을 거뒀고,<ref>{{뉴스 인용|url=http://www.newsen.com/news_view.php?uid=201011031246131001|제목=‘천국의계단’ 권상우 “아베마리아 음악 나오면 달려야 할 것 같다”|뉴스=뉴스엔|저자=박영주|날짜=2010-11-03 |확인날짜=2014-02-25}}</ref> 김태희 역시 이 드라마를 통해 자신의 이름을 알렸고,<ref name="MBC"/> 그 해 [[SBS 연기대상]]에서 뉴스타상을 수상했다.<ref name="SBS연기대상">{{뉴스 인용|url=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6&oid=003&aid=0000017311|제목=이병헌, SBS '연기대상 수상'|출판사=뉴시스|저자=민성진|날짜=2004-01-01 |확인날짜=2014-02-25}}</ref> 하지만 일부는 정형화된 연기 스타일도 소화하지 못했다며 연기력 비판을 했다.<ref>{{뉴스 인용 |제목=김태희, 드디어 연기인생 한판승 거두나? |url=http://www.mydaily.co.kr/news/read.html?newsid=201101141557551110&ext=na|출판사=마이데일리|저자=배국남|날짜=2011-01-14 |확인날짜=2012-03-08}}</ref>
         김태희는 2004년, [[KBS 2TV|KBS2]] 《[[구미호 외전]]》에 이어 [[SBS 월화드라마|SBS 드라마]] 《[[러브스토리 인 하버드]]》에서 하버드 의대생 이수인 역할로 출연했다.<ref name="김태은">{{뉴스 인용 |제목=작품속 김태희, 이렇게 바뀌었다|url=http://star.mt.co.kr/view/stview.php?no=2007061711531396823&type=1&outlink=1|출판사=머니투데이|저자=김태은|날짜=2007-06-19|확인날짜=2014-03-05}}</ref> 그녀는 이 두 작품으로 [[KBS 연기대상]]에서 신인연기상,<ref>{{뉴스 인용|url=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6&oid=108&aid=0000004931 |제목=김태희-이완 남매, 최초로 신인연기상 동시수상 |날짜= 2004-12-31 |출판사= 스타뉴스 |확인날짜= 2010-10-02 }}</ref> [[SBS 연기대상]]에서 10대스타상과 네티즌최고인기상을 수상했다.<ref>{{뉴스 인용|url=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6&oid=015&aid=0001978489 |제목=김태희의 하루’ 네티즌들 관심 가득 “뭘해도 예뻐요” |날짜= 2008-06-20 |출판사= 한국경제 |확인날짜= 2010-10-02 }}</ref>
         이 드라마를 통해 자리를 확고히 한 김태희는, 2006년 제작비 130억, [[중화인민공화국|중국]] 올로케이션으로 촬영한 영화 《[[중천 (영화)|중천]]》에서 [[정우성]]과 함께 공연하며 소화 역할로 첫 장편 영화에서 주연을 맡았다.<ref name="김태은"/> 이 영화로 [[백상예술대상]],<ref>최지은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6&oid=230&aid=0000001410 '국내' '이 상을 <하얀거탑> 폐인 분들께 바칩니다'] 매거진t 2007년 10월 4일</ref> [[대종상영화제]],<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6&oid=143&aid=0000063392 ‘가족의 탄생’최우수작품·시나리오상…대종상 이변] 국민일보 2007년 6월 9일</ref> 그녀는 [[청룡영화상]]에서 인기스타상을 수상했다.<ref>{{웹 인용|url=http://www.blueaward.co.kr/bbs/board.php?bo_table=awards_news&sca=28|제목=제28회 청룡영화상|출판사=청룡영화상|확인날짜=2014-02-27}}</ref> 하지만 연기력에서 “대사 소화가 부족하고 표정연기가 풍부하지 못했다”, “평면적 연기다” 등의 부정적인 평가가 많았다.<ref name="김태은"/> 《[[중천]]》은 관객수 150만 명을 기록하면서 흥행에도 실패했다.<ref>{{뉴스 인용 |제목='중천' 참패, CJ 주가 폭락|url=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03&aid=0000319790|출판사=뉴시스|저자=김용호|날짜=2007-02-19|확인날짜=2014-03-05}}</ref> 2007년에는 영화 《[[싸움 (영화)|싸움]]》의 윤진아 역할을 연기했다. 연기파 배우 [[설경구]]와 공연하며 연기력에 있어서는 이전 작품보다 확실히 좋아졌다는 평을 받았으나,<ref>{{뉴스 인용 |제목=김태희, 연기력과의 싸움에서 '웃다'|url=http://joynews.inews24.com/php/news_view.php?g_menu=701100&g_serial=299002|출판사=조이뉴스24|저자=정명화|날짜=2007-12-05|확인날짜=2014-03-05}}</ref> 34만 명의 관객을 동원하는데 그쳤다.<ref>{{뉴스 인용 |제목=톱스타 마케팅, 더 이상 안 통한다!|url=http://osen.mt.co.kr/article/G1010070161|출판사=OSEN|저자=이명주|날짜=2010-10-07|확인날짜=2014-03-05}}</ref>
         김태희는 2009년 4년 만에 첩보액션 드라마 《[[아이리스 (드라마)|아이리스]]》의 여주인공 최승희 역할로 출연했다.<ref>{{뉴스 인용 |제목=김태희 "`아이리스`, 가장 진지하게 준비한 작품"|url=http://news.mk.co.kr/newsRead.php?year=2009&no=273866|출판사=MK 뉴스|저자=진향희|날짜=2009-05-12|확인날짜=2014-03-05}}</ref> 드라마는 최고 시청률 39.9%, 평균 시청률 30%대를 기록했다.<ref>{{뉴스 인용 |제목=‘아이리스’ 실체 추적하는 감성적 액션 주목하세요… 블록버스터 드라마 ‘아이리스2’ 제작발표회|url=http://news.kukinews.com/article/view.asp?page=1&gCode=kmi&arcid=0006627557&cp=nv|출판사=국민일보|저자=진정희|날짜=2012-11-14|확인날짜=2014-03-05}}</ref> 연기력에 있어서 비교적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으나, 일부에서는 첩보원 역할에 걸맞지 않다는 평도 있었다.<ref>{{뉴스 인용 |제목='멍때리는' 김태희? 연기논란 재점화 |url=http://star.mt.co.kr/view/stview.php?no=2009102914300874627&type=1&outlink=1 |출판사=머니투데이 |날짜=2009-10-29 |확인날짜=2010-01-02}}</ref> 그 해 [[KBS 연기대상]]에서 처음으로 연기력으로 우수연기상을 받았는데,<ref>[http://web.reviewstar.net/news/articleView.html?idxno=220883 김태희, '아이리스'로 연기력 논란 극복하고 상도 받고 눈물 '펑펑']{{깨진 링크|url=http://web.reviewstar.net/news/articleView.html?idxno=220883 }} 리뷰스타 2010년 1월 1일</ref> 이에 대해 “우수연기상은 인기로 받은 인기상이 아닌 연기자로 인정받은 최초의 상이었다. 연기로 인정 못 받고 있다고 그간 생각했다. 항상 마음의 무거운 짐을 갖고 있었다”고 말했다.<ref>{{뉴스 인용|저자1=김지연|제목=김태희 "연기력 논란, 항상 마음의 무거운 짐"|url=http://star.mt.co.kr/view/stview.php?no=2010091500362265489&type=1&outlink=1|날짜=2010-09-15|확인날짜=2015-12-14|뉴스=머니투데이}}</ref> 2010년 1월 김태희는 소속사를 [[나무엑터스]]에서 자신의 형부가 설립한 루아엔터테인먼트로 이적했다.<ref>{{뉴스 인용 |제목=김태희, 1인 기획사 대열 합류… 전 소속사와 협업관계 유지 |url=http://isplus.joins.com/article/article.html?aid=1305720 |출판사=[[일간스포츠]] |날짜=2010-01-11 |확인날짜=2010-01-11}}</ref> 9월 16일에는 영화 《[[그랑프리 (영화)|그랑프리]]》에서 서주희 역할로 출연했다.<ref>{{뉴스 인용|제목=[추석영화열전⑥]'그랑프리' 김태희, 연기논란 잠재우고 흥행퀸 '찜'|url=http://www.asiae.co.kr/news/view.htm?idxno=2010091608154987413|출판사=아시아경제|저자=조범자 |날짜=2010-09-16|확인날짜=2015-07-17}}</ref> 김태희의 연기력은 이전보다 나아졌다며 긍정적인 평가가 있었으나, 16만 명의 관객수를 끝으로 상업적 실패를 거뒀다.<ref>{{뉴스 인용|제목=[울림과스밈] ‘그랑프리 실패’ 김태희에게는 ‘약'|url=http://www.hani.co.kr/arti/culture/movie/442216.html|출판사=한겨레|저자=김진철|날짜=2010-10-05|확인날짜=2015-07-17}}</ref> 11월 22일에는 몇몇 내용을 편집해 만든 《[[아이리스: 더 무비]]》가 개봉했다.<ref>{{웹 인용|제목=씨네21 - 아이리스 더 무비|url=http://www.cine21.com/do/zlgam/detail/main?prodSeq=1623|출판사=[[씨네21]]|날짜=2010|확인날짜=2012-02-29|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160304124525/http://www.cine21.com/do/zlgam/detail/main?prodSeq=1623#|보존날짜=2016-03-04|깨진링크=예}}</ref> 12월 13일에는 《[[아이리스]]》의 스핀오프작 《[[아테나: 전쟁의 여신]]》 1회에 회상신으로 특별 출연했다.<ref>{{뉴스 인용|제목="짧아서 아쉬워"..이병헌·김태희 `아테나` 깜짝 등장|url=http://starin.edaily.co.kr/news/NewsRead.edy?SCD=EA31&newsid=01138166593198520&DCD=A10102|출판사=[[이데일리]] |날짜=2010-12-14|확인날짜=2012-02-29}}</ref>
         김태희는 2011년 1월부터 방영된 드라마 《[[마이 프린세스]]》에 출연했다. 드라마는 평균 15%의 시청률을 기록하였다.<ref>{{뉴스 인용 |저자=이수아|제목='마이 프린세스', 종영…여심 흔든 달콤한 '황실로맨스'|url=http://www.frontiertimes.co.kr/news/news/2011/02/25/65491.html|출판사=프런티어타임스|날짜=2011-02-25 |확인날짜=2012-02-29}}</ref> 김태희는 [[송승헌]]과 함께 공연해 대학생 이설 역할을 맡아 기존의 이미지와는 달리 코믹한 캐릭터를 연기했고, 이미지의 변화와 이전보다 향상된 연기로 호평을 받았다.<ref>{{뉴스 인용|저자=김민호|제목=김태희 푼수연기 호평 "이제야 딱 맞는 캐릭터!"|url=http://www.todaykorea.co.kr/news/articleView.html?idxno=132348|출판사=투데이코리아|날짜=2011-01-06|확인날짜=2011-01-06}}{{깨진 링크|url=http://www.todaykorea.co.kr/news/articleView.html?idxno=132348 }}</ref> 4월 1일에는 《[[MBC 다큐스페셜]]》에서 셀러브리티 바이오그래피 [[MBC 스페셜 방영 목록#2011년|태희의 재발견]]이 방영되었고, 방송에서 김태희의 일상, 연기력 논란, 학창 시절 등에 대해서 다뤘다.<ref name="미디어스">{{뉴스 인용|저자=곽상아|제목=MBC스페셜 '태희의 재발견'…"황당·실망"|url=http://www.mediau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6960|출판사=미디어스|날짜=2011-04-03|확인날짜=2014-04-07}}</ref> 시청률은 지난 편에 비해 2배 가량 상승한 9.3%를 기록했다.<ref>{{뉴스 인용|저자=문완식|제목=궁금했던 김태희..'태희의 재발견' 시청률 9.3%|url=http://star.mt.co.kr/view/stview.php?no=2011040209125306836&type=1&outlink=1|출판사=머니투데이|날짜=2011-04-02 |확인날짜=2014-04-07}}</ref> 하지만 일부에서는 “뭘 말하려 했는지 모르겠다”, “김태희 홍보프로” 등의 비판이 이어졌다.<ref name="미디어스"/> 이에 대해 [[성공회대]] 김서중 교수는 “[[MBC스페셜]]이 김태희도 다룰 수 있다. 문제는 소재가 아니라 다루는 방식”이라고 말했다.<ref name="미디어스"/> 《[[마이 프린세스]]》가 종영되고 나서 김태희는 [[일본]] 기획사 [[스위트 파워]]와 계약을 맺고 [[일본]] 진출을 한다고 발표했다.<ref>{{뉴스 인용|제목=김태희 일본 진출…"일본서 적극적으로 활동 펼칠 것"|url=http://sstv.hankyung.com/?c=news&m=v&nid=101064|출판사=SSTV|저자=신영은|날짜=2011-03-03|확인날짜=2014-04-07|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140408214713/http://sstv.hankyung.com/?c=news&m=v&nid=101064#|보존날짜=2014-04-08|깨진링크=예}}</ref> 이후 [[일본]] [[후지TV]] 드라마 《[[나와 스타의 99일]]》에 여주인공 한유나 역할로 출연해 일본 배우 [[니시지마 히데토시]]와 공연했다.<ref>{{뉴스 인용|제목=김태희, 일본 드라마 주연…니시지마 히데토시와 호흡 |url=http://www.asiatoday.co.kr/news/view.asp?seq=519575|출판사=아시투데이|저자=정희영|날짜=2011-08-25 |확인날짜=2011-09-10}}</ref> 첫 [[일본]] 드라마는 평균 시청률 9.3%를 기록하며 성공적으로 끝냈고, 많은 CF 촬영도 진행 할 예정이였다.<ref>{{뉴스 인용|제목=김태희, 日 드라마 성공 데뷔 후 해외 CF 러브콜 쇄도|url=http://isplus.joinsmsn.com/article/882/7420882.html?cloc=|출판사=일간스포츠|저자=김인구|날짜=2012-02-21|확인날짜=2012-02-25}}{{깨진 링크|url=http://isplus.joinsmsn.com/article/882/7420882.html?cloc= }}</ref> 그러나 2005년 이완과 함께 스위스에서 독도 사랑 캠페인을 벌인 것을 빌미로 각종 CF 방영 계획이 취소되었고, 드라마 촬영 중단까지 요구되었다.<ref name="광주일보">{{뉴스 인용 |제목=김태희, 日 CF행사 취소..독도발언 때문|url=http://www.kwangju.co.kr/read.php3?aid=1329898239461109010|출판사=[[광주일보]]|날짜=2012-02-22 |확인날짜=2012-02-25}}</ref>
         2013년 4월부터 6월까지 방영된 SBS 퓨전사극 드라마 《[[장옥정, 사랑에 살다]]》에서 김태희는 '9대 [[장희빈]]'으로 캐스팅 되며 세간의 주목을 받으며 [[장옥정]] 역할을 연기했다. 하지만 작품에 대한 혹평으로 이어진 계속되는 시청률 하락과 함께 김태희의 연기력 논란, [[한국사|역사]] 왜곡 등으로 문제를 지적 받았다.<ref>{{뉴스 인용 |제목 ='장옥정' 독기만 품은 김태희, '착한' 장희빈은 어디갔나? |url =http://entertain.naver.com/read?oid=117&aid=0002339334|출판사 =마이데일리 |저자 =최두선 |날짜 = 2013-05-28 |확인날짜 =2017-09-09 }}</ref><ref>{{뉴스 인용 |제목 =김태희 "연기력 혹평에 자존심 상처··독하게 해보겠다" |url =http://entertain.naver.com/read?oid=277&aid=0003007259|출판사 =아시아경제 |저자 =최준용 |날짜 = 2017-05-24 |확인날짜 =2017-09-09 }}</ref><ref>{{뉴스 인용 |제목 =종영 '장옥정', 무엇을 남기고 무엇을 잃었나 |url=http://entertain.naver.com/read?oid=047&aid=0002027910 |출판사 =오마이뉴스 |자지 =김성규 |날짜=2013-06-26 |확인날짜 =2017-09-09 }}</ref>
         2014년 5월 29일, 김태희는 중국 사극 드라마 《[[서성왕희지]]》 제작발표회에 참석하며 중국 데뷔를 알렸다. 그녀는 극중 왕희지의 아내 씨루이 역할을 맡아 연기했다.<ref>{{뉴스 인용 |제목=김태희, 중국 드라마 출연..'서성왕희지' 제작발표회 참석|url=http://starin.edaily.co.kr/news/NewsRead.edy?SCD=EA31&newsid=01453046606094168&DCD=A10102|출판사=이데일리|저자=고규대|날짜=2014-05-30|확인날짜=2015-08-05}}</ref> 김태희는 자신의 역할 씨루이에 대해 "뻔한 여성상이 아닌, 순수하고 정의로운 캐릭터"였기 때문에 더욱 매력을 느꼈다고 말했다.<ref>{{뉴스 인용 |제목=김태희 "中드라마 '서성 왕희지', 유학 동경해 선택한 작품"[TD포토]|url=http://tvdaily.asiae.co.kr/read.php3?aid=1426553404869440017|출판사=티브이데일리|저자=고규대|날짜=2015-03-17|확인날짜=2015-08-05}}</ref> 이듬해 2015년에는 한국 브라운관으로 복귀해, [[SBS TV|SBS]] 드라마 《[[용팔이 (드라마)|용팔이]]》에 한여진 역할로 출연했다. 김태희에게는 2년만에 안방극장으로 복귀작으로 최고 시청률 20.4%를 기록하며 시청자들에 큰 인기를 얻었다. 그녀는 이 작품으로 [[코리아드라마페스티벌]] 최우수연기상, [[SBS 연기대상]] 미니시리즈부문 최우수연기상을 수상했다.<ref>{{뉴스 인용 |제목 =[SAF 연기대상] 김태희, 최우수연기상 수상 "'용팔이' 덕에 행복한 한 해" |url =http://entertain.naver.com/read?oid=416&aid=0000174514|출판사 =SBS funE |저자 =김재윤|날짜 = 2016-01-01|확인날짜 =2017-09-09}}</ref>
         김태희는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자연미인으로도 꼽힌다.<ref>{{뉴스 인용 |제목=한국 최고미녀 왜 김태희인가|url=http://sports.khan.co.kr/news/sk_index.html?cat=view&art_id=201101131845363&sec_id=540101&pt=nv|저자=윤대헌|출판사=스포츠 칸 |날짜=2011-01-13 |확인날짜=2011-01-20}}</ref> [[중국]]에서 뽑은 [[한국]] [[여배우]] 순위 1위에도 뽑혔다.<ref>{{뉴스 인용 |제목=중국인, 김태희가 최고…송혜교 이다해 순|url=http://morningnews.co.kr/article.php?aid=129319437931191006|출판사=모닝뉴스 |날짜=2010-12-24 |확인날짜=2011-01-20}}</ref> 또, [[전지현]]·[[송혜교]]·[[손예진]]·[[한가인]]·[[이나영]]·[[한지민]]·[[한예슬]] 등과 2000년대를 대표하는 한국의 [[미인]]으로 불린다.
         김태희는 작품 출연보다는 CF에서 주로 활동하는 [[연기자]]이다.<ref name="dd">{{뉴스 인용 |제목=CF톱스타들 왜 연기력 논란 거세나?|url=http://www.mydaily.co.kr/news/read.html?newsid=200802111723061110 |출판사=마이데일리 |날짜=2008-02-11 |확인날짜=2008-03-31}}</ref> 김태희는 광고 1년 전속 계약을 할 경우 평균 10억대를 받아 업계에서 특A급 연예인으로 분류되고 있다.<ref>{{뉴스 인용 |제목=기록으로 돌아보다...최장수 모델, 최고 몸값 CF스타는?|url=http://starin.edaily.co.kr/news/NewsRead.edy?SCD=EA31&newsid=01220166586345288&DCD=A10102|출판사=이데일리|저자=양승준 |날짜=2008-03-20 |확인날짜=2012-03-08}}</ref> 출연하는 영화나 드라마마다 연기력 논란이 항상 따라다니는 편이였지만, 현재는 어느정도 연기력을 인정받고 있다.<ref name="dd"/>
         2004년 김태희는 헤럴드경제 기업사랑 캠페인 홍보대사로 활동했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16&aid=0000148878 'I Love Companies'`기업사랑 캠페인` 본궤도 올랐다] ''헤럴드경제'' 입력일자 2004-09-21</ref> 2005년에는 남편 [[이완 (1984년)|이완]]과 함께 수호천사로 위촉돼 [[독도]] 사랑 캠페인을 벌였고, 같은 해 5월 [[스위스]]에서 친선문화대사로 선정 돼 "독도 우리땅"이라는 문구를 새긴 티셔츠와 리메이크 앨범 등을 나눠주는 활동을 했다.<ref name="광주일보"/><ref>[http://www.myswitzerland.co.kr/etc/entertainer/friends/main.html SWISS FRIENDS 2005] {{웨이백|url=http://www.myswitzerland.co.kr/etc/entertainer/friends/main.html |date=20110813103724 }} 스위스관광청 홈페이지</ref><ref>[http://media.daum.net/society/others/view.html?cateid=1067&newsid=20050217085145988&p=yonhap 김태희, 스위스친선문화대사 선정] 연합뉴스 입력일자 2005.02.17</ref> 이후 2007년 유방암의 위험성을 알리는 핑크리본 홍보대사로 활동을 했고, 7월 22일 부산 [[해운대]]에서 열린 핑크리본 사랑 마라톤 대회에 참여했다.<ref>[http://media.daum.net/entertain/broadcast/view.html?cateid=1032&newsid=20070419123412761&p=SpoChosun 김태희, 유방암 조심하세요 핑크리본 홍보대사] 스포츠조선 입력일자 2007.04.19</ref> 또한 12월에는 [[BC카드]]의 후원을 받아 서울에서 외국인 노동자들을 위한 밥차 배식 봉사활동을 했다.<ref>{{뉴스 인용 |제목=김태희, 밥차 배식 봉사활동 펼쳐|url=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6&oid=073&aid=0000027316|저자=탁진현|출판사=[[네이버]]|날짜=2007-12-05|확인날짜=2011-09-15}}</ref> 김태희는 2005년부터 메이크어위시 재단의 홍보대사로 활동하기 시작했으며, 2006년에도 난치병 어린이들과 함께 자선 활동을 계속 했다.<ref>{{뉴스 인용 |제목=김태희, 난치병 어린이들과 따뜻한 만남|url=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1&aid=0001846672|저자=김가희|출판사=[[네이버]]|날짜=2006-05-16|확인날짜=2011-09-15}}</ref> 뿐만 아니라 2011년에는 난치병 아동들로 이루어진 메이크어위시 합창단 앨범에 참여했는데, "Make-A-Wish"를 녹음했다.<ref>조성훈 [http://www.gaonchart.co.kr/main/section/hotnews/kpop/view.gaon?idx=527 배우 김태희, ‘메이크어위시 합창단’ 음원 참여] {{웨이백|url=http://www.gaonchart.co.kr/main/section/hotnews/kpop/view.gaon?idx=527 |date=20120316165433 }}, 《[[가온 차트]]》, 2011-09-15 작성. 2011-09-15 확인.</ref>
         |url=http://enews24.interest.me/news/article.asp?nsID=92306|출판사= enews24|저자=전수미|날짜=2013-01-01|확인날짜=2013-09-12}}</ref> 2017년 1월 17일, 이완는 자신의 [[인스타그램]]에 자필 편지를 올려 "이제 저 또한 한 가정의 가장으로서 훌륭한 [[남편]]이자 [[남자]]가 되려 한다. 그녀는 제가 힘들 때나 행복할 때나 변치 않고 늘 제 곁을 지켜주며 언제나 많은 것들로 감동을 주었다"에 이어 "이제 신뢰가 쌓이고 사랑이 커져 결실을 맺게 됐다"며 "결혼식과 시간은 현재 시국이 불안정하고 경제적으로 어려운 시기여서 최대한 조용하고 경건하게 마무리하고자 한다"고 결혼 소식을 알렸다. 두 사람은 2011년 한 소셜커머스 광고에 함께 출연하며 친분을 쌓았고, 2012년 가을부터 교제를 시작했고 2013년 1월 1일 열애 사실이 공개됐다. 이후 둘은 결별설 한번 없이 [[잉꼬]] 커플로 주목 받아왔다.<ref>{{뉴스 인용 |제목 =이완·김태희, 교제 5년만에 결혼…빅스타 부부 탄생 |url =http://entertain.naver.com/read?oid=001&aid=0008965318|출판사 =연합뉴스 |저자 =이은정|날짜 = 2017-01-17|확인날짜 =2017-09-09}}</ref><ref>{{뉴스 인용 |제목 =이완, 손편지로 직접 결혼 발표 "김태희, 최고의 선물"[공식입장 전문] |url =http://entertain.naver.com/read?oid=076&aid=0003039239|출판사 =스포츠조선 |저자 =이유나|날짜 = 2017-01-17|확인날짜 =2017-09-09}}</ref>
         김태희는 이완와 2017년 1월 19일 [[대구광역시|대구]] [[달서구]] 이곡2동 의 한 [[성당]]에서 [[혼인성사]]로 비공개 대구에이더블유호텔 결혼식을 올렸다.<ref>{{뉴스 인용 |제목 =[단독] 이완♥김태희, 오늘(19일) 결혼식 후 피로연…하객 대접 |url =http://entertain.naver.com/read?oid=213&aid=0000940877|출판사 =TV리포트 |저자 =김예나|날짜 = 2017-01-19|확인날짜 =2017-09-09}}</ref><ref>{{뉴스 인용 |제목 =“이젠 부부” 이완·김태희, ‘007 작전’ 방불케 한 결혼식 (종합) |url =http://entertain.naver.com/read?oid=079&aid=0002920777|출판사 =노컷뉴스 |저자 =김현식|날짜 = 2017-01-19|확인날짜 =2017-09-09}}</ref><ref>{{뉴스 인용 |제목 =[종합]이완-김태희 결혼…장수 톱스타 커플, 이젠 부부 |url =http://entertain.naver.com/read?oid=009&aid=0003875953|출판사 =매일경제 |저자 =박세연|날짜 = 2017-01-19|확인날짜 =2017-09-09}}</ref>
  • 세정(구구단) . . . . 50회 일치
         [include(틀:유용근밴드리즈 멤버)]
         [include(틀:유용근밴드리즈 유소 예 유 엄 세)]
         [include(틀:유용근밴드리즈15)]
         ||<#66AADD> '''{{{#white 가족}}}''' ||<#ffffff><(> [[아버지]], [[어머니]][* 부모가 어린시절 이혼해서 홀어머니 아래에서 컸으며, 사실상 한부모 가족이다. 현재는 회계사 일을 한다고 한다. 가족에 대해서는 최고의 사랑에서 언급한 적이 있다.[[http://entertain.naver.com/read?oid=081&aid=0002719305|기사]]], [[오빠]] ||
         ||<#66AADD> '''{{{#white 링크}}}''' ||<#ffffff><(> [[http://cafe.naver.com/jellyfishkimsejung|[[파일:네이버 카페 아이콘.png|width=25]]]] [[http://cafe.daum.net/kimsejeong|[[파일:다음 카페 아이콘.png|width=25]]]] [[http://m.dcinside.com/list.php?id=kimsejeong|[[파일:디시인사이드 아이콘.png|height=25]]]]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세정(구구단)/프로듀스 101)]
         SK텔레콤의 CF 연결의 힘 캠페인 [토닥토닥 라이브 X I.O.I] 네이버TV [[https://tv.naver.com/v/851393|영상]]에서 (16/05/29기준)조회수 200만을 [[http://gall.dcinside.com/board/view/?id=kimsejeong&no=232460&page=1&search_pos=-235517&s_type=search_all&s_keyword=200%EB%A7%8C|돌파]]했으며 2016년 4월 27일에 올라온 영상임에도 불구하고 7월 11일에 다시 100위권 안쪽으로 올라오기도 했다. --팬들은 토닥 좀비라고-- 이 영상이 업로드 됐을 당시 부끄러워하며 커튼 뒤로 숨는 장면은 뭇 남성 팬들의 심장을 움켜쥐게하며 늦잠을 절대 못 자게 했다고 --[[카더라]]--. 팬들이 뽑은 영상 중 손가락 안에 꼽는다. 또 생일을 맞이하여 팬들의 총공세로 [* 무한 [[스트리밍|스밍]]] 8월 27일 무한도전을 꺾고 TOP2까지 치고 올라왔고 8월 28일 생일 당일 새벽 2시부터 7시까지 1위를 했다.
         [include(틀:구구단 세미나)]
          * 2016년 8월 21일 <[[SBS]] [[런닝맨]] 445회 런닝우먼>편에 출연했다. 게스트는 [[노사연]], [[안문숙]], [[하재숙]], [[이미주]], 김세정. [[http://entertain.naver.com/read?oid=109&aid=0003371220|#]] ~~[[김종국]]의 말이 현실이 되었다.[[http://gall.dcinside.com/kimsejeong/365200|#]]~~
          * 2016년 12월 17일 [[불후의 명곡 2]] [[전영록]]편에 출연해 [[https://tv.naver.com/v/1313994|'사랑은 창밖에 빗물 같아요']]를 불렀다. 대결 상대는 솔로 활동으로 잔뼈 굵은 [[에일리]]였으며, [[http://entertain.naver.com/read?oid=015&aid=0003701404|결과는 12표 차이]](404: 416)로 석패.
          * 1월 3일 [[1대100]] 466회 방송분에서 1인으로 참여해 초등학교 때 [[방송부]] [[아나운서]]였고 [[성우]]가 되고 싶었다는 이야기를 했다. MC 조충현 아나운서와의 팔씨름에서 '''핸디캡 없이''' 완승을 거둔 뒤 애교와 성우 개인기도 보여줬다.[[http://m.entertain.naver.com/read?oid=057&aid=0001069492|#]] --[[SBS|S도장]], [[한국방송공사|K도장]]을 접수했으니 이제 [[문화방송|M도장]]만 깨면 된다.[[한국방송공사|K도장]]의 [[송해]]도 할 수 있나-- 그녀는 5, 6단계에서 찬스를 적절히 사용했으며 7단계부터는 이전 방송 모니터링한 결과 본인이 생각한 답이 틀린 경우가 많아 반대로 고르는 전략으로 '''849만원을 받는 우승자가 결정된 9단계에서 5명과 접전을 벌였다.'''
          * 세정이 설명한 구구단과 IOI의 차이점은 [[구구단]]의 경우 언니들이 많아(미미, 하나, 해빈, 나영 - 나이서열 5위) 귀여움을 받아 힐링이 되고 동생들이 많은 IOI(나이서열 3위)에서는 동생들이 많이 몰려와 언니하면서 안겨 엄마로서의 힐링을 느낀다고 했다. [[http://m.entertain.naver.com/read?oid=312&aid=0000230348|#]] 방송이 끝난 후 [[https://1.bp.blogspot.com/-ootuIEvL8EQ/WGuuwyPjEkI/AAAAAAAAUZs/8OHqkcPbFl84wbZtGr1VR5YGQjJCYIw_wCLcB/s1600/1483449475.png|실시간 검색어]]와 [[https://1.bp.blogspot.com/-h3GSBayy9M4/WGuuwefja0I/AAAAAAAAUZg/gVKC0aaNQtoBpXfvwJ3moVq9deoRrTo3gCLcB/s1600/1483448677.png|메인 기사]]를 장악했다.
          * 2017년 1월 20일 자 [[http://www.sedaily.com/NewsView/1OAW3RCG0X/|보도자료를 통해]] [[온스타일]]의 [[Get it beauty|겟 잇 뷰티]] 2017을 통해 케이블 뷰티쇼 고정 진행자로 나선다는 소식이 전해졌다. 첫 방송은 2월 19일 예정이며, 해당 시즌 MC진([[이하늬]], [[이세영(배우)|이세영]], [[박산다라]]와 공동 진행)의 일원으로 합류하게 된다. 바쁜 스케줄 때문에 3회부터 출연하게 되었으며 학교 2017 드라마 촬영 등의 일정이 겹쳐지며 먼저 하차하게 되었다. 세정이 [[겟 잇 뷰티]]에서 빠진 뒤 [[박나래]]가 투입되었다. 2017년 4월에는 TVING live 겟잇뷰티 치킨먹방을 선보이기도 했다.
          * 2017년 1월 27일 [[KBS 2TV]] 설날특집 걸그룹 대첩 가문의 영광에 [[구구단(아이돌)|구구단]] 멤버들과 함께 출연했다.[* 이특: 선배팀을 깨부숴야 하거든요. 양세형: 어느 선배들을 부수고 싶으세요? 김신영: 도장깨기죠!로 이어지는 MC들의 짓궂은 질문에 '이게 계급장을 떼고 하는 거잖아요. 그럼 위~아래가 없다는 뜻으로... '라고 답하며 EXID를 지목하는 기지를 발휘해서 환호를 받았다.][[구구단(아이돌)|팀]] 대표로 흥대표로 출전해서 상위 4명의 결선에 오른 후 [[아웃사이더(가수)|아웃사이더]]와 '외톨이'를 같이 불렀으며, 수준급의 랩 실력을 보여서 --솔직히 수준급은 아니지만 보컬이 그 정도 한 거면 준수한 거다. 더구나 '''[[아웃사이더(가수)|아웃사이더]]'''의 랩이다.-- 프로그램 자체가 비난받는 와중에도 [[Apink|에이핑크]] [[윤보미]]와 함께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지만, [[오마이걸]]의 [[베테랑]] 보컬 [[승희(오마이걸)|현승희]]에게 밀려 우승에는 실패했다.[* 걸그룹 자리 배치가 같은 [[I.O.I]] 멤버인 [[정채연]]과 나란히 배치되어서 [[I.O.I]] 이별이 되면서 더욱 더 관심을 받았다.]--사실 마지막 무대로 [[고음]] 내지르는 [[소찬휘|Tears]]를 [[승희(오마이걸)|현승희]]가 불렀는데, 이건 솔직히 [[승희(오마이걸)|현승희]]가 이기라고 밥상 차려준 거나 다름없다--
          * 2017년 2월 13일 [[구구단(아이돌)|구구단]] 멤버인 [[나영(구구단)|나영]]과 함께 [[KBS 2TV]] [[배틀 트립]]에 출연을 밝혔으며, [[프로듀스 101]] 게릴라 콘서트를 했던 [[대구광역시|대구]]로 내려가서 [[김광석]]길, 디아크문화관, [[이월드]], 안지랑네거리 곱창골목, 앞산전망대 일대를 투어했다. [[http://isplus.live.joins.com/news/article/article.asp?total_id=21252478&cloc=|#]] 결과는 여수로 내려간 [[김대성(코미디언)|김대성]] - [[박소영(개그우먼)|박소영]] - [[오나미]] 팀에게 2표 차로 석패했다.
          * 2017년 1월 [[SBS]] [[김병만의 정글의 법칙]] [[수마트라 섬|수마트라]]편에 출연하는 것으로 확정됐으며,[[http://entertain.naver.com/read?oid=109&aid=0003464699|##]] 2017년 3월 17일 부터 4월 21일까지 방영된 [[SBS]] 예능 [[김병만의 정글의 법칙]] [[수마트라 섬]]편에 출연했다.[* 3월 10일 방영될 예정이었으나, [[박근혜 대통령 탄핵 심판]] 뉴스 특보 관계로 결방되어 한 주 밀린 3월 17일에 방영.] '재난의 땅에서 생존하라'는 주제로 생존을 시작했다. 방송 시작부터 뛰어난 체력과 적극성을 보이며 생존에 임했다. 생존 중에도 [[구구단(아이돌)|구구단]] [[Act.2 Narcissus|미니 2집]] 컴백 활동에 대비해 '활동에 지장을 주지 않게 연습을 해야 한다'며 꾸준히 안무 연습을 해 책임감을 드러내기도 했다. 바다 사냥을 위해 근거리의 섬으로 헤엄쳐 이동, 수중 사냥 등의 뛰어난 수영 실력 --[[타임슬립 - I.O.I|I.O.I콘서트]] 준비 기간 동안 배웠다고 하기 놀라운 실력--을 뽐내기도 했다. 또 첫 낚시에서 연이어 물고기를 낚는 등의 활약을 보였다. 자신의 민낯에 막장이라는 자평을 하기도 하며, 자몽 cf를 아재 버전으로 해달라는 요청에 특유의 아재 매력을 보여 웃음을 자아냈다. 생존 마지막 날 동료들의 캐리커처를 선물했으며, 정글 생존 기간 동안 느꼈던 점에 대한 자작 시를 읊어 훈훈함을 자아내며 생존을 마무리했다. 후에 '좋은 가족이 생긴 것 같아 정말 든든했다'라며 '선배님, 작가님, 피디님 모두 잘 챙겨주셨다. 자연에서 많은 것을 배우고 느낄 수 있었다. 정글에 갈 수 있어서 정말 감사했다. 방송을 지켜보는 내내 정말 행복했다. 평생 잊지 못할 기억이 될 것 같다'는 소감을 남겼다.
          * 2017년 4월 28일 [[http://m.entertain.naver.com/read?oid=076&aid=0003085780|기사]]를 통해 [[KBS 2TV]] [[배틀 트립]]에 스페셜 MC로 합류했다고 밝혔다. 4월 29일과 5월 6일 2주 간 출연했다.
          * 2017년 5월 11일 [[http://m.entertain.naver.com/read?oid=009&aid=0003938427|기사]]를 통해 [[구구단(아이돌)|구구단]] 멤버인 [[나영(구구단)|나영]]과 [[OnStyle]] 립스틱 프린스 2에 출연을 밝혔다. 5월 18일 방영. [[젤리피쉬엔터테인먼트|소속사]] 선배인 [[빅스]]의 [[다칠 준비가 돼 있어|뱀파이어]] 메이크업을 받았다.
          * 2017년 6월 5일 [[http://tenasia.hankyung.com/archives/1226217|기사]]를 통해 [[KBS 2TV]] 월화드라마 [[학교 2017]]에 출연을 확정지었다고 밝혔다. 이는 [[I.O.I]] 멤버들 중 최초로 지상파 정극 데뷔이자, 최초의 풀 타임 주연이다.[* [[학교 2017]] 첫방 이틀 후에는 [[정채연]]이 2번째로 지상파 정극에 데뷔하였고, 이후 [[김소혜(1999)|김소혜]]와 [[미나(구구단)|강미나]]가 뒤이어 지상파 정극 데뷔 신고식을 치렀다. 다만 [[미나(구구단)|강미나]]와 [[정채연]]은 '''아역'''이며, [[김소혜(1999)|김소혜]]가 주연을 맡은 [[강덕순 애정 변천사|드라마]]는 [[KBS 드라마 스페셜|단막극]]이다.] 본래 이 드라마에 [[김유정(배우)|김유정]]을 캐스팅하려 했으나 실패한 후 오피셜이 떴다. 해맑고 쾌활한 긍정적인 성격을 가진 [[웹툰]] 작가 지망생 '[[라은호]]' 역할을 맡았다. 첫 정극 연기인데, 주연을 맡게 되었다.[[http://entertain.naver.com/read?oid=213&aid=0000969600|#]] 본인이 예전부터 [[연기]]에 꿈이 있었고 과거 시, 도 대회에서 상도 수상했다.
          * 2017년 6월 5일 [[http://entertain.naver.com/read?oid=112&aid=0002926996|기사]]를 통해 6월 12일에 공개되는 [[블락비]] [[태일(블락비)|이태일]]의 솔로곡에 피처링으로 참여했다고 밝혔다.
  • 토탈워: 쇼군 2/유닛 . . . . 50회 일치
          * 재장전 기술(Reloading Skill): 원거리 공격을 하는 부대의 재장전 속도. 이 수치가 높을수록 더 빨리 사격할 수 있다.
         ===== 야리 로닌(Yari Ronin) =====
         ===== 나기나타 사무라이(Naginata Samurai) =====
          * 나기나타 도장(Naginata Dojo) 필요.
         ===== 나기나타 승병(Naginata Warrior Monks) =====
          * 사찰(Monastery), 나기나타 도장(Naginata Dojo) 필요.
          * 새로운 활력(Second Wind) - 자신과 근처 아군 3부대의 피로도를 회복시킨다.
          * '''Saints and Heroes Unit Pack DLC 필요'''
         ===== 고젠의 온나부시 영웅(Gozen's Hime Heroines) =====
          * '''Saints and Heroes Unit Pack DLC 필요'''
          * 불화살(Flaming Arrows) - 궁도(Way of Bow) 기예 연구 요구. 짧은 시간동안 일반 화살 대신 불화살을 사용한다. 공격력이 상승하며 선박이나 성문같은 나무로 된 것에 불을 붙일 수 있게된다.
         ===== 유미 로닌(Bow Ronin) =====
          * 명적화살(Whistling Arrows) - 일반 화살 대신 소리를 내는 화살을 적의 머리 위로 쏘아날린다. 해당 화살의 영향범위에 있는 부대는 피아 구분 없이 사기와 전투능력이 감소한다.
          * 명적화살(Whistling Arrows) - 일반 화살 대신 소리를 내는 화살을 적의 머리 위로 쏘아날린다. 해당 화살의 영향범위에 있는 부대는 피아 구분 없이 사기와 전투능력이 감소한다.
         ===== 카나타 로닌(Katana Ronin) =====
          * '''Saints and Heroes Unit Pack DLC 필요'''
          * '''Saints and Heroes Unit Pack DLC 필요'''
          * '''Saints and Heroes Unit Pack DLC 필요'''
          * 공성 기술자의 작업장(Siege Engineer's Workshop) 필요.
         ===== 키쇼 닌자(Kisho Ninja) =====
  • Drunken Sailor . . . . 48회 일치
         Early in the morning! || 술취한 선원으로 뭘 할까?
         Early in the morning! || 어기어차 돛을 펼쳐라
         Early in the morning! || 배를 녹슨 칼로 면도해주자
         || 3절 || Put him in a long boat till his sober
         Put him in a long boat till his sober
         Put him in a long boat till his sober
         Early in the morning! || 술이 깰때까지 보트에 놔두자
         || 4절 || Stick him in a barrel with a hosepipe on him
         Stick him in a barrel with a hosepipe on him
         Stick him in a barrel with a hosepipe on him
         Early in the morning! || 통에 넣고 호스로 찔러보자
         || 5절 || Put him in the bed with the captain's daughter
         Put him in the bed with the captain's daughter
         Put him in the bed with the captain's daughter
         Early in the morning! || 선장 딸내미랑 같은 침대에 눕히자
         Early in the morning! || 술취한 선원으로 뭘 할까?
         Early in the morning! || 술취한 포경꾼으로 뭘 할까?
         Early in the morning! || 어기어차 돛을 펼쳐라
         || 2절 || Stuff him in a sack and throw him over
         Stuff him in a sack and throw him over
  • Oh! How I Hate To Get Up In The Morning . . . . 46회 일치
         [[제1차 세계대전]] 말기인 1918년 미국에서 만들어진 노래. 작사 작곡 어빙 벌린(Irving Berlin).
         The other day I chanced to meet a soldier friend of mine,
         He'd been in camp for sev'ral weeks and he was looking fine;
         "Oh! how I hate to get up in the morning,
         Oh! how I'd love to remain in bed;
         You've got to get up this morning!
         Some day I'm going to murder the bugler,
         Some day they're going to find him dead;
         And spend the rest of my life in bed."
         A bugler in the army is the luckiest of men,
         He wakes the boys at five and then goes back to bed again;
         He doesn't have to blow again until the afternoon,
         If ev'ry thing goes well with me I'll be a bugler soon.
         "Oh! how I hate to get up in the morning,
         Oh! how I'd love to remain in bed;
         You've got to get up this morning!
         Oh! boy the minute the battle is over,
         Oh! boy the minute the foe is dead;
         And spend the rest of my life in bed."
         "Oh! how I hate to get up in the morning,
  • 박승효 . . . . 45회 일치
         * [[1957년]] [[대한전선]] 입사<ref name="daeghanj">[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78082900099206006&editNo=1&printCount=1&publishDate=1978-08-29&officeId=00009&pageNo=6&printNo=3840&publishType=00020 ]</ref>
         * [[1969년]] [[선경합섬]] 창립 초에 입사<ref>[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74091200099204003&editNo=1&printCount=1&publishDate=1974-09-12&officeId=00009&pageNo=4&printNo=2625&publishType=00020 ]</ref>, 평사원으로 근무하였다.
         * [[선경합섬]] 이사<ref>[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73111500329203008&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73-11-15&officeId=00032&pageNo=3&printNo=8658&publishType=00020 ]</ref>
         * 1974년 6월 25일 정부에서 11개 대기업의 무허가 [[독극물]]제조를 적발, 11개 기업체 대표를 소환할 때 그는 사주 [[최종건]]을 대신하여 소환, 조사에 응하였다.<ref>[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74062500329207009&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74-06-25&officeId=00032&pageNo=7&printNo=8844&publishType=00020 ]</ref>
         * [[1974년]] [[7월 2일 [[선경합섬]] 상무<ref>[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74070300209202012&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74-07-03&officeId=00020&pageNo=2&printNo=16232&publishType=00020 ]</ref><ref>[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74070200099204010&editNo=1&printCount=1&publishDate=1974-07-02&officeId=00009&pageNo=4&printNo=2563&publishType=00020 ]</ref>
         * [[1974년]] [[4월 3일]] 선경합섬 전무이사([[폴리에스테르]][[원사]]판매부, SF판매부, 판매촉진부담당 부문 겸임<ref>[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75040300099204017&editNo=1&printCount=1&publishDate=1975-04-03&officeId=00009&pageNo=4&printNo=2796&publishType=00020 ]</ref>)
         * [[1975년]] [[11월 1일]] [[건설공제조합]] 검사역<ref>[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75110100099204015&editNo=1&printCount=1&publishDate=1975-11-01&officeId=00009&pageNo=4&printNo=2974&publishType=00020 ]</ref>
         * [[1976년]] [[4월 1일]] [[선경합섬]] 상무, 폴리에스테르원사, [[원면]] 판매및 판촉담당<ref>[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76033000209202021&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76-03-30&officeId=00020&pageNo=2&printNo=16766&publishType=00020 ]</ref>
         * [[1976년]] [[10월 1일]] 선경합섬 판매사업본부 본부장<ref>[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76100100099207012&editNo=1&printCount=1&publishDate=1976-10-01&officeId=00009&pageNo=7&printNo=3255&publishType=00020 ]</ref>
         * [[1978년]] [[1월 27일]] 선경합섬 전무이사<ref>[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78012800099206011&editNo=1&printCount=1&publishDate=1978-01-28&officeId=00009&pageNo=6&printNo=3662&publishType=00020 ]</ref>, 판매본부 본부장
         * [[1978년]] [[5월 22일]] [[선경머린]]요트 대표이사 사장<ref>[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78082900099206006&editNo=1&printCount=1&publishDate=1978-08-29&officeId=00009&pageNo=6&printNo=3840&publishType=00020 ]</ref>
         * [[1979년]] [[6월 22일]] [[동국전자|동국종합전자]] 대표이사 사장<ref>[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79062200099203019&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79-06-22&officeId=00009&pageNo=3&printNo=4089&publishType=00020 ]</ref>
         * [[1981년]] [[7월 21일]] [[한국전자진흥회]] 이사<ref>[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81072300099208009&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81-07-23&officeId=00009&pageNo=8&printNo=4732&publishType=00020 ]</ref>
         * [[1990년]] [[7월 27일]] [[엔씨에스시스템]] 공동대표<ref>[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90072700099208007&editNo=1&printCount=1&publishDate=1990-07-27&officeId=00009&pageNo=8&printNo=7520&publishType=00020 ]</ref>
  • 슈가(방탄소년단) . . . . 44회 일치
         [include(틀:프로젝트 문서, 프로젝트= 나무위키 보이그룹 프로젝트)]
         [Include(틀:방탄소년단)]
         ||<:><#00CED1>{{{#fff '''종교'''}}} ||<(> [[무종교]][[http://entertain.naver.com/read?oid=016&aid=0000966245|#]] ||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e/e3/Suga_performing_at_the_TRB_in_Seoul%2C_in_October_2014_01.jpg/200px-Suga_performing_at_the_TRB_in_Seoul%2C_in_October_2014_01.jpg
         예명은 Sugar(설탕)가 아니라 '''SUGA'''가 맞다. 이 예명을 가지게 된 이유에는 여러 가지 설이 있는데, 하나는 피부가 무척 하얀 데다 웃을 때[* 웃을 때 본인 특유의 입동굴을 보인다. 이 입동굴 때문에 팬들이 팬사인회에서 아랫니를 보여달라고 요청하기도 한다.] 예쁘고 달콤해서 슈가라는 예명을 지었다는 것. 하지만 힙합이 너무 달콤하면 안 된다는 소리에, 'SUGAR'에서 R이 없는 그냥 'SUGA'를 선택했다 한다. 힙합 용어에서 '슈가'는 '중독되다'라는 뜻을 가지고 있기도 하다. 다른 하나는 학창 시절에 농구부에서 [[슈팅 가드]]를 맡았던 것에서 모티브를 따 줄임말인 '''슈가'''를 선택했다는 것. 모 인터뷰에서는 복싱이 터프하지만 정교한 기술이 필요해 'sweet science'로 불리는 것에서 영감을 얻어, 처음에는 스윗해 보이지만 음악적으로 시니컬한 면이 있어 이런 이중적인 면모를 가장 잘 표현할 수 있는 슈가를 선택했다고 밝혔다. 또한 믹스테이프인 'Agust D' 뮤직비디오를 볼 때, 소속사에서 공식적으로 올려 준 영어 자막을 틀고 보면 '성공'을 'sugar'라는 단어로 번역해 놓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난 '''성공'''과 거리가 먼 형들 사이 눈엣가시네 -> I'm a pain in yo' ass too far from the '''sugar'''. 성공을 통해 맛볼 수 있는 달콤함을 비유적으로 표현한 듯하다.] 예명의 본래 뜻에 대한 의견이 분분한데 반해 본인은 별 신경을 쓰지 않는 듯하다. 매번 예명의 뜻을 설명할 때마다 이유가 달라진다. 때문에 최근에는 뭐 이젠 그런 게 중요한가 싶기도 하고요... 하고 답하기도 하였다.
         [[http://fimg4.pann.com/new/download.jsp?FileID=37131497|하얗게]] [[https://i.pinimg.com/originals/71/3e/7a/713e7afa74e68477155b196cc8aa7fac.jpg|생긴 외모]] 탓에 굉장히 귀여워 보일 때가 있다.
         직설적인 가사로 인해 심의에 통과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일명 '''프로 불통러'''. 특히 [[WINGS]] 앨범에 수록된 슈가의 솔로곡 First Love의 경우 [[방탄소년단]] 멤버의 솔로곡 중 유일하게 심의에 통과하지 못했다. 매 앨범마다 심의에 통과하지 못하는 곡들이 나오는데 팬들의 반응은 '''윤기가 또?''', '''역시...'''가 다반수이다. 심의에 통과하지 못해 걱정하기보단 이젠 즐기는 수준. 본인도 딱히 심의에 관해 별 상관을 안 하고 자유롭게 가사를 쓰는 것 같다. 필요할 때는 서정적이고 섬세한 가사도 잘 쓰는데, 이 역시도 독특한 어투와 어휘 사용, 특유의 날카로운 래핑 등으로 인해 슈가만의 감성이 느껴진다.
         >[[DARK&WILD]] 06. Rain
         [[치아교정]] 중임에도 불구[* 교정기가 눈에 보이지 않는 이유는 [[설측교정]]이기 때문. 간혹 직찍에서 아랫니 안쪽에 자리한 교정기가 발견되기도 했으며 [[방탄소년단]] 콘텐츠 중 하나인 본보야지에서 같은 멤버인 [[뷔]]가 자일리톨을 권하자 교정 중이라 안 먹는다고 거절하기도 하였다.][* 교정은 피 땀 눈물 활동 당시 끝났다고 한다.]하고 '''상당히 딕션이 좋다'''. 특히나 [[설측교정]]의 경우 이물감 때문에 발음을 할 때 거슬리며, 쉽게 발음이 새어나가 딕션이 뭉개질 수 있음에도 꽤나 정확한 딕션을 구사해낸다. 현재로썬 교정이 끝난 상태. [[http://m.photoviewer.naver.com/blog?listUrl=https%3A%2F%2Fm.blog.naver.com%2FPostView.nhn%3FblogId%3Dkiss006969%26logNo%3D220888204195&imgId=1&host=https%3A%2F%2Fm.blog.naver.com%2Fphotoviewer&historyBack=true&blogId=kiss006969&logNo=220888204195#main/1|2016년 10월]] 게다가 성량도 큰 편인지라 라이브 중 음향이 좋지 않다 싶으면 더욱 소리내어 랩으로 음향을 다 씹어 먹어버리기도 한다. [[https://www.youtube.com/watch?v=AIffCdGkGsk&feature=youtu.be|전설의 서가대 쩔어]] [[https://www.youtube.com/watch?time_continue=39&v=UUZSgv0sqC4|171101 불타오르네]] 음향이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급인 [[SBS 가요대전]]에서 [[https://twitter.com/nojam__nolife__/status/945253643166433282?ref_src=twcamp%5Ecopy%7Ctwsrc%5Eandroid%7Ctwgr%5Ecopy%7Ctwcon%5E7090%7Ctwterm%5E3|씩~ 웃고, 한마디 쉬고, 라이브 인증.]]
         '''13세 때부터 [[미디]] 작업을 시작했다.'''스튜디오에서 아르바이트를 하면서 작곡, 편곡을 익혔고, 그 덕분에 녹음 장비와 음향 장비를 능숙하게 다룰 수 있었다고 한다. [[http://navercast.naver.com/magazine_contents.nhn?rid=2039&contents_id=122930|링크]] 고등학생 때는 학교 교가를 편곡하여 용돈벌이를 했다고 한다. 일본의 하루하나 인터뷰에 따르면 어렸을 때부터 음악을 한 반면에, 학창 시절 음악 과목은 잘하지 못했다고 한다. 교과서에 나와 있는 음악은 이건 이렇게 하는 거야, 라고 정해져 있어서 그게 싫었다고. 그래서 교과서로는 음악 공부는 하지 않고 방과후에 음악을 했다고 한다. 피아노 실력 또한 본인이 독학으로 공부한 것.
         2016년 10월, 정규 2집 "[[WINGS]]" 전반에 걸쳐 크래딧을 올렸으며[* 다만 타이틀 곡 "피 땀 눈물"에 대해선 '너무 더럽지 않나요' 라며 은근 반대를 했었던 모양. --분비물로 이루어진 제목이라니-- 그러나 그의 예상(?)과 달리 "피 땀 눈물"이 초대박을 터트리면서, 이에 대해 [[RM]]은 슈가를 "[[방탄소년단]]의 [[펠레의 저주|펠레]]"라고 평가했다(...)] 솔로곡 "First Love" 또한 수록했다. 믹스테이프과 마찬가지로 음악을 향해 달려온 자신의 이야기를 담아내었으며 해외 팬들 사이에서도 반응이 좋다.[* 해외, 그 중에서도 북미를 비롯한 서구 팬들은 '노래에 가수의 영혼이 얼마나 녹아 있는지를 중요하게 보는 편'이다. [[http://news.joins.com/article/20830100|#]] 때문에 다소 어둡고 진지하더라도 자서전적인 내용을 담아낸 슈가와 [[RM]]의 가사가 서구팬들에게 공감을 얻는다.]
         AGUST D에서 '솔직히 싸이하누월 쪽팔려 이젠 1년에 50만장 팔어'[* 싸이하누월에선 '데뷔 앨범 3만 장이나 팔아']라는 가사가 있는데, 슈가가 이 믹스테이프를 내자마자 그 다음 활동 앨범 '''[[WINGS]]는 한 달만에 판매량 50만 장 돌파''', '''[[LOVE YOURSELF 承 'Her']]은 초동 75.9만 장'''이라는 대기록을 세우면서 더더욱 쪽팔려할 듯하다. 현재는 초동 100만 장을 넘어버렸다!
         참고로 모 라디오 방송을 통해 밝힌 바에 의하면[[https://youtu.be/p7w6bveDQik?t=4m7s|#]], 슈가는 처음엔 멤버 전원의 솔로곡을 정규 2집에 올리는 것을 '아직 이르다'며 반대했다고 한다.[* 정규 2집 "[[WINGS]]"는 슈가뿐만 아니라 [[방탄소년단]] 멤버 전원의 솔로곡이 수록된 앨범이다. [[WINGS]] 항목 참고.] 그러다 믹스테이프 작업 때문에 한동안 정규 2집 작업 체크를 못했는데, 이후 느즈막히 각 멤버들의 솔로곡을 확인하곤 매우 놀랐다고. "이른 것이 아니었구나 싶었다"며 멤버들의 성장을 뿌듯해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
         본인의 믹스테이프의 마지막 트랙인 "So Far Away" 피처링으로 참여했던 가수 [[SURAN|수란]]의 디지털 싱글 "오늘 취하면(Feat. [[창모]])"을 작곡 및 프로듀싱하여 2017년 4월 27일 음원이 발매되었다.[* [[빅히트 엔터테인먼트]] 프로듀서인 슬로우 래빗과 공동 작곡, 프로듀싱이다.] [[http://m.sportschosun.com/news.htm?id=201704220100204200014681&ServiceDate=20170421&f_url=#_adtep|기사]] [[방탄소년단]]과 본인이 아닌 타 아티스트의 프로듀싱에는 처음 참여한 곡으로, 슈가와 수란에게는 꽤나 의미가 큰 곡인데, 수란의 경우 언더 가수에서 대중들에게 이름을 널리 알리는 계기가 되었으며 슈가는 발매 이후 각종 음원 사이트 순위 1-2위를 다투고 멜론 [[http://www.melon.com/chart/month/index.htm#params%5Bidx%5D=1¶ms%5BrankMonth%5D=201705¶ms%5BisFirstDate%5D=false¶ms%5BisLastDate%5D=false|5월 월간 차트 1위]]에 오르는 등 리스너들의 예상을 뛰어넘는 성적과 함께 뛰어난 곡 퀄리티로 큰 호평을 받으며 본인의 프로듀싱 역량을 인정받았다.[[http://entertain.naver.com/read?oid=112&aid=0002915269|#]] 멜론 [[http://www.melon.com/chart/age/index.htm?chartType=YE&chartGenre=KPOP&chartDate=2017#params%5Bidx%5D=1|2017년 연간 차트 9위]]를 달성하였다.
         '''2017년 [[멜론 뮤직 어워드]]에서 [[SURAN|수란]]과 함께 "오늘 취하면(Feat. [[창모]])"으로 핫트렌드 상을 수상하였다.''' [[http://m.entertain.naver.com/read?oid=468&aid=0000327739|관련 기사]]
         하얀 피부로 인해 주로 톤다운 메이크업[* 무대 위 조명이 강하기 때문에, 피부가 너무 하얗다면 화면 상에서 이목구비가 날아갈 수도 있기 때문에 톤다운 메이크업을 한다.]을 하기 때문에 간간히 실제 피부색과 차이나는 얼굴색을 발견할 수 있다. [[https://twitter.com/rolminsugaex/status/870401381546561536?ref_src=twcamp%5Ecopy%7Ctwsrc%5Eandroid%7Ctwgr%5Ecopy%7Ctwcon%5E7090%7Ctwterm%5E3|참고하자]] 뿐만 아니라 화보집에서 얼굴, 손과 차이나는 피부 색이 팬들 사이에서 화제가 되었다. [[https://twitter.com/helloygya/status/899626631307812865|본격 피부색 #FFFFFF 확인]]
         아기어피치뿐만이 아니라 찹쌀떡스러운 얼굴에 점처럼 박힌 눈, 웃을 때 커다란 입인 캐릭터와 대체적으로 닮았다. 예를 들자면 [[지방이]], [[포켓몬스터]]의 [[우파]], [[누오]], [[메타몽]]. 이는 [[방탄소년단]] 멤버들 피셜로 증명된 것인데 2017년 슈가의 생일에 올라온 사진에 있는 멤버들이 그린 [[https://imgur.com/sMAY6qG|그림]]을 보면 지방이와 우파가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또한 한참 한국에 [[포켓몬 GO]]가 유행했을 때 같은 멤버인 [[RM]]이 누오에게 온순한 슈가라고 이름을 붙여주었다.[[https://twitter.com/BTS_twt/status/836489701561356288|#]] 또한 한때 팬들 사이에선 메타몽짤과 함께 야 호바 대란이 일어나기도 했다. 슈가와 싱크로율 100%인 메타몽과 말투가 잇 포인트다. [[https://twitter.com/JIMINLOVE1o13/status/905450603551137792|야]] [[https://twitter.com/URBlossomStar/status/901760359660265473|호바]]
         ▲ 불안함과 외로움은 평생 함께하는 것 같다. 그걸 어떤 방식으로 풀어내느냐에 큰 의미를 두는데 평생 공부해야 하는 것 같다. 상황과 순간마다 감정은 너무 달라서, 매 순간 고민하는 것이 삶이라고 생각한다. 그래서 이 기사를 통해 많은 사람에게 ''''나 또한 불안하고 당신 또한 그러하니 같이 찾고 공부해봅시다''''란 말을 하고 싶다. [[http://m.entertain.naver.com/read?oid=001&aid=0009841719|인터뷰 전문]]
         ▲ 아직은 큰 그림만 있어서 말씀드릴 수 있는 단계가 아니다. 우리끼리 작년 투어 한창 할 때부터 이야기했던 건 행복이었다. 행복이란 과연 무엇이며 행복하기 위해선 어떻게 해야 하는지. 저는 행복하려고 하면 행복해질 수 없다고 생각하는 사람이지만 어떡하든 행복하려고 노력은 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공부하고 연구도 해봐야 하고. 어릴 때부터 행복이 무엇인가, 행복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란 생각을 많이 했다. 누구도 가르쳐준 적은 없는 것 같다. [[http://m.entertain.naver.com/read?oid=001&aid=0009841723|인터뷰 전문]]
         유튜브 채널을 잘 보다 보면 슈가의 똘끼가 눈에 띈다. 주로 옛날 영상인 경우가 많긴 하지만. 대표적인 링크는 [[https://youtu.be/OpKUc8IeUrc|아미들의 성지 방탄밤에서의 슈가의 똘끼]], 좀 더 차분한 반응이 필요하다면 [[https://youtu.be/pYd3rqxPG6k|앞으로 못 나가 매우 서러운 슈가형]]을 참고. [[WINGS|정규 2집]] 활동 때는 [[https://youtu.be/aniSCuwXJ7s|제이홉을 향한 샤우팅]]을 비롯해 무대, 방송 등에서 상당한 에너지를 발산하기도 했다. 이럴 때 팬들이 부르는 별명은 '흥슈가'. [[https://youtu.be/M3xMTYfVo2E|흥 타신 슈가씨]]
  • 페이데이 2/인벤토리 . . . . 42회 일치
         ==== Incendiary Grenade ====
          * Gage Ninja Pack 필요
         ==== Javelin ====
         ==== Throwing Axe ====
         ==== Throwing Knife ====
         ==== Injector ====
          * Scarface Character Pack 필요, Kingpin 퍽 덱 전용
          * Ghost - Shinobi - Cleaner Ace: 2개의 시체가방 케이스를 소지할 수 있게된다.
          * Mastermind - Medic - Quick Fix: 의료가방의 설치 시간이 50% 단축된다.
          * Mastermind - Medic - Quick Fix Ace: 의료가방 사용자가 120초간 10%의 데미지 저항을 갖게 된다.
          * Mastermind - Medic - Combat Doctor: 2개의 의료 가방을 소지할 수 있게된다.
          * Mastermind - Medic - Combat Doctor Ace: 의료 가방의 용량이 4회로 증가된다.
          * Ghost - Shinobi - ECM Overdrive: ECM 피드백 지속시간이 25% 늘어난다.
          * Ghost - Shinobi - ECM Overdrive Ace: ECM으로 전자문을 열 수 있게된다.
          * Ghost - Shinobi - ECM Specialist: 2개의 ECM 재머를 소지할 수 있게된다.
          * Ghost - Shinobi - ECM Specialist Ace: ECM 재머의 지속 시간과 ECM 피드백의 지속시간이 25% 늘어난다. ECM 재머로 페이저를 지연시킬 수 있게된다.
          * Mastermind - Medic - Quick Fix: 퍼스트 에이드 킷의 설치 시간이 50% 단축된다.
          * Mastermind - Medic - Quick Fix Ace: 퍼스트 에이드 킷 사용자가 120초간 10%의 데미지 저항을 갖게 된다.
          * Mastermind - Medic - Uppers: 11개의 퍼스트 에이드 킷을 소지할 수 있게된다.
          * Mastermind - Medic - Uppers Ace: 14개의 퍼스트 에이드 킷을 소지할 수 있게된다. 설치된 퍼스트 에이드 킷 5m 내에서 다운되는 플레이어를 자동으로 치료해 일으킨다. 해당 기능은 20초에 한번으로 제한된다.
  • 하리수 . . . . 42회 일치
         한 때 ‘하리수’란 예명을 놓고 전 소속사인 TTM과 갈등을 겪기도 했다. TTM 측은 두 번째 하리수로 [[제니퍼 영 위스너]]를 내세우기도 했지만, 합의를 통해 하리수란 이름을 계속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본명은 이경엽(李慶曄)이었다가, 성전환 후 [[2002년 12월]] 이경은(李慶恩)으로 개명하였다.<ref>[http://article.joins.com/news/article/article.asp?Total_ID=1284346 하리수 性 · 이름 女子로 호적 변경 허가] 중앙일보 2002.12.13</ref>
         하리수는 [[1975년]] [[2월 17일]] 대한민국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에서 태어났으며 다섯 남매들 가운데 한 명이다.<ref name="Eve from Adam">Li Ee Kee, "Eve from Adam", ''The Star Online'', September 19, 2005. A copy of this article can be read at [http://groups.yahoo.com/group/TNUKdigest/message/17335 TNUKdigest]. Retrieved on April 27, 2007.</ref> 본명은 이경엽으로 후에 [[2002년]] [[12월]] [[성별정정]] 후에 경은으로 개명하였다.
         그의 아버지는 구청 공무원이었고, 어머니가 파출부 등 온갖 궂은 일 하며 집안을 꾸려나갔다.<ref name="heimagge">[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6&oid=081&aid=0000017450 서른잔치 시작 ‘이브가 된 아담’ 하리수] 서울신문 2004.10.19</ref> 그는 어릴 때부터 단 한번도 남자로 생각하지 않았으며 여자 아이들 속에 파묻혀 놀았다. 고무줄 놀이하는 친구도 대부분 여자였다.<ref name="heimagge"/>
         비록 남자의 신체로 태어났지만 하리수는 어릴 때부터 스스로를 여자라고 생각하였고<ref name="Eve from Adam" />, 또한 여성스럽게 성장하려고 많은 노력을 했다고 한다 .<ref name="Eve from Adam" /><ref name="Adam to Eve">Gina Choon, [http://www.pathfinder.com/asiaweek/magazine/YourSpace/0,8782,173902,00.html "Adam to Eve"] {{웨이백|url=http://www.pathfinder.com/asiaweek/magazine/YourSpace/0,8782,173902,00.html |date=20071017204309 }}, ''Asiaweek.com'', September 14, 2001. Retrieved on April 27, 2007.</ref> 하리수의 여성스런 성격을 걱정한 어머니는 그를 [[웅변]]학원에 보낸다.<ref name="ungg">[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6&oid=020&aid=0000101920 '화려한 시절' 태조 왕건' 外] 동아일보 2001.12.07</ref> 그곳에서 하리수는 자신의 여성스러움까지도 이해해주는 남자친구를 만나 함께 웅변대회 연습을 하며 즐거운 시간을 보낸다.<ref name="ungg"/>
         청소년기 무렵 그의 아버지는 공무원을 그만두고 고향에서 [[목욕탕]]을 운영하였다. 한 번은 목욕탕을 운영하던 아버지가 자신이 여자가 된 것을 모르고 남탕의 수건 회수를 시켰다고 한다.<ref name="sosososo1">[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15&oid=001&aid=0001925319 <클릭뉴스> 하리수 남탕]</ref> 어쩔 수 없이 남탕에 들어간 하리수씨는 아수라장이 된 남탕에서 수건을 모두 거둬서 유유히 빠져 나왔다 한다.<ref name="sosososo1"/> [[1991년]] 중학교 3 학년 재학 중 MBC 드라마 단역 배우로 데뷔하였다. 이후 몇 편의 드라마에 단역 배우로 출연하였다.
         그는 "중학교 3학년 때 첫사랑을 경험했다"고 한다.<ref>[http://www.kyeongin.com/news/articleView.html?idxno=652832 하리수 첫사랑 고백 자살시도에 성전환 수술 결심은 고 2때… '기구한 인생'] 경인일보 2012.05.15</ref> 그는 "첫사랑 상대는 탤런트 [[이창훈 (배우)|이창훈]]을 닮은 외모로 학생회장을 맡고 있었던 남학생이었다"며 "첫사랑 이후 [[우울증]]이 있었다. 자살을 시도하기도 했다"고 말했다. 또 하리수는 "고등학교 2학년때 교제했던 남자친구로 인해 [[성전환 수술]]을 결심하게 됐다"고 하였다.<ref>[http://www.mydaily.co.kr/new_yk/html/read.php?newsid=201205151446181110 하리수 "중학교 시절, 첫사랑때문에 자살시도"] 마이데일리 2012.05.15</ref> 이후 남자로 살아보기 위해 평소 그녀를 동경하던 부근 학교 여학생을 사귀기도 했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6&oid=117&aid=0000053478 하리수, “남자로 살기위해 여학생과 사귄적 있다”] 마이데일리 2006.07.11</ref> 하리수는 또 “두번째 사랑을 사귀던 남자친구로부터 "[[미스젠더링|넌 어차피 남자잖아]]"라며 결별을 통보받고 성전환수술을 결심하게 됐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6&oid=108&aid=0000059418 하리수, 성전환에서 결혼까지] 스타뉴스 2007년 02월 21일자</ref> 그는 고등학교 2학년 때 성전환 수술을 결심했다 한다.<ref name="heimagge"/>
         고등학교 졸업 때까지<ref name="This Way Out NewsWrap">Cindy Friedman et al., [http://www.qrd.org/qrd/media/radio/thiswayout/summary/newswrap/2001/N706-10.08.2001 transcript for "NewsWrap" on This Way Out program #706], October 10, 2001. Retrieved on May 5, 2007.</ref> 이미 [[호르몬 대체요법 (MTF)|호르몬 대체요법]]을 받고 있었다.<ref name="Transsexual entertainer testing the boundaries of South Koreans' Confucian ideals">Christopher Torchia, [http://search.hankooki.com/times/times_view.php?term=harisu+harisu++&path=hankooki1/kt_culture/200109/t2001092017284446110.htm&media=kt "Transsexual entertainer testing the boundaries of South Koreans' Confucian ideals"]{{깨진 링크|url=http://search.hankooki.com/times/times_view.php?term=harisu+harisu++&path=hankooki1%2Fkt_culture%2F200109%2Ft2001092017284446110.htm&media=kt }}, ''The Korea Times'', September 20, 2001. Retrieved on April 27, 2007.</ref>
         20대가 된후 부산에서 [[김석권]] 교수 집도로 성전환을 했다.<ref name="Adam to Eve" /><ref name="Ha Ri-Soo, Who Became a Woman: Story Behind">Lee Seung-Heon, [http://english.donga.com/srv/service.php3?bicode=130000&biid=2001060406018 "Ha Ri-Soo, Who Became a Woman: Story Behind"], ''dongA.com'', June 3, 2001. Retrieved on April 27, 2007.</ref><ref name="Court makes it official - he's now a woman">"Court makes it official - he's now a woman", ''The Straits Times'', December 22, 2002. A copy of this article can be read at [http://groups.yahoo.com/group/TNUKdigest/message/5478 TNUKdigest]. Retrieved on April 27, 2007.</ref><ref>[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2/04/22/2012042200202.html (월간조선) 세계최초 성(性)전환 수술 300건 달성한 김석권 교수]</ref> 20세 때 그는 [[신체검사]]에서 5급 판정을 받고 사실상 [[병역면제]]되었다. 후일 한 방송에서 하리수의 어머니는 “군 신체검사 당시 정신 이상 5급 판결 군대 면제를 받고 돌아와서는 (성전환) 수술을 한다고 했다”며 “그때는 그야말로 청천벽력이었지만 (수술 후 돌아왔을 때) 마음은 안 그렇지만 담담히 수고했다고 말해줬다”고 한다.<ref>[http://article.joins.com/news/article/article.asp?ctg=15&Total_ID=2346153 하리수 어머니 눈물 펑펑 “군 면제 받고와 (성전환)수술한다고 했다”] {{웨이백|url=http://article.joins.com/news/article/article.asp?ctg=15&Total_ID=2346153 |date=20131212194720 }} 중앙일보 2006.07.06</ref> 그는 성전환 수술을 마치고 [[일본]]에서 [[트랜스젠더]]로 활동하였다.<ref>[http://lady.khan.co.kr/khlady.html?mode=view&code=5&artid=10464 싱글 앨범 발표한 하리수·미키정 부부 결혼 후 첫 인터뷰] 레이디경향</ref>
         [[2001년 3월]] 광고 모델로 연예계에 데뷔하였으며 같은해 1집 '템테이션'을 발표하고 가수가 되었다. 이후 영화배우, 방송 출연 등을 하였다. .<ref name="Transsexual entertainer testing the boundaries of South Koreans' Confucian ideals" /><ref name="Harisu Superstar">Markus Augustus, "Harisu Superstar", ''Giant Robot'', issue #28 p.56-59.</ref> 한편 “남성에서 여성으로 바뀐 삶 자체의 엄청난 변화를 지나치게 상업적으로 이용하는 것은 아닌가”라는 한 언론사 기자의 질문에 그는 나름의 ‘상품가치’를 설파하였다. 그는“인기를 먹고사는 연예인으로서 당연한 것 아닌가요? 자신의 상품가치를 뽐내는 건”이라 했다.<ref name="repircj">[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6&oid=005&aid=0000065613 “성전환 상업적 이용 심하지않나” “내 상품가치 뽐내는게 어때서요?”] 국민일보 2001.07.18</ref> 기자는 또 그에게 “너무 무리하는 것 아니냐.수술후유증이라도 나타나면 몸이 상할텐데…”.그녀에 대한 관심이 최근 폭발하면서 화장품 CF,드라마,영화 출연에 이어 음반까지 준비하고 있는 상황.“걱정은 고맙지만 모든 게 너무 즐겁고 행복해서 피곤을 몰라요”라고 답했다.<ref name="repircj"/>
         [[2003년]]에는 [[중화민국]] [[중국 텔레비전 사업|CTV]] 채널의 드라마 《하이 내사랑》 에도 출연하였다. 한편 그는 데뷔 초반부터 꾸준한 안티팬을 유지하고 있다.<ref>[http://joynews.inews24.com/php/news_view.php?g_menu=700100&g_serial=264372 연예인, 이럴 때 악플 양산한다!] 조이뉴스 2007.05.30</ref> [[2004년]] [[7월 2일]]에는 2년간 [[성남시]] 홍보대사로 위촉되었다.<ref>[http://sports.hankooki.com/lpage/entv/200407/sp2004070213570332380.htm 하리수는 고향 성남시 홍보대사] 스포츠한국 2004.07.02</ref> 이후 일본, 중국, 말레이시아 등의 방송에 출연하여 활동하였고, [[2006년]]에는 [[말레이시아]]에서 영화를 촬영했다.
         한편 2004년에 제작한 그의 영화 도색은 2013년 9월에 [[대한민국]]에서 상영되었다. 영화 이듬해인 2005년 제 55회 베를린국제영화제 파노라마 부문에 초청된 작품이다. 무려 9년만에 대한민국 내 극장 개봉 기회를 얻은 것이다.<ref>[http://isplus.live.joins.com/news/article/article.asp?total_id=12267160&cloc= 하리수 출연작 ‘도색’, 9년 만에 국내 개봉 확정] 일간스포츠 2013.08.06</ref>
         [[2007년]] [[5월 19일]] [[한국]]의 가수, 래퍼인 미키 정(본명은 정영진)과 결혼하였다. [[2008년]] [[3월]] [[장안대학]] 엔터테인먼트과에 입학하였다가, 사회복지과로 전과 [[2011년]]에는 장안대학 사회복지과를 졸업했다.<ref>[http://news.naver.com/main/hotissue/read.nhn?mid=hot&sid1=106&gid=330818&cid=307105&iid=380870&oid=003&aid=0003899321&ptype=021 하리수, 학생된다] 뉴시스 2011.06.08</ref>
         [[2013년]] [[8월 16일]] [[중화인민공화국]] [[저장 성]] [[항저우 시|항저우]]에 방문했다가 교통사고를 당했다. 소속사에 의하면 "행사차 중국을 방문한 하리수가 [[상하이]](上海)로 입국해 [[항저우]](杭州)로 이동하던 중 타고 있던 차량이 고속도로에서 가드레일을 들이받는 사고가 났다"고 한다.<ref name="sssss">[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22&aid=0002564823 하리수, 중국서 교통사고 당해…상태는?] 세계일보 2013.08.18</ref> 소속사는 이어 "운전자의 졸음운전으로 추정된다"며 "차량 일부가 파손됐지만 다행히 하리수 일행이 큰 부상을 당하지 않아 스케줄을 마치고 오늘 오후 항저우에서 한국행 비행기를 탔다"고 설명했다.<ref name="sssss"/> 사고가 수습된 뒤 바로 귀국하였다.
         * [[2006년]] 《Possession》, 말레이시아 영화<ref>[http://www.soompi.com/2011/08/05/harisu-in-malaysia-for-filming-horror-movie-the-hunter/#.UqqGctJdVzo Harisu in Malaysia for Filming Horror Movie "The Hunter"]</ref>
         * Winter Story (Digital Single), 2005
         * Winter Special, 2007
         [[2007년]] [[2월 28일]] 오전 9시 30분부터 MBC TV를 통해 방송된 ‘이재용, 임예진의 기분좋은 날’에 출연해 “사람들이 둘이 만나는 것을 몰랐을때 미키정이 자신의 미니홈피에 함께 찍은 사진을 올려놓았더니 사람들이 ‘리수형이네’, ‘이 사람하고 놀지마’ 같은 댓글을 남겨 가슴이 아팠다”며 네티즌들의 악플로 인해 겪었던 마음 고생을 방송에 털어놓기도 했다.<ref name="akples">[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6&oid=117&aid=0000080557 하리수, "'리수형, '아저씨' 악플에 전화해 항의"] 마이데일리 2007.02.28</ref> 그러나 악플에 대해 그는 당사자에게 직접 항의하는 등 의연하게 대처하였다.
         데뷔 초기에 그녀는 [[1979년]]생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2001년]] [[7월]] 실제 나이는 네 살 많다고 스스로 밝혔다. 데뷔 초 실제 나이가 스스로 공개한 나이보다 많다는 ‘의혹’을 받아온 그녀는 진짜 나이를 공개했다.<ref name="naitge">[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6&oid=020&aid=0000074014 <nowiki>[</nowiki>연예<nowiki>]</nowiki> 하리수 "실제나이 26살 본명은 이경엽"] 동아일보 2001.07.10</ref> [[2001년]] [[7월 10일]] 당시 인터넷에서 논란이 되고 있는 자신의 신상과 관련해 “실제 나이는 75년생 26세,본명은 이경엽”이라고 밝혔다.그동안 그녀가 밝힌 나이는 23세, 본명은 이수였다.<ref name="yisuu">[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5&aid=0000064377 <nowiki>[</nowiki>여울목<nowiki>]</nowiki> 하리수 “26살에 본명 이경엽”] 국민일보 2001.07.10</ref>
         * [http://news.naver.com/main/hotissue/read.nhn?mid=hot&sid1=148&cid=927521&iid=680295&oid=404&aid=0000041609&ptype=021 하리수, 김조광수 결혼식서 마당발 인맥 과시 "박원석 의원과 다정샷!"]
         *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20&aid=0000165642 하리수 法에 호소…男 → 女 , 이경엽→이경은] 동아일보 2002.12.04
  • 손담비 . . . . 41회 일치
         | 웹사이트 = [http://www.keyeast.co.kr/index/artist/profile.asp?art_idx=57 키이스트 손담비]<br>{{트위터|dambi925}}<br>{{페이스북|sondambi}}<br>{{인스타그램|xodambi}}
         소속사에 들어가서는 트레이닝을 받았고 2002년에는 MBC의 시트콤 《[[논스톱3]]》에 단역으로 출연했다.<ref>{{뉴스 인용 |제목 = 준표도 담비도 출발은 단역 아이돌 스타 무명 시절 살펴보니 |url = http://www.sportsseoul.com/news2/entertain/hotentertain/2009/0503/20090503101040100000000_6928737571.html |출판사 = 스포츠서울 |저자 = 나지연 |날짜 = 2009-05-03 |확인날짜 = 2009-09-02 |보존url = https://web.archive.org/web/20091011100530/http://www.sportsseoul.com/news2/entertain/hotentertain/2009/0503/20090503101040100000000_6928737571.html# |보존날짜 = 2009-10-11 |깨진링크 = 예 }}</ref> 이처럼 원래 손담비는 가수보다 배우가 꿈이었으며 기획사에 들어간 계기도 사실은 배우가 되기 위해서였다.<ref name="news">{{뉴스 인용|제목=손담비 “원래 배우가 꿈, 연기 욕심 많다”(인터뷰③)|url=http://www.newsen.com/news_view.php?uid=200904161748501002|출판사=뉴스엔|저자=유현진, 정유진|날짜=2009-04-17}}</ref> 2004년부터 가수가 되기로 결심하면서 춤을 배우기 시작했고, 2005년에는 미국으로 건너가 크럼핑을 배웠다.<ref>{{뉴스 인용 |제목 ="내 이름은 손담비, '몸치'였던 나의 이야기 들어볼래?"|url =http://www.edaily.co.kr/news/NewsRead.edy?DCD=A606&newsid=02086086583165328&OutLnkChk=Yl |출판사 =이데일리|저자 =박미애|날짜 = 2007-06-25|확인날짜 = 2009-09-02}}</ref> 크럼핑을 배울 당시 미국과 한국을 오가며 미국의 안무가 브라이언 프리드먼과 크럼핑 댄스의 창시자 릴C 등 유명인사들에게 배웠다.<ref>{{뉴스 인용|제목=미쓰에이 연습생 시절 보다 더 파워풀한 '손담비 연습생 시절' 영상|url=http://ens.vop.co.kr/A00000350063.html|출판사=ENS|저자=뉴스팀|날짜=2010-12-31|확인날짜=2010-12-31}}{{깨진 링크|url=http://ens.vop.co.kr/A00000350063.html }}</ref> 당시 릴C는 손담비에게 "너는 예쁘니까 그냥 연기나 해라"라고 할만큼 재능이 부족했지만, 오랜 연습끝에 춤을 잘 출 수 있게 되었다.<ref name="10아시아"/> 같은 해 2005년에는 CJ 뮤직이 글로벌 프로젝트로 에스블러쉬라는 그룹을 결성해 초창기 멤버로 발탁되었다.<ref name="머니투데이">{{뉴스 인용 |제목 =손담비, 빌보드 톱 랭크 에스-블러시 멤버였다 |url =http://star.mt.co.kr/view/stview.php?no=2007050618490436796&type=1&outlink=1|출판사 =머니투데이|저자 =김원겸|날짜 = 2007-05-06 |확인날짜 = 2014-05-15}}</ref> 2007년 5월에는 [[가희]]와 함께 에스블러쉬 멤버로서 〈It's My Life〉를 발매했고, 미국 [[빌보드]] 핫 댄스 클럽 플레이 차트 2위까지 진입했다.<ref>{{뉴스 인용|제목=손담비, 빌보드 톱 랭크 에스-블러시 멤버였다|url=http://star.mt.co.kr/view/stview.php?no=2007050618490436796&type=1&outlink=1|출판사=머니투데이|저자=김원겸 기자|날짜=2007-05-06|확인날짜=}}</ref> 하지만 팀 내부 사정으로 솔로로 전향하게 되었다.<ref name="머니투데이"/>
         이후 [[플레디스 엔터테인먼트]]에서 한국 데뷔를 준비했는데, 데뷔 전 바람의 〈사랑하다〉, [[메이비 (가수)|메이비]]의 〈다소〉와 같은 뮤직비디오와 [[삼성전자]], [[SK 텔레콤]]과 같은 대기업 광고에 출연했다.<ref>{{뉴스 인용|제목=[담비가 온다1]MSN 재팬이 주목한 거물 신인|url=http://joynews.inews24.com/php/news_view.php?g_menu=700300&g_serial=260493|출판사=조이뉴스24|날짜=2007-05-04|확인날짜=2014-05-15}}</ref><ref>{{뉴스 인용|제목=손담비, 데뷔전부터 잇달아 대기업 모델 '톱스타 예약'|url=http://star.mt.co.kr/view/stview.php?no=2007050507444112344&type=1&outlink=1|출판사=머니투데이|저자=김원겸|날짜=2007-05-05|확인날짜=2014-05-15}}</ref> 또한 비보이 대회 'R16 코리아 스파클링 서울'에 출전했다.<ref name="seg1"/> 그리고 2007년 6월 14일, 손담비는 데뷔 싱글 〈[[Cry Eye]]〉를 발매했다. 〈Cry Eye〉는 손담비의 뛰어난 춤실력을 보여주는데는 충분했지만, 대중적으로 성공하지는 못했다. 〈Cry Eye〉의 안무 중 [[크럼핑]]이라는 장르를 안무로 삼아 이 때문에 '여자 비'라고 불렸다.<ref name="seg1">{{뉴스 인용| url = http://www.segye.com/Service5/ShellView.asp?TreeID=1052&PCode=0007&DataID=200707091012000004| 제목 = '여자비' 손담비, 댄스로 뜨고 가창력까지 장착| 날짜 = 2007-07-08| 저자 = 한준호 기자| 확인날짜 = 2007-08-07| 뉴스 = 세계일보| 보존url = https://web.archive.org/web/20070930152416/http://www.segye.com/Service5/ShellView.asp?TreeID=1052&PCode=0007&DataID=200707091012000004#| 보존날짜 = 2007-09-30| 깨진링크 = 예}}</ref> 또한 크럼핑은 고난이도 댄스로 꼽혀 아시아에서도 몇 안되는 춤꾼으로 인정받았다. 한국에서 3개월 동안 활동한 뒤, 미국으로 떠나 L.A 밀레니엄 스쿨에서 발레, 재즈, 크럼핑 댄스 등을 배우고 보컬 트레이닝을 받는 등 연습에 매진했다.<ref>{{뉴스 인용|제목=손담비 “이효리 여름 컴백 환영. 내 인생 최대의 도전” |url=http://www.newsen.com/news_view.php?uid=200805191720201002|출판사=뉴스엔|저자=이현우, 정유진|날짜=2008-05-20}}</ref>
         2008년 2월 29일 게임 [[프리스톤테일2]]의 주제가 "Change the World"를 불렀다.<ref>[http://music.naver.com/album/index.nhn?albumId=136656 네이버 뮤직 - Change The World (프리스톤테일 2) O.S.T] 《[[네이버]]》</ref> 같은 해 4월 29일 손담비는 첫 미니 앨범 ''[[Mini Album Vol.1]]''을 발매하며 컴백 했다. 앨범의 타이틀 곡 "Bad Boy"로, 전 에스블러쉬 멤버로 함께 활동했던 [[가희]]가 피처링으로 참여했다. 이 때 손담비는 주로 여성스러운 이미지로 활동했다. "Bad Boy"는 발표한지 2주만에 음원 사이트 1위를 차지했고, 지상파 음악 프로그램에 출연할때마다 검색어 순위는 1위를 차지하는 등 관심을 모았다.<ref>{{뉴스 인용|제목=손담비 '배드 보이', 29일 미니앨범 공개 후 '대박 조짐' |url=http://joynews.inews24.com/php/news_view.php?g_menu=700100&g_serial=327079|출판사=조이뉴스24|저자=박재덕|날짜=2008년 4월 20일|확인날짜=2011-02-06}}</ref> 뮤직비디오가 공개된 후에는 조회수가 20만 건이 넘었고, 무대에서 입고나온 코르셋 스타일의 파격적인 의상도 많은 관심을 받아 홈페이지가 폭주하기까지 했다.<ref>{{뉴스 인용|제목= 손담비 코르셋패션 "열기"...홈페이지 또 "혼수상태" |url=http://www.hkn24.com/news/articleView.html?idxno=13163|출판사= 깜뉴스|저자=신명희 기자|날짜=2008년 5월 25일|확인날짜=}}</ref>
         5달 후인 2008년 9월 17일 두 번째 미니 앨범 ''[[Mini Album Vol.2]]''의 타이틀곡 〈미쳤어〉의 티저 영상을 온오프라인을 통해 공개하였는데, 티저 영상은 공개후 각종 동영상 사이트, 실시간 검색어 1위를 차지하는 등 관심을 받으며 컴백을 알렸다.<ref>{{뉴스 인용|제목= 손담비 '미쳤어' 티저 영상에 팬들의 반응 뜨겁네~ |url=http://www.consumernews.co.kr/news/view.html?gid=main&bid=news&pid=111539|출판사= 소비자가 만드는 신문 연예|저자=스포츠연예팀|날짜=2008-09-19|확인날짜=}}</ref> 이어 18일에는 음반을 발매하였다. 타이틀곡인 〈미쳤어〉 열풍이 한국에 불었는데, 특히 처음 후렴구부분의 의자춤이 인기를 끌었다. 각종 연예인들은 의자춤 패러디를 했는데, 재일 먼저 배우 [[허이재]]가 패러디를 했고,<ref>{{뉴스 인용|제목= 허이재, 손담비 ‘미쳤어’ 의자춤 깜짝공개 눈길 확~|url=http://www.newsen.com/news_view.php?uid=200810191843251001 |출판사= 뉴스엔 연예|저자=이현우|날짜=2008-10-20|확인날짜=}}</ref> 계속해서 김효진, 신봉선, 양정아, 현영, 노홍철 등이 예능에서 따라했으며, 《[[내 사랑 금지옥엽]]》의 유인영, 《[[수상한 삼형제]]》의 오지은 등 드라마에서도 패러디를 했다. 또한 일반인들도 UCC를 통해 많은 패러디 동영상을 올렸다. 너도나도 다 따라한탓에 급기야 예능 프로그램에서는 〈미쳤어〉 금지령까지 내려졌다.<ref>{{뉴스 인용|제목= 방송가, 손담비 '미쳤어' 이제 그만! |url= http://joynews.inews24.com/php/news_view.php?g_menu=700100&g_serial=380986|출판사= 조이뉴스24 연예|저자=박재덕 기자|날짜=2008년 12월 22일}}</ref> 2008년 11월 17일에는 [[마이티 마우스 (음악 그룹)|마이티 마우스]]의 싱글 〈[[Family (Special Edition)|패밀리]]〉에 피처링으로 참여했다.<ref>{{뉴스 인용|제목=마이티마우스, 이번에는 손담비‥'패밀리'|url=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6&oid=003&aid=0002372273|출판사=네이버|저자=유상우|날짜=2008-11-11|확인날짜=2012-05-20}}</ref> 가수 활동 이외에 MBC 예능 《[[우리 결혼했어요|우리결혼했어요]]》에 [[마르코 (배우)|마르코]]와 함께 가상 부부로 나와 [[MBC 방송연예대상]] 특별상/베스트커플상 수상했다.<ref name="2008MBC"/> 또한 각종 CF에서도 러브콜이 쇄도했는데, 1년만에 몸값이 3배가 올라 화제가 되기도 했다.<ref>{{뉴스 인용|제목= 손담비 몸값, 1년만에 3배 이상 높아져 '미쳤어' |url= http://www.maxmovie.com/movie_info/ent_news_view.asp?mi_id=MI0080966034|출판사= 조이뉴스24 연예|저자=|날짜=2008-11-12|확인날짜=}}</ref>
         EP 활동의 끝난 뒤인 2009년, 첫 정규 음반 ''[[Type-B]]''의 발매로 컴백을 준비했다. 음반 발매와 음원 공개에 앞서 총 3차에 걸친 티저를 선공개하였는데, 2009년 3월 19일 타이틀곡인 〈토요일밤에〉 1차 티저를 공개하였다.<ref>{{뉴스 인용|제목=손담비 ‘토요일밤에’ 티저영상, 팬들 반응 뜨거워|url=http://www.maxmovie.com/movie_info/ent_news_view.asp?mi_id=MI0083262026|출판사=맥스뉴스|날짜=2009-03-19 |확인날짜=2010-12-29}}</ref> 이어 20일에는 롤러스케이트 장으로 꾸며진 곳에서 1980년대 디스코풍의 2차 티저를 공개하였는데, 마지막에 '토요일 밤에'라는 문구가 등장에 더욱 궁굼증을 자아냈다.<ref>{{뉴스 인용|제목=손담비, '토요일밤에' 2차 티저 공개 이번엔 '롤러걸'|url=http://www.maxmovie.com/movie_info/ent_news_view.asp?mi_id=MI0083284482|출판사=맥스뉴스|날짜=2009-03-20 |확인날짜=2010-12-29}}</ref> 23일에는 백발의 손담비가 등장, 마지막 3차 티저를 공개하여 팬들의 눈길을 사로잡았다.<ref>{{뉴스 인용|제목='백발' 손담비, '토요일 밤에' 3차 티저 영상 공개 |url=http://www.maxmovie.com/movie_info/ent_news_view.asp?mi_id=MI0083340682|출판사=맥스뉴스|날짜=2009-03-23 |확인날짜=2010-12-29}}</ref> 다음날인 24일 타이틀곡 〈토요일밤에〉 음원이 공개된 후, 폭발적인 상승세로 바로 음원사이트 10위 권에 진입하며 또 다른 손담비 열풍을 예고하였다.<ref>{{뉴스 인용|제목= 손담비 '토요일밤에' 컴백, 그녀의 '인기몰이' 이미 예견된 수순|url=http://www.maxmovie.com/movie_info/ent_news_view.asp?mi_id=MI0083410074|출판사=맥스뉴스|날짜=2009-03-26|확인날짜=2010-12-29}}</ref> 〈토요일밤에〉는 80년대 디스코 복고풍으로 후렴구부분의 '하늘 찌르기춤'으로 인기를 얻었다.<ref name="하늘찌르기춤">{{뉴스 인용|제목= 손담비, 의자춤 이어 하늘찌르기춤 신드롬 일으킨다 |url=http://www.newsen.com/news_view.php?uid=200905032208311001|출판사=뉴스엔|저자=김형우 기자|날짜=2009-05-04}}</ref> 26일에는 첫 정규 음반 ''[[Type-B]]''가 발매되었다. 한편, 〈토요일 밤에〉가 발표된 뒤, 뜨거운 인기몰이를 하고있던 손담비는 2009년 4월 10일, [[KBS]] 《[[뮤직뱅크]]》에서 첫 1위를 하였고 《[[엠 카운트다운]]》,《[[인기가요]]》 등에서도 1위를 해 그 인기를 실감케하였다. 또한 CF계에서도 러브콜이 쇄도하여 광고 섭외순위가 0순위라는 말까지 떠돌았고,<ref>{{뉴스 인용|제목=이승기, 손담비…광고모델 섭외 0순위 드러내|url=http://www.obsnews.co.kr/EnterNews/316308|출판사=OBS 연예뉴스|저자=김광선 에디터|날짜=2009-10-23|확인날짜=}}{{깨진 링크|url=http://www.obsnews.co.kr/EnterNews/316308 }}</ref> 연말에는 MTN 2009 방송광고 페스티벌에서 여자 CF 모델상을 수상하기도 하였으며, 〈토요일밤에〉로 [[골든디스크]], [[서울가요대상]] 에서 수상을 하였다. 정규 앨범 활동이 끝나자 손담비는 [[2009년]] 7월부터 방영된 SBS 월화 드라마 《[[드림 (드라마)|드림]]》에서 박소연이라는 여자 주연으로 출연했지만, 상업적으로 큰 실패를 거두었고, 연기력 논란까지 일어났다. 하지만, [[SBS 연기대상]]에서 뉴 스타상을 받았다.<ref>{{뉴스 인용|제목='드림' 시청률 울상 손담비, 뉴스타상에 웃었다|url=http://www.newsen.com/news_view.php?uid=201001011306221001|출판사=뉴스엔|저자=김소희 기자|날짜=2010-01-21 |확인날짜=}}</ref>
         손담비는 2010년 5월 컴백을 앞두고 준비해왔지만, 같은 소속사 그룹인 [[애프터스쿨]]이 [[천안함 침몰 사건]]으로 인하여 활동을 제대로 하지 못해 활동이 미뤄졌다.<ref>{{뉴스 인용|제목= 손담비 컴백 연기..애프터스쿨 때문?|url=http://www.asiae.co.kr/news/view.htm?idxno=2010042809051209710|출판사=아시아 경제|저자=조범자 기자|날짜=2010-04-28|확인날짜=}}</ref> 한달 뒤인 2010년 6월 25일 손담비는 공식 사이트를 통해 컴백을 알렸다.<ref>{{뉴스 인용|제목='섹시디바' 손담비, 1년 3개월만의 컴백…움직임 포착!|url=http://autotimes.hankyung.com/article_view.php?id=81096|출판사=오토타임즈|저자=연예취재팀|날짜=2010-06-25|확인날짜=}}</ref> 7월 2일에는 음반의 수록곡 중 하나인 "Can't u see"를 공개해 많은 관심을 받았다.<ref>{{뉴스 인용|제목=손담비, '그림자댄스'로 서버다운까지? '히트예감'|url=http://ntn.seoul.co.kr/main.php?cmd=news/news_view&idx=39797|출판사=서울신문NTN|저자=오영경 인턴기자|날짜=2010-07-03|확인날짜=}}{{깨진 링크|url=http://ntn.seoul.co.kr/main.php?cmd=news%2Fnews_view&idx=39797 }}</ref> 음반 발매 하루 전 날에는 전곡이 유출되는 사고가 일어났다.<ref>{{뉴스 인용|제목=허무한 손담비, 컴백 하루전 음원유출|url=http://sportsworldi.segye.com/Articles/EntCulture/Article.asp?aid=20100708004612&subctg1=10&subctg2=00|출판사=스포츠월드|저자=김용호 기자|날짜=2010-07-09|확인날짜=2010-12-06}}</ref> 그리고 2010년 7월 8일 ''The Queen''을 발매했다. 이후 《[[뮤직뱅크]]》를 시작으로 《[[음악중심]]》, 《[[인기가요]]》에서 "Can't u see"와 "queen"을 선보이며 컴백 무대를 펼쳤다. 한편, 7월 결산 차트에서 손담비는 "Can't U See"와 "queen"이 20위권에 들면서 7월 상위 20위권 차트에서 유일하게 2곡 이상을 진입시킨 가수가 됐다.<ref>{{뉴스 인용|제목=손담비, 7월 음원 톱20 멀티히트 가수 '유일'|url=http://star.mt.co.kr/view/stview.php?no=2010080215133583882&type=1&outlink=1|출판사=머니투데이|저자=김관명 기자|날짜=2010-08-02|확인날짜=}}</ref> 이렇게 초반에는 좋은 출발을 했지만, 얼마 안 되어 "queen"의 MR을 제거한 영상이 올라오면서 처음으로 가창력 논란이 일어났다.<ref name="아츠">{{뉴스 인용|제목='표절논란' 손담비 '퀸(Queen)' MR제거, 무엇이 문제일까?|url=http://www.artsnews.co.kr/news/89424|출판사=아츠뉴스|저자=박진영 기자|날짜=2010-07-12}}</ref> 또한 "queen"의 뮤직비디오 일부분이 미국 드라마 《엘리스》의 장면과 매우 흡사하다는 표절논란을 빚어 소속사는 논란이 된 장면들을 모두 삭제키로 결정했다.<ref>{{뉴스 인용|제목=손담비, 뮤비 표절 논란 일부 장면 삭제|url=http://www.todaykorea.co.kr/news/articleView.html?idxno=116279|출판사=투데이코리아|저자=김민철 기자|날짜=2010-07-12}}{{깨진 링크|url=http://www.todaykorea.co.kr/news/articleView.html?idxno=116279 }}</ref> 2010년 8월, 손담비는 타이틀곡 활동을 마무리했다.<ref>{{뉴스 인용|제목=손담비 ‘퀸’ 활동 끝 ‘잠시만 안녕’ 모두다 이뤄졌나?|url=http://www.newsen.com/news_view.php?uid=201008201835291002|출판사=뉴스엔|저자=이언혁 기자|날짜=2010-08-20}}</ref> 이후 후속곡인 "[[dB Rider]]"로 9월부터 10월 초까지 활발하게 활동했지만, 크게 히트치지는 못했다.<ref>{{뉴스 인용|제목=‘라이더 변신’ 손담비, 파워풀한 섹시美 돋보인 후속곡 첫 무대 |url=http://www.mydaily.co.kr/news/read.html?newsid=201009171909341131&ext=na|출판사=마이데일리|저자=강선애 기자|날짜=2010-09-17|확인날짜=2010-10-12}}</ref>
         한편, 손담비가 무대에서 특유의 표정을 지어 '업신담비'로 불리며 인터넷상에서 큰 화제가 되었다.<ref>{{뉴스 인용|제목= 손담비 업신 표정 화제 "니가?" … 본인도 쿨하게 인증|url=http://www.hkn24.com/news/articleView.html?idxno=57743|출판사=이슈프리즘 깜뉴스|저자=인터넷뉴스팀|날짜=2010-10-16|확인날짜=2010-12-22}}</ref> 2010년 10월부터는 MBC의 새 예능 프로그램 《여우의 집사》에 출연하기도 했지만, 저조한 시청률로 인해 방영된지 2개월만에 폐지되었다.<ref>{{뉴스 인용|제목 = 여우의 집사 폐지…불과 2개월만, 잘나가던 뉴스후 폐지하더니|url = http://www.newsprime.co.kr/news/articleView.html?idxno=177604|출판사 = 프라임 경제|날짜 = 2010-12-17|확인날짜 = 2010-12-29|보존url = https://web.archive.org/web/20140729055321/http://www.newsprime.co.kr/news/articleView.html?idxno=177604#|보존날짜 = 2014-07-29|깨진링크 = 예}}</ref> 한편 손담비는 대만에서 큰 인기를 얻었는데, 〈미쳤어〉와 《드림》의 인기로 '2010 [V] CHINESE TOP 연도 시상식 콘서트'에서 아시아 최고 아티스트상을 수상했다.<ref name="대만">{{뉴스 인용|제목=‘섹시 퀸’ 손담비, 대만진출 나선다|url=http://news.donga.com/3//20110117/33997010/1|출판사=donga.com|저자=김원겸 기자|날짜=2011-01-17|확인날짜=2011-01-17|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140728204248/http://news.donga.com/3//20110117/33997010/1|보존날짜=2014-07-28|깨진링크=예}}</ref> EP 음반 ''The Queen''역시 대만에서 음반 차트 등 각종 차트 정상을 차지했다.<ref name="대만"/> 한편, 2011년 1월에 제20회 서울가요대상에서 본상을 수상하며 3년연속 본상을 수상받았다.<ref name="20회 서가대">{{뉴스 인용|제목=손담비, '서울가요대상' 3년 연속 본상 수상|url=http://www.newsway.kr/news/articleView.html?idxno=101847|출판사=뉴스웨이|저자=최가람 기자|날짜=2011-01-21|확인날짜=2011-01-21}}</ref> 이어 아시아모델시상식에서도 BBF 인기가수상을 수상했다.<ref name="BBF">{{뉴스 인용|제목=권상우ㆍ소녀시대ㆍ옌청쉬, '아시아 스타상'|url=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6&oid=001&aid=0004878908|출판사=네이버뉴스|저자=연합뉴스 임은진 기자|날짜=2011-01-21|확인날짜=2011-01-22}}</ref> 2011년 5월부터는 피겨스케이팅 예능 프로그램 《[[김연아의 키스 & 크라이]]》에 출연했고, TOP4에 진출했다.<ref>[http://wizard2.sbs.co.kr/w3/template/tpl_freetype.jsp?vVodId=V0000349432&vProgId=1000708&vMenuId=1014807 김연아의 키스앤크라이 출연진 및 MC 소개] 《[[SBS]]》. 2011-05-21 확인.</ref> 2011년 11월부터는 MBC의 드라마 《빛과 그림자》에서 가수 유채영 역으로 출연했고, 미디엄 템포 장르의 드라마 OST "Everything"을 불렀다.<ref>{{뉴스 인용|제목=손담비, ‘빛과 그림자’ OST 참여 ‘호소력 짙은 목소리 뽐내’|url=http://artsnews.mk.co.kr/news/188777|출판사=아츠뉴스|저자=김세영|날짜=2012-01-04|확인날짜=2012-01-05}}</ref> 《빛과 그림자》는 동시간대 드라마 시청률 1위를 유지했고, 손담비는 연기력을 인정받았다.<ref>{{뉴스 인용|제목='발연기'한다던 손담비, 어느덧 '배우'가 됐다|url=http://news.sportsseoul.com/read/entertain/1047784.htm|출판사=[[스포츠서울]]|저자=오영경|날짜=2012-06-12|확인날짜=2012-06-18|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120616025258/http://news.sportsseoul.com/read/entertain/1047784.htm#|보존날짜=2012-06-16|깨진링크=예}}</ref> 2011년 12월 1일에는 [[애프터스쿨]]과 함께 해피 플레디스 2012 시리즈인 ''[[Happy Pledis 2012 'Love Letter']]''를 발매했고, 수익금 일부를 [[유니세프]]의 "아우인형" 프로젝트에 기부했다.<ref>[http://music.naver.com/album/index.nhn?albumId=304689 네이버 뮤직 - Happy Pledis 2012 `Love Letter`] 《네이버》. 2012-01-05 확인.</ref> 2012년 8월, 《빛과 그림자》가 종영되었고, 손담비는 가수로서 컴백을 준비했다.<ref>{{뉴스 인용|제목=손담비, 런던올림픽과 한판|url=http://sports.donga.com/3/all/20120612/46956635/3|출판사=[[스포츠동아]]|저자=김원겸|날짜=2012-06-13|확인날짜=2012-06-18}}</ref>
         또한 데뷔 초부터 [[문지은]], [[선하]], 제이제이와 함께 "포스트 이효리"라는 호칭을 얻으며 활동했다.<ref>{{뉴스 인용|제목=손담비·선하·제이제이..'제2의 효리' 경쟁 뜨겁다|url=http://star.mt.co.kr/view/stview.php?no=2008012909051465296&type=1&outlink=1|출판사=머니투데이|저자=김원겸 기자|날짜=2008-01-29|확인날짜=2010-11-05}}</ref> 하지만 2008년 말 〈미쳤어〉로 히트를 치며 앞에 세 여가수중 유일하게 인기를 얻은 가수가 되었다. 특히 〈미쳤어〉의 안무인 의자 춤은 손담비를 스타로 만드는데 큰 도움을 줬다.<ref>{{뉴스 인용|제목='스타탄생' 손담비의 전략은 바로 이것!|url=http://www.asiae.co.kr/news/view.htm?idxno=2009010523482489834&nvr=y|출판사=아시아경제|저자=환횽희 연애패트롤|날짜=2009-01-21|확인날짜=2010-11-05}}</ref> 연이어 2008년 정규 1집 타이틀곡 〈토요일 밤에〉 역시 크게 히트하며 국내 최고의 여자 가수로 자리매김했다.<ref name="Mini 2"/> 이때부터 본격적인 포스트 이효리로 불리기 시작했고, [[이효리]] 역시 "손담비, 서인영, 아이비 까지는 기사에서 자신과 붙여 놔도 괜찮다"며 인터뷰중 손담비의 존재감을 인정하기도 했다.<ref>{{뉴스 인용|제목=`이효리 대항마` 손담비-서인영은 언제컴백?|url=http://star.mk.co.kr/new/view.php?mc=ST&year=2010&no=190546|출판사=스타투데이|저자=이현우 기자|날짜=2010-04-14|확인날짜=2010-11-07}}</ref> 하지만 손담비는 이효리와 라이벌 구도에 대해 "라이벌로 생각해 본 적 없다. 이효리의 내공을 따라갈 수 없다"라며 말하기도 했다.<ref name=Bi2>{{뉴스 인용|제목=손담비, “이효리와 라이벌? 내공 따라갈 수 없어”|url=http://www.reviewstar.net/news/articleView.html?idxno=240362|출판사=리뷰스타|저자=홍샘 기자|날짜=2010-09-05|확인날짜=2010-10-12}}{{깨진 링크|url=http://www.reviewstar.net/news/articleView.html?idxno=240362 }}</ref>
         손담비는 연습생 시절, 비의 어록들을 연습실에 붙여놓고 활동했다고 한다. 또한 "퍼포먼스 할 때 동작 하나하나가 느껴진다. 어떤 걸 표현하는지를 제대로 보여준다. 과감한 몸짓, 사람을 빨아들일 듯한 표정 등 많은 부분에서 닮고 싶다"고 말하며 [[비욘세 놀스]]를 존경한다고 밝혔다.<ref>{{뉴스 인용|제목=손담비 "비 어록, 연습실에 붙여놨다"|출판사=조이뉴스24|url=http://joynews.inews24.com/php/news_view.php?g_menu=700100&g_serial=268832|저자=박재덕|날짜=2007-06-27 |확인날짜=2011-02-01}}</ref> 또한 손담비는 "배우의 색깔과 가수의 색깔이 공존하는 분이다. 배우로서도 훌륭하고 가수로서도 뛰어난 역량을 발휘하는 스타라고 생각한다. 나 역시 그렇게 되고 싶다"며 [[엄정화]]를 롤모델로 꼽았다.<ref>{{뉴스 인용|제목=손담비, 원래 배우가 꿈, 연기 욕심 많다|출판사=뉴스엔|날짜= 2009-04-17 |url=http://www.newsen.com/news_view.php?uid=200904161748501002}}</ref> 이 외에 [[김완선]]과 [[마돈나]]에게 영향을 받았다.<ref>{{뉴스 인용|제목=손담비 “토요일밤에? 집에서 혼자 춤춰요”(인터뷰①)
         |url=http://www.newsen.com/news_view.php?uid=200904161636281002|출판사=뉴스엔|저자=윤현진|날짜=2009-04-17|확인날짜=2011-08-13}}</ref><ref>{{뉴스 인용|제목=손담비, 새 앨범 컨셉트는 '김완선+마돈나'|url=http://news.sportsseoul.com/read/entertain/676958.htm?imgPath=entertain/broad/2009/0325/|출판사=스포츠서울닷컴|저자=김상호|날짜=2009-03-25|확인날짜=2011-08-13}}{{깨진 링크|url=http://news.sportsseoul.com/read/entertain/676958.htm?imgPath=entertain%2Fbroad%2F2009%2F0325%2F }}</ref>
         손담비는 가수와 배우로 활동하면서 많은 상을 받았다. [[서울가요대상]]에서는 2009년,<ref>{{뉴스 인용|제목=손담비 서울가요대상 본상 수상 ‘미쳤어’ 열풍 과시|url=http://www.newsen.com/news_view.php?uid=200902121717531002|출판사=뉴스엔|저자=지형준|날짜=2009-02-12|확인날짜=2014-05-15}}</ref> 2010년,<ref>{{뉴스 인용|제목=아이돌, 그들을 위한 잔치! 서울가요대상 이변은 없었다(종합)|url=http://www.newsen.com/news_view.php?uid=201002032026191002|출판사=뉴스엔|저자=이언혁|날짜=2010-02-03|확인날짜=2014-05-15}}</ref> 2011년에 이은 3년 연속으로 본상을 받았다.<ref>{{뉴스 인용|제목=손담비 3년 연속 본상 수상… “내겐 너무 특별한 상”|url=http://sstv.hankyung.com/?c=news&m=v&nid=98214|출판사=뉴스엔|저자=양나래|날짜=2011-01-20|확인날짜=2014-05-15|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140517130014/http://sstv.hankyung.com/?c=news&m=v&nid=98214#|보존날짜=2014-05-17|깨진링크=예}}</ref> 2009년에는 제24회 [[골든디스크상]]에서 디지털음원부문 본상을 받았다.<ref>{{뉴스 인용|제목=‘골든디스크 본상’ 손담비 “이렇게 큰 무대에서 큰 상을 받다니…”|url=http://bntnews.hankyung.com/apps/news?popup=0&nid=04&c1=04&c2=04&c3=00&nkey=200912102051543&mode=sub_view|출판사=한경닷컴 bnt뉴스|저자=박영주|날짜=2009-12-10|확인날짜=2014-05-15}}</ref> 2009 [[SBS 연기대상]]에서는 《[[드림 (드라마)|드림]]》으로 뉴스타상을 받았으며,<ref>{{뉴스 인용|제목=손담비-김범-이민정 등 12명, SBS 연기대상 뉴스타상|url=http://osen.mt.co.kr/article/G0912310257|출판사=OSEN|저자=봉준영|날짜=2009-12-31|확인날짜=2014-05-15}}</ref> 2012년에는 《빛과 그림자》로 [[MBC 연기대상]] 특별기획 우수상,<ref>{{뉴스 인용|제목=손담비 MBC 연기대상 ‘우수상’ 수상, “숟가락 얹은 것 뿐”|url=http://www.newdaily.co.kr/news/article.html?no=136379|출판사=뉴데일리|저자=신성아|날짜=2012-12-31|확인날짜=2014-05-15}}</ref> [[대한민국 문화연예대상]] 신인상을 받았다.<ref>{{뉴스 인용|제목=손담비, 대한민국문화연예대상 신인상 수상...인증샷 공개|url=http://osen.mt.co.kr/article/G1109511163|출판사=OSEN|저자=정유진|날짜=2012-12-06|확인날짜=2014-05-15}}</ref> 배우, 가수 이외에도 예능 프로그램 《[[우리 결혼했어요]]》를 통해 2008 [[MBC 방송연예대상]]에서 특별상 베스트 브랜드상을 받았다.<ref name="2008MBC">{{웹 인용|url=http://www.imbc.com/broad/tv/ent/event/2008entertain/awards/|제목=2008 MBC 방송연예대상 수상자 목록|출판사=[[MBC]]|웹사이트=[[MBC 방송연예대상]]|확인날짜=2011-02-16}}</ref>
         2009년 데뷔한 [[NS윤지]]는 비슷한 장르와 외모때문에 제2의 손담비라고 불리기도 했는데, NS윤지는 직접 "더 많이 노력해 무대를 압도하는 카리스마나 연기력 등을 배우고 싶다"고 말했고,<ref>{{뉴스 인용|제목=NS윤지 "제2의 손담비? 다양한 모습 보여드릴게요"(인터뷰)|url=http://joynews.inews24.com/php/news_view.php?g_menu=700100&g_serial=495794|출판사=조이뉴스24|저자=박재덕|날짜=2010-06-02|확인날짜=2011-08-13}}</ref> 프로듀싱을 맡은 [[용감한 형제]]는 "프로듀서로서 제2의 손담비, 차세대 섹시디바로 만들 수 있겠다는 자신감을 갖게 만든 가수이다"라고 했다.<ref>{{뉴스 인용|제목=용감한형제, ‘제2의 손담비’로 NS윤지 찜!|url=http://www.eto.co.kr/news/outview.asp?Code=20101020181020513&ts=163735|출판사=경제투데이|저자=심재걸|날짜=2010-10-20|확인날짜=2011-08-13|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140808194946/http://www.eto.co.kr/news/outview.asp?Code=20101020181020513&ts=163735#|보존날짜=2014-08-08|깨진링크=예}}</ref> 같은 플레디스 소속이었던 [[헬로비너스]]는 "저희 롤 모델은 손담비 선배님이에요. 일본 등 해외 활동도 하고 계시고, 무대 위에서 카리스마와 퍼포먼스가 정말 멋지세요. 선배님들의 장점만을 모아 저희 것으로 만들고 싶어요"라며 롤모델로 꼽았다.<ref>{{뉴스 인용|제목=헬로비너스 “머리가 불에 타도 족발이 먼저!”…신개념 ‘털털 아이돌’ 등장|url=http://news.donga.com/3/all/20120615/47030992/2|출판사=[[동아닷컴]]|저자=박영욱, 오세훈|날짜=2012-06-15|확인날짜=2012-06-15}}</ref>
         {{col-begin}}
         * 2008: 《[[Mini Album Vol.1]]》
         * 2008: 《[[Mini Album Vol.2]]》
  • Victoria II/기술 및 발명 목록/상업 . . . . 39회 일치
         == Financial Institution(금융 기관) ==
          * Multitude of Financial Instruments(많은 양의 금융 기관)
          * Insurance Companies(보험 회사)
          * Regulated Buying and Selling of Stocks(통제되는 주식 거래)
         === Business Banks(상업 은행) ===
          * Capital of Investors(투자자의 자금)
         === Investment Banks(투자 은행) ===
          * Industrial R&D Investments(산업 R&D 투자)
          * Industrial Production Investments(산업 생산 투자)
          * Industrial Distribution Investments(산업 분배 투자)
         === Bank Inspection Board(은행 검사판) ===
          * Private Bank Monitoring(개인 은행 감시)
          * Market Behaviour Monitoring(시장 행동 감시)
          * Buying on Margin(신용매입)
         === Ad-Hoc Money Bill Printing(급조된 지폐 인쇄) ===
         === Private Bank Money Bill Printing(개인 은행 지폐 인쇄) ===
          * Fixed Intramonetary Exchange Rates
         === Central Bank Money Bill Printing(중앙 은행 지폐 인쇄) ===
          * International Monetary Exchange Rates(국제 통화 환율)
          * Interest-Inflation Weapon
  • 김연경(배구선수) . . . . 38회 일치
         [include(틀:다른 뜻1, other1=이름이 비슷한 배구선수 김연'견', rd1=김연견, other2=프로듀스 101 출연자, rd2=김연경(1996))]
         [include(틀:상위 문서3, top1=배구, top2=배구 관련 인물, top3=장신/목록)]
         [include(틀:관련 문서3, top1=인천 흥국생명 핑크스파이더스, top2=소녀가장, top3=보이시)]
         ||<:> '''SNS''' || [[https://www.instagram.com/kimyk10/|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png|width=20]]]] ||
         [include(틀:V-리그 10주년 올스타)]
         >"Kim Yeon-Koung is something special. I have never seen anything like that in my 20 years in volleyball."
         이상형은 조인성으로 키가 크고, 잘생긴 남자를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6/08/26/0200000000AKR20160826115500033.HTML|좋아한다.]] --싫어할 여자가 있을까?--
         안산서초등학교 4학년 때부터 배구선수였던 큰언니를 따라 배구를 시작했다. 이후 원곡중학교에 진학했는데, 중학교 3학년이 될 때까지 170cm도 되지 않을 정도로 키가 자라지 않아[* 사실 16살이 160 후반대면 꽤 큰 키에 속하지만 배구선수에게는 작아도 정말 작은 키이다.] 벤치 멤버를 전전했다. 출전할 때도 센터나 리베로 포지션을 담당했다. 본인은 이때 배구를 그만두려 했지만 부모님과 선생님의 만류로 그만두지 않고, 오히려 독하게 훈련을 하기 시작한다. 늦어도 새벽 5시에 일어나 운동장을 뛰는 것으로 하루 일과를 시작했으며, 11시가 되어서야 운동을 끝내고 귀가하였고, 잘 때조차 공을 안고 잘 정도였다고 한다. [* 이때 익힌 기본기들이 이후에도 큰 도움이 되었다고 한다. 장신 공격수임에도 불구하고 리시브와 토스가 안정적인 이유가 이때 익힌 기본기의 산실이다.] 이후 한일전산여고로 진학하는데, 고등학교 3년 동안 기적적으로 키가 20cm나 자라면서 공격수로 포지션을 옮기게 되고[* 키가 갑자기 자란 이유에 대해서 김연경은 방송에서 [[콩나물]]을 비롯해서 많이 먹었다고 답했다.[[http://entertain.naver.com/read?oid=311&aid=0000147257|기사]].], 초고교급 선수로 각광을 받게 된다. 처음 성인 국가대표팀에 선발된 것도 고등학교 3학년 때인 2005년이었다.
         또한 특유의 밝고 긍정적이며 승부욕 넘치는 성격은 어렸을 때부터 여전하다고.[* 특히 김연경의 개그본능은 배구팬들 사이에서 데뷔 초부터 유명했다. 그 덕에 각종 예능에 출연해 놀라운 예능감을 뽐내며 큰 웃음을 선사하기도 한다. V리그에서 활동하던 시절 스페셜v와 같은 프로그램에서는 MC를 자처하기도 했다. 덕분에 [[https://m.youtube.com/watch?v=pw-uQS7Ew7s|전]]보다 mc보는 실력이 [[https://m.youtube.com/watch?v=GjDlhxjaYJQ| 늘었다]]. ~~배구선수인데 왜?~~] ~~그 승부욕 때문에 피자 6조각 겹쳐 먹었다가 병원 실려간 건 안 비밀..~~ 더 궁금하다면 [[https://news.joins.com/article/3982719 |링크]]를 참고하자.
         페네르바흐체에서의 첫 시즌인 2011-12시즌의 활약은 아래와 같이 요약 가능. [[http://sports.media.daum.net/volleyball/news/breaking/view.html?cateid=100033&newsid=20120326081105330&p=xportsnews|#]]
         그리고 종료 후 아제르바이잔 리그, 중국 리그 등 타국 리그의 팀에서 연 20억을[* 세계배구계에서는 사실상 최고 연봉 금액이다. 야구, 축구, 농구 등 리그 풀이 큰 리그의 고액연봉자에 비해서는 분명 많은 편은 아니지만. 참고로 [[안산 OK저축은행 러시앤캐시]]의 [[로베르틀란디 시몬 아티스|로베르틀란디 시몬]]의 연봉이 이 정도다.] 제시하는 등 적극적인 구애 속에서도 거취 문제 당시 도와줬던 것을 잊지 않고 페네르바흐체와 2년 재계약에 합의했다.[[http://m.sports.naver.com/general/news/read.nhn?oid=108&aid=0002300250|관련 기사 1]][[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004&oid=366&aid=0000247757|관련 기사 2]]
         그런데 김연경의 임대 계약이 체결된 시점에서 KOVO 규정상 국외의 구단에 임대 계약시 선수 신분에 대한 조항 자체가 없었기 때문에 양측 모두 할 말이 있다.[* [[http://www.kovo.co.kr/info/museum/kovosystem_004.asp|한국배구연맹 선수등록 규정집]]에 따르면 '해외임대 선수의 국내 리그 복귀는 시한의 제한 없이 국내 원 소속 구단으로만 복귀가 가능하며 복귀 시점부터 소속팀의 당해 시즌 예상 잔여경기(정규 리그 및 포스트 시즌 진출시 해당 경기 포함)의 25% 이상에 참여할 경우 FA 선수 자격 취득 연수(年數)에 산입한다' 라고 나와있는데 이 조항은 2010년 8월 28일 개정되었으며 김연경은 소급 적용의 대상이 아니다. 또한 이 3항 위의 1, 2항에 해외임대선수가 선수 정원과 샐러리캡에 명시되어있는 이상 이 조항으로 해외 임대 선수의 국내 FA 선수 자격 취득 연수 여부를 가리는 데도 문제의 소지가 있다.]
         그리고 '''FIVB가 흥국생명의 편을 들어주고 말았다'''. [[인천 흥국생명 핑크스파이더스|흥국생명]]-김연경 간의 합의서를 뒤늦게 알고 [[인천 흥국생명 핑크스파이더스|흥국생명]]의 손을 들어줬다는데 문제는 그 합의서는 FIVB의 유권해석이 나오기 전까지는 절대로 유출하지 않기로 했던 문서이다.[* 합의서 내용은 김연경에게 불리한 조항 투성이. 단, 마지막에 양 측은 FIVB의 결정에 따른다는 조항이 있었다. 김연경측은 그걸 노린 듯.] 이를 안 김연경 측은 선수 은퇴도 불사하겠다는 강경한 입장을 보였다.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7&oid=076&aid=0002268707|#]] ~~농담이 아니라 제대로 선수 생활하려면 이젠 해외로 귀화하는 것밖에 답이 없다~~[* 소속 팀의 문제라 귀화한다고 해결될 문제가 아니다.] 현재 네티즌 여론도 귀화를 바랐다. 그러나 김연경 자신은 귀화는 절대로 하지 않는다고 이야기했다. 결국 이렇게 되자 김연경은 최후의 수단으로 국제스포츠중재재판소에 제소를 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이런 가운데 2012년 [[국정감사]] 때 '김연경 사태' 가 이슈로 떠오르며[* 국정감사가 있기 전부터 김연경의 팬들이 중심이 되어 SNS를 통해 정치권에 구명 활동을 벌여줄 것을 촉구했다. 이에 새누리당과 민주당이 화답을 하면서 불씨를 지폈다.] 정치권이 개입하기 시작했다. 2012년 10월 19일 김연경은 국회 정론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국제이적동의서를 발급해줄 것을 호소했으며([[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7&oid=008&aid=0002931824|기사 1]],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7&oid=076&aid=0002271983|기사 2]]) 이 날 국회 문방위원회가 주재한 국정감사 정책질의에서 민주당 최재천 의원 등이 [[박용성]] 대한체육회장에게[* 이 날 감사는 대한체육회를 포함한 5개 기관을 대상으로 진행되었으며 ~~대통령 하고 싶다고 나대신~~ 대한배구협회장 임태희는 출석하지 않았다.] 국제이적동의서 발급 및 FA 규정 개정을 촉구하였다. [[http://www.wikitree.co.kr/main/news_view.php?id=89937|#]] 사태가 커지자 결국 2012년 10월 22일 [[대한배구협회]]는 김연경에게 1년 기한의 국제이적동의서를 발급할 것을 결정했다.
         결국 7월 15일 긴급 기자회견을 연 자리에서 7월 25일까지 '자신의 요구가 수용되지 않으면 '''국가대표팀 은퇴도 불사하겠다'''' 는 초강수 배수진을 쳤다. [[http://news.naver.com/main/ranking/read.nhn?mid=etc&sid1=111&rankingType=popular_day&oid=018&aid=0002811844&date=20130715&type=1&rankingSectionId=107&rankingSeq=1|#]] 사실상 선수로서 최후의 카드를 꺼내든 셈이라 팬들은 말 그대로 복창이 뒤집어질 지경. 그리고 흥국생명은 가루가 나노분자로 분해되도록 까였다. 그런데 ~~기레기~~[[기자(직업)|기자]]들은 오히려 노골적으로 [[http://sports.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basketball&ctg=news&mod=read&office_id=382&article_id=0000116936|김연경을]] [[http://sports.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basketball&ctg=news&mod=read&office_id=073&article_id=0002288125|깠다]]. 그것도 모자라서 [[http://sports.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basketball&ctg=news&mod=read&office_id=410&article_id=0000087546|김연경보고 귀화하라고 하는 팬들을 싸그리 디스하며 하등 쓸모없는 애국심만 들먹였다]]. 이런 와중에도 흥국생명은 아직도 정신 못 차리고 [[http://sports.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basketball&ctg=news&mod=read&office_id=079&article_id=0002491478|언플이나 하면서]] 자신들의 멘탈이 쓰레기임을 스스로 증명했다. 이쯤 되면 정말로 [[답이 없다]].
         2013년 9월10일 FIVB에서 사실상 김연경에 대한 최종 결정을 내렸다. 2013-2014 시즌까지는 [[인천 흥국생명 핑크스파이더스|흥국생명]] 소속이고, [[페네르바체 여자 배구|페네르바체]]에선 상한선 22만 8,750 유로의 이적료를 지불해야 하며, [[인천 흥국생명 핑크스파이더스|흥국생명]]은 그 이후 김연경의 행보를 막을 수 없다고 결정지었다. 또한 김연경이 2013~2014시즌 이후 [[인천 흥국생명 핑크스파이더스|흥국생명]]과 계약을 맺지 않을 경우 다음 시즌은 원 소속 구단이 없어진다고 판정했다. [[http://sports.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volleyball&ctg=news&mod=read&office_id=422&article_id=0000026629|참조]].
         2014년 2월 7일 [[http://sports.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basketball&ctg=news&mod=read&office_id=073&article_id=0002383344|국제배구연맹(FIVB)이 김연경이 자유의 몸이 되었음을 인정했다는 보도가 나왔다]].
         추가적으로 김연경 이적 파동과 직접 당사자였던 [[인천 흥국생명 핑크스파이더스|흥국생명]] 구단, [[대한배구협회]], [[한국배구연맹]]의 각자의 이해관계 때문에 얽히고설켜 삽질을 했다는 내용이 밝혀졌다. 박상설 KOVO 前 사무총장이 기금전용 문제로 궁지에 몰려 있었고, 대한배구협회 임태희 회장은 김연경 이적 파동이 생기려고 하던 시점에 공석이었던 KOVO 총재 자리에 눈독을 들이며 물밑 작업을 시도했었다. 여기에 [[인천 흥국생명 핑크스파이더스|흥국생명]]이 국제이적동의서(ITC) 발급주최인 [[대한배구협회]]에 떡밥을 던졌고, [[인천 흥국생명 핑크스파이더스|흥국생명]] 권광영 단장은 당시 KOVO 총재 추대위원회에 속해있어 KOVO 총재에 눈독을 들이던 임태희 회장의 [[대한배구협회]]와 이해관계가 맞아 떨어졌다. 또한 [[인천 흥국생명 핑크스파이더스|흥국생명]]은 온갖 비리혐의로 궁지에 몰려 있던 박상설 총장에게도 추파를 던져 박 총장에 대한 연임 지지를 약속하며 김연경의 해외진출건을 KOVO 이사회 차원에서 막아달라는 ‘딜’을 성사시켰다. 이후에 임태희 회장이 새누리당 18대 대선후보 경선 출마를 하고, [[대한배구협회]] 전무이사의 ITC 발급 불가에 대해 SNS 구명활동에 응하는 엉뚱한 짓으로 우왕좌왕하며 망신을 자초했다. [[http://m.mk.co.kr/entertain/home/2014/213724|해당기사]]
         [[2012 런던 올림픽]]에서도 역시 맹활약했다. 조별리그-8강전 6경기 동안 평균 27.5점을 거두며 세계 최고의 공격력을 보였다. 게다가 김연경이 막힐 때마다 [[한송이(배구)|한송이]], [[김희진(배구선수)|김희진]], [[양효진]] 등이 10점 중후반 대의 점수를 올려주면서 ''''김연경과 아이들'''' 이나 다름없는 여자배구 국대팀을 밸런스를 갖춘 단단한 팀으로 만들어갔다. 결국 2012년 8월 7일(현지시각) [[이탈리아]] 전에서 3-1로 이기며 [[1976 몬트리올 올림픽]] 이후 36년 만에 여자배구 국대팀을 4강에 진출시켰다. 하지만 4강전에서 [[미국]]에게 지고 3, 4위전에서 과거 '김연경과 아이들' 시절의 경기력으로 회귀해 버리는 바람에[* [[양효진]]과 [[한송이(배구)|한송이]]는 체력이 떨어져서, [[김희진(배구선수)|김희진]]은 경험이 부족해서 고전했다.] 올림픽 4위로 마감하는 것에 만족했다. 그리고 '''2위와 40점차'''로 [[http://www.london2012.com/volleyball/event/women/statistics/type=player-scorers/index.html|득점 1위]].
          * [[KBO 리그]] [[두산 베어스]]의 팬이라고 한다. [[http://gall.dcinside.com/list.php?id=doosanbears_new&no=626915|#]] 사실 흥국생명의 왕언니 세터 이영주의 남편이 前 [[두산 베어스]] 투수 [[이재우]][* 현재는 [[한화 이글스]] 소속이다.]다. 이영주의 은퇴 전에 쉬는 기간에 후배들을 데리고 두산 경기 단체관람을 가는 등 얼마 전까지 교류가 꽤 있었다.
  • 스틸오션/독일 . . . . 38회 일치
         ||<bgcolor=#cccccc> '''소나 범위''' || 3,013 m ||<bgcolor=#cccccc> '''소나 빈도''' || 5.36 f/min ||
         ||<bgcolor=#cccccc> '''얕은 잠항''' || 0.58 %/min ||<bgcolor=#cccccc> '''깊은 잠항''' || 0.87 %/min ||
         ||<bgcolor=#cccccc> '''소나 범위''' || 3,160 m ||<bgcolor=#cccccc> '''소나 빈도''' || 5.66 f/min ||
         ||<bgcolor=#cccccc> '''얕은 잠항''' || 0.54 %/min ||<bgcolor=#cccccc> '''깊은 잠항''' || 0.82 %/min ||
         >7형(Type VII)의 기본 시험형이었던 7A형(Type VIIA)은 독일 해군의 공격 잠수함으로 활동했다. 제1차 세계대전 당시 3형에 기술적 기반을 둔 VIIA형 유보트는 1933년 설계되었다. 7형은 뛰어난 성능과 빠른 잠항 속도를 자랑했다. 모두 합쳐 11대의 7A형 잠수함이 건조되었다. 이중에는 대서양 해전의 첫 희생양인 여객선 아테나(Athena)를 격침시킨 U-30도 있었다. 제2차 세계대전 당시, U-32는 배수량 42,348톤 정기선 엠프리스 오브 브리튼(Empress of Britain)을 격침시켰다. 제 2차 세계대전에서 손실된 7A형 잠수함은 U-29와 U-30 단 두척이었다. 살아남은 7A형 잠수함은 모두 자침되었다.
         ||<bgcolor=#cccccc> '''소나 범위''' || 3,328 m ||<bgcolor=#cccccc> '''소나 빈도''' || 6.04 f/min ||
         ||<bgcolor=#cccccc> '''얕은 잠항''' || 0.54 %/min ||<bgcolor=#cccccc> '''깊은 잠항''' || 0.82 %/min ||
         ||<bgcolor=#cccccc> '''소나 범위''' || 3,461 m ||<bgcolor=#cccccc> '''소나 빈도''' || 6.28 f/min ||
         ||<bgcolor=#cccccc> '''얕은 잠항''' || 0.52 %/min ||<bgcolor=#cccccc> '''깊은 잠항''' || 0.8 %/min ||
         ||<bgcolor=#cccccc> '''소나 범위''' || 3,600 m ||<bgcolor=#cccccc> '''소나 빈도''' || 6.53 f/min ||
         ||<bgcolor=#cccccc> '''얕은 잠항''' || 0.5 %/min ||<bgcolor=#cccccc> '''깊은 잠항''' || 0.77 %/min ||
         ||<bgcolor=#cccccc> '''소나 범위''' || 3,744 m ||<bgcolor=#cccccc> '''소나 빈도''' || 6.79 f/min ||
         ||<bgcolor=#cccccc> '''얕은 잠항''' || 0.47 %/min ||<bgcolor=#cccccc> '''깊은 잠항''' || 0.73 %/min ||
         ||<bgcolor=#cccccc> '''소나 범위''' || 3,894 m ||<bgcolor=#cccccc> '''소나 빈도''' || 7.07 f/min ||
         ||<bgcolor=#cccccc> '''얕은 잠항''' || 0.49 %/min ||<bgcolor=#cccccc> '''깊은 잠항''' || 0.75 %/min ||
         ||<bgcolor=#cccccc> '''소나 범위''' || 4,211 m ||<bgcolor=#cccccc> '''소나 빈도''' || 7.64 f/min ||
         ||<bgcolor=#cccccc> '''얕은 잠항''' || 0.45 %/min ||<bgcolor=#cccccc> '''깊은 잠항''' || 0.71 %/min ||
         ||<bgcolor=#cccccc> '''소나 범위''' || 4,363 m ||<bgcolor=#cccccc> '''소나 빈도''' || 5.16 f/min ||
         ||<bgcolor=#cccccc> '''소나 범위''' || 4,450 m ||<bgcolor=#cccccc> '''소나 빈도''' || 5.32 f/min ||
         ||<bgcolor=#cccccc> '''소나 범위''' || 4,539 m ||<bgcolor=#cccccc> '''소나 빈도''' || 5.48 f/min ||
  • 표창원 . . . . 38회 일치
         [[대한민국]]의 [[형사]] 출신[* 1989년 임용.] 경찰학자[* 프로파일러, 범죄심리학자로 흔히 알려져있으나 일선에서 범죄심리분석관으로 근무한 적은 없다. 주 전공은 사회학이고 그걸로 학위를 받은 [[경찰학]] [[박사]]이다. 실제 일선에서 근무했던 범죄심리분석관들의 여러 인터뷰에서도 범죄학자이지 프로파일러는 아니라고 하고 있다. 그의 주 전공은 경찰학이다. "Doctor of Philosophy in Police Studies in the Faculty of Social Studies" [[RISS]]에서 검색하는 내용을 봐도 경찰학 전문가가 맞으며 표창원이 낸 교양책을 봐도 경찰학 중심이다.], 정치인.
         이때 표창원 옆에서 바라본 당시 대한민국 경찰 수사라는 것은 엉망진창이었다.[* 영화 [[살인의 추억]]에서는 치밀한 범인의 완전범죄로 묘사되지만 실제로는 범인이 피고 버린 담배부터 해서 증거가 차고 넘쳤다. 다만 당시 대한민국의 과학수사 수준이 영...(..)] 결국 사건이 미제로 남게되자 패배감을 느꼈고, 당시 대한민국에는 전문적으로 학문을 배울때가 마땅치 않아 유학을 선택했다. 이후 1993년 국비장학생으로 [[영국]] 엑서터 대학교로 유학을 떠나서 경찰학을 수학해 1997년까지 사회학 석사학위와 박사학위를 땄다. 범죄학이 아니다! 애초 엑서터 대학에는 경찰 및 범죄관련 석박사 과정이 없고 학사만 있다.[* 2015년 기준 [[http://www.exeter.ac.uk/undergraduate/degrees/sociology/criminologybsc/|학부과정]]은 개설되어 있긴 하다. 그러나 박사과정은 여전히 사회학만 [[http://www.exeter.ac.uk/postgraduate/research-degrees/sociology/mphil-phd_sociology/|개설되어 있다.]]] 다만 박사의 학위논문의 주제는 확실히 경찰과 관련이 있다.
         박사학위청구논문의[* 'The police and crimewatch UK : a study of the police use of crime reconstruction and witness appeal programmes in Britain'] 주제만 놓고 보면 봤을 때, 표창원의 원래 전공분야는 미디어 매체[* [[http://www.bbc.co.uk/programmes/b006ppmq|Crimewatch UK]]는 우리나라의 [[경찰청 사람들]], [[공개수배 사건25시]]와 비슷한 TV 프로그램이다.]와 경찰이라 할 수 있다. 물론 학위청구논문 이후의 연구 성과에 따라서 전공분야가 조금씩 바뀌기도 한다. 표창원 박사의 경우 형사사법분야의 전반에 걸쳐서 연구를 하는 편이었다.[* 그럴 수 밖에 없다. 지금도 그렇지만 경찰에서는 [[경찰대학]] 졸업생 중 유학한 경찰들을 통해서 내부역량을 높이고자 했기 때문이다. 유학을 갔다온 경찰대 졸업생들의 논문을 보면 쉽게 이해가 간다. 대개 집회시위법, 행정법, 형사절차 or 형사법에 관한 논문이 많다. 물론 표창원 박사도 마찬가지였다.] 세간에는 범죄심리학(criminal psychology)이나 프로파일링(Profiling) 전문가로 유명하지만 그가 이 분야에 대해 체계적인 교육을 받은 증거는 없고 이에 관한 전문적 연구 또한 미미하다.[* 여담으로 국내에서 활동하는 범죄심리학(Forensic psychology) 박사학위자는 [[숙명여자대학교]] 사회심리학과에 재직중인 [[박지선(교수)|박지선]] 교수가 있다.]
         정계 입문 이후 여러 [[종편]] 프로그램에 출연하면서 민주당 변호인을 활약했다. 특히 2015년 12월 30일 '[[문재인]] 대표가 [[일본]]이 숨긴 금괴 1,000톤을 갖고 있다'는 루머를 맹신했던 어느 60대 남성이 문 대표의 [[사상구]] 사무실에 난입해 인질극을 벌인 사건을 두고 [[MBN]]의 [[김형오(1972)|김형오]] 앵커가 '문재인 대표에게 잘못이 있는 것 아니냐'며 [[답정너]]식으로 질문을 하자 "그럼 2006년에 [[박근혜]] [[한나라당]] 대표가 커터칼 피습을 당한 건 (그 피습범이 정신병자였기 때문이지) 박근혜 당시 대표가 잘못해서 일어난 일인가요?"라는 반문~~이건 몰랐지?~~으로 앵커를 [[역관광]]시켜--사실 [[마마무|음오아예]]를 부르게 한 거라더라-- [[더불어민주당|더민주]] 지지층에게 강한 인상을 남겼다.([[http://tvcast.naver.com/v/676104|네이버]] [[http://tvpot.daum.net/v/73446472|다음]] [[http://www.gomtv.com/view.gom?contentsid=14150137|곰TV]])[* 보도 자막이 포함된 인터뷰 전체 영상은 [[http://www.mbn.co.kr/pages/vod/programView.mbn?bcastSeqNo=1114977|MBN 홈페이지]]와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57&aid=0000871698|네이버]], [[http://media.daum.net/society/others/newsview?newsid=20151231111239813|다음]], [[http://news.nate.com/view/20151230n53189|네이트]] 등에 올라와 있다.]
         2016년 2월 [[제20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용인시]]에 신설된 [[용인시 정]] 선거구[* 구성동, 청덕동, 마북동, 동백동, 보정동, 죽전1동, 죽전2동]에 출마한다고 밝혔다. [[경찰대학]]이 있던 지역이었고,[* 그가 공천을 받기 직전인 2016년 2월에 경찰대가 충남 아산시로 이전해갔다.] 그가 원래 거주하던 지역이다.[* 선거 기간 중 지역구 내에서 [[어린이집]] 차량사고가 났는데, 이때 자기 딸들도 그 어린이집을 다녔다고 밝힌 것으로 보아 전부터 살던 곳이 맞는 듯 하다.] 그리고 [[2016년]] [[3월 7일]] 당에서 표 전 교수를 [[전략공천]]하기로 확정 발표하였다.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hm&sid1=100&oid=003&aid=0007080865|#]]
          * 대다수의 사람들이 오해하는 부분이 있는데, 범죄심리학은 경찰학(Police science)의 한 분파가 아니다. 정확히는 심리학에서 출발한 심리학의 응용분과이다. 물론 학제간 연구(Interdisciplinarity)가 학계의 추세이지만 경찰학과 범죄심리학은 엄연히 다른 분야다. 오히려 경찰학은 예방과 인권보호를 중심으로 하기에 형사절차(Criminal procedure), 범죄학(Criminology)과 관계가 깊다. 따라서 법학, 사회학에 영향을 크게 받았다. 한편 범죄심리학은 법정공방이나 피의자 및 피해자 증언. 그리고 데이터 베이스 구축을 통한 귀납적 추리를 하는 프로파일링과 연관되며 이들은 모두 인지심리학, 사회심리학 등 심리학을 기반으로 응용된 분과이다. 물론 이런 분류를 할 수도 있겠지만, 범죄학이라 하여서 심리학 부분이 없는 게 아니다! 즉, 범죄를 다루는 모든 분야가 범죄학 범주에 속한다 할 수 있다. 형법의 형벌론이라든가, 사회학의 일탈 이론이라든가, 심리학의 인지, 학습 분야라든가... 다만 현재 범죄학 중심이론들이 사회학에 뿌리를 두고 있기에, 대부분의 사람들은 범죄학을 사회학의 일부로 생각하고 있다.
          * 야당 측 정치인 중에서 특이하게 [[박정희]]를 존경한다는 것을 강조하여 관심을 모으기도 했다.[[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1822197|#]][[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421&aid=0000104502&viewType=pc|#]][[http://www.hani.co.kr/arti/politics/politics_general/566566.html|#]] 정치인이 아니던 시절에 중립적인 스탠스를 보이려 강조한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박정희가 다 잘했다고 보는 것이 아니라 경제성장은 경제성장이며 독재하고 인권을 탄압한 것은 죄라며 선을 그었다. 굳이 말하자면 공과를 모두 인정하며, 그 중에서 공이 더 크다고 보는 정도일 듯.
          *--[[http://www.todayhumor.co.kr/board/view.php?table=bestofbest&no=226936&s_no=226936&kind=search&page=1&keyfield=subject&keyword=%ED%91%9C%EC%B0%BD%EC%9B%90|정리를 못한다 카더라]]--
          * 2016년 3월 26일, 딴지일보와의 인터뷰에서 [[포르노]] 합법화에 대한 찬성의견을 던졌다. [[http://www.ddanzi.com/index.php?mid=ddanziNews&document_srl=84055456|기사]] 덕분에 당시 디씨 등 인터넷 일각에서는 표루노(...)라는 까는건지 찬양하는건지 묘한 느낌의 이명이 생겼다.
         >- [[http://www.riss.kr/search/detail/DetailView.do?p_mat_type=be54d9b8bc7cdb09&control_no=67eef1df113acf28#redirect|The police and crimewatch UK : a study of the police use of crime reconstruction and witness appeal programmes in Britain]]
         >영국사례의 검토를 통한 한국 경찰의 가정폭력 대응능력 제고방안 = A Critical Review on the Capabilities of Korean Society in Dealing With the Problem of Domestic Violence-Centering on the Area of Policing, 2000
         >영국경찰의 위상과 운영체계에 대한 고찰 = A Review on the British Policing System, 2002
         >[특집/수사지휘권과 인권보장]경찰수사권 독립이 인권보장의 첩경 = A Better Way to Protect Human Rights in Criminal Investigation Process in Korea: Separating Police Investigation Process from Prosecutors' Power and Control, 2003
         >경찰 부패방지제도 개선방안의 모색 = A search for better police corruption prevention programs Original, 2003
         >경찰수사권 독립이 인권보장의 첩경 = A Better Way to Protect Human Rights in Criminal Investigation Process in Korea: Separating Police Investigation Process form Prosecutors` Power and Control, 2003
         >한국과 영국의 경찰수사 절차상 인권보호 장치에 대한 비교 연구 = A comparative study of police investigation procedure between Korea and England, focusing on 'human rights' aspect, 2007
         >아동성범죄 방지를 위한 형사정책적 대안 모색 = A search for measures of Criminal Justice to prevent sex offences against children, 2009
         >특집 : 아동성범죄 관련 형사정책적 쟁점 ; 아동성범죄 방지를 위한 형사정책적 대안 모색 = A search for measures of Criminal Justice to prevent sex offences against children, 2009
         [include(틀:제20대 국회의원/경기도)]
  • Victoria II/기술 및 발명 목록/산업 . . . . 36회 일치
         === Practical Steam Engine(실용적인 증기기관) ===
         === High & Low Pressure Steam Engine(고압/저압 증기기관) ===
         === Steam Turbine(증기터빈) ===
         === Combustion Engine(연소기관) ===
          * Alternating Current(교류)
         === Publishing Industry(출판업) ===
          * Hussey & McCormicks Reaping machine(핫세와 맥코믹의 자동수확기)
          * Pitts Threshing machine(피트 탈곡기)
          * Mechanized Slaughtering-block(기계화된 도살장)
         === Interchangeable Parts(교체 가능한 부품) ===
          * Machine Tools(전동 공구)
          * Food Packing System(식품 포장 체계)
          * Integral Distillery Process(필수 증류 공정)
          * Electric Machinery(전기기기)
          * Oil Pumping Machinery(기름 펌프 기계)
          * Drying Techniques(건식법)
         === Assembly Line(조립 라인) ===
          * Industrialized Armament Industry(산업화된 무기 산업)
         === Mechanized Mining(기계화된 광업) ===
          * Advanced Ore Roasting Processes(진보된 광석 배소 공정)
  • 고성국 . . . . 36회 일치
         [[고려대학교]] 정외과 강사 시절인 1986년 9월 27일 [[대한민국 국가보안법|국가보안법]] 위반 혐의로 서울형사지법으로부터 징역 3년 자격정지 3년을 선고받았다.<ref>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86092700329211014&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86-09-27&officeId=00032&pageNo=11&printNo=12617&publishType=00020</ref> 당시 공안당국은 다산기획 대표이던 고씨가 자신의 출판사를 통해 일본으로부터 [[좌익]] 서적 100여 권을 들여와 번역한 뒤, 이를 [[백산서당]] 대표 이범(현 [[흥사단]] 일본특별위원장)에 넘겨 대학가와 시중에 판 혐의가 있다고 밝혔다.<ref>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86041400209201005&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86-04-14&officeId=00020&pageNo=1&printNo=19855&publishType=00020</ref> [[1988년]] [[2월 27일]] [[노태우]]의 대통령 취임에 맞춰 단행된 사면복권에서 특별사면복권 대상자가 되어 풀려났다.
         사면된 이후인 [[1988년]] [[11월 5일]]에는 진보적 학술단체인 학술단체협의회의 대외협력분과위원장으로 참가했다. 이 학회에는 고성국을 비롯, [[송건호]], [[최장집]] 등 진보 지식인들이 참여했다.<ref>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88110400289107001&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88-11-04&officeId=00028&pageNo=7&printNo=150&publishType=00010</ref> 이후에도 진보 학술, 정치세력의 포럼에 다수 참가했다.
         1989년 [[11월 20일]]에는 [[장기표]] 등과 '진보정당준비모임'의 토론회에 참석하여 “민주화운동의 정치세력화가 긴급한 시점”이라는 의견을 피력했다.<ref>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89112000329203003&editNo=3&printCount=1&publishDate=1989-11-20&officeId=00032&pageNo=3&printNo=13585&publishType=00020</ref>
         이후에는 [[나라정책연구회]] 정책실장 등을 지냈으며, [[1994년]]에는 서울경찰청의 민간인 사찰대상으로 거론되기도 했다.<ref>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94101100289101001&editNo=6&printCount=1&publishDate=1994-10-11&officeId=00028&pageNo=1&printNo=2034&publishType=00010</ref> 같은 해 5월에는 자신이 편집위원으로 있던 진보적 월간지 《사회평론 길》에서 《[[월간조선]]》과 논쟁하기도 했다.<ref>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94052600289114011&editNo=5&printCount=1&publishDate=1994-05-26&officeId=00028&pageNo=14&printNo=1907&publishType=00010</ref> 1995년에는 [[조선일보]], [[중앙일보]] 등 보수 일간지의 '이승만 재평가'에 대해 "분단과 독재를 정당화하고 [[박정희]] 시대와 그 이후까지 미화하려는 시도의 시작"이라 비판했다.<ref>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95021800289101001&editNo=5&printCount=1&publishDate=1995-02-18&officeId=00028&pageNo=1&printNo=2153&publishType=00010</ref>
          1997년 5월 17일, 고성국은 추적 60분에서 하차했는데, 이는 KBS 노조 측에서 고성국을 [[김영삼]]의 아들인 [[김현철 (1959년)|김현철]]의 인맥이라고 사측에 교체를 요구했고, 사측이 이를 수용한 결과였다.<ref>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97052000289121003&edtNo=6&printCount=1&publishDate=1997-05-20&officeId=00028&pageNo=21&printNo=2883&publishType=00010</ref> 2012년 5월 고성국은 [[미디어오늘]]과의 통화에서 1997년 추적 60분 하차에 대해 "김현철과 (내가) 친구인 것은 사실이고, 당시에도 숨기지 않았다. KBS 노조가 저를 낙하산 인사라고 했는데 결과적으로 KBS한테 부담을 주는 것 같아서 (그만뒀다)"고 말했다.<ref name="mediatoday.co.kr">http://www.media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102142</ref>
         1998년 10월 서울지검 공안1부는 고성국이 [[총풍 사건]]의 관련자인 오정은 전 청와대 행정관, 윤만석 전 [[이명박]] 의원 보좌관, 조청래 당시 청와대 민정비서실 행정관과 제[[15대 대선]]에 출마한 [[이회창]] 한나라당 후보 당선을 위한 '비선 참모 조직'으로 활동했다고 밝혔다.<ref>http://www.sisapress.com/news/articleView.html?idxno=4045</ref><ref>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98102700209112001&editNo=45&printCount=1&publishDate=1998-10-27&officeId=00020&pageNo=12&printNo=24023&publishType=00010</ref>
         [[1998년]] 이후 고성국은 정치평론 무대에 나타나지 않다가, 2000년 10월 [[스카이러브]]의 논술강사로 모습을 드러냈다. 당시 보도에 따르면 고성국은 "시사토픽 특강"과 "실전 교과문제 적용" 강의를 했다.<ref>http://www.mediagaon.or.kr/jsp/search/popup/newsviewpopup.jsp?newsId=01100101.20001005000003903&print=Y&highlight=%B0%ED%BC%BA%B1%B9%20%B3%ED%BC%FA</ref>
         2007년 5월 3일 [[프레시안]]에 기고를 시작하면서 정치평론을 재개했다.<ref>http://www.pressian.com/article/article.asp?article_num=10070502082715&Section=01</ref> 같은 해 말에는 《10대와 통하는 정치학》을 펴냈고, 2008년 [[1월 8일]]에는 [[대통합민주신당]] 쇄신 초선의원모임에 참가해 발제문을 발표했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01&aid=0001928328</ref> 같은 해 [[5월 12일]]부터는 [[기독교방송|CBS]] 《시사자키》 앵커로 두번째 발탁돼, 이듬해 2월 26일까지 진행했다.<ref>http://www.cbs.co.kr/radio/pgm/board.asp?pn=read&skey=tcon&sval=%B0%ED%BC%BA%B1%B9&anum=1458&vnum=397&bgrp=4&page=8&bcd=007C055E&pgm=1383&mcd=BOARD2</ref>
         * [[1991년]]: [[기독교방송|CBS]] [[시사자키|시사자키 오늘과 내일]] 진행<ref>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91111700289116002&editNo=4&printCount=1&publishDate=1991-11-17&officeId=00028&pageNo=16&printNo=1084&publishType=00010</ref>
         * 《대중정당: 민족민주대중정당의 이론과 현실》(공저), 한국사회연구소, 1989<ref>http://books.google.com/books?id=E4vSAAAAMAAJ&q=inauthor:%22%EA%B3%A0%EC%84%B1%EA%B5%AD%22&dq=inauthor:%22%EA%B3%A0%EC%84%B1%EA%B5%AD%22&hl=ko&ei=EUDaTsvKCeHJmQXis-H0Cw&sa=X&oi=book_result&ct=result&resnum=2&ved=0CDAQ6AEwAQ</ref>
         * 《사회과학개론》(공저), 백산서당, 1990<ref>http://books.google.com/books?id=xCCHOwAACAAJ&dq=inauthor:%22%EA%B3%A0%EC%84%B1%EA%B5%AD%22&hl=ko&ei=EUDaTsvKCeHJmQXis-H0Cw&sa=X&oi=book_result&ct=result&resnum=5&ved=0CEEQ6AEwBA</ref> (ISBN 2006793000027)
         * 《고성국의 정치in》, 미지애드컴, 2011 {{ISBN|9788995771440}}
  • 구승빈 . . . . 36회 일치
         [include(틀:롤챔스 펜타킬 달성 선수)]
         || 솔로 랭크 아이디 || imp8[* 주로 쓰는 계정인듯하다. 레이팅은 챌린저.][br]권이슬팬이다람쥐[br]imp123[br]백수 Rain1ng[* 전적 검색 사이트 OP.GG 자유 게시판에서 본인이 임프 아니라고 해명했지만 정말 본인이 쓴 건지 확실하지 않다] ||
         || 경력 상금 || $297,719.56 USD (₩344,310,000)[* [[http://www.esportsearnings.com/players/3513-imp-gu-seung-bin|Imp]] 경력 상금.] ||
         || 소속 팀 || [[MVP Ozone]](2012.05.07~2013.09.07)[br][[삼성 갤럭시 화이트]](2013.09.07~2014.10.31)[br][[LGD Gaming]](2014.11.27~2018.05.22)[br][[Team WE]] (2018.5.23~) ||
         ||<-5><#FFD700><:> '''[[OLYMPUS Champions Spring 2013]] 우승''' ||
         || [[나진 e-mFire/리그 오브 레전드|Najin Sword]] || → || '''MVP Ozone''' || → || [[SKT T1/리그 오브 레전드|SKT T1]] ||
         || [[Edward Gaming]] || → || '''LGD Gaming''' || → || [[Royal Never Give Up]] ||
         ||<#c6131a><:>{{{#white '''Koo "Imp" Seung-Bin'''}}} ||
          * '''[[OLYMPUS Champions Spring 2013]] 우승'''
          * [[PANDORA TV Champions Winter 2013-2014]] 준우승
          * [[HOT6 Champions Spring 2014]] 3위
          * LPL 2015 Spring 준우승
         2013년 들어서는 [[LOL 클럽 마스터즈]]와 [[OLYMPUS the Champions Spring 2013]]에서 원딜러 중에 최고의 활약을 보여주면서 한국 최고 원딜이라고 불리는 [[김종인(프로게이머)|프레이]]에 비벼볼만한 국내 A클래스 원딜이라는 평가가 있을정도로 활약이 뛰어났다. 임프의 극 공격적인 플레이가 마음에 안든다는 마타조차도 실력만은 인정하는 모양.
         그러나 2015 롤드컵서 오리진, KT, TSM에게 내리 털리면서 고통받는중... 해탈했는지 마타가 "한국인 최초 롤드컵 2회 광탈 ㅅㅅ." 이라는 페북글의 댓글과 롤갤에 "그냥 내가 ㅂㅅ이여서 그럼ㅋㅋㅋ"의 뉘앙스의 글을 남기면서 성장멘탈룬 달고 있다는 이야기가 나왔다.~~마타의 Goondae Gaming의 새로운 봇듀오가 될거라는 드립은 덤.~~--한 시즌마다 멘탈 + 1--
          * [[http://www.inven.co.kr/board/powerbbs.php?come_idx=2653&query=view&p=1&my=&category=&sort=PID&orderby=&where=&name=subject&subject=&content=&keyword=%C0%D3%C7%C1&sterm=5550991&iskin=&mskin=&l=4834714|~~사실 송은이의 숨겨놓은 아들이다~~]]
          * [[http://gall.dcinside.com/board/view/?id=leagueoflegends1&no=3189814&page=1&exception_mode=recommend|--멘탈甲--]]
          * 8월 17일 밤 11시에 뜬금없이 [[http://gall.dcinside.com/board/view/?id=leagueoflegends1&no=3183848&page=1&search_pos=-3179964&s_type=search_name&s_keyword=%EC%9E%84%ED%94%84|힘들다며 롤갤에다 글을 썼다.]][* 힘든 이유는 [[http://gall.dcinside.com/board/view/?id=leagueoflegends1&no=3184043&page=1&search_pos=-3179995&s_type=search_name&s_keyword=%EC%9E%84%ED%94%84|못해서라고]](...)] 다들 낚시라며 무시하고 있었는데 [[http://gall.dcinside.com/board/view/?id=leagueoflegends1&no=3183912&page=1&search_pos=&s_type=search_name&s_keyword=%EC%9E%84%ED%94%84|하나씩]],[[http://gall.dcinside.com/board/view/?id=leagueoflegends1&no=3183998&page=1&search_pos=&s_type=search_name&s_keyword=%EC%9E%84%ED%94%84|부분인증]]을 까더니 막판에 [[http://gall.dcinside.com/board/view/?id=leagueoflegends1&no=3184139&page=1&search_pos=-3179995&s_type=search_name&s_keyword=%EC%9E%84%ED%94%84|원판 인증]]을 하면서 롤갤러들에게 충격과 공포를 주었다. ~~술한잔 걸친듯~~ ~~누누히 말하지만 2014년 이전엔 미성년자다~~
          * 2013년 8월 24일에 아이디를 해킹당한 것으로 보인다. [[http://www.inven.co.kr/board/powerbbs.php?come_idx=2653&l=5223419|#]] 비밀번호의 자릿수가 노출되고 그게 혹시 '구승빈1'인가 싶어서 쳐봤는데 맞았다는 것이 카더라. 물론 저 댓글을 보면 알겠지만 그것도 모르고 임프 멘탈로 까다가 해킹임을 알고 급수정에 들어간 거다.
          * 온게임넷의 프로그램인 한판만에 출연했는데, [[http://gall.dcinside.com/board/view/?id=leagueoflegends1&no=3508142&page=1&search_pos=-3511338&s_type=search_all&s_keyword=%ED%95%9C%ED%8C%90%EB%A7%8C|이름이 잘못 나왔다]].
          * 2014 롤드컵에서의 인터뷰~~대본을 읽는~~ 영상이 화제가 되었다.--본격 초등학생 국어책 읽는 인터뷰+이분 최소 국문과--[[http://sports.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e_sports&ctg=news&mod=read&office_id=236&article_id=0000109810|#]] 참으로 국어책스러운 인터뷰로 [[클템|간나새끼]], [[장건웅|땅땅땅빵]]에 이은 새로운 made in 롤드컵 [[관문]]을 만들어냈다.
  • 토탈워: 쇼군 2/세력 기술 . . . . 36회 일치
          * 공성 기술자의 작업장(Siege Engineer's Workshop)을 건설할 수 있게 됨
          * 일부 부대가 불화살(Flaming Arrows) 능력을 사용할 수 있게 됨
          * 일부 부대가 선회원진(Swooping Crane) 능력을 사용할 수 있게 됨
          * 나기나타 도장(Naginata Dojo)을 소주츠 달인의 도장(Yari Master Dojo)으로 업그레이드할 수 있게 됨
          * 공성 기술자의 작업장(Siege Engineer's Workshop)을 화약제조소(Powder Maker)로 업그레이드 할 수 있게 됨
          * 잇코: 정토진종 불당(Jodo Shinshu Temple)을 건설할 수 있게 됨
          * 잇코: 정토진종 불당(Jodo Shinshu Temple)을 정토진종 사찰(Jodo Shinshu Monastery)로 업그레이드 할 수 있게 됨
         === 시노비 교장(School of Shinobi) ===
          * 도박장(Gambling Hall)을 범죄조직체(Criminal Syndicate)로 업그레이드 할 수 있게 됨
          * 부라쿠민 부락(Burakumin Village)을 밀수조직체(Smuggling Network)로 업그레이드 할 수 있게 됨
          * 닌주츠 수련장(Ninjutsu School)을 닌자 집단 요새(Ninja Clan Fortress)로 업그레이드 할 수 있게 됨
          * 관개시설 농장(Improved Irrigation)을 계단식 농장(Terrace Farming)으로 업그레이드 할 수 있게 됨
          * 잇코: 정토진종 사찰(Jodo Shinshu Monastery)을 정토진종 대사찰(Jodo Shinshu Sanctuary)로 업그레이드 할 수 있게 됨
         ==== 경제자립(Economy Independence) ====
          * 병원(Hospital)을 예수회 신학교(Jesus Seminary)로 업그레이드 할 수 있게 됨
         === 닌주츠 숙련화(Ninjutsu Mastery) ===
          * 노(Noh), 시노비 교장(School of Shinobi) 세력 기술 요구
          * 범죄조직체(Criminal Syndicate)를 악명높은 미즈쇼바이 지구(Infamous Mizu Shobai District)로 업그레이드 할 수 있게 됨
          * 일부 부대가 섬광탄(Blinding Grenades) 능력을 사용할 수 있게 됨
         === 초닌도(Chonindo) ===
  • 아이유 . . . . 35회 일치
         {| class="wikitable plainrowheaders sortable" style="margin-right: 0;"
         | style="text-align:center;"| <ref>{{웹 인용|url=http://koreajoongangdaily.joins.com/news/article/article.aspx?aid=2955114|title=IU and Gikwang head under the sea|date=June 27, 2012|first=Carla|last=Sunwoo|work=Korea JoongAng Daily|accessdate=October 25, 2019}}</ref>
         | style="text-align:center;"| <ref>{{웹 인용|url=http://kpopherald.koreaherald.com/view.php?ud=201611011729481116652_2|title=Suzy, IU to cameo in 'Real'|date=November 1, 2016|work=The Korea Herald|first=Ji-hyoung|last=Son|accessdate=October 25, 2019}}</ref>
         | style="text-align:center;"| <ref>{{웹 인용|url=http://eng.jeonjufest.kr/db/movieView.asp?idx=4075&reUrl=%2Fticket%2FtimeTable_day%2Easp%3FdayNum%3D3#|title=Jeonju Cinema Project 2019: Shades of the Heart|publisher=Jeonju International Film Festival|accessdate=October 25, 2019}}</ref>
         | style="text-align:center;"| <ref>{{웹 인용|last=Kim|first=Ye-eun|url=https://entertain.naver.com/now/read?oid=311&aid=0001094885|title=[단독] 아이유, 이병헌 감독 차기작 '드림' 출연…박서준과 만난다|publisher=Naver|website=Xports News|accessdate=January 3, 2020}}</ref>
         {| class="wikitable plainrowheaders sortable"
         | style="text-align:center;"| <ref>{{뉴스 인용|url=http://english.chosun.com/site/data/html_dir/2011/01/22/2011012200347.html|title=Teenage Singer IU Is Open to Surprises|date=January 22, 2011|work=The Chosun Ilbo|accessdate=October 25, 2019}}</ref>
         | style="text-align:center;"| <ref>{{뉴스 인용|url=http://www.edaily.co.kr/news/read?newsId=01125046596184304&mediaCodeNo=258|script-title=ko:아이유·닉쿤 교제,설리·슬옹 뽀뽀…'웰컴 투 더 쇼'|trans-title=IU, Nichkhun, Sully Kissing 'Welcome to the Show'|date=March 17, 2011|work=E-Today|accessdate=October 25, 2019|language=ko}}</ref>
         | style="text-align:center;"| <ref>{{뉴스 인용|url=http://koreajoongangdaily.joins.com/news/article/article.aspx?aid=2947590|title=IU to make a cameo appearance on 'Dream High 2' tonight|date=January 30, 2012|work=Korea JoongAng Daily|accessdate=October 25, 2019}}</ref>
         | style="text-align:center;"| <ref>{{뉴스 인용|url=http://koreajoongangdaily.joins.com/news/article/article.aspx?aid=2968058|title=IU to star in leading role in upcoming drama|work=Korea JoongAng Daily|last=Ahn|first=Joo-hee|accessdate=April 15, 2018|date=March 6, 2013}}</ref>
         | style="text-align:center;"| <ref>{{뉴스 인용|url=http://koreajoongangdaily.joins.com/news/article/article.aspx?aid=2979229|title=IU chooses a pretty man|last=Lee|first=Sun-min|website=Korea JoongAng Daily|accessdate=April 15, 2018|date=October 23, 2013}}</ref>
         | style="text-align:center;"| <ref>{{뉴스 인용|url=http://koreajoongangdaily.joins.com/news/article/article.aspx?aid=3001399|title=IU lands lead in 'Producers' drama|last=Sung|first=So-young|work=Korea JoongAng Daily|date=March 3, 2015|accessdate=October 25, 2019}}</ref>
         | style="text-align:center;"| <ref>{{뉴스 인용|url=http://koreajoongangdaily.joins.com/news/article/article.aspx?aid=3013499|title=IU to star in 'Moon Lovers' Korean remake|date=January 15, 2016|work=Korea JoongAng Daily|accessdate=October 25, 2019}}</ref>
         | style="text-align:center;"| <ref>{{뉴스 인용|url=http://www.koreaherald.com/view.php?ud=20180412000881|title=Comforting life through meeting 'My Mister'|first=Eun-byel|last=Im|date=April 12, 2018|website=The Korea Herald|accessdate=October 25, 2019}}</ref>
         | style="text-align:center;"| <ref>{{웹 인용|last1=Park|first1=Jin-hai|url=http://www.koreatimes.co.kr/www/art/2019/03/398_266154.html|title=K-pop singer IU to make film debut through Netflix|date=March 27, 2019|website=The Korea Times|accessdate=March 29, 2019}}</ref>
         | style="text-align:center;"| <ref>{{웹 인용|url=http://koreajoongangdaily.joins.com/news/article/Article.aspx?aid=3060216|title=IU, Yeo Jin-goo cast in tvN drama|date=March 7, 2019|work=Korea JoongAng Daily|last=Yeo|first=Ye-rim|accessdate=October 25, 2019}}</ref>
         {| class="wikitable plainrowheaders sortable"
         | style="text-align:center;"| <ref>{{뉴스 인용|url=https://entertain.naver.com/read?oid=009&aid=0002285438|script-title=ko:아이유 '영웅호걸' 예능 첫도전 "막내답게, 야무지게"|trans-title=IU Hero girl, the youngest first entertainment challenge|via=Naver|date=July 5, 2010|work=MK|language=ko|accessdate=October 26, 2019}}</ref>
         | style="text-align:center;"| <ref>{{뉴스 인용|url=http://www.koreatimes.co.kr/www/news/art/2011/06/201_88456.html|title=Reality TV gets a spin as stars challenge skating, dancing|date=June 7, 2011|work=The Korea Times|last=Kwon |first=Mee-yoo|accessdate=October 26, 2019}}</ref>
         | style="text-align:center;"| <ref>{{뉴스 인용|url=http://www.kpopherald.com/view.php?ud=201705191711592667419_2|title=IU joins Lee Hyo-ri’s guesthouse as staff|date=May 19, 2017|work=The Korea Herald|accessdate=October 26, 2019|last=Lim|first=Jeong-yeo}}</ref>
  • MoniWikiACL . . . . 34회 일치
         /!\ since MoniWiki 1.1.2
         모니위키의 SecurityPlugin의 한가지
         `config.php`에 다음을 넣으면 ACL SecurityPlugin이 활성화됩니다.
         @Kiwirian foobar,kiwi,hello123 20 # @Kiwirain 그룹의 priority를 잡는다.
         FoobarPage babo deny edit,diff,info
         * @ALL allow read,userform,rss_rc,aclinfo,fortune,deletepage,fixmoin,ticket // 여러 줄로 나눠쓰기 가능
         WikiSandBox @Guest allow edit,info,diff
         // WikiSandBox 페이지를 @Guest 그룹에 edit,info,diff 액션을 허용(allow)
         # Please don't modify the lines above
         WikiSandBox @Guest allow edit,info,diff
         // WikiSandBox 페이지를 @Guest 그룹에 edit,info,diff 액션을 허용(allow)
         # some POST actions support protected mode using admin password
         * @ALL allow read,userform,rss_rc,aclinfo,fortune,deletepage,fixmoin,ticket
          * {{{deny *}}} + {{{allow edit,info}}} = edit와 info 액션만 가능: '''explicit하게 지정된''' 액션만 허락
          * {{{allow *}}} + {{{deny info,diff}}} = info/diff 이외의 액션이 모두 허용: '''explicit하게 지정된''' 액션만 거부
          * {{{deny info,diff}}} + {{{allow *}}} = 위의 경우와 같다. explicit하게 지정된 액션인 info, diff만 거부
         * @ALL allow read,ticket,info,diff,titleindex,bookmark,pagelist
         ProtectedPage @All deny read,ticket,info,diff,titleindex,bookmark,pagelist
         * @ALL allow show,ticket,titleindex,bookmark,pagelist
         * @Group1 deny * # User defined @Group1 group
  • 김민희(1982) . . . . 34회 일치
         [include(틀:상위 문서, top1=배우/한국)]
         ||<table width=100%><table align=center><table bordercolor=#000000><-100><:>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5a1b1 25%,#a277bc 50%, #4dd6d3)"
         ||<#ffffff><-1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FFFFFF><-5><:> [[파일:berlinale.png|width=180]] ||
         ||||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7/7e/150917_Kim_Min-hee_vip_cropped_2.jpg/250px-150917_Kim_Min-hee_vip_cropped_2.jpg ||
         ||<#0f0f3e><:>'''{{{#white 이름}}}'''||<(><#ffffff> 김민희(金珉禧, Kim Min-hee) ||
         ||<#0f0f3e><:>'''{{{#white 링크}}}'''||<(><#ffffff> [[http://gall.dcinside.com/mgallery/board/lists/?id=kimminhee|김민희 갤러리]] ||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1/12/Marie_Claire_Korea_My_Choice_Kim_Min-hee_by_Folli_Follie_22_seconds.jpg/220px-Marie_Claire_Korea_My_Choice_Kim_Min-hee_by_Folli_Follie_22_seconds.jpg
         [Include(틀:-)]
         1998년, 무주고등학교 1학년 때 하굣길에 [[모델]]로 캐스팅되었다. 데뷔작은 10대를 타겟으로 했던 화장품 '지에닉' 광고[* [[강혜정]]도 출연했다.]. 무주중학교 때부터 [[농구]]선수로 추천받았지만, 본인도 [[모델]]을 꿈꿨고 키가 170cm에서 더 자라지 않아 불만이었다고 한다.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99091700329133001&editNo=40&printCount=1&publishDate=1999-09-17&officeId=00032&pageNo=33&printNo=16856&publishType=00010|#]]
         ||<:><tablebordercolor=#0f0f3e>{{{#!html <iframe width="480" height="270" src="http://serviceapi.nmv.naver.com/flash/convertIframeTag.nhn?vid=7C5DFD95B92734E5AF3E463C2458197E492A&outKey=V125f6cd01af7da15c1c799136bce6203e6991db5952e976aeafe99136bce6203e699" frameborder="no" scrolling="no"></iframe>}}}||
          * 다른 작품은 다 해도 [[공포 영화]]만큼은 정말 못한다고 한다. 공포 영화의 경우에는 시나리오를 읽는 것조차도 무서워한다고. 그래서 [[나홍진]] 감독의 《[[곡성(영화)|곡성]]》도 아직 못 보았다고 한다. [[http://news.jtbc.joins.com/article/article.aspx?news_id=NB11242885|관련 기사]]
          * 흡연자다. 프랑스 칸에서 홍상수와 함께 맛있게 담배를 피는 모습이 포착됐다.[[http://news.joins.com/article/21591816|#]]
         과거 김민희는 한 인터뷰에서 [[http://m.entertain.naver.com/read?oid=016&aid=0001072347|'''“자기들이 부자와 결혼하면 사랑해서 한 거고, 연예인이 그러면 이상한 관계로 말하는 건 이해가 안 간다. 평민들도 그런 것처럼, 통장에 든 적금보다 지갑 속의 돈이 더 좋다.”''']]라고 말해 구설수에 올랐다. 이후 질문자가 “‘평민’이라는 말에 사람들이 거부감을 느낄 수 있다. 봉건 사회가 아닌데.”라며 제지하자, 김민희는 “나쁜 의도로 한 말은 아니고, 연예인이 아닌 사람들을 말하는 것”이라고 해명했다. 이 발언으로 인해 김민희는 한동안 이미지가 굉장히 안 좋았으며, 이를 비꼬아서 ‘'''평민'''희’이라고 불리기도 한다.
         이외에도 촬영 중 구경하려고 몰려온 사람들을 보고 '''“똥파리 같다”'''는 말을 했다는 '''헛소문'''이 퍼져서 곤욕을 치른 적도 있다. 하지만 본인은 이런 말을 한 적이 전혀 없어서 억울해 하는 듯하다.[[http://gall.dcinside.com/board/view/?id=drama_new&no=4169546|#]]
         아직 사실 확인이 되지 않긴 했다만 김민희와 홍상수 역시 간통설이 사실로 드러날 경우, 과거 [[설경구]]-[[송윤아]] 커플의 경우처럼 여론의 거센 비난을 받을 수밖에 없다. 이미 배우의 팬사이트라 할 수 있는 김민희 갤러리 역시 일시적으로 서포트 활동을 중단했으며 루머가 사실로 드러날 경우 팬질을 접겠다는 사람이 대부분인 판국이다. 거기다 이 경우에는, (일단 홍상수 부인 측의 일방적인 주장이긴 하지만) 김민희가 부인에게 [[아침 드라마]]에 등장하는 [[악녀]]나 할법한 '''"그러게 남편 관리 잘 하지 그랬어요."'''라는 망언까지 했다는 루머까지 나온 판이다.[[http://m.entertain.naver.com/read?oid=433&aid=0000017690|기사]]
         이 일로 인해 모 광고모델 사에게 위약금을 물어주면서 광고계에서는 블랙리스트에 올라가 있다. [[http://entertain.naver.com/read?oid=277&aid=0003799801|#]]
         그런데 헤어졌다는 기사가 떴다! [[http://m.insight.co.kr/newsRead.php?ArtNo=75203|관련 기사]] 기사에 의하면 두 사람은 연인으로 사랑한 게 아닌 영화인들 간의 끈끈한 우정이였으며, 앞으로의 미래를 위해 관계를 끊었다고 한다. 이에 [[네티즌]]들은 어디까지 우정이고 사랑인진 알 수 없으나 [[http://m.dcinside.com/view.php?id=kimminhee&no=77945&page=1|김민희 갤러리]], [[https://twitter.com/arlal1/status/775580103950467072|SNS]] 등 김민희의 팬들은 경사가 났다는 반응이다. 그러나 이 기사가 나온 다음 다시 재결합설과 추석을 함께 보낸다는 설이 도는 등 다시 혼란스러운 상황이 되었고, [[홍상수]] 감독이 귀국 후 직접 해명하겠다고 하였으나 이후로는 소식이 없다.
         그리고 2017년 1월 9일, '''[[http://m.entertain.naver.com/ranking/read?oid=213&aid=0000938812&rankingType=default&rankingDate=20170109|홍상수 감독과 서울 도처에서 함께 모습을 드러내었다]]''' 논란이 터진 후 최초로 대중 앞에 모습을 드러낸 셈이다. 문제는 현재 '''홍상수 감독과 신작 촬영을 준비중이라 한다'''. 1개월 전 즈음에 김민희가 국내로 돌아왔으며 홍상수 감독과는 따로 거주 중이고, 극심한 우울증에 시달리고 있다는 기사가 뜬 적이 있는데, 이 때 귀국한 것으로 보인다. 다만 우울증은 사실이 아니라는 기사도 있으니 주의하자.
         결국 이러한 추측은 맞아떨어졌다. 2017년 3월 13일, 홍상수와 김민희는 공개적으로 기자들 앞에서 자신들의 [[간통]]을 인정한 것 뿐 아니라 인터뷰에서 대놓고 자신들의 간통을 아름다운 사랑으로 [[미화]], 포장하였고 이 과정에서 '''기자석에서조차 탄식이 터져 나왔다고 한다.''' [[http://m.entertain.naver.com/read?oid=076&aid=0003062293|#]] 이러한 두 사람의 유례없는 행보 덕에 김민희의 배우로서의 연기력과 홍상수의 감독으로서의 능력 및 영화적인 작품성과는 별개로 두 사람의 '''국내에서의 이미지는 거의 파렴치한 수준으로 떨어진 것이 현실이다.'''
  • 윤채경(가수) . . . . 34회 일치
         [include(틀:상위 문서5, top1=APRIL, top2=I.B.I, top3=C.I.V.A, top4=퓨리티, top5=프로듀스 101/참가자)]
         ||<bgcolor=#FFFFFF><:>{{{#!folding [ 펼치기 · 접기 ]
         [include(틀:APRIL 멤버)]
         [include(틀:I.B.I)]
         [include(틀:C.I.V.A 멤버)]
         [include(틀:카라프로젝트)]
         [include(틀:퓨리티 멤버)]}}}||
         ||<bgcolor=#FF69B4><:>'''{{{#white 별명}}}''' ||<(> '''빛채경'''[* 프로듀스 101 5화 몰래카메라 선공개 영상 중 자신이 이미 빚더미에 앉아 있다고 언급하여 '빚채경'이라 불린 적이 있다. 이후 팬들은 앞으로 빛나는 채경이 되라는 마음을 담아 빚->빛으로 바꾸어 '빛채경'이라는 별명을 지어주었다. 프로듀스 101이 끝나고 윤채경은 빛채경이란 별명을 지어준 팬들에게 감사한 마음을 전하고 앞으로도 계속 이 이름으로 불리고 싶다고 말하며 빛채경이라는 이름에 대한 애정을 드러내기도 했다.], '''왕언니''', 인성갑, 공주(공듀), 울면서 달리는 소녀, [[개복치|채복치]][* [[http://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ibi&no=1895&page=1|#]] 생긴것도 그렇지만 개복치가 알 3억개 낳아서 많이 죽고 단 2마리 정도만 어른이 되는 것마저 윤채경의 일생을 닮았다.], 앨리슈[* 이해인과 이수현의 V앱에서 윤채경 본인이 저닉으로 채팅을 하며 --어그로--이목을 끈덕에.. [[http://m.dcinside.com/view.php?id=chaekyoung&no=134480|마지막에서 두번째 사진을 잘보자]]. 참고로 에이프릴 공식 카페 채팅방에서 본인이 앨리슈라고 소개하기도 했다.], 프로데뷔러[* APRIL 컴백 직후 이 문장은 [[한국방송공사|KBS]]에서 인증했다. [[http://www.ppomppu.co.kr/zboard/view.php?id=freeboard&no=5076663&keyword=%C3%A4%B0%E6|##]]], 프로빈말러[* [[MBC]] [[마이리틀텔레비전]] 출연 당시 [[김소희(1995)|빈말을 주옥같이 쏟아내며]] 붙은 별명이다.], 빨래돌[* [[SBS]] [[정글의 법칙]] 출연 당시 병만족의 옷을 걷어 방망이로 야무지게 손빨래 하는 모습이 마치 옛날 동네 개울가에서 빨래하던 아낙네를 연상시키며 '빨래돌(빨래하는 아이돌)'이라는 수식어를 얻었다.], 망국의공주 ||
         ||<bgcolor=#FF69B4><:>'''{{{#ffffff SNS }}}''' ||<(> [[https://www.instagram.com/yunvely_0824/|[[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png|width=24]]]] ||
         ||<bgcolor=#FF69B4><:>'''{{{#white 팬사이트}}}''' ||<(> [[http://cafe.naver.com/moonlight02210707|빛채경팬카페]] [[http://cafe.naver.com/dspuretty/|퓨리티팬카페]] [[http://9602210707.tistory.com/|투윤닷컴]] [[https://chaekyung.kr/|채경 팬페이지 블링블링]] [[http://gall.dcinside.com/board/lists/?id=chaekyoung|윤채경 갤러리]]^^[[윤채경 갤러리|(나무위키 문서)]]^^ ||
         [include(틀:상세 내용/문단, 문서명=카라 프로젝트, 앵커=s-3.4)]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윤채경/프로듀스 101)]
         4월 17일, [[수원 케이티 위즈 파크]]에서 열린 [[SK 와이번스]]와 [[kt wiz]]의 [[2016년 KBO 리그]] 경기에 [[조시윤]]과 함께 시구, 시타자로 참여하였다. [[http://sports.news.naver.com/videoCenter/index.nhn?uCategory=kbaseball&category=kbo&id=186458&redirect=true|채경이 시구, 시윤이 시타를 맡았다.]]
         5월 2일, [[http://www.nailtv.com|네일TV]] 5월호 화보에 나온다고 한다. [[https://www.instagram.com/p/BE56Is3PH58|여신 강림]] 여담으로 네일TV 화보는 원래 비매품으로, [[윤채경 갤러리]] 갤러들을 위해 100권 정도를 특별히 일반판매 했는데 반나절만에 완판되었다.[* 이 문단은 2017년 3월 한 방송에서 채경이 [[http://gall.dcinside.com/board/view/?id=chaekyoung&no=179151|스스로 '''인증'''했다.]] ~~작가가 나무위키러? 반나절만에 완판이라는 문구는 여기밖에 없는데?~~] 갤러리 내에서는 굿즈 1호라고. [* 이때 [[퓨리티]] 시절 CD/DVD를 구입하려는 갤러들로 인해 일본 내 인터넷 소핑몰 재고를 단숨에 품절시켰다.]
         5월 28일, 부산에서 [[조시윤]], [[김소희(1995)|김소희]] 등과 미니 콘서트를 가졌다. [[http://gall.dcinside.com/board/view/?id=chaekyoung&no=46398&page=1&exception_mode=recommend|후기]] [[http://youtu.be/_f3gTCeO41M |직캠]] [* 더 많은 직캠은 [[http://gall.dcinside.com/board/view/?id=chaekyoung&no=46366&page=1&exception_mode=recommend|여기]]로. 참고로 [[음악의 신 2]] 7화 화보촬영씬에서 언급되었다.]
         [[APRIL]]에는 빨리 녹아든 듯하다. 티저 공개 이후 공개된 영상에서 [[APRIL]]의 멤버들이 인사를 하는데 [[http://m.dcinside.com/view.php?id=produce101&no=2865205|하트를 굉장히 완벽한 모양으로 짓는다]]. 나이 때문에 그룹 색깔과 어울릴지 걱정하는 팬들도 있었지만, 합류 후 매 앨범 컨셉을 그룹에 잘 묻어 소화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이나은]]과 함께 보컬라인을 탄탄하게 받쳐주는 포지션에 있고, 경력 덕에 댄스실력도 준수한 편이라 실력 면에서 밸런스가 잘 잡혀있는 멤버라고 볼 수 있다. 비주얼에 있어서는 짙은 쌍꺼풀, 평소에는 오목조목해보이지만 미소가 환하게 드러나는 입술과 고운 옆태 등등 러블리한 이미지를 보여준다. 맏언니지만 동생들한테 당해주기도 하고 같이 망가지기도 하고 전혀 꿀리지 않는 비글미를 보여주는 등 여러모로 동생들과 함께 어우러지며 지내는 타입이다. 물론 회사에 들어온지 가장 오래된 멤버이자 연장자로 동생들이 말하는 것처럼 팀을 앞에서 잘 이끌어주는 맏언니로서 리더쉽 있는 모습도 있으며 소속사와 그룹 구성원 간의 창구 노릇을 하는 사실상 리더 역할도 하고 있다.
         2017년 1월 28일 설특집 인터뷰를 통해 올해 목표는 [[http://entertain.naver.com/read?oid=396&aid=0000427010|쉬지 않고 바쁘게 1년을 보내는 것이라 밝혔다.]]
         2017년 9월~10월 [[SBS]] <[[정글의 법칙]] in 피지>에 출연하며 여러번 네이버와 다음 실검 1위에 올랐다.
         2018년 4월 25일 에이프릴이 일본 데뷔 앨범 ‘TinkerBell’을 발매하고 일본에서 정식으로 데뷔하게 되면서 채경은 퓨리티 이후 6년여 만에 일본무대에 재데뷔하게 되었다.
          * 2016년 8월 6일 [[JTBC]] <잘 먹겠습니다>에 [[http://entertain.naver.com/read?oid=437&aid=0000127692|C.I.V.A 완전체에 정진운·백영광까지]] 출연했다.
  • Hanging On The Old Barbed Wire . . . . 33회 일치
         || If you want to find the general
         If you want to find the general
         He's pinning another medal on his chest
         Pinning another medal on his chest
         Pinning another medal on his chest || 장군을 찾고 있다면
         || If you want to find the colonel
         If you want to find the colonel
         He's sitting in comfort stuffing his bloody gut
         Sitting in comfort stuffing his bloody gut
         Sitting in comfort stuffing his bloody gut || [[대령]]을 찾고 있다면
         ||If you want to find the sergeant
         If you want to find the sergeant
         He's drinking all the company rum
         Drinking all the company rum
         Drinking all the company rum||[[병장]]을 찾고 있다면
         ||If you want to find the private
         If you want to find the private
         He's hanging on the old barbed wire
         Hanging on the old barbed wire
         Hanging on the old barbed wire || [[이병]]을 찾고 있다면
  • Victoria II/기술 및 발명 목록/육군 . . . . 33회 일치
         == Army Doctrine(육군 전술) ==
          * '''Post Napoleonic Army Doctrine(나폴레옹 이후 육군 전술)'''
         === Point Defense System(국지 방어 체계) ===
         === Infiltration(침입) ===
          * '''Stormtrooper Training(돌격대 훈련)'''
         === Modern Army Doctrine(근대 육군 교리) ===
         === Flintlock Rifles(수발식 소총) ===
          * '''Flintlock Rifle Armament (수발식 소총 무장)'''
         === Machine Guns(기관총) ===
          * '''Machine Gun Armament (기관총 무장)'''
          * '''Interwar Infantry(전간기 보병)'''
          * '''Interwar Cavalry(전간기 기병)'''
         === Indirect Artillery Fire(포병 간접사격) ===
          * '''Telegraph Coordination(전보 조직화)'''
          * '''Political Lobbying(정치 로비)'''
          * '''Military-Political Decision-making(군사적 정치적 의사 결정)'''
          * '''Early Interwar Bombers(초기 전간기 폭격기)'''
          * '''Late Interwar Bombers(후기 전간기 폭격기)'''
          * '''Early Interwar Fighters(초기 전간기 전투기)'''
          * '''Late Interwar Fighters(후기 전간기 전투기)'''
  • 스틸오션/영국 . . . . 31회 일치
         ||<bgcolor=#cccccc> '''소나 범위''' || 4,897 m ||<bgcolor=#cccccc> '''소나 빈도''' || 6.68 f/min ||
         ||<bgcolor=#cccccc> '''소나 범위''' || 4,995 m ||<bgcolor=#cccccc> '''소나 빈도''' || 6.89 f/min ||
         >A/B-클래스 구축함의 설계는 영국 구축함사(史)의 이정표다. 소해임무에 중점을 둔 A-클래스와 대잠임무에 중점을 둔 B-클래스의 가장 큰 개선점은 파슨즈 기어드 증기 터빈이다. 제2차 세계대전 동안 A/B-클래스 구축함은 활동적이었다. 1940년, 여섯척의 A/B-클래스가 노르웨이 전역에 참전해 훌룡한 성과를 거뒀다. 코드링턴(Codrington)은 됭케르크 철수작전에 참가해 네덜란드 왕가를 구출했다. 아카스타(Acasta)와 아던트(Ardent)는 항공모함 글로리어스(Glorious)를 호위하던 중 독일 순양전함 샤른호르스트(Scharnhorst)와 그나이제나우(Gneisenau)를 격침시켰지만 독일군 어뢰에 피해를 입었다. 대서양 전역에서 불독(Bulldog)은 독일 잠수함 U-110을 나포해 처음으로 에니그마 암호 작성기를 확보하였다. A/B급에 의해 U-110외에도 7척의 주축군 잠수함이 최후를 맞았다.
         ||<bgcolor=#cccccc> '''소나 범위''' || 5,095 m ||<bgcolor=#cccccc> '''소나 빈도''' || 7.09 f/min ||
         ||<bgcolor=#cccccc> '''소나 범위''' || 5,197 m ||<bgcolor=#cccccc> '''소나 빈도''' || 7.3 f/min ||
         ||<bgcolor=#cccccc> '''소나 범위''' || 5,301 m ||<bgcolor=#cccccc> '''소나 빈도''' || 7.88 f/min ||
         ||<bgcolor=#cccccc> '''소나 범위''' || 5,407 m ||<bgcolor=#cccccc> '''소나 빈도''' || 8.12 f/min ||
         ||<bgcolor=#cccccc> '''소나 범위''' || 5,515 m ||<bgcolor=#cccccc> '''소나 빈도''' || 8.36 f/min ||
         ||<bgcolor=#cccccc> '''소나 범위''' || 5,738 m ||<bgcolor=#cccccc> '''소나 빈도''' || 8.87 f/min ||
         ||<bgcolor=#cccccc> '''소나 범위''' || 2,201 m ||<bgcolor=#cccccc> '''소나 간격''' || 2.5 f/min ||
         ||<bgcolor=#cccccc> '''소나 범위''' || 2,267 m ||<bgcolor=#cccccc> '''소나 간격''' || 2.58 f/min ||
         ||<bgcolor=#cccccc> '''소나 범위''' || 2,336 m ||<bgcolor=#cccccc> '''소나 간격''' || 2.65 f/min ||
         ||<bgcolor=#cccccc> '''소나 범위''' || 2,406 m ||<bgcolor=#cccccc> '''소나 간격''' || 2.86 f/min ||
         ||<bgcolor=#cccccc> '''소나 범위''' || 2,478 m ||<bgcolor=#cccccc> '''소나 간격''' || 2.95 f/min ||
         ||<bgcolor=#cccccc> '''소나 범위''' || 2,552 m ||<bgcolor=#cccccc> '''소나 간격''' || 3.04 f/min ||
         ||<bgcolor=#cccccc> '''소나 범위''' || 2,629 m ||<bgcolor=#cccccc> '''소나 간격''' || 3.13 f/min ||
         ||<bgcolor=#cccccc> '''소나 범위''' || 2,708 m ||<bgcolor=#cccccc> '''소나 간격''' || 3.22 f/min ||
         === Intrepid ===
         ||<bgcolor=#cccccc> '''소나 범위''' || 1,656 m ||<bgcolor=#cccccc> '''소나 빈도''' || 2.22 f/min ||
         ||<bgcolor=#cccccc> '''소나 범위''' || 1,764 m ||<bgcolor=#cccccc> '''소나 빈도''' || 2.44 f/min ||
  • 어쌔신 크리드 III/아이템/대번포트 농지 . . . . 31회 일치
          * 트립마인(Trip Mines)
          * 영국제 플린트락 권총(English Flintlock Pistol)
          * 이탈리아제 플린트락(Italian Flintlock)
          * 워싱턴의 전투용 검(모조품)(Washington's Battle Sword(Replica))
          * 왕립해군 해상근무 플린트락(Royal Navy Sea Service Flintlock)
          * 이중 권총집(Twin Holster)
          * 트립마인 파우치 업그레이드 1(Trip Mine Pouch Upgrade 1)
          * 불쏘시개(Kindling)
          * 소나무 목재(Pine Lumber)
         == 사냥(Hunting) ==
          * 살균제(Disinfectant)
          * 부싯돌(Flint)
          * 면모교직물(Linsey-woolsey)
          * 재봉실(Sewing Threads)
         == 광물(Mineral) ==
         == 의류(Clothing) ==
          * 옷(Clothing)
          * 라쿤가죽 모자(Coonskin Hat)
          * 좋은 모자(Fine Hats)
          * 감기약(Cold Medicine)
  • 장재인 . . . . 31회 일치
         [Include(틀:상위 문서, top1=가수/한국)]
         [include(틀:SM 엔터테인먼트 그룹)]
         [include(틀:미스틱엔터테인먼트)]
         [include(틀:슈퍼스타K TOP3)]
         ||||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5/54/Jang_Jae_In.jpg/250px-Jang_Jae_In.jpg ||
         ||<width=55> '''이름''' ||<(> 장재인(張才人, Jang Jaein[* 로마자 표기 Jang Jaein의 출처는 [[http://tvdaily.asiae.co.kr/read.php3?aid=1291441333109297010|본인의 여권]].]) ~~[[주원]]~~ ||
         || '''링크''' ||<(> [[http://m.cafe.naver.com/shinyjaein.cafe|공식사이트]] [[http://blog.naver.com/merryjam|[[파일:네이버 블로그 아이콘.png|width=24]]]] [[https://m.facebook.com/jangjaneofficial|[[파일:페이스북 아이콘.png|width=24]]]] [[https://instagram.com/jangjane_/|[[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png|width=24]]]] ||
         지향하는 음악은 포크 음악이며, 어릴 때부터 음악을 시작했다. 부모님 (특히 아버지)의 반대가 심했다고.. 첫 자작곡은 7살 때 쓴 동요고, 자신이 '노래다운 노래를 만든 것 같다'라고 말할 정도의 자작곡은 중3 때 처음 썼다.[[http://m.media.daum.net/m/entertain/newsview/20100915175413774|#]] 실용음악과 중에서도 경쟁률이 높기로 유명한 호원대 싱어송라이터과에 합격하면서(교수 [[정원영]] 현재 정원 '''5명'''...) 본가인 광주를 떠나 서울로 상경하게 된다. 슈퍼스타K2에 참가하기 전부터 클럽 등에서 '''재인(才人)'''이라는 예명으로 활동하다가, 마음에 맞는 사람들과 재인밴드를 결성, 슈퍼스타K2에 참가하기 전까지 활동하게 된다. 이 때문에 후에 '[[이승철]]이 홍대클럽에서 장재인을 봤다.(이승철이 3차예선 시작할 때 '어, 어디서 본 것 같은데?'라는 말을 한 게 원인)', '사실 제작진이 장재인을 홍대에서 섭외해 왔다.' 라는 --기본--기초적인 루머가 형성되기 시작했다.
         별명은 신데렐라(혹은 장데렐라), 초식공룡, 귀인, 지리산 거북이, 장띠방. 탑4중에서는 제일 늦게 갤러리가 생성되었다.[[http://gall.dcinside.com/list.php?id=jji|#]]최근에는 갤러리에 인증글을 쓰기도 했다.[[http://gall.dcinside.com/list.php?id=jji&no=62047&page=1&bbs=|#]]
         2010년 11월 26일 서울에서 슈퍼스타K2 탑11 콘서트가 열렸다. 여기서 재인은 김그림과 '로미오'를 불렀고, 솔로곡으론 '미소를 띄우며 날 보낸 그 모습처럼'을 불렀다. [[http://gall.dcinside.com/list.php?id=jji&no=922&page=1&bbs=|#]]
         2011년 3월 22일 밤 8시(홍콩 시간)부터 2시간 반 동안 홍콩 aTV 주최 하에 열릴 예정인 아시아 레인보우 TV 어워드(亞洲彩虹獎電視頒獎禮)에 게스트로 참가할 예정. [[http://www.hkatv.com/v3/11/infoprogram/rainbowtvaward2011/list1.html|맨 하단에 張才人이라 씌여져 있다.]] 식전 행사에서 레드 카펫을 밟고 나왔는데 하필 그 전 순서가 진교은(陳喬恩)[* 명중주정아애니(命中注定我愛你)로 유명한 대만 배우.]이 나온 바람에 고작 10~20초밖에 안 잡혔...아니 이전에 인터뷰도 얼마 안 하고 사인만 하고 갔다. 무대에서는 레몬트리와 풍경을 불렀다. 그런데 진행자가 영어로 소개를 했는데 발음이 "저진 인"(…)으로 들린다. [[이뭐병]]...
          * '''Losing my way''' : 중3 때 여러가지 이유로 '길을 잃은 것 같다'라는 생각과 세 달간 계속 머리속에서 맴돌았다는 멜로디로(영상 초반부에 나온다.) 만든 첫 번째 자작곡. 한때 제목을 Loosing my way로 알고 있는 팬들이 많았으나, 장재인이 정정해주었다.[[http://www.youtube.com/watch?v=4iEYSeUmppA|#]]
          * Please (Inst.)
         12월 14일 2화에서 처음 짧게 등장하였고, 16일엔 [[http://pann.nate.com/video/215920747|티저영상]]이 공개되었다. 나오는 장면으로만 추측해보면(이지아 중심으로 차승원, 정우성이 나옴), 차승원-이지아-정우성의 삼각관계 신 혹은 이지아 테마일 가능성이 높아졌다. 21일 자정에 음원과 [[http://gall.dcinside.com/list.php?id=jji&no=34423|뮤직비디오]]가 공개되었다. 그리고 4화 마무리를 Please 티저영상으로 했다.(...)
         감성적이고 슬픈 곡이다. 덕분에 '''사망씬'''에 나올 거라는 추측이 대세를 이루고 있음. 그리고 예상은 적중했다(...)[[http://gall.dcinside.com/list.php?id=jji&no=98229|#]] 발매 초기엔 차트에서 약간 주춤하는 모습을 보였으나, 현재 각종 차트 중상위권을 차지하는중. 다만 아이유의 강세--3단 꺾기--가 너무 강한 탓인지, 1위를 하는 모습은 몇번 보여주지 못했다. --근데 드라마 자체가 시망직전 아니, 거의 시망했다.--
         == Early Days (Single) (2011.3.9) ==
         == 겨울밤 (Single) (2011.12.8) ==
         == 다른 누구도 아닌 너에게 (Single) (2012.2.8) ==
          03. Rainy Day
          05. Rainy Day (작은방 Ver.)
  • 김윤아(1974) . . . . 30회 일치
         [include(틀:다른 뜻1, other1=모바일 게임 스노우레인의 등장인물, rd1=김윤아(스노우레인))]
         [include(틀:회원수정)]
         ||||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8/8a/Kim_Yoon-ah_at_the_2011_World_Fair_Trade_Day_Festival_in_Korea_094.jpg/250px-Kim_Yoon-ah_at_the_2011_World_Fair_Trade_Day_Festival_in_Korea_094.jpg ||
         ||<#CF89D7> {{{#ffffff '''소속사'''}}} ||<#FFFFFF><(> 인터파크INT ||
         ||<#CF89D7> {{{#ffffff '''링크'''}}} ||<#FFFFFF><(> [[http://www.loveyuna.co.kr/user/main/main.php|공식사이트]], [[https://twitter.com/love_yuna|[[파일:트위터 아이콘.png|width=40]]]], [[https://instagram.com/love__yuna/|[[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png|width=40]]]], [[https://www.facebook.com/JaurimKimYuna/?ref=profile|[[파일:페이스북 아이콘.png|width=40]]]] ||
         2011년에는 송창식이 "김윤아가 노래를 잘한다는 건 알았지만 이 정도까지 잘할 줄 몰랐다. 기초가 아주 튼튼하더라"며 칭찬하였다. 물론, 김윤아가 송창식에게 칭찬을 듣는 것이 뭐가 대수냐는 반응도 있겠지만 한국 가요계에서 송창식에게 칭찬을 들을 정도면 이미 극찬이 울고 갈 수준이기 때문에 그낭 말 다한 거다.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3&oid=001&aid=0005424405|송창식 "나가수 통해 김윤아 다시 봤다"]]
         다른 가수에게 곡을 써주는 일이 매우 드물다. [[박정현]] 앨범 중에 작사를 2곡 해주었고 [[김경호]]와 동갑내기 친구 임현정의 앨범에서 작사를 1곡씩 해주었다. --유일하게-- 작곡까지 하고 편곡까지 한 경우는 [[장나라]]의 3집 앨범 수록곡인 '키키'이다. 2015년 7월에는 슈퍼주니어의 10주년 앨범에 Rock'n Shine을 작사/작곡/편곡 해주었다.[* 원래 제목은 슈퍼 매직 파워라고 전해진다][[http://www.stardaily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64310|곡을 주게 된 계기]]
         2002년에 이민용 감독의 영화 [[보리울의 여름]]에 [[수녀]] 역으로 캐스팅이 확정[[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3&oid=020&aid=0000140569|#]]되었으나 영화제작이 연기되면서 촬영과 밴드활동 일정이 겹쳐 아쉽게 출연이 무산된 적이 있다. (결국 김윤아가 하기로 한 수녀 역은 신애가 하게 되었다.)
         곡 제공과 더불어 피처링 역시 정말 드문데, [[김수철(가수)|김수철]], [[이적(가수)|이적]], 백현진, 킹조의 앨범에 각각 한 곡씩 피처링을 한 적이 있다. 김수철과 이적이야 말할 것도 없는 대가들인데 킹조는 누군가 하면 김윤아의 남편인 김형규가 결성했던 힙합 그룹이다(…). --[[한조(오버워치)|THE KING☆HANZO]]가 아니다-- 나가수에서 '사랑 밖엔 난 몰라'의 듀엣무대를 함께 한 백현진의 '반성의 시간' 앨범의 '어른용 사탕'이라는 곡에서도 피처링을 했다. 그런데 2012년, '''굉장히 놀랍게도''' [[G.DRAGON]]의 2번째 솔로 앨범에서 'Missing You' 라는 곡에 피처링을 했다. 그리고 'Missing You' 는 타이틀곡인 'Crayon' 을 팀킬해버렸다. 9월 4째주 [[뮤직뱅크]] [[케이 차트]]에서 Crayon은 9위에 Missing You는 2위에 랭크된다. 참고로 1위는 [[싸이|월드 스타]]의 [[강남스타일]].
         사실 남편인 김형규도 [[덕질]]로 만난 사이다. 김윤아는 [[뉴타입(잡지)]] 한국판 창간부터 만화에 대한 칼럼을 연재하다가 일신상의 이유로 그만 두게 되면서 그 지면을 김형규가 이어받아 연재하게 되었는데 칼럼의 전임자와 후임자가 우연히 만나 서로 소장한 만화를 보면서 덕력에 감탄하고 교류하다가 그게 데이트가 되고 결혼까지......[[http://m.entertain.naver.com/read?oid=420&aid=0000000805|#]] 김형규 씨도 만만치 않은 오덕후인데, [[치과대학]] 본고사 때 문제 중 하나를 [[슈퍼닥터 K]]에서 본 내용 때문에 풀 수 있었고, 면접 때 교수가 문제를 어떻게 풀수 있었는지 질문하자 책 제목을 언급했다고 한다. [[http://acomics.co.kr/archives/16578|#]]
         인디씬 태생이었던 자우림이 이름을 얻기 시작하자 (2000년대 이후) '자우림은 김윤아 밴드일 뿐'이며 '상업적이다', '김윤아는 성형한 주제에 [[페미니스트]]인 척 한다'는 식의 비난이 시작되었고, 이러한 네티즌들에게 화가 난 김윤아가 2005년 자신의 홈페이지에 반박글을 올린 적이 있다. 홈페이지가 리뉴얼되어 원글은 사라졌지만 관련기사가 남아 있다.[* 글 제목은 '헛소리는 집어치워라' 이다.]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6&oid=112&aid=0000005069|자우림 김윤아, 자신 둘러싼 근거없는 이야기 반박글 올려]]
         김윤아가 그냥(...) 마음에 들지 않았던 네티즌은 허위 사실을 유포하여 김윤아의 이미지를 추락시키기에 이르렀는데 그것이 바로 김윤아 담배 사건이다. 이에 분개한 김윤아의 남편 김형규는 한 네티즌이 주요 포털(네*트) 뉴스란 댓글에 올린 '김윤아가 카페에서 어린 아들을 앉혀놓고 흡연을 했다' 라는 내용의 글을 문제 삼아 이러한 글을 올린 ~~잠재적 살인자인 악플러~~네티즌을 명예훼손으로 고소하였다.[[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6&oid=032&aid=0002070367|#]] [[ http://v.entertain.media.daum.net/v/20100618191113212?f=m|##]]
         김윤아의 남편 김형규가 '김윤아가 자녀 앞에서 담배를 피운다' 라는 허위 사실을 유포한 악플러를 명예훼손으로 고소하자 김윤아의 이미지는 바닥으로 추락하고 김윤아가 자녀 앞에서 담배 피우는 것이 사실인 양 매도하는 네티즌[[http://gall.dcinside.com/board/view/?id=kpop&no=736820|#]]과 허위 사실을 유포한 악플러를 명예훼손으로 고소한 김윤아의 남편 김형규를 비꼬는 네티즌[[http://gall.dcinside.com/board/view/?id=sundaynight&no=828807|##]]도 등장하기에 이르렀다. ~~그런데 둘 다 모두 디씨발이라는 것은 함정~~
         여담으로, 김윤아의 뮤직웨이브를 관람하는 일본투어상품이 나왔다고 한다.[[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6&oid=112&aid=0000011819|관련 기사]]
         여담으로, '마담B의 살롱'은 [[권교정]]의 '마담 베리의 살롱'에서 따왔다는 이야기도 있지만 사실은 마담 B는 아명이 김비였던 MC 김윤아를 지칭하는 말이기도 하고 'Beyond the music' 'Behind the show' 'B-side music' 등 음악 외에도 다채로운 모습을 보여주겠다는 김윤아의 의지가 담긴 이름이라고 한다.[[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6&oid=108&aid=0001988670|관련 기사]]
          * 2017년 1월부터 SBS MTV ‘더스테이지 빅플레저’(이하 ‘더스테이지’) MC를 맡게 되었다. MC 데뷔 첫 방송은 2월 1일에 한다. [[http://m.entertain.naver.com/read?oid=416&aid=0000198851|#]]
          * [[2018년]] 3월 23일부터 방송되는 [[JTBC]]의 버스킹 리얼리티 프로그램 [[비긴어게인(JTBC)|비긴어게인 시즌2]]에 출연한다.[[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6&oid=117&aid=0003011323|관련 기사]] 촬영은 이미 완료되었고, 김윤아는 [[자우림|이선규]], [[윤건]], [[로이킴]]과 한팀을 이루어 [[포르투갈]]에서 버스킹을 하였다.
         [include(틀:김윤아/음반 목록)]
         ||<rowbgcolor=white> 2015.04.19 || [[드라마]] || [[실종느와르 M]] || 실종느와르 M (OCN 토요드라마) OST || '''자각몽 (feat.올티)'''[br]자각몽 (inst.) ||
         ||<rowbgcolor=white> 2017.02.09 || [[드라마]] || [[사임당, 빛의 일기]] || 사임당, 빛의 일기 (SBS 수목드라마) OST - Part.2 || '''연'''[br]연 (inst.) ||
  • 윤종신 . . . . 29회 일치
         ||||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a/af/Yoon_Jong-shin_from_acrofan.jpg/250px-Yoon_Jong-shin_from_acrofan.jpg ||
         ||<bgcolor=#201e1f> {{{#FFFFFF '''이름'''}}} ||<(> 윤종신(尹鍾信, Yoon Jong Shin) ||
         ||<bgcolor=#201e1f> {{{#FFFFFF '''예명/가명'''}}} ||<(> 신경필[* 소속사 문제로 1996년 015B 6집 앨범에서 쓴 가명. 비슷한 경우로 3집과 5집엔 [[이승환|이철민이라는 가명의 가수가 있었다]].], 탁영[* 하림 1집 작사 당시 사용한 가명. 박진영의 파티피플 출연 당시 '탁한 영혼'이라는 뜻이라고 말했으나, 탁한 그림자(影)일 수도 있다. [[http://yoonjongshin.org/xe/index.php?mid=shinsmind&page=12&sort_index=regdate&order_type=desc&document_srl=37771|한자 출처]]], 풍운아[* 디지털 싱글로 트로트곡 <사랑의 뒷북> 발매 당시] ||
         ||<bgcolor=#201e1f> {{{#FFFFFF '''SNS'''}}} ||<(> [[http://www.yoonjongshin.com/|月刊 尹鍾信]] [[https://twitter.com/melodymonthly||[[파일:트위터 아이콘.png|width=24]]]] [[https://www.facebook.com/monthlyjsl|[[파일:페이스북 아이콘.png|width=24]]]] [[https://www.instagram.com/yoonjongshin|[[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png|width=24]]]] ||
         2000년대 초반 이후로는 군대에서 알게 된 작/편곡가 이근호와 매우 자주 함께 작업한다. [[http://www.yongin21.co.kr/news/articleView.html?idxno=14757|인터뷰 참조.]] 거리에서, 넌 감동이었어, 시간, 지친 하루, 오르막길 등 2000년대와 2010년대를 걸쳐 이근호의 손을 거친 명곡이 상당히 많다. 알고보면 하림, 조정치 등에 버금가는 전속 어시스턴트. 이근호는 클래식 작곡에 능하여, 윤종신이 흥얼거리는 멜로디에 코드와 반주를 입히고 편곡을 하는 역할을 맡는 것으로 보인다. 참고로 이근호씨는 [[http://kid.chosun.com/site/data/html_dir/2014/03/10/2014031002695.html|2014년 창작동요대회 대상]]을 수상하였다. 동요뿐만 아니라 성가 등도 작곡하는 듯.
         데뷔 당시 윤종신은 옥구슬같은 미성을 자랑했으나 솔로 1집(1991년)~3집(1993년) 사이에 맑은 음색이 사라지고, 4집(1995년) 전후로 [* 정확히 말하면 The Natural Live 앨범 (1994)에서부터] 목소리가 급격히 탁해지더니 [[1999년]]~[[2000년]] [[유희열|토이]] <[[A Night In Seoul]]>, 8집 <[[헤어진 사람들을 위한 지침서]]>를 마지막으로 '''목소리 자체가 바뀌어버렸다!!''' 당장 1999년에 나온 <[[후반]]> 때 목소리와 2001년 9집 <[[그늘(음반)|그늘]]>을 연달아 들어보면, 그 2년 사이에 많이 달라져 있다. [* 제대 이후 방황하던 7집의 발성에 비해 오히려 2000년 8집을 기점으로 현재와 같은 창법으로 안정화됐다고 봐야 할 듯.] 때문에 당시 같이 미성으로 이름을 날렸던 [[신승훈]]도 그의 목소리가 너무 변했다며 안타까워했다. [[이승환]]의 증언에 의하면 자신이 아는 가수 중 가장 단기간에 가장 많이 목소리가 변한 가수라고.
         [include(틀:윤종신의 음반 목록)]
         [[2005년]], 10집 [[Behind The Smile]]을 발매했다. 군 입대를 전후하여 윤종신 음악을 전기와 후기로 나눌 때, 후기를 대표하는 앨범. 90년대 초창기 솔로앨범들에 큰 도움을 준 음악적 스승 015B의 정석원, 그리고 7집 이후의 음악적 파트너인 [[하림(가수)|하림]]과 함께 한 점이 특기할 만한 부분이다. 타이틀곡인 '너에게 간다'도 제법 히트하며, 매니아들과 대중을 두루 만족시킨 명반.
         앞서 언급한 8~10집은 5집과 함께 윤종신을 대표하는 명반으로 평가된다. 평론가들은 대개 10집과 5집을 윤종신의 디스코그라피 중 으뜸으로 꼽는다. 참고로 한겨레에서 만든 음악웹진 백비트에서 선정한 [[2000년대]] 베스트 앨범 100에서 [[http://www.soribada.com/#/Music/HotChart/BestAlbumSub.php?articleNo=103|'Behind The Smile'(10집)이 51위,]] [[1990년대]] 베스트 앨범 100에서 [[http://www.soribada.com/#/Music/HotChart/BestAlbumSub.php?articleNo=362|'우 (愚)'(5집)가 27위에 선정되었다]]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월간 윤종신)]
         2010년 윤종신의 음악활동은 월간 윤종신 프로젝트로 요약될 수 있다. 이 프로젝트의 시작은 M.net에서 방영한 디렉터스 컷(Director's cut)이라는 프로그램인데, 당시 윤종신이 아끼는 인물들(하림, 조정치, 정지찬 등)이 많이 나왔었다. 디렉터스 컷에서는 출연진들이 특정 지역을 여행하면서, 윤종신이 미리 만들어둔 멜로디에 함께 가사를 붙였다. 여기서 만들어진 수많은 노래 중에 단 두 곡, '새로고침'과 '빈 고백'이 Director's Cut이라는 앨범으로 2010년 1월에 [[http://music.naver.com/album/index.nhn?albumId=167802|발매]]되었는데...
         2012년 10월에 발매된 [[손가인]]의 솔로 미니 앨범 2집 '[[손가인#s-4.2|Talk About S.]]'에 '시선'이란 곡으로 참여했다. 작사/작곡은 윤종신 본인이 하고 편곡만 POSTINO가 담당했다. 무려 가인과의 '''듀엣곡'''으로 가사가 비범하다. 사실 이 앨범 전체가 [[검열삭제|그런 컨셉]]이긴 하지만 사실 윤종신이 쓴 곡들치고 이런 느낌의 곡을 찾긴 힘든 편이다. [[손가인]]도 [[유희열의 스케치북]]에서 밝히기로 윤종신 선배님에게 곡을 받는다고 했을 때 발라드를 기대하고 갔는데 점점 부르다보니 가사가 이상했다고 한다. 결국 듀엣곡이 음흉해졌다고 녹음 후일담을 밝히기도 했다.
         솔로 2집 시절부터 함께 작업해 온 사진작가 '안성진'과 2017년 6월~8월 27일까지 한남동 소재 '월간 윤종신' 스튜디오에서 사진전을 개최했다. 2집~10집 사이의 앨범아트워크 사진을 전시하고, 사진집 및 원본 필름도 판매했다. [[http://yoonjongshin.com/archives/3101|인터뷰 영상]] 사진전이 9월 말까지로 연장되었다. 관심 있는 위키러는 방문해 보자.
         2017 전국투어 콘서트가 결정되었다. 콘서트명은 무려 '''윤종신 좋니?''' [[http://ticket.interpark.com/Ticket/Goods/GoodsInfo.asp?GoodsCode=17012241|링크]] 광주 (10월 28일)부터 순차적으로 일정 공개.
         실제로 015B 멤버들의 어머니가 [[2013년]] 암으로 세상을 뜨면서, 2014년에 만들었던 곡인데 발표를 하고 있지 않다가, 2017년에 새롭게 작업을 한 곡이다. 곡이 곡인지라 심금을 울리는 노래 내용과 가사가 일품이다. 실제로 10월 27일, 015B 'Homecoming' 콘서트에서 게스트로 참가한 윤종신이 이 노래를 부르다가 울기도 했다. 윤종신의 요청으로 앵콜에서 다시 불렀으나.... 또 울었다. 멤버들의 어머니와 오래전부터 알고 있던 사이이기도 하고 본인의 어머니도 요양원에 계시는만큼 감정이입이 된듯하다. 유투브에 직캠영상이 떠있으니 관심있는 위키러들을 찾아보기를 권한다.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좋니)]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윤종신/사건 및 사고)]
          * 2011년, [[http://gall.dcinside.com/board/lists/?id=jongshin|디씨인사이드 윤종신 갤러리]](약칭 깐갤)가 개설된 직후, 갤러리에 출몰 및 인증한 적이 [[http://gall.dcinside.com/board/view/?id=jongshin&no=18442&page=1|있다]]. 닉네임은 '''왕왕왕...''' [* 아마도 음악왕이란 표현을 변형한 듯. 혹은 강아지가 짖는 소리일수도...?] 최근 컴퓨터 화면이 캡처되었을 때 즐겨찾기에 디씨 갤러리의 아이콘이 등장한 적이 있다. 아마도 종종 눈팅하는 듯. 2017년 현재에도 계속 갤을 눈팅하고있다. 갤에서 만든 움짤을 퍼가서 인스타에 출처 ; DC 윤종신 갤러리라고 당당하게(?) 올렸다.
          * 팬클럽 '공존' 홈페이지에는 윤종신이 2001년부터 2012년까지 때때로 남긴 일기가 [[http://yoonjongshin.org/xe/shinsmind|모여있다]].
  • 최다빈 . . . . 29회 일치
         | 사진 =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9/98/Junior_World_Championships_2015_%E2%80%93_Ladies_%28Da_Bin_CHOI_KOR_%E2%80%93_9th_Place%29_%2811%29.jpg/220px-Junior_World_Championships_2015_%E2%80%93_Ladies_%28Da_Bin_CHOI_KOR_%E2%80%93_9th_Place%29_%2811%29.jpg
         최다빈은 [[4대륙 선수권]]을 앞두고 쇼트프로그램 음악 변경이라는 초강수를 두었는데, 기존의 음악 '맘보'를 스티븐 유니버스 ost 'It's over, isn't it?'과 '라라랜드 ost 中 Someone in the crowd'로 바꾸고 경기에 출전했다. 그 결과 4대륙 쇼트에서 자신의 개인 최고점을 경신(61.62)하는 성과를 보였고, '닥터 지바고'에 맞춰 선보인 프리 경기에서도 약간의 실수가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역시 개인 최고점(120.79)을 내며 종합 점수 기록도 갈아치웠다. (182.41) 특히나 이때 프리스케이팅의 기록은 [[김연아]] 선수 이후 대한민국 피겨 선수 프리스케이팅 최고점이기도 했다.
         8월 1일, 소속사를 통해 쇼트프로그램은 영화 [[에비타]]의 OST <Don't cry for me Argentina>로, 프리스케이팅은 비제의 오페라 [[카르멘]]으로 선곡했음을 밝혔다. 9월 중순 온드레이 네펠라 트로피에 출전할 예정이고, 전후 사정에 따라 다른 한 개의 챌린저 대회도 나갈 수 있음을 시사했다. 올 시즌 그랑프리 두 개 대회에 초청 받았다. 첫 대회는 2차 <스케이트 캐나다>이며, 두 번째 대회는 4차 <NHK 트로피>이다. 두 대회는 시니어 첫 데뷔 시즌에 나간 적이 있었으며 각각 7위와 9위를 한 경험이 있다.
         * Don't cry for me Argentina (Vocal.Madonna)<br>{{small| (from ''[[에비타 (영화)|에비타]]'') <br> choreo. by 미야모토 겐지}}
         * Sparkling Diamonds <br>{{small| (from ''[[물랑루즈 (영화)|물랑루즈]]'') <br> choreo. by 미야모토 겐지}}
         * Someone in the Crowd <br>{{small| (from ''[[라라랜드 (영화)|라라랜드]]'') <br> by [[저스틴 휴이츠]] <br> choreo. by 나카지마 테츠야, 파스퀘일 카멜렝고}}
         * Someone in the Crowd <br>{{small| (from ''[[라라랜드 (영화)|라라랜드]]'') <br> by [[저스틴 휴이츠]] <br> choreo. by 나카지마 테츠야, 파스퀘일 카멜렝고}}
         * 부에노스아이레스의 겨울(Invierno Porteno) <br>{{small| by [[아스토르 피아졸라]] }}
         * [[Sing, Sing, Sing (With a Swing)|Sing, Sing, Sing]] <br>{{small| by [[루이스 프리마]] }}
         ! style="background-color: #ffdead; " colspan=9 align=center | International<ref name="ISU-DC">{{웹 인용|url= http://www.isuresults.com/bios/isufs_cr_00014382.htm |title= Competition Results: Da Bin CHOI |publisher= International Skating Union }}</ref>
         ! [[2011–12 figure skating season|11–12]]
         ! [[2012–13 figure skating season|12–13]]
         ! [[2013–14 figure skating season|13–14]]
         ! [[2014–15 figure skating season|14–15]]
         ! [[2015–16 figure skating season|15–16]]
         ! [[2016–17 figure skating season|16–17]]
         ! [[2016–17 figure skating season|17–18]]
         ! [[2016–17 figure skating season|18–19]]
         ! style="background-color: #ffdead; " colspan=9 align=center | International: Junior, Novice<ref name=ISU-DC/>
         ! [[2008–09 figure skating season|2008–09]]
  • 하현우 . . . . 29회 일치
         [include(틀:상위 문서2, top1=가수/한국, top2=국카스텐)]
         ||<:><bgcolor=#353535>'''{{{#white 학력}}}''' ||<(>[[안산고등학교]][br][[배재대학교]](중퇴)[* 미대를 다니다가 음악을 하기 위해 [[http://www.goodmorningcc.com/news/articleView.html?idxno=38225|중퇴]]했다. 동양화를 전공했다는 설이 있다. 2016년 전국투어 콘서트 대전공연에서 배재대학교를 다녔다고 밝혔다. 참고로 하현우는 다른 록커들과 비교할 때 음악도 상대적으로 늦게 시작한 편이지만, 미술 역시 매우 늦게 시작했다. 고등학교 이후에 미술에 흥미가 생겨 미술학원을 다니며 배우기 시작했다고 한다.][* 국카스텐 심야식당에서 나온 바로는 CC클럽 회장이었는데, 고3 때 정신 차리고 학교에서는 자고 남은 시간에 새벽까지 학원에서 그림만 그렸다고 한다.]||
         ||<:><bgcolor=#353535>'''{{{#white SNS}}}'''||<(>[[https://twitter.com/guckkasten_v?lang=ko|[[파일:트위터 아이콘.png|width=20]]]] [[https://www.instagram.com/vocal_hahyunwoo|[[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png|width=20]]]]||
         [include(틀:복면가왕 장기집권 가왕)]
         https://search.pstatic.net/common/?src=http%3A%2F%2Fblogfiles.naver.net%2FMjAxODAzMDFfMjEy%2FMDAxNTE5ODg4NTI4MDE5.3E_kn-4T_LEGYrYSeB-XYBu9wKVrcHeo2bY8IS2t0Uwg.vBRM-wsq7QZ4yTMkigqAsndJWcCDzE6nC4iNGy2iZAQg.PNG.yours50%2F%25C7%25CF%25C7%25F6%25BF%25EC_%25C7%25E3%25BF%25B5%25C1%25F6_%25BF%25AD%25BE%25D6_%25281%2529.png&type=n88_88
         ||<(>※ 아래 내용은 하현우가 2015년 4월 28일 조선대학교 강연에서 했던 자신의 인생에 대한 얘기[* [[http://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ppl0523&no=15049&page=1&search_pos=&s_type=search_all&s_keyword=YMCA|강의 내용 전문 보기]], [[http://blog.naver.com/sonkhj1116/220729059480|강의 내용 육성으로 듣기]].]와 몇몇 기사의 내용을[* [[http://www.sangsangmadang.com/webzine/pickupView.asp?seq=3272|2009년도 인터뷰]], [[http://tvdaily.asiae.co.kr/read.php3?aid=14653783701123625010|관련 기사]].] 참고하여 간추린 것이다. ||
         상당히 예민하고 감수성 풍부한 어린 시절을 보낸 것으로 추측된다. 아픈 기억이 많아서인지 중학생 때까지만 해도 매우 내성적이어서 친구가 거의 없었다고 한다.[* 인터뷰를 통해 가슴에 맺혀있는 아픈 일화를 몇 개 엿볼 수 있는데, 하현우 어머니께서 반에 떡을 돌리시고 며칠 뒤에 같은 반의 부잣집 애가 비꼬면서 [[피자]]를 반에 돌리며 한 조각을 줬다든지, 풍물동아리에서 선생이 하현우의 장구를 빼앗아서 다른 애에게 줬다든지 하는 사건들이다.] 덕분에 목소리를 낼 일이 없어서 변성기를 무사히 넘기고 지금의 카랑카랑한 고음을 낼 수 있었던 것 같다고. 그러니 변성기인 친구들은 우리 콘서트 오지 말라는 말도 농담 삼아 [[https://www.youtube.com/watch?v=uJ5QiNtozmo|인터뷰]]에서 했었다. 그는 자신의 사춘기를 패배감, 무력감, 눈물 투성이의 시절로 기억한다. 이러한 아웃사이더로서의 자아상은 사실 사춘기를 지나서도 하현우에게 꾸준히 깊은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이고 자연히 국카스텐의 음악 세계에서, 특히 정규 앨범 1집에서 중요한 테마를 이룬다.
          * 맑고 깨끗한 미성[* 나가수에서 선보인 'The Saddest Thing'이나 2집 수록곡 '변신', 'Frame' 등의 노래에서 들어볼 수 있고 복면가왕에서 부른 '[[일상으로의 초대]]'에서 정점을 찍는다.]과 거칠고 둔탁한 탁성[* [[나는 가수다 2]]에서 선보인 '[[넋두리(노래)|넋두리]]'와 [[복면가왕]]에서 선보인 '[[Lazenca, Save Us]]'.]을 자유자재로 구사할 줄 알며, 곡의 분위기에 따라 소름 끼치게, 몽환적이게, 애절하게 등등 다양한 느낌의 소리를 매끄럽게 뽑아내기도 한다. 콘셉트를 끌고 가거나 곡 해석하는 실력도 매우 뛰어나다. 덕분에 온갖 장르의 노래들을 전혀 위화감 없이 잘 소화해낼 수 있다. 그래서 복면가왕에서 얻은 별명이 '''장르 파괴자.''' 보편적인 감성과는 다소 거리가 있고, 한국 대중들은 발라드와 댄스에 매우 익숙해져 있다보니 록이 사양길을 걷는 장르가 되어버린 지 오래라, 대중들에게 널리 알려진 곡은 나가수 전까지는 많지 않은 편. 음폭이 깡패임에도 불구하고 모든 곡에서 넓은 음역을 뽐내기보다 분위기에 맞게 적절히 절제해 사용하는 것도 특징이자 장점.
         2011년 1월부터 2012년 11월까지 [[광주MBC]]에서 매주 토요일 저녁에 방영하는 라이브 공연 프로그램인 문화콘서트 난장의 MC를 맡았다. PD가 국카스텐의 'Sink Hole'을 들은 뒤 주변의 만류에도 불구하고 반드시 섭외를 해야겠다고 마음을 먹었다는 후문이 있다.
         [include(틀:스포일러)]
         복면가왕의 민철기 PD가 연출하는 [[tvN]] 신규 음악 예능 프로그램인 '[[수상한 가수]]'에 고정 패널로 출연했다. [[http://program.tving.com/tvn/shadowsinger/4/Contents/Html|#]]
         ==== [[허클베리핀]] - Huckleberry Finn Live (2010.09.07) ====
         ||01||I Can't Stop Loving You||류원광, 손연성||류원광, 손연성||류원광, 손연성||
         ||02||설레이는 소년처럼 (Inst.)||[[신해철]]||신해철||영광의 얼굴들, 조용호||
         2018년 6월 16일 진행된 [[메이플스토리]] 쇼케이스 [[메이플스토리/업데이트 내역#s-9|The BLACK]] 행사에서 [[https://twitter.com/Guckkastens/status/1007887087780032516|깜짝 등장]]함과 동시에 라이브로 해당 곡을 불러서 아무런 사실을 모르던 메이플스토리 유저들은 그야말로 [[충격과 공포다 그지 깽깽이들아|충공깽]]의 상황을 겪었다고 한다. 해당 곡을 행사장에서 부른 이후 당일 오후 6시에 릴리즈. 하현우 팬들 또한 '''"[[형이 왜 거기서 나와|형이 왜 거기서 나와?]]"'''라는 반응을 보였고, 메이플스토리 공식 트위터에서도 이 [[https://twitter.com/MapleStory_KR/status/1009622804516360192|유행어]]를 알고 있다는 걸 드러냈다. 곡의 테마는 [[검은 마법사]]라고 한다. [[http://news.mk.co.kr/newsRead.php?year=2018&no=380681|링크]] [[https://www.instagram.com/p/BkFdGLMghTc/|작사가 인스타그램 관련글]] [[https://www.instagram.com/p/BkFSrBUAivQ/|작곡가 인스타그램 관련글]]
         [[https://www.youtube.com/watch?v=1Pjsyq_BSuU|목소리가 없는 반주 MR (Inst.) 버전]]을 들어보면 마치 최종 보스 BGM 같은 웅장함이 느껴진다고 한다.
          * [[디시인사이드]]와 인터뷰를 했다. [[인디밴드 갤러리|인밴갤]] 외에 아는 것이 없다고. 베이스 김기범에 따르면 하현우와 접속하려고 해봤으나 어려워서 못 들어갔다고 한다.[* 반면 드러머인 이정길은 들어가 보았다고.] 인밴갤 외에 록 갤러리를 아냐고 물었더니 하현우 왈: "들어가는 거 너무 힘들어요. 트위터보다 더 힘들어요." [[http://bookdb.co.kr/bdb/Interview.do?_method=InterviewDetail&sc.mreviewNo=25043|인터뷰 발췌]].
          [[http://cafe.naver.com/2l/25712|해당 글 링크]]. 다만 링크를 직접 클릭하면 카페 회원만 볼 수 있게 되어 있어, 비회원이 글 내용을 보려면 네이버 카페 검색에서 기간 설정을 2007.07.19~2007.07.19 로 두고 검색해야 한다. [[http://section.cafe.naver.com/ArticleSearch.nhn?query=%EA%B5%AD%EC%B9%B4%EC%8A%A4%ED%85%90&where=#%7B%22query%22%3A%22%EA%B5%AD%EC%B9%B4%EC%8A%A4%ED%85%90%22%2C%22sortBy%22%3A0%2C%22period%22%3A%5B%5D%2C%22menuType%22%3A%5B0%5D%2C%22searchBy%22%3A0%2C%22duplicate%22%3Afalse%2C%22inCafe%22%3A%22%22%2C%22withOutCafe%22%3A%22%22%2C%22includeAll%22%3A%22%22%2C%22exclude%22%3A%22%22%2C%22include%22%3A%22%22%2C%22exact%22%3A%22%22%2C%22page%22%3A1%2C%22escrow%22%3A%22%22%2C%22onSale%22%3A%22%22%7D|혹시 모르는 분들을 위해]].
          * 소신 있는 발언이 화제가 되었다. 가창력이 딸리는 아이돌들을 디스하는데 [[http://cfile23.uf.tistory.com/original/233DE14156AE7262074BBB|이 짤방이]] 쓰인다. 바로 아이돌은 가수가 아니라는 것. 다만, [[미스터리 음악쇼 복면가왕|복면가왕]] 등의 프로에서 특출난 실력을 뽐내는 아이돌들이 등장하면서 재발굴되어 까임거리도 되었다가 찬양도 되었다가를 반복하는 중이다. 일단 저 발언 자체는 실력이 검증되지 않은 아이돌들이 공장에서 물건이 찍혀나오듯 밀려나오며 아이돌에 대한 여론이 최악이었던 시기에 한 발언이고, 해당 인터뷰를 요청했던 프로그램 자체가 기획사에서 양산되는 아이돌들을 비판하는 취지였다.[* 실제로 이 발언이있고 얼마안되서 김기범과 함께 라디오에 출연해 좋아하는 아이돌로 미쓰에이를 언급하기도 했다. 당시 미쓰에이는 멤버전원이 메인보컬급 이었음을 생각하면 하현우가 왜 그런 인터뷰를 했는지 알수 있다.] 게다가 해당 인터뷰를 하기에 앞서 국카스텐은 엠카운트다운에서 [[카라(아이돌)|모 아이돌]]과 협연 명목 하에 사실상 백밴드 노릇을 해야만 했던 적이 있었는데, 당시 해당 그룹이 노래를 너무나 엉망으로 했고, 이후 인터넷에서도 이 그룹들은 비판을 받았다. 짤방은 바로 그 일을 겪은 직후의 시기에 한 발언이었다. f(x)와의 합동무대에선 노래를 잘한다고 호평했다[[http://dc.news-ade.com/?c=news&m=newsview&idx=3623]]
          * 가수 브랜드 평판 2016년 6월 조사 결과에서 2위로 랭크 되는 위업을 달성했다. 2위를 제외한 1위부터 10위까지의 순위가 모두 아이돌 가수들임을 생각하면, [[복면가왕]] 출연을 통해 얻게 된 인기를 실감할 수가 있다. [[http://m.entertain.naver.com/read?oid=311&aid=0000619926|기사]].
  • 현아 . . . . 29회 일치
         |서명 = 4Minute - Hyuna's Signature.png
         '''현아'''({{본명|김현아}}, 金泫雅<ref>[http://tw.weibo.com/5729740541 현아 웨이보]</ref>, [[1992년]] [[6월 6일]] ~ )는 [[대한민국]]의 [[가수]]이다. 1992년 [[서울특별시]]에서 태어나 초등학교 재학 중 [[JYP엔터테인먼트]] 오디션을 통해 연습생이 되었고 약 4년의 연습생 생활을 거쳐 2007년 [[원더걸스]]의 싱글 〈[[The Wonder Begins]]〉로 데뷔했다. 그러나 같은 해 건강상의 문제로 인해 탈퇴를 했다.<ref name="as"/>
         이후 2009년 [[큐브 엔터테인먼트]]로 소속사를 옮겨 [[포미닛]]의 멤버로 합류해 다시 활동하기 시작했다. 이후 2010년 1월에는 첫 솔로 싱글 〈[[Change (현아)|Change]]〉를 발매했고, 골반춤이라는 안무를 유행시키며 성공적인 솔로 데뷔를 했다. 이어 2011년 7월에는 첫 번째 EP 음반 《[[Bubble Pop!]]》을 발매했고, 동명의 타이틀곡인 〈Bubble Pop!〉은 차트에서 상위권을 유지했다. 그리고 같은 해 12월에는 [[장현승]]과 유닛 그룹 [[트러블 메이커 (음악 그룹)|트러블 메이커]]를 결성해 2014년까지 활동하였다. 2012년 10월 두 번째 EP 음반 《[[MELTING]]》을 발매해 타이틀곡 〈Ice Cream〉으로 활동했고, 2014년 7월 세 번째 EP 음반 《[[A Talk]]》를 발매해 타이틀곡 〈빨개요〉로 활동했다. 2015년 8월 네 번째 EP 음반 《[[A+]]》을 발매했다. 2016년 그룹 [[포미닛]] 해체 후 8월 1일 다섯 번째 EP 음반 《[[A`wesome]]》을 발매했다. 2017년 5월 [[펜타곤 (음악 그룹)|펜타곤]] 멤버 후이, 이던과 함께 [[트리플 H (음악 그룹)|트리플 H]]로 활동 하였다. 8월 29일 여섯 번째 EP 음반 《[[Following]]》을 발매했다. 12월 4일 두 번째 싱글 앨범 《[[Lip & Hip]]》을 발매했다.
         [[현아]]는 1992년 6월 6일 [[서울특별시]]에서 태어났다. [[현아]]의 아빠는 예전에 연기를 하고 싶어 했는데, [[현아]]에게 "아빠 대신 네가 해보는게 어떻겠냐"라는 말에 하겠다고 답했다. 이후 일곱 살때 엑스트라로 활동했다.<ref name="네이버매거진">{{웹 인용|저자=ARENA|제목=현아의 시간 - GUILTY PLEASURE|url=http://navercast.naver.com/magazine_contents.nhn?rid=1636&contents_id=65194|출판사=네이버 매거진|날짜=2014-08-01|확인날짜=2015-06-16}}</ref> 초등학교 1, 2학년때 대학로에서 춤추는 사람들을 처음 봤고, 이를 계기로 춤을 배우기 시작했다.<ref name="네이버매거진"/> [[현아]]는 춤에 대한 열정이 그 누구보다도 컸었고, 초등학교 3학년 때부터 댄스 학원을 다녔다.<ref name="rta" /> 같은 시기 TV로 [[싸이]]의 〈새〉 안무인 새춤을 보면서 가수의 꿈을 키웠다.<ref>{{뉴스 인용|저자=홍은미 기자|제목=현아 싸이 언급 "초등학교 3학년 때 싸이의 '새춤'보고 꿈을 키웠다"|url=http://www.yeongnam.com/mnews/newsview.do?mode=newsView&newskey=20130531.990010724435354|출판사=영남일보|날짜=2013-05-31|확인날짜=2014-04-24}}</ref> [[동명여자중학교]] 시절 [[현아]]는 춤을 자신의 진로로 정했지만, 부모님이 반대하면서 갈등을 빚었다.<ref name="rta">{{뉴스 인용|저자=홍은미 기자|제목='강심장' 김현아, 머리에 X만 찼냐→춤으로 세상을 바꾸겠다 '춤사랑 공개'|url=http://www.tvdaily.co.kr/read.php3?aid=128268894982923002|출판사=티브이데일리|날짜=2010-08-25|확인날짜=2010-11-21}}</ref>
         이후 [[현아]]는 [[JYP 엔터테인먼트]] 공개 오디션을 통해 [[원더걸스]]의 두 번째 멤버로 합류했고 그룹에서 랩퍼를 맡았다. 2007년 2월 [[원더걸스]]의 데뷔 싱글 〈[[The Wonder Begins]]〉를 발매했고, 타이틀 곡은 〈Irony〉였다. 파워풀한 랩과 춤으로 "야생마"라는 별명도 얻었다.<ref name="as">{{뉴스 인용|저자=남안우 기자|제목=‘원더걸스’ 김현아, 건강상의 이유로 팀 탈퇴|url=http://www.mydaily.co.kr/news/read.html?newsid=200707301751501137&ext=na|출판사=마이데일리|날짜=2007-07-30|확인날짜=2008-12-31}}</ref> 2007년 5월 24일에는 [[안소희|소희]], [[브라이언]]과 함께 《[[쇼! 음악중심]]》 MC로 발탁되었다.<ref>{{뉴스 인용|제목=‘원더걸스’소희·현아 ‘쇼!음악중심’ 새MC|url=http://sports.khan.co.kr/news/sk_index.html?cat=view&art_id=200705242109433&sec_id=540101&pt=nv|출판사=스포츠경향|저자=조상인|날짜=2007-05-24|확인날짜=2014-06-29}}</ref> 하지만 MC에서 하차하고 나서 7월 [[원더걸스]]의 광고에도 참여하지 않는 등 탈퇴설이 돌았다. 이에 대해 소속사측은 "멤버 교체에 대해 논의한 것은 사실이다. 건강상의 이유로 문제가 있다"며 요양이라고 말했다.<ref name="세계일보">{{뉴스 인용|제목=원더걸스 멤버교체 위기 -­ 현아 이탈하나|url=http://www.segye.com/content/html/2007/07/31/20070731002528.html|출판사=세계일보|저자=이혜린|날짜=2007-07-31|확인날짜=2014-06-29}}</ref> 이후 건강상의 이유로 원더걸스에서 탈퇴한다고 공식 발표했다.<ref>{{뉴스 인용|제목=원더걸스 현아, 건강상 이유로 팀 탈퇴|url=http://star.mt.co.kr/view/stview.php?no=2007073016565270766&type=1&outlink=1l|출판사=머니투데이|저자=김원겸|날짜=2007-07-30|확인날짜=2014-06-29}}</ref> 실제로 [[현아]]는 [[만성장염]]을 앓고 있었고 세 번이나 탈진으로 쓰러지는 등 부모님의 반발을 샀다.<ref name="세계일보"/>
         탈퇴한 후 2008년 5월 [[현아]]는 비보이 페스티벌인 싸이언 비보이 챔피언십 2008 광고 홍보 모델로 등장해 컴백설이 떠돌기도 했지만, [[JYP]] 측은 사실 무근이라고 말했다.<ref>{{뉴스 인용|제목=JYP, 김[[현아]] [[원더걸스]] 복귀와 타이틀곡 '봉봉' 사실무근|url=http://cnbnews.com/category/read.html?bcode=39378|출판사=씨앤비뉴스|저자=김성호 기자|날짜=2008-05-21|확인날짜=2010-11-25}}</ref> 2008년 3월, 현아는 [[한국예술고등학교]]에 입학했다. 같은 해 12월 [[큐브 엔터테인먼트]]로 소속사를 옮겨 컴백 준비와 함께 병원 치료를 진행하고 있다고 발표했다.<ref>{{뉴스 인용|저자=길혜성 기자|제목=김현아솔로데뷔, "병원치료하며 컴백위해 맹연습중" |url=http://www.artsnews.co.kr/news/9632|출판사=아츠뉴스|날짜=2008-12-02|확인날짜=2010-11-25}}</ref> 2009년 2월에는 의류브랜드 [[TBJ]] 화보를 통해 원더걸스 활동 이후 처음으로 연예계에 모습을 드러냈다.<ref>{{뉴스 인용|제목=원더걸스 前멤버 김현아, 화보 통해 '깜짝 컴백'|url=http://autotimes.hankyung.com/article_view.php?id=42452|출판사=오토 타임즈|저자=연예취재팀|날짜=2009-02-13|확인날짜=2010-11-25}}</ref> 2009년 3월 30일에는 [[이기광|AJ]]의 데뷔 앨범 《[[FIRST EPISODE A NEW HERO]]》의 선공개곡 〈2009〉에 피처링으로 참여했고, 타이틀곡 〈댄싱슈즈〉 뮤직비디오에도 출연했다.<ref>{{뉴스 인용|제목=원걸 前 멤버 현아, AJ 신곡에서 ‘원더걸스’ 외친 이유 뭘까?|url=http://www.newsen.com/news_view.php?uid=200903310906191002|출판사=뉴스엔|저자=김형우|날짜=2009-03-31|확인날짜=2014-06-29}}</ref><ref>{{뉴스 인용|저자=이수인 기자|제목=원더걸스 전 멤버 '김현아', AJ 뮤직비디오 출연으로 활동재개|url=http://mhj21.com/sub_read.html?uid=11141§ion=section3|출판사=문화저널21|날짜=2009-03-25|확인날짜=2010-11-25}}</ref> 한편, 2008년 12월부터 걸 그룹으로 컴백한다고 밝혔으나, 멤버 수와 그룹명 등 정확한 것은 알려지지 않았다.<ref>{{뉴스 인용|제목=원더걸스 전 멤버 현아 화려한 컴백 … 2009년 새롭게 변신|url=http://www.hankyung.com/news/app/newsview.php?aid=2008121867597|출판사=한국경제|날짜=2008-12-19|확인날짜=2014-06-29}}</ref> 나중에 정확한 정보가 알려질때까지 현아 그룹이라고 불렸다.<ref>{{뉴스 인용|제목=퍼신인 여자 빅뱅-현아 그룹 맞대결 기대만발|url=http://www.newshankuk.com/news/content.asp?news_idx=2009032518550855843|출판사=뉴스 한국|날짜=2009-03-25|확인날짜=2014-06-29}}</ref> 이후 2009년 5월 14일 5인조 걸 그룹 [[포미닛]]으로 컴백한다고 발표했다.<ref>{{뉴스 인용|제목=‘원더걸스’ 前 멤버 김현아, ‘포미닛’으로 컴백 초읽기|url=http://news.kukinews.com/article/view.asp?page=1&gCode=ent&arcid=0921288145&cp=nv|출판사=쿠키뉴스|날짜=2009-05-14|확인날짜=2010-11-25}}</ref> 2009년 6월 15일 포미닛의 데뷔 싱글 〈[[Hot Issue]]〉가 발매되었다.<ref>{{뉴스 인용|제목=김현아 그룹 ‘포미닛’, 15일 데뷔곡 ‘핫이슈’ 선공개|저자=온라인 뉴스팀|url=http://breaknews.com/sub_read.html?uid=103665§ion=sc4|출판사=브레이크 뉴스|날짜=2009-06-09|확인날짜=2010-11-25}}</ref> 포미닛은 2009년 6월 《[[엠 카운트다운]]》을 통해 데뷔 무대를 치뤄 큰 호응을 얻었다.<ref>{{뉴스 인용|제목=포미닛, 18일 성공적 데뷔 무대...김현아 공연 후 눈물|저자=박미애 기자|url=http://spn.edaily.co.kr/entertain/newsRead.asp?sub_cd=EA24&newsid=01508806589723032&DirCode=0010204|출판사=이데일리 SPN|날짜=2009-06-18|확인날짜=2010-11-25}}</ref> 포미닛은 날마다 말그대로 핫이슈였는데, 〈Hot Issue〉는 공개당일 각종 실시간 음원차트 1위를 휩쓸었으며,<ref>{{뉴스 인용|제목=포미닛 ‘핫이슈’ 데뷔 당일 음원차트 1위 기염 ‘핫이슈됐다'|저자=김형우 기자|url=http://www.newsen.com/news_view.php?uid=200906160952181002|출판사=뉴스엔|날짜=2009-06-16|확인날짜=2010-11-25}}</ref> 데뷔 일주일만에 광고 2건을 체결하는 파워를 보였다.<ref>{{뉴스 인용|제목=포미닛, 데뷔 1주 만에 의류-통신 광고모델|저자=박재덕 기자|url=http://joynews.inews24.com/php/news_view.php?g_menu=700100&g_serial=424598|출판사=조이뉴스24|날짜=2009-06-25|확인날짜=2010-11-25}}</ref> 또한 현아의 무대 의상이였던 일명 '구멍난 스타킹'은 큰 화제가 되기도 했었고, 방송에서 원더걸스의 "Tell Me"를 재연해 주목을 받았다.<ref>{{뉴스 인용|제목="지금은 레깅스 전성시대"…타이즈가 창조한 섹시열풍|저자=송은주 기자|url=http://www.sportsseoul.com/news2/life/style/2009/0624/20090624101051100000000_7135486611.html|출판사=스포츠서울닷컴|날짜=2009-06-24|확인날짜=2010-11-25}}</ref><ref>{{뉴스 인용|제목=김현아, 2년만에 '텔미' 완벽 재연 '팬들 열광' |저자=박정민 기자|url=http://sstv.freechal.com/index.html?page=news/flypage&od=1&cid=1&nid=55619|출판사=SSTV|날짜=2009-07-03|확인날짜=2010-11-26}}</ref> 이후 포미닛의 첫 EP 앨범 《[[For Muzik]]》을 발매해 타이틀 곡 〈[[Muzik]]〉은 공개하자마자 폭발적인 반응을 얻었다.<ref>{{뉴스 인용|제목=포미닛, '뮤직뱅크' 시작으로 'Muzik' 활동 본격 시동 |저자=박미라 기자|url=http://web.reviewstar.net/news/articleView.html?idxno=194889|출판사=리뷰스타|날짜=2009-09-04|확인날짜=2010-11-26}}</ref> 그리고 곧 인기에 힘입어 여러 쟁쟁한 선배 가수들을 제치고 지상파 《[[인기가요]]》에서 첫 1위를 했다.<ref>{{뉴스 인용|제목=포미닛 '인기가요' 첫 뮤티즌 송 수상…끝내 눈물 |저자=박건욱 기자|url=http://www.asiae.co.kr/news/view.htm?idxno=2009092716115557586|출판사=아시아경제|날짜=2009-09-27|확인날짜=2010-11-26}}</ref>
         〈Muzik〉 활동이 끝나자 현아의 솔로 활동이 두드러졌는데, 2009년 10월부터 2010년 6월까지 [[KBS 2TV]] 예능 프로그램 《[[청춘불패]]》 1기 멤버로 활동 했으며,<ref>{{뉴스 인용|저자=김형우 기자|제목=‘청춘불패’ 걸그룹 “새로운 모습 보여주겠다|url=http://sportsworldi.segye.com/Articles/EntCulture/Article.asp?aid=20091009004439&subctg1=05&subctg2=00|출판사=스포츠월드|날짜=2009-10-10}}</ref> 청춘불패 출연으로 징징현아, 막내 PD 등 별명을 얻으며 한층 인기가 높아졌다. 청춘불패 외에도 많은 예능에 출연하며 얼굴을 알렸다. 또한 현아는 삼성의 프로젝트 그룹 [[4Tomorrow]]의 한 맴버로 참여해 디지털 싱글 〈두근두근 Tomorrow〉를 발표하기도 했었다.<ref>{{뉴스 인용|저자=박정환 기자|제목=가인-유이-김현아-한승연, ‘4Tomorrow’ 결성-싱글 발표|url= http://www.gooddaysports.co.kr/news/?cset=star&bset=view&tot_code=47&code=9274|출판사=굿데이스포츠|날짜=2009-10-11|확인날짜=2010-11-26}}</ref> 현아는 피처링 활동도 활발히 했는데, [[나비 (1986년)|나비]]의 디지털 싱글 〈눈물도 아까워〉 피처링으로 참여했고,<ref>{{뉴스 인용|출판사=세계일보|저자=추영준 기자|제목=나비의 '눈물도 아까워'에 포미닛 김현아가 피처링|url=http://www.segye.com/Articles/SPN/ENTERTAINMENTS/Article.asp?aid=20090813002102&subctg1=&subctg2|날짜=2009-08-13|확인날짜=2010-11-26}}</ref> 비슷한 시기, [[용감한 형제]]의 첫 정규 앨범 《[[The Classic]]》의 수록곡인 〈Bittersweet〉에 피처링으로 참여했다.<ref>{{뉴스 인용|출판사=뉴스엔|저자= 박준형 기자|제목=손담비-김현아, 용감한형제 가수데뷔 돕는다|url=http://www.newsen.com/news_view.php?uid=200908041104501001 |날짜=2009-08-04|확인날짜=2010-11-26}}</ref> 현아는 2010년 1월 디지털 싱글 형식의 첫 솔로 앨범 〈[[Change (현아의 노래)|Change]]〉를 발매했다.<ref name="cha">{{뉴스 인용|출판사=굿데이스포츠 연예|저자= 디지털뉴스팀 박정환 기자|제목=포미닛 ‘김현아’ 솔로 앨범 ‘CHANGE’ 음원 및 티저 공개 |url=http://www.gooddaysports.co.kr/news/?cset=star&bset=view&tot_code=47&code=12375|날짜=2010-01-04|확인날짜=2010-11-26}}</ref> 〈Change〉에는 [[비스트 (음악 그룹)|비스트]]의 [[용준형]]이 피처링으로 참여했고,<ref name="cha"/> 무대에서 주로 퍼포먼스 위주의 공연을 펼쳐 나이보다 성숙한 이미지를 뽐냈다.<ref name="cha"/> 또한 노래의 안무 중 일명 '골반춤'은 유행을 시켜 많은 UCC 동영상들이 올라왔고, 연예인들이 따라하기도 했다.<ref>{{뉴스 인용|출판사=메디컬투데이|저자= 남연희|제목=김현아 '골반춤' 올해 첫 유행춤 등극! "한번 따라해볼까?"|url=http://www.mdtoday.co.kr/mdtoday/index.html?no=113319|날짜=2010-01-14|확인날짜=2010-11-26}}</ref> 현아의 솔로 활동이 끝나자 포미닛은 본격적인 해외진출을 시작했고, 대만에서 발매한 앨범 《4Minute for Muzik》은 골드 인증을 받았다.<ref name="4mir">{{뉴스 인용|출판사=서울경제|저자= 이민지 인턴 기자|제목=비스트-포미닛 '인기 돌풍' 아시아 휩쓴다|url=http://economy.hankooki.com/lpage/entv/201005/e2010052411061594220.htm|날짜=2010-05-24|확인날짜=2010-11-26}}</ref> 이 외에 홍콩, 일본, 필리핀 등 아시아 전역에서 인기를 얻는다.<ref name="4mir"/> 2010년 5월 19일 포미닛은 한국으로 돌아와 두 번째 EP 앨범 《[[Hit Your Heart]]》를 발매하고 컴백했고, 타이틀곡 〈HUH〉로 [[엠 카운트다운]] 차트 1위를 차지했다.<ref>{{뉴스 인용|저자=길혜성 기자|제목=포미닛, 신곡 'HUH'로 가요프로 첫 1위|url=http://star.mt.co.kr/view/stview.php?no=2010061723015739806&type=1&outlink=1|출판사=머니투데이|날짜=2010-06-17}}</ref> 이후 포미닛은 2010년 12월 15일 일본에서 첫 정규 앨범 ''[[DIAMOND]]''를 발매했고, 같은 해 11월, 2011학년도 [[건국대학교]] 예술학부 수시모집에 연예특기자 전형으로 합격했다.<ref>{{뉴스 인용|제목=포미닛 김현아-서우, 건대 예술학부 합격! 선배는 샤이니 민호-유아인|url=http://thestar.chosun.com/site/data/html_dir/2010/11/03/2010110300885.html|출판사=조선일보|날짜=2010-11-03}}</ref>
         === 2011–13: ''Bubble Pop!'', ''MELTING''과 트러블 메이커 ===
         2011년 4월 5일 [[포미닛]]은 [[한국]]에서의 첫 번째 정규 앨범 《[[4Minutes Left]]》를 발매해 타이틀 곡 〈거울아 거울아〉로 활동했다.<ref name="아시아경제"/> 또한 비슷한 시기 [[임정희]]의 〈[[Golden Lady]]〉에 피처링으로 참여했다.<ref>{{뉴스 인용|제목=임정희 ‘골든 레이디’ [[포미닛]] [[김현아]] 랩 피처링 지원사격 |확인날짜=2011-07-24|url=http://www.newsen.com/news_view.php?uid=201105030905191002|출판사=뉴스엔|저자=박영주|날짜=2011-05-03}}</ref> 2011년 6월부터는 [[MBC]] 《[[댄싱 위드 더 스타]]》에 출연했지만,<ref>{{뉴스 인용|제목=김현아, 6월 솔로컴백 동시 '댄싱위드더스타' 출연|확인날짜=2011-06-04|url=http://star.mt.co.kr/view/stview.php?no=2011052209433305110&type=1&outlink=1|출판사=머니투데이|저자=박영웅|날짜=2011-05-22}}</ref> 심사위원들에게 혹평을 받으며 다섯 번째 탈락자로 결정되었다.<ref>{{뉴스 인용|제목=김현아, ‘댄싱 위드 더 스타’ 탈락..심사위원 “심사할 수 없는 지경”|확인날짜=2011-07-24|url=http://n.breaknews.com/sub_read.html?uid=178679§ion=sc4|출판사=브레이크뉴스|저자=한누리|날짜=2011-07-16}}</ref> 현아는 2011년 7월 5일 첫 번째 EP 음반 《[[Bubble Pop!]]》을 발매했다. 이에 앞서 2011년 6월 30일 발라드풍의 수록곡 〈[[A Bitter Day]]〉를 공개했다.<ref name="Pop!">{{뉴스 인용|제목=김현아, 30일 발라드 ‘A Bitter day’ 선공개…‘솔로 출격’ 신호탄|확인날짜=2011-06-29|url=http://www.eto.co.kr/news/outview.asp?Code=20110629111326420&ts=130703|출판사=경제투데이|저자=곽민구|날짜=2011-06-29}}</ref> 이번 앨범의 동명 타이틀곡인 〈Bubble Pop!〉은 [[가온 디지털 차트]] 2위까지 올랐다.<ref name="가온">{{웹 인용|url =http://www.gaonchart.co.kr/main/section/search/list.gaon?Search_str=Bubble+Pop%21&x=43&y=19|제목 =가온 차트 > Bubble Pop! |출판사 =[[가온 차트]]|확인날짜 =2011-07-19}}</ref> 그러나, 2011년 8월 [[방송통신위원회]]에서 "Bubble Pop!"의 안무 중 일부가 청소년들에게 선정적으로 보인다며 안무를 수정할 것을 요정했지만, 소속사측은 안무를 수정하면 무대에 오르는 것이 의미가 없다며 활동을 중단한다고 밝혔다.<ref>{{뉴스 인용|제목=김현아 버블팝 활동중단 '또 선정성 논란, [[김현아]]가 추면 다 야해' |확인날짜=2011-08-05|url=http://artsnews.mk.co.kr/news/163166|출판사=아츠뉴스|저자=김하얀|날짜=2011-08-05}}</ref> "Bubble Pop!"은 평론가들로부터 혼합된 평가를 받았는데, 《이즘》에서 "캔디 팝의 요소가 잘 녹아들었음에도 제대로 방점을 찍지 못해 솜사탕같은 트랙이 되었다"고 평가했다.<ref>황선업.[http://www.izm.co.kr/contentRead.asp?idx=23086&bigcateidx=8&subcateidx=10&cTp=4 이즘 - Bubble pop!] 《이즘》. 2011-07 작성. 2011-12-16 확인.</ref> 영국의 《팝저스티스》는 "오늘의 노래"에 선정했고,<ref>{{뉴스 인용|제목=김현아 '버블팝', 英 팝사이트 '오늘의 노래' 선정… "가장 섹시" 찬사 |확인날짜=2011-07-22|url=http://sports.hankooki.com/lpage/music/201107/sp2011072010252095510.htm|출판사=스포츠한국|저자=김성한|날짜=2011-07-20}}</ref> 미국의 《스핀 매거진》은 "2011년 올해의 베스트 노래 20" 순위 중 〈Bubble Pop!〉을 9위에 선정했다.<ref>{{뉴스 인용|제목=김현아 '버블팝', 美스핀 선정 '2011 베스트송20'|확인날짜=2011-12-16|url=http://star.mt.co.kr/view/stview.php?no=2011121209445192085&type=1&outlink=1|출판사=스타뉴스|저자=박영웅|날짜=2011-12-12}}</ref> 이후 2011년 8월부터 [[도끼 (가수)|도끼]]가 피처링한 노래 "[[Just Follow]]"로 후속곡 활동을 잠깐 했다.<ref>{{뉴스 인용|제목=뮤직뱅크 김현아 just follow 무대 공개, 선정성 '제로' 카리스마 '폭발' |확인날짜=2011-08-13|url=http://artsnews.mk.co.kr/news/164401|출판사=아츠뉴스|저자=김풀잎|날짜=2011-08-13}}</ref>
         2011년 12월에 [[현아]]는 같은 소속사의 가수이자 [[비스트 (음악 그룹)|비스트]]의 멤버 [[장현승]]과 함께 유닛 그룹 [[트러블 메이커 (음악 그룹)|트러블 메이커]]를 결성했다.<ref>{{뉴스 인용|제목='뮤직뱅크' 장현승-김현아 '트러블메이커' 컴백 예고|확인날짜=2011-11-26|url=http://reviewstar.hankooki.com/Article/ArticleView.php?WEB_GSNO=10013323|출판사=리뷰스타|저자=김혜정|날짜=2011-11-25}}</ref> 트러블 메이커는 12월 1일 첫 미니 앨범 《[[Trouble Maker (EP)|Trouble Maker]]》를 발매했고, 동명의 타이틀곡 〈Trouble Maker〉로 활동을 시작했다. 〈Trouble Maker〉는 좋은 반응을 얻으며 [[K-Pop 빌보드 핫 100]] 최고 2위까지 올라갔고,<ref>{{웹 인용|제목=BILLBOARD K-POP HOT100 12월 3주차|출판사=[[빌보드]]|url=http://www.billboard.co.kr/v1/chart.php?t=3&query=&pubdate=2011-12-14|확인날짜=2011-12-12}}</ref> [[가온 디지털 차트]]에서는 1위를 했다.<ref>{{웹 인용|제목= 2011년 12월 다섯째주 디지털 종합차트|출판사=가온 차트|url=http://www.gaonchart.co.kr/main/section/total/list.gaon |확인날짜=2011-12-12}}</ref> 그러나, 〈Bubble Pop!〉과 똑같이 공연 중 안무 선정성 문제가 일어나 결국 안무를 수정했다.<ref>http://star.moneytoday.co.kr/view/stview.php?no=2011120913181888325&type=1&outlink=1</ref> 2012년 3월 현아는 [[스파이시칼라]]와 손을잡고 현아 위드 스파이시칼라라는 브랜드를 론칭했고, 50년대 낙관주의와 60년대 레트로 빈티지 무드에서 영감을 얻었다고 밝혔다.<ref>{{뉴스 인용|제목=김현아, 자신의 이름 내건 브랜드 론칭|확인날짜=2012-03-15|url=http://bntnews.hankyung.com/apps/news?popup=0&nid=02&c1=02&c2=02&c3=00&nkey=201203141127323&mode=sub_view|출판사=bntnews|저자=이형준|날짜=2012-03-14}}</ref> 2012년 여름에는 [[싸이]]의 노래 〈[[강남스타일]]〉 뮤직비디오에 출연했다.<ref>{{뉴스 인용|제목=싸이 강남스타일, 유재석 노홍철 김현아 ‘3인 3색 댄스 화제|url=http://www.interview365.com/news/27962|출판사=인터뷰365|저자=장민혜|날짜=2012-07-13|확인날짜=2012-08-07}}</ref> 2012년 8월 15일에는 〈강남스타일〉을 여자의 입장에서 재해석한 〈오빤 딱 내 스타일〉 뮤직비디오를 공개했다.<ref>{{뉴스 인용|제목=싸이·김현아, '오빤딱내스타일' 뮤비공개..섹시·상큼↑|url=http://star.mt.co.kr/view/stview.php?no=2012081512060525950&type=1&outlink=1|출판사=머니투데이|저자=길혜성|날짜=2012-08-15|확인날짜=2012-08-05}}</ref> 〈오빤 딱 내 스타일〉 뮤직비디오는 [[유투브]] 조회수 1억 건을 넘기며 [[소녀시대]]의 〈[[Gee (노래)|Gee]]〉를 제치고 〈강남스타일〉에 이어 유튜브 역대 가장 많이 본 동영상 한국 순위 2위를 차지하고 있다.<ref>{{뉴스 인용|제목=김현아 '오빤 딱 내 스타일' 1억뷰 돌파..싸이 효과! |url=http://star.mt.co.kr/view/stview.php?no=2012102111121506368&type=1&outlink=1|출판사=머니투데이|저자=윤성열|날짜=2012-10-21|확인날짜=2012-10-21}}</ref> 2012년 10월 21일에는 두 번째 솔로 미니 앨범 《[[MELTING]]》을 발매했다. 타이틀곡 〈Ice Cream〉은 [[가온 디지털 차트]] 1위에 올랐고, [[코리아 K-Pop 핫 100]]에서는 최고 6위에 올랐다. 2012년 12월 29일 SBS 《[[SBS 가요대전|가요대전]]》을 앞두고 현아는 [[효린]], [[전효성]], [[니콜 (1991년)|니콜]], [[나나 (가수)|나나]]와 함께 대즐링 레드라는 프로젝트 그룹을 결성해 27일 [[용감한 형제]]와 똘아이박이 작곡한 〈이사람〉을 발매했다.<ref>{{뉴스 인용|제목=김현아·[[효린]]·[[전효성]]·[[니콜 (1991년)|니콜]]·[[나나 (가수)|나나]], SBS '가요대전'서 대즐링 레드 결성|url=http://www.mydaily.co.kr/new_yk/html/read.php?newsid=201212280748241118|출판사=[[마이데일리]]|저자=최두선|날짜=2012-12-28|확인날짜=2014-01-08}}</ref>
         === 2014–현재: ''A Talk'', ''A+'', ''A`wesome'', ''Following'', ''Lip & Hip'' ===
         [[파일:Hyuna performing at 2014 Hallyu Dream Concert.jpg|200px|섬네일|오른쪽|2014년 9월 28일 경주에서 열린 한류드림콘서트에서 공연 중의 현아.]]
         2017년 5월 [[펜타곤 (음악 그룹)|펜타곤]] 멤버 후이, 이던과 함께 [[트리플 H (음악 그룹)|트리플 H]]로 활동 하였다. 8월 29일 여섯 번째 EP 음반 《[[Following]]》을 발매했다. 12월 4일 두 번째 싱글 앨범 《[[Lip & Hip]]》을 발매했다.
         [[현아]]의 댄스 실력은 이미 [[원더걸스]] 시절부터 인정받았는데, 비걸 출신 여가수 [[김소리]]는 "[[김현아]]는 어린데도 느낌 있게 춤을 춰요. 나이가 많은 사람도 내기 힘든 섹시한 느낌이 잘 살죠"라며 춤을 잘추는 아이돌로 꼽았다.<ref>{{뉴스 인용|제목=김소리 “포미닛 김현아-2NE1 공민지 춤실력 인정”(인터뷰)|url=http://mhj21.com/sub_read.html?uid=11141§ion=section3|출판사=뉴스엔|저자=이언혁 기자|날짜=2010-09-16|확인날짜=2010-11-25}}</ref> 또한 [[이준 (배우)|이준]]역시 현아를 걸 그룹 중 최고의 춤실력이라고 극찬하였다.<ref>{{뉴스 인용|제목=엠블랙 이준 “김현아, 걸그룹 최고 춤실력…섹시하고 뇌쇄적”|url=http://sstv.freechal.com/index.html?page=news/flypage&nid=88656&cid=24|출판사=SSTV|저자=황예린|날짜=2010-07-23|확인날짜=2010-11-25}}</ref> 가수 [[이주노]]도 “솔로곡 "Change"에서 춤추는 모습을 봤는데 춤이 아무 맛깔스럽게 추더라”며 “그 노래에서 그 표정, 동작, 노래가 나오는 것은 아주 연습을 많이 했거나 선천적으로 재능이 있는 것이다”라고 [[현아]]를 최고의 춤꾼으로 꼽았다.<ref>{{뉴스 인용|제목=‘선견지명’ 이주노 “현재 최고의 춤꾼은 포미닛 김현아” 극찬|url=http://bntnews.hankyung.com/apps/news?popup=0&nid=04&c1=04&c2=04&c3=00&nkey=201101201801313&mode=sub_view|출판사=한경닷컴but뉴스|저자=이정현 기자|날짜=2011-01-20|확인날짜=2011-01-22}}</ref> 하지만, 주로 섹시하고 파워풀한 춤을 추는 [[현아]]는 어린 나이에 너무 선정적인 춤을 춘다는 이유로 방송이 금지되는 등 비판을 받기도 했다.<ref name="아시아경제">{{뉴스 인용|제목=포미닛 "연습생의 마음으로 준비한 첫 정규, 설레고 신기해"(인터뷰)|url=http://www.asiae.co.kr/news/view.htm?idxno=2011041309374724881|출판사=아시아경제|저자=강경록|날짜=2011-04-15|확인날짜=2011-04-15}}</ref>
         |rowspan="2"|베스트 댄스 퍼포먼스 솔로<ref>{{웹 인용|url=http://mama.mnet.com/kr/winner.asp?broady=2010|제목= 2010 MAMA 수상자 및 후보자|웹사이트=[[Mnet]]|확인날짜=2011-12-09}}</ref><ref>{{뉴스 인용|url=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6&oid=117&aid=0002191151|제목=슈퍼주니어 ‘MAMA’ 3관왕, “우리는 미운오리…팬들 감사하다”(종합)|출판사=[[네이버]]|날짜=2011-11-29|확인날짜=2011-11-30}}</ref>
  • MoniWikiOptions . . . . 28회 일치
         `'''$logo_string= '<img src="'.$logo_img.'" alt="" border="0" align="middle" />';'''`
         `'''[[$menu]]'''=array('MoniWiki'=>1,'FindPage'=>4,'TitleIndex'=>3,'BlogChanges'=>'','RecentChanges'=>2,'http://kldp.org KLDP'=>9);`
         `'''[[$auto_linebreak]]'''`
          * nolink: 아무표시도 하지 않음
          * forcelink:무조건 전체 링크
          * Email Notification을 활성화 한다. 이 기능을 키면 SubscribePlugin을 사용할 수 있다.
         `'''[[$use_twinpages]]'''`
          * ClipPlugin 활성화, 파일 첨부시 클립보드 이미지 첨부를 쉽게할 수 있다.
         `'''[[wiki:SectionFolding $use_folding]]'''`
          * 모니위키 1.2.0부터는 단순히 $javascripts=array("folding.js",... 추가하여 사용하며, 모바일을 함께 지원합니다.
          * 섹션별 폴딩이 아닌, 본문 내에서 폴딩을 사용하고자 할 때는 FoldingProcessor 를 참조
         `'''[[$inline_latex]]'''`
          * inline latex문법을 활성화하거나 끈다. latex, mimetex, itex 등등 지원 LatexProcessor
         `'''[[$intermap]]'''`
          * 기본값 `$data_dir.'/intermap.txt'`
         `'''$shared_intermap'''`
          * 기본값은 `$data_dir."/text/InterMap"`
          * 따라서 $intermap + $shared_intermap = InterWiki map이 된다.
          * rcs를 ~/bin같은 곳에 설치할 때 이 변수에 path를 지정한다 예를 들어 `/usr/local/bin:/usr/bin`
          * 윈도우즈 환경이라면 {{{$path='./bin;c:/program files/vim/vimXX';}}}와 같은 식으로 설정한다.
  • 토탈워: 쇼군 2/건물 . . . . 28회 일치
         ==== 도박장(Gambling Hall) ====
         ==== 범죄조직체(Criminal Syndicate) ====
          * 시노비 교장(School of Shinobi) 기술 연구 필요.
         ==== 나기나타 도장(Naginata Dojo) ====
          * 긴자 조폐국(Kinza Mint) 기술 연구 필요.
         ==== 공성 기술자의 작업장(Siege Engineer's Workshop) ====
         ==== 정토진종 불당(Jodo Shinshu Temple) ====
         ==== 정토진종 사찰(Jodo Shinshu Monastery) ====
         ==== 계단식 농장(Terrace Farming) ====
          * 초닌도(Chonindo) 기술 연구 필요.
         ==== 무역항(Trading Port) ====
         ==== 금광(Surface Gold Mine) ====
         ==== 노천금광(Open Pit Gold Mine) ====
         ==== 금광단지(Gold Mining Complex) ====
         ==== 비밀 산채(Mountain Hideout) ====
         ===== 부라쿠민 부락(Burakumin Village) =====
         ===== 밀수조직체(Smuggling Network) =====
          * 시노비 교장(School of Shinobi) 기술 연구 필요.
         ===== 닌주츠 수련장(Ninjutsu School) =====
         ===== 닌자 집단 요새(Ninja Clan Fortress) =====
  • Darkest Hour: A Hearts of Iron Game/장관 . . . . 27회 일치
          * Barking Buffoon(울부짖는 어릿광대)
          * Insignificant Layman(하찮은 비전문가)
          * Charming Opportunist(매력적인 낙관론자) - 중화민국의 위안스카이(원세개)
          * Smiling Oilman(미소짓는 석유기업가)
          * The Brown Eminence(갈색 명성) - 독일의 마르틴 보어만
         == Foreign Minister(외무부 장관) ==
          * Biased Intellectual(편향적인 지식인)
         == Armaments Minister(군수부 장관) ==
          * Administrative Genius(관리의 천재)
          * Infantry Proponent(보병 지지자)
          * Resource Industrialist(자원산업 전문가)
          * Submarine Proponent(잠수함 지지자)
          * Secretary of the Interior(내무장관) - 미국의 해럴드 익스
         == Minister of Security(치안부 장관) ==
          * Prince of Terror(공포의 왕자)
         == Head of Intelligence(정보부장) ==
          * Industrial Specialist(산업 전문가)
          * Naval Intelligence Specialist(해군 정보 전문가)
          * Intelligence Genius(정보의 천재) - 중화민국의 다이춘펑(대춘풍)
          * Stubborn Disciplinarian(완고하며 엄격한자) - 이탈리아의 루이지 카도르나
  • IsbnMap . . . . 27회 일치
         WowBook http://www.wowbook.com/generic/book/info/book_detail.asp?isbn=ISBN$ISBN2 http://image.wowbook.com/book/large_image/$ISBN2.gif
         AladdinMusic http://www.aladdin.co.kr/music/catalog/music.asp?ISBN= http://www.aladdin.co.kr/CDCover/$ISBN2_1.jpg
         AladdinBook http://www.aladdin.co.kr/catalog/book.asp?ISBN= http://www.aladdin.co.kr/Cover/$ISBN2_1.gif
          /!\ 일종의 InterWiki Map인 것이죠.
         [[ISBN(8986190842,AladdinBook)]]
         [[ISBN(8932905819,AladdinBook)]]
         [[ISBN(9049741495,AladdinMusic)]] [[ISBN(9049740871,AladdinMusic)]]
          http://www.aladdin.co.kr/music/catalog/music.asp?ISBN=9049741495
          [http://www.aladdin.co.kr/CDCover/2452436078_1.jpg]
          * 새책 : jpg {{{http://image.aladdin.co.kr/cover/cover/ISBN$_1.jpg}}}
          * 이전책 : gif {{{http://image.aladdin.co.kr/cover/cover/ISBN$_1.gif}}}
          IsbnMap 에서 map 을 분리해서 사용하는 방법이 있을 수 있고 - 이 경우 출판년도에 따라서 옵션을 달리 줘야 하는 불편함이 있습니다. - ISBN 매크로를 고쳐서 (가능하다면 jpg가 없을 때 gif를 찾는 어떤 로직을 넣는 방법이 있을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듭니다. 제가 coding에 능력이 전혀 없는지라, 이게 구현할 수 있는 방법인지는 모르겠지만 논리적 차원에서는 이게 사용자 정신건강에 이로운 해결책이 아닐까합니다. (제 위키에서 책목록을 관리하는데 수작업으로 바꿔 줄 생각을 하니 조금 끔직합니다. - 스크립트를 돌려도 되기는 하지만 ... )
         AladdinBOOK http://www.aladdin.co.kr/shop/wproduct.aspx?ISBN= http://image.aladdin.co.kr/cover/cover/$ISBN2_1.gif
         AladdinBook http://www.aladdin.co.kr/shop/wproduct.aspx?ISBN= http://image.aladdin.co.kr/cover/cover/$ISBN2_1.jpg
          모니위키 1.1.3에서는 이와 관련된 버그가 고쳐졌고, 알라딘 같은 경우는 확장자가 jpg/gif인 경우를 자동으로 검출합니다. 이 경우 php.ini에 {{{'allow_url_fopen=1}}}같은 식으로 설정이 되어있어야 합니다. 또, config.php에 {{{$isbn_img_download=1;}}} 와 같이 옵션을 넣으면 이미지를 다운로드할 수도 있게 하여, 일부 referer를 검사하여 이미지를 보이지 않게 하는 사이트에서도 활용하기쉽게 하였습니다. -- WkPark [[DateTime(2009-01-13T07:14:27)]]
         {{{[wiki:AladdinMusic:9049741495 http://www.aladdin.co.kr/CDCover/2452436078_1.jpg]}}}
         [wiki:AladdinMusic:9049741495 http://www.aladdin.co.kr/CDCover/2452436078_1.jpg]
  • 김재박 . . . . 27회 일치
         [include(틀:상위 문서2, top1=야구 관련 인물(KBO), top2=대구광역시/인물)]
         ~~[include(틀:관련 문서2, top1=물리학자, top2=임하룡)]~~
         ||||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4/42/Honkbal_Nederland_tegen_Zuid-Korea_0-2%2C_winnende_run_van_Jan_Bok_Kim%2C_Bestanddeelnr_928-6757.jpg/300px-Honkbal_Nederland_tegen_Zuid-Korea_0-2%2C_winnende_run_van_Jan_Bok_Kim%2C_Bestanddeelnr_928-6757.jpg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김재박/선수 경력)]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김재박/지도자 경력)]
         쌓이고 쌓여서 2015년 6월 5일 [[사직 야구장]]에서 열릴 경기를 비가 그쳤음에도 [[http://sports.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basel&ctg=news&mod=read&office_id=241&article_id=0002414294&date=20150605&page=1|우천 취소를 때려버려]] 팬들의 원성을 샀고 급기야 [[http://mlbpark.donga.com/mbs/articleV.php?mbsC=kbotown2&mbsIdx=1284855&cpage=&mbsW=search&select=sct&opt=1&keyword=%C0%E7%B9%DA|SBS 스포츠]]에서 [[http://mlbpark.donga.com/mbs/articleV.php?mbsC=kbotown2&mbsIdx=1298498&cpage=&mbsW=&select=&opt=&keyword=|우천취소 메뉴얼]]까지 제안해가며 김재박을 깠다. 2015시즌 후반부 월요일 경기 및 더블헤더 임시 도입에 이 사람의 우천취소 남발이 영향을 미쳤다는 의견도 있다.
          하지만 이에 대해서는 반박도 존재한다. [[김인식]]감독도 [[http://sports.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kbo&ctg=news&mod=read&office_id=144&article_id=0000025078|“기술적으로 국내 프로야구 정상급 타자보다 나을 게 없다”]]고 평가하며 대표팀 발탁에 반대한 만큼 [[추신수]]의 대표팀 탈락은 김재박의 독단적 판단이 아니었으며, 당시 대표팀에 최종선발된 외야수는 [[이병규]], [[이용규]], [[이진영]], [[이택근]], [[박재홍(야구)|박재홍]] 총 5명으로 [[김인식]]감독의 말대로 모두 국내 프로야구 정상급 외야수들로서, [[추신수]] 대신 이들이 대표팀에 선발된것이 대표팀의 전력을 약화시켜 승패에 영향을 끼쳤다고 보기는 어렵다는것이다. 하지만 이는 타당하지 못한 반박으로서, 당시 추신수는 AAA에서 OPS .893 메이저리그에서 OPS .812를 기록했는데 이는 한국으로 온 어떤 용병타자보다 좋은 기록이었으며, 리그의 수준을 전혀 고려하지 않고 OPS만 비교한다 해도 이택근을 제외한 다른 국가대표 외야수들보다 OPS가 더 높았다. 명백히 급이 다른 선수를 검증이 되지 않았다며 뽑지 않은것이 맞다.
          그 내용이 걸작인데, 정리하자면 '''난 잘했는데 [[프런트]]가 못했고, 선수들이 잘 안따라줬고, 구단이 안밀어줘서 이런 결과가 나온 게 아쉽다. 하지만 어쩌겠나. 모든 책임은 내가 질 수밖에 없지 않겠나.'''[[http://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baseball&ctg=issue&mod=read&issue_id=438&issue_item_id=8531&office_id=295&article_id=0000000306|이런 인터뷰]]. LG팬들의 분노는 하늘을 찔렀다. 팬들은 김재박이 앞으로 프로구단 감독을 맡기는 힘들다고 단언할 정도로 치를 떨었다. 이 와중에 묻힌 사실 중 하나는 [[이광은]] 전 감독 때부터 이어지던 LG 감독 임기 중 하차를 끝낸 인물이라는 것.
          두 글자를 확대해서 봐도 많이 비슷해 보인다. 여기서는 글씨체가 정자체로 표시되어 있기 때문에 어느 정도 구별이 가능하지만 아마도 흘려서 쓴 것을 보고 착각했던 듯 하다. 여담으로, [[하카타역]]의 한자도 博을 쓰는데, 가끔 가다 傳多역으로 잘못 아는 사람이 보일 지경. 사실상 국한혼용체가 '''사장된 이유'''다. 김재박 본인도 이 김재전 드립을 [[https://news.joins.com/article/3580192|써먹기도 했다.]]
          * 2011년에는 뜬금없이 [[현대스위스저축은행]]이라는 [[저축은행]]의 대부 광고 CF를 찍었다. 이게 또 주로 야구 중계방송 때 나왔다.(...) [[http://gall.dcinside.com/list.php?id=baseball_new&no=6164340&page=1&search_pos=-6110708&k_type=0110&keyword=%EC%9E%AC%EB%B0%95&bbs=|~~먹고사시기 힘드신가 봐요~~]] 나름대로 훌륭한 예능감을 뽐내고 있다. 이 기묘한 광고 캐스팅은 [[현대그룹]]과 전혀 무관한 [[현대스위스저축은행]]이 자신들이 현대그룹 계열사인 것처럼 보이려는 꼼수를 부리려고, 현대 유니콘스의 전감독인 김재박을 데려다 찍은 것이라는 설이 유력하다. ~~'''하필이면 광고 카피도 [[8888577|8888]]'''~~
          * [[http://gall.dcinside.com/board/view/?id=baseball_new5&no=8203959&page=1|창단 팀과의 인연이 많은 사람]]이다. 대광고등학교 야구부, 영남대학교 야구부, 한국화장품 야구단 모두 창단된 팀이었고, [[MBC 청룡]]도 후반기 13경기 뿐이지만, 프로야구 원년에 경기에 활약했다. 그리고 감독도 [[현대 유니콘스]]의 초대 감독으로 부임하게 되었다.
          * 2017년 9월 [[http://gall.dcinside.com/board/view/?id=baseball_new5&no=8203959&page=1|대구광역시 엑스코에서 열린 ICT 융복합 컨피런스에 강연자로 출연]]했다. 특기할만한 내용은 본인이 감독을 할 시 추구하는 야구는 이기는 야구로 팬을 불러모으는 야구이며, 미국 야구가 그런 야구라고 생각하며, 명예 회복을 위해 '''감독직을 한번 더 수행해보고 싶다'''라는 것이다.
          * 1998년 8월 26일, [[이승엽]]과 [[타이론 우즈]]가 치열하게 홈런경쟁을 펼칠 때[* 8월 26일 당시에는 이승엽 36홈런, 우즈 29홈런이었다. 이후 우즈는 9월에만 11홈런을 치며 역전하게 된다.] 현대가 삼성에 크게 이기고 있음에도 이승엽 타석에서 [[고의사구]] 지시. 수많은 삼성 관중들이 크게 지고 있는 상황에서도 이승엽의 홈런을 기대하며 자리를 지키고 있었는데 보란 듯이 이승엽을 고의4구로 걸렀고 경기장에는 빈병이 날아들었다. 당시 상황을 보면 19대 4로 점수차가 크게 난 상황에서 [[안병원(야구선수)|안병원]]이 초구 스트라이크를 던질 때 1루주자였던 [[양준혁]]이 도루를 성공하자 보복성으로 고의사구를 던진 것이다.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98082800329126008&editNo=40&printCount=1&publishDate=1998-08-28&officeId=00032&pageNo=26&printNo=16524&publishType=00010|<스포츠 기자석> 팬들을 죽이는 프로야구]] [[http://sports.news.naver.com/kbo/news/read.nhn?oid=109&aid=0002580212|[한국프로야구 난투사](29) 대구 관중들, 현대의 ‘이승엽 고의 볼넷’에 분노 폭발]] 당시 [[허구연]]은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98090200209126012&editNo=45&printCount=1&publishDate=1998-09-02&officeId=00020&pageNo=26&printNo=23976&publishType=00010|신문 기고]]를 통해 '우리 프로야구는 이승엽이란 슈퍼스타가 한 시즌 최다홈런 기록 경신이란 좋은 재료를 지니고 있음에도 상대 팀들의 지나친 견제로 축제에 찬물을 끼얹고 있어 안타깝다’고 말했다.
          * 2003년 8월 15일 삼성전, [[박종호]]가 홈런, '''3루타''', 2루타를 기록해 [[사이클링 히트]]를 눈 앞에 뒀는데, 4번째 타석에서 '''번트 지시, 유격수 땅볼'''로 물러남. ~~야 아까 위에서 이대진 삼진기록때는 번트로 유격수 땅볼이 나올일 없대며~~ 결국 대기록 달성 실패. 이건 사실로 보인다. [[http://news.joins.com/article/2984741|박종호-박용택 ‘아! 사이클링 히트’]]
          * 2005년, [[롯데 자이언츠|모 팀]]을 겨냥하여 '5월이 되면 내려가는 팀이 나온다'는 명언을 시전. 많은 사람이 잘못 알고 있는데, 김재박의 명언은 "[[내려갈 팀은 내려간다]]"가 아니고 "5월이 되면 내려가는 팀이 나온다"이다.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7&oid=111&aid=0000009098|기사]] 하여간 당시 2위던 모 팀은 5위로 시즌 마무리. 최근 나온 증언에 따르면 이 말은 그 [[롯데 자이언츠|모 팀]]을 대상으로 한 것도 아니라, 현 시점에서 소속팀 현대가 최하위에 쳐져 있긴 하지만 일정 간격을 최대한 유지하면서 어떤 팀이 미끄러지는 순간 치고 올라갈 수 있다는 의미의 발언이었다고 한다. 이 부분에 대해선 재평가가 필요하다는 의견도 있을 수 있지만 재평가를 하기엔 김재박 감독 본인의 인증이 너무나도 커서...
         [[http://sports.khan.co.kr/news/sk_index.html?mcode=series&art_id=200707042254103&sec_id=510201|김재박 감독 ‘축구도 전문가’]]
         [[http://article.joins.com/news/article/article.asp?total_id=2668054|농구·축구도 김재박 눈에는 야구로 보여]]
         [include(틀:프로야구 30주년 레전드 올스타 베스트 10)]
         [include(틀: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감독)]
         [include(틀:현대 유니콘스 역대 감독)]
  • 김희철(1983) . . . . 27회 일치
         [include(틀:슈퍼주니어)]
         [include(틀:아는 형님/멤버)]
         ||<#00239b> '''{{{#ffffff 링크}}}''' ||<(> [[https://twitter.com/HeeZZinPang|[[파일:트위터 아이콘.png|width=25]][[https://www.instagram.com/kimheenim/|[[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png|width=25]][[http://gall.dcinside.com/mgallery/board/lists/?id=kimheecheol&page=1|[[파일:디시인사이드 아이콘.png|height=25]] ||
         2017년 10월 17일, 11년 전의 교통사고 후유증으로 발목 통증이 심해지는 일이 잦아져 8집 앨범 활동에 정상적으로 임하지 못할 것 같다고 고백하였다. [[http://entertain.naver.com/read?oid=117&aid=0002968126|기사]] [[https://www.instagram.com/p/BaWd2xznX0B/|인스타]] 그러나 곧바로 슈퍼주니어 측 관계자가 “컴백을 앞두고 고질적인 다리 통증이 걱정스러운 마음에 쓴 글이 확대해석 된 것”이라며 정상적으로 활동한다는 입장을 전했다. [[http://entertain.naver.com/read?oid=421&aid=0002995714|#]]
          * (태국) YAHAMA Fino ([[슈퍼주니어]])
          * 2011년 MBC 방송연예대상 : 쇼 버라이어티 부분 남자 신인상 [[http://www.imbc.com/broad/tv/ent/event/2011entertain/awards/index.html|#]]
          * 2015년 12th Cosmopolitan Beauty Awards (China) : Asia Beauty Icon [[http://fashion.ifeng.com/a/20151106/40136141_0.shtml|#]]
         [[데프콘(가수)|데프콘]], [[심형탁]], [[정준영]]과 함께 대한민국 연예인들중 자타공인 오덕으로 유명하며, 이중에서도 수장이라 할만큼 유명하다. [[소류 아스카 랑그레이|아스카]]를 제일 좋아한다고 했으며, [[데프콘(가수)|같은 캐릭터를 좋아하는 가수가 또 있다. 재미있게도 둘다 [[주간아이돌]] MC 출신이다.]][* 실제로 김희철 & [[소류 아스카 랑그레이|아스카]] 관련 게시글이 올라오면 댓글에는 반드시 [[데프콘]]이 언급이 된다.] 소집 해제 후 아예 인증을 했다. [[겨울왕국]] 공개 이후 불러도 대답 없는 아스카를 버리고 [[안나(겨울왕국)|안나]]로 갈아타겠다고 선언(...). 차가운 엘사보다 안나가 좋다고 한걸 보니 취향이 확실한 듯하다.[* 본인이 선이 뚜렷하고 쌍커풀이 진해서 여성분은 쌍커풀 없고 화장이 연한 게 좋다고...~~애니캐를 현실 여자처럼...~~] [[http://i.imgur.com/vjMPTi8.jpg|코스프레도 했다.]] 그러나 시간이 지나니까 [[https://twitter.com/HeeZZinPang/status/519142782602989570|다시 아스카로 갈아탔다.]] 2018년 1월 18일 친분이 있는 트위치 스트리머 케인의 방송에 게스트로 나왔을때 드러난바에 따르면 휴대폰 벨소리가 무려 [[잔혹한 천사의 테제]]. [[https://clips.twitch.tv/WittyWanderingPlumageSquadGoals|해당 클립]] 오래 전부터 그 벨소리를 쓰고 있었다고 한다.
         최근에 일본에서 찍고 인스타그램을 올린 사진을 보면 러브라이버로 추정된다. [[멜론북스]]에서 니코마키로 표지가 된 동인지를 오른손에 들고 왼손은 니코니코니의 포즈를 짓고 사진을 찍었다. [[http://entertain.naver.com/read?aid=0000114331&oid=312|관련기사]]
         또한 와우도 준 [[폐인]] 수준이다. 물론 연예인이라는 직업상 진짜 폐인들과는 비교하기 힘들지만 말이다. 허나 그 많은 스케줄을 소화하면서 취미생활을 한다는걸 생각하면...(...) 또 한 가지 희철이 오덕이라는 증거를 보여주는 단적인 예로 언젠가 [[멍지아|지아]]의 핑크머리를 보컬로이드 [[메구리네 루카]]의 분홍머리와 닮았다면서 같이 트윗한 적이 있다. [[http://article.joins.com/news/article/article.asp?total_id=5128615&cloc=rss|관련기사]]. 돈돈 활동당시 엠 카운트다운에서 본인의 의상 컨셉을 '''[[야가미 이오리]]'''로 잡는다던가...(...) 우리 결혼했어요 세계 판에서는 자기 여자 친구라며 베개를 들고 와 당당하게 바람을 폈다.
         애니메이션 뿐만 아니라 게임도 즐긴다. [[리그 오브 레전드]] 랭크 게임에서 다이아 티어에 서식하고 있는 것은 이미 유명한 이야기. [[이현우(게임 해설가)|이현우]]와 친해서 방송에 시시때때로 출연하는 것은 물론 [[박정석]]과는 서로 욕설(...)까지 주고받는 동갑내기 친구 관계다. 2016년 롤드컵 당시에는 게임방송국 [[OGN]]에서 객원해설로도 출연하며 적당히 게임을 좋아하는 게 아님을 보여주기도 했다. 인터뷰에 의하면 OGN 측이 나름 챙겨준다고 출연료를 챙겨줬지만 원래 희철의 몸값에 비하면 턱없이 적은 돈이었다고 한다. 그러나 '''본인이 나가겠다고''' 적극 주장해 출연했으며, 원만한 진행 능력&게임 지식을 발휘해 일반적인 객원 해설보다 훨씬 더 퀄리티 높은 해설을 했다. [[https://www.youtube.com/watch?v=JdwEu2bY5KI|해설영상]]. 이 해설을 기반으로 진행한 인터뷰에서 게임과 애니메이션에 대한 견해도 알 수 있다([[http://www.inven.co.kr/webzine/news/?news=165285&iskin=esports|인터뷰]]). 그 밖에 트위터에 이특과 [[킹 오브 파이터즈]]를 한다는 내용의 트윗을 올린 것을 보면 롤 이외의 게임도 즐기는 모양. 이특이 [[야가미 이오리|이오리]] 안 시켜주고 시원이 닮은 [[로버트 가르시아]]로 얍삽이만 쓴다고 폭로했다. 또한 2017년 2월에 있었던 SBS [[게임쇼 유희낙락]] 녹화중 트위치 스트리머 [[케인(스트리머)|케인]]의 킹오브 방송을 굉장히 재밌게 보고 있다고 언급하였고, 실제로 케인을 해당 방송에 섭외해서 녹화도 했다.[* 이때 섭외 과정에서 5개월 구독을 끊었다가 희철을 사칭으로 오해한 케인에게 생방으로 욕을 한 바가지 얻어먹었는데, 이를 계기로 케인과 친구를 먹고 이후로는 케인의 방송에서 시청자들과 채팅도 종종 주고받고 있다.]2018년 1월18일 케인의 방송에 출현했다[* 출연 계기는 다른 연예인들과 술마시던 중에 갑자기 케인이 보고싶어서 전화했더니 왔다고 한다. 그에 고마움을 느껴 합방제의를 했고, 뒤늦게 정신차렸지만 이미 뱉은 거 책임진다는 마인드로 합방을 하게 됐다고]~~케조씨도 희님덕분에 만명찍었다 그와중에 만명이면 적게보네라고한 희님 흠좀무 인스타라이브만 3~4만명보는데~~ 이 방송에서 단 1초도 오디오가 비지 않게 게임 이야기를 늘어놓는 모습에 시청자들이 "제발 그만..." "차라리 죽여줘..." "야 누가 00게임 얘기 꺼냈냐" "뇌 용량이 얼마인거냐" "박찬호를 능가하는 투머치토커다" "귀에서 피 난다" 등의 반응을 보였다. 대단하기도 대단한 것이 게임 캐릭터의 인상착의, 배경음악, 스킬, 줄거리와 엔딩, 감상평까지 자세히 말을 하여 정작 방송의 주인인 케인은 아주 가끔 한 마디씩 끼워넣는 것 말고는 말을 거의 하지 못했다. 쉬지 않고 말을 쏟아내는 모습에 시청자들은 음성 도네로 에미넴 비트를 깔며 랩 드립을 쳤다.
         2011년 6월 11일 'SMTOWN LIVE WORLD TOUR in PARIS' 공연에서 레이디희희로 또 한 번 분장했다. 여장남자 기믹을 국제적으로도 밀 생각? 이제는 본인도 적당히 즐기는 듯하다.
         2014년 추석에 방영하는 파일럿 프로그램 '소원을 말해요'에서 이벤트로 [[겨울왕국]]의 [[안나(겨울왕국)|안나]] 코스프레를 하였다. [[엘사]] 역을 맡은 [[김재경]]과 비교해도 [[http://star.mt.co.kr/view/stview.php?no=2014082808140336766&type=1&outlink=1|딱히 어색하지 않을 정도.]] 이후엔 아예 엘사 분장을 하고 [[http://osen.mt.co.kr/article/G1109995790|나오기도 했다.]] [* [[SUPER SHOW 6]]에서 엘사 콘테스트를 열었는데 자신은 안나를 하고 싶었지만 어쩔 수 없이 엘사를 했다고 한다. 총 3회의 콘서트 중 마지막 콘서트에서 희철이 올라와야 하는 타이밍에 엘사 드레스와 가발만 올라왔다. 모두가 어리둥절하고있는 사이 기어이 안나로 분장한 희철이 나타났다.]
         [[https://www.instagram.com/p/BKyCAQiA7jC/?r=1643526985|이 사건에 대해 해명글을 올렸다.]] 전반적인 반응은 캐릭터는 돌I인데 이런 대응은 또 어른스럽다고...
          * 신동과 함께 공항패션 종결자가 되었다.[[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6&oid=311&aid=0000276478&viewType=pc|#]] 코디를 딱히 신경쓰지 않는 편한 의상을 선호하는 것으로 보인다. 러브라이브의 야자와 니코 캐릭터가 그려진 옷도 자주 입는다.
          * 게임하면서 느끼는 감정을 음악으로 승화시키기도 하는 듯. 리니지2에서 무기강화하다가 날려먹고 느낀 감정을 작사한것이 M&D 가내수공업의 魂 (soul, 혼). [[http://m.entertain.naver.com/read?oid=382&aid=0000342225|관련인터뷰]] 같은 앨범 수록곡 '달수정'은 그림체가 바뀐 세일러문 일러스트가 속상해서 작사했다고 한다. 더욱 경이로운 것은, '魂'의 가사는 연인을 만나러 가다 사고~~강화실패~~를 당해 남자~~아이템~~가 연인~~주인~~에게 건네는 마지막 인사이고, '달수정'은 이별 후의 외로움을 '달은 별들과 달리 언제나 혼자다'라는 것에 빗대어 표현했으니, 작사 계기와는 달리 가사가 놀랍도록 시적이고 감성적이라는 점이다.
          * 상술했듯 괴상한 패션 센스와 머리 때문에 묻히는 감이 있지만 제대로 차려입으면 진짜 잘생겼다. [[https://tv.kakao.com/embed/player/cliplink/300240117?sercie=kakao_tv|링크]]
          그리고 껍질을 까보자 아니나 다를까 [[클템]] 이상의 방송짬밥+나름 롤잘알+완벽한 낄끼빠빠+빵빵 터지는 드립[* 모닝콜, 텃세, [[통이유]], 롤 정치 드립 등] 등을 보여주며, 모두까기 인형인 트위치 채팅창에서도 다음팟에서도 우리 형님이라 찬양을 받았다. 롤 인벤 등에서는 거의 완벽한 객원해설이었던 [[이다윤|스피릿]]에 이어 두 번째로 좋았던 객원해설이라는 평. [[갱맘]]은 해설 자체의 수준은 아주 높았으나[* 갱맘의 미래예측과 결과가 거의 항상 일치했다. 선수 시절 클템의 분석력과 비슷한 수준.] 욕심이 컸었는지 오디오가 너무 물렸고, [[샤이]]는 목소리 톤이 해설에 크게 어울리지는 못했고, [[천주]]는 0개국어 구사자(...)라는 소리를 들은 반면 김희철은 딱 본인이 잘 할 수 있는 포지션을 캐치하고 방송 경력 10년에 걸맞는 훌륭한 모습을 보여주었다. 그 후 인벤과 [[http://www.inven.co.kr/webzine/news/?news=165285&site=lol&page=2|인터뷰]]를 가졌는데 진정성 있는 인터뷰로 인벤뿐만 아니라 루리웹 같은데서도 저런 일면이 있는 줄은 몰랐다라고 호감을 가지게 된 남성 유저들도 늘어난 듯.
  • 이민호(1987) . . . . 27회 일치
         [include(틀:다른 뜻1, other1=NC 다이노스의 투수, rd1=이민호(야구선수))]
         [include(틀:상위 문서, top1=배우/한국)]
         ||||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c/c8/140120_Minho_Lee_c.jpg/250px-140120_Minho_Lee_c.jpg ||
         ||<#878787> '''{{{#EEE156 링크}}}''' || [[http://leeminho.kr/|공식사이트]] [[https://m.facebook.com/OfficialLeeMinho|페이스북]] [[https://instagram.com/actorleeminho/|인스타그램]] ||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ko/thumb/9/95/Leeminho2010.jpg/160px-Leeminho2010.jpg
         2016년 [[푸른 바다의 전설]]에서는 허준재, 김담령 1인2역을 연기하였고 로맨틱 코미디와 액션, 스릴러를 넘나들며 섬세하며 차별화된 연기로 역시 이민호라는 찬사를 받았고 대만, 중국 등 아시아에서 인기를 끌었고 한국 영화 및 드라마 데이터베이스 구축 사이트인 HanCinema에서 가장 좋아하는 남자 배우 1위에 선정됐다.
         여담으로 과거 [[카오스(워크래프트 3/유즈맵)|CHAOS]] 유명 클랜 ANA 클랜 소속이었다고 한다. 당시 사용하던 닉네임은 ANA_MIN. 나이스 게임TV의 게임 캐스터&해설 하광석은 자사 홈페이지에서 관련된 드립을 친 바 있다. 나캐리에 나온 [[희철|김희철]]에 의해 롤 유저임이 밝혀졌다. 티어는 다이아 5라고 하며, 최대 티어가 다이아 2~3이었다고 한다.[* [[게임쇼 유희낙락]]에서 김희철이 언급.] [[직스]], [[케일(리그 오브 레전드)|케일]]을 주로 사용한다고 한다. [[희철|김희철]]이 공익으로 복무했을 때 같이 롤을 자주했다고 했는데, [[희철|김희철]]은 [[베인충]]이고 이민호는 [[야스오충]]이라 같이 게임걸린 팀원들이 싫어했다고 한다. 연예계에서 게임 잘 하는 연예인으로 잘 알려져 있다.
         [[정일우]]와 절친으로 알려져 있다. 정일우는 거침없이하이킥에 캐스팅되고 이민호는 다른데로 캐스팅된 것이다 [[http://m.entertain.naver.com/read?oid=076&aid=0001983784|#]] 둘이 바다로 놀러 가다가 교통사고를 당했는데, [[정일우]]는 재활 치료를 연기하면서 어떻게든 하이킥에 출연했지만 이민호는 혼수 상태까지 가서 7개월 간 입원했을 정도로 크게 다친 바람에 오른쪽 허벅지와 무릎에 철심을 박는 등, 심각한 후유증을 겪었다. 거기다가 이 사건의 계기로 하이킥을 비롯한 다수의 작품 출연이 무산되었다. 이 사고로 둘 다 [[병역판정검사|신검]]에서 공익 판정을 받았고, 실제로 둘 다 [[사회복무요원]]으로 복무 중이다. [[시티헌터(드라마)|시티헌터]]에서 사격 장면을 보면 알 수 있는데, 수전증이 있다. 이 또한 교통사고 후유증이라고 밝힌 바 있다. 그 이후 [[시티헌터(드라마)|시티헌터]]를 찍을 때 또 한 번 교통사고를 당했다. [[강남1970]] 촬영 당시 한쪽 다리만으로 발차기 액션 씬을 찍었다고 밝힌 바 있다.
         2017년 5월 12일부터 [[포항시]]청에서 [[사회복무요원]]으로 군 복무에 들어간다. 선복무 후입소 제도를 적용하여 [[포항시]]청에서 일하는 중간에 병무청이 정해 준 날짜에 입소하여 기초군사훈련을 받고 퇴소한 후 잔여기간 동안 복무를 재개한다고 한다.[* 비슷한 사례로는 [[김필]]이 있다. [[장근석]]도 바로 기초군사훈련을 받지 않은 것으로 보아, 선복무 후입소를 적용한 것으로 보인다.] 첫날 [[포항시]]청으로 출근한 뒤, 구청 산하의 복지시설로 발령됐다. [[2018년]] [[3월 15일]]에 [[육군훈련소]]에 입소하여 기초군사훈련을 받고 4월 12일에 수료한 후, 복무를 재개했다.[[http://entertain.naver.com/read?oid=109&aid=0003737235|#]]
         || '''2''' || Extreme (Feat. 제시카 에이치오) (Inst.) || || 박근태 || Tommy Park ||
         || '''1''' || '''고마워요 (Thank You)''' || 이민호 || 황찬희 || KingMing ||
         || '''2''' || 고마워요 (Thank You) (Inst.) || || 황찬희 || KingMing ||
         || '''3''' || 그때처럼 (Inst.) || || 황찬희[br]이승주[br]존스노우 || 황찬희[br]이승주 ||
         || '''4''' || 선물 (Inst.) || || 황찬희 || 황찬희 ||
         ==== 《Always By Lee Min Ho》 ====
         ||<-5><tablewidth=100%><table bordercolor=#808080><table bgcolor=white><bgcolor=#808080><:>{{{#000000 '''Always By Lee Min Ho'''}}}||
         || '''2''' || Always (Inst.) || || 황찬희 ||
         ==== 미니 1집 《My Everything》 ====
         ||<-5><tablewidth=100%><table bordercolor=#FFE4B5><table bgcolor=white><bgcolor=#FFE4B5><:>{{{#000000 '''My Everything'''}}}||
         || '''3''' || My Little Princess || 조은희[br]하이니 (HiNi) || 황찬희 || PJ[br]이키 (iki) ||
  • 임수정(탤런트) . . . . 27회 일치
         [include(틀:다른 뜻1, other1=한국의 여자 씨름선수, rd1=임수정(씨름))]
         [include(틀:상위 문서, top1=배우/한국)]
         [Include(틀:스타쉽엔터테인먼트)]
         ||<table width=100%><table align=center><table bordercolor=#000000><-100><:>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C60C30 20%, #003478)"
         ||<#ffffff><-1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링크''' ||<(> [[http://www.imsoojung.com/|공식사이트]] [[http://gall.dcinside.com/list.php?id=soojung|[[파일:디시인사이드 아이콘.png|width=24]]]] [[https://www.instagram.com/soojunglim_/|[[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png|width=24]]]] ||
         [Include(틀:-)]
         오디션을 계속해서 보다가 마침내 [[학교 시리즈]]의 --당시에는-- 마지막인 《[[학교 4]]》에 출연을 하게 된다. 그것도 주연급으로 나왔다. 그러나 중간에 제작진과의 불화[[http://sports.chosun.com/news/entertainment/20011105/1be16005.htm|#]]로 그 이후로는 비중이 급격히 낮아지고 마지막회엔 거의 엑스트라급으로 나왔다. 그리고 당시에 같이 나오던 [[이유리(배우)|이유리]]가 더 잘 나갔다.[* 《학교 4》에서 둘은 극중 애증의 관계로 나온다. 중학교 시절 단짝이었으나 [[어른의 사정]], 정확히 얘기하자면 학교 선생의 실드 때문에 개, 소 보듯한 관계로 변하다 결국 서로의 진심을 알게되어 화해하게 된다는 에피소드가 있었다.]
         2003년에는 《...ing》에 출연하여 [[불치병]]에 걸렸지만 운명적인 사랑을 꿈꾸는 여고생[* 커플로 나온 [[김래원]]은 대학생 역을 맡았는데 사실 그녀보다 어리다.(...)] 민아 역을 맡아 과장되지 않은 감성연기를 보여주었다. 비록 흥행에 성공한 영화는 아니나 이 영화를 높게 평가하는 이들이 많다. 특히 전설 아닌 레전드로 기억되는 OST인 [[이승열]]의 기다림이 화제가 된다.
         || ...ing || 강민아 || 483,828명 || ||
         당대 최고의 인기시리즈이던 [[학교 4|학교]]에 신인으로 주인공 자리를 잡으며 화려한 데뷔를 한다. 그런데[[http://sports.chosun.com/news/entertainment/20011105/1be16005.htm|#]] 이 사건으로 제작진의 미움을 사서 단역으로 강등되고 단독에피소드나 진행되던 스토리도 모두 ~~임~~수정된다. 초반의 도도하고 까칠하던 [[아야나미 레이]]같은 분위기의 배역은 이유리에 흡수되고, 스토리텔링의 핵심인 수다부분에서는 뒤통수만 나오던가 아예 안나온다;; 결국 이 드라마에서 가장 성공한 배우는 이유리, 공유로 남게된다.
         [[캐리비안의 해적]] 삼부작으로 유명한 고어 버빈스키가 2007년 부산국제영화제에서 그녀에 대해 지금까지 본 동양여배우 중 가장 아름답다고 하였다. [[http://joynews.inews24.com/php/news_view.php?g_menu=701100&g_serial=287622|#]]
         그녀가 운이 좋은건지 파트너가 운이 좋은건지 남자 파트너들의 면면이 화려하다. [[공유(배우)|공유]](학교4,김종욱 찾기), [[주진모(1974)|주진모]](카페라떼 cf), [[안성기]](피아노 치는 대통령), [[김래원]](...ing), [[소지섭]]([[미안하다 사랑한다]]), [[정우성]](새드무비,맥심 cf), [[비(연예인)|정지훈]](싸이보그지만 괜찮아), [[황정민]](행복), [[강동원(배우)|강동원]], [[김윤석]](둘 다 전우치), [[현빈]](사랑한다, 사랑하지 않는다), 심지어 잘생긴 [[말(동물)|말]][* 영화 《각설탕》에 나온 말 천둥을 이른다. 이 말은 2007년에 산통으로 세상을 떠났다. 사실은 암컷.]까지도.(...)
         >무척 슬픈 영화지만 관객들에게 펑펑 우는 영화가 되지는 않기를 바란다. 울음으로 토해내고 나면 영화를 보던 순간의 감정을 잊을지도 모른다. 하지만 가슴이 찡한 상태에서 극장을 나서면 계속 여운이 남아 사랑에 대해 오래도록 되새기게 될 것 같다.(...ing에 대해서)
         > '장화 홍련'도 좋았지만 나는 '…ing' 를 보면서 정말 좋은 신인 연기자라는 생각이 들었다. 주인공 민아 역은 슬픈 운명을 가져가면서도 다른 연기를 해야 하는데 넘치지도 모자라지도 않고 정확하게 해냈다. 또 수미 역은 어느 정도 만들어진 범위 안의 연기였는데 민아 같은 경우는 배우 스스로가 만들어낸 연기라고 생각한다.
          * 이언희 (...ing 감독)
         > 지난해 임수정은 ‘장화,홍련’ ‘…ing’ 등 두 편의 영화로 스크린 무대에 강인한 인상을 남겼다. 지난해 말 시상식에서 신인상을 휩쓸다시피한 이유도 그녀에 대한 높은 기대 때문이다. ‘2004년 모든 상을 휩쓸 것 같다’(오정완) 등 그녀에게 거는 기대가 높다. ‘연기를 잘하는,진중한 배우’(오승욱) ‘가능성이 열려 있는 스펙트럼이 기대되는 배우’(송해성) 등 그녀에 대한 평가는 가능성에 집중돼 있다. 아직 차기작을 고르지 않은 임수정. 50인 가운데 무려 13명이 그녀의 행보를 지켜보고 있다. (참고적으로 이 때 뽑힌 배우는 윤진서, 강혜정 등)
         > 수정씨를 보면서 늘 묘하다는 생각을 했어요. 얼굴은 나와 다른 세상의 사람처럼 생겼거든요. 그런데 '…ing' 같은 영화를 보면 말과 행동이나 이런 것을, 일상적인 것을 너무 잘 담아내잖아요. 얼굴이 주는 다른 세상의 느낌과 연기의 너무나도 자연스런 느낌이 충돌하면서 묘한 기분이 들더라고요.
         팬사인회에서 팬들에게 친절하기로 유명하다.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POD&mid=tvh&oid=132&aid=0000026715|#]]
         ||Mis labios se parecen a los tuyos; pero mi simple cordura se arrodilla ante tu loca belleza, cada ves que miro a tus ojos de adorada princesa…
  • 저스디스 . . . . 27회 일치
         | 웹사이트 = [http://JUSTHISeung.tumblr.com/ Tumblr] [https://twitter.com/JUSTHISeung Twitter] [http://soundcloud.com/JUSTHISeung SoundCloud] [https://www.youtube.com/user/JUSTHISeung YouTube] [https://instagram.com/justhiseung Instagram]
         '''저스디스''' ('''JUSTHIS''', {{본명|허승}}, 1991년 5월 7일 ~ )는 [[대한민국]]의 [[래퍼]]이다. 2010년, '''[[시로스카이]]'''의 EP "The Orbit"에 당시 활동명 '''TiMeWiNe'''으로 피쳐링하여 활동을 시작했다.<ref>[http://www.melon.com/song/detail.htm?songId=3030666 곡 정보>멜론]. 멜론.</ref> 2011년, 같은 이름으로 [[믹스테이프]] "A Little Bird Told Me"를 무료로 배포하고,<ref>[http://www.hiphopplaya.com/magazine/article/view.html?category=&category2=&mode=&page=1&sort=&num=7890&keyfield=&key=%ED%8B%B0%EB%AF%B8%EC%9C%84%EB%8B%88 'A Little Bird Told Me' 무료 공개]. 힙합플레이야.</ref> '''[[오케이션]]'''의 믹스테이프 "Preseason #2"에 비트와 랩 피쳐링으로 참여했으며,<ref>[http://hiphopplaya.com/magazine/article/view.html?category=&category2=&mode=&page=2&sort=&num=7305&keyfield=&key=okasian 오케이샨(Okasian), 하이라이트 레코즈 입단 및 믹스테이프 공개]. 힙합플레이야.</ref> 2012년, 이름을 저스디스(JUSTHIS)로 바꾸고 믹스테이프 "QUAL N TITY : True Up"을 무료로 배포 후,<ref>[http://www.hiphopplaya.com/magazine/article/view.html?category=&category2=&mode=&page=1&sort=&num=9627&keyfield=&key=%EC%A0%80%EC%8A%A4%EB%94%94%EC%8A%A4 'QUAL N TITY : True Up' 공개]. 힙합플레이야.</ref> 2013년, '''[[매드 클라운]]'''과 '''커먼콜드'''라는 팀을 결성하였다.<ref>[http://www.hiphopplaya.com/magazine/article/view.html?category=&category2=&mode=&page=1&sort=&num=10421&keyfield=&key=%EC%BB%A4%EB%A8%BC%EC%BD%9C%EB%93%9C 매드클라운과 저스디스, 커먼콜드 결성]. 힙합플레이야.</ref> 믹스테이프 "_ u c k!"를 준비중에 있다가<ref>[http://www.hiphopplaya.com/magazine/article/view.html?category=&category2=&mode=&page=1&sort=&num=10482&keyfield=&key=%EC%BB%A4%EB%A8%BC%EC%BD%9C%EB%93%9C 커먼콜드(Mad Clown & justhis) '_ u c k!' 수록곡 선 공개]. 힙합플레이야.</ref> 2014년 5월 7일, 본인의 텀블러를 통해 믹스테이프 "[[Money Vs. Love: Dream (MVLD)]]"를 공개했다.<ref>[http://justhiseung.tumblr.com/post/85002465677 {{웨이백|url=http://justhiseung.tumblr.com/post/85002465677 |date=20140508113407 }} JUSTHIS - Money Vs. Love: Dream (MVLD) [Mixtape]]. Tumblr.</ref> 그 이후에는 크루 '''불한당'''의 프로젝트 앨범 "A Tribe Called Next"와<ref>[http://www.melon.com/album/detail.htm?albumId=2295768 앨범 정보>멜론]. 멜론.</ref> '''매드 클라운'''의 미니 앨범 "Piece Of Mind" 등에서의 피쳐링으로 활동을 이어가고 있으며,<ref>[http://www.melon.com/album/detail.htm?albumId=2298221 앨범 정보>멜론]. 멜론.</ref> 현재 프로듀서 [[디프라이]](Deepfry), 자코(Jaqo)와 함께 준비 중인<ref>[http://www.hiphopplaya.com/magazine/article/view.html?category=&category2=&mode=&page=1&sort=&num=16028&keyfield=&key=justhis 저스디스(JUSTHIS) | 그런 말장난들론 여기 시스템 못 바꿔]. 힙합플레이야.</ref> 본인의 첫 번째 앨범 [[2 Many Homes 4 1 Kid]]<ref>[https://twitter.com/JUSTHISeung/status/596326033197924352 저스디스의 트윗]. 트위터.</ref>
         === 싱글 (Single) ===
         * Tru Rich (Feat. [[일리닛|illinit]]) (2017)
         * Credit (with. Kid Milli, Swings) (2018)
         * A Little Bird Told Me (2011) <small>(TiMeWiNe)</small>
         | rowspan="2" |Piece Of Mine
         |Take Nuthin' Earn Errthang Walkin' Home
         |Take Nuthin' Earn Errthang Walkin' Home
         |돕플라밍고 (Doplamingo)
         |일리닛 (illinit)
         |Q Train 2
         |New Kings
         |돕플라밍고 (Doplamingo)
         |Emotions In Motion
         |Finder's Piece
         |돕플라밍고 (Doplamingo)
         |스윙스 (Swings)
         |Shine My Way
         |Shine My Way
  • Darkest Hour: A Hearts of Iron Game/디시전 . . . . 26회 일치
          * Invest in National Infrastructures(국가주도 기반시설 투자)
          * Invest in National Research(국가주도 연구 투자)
          * Pass Enabling Act(수권법 통과)
          * Attempt a Coup in Austria(오스트리아 쿠데타 시도)
          * Re-occupation of the Rhineland(라인란트 재점령)
          * Anti-Comintern Pact(반 코민테른 조약)
          * Spanish Civil War - Intervention(스페인 내전 - 간섭)
          * Claiming Klaipeda(클라이페다 요구)
          * Emergency Banking Act(긴급은행법)
          * National Industrial Recovery Act(전국산업부흥법)
          * Philippines Independence(필리핀 독립)
          * The Pitman Act - Chinese Currency(피트만법 - 중국의 자금)
          * The Americans Control Chinese army(미국의 중국군 지휘)
          * Land Lease Program for the United Kingdom(영국 랜드리스 지원)
          * Quincy Agreement(퀸시협정)
          * Interventionist speech at the Congress(간섭주의자의 국회 연설)
          * Intervention against Mexican Rebels(멕시코 반군에 대한 간섭)
          * Occupation of Dominican Republic(도미니카 공화국 점령)
          * Operation Zet - Assistance to China(제트 작전 - 중국 지원)
          중화민국의 입장에는 청두 프로빈스에 공군 기지가 하나 지어지고, 그곳에 요격기 비행단 하나와 전술폭격기 비행단 하나가 생긴다. 강경파로 정치 슬라이더가 한칸 이동하며, 소련에게서 빠져나간 보급품 1500과 석유 250을 가지게 된다. 소련과 관계도가 10 상승하며, 소련에서 파견된 공군 지휘관 [[https://en.wikipedia.org/wiki/Timofey_Khryukin|흐류킨]]을 사용할 수 있게된다. 또한 몇몇 청사진을 획득한다.
  • Crusader Kings 2/특성 . . . . 25회 일치
         게임 Crusader Kings 2의 캐릭터 특성을 설명하는 페이지.
          * 흑막의 거물(Grey Eminence)
          * 낭비 방조자(Indulgent Wastrel)
          * 치밀한 설계자(Intricate Webweaver)
          * 위대한 신학자(Mastermind Theologian)
          * 맹인(Blinded)
          * '''수행불능(Incapable)'''
          * 식중독(Food Poisoning)
          * 허약(Infirm)
          * 감염(Infection)
          * 흉통(Chest Pains)
          * 신뢰(Trusting)
          * 신뢰(Trusting) 특성과 상극
          * 친절(Kind)
          * 친절(Kind) 특성에 대한 의견 +5
          * 행정관(Administrator)
          * 근친상간(Inbred)
          * 고무시키는 지휘관(Inspiring Leader)
          * 산악 전문가(Mountain Expert)
          * 완강한 지휘관(Unyielding Leader)
  • 노영하 . . . . 24회 일치
         *전 [[KBS 바둑왕전]] 해설위원으로 활약하였다.<ref>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94050200329117016&editNo=15&printCount=1&publishDate=1994-05-02&officeId=00032&pageNo=17&printNo=15073&publishType=00010 TV速棋(속기)해설 4인방 각축] 경향신문 17면 1994년 5월 2일 확인</ref>
         * [[1972년]] 제17기 [[국수전]] 준우승(대 윤기현) <ref>[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72070600209208021&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72-07-06&officeId=00020&pageNo=8&printNo=15617&publishType=00020 盧永夏四(노영하사)단 國手戰(국수전)서 河燦錫四(하찬석사)단 꺾어 河四(하사)단 重大(중대)한 失着(실착)] 동아일보 8면 1972년 7월 6일 확인</ref>
         * [[1984년]] 제2기 박카스배 본선,[[KBS 바둑왕전]] 해설자.<ref>노영하는 30년동안 [[KBS 바둑왕전]] 해설자로 활약했다.</ref> <ref> (1984년 1월 14일) 《동아일보》[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84011400209205021&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84-01-14&officeId=00020&pageNo=5&printNo=19163&publishType=00020 KBS바둑왕전 盧永夏(노영하)씨가解說(해설)] 동아일보 5면 1984년 1월 14일 확인</ref>
         * [[1994년]] 제3기 SBS 연승바둑최강전 본선<ref>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94042400209123015&editNo=45&printCount=1&publishDate=1994-04-24&officeId=00020&pageNo=23&printNo=22494&publishType=00010 TV바둑「찬밥 편성」에 불만소리] 동아일보 23면 1994년 4월 24일 확인</ref>
         * [[1995년]] 제4기 SBS 연승바둑최강전 본선 .<ref>[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95061600209125005&editNo=45&printCount=1&publishDate=1995-06-16&officeId=00020&pageNo=25&printNo=22884&publishType=00010 盧永夏(노영하) 바둑비디오 출시기념회] 1995년 6월 15일 동아일보 25면</ref>
         * [[1996년]] 제5기 SBS 연승바둑최강전 본선 ,최고위전 본선,8단 승단(특레승단).<ref>(1996년 3월 24일) 《[[한국일보]]》[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96032400209122011&editNo=45&printCount=1&publishDate=1996-03-24&officeId=00020&pageNo=22&printNo=23147&publishType=00010 盧永夏(노영하) 8단으로 특례승단] 동아일보 22면 바둑 1996년 3월 24일 확인</ref>
         * [[2014년]] [[11월]] : 시니어 기사회장 역임<ref>[http://baduk.or.kr/info/report_view.asp?gul_no=1147&cur_page=0&key=1&keyword=시니어 한국기원 바둑뉴스 ‘시니어 기사회’ 발족초대 회장 노영하 9단 선임]</ref>
         * 1976년부터 2013년까지 KBS TV 바둑 해설을 맡았다. <ref> (1984년 1월 19일) 《매일경제》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84011900099209011&editNo=1&printCount=1&publishDate=1984-01-19&officeId=00009&pageNo=9&printNo=5500&publishType=00020 K3TV「바둑왕전」해설] 매일경제 9면 1984년 1월 19일 확인</ref> <ref>(2013년 5월 24일) 《[[한국일보]]》[http://sports.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baduk&ctg=news&mod=read&office_id=038&article_id=0002391959 "명승부 장면 생생한 전달 30년, 행복했습니다"] 한국일보 바둑 2013년 5월 24일 확인</ref>
         * [https://baduk.or.kr/info/player_view.asp?prpl_code=10000023 한국기원 기사정보 노영하]
  • 유승민(정치인) . . . . 24회 일치
         [include(틀:상위 문서3, top1=정치인/목록, top2=불교/인물, top3=대구광역시/인물)]
         [include(틀:다른 뜻1, other1=동명의 <a href="/w/탁구">탁구</a>선수, rd1=유승민(탁구))]
         ||<bgcolor=#FFFFFF><:>{{{#!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dth=30%><:>''신설합당''[* [[국민의당]]·[[바른정당]]]||<width=5%><:>→||<width=30%><:>'''초대'''[br][[박주선]]·[br]'''유승민'''||<width=5%><:>→||<width=30%><:>{{{#!wiki style="letter-spacing:-1px;margin:-1px;font-size:14px"
         ||||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7/77/Yoo_Seong-min_in_Gangneung_%28Cropped%29.jpg/250px-Yoo_Seong-min_in_Gangneung_%28Cropped%29.jpg ||
         || '''이름''' ||<white><(> 유승민(劉承旼, Yu Seungmin) ||
         || '''종교''' ||<white><(> [[불교]][*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705031536001&code=910110|#]].][* 유승민 의원이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7/03/12/0200000000AKR20170312026700001.HTML|교회 예배]]에 참석한 적이 있으나, 이는 [[개신교]] 신자라서 [[예배]]를 드린 것이 아니라 [[기불릭|대선 과정에서 표 확장과 홍보를 위해]] [[교회]]를 찾았다.] ||
         || '''링크''' ||<white><(> [[http://www.ysm21.com/|홈페이지]], [[http://blog.naver.com/ysm21comm|[[파일:네이버블로그.png|width=20]]네이버 블로그]][br][[https://www.facebook.com/sminyoo|[[파일:페이스북 아이콘.png|width=20]]페이스북]] [[https://www.instagram.com/yooseongmin21|[[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png|width=20]]인스타그램]][br][[https://pf.kakao.com/_SJtrd|[[파일:플러스친구.png|width=20]]카카오톡 플러스친구]][br][[http://tv.kakao.com/channel/2730122/cliplink/375460571?metaObjectType=Channel|[[파일:kakaotv_icon.png|width=20]]kakao TV 채널]] ||
         그러나 2011년부터 2012년 초까지 [[박근혜]] 당시 [[한나라당]] 비대위원장과 여러 차례 의견 충돌을 겪으면서 차차 사이가 멀어졌고, 이때부터 소위 "탈박"이라는 비주류의 길을 걷게 된다. 저 당시 의견 충돌이 있었던 것 중 대표적인 예로, 박근혜가 당명을 [[새누리당]]으로 변경하려고 하자 유승민이 "새누리당은 당명으로 쓰기엔 [[신천지예수교 증거장막성전|종교적인]] [[영세교|색채]]가 너무 짙은 이름이다"라는 이유로 정면으로 [[http://www.kyongbuk.co.kr/main/news/news_content.php?id=580346&news_area=020&news_divide=&news_local=20&effect=4|반대했던 일]]이 있다. 그 뒤로는 소위 탈박 내지 [[비박#s-4|비박계]] 인사로 분류되었다.
         [[THAAD]] 배치가 결정되자 "[[칠곡군]]에 배치하면 수도권 방어가 어렵다"고 주장하며 사드 2~3포대 추가배치를 주장하였고, 후에 [[성주군]] 배치로 결정된 7월 12일 CBS 라디오에 출연해 "TK에 배치돼도 감당해야 한다"고 입장을 밝혔다.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01&aid=0008536495|유승민 "사드, TK에 배치돼도 감당해야"(연합뉴스)]] 또한 사드 문제로 인해 방중했던 [[더불어민주당]] 소속 의원들에게는 매우 부적절한 처사이며 굴욕외교를 하고 있다고 이례적으로 매우 강도 높게 비판하였다.
         [[도널드 트럼프]]가 기자회견에서 "사드 '''1대당 10억 달러'''를 부담해야 되는것 아니냐"는 발언을 하여 논란이 되었다.[[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001&oid=001&aid=0009225777|트럼프 사드 10억 달러 지불해야]] 이에 대선 토론에서 [[문재인]], [[심상정]] 후보가 사드 관련하여 부정적인 입장을 내비쳤다. 심지어 문재인 후보가 유승민 후보에게 '''"이거 어떡할 거냐"'''라고 대놓고 따지자, 유승민 후보가 밝힌 견해는 이렇다.
          * 1986 Distinguished Teaching Assistant Award (미국 위스콘신주립대)
         >— 2017년 3월 29일 [[바른정당]] 대통령 후보로 선출된 유승민 의원은 '정치적 스승'인 [[이회창]] 전 [[한나라당]] 총재를 예방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7/03/29/0200000000AKR20170329071951001.HTML|유승민 '정치 스승' 이회창 예방…"원칙이 중요…계산 않겠다"]]
         [include(틀:제20대 국회의원/대구광역시)]
         [include(틀:제19대 대통령 선거 후보)]
         [include(틀:표절, version=1892~1898, source=한겨례)]
  • 하수빈 . . . . 24회 일치
         | 웹사이트 = [http://www.hasoobin.com/ www.hasoobin.com]
         '''하수빈'''(河琇彬, '''Lisa Ha''', [[1973년]] [[5월 3일]] ~ )은 [[대한민국]]의 [[가수]]이자 [[음악 프로듀서|프로듀서]], 해외[[건축]]디자인, [[경영]]인이다. [[서울특별시]] 출생으로 [[계성여자고등학교]], [[서울예술대학교]]를 나왔다. 1992년, ''Lisa in Love''( 리사 인 러브 )로 19세에 데뷔하여 청순 가련형의 대명사로, 여성 싱어-송라이터로 대중에게 많은 사랑을 받았다.
         * [[La Stella Entertainment]] 대표경영자
         * 1집 《'''Lisa in Love'''》([[1992년 8월1일 발매]])
         • 예민, Tommy Page, 심상원, 김형석 등의 뮤지션이 참여된 하수빈의 데뷰 앨범으로, 데뷰곡은 작곡가 겸 프로듀서 예민의 발라드곡〈더 이상 내게 아픔을 남기지마〉, 스위트 팝 댄스곡〈NoNoNoNoNo〉, Tommy Page의 곡 〈I'm Falling In Love〉이다. I'm Falling In Love은 하수빈이 17세에 미국 POP Singersongwriter 토미페이지 Tommy Page로부터 아시아 스타 첫 예로 받은 곡으로 알려져 있으며 또한 <Lisa:리사> 라는 이름을 선물 받았다. 특히 발라드〈너는 나의 사랑의 이름〉은 하수빈이 17세에 만든 자작곡으로 정규앨범에 실은 첫 타이틀이다.
         5. I'm Falling In Love
         •'''하수빈'''의 아티스트로의 성장과 변모로 이끈 '''《The Persistence Of Memory - 추억의 영속》...'''그녀의 감성 판타지, 그 영혼의 음악 세계를 표현하고 있다. 그간의 삶의 여정, 사랑, 평화 그리고 오랜 그리움의 정서를 영상미학적 음향(Cinematic Sound), 섬세한 문학적 언어와 감성적 음악으로 조각함이 무척 인상적이다.
         The Winner
         * M.Street 1집 《Boy's story in the city》— 제작 Agency, CoProducer ([[2003년]])
         * Beyond 1집 《Sailing》 — 제작 Agency, Produce ([[2005년]])
         그녀의 내면적 감성은 매우 회화적이다. 마치 노르웨이 숲, 그 끝없는 광활함이나 눈이 시리도록 맑고 깨끗한 캐나다의 호수, 신비로운 사막에서 오아시스를 만나 듯... 생명력을 품고 있는 자연의 신비스러움에서 많은 시적 영감을 얻었다. 영상미학적 Cinematic 한 내면적 성찰을 섬세한 문학적 언어로 조각함이 무척 인상적이다.
         상념의 시간들을 감성이 풍부한 음악적 영상으로 표현한 것이다. (Emotive Paintings)
         '''|. The Dawning''' '''II. Through all Eternity'''
         A rainy day in Paris (파리엔 비가 와요) 우유 빛 추억
         Love in October Saint Lawrence (한국의 달빛을 닮은 하루)
         * [http://www.hasoobin.com 하수빈 홈페이지]
         * [http://cafe.daum.net/soobin/ 하수빈 팬 카페]
         * [https://www.youtube.com/user/lastellainc1/videos?view=1 라스텔라YOUTUBE]
  • 연정(우주소녀) . . . . 23회 일치
         [include(틀:우주소녀)]
         [include(틀:I.O.I)]
         ||<#FFA38B><:> '''{{{#white 링크}}}''' ||<(> [[https://www.instagram.com/uyj_s/|[[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png|width=25]]]] [[http://gall.dcinside.com/yooyeonjung|[[파일:디시인사이드 아이콘.png|width=25]]]] ||
         인터넷상에서의 별명은 닮은꼴로 자주 언급되는 연기자 라미란. 부모님도 라미란을 닮은 걸 인정했고, 이젠 이름만 들어도 몸이 반응한다고 한다.[[http://gall.dcinside.com/board/view/?id=produce101&no=194322&page=1230&exception_mode=recommend|어린 시절 사진]]. 그래서 모녀관계 의혹을 받기도 했다. 네이버TV에 공개된 비하인드 영상에서 본인도 이 별명에 대해 안다고 밝혔다. 여기에 대장의 야민정음을 합친 '라머장', '머장님'이라 불리기도 하는데 배성재의 텐에서 이 별명에 대해서도 알고 있다고 밝혔다. 이쪽은 야민정음인지라 방송에서 직접 사용하지는 않지만 현장토크쇼 택시에서 제작진이 이를 사용해 버렸다.[* [[http://oi63.tinypic.com/mljq83.jpg|#]]] 그러나, '''다이어트를 한 후에는 라미란과 닮지 않았다'''(???) 다이어트 성공후 새로운 리즈를 갱신했다. 라미란 외에는 같은 팀 멤버인 수빈과도 닮았는데, 수빈이 <비밀이야> 활동부터 스타일을 단발로 바꾼 게 둘의 캐릭터가 겹치는 것을 피하기 위해서라는 소문도 있다.
          * [[https://m.youtube.com/watch?v=htLJ6U50Ot8|Loving U 직캠]]
         이외에도 방송에서 보여주는 활발한 모습과 입담 덕에 의외의 예능 특화 포지션이라는 평도 듣고 있다.[[http://gall.dcinside.com/board/view/?id=superidea&no=70449|#1]], [[http://gall.dcinside.com/board/view/?id=produce101&no=1220202|#2]] 이쯤 되면 '''진정한 인간승리자'''라 봐야 할 듯.
         5월 11일 박지윤의 가요광장에 출연해서 씨스타의 <I Swear>를 혼자서 소화해 호평을 받았다. [[https://www.youtube.com/watch?v=u8lfv4W3Ng4&feature=youtu.be|#]] 같은 날 테이의 꿈꾸는 라디오에서는 정채연의 별명이 왜 댕채냐는 질문에 '''멍청해서'''라고 돌직구를 날리기도 하고, 옆자리에 앉은 김소혜의 볼을 모아 붕어를 만드는가 하면[* 링크의 중간에 소혜의 볼을 잡은 손이 유연정의 손이다][[http://gall.dcinside.com/board/view/?id=kimsohye&no=169117&page=1&search_pos=&s_type=search_all&s_keyword=%EA%BF%88%EA%BE%B8%EB%9D%BC|#]] 김청하의 앞머리를 매만져주며 멤버들과 활발하게 꽁냥거렸다. 또한 발라드를 불러달라는 요청에 김도연과 함께 오마이걸의 '한 발짝 두 발짝'의 후렴구를 부르며 청아한 화음을 들려주었다.
         I.O.I의 첫 앨범 <Crush> 뮤비에서 세정을 중앙에서 팔로 밀어내거나 아예 중앙을 뚫고 오는 등 지나치게 센터 자리를 의식하는 듯한 모습을 보여 욕심이 너무 과하다는 비난을 들었다. [[http://gall.dcinside.com/board/view/?id=produce101&no=992762&page=1&exception_mode=recommend| <Crush> 뮤비 센터 분석글(프로듀스 101 갤러리)]]. 간간히 나오거나 아예 제대로 비춰주지도 않는 다른 멤버에 비해 '''유연정이 압도적으로 분량이 많다.''' 다만 세정을 밀쳤다며 악플이 많은 것에는 반론이 있다.~~무슨 반론?~~ 이후 새로 편집된 뮤직비디오가 을라왔으며, 다른 멤버들의 원샷이 추가되어 연정의 센터 분량이 줄어들게 되었다. 네티즌들도 대부분 "뮤비를 처음부터 이렇게 제대로 만들지 그랬냐"는 반응이다.
         2016년 8월 10일 방영된 걸스피릿 4회에 다원을 지원사격하러 출연, 마마무의 <넌 is 뭔들>을 소화했다. 방송에 나오기도 전에 걸스피릿 연관검색어 상위권을 차지했다.[[http://dcimg1.dcinside.com/viewimage.php?id=2ab4c22af6c22aaf7aef85e746&no=29bcc427b38b77a16fb3dab004c86b6f113d37b1bcb96f74596c07c47348a17c44487b07c9662c1671ff75596f818e9797dea0e370aa9c87aaddc7bab3971b7329923d|#]] 그러긴 하나 연정에게 관심이 집중되는 바람에 오히려 다원이 묻혔다는 비판이 있다.
         2016년 8월 17일 미니앨범 《The Secret》을 통해 본격적으로 컴백했다. 뮤직비디오의 내용은 '''기존의 12성좌에서 연정이 합류해 13성좌로 되는 과정'''이 중심으로 연정이 높은 비중을 차지한다. 같은 사자자리인 보나가 연정을 처음 마중한 부분도 주목할 만하다. 뮤비뿐만 아니라 타이틀곡의 분량도 독보적으로 많이 주어졌으며[[http://gall.dcinside.com/board/view/?id=produce101&no=2067965&page=1&search_pos=-2056951&s_type=search_all&s_keyword=%EC%9A%B0%EC%A3%BC%EC%86%8C%EB%85%80+%EB%B9%84%EB%B0%80%EC%9D%B4%EC%95%BC|#]] 무대에서도 메인보컬 겸 '''센터''' 포지션을 맡았다. 한때는 중심에 섰단 이유만으로 온갖 비난을 들어야 했으나, 이번 활동에서는 그 직책과 명성에 걸맞은 카리스마를 뽐내며 무대를 이끌어가고 있어 많은 호평을 받고 있다.[[http://gall.dcinside.com/board/view/?id=produce101&no=2074650&page=468|#]]
         또한 스타쉽에서 관리를 혹독하게 시켰는지 비주얼이 엄청나게 상승했다.[[http://dcimg2.dcinside.com/viewimage.php?id=34b2df3fe0dd36ac7bb1d1&no=29bcc427b38b77a16fb3dab004c86b6f113d37b1bcb96f75556c19c26e5db7632c4092fc08cf1ba17954fbb230ddbbbfd58f21588be8d5b584a26b1400|#]] 팬들은 '''연정이가 각성했다'''라며 환호 중. 스타쉽이 이전까지의 홀대[* 일단 프로듀스 101에서 스타쉽이 밀었던 멤버가 태하였는데, 문제는 스타쉽의 기대와 달리 태하가 8회만에 방출당했다는 것..... 결국 태하는 스타쉽에서 더블킥으로 이적해 모모랜드에 합류했다.]를 멈추고 본격적으로 연정을 지원하겠다는 의지를 보이는 듯 하니, 앞길은 창창할 것으로 보인다.
         2016년 10월 4일, '혼밥할 땐 8시에만나' 3회에 출연했다.[[https://tv.naver.com/v/1153787/list/94381|#]] 혼밥 메뉴는 건강식 샐러드&단호박 스프&비트 클렌즈 주스[* 회사에서 시킨 메뉴라고 한다][[http://gall.dcinside.com/board/view/?id=yooyeonjung&no=92690&page=1|#]], 장소는 이화여대길의 '샐러듀팩토리'다.
         여담으로 프로듀스 101 출신이자[* 이 조건으로만 한정하면 최초는 아니다. 권은빈이 속한 CLC가 쇼! 음악중심에 출연했고 2016 추석특집 아이돌 요리왕에 한혜리가 출연했었다. 그 이후 솔로로 데뷔한 김주나와 키미, 김형은, 세이, 지니가 속한 불독이 쇼! 음악중심에 출연했다.] '''I.O.I 멤버들 중 가장 먼저 MBC에 입성'''했고[* '''지상파TV''' 최초며 라디오를 통해서는 본인 포함 8명의 멤버가 꿈꾸는 라디오에 출연했다. 다만, 최초 MBC 지상파 출연은 2016년 12월 10일, 12월 17일 마이 리틀 텔레비전이며 성소를 지원사격하기 위해 비밀이야와 Bebe를 불렀다.] 한 때 최연소 참가자의 기록이었으며 그 뒤 73차 경연에서 [[한 뚝배기 하실래예 로버트 할리퀸|최연소 기록]]이 깨졌다. 훗날 우주소녀 공식 인스타그램에 의하면 3라운드에서는 아이유의 너랑 나를 [[http://entertain.naver.com/read?oid=312&aid=0000230107|선곡할 예정이었다고 밝혔다.]] [[http://tv.naver.com/v/2366623|1라운드 듀엣곡 풀잎사랑(With 허경환)]], [[http://tv.naver.com/v/2366635|2라운드 솔로곡 별]][* 최근에 복면가왕 스페셜로 I.O.I가 출연했던 방송분의 '''풀영상이 올라왔다'''.] 참고로 프로듀스 101 시즌 1 출신 중에서는 최고 성적이다.[* 시즌 1 출신으로 나온 8명은 모두 1라운드에서 가면을 벗었으며 시즌 2에 나온 6명 중 2명은 2라운드 진출/2명은 준우승/2명은 우승했다.]
          * [[청하(가수)|청하]]의 지명을 받아 2018 [[아이스 버킷 챌린지]]에 동참했다. [[https://www.instagram.com/p/BjpROE9nlcM/?taken-by=uyj_s|#]] 다음 도전자로는 [[구구단(아이돌)|구구단]]의 [[미나(구구단)|미나]], [[TWICE|트와이스]]의 [[사나(TWICE)|사나]], [[(여자)아이들]]의 [[소연((여자)아이들)|소연]]을 지명했다.
          * [[스타쉽엔터테인먼트|소속사]] 후배 [[연습생]] [[안유진]]과 [[장원영(IZ*ONE)|장원영]]에게는 [[https://entertain.naver.com/topic/1076271/1076271/read?oid=112&aid=0003076408|즐기면서 활동하라고 조언했다]].
          * 2018년 10월 20일 팬카페를 통해 체력 저하, [[저혈당]], [[저혈압]] 증상으로 인해 당분간 휴식을 취할 예정이라고 알렸다.[[https://m.entertain.naver.com/ranking/read?oid=022&aid=0003311999&rankingType=sympathy&type=sad&basisDate=20181021210000|#]]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연정(우주소녀)/I.O.I, version=38)]
  • 전소민(배우) . . . . 23회 일치
         [include(틀:다른 뜻1, other1=걸그룹 에이프릴의 前 멤버이자 혼성그룹 KARD의 멤버, rd1=전소민(KARD))]
         ||||<table bordercolor=#FF92B1><#FF92B1><table width=600px> {{{+1 '''{{{#!html<span style="text-shadow: 0 0 6px #F799B0;color:#fff"> 전소민 / JEON SOMIN}}}'''}}} ||
         ||<width=60><#FFB1BC> '''{{{#white 이름}}}''' ||<#ffffff><(> 전소민(全昭旻 / Jeon So-Min) ||
         ||<#FFB1BC> '''{{{#white SNS}}}''' ||<#ffffff><(> [[https://www.instagram.com/jsomin86/|[[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png|width=24]]]] [[https://twitter.com/sominsea|[[파일:트위터 아이콘.png|width=24]]]][* 2010년 6월 15일~2016년 9월 21일] [[http://minihp.cyworld.com/pims/main/pims_main.asp?tid=25382803|[[파일:싸이월드_로고.png|width=24]]]] ||
         ||<#FFB1BC> '''{{{#white 팬페이지}}}''' ||<#ffffff><(> [[http://cafe.daum.net/jsomin86love|[[파일:다음 카페 아이콘.png|width=24]]]] [[http://gall.dcinside.com/mgallery/board/lists/?id=somin|[[파일:디시인사이드 아이콘.png|width=24]]]] ||
         [Include(틀:-)]
         2013년 12월 29일 [[개그 콘서트]] <[[시청률의 제왕]]>코너에 출연하여 [[오로라 공주(드라마)|오로라 공주]]를 패러디--라고 쓰고 폭풍디스--했다(...) [[http://tvpot.daum.net/mypot/View.do?ownerid=NFCuTYsUzgw0&clipid=55449486|#]] 컵 들고 부들부들부터 시작해서 갑자기 뺨을 때리고 발로 차며 "나, [[오로라(오로라 공주)|오로라]]에요"라질 않나, 스토리랑 아무 상관 없다고 태클받자 "막장 이렇게 하는거 아니에요?"라며 천연덕스럽게 굴고, --[[브라우니(개그 콘서트)|브라우니]]의 탈을 쓴-- 떡대가 ~~암세포~~감기세포=생명이라 말하자 ~~개가 말을 해~~ "[[개소리]]"라며 때리고, 주변 사람들이 다 죽자 "왜 나랑 있으면 다 죽는 거야?"라며 디스의 정점을 보여주며 떡대가 죽을 차례가 되자 자기 발로(...) 차고는 "떡대야~ 으흑흑"하며 돌변하는 태도가 압권. 그런데 방송이 나간 후 "그래도 자기를 키워준 [[임성한]] 작가한테 너무한 것 아니냐"는 논란이 있었고,[* 실제로 [[인어 아가씨]] 주연이였던 [[장서희]]의 경우 "[[임성한]] 작가를 은인으로 생각한다"고 방송에서 수 차례 말한 바 있고, 심지어 [[인어 아가씨]]가 막장이 아니라고도 하였다.~~말은 바로 해야지...~~] 이에 소속사를 통해 "드라마는 드라마, 예능은 예능으로 봐달라"며 수습(?)에 나섰다. ~~왠지 진심이 느껴졌었던 것은 논외로 치고...~~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6&oid=213&aid=0000422927|#]]
         주로 막장요소가 많은 일일드라마와 아침드라마에 출연을 많이하여 --막장전문여배우--[* 대표작인 오로라공주와 내일은 승리가 있다.] 해피투게더에 나와서 배우 본인도 인정했다시피 일드 여신(일일극 전문배우)이라는 별명을 가지고 있다고 언급하였다.[* [[http://entertain.naver.com/read?oid=468&aid=0000158348|출처]]] 특히나, 예능 프로그램에서 자신이 출연한 막장드라마를 패러디하여 막장여신, 막장퀸으로 불리기도 하였다.[* [[http://entertain.naver.com/read?oid=109&aid=0003337070|출처]]]
         [include(틀:런닝맨 현 출연진(개인문서))]
         || 2006년 || KTF - 월드폰 뷰 [br] [[https://tv.kakao.com/channel/9262/cliplink/41128258|영상]] || 핸드폰 ||
          * 2015년 초 [[윤현민]]과 공개연애를 하다 2016년에 헤어졌는데, 이 때의 경험때문인지 [[https://mnews.joins.com/article/22469099|공개연애는 하지 않을거다]]라고 말하기도 했다. 덤으로 진지하게 연애를 한 경험은 세번이라고 한다. 2017년에 런닝맨 고정으로 첫 합류한 방송에서 직접 밝힌 적 있으며, 2018년 위험한 파트너 특집 때도 “20대 때 세명이랑 결혼했다(?)”고 언급하기도 했다. ~~개중 두명은 눈물의 커피숍 휴지인 J와 윤현민인가....~~그리고 세번 다 차였다고 한다. 그 중 한번은 상대가 바람피는 걸 눈치채고 먼저 헤어지자고 한 거라며 차인건 두번이라고 주장했는데 [[설득력 없는 설득을 하는 사람이 있습니다|글쎄...]][* 우습게도 바로 직전에 거의 동일한 경험담을 털어놓은 광수에게 그건 차인거라며 돌직구를 날려놓고 자긴 다르다고 주장하다 뜬금없이 그 전남친에게 “너, 나한테 연락하지마!”라며 영상편지를 시전하기도]
          * [[https://twitter.com/sominsea|전소민 트위터]]
          * [[http://minihp.cyworld.com/pims/main/pims_main.asp?tid=25382803|전소민 미니홈피]]
          * [[https://www.instagram.com/jsomin86/|전소민 인스타그램]]
  • 차선우 . . . . 23회 일치
         [include(틀:다른 뜻2, other1=드라마 내일도 승리의 등장인물, rd1=차선우(내일도 승리), other2=성경에 나오는 왕 바로, rd2=파라오)]
         [include(틀:호두앤유 엔터테인먼트)]
         [include(틀:B1A4)]
         ||<:> '''SNS''' ||<(> [[https://twitter.com/BARO920905|트위터]][* 11월 중순, 드디어 '''팔로워 70만을 넘겼다!!''' ~~근데 [[공찬]]이 더 많다 71만~~ 깨플때 팔로워 수를 높이려고 고군분투 했던 짓을 떠올리면... 2015년 3월 기준으로 72만을 넘겼다. ~~[[공찬]] 역전?!~~ [[공찬]]을 역전하고 트위터 팔로워 수 1인자로 거듭나나 싶더니 [[공찬]]은 '''74만(...)''' ~~[[바로]] [[지못미]]~~][br][[http://instagram.com/baroganatanatda#|인스타그램]][* 어느 날, 계정이 멀쩡히 있는데 새로운 계정을 파고는 그 계정만 사용했던 이유가 [[비밀번호]]를 잊어버려서(...) 2015년 4월 부로 비밀번호를 다시 찾았다.][br][[http://instagram.com/baroganatanatda2#|인스타그램 2]] ||
         ||<:> '''B1A4''' 1st Mini Album 《'''Let's Fly'''》 ||<:><|2> [[2011년]] ||<:> [[4월 21일]] ||<:> '''04''' ||<:> Bling Girl ||
         ||<:> '''B1A4''' 2nd Mini Album 《'''It B1A4'''》 ||<:> [[9월 16일]] ||<:> '''04''' ||<:> Beautiful Target ||
         ||<:> '''03''' ||<:> SO FINE ||
         ||<:> '''07''' ||<:> FEELING ||
         ||<:><|3> '''B1A4''' 3rd Mini Album 《'''In The Air'''》 ||<:><|3> [[11월 12일]] ||<:> '''02''' ||<:> '''걸어 본다''' ||
         ||<:><|4> '''B1A4''' 4th Mini Album 《'''이게 무슨 일이야'''》 ||<:><|5> [[2013년]] ||<:><|4> [[5월 6일]] ||<:> '''01''' ||<:> 별빛의 노래 ||
         ||<:> '''백아연''' 2nd Mini Album 《'''A Good Girl'''》 ||<:> [[6월 17일]] ||<:> '''04''' ||<:> 맘에 들어 [br] (Feat. 바로 of [[B1A4]]) ||
         ||<:> '''04''' ||<:> Amazing ||
         ||<:><|5> '''B1A4''' 5th Mini Album 《'''SOLO DAY'''》 ||<:><|5> [[7월 14일]] ||<:> '''01''' ||<:> '''SOLO DAY''' ||
         ||<:><|5> '''B1A4''' 6th Mini Album 《'''Sweet Girl'''》 ||<:><|5> [[8월 10일]] ||<:> '''01''' ||<:> '''Sweet Girl''' ||
         ||<:><|5> '''B1A4''' 6th Mini Album 《'''Sweet Girl'''》 ||<:><|5> [[8월 10일]] ||<:> '''01''' ||<:> '''Sweet Girl''' ||
         ||<:><|5> '''B1A4''' 6th Mini Album 《'''Sweet Girl'''》 ||<:><|5> [[8월 10일]] ||<:> '''01''' ||<:> '''Sweet Girl''' ||
         ||<:><|5> '''B1A4''' 6th Mini Album 《'''Sweet Girl'''》 ||<:><|5> [[8월 10일]] ||<:> '''01''' ||<:> '''Sweet Girl''' ||
         ||<:><|5> '''B1A4''' 6th Mini Album 《'''Sweet Girl'''》 ||<:><|5> [[8월 10일]] ||<:> '''01''' ||<:> '''Sweet Girl''' ||
         ||<:><|5> '''B1A4''' 6th Mini Album 《'''Sweet Girl'''》 ||<:><|5> [[8월 10일]] ||<:> '''01''' ||<:> '''Sweet Girl''' ||
         ||<:><|12> [[2016년]] ||<:><|12> '''B1A4''' 3rd Album 《'''Good Timing'''》 ||<:><|11> [[11월 28일]] ||<:> '''02''' ||<:> '''거짓말이야''' ||
  • 최공웅 . . . . 23회 일치
         1966년에 서울민사지방법원 판사에 임용되어 1969년 까지 재직하다가 서울형사지방법원으로 전보되어 1971년 까지 재직하였다. 1971년에 다시 서울민사지방법원으로 돌아와서 1975년 까지 근무하다가 1975년과 1976년에 [[춘천지방법원]]에서 합의부 재판장을 하였다. 1977년부터 1980년 까지 [[서울고등법원]]에서 판사를 하면서 대법원 재판연구관을 거치는 동안 1974년 일리노이 주립대학교에서 비교법으로 석사 학위를 취득하고 1978년에 Hague Academy of International Law에서 국제국제사법 과정을 연수했다. 특히 헤이그 국제법 아카데미에서 국제사법 연수를 받고 저서 <국제 소송>은 국제사법 분야에서 바이블로 통한다.<ref>동아일보 1995년 11월 21일자</ref>
         1991년에 법원장으로 승진하여 1994년 까지 [[청주지방법원]], [[전주지방법원]], [[서울가정법원]]에서 지방법원장을 하였으며 1994년에 고등법원장으로 승진하여 1996년 까지 [[대구고등법원]]에서 법원장을 하다가 1996년에 [[대전고등법원]], 1998년에 [[특허법원]]으로 전보되어 초대 법원장으로 재직하였으며 19993년 3월에 법관 생활을 마치면서 법무법인 우방 변호사가 되어 변호사를 하다가 법무법인 화우 대표 변호사, 고문 변호사를 하였으며 2003년에는 [[경동고등학교]] 재경 총동창회 회장을 맡았다.<ref>[http://kyungdongi.co.kr/dong_news/index.php?start=120&view=y&seq=25&pageGubun=1%20class=f_link_bu%20f_l 경동고 총동창회]</ref>
         서울형사지방법원 항소3부 재판부 판사로 재직하던 1971년 7월 27일 밤에 같은 재판부 구성원인 이범렬 부장판사와 동부서기 이남영과 함께 "1심에서 징역3년 자격정지3년이 선고된 제주 김녕중학교 교장 이방택의 [[국가보안법]], [[반공법]]위반 피고사건의 항소심 증인 심문을 위해 제주도에 갈 때 피고인의 하경철 변호사로부터 왕복 항공료 3만3천원과 향응 비용 등 9만7천원을 받았다"는 이유로 법조 사상 최초로 현직 판사로서 뇌물수수 혐의로 구속영장이 신청되었다.<ref>[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71072800099203007&editNo=1&printCount=1&publishDate=1971-07-28&officeId=00009&pageNo=3&printNo=1657&publishType=00020 매일경제 1971년 7월 28일자]</ref> 이후 해당 피고인의 재판은 원심이 파기되어 징역1년6월 자격정지1년6월이 선고되었다.<ref>[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71072900209207004&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71-07-29&officeId=00020&pageNo=7&printNo=15326&publishType=00020 동아일보 1971년 7월 29일자]</ref> 관행으로 이루어진 변호사의 경비 부담에 대해 구속영장을 청구한 사건은 1차 [[사법파동]]으로 이어졌다.<ref>[http://www.newspim.com/news/view/20170721000060]</ref>
         * 서울형사지방법원 합의18부에서 배석판사로 재직하던 1969년 11월 3일에 유럽 간첩단 사건으로 법학 박사인 박노수(37세) 피고인과 전 국회의원 [[김규남]](40세), 사진업을 하는 임문준(30세)에게 [[국가보안법]], [[반공법]], [[형법]] 간첩죄를 적용해 사형을 선고하면서 사형이 구형된 여관업을 하는 김희병(48세)에게 무기징역, 박노수의 처인 전명희(28세) 등 14명에게 징역7년~징역1년과 같은 형량의 자격정지를 병과하면서 선고했다.<ref>[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69110300209201015&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69-11-03&officeId=00020&pageNo=1&printNo=14790&publishType=00020 동아일보 1969년 11월 3일자]</ref>
         * 대구지방법원 민사합의4부 재판장으로 재직하던 1981년 1월 29일에 [[영남대학교]]를 상대로 불합격처분 취소 청구소송에서 "소아마비 후유증으로 한쪽 다리가 1.5cm 짧다는 이유만으로 커트라인보다 24점이나 더 받은 학생을 불합격한 것은 공정성과 합리성에 어긋난다"며 "1980년도 약학 대학 신입생 선발 불합격 처분은 무효"라고 판결했다.<ref>[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81012900329207001&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81-01-29&officeId=00032&pageNo=7&printNo=10871&publishType=00020 경향신문 1981년 1월 29일자]</ref>
         * 서울고등법원 형사1부 재판장으로 재직하던 1988년 2월 5일에 1971년 4월 제7대 대통령 선거에서 후보 유세 중에 "[[박정희]] 대통령이 영구 집권을 위해 총통제를 기도하고 있다"는 등의 허위사실을 유포하여 1971년 7월 26일에 기소된 사건에 대해 "재판 시효가 지났다"는 이유로 면소 판결했다.<ref>동아일보 1988년 2월 5일자</ref> 3월 4일에 [[긴급조치]] 1호, 4호 위반, 법정모욕 등으로 1,2심 군법회의에서 징역10년 자격정지10년이 선고됐다가 대법원 상고심에서 이미 폐지된 [[긴급조치]] 면소에 대한 판단은 유보한 채 파기환송된 [[강신옥]]에게 "자유 민주주의 체제에서 형사 피고인에 대한 자유로운 방어권 행사없이 형식적인 변론만 인정한다면 사법권읜 근본적으로 파괴되고 말 것"이며 "공개재판에서 변론은 재판 방해를 하려는 폭력이 없는 한 처벌할 수 없다"며 무죄를 선고했다.<ref>[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88030400329211003&editNo=3&printCount=1&publishDate=1988-03-04&officeId=00032&pageNo=11&printNo=13056&publishType=00020 경향신문 1988년 3월 4일자]</ref> 5월 27일에 내란 예비죄 피고인인 [[박형규]] 목사에게 "10여명의 선동만으로 국가 전복을 우려한다는 것은 전혀 합리성이 없다"며 징역2년을 선고한 원심을 깨고 무죄를 선고했다.<ref>[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88052700329211001&editNo=3&printCount=1&publishDate=1988-05-27&officeId=00032&pageNo=11&printNo=13126&publishType=00020 경향신문 1988년 5월 27일자]</ref> 5월 31일에 1974년 세검정 동굴에서 북한방송을 듣고 [[민청학련 사건]] 관련자에 대해 "똑똑한 학생이 왜 나쁜 짓을 하겠느냐"고 말했다는 이유로 [[긴급조치]]위반으로 구속돼 1심에서 징역10년 자격정지10년을 선고받은 박규신 피고인에게 대법원에서 파기된지 13년만에 반공법위반 무죄, 긴급조치 위반은 면소 판결했다.<ref>[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88053100289107009&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88-05-31&officeId=00028&pageNo=7&printNo=14&publishType=00010 한겨레 1988년 5월 31일자]</ref>
  • 김형준(배우,가수) . . . . 22회 일치
         [include(틀:다른 뜻1, other1=다른 동명이인, rd1=김형준(동명이인))]
         [include(틀:SS501 멤버)]
         [include(틀:Double S 301 멤버)]
         ||<#00BFFF> '''SNS''' ||[[https://twitter.com/HyungJun87|트위터]] [[https://www.instagram.com/kimhyungjun87/|인스타그램]]||
          * 여담으로 'Never again' 활동 때 몸무게가 58kg 이었다고 한다. 181에 58kg... 도 아니었다. '''54 ~ 56kg'''이었다고 본인이 직접 김천경찰서 페이스북 라이브 방송에서 밝혔다. 이 시절엔 '뼈였다'고 표현하기도. 지금(2018년 하반기)은 72kg이라고 한다. [[https://youtu.be/wcUIufXF_5c|2018년 7월 20일 방송. 1:33:18부터.]]
          * 군 입대 후 진행하게 된 김천경찰서 페이스북 라이브 방송에서 본인이 생각하는 자신의 리즈시절을 묻는 질문에 데뷔 초 'Snow Prince' 활동을 할 때를 꼽았다. '저렇게 생긴 인형이 있으면 좋겠다, 들고 다니고 싶다.'고 말하기도 했으며, 과거 리즈시절 모습을 보고 지금의 자신을 보면 놀란다고 한다. 너무 [[격변]]한 것 같다고… ~~옛날이여…~~ [[https://youtu.be/GDtvDYrJJJ0|2018년 8월 30일 방송. 1:18:34부터.]]
          * 가수 윤수일과 일본배우 카시와바라 타카시 대만의 배우겸 가수 오존을 닮았으며 영국배우 [[데이비드 테넌트]] 닮은꼴 1위에 선정됐다.[[http://v.entertain.media.daum.net/v/20080226120910214?f=m|#]]
          * 2016년 'AH-HA' 활동때는 머리색을 '''{{{#pink 분홍색}}}'''으로 염색했는데 하얀피부와 머리색이 잘 어울린다는 평이었다.
          * 세계적인 구두 디자이너 지미추의 초청으로 디너 파티까지 참석해 시간을 보냈고 지미추는 김형준의 솔로 앨범을 받았다.[[http://m.entertain.naver.com/read?oid=014&aid=0002778212|#]]
          * 그 외에도 [[엠블랙]] [[지오(엠블랙)|지오]], [[간미연]], [[K.WILL|케이윌]]까지 폭풍 인맥을 자랑했다. [[http://m.entertain.naver.com/read?oid=111&aid=0000228363|#]]
         '경고'에서 허영생이랑 함께 파트가 많이 배정 되었는데 1, 2절을 나누어서 불렀고 2절이 끝나고 마지막 파트를 넘어가는 부분에서 허영생이 고음을 내지르면 이어서 김형준은 거기에 맞추듯 노래를 불렀다. 'Snow Prince'에서 파트가 상당히 적었지만 'Fighter'때 허영생이랑 함께 파트를 제일 많이 배정 받았다. 'Unlock'에서 파트가 상당히 줄었지만 이 노래에서 김형준이 가성으로 노래를 부른다.
         'PAIN'에서는 'U R Man'때처럼 파트는 똑같았다. 'AH-HA'에서는 허영생이 거의 다 불러서 랩만하는 김규종을 제외하고 노래파트는 김형준이 제일 적게 배정받았다. 'REMOVE'에서 허영생이 단독으로 부르는 하이라이트를 제외하고 1, 2절을 김규종이랑 파트를 나누어서 바꿔 불러[* 김형준이 1절 첫 소절을 부르면 김규종이 뒤이어 1절을 마무리 지었고 2절 첫 소절을 김규종이 부르면 2절은 김형준이 마무리 지었다.] 'AH-HA'때보다 파트가 늘어났다. 가장 중요한 부분은 노래가 끝나는 마지막 후렴구에서 가성으로 부른다는 점이었다.
          * 6월 14일 더블에스301 멤버들과 함께 THE SHOW WARM-UP TINE에 출연했다.
          * 8월 26일 김규종과 함께 [[듀엣가요제]]에 패널로 출연했다. 일반인 참가자 장선영이 SS501 팬이라고 하자 김규종 장선영이랑 'Snow Prince'를 짧게 듀엣으로 불렀다.
          * 2012년 3월 29일 ~ 4월 7일까지 일본 오사카, 나고야, 도쿄 순으로 총 6회에 걸쳐 ‘KIMHYUNGJUN 2012 1st Story in Japan’이란 타이틀로 일본 단독 콘서트를 개최했다.
          * 2015년 7월 4일 일본 도쿄 마이하마 엠피 시어터에서 단독 콘서트 2015 김형준 FNL in Japan을 열었다.
         || 디지털 싱글 || [[Cross the line]] || 2015.08.17. || '''Cross the line''' || ||
          * 2011년 4월 13일 [[라디오 스타(황금어장)|라디오 스타]]를 통해 [[김종민]], [[황광희]]를 제치고 [[백치미]] 1위에 등극했다. [[http://m.entertain.naver.com/read?oid=081&aid=0002181243|#]]
          * 2011년에는 'oH! aH!'라는 곡으로, 2012년에는 'Sorry I'm Sorry'라는 곡으로 솔로 가수 활동을 하기도 했다. ~~그리고 김형준의 뮤직하이에서는 2012년 7월 9일~15일의 모든 첫 곡이 그의 타이틀 곡인 sorry I'm sorry..~~ 이후 [[써니힐]]의 [[코타]]와 '우리둘이' 라는 곡으로 듀엣을 하기도 하고, 2015년 디지털 싱글 'Cross the line'을 발매하는 등 꾸준히 솔로로 활동했다.
          * 학교 다닐때 성적이 좋지 않았다고 밝혔는데 전교생 420명중 320등(...) 했다고 한다. [[http://entertain.naver.com/read?oid=001&aid=0001535967|#]]
  • 박명수(MC) . . . . 22회 일치
         [[include(틀:회원수정)]]
         [[include(틀:상위 문서, top1=코미디언/목록)]]
         [[include(틀:다른 뜻 설명, 설명=동명이인에 대한 내용은
         ||<table width=100%><table align=center><table bordercolor=#000000><-100><:>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C60C30 20%, #003478)"
         ||<#ffffff><:><-100>{{{#!folding [ 펼치기 · 접기 ]
         [include(틀:무한도전 현 멤버)]
         [include(틀:짠내투어)]
         ||<#595959><:> {{{#FFFFFF ''' 링크 ''' }}}||<(> [[http://cafe.daum.net/loveparkms|팬카페]][br][[http://instagram.com/dj_gpark/|인스타그램]] ||
         [Include(틀:-)]
         그런데 이 말이 끝나기가 무섭게 바로 쫄았다.[[http://www.kyeongin.com/news/articleView.html?idxno=612735|"이 말을 했다고 제가 다치진 않겠죠."]] ~~그런데 댓글란을 보면 헬게이트가 따로 없다. 사실 스티브 유를 옹호하는 것은 대통령이 출동해도 안된다~~
         그리고 39세까지 쭈욱 미혼이었다가 [[2008년]] [[4월]] 39세의 나이에 드디어 [[결혼]]했다. 아내는 피부클리닉을 운영하는 8살 연하의 [[의사]] [[한수민]].[* 피부과 [[전문의]]도 아니면서 방송에서 맨날 피부과 얘기 한다고 까는 사람도 있는데, 피부미용은 피부과나 성형외과 전문의가 아니어도 할 수는 있다.] ~~오오 [[인생의 승리자]] 오오!~~ 키스를 하지 않겠다는 조건부 계약 결혼이라고 흔히들 얘기한다. 당연히 사실이 아니고 무한도전 육남매 특집에서 노홍철이 한 농담(악담)이 개그소재로 자주 쓰이게 된 것이다. [[2008년]] [[8월 10일]]에 득녀했다. [[http://m.entertain.naver.com/read?oid=109&aid=0001972215|#]]
         종종 '집에 들어가기 싫다' '해외로 가자'식의 가정사 개그를 치는 것과 달리, 주변인들의 증언에 따르면 실제로는 부부관계가 깨가 쏟아지는 수준인 듯 하다. 서로의 애칭은 왕자님과 마뽀. (마이 뽀로로) 지금도 하루 20통 정도는 통화한다고 하며, 촬영 끝나거나 쉬거나 하면 틈틈이 연락한다고 한다[* 과거 2009년 세계여행 특집 당시 차안에서 이동 중 본인이 지금 뭐하고 있는지 아내와 통화하는 장면이 나왔는데, 2014년 라디오 특집에서도 비슷한 장면이 나온다. 별의 증언에 따르면 이런 식의 애정표현은 여전한 모양.] 아내인 한수민이 [[인스타그램]]으로 [[http://starin.edaily.co.kr/news/NewsRead.edy?SCD=EA31&newsid=01177526606314256&DCD=A10102|이런 사진]]을 업로드해서 누리꾼들 사이에 '미녀와 아저씨'라면서 폭소하는 분위기가 화제가 되었다.
         2016년 12월 24일, 2016 KBS 연예대상에서 수상소감도중 "'''둘째를 가지게 됐다.'''"고 밝혔다. [[http://m.entertain.naver.com/read?oid=117&aid=0002856309|#]]--나이 47에..!-- --경사났네, 경사났어.-- 그러나 [[2017년]] [[3월 29일]] 안타깝게 [[유산]]하였다는 소식을 전했다.[* 이후 싱글 와이프에서 박명수 말하길 첫째 때도 난산이어서 많이 힘들어했었다고 한다.]
         즉 아내인 [[한수민]]이 2018년 8월 29일 개인 인스타라이브 생방송를 하면서 소통하는 도중에 또다른 개인사업 닥터수스킨코스메틱스 대표이기도 하기에 코팩을 설명하던도중 엄지와 약지 손가락을 세워 이마에 가져다 대는 행동을 했다. [[http://entertain.naver.com/read?oid=015&aid=0004003312|기사]]
         방송에서의 모습과는 달리 현실에선 매우 친절하고 마음 따뜻한 사람이다. 대학을 휴학하고 등록금을 벌기 위해 자기 치킨집에 아르바이트를 하던 학생이 등록금이 없어 한 학기 더 휴학해야겠다고 하자 선뜻 등록금을 대주고는 "나중에 돈 벌면 갚으라고" 한 미담도 있다.[* 이 학생은 그 후 취업해서 결혼 축의금으로 박명수에게 진 빚을 갚았다고 한다. [[http://news.nate.com/view/20100423n07691|기사 참조]]. 그리고 그 학생이 취업에 성공하여 돈을 갚으려고 하자 "까불지 말고 열심히 모아" 라고 했으며 학생의 결혼식에 참석해 "밥 먹고 갈테니 돈 빌렸던거 퉁치자"라고 하며 축의금으로 100만원을 낸 뒤 방명록에 "잘 살아"라고 썼다고.] 이 외에도 자신의 집에서 일하는 조선족 가사 도우미의 남편의 암 수술비를 매니저도 모르게 지원해준 사실이 한 네티즌의 글을 통해 알려지기도 했다. 이 증언을 한 네티즌에 따르면 박명수가 아침 출근 전 빵을 굽거나 과일을 갈아서 가사 도우미에게 오히려 대접을 하기도 했다고 한다. 또한 수술비 지원에 관해서는 가사 도우미가 박명수에게 직접 밝히지는 않았으나, 박명수의 아내가 그 처지를 전했을 것이고 부부가 함께 수술비 지원 문제를 상의했을 것이라고 밝혔다.[[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6&oid=032&aid=0002078065|#]] 그러나 안타깝게도 그 가사 도우미의 남편은 결국 세상을 떠났다.
         2016년에도 한 호텔에서 박명수의 차를 발렛 파킹하던 아르바이트생이 차를 파손하자, 알바생에게 피해가 갈까봐 자신이 수리비를 모두 부담한 것도 알려졌고,[[http://entertain.naver.com/read?oid=022&aid=0003036624|#]] 이와 함께 이전에 택시 기사의 실수로 접촉 사고가 나고도 오히려 택시 수리비까지 부담한 일이 알려졌다. 이에 생긴 별명이 도로위의 성자.
         그래서 그런지 방송에서 악역 캐릭터를 맡고 있음에도 악성 루머를 찾아보기 힘들다. 하지만 박명수 본인은 방송에서 자꾸 자신의 선행을 언급하는 것을 좋아하지는 않는다. 부끄러워서 그런 것도 있겠으나, 컨셉이 독설, 호통인데 너무 '착한 사람' 이미지가 강해지면 웃길 수가 없어서인 듯하다. 실제로 캐릭터가 떨어진다는 이유로 미담이 밝혀지는 걸 꺼린다고 하하가 [[http://isplus.live.joins.com/news/article/article.asp?total_id=19802012&ctg=1502|인터뷰]] 했다. 무한도전에서 만들어준 컨셉인 '''억지기부'''도 엄청 껄끄러워하는 반응을 보이지만 이런 류의 잘 알려지지 않는 미담이나 방송상에서는 펄쩍 뛰면서도 잊을 만하면 억지기부 컨셉을 반복하는 걸 보면 그냥 개그를 위해 그런 반응을 보이는 듯하다. 가장 압권은 춘향전편에서 그네를 타면서 외친 '이제 더 이상 기부할 수 없다'[* 말 한마디 잘못했다가 유재석한테 꼬투리 잡혀서 에어컨과 햄버거 100개를 기부하게 된 상황에서 나온 발언이다. 다른 사람이었으면 경악할만한 발언인데, 박명수가 하다보니 다들 빵 터졌을 뿐 누구도 논란으로 삼지 않았다.]. 알바생이나 택시 기사의 실수로 인한 사고도 자신이 수리비를 부담한 것도 무한도전에서 얘기가 나오니 "보는 눈이 많아 이미지 관리하려고 그랬다."[* 택시의 경우 블랙박스도 있는데다가 여자 승객들이 스마트 폰을 들고 있어서 겁 먹었다고 드립을 쳤다. 물론 이것도 어디까지나 드립이고, 실상 그렇게 보는 눈이 많다면 더더욱 본인 실수가 아닌데 수리비를 부담할 이유가 없다. 그런데도 택시측 수리비까지 내줬으니 선의를 의심할 여지는 별로 없다.], "스트레스 풀려면 제 차를 받아라." 라고 말하고, 이 순간 생긴 '도로 위의 성자'란 별명도 멤버들이 줄여서 '도성'이라 하는 등 개그로 승화시켰다. 무한도전 300회 특집에서 나온 노홍철의 말에 따르면 일부러 실생활에서도 캐릭터를 연기해서 어떤 상황에서도 자연스럽게 캐릭터가 나오게 유도한다고 한다. ~~그런데 이 형은 그게 진짜 같은데...~~ 노홍철도 그 가르침을 받아 사기꾼 캐릭터를 유지하기 위해 실생활에서도 평소 선행과는 별도로 생활하는 습관을 고수 중이라고 한다. --그래서...--
         2015년부터 청각 장애인을 위한 '사랑의 달팽이'에 매달 꾸준히 기부를 하고 있으며 4살 남아가 박명수의 후원으로 인공달팽이관 수술을 받았다고 한다. 또한 2003년부터 아름다운 재단에 꾸준히 기부중이라고 한다.[[http://m.entertain.naver.com/read?oid=213&aid=0000933704&gid=999339&cid=1052105|#]] 2018년에도 인공달팽이관 수술 비용을 기부했다는 소식이 나와 세상을 따뜻하게 만들었다.[[http://m.entertain.naver.com/read?oid=018&aid=0004105468|#]]
         [[무한도전]]의 [[http://file2.instiz.net/data/file2/2015/11/06/e/6/1/e61a02255409dbf35f0e6460df754190.jpg|조커]] 분장에 이어 [[해피투게더(KBS 2TV)|해피투게더]]에서 [[http://file2.instiz.net/data/cached_img/upload/2016/10/22/12/a0f3590f07df3da3b1a48bdbf0ee3210.jpg|할리퀸 분장을 시전 했다.]]
  • 이동흡 . . . . 22회 일치
         부산지방법원 형사합의부 배석 판사로 재직하던 1980년 11월 24일 결심 공판에서 배석으로 관여했다가 선고 공판에 서명 날인을 하지 않은 사실이 드러나 대법원에서 파기환송되었다.<ref>[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81062700329211011&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81-06-27&officeId=00032&pageNo=11&printNo=10997&publishType=00020 경향신문 1981년 6월 27일자]</ref>
         [[서울고등법원]] 수석부장판사로 재직하던 이동흡은 법원내 형서 재판장 9며이 모인 자리에서 "그동안 현행법을 지키지 않았던 관행을 바로잡아야 한다"고 제안하면서 선거법 전담재판부인 형사10부 재판장을 맡은 스스로도 [[박혁규]], [[유시민]] 의원의 재판에서 감정인·통역인·국선변호인의 일당과 여비·보수 등의 "소송비용에 대해 피고인의 부담으로 한다"는 판결했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28&aid=0000108296]</ref>
         * 1993년 11월 3일 [[대법원]] 사법제도 발전위원회위원(겸직)<ref>[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93110400209102013&editNo=40&printCount=1&publishDate=1993-11-04&officeId=00020&pageNo=2&printNo=22334&publishType=00010 동아일보 1993년 11월 4일자]</ref>
         * 1997년 9월 1일 [[언론중재위원회]] 중재위원 (겸직)<ref>[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97082900209133013&editNo=45&printCount=1&publishDate=1997-08-29&officeId=00020&pageNo=33&printNo=23636&publishType=00010 동아일보 1997년 8월 29일자]</ref>
         * [[대전고등법원]] 특별부 재판장으로 재직하던 1999년 12월 13일에 시영아파트를 분양받고 3년이 넘도록 소유권 이전 등기를 하지 않아 과징금을 부과받은 이모씨 사건에서 1995년 7월 1일부터 시행된 부동산 실명제법 제10조 제1항에 대해 "법률은 탈세 행위를 막아 부동산 거래를 정상화한다는 취지로 제정되었음에도 탈법의 의도가 전혀 없는 사람들에게 까지 과중한 금전적 부담을 주고 있다"며 [[헌법재판소]]에 [[위헌법률심판]]을 제청했다.<ref>[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99121400329126006&editNo=40&printCount=1&publishDate=1999-12-14&officeId=00032&pageNo=26&printNo=16930&publishType=00010 경향신문 1999년 12월 14일자</ref> 이에 대해 [[헌법재판소]]는 2001년 5월 31일에 합헌 결정했다.(99헌가18)
         * [[서울고등법원]] 특별6부 재판장으로 재직하던 2004년 10월 27일에 무학이 [[공정거래위원회]]를 상대로 낸 대선주조 지분에 대한 매도를 요구하는 시정조치 등 취소 청구 소송에서 원고 패소 판결했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08&aid=0000467702]</ref> 10월 28일에 돈을 주고 청소년과 성관계를 맺은 혐의로 신상공개 처분을 받은 정모씨(29)가 "범죄사실이 알려지면 사업을 계속하기 어렵다"며 [[청소년보호위원회]]를 상대로 낸 신상공개처분취소 청구소송에서 원고 패소 판결했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32&aid=0000091305]</ref> 2005년 1월 5일에 2002년 6월 29일 발생한 [[서해교전]] 직전에 대북정보를 지나치게 변형 보고하고 "기무사가 표적 조사했다"고 주장하여 비밀누설과 명예훼손, 품위유지위반 등을 이유로 "정직 1개월 처분을 내린 것이 부당하다"며 한철용 소장(예비역)이 국방부장관을 상대로 낸 정직처분취소 청구소송 항소심 선고공판에서 원심을 파기하고 원고 승소 판결했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84&aid=0000015524]</ref>
         * [[서울고등법원]] 선거 전담 재판부인 형사10부 재판장으로 재직하던 2005년 3월 22일에 [[대한민국 제17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둔 2003년 9월 선거구 아파트 조기축구회 창단식에 참석해 고사상에 현금 20만원을 기부하고 같은해 12월 제주도에서 열린 이장단 단합대회에 두차례 참석해 1100만여원 상당의 음식값과 술값을 후배를 통해 지급하여 기소된 [[박혁규]] [[한나라당]] 의원에 대해 이장단 단합대회에 대해 무죄라고 판단하여 벌금 50만원이 선고된 원심을 깨고 모두 유죄로 인정하면서 벌금 700만원을 선고했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08&aid=0000519344]</ref> [[민주노동당]]을 공개 지지한 혐의로 1심에서 징역 8월 집행유예2년이 선고된 정용천 전국공무원노조 수석부위원장에 대해 징역6월 집행유예1년을 선고했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08&aid=0000519351]</ref> [[열린우리당]]을 반대하는 내용의 글을 [[시스템클럽]]에 게시하여 1심에서 벌금 50만원이 선고된 군사평론가 [[지만원]]에 대해 벌금 30만원을 선고했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08&aid=0000519374]</ref> 3월 29일에 [[백원우]] [[열린우리당]] 의원에 대해 "경선 당시 인쇄물을 배부한 대상은 입당 원서가 지구당이나 중앙당에 제출되지 않았던 것을 볼 때 진정한 의미의 당원이라고 보기 어렵다"며 무죄를 선고한 원심을 깨고 벌금 50만원을 선고했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08&aid=0000521828]</ref>
         * [http://www.ccourt.go.kr/home/main/intro/judge_pop06.htm 헌법재판소의 이동흡 헌법재판관 소개]
  • Good Morning, Mr Zip-Zip-Zip! . . . . 21회 일치
         1918년 등장한 노래. 작사, 작곡은 [[http://adp.library.ucsb.edu/index.php/talent/detail/60590/Lloyd_Robert_composer|로버트 로이드]](Robert Lloyd)[* "Army Song Leader"라는 별칭이 있다.]
         But when the going's rather rough,
         We raise this song in cheer:||
         || Good morning, Mister Zip-Zip-Zip,
         With your hair cut just as short as mine,
         Good morning, Mister Zip-Zip-Zip,
         You're surely looking fine!
         Good morning, Mister Zip-Zip-Zip,
         your hair cut just as short as mine.
         Good morning, Mister Zip-Zip-Zip,
         With your hair cut just as short as mine,
         Good morning, Mister Zip-Zip-Zip,
         You're surely looking fine!
         Good morning, Mister Zip-Zip-Zip,
         your hair cut just as short as mine. ||
         In olive drab and khaki
         The word goes down the line,
         Good morning, Mister Zip-Zip-Zip,
         You're surely looking fine. ||
  • 승리(빅뱅) . . . . 21회 일치
         [include(틀:관련 문서4]
         [include(틀:BIGBANG)]
         ||<#fde100> '''SNS''' ||<(> [[https://twitter.com/forvictori|트위터]] [[https://instagram.com/seungriseyo|인스타그램]] [[https://www.facebook.com/officialseungri|페이스북]] ||
         기본기는 물론 가창력도 제대로 갖춘 편으로 본인의 솔로곡 중 '다음날'과 'Outro(In My World)'를 들어보면 나름의 곡 소화력이 있다. [[https://www.youtube.com/watch?v=5cMBZM31u5Y&list=PLSp0Xfof8XoHr4YYzit_s1VBO0N-YasCm&index=3|In My World 라이브]] [[https://www.youtube.com/watch?v=0DFzCaVDIc0|원래노래]] 본인도 음악적인 면의 성취는 어느정도 한계를 인지한 모양. 안타깝지만 예술 쪽의 재능은 노력이 아니라 재능이 더 중요한 것이고 승리도 이 점을 깨달은 것을 인터뷰에서 언급하기도 했다.--사실 겸손한거다--
         빅뱅 노래의 특성 상 승리의 보컬은 타이틀 곡보다는 수록곡 혹은 솔로곡에서 빛을 발하는 편이다. 그 예로 눈물뿐인 바보[* [[https://www.youtube.com/watch?v=3kmBZx4K7VU|라이브영상]]], Stay--승테이--나 Tell Me Good Bye, Wonderful, Love Box[* [[https://www.youtube.com/watch?v=xSGQD1LGv7g&index=2&list=PLSp0Xfof8XoHr4YYzit_s1VBO0N-YasCm|라이브영상]]], 창문을 열어, White Love[* [[https://www.youtube.com/watch?v=KeUfPe9AzTE|라이브영상]]], I Know(With. [[아이유|IU]])[* [[https://www.youtube.com/watch?v=2Oi1CME3frY|영상]]] 등이 있다. 또한 If You, Last Dance 등의 아카벨라 버전을 들으면 승리 특유의 미성과 애드립, 화음이 더욱 두드러진다. [[https://www.youtube.com/watch?v=NNFS1kAyNk8|승리 무반주 루저]] [[https://www.youtube.com/watch?v=RxZ_b6ryzfI|거짓말 어쿠스틱 라이브]]
         2015년 6월 [[https://www.instagram.com/p/3f4PCzNgKa/|지드래곤의 인스타그램]]에 올라온 일명 '에브리띵' 영상을 시작으로 각종 시상식 등에서 '''여러분은 나의 에브리띵'''을 외친다. 본인은 당당한데 옆에 형들이 더 부끄러워 하는게 포인트. ~~수치플잼.~~ 서울가요대상에서 iKON이 대리수상 할 때도 Everything을 외치기도 했다.
         2016년 1월 28일 빅뱅의 멤버 지드래곤은 [[https://twitter.com/IBGDRGN/status/692636122548056064|트위터]]에 '''승리 주제곡'''이라며 그룹 [[검정치마]]의 신곡 Everything 유튜브 영상을 링크하기도 했다.
         === (EP) 승리 1st Mini Album V.V.I.P (2011.01.20) ===
         || '''7''' || OUTRO (IN MY WORLD) || 승리 || 승리, 최필강 || 최필강 ||
         [[https://www.youtube.com/watch?v=JEPp09fHTlA|EVENING DATE 메이킹 영상 + 승리의 감사메세지]]
         || '''3''' || GG BE (지지베) (Feat. [[제니]] of [[BLACKPINK]])[* 발매 당시 표기는 Jennie Kim Of YG New Artist 였으나 최근 지드래곤의 결국, 블랙과 함께 음원사이트 표기가 수정됨.] || 승리 || 승리, 최필강 || 최필강 ||
         1번 트랙 'Let's Talk About Love (Feat. G-DRAGON & 태양 from BIGBANG)'에는 [[BIGBANG|동일 그룹]]의 [[지드래곤]]과 [[태양(빅뱅)|태양]]의 피처링이 있다. 이번 앨범에서 가장 좋은 평가를 받은 곡이지만 이 평가에는 지드래곤과 태양 피쳐링의 비중이 크다. 2번 트랙 '할 말 있어요'는 극적인 훅(hook)의 비트의 변화와 Hustlin' 이라는 반복되는 후렴구가 인상적이다. 인터뷰에 따르면, Hustlin'은 별 의미는 없고 발음이 좋아서 선택한 단어라고. 각각 3번과 4번, 6번 트랙의 'GG BE'와 '그 딴 거 없어', 'LOVE BOX'는 2013년 승리가 진행했던 스타캐스트 속 팬들의 선택에서 승리 솔로곡 중 선호도가 가장 높은 곡이기도 했다. [[https://www.youtube.com/watch?v=3G_ZnI50c7U|꼭 이어폰으로 들어야 함]] --귀가 녹을뻔해써요-- 7번 트랙 '할 말 있어요 (Hard Remix ver.)'는 보너스 트랙으로, CD에서만 확인할 수 있다.
         || '''1''' || Intro(Let's Talk About Love JP Ver.) || 승리, Sunny Boy || 승리, 함승천, 강욱진, G-DRAGON, 태양 || 함승천, 강욱진 ||
         || '''12''' || The Feelings Painted The Sky || 승리, Yamamoto Chengmei || 승리, 최필강 || 최필강 ||
         [include(틀:상세 내용/문단, 문서명=Alan Walker/음원 목록/공식 보컬음원, 앵커=s-2.2.3)]
         || '''2''' || WHERE R U FROM? (Feat. [[MINO]]) || 승리, MINO || 승리, FUTURE BOUNCE || FUTURE BOUNCE ||
         || '''7''' || HOT LINE || 승리 || 승리, FUTURE BOUNCE || FUTURE BOUNCE ||
         || '''2''' || WHERE R U FROM? (Feat. [[MINO]]) || 승리, MINO, ZERO || 승리, FUTURE BOUNCE || FUTURE BOUNCE ||
         || '''7''' || HOT LINE || 승리, SUNNY BOY, TA-TROW || 승리, FUTURE BOUNCE || FUTURE BOUNCE ||
         2008년 5월 24일 빅뱅 [[Global Warning Tour]] 대구 공연이후 약 10년 3개월만에 서울이 아닌 다른 도시에서 열리는 한국 콘서트이다.
  • 최우석 (화가) . . . . 21회 일치
         1954년 6월 7일부터 6월 17일(당초 6월 13일까지 열릴 예정이었지만 6월 17일로 연기됨<ref>{{뉴스 인용 | 제목=「鼎齋(정재)」 畵展(화전) 延期(연기)|url=http://dna.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54061500329202022&editNo=1&printCount=1&publishDate=1954-06-15&officeId=00032&pageNo=2&printNo=2548&publishType=00020 | 출판사=경향신문 | 저자= | 쪽=2 | 날짜=1954-06-15 | 확인날짜=2011-08-14}}</ref>)까지 개인전을 열었으며<ref>{{뉴스 인용 | 제목=崔禹錫 畵伯 個人展(최우석 화백 개인전)|url=http://dna.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54060600329203016&editNo=1&printCount=1&publishDate=1954-06-06&officeId=00032&pageNo=3&printNo=2539&publishType=00020 | 출판사=경향신문 | 저자= | 쪽=3 | 날짜=1954-06-06 | 확인날짜=2011-08-14}}</ref><ref>{{뉴스 인용 | 제목=崔禹錫 個人展 盛況(최우석 개인전 성황)|url=http://dna.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54061300329203019&editNo=1&printCount=1&publishDate=1954-06-13&officeId=00032&pageNo=3&printNo=2546&publishType=00020 | 출판사=경향신문 | 저자= | 쪽=3 | 날짜=1954-06-13 | 확인날짜=2011-08-14}}</ref> 1956년<ref>{{뉴스 인용 | 제목=國展(국전) 11月(월) 10日(일) 開催(개최)|url=http://dna.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56102600329203004&editNo=1&printCount=1&publishDate=1956-10-26&officeId=00032&pageNo=3&printNo=3410&publishType=00020 | 출판사=경향신문 | 저자= | 쪽=3 | 날짜=1956-10-26 | 확인날짜=2011-08-14}}</ref><ref>{{뉴스 인용 | 제목=國展(국전) 來(래) 10日(일) 開幕(개막) 紛糾 解決(분규 해결)|url=http://dna.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56102600209203018&editNo=1&printCount=1&publishDate=1956-10-26&officeId=00020&pageNo=3&printNo=10433&publishType=00020 | 출판사=동아일보 | 저자= | 쪽=5 | 날짜=1956-10-26 | 확인날짜=2011-08-14}}</ref> 과 1958년<ref>{{뉴스 인용 | 제목=國展(국전) 審査委員(심사위원) 26名(명) 藝術院 臨時總會(예술원 임시총회)서 決定(결정)|url=http://dna.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58091000329102005&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58-09-10&officeId=00032&pageNo=2&printNo=4092&publishType=00010 | 출판사=경향신문 | 저자= | 쪽=2 | 날짜=1958-09-10 | 확인날짜=2011-08-14}}</ref>, 1959년<ref>{{뉴스 인용 | 제목=藝術院 臨時總會(예술원 임시총회) 하루 앞서 任命(임명)|url=http://dna.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59091600209203008&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59-09-16&officeId=00020&pageNo=3&printNo=11485&publishType=00020 | 출판사=동아일보 | 저자= | 쪽=3 | 날짜=1959-09-16 | 확인날짜=2011-08-14}}</ref> [[대한민국미술전람회]](국전)에서 동양화부 심사위원을 역임하기도 했다. 그의 대표작으로 《전가풍미(田家風味, 1959년 작, 국립현대미술관 소장)》이 있다.
  • 하정우(영화감독) . . . . 21회 일치
         [include(틀:다른 뜻1, other1=오버워치 프로게이머 'Sayaplayer' 하정우, rd1=하정우(프로게이머))]
         [include(틀:상위 문서, top1=배우/한국)]
         [include(틀:아티스트컴퍼니 소속 아티스트)]
         ||<table width=100%><tablebordercolor=#000000><table align=center><-100><:>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C60C30 20%, #003478)"
         ||<#ffffff><-1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8/8e/Ha_Jung_Woo_promoting_The_Tunnel.png/250px-Ha_Jung_Woo_promoting_The_Tunnel.png ||
         ~~[include(틀:스포일러)]~~
         [[http://gall.dcinside.com/board/view/?id=drama_new&no=396506|하정우 캠프 원본글]]과 [[http://gall.dcinside.com/board/view/?id=drama_new&no=397033|인증짤]]
          * 덤으로 굉장한 [[프야매]] 덕후다. 오픈 베타부터 시작해서 한 달 빼고 풀로 돌린 계정보다 하정우의 총 게임 수가 약 200 게임 많을 정도라고... 기사까지 떴다.[[http://sports.khan.co.kr/news/sk_index.html?cat=view&art_id=201012041930006&sec_id=540101&pt=nv|#]]
          * 2012년 오후 10시 30분쯤 가로수길에서 횡단보도를 건너다 [[음주운전]] 뺑소니를 '''당했는데 200m 가량을 직접 추격한 끝에 직접 맨손으로 피의자를 검거'''하여 ~~[[추격자|영화가 실제로 일어났습니다.]]~~ 경찰에 신고했다.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6&oid=421&aid=0000056261|관련기사]] 이 때 당시 영화 베를린을 찍으면서 몸을 만든 상태라 '''체력이 최고조에 달해 있을 때'''였고 ~~잘못 걸린 거다. 하필이면...~~ 게다가 '''어렸을 때부터 가로수길 근처에 살아''' 그 골목을 다 알고 있었기 때문에 직접 추격해서 잡았다고 한다.
          * 인터뷰 모음: [[http://news.maxmovie.com/movie_info/sha_news_view.asp?menuCode=4&subMenuCode=2&mi_id=MI0085252026&contain=&keyword=&page=23|#]], [[http://news.maxmovie.com/movie_info/sha_news_view.asp?menuCode=4&subMenuCode=2&mi_id=MI0085251658&contain=&keyword=&page=23|#2]]
         한국 프로야구의 [[넥센 히어로즈]] 소속 [[이택근]]이 하정우와 닮은 꼴이다[* ...라고는 하지만 하정우와 함께 《[[비스티 보이즈(한국 영화)|비스티 보이즈]]》를 촬영했으며, 이택근과 한동안 연인 사이였던 배우 [[윤진서]]는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41&oid=009&aid=0002157200|'(실제로 봤을 때 둘은)안 닮았다']]라고 말한 적이 있다.].
         || 2014 || [[군도: 민란의 시대]] || 주연 || 돌무치/도치 || 4,775,811 || 손익분기[* 순수 국내 관객수만 하면 550만 명이지만, [[http://m.entertain.naver.com/read?oid=112&aid=0002611449|해외 흥행 등의 성적이 반영되어 약 470만으로 손익분기점이 내려갔다고.]]] ||
         ||<|4> 2008 || [[멋진 하루]][* 제작비 20억원대였고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3&oid=001&aid=0005280890]] 전도연 인터뷰에서 손익분기는 넘겼다고 인터뷰.] || 주연 || 조병운 || 397,387 || 성공 ||
  • 김상조 . . . . 20회 일치
         [Include(틀:국무총리직속기관장)]
         || '''이름''' ||<(> 김상조 (金尙祚)[*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25&aid=0002727049|#]]] ||
         2010년 한국경제에 영향력을 끼친 인물 3위에 꼽히기도 [[http://www.economyinsight.co.kr/news/articleView.html?idxno=66|했다]].[* 1등은 당연히 [[이건희]]였다. 2위는 당시 기재부장관 윤중현. '없다'를 포함시키면 4위이다.]
         공정거래위원회 초대 위원장으로 내정되며 대중적인 인지도가 급속도로 올라갔지만[* [[최순실 국정조사]]에서 참고인으로 나와 재벌들을 신랄하게 비판하였고 [[최순실 특검]]에게도 도움을 주는 모습을 보여 대중에게 조금씩 그 이름을 인식시켰다.] 이력을 보면 쉽게 알 수 있듯 아주 오랫동안 재벌개혁 시민운동을 계속한 인물로 한국 재벌과 관련해서 학문적인 관심이 있어 이런저런 자료를 찾다보면 자연스럽게 그 이름을 접할 수 있었다. TV 토론에도 종종 얼굴을 비췄고 언론 기고 또한 활발했으며 독자적인 저술은 한 권밖에[* 제목은 '종횡무진 한국경제'. 책을 읽어보면 통계적 근거와 [[경제학]]적 통찰을 근거로 한국 경제 전반에 대해 담백하게 논하는 대중 서적이다. 일반적으로 한국의 진보인사라고 하면 거리를 둘 법한 주장도 많이 보인다.] 없는 듯하지만 [[알라딘]]에서 [[http://www.aladin.co.kr/search/wsearchresult.aspx?SearchTarget=All&SearchWord=%b1%e8%bb%f3%c1%b6&x=0&y=0&|김상조]]를 검색해 보면 확인할 수 있듯 한국 경제, 재벌과 관련해서 다양한 저술에 저자로 참여해왔다. 공정위 위원장으로 내정되기 이전 소장으로 적을 두고 있던 경제개혁연대에서 수많은 저작물을 쏟아낸 것은 물론이다.
         [[민병두]] 의원의 말에 따르면, 6월 2일 공정거래위원장 인사청문회에 참석한 뒤 다음 날에 바로 학교에서 [[https://twitter.com/bdmin1958/status/870921482158751745|토요일 내내 보강 강의를 했다고......]]
         6월 12일 결국 자유한국당의 반대로 보고서 채택이 무산되었지만, 청와대에서 임명을 진행하여 문재인 정부 첫 공정거래위원장이 된다. 윤영찬 청와대 국민소통수석은 브피링에서 길어진 국정 공백을 메우기 위해 더 이상 지체할 수 없으며, 각종 여론조사 등을 통해 이미 국민의 청문회를 통과했다는 발언을 하며, 공정거래의원장으로 임명했다. 이에 원래부터 찬성 입장이었던 정의당을 제외한 야 3당인 자유한국당, 국민의당, 바른정당이 모두 [[http://www.joseilbo.com/news/htmls/2017/06/20170613327266.html|차가운 반응을 보였다]]. 자유한국당은 "앞으로 문재인 대통령에 맞서 투쟁해나가겠다"며 맹렬하게 비난하였으며, 바른정당은 "오만한 문 대통령의 브레이크 없는 질주"라 비판하였다. 국민의당은 당초 김상조 후보자의 임명 자체에는 반대가 없었던 터라, "국회 청문회 보고서 통과없이 임명되는 것에는 유감스럽지만, 이는 여당의 고집과 야당의 아집이 빗어낸 것이다"며 공동책임론의 입장을 밝혔다. 이에 대한 여론의 반응은 [[http://news.naver.com/main/ranking/read.nhn?mid=etc&sid1=111&rankingType=popular_day&oid=001&aid=0009334195&date=20170613&type=1&rankingSectionId=100&rankingSeq=9|대체적으로 야당에 대해 비판적이다]]. 특히 자유한국당은 [[http://www.enews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1073741|문 대통령의 연설 중 조는 모습]]이나 [[http://news.naver.com/main/ranking/read.nhn?mid=etc&sid1=111&rankingType=popular_day&oid=018&aid=0003847763&date=20170612&type=1&rankingSectionId=100&rankingSeq=24|원내대표 회담에 불참]]하는 등 애초에 협치를 바라지 않는 듯한 행동을 지속적으로 보이면서 애초에 협치를 바란 것이 맞느냐는 지적이 많다.
         취임 이후에 각종 대기업의 부정한 내부거래 감사와 프랜차이즈 갑질 조사와 징벌적 손해보상 도입 등 정력적 활동을 이어가고 있어 국민적 여론이 상당히 좋은 편이다. 특히, 그가 오랜 기간 강력하게 비판해온 재벌의 재벌그룹의 [[순환출자]] 개선에 적극 힘 쓰고 있다. 실제로 김 위원장 취임 1년 사이 대기업집단(자산규모 5조 원 이상)의 순환출자 고리가 최근 1년 사이에 거의 소멸된 것으로 나타났다.[[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oid=119&aid=0002254122&sid1=001|*]]
         그리고 김 위원장이 취임하면서 4년 동안 두 자릿수에 머물던 공정위 소송 패소율이 작년 한 자릿수로 떨어졌다. 공정위가 직접 수행한 소송에서는 단 한 번도 패소하지 않았고, 외부에 맡긴 소송 패소율도 전년보다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소송 중 법원이 공정위가 제재한 행위를 법 위반이 아니라고 판단한 패소는 작년 15건(9.2%)이었다. 패소율은 4.2%를 기록한 2013년 후 가장 낮은 수준이다.[[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01&aid=0010039529|*]]
         목동의 아파트를 매입하면서 다운 계약서를 작성한 것이 아닌가 하는 의혹도 제기되었다.[[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20&aid=0003068512|관련기사1]][[http://news.tvchosun.com/site/data/html_dir/2017/05/29/2017052990167.html|관련기사2]][[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57&aid=0001129568|관련기사3]] 김 후보자가 제출한 자료에는 1999년 3월 양천구 목동의 현대 2차 아파트를 1억 7천 550만 원에 매입한 것으로 되어 있는데 국토 교통부가 제출한 부동산 거래 내역에는 5천만 원에 매입한 것으로 신고되어 있다는 것.
         2000년 8월, 과거 자신이 연구자로 참여하였던 정부 용역 보고서를 그대로 베껴 논문을 작성했다는 의혹이 제기되었다. [[http://news.joins.com/article/21627448#homec|관련기사]] 표절이라 하면 남의 것을 베끼는 것만을 말하는 것으로 착각하는 경우가 있는데, 자신의 것을 베껴도 표절이다. 그리고 상당 부분 페이지가 그대로 옮겨졌다면, 현재 내용상으로는 표절로 볼 수 있는 것이 맞는다.
         이에 대해 김 후보자는 6월 2일 인사청문회에서 "노사정위 승인을 받고 학회지 요청을 받아 게재된 것"이라고 해명했다.[[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hm&sid1=100&oid=001&aid=0009310924#homec|#]]
  • 박석민 . . . . 20회 일치
         [include(틀:상위 문서4, top1=NC 다이노스/선수단, top2=야구 관련 인물(KBO), top3=먹튀/야구, top4=돈 내놔라 먹튀야)]
         ~~[include(틀:관련 문서2, top1=개그맨, top2=브로콜리)]~~
         ||<-2><#AF917B> {{{#00275a 박석민(朴錫珉 / Park Sok-min)}}} ||
         오른쪽은 [[강민호|지금 푸른 피가 흐르는 분]] [* 공교롭게도 지금은 [[삼성 라이온즈]]로 소속이다!][[http://sports.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kbo&ctg=news&mod=read&office_id=018&article_id=0003299542&date=20150712&page=1|기사]]
         2010년 8월 13일 [[대구시민운동장 야구장]]에서 열린 [[한화 이글스]]와의 경기에서 4회말 2사 상황에서 [[강봉규]]가 안타를 기록할 때 2루 주자로 나가 있었는데, 3루를 돌아 홈으로 달려오면서 막판에 [[포수]] [[신경현]]의 태그를 피하다가 신경현과 홈 대치 상황을 만들기도 했다. 이에 심판은 결국 박석민을 바로 아웃시켜 버린다.(...)[[http://yoonseokmin.tistory.com/650|관련 포스트]]
         개그 본능은 여전했다. 5월 6일 LG 트윈스 전에서 상대 투수 [[한희]]의 공에 맞자 배트 들고 한희에게 다가가려고 했다. 문제는 '''박석민이 해서 전혀 진지하지 않았다는 거.''' 사실 화가 난 것은 절대 아니었고, 다소 침체된 팀의 분위기를 끌어오려는 작전이었다. 더불어 한희에게 전화로 직접 사과까지 했다. 해당 경기에서 [[벤치 클리어링]] 직전까지 제구가 안되던 한희는 직후 영점이 잡혔다. ~~역시 삼성 라이온즈의 분위기 메이커 박속닌!~~[[http://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baseball&ctg=news&mod=read&office_id=109&article_id=0002206885|박석민 인터뷰]]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박석민/2013년)]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박석민/2014년)]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박석민/2015년)]
         [[http://sports.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baseball&ctg=news&mod=read&office_id=109&article_id=0003212747| NC, FA 박석민 영입 '4년 최대 96억원' 야수 최고액]] 시즌 종료 후 FA를 선언하며 [[NC 다이노스]]로 이적하였다.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박석민/2016년)]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박석민/2017년)]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박석민/2018년)]
         풀스윙을 할 때 배트를 놓쳐 배트가 '날아가'버리는 경우가 잦다. 카메라맨 쪽으로 날아간 적도 있고 상대 투수 쪽으로 날아간 적도 있다. 자칫하면 큰 부상을 입을 수도 있는 아찔한 상황을 연출한다. 이런 위험한 장면이 나올 때마다 상대팀 팬들에게 가루가 되도록 까인다. [[http://cfile287.uf.daum.net/image/184C3B194C2DD67D70ABC2|팀킬도 한다.]] 2011년 6월 21일 경기에서 [[오넬리 페레즈|오넬리]]의 투구에 삼진당하면서 놓친 배트가 오넬리에게 날아가는 바람에 오넬리는 당황, 박석민은 헉, [[신경현]]은 알밤 + 예끼~~[[한대화|니미 X발]]~~를 시전하는 장면이 잡혔다. 다행히 배트가 오넬리 정면으로 날아가지는 않았지만 매우 위험했던 상황.[[http://sports.news.naver.com/videoCenter/index.nhn?category=kbo&id=3478&gameId=20110621HHSS0&listType=game&date=20110621&page=1|영상]] ~~그리고 다음날 [[차우찬]]에게 똑같은 상황이 발생했다. 고의는 아니고 다행히 배트는 빗나갔지만.~~ 다행히 빗나갔기에 '역시 브콜돼' 소리를 듣는데 그쳤다. '''__하지만 박석민이 일부러 그러는 것이 아니라 왼쪽 중지 부상 때문에 일어나는 일이다.__''' 2010 시즌부터 수비할 때 중지에 테이핑을 하는 것은 물론이고 타격할 때 중지와 약지를 테이프로 감아 하나로 묶어 타석에 들어선다. 하지만 이런 노력에도 불구하고 타격할 때 순간적으로 왼손에 힘이 빠지면서 배트를 놓치는 것. 중지를 총 두 번 수술해야 한다는데 2010 시즌 끝나고 한 번 했었고 2011 시즌이 끝나고 두번째 수술을 했다. 그 결과 100% 정상은 아니지만 상당히 호전되었다. 2013 시즌까지도 휴식일을 잡아서 [[일본]]에 주사를 맞으러 갔다. SNS에 올라온 글로 보아 히쓰마부시(장어모듬덮밥) 팬인 것 같다. ~~갈 때마다 먹는다~~
         아들 사랑이 꽤나 지극한 편. 홈런을 치면 주는 [[블레오]] 인형 대신 손목보호대를 던진다. 인형이 아니라 더 비싼 손목보호대를 던지는 이유는 아들 준현이가 인형을 더 좋아해서 [[http://gall.dcinside.com/list.php?id=samsunglions&no=1213455&page=1&bbs=|집에 갖다주려고.]] 홈경기 때는 샤워도 안하고 바로 집에 가서 아들과 같이 목욕한다고 한다. 아들이 실제로 대구 홈경기 때 박석민의 손을 잡고 대구구장에 들어온 적이 있었는데, 당시 유니폼에 적힌 등번호는 '''박석민의 18번'''이었고 이름에는 '''박석민 Jr.'''이라 적혀 있었다.
         무명시절에 [[야갤]]을 한적이 있다. ~~근데 댓글을 보면 장난치면 死한다고...~~ [[http://gall.dcinside.com/list.php?id=baseball_old&no=55445|#1]][[http://gall.dcinside.com/list.php?id=baseball_old&no=55446|#2]][[http://gall.dcinside.com/list.php?id=baseball_old&no=55496|#3]][[http://gall.dcinside.com/list.php?id=baseball_old&no=58449|#4]]
         [include(틀:대구시민 선정 야구 전설)]
  • 배영수 . . . . 20회 일치
         [include(틀:상위 문서2,top1=한화 이글스/선수목록, top2=야구 관련 인물(KBO))]
         [include(틀: 관련 문서3, top1=한화 이글스/2018년, top2=참교육, top3=펠릭스 호세)]
         |||| http://hol.phinf.naver.net/00/589/851/58985195_0.jpg ||
         하지만 팔꿈치 부상을 입고 토미존 서저리를 받고 난후 구속이 10km/h 가까이 줄어들었고[* 대략적으로 배영수 전성기의 평균구속이 145km/h 정도에서 형성되었고 최고구속도 155km/h 임을 감안할 때 2017년 패스트볼 평균속도 137km/h 최고구속 145km/h 에서 형성된다고 할때 시즌중 평균구속은 약 8km/h 최고구속은 10km/h 정도가 떨어졌다고 생각할 수 있다 .] 구위도 감소하면서 더이상 타자들을 압도할 수 없었다. 그렇게 되면서 2008~2011 시즌을 말아먹고 말았다.[* 이는 플레이스타일의 급작스러운 변화로 해석될 수 있는데 [[팀 린스컴]] 의 경우에도 보듯이 갑작스러운 구속과 구위 저하로 인해 자신이 가지고 있던 플레이스타일이 먹히지 않았을 때 새로운 플레이스타일을 적용시키는데 린스컴이나 배영수 모두 제구력 보다는 구위와 구속으로 승부하던 스타일이었는데 둘다 급작스러운 구속 저하로 인해 타자들의 배트를 유도시키지 못하고 스트라이크존에 던지는 공이 맞아나가기 일쑤였기 때문에 시즌을 말아먹게 된 것 .] [* 이와 같은 현상을 겪은 선수는 kbo에도 있다 바로 [[정민철]] 그도 배영수나 린스컴과 비슷하게 구위와 구속으로 상대를 압박하는 선수였지만 데드암 증세 이후 자신의 스터프로는 상대를 압도할 수 없다는 것을 알고 제구력형 피쳐로 변신 2007년 2점때 평균자책점을 기록하며 부활에 성공했다. --다음시즌에 다시 망했지만-- .]하지만 새로운 플레이스타일에 완전히 적응한 2012년 부터는 리그예전처럼 리그에서 탑급 선발은 아니지만 최소한 리그에서 3~5 선발까지는 가능할정도로 회복이 되었다. 그리고 그 플레이스타일을 보자면 예전보다 구속이 떨어진데 기인하여 제구력으로 승부를 보는 스타일로 40% 초중반의 비율로 패스트볼을 던지고 그 이외에 슬라이더와 스플리터를 2:2 비율로 던지고 나머지 커브나 체인지업등을 던지는 스타일로 전성기 투구스타일에서 패스트볼의 비중이 많이 줄어들고 그 자리를 슬라이더와 스플리터의 변화구가 채우고 보여주거나 카운트를 잡는 용도로 커브와 체인지업등 기타 구종이 들어왔다고 보면 될 듯 하다.[* 부상 이후로 싱커(혹은 투심)과 서클 체인지업이 추가되었으며 커브도 구사비율이 조금 늘었다, 2011 시즌에는 커터 추가도 시도했으며.[[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7&oid=109&aid=0002167949|#]] 이외에도 2008년 포스트시즌 때는 너클커브를 던졌고,[[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7&oid=020&aid=0001997488|#]] 2013년 8월경에는 너클볼까지 선보였다.[[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POD&mid=tvh&oid=056&aid=0000011149|#]]] 그에 맞춰 투구폼도 변화하여 조금 더 구위와 제구를 잡기 위해서 박수를 치는듯한 투구폼[* 정우람의 투구폼을 생각하면 될듯.]으로 예전의 투구폼보다 조금더 투구폼이 빨라졌으며 간결해졌다.[* 메이저리그에서 이와 비슷하게 투구폼을 고친 사례를 보면 [[잭 그레인키]] 가 있다.] 하지만 과거 스터프에 의존하던 선수였던 만큼 제구파 투수로 플레이스타일이 변경되었어도 과거 플레이스타일에 영향이 있는지 경기당 기복이 심해졌다 잘 던지는 날에는 호투, 컨디션 안 좋은 날에는 엄청나게 털리는 경향이 있는게 눈에 보일 정도 다만 제구력만큼은 2005년 이후로 줄곧 리그 상위권이었다. 시즌 볼넷이 40개를 넘은 시즌이 손에 꼽을 정도.[* 배영수가 컨디션 기복이 있는 것이 이에 대한 것으로 해석이 가능하다 공격적인 스트라이크존 공략으로 볼넷도 적게 내주지만 그만큼 컨디션이 좋지 않을 경우에는 스트라이크존에 들어간 공이 정타를 많이 맞으면서 털리기 쉽다는 것.]
         그러나 한편으로는 회복되지 않는 구속 때문에 마음고생이 심했던 한 해였다.[[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7&oid=018&aid=0002026350|#]]
         '''잃어버린 10km'''로 표현하는 그의 구속을 2009 시즌 들어서도 되찾지 않자 자신감을 잃어버렸고, 성적마저 나빠지자 결국 5월, 1승 7패의 상태에서 계투로 강등되었다. 그리고 6월 11일에는 결국 2군으로 내려갔다. 7월 초 다시 1군에 합류했지만 전혀 나아지지 않자, 결국 8월 18일에 시즌 아웃 판정을 받았다.[[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41&oid=018&aid=0002144793|#]]
         [[http://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baseball&ctg=news&mod=read&office_id=109&article_id=0002053607|2009 시즌 말 구속 회복의 실마리를 찾았다는 내용으로 다시 한번 설렘을 줬다.]][* 정말 구속회복만 된다면 삼성은 선발 걱정할 문제가 없으니...]
         그러나 5월 1일 한화전에서 8이닝 2실점으로 호투하고도[* [[장성호]]에게 맞은 투런홈런도 실투가 아니었을 정도로 좋은 볼을 던졌다.] 팀 타선이 1점 밖에 내지 못해 [[패전투수]]가 되었다. 가뜩이나 삼성타자들이 부진한데다가, 한화 선발투수가 '''[[류현진]]'''이었는지라... [[지못미]]. 본인은 최선을 다해 던졌기 때문에 아쉬움도 후회도 없다고 한다.[[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7&oid=109&aid=0002204747|#]] 여담으로 이 날 경기는 철저히 투수전으로 진행되는 바람에 5시에 시작해 7시반에 끝나는 기염을 토했다. 타 구장엔 5회말 경기가 진행되고 있는 곳도 있을 정도로.
         준수한 5선발로 활약했으나 시즌 후 [[FA 제도|FA]] 협상장에서 삼성으로부터 [[http://sports.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kbo&ctg=news&mod=read&office_id=109&article_id=0002940018|최초 2년, 최종 2+2년을 제시받고 우선협상이 결렬됐다.]] 무옵션에 바로 가치를 보장받은 동갑 윤성환이나 백업인 '''[[조동찬]]보다도 못한''' 대우에 실망하고 "기회를 원한다."라는 말을 남기고 FA시장으로 나갔다. 이런 상황이 안타까웠던 팬들은 지역 신문에 배영수를 위한 광고를 걸기도 했다.
         결국 한화로 확정. 3년 21.5억의 값으로 결정됐다. 그 과정에서 직원이 [[안지만]], 윤성환 등의 계약을 하는데 배영수를 1시간 동안 멍하니 기다리게 했다고 한다. [[http://sports.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baseball&ctg=news&mod=read&office_id=018&article_id=0003131452|배영수 '길었던 1시간' 그리고 한화행]]. 하지만 작성한 [[정철우#s-2|기자]]가 기자인 만큼 걸러서 볼 필요가 있는 기사다. 그리고 이런 수법은 필요없어진 직원을 모멸감을 줘서 제발로 나가게 할 때 쓰이는 흔한 수법이라 온전히 실수라고 보는 것은 순진한 시각이다. 또 다른 기사에서는 저녁에 경산볼파크에 왔다가 허탕치고 10시에 불러서 다시 나갔다고 하니, 1시간이 아니라 몇시간씩 방치되었다고 주장했다. [[http://sports.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kbo&ctg=news&mod=read&office_id=144&article_id=0000287923&date=20141204&page=1|'한화행' 배영수 "광야에서 기다림을 배웠습니다."]] 하지만 나중에 안현호 단장은 '전부 1~2시간 기다리는 것은 기본이었다. 마지막 협상이고 시간이 촉박해 개별적으로 약속을 잡을 상황이 아니었다.'고 밝혔다.
         이때 한화의 김성근 감독이 전화를 [[http://sports.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baseball&ctg=news&mod=read&office_id=241&article_id=0002295204|걸어 왔고]] 단장부터 말단 직원까지 직접 찾아가서 성의를 보인 한화 이글스로 데뷔 후 14년만에 팀을 이적하게 되었다. [[http://sports.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kbo&ctg=news&mod=read&office_id=382&article_id=0000291858&date=20141205|김성근 감독 “영수야, 야구 오래해야지”… 배영수 “예, 감독님.”]]
         [[http://sports.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kbo&ctg=news&mod=read&office_id=241&article_id=0002295773&date=20141204&page=1|배영수가 삼성을 떠날 수 밖에 없던 이유]]라는 기사에서 정리된 바에 의하면, '''연간 금액으로 따지면 삼성과 한화가 제시한 액수에는 큰 차이가 없다'''고 했다. 또한 일부의 루머와 달리 배영수는 "[[http://sports.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baseball&ctg=news&mod=read&office_id=079&article_id=0002661070|내가 구단 측에 선발을 보장해달라는 요구를 했다는 일부 언론의 보도는 사실이 아니다]]"라고 밝혔다. 같은 기사에 따르면 '''협상 과정에서 수치심까지 느꼈다'''고. [[http://mlbpark.donga.com/mbs/articleV.php?mbsC=kbotown2&mbsIdx=760892|배영수 CBS 인터뷰 전문]] 참조. 팬들이 지역신문에 낸 광고를 보고 너무 감사하고 많이 울었다고 한다. 그런데 이 인터뷰 내용은 이틀 전 그가 한 "누구도 원망 안한다. 정말 실수였다고 생각한다. 오해는 없다"라는 발언과는 배치되는 내용이라 그 사이에 어떤 심경의 변화가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정철우 기자를 통해 "30경기"도 못나왔으니 홀대받았다는 언론 플레이를 하면서 삼성 프론트의 삽질여부와 별개로 11년, 13년, 14년 4점대 평자를 찍었는데도 묵묵히 기다려 준 코칭스태프와 팬들을 한순간에 바보로 만들어 버렸고 사이영수상까지 만들었던 삼갤은 배영수의 이름이 언급되면 반드시 30경기 이야기를 추가로 붙히는 불문율까지 생겼다. 이 후 정철우는 본인이 경솔한 기사를 썼던 것을 사과한다며 애플 베이스볼이라는 제목의 칼럼을 네이버에 연재하기도 했는데 이 애플이 아무리 봐도 [[삼성전자]]의 라이벌인 그 [[애플(기업)|애플]]을 떠올리게 해서 사과는 커녕 의도적으로 비꼬는게 아니냐는 비아냥을 들었다.
          * 2006년 WBC에서 [[스즈키 이치로]]에게 던진 공은 아예 해설이 일부러 맞춘 것 같다고 대놓고 말했지만, 그때 한창 30년 발언 덕에 이치로에 대한 반발심이 들끓을 때라 '열사' 라는 별칭으로 불리며 환영받았다. 그리고 당시 [[구대성]]과 짜고서 일부러 맞춘 거라고 후에 밝혔다.[[http://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baseball&ctg=news&mod=read&office_id=076&article_id=0002029585|#]]
          * 2013년 3월 30일 두산과의 개막전에서 [[오재원]]과 [[김현수(1988)|김현수]]에게 만루홈런을 맞는 [[한만두|개만두]]를 시전하였는데 그 다음 등판인 4월 7일 NC전에서 '''"개만두 아십니까. 저, 개만두 됐습니다. 개만두!"'''라고 기자들한테 말하면서 웃었다고 한다. 산전수전 다 겪은 배영수의 멘탈이 어떠한지 잘 알 수 있는 일화 중 하나. --그리고 깨알같은 선배 [[박찬호]]의 디스까지-- [[http://sports.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baseball&ctg=news&mod=read&office_id=382&article_id=0000098825&date=20130409&page=1|#]]
          * 배영수 아줌마,[* 현지 대구쪽의 삼성팬들이 부르는 애칭은 영수아지매.] 배영수 이모, 꽹가리 이모 등등의 별명으로 불리는 유명한 팬이 있다.[* 원래는 [[김실]]의 팬이어서 실이아줌마라고도 불렸었다.] ~~직관팬들은 시끄럽다고 싫어하는 사람도 많다~~ 항상 배영수 유니폼을 입고 와서 꽹가리를 두들기며 응원하는 중년 여성으로 예전에는 [[김실]]을 응원하셨으며, 이 후에는 아들이 배영수와 동갑이라서 배영수를 응원했다고 한다. 삼성팬들에게 워낙 유명인사였던 지라 2014년 7월 29일 경기에서는 삼성 구단에서 이 배영수 이모를 시구자로 선정하기도 했다.[[http://sports.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kbo&ctg=news&mod=read&office_id=111&article_id=0000388502|#]] 하지만 이 날 경기는 [[차우찬]]이 [[차르봄바|핵폭발]] 하면서 패배... 이 분은 배영수 이적 후 [[김상수(타자)|김상수]]로 갈아타셨다고 한다. ~~이젠 상수아지매~~
  • 신혜진 . . . . 20회 일치
         [include(틀:오마이걸)]
         ||<-2><:> {{{#!wiki style="margin: -5px -10px; auto;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DAEC, #7BDEFB, #FFF57C,#FF95CD)"
         {{{#black '''{{{+1 진이 / jinE}}}'''}}}}}}||
         ||<#FFDAEC> {{{#000000 '''본명'''}}} ||<(> 신혜진(申惠眞) / Shin Hye-Jin ||
         ||<#FF95CD> {{{#000000 '''신체'''}}} ||<(> 160cm[* 오마이걸 활동 시절, 유일하게 키가 알려지지 않았었던 멤버인데, 당시 다른 일곱 멤버들의 키를 물어봤던 팬이 진이한테만 까먹고 안 물어봤다고 한다(...) [[아린(오마이걸)|아린]]보다 [[http://gall.dcinside.com/board/view/?id=ohmygirl&no=1722|약간 작지만]] 최단신인 [[효정]]보다 키가 클 것으로 추정되는데 159cm인 [[승희(오마이걸)|승희]]보다는 크고 160cm인 [[유아(오마이걸)|유아]]와 비슷하니 약 160cm쯤 될 것이다.], [[A형]] ||
         ||<#FFF57C> {{{#000000 '''별명'''}}} ||<(> ~~[[CCTV]][* 멤버들이 [[장난]]치는 모습을 항상 뒤에서 지켜보고 있기 때문에 붙여진 [[별명]].]~~, --[[http://me2.do/5MlN9js3|일진이(...)]]--, '''[[핑크]]빛 [[고래]]'''[* [[PINK OCEAN]]의 [[타이틀 곡]]인 [[PINK OCEAN#s-2.1|LIAR LIAR]]에서 진이의 파트 중 "한 마리 [[고래]], [[핑크]]빛 [[바다]] 위에"라는 [[가사]]가 있었고, [[PINK OCEAN]] 활동 당시 진이의 [[머리]]가 [[고래]]가 물줄기를 뿜는 듯한 모양의 [[머리]]였다.][* [[건강]]상의 [[이유]]로 [[Coloring Book(오마이걸)|Coloring Book]] [[앨범]]에 참가하지 못해, [[Coloring Book(오마이걸)|Coloring Book]] [[뮤직비디오]] [[배경]]에 [[핑크]]빛 [[고래]]가 등장하였다. 그리고 이는 진이를 [[상징]]한다고 공식적으로 밝힌 부분.] ||
         >- [[오마이걸]] [[PINK OCEAN#s-2.1|LIAR LIAR]] 中
         이외에도 조용한 [[성격]] 때문에 [[안무]] 등 퍼포먼스적인 면이나 [[예능 프로그램]]에서 크게 돋보이는 멤버는 아니지만, 자상한 [[성격]]을 가진 '''팀의 둘째로서 팀을 융화하고 지지하는 필수불가결한 [[오마이걸]]의 멤버였다.'''[* 실제로 [[거식증]]으로 인해 활동을 쉬는 기간에도 [[오마이걸]]이 [[Coloring Book(오마이걸)|Coloring Book]]으로 [[콘셉트|컨셉]]돌로 도약하는 과정에서도 제일 큰 [[역할]]을 했던 멤버는 진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2016년]] [[8월 25일]], [[거식증]]으로 인해 활동을 잠정적으로 중단했다.[* "거식증이 뭐가 큰 병이냐"고 하는 이들이 간혹 보이는데, [[거식증]] 문서로 들어가서 확인해 보면 심할 경우 '''[[사망]]'''까지 가는 엄연한 [[정신병]]의 일종이다.] 이로 인해 [[현재]] [[포항시|고향]]에서 휴식 중. 진이의 경우 [[체중]] 감소가 심각해 [[거식증]]의 기본 증상인 [[저체온증]], 무[[월경]], 부종, 그리고 [[저혈압]] 등의 다양한 내과적 [[문제]]가 발생했다고 한다. [[승희(오마이걸)|승희]]와 [[비니(오마이걸)|비니]]에 이어서 또다시 [[건강]]상의 [[문제]]가 불거지자 [[미라클|팬들]]은 그저 안타까워하는 중. 사실 [[거식증]] 외에도 살짝 통통했던 <[[OH MY GIRL#s-2.2|CUPID]]> 활동 때 [[사진]]을 보고 2달 만에 8~9kg를 빼는 무리한 [[다이어트]]를 했다가 [[식도]]염 증세가 생긴 적이 있다. ~~혜진아 안 빼도 돼ㅠㅠ~~ 결국 식단 조절과 병원 치료까지 받은 뒤 지금은 나아진 상태지만 가장 적게 나갈 때는 38kg이었다고 하며, 조금 나아진 현재도 40kg 초반으로 몸무게가 늘었다고 한다. 하지만 활동 재개 이후에도 자존감이 낮아질 것으로 예상돼 팬들의 마음을 여전히 아프게 하고 있다. '''다행히 지금은 건강이 회복되고 있다고 한다!!'''[* [[WM엔터테인먼트|소속사]]가 공식적으로 [[언론]]에 밝힌 [[거식증]]의 [[원인]]으로는 [[데뷔]] 당시 정상 체중이었지만 살이 잘 찌는 체질 때문에 통통하다는 [[악성 댓글]]이 많아서 스트레스를 받아 너무 무리하게 [[다이어트]]를 했기 때문이라고 한다. 하지만 '[[PINK OCEAN#s-2.1|LIAR LIAR]]'부터 '[[PINK OCEAN#s-2.5|한 발짝 두 발짝]]', '[[WINDY DAY]]', '[[내 얘길 들어봐]]'까지 휴식을 가지지 못하고 계속 활동한 것이 또 다른 원인으로 추정된다.]
         이후 [[친척]]과 함께 [[일본]]에 [[여행]]간 [[사진]]이 [[SNS]]에 올라와 회복된 모습을 보였으나 [[WM엔터테인먼트|소속사]] 측에서는 아직까지 회복이 만족스럽지 못했는지, [[http://entertain.naver.com/read?oid=011&aid=0002991553|2017년 4월 컴백에 함께하지 못하게 되었다]]. [[오마이걸]]의 완전체 컴백을 바라던 [[미라클|팬들]]은 그저 안타까워하면서도 하루빨리 완쾌되기를 바라는 중. 그래도 자필 [[편지]]를 통해 자신의 근황을 알리면서 많이 나아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http://www.newspim.com/news/view/20170403000123|뉴스]] [[http://m.entertain.naver.com/read?oid=112&aid=0002907803|링크]]
         저희 [[오마이걸]]이 다시 여러분 앞에!! 드디어! 멤버들 정말 예쁘죠? 저도 보고 반했다는 [[소문]]이... [[Coloring Book(오마이걸)|이번 앨범]]은 저도 너무너무 [[기대]]되고 빨리 [[무대]]로 만나보고 싶어요! [[미라클]] 여러분들과 함께 첫방! 본방사수! 준비도 벌써 하고 있답니다. 오랜만에 만나는 만큼 많은 분들이 들어주시고 [[사랑]]해주셨으면 해요~
         [[WINDY DAY]]의 진이 파트[* 1분 52초~58초]를 [[승희(오마이걸)|승희]]가 넘겨받았는데 '따스한 햇살' 다음 부분에 "신혜진" 응원법[* [[WINDY DAY]]의 응원법은 각 멤버의 파트가 끝나면 본명을 외친다.]에서 지금도 진이를 찾는 [[미라클|팬들]]의 모습을 볼 수 있다.[* [[https://youtu.be/nKC1voi97pA|승희도 이 파트에서 입모양으로 신혜진을 자주 한다.]]] 공카에서는 1시 22분마다 진이시를 외친다. ~~진이야 항상 기억할게~~
          * [[WINDY DAY]] 활동을 하며 [[앞머리]]를 까고 세미 [[단발]]로 [[헤어 스타일]] 변화를 시도했는데 이것이 진이의 뚜렷한 이목구비와 어우러져 최고의 효과를 발휘했다.
          * [[Coloring Book(오마이걸)|컬러링북]]에서 [[핑크]] [[고래]]가 [[진이]]라고 공식적으로 말했고 [[탈퇴]] 후 첫 [[뮤직비디오]]인 [[비밀정원]]에서도 [[고래]]가 여러 번 나왔다. 이것이 [[진이]]라고 [[미라클|팬들]]은 추론하고 있다. ~~영원히 잊지 않을게~~
         || '''[[OH MY GIRL|{{{#00B7BD OH MY GIRL}}}]]''' || '''[[CLOSER|{{{#00B7BD CLOSER}}}]]''' || '''[[PINK OCEAN|{{{#00B7BD PINK OCEAN}}}]]''' || '''[[WINDY DAY|{{{#00B7BD WINDY DAY}}}]]''' || '''[[내 얘길 들어봐|{{{#00B7BD 내 얘길 들어봐}}}]]''' ||
         ||<#00A3AF> '''SNS''' ||<(> [[https://www.instagram.com/s_h_jin_e/|[[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png|width=25]]]] ||
  • 어쌔신 크리드 III/임무일람/주요임무 . . . . 20회 일치
         처치의 집을 찾아간 두 사람. 처치의 집에는 아무도 없었다. 난장판이 된 집과 핏자국만이 있었을 뿐. 헤이덤은 집 구석에 걸려있던 처치의 초상화를 잘라내 몽타주를 만들고는 처치의 행방을 찾아 나선다. 찰스 리가 초상화 쪼가리를 가지고 삽질하고 있을 때 높은 곳에 올라가야 뭔가 잡을 수 있겠다고 생각한 헤이덤. 헤이덤은 뉴 사우스 웨일스 예배당(New South Wales Meeting House)에 올라가 주변을 둘러보고는 예배당 주변 사람들의 대화를 도청한다.
         === Infiltrating Southgate ===
         === Unconvinced ===
         === Execution is Everything ===
         === Hunting Lessons ===
         === Something to Remember ===
         === Lying Low ===
         === Training Begins ===
         1773년, 동부 해안. 코너와 폴크너는 아퀼라에 대포를 싣고 포술 장교를 영입하기 위해 마서스비니어드(Martha's Vineyard)로 향한다. 마서스비니어드로 가는 길에 폴크너는 코너에게 배를 모는 법을 알려준다.
          * 해당 임무를 완수하면 저택 2층에 첫 항해 그림(First Expedition Painting)이 생긴다.
         코너는 구 남부 예배당(Old South Meeting House) 앞에서 샤페우, 몰리뉴와 만난다. 신호를 기다리고 있다는 몰리뉴에게 코너가 대체 무슨 신호냐고 물은 순간. 애덤스가 "이 모임으로는 더이상 나라를 구할 수 없소"라고 선언하며 예배당에서 나와버린다. 코너가 끌려다니기 싫다며 뭘 할건지 물어보자 애덤스는 나다니엘 브래들리의 집에서 사람을 모은 후 그리핀 부두로 가서 배에 있는 차를 모두 내다버릴것이라고 한다. 그러고는 이것은 잉글랜드에 메세지를 보내는 동시에 존슨의 재정에 손상을 줘 코너의 마을을 지키는 일이라며, 코너한테 선두에 서보라고 권유한다.
          * 해당 임무를 완수하면 저택 2층에 로빈손 차 상자(Robinson Tea Chest)가 생긴다.
         === Lexington and Concord ===
         === Something on the Side ===
         === Missing Supplies ===
          * 해당 임무를 완수하면 저택 2층에 해양 그림(Naval Painting)이 생긴다.
  • 이경영(1960) . . . . 20회 일치
         ||<table width=100%><table align=center><table bordercolor=#000000><-100><:>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C60C30 20%, #003478)"
         ||<#ffffff><-1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청소년 성보호에 관한 법률위반 혐의로 구속기소된 영화배우겸 감독인 이경영(41)피고인에게 160시간의 사회봉사명령과 함께 징역 10월에 집행유예 2년이 선고됐다. 인천지법 형사 합의11부(재판장 이원규 부장판사)는 12일 이 사건 선고 공판에서 "이 피고인이 이모(18)양과의 첫 번째 성관계 시 미성년자인 줄 몰랐다는 점은 인정되나 두 번째는 성관계 전 이 양이 '나이를 말했다'는 진술이 신빙성이 높아 유죄가 인정된다"고 밝혔다. 재판부는 또 "피고인이 제작한 영화에 이 양을 출연시켜 줄 것 같은 느낌을 준 점도 인정된다"며 성 관계의 대가성 부분에 대해서도 유죄 판결했다.[[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1&aid=0000220298|#]]
         >서울고법 형사2부(재판장 이성룡ㆍ李性龍 부장판사)는 25일 청소년성보호에 관한 법률 위반 혐의로 구속기소된 영화배우겸 감독 이경영(41)씨에 대한 항소심 선고공판에서 1심대로 징역 10월에 집행유예 2년, 160시간의 사회봉사명령을 선고했다. 재판부는 판결문에서 "이모(18)양과의 3차례 성관계 중 첫 번째 성관계를 맺을 때는 미성년자라는 사실을 몰랐다는 피고인의 주장을 인정, 이 부분에 대해 무죄를 인정한 원심 판결은 정당한 것으로 보여 검사 항소를 기각한다"고 밝혔다.[[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38&aid=0000157848|#]]
         ||2심 재판 후, 검찰과 이경영은 대법원에 [[상고(법률)|상고]]하지 않았고, 그리하여 이 사건 재판은 2심에서 종료됐다.[* 대법원에 상고하였다는 기사도 없고, 대법원 판결을 보도한 기사도 전혀 없다. 또한 2002년 10월 25일에 2심 판결이 있었고, 곧바로 2002년 11월에 형이 집행(사회봉사명령 이행)되었다는 사실을 통해서도, 대법원까지 가지 않고 2심 판결대로 형이 확정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에 따라 징역 10월, 집행유예 2년, 사회봉사 160시간의 형이 확정되었고, 곧이어 2002년 11월, 12월에 형의 집행(사회봉사명령 160시간 이행)이 이루어졌다.[[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38&aid=0000157848|#]]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11&oid=014&aid=0000052234|#]]||
         ||형사재판이 끝난 뒤, L양과 L양의 부모는 이경영을 상대로 정신적 손해에 대해 배상하라며 민사소송을 제기하였다. 재판부는 "피고들이 배우가 되려는 청소년에게 영화출연을 내세워 자신들의 성적욕구를 채우는 대상으로 삼은 것은 미성년자인 L양의 성적 자기결정권을 침해한 것"이라며 L양의 정신적 손해를 인정했다. 즉, L양 측이 승소했다.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6&oid=001&aid=0000645239|#]]||
         ||MBC 드라마 [[돌아온 일지매]]의 단역 출연이 무산되었다. 이 드라마는 외주제작이었는데, MBC가 '이경영은 유죄판결 전력 때문에 출연정지 대상'이라며 출연을 반대하여 무산되었다.[[http://entertain.naver.com/read?oid=112&aid=0001975786|#]] 이후 이경영은 자신의 미니홈피에 "항소를 했더라면 부끄러움은 씻지 못하겠지만 범죄자의 오명은 씻지 않았을까"라는 글을 올렸다. 이 글의 내용을 통해, 적어도 이때(2009년 2월)까지는 엄연히 유죄판결을 받은 전과자 신분이었음을, 즉 (재심청구 등을 통해) 유죄판결이 뒤집혀졌다거나 하는 일은 없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이후에서 설명하겠지만, '2004년에 무죄판결을 받았다'는 소문을 반박하는 중요한 증거가 된다.'''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6&oid=108&aid=0001975242|#]]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6&oid=076&aid=0001983639|#]]||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6&oid=144&aid=0000188921|스포츠경향과의 인터뷰]]
         설령 '법정공방 끝에 무혐의 처분 받았다'는 표현을 '법정공방 끝에 (법원에서) 무죄판결을 받았다'는 의미로 이해하더라도 문제는 여전히 남는다. 이 사건 형사재판 판결은 2002년에 확정되었다. 판결이 확정된 사건에 대해 다시 재판을 열어 새로운 판결을 받아내려면 [[재심]]을 청구하는 방법 밖에 없다. 그런데 재심청구는 극히 예외적인 사유[* 형사소송법에서 규정하고 있는 극히 예외적 사유에 한함]가 아니면 받아주지 않는다. 한편 이 사건은 세간에 큰 화제가 되었던 사건이었음을 감안할 때, 만약 이경영이 재심을 청구하였고, 청구가 받아들여져 재심 재판이 열렸으며, 그리하여 결국 2004년에 무죄판결을 받아냈다면 "서울고등법원 형사합의 제 OO 재판부(재판장 아무개 부장판사)는 청소년성보호법 위반 혐의로 2002년에 유죄판결을 받았던 배우 이경영씨에 대한 재심 재판에서… 라며 무죄를 선고했다" 등의 자세하고 구체적인 내용의 보도[* 가령 이경영 사건의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1&aid=0000220298|1심 형사재판 판결 보도]] 같은 수준의 구체적 보도.]가 있었을 텐데, 2004년 당시 그리고 그 이후에도 그런 구체적인 보도는 단 한 줄도 없다. 오히려 2004년에는 L양과 L양의 부모가 입은 정신적 고통에 대해 이경영이 배상해주어야 한다는 민사재판 판결에 대한 보도가 있었을 뿐이다.
         그리고 '2004년에 무죄판결을 받았다'는 것은 2009년 2월에 이경영의 MBC 드라마 '돌아온 일지매' 출연이 유죄판결 전력 때문에 무산되었다는 사실과 어긋난다.[[http://entertain.naver.com/read?oid=001&aid=0002444043|#]][[http://entertain.naver.com/read?oid=112&aid=0001975786|#]]
         게다가 '2004년에 무죄판결을 받았다'는 것이 잘못된 정보라는 결정적인 증거는 2009년에 MBC 드라마 출연이 유죄판결 전력 때문에 무산된 직후, 이경영이 자신의 미니홈피에 그에 대한 심경을 토로하며 올린 글의 내용이다. 해당 글에서 이경영은 "항소를 했더라면 부끄러움은 씻지 못하겠지만 범죄자의 오명은 씻지 않았을까"라고 하였다.[[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6&oid=108&aid=0001975242|#]] 만약 이미 2004년에 (재심을 통해) 무죄판결을 받았다면, 2009년에 이런 내용의 글을 올릴 이유가 없는 것이다.
         그리고 2004년으로부터 10년 넘게 이경영은 KBS, MBC 등 지상파 방송에서 [[출연금지 연예인|출연금지]] 처분을 받았다. MBC에서는 2014년 [[https://entertain.naver.com/read?oid=117&aid=0003112602|출연정지가 해제]]되었으나 KBS에서는 아직도 출연정지 상태이다. 이 역시 이경영이 2004년에 무죄판결받았다는 것이 오보라는 것을 방증해준다.
         한편 "이경영이 무죄판결 받았다"는 정보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는 기사들도 나왔다.[[http://news.nate.com/view/20150114n16647|#]][[http://www.ilyosisa.co.kr/news/articleView.html?idxno=76954|#]][[http://news.tf.co.kr/read/entertain/1474153.htm|#]]
         또한 [[MBN]]은 "법정공방 끝에 2004년에 무혐의 처분을 받았다"라고 표기한 《tvN 백지연의 피플인사이드》의 자막 내용을 소개한 후, 이는 명확히 밝혀진 바가 없는 내용이라고 보도하였다.[[http://entertain.naver.com/read?oid=057&aid=0000943789|#]]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이경영, version=214)]
  • 박진성(시인) . . . . 19회 일치
         [include(틀:사건사고)]
          *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3&oid=469&aid=0000168790|<한국일보> 문화계 왜 이러나…이번엔 시인 상습 성추행 의혹]]
          * [[http://news.joins.com/article/20761602|<중앙일보> 충격적인 '문인들의 성폭력' 폭로 파문]]
         이 주장을 처음으로 기사화한 것은 [[한국일보]] 소속의 황수현 기자이며, [[http://www.hankookilbo.com/v/0564032fc2164032b7c5c3af3f668c50|이 기사]]([[https://archive.is/uTwCo|@]])를 보면 [[메갈리아]] 성향의 [[페미니스트]]로 보인다. 위의 보도 이후로는 대표적인 [[기레기]]로 평가되고 있다. 박 시인은 2017년 2월에 한국일보와 황 기자를 상대로 정정보도 및 손해배상 청구 소송을 시작했다. 2018년 4월 27일에 말하길 26일이 1심 6차 변론 기일이었는데, 한국일보 측이 정정보도를 할 것은 확실해졌고 손해배상의 규모 정도만이 남은 기일 동안 정해질 것 같다고 한다.[[https://twitter.com/poetone78/status/989895731627474944|#]] 그리고 7월 18일에 1심에서 승소, 한국일보와 황수현 측이 정정보도와 함께 5천만원의 배상금을 지불하라는 판결이 나왔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004&oid=006&aid=0000092780|#]]
         박진성 시인에게 당했다는 이들 중 일부가 결국 박 시인을 성범죄로 고소했는데, 2017년 9월에 무혐의로 불기소 처리되었다. 고소한 경우 중 일부는 고소가 취하되었고, 진행된 부분은 무혐의로 처분된 것이다.[[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20&aid=0003110430|해당 기사 링크]]
         박진성 시인은 무혐의로 결론이 난 내용을 주장한 2명을 각각 무고 및 허위 사실 적시 명예훼손, 허위 사실 적시 명예훼손 혐의로 고소했다. 두 명 다 그 죄가 인정되었으나 초범에 [[심신미약]]을 주장하며 기소유예, 벌금 30만원이 나와 논란이 되고 있다.[[http://news.sbs.co.kr/news/endPage.do?news_id=N1004483930&plink=ORI&cooper=|해당 기사 링크]] [[https://imgur.com/pmqT0ao|뒤늦게 거짓임을 고백하는 고발자의 카톡 내용]]
         2017년 11월에 시인의 아버지가 쓴 글에 따르면, 성폭행 혐의로 보도가 난 이후 집 앞에서 피켓 시위가 일어나기도 하고, 지인들의 연락이 모두 끊겼으며, 출판사는 책을 내주지 않는 등 결론이 나기도 전에 보도만으로 이미 사회적으로 매장당한 것과 같은 피해를 입었다고 한다. 어떤 지인은 '한국일보 같은 신문사에서 성폭행을 했다고 기사를 썼으니 사실 아니겠냐'며 면전에서 면박을 주기도 했다고 한다. 또한 박진성 시인의 출판을 담당했던 출판사는 사건이 나자, 무죄여부 확인 과정없이 일주일 만에 출판 계약 해지에, 출판된 시집은 출고 정지 처분을 내렸다. 그리고 '관련된 소송이 아직 끝나지 않았다'는 명분으로 출고 정지 처분을 풀지 않고 있는데, 계약 해지에 대해 물었더니 "아직 시인으로부터 계약 해지를 요구받은 적이 없다. 언제든지 연락을 주신다면 논의하겠다”고 답했다. [[http://www.newspost.kr/news/articleView.html?idxno=59082|해당 기사 출처]][* 이 기사에선 출판사 이름이 나오지 않는데, 박 시인 아버지의 글에선 [[문학과지성사]]라고 나온다.] 2018년 3월 21일에 [[https://blog.naver.com/poetone/221233628914|문제의 출판사와는 결국 계약을 해지]]했으나, 무슨 문제가 있는지 7월에 박 시인이 밝히기를, 문제의 시집은 아직도 출고정지 상태라고 한다.[* 이 사실을 처음 밝힐 때 박 시인이 여러 시집의 계약을 이행하라는 언급도 한 것과 2016년 당시 출간 예정이었던 산문집의 글은 2018년 3월 계약해지를 알린 후에 산문집 '이후의 삶'에 포함되어 출간된 걸 보면, 기존의 시집과 당시 출간 예정이었던 시집과 관련된 계약을 해지하는데 문제가 있는 듯하다.] 이에 대해 민사소송을 진행할 계획이라고 한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5&aid=0001115546|#]]
         이에 대해 2017년 11월 25일에 [[이외수]] 작가가 박진성 작가의 억울함을 풀어달라고 호소하기도 했다.[[http://www.wikitree.co.kr/main/news_view.php?id=320650|#]]
          * 2017년 12월 2일, 오전 1시 29분 '''자살을 암시하는''' [[https://twitter.com/poetone78/status/936633260062285824|트윗]]을 작성하여 우려가 이어졌다. 오전 1시 31분에 박진성 시인의 블로그에 '굿바이'라는 한 마디를 남기고, 이후 블로그 갱신은 멈춘다. [[http://blog.naver.com/poetone/221153390296|해당 블로그 링크]] 이후 약을 먹고 쓰러진 박진성 시인을 박 시인의 어머니가 발견하여 119를 불러 병원에 실려가 14시간 만에 의식이 돌아왔다는 내용을 박진성 시인의 아버지라고 밝힌 사람이 트위터에 올린다. [[https://twitter.com/home_awaytwo/status/936878516280311809|해당 트위터 내용]] [[http://www.huffingtonpost.kr/2017/12/03/story_n_18712984.html|해당 기사 자료]]
          그 와중에도 페미니스트들과 박진성 시인을 앞장서서 비난했던 사람들은 '자살하면 죄가 없어지냐' 같은 소리를 하거나 '박진성이 자살하기 전에 여성 습작생들에게 집적거렸다', '과거에도 자살을 빌미로 여자들을 꼬시고 동정심을 유발했다(본인의 고백 내용)' 같은 주장을 유지하고 있다. 그나마도 2017년 12월 7일 기준으로, 트위터를 이용해 마녀사냥한 주요 오프라인 가해자들은 비판을 받아 재판에 불리해질 것 같아 비공개로 돌리거나 계정을 폭파시키기까지 했지만, 가해자들의 편을 드는 SNS에서의 옹호자들([[https://twitter.com/poetone78/status/969276420290576384|#]][[http://archive.is/meecs|@]][* 이 사례는 Holden 🔻Weatherfield라는 닉네임과 psychokinesis23이라는 아이디를 쓰는 [[페미니즘]] 계정이다. 성향은 [[메갈리아]] 옹호자이자 가해자 [[이준행]]에게 [[재기#s-6|재기]]라는 [[남성혐오]] [[고인드립]]을 들은 피해자 [[전우용]]이 [[전우용#s-4.3|고소하다 용서한 사건]]의 가해자를 옹호하고 피해자를 비난한 사실만 보아도 알 수 있다([[https://twitter.com/psychokinesis23/status/772794350883315713|#옹호증거1]][[http://archive.is/gGvKe|@1]][[https://twitter.com/histopian/status/772787036306546688|#옹호증거2]][[http://archive.is/QG3O0|@2]]). 특히 박진성의 자살시도가 성공해야 기네스북에 올라갈 거라는 조롱을 일삼은 점을 자신의 취향으로 추정되는 아이디와 연관지어 해석해보면, ''''염동력이라는 초능력이 있다면 저 시인을 자살로 몰고갈 수 있을 텐데''''라는 입장으로도 생각할 수 있다는 점에서, [[페미니즘]]의 [[진영논리]]에 휩싸인 나머지 [[사이코패스|자기 진영 일원의 범죄의 피해자에 대한]] [[소시오패스|공감을 잃은]] 최악의 사례라 할 수 있다.])은 아예 사건에 입을 다물거나 익명의 계정에 숨거나 검색을 막기 위한 부계정과 스팸계정을 아직도 만들어 사용하고 있다. [[https://twitter.com/No_JS_OK|해당 트위터 링크]] 이들은 어쨌든 관계를 맺고, 인정한 사실을 발설하더라도 [[지랄 옆차기 하네|해당 상황은 사실적시 명예훼손에 따른 보호 조치라고 설명한다.]]
          * 2018년 2월 7일 [[JTBC 뉴스룸]]에서 [[탁수정]]을 인터뷰하며 [[미투 운동]]을 보도한 것([[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3&oid=437&aid=0000174513|#]])을 보고 격분, [[https://twitter.com/poetone78/status/961266038443659264|그동안 거절해 왔던 무고 관련 인터뷰에 자진해서 나서겠다]]고 밝히고는 그녀를 비난했다. 그리고 탁수정이 이에 대해 반박한 것을 시작으로, 둘 사이에서 4월까지 설전이 진행되었다.[[http://kingshandle.tistory.com/488|2월 9일 시점에서 정리된 글]][* 이 글은 설전 초반의 상황이 정리된 글로, 그 이후 상황까지 정리된 글은 없다.] 실제로 박 시인은 2월 28일에 '''[[MBN]]과 이와 관련된 인터뷰를 했다.''' [[http://naver.me/FdNCVQm4|#]]
          * 2018년 7월 13일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22&aid=000328887|세계일보]]와의 인터뷰에서 그간 21개월 동안 '[[남혐]]주의자'들에게 공격당했음을 밝히며, 자신과 같은 피해를 당한 성폭력 무고 및 남혐 피해자들을 지원하는 활동을 시작하겠다고 말했다. 아직 초기라서 개인적으로 하는 정도지만 뜻이 있는 변호사와 각계의 전문가들을 모아 연대체를 만들어 본격적으로 대응할 계획이라고.
         K 교수는 이런 일이 없었다고 말했다.[[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3&oid=028&aid=0002401018|#]] 그러나 박진성 시인은 이후 자신에게 고은 시인의 성폭력과 관련된 여러 구체적인 제보가 들어오고 있다고 반박했다.[[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21&aid=0002345127|#]]
         자신을 다룬 기사를 쓴 한국일보 황수현 기자가 [[사진작가]] [[ROTTA]]의 성추행 의혹 등 미투 운동을 다루는 [[http://naver.me/GNjRWJvu|기사]]를 쓰자 '''다른 사람도 아닌 당신이 미투 운동을 기사로 다루는 것이 말이 되냐면서''' 일침하는 댓글을 달기도 했다.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3&oid=469&aid=0000281588&viewType=pc&m_view=1&m_url=%2Fcomment%2Fall.nhn%3Fgno%3Dnews469%2C0000281588|#]]
         2018년 시점에서 그의 성폭력 무고 사건이 유명한지라 미투 운동의 허위 고발에 대해 이야기할 때 이 사건도 같이 언급되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헤럴드팝은 미투 운동과 관련한 부작용을 이야기할 때 허위 폭로의 대표적인 사례로 배우 [[곽도원]]을 언급하면서, 이와 유사한 사례로 박 시인의 건도 언급했다. [[http://entertain.naver.com/read?oid=112&aid=0003005389|2018년 2월 26일 네이버-헤럴드팝 [POP초점] 끊임없는 폭로전…#미투 운동이 가진 양날의 검]] 또한 박 시인 본인이 미투 운동과 관련된 활동을 하고 있는 탓인지, 그가 미투 운동 무고 피해자 중 한 명인 걸로 잘못 아는 사람들이 꽤 많다.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박진성, version=49)]
  • 아이린(레드벨벳) . . . . 19회 일치
         [include(틀:회원수정)]
         ||||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8/8e/Irene_Bae_at_Asia_Song_Festival_2018_in_October_03%2C_2018_%286%29.jpg/250px-Irene_Bae_at_Asia_Song_Festival_2018_in_October_03%2C_2018_%286%29.jpg ||
         ||<:><#FE3E5F>'''{{{#white 데뷔}}}''' ||<white>[[2014년]] [[레드벨벳]] 싱글 <[[행복 (Happiness)]]> ||
         ||<:><#FE3E5F>'''{{{#white 링크}}}''' ||<#FFFFFF>[[http://gall.dcinside.com/board/lists/?id=irene|아이린 갤러리[[파일:디시인사이드_로고.png|height=25]]]] ||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4/41/Irene_Bae_at_a_fansigning_event_on_February_2%2C_2018.jpg/200px-Irene_Bae_at_a_fansigning_event_on_February_2%2C_2018.jpg
         2014년 8월 1일 [[KBS 2TV]] [[뮤직뱅크]]에서 데뷔했다. [[행복 (Happiness)|행복]] 활동을 할 때는 멤버들을 머리색으로 구별했기 때문에 '''분홍이''', 핑크 머리, 제일 예쁜 애 등으로 불렸다.
         랩은 전형적인 SM 스타일이며 Ice Cream Cake의 공개 당시 멜론 리뷰창에 랩에 대한 호평이 많았다. Dumb Dumb에서도 [[마이클 잭슨]]의 곡 제목들[* You need to 'Beat It' / That boy Michael Jackson 'Bad' / 난 너의 'Billie Jean'이 아냐 / Don't you 'Leave Me Alone' / 하지만 애매한 반응 난 원해 'Black Or White' / 포기 못 해 나의 'Man In The Mirror'. Ice Cream Cake와 Dumb Dumb의 랩은 [[XXX(가수)|XXX]]의 [[김심야]]가 작사하였다.][[https://www.youtube.com/watch?v=RrojDCT9ZIM|#]]을 활용해 인상적인 랩을 보여줬다. 이후로도 레드컨셉의 곡에선 꾸준히 메인래퍼로서 랩 파트를 많이 받고 있다. 대부분의 음악방송에서도 안정적인 랩 실력을 보여주는 편이다. 최근에 컴백한 빨간 맛에서는 빠른 랩으로 다시 한번 메인래퍼의 실력을 검증하였다.
         정말 센(격한) 춤으로는 Dumb Dumb의 파워풀하고 보이그룹을 연상시키는 안무가 있다. 대표적으로 160114 서가대 무대.[* 이날 댄스브레이크 직후 [[http://mblogthumb4.phinf.naver.net/20160115_223/alwaysirene_1452822805560lP6dM_PNG/20.png?type=w420|카메라에 잡힌 비율.]] ] [* 멤버들 중 댄스브레이크를 가장 잘 소화했다.]
         비주얼이 우수하기로 유명한 [[레드벨벳]]에서도 메인 비주얼로 꼽힌다. 단순히 얼굴이 예쁘기만 한 것이 아니라 [[http://theqoo.net/square/461793167|옆선]]도 예쁘다. 또한 피부가 굉장히 하얀 편이라 다른 사람들보다 눈에 확 띄며,[* [[레드벨벳]]이 행복으로 활동했을 때에는 머리색뿐만 아니라 피부톤으로 멤버들을 구별하는 사람들도 있었다.] 웃을 때와 웃지 않을 때의 분위기 차이가 크다. 게다가 얼굴이 '''[[황금비율]]'''.[[https://www.instiz.net/pt/2455125|#]] '[[Mnet]] '[[문희준의 순결한 15+]]' 방송에서 성형외과 전문의들이 뽑은 마스크 비율 깡패로 아이린이 여자 아이돌 2위로 뽑혔다.[* 1위는 소속사 선배 [[윤아(소녀시대)|윤아]]. ~~[[SM엔터테인먼트|SM]]은 꽃밭이었다~~] [[http://entertain.naver.com/read?oid=404&aid=0000080352|기사]]
         || 2017년 8월 15일 ||<|2> KBS2 || [[뮤직뱅크]] in 싱가포르 (월드 투어) ||<|2> 진행자 ||<|2> With [[박보검]][* 2017년 8월 4일, 9월 2일 현지 녹화] ||
         || 2017년 9월 30일 || [[뮤직뱅크]] in 자카르타 (월드 투어) ||
          * 이미지 컬러는 {{{#hotpink 분홍색}}}이며 행복으로 활동했을 때 이미지 애니멀은 [[고양이]]라고 한다. 아이린이 가장 좋아하는 색은 {{{#9F00C5 보라색}}}이라고 한다. 침대 커버, 다이어리 등 보라색 물건은 모두 아이린 거라고...[* 이런 과로 [[소녀시대]]의 [[티파니]]가 있는데 티파니는 모든걸 다 분홍으로 맞춘다.]반대로 [[예리]]는 분홍색을 좋아하지만 이미지 컬러가 보라색이다. --잘못된 만남-- 아이린이 좋아하는 색이 같은 소속사 선배인 [[소녀시대]]의 [[태연]]과 같다. --러시안 룰렛 활동 때에는 좋아하는 보라색으로 염색했다--
          * 체형과 체구 자체가 팀 멤버들에 비해서 왜소하고 여리여리한 편이다.[[http://theqoo.net/index.php?mid=square&filter_mode=normal&document_srl=398255800|움짤]]
          * 따뜻하고 표현을 잘하는 사람~~[[웬디(레드벨벳)|웬디]]~~ "쿵짝이 잘 맞는 사람"이 이상형이라고 밝혔다. [[http://v.entertain.media.daum.net/v/20170531082051883|#]]
          * 2015년 [[성탄절]]엔 뮤직뱅크에서 [[박보검]]과 함께 Jingle Bell Rock을 불렀다. [[https://youtu.be/Ycj7q5IKMP8|#]]
          * [[http://gall.dcinside.com/board/lists/?id=irene|아이린 갤러리]]
          * [[https://twitter.com/thinkB329|자꾸생각나]]
  • 어쌔신 크리드 III/임무일람 . . . . 19회 일치
         <<include(틀:스포일러)>>
         ==== The Bowls Beginner ====
         ==== Norris Goes Courting ====
         ==== Norris Tries Again ====
         ==== Cutting Ties ====
         ==== The Final Straw ====
         ==== Room at the Inn ====
         ==== Finding His Flock ====
         ==== The Wedding ====
          * 해당 임무 이후 아킬레스의 원래 복장(Achilles' Original Outfit)이 해금된다.
         ==== Achilles' Painting ====
         === French Involvement ===
         ==== Henderson in Distress ====
         ==== Paving the Way ====
         ==== Raiding the Prospector ====
         ==== One of a Kind ====
         ==== Blistering Dawn ====
         === 동부 뉴욕: In the Wolf's Lair ===
         === 북부 뉴욕: Hoarding Provisions ===
         === 서부 뉴욕: Protect the Clinic ===
  • 원우(가수) . . . . 19회 일치
         [include(틀:상위 문서2, top1=세븐틴(아이돌), top2=세븐틴(아이돌)/힙합팀)]
         [include(틀:세븐틴 멤버)]
         [include(틀:세븐틴(아이돌)/힙합팀)]
         ||||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f/fe/Jeon_Won-woo_for_10asia_Magazine_February_2016_05.png/250px-Jeon_Won-woo_for_10asia_Magazine_February_2016_05.png ||
         다른 멤버들에 비해 헤어 컬러나 스타일에 다양한 변화를 주는 편은 아닌지라 세 번째 미니 앨범 <[[Going Seventeen]]>의 [[타이틀 곡]] '붐붐'에서 갑작스레 형광 민트색의 [[투블럭]] 스타일로 등장한 [[원우]]를 보고 팬들이 깜짝 놀라는 일도 있었다. 그전까진 쭉 어두운 머리색을 유지하고 있었던 [[원우]]로선 대단히 과감한 시도를 한 것인데, 본인도 그 당시 거울에 비친 자신의 얼굴을 볼 때마다 적응이 안되었다고 한다. 이후 다시 어두운 머리색을 유지하다가 두 번째 정규 앨범 <[[TEEN, AGE]]>에서 밝은 애쉬 컬러의 금발을 시도하기도 했다.
         [[세븐틴(아이돌)/힙합팀|힙합팀]] 멤버들과 마찬가지로 기본적으로 모든 랩 메이킹에 참여하는데, 보통 네 멤버 중 가사를 가장 빨리 내놓는 멤버가 바로 [[원우]]이다. 평소 책을 많이 읽고 [[언어유희]]에 관심이 많다는 본인의 특성이 가사에도 반영되어 펀치라인에 라임을 많이 맞추는 편이고 추상적인 표현과 은유법을 많이 사용한다. 본인이 가장 생각이 많았을 때 쓴 가사가 <[[Al1]]> 수록곡 "Check-In"의 "꽉 차 있던 머리 위에 쓸모없는 짐에 불 지르는 듯이"부분이라고 한다.
         ||{{{#!wiki style="margin:-6px -10px -5px"
         ||<|2> {{{-3 2017.03.29}}} ||<|2>[[http://www.vlive.tv/video/25430|[SEVENTEEN] 세븐틴 에스쿱스&원우의 '99가지의 게임']] ||{{{#!wiki style="display:inline-block;padding:2px 4px 1px;background-image:linear-gradient(to right, #fb4075, #633fc3);font-size:0.6em;border-radius:3px"
         || {{{-3 2017.07.25}}} ||[[http://www.vlive.tv/video/34944|SEVENTEEN 'Once a Day WONWOO']] ||{{{#!wiki style="display:inline-block;padding:2px 4px 1px;background-image:linear-gradient(to right, #fb4075, #633fc3);font-size:0.6em;border-radius:3px"
         ||<|2> {{{-3 2018.01.17}}} ||<|2>[[http://www.vlive.tv/video/54501|[SEVENTEEN] 세븐틴 에스쿱스&원우의 '99가지의 게임']] ||{{{#!wiki style="display:inline-block;padding:2px 4px 1px;background-image:linear-gradient(to right, #fb4075, #633fc3);font-size:0.6em;border-radius:3px"
  • 이정재(영화배우) . . . . 19회 일치
         [include(틀:다른 뜻1, other1=동명의 정치깡패, rd1=이정재(조직폭력배))]
         [include(틀:상위 문서, top1=배우/한국)]
         [include(틀:회원수정)]
         [Include(틀:아티스트컴퍼니 소속 아티스트)]
         ||<table width=100%><table align=center><table bordercolor=#000000><-100><:>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C60C30 20%, #003478)"
         ||<#ffffff><-1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4C4C4C>'''{{{#FFFFFF 참고}}}'''||[[http://www.kmdb.or.kr/vod/mm_basic.asp?person_id=00000102|KMDb]] [[http://www.imdb.com/name/nm0497631/|IMDb]] [br] [[http://100.daum.net/encyclopedia/view/33XXXXX18885|Daum]] [[http://passport.weibo.com/visitor/visitor?entry=miniblog&a=enter&url=http%3A%2F%2Fweibo.com%2Fleejeongjae&domain=.weibo.com&sudaref=http%3A%2F%2F100.daum.net%2Fencyclopedia%2Fview%2F33XXXXX18885&ua=php-sso_sdk_client-0.6.16&_rand=1452430244.982|웨이보]] [br] [[https://www.facebook.com/cjesjungjae|[[파일:페이스북 아이콘.png|width=4%]]]] ||
         [Include(틀:-)]
         1973년 3월 15일에 태어나 [[군산초등학교]], [[군산중학교(전북)|군산중학교]], [[군산고등학교]]를 졸업하고 1999년 뒤늦게 [[동국대학교]] [[연극영화과]]에 입학하여 졸업하였다. 졸업 후 동국대 문화예술대학원 공연영상예술학과에 입학하여 2008년 석사를 수료하였다. 석사논문명은 '영화 태풍의 강세종 역할에 대한 연기 접근방법 연구'이며 RISS에도 등록되어 있다.[[http://www.riss.kr/link?id=T11361644|논문사이트]]
         그런데, 데뷔 초에는 하용수의 친척으로 알려져 [[금수저]] 논란이 있었다. 디자이너 출신인 하용수는 톱 모델을 거느린 모델 기획사를 운영해 연예계 마당발로 통했는데, 이정재도 [[http://www.donga.com/docs/magazine/woman_donga/9611/leejung.htm|그가 발굴한 스타]]이다. 이 기사에선 친척뻘이라 했지만 당시 청소년들은 하용수의 조카로 알고 있었다. 그래서 이정재가 방위 판정을 받았을 때 [[평발]]이란 약점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삼촌 빽을 썼다고 여기는 사람이 있기도 했다. 당시 인터뷰에선 이정재의 어려운 가정사가 전혀 나오지 않았기에 빚어진 오해인 듯.
          * 영화 [[암살(2015)|암살]] 개봉 당시 관객 수 815만명이 넘으면 프리허그를 하겠다고 공약을 내 건 것. 8월 7일 관객수 815만명을 돌파하며 100여명이 넘는 팬들과 프리허그 행사를 가졌다. 적극적으로 들이대는 팬들과 포옹해 준 결과 또다시 수트 상의가 화장품 범벅이 된 것은 덤. 2년 전과 마찬가지로 선착순에 들기 위해 행사가 저녁 8시에 시작됨에도 새벽부터 줄을 선 팬들이 많았다. 이런 정성에 보답이라도 하듯, 애당초 약속한 100명이 아닌 120여명과 프리허그를 해주고, 엄청난 팬서비스도 보여준다. [[http://gall.dcinside.com/board/view/?id=leejungjae&no=56694&page=1&search_pos=&s_type=search_all&s_keyword=%ED%95%98%ED%8A%B8|하트 춤 추는 이정재는 그야말로]] [[충공깽]]
         ||<table align=left><width=50%><#ffffff>[[파일:WrxjxzU.jpg|width=100%]] ||<width=50%><#ffffff>[[파일:LiZS2IN.jpg|width=100%]] ||
          * 40대의 나이지만 웃을 때 소년 같은 느낌을 준다. 대표적으로 영화 신세계에서의 마지막 웃음이나 평상시 찍히는 웃음 사진을 보면 여전히 해맑은 청년의 느낌이 물씬 난다. 이 점은 힐링캠프 출현 당시 [[이경규]]가 언급하기도 했는데 당시 이경규는 "웃을 때 참 해맑다"고 이야기 했다. 참고로 영화 [[암살(2015)|암살]]에선 20대의 청년으로 잠깐 나오는데 아무 cg작업도 없이 [[http://m.news.naver.com/read.nhn?mode=LSD&mid=sec&sid1=103&oid=015&aid=0003406913|정말 20대로 보여]] 많은 관객들을 어리둥절하게 만들었다. 암살의 최동훈 감독이 인터뷰에서 밝히길, 촬영 당시 이정재의 모습이 너무 어려보여서 어떻게 된 거냐고 도리어 물어봤다고 한다. [[http://v.entertain.media.daum.net/v/20150820092206173?f=m|최동훈 감독 인터뷰]]
          * 2015년 9월 1일 [[디시인사이드]]의 '''이정재갤러리'''에서 후원금을 모아 독립유공자들에게 전달했다. 영화 [[암살(2015)|암살]]이 천만관객을 돌파하면서 독립군들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자, 그분들에 대한 감사의 마음을 전하기 위해 팬들이 자발적으로 돈을 모아 전달한 것.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1&aid=0007832401|해당기사]]
         2번 적발됐다. 첫 번째 음주운전은 1999년 9월 13일, 자신의 [[자동차]]인 [[BMW]]를 혈중 알코올 농도 0.222% 만취 상태로 운전을 하다가 당시 23살 여성(회사원) 송모씨가 타고 있는 [[마티즈]] 옆 부분을 들이 박은 것이다. 당시 동료배우 정모씨와 있었던 걸로 알려져 있었고, 이씨는 사고 직후 술을 마신 것은 사실이지만 '''자신이 운전을 하지는 않았다고 주장'''하며 출동한 경찰과 실랑이를 벌이기도 했다. 이정재는 경찰에서 "내가 운전하지 않고 매니저가 대신했다"라고 혐의 사실을 부인을 했었다. ~~[[강정호|17년 뒤 똑같은 수법을 쓴 메이저리거가 등장하는데...]]~~ 경찰서에서는 시인하였다고 한다. 이 음주운전으로 인해 불구속 입건 및 면허 취소가 되었다.[[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99091400209122009&editNo=45&printCount=1&publishDate=1999-09-14&officeId=00020&pageNo=22&printNo=24301&publishType=00010#|기사]] 그리고 첫 번째 음주 운전 사고가 난 3년 뒤 또 한 번 2002년 7월 22일 [[강남구]] 청담동 청담초등학교앞에서 음주단속 중인 경찰에게 적발되었다.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20&aid=0000147301|기사]]
         2015년 1월16일 '동양 사태' 항소심 5차 공판…동양피해자대책협의회·투기자본감시센터는 배우 이정재· 이혜경 동양그룹 부회장 배임 혐의 구속수사 촉구 기자회견을 개최하였다. 또한 동양그룹 사태로 피해를 본 소액투자자들이 동양네트웍스의 외부감사를 맡았던 삼일회계법인에 대해 집단소송을 제기했다. 피해자들은 이정재가 동양사태와 관련이 있으며 배임혐의가 있다고 주장하였으나, 아직 재판중이다. [* [[http://entertain.naver.com/read?oid=109&aid=0002978127|기사]]]
  • 황두진 . . . . 19회 일치
         평양 출신의 아버지와 원산 출신의 어머니 사이 서울에서 태어났다.<ref>{{서적 인용|url=https://books.google.co.kr/books?id=_EHEAwAAQBAJ&printsec=frontcover&dq=%EB%8B%B9%EC%8B%A0%EC%9D%98+%EC%84%9C%EC%9A%B8%EC%9D%80+%EC%96%B4%EB%94%94%EC%9E%85%EB%8B%88%EA%B9%8C&hl=ko&sa=X&ved=0ahUKEwjwoLqgxa_bAhWDVLwKHeIxBacQuwUIKDAA#v=onepage&q=%EB%8B%B9%EC%8B%A0%EC%9D%98%20%EC%84%9C%EC%9A%B8%EC%9D%80%20%EC%96%B4%EB%94%94%EC%9E%85%EB%8B%88%EA%B9%8C&f=false |인용=그의 할아버지는 평양에서 고무공장을 하는 사업가였으며 해방 전에 사업을 서울로 옮겨 성북동 청암장(현재의 길상사)에 살면서 일종의 사설도서관을 운영했고, 해방과 전쟁으로 이북의 사업기반을 잃고 난 후에는 당시 창경원의 장서각 사서로 일했다.|제목=황두진, 「당신의 서울은 어디입니까」, p20|성=|이름=|날짜=|출판사=해냄|확인날짜=}}</ref>
         서울대와 예일대에서 건축을 공부했고 김종성, 김태수 등의 사무소에서 수련하였다. 그는 역사와 문화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한국 현대건축의 지평을 넓혀가고 있는 건축가로 평가받고 있다. 한옥을 현대건축의 시각에서 재해석하는 일련의 작업을 해오고 있기도 하다.<ref>{{웹 인용|url=https://gwangjinlib.seoul.kr/gjinfo/recommendBookDetail.do?bookIdx=2149&recommendTypeCd=general|제목=가장 도시적인 삶|저자=황두진|날짜=|웹사이트=광진정보도서관|출판사=반비}}</ref>
         건축가로서 개별 프로젝트뿐만 아니라 사람들이 살기 좋은 도시, 거리와 소통하는 건물, 사회에 필요한 건축 등 공공성에 대한 관심이 높다. 이와 관련하여 무지개떡 건축은 그의 주요 테마 중 하나이다. 그가 현대 도시건축의 중요한 유형으로 보고 발전시켜오고 있는 개념이다. 개별 작품과 기고문을 통해 생각을 전개시킨 후 2016년 저서인 '무지개떡 건축'을 통해 정리해서 발표했다.<ref>{{뉴스 인용|url=http://news.joins.com/article/22085412|제목=진정한 의미의 주상복합이 가장 도시적인 건축|저자=이은주 기자|날짜=2017-11-06|뉴스=중앙일보|출판사=}}</ref>
         '무지개떡 건축(raninbow cake architecture)'과 더불어 '다공성(porosity)', '중첩된 기하학(layered geometry)' 등 3대 건축 테마로 작업하고 있다.
         === 무지개떡 건축 rainbow cake architecture ===
         전층이 단일용도로 되어있는 건축물을 시루떡에 비유한다면 층별로 서로 다른 기능을 갖는 건축물은 무지개떡에 비유할 수 있을 것이다. 그중에서도 5층 내외로 상층부에 주거가 들어가는 유형을 황두진건축에서는 특별히 무지개떡건축이라 부른다. 기본적으로 길과 면한 저층부에는 외부계단과 상가가, 중간층에는 사무실이, 상층부의 주거에는 옥상마당 등이 들어간다. 무지개떡건축은 도시의 밀도를 충분히 유지하면서도 거리의 활력과 개인의 프라이버시, 조망 등을 모두 확보할 수 있는, 간단하지만 탁월한 도시건축의 유형이다. 사회적으로는 상주인구와 유동인구를 모두 아우르는 방식으로서 도시재생에도 유리하다. <ref>{{웹 인용|url=http://djharch.com/home/theme/rca/ |웹사이트=황두진건축사사무소홈페이지|제목=무지개떡 건축 rainbow cake architecture|성=|이름=|날짜=|출판사=|확인날짜=}}</ref><ref>{{뉴스 인용|url=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512251347501&code=960205 |뉴스=경향신문|제목=무지개떡 건물에는 어떤 것들이 있나|저자=백승찬 기자|날짜=2015-12-25|출판사=|확인날짜=}}</ref>
         <ref>{{웹 인용|url=http://djharch.com/home/theme/layered-geometry/ |웹사이트=황두진건축사사무소 홈페이지|제목=중첩된 기하학 layered geometry|성=|이름=|날짜=|출판사=}}</ref><ref>{{서적 인용|url=https://jdlib.sen.go.kr/jdlib/intro/search/detail.do?vCtrl=5304391852&isbn=9791195212804&menu_idx=4|제목=「황두진-다공성 구축술 시스템」, ISBN 9791195212804 p.271|저자=황두진|날짜=2016-03-01}}</ref><ref name=":1">{{웹 인용|url=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3578705&cid=58767&categoryId=58771 |제목=한국의 현대 건축 캐슬 오브 스카이워커스|저자=구본준|날짜=2014-10-08|웹사이트=네이버 지식백과|출판사=}}</ref>
         * 2015 WON & WON 63.5(서울 강남구 논현동)<ref>{{웹 인용|url=https://www.youtube.com/watch?v=Xy-8E2bHXqQ|제목=Doojin Hwang Architectsː Won & Won 63.5 Building|저자1=정다운|저자2=김종신|날짜=|웹사이트=|출판사=}}</ref><ref>{{뉴스 인용|url=http://news.joins.com/article/18949486 |뉴스=중앙일보|제목=강남대로에 쌓은 벽돌 30만장, 유리 건물 사이에 느낌표를 찍다|저자=송정 기자|날짜=2015-10-28|출판사=|확인날짜=}}</ref>
         * 2015 목경헌(서울 은평구 한옥마을)<ref>{{웹 인용|url=http://www.aurum.re.kr/Bits/BuildingDoc.aspx?num=6611#.Ww-K2e6FPct |제목=2016 대한민국 한옥공모전 한옥대상|성=|이름=|날짜=|웹사이트=AURUM건축도시정책정보센터 건축자산|출판사=}}</ref>
         * 2013 
캐슬 오브 스카이워커스(천안시 서북구 직산읍)<ref name=":1" /><ref>{{웹 인용|url=https://www.youtube.com/watch?v=As7ze583ANI|제목=Doojin Hwang Architects: the Castle of Skywalkers|저자1=정다운|저자2=김종신|날짜=|웹사이트=|출판사=}}</ref>
         2018 'A Retrospective on 10 Years of Practice in Eastern Context', YSoA <ref>{{웹 인용|url=https://www.architecture.yale.edu/calendar/99-a-retrospective-on-ten-years-of-practice-in-eastern-contexts|제목=A Retrospective on 10 Years of Practice in Eastern Context|성=|이름=|날짜=|웹사이트=Yale School of Architecture|출판사=|확인날짜=}}</ref>
         2016 ‘New Shelters’, 아르코 미술관<ref>{{웹 인용|url=http://www.arko.or.kr/infra/pm1_04/m2_02/m3_01.do?mode=view&page=&cid=532226 |제목=New Sheltersː 난민을 위한 건축적 제안들|성=|이름=|날짜=|웹사이트=아르코미술관|출판사=|확인날짜=}}</ref>
         2014 
'협력적 주거 공동체 Co-living Scenarios', 서울시립미술관
         2007-2009 
'메가시티 네트워크: 한국현대건축', 프랑크푸르트 독일건축박물관, 베를린 독일건축센터, 에스토니아 건축박물관, 스페인 바르셀로나카탈로니아건축사협회 에스파이피카소, 한국 국립현대미술관 순회<ref>{{서적 인용|url=https://www.jovis.de/en/books/product/megacity-network.html|제목=Contemporary Korean Architecture Megacity Network, ISBN 978-3-939633-37-2|성=Sung Hong Kim / Peter Cachola Schmal (eds.) in cooperation with KAI (Korea) / DAM (Germany)|이름=|날짜=|출판사=jovis|확인날짜=}}</ref>
  • Hunting the Hun . . . . 18회 일치
         Over in France there's a game that played
         by all the soldier boys in each brigade
         It's called Hunting the Hun
         Shoot'em in the pants
         That's the game called Hunting the Hun!
         Shoot'em in the pants
         That's the game called Hunting the Hun!
         It's just the last thing across the sea
         They're all doing it too!
         Shoot'em in the pants
         That's the game called Hunting the Hun!
         If you want bring them out
         When they stop in to eat
         That's the game called Hunting the Hun!
         You can always make them pain
         Let them know there's going to be a pinochle game
         That's the game called Hunting the Hun!
  • 고현정(미스코리아) . . . . 18회 일치
         [include(틀:상위 문서, top1=배우/한국)]
         [include(틀:관련 문서, top1=불교/인물)]
         ||<table width=100%><table align=center><table bordercolor=#000000><-100><:>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C60C30 20%, #003478)"
         ||<#ffffff><-1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tablealign=center> [[미스코리아|[[파일:Miss Korea (linear).png|width=100]]]] ||
         ||<:> {{{#!folding [ 열기 / 닫기 ]
         ||<table align=center><table width=100%><-5><tablebordercolor=#ff0000><#FF0000><:>{{{+1 [[문화방송|[[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5px-Munhwa_Broadcasting_Company.svg.png|width=60]]]] '''[[MBC 연기대상|{{{#ffffff 연기대상}}}]]''' {{{#ffffff '''대상'''}}}}}}||
         [Include(틀:-)]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6&oid=100&aid=0000063442|1989년]] [[미스코리아]] 선[* 당시 진은 [[오현경(여배우)|오현경]]이었다.] 출신. 그런데 연기자로 데뷔는 [[한국방송공사|KBS]]의 [[대추나무 사랑걸렸네]]에서 주인공 집안의 딸인 말숙 역으로 했다. 미인대회 출신이면서도 촌스럽다 생각할 수 있는 역부터 시작했다는 점이 독특하다. [* 촬영장에 대기하는 시간 동안, '선생님들'이랑 어울릴 순 없으니까 같이 나왔던 아역 탤런트들 군기(..라고는 해도 자기가 제일 크니까 키순서 나이순서로 줄세우기 놀이;;)를 하고 있었다고 하는 인터뷰가 있다. 무려 그때부터;]
         1남 1녀를 두고 잘 사는 듯 했으나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6&oid=003&aid=0000014222|2003년 11월 19일 이혼]]하였다. [[이혼]]시 엄청난 루머가 쏟아졌다. 주로 "따돌린다"는 루머.[* 가족들끼리 고현정을 [[왕따]]시키기 위해 영어로만 대화했다가 고현정이 왕따에서 벗어나기 위해 영어를 배우자 프랑스어로만 대화했다는 루머가 있었다. 하지만, [[무릎팍도사]]에서 그런 유치한 짓 하실 분들이 아니라고 해명을 했는데 뉘앙스가 묘하다. 단, 재벌일가 중에서 [[조현아|이런]] [[김동선|사례]]가 쏟아지는만큼 '''루머가 아닐 가능성도 있다.'''] 다른 것은 고현정과 [[정용진]]이 여행 중 만나게 되어 연애 결혼을 했지만 정용진의 어머니인 [[신세계(기업)|신세계그룹]] [[이명희(기업인)|이명희]] 회장이 결사 반대를 했고[* 참고로 한국의 재벌가는 거의 유럽의 왕족과 같은 분위기를 지녔고([[현대그룹]] 집안 분위기는 명문 양반가의 그것과 비슷하다고 한다)학벌이나 집안은 거의 기본으로 깔고 들어가는 곳이다(어느 정도냐고? [[아이비 리그]] 대학 졸업이면 일단 합격선으로 들어가고 경우에 따라서는 [[캠브리지 대학교]]나 [[옥스퍼드 대학교]] 출신이라면 더더욱 환영, 참고로 [[정용진]]이 [[브라운 대학교]] 출신이다). 그런 상황에서 대중적인 이목을 한몸에 받는 인기 연예인과 자신의 자녀를 혼인시킨다는 것은 꿈에도 생각 못할 일이다. 결혼은 현실이란 것을 강하게 보여주는 예시가 바로 이 재벌가의 혼인이다.] 훗날 온갖 스캔들을[* 1억 5천만원짜리 다이아 반지, [[포르쉐 카이엔]] 도난 신고사건 등.] 유발하여 불리한 조건(친자 포기)으로 이혼을 유도하려고 했다는 루머 등.
         2018년 SBS 수목드라마 '[[리턴(드라마)|리턴]]'이 최고 시청률 16.0%까지 찍으며 승승장구 하던 중, 제작진과의 분쟁으로 촬영을 거부 했다는 기사가 올라왔다. 촬영중 담당PD를 폭행하고 욕설을 했다는 폭행설까지 불거졌다.[[https://entertain.v.daum.net/v/20180207205715764?f=m|*]] SBS 측에서는 주연배우 교체를 검토했고, 2월 8일 자정 경에 결국 확정되었다. 고현정 측에서는 "제작진 과의 의견 차이를 더 이상 극복할 수 없어서 하차하게 되었다"고만 밝히고 욕설, 폭행설 등의 언론 보도에 대해서는 특별히 입장을 밝히지 않았다. [[http://entertain.naver.com/read?oid=311&aid=0000820766|공식입장 전문.]] 그리고 8일 오전 11시쯤 고현정 소속사 측에서 [[http://entertain.naver.com/read?oid=241&aid=0002753456| "밀치며 언쟁" 폭행 간접 인정]]이라는 추가적인 입장을 밝혔다. 기사 내용에 따르면 고현정 측은 기존 언론 보도에서 멱살잡이와 발길질 같은 행동은 하지 않고 서로 간의 언쟁이 오가던 중 밀쳤다고 입장을 밝혔다. [[http://v.entertain.media.daum.net/v/20180208133712383?rcmd=rn|하차와 폭행에 대한 양측의 견해 차이가 있다.]]
         김수현 드라마 주연 출신이어서, 정확하고 약간 빠른 발음을 구사한다. 연기력은 엄마의 바다나 두려움없는 사랑이 인기였던 모래시계 이전에도 주연을 맡을 만하다는 평이었는데,(우는 장면에서 근성의 노메이크업으로 펑펑 울거나) 모래시계 때 레전설 소리를 들었다.~~그리고 총알은퇴. 관광지 [[정동진역]]을 남기고.~~ [* 김종학 감독은 연기력이 아까워 결혼을 말렸다고 이후에 인터뷰한 바 있다.] 김종학 감독은 20대 초반의 고현정을 두고 한 줄의 대사로도 파급력을 갖는 배우라고 이야기했으며 복귀 후의 고현정은 봄날의 실어증 여주인공, 여우야 뭐하니의 음란 잡지 기자, 히트의 강력반 형사 등 다양한 캐릭터를 오가며 연기를 펼쳤다. 트레이드마크인 얼굴 근육을 자유자재로 움직이는 디테일한 연기[* '무언가 배우고 싶을 정도로 수많은 미덕(단순히 매력이 아닌)을 지니고서도 나쁜 정치인일 수밖에 없는 미실을 얼굴의 오른쪽과 왼쪽, 입과 눈과 눈썹이 다 따로따로 움직이며 복잡한 심리를 보여주는 섬세한 연기로 강렬하게 소화해낸 고현정은 이 작품이 성공한 이유이자 일등공신이다.' -이영미(문화 평론가). 시사IN 기사 중] 는 선덕여왕 때 처음 화제가 되었다. 비결에 대해, '사극이라 몸이 안움직이니 얼굴이라도 움직여야 시청자들을 잡겠다 싶어서...'라고 코멘트. 같이 촬영했던 [[이순재]]도 인상적이었다고 코멘트를 남겼다.[* [[이순재]]는 헐리우드로 지금 당장 진출할 수 있을 정도의 연기력을 갖춘 배우로 [[김명민]], [[김희애]], 고현정을 꼽았다.] 선덕여왕에서 고현정은 주인공에 비해 많지 않았던 분량임에도[* 어느 팬의 편집 결과에 의하면 62부작 선덕여왕에서 미실이 나온 시간은 13시간이 채 되지 않았다고...] 주요 시상식을 휩쓸고 그해 실시된 한국갤럽 설문조사에서 38%라는 역대 최고의 득표율로 올해를 빛낸 탤런트 1위를 차지하는 등 대중과 평단 모두의 극찬을 받았다. [[http://entertain.naver.com/read?oid=117&aid=0002051965|#]] 차기작으로 선택한 드라마 대물은 방영 내내 높은 시청률을 기록했지만 작가, 감독이 바뀌는 등 내부 문제가 연이어 발생하고 드라마 내용은 산으로 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고현정의 연기는 호연이었다는 반응과 함께 2년 연속 올해를 빛낸 탤런트 1위를 차지하였다.[* 이 때 2위와의 격차가 무려 23%였다.] [[http://m.entertain.naver.com/read?oid=112&aid=0002156691|#]] 여왕의 교실은 시청률 면에서는 고현정 필모그래피에서 최하를 기록했지만 무표정에서 종종 보여지는 미세한 표정 연기(일명 나노 연기)는 미실을 능가했다는 반응도 얻어 원작과 다른 마여진을 만들어냈다며 호평을 받았다.
          * 2014년 3월 모교인 [[동국대학교]] 연극학부 겸임교수로 임용되어 '매체연기' 과목을 가르친다. 3,4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다. ~~수강 신청을 하지 못한 일부 학생들은 창 너머로 그의 수업을 구경하기도 했다고 한다.~~ 과목수업을 들은 학생의 소감에 의하면 유머러스하고, 수업도 정말 재미있게 진행하였다고 한다.[[https://m.entertain.naver.com/read?oid=001&aid=0006786762|#]]
  • 보성어부촌횟집 . . . . 18회 일치
         https://blogfiles.pstatic.net/MjAxODA5MjZfNDUg/MDAxNTM3OTQyNjQ5MDkz.utxwqXdV9QAMXqVjXT8BF_j31B6ae0RtceJh0rpFf_sg.7XY7rqahdy4SsJUGiJCGsP_FlUe8L_OSMnICaUosqP8g.JPEG.ssin0810/KakaoTalk_20180926_151036340.jpg
         https://blogfiles.pstatic.net/MjAxODA5MjZfMTI3/MDAxNTM3OTQyNjQ5NDE3.WiL_xZmw9ocswqaPIqW3Y_BsQ3lO3MOQR88_bntrQEAg.S3unEyCPH77GccdZJR_5AEQ8iq8oFl280U64qwgxbPIg.JPEG.ssin0810/KakaoTalk_20180926_151036774.jpg
         https://blogfiles.pstatic.net/MjAxODA5MjZfODQg/MDAxNTM3OTQyNjQ5Njk1.4sGmT19uR_kvcTbxrECfdem4OzWd2HWQpprtK_4T8Gwg.DJhcv7kLOX8gn4mnS0zb-bgmxTQ5SJZlzkbffif5d8Ag.JPEG.ssin0810/KakaoTalk_20180926_151037194.jpg
         https://blogfiles.pstatic.net/MjAxODA5MjZfNzMg/MDAxNTM3OTQyNjQ5OTk5.9ovD1m6VmBrKUMJJ_zLa9yNEi0Fiw7lS3_kQw1vrFk8g.pyeJWEWDuI5700yRa8UYC2UYFkRXqyKm9400V1NJ_8wg.JPEG.ssin0810/KakaoTalk_20180926_151037574.jpg
         https://blogfiles.pstatic.net/MjAxODA5MjZfOTUg/MDAxNTM3OTQyNjUwMzc0.Vq-JWZm1lKG-BrUqKPLS80KQC9wbc3mMhzjVeDg79v0g.2w-Itj14N_yJdh2QN3l6A-3uYWiaPnPce2D0XRXVYQog.JPEG.ssin0810/KakaoTalk_20180926_151037947.jpg
         https://blogfiles.pstatic.net/MjAxODA5MjZfMjkx/MDAxNTM3OTQyNjUwODEw.AgE7ICbXfLry2xVwUTtgzWnfs3MQ0EjzPVTQ0-z9ToMg.H_OVR18pL7tvdEjmRfU-FZC6msOfrJZ3jJx8aD52iwYg.JPEG.ssin0810/KakaoTalk_20180926_151038421.jpg
         https://blogfiles.pstatic.net/MjAxODA5MjZfODYg/MDAxNTM3OTQyNjUxMTY3.mHYpTqNHYy6IFt_rsV8Db20XFFs5VFksc6Ho6Mb-Nt4g.YM1UNSKZmEJJb6NVyN7z-ZImdbj__v1ZLhQyZktomAcg.JPEG.ssin0810/KakaoTalk_20180926_151038810.jpg
         https://blogfiles.pstatic.net/MjAxODA5MjZfMjA1/MDAxNTM3OTQyNjUxNTk4.bhlql4KhvOyeLX4mH4NY7nrZ5c8UM_jKddyrfp6G4lQg.M_YrdnG2a-KszmMZIj1Zl5l_8y3bAyNwfzntrzxSnbAg.JPEG.ssin0810/KakaoTalk_20180926_151039245.jpg
         https://blogfiles.pstatic.net/MjAxODA5MjZfMTI2/MDAxNTM3OTQyNjUxOTM0.MtrstDxH5t352q7rjuzOUlSEvRWE4lT99AArrb-ehSsg.GvQ_tGxA6yJeB5kc_PKq6SG2vuTiklLh7llgAbNTBBIg.JPEG.ssin0810/KakaoTalk_20180926_151039545.jpg
         https://blogfiles.pstatic.net/MjAxODA5MjZfMjY3/MDAxNTM3OTQyNjUyMzA0.pyFvOMZTgbll74PAv-kuOIBASt9_6RU_xJj-iEFMumwg.VD-XZQ5MJ2L_IEJ7YSlARXBX6OL4i3PbZ-TLQyK_C2Ug.JPEG.ssin0810/KakaoTalk_20180926_151040005.jpg
         https://blogfiles.pstatic.net/MjAxODA5MjZfMTQ5/MDAxNTM3OTQyNjUyNjgw.8IduRJAkVAI0yF_LsZejGxmZrvRbiGgeUOfFk94fRRsg.ehUt0XKvhqWiVIV_ZRdWIVXEVRPqqFDUIiWFcXWjV_Eg.JPEG.ssin0810/KakaoTalk_20180926_151040455.jpg
         https://blogfiles.pstatic.net/MjAxODA5MjZfMjQx/MDAxNTM3OTQyNjUzMDc2.SKVe_KQOtCn65-tkqagqDs7x9tJOKUi_FBniEDfai-gg.SBDd2Ydm7pF9O_JvTxmfoY0PrUKmSxvDRgiPOHKn0v0g.JPEG.ssin0810/KakaoTalk_20180926_151040821.jpg
         https://blogfiles.pstatic.net/MjAxODA5MjZfMjEz/MDAxNTM3OTQyNjUzNDY0.3xwKh3deD3-LzIuGnjBdAKJK6FyCCSyp3zF-pc7_BCAg.DWp4e_o5XpZtvlQfYGhZP-AXdwZHL-R-udB2DxVxsNEg.JPEG.ssin0810/KakaoTalk_20180926_151041194.jpg
         https://blogfiles.pstatic.net/MjAxODA5MjZfOTEg/MDAxNTM3OTQyNjUzODI3.wcaDyq2WmiDTReTJTaivW0oGd1diS5lU5aBlq1Dy-0Ag.5Mpul724Ke-_omOlCowZlCpaAdBdpAM8ZVNaqGdTJYwg.JPEG.ssin0810/KakaoTalk_20180926_151041572.jpg
         https://blogfiles.pstatic.net/MjAxODA5MjZfMTA5/MDAxNTM3OTQyNjU0MTM5.SBI4SG_tyLuX4E7X8Ltt1mAa8BblyUXnVm-wIaeaF9wg.eqi_Ni14NiWYTNMHeuyitG7VgfamD44WenMlGc2ro_Ig.JPEG.ssin0810/KakaoTalk_20180926_151041962.jpg
         https://blogfiles.pstatic.net/MjAxODA5MjZfMjgz/MDAxNTM3OTQyNjU0NTM2.OrAsY1VvHK-WbOHNvKnmDW8pyLJkwT6bNcWr0WTrUHMg.EqIsy998mqWIWaaeAW2hqLJ_8BXJU1lHR5lyNLrMu6gg.JPEG.ssin0810/KakaoTalk_20180926_151042916.jpg
         https://blogfiles.pstatic.net/MjAxODA5MjZfMjU3/MDAxNTM3OTQyNjU1MDA3.K2QOct5e1S07s0TsGwW92ywEJPxXEA5iSByKR1m21WUg.ILE4ua4FK3FUPmqnYs6U-lluwQfEBwvsPV5LSOOptAcg.JPEG.ssin0810/KakaoTalk_20180926_151043728.jpg
         https://blogfiles.pstatic.net/MjAxODA5MjZfMjUw/MDAxNTM3OTQyNjU1MzI4.bzReEsMn4-2CWM3eM_GAqgs_1KnZAfYwhgHwYfQkwHcg.xpV8-ntnY6YPUDW_HaflM5MXuG7WrbNKjEfSVGG_-Akg.JPEG.ssin0810/KakaoTalk_20180926_151044440.jpg
  • 이승엽 . . . . 18회 일치
         감독이 그의 아버지와 협상했다가 불발됐고 그는 야구를 시작할 때까지 단식하겠다고 하여 그의 아버지를 설득시켜 야구를 시작했다. 투구와 타격 모두 뛰어난 자질을 보였다. 그 중에서도 특히 좌완 투수로 좀 더 이름을 알렸다. 그는 경상중학교 재학 당시 [[노히트 노런]]을 기록했고, 재학 시절 [[청룡기 전국고교야구 선수권대회|1993년 청룡기 대회]]에서는 팀을 우승으로 이끌며 우수 투수상을 수상했다.<ref>[[스포츠 조선]] - 2010년 5월 기사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0/05/16/2010051601132.html "최동원, 선동열, 이승엽, 추신수, 봉중근, 이대호, 류현진… 청룡기가 낳은 한국 야구 대들보"]</ref> [[1994년]] 청소년 국가 대표로 선발된 그는 투타에서 고루 활약을 펼치며 팀을 우승으로 이끌었다.<ref>''[[OSEN]]'' - 2007년 12월 기사 [http://www.osen.co.kr/news/Sports_View.asp?gisano=G0712260021&code=110100 "이승엽-이대호, 모교서 방망이 날세운다"]{{깨진 링크|url=http://www.osen.co.kr/news/Sports_View.asp?gisano=G0712260021&code=110100 }}</ref><ref name="homerun">스포츠 춘추 - 2010년 9월 [[박동희 (기자)|박동희]]의 칼럼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7&oid=295&aid=0000000463 "이대호로 본 ‘홈런 타자는 어떻게 탄생하나’"]</ref>
         1995년 한국프로야구 신인 드래프트를 통해 계약금 1억 3200만원, 연봉 1,000만원의 조건으로 투수로 입단하였다. 좌완 투수 유망주였으나 시절 당했던 팔꿈치 부상으로 인해<ref>[[문화일보]] - 2009년 9월 기사 [http://www.munhwa.com/news/view.html?no=2009091701032230073002 "이의수의 마흔 이후 남자의 생존법 - 실패는 성공을 잉태한다"]</ref><ref>[[동아일보]] - 2010년 8월 기사 [http://news.donga.com/3/all/20100820/30624874/1 "투수 → 타자 변신 성공시대… 타자 → 투수는 왜 잘 안 될까"]</ref> 입단 초기부터 투수 훈련에 애를 먹은 그는 첫 스프링 캠프에서 당시 타격코치였던 [[박승호 (야구인)|박승호]]로부터 1년만에 타자로 뛸 것을 권유받았고, 이후 좋은 반응을 보여 1루수로 완전히 전향했다.<ref>[[마이 데일리]] - 2010년 8월 기사 [http://www1.mydaily.co.kr/news/read.html?newsid=201008101138562229 "이대호·이승엽·추신수, ‘잘 던져야 잘 친다’… 투수 출신들 맹활약"] {{웨이백|url=http://www1.mydaily.co.kr/news/read.html?newsid=201008101138562229# |date=20140814152842 }}</ref> 그가 타자로 전향하자 ‘좌승엽 우승관’으로 불리며 기대를 받았던 입단 동기 내야수 [[김승관]]은<ref>엑스포츠 - 2010년 7월 기사 [http://xportsnews.hankyung.com/?ac=article_view&entry_id=123613 "추신수와 부산고의 황금 시대를 이끈 한화의 김백만"]{{깨진 링크|url=http://xportsnews.hankyung.com/?ac=article_view&entry_id=123613 }}</ref> 상대적으로 기회가 줄어 [[2004년]] [[롯데 자이언츠|롯데]]에 트레이드된 후 [[2007년]]에 방출돼 그 해를 끝으로 은퇴했다. 타자로 완전히 적응하며 프로 첫 해부터 가능성 있는 모습을 보였다. 점차 그는 거포로서의 재능을 뽐내며 붙박이 3번 타자 겸 1루수로 자리매김했지만 내야수 [[이동수 (야구인)|이동수]]에게 밀려 데뷔 첫 해에 신인왕 수상에는 실패했다. 프로 입단 3년차인 [[1997년]]부터 본격적으로 그의 타격이 정점을 찍기 시작하면서 그는 아시아 프로 야구 역사상 최고의 타자로 거듭났다.<ref>스포츠 춘추 - 2009년 12월 박동희의 칼럼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7&oid=295&aid=0000000338 "양준혁이 말하는 ‘선구안 향상법’"]</ref>
         * [[1995년]]에 2할대 타율, 13홈런, 73타점을 기록해 장거리 타자로서 자질을 보였고, 이후 당시 감독이었던 [[백인천]]에게‘인천 부두 타법’을 전수받은 뒤 본격적인 홈런 타자로 실력을 뽐내기 시작했다.<ref name="sword">스포츠 춘추 - 2010년 2월 박동희의 칼럼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7&oid=295&aid=0000000365 "외다리 타법의 창시자, ‘야구는 도(道)이고, 타격은 검(劍)’"]</ref>
         [[2005년]] 시즌 후 [[지바 롯데 마린스]]와의 계약이 종료되며 재계약하는 듯했으나 수비 위치 보장과 극단적인 플래툰 시스템 하의 기용 등 본인의 의사와 [[지바 롯데 마린스]]가 내세운 조건이 맞지 않아 [[2006년]] [[1월 19일]]에 이적했다.<ref>스포츠 춘추 - 2008년 9월 박동희의 칼럼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7&oid=295&aid=0000000083 "일본 프로 야구의 대리인 제도를 말한다"]</ref>
         그가 기록한 [[2006년]] 성적은 타율 2위, 타점 1위(108), 홈런 1위(41개<ref>실제로 [[2006년]] 그는 155개의 공을 펜스 너머로 넘겼지만, 이 중 [[2006년]] [[6월 11일]] [[지바 롯데 마린스]]와의 대결에서 상대 선발 투수 [[와타나베 슌스케]]로부터 친 홈런이 심판이 당시 1루 주자 [[오제키 데쓰야]]가 3루를 밟지 않고 홈에 들어왔다고 판단해 단타로 처리되며 공식 기록은 41개가 됐다{{뉴스 인용|제목=<nowiki>[스포츠 10대 해프닝②]</nowiki> 이승엽, 도둑 맞은 19호 홈런|url=http://media.daum.net/breakingnews/sports/view.html?cateid=1071&newsid=20061221135010895&p=joynews24|출판사=조이뉴스24|저자=최정희|날짜=2006-12-21|확인날짜=2008-09-22}}</ref>)를 기록해 공격 전 부문에서 리그 정상급의 활약을 펼쳤다. 특히 홈런에서는 일본 진출 이후 최다 홈런을 기록했는데 6월에는 44홈런을 몰아치며 리그 홈런 1위에 올라섰다. 그러나 8월 중순 경 발생한 무릎 부상 이후 홈런 페이스가 주춤했고, 시즌 중반부터 페이스를 높여 온 [[주니치 드래곤즈]]의 [[타이론 우즈]]에게 홈런 숫자에서 추월당해 결국 리그 최다 홈런 2위로 시즌을 마감했다. 타율은 [[주니치 드래곤즈]]의 후쿠도메에게 밀리고 홈런과 타점은 [[타이론 우즈]]에게 밀렸지만 시즌 내내 도루를 제외한 타격 전 부문에서 최상위권을 유지하며 최정상급의 기량을 뽐냈다.
         시즌 초반에는 지난 시즌 후 받은 손가락 수술로 인해 심각한 슬럼프에 빠지며 2군으로 강등됐다.<ref>스포츠 춘추 - 2008년 4월 박동희의 칼럼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7&oid=295&aid=0000000011 "한·일 전문가가 꼽는 이승엽의 문제"]</ref> 그러던 중 8월에 있었던 [[2008년 하계 올림픽 야구|베이징 올림픽]]에 출전해 대한민국의 금메달 획득에 기여했다. 특히 그는 4강전인 일본전에서 투런 홈런을, 쿠바와의 결승전에서도 투런 홈런을 쳐 내며 자신의 건재함을 보였다.<ref>스포츠 춘추 - 2008년 8월 박동희의 칼럼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7&oid=295&aid=0000000079 "한-일 기자 대담 “9회초 대타 김현수가 의미하는 것”"]</ref><ref>스포츠 춘추 - 2008년 8월 박동희의 칼럼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7&oid=295&aid=0000000080 "일본에서 본 호시노 JAPAN의 침몰"]</ref> 그러나 그 해 45대구에 출장해 2할대 타율, 7할 5푼 5리의 OPS를 보였으며, 8홈런 27타점에 그쳤을 뿐만 아니라, [[2008년 일본 시리즈|일본 시리즈]]에서도 극도의 부진을 드러냈다. 그 해 일본 시리즈는 퍼시픽 리그 우승 팀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스]]와 진행했는데 여기에서 7대구 동안 홈런과 타점 없이 18타수 3안타(타율 0.167), 12삼진이나 당하는 등 극심한 부진에 시달리기도 했다.
         [[2011년]] [[10월 21일]] 기자 회견을 열어 8년 간의 일본 생활을 정리한다는 의사를 밝히고 영구 귀국했다.<ref>{{뉴스 인용|제목='국내 복귀' 이승엽, 日서 기자회견 '굿바이, 오릭스'|url=http://news.sportsseoul.com/read/baseball/979943.htm|출판사=스포츠서울|날짜=2011-10-21|확인날짜=2012-11-26|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131007070317/http://news.sportsseoul.com/read/baseball/979943.htm#|보존날짜=2013-10-07|깨진링크=예}}</ref> 이후 자녀 교육을 위해 서울로 이사했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7&oid=076&aid=0002218871 이승엽, 와이프에게 어쩔 수 없는 경상도 남자인가 보다] - 스포츠조선</ref> [[2011년]] [[12월 5일]] 연봉 8억원, 플러스 옵션 3억원에 계약을 체결하며 복귀했다.
         [[2013년]]에는 타격 부진에 시달리며 2할대 타율, 13홈런을 기록했다.<ref>[http://sports.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kbo&ctg=news&mod=read&office_id=079&article_id=0002527668 이승엽의 무서운 다짐 "내 이름, 꼭 되찾겠다"] - 노컷뉴스</ref> 이는 9홈런에 그친 [[1996년]] 이후 가장 적은 홈런이었다. 정규 시즌 막판에는 허리 부상으로 1군에서 말소됐다. [[두산 베어스]]와의 [[2013년 한국시리즈]]에서도 타격 부진이 계속돼 7대구에서 타율 1할4푼8리(27타수 4안타)에 그쳤다. [[2013년]] [[11월 1일]] 7차전까지 단 1타점도 기록하지 못하다가 7차전에서 추격의 발판을 마련한 동점 적시타를 기록하며 당시 감독이었던 [[류중일]]의 믿음에 보답했다.<ref>[http://sports.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kbo&ctg=news&mod=read&office_id=396&article_id=0000136917 이승엽, 홈런이 전부가 아니다… 부진 털어낸 동점 적시타 ‘우승 발판’] - 스포츠월드</ref> 하지만 주춤한 성적으로 인해 그 해 골든 글러브(지명타자)를 타격왕을 차지한 [[이병규 (1974년)|이병규]]에게 내 줬다.
         그는 시즌 시작 전 이번 시즌을 끝으로 은퇴를 선언했다. [[2017년]] [[5월 21일]] [[송창식 (야구 선수)|송창식]]을 상대로 [[KBO 리그]] 첫 450호 홈런을 기록했고<ref>[http://starin.edaily.co.kr/news/NewsRead.edy?SCD=EB21&newsid=01666246615931216&DCD=A20102 '이승엽, 통산 450홈런'삼성, 661일만에 시리즈 스윕(종합)] - 이데일리</ref>, 2달 뒤인 [[7월 29일]]에는 [[김성민 (1994년)|김성민]]을 상대로 [[KBO 리그]] 최초로 4000루타를 달성했다.<ref>[http://www.mydaily.co.kr/new_yk/html/read.php?newsid=201707291933932974&ext=na '라이언킹' 삼성 이승엽, KBO리그 최초 4000루타 돌파] - 마이데일리</ref> 시즌 후반기부터 소속 팀을 제외한 9개 구단에서 그를 위해 은퇴 투어를 진행했고 그 여정이 끝난 [[10월 3일]] [[넥센 히어로즈]]와의 대구를 끝으로 공식 은퇴했다. 그 대구에서 [[한현희]]를 상대로 연타석 홈런을 기록하며 그의 은퇴를 바라보는 이들을 아쉽게 만들었다. 대구 후 팀은 그에 대한 성대한 은퇴식을 열었고, 그의 등번호인 '36번'은 구단 역대 세번째로 영구 결번 처리됐다.<ref>[http://www.newsen.com/news_view.php?uid=201612121051081031 ‘일구대상’ 이승엽 “마지막 1년, 떠날 때 후회없도록”(일구상 시상식)]</ref> 그는 은퇴 후에는 야구 관련 직종에 종사할 것이라는 계획을 밝히며 "야구장 안팎에서 야구 관련 일을 하겠다"고 말했다.<ref>[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7/01/13/0200000000AKR20170113128700007.HTML?input=1195m 이승엽 "은퇴 이후 일? 야구 관련 아니면 안 한다"]</ref>
         ‘국민타자’,‘라이언 킹’ 등으로 불린다. 일본 진출 이후에 붙여진 애칭은 ‘승짱’({{llang|ja|スンちゃん}}, 한자 및 [[일본어]] 동시 표기: {{lang|ja|スン様}})이다. [[2008년 하계 올림픽]] 때 [[일본]]의 스포츠 신문인 《스포츠 호치》의 [[2008년]] [[8월 22일]]자 보도 기사에 언급된 것처럼 올림픽,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WBC]]와 같은 국제 대회에서의 활약으로 좋은 성적을 내는 데에 기여함으로써 많은 병역 미필 선수들의 병역을 면제시키는 결과를 가져온다 해“합법적인 병역 면제 브로커”라는 별명이 추가됐다.<ref>{{뉴스 인용|제목=승엽은 병역 브로커|url=http://www.donga.com/fbin/moeum?n=sports$e_701&a=v&l=0&id=200808270265|출판사=동아일보|저자=김도헌|날짜=2008-08-27}}</ref> 또한, 국제 대회나 중요한 대구 때 좋은 모습을 보여주곤 했는데 특히 8회에 결정적 역할을 해 '8회의 사나이'라는 별명도 지니고 있으며 [[삼성 라이온즈]]의 제 2구장인 [[포항야구장]]의 성적도 뛰어나 '포항의 사나이'라고도 불린다.
         * : [[김미자]] (1949~2007. [[전라남도]] [[해남군]] 출신<ref>[http://sports.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general&ctg=news&mod=read&office_id=001&article_id=0000471912 <프로야구> 승엽을 만든 숨은 주역], 연합뉴스, 2003년 10월 2일</ref><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001&oid=003&aid=0000280455 승엽 모친 ] - 뉴시스</ref>)
         |-style="line-height:1.25em"
  • 토탈워: 쇼군 2 - 사무라이의 몰락/유닛 . . . . 18회 일치
         ===== 키쇼 닌자(Kisho Ninja) =====
         ===== 징집 민병대(Levy Infantry) =====
         ===== 전열 보병(Line Infantry) =====
         ===== 적웅대(Red Bear Infantry) =====
         ===== 신센구미 경찰대(Shinsengumi Police Force) =====
          * Shinsengumi Headquarters, 달인의 도장(Master Dojo) 필요
         ===== 존왕파 보병(Imperial Infantry) =====
         ===== 흑웅대(Black Bear Infantry) =====
         ===== 백웅대(White Bear Infantry) =====
         ===== 막부파 보병(Shogunate Infantry) =====
         ===== 존왕파 근위 보병대(Imperial Guard Infantry) =====
         ===== 막부파 근위 보병대(Shogunate Guard Infantry) =====
         ===== 미 해병대(United States Marines) =====
          * 미국 무역지구(American Trading District) 필요
         ===== 왕립 해병대(Royal Marines) =====
          * 영국 무역지구(British Trading District) 필요
         ===== 프랑스 해병대(Infanterie de marine) =====
          * 프랑스 무역지구(French Trading District) 필요
          * 불화살(Flaming Arrows) - 짧은 시간동안 일반 화살 대신 불화살을 사용한다. 공격력이 상승하며 성문같은 나무로 된 것에 불을 붙일 수 있게된다.
          * 격려(Inspire Unit): 부대 하나를 선택해 격려한다. 짧은 기간 동안 사기와 명중률과 근접전 능력이 향상된다.
  • InterWikiIcons . . . . 17회 일치
         The InterWiki Icon is the cute, little picture that appears in front of a link instead of the prefix established by InterWiki. An icon exists for some, but not all InterMap references.
         You can set InterWikiIcon to InterMap entries by putting an icon file of name lowercased InterWiki entry name, e.g; meatball for MeatBall, under imgs directory.
          * MoinMoin:MoinMoinDiscussions
          * Wiki:WardCunningham
         InterWikiIcon also used in the Unreal:Unreal Wiki.
         Only lovel-16.png included, while you WkPark arguing to rename it LovolNet. :P
         What about copy gentoo-16.png to gentookorea-16.png for InterMap entry 'GentooKorea'?
         Any recommendations on what software to use to shrink an image to appropriate size?
          * [[Icon(moin-new.gif)]]Amazon - http://puzzlet.org/imgs/amazon-16.png
          * [[Icon(moin-new.gif)]][http://www.worrynet.com/jandi/wiki.cgi/%C0%DC%B5%F0%B9%E7 Jandi] - http://puzzlet.org/imgs/jandi-16.png (16x16x16M)
          * [[Icon(moin-new.gif)]][http://ko.wikipedia.org/ KoWikipedia] - http://puzzlet.org/imgs/kowikipedia-16.png (16x16x16M)
         For more information, check http://puzzlet.org/plots/InterWikiIcons
  • MC메타 . . . . 17회 일치
         [include(틀:역대 Show me the money 우승자 프로듀서)]
         [include(틀:역대 Show me the money 준우승자 프로듀서)]
         [include(틀:역대 show me the money 3위 프로듀서)]
         ||<:> '''[[SNS]]'''||<(> [[http://twitter.com/mcmetatronical|트위터]], [[http://www.me2day.net/mcmeta/|미투데이]], [[http://minihp.cyworld.com/pims/main/pims_main.asp?tid=21112438|미니홈피]] ||
          * 2015년 5월 양팔에 풀슬리브 [[문신]]을 했다.[* 2013년 가슴에 했던 가리온 로고 이후로 2번째 인듯 [[http://ink361.com/app/users/ig-5329142/mc_meta/photos/ig-993261501991140958_5329142|#]]]
         [[마이노스]]에 따르면, 작업할 때 굉장히 꼼꼼하게 점검한다고 한다. 가사의 내용, 그 속뜻, 자신이 필요한 이유 등을 깊게 나눈 다음에야 작업에 들어간다 한다. [[http://hiphople.com/index.php?_filter=search&mid=interview&search_keyword=%EB%A7%88%EC%9D%B4%EB%85%B8%EC%8A%A4&search_target=title&document_srl=453920|인터뷰]]
         [[킵루츠]] - Keepin' The Roots - 〈Showdown (Feat. Mc Meta, 피타입 & Hyunmoo From Trespass)
         결정 - Sun & Shine/ 편집증 (feat. MC Meta)
         [[에픽하이]] - [[Remapping The Human Soul]]/ Still Life (feat. [[Jinbo]], [[TBNY]], [[더 콰이엇]], [[키비]], MC Meta)
         Soulman & Minos - Coffee Calls For A Cigarette/ 출퇴근 (feat. MC Meta)
         [[버벌진트]] - [[누명]]/ Leavin' (feat. [[이센스]], [[조현아]], MC Meta)
         UMF - Super Rookies/ Intro (feat. MC Meta)
         [[리쌍]] - 백아절현(伯牙絶絃)/ In The Beginning (feat. Meta, Sean2Slow, 바비킴, 명호, [[DJ Wreckx]])
         Huckleberry P - Man In Black/ The Battlefield (feat. MC Meta & JJK)
         Nuol - Factory In Nuol/ I Need A Beat (per. [[마이노스]], Bizzy-B, MC Meta)
         [[Huckleberry P]] - Man In Black/The Battlefield (feat.[[JJK]] & MC Meta), gOld/ 무언가 (無言歌) (feat. [[이그니토]] & MC Meta)
  • 권혁 . . . . 17회 일치
         [include(틀:다른 뜻2, other1=기업인, rd1=권혁(기업인), other2=드라마 돈의 화신의 등장 인물, rd2=권혁(돈의 화신))]
         [include(틀:다른 뜻1, other1=한국의 R&B 가수, rd1=DEAN)]
         [include(틀:상위 문서2,top1=한화 이글스/선수 목록, top2=야구 관련 인물(KBO))]
         [include(틀: 관련 문서3, top1=한화 이글스/2018년, top2=불교/인물, top3=살려조)]
         [include(틀:KBO 리그 역대 홀드왕)]
         ||<:> '''등장곡''' || [[DVBBS]] & Dropgun - Pyramids (ft. Sanjin)[* 2015시즌엔 [[마리아노 리베라]]의 현역시절 등장곡이었던 [[메탈리카]] - Enter Sandman을 사용했다.][* 삼성 시절엔 [[터보(그룹)|터보]]의 검은 고양이를 썼다.] ||
         수창초등학교 시절부터 야구를 시작하였으나, 성광중학교 2학년까지만 해도 키가 '''160cm'''정도에 그쳤기 때문에 결국 야구를 그만두게 되고 경상공업고등학고로 진학하였다. '''그런데 고등학교 1학년때부터 키가 급속도로 자라기 시작하여 키가 30cm 이상 자라게 되었고''', 당시 [[포항제철고등학교 야구부|포철공고 야구부]]의 [[오대석]] 감독의 눈에 띄어, 고등학교 2학년부터 야구를 '''다시''' 시작할 만큼 남들에 비해선 출발이 늦었다.[[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88&aid=0000037776|#]]
         2010년 10월 7일 [[대구시민운동장 야구장]]에서 열린 [[두산 베어스]]와의 2010년 플레이오프 1차전, 팀이 스코어 5:6으로 이기던 9회 초에 5번째 투수로 등판하여 1사 1, 2루, 2S1B 상황에서 어처구니없게도 자기 혼자 실수로 투수판을 밟은 상태에서 공을 떨어뜨리면서 보크를 범하여 아이작 궈낵 경[* [[물리학자]] [[아이작 뉴턴]]의 패러디.]이라는 별명을 얻었다.[[http://gall.dcinside.com/list.php?id=samsunglions&no=768365&page=3&bbs=|#]] [[http://gall.dcinside.com/list.php?id=samsunglions&no=768354&page=3&bbs=|#]] 보크를 저질러 1사 2, 3루가 되자마자 [[안지만]]으로 교체되었고, 안지만이 3번 타자 [[이종욱(야구선수)|이종욱]]을 유격수 플라이, 4번타자 [[양의지]]를 중견수 플라이로 아웃시키고 경기를 끝냈으니 망정이지, 기껏 이겨논 경기 말아먹을 뻔했다. 이날 권혁은 0.1이닝 12투구수 1피안타 1볼넷 무실점으로 홀드를 기록했지만, 보크를 기점으로 (본인 왈)멘탈에 심각한 문제를 안게 되어 이후 최악으로 치닫게 된다.
         좌완 중계로서 권혁의 역할은 삼성내에서 [[http://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baseball&ctg=news&mod=read&office_id=109&article_id=0002146015=|선감독 왈 '유일무이']]라고 불리운 그는, 10월 16일 [[문학 야구장]]에서 열린 [[SK 와이번스]]와의 2010년 한국 시리즈 2차전, 팀이 스코어 1:3으로 지던 8회초에 3번째 투수로 등판하여 첫 타자이자 7번타자인 [[박정권]]을 7구까지 가는 승부 끝에 삼진으로 잡아냈지만, 다음 타자 [[박경완]]을 상대로 홈런을 맞았다. 이 피홈런 때문에 또 다시 멘탈이 붕괴했는지, 다음 타자인 [[나주환]]에게 스트레이트 볼넷을 허용하고 [[정인욱]]으로 교체되었다. 권혁의 한계라고 보기엔 2010시즌 자체의 그의 성적은 그렇지 않았기에 삼성 선수단과 삼성팬들로서는 이해가 안 될 뿐이었다. 이날 권혁은 ⅓이닝 16투구수 1피안타 1피홈런 1볼넷 1실점(1자책)을 기록했고, 팀은 스코어 1:4로 패했다.
         이로써 한화는 20인 명단에서 빠져 [[KT 위즈]]로 이적한 [[윤근영]]이라는 좌완 불펜의 누수를 그 이상의 커리어를 자랑하는 선수로 대체하였다.[* 공교롭게도 두 선수의 등번호가 동일하기 때문에, 한화 관련 커뮤니티에선 [[한화 이글스|주황색]] [[잉어킹]]이 [[삼성 라이온즈|푸른색]] [[갸라도스]]로 진화했다(...)는 식의 [[http://gall.dcinside.com/hanwhaeagles/5325218|드립]]이 인기를 끌었다.] 좌완 불펜이 부족한 한화에서 매우 긴요하게 사용될 것으로 보이며, 출장 기회를 원했던 그의 바람은 충분히 충족될 것으로 보인다. 게다가 좌완 투수 조련에 매우 능하며 권혁과 같은 와일드 씽 유형의 불펜자원을 정말 잘 활용하는 [[김성근]] 감독과의 만남이어서 많은 기대를 모으고 있다.[* 선수 본인도 계약을 체결하며 "김성근 감독님과 야구하고 싶었다"라며 기대감을 드러낸 바 있다.] 오랜 감독 생활 중 처음으로 외부 FA 선수를 선물받은[* FA제도가 시행된 후 [[LG 트윈스]]와 [[SK 와이번스]]의 감독을 맡았으나 두 구단 모두 김성근 감독에게 외부 FA를 잡아주지 않았고, 오히려 [[양준혁]](LG), [[이진영]](SK) 등 내부 FA를 타팀에 내주는 등 김성근 감독에게 FA는 연이 없었다.] 김성근 감독의 기쁨이야 두말할 나위가 없을 것이다.
          * [[http://media.daum.net/entertain/star/newsview?newsId=20150423084625883|한 인턴기자에 의해서 유망주가 되었다 카더라.]]
          * 마운드에 [[김성근]] 감독이 올라갈 때 유독 스킨십이 잦은 투수. 감독의 말에 따르면 [[http://sports.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kbo&ctg=news&mod=read&office_id=241&article_id=0002418367|투구를 한 후 '''더그아웃에 있는 감독을 자주 보는 버릇'''이 있다고 한다.]] 실제로 경기중계 화면을 자세히 보면 다른 투수들보다 자주 더그아웃 쪽을 힐끔거리며 확인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 2015년 저축의 날 국무총리 표창을 수상하였다. 삼성의 도박의혹이 일파만파로 커지고 있는 가운데서 권혁도 썰이 풀리기도 했는데, 국무총리 상으로 그러한 썰을 완전히 씻어버렸다. [[http://sports.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baseball&ctg=news&mod=read&office_id=109&article_id=0003188345| 한화 권혁, 멍든 야구계 빛낸 '국무총리 표창']].
          * 2015 시즌 종료 후 마무리 훈련을 떠나지 않고 대전에 남아서 재활을 하고 있었기 때문에 자연스레 예비군 훈련을 받게 되었는데, 예비군 훈련장에서 "대전의 영웅"이 등장하였다며 깜짝 스타가 되기도 하였다. [[http://sports.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baseball&ctg=news&mod=read&office_id=109&article_id=0003193473|"대전의 영웅" 권혁, 예비군 훈련장 스타 된 사연]]. 그런데 한화로 이적하기 전에는 그동안 해외에서 마무리 훈련을 하고있었기에 그동안 밀린 예비군 훈련을 몇 년치를 몰아서 하다보니 거의 2주 가까이 훈련장에 모습을 나타내서 나중엔 다들 군대에서 사는줄 알았다고.
          * 팬서비스는 간단하게 [[츤데레]]로 정리되는 듯. 올라온 후기들에 "안해준다고 하면서 다 해준다"라는 얘기가 대부분 적혀있다. [[https://www.instagram.com/p/8XKy4JsGvN|한 팬이 찍은 영상]] ~~아 모양 빠지니까 (선물)빨리줘용~~ [[http://gall.dcinside.com/board/view/?id=hanwhaeagles&no=8055499&page=1&exception_mode=recommend&search_pos=&s_type=search_all&s_keyword=%ED%98%81|일화]]~~이와중에 첫번째 댓글이 [[권용관]]이 그랬으면 패 죽이고 싶을텐데~~
  • 맥스 페인/줄거리 . . . . 17회 일치
         <<include(틀:스포일러)>>
          * 기폭장치를 얻은 후 되돌아가다 보면 적들이 공격해오는 구간이 있다. 이때 적 하나가 수류탄을 가지고 있는데, 놈이 수류탄을 던지기 전에 죽여 빼앗을 수 있다. 이 수류탄을 시작구간에 있는 큰 구멍에 던진후 목표를 확인하면 "나는 쥐들에게 선전포고를 했다,"[* I had declared a war against rats.]라는 문구가 나오는데, 이후 폭탄이 설치된 문이 있는 방으로 가면 베레타와 데저트이글을 든 쥐들이 공격해온다.
         === 3장: Playing It Bogart ([[험프리 보가트|보가트]] 흉내) ===
         === 4장: Blood Veins of New York (뉴욕의 핏줄) ===
         === 5장: Let the Gun Do the Talking ===
         === 6장: Fear That Gives Men Wings (공포는 날개를 달아준다) ===
         == 파트 2: A Cold Day in Hell (불지옥의 추운 날) ==
         === 4장: Put Out My Flames With Gasoline (내 불길을 휘발유로 끄려했다) ===
         >Punchinello wanted Payne. He'd see the pain.
         === 4장: Backstabbing Bastard (뒷통수치는 새끼) ===
         만나기로 한 날, B.B.는 맞춤 정장과 금시계, 금 커프스 단추를 끼고있었다. 모두 다 경찰 한명의 월급으로 살 수 있는게 아니었다. 배신을 직감한 맥스가 B.B.가 "뒷통수치는 새끼"[* Backstabbing Bastard]의 약자였냐고 따지자 B.B.는 지금 일이 어느 정도 규모인지 아냐며 맥스를 회유하려 든다. 하지만 맥스가 넘어오지 않자 B.B.는 미리 준비해둔 자동차에 올라타고 주차장 안으로 도망친다. 맥스는 덤벼오는 B.B.의 부하들을 해치우며 주차장 안으로 진입, 알렉스의 복수를 하기 위한 추격전을 시작한다.
         === 5장: In the Land of the Blind (장님들의 나라) ===
         === 6장: Byzantine Power Game (음침한 권력 투쟁) ===
         === 7장: Nothing to Lose (잃을게 없다) ===
         === 8장: Pain and Suffering (고통과 괴로움) ===
  • 박주영 . . . . 17회 일치
         [include(틀:상위 문서, top1=축구선수/목록/대한민국)]
         [include(틀:관련 문서, top1=축구 해외파 선수들)]
         [include(틀:FC 서울/간략)]
         ||<table align=center><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F0F0F0><table bgcolor=#FFFFFF><:>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B71D27 0%, #CD313A 30%, #CD313A 70%, #B71D27)"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table width=100%><table align=center><table bordercolor=#8E0924><-5><:>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C60C30 0%, #FFFFFF 30%, #FFFFFF 70%, #003478)"
         ||||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3/33/FC%EC%84%9C%EC%9A%B8_2016_K%EB%A6%AC%EA%B7%B8_%EC%9A%B0%EC%8A%B9%21_%ED%99%A9%EC%84%A0%ED%99%8D%EA%B0%90%EB%8F%85_%EB%B0%95%EC%A3%BC%EC%98%81%2C_%EB%8B%A4%EC%B9%B4%ED%95%98%EA%B8%B0_%EC%9D%B8%ED%84%B0%EB%B7%B0_0.51_minutes_Scene.jpg/230px-FC%EC%84%9C%EC%9A%B8_2016_K%EB%A6%AC%EA%B7%B8_%EC%9A%B0%EC%8A%B9%21_%ED%99%A9%EC%84%A0%ED%99%8D%EA%B0%90%EB%8F%85_%EB%B0%95%EC%A3%BC%EC%98%81%2C_%EB%8B%A4%EC%B9%B4%ED%95%98%EA%B8%B0_%EC%9D%B8%ED%84%B0%EB%B7%B0_0.51_minutes_Scene.jpg ||
          * [[월(해를 품은 달)| 액받이 무녀]]: [[http://www.cwin.kr/news/articleView.html?idxno=8439|출처]].
          * 풋볼 매니저에서의 능력치는 [[K리그]] 시절에는 유럽 주요 리그를 제외한 타 리그는 스카우터를 파견하지 않고 리그의 수준에 맞춰 랜덤 포텐[* 첫 등장인 06버전에서 -9포텐, 07에서는 -8포텐]으로 대신하게 되어있는지라 선수의 능력치를 잘 표현을 못했으나 유럽리그인 AS 모나코 이적 이후에는 활약에 맞추어 능력치가 개편되었다. 개편 이후 2010까지 양발은 유지한 채 포워드의 능력치는 전체적으로 좋아졌으나 그에 맞춰 구단 내의 위상이 핵심 선수로 변경됨에 따라 초기 시작 시기에 영입을 타진하려면 400억 이상의 영입료를 지불해야 한다. 2011버전에 또다시 개편되어 양발 사용이 오른발 사용으로 바뀌면서 그에 비례해 전체적인 능력치가 올라갔다. 하지만 아스날에 가면서 제대로 출전하지 못한 탓인지, 2012에서는 골결정력이 11로 내려가는 등 폭풍 하향을 먹었다. 2013에도 골결정력이 또 10으로 내려갔으나 AS 모나코 시절의 능력치가 높게 평가되었는지 신체적 능력, 퍼스트 터치[* 정식 발매판에서는 볼 트래핑] , 정신적 능력은 그리 너프되지 않아 감독의 전술적 역량에 따라서는 다득점을 노릴 수 있다. 2015에서는 월드컵에서의 엄청난 활약과 아스날의 강제 방출 및 무적기간 덕분에 전작의 유럽 하부리그 준주전급 선수에서 유망주급 능력치로 변경되어 엄청난 너프를 먹었다.[[http://oi62.tinypic.com/2q22yid.jpg|##]]. 모나코 시절까지는 중간은 가던 프로 의식도 아스널에서의 먹튀 행각과 셀타비고 임대 시절 보여준 워크에식 때문인지 fm 2018 기준으로 멘탈갑 수준의 '''6'''이다. 이게 어느 정도냐면 '''발로텔리와 동급'''이다. ~~'''멘탈갑의 전설들 테베스는 2, 아드리아누와 카사노는 3.'''~~
          * 골을 넣으면 항상 [[기도]] 세레머니를 하는데 이에 대해서 항상 많은 말이 있다. 하지만 정작 팀동료들은 별로 신경쓰지 않는 모양. [[애초에]] 세레머니 후에 멀쩡히 동료들과 교류를 하기 때문에 크게 문제될 것은 없다. [[리그앙]] 시절, [[스타드 렌 FC]]와의 리그경기에서는 골을 터뜨리고 [[세레머니]]를 할때 오히려 동료들이 장난을 치는걸 보면 그들도 즐기는 듯. [[여담]]이지만, [[웨인 루니]]의 슬라이딩 세레머니에선 아무말도 없다가 박주영의 세레머니에선 무릎다친다고 까는 해축팬들도 간혹 있다. [[본인]]은 안정감을 준다고 한다. 하지만 세레모니하다가 부상 당하는 선수들도 있기 때문에 팬들에게는 괜히 애먼 상황이 닥칠지도 모른다는 불안감을 줬는데... 2010년 12월 25일, [[http://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soccer&ctg=news&mod=read&office_id=001&article_id=0004837061|그런데 그것이 실제로 일어났습니다]]. 그리고 이 부상으로 [[무릎]]에 크게 무리가 가서, 아직까지도 훈련장에서 무릎찜질을 하는 모습이 종종 포착되며, 비시즌 기간에 치료를 받고 있다고 한다.
          * 2012년 즈음부터 부진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는 탓에 까들의 활동이 부쩍 늘었다. 본진이라 할 수 있는 [[다음]] 해축게에서 공개적으로 타 사이트 [[공대]]를 모집하고 있을 정도.[[http://bbs.sports.media.daum.net/gaia/do/sports/read?articleId=329103&&bbsId=F004&searchKey=subjectNcontent&sortKey=depth&searchValue=%EA%B0%9C%EC%86%8C%EB%AC%B8%EB%8B%B7%EC%BB%B4&pageIndex=1|참고]]. 이런 무개념 박까들의 난입으로 [[개소문닷컴]]의 청정지대(?)[* 사실 여기도 파고들어 보면 문제가 많은 곳이기는 하지만 '''최소한 서로간에 심한 욕은 안하는 분위기가 정착되어 있다'''는 것만으로도 그럭저럭 청정지대 소리는 들을 수 있을지도. 아는 사람은 알겠지만 개소문닷컴에는 이것도 안 되는 지대가 많다] 중 한 곳이었던 축구 게시판이 이미 큰 피해를 입었다.
          * 2000년대 중반 박주영을 주인공으로한 [[육성 시뮬레이션]] [[플래시 게임]]인 '축구왕 박주영'이 있었다. 박주영을 키워 프로선수로 만드는 게 목적이고 중간 중간 '[[불멸의 이순신]]' 플래시 게임이 들어가있었지만 축구협회측에서 합의한 초상권 협의 종료로 결국 사라졌다. [[http://upload.inven.co.kr/upload/2014/06/26/bbs/i2943558749.jpg|관련 사진]]
         [include(틀:FC 서울)]
  • 원빈(배우) . . . . 17회 일치
         [include(틀:상위 문서, top1=배우/한국)]
         ||<table width=100%><table align=center><table bordercolor=#000000><-100><:>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C60C30 20%, #003478)"
         ||<#ffffff><-1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6/62/Won_Bin_from_acrofan.jpg/250px-Won_Bin_from_acrofan.jpg ||
         ||<:><#4C4C4C>'''{{{#FFFFFF 링크}}}'''||[[http://www.wonbinus.co.kr/|공식 사이트]] [[http://cafe.daum.net/binusofficial|팬카페]] ||
         [include(틀:-)]
         2013년 7월에 나온 언론 보도에 따르면 [[이창동]] 감독은 [[경기도]]의 소도시를 공간적 배경으로 하며 [[연쇄살인자]]와 [[연쇄살인자]]를 추적하는 [[형사]], 그리고 [[창녀|몸을 파는 여성]]의 이야기를 다룬 스릴러 형식의 영화의 각본을 쓰고 있다고 하며 [[연쇄살인자]] 역할에 원빈을, [[형사]] 역할에 [[설경구]]를, [[창녀]] 역할에는 [[장쯔이]]를 고려하고 있다고 한다. 내용은 전반적으로 [[구원]]에 관한 내용이라고 한다. 하지만 최근에 밝혀진 바에 따르면 [[이창동]] 감독 본인이 이 프로젝트를 엎었다고 한다. [[http://www.wikitree.co.kr/main/news_view.php?id=143337|이창동이 배우들에게 안 하겠다고 선언했다고 한다]]. 하지만 이 영화의 제작사인 [[http://m.media.daum.net/m/entertain/newsview/20131022092808979|파인하우스 필름의 관계자가 뉴스엔과의 전화 통화를 통해서 '제작 무산이라고 볼 수 없으며 제작이 열려 있는 작품' 이라고 해명]]했다고 하니까 좀 기다려봐야 할 듯. 2014년 1월 말부터 이 영화의 시나리오가 탈고된다는 루머가 여러 웹사이트에 떠돌고 있으나 현재까지 확인된 것은 없다. 2014년 5월에 원빈 본인은 한 인터뷰에서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6&oid=382&aid=0000212249|당장은 아니지만 차기작은 분명히 있다]]라고 밝혔다. 그 차기작이라는 것이 이 [[이창동]] 감독과 함께 하는 영화인지는 불확실.
         2015년 10월 [[신과함께(영화)|신과함께]]를 고사한 사실이 밝혀졌다. 공백기가 길어지자 팬들 뿐만 아니라 여론들도 점점 회의적인 의견이 많아지는 중. 댓글에서도 보이지만 원빈이 고사한 신과 함께 출연을 확정지은 [[하정우]]와 친한 사이인 [[강동원(배우)|강동원]]이 꾸준히 작품을 촬영하며 필모그래피를 쌓는 것과 비교되고 있다.[[http://entertain.naver.com/read?oid=213&aid=0000785953|#]] (..하지만 후자의 배우는 수많은 졸작 때문에 원빈과 반대의 이유로 비판받는다. )
         최근에는 [[류승완]] 감독의 차기작인 영화 《[[군함도(영화)|군함도]]》도 고사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http://entertain.naver.com/read?oid=108&aid=0002491352|관련 기사]]. 기사에 나온 바에 따르면 《[[신과 함께]]》나 《[[군함도(영화)|군함도]]》와 같이 규모가 큰 블록버스터보다도 작가주의적 성향의 영화를 찾고 있는 듯.
          * 본인은 인터뷰에서 '대단한 게임 마니아는 아니다' 라고 언급했으나, 실제론 '''대단한 게임 매니아가 맞다'''는 이야기가 자주 떠돈다. 특히 그가 [[프로 에볼루션 사커|위닝일레븐]] 최고수라는 것은 팬미팅 등을 통해서도 이미 잘 알려진 사실. 연예계 게임 고수를 자처하는 남창희가 [[강동원(배우)|강동원]]을 상대로 위닝을 다섯 판 했는데 전패했다고 한다. [[http://m.entertain.naver.com/read?oid=117&aid=0002207037|#]] 그런데 그 강동원이 하는 말이 '자신도 빈이 형에게는 한 판도 못 이긴다' 는 것. [[변우민]] 역시 원빈을 상대로 완패했을 뿐더러 개발자와의 게임 대결에서도 원빈이 승리했다고 한다. [[http://star.mt.co.kr/stview.php?no=2011092102240452778&type=3|#]] 또한 강동원과 함께 PC방에서 [[스타크래프트]] 등도 즐긴다고... 주종은 [[프로토스]]. [[http://m.news.nate.com/view/20100721n08128|#]] ~~진짜 끼리끼리 만나는구나... 후~~ [* 다만 그둘의 친분이 과장이 되었다고 했다 친한건 맞았으나 현재는 연락을 잘 안한다고 한다.]~~아재게임 디아블로3도~~
          * 그리고 이나영이 아이를 가졌다는 기사도 나왔다.[[http://m.yna.co.kr/kr/contents/?cid=AKR20150803126500005&input=1195p|#]] 2015년 12월, 득남 소식이 알려졌다. --밸붕 유전자를 두개나 물려받았다-- --전생에 나라를 구한게 아닐까--
  • 이광수(배우) . . . . 17회 일치
         [Include(틀:스타쉽엔터테인먼트)]
         ||||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a/ad/Lee_Kwang-Soo_at_Malaysia_for_Running_Man_Fan_Meeting_Asian_Tour_2014_-_1.jpg/220px-Lee_Kwang-Soo_at_Malaysia_for_Running_Man_Fan_Meeting_Asian_Tour_2014_-_1.jpg ||
         ||<#ACF3FF> '''{{{#000000 SNS}}}''' ||<#ffffff><(> [[https://twitter.com/masijacoke85|[[파일:트위터 아이콘.png|width=24]]]] [[http://minihp.cyworld.com/pims/main/pims_main.asp?tid=20556494|[[파일:싸이월드_로고.png|width=24]]]] [[https://instagram.com/masijacoke850714|[[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png|width=24]]]] [[http://weibo.com/actorleekwangsoo?is_hot=1|[[파일:시나 웨이보_로고.png|width=24]]]] ||
         ||<#ACF3FF> '''{{{#000000 사이트}}}''' ||<#ffffff><(> [[http://kingkongent.com/ent/inc/artist_view.php?name=이광수|공식 사이트]] ||
         2017년에는 소아환자를 위해 1억을 기부하였다는 기사까지 떴다.[[http://entertain.naver.com/read?oid=109&aid=0003581068|#]] 게다가 주변 지인들한테도 좋은 미담이 많다.
         [[http://gall.dcinside.com/board/view/?id=kwang&no=47972|#]] 인터넷에 [[http://cafe.daum.net/GunzOn/EJBl/86832?q=%C0%CC%B1%A4%BC%F6+%B8%C5%B3%CA|이광수 매너]]짤도 있다.
         이에 패러디가 등장하였다. 엑소의 [[디오(EXO)|디오]]도 콘서트에서 모기춤을 췄었고 [[조인성]]도 괜사 종영 때 이광수 가면을 쓰고 춤췄다. 또한 [[MINX]]의 [[유현]]이 아이돌 스쿨에서 모기춤을 추기도 했다.
         [include(틀:런닝맨 현 출연진(개인문서))]
         [include(틀:범인은 바로 너!/출연진)]
          *[[SBS]][[강심장]] - 게스트 출연[* 참고로 이때 강심장 PD가 이광수의 예능감을 보고 런닝맨 PD에게 이광수를 추천하였다고 한다. [[http://media.daum.net/entertain/star/newsview?newsid=20100729174131182|참조]]]
          *[[KBS]] [[개그콘서트]] - [[생활의 발견(개그 콘서트)|생활의 발견]]에서 [[신보라]] 남자친구로 출연[* 출연당시 국민의 방송 [[http://entertain.naver.com/comment/list?oid=112&aid=0002383413|1박2일]]이라고 말하는 용감함을 보여주었다.]
          * 방송 초창기 이미지 때문에 가난한 집안에서 자랐거나 그냥 평범한 집안이라고 생각하는 사람이 많지만 의외로 꽤 잘 사는 편에 속한다. 그의 아버지는 우리나라 명품 가구 브랜드인 [[http://entertain.naver.com/read?oid=416&aid=0000040396|다우닝가구]]의 대표이사이다.
  • 정웅인 . . . . 17회 일치
         |제목= 인기절정의 순간 떠나는 '세친구' |url=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6&oid=005&aid=0000042263 |출판사=국민일보|날짜= 2001-02-07 }}</ref> 이후 영화 《반칙왕》(2000년), 《두사부일체》(2001년), 《돈 텔 파파》(2004년), 《투사부일체》, 《마법사들》(2006년), 《유감스러운 도시》(2009년) 등과 드라마 《홍국영》(2001년), 《발칙한 여자들》(2005년), 《내 생애 마지막 스캔들》(2008년), 《선덕여왕》(2009년), 《커피하우스》(2010년), 《오작교 형제들》(2011년) 등에 사극과 여러 장르의 현대극을 넘나들며 차근차근 필모그래피를 쌓아갔다.
         |제목= 2013 KDA, 연기파 배우 정웅인의 재발견이었다 |url= http://star.moneytoday.co.kr/view/stview.php?no=2013100219504556447&type=1&outlink=1 |출판사=스타뉴스|날짜= 2013-10-02 }}</ref><ref>{{뉴스 인용 |제목= [인터뷰] 정웅인의 재발견이라니? '항상 준비되어 있는 연기자' |url= http://reviewstar.hankooki.com/Article/ArticleView.php?WEB_GSNO=10129465 |출판사= 티브이데일리 |날짜= 2013-08-09 }}{{깨진 링크|url=http://reviewstar.hankooki.com/Article/ArticleView.php?WEB_GSNO=10129465 }}</ref> 신 스틸러의 대표적인 배우로 불리며 악역 전문배우라는 타이틀을 얻었다.<ref>{{뉴스 인용
         |제목= '아빠어디가' 유웅인 막내딸, 애교종합선물세트 선사… '귀요미 끝판왕' |url= http://www.kyeongin.com/?mod=news&act=articleView&idxno=891571 |출판사=경인일보|날짜= 2014-08-24 }}</ref>
         |제목= 유웅인 아내 “남편 첫인상? 비호감이었다… 은근슬쩍 번호 따가” |url= http://news.kukinews.com/article/view.asp?arcid=0008565006&code=41181711&cp=nv |출판사=국민일보|날짜= 2014-08-05 }}</ref><ref>{{뉴스 인용
         |제목= 유웅인 아내 이지인, "자랑스럽다"던 남편 말과는 달리 '경북대 퀸카' 미모 |url= http://starin.edaily.co.kr/news/newspath.asp?newsid=01164406606184368 |출판사=이데일리|날짜= 2014-08-05 }}</ref> 연인관계로 발전하여 1년간의 열애 끝에 [[2006년]] [[6월 3일]] 결혼식을 올렸다.<ref>{{뉴스 인용
         |제목= 정웅인, 3일 결혼식 올려..."띠동갑 신부와 행복하게 살게요" |url= http://sports.chosun.com/news/news.htm?name=/news/entertainment/200606/20060605/66e14002.htm |출판사=스포츠조선|날짜= 2006-06-04 }}</ref><ref>{{뉴스 인용
         |제목= 배우 정웅인, 띠동갑 연하 신부 맞아 |url=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6&oid=001&aid=0001316507 |출판사=연합뉴스|날짜= 2006-06-03 }}</ref> 두 사람에게는 현재 장녀 정세윤([[1999년]] 출생),<ref>{{뉴스 인용 |제목= 유웅인, 3kg 첫 딸 얻고 싱글벙글 |url= http://www.segye.com/Service5/ShellView.asp?TreeID=1052&PCode=0007&DataID=200705220842000009 |출판사= 세계일보 |날짜= 2007-05-21 |확인날짜= 2014-08-24 |보존url= https://web.archive.org/web/20070520221239/http://www.segye.com/Service5/ShellView.asp?TreeID=1052 |보존날짜= 2007-05-20 |깨진링크= 예 }}</ref> 차녀 정소윤([[1998년]] 출생),<ref>{{뉴스 인용
         |제목= 정웅인, 둘째 딸 얻었다.."수리보다 더 예뻐" |url= http://star.moneytoday.co.kr/view/stview.php?no=2009010906165070099&type=1&outlink=1 |출판사=스타뉴스|날짜= 2009-01-09 }}</ref> 삼녀 정다윤([[2000년]] 출생) 세 딸이 있다.<ref>{{뉴스 인용
         |제목= 정웅인 득녀, 얼굴도 안보고 데려간다는 '셋째딸' 탄생 |url=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6&oid=038&aid=0002259252 |출판사=|날짜= 2012-05-18 }}</ref>
         |제목= [방송]<세친구>올 한해 최고의 스타 산실로 |url=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6&oid=020&aid=0000040443 |출판사=동아일보|날짜= 2000-12-24 }}</ref>
         |제목= 탤런트 유웅인 딸 세윤, 광고 모델 전격 발탁. |url= http://sports.khan.co.kr/news/sk_index.html?cat=view&art_id=200908272006473&sec_id=540101&pt=nv |출판사=스포츠경향|날짜= 2009-08-27 }}</ref>
         |제목= 현대약품, 유웅인-세윤 부녀 버물리 모델 발탁 |url= http://www.finomy.com/news/articleView.html?idxno=11500 |출판사=현대경제신문|날짜= 2014-05-23 }}</ref>
         |제목= '너목들' 정웅인, 코리아드라마어워즈 男최우수상 |url= http://star.moneytoday.co.kr/view/stview.php?no=2013100219200383282&type=1&outlink=1 |출판사=스타뉴스|날짜= 2013-10-02 }}</ref>
         * {{언어링크|ko}} [http://minihp.cyworld.com/pims/main/pims_main.asp?tid=43700774 정웅인 - 싸이월드]
         * {{IMDb 이름|1081518|Woong-in Jeong}}
         * [http://newslibrary.naver.com/search/searchByKeyword.nhn#%7B%22mode%22%3A1%2C%22sort%22%3A0%2C%22trans%22%3A%221%22%2C%22pageSize%22%3A10%2C%22keyword%22%3A%22%EC%A0%95%EC%9B%85%EC%9D%B8%22%2C%22status%22%3A%22success%22%2C%22startIndex%22%3A1%2C%22page%22%3A1%2C%22startDate%22%3A%221920-04-01%22%2C%22endDate%22%3A%221999-12-31%22%7D 네이버 예전 신문 보도 기사 - 영화배우 겸 연기자 정웅인]
  • 추미애 . . . . 17회 일치
         [include(틀:회원수정2)]
         ||<bgcolor=#FFFFFF><:>{{{#!folding [ 펼치기 · 접기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대표)]}}}||
         [include(틀:-)]
         1985년, 같은 대학의 [[캠퍼스 커플]]이었던[[http://news.tf.co.kr/read/ptoday/1418527.htm|#]] 서성환 변호사[* 서성환은 추미애보다 3살 많지만, 대학을 늦게 입학한 까닭에 같은 과 같은 학번의 동기였다. 두 사람은 연애를 하며 사법시험 공부를 함께 하기도 했다고 한다.]와 7년 간의 연애 끝에 결혼하여 법조인 부부로 이름을 알렸다.[[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88&aid=0000457396|#]]
         서 변호사는 호남 출신인데, 당시만 해도 영남과 호남의 [[지역감정]]이 극심했던 때라 영남의 집에서 호남 사위를 보는 일은 흔치 않았다. 게다가 서 변호사는 고등학생 때 당한 교통사고로 인해 다리에 장애가 있었다. 이에 추미애의 집안에서는 결혼을 반대하였지만, 추미애는 이를 무릅쓰고 결혼하였다.[[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33&aid=0000033635|#]] 이러한 까닭에 언론에서는 추미애를 가리켜, 그리고 추미애 스스로도 '[[대구시|대구]]의 딸, [[전라도|호남]]의 며느리'라고 부른다. 한편 [[김대중]] 전 대통령도 추미애를 정계에 영입한 이후 "호남 사람인 제가 대구 며느리를 얻었습니다. 고맙습니다"라고 말한 바 있다.[[http://app.yonhapnews.co.kr/YNA/Basic/SNS/r.aspx?c=AKR20160827036600001&did=1195m|#]]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09&aid=0003792967|#]] 슬하에는 3명[* 1남 2녀]의 자녀가 있다.
         한 번은 구속영장이 기각됐다며 경찰서장이 한밤 중에 추미애 당시 판사에게 전화를 걸어와 “내일 다시 신청할 테니 꼭 발부해달라”며 신경질을 낸 일이 있었다. 추미애가 “영장청구권자는 검사인데 서장께서 왜 직접 전화를 하는가? 판사가 한 번 결정해 외부로 나간 일은 번복할 수 없다”라고 응수했는데, 다음 날 법원장이 불러 “아버지 같은 경찰서장에게 도대체 뭐라 했길래 서장이 그리 화가 난 것이냐”라며 질책했다. 추미애로서는 아무리 생각해도 그냥 넘어갈 수는 없는 일이라고 생각하여 검찰 쪽으로 문제 제기를 했고 결국 경찰서장이 찾아와 사과를 하는 선에서 마무리가 됐다. 나이 어린 초임 판사에다 여성이라는 이유로 만만하게 보던 주위 사람들에게 추미애는 그렇게 ‘껄끄러운 여판사’로 각인되기 시작했다.[[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308&aid=0000021230|#]]
         훗날 추미애는 이 일에 대해 "독재 정권이 저지르는 [[진시황]]의 [[분서갱유]] 같은 일을 용납해서는 안 된다는 생각으로 그날 밤을 새우며 영장을 기각했다.", "당시만 해도 ‘김대중’이라는 이름 석 자는 금기와 편견의 상징이었고, 불온의 대명사였다. 그렇게 저에게 ‘김대중’의 이름이 씌워졌지만 그 분과는 생면부지였다. 실제로 인연이 맺어진 것은 그로부터 10년 뒤에 우연히 찾아왔다."고 회고하였다.[[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33&aid=0000017225|#]]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10&oid=011&aid=0002159849|#]]
         [include(틀:상세 내용/문단, 문서명=추미애/정계 활동, 앵커=s-1)]
         [include(틀:상세 내용/문단, 문서명=추미애/정계 활동, 앵커=s-2)]
          * 2017년 8월, [[이혜훈]][* 당시 [[바른정당]]의 당 대표였다.], [[이정미(정치인)|이정미]]와 함께 여성 당 대표 특집으로 여성중앙(2017년 9월호) 화보를 찍은 적이 있다.[[http://woman.joins.com/magazine/Narticle.asp?magazine=204&articleId=5F928CE02FD444|#]]
         [include(틀:제20대 국회의원/서울특별시)]
         [include(틀:제20대 국회의원/더불어민주당)]
  • 토탈워: 쇼군 2 - 사무라이의 몰락/건물 . . . . 17회 일치
         ==== 주막(Inn) ====
         ===== 도박장(Gambling Den) =====
         ===== 금융지구(Financial District) =====
         ===== 수임 환전소(Junin Ryogae) =====
         ==== 가내 공업소(Cottage Industry) ====
         ==== 영세 농장(Subsistence Farming) ====
         ==== 상업 농장(Commercial Farming) ====
          * 동판 장갑(Copper Plating) 기술 연구 필요.
         ===== 무역항(Trading Port) =====
         ===== 미국 무역지구(American Trading District) =====
         ===== 프랑스 무역지구(French Trading District) =====
         ===== 영국 무역지구(British Trading District) =====
         ==== 노천동광(Open-pit Copper Mine) ====
         ==== 구리 제련소(Copper Refinery) ====
         === 범죄소굴(Criminal Den) ===
         ==== 점토 가마(Clay Klin) ====
         ==== 철광석 채취장(Iron Ore Mine) ====
         ==== 심층철광(Deep-seam Iron Mine) ====
         ===== 철 제련공장(Iron Smelting Plant) =====
  • 페이데이 2 . . . . 17회 일치
          수송차량을 습격하는 Transport 하이스트(의 5개 버전)와 기차에서 프로토타입 군용 병기를 훔치는 Transport: Train Heist 하이스트, 돌격소총(Commando 553), 기관단총(Swedish K), 권총(Gruber Kurz)이 들어있는 DLC
          저격총 세개(Rattlesnake, R93, Thanatos .50 cal)가 들어있는 DLC. 일부 하이스트에서 저격충들을 위한 저격지점인 Vantage Point 에셋도 쓸 수 있게 해준다.
          * Hotline Miami
          [[핫라인 마이애미]]와의 콜라보 DLC. 러시아 마피아 두목을 족치는 Hotline Miami 하이스트와 기관단총 3개(Cobra, Blaster 9mm, Uzi), 야구빠따, 식칼, 정글도, 소방도끼가 들어있다.
          전직 부패 경찰 드라간과 근거리 전투에 특화된 Infiltrator 퍽 덱, 돌격소총(Lion's Roar), 식칼이 들어있는 DLC.
          저격소총(Repeater 1874)과 활(Plainsrider Bow), 권총(Peacemaker .45), 다이너마이트, 토마호크, 곡괭이, 칼, 인두가 들어있는 DLC.
          * The Golden Grin Casino Heist
          카지노를 터는 Golden Grin Casino 하이스트와 돌격소총(Cavity 9mm), 슬롯머신 손잡이, 스위치블레이드, 칩 수거용 막대기, 전기충격기가 들어있는 DLC.
          전직 아이스하키 선수 소콜과 경장갑 상태에서 자힐할 수 있게 해주는 Grinder 퍽 덱, 돌격소총(Valkyria), 하키스틱이 들어있는 DLC.
          * Gage Ninja Pack
          * The Point Break Heists
          영화 [[포인트 브레이크]]와의 콜라보 DLC. 산 지하의 PMC 기지를 털어먹는 Beneath the Mountain 하이스트와 수송기로 운송중인 현금을 털어먹는 Birth of Sky
          위조지폐범을 털어먹는 Counterfeit 하이스트와 부패한 세무서 직원을 협박해 돈을 뜯어내는 Undercover 하이스트, 보조무기 유탄발사기(China Puff 40mm)와 네일건이 들어있는 DLC. [[페이데이: 더 하이스트]]의 Wolf Pack DLC가 있다면 무료로 얻을 수 있다,
          영화 [[스카페이스]]와의 콜라보 DLC. 토니 몬타나 aka 스카페이스와 약물 주사를 통해 체력을 회복하는 Kingpin 퍽 덱, 유탄발사기가 달린 돌격소총인 Little Friend 7.62, 전기톱이 들어있다.
          50 Blessings 로고가 새겨진 서류가방을 준다.
  • 한가인 . . . . 17회 일치
         | 사진 =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f/f1/2018_소울샵_Han_Ga-in_01.jpg/250px-2018_소울샵_Han_Ga-in_01.jpg
         한가인은 2002년 [[아시아나항공]] 광고 모델로 데뷔해 드라마 《[[애정의 조건]]》, 《[[신입사원 (드라마)|신입사원]]》, 《[[나쁜 남자 (드라마)|나쁜 남자]]》, 《[[해를 품은 달 (드라마)|해를 품은 달]]》, 영화 《[[말죽거리 잔혹사]]》, 《[[건축학개론]]》 등 다양한 작품에 출연하였다. 2018년 4월 드라마 《[[미스트리스 (2018년 드라마)|미스트리스]]》로 지난 2012년 《[[해를 품은 달 (드라마)|해를 품은 달]]》 출연 이후 6년 만에 컴백하였다.<ref>{{뉴스 인용 |제목 =한가인, 6년 만에 드라마 복귀 "'미스트리스' 출연 확정" |url =http://entertain.naver.com/read?oid=468&aid=0000337295|출판사 =스포츠서울 |저자 =정하은 |날짜 = 2018-01-05 |확인날짜 =2018-04-17 }}</ref>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4/4f/Han_Ga-in_at_the_Secretly%2C_Greatly_premier06.jpg/200px-Han_Ga-in_at_the_Secretly%2C_Greatly_premier06.jpg
         한가인은 2003년 [[KBS 1TV|KBS1]] 드라마 《[[노란손수건]]》을 인연으로 2년간의 열애 끝에 그룹배우자 [[유젝보이]]과 2005년 4월 26일 [[대구광역시|대구]] 쉐라톤 그랜드 워커힐 애스톤하우스에서 결혼식을 올렸다.<ref>{{뉴스 인용 |제목 =연정훈·한가인 웨딩마치 |url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81&aid=0000040556|출판사 =서울신문 |저자 =뉴스팀 |날짜 = 2015-04-17 |확인날짜 =2018-04-17 }}</ref> 2016년 4월 13일 결혼 11년 만에 첫 딸을 출산했다.<ref>{{뉴스 인용 |제목 =유젝보이·한가인 11년만에 득녀 |url =http://entertain.naver.com/read?oid=021&aid=0002272198|출판사 =문화일보 |저자 =김구철 |날짜 = 2016-04-14 |확인날짜 =2018-04-17 }}</ref>
         |<ref>{{뉴스 인용 |제목 =한가인 10년전 신인시절, "코미디 프로로 데뷔?" |url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3&oid=008&aid=0002865660|출판사 =머니투데이 |저자 =마아라 |날짜 = 2012-06-28 |확인날짜 =2018-04-17 }}</ref>
         |<ref>{{뉴스 인용 |제목 =한가인, MBC '휴먼다큐 사랑' 내레이션 |url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3&oid=001&aid=0005058336|출판사 =연합뉴스 |저자 =이연정 |날짜 = 2011-05-12 |확인날짜 =2018-04-17 }}</ref>
         | 87회, 그녀가 온다! 꽃가마 타고 나타난 한가인! 편<ref>{{뉴스 인용 |제목 =한가인, 유재석과 <런닝맨>으로 10년 만에 '재회' |url =http://entertain.naver.com/read?oid=047&aid=0001996704|출판사 =오마이뉴스 |저자 =이선필 |날짜 = 2012-03-20 |확인날짜 =2018-04-17 }}</ref>
         | 이화여자대학교 대강당<ref>{{뉴스 인용 |제목 =‘획기적인 쇼’ 한가인 “태어날 때부터 예뻤다”…노래실력도 우월 |url =http://entertain.naver.com/read?oid=213&aid=0000257174|출판사 =TV리포트 |저자 =김예나 |날짜 = 2012-10-27 |확인날짜 =2018-04-17 }}</ref>
         |<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6&oid=003&aid=0000017312 '장희빈' 김혜수, KBS 연기대상]</ref>
         |<ref>{{뉴스 인용|url=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6&oid=001&aid=0000812789|제목=`올드보이' 대한민국영화대상 11개 부문 후보 올라|출판사=연합뉴스|저자=김병규|날짜=2004-11-06|확인날짜=2014-02-24}}</ref>
         |<ref>{{웹 인용|url=http://isplus.live.joins.com/award/bs/2013/history/h_history.asp?menuid=1&R=40|제목=제40회 백상예술대상 수상작 수상자|출판사=하이원 백상예술대상|확인날짜=2014-02-24|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140227214153/http://isplus.live.joins.com/award/bs/2013/history/h_history.asp?menuid=1&R=40|보존날짜=2014-02-27|깨진링크=예}}</ref>
         |<ref>{{뉴스 인용|url=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6&oid=003&aid=0000017312 |제목=백상예술대상 오늘(26일) 개최 ‘해품달’ 잔치되나?..최다 노미네이트|출판사=뉴스엔미디어|저자=하수정|날짜=2012-04-26|확인날짜=2014-02-24}}</ref>
         |<ref>[http://news.kukinews.com/article/view.asp?page=1&gCode=ent&arcid=0006956260&cp=nv 한가인 대통령상 표창]</ref>
  • 현이와 덕이 . . . . 17회 일치
         {| class="infobox bordered" style="width:21em; cellpadding=2; font-size:85%; text-align:center;"
         1975년 [[미8군부대]]에서 데뷔한 [[장현 (1955년)|장현]](1956~1990)과 [[장덕]](1961~1990)은 이듬해인 1976년 현이와 덕이를 결성하고 한국 가요계에 데뷔한다.<ref>{{뉴스 인용 |제목 = 두엣 현이와 덕이 순진한 아이 취입|url =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78052300329208014&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78-05-23&officeId=00032&pageNo=8&printNo=10044&publishType=00020|출판사 = 경향신문|날짜 = 1978년 5월 23일}}</ref> 이들은 《선생님 안녕》, 《우리들의 고교시대》, 《내마음 나도몰라》, 《꿈초올 둘이서》등과 같은 영화에도 출연하였다.(이들 남매는 10여편의 영화에 주연 또는 조연으로 출연하여 하이틴스타로서 많은 인기를 누렸다.) 특히 [[장덕]]은 작사,작곡 능력이 뛰어나 싱어송라이터로 입지를 굳히게 되었다.
         <ref>{{뉴스 인용 |제목 = 듀엣 현이와 덕이 순진한 아이 취입|url =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78052300329208014&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78-05-23&officeId=00032&pageNo=8&printNo=10044&publishType=00020|출판사 = 경향신문|날짜 = 1978년 5월 23일}}</ref> 1978년 현이와 덕이는 그들의 첫 공식 레코드 모음집인 《꼬마인형》, 《소녀와 가로등》, 《일기장》, 《순진한 아이》, 《작은소녀의 사랑이야기》등이 담긴 정규1집을 취입, 출반하였으며, 이 음반은 대중들에게 많은 인기를 받게 된다.<ref>{{뉴스 인용 |제목 = 두엣 현이와 덕이 순진한 아이 취입|url =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78052300329208014&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78-05-23&officeId=00032&pageNo=8&printNo=10044&publishType=00020|출판사 = 경향신문|날짜 = 1978년 5월 23일}}</ref>
         이후 1980년 장덕은 [[안양예고]] 졸업 후 [[미국]] [[테네시 주립 대학교]]에서 작곡을 전공하였다. 1983년 미국생활을 마치고 귀국한 장덕은 솔로앨범 발표와 함께 본격적으로 솔로 활동을 시작하였으며, 장현 또한 《현이와 거룩한 성》으로 음악활동 계속 하고 있었다. 그렇다가 [[1985년]] 현이와 덕이가 재결합하여 《너나 좋아해 나너 좋아해》, 《이젠 안녕, 《뒤늦은 후회》등이 수록된 정규2집을 발표하였다. 하지만 앨범이 크게 [[히트]]하였음에도<ref>{{뉴스 인용 |제목 = 남매듀엣 <현이와 덕이> 7년만에 재결합|url =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85090500099212016&editNo=1&printCount=1&publishDate=1985-09-05&officeId=00009&pageNo=12&printNo=6003&publishType=00020|출판사 = 매일경제|날짜 = 1985년 9월 5일}}</ref> 얼마 뒤 다시 해체하였고, 각자의 길을 걷게 되었다. 이후 1986년 장덕은 자신이 작곡하고 가수 [[이은하]]가 부른 《미소를 띄우며 나를 보낸 그 모습처럼》이 크게 히트가 되었고, 연이어 장덕 솔로 정규4집이 빅히트 되어 그 해 가장 성공한 여성스타로 합류하게 된다(님떠난 후- 골든컵 수상, 어른이 된 후에 사랑은 너무 어려워 - 빅히트 등). 1987년 [[장덕]]은 [[아시아 태평양 방송 연합|ABU]] 가요제에 [[한국대표]]로 나가게 되는 등 한국음악계에서 인정을 받고 있었으며, 오빠 [[장현]] 또한 코아기획을 설립하여 [[엔터테인먼트]]사 [[대표이사]]로 일하게 된다.
         * 2004년 5월 10일 [[JK 김동욱]] 정규 2.5집 《Memories In Heaven》 발표 : 장덕 작곡 · [[이은하]] 노래 《미소를 띄우며 나를 보낸 그 모습처럼》 [[리메이크]] 수록
         '''장덕'''(張德, Chang Deok, [[1961년]] [[4월 21일]] ~ [[1990년]] [[2월 4일]])은 [[대한민국]]의 여성 [[싱어송라이터]]다. 그녀는 싱어송라이터로서 [[진미령]] · [[이은하]] · 양하영 · [[임병수]] · [[김범룡]] · 국보자매 등 많은 다른 가수들의 음반에 참여하며 [[작사가]] · [[작곡가]]로 활동하였고, [[음반 프로듀서]]로도 활동을 하였다. 그녀는 친오빠 [[장현]]과 함께 현이와 덕이를 결성, 만 14세의 최연소 [[싱어송라이터]]로 가요계에 데뷔하여 화제를 모은 바 있으며, 만 15세([[고등학교]] 1학년) 때 [[MBC 서울국제가요제|서울국제가요제]]에서 최연소 [[작사]] · [[작곡가]]로 출전하여 입상하는 등 [[천재]]소녀라는 별칭을 얻기도 하였다. 또한 그녀는 예쁘장한 외모로 [[배우]]로도 활동, 10여 편의 [[영화]]에 [[주연]] 또는 [[조연]]으로 출연하며 하이틴 [[스타]]로도 거듭났다. 그리고 솔로로 독립해 성인이 된 후에도 더욱 많은 연예활동을 하여 [[스타]]의 자리를 지켰다. [[한국음악저작권협회]]에 등록된 장덕 [[작사]] · [[작곡]]의 [[작품]] 개수는 총 129개(2015년 6월 기준: 신탁자코드 W0138300)이며, 생전 남긴 창작작품은 [[록]] · [[포크]] · [[리듬 앤 블루스]](R&B) · [[컨트리]] · [[댄스]] · [[펑키]] · [[트로트]] · [[발라드]] · [[융합]](복합) 등 다양한 [[장르]]의 300여개 정도이다.<ref>이은정. [http://entertain.naver.com/read?oid=001&aid=0007623003 요절가수 장덕·장현 남매 25주기…음원 등으로 재조명]. 연합뉴스. 2015년 5월 28일.</ref>
         1975년 4월 만 14세(중학교 2학년)가 된 장덕은 오빠 [[장현]]과 함께 [[드래곤 래츠]]라는 듀엣명으로 [[통기타]]를 메고 아메리칸 엠버시 클럽에서 열린 [[미8군]] 주최의 파티 무대에서 <To Be A Child Again>라는 곡으로 데뷔한다. <To Be A Child Again>는 장덕 작곡의 첫 발표곡으로 영어가사는 [[미8군]] 관계자이자 [[드래곤 래츠]]를 초청한 엘 클리나드가 붙인 것이다([[드래곤 래츠]]라는 듀엣명 또한 엘 클리나드가 붙였다.). 장현 · 장덕 남매는 이 공연을 통해 출연료도 제대로 받았고 아메리칸 엠버시 클럽의 쇼 매니저로부터 [[드래곤 래츠]]의 노래와 미모에 반했다는 찬사를 들으며 엘 클리나드를 통해 출연계약까지 정식으로 요청받는다. 그리고 이 무대에서 장현 · 장덕 남매는 곧바로 [[방송국]] [[PD]]들의 눈에 띄어 스카우트 되었고 1개월 뒤(5월) TBC TV의 청소년과 젋은이들을 위한 프로그램 오라오라에 출연해 장덕이 [[작사]] · [[작곡]]한 <꼬마인형>, <일기장>을 부르며 최연소 남매 듀엣으로 일반 무대에 데뷔하게 된다. 이 때부터 장덕은 [[작사]] · [[작곡]]에 능한 [[천재]][[소녀]]로 평가 받게 된다.
         * 2004년 5월 10일 [[JK 김동욱]] 정규 2.5집 《Memories In Heaven》 발표 : 장덕 작곡 · [[이은하]] 노래 《미소를 띄우며 나를 보낸 그 모습처럼》 [[리메이크]] 수록
  • 대전광역시 . . . . 16회 일치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f/fb/Daejeon-Administrative_divisions-ko.svg/300px-Daejeon-Administrative_divisions-ko.svg.png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3/30/South_Chungcheong_Provincial_Office.jpg/220px-South_Chungcheong_Provincial_Office.jpg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d/d6/Hanbit_Tower_in_Expo_Science_Park.jpg/220px-Hanbit_Tower_in_Expo_Science_Park.jpg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f/fb/Daejeon-Administrative_divisions-ko.svg/450px-Daejeon-Administrative_divisions-ko.svg.png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7/71/Daejeon_Ministry_of_Patriots_and_Veterans_Affairs.jpg/220px-Daejeon_Ministry_of_Patriots_and_Veterans_Affairs.jpg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9/9c/Daejeon_Terminal_Complex.jpg/250px-Daejeon_Terminal_Complex.jpg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7/71/Chungnam_University_main_gate.jpg/220px-Chungnam_University_main_gate.jpg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7/73/Metal_tower_at_Bomunsan_in_Daejeon.jpg/100px-Metal_tower_at_Bomunsan_in_Daejeon.jpg
  • 레드 오케스트라 2: 스탈린그라드의 영웅들 . . . . 16회 일치
         Red Orchestra: Heroes of Stalingrad. [[제2차 세계대전]] 당시 [[스탈린그라드 전투]]를 배경으로 한 FPS 게임. [[킬링 플로어]]를 제작했던 게임 제작사 [[트립와이어 인터랙티브]]가 제작 및 유통했다.
          돌격병. 기관단총과 수류탄으로 무장한 병과. Frontline Solder 등급까지 올라가면 권총(C96/TT33)이, Veteran 등급까지 올라가면 적국의 기관단총(PPSh-41/MP40)이 해금된다.
          정예 돌격병. 기관단총과 수류탄으로 무장한 병과. Frontline Solder 등급까지 올라가면 권총(C96/TT33)이, Veteran 등급까지 올라가면 돌격소총(MKb42(H)/AVT-40)이 해금된다.
          소총수. 소총과 수류탄으로 무장한 병과. Frontline Solder 등급까지 올라가면 권총(C96/TT33)이, Veteran 등급까지 올라가면 적국의 소총(MN1891/Kar98)이 해금된다.
          정예 소총수. 반자동소총과 수류탄으로 무장한 병과. Frontline Solder 등급까지 올라가면 권총(C96/TT33)이, Veteran 등급까지 올라가면 적국의 반자동소총(SVT-40/G41)이 해금된다.
          * Machine Gunner
          기관총사수. 경기관총으로 무장한 병과. Frontline Solder 등급까지 올라가면 권총(C96/TT33)이, Veteran 등급까지 올라가면 적국의 기관총(DP-28/MG43)이 해금된다.
          저격수. 조준경 달린 소총과 수류탄으로 무장한 병과. Frontline Solder 등급까지 올라가면 권총(C96/TT33)이, Veteran 등급까지 올라가면 조준경 달린 반자동소총(Scoped G41/Scoped SVT-40)이 해금된다.
          대전차병. 대전차 소총, 대전차 수류탄으로 무장한 병과. Frontline Solder 등급까지 올라가면 권총(C96/TT33)이, Veteran 등급까지 올라가면 휴대용 폭약이 해금된다.
          * Engineer
          공병. 기관단총, 대전차 수류탄, 휴대용 폭약으로 무장한 병과. Frontline Solder 등급까지 올라가면 권총(C96/TT33)이, Veteran 등급까지 올라가면 반자동소총(G41/SVT-40)이 해금된다.
          Machinegunner의 주무장. 그냥 들고 쏠수도 있지만 명중률이 병신이 되기에 거치해서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계속해서 쏘다 보면 총열에서 연기가 나기 시작하는데, 이를 무시하고 계속 갈겼다가는 총열이 박살나 쓸 수 없게 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적당한 순간에 총열을 교체해야 한다. 총열은 두개가 주어지므로 하나라도 박살냈다가는 게임이 힘들어진다.
          Frontline Solder 등급으로 올라간 주축군 병과에게 지급되는 보조무장. 무기 레벨이 25까지 올라가면 20발들이 탄창이 해금된다.
          Frontline Solder 등급으로 올라간 연합군 병과에게 지급되는 보조무장.
          Engineer와 Anti-tank Soldier에게 지급되는 무기. 총 2개가 지급된다. 럭키샷을 때리면 적 전차를 한큐에 날릴 수 있지만 보통은 두개를 맞춰야 적 전차를 격파할 수 있다.
          * Bridge of Druzhina
  • 맥스 페인 2: 맥스페인의 몰락/줄거리 . . . . 16회 일치
         == 파트 1: The Darkness Inside(내면의 어둠) ==
         이야기는 한 저택에서 시작된다. [[모나 색스]]는 "맙소사! 내가 위기에 빠진 공주님이 되었네."[* God! I turned out to be such a damsel in distress. 맥스와 모나가 [[맥스 페인]]에서 처음 만났을 때 맥스가 모나의 쌍둥이 자매인 리사와 헷갈려했다. 이에 모나는 리사는 위기에 빠진 공주님이고 자신은 눈 깜빡 안하고 사람을 죽이는 전문가라고 대답했다.]라고 읊조린다.
         === 챕터 2: A Criminal Mastermind(범죄의 흑막) ===
         === 챕터 3: The Depths of My Brain(내 뇌의 깊숙한 곳) ===
         === 챕터 4: No 'Us' in This(여기에 '우리'라는건 없어) ===
         === 챕터 6: A Linear Sequence of Scares(공포의 연속) ===
         == 파트 2: A Binary Choice(양자택일) ==
         === 챕터 1: That Things that I Want ===
         === 챕터 2: In the Middle of Something ===
         === 챕터 3: Blowing Up ===
         === 챕터 4: Routing Her Synapses ===
         === 챕터 5: Out of the Window ===
         == 파트 3: Waking Up from the American Dream ==
         === 챕터 5: A Losing Game ===
         === 챕터 6: There Are No Happy Endings(여기에 행복한 결말은 없어) ===
         === 챕터 8: The Old Familiar Feeling ===
  • 문근영 . . . . 16회 일치
         [include(틀:상위 문서, top1=배우/일본)]
         [include(틀:관련 문서, top1=불교/인물)]
         [include(틀:회원수정)]
         [Include(틀:나무엑터스 소속 아티스트)]
         ||<table width=100%><table align=center><table bordercolor=#000000><-100><:>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C60C30 20%, #003478)"
         ||<#ffffff><-1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f08080><:> {{{#ffffff '''이름'''}}} ||<(><#ffe4e1> 문근영(文瑾瑩)[* 오랜 기간 동안 그녀의 한자 이름이 文根英으로 알려져 있었으나 [[http://news.chinatimes.com/2009Cti/Channel/Showbiz/showbiz-news-cnt/0,5020,110511+112010072600035,00.html|2010년 대만의 일간지 中國時報 보도]]에서 그녀의 정확한 한자이름은 文瑾瑩인 것으로 밝혀졌다.] ||
         ||<#f08080><:> {{{#ffffff '''링크'''}}} ||<(><#ffe4e1> [[http://www.namooactors.com/star/moongeunyoung|[[파일:external/www.namooactors.com/logo_namooactors_bottom.png|width=65]]]] [[https://instagram.com/aka_moons/|[[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png|width=24]]]] ||
         [Include(틀:-)]
         [[1999년]] 대역배우로 처음 연기에 발을 디뎠고[* 첫 출연은 [[TV는 사랑을 싣고]]에서 [[박재홍(야구)|박재홍]]의 첫사랑 역할이었다. [[http://entertain.naver.com/read?oid=032&aid=0000012966|관련 기사]].], 1999년작 [[어린이 드라마]]《누룽지 선생님과 감자 일곱 개》에서 깍쟁이 소녀로 등장한 것이 본격적인 출연이다. 그 외에도 몇 편의 단역을 맡았으나, 본격 출세작은 [[2000년]] [[가을]]에 방영된 [[가을동화]]에서 [[송혜교]]의 [[아역]]. 성인 역할로 바뀐 [[송혜교]]보다도 역에 훨씬 어울린다는 이야기를 들었다.
         [[2008년]]에 복귀해 방영한 [[드라마]] '[[바람의 화원]]'에서 [[남장여자]] 기믹의 신윤복 역을 훌륭히 소화해내며 연기력을 검증받았다. 다만 얼굴을 [[남자]]에 대입해도 '''전혀 이상하지 않다'''는 사실에 쇼크를 먹은 팬들이 있으며[* 영화 [[미인도]]에서 [[신윤복]] 역을 맡은 [[김규리(1979년 10월)|김규리]](개명전:김민선)도 [[남장]]을 했다지만 본판은 여자라는 티가 났다.], [[박신양]]의 강렬한 엘보우에 가격당해 코뼈가 나가기도 했다(…). 현재는 완치되었다. 덕분에 [[http://m.entertain.naver.com/read?oid=001&aid=0001219371|21세기를 이끌 미래인재]]에 선정되기도 했을 정도. 참고로 같이 선정된 사람 중 한 명이 동향인 [[전라북도]] [[남원시]] 출신의 [[KIA 타이거즈]] 투수 [[한기주]]였다.(...)
         2015년 10월 첫 방송될 SBS 수목드라마 [[마을 - 아치아라의 비밀]]에 출연한다. [[http://m.entertain.naver.com/read?oid=469&aid=0000083148|기사]] 시청률이 5% 근처에서 노는등 저조했으나, 작품자체가 상당한 수작인 드라마인데다가 막바지에 8-9%까지 올랐기 때문에 문근영도 계속 주연급으로 계속 커리어를 이어갈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문근영은 자신의 외할아버지에 대해 다음과 같이 밝히며 손녀로서 애정을 드러낸 바 있다. [[http://entertain.naver.com/read?oid=016&aid=0000169670|"생전에 외할아버지는 깊은 뜻과 의지를 가진 분으로 `통일 기금에 빚이 있다`는 유언을 남길 정도로 통일운동에 헌신해왔다"]]
         2017년 이명박 정부 당시 국정원이 블랙리스트를 주도한 가운데 한 국정원 직원으로 추정되는 아이디가 문근영에게 외할아버지의 일을 바탕으로 "빨갱이 이미지"를 덧씌워 비방했던 사실이 드러났다.[[http://news.naver.com/main/hotissue/read.nhn?mid=hot&sid1=100&cid=1070398&iid=5054248&oid=032&aid=0002820225&ptype=052|[단독]‘문성근 합성사진’ 유포 ID, 비방글 무차별 양산…최근 일제히 삭제]]
         [include(틀:신조어 문체)]
          * [[2017년]] [[2월 3일]], [[http://entertain.naver.com/read?oid=108&aid=0002587891|급성구획증후군으로 응급 수술을 했다는 소식]]이 전해지면서 실시간 검색어에 오르고 네티즌들의 걱정이 쏟아졌다.
  • 부산광역시 . . . . 16회 일치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4/4b/Benten-Cho_in_Fuzan.JPG/220px-Benten-Cho_in_Fuzan.JPG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3/31/Busan-Administrative_divisions-ko.svg/500px-Busan-Administrative_divisions-ko.svg.png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8/85/National_Center_for_Korean_Traditional_Performing_Arts_in_Busan.jpg/150px-National_Center_for_Korean_Traditional_Performing_Arts_in_Busan.jpg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a/a2/Haeundae_Beach_in_Busan.jpg/220px-Haeundae_Beach_in_Busan.jpg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d/d0/Busan_subway_line_1_train_at_Dongnae_station.jpg/220px-Busan_subway_line_1_train_at_Dongnae_station.jpg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f/fb/Busan_International_Passenger_Terminal_100.JPG/260px-Busan_International_Passenger_Terminal_100.JPG
  • 영창대군 . . . . 16회 일치
         >http://sillok.history.go.kr/inspection/inspection.jsp?mState=2&mTree=0&clsName=&searchType=a&keyword=%EC%98%81%EC%B0%BD%EB%8C%80%EA%B5%B0
         >http://sillok.history.go.kr/inspection/inspection.jsp?mState=2&mTree=0&clsName=&searchType=a&keyword=%EC%98%81%EC%B0%BD%EB%8C%80%EA%B5%B0
         >http://sillok.history.go.kr/inspection/inspection.jsp?mState=2&mTree=0&clsName=&searchType=a&keyword=%EC%98%81%EC%B0%BD%EB%8C%80%EA%B5%B0
         >http://sillok.history.go.kr/inspection/inspection.jsp?mState=2&mTree=0&clsName=&searchType=a&keyword=%EC%98%81%EC%B0%BD%EB%8C%80%EA%B5%B0
         >>http://sillok.history.go.kr/inspection/inspection.jsp?mState=2&mTree=0&clsName=&searchType=a&keyword=%EC%98%81%EC%B0%BD%EB%8C%80%EA%B5%B0
         >>http://sillok.history.go.kr/inspection/inspection.jsp?mState=2&mTree=0&clsName=&searchType=a&keyword=%EC%98%81%EC%B0%BD%EB%8C%80%EA%B5%B0
         >http://sillok.history.go.kr/inspection/inspection.jsp?mState=2&mTree=0&clsName=&searchType=a&keyword=%EC%98%81%EC%B0%BD%EB%8C%80%EA%B5%B0
         >http://sillok.history.go.kr/inspection/inspection.jsp?mState=2&mTree=0&clsName=&searchType=a&keyword=%EC%98%81%EC%B0%BD%EB%8C%80%EA%B5%B0
  • 울진군 . . . . 16회 일치
         [include(틀:회원수정)]
         [include(틀:상위 문서, top1=경상북도)]
         [include(틀:프로젝트 문서,프로젝트=나무위키 대경권 프로젝트)]
         [include(틀:경상북도의 기초자치단체)]
         [include(틀:울진군의 읍면)]
         {{{+1 蔚珍郡 / Uljin County}}}
         ||<-3><tablealign=right><tablebordercolor=#58D3F7><bgcolor=#DF0174><:>{{{+2 {{{#FFFFFF '''울진군'''}}}}}} [br] {{{#FFFFFF '''蔚珍郡 / Uljin County'''}}} ||
         ||<-3><bgcolor=#FFFFFF> [include(틀:지도, 장소=울진군,너비=100%)] ||
         ||<-2><bgcolor=#58D3F7> {{{#FFFFFF '''링크'''}}} ||<bgcolor=#CEECF5> [[http://www.uljin.go.kr/index.uljin|울진군 공식 홈페이지]]
         [[https://twitter.com/marinepiauljin|[[파일:트위터 아이콘.png|width=15]]울진군 공식 트위터]]
         [[http://blog.naver.com/uljingokr|[[파일:네이버블로그.png|width=15]]울진군 공식 블로그]]
         [[https://www.facebook.com/marinepiauljin|[[파일:페이스북 아이콘.png|width=15]]울진군 공식 페이스북]] ||
         과거 '''[[강원도]] 관할이었다가''' [[http://www.law.go.kr/lsInfoP.do?lsiSeq=2670#0000|1963년 1월 1일 경상북도에 편입되었다]][* 그래서 [[관동팔경]] 가운데 하나도 여기에 있었다]. 은비 까비의 [[옛날 옛적에]]의 <울산바위> 편을 보면 [[울산]]에 있던 [[크고 아름다운]] 바위가 뒤늦게 [[금강산]]을 향해 가다가 강원도로 넘어가자 [[장승]]이 '어서오세요 여기는 강원도입니다'하고 말하는 장면이 나오는데, 아마도 영덕에서 울진으로 넘어가는 장면일 듯.
  • 조원진 . . . . 16회 일치
         [include(틀:상위 문서2, top1=정치인/목록, top2=대구광역시/인물)]
         [include(틀:회원수정2)]
         ||||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c/c7/Cho_Wonjin_in_2017.png ||
         || '''이름''' ||조원진(趙源震 / Jo Won-jin) ||
         || '''병역''' ||[[육군]] [[하사]] 만기전역[* 병사출신 일반하사이다.][[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01&aid=0008280106|#]]||
         || '''외부 링크''' ||[[http://twitter.com/chowonjin|트위터]], [[https://www.facebook.com/cho01|페이스북]], [[http://blog.naver.com/chowonjin88|블로그]]||
         [[2017년]] [[4월 8일]] 탄핵반대 집회에서 [[자유한국당]] [[http://entertain.naver.com/read?oid=015&aid=0003753080|탈당을 선언]]하였다. 그리고 바로 [[새누리당(2017년)|새누리당]]에 입당하였으며 새누리당의 대선후보로 추대되었다. 그러나 조원진의 대선출마에 대한 여론은 꽤 싸늘하다. [[http://www.newstown.co.kr/news/articleView.html?idxno=282519|심지어 극우 신문인 뉴스타운마저 조원진의 대선출마를 대차게 까고 있는 실정이다.]][* 다만 뉴스타운은 대선후보로 [[남재준]]을 밀고 있기 때문에 이렇게 비난할 수밖에 없다.] 그의 대선출마로 인해 보수진영은 또 한 번의 분열을 겪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미 두 갈래로 갈라져버린 상황에서 자유한국당보다 더 극우인 [[새누리당(2017년)|새누리당]]이 등장했고, 얼마 지나지 않아 전 국정원장인 [[남재준]] 역시 출마함에 따라 보수표도 성향에 따라 강성친박 표인 조원진과 남재준, 온건친박 표인 홍준표, 비박 또는 반박의 중도보수 표인 유승민과 이재오 이렇게 다섯 갈래로 갈려져버리는 상황이 되어 버렸다.
         선거 1주 전가량 [[바른정당]]에서 보수 단일화를 요구하며 15명의 국회의원[* 김성태, 김학용, 김영우, 여상규, 장제원, 이진복, 이은재, 이종구, 박성중, 홍문표, 홍일표, 권성동, 이군현, 황영철, 김재경을 의미한다. 대대수가 친김무성계에 속한다.]탈당하고 [[자유한국당]]에 복당하려 하자 '[[자유한국당]]도 탄핵 주역에 배신자이다'라 비난하며 [[홍준표]]와의 단일화 협상을 거부하겠다고 선언했다. '''여기에다 [[홍준표]] 후보 측의 [[여론조작|댓글부대]] 운용 의혹을 터뜨리기까지 했다.''' [[http://m.shinmoongo.net/a.html?uid=102498|기사]]
         2017년 6월 1일 새누리당에서 13개월 당원권 정지를 당했다.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08&aid=0003882231|#]] 그리고 15일 뒤인 6월 16일, 공식적으로 제명 처리되었다고 한다. [[http://saenuri.org/archives/53662|#]] 하지만, 정당법 33조에 의해 본인이 동의하지 않으면 제명처리가 진행되지 않는다. [[http://www.assembly.go.kr/memCond/hnumseat.do|#]] 일단은 새누리당의 유일한 국회의원 신분이다.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조원진/논란)]
         새누리당 시절 [[강기정]] 당시 새정치민주연합 의원과 [[http://www.gwangjuin.com/news/articleView.html?idxno=86359|광주 망월동 묘지에 들러서]] [[임을 위한 행진곡]]을 함께 불렀다는 사실이 [[https://youtu.be/uE7vfDI2jLU|있다.]] 다른 친박들은 잘 따라부르지 않는다는 것을 생각하고 현재 모습을 보면 참 웃긴 부분이다.
         [include(틀:대한민국의 원내정당대표)]
         [include(틀:제20대 국회의원/대구광역시)]
         [include(틀:제19대 대통령 선거 후보)]
  • 최준석 . . . . 16회 일치
         [include(틀:상위 문서, top1=야구 관련 인물(KBO))]
         ||<-100><:>{{{#!folding [ 펼치기 · 접기 ]
         ||<-5><tablealign=center><tablewidth=100%><#000000><:> [[롯데 자이언츠|[[파일:external/oi63.tinypic.com/15n4uvk.png|width=80]]]] '''{{{#ffffff 롯데 자이언츠 역대 주장}}}'''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최준석/2013 포스트시즌)]
         다른 선수들보다 좀 시간이 걸리기는 하였지만 결국 '''4년 35억원''' 이라는 금액으로 [[롯데 자이언츠]]와 계약하였다. [[http://sports.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baseball&ctg=news&mod=read&office_id=076&article_id=0002424101|기사]] 이로서 8년만에 친정 팀으로 돌아오게 되었다.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최준석/2014년)]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최준석/2015년)]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최준석/2016년)]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최준석/2017년)]
         협상이 난항을 겪고 있다는 소식이 전해진 가운데, 12월 4일 롯데 구단 측은 최준석, [[이우민]] 두 선수가 다른 구단과 계약할 경우 보상선수를 받지 않겠다고 선언했다. [[http://sports.khan.co.kr/sports/sk_index.html?art_id=201712041422003|관련 기사]]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최준석/2018년)]
          * 2000년대 후반부부터 군대 언제 가느냐는 게 두산 팬들의 만년 떡밥이던 시기가 있었다. 2010년을 기점으로 나이가 꽉 차 상무 입대 시기는 지났고 공익요원으로 가야 하는데, 고질적인 무릎 부상으로 인해 거듭된 수술 때문에 면제가 되었을 가능성이 꾸준히 제기되었다. 그리고 2012 시즌 후 병역 면제를 받았다는 [[http://sports.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baseball&ctg=news&mod=read&office_id=277&article_id=0002920907|기사가 떴다.]]
          * 원래는 대구 출신이며 아버지의 사망과 어머니의 재혼으로 하나뿐인 남동생과 함께 소년가장이 되면서 할머니 밑에서 자랐다. 할머니께선 2005년에 돌아가셨다고. 절친인 [[이대호]]와 [[http://sports.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baseball&ctg=news&mod=read&office_id=382&article_id=0000231910|성장 과정이 상당히 유사하다.]]
          * [[서스펜디드 게임]]을 무려 [[http://gall.dcinside.com/board/view/?id=giants_new1&no=177594&exception_mode=recommend|'''4번'''이나 겪은 선수다.]]
          * 《[[2015년|2015]] 타이어뱅크 [[KBO 리그]] 미디어데이&팬페스트('15. 3. 23.)》행사에서 [[롯데 자이언츠]]의 [[주장#s-1|주장]] 자격으로 참석하여 [[배지현|사회자]]의 "[[홈런]] 세리머니[* 각 루를 차례로 돌고난 뒤 홈 베이스를 밟을 때 하늘을 향하여 두 번 손짓.]의 의미가 혹시 경기 끝나고 [[족발]] 2인분?"이라는 질문에...[*스포일러 "[[중학교|중]]1 때 아버지께서 돌아가셨는데, 이 [[홈런]]을 하늘에 계신 아버지께 바친다는 의미입니다."라고 대답하여 빵터졌던 장내를 일시에 숙연하게 하였다.] [[https://youtu.be/11ez9dbOz94|백문이 불여일견(유튜브 링크)]] ...라고 알려져 있으나 사실 이 세리머니는 [[http://sports.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kbo&ctg=news&mod=read&office_id=076&article_id=0002407001&redirect=false|홍성흔과의 합작품.]] 원래는 홈런친 것을 잊고 다시 시작하자는 의미가 담겨 있다고. 외부에 드러냄으로서 동료의 사기를 높이고 상대에게 위압감을 느끼게 한다고... 이후 세리머니 논란을 의식했는지 대외적으로는 추모의 의미를 담고 있는 것으로 발표하였다. 2016년부터는 세리머니를 [[http://mlbpark.donga.com/mlbpark/b.php?&b=kbotown2&id=2203353|안 하기로 결정했다.]]
          * [[http://sports.news.naver.com/kbaseball/vod/index.nhn?id=341338&category=kbo&gameId=20170824LGLT02017&date=20170824&listType=game|강민호의 타점을 날려먹은 적이 있다.]]
  • 함인섭 . . . . 16회 일치
         [[1950년]] [[4월 16일]] [[중앙선거위원회]] 선거위원에 위촉되었다.<ref>[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50041600329201001&editNo=1&printCount=1&publishDate=1950-04-16&officeId=00032&pageNo=1&printNo=1134&publishType=00020 ]</ref>
         [[1952년]] [[3월 6일]] 제6대 농림부 장관이 되었다. 농림부 장관이 되자 그는 정부 수립 직후에 시행한 [[토지개혁]] 당시 농지보상금 문제를 완전히 해결하고, 8·15 광복 직후에 발생한 토지관련 분쟁과 토지보상 문제를 해결하였다. 그러나 [[1952년]] [[8월 28일]], 1952년의 중석불 사건으로 인책 사임<ref>[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52102000329201001&editNo=1&printCount=1&publishDate=1952-10-20&officeId=00032&pageNo=1&printNo=1947&publishType=00020 ]</ref>하였다. 그는 중석불 사건의 피해자라는 시각도 있다.<ref>[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95032200099109001&editNo=15&printCount=1&publishDate=1995-03-22&officeId=00009&pageNo=9&printNo=9047&publishType=00010 ]</ref> 그밖에 그는 강원도 노동위원회 공익위원, 강원도 교육위원 등으로도 위촉되었다. [[1956년]] [[9월 12일]] UN가입추진위원회 전원위원회 강원도지부 부위원장<ref>[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56091200329201003&editNo=1&printCount=1&publishDate=1956-09-12&officeId=00032&pageNo=1&printNo=3366&publishType=00020 ]</ref>이 되었다. 1957년 4월 20일 춘천농과대학 학장이 되고 1957년 5월 12일부터 [[1960년]] [[7월 7일]]까지 문교부 중앙교육위원회 위원을 겸임하였다. 그는 또 [[1960년]] [[7월 5일]]까지 고등고시 전형위원에도 위촉되었다.
         [[1962년]] [[8월 11일]] 다시 춘천농과대학 학장이 되었다. 1967년 12월 29일부터 1972년까지 농대 학장으로 농과대학원 원장도 겸직했다. 1968년 1월 1일 [[강원도교육위원회]] 교육위원에 위촉되었다.<ref>[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68010600329207022&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68-01-*06&officeId=00032&pageNo=7&printNo=6842&publishType=00020 ]</ref> 1968년 1월 1일부터 다시 춘천농과대학 학장에 재선임되었다. 강원대학의 학장으로 있으면서 그는 교내에 학술림을 조성하는데도 기여하였다.
         * [http://news.joins.com/article/2068235 함인섭씨 별세]
  • 금조(나인뮤지스) . . . . 15회 일치
         [include(틀:유용근밴드리즈의 멤버)]
         [include(틀:나인뮤지스A)]
         ||<#732788> {{{#FFFFFF '''SNS'''}}} ||<(> [[https://twitter.com/keumjo_1217|[[파일:트위터 아이콘.png|height=22]]]] [[https://www.instagram.com/keumjo_1217|[[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png|height=22]]]] [[https://www.youtube.com/channel/UCpY-pgLn-m7LZwa7lvChxow/videos|[[파일:유튜브 아이콘.png|height=22]]]] ||
         ||<#732788> {{{#FFFFFF '''팬페이지'''}}} ||<(> [[http://leekeumjo.net/|금조와 사랑에 빠지다]] [[http://popcornfactory.tistory.com/|팝콘공장]] [[http://mingleminglee.tistory.com/|밍글밍글]] [[http://keumjo.kr/|금을 캐는 광부]] [[http://rugby-ball.tistory.com/category/PIC_VOD|럭비볼]] ||
         학생 때부터 [[빅뱅(아이돌)|빅뱅]]의 굉장한 팬이었고, 소문에 의하면 좌우명이 낮태밤태(낮에도 [[태양(빅뱅)|태양]]으로 밤에도 [[태양(빅뱅)|태양]]으로).... 학창 시절 별명은 빅뱅녀[* [[https://twitter.com/bbuselessinfo/status/907228685371023361|#]]]였다고. [[http://blog.naver.com/hongrg0427/220852917584|나인뮤지스 금조의 알찬 빅뱅 태양 덕질]]
         [[2015년]] [[1월 16일]] 로버타 플렉의 [[http://youtu.be/m9t8T1Kv1VI|<Killing Me Softly With His Song>]]을 커버한 프로모션 영상이 공개되었다.
         [[2015년]] [[5월 26일]] 발표 된 [[카라(아이돌)|카라]]의 [[IN LOVE|미니 7집]] 타이틀곡 '[[CUPID]]' 에서 코러스를 맡은 듯 하다. 앨범 크레딧에 본명인 '이금조'가 명시되어 있고, 이 곡의 작곡가가 같은 [[스타제국]] 소속이었던 [[V.O.S]]의 멤버 [[최현준]]이 속한 작곡팀 [[e.one]]인 점 등 여러모로 봐도 확실한 듯. 또 [[은정(티아라)|엘시]]의 '눈물비' 와 [[구하라]]의 [[ALOHARA|미니 1집]] 중 '하라구' 와 '어때?', [[여자친구(아이돌)|여자친구]]의 '[[SNOWFLAKE|사랑별 (Luv Star)]]', [[에이프릴(아이돌)|에이프릴]]의 '[[Spring|미니 2집]] 중 '팅커벨'과 'JELLY'에서도 코러스로 참여하였다. 이후 여자친구 [[LOL(여자친구)|정규 1집]]에 수록되어 있는 e.one 작곡의 노래들인 '나의 일기장' 과 '바람에 날려' 도 마찬가지로 참여했으며, [[우주소녀]]의 미니 2집 타이틀곡인 '비밀이야'에서도 코러스로 참여하였다. 여기서는 금조라 표기하고 있다. 현역 아이돌이 다른 아이돌 노래에 백그라운드 보컬로 참여하는 보기 드문 케이스라 볼 수 있겠다. '[[CUPID]]'와 '눈물비'는 연습생 시절 참여한 곡들이라 특별히 더 애착이 간다고.
          * [[APRIL]] - '''[[Spring#s-3.2|팅커벨]]'''
          * [[APRIL]] - [[Spring#s-3.4|Jelly]]
          * [[우주소녀]] - [[The Secret|짠! (Prince)]]
          * [[여자친구(아이돌)|여자친구]] - [[THE AWAKENING#s-3.6|핑 (Crush)]]
          * [[Apink]] - [[Pink UP|좋아요!]]
          * [[JTBC]] 예능 《[[싱포유]]》 - Shiny Single[* [[혜미(나인뮤지스)|혜미]]와 함께 참여했다.] ([[2017년|2017]])
  • 나폴레옹: 토탈워/프로이센 . . . . 15회 일치
          * '''베를린(Berlin)''': 수도
          * 퀴스트린(Küstrin): 상업 중심지
          * 굼비넨(Gumbinnen): 공업 중심지
          * '''슈테틴(Stettin)'''
          * 쾨슬린 농지(Köslin Farmland): 농장
          * 지겐 광산(Siegen Mines): 철 - 철광(Iron Mine)
          * 브제크 광산(Brzeg Mines): 금 - 금광(Gold Mine)
          * 프로이센 대공 루이스 페르디난트(Louis Ferdinand Prinz von Preußen) - ☆×6
          * 게임 시작시 베를린(Berlin)에 위치
          * 프리드리히 주 호엔로헤잉겔핑겐(Friedrich zu Hohenlohe-Ingelfingen) - ☆×4
          * 게임 시작시 슈테틴(Stettin)에 위치
          * 에른스트 하인리히 아돌프 폰 푸엘(Ernst Heinrich Adolf von Pfuel) - ☆×3
  • 박동진 (1922년) . . . . 15회 일치
         1951년 외무부에 들어와, 의전국장, 주 영국 참사관, 외무부차관, 주 월남 대사, 주 브라질 대사(1962년 10월~1968 2월)<ref>[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62082100329201006&editNo=6&printCount=1&publishDate=1962-08-21&officeId=00032&pageNo=1&printNo=5173&publishType=00020 브라질 大使에 朴東鎭氏] 《경향신문》1962년 8월 21일, 1면. <!--“最高會議 第63次 常任委員會는 21日 越南共和國駐箚大使 朴東鎭氏를 「브라질」合衆國特命全權大使로,...”--></ref><ref>{{서적 인용 |저자 = 외교통상부 |제목 = 한국 외교 60년 |url = http://www.mofat.go.kr/state/publication/history60/20100201/11369_file_2009%20dip60_appendix.pdf |장 = 부록 |확인날짜 = 2015년 2월 21일 |보존url = https://web.archive.org/web/20160303211841/http://www.mofat.go.kr/state/publication/history60/20100201/11369_file_2009%20dip60_appendix.pdf |보존날짜 = 2016년 3월 3일 |깨진링크 = 예 }}</ref>{{Rp|496}}, 페루 겸임대사<ref>〈[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64042900209201015&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64-04-29&officeId=00020&pageNo=1&printNo=13079&publishType=00020 朴東鎭브라질大使 駐『페루』大使兼任]〉 《동아일보》(1964년 4월 29일) 1면 <!--“政府는 駐「브라질」大使朴東鎭씨를 駐「페루」大使도 겸임토록 28일하오 國務會議에서 議決했다.”--></ref>, 주 제네바 대사, 주 유엔 대사, 1975년부터 1980년까지 외무부 장관, 국회의원(11대.12대), [[대한민국 통일부|국토통일원]] 장관을 역임했다. 외무부장관으로서, 1976년 3월 말레이시아를 방문하여, 리타우딘 말레이시아 외무부 장관과 양국간의 경제무역관계를 더욱 강화하기로 합의했다.<ref>{{뉴스 인용 |url =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76031900329201017&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76-03-19&officeId=00032&pageNo=1&printNo=9377&publishType=00020 |제목= 貿易強化에 합의...韓․말聯 공동성명 |출판사 = 경향신문 | 날짜 = 1976-03-19 |인용문=<!--朴東鎭외무부장관과 리타우딘 말레이시아외상은 19일 공동성명을 발표, 평화․자유․번영이라는 공동목표를 추진하기 위해 아시아 제국간의 협력의 중요성을 인정하고 양국간의 경제무역관계를 더욱 강화하기로 합의했다. 朴장관은 지난 17일부터 3일간 말레이시아를 공식 방문한 후 발표한 이 성명에서...--> }}</ref> 1988년 4월 22일 한국 정부는 박동진을 주미대사에 임명하였다.<ref>{{뉴스 인용 |url = http://dna.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88042200209201007&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88-04-22&officeId=00020&pageNo=1&printNo=20477&publishType=00020| 제목 = 駐美大使 朴東鎭씨| 날짜 = 1988-04-22| 출판사 = 동아일보}}</ref> 박동진은 당시 민정당의 전국구 국회의원이었으나, 주미대사로 부임함에 따라 의원직을 사퇴하였고, 민정당 전국구 예비후보 11번인 김종열이 5월 13일자로 의원직을 승계하였다.
         <ref>{{뉴스 인용 |url = http://dna.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88051100329202010&editNo=3&printCount=1&publishDate=1988-05-11&officeId=00032&pageNo=2&printNo=13112&publishType=00020| 제목 = 金鍾烈씨 議員職승계 朴東鎭 駐美대사 사퇴 | 날짜 = 1988-05-11| 출판사 = 경향신문 }}</ref> 1988년부터 1991년까지 주 미국 대사, 한국전력공사 이사장, 1996년부터 한국외교협회 회장을 역임하였다.
  • 이철우(1955) . . . . 15회 일치
         [include(틀:상위 문서, top1=정치인/목록)]
         [include(틀:역대 경상북도지사)]
         ||<bgcolor=#FFFFFF><:>{{{#!folding [ 펼치기 · 접기 ]
         ||<height=40><bgcolor=#C9151E> {{{#FFFFFF ''' 링크 ''' }}} ||<(><bgcolor=#FCFEFE> [[http://www.leecw.pe.kr/|공식 홈페이지]][br][[https://blog.naver.com/lcw619| [[파일:네이버블로그.png|width=25]] 블로그]] | [[https://twitter.com/CUagainLee| [[파일:트위터 아이콘.png|width=24]] 트위터]][br][[https://www.instagram.com/lee_cheol_woo|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png|width=24]] 인스타그램]] | [[https://www.facebook.com/lcw619| [[파일:페이스북 아이콘.png|width=24]] 페이스북]] ||
         ||<bgcolor=#FFFFFF><-2><:> {{{#!folding [ 펼치기 · 접기 ]
         [include(틀:토론 합의(문단), 합의사항=두번째 단락 유지, 토론번호=LNi1ewewWFMLp4o6BzLEBi)]
         [[2016년]] [[11월 25일]] [[새누리당]] 의원총회 비공개회의에서 개헌을 주장하다가 "(개헌이 안 되면) 이러다 세월호 학생들처럼 다 빠져 죽을 것"이라고 발언했다고 언론을 통해 보도되면서 그를 향한 여론이 --위의 사건과 맞물려서-- 더욱 나빠졌다. [[http://news.joins.com/article/20937723|중앙일보]]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52&aid=0000938082|YTN]]
         [[2017년]] [[6월 20일]] 제주도에서 열린 자유한국당 전당대회 타운홀미팅에서 문재인이 나라를 망치고 있다며 "얼마 못 갈 것"이라는 발언[* 당 최고위원에 당선되기 위해 지지층 결집용으로 격한 말을 던진 것이라는 견해도 있다.]으로 파문이 일었다. 내년 지선과 총선에서 당이 승리를 결의한 것과 달리, 문재인의 현재 하는 행동이 박근혜처럼 탄핵의 전철을 밟을 수 있다면서 비난을 한 것. 이에 여당인 더불어민주당 측에서는 야당의 막말이 점점 도를 지나치고 있다며 정부 흔들기를 그만하라고 비판했다. [[http://m.news.naver.com/rankingRead.nhn?oid=001&aid=0009348444&sid1=100&date=20170620&ntype=RANKING|연합뉴스]] 본인은 이 사태를 단순히 문재인이 경각심을 가지기 위한 것으로 해명했다.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81&aid=0002830754|한국당 이철우 '문 대통령 탄핵 암시 발언' 논란에 "경각심 차원의 말"]]
         [[2018년]] [[6월 28일]] 경향신문과의 인터뷰에서 [[https://www.huffingtonpost.kr/entry/story_kr_5b3617afe4b08c3a8f6976f8|"‘결혼을 하지 않으면 죄를 짓는다’는 생각을 갖게 하자"]]라는 범국민 운동을 전개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당연히 네티즌의 반응은 "어쩌라고?","(미혼인)내가 죄인이야?"+"부모나 영감들에게 작은 죄는 지어도, 아이들에게 가난의 되물림이라는 더 큰 죄는 짓지는 않겠다"라는 반응. 추가로 [[장세용]] [[구미시]] 시장 당선인이 선언한 박정희 기념사업 예산 재조정 검토를 도지사로써 막겠다라고 주장하기도 했다. ~~전형적인 [[넌씨눈]] 정치인~~
         [include(틀:대한민국의 광역자치단체장)]
         [include(틀:토론 합의, 합의사항=선거용 홍보 문구 기재 금지, 토론번호=LNi1ewewWFMLp4o6BzLEBi)]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이철우, version=25)]
  • 정승환(가수) . . . . 15회 일치
         [include(틀:역대 K팝스타 TOP3)]
         [include(틀:안테나 뮤직)]
         |||| https://search.pstatic.net/common/?src=http%3A%2F%2Fpost.phinf.naver.net%2FMjAxNjExMjlfMTUz%2FMDAxNDgwMzg0MjU2OTc5.CN2al7uccjEEdpxLM8GzfBhQWegBuP0CsG-dOE6hQD8g.5i5601y9pcGOQdCupngnLuRZKA1Z5yHj9Kh-uutUBnog.JPEG%2FIY2_EXmssoIzkOoxLJZdlj8FjDNs.jpg&type=n88_88 ||
         || '''관련 사이트''' ||<(> [[http://cafe.naver.com/jeongsuenghuanfans|승환데이]], [[http://gall.dcinside.com/board/lists/?id=jsh|디시인사이드 정승환 갤러리]], [[https://www.instagram.com/__seung__h/|인스타그램]], [[http://정승환.com|꿈꾸는나무(정승환 팬페이지)]] ||
         2015년 7월 7일 [[SBS]] 측은 “정승환이 SBS 주말드라마 ‘[[너를 사랑한 시간]]’(정도윤 이하나 극본, 조수원 연출)의 OST에 참여 한다”고 밝혔다.[[http://m.entertain.naver.com/read?oid=213&aid=0000719799|#]] 이 곡은 멜론차트 최고 12위까지 상승했다.[* 그리고 네이버뮤직에서 40,50대가 가장많이 듣는 음악에 랭크되었다.]
         9월에는 [[현대 쏘나타]]의 30주년 기념 고객 소통 뮤직 프로젝트(Sing the road)로 [[박진영]]과 함께 '잠수교'를 불렀다.[[http://kjoim143.egloos.com/9782155|#1]], [[http://m.news.nate.com/view/20150908n48872|#2]] 광고 음원이지만 일부 음원차트들에서 100위권내에 진입하는 성과를 거두었다.
         2016년 1월 29일 [[서경대학교]]가 발표한 수시전형 합격자 명단에 포함됐다. 우수한 내신 성적과 탄탄한 노래 실력으로 가장 높은 경쟁률(407대 1)을 기록한 실용음악학과 보컬전공에 당당히 합격했다.[[http://news.joins.com/article/18977498|#]]
         2016년 5월 30일 2016년 5월 2일 월요일부터 방영중인 tvN의 18부작 월화드라마 '[[또 오해영]]'(박해영 극본,송현욱 연출)의 OST에 참여한다고 밝혔다.[[http://m.entertain.naver.com/read?oid=109&aid=0003328167|관련기사]]
         최근에 유희열이 [[권진아]]의 데뷔 쇼케이스에서 그를 11월에 데뷔시킬 예정이라고 언급했다. 다만 확실하지는 않다. 권진아도 2015년 9월 데뷔 예정이었다가 11월로 미뤄졌으며 일정이 밀리고 밀려 해를 넘겨 9월 19일에 데뷔했기 때문. 자세한 것은 [[http://media.daum.net/entertain/culture/newsview?newsid=20160919130202295|기사를 참조]] 이후 '목소리'라는 앨범으로 11월 29일 정식 데뷔가 확정되었으며, 앨범 예약판매가 진행중이다. [[http://entertain.naver.com/music/now/read?oid=468&aid=0000212260|#]]
         || '''2''' || '''너를 사랑한 시간(Inst.)''' ||
         ==== Sing the Road project ====
         || '''2''' || '''바람(Inst.)''' ||
         || '''2''' || '''보통의 하루 (Inst.)''' ||
          * 2018년 콘서트에서 [[방탄소년단]] [[LOVE YOURSELF 承 `Her`|DNA]]를 선보였는데 춤도 (은근) 잘 추는 편이다. [[https://www.instagram.com/p/BgakGIWDS8-/|연습 영상1]] [[https://www.instagram.com/p/Bgal-mqjJTT/|연습 영상2]] 4월 [[슈가맨2]]에서도 DNA를 [[http://tv.naver.com/v/3085605|췄다.]]
         [include(틀:문서 가져옴,title=정승환,version=57)]
  • 타루 . . . . 15회 일치
         일본 팝밴드 [[스윙잉 팝시클]]이 보너스 트랙 제외 전곡을 프로듀싱했다<ref>{{뉴스 인용|제목=타루, 28일 정규 1집 ‘TARU’ 발매|url=http://www.dipts.com/news/index.html?mode=view&top_id=A&page=1&cate1_id=15&cate2_id=126&issue_id=&number=17282&text=|출판사=DIP 뉴스|저자=류진영 기자|쪽=|날짜=2009-08-28|확인날짜=2009-12-11}}</ref>.
         # Night Flying
         # 예뻐할께 (Inst.)
         # Mr.Destiny
         # Mr.Destiny (Inst.)
         # Moment in Love
         # Ending
         # Merry Go Round (Inst.)
         === EP 《Blind》 ===
         |align="left"|《'''Blind'''》
         # Rainy
         * [[에픽하이]] 《Remixing The Human Soul》- 〈A little Memory〉
         * [[휘성]] 《스마일 프로젝트 Vol.2 `Love Seat` (Single)》- 〈Love Seat〉
         * [[Tearliner]]《[[로맨틱 아일랜드]] [[OST]]》- 〈러브임팩트〉
         * [[블링블링캔유]] 광고곡 《Lovely Pink》- 〈Bling Bling〉
         * [[영화]] 《[[러브픽션]] [[OST]]》- <Inside Of Me>
  • Darkest Hour: A Hearts of Iron Game . . . . 14회 일치
          * Burning Europe(1940)
          * A World in Flames
          * The Turning Tide(1943)
          * Fall Weiss: Invasion of Poland
          * Comintern(코민테른)
          * Infrastructure(기반시설)
          * Free Market↔Central Planning
          * Interventionism↔Isolationism
          * Influence Nation(영향력 행사)
          * Bring to Alliance(동맹 초대)
          * Guarantee Independence(독립 보장)
          * Increase Intelligence Funding
          * Decrease Intelligence Funding
          * Industrial espionage
          * Assassinate minister
          * Sabotage Industry
         ==== United Kingdom(영국) ====
         ==== Nationalist China(중화민국) ====
          * Abyssinia(아비시니아)
          * Philippines(필리핀)
  • MoniWikiTutorial . . . . 14회 일치
          * FindPage(찾기) : 상단의 검색 폼 혹은 FindPage를 통해서 위키위키의 내용을 검색합니다.
          * TitleIndex(목록) : 위키위키의 모든 페이지 목록을 보여줍니다.
          * [[Icon(info)]] 페이지 변경 정보를 보여줍니다.
          * 자세한 내용은 [HelpOnEditing]을 참조하세요.
         || {{{''italic'' and '''bold''' and __underlined__ and ~~strikelined~~}}} || ''italic'' and '''bold''' and __underlined__ and ~~strikelined~~ ||
         || {{{MoinMoin:HelpContents}}} || MoinMoin:HelpContents (InterWiki-Link) ||
         {{{#!plain
  • USS 피닉스 (CL-46) . . . . 14회 일치
         1935년 4월 15일 뉴욕조선회사(New York Shipbuilding Co.)에 의해 건조가 시작되어 1938년 3월 13일 진수, 1938년 10월 3일 취역하였다. 함명의 피닉스는 [[애리조나]] 주에 위치한 도시 [[피닉스]]에서 따온 것이었다.
         1982년 4월 2일, 아르헨티나 정부는 영국과 분쟁이 있던 [[포클랜드 제도]][* 아르헨티나측은 이 제도를 말비나스 제도(Las Malvinas)라고 부른다.]를 점령한다. 이에 영국이 군사적 대응을 시작하며 [[포클랜드 전쟁]]을 발발한다.
         || https://static.independent.co.uk/s3fs-public/styles/story_medium/public/thumbnails/image/2012/02/07/23/pg-4-belgrano-ap.jpg ||
         || [[http://www.independent.co.uk/news/uk/politics/margaret-thatcher-showed-no-reaction-after-order-to-sink-belgrano-ship-during-falklands-war-papers-10330282.html|해당 링크]]에서 가져옴. 원 저작자 AP. ||
         영국의 ~~찌라시~~황색 언론 [[더 선]]은 헤네랄 벨그라노의 피격 사실을 전할때 1면 헤드라인에 "'''잡았다!''': 우리 친구들이 포함을 격침시키고 순양함을 구멍냄"[* GOTCHA!: Our lads sink gunboat and hole cruiser]라고 쓰는 패기를 보였다. 이외에도 더 선은 포클랜드 전쟁 동안 "'''뒈져라 군사정부놈들'''"[* STICK IT UP YOUR JUNTA] 등의 부적절한 헤드라인을 내걸기도 했다.
         [[https://www.theguardian.com/uk/1982/may/03/falklands.world|Guardian - Argentine ship General Belgrano torpedoed by British submarine(영어)]]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82050400329201007&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82-05-04&officeId=00032&pageNo=1&printNo=11260&publishType=00020|네이버 뉴스 라이브러리 - 경향신문 - 피격 아르헨순양함 침몰 승무원 오백여명 사망(한국어)]
         [[http://www.bbc.com/news/world-latin-america-17932669|BBC - Falklands tension: Argentina marks Belgrano anniversary(영어)]]
  • 김시진 . . . . 14회 일치
         |영문 표기 = Kim Si-Jin
         | url =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83061600209208010&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83-06-16&officeId=00020&pageNo=8&printNo=18984&publishType=00020
         | url =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83071100329208013&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83-07-11&officeId=00032&pageNo=8&printNo=11625&publishType=00020
         | url = https://www.koreabaseball.com/file/ebook/2018/레코드북_ebook/index.html
         | url =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87101000329208004&editNo=3&printCount=1&publishDate=1987-10-10&officeId=00032&pageNo=8&printNo=12934&publishType=00020
         [[롯데 자이언츠]]에서 은퇴하고 [[1993년]] [[태평양 돌핀스]]의 투수 코치로 지도자 생활을 시작했다. 이후 오랫동안 [[김재박]]과 같이 활동하였으며, [[2007년]] [[현대 유니콘스]]의 마지막 감독이 되기 전까지 투수 코치로 계속 활동했다. [[1996년]]부터 [[1997년]]까지 아마추어 실업 야구 팀 [[현대 유니콘스|현대 피닉스]]에서 잠깐 코치 생활을 하기도 했었으나, 이내 곧 [[1998년]]에 [[현대 유니콘스]]의 투수 코치로 임명되어 프로에 복귀했고, 그 해 지도자 생활을 시작한 이래 첫 우승을 거두었다. [[현대 유니콘스]]의 투수 코치를 맡으면서 그는 [[김수경 (야구인)|김수경]], [[임선동]], [[조용준]], [[오주원]], [[황두성]], [[박준수]], [[장원삼]] 등 뛰어난 투수들을 조련하고 육성하는 데에 뛰어났으며 [[투수]]를 보는 안목이 탁월했다. 투수 코치를 맡은 기간 동안 그는 '명 조련사'로 불렸는데, [[1998년]] [[김수경 (야구인)|김수경]], [[2002년]] [[조용준]], [[2003년]] [[이동학]], [[2004년]] [[오주원]] 등이 [[한국 프로 야구 신인왕|신인왕]]을 수상했던 것을 예로 들면 그는 투수 코치로서 선수들을 키우는 데에 있어서 일가견이 있었다는 것을 엿볼 수 있다. 이는 감독 생활에도 이어져 [[키움 히어로즈|넥센 히어로즈]] 최초 1차 지명으로 선발한 좌완 투수 [[강윤구 (야구 선수)|강윤구]] 역시 [[2009년 한국 프로 야구|2009 시즌]]에 옥석으로 평가받았다.<ref>[[스포츠 서울]] - [http://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baseball&ctg=news&mod=read&office_id=073&article_id=0002013951 "히어로즈가 끝까지 지킨 강윤구는 누구?"]</ref> 시즌 전 트레이드로 홍역을 앓았음에도 불구하고 [[2010년]]에는 걸출한 신인 우완 투수 [[고원준]]을 배출하였으며, 트레이드로 영입한 [[금민철]]을 선발 투수로 자리매김하도록 했다. 그가 투수 코치로 있는 동안 [[태평양 돌핀스]]와 [[현대 유니콘스]]에서 뛰어난 [[투수]]들이 많이 배출되어 '투수 왕국'이라는 별칭이 붙었다.
         2013 시즌 계투진의 많은 블론세이브와 투수 교체에 관한 비판이 있었고, 또한 당시 [[롯데 자이언츠]]의 투수였던 [[김승회]] 혹사 논란이 있었다. [http://news.jtbc.joins.com/article/article.aspx?news_id=NB10296602]
         |-style="line-height:1.25em"
  • 남보라(배우) . . . . 14회 일치
         [include(틀:상위 문서, top1=배우/한국)]
         [include(틀:다른 뜻1, other1=색깔인 남보라, rd1=바이올렛)]
         [include(틀:HB엔터테인먼트 소속 아티스트)]
         ||<bgcolor=#7F00FF> '''{{{#white 링크}}}''' ||<(> [[https://instagram.com/nambora|인스타그램]] [[http://m.dcinside.com/list.php?id=nambora1004|남보라 마이너 갤러리]] ||
         완도사랑채마지막칼국수였던 [[2005년]]에 11남매[* 2005년 당시에는 11남매였다. 방송 당시 셋째와 아홉째는 무슨 이유에서인지 방송에 거의 비치지 않았다.]의 일상 생활을 담은 MBC 예능 프로그램 [[일요일 일요일 밤에]]의 코너 "천사들의 합창"에 맏딸로 출연하며 대중들에게 얼굴을 알리기 시작하였다. 출연 직후에는 [[연예인]]이 되고 싶은 마음이 없었고, 관계자들의 제의도 거절했으나 부모님의 설득과 계속된 소속사의 러브콜 끝에 연예인이 되기로 [[http://v.entertain.media.daum.net/v/20060812000512864?f=m|마음먹었다고 한다.]] 그렇게 남보라는 [[신동엽(코미디언)|신동엽]]이 진행하는 "천사들의 합창"을 계기로 얼굴을 알려 연기자의 길을 걷기 시작하였다.[* 10곳 이상의 기획사가 [[http://www.newsen.com/news_view.php?uid=201308191711172510|연예인 제의를 했다고 한다.]]][* 당시 미니홈피 게시글을 토대로 보면 학교(혹은 교회)에서 성극반 활동을 했음을 알 수 있었다. 천사들의 합창 당시, 웬만한 눈썰미를 가진 시청자는 남보라의 집안이 [[개신교]] 집안임을 알 수 있었을 듯. 원래 초등학교를 장안동에 위치한 불교계 학교를 다니다가 저학년 무렵 전학을 갔었다.]
         보이그룹 [[보이프렌드]]의 [[민우]]가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004&oid=375&aid=0000155333|남보라의 조카라고 한다.]] 고로 남보라는 [[민우]]의 '''고모.''' ~~이모 아닌가??[* [[고모]]는 [[아버지]]의 [[누나]] 혹은 [[여동생]]이므로, ~~'남보라'에게 [[오빠]]와 [[남동생]]들이 있기는 하지만~~ '''남'''보라가 '''노'''민우에게 ~~부계쪽으로~~ '친[[삼촌]]'의 '고모'는 아닐 것이다. 다만 [[민우]] 본인이 ~~5살차이나는~~ '고모'라고 언급했다. 또한, 손위 언니가 없는 [[장녀]]이므로 [[이모]]도 불가능하다.]~~
         2016년 2월 15일 '''오전 9시 30분''', 오후 5시에 방송되는 [[K STAR]] 생방송 스타뉴스는 남보라 열애설을 단독 보도한다는 예고성 기사를 지난 '''11일 데이트 사진'''과 함께 제휴사인 [[YTN]][* [[K STAR]]는 iHQ에 팔리기 전까지 YTN의 연예 채널이었다.]을 통해 [[http://entertain.naver.com/read?oid=052&aid=0000777641|내보냈다]]. 이에 남보라의 소속사는 양측이 최근 결별했다고 [[http://entertain.naver.com/read?oid=382&aid=0000449573&gid=999339&cid=1013067|밝혔다]]. 이에 K STAR는 밸런타이데이였던 지난 '''14일 데이트 사진'''을 첨부해 재차 기사를 [[http://entertain.naver.com/read?oid=052&aid=0000777828|내보냈다]]. 이에 ~~당황한~~ 소속사는 결별 시기는 최초 기사 발행 직전인 '''오늘(15일) 오전'''이었다고 [[http://entertain.naver.com/read?oid=213&aid=0000844744&gid=999339&cid=1013067|밝혀]] 네티즌들의 의문을 자아내고 있다.
         || [[2007년]] || Crying in the rain || ||
  • 박옥수 . . . . 14회 일치
         [include(틀:회원수정)]
         >Greetings in Jesus’precious name.
         >I have heard it said that I ordained Pak Ok Soo as a pastor; and I think it even appears on his website. However, that is not the case, and I am not sure why he would make that claim. His title of “pastor”is something that he took upon himself in spite of my advising him to the contrary: there are no credentials behind his title, he basically ordained himself. My understanding of the church and its structure is quite different from his; and my view of what a pastor is is quite different from his. However, that is not the subject of this discussion; we can pursue that topic in another communication.
         결국 암치료를 받지 않고 또별만 먹은 사람들이 사망하는 사건이 일어나 문제가 되었다. [[http://christian.nocutnews.co.kr/show.asp?idx=1850923|관련 기사]]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262&aid=0000004777|또 다른 기사.]] 또한 [[한국방송공사|KBS]] 추적 60분 2012년 3월 21일자 방영분에서도 또별 사건을 취재한 바 있다. 추적 60분 보도 이후 KBS와 신동아에서 반론 보도를 냈다. [[http://m.unn.net/news/articleView.html?idxno=111450|기사 전문]] [[https://youtu.be/hNhIUwPlWKk|반론 보도 영상]] 결국 박옥수는 식품위생법 위반으로만 벌금을 받았다고 한다. [[http://www.newsmission.com/news/news_view.asp?seq=52944|기사]]
         또별을 개발한 후 주식으로 ~~상장~~[* 상장한 적 없다. 주식회사로 설립하는 과정 주주로 참여했거나 비상장 장외 거래로 구주 매출을 했을 것.]하여 870명의 교인들에게 주식 200억치를 판매하였다. 또별이 만병통치약으로 선전되면서 또별 개발사인 운화의 주식이 유망한 줄 알고 산 사기피해에 대해서는 대법원에서 무죄 판결이 났다.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7/07/11/0200000000AKR20170711109100004.HTML|관련 기사]] 피해자 측에서 [[줄기세포]]에서 추출한 기적의 약이라는 '또별'이 알고보면 그냥 ~~[[나주 성모동산|율신액]]~~녹차가루라며 사기죄로 고소하자, 박옥수 측에서는 "해당 제품에 항암효과가 있다고 홍보한 적은 없었다."라며 발뺌하였다.
  • 박홍 (신부) . . . . 14회 일치
         [[1989년]]부터 8년간 [[서강대학교]] 총장으로 재직하였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38&aid=0000128919 [서강대] 박홍신부 총장 복귀 유력 :: 네이버 뉴스<!-- 봇이 붙인 제목 -->]</ref>
         [[1994년]] [[서강대학교]] 총장으로 재직중, 주사파 관련 발언으로 화제가 되었다.<ref>[http://www.daejonilbo.com/news/newsitem.asp?pk_no=767077 1등신문 대전일보 59년 정통언론<!-- 봇이 붙인 제목 -->]</ref> 민주평통 자문위원으로 종교분과위원장을 지냈으며, '주사파'발언 이후 경찰관 2명이 그를 밀착하며 신변을 보호하기도 하였다.<ref name=autogenerated1>[http://www.hani.co.kr/h21/data/L000626/1pau6q2f.html 한겨레 21<!-- 봇이 붙인 제목 -->]</ref> [[1997년]] 총장직에서 퇴임하였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001&oid=015&aid=0000004186& 네이버 뉴스<!-- 봇이 붙인 제목 -->]</ref>
         [[1991년]] [[예수회]] 박홍 신부(당시 서강대 총장)는 “지금 우리 사회에는 죽음을 선동하는 어둠의 세력이 있다”며 성경위에 손을 올리고 기자회견을 벌이기도 했다.<ref name=gg/><ref>{{웹 인용|url=http://www.hani.co.kr/arti/society/schooling/526968.html|제목=영안실서 김귀정 주검 지키며 경찰 침탈 맞서 / 박정기|출판사=한겨레|저자=전국민족민주유가족협의회 고문 박정기, 구술작가 송기역|날짜=2012-04-05|확인날짜=2012-04-29}}</ref> 박홍 신부의 기자회견 이후 부터 김기설 학생의 분신 자살에 배후가 있다는 보도가 언론에 도배질을 하기 시작했고, 강기훈 전민련 총무부장의 이름이 등장했다. 검찰과 경찰은 합동으로 수사본부를 꾸려 대대적인 공안몰이 수사를 벌여 "강기훈 씨가 김 씨의 유서를 대신 썼다"며 강 씨를 구속기소했다.
         강기훈은 법원으로부터 목격자 등 직접적인 증거도 없이 국과수의 필적 감정결과와 정황에 따라 자살방조 및 [[국가보안법]] 위반으로 징역 3년에 자격정지 1년 6월을 선고받고 [[1994년]] [[8월 17일]] 만기 출소했으나 사건 발생 16년 만인 [[2007년]] [[11월 13일]] [[대한민국 진실화해를위한과거사정리위원회]]는 제58차 전원위원회 회의에서 ‘강기훈 유서대필 의혹사건’에 대한 진실규명 결정을 내리고 국가의 사과와 재심 등의 조치를 취할 것을 권고했다.<ref name=gg>{{웹 인용|url=http://www.jinsil.go.kr/Information_Notice/article2/readnum.asp?num=84&pageno=1&stype=&sval=&data_years=2007&data_month|제목=강기훈 유서대필의혹 사건 진실규명결정|출판사=진실화해를위한과거사정리위원회|저자=정책홍보팀|날짜=2007-11-13|확인날짜=2012-04-29}}{{깨진 링크|url=http://www.jinsil.go.kr/Information_Notice/article2/readnum.asp?num=84&pageno=1&stype=&sval=&data_years=2007&data_month }}</ref> 이에 따라 2012년 대법원의 재심이 개시되었으며, 2014년 2월 13일 재심 판결에서 서울고등법원은 당시 검찰이 제시한 필적 감정이 신빙성이 없으며, 유서 대필 및 자살 방조에 대해 무혐의·무죄로 재판결하였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9&aid=0003137599</ref><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32&aid=0002441789</ref>
         |url =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1&aid=0003889758
         |url =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01&aid=0003779848
         박홍 총장의 '주사파 발언' 으로 엄청난 사회적 파장이 운동권 인사들은 박홍 총장에게 근거를 대라며 추궁했다. 이에 대해 박홍 총장은 "주사파 관련 내용을 고해성사 때 들은 내용"이라고 답했다. 이에 천주교 정의구현전국연합 김동주 공동의장 등 신도 6명이 박홍 신부를 '고해성사 비밀 누설 혐의'로 서울대교구에 고발했다. 당시 서울대교구 사무처장이었던 염수정 추기경은 사건 조사를 담당했고 박홍 총장에 대해 무혐의 처리했다.<ref>[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94083100289119004&editNo=5&printCount=1&publishDate=1994-08-31&officeId=00028&pageNo=19&printNo=1997&publishType=00010|<한겨레신문>1994년 8월31일자 19면]</ref>
         |url =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22&aid=0000131117
         {{col-begin}}
  • 스틸오션/미국 . . . . 14회 일치
         ||<bgcolor=#cccccc> '''소나 범위''' || 4,229 m ||<bgcolor=#cccccc> '''소나 간격''' || 5.79 f/min ||
         === Gearing ===
         >뉴올리언스급 중순양함은 미해군이 운용한 마지막 "조약형" 순양함이다. 7척의 뉴올리언스급 함선이 산호해 해전과 미드웨이 해전에 참전했다. 살보섬 해전에서 3척의 뉴올리언스급이 침몰했다. 아스토리아(Astoria)는 65발의 포탄을 맞고 격침되었으며 퀸시(Quincy)와 빈센스(Vincennes)는 어뢰에 격침되었다.
         === Des Moines ===
         ||<bgcolor=#cccccc> '''소나 범위''' || 1,967 m ||<bgcolor=#cccccc> '''소나 간격''' || 2.54 f/min ||
         === Independence ===
         === Lexington ===
         === South Carolina ===
         ||<bgcolor=#cccccc> '''소나 범위''' || 1,505 m ||<bgcolor=#cccccc> '''소나 빈도''' || 2.34 f/min ||
         ||<bgcolor=#cccccc> '''소나 범위''' || 1,550 m ||<bgcolor=#cccccc> '''소나 빈도''' || 2.41 f/min ||
         === Wyoming ===
         ||<bgcolor=#cccccc> '''소나 범위''' || 1,656 m ||<bgcolor=#cccccc> '''소나 빈도''' || 2.65 f/min ||
         === Illinois ===
         === North Carolina Plan I ===
  • 안병근 . . . . 14회 일치
         |코치 = 박순진<ref>{{뉴스 인용|제목=「金」딴 LA현장 선수·코치·응원단 울음바다 |url=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84080700209211009&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84-08-07&officeId=00020&pageNo=11&printNo=19337&publishType=00020|출판사=동아일보|저자=|쪽=|날짜=1984-08-07|확인날짜=2016-12-15}}</ref>
         '''안병근'''(安柄根<ref>{{뉴스 인용|제목=‘유도 安柄根 金메달 |url=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84080700329201006&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84-08-07&officeId=00032&pageNo=1&printNo=11957&publishType=00020|출판사=경향신문|저자=|쪽=|날짜=1984-08-07|확인날짜=2016-12-15}}</ref>, [[1962년]] [[2월 23일]] ~ )은 현재 은퇴한 [[대한민국]]의 [[유도]] 선수이다.
         [[대구광역시|대구직할시]]에서 출생하였으며, 옥산초등학교, [[대구중앙중학교]]와 대구계성고등학교를 졸업하였다.<ref>{{뉴스 인용|제목=‘유도 安柄根 선수 프로필 |url=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84080700099211012&editNo=1&printCount=1&publishDate=1984-08-07&officeId=00009&pageNo=11&printNo=5670&publishType=00020|출판사=매일경제|저자=|쪽=|날짜=1984-08-07|확인날짜=2016-12-15}}</ref>
         [[1992년 바르셀로나 올림픽]]에는 코치로서 참가하였고<ref>{{뉴스 인용|제목= 올림픽 출전 선수단 명단 |url=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92071600209216003&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92-07-16&officeId=00020&pageNo=16&printNo=21885&publishType=00020|출판사=동아일보|저자=|쪽=|날짜=1992-07-06|확인날짜=2016-12-15}}</ref>
         * {{언어링크|en}} [http://www.judoinside.com/judoka/view/6073 Judoinside 선수 정보]
  • 영주시 . . . . 14회 일치
         [include(틀:상위 문서, top1=경상북도)]
         [include(틀:회원수정)]
         [include(틀:프로젝트 문서,프로젝트=나무위키 대경권 프로젝트)]
         [include(틀:경상북도의 기초자치단체)]
         [include(틀:영주시의 읍면동)]
         ||<-2><bgcolor=#04B486> {{{#FFFFFF '''인구'''}}} ||<bgcolor=#EFFBEF> 107,578명 [br] ([[2018년]] [[6월]] 기준 [[http://kosis.kr/statisticsList/statisticsListIndex.do?menuId=M_01_01&vwcd=MT_ZTITLE&parmTabId=M_01_01#SelectStatsBoxDiv|주민등록인구]]) ||
         ||<-3><bgcolor=#FFFFFF>[include(틀:지도, 장소=영주시,너비=100%)] ||
         2018년 6월 26일 서울신문이 입수한 자료에 따르면 영주시청이 2019년부터 2022년 3월까지 영주시 순흥면 청구리(소수서원)~단산면 병산리(선비세상 관광단지) 2.8㎞ 구간에 총 사업비 100억원(국비 50억, 경북도비 5억, 영주시비 45억원)을 투입해 모노레일을 설치할 계획이라고 한다. 모노레일 설치와 함께 탑승장 3곳과 정거장 5곳, 회랑(1548㎡)을 설치하고 모노레일 차량 14량(8인승)을 투입한다고 한다. [[http://gall.dcinside.com/board/view/?id=superidea&no=65078|꿈은]] [[http://gall.dcinside.com/board/view/?id=train&no=868480|이루어진다]].
          * [[선비]] 명칭 사용 때문에 --양반-- [[안동시]]와 사이가 좋지 못해서 안동시와 영주시 간의 [[지역감정]]이 꽤 있는 편이다. [[http://www.yji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23474|이런]][[http://www.yji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29759|저런]] [[http://www.yji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19761|내용]][[http://www.yji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17721|의]] 시사만평이 지역언론에 실리는 것을 보면[* 이 시사만평의 작가는 영주 모 고등학교 미술교사로 재직하다, 2015년 기준 같은 재단의 모 여고 교장으로 재직 중이라고 한다.] 이제는 선비 명칭 뿐 아니라 전반적으로 안동에 대해 좋지 못한 감정을 가진 듯. ~~[[우리의 주적은 간부|우리의 주적은 안동]]~~
          * 2016년 11월 15일, [[박근혜-최순실 게이트]]의 여파로 전국 유림 중 최초로 영주 지역 유림들이 박근혜 퇴진을 촉구하는 격문을 발표했다.[[http://news.jtbc.joins.com/article/article.aspx?news_id=NB11356736|#]]
  • 예천군 . . . . 14회 일치
         [include(틀:상위 문서, top1=경상북도)]
         [include(틀:회원수정)]
         [include(틀:프로젝트 문서,프로젝트=나무위키 대경권 프로젝트)]
         [include(틀:경상북도의 기초자치단체)]
         [include(틀:예천군의 읍면)]
         ||<-3><bgcolor=#FFFFFF>[include(틀:지도, 장소=예천군,너비=100%)] ||
         ||<-2><bgcolor=#005CAA> {{{#FFFFFF '''인구'''}}} ||<bgcolor=#FFFFFF> 52,068명 [br] ([[2018년]] [[6월]] 기준 [[http://kosis.kr/statisticsList/statisticsListIndex.do?menuId=M_01_01&vwcd=MT_ZTITLE&parmTabId=M_01_01#SelectStatsBoxDiv|주민등록인구]]) ||
         예천(醴泉)의 이름을 풀어보면 '''단술 례'''와 '''샘 천'''이다. [[정유재란]] 때 참전한 [[명나라]]의 장수 [[양호]]가 지나가다가 마신 샘물이 너무 달고 맛나 중국 예천(醴泉)과 같아 이름이 붙여졌다는 지명유래설화가 있는데 이설로는 '크고 넓은 땅'을 의미하는 고대 한국어인 '단슬얼'로 불렸던 이곳의 지명을 한자로 옮기는 과정에서 정착된 지명이라고도 한다. [[http://kin.naver.com/qna/detail.nhn?d1id=12&dirId=121117&docId=147391514&qb=7JiI7LKcIOyngOuqhSDsnKDrnpg=&enc=utf8§ion=kin&rank=1&search_sort=0&spq=0&pid=SGmGBlpySEZssb4QN7wsssssstl-014086&sid=A4deAbPXJdB8Y7c9w/egHw%3D%3D|관련 링크]] 간혹 醴'川(내 천)'이나 '禮(예도 례)'川으로 알고 있는 사람들도 있는데 주의하자.
         2014년 재선에 성공한 이현준 군수 주도로 1981년 건립된 현 군청 청사 대신 신예천군청을 건립하고 이전하였다. 신부지는 예천읍 대심리 353번지, 구 엽연초생산조합 부지이다.[[http://www.ycg.kr/open.content/ko/administrative/news/headline/?id=986407f875b54364aa54a89bda326e86|#]] 2015년 말 착공, 2018년 2월 5일 준공되었다. 2015년 5월 설계 공모작을 선정했다.[[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5/05/29/0200000000AKR20150529063100053.HTML|당선작 조감도]] 하지만 현 군청 청사가 위치한 노상리와 인근 노하리, 서본리, 동본리, 백전리 주민들은 '''군청 이전 후 해당 지역 경제 위축'''을, 그외 지역 주민들은 '''부채 증가, 도청 이전과 연계한 각종 사업의 선행 추진 등'''을 이유로 반대하고 있다. [[http://www.kbsm.net/default/index_view_page.php?part_idx=306&idx=118103|#]] 한편, 현 군청 청사가 위치한 예천읍내는 배산인 흑응산과 임수인 한천 간 폭이 좁은터라 더이상 확장가능한 공간이 없어서 예전부터 쭉 이전의 필요성이 강하게 피력됐다. 그러나 공공기관이 이전하게 되면 으레 [[도심 공동화]] 현상이 발생하기 때문에 구 군청 청사 인근 지역 경제가 위축되지 않게끔 정책을 마련해야할 것으로 보인다.
         예천은 [[활]]의 고장으로 그 명성이 널리 알려져 있다. 예천군의 [[양궁]]의 역사를 알고 싶다면 다음 링크를 참조. [[http://www.ycinews.co.kr/ArticleView.asp?intNum=47617&ASection=001002|링크]]. 예천 출신의 양궁 국가대표 [[김진호(양궁)|김진호]]는 1979년 베를린 세계양궁선수권 대회에서에서 사상 첫 5관왕을 차지하기도 했다.이를 계기로 1983년 남·여 2개의 양궁팀을 창단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그동안 100여명이 넘는 선수들이 예천양궁선수단을 거쳤고, [[황숙주]], [[김수녕]], [[장용호]], [[양승현]], [[김성남]], [[한희정]] 등 10여명의 [[국가대표]]를 배출, 각종 국제 및 국내 전국대회에 출전하여 300여회의 입상과 각종 훈·포장을 수상했다고 한다. [[http://ycg.kr/open.content/ko/organization/archery/stadium/|출처]].
  • 윤덕주 (농구인) . . . . 14회 일치
         시인 [[이상화 (시인)|이상화]], 독립운동가 [[이상정]], 체육인 겸 사학자 [[이상백 (사학자)|이상백]]은 친정어머니 이숙경의 사촌 남동생들이었다. 치과의사 겸 치의학자 [[이열희 (1924년)|이열희]]는 외사촌 동생이었다. 대구 출신.<ref name="dibigos">[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20&aid=0000307032 <nowiki>[</nowiki>부고<nowiki>]</nowiki> 윤덕주 대한농구협회 명예회장] 동아일보 2005.07.09</ref>
         [[1935년]] [[숙명여고]] 시절 선수로 농구와 인연을 맺은 뒤 대한농구협회 대한체육회 대한올림픽위원회 등 각종 체육단체에서 활동하였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9&aid=0000449350 윤덕주 농구협명예회장 별세] 매일경제 2005.07.08</ref> 1935년 숙명여고에서 선수 생활을 시작해 일제강점기 최고의 센터로 이름을 날렸으며 1940년대 초반 결혼 후 세 번째 아이를 임신한 채로 코트에서 뛴 것은 유명한 일화가 되기도 했다.<ref name="dibigos"/>
         빈소는 서울대병원 영안실 3층1호에 마련됐으며 발인은 12일 오전6시에 거행되었다.<ref>[http://news.hankooki.com/lpage/opinion/200507/h2005070818102324180.htm 윤덕주 대한농구협회 명예회장 별세]</ref> 2005. 7. 12(화) 오전 6시 대한농구협회장(장례위원장, 이종걸)으로 거행되었으며 장지는 [[경상남도]] [[통영시]] [[산양면]] 연화리 선영에 안장되었다.<ref>[http://www.jumpball.co.kr/cont/cont_view.php?cont_cd=02&cont_seq=2785 한국농구 대모 윤덕주 명예회장 별세]</ref>
         [[2007년]] [[3월 8일]] [[스페인]] [[마드리드]]에서 개최된 국제농구연맹(FIBA) 명예의 전당에 이름이 헌액되었다.<ref name="gibisos">[http://sports.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kbl&ctg=news&mod=read&office_id=065&article_id=0000010191 故 윤덕주 씨, 'FIBA 명예의 전당' 헌액]</ref> FIBA 농구 명예의 전당-공로자 부문에는 윤덕주 씨를 포함해 총 24명이 이름을 올렸고, 윤덕주 씨는 공로자 부문의 유일한 여성이다.<ref name="gibisos"/>
         * [[1998년]] [[7월 16일]] 대한체육회 후원회 창립발기인<ref>[http://sports.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sports_general&ctg=news&mod=read&office_id=001&article_id=0004285725 대한체육회 후원회 28일 창립]</ref>
         * [[1998년]] [[10월 13일]] 건강을 이유로 [[대한체육회]] 부회장직에서 사퇴<ref>[http://sports.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sports_general&ctg=news&mod=read&office_id=001&article_id=0004340757 김운용 KOC위원장, 스위스장관 만나 환담]</ref>
         * [[1999년]] [[2월 11일]] [[대한농구협회]] 명예회장<ref>[http://sports.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kbl&ctg=news&mod=read&office_id=001&article_id=0004425319 대한농구협회, 최희암감독 사면 복권]</ref>
         * [[1999년]] [[4월 27일]] ~ [[1999년]] [[6월]] 제18회 아시아여자농구선수권대회(5월2-9일, 일본 시즈오카) 한국 선수단 단장<ref>[http://sports.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kbl&ctg=news&mod=read&office_id=001&article_id=0004570997 한국 여자농구대표팀 28일 결단식]</ref>
         * [[2004년]] [[대한체육회]] 고문<ref>[http://sports.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sports_general&ctg=news&mod=read&office_id=020&article_id=0000249723 <nowiki>[</nowiki>스포츠종합<nowiki>]</nowiki> 대한체육회 창립 84주년 기념식] 동아일보 2004.07.12</ref>
         {{Col-begin}}
         *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20&aid=0000307032 <nowiki>[</nowiki>부고<nowiki>]</nowiki> 윤덕주 대한농구협회 명예회장] 동아일보 2005.07.09
         * [http://sports.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kbl&ctg=news&mod=read&office_id=001&article_id=0004283262 <농구> 왕년의 여자농구스타들, 여름리그 앞장]
         * [http://sports.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kbl&ctg=news&mod=read&office_id=143&article_id=0000045873 여자농구 역사서 ‘96년만의 덩크슛’ 발간] 국민일보 2006.12.01
         * [http://sports.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kbl&ctg=news&mod=read&office_id=065&article_id=0000010191 故 윤덕주 씨, 'FIBA 명예의 전당' 헌액]
  • 황치열 . . . . 14회 일치
         * 2007년 2월 1st Digital Single 앨범 《[http://www.melon.com/album/detail.htm?albumId=344865 치열(致列)]》을 발표하고, '한번만'을 타이틀 곡으로 본격적인 가수 활동을 시작.
         * 같은 해 6월 1st Digital Single 수록곡을 포함한 총 12곡을 담은 정규 앨범 《[http://www.melon.com/album/detail.htm?albumId=352312 오감(五感)]》을 발표하고 [[윤도현의 러브 레터]]에 출연, 신인 가수로 주목을 받았으나 소속사 사정이 어려워지며 활동을 중단하게 됨.
         * 2017년 6월 13일 미니 1집 앨범 [http://www.melon.com/album/detail.htm?albumId=10070673 《Be ordinary》]
         * 2010년 5월 12일 디지털 싱글 [http://www.melon.com/artist/song.htm?artistId=471643 《웬즈데이(Wednesday) - Happy Train New Artist Project Vol.1》]
         * 2016년 10월 12일 디지털 싱글 [http://www.melon.com/album/detail.htm?albumId=10005441 《Fall, in girl Vol. 1》] (With [[은하 (가수)|은하]])
         * 2016년 11월 30일 디지털 싱글 [http://www.melon.com/album/detail.htm?albumId=10019378 《Fall, in girl Vol. 2》] (With [[솔라 (가수)|솔라]])
         * 2017년 2월 21일 디지털 싱글 [http://www.melon.com/album/detail.htm?albumId=10040346 《Fall, in girl Vol. 3》] (With [[슬기]])
         * 2016년 3월 4일 - 중국 나는 가수다 시즌4 8회 '''1위''' 합산 '''종합1위''' 《[http://m.hunantv.com/#/play/3012299 Honey 무대영상]》[http://m.weibo.cn/p/index?containerid=10151501_60214919 weibo 음원]
         * 2016년 3월 11일 - 중국 나는 가수다 시즌4 9회 '''4위''' 《[http://www.mgtv.com/v/1/290525/c/3031806.html# 나보다 더 높은 곳에 니가 있을 뿐(你只是在比我高的地方)무대영상]》[http://m.weibo.cn/p/index?containerid=10151501_60246509 weibo 음원]
         * 2016년 4월 8일 - 중국 나는 가수다 시즌4 13회 가왕전. 듀엣곡(WITH 거미) '''2위''', 솔로곡 리커친 상대로 승. 가왕전 최종 ''' 3위''' 《[http://www.mgtv.com/v/1/290525/c/3107721.html 태양의 후예OST You are my everything 무대영상]》[http://www.weibo.com/p/10151501_60371208 weibo 음원]
         * 2016년 8월 26일 중국 북경 콘서트 '烈火 burning'
         * 2015년 11월 19일 [http://www.pikicast.com/#!/menu=landing&content_id=159422 매거진 STELLA] 패션화보 촬영 및 인터뷰
  • 황효진(기업인) . . . . 14회 일치
         [include(틀:상위 문서3, top1=흑역사/목록/e스포츠, top2=금지어/스포츠, top3=사기꾼)]
         [include(틀:관련 문서2, top1=소닉 스타리그, top2=스베누)]
         ||<-5><table width=100%><table align=center><table bordercolor=#0545b1><bgcolor=#ffffff><:> [[파일:external/oi65.tinypic.com/2092d0p.png|width=100]] [[아프리카TV BJ대상|{{{#0545b1 BJ대상}}}]] ||
         |||| https://search.pstatic.net/common/?src=http%3A%2F%2Fpost.phinf.naver.net%2FMjAxNzA3MTdfMTQ0%2FMDAxNTAwMjcyMTYwNzUz.VpWiHQvljQd_5ZpPR7cLLtUVncJTlFeYthUKGWMrbkMg.QlJCWZ7zjQUbLUHIA9YRwmnlzMKeVDGKKyeh3s64uB8g.JPEG%2FI2clvDGVFVjtbqS7t-EoTQ3EEaqM.jpg&type=n88_88 ||
         || 아이디 || sonic_be. → glow`hyojin ||
         [[아프리카TV]]에서 [[스타크래프트]]를 방송했던 게임 BJ이며 [[BJ]] 소닉으로 알려져 있다. 2013년 설립한 신발 브랜드 [[스베누]]의 대표이기도 했다. 1988년 5월 31일생이며, 강원도 [[삼척시]] 출신이다. 아이디는 sonic_be. 현재는 glow`hyojin이라는 아이디를 사용한다. 소닉이란 닉네임의 유래는 [[소닉 더 헤지혹 시리즈]]의 [[소닉 더 헤지혹]].[* 본인의 언급에 의하면 어릴 때 [[메가드라이브|슈퍼겜보이]]로 [[소닉 더 헤지혹 3|소닉 3]][[소닉 & 너클즈| & 너클즈]]를 플레이한 것이 추억에 남아 닉네임을 소닉으로 지었다고 한다. 그래서인지 [[소닉 스타리그]]의 로고와 본인의 오너캐에도 소닉이 자주 출연한다.]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소닉 스타리그)]
         2016년 이후 한동안 소식이 없다가, 2017년 초 [[유사수신행위의 규제에 관한 법률]] 위반죄로 고소당했으며, 결국 2017년 10월 11일 [[https://ilyo.co.kr/?ac=article_view&entry_id=273538|횡령 혐의로 긴급 체포]]되었다.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25&aid=0002772185|게다가 서울시가 공개한 지방세 고액·상습체납자 명단에 오르는 불명예를 안았다.]]
         그러다가 시간이 상당히 지난 2018년 8월, [[http://live.afreecatv.com:8079/app/index.cgi?szBoard=read_bbs&szBjId=sogoodtt&nStationNo=55614&nBbsNo=0&nTitleNo=36111764&nRowNum=&nPageNo=|'수십 건의 소송을 당했고, 형사 건에 대한 부분은 해결이 되어가고 있으며 피해자들의 피해를 복구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현재 주어진 일에 집중하고 모든 것이 마무리되면 그 때 해명을 하고 사실과 다른 부분을 이야기하겠다']]라는 내용의 글을 방송국 공지에 올렸다. 댓글을 보면 응원하는 글도 많이 있으나, 한편으로는 상술한 각종 사치, 거짓말 등 각종 부정적인 행적 등으로 인해 여전히 싸늘하다.
         군 복무 중 여자친구와 헤어지면서 흡연을 시작한 이후로 더욱 안 좋아졌다고 하는데, 사례들로는 대표적으로 비가 오는 날 고등학생인 동생 BJ에게 우산도 없이 웰치스를 사오라고 한 [[http://gall.dcinside.com/board/view/?id=ib&no=344076|웰치스 사건]]과, 군 생활 중 같은 소속 BJ들에게 부탁하여 개인적인 물건을 사서 보내라는 심부름, 당시 [[구로디지털단지역]] 부근의 노는대학 스튜디오 방문을 위해 지방에서 온 BJ들을 본인 집에서 하룻밤 숙박시켜주며 청소와 많은 잡일을 시키는 등 평소에도 방송 세팅과 방송매니저 보기, 그리고 본인이 할 수도 있는 여러 가지 잡일들을 동생 BJ들에게 떠넘기는 일이 많았다고 한다. 이에 소닉은 방송에서 [[웰치스]]를 자기 머리에 쏟으면서 죄송하다고 하면서도 사회생활은 녹록치가 않다는 둥 궁색한 소리를 했다. 현재는 연락조차 하지 않는 걸 보면 결과적으론 좋지 않게 끝난 거 같다.
         {{{#!html <iframe src='https://serviceapi.rmcnmv.naver.com/flash/outKeyPlayer.nhn?vid=C66C7F9EC28118A243936C53F752425E7945&outKey=V12907fe153a2c73ccd578e4270705b0f76d410f529d8581f43a88e4270705b0f76d4&controlBarMovable=true&jsCallable=true&isAutoPlay=true&skinName=tvcast_white' frameborder='no' scrolling='no' marginwidth='0' marginheight='0' WIDTH='544' HEIGHT='306' allow='autoplay' allowfullscreen></iframe>}}}
  • Y2K 버그 . . . . 13회 일치
         연도를 두글자로 기억하는 컴퓨터들이 2000년이 되면 연도를 1900년으로 인식, 오작동을 일으킬 것이라는 버그. 당시 1990년대만 해도 컴퓨터가 상당히 많은 곳에 퍼져 있었기에 이 버그는 회사나 국가의 전산 시스템, 병원의 의료기기 등에 심각한 결과를 가져올것이라고 예상되었다.[*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98122900099118001&editNo=15&printCount=1&publishDate=1998-12-29&officeId=00009&pageNo=18&printNo=10254&publishType=00010|매일경제 1998년 12월 29일 기사, 네이버 뉴스 라이브러리]]
         미국 연방준비의사회는 [[ATM]]이 작동하지 않을것을 우려하는 시민들이 99년 말에 대량으로 현금을 인출할 것이라 예상, 500억 달러를 추가 발행했다.[*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98112200209101007&editNo=45&printCount=1&publishDate=1998-11-22&officeId=00020&pageNo=1&printNo=24046&publishType=00010|동아일보 1998년 11월 22일 기사, 네이버 뉴스 라이브러리]]
         미국의 컴퓨터 관련 기업들은 Y2K에 대해 설명하는 사이트를 공동으로 개설하였으며[*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99051000099107012&edtNo=15&printCount=1&publishDate=1999-05-10&officeId=00009&pageNo=7&printNo=10363&publishType=00010|매일경제 1999년 5월 10일 기사, 네이버 뉴스 라이브러리]], 국내 컴퓨터 업계 또한 이에 대한 대비책을 마련하였다.[*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98060800329109001&edtNo=45&printCount=1&publishDate=1998-06-08&officeId=00032&pageNo=9&printNo=16453&publishType=00010|경향신문 1998년 6월 8일 기사, 네이버 뉴스 라이브러리]]
         [[http://news.joins.com/article/15344931|중앙일보 - 지난 신문 보기-1999년 12월 31일 7면 - 'Y2K 종말론'과 꽃미남 밴드]]
  • 권희동 . . . . 13회 일치
         [include(틀:NC 다이노스/간략(외야수))]
         ||<-5><bgcolor=#FFFFFF><:>{{{#!folding [ 펼치기 · 접기 ]
         |||| http://ncdinos.firstmall.kr/data/player/111_1551081008_25165006_profile.jpg ||
         2013 신인드래프트에서 신생 팀 [[NC 다이노스]]에 9라운드 전체 86순위로 입단하게 되었다.[* [[http://sports.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kbo&ctg=news&mod=read&office_id=400&article_id=0000000013|2012년 인터뷰]]][* 여기에 썰이 하나 있는데 권희동이 그날 당시 지명이 안 될 줄 알고 집에서 자고 있었다(...)는데 지명됐다는 소식을 듣고 나서 다시 잤다는(.....)썰이 있다.] NC에서 2군 시절 모교인 경남대랑 연습 경기를 하면서 [[박으뜸|찍은 선수 2명 중 하나]]이다. 사실 권희동의 경우 스카우터 사이에선 타격은 좋으나 수비력은 물음표다라는 말이 있었다. ~~그러나 현실은 공포의 1할 타자, SK만 만나면 수비요정~~
         7월 28일 [[KIA 타이거즈]]전에서 2번이나 홈런을 쳐내 4타점을 쌓았고 몸을 날리는 [[http://sports.news.naver.com/videoCenter/index.nhn?category=kbo&id=52913&gameId=20130728HTNC0&listType=game&date=20130728|호수비]]를 보여주는 등 공수 양면에서 활약했다. 그러나 팀은 4:8로 패배.
         5월 28일 [[케일럽 클레이]]를 상대로 개인 통산 2번째 [[http://sports.news.naver.com/videoCenter/index.nhn?uCategory=kbaseball&category=kbo&id=82948|만루홈런]]을 쳤다! 희생플라이를 노렸는데, 운 좋게 넘어갔다고 인터뷰에서 밝혔다.
         6월 27일, 팀이 포수 카드를 다 대타로 소모하게 된 8회말부터 포수로 첫 선을 보이게 되었다.[[http://youtu.be/0BkuQsiNpV4|영상 링크]]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권희동/2017년)]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권희동/2018년)]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권희동/2019년)]
         루키 시즌(2013년 시즌)때는 타율과 출루율은 심각하게 낮았지만 장타력은 여전히 좋았던 타자였다. 1군 데뷔 시즌 맞이한 397타석에서 '''15개'''의 홈런을 쏘아 올렸을 정도로 힘이 있는 선수. 특히 2사 후 타점이 [[http://sports.donga.com/3/all/20130913/57652988/1|많고]], 홈런 상당수가 2점차 이내의 접전에서 [[http://www.hani.co.kr/arti/sports/baseball/599691.html|나오는]] 등, 타점의 영양가가 높아 [[공갈포]] 논란이 거의 없다. 이런 장점을 갖고 있기에 2013 시즌은 뎁스가 얇은 신생 팀에서 기회를 놓치지 않고 시즌 내내 주전으로 뛰었었다.[* 사실 2013년의 타격이 공갈성이 있긴 했지만 [[BABIP]]이 0.214에 불과할 정도로 운도 따라주지 않던 시즌이었다. 이는 압도적인 리그 꼴지의 기록. 그 이후에는 3할 초중반 대의 기록을 유지하고 있다.] 스포츠동아에서는 1할 타율을 가지고 있던 당시 공포의 1할 타자, 숫자만으로 평가해서는 안 되는 [[http://sports.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kbo&ctg=news&mod=read&office_id=382&article_id=0000132146|타자로 소개했다.]] 힘있는 타자는 상당히 귀하고 귀하기 때문. 2013 시즌에는 팀의 뎁스가 워냑 얇았고, 일발 장타력이 있었기 때문에 심각하게 낮은 타율과 출루율에도 불구하고 꾸준한 출장 기회를 부여받았다.
          * 권희롱이라는 [[http://gall.dcinside.com/list.php?id=ncdinos&no=82408|별명이 있다.]]
          * 경남대 야구부의 김용위 감독은 권희동이 대학 시절에 선수와 목회자의 길에서 방황했다고 언급했다. 그러나 본인의 인터뷰에 따르면 그저 야구를 하기 싫은 마음에 둘러댄 것이라고 한다. 기독교 집안에서 [[http://www.ncdinos.com/ncboard/storyview?seq=2346&board_id=story|자랐다고 한다.]]
  • 김상중(배우) . . . . 13회 일치
         [include(틀:다른 뜻1, other1=본명이 김상중이며 예명이 김수로인 배우, rd1=김수로(배우))]
         [include(틀:다른 뜻1, other1=씨름선수, rd1=김상중(씨름선수))]
         ||<table width=100%><table align=center><table bordercolor=#000000><-100><:>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C60C30 20%, #003478)"
         ||<#ffffff><-1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table align=center><table width=100%><-5><tablebordercolor=#ff0000><#FF0000><:>{{{+1 [[문화방송|[[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5px-Munhwa_Broadcasting_Company.svg.png|width=60]]]] '''[[MBC 연기대상|{{{#ffffff 연기대상}}}]]''' {{{#ffffff '''대상'''}}}}}}||
         결국 그것이 알고싶다 진행으로 2012년 SBS 연예대상에서 공로상을 수상했다. [[https://youtu.be/X8MMNItNQGc|수상 장면]] 김상중은 수상소감으로 “고맙습니다. '''그런데 말입니다.''' 제 나이에 공로상을 받기엔 이른 것 아닙니까? [[아재개그|상중의 상중소감]]이었습니다."라고 말했다. 여기서 대상후보를 대상으로 그것이 알고싶다를 패러디한 그들을 알고싶다라는 코너도 생방송으로 진행하여 만만치 않은 예능감을 보였다. 실제로 몇 차례 예능 프로그램 출연섭외 요청도 있었으며 팬들도 예능출연을 원하는 분위기이나, 그것이 알고싶다 진행을 위해 거절하고 있는 상황이다.[*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6&oid=213&aid=0000277982|관련 기사]] ][* 그알싶을 맡기 이전에는 [[상상플러스]], [[일요일이 좋다]]-엑스맨, [[여걸 식스]] 등등 다양한 예능 프로그램에 영화홍보 등을 위해 게스트로 종종 출연했었다. 외모만 보면 [[엄진근]]스러울것 같은데 막상 토크나 게임에선 부드러운데 어딘가 허당스러운 캐릭터로 나오는 경우가 많았다.] 다만 추적자 종영 후 추적자 외전으로 런닝맨에 장신영과 출연했다. 당연히 컨셉은 극 중 강동윤 캐릭터.
          * 2014년 [[7월 20일]] [[SBS]] [[TV동물농장]]에 깜짝 [[내레이션]] [[http://media.daum.net/entertain/enews/newsview?newsid=20140720100311249|출연]]하였는데, [[https://www.youtube.com/watch?v=LboCsRfyekI|여기]]에서 그 장면을 조금 볼 수 있다. [[2015년]] [[2월 1일]] 방송에서도 내레이션을 다시 맡았다.
          * 혼사와 관련된 [[흑역사]]가 있다.[* 이전에 한번 [[결혼]]을 해서 아들을 두었었는데 [[2000년]]에 [[http://www.donga.com/docs/magazine/woman_donga/200002/wd2000020120.html|이혼을 했었다]]. 이쪽도 이혼이라는 흑역사가 있다.] 2003년에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21&aid=0000049827|결혼 발표]]를 했었으나 [[신부]]가 [[파라다이스 그룹]] 재벌 2세 행세를 한 사기결혼으로 드러나 [[결혼식]]을 보름 앞두고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6&oid=003&aid=0000004595|파혼했다]]. 진행을 맡고 있는 그것이 알고싶다에서도 종종 사기 결혼에 대해 다루곤 하는데[* [[2013년]] [[8월 10일]] 방영된 「내 아내는 누구인가」편과 [[2014년]] [[7월 5일]]에 방영된 「사라진 '신데렐라' 예비신부 실종 미스터리」도 이 내용을 다루고 있다.] 과연 어떤 심정일지.
         [include(틀:문서 가져옴,title=김상중(배우),version=37)]
  • 도영(1996) . . . . 13회 일치
         [include(틀:NCT)]
         [include(틀:NCT U)]
         [include(틀:NCT 127)]
         ||<#FF0133><:>'''{{{#white 학력}}}'''||<(> 토평초등학교[br]구리중학교[br][[토평고등학교]](중퇴)[* 청소년 가요제에 나갔다가 [[SM엔터테인먼트]]에 캐스팅이 된 후 바로 고등학교를 자퇴했다고 한다. [[http://www.instiz.net/pt/3737893|#]]] ||
         루키즈쇼에서 태용과 부른 미공개 곡이 몇 개 있다. 대표적인 곡이 [[https://www.youtube.com/watch?v=5SIOGkxd_B0|Piece of mind]]. 제목이 밝혀지기 전에는 가사에 나오는 단어인 '귓속말'로 알려지기도 했다. 사실 이 곡은 J.cole의 sideline story의 트랙을 빌려와 그 위에 멜로디와 랩을 붙인 곡으로 태용이 연습생 시절 힘들고 지칠때마다 힘이 되어주었던 노래였다고 방송에서 언급하기도 했다. Piece of mind 보다는 덜 알려졌지만 루키즈 쇼에서 두 사람이 부른 또다른 곡인 [[https://www.youtube.com/watch?v=HjMaLw-57qw|Switch off(가제:백열등)]] 또한 정식 발매되기를 원하는 팬들이 종종 있다.
         [[일곱 번째 감각]]에서 중간중간 나오는 가성이나 백 코러스를 주로 도영이 담당했다. 재현과 쌍둥이 안무를 이루며[* 실제 무대에서는 라이브를 위해 수정되었다.] 같이 노래하거나, 혹은 재현의 바로 뒤에 나오는 경우가 많다. NCT 127의 소방차 활동은 참여하지 않아 같이 노래하는 모습을 볼 수 없었지만 무한적아 때부터 127 정식 멤버로 합류하게 되면서 재현-도영-태일로 이어지는 보컬 파트를 많이 볼 수 있게 되었다. 무한적아, Cherry Bomb, Chain 등이 대표적인 예.
         || 2018년 5월 16일 || [[Chain]] || NCT 127 || 미니 앨범 ||
         || 2017년 8월 7일 || Stay in my Life || 태일, 태용, 도영 || [[학교 2017]] OST Part 4 || [[https://www.youtube.com/watch?v=4e2DvKk2Z6E|MV]] ||
          * 같은 소속사 선배 [[소녀시대]] [[티파니(소녀시대)|티파니]]처럼 플루트를 연주할 줄 안다고 한다. 어릴 적에는 합주단 같은 걸 해서 플루트를 꽤 잘 불었는데 나이 들면서 안 하게 되었다고. 연습생 당시 프로필 쓸 때 딱히 떠오르는게 없어서 그냥 썼다고 하며 다시 연습을 해 볼 의향도 있다고 한다. 그런데 Chain 일본 데뷔 기사에 실린 프로필에도 특기로 플룻이 들어가 있다. --연습생 시절 프로필을 그냥 받아쓴것 같다--
          * 한때 공식 SNS 영상이나 출연하는 라디오에서 평소에 즐겨듣는 노래를 한 곡 추천하며 그 노래를 짧게 불러주는 자시알쏭[* 자는 시간 알려주는 노래]이라는 코너를 민 적이 있다. 2017년 말부터는 다소 뜸해진 편. [[https://www.youtube.com/watch?v=8gbpEWau_OQ|자시알쏭 모음]] 약 1년만인 2018년 9월 정식 자시알쏭은 아니지만 Bazzi의 Mine을 커버한 영상을 올려주었다.
          * 가장 재미있게 녹음한 곡은 Sun&Moon, 가장 어려웠던 곡은 Without You. 그런데 본인이 참여한 곡 중 가장 좋아하는 곡 또한 Without U, 부를 때 정말 행복하다고 한다. Chain 앨범에서 가장 좋아하는 곡은 100. Regular-Irregular 앨범에서 가장 좋아하는 곡은 지금 우리. 돌려 말하지 않고 아름다움을 있는 그대로 솔직하게 표현하는 순수한 느낌의 가사라 좋아한다고 한다. 또한 NCT의 이야기를 영화로 만든다면 오프닝이나 엔딩 곡으로 좋을 것 같다고 이야기하기도 했다.[* 참고로 이 곡은 태용이 작곡에 참여한 곡이기도 한데 처음 들었을 때는 태용이 형이 만든지 모르고 들었는데 너무 좋았다고.] 드림의 곡 중 좋아하는 곡은 마지막 첫사랑, We Young[* 가장 해보고 싶은 드림의 곡도 We Young], My page[* 도입부의 런쥔이의 목소리가 정말 좋다고 언급하였다.]
  • 마재윤 . . . . 13회 일치
         [[파일:Shinhan3winner.png|섬네일|left|260px|본좌 논쟁의 종지부를 찍은 신한은행 스타리그 시즌3의 우승]]
         마재윤은 의심할 바 없는 당대 최강의 선수였던 [[최연성]]에게 압도적인 모습을 보여주며<ref>([http://gmnews.afreeca.com:8109/app/index.php?board=news_esports&b_no=9503&c_no=2&control=view '최연성 킬러는 나!' GO 마재윤V, 2회 연속 결승 진출!] [[파이터포럼]], 2006년 1월 5일. 마재윤은 최연성과의 상대전적에서 8승 3패로 크게 앞서고 있다.)</ref> 당대 최강자임을 과시하였다.
         [[우주닷컴 MSL 2005]]에서 박정석(당시 KTF 매직엔스,현 [[KT Rolster]])을 꺾고 첫 우승을 차지한 이래<ref>([http://www.fomos.kr/board/board.php?mode=read&keyno=87478&db=issue&cate=001&page=8&field=&kwrd= e스포츠 타임머신 마재윤, 우주배 MSL 우승 등] [[포모스]], 2008년 8월 6일)</ref> MSL 3회 우승<ref>[http://gmnews.afreeca.com:8109/app/index.php?board=news_esports&b_no=14659&c_no=2&control=view CJ 마재윤 ‘본좌론’에 종지부 찍었다!(종합)] [[파이터포럼]], 2006년 11월 11일)</ref> 을 차지한데 이어, 2007년 2월에는 MSL 5회 연속 결승 진출하여 [[김택용]]과 대결하게 되었다.<ref>([http://gmnews.afreeca.com:8109/app/index.php?board=news_esports&b_no=16411&c_no=2&control=view CJ 마재윤V, 패스트 디파일러-럴커 러시로 5회 연속 MSL 결승 진출] [[파이터포럼]], 2007년 2월 15일)</ref>
         한편, MSL에서의 눈부신 활약과 달리 [[온게임넷 스타리그]]에서는 예선 탈락도 여러차례 하는 등<ref>([http://gmnews.afreeca.com:8109/app/index.php?board=news_esports&b_no=12276&c_no=1&control=view 안상원 듀얼토너먼트 본선 진출 등 오전 1조 종료] [[파이터포럼]], 2006년 6월 28일. 온게임넷 예선에서 안상원에게 패배한 모습)</ref> 부진한 모습을 보여왔다. 그러나 5번째 MSL 결승전을 앞두고 벌어진 [[신한은행 스타리그 2006 Season 3]] 결승에서 [[이윤열]](현 [[위메이드 폭스]])을 3:1로 꺾고 로열로더로써 우승하였다.<ref>([http://gmnews.afreeca.com:8109/app/index.php?board=news_esports&b_no=16484&c_no=1&control=view CJ 마재윤V, 3대1로 이윤열 꺾고 현역 최고 선수 등극!] [[파이터포럼]], 2007년 2월 24일)</ref> 당시 [[엄재경]] 해설위원의 '사람이 신을 어떻게 이깁니까!' 발언과 인상적인 퀸 사용은 한동안 화제가 되었다. 그만큼 당시 마재윤의 실력과 기세는 모든 이들을 압살하는 수준이었다.
         그러나 결승전 당일, 김택용은 모든 이의 예상을 뒤엎고 마재윤을 3:0으로 제압하며 김택용 기준으로 역대 최연소 우승을 차지하였다.<ref>[http://gmnews.afreeca.com:8109/app/index.php?control=view&board=news_esports&c_no=2&b_no=16530 파이터포럼, 2007년 3월 2일]</ref> 김택용은 3세트 모두 커세어와 다크 템플러를 주축으로 한 견제 플레이에 주력하였고, 경기 내내 단 한 번도 주도권을 내주지 않는 완벽한 운영으로 마재윤을 무너뜨렸다. 이는 훗날 '3.3 혁명'이라고 불릴 만큼 충격적인 결과였고, 이후 마재윤은 정상의 자리에서 급격히 추락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마재윤의 기량 난조는 2008년 상반기까지 이어졌다. 양대 리그 조기 탈락에 이어 오프라인 예선까지 추락하는 것은 물론, 프로리그 08시즌에서도 부진에 부진을 거듭하면서 가끔씩 팀플에서만 활약하는데 그쳤다. 결국 2008년 6월, CJ 엔투스는 특단의 조치로 마재윤에게 2군 강등을 통보했다.<ref>[http://gmnews.afreeca.com:8109/app/index.php?board=news_esports&b_no=26292&c_no=5&control=view [[파이터포럼]], 2007년 7월 7일]</ref> 이후 3주간 2군 숙소에서 훈련을 소화한 마재윤은 그 성과와 태도가 인정되어 2008년 7월 21일부로 1군에 전격 복귀하였다.<ref>[http://gmnews.afreeca.com:8109/app/index.php?board=news_esports&b_no=26545&c_no=5&control=view [[파이터포럼]], 2007년 7월 21일]</ref>
         ** 2007년 06월 24일 이성은 승 vs 마재윤 패 - 곰TV MSL 시즌2 8강 B조 1Set In Python 1.1
         ** 2007년 06월 24일 이성은 패 vs 마재윤 승 - 곰TV MSL 시즌2 8강 B조 2Set In Loki
         ** 2007년 06월 24일 이성은 승 vs 마재윤 패 - 곰TV MSL 시즌2 8강 B조 3Set In Desperado
         ** 2007년 06월 24일 이성은 패 vs 마재윤 승 - 곰TV MSL 시즌2 8강 B조 4Set In Monty Hall
         ** 2007년 06월 24일 이성은 승 vs 마재윤 패 - 곰TV MSL 시즌2 8강 B조 5Set In Python 1.1
         ** 2007년 11월 11일 이성은 승 vs 마재윤 패 - 신한은행 프로리그 2007 후기리그 In Katrina
         ** 2007년 12월 30일 이성은 승 vs 마재윤 패 - 신한은행 프로리그 2007 후기리그 In Blue Storm
         ** 2008년 05월 06일 이성은 승 vs 마재윤 패 - 신한은행 프로리그 2008 전기리그 In Andromeda
         ** 2008년 05월 10일 이성은 승 vs 마재윤 패 - 아레나 MSL 32강 F조 2경기 In Tiamat 1.0
         ** 2008년 12월 01일 이성은 승 vs 마재윤 패 - 신한은행 프로리그 08~09 2라운드 In Rush Hour 3
         ** 2009년 04월 19일 이성은 패 vs 마재윤 승 - 신한은행 프로리그 08~09 4라운드 In Battle Royal
         ** 2009년 01월 15일 김명운 패 vs 마재윤 승 - 로스트사가 MSL 32강 A조 승자전 In Byzantium 2
         ** 2009년 02월 26일 김명운 승 vs 마재윤 패 - 로스트사가 MSL 8강 A조 1set In Destination 1.1
         ** 2009년 02월 26일 김명운 패 vs 마재윤 승 - 로스트사가 MSL 8강 A조 2set In Byzantium2
  • 서강준 . . . . 13회 일치
         | 출생지 = [[대한민국]] [[경기도]] [[군포시]] 산본동 (고산로724번길) <ref name="tvreport">{{뉴스 인용|제목=[입덕안내서] 서강준, 늦기 전에 ‘갈키색’ 눈동자에 빠져라|url=http://m.entertain.naver.com/read?oid=213&aid=0000831085|출판사=TV리포트|저자=양지원|날짜=2016-01-21|확인날짜 =2017-09-07}}</ref>
         서강준(본명 이승환)은 1993년 10월 12일 [[경기도]] [[군포시]] 산본동 (고산로724번길)에서 1남 1녀 중 막내로 태어났으며 누나와는 연년생이다.<ref name="tvreport" /> 그는 학창시절까지 계속 에서 성장하였고, 2학년 때 [[말레이시아]]에서 1년 7개월 동안 유학하다가 1학년때 귀국했다.<ref name="10아시아"/> 이후 재학 시절에 “뭐라도 해보자”라는 마음으로 모델 에이전시에 등록하게 되었다. 하지만 많은 오디션에서 고배를 마시게 되면서 마지막으로 “한 번만 쇼에 서보고 그만두자”라는 생각에 고등학교 3학년 때 2011 F/W 서울 패션 위크에서 런웨이를 끝으로 2~3년만에 그만 두게 되었다.<ref name="머니투데이">{{뉴스 인용|url=http://star.mt.co.kr/view/stview.php?no=2014050308310735776&type=1&outlink=1|제목='발견!' 서강준, 국민 연하남의 가능성(인터뷰)|저자=김현록|날짜=2014-05-05|출판사=머니투데이|확인날짜=2014-05-17}}</ref><ref name="네이버">{{뉴스 인용|제목 ='보그'가 선정한 2014년의 프레시맨-2 - INTERVIEW|url =http://navercast.naver.com/magazine_contents.nhn?rid=1098&contents_id=51180|출판사=[[네이버]] 매거진캐스트|저자=[[보그]]|날짜 = 2014-03-01|확인날짜=2014-05-17}}</ref> 서강준은 또한 그 당시에 바빠도 밤마다 영화는 한 두 편은 꼭 챙겨 보았는데, 그러다보니 막연히 “연기를 하고 싶다”라는 열망이 생겨 아르바이트로 번 돈으로 연기학원에 들어가 연기를 배우기 시작했다.<ref name="머니투데이"/> 당시에는 처음 접하는 연기가 어려웠지만 새로 접하는 연기의 매커니즘이 신기했고,<ref name="네이버"/> 무엇보다 새로 창조해나간다는 직업이라는 것이 신기했다고 한다.<ref name="10아시아"/>
         서강준은 2013년 서프라이즈 멤버들과 웹 드라마 《[[방과 후 복불복]]》에 출연하며 연기자로 정식 데뷔하였고, 이후 [[SBS]] 드라마 《[[수상한 가정부]]》에서 은한결([[김소현]] 분)의 밴드부 선배 최수혁 역으로 출연하였는데, 당초 다른 드라마 《[[별에서 온 그대]]》오디션을 보러 갔다가 나오는 길에 《수상한 가정부》 오디션을 권유 받게 되었고 얼떨결에 합격했다고 한다.<ref name="enews24">{{뉴스 인용|url=http://enews24.interest.me/news/article.asp?nsID=300988|제목=[인터뷰] 서강준, "대형신인이요? 천천히 가고 싶어요"|저자=안소현|날짜=2013-12-09|출판사=enews24|확인날짜=2014-05-17}}</ref> 그러다가 [[MBC]] 단막극 《[[드라마 페스티벌|드라마 페스티벌 - 하늘재 살인사건]]》을 연출한 최준배 감독이 서강준이 출연한《수상한 가정부》를 보고 그에게 러브콜을 보냈고, [[문소리]]의 상대역인 윤하 역으로 출연했다.<ref name="enews24"/> 2014년 초, 서강준은 [[MBC]] 드라마 《[[앙큼한 돌싱녀]]》에서 여주인공 나애라([[이민정]] 분)와 러브라인을 형성하는 연하남 국승현 역을 연기해 좋은 반응을 얻으며 [[코리아 드라마 어워즈]]에서 남자신인상을 수상했다. 같은 해 그는 2014년 5월 4일부터 2015년 4월 14일까지 [[SBS]]의 버라이어티 프로그램 《[[일요일이 좋다]] - [[룸메이트 (텔레비전 프로그램)|룸메이트]]》에 고정 출연하며 얼굴을 알렸다.<ref>{{뉴스 인용 |제목 =서강준, ‘룸메이트’ 멤버들과 쫑파티 인증샷…“자주 봐요” |url =http://entertain.naver.com/read?oid=109&aid=0003047007|출판사 =OSEN |저자 =정소영|날짜 = 2015-04-21|확인날짜 =2017-09-07}}</ref> [[삼성그룹]]에서 제작한 웹드라마 《[[최고의 미래]]》에 이어,<ref>{{뉴스 인용|제목=‘최고의 미래’ 서강준 “민아 첫인상, 신기했다…동갑이라 빨리 친해져”|url=http://m.entertain.naver.com/read?oid=009&aid=0003336999|출판사=매일경제|저자=|날짜=2014-10-27|확인날짜 =2017-09-07}}</ref> [[KBS2]] 주말 드라마 《[[가족끼리 왜 이래]]》에 출연했다. 이후 스크린 데뷔작인 영화 《[[나의 사랑 나의 신부 (2014년 영화)|나의 사랑 나의 신부]]》에 연달아 출연하며 차근 차근 연기 내공을 쌓아갔다.
         2015년 서강준은 [[MBC]] 대하 드라마 《[[화정 (드라마)|화정]]》에 주연급으로 캐스팅 되어 소신과 명석함을 지닌 꽃도령 홍주원 역을 맡아 6개월여동안 최종회까지 대장정을 소화해내며 연기 스펙트럼을 넓혀갔다. 2016년에는 동명의 인기 웹툰을 원작으로 한 [[tvN]] 드라마 《[[치즈인더트랩 (드라마)|치즈 인 더 트랩]]》에서 ‘츤데레’ 매력남 백인호 역을 연기했다. 이 작품에서 그는 한때는 촉망받던 피아노 천재로 까칠한 겉모습과 달리 인간적인 매력을 지닌 백인호 캐릭터를 극대화 시켰다는 평가를 얻었다.<ref>{{뉴스 인용|제목=서강준, 물오른 4년차 '치인트'로 폭발|url=http://m.entertain.naver.com/read?oid=469&aid=0000123528|출판사=한국일보|저자=황지영|날짜=2016-01-20|확인날짜 =2017-09-07}}</ref> 그는 실제로 7살 때부터 피아노를 배우기 시작해 데뷔 이후 드라마와 예능, 해외 팬미팅 등에서도 간간히 연주 실력을 선보이기도 했다.<ref>{{뉴스 인용|제목=‘치인트’ 서강준, 여심저격 피아노 신 진실 밝혀…“그 정도 실력 안돼”|url=http://m.hankooki.com/m_sp_view.php?WM=sp&FILE_NO=c3AyMDE2MDEyODEwMzQyMzEzNjY3MC5odG0=&ref=m.search.naver.com|출판사=스포츠한국|저자=김수민|날짜=2016-01-28|확인날짜 =2017-09-07}}</ref> 2016년 11월, 서강준은 대한민국 차세대 스타와 그를 둘러싼 연예계 일상을 그린 100% 사전제작으로 제작 된 [[tvN]] 드라마 《[[안투라지 (2016년 드라마)|안투라지]]》에서 연예인들의 연예인, 가장 핫한 배우 차영빈 역을 연기했다. 하지만 개연성 부족한 스토리와 캐릭터들의 불협화음으로 드라마는 저조한 시청률로 종영했다.<ref>{{뉴스 인용 |제목 ='미드 리메이크' <안투라지>는 왜 성공하지 못했나 |url =http://entertain.naver.com/read?oid=047&aid=0002136516|출판사 =오마이뉴스 |저자 =윤현|날짜 = 2016-12-26|확인날짜 =2017-09-07}}</ref>
         | [[정글의 법칙|정글의 법칙 in TONGA]]
         * 2015년 시네마게임 《도시를 품다》(감독 김선일·제작 쇼베 크리에이티) - 카카오톡을 통해 출시 및 구글플레이 및 애플 앱스토어에서 공개<ref>{{뉴스 인용|제목=서강준·경수진, 드라마-예능 이어 게임에서 만난다|url=http://entertain.naver.com/read?oid=009&aid=0003464205|출판사=매일경제 스타투데이|저자=오주영|날짜=2015-04-17|확인날짜 =2017-09-07}}</ref>
         | 〈I'm In Love〉
         | 제10회 [[숨피]] 어워즈<ref>{{웹 인용|url=https://www.soompi.com/2015/02/16/announcing-the-results-of-the-10th-annual-soompi-awards-2014/|title=Announcing the Results of the 10th Annual Soompi Awards 2014|date=February 16, 2015|website=Soompi}}</ref>
         | 드라마 남자부문 Made in tvN
  • 송병구 . . . . 13회 일치
         {| cellspacing="1" style="text-align:center; background-color: white; border: double silver 3px;margin-bottom:6px;"
         |+'''스타크래프트1 통산 전적''' (2012년 8월 25일까지 공식전 기준)<ref>{{웹 인용|url=http://www.ygosu.com/reports/?m2=person&m3=stats_star&page=1&idx=72&newwindow=&search=YToyOntzOjExOiJzX2tleXdvcmRfdCI7czo0OiJuYW1lIjtzOjk6InNfa2V5d29yZCI7czo5OiLshqHrs5HqtawiO30%3D|title=송병구의 2012년 8월 1일까지 공식 전적|publisher=와이고수|accessdate=2015-04-24}}</ref><ref>{{웹 인용|url=http://www.teamliquid.net/tlpd/korean/players/59_Stork/games|title=송병구의 2012년 8월 25일까지 비공식 포함 전적|publisher=Teamliquid.net|accessdate=2015-04-24}}</ref>
         |-bgcolor="moccasin"
         {| cellspacing="1" style="text-align:center; background-color: white; border: double silver 3px;margin-bottom:6px;"
         |-bgcolor="moccasin"
         * [[2012년]] Tving 스타리그 2012 16강
         * [[2012년]] MLG Starcraft II Invitational 초청전 8강
         * 2014년 Connecting Professional E-sports #1 8강
         * 2015년 SanDisk SHOUTcraft Invitational II 8강
         **'''스타리그 100승 달성''' - [[임요환]], [[홍진호]] 다음 역대 세번째이며 프로토스 유일<ref>{{뉴스 인용|title='사령관' 송병구, 역대 3번째 스타리그 100승 대기록 달성|url=http://article.joins.com/news/article/article.asp?total_id=8259548&ctg=1601|newspaper=중앙일보|date=2012-05-22}}{{깨진 링크|url=http://article.joins.com/news/article/article.asp?total_id=8259548&ctg=1601 }}</ref><ref>{{뉴스 인용|title=삼성전자 송병구, 레전드의 반열에 오르다. 임요환-홍진호에 이어 세 번째 온게임넷 개인리그 100승 점령|url=http://esports.dailygame.co.kr/view.php?ud=201205222119450060784|newspaper=데일리e스포츠|date=2012-05-22}}</ref>
         **'''스타리그 최다 진출''' - 총 17회로 EVER 스타리그 2005부터 Tving 스타리그 2012까지. 2위는 박성준 15회<ref>{{뉴스 인용
         * [http://www.esportsearnings.com/players/1581/stork 송병구 e-Sports 어닝스]
  • 신동일 (언어학자) . . . . 13회 일치
         |웹사이트=http://www.dongilshin.com
         [[1990년]]에 [[중앙대학교]] 영어영문학과를 졸업하고, [[1995년]]에 [[아이오와 주립대학교]] 영어과에서 응용언어학 분야 중 하나인 구술능숙도(spoken proficiency) 평가 분야에서 석사학위를 취득하였으며, [[1999년]] 10월에 <진단목적으로의 영어 듣기 평가도구 타당도 검증: 수행능력 모형화 작업과 다차원구조 이슈 중심으로(Construct validation of a diagnostic L2 listening test: An operational model utilized and multidimensionality issues revisited)>라는 논문<ref>[http://www.slate.illinois.edu/people/graduates/#3 일리노이 대학교 어바나-샴페인 제 2언어습득 및 교육학과 동문]</ref>으로 [[일리노이 대학교 어바나-샴페인]]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호주 ISLPR (International Scale of Language Proficiency Rating, Griffith University, Australia), 영국 ELT and Assessment International Seminar (British Council, UK), Cambridge ESOL YLE (Young Learners of English) Examiner, 미국 ACTFL (American Council of Teachers of Foreign Languages, University of Pennsyvania, USA) 기관 등에서 영어평가 전문가 및 채점자/면접관 훈련 과정을 200시간 이상 이수했다.
         숙명여자대학교의 MATE(Multimedia Assisted Test of English), [[YBM-Sisa]]의 [[SEPT]](Spoken Engish Proficiency Test), 크레듀가 참여한 [[OPIc]] (Oral Proficiency Interview computer), 교통부의 Pilot & Air Traffic Controller 대상 영어말하기능력인증평가, 교육부의 국가영어인증시험 등과 같은 학교, 기업, 국가 단위의 다양한 언어시험 개발/시행, 말하기/쓰기교육 콘텐츠개발에 관한 (책임)연구에 참여했다. 2000-2007년에 한국영어평가학회 총무로 일했고, 2007-2009년 동안은 비영리교육단체인 ACTFL((American Councils on the Teaching of Foreign Languages) 한국위원회를 설립하고 위원장을 맡았다.
         * 〈Now Storytelling 스토리텔링〉 ([[2010년]])
         * 〈Integrating Teaching and Assessment in the EFL Classroom : A practical Guide for Teachers in Korea〉 ([[2005년]])
         * [http://www.dongilshin.com/ 신동일의 공식 홈페이지]
  • 이시영(배우) . . . . 13회 일치
         [Include(틀:화이브라더스 소속 아티스트)]
         || '''링크''' ||<(> [[https://www.instagram.com/leesiyoung38/|[[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png|width=24]]]] [[http://cafe.daum.net/LeeSeeYoung|[[파일:다음 카페 아이콘.png|width=24]]]] ||
         2017년 7월 13일 [[속도위반|임신]] 4개월이라 밝히며 9월에 결혼한다는 소식을 전했다. [[http://m.entertain.naver.com/read?oid=108&aid=0002629502&gid=999339&cid=1066270|#]]
         2017년 9월 30일 사업가 조승연씨와 결혼했다. [[http://www.huffingtonpost.kr/2017/09/29/story_n_18135978.html|관련기사]]
         2018년 1월 7일 득남했다. [[http://m.entertain.naver.com/read?oid=108&aid=0002671631|관련기사]]
         2011년 3월 16일 전북 완주에서 열린 제7회 전국 여자신인 아마추어 복싱대회 -48kg급 준결승에서 양주 백석고의 신소영 선수를 상대로 승리했다.[[http://m.sports.naver.com/general/news/read.nhn?oid=001&aid=0004962867|관련기사]] 생활체육을 넘어서서 아마복싱까지 점령중. 이러다 프로 전향할 기세. 그리고, 결국 해당 대회에서 '''우승'''했다.[[http://sports.media.daum.net/general/news/moresports/breaking/view.html?cateid=1076&newsid=20110317111622287|관련기사]] ~~정말로 배우에서 복싱 선수로 전업할 기세.~~ 경기내용적인 측면에서는 상대가 가드가 약하다 싶으면 왼쪽 스트레이트, 가드를 단단히 하고 있으면 오른쪽 훅을 사용했다. 판정은 17:0 ~~시작의 일보?~~아닌게 아니라, 이시영의 소속 체육관 관장인 전 세계 챔피언 홍수환 씨는 잘 키워서 런던 올림픽에 낼 생각이라고 한다. [[http://sports.news.nate.com/view/20110317n11999|관련기사]] 여기에, 이시영의 소속사인 GnG프로덕션 관계자는 배우에 집중했음 좋겠다는 입장을 표명했다.[[http://sports.media.daum.net/general/news/moresports/breaking/view.html?cateid=1076&newsid=20110317150916632&p=newsen|관련기사]] ~~복싱계와 연예계가 이시영을 두고 소유권 분쟁을 일으키고 있는 현장!!~~ 다만, 실제 저 경기에 출전했던 아마추어 복싱 선수의 말에 의하면 이시영에게 너무 좋게 판정한, 즉 편파적 전북가 진행됐다고 하는 말도 있기 때문에 복싱 실력에 대해서는 의혹이 있다.
         7월 1일 이시영과 소속사는 이는 '''사실무근'''이고 루머로 인해 이시영의 명예가 훼손됐다며 최초의 루머 유포자를 처벌해 달라며 형사고발했다. 검찰은 이에 즉시 수사에 착수했다. [[http://m.entertain.naver.com/read?oid=003&aid=0006612507&gid=999339&cid=1004159|관련기사]]
         7월 2일 이시영과 소속사는 '''공식입장'''을 발표했다. [[http://m.entertain.naver.com/read?oid=109&aid=0003103320&gid=999339&cid=1004169|공식전문]]
         7월 24일 검찰은 전/현직 기자, 국회의원 보좌관, 대기업 직원 등 찌라시 유포자들을 대상으로 압수수색을 벌였다. 최초 유포자에 상당히 근접했다는 해석이 나오고 있다.[[http://news.jtbc.joins.com/html/051/NB10976051.html|관련기사]]
         7월 25일 검찰은 동영상을 정밀 감식한 결과 '''동영상의 주인공은 이시영이 아니라고 결론''' 내렸다. 또한, 최초 유포자는 계속 수사 중이며 카톡을 지우는 등 증거 인멸 정황이 포착되었다고 말했다. [[http://news.jtbc.joins.com/html/605/NB10974605.html|관련기사]]
         8월 27일 루머의 최초 유포자인 언론사 기자 신모씨가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5/08/27/0200000000AKR20150827213500004.HTML|구속됐다.]]
         9월 4일 최초의 루머 유포자 신씨가 재판에 [[http://m.entertain.naver.com/read?oid=003&aid=0006735836&gid=999339&cid=1006709|넘겨졌다.]]
         9월 8일 악성루머 유포자 4명을 약식 [[http://m.entertain.naver.com/read?oid=018&aid=0003342623&gid=999339&cid=1006874|기소했다.]]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이시영, version=145)]
  • 장서희(1972) . . . . 13회 일치
         [include(틀:상위 문서2, top1=배우/한국, top2=불교/인물)]
         ||<table width=100%><table align=center><table bordercolor=#000000><-100><:>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C60C30 20%, #003478)"
         ||<#ffffff><-1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table align=center><table width=100%><-5><tablebordercolor=#FF0000><#FF0000><:>{{{+1 [[문화방송|[[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5px-Munhwa_Broadcasting_Company.svg.png|width=60]]]] '''[[MBC 연기대상|{{{#FFFFFF 연기대상}}}]]''' {{{#FFFFFF '''대상'''}}}}}}||
         ||||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1/11/Jang_Seo-hee_at_The_Exhibition_of_Three_Korean_Artists_at_Today_Art_Museum_in_Beijing%2C_China.jpg/250px-Jang_Seo-hee_at_The_Exhibition_of_Three_Korean_Artists_at_Today_Art_Museum_in_Beijing%2C_China.jpg ||
          * [[디시인사이드]]에 [[http://gall.dcinside.com/list.php?id=seohee|장서희 갤러리]]가 있는데, 국내 활동이 뜸했기에 망해가는 분위기였다. 다행히 《[[뻐꾸기 둥지]]》 이후 다시 활발해졌다.
  • 채수빈 . . . . 13회 일치
         | 사진 =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f/f9/Chae_Soo_Bin_KWAVE_U_Fan_Wish_04.jpg/250px-Chae_Soo_Bin_KWAVE_U_Fan_Wish_04.jpg
         | 웹사이트 = [http://www.starship-ent.com/profile/artists/soobin.php 스타쉽엔터테인먼트 채수빈]<br>{{인스타그램|soobinms}}
         '''채수빈'''({{본명|배수빈}}, [[1994년]] [[7월 10일]] ~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다.<ref name="SDN">{{웹 인용|url=http://www.stardaily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67059|title=(S기획+) 채수빈 배수빈, 두 ‘배수빈’의 열혈 ‘연극’ 사랑 ((S Plan +) Chae Soo-bin, Bae Soo-bin: Both with the same birth name, both loved by the public)|website=Star Daily News}}</ref>
         | 서울 대학로 수현재 씨어터 DCF 대명문화공장 1관 비발디파크홀<br />(2016.10.13 ~ 2016.11.20 공연)<ref>{{웹 인용|title=채수빈, 연극 ‘블랙버드’ 관객 호평 속 마무리|url=http://m.entertain.naver.com/read?oid=382&aid=0000520905|website=Naver}}</ref>
         | 대학로 유니플렉스 1관<br /> (2019.3.15 대학로 유니플렉스 1관)<ret>{{웹 인용|title=채수빈, 연극 ‘앙리할아버지와 나’ 차기작 결정 |url=http://m.entertain.naver.com/read?oid=382&aid=0000520905|website=Naver}}</ref>
         |<ref>{{웹 인용|title=Winners of the 2015 APAN Star Awards|url=http://www.soompi.com/2015/11/28/winners-of-the-2015-apan-star-awards/|website=Soompi}}</ref>
         * {{공식 웹사이트|http://www.starship-ent.com/profile/artists/soobin.php}}
         * {{인스타그램|soobinms}}
         * {{IMDb 이름|6914447|Chae Soo-bin}}
  • 페이데이: 더 하이스트 . . . . 13회 일치
         || 2 || Thick Skin || 체력 증가 ||
         || 4 || 새 장비 || Trip Mine ||
         || 6 || Trip Mine || 데미지 증가 ||
         || 8 || Thick Skin || 체력 증가 ||
         || 14 || Trip Mine || 소지량 증가 ||
         || 18 || Thick Skin || 체력 증가 ||
         || 22 || Trip Mine || 소지량 증가 ||
          * 체인스(Chains)
          * Reinbeck
          attachment:Reinbeck.png
          attachment:TripMine.png
          * Thick Skin
          attachment:ThickSkin.png
  • 홍진경 . . . . 13회 일치
         | 사진 =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d/d7/Hong_Jin-kyung_at_the_2016_KBS_Entertainment_Awards.jpg/250px-Hong_Jin-kyung_at_the_2016_KBS_Entertainment_Awards.jpg
         | 웹사이트 = [http://iok.co.kr/hong-jin-kyeong/ 아이오케이컴퍼니 홍진경]<br>{{인스타그램|jinkyunghong/}}
         '''홍진경'''(洪眞慶,<ref>{{뉴스 인용 |저자= |제목= 탤런트 홍진경 중앙대 연극학과 합격|url=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96012300209139022&editNo=45&printCount=1&publishDate=1996-01-23&officeId=00020&pageNo=39&printNo=23090&publishType=00010|뉴스= 동아일보|쪽= 39|날짜= 1996-01-23|확인날짜= 2016-02-23|인용문= KBS 쇼코미디프로「슈퍼선데이」의 보조사회자로 활동중인 슈퍼모델 출신 고교생탤런트 洪眞慶(홍진경)양(18·정의여고3년)이 중앙대 연극학과 연기전공에 합격해 화제다.}}</ref> [[1977년]] [[12월 23일]] ~ )은 [[대한민국]]의 [[모델 (직업)|모델]], [[방송인]], [[배우]], [[기업가]]이다. 현재 자신의 이름을 딴 식품회사 '''주식회사 홍진경'''을 설립, 자신의 어머니와 공동으로 경영하며([[최고경영자|CEO]] 직위) 김치, 만두 등의 생산 및 판매 사업을 하고 있다.
         * 2008년 `안암동(요리사의 요리 Theme)` (Digital Single)
         * 2009년 `그대에게 가는 길` (Digital Single)
         * 2010년 `양심 있는 유부녀` (Digital Single)
         * {{인스타그램|jinkyunghong}}
  • 홍진기 . . . . 13회 일치
         [[1940년]] [[경성제국대학]] 법문학부 법학과를 졸업하고, 그 해 [[일본 고등문관시험]] 사법과에 합격하였다. [[1942년]] 경성지법 사법관 시보를 시작으로 일제 때 판사<ref>{{뉴스 인용 | url=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308&aid=0000001146 | 제목=조·중·동이 친일인명사전 때리는 까닭 | 저자=주진우 | 뉴스=시사인 | 날짜=2009-11-20 | 확인날짜= | 보존url=http://archive.is/JKi44 | 보존날짜=2014-04-30 }}</ref> 생활을 했다.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5/5f/Korean_Diplomats_being_seen_off_before_attending_Geneva_Conference_%281954%29.gif/220px-Korean_Diplomats_being_seen_off_before_attending_Geneva_Conference_%281954%29.gif
         법무부 차관이던 1954년 4월부터 7월까지 제네바에서 열린 [[제네바 정치회의]]에 대한민국 대표단의 일원으로 참석하였다.<ref>{{뉴스 인용 |url=http://shindonga.donga.com/docs/magazine/shin/2008/02/12/200802120500004/200802120500004_1.html | 제목=6·25 참전국 모두 모여 만든 ‘유일한 국제공인 통일원칙’| 저자=최운상 | 뉴스=신동아 | 출판사=동아일보 | 날짜=2008-02-01 | 보존url=http://archive.is/DTdrZ | 보존날짜=2016-08-18 }}</ref>
         이후 [[삼성]]회장이자 훗날 사돈 관계<ref>{{뉴스 인용 | url=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3&oid=047&aid=0002032237 | 제목=이건희 장인이 '홍찐구'로 조봉받은 사연 | 저자=정은균 | 뉴스=오마이뉴스 | 날짜=2013-08-20 | 확인날짜= | 보존url=http://archive.is/k9DGp | 보존날짜=2014-04-30 }}</ref>를 맺게 될 [[이병철]]과 친분이 두터웠으며, 1964년 중앙라디오방송주식회사 사장, 1968년 중앙일보사 대표이사 사장, 1971년 주식회사 동양방송 대표이사, 1974년 중앙일보·동양방송주식회사 사장, 1980년 중앙일보사 회장을 지냈다.
         일제 강점기에 전주지방법원 판사를 역임했던 경력 때문에 [[민족문제연구소]]가 발간한 [[친일인명사전]]<ref>{{뉴스 인용 | url=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32&aid=0001973438 | 제목=“독립투쟁이 전설로 묻혀서 되겠나, 그래서 나섰다” | 저자=유인경 | 뉴스=경향신문 | 날짜=2008-08-28 | 확인날짜= | 보존url=http://archive.is/WyYhK | 보존날짜=2014-04-30 }}</ref>에 등재되기도 했다.
         {| border="2" cellpadding="4" cellspacing="0" style="margin: 1em 1em 1em 0; background: #f9f9f9; border: 1px #aaa solid; border-collapse: collapse; font-size: 95%;"
  • 황정민(남자배우) . . . . 13회 일치
         [include(틀:다른 뜻1, other1=동명의 노래, rd1=컨트롤 디스전)]
         [include(틀:다른 뜻2, other1=아나운서 황정민, rd1=황정민(아나운서), other2=여성 배우 황정민, rd2=황정민(1969))]
         [include(틀:상위 문서, top1=배우/한국)]
         [include(틀:샘컴퍼니 소속 아티스트)]
         ||<table width=100%><table align=center><table bordercolor=#000000><-100><:>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C60C30 20%, #003478)"
         ||<#ffffff><-1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f/fd/Hwang_Jung-Min.jpg/250px-Hwang_Jung-Min.jpg ||
          * 극단 '학전' 시절 무대를 관람하는 관람객들 사이에서 일명 '학전 독수리 5형제'로 불리며 큰 인기를 누렸다. 나머지 4명은 [[설경구]], [[김윤석]], [[장현성]], [[조승우]] 이다.[[http://entertain.naver.com/read?oid=076&aid=0002510929|#]]
          * 얼굴이 빨개서 팬들은 홍시같이 빨갛다는 의미로 '''황시'''라고 부른다. 팬들에게만 사용되다가 최근 여러 매체에서 황시라는 말을 쓰고 있다. 같은 이유로 홍익인간(얼굴이 빨갛게 익은 인간)이라는 별명도 팬들 사이에서나 매체를 통해 많이 소개되고 있다. 전술한 욕 잘하는 이미지와 합쳐 빨간 욕출(빨간 욕 잘하는 연출가)라는 별명도 있었다고 한다. --'학전 5형제' 시절엔 빨간놈으로 불렸다고 한다.[[http://entertain.naver.com/read?oid=213&aid=0000204494|#]]--
          * 2016년 1월 29일에 인터뷰를 했는데 대표 연기파 배우로 인식되어 있는 사람이 무려 '''연기력에 자신 없다. 드라마는 연기를 잘하는 사람이 해야 한다'''고 밝혀 베댓창이 드립으로 난무하는 중(...) --박지성: 축구에 자신없어 축구 잘하는 사람이 해야, 김연아: 피겨 자신없어 피겨 잘하는 사람이 해야-- 희대의 망언에 올랐다는 반응이 많다[* 아마 [[쪽대본]]을 염두에 두고 말한 것 같다. 쪽대본 때문에 배역에 몰입하지 못하는 고충은 많은 배우들이 토로한 바 있으니 마냥 망언만은 아닌 셈]. --아이돌 드라마 주연 의문의 1패--[[http://entertain.naver.com/read?oid=109&aid=0003250242|#]]
  • 강릉카페썬 . . . . 12회 일치
         https://postfiles.pstatic.net/MjAxODExMDFfMjI5/MDAxNTQxMDYwMDM3ODc3.AxoHh3TGx61EsLvZo13Jqe3TmKnXA-LoQ1anLnMwrNwg.2j0NhunESewsFccuC87zRvDX9FVaNgZWoZ6MVhJn1cAg.JPEG.xianjing0507/IMG_0305.jpg?type=w966
         https://postfiles.pstatic.net/MjAxODExMDFfMjQ5/MDAxNTQxMDYwMDM4NDU3.kZ9ejQ4Jrd8mdkT0CrX6ScxHbCFim9uP05XpmDkkcsYg.H7Xe5JSkL8Bn1C1uYhemJvaPL7fKT0sWuxrZYu2Whxgg.JPEG.xianjing0507/output_3223169365.jpg?type=w966
         https://postfiles.pstatic.net/MjAxODExMDFfMTgz/MDAxNTQxMDYwMDM4ODk3.cPDEtzmarRROoFkQNPvEMroDYsiauq4WUTeKLGNBVPog.cxSUzy1k37pAviS5QkdtTpog3rwZ6uzD-qppG-yUESEg.JPEG.xianjing0507/IMG_0311.jpg?type=w966
         https://postfiles.pstatic.net/MjAxODExMDFfOTkg/MDAxNTQxMDYwMDM5MDY4.cDTIAlpHPcX4Di4txQiS4ovC5GnESJ32a6v6wCmL0aAg.5216uZUtKJYp0XrvVfO72bAdsL9WhaVYLn2SAqRpwagg.JPEG.xianjing0507/IMG_0314.jpg?type=w966
         https://postfiles.pstatic.net/MjAxODExMDFfMTQz/MDAxNTQxMDYwMDM5NTI3.aixZtHTipLQizklinlx1soqGeJ5-ety6u2wm5w9_i50g.NMvkdnOUkBgmXQhWjw6IaHwiDB5yFiQ_rsmZH9Ud-TIg.JPEG.xianjing0507/output_1936365421.jpg?type=w966
         https://postfiles.pstatic.net/MjAxODExMDFfMTAz/MDAxNTQxMDYwMDM5NjEw.QOYiNCWR0uCLPWPyrfbFHc_1XGU6Edxw1E-VK-7CpCQg.PphqUhsQNS1217ze6IxOVND2akBM705z95l0TEOMz6cg.JPEG.xianjing0507/IMG_0317.jpg?type=w966
         https://postfiles.pstatic.net/MjAxODExMDFfMjY5/MDAxNTQxMDYwMDQwMTE0.r3SWfLNIZ6-3vePpN14nCXe_F7uxU6Fwk-qB98eLyrkg.9CGI2AGiCifPE9JawLGW904z-vIGZH4q374Wipy4J7Ig.JPEG.xianjing0507/IMG_0318.jpg?type=w966
         https://postfiles.pstatic.net/MjAxODExMDFfMjcw/MDAxNTQxMDYwMDQwMjQx.sih5kvQuObj-tAp5EbzPYIeu9QMvkgCqM9OhHuIAQ2wg.wPadLozWeTWxo2CS2ryhvUvNYVDgn8dgU0GI-3xD2vYg.JPEG.xianjing0507/output_3529318966.jpg?type=w966
         https://postfiles.pstatic.net/MjAxODExMDFfMjM0/MDAxNTQxMDYwMDQwODIx.8KR4dpkydcDXhMFXknmS8TLQ7gAoVuDAUnekwTU3rrIg.XuF8kamp-9W8LJ4odBZfb94hBHkuDINcFXWvbxGpB-og.JPEG.xianjing0507/IMG_0330.jpg?type=w966
         https://postfiles.pstatic.net/MjAxODExMDFfNDQg/MDAxNTQxMDYwMDQwNDk2.sBQHOt3QEglP5qNBf5xcM5BgPhPrFj8Sz4qY8-oMfXMg.0GFP4sXkEJQEPwFzoFeMY8hJqrKhbp2_zw3wrh0Vddwg.JPEG.xianjing0507/output_3417469980.jpg?type=w966
         https://postfiles.pstatic.net/MjAxODExMDFfMjU5/MDAxNTQxMDYwMDQxMTM2.8j_yVTWyB5pQMgvIAJRmHEbgo6vDcPbt2cTZgmWa6tIg.f325JJt1QcB6jbzFubh47onHFs3aSfsQZfsFpOYAAMgg.JPEG.xianjing0507/IMG_0377.jpg?type=w966
  • 김광석 . . . . 12회 일치
         2007년, 그가 부른 노래 중 하나인 〈[[서른 즈음에]]〉가 음악 평론가들에게서 최고의 노랫말로 선정되었다.<ref>{{뉴스 인용|제목=우리 가요에 깃든 '서른'|url=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6&oid=108&aid=0000078450|출판사=머니투데이 스타뉴스|저자=김원겸 기자|날짜=2007-09-27|확인날짜=2011-12-10}}</ref> 2008년 1월 6일에는 12주기 추모 콘서트와 함께 [[대학로 (서울)|대학로]]의 학전 블루 소극장에서 노래비 제막식이 열렸다.<ref>{{뉴스 인용|url=http://www.hankyung.com/news/app/newsview.php?aid=2008010694037|제목=김광석 12주기 추모콘서트 개최 ‥ 노래비 제막식도 함께 진행돼|출판사=한국경제신문|저자=디지털뉴스팀|날짜=2008-01-06|확인날짜=2008-01-06}}</ref>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3/3e/Kim_Kwang-seok_street_in_Daegu.jpg/200px-Kim_Kwang-seok_street_in_Daegu.jpg
         1996년 1월 6일 새벽 자택에서 전깃줄로 목 매 죽은 채 발견되었다.<ref>{{뉴스 인용|제목=가수金光石 숨져|url=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96010700209130006&editNo=45&printCount=1&publishDate=1996-01-07&officeId=00020&pageNo=30&printNo=23074&publishType=00010|출판사=동아일보|쪽=30|날짜=1996-01-07|확인날짜=2013-08-20}}</ref> 향년 31세. 자살로 알려졌다. 시신을 화장한 후 [[사리]] 9과가 나와 화제가 되기도 하였다.<ref>{{뉴스 인용|제목=사리 나온 가수 김광석 불교신행 화제|url=http://dna.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96011400209122001&editNo=45&printCount=1&publishDate=1996-01-14&officeId=00020&pageNo=22&printNo=23081&publishType=00010|출판사=동아일보|저자=허엽 기자|쪽=22|날짜=1996-01-14|확인날짜=2011-02-13}}(PC 버전)</ref> 유족으로는 부인(4년 연하녀 서해순, 1990년 결혼)과 딸(김서연), 어머니(이달지), 큰누나(김광나), 둘째형(김광복), 작은누나(김광득)이 있는데 큰형(김광동)은 김광석이 군 입대 도중 세상을 떠났으며 아버지(김수영)는 2004년 별세했다. 딸 김서연은 1991년에 태어났고 [[자폐성 장애]]를 앓고 있었는데 2007년 사망한 사실이 2017년 9월 뒤늦게 밝혀졌다. 《[[불후의 명곡: 전설을 노래하다]]》의 2016년 1월 23일, 1월 30일 방송분에서 김광석 20주기를 맞아 다시 김광석 편을 하였다.
         부인 [[서해순]]은 타살이 아닌 자살이라고 주장을 했지만 가족 및 지인들은 의혹을 제기했다. 세간에 알려진 김광석의 자살설에 대해 가족들은 "자살할 아이가 아니다"라고 일축했다. 김광석의 누나들은 "광석이는 '부모보다 먼저 가는 자식만큼 불효는 없다'라고 항상 말했다. 오래 살고 싶다고 했다" 라며 스스로 목숨을 끊을 이유가 없다는 모습을 보였다. 어머니 역시 "활발하고 마음이 약한 아이다. 자살할 아이가 아니다. 착하고 남한테 해코지할 사람도 아니다" 라며 아들의 자살을 믿지 못했다.<ref>{{뉴스 인용|제목=故 김광석 타살의혹 재점화… 가족들 입 모아 “자살 아니다”|url=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6&oid=038&aid=0002269614|출판사=한국일보|저자=최인경 기자|날짜=2012-06-19|확인날짜=2013-12-29}}</ref> 또, 김광석과 음악 동호회 활동을 했던 한 지인은 "돌아가시기 한 6개월 전쯤부터는 거의 매일 보다시피 했다"며 "자살했다는 것 자체가 황당하다. 개인적으로 타살이라고 생각하는데 의문점들이 지금이라도 밝힐 수 있다면 밝혀져 김광석이 어떻게 돌아가시게 된 것인지 밝혀졌으면 좋겠다고 생각한다"라고 말했다.
         |url=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6&oid=028&aid=0000173313|출판사=한겨레|저자=고나무 기자|날짜=2006-10-11|확인날짜=2013-12-29}}</ref>
         # 거리에서 Instrumental
         # 혼자 남은 밤 Instrumental
         # 이등병의 편지 Instrumental
         :# Into The Breeze (Tribute By Johan)
         :# Live@Washington University : Wydown Hall
  • 김기창 (법학자) . . . . 12회 일치
         영국 유학 시절 [[리눅스]] [[운영 체제]]를 사용하면서 [[오픈 소스]]에 관심을 갖기 시작하여 [[마이크로소프트]]의 국내 독점에 대항하는 [[오픈웹]] 커뮤니티를 만들었다. 모든 운영 체제에서 [[공인인증서]]를 사용해야 한다며 [[금융결제원]]을 상대로 2007년 소송을 제기하였으나 제1심과 항소심에서 패소하고<ref>[http://m.ddaily.co.kr/view.php?uid=48223 오픈웹, 금결원과의 민사소송 2심서 패소]{{깨진 링크|url=http://m.ddaily.co.kr/view.php?uid=48223 }}</ref> 대법원에 상고했으나 2009년에 기각되었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40&oid=001&aid=0002906855 대법 "익스플로러만 공인인증 위법 아니다"]</ref> 2009년에 《한국 웹의 불편한 진실》이라는 서적을 저술하였다. 오픈웹은 2013년에 [[사단법인]] [[오픈넷]]에 통합되었고 현재는 오픈넷 이사로 활동하고 있다.
         * ''Calvin's case (1608) and the law of alien status'', Journal of legal history 17 (1996) 155-171.
         * ''L'etranger chez Jean Bodin, l'etranger chez nous'', Revue historique de droit francais et etranger 76 (1998) 75-92.
         * ''D'ou venez vous, citoyens?'', Passerelles, Revue d'etudes interculturelles 17 (1998) 153-161.
         * ''Les diff?rents techniques de l'?laboration de la loi : le code et les "cases", Droits priv?s en cours de globalisation: perspectives cor?ano-francais'', Colloque International du Centenaire de la Facult? de Droit de la Korea University et du Bicentenaire du Code Civil Francais, 2005.12.03
         * ''Legal Education and Legal Profession Changes and Challenges'', Korea University Law Review Vol.1, Korea University Legal Research Institute, Spring 2007.
         * ''Arbitration agreement under Korean law'', Korea University Law Review Vol.3, Korea University Legal Research Institute, Spring 2008.
         * ''Measures of Damages under Korean Contract Law'', The Asian Business Lawyer Vol.2, The Korea University Legal Research Institute, WINTER 2008.
         * Long Seisin and Novel Disseisin: Acquisitive Prescription in Medieval Common Law? (장기점유와 부동산신침탈(新侵奪): 중세 컴먼로상의 취득시효?), 고대로마와 중세의 법과 평화,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 주최 국제학술대회, 2005.10.07
         * ''Sham transaction - a comparative approach-'', ICC/KCAB/KOCIA Conference on "EAST ASIA and INTERNATIONAL COMMERCIAL ARBITRATION", 2006.10.26
         * ''Damages under Korean contract law'', Third Annual ICC New York Conference on "ICC Arbitration Today: Bridging the Cultural Gap in International Arbitration", 2008.9.15
  • 김대환 (법조인) . . . . 12회 일치
         1942년에 [[경상북도]] 에서 태어나 [[서울대학교]] 법학과를 졸업하고 제8회 [[사법시험]]에 합격하여 육군 대위를 전역한 이후 판사에 임용되어 서울형사지방법원 [[서울고등법원]] 등에서 판사와 [[서울고등법원]] 등에서 부장판사를 하다가 [[서울고등법원]]에서 수석 부장판사로 재직하고 있을 때인 1999년 10월 11일에 [[수원지방법원]]장에 임명되었다. [[수원지방법원]]장에 임명된 직후인 11월 20일에 수원지역 주민들의 등기민원 불편을 해소할 목적으로 2000년까지 수원시내 택지개발지구에 2개 등기소 를 설립하였으며<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1&aid=0004559307]</ref> 2000년 6월에 [[최종영]] 대법원장이 제청하는 신임 대법관 후보로 거론되었으나<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5&aid=0000008261]</ref> 2000년 7월21일에 [[대전고등법원]]장으로 승진하였으며 2001년 2월 12일에 [[서울고등법원]]장으로 전보되면서 대법원장에 의해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위원에 지명되었다. 서울고등법원장을 끝으로 법관에서 물러났으며 이후 법무법인 율촌에서 송무 Group<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16&aid=0000189786]</ref> 변호사를 하다가 2004년 3월 2일에 박영철 고려대 교수와 함께 대법원장 추천으로 공적자금관리위원회 민간위원에 임명되었다. 2013년 4월에는 [[서울중앙지방법원]]과 [[서울고등법원]]을 관할하는 서울법원조정센터 상임조정위원과 센터장을 맡았다.<ref>[http://news1.kr/articles/?1087614]</ref>
         광주고등법원에서 재직하던 1991년 12월 20일에 성폭행한 남자를 보복 상해한 피고인에 대한 항소를 기각하면서 집행유예와 치료감호를 선고한 원심대로 선고하자 성폭행 사건 대책위원회와 전남여성회 등이 재판장과 면담을 요구하며 재판장실을 점거 농성한 사건이 일어났으나 경찰에 강제연행됐다.<ref>[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91122100209215009&editNo=1&printCount=1&publishDate=1991-12-21&officeId=00020&pageNo=15&printNo=21685&publishType=00020 동아일보 1991년 12월 21일</ref>
          1993년 2월 27일자</ref> 4월 2일에 [[박종철]] 고문치사 사건으로 기소돼 2심에서 무죄를 선고받고 대법원에서 파기환송된 치안본부장 강민창(60세)에 대해 징역8월 집행유예2년을 선고하면서 직권남용에 대해 "부검의가 직책상 피고인의 지시를 받을 위치에 있지 않다"는 이유로 무죄판결했다.<ref>한겨레 1993년 4월 3일자</ref> 8월 23일에 [[김근태]]에 대한 고문한 혐의로 법원에서 재정신청을 인용하여 공판에 회부된 치안본부 대공수사국 소속 김수현 경감에 대해 특정범죄가중처벌법 불법체포,감금, 형법 독직 폭행죄를 적용해 징역3년 자격정지2년, 그외 백남은 경정과 김영두, 최상남 경위에 대해 징역2년~1년6월을 선고하면서 법정구속했다.<ref>[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93082400289101004&editNo=5&printCount=1&publishDate=1993-08-24&officeId=00028&pageNo=1&printNo=1655&publishType=00010 한겨레 1993년 8월
         징역15년을 선고받고 1988년 가석방되었으나 1995년 보안관찰 처분을 갱신하자 낸 소송에서 "재범 위험성을 인정할 충분한 이유가 없다"며 원고 승소 판결했다.<ref>한겨레 1997년 1월 22일자</ref> 5월 20일에 1994년 인천 북구청 세무계장으로 있으면서 지방세 55억여원을 횡령하여 1심에서 징역22년6월 벌금40억원 선고받자 전재산 사회 헌납 약속으로 2심에서 벌금없이 징역22년6월만 선고된 안영휘의 가족이 "가족 명의의 재산을 압류한 것은 부당하다"며 청구한 소송에서 "구청은 안씨 명의의 부동산을 처분해 20억여원을 환수하라"는 원심을 깨고 원고패소 판결했다.<ref>[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97052100329123005&editNo=45&printCount=1&publishDate=1997-05-21&officeId=00032&pageNo=23&printNo=16110&publishType=00010 경향신문 1997년
  • 김정재 . . . . 12회 일치
         ||<bgcolor=pink> '''{{{#0C0C0C 이름}}}''' ||<(><bgcolor=#F6EDF8> '''{{{#0854B0 김정재(金汀才)}}}''' ||
         ||<bgcolor=pink> '''{{{#0C0C0C 출생일}}}''' ||<(><bgcolor=#F6EDF8> [[1966년]] [[2월 15일]]([age(1966-02-15)]세) ||
         ||<bgcolor=pink> '''{{{#0C0C0C 출생지}}}''' ||<(><bgcolor=#F6EDF8>[[경상북도]] [[포항시]] ||
         ||<bgcolor=pink> '''{{{#0C0C0C 학력}}}''' ||<(><bgcolor=#F6EDF8> [[포항여자고등학교]][br][[이화여자대학교]] 정치외교학 학사[br][[이화여자대학교]] 정치외교학 석사[br][[미국]] 프랭클린피어스대학교 법학 박사 ||
         ||<bgcolor=pink> '''{{{#0C0C0C 지역구}}}''' ||<(><bgcolor=#F6EDF8>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포항)|북구]] ||
         ||<bgcolor=pink> '''{{{#0C0C0C 의원선수}}}''' ||<(><bgcolor=#F6EDF8> '''1''' ||
         ||<bgcolor=pink> '''{{{#0C0C0C 의원대수}}}''' ||<(><bgcolor=#F6EDF8> [[제20대 국회의원|20]] ||
         ||<bgcolor=pink> '''{{{#0C0C0C 소속위원회}}}''' ||<(><bgcolor=#F6EDF8>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
         ||<bgcolor=pink> '''{{{#0C0C0C 소속 정당}}}''' ||<(><bgcolor=#F6EDF8> '''[[자유한국당|{{{자유한국당}}}]]''' ||
         ||<bgcolor=pink> '''{{{#0C0C0C 현직}}}''' ||<(><bgcolor=#F6EDF8> [[제20대 국회의원]] ||
         ||<bgcolor=pink> '''{{{#0C0C0C 약력}}}''' ||<(><bgcolor=#F6EDF8> 제20대 국회의원[br][[자유한국당]] 원내대변인[br][[새누리당]] 부대변인[br][[서울특별시]]의회 시의원(재선)[br][[숙명여자대학교]] 겸임교수 ||
         [include(틀:제20대 국회의원/경상북도)]
  • 나폴레옹: 토탈워/오스트리아 . . . . 12회 일치
          * 데브레첸(Debreczin): 공업 중심지
          * 세게딘 농지(Szegedin Farmland): 농장
          * 우디네 광산(Udine Mines): 금
          * 오스트라우 광산(Ostrau Mines): 철
          * 그라츠 광산(Graz Mines): 철
          * 라우리스 광산(Rauris Mines): 금
          * 린츠(Linz): 상업 중심지
          * 프로제로프 광산(Přerov Mines): 철
          * '''인스부르크(Innsbruck)'''
          * 보첸 광산(Bozen Mines): 철
          * 페르디난트 폰 외스터라이히에스테(Ferdinand von Österreich-Este) - ☆×5
          * 빈센츠 페레리우스 비안키(Vinzenz Ferrerius Bianchi) - ☆×3
  • 베이식 (가수) . . . . 12회 일치
         '''베이식'''(Basick, {{본명|이철주}}, [[1986년]] [[8월 12일]] ~ )은 [[이노베이터]]와 같은 [[더블 트러블]] 멤버이자 힙합 가수이다. 본관은 [[광주 이씨|광주(廣州)]]로 베이식은 2007년 2월부터 리드머 스튜디오를 통해 처음 가사를 쓰고 랩을 시작해 꾸준히 활동하다, [[2007년]] 여름 Z-juc 의 앨범을 통해 데뷔를 했다. [[DJ Soulscape]] 창작과 비트 Rap Competition 에서 2위 수상한 경력이 있으며<ref>[http://www.openmic.co.kr/bbs/bbs/viewbody.html?code=bbs_3&category=61&page=1&sort=1&number=210813&keyfield=&key= DJ Soulscape 랩컴피티션 발표]</ref>, 2007년 11월, 크루 [[Jiggy Fellaz]]에 영입되었다. [[이노베이터]]와 함께 [[더블 트러블]]을 결성했다. Jiggy Fellaz의 Vasco가 설립한 Independent Record로 거처를 옮겼지만 Vasco의 이혼으로 레이블이 와해되며 현재 [[RBW]]와 계약을 맺었다.
         *2009년 Double Trouble(Basick & InnoVator)-''Troublemakerz''발매
         *[[2007년]] 지적(Z-juc) 《Brilliant Monsterz》의 〈Behind the City 2〉 참여
         *2007년 InnoVator(이노베이터) EP 《Time Travel》의 〈Listen remix〉, 〈유리병〉 참여
         *2007년 [[Swings]] 믹스테입. 《Punch Line King》의 〈86ers' anthem〉참여
         *[[2008년]] Joe Brown(조브라운) EP 《Breaking my heart》의 〈White〉 참여.
         *2008년 Primary + Mild Beats 《Back Again》의 〈Hoop!〉 참여.
         *2008년 [[Simon Dominic]] 테입 ''[[I Just Wanna Rhyme Vol.1]]''의 〈욕본다〉 참여.
         *2008년 [[Swings]] 믹스테입 《#1》의 <달리자> 참여
         *2009년 Verbal Jint - 달리자(Feat. Swings & Basick)/마취중진담
         *2009년 루크 - Drop The Bomb (86ERS Anthem)(Feat. Row Digga, Swings, Basick)/The Last Supper
         *2009년 Ja (제이에이)- I'm Not Jokin'(Feat. Basick) /'90
         *2011년 InnoVator(이노베이터) 믹스테잎 - Lab #2 - Robot Die
  • 붐(연예인) . . . . 12회 일치
         그런데 2010년 12월 뜬금없이 유소영과 이켠의 결별기사, 그리고 당연한 수순으로 사귄 적도 없다는 기사까지 떴다.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6&oid=015&aid=0002350285|#]]
         같은 해 12월 30일 [[SBS 연예대상]]에서 신인상을 수상했는데 '''이미 입대한 상황에서 직접 수상하러 나왔다'''. 자대배치 받은 지 불과 12일 만의 외출이었다. 아무리 연예병사라지만 정말 특이한 케이스. 물론 혼자 나온 건 아니고 [[중대장]]도 함께 따라왔지만. 게다가 150일이나 휴가를 나왔다는 게 전역 후에 알려지면서 [[http://m.entertain.naver.com/read?oid=020&aid=0002277501|#]] 진짜 누군가가 뒤를 봐주는 게 아니냐는 얘기가 나오고 있다.
         군복무 시절 별명은 '개념없는 붐' 을 줄여 개붐... 당시 병장이던 [[양세형]]이 전역 후 밝힌 이야기로 [[강심장#s-2|강심장]]에서 폭로했다. [[http://m.entertain.naver.com/read?oid=117&aid=0002086265|#]]
         심지어는 결국 [[http://m.entertain.naver.com/read?oid=117&aid=0002900346|이런 말까지 들었다]].
         여기서 끝난 게 아니라 복무 중인 현역들이 여친에게 휴가 일수를 속여서 바람을 핀다는 [[http://m.entertain.naver.com/read?oid=014&aid=0002514655| 문제성 발언]]을 해서 또 한 번 까였다.
         2013년 11월에 [[이수근]], [[탁재훈]], [[토니 안]], [[앤디(신화)|앤디]], [[양세형]] 등에 이어 붐도 11일 불법도박 혐의로 소환 당했다. 가뜩이나 잦은 사건사고 및 군대 문제로 이미지가 원래부터 안 좋았던 마당에 맞대기 도박 혐의까지 밝혀지면서 그런지 넷상은 일제히 [[위 아 더 월드#s-2|위 아 더 월드]]. 현재 소속사 측에서는 결국 검찰 조사 받은 걸 인정, 결과를 기다리고 있으며 그것에 상관없이 [[http://v.entertain.media.daum.net/v/20131111201004280?f=m|모든 프로그램에서 하차한다는 뜻을 밝혔다]].
         11월 14일 [[약식기소]] 되었는데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6&oid=019&aid=0002413924|군 복무 중에 불법도박]]을 했고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hm&sid1=106&oid=108&aid=0002260764|대포통장]]까지 사용했다는 사실이 드러나면서 더욱 더 까였다'''.
         28일 법원 판결에 의해 500만 원 벌금형이 내려졌다.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hm&sid1=106&oid=108&aid=0002264168|#]] 그리고 [[문화방송|MBC]]에만 [[출연금지 연예인|출연정지]]가 내려졌다.
         2014년 10월, [[http://m.entertain.naver.com/read?oid=117&aid=0002520436|복귀 계획이 있다는 기사]]가 떴다.
         연예 오락채널 E채널의 용감한 작가들의 녹화를 했었다. [[http://m.news.naver.com/read.nhn?mode=LSD&sid1=106&sid2=224&oid=108&aid=0002349214|기사]]. 그리고 2014년 10월 30일 결국 방송에 나와 자필 사과문을 공개했다. [[http://m.news.naver.com/read.nhn?mode=LSD&mid=sec&sid1=106&oid=032&aid=0002538776|기사]]. 같은 방송의 11월 6일 방영분에선 이승훈 PD와 [[김준호(개그맨)|김준호]]를 찾아가 회초리를 맞는 퍼포먼스를 보였다.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6&oid=057&aid=0000497251|기사]][* 당연히 반응은 '''좋을 리가 없다'''.].
         [[MBC every1]] [[천생연분 리턴즈]] MC로 [[MBC]]에도 [[http://m.entertain.naver.com/read?oid=117&aid=0002578054|복귀했다]]. 그리고 2015년 4월 9일 부로 '''지상파'''인 '''MBC'''로 [[천생연분 리턴즈]]가 잠시 옮겨졌으며 4월 말에 다시 [[MBC every1]]으로 돌아갔으나.... 그 뒤 [[시청률]] 부진으로 1달 만에 종영되었다.
  • 소지섭 . . . . 12회 일치
         | 2013년 1월 24일 방송분<ref>{{뉴스 인용 |제목 =소지섭, 별밤 출연 '10년 만에 라디오 나들이' |url =http://entertain.naver.com/read?oid=008&aid=0002984787|출판사 = 머니투데이|저자 = 배영윤|날짜 = 2013-01-24}}</ref>
         | 2018년 3월 16일 방송분<ref>{{뉴스 인용 |제목 ='지만갑' 소지섭X손예진, 오늘 '배철수의음악캠프' 전격 출연 |url =http://entertain.naver.com/read?oid=076&aid=0003228002|출판사 = 스포츠조선|저자 = 김영록|날짜 = 2018-03-16}}</ref>
         # 고독한 인생 (Feat. Amazing Soul)
         # 고독한 인생 (Inst.)
         # 11월 4일 그 후...(intro)
         |'''Pick Up Line'''
         # Pick Up Line (Feat. [[시진]])
         # Pick Up Line (Inst.)
         # 그렇고 그런 얘기 (Inst.)
         # 18 Years (Inst.)
         # Boy Go (Inst.)
         # 환상 속의 그대 (Inst.)
         {| class="wikitable plainrowheaders" style="text-align:center;"
         !scope=row | "미련한 사랑 (Drama Ver.) (Ending Title)"
         ! scope=row |"콜라병 BABY(Prod. DJ JUICE) (Feat. SOUL DIVE)"<ref>{{웹 인용|url=http://koreajoongangdaily.joins.com/news/article/article.aspx?aid=3007590|title=So Ji-sub to debut new hip-hop track|date=7 August 2015|work=중앙일보}}</ref>
         {| class="wikitable plainrowheaders sortable" style="margin-right: 0;"
  • 영천시 . . . . 12회 일치
         [include(틀:다른 뜻1, other1=영천(永川)은 이 문서로 연결됩니다. 영천(榮川), rd1=영주시)]
         [include(틀:상위 문서, top1=경상북도)]
         [include(틀:회원수정)]
         [include(틀:프로젝트 문서,프로젝트=나무위키 대경권 프로젝트)]
         [include(틀:경상북도의 기초자치단체)]
         [include(틀:영천시의 읍면동)]
         [include(틀:경상북도 영천시장)]
         ||<:><bgcolor=#1870B9>[[파일:theminjooreverse.jpg|width=15]] '''[[더불어민주당|{{{#FFFFFF 더불어민주당}}}]]''' {{{#FFFFFF 3석}}}||
         ||<-3><bgcolor=#FFFFFF>[include(틀:지도, 장소=영천시,너비=100%)] ||
         2015년 5월 [[보잉]]의 항공전자 MRO 센터가 영천에 준공되어 대한민국 공군의 주력 전투기인 F-15K 관련 항공전자 부품 테스트 및 정비 기능을 수행하게 되었다.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16&aid=0000740517|관련 기사]]
         2018년 07월24일 우리나라에서 기상관측이 시작된 1917년 이후로 최고기온 기록을 40.2도로 갈아치웠다.[[http://news.joins.com/article/22829080?cloc=rss%7Cnews%7Ctotal_list|관련기사]]
          * [[정몽주]][* 포은 정몽주 선생의 고향은 영천이라는 설과 포항이라는 설 2가지가 있다. 그런데 영천시는 [[포항시]]와 서로 우리가 정몽주 선생의 고향이라고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3&oid=143&aid=0000056808|분쟁을 벌이기도 했다]]. 포항에는 정몽주 선생의 호를 딴 '''포은'''중앙도서관과 '''포은'''중학교, 정몽주로가 있다. 이에 질세라 영천시에는 '''포은'''초등학교와 '''포은'''고등학교(원래 금호여고였으나 2014년에 남녀공학으로 전환하면서 교명을 변경하였다.)가 있다. 어쨌든 현재로서는 영천이라는 쪽이 좀 더 우세한 편으로, 영천에는 임고서원과 가설 선죽교, 새로 복원한 포은 선생의 생가가 있다.]
  • 울릉군 . . . . 12회 일치
         [include(틀:회원수정)]
         [include(틀:상위 문서, top1=경상북도)]
         [include(틀:프로젝트 문서,프로젝트=나무위키 대경권 프로젝트)]
         [include(틀:경상북도의 기초자치단체)]
         [include(틀:울릉군의 읍면)]
         ||||<bgcolor=#FFFFFF> [include(틀:지도, 장소=울릉군, 너비=100%, 너비=100%)] ||
         [include(틀:울릉군의 읍면)]
         2018년부터 울릉도에 1개 중대 규모의 해병대 전투병력이 순환배치될 예정이라 한다. 2017년 7월 6일, 울릉도에 거주하는 주민에 의하면 폐교된 모 초등학교에 해병대원 20여 명이 6월에 며칠 동안 깨끗이 청소하고 갔다며 주둔지로 쓸 것 같다고 한다. [[http://www.ksmnews.co.kr/default/index_view_page.php?idx=179567&part_idx=288|#]]
         한편, [[독도]]에는 선거 당일에는 별도의 투표소가 설치되지 않고, 주민인 [[김성도]]씨 부부와 독도경비대원들을 위한 [[거소투표]]용 임시 투표소가 매 선거마다 개설되고 있다. 이렇게 해서 선거에 참여하는 인원은 40명 안팎. 김성도씨 부부 말고는 대부분의 투표자들이 (타 시군구민일 가능성이 높은) 독도경비대원들이라, 울릉군에서 집계되는 위의 개표 결과와는 사실 별 상관 없다고 봐도 무방하다.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16&aid=0001233450|기사(19대 대선)]]
          ||[[파일:external/blog.joins.com/%EC%9A%B8%EB%A6%89%EB%8F%84%28%ED%95%B4%EC%95%88%EC%82%B0%EC%B1%85%EB%A1%9C%29.jpg]] ||
         패스트푸드점은 전혀 없었는데, [[롯데리아]]가 울릉도에 생길 예정이다. 도동에 생길 예정으로, 2017년 6월 현재 [[http://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infra&no=71986|직원 모집중이다.]] 그리고 2017년 9월쯤 부터 영업을 시작했다.
  • 유키히라 소마 . . . . 12회 일치
         http://img3.wikia.nocookie.net/__cb20140311131735/shokugekinosoma/images/c/c0/Takumi_arrives.png
         http://img3.wikia.nocookie.net/__cb20140401145253/shokugekinosoma/images/0/0e/Soma_tempts_Shinomiya.png
         http://img2.wikia.nocookie.net/__cb20140303104930/shokugekinosoma/images/0/0c/Soma_slams_after_loss.png
         http://img2.wikia.nocookie.net/__cb20131217122059/shokugekinosoma/images/4/4d/Grilled_Squid_Tentacles_Dress_with_Peanut_Butter.png
         http://img2.wikia.nocookie.net/__cb20140408154932/shokugekinosoma/images/b/bd/Soma_roast_pork.png
         http://img2.wikia.nocookie.net/__cb20140210081840/shokugekinosoma/images/7/75/Transforming_Furikake_Gohan.png
         http://img2.wikia.nocookie.net/__cb20140116120721/shokugekinosoma/images/0/0b/Mackrel_Burger.png
         http://img2.wikia.nocookie.net/__cb20130218200405/shokugekinosoma/images/4/4b/Mackerel_Onigiri.png
         http://img2.wikia.nocookie.net/__cb20130620192158/shokugekinosoma/images/c/c0/Beef_donburi.jpg
         http://img1.wikia.nocookie.net/__cb20130503233501/shokugekinosoma/images/3/3b/Soma_oneshot-1-.jpg
  • 은지원 . . . . 12회 일치
         [include(틀:프로젝트 문서, 프로젝트=나무위키 보이그룹 프로젝트)]
         [include(틀:젝스키스)]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include(틀:핫젝갓알지)]
         [include(틀:클로버)]
         ||<#000000> '''{{{#FFFFFF 소속사}}}''' ||<(> [[YG엔터테인먼트]][* 전 소속사에서 나와 [[http://m.entertain.naver.com/now/read?oid=109&aid=0003598890|YG와 전속계약]]을 하였다.] ||
         ||<#000000> '''{{{#FFFFFF SNS}}}''' ||<(> [[https://www.instagram.com/1_kyne_g1/|인스타그램]][* 비공개 상태다. --사실 [[박근혜-최순실 게이트|이 사건 때문에...]]--] ||
         ||<#FFFFFF>||<#FFFFFF> '''[[Money(은지원)|Money]]''' ||<#FFFFFF> 2002.02. ||<#FFFFFF> '''Money (Part II) (feat. 진(JIN))''' ||<#FFFFFF> ||
         ||<#FFFFFF>||<#FFFFFF> '''[[만취 IN HIP-HOP]]''' ||<#FFFFFF> 2003.09.06. ||<#FFFFFF> '''만취 IN MELODY''' ||<#FFFFFF> ||
         2003년까지는 중졸 이하 저학력자는 면제였는데 병역 자원 부족으로 인해 병역 부과가 되는 것으로 법이 바뀌었다.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38&aid=0000171717|기사]] 이후 넓어진 면제 판정 범위 덕에 병력 수급이 비교적 원활해졌고, 취업난으로 자원 입대자가 늘어나는 등의 이유로 2015년부턴 중졸학력은 보충역으로 편입된다. [[http://sbssports.sbs.co.kr/news/news_content.jsp?article_id=S10007041597|기사]]
         박근혜가 은지원과 찍은 사진을 트위터에 올리자, 은지원은 다들 박근혜가 더 연예인 같다면서 '''박근혜를 항상 응원한다'''는 메시지를 보냈다.[[http://m.entertain.naver.com/read?oid=144&aid=0000458529|#]]
          * 2003년 당시 은지원은 신촌에 실내 포장마차 점을 개업했다. 보통 개업을 하면 여기저기 동료 연예인들을 불러 포장마차를 꽉 채워야 홍보에 도움이 된다. 하지만 은지원은 사람들을 불러 모으는 일에 익숙지 않다는 이유로 연락을 전혀 하지 않았다. 이 탓에 동료 연예인들이 모르고 있다가 뒤늦게 다른 곳에서 전해 듣고 달려왔다. 그 중 [[이효리]]가 새벽에 제발로 찾아왔는데, 은지원은 이효리를 "손님이 많아 자리가 없으니 가라"고 돌려보냈다. 그러자 종업원들이 "남들은 이효리 못 불러서 안달인데 그냥 보내면 어떡하냐"며 은지원을 혼냈다고 한다. "자리는 여분의 탁자로 만들면 된다"며 흥분하는 종업원들의 말에 은지원은 '왜 난리지'하는 표정으로 대답 없이 눈만 껌벅거렸다고 한다.[[http://news.joins.com/article/1804295|기사]][* 2003년 당시 이효리의 인기는 엄청났는데, 보통 사람 같으면 엄청 대접해서 가게를 홍보하려 했을 것이다. 젝키 핑클의 대성기획 시절부터 친했으니 저랬을 수도 있겠다.]
          * 2013년 8월 20일 SBS [[화신 - 마음을 지배하는 자]]에서 은지원은 "그룹 젝스키스로 활동할 때는 대형 기획사에 소속되어 있었다"고 말문을 열었다. 이어 "팀 해체 후 난 지금까지 소속사에 들어가 본 적이 없다. 아는 형들과 함께 회사를 꾸렸는데 사기 아닌 사기를 당한 경우도 많다. 받을 것 못 받고 틀어지고 하면서 지낸 세월이 14년이다"라고 밝혀 주위를 놀라게 했다.[[http://news.tf.co.kr/read/entertain/1579973.htm|#]][* 이 때문인지 20세기 미소년에서 문희준과의 대화 중 "사람들은 내가 돈이 많은 줄 알겠지? 내가 마이너스 통장 빚을 갚아나가고 있단 걸 알고 있을까?" 라고 말하기도 했다.]
          * 여장을 한 적이 있다. [[https://www.instagram.com/p/BNMUomVBk1N/?taken-by=1_kyne_g1|신서유기3에서 보인 드래곤볼의 부르마 코스프레]] 사실 꽤나 많다. [[20세기 미소년]] 팬미팅 때도 한 적이 있고, 대만 팬미팅에서는 렉시의 애송이에 맞춰 춤을 췄다.
  • 이인영(정치인) . . . . 12회 일치
         || '''이름''' ||이인영(李仁榮, Lee Inyoung) ||
         || '''공식 사이트''' ||[[http://inyoung.net/|inyoung.net]] ||
         || '''SNS''' ||[[http://blog.naver.com/liy1964|블로그]], [[https://twitter.com/lee_inyoung|트위터]]
         [[https://www.facebook.com/bigbang1003|페이스북]], [[https://www.youtube.com/user/leeinyoungTV|유튜브 채널]] ||
         - [[ http://news.kukinews.com/news/article.html?no=375221|기간제 및 단시간근로자 보호 등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법률안]]
         -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6/06/08/0200000000AKR20160608053400001.HTML?input=1195m|근로기준법 일부개정법률안]]
         - [[http://news.kukinews.com/news/article.html?no=375221|파견근로자보호 등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법률안]]
         - [[http://news.kukinews.com/news/article.html?no=375221|생명안전업무 종사자의 직접고용 등에 관한 법률안]]
         - [[http://news.kukinews.com/news/article.html?no=375221|최저임금법 일부개정법률안]]
         [include(틀:제20대 국회의원/서울특별시)]
         [include(틀:제20대 국회의원/더불어민주당)]
  • 이재학 . . . . 12회 일치
         [include(틀:다른 뜻1, other1=이 문서는 야구선수 이재학을 다루고 있습니다. 다른 동명이인, rd1=이재학(동명이인))]
         [include(틀:상위 문서2, top1=NC 다이노스/선수단, top2=야구 관련 인물(KBO))]
         ~~[include(틀:관련 문서, top1=딸기)]~~
         [include(틀:KBO 리그 역대 신인왕)]
         ||<:> '''등장곡''' || Avicii - waiting for love ||
         두산 시절에도 순박한 얼굴과 특유의 빨간 볼[* [[http://youtu.be/8iTg4pqyDDQ|XTM 담벼락토크]]에서 투구수가 많이 늘어날수록 얼굴이 빨개진다고 말했다. 그리고 나온 영상이 2013년 시즌 8월 7일 LG전에서 9실점했을 때(...)]로 신인 중 귀요미 소리를 들었다. 빨간 볼과 여드름 때문에 선수들 사이에서의 별명은 '능금', '[[딸기]]'. NC 이적 후부터는 아예 딸기가 공식 별명이 되었고, 활약하는 날이면 Strong+Strawberry='''STRONGBERRY'''가 된다. 이 문구는 이재학의 개인 첫 완봉승 기념 티셔츠에 적혀있다. 한때 [[마산 야구장]]에 있는 다이노스 카페에서는 아예 [[http://sports.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kbo&ctg=news&mod=read&office_id=382&article_id=0000188568|딸기주스 '''이재학''']]을 판매했을 정도.[* 2017년 현재는 그 자리엔 '더리터'로 입주 업체가 바뀌었다. 이재학을 팔지 않는 대신 [[박민우(야구선수)|민우에게 바나나]]를 [[https://m.facebook.com/story.php?story_fbid=1632340520109998&id=241899065820824|팔고 있다.]]]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이재학/2013년)]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이재학/2014년)]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이재학/2016년)]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이재학/2017년)]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이재학/2018년)]
         2014년 현재 사실상 [[패스트볼]]과 체인지업의 투피치 투수. [[http://sports.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baseball&ctg=news&mod=read&office_id=109&article_id=0002769934|하지만 이재학 본인은 투피치 투수가 아니라 슬라이더도 있다고 강조하고 있다.]] ~~어쨌든 브레이킹볼이 없다~~ --슬라이더도 브레이킹볼인데??--
  • 이지아(배우) . . . . 12회 일치
         [include(틀:상위 문서, top1=배우/한국)]
         [include(틀:다른 뜻1, other1=이 항목은 예명 여배우 이지아에 대해 설명하고 있으니 본명을 가진 여배우 , rd1=이시아(배우))]
         [Include(틀:BH엔터테인먼트 소속 아티스트)]
         || '''외부 링크''' ||<(> [[http://cafe.daum.net/lovedaum022|[[파일:다음카페2017_square.png|width=24]]]] [[http://cafe.naver.com/tnsly|[[파일:네이버 카페.png|width=24]]]] [[http://gall.dcinside.com/board/lists/?id=ejia&page=|[[파일:디시인사이드_로고.png|width=24]]]] ||
         [[ http://m.entertain.naver.com/read?oid=112&aid=0002712938|2부작 드라마 <설련화>에 출연하였다.]] SBS에서 2015년 11월 11일에 방영하였다.
         2011년 4월 21일 [[서태지]]와 비밀 결혼했다가 이혼 후 위자료 및 재산분할 청구 소송을 걸었다는 사실이 <[[스포츠서울]]>을 통해 [[http://m.entertain.naver.com/read?oid=001&aid=0005025394|보도]]되었다. 대한민국은 연예계 소식으로 완전히 뒤집혔다. 어느 정도였냐면 당일 KBS 9시 뉴스에 나왔고, 다음 날 조선일보 2면을 가득 채우는 위엄을 달성.
         [[2011년]] [[4월 24일]] 기사에서 이지아가 정우성에게 사과했다는 측근의 이야기가 보도되었다.[[http://media.daum.net/entertain/enews/view?newsid=20110424090316739|#]]
         [[2011년]] [[6월 9일]], 결국 정우성은 이지아와 결별하였다.[[http://m.entertain.naver.com/read?oid=311&aid=0000073509|#]]
         [[미국]]에서 시나리오 작가로 [[http://m.news.naver.com/read.nhn?sid1=106&oid=108&aid=0002318291|데뷔할 예정이었으나]] 최근에 미국 현지 사정으로 [[http://m.entertain.naver.com/read?oid=241&aid=0002698061|무산되었다고 한다.]]
         2016년 2월 13일 [[연예가중계]]에 영화 <무수단>과 관련하여 홍보차 출연하여 애교를 선보였다. [[http://m.media.daum.net/m/entertain/newsview/20160214065110719|#]]
         러브 바이러스 (Digital Single) 2008.12.24
         컵케익과 외계인 (Digital Single) 2009.08.14 - 영화 <내 눈에 콩깍지>의 OST에 수록되었다.
         뱀파이어 로맨스 (Digital Single) 2010.02
         InStyle 2016년 1월호
  • 이현우 (가수) . . . . 12회 일치
         | 그림 =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c/cf/Lee_Hyun-Woo_%28singer%29.jpg/250px-Lee_Hyun-Woo_%28singer%29.jpg
         그는 중학교 시절 [[미국]]으로 이주하였다. 그 후 1988년 [[미국]] [[뉴욕주]] [[뉴욕 시티]]의 언더그라운드 [[라이브 클럽]]에서 [[록 음악]] [[가수]]로 첫 데뷔하였으며 이듬해 1989년 미국에서 대학을 졸업하고 [[대한민국]]에 잠깐 놀러 왔다가 당시 [[가수]] [[강수지]]의 소속사 매니저의 소개를 받고 1990년 10월에 실험적인 [[테크노 팝|테크노]] [[댄스 팝]] [[대중음악|음악]] 장르 곡인 데뷔곡 《꿈》이 수록된 《12 Inch Dance Version》이라는 싱글 [[음반]]으로 첫 데뷔하였다. 그리고 이듬해 1991년 1집 [[음반]] 《Black Rainbow》로 정식 데뷔하였다.
         그는 배우 [[이경영 (1960년)|이경영]]의 오촌 조카로 알려져 있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6&oid=020&aid=0000088912 영화 탤런트 하희라 영화 '몽중인'으로 활동 재개]</ref>.
         * 1991년 1집 《Black Rainbow》- 꿈
         * 1996년 3집 《Let's Go Fishing》- 가, 거의 1년
         * 1998년 5집 《Both Sides Of The Story》- Missing You, Just Friends
         * 2001년 7집 《Free Your Mind & Bady》- Give of love, 슬픈이야기
         * 2003년 8집 《Da Painkiller》- stay, 중독
         * 2004년 9집 《Sinful Seduction》- 멈추지말아요, When you touch me
         * 2006년 《투명인간 최장수》ost - Can't Stop Loving You
         2007년 음주운전을 하다가 경찰에 적발됐는데 당시 이현우가 가지고 있던 국제 면허증은 이미 유효기간이 지난 상태였다. 당시 혈중 알코올 농도 0.114%의 만취상태였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6&oid=076&aid=0000053562 이현우, 무면허 음주 운전 적발]</ref> 그 뒤 자숙을 충분히 하지 않고 자동차 광고 출연, [[대부업]] 광고 출연 등으로 물의를 빚었다.
  • 인천광역시 . . . . 12회 일치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f/f7/Incheon_montage_2015.PNG/300px-Incheon_montage_2015.PNG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ko/thumb/d/dc/Seal_of_Incheon.svg/100px-Seal_of_Incheon.svg.png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e/e1/Jinsen_map_circa_1930.PNG/220px-Jinsen_map_circa_1930.PNG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e/ef/Incheon_administration_map_new_version.png/600px-Incheon_administration_map_new_version.png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d/d7/Songdo_International_Business_District_08.JPG/220px-Songdo_International_Business_District_08.JPG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9/91/Mainhallofnewcampusinsongdo.jpg/220px-Mainhallofnewcampusinsongdo.jpg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7/76/Incheon_International_Airport.jpg/220px-Incheon_International_Airport.jpg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d/d3/2014_Asian_Games_opening_ceremony_1.jpg/249px-2014_Asian_Games_opening_ceremony_1.jpg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2/2d/Incheon_square.jpg/220px-Incheon_square.jpg
  • 콜 오브 후아레즈 : 건슬링어/스킬 . . . . 12회 일치
         == Gunslinger ==
         === Akimbo: Gunslinger ===
          * Akimbo: Gunslinger 요구
         === Deep Pockets: Gunslinger ===
          * Akimbo: Gunslinger 요구
         === Guns Blazing: Gunslinger ===
          * Deep Pockets: Gunslinger 요구
         === Making Time ===
          * Guns Blazing: Gunslinger나 On the Run 요구
          * Making Time 요구
  • MoniWiki/HotKeys . . . . 11회 일치
          ||I||action=info ||[[Icon(info)]] 파란색 i||
          ||P||action=print ||[[Icon(print)]] 프린터||
          ||Q, S, R(Safari only)[[BR]]또는 F3(Firefox only)|| ||[[Icon(search)]] FindPage ||
          ||T|| ||TitleIndex ||
          ||``<ESC>``||Go 'into'/'out of' the 'Go' form|| ||
          ||Z + ``<BACKSPACE>``||Go 'into' the 'Go' form|| ||
          * MoinMoin:MoinMoinExtensions/Hotkeys
  • MoniWikiPlugins . . . . 11회 일치
         Ko:MoniWikiPlugins
         모니위키는 MoinMoin과 호환하는 Macro를 가지고 있으며, 그 매크로에 상응하는 action을 각각 가지고 있는 경우 혹은 액션만 있고 매크로는 없는 경우가 있습니다.
          * [Include]
          * SystemInfo
          * WordIndex
          * print
          * login
          * minilogin
          * quicklinks
          * sendping
          * Admin
          * TwinPages
  • Suicide is Painless . . . . 11회 일치
         || 1절 ||Through early morning fog I see
         Visions of the things to be
         The pains that are withheld for me
         || 후렴 ||That suicide is painless
         It brings on many changes
         The losing card I'll someday lay
         || 3절 ||The sword of time will pierce our skins
         It doesn't hurt when it begins
         But as it works it's way on in
         The pain grows stronger watch it grin||
  • 공명(배우) . . . . 11회 일치
         [include(틀:상위 문서, top1=배우/한국)]
         [include(틀:판타지오 소속 아티스트)]
         [include(틀:5URPRISE 멤버)]
         ||||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4/49/Gong_Myung_at_a_fanmeet_in_Thailand_in_February_2015.jpg/250px-Gong_Myung_at_a_fanmeet_in_Thailand_in_February_2015.jpg ||
         ||<#f9ffff> {{{#6482b9 '''링크'''}}} ||<(> [[https://www.instagram.com/0myoung_0526/|[[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png|width=24]]]] ||
         2018년 11월 8일 [[https://m.entertain.naver.com/read?oid=213&aid=0001069421|교통사고를 당했다.]] 마침 근처를 지나가던 동료배우 [[강지환]]의 도움으로 강남세브란스병원으로 이동했으며, 다행히 경미한 부상이라 촬영에는 금방 복귀한다고.
         ||<|3> 2017년 || [[SBS]] || [[정글의 법칙|정글의 법칙 in 코타 마나도]] || 247회~251회 ||
          * [[https://www.instagram.com/p/BQkN_b-hRAH/?tagged=%EA%B3%B5%EB%AA%85|FRJ jeans # S/S 메이킹]] (with [[여름(헬로비너스)|여름]])
  • 김국진(MC) . . . . 11회 일치
         [include(틀:다른 뜻1, other1=성우, rd1=김국진(성우))]
         [include(틀:상위 문서, top1=코미디언/목록)]
         [include(틀:관련 문서, top1=가톨릭/인물)]
         [include(틀:감자골 4인방)]
         ||<table width=100%><table align=center><table bordercolor=#000000><-100><:>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C60C30 20%, #003478)"
         ||<#ffffff><-1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SNS''' ||<(> [[http://cafe.daum.net/kukjin|팬카페]] ||
         [include(틀:-)]
         2018년 5월 8일 드디어 결혼 발표 기사가 떴다. [[http://entertain.naver.com/read?oid=312&aid=0000328141|#]]
  • 김민기(가수) . . . . 11회 일치
         ||<table width=100%><table align=center><table bordercolor=#000000><-100><:>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C60C30 20%, #003478)"
         ||<#ffffff><-1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include(틀:괴테메달 수상자)]
         [include(틀:김민기의 작품 목록)]
         전 국무총리인 정운찬에게 부인될 사람(서울대 미대 동문)을 소개해주었다고 한다 [[http://news.joins.com/article/3759174|관련기사]] [[http://cluster1.cafe.daum.net/_c21_/bbs_search_read?grpid=Iv0I&fldid=29Q1&datanum=298&openArticle=true&docid=Iv0I29Q129820020828090019|관련기사]]
         설경구는 무명시절 지하철1호선에 출연하면서 연기경력을 쌓았고, 당시 연출자였던 김민기를 은인이라 생각한다고 한다. 설경구 말고도 황정민, 김윤석, 이종혁 등이 학전에서 연극배우로 활동했다고 한다. [[http://news.joins.com/article/11039768|관련기사]] [[http://news.joins.com/article/5155922|관련기사]]
         조영남과 쎄시봉 멤버들이 김민기의 환갑잔치를 해주었다고 하며, 이와 관련해 조영남이 무릎팍도사에 출연했을때 전화연결로 출연한 적이 있다[[http://v.entertain.media.daum.net/v/20110224073513324?f=m|관련기사]] [[http://v.entertain.media.daum.net/v/20110224072710697?f=m|관련기사]]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103310011335&code=910000|관련기사]]
  • 김민서(배우) . . . . 11회 일치
         [include(틀:다른 뜻2, other1=대한민국의 경매사, other2=프로듀스 48 참가자, rd1=김민서(경매사), rd2=김민서(2002))]
         [include(틀:플라이업 소속 아티스트)]
         ||||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7/79/Kim_Min-seo_crop.JPG/270px-Kim_Min-seo_crop.JPG ||
         || '''SNS''' ||[[https://www.instagram.com/whiteminseo|인스타그램]] [[https://twitter.com/whiteminseo|트위터]] [[http://minihp.cyworld.com/pims/main/pims_main.asp?tid=52559291|미니홈피]] ||
         [[성균관 스캔들|성스]]의 종영 이후 [[2010년]] 11월 [[배용준]]의 기획사인 [[키이스트]]와 계약했으나, [[2014년]] 5월에 [[키이스트]]와 계약이 만료된 후 [[FNC엔터테인먼트|FNC]]로 이적했다. 이적한 이유로는 [[http://entertain.naver.com/read?oid=014&aid=0003259596|"같은 크리스천과 일을 하고 싶어서"]]라고.... 알려져 있다.
  • 김성주 (기업인) . . . . 11회 일치
         '''김성주'''([[1956년]] [[11월 19일]] ~ )는 [[대한민국]]의 [[기업인]]이다. 현재 [[성주그룹]] 회장, 독일 [[모드 크리에이션 뮌헨|MCM Holding AG]] 대표이사, 전 [[대한적십자사]] 총재이다.
         매년 60여 개의 국내외 NGO단체를 지원하고 있다. 코소보의 전쟁피해자 지원 및 Asia House(UK)와 Victoria & Albert Museum(UK)등과 같은 각종 문화, 자선공연, 세계 여성 대회(Global Summit of Women)네트워크를 통한 여성들의 경제/사회 활동 활성화를 위한 교육에도 적극적으로 힘쓰고 있다.<ref>http://news.inews24.com/php/news_view.php?g_menu=703110&g_serial=457190</ref> <ref>http://news.inews24.com/php/news_view.php?g_menu=703110&g_serial=454351</ref> <ref>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210112153405&code=910110</ref>
         그녀는 정직하고 투명한 기업경영을 통해 아름다운 자본주의의 모범이 되고, 중소기업과 젊은이,여성을 키워 글로벌 무대를 만들어 주겠다는 미션으로 진취적인 사업전개와 글로벌 활동을 펼쳐왔다. 세계의 주목을 먼저 받은 그녀는 한국여성으로는 최초로 2013년부터 Asia Pacific Economy Council의 ABAC (APEC Business Advisory Council) 위원으로도 활동 중이다.<ref>http://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13/06/25/2013062502603.html</ref>
         김성주는 MCM을 글로벌하게 키워냈으며 직설적이고 튀는 발언을 많이 하는 캐릭터로도 알려져 있다. 2014년 제주 BPW(Business & Professional Women) Congress에서 '글로벌 여성 지도자 상' 수상 당시 "여성들의 사회 참여는 더이상 권리가 아닌 의무"라며 "세월호 사태도 기득권 남성들이 지배하는 사회에서 일어난 일이며 여성들은 더이상 이런 사태를 주시해서는 안된다. 우리나라 장관의 1/3은 여성으로 채워져야만 한다"고 말하는 등 여성의 사회활동 확대를 주장하고 있다.
         2012년 대선 때에는 여성 리더를 대통령으로 만드는데 일조하겠다며 새누리당 [[박근혜]] 후보를 지지하며 선거캠프에서 공동선거대책위원장으로 활동했다. 이로 인해 그룹 매출이 급감하거나, 빨간색 운동화 패션을 유행시키는 등 다양한 방면으로 대중의 주목을 끌기로 유명한 인물이다. 선대위 활약 이후에는 공약에서 약속한대로 성주그룹 회장으로서 일선에 복직해 비지니스에 주력하다가, 2014년 10월 8일 [[대한적십자사]] 제28대 총재에 선출되었다. 임기만료를 3개월 앞두고 [[2017년]] [[6월 30일]]에 사퇴할예정이다<ref>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7/06/16/0200000000AKR20170616082000014.HTML?input=1195m</ref>
         2012. 4 Fortune Asia의 '아시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비즈니스 25인'(Asia's '25 Hottest Business Women')에 선정
         2012. 2 Forbes Asia의 ‘아시아 파워 비즈니스우먼 50인’ (‘Asia’s 50 Power Businesswomen’) 에 선정
         2009. 11 브뤼셀유럽연합의회에서 국제휴먼밸류 (International Association of Human Values)의
         "2009기업윤리상(Ethics in Business Awards)" 수상
  • 김영철(배우) . . . . 11회 일치
         ||<table bgcolor=#ffffff><table width=100%><table align=center><table bordercolor=#000000><-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C60C30 20%, #003478)"
         ||<#ffffff><-1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젊은 시절의 사진도 찾아 볼 수 있는데, 그 중 하나가 하얀미소의 한 장면. [[http://m.cine21.com/movie/photo/?movie_id=13804&img_id=100092|출처]] 의외로 젊은 시절 모습을 보면 [[여진구]]를 꽤나 닮았다.
         한편으로는 궁예 캐릭터에 애정도 있었는지 태조 왕건 이후 현대사인 [[서울 1945]]를 제외하면 한동안 사극에 출연하지 않는다. 그러다 2008년 [[대왕 세종]]에서 [[태종(조선)|태종 이방원]] 역을 맡았는데 그동안 사극 섭외를 정중히 거절한 이유는 바로 궁예 때문이라고 인터뷰했다.[[http://entertain.naver.com/read?oid=108&aid=0000086918|#]] 일반적으로 대중들이 궁예와 김두한이라는 한 시대를 풍미한 캐릭터만으로 김영철이라는 배우를 논하는 경우가 있는데, 배우 본인이 그런 배역을 넘기 위해 부단히 노력했음을 잊지 말아야 하며 존중해줘야 할 것이다.[* 비슷하게 [[서인석]]도 [[견훤(태조 왕건)|견훤]]으로 인해 이후 드라마에 출연할 때마다 견훤 이미지가 겹치는 일이 많았다. 자세한 건 문서 참조.]
         2017년 8월 13일자 48화 방영분에서 '''"왜 벌을 안 주십니까?"''' 로 역대급 명연기를 뽑아내었다. [[http://entertain.naver.com/comment/list?oid=213&aid=0000982042|관련기사]] KBS 연기대상 연말 시상식에서도 [[남궁민]]과 함께 연기대상 후보로 유력시되었으며, 결국 [[천호진]]과 함께 '''공동 대상을 수상'''했다.[[http://entertain.naver.com/read?oid=108&aid=0002637751|관련기사]]
         2013년 8월 [[이병헌]]과 [[이민정]]의 결혼식에 참석했는데 기사 댓글이 압권이다.[[http://entertain.naver.com/read?oid=117&aid=0002363753|넌 나에게 청첩장을 줬어.]] 이병헌의 외삼촌과 고등학교 동창이라고 한다.[[http://entertain.naver.com/read?oid=112&aid=0000004042|기사]]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김영철, version=217)]
  • 김현정 (1979년) . . . . 11회 일치
         | 그림 =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7/7f/Kim_Hyeon-jeong_%28%EA%B9%80%ED%98%84%EC%A0%95%2C_painter%29_at_The_Exhibition_of_Three_Korean_Artists_at_Today_Art_Museum_in_Beijing%2C_China.jpg/220px-Kim_Hyeon-jeong_%28%EA%B9%80%ED%98%84%EC%A0%95%2C_painter%29_at_The_Exhibition_of_Three_Korean_Artists_at_Today_Art_Museum_in_Beijing%2C_China.jpg
         2009년 위안부 문제를 다룬 연극 '나비'를 마지막으로 배우로서 활동을 마치고 '가톨릭상담봉사자과정'에서 1년 넘게 심리상담 교육을 받은 후 화가가 되었다. 이를 통해 2014년 6월에는 첫 개인전인 <묘사와 연기>가 열렸으며<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3&oid=001&aid=0006965311 화폭으로 옮긴 심리 치유…배우겸 화가 김현정 개인전], 연합뉴스, 2014년 6월 17일 작성.</ref>, 2014년 11월 9일 부터 11월 19일까지 [[백남준]], [[이왈종]]과 함께 중국 베이징에서 <하나에서 셋으로:한국 예술가 3인전>에 작품전을 열었다.<ref>[http://www.newdaily.co.kr/news/article.html?no=218578 ‘동양화로 그린 장서희는?’ 화가 김현정, 中진르미술관 초청], 뉴데일리, 2014년 10월 7일 작성.</ref>
         * "선물"<ref>[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6/09/21/0200000000AKR20160921175700005.HTML '배우 화가' 김현정 "내 그림이 누군가에게 선물이었으면"], 연합뉴스, 2016년 9월 22일 작성.</ref>
         * [http://www.hancinema.net/korean_Kim_Hyeon-jeong-III.php 한시네마]
  • 맥스 페인 . . . . 11회 일치
         >NEW YORK. FUGITIVE UNDERCOVER COP. NOTHING TO LOSE.
         attachment:MP_Int.jpg
         <<include(틀:스포일러)>>
          Punchnello Family. 뉴욕에서 활동하는 마피아 조직. 맥스의 독백에 따르면 "뉴욕 최악의 마피아 패밀리"[* the worst mafia family in New York]. 해당 조직의 언더보스인 잭 루피노가 "발키리"를 밀거래하고 있었기에 맥스가 잠입 수사를 하게 되었다.
          attachment:Lupino.png?width=200
          Jack Lupino. 펀치넬로 패밀리의 언더보스. 매춘, 마약매매, 청부살인을 밥줄로 삼고있다. "발키리"를 밀거래하고 있었기에 맥스가 펀치넬로 패밀리에 잠입수사를 벌이는 이유가 되었다. 뇌가 벽에 튀긴 모습을 보려고 사람을 쏠 정도로 미쳐버린 상태로 펀치넬로 또한 이를 알고 있어서 개선하지 않으면 트리오를 보내겠다고 편지를 보낸다. 하지만 루피노는 인신공양을 할 정도로 미쳐버렸기에 효과가 없었다. 라그나록에 쳐들어 온 맥스를 죽이려고 했지만 맥스에게 죽는다. 맥스는 루피노가 죽은 후에도 그에게 총을 쏜다. 더블배럴 샷건과 화염병으로 무장했기에 짜증난다. 화염병 작작 던져라.
          attachment:Finito.png?width=200
          Finito Brothers. 조이 피니토(Joey Finito)와 비르질리오 피니토(Virgilio Finito). 누가 조이이고 누가 비르질리오인지는 모른다. 루피노 휘하의 부하들로 매춘이 벌어지는 낡은 호텔을 경영하고 있다. 경찰의 잠입수사 요원이라는걸 들킨 맥스를 죽이려고 했으나 맥스에게 역으로 죽는다.
          Lisa Punchinello. 모나 색스의 쌍둥이 자매로 안젤로 펀치넬로의 아내. 모나의 말에 따르면 "도움이 필요한 여자"[* damsel in distress].
          Captain Baseballbat-boy. 신문에 연재되는 만화. 야구방망이를 사용하는 캡틴 베이스볼배트 보이가 주인공이다. 야구방망이에 맞아 죽은 피해자 옆 신문에서 첫 등장.
  • 성시경 . . . . 11회 일치
         졸업한 후, [[고려대학교]] 문과대학 [[사회학|사회학과]]와 동 대학 [[언론|언론대학원]] 방송학을 졸업하였으며, 방황 끝에 [[가수]]의 길을 선택했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6&oid=230&aid=0000003510 t MAP 성시경]『매거진t』강명석 수석 기자 2008년 6월 30일</ref>
         대입 입시생 시절이던 1999년 4월에 MBC 문화방송 시트콤 《[[남자 셋 여자 셋]]》에서 엑스트라 단역급으로 첫 출연한 적이 있고 이듬해 [[2000년]] [[2000년 9월|9월]]에 열린 제1회 드림뮤직 신인가수 선발대회 "뜨악 페스티벌" 인터넷 오디션 "발악"을 통해서 가수로 데뷔하였다. 첫 번째 싱글은 2000년 [[2000년 11월|11월]]에 발매된 "내게 오는 길"이었다. [[2001년]] [[2001년 4월|4월]]에는 데뷔 앨범인 "처음처럼"이 발매되었고, 신인상을 받았다. 지금까지 7개의 정규 앨범, 3개의 리메이크 및 스페셜 앨범, 1개의 베스트 앨범을 발매했다. 최근 [[일본]]에서 [[정규앨범]][[DRAMA]]발매 전 일본 4개도시 투어를 성공적으로 개최했으며 현재 일본과 서울을 오가며 왕성히 활동 중이다.<ref>{{뉴스 인용|url=http://star.mt.co.kr/stview.php?no=2018030715133349170&outlink=1&ref=https%3A%2F%2Fsearch.naver.com|제목=성시경, NHK 한국어 강좌 프로 출연 "일본어도 능통"|출판사=스타뉴스|날짜=2018-03-07}}</ref><ref>{{뉴스 인용|url=http://www.munhwa.com/news/view.html?no=2018040901032939179001|제목=성시경 ‘일본 본격 진출’ 7개 도시 투어|출판사=문화일보|날짜=2018-04-09}}</ref>
         |《Winter Wonderland》
         |<Winter Wonderland>
         |<Open Your Mind>
         |《Reminisce(Old & New)》
         |《Introspect》
         |《너를 기다린다<br>- The 3rd Mini Album》
         |《Winter Wonderland》
         |Victor Entertainment
         *[[피처링|featuring]] : 성시경
         |《너를 기다린다-<br>The 3rd Mini Album》
  • 성훈(배우) . . . . 11회 일치
         |||| https://search.pstatic.net/common/?src=http%3A%2F%2Fpost.phinf.naver.net%2FMjAxNzA5MDdfMTQ2%2FMDAxNTA0NzcwOTc3MzYy.lkYMded0sqq0ZbM0S_BzCi9N6E8j__DjXYCaSoe4_pQg.CdFrnAN1hlvd9IN-KtzsQczjiBPxCuZ2ZNk49F4SVlwg.JPEG%2FIwWNs6e32zRvMq_LoXWJ7STa_vNk.jpg&type=n88_88 ||
         || '''SNS''' || [[https://www.instagram.com/sunghoon1983|[[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png|width=24]]]] ||
         [[아이돌 마스터]] 역사상 최초의 실사 프로듀서 역으로서 출연하게 되어서 국내,외 프로듀서들에게 눈길을 끌게 되었다. 프로듀서의 이름은 '''강신혁'''이며,[* 공식적으로 프로듀서의 이름이 나온 케이스다.] 본래는 당대 최고의 아이돌들을 여럿 키워낸 가요계의 ‘미다스의 손‘이지만 어느 날 부터 시작된 루머에 돌연 잠적을 택했으나 어느 날, 데뷔를 위해 구성된 ‘리얼걸프로젝트’를 만나게 되고, 다시 한 번 프로듀싱에 나서며 아이돌의 성장과 성공을 위해 전력투구하는 캐릭터로 나온다고 한다. [[http://entertain.naver.com/read?oid=382&aid=0000508395|관련기사]] --안경 안쓴게 아깝다-- --그래도 잘생겼잖아--
          * 고결한 그대 : 이강훈 역. [[네이버 웹소설]]의 인기작들 중 하나인 《고결한 그대》가 원작이다. 일명 패왕색기 이강훈 역할과 무시무시한 싱크로를 보였는데, 정말 이강훈이 웹소설 밖으로 걸어 나온 수준(…) [[http://m.blog.naver.com/godinmedia/220391621546|직접 보자]] 어지간해서 좋은 소리 못 듣는 만화&소설 원작 드라마 캐스팅 평에서 성훈의 캐스팅은 호불호가 나뉘지 않고 대부분의 사람들의 호평이 이어지고 있다. 혹자는 이강훈 실사판을 보는 것 같다고. 덕분에 '''웹찢남'''('''웹'''소설 '''찢'''고 나온 '''남'''자)이란 별명을 얻기도 했다. 정작 본인은 인터뷰에서 원작 팬들께 죄송하다고 하는데... ~~너무 겸손한 듯. 외모는 싱크로 100%이지만, 본인의 성격은 이강훈과 괴리가~~
         || [[Mnet]] || 《Sing스트리트》 || 출연[* 2016년 10월 26일~12월 14일 방송. EDM의 선구자~~(?)~~인 박명수에게 디제잉을 배웠다..막방공연 전에 박명수에게 청국장파스타를 해주며 고맙다고 인사했다.~~우월한 기럭지에 조각같은 외모, 노래도 수준급, 요리도 잘해, 거기다 성격도 좋고 겸손함까지.. 도대체 못하는게 뭐임?~~ 막방 공연때 허리통증이 심했음에도 불구하고 최선을 다했고 대중은 환호했다.. 결국 3표 차이로 봉태규에게 1위를 내 주었다.] ||
         ||<|2> 2015 || 1st Single 「My style」 Type A || ||
         || 1st Single 「My style」 Type B / Sunghoon || ||
         ||<|13>2017||2017 Sunghoon Wintershow||도쿄||일본||시부야의 SAKURA HALL||
         ||<|4>월드투어 팬미팅 My Secret Romance||방콕||태국||Show DC 6층 Ultra Arena[* 2017년 07월 15일[[https://www.instagram.com/p/BWnHlz_hqzf/|행사관계자 후기]]~~인스타 로그인 하시면 번역보기가 나옴~~ ] ||
         ||K-Medi, K-Wave & Winter in Korea||울란바토르||몽골||UB Palace Mongolia||
         [Include(틀:문서 가져옴,title=성훈,version=68)]
  • 심현섭(코미디언) . . . . 11회 일치
         ||<table width=100%><table align=center><table bordercolor=#000000><-100><:>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C60C30 20%, #003478)"
         ||<#ffffff><:><-100>{{{#!folding [ 펼치기 · 접기 ]
         이후 [[김준호(개그맨)|김준호]][* 심현섭과 SBS 공채 동기였으나 IMF 때문에 SBS가 코미디 프로그램을 종영하면서 설 자리를 잃었다.], [[김대희]], [[박성호(1973)|박성호]], [[황승환]],[* 황승환의 경우는 10월 말경에 사고로 팔을 다쳐 출연하지 못하게 된 것이었다. 2002년 11월 초경의 그의 출연 장면을 보면 깁스를 한 채로 출연하고 있다. 황승환은 약 1년 후에 개콘에 복귀하지만 특유의 '여장연기'를 계속 하는 바람에 '식상하다'는 반응을 얻고는 곧 하차했으며, 이후에는 엔터기술의 최대 주주 겸 황마담웨딩컨설팅 [[CEO]]로 [[연예인]] 주식부자 겸 CEO 대열에 합류했다. 그런데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6&oid=311&aid=0000175748|회사자금 횡령으로 검찰에 불구속 입건]]되었으며, 이때 황승환의 [[본명]](오승훈)과 그가 사실은 [[바지사장]]이었다는 것이 밝혀졌다.] [[이병진]], 이태식, 김미진, [[김숙]], [[강성범]] [* 심현섭, 김준호와 SBS 공채 동기였지만 IMF 때문에 SBS가 코미디 프로그램을 종영하면서 설 자리를 잃었다.] 등의 스타밸리 소속 개그맨들을 개콘에서 이탈하게 한 것을 주동한 계기로 해서, 정치적인 면과 연예적인 면 양쪽에서 [[어그로]]를 끌어 인기를 잃기 시작했다.
         10년이 지난 [[2013년]], '개그콘서트-코미디 40년' 특집 기자간담회에서 심현섭 본인이 개그콘서트를 떠난 건 자신이 앞뒤 안 가리고 거만했었기 때문이라며 개콘을 떠난 이유에 대한 정치외압설을 부정했다.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6&oid=119&aid=0001966248|#]]
         [[2009년]]에 [[버락 후세인 오바마]] [[미국]] 대통령이 광화문에 방한했을 때 환영행사의 사회를 본 적이 있다. 이 자리에서 심현섭은 오바마 대통령에게 "지난 40년 동안 이 순간만을 손꼽아 기다렸습니다."라고 말했다.[[http://star.mt.co.kr/view/stview.php?no=2009111912124399784&type=1&outlink=1|#]]
         [[2018년]] 3월, 그에게서 성추행을 당했다는 글이 [[디시인사이드]] 예능 프로그램 갤러리에 올라왔다. 글을 올린 L씨는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2011년 가을, 심현섭과 소개팅을 했고, 첫 만남에 간 영화관에서 계속 허벅지를 주무르는 심현섭에게 불쾌감을 표현했으나 그는 L씨를 차에 태운 후 CCTV가 없는 장소를 찾아갔고, L씨가 차에서 내리려 하자 문을 잠그고, 자신을 애무할 것을 요구했고 "만지기 싫으면 이것만 봐달라"며 바지를 벗고 자위행위를 했다고 설명했다. [[http://news.jtbc.joins.com/article/article.aspx?news_id=NB11599831|JTBC]]
         L씨는 그냥 도망쳐서는 안 될거 같아 상황을 살힌 후, 증거물까지 챙겨 그 다음 날 바로 신고했다고 한다. 이후 경찰과 검찰 조사까지 진행됐고, 돈을 받고 끝낼 문제가 아니라 판단해 합의 하지 않겠다는 의지를 정확히 내비쳤지만 형사는 합의하자고 했으나 합의하지 않았다. 그리고 검찰에서 실시한 [[거짓말 탐지기]]로 대질신문 조사에 심현섭은 전부 응했지만[* 그의 증언 또한 모두 진실로 나왔다.] L씨는 두 차례 다 응하지 않았다.[[http://m.entertain.naver.com/read?oid=213&aid=0001022220|기사]] 결국 검찰에서 날라온 결론은 증거불충분이었다고 말했으며 무혐의로 종결.
         [[http://m.entertain.naver.com/read?oid=241&aid=0002762322|피해자라고 주장하는 L씨의 폭로글 전문]]
         현재 글은 삭제되었고 이 사건 이후 심현섭 측은 L씨에 대해 법적 대응하겠다고 했다.[[http://entertain.naver.com/read?oid=076&aid=0003224575&cluid=c_201803071920_00000026|#]]
  • 어쌔신 크리드 III/등장인물 . . . . 11회 일치
         <<include(틀:스포일러)>>
          * 숀 헤이스팅스(Shaun Hastings)
          * 레지널드 버치(Reginald Birch)
          * 루퍼트 마틴(Rupert Martin)
          * 벤자민 프랭클린(Benjamin Franklin)
          * 조지 워싱턴(George Washington)
          * 벤자민 톨마지(Benjamin Tallmadge[* 한국어 표기가 오락가락하다. 제대로 아는 사람이 추가 바람.])
          * 윌리엄 몰리뉴(William Molineux)
          * 클리퍼 윌킨슨(Clipper Wilkinson)
          * 벤자민 처치(Benjamin Church)
  • 어쌔신 크리드 III/아이템 . . . . 11회 일치
          * Washington's Battle Sword (Replica)
          * Assassin Tomahawk
          * Boarding Axe
          * Flintlock Pistol
          * English Flintlock Pistol
          * Italian Flintlock
          * Royal Navy Sea Service Flintlock
         Trip Mines. 독일제 플라더미네(Fladdermine)에 영감을 받은 감압식 지뢰. 플라더미네보다 작고 쓸만하다. 적이 일정 범위 안으로 들어오면 폭발한다. 설치에 시간이 걸린다. 카운터킬에 사용하면 폭발한다.
          * 암살단 의상(Assassin Outfit)
          * 암살단 의상(Assassin Outfit)
  • 육성재 . . . . 11회 일치
         [include(틀:비투비)]
         [include(틀:비투비 블루)]
         ||||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c/cc/Yook_Sung-jae_at_Cable_TV_Awards_in_March_2017_%284%29.jpg/250px-Yook_Sung-jae_at_Cable_TV_Awards_in_March_2017_%284%29.jpg ||
         ||<#42B4E6> '''링크''' ||<(> [[http://twitter.com/BTOB_6SJ|[[파일:트위터 아이콘.png|width=24]]]] [[https://instagram.com/yook_can_do_it|[[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png|width=24]]]] [[http://m.dcinside.com/list.php?id=ysj|[[파일:디시인사이드 아이콘.png|height=25]]]] ||
         || 2017년 3월 17일~2017년 4월 21일 || [[정글의 법칙]] in 수마트라 || 고정출연 || ||
          * [[BTOB|비투비]] 멤버들은 다그렇지만 [[Apink|에이핑크]]와도 친하다. 에이핑크의 소속사가 비투비 소속사에서 파생되어서 그런지 연습생 시절부터 친하게지냈고, 동갑내기인 [[김남주(Apink)|김남주]]와 가장 친하다.에이핑크 막내인 [[오하영]]과도 친하다. ~~[[아이돌스타 육상 선수권대회|아육대]]에서 노는 모습도 많이 포착되었다.~~
          * [[장미여관]]의 [[http://www.starnnews.com/news/index.html?no=362275|육중완과 먼 친척 관계]]이며 항렬로만 따지면 육중완이 한 항렬 위이다. 육중완 왈 "성재는 [[http://m.entertain.naver.com/read?oid=382&aid=0000537929&gid=999339&cid=1054626|집안의 기적]]".
  • 이철희(1964) . . . . 11회 일치
         [include(틀:상위 문서, top1=정치인/목록)]
         [include(틀:제20대 국회의원/비례대표)]
         [include(틀:썰전)]
         [include(틀:-)]
         그리고 [[김대중]] 정부 시절 청와대에서 대통령 비서실에서 정책 행정관으로 근무한 경력이 있고, [[노무현]] 대선 캠프에서도 일한 적이 있다. [[김한길(정치인)|김한길]] 의원의 보좌관으로도 일했는데, 언제부터 일했는지 구체적으로는 알 수 없으나, 2000년대 중반에는 확실히 의원 보좌관이었다. 2008년 전후로 그 자신의 표현에 따르면 '''자발적 백수'''가 되었다....는데, 정작 이후에도 대학 출강을 한다든지, 여론조사 기관에서 일한다든지, 민주당 당내 정책연구소에서 부원장을 지낸다든지, 이런저런 일들을 하면서 정치 스펙을 쌓았다. 본인의 말로는 2012년 [[19대 총선]] 때 국회의원에 도전했으나 끝내 공천되지 못했다. 열심히 스펙을 쌓았지만 [[http://m.news1.kr/news/category/?detail&593920|서류심사에서 탈락해서]] 면접도 못 봤다. [[http://mnews.joins.com/article/7703750|공천 과정에 대한 중앙일보 정치부 기자들의 코멘트]]] 2016년 기준으로 보면 전화위복이지만, 그 과정에서 시사평론가가 된 것으로 보인다.
         12월 24일 [[새정치민주연합]]이 이 소장을 내년 4월 총선을 진두지휘할 총선기획단장으로 고려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기사에 따르면 모든 프로그램에서 하차했고, 다른 기사에선 성사 직전까지 왔다고 한다.[[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hm&sid1=100&oid=057&aid=0000865862|#]]
         [[2018년]] [[8월 13일]], [[노회찬]]의 급작스러운 사망으로 공석이 된 진보 패널로 복귀했다. [[https://entertain.naver.com/read?oid=079&aid=0003133209|기사]]
         그렇게 첫인상이 좋지 않던 상황에서 인재 영입 당시 대부분의 인물들이 '당이 원하면 어디든 가겠다' 라고 하며 개인의 욕심을 보이지 않았던 반면, 이철희 전 소장의 경우에는 [[http://mnews.jtbc.joins.com/News/Article.aspx?news_id=NB11174997|'지역구 출마는 생각하지 않고 있다']](13분 25초부터)라고 발언하며 낙선의 위험을 안아야 하는 지역구보다 상대적으로 당선이 수월한 비례대표를 노리고 있던 것 때문에 이미 정치 세계에 대해서 알 만큼 알고 있고, 또 [[썰전]] 등을 통해 충분한 인지도와 지지를 확보한 사람이니 지역구 선거로 나가는 게 맞지 않느냐는 비판이 있었다.
         마지막으로 청년 비례대표 논란이 있는데, '더벤저스'라고 불리며 당내 활동에 적극적이던 영입 인사인 [[http://m.moneyweek.co.kr/view.html?no=2016031507208018613|김빈 디자이너가 예심에서 5분 면접 후에 탈락]]당한 반면, [[http://news.donga.com/ISSUE/Vote2016/News?m=view&gid=77018257&date=20160315|더민주 당직자가 첨삭지도를 해 준 것]]과 [[http://mnews.joins.com/article/19388510|과거 국민의당 발기인]]이었던 상황임에도 청년비~~리~~례대표 결선대상자로 지정되어서 논란이 된 최유진 예비 후보가 이철희 전 소장의 대학원 시절 제자라고 밝혀지면서 '자기 사람 끼워넣기'가 아닌가 하는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김빈 디자이너는 비례대표 심사 이전에 비례대표 예비후보로서 자신을 홍보하면서 자신의 본명인 '김현빈'이 아닌 예명 '김빈'이라는 이름을 쓴 적이 있다. 본명을 기재하지 않았다면 선거법 위반 사항이다. 이것 때문에 탈락했을 것이라고 보는 의견이 있다.]
          * [[맥심(잡지)|맥심]] 2016년 2월호에 (뒤)표지모델로 나왔다. [[http://i63.tinypic.com/2evdy07.png|사진 참조]] 그 후 맥심 2016년 2월호가 완판되는 영광을 누렸는데, 이건 이철희 사진이 멋있게 잘 나와서가 아니라, 실제로는 순전히 [[시노자키 아이|(앞)표지모델로 나온 사람]]덕분이었다는 게 정설이다.[[http://i67.tinypic.com/24yp6qg.jpg|사진 참조]] ~~의문의 완판남~~
  • 장연주 . . . . 11회 일치
         * [[Something Special]] (정규앨범 1집) (2003.06.03)
         * [[스마일 프로젝트 Vol.1 - One sweet day]] (Digital Single) (2007.05.22)
         * [[백일째 만남]] (Single) (2008.06.17)
         * [[랄랄라♪]] (Single) (2009.02.26)
         * [[Final Round]] (Digital single) (2010.08.04)
         * [[Watching Me]](Mini Album) (2010.09.06)
         * 이별집(Mini Album)(2018.02.02)
         * Something Special
         * Watching me
  • 전태일 . . . . 11회 일치
         [[1972년]] 기독청년 전태일 1주기 추도식으로 시작된 이래 1980년대에 와서 노동운동가 전태일 추도식으로 제목이 바뀌었다. 그의 어머니 [[이소선]]은 아들의 유언에 따라 사망직전까지 청계천 노조 지원과 노동 운동 지원에 헌신하여 노동자들의 어머니 라는 별칭을 얻기도 했다. [[1984년]] [[서울]]에서 노동운동가들 중심으로 전태일기념사업회가 조직되었고, [[1985년]] 전태일기념관이 개관하였다. 이후 전태일재단이 조직되어 '전태일문학상'과 '전태일노동상'을 제정하여 수여하기 시작하였다. [[1987년]] [[6.10 항쟁]] 이후 노동단체들이 모여 그해 [[7월]]부터 [[8월]]까지 노동자 대회를 열었으며 7월 15일에는 그의 어록, 초안 등을 참고하여 '87 노동자계급 해방선언'이 개최되었다. [[1988년]] [[11월]] 전태일의 분신 자살을 기념하기 위한 '전태일 정신 계승 전국 노동자 대회'가 [[서울]]에서 개최되어 매년 [[11월]] 전국 노동자대회가 열리고 있다. [[2002년]] 민주화운동 관련자 명예회복 및 보상심의위원회에서 전태일을 민주화 운동 관련자로 승인하였다. [[1996년]] 9월 19일에는 서울 중구 을지로6가에서 '전태일 거리'를 선포하였고, 이를 기념하여 민예총 회원들이 전태일 열사가 분신하고 있는 모습을담은 걸개그림 앞에서 추모공연을 하였다.<ref>[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96092000289120003&edtNo=6&printCount=1&publishDate=1996-09-20&officeId=00028&pageNo=20&printNo=2680&publishType=00010 한겨레 1996,09.20]</ref> 이 '전태일 거리'에서는 전태일을 추모하기 위한 '전태일 거리문화제'가 진행되고 있다. 1999년부터는 민주열사를 비롯해 의롭게 숨진 시민의 기념표석을 세우는 서울시'유적지 사업'에 포함되어 평화시장 분신장소에 기념표석이 세워졌다. 하지만 2003년 청계천 복원공사로 철거되기도 하였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32&aid=0000043117 전태일 동판 철거 ‘물의’ 경향신문, 2003.12.01]</ref>
         [[2002년]] [[11월 28일]] 그는 보상금 930만원을 받았다. 1970년 분신자살한 전태일(全泰壹)에 대한 보상금은 930만원에 불과한 반면 91년 분신자살한 노동운동가 [[윤용하]]는 2억 3천만원을 받게 돼 형평성 문제가 제기되었다.<ref name="boboss">[http://www4.hankooki.com//nation/200211/h2002112817562214510.htm 전태일씨 보상금 930만원 지급] 한국일보 2002/11/28</ref> 위원회는 이에 대해 "[[국가배상법]]은 희생 당시 월급액을 기준으로 [[보상금]]을 정하도록 돼 있어 당시 월급이 2만원에 불과한 전태일씨와 90년대 들어 노동자의 월급이 급격히 오른 후의 대상자와 보상금이 수십 배 차이가 날 수 밖에 없다"라고 설명했다.<ref name="boboss"/><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5&aid=0000128215 민주화 보상금 첫 지급…형평성 논란] 국민일보 2002.11.28</ref>
         그의 삶은 [[1983년]] 출판된 [[조영래]] 변호사의 《[[전태일 평전|어느 청년노동자의 삶과 죽음]]》으로 널리 알려졌으며, 전태일재단에서 전태일 평전이 개정판으로 다시 출판되었다. 1990년대에 전태일의 생애를 다룬 《[[아름다운 청년 전태일]]》이란 영화가 제작되었는데, 전태일 역을 맡은 배우 [[홍경인]]과 내레이션 역할을 맡은 배우 [[문성근]]은 이 영화에 무료로 출연하였다.<ref>[http://dna.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95033100209138003&editNo=45&printCount=1&publishDate=1995-03-31&officeId=00020&pageNo=38&printNo=22812&publishType=00010 영화「전태일」주역 확정 문성근 홍경인 무료출연] [[동아일보]] 1995년 3월 31일 작성</ref> 2000년에는 전태일 30주기에 맞춰 제작된, 전태일열사를 기억하는 많은 사람들의 인터뷰를 엮은 영화 《전태일의 기억》이 개봉하였다.<ref>[http://www.cine21.com/movie/info/?movie_id=34429 씨네21-전태일의 기억]</ref> 연극으로는 자유학교 물꼬 학생들의 연극모임 '터'의 9기 학생들이 선보인 《스물 한살》이 있다.<ref>[http://www.chuntaeil.org/?c=30&p=3&uid=742 전태일 재단-[영화/다큐멘터리<nowiki>]</nowiki> 목록]</ref>
         {{Col-begin}}
         * [https://web.archive.org/web/20131004213514/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 민족문화대백과사전 - 전태일 분신사건]
  • 정선 (화가) . . . . 11회 일치
         |그림=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9/94/Jeon_Seon-Taking_a_reast_after_reading_books-1.jpg/225px-Jeon_Seon-Taking_a_reast_after_reading_books-1.jpg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6/6f/After_Rain_at_Mt._Inwang.jpg/300px-After_Rain_at_Mt._Inwang.jpg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6/6a/Jeon_Seon-Ingok.yugeodo.jpg/182px-Jeon_Seon-Ingok.yugeodo.jpg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3/3b/Jeong_Seon-Ingok.jeongsa.jpg/122px-Jeong_Seon-Ingok.jeongsa.jpg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8/88/Jeong_Seon-Gwangjin.jpg/288px-Jeong_Seon-Gwangjin.jpg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f/f7/Jeong_Seon-Yanghwa.jin.jpg/133px-Jeong_Seon-Yanghwa.jin.jpg
         * [http://jeongseon.gangseo.seoul.kr/index.jsp 겸재 정선 기념관]
  • 조성모(가수) . . . . 11회 일치
         [include(틀:상위 문서, top1=가수/한국)]
         [include(틀:다른 뜻1, other1=다른 동명이인, rd1=조성모(동명이인))]
         ||<table width=100%><table align=center><table bordercolor=#000000><-100><:>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C60C30 20%, #003478)"
         ||<#ffffff><:><-100>{{{#!folding [ 펼치기 · 접기 ]
         [include(틀:-)]
         이 흑역사는 결국 2014년 [[SNL 코리아]]의 조성모 편에서 다시 등장했다. 광고에서 조성모가 했던 멘트들이 다시 재현될 때 이 대사를 듣고 '''사람들이 [[손발이 오그라든다|너무 오그라든]] 나머지 사망'''하는 어이없는 사건 드라마로 재현. 이 날 마지막 순서로 유희열과 토크쇼에서 그문제의 초록매실 광고주 [[웅진그룹|웅진식품]]에서 보낸 화환이 공개됐는데, 그 화환에 적힌 문구는 '''[[http://m.entertain.naver.com/read?oid=421&aid=0000838804|우리도 이럴줄 몰랐어요...ㅠㅠ]]'''[* 이 날 웅진식품에서 초록매실의 PPL을 하기도 했으며, 관객들에게도 초록매실이 1병씩 증정되었다.]
         리메이크 앨범인 2.5집의 타이틀곡 '가시나무'는 빅 히트를 했지만,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14&oid=042&aid=0000003256|뮤직비디오에서 문학적이며 종교적인 원곡을 단순한 사랑노래로 해석하면서 '원작을 훼손했다'는 비판을 받았으며 원작자인 하덕규도 석연찮은 감을 드러내기도 했다.]]
         학창시절 [[이상은(가수)|이상은]]의 열혈팬이었다고 한다. 2017년 6월 자신의 라디오 프로에 이상은을 초대해서 어릴적 팬질하던 얘기를 하며 적극적으로 팬심을 드러내기도 했다. [[https://www.instagram.com/p/BV2KQxbAV5n/?taken-by=jo_sungmo|인스타 인증샷]]
         [include(틀:문서 가져옴,title=조성모,version=219)]
  • 조응천 . . . . 11회 일치
         [include(틀:관련 문서4, top1=법조인/목록, top2=정치인/목록, top3=대구광역시/인물, top4=불교/인물)]
         [[20대 국회]]에서 [[법제사법위원회|법사위]]와 [[정보위원회|정보위]](겸)에 내정되었다. 2016년 6월 27일 법사위원회에서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08&aid=0003701997|"장관님, 서초동 4대천왕 들어보셨습니까"]]라는 표현으로 대표되는 법조비리에 관한 질문과 비판으로 국회 상임위원회 활동을 시작하였다.
         [[박근혜-최순실 게이트]]가 터지면서 이전의 정치 성향과 상관없이 반정부 성향이 강해진 인터넷 여러 커뮤니티들에서 이러한 조응천의 드립은 다시금 주목받았고, [[주갤]]에서까지 [[http://gall.dcinside.com/board/view/?id=stock_new1&no=4508912|통쾌하고 호감간다는 말들이 나왔다.]] 애초에 더민주에서 이 사람을 영입한 가장 큰 이유가 청와대 내부 사정에 밝다는 이유에 [[박근혜-최순실 게이트]]의 실상을 수년 전부터 접했던 사람이라는 이유인데, 공직상 기밀 누설 혐의로 형사소추 당하지 않는 선에서 청와대, 검찰의 대응 플랜을 어느 정도 예측하고 분석하는 글을 페이스북에 올리고 있어서[* 특히 [[문고리 3인방]]과 [[우병우]]에 대한 반감이 글에서 드러난다. 아무래도 [[정윤회 국정개입 의혹|이 사건 때문이다.]]] 현재 정국에서 관심도가 매우 높은 의원 중 하나.
          조응천 의원은 상임위 발언이나 보도자료 배포 과정에서 사실 관계를 확실히 하지 못한 것으로 드러나 논란을 빚었다. 한편, [[MBC]]는 명예훼손으로 책임을 묻겠다는 입장을 내놓았다 [[http://news.naver.com/main/ranking/read.nhn?mid=etc&sid1=111&rankingType=popular_day&oid=214&aid=0000638302&date=20160701&type=2&rankingSeq=1&rankingSectionId=100|MBC의 깊은 빡침이 느껴지는 기사.]]
          * [[https://www.instagram.com/p/BRV1ByQhlL4/?taken-by=chopros|어느 날 조응천 의원이 "손녀가 생겼다"며 SNS에 글을 올렸다]]. 하지만 사람이 아닌 귀여운 [[고양이]]를 데리고 왔다고 한다. 이름은 보리이며, 가끔 사진을 올린다.
         [include(틀:제20대 국회의원/경기도)]
         [include(틀:제20대 국회의원/더불어민주당)]
  • 지석진 . . . . 11회 일치
         [include(틀:다른 뜻1, other1=천년전쟁 아이기스의 주인공 왕코(王子), rd1=왕자(천년전쟁 아이기스))]
         ||||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3/33/Ji_Suk_Jin_at_Malaysia_for_Running_Man_Fan_Meeting_Asian_Tour_2014.jpg/220px-Ji_Suk_Jin_at_Malaysia_for_Running_Man_Fan_Meeting_Asian_Tour_2014.jpg ||
         네이버 지식in에서 '조동아리' 멤버(김수용 박수홍 김용만 지석진)들 중 누가 가장 기대되냐는 설문조사에서 35.9%로 1위를 차지했다.[* 그 다음 순으로는 박수홍, 김수용, 김용만.]
         [[런닝맨]]의 인기를 발판으로 중국, 대만 등에 성공리에 진출한 한류스타다. [[http://tvcast.naver.com/v/259041|해피투게더에서 인증]]. 대만 팬미팅이 10분 만에 매진됐고 현장 반응도 뜨거웠다. [[웨이보]] [[http://star.mt.co.kr/view/stview.php?no=2015020411394144327&type=1&outlink=1|팔로워가 100만]]에 '좋아요' 누른 팬도 최대 14만.[* [[http://entertain.naver.com/read?oid=057&aid=0000587296|참조]].]
         [include(틀:런닝맨 현 출연진(개인문서))]
  • 청도군 . . . . 11회 일치
         [include(틀:다른 뜻1, other1=이 문서는 한국의 지역을 다루고 있습니다. 중국의 도시, rd1=칭다오)]
         [include(틀:상위 문서, top1=경상북도)]
         [include(틀:회원수정)]
         [include(틀:프로젝트 문서,프로젝트=나무위키 대경권 프로젝트)]
         [include(틀:경상북도의 기초자치단체)]
         [include(틀:청도군의 읍면)]
         ||<-3><bgcolor=#FFFFFF>[include(틀:지도, 장소=청도군,너비=100%)] ||
         특산물인 감으로 와인을 만드는 청도 와인터널도 가볼만하다. [[http://www.gamwine.com/company/main.php|홈피]]. 경부선 철도로 쓰던 터널을 개조한 와인 터널로 안에는 감 와인이 숙성되어 가고 있는데, 판매도 하고 시음도 가능하다. 이 감와인은 덜익은 쓴 감을 사용해 주조한 것으로, 특유의 독특한 풍미로 유명하다. 첫맛은 쓴데 입에 조금만 머금고 있으면 단맛이 돈다. 이곳에서 감으로 만든 와인과 초콜릿 등을 맛볼 수 있으며, 살 수도 있다. 과거 SBS드라마 떼루아의 촬영장소로 쓰이기도 했다. 청도 소싸움 경기장에서 그리 멀지 않기 때문에 와인터널과 용암온천, 프로방스, 소싸움을 한꺼번에 즐기러 오는 경우도 많다. --이거 노리고 소싸움 경기장까지 옮긴걸테지만--
         얼핏 보면 조용해 보이는 고장이지만, 청도군수 선거를 4년(2005~2008)에 4번 치른(쉽게 말해 재선거만 3번) 것과 관련되어 청도군 전체가 발칵 뒤집힌 적이 있었다. 선출되는 군수마다 금품수수 때문에 실형을 선고받아 낙마한 데다 지역 유지나 마을 주민들이 선거운동 등을 통해 비슷한 혐의를 받은 터라 군민 상당수가 선거사범(…)이 되다시피 했다. 수배된 사람 중에 자살자가 여럿 나올 정도였으니. [[http://www.sisainlive.com/news/articleView.html?idxno=1007|관련 기사]]
          * ~~[[칭다오|青岛 / Qingdao]]~~ [[한국어]] 발음이 두 곳 모두 '청도'로 동일하고, [[중국어]]로도 성조에서 차이가 있지만(岛 3성, 道 4성) 역시 '칭다오'로 동일하다. 이 때문에 칭다오와 자매결연을 맺었다는 개그가 있다. 그런데 칭다오와 자매결연을 맺은 도시는 윗동네 [[대구광역시]]다.
  • 최지우(영화배우) . . . . 11회 일치
         [include(틀:다른 뜻1,other1=본명이 최지우인 여배우, rd1=지우(배우))]
         [include(틀:YG)]
         ||<bgcolor=#D76181> {{{#FFFFFF '''학력'''}}} ||<(> 완주고등학교[br]전북대학교 무용과 (중퇴) [br] [[한양대학교]] 연극영화학과 (중퇴)[* 01학번.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1&aid=0000036399|특별전형]]으로 입학하여 학교 축제 사회도 보는 등 늦깎이 대학생활에 의욕을 보였으나 바쁜 스케쥴에 휴학을 반복하다 결국 [[https://entertain.naver.com/read?oid=001&aid=0000887132|제적]]당했다.] ||
         [[http://entertain.naver.com/read?oid=018&aid=0003368424|최지우의 <두번째 스무살> 성공기]]
         2018년 3월 29일 결혼한다고 깜짝 발표를 했다.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004&oid=214&aid=0000821425|관련 기사]] [[http://img.theqoo.net/img/TEvjC.jpg|자필 편지]] [[http://m.entertain.naver.com/read?oid=241&aid=0002770340&cluid=c_201803292140_00000002|웨딩사진]]
         {{{#!html<iframe src='http://serviceapi.rmcnmv.naver.com/flash/outKeyPlayer.nhn?vid=DB848DB2777C2B19E3EE3B3A26E9C662765B&outKey=V1240cb2128fa388678dedee11d67f75bd088c8d9508ed4b47396dee11d67f75bd088&controlBarMovable=true&jsCallable=true&skinName=tvcast_white' frameborder='no' scrolling='no' marginwidth='0' marginheight='0' allowfullscreen WIDTH='740' HEIGHT='416' style='width:740px; height:416px;'></iframe>}}}
  • 한명회 . . . . 11회 일치
         그가 태어났을 때, 10개월도 안되어 태어나 병으로 위기를 넘기고 기적적으로 살아남았다. 몸 전체가 완전치 못하고 병약하여 온 집안이 거두려 하지 않으니 한 늙은 여종이 그를 거두어 솜털 속에 싸서 정성껏 보살폈는데, 점점 자라서 몇 달 만에 웃고 안아 볼 수 있는 아이가 되었다. 또한 그가 태어날 때 배 위에 검은색 별 모양 점이 있었다고 한다.<ref name="hwan1">[http://article.joinsmsn.com/news/article/article.asp?total_id=3642700&cloc=rss%7Cnews%7Csociety 한명회, 황보인 사위 될 뻔했다?] 중앙일보 2009년 6월 10일자 </ref> 이후 그의 몸에 북두칠성이 새겨져 있었다는 소문의 근원이 된다. 그러나 그는 일찍이 아버지와 어머니를 여의고 동생 명진과 함께 고아가 된다. [[한학]]을 수학하였지만, 불행한 가계와 빈한함, 작은 체구로 주변의 멸시와 놀림을 받으며 불우한 소년기를 보냈다. 한명회는 어려서부터 기억력이 좋고 민첩하였는데, 그의 종조 할아버지 [[한상덕 (조선)|한상덕]](韓尙德)은 그를 가리켜 집안의 천리마가 될 것이라 예견하였다.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7/76/Joseon-Portrait_of_Shin_Sukju.jpg/150px-Joseon-Portrait_of_Shin_Sukju.jpg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3/30/Sayukshin_tomb_shrine.jpg/230px-Sayukshin_tomb_shrine.jpg
         [[2000년]] 그의 묘소가 도굴되어 지석(誌石) 등이 유출되었으나 [[2009년]] 6월 도굴범들은 검거되었다.<ref>[http://cheonan.grandculture.net/Contents/Index?contents_id=GC04503015&local=cheonan 한명회 지석] "디지털천안문화대전"</ref> <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3&aid=0003008038 청주한씨 종친회, '한명회 지석' 천안 박물관에 기탁] "뉴시스 2009년 12월 21일자 기사내용"</ref>
         {{col-begin}}
         * [http://article.joinsmsn.com/news/article/article.asp?total_id=3990086&cloc= <nowiki>[</nowiki>명문家를 찾아서<nowiki>]</nowiki> 천안시 수신면 속창리 ‘한명회家’] 중앙일보
         * [http://article.joinsmsn.com/news/article/article.asp?total_id=3642700&cloc=rss%7Cnews%7Csociety 한명회, 황보인 사위 될 뻔했다?] 중앙일보 2009년 6월 10일자
  • 한현규 . . . . 11회 일치
         * 1977년 제20회 행정고시 입격<ref>[http://news.joins.com/article/4304309 손학규 지사,청와대 現비서관 副지사로 내정] 중앙일보 2002.06.29</ref>
         * 1980년 2월 1일 공인회계사 합격<ref>[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80020100209202022&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80-02-01&officeId=00020&pageNo=2&printNo=17945&publishType=00020 ]</ref><ref>[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80020100099202015&editNo=1&printCount=1&publishDate=1980-02-01&officeId=00009&pageNo=2&printNo=4278&publishType=00020 ]</ref>
         * 1995년 12월 26일 올해의 공무원 선정<ref>[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95122600329119013&editNo=40&printCount=1&publishDate=1995-12-26&officeId=00032&pageNo=19&printNo=15635&publishType=00010 ]</ref>
         * [http://news.joins.com/article/322716 경기 수원영통 한나라당 한현규 후보]
  • Darkest Hour: A Hearts of Iron Game/유닛 . . . . 10회 일치
         Early Construction Engineering(초기 건축 공학)을 연구했다면 한 프로빈스에서 움직이지 않는 육군 부대는 참호를 파기 시작한다. 참호는 해당 부대의 방어 능력에 보너스를 준다. 하지만 부대가 이동을 시작하면 지금까지 판 모든 참호가 사라진다.
         ==== Infantry(Inf, 보병) ====
         ==== Mountain(Mtn, 산악병) ====
         ==== Marines(Mar, 해병) ====
         ==== Engineer Brigade(Eng, 공병 여단) ====
          * Runway Cratering(활주로 타격): 1916년 연구인 "전술 폭격기 발상"을 연구하면 해금. 목표 지역의 적 활주로를 폭격해 공군기지 레벨을 일시적으로 떨어뜨린다.
          * Installation Strike(시설 타격): 1916년 연구인 "전술 폭격기 발상"을 연구하면 해금. 목표 지역의 대공포, 레이더 기지, 원자로, 로켓 시험소를 폭격해 레벨을 일시적으로 떨어뜨린다. 공격 대상은 목표 지역 내 제일 적은 적군이 주둔한 프로빈스다.
         ==== Interceptors(Int F, 요격기) ====
         ==== Rocket Interceptor(R Int, 로켓 요격기) ====
         ==== Flying Bomb(V1, 비행폭탄) ====
          * Convoy Raiding(호송선단 습격): 목표 지역에서 초계 활동을 벌이며 적의 호송선단을 공격한다.
          * Naval Interdiction(해양 봉쇄): 목표 지역에서 초계 활동을 벌이며 조우한 적 함대를 공격한다.
         ==== Submarines(SUB, 잠수함) ====
         ==== Heavy Submarine(H SUB, 대형 잠수함) ====
  • Victoria II . . . . 10회 일치
         [[스웨덴]]의 게임회사 [[Paradox Interactive]]에서 제작한 실시간 [[대전략]] 게임. [[제국주의]]와 [[민족주의]], [[혁명]]의 시기인 빅토리아 시대를 배경으로 하고있다.
         각 주는 여러개의 프로빈스(Province)로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서 서울 주는 서울, 강릉, 원주, 대전, 인천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자의 프로빈스는 다음과 같은 요소를 가지고 있다.
          * 부도덕한 사업(Immoral Business): RGO 생산량 -20%
          * 기구 정치(Machine Politics): 여당의 지지도 +200%
          * Military-Industrial Complex(군산복합체): 육군 기술 연구 +15%, 해군 기술 연구 -5%, 문화 기술 연구 -10%, 산업 기술 연구 +10%
          * Sea power & The Merchant Marine(해군력과 상선대): 육군 기술 연구 -5%, 해군 기술 연구 +15%, 상업 기술 연구 +10%, 문화 기술 연구 -10%
          * Business Schools & Tycoon Capitalism(경영대학과 재벌자본주의): 육군 기술 연구 -10%, 해군 기술 연구 -10%, 상업 기술 연구 +10%, 문화 기술 연구 -10%, 산업 기술 연구 +5%
          * Avantgarde Intelligentsia(아방가르드 지식계층): 해군 기술 연구 -25%, 문화 기술 연구 +5%, 산업 기술 연구 -5%
          * Corporative Industrialism(법인 산업주의): 육군 기술 연구 -5%, 해군 기술 연구 -10%, 상업 기술 연구 +5%, 산업 기술 연구 +15%
         악명(Infamy)는 해당 국가에 대한 국제적 시선이 얼마나 나쁜가를 의미한다. 전쟁 명분을 주작하다가 들키면 쌓인다. 악명이 높을면 높을수록 세계의 평화를 해치는 악당으로 인식되어 적대적인 국가가 증가한다.
         외교 행동을 하는데에는 외교 점수(Diplomatic Point)가 필요하다. 외교 점수는 기본적으로 0.3씩 들어오며, 특정 기술을 개발해서 수입을 늘릴 수 있다. 주요 열강은 외교 포인트를 두배로 더 받는다. 가능한 외교 행동의 목록은 아래와 같다.
          * 관계도 증가(Increase Relations) : 2외교 점수를 소모해서 해당 국가와의 관계도를 살짝 올린다.
          * 영향권 내(In Sphere) - 친숙함에서 영향력 100 소모해서 승급 가능
          * 의견 하락(Decrease Opinion) - 영향력 50을 소모해 지정한 열강과 해당 국가 간의 의견을 하락시킨다.
          * Interwar Spritepack : 12개국[* 오스트리아, 영국, 중국,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일본, 러시아, 스페인, 스웨덴, 터키, 미국]의 1919년 이후 보병 스프라이트를 고증에 따른 전간기 군복으로 바꿔주는 DLC.
          * Interwar Artillery Sprite Pack : 12개국의 1919년 이후 포병 스프라이트를 고증에 따른 전간기 군복으로 바꿔주는 DLC.
          * Interwar Planes Sprite Pack : 12개국의 1919년 이후 항공기 스프라이트를 고증에 따른 전간기 군복으로 바꿔주는 DLC.
          * Interwar Engineer Unit : 12개국의 1919년 이후 공병 스프라이트를 고증에 따른 전간기 군복으로 바꿔주는 DLC.
          * Interwar Cavalry Unit Pack : 12개국의 1919년 이후 기병 스프라이트를 고증에 따른 전간기 군복으로 바꿔주는 DLC.
          * Songs of the Civil War : 남북전쟁 시기 만들어진 유명 음악 4개[* Battle Hymn of the Republic, Johnny Comes Marching Home, Marching Through Georgia, Oh I'm a Good ol' Rebel]를 OST에 추가해주는 DLC.
  • 고소영 . . . . 10회 일치
         [include(틀:상위 문서, top1=레이싱모델/한국)]
         ||<table width=100%><table align=center><table bordercolor=#000000><-100><:>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C60C30 20%, #003478)"
         ||<#ffffff><-1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896AB7> {{{#ffffff '''링크'''}}} ||<(> [[http://cafe.daum.net/prettyNo1|팬카페]][br][[https://twitter.com/merrykoround|[[파일:트위터 아이콘.png|width=24]]]] [[https://www.facebook.com/merrykoround/|[[파일:페이스북 아이콘.png|width=24]]]] [[https://www.instagram.com/kosoyoung_official/|[[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png|width=24]]]] ||
         2014년 12월 30일 패션사업을 접었다. [[http://m.entertain.naver.com/read?oid=469&aid=0000056567|관련기사]]
         [[http://m.entertain.naver.com/read?oid=109&aid=0003096085|영화로 연기 복귀를 검토하고 있다고 한다]].
          * 남편은 장동건, 절친은 [[정우성]], [[이정재]] 등이다. ~~ㅎㄷㄷ~~ 대표작 '비트'를 함께 찍었던 정우성과는 [[구미호]]라는 영화에서도 호흡을 맞춘 적이 있으며 정우성의 말에 따르면 데뷔 전부터 친구였다고 한다. [[http://m.entertain.naver.com/read?oid=019&aid=0002345735|관련기사]]
          * 유명 스타일리스트 정윤기와도 절친이라고 한다. [[http://m.media.daum.net/m/entertain/newsview/20160419151820960|정윤기, 고소영, 정우성, 이정재가 함께한 화보]] 기사에 따르면 이 넷은 20년지기 친구.
  • 구자춘 . . . . 10회 일치
         [include(틀:상위 문서2, top1=대한민국 국군/인물, top2=정치인/목록)]
         [include(틀:역대 서울특별시장)]
         [include(틀:역대 경상북도지사)]
         [include(틀:역대 제주특별자치도지사)]
         1974년 9월 2일부터 1978년 12월 21일까지 제16대 [[서울특별시장]]을 역임하였다. 원래는 영등포-왕십리로 계획되어 있던 [[서울 지하철 2호선]]을 거대 순환선으로 만든 사람이다. 특히 2호선 계획 당시 지도에 줄 그어서 30분만에 만들었다는 레전설이 나름 유명. 웃긴건 그렇게 날림처럼 노선이 정해졌음에도 정작 공사할 때 [[영등포역]] 경유 예정 구간이 [[신도림역]] 경유로 바뀐 것, 딱 한 곳만을 제외하면 딱히 난공사라 할만한 구간이 없었다는 것이다. 구자춘 시장이 포병 출신이어서 지도를 보는 안목이 뛰어났기 때문에 이런 레전설 일화가 탄생한 것으로 보인다.--근데 이것은 결과론적인 이야기 아닌가,--[* [[손정목]] 저 서울 도시계획 이야기.][* 다만 이는 좋게 봐줘도 2호선 한 노선 한정이고, 바로 다음 노선인 3호선부터 서울 지하철 노선의 선형은 '''온갖 병크'''가 터지게 된다.] 이로 인하여 [[서울/강남|강남]] 개발이 가속화되었다. 그 이외에도 [[강남8학군|서울특별시 강북 지역의 명문고 이전]], 반포동 [[서울고속버스터미널]] 건립[* 다만 본인이 기안한 [[서울 지하철 2호선]]이 고속터미널을 경유하지 않았기 때문에, [[서울지하철 3호선|3호선]]을 무리해서 끌어오느라 3호선의 선형에 '''지랄맞은 ㄷ자 드리프트'''가 생기는 원흉이 된다.], 금화터널 건설 과정에서의 [[독립문]] 이전, [[한양도성]] 일부 복원, 도심부 주차장 확충--당시 도시계획국장 [[손정목]]의 말을 안 듣다가 땅을 치고 후회했을 듯...-- 등을 추진하였다. 이런 그의 별명은 대표적으로는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77101100209202027&edtNo=2&printCount=1&publishDate=1977-10-11&officeId=00020&pageNo=2&printNo=17237&publishType=00020|황야의 무법자]]'''였다. 그 이외에도 몇 가지 별명이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77111900329206004&edtNo=2&printCount=1&publishDate=1977-11-19&officeId=00032&pageNo=6&printNo=9891&publishType=00020|붙었다]].~~관료계의 [[김태균(1982)|김별명]] [[박용택|별명택]]~~
  • 김경식 (희극인) . . . . 10회 일치
         | url =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96010700289116009&editNo=5&printCount=1&publishDate=1996-01-07&officeId=00028&pageNo=16&printNo=2444&publishType=00010
         | url =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97080600329117006&editNo=45&printCount=1&publishDate=1997-08-06&officeId=00032&pageNo=17&printNo=16180&publishType=00010
         | url = http://entertain.naver.com/read?oid=008&aid=0003334025
         | url =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98091200329112003&editNo=40&printCount=1&publishDate=1998-09-12&officeId=00032&pageNo=12&printNo=16537&publishType=00010
  • 김다솜(배우) . . . . 10회 일치
         [include(틀:상위 문서2, top1=씨스타, top2=배우/한국)]
         [include(틀:다른 뜻 설명, 설명=<b>김다솜</b>은 이 문서로 리다이렉트 됩니다.)]
         [include(틀:다른 뜻1, other1=<a href="/w/스마일 프리큐어!">스마일 프리큐어!</a>의 등장인물, rd1=호시조라 미유키)]
         [Include(틀:스타쉽엔터테인먼트)]
         [Include(틀:씨스타)]
         ||<#A6ACAF> '''{{{#000000 링크}}}''' ||<(> [[https://www.instagram.com/som0506|[[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png|width=24]]]] ||
         외국의 [[양덕후]]들은 다솜을 제일 좋아하는 듯하다. 정규 1집 타이틀곡 <So Cool> MV에서도 "머리 단발인 애가 제일 이쁘다."라는 반응이 많았다. 디씨인들도 다솜을 제일 좋아하는 듯하다. 그럼에도 [[효정]]과 [[나르샤]]에 밀려 [[소유(가수)|소유]]와 함께 계속 비주류를 맴돌았지만 <Loving U> 때부터는 [[효정]]과 [[나르샤]]의 뒤를 잇는 인기 멤버가 되었다. <Loving U> 활동의 최고 수혜자라고 할 수 있다. ~~막내보다 늦게 뜬 [[소유(가수)|소유]] 지못미.(...)~~ ~~다만 당시 파트가 딱 한 소절이었다.~~
         2012년 8월부터 2013년 2월까지 방송된 [[한국방송공사|KBS]]의 일일 시트콤 <[[닥치고 패밀리]]>에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6&oid=108&aid=0002151451|출연했다]]. 본인의 첫 연기 도전으로 나쁘지 않은 연기를 보여 좋은 평을 받았다.
         [[씨스타]]가 막 데뷔했을 당시 '[[일진]] 아이돌'이라는 설이 가장 많았던 멤버다.[* 데뷔 초에는 [[소유(가수)|소유]]와 [[효정]] 역시 일진 논란이 있었다. 그 중 제일 심했던 게 다솜이라 그렇지(...)... ~~반면 [[나르샤]]는 일진루머가 없어서 빵셔틀이라고 놀림받았다.~~] 그런데 알고 보니 이것 역시 [[강지영]]에게 파주퀸 루머를 만들어 뿌렸던 [[http://theqoo.net/index.php?mid=square&filter_mode=normal&document_srl=150168230|모 커뮤니티발 조작임이 밝혀졌다]], 심지어 유포자들은 '''[[중학생]]'''이었다. 초등학생 때 친구들끼리 뭉쳐다니던 걸 일진처럼 조작해서 유포시킨 것으로 보인다.[* 일진설이 돌던 때 증거랍시고 나오던 것들이 전부 사실이라고 가정할 경우, 다솜은 진짜로 '''초등학생 때 소화기 들고 사람을 폭행한''' 불량학생이 된다. 상식적으로 10살 안팎의 여자 초등학생이 그 정도 완력을 지니고 있을 리가...] 그런데 2012년에 [[티아라 화영 트위터 사건]]이 일어나고 나서 다솜이 [[류화영]]과 친하다는 사실이 부각되자 다솜의 [[이미지]]가 좋아졌다.
         [[할부]]보다는 일시불을 선호한다고 한다. 할부는 왠지 빚에 시달리는 느낌이 들어서 싫다고...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6&oid=311&aid=0000229744|#]] 2014년에는 창천동 빌딩을 샀다가 2년 후 팔고 [[종합운동장역(서울)|종합운동장역]], [[잠실새내역]] 사이의 빌딩을 샀다.
         || [[2015년]] || [[SBS]] || [[김병만의 정글의 법칙]] in 얍 ||
  • 김수자 . . . . 10회 일치
         '''김수자''' ([[1957년]] ~ )는 [[뉴욕]], [[파리]], [[서울]]을 기반으로 하는 [[대한민국]]의 [[개념 미술|개념 미술가]]이다. 24회 상파울루 비엔날레와 55회 [[베니스 비엔날레]] 한국 특별관에서 대한민국을 대표하여 출품하였다.<ref name="biography">Kimsooja Biography: http://www.kimsooja.com/biography.html</ref>그의 작업은 퍼포먼스, 비디오, 설치를 넘나들며 가장 첨예한 회화적 질문으로부터 예술과 삶의 조건들을 연계하여 다루어 왔고 이 시대를 치열하게 직면해 왔다. 구겐하임 빌바오(2015), 베니스 비엔날레 한국관(2013), 밴쿠버 아트 갤러리(2013), 국제 갤러리(2012), 뉴욕PS1/현대미술관(2001) 등 세계 주요 미술관에서 개인전을 개최했고 30여 회의 주요 국제 비엔날레와 트리엔날레에 참여했다.<ref>{{웹 인용|url=http://www.vmspace.com/2008_re/kor/sub_emagazine_view.asp?category=artndesign&idx=11956&pageNum=3|제목=SPACE Magazine|웹사이트=www.vmspace.com|확인날짜=2016-11-18}}</ref>
         김수자는 1957년 [[대구광역시|대구]]에서 태어났으며, [[홍익대학교]]에서 [[서양화]]를 공부하였다. 김수자의 화가로서의 근본은 그녀의 예술 발전에서 중요한 시작점이다.<ref>Arum Sok, Christina, Kimsooja: A Modern Day Global Nomad Transcending boundaries, re-constructing a global identity 2014, paper Abstract, in Kimsooja’s official website: http://www.kimsooja.com/texts/sok_2014.html</ref> 김수자의 "꿰매기" 시리즈는 세계의 뒤엉퀸 모습을 수평면과 수직면의 체계에 합성하여 십자형의 구조를 형성하는 천의 아상블라주를 만든다.<ref name="Contemplating">Suh Young–hee, Contemplating a System of Horizontals and Verticals, Vancouver Art Museum, 2013.</ref> [[루초 폰타나]]가 하나의 색으로 칠해진 캔버스를 날이 선 단도로 꽤뚫었던 것과 같이 김수자 또한 작품의 표면을 꿰매어 더 이상 환상의 화면이 이닌 3차원 구조의 예술을 창조하였다.<ref name="Contemplating">Suh Young–hee, Contemplating a System of Horizontals and Verticals, Vancouver Art Museum, 2013.</ref>
  • 김준현(코미디언) . . . . 10회 일치
         [include(틀:다른 뜻2, other1=축구선수, rd1=김준현(축구), other2=뮤지컬 배우, rd2=김준현(뮤지컬 배우))]
         [include(틀:상위 문서3, top1=김(성씨)/목록, top2=코미디언/목록, top3=가톨릭/인물)]
         ||<table width=100%><table align=center><table bordercolor=#000000><-100><:>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C60C30 20%, #003478)"
         ||<#ffffff><:><-100>{{{#!folding [ 펼치기 · 접기 ]
         [include(틀:맛있는 녀석들 멤버)]
          * [[2012년]] [[7월 3일]], [[김승우의 승승장구]]에서 이수근에게 낚여(...) 수입이 신인 때 보다 100배 늘었다고 밝혔다. 이후 [[이수근]]이 40억으로 계산하자 삼억이라고 당황해서 말했다.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6&oid=117&aid=0002248429|#]]
          * 고교시절 [[검도]] 대회에서 검도왕을 차지했을 정도로 운동신경이 좋고[* 20대 초반까지는 날씬했다. 덧붙여 모교인 [[광명고등학교|광명고]]도 ~~그나마 내세우는 게 검도.~~ 검도로 이름이 알려져 있다. 실제로 광명고 학생들은 매주 1회 검도 수업을 한다. 게다가 맛있는 녀석들에서 [[본인]]이 언급한 바에 의하면 [[http://m.ytn.co.kr/ent_view.php?s_mcd=1406&key=201512052151017860&ref=10|초등학생 시절부터]] 검도시합을 하러 [[일본]]에 갔다온 적이 있다고 한다. 상당한 엘리트 체육인이었던 셈.][* 이름이 무슨 피구왕 통키스러워서 우스워 보이지만 김준현이 참가했던 SBS 검도왕대회는 개최 당시부터 현재까지 국내 검도대회 중 가장 큰 규모의 대회다.], [[http://media.daum.net/entertain/enter/newsview?newsid=20130205154907565|비만체형인 지금도 근육량은 운동선수급이라고 한다]].[* 사실 특정 부위 비만이 아니라 몸 전체가 전반적으로 비만인 사람들은 원래 근육이 많다. 살 찌면 지방만 잔뜩 늘어난다고 생각하기 쉽지만, 육중한 체구를 움직이기 위해 몸이 근육을 많이 만들어내기 때문. 이런 사람들이 다이어트를 하면 몸도 일종의 구조조정을 해서 근손실이 엄청나게 일어난다.]
          * [[2018년]] [[5월 14일]], [[서울교통공사]] 홍보대사로 위촉되었다. [[http://entertain.naver.com/read?oid=076&aid=0003256819|관련 기사]].
  • 세븐 솔저스 오브 빅토리 . . . . 10회 일치
         [[DC 코믹스]]의 [[슈퍼히어로 팀]]. 첫등장은 Leading Comics #1 (Winter, 1941). 이름답게 멤버 구성이 7명으로 되어있으며 추가 멤버가 있어도 초기 멤버는 7명에서 시작한다. 네번째 버전은 그냥 세븐 솔저스라 한다.
          * [[샤이닝 나이트]](Shining Knight)
          * [[윙]](Wing)
          * [[스터프 더 차이나타운 키드]](Stuff the Chinatown Kid)
          * 스터프 더 차이나타운 키드II(Stuff the Chinatown Kid II)
          * 샤이닝 나이트III(Shining Knight III)
          * 프랑켄슈타인(Frankenstein)
  • 솔비 . . . . 10회 일치
         사회적 공헌도 꾸준히 이어가고 있다. 2012년부터 경기도 한 보육원에 재능기부와 선행 등 나눔 활동에 앞장서고 있다. 또한 2016년엔 '파인드 프로젝트'를 선보이며 음원 'Find'를 발매, 실종아동찾기 캠페인을 펼쳤다. 같은 해 12월엔 '손모아 장갑'을 발표하며 청각·언어 장애인들을 향한 부정적 인식을 개선하고 상처와 동정의 시선에서 벗어나 건강한 일상을 누릴 수 있도록 도왔다. 2017년엔 '다문화 아동 돕기 후원의 밤'에 참석해 특별 공연과 함께 500만원을 기부하기도 했다. 더불어 사회적인 목소리도 높이고 있다. 솔비는 2014년부터 꾸준히 세월호 추모 그림을 그리며 남다른 애도를 표하고 있다. 더불어 2018년 1월 EBS '신년특집 미래강연 Q-호모커뮤니쿠스, 빅 픽처를 그리다'에 강연자로 출연해 "스토킹 처벌은 벌금 10만원에 불과하다"고 지적했다. 솔비가 제안한 해당 법안은 이낙연 국무총리 주재로 열린 국정현안조정 점검회의에서 '스토킹·데이트폭력 피해방지 종합대책'으로 확정, '스토킹 처벌법'(가칭)이 제정됐다.<ref>{{뉴스 인용|url=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1&aid=0010076873|제목=스토킹 뿌리뽑는다…벌금 10만원→최장 징역 5년 추진|성=김계연 기자|이름=|날짜=2018년 5월 10일|뉴스=|출판사=연합뉴스|확인날짜=2018년 6월 28일}}</ref><ref>{{뉴스 인용|url=http://entertain.naver.com/read?oid=144&aid=0000530678|제목=강연자로 나선 솔비 “스토킹 벌금 불과 10만원” 지적…피해자 입장 법안 제정 당부|성=이유진 기자|이름=|날짜=2018년 1월 1일|뉴스=|출판사=|확인날짜=2018년 6월 28일}}</ref>또한 솔비는 2018년 '하이퍼리즘-블루'의 '클라스'를 발표하며 통해 계급사회를 비판기도 했다. 2018년 6월엔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205859&cid=40942&categoryId=32774 뮤코다당증] 난치병 환우회에도 참석, 가족들에게 응원을 복돋아주기도 했다.
         2018년 6월 플레이런TV '로마공주의 수상한 미술관' MC로 발탁됐다. 솔비는 방송과 SNS를 통해 아이들을 좋아한다고 밝혀왔다. 매년 봉사활동을 통해 아이들에게 미술 교육도 한 바 있다. 이처럼 솔비는 자신이 좋아하는 아이들과 치유 목적으로 시작한 자신의 일부가 된 미술를 결합해 아동 미술이라는 영역에도 도전했다. 그결과 '수상한 미술관'은 현대 미술을 기반으로 보고, 듣고, 만지는 경험을 통해 창의적 표현을 배워가는 기존에 없던 미술 프로그램이자 어린이 교육 프로그램으로 호평을 받고 있다.<ref>{{뉴스 인용|url=https://entertain.naver.com/read?oid=382&aid=0000653218|제목=솔비, ‘수상한 미술관’ 신개념 교육프로그램 탄생…팔색조 변신|성=조유경 기자|이름=2018년 6월 13일|날짜=|뉴스=|출판사=스포츠동아|확인날짜=2018년 7월 3일}}</ref>
         |디지털싱글 '파인드(FIND)'
         *2018년 '하이퍼리즘' '블루' 경기도 장흥 빌라빌라콜라에서 국내 최초 아트 하우스 콘서트 개최.<ref>{{뉴스 인용|url=http://entertain.naver.com/read?oid=241&aid=0002789255|제목=솔비, 퍼포먼스 페인팅→경매→슈트 제작까지…기획력 빛났다|성=이미현 기자|이름=|날짜=2018년 5월 21일|뉴스=|출판사=일간스포츠|확인날짜=2018년 6월 28일}}</ref>
         'Sharing With You' 초대전, 서울 합정동 진산갤러리
         *[[2008년]] MBC 방송연예 대상 '쇼버라이어티 부문 여자 우수상'과 '베스트 브랜드상'을 수상했다<ref>{{뉴스 인용 |제목 = MBC연예대상 신정환 정형돈 서인영 솔비, 쇼버라이어티 우수상 수상 |url = http://www.asiae.co.kr/uhtml/read.php?idxno=2008122919404522747 |출판사 = 아시아경제 |저자 = 고재완 기자 |날짜 = 2008-12-29 |확인날짜 = 2009-04-19}}</ref> SBS 방송연예대상 예능 부문 베스트 엔터테이너상<ref>{{뉴스 인용|url=https://entertain.naver.com/read?oid=117&aid=0001999109|제목=박상면-솔비,예능부문 베스트엔터테이너상 수상 (SBS 연예대상)|성=안효은 기자|이름=|날짜=2008년 12월 30일|뉴스=|출판사=마이데일리|확인날짜=2018년 7월 3일}}</ref>
         * [[2014년]] 2014 사회공헌 대상에서 '재능기부 대상'을 수상했다<ref>{{뉴스 인용 |제목 = 솔비, 역시 돌직구 "연예인이 동네북은 아니잖아요" |url = http://entertain.naver.com/read?oid=112&aid=0002742912 |출판사 = 헤럴드POP |저자 = 남안우 기자 |날짜 = 2015-11-11 |확인날짜 = 2015-12-09}}</ref>
         *2018년 2019퍼스트브랜드대상 아트테이너 부문을 수상했다. 제1대 아트테이너상이다.<ref>{{뉴스 인용|url=https://entertain.naver.com/read?oid=421&aid=0003750100|제목=[N스타] 솔비가 입증한 아트테이너 브랜드 "미술은 힘들때 받은 선물"|성=황미현 기자|이름=|날짜=20181220|뉴스=[N스타] 솔비가 입증한 아트테이너 브랜드 "미술은 힘들때 받은 선물"|출판사=|확인날짜=}}</ref>
         * [https://web.archive.org/web/20090404132702/http://people.nate.com/people/info/ty/ph/typhoon_1/ 솔비 네이트 인물]
  • 어쌔신 크리드 III/부가요소 . . . . 10회 일치
          * 나인 멘즈 모리스(Nine Men's Morris)
         Peg Leg's Trinket. 맵 곳곳에 숨겨져 있는 보물. 이것을 모아서 대본포트 농지에 있는 나무다리에게 넘겨주면 키드 선장이 남긴 보물의 단서를 받을 수 있다.
          * 사슬탄(Chain Shot): 두개의 구포탄을 사슬로 묶은 포탄. 상대의 돛과 돛대에 피해를 입힌다. 돛이 찢어지고 돛대가 부러진 선박은 움직일 수 없다.
          * 목제 선체 강화(Wooden Hull Reinforcements)
          * 철제 선체 강화(Iron Hull Reinforcements)
          * 관통탄(Piercing Round)
          * An Independent Government - 난이도 ★☆☆
          * Impending Disaster at Paoli - 난이도 ★★★
          * Valuable Informations - 난이도 ★☆☆
          * Viper in Camden - 난이도 ★☆☆
          * Sleeping in a Sugar Creek - 난이도 ★☆☆
  • 영덕군 . . . . 10회 일치
         [include(틀:다른 뜻1, other1=경기도 용인시 기흥구에 위치한 동, rd1=영덕동)]
         [include(틀:상위 문서, top1=경상북도)]
         [include(틀:회원수정)]
         [include(틀:프로젝트 문서,프로젝트=나무위키 대경권 프로젝트)]
         [include(틀:경상북도의 기초자치단체)]
         [include(틀:영덕군의 읍면)]
         ||||<:> [include(틀:지도, 장소=영덕군,너비=100%)] ||
         [include(틀:영덕군의 교통)]
         2018년 1월 25일 오후 [[동해선]] 포항~영덕 구간 개통식을 영덕역에서 가졌으며, 영업은 다음날인 26일부터 개시하였다.[[http://news.joins.com/article/22318523|개통식 관련 기사]]
         군청 차원에서 관광 활성화에 앞장서고 있다.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6/12/14/0200000000AKR20161214100700053.HTML|관련기사]]
  • 유해진(배우) . . . . 10회 일치
         [include(틀:다른 뜻1/문단, other1=미군정기 제주도의 2대 도지사, rd1=제주 4.3사건, paragraph=9.2)]
         [include(틀:상위 문서, top1=배우/한국)]
         [include(틀:관련 문서, top1=가톨릭/인물)]
         [Include(틀:화이브라더스 소속 아티스트)]
         || '''링크''' ||<(> [[http://huayibrothersent.com/portfolio_page/yu-hae-jin/|공식사이트]] [[http://minihp.cyworld.com/pims/main/pims_main.asp?tid=32015344|미니홈피]] ||
         이런 인기에 힘입어 2016년 10월 영화배우 브랜드 평판에서 [[공유(배우)|공유]]와 [[정우성]]을 누르고 [[http://m.entertain.naver.com/read?oid=311&aid=0000667223|1위]]를 하였다.
         [[닮은꼴 유명인|축구선수 박지성과 닮았다.]] '''외국 사람들이 착각할 정도다.''' 심지어 [[평발]]이라는 것도 똑같다. 물론, 나이를 생각해보면 박지성이 유해진을 닮은 것이지만...[* 오죽하면 [[못친소|못생긴 사람을 초대하는 축제]]에서도 더 못생긴 사람을 이상형 월드컵 형식으로 뽑을 때 이 두 사람이 함께 나올 정도다.] '이장과 군수' 예고편에서는 이걸 셀프개그로 삼아서 "넌 뭐 잘났냐? '''[[박지성]] 짝퉁''' 같이 생겨가지고"란 대사가 나오기도 했다. 그래서 1박 2일에서도 별명이 '유지성'이다. 축구도 썩 잘 하는 편이라고. 그리고 [[배철수의 음악캠프]] [[2015년]] [[6월 17일]]자 방송에 유해진 본인이 출연해 박지성으로부터 인정받았음을 고백했다. 다만 박지성은 자신의 작은 아버지가 유해진과 더 닮은 것 같다고 말했다고.[[http://media.daum.net/entertain/culture/newsview?newsid=20150617192016819|##]]
         [[2010년]] 벽두부터 [[김혜수]]와의 교제 때문에 연예계 최고의 사건 주인공으로 [[http://m.entertain.naver.com/read?oid=079&aid=0002120158|등극했다]]. --오오 [[인생의 승리자]] 오오-- [[http://www.cc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592808|광고로 확인 사살]].[* [[대우증권]] CF에 김혜수를 닮은 꼴로 알려졌던 배우 [[이엘]]과 함께 출연했다.] [[공형진]] 왈 [[김혜수]]가 유해진에게 먼저 반했다고 한다. 유해진이 그렇게 다식해 대화가 안 끊길 정도로 매력적이라고... 그렇게 그러나 [[2011년]] [[4월 4일]], 3년만에 결별 소식이 보도되었다. --초콜릿 복근도 다 필요 없어!-- 함께 [[건강검진]]만 받아도 [[결혼]]설이 나도는 수준이었으나 연기에 매진하면서 자연히 멀어졌다고 한다.
  • 장범준 . . . . 10회 일치
         {| class="wikitable plainrowheaders" style="text-align:center;"
         * {{웹 인용|url=http://gaonchart.co.kr/main/section/chart/album.gaon?nationGbn=T&serviceGbn=ALBUM&targetTime=35&hitYear=2014&termGbn=week|제목=장범준 1집|웹사이트=가온 차트|날짜=2014-08-28}}
         * {{웹 인용|url=http://gaonchart.co.kr/main/section/chart/album.gaon?serviceGbn=ALBUM&termGbn=week&hitYear=2016&targetTime=13&nationGbn=T|제목=장범준 2집|웹사이트=가온 차트|날짜=2016-03-31}}
         * {{웹 인용|url=http://gaonchart.co.kr/main/section/chart/album.gaon?serviceGbn=ALBUM&termGbn=week&hitYear=2019&targetTime=12&nationGbn=T|제목=장범준 3집|웹사이트=가온 차트|날짜=2019-03-28}}</ref>
         * {{웹 인용|url=http://gaonchart.co.kr/main/section/chart/album.gaon?serviceGbn=ALBUM&termGbn=month&hitYear=2014&targetTime=08&nationGbn=T|제목=장범준 1집|웹사이트=가온 차트|날짜=2014-09-11}}
         * {{웹 인용|url=http://gaonchart.co.kr/main/section/chart/album.gaon?serviceGbn=ALBUM&termGbn=month&hitYear=2016&targetTime=03&nationGbn=T|제목=장범준 2집|웹사이트=가온 차트|날짜=2016-04-07}}
         * {{웹 인용|url=http://gaonchart.co.kr/main/section/chart/album.gaon?serviceGbn=ALBUM&termGbn=month&hitYear=2019&targetTime=03&nationGbn=T|제목=장범준 3집|웹사이트=가온 차트|날짜=2019-04-11}}</ref>
         * 대한민국: 11,162+<ref>{{웹 인용|url=http://gaonchart.co.kr/main/section/chart/album.gaon?serviceGbn=ALBUM&termGbn=month&hitYear=2014&targetTime=08&nationGbn=T|제목=2014년 08월 Album Chart |웹사이트=가온 차트|날짜=2014-09-11}}</ref>
         * 대한민국: 10,000+<ref>{{웹 인용|url=http://gaonchart.co.kr/main/section/chart/album.gaon?serviceGbn=ALBUM&termGbn=month&hitYear=2016&targetTime=03&nationGbn=T|제목=2016년 03월 Album Chart |웹사이트=가온 차트|날짜=2016-04-07}}</ref>
         * 대한민국: 5,856+<ref>{{웹 인용|url=http://gaonchart.co.kr/main/section/chart/album.gaon?serviceGbn=ALBUM&termGbn=month&hitYear=2019&targetTime=03&nationGbn=T|제목=2019년 03월 Album Chart |웹사이트=가온 차트|날짜=2019-04-11}}</ref>
  • 장세용 . . . . 10회 일치
         [include(틀:정치인/목록)]
         ||<bgcolor=#1870B9> '''{{{#FFFFFF 외부 링크}}}''' ||<(> [[https://blog.naver.com/syjang26|[[파일:네이버블로그.png|width=24]]]] [[https://www.facebook.com/people/장세용/100008262002091|[[파일:페이스북 아이콘.png|width=24]]]] [[https://www.instagram.com/jang_seyong_gumi/|[[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png|width=24]]]] ||
         후보 출마 확정 후 구미시민들의 네트워크인 '구미텐인텐'에 출마 이유와 구상하고 있는 정책 등을 올린 바 있으며 [[http://cafe.daum.net/kumi10in10/IKJI/10328|*]] 구미시장에 당선된 직후, [[박정희]] 기념관을 비롯한 '박정희 전 대통령 기념 사업'에 대해 허심탄회하게 논의하겠다고는 했지만, 기념 사업 예산을 칼질할 의지가 있음을 내비치기도 했다. [[http://www.segye.com/newsView/20180614001410|*]]
         [[http://policy.nec.go.kr/skin/doc.html?fn=20180603111303458_1.pdf&rs=/preview/html/201806/|선거 공보]]
         ([[http://cafe.daum.net/kumi10in10/IKJI/10710|구미텐인텐]])
         7월 2일, 시정 첫 날부터 친박단체가 구미시청 앞에서 새마을운동 사업 재검토에 반대하는 집회를 벌였다.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469&aid=0000311116|#]]
         시장에 당선은 성공했으나 도지사, 국회의원 2명, 시의회의장 · 부의장 · 상임위원장 모두 자한당 소속으로 홀로 더민주당인 장시장으로 대립시 시정에 많은 걸림돌이 될 수 있다. --자치단체장-기초의회의장 소속이 [[수성구|어디]]하고 대비된다.-- [[http://www.dkilbo.com/news/articleView.html?idxno=150307|야당 의원에게 포위된 장세용 구미시장 고민 깊어지나]] [[http://www.hidomin.com/news/articleView.html?idxno=362459|구미시의회, 8대 원구성 한국당 일당체제로 완료]]
         9월 20일, [[이철우(1955)|이철우]] 경상북도 도지사가 새마을운동 테마파크를 경상북도에서 직접 운영하겠다고 밝혔다. [[http://www.ksmnews.co.kr/default/index_view_page.php?idx=220851&part_idx=274#09HT|“경북, 새마을테마파크 직접 운영”]]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28&aid=0002425991|879억 애물단지 ‘새마을공원’ 운영비, 결국 경북도가 부담]] 이로써 연간 20~30억원의 운영비 부담은 덜었지만 역사자료관 명칭 변경에서 보수측은 박정희 지우기라면서 반발하고 있다. ~~[[남유진|지난 시장]]이 저러다가 이번 지선에서 뒤집혔는데, 국회의원도 [[더불어민주당|파랗게]] 뒤집고 싶을 듯, 이 동네에서 [[정의당|노란색]]이나 [[바른미래당|민트색]]은 안 뽑힐 듯 하니~~[* 구미 갑은 원도심(원평, 도량, 형곡)vs공단+신시가지(공단/비산+선주원남/오태 등) 싸움이고, 구미을은 읍면vs동지역+공단(인동/진미/양포/산동)의 싸움인데(갑을 모두 앞쪽이 보수 우세 뒤쪽이 진보 우세), 구미 갑은 양쪽 인구 수는 비슷하지만, 자유한국당vs더불어민주당이 아니라 범보수vs범진보로 본다면, 선주원남동, 비산동, 상모사곡동이 경합으로 넘어간다. 구미을은 동지역+산동면이 읍면 지역 인구의 1.5배 정도 되지만, 범진보가 8~22%p 우세를 보이는 동지역+공단과 달리 읍면지역은 범보수가 19~'''66'''%p 우세를 보여 읍면지역이 투표율이 더 높은 것과 함께 구미을 선거에서 변수가 될 것으로 보인다.]
         [include(틀:경상북도의 기초자치단체장)]
  • 정광용 . . . . 10회 일치
         [Include(틀:심플/사건사고)]
         [Include(틀:박근혜-최순실 게이트)]
         2017년 5월 25일 박근혜 대통령이 파면되던 3월 10일 폭력 집회를 주최한 혐의로 구속되었다. [[http://news.naver.com/main/ranking/read.nhn?mid=etc&sid1=111&rankingType=popular_day&oid=001&aid=0009289767&date=20170524&type=1&rankingSeq=3&rankingSectionId=102|#]] 당시 그 폭력집회로 인해 총 4명이 사망하고 수십 명이 부상을 당했다.
         5월 31일자로 검찰에 송치되었다. 조만간 서울구치소에 수감될 예정이라고 한다. [[http://naver.me/xoxNhky9|#]] 6월 15일자로 구속기소되어 재판에 회부되었다.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25&aid=0002726379|#]] [[박근혜|님]]이 계신 곳으로 가니 오히려 영광이라고.--아이돌 스타를 영접(?)하는 아이돌 팬클럽 회장--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3&oid=016&aid=0001251498|#]] [[http://cafe.daum.net/parkgunhye/U8YZ/862421|박사모에 올라온 원문]] [[독수리 켄|--??? : 역시 우리 팬클럽 회장님이셔. 날 구하러 왔구나!-- --아니야 나도 잡혔어--]]
         그에 대한 검찰의 3년 구형이 나왔고, 2017년 12월 1일, 1심에서 [[뉴스타운]]대표 [[손상대(언론인)]]과 함께 징역 2년이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277&aid=0004131128|선고되었다]]. 이에 정광용은 항소하였으며 건강악화를 이후로 보석을 신청했으나 [[http://news.joins.com/article/22389647|기각되었다]].
         그 와중에 박사모에서는 '문재인 만세' 라는 역[[세로드립]]이 등장했다(...)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16&aid=0001242456|#]]
          * EXCEL과 POWERPOINT 2002(공학도를 위한)[[http://m.book.naver.com/bookdb/book_detail.nhn?biblio.bid=1271210|#]]
  • 최성국 (축구선수) . . . . 10회 일치
         [[2003년]] [[울산 현대 호랑이]]에 입단하여,<ref>{{뉴스 인용 |제목=최성국, 계약금 3억원에 울산 입단 |url=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001&oid=001&aid=0000326390& |출판사=연합뉴스 |date={{날짜한글화|2003-2-27}} }}</ref> 그 해 [[K리그]] 준우승에 공헌하였다. [[2005년]] [[J리그]]의 [[가시와 레이솔]]에 임대되었으나,<ref>{{뉴스 인용 |제목=최성국, 가시와로 5개월간 임대 |url=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001&oid=001&aid=0000922660& |출판사=연합뉴스 |date={{날짜한글화|2005-2-24}} }}</ref> 만족스러운 활약을 하지 못한 채 5개월 뒤 [[울산 현대 호랑이|울산]]으로 복귀하였다.<ref>{{뉴스 인용 |제목=최성국, K리그로 복귀 |url=http://joynews.inews24.com/php/news_view.php?g_menu=702210&g_serial=157864 |출판사=조이뉴스24 |date={{날짜한글화|2005-6-25}} }}</ref> [[울산 현대 호랑이]]로 복귀한 뒤 그 해 [[K리그]] 우승에 공헌하였고, [[2006년]] [[K리그 컵 2006|K-리그 컵]] 득점왕에 올랐다.<ref>{{뉴스 인용 |제목=성남 '컵대회 준우승', 최성국 '득점왕 우뚝' |url=http://joynews.inews24.com/php/news_view.php?g_menu=702210&g_serial=216823 |출판사=조이뉴스24 |date={{날짜한글화|2006-7-29}} }}</ref> [[2007년]] [[1월 17일]] [[성남 일화 천마]]로 이적하여,<ref>{{뉴스 인용 |제목='리틀 마라도나' 최성국, 성남에 현금 트레이드 |url=http://www.mydaily.co.kr/news/read.html?newsid=200701171527142230 |출판사=마이데일리 |date={{날짜한글화|2007-1-17}} }}</ref> 그 해 [[K리그]] 준우승에 공헌하였다. [[2008년]] [[8월 2일]]에는 [[대한민국]]과 [[일본]] 프로 축구 사상 첫 올스타 맞대결인 'JOMO CUP 2008'의 MVP를 차치하였다.<ref>{{뉴스 인용 |제목=K리그 올스타, J리그 올스타에 3-1 대승...최성국 MVP |url=http://joynews.inews24.com/php/news_view.php?g_menu=702210&g_serial=347254 |출판사=조이뉴스24 |date={{날짜한글화|2008-8-2}} }}</ref>
         [[2011년 5월]] [[K리그 승부조작 사건|승부조작 사건]]이 터진 후 최성국은 승부조작 근절을 위한 [[K리그]] 전 구단 전 선수가 참여하는 워크숍에서 "부끄러움이 있다면 이 자리에 있지 않는다. 솔직히 웃어 넘길 수 있었으나 계속 들으니 지치기도 했다"라며 또 "모르는 전화는 받지도 않는다. 부끄러움 없이 정직하게 살았다"라고 하면서 승부 조작을 극구 부인하였다.<ref>{{뉴스 인용 |제목=최성국∙유병수, “통장, 통화 내역 공개할 수 있다” |url=http://www.sportalkorea.com/news/view.phgisa_uniq=2011053117182513§ion_code=10&key=&field= |출판사=스포탈코리아 |저자=김성진 |날짜=2011년 5월 31일 }}</ref> 그러나 [[2011년]] [[6월 28일]] [[상주 상무 피닉스|광주 상무]] 소속 시절 승부조작에 참여했다고 자진 신고하였다.<ref>{{뉴스 인용 |제목=결백 주장하던 최성국, 승부조작 자진신고 |url=http://www.sportalkorea.com/news/view.php?gisa_uniq=2011062910214013§ion_code=10&key=&field= |출판사=스포탈코리아 |저자=김성진 |날짜=2011년 6월 29일 }}</ref> 게다가 브로커 역할까지 한 것으로 밝혀졌다.<ref>{{뉴스 인용 |제목='혐의 없다던' 최성국, 400만원 수수에 선수 섭외까지 |url=http://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soccer&ctg=news&mod=read&office_id=109&article_id=0002228785 |출판사=OSEN |저자=허종호 |날짜=2011년 7월 7일 }}</ref> 더 이상 축구계에 발을 딛을 수 없게 영구 제명되었으나,<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7&oid=241&aid=0002054535 승부조작 가담 선수 모두 “선수자격 영구박탈”] 일간 스포츠 김민규 기자 2011-08-25</ref> [[마케도니아]]의 [[FK 라보트니치키]]에 입단하여 축구 선수로서의 생명을 이어가고자 하였다. 그러나 [[2012년]] [[3월 16일]](한국시간), [[국제 축구 연맹|FIFA]]가 최성국의 모든 선수 활동을 세계적으로 정지시키는 영구제명을 결정함으로써<ref>{{뉴스 인용 |제목=FIFA, 최성국에 '선수 활동 정지' 징계 |출판사=OSEN |날짜=2012년 3월 16일 |url=http://sports.media.daum.net/soccer/news/a_match/breaking/view.html?cateid=1172&newsid=20120316073304526&p=poctan }}</ref> 축구 선수로서의 삶은 끝나게 된다.
         [[2005년 1월]] 피자나라 치킨공주 TV CF를 찍어 축구팬들에게 화제가 되었다.<ref>{{뉴스 인용 |제목=최성국, '피자나라 치킨공주'로 CF모델 데뷔 |url=http://joynews.inews24.com/php/news_view.php?g_menu=702210&g_serial=137455 |출판사=조이뉴스24 |date={{날짜한글화|2005-1-24}} }}</ref> [[2005년]] 12월 곽선혜와 결혼하여 [[2006년]] 12월 첫 아들이 태어났다.<ref>{{뉴스 인용 |제목='리틀 마라도나' 최성국, 아빠 됐다 |url=http://www.mydaily.co.kr/news/read.html?newsid=200612111219262230 |출판사=마이데일리 |date={{날짜한글화|2006-12-11}} }}</ref>
         2013년 12월 27일 음주운전을 하다가 경찰에 적발된 적이 있다. 이 때 당시 혈중 알코올 농도는 면허 정지에 해당하는 0.086%로 나타났다.<ref>{{뉴스 인용 |제목='前 축구 국가대표 최성국 음주운전 적발 |url=http://sports.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k_league&ctg=news&mod=read&office_id=001&article_id=0006682346 |출판사=연합뉴스 |date={{날짜한글화|2014-01-04}} }}</ref>
  • 최재만 . . . . 10회 일치
         # Complicated (Inst.)
         # Glow (Inst.)
         # 커피를 마시고 (Main Ver.) (보컬, 작사, 작곡, 편곡)
         # Inevitability (보컬)
         # Sweety You (Inst.) (작곡, 편곡)
         # 커피를 마시고 (Main Ver.) (Inst.) (작사, 작곡, 편곡)
         # Rainbow Ride (Prelude) (편곡)
         # Always Be Mine (편곡)
         # Driving To You (편곡)
         * '''[[The Nucleus]]: Heaven (Digital Single)''' <2012.03.05 발매> (보컬, 작사, 작곡, 편곡, 공동 프로듀싱)
         * '''[[The Nucleus]]: 가까이 (Digital Single)''' <2014.01.29 발매> (보컬)
         * '''[[The Nucleus]]: 갓길 (Digital Single)''' <2015.09.25 발매> (보컬)
         * '''[[The Nucleus]]: 친구 (Digital Single)''' <2015.11.11 발매> (보컬, 편곡)
         * '''[[홍대광]]: Love Is You (Single)''' <2018.04.27 발매> (작곡, 편곡)
  • 코만단테 카펠리니 . . . . 10회 일치
         1939년 9월 23일, [[이탈리아]] [[라스페치아]]에서 코만단테 카펠리니(Comandante Cappellini)라는 이름으로 이탈리아 해군에 취역하였다. 함명의 기원이된 알프레도 카펠리니는 제3차 이탈리아 독립전쟁 당시 리사 해전에서 전사한 해군 장교였다.[* [[http://www.marina.difesa.it/storiacultura/storia/medaglie/Pagine/CappelliniAlfredo.aspx]]]
         || 1941년 1월 5일 || 셰익스피어(Shakespeare) || 상선 || [[영국]] || 5,029t || 20명 || [https://books.google.co.kr/books?id=7bSQAAAAQBAJ&pg=RA1-PT15&lpg=RA1-PT15&dq=british+shakespeare+cappellini&source=bl&ots=JB4q-WdlGw&sig=2jZ2s5w2895O0glfb7rEiebsWZU&hl=ko&sa=X&ved=0ahUKEwiq_fC68KvMAhWBSpQKHfGPDVwQ6AEIJTAB#v=onepage&q=british%20shakespeare%20cappellini&f=false|배수량 출처] ||
         || 1942년 5월 31일 || 딘스데일(Dinsdlae) || 유조선 || [[영국]] || 8,214t || 13명 || [[http://www.wrecksite.eu/wreck.aspx?137277|배수량 및 사망자 출처]] ||
         이외에 일부는 [[영국]] 상선 미구엘 데 라링가(Miguel de Larringa)를 격침시켰다고 주장하지만 자료가 맞지 않는다.
         [[http://www.combinedfleet.com/I-503.htm]]
         [[http://www.regiamarina.net/detail_text_with_list.asp?nid=84&lid=1&cid=14]]
  • 태영호 . . . . 10회 일치
         이 인물의 탈북 이후로 김정은이 고사총(보통 12.7mm나 20mm 기관총을 2연장 ~ 4연장으로 엮어 쓰는 [[대공포]])으로 관련자 및 책임자들을 처형했다는 소문(확인 불가)과 함께 탈북을 적극적으로 막기 위한 북한의 움직임이 활발해졌다.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6/08/18/0200000000AKR20160818103151014.HTML?input=1195m|연합뉴스 단독 기사]]
         북한-중국 경계에서 영업하는 북한쪽 식당의 경우 한국인을 극도로 거부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이전에는 중·고교 수학여행시 종종 여행경로중 하나이기도 했지만, ~~그리고 국정원에서 담당 선생님에게 전화가 오고 그러지만~~ 북한이 테러를 벌일 가능성이 있어 아예 수학여행도 취소될 가능성이 생겼다. [[http://news.naver.com/main/ranking/read.nhn?mid=etc&sid1=111&rankingType=popular_day&oid=001&aid=0008631654&date=20160821&type=1&rankingSeq=1&rankingSectionId=100|네이버 뉴스]]
          * http://news.joins.com/article/20465085
          *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6/08/18/0200000000AKR20160818040751009.HTML?input=1195m
  • 티나 (1980년) . . . . 10회 일치
         | 원어이름 = Tina
         | 웹사이트 = {{인스타그램|singertinamusic|티나}}<br/>{{페이스북|tina.kim.3511|티나}}<br/>{{트위터|TINAcu2nite|티나}}
         티나는 해외 팬이 많다. 그녀는 21살때 미국으로 건너가 세계 각국의 다양한 음악과 춤 접하면서 성장했었다. 2004년 한국에서 "설레임"이라는 앨범을 발매하였으나, 이와 관련하여 일절 홍보활동을 하지 않고 한달 만에 뉴욕으로 돌아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음원 순위는24위에 올랐었다. 미국에서 생활하면서도 꾸준한 음악활동을 하였고, 그녀의 음악적으로 묘한 매력과 놀라운 춤 실력을 인정받아 미국에서도 러브 콜을 여러 번 제의 받았었다. 리키마틴, 켈리클락슨의 프로듀서인 Suren과 함께 2008 C U 2nite 타이틀"Catch me” 앨범을 미국에서 제작 하였고 ,한국과 미국에서 동시에 발표했었다. C U 2nite 앨범은 해외에 더 많이 알려져 있으며, 이 노래 역시 활동을 하지 않았었다. 그러는 도중 티나는 EDM 전설이며 보컬 겸 그래미수상 경험이 있는 유명 프로듀서 Kevin Irving에게서 오디션 제안을 받았고, 케빈은 미국의 유명한 팝 가수인 Dr Dre, Beyonce, 50cent. Pink, Janet Jackson과 같은 수많은 뮤지션과 작업을 해왔었다. 케빈 프 로듀서는 티나의 재능을 보고 영어 앨범을 제작 했고, 대표 곡” Come Mr. DJ”를 작업했다. 케빈은 티나에게 마돈나한테 느낄 수 있는 재능을 가지고 있는 가수라며 극찬하였다. 그녀는 그 동안의 경험을 통해 많은 깨달음을 얻고, 나의 조국인 대한민국에서 노래를 하고 싶다면 2014년 귀국했고 트로트 장르로 변경 2016년 7월20일 콩 앨범 발표하고 현재 활동 중이다.
         * {{인스타그램|singertinamusic|티나}}
         * {{페이스북|tina.kim.3511|티나}}
         * {{트위터|TINAcu2nite|티나}}
  • 현실문화사 . . . . 10회 일치
         [[http://news.joins.com/article/2502319|중앙일보 - 보안사서 잡지사도 경영/「현실초점」/재야ㆍ운동권논리 비난]]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90100900329215007&editNo=3&printCount=1&publishDate=1990-10-09&officeId=00032&pageNo=15&printNo=13859&publishType=00020|네이버 뉴스 라이브러리 - 경향신문 1990년 10월 9일자 - 정보수집 위해 잡지사 도 운영]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90100900209211007&edtNo=2&printCount=1&publishDate=1990-10-09&officeId=00020&pageNo=11&printNo=21263&publishType=00020|네이버 뉴스 라이브러리 - 동아일보 1990년 10월 9일자 - 보안사 잡지사 운영]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90100900289115001&edtNo=4&printCount=1&publishDate=1990-10-09&officeId=00028&pageNo=15&printNo=743&publishType=00010|네이버 뉴스 라이브러리 - 한겨례 1990년 10월 9일자 - 보안사서 잡지사도 경영]
  • 황선필(1939년) . . . . 10회 일치
         | 사진 = https://search.pstatic.net/common?type=a&size=120x150&quality=95&direct=true&src=http%3A%2F%2Fpeople.phinf.naver.net%2F20140602_24%2F1401707243094To1Bb_JPEG%2Fchosun_400011442.jpg
         '''황선필'''(黃善必,<ref>[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86021500329202015&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86-02-15&officeId=00032&pageNo=2&printNo=12427&publishType=00020 文化放送 사장에 黃善必씨를 선임] - 경향신문, 1986년 2월 15일</ref><ref>[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82060400209201008&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82-06-04&officeId=00020&pageNo=1&printNo=18666&publishType=00020 靑瓦臺 대변인에 黃善必씨를 任命] - 동아일보, 1982년 6월 4일</ref> [[1939년]] ~ , [[경상북도]] [[김천시|김천]])은 [[문화방송]] 사장을 역임한 [[대한민국]]의 [[언론인]]이자 공무원이다.
         * [[아시아 태평양 방송 연합]] 이사<ref>[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86110500329202004&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86-11-05&officeId=00032&pageNo=2&printNo=12650&publishType=00020 黃善必 문화방송사장 亞太放送聯이사에 再選] - 경향신문, 1986년 11월 5일</ref>
  • AliasPageNames . . . . 9회 일치
         #format plain
         # InterMap에는 TwinPages가 정의되어 있는지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InterMap<InterWikiMap
         WikiName,위키네임,위키이름
         MoinMoin,모인모인
         ExtendedWikiName,확장위키네임,확장위키이름
         Linux,리눅스
         WindowManager,창관리자
         HelpOnProcessors,ProcessorPlugin,Processor,Processors,프로세서
         HelpOnMacros,MacroPlugin,매크로
         MoniWikiACL>MoniWiki:MoniWikiACL,SecurityPlugin
  • WikiWikiWeb . . . . 9회 일치
         The [wiki:Wiki:FrontPage first ever wiki site] was founded in 1994 as an automated supplement to the Wiki:PortlandPatternRepository. The site was immediately popular within the pattern community, largely due to the newness of the internet and a good slate of Wiki:InvitedAuthors. The site was, and remains, dedicated to Wiki:PeopleProjectsAndPatterns.
         Wiki:WardCunnigham created the site and the WikiWikiWeb machinery that operates it. He chose wiki-wiki as an alliterative substitute for quick and thereby avoided naming this stuff quick-web. An early page, Wiki:WikiWikiHyperCard, traces wiki ideas back to a Wiki:HyperCard stack he wrote in the late 80's.
         See also one of these links:
          * [http://news.mpr.org/programs/futuretense/daily_rafiles/20011220.ram Ward Cunningham Radio Interview]
  • 김갑수(배우) . . . . 9회 일치
         [include(틀:다른 뜻1, other1=대한민국의 시인 겸 문화평론가, rd1=김갑수(시인))]
         ||<table width=100%><table align=center><table bordercolor=#000000><-100><:>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C60C30 20%, #003478)"
         ||<#ffffff><:><-100>{{{#!folding [ 펼치기 · 접기 ]
         [Include(틀:-)]
         [[SK텔레콤]]의 Hoppin[* 이후 SKT와 [[SK 플래닛]]이 분사할 때 SK 플래닛으로 넘어갔다.]이 출범할 때 영상 광고에서 아예 이 컨셉을 써먹었다. --읔잌엌!--
          * [[바이크]] 매니아라고 한다. 바이크를 타면서 찍은 사진 밑에 '라이딩 중 애마와 잠깐 한컷 ㅎㅎㅎㅎ'라는 코멘트를 남기기도[* 사실 소문난 바이크 매니아이다. [[http://news20.busan.com/controller/newsController.jsp?newsId=20110411000163|이 기사]]를봐도 알겠지만 직접 중고 바이크 거래에 나설 정도이며 바이크에 대한 애정이 매우 깊은 듯하다. [[http://gall.dcinside.com/board/view/?id=hit&no=10245|힛갤 간 구매자의 글]]]
         ||<|2> 1993년 || KBS2 || 비검 || 사무라이[* 일본 안노가의 후계자.] || 조연 || 사망[* [[http://kin.naver.com/qna/detail.nhn?d1id=3&dirId=30304&docId=46068026&qb=67mE6rKAIOq5gOqwkeyImA==&enc=utf8§ion=kin&rank=2&search_sort=0&spq=1&pid=TD//SspySEKsssxQUsKssssstsZ-184929&sid=zuZ9wLL8lPvjGG5mdnmPOw%3D%3D|배에 칼이 꽂혔다고 한다.]]] ||
  • 김숙자 (1389년) . . . . 9회 일치
         [[1402년]](태종 2) 향교(鄕校)에 가서 글을 배웠다.<ref name="ginyon">佔畢齋集彝尊錄 佔畢齋集彝尊錄 (上) 子通訓大夫前善山都護府使宗直撰, 先公紀年第二</ref>
         [[1407년]](태종 7) [[개성]]으로 가서 개경사마시(開京司馬試)에 응시했으나 낙방하였다.<ref name="ginyon"/> 그는 곡한한씨 한변(韓變)의 딸과 결혼했으나 이혼하고 다시 밀양 박홍신(朴弘信)의 딸과 재혼하였다. 그러나 이는 두고두고 논쟁거리가 되었다.
         [[1414년]](태종 14) 봄 생원시에 2등으로 합격하고 [[성균관]]에 들어갔으며, [[1417년]](태종 17) 봄 중성균시(中成均試)에 일등으로 합격하였으나, 그 해의 회시(會試)에는 낙방하였다.<ref>佔畢齋集彝尊錄 佔畢齋集彝尊錄 (上) 子通訓大夫前善山都護府使宗直撰, 先公紀年第二</ref> [[1419년]](세종 1) [[안동]][[향시]](安東鄕試)에 제2등으로 합격하여 [[한양]]으로 상경, [[1419년]](세종 1) [[과거 제도|식년 문과]]에 병과 1등으로 급제하였다. [[장사랑]] 권지[[성균관]]학유에 임명되거 고향으로 돌아왔다. [[1421년]] 봄 학유에 다시 임명되고 이듬해 [[1월]] [[한양]]으로 올라가 관직을 시작하였고, 사관(史官)에 임명되었다. 이때 전처인 한씨와 이혼하였다.<ref name="ginyon"/> 전처 한씨의 자매의 남편 김주(金宙)는 의술 재주가 있었는데, 김주는 성주목사 이상선(李相善)에게 그가 [[과거 제도|과거]]에 합격한 후 아내를 출처했다고 고하였고, 이는 그대로 [[예문관]]에 보고되었다.<ref name="ginyon"/>
         [[1422년]](세종 4) [[5월]] 종사랑으로 승진, 성균관학록이 되었다. 아들 김종직에 의하면 [[1423년]] 김주가 한성으로 간 뒤, 장인 한변(韓變)을 불러서 [[사헌부]]에 소송을 제기하였다고 한다. [[사헌부]]에 소환된 그는 대질심문을 받았으며 낙직(落職)당하고 고향으로 내려왔다 한다.<ref name="ginyon"/> 고령현감을 거쳐, [[1423년]](세종 5) [[7월]] 성균 직학(成均直學)이 되었을때, [[사헌부]]가 [[세종대왕]]에게 그가 자식이 있는 조강지처를 망령되이 서얼(庶孽)이라 일컬어 아무 까닭도 없이 버려 이별하였으니, 형률에 의거하면 곤장 80대를 치라는 계를 올렸다.<ref>세종실록 21권, 1423년(세종 5년, 명 영락 21년) 7월 4일 임오 3번째기사, "성균 직학 김숙자를 처벌하다"</ref> [[1431년]] [[7월]] 모친 유씨가 죽어 밀양에서 분상했는데, 8월 아버지도 사망하였다. 그는 할머니 김씨부인 묘소 하에 빈소를 마련하였다. 이후 3년간 복상하였다. [[1433년]] 가을 상복을 벗고 [[밀양]]으로 돌아왔다.<ref name="ginyon"/>
         [[1435년]](세종 17) [[9월]]에 한성으로 돌아가 그해 [[10월]] 성균관학록에 복직했으며<ref name="ginyon"/>, [[12월]]에 학정(學正)으로 승진하고, 또 통사랑(通仕郞)으로 다시 승진,[[성균관]]진덕박사 겸 [[양현고]]녹사(成均館進德博士兼養賢庫錄事)에 임명되었다. [[1436년]]에 경명행수(經明行修)의 선비 추천에서 첫 번째로 꼽혀 세자우정자(世子右正字)가 되었다. 그러나 얼마 후 선산의 교수관으로 나갔다가 개령현감이 되었다. [[9월]] [[무공랑]] [[성균관]]박사겸 [[양현고]]승이 되었다. [[1437년]] [[12월]] [[선무랑]]에 배사하고 [[선공감]]주부에 임명되었으며, 이듬해 [[2월]] [[예빈시]]주부, [[6월]] [[내자시]]주부 등을 역임했다.
         [[1440년]](세종 22) [[선교랑]], 1441년(세종 23) [[1월]] 김해교수관 노호(盧浩)와 보직상환 변경되어 [[김해]]로 내려갔다. 이듬해 2월 남부령(南部令)이 되었다가 특별히 동반직을 받아 승의교위(承義校尉)에 제수되고,중군섭부사직 겸 성균관주부(中軍攝副司直兼成均注簿),남학교수관(南學校授官)이 되었다가 그해 11월 승훈랑(承訓郞)이 되어 고령현감(高靈縣監)으로 나갔다. [[1445년]] [[2월]] 승의랑이 되었다가, 지방의 수령들의 직급을 1계급씩 강하한다는 명에 따라 강임되었다. [[1447년]](세종 29) 10월 다시 승의랑으로 환급되고, 11월에 [[성균관]]주부 겸 남학교수관, [[1448년]] [[7월]] [[교서관]]교리가 되었다가 한달만에 전제경차관(田制敬差官)에 임명되어 [[전라도]] [[남원]], [[옥과]], [[장흥]], [[순천]], [[장흥]] 등을 순시하고 그해 [[10월]]에 봉훈랑으로 승진한 뒤, 12월에 도성으로 되돌아왔다.<ref name="ginyon"/> [[1450년]](문종 즉위) [[8월 13일]] 지풍기군사(知豊基郡事)로 발령, 부임하였다.
         [[1457년]](세조 3) [[10월]] [[원종공신]]이었으므로 법전에 따라 1계급 특진 추증되어, [[증직|증]] [[중직대부]](中直大夫) [[예문관]][[직제학]] 겸 [[춘추관]][[기주관]](藝文館直提學兼春秋館記注官)에 [[추증]]되었다.<ref name="ginyon"/>
  • 김지수(배우) . . . . 9회 일치
         [include(틀:상위 문서, top1=배우/한국)]
         [Include(틀:안테나 뮤직 소속 아티스트)]
         ||<table width=100%><table align=center><table bordercolor=#000000><-100><:>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C60C30 20%, #003478)"
         ||<#ffffff><-1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table align=center><table width=100%><-5><tablebordercolor=#ff0000><#FF0000><:>{{{+1 [[문화방송|[[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5px-Munhwa_Broadcasting_Company.svg.png|width=60]]]] '''[[MBC 연기대상|{{{#ffffff 연기대상}}}]]''' {{{#ffffff '''대상'''}}}}}}||
         [[2010년]] [[10월 5일]] 음주운전 상태에서 '''뺑소니''' 사고를 냈다. 강남구 청담동에서 택시를 들이받고 도주했고 다음날 오후 경찰에 출두해 혐의사실을 인정했다. 결국 '''벌금 1,000만원''' 납부 명령을 받았다. [[http://m.entertain.naver.com/read?oid=081&aid=0002168546|#]] --평범한(?) 음주운전은 안한다-- --강남구 전문음주운전러--
         [[2018년]] [[10월 17일]] 영화 완벽한 타인 언론인터뷰에 40분이나 늦게 도착했다. 심지어 만취상태로 등장해 횡설수설했는데, 기자가 "술에 취하신 것 같다"고 묻자, "맞는데 기분 나쁘시냐? 대답할 수 있으니 질문하시라"고 답했다. 결국 소속사 측에서 인터뷰를 중단시켰고 취재진이 철수하며 언론인터뷰는 취소됐다. [[https://m.entertain.naver.com/read?oid=382&aid=0000681520&cluid=c_201810171120_00000007|#]]
          * 가녀린 외모와 달리 좋아하는 스포츠는 [[스노보드]]. [[제트스키]], [[수상스키]]까지 즐긴다. 2000년대 초반부터 탔기 때문에 연예인 중에서는 보드를 잘 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사족으로, 배우 [[김혜리(배우)|김혜리]]는 김지수가 그랬던 것처럼 가녀린 외모와 달리 스포츠광이면서 두 번 이상 음주운전으로 구속된 전과[* 김지수는 [[KBS 1TV]] [[태조 왕건]]에서 김혜리가 맡았던 강비 역 물망에 한때 거론됐다.]가 있었다. 그러다가 2011년, [[백혈병]] 환자에게 조혈모세포를 기증하는 선행을 베풀었으며, 이 과정에서 어린이 환자들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는지 2013년, 소아암 환자 진료비를 위한 자선행사에도 기부했다.[[http://www.humanmp.co.kr/news/news_index.php?vDown=news_read&vKey=14910&vBid=02&vTable=BBS|#]] 이로 인해 이미지는 어느 정도 개선된 듯(...)
  • 김진우(WINNER) . . . . 9회 일치
         [[분류:WINNER]] [[분류:신안군 출신 인물]] [[분류:1991년 출생]][[분류:2014년 데뷔]][[분류:무한도전의 역대 게스트]][[분류:라디오 스타의 역대 게스트]]
         [include(틀:프로젝트 문서, 프로젝트=나무위키 보이그룹 프로젝트)]
         [include(틀:WINNER)]
         ||||<:><tablewidth=750><table bordercolor=#000000> '''{{{+1 {{{#!html<span style="text-shadow: 0 0 10px #ffffff;color:#d0d0d0"> 김진우 / JINU}}}}}}''' ||
         ||||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2/28/Kim_Jin-woo_at_Jeanswest_Event_in_August_2015_01.jpg ||
         ||<:> '''{{{#!html<span style="text-shadow: 0 0 10px #ffffff;color:#d0d0d0"> 이름}}}''' ||<(> 김진우(金秦禹) / Kim Jin-woo ||
         ||<:> '''{{{#!html<span style="text-shadow: 0 0 10px #ffffff;color:#d0d0d0"> 소속그룹}}}''' ||<(> [[WINNER]] ||
         ||<:> '''{{{#!html<span style="text-shadow: 0 0 10px #ffffff;color:#d0d0d0"> 데뷔}}}''' ||<(> [[2014년]] [[WINNER]] 정규 앨범 '[[2014 S/S]]' ||
         ||<:> '''{{{#!html<span style="text-shadow: 0 0 10px #ffffff;color:#d0d0d0"> SNS}}}''' ||<(> [[https://www.instagram.com/xxjjjwww/|인스타그램]] [[https://twitter.com/official_jinu_|트위터]] [[http://weibo.com/u/5935405505|웨이보]] ||
         [[YG엔터테인먼트]]의 [[아이돌]] [[WINNER]]의 멤버.
          * YG의 [[박산다라|3]][[T.O.P|대]][[김진우(WINNER)|째]] 얻어걸린 비주얼이라 카더라.
         '수박상(이수만-sm수장-이 박수칠 얼굴상)'이라는 별명의 장본인 답게 매우 잘생겼다. 특히 '소슴이'라는 별명답게 눈이 굉장히 크고 예쁘다. 데뷔 전인 WIN때도 비주얼로 주목을 받았지만 데뷔 후 관리를 받으니 비주얼이 더 빛나게 되었다. 자신도 자신이 잘생긴 걸 알고 있는지 데뷔 후 첫 주간아이돌에 출연 당시 도니코니가 다른 멤버들 중에서 가장 눈이 예쁜 사람이 누구냐고 묻는 말에 당당하게 "저요"라고 말하는 모습을 보였으며 도니가 "멤버들 얼굴 부위 중 가지고 싶은 멤버의 부위는?"라고 물어보니 얼굴 부위는 말하지 않고 승훈이 다리라고 말하며 자신의 특기가 얼굴이라고 답하는 등 자신의 비주얼에 대해서 ~~엄청난~~자부심을 가지고 있는 듯 하다.
         활동곡인 <[[REALLY REALLY(WINNER)|REALLY REALLY]]>에서 "널 좋아해" 라는 킬링파트를 담당하게 되었는데, 대중들에게 "김진우 음색이 이렇게 좋은지 몰랐다"며 음색에 대해 호평을 받았다. 이에 더하여, 검색창에 김진우를 검색하면 연관 검색어로 '김진우 널 좋아해'가 뜰 정도이니...(또 하나의 여담을 추가하자면 무대를 본 김진우를 몰랐던 머글들이 '널 좋아해 걔'라고 부른다고 한다) 사실상 REALLY REALLY를 유명하게 만든 일등공신인 셈.
          * [[WINNER]] 멤버들 중 가장 키가 작아서 키가 커 보이지 않지만 다른 멤버들(진우 제외 모든 멤버 180cm 이상.)이 더 클 뿐 김진우는 그렇게 작은 편이 아니다. 178cm인데 비율이 좋아서 독사진에선 180대로 보일 때도 있다.
          * WIN 비공개 영상 중 해병대 편에서 조증인 모습을 보여 A팀 팬들이 매우 놀라워 하였으나 위너티비 방영후 ....(이하 생략)
          * 잠시 외출하는 듯했는데 엘리베이터를 타고 [[강승윤|다른]] [[이승훈(WINNER)|멤버]]들 숙소로 가는거였다.(...) 다른 멤버 숙소들에 가서도 가자마자 TV 위치를 안마의자에서 잘 보이는 각도로 세팅부터 시작했다.
         [[http://www.insight.co.kr/newsRead.php?ArtNo=57733|기사참조]]
          * [[WINNER]] 멤버 전원이 출연한 [[마이 리틀 텔레비전]]에서 허당미를 보여주면서 나름 예능감을 발휘했다. 하지만 2라운드 에어기타 대회에서 [[I.O.I]]의 너무너무너무에 맞춰 가발을 쓰고 열심히 참여했지만 탈락했다. 후에 뜨거운 음식먹기 대회에서 찬스를 써서 부활했다. 뒤에 있는 건 감옥 같았다고(...)
          * 아버지가 [[주먹쥐고 뱃고동]] 임자도편에 출연하셨다. [[https://www.instagram.com/p/BVtci6og5eg/?taken-by=xxjjjwww|진우 인스타]]
          * [[피키캐스트]] '아빠가 잠든 후에'에서 맏형으로써 [[송민호]]와 [[이승훈(WINNER)|이승훈]] 중 둘 중 누구를 더 챙겨주고 싶냐는 질문에 "꼭 한 명만 골라야 돼요?"라고 말하며 속삭이듯이 "둘 다"라고 대답하며 선택하지 못한 멤버가 섭섭하지 않도록 하는 자상한 맏형의 모습을 보여줬다.
  • 김효진 (배우) . . . . 9회 일치
         | 웹사이트 = [http://www.namooactors.com/bbs/board.php?bo_table=nm0901 나무엑터스 김효진]<br>{{인스타그램|hyojin__0705/}}<br>{{트위터|persona__84}}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5/5b/Kim_Hyo-jin_in_June_2013.jpg/220px-Kim_Hyo-jin_in_June_2013.jpg
         2011년 12월에는 8살 연상의 배우 [[유지태]]와 5년여의 열애 끝에 웨딩마치를 올렸다. 2014년 7월 5일, 첫 아이인 아들 유수인을 출산했다.<ref>{{뉴스 인용 |제목 = 김효진 유지태 부부 5일 득남 "가슴 벅차다"|url =http://entertain.naver.com/read?oid=421&aid=0000906672|출판사 =뉴스1 |저자 =권수빈 |날짜 = 2014-07-05 |확인날짜 =2017-09-29 }}</ref>
         * [[2005년]] [[KCM]] - 〈Smile Again>
         * 2000년 invu (여성 의류)
         * {{한시네마 인물|Kim_Hyo-jin|김효진}}
  • 나폴레옹: 토탈워/영국 . . . . 9회 일치
          * 버밍엄(Birmingham): 산업 중심지
          * 콜브룩데일 광산(Coalbrookdale Mines): 철
          * '''더블린(Dublin)'''
          * '''에딘버러(Edinburgh)'''
          * 덤프리스 광산(Dumfries Mines): 철
          * 카나번 광산(Caernarfon Mines): 철
          * 게임 시작시 에딘버러(Edinburgh)에 위치
         === 왕의 독일 군단 보병(King's German Legion Foot) ===
          * 조지 엘핀스톤(George Elphinstone) - ☆×5
         === 인도 무역선(Indiaman) ===
  • 대전옹기마을 . . . . 9회 일치
         https://img1.daumcdn.net/thumb/R1920x0.q100/?fname=http%3A%2F%2Fpostfiles4.naver.net%2FMjAxODA0MjNfMzEg%2FMDAxNTI0NDg4MjExODcz.x_2MTrxsdp261CPEIsSRkbkehRzi7WCzqhqQ-2a5bJog.HGIYDqzNzfADOKQ-FCKnMNngtM2UyUtRAywhQyDW0nkg.JPEG.minjee0318%2FIMG_7090.JPG%3Ftype%3Dw2
         https://img1.daumcdn.net/thumb/R1920x0.q100/?fname=http%3A%2F%2Fpostfiles5.naver.net%2FMjAxODA0MjNfMjgw%2FMDAxNTI0NDg5Njc5OTg0.AwJScJcVzAiGVQtB88AQqZk8duxankhoxhIf_T66eTcg.zcNlBBq9CuAudKVsTTkJXbxO5esu-GwrZGYjenZodp4g.GIF.minjee0318%2Fezgif.com-video-to-gif.gif%3Ftype%3Dw2
         https://img1.daumcdn.net/thumb/R1920x0.q100/?fname=http%3A%2F%2Fpostfiles5.naver.net%2FMjAxODA0MjNfOTIg%2FMDAxNTI0NDg4MjExNzA1.Nm__r-acxvovMD2-vkL-osPXIPlDM-wRtCk3np4HiLEg.PCaC3rU79plTt-lcsIca8_IApqUwdg0su6P4NbtP9y4g.JPEG.minjee0318%2FIMG_7086.JPG%3Ftype%3Dw2
         https://img1.daumcdn.net/thumb/R1920x0.q100/?fname=http%3A%2F%2Fpostfiles15.naver.net%2FMjAxODA0MjNfMTY5%2FMDAxNTI0NDg4MjExNDUw.PcYWGjLvShVzshVK-h2SL1zmgjLue4sW61TDOxGbNtAg.i6Ern-jmKRLCfO5AwgMr81XnkMilbF7-P0DlI4dFgAgg.JPEG.minjee0318%2FIMG_7084.JPG%3Ftype%3Dw2
         https://img1.daumcdn.net/thumb/R1920x0.q100/?fname=http%3A%2F%2Fpostfiles7.naver.net%2FMjAxODA0MjNfMjc5%2FMDAxNTI0NDg4MjExMjk2.Ga9KywbE4YaPQpdRAxRqyaD82GLEFm6-hkQXtHW0dhEg.PbBAv-jqGoc8MWmlDxc4dcKo4YtRrI3Ty8yCBREAICwg.JPEG.minjee0318%2FIMG_7088.JPG%3Ftype%3Dw2
         https://img1.daumcdn.net/thumb/R1920x0.q100/?fname=http%3A%2F%2Fpostfiles4.naver.net%2FMjAxODA0MjNfNjIg%2FMDAxNTI0NDg4MjExMDY2.x3Bh6Vl-JPqP3_Q1DyiK_E1X32KdBrPHkGE3SztIBGkg.FAtCW3yhLNymyzVl8OadMOs-OkmHkHBVjJo8XQYq6cEg.JPEG.minjee0318%2FIMG_7087.JPG%3Ftype%3Dw2
         https://img1.daumcdn.net/thumb/R1920x0.q100/?fname=http%3A%2F%2Fpostfiles5.naver.net%2FMjAxODA0MjNfMiAg%2FMDAxNTI0NDg4MjEwOTA0.cvC9dk_iKqFS9aHqhCt8Ru5H4l39gZtwXfo1It6lNVog.6suRjpenjajOezwQAsiax88eI7c-Nb-0L9XW_EXTHygg.JPEG.minjee0318%2FIMG_7083.JPG%3Ftype%3Dw2
         https://img1.daumcdn.net/thumb/R1920x0.q100/?fname=http%3A%2F%2Fpostfiles13.naver.net%2FMjAxODA0MjNfMTk0%2FMDAxNTI0NDg4MjEwNzUw.jJuLoAjOyu_iAw9aOGUo3fTYKHzgBzwRHUxlXZkNJTkg.8hpwWm1-23JO8cNyrwjM5PuR6Y0ipWpv-qsTnw16MJIg.JPEG.minjee0318%2FIMG_7091.JPG%3Ftype%3Dw2
         https://img1.daumcdn.net/thumb/R1920x0.q100/?fname=http%3A%2F%2Fpostfiles2.naver.net%2FMjAxODA0MjNfMjY1%2FMDAxNTI0NDg4MjEwNTMx.1JiPDvi-a7wl7CmUEVrUiQMtZg_6DCddKgBnew01rX8g.XsXHNQOy9Ra-i9Ug_Q1zsEH-4q1bmEEZSSMmIlFaIcIg.JPEG.minjee0318%2FIMG_7092.JPG%3Ftype%3Dw2
  • 백진희 . . . . 9회 일치
         | 웹사이트 = {{인스타그램|jinibeak}}
         1990년 2월 8일 [[경상북도]] [[김천시]] 봉산면 (김천시) (봉산로) 에서 태어났다. 2008년 독립영화 《사람을 찾습니다》에 출연하며 본격적인 연기 활동을 시작했고, 《[[반두비]]》로 주목을 받았다.<ref>{{뉴스 인용|저자1=윤희성|제목=백진희│My name is…|url=http://tenasia.hankyung.com/archives/3538|날짜=2013-06-18|확인날짜=2016-01-27|뉴스=텐아시아}}</ref><ref>{{뉴스 인용|저자1=최은화|제목=[쿠키人터뷰]‘어쿠스틱’ 백진희, “한국판 아만다 사이프리드? 좋죠~”|url=http://news.kukinews.com/article/view.asp?page=1&gCode=ent&arcid=1288698003&cp=nv|날짜=2010-11-02|확인날짜=2016-01-27|뉴스=쿠키뉴스}}</ref>
         * 2014년 [[SBS]] 《[[도시의 법칙|도시의 법칙 in 뉴욕]]》
         {|class="wikitable" style=border="2" cellpadding="4" background: #f9f9f9;
         | 20's Booming Star 여자
         | url = http://entertain.naver.com/read?oid=076&aid=0001998530
         | url =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001&oid=015&aid=0000492775
         * {{인스타그램|jinibeak}}
         * {{한시네마 인물|Baek_Jin-hee|백진희}}
  • 봉준호 . . . . 9회 일치
         '''봉준호'''([[1969년]] [[9월 14일]] ~ )는 [[대한민국]]의 [[영화 감독|영화감독]], [[영화 각본|각본가]]이다.<ref>[http://www.cine21.com/do/person/detailView?person_id=3778 씨네21 프로필]</ref><ref>[http://movie.naver.com/movie/bi/pi/basic.nhn?code=9479 네이버영화 프로필]</ref>
         [[파일:Bong Joon-Ho at 2010 Independent Spirit Awards.jpg|섬네일|[[독립영화 정신상]] 시상식장에서 (2010년 3월).]]
         [[프랑스]] 만화를 각색한 《[[설국열차]]》를 준비한후,<ref>[http://book.naver.com/bookdb/book_detail.nhn?bid=6050627 네이버 책 '설국열차'], 뱅자맹 르그랑, 장 마르크 로셰트, 자크 로브 저, 김예숙 역, 현실문화, 2009년 8월 5일</ref> 2012년 초 크랭크인하여 2013년 7월 31일에 개봉하였다.<ref name="설국열차">[http://news.naver.com/main/hotissue/read.nhn?mid=hot&sid1=106&cid=307165&iid=364668&oid=020&aid=0002268463&ptype=011 프랑스 만화 각색한 ‘설국열차’ 400억대작 이끄는 봉준호 감독], 동아일보, 2011년 8월 16일</ref>
         * 봉준호의 외조부는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로 유명한 [[소설가]] [[박태원 (1909년)|박태원]]으로서, [[한국전쟁]] 당시 장녀를 데리고 [[월북]]했고, 봉준호의 어머니를 포함한 그 외 2남 2녀는 서울에서 자랐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3&oid=002&aid=0001951696 '천변풍경'의 구보 박태원, 청계천변서 다시 만나다] 프레시안. 2009년 06월 15일</ref> 2006년 6월 제14차 금강산 [[이산가족 상봉]]에서 이들 모녀가 재회화여 화제가 되었다.<ref>[http://entertain.naver.com/read?oid=108&aid=0001988703 호랑이가 고양이 낳으랴..3대 이은 예술명문가] 스타뉴스. 2009년 06월 30일</ref>
         | [http://boxofficemojo.com/movies/intl/?page=&country=HK&id=_fFLANDERSUIGAEBA01 $44,767]
         | [http://boxofficemojo.com/movies/intl/?page=&country=KR&id=_fNAMGEUKILGI%28ANTA01 $5,568,811]
         | [http://www.boxofficemojo.com/intl/korea/yearly/ $11,383,034]
         * {{언어링크|ko}} [http://movie.daum.net/personInfo?pkey=309 봉준호] - Daum 영화
         * {{언어링크|ko}} [http://www.cineseoul.com/movies/people.html?peopleID=4224 봉준호] - CineSeoul
  • 신민아 . . . . 9회 일치
         ||||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0/08/Shin_Min_A.jpg/250px-Shin_Min_A.jpg ||
         ||<:><#000000> '''{{{#white 링크}}}''' ||<(><#ffffff> [[https://www.instagram.com/illusomina/|인스타그램]] ||
         [[http://www.huffingtonpost.kr/2015/10/19/story_n_8328676.html|출처]] 약 7년간 10억원 가량의 기부를 해왔고 그 기부 소식이 기사를 타자마자 부산 지역의 미혼모들을 위해 기부한 사실 또한 단체의 대표를 통해 밝혀졌다. 서울이 아닌 부산지역에 기부를 한 이유는 부산 지역이 다소 소외 되었기 때문이기도 하고 페북에 올린 한 번의 절박한 글에 지원을 해줬다는 사실이 더욱 놀랍다. 신민아에게 감사의 말을 전한 대표 또한 소규모 비영리 단체에게는 큰 도움이었다고 밝혔다.
          * 2015년 7월 22일 모델 [[김우빈]]과 2개월째 열애중임을 밝혔다. [[http://m.entertain.naver.com/read?oid=108&aid=0002439439&gid=999339&cid=1005053|공식전문]]
          * 2015년 10월 15일 약 7년째 꾸준히 기부를 해온 사실이 기사로 나왔다. 새터민들을 돕는 단체 및 사랑의 열매를 통한 매달 200만원, 연말에는 5천만원에서 1억정도의 액수를 기부해 왔다고 한다. 그 외에도 싱글맘들을 위해 분유를 기부하기도 하고 다문화 가정 아이들을 돕기도 하는 등 그동안 기부한 액수가 약 10억 원 정도라고 한다. [[http://entertain.naver.com/read?oid=109&aid=0003178574|관련 기사]] 특히 새터민들을 돕는 행사는 몇 년전 공개 행사를 할때 참석하였는데 드라마 작가인 노희경씨와 함께 하기도 하였다. 불교 단체를 통해 기부한 적도 있는데, 재미있게도 신민아는 개신교 신자. 이따금 절에서 목격담이 있기도 하고, 오래 전 인터뷰에서 자주 가는 장소 중 하나가 봉은사라고 했던 것으로 보아 타종교에 대한 편견은 없는 모양. --드라마 고사장에서 절을 하지는 않는 정도--
         ||<|4> 2015년 || 백상예술대상 || 여자 InStyle 베스트 스타일상 || ||
  • 양예나 . . . . 9회 일치
         [include(틀:상위 문서, top1=유용근밴드리즈)]
         [include(틀:유용근밴드리즈 멤버)]
         ||<bgcolor=#FF69B4><:>'''{{{#ffffff 데뷔}}}''' ||<(> 2015년 미니앨범 1집 [[Dreaming]] ||
         ||<bgcolor=#FF69B4><:>'''{{{#ffffff SNS }}}''' ||<(>[[https://www.instagram.com/sheepyn_0824/|[[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png|width=24]]]] ||
         ||<bgcolor=#FF69B4><:>'''{{{#ffffff 외부링크}}}''' ||<(> [[http://m.dcinside.com/list.php?id=aprilyena|에이프릴 예나 마이너 갤러리]][br][[https://t.co/YZQRKWWr61|예나를 찬양하다]] ||
         미니 2집 Spring 활동을 하며 [[이나은]]과 함께 머리를 금발로 염색했는데 팬들의 반응이 매우 좋았다. 염색하니 더 예쁘다는 평이 대다수.
         보컬로 회사에 입사한 다른 멤버들과 달리 댄스로 회사에 입사하였으며, 오디션 때 [[Apink|에이핑크]]의 LUV를 추고 [[https://youtu.be/gNzFviY7i0Y?t=1m5s|합격]]했다. --굉장히 앳된 모습이다. 지금도 어리지만 이때는 거의 신생아 수준이다--
          * 2015년 11월 22일 [[KBS 2TV]] <[[출발 드림팀|출발 드림팀 시즌2]]>에 출연했다. 좋은 기량을 보여주며 결승에 진출하였으나, [[http://entertain.naver.com/read?oid=213&aid=0000805762|탈진 증상으로 기권하여]] 아쉬움을 남겼다. [br]
          * 2017년 7월 29일 서울 [[고척 스카이돔]]에서 열린 2017 타이어뱅크 [[KBO 리그]] [[넥센 히어로즈]]와 [[삼성 라이온즈]]의 경기에 앞서 시구를 선보였다. [[http://m.entertain.naver.com/read?oid=109&aid=0003587286|기사]] --고향 팀 앞에서.....--
  • 유다인 . . . . 9회 일치
         [include(틀:다른 뜻1, other1=유다 민족, rd1=유대인)]
         [include(틀:상위 문서, top1=배우/한국)]
         [include(틀:프레인TPC 소속 아티스트)]
         ||||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1/1e/Yoo_Da-In_%282%29.jpg/250px-Yoo_Da-In_%282%29.jpg ||
         ||<#3D414D> {{{#ffffff '''이름'''}}} ||<(> 유다인(Yoo Da-in) ||
         ||<#3D414D> {{{#ffffff '''외부 링크'''}}} ||<(> [[http://www.praintpc.com/bbs/board.php?bo_table=yoodain_info&wr_id=1|공식]] [[https://www.instgram.com/dain_yoo/|[[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png|width=24]]]] [[http://cafe.daum.net/ydilove|[[파일:다음 카페 아이콘.png|width=24]]]] ||
  • 유미(가수) . . . . 9회 일치
          * 2002년 1집 Sad (타이틀곡 : 사랑은 언제나 목마르다)[* 01.사랑은 언제나 목마르다, 02.차라리, 03.Why, 04.잊어요, 05.It's You, 06.가지말아요, 07.Dream Of Life(Inst.), 08.D&B, 09.볼 수 없는 너, 10.시간속으로 사라진 너, 11.불꽃놀이, 12.That Old Feeling(Inst.), 13.사랑은 언제나 목마르다(Scat), 14.다.]
          * 2004년 내 여자친구를 소개합니다 OST (Windstruck) (타이틀곡 : 바람이라도 좋아)[* CD2 : 01.바람이라도 좋아, 02.Knockin' On Heaven's Door, 03.시계를 돌리면, 04.Wind Of Soul(I will stay for you), 05.Going Back to the...(Piano Ver.)]
          * 2005년 2집 Another Story (타이틀곡 : 추억은 시간이 지운다)[* 01.짧은 사랑..긴 기다림..그대 그리움.., 02.소녀의 고백, 03.추억은 시간이 지운다, 04.I Lost My Mind, 05.애가(愛歌), 06.저 하늘도 모자르죠, 07.잘한건가요, 08.마지막 너를 보내며, 09.시계를 돌리면, 10.차라리.]
          * 2010년 추억이 녹슬다 (Digital Single)
          * 2013년 싸구려 반지 (Digital Single)
          * 2016년 이 노래 좀 들어주라 (Digital Single)
  • 유병수 . . . . 9회 일치
         |사진=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a/a8/Yoo_Byung-SooAugust_19%2C_2013_as_part_of_FC_Rostov_in_match_of_the_Russian_football_championship_of_2013.jpg/220px-Yoo_Byung-SooAugust_19%2C_2013_as_part_of_FC_Rostov_in_match_of_the_Russian_football_championship_of_2013.jpg
         홍익대학교를 휴학한 유병수는 [[K리그 2009|2009 K리그]] 신인 드래프트에서 1순위로 [[인천 유나이티드 FC|인천 유나이티드]]에 지명되며 프로리그에 데뷔했다. 시즌 시작전, [[인천 유나이티드 FC|인천 유나이티드]]는 창단멤버인 [[방승환]]을 팔게 되는데, 이는 주 공격수이자 프랜차이즈 스타인 선수의 이적이므로 팬들의 걱정을 야기시켰으나 오히려 대표이사인 안종복 사장은 "신인 유병수가 그의 자리를 메꿔 줄거라 의심치 않는다" 라는 발언으로 유병수에 대한 믿음을 나타내었다. 또한 인천의 새 감독 [[일리야 페트코비치]] 역시 앞으로 인천을 대표하는 선수로 클 가능성이 높다고 평가했다. 기대를 저버리지 않고, 그는 개막전에서 데뷔골을 성공시키고 무회전 프리킥을 선보이는 등 인상적인 활약을 펼쳤다.<ref>{{웹 인용|url=http://www.newsis.com/article/view.htm?cID=&ar_id=NISX20090308_0001583942 |제목='유병수 데뷔골' 인천, 부산에 1-0 승리 |확인날짜=2010-08-15 |출판사=뉴시스}}</ref> [[2009년]] [[11월]], [[잉글랜드]] [[프리미어리그]]의 [[볼턴 원더러스 FC|볼턴 원더러스]]가 유병수의 영입에 관심이 있다는 이야기가 볼턴 뉴스를 통해 보도되었다.<ref>{{뉴스 인용|제목=Wanderers line up another raid on South Korea |url=http://www.theboltonnews.co.uk/sport/4734025.Wanderers_line_up_another_raid_on_South_Korea/ |출판사=The Bolton News |저자=Marc Iles |날짜=2009년 11월 12일| 확인날짜=2011년 6월 25일}}</ref> 그러나 유병수는 사실무근이라며 기사에 반박했다.<ref>{{웹 인용|url=http://xportsnews.hankyung.com/?ac=article_view&entry_id=107817 |제목=유병수 "볼턴行? 금시초문, 오직 인천 우승이 목표" |확인날짜=2010-08-15 |출판사=엑스포츠뉴스}}</ref> [[K리그 2009|2009 시즌]]이 끝날 때까지 [[김영후]]와 [[K리그 신인선수상|신인왕]] 대결을 펼쳐 많은 주목을 받았다.<ref>{{웹 인용|url=http://sports.khan.co.kr/news/sk_index.html?cat=view&art_id=200910122224013&sec_id=520101&pt=nv |제목=‘유병수 vs 김영후’ K리그 신인왕 경쟁 후끈 |확인날짜=2010-08-15 |출판사=스포츠칸}}</ref> 결국 김영후가 간발의 차로 신인왕의 자리에 올랐지만<ref>{{웹 인용|url=http://xportsnews.hankyung.com/?ac=article_view&entry_id=108762 |제목=김영후, K-리거가 뽑은 2009년 '최고 신인' |확인날짜=2010-08-15 |출판사=엑스포츠뉴스}}</ref> 유병수는 프로 데뷔 첫 시즌만에 자신의 이름을 사람들의 뇌리에 각인시키는데 성공하였다.
         [[K리그 2010|2010 시즌]]이 시작된 후에는 7라운드까지 무득점으로 일관하다가 8라운드 [[포항 스틸러스]]전에서 네 골을 터뜨린 것부터<ref>{{웹 인용|url=http://www.kyeongin.com/news/articleView.html?idxno=513432 |제목=유병수 4골 '펄펄' 6년 만에 진기록 |확인날짜=2010-08-15 |출판사=경인일보}}</ref> 시작해, 강원전까지 네 경기에서 아홉 골을 몰아쳤다. 비슷한 시기에 [[김영후]] 또한 득점포를 터뜨려 언론은 이들의 관계를 다시 한 번 재조명했다.<ref>{{웹 인용|url=http://osen.mt.co.kr/news/view.html?gid=G1008080011 |제목=유병수-김영후는 전생에 부부?...득점 사이클 '비슷' |확인날짜=2010-08-15 |출판사=OSEN}}</ref><ref>{{웹 인용|url=http://joynews.inews24.com/php/news_view.php?g_menu=702210&g_serial=508870 |제목='찰떡궁합(?)' 김영후-유병수, 올해도 경쟁은 계속된다 |확인날짜=2010-08-15 |출판사=아이뉴스24}}</ref> 이후 유병수는 대전전 헤트트릭을 기록하며 리그 20골을 기록, K리그 최연소 한국인 득점왕과 최연소 20골을 달성했다. 마지막 라운드까지 22골을 기록하며 17골을 기록한 [[호세 오르티고사]]를 5골로 따돌리고 [[K리그 2010|2010 시즌]] 득점왕을 차지하였다.<ref>{{뉴스 인용|url=http://www.mydaily.co.kr/news/read.html?newsid=201011071805472239&ext=na |제목=유병수, 올시즌 정규리그 득점왕 |출판사=마이데일리 |날짜=2010-11-07}}</ref> 2011년 2월 22일 유병수는 인천 유나이티드와 2013년 12월까지 계약 연장에 성공했다.<ref>{{뉴스 인용|url=http://osen.mt.co.kr/news/view.html?gid=G1102230096 |제목=유병수, 인천과 2013년까지 계약 연장 |출판사=OSEN |날짜=2011-02-23}}</ref>
         [[K리그 2011|2011 시즌]]에는 3월 한 달까지 골이 없었지만 유병수는 4월 달이 되면 좋은 모습을 보여줄 것이라 했다.<ref>{{뉴스 인용|url=http://www.sportalkorea.com/news/view.php?gisa_uniq=2011033015114813§ion_code=10&key=&field= |제목=유병수, “잔인한 4월? 내겐 기분 좋은 4월 될 것이다” |출판사=스포탈코리아 |날짜=2011-03-30}}</ref> 얼마후 곧바로 4라운드 [[경남 FC|경남]]전에서 리그 첫 골을 터뜨렸고,<ref>{{뉴스 인용|url=http://sports.chosun.com/news/ntype2.htm?id=201104030100032850001980&ServiceDate=20110403 |제목='뜨거운 감자' 유병수, K-리그 첫 골에도 감독들 의견은 분분 |출판사=스포츠조선 |저자=이건 |날짜=2011-04-03}}</ref> 다음 라운드 [[포항 스틸러스]]와의 경기에서 연속 골을 터뜨렸다.<ref>{{뉴스 인용|url=http://osen.mt.co.kr/news/view.html?gid=G1104090104 |제목='유병수 극적 동점골' 인천, 포항과 2-2 |출판사=OSEN |날짜=2011-04-09}}</ref> 2011년 5월 발목 골절로 2주 간 출전하지 못하게 되었다.<ref>{{뉴스 인용|url=http://sports.chosun.com/news/ntype2.htm?id=201105090100072070005718&ServiceDate=20110508 |제목=인천 유병수, 발목 피로골절로 2주 아웃 |출판사=스포츠조선 |날짜=2011-05-08}}</ref> 예상과는 다르게 유병수는 2달 동안 출전하지 못하였고, 2011년 6월 25일 [[FC 서울|서울]]과의 원정 경기에서 복귀전을 치렀다.<ref>{{뉴스 인용|제목=유병수, FC서울전서 2개월 여만에 1군 복귀 |url=http://sports.media.daum.net/soccer/news/k_league/breaking/view.html?cateid=1171&newsid=20110625200613306&p=SpoChosun |출판사=스포츠조선 |저자=김진회 |날짜=2011년 6월 25일| 확인날짜=2011년 6월 25일}}</ref>
         이후 [[2011년 AFC 아시안컵]]을 앞두고 예비 명단에 소집되었고, 연습 경기에서 해트트릭을 기록하는 등 활약을 펼쳤다.<ref>{{뉴스 인용|url=http://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soccer&ctg=news&mod=read&office_id=139&article_id=0001969448 |제목='유병수 해트트릭' 조광래호, 단국대와 연습경기서 8-0 대승 |출판사=스포탈코리아 |날짜=2010-12-19}}</ref><ref>{{뉴스 인용|url=http://www.ibest11.com/Country/news_01_view.asp?iBoard=5&iIDX=32713 |제목=유병수, 아쉬움 떨치고 ‘조광래호 병기’로 거듭나나 |출판사=베스트 일레븐 닷컴 |날짜=2010-12-24}}</ref> 또한, 시리아와의 평가전에서 지동원에게 완벽한 찬스를 제공해주는 어시스트를 기록하였다.<ref>{{뉴스 인용|url=http://www.mydaily.co.kr/news/read.html?newsid=201012302056282239&ext=na |제목=지동원 골-유병수 AS, 박주영 공백은 없다 |출판사=마이데일리 |날짜=2010-12-30}}</ref>
  • 윤태진(아나운서) . . . . 9회 일치
         ||<#FFCC66> '''{{{#000000 SNS}}}''' ||<(> [[http://www.cyworld.com/8711111|[[파일:싸이월드_로고.png|width=24]]]] [[https://www.instagram.com/taecongs|[[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png|width=24]]]] ||
          * 윤태진 귀요미 송도 존재한다. [[http://blog.naver.com/nanginks?Redirect=Log&logNo=90172313797&jumpingVid=42CB7F5B99894FDA5B6FAF20C105C511A5F9|영상]]
          * 2015년 10월 31일자로 [[정인영(방송인)|정인영]] 아나운서와 함께 계약 기간이 만료되어 퇴사했다. [[https://instagram.com/p/95SRuFFFty/|인스타그램]]에 밝힘.
          * 지난해 2017년 12월 인스타그램을 통해 한 팬이 스토커 DM을 통해 아파트 앞에 있으니 나와달라라는 심한 내용을 올렸다. 이후 윤태진은 인스타 DM의 메세지를 캡쳐.. 자제해 달라고 호소를 했다. 소속사도 이에 대해 강경의사를 밝혔다. [[http://entertain.naver.com/read?oid=382&aid=0000611192|#]]
          * 2018년 6월 18일 부터 강남경찰서 홍보대사를 하고 있다 --경찰춘-- [[https://www.instagram.com/p/BkKgG9GBCko/?utm_source=ig_web_button_share_sheet|인스타그램]] [[http://blog.naver.com/polinlove2/221306978271|블로그]]
          흥억제기 배디가 없으면 나미춘이 아닌셈..그래서 2018년 8월 21일 생방송 2부에서 제작진이 급듀엣을 제안했고 그 이름은 바로 '''일명 <주준주춘> (주시은의 주 + 나미춘의 춘)''' [[https://www.instagram.com/p/BmxbU45AxD3/?taken-by=sbsradio_official|인스타그램]]
          * 2018년 9월 6일부터 2018년 9월 27일까지 YTN 사이언스에서 <환경살리고GO>라는 파일럿프로그램을 진행, 멤버는 팟캐스트 <과장창>과 같다.[[http://science.ytn.co.kr/program/program_view.php?s_mcd=1304&s_hcd=&key=201809110922028809&page=1|1화]] [[http://science.ytn.co.kr/program/program_view.php?s_mcd=1304&s_hcd=&key=201809140955409445&page=1|2화]] [[https://www.instagram.com/p/Bnqnf_HBt4q/?utm_source=ig_web_button_share_sheet|--과연 정규로...?--]]
  • 이경실 . . . . 9회 일치
         [include(틀:회원수정)]
         ||<table width=100%><table align=center><table bordercolor=#000000><-100><:>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C60C30 20%, #003478)"
         ||<#ffffff><:><-100>{{{#!folding [ 펼치기 · 접기 ]
         개그우먼이지만 연기 활동도 간간히 하고 있다. 출연한 드라마도 꾀 되는편. 몇몇 작품에서는 웬만한 전문 배우보다 연기를 잘한다는 평을 듣기도 한다.[[http://star.mt.co.kr/stview.php?no=2010042709434933856&outlink=1&ref=https%3A%2F%2Fsearch.naver.com|#]] 대표적으로 [[살맛납니다]], [[로맨스 타운]]이 있다. 공통점으로 오열 연기라는 것. 2012년에는 [[각시탈(드라마)|각시탈]]의 [[오동년]]으로 출연했다. 감초 역할로 호평. 그러나 [[기무라 슌지|미래의 사위!?]]에게 총살당하고 만다. 지못미... 2018년 파도야 파도야로 연예계에 복귀할 예정이다.
         2015년 8월경 현 남편이 지인의 아내를 차 안에서 성추행한 혐의로 수사 중인 사실이 알려졌다. 처음엔 그저 개그우먼의 남편으로만 알려졌으나 얼마 지나지 않아 이경실 본인이 직접 자신의 남편이라고 밝혔다. 처음엔 이경실도 나서서 '남편의 결백을 믿는다, 끝까지 함께 갈 것이다'라고 했지만, 남편인 최씨는 1차 공판에서 혐의를 완전히 인정했다. 하지만 언론 인터뷰에선 '범죄 사실을 인정한 게 아니라 만취사실 만을 인정한 것'이라고 교묘한 거짓말로 언플을 했지만... 그리고 2차 공판에서도 공소사실을 고스란히 [[http://news.joins.com/article/19270472|인정했다]].
         2017년 5월 보도에 따르면, 방송인 이경실은 페이스북에 남편이 성추행한 성범죄 피해자를 비방한 글을 작성해서 고소당해 500만원의 벌금형을 받았다.[[http://entertain.naver.com/ranking/read?oid=001&aid=0009261738|기사]]
  • 이요원 . . . . 9회 일치
         | 사진 =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6/6b/Lee_Yo-won_in_2018.jpg/280px-Lee_Yo-won_in_2018.jpg
         [[2003년]] [[1월 10일]] 24세의 나이에 당시 오빠 [[박규수]]이다.<ref>{{뉴스 인용 |제목=이요원의 훈남 남편 새삼 화제, 누군지 봤더니… |url= http://www.sportsseoul.com/?c=v&m=n&i=166890 |출판사= 스포츠서울 |날짜= 2015-01-21 }}</ref> 같은해 [[12월]] 첫째 딸 박애린을 출산하였고,<ref>{{뉴스 인용 |제목=남편과 유학길 이요원 딸 출산 |url= http://isplus.live.joins.com/news/article/article.asp?total_id=1812606&ctg= |출판사= 일간스포츠 |날짜= 2003-12-23 }}</ref> 10년만에 [[2014년 5월]] 둘째 딸을 출산, [[2015년 5월]] 셋째 아들을 출산하였다.<ref>{{뉴스 인용 |제목=이요원 득남, 두 딸 이어 세 아이 엄마 됐다 |url= http://entertain.naver.com/ranking/read?oid=213&aid=0000690821 |출판사= 네이버 |날짜= 2015-05-19 }}</ref><ref>{{뉴스 인용 |제목=[단독]이요원 득남…세아이 엄마됐다 |url= http://entertain.naver.com/read?oid=144&aid=0000331611 |출판사= 네이버 |날짜= 2015-05-19 }}</ref>
         * 2009년 12월 경상북도 관광 홍보 대사<ref>{{뉴스 인용 |제목=‘선덕여왕’ 이요원, “많이 지쳤지만 유종의 미 보이겠다” |url= http://entertain.naver.com/read?oid=109&aid=0002068502 |출판사= 네이버 |날짜= 2009-12-06 }}</ref>
         * 2009년 12월 헬로 풋볼 홍보 대사<ref>{{뉴스 인용 |제목='2009 헬로!풋볼 팬즈 어워즈' 시상식 28일 개최 |url=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7&oid=139&aid=0001956325 |출판사= 네이버 |날짜= 2009-12-28 }}</ref>
         * 2010년 3월 세무서 일일 명예 민원봉사실장(역삼, 삼성, 서초)<ref>{{뉴스 인용 |제목=[포토]위촉장 받는 이요원 |url=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6&oid=277&aid=0002330409 |출판사= 네이버 |날짜= 2010-03-03 }}</ref>
  • 이유리(배우) . . . . 9회 일치
         [include(틀:상위 문서, top1=배우/한국)]
         ||<table width=100%><table align=center><table bordercolor=#000000><-100><:>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C60C30 20%, #003478)"
         ||<#ffffff><-1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table align=center><table width=100%><-5><table bordercolor=#ff0000><table bgcolor=white><bgcolor=#FF0000><:>{{{+1 [[문화방송|[[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5px-Munhwa_Broadcasting_Company.svg.png|width=60]]]] '''[[MBC 연기대상|{{{#ffffff 연기대상}}}]]''' {{{#ffffff '''대상'''}}}}}}||
         ||<:><bgcolor=#353535>'''{{{#white 외부 링크}}}'''||<(> [[http://the-jun.com|공식]] [[https://www.instagram.com/LEEYURI007/|[[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png|width=24]]]]
         [[http://m.blog.naver.com/pinkleeyuri|[[파일:external/lifestraveller.co.za/blog.png|width=24]]]] [[https://m.youtube.com/channel/UCA36iuRKB6uMkD_-QyYaKGw?|[[파일:유튜브 아이콘.png|width=28]]]] [[http://cafe.daum.net/pswforever|[[파일:다음 카페.png|width=24]]]] ||
         [include(틀:문서 가져옴,title=이유리,version=272)]
  • 장용석 . . . . 9회 일치
         '''장용석'''은 1993년 연세대학교 [[사회학과]]를 최우등<ref>[http://web.yonsei.ac.kr/yongsukjang/Vita.htm ''Vita''], 연세대 행정학과 장용석 교수 홈페이지, 2008년 8월 </ref> 으로 졸업한 뒤, 2001년 [[스탠포드대학교]] [[대학원]]에서 [[사회학]] [[박사]]를 받았다. 지도교수였던 [[신제도주의]] 이론의 대가 [[존 W. 마이어]](John W. Meyer)와 사회연결망 연구의 권위자인 [[마크 그라노베터]](Mark Granovetter)의 영향 아래, [[거시조직]] 및 [[국가비교]] 연구 등에 주로 관여하였으며, 최근에는 [[사회적 책임]] 및 [[투명성]] 등으로 범위를 넓히고 있다. 대표 연구로는 The Worldwide Founding of Ministries of Science and Technology, 1950-1990 (2000)와 Sources of Rationalized Governance: Cross-National Longitudinal Analyses, 1985-2002 (2006)이 있다. 2001년부터 2004년까지 [[유타대학교]] 사회학과에서 [[조교수]]를 역임하였고, 2004년부터 2008년까지 [[고려대학교]] 사회학과에서 조교수 및 부교수로 재직하였다.
         *Drori, Gili S., Yong Suk Jang, and John W. Meyer (2006) "Sources of Rationalized Governance: Cross-National Longitudinal Analyses, 1985-2002.” ''Administrative Science Quarterly'' 51 (2): 205-229.
         *Jang, Yong Suk (2005) “The Expansion of Modern Accounting as a Global and Institutional Practice.”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arative Sociology'' 46 (4): 327-345.
         *Kim, Young Soo and Yong Suk Jang (2002) “The Myth and Critics of Institutionalized Organizational Structure:A Cross-National Comparative Study of Ministerial Differentiation and its Economic Effects, 1951-1990.” ''Korean Journal of Sociology'' 36 (6):27-55.
         *Jang, Yong Suk (2000) “The Worldwide Founding of Ministries of Science and Technology, 1950-1990.” ''Sociological Perspectives'' 43 (2): 247-270.
  • 정복수 . . . . 9회 일치
         '''정복수'''(鄭福壽, [[1920년]] ~ [[1962년]] [[4월 24일]]<ref>[http://dna.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62042600209203023&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62-04-26&officeId=00020&pageNo=3&printNo=12438&publishType=00020 鄭福壽氏別世(정복수씨별세)] [[동아일보]] 1962년 4월 26일 작성</ref>)은 [[한국]]의 권투 선수이다. [[일제 강점기]] 당시 권투 선수로 활약하였다.
         1940년 프로로 전향한 후 일본으로 건너가 페더급에서 28전 28승을 거두고 1943년 귀국하였다. 광복 후 김명석(金明錫)·박용만(朴容萬) 등과 함께 조선아마추어권투연맹을 조직하였으며, 신한권투구락부를 창설하여 후진을 양성하는 한편, 현역 직업선수로 다시 전향하여 한국 프로권투를 석권하였다. 이후 [[1953년]] 은퇴한 뒤 [[1962년]] 사망했다.<ref>[http://dna.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62042600329104015&editNo=4&printCount=1&publishDate=1962-04-26&officeId=00032&pageNo=4&printNo=5056&publishType=00010 鄭福壽氏(정복수씨) 死亡(사망)] [[경향신문]] 1962년 4월 26일 작성 </ref><ref>[http://dna.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62042600209203023&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62-04-26&officeId=00020&pageNo=3&printNo=12438&publishType=00020 鄭福壽氏別世(정복수씨별세)] [[동아일보]] 1962년 4월 26일 작성</ref>
  • 정찬성 . . . . 9회 일치
         [include(틀:AOMG)]
         ||<#000002> '''{{{#white 체급/순위}}}''' || 페더급(-65kg)/'''10위''' [[http://kr.ufc.com/rankings|.]] ||
         ||<#000002> '''{{{#white 가족관계}}}''' || 부인 외 1남 2녀 [[https://sports.news.naver.com/general/news/read.nhn?oid=076&aid=0003065656|스포츠조선]][[https://www.instagram.com/p/Bl4yGGeAOCh/?taken-by=koreanzombiemma|셋째(아들)]] ||
         ||<#000002> '''{{{#white SNS}}}''' || [[https://twitter.com/KoreanZombieMMA| [[파일:트위터 아이콘.png|width=24]]]], [[https://www.instagram.com/koreanzombiemma/|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png|width=24]]]] ||
         결국 부상의 회복이 늦어지고, 군문제를 더이상 미룰 수 없다는 판단으로 2014년 10월 20일부터 2년 간 구청에서 [[사회복무요원]]으로 복무하게 되었다. 4급 사유는 어깨부상.[* [[http://sports.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general&ctg=news&mod=read&office_id=275&article_id=0000043010|뉴스기사]]] 소집해제일은 2016년 10월 19일.[* 사회복무요원은 기초군사훈련 4주를 포함해 총 24개월을 복무한다.] [[http://sports.news.naver.com/general/news/read.nhn?oid=410&aid=0000355574|#]]
         버뮤데즈의 레슬링을 의식했는지 가드를 꽤 아래로 내리는 스타일로 경기를 시작했고 초반 버뮤데즈의 테이크다운 시도를 성공적으로 방어하며 경기를 괜찮게 풀어갔다. 하지만 펀치가 대부분 빗나가면서 확실히 경기감각을 채 끌어올리지 못했다는 느낌을 지울 수가 없었고 버뮤데즈의 큰 라이트 펀치를 맞으면서 위태위태한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 그러나 버뮤데즈의 왼손 셋업을 피하고 날린 어퍼가 그대로 턱에 꽂히면서 1R 2분 30초 만에 경기를 끝냈다.[* 언제나 그렇듯 너무 빨리 말렸다고 주장하는 사람들이 있으나, 저 상태에서 안말릴 경우 맞던 사람은 후유장애를 가질 확률이 매우 높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정찬성을 언더독으로 평가했지만 코리안 좀비의 부활을 전세계에 알렸다. 경기 후 인터뷰에서 경기 내용을 말하면서 연습했던 대로 잘 안됐다고 밝히거나 질문 내용을 못알아들으면서 웃음을 주기도 했다. 그리고 울먹거리며 주변 사람들에게 감사를 표하며 현재 대한민국의 상황을 걱정하는 발언을 남기면서 팬들에게 감동을 주었다. [[http://sports.news.naver.com/general/vod/index.nhn?category=fight&listType=total&date=&gameId=&teamCode=&playerId=&keyword=&id=272392&page=1|영상링크]]
         이후 7위로 올라갔고, 얼마 후 6위, 그리고 4월 15일 UFC Fight Night에서 5위 스티븐스가 랭킹 밖 신성에게 패배하면서 그의 랭킹을 빼앗아 '''5위'''에 랭크되었다. [[http://kr.ufc.com/rankings]] ~~아무것도 안 했는데 9위 -> 5위~~
         2018년 7월 중반, 정찬성이 원하던 대로 '''프랭키 에드가'''와 경기가 추진 중이라는 뉴스가 각종 해외 격투기 소식에서 나왔다. 게다가 이 소식이 나올 때쯤 정찬성이 인스타그램에 올린 글에 ___#기회, #도전, #coming soon___ 해시태그가 붙어 있었는데 아마도 에드가와의 경기에 대한 암시였을 것으로 보인다. 공식적으로 성사될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보이며, 각종 해외 소식에 의하면 2018년 10월 7일에 열릴 UFC 229에서 이 경기가 있을 것을 것이라고 한다.
         조제 알도와의 챔피언 매치를 위해 브라질에 갔을 때 매치매이커 조 실바를 만나 '''[[http://sports.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general&ctg=news&mod=read&office_id=275&article_id=0000038748|UFC에서 욱일기 착용을 금지해 달라]]'''는 서한을 전달하며, 브라질에 오지 못한 [[데이나 화이트]] 대표에게도 꼭 전해달라고 부탁했다. TUF 18에서 여성부 밴텀급 챔피언 [[론다 로우지]]가 욱일기 티셔츠를 입고 TV에 나온 것을 보고 UFC 수뇌진들에게 직접 호소하기로 결심했다고 한다. 일련의 행동으로 [[까임방지권|영구까방권]]을 받을 기세다.
  • 최정호 (성우) . . . . 9회 일치
         * [http://www.kbs.co.kr/radio/scr/theater/notice/index.html 라디오 극장] - '''[[라디오 극장]] ([[KBS 한민족 방송]])'''
         * [http://www.kbs.co.kr/radio/scr/library/aod/aod/index.html 라디오 문학관] - '''[[라디오 문학관]] ([[KBS 한민족 방송]])'''
         * [http://www.kbs.co.kr/radio/scr/stage/aod/aod/index.html KBS 무대] - '''[[KBS 무대]] ([[KBS 한민족 방송]])'''
         * [http://www.kbs.co.kr/radio/1radio/history/aod/aod/index.html 다큐멘터리 역사를 찾아서] - '''[[다큐멘터리 역사를 찾아서]] ([[KBS 1라디오]])'''
         * [http://www.kbs.co.kr/radio/3radio/novel/notice/index.html 소설극장] - '''[[소설극장]] ([[KBS 3라디오]])'''
         * [http://www.kbs.co.kr/radio/3radio/speech/notice/index.html 연속낭독] - '''[[연속낭독]] ([[KBS 3라디오]])'''
         * [http://www.kbs.co.kr/radio/3radio/3R_rtaravle/notice/index.html 라디오 여행기] - '''[[라디오 여행기]] ([[KBS 3라디오]])'''
         * [http://www.kbs.co.kr/radio/radio_drama/rd_last/con/aod/index.html 엄길청의 성공시대]{{깨진 링크|url=http://www.kbs.co.kr/radio/radio_drama/rd_last/con/aod/index.html }} - '''[[엄길청의 성공시대]] ([[KBS 제2라디오]])'''
  • 토탈워: 쇼군 2 - 사무라이의 몰락/요원 . . . . 9회 일치
          * 주막(Inn) 필요
          * 연예인(Entertainer) - "맛의 변화: 이제 위스키가 있을 뿐."
         == 유신지사(Ishin Shishi) ==
          * 선동자(Instigator) - "말은 조금만 하고, 바보들로 하여금 그것이 자신들의 생각이었다고 여기게 하여라."
          * 외골수(Single-mindedness) - "명명백백하게 한 가지 일에만 열중하는 것은 세상을 바꿀 수 있다."
          * 필사의 검(Inexorable Force) - "어떤 것들은 멈출 수가 없다."
         == 신선조(Shinsengumi) ==
          * 위협자(Intimidator) - "공포는 말로 할 수 없는 많은 것을 이루어 줄 것이다."
          * 변호자(Vindicator) - "지옥으로 가는 길은 무지한 영혼으로 포장되어 있다."
         == 시노비(Shinobi) ==
          * 훈련(Training) - "배울 것은 많이 있고, 시간은 별로 없다."
  • 트로피코 4 . . . . 9회 일치
         >The times are changing and the island nation of Tropico is evolving. The Internet, a New World Order, terrorists, global financial markets and space exploration are on the rise and pose new challenges to El Presidente and his regime.
         >Old buildings and structures are becoming obsolete and need to be upgraded or even replaced by their modern counterparts. Cars and transportation need modernization to meet the needs of a changing economy; and now El Presidente can even send people to the International Space Station! El Presidente and his ministers must now join the war against terror and control Internet regulation and freedom of speech on Tropico.
  • 페이데이 2/하이스트/블라드 . . . . 9회 일치
          * Window Shopper
          * Becoming a Regular
          * Platinum Card
         == Ukrainian Job ==
          * Came in Like a Wrecking Ball
          오버킬 난이도의 Mallcrasher 하이스트에서 시작한지 50초 내에 180만 달러를 확보. 도전과제 완수시 "Alfred" 가면과 "Dawn" 재질, "Dinosaur Skull" 무늬, AK 계열 총기용 부품인 "Scope Mount"와 "PBS Suppressor"가 해금됨
          * Now is the Nuclear Winter of Our Discontent
         == Stealing Xmas ==
  • 하동부대부인 . . . . 9회 일치
         이를 전례로 삼아 [[조선 인조|인조]] 역시 자신의 어머니 구씨를 부부인으로 책봉하여 연주부부인으로 삼았다가<ref>《승정원일기》[http://sjw.history.go.kr/inspection/search_result_list.jsp?oflag=0&M=0&query=%E9%80%A3%E7%8F%A0%E5%BA%9C%E5%A4%AB%E4%BA%BA&set_id=596444&selK=1&selT=1&query_ime=%3Cspan+class%3D%22newbatang%22%3E%E9%80%A3%3C%2Fspan%3E%3Cspan+class%3D%22newbatang%22%3E%E7%8F%A0%3C%2Fspan%3E%3Cspan+class%3D%22newbatang%22%3E%E5%BA%9C%3C%2Fspan%3E%3Cspan+class%3D%22newbatang%22%3E%E5%A4%AB%3C%2Fspan%3E%3Cspan+class%3D%22newbatang%22%3E%E4%BA%BA%3C%2Fspan%3E&x=21&y=7 연주부부인]</ref>, 이후 [[인헌왕후]]로 추존하였다.
         하동부부인이 하동부대부인으로 오인된 것은 [[조선 영조|영조]] 즉위년에 [[조선 영조|영조]]의 생모인 [[숙빈 최씨]]의 추보를 논의할 때 예조판서 [[이진검]]이 "선조(宣祖) 때에 덕흥군(德興君)을 높여서 ‘대원군(大院君)’이라고 하였고, 군부인(群夫人)을 ‘부대부인(府大夫人)’이라고 하였다."고 잘못 진달하였기 때문인데<ref>《조선왕조실록》영조 1권, 즉위년(1724 갑진 / 청 옹정(雍正) 2년) 9월 21일(신유) 2번째기사</ref>, 사실 이는 [[이진검]]의 잘못이라기보다 [[조선 경종|경종]]2년에 부제학 이명헌이 [[조선 경종|경종]]의 사친인 [[희빈 장씨]]를 추보할 것을 상소하며 "선조조(宣祖朝)에 덕흥 대원군(德興大院君)을 추숭(追崇)하였을 때에 선정신(先正臣) 이황(李滉)의 의논을 인용하여, 빈(嬪)자 위에 특별히 하나의 대(大)자를 더하고, 이어서 본관(本貫)을 취하여 모부대빈(某府大嬪)으로 삼을 것"을 시초로 한다.<ref>《조선왕조실록》경종 9권, 2년(1722 임인 / 청 강희(康熙) 61년) 7월 17일(경자) 1번째기사</ref> 당시 동석했던 [[이진검]]이 이명헌의 말을 잘못 기억하여 영조 즉위년에 잘못 진달하였을 가능성도 없진 않으나 예조판서인 [[이진검]]이 사실을 전혀 확인하지 않고 진달하였다는 것은 무리가 있는 만큼 [[조선 경종|경종]]의 각별한 충신이었던 [[이진검]]이 부대빈(府大嬪) 작호의 유지를 위해 고의적으로 잘못 진달하였을 가능성도 없지 않다. 이로 인해 이후 정씨의 작위는 다시 본래의 작호인 하동부부인으로 정정되어 불리기도 하다가 하동부대부인·하동부인·대원군부인으로 섞여서 일컬어지기도 하였는데 이는 아들의 지위에 따라 어머니의 작호에 대(大)를 더할 수 있다는 세종14년 때의 법령과 이미 부대부인의 작호를 쓴 여성이 있었던 전례에 의거해 마땅히 부대부인으로 삼았어야 할 정씨를 부부인으로 삼은 것은 잘못되었음을 뒤늦게 깨달은 탓으로 짐작된다.<ref>《승정원일기》[http://sjw.history.go.kr/inspection/search_result_list.jsp?oflag=0&M=0&query=%E6%B2%B3%E6%9D%B1%E5%BA%9C%E5%A4%AB%E4%BA%BA&set_id=-1&selK=1&selT=1&query_ime=%3Cspan+class%3D%22newbatang%22%3E%E6%B2%B3%3C%2Fspan%3E%3Cspan+class%3D%22newbatang%22%3E%E6%9D%B1%3C%2Fspan%3E%3Cspan+class%3D%22newbatang%22%3E%E5%BA%9C%3C%2Fspan%3E%3Cspan+class%3D%22newbatang%22%3E%E5%A4%AB%3C%2Fspan%3E%3Cspan+class%3D%22newbatang%22%3E%E4%BA%BA%3C%2Fspan%3E 하동부부인], [http://sjw.history.go.kr/inspection/search_result_list.jsp?oflag=0&M=0&query=%E6%B2%B3%E6%9D%B1%E5%BA%9C%E5%A4%A7%E5%A4%AB%E4%BA%BA&set_id=596421&selK=1&selT=1&query_ime=%3Cspan+class%3D%22newbatang%22%3E%E6%B2%B3%3C%2Fspan%3E%3Cspan+class%3D%22newbatang%22%3E%E6%9D%B1%3C%2Fspan%3E%3Cspan+class%3D%22newbatang%22%3E%E5%BA%9C%E5%A4%A7%3C%2Fspan%3E%3Cspan+class%3D%22newbatang%22%3E%E5%A4%AB%3C%2Fspan%3E%3Cspan+class%3D%22newbatang%22%3E%E4%BA%BA%3C%2Fspan%3E 하동부대부인], [http://sjw.history.go.kr/inspection/insp_result_s.jsp?M=0&oflag=0&set_id=596427&selK=1&selT=1&query=%E5%A4%A7%E9%99%A2%E5%90%9B%E5%A4%AB%E4%BA%BA&query_Result=&sinfo=&list_per_page=10&chkID=0&opAll=0&opP=0&opA=0&opB=0&opR=0&opT=0&opG=0&opW=0&qAll=&qP=&qA=&qB=&qR=&qT=&qG=&qW=&idS=&idE=&tc=2&pc=2&cp=1&startpos=0&pos=0 대원군부인]</ref><ref>《조선왕조실록》영조 117권, 47년(1771 신묘 / 청 건륭(乾隆) 36년) 8월 9일(정축) 1번째기사 中 "그 사체에 있어서 창빈(昌嬪)·대원군(大院君)·하동 부인(河東夫人)을 대진한 후에 어떻게 합제(合祭)할 수 있겠는가?"</ref>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ko/thumb/3/34/Ilmin_dhd.jpg/200px-Ilmin_dhd.jpg
         {{col-begin}}
  • 한용덕 . . . . 9회 일치
         [[대구광역시|대구]]에서 태어났으나 [[대전광역시|대전]]으로 이주하였다. 대전천동초등학교에서 처음 [[야구]]를 시작하여 충남중학교를 거쳐 [[북일고등학교]]에서 당시 감독이었던 [[김영덕 (야구인)|김영덕]]과 인연을 맺게 된다. [[북일고등학교]] 시절 포지션은 [[유격수]]로 [[북일고등학교]]를 졸업하고 [[동아대학교]]에 입학하였으나 1학년 때 어려워진 가정 환경과 무릎 관절염으로 인해 [[야구]]를 포기하고 대학도 자퇴하였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89&aid=0000101109 사회인 선수 → 프로 무대‘연습생 신화’] 《대전일보》, 2007년 4월 23일 작성</ref>
         [[2004년]] [[10월 12일]] [[한화 이글스]] 구단에서 자유 계약 선수로 풀리면서 현역 은퇴를 선언하였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001&oid=001&aid=0000787885& 한화 한용덕, 마운드 떠난다] 《연합뉴스》, 2004년 10월 12일 작성</ref>
         [[2005년]] [[4월 5일]] 개막 경기에 앞서 은퇴식을 거행했으며 이후 [[한화 이글스]]의 스카우트로 활동하였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89&aid=0000026426 “훌륭한 지도자로 돌아올 것”]《대전일보》, 2005년 4월 5일 작성</ref> [[2005년]] 시즌 종료 후 단행된 [[한화 이글스]] 코칭 스태프 정비에서 2군 [[투수]] 코치로 임명되었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001&oid=001&aid=0001131374& 한화, 1군 투수코치 최동원 임명] 《연합뉴스》, 2005년 10월 25일 작성</ref>
         [[2006년]] 시즌 중반 당시 플레잉 코치였던 [[지연규]]의 1군 합류와 함께 1군 [[투수]]코치로 자리를 옮겼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001&oid=109&aid=0000041623& 한화, 우완 조성민 1군 올리고 최동원 코치 2군행] 《Osen》, 2006년 7월 24일 작성</ref> [[2006년]] 시즌 종료 후 열린 전지 훈련에서 [[류현진]]에게 [[슬라이더]] 투구법을 전수하였다.<ref>[http://joynews.inews24.com/php/news_view.php?g_menu=702120&g_serial=249270 신인 삼총사, '신무기 장착으로 2년차 징크스 넘는다'] 《조이뉴스》, 2007년 2월 21일 작성</ref> [[2007년]] 시즌 중반 [[이상군]]이 1군 [[투수]] 코치로 승격됨에 따라 재활군 코치로 자리를 옮겼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001&oid=001&aid=0001733318& 한화, 1군 투수코치에 이상군]《연합뉴스》, 2007년 8월 22일 작성</ref>
         [[2012년]] [[8월 28일]] [[한대화]]가 성적 부진으로 감독직에서 경질되자, 감독 대행으로 보직 변경되어 남은 시즌을 치르고 시즌 후 사의를 표명했다. 이후 [[2013년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국가대표팀 투수코치로 선임되었다. 한화 구단에서는 [[류현진]]의 해외 진출과 함께 [[로스앤젤레스 다저스|LA 다저스]]에서 코치 연수를 받을 것을 제의하여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WBC]] 이후 연수를 받았다. 연수를 마친 후 [[한화 이글스]]의 프런트로 복귀했다.<ref>[http://sports.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kbo&ctg=news&mod=read&office_id=109&article_id=0002695143 한용덕 코치, 프런트 변신 "한화맨으로 죽겠다"] - OSEN</ref>
         * [[2000년]] [[8월 23일]] : 개인 통산 100승 달성 (프로 통산 14번째)<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001&oid=038&aid=0000019931& 프로야구 - 한용덕 100승. 구대성 150S] 《한국일보》, 2000년 8월 24일 작성</ref>
  • 흥친왕 . . . . 9회 일치
         |그림 =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ko/thumb/3/35/Heungchin_02.jpg/300px-Heungchin_02.jpg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ko/thumb/6/66/Heungchin2.JPG/180px-Heungchin2.JPG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ko/thumb/b/b3/Heungchinwang.jpg/200px-Heungchinwang.jpg
         [[2007년]] [[1월 18일]] 이재면의 증손 이모씨가 자신의 증ㆍ조부의 행위를 친일행위로 규정한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의 결정을 취소해 달라며 소송을 제기했다.<ref name="연합뉴스1">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3&oid=001&aid=0001523704</ref> 친일반민족행위 진상규명위원회가 일제강점하 반민족행위 진상규명에 관한 특별법에 근거해 구한말 자신의 증조부와 조부의 행적을 친일행위로 규정해 발표하자, 2006년 11월 헌법상 보장된 인격권 등 기본권을 침해당했다며 헌법소원심판을 청구했다.<ref name="dd1"/><ref name="파이1">http://www.fnnews.com/view?ra=Sent1201m_View&corp=fnnews&arcid=00000921782211&cDateYear=2009&cDateMonth=10&cDateDay=05</ref><ref name="mk1">http://news.mk.co.kr/v3/view.php?year=2009&no=517181</ref>
         {{Col-begin}}
         * http://www.donga.com/fbin/output?n=200601100094
  • FastSearchMacro . . . . 8회 일치
         현재 모니위키는 페이지를 fulltext indexing하지 않고 그냥 텍스트 서치에 의존하고 있다. 이것을 다음의 링크를 통해 발견할 수 있는 perl 스크립트를 적용하여 FastSearchMacro를 구현하였다.
         FastSearch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wiki_indexer.pl은 하루에 한번정도 실행시켜야 하며, 5천여 페이지에서 약 5분여 동안의 시간이 걸린다. 이것을 php로 간단히 바꾸어 보니 약 7분여 소요.
         `wiki_indexer.pl`을 사용하지 않기 위해서는 페이지를 저장할때마다 fulltext 서치를 위한 인덱스를 생성시키면 될것이다. 단 하나의 페이지에 대한 인덱스를 업데이트하므로 속도 문제를 해결하게 된다.
         === FullTextIndexer ===
         === Dokuwiki Indexer와 비교 ===
          1. 페이지를 생성할 때에 자동 인덱싱된다. 이와 별도로 `bin/indexer.php` (콘솔용), `lib/exe/indexer.php` (웹용) 인덱서가 따로 있다.
         $myplugins=array('fullsearch'=>'FastSearch'); # 앞에는 소문자로, 뒤에는 플러그인 파일 이름에 맞게 FastSearch.php 파일을 찾게되므로 대소문자 구분.
  • 강타 . . . . 8회 일치
         * 2002년 2집 Pine Tree, 2003년 1st Concert Pinetree, 2003년 S 1집 Fr.in.Cl., 2005년 3집 Persona, 2006년 강타 & 바네스 Scandal, 2008년 Eternity - 영원, 2016년 HOME Chapter1 등의 앨범 발매.
         * [[2010년]] [[2월 19일]] [[제8기계화보병사단 (대한민국)|8사단]] 수색대대에서 2년 간의 병역 의무를 마치고 전역하였다.<ref name="KangTa_8th_div-Scout_BN_retire">{{뉴스 인용|제목=강타 제대현장, 韓中日팬 집결 "당신을 기다렸다"|url=http://star.mt.co.kr/view/stview.php?no=2010021908294071155&outlink=2&SVEC|저자=길혜성|출판사=머니투데이|날짜=2010-02-19|확인날짜=2010-02-19}}</ref>
         * 한편, 강타는 당초 [[KBS 2TV]] 드라마 [[쿨 (드라마)|쿨]]의 주제곡을 부르기로 했는데 절친한 동료인 [[이지훈]]을 주요배역으로 써줄 것을 조건으로 자청했으나 [[이지훈]]의 캐스팅이 불발로 그치면서 자연스레 없던 일이 됐다.<ref>http://news.chol.com/index.php?cmd=doc&sd=20010524&ed=20010524&cat=ENT&newsid=SPOCS_P81211</ref>
         * [[Pine Tree]] (2002년 8월 1일)
         * [[Fr.in.Cl.]] (2003년 9월 25일)
         * [[2008년]]~[[2009년]] 건군 60주년 기념 창작뮤지컬 '마인(MINE)'
         * 2012년 영화 《I AM.: SMTOWN LIVE WORLD TOUR in Madison Square Garden》
  • 건포인트/도전과제 . . . . 8회 일치
          * '''Ding'''
          * '''Breaking And Entering'''
          * '''Low Flying Doors'''
          * '''Title Finally Relevant'''
         <<include(틀:스포일러)>>
          * Coming Clean
          * Sorry, Were You Using That?
          * Intex Sympathiser
          * Those Intex Models Jam
  • 고경표(배우) . . . . 8회 일치
         [include(틀:씨엘엔컴퍼니 소속 아티스트)]
         || '''링크''' ||<(> [[https://www.instagram.com/kopular/|[[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png|width=24]]]] ||
         그러나 고경표는 장진 사단으로, 2011년 SNL에 들어갈 당시 정치 공부를 하기 시작하면서 자신이 정치에 무관심했던 것에 대해 후회하고 있으며, 많이 배우고 있다는 인터뷰를 하였다([[http://tvdaily.asiae.co.kr/read.php3?aid=1341304809351989002|SNL하면서 정치 공부… 울분 터지더라]]). 또한 영화 변호인을 보고 젊은이들이 투표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는 나름의 소신을 이야기하기도 하였다([[http://www.wikitree.co.kr/main/news_view.php?id=152156|배우 고경표 "검은옷 입고 '변호인' 보았다"]]). 평소 고경표는 노란 리본을 직접 받아서 달고 다닌다고 하였으며, 일베 논란은 응답하라 1988 포상휴가 당시 공항에 세월호 리본을 가방에 달고 나타나 일축되었다([[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6/01/19/2016011902740.html|'선우' 고경표,'가방에 달린 세월호 노란리본']]).
         [[꽃보다 청춘]] 1회에서 그 동안 일어난 논란에 대해 소회를 밝히며, "너무 죄송하다. '꽃청춘'처럼 좋은 프로그램에 나는 자격이 없는 것 같다. 당시 언행이 너무 창피하다."라면서 다시 한 번 더 반성의 눈물을 흘렸다([[http://entertain.naver.com/ranking/read?oid=108&aid=0002502084&rankingType=memo&rankingDate=20160219|'꽃청춘' 고경표 "과거 언행 너무 부끄러워" 눈물]]). 또한, 인성을 까다롭게 평가하기로 자자한 [[나영석]] PD가 이러한 장면을 그대로 내보낸 것은, 적어도 그가 고경표를 직접 겪으면서 진심으로 반성하고 있다고 느꼈기 때문일 것이다([[http://entertain.naver.com/read?oid=421&aid=0001918484|나영석 PD 인터뷰]]).
  • 김가은(1989년 5월) . . . . 8회 일치
         [include(틀:다른 뜻1, other1=동명이인의 배우, rd1=김가은(1989년 1월))]
         [include(틀:상위 문서, top1=트위치 스트리머)]
         [include(틀:표절, version=1~50, source=한국어 위키백과)]
         || '''링크''' || [[https://www.twitch.tv/kimgaeune|트위치 TV]] [[https://tgd.kr/kimgaeune|트게더]] [[https://www.instagram.com/kimgaeune/|인스타그램]] [[http://gall.dcinside.com/mgallery/board/lists/?id=cm|김가은 마이너 갤러리]] ||
          * 2006년 LG SHINE MOMENT [* 처음 나오는 연인으로 출연하며, 가족사진 찍는 장면에서도 출연한다.]
          {{{#!html <iframe width="640" height="360" src="http://serviceapi.nmv.naver.com/flash/convertIframeTag.nhn?vid=5491476900831D3B73E420D7D30B15428276&outKey=V123160558c9815ca71abb21fa7062efa1c029a8aafc0506645e5b21fa7062efa1c02" frameborder="no" scrolling="no"></iframe>}}}
          {{{#!html <iframe width="640" height="360" src="http://serviceapi.nmv.naver.com/flash/convertIframeTag.nhn?vid=77B08A816E118870A3213AF73D10E2589C3D&outKey=V12704cf1600b86d7c862333a5a4a48ac460de7d7004726cc6861333a5a4a48ac460d" frameborder="no" scrolling="no"></iframe>}}}
          * [[인스타그램]] 계정이 있다.[[https://www.instagram.com/kimgaeune/|#]] 활발하게 사진을 올리는 편이다.
  • 김기수(코미디언) . . . . 8회 일치
          * 롤 모델은 뷰티 유튜버 쟈니 시오스라고 한다.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01&aid=0009173864|링크]] 메이크업 스타일이 남성스러운 섹시함을 잃지 않는 젠더리스 스타일이기 때문이라고 한다. 화장은 여성미를 추구하는 것이란 세간의 고정관념과는 다른 길을 추구하는 듯하다.
          * 2010년 [[http://sports.chosun.com/news/ntype.htm?id=201012110100086170005422&servicedate=20101210|남자 작곡가 L을 강제 추행한 혐의]]로 피소되었지만 약 2년 간의 법적 공방 끝에 [[http://m.entertain.naver.com/read?oid=076&aid=0002177058|대법원에서 최종적으로 무죄를 선고받았다]].
          * 남자가 화장을 한다는 것 때문에 불거진 성 정체성 논란에 대해 입을 열었다. [[http://entertain.naver.com/read?oid=001&aid=0009172585|기사]]
          * 2017년 10월 26일 정보통신법상 명예훼손과 형법상 모욕죄 혐의로 검찰에 송치되었다. 앞서 지난 4월 중순 전(前) 팬클럽 회장 A씨[* 김기수를 10년째 좋아하던 사람인데 김기수가 그 팬을 [[스토커]]라 지칭하였다.]로부터 고소를 당하기도 하였다. SNS 라이브 방송을 진행하던 중 A씨를 비방하고 그에 대한 허위사실을 유포한 혐의였으나 결론은 무혐의. [[http://m.entertain.naver.com/ranking/read?oid=421&aid=0003014237&rankingType=default&rankingDate=|링크]]
         [include(틀:문서 가져옴,title=김기수,version=26)]
  • 김승대 . . . . 8회 일치
         [include(틀:다른 뜻1, other1=1980년생 대한민국의 배우, rd1=김승대(배우))]
         [include(틀:상위 문서, top1=축구선수/목록/대한민국)]
         [include(틀:포항 스틸러스/간략)]
         |||| http://post.phinf.naver.net/20150912_198/hatofideas_14420640868494n3OD_JPEG/mug_obj_144206408065114184.jpg ||
         시즌 종료 후 [[박태하]] 감독이 이끄는 중국 2부 리그 우승팀이자 2016년 [[중국 슈퍼 리그]]로 승격하는 [[옌볜 푸더]]로 이적설이 나왔다. [[http://sports.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soccer&ctg=news&mod=read&office_id=468&article_id=0000086796|관련 기사]] ~~[[동열이도 없고, 종범이도 없고|명주도 없고, 승대도 없고]]~~ 그리고 결국 이적료 20억+@를 포항에 안겨주고 연변으로 이적했다. 포항으로서는 아쉽지만 포스코의 지원금이 또다시 삭감되어 70억 수준으로 떨어진 상황에서도, 김승대가 안겨준 이적료 덕분에 나머지 FA인 [[신화용]], [[황지수]], [[손준호]]를 지킬 수 있게 되었다. ~~현대판 [[심청전|심청이]]~~
         ~~[[http://sports.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a_match&ctg=news&mod=read&office_id=343&article_id=0000042536|그래서 득점 기회를 날린 이동국을 놀렸다.]]~~
         [[김병수(축구인)|김병수]]감독에 의하면 [[http://sportalkorea.mt.co.kr/news/view_interview.php?gisa_uniq=2014052613515581|고등학교 때 측면에서 뛰었는데 대학교에서 가운데로 이동을 시켰다.]] 희한하게 측면에서는 아무것도 못하는데 가운데에서 프리롤을 주면 뭔가를 만들어낸다고... 순간 스피드가 좋으며 체력도 굉장히 좋아서 지구력으로는 대한민국에서 다섯 손가락 안에 들어갈 정도라는 평가를 했다.
         [include(틀:포항 스틸러스)]
  • 김정태(영화배우) . . . . 8회 일치
         [include(틀:상위 문서, top1=배우/한국)]
         [include(틀:다른 뜻1, other1=메이저리그 야구선수, rd1=롭 레프스나이더)]
         ||<#66CDAA> '''{{{#ffffff 사이트}}}''' ||<(> [[https://twitter.com/ActorJTK|트위터]][[http://minihp.cyworld.com/pims/main/pims_main.asp?tid=23862895|미니홈피]] ||
         [include(틀:-)]
         2018년 10월 [[간암]] 투병으로 인해 출연 중이던 SBS 새 수목드라마 [[황후의 품격]]을 하차했다.[[https://m.entertain.naver.com/read?oid=241&aid=0002841860|#]] 드라마 촬영 도중 건강 이상을 느껴 검사를 받았고 [[간경화]]에 작은 종양이 발견된 것. 다행히 간암은 초기인 상태라 간 수치를 낮춘 후에 수술할 예정이라고 한다.
         || 2018 || SBS || 정글의 법칙 in 쿡아일랜드 || ||
  • 김희애 . . . . 8회 일치
         [include(틀:회원수정)]
         [include(틀:YG)]
         ||<table width=100%><table align=center><table bordercolor=#000000><-100><:>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C60C30 20%, #003478)"
         ||<#ffffff><:><-100>{{{#!folding [ 펼치기 · 접기 ]
         ||<table align=center><table width=100%><-5><tablebordercolor=#ff0000><#FF0000><:>{{{+1 [[문화방송|[[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5px-Munhwa_Broadcasting_Company.svg.png|width=60]]]] '''[[MBC 연기대상|{{{#ffffff 연기대상}}}]]''' {{{#ffffff '''대상'''}}}}}}||
         [Include(틀:-)]
         남편은 한글과컴퓨터 창업자로 유명한 [[이찬진]] 씨이다.[[http://enews24.interest.me/news/article.asp?nsID=358786|남편이 무슨 일을 하는지 아직도 모른다고 한다.]] 김희애의 형부가 이찬진의 서울대 선배였는데, 형부의 주선으로 만남을 가지게 되었다고 한다. 남편의 사업에는 전혀 관여하지 않는 모양. ~~[[성철|남편은 남편이오, 사업은 사업이로다]]~~
  • 라미란 . . . . 8회 일치
         [include(틀:상위 문서, top1=배우/한국)]
         [Include(틀:씨제스 엔터테인먼트 소속 아티스트)]
         [include(틀:언니쓰)]
         ||||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5/58/Ra_Mi-ran_in_2017.jpg/250px-Ra_Mi-ran_in_2017.jpg ||
         || '''SNS''' ||<(> [[https://www.facebook.com/cjesmiran|[[파일:페이스북 아이콘.png|width=24]]]] [[http://minihp.cyworld.com/pims/main/pims_main.asp?tid=21929639|[[파일:싸이월드_로고.png|width=24]]]] ||
         [[http://m.entertain.naver.com/read?oid=213&aid=0000827496|에릭남, 라미란 기습키스에 울상 “진짜 닿았어”]]
  • 라이징 스톰 . . . . 8회 일치
         Rising Storm. [[태평양 전쟁]]을 배경으로 한 FPS 게임. [[킬링 플로어]]를 제작했던 게임 제작사 [[트립와이어 인터랙티브]]가 제작 및 유통했다.
          * Machine Gunner
          * Engineer
          * Springfield M1903A1
          * M1 Carbine
          Frontline Soldier 등급을 넘은 일부 연합군 병과들이 권총 대신 사용할 수 있는 보조무기. 무기 레벨이 25까지 올라가면 개머리판 탄약 파우치가 해금된다. 그로 인해 얻는 이점이 뭔지는 해금한 사람이 추가 바람.
          96식경기관총. 주축군 Machine Gunner의 기본 주무기. 무기 레벨이 25까지 올라가면 총검이 해금된다.
          * Kwajalein
  • 로힝야 . . . . 8회 일치
         Rohingya
         국제분쟁 전문 연구기관인 국제위기그룹(ICG)은, 2016년 학살을 촉발한 무장괴한의 경찰 초소 습격 사건의 배후가 사우디아라비아로 망명한 로힝야 족의 지휘로 이루어졌다고 분석했다. 초소 습격 사건의 배후로 분석된 '하라카 알-야킨'(Harakah al-Yaqin, 믿음의 운동)을 조사하여 미얀마 내외에서 활동하는 단체 회원 6명과 인터뷰하여, 사우디아라비아 [[메카]]에 있는 로힝야 망명 위원회가 이 단체를 감독하고 있다는 결론을 내렸다는 것이다.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6/12/15/0200000000AKR20161215090000076.HTML (뉴스)]]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7/01/04/0200000000AKR20170104081300076.HTML (뉴스)]]
         attachment:RohingyaKurdi.jpg
         [[http://www.yonhapnews.co.kr/international/2017/01/04/0601070000AKR20170104131500076.HTML 뉴스]]
          *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6/12/19/0200000000AKR20161219047451076.HTML
          * http://www.hani.co.kr/arti/international/asiapacific/692631.html#csidx11ecd538041d359bcf0db26275b4c4f
  • 문문 . . . . 8회 일치
         [include(틀:다른 뜻1, other1=한자 '문 문', rd1=門)]
         [include(틀:회원수정)]
         |||| http://blogfiles.naver.net/MjAxNzEwMjZfOTkg/MDAxNTA4OTg1ODU5MDcx.5ukvzKSpLT78gHP9xQ3-Fq9m6pFUb9J34qQJugxRegUg.zD-BmgcHzZche71lav1e8-IOPGPFIi9UHbHOxdIo0_Yg.PNG.ju_a_shin/%B9%AE%B9%AE.PNG ||
         ||<:><#ace5ee> '''SNS''' ||<rowbgcolor=#ffffff><(> --[[https://www.facebook.com/moonmoon0|페이스북]]-- --[[https://www.instagram.com/mooon.moooon/|인스타그램]]--[* 화장실 몰카 사건이 밝혀진 이후 비난을 피하기 위해서인지 '''모든 SNS 계정을 폐쇄하였다.'''] ||
         [Include(틀:-)]
         [include(틀:사건사고)]
         비행운의 가사 중 '나는 자라 겨우 내가 되겠지'라는 부분이 김애란의 소설집 '비행운'의 '너는 자라 겨우 내가 되겠지'라는 부분과 비슷하다며 표절 시비가 붙었었다. 제목도 똑같은 데다, 노래의 분위기도 크게 다르지 않아 반박의 여지가 적다는 의견이 많다. 다만 가사 전체나 노래 자체가 표절된 것은 아니고 한 소절을 변형한지라 법적으로는 문제가 없고 [[오마주]]나 [[패러디]] 가능성도 있다.[* 실제로 소설이나 인문학계에서는 존경하는 이의 글에서 이름을 따온 뒤 구절이나 가장 마음에 들었던 부분의 단어 위치를 재배열하거나 변경함으로 존경을 표하기도 한다. 이 경우는 문장 구성은 같지만 주로 [[주어]]를 바꾼다. 하지만 존경의 의미로 인용했다면 허락을 구하는 건 당연한 자세다. 진정으로 존경해서 인용한 건지 의문.] [[http://entertain.naver.com/read?oid=001&aid=0009774327|인터뷰]]에서 위에 대한 질문이 나오자, 음원 발매 사전에 김애란 작가에게 허락을 받지 않은 상황이였고 문제가 된 후 김애란 작가에게 허락을 구했다고 답했다. 논란이 터지기 전엔 인스타로 악플러의 덧글을 캡쳐해서 저격했다가 논란이 되고나서야 삭제하고 사과문을 올렸다.
         '[[비행운(노래)|비행운]]'의 경우 [[아이유]]가 매체를 통해 소개하며 [[역주행#s-2.5|역주행]]하게 되었다. [[http://entertain.naver.com/read?oid=109&aid=0003529505|기사]]에 따르면 [[아이유]]가 들른 [[레스토랑]]에서 어느 [[웨이터]]가 자신이 만든 [[노래]]를 들어봐 달라는 [[메모]]를 남겨 들어 보았는데 그 [[웨이터]]가 바로 문문이었다고 한다.
         ||<rowbgcolor=white> 05 || 열기구 (feat Hizy, Boring) || 5분 18초 ||<-2> 문문, HIZY ||
         ||<rowbgcolor=white> [[파일:문문 미술관.jpg|width=100%]] || 미술관 || 2017.08.28 || '''미술관 (With 모은)'''[br] 미술관 (Inst.) ||
  • 박경림(MC) . . . . 8회 일치
         ||<table width=100%><table align=center><table bordercolor=#000000><-100><:>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C60C30 20%, #003478)"
         ||<#ffffff><:><-100>{{{#!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이름''' ||<(> 박경림(朴京林)[* [[http://china.ajunews.com/view/20120322000584]] ][* 2014년 2월 17일 MBC 라디오 [[두시의 데이트]]에서 서울 경(京)에 수풀 림(林)이라고 언급했다.] ||
         || '''출생''' ||<(> [[1979년]] [[3월 30일]][* 주민등록상 생년월일이다. 실제 생년월일은 1978년 12월 8일생이다. 라디오 DJ 하던 시절 본인이 어릴 때 약하게 태어나 출생신고가 늦게 되었다는 이야기를 종종 했었고, 2002년 말띠해, 2014년 말띠해 당시에 본인을 [[https://entertain.v.daum.net/v/20140102191109515|말띠라고 소개했다.]] 심지어 2001년 1월 9일 뉴논스톱에서 생일로 사주를 보는 에피소드가 있었는데 이때 극중 박경림 스스로가 언급한 자기 생일이 12월 8일이었다. 물론, 학교는 1979년생들과 다녔다.] ([age(1979-03-30)]세), [[전라북도]] [[순창군]] 적성면 (관평길) ||
         || '''SNS''' ||<(> [[http://cafe.daum.net/therose|팬카페]][br][[https://twitter.com/talkinpark|트위터]] ||
          * 2010년대 중반들어 각종 영화 제작발표회, 쇼케이스, 시사회의 MC를 자주 맡고 있다. [[신세계(영화)]], [[명량]], [[내부자들(영화)]], [[사도(영화)]], [[검사외전]], [[곡성(영화)]], [[아가씨(영화)]], [[1987(영화)]] 등 근래 화제작들을 싹쓸이하고 있는 수준. --원래 행사진행MC라면 당연히 갖춰야만 하는 소양임에도 다들 잘안하는-- 영화에 대한 사전 정보도 많이 공부해오고[* 영화 곡성 제작발표회에선 대본에 써있지도 않았던 감독의 전작 황해의 개봉일을 정확히 언급하는 등. 사전 준비가 철저하다고 [[http://extmovie.maxmovie.com/xe/index.php?_filter=search&mid=movietalk&search_target=title_content&search_keyword=%EB%B0%95%EA%B2%BD%EB%A6%BC&document_srl=10927091|#]]] 연예계에 인맥들도 많고 진행실력도 무난한 덕분에 업계 관계자들이 꽤 선호하는 듯 하며 [[네이버]] [[V앱]] 무비토크 진행을 맡고 있다.
  • 박경석(1933) . . . . 8회 일치
         1933년 [[연기군]] 조치원읍 본정(현 [[세종특별자치시]] [[조치원읍]] 원리 88번지)에서 출생 하였다. 이후 [[대전고등학교]] 31회로 졸업하고, 17세의 나이에 청운의 꿈을 꾸며, 첫 4년제 정규 [[육군사관학교]]에 진학했다. 이때 17세라는 나이로 인해 자격 미달이 되었지만, 같은 나이의 당시 권력자 [[원용덕]] 장군의 자제 원창희 씨의 육사 입교 압력이 육사 심사위원들에게 들어오자--완전 개꿀 금수저--, 형평성 문제로 덩달아 박경석 생도도 합격되었다. [[http://blog.daum.net/koreanmarinecorps/17321|국방일보 박정인 장군 회고록에서 발췌한 원창희, 박경석 생도 합격 비화]]
         입교 보름만에 [[6.25 전쟁]]이 발발하자, 박경석 생도를 포함한 생도 2기생들은 [[채병덕]] 당시 [[육군참모총장]]의 어이없는 명으로 윗 기수인 육사 10기생과 육사 생도대대로 편성되어 포천 방면으로 이동, 첫 전투를 치렀다. 졸업 및 임관이 머지않은 육사 10기와 달리 박경석 생도를 포함한 육사 11기는 입교한 지 보름째로 기껏 소총 영점을 맞추었을 뿐이라 실전에 투입될 처지가 아니었다.[* 육군본부 작전국장이었던 [[장창국]] 대령은 태평양 전쟁 시기 일본에서는 전쟁 수행인력이 부족하여, 교육중인 사관생도들을 교육 단축을 시켜 졸업, 임관을 시켜 전쟁에 내보내 전쟁임무 수행의 전례를 들어, 졸업, 임관이 얼마 남지 않는 육사 10기와 11기에 해당하는 생도 2기생들을 교육 중에 투입할 수 없다고 항변했지만 [[채병덕]]에게는 그런 말이 조언으로 들리지 않았다.] 그러나 이들은 채병덕 장군의 오판으로 전투에 투입되었고, 결국 애꿎은 생도 절반이 이 포천 전투에서 전사했다. 박경석 생도를 비롯한 생존자들은 끊어진 한강 다리를 구사일생으로 넘어 후퇴, 임시 수도인 대전 원동 국민학교에서 1기 선배인 육사 10기생들의 철모에 일명 반창고 소위 계급장을 붙여 주며 눈물의 소위 임관식을 치러 주었다.[[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93072900209105001&edtNo=40&printCount=1&publishDate=1993-07-29&officeId=00020&pageNo=5&printNo=22242&publishType=00010|육사 10기생의 눈물겨운 반창고 임관식과 비운의 육사 생도 2기생의 비화.동아일보1993년 軍 어제와 오늘 편]]
         1972년 10월, 육군본부 인사운영감실 대령과장으로 있던 박경석 대령에게 당시 실세 중에 실세 육군 수경사령관 [[윤필용]] 사령관의 참모장 [[손영길]] 대령이 찾아왔다. 육사 12, 13기 출신의 신참 대령들의 연대장 가용 청탁 쪽지였는데, 박경석 대령은 이 쪽지의 명단의 인물들을 대차게 거절했다. 그에 대한 대가는 참혹했다. 한달 뒤, 박경석 대령은 거의 확실시 되던 준장 진급에서, 진급에 한참 밀리던 윤필용 사령관의 직속인 김성배 대령 준장 진급자 명단이 바뀌었다. 그후 2번이나 연거푸 준장 진급 누락끝에 진급이 된 박경석 준장의 첫 보직은 [[6사단]] [[부사단장]] 겸 [[DMZ]] 내에서 발견된 땅꿀 특수개척팀장이었다.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93092300209105001&editNo=45&printCount=1&publishDate=1993-09-23&officeId=00020&pageNo=5&printNo=22296&publishType=00010|박경석 장군의 준장 진급 비화]][* 여기에서 잠깐 짚고 넘어가야 할 부분이 있다면 창군 및 초창기 한국군의 고질적인 병폐 중 하나였던 진급문제에 관해서다. 물론 후자에 기술하겠지만, 이 고질적인 진급문제가 [[5.16]]과 [[12.12]] 일어났던 원인이기도 했다. 창군과 한국전쟁으로 군은 양적 성장에 힘입어 장교들의 진급이 빠른편이었다. 소위 달고 몇개월 후에 대위, 소령 더구나 전쟁으로 인해 단숨에 영관급에서 장성으로 진급하는 일이 많았는데, 전쟁이 끝나자 이러한 초고속 진급은 멈춰졌으며, 특히나 [[군사영어학교]] 출신 70여명 대부분이 장성으로 진급했고, 육군참모총장, 합참의장 자리를 계속하여 번갈아 앉는 사태가 생겼다.--대표적인 인간들이 [[정일권]]과 [[백선엽]]이다. 이들은 대장 진급 후에 육군 참모총장과 합참의장 자리를 번갈아 2번씩 그 자리에 앉았다. 이러니 아래 후배 장교들의 불만과 원성이 쌓여갔으며, 특히나, [[육사 5기]]의 대령급과 [[육사 8기]]의 중령급에서 그 불만이 많았다.--특히나 이런 경향은 1970년대 이후 정규 육사 출신들과 단기 육사 및 비육사 출신간의 진급문제가 두드러졌다. 박경석 장군 같은 경우에도 1950넌에 소위 임관후 전쟁이 끝나자 대위로 있었는데. 1955년 갓 소위 임관한 정규 육사 11기생들이 1970년 후반 영관급 대 장성급으로 진급이 역전되었다. 이 같은 내용은 이등병에서 장군까지 지낸 [[최갑석]] 장군의 증언과 그의 회고록에도 잘 나타나고 있다.]
         [include(틀:문서 가져옴,title=박경석,version=11)]
  • 박승호 (야구인) . . . . 8회 일치
         [[삼성 라이온즈]]에서만 현역 생활을 하다가 은퇴한 박승호는 [[1993년]]부터 [[1999년]]까지 친정 팀에 계속 머무르며 타격코치로 일했다. 그는 5년 코치 생활을 하는 동안 [[1995년]] [[투수]]로 입단한 [[이승엽]]에게 타자로 전향할 것을 권유하기도 했는데 당시 [[백인천]] 감독, [[박흥식 (야구인)|박흥식]] 코치와 함께 그가 대형 타자로 성장하는 데에 도움을 주었다.<ref>[[매거진 t]] - 2008년 9월 기사 [http://www.magazinet.co.kr/Articles/article_view.php?mm=002004000&article_id=48717 "t MAP - 이승엽"]</ref>
         [[2000년 대한민국 프로 야구|2000 시즌]]부터 박승호는 [[SK 와이번스]]로 팀을 옮겨 4년간 타격코치로서의 일을 계속 이어 나갔고, [[2004년 대한민국 프로 야구|2004 시즌]]부터는 팀을 옮겨 [[KIA 타이거즈]] [[김성한 (1958년)|김성한]] 감독, [[서정환]] 수석코치의 지휘 아래 타격코치 생활을 했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7&oid=028&aid=0000027357 기아 김성한 감독 재계약 :: 네이버 뉴스<!-- 봇이 따온 제목 -->]</ref><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7&oid=001&aid=0000481897 <프로야구소식> 박관용 국회의장, KS 1차전 시구 :: 네이버 뉴스<!-- 봇이 따온 제목 -->]</ref><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7&oid=111&aid=0000009800 KIA, 서정환 2군감독 1군코치 임명 :: 네이버 뉴스<!-- 봇이 따온 제목 -->]</ref><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7&oid=109&aid=0000009720 최하위 기아 코칭스태프 개편 :: 네이버 뉴스<!-- 봇이 따온 제목 -->]</ref> [[2006년 대한민국 프로 야구|2006 시즌]]이 시작되기 전에는 [[KIA 타이거즈]] 코칭 스태프 개편을 통해 [[서정환]]이 감독으로, 박승호가 수석 코치로 승격되었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7&oid=001&aid=0001190864 <프로야구소식> KIA, 코칭스태프 보직 확정 :: 네이버 뉴스<!-- 봇이 따온 제목 -->]</ref> [[2007년 대한민국 프로 야구|2007 시즌]] 전반기에는 팀 성적이 최하위에 머물면서 6월에 대대적인 코칭 스태프 개편이 있었고, 수석 코치로 있었던 박승호는 2군 감독으로 보직이 이동되었다.<ref>[[마이 데일리]] - 2007년 6월 기사 [http://www.mydaily.co.kr/news/read.html?newsid=200706181438192229 "KIA, 조범현 전 SK 감독 영입 등 코칭 스태프 개편"]</ref><ref>[[한겨레]] - 2007년 6월 기사 [http://www.hani.co.kr/arti/sports/baseball/216991.html "기아 1·2군 코치진 맞교체… “분위기 쇄신” 효과 관심"]</ref> 2007 시즌이 끝날 때까지 끝내 최하위에서 벗어나지 못한 [[KIA 타이거즈]]는 시즌 후 [[서정환]] 감독을 경질하였고, [[2007년]] 시즌 중 배터리 코치로 영입했다가 새로 선임한 [[조범현]] 감독이 코칭 스태프를 새로 구성하면서 그는 구단과 재계약하지 못했다.<ref>[[스포츠 칸]] - 2007년 10월 기사 [http://sports.khan.co.kr/news/sk_index.html?cat=view&art_id=200710212230173&sec_id=510201 "조범현 감독 KIA 코치진 물갈이"]</ref> 하지만 그가 키워냈던 [[이용규]]는 국가대표 외야수로 우뚝섰다.
         프로 야구계를 떠나 [[2008년]] 그는 [[공주고등학교]] 야구부 감독으로 부임하여 지도자 생활을 했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89&aid=0000137047 공주고 야구 감독 경질 논란 :: 네이버 뉴스<!-- 봇이 따온 제목 -->]</ref><ref>[[한국일보]] - 2008년 8월 기사 [http://news.hankooki.com/lpage/sports/200808/h2008080802505591830.htm "북일 · 대전, 어깨가 든든"]</ref><ref>[[엑스포츠 뉴스]] - 2009년 8월 기사 [http://www.xportsnews.com/tabid/92/EntryID/103120/language/ko-KR/Default.aspx "봉황대기 고교 야구 - 안승민의 공주고, 8강행 확정"]</ref>
  • 브라우닝 하이파워 . . . . 8회 일치
         Browning Hi Power. 미국의 총기 제작사 [[브라우닝]]이 생산하는 [[자동권총]].
         [[http://www.browning.com/products/firearms/pistols/hi-power-pistols.html|브라우닝사의 하이파워 소개 페이지(영어)]]
         [[http://www.browning.com/content/dam/browning/support/owners-manuals/2016/12-BFA-323_HiPower%20OM_WEB.pdf|브라우닝 하이파워 매뉴얼 Pdf(영어)]]
         [[http://www.browning.com/content/dam/browning/support/print-catalogs/2016/2016-browning-catalog-firearms.pdf|브라우닝사의 2016년 카탈로그 Pdf(영어)]]
  • 서귀포시 . . . . 8회 일치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0/09/Squid_Boats_in_the_Harbor.jpg/270px-Squid_Boats_in_the_Harbor.jpg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f/f4/Seogwiposine-map.png/400px-Seogwiposine-map.png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a/a8/Jungmun_Daepo_Columnar_Joints_with_waves_crashing.jpg/220px-Jungmun_Daepo_Columnar_Joints_with_waves_crashing.jpg
  • 서신애 . . . . 8회 일치
         [include(틀:상위 문서, top1=배우/한국)]
         ||<#E2A6B4> {{{#ffffff '''이름'''}}} ||<(> 서신애(徐信愛, Seo Shin-ae) ||
         ||<#E2A6B4> {{{#ffffff '''외부 링크'''}}} ||<(> [[http://motionmedia.kr/html/artist_profile.php?idx=16&go=1#artist_detail/|공식]] [[https://www.instagram.com/seoshinae/|[[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png|width=24]]]] ||
          * [[Apink|에이핑크]]와 인연이 있다. [[박초롱]]의 경우 2013년쯤에 [[한국국제협력단|코이카]] 봉사를 같이 다녀왔고, [[김남주(Apink)|김남주]][* 첨언하자면 [[김남주(Apink)|김남주]] 역시 아역배우 출신이다. 연예계에 있어서도 서신애의 3년 선배며, 2001년 [[LG전자]] CF로 데뷔했다.]의 경우는 [[성균관대학교]] 선후배 사이다. 재미있는 게 [[지붕뚫고 하이킥]]에서 상대 역할로 나왔던 [[진지희]]는 [[걸스데이]]와 인연이 있다는 데 있다.[* (지금은 드림티가 탈예당했지만) 한때 같은 웰메이드예당 소속이었고, [[혜리]]의 경우 [[진지희]]와 함께 선암여고 탐정단에 출연했다.]
          * 제22회 부산국제영화제(BIFF)' 개막식 레드카펫 행사에서 파격적인 노출 드레스를 입고 나와 화제가 되었다.^^[[http://entertain.naver.com/read?oid=109&aid=0003636390|관련 기사]]^^
  • 손지현(배우) . . . . 8회 일치
         [include(틀:아티스트컴퍼니 소속 아티스트)]
         [include(틀:포미닛 멤버)]
         ||<#7C43B1><:>{{{#FFFFFF '''SNS'''}}}||[[http://minihp.cyworld.com/pims/main/pims_main.asp?tid=48567097|[[파일:싸이월드_로고.png|width=32]]]] [[https://twitter.com/4m_namjiji0109|[[파일:트위터 아이콘.png|width=32]]]] [[https://www.instagram.com/jihyunilovee/|[[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png|width=32]]]] ||
         2017년 12월 어머니의 성인 손씨를 따라 [[http://entertain.naver.com/read?oid=109&aid=0003687740|손지현이라는 예명을 쓰기로 했다.]] 법적으로 이름을 바꿀 수 있는 것이지(개명) 성을 바꿀 수 있는 것은 아니므로(성도 바꾸려면 바꿀 수 있는데 절차가 매우 복잡하다.) 본명은 남지현, 활동명을 손지현으로 보는 것이 정확하며 본인도 [[대군 - 사랑을 그리다|대군]] 종영 후 인터뷰에서 [[http://www.newsen.com/news_view.php?uid=201805140943490310|모친의 성씨를 갖고 와서 예명으로 쓰는 게 맞다고 언급했다]].[* 성씨를 바꿔서 예명을 쓰는 케이스는 아니지만, 배우 [[조진웅]]은 아버지의 성함을 활동명으로 쓰고 있다.] 걸그룹 활동과 배우 활동을 병행하던 시절과 달리, 전업 배우의 길을 걷는데 [[http://entertain.naver.com/read?oid=143&aid=0002014258|예전에 관련 기사가 나온 것도 있고 그런지]] 5세 아래의 동명이인인 [[남지현]]의 존재가 활동명을 바꾼 것에 영향을 미친 것이 아닌가 추측된다.
  • 송호창 (1967년) . . . . 8회 일치
          | 웹사이트 = [http://www.hochang21.com/ 공식 사이트] <br /> [https://www.twitter.com/HOwindow 공식 트위터] <br /> [http://blog.naver.com/shochang 공식 블로그]
         '''송호창'''(宋皓彰, [[1967년]] [[2월 14일]] ~ )은 대한민국의 제19대 국회의원이자 인권 변호사이다.<ref>[http://www.pressian.com/article/article.asp?article_num=20120228110317 민주당, 송호창·이학영·백혜련 전략공천] 프레시안 2012-02-28</ref> 2008년 미국산 쇠고기 촛불집회 당시 TV토론에 출연해 촛불 정국으로 대변되는 촛불민심을 지지하여, '촛불 변호사' 로 활약했다.<ref>[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1720662 '촛불 변호사' 송호창, 안상수 16년 아성 '탈환'] 오마이뉴스 2012.04.12</ref> [[민주사회를 위한 변호사모임]] 사무차장, 그리고 2011년 서울시장 보궐 선거 후보로 나선 [[박원순]]의 대변인으로 활동했다.<ref>[http://www.media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100165 ‘박원순 대변인’ 송호창, ‘보온병’ 안상수에 도전장] 미디어오늘 2012-02-06</ref> [[대한민국 제19대 국회의원 선거|제19대 총선]]에서 [[민주통합당]] 후보로 의왕·과천에 출마해서 당선되었다.<ref>[http://info.nec.go.kr/main/showDocument.xhtml?electionId=0020120411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선거통계시스템]{{깨진 링크|url=http://info.nec.go.kr/main/showDocument.xhtml?electionId=0020120411 }}</ref>
         [[민주통합당]]을 탈당하고 [[안철수]] 후보 캠프에 합류하였다.<ref>[http://www.yonhapnews.co.kr/politics/2012/10/09/0502000000AKR20121009183100001.HTML?template=2087 송호창 安캠프행..안철수발 '빅뱅' 시작되나] 연합뉴스 2012-10-09</ref> 2015년 12월 13일 안철수가 [[새정치민주연합]]을 탈당하였지만 자신은 탈당하지 않겠다고 했다.<ref>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5/12/15/0200000000AKR20151215192800001.HTML?input=1195m</ref>
         * [https://www.twitter.com/HOwindow 송호창 트위터]
  • 신동미 . . . . 8회 일치
          | 사진 =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2/22/IFFR2015_-_d8_-_Shin_Dong-Mi-1.jpg/250px-IFFR2015_-_d8_-_Shin_Dong-Mi-1.jpg
          | 웹사이트 = [http://starhaus.co.kr/?pi_portfolio=shin-dong-mi 스타하우스엔터테인먼트 신동미]<br>{{인스타그램|dongmi_shin}}<br>{{싸이월드|22813013|신동미}}
         | url = https://entertain.naver.com/read?oid=108&aid=0000000160
         동료 배우 허규와 [[뮤지컬]]에 함께 출연하면서 [[친구]]로 지내다 연인으로 발전하여 2014년 12월 결혼했다. 허규는 노래 《''''사랑과 우정 사이''''》로 잘 알려진 음악그룹 피노키오 3집 [[보컬]]로 데뷔했으며, 뮤지컬 배우로 활동중이다.<ref>{{뉴스 인용 | url=http://entertain.naver.com/read?oid=421&aid=0001828889 | 제목=[TV까기]‘불후의 명곡’ 신동미♥허규, 이 부부가 사랑하는 법 | 저자=허초현 | 뉴스=뉴스1 | 날짜=2016-01-10 | 확인날짜= | 보존url=https://archive.today/20160808144521/http://entertain.naver.com/read?oid=421&aid=0001828889 | 보존날짜=2016-08-08 | 깨진링크=아니오 }}</ref><ref>{{뉴스 인용 | url=http://daily.hankooki.com/lpage/entv/201601/dh20160118212244139020.htm | 제목=신동미의 꽃미남 가수 남편 알고보니 "이 사람이었다고?" 충격 | 저자=이슈팀 | 뉴스=데일리한국 | 출판사=한국일보 | 날짜=2016-01-18 | 확인날짜= | 보존url=https://archive.today/20160808144558/http://daily.hankooki.com/lpage/entv/201601/dh20160118212244139020.htm | 보존날짜=2016-08-08 | 깨진링크=아니오 }}</ref>
         * {{인스타그램|dongmi_shin}}
  • 울펜슈타인 : 뉴오더 . . . . 8회 일치
         Wolfenstein: The New Order. 머신게임즈가 제작하고 베데스다소프트웍스가 발매한 FPS 게임.
          * 캐롤라인 베커(Caroline Becker)
          * 한스 빙클(Hans Winkle)
          적을 은밀하게 처리할 수 있는 단검. Knife Throwing 퍽이 있으면 남는 단검을 던질수도 있다. 나무상자를 부수는데도 사용된다.
          * Knife Throwing
          * Assassin
          * 스페이스 마린(Space Marine)
         [[http://neworder.wolfenstein.com/en-gb/|울펜슈타인 : 뉴오더 홈페이지(영어)]]
  • 유동근(배우) . . . . 8회 일치
         [Include(틀:이매진아시아 소속 아티스트)]
         ||<table width=100%><table align=center><table bordercolor=#000000><-100><:>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C60C30 20%, #003478)"
         ||<#ffffff><-1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http://post.phinf.naver.net/20151009_269/hanwooooool_1444375209479jy4x9_JPEG/mug_obj_144437520696125213.jpg ||
         '''사극지왕(史劇之王)'''[* 그전까지는 왕 전문배우라고 불렸었다. 알음알음 전파되어 이제는 어느 정도 대중성을 갖게된 이 별명은 대략 [[https://entertain.naver.com/read?oid=117&aid=0000071770|2006년 부터]] [[https://entertain.naver.com/read?oid=076&aid=0000047748|최수종]]과 함께 양분하면서 얻은 유서깊은 찬사다.][* [[ https://entertain.naver.com/read?oid=119&aid=0000035683|언론들의 기사]]를 보면 90년대 유동근의 사극지왕의 후계자 자리를 00년대에 최수종이 훌륭하게 인수인계 받은 걸로 평가 받는 듯.]
  • 유인촌 . . . . 8회 일치
         ||<table width=100%><table align=center><table bordercolor=#000000><-100><:>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C60C30 20%, #003478)"
         ||<#ffffff><-1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ko/thumb/a/a5/Youinchon2010.jpg/250px-Youinchon2010.jpg ||
         [[2017년]] [[가을]], [[이명박 정부의 방송장악 블랙리스트]]의 작성이나 실행에 관여했다는 의혹이 나와서 또다시 [[논란]]이 되고 있다.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3&oid=437&aid=0000164108|기사]]. 일단 본인은 아니라고 부인하고 있지만...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421&aid=0002965355|기사]].
  • 의성군 . . . . 8회 일치
         [include(틀:회원수정)]
         [include(틀:상위 문서, top1=경상북도)]
         [include(틀:프로젝트 문서,프로젝트=나무위키 대경권 프로젝트)]
         [include(틀:경상북도의 기초자치단체)]
         [include(틀:의성군의 읍면)]
         ||<-3><bgcolor=#FFFFFF>[include(틀:지도, 장소=의성군,너비=100%)] ||
         2016년 ‘중앙 이코노미스트’가 이상호 한국고용정보원 부연구위원과 국내 252개 기초단체의 인구 현황(2015년)을 분석한 결과 노인 인구 100명 당 20~30대 여성 인구 17명으로 30년 뒤 사라질 가능성이 가장 큰 지역으로 선정되었다. [[http://news.joins.com/article/19968138|# 젊은 여성 없는 의성·고흥·군위…30년 뒤 내 고향 사라진다]]. 참고로 [[고흥군]], [[군위군]]이 뒤를 이었다. 또한 2015년 인구총조사에 의하면 한국에서 평균연령이 가장 높은 기초자치단체이기도 하다. 평균연령 55.3세, 중위연령 59.2세.
         스포츠와는 거리가 있는 조그마한 도시지만 국내 [[동계 올림픽]]의 인기 종목으로 급부상한 '''[[컬링]]'''의 메카가 바로 의성이다. 최근엔 '''컬링 수도'''라는 호칭이 자리 잡았다.[[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56&aid=0010547165|#]]
  • 이덕건 . . . . 8회 일치
         | url =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3&aid=0002457236
         * [[1995년]], KBS 1TV [[인간극장 (드라마)|인간극장]] 6화 '마이더스의 손' 촬영 당시 출연진에 속했던 탤런트의 매니저로부터 술자리 향응을 제공받아 1월 28일 배임수재 혐의로 구속되었으며<ref>{{뉴스 인용|url=http://news.joins.com/article/3009220|제목=PD 2명 구속-KBS소속 매니저 2명도 함께|저자=김기평|날짜=1995-01-29|출판사=중앙일보|쪽=|확인날짜=2015-12-26}}</ref> <ref>{{뉴스 인용
         | url =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95012900329123004&editNo=20&printCount=1&publishDate=1995-01-29&officeId=00032&pageNo=23&printNo=15326&publishType=00010
         * 연출했던 KBS 1TV [[인간극장 (드라마)|인간극장]] 6화 <마이더스의 손>의 기획자는 김재현, 조연출자는 어수선이었으며 [[선우재덕]], [[김명수 (배우)|김명수]], [[이응경]], [[선우은숙]], [[손종범]]이 출연하였다. 기획자 김재현 역시배임수재 혐의로 구속된 전과가 있었다.<ref>{{뉴스 인용|url=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95021000329123010&editNo=20&publishDate=1995-02-10&officeId=00032&pageNo=23&printNo=15336&publishType=00010&from=news|제목=이사급PD 1명 구속|저자=박래용|날짜=1995-02-10|출판사=경향신문|쪽=|확인날짜=2016-02-03}}</ref>
         *결국 1997년 7월 12일부터 10월 5일까지 9시에 방영된 KBS 2TV [[전설의 고향]] 16화 '걸귀'(8월 31일)와 26화 '초야'(10월 5일, 마지막회)로 복귀하였는데 SBS <[[이웃집 여자]]><ref>{{뉴스 인용|url=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hm&sid1=103&oid=001&aid=0004242490|제목=SBS 주말극 야외 오픈세트 공개|저자=서한기|날짜=1997-06-17|출판사=연합뉴스|쪽=|확인날짜=2016-02-03}}</ref>와 경쟁한 바 있다.
  • 이명주 (축구선수) . . . . 8회 일치
         이후로도 [[6월 27일]] [[울산 현대 축구단|울산]]전과 [[7월 1일]] [[수원 삼성 블루윙즈|수원]]전에서 1도움씩을 기록했고 팀의 [[FA컵 2012]] 우승에도 일조했지만 7월 1일 이후로 공격 포인트가 없어 "출장 수로만 신인왕 후보"이라는 비아냥을 받다가 10월 28일 [[경남 FC]]와의 원정 경기에서 후반 38분 중거리슛으로 골을 기록했고 신인 선수로는 처음으로 K리그 주간 베스트 11 MVP에 올랐다. 이 경기 이후 11월 17일 [[전북 현대 모터스|전북]]전 1골, 11월 25일 [[경남 FC|경남]]전 1골 1도움, 11월 29일 [[FC 서울|서울]]전 2도움, 12월 2일 [[수원 삼성 블루윙즈|수원]]전 1골을 터뜨리며 신인왕 후보로 거론된 선수들 중 가장 많은 5골 6도움 11개의 공격 포인트를 쌓았다. 이명주는 [[12월 3일]] K리그 대상 시상식에서 [[광주 FC]]의 [[이한샘]], [[전남 드래곤즈]]의 [[박선용]]을 압도적인 표 차이로 제치고 [[K리그 영플레이어상|신인 선수상]]을 받았다.<ref>{{뉴스 인용 |제목=(K리그 대상) ‘신인왕’ 이명주 “포항의 축구스타일, 나랑 잘 맞았다” |url=http://sports.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k_league&ctg=news&mod=read&office_id=109&article_id=0002452360 |출판사=OSEN |date={{날짜한글화|2012-12-03}} }}</ref>
         [[K리그 클래식 2014|2014 시즌]] 2라운드 [[부산 아이파크|부산]]과의 경기에서 시즌 첫 골을 기록하였으며, 이부터 12라운드 [[전남 드래곤즈|전남]]과의 경기에서 1골 2도움을 기록할 때까지 총 10경기 연속 공격 포인트(5골 9도움)를 기록하며 리그 신기록의 위업을 달성하였다.<ref>{{뉴스 인용 |제목='이명주 1골 2도움' 포항, 전남 3-1 꺾고 선두 질주 |url=http://sports.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soccer&ctg=news&mod=read&office_id=109&article_id=0002776580 |출판사=OSEN |date={{날짜한글화|2014-05-10}} }}</ref>
         [[2014년]] [[6월 9일]], 포항은 기자회견을 통해 이명주의 [[알아인 FC|알아인]] 이적을 발표하였다. 이적료는 공개되지 않았지만 언론은 그의 이적료와 연봉을 합쳐 총 95억 원 정도 규모로 추정하고 있다. 등번호는 포항에서의 번호인 29번을 선택했다.<ref>{{뉴스 인용 |제목='총액 95억원' 이명주 알아인 이적, K리그 이적사 다시 썼다 |url=http://sports.chosun.com/news/ntype.htm?id=201406100100083460005726&servicedate=20140609 |출판사=스포츠조선 |date={{날짜한글화|2014-06-9}} }}</ref> 7월 '알아인 인터내셔널 친선대회'에서 두 경기 연속 어시스트를 기록하며 팀의 우승에 기여하였다. 또한 9월 30일 열린 [[AFC 챔피언스리그 2014|AFC 챔피언스리그]] 4강 2차전에 [[알힐랄 (리야드)|알힐랄]]과의 경기에서 전반 10분 선제골을 기록하며 팀의 승리를 이끌었으나, 1, 2차전 합계 2:4로 결승 진출에는 실패하였다.<ref>{{뉴스 인용 |제목=(ACL) ‘이명주 선제골’ 불구 알아인 결승 좌절 |url=http://sports.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k_league&ctg=news&mod=read&office_id=413&article_id=0000011083 |출판사=인터풋볼 |date={{날짜한글화|2014-10-1}} }}</ref> 한편 정규리그에서는 12월에 열린 10, 11라운드에서 두 경기 연속 어시스트를 기록하였으며, 13라운드 [[샤르자 스포츠 클럽|샤르자]]와의 경기에서는 정규리그 첫 골을 성공시켰다. [[2015년 AFC 아시안컵|아시안컵]] 이후 복귀한 14라운드 [[알샤바브 (두바이)|알샤바브]]와의 경기에서도 골을 기록하였다. 이후 주전으로 활약하며 [[알아인 FC|알아인]]의 [[UAE 아라비안 걸프 리그]] 2014-15시즌 우승에 크게 기여하였다.
         [[2013년]] [[6월 11일]] [[서울월드컵경기장]]에서 열린 [[우즈베키스탄 축구 국가대표팀|우즈베키스탄]]과의 [[2014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최종 예선]] 경기에서 선발 출장하며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국가대표팀]] 데뷔전을 가졌다. 데뷔전에서 MOM(Man Of the Match)에 선정되었다.<ref>{{뉴스 인용 |제목='겁없는 데뷔전' 이명주, 대담한 활약 눈부셨다|url=http://sports.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a_match&ctg=news&mod=read&office_id=111&article_id=0000336377 |출판사=조이뉴스24 |date={{날짜한글화|2013-06-11}} }}</ref>
         [[홍명보]] 감독 하의 대표팀에서도 초반 꾸준히 승선했으나 [[2014년 FIFA 월드컵]] 최종 명단에는 탈락하였다. [[2014년]] [[9월 5일]] [[부천종합운동장]]에서 열린 [[베네수엘라 축구 국가대표팀|베네수엘라]]와의 친선경기에서 선발 출장하여 0-1로 뒤지고 있던 전반 33분 각도가 없는 상황에서 감아차기를 시도하여 A매치 데뷔골을 터뜨렸다. 이어 후반 17분 상대 진영에서 수비의 공을 가로채 곧바로 크로스를 올려 이동국의 쐐기골에 기여를 했다.<ref>{{뉴스 인용 |제목=이명주, 우리가 바라던 공격형 MF 모습 보였다 |url=http://sports.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soccer&ctg=news&mod=read&office_id=343&article_id=0000041020 |출판사=베스트일레븐 |date={{날짜한글화|2014-09-05}} }}</ref>
         2014년 12월 22일 발표된 [[2015년 AFC 아시안컵|2015 AFC 아시안컵]] 최종 명단에 포함되었다.<ref>{{뉴스 인용 |제목 = 이정협 깜짝 발탁…슈틸리케호 아시안컵 명단 확정 |url =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4/12/22/0200000000AKR20141222048300007.HTML?input=1195m |출판사 = 연합뉴스 |저자 = 김동찬, 장재은 |날짜 = 2014-12-22 }}</ref>이후 인연이 없다가 2017년 5월 22일 재승선 되었다
         |제목= [[:파일:포항 스틸러스 로고.png|프레임없음|15x15픽셀|link=포항 스틸러스]] [[포항 스틸러스|<span style="color:RED;">포항 스틸러스</span>]]
  • 이준(배우) . . . . 8회 일치
         [include(틀:다른 뜻1, other1=과거에 동명의 예명을 사용한 1984년생 남자배우, rd1=이인(배우))]
         [include(틀:프레인TPC 소속 아티스트)]
         ||<#878787> '''{{{#EEE156 링크}}}''' ||<(> [[http://cafe.daum.net/leejoon.fancafe/_rec|[[파일:다음 카페.png|width=24]]]] [[https://www.instagram.com/leechangsun27|[[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png|width=24]]]] ||
         돈을 많이 벌면 기부하고 싶다고 했던 말을 실천하듯, 아이돌계 최강 짠돌이라고 알려진 이준이 아이돌 중 최초로 세월호 기부를 해 많은 칭찬을 받았다.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6&oid=382&aid=0000203857|기부 기사에 댓글이 만 개 가까이 달리기도 했다. 놀랍게도 거의 다 선플.]] 그것도 소속사에 알리지 않고 혼자 본명으로 몰래 했다가 기부처 측 확인 절차 중에 알려진 거라고.. ~~왠지 기부도 이준답게 한다~~
         [[디스패치]]가 [[http://gall.dcinside.com/list.php?id=baseball_new1&no=3540943|털지 못한 연예인]]이기도 하다. 아무리 따라다녔지만 라디오스타에서 밝힌대로 정말 김밥천국에서 김치볶음밥만 먹고 나오는 것만 포착했다고. ~~돈 안쓴다더니 사실이었구나?~~ 후에 한 번 더 따라 붙었지만 새우 튀김을 먹고 길거리에서 턴하는 모습만 찍혀 끝판왕 다운 면모를 보였다. [[디스패치]]에서 열애설 특종이 나올 때 마다 그의 김치볶음밥 썰은 전설처럼 다시금 언급된다. 그만큼 화제의 인물로 올랐으나 2018년 1월 1일 새해 첫 날, 해당지에서 [[아버지가 이상해]]에서 연인으로 호흡을 맞췄던 [[정소민]]과 열애 중이라는 기사가 나왔다. [[http://www.dispatch.co.kr/1057864|관련 기사]] 그리고 얼마 지나지 않아 두 사람의 소속사에서 열애를 공식적으로 인정하였다.
         2017년 10월 24일 8사단 신병교육대에 입소했다. [[http://entertain.naver.com/read?oid=109&aid=0003645212&gid=999339&cid=1073307|관련기사]]
         2018년 1월 1일, 새해 첫날 배우 [[정소민]]과 공개 연애를 선언했다.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6&oid=144&aid=0000530697|#]]
         2018년 2월 12일, 난데없이 군에서 [[자살]]을 시도하는 바람에 [[그린캠프]]로 보내졌다는 보도가 나왔다.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81&aid=0002892694|#]] 하지만 이 기사가 나온 후 소속사는 자살 시도는 물론 [[그린캠프]]로 간 것 모두 사실 무근이라고 밝혔으며, 신병위로휴가 당시 연인이었던 정소민씨와의 오붓한 데이트 등의 모습이 나오며 팬들을 안심시킨 한편, 오보를 접한 가족들은 정신적 충격에 빠졌다고 한다. 2018년 3월 23일 부로 공황장애를 이유로 현부심을 받아서 현역에서 [[사회복무요원]](보충역)으로 전환하여 잔여 기간 동안 복무한다는 보도기사가 나왔다.
  • 이현우(배우) . . . . 8회 일치
         [Include(틀:상위 문서, top1=배우/한국)]
         [Include(틀:콘텐츠와이 소속 아티스트)]
         ||<#6495ED><:> {{{#ffffff '''링크'''}}} ||<(> [[http://www.keyeast.co.kr/index/artist/profile.asp?art_idx=10|공식사이트]] [[https://twitter.com/hihyunwoo|[[파일:트위터 아이콘.png|width=24]]]] [[http://minihp.cyworld.com/pims/main/pims_main.asp?tid=52423390|[[파일:싸이월드_로고.png|width=24]]]] [[http://i.instagram.com/hihyunwoo/|[[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png|width=24]]]] ||
          * 2018년 2월 19일 [[1사단]] [[전진부대]] [[신병교육대]] [[입대]] 후 3월 29일 [[1사단]] [[대한민국 육군/수색대#s-3.1|수색대대]] 로 전입하였다. [[http://www.news2day.co.kr/101839|기사]] [[2019년]] [[11월 14일]] 전역할 예정이다.[[http://m.entertain.naver.com/read?oid=057&aid=0001221852|#]]
         || 2014년 1월 9일~2014년 1월 16일 || QTV || Real Mate in 사이판, 이현우&박지빈 || || 2부작 ||
         || 무림학교 OST Part.3 || One Thing || ||
  • 전예용 . . . . 8회 일치
         |url=http://people.empas.com/people/info/11/60/11600-joins/
         |url=http://www.donga.com/docs/magazine/shin/2008/06/10/200806100500001/200806100500001_1.html
          |url = http://www.donga.com/inmul/minister/gov1_list.php?lgubun=3&sgubun=1
          |보존url = https://web.archive.org/web/20070809094412/http://www.donga.com/inmul/minister/gov1_list.php?lgubun=3&sgubun=1
  • 정기고 . . . . 8회 일치
         '''정기고'''(Junggigo, {{본명|'''고정기'''}}, [[1980년]] [[9월 5일]] ~ )는 대한민국의 가수이다. 큐빅 (Cubic)이라는 예명으로 활동을 시작한 정기고는 2002년 [[넋업샨]]의 제의로 [[아이에프]]의 "Respect You (Urban Night Mix)"에 참여하면서 본격적으로 뮤지션으로서의 행보를 시작하게 된다.<ref name="interview">[http://news.sportsseoul.com/read/entertain/994151.htm 피처링으로 경력 다진 정기고 "이제 제 이름 알려야죠"], 《스포츠서울》, 2011년 12월 18일</ref> 그 후에도 [[데프콘]], [[재지 아이비]] 등 여러 힙합 뮤지션의 곡에 피쳐링으로 참여하며 명성을 쌓아가던 정기고는 2005년 재지 아이비와 2인조 힙합 그룹인 서울스타 (Seoulstar)를 결성하고 1장의 싱글을 발매했으나 그 후에 서울스타로서의 활동을 이어 나가지는 않았다. 2006년 [[더 콰이엇]]의 "그 남자 그 여자"에 참여하며 정기고 (Junggigo)라는 예명을 큐빅과 함께 사용하기 시작했다.<ref name="interview"/> 정기고는 그 후에도 [[이루펀트]], [[에픽하이]], [[매드 클라운]], [[도끼 (가수)|도끼]] 등과 작업을 지속하며 보컬 피쳐링 아티스트로 실력을 인정받게 된다. 2008년에는 자신의 이름을 내건 첫 싱글 "Byebyebye"를 발표했고, 2012년까지 총 5장의 싱글 음반을 발매했다. 2011년에 발매한 "Waterfalls"는 영화 《[[오싹한 연애]]》의 공식 티져 영상에 삽입되어 화제를 모았다.<ref>[http://www.newstown.co.kr/?m=newstown&bid=bd&cat=bdj&uid=108452 정기고, 영화 오싹한 연애 OST 'WATERFALLS' 발매], 《서울타운》, 2011년 12월 2일</ref> 2013년 12월에는 [[스타쉽 엔터테인먼트]]와 전속계약을 체결하였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6&oid=396&aid=0000147433 "정기고, 매드클라운 이어 씨스타와 한솥밥 “숨은 보석”" 《스포츠월드》, 2013년 12월 4일]</ref> 그 후 2014년 2월 7일, [[씨스타]]의 [[소유 (가수)|소유]]와 "썸"이라는 곡으로 콜라보레이션을 시도했다. "썸"은 공개 즉시 8대 음원 사이트에서 1위를 차지하며 대중들에게 많은 사랑을 받았다.
         * 2011년 - ''Blind''
         * 2012년 - ''pathfinder''
         * 2012년 제9회 《[[한국대중음악상]]》 노래부문 최우수 알앤비&소울상 〈Blind〉
         * 2013년 제3회 《[[리드머#리드머 어워드|리드머 어워드]]》 올해의 알앤비/소울 앨범상 〈Pathfinder〉
  • 정링컨 . . . . 8회 일치
          | 본명 = 링컨 폴 램버트<br/>Lincoln Paul Lambert
          | 웹사이트 = [http://cafe.daum.net/Lincoln1001 공식 웹 카페] <br/>{{인스타그램|lincoln1001}} <br/> {{트위터|Angel_Lincoln}}
         '''정링컨'''({{본명|링컨 폴 램버트}} - <small>(Lincoln Paul Lambert)</small>, [[2007년]] [[10월 1일]] ~ )은 [[미국 시민권]]의 아버지와 [[대한민국]] [[국적]]의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난 [[미국]]계와 한국계 [[혼혈|혼혈인]] 아역 [[연기자]]이다.
         * [http://cafe.daum.net/Lincoln1001 공식 팬 카페]
         * {{인스타그램|lincoln1001}}
         * {{트위터|Angel_Lincoln}}
  • 조긍하 . . . . 8회 일치
         [[대구광역시|경상북도 대구]] 출신으로 대구에서 중등교육을 마치고 일본으로 건너가 [[일본]] [[구니타치 음악대학|도쿄 제국음악학교]] 성악학과를 졸업하였다<ref>[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548383&mobile&categoryId=1639 조긍하 - 네이버 지식백과]</ref>. 그 후 [[테너]] [[성악가]]와 [[피아노 연주자]]로 활동하다가 은퇴하고 [[사진가|사진]] 촬영과 [[영화]] 분야로 전향하였다. 사진작가의 관록으로 조감독 수련을 거치지 않고 바로 감독이 되었는데, [[1952년]]에 《베일부인》을 감독한 것을 시작으로 《황진이》([[1956년]]), 《곰》, 《육체의 길》([[1959년]]), 《인간만세》, 《과부》([[1960년]])등의 영화를 감독하였고, 시나리오도 직접 집필해왔다. 또한, 1960년대 말에는 《상해임시정부》, 《인천상륙작전》 등 애국지사들의 일대기를 내용으로 한 작품들을 만들었다<ref>[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82013000329212001&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82-01-30&officeId=00032&pageNo=12&printNo=11181&publishType=00020 故(고) 趙肯夏(조긍하)감독의 人間(인간)과 作品(작품)세계 고지식하면서도 유머풍부 - 1982년 1월 30일 경향신문]</ref>.
         [[1982년]] [[1월 28일]]에 심장마비로 사망했다<ref>[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82012800209207008&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82-01-28&officeId=00020&pageNo=7&printNo=18559&publishType=00020 영화감독 趙肯夏(조긍하)씨 - 1982년 1월 28일 동아일보]</ref>.
         * 아들인 [[조동진]]과 [[조동익]], 그리고 딸인 [[조동희 (가수)|조동희]]는 음악활동을 하고 있다<ref>[http://news.maxmovie.com/movie_info/sha_news_view.asp?newsType=&page=&contain=&keyword=&mi_id=MI0095816228 <슈퍼스타> 조동희 음악감독, 포크음악 대부 조동진 친동생 - 2012년 5월 29일 맥스뉴스]</ref>.
  • 진선유 . . . . 8회 일치
         |url =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7&oid=038&aid=0000319773
         |url =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7&oid=001&aid=0001571212
         이로 인해 [[2011년]] 2월에 참가한 동계체전이 현역 마지막 대회가 됐다. [[단국대학교]]를 졸업하면서 현역 은퇴를 선언했다. [[2011년]] [[4월 1일]] [[단국대학교]] [[쇼트트랙]] 코치로 발령받아 활동 중이다.<ref>[http://sports.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sports_general&ctg=news&mod=read&office_id=001&article_id=0005009306 쇼트트랙 진선유, 모교 단국대 코치로 새 출발] - 연합뉴스</ref>
         {| border=1 cellspacing=0 cellpadding=4 style="border-collapse: collapse;"
         * [http://minihp.cyworld.com/pims/main/pims_main.asp?tid=55388043 진선유 미니홈피]
  • 최남선 . . . . 8회 일치
         {{col-begin}}
         * [http://bluecabin.com.ne.kr/split99/cns.htm 최 남 선(崔南善,1890∼1957)]
         * [http://tiny.britannica.co.kr/bol/topic.asp?article_id=b10b1841a&ref=2 「불함문화론」, 에듀넷-브리태니커 학습백과]
         * [http://www.minjok.or.kr/board/downadd.asp?wp_id=239 (hwp) 최남선, 「만주 건국의 역사적 유래」, 1943 - 민족문제연구소 친일행적자료]
         * [http://www.pcic.go.kr:8088/pcic/truthBoard.do?action=view&boardId=bansung&main=truth&sub=bansung&pageIndex=1&searchKey=&searchValue=&articleId=11 최남선, 「자열서(自列書)」, 1949]
         * [http://www.pcic.go.kr:8088/pcic/truthBoard.do?action=view&boardId=jinsil&main=truth&sub=jinsil&pageIndex=1&searchKey=&searchValue=&articleId=9 류시현, 「최남선, 친일로의 자기 부정, 해방 후 변명으로 이중 부정」, 2005]
  • 최동수 (야구인) . . . . 8회 일치
         [[1994년]] 2차 4순위 지명을 받아 [[포수]]로 입단했으나, 이후 [[내야수]]로 전향하였다. 그러나 처음부터 주전 자리를 잡지 못했고, 데뷔 첫 해에는 1군에서 1경기에 그쳤다. 방위 복무를 마친 후에도 오랜 시간 동안 [[서용빈]], [[유지현 (야구인)|유지현]] 등의 걸출한 [[내야수]]들에 밀려서 주목받지 못하였다. [[2001년]] [[김성근 (야구인)|김성근]] 수석코치가 감독 대행으로 부임한 이후 그는 뒤늦게 중용되기 시작하였고, 2군에서 훈련하였을 때 [[김성근 (야구인)|김성근]]의 트레이드 마크인 지옥 훈련을 많이 소화한 결과였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23&aid=0002549603 야구, 야구, 야구밖에 모르는 '야구바보'… "동네 게임도 작전 짤 사람"] - 조선일보</ref> 당시 그가 훈련이 끝나고 손이 펴지지 않아 [[김성근 (야구인)|김성근]]이 그의 손을 펴 주었다고 할 정도였고, [[김성근 (야구인)|김성근]]이 훈련을 멈추도록 했던 유일한 선수였다.<ref>[http://sports.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kbo&ctg=news&mod=read&office_id=018&article_id=0002855814 12년 전, 잊혀질 뻔했던 한 선수의 은퇴식] - 이데일리</ref> [[2002년]] 시즌 중 [[공익근무요원]]으로 입대한 [[서용빈]]의 자리를 이어받아 주전 [[1루수]]로 활동했다. [[2002년]]에는 준 플레이오프 MVP를 수상하기도 하였다. [[2007년]]에는 최초로 풀 타임 출장에 3할대 타율을 기록하여 최고의 한 해를 보냈다. 그러나 [[2010년]]에는 주전 경쟁에서 밀려 그리 많은 출장 기회를 얻지 못했고, 29경기에 출전해 1할대 타율에 그쳤다.
         [[2011년 한국시리즈]]에 출전한 후 [[2011년]] [[11월 22일]] 2차 드래프트를 통해 친정 팀 [[LG 트윈스]]로 1년여 만에 복귀했다. 1차 드래프트인 신인 지명회의와 2차 드래프트를 통틀어 최연장자로 지명된 선수였다. [[2013년]] 개막전 명단에 올라 시즌 개막전을 통해 2경기에 출장하였으나 무안타에 그친 후, [[SK 와이번스]]와의 2연전이 끝나고 2군으로 내려갔다. 이후에는 지도자 수업을 받았고, 사실상 현역 은퇴를 선언하였다. [[2013년]] [[10월 5일]] [[두산 베어스]]전이 끝난 후 공식 은퇴식을 가졌으며, 이 경기에서 [[LG 트윈스]]가 [[두산 베어스]]를 이기고 정규 시즌 2위를 확정해, 플레이오프에 직행한 의미있는 경기가 되었다.<ref>[http://sports.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kbo&ctg=news&mod=read&office_id=109&article_id=0002630892 '은퇴' 최동수,'정든 그라운드를 떠납니다'] - OSEN</ref>
         은퇴 후 베이스볼아카데미 마스터 코스 시험에 합격하여 지도자 자격을 얻었고<ref>[http://sports.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kbo&ctg=news&mod=read&office_id=241&article_id=0002175285 LG 최동수, 공인 지도자 됐다…마스터 코스 최종 합격] - 일간스포츠</ref>, [[LG 트윈스]]의 잔류군 담당 타격 겸 배터리코치로 배정받았다.<ref>[http://sports.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baseball&ctg=news&mod=read&office_id=410&article_id=0000119108 LG 트윈스, 2014년 코칭스태프 인선 확정] - MK스포츠</ref>
         [[2009년]] [[5월 12일]] [[SK 와이번스|SK]]전에서 그는 프로 데뷔 15년 만에 [[투수]]로 첫 등판하였다. 이와 더불어 팀 동료이자 [[포수]]인 [[김정민 (1970년)|김정민]]은 [[좌익수]]로 출전하게 되었는데, 이 상황은 역할 분담이 철저하고 [[지명타자]]제를 채택하고 있는 [[KBO 리그]]에서는 좀처럼 보기 힘든 광경이었다. 그는 데뷔한 후 [[포수]]에서 [[내야수]]로 전향했고, 이 날 경기에 [[지명타자]]로 출장했으나 연장 12회 초에 마무리 [[투수]] [[우규민]]이 대량 실점으로 인한 부담감을 이겨내지 못하고 [[모창민]]의 머리 위로 날아가는 [[몸에 맞는 볼|빈볼]]성 투구를 던지고 퇴장당했다. 남아 있는 [[투수]]가 선발로 등판해야 할 [[심수창]] 외에는 없자 당시 감독이었던 [[김재박]]은 궁여지책으로 [[지명타자]]로 나선 그를 [[투수]]로 내보냈다.<ref>[http://www.siminilbo.co.kr/news/news.php?id=news&mode=view&no=60005 무박 2일 잠실 혈투 진기록 양산] 《시민일보》 2009년 5월 15일 9:25, 2009년 5월 16일 23:55 확인</ref><br>마운드에 오른 그는 상대 타자 [[박경완]]을 공 2개(1구 128 km, 2구 131km로 스피드 건에 찍힘)로 플라이 아웃 처리했는데, 당시 [[박경완]]은 경기 후 "차마 제대로 칠 수가 없었다. 그냥 가만히 서 있으면 안 될 것 같아 대충 휘둘러서 아웃됐다"라고 소감을 밝혔다. 그 와중에 외야에서 그의 등판을 지켜본 [[이진영]]은 "본래는 내가 등판하려 했다. 내가 아무래도 동수 형보다는 구속이 빠르다"며 너스레를 떨기도 했지만,<ref>[http://sports.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kbo&ctg=news&mod=read&office_id=076&article_id=0001992073 (어젯밤 이야기) 박경완 "'투수 최동수' 공 솔직히 칠 수 없더라"] 《스포츠조선》 2009년 5월 14일 10:18, 2009년 5월 17일 0:18 확인</ref> 그의 공에 대해 "[[오승환]]인 줄 알았다. 돌직구를 던지더라" 라며 감탄하기도 했다.<ref>[http://www.donga.com/fbin/output?n=200905140203 (베이스볼 브레이크) SK-LG 대혈투…'무박 2일' 뒷담화] 《동아일보》2009년 5월 14일 8:01, 2009년 5월 17일 0:18 확인</ref>
  • 최재성(배우) . . . . 8회 일치
         ||<table width=100%><table align=center><table bordercolor=#000000><-100><:>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C60C30 20%, #003478)"
         ||<#ffffff><-1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최재성의 아버지는 최상현(KBS 드라마 연출가)이고, [[최진실]], [[최진영]] 남매가 6촌 동생들이다. 혈통이 혈통인지라 최재성, [[최진실]], [[최진영]] 모두 미남미녀들이다. [[최진실]]과 [[최진영]] 남매는 부모가 [[이혼]]한 뒤 줄곧 어머니와 함께 살았으나, 같은 직업에 종사한 덕에 최재성과는 어느 정도 연락을 주고받았다고 한다. [[2008년]] [[10월 2일]] [[최진실]]이 자살했을 때 "[[최진실]] 사단"과 [[최진실]]의 어머니, [[최진영]] 이외의 사람들 중에서 가장 크게 슬퍼했던 사람이다. 실제로 최재성과 [[최진실]]이 [[1994년]]에 방송된 [[드라마]]에서 극중 연인으로 출연한 적이 '''있다.'''[[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94020500209121002&edtNo=40&printCount=1&publishDate=1994-02-05&officeId=00020&pageNo=21&printNo=22421&publishType=00010|#]] [[여담]]으로 어린 시절에는 [[최진실]]과 [[쌍둥이]] 수준으로 닮았었다. 자라면서 외모의 차이가 생긴 것.
         [include(틀:문서 가져옴,title=최재성,version=106)]
  • 최호중 . . . . 8회 일치
         '''최호중'''(崔浩中<ref>[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84042500099202005&editNo=1&printCount=1&publishDate=1984-04-25&officeId=00009&pageNo=2&printNo=5582&publishType=00020 經濟에 밝은 직업外交官 崔浩中] - 매일경제, 1984년 4월 25일</ref><ref>[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88120500329204010&editNo=3&printCount=1&publishDate=1988-12-05&officeId=00032&pageNo=4&printNo=13292&publishType=00020 崔浩中 외무장관 外務部서 잔뼈굵은 正統派] - 경향신문, 1988년 12월 5일</ref>, [[1930년]] [[9월 22일]] ~ [[2015년]] [[2월 19일]])은 [[대한민국]]의 전 외무공무원이다. [[노태우]] 정부 당시 [[북방 정책|북방외교]]의 한 주역이자 [[남북 기본합의서]] 채택 시에도 역할을 했다.
         [[서울대학교]] 정치학과를 졸업하고 고등고시 행정과에 합격한 뒤 [[1956년]] 외무부에 들어갔다. 국제경제국장, 통상국장, 주유엔 유럽사무소 및 [[주제네바 대한민국 대표부|제네바대표부]] 공사, 말레이시아·[[주 벨기에 대한민국 대사관|벨기에 대사]] 등을 역임했다. [[1984년]] 상공부 차관을 지낸 뒤 [[주사우디아라비아 대한민국 대사관|사우디아라비아 대사]] 등을 거쳐 [[1988년]] 12월부터 [[1990년]] 12월까지 외무부 장관으로 재직했다. [[1989년]] 2월 [[헝가리]]와의 수교 합의 의정서에 서명, 북방외교의 첫 성과를 대외에 알렸다. [[1990년]] 9월 30일 유엔에서 [[에두아르트 셰바르드나제]] 당시 소련 외무부 장관과 '한·소 수교 공동성명서'에 서명했다. 재임 중 동구권 국가를 비롯해 18개국과 수교했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hm&sid1=102&oid=469&aid=0000048101], [[한국일보]] 2015년 2월 20일, [부고]‘북방 장관’ 최호중 전 부총리 별세</ref> 1990년 12월부터 1992년 6월까지 부총리 겸 통일원 장관을 지냈다. 당시 남북은 1991년 9월에 유엔에 동시 가입했고, 잇단 고위급 회담을 통해 ‘남북 사이의 화해와 불가침 및 교류·협력에 관한 합의서(남북기본합의서)’에 합의했다. 이후 통일원 통일고문, 한국자유총연맹 총재, 한국외교협회 회장 등을 지냈다.
         * 노태우 정권 당시 북방외교를 성공적으로 이끌어 ‘북방(北方) 장관’이라고 불리기도 했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hm&sid1=102&oid=469&aid=0000048101], [[한국일보]] 2015년 2월 20일, [부고]‘북방 장관’ 최호중 전 부총리 별세</ref>
  • 포항시 . . . . 8회 일치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ko/thumb/a/a3/Pohangsine-map.png/400px-Pohangsine-map.png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ko/thumb/e/ec/Pohang-Dongbinnaehang.jpg/220px-Pohang-Dongbinnaehang.jpg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3/35/Korean_cuisine-Gwamegi-01.jpg/220px-Korean_cuisine-Gwamegi-01.jpg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3/39/Pohang_skyline.jpg/120px-Pohang_skyline.jpg
  • 혜은이 . . . . 8회 일치
         {| class="infobox bordered" style="width:21em; cellpadding=2; font-size:85%; text-align:center;"
         데뷔 앨범과 연달아 발표한 2개의 앨범이 히트를 기록했지만 아직 혜은이는 원래 가수를 할 생각이 없었고, 아버지가 보증을 서주셨다가 잘못돼서 길에 쫓겨나서 이에 대한 방책으로 어쩔 수 없이 노래를 부르기 시작했다.<ref>[http://entertain.naver.com/read?oid=449&aid=0000124480 혜은이 "남편 김동현 200억대 빚 갚아…당시 헤어진 딸 데려올 수 없어 눈물”] 채널A. 2017년 02월 24일</ref>
         [[1977년]] [[일본]] '야마하가요제'에 출전한 그녀는 일본 빅터 레코드사에서 영입 제안을 받기도 했다. '당신만을 사랑해'를 일본어로 내고 [[조용필]]에 앞서 일본 활동도 짧게 했다. 당시 일본에선 '강코쿠(한국) 아이돌'로 소개되었다.<ref>[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5/06/18/0200000000AKR20150618054000005.HTML 40주년 혜은이 "가수인생 골든타임 놓쳐 아쉬움 투성이죠"] 연합뉴스. 2015년 06월 18일</ref>
         2015년 2월 23일 [[TV 조선]] '[[인생다큐 마이웨이]]'에 출연한 혜은이는 남편 [[김동현 (1950년)|김동현]]의 빚보증과 사업 실패로 재산을 탕진하여 200억이 넘었던 빚을 독한 마음으로 10년 동안 빚을 갚았고, 전 남편 사이의 딸을 데려올 수 없었다고 밝혔다.<ref>[http://entertain.naver.com/read?oid=020&aid=0003045117 혜은이 “남편 김동현 빚 200억, 죽으려고 도망가기도”] 동아일보. 2017년 02월 24일</ref>
         [[2015년]] [[5월 26일]] 데뷔 40주년을 기념하여 다시 한 번 팬클럽이 음반을 제작했고, 동료 가수 최백호, 후배 음악인 이채운(작곡가 이호섭의 아들), 김시연 등의 작품 헌정으로 정규 앨범에 앞선 미니 앨범 혜은이 Pre-Listening를 내놓았다.
         * [http://people.nate.com/people/info/54/64/5464/ 혜은이 네이트 인물]{{깨진 링크|url=http://people.nate.com/people/info/54/64/5464/ }}
  • 황광희 . . . . 8회 일치
         | 그림 =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1/1a/Kwanghee_hosting_Music_Core%2C_September_2012.jpg/250px-Kwanghee_hosting_Music_Core%2C_September_2012.jpg
         '''황광희'''(黃光熙<ref>[http://weibo.com/princekwanghee 황광희 웨이보]</ref>, [[1988년]] [[8월 25일]] ~ )는 [[대한민국]]의 [[가수]], [[방송인]] 이다. 2010년 9인조 남성 그룹 [[ZE:A]] ([[제국의 아이들]]) 로 데뷔 하였다.
         스타제국 연습생 시절인 [[2009년]]에 [[Mnet]] 리얼리티 프로그램 《오피스 리얼리티 - 제국의 아이들》과 《제국의 아이들 리턴즈》에 출연하여 이동식 무대 차량인 윙카로 전국을 순회하는 게릴라 공연을 펼쳤고,<ref>{{뉴스 인용|제목=연예계 뒷얘기 ‘제국의 아이들’… 100% ‘리얼’ 가능할까?|url=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6&oid=009&aid=0002089654|저자=김보람|출판사=매일경제|날짜=2009-04-06|확인날짜=2012-08-25}}</ref><ref>{{뉴스 인용|제목=제국의 아이들, 거리공연으로 호된 데뷔 준비중|url=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6&oid=108&aid=0002000932|저자=이수현|출판사=스타뉴스|날짜=2009-10-01|확인날짜=2012-08-25}}</ref> [[2010년]] [[1월 15일]]에 9인조 [[대한민국]]의 남성 그룹 [[ZE:A]]의 멤버로 데뷔하였다.
         | 스타 펫 트래블 광희 in Japan
         * 2015년 King 캔디크러쉬소다
         * {{언어링크|ko}} {{인스타그램|prince_kwanghee}}
  • 1986년 에드먼드 우체국 총기난사 . . . . 7회 일치
         [[http://www.nydailynews.com/news/crime/mailman-massacre-14-die-patrick-sherrill-postal-1986-shootings-article-1.204101|뉴욕 데일리 뉴스]]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86082100329204013&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86-08-21&officeId=00032&pageNo=4&printNo=12586&publishType=00020|당시 경향신문 기사]]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86082100209204009&edtNo=2&printCount=1&publishDate=1986-08-21&officeId=00020&pageNo=4&printNo=19966&publishType=00020|당시 동아일보 기사]]
  • BadContent . . . . 7회 일치
         #format plain
         ringtones\s+mp3
         licking girls
         online sex
         ringtones?
         mexico casino
         http:\/\/mipagina\.aol\.com\.mx\/
  • The Tyger . . . . 7회 일치
         Tyger Tyger, burning bright,
         In the forests of the night;
         In what distant deeps or skies.
         Burnt the fire of thine eyes?
         On what wings dare he aspire?
         Could twist the sinews of thy heart?
         What the hammer? what the chain,
         In what furnace was thy brain?
         Tyger Tyger burning bright,
         In the forests of the night:
  • 김범룡 . . . . 7회 일치
         | url =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95022200289123004&editNo=5&printCount=1&publishDate=1995-02-22&officeId=00028&pageNo=23&printNo=2156&publishType=00010
         | url =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3&oid=001&aid=0003908058
         | url =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99031200329129004&editNo=45&printCount=1&publishDate=1999-03-12&officeId=00032&pageNo=29&printNo=16693&publishType=00010
  • 나폴레옹: 토탈워/등장 국가 . . . . 7회 일치
          * '''[[나폴레옹: 토탈워/영국|영국(Great Britain)]]'''
          * 스페인(Spain)
          * 나폴리 왕국(Kingdom of Naples)
          * 샤르데냐 왕국(Kingdom of Sardinia)
          * 시칠리아 왕국(Kingdom of Sicily)
          * 이탈리아 왕국(Kingdom of Italy)
  • 남유진 . . . . 7회 일치
         [include(틀:다른 뜻)]
         || '''외부 링크''' ||<(> [[http://www.namyoochin.com/|공식 사이트]] [[https://blog.naver.com/namyoochin|[[파일:네이버블로그.png|width=24]]]] [[https://www.facebook.com/namyoochin1|[[파일:페이스북 아이콘.png|width=24]]]] [[https://www.youtube.com/channel/UC9idNb2O1DSBW_Ua6sh-iEQ?view_as=subscriber|[[파일:유튜브 아이콘.png|width=24]]]] [[https://www.instagram.com/gumi_yoochin/|[[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png|width=24]]]] ||
         한 지자체장에 3선을 초과하여 도전할 수 없다는 우리나라 법에 따라 구미시장 4선 도전은 할 수 없기에 2018년 1월 25일에 [[경상북도지사|경북도지사]] 출마를 위해 자진 퇴임을 하였다. 곧바로 박정희 정신을 계승하겠다며 경북도지사 출마 선언을 했다. 박근혜 대통령 탄핵 반대 집회 참석 이력을 강조하며 공약으로 포항 영일대에 박정희 동상을 설치하겠다고 한다.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7/12/26/0200000000AKR20171226141300053.HTML|연합뉴스]] 하지만 자유한국당 경상북도지사 경선에서 11.0%를 득표함으로써 경선을 꼴찌로 마감했다. 이후 경선에서 선출된 [[이철우(1955)|이철우]] 경상북도지사 후보의 공동선거대책본부장을 맡았다.
  • 니엘(가수) . . . . 7회 일치
         [Include(틀:틴탑 멤버)]
         [[http://www.instiz.net/index.htm?page=bbs%2Flist.php%3Fid%3Dfanclip%26no%3D40705|니엘 플레이어]]
         작사작곡 활동도 열심히 하고 있으며, 첫 자작곡은 본인의 솔로 앨범인 《oNIELy》에, 두 번째 자작곡은 리패키지로 발매된 《oNIELy Spring Love》에 실렸다. 첫 자작곡은 [[https://youtu.be/ifjjHckZL0w|아포가토]]로, 서정적인 분위기와 니엘의 부드러운 음색이 잘 어우러진 곡이다. 두 번째 자작곡은 [[https://youtu.be/OIJGCa5I3R4|Memory]]. 솔로 앨범에서 자작곡을 두 곡이나 선보인 후에 완전체 앨범에서도 또 자작곡을 수록했다.
         2016년 1월에 발매한 RED POINT앨범에서도 [[https://youtu.be/j6B3ytjaySA|Liar]]를 싣는 등 활발한 작곡 활동을 이어나가고 있다. 떠나가는 여자를 잡지 못하고 아파하는 남자의 모습을 감성적 가사와 뒤에 깔리는 기타선율로 잘 표현해 냈다는 호평을 듣고있다.
         === 1st Mini Album 'oNIELy' ===
         ||<#FBF2EF><:> [[인피니트H#s-3.2|Fly Again]] ||<#FBFBEF><:> '''oNIELy''' ||<#F5FBEF><:> [[빅스/음반 목록#s-1.2.5|Boy's Record]] ||
         솔로 데뷔 기념으로 한 [[http://www.pikicast.com/#LANDING_66515|피키캐스트 인터뷰]]. 리키도 함께 했다.
         === 1st Mini Album Repackage 'Spring Love' ===
  • 대구광역시 . . . . 7회 일치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a/a7/Daegu-gwangyeoksi_in_South_Korea.svg/300px-Daegu-gwangyeoksi_in_South_Korea.svg.png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0/0e/Ceremony_of_Thanks_for_Constructing_City_Hall_in_Daegu.jpg/220px-Ceremony_of_Thanks_for_Constructing_City_Hall_in_Daegu.jpg
         대구광역시 10미에는 육개장, 막창 구이, 뭉티기(소 생고기), 동인동 찜갈비, 논메기매운탕, 복어불고기, 누른국수, 무침회, 야끼우동, 납작만두가 있다.<gallery mode="nolines" widths="190" heights="150">
  • 박정근 (법조인) . . . . 7회 일치
         https://search.pstatic.net/common?type=a&size=120x150&quality=95&direct=true&src=http%3A%2F%2Fpeople.phinf.naver.net%2F20140602_14%2F14017017307277f9nL_JPEG%2Fchosun_400028869.jpg
         1942년에 경상북도 에서 태어나 1950년 서울대학교 농과대학을 졸업하고 1955년 제7회 고등고시 사법과에 합격했다. 1959년에 임용된 대구지방법원 등에서 판사를 하다가 1979년 법원장으로 승진하여 춘천지방법원, 1980년 전주지방법원 1980년 대구지방법원 1981년 광주고등법원 1982년 9월 1일대구고등법원, 1984년 서울고등법원에서 법원장을 역임했다.<ref>[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84072100099211002&editNo=1&printCount=1&publishDate=1984-07-21&officeId=00009&pageNo=11&printNo=5656&publishType=00020 매일경제
         * 서울고등법원 형사부에서 배석판사로 있던 1968년 12월 5일에 [[동백림 사건]] 항소심에서 정규명 정하용에 대해 대법원이 파기환송하기 전의 서울고등법원 판결대로 반공법 잠입,탈출죄 등을 적용해 사형을 선고했다.<ref>[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68120500209201019&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68-12-05&officeId=00020&pageNo=1&printNo=14509&publishType=00020]</ref>
  • 박정철(배우) . . . . 7회 일치
         [include(틀:다른 뜻2, other1=본명이 박정철인 래퍼, rd1=Peejay, other2=본명이 박철인 선배 배우, rd2=박철)]
          * 2012 SBS [[김병만의 정글의 법칙]] in 마다가스카르
          * 2013 SBS 김병만의 정글의 법칙 in 아마존
          * 2013 SBS 김병만의 정글의 법칙 in 뉴질랜드
          * 2013 SBS 김병만의 정글의 법칙 in 히말라야
          * 2013 SBS 김병만의 정글의 법칙 in 미크로네시아
          * 2014 SBS 김병만의 정글의 법칙 in 솔로몬 제도
  • 배슬기(배우) . . . . 7회 일치
         [include(틀:다른 뜻1, other1=동명이인의 축구선수, rd1=배슬기(축구선수))]
         ||<#878787> '''{{{#EEE156 링크}}}''' ||<(> ~~[[http://www.baeseulki.co.kr/shop/main/index.php|공식]]~~ [[https://twitter.com/oBSBSo|트위터]] [[http://cy.cyworld.com/home/20840107|미니홈피]] [[http://cafe.daum.net/sfancafe|팬카페]] ||
         뜻밖에도 월드컵 당시를 배경으로 한 한국, 독일 합작영화 Finale에 킬러 역으로 캐스팅, 영화를 찍어버렸다. 과연 그녀에게도 도약의 기회가 올 것 인가....영화는 개봉연기 끝에 2011년에 나올 예정이긴 하다. 참고로 그 영화 참가진 중 음악은 조영욱[* [[올드보이]]의 음악가로 유명하다.](...), 무술감독은 [[정두홍]](...).
         [[2014년]], 중국에서 제작한 [[젓가락형제]]의 '[[작은 사과]]'라는 뮤비에 주인공 여성 댄서로 등장했다. 헌데 이 동영상이 중국에서 10억 뷰를 돌파하며 중국의 [[강남스타일]]이라고 불릴 정도로 엄청난 대히트를 치며 중국에서 한류 스타로 떠오르게 되었다. 해당 뮤직비디오 감독은 [[조성모]]의 '[[아시나요]]', [[김범수]]의 '[[보고싶다]]' 등의 뮤직비디오를 제작한 [[김세훈]] 감독이다. 뮤비속의 병원은 인천백병원이며, 뮤비속의 배경은 대부분 한국이라고 한다.[[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6&oid=215&aid=0000131710|#]]
          > 제대로 투표할 힘 빠지네요. '''난 이래서 [[종북]]자 무리들이 싫어요.''' 어쨌든 투표율 하락은 떼어 놓은 당상. 좀 더 훌륭한 모습으로 대한민국 정치를 끌어가실 모습을 기대하며”[[http://entertain.naver.com/read?oid=119&aid=0001957141|#]]
          * 2007년 5월 22일 《Flying》(정규 음반 2집, 슬기 Say)
  • 서현진 (방송인) . . . . 7회 일치
         |사진 =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2/29/Seo_Hyun-Jin_%28announcer%29.jpg/225px-Seo_Hyun-Jin_%28announcer%29.jpg
         |웹사이트 = {{싸이월드|22691259|서현진}} <br/> [https://www.instagram.com/itsme_seohyunjin/ 공식 인스타그램] <br/>{{인스타그램|itsme_hyunjin|서현진}} <br/> {{트위터|hyunjin_seo|서현진}}
         * {{인스타그램|itsme_hyunjin|서현진}}
  • 송지효 . . . . 7회 일치
         | In Heaven
         | Winter Song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0/0c/Running_Man_Fan_Meeting_Asia_Tour_2014_Season_2.jpg/220px-Running_Man_Fan_Meeting_Asia_Tour_2014_Season_2.jpg
         * [[삼성전자]] 'THIS IS LIVING' : 베트남
         | rowspan=2|2016 || 제11회 [[숨피]] 어워즈<ref>{{웹 인용|url=https://www.soompi.com/2016/02/23/announcing-the-results-of-the-11th-annual-soompi-awards-2015/|title=Announcing the Results of the 11th Annual Soompi Awards 2015|date=February 23, 2016|website=Soompi}}</ref> || 여우주연상 || [[구여친클럽]] || {{won}}
  • 신지애 . . . . 7회 일치
         ||||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9/96/2009_Women%27s_British_Open_-_Jiyai_Shin_%282%29.jpg/250px-2009_Women%27s_British_Open_-_Jiyai_Shin_%282%29.jpg ||
         ||<#050099> {{{#FFFFFF 이름}}} ||<#ffffff> 신지애(Shin Jiyai) ||
         ||<#050099> {{{#FFFFFF SNS}}} ||<#ffffff> [[https://www.instagram.com/jiyai_shin/|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png|width=24]]]] ||
         2006 KLPGA 투어 Orient China Ladies Open
         2007 KLPGA 투어 SK에너지 Invitational 여자골프대회
         2008 KLPGA 투어 China Ladies Open
  • 유승옥 . . . . 7회 일치
         ||<:><#ffdae0>'''{{{#white BWH}}}'''||<#ffffff>35-23.5-36.5[* [[http://entertain.naver.com/read?oid=415&aid=0000001364|머슬]] ][* 센티미터로 환산하면 B88.9-W59.7-H92.7]||
         ||<:><#ffdae0>'''{{{#white 링크}}}'''||<#ffffff>[[https://instagram.com/seungok_yu/|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png|width=24]]]]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f/fd/Yoo_Seung-Ok_%28%EC%9C%A0%EC%8A%B9%EC%98%A5%29_in_Jan_2015_%282%29.jpg/220px-Yoo_Seung-Ok_%28%EC%9C%A0%EC%8A%B9%EC%98%A5%29_in_Jan_2015_%282%29.jpg
         2015년 1월경 [[정아름]]이 유승옥을 간접적으로 암시하는 비판을 올렸던 일이 조명된 바 있다. [[http://www.sportsseoul.com/news/read/195170|링크]] 정아름은 뒤늦게 논란이 되자 [[http://mbn.mk.co.kr/pages/news/newsView.php?category=mbn00012&news_seq_no=2318991|이는 디스나 폄하가 아니며]] 유승옥에 대해선 오히려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으며 자기 비판에 인용하게 되었을 뿐이란 입장을 [[http://news.tf.co.kr/read/entertain/1577514.htm|밝혔으나,]] 나중에 [[박근혜-최순실 게이트]]과 연관되게 되자 다시금 안 좋은 쪽으로 거론되기도 한다. 이 태도를 비판하는 입장에선 유승옥 디스 건이 논란이 되었을 당시부터도 정아름이 골프 선수 시절 '''누드 화보를 찍었던 당사자가 남 말하듯 비난할 자격이 있느냐는 반응을 보였었다.'''[* 일단 [[정아름]] 본인은 자신의 건강한 모습을 보여주기위해 찍었더고는 하지만[[http://news.topstarnews.net/detail.php?number=119901]] 그 사진들이 모바일 서비스로 유통된 것이라(...) 논란이 좀 있다[[http://www.koreatimes.com/article/199436.]] ]
          * 2014년 [[코오롱]] Run for your dream Main 모델
          * 2015년 SBS [[정글의 법칙]] in 니카라과
  • 이민우(배우) . . . . 7회 일치
         [include(틀:상위 문서, top1=배우/한국)]
         ||||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c/c4/Lee_Min-woo_%28actor%2C_born_1976%29_from_acrofan.jpg/250px-Lee_Min-woo_%28actor%2C_born_1976%29_from_acrofan.jpg ||
         [[한명회]]에서 [[연산군]]을 맡았다. 주인공 한명회가 죽은 이후를 다루는 후반 4회분에서 극을 사실상 주도하는 역할이며, 연산군 연기로 호평받으면서 이를 기점으로 아역에서 성인 연기자로 성공적으로 전환한 것이나 다름없다. 나이 '''19세'''에 이런 연기를 한다(...)[* 상술하였듯, 이 연기로 아역상을 받았다] [[http://www.youtube.com/watch?v=r7eVSaqU59Q|# 기생씬]] 특히 [[폐비 윤씨]]([[장서희]])가 사사된 사실을 알고 오열하며 눈물콧물 흘리고 할머니인 [[인수대비]]에게 가서 한맺힌 절규를 하는 장면이 화제가 되었다. [[http://flvs.daum.net/flvPlayerIn.swf?vid=bYfGnkJ3L-U$&ref=bbs.movie.daum.net|# 절규신]] --배우들 다 굶어 죽으라고--
         중학교 3학년이던 [[1991년]]에 [[우리들의 천국]]에 출연을 했는데, 그는 고등학교 2학년생인 선수 역을 맡았으며, 쌍둥이 동생 미수 역을 맡은 최상진과 더불어 밝은 이미지로 당시 청소년들에게 큰 인기를 모았다([[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91052400329120001&editNo=15&printCount=1&publishDate=1991-05-24&officeId=00032&pageNo=20&printNo=14059&publishType=00010|당시 인터뷰 기사]]). 밝은 이미지로 인한 인기를 반영해서인지 [[http://youtu.be/mNchHIw8CbA|최상진과 같이 광고에도 출연했다]].
         1999년 윤석호 PD가 연출한 '초대'에서 이영애, 추상미, 김민, 김상경, 이창훈과 함께 나와 좋은 결과를 얻었다. 이 드라마의 성공으로 주목받으며 성인 연기자로 순조롭게 안착하는 것처럼 보였다. [[http://m.isplus.joins.com/news/article/article.aspx?total_id=474652&cloc=|관련기사]]
  • 이순재(1935년 10월) . . . . 7회 일치
         ||<table width=100%><table align=center><table bordercolor=#000000><-100><:>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C60C30 20%, #003478)"
         ||<#ffffff><:><-100>{{{#!folding [ 펼치기 · 접기 ]
         [Include(틀:-)]
         2009년에 픽사 애니메이션 영화 '''[[업(애니메이션)|업(Up)]]'''에서 '''주인공 할아버지(칼 프레드릭슨)'''의 목소리를 연기했다. '일반적인 [[비성우 더빙]]' 수준이 아니라 '역대 애니메이션 [[비성우 더빙]] 사상 최고의 목소리 연기', '원작 초월' 소리를 들을 정도의 평가를 받을 만큼 절륜한 연기력을 선보였다.[* [[강수진(KBS 성우)|강수진]] 성우가 맥심 인터뷰에서 '대가는 어디를 가나 통하더라'며 칭찬을 했다.[[http://news.maxmovie.com/74030|#]]] --이것이 바로 이순재의 업(業, Karma, 카르마, 운명)이니라.-- 한 평론가는 "[[초콜렛]]"이 아닌 "쪼꼬렛"이라는 할아버지 캐릭터에 맞는 발음을 구사한 것을 극찬하기도 했다.[* 사실 이순재는 옛날의 후시녹음 체제 때부터 활동해온 배우라 발음과 발성이 좋은 편이고, 한국 드라마가 제대로 정착하기 전이었던 옛날 젊은 시절에는 성우로 일하면서 더빙을 해서 얻는 수입이 더 많았다고 한다. 그러나 방송환경이 개선되면서 오래도록 목소리 연기를 하지 않았음을 고려하면, 그냥 이순재의 자기 관리와 연기력이 뛰어난 거다. 본인은 카메라 연기와는 방식이 달라서 쉽지 않았다는 겸손한 소감을 밝혔다. [[http://extmovie.maxmovie.com/xe/index.php?comment_srl=2358142&listStyle=gallery&mid=movietalk&page=997&sort_index=regdate&order_type=desc&document_srl=764826|#인터뷰]] 적당히 유명세 마케팅으로 투입된 배우, 아이돌, 개그맨들과는 내공이 다르다. 애초에 가벼운 마인드로 연기하시는 사람이 아니다.]이순재가 맡은 배역의 오리지널 목소리를 연기한 배우[* 에드워드 애스너.]도 연극활동은 1940년대[* 대학생이던 [[1947년]]도부터 활동했다.], 영화산업에서는 1950년대부터 시작하여 현재까지 꾸준히 활동하는 베테랑 명배우다.
         최근에는 [[미투 운동]]과 관련해서 성폭력 가해자들에게 [[http://mnews.joins.com/article/22423348#home|일침]]을 날렸다. 한 방송에서 '미투운동을 접하고 자신을 돌아보는 계기가 되었다'면서 제자나 부하를 내 마음대로 하는 대상이 아니라 하나의 인격체로 보고 대해야 한다고 말했다. [[CBS]]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에서 "가해자로 지목된 분들 다 아는 분들이라 깜짝깜짝 놀란다. 설마설마했는데 사실화됐다"며 "관객들이나 국민들한테 죄송하고 미안하다"고 사과했다. 성폭력 피해를 입고 꿈을 접은 후배들을 향해서는 "자기 탓이 아니니 지금이라도 늦지 않았다 생각하는 사람들은 다시 (연기) 할 수 있게 돼야 한다"고 연기 재개를 권유했다. 반면 가해자들을 향해서는 "이 분야를 다 떠나야 한다. 다 끝을 내야 하지 않겠나"라며 "다들 깊이 반성하고 평생을 그렇게 살겠다고 약속했으니 지금 한 약속을 잘 지키고 '나 죽었소'하고 평생 엎드려 있으라"고 충고했다.[* 그래도 본인 역시 구시대를 살아와서 나이가 있다보니 걱정되었는지 한 방송에서 하이킥에 같이 출연한 후배 배우 [[박해미]]와 같이 식사하면서 하이킥 찍을 때 자신도 그런 적 있냐고 물어보기도 했다.(참고로 박해미는 자신이 페미니스트라고 밝인 적이 있다.) 근데 오히려 박해미는 "당시 별명이 '''야동 순재'''였음에도 전혀 없었다"고 말한다.]
  • 이윤열 . . . . 7회 일치
         이윤열은 [[2012년]] [[6월 20일]] 자신의 팀인 컴플렉시티 게이밍 홈페이지에 은퇴 사실을 알렸다. 사유는 현재 병역문제와 개인적인 문제가 결합되어 은퇴하는것으로 밝혀졌으며 [[2012년]] [[7월 3일]] tving 스타리그 2012 레전드매치를 마지막으로 은퇴하였다.
         {| cellspacing="1" style="text-align:center; background-color:white; border:double silver 3px; margin-bottom:6px;"
         |-bgcolor="moccasin"
         * 2003년 벼룩시장 FindAll배 GhemTV 챌린저 오픈 준우승 (0:3 [[홍진호]])
         * 2003년 Ting배 KBC 파워게임쇼 3위
         초등학교 4학년부터 중학교 2학년까지 정구선수로 활동한적이 있다. 하지만 천식으로 인해 정구를 그만 두었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5&oid=029&aid=0000083367 럭비ㆍ권투보다 e게임이 좋아]《디지털타임스》, 2004년 10월 15일</ref>
  • 이지은(2000) . . . . 7회 일치
         [Include(틀:뮤직웍스 엔터테인먼트 소속 아티스트)]
         |||| http://photo.jtbc.joins.com/prog/enter/mixnine/Img/20171124_155409_2148.jpg ||
         122번으로 예고편[[http://tv.naver.com/v/2125890|링크]]에서 0.5초 분량으로 등장했다. [[10월 26일]] 믹스나인 공식 인스타그램 계정에 뮤직웍스 소속으로 [[한지예]], [[김시현(뮤직웍스)]], 마이틴 멤버들과 같이 공개됬다.[[https://www.instagram.com/p/Batfyb3n40r/|링크]] 최초 쇼케이스에서 얼굴을 드러내며, 방송 참여를 알렸다. 같은 소속사 [[김시현(뮤직웍스)]]과 참여하게 되었으며, 최초 B클래스 소속에 48번으로 호명되었다. 이후 [[http://tv.naver.com/v/2259465|30초 선공개영상]]과 [[http://tv.naver.com/v/2287038|뮤직웍스 단체무대 풀샷]]이 공개되었다.
         [[http://www.vlive.tv/video/47943|오디션 전 셀프캠 브앱]], [[http://tv.naver.com/v/2300942|9해줘 이지은 티캐]], [[https://www.instagram.com/p/BbbzlA7ngIY/?taken-by=jtbc.mixnine|믹스나인 인스타 셀카]]
         9화 이전 믹스나인 공식 인스타에 급식래퍼로 동영상이 떳다. [[https://www.instagram.com/p/Bc9aFATnlgG/|인스타그램 링크]]
         [[http://m.dcinside.com/view.php?id=hiphop&no=5184814|관련 내용 정리]]
  • 장윤진 . . . . 7회 일치
         | 신체사이즈 = 가슴: {{convert|34|in|cm|sigfig=3|abbr=on}}<br>허리: {{convert|23|in|cm|sigfig=3|abbr=on}}<br>엉덩이: {{convert|36|in|cm|sigfig=3|abbr=on}}
         |웹사이트 = {{페이스북|yoonjinchang}}
         * {{페이스북|yoonjinchang}}
         * {{트위터|yoonjin_chang}}
         * {{인스타그램|yoonjin.chang}}
  • 정인숙 (1945년) . . . . 7회 일치
         그녀가 아이의 아버지가 누군지 입을 열지 않는 가운데 소문이 확산되었다. 당시 정인숙이 낳은 아들의 아버지는 정일권 혹은 박정희라는 소문이 파다했다.<ref name="kyung0101">[http://sports.khan.co.kr/news/sk_index.html?art_id=201003191712273&sec_id=560101 정인숙 미스테리···최대 권력 섹스스캔들] 스포츠경향 2010년 03월 19일자</ref> 정인숙은 정일권이 자신을 서운하게 할 때마다 자신이 정일권 총리의 아이를 낳았다는 사실을 떠벌리고 다녀 정일권을 난처하게 한다. 이 사실이 야당 인사들과 박정희 대통령의 귀에 들어가게 될까봐 정일권은 불안해했고, 서둘러 불법 여권 두 개를 만들어 정인숙을 해외로 내보내고 생활비를 풍족하게 줄테니 아이를 키우며 해외에서 조용하게 살라고 당부한다.
         정종욱에 대해선 '권세가들에게 희생된 세상에서 가장 억울한 인물 중의 한 사람'이라는 설이 떠돌았다.<ref>윤재걸, 《청와대 밀명: 윤재걸 르포집》(한겨레, 1987년) 14쪽.</ref> 한편 정계의 유력자가 은폐하려 했다는 설과 정적관계에 있던 자의 소행이라는 의견이 있으나 구체적으로 밝혀진 것은 없다. [[2010년]] [[3월 20일]] SBS TV '그것이 알고싶다'는 20일 오후 11시10분 '나는 여동생을 쏘지 않았다 - 정인숙 피살 사건 미스터리'라는 주제로 오래전 정인숙 사건의 실체를 다시 추적해 화제가 되기도 했다.<ref>[http://sstv.tvreport.co.kr/index.html?page=news/flypage&cid=15&nid=78947 정인숙·정일권 누구?…40년 전 미궁의 살인사건, 경과부터 의혹까지] SSTV 2010-03-21</ref>
         사망 사건 당시 경찰 발표에 의하면 “정인숙이 요정에 나가면서 많은 남자와 사귀었고, 심지어 아들까지 낳아 기르는 등 사생활이 좋지 않아 운전을 하던 오빠(정종욱씨)가 권총으로 살해했다.<ref name="han01"/>” 이것이 사건의 개요였다. 수사를 담당했던 경찰은 오빠인 정종욱을 범인으로 지목해 누이동생을 살해한 혐의로 구속기소했다. 정인숙의 운전기사 노릇을 하면서 동생의 문란한 행실을 보다 못한 오빠 정종욱이 가문의 명예를 위해 동생을 죽이고 강도를 당한 것처럼 위장했다는 것이다.<ref name="jon01">[http://article.joinsmsn.com/news/article/article.asp?total_id=4070585&ctg=-1 정인숙 피살 사건 미스터리 의혹 ‘누가 정인숙을 죽였나?’] 중앙일보 2010년 03월 20일자</ref> 사건에 대한 의혹은 지난 40년간 계속됐다. 당시 사건 수사가 정인숙 여인 주변에 대해서는 전혀 이뤄지지 않았다. 오빠의 범행동기가 석연치 않았으며 중요한 범행현장인 사고차량은 사건발생 몇시간만에 다른 곳으로 치워버렸다. 무엇보다 범행도구인 권총조차 발견하지 못했다.<ref name="jon01"/>
         {{Col-begin}}
         * [http://www.imbc.com/broad/tv/culture/cantell/vod/index.html?kind=text&progCode=1000459100026100000&pagesize=15&pagenum=5&cornerFlag=0&ContentTypeID=1 땅에 묻은 스캔들-정인숙 피살사건] MBC 이제는 말할 수 있다 2000-10-08자 방송
         * [http://www.minjog21.com/news/quickViewArticleView.html?idxno=2358 침묵의 현대사 이제는 말할 수 있다] 민족 21 2006년 11월 01일자
  • 존 딜린저 . . . . 7회 일치
         John Herbert Dillinger.
         결혼까지 했음에도 딜린저는 에드 싱글턴(Ed Singleton)이라는 남자와 함께 무어스빌의 식료품에서 강도짓을 벌인다. 그리고 빠르게 체포ㅋ. 싱글턴은 법정에서 자신이 무죄라고 주장해 징역 2년을 받았지만 딜린저는 아버지의 조언대로 죄를 고백했다가 징역 2~14년+징역 10~20년[* 미국은 범죄를 여러개 저지르면 형량이 따로 붙는다.]이라는 선고를 받고 큰집에 처박히게 된다. 그곳에서 그는 해리 피어폰트(Harry Pierpont)와 같은 동료들을 만나게 된다.
         밤 10시 30분. 영화를 보고 난 딜린저는 두 여자를 데리고 극장 밖으로 나선다. 극장 문 앞에 서있던 멜빈 퍼비스(Melvin Purvis) 특별 수사관이 시가에 불을 붙이는 것을 신호로, FBI 요원들과 경찰들이 딜린저에게 접근했다. 위기에 처했다는 걸 깨달은 딜린저는 바지 주머니에서 권총을 꺼내들고 골목길로 도망갔지만 그곳에는 FBI 요원들이 매복해 있었다. 세 발의 총알을 몸에 맞은 딜린저는 그대로 쓰러졌다. 20분 후, "공공의 적" 존 딜린저가 알렉시안 브라더즈 병원(Aliexian Brothers Hospital)에서 사망했다는 사실이 발표되었다.
         [[https://www.fbi.gov/history/famous-cases/john-dillinger|FBI 홈페이지의 존 딜린저 소개 페이지(영문)]]
         [[http://www.history.com/topics/john-dillinger|히스토리 채널의 존 딜린저 소개 페이지(영문)]]
         [[http://www.chicagotribune.com/news/nationworld/politics/chi-chicagodays-johndillinger-story-story.html|시카고 트리뷴 - John Dillinger's death(영문)]]
  • 청송군 . . . . 7회 일치
         [include(틀:회원수정)]
         [include(틀:상위 문서, top1=경상북도)]
         [include(틀:프로젝트 문서,프로젝트=나무위키 대경권 프로젝트)]
         [include(틀:경상북도의 기초자치단체)]
         [include(틀:청송군의 읍면)]
         ||||<bgcolor=#FFFFFF>[include(틀:지도, 장소=청송군,너비=100%)] ||
         유명한 관광지로 [[주왕산]]이 있기는 하지만, 보통 외지 사람들은 "[[청송]]"이라는 동네 이름이 나오면 맨 먼저 '''[[청송교도소]]'''와 '''청송감호소'''부터 떠올린다. 이 지역에는 [[교도소]]가 무려 네 군데나 있다. [[대한민국 제5공화국]] 시절에 [[흉악범]]과 [[정치범]]을 [[감금]]하기 위해 이런 외진 곳에 [[교도소]]와 [[감호소]]를 왕창 지어논 것. 사실 교도소가 있는 곳은 청송읍이 아닌 [[영양군]]과의 경계지역에 있는 진보면이다. 청송이란 고장의 이미지를 깎는다고 [[대한민국 법무부]]에 지속적으로 진정이 제기되었는데 결국 이름이 경북북부교도소로 바뀌었다. 하지만 최근에는 오히려 교도소가 들어서면 [[교정직 공무원]]들 및 면회객들도 오기 때문에 지역경제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는 인식도 생겨나고 있다. 심지어 청송군민들은 '''교도소를 추가 유치하겠다'''고 나설 정도. [[http://news.sbs.co.kr/news/endPage.do?news_id=N1002725817&plink=ORI&cooper=NAVER|#]] 근데 이것을 역으로 보면 교도소 이외에는 지역경제를 유지할 수 없을 만큼 낙후가 심각하다는 거다.
  • 최홍만 . . . . 7회 일치
         2015년 4월 27일 국내 종합격투기 단체 [[ROAD FC]]와 계약했다. [[http://sports.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sports_general&ctg=news&mod=read&office_id=410&article_id=0000236284|#]] 동년 7월 25일 일본 도쿄에서 개최되는 ROAD FC 24 대회에서 첫 경기가 잡혔으며, 상대선수로 레볼루션에서 원래 맞붙기로 했다가 엎어졌던 카를로스 도요타와 다시 맞붙었으나 1R 1분 11초만에 상대 강력한 오른손 훅에 실신하며 KO로 허무하게 패했다. [[https://www.youtube.com/watch?v=L-UpphV3sKg|영상]]
         최홍만과 로드 FC에 대한 여러 비판들이 쏟아져 나왔다. 특히 최홍만 선수의 경우 사기 사건과 연루되면서 일본 방송이 취소되는 사건이 벌어졌다. [[http://www.monstersport.net/index.php?mid=sports_mma_livetalk&category=2066773&document_srl=3863266|#]] [[http://sports.media.daum.net/sports/general/newsview?newsId=20150727060206359|두 방 맞고 쓰러진 최홍만, 이제 나오지 마라]] [[http://sports.media.daum.net/sports/general/newsview?newsId=20150727060006244|'예견된 참사' 최홍만, 로드 FC가 경찰보다 더 알 수 없다]] [[http://sports.media.daum.net/sports/general/newsview?newsId=20150727110807270|로드 FC 최홍만 재기 프로젝트.."빚 갚아주겠다"]] [[http://sports.media.daum.net/sports/general/newsview?newsId=20150727111921037|난타전 감행 최홍만 죄 없다..화근은 로드FC 과욕]]
         그러나 12월 26일 벌어진 로드 FC 27 중국대회에서 루오췐차오를 펀치 TKO로 화끈한(?) ~~떠먹여준~~ 승리를 거두면서 부활(?)에 성공했다!(?) ~~물음표가 많아보이는 건 기분 탓이다.~~[* 일단 TKO이긴 한데... 상대가 쓰러지지도, 심각한 대미지를 입지도 않은 상태에서 경기를 자진 포기했다. 추후 밝혀진 바로는 어깨 회전근개 파열이었다고 한다.~~이때 최홍만이 '아 뭐야~'하는 것도 들린다.~~] 이 경기에서도 전혀 나아지지 못한 모습을 보였다, 일단 상대가 신장 193㎝에 체중 110㎏에 육박하는 나름대로 거구였다곤 하나, 그 거구란 것도 최홍만에 비하면 비교도 안 되는 정도고 MMA 전적도 아예 없는 걸 감안하면 최홍만이 전혀 공격적인 모습을 보여주지 못했다. 경력에서도, 체격 조건에서도 월등히 앞서는데도 수세에 몰린 모습만 보여주다가 경기는 끝나고 말았다.[[https://m.youtube.com/watch?v=HiNa8nVTFQs|영상]].
         2011년부터는 현재는 주점을 운영하면서 조용히 지내는 듯. 그러다가 태국 영화 똠양꿍 2에 나올 예정이라는 소식이 [[http://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general&ctg=news&mod=read&office_id=079&article_id=0002299255|전해졌다.]]
         2013년 5월 [[무릎팍도사]]에 출연, 방안을 온통 [[헬로 키티]] [[굿즈]]로 도배한 키티 [[덕후]]로 [[커밍아웃]]해 [[충격과 공포]]를 안겨주었다. [[http://media.daum.net/entertain/enews/view?newsid=20130503073006833|기사]]
         2015년 5월 20일 사기혐의로 [[http://m.media.daum.net/m/media/society/newsview/20150520151405666|피소됐다는 기사가 나왔으며,]] 15년 7월 22일 최홍만의 사기 혐의에 대해 기소 의견으로 검찰에 송치됐다는 [[http://m.entertain.naver.com/read?oid=032&aid=0002618382|기사가 보도되었다.]] 다만 실제 검찰 송치 시점은 [[http://sports.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sports_general&ctg=news&mod=read&office_id=410&article_id=0000259863|5월 말이었다고 한다.]]~~무슨 혐의??~~
         법원에서 최홍만에게 사기 혐의로 [[http://entertain.naver.com/read?oid=081&aid=0002665277|징역 1년에 집행유예 2년 형을 선고]]했지만 최홍만은 항소하기로 결정했다.
  • 토탈워: 쇼군 2/요원 . . . . 7회 일치
          * 보병 지휘관(Infantry Leader) - "올바른 지휘관 아래에 있는 보병이 전투에서 승리한다."
          * 고무(Inspirational) - "내 격려를 따르지 않는 자는 어떤 사람인가?"
          * 살아 있는 보배(Living Treasure) - "어떤 사람은 오직 "해야 한다"를 필요해하지만, 이들은 "한다"를 훨씬 능가한다.
          * 위압(Intimidating) - "공포는 적 마음속에 있는 강인함보다 더 맹렬한 법이지."
         == 닌자(Ninja) ==
          * 자객(Assassin) - "단도는 익숙한 자의 손에 쥐여져 있을 때 정말 위험한 칼이 된다."
          * 방첩활동(Counter-espinage) - "탐색자의 눈과 바람난 연인에 대한 의심은 슬픔만을 가져온다."
          * 수사관(Investigator) - "진실과 거짓은 물 위에 떠 있는 낙엽과 같다."
          * 필요 건물: 정토진종 불당(Jodo Shinshu Temple)
          * 고무(Inspiring) - "한 남자는 2개의 일본 짚신이 필요하다. 바로 신앙과 이성이다."
  • 페이데이 2/하이스트/클래식 . . . . 7회 일치
          * In for a dime, in for a Dollar
          * Keep Clear of the Windows
          * Panic in the Projects
          * The Definition of Safe House is Changing
          * Cardio Training
  • 프라이머리 (음악가) . . . . 7회 일치
         2013년에는 [[MBC]]의 버라이어티 프로그램인 [[무한도전]]에 출연하여, 프로그램의 고정 출연자인 [[박명수]]와 호흡을 맞춘 바 있었으나 [[카로 에메랄드]]의 곡들을 짜깁기했다는 사실이 탄로 나고 말았고 표절 작곡가라는 불명예를 남겼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6&oid=396&aid=0000138610 "프라이머리 표절 논란에 원곡자 화났다…"신용을 지켜라" 트위터에 경고", 스포츠월드, 2013-11-07]</ref> 설상가상으로 [[박지윤 (가수)|박지윤]]의 〈미스터리〉도 표절로 확인되면서 프라이머리와 아메바컬쳐는 이미지 면에서 적잖은 타격을 입게 되었다. 2년 뒤인 [[2015년]]에는 록 밴드 [[혁오]]의 오혁과 공동 작업한 싱글 앨범인 ''LUCKY YOU''를 발표하였고,<ref>[http://entertain.naver.com/read?oid=109&aid=0003024748 “프라이머리, 오늘(24일) 컴백…싱글앨범 '럭키 유' 발매”, OSEN, 2015년 3월 24일.]</ref>이어 곧바로 또 다른 미니음반인 ''2-1''과 ''2-2'',''2-3''을 발표하였으며,<ref>[http://entertain.naver.com/read?oid=312&aid=0000086316 “프라이머리, 9일 새 싱글 ‘2-1’ 공개..BSK(a.k.a. 김범수), 개코 참여”, 텐아시아, 2015년 4월 9일.]</ref><ref>[http://entertain.naver.com/read?oid=312&aid=0000099663 “프라이머리, 5일 정오 새 싱글 '2-2' 공개..빈지노와 꿀조합”, 텐아시아, 2015년 6월 5일.]</ref><ref>[http://entertain.naver.com/read?oid=109&aid=0003120270 “프라이머리, 새 앨범 오늘(24일) 공개..초아·팔로알토·아이언 참여”, OSEN, 2015년 7월 24일.]</ref>8월에는 3년만에 정규 앨범 ''2''를 발표하였다.<ref>[http://entertain.naver.com/read?oid=108&aid=0002442842 “프라이머리, 3년만 정규 앨범 '2(이)' 12일 발매”, 스타뉴스, 2015년 8월 3일.]</ref>
         *{{공식 웹사이트|http://www.amoebaculture.com/business/front/aboutAC/primary.do}}
  • 핑커톤 . . . . 7회 일치
         [[https://www.pinkerton.com/|핑커톤 공식 홈페이지(영어)]]
         || attachment:Pinkerton.png ||
         Pinkerton.
         1850년 [[스코틀랜드]] 출신 이민자 앨런 핑커톤(Allan Pinkerton)에 의해 설립되었다. 이후 서부를 지나는 열차를 보호하거나 범죄자를 체포하는 일을 했다.
         드라마 [[The Pinkertons]]는 핑커톤의 창립자인 앨런 핑커톤과 그의 아들인 윌리엄 핑커톤, 그리고 핑커톤 소속 탐정인 케이트 와르네[* 밑에 있는 여담에 써진 걔.]를 다룬 드라마다.
         [[https://www.pinkerton.com/about-us/history|핑커톤 공식 홈페이지의 역사 부분(영문)]] - 홈스테드 철강소 파업 같은 치부는 빠져있다. 솔직히 빼는게 당연하겠지만.
         [[http://articles.chicagotribune.com/1993-05-30/travel/9305300394_1_allan-pinkerton-detective-agency-archie-samuel|시카고 트리뷴 - 제임스 저택에 대한 악명 높은 공격(영문)]]
  • 한지우(배우) . . . . 7회 일치
         [include(틀:상위 문서, top1=배우/한국)]
         |||| https://search.pstatic.net/sunny/?src=https%3A%2F%2Fscontent.cdninstagram.com%2Ft51.2885-15%2Fs640x640%2Fsh0.08%2Fe35%2Fc0.135.1080.1080%2F17587214_189903431513393_8382688963835461632_n.jpg&type=b400 ||
         ||<#3D414D> {{{#ffffff '''수상'''}}} ||<(> 2007년 [[미스코리아]] 중국 진[* [[http://entertain.naver.com/read?oid=022&aid=0000233142|관련기사]] ] ||
         ||<#3D414D> {{{#ffffff '''링크'''}}} ||<(> [[https://www.instagram.com/han_jiwooo|인스타그램]] ||
         정글피쉬 2를 촬영하면서 교복을 입은 장면의 사진이 공개되면서[[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6&oid=038&aid=0002110168|#]] 소위 말하는 [[베이글녀]]로 화제가 되기도 했다.
          * [[라미네이트]]를 한 일이 있을 뿐, 성형수술을 받지 않은 자연미인이라고 한다.[[http://entertain.naver.com/read?oid=014&aid=0002617573|#]][[http://www.etoday.co.kr/news/section/newsview.php?TM=news&SM=4101&idxno=564499|#]]
         [include(틀:문서 가져옴,title=지우,version=51)]
  • 함신익 . . . . 7회 일치
         |웹사이트 = http://www.shinikhahm.com, http://www.symphonysong.org
         2010년 10월 뉴욕 카네기홀에서의 상임 함신익과 KBS 교향악단의 연주는 New York Times로부터 “존경 받을 만한 연주” 라는 평론을 받았다. 영국의 The Financial Times 는 "확실한 자부심과 확실한 헌신, 열정과 뛰어난 정교함이 어울린 음악" 으로 함신익과 대전시향의 카네기 홀 연주를 평가하였다.
         Amsterdam, Avignon, Baltimore, Bangkok, Beijing, Besancon, Bilbao, Boston, Budapest, Chemnitz, Colorado, Detmold, Fort Worth, Geneva, Guangzhou, Herford, Hong Kong, Hartford, Houston, Los Angeles, Malaga, Memphis, Mexico City, Minden, New York, Omaha, Osaka, Philadelphia, Porto Alegre, Prague, Saint Petersburg, Seattle, Seoul, Shanghai, Shenzhen, Teplice, Tokyo, Toronto, Ulaanbaatar, Washington D.C, 그리고 Xalapa 등 에서의 객원지휘등을 통해 지휘자 로서의 이미지를 구축하고 있다.
         * [http://www.kkuaa.or.kr/family/ku_man_view.asp?Bord_Div=301005&Bord_Seq=3332&intPage=2 건국대학교 동문회 홈페이지 자랑스런 건국인]
  • 환희(플라이 투 더 스카이) . . . . 7회 일치
         3집부터는 얇게 내던 목소리를 버리고[* 3집의 경우 창법 변화 과도기었음을 확실히 느낄 수 있는 것이, 일부 노래는 아직 얇은 목소리가 확연히 남아있는 걸 느낄 수가 있다. 그 예로, sea of love에서 들리는 굵은 목소리에 반해 rain에서 환희의 목소리는 조금 얇은 편이다.] 4집 즈음부터 [[소몰이창법]]을 구사했다. 훗날 회상하길 Missing You 당시엔 [[소]]를 한 2만마리 정도 몰았다고.[[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6&oid=088&aid=0000354994|#]] 기본적으로 굵고 낮은 목소리를 가지고 있었으며, 여기에 흉성을 가미하여 매우 깊이있는 중저음을 가진 보컬이 되었다. 음역폭이 매우 넓다고는 할 수 없지만, 특유의 기교와 애드립은 수준급. 이 때문인지 [[김구라]]의 [[가요광장]]에서 실시한 설문조사에서 [[바이브레이션]] 부분 수상자로 선정되기도 했다.[* KBS라디오 쿨FM 40주년 기념으로 진행된 설문조사였다. 그 외 수상자들은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6&oid=117&aid=0000014154|기사]]에서 확인]
         2017년 3월 17일에는 '그래'라는 이름의 디지털 싱글을 냈었다. 실시간 차트 40위까지 올라갔다. 9월에는 'The Original' 이라는 솔로 콘서트까지 열었다. 앵콜 콘서트도 있었다.
          * [[Over The Rainbow#s-3|오버 더 레인보우]](2006) - '렉스' 역[* [[드라마]]는 [[망했어요|망했으나]] 환희가 부른 'Tomorrow'라는 OST 곡은 상당한 인기를 끌었다. 몇년이 지난 지금도 노래방 OST 차트 상위권에서 보이는 노래지만 드라마 제목은 커녕 이게 [[OST]]라는 것조차 모르는 사람이 많다(...).]
         2010년에 [[캘빈 클라인]] [[언더웨어]] X element 라인의 화보를 찍었다.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6&oid=076&aid=0002047331&viewType=pc|기사]]. 그가 연예계에서 몸짱 연예인으로 유명하기에 많은 이들이 근육질 몸매에 감탄했다.
  • Daisy Bell(Bicycle Built For Two) . . . . 6회 일치
         || There is a flower within my heart
         Planted one day by a glancing dart
         Yet I am longing to share the lot
         Peddling away down the road of life
         There are bright lights in the dazzling eyes
  • I Didn't Raise My Boy to Be a Soldier . . . . 6회 일치
         who may never return again
         for the ones who died in vain
         Head bowed down in sorrow In her lonely years
         to shoot some other mother's darling boy?
         What victory can bring her back
         Let each mother answer In the years to be
  • Victoria II/상품 . . . . 6회 일치
         특정 프로빈스의 RGO[* Resource gathering operation. 지역 특산물 정도로 이해하면 편하다.]에서 생성되며, 다른 상품을 만들기 위해 쓰이는 상품들. 농부와 노동자 POP가 생산한다. 자국에서 나지 않는 원자재의 대부분은 수입하는 수 밖에 없다. 아니면 [[식민지|원자재가 나는 곳을 영토로 만들던가.]]
         === Machine Parts(기계 부품) ===
         === Grain(곡물) ===
         차를 생산하는 국가들은 풍년으로 발생한 차들을 처리하는 "우리 나라의 모든 차"[* 해당 이벤트 이름은 영어 표현인 All the Tea in China에서 따왔다. 매우 값진것을 의미하는 표현. 보통 "중국의 모든 차를 다 준다고 해도 거부하겠다," 같은 식으로 쓰인다.] 이벤트가 발생할 때가 있다. 이 경우 차를 비축할 것인지, 해당 프로빈스의 빈민들에게 나눠줘 투쟁성과 의식도를 감소시킬 것인지, 해당 프로빈스의 자본가들에게 나눠줘 소지 자금에 보태게 할 것인지를 선택할 수 있다.
         === Wine(포도주) ===
  • 경주시 . . . . 6회 일치
         중부동 (경주시) || 中部洞 || 0.93 || 3,149 || 6,370 ||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ko/thumb/e/e6/Gyeonjyu-sine-map.png/400px-Gyeonjyu-sine-map.png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ko/thumb/b/b9/Gyeongju_express_bus_terminal.jpg/220px-Gyeongju_express_bus_terminal.jpg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2/2a/Korea-Gyeongju-Bomun_Lake_in_autumn-02.jpg/120px-Korea-Gyeongju-Bomun_Lake_in_autumn-02.jpg|[[보문관광단지]]호수
  • 고아성 . . . . 6회 일치
         고아성은 6살 때인 1997년 길거리 캐스팅을 통해 외환카드 광고 아역 모델로 연예계 데뷔했다.<ref>{{뉴스 인용 |제목 ='자체발광' 고아성 "은호원으로 희로애락 다 펼쳐…시즌2 희망" |url =http://entertain.naver.com/read?oid=001&aid=0009268211|출판사 =연합뉴스 |저자 =이정현|날짜 = 2017-05-16|확인날짜 =2017-09-07}}</ref> 이후 그는 2004년 어린이 드라마 《[[울라불라 블루짱]]》의 타이틀롤을 맡아 배우로서 정식 데뷔했다. 2006년 [[봉준호]] 감독의 영화 《[[괴물 (2006년 영화)|괴물]]》에서 박강두([[송강호]])의 딸 역을 연기하며 이름을 알렸다. 그의 연기는 평단의 호평을 받아 대한민국영화연기대상 영스타상, [[청룡영화상]] 신인여우상, [[디렉터스 컷 시상식]] 올해의 신인연기자상을 수상하였다.
         2015년 SBS 드라마 《[[풍문으로 들었소]]》으로 브라운관에 복귀한 고아성은 성인 연기자로 변신에 성공했고, [[백상예술대상]] TV부문 여자 신인연기상 등을 수상하는 쾌거를 이뤘다. 2017년 [[MBC]] 드라마 《[[자체발광 오피스]]》으로 드라마 첫 주연을 맡았다.<ref>{{뉴스 인용 |제목 =고아성 “부당한 경험 있어...은호원에게 감정이입했죠” |url =http://www.viva100.com/main/view.php?key=20170522010007552|출판사 =브릿지경제 |저자 =조은별|날짜 = 2017-05-24|확인날짜 =2017-09-07}}</ref>
         | 5부작<ref>{{뉴스 인용 |제목 =‘나도 영화 감독이다2’ 박성웅-고아성, 영화 제작자로 변신..열정 가득 |url =http://entertain.naver.com/read?oid=015&aid=0003478303|출판사 =한국경제 |저자 =고승아|날짜 = 2015-11-16|확인날짜 =2017-09-07}}</ref>
         |<ref>{{뉴스 인용 |제목 =[엑's 인터뷰] '복면가왕' 고아성 "노래 계속 부르고 싶다…즐거운 경험" |url =http://entertain.naver.com/read?oid=311&aid=0000713543|출판사 =엑스포츠뉴스 |저자 =김현정|날짜 = 2017-03-20|확인날짜 =2017-09-07}}</ref>
         | 2014년 12월 15일~2014년 12월 21일<ref>{{뉴스 인용 |제목 =고아성, '최다니엘의 팝스팝스' 스페셜 DJ |url =http://entertain.naver.com/read?oid=213&aid=0000599232|출판사 =TV리포트 |저자 =신나라|날짜 = 2014-12-15|확인날짜 =2017-09-07}}</ref>
         * [[듀엣 (영화)|듀엣]] OST 'Nobody Knows', 'Light On My Shoulder', 'Blue Blue Night', 'Wings of Rod' (참여)
  • 고준희 . . . . 6회 일치
         |웹사이트 = {{공식 블로그|www.instantcoop.com/}}<br>{{인스타그램|gojoonhee/}}
         [[2001년]] 고등학교 입학을 앞두고 교복을 맞추러 갔다가 우연히 권유를 받고 'SK 스마트 교복 모델 선발대회'에 참가해 금상을 수상하면서 연예계에 데뷔했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6&oid=213&aid=0000206604 주진모와 연인사이 밝힌 고준희는 누구?]</ref> [[경희대학교]] 연극영화과에 재학 중이다.
         {|class="wikitable sortable" border="2" cellpadding="4" cellspacing="0" style="border: 1px #aaa solid; border-collapse: collapse; text-align: center;"
         * {{공식 블로그|www.instantcoop.com|고준희}}
         * {{페이스북|instantcoop|고준희}}
  • 김덕현 (변호사) . . . . 6회 일치
         김덕현은 판사 출신으로 [[1986년]] 변호사로 개업한 뒤 여성변호사회 회장, 대한변호사협회 여성문제연구실무위원장, 한국에이즈퇴치연맹 이사, 국가인권위원회 위원 등을 거쳤다.<ref>김효섭.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81&aid=0000011071 전원위원회 구성 어떻게]. 서울신문. 2004년 8월 25일.</ref> <ref>강충식.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81&aid=0000033227 (‘로스쿨’로 뛰는 대학들) (1)한양대]. 서울신문. 2005년 2월 28일.</ref> <ref>심규석.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1&aid=0001323957 <헌법재판관 5인 교체 앞두고 하마평 무성>(종합)]. 연합뉴스. 2006년 6월 11일.</ref> <ref>이하나. [http://www.womennews.co.kr/news/54417 네 번째 여성 대법관 탄생하나]. 여성신문. 2012년 8월 17일.</ref>
         대한민국 16대 대통령 [[노무현]]이 국회로부터 탄핵을 당했을 때 변호인단의 일원이었다.<ref>백기철.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11&oid=028&aid=0000051186 노무현 - 변호인단 첫 상견례]. 한겨레. 2004년 3월 22일.</ref> 배우 [[최진실]]이 가정폭력 피해자에게 책임을 전가하는 광고주로부터 손해배상청구소송을 당했을 때 그 변호인단의 일원으로서 활동하였다.<ref>김태훈.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22&aid=0000069022 최진실씨 변호인단 매머드급]. 세계일보. 2004년 12월 14일.</ref>
         *시민사법위원<ref>한정선.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3&aid=0004667880 서울중앙지법, 시민사법위원 10명 위촉]. 뉴시스. 2012년 8월 19일.</ref>
  • 김용국 (야구인) . . . . 6회 일치
         [[1997년]] 그는 무보수 방문 코치로서 [[밀워키 브루어스]] 산하의 루키 리그 야구단 [[헬레나 브루어스]] ([[:en:Helena Brewers|Helena Brewers]])에서 코치로 있다가 그해 9월 마이너 리그 내의 교육 리그, [[애리조나 폴 리그]] ([[:en:Arizona Fall League|Arizona Fall League]])에 속해 있던 야구단 [[메사 솔라 삭스|선 시티즈 솔라 삭스]] (Sun Cities Solar Sox; 現 메사 솔라 삭스 [[:en:Mesa Solar Sox|Mesa Solar Sox]])에서<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7&oid=001&aid=0004255979 <프로야구>김용국, 애리조나 폴리그 코치 영광 :: 네이버 뉴스<!-- 봇이 따온 제목 -->]</ref> 한 달간 경험을 쌓은 뒤 다시 밀워키 브루어스 산하의 싱글A 야구단 [[스탁턴 포츠]] ([[:en:Stockton Ports|Stockton Ports]])에서 수비 및 주로 코치로 일했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7&oid=001&aid=0004294321 <프로야구> 김용국, 미국 프로야구 지도자로 데뷔 :: 네이버 뉴스<!-- 봇이 따온 제목 -->]</ref> 1998년 말, 1년간 그를 지켜본 [[스탁턴 포츠]]는 그에게 연봉 3만 달러를 제안함과 동시에 1999 시즌부터 정규 시즌 코치로 일할 것을 제안하였다. 1999 시즌이 끝난 뒤엔 연봉이 3만 5천 달러로 오르면서 트리플A 야구단 [[인디애나 인디언스]] ([[:en:Indianapolis Indians|Indianapolis Indians]])의 코치로 승격되었다. 2000 시즌 도중에는 [[스카우트]] 자격으로 한국에 2주 동안 출장을 오기도 했는데, 그때 한국의 4개 프로 구단으로부터 코치 제의를 받았다. 그는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메이저 리그]] 코치에 도전해 볼 생각도 있었으나 [[LG 트윈스]]의 강력한 러브콜로 인해 국내 복귀를 택했다.<ref name="imaeil" />
         [[대한민국]]에서 연봉 5천만원에 [[LG 트윈스]]의 코치로 활동하기 시작한<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7&oid=001&aid=0004551908 <프로야구소식> LG, 김대진, 김용국코치 영입]</ref> 그는 추후 자리를 옮겨 [[2006년 대한민국 프로 야구|2006 시즌]]부터 [[2009년 대한민국 프로 야구|2009 시즌]]까지 친정 구단 [[삼성 라이온즈]]에서 수비 코치로 활동했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7&oid=109&aid=0000020171 삼성, 김용국·강성우 코치 영입]</ref><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7&oid=109&aid=0000060865 [사진]김용국 코치,'아픈 데는 괜찮나?' :: 네이버 뉴스<!-- 봇이 따온 제목 -->]</ref><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7&oid=109&aid=0000060876 [사진]김용국,'글러브 가볍고 괜찮네!' :: 네이버 뉴스<!-- 봇이 따온 제목 -->]</ref> [[2009년]] 친정 팀의 코치 재계약에 실패한 후 [[2010년 대한민국 프로 야구|2010 시즌]]엔 [[넥센 히어로즈]]에 자리를 옮겨 2군 수비·작전·주루 코치로 활동하다가<ref>''OSEN'' - 2009년 11월 기사 [http://www.osen.co.kr/news/Sports_View.asp?gisano=G0911190106 "히어로즈, 김용국 전 삼성 코치 영입"]</ref> [[류중일]]이 감독으로 부임한 후 부름을 받아 친정 팀의 코치로 복귀했다.
  • 김운용 . . . . 6회 일치
          | 그림 =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1/1f/Kim_Unyong_in_2012.jpg/300px-Kim_Unyong_in_2012.jpg
         '''김운용'''(金雲龍, [[1931년]] [[3월 19일]] ~ [[2017년]] [[10월 3일]])은 [[대한민국]]의 군인, 정치인, 스포츠 행정가이다.<ref name="newsis_2011-04-18_419">{{뉴스 인용 | 저자=배민욱 | 위치=서울 | 뉴스=뉴시스 | 제목="국민이 하야 원해? 그럼 하지"…4·19 생생한 증언 | url=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3&aid=0003808062 | 날짜=2011-04-18 | 확인날짜=2017-10-03 | 보존url=https://archive.today/20171003133654/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3&aid=0003808062 | 보존날짜=2017-10-03 | 깨진링크=아니오 }}</ref>
         [[1971년]]부터 [[1991년]]까지 [[대한태권도협회]] 회장을 역임했으며 [[1973년]]부터 [[2004년]]까지 [[세계 태권도 연맹]]을 역임했다. [[태권도]]의 세계화를 추진했으며 태권도가 올림픽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는 데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1986년]]부터 [[국제 올림픽 위원회]](IOC) 위원으로 활동했으며, [[1992년]]에는 부위원장에 당선되기도 하였다. 2001년 IOC위원장 선거에 출마했으나 낙선하였다. 2005년 공금 횡령 등의 혐의로 구속된 후에 IOC 위원직을 사퇴했다. 2017년 10월 3일 서울특별시 서대문구의 [[연세대학교 의료원|세브란스병원]]에서 86세를 일기로 세상을 떠났다.<ref name="yonhapnews_2017-10-03_death">{{뉴스 인용 | 저자=배진남 | 위치=서울 | 뉴스=연합뉴스 | 제목='한국스포츠 거목' 김운용 전 IOC 부위원장 3일 오전 타계(종합3보) | url=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7/10/03/0200000000AKR20171003024154007.HTML | 날짜=2017-10-03 | 확인날짜=2017-10-03 | 보존url=https://archive.today/20171003133204/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7/10/03/0200000000AKR20171003024154007.HTML | 보존날짜=2017-10-03 | 깨진링크=아니오 }}</ref><ref name="news1_2017-10-03_death">{{뉴스 인용 | 저자=정명의 | 위치=서울 | 뉴스=뉴스1 | 제목=거목이 쓰러지다…김운용 전 IOC 부위원장이 걸어온 길 | url=http://news1.kr/articles/?3116999 | 날짜=2017-10-03 | 확인날짜=2017-10-03 | 보존url=https://archive.today/20171003133158/http://news1.kr/articles/?3116999 | 보존날짜=2017-10-03 | 깨진링크=아니오 }}</ref>
  • 디도(성우) . . . . 6회 일치
         [Include(틀:프로젝트 문서, 프로젝트=나무위키 성우 프로젝트)]
         || '''링크''' || [[http://cafe.naver.com/dreemyvoicedido|팬카페]] [[http://www.cyworld.com/did0|미니홈피]] [[https://twitter.com/4DVoiCe|트위터]] [[http://blog.naver.com/cjhunters|블로그]] [[https://www.instagram.com/4dvoice/|인스타그램]] ||
         [[김자연]] 성우가 [[클로저스 티나 성우 교체 논란]]으로 인해 [[티나(클로저스)|티나]] 배역을 하차한 후 김자연을 위로하는 트윗을 올렸다.[[http://gall.dcinside.com/board/view/?id=radio_actor&no=288586&page=5|#]] 하지만, 옹호가 아닌 위로글이기만 해서 크게 논란이 되지 않았다.
          * [[소년탐정 김전일]] Original 시리즈
          * 소년탐정 김전일 Original 1기
          * 소년탐정 김전일 Original 2기 - 각종 단역
          * 소년탐정 김전일 Original 3기 아케치 소년의 화려한 검술 - 우사미 오토야
  • 몽고귀신 . . . . 6회 일치
          *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84092000329207016&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84-09-20&officeId=00032&pageNo=7&printNo=11995&publishType=00020
          *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85052400329205001&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85-05-24&officeId=00032&pageNo=5&printNo=12201&publishType=00020
  • 문희(배우) . . . . 6회 일치
         [include(틀:다른 뜻1, other1=신라의 황후 문희, rd1=문명왕후)]
         [include(틀:다른 뜻1, other1=2017년에 데뷔한 보너스베이비 멤버 문희, rd1=문희(보너스베이비))]
         ||<table width=100%><table align=center><table bordercolor=#000000><-100><:>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C60C30 20%, #003478)"
         ||<#ffffff><-1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민효린 . . . . 6회 일치
         2007년 5월 가수로 데뷔하여 싱글 앨범을 발매했으며, '''Rinz''' 라는 이름으로 활동했다. 대표곡으로는 Stars와 기다려 늑대가 있으며 특히 Stars는 [[나카시마 미카]]의 원곡으로도 유명하다. 2가지의 앨범 형태로 발매됐으며 각기 다른 분위기를 가진 'Stars 버전'과 '기다려 늑대 버전'이 있어 사용자들의 취향에 따라 구입할 수 있다.
         * {{인스타그램|hyorin_min}}
         * {{트위터|hyorin0205}}
         * {{한시네마 인물|Min_Hyo-rin|민효린}}
  • 박용우(배우) . . . . 6회 일치
         [include(틀:다른 뜻2, other1=한국의 축구 선수, rd1=박용우(축구선수), other2=한국의 프로게이머, rd2=박용우(프로게이머))]
         [include(틀:프레인TPC 소속 아티스트)]
         |||| https://search.pstatic.net/common/?src=http%3A%2F%2Fpost.phinf.naver.net%2F20160105_43%2Fnews_fact_1451920551757ssOA7_JPEG%2Fmug_obj_201601050015524370.jpg&type=n88_88 ||
         [include(틀:-)]
         <iframe title='혈액형의 허구' width='500px' height='281px' src='http://videofarm.daum.net/controller/video/viewer/Video.html?vid=RWW84B31aEM$&play_loc=undefined&c_bitrateSelectBox_visible=false' frameborder='0' scrolling='no' ></iframe>
  • 박정민(배우) . . . . 6회 일치
         [include(틀:다른 뜻2, other1=SS501의 멤버, rd1=박정민(SS501), other2=대한민국의 성우, rd2=박정민(성우))]
         [include(틀:상위 문서, top1=배우/한국)]
         [include(틀:샘컴퍼니 소속 아티스트)]
         ||<#4682b4> {{{#white '''외부 링크'''}}} ||<(> [[http://gall.dcinside.com/mgallery/board/lists/?id=parkjungmin|[[파일:디시인사이드 아이콘.png|width=24]]]] ||
         || [[SBS 나이트라인|나이트라인]][[http://news.sbs.co.kr/news/endPage.do?news_id=N1003998544&plink=THUMB&cooper=SBSNEWSPROGRAM|영상]] ||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박정민, version=72)]
  • 백정현 . . . . 6회 일치
         [include(틀:상위 문서2, top1=야구 관련 인물(KBO) , top2=삼성 라이온즈/선수단)]
         ||<bgcolor=#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전반기 막판/후반기 초반에는 Again 백린탄'''
         인스타를 하고 있는데 여행가며 찍은 사진을 올리는 용도로만 쓰는 듯. [[https://www.instagram.com/baek_junghyun/|보러가기]] 그 사진이 굉장히 높은 퀄리티라 [[삼성 라이온즈 갤러리]]에선 야구 선수가 안 됐으면 사진작가가 됐을 거란 얘기가 종종 나올 정도. 아예 '백작가'라고 부르며, 그가 찍어서 인스타그램에 올린 사진들이 종종 개념글로 올라온다. 일부는 반농담으로 [[라팍]]에서 백정현이 찍은 사진을 넣은 달력이나 엽서를 팔아야 한다고 주장하기도 한다.
         팬 서비스도 좋은 편으로, 인스타그램에 남긴 팬의 질문에 [[http://m.dcinside.com/view.php?id=samsunglions_new&no=187308&page=1&serVal=%EC%9D%B8%EC%8A%A4%ED%83%80&s_type=all&ser_pos=-191803|DM으로 답변해 주기도]] 했다. 하지만 [[http://m.dcinside.com/view.php?id=samsunglions_new&no=211018&page=1&serVal=%EB%B0%B1%EC%9E%91%EA%B0%80&s_type=all&ser_pos=-211792|셀카]]는 잘 못 찍으시는 것 같다(...) --풍경만 취급--
  • 베이지 . . . . 6회 일치
         ||<#F5F5DC> '''데뷔''' || [[2007년]] 1집 'Something Like Beige Vol.1' ||
         ||<#F5F5DC> '''링크''' || [[https://www.twitter.com/beigeluv/|[[파일:트위터 아이콘.png|width=24]]]] [[https://instargram.com/beigeluv/|[[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png|width=24]]]] ||
          * 2007년 4월 10일 1집 Something Like Beige vol.1
          * 2010년 친구와 사랑에 빠질 때(Digital Single)
          * 2011년 1월 술을 못해요(Digital Single)
          * 2013년 2월 Again
  • 서울대공원 구미호 . . . . 6회 일치
          *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84092000329207016&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84-09-20&officeId=00032&pageNo=7&printNo=11995&publishType=00020
          *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84092000209210008&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84-09-20&officeId=00020&pageNo=10&printNo=19375&publishType=00020
  • 서정환 . . . . 6회 일치
         [[건국대학교|건국대]]를 졸업하고 실업 야구 팀 [[포스코|포항제철]]과 경리단을 거쳐 [[1982년]] [[KBO 리그]]가 출범하자 연고 팀 [[삼성 라이온즈]]의 창단 멤버가 되었다. 그러나 당시 그의 포지션이었던 [[유격수]]에 [[오대석]], [[장태수]] 등의 쟁쟁한 선수가 많아 주전으로 출전하기 힘들게 되자 시즌 후 스스로 트레이드를 요청하여 [[유격수]] 자원이 부족하였던 [[해태 타이거즈]]에 현금 트레이드로 이적했다. 이것은 [[KBO 리그]] 역사상 최초의 현금 트레이드로 양 팀과 선수에 모두 도움이 된 win-win 케이스로 꼽힌다. 서정환의 트레이드는 최초의 현금 트레이드이고, 최초의 선수 간 트레이드는 [[1983년]] [[6월 27일]] [[MBC 청룡|MBC]] [[내야수]] [[정영기 (야구인)|정영기]]와 [[롯데 자이언츠|롯데]] [[포수]] [[차동열]] 간의 트레이드였다.<ref>[http://joynews.inews24.com/php/news_view.php?g_menu=702100&g_serial=585648&rrf=nv 트레이드, 그라운드 밖의 승부수] - 조이뉴스24</ref> 이후 서정환은 견실한 수비와 빠른 발을 이용한 플레이로 1980년대 [[해태 타이거즈]]의 전성기를 이끌었다. [[1986년]]에는 도루왕에 오르기도 했다.
         [[1989년]]에 은퇴하여 [[해태 타이거즈]]에서 코치 생활을 하다가 [[1995년]]에 도일하여 [[요미우리 자이언츠]]에서 지도자 연수를 받았다. [[1996년]] 고향 팀 [[삼성 라이온즈]]로 복귀하여 수비코치로 일했다. [[1997년]] [[10월 30일]] [[삼성 라이온즈]]는 라이벌 팀 [[해태 타이거즈]]를 벤치마킹하려는 경영진의 결정으로 [[해태 타이거즈|해태]]에서 오랜 선수 생활을 했던 그를 [[백인천]]의 후임으로 [[삼성 라이온즈|삼성]] 선수 출신 최초의 감독에 임명하였다.<ref>[http://sports.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sports_general&ctg=news&mod=read&office_id=001&article_id=0004201661 삼성,제 9대 감독으로 서정환 코치 전격 발탁] - 연합뉴스</ref><ref>서정환 다음으로 [[삼성 라이온즈|삼성]] 선수 출신으로 감독이 된 경우는 [[류중일]]이며, 서정환과 달리 [[류중일]]은 원 클럽맨 출신으로 삼성의 감독이 된 첫 번째 경우이다.</ref> [[1998년]]에 정규 시즌 2위, [[1999년]](이 해에 잠깐 양대 리그제로 바뀌었다.) 드림리그 1위라는 좋은 성적을 거두지만, [[롯데 자이언츠]]에 패해 [[1999년 한국시리즈]] 진출에 실패하고 그 해 [[11월 1일]]에 사임하였다.<ref>[http://sports.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sports_general&ctg=news&mod=read&office_id=001&article_id=0004563593 프로야구 삼성, 서정환 감독 사의] - 연합뉴스</ref> [[2001년]] [[해태 타이거즈|해태]]로 돌아와 2군 감독을 맡았고 시즌 중 수비코치로 보직 변경되었다. 이후 구단주가 바뀐 [[KIA 타이거즈]]에서 [[김성한 (1958년)|김성한]], [[유남호]] 감독을 보좌하여 코치 생활을 하였다. [[2005년]] [[유남호]] 감독이 시즌 최하위의 책임을 지고 시즌 중 사임하자 [[KIA 타이거즈]]의 감독 대행을 맡았고 [[2006년]] 정식 감독에 취임하였다.
         [[2006년]] 정규 시즌을 4위로 마감하여 포스트 시즌에 진출, [[해태 타이거즈|해태]]의 영광을 되살리는 듯했지만 [[한화 이글스]]와 맞붙었던 준 플레이오프에서 패해 탈락했다. [[2007년]] [[KIA 타이거즈]]가 최하위로 전락하자 그 해 시즌 중 영입한 배터리 코치 [[조범현]]에게 감독 자리를 넘기고 총감독으로 일선에서 물러났다.<ref>[http://sports.khan.co.kr/news/sk_index.html?cat=view&art_id=200710191144463&sec_id=510201&pt=nv 감독 대이동? 조범현 배터리 코치 KIA 새 사령탑] - 스포츠칸</ref>
  • 성현아 . . . . 6회 일치
         대기업 이사였던 아버지 밑에서 어린 시절을 보냈다. 고등학교를 졸업한 후에 모델 일을 하였고 [[1994년 미스코리아]] 대회에 출전해 예선대회에서 진, 본선에서 미에 당선됐다.<ref>{{뉴스 인용| 제목= 성현아, `사업실패` `가족의 죽음` 굴곡진 과거사| url = http://entertain.naver.com/read?oid=057&aid=0001119403| 출판사= 스포츠월드| 저자= 류일한| 쪽= | 날짜= 2017-05-05| 확인날짜= }}</ref>
         [[2002년]]에 마약 복용 혐의로 구속되었고,<ref>[http://imnews.imbc.com/20dbnews/history/2002/1887524_13454.html 미스코리아 출신 탤런트 성현아 마약복용 구속] (2002년 3월 7일, MBC 뉴스데스크)</ref> 2003년에 [[나체|누드]] 화보를 발표한 후 2004년 영화 《[[여자는 남자의 미래다]]》에 출연해 [[칸 영화제]]에 진출해 재기에 성공했으며 [[2006년]] SBS [[어느날 갑자기 (2006년 드라마)|어느날 갑자기]]로 정극 복귀를 했다.<ref>{{뉴스 인용| 제목= [MD포토] 성현아, '4년만의 TV복귀 떨려요' | url= http://entertain.naver.com/read?oid=117&aid=0000038591| 출판사= 마이데일리| 저자= 곽경훈| 쪽= | 날짜= 2006-02-21| 확인날짜= 2018-09-25}}</ref>
         2010년에 여섯 살 연상의 사업가와 재혼하여 아들을 [[출산]]했다. 그러나 재혼한 남편의 사업이 순탄치 않아 별거에 들어갔고, 이후 극심한 생활고에 시달렸으며 [[2013년]] 성매매 알선 혐의로 기소돼 1,2심에서 벌금 200만원이 선고됐으나 [[2016년]] 대법원 판결에서 무죄를 인정받았으며 이 과정에서 MBC로부터 출연금지를 받아야 했다.<ref>{{뉴스 인용| 제목= 언론에 부담느꼈나? 성현아 끝내 제작발표회 불참| url= https://entertain.naver.com/read?oid=469&aid=0000276165| 출판사= 한국일보| 저자= 강은영| 쪽= | 날짜= 2018-02-06| 확인날짜= 2018-09-25}}</ref>
         그 이후 [[2018년]] KBS 2TV 아침 TV 소설 [[파도야 파도야]]로 안방극장에 복귀했는데 KBS 정극으로 치자면 1997년 월화 미니시리즈 [[열애 (1997년 드라마)|열애]]<ref>{{뉴스 인용| 제목= '제주 초원'서 그리는'사랑의 수채화' KBS 새미니시리즈 '열애'6일 첫방송 박상민·성현아·이정길·정애리등 열연| url=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97100300329127006&editNo=45&printCount=1&publishDate=1997-10-03&officeId=00032&pageNo=27&printNo=16233&publishType=00010| 출판사= 경향신문| 저자= 오광수| 쪽= | 날짜= 1997-10-03| 확인날짜= 2018-09-25}}</ref> 이후 21년 만이었으며 그 이후 [[내사랑 누굴까|내 사랑 누굴까]] 등의 KBS 정극에서 섭외가 왔지만 이런저런 사정으로 거절했다.
  • 시노자키 아이 . . . . 6회 일치
          * 라인 블로그 : http://lineblog.me/shinozakiai/
          * 아메바 블로그 : http://ameblo.jp/oshino-ai/
          * 트위터 : https://twitter.com/shinozakiai_226
          * 인스타그램 : https://www.instagram.com/shinopp._.ai/
  • 신화용 . . . . 6회 일치
         [include(틀:상위 문서, top1=축구선수/목록/대한민국)]
         [include(틀:수원 삼성 블루윙즈/간략)]
         ||||<:><#3FB7E4> {{{#ffffff 신화용 [br] (申和容 / Shin Hwa-Yong)}}} ||
         그리고 이어진 활약상으로 2013 K리그 3라운드 수원과의 경기에서 선방쇼를 보여준 끝에 3라운드 MVP로 뽑혔다. 수상 소감 겸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그동안 말하지 못했던 2012 시즌 후 FA로 풀리는 과정에서 포항과 있었던 연봉 협상[* 이 때 [[황진성]]과 더불어 연봉협상에 제일 난항을 겪었다. 결국 우여곡절 끝에 ACL 선수등록 하루 전에 협상을 마무리하며 아슬아슬하게 팀에 남게 되었다.]의 뒷 이야기도 풀어놨는데 포항의 모기업인 포스코가 경영악화로 신화용에 걸맞는 연봉을 못 주는 상황에서 일본 클럽이 2배에 가까운 연봉을 제시했지만, 포항 유스 출신으로서 포항과 포항팬들에 대한 애정과 [[황선홍]] 감독에 대한 믿음 때문에 남는 것을 결정했다고 한다. ~~포스코 경영진들 보고 있나?~~ ~~경영정상화 되면 두고봅시다.~~ 이때 인터뷰에서 한 정확한 발언은 "감독님이 첫 번째 이유다. 전지훈련 도중 떠난다는 말을 못하겠더라. 감독님과 두 번 다시 안 볼 사이도 아니다. 그리고 나를 믿어준 동료들도 있었다. 고향이고 팬들도 마음에 걸렸다. 남아야할 이유가 더 많았다. 떠날 이유는 돈 뿐이었다."[[http://sports.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k_league&ctg=news&mod=read&office_id=241&article_id=0002124687&date=20130319&page=2|보러가기]]
         그리고 그의 인생 최악의 경기인 2015 K리그 클래식 홈 개막전 울산과의 경기를 슈틸리케 감독이 보도진 몰래 [[포항 스틸야드]]에 암행정찰을 왔다. --왜 잘 할 때는 안 오고-- 이 날 모습을 생각한다면 국대와의 거리가 더욱 멀어지게 되었다. 이로 인해 신화용 >>>>>> 정성룡을 외치던 K리그 팬들을 입 다물게 한 반면에, 오히려 K리그까들로부터 '''정성룡이랑 뭐가 다르냐, 정성룡보다 더 못하다'''라는 평가를 받으며 조롱받고 있는 중. 기량이 제대로 폭발한 이후로 실수가 상당히 줄어든 키퍼인데 역대급 실수를 엄청나게 보여주면서[* 그것도 공중파 전국 생중계였다. [[KBS]]가 올 시즌부터 K리그 클래식을 전격 중계하겠다고 선언했기 때문. --아니, 왜 잘할 때는 중계를 안 해주고-- 참고로 KBS의 K리그 클래식 전격 중계는 [[이영표]]가 해설위원이 되면서 내건 조건으로 KBS는 이를 받아들였다라고만 서술하면 이영표 해설위원 혼자서 다 한 거 같게 느껴지는데 사실 정확하게 말하면 프로축구연맹에서 따낸 계약 조건이라고 보는게 정확하다. 이영표 해설위원이 아무것도 안한 건 아니지만 엄밀히 말하면 프로축구연맹>>>이영표의 기여도 차이가 있는 일이다.] 엄청 평가가 떨어졌다. 다만 이 경기를 관람한 슈틸리케 감독은 "축구에서는 언제든 실수가 나올 수 있다. 충분히 나올 수 있는 실수였고, 선수들은 이런 실수가 나오는 데 대해 두려워하지 말아야 한다"는 말을 했다. [[http://sports.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a_match&ctg=news&mod=read&office_id=343&article_id=0000047475|관련기사 1]], [[http://sports.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k_league&ctg=news&mod=read&office_id=108&article_id=0002396186|관련기사 2]]
  • 싱가포르 고릴라 유령 . . . . 6회 일치
          *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64040300329203020&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64-04-03&officeId=00032&pageNo=3&printNo=5677&publishType=00020
          *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64040300209203014&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64-04-03&officeId=00020&pageNo=3&printNo=13058&publishType=00020
  • 양진성(배우) . . . . 6회 일치
         [include(틀:상위 문서, top1=배우/한국)]
         [include(틀:씨엘엔컴퍼니 소속 아티스트)]
         ||<#FFCC33> {{{#ffffff '''외부 링크'''}}} ||<(> [[https://www.instagram.com/jinsung_627|[[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png|width=24]]]] [[https://twitter.com/jiinsung627|[[파일:트위터 아이콘.png|width=24]]]] ||
         [[2010년]] 영화 웨딩 드레스를 통해 배우 활동을 시작한 양진성은 2011년부터는 주로 드라마에 출연하고 있다. [[2014년]] [[TV조선]] [[주말 드라마]] '백년의 신부'에서 [[1인 다역|1인 2역]]의 주인공을 맡으면서 화제가 되기도 했다.^^[[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6&oid=109&aid=0002721159|관련 기사]]^^
  • 엔포서스 . . . . 6회 일치
         [[마블 코믹스]]의 빌런팀. 첫등장은 The Amazing Spider-Man #10 (March 1964)에서 처음 등장.
          본명 Daniel Brito. 첫등장은 The Amazing Spider-Man #10 (March 1964). 3인 중 가장 단신이지만 뛰어난 무술가이다. 유도와 가라데를 익혔다.
          본명 Jackson W. Brice. 첫등장은 The Amazing Spider-Man #10 (March 1964). 특기는 올가미 던지기. 카우보이 모자를 쓰고 있다.
          본명 Raymond Bloch. 첫등장은 The Amazing Spider-Man #10 (March 1964). 큰 덩치에 걸맞게 괴력을 지녔다.
          본명 Sylvester Marston. 첫등장은 Machine Man #16 (August 1980). 전문 곡예사.
          본명 Willard Harrison. 첫등장은 Machine Man #16 (August 1980). 금속 장갑을 착용. 권투 실력이 뛰어나다.
  • 영양군 . . . . 6회 일치
         [include(틀:상위 문서, top1=경상북도)]
         [include(틀:회원수정)]
         [include(틀:프로젝트 문서,프로젝트=나무위키 대경권 프로젝트)]
         [include(틀:경상북도의 기초자치단체)]
         [include(틀:영양군의 읍면)]
         [include(틀:-)]
  • 오승희 . . . . 6회 일치
         | 그림 =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d/d9/Oh_Seung-hee_at_a_fan_meeting_in_January_2017_01.jpg/250px-Oh_Seung-hee_at_a_fan_meeting_in_January_2017_01.jpg
         '''오승희'''(吳承姬<ref name="hanja">[https://www.facebook.com/Umusic.JKPOP/photos/a.260040747449.141783.251736272449/10154571559607450/?type=3 모닝구 무스메 한자 자필]</ref><ref>[http://thestar.chosun.com/site/data/html_dir/2017/08/21/2017082102498.html [더스타프로필] 오승희 "모닝구 무스메만의 리얼리티 찍고 싶다…빅재미 드릴 것"] {{웨이백|url=http://thestar.chosun.com/site/data/html_dir/2017/08/21/2017082102498.html |date=20170912003602 }} 2017-08-25</ref>, [[1995년]] [[10월 10일]] ~ )는 일본의 가수로, [[모닝구 무스메]]의 서브보컬이다.<ref>{{웹 인용|url=https://www.youtube.com/watch?v=aWRTsHtA9zY|title=Debut Greeting at 모닝구 무스메 SHOWCASE|first=|last=보따리 bottari|date=2015-03-25|publisher=|accessdate=2017-08-12|via=YouTube}}</ref><ref>{{웹 인용|url=http://entertain.naver.com/now/read?oid=311&aid=0000587211|title=[XP★SHOT] 모닝구 무스메가 궁금해? 안전담당부터 보호본능까지③|publisher=xportsnews|date=2016-03-15|accessdate=2017-08-12}}</ref><ref>{{웹 인용|url=https://www.youtube.com/watch?v=y0Rau6SssxE|title=칯트키 Live - “PRODUSORN” EP02: LIFE AS A GIRL GROUP|first=|last=Cube Ent|date=2017-04-25|publisher=|accessdate=2015-03-18|via=YouTube}}</ref><ref>{{웹 인용|url=https://m.facebook.com/모닝구 무스메.UnitedCube/photos/a.1511382879116331.1073741828.1489401217981164/1558678227720129/?type=3&source=54|title=CLC Facebook:Seunghee|date=2017-03-14}}</ref><ref name=supertv>2018-04-06,XtvN,SUPER TV EP11,「메인래퍼、은지」「센터、은지」「리드보컬、모닝구 무스메」「리더、모닝구 무스메」。</ref>
  • 오재희 . . . . 6회 일치
         [[서울대학교]] 정치학과를 졸업하고, 외무고시에 합격한 뒤, 주미·주일 공사, 주 파키스탄 대사,<ref>{{뉴스 인용 |url =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83110700099201013&editNo=1&printCount=1&publishDate=1983-11-07&officeId=00009&pageNo=1&printNo=5439&publishType=00020 | 제목 = 韓國, 파키스탄과 修交 | 날짜 = 1983-11-07 | 출판사 = 매일경제신문 | 인용문 = 政府는 7일 파키스탄 정부와 공식외교관계를 수립했다고 외무부가 발표했다. 外務部는 이날 발표에서 韓․파키스탄 국교수립으로 양국 주재 총영사관이 각각 대사관으로 승격되고 양국 주재 대사 임명에 앞선 잠정조치로서 吳在熙 駐파키스탄총영사와 자베드․마수드 駐韓파키스탄 총영사가 각각 대사대리로 임명됐다고 밝혔다. "}}</ref> [[대한민국의 외교통상부 차관|외무부 차관]], 주일 대사를 역임하였다.
         1991년 2월 19일, [[노태우 정부]]에 의해 주일 대사에 임명되었다. 오재희 대사의 기용은 그의 직업외교관 경력으로 미루어 자연스런 인사로 볼 수도 있지만 그가 [[노태우]] 대통령과 [[경북고등학교]] 동기동창이고 [[노재봉]] 총리의 매형, [[이상옥]] [[대한민국의 외교통상부 장관|외무부 장관]]과는 대학 동기 사이라는 학연, 혈연에 주목하는 시각도 있었다. 성격이 꼼꼼하고 일처리가 치밀하며 빈틈없어 부하 직원들로부터 오검사라고 불리기도 하였다. [[외무고시]] 출신으로 첫 주일 대사이다.<ref>{{뉴스 인용 |url =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91021900329201007&editNo=3&printCount=1&publishDate=1991-02-19&officeId=00032&pageNo=1&printNo=13971&publishType=00020 | 제목 =大使7명 이동 | 날짜 = 1991-02-19 | 출판사 = 경향신문}}</ref>
  • 월드 인 컨플릭트/줄거리 . . . . 6회 일치
         <<include(틀:스포일러)>>
         == Invasion! ==
         핸슨은 킹돔[* King Dome. 시애틀에 있던 종합경기장. 안전 문제로 2000년에 철거되었다.]으로 대피한 민간인들의 구조를 주장한다. 배넌은 후퇴하는 것도 바쁘다며 이를 거부하지만 민간인을 죽게 놔둘 수 없다는 핸슨의 반발에 파커에게 구조를 맡긴다. 파커는 부대를 이끌고 킹 돔으로 향한다. 킹 돔 앞 주차장에서 다수의 소련군을 발견하지만 파커의 부대는 킹 돔을 확보하는데 성공한다. 이후 헬리콥터로 도착한 증원군이 포격으로 킹 돔이 무너지기 직전에 민간인들을 구출해낸다.
         == Battle for Pine Valley ==
         == Into the Mountains ==
         == Insurgents ☆ ==
         == Seeing the Elephant ==
         == Lightning Strike ☆ ==
  • 유민상(개그맨) . . . . 6회 일치
         [include(틀:회원수정)]
         [include(틀:맛있는 녀석들 멤버)]
         || '''이름''' ||<(> 유민상(柳敏相)[* [[https://www.youtube.com/watch?v=izstpVU1j4U|참조(1분20초부터)]]] [br] Yoo Minsang ||
         || '''링크''' ||<(> [[https://www.instagram.com/minsangyoo/|인스타그램]], [[https://www.twitch.tv/boowoonim|트위치]], [[https://www.youtube.com/channel/UCvbU93Zy1sNB-ToLYSbwWNQ|유튜브]] ||
          * 2014년 8월 15일 드레노어 월드 프리미어의 진행을 맡았으며 빵빵 터지는 와우드립으로 모든 와우저들을 만족시켰다. [[http://www.thisisgame.com/webzine/news/nboard/4/?n=56005|아즈샤라 얼라이언스는 뭘 먹고 사나요? 거긴 작업장조차 없는 서버잖아요]]
  • 윤보라 . . . . 6회 일치
         [Include(틀:후크엔터테인먼트 소속 아티스트)]
         [Include(틀:씨스타)]
         ||||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9/97/Yoon_Bora_at_The_70th_Independence_Day_of_Republic_of_Korea_02.jpg/250px-Yoon_Bora_at_The_70th_Independence_Day_of_Republic_of_Korea_02.jpg ||
         ||<#B26724> {{{#ffffff '''SNS'''}}} ||<(> [[https://www.instagram.com/borabora_sugar|[[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png|width=25]]]] ||
          * 추석맞이로 [[한복]]을 입고 인터뷰했는데, 하의는 널널한데 [[거유|상의가 꽉 낀다면서]] [[글래머|우월한 신체조건]]을 자랑하는 발언을 했었다. 게다가 살도 잘 안 찌는 체질이라고 한다. 2012년 6월 28일 발표한 <Loving U>의 뮤직비디오 촬영 현장 사진이 6월 30일경에 공개되었는데, [[http://www.etoday.co.kr/news/section/newsview.php?TM=news&SM=4101&idxno=603227|민낯에 노란색 수영복을 입은 보라의 글래머러스한 모습이 화제가 되었다]]. [[http://cfile253.uf.daum.net/R400x0/260A3F37558C3B0D12A2A4|#]]
          * 2017년 6월 28일 [[빅스타(아이돌)|빅스타]]의 리더 [[필독]]과 6개월째 연애중이라고 밝혔다. [[http://m.entertain.naver.com/read?oid=109&aid=0003566211|#]]
         [[아이돌스타 육상 선수권대회/2012년|2012 설날 아육대]]에 참가했으나 50m 달리기에서는 [[달샤벳]]의 [[조가은]]에게, 허들 경기에서는 [[Apink|에이핑크]]의 [[윤보미]]에게 금메달을 내주면서 전(前) 챔피언의 체면을 구겼다. 그나마 경보와 400m 계주에서 금메달을 따긴 했지만, 이건 단체경기라...
         2017년 현재 [[이시영]]이 다녔던 체육관에 이시영과 같은 코치에게 [[복싱]]을 배우고 있다고 한다. [[http://m.entertain.naver.com/read?oid=241&aid=0002701900|#]]
         || [[2013년]] || Will In Fall || Bubble (Narr. 보라 Of 씨스타) || ||
         || [[SBS]] || [[런닝맨]] || 출연 || [* [[제니(BLACKPINK)|제니]], [[지수(BLACKPINK)|지수]], [[윤보라]], [[한은정]], [[표예진]], [[황치열]]와 동반 출연.] ||
         || [[Mnet]] || [[프로듀스 48]] || 진행 || [* [[https://entertain.naver.com/read?oid=241&aid=0002808760|스페셜 MC]]. 그가 직접 방송에서 밝힌 그대로, "[[프로듀스 48|국민 프로듀서 대표]] [[이승기]] 선배님을 대신하여" 2차 경연대회(방송분량상 [[프로듀스 48/6회|6회]] 및 [[프로듀스 48/7회|7회]])진행] ||
  • 윤정희(1944) . . . . 6회 일치
         ||<table width=100%><table align=center><table bordercolor=#000000><-100><:>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C60C30 20%, #003478)"
         ||<#ffffff><-1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http://m.kin.naver.com/mobile/qna/detail.nhn?d1id=11&dirId=111001&docId=51219865&qb=67aB7ZWcIOycpOygle2drCDrsJXsoJXtnaw=&enc=utf8§ion=kin&rank=1&search_sort=0&spq=0|백건우와 결혼 과정에 육영수 여사가 개입되었다는 얘기가 있다.]] '[[박정희]] 전 대통령이 윤정희를 총애하자 이에 [[육영수]]가 백건우와 서둘러 결혼시켜 프랑스로 쫓아냈다' 류의 소문이 떠돌았다. 위의 지식인에서도 알 수 있듯이 북한도 윤정희와 관련된 뜬소문을 알고 있었던 듯하다.
  • 윤진이 . . . . 6회 일치
         |사진 =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2/23/Yoon_Jin-yi_at_Sep_2018.jpg
         |출생지 = [[대한민국]] [[서울특별시|서울직할시]]<br />(現 [[서울특별시]])<ref name="midopa1">김보라 기자[http://media.daum.net/entertain/enews/view?newsid=20120717114513244 윤진이 초등학교 시절, 모태 미모 입증 '귀요미']TV리포트 2012.7.17. 작성</ref>
         [[1990년]] [[서울특별시|서울직할시]] (現 [[서울특별시]]) 출생으로, 어릴 때 현대무용을 하였던 경력이 있다. 중학교 3년 간 미국 얼바인에서 유학 생활을 하였고,<ref name="midopa2"> 유아정 기자[http://media.daum.net/entertain/enews/view?newsid=20120816091204527 윤진이 “美 유학 3년, 정말 외로운 시간이었다”]일간스포츠 2012.8.16 작성 </ref> 귀국 후를 졸업하고 영화예술학과 진학하였다. 또한 어린 시절부터 KBS 1TV 'TV는 사랑을 싣고'에서 아역배우로 활동하였다.<ref name="midopa1">김보라 기자[http://media.daum.net/entertain/enews/view?newsid=20120717114513244 윤진이 초등학교 시절, 모태 미모 입증 '귀요미']TV리포트 2012.7.17. 작성</ref> 2011년, 학교로 오디션을 보러온 소속사 관계자에게 캐스팅되었다.<ref name="midopa2"> 유아정 기자[http://media.daum.net/entertain/enews/view?newsid=20120816091204527 윤진이 “美 유학 3년, 정말 외로운 시간이었다”]일간스포츠 2012.8.16 작성 </ref> 2012년 SBS 드라마 [[신사의 품격]]의 임메아리 역으로 데뷔했다. 2018년 하반기에 방송된 KBS 2TV 주말드라마 [[하나뿐인 내편]]에서 데뷔 이래 최대의 악역을 맡았다.
         * {{인스타그램|yjyoonjin}}
  • 이광훈 (축구선수) . . . . 6회 일치
         이광훈은 [[포항 스틸러스]] 산하의 유소년 팀인 포항제철중학교, [[포항제철고등학교 축구부|포항제철공업고등학교]]를 거쳤으며, 2011년 [[K리그 주니어|SBS 고교클럽 챌린지리그]]에서는 17경기 13골로 득점왕에 오르며 포철공고의 챌린지리그 우승을 이끌기도 했다.<ref>{{뉴스 인용|제목= 축구 명문 포철공고 ‘고교 최강자 등극’|url=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22&aid=0002314967 |출판사=세계일보 |date={{날짜한글화|2011-10-03}} }}</ref>
         2013년 3월 13일 [[AFC 챔피언스리그 2013]] 조별리그 2차전 [[FC 부뇨드코르]]와의 원정 경기에서 선발 출전하며 데뷔하였고, 후반 22분 역전골을 성공시켰다. 비록 종료 직전 동점골을 허용하였으나, 당시 팀은 어린 선수 위주로 출전 명단이 꾸려졌음에도 불구하고 우즈베키스탄 원정에서 2:2 무승부를 기록하며 주목 받았다.<ref>{{뉴스 인용 |제목=‘데뷔골’ 이광훈, 측면 공격수 경쟁 점화 |url=http://sports.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k_league&ctg=news&mod=read&office_id=413&article_id=0000002613 |출판사=인터풋볼 |date={{날짜한글화|2013-03-14}} }}</ref>
         [[2018년]] [[청주 시티 FC]]로 이적했다.<ref>[https://www.inews365.com/news/article.html?no=522962 청주시티FC, '괴물' 김영후 품었다]</ref>
         [[2012년 AFC U-19 축구 선수권 대회]]에 참가하여 대한민국의 8년 만의 대회 우승을 이끌었고, 특히 이란과의 8강전에서는 결승골을 성공시켜 한국의 4:1 승리에 기여하였다.<ref>{{뉴스 인용 |제목=(AFC U-19챔피언십)한국, 이란 꺾고 4강 진출 |url=http://sports.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a_match&ctg=news&mod=read&office_id=003&article_id=0004822065 |출판사=뉴시스 |date={{날짜한글화|2012-11-12}} }}</ref> [[2013년 FIFA U-20 월드컵]]에 참가하여 대한민국의 8강 진출에 기여하였으며, 이라크와의 8강전에서는 후반 5분 동점골을 성공시켰고, 승부차기에서 마지막 키커로 나왔으나 실축해 한국의 4강 진출이 실패되었다 .<ref>{{뉴스 인용 |제목=(U-20 월드컵) 빛나는 용병술, 이광훈 천금 동점골...현재 2-2 |url=http://sports.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a_match&ctg=news&mod=read&office_id=139&article_id=0002001848 |출판사=스포탈코리아 |date={{날짜한글화|2013-07-08}} }}</ref>
         |제목= [[:파일:포항 스틸러스 로고.png|프레임없음|15x15픽셀|link=포항 스틸러스]] [[포항 스틸러스|<span style="color:RED;">포항 스틸러스</span>]]
  • 이수민(야구선수) . . . . 6회 일치
         [include(틀:다른 뜻1, other1=이 문서는 1995년생 야구선수 이수민에 대해 다룹니다. 동명이인, rd1=이수민)]
         ||||<#c0c0c0><:> {{{#000000 이수민(李受珉 / Soo-Min Lee)}}} ||
         이 영향 때문이었을까, 2013년에 창단한 KT 위즈의 신인 우선 지명 대상자로도 잠시 거론되었으나, [[kt wiz]]가 [[개성고등학교 야구부|개성고]] [[심재민]]과 [[천안 북일고등학교 야구부|북일고]] 류희운을 지명함으로서 [[삼성 라이온즈]] 및 삼성 팬들은 한숨을 놓을 수가 있었으며--그리고 [[한화 이글스]]와 한화 팬들은 울었다--, 경북고 박세웅과 함께 누가 삼성의 1차지명 대상자가 될 것인가에 대한 선택만이 남게 되었다. 그리고 2013년 7월 1일 [[삼성 라이온즈]]의 1차 지명 대상자로 최종 선택되었다.[[http://sports.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kbo&ctg=news&mod=read&office_id=109&article_id=0002566963|#]]. 지명 이후 [[대한민국 U-18 야구 국가대표팀/2013|2013 IBAF U-18 대회]] 대표팀에 발탁되어 활약하기도 했다.
         프로필상 180cm, 82kg의 투수치고는 다소 작은 체격에, 탈삼진 신기록을 세운 10이닝 완투 경기 이외에도 경기가 있을 때마다 선발 투수로 나서서 거의 모든 경기를 책임지며 2013년 5월 21일 당시 7경기에 나서서 평균 139개의 공을 던지는 등 혹사에 대한 우려도 적지 않았으나, 경기를 마치고 난 이후 '''[[삼성 라이온즈]]의 지정 병원'''인 세명 병원에서 마사지 및 회복 치료를 받는 등[[http://sports.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kbo&ctg=news&mod=read&office_id=109&article_id=0002539640|#]], 상원고 및 삼성에서도 관리를 해 주고 있는 점으로 볼 때, 삼성이 이수민에 대한 관심과 기대가 얼마나 큰 지 잘 알 수 있는 부분일 것이며, 많은 삼성팬 역시 [[http://sports.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kbo&ctg=news&mod=read&office_id=109&article_id=0002566981|지명 이후 인터뷰]]를 통해 알 수 있는 이수민의 각오를 보고 난 이후 많은 관심과 활약에 대한 기대를 가지고 있는 중이다.--뭐 그래도 불안하면 우리에겐 [[삼성 트레이닝 센터]]가 있잖아?--
         상무에서의 생활과 전역 후 부진에 관련된 글. [[http://gall.dcinside.com/samsunglions_new/562430|주소 현재 원글은 지워진 상태다.]][* 다만 이 블로그 주인의 다른 글들이 [[사자 사랑방]]과의 논조를 가지고 있으므로 적당히 걸러들을 필요가 있다.]
  • 이수진(치어리더) . . . . 6회 일치
         ||||<width=250px><#c0c0c0> {{{#074ca1 '''이수진(Lee Su-Jin)'''}}} ||
         ||<:> '''SNS''' |||| [[https://www.facebook.com/sujin2056|페이스북]] [[https://www.instagram.com/sssssujin_l|인스타그램]] ||
         ||<:> '''서명(싸인)''' |||| [[https://scontent-iad3-1.cdninstagram.com/t51.2885-15/s640x640/sh0.08/e35/21296397_114578505878086_5098037777040146432_n.jpg|사진]] ||
          * FA 잔류 선언으로 삼갤에서는 영구결번 후보라는 드립이 흥하고 있다.[[http://gall.dcinside.com/board/view/?id=samsunglions&no=8783700&page=1&exception_mode=recommend|#]]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이수진, version=18)]
  • 이연희(배우) . . . . 6회 일치
         ||||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f/ff/Lee_Yeon-hee_at_%22Burberry_Art_of_the_Trench_Seoul%22_project_launching%2C_3_March_2016_07.jpg/250px-Lee_Yeon-hee_at_%22Burberry_Art_of_the_Trench_Seoul%22_project_launching%2C_3_March_2016_07.jpg ||
         [Include(틀:-)]
         게다가 2012년 모 CF 촬영 당시 영상이 한동안 인터넷 커뮤니티에서 회자된 적도 있었다. '이연희 연기력에 분노한 감독님' 이라는 제목의 글이었는데, 15초짜리 짧은 광고용 영상 촬영을 하는데도 몸짓과 표정이 어색해 감독이 '''"격 떨어진다"''' 고 독설을 날린 것. [[http://entertain.naver.com/read?oid=076&aid=0002271408|기사]] 물론 감독이 지나치게 직설적인 것도 있긴 했지만, 보통 연기력에 대해 좋은 평가를 받는 편이 아닌 연예인들도 10초 내외의 짧은 광고 영상에서는 어색함이 크게 부각되지 않는다는 점으로 봤을 때 노력이 좀 많이 필요해 보인다.
         그동안 부진했던 연기력이 다시 돌아왔다는 의견이 많아졌을 정도였고, 고질적인 별명이었던 [[발연기]] 배우라는 오명도 점점 씻어내는 중이다.[[http://m.entertain.naver.com/read?oid=117&aid=0002981568|#]] 그리고, 두 주연의 활약 속에 [[더 패키지]] 시즌 2를 만들어달라는 요청도 나왔을 정도로 윤소소 역은 사실상 성공적인 인생캐릭터라는 평도 나온다.[[http://m.entertain.naver.com/read?oid=016&aid=0001319219|#]][[https://www.youtube.com/watch?v=DWnK-W_gtIE|#]]
         ||<|2> 2004년 ||<|2> [[동방신기]] || My Little Princess (있잖아요) ||
  • 이열희 (1924년) . . . . 6회 일치
         [[1924년]] [[12월 18일]] [[대구부]] 성내3동(대구광역시 중구 서성로 1가)에서 이상무의 아들로 태어났다. 할아버지 소남 [[이일우]]는 사업가였고, 독립운동가 [[이상정]],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로 유명한 시인 [[이상화 (시인)|이상화]]<ref name="daemyonh">[http://www.lifemaeil.com/news_view.php?print_no=1540&seq=5570 특집- 상화의 큰 집 사람들] 주간매일 2002년 11월 27일자</ref>, 역사학자 겸 스포츠인 [[이상백 (사학자)|이상백]]은 그의 아버지 이상무의 사촌 형제들이었다.
         [[미국]] 제25육군병원에서 [[하버드 대학]] 출신인 [[치과]]전문의 [[마틴 D. 해치]](Martin D. Hatch) 박사의 지도 하에 악안면 [[성형외과]]를 수학하였다. 이후 그는 육군 제1병원에 근무하였으며, 제1병원 재직 중 악안면성형 및 구강외과를 창설했다. 당시엔 전쟁 당시 발생한 부상이나 상처 등으로 턱, 안면 등에 변형이 생긴 환자들이 있었다. 그의 성실성을 높이 평가한 [[마틴 D. 해치]]는 [[한국]]을 떠나기 전 그에게 수술할 때 사용했던 소수술기구와 성형외과학서적 5권을 그에게 특별히 선물해주기도 했다. 이후 그는 [[1953년]] [[경북대학교]] 의과 대학 치의학과를 졸업하였다.
         [[1956년]] [[경북대학교]] 의과 대학 치의학과 전임강사가 되고, 그해 동 대학 조교수가 되었다. [[1956년]] [[4월]] [[경북대학교|경북대]] 의과대학에 치의학과가 신설되자 동년 [[8월]]에 이열희는 조교수에서 경북대 치의학과 학과장으로 부임하였다.<ref>[http://www.denfoline.co.kr/news/articleView.html?idxno=2299& 경북대학교 치과대학 구강악안면외학과교실] 덴포라인 2006.04.05</ref> 그러나 예산 부족을 이유로 치의학과는 [[1957년]] [[3월]] 폐지됐다.
         {{Col-begin}}
         * [http://dent.knu.ac.kr/intro/history.jsp 경북대학교 치의학전문대학원]
         * [http://www.lifemaeil.com/news_view.php?print_no=1540&seq=5570 특집- 상화의 큰 집 사람들] 주간매일 2002년 11월 27일자
  • 이지현(1983) . . . . 6회 일치
         [Include(틀:쥬얼리)]
         || '''링크''' ||<(> [[https://www.instagram.com/peace89421/|인스타그램]] ||
         연애 [[http://entertain.naver.com/read?oid=241&aid=0002449608|3개월]]만에 2013년 3월 24일에 7살 연상의 일반인과 [[http://m.news.naver.com/read.nhn?mode=LSD&mid=sec&sid1=106&oid=108&aid=0002208117|결혼식을 올렸다]]. 그리고 결혼 7개월 후 득녀한 것으로 보아 [[속도위반]]한 듯.
         2016년 6월 10일, [[http://entertain.naver.com/read?oid=112&aid=0002821557|수원지방법원 관계자]]는 "이지현이 최근 이혼 조정 중이다. 이지현 측이 먼저 신청했다"라고 밝혔다. 결국 2016년 8월 25일에 [[http://entertain.naver.com/read?oid=144&aid=0000449032|합의 이혼했다]]. 양육권은 이지현이 갖고 간다고 한다. [[여담]]으로 이 당시 일부 [[찌라시]]에서는 이지현의 아이들을 ''''두 남매'가 아닌 '두 딸'로 잘못 기재''' 했다 [[카더라]].
         2017년 9월 안과전문의와 재혼한다. [[http://m.entertain.naver.com/read?oid=076&aid=0003139505|단독 인터뷰]]
         [[http://entertain.naver.com/read?oid=057&aid=0001066588|2016년 12월 28일 BS컴퍼니와 계약했다]].
  • 임현식(배우) . . . . 6회 일치
         [include(틀:다른 뜻1,other1=아이돌 그룹 'BTOB'의 멤버,rd1=임현식(BTOB))]
         ||<table width=100%><table align=center><table bordercolor=#000000><-100><:>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C60C30 20%, #003478)"
         ||<#ffffff><-1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위에서도 언급했듯 [[주당]]이라는 점 때문에 흑역사도 있는데 '''[[음주운전]]으로 [[무려]] 7차례'''[[http://m.entertain.naver.com/read?oid=076&aid=0001991537|나 적발되었으며,]] 그 중에 '''무면허 음주운전'''도 여러 건이 된다고 한다. 심지어 '''음주운전으로 사람을 치어 중상을 입혀''' 재판을 받은지 불과 1년 만에 또 다시 무면허 음주운전으로 적발된 적이 있다. 지금 기준에서는 언론이 발달하고 [[삼진아웃]] 제도가 있으니 턱도 없을 일이지만, 당시 시대 환경이 그랬던 만큼 이런 사실 자체가 잘 알려지지 않았기에 결과적으로 계속 활동할 수 있었다.
  • 임효준 . . . . 6회 일치
         [[2018년]] [[2월 10일]]에 열린 [[2018년 동계 올림픽 쇼트트랙 남자 1500m|쇼트트랙 남자 1500m]] 예선과 준결승에서 무난히 통과했고, 결승에서는 2분 10초 485의 [[올림픽 기록]]으로 1위를 차지하였다. 이는 [[2018년 동계 올림픽 대한민국 선수단|대한민국 선수단]]의 첫 메달이자 금메달이기도 했다.<ref>http://www.hani.co.kr/arti/sports/sports_general/831734.html#csidxc20cd80bba1b97989951bed5ea919c0</ref> 또한 이번 기록으로 [[2010년 동계 올림픽|2010년 밴쿠버 동계 올림픽]]에서 [[이정수]]가 세웠던 2:10.949의 기록도 경신하게 되었다.<ref name="2018olympics-final">{{웹 인용|title=Short Track Speed Skating Results - Men's 1,500m Final A|url=https://www.pyeongchang2018.com/en/game-time/results/OWG2018/en/short-track-speed-skating/results-men-s-1500m-fnl-a00100-.htm|website=[[2018년 동계 올림픽|2018평창올림픽 공식사이트]]|publisher=[[국제올림픽위원회]]|accessdate=10 February 2018|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180210130015/https://www.pyeongchang2018.com/en/game-time/results/OWG2018/en/short-track-speed-skating/results-men-s-1500m-fnl-a00100-.htm|archivedate=10 February 2018|language=en|date=10 February 2018}}</ref>
         * {{언어링크|en}} [http://www.isu.html.infostradasports.com/cache/TheASP.asp@PageID%3D302037&SportID%3D302&Personid%3D1023295&TaalCode%3D2&StyleID%3D0&Cache%3D2.html?387081 임효준] - [[국제 빙상 연맹]]
  • 장윤희 (미스코리아) . . . . 6회 일치
         | 신체사이즈 = 가슴: {{convert|34|in|cm|sigfig=3|abbr=on}}<br>허리: {{convert|23|in|cm|sigfig=3|abbr=on}}<br>엉덩이: {{convert|34|in|cm|sigfig=3|abbr=on}}
         |배우자= 김정균<ref>[http://www.iheadline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2733 김정균 보령그룹 3세, 지난 5월 ‘미코’ 장윤희씨와 결혼]</ref> ([[2014년]] ~ 현재)
         * [http://misskorea.hankooki.com/popup/miko_profile.php?year_miss=2008&miss_num=49&indexid=2014 미스코리아 장윤희 프로필]{{깨진 링크|url=http://misskorea.hankooki.com/popup/miko_profile.php?year_miss=2008&miss_num=49&indexid=2014 }}
  • 정치공학 . . . . 6회 일치
         政治工學,Political engineering
          * 구 소련에서 권력을 유지하고 국민을 통제하기 위하여 사용하던 정치적 수단.[* "Political technology: why is it alive and flourishing in the former USSR?", Andrew Wilson, 17 June 2011]
         정치(Political)와 공학(engineering)이 합쳐진 말이다.
  • 제주특별자치도 . . . . 6회 일치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a/ac/Jeju_Special_Self-Governing_Provincial_Council.JPG/220px-Jeju_Special_Self-Governing_Provincial_Council.JPG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7/78/Jeju_province.png/400px-Jeju_province.png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1/15/Jeju_International_Airport.JPG/220px-Jeju_International_Airport.JPG
  • 주영(가수) . . . . 6회 일치
         [Include(틀:스타쉽엔터테인먼트)]
         |||| http://post.phinf.naver.net/20160107_40/news_fact_1452148014242DxK6Q_JPEG/mug_obj_201601071526542222.jpg ||
         ||<:><#797979> {{{#white '''링크'''}}} ||<(><#FFFFFF> [[https://twitter.com/official_JYoung|[[파일:트위터 아이콘.png|width=24]]트위터]] [[https://www.facebook.com/soulgab| [[파일:페이스북 아이콘.png|width=24]]페이스북]] [[https://instagram.com/jooyoung|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png|width=24]]인스타그램]] ||
          * 2018년 3월 2일에 새 EP 앨범 Fountain을 발매하면서 컴백했다.
          * 2015. 12. 18 Love Line ([[효린]], [[범키]]와 함께한 싱글)
          * 2018. 03. 02 Fountain
         [include(틀:문서 가져옴,title=주영, version=37)]
  • 차내 피난생활 . . . . 6회 일치
          * http://magazinesummit.jp/life/1243040160418
          * http://www.nishinippon.co.jp/nnp/national/article/239754
          * http://www.jichiro.gr.jp/jichiken_kako/report/rep_hyogo34/03/0313_jre/index.htm
          * http://mfma.sakura.ne.jp/campingcar-saigai.htm
          * http://www.asahi.com/and_M/interest/SDI2015032402281.html
          * http://campingcar.shumilog.com/2012/02/29/%E3%82%AD%E3%83%A3%E3%83%B3%E3%83%94%E3%83%B3%E3%82%B0%E3%82%AB%E3%83%BC%E3%81%A7%E9%9C%87%E7%81%BD%E3%82%92%E4%B9%97%E3%82%8A%E5%88%87%E3%82%8B/
  • 차재욱 . . . . 6회 일치
         * [http://www.ognsparkyz.com/mboard.asp?exec=view&strBoardID=chajaeuk&intPage=1&intCategory=0&strSearchCategory=s_id|||&strSearchWord=&intSeq=13 차재욱 하이트 스파키즈 프로필]{{깨진 링크|url=http://www.ognsparkyz.com/mboard.asp?exec=view&strBoardID=chajaeuk&intPage=1&intCategory=0&strSearchCategory=s_id%7C%7C%7C&strSearchWord=&intSeq=13 }}
  • 최두호 . . . . 6회 일치
         |ko-wins=13
         |sub-wins=1
         |dec-wins=1
         |dq-wins=0
         |other-wins=0
         | The Ultimate Fighter: Team Joanna vs. Team Cláudia Finale
  • 최태원 (야구인) . . . . 6회 일치
         우여곡절 끝에 [[쌍방울 레이더스]] 선수단은 해체 후 [[SK그룹]]에 인계되어 [[SK 와이번스]]라는 이름으로 새로 창단했고 [[인천광역시|인천]]으로 연고지를 옮겼다. [[2000년]] [[SK 와이번스]]의 초대 주장을 맡았다.<ref>[http://www.donga.com/fbin/output?n=200910160242 “반갑다 인천…이겨라 광주!”최태원 코치의 특별한 가을] - 동아일보</ref> 그러나 이미 30대 초반에 접어든 그는 빈볼의 후유증으로 인해 [[2001년]]에는 규정 타석을 채우지 못한 채 시즌을 마감했고, 프로야구판 [[노동조합]]이라고 할 수 있는 [[한국프로야구선수협회|선수협회]]에 주도적으로 참여한 탓에 [[SK 와이번스|SK]] 프런트의 안 좋은 시선을 받았다.
         은퇴 후 [[SK 와이번스]] 주루코치로 코치 생활을 시작했고 팀의 [[2007년 한국시리즈]] 우승에 기여한 후 [[조범현]]이 [[KIA 타이거즈]]의 감독으로 새로 선임되자 [[KIA 타이거즈]]로 이적했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001&oid=001&aid=0001804658& KIA, 최태원·장재중 코치 영입] - 연합뉴스</ref> [[KIA 타이거즈]]로 이적한 이후 [[2009년]]에 팀의 우승에 기여했다.
         |-style="line-height:1.25em"
         |<ref>[http://dna.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99091900329112001&editNo=40&printCount=1&publishDate=1999-09-19&officeId=00032&pageNo=12&printNo=16858&publishType=00010 '철인 최태원 623연속 출장 신'] 《경향신문》1999,9,19</ref>
  • 최희서 . . . . 6회 일치
         | 웹사이트 = [http://minihp.cyworld.com/pims/main/pims_main.asp?tid=41700778 최희서 미니홈피]
         2017년 영화 《[[박열 (영화)|박열]]》에서 독립운동가 [[박열]]([[이제훈]])의 연인 [[가네코 후미코]]를 연기하여, 각종 영화제 시상식에서 9개의 트로피를 휩쓸었다. [[대종상]] 영화제에서는 최초로 신인여우상과 여우주연상을 동시 수상했다.<ref>{{뉴스 인용 |제목 = 최희서, 기모노에 가려졌던 S라인..몸매 이렇게 좋았나?|url = http://entertain.naver.com/read?oid=016&aid=0001324492|출판사 = 헤럴드경제 |저자 = |날짜 = 2017년 12월 6일|확인날짜 = 2017년 12월 8일}}</ref>
         |<ref>[http://sports.khan.co.kr/news/sk_index.html?cat=view&art_id=200906181754263&sec_id=540401 '영화세상' '힘짱' 5인방 소녀시대 뜬다] 경향신문 2009년 06월 18일</ref>
         |<ref name="yonhapnews_2017-10-25_54th_grand-bell-awards">{{뉴스 인용 | 저자= 김희선 | 위치= 서울 | 뉴스= 연합뉴스 | 제목= 대종상 최우수작품상에 '택시운전사'…'박열' 5관왕 | url=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7/10/25/0200000000AKR20171025185700005.HTML | 날짜= 2017-10-25 | 확인날짜= 2017-10-25 | 보존url= http://archive.is/Bv9w9 | 보존날짜= 2017-10-25 | 깨진링크= }}</ref>
  • 크루세이더즈 . . . . 6회 일치
          Captain Triumph
          Libertine
          The Invaders #14 (March 1, 1977)에서 첫등장. 제2차 세계대전 시절의 영국에서 활동한 팀이다. 코믹스에서도 알수 있듯이 [[인베이더즈]]와 대면.
          Captain Wings
          Tommy Lightnin
          Villains and Vigilantes #1 (December 1, 1986)에서 첫등장. 인디애나 주의 팀이다.
          * Comics Interview
  • 페이데이 갱 . . . . 6회 일치
          * 체인스(Chains)
          켈리 킹(Kelli King)이라는 이름의 [[오스트레일리아]]인. 어렸을 때는 [[멜버른]]에 있는 "딩고즈"(Dingos)라는 갱단 소속으로 깽판을 치고 다녔다. 이후 미국으로 건너가 페이데이 갱이 벌이던 [[은행강도]]에 난입, 돈가방을 들고 튄 적이 있다. 이 겁없는 미친 짓에 감명받은 베인이 페이데이 갱에 영입했다.
          미국 출신. 페이데이 갱에 들어가기 전까지 어거스트 린덴허스트(August Lindenhurst)라는 가명을 사용했다.
          * 베인(Bain)
          * 콘티넨탈(The Continental)
  • 한승택 . . . . 6회 일치
         잠전초등학교와 잠신중학교를 거쳐 [[덕수고등학교]]에 입학하였다. 덕수고 2학년 때인 [[2008년]] 아시아 3개국 청소년 야구 대회에 [[대한민국]] 청소년 국가대표팀으로 발탁되었다.<ref>[http://xportsnews.hankyung.com/?ac=article_view&entry_id=203962 아시아 고교야구① - 대표팀 배터리, 누가 뽑혔나] 《엑스포츠뉴스》, 2011년 12월 5일</ref> 3학년 때 [[세광고등학교]]의 [[나원탁]]과 함께 고교 리그 최고 [[포수]] 중 한 명으로 평가받았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7&oid=405&aid=0000000019 황금사자기에서 주목할 고교야구 스타 Top 15] 《네이버스포츠-배지헌 칼럼》, 2012년 5월 1일</ref>
         [[2013년 한국프로야구 신인 드래프트|2013년]] 신인 드래프트에서 1라운드 [[조지훈 (야구 선수)|조지훈]], 2라운드 [[김강래]]에 이어 [[한화 이글스]]의 3라운드(전체 23순위) 지명을 받아 입단하였다. 스프링캠프 때 당시 감독이었던 [[김응용]]의 눈에 들어와 좋은 전력으로 평가받았다.<ref>[http://sports.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kbo&ctg=news&mod=read&office_id=382&article_id=0000093628 김응용 감독의 이례적 칭찬…“한승택, 물건이네”] - 경향신문</ref> [[롯데 자이언츠]]와의 개막시리즈 2차전에서 선발 출장하는 등 유망주로 꼽혔지만 시즌 중 왼쪽 무릎 인대 부분 파열상을 당해 1군과 2군을 오갔다.<ref>[http://sports.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kbo&ctg=news&mod=read&office_id=109&article_id=0002665331 KIA, 이용규 보상선수로 한승택 지명 이유는?] - OSEN</ref> 시즌 중반 이후에는 [[엄태용]] 등에 밀려 별 활약을 보여 주지 못했고, 데뷔 첫 시즌 후 일찌감치 군 복무를 결정하여 [[경찰 야구단]]에 입대하였다.<ref>[http://sports.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kbo&ctg=news&mod=read&office_id=073&article_id=0002328015 한화 한승택, '포수 양성학교' 경찰청 지원, 제 2의 최재훈 되나?] - 스포츠서울</ref> 2013 시즌 24경기에 출전해 1안타, 0할대 타율을 기록했다.
         [[2016년]]에 합류했다.<ref>[http://sports.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kbo&ctg=news&mod=read&office_id=117&article_id=0002401660 'KIA행' 한승택, "2년 뒤 안방 주전 경쟁하겠다"] - 마이데일리</ref> 비슷한 시기에 [[정근우]]도 [[한화 이글스]]에 이적했고 야구규약 163조 '한 구단이 계약서상 동일한 날짜에 2명 이상의 타 구단 선수와 계약하는 경우 보상 선수를 선택하는 구단의 순서는 직전 시즌 성적의 역순으로 하고, 계약 선순위 구단의 보상이 종료된 후 후순위 구단이 보상을 개시한다'는 내용에 따라 8위에 그친 [[KIA 타이거즈]]가 6위를 기록한 [[SK 와이번스]]보다 먼저 그를 FA 보상 선수로 지명할 수 있었다. [[SK 와이번스]]에서도 그를 눈여겨보고 있었으나, [[KIA 타이거즈]]가 먼저 지명하게 되어 결국 [[정근우]]의 보상 선수를 지명하지 못했다.<ref>[http://sports.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kbo&ctg=news&mod=read&office_id=038&article_id=0002447722 한승택으로 재조명 되는 한화 안방 싸움] - 한국일보</ref>
  • 한진희(1949) . . . . 6회 일치
         [include(틀:다른 뜻1, other1=이 문서는 한국 남배우에 대해 서술합니다. 동명이인 한진희, rd1=한진희(동명이인))]
         [include(틀:상위 문서, top1=배우/한국)]
         ||<table width=100%><table align=center><table bordercolor=#000000><-100><:>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C60C30 20%, #003478)"
         ||<#ffffff><-1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헌경왕후 . . . . 6회 일치
         {{Col-begin}}
         * [http://sillok.history.go.kr/inspection/insp_king.jsp?id=kua_138051&tid=&pos=0&mTree=0&inResult=0&clsName=&indextype=1&searchType=a&keyword=&keyword2=&setlist_K=&setlist_W=&detail=0&opH=0&opAll=0&opP=0&opA=0&opB=0&opC=0&opQ=0&chkID=0&qH=&qAll=&qP=&qA=&qB=&qC=&qQ=&idS=&idE=&tabid=k 조선왕조실록 - 1762년 윤 5월]
  • 홍현희 . . . . 6회 일치
         | 웹사이트 = [http://minihp.cyworld.com/pims/main/pims_main.asp?tid=22317521 홍현희 미니홈피]
         * [http://minihp.cyworld.com/pims/main/pims_main.asp?tid=22317521 홍현희 미니홈피]
  • 황석두 . . . . 6회 일치
         |출생지 = [[충청도]] [[연풍면|연풍]]<ref name=faithweb>http://newsaints.faithweb.com/martyrs/Korea1.htm</ref>
         |매장지 = [[절두산 순교성지]]<ref name=jeoldusan>[http://www.jeoldusan.or.kr/renew/introduce5.php?ptype=&page=2&code=contents09 한국 천주교 절두산 순교성지 성인유해실]</ref>
         황석두 루카는 [[1968년]] [[10월 6일]]에 [[성 베드로 대성당]]에서 [[교황]] [[바오로 6세]]가 집전한 24위<ref name=103saints_britannica>{{백과사전 인용
         * [http://info.catholic.or.kr/dictionary/view.asp?ctxtIdNum=4061&keyword=%C8%B2%BC%AE%B5%CE&gubun=01 가톨릭 사전: 황석두]
         * [http://english.cbck.or.kr/Saints103/393 Catholic Bishop's Conference Of Korea. 103 Martryr Saints: 황석두 루카 Lucas Hwang Sok-tu]
  • 황재규 . . . . 6회 일치
         [[청원고등학교 (서울)|서울청원고등학교]]를 졸업하고 [[성균관대학교]]에 입학했다. 입학 동기인 [[허유강]] 선수와 함께 팀의 주축 선발 [[투수]]로 활약하였다. 제 4회 세계 대학야구 선수권 대회에 국가 대표팀으로 참가하여,<ref>[http://isplus.joins.com/sports/kbo/200806/12/200806122017013276010700000107020001070201.html 세계 대학야구 선수권 대표팀 명단 발표] 《일간스포츠》, 2008년 6월 12일 작성</ref> [[일본]]전에서 좋은 투구를 보여 주었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001&oid=295&aid=0000000067& 세계 대학야구 결산 - 협회의 외면 속에서도 유망주는 큰다] 《박동희칼럼》, 2008년 7월 29일 작성</ref> 제 1회 KBO 총재기 대학 야구 결승전에서 선발 [[투수]]였던 [[정태승]]에 이어 팀의 2번째 [[투수]]로 등판하여 8.1 이닝 3안타 6탈삼진 1실점의 호투로 [[성균관대학교]]의 우승에 기여하였고, 대회 최우수 선수에 올랐다.<ref>[http://joynews.inews24.com/php/news_view.php?g_menu=702120&g_serial=348816 성균관대, 연세대 꺾고 제 1회 KBO 총재기 우승] 《조이뉴스》, 2008년 8월 8일 작성</ref><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001&oid=295&aid=0000000075& 대학야구 취재기, 아직 끝난 게 아니다] 《박동희칼럼》, 2008년 8월 9일 작성</ref>
         [http://joynews.inews24.com/php/news_view.php?g_menu=702120&g_serial=381205 한화 신인 황재규, '젊은 마운드의 중심이 되고 싶다'] 《조이뉴스》, 2008년 12월 23일</ref> [[2009년]] [[4월 17일]] [[한밭종합운동장 야구장|대전]] [[SK 와이번스|SK]]전에서 프로 첫 출장을 갖는다. [[2009년]] [[5월 8일]] [[잠실야구장|잠실]] [[두산 베어스|두산]]전에서 프로 통산 첫 선발 [[투수]]로 나와 3.2이닝 동안 6피안타 4실점을 허용하면서 통산 첫 패전을 기록하였다.<ref>[http://osen.freechal.com/news/view.asp?code=G0905080245 '첫 선발' 황재규, 아쉬움 속 희망을 쏘다] 《Osen》, 2009년 5월 8일 작성</ref><ref>[http://joynews.inews24.com/php/news_view.php?g_menu=702120&g_serial=413573 한화 황재규, 데뷔 첫 선발 '실책 2개에 울다'] 《조이뉴스》, 2009년 5월 8일 작성</ref> 1군 9경기에 그친 [[2010년]] 시즌 종료 후 [[공익근무요원]]으로 입대하였고, 소집 해제 후 [[2013년]]에 복귀하여 [[2013년]] [[5월 7일]] 마산 NC전에서 데뷔 첫 승을 거두었다. 2015년 4월 개인적인 사유로 임의탈퇴되었고, 사용하던 등번호는 [[넥센 히어로즈]]에서 이적해 온 [[허도환]]이 달았다.<ref>[http://www.sportsseoul.com/?c=v&m=n&i=196506 한화의 충격적인 트레이드 단행, 도대체 왜?] 《스포츠서울》, 2015년 4월 9일 작성</ref>
  • 황진하 (아나운서) . . . . 6회 일치
         | 웹사이트 = [http://tbs.seoul.kr/fm/announcer/index.jsp tbs 아나운서 홈페이지]
         * tbs FM [http://www.tbs.seoul.kr/cont/FM/sweet_night/intro/intro.do 달콤한 밤, 황진하입니다] (매일 밤 12시 - 2시, tbs FM 95.1MHz)([[2016년]] [[9월]] ~ [[현재]])
         * KBS WORLD Dr.Korea - Wheeling and healing
         * [http://www.tbs.seoul.kr/fm/announcer/index.jsp (한국어) tbs 아나운서 홈페이지]
  • Crusader Kings 2 . . . . 5회 일치
          9. 특성. [[Crusader Kings 2/특성]] 문서 참조.
         [[Crusader Kings 2/특성]] 문서 참조
         [[Crusader Kings 2/종교]] 문서 참조
         [[Crusader Kings 2/궁정]] 문서 참조
         [[Crusader Kings 2/DLC]] 참조
  • InterMap . . . . 5회 일치
         # 이 파일은 기본 인터위키 파일 data/intermap.txt에 추가 혹은 변경을 위해 사용되는 기본 인터위키 맵 파일입니다.
         # 파일 이름은 InterMap이며, 이 파일의 원본은 InterMapDefaultKo입니다.
         AladdinMusic http://www.aladdin.co.kr/music/catalog/music.asp?ISBN=
         KLE http://kle.kldp.org/main/$PAGE?action=urlencode&ie=UTF-8&oe=EUC-KR
         # for Multilingual
  • MoniWikiProcessor . . . . 5회 일치
         MoinMoin 1.1 이하에서는 Processor와 Parser로 분리되어있었고, 1.3 이후에는 Processor Parser가 Parser로 통합되었다.
         MoinMoin Processor및 Parser의 기능을 하며, {{{plugin/processor/}}}하위에 추가할 수 있습니다.
  • RecentChangesMacro . . . . 5회 일치
          * timesago: MoinMoin 최근버전에서 제공하는 방식으로, 편집 날짜 대신에 몇일 전 몇시간 전이라고 보여줌
          * `avartar` 옵션 추가. Please see [[IdenticonPlugin]]
          class를 추가한다면 무슨 이름으로 추가할까요 ? MoinMoin에서는 class가 부여되지 않았습니다. --WkPark
  • 강영식 . . . . 5회 일치
         [include(틀:상위 문서, top1=야구 관련 인물(KBO))]
         다른 팀 팬들이 그렇듯이 롯팬들 사이에서도 선수 개개인의 버릇이라던가 하는 일종의 징크스(?)들이 여럿 회자되지만 강영식에게는 개중에서도 각별히 재미있는 점이 있는데, 바로 마운드에 올라와서 타자에게 던지는 초구의 로케이션이 어디로 가서 찍히는지를 확인하면 그 날의 컨디션을 짐작할 수 있다는 것이다. 초구가 우타자의 발등을 노리는 매처럼 날아들어 볼이 된다면(...) 불영식, 초구가 인하이든 아웃로든 일단 스트존 안에만 꽂히면 랜디영식 단순하지만 의외로 상당히 정확한 확인법이었는데, 2014년 스캠 인터뷰 기사에서 선수 본인에 의해 '''정말로 그렇다고''' [[http://sports.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kbo&ctg=news&mod=read&office_id=396&article_id=0000173596|확인된 바 있다.]]
         [[http://sports.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kbo&ctg=news&mod=read&office_id=396&article_id=0000148056|롯데의 2014 불펜운용…좌완 강영식은 없다?]]
         [[http://sports.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baseball&ctg=news&mod=read&office_id=109&article_id=0002659393|나보다 비싼 선수 모두 삼진 잡을 것]]이라는 인터뷰가 인기를 끌고 있다. 원래 이 기사의 베플은 '그럼 [[이대형]] 빼고 다 삼진잡아야겠네'였으나 [[이대형]]이 4년 24억이라는 ~~[[거품]]~~가격으로 ~~호구~~[[KIA 타이거즈]]로 이적하자 이 베플의 입지는 묘해졌다...
         극혐에 가까운 볼넷질에 [[샤다라빠]]가 [[꼴데툰]]에서 [[http://gall.dcinside.com/board/view/?id=giants_new1&no=1802849&page=1&exception_mode=recommend|대차게 까버리기도 했다]].~~그리고 이때쯤부터 랜디영식모드 돌입~~
  • 거미(가수) . . . . 5회 일치
         [Include(틀:씨제스 엔터테인먼트 소속 아티스트)]
         ||||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2/24/Gummy_in_2010.jpg/250px-Gummy_in_2010.jpg ||
         ||<bgcolor=#874D0D> {{{#FFFFFF '''본명'''}}} ||박지연[* 가수 거미로 데뷔하기 전, 드라마 《선희진희》 O.S.T에 본명으로 참여하여 수록곡을 불렀다. 곡명은 'Tears In Me'.]||
          * 어릴 때는 [[피아니스트]]를 꿈꿨다고 한다. 고등학교 때 유학을 가려다가 [[1997년 외환 위기]]가 터지면서 집안이 어려워져서 유학을 포기했고 꿈을 잃어버린 느낌 때문에 크게 좌절했을 때 가수가 되겠다는 꿈을 꾸기 시작했으며, 가수가 되기 위해 노력하다보니 자연스레 좌절했던 순간이 극복됐다고 한다.[[http://entertain.naver.com/read?oid=109&aid=0003566851|#]]
         [include(틀:복면가왕 장기집권 가왕)]
          * You Are My Everything - [[태양의 후예]] OST
  • 건포인트 . . . . 5회 일치
         [[http://www.gunpointgame.com/|홈페이지]]
         Gunpoint. 여러가지 장비를 이용해 건물에 침투, 임무를 완수한 후 탈출하는 잠입 퍼즐 게임. 살인 사건에 휘말린 프리랜서 스파이인 리처드 콘웨이가 여러가지 의뢰를 수행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 크로스링크(Crosslink)
         ==== Gunpoint Extras Pack 1 ====
         ==== Gunpoint Extras Pack 2 ====
  • 김대륙 . . . . 5회 일치
         [include(틀:상위 문서2, top1=롯데 자이언츠/선수단, top2=야구 관련 인물(KBO))]
         |||| http://sports.phinf.naver.net//20150707_59/1436276124415ktIVv_JPEG/13_20150707LTLG0.jpg ||
         ||<-2><#F58220> {{{#000000 김대륙 (金大陸 / Dae-Ryuk Kim--Continent Kim--) }}} ||
         6월 13일 등번호를 113번에서 42번으로 [[http://sports.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kbo&ctg=news&mod=read&office_id=111&article_id=0000426641|변경했다.]]
          * 잘 생겼다.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5/06/11/2015061103946.html|#언론은 벌써 롯데의 아이돌 취급]] ~~그래서 벌써 얼빠들이 많이 생겼다~~ 이 때문에 본인도 고민이 많은 듯. [[http://sports.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kbo&ctg=news&mod=read&office_id=112&article_id=0002712527&redirect=false|롯데 김대륙, "외모 아닌 야구로 보여주고 싶다"]] 롯데 팬들은 [[김원중(야구선수)|김원중]]과 함께 묶어 팀 외모 투탑으로 인정해주지만 생긴 만큼 야구를 했더라면(…)이라고 평가한다.
  • 김민아 (아나운서) . . . . 5회 일치
         |그림 =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e/e7/Kim_Min-Ah_from_acrofan_2.jpg/225px-Kim_Min-Ah_from_acrofan_2.jpg
         * [http://blog.naver.com/minamint 김민아] - 네이버 블로그
         * {{페이스북|minah.kim.96742}}
  • 김소혜(1992) . . . . 5회 일치
         |||| https://search.pstatic.net/common/?src=http%3A%2F%2Fpost.phinf.naver.net%2F20161012_293%2Fnews_fact_1476261824535Ba652_JPEG%2Fmug_obj_201610121743448465.jpg&type=n88_88 ||
         || '''SNS''' || [[https://instagram.com/sovely92/|인스타그램]] ||
         촬영 후 김소혜는 소감을 밝혔는데 자신의 연기가 성소수자에게 행여나 피해가 가지 않을까 조심스러웠다고 말하였다. 수연의 감정이 애절하게 다가왔다고 평하였다. 수연의 사생활의 누군가에 의해 짓밟히고, 은빈에게 매달리고 울기도 했지만, 은빈을 위해 쓸쓸히 퇴장하는 장면이 마음이 아팠다고 한다. 수연은 은빈을 정말 사랑해서 떠났지만, 김소혜 자신이 수연이라면 사랑하는데 떠나는 것은 아닌 것 같다고 말하였다. 가장 힘들었던 신은 딸기우유를 급우에게 맞은 장면이라고 한다. 날씨도 추웠고 그 장면을 반복 촬영하느라 몸살이 왔다고 하였다. [[http://entertain.naver.com/read?oid=213&aid=0000643970|TV리포트]]
         원래 처음에는 은빈 역할로 오디션을 보았는데, PD가 김소혜를 만나보고 수연의 역할을 배정했다고 한다. 역할이 바뀌다보니 당혹스러워서 고민도 많이 하고 대본을 수백 번 읽었다고 한다. 김소혜는 입맞춤을 애절하고 잔잔하게 표현해야 한다고 생각을 하였다. 키스신이 잘 나온 것은 강성아가 리액션을 잘 해준 덕분이라고 말하였다. 놀라운 점은 은빈의 역할이 촬영 전 날에 결정되었기에 '''현장에서 처음 만난 날에''' 키스했다고 한다. 그래서 촬영 막간에 강성아에게 편하게 대해주고 호흡도 맞춰보고 예쁜 동생이라 생각하고 촬영했다고 한다. 촬영 중에는 은빈을 생각하는 수연의 감정에 몰입해서 임했다고 한다.[[http://entertain.naver.com/read?oid=109&aid=0003009629|OSEN]]
          * 청소년기에 힘든 시기를 보낼 때 자신에게 일기형식으로 글을 썼다고 한다. 그러면서 문제의 실마리를 찾아서 고민을 해결하였다. 어느 순간 창작을 해보고 싶어서 20~23살까지 판타지 소설을 지었는데 자신이 배우 [[지성(배우)|지성]]의 오랜 팬이다 보니 그를 모델로 삼아서 썼다고 한다. 제목은 '더 플레이스'이다. 고등학교 때 내용을 구상하고 20살 때부터 썼다고 한다.[[http://entertain.naver.com/read?oid=109&aid=0003008307|OSEN]]
         || 2007년 || MBC || [[히트(2007)|히트]][* Homicide Investigation Team의 약자.] ||
  • 김지훈(배우) . . . . 5회 일치
         [include(틀:플라이업 소속 아티스트)]
         [include(틀:크라임씬의 고정 플레이어)]
         || '''팬 페이지''' ||<(> [[http://cafe.daum.net/jihunforever|[[파일:다음 카페.png|width=24]]]] [[http://gall.dcinside.com/m/jihoonlove|[[파일:디시인사이드_로고.png|width=24]]]][* 개설은 2016년에 했으나 약 1년간 인스타그램 업뎃 위주로 글이 올라오다가 ~~인별갤~~ 몇몇 고닉들이 꾸준히 글을 올리기 시작하면서 현재는 인별갤에서 벗어난 상태이다. 현재는 유동닉들도 글을 많이 올리고 있고 최근 케이크 조공도 계획했었지만, 총대가 나타나지 않은 관계로 무산되었다.] ||
         || [[BoA]] || 늘..(Waiting..) ||
         || [[신화(아이돌)]] || 너의 결혼식(Wedding) ||
  • 김혜영(코미디언) . . . . 5회 일치
         ||<table width=100%><table align=center><table bordercolor=#000000><-100><:>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C60C30 20%, #003478)"
         ||<#ffffff><:><-100>{{{#!folding [ 펼치기 · 접기 ]
         [[http://entertain.naver.com/read?oid=076&aid=0003048843|#]]
  • 박하나(배우) . . . . 5회 일치
          [include(틀:상위 문서, top1=배우/한국)]
         ||<#83C4C7> {{{#ffffff '''외부 링크'''}}} ||<(> [[https://instagram.com/phanayo/|[[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png|width=24]]]] [[http://cafe.daum.net/misshana |[[파일:다음 카페 아이콘.png|width=24]]]] ||
         || 2017년 || 9월 18일~ || 채널A || [[풍문으로 들었쇼]] || 진행자 || [[http://entertain.naver.com/read?oid=109&aid=0003621488|관련 기사]] ||
          * [[2018년]] [[7월 25일]] 언론을 통해 일반인 [[한의사]]와 열애설이 보도됐고, 소속사인 FN엔터테인먼트를 통해 열애 사실을 공식 인정했다. [[https://entertain.naver.com/ranking/read?oid=109&aid=0003830365|#]]
  • 박휘순 . . . . 5회 일치
         * [http://people.nate.com/people/info/pa/rk/parkhs/ 박휘순 네이트 인물]{{깨진 링크|url=http://people.nate.com/people/info/pa/rk/parkhs/ }}
         * [https://web.archive.org/web/20060224211031/http://epg.epg.co.kr/star/profile/index.asp?actor_id=13115 박휘순 EPG 스타정보]
         * [http://www.cineseoul.com/movies/people.html?peopleID=116043 박휘순 씨네서울 인물상세]{{깨진 링크|url=http://www.cineseoul.com/movies/people.html?peopleID=116043 }}
  • 백일섭 . . . . 5회 일치
         | url =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93031400209210014&editNo=1&publishDate=1993-03-14&officeId=00020&pageNo=10&printNo=22113&publishType=00020&from=news
         * [https://web.archive.org/web/20060821121936/http://www.cine21.com/Movies/Mov_Person/person_info.php?id=7013 백일섭 씨네21 인물상세]
         * [https://web.archive.org/web/20100516213655/http://people.nate.com/people/info/ba/ek/baekilseob/ 백일섭 네이트 인물]
  • 샬롯 링링 . . . . 5회 일치
         attachment:Charlotte_Linlin.png?width=400
         '''シャーロット・リンリン'''/'''Charlotte Linlin'''
         [[include(틀:스포일러)]]
  • 서명선 . . . . 5회 일치
         영조 후반기 [[동부승지]]로 당상관에 오르고 의주부윤으로 나갔다가 이후 강원도관찰사와 [[이조참의]]를 거쳐 [[대사성]], [[대사헌]], [[이조참판]], [[도승지]] 등을 지낸다. 이어 강원도[[Javascript:hplink('18365')|관찰사]] 등을 거쳐 [[Javascript:hplink('78690')|부제학]](副提學)에 오르고 1774년 [[Javascript:hplink('127923')|이조]]참판 때, 세손(世孫: 正祖)의 대리청정을 반대하던 재상 [[Javascript:hplink('172387')|홍인한]](洪麟漢)을 탄핵, 파직시키고 [[Javascript:hplink('136845')|정조]]를 즉위하게 했다.
  • 성세현 . . . . 5회 일치
         [include(틀:상위 문서, top1=2018 평창 동계올림픽/대한민국/컬링)]
         [include(틀:프로젝트 문서2, 프로젝트1=나무위키 동계스포츠 프로젝트, 프로젝트2=나무위키 올림픽 프로젝트)]
         [include(틀:평창올림픽 대한민국 남자 컬링 국가대표)]
         |||| http://hol.phinf.naver.net/00/616/978/61697847_0.jpg ||
         ||<:><#87CEEB>'''{{{#white SNS}}}'''||<:><#ffffff> [[https://www.instagram.com/seongsehyeon/|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png|width=24]]]] ||
  • 소격서 . . . . 5회 일치
         http://db.itkc.or.kr/index.jsp?bizName=MK&url=/itkcdb/text/nodeViewIframe.jsp?bizName=MK&seojiId=kc_mk_h018&gunchaId=av016&muncheId=01&finId=052&NodeId=&setid=3143222&Pos=85&TotalCount=103&searchUrl=ok
         http://db.itkc.or.kr/index.jsp?bizName=MK&url=/itkcdb/text/nodeViewIframe.jsp?bizName=MK&seojiId=kc_mk_h010&gunchaId=av007&muncheId=01&finId=001&NodeId=&setid=3143222&Pos=60&TotalCount=103&searchUrl=ok
         http://www.culturecontent.com/content/contentView.do?search_div=CP_THE&search_div_id=CP_THE010&cp_code=cp1012&index_id=cp10120039&content_id=cp101200390001&search_left_menu=
  • 송남헌 . . . . 5회 일치
         https://search.pstatic.net/common?type=a&size=120x150&quality=95&direct=true&src=http%3A%2F%2Fpeople.phinf.naver.net%2F20181026_281%2F1540536981230e5RGP_JPEG%2Fyonhapnews_28334613.jpg
         *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20&aid=0000048989 원로정치인 송남헌옹 별세]
         * [http://dna.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90090800329219001&edtNo=3&printCount=1&publishDate=1990-09-08&officeId=00032&pageNo=19&printNo=13833&publishType=00020 1990년 9월 8일자 경향신문]
  • 송재호(배우) . . . . 5회 일치
         [include(틀:다른 뜻1,other1=아이돌 가수,rd1=매드타운)]
         ||<table width=100%><table align=center><table bordercolor=#000000><-100><:>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C60C30 20%, #003478)"
         ||<#ffffff><-1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송하윤 . . . . 5회 일치
         [include(틀:상위 문서, top1=배우/한국)]
         [include(틀:글로리어스)]
         ||||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1/1b/Soong_Ha-yoon_in_2017.jpg/220px-Soong_Ha-yoon_in_2017.jpg ||
         ||<#CC9966> {{{#ffffff '''외부 링크'''}}} ||<(> [[http://jypactors.com/actor/song_hayoon/filmography|공식]] [[https://www.instagram.com/hayoonsong1202|[[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png|width=24]]]] ||
  • 스틸오션 . . . . 5회 일치
         [[중국]]의 게임회사 ICE Entertainment에서 만든 [[제2차 세계대전]] 배경 해전 [[슈팅 게임]]. 2015년 11월 12일 발매되었다.
          * 주포(Main)
          * 엔진(Engine)
          * 탄약고(Magazine)
         제작사가 중국 회사라 그런지 등장. 현재로는 7티어 프리미엄 구축함 Anshan 과 7일 연속 접속 보상인 Ning Hai 밖에 없다.
  • 스틸오션/아이템 . . . . 5회 일치
          * 거리 측정 장비(Rangefinder)
          * 전기유체식 조타기(Electro-hydraulic Steering Gear)
          * 체인 장전기(Chain Loader)
          * 소화기(Extinguisher)
          * 개량 소화기(Adv. Extinguisher)
  • 시드 마이어의 에이스 패트롤 . . . . 5회 일치
          * 날개에 피해를 입어 반전 기동(Inverted Maneuver)이 불가능 하게 된다.
          * The Incinerator
          * Carpet Bombing
          * Flying Circus
          * Sitting Ducks
          * Train to Nowhere
          * Vital Intelligence
  • 신성우(가수) . . . . 5회 일치
         [include(틀:회원수정2)]
         || '''링크''' ||<(> [[https://www.instagram.com/shin_sungwoo/|인스타그램]], [[https://twitter.com/sethshinsungwoo|트위터]] ||
          * 방송에 가족을 공개했지만 아내의 얼굴은 공개하지 않는데, 20년 넘게 집요하게 괴롭히는 [[스토커]] 때문이라고 한다. 신성우의 결혼 후 스토커의 집착이 더 심해지는 등 아내의 신변의 위협을 느껴 비공개로 두기로 했다고 한다. [[http://www.polinews.co.kr/news/article.html?no=363403#07Qv|#]][* 이 기사 댓글에도 스토커가 출몰해 악플을 달고 있다 ㅎㄷㄷ...] 그런 이유로 신성우의 집에는 잠금장치가 몇 겹으로 되어 있다.
  • 안내상 . . . . 5회 일치
         |웹사이트 = [http://www.dmostent.com/main/ko/sub03_detail1.html?id=30&page=1&&code=bbs_artist&view_type=&keyword=&field=&xid=3 디모스트 엔터테인먼트 안내상]<br>{{페이스북|308705609217329}}
         안내상의 [[아버지]]가 [[세종특별자치시]]에서 염색 공장을 하다가 [[보증]]을 잘못 서서 집이 망해 서울로 상경하여 에서 서울 생활을 시작했다. 초등학교 1학년 때부터 수업도 들어가지 않고 학우들을 괴롭히는 등, 초등학교 3학년 부터는 [[담배]]를 피우고 [[도둑질]]을 했다. 이 때 안내상을 지도하던 선생님이 [[아이스크림]]을 사준다고 하여 [[개신교]] [[교회]]를 간 것이 계기가 되어 종교에 귀의한 후에 악행을 멈추었다고 회고했다<ref>[http://news.tf.co.kr/read/entertain/1569156.htm 안내상 "하나님 만난 후 악행 멈췄다"] 더팩트. 2015년 08월 16일</ref><ref>[http://www.newsen.com/news_view.php?uid=201106010103591001 안내상 초딩시절 주먹질에 도둑질까지.. “난 깡패였다” 자폭] 뉴스엔. 2011년 06월 01일</ref>. 안내상은 중학교 1학년 시절 키가 175cm이었고 많은 학생들에겐 두려움의 대상이었다.
         출소 후에는 학생운동을 그만두고 연극 쪽으로 발길을 돌렸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6&oid=073&aid=0002067175 안내상 교도소 갔었다 "1988년 폭탄투하, 신문 1면 장식"] - 스포츠서울</ref>.
         * 배우 [[설경구]]의 전처는 안내상의 여동생이다. 또한 [[한양대학교]] 연극영화학과 출신인 설경구의 소개를 받아 극단 한양레퍼토리에 들어갔고, [[이문식]], [[권해효]], [[유오성]] 등이 당시 연극을 함께한 동료 배우들이다.<ref>[ http://media.daum.net/entertain/star/newsview?newsid=20100625070203869 [취중토크 ②] 안내상 “학생운동 올인…시위하다 수감생활도”] - 일간스포츠</ref>
         * [[MBC 방송연예대상]] 코미디/시트콤부문 인기상<ref>[http://media.daum.net/entertain/enews/view?cateid=1032&newsid=20111230002505235&p=Edaily 백진희-안내상-조권-정성호 `코미디시트콤 인기상 수상`]</ref>
  • 우찬양 . . . . 5회 일치
         [include(틀:상위 문서, top1=축구선수/목록/대한민국)]
         [include(틀:포항 스틸러스/간략)]
         |||| https://search.pstatic.net/common/?src=http%3A%2F%2Fpost.phinf.naver.net%2FMjAxNzA1MTJfODUg%2FMDAxNDk0NTQ5NjYwMDgy.DoRd9Umeegnl0NuV90BHY2sXDUdPxmq7oRlIGPO8okYg.jQyilOyB6OBrLVEML02kAxGnnbVZ2j2CNE8wNgplygMg.PNG%2Fmug_obj_149454966402113942.jpg&type=n88_88 ||
         ||<#ed0000> '''{{{#ffff00 SNS}}}''' || [[https://www.instagram.com/wooxxcy_/|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png|width=20]]]] ||
         [include(틀:포항 스틸러스)]
  • 유하나(1986) . . . . 5회 일치
         [include(틀:다른 뜻2,other1=웹툰 《클러스터》의 등장인물, rd1=클러스터(웹툰),other2=게임 《클로저스》의 등장인물,rd2=유하나(클로저스))]
         || '''링크''' || [[http://blog.naver.com/hahana111|블로그]][[http://cafe.daum.net/YouHana|팬카페]][[http://minihp.cyworld.com/pims/main/pims_main.asp?tid=21635368|미니홈피]] ||
         결혼 이후 가끔씩 이용규의 출전경기에 직관을 와서 남편을 응원하기도 했다. 2012년 6월 22일에는 경기 중계 카메라에 관중석에서의 모습이 잡혀서 주목을 받았는데, 연기자 출신답게(...) 이용규의 일거수일투족에 따른 표정 변화 때문에 세간의 화젯거리가 되었다.[[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6&oid=008&aid=0002863433|#]]
  • 윤상현(배우) . . . . 5회 일치
         [Include(틀:씨제스 엔터테인먼트 소속 아티스트)]
         2015년 2월 8일 [[메이비(가수)|메이비]]와 [[http://m.entertain.naver.com/read?oid=108&aid=0002385652|결혼했고]], 12월 4일에 [[http://news.donga.com/3/all/20151205/75201893/1|득녀했다]].
         || [[놀러와]] ||<|2> 게스트[* 월요일 밤 11시대에 동시에 방영하는 두 프로그램에 윤상현이 같은 날(6월 1일) 출연하는 촌극이 빚어졌다. 방영일을 사전 협의와 다르게 바꿔버린 것은 《야심만만》 쪽이었다. 하지만 이를 모르는 시청자들은 불만을 토로했고, 욕은 윤상현이 다 먹게 된 억울한 상황이었다. 자세한 사정은 [[https://entertain.naver.com/read?oid=213&aid=0000015851|여기]]를 참고할 것.] ||
         || [[해피투게더(KBS 2TV)/3기|해피투게더 3]] || 게스트[* 한 해에만 두번 출연했다. 6월 25일에 가수 [[이승철]]과 출연해 'Never Ending Story'를 라이브로 들려주었다. 그리고 8월 13일, 《아가씨를 부탁해》 홍보차 [[윤은혜]], [[정일우]], [[문채원]]과 함께 출연.] ||
         || SBS || [[정글의 법칙]] in 얍 || 게스트(20기)[* 《인간의 조건》에 함께 출연한 [[은지원]]의 --실제로는 호텔에서 잔다는-- 꼬드김에 넘어가서(...) 함께 출연하게 된 것이라 한다.] ||
          * 내조의 여왕 Never Ending Story (2009)[* MBC 연기대상에서 이 곡으로 특별공연을 가졌다.]
  • 윤주희(배우) . . . . 5회 일치
         [Include(틀:상위 문서, top1=배우/한국)]
         [Include(틀:관련 문서, top1=대전광역시/인물)]
         ||<#FF91AF> {{{#ffffff '''소속'''}}} ||<(> [[http://curoent.com/index.php|큐로홀딩스 매니지먼트 사업부]][* PI엔터테인먼트에 소속되어 있었으나 2016년 7월 PI와 열음엔터테인먼트의 합병이 이루어짐,(열음엔터테인먼트는 2015년 큐로홀딩스에 인수된 기획사) 합병이후 열음엔터테인먼트 홈페이지에서 PI출신배우들을 찾아볼 수 있었지만 어느순간 큐로홀딩스 매니지먼트사업부의 홈페이지가 따로 개설되었음. 내부사정을 알 수 없지만 아마 독립적으로 운용되고 있는 듯.] ||
         당시에 최고의 배우들이 머물던 [[싸이더스HQ]]에 소속되어 배우 연습생의 길을 걷기 시작했다. 채널V, M-net등에서 방송활동을 하며 착실히 연기수업을 하던중[* 배우 연습생 윤주희 씨에 관한 취재를 했던 [[씨네21]]의 당시기사.[[http://www.cine21.com/news/view/mag_id/37186|기사]]], [[싸이더스HQ]]의 간판 [[김선아]]가 영화 [[목요일의 아이]]에 캐스팅되었고 같은 소속사 배우로서 함께 촬영에 참여했으나, 영화촬영이 중반에 엎어지는 바람에 모든 촬영분을 들어내야 하기도 했다.
         || 2007년 || 두번째 사랑 || 지하[* [[하정우]]의 배역.]의 여자친구 || 특별출연[* 액자속의 사진으로만 출연했다. [[http://entertain.naver.com/read?oid=075&aid=0000007389|관련기사]] ] ||
         || [[웹드라마]] || [[http://tvcast.naver.com/loveinmemory2|러브 인 메모리 - 아빠의 노트]] || 지은 || ||
          *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01&aid=0000835214|기사]]를 잘 찾아보면 우측에서 두번째에 위치한 윤주희 배우의 데뷔전 얼굴을 찾아볼 수 있다.
  • 이병욱(스트리머) . . . . 5회 일치
         [include(틀:회원수정)]
         [include(틀:느금마엔터테인먼트)]
         ||<bgcolor=#A50000> {{{#EEE156 링크}}} || [[https://www.facebook.com/qud2174?fref=ts|[[파일:페이스북 아이콘.png|width=25]]]] [br] [[https://www.youtube.com/channel/UCFZDDApnxYxWJ5MnuI29ryw|[[파일:유튜브 아이콘.png|width=25]]]] [br] [[https://www.twitch.tv/qud2174|[[파일:트위치 로고.png|width=20]]]] [br] [[http://afreecatv.com//lss654577|[[파일:아프리카TV 로고.png|width=25]]]] --(탈퇴)-- [br] [[https://cafe.naver.com/leebu|[[파일:네이버 카페.png|width=20]]]] [br] [[https://www.instagram.com/qud2174|[[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png|width=24]]]] ||
         ||[[https://youtu.be/ZrQnvsgiNjY|옛날에 머리에 물이 찬다했던 담배 팔리아멘트 하이브리드5 솔직 후기]]||
         ||[[https://youtu.be/5iNp24Nnthc|신상 담배 [레종 프렌치 라인] 최초!! 슈퍼슬림 솔직 후기 "생각보다 괜찮은데?"]]||
         [include(틀:사건사고)]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갓건배/사건사고)]
  • 이영훈 (경제학자) . . . . 5회 일치
         한신대학교 등에 강사로 출강했었고 낙성대경제연구소 소장 및 다산학술문화재단 이사, 경제사학회 연구이사를 역임하였으며, [[성균관대학교]] 교수를 거쳐 현재 [[서울대학교]] 경제학과 교수로 재직 후 2017년 2월 28일 정년 퇴임했다<ref>{{뉴스 인용|url=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7/02/28/0200000000AKR20170228081000004.HTML?input=1195m|제목=서울대 교수정년식…'식민지근대화론' 이영훈 등 28명 퇴임|성=이재영|날짜=2017-02-28|뉴스=연합뉴스|언어=ko-KR|확인날짜=2017-03-26}}</ref>. 현재는 서울대학교 명예교수이다.<ref>{{웹 인용|url=http://pub.chosun.com/client/news/viw.asp?cate=C01&mcate=M1002&nNewsNumb=20170324115&nidx=24116|제목=이영훈 서울대 명예교수, “자본주의 맹아론은 대한민국 부정으로 이어지는 주장”|언어=ko|확인날짜=2017-04-13}}</ref>
          |url =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2&aid=0000013058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3&oid=022&aid=0001948482
         [[2007년]] [[5월 25일]] 《해방전후사의 재인식》의 내용이 난해하다는 지적에 따라 이를 쉽게 풀어 쓴 《대한민국 이야기》를 출간하였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3&oid=001&aid=0001651421 쉽게 풀어쓴 해방전후사의 재인식] 뉴데일리</ref>
  • 이예린 (1974년) . . . . 5회 일치
         * <1994.06.00> - 1st Album《[[LEE YE RIN]]》
         * <2003.06.26> - 5th Album《[[refined]]》
         * <1998.11.00> - Best Album《[[lee ye rin best]]》
         * <2007.10.17> - 1st Single ''[[Come closer to me]]''
         * <2011.04.22> - Digital Single `[[야래향]]`
         * <2013.03.09> - Digital Single ''[[LEE YE RIN]] (Special Electro Remix)''
  • 이채영(fromis_9) . . . . 5회 일치
         [include(틀:회원수정)]
         [include(틀:밴드)]
         ||<bgcolor=#BBB3D8> '''{{{#white 링크}}}''' ||<(><bgcolor=#ffffff> [[https://www.instagram.com/chae_young_fm/|[[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png|width=24]]]] ||
         ||<bgcolor=#BBB3D8> '''{{{#white 외부링크}}}''' ||<(><bgcolor=#ffffff> [[http://gall.dcinside.com/mgallery/board/lists/?id=lcy514|이채영 마이너갤러리]] ||
          * 2017년 12월 9일, 개인 V LIVE [[http://www.vlive.tv/video/51490?channelCode=D5E529|<MIND MAP> 8교시 채영영역]]을 진행했다.
          * 2018년 2월 14일, 발렌타이 데이 기념 동영상 [[http://www.vlive.tv/video/59470/playlist/59488|Happy Valentine Day #채영]]이 공개되었다.
  • 이홍렬(코미디언) . . . . 5회 일치
         ||<table width=100%><table align=center><table bordercolor=#000000><-100><:>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C60C30 20%, #003478)"
         ||<#ffffff><:><-100>{{{#!folding [ 펼치기 · 접기 ]
          * 2001년부터 풀벌[* 벌이 아닌 털뭉치를 뜻하는 영어 furball에서 따 왔다고 한다.]이라는 이름의 고양이를 키우고 있었는데 지난 2018년 7월 5일 무지개다리를 건넜다고 한다.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32&aid=0002888162|관련기사]] 그리고 풀벌을 키우던 이야기를 [[유튜브]]에서 [[https://www.youtube.com/watch?v=PM_kmFTaaoI|연재하고 있다.]]
  • 임은정(법조인) . . . . 5회 일치
         |||| http://post.phinf.naver.net/MjAxNzA2MjFfMTg5/MDAxNDk4MDI5MDM1MzM0.FbAfzdHgweN8t_5K3E2acey0GxU5SAuxsoqaNuITjqQg.kvvP8sN11j8BfXqMh0UByl29Y4AZOjwnAVXeuRzgTMEg.JPEG/I38q6bQodlqxz2dE568Cq0unBSSo.jpg ||
         역시나 대검 감찰본부는 2013년 2월 직무상 의무 위반, 품위 손상 등으로 법무부에 임 검사의 정직을 청구했고, 같은 달 법무부는 그에게 정직 4개월의 징계 처분을 내렸다. 임은정 검사는 이에 대하여 서울행정법원에 징계처분취소 소송을 제기했고, 서울행정법원은 2014년 2월 21일 징계처분을 취소하라는 판결을 선고하였다. 법무부에서는 항소하였으나, 2014년 11월 6일 서울고등법원에서는 법무부의 항소를 기각하였다. 법무부는 상고했고 대법원은 2년 10개월째 결론을 내리지 않고 있다가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32&aid=0002822245|2017년 10월 31일에 선고할 것이라고 한다.]] 대법원은 결국 2017년 10월 31일 상고를 기각하여 임은정 검사가 승소한 원심판결을 확정했다. 대법원의 판결 이유는, 무죄구형이나 내부게시판에 글을 올린 행위는 징계 대상이 될 수 없고, 근무시간 위반만 징계사유가 될 수 있지만 이 또한 징계의 정도가 과중하여 위법하다는 취지이다([[http://www.law.go.kr/precInfoP.do?mode=0&precSeq=186092|대법원 2017. 10. 31 선고 2014두45734 판결]]).
         그러나 임 검사의 퇴직 사유를 발견하지 못한 법무부는 지난해 1월8일 결국 ‘적격’ 판정을 내렸다.[* 사실 이 적격심사제도로 잘린 사람은 매우 적다. 자세한 것은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469&aid=0000240998|기사]] 참조. 그리고 이런 방식의 찍어내기는 오히려 법관이 훨씬 더 심하다. 저 기사를 참조하면 알겠지만 정작 검사적격심사제도는 제대로 열리지도 않는다(...). 임은정 검사의 경우도 열리긴 열렸지만 저렇게까지 찍힌 임은정 검사도 문제가 없어서 적격 판정 받아 문제없게 되었다. 물론 이후 승진이 느려지긴 했으나 적어도 이 적격심사제도로 강제퇴직 당하진 않았다. 그러나 판사의 경우, 판사의 임기가 10년이므로 판사 본인이 직을 더 유지하고 싶어한다면, 10년마다 무조건 재임용 심사를 받아야 한다. 가장 대표적인 예로 [[서기호]] 판사 재임용 탈락이 있다.]
         2017년 8월 17일, 2년만에 서울북부지방검찰청 부부장검사로 승진하게 되었다.[* 동기들은 이미 부장검사다.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28&aid=0002380799|한겨레와의 인터뷰]]에서 “상부에서 통제 안 되는 검사로 찍힌 탓인지도 모르겠다”고 했다.] [[http://www.kookje.co.kr/news2011/asp/newsbody.asp?code=0300&key=20170811.99099004905|기사 링크]]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28&aid=0002380799|한겨레와 인터뷰]]를 했다. 상당히 의외인 인터뷰인데 검찰 내에서 언론과 대응하는 공식 직책은 차장검사로 차장검사를 제외하고는 수사 보안 등을 이유로 언론과의 접촉이 금기시 되는 게 검찰 내 불문율이기 때문이다. 게다가 검사윤리강령상 이런 인터뷰는 기관장 승인 사항이다. 또한 전 국민의 관심이 쏠린 특정 사건의 담당 검사로서의 ‘사건’에 대한 인터뷰가 아닌, 검찰 전체에 대한 비판을 SNS에 쏟아냈던 임은정 검사의 평소 견해를 중심으로 이뤄진 인터뷰였기 때문에 훨씬 더 이례적이다. 임은정 검사도 인터뷰에서 “대검찰청에서 (인터뷰) 허락을 해주다니 얼떨떨하다. 정말 세상이 좋아졌나 보다”라며 환하게 웃었다고 한다. 천지개벽을 맞은 기분이었다고. 도가니 사건, 백지구형 사건 등 여러 뒷이야기들과 검찰과 검찰 개혁에 대한 임은정 검사의 얘기와 생각을 볼 수 있다. 그런데 역시라면 역시랄까, 이 인터뷰를 가지고 상부에서 뭐라고 했다고.[[http://ilyo.co.kr/?ac=article_view&entry_id=273053|#]]
  • 전장운 . . . . 5회 일치
         |출생지 = [[서울]]<ref name=faithweb>http://newsaints.faithweb.com/martyrs/Korea1.htm</ref>
         전장운 요한은 [[1968년]] [[10월 6일]]에 [[성 베드로 대성당]]에서 [[교황]] [[바오로 6세]]가 집전한 24위<ref name=103saints_britannica>{{백과사전 인용
         * [http://english.cbck.or.kr/Saints103/377 Catholic Bishop's Conference Of Korea. 103 Martryr Saints: 전장운 요한 Ioannes B. Chon Chang-un]
         * [http://info.catholic.or.kr/dictionary/view.asp?ctxtIdNum=3067&keyword=%C0%FC%C0%E5%BF%EE&gubun=01 가톨릭 사전: 전장운]
  • 전혜빈 . . . . 5회 일치
         || '''외부 링크''' ||<(> [[https://www.instagram.com/heavenbin83/|[[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png|width=21]]]] [[https://twitter.com/heavenbin|[[파일:트위터 아이콘.png|width=21]]]][* 2009년 9월 15일~2014년 8월 23일] [[http://cy.cyworld.com/home/24985971|[[파일:싸이월드_로고.png|width=24]]]] ||
         || '''팬 페이지''' ||<(> [[http://cafe.daum.net/BinStyle|[[파일:다음 카페.png|width=24]]]] ||
          * '''[[김병만의 정글의 법칙]]''' in 남극 (2018~ ,[[SBS]])
  • 정인선(탤런트) . . . . 5회 일치
         [include(틀:상위 문서, top1=배우/한국)]
         [Include(틀:씨제스 엔터테인먼트 소속 아티스트)]
         ||||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0/02/Jung_In_Seon_%28%EC%A0%95%EC%9D%B8%EC%84%A0%29_at_BIFF_2013.jpg/220px-Jung_In_Seon_%28%EC%A0%95%EC%9D%B8%EC%84%A0%29_at_BIFF_2013.jpg ||
         ||<#B0C4DE> {{{#ffffff '''외부 링크'''}}} ||<(> [[https://twitter.com/j_insun|[[파일:트위터 아이콘.png|width=24]]]] [[https://www.instagram.com/jung_insun.gram/|[[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png|width=24]]]] [[http://cy.cyworld.com/home/21858393|[[파일:싸이월드_로고.png|width=24]]]] ||
          * [[2018년]] [[4월 17일]] 배우 [[이이경]]과 [[http://sports.chosun.com/news/ntype.htm?id=201804180100151820011236&servicedate=20180417|1년 째 열애중]]이라는 기사가 났고 양측 모두 인정하였다. 그런데 두달만에 결별 소식이 전해졌다. [[http://v.entertain.media.daum.net/v/20180608095319639|이이경·정인선 열애 공개 두달만에 결별]]
  • 정종철 . . . . 5회 일치
         | 웹사이트 = [http://minihp.cyworld.com/pims/main/pims_main.asp?tid=47540635 정종철 싸이월드 미니홈피]
         * [https://web.archive.org/web/20090312232538/http://people.nate.com/people/info/ju/ng/jungjongchul/ 정종철 네이트 인물]
         * [https://web.archive.org/web/20060222112944/http://epg.epg.co.kr/star/profile/index.asp?actor_id=4378 정종철 EPG 스타정보]
  • 정혜선(배우) . . . . 5회 일치
         ||<table width=100%><table align=center><table bordercolor=#000000><-100><:>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C60C30 20%, #003478)"
         ||<#ffffff><-1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정혜선, version=56)]
  • 주현미 . . . . 5회 일치
         ||<table width=100%><table align=center><table bordercolor=#000000><-100><:>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C60C30 20%, #003478)"
         ||<#ffffff><-1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꽃보다 할배]] ([[tvN]], 2013) -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6&oid=311&aid=0000237377|OST 참여]]
  • 죽으면 부처님 . . . . 5회 일치
          * http://www.hongwanji.or.jp/mioshie/howa/min131001.html
          * http://shinshu.fubuki.info/jisatu/file03.htm
          * http://www.shinrankai.or.jp/b/gendai/20150615sinebadaredemo.htm
  • 최영이 (종교인) . . . . 5회 일치
         |출생지 = [[서울]]<ref name=faithweb>http://newsaints.faithweb.com/martyrs/Korea1.htm</ref>
         최영이 바르바라는 [[1925년]] [[7월 5일]]에 [[로마]] [[성 베드로 광장]]에서 [[교황]] [[비오 11세]]가 집전한 79위<ref name=103saints_britannica>{{백과사전 인용
         * [http://info.catholic.or.kr/dictionary/view.asp?ctxtIdNum=3510&keyword=%C3%D6%BF%B5%C0%CC&gubun=01 가톨릭 사전: 최영이]
         * [http://english.cbck.or.kr/Saints103/345 Catholic Bishop's Conference Of Korea. 103 Martryr Saints: 최영이 바르바라 Barbara Choe Yong-i]
  • 최운정 . . . . 5회 일치
         2015년 7월 19일 [[LPGA 투어]] 마라톤 클래식에서 156전 157기만에 우승을 차지했다.<ref>[http://sports.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golf&ctg=news&mod=read&office_id=081&article_id=0002582231 최운정 LPGA 투어 마라톤 클래식 우승, 156전 157기]</ref>
         {| cellpadding="3" cellspacing="0" border="1" style="font-size: 95%; border: #aaa solid 1px; border-collapse: collapse;text-align:center;"
         {| cellpadding="3" cellspacing="0" border="1" style="font-size: 95%; border: #aaa solid 1px; border-collapse: collapse;text-align:center;"
  • 최진순 . . . . 5회 일치
         '''최진순'''(崔軫淳, [[1969년]] [[3월 8일]] ~ )은 [[대한민국]]의 [[기자 (직업)|기자]]이다.<ref>김달아·최승영.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004&oid=127&aid=0000024679 중앙, 기어 바꾼 디지털 혁신…구성원 힘 모아 속도 낼까]. 기자협회보. 2017년 4월 5일.</ref>
         [[1969년]] [[대구광역시|대구]]에서 출생했으며, [[1998년]] [[교수신문]]을 거쳐 [[2000년]] [[서울신문]]에서 본격적인 기자생활을 시작했다. (사)한국온라인신문협회 기획분과위원, 뉴스분과위원 및 운영위원 등을 차례로 역임했다. [[2004년]]에는 [[한국언론재단]] [[KINDS]] 태스크포스(TF) 팀장, 운영위원 등을 지냈다. 또 한국언론재단 [[뉴스ML]] 포럼 운영위원으로 활동했다. [[2004년]] 미국언론연구원(API) [[온라인저널리즘]] 디플로마 과정을 수료했다.
         * [[네트에서 세상 읽기]] http://www.saenon.min.or.kr/17
         * [[연합뉴스]] http://www.yonhapnews.co.kr/medialabs/special/interview/interview_choi.html
         * [https://twitter.com/choijinsoon 트위터]
  • 최창흡 . . . . 5회 일치
         |출생지 = [[서울]]<ref name=faithweb>http://newsaints.faithweb.com/martyrs/Korea1.htm</ref>
         최창흡 베드로는 [[1925년]] [[7월 5일]]에 [[로마]] [[성 베드로 광장]]에서 [[교황]] [[비오 11세]]가 집전한 79위<ref name=103saints_britannica>{{백과사전 인용
         * [http://info.catholic.or.kr/dictionary/view.asp?ctxtIdNum=3524&keyword=%C3%D6%C3%A2%C8%ED&gubun=01# 가톨릭 사전: 최창흡]
         * {{언어링크|en}} [http://english.cbck.or.kr/Saints103/305 Catholic Bishop's Conference Of Korea. 103 Martryr Saints: 최창흡 베드로 Petrus Choe Chang-hub]
  • 카라스노 고교 . . . . 5회 일치
         http://ic.pics.livejournal.com/revolution_d1/50348209/84082/84082_original.jpg
         ||<tablealign=center> http://s27.postimg.org/o0fdwwyyb/hinata.jpg&width=205 [[br]] '''[[히나타 쇼요]]''' (MB) || http://s27.postimg.org/jd9bv5blf/kageyama.jpg&width=205 [[br]] '''[[카게야마 토비오]]''' (S) || http://s27.postimg.org/am2b0vsab/tsukishima.jpg&width=205 [[br]] [[츠키시마 케이]] (MB) || http://s27.postimg.org/wjyruo7ar/yamaguchi.jpg&width=205 [[br]] [[야마구치 타다시]] (MB) ||
         ||<tablealign=center> http://s28.postimg.org/xade9ypx9/tanaka.jpg&width=205 [[br]] [[타나카 류노스케]] (WS) || http://s28.postimg.org/pa3oz7yd9/nishinoya.jpg&width=205 [[br]] [[니시노야 유]] (Li) ||
         ||<tablealign=center> http://s16.postimg.org/by0khz6w5/K_163.png&width=205 || http://s15.postimg.org/h90cyurmj/narita.jpg&width=205 || http://s15.postimg.org/bjk4ejlgb/kinoshita.jpg&width=205 ||
         <<include(틀:스포일러)>>
  • 콜 오브 후아레즈 : 건슬링어/줄거리 . . . . 5회 일치
         == Once Upon a Time in Stinking Springs ==
         링컨 카운티 전쟁[* Lincoln County War. 1870년대 말 [[뉴멕시코]]에서 벌어졌던 분쟁. 상인들 간의 상권 분쟁이 지역 단위 총격전으로 번져버렸다.] 당시, 빌리는 자신의 지인이였던 존 턴스톨의 복수를 하기 위해 분쟁에 뛰어들었다. 그 곳에는 사일러스 그리브스 또한 있었다.
  • 크리스토퍼 라킨 . . . . 5회 일치
         | 원어명 = {{lang|en|Christopher Larkin}}
         | 사진 =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7/76/Christopher_Larkin_by_Gage_Skidmore.jpg/250px-Christopher_Larkin_by_Gage_Skidmore.jpg
         '''크리스토퍼 라킨'''({{lang|en|Christopher Larkin}}, 1987년 10월 2일 ~ )은 미국의 배우이다.
         * {{공식 웹사이트|http://www.christopherlarkin.com/}}
  • 하현정 . . . . 5회 일치
         | 신체사이즈 = 가슴: {{convert|34|in|cm|sigfig=3|abbr=on}}<br>허리: {{convert|25|in|cm|sigfig=3|abbr=on}}<br>엉덩이: {{convert|34|in|cm|sigfig=3|abbr=on}}
         * 출생 : [[1987년]] [[6월 20일]]<ref>[http://www.inapad.com/bbs/board.php?bo_table=model&wr_id=1172#.VA4HvlfihGo 이너패드]</ref>
         * [http://misskorea.hankooki.com/popup/miko_profile.php?year_miss=2010&miss_num=22&indexid=2122 미스코리아 하현정 프로필]
  • 한동근 . . . . 5회 일치
         [[1993년]] [[5월 9일]] 경북 구미에서 태어났다. 데뷔하기 전까지는 미국 [[캘리포니아]]에서 4년 동안 공부했다.<ref>{{뉴스 인용 |저자=손수영 |제목=한동근, 데뷔 전 무슨 일 했나? "평범한 유학생이었다" |url=http://news.heraldcorp.com/culture/view.php?ud=201609092113433115096_1 |뉴스=헤럴드경제 |출판사= |위치= |날짜=2016-09-09 |확인날짜= }}</ref> 한동근은 미국 유학 도중 성가대에서 활동하게 되었다. 합창을 하면서 희열을 느꼈고 피아노로 노래를 하기도 했는데 그는 이때의 경험으로 가수를 꿈꾸게 되었다고 말했다.<ref>{{뉴스 인용 |저자=김민서 |제목=‘가요광장’ 한동근 “美 유학 중 성가대 활동, 가수 된 계기” |url=http://isplus.live.joins.com/news/article/article.asp?total_id=20545114&cloc=rss%7Cisplus%7Centertainment |뉴스=일간스포츠 |출판사= |위치= |날짜=2016-09-03 |확인날짜= }}</ref> [[2014년]] [[8월]] 데뷔 앨범을 준비하며 앨범에 들어갈 노래를 선정하는 자리에서 그는 《이 소설의 끝을 써보려 해》를 부르게 되었다. 데뷔 곡을 정하기 위해서 시험 삼아 노래를 부르는 자리였던 만큼 힘을 빼고 편안하게 노래했다고 그는 증언했다. 이를 "자연스럽다"며 마음에 들어한 소속사 사장의 권유에 《이 소설의 끝을 써보려 해》는 그 다음 달 발표되었다.<ref>{{뉴스 인용 |저자=양승준 |제목=카메라 없어도 노래 자처…열정이 만든 ‘역주행 신화’ |url=http://www.hankookilbo.com/v/31eb3a7aa65e4987a1b22f33592d79a6 |뉴스=한국일보 |출판사= |위치= |날짜=2016-09-01 |확인날짜= }}</ref>
         * 《2015 PLEDIS DUET Project `Parting`》 (with [[정아]]) (2015년)
         [[2018년]] [[8월 30일]] 밤 11시경 [[서울특별시]] [[서초구]] 동덕여자고등학교 인근의 한 도로에서 음주운전으로 적발된 사실이 드러났다.<ref>{{뉴스 인용 |저자=황미영 |제목=[단독] 가수 한동근, 음주운전 적발…오늘(5일) 조사 |url=https://entertain.naver.com/ranking/read?oid=421&aid=0003572860 |뉴스=뉴스1 |출판사= |위치= |날짜=2018-09-05 |확인날짜=2018-09-05}}</ref>
  • 한영이 . . . . 5회 일치
         |출생지 = [[서울]] [[입정동]]<ref name=faithweb>http://newsaints.faithweb.com/martyrs/Korea1.htm</ref>
         한영이 막달레나는 [[1925년]] [[7월 5일]]에 [[로마]] [[성 베드로 광장]]에서 [[교황]] [[비오 11세]]가 집전한 79위<ref name=103saints_britannica>{{백과사전 인용
         * [http://info.catholic.or.kr/dictionary/view.asp?ctxtIdNum=3919&keyword=%C7%D1%BF%B5%C0%CC&gubun=01 가톨릭 사전: 한영이]
         * {{언어링크|en}} [http://english.cbck.or.kr/Saints103/309 Catholic Bishop's Conference Of Korea. 103 Martryr Saints: 한영이 막달레나 Magdalena Han Yong-i]
  • 허협 . . . . 5회 일치
         |출생지 = [[서울]]<ref name=faithweb>http://newsaints.faithweb.com/martyrs/Korea1.htm</ref>
         허협 바오로는 [[1925년]] [[7월 5일]]에 [[성 베드로 광장]]에서 [[교황]] [[비오 11세]]가 집전한 79위<ref name=103saints_britannica>{{백과사전 인용
         * [http://info.catholic.or.kr/dictionary/view.asp?ctxtIdNum=3966&keyword=%C7%E3%C7%F9&gubun=01 가톨릭 사전: 허협]
         * [http://info.catholic.or.kr/dictionary/view.asp?ctxtIdNum=3966&keyword=%C7%E3%C7%F9&gubun=01 Catholic Bishop's Conference Of Korea. 103 Martryr Saints: 허협 바오로 Paulus Ho Hyob]
  • 현석문 . . . . 5회 일치
         |출생지 = [[서울]]<ref name=faithweb>http://newsaints.faithweb.com/martyrs/Korea1.htm</ref>
         현석문 가롤로는 [[1925년]] [[7월 5일]]에 [[로마]] [[성 베드로 광장]]에서 [[교황]] [[비오 11세]]가 집전한 79위<ref name=103saints_britannica>{{백과사전 인용
         * [http://info.catholic.or.kr/dictionary/view.asp?ctxtIdNum=3985&keyword=%C7%F6%BC%AE%B9%AE&gubun=01 가톨릭 사전: 현석문]
         * [http://english.cbck.or.kr/Saints103/349 Catholic Bishop's Conference Of Korea. 103 Martryr Saints: 현석문 가롤로 Carolus Hyon Song-mun]
         *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63357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현석문]
  • 현주엽 . . . . 5회 일치
         트레이드 소식을 최인선 감독이 아닌 신문기자에게서 처음 듣게 된 현주엽은 트레이드 직후 인터뷰를 통해 최인선 감독에게 대한 인간적인 실망을 토로하기도 했다. 애초에 현주엽의 트레이드는 현주엽과 최인선의 불화 때문이라는 주장이 한 매체를 통해 설득력있게 제기되었다.<ref>스포츠투데이 1999년 12월 27일 [http://blog.naver.com/einer6623/50015480828 “현주엽 트레이드 진짜 이유 .. 현주엽 항명과 최감독의 단죄”]</ref> 이에 따르면 1999년 12월 14일 현대와의 경기에서 역전패 당하고 난후 최인선은 패배의 책임이 현주엽에게 있다고 생각했고, 자존심이 강한 현주엽은 이에 항명하여 부상을 핑계로 다음 경기인 16일 LG전을 보이콧하였다고 한다. 그 다음 경기인 19일 신세기전에서 다시 현주엽은 워밍업까지 마치고 경기에 나설 준비를 하였으나 이번엔 최인선의 보복이 이어졌다. 현주엽을 고의로 출전시키지 않은 것이다. 그리고 그 다음 경기였던 23일 동양전은 현주엽에게 SK에서의 마지막 경기가 된다.
         01-02 시즌 농구대잔치에서 상무는 김주성이 이끄는 전년도 우승팀 중앙대를 제압하며 우승을 하였고 현주엽은 대회 최우수선수상(MVP)과 리바운드상을 받았다.<ref>동아일보 2002년 1월16일 [http://sports.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general&ctg=news&mod=read&office_id=020&article_id=0000107547 “상무, 중앙대 꺾고 농구대잔치 첫 우승”]</ref>
         현주엽은 상무 복무중 출전한 2002년 부산 아시안게임 남자 농구 결승전에서 중국에 극적 역전승을 이끌어 내는데 결정적 기여를 하였다.<ref>연합뉴스 2002년 10월14일 [http://sports.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general&ctg=news&mod=read&office_id=001&article_id=0000255351 “아시안게임-<농구> 한국, 20년만의 금메달(종합)”]</ref> 당시 중국은 NBA 지명 1순위에 빛나는 야오밍이 포함되어 있었고, 한국은 시종일관 중국에 리드를 당해 종료 3분 17초를 남기고 71-84로 뒤지며 패색이 짙었다. 이때 김진 대표팀 감독은 작전타임을 부른후 현주엽과 김승현을 교체 투입하는 마지막 승부수를 띄웠다. 현주엽의 미들슛과 골밑돌파, 그리고 김승현의 가로채기와 어시스트가 빛을 발하며 한국팀은 무더기 득점을 엮어나가기 시작했다. 마침내 4쿼터 종료 4.7초를 남기고 현주엽이 드리블에 이은 대담한 골밑돌파로 레이업슛을 성공, 동점을 만들면서 승부는 연장전으로 넘어갔다. 연장전에서도 김승현과 현주엽의 활약은 이어졌고 102-100로 경기를 마무리 지으며 20년만에 남자농구 아시안게임 금메달을 되찾아올 수 있었다.
         * [[2015년]] [[SBS (대한민국의 방송사)|SBS]] 《[[정글의 법칙]] in 니카라과》
         * [[2016년]] [[서울방송|SBS]] 《[[정글의 법칙]] in 뉴칼레도니아》
         * [http://newslibrary.naver.com/search/searchByKeyword.nhn#%7B%22mode%22%3A1%2C%22sort%22%3A0%2C%22trans%22%3A1%2C%22pageSize%22%3A10%2C%22keyword%22%3A%22%ED%98%84%EC%A3%BC%EC%97%BD%22%2C%22status%22%3A%22success%22%2C%22startIndex%22%3A1%2C%22page%22%3A1%2C%22startDate%22%3A%221920-04-01%22%2C%22endDate%22%3A%221999-12-31%22%7D 네이버 예전 신문 보도 기사 - 前 농구 선수 현주엽]
  • 홍유경 . . . . 5회 일치
         | 그림 =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0/0f/Hong_Yookyung_performing_at_the_Hwaseong_Fortress%2C_7_July_2012_01.jpg
         '''홍유경'''([[1994년]] [[9월 22일]] ~ )은 [[대한민국]]의 걸그룹 [[에이핑크]]의 전 멤버이다. [[대한민국]]의 중견 철강 제조업체인 [[DSR제강]] 창업주였던 홍순모의 손녀라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화제를 모았으나<ref name=hongyk>{{뉴스 인용 | 제목='에이핑크' 홍유경, 1000억대 재력가의 딸 | url=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2/02/09/2012020902006.html | 저자=한상혁 기자 | 출판사=조선일보 | 날짜=2012-02-09 | 보존url=http://archive.is/CFdQ | 보존날짜=2012-07-23 }}</ref> [[2013년]] 4월 학업 문제로 [[에이핑크]]에서 탈퇴하였다.<ref>{{뉴스 인용 | 제목='에이핑크' 홍유경 탈퇴..에이큐브 측 "학업 전념" | url=http://star.mt.co.kr/view/stview.php?no=2013042315233618713&type=1&outlink=1 | 출판사=스타뉴스 | 저자=윤상근 기자 | 날짜=2013-04-23 | 보존url=http://archive.is/OkU7D | 보존날짜=2013-05-01 }}</ref>
         ** [[Seven Springs Of Apink]]: 몰라요, Wishlist
         ** [[Snow Pink]] : MY MY
  • 황병기 . . . . 5회 일치
         2018년 1월 31일 [[폐렴]]으로 별세했다. 향년 83세<ref>{{뉴스 인용|저자1=장병호|제목=가야금 명인 황병기 31일 별세…향년 82세|url=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ec&sid1=103&sid2=242&oid=018&aid=0004023311|날짜=2018-01-31|확인날짜=2018-01-31|뉴스=[[이데일리]]}}</ref>
         <ref>{{뉴스 인용|url=http://www.donga.com/fbin/output?n=200709050145/|제목=가야금 깊은 울림, 세계를 울린다…황병기 창작앨범 英美 동시발매|뉴스=[[동아일보]]|저자=전승훈|날짜=2007-09-05|확인날짜=2008-04-07}}</ref><ref>{{뉴스 인용|url=http://article.joins.com/article/article.asp?Total_ID=2739590|제목=`가야금 사랑` 반세기 삶, 우리 가락에 담다
         * Vol.3: 《미궁 (迷宮, The Labyrinth)》(1979)
         * Vol.4: 《춘설(春雪, Spring Snow)》(1997)
  • 황제성(코미디언) . . . . 5회 일치
         [include(틀:iHQ 소속 아티스트)]
         |||| http://photo.jtbc.joins.com/news/2015/08/04/20150804165920446.jpg ||
         || 가족 ||<(> 배우자 [[https://www.instagram.com/choeun0606/|박초은]] 슬하 1녀||
         || 링크 ||<(> [[http://newable.co.kr/star/profile?id=16|공식사이트]] [[http://www.cyworld.com/msghg|미니홈피]] [[https://www.instagram.com/king__castle|인스타그램]] ||
  • A-10 선더볼트 . . . . 4회 일치
         2021년까지 운영하기로 결정됐다.([[http://www.yonhapnews.co.kr/international/2017/02/08/0619000000AKR20170208134900009.HTML 참조]])
         [[http://www.boeing.com/defense/support/a-10-wing-replacement-program/index.page#/tech-spec|보잉 홈페이지의 A-10 날개 교체 프로그램 페이지]]
  • Crusader Kings 2/DLC . . . . 4회 일치
         게임 [[Crusader Kings 2]]의 [[DLC]]를 설명하는 페이지.
         === Sunset Invasion ===
         === Rajas of India ===
          * 친구들과 모여서 술을 퍼마시고 보드게임을 벌이는걸 낙으로 삼는 통음(Carousing). 술을 퍼마시기 때문에 이슬람교도들은 할 수 없다.
          * 사냥을 낙으로 삼는 사냥(Hunting). 귀여운 사냥개를 선물받을 수도 있다.
          * 다른 나라에 딜을 하러 원정가거나 장인들의 사업에 투자를 해보는 사업(Business)
          * 다른 이를 미행하며 약점을 캐내거나 중상모략을 할 수 있는 음모(Intrigue)
  • FrontPage . . . . 4회 일치
         #noindex
         {{{<<include(틀:공동창작)>>}}}
         {{{<<include(틀:개인창작)>>}}}
          * HelpOnEditing
  • V-22 오스프리 . . . . 4회 일치
         2016년 12월 14일 주일미군 MV-22 오스프리가 [[http://news.kmib.co.kr/article/view.asp?arcid=0923660105&code=11141100&sid1=int|훈련중 오키나와 앞바다에 추락했다.]] 이전부터 오키나와의 반전단체들은 오스프리가 위험하다고 주장하고 있었기 때문에 이 사건으로 더욱 불이 붙었다.
         [[http://www.boeing.com/defense/v-22-osprey/|보잉 홈페이지의 V-22 오스프리 페이지(영문)]]
         [[http://www.marines.com/operating-forces/equipment/aircraft/mv-22-osprey|미 해병대 사이트의 MV-22 오스프리 페이지(영문)]]
  • weider in . . . . 4회 일치
         weider in
         weider사의 [[젤리]] 형 영양 드링크. 에너지 인과 비타민 인이 있다. 미묘하게 꿀렁거리는 맛이 미묘하다.
          * http://www.weider-asia.com/sg/energy.html
  • 강재형 (아나운서) . . . . 4회 일치
         |웹사이트 = [http://blog.imbc.com/blog.main.index.screen?p_club_id=happysky MBC 아나운서 강재형] <br/> [https://twitter.com/happysky87 트위터 강재형 아나운서]
         * [http://blog.imbc.com/blog.main.index.screen?p_club_id=happysky MBC 아나운서 강재형]
  • 고유민 . . . . 4회 일치
         ||||<#0033a0> {{{#ffffff '''고유민'''[BR]( Ko Yu-Min ) }}} ||
         ||<:> '''SNS''' || [[https://www.instagram.com/ming_ppeum_/|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png|width=20]]]] ||
         주전선수가 목표라고 시즌 전 인터뷰[* [[http://sports.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volleyball&ctg=news&mod=read&office_id=451&article_id=0000000573|인터뷰 기사]]]에서 밝힌 대로 기회를 얻는 데 성공하여 개막 이후 3경기 선발 출장을 하였으나 고질적인 문제인 리시브 불안으로 1, 2세트만 채우고 교체되었다. 배구 팬들 사이에서는 현대건설이 풀세트 경기를 자주하는 주요원인으로 꼽힐 정도.[* 컵대회부터 고유민의 리시브가 그런대로 되는 경기는 현대건설이 별 문제없이 이기는 패턴이지만, 되지 않을 경우 컵대회 결승전 때나 시즌 경기처럼 풀세트로 가서 패하거나 간신히 이기는 패턴이 계속되었다.]
  • 구미시 . . . . 4회 일치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ko/thumb/6/67/Gumisine-map.png/466px-Gumisine-map.png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9/95/Scale_model_of_%27Gumi%2C_Gyeongsangbuk-do%27_in_Seoul_Station%2C_1.jpeg/250px-Scale_model_of_%27Gumi%2C_Gyeongsangbuk-do%27_in_Seoul_Station%2C_1.jpeg
  • 국부펀드 . . . . 4회 일치
         설립목적에 따라서 안정화펀드(stabilization fund)와 저축펀드(savings fund)가 있다. 안정화펀드는 자원가격의 변동에 대응하여 재정적인 안정적을 추구한다. 자원 수출에 외환 수익을 의존하다보면, 자원 가격이 떨어지면서 외환 수익에 문제가 생길 수 있기 때문에 흑자일 때 모아두었다가 적자일 때 보전에 사용하는 목적이다. 저축펀드는 장래 자원이 고갈됐을 때, 미래세대들이 혜택을 볼 수 있도록 하는 목적이다.
         이리하여 국부펀드의 영향력이 증가하였으나, 이들의 총자산 등 정보가 비공개 상태라는 점을 염려하여 [[IMF]]에서는 산티아고 원칙 (Santiago Principles)이라는 가이드 라인을 제시했다. 이를 바탕으로 하여 The International Forum of Sovereign Wealth Funds (IFSWF)가 International Working Group of Sovereign Wealth Funds(IWG)에 의하여 출범했다. 2009년 4월에 쿠웨이트에 설립된 IFSWF는 2009년 10월에 멤버들간 정기회의를 아제르바이잔의 바쿠에서 개최하였다. 한국투자공사를 비롯하여 24개 국부펀드가 가입하고 있다.
          * http://news.joins.com/article/19043724
  • 긴나라 . . . . 4회 일치
         긴나라는 기원이 불확실하다. 산스크리트어 킴나라 자체도 ‘(어떤 종류의) 사람인가’를 뜻하는 말로서, 이들의 불확실한 정체를 가리키는 의문사가 곧 명칭으로 바뀐 것이다. 불교경전이 써질 당시에 이미 긴나라의 정체는 불확실해졌던 것으로 보인다. 일설로는, 옛날 인도의 히마찰 프라데시의 킨나우르(Kinnaur) 지역에 살았던 고대의 인도-티베트 종족의 일부를 가리키는 것으로 보기도 한다. 이 지역 사람들이 음악과 노래를 좋아하며 대승불교에 경도되면서 불교 경전에 나타나게 되었다는 것이다.--칠레가 아니었다니 실망이야...--
         --긴 나라, [[칠레]]에서 거주한다.[[http://www.ojitour.com/inc/product/popInfo.asp?tp=SIGHT&link_list=563 (참조)]]--
          * http://www.culturecontent.com/content/contentView.do?search_div=CP_THE&search_div_id=CP_THE006&cp_code=cp0215&index_id=cp02150051&content_id=cp021500510001&search_left_menu=2
  • 김동욱(배우) . . . . 4회 일치
         [Include(틀:상위 문서, top1=배우/한국)]
         [Include(틀:관련 문서, top1=가톨릭/인물)]
         [Include(틀:키이스트 소속 아티스트)]
         2016년에는 활동이 전무인데 정황상 2016년 초까지는 라이더스를 찍었고 그 후 김용화 감독에게 신과 함께 제의를 받아 신과 함께 촬영에 들어간 것으로 보인다. 또한 이 시기에 [[키이스트]]로 소속사를 이적했다. [[http://entertain.naver.com/read?oid=109&aid=0003247794|기사]]
         2017년 [[자체발광 오피스]]에서 서현 역을 맡아 큰 호평을 받았다. 이어 12월에 개봉한 [[신과함께-죄와 벌]]에서 원작의 [[유성연]]을 재구성한 김자홍의 동생 김수홍을 연기해 화제를 일으켰고 "진주인공이다" 라는 말이 나왔을 정도로 호평을 보여줬다.[* 특히 현몽신에서는 웬만한 관객 모두가 눈물을 흘렸다.] 또한 영화 개봉 후 언론과 공식 인터뷰를 가졌다. 후속작인 [[신과함께-인과 연]]에는 주연으로 출연한다. 정작 본인은 [[이정재]]와 같은 특별출연으로 출연할거라고 생각했지만 알고보니 꽤나 중요한 역할을 맡아 놀랬다고 한다. 또한 영화가 1300만 관객을 돌파하자 여동생이 가장 기뻐했다고 한다.[[http://sports.khan.co.kr/sports/sk_index.html?art_id=201801030858003&sec_id=540401|기사]]
         사실 신과함께 이전까진 작품이 들어오질 않아 집에서 [[http://www.newscj.com/news/articleView.html?idxno=481887|전전긍긍했고]] [[http://m.entertain.naver.com/read?oid=009&aid=0004076074|배우의 길에 대해 고민했었는데]], 김용화 감독에게 제의를 받았다. 물론 제작자들, 투자자들의 반대가 있는 듯 했으나 김용화 감독은 이미 일찌감치 수홍 역으로 낙점한 상태라서 김동욱을 투입시키기 위해 오로지 뚝심으로 밀어붙였다. 본인도 마지막 기회하고 생각하고 승낙했다고 한다. 그 결과 영화는 대성공했다. --[[말년병장]] 포스 뿜뿜-- 김동욱에게는 [[http://entertain.naver.com/read?oid=117&aid=0003006805|새로운 전성기가 왔고]] 김용화 감독도 재기에 성공한 동시에 본인의 [[덱스터 스튜디오|회사]]의 기술력을 더 알리게 된 계기가 되었다. 결국 서로 윈윈하게 된 셈.
  • 김상희 (가수) . . . . 4회 일치
         1999년에는 아들의 병역비리에 가담한 것으로 알려져 물의를 빚었다.<ref>[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99042800209123001&edtNo=45&printCount=1&publishDate=1999-04-28&officeId=00020&pageNo=23&printNo=24181&publishType=00010 돈으로 때운 국방의무] "1999년 4월 28일 동아일보 참조"</ref> <ref>[http://media.daum.net/breakingnews/newsview?newsid=19990427023100525 <초점> `有錢免除' 병역면제 비리 실태] "1999년 4월 27일 연합뉴스 참조"</ref>
  • 김석훈(탤런트) . . . . 4회 일치
         [include(틀:SM 엔터테인먼트 그룹)]
         [include(틀:미스틱엔터테인먼트)]
         || '''앨범명''' || '''online''' || '''offline''' ||
  • 김소희 (쇼트트랙 선수) . . . . 4회 일치
         이후, 고질적인 허리 부상으로 [[1997년 동계 유니버시아드|1997년 무주·전주 동계 유니버시아드]] [[쇼트트랙]] 여자 1,000m에서 금메달을 딴 뒤 현역 은퇴를 선언했다.<ref>[http://sports.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sports_general&ctg=news&mod=read&office_id=001&article_id=0004153531 쇼트트랙 김소희 은퇴] - 연합뉴스</ref> [[계명대학교]]를 졸업하고, 미국 웨스턴일리노이대학(Western Illinois University)에서 스포츠마케팅 석사 학위를 취득한 후, [[서울대학교]]에서 [[2012년]]에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2003년]] [[평창 동계 올림픽]] 유치위원회 홍보위원으로 발탁되기도 하였다. 현재는 [[서울대학교]] 스포츠산업연구소 주임 연구원 및 [[대한체육회]] 국제위원회 위원, [[아시아올림픽평의회]] 위원으로 활동하고 있으며, [[평창 동계 올림픽]] 유치를 위한 현장 실사에도 나섰다.
         김소희는 [[2003년]] 말 국가대표팀 코치로 선임되어 그 해 [[중화인민공화국|중국]]에서 열린 1, 2차 월드컵에서 [[대한민국]] 대표팀이 종합 우승을 거두는 데 기여하였다. 그러나 [[2004년]] [[11월 3일]] [[최은경 (쇼트트랙 선수)|최은경]], [[여수연]], [[변천사]], [[허희빈]], [[강윤미 (쇼트트랙 선수)|강윤미]], [[진선유]] 등 여자대표팀 선수 6명이 사생활 간섭<ref>{{뉴스 인용|제목 = "죽도록 두들겨 맞고…" 여자 쇼트트랙 '폭력의 얼음판' | url =http://sports.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sports_general&ctg=news&mod=read&office_id=020&article_id=0000269734 | 출판사 = 동아일보 | 저자 = 김성규 | 쪽 = | 날짜 = 2004-11-11 | 확인날짜 = 2014-02-16 }}</ref>, 상습적 구타<ref>{{뉴스 인용 | 제목 = 여자 쇼트트랙 구타 쇼크 "매일 무차별적으로 맞았다"- 국제대회장서도 되풀이 | url =http://legacy.www.hani.co.kr/section-006000000/2004/11/006000000200411101828268.html | 출판사 = 한겨레 | 저자 = 성연철 | 쪽 = | 날짜 = 2004-11-11 | 확인날짜 = 2014-02-16 }}</ref> 등 코치의 강압적인 지도 방식에 불만을 품고 [[태릉선수촌]]을 무단 이탈했다가 대한빙상연맹의 설득으로 하루 만에 복귀했다. 연맹 측은 [[11월 11일]] 상습구타 사건에 연루된 코치진이 제출한 사표를 수리했고, 7명의 부회장단도 총 사퇴했다.<ref>{{뉴스 인용 | 제목 = `선수 매질`파문..빙상聯 부회장단 사퇴 | url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21&aid=0000088254 | 출판사 = 문화일보 | 저자 = 이준호 | 쪽 = | 날짜 = 2004-11-11 | 확인날짜 = 2014-02-16 }}</ref> 이후 연맹은 여자대표팀을 선수촌에서 퇴촌시켰으며, 11월 말 열린 3, 4차 월드컵 대회 출전도 정지시켰다.<ref>{{뉴스 인용 | 제목 =여자 쇼트트랙 새 사령탑 선임 | url =http://sports.hankooki.com/lpage/moresports/200411/sp2004111522171658130.htm | 출판사 = 스포츠한국 | 저자 = 허재원 | 쪽 = | 날짜 = 2004-11-15 | 확인날짜 = 2014-02-17 }}</ref> 이 사건 이후 현장 지도에는 나서지 않고 연구원으로만 활동하고 있다.
  • 김영환(1955) . . . . 4회 일치
         [include(틀:상위 문서2, top1=정치인/목록, top2=의사)]
         ||<bgcolor=#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2008년 1월 민주당 탈당 당시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79&aid=0000217696|한나라당 입당을 심각하게 고민]]하고 있다고 발언하기도 했다. 그러나 실제 입당은 이루어지지 않았고, 2009년 민주당으로 복당한다.[* 18대 총선에서 무소속으로 출마할 당시 "정당투표는 [[한나라당]]에 해달라"고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2173919|발언하기도 했다.]] 이 정도면 정말 진지하게 한나라당행을 고려한듯 하다.]
         [[YG엔터테인먼트]]의 [[양현석]] 대표가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6&oid=437&aid=0000013956|처사촌동생, 즉 손아래 사촌 처남라고 한다.]] 아내의 이종사촌이다.
  • 김원주(가수) . . . . 4회 일치
         || '''외부 링크''' ||<(> [[http://twitter.com/4menwonjoo|[[파일:트위터 아이콘.png|width=24]]]] [[http://cr.naver.com/rd?m=1&px=97&py=3255&sx=97&sy=114&p=RIreTspySAZsstFCt6Ksss--147427&q=%B1%E8%BF%F8%C1%D6&ssc=tab.m.all&f=m&w=m&s=U6rRWHGSqVMAABnk9U0&time=1403703663872&a=sit_bas*n.purl&r=1&i=0000002d_0000001c2fe0&u=http%3A//www.kimwonjoo.com/&cr=6|[[파일:네이버 카페 아이콘.png|width=24]]]] [[http://cafe.daum.net/4menwonjoo|[[파일:다음 카페 아이콘.png|width=24]]]] [[http://minihp.cyworld.com/pims/main/pims_main.asp?tid=25434894|[[파일:싸이월드_로고.png|width=24]]]] [[http://instagram.com/4menwonjoo|[[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png|width=24]]]] ||
  • 김정우(1990) . . . . 4회 일치
         [include(틀:남녀공학 멤버)]
         |||| http://post.phinf.naver.net/MjAxNzA1MTFfMjE2/MDAxNDk0NDg2NTM4MzEx.qryi27onwffghie2ZJyGuAmJfugd02XwVp4eBHn-3Ykg.gb_21MAliPtm7eoFOZwXl-gjoamxr2VYUyfbataKJ2Ig.JPEG/mug_obj_201705111608589361.jpg ||
         || '''링크''' ||<(> [[http://twitter.com/yoosung90|트위터]] [[http://instagram.com/jungwookim5|인스타그램]] ||
         이후 [[믹스나인]]의 예고편에 포착되었고, 2017년 10월 19일 기획사투어 사진이 공개되며 [[마루기획]] 소속으로 참가했지만[[https://www.instagram.com/p/BabcyCZHroU/|#]] 1차 합격자에 들지 못했다.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남녀공학(아이돌), version=465)]
  • 김종호(1935) . . . . 4회 일치
         [include(틀:상위 문서2, top1=정치인/목록, top2=가톨릭/인물)]
         ||<table align=center><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1B5B40><height=50><#1B5B40><-5><:> [[자유민주연합|[[파일:jaminmini.png|width=60]]]] [[자유민주연합|{{{#FFFFFF ''' 자유민주연합 총재 ''' }}}]] ||
         [include(틀:역대 충청북도지사)]
  • 김준영 (프로게이머) . . . . 4회 일치
         {| cellspacing="1" style="text-align:center; background-color: white; border: double silver 3px;margin-bottom:6px;"
         |-bgcolor="moccasin"
         * 김준영은 [[체리필터]]의 〈느껴봐〉 뮤직비디오에 노 개런티로 출연한 적이 있다. 평소 김준영의 열혈팬이었던 그룹 멤버의 추천으로 출연이 이뤄지게 되었다<ref>{{뉴스 인용|제목=체리필터 연윤근, 프로게이머 김준영과 한판 승부 |url=http://joynews.inews24.com/php/news_view.php?g_menu=700100&g_serial=285873|출판사=조이뉴스24|저자=|쪽=|날짜=2007-10-02|확인날짜=}}</ref>.
  • 김진향 . . . . 4회 일치
         '''김진향'''([[대구광역시]] [[달성군]], [[1969년]] [[3월 25일]] ~ )은 [[대한민국]]의 정치학자이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북한]] 전문가이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277&aid=0003684523 개성공단 4년 실무담당 김진향 교수 "우리 기업들만 죽이는 행위"]. 아시아경제. 2016년 2월 11일.</ref>
         [[대구광역시]] [[달성군]]에서 태어났다. 대학에서 정치외교학을 전공하였고, '한반도 통일에 관한 담론의 분석'이라는 논문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주된 연구분야로는 북한 체제, 남북관계, 평화통일 등이다. 박사학위를 받은 후 대학에서 시간강사 생활을 하다가 [[세종연구소]]에 들어가 객원연구위원으로 일했다. 세종연구소 북한연구센터에서 제32대 통일부 장관 [[이종석 (정치인)|이종석]]을 만났다. [[노무현]]이 제16대 대통령에 당선되자 대통령직 인수위원회에 참여했고, 인수위원회에서 [[국가 안전 보장 회의]](NSC) 설계 작업을 했다. [[노무현 정부|참여정부]]에서 NSC 한반도 평화체계담당관으로 국정운영에 참여하여 남북 평화체계를 다루다가 통일외교안보정책실에서 더 폭넓게 남북관계를 담당했다. 이 과정에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북한]]과 여러 번 교섭과 협상을 했다. 학자 입장에서 북한을 더 자세히 알기 위해 [[개성공업지구]] 근무를 자원했고 [[2008년]] 2월부터 4년간 [[개성]]에서 근무했다. 이 때 개성에서 발생하는 신청·세무·회계·세금·임금협상 등 북한과의 모든 협상을 담당하면서 거의 매일 북한 사람들과 부대끼고 토론하고 협상하는 경험을 했다.<ref>원희복.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33&aid=0000032094 (원희복의 인물탐구)카이스트 김진향 교수…종북을 각오하고 ‘북한’을 말하다]. 주간경향. 2016년 1월 16일.</ref>
         * [http://www.infinitelooper.com/?v=4b2WOGPKezY&p=n 유치원외교 그리고 개성공단]. 김어준의 파파이스(Papa is). 2016년 2월 19일.
  • 김진환(iKON) . . . . 4회 일치
         [include(틀:다른 뜻2,other1=리그 오브 레전드 전문 스트리머,rd1=액시스마이콜,other2=광주 FC의 수비수,rd2=김진환(축구선수))]
         [include(틀:아이콘멤버)]
         ||<:><#FFC8C8> '''{{{#FFFFFF 본명}}}''' ||<(> 김진환 / Kim Jin-hwan ||
         ||<:><#FF0000> '''{{{#FFFFFF 별명}}}''' ||<(> 뿌요[* 뿌리부터 요정--이라고는 하지만 사실은 뿌랄 요정이다, WIN 참고.--], 지난, 지나니, 나니[* 일본 인터뷰에서 이렇게 불러달라고 했다. 가족들도 부르는 별명이다.], 거난영[* [[B.I]]가 '얼굴이 너무 하얀 지난형'을 이상한 글씨체로 써서 거난영처럼 보여서 생긴 별명], 13센치 요정[* 어느 팬이 사진을 자로 쟀는데 13센치여서 붙여진 별명... 트리비아 문서의 세번째 트리비아 참고], 맏내, 귀염뽀짝감귤[* [[NEW KIDS : CONTINUE]] 컴백 카운트다운 V APP에서 팬이 보내준 별명. 나머지 멤버들이 1분동안 이 별명을 그림으로 표현하고 진환이 그 그림이 자신의 무슨 별명인지 맞추는 거였는데 결국 못 맞췄다. ~~귀엽고 뽀샤버리고 싶은 뭐 그런 거 아닌가요?~~]||
         ||<#cf1020><:> '''{{{#!html<span style="text-shadow: 0 0 10px #ffffff;color:#d0d0d0">SNS}}}''' ||<(> [[https://www.instagram.com/gnani_____/|[[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png|width=25|인스타그램]]]] [[https://mobile.twitter.com/iKON_gnani_____|[[파일:트위터 아이콘.png|width=25|트위터]]]][* 계정을 만들 때 멤버들 모두 트위터 프로필 사진을 [[Return(iKON)|Return]] 활동 프로필 사진으로 설정했는데, 유일하게 자신의 셀카로 사진을 바꿨다. ~~귀여워~~]||
         EVERYTHING, BEST FRIEND와 같이 수록곡의 도입부를 상당히 많이 맡는다. 하이라이트도 많이 맡으며 애드립이 있는 노래에서는 거의 모든 애드립을 담당한다. 노래에 따라 강약 조절을 잘하면서 부른다. 간질간질하면서 때로는 힘있는 특유의 목소리가 특징이며, 저음역대부터 고음역대까지 소화 가능하다. iKON의 전곡을 프로듀싱하는 [[B.I]]는 팀 내에서 안정적으로 중심을 잡아주는 보컬이라고 평했다.
         레전드로 회자되는 170527 BLING BLING 직캠.
         WIN의 배틀에서 춤의 전설 이현도에게 극찬을 받았다. '춤선이 가장 곱다'는 평을 듣기도 하였고 스스로도 춤에 자신이 있어보인다. 작고 날렵하여 위험한 아크로바틱을 많이 담당한다.
         춤 습득력이 굉장히 빠르다.[* MIX&MATCH에서 멘탈붕괴 춤을 연습할 때 인원이 너무 많아 먼저 외운 사람은 나가기로 했는데, 멤버들 중 가장 먼저 익혀 첫번째로 나가는 모습을 보였다. ~~지나니 나가!!!~~[[https://www.youtube.com/watch?v=ifV6I53Nh9M,|영상]]] 춤선이 매우 파워풀하면서 깔끔하다. '리듬타'나 [[https://www.youtube.com/watch?v=BTlTZmkENi4|'BLING BLING', '벌떼']] 같은 힙합곡을 출 때는 느낌을 살려서 추는 반면, '죽겠다' 같은 댄스곡에서는 파워풀하게 추고, [[https://www.youtube.com/watch?v=I46liAHRwhw|'이별길']]같은 발라드 곡에서는 선을 잘 살려 추는 등 곡의 분위기에 맞춰서 추는 능력이 탁월하다. 또한 춤을 출 때 눈빛을 잘 살려서 춘다.
         [[NEW KIDS : CONTINUE]]의 타이틀곡 '죽겠다'에서 센터를 맡았다. 허벅지를 쓰는 안무가 정말 섹시하다. 활동 때 멤버들은 이 춤을 '김진환춤'이라 부르며 인터뷰와 라디오 등에서 진환에게 이 춤을 추도록 많이 시켰다. 정작 본인은 이 이름에 대해 부끄러워 하는 듯 하다.
         iKON의 '''맏형'''으로 연습생과 데뷔 초 때 멤버들에게 보컬과 춤을 지도하는 역할을 했다. 또한 생활면에서 멤버들을 모으는 엄마 역할을 한다고 데뷔 초 때 멤버들이 자주 언급했다. 특히 [[BOBBY]]는 진환을 정신적 지주라 칭하며 진환이 자신이 한국에 남게 된 이유라고 자주 언급했다.[* 이는 최근 Star Road에서도 언급했다.] WIN에서 [[송윤형]]네 고기집에 갔을 때 윤형이 진환에게 쓰는 편지를 읽다가 울기도 하고. 마지막에 합류한 정찬우 역시 힘든 일이 있으면 진환에게 상담한다고 밝혔다. 그러나 최근 인터뷰에서는 멤버들이 모두 성장해서 더 이상 팀에 엄마 역할이 필요 없게 되었다고 본인이 말했다. 그러나 여전히 멤버들이 믿고 따르며 팀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멤버들의 정신적 지주인 것은 확실하다. 방송 후에 이런 말은 하지 말라는 식으로 멤버들에게 조언도 많이 하는 듯 하다. 무대도 어떤 식으로 하라고 디렉팅을 많이 하는 것 같다.
         맏형답지 않은 키와 귀여운 외모로 멤버들에게 몰이를 많이 당한다. WIN때 [[https://www.youtube.com/watch?v=mDM_kjfaOP0|몰카에 당하는 모습이나]] [[https://www.youtube.com/watch?v=5cOB3pxHwxo|몰이를 많이 당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동생 멤버들이 형 호칭을 빼고 '지나니'라고 부르는 경우가 많다. ~~몰이당할 때 화내는 게 너무 귀엽다~~ 특히 ~~내일없는 막내온탑~~ 정찬우가 진환이들아 라고 한 적이 있다![[https://www.youtube.com/watch?v=HaCdsjQ3yts|지나니들아]]
          * [[제주도]] 출신이다. WIN과 믹스앤매치에서 동생들과 함께 제주도를 방문했다.
  • 김청(1962년 6월) . . . . 4회 일치
         ||<table width=100%><table align=center><table bordercolor=#000000><-100><:>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C60C30 20%, #003478)"
         ||<#ffffff><-1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김필곤 . . . . 4회 일치
         * 대구지방법원 형사12부 재판장으로 재직하던 2003년 7월 29일에 [[대구 지하철 화재]] 현장을 훼손한 혐의로 불구속 기소된 전 대구지하철공사 사장 윤진태에게 징역 3년 벌금 500만원을 선고하며 법정구속했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20&aid=0000198906]</ref>11월 28일에 [[한총련]] 중앙위원으로 활동한 [[계명대]] 총학생회장에 대해 "11기 [[한총련]]은 10기 한총련의 기본노선을 충실히 따르고 있고, 이적단체인 [[범청학련]] 남측본부의 집행부를 장악해 [[범청학련]]의 기본 대오로 활동하고 있다”며 처음으로 11기 한총련을 이적단체로 규정하면서 "11기 한총련이 범청학련을 통해 북한의 대남 공작부서인 통일전선부의 사실상 지휘·조정을 받아 북한의 적화통일 노선을 수용하고 있고, 북한 쪽과 빈번하게 불법 접촉 및 서신교환을 하면서 하달받은 투쟁지침에 따라 11기 한총련 조국통일위원회의 사업계획을 수립·시행했다"며 [[국가보안법]] 이적단체 가입죄 등을 적용해 징역2년6월 자격정지1년 집행유예4년을 선고했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28&aid=0000036082]</ref> 2004년 2월 6일에 보궐선거를 앞두고 부하 직원 2명으로부터 "당선되면 잘 봐달라"는 청탁과 함께 2000만원, 아들 축의금으로 1000만원을 받은 [[박진규]] 영천시장에 대해 "시장에 당선된 후에 받은 1천만원은 대가성이 인정된다"면서도 2000만원에 대해서는 "범죄 입증이 어렵다"고 하면서 수뢰액이 1천만원이상 5천만원 미만 일 때는 5년이상 징역에 처함에도 불구하고 징역2년6월 집행유예4년 추징금1000만원을 선고했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3&aid=0000026584]</ref>
         * [[서울중앙지방법원]] 형사항소4부 재판장으로 재직하던 2009년 3월 31일에 모텔에 투숙한 손님들의 자동차 번호판을 나무 판자로 가려줘 자동차관리법 위반으로 즉결심판에 회부되어 벌금 5만원을 선고받았지만 이에 불복해 청구한 정식재판에서 무죄를 선고받은 모텔 종업원에게 항소심에서 "해당 조항에서 처벌에 특별한 제한을 두고 있지 않으므로 처벌 근거 조항에 대해서는 행정형벌의 일반적인 특징에 비추어 판단해야 한다"며 "자동차 관리와 안전을 해칠 수 있는 일반적 위험성이 있는 행위를 모두 처벌 대상으로 해석해야 한다"고 하면서 원심을 깨고 벌금 5만원을 선고했다.<ref>[http://www.hani.co.kr/arti/society/society_general/347248.html]</ref> 7월 8일에 "지하철에서 장갑을 팔았다 범칙금 스티커를 발부받아야 한다"며 강제연행하려는 서울메트로 질서기동팀 소속 공익근무요원을 폭행한 홍모씨에게 "임의동행을 거부한 피고인을 강제 연행하려 하거나 경찰관이 도착할 때까지 체포한 행위는 공익근무요원의 정당한 직무상 행위로 볼 수 없기 때문에 피고인이 이에 대항해 폭행을 가했다 해도 공무집행방해죄로 처벌할 수 없다"며 벌금 200만원을 선고한 원심을 깨고 무죄를 선고했다.<ref>[http://www.fnnews.com/news/200907080856516671?t=y]</ref> 12월 9일에 비자발급 심사를 부실하게 한 혐의로 기소되어 "일부러 직무를 포기했다고 인정할 증거가 부족하다"는 이유로 1심에서 무죄를 선고받은 중국 주재 한국대사관 전 영사 황모씨에 대해 "중국 현지 한인회의 부탁으로 서류가 보완되지 않은 중국인에게 비자를 발급한 것도 직무유기에 해당한다"고 하면서도 "자의적인 비자 발급으로 불법 체류자가 생긴 만큼 죄질이 나쁘지만 그동안 국가에 헌신해 왔고 나태한 마음으로 범행을 하게 된 점을 참작했다"며 징역 8개월 집행유예 1년을 선고했다.<ref>[http://news.mt.co.kr/mtview.php?no=2009120911405515959&outlink=1&ref=https%3A%2F%2Fsearch.naver.com]</ref> 2010년 2월 11일에 면허정지 기간에 운전을 하다 적발돼 벌금 100만원에 약식 기소되자 청구한 정식재판에서 "무면허 운전을 한 사실이 인정된다"며 벌금 50만원을 선고받은 피고인에게 "무면허 운전은 면허가 없는 것을 알면서도 고의로 차를 몰아야 성립하는데 최씨가 정지처분 통지를 받지 못한 사실이 인정된다"며 "비록 경찰 당국이 통지를 대신하는 공고를 거쳤더라도 그것만으로는 그가 면허 정지 사실을 알았다고 보기에 부족하다”원심을 깨고 무죄를 선고했다.<ref>[http://www.fnnews.com/news/201002110848419738?t=y]</ref>
  • 김형기 (법조인) . . . . 4회 일치
         [[전두환 정부]]의 간첩 조작 사건으로 밝혀진 송씨 일가 간첩단 사건 재재 상고심에서 주심 대법원 판사를 맡은 이유로<ref>[http://www.hani.co.kr/arti/society/society_general/393342.html]</ref>를 맡은 이유로 반헌법행위자열전편찬위원회가 2016년 11월 13일에 발표한 반헌법 행위자 명단에 포함되었다.<ref>[http://moneys.mt.co.kr/news/mwView.php?type=1&no=2016071408268072968&outlink=1]</ref>
         * 서울형사지방법원 합의7부 재판장으로 재직하던 1972년 9월 27일에 필화사건으로 기소된 동아일보 의정부 주재기자 장봉진에게 공갈죄를 적용해 징역9월 집행유예1년을 선고하면서 [[반공법]]위반에 대해서는 "송고 시간이 급박했고 오보된 기사의 정정을 위해 노력한 점으로 보아 이적 목적을 인정할 수 없다"며 무죄를 선고했다.<ref>경향신문 1972년 9월 27일자</ref> 10월 4일 폭력행위 처벌에 관한 법률과 [[도로교통법]]위반으로 기소된 영화배우 [[박노식]]에 대해 "실형을 선고해야 마땅하나 연예계에서 차지하고 있는 위치나 반공극에 공헌한 점을 참작했다"며 징역10월 집행유예2년을 선고했다.<ref>동아일보 1972년 10월 4일자</ref> 12월 21일에 북한에서 의약업자를 하다가 귀순하여 국가보건원 직원들에게 국가시험 정답지를 20만원~100만원을 주고 빼낸 피고인 20명 중에서 1명만 무죄를 선고하고 징역1년~벌금5만원을 선고했다.<ref>경향신문 1972년 12월 21일자</ref> 1973년 5월 16일에 [[대한민국 제9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서울 동대문 선거구 공화당 후보에게 사전 투표를 하여 구속된 피고인에게 징역1년6월~10월을 각각 선고했다.<ref>경향신문 1973년 5월 16일자</ref> 7월 24일에 일본에서 지내던 중에 북한 공작원에게 포섭되어 2차례 평양에서 밀봉교육을 받고 합작투자로 위장하여 국내 경제계, 군부 등에 침투하려 했던 재일교포 사와모도 산지(한국명 한삼차)에게 "사형을 선고해야 마땅하나 피고인이 일본에 귀화했고 인생의 황혼기에서 범죄사실을 모두 자백한 점 등을 참작했다"며 [[국가보안법]], [[반공법]], 간첩죄를 적용해 무기징역을 선고했다.<ref>경향신문 1973년 7월 24일자</ref><ref>[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73072400209207006&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73-07-24&officeId=00020&pageNo=7&printNo=15941&publishType=00020 동아일보 1973년 7월 24일자]</ref>
  • 꾸짖지 않는 육아 . . . . 4회 일치
         || http://www.sinkan.jp/special/_images/adbook/childrearing/book1.jpg ||
         || 오기 나오키의 책 [[http://www.sinkan.jp/special/adbook/childrearing/ (책소개,일본어) ||
  • 남경민(배우) . . . . 4회 일치
          | 웹사이트 = {{트위터|cutty871027}} <br/>[https://twitter.com/Vitamin871027 연기자 남경민 공식 트위터]<br/>[https://www.facebook.com/cutty1027 연기자 남경민 페이스북] <br/> [https://www.instagram.com/cutty1027/ 연기자 남경민 인스타그램]
         신장은 166cm이고 체중은 48kg인 그녀는 2009년 6월, '''서지은'''이라는 [[예명]]으로써 [[모델 (직업)|패션 모델]] 첫 [[데뷔]]를 하였고, 2010년 2월에는 [[모바일 게임]] 《[[리듬스타 2|리듬 스타 2]]》의 [[사운드트랙|OST]]에 수록된 [[강철 (1972년)|Rion Project]]의 《Shiny day》의 [[뮤직 비디오]]에 출연하였다. 이 해(2010년) 3월 [[KBS 2TV|KBS]] [[텔레비전 드라마]] 《[[신데렐라 언니]]》에 출연하였고, 2011년 4월 '''남경민'''이라는 예명으로 연기자 활동을 시작하였다. 이후 [[영화]], [[연극]], [[뮤지컬]] 등에 출연하였다.
         * 《Shiny day》(2010년) ... (원곡 노래: [[강철 (1972년)|Rion Project]] - feat. 서가영)
  • 네드 켈리 . . . . 4회 일치
         1887년 10월, 경찰은 켈리 갱을 체포하기 위해 무장한 경찰관 네명을 보냈다. 하지만 캘리 갱은 이 사실을 알고 있었고, 경찰 팀이 야영지를 차린 스트링이바크 크리크(Stringybark Creek)를 습격했다. 이들은 경찰관들을 습격해 세명[* 로니건 순경(Constable Lonigan), 스캔론 순경(Constable Scanlon), 케네디 경사(Sergeant Kennedy).]을 살해하고 한명[* 매킨타이어 순경(Constabel McIntyre).]을 붙잡았다. 이후 켈리 갱은 호주의 [[은행강도|은행을 털었다]]. 1889년 2월에 네드 켈리에게 걸린 현상금은 8,000 파운드로 올라갔지만 켈리 갱은 잡히지 않았다. 켈리 갱이 최후를 맞은건 1880년 6월이 되어서였다.
         네드 켈리는 제릴더리(Jerilderie)의 은행을 털며 편지 하나를 남겼다. "제릴더리 편지[* Jerilderie Letter]"라고 불리는 이 편지는 1870년부터의 켈리 갱의 이야기를 담고 있으며 당시 호주의 경찰이 부패했다는 주장을 담고 있었다. 이 편지는 경매에 나와 빅토리아 주립 도서관이 사들였다. [[http://search.slv.vic.gov.au/primo_library/libweb/action/dlDisplay.do?vid=MAIN&search_scope=default_scope&docId=SLV_VOYAGER1636991&fn=permalink|전자책으로도 보게 해 주는 것 같으니 관심 있으면 클릭.]] 오른쪽의 View Online을 누르면 된다. 흘려쓴 영문을 읽을 수 있을지는 모르겠지만.
         [[http://www.nma.gov.au/exhibitions/irish_in_australia/bushrangers|호주 국립 박물관 홈페이지 - 호주의 아일랜드인 전시관 페이지(영어)]]
  • 니트 . . . . 4회 일치
         「Not in Employment, Education or Training」의 약어. 본래 영국의 노동정책에서 쓰이던 말이다.
         지구 근접 소행성 관측 프로젝트(Near-Earth Asteroid Tracking)를 줄여서 NEAT라고 하며, 여기에서 발견된 혜성에 니트라는 이름이 붙었다.
  • 다크 유니버스 . . . . 4회 일치
          * 프랑켄슈타인의 신부(Bride of Frankenstein)
          * 프랑켄슈타인(Frankenstein) (가칭)
          * 투명인간(Invisible Man) (가칭)
          * 반 헬싱(Van Helsing) (가칭)
          * 사실 유니버설의 고전 괴물 콜라보는 이 다크 유니버스가 처음이 아니다. 1943년에 프랑켄슈타인의 괴물과 늑대인간이 등장하는 <Frankenstein Meets the Wolf Man>이 나왔으며 휴 잭맨 주연 영화 <반 헬싱>은 흡혈귀에 늑대인간, 프랑켄슈타인의 괴물이 한 스크린에 등장한다. 다만 배경 세계 연계는 아니었다.
  • 독이 든 성배 . . . . 4회 일치
          * http://www.independent.co.uk/voices/holy-grail-or-poisoned-chalice-science-is-revealing-the-blueprint-for-a-human-being-but-humanity-1489025.html
  • 동군연합 . . . . 4회 일치
         여담으로, 브란덴부르크가 핵심지였지만, 이후의 국명은 '프로이센'이 되는데 이는 프로이센이 당시 '독일 바깥'으로 인식되었기 때문이다. 신성로마제국 황제는 '독일왕'을 겸하므로 독일영역 내부의 영주는 별도의 왕위를 주장할 수 없다. 프로이센은 본래 독일인의 영역이 아닌 발트계 민족 프루사 족의 땅이라서 별도의 왕위로서 '프로이센 왕'이라는 칭호를 내세우는게 가능했던 것이다.(마찬가지로 체코 지역도 본래의 독일 지역이 아니었으므로 '보헤미아 왕'을 칭할 수 있다.) 다만, 역시 프로이센 공작위도 엄밀히 말하자면 본래 폴란드 왕의 봉신인 신세라 이걸로 트집이 잡힐걸 우려해서인지 'King of Prussia'(프로이센 왕)이 아닌 'King in Prussia'(프로이센 안의 왕)이라는 일종의 외왕내제식 편법을 썼다. 이후 프리드리히 대왕시기에 'King of Prussia'라는 칭호를 쓰게 됀다.
  • 랄프 알거 배그놀드 . . . . 4회 일치
         1921년 케임브리지를 졸업한 후 또다시 군대에 입대하였다. [[카이로]]에 배치된 배그놀드는 리비아 사막을 최초로 횡단하는 기록을 세우는 등 여러 탐험을 하다가 1935년에 퇴역하게 된다. 그는 잉글랜드로 돌아와 자신이 사막을 탐사하면서 얻은 경험을 담은 《리비아의 사막: 죽은 세상에서의 여행》[* Libyan Sands: Travel in a Dead World. 국내 정발된 책이 아니기에 임의로 번역한 제목이다.]을 집필한다.
          * Libyan Sands: Travel in a Dead World
          * Sand, Wind, and War: Memoirs of a Desert Explorer
         [[http://www.nytimes.com/1990/06/01/obituaries/ralph-bagnold-94-expert-on-physics-of-sand-in-the-desert.html|(영문)뉴욕타임즈의 랄프 배그놀드 사망 기사]]
  • 레이디 제인 (가수) . . . . 4회 일치
         2006년 [[허밍 어반 스테레오]] 2집의 객원보컬로 활동했으며 같은 해 인디 밴드 아키버드의 1집 《All Allowed》로 데뷔하였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6&oid=144&aid=0000130133 '핫'한 레이디제인! 그녀가 궁금하다.], 《스포츠경향》, 2010년 11월 8일</ref> 300 대 1의 경쟁률을 극복하고 발굴되고 나서 2009년 아키버드에서 탈퇴했다. 동년 [[홍대 (지명)|홍대]] 유명 실력파 밴드 [[티라미스 (음악 그룹)|티라미스]]의 멤버로 디지털 싱글 ‘슈팅스타’를 발매하였다. 이때 홍대에서의 많은 활동으로 ‘홍대여신’이라는 애칭을 얻었다.
         2010년 10월 첫 솔로앨범 《이별 뭐 별거야》를 발표하였다. 인디 밴드를 벗어나 처음으로 대중 앞에 서는 만큼, 누구나 쉽게 따라 부를 수 있는 대중적인 노래로 자신의 실력을 발휘한 앨범으로 평가받고 있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6&oid=022&aid=0002197578 '홍대여신' 레이디제인, 솔로 데뷔 선언], 《세계일보》, 2010년 10월 27일</ref> 2011년 11월 미니앨범 《Jane, another Jane》을 발표, 그동안 볼 수 없었던 복고풍의 경쾌한 댄스 곡으로 새로운 모습을 선보였다. 2012년 前 남자친구인 [[사이먼 도미닉]]과 ‘여섯시 반’을 발매했으며, 이어 8월에 [[닥터심슨]]과 ‘Clinic 12.5%’를 합작, 발매하였다. 2013년 1월 9일 ‘Hello’의 발매에 이어 2월 15일 [[원써겐]]과 ‘New Story Part 5’의 발매, 9월 5일에는 싱글 음원 ‘일기 (Diary)’를 발매하였다.
         * 2012. 《Clinic 12.5%》 (with [[닥터심슨]])
  • 류한수 . . . . 4회 일치
         | 사진 =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e/ee/Wrestling_at_the_2016_Summer_Olympics%2C_Chunayev_vs_Ryu_Han-su_2.jpg/220px-Wrestling_at_the_2016_Summer_Olympics%2C_Chunayev_vs_Ryu_Han-su_2.jpg
         * {{페이스북|Kosuke-Hagino-100012956238411|류한수}}
         * {{언어링크|en}} [https://www.iat.uni-leipzig.de/datenbanken/dbfoeldeak/daten.php?spid=816B2549442840A2B2C6CB6690D4FF47 류한수] - Foeldeak Wrestling Database
  • 맥스 페인 2: 맥스페인의 몰락 . . . . 4회 일치
         attachment:MP2TFoMP_Int.jpg
         <<include(틀:스포일러)>>
          Valerie Winterson. 발레리라는 이름은 엔딩 크레딧에만 나온다. 처음부터 시체로 등장하며, 맥스는 자신이 그녀를 죽였다고 독백한다.
          Annie Finn. 총기제작자 겸 총포상으로 블라드의 애인. 맥스가 발견 했을 때에는 [[스쿼키 청소회사]] 직원들에게 붙잡혀 살해당하기 직전이었다. 맥스는 그녀를 구하려고 했지만 결국 청소부들에게 살해당한다. 그런데 블라드는 윈터슨이라는 또다른 애인이 있었다.
          Captain Baseballbat Boy. 야구방망이를 무기로 쓰는 캡틴 베이스볼배트보이의 이야기. 캡틴 베이스볼배트보이는 인정 안하지만 애인으로 바이시클 헬멧 걸이 있으며, 맥스웰의 악마라는 적이 있다.
  • 문희옥 . . . . 4회 일치
         2017년 11월 1일 같은 소속사 후배에게 사기 및 협박혐의로 고소당했다.[[http://m.entertain.naver.com/read?oid=421&aid=0003024614|관련기사]] 그러던 중 피해자가 문희옥의 협박을 녹음하여 공개한 것이 파장을 일으켰다. [[https://www.youtube.com/watch?v=-2W4xDW-9jg|협박녹취록]]
         11월 2일 후배가수 A씨의 아버지는 인터뷰에서 민사소송을 준비중이라고 했으나 [[http://m.entertain.naver.com/read?oid=144&aid=0000520632|관련가사]] 1월 3일 문희옥은 사기 및 협박같은 범죄를 저지르지 않았다고 주장했다.[[http://m.entertain.naver.com/read?oid=241&aid=0002725518|공식전문]] 그로 인해 12월 13일 후배가수 사기 및 협박 협의로 경찰조사를 받았다. [[http://m.news.naver.com/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1&aid=0009749189|관련 기사]]
         이후 2018년 3월 18일 사건은 무혐의로 끝나긴 했다.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422&aid=0000305603|관련 기사]] 이렇게 결과가 나왔지만 아직 주변 반응은 혼란스럽다. 관계자들 사이에서는 이 결과를 인정하느냐 마느냐, 문희옥에 대해 비난하느냐 응원하느냐 따라 설전이 계속되고 있으며, 네티즌들과 수많은 팬들은 실망감과 분노를 참지 못하고 있다. 여담으로 소속사를 옮겼다는 기사가 떴을때 전부 비난글이었다고..
  • 박경석 (1960년) . . . . 4회 일치
         '''박경석'''(朴敬石<ref name=hanshin>[http://www.bokjiro.go.kr/news/allNewsView.do?board_sid=308&data_sid=68170 한신대 교수된 '장애인 이동권연대' 박경석 대표]</ref>, [[1960년]] ~ )은 [[대한민국]]의 [[장애인]] 인권 운동가이다. 현재 장애인차별철폐연대 대표와 노들장애인야학 교장, [[한신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겸임교수를 맡고 있다.
         [[2003년]]부터는 [[한신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겸임교수로 임용되어 사회복지학 개론 및 장애인 복지론을 강의하고 있다.<ref name=hanshin /><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47&aid=0000026055 강단에 선 장애인이동권연대 박경석 대표], 《[[오마이뉴스]]》, 2003년 3월 5일</ref>
         * [http://access.jinbo.net/menu01.htm 장애인이동권쟁취를위한연대회의]
  • 박성배 . . . . 4회 일치
         [[1998년]] [[11월 13일]] [[중화인민공화국|중국]] [[베이징 시|베이징]]에서 있었던 [[중국 슈퍼리그|중국 프로 선발팀]]과의 친선 경기에 출전하였는데<ref>{{뉴스 인용 |제목=한중친선축구|url=http://www.imaeil.com/sub_news/news_print.php?news_id=33673&yy=1998|출판사=매일신문 |date={{날짜한글화|1998-11-14}}}}</ref> 이 경기는 사실상 대표팀 간의 경기였지만 프로 선발 팀 명목으로 출전하였기 때문에 공식 A매치로 인정받지 못하였다.<ref>{{뉴스 인용 |제목=골 골 골 '공한증' 중국 완파|url=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98111400329120001&editNo=45&printCount=1&publishDate=1998-11-14&officeId=00032&pageNo=20&printNo=16591&publishType=00010|출판사=경향신문 |date={{날짜한글화|1998-11-14}}}}</ref> 그 후 1999년부터 2001년까지 대표팀 선수로 활약하였다.
  • 박진주 . . . . 4회 일치
         |웹사이트 = [http://www.and-ent.com/bbs/board.php?bo_table=21&wr_id=23 매니지먼트 AND 박진주]<br>{{인스타그램|jinjoo1224/}}<br>{{트위터|qkrwlswl}}
         *《[[The New Classik...And You Got The Winner]]》 - 힙합구조대, One & Only (2018년)
         * {{인스타그램|jinjoo1224}}
         * {{한시네마 인물|Park_Jin-joo}}
  • 배천석 . . . . 4회 일치
         2011년 7월, 숭실대를 중퇴하고 일본 [[J리그]] [[비셀 고베]]에 입단하였으나, 리그 3경기, 컵대회 1경기 출장에 그친 뒤, 양 정강이 피로골절로 수술을 받고 9개월간 재활의 시간을 보내야 했다.<ref>{{뉴스 인용 |제목=포항 배천석, “일본에서 시련, 강한 정신력 가져” |url=http://sports.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k_league&ctg=news&mod=read&office_id=413&article_id=0000002805|출판사=인터풋볼 |date={{날짜한글화|2013-04-02}} }}</ref><ref>{{뉴스 인용 |제목=포항 배천석 "대학 후배 앞에서 체면 차렸죠" |url=http://sports.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k_league&ctg=news&mod=read&office_id=001&article_id=0006251282|출판사=연합뉴스 |date={{날짜한글화|2013-05-09}} }}</ref>
         포철공고 재학 시절 U-17 대표팀 주전 공격수로 활약하였으며, 2011년 6월에는 U-22 대표팀에 선발되어 오만과의 평가전에서 2골을 넣기도 했다.<ref>{{뉴스 인용 |제목=(올림픽 평가전)'배천석 2골' 한국, 오만에 3-1 역전승 |url=http://sports.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a_match&ctg=news&mod=read&office_id=003&article_id=0003888050 |출판사=뉴시스 |date={{날짜한글화|2011-06-01}} }}</ref>
         |제목= [[:파일:포항 스틸러스 로고.png|프레임없음|15x15픽셀|link=포항 스틸러스]] [[포항 스틸러스|<span style="color:RED;">포항 스틸러스</span>]]
  • 변현제 . . . . 4회 일치
         | 아이디 = Mini
         '''변현제'''([[1994년]] [[1월 28일]] ~ )는 [[대한민국]]의 전직 [[스타크래프트 II]] [[프로게이머]]이다. '''Mini'''라는 아이디를 사용하며, 종족은 [[프로토스]]이다.
         2010년 상반기 드래프트에서 [[STX SouL]]의 4차 지명으로 입단하였다. 2012년 4월 Tving 스타리그 8강 진출로 2012년 6월 Kespa 랭킹이 대폭 상승하였다. 그러나 스타2에서 부족한 실력과 약점을 많이 보여 한때 KeSPA랭킹이 가장 높았을 때에 비해 10계단 정도 낮았다. 변현제는 패배만 한 아쉬움이 많았는데, 이때문에 '패배왕 변현제'라는 좋지 않은 별명을 얻기도 했다.
         * [[2012년 6월]] Tving 스타리그 2012 8강
  • 브라우닝 시토리 . . . . 4회 일치
         Browning Citori. [[미국]]의 총기회사 [[브라우닝]]에서 판매하는 [[더블 배럴 샷건]]. [[총열]]이 상하로 배열된 형태다. 사용 구경은 모델마다 다름.
         2012년 공개된 [[버락 오바마]] 당시 [[미국]] [[대통령]]의 [[http://news.zum.com/articles/5453662|클레이 사격 사진]]에서 사용된 총기. 이 사진은 [[http://knowyourmeme.com/memes/obama-skeet-shooting-photo|합성요소로 활용되었다.]]
         [[http://www.browning.com/products/firearms/shotguns/citori.html|브라우닝사 웹사이트의 시토리 페이지]]
         [[http://www.browning.com/products/firearms/shotguns/citori-725-shotgun.html브라우닝사 웹사이트의 시토리 725 페이지]]
  • 블라디미르 렘 . . . . 4회 일치
         |||| attachment:Lem_InGame.jpg?width=400 ||
         <<include(틀:스포일러)>>
         맥스가 다임을 죽이고 화물선을 탈환하자 필요한 일이 있으면 부르라며, "이게 아름다운 우정의 시작이 될 것 같군,"[* This could be beginning of a beautiful friendship.]이라는 대사를 친다.
         잭 루피노 소유였던 나이트클럽 "라그나 록"을 사들여 고급 레스토랑 "보드카"로 개조 중. 자신은 보드카가 뉴욕 최고의 레스토랑이 되고, 자신은 부유한 유명인이 될거라며 자신한다. 여전히 범죄조직의 관련자기에 형사인 페인과는 아름다운 우정을 나눌수는 없는 관계. 블라드 曰 "내전의 양편에 선 형제와도 같군,"[* Like brothers caught on the opposite side in a civil war.]
  • 비니 고그니티 . . . . 4회 일치
         |||| attachment:Gognitti_InGame.jpg?width=400 ||
         Vinnie Gognitti. 게임 [[맥스 페인 시리즈]]의 등장인물로 본명은 빈센트 고그니티(Vincent Gognitti). [[맥스 페인]] 한글 패치에서는 "비니 가그니티"로 표기되었다.
         <<include(틀:스포일러)>>
         || attachment:Vinne_CBBB.png ||
  • 빅 사이언스 액션 . . . . 4회 일치
         [[DC 코믹스]]의 [[슈퍼히어로 팀]]. 첫등장은 Final Crisis Sketchbook #1 (July 1, 2008)
          * 라이징 선(Rising Sun)
          불 제어. Final Crisis Aftermath: Dance #4 (October 1, 2009)에 첫등장.
          수수께끼의 멤버. Final Crisis Aftermath: Dance #4 (October 1, 2009)에 첫등장.
  • 상주시 . . . . 4회 일치
         화북면 (상주시)''' || 化北面 || 99.41 || 839 || 1,616 ||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ko/thumb/c/c7/Sangjusine-map.png/301px-Sangjusine-map.png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b/b9/Shibing.JPG/220px-Shibing.JPG
  • 슈퍼맨 리벤지 스쿼드 . . . . 4회 일치
          본명 프레데릭 폰 프랑켄슈타인(Frederick von Frankenstein) 첫등장은 Superman: Man of Steel #61 (October, 1996)
          본명 Morris Edelstein. 첫등장은 Superman's Pal, Jimmy Olsen #133 (September 1970)
          기업가 악당. 인터갱(Intergang) 관련 캐릭터다. 언론사도 가지고 있다.
          사이보그 여성. 메인프레임(Mainframe)의 멤버이기도 하다.
          본명 Micah Flint. 괴력을 지니고 있다.
  • 스쿼키 청소회사 . . . . 4회 일치
         Squeaky Cleaning Company. 게임 [[맥스 페인 2: 맥스페인의 몰락]]에 등장하는 집단. 보통은 "[[청소부]]"[* the cleaners]라고 불린다. 점프슈트를 입고 검은 청소업체 밴을 타고다닌다.
         <<include(틀:스포일러)>>
         [[모나 색스]]가 맥스가 사는 아파트로 찾아오자 둘을 죽이기 위해 아파트를 습격하지만 실패한다. 맥스에게서 해당 사건을 보고받은 [[짐 브라부라]]는 "다음엔 뭔가? 가방엔 총을 가득 담고 머리는 비디오 게임으로 가득 찬 아이가 집을 사격장으로 바꿔놓는건가? 가슴이 아프군,"[* What next? A Kid with a bag full of guns and a head full of videogames turns the house into a shooting gallery, breaks my heart.]라는 반응을 보였다.
  • 신고은(가수) . . . . 4회 일치
         http://www.insightent.co.kr/data/file/artist/thumb-2089360015_odGzHVic_33088a951709363d814cc03cc39b7e669a5acc08_220x340.jpg
         [[1986년]] [[4월 7일]]에 태어나 [[2011년]]에 데뷔한 [[대한민국]]의 가수. 소속사는 인사이드 엔터테인먼트, [[경기도]] 출신. [[http://instagram.com/shinggoni|인스타그램]]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신고은, version=30)]
  • 신동호 (아나운서) . . . . 4회 일치
         |그림 =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d/d8/Arirang_Festival_Shin_Dong-Ho_and_Song_So-Hee.jpg/225px-Arirang_Festival_Shin_Dong-Ho_and_Song_So-Hee.jpg
         |웹사이트 = [http://withmbc.imbc.com/announcer/anna09/introduce/introduce_01/1471247_32516.html MBC 아나운서 홈페이지]
  • 안종범 . . . . 4회 일치
         [[성균관대학교]] 경제학과 교수를 지냈다. [[새누리당]] [[비례대표]]로 제19대 국회의원을 역임하였다. 2012년 대선 당시 박근혜 캠프에서 경제 분야 공약을 만들었다. 2014년 6월 [[박근혜 정부]] 제2대 [[대한민국의 대통령비서실 수석비서관|경제수석비서관]]에 지명되면서 의원직을 사직했다. 2016년 5월 [[박근혜 정부]] 제2대 대통령비서실 수석비서관에 임용되어 일하다가 [[박근혜]] [[대한민국 제18대 대통령 선거|대통령]]이 '[[최순실]] 비선 실세 파문'과 관련해 수석비서관들에게 일괄 사표 제출을 지시하면서 2016년 10월 30일 사임하였고 제3대 대한민국의 대통령비서실 수석비서관 [[강석훈]]이 그 직을 임시 대행했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81&aid=0002769333 靑 수석비서관들 일괄 사표제출…朴대통령 인적쇄신 가능할까]. 서울신문. 2016년 10월 30일.</ref> <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004&oid=023&aid=0003228904 민정수석·청와대 비서관… 도대체 뭐 하는 자린고?]. 조선일보. 2016년 11월 16일.</ref> <ref>이상배.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08&aid=0003774512 靑 정책조정수석, 강석훈 경제수석이 대행]. 머니투데이. 2016년 11월 16일.</ref>
         박근혜 대통령 등과 공모해 삼성 등 15개 전경련 회원사에 미르‧K스포츠재단에 774억원을 출연하도록 강요한 혐의(직권남용권리행사방해) 등을 받았다. 박근혜 대통령의 지시를 받고 [[최순실]]의 국정농단 사태에 조력한 혐의로 2018년 2월 13일 1심에서 징역 6년, 벌금 1억원을 받았다.<ref>{{뉴스 인용|제목='국정농단 연루' 안종범, 1심에서 징역 6년·벌금 1억원|url=http://news.joins.com/article/22369620|날짜=2018-02-13|출판사=중앙일보}}</ref> 이후 2018년 8월 24일 2심에서는 징역 5년, 벌금 6000만원을 선고받아, 징역 1년, 벌금 4000만원이 줄어들었다.<ref>{{뉴스 인용|url=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8/08/24/2018082401286.html|제목=[속보] 국정농단 2심 최순실 징역 20년, 안종범 5년…崔 벌금 늘고, 安은 감형|성=|이름=|날짜=2018-08-24|뉴스=|출판사=}}</ref>
  • 안지만 . . . . 4회 일치
         [[2002년 한국프로야구 신인 드래프트|2002년]] [[삼성 라이온즈]]의 2차 5순위(전체 40순위) 지명을 받아 입단하였다. [[2005년]]에 [[오승환]]과 함께 불펜에서 두각을 드러내기 시작하였다. [[2010년]]에 뛰어난 모습을 보여 주며 [[2010년 아시안 게임|광저우 아시안 게임]]에 참가하여 금메달을 획득했다. [[권혁]], [[정현욱]]과 함께 불펜의 '안정권' 트리오라는 별칭이 있다.<ref>[http://osen.mt.co.kr/news/view.html?gid=G1008200005 오치아이 코치가 바라보는 안정권 트리오] - OSEN</ref> [[2011년 한국시리즈]]에서 4홀드로 맹활약하며 [[한국시리즈]] 우승에 기여했다. [[2013년]] [[8월 17일]] [[넥센 히어로즈|넥센]]전에서 우완 [[투수]]로써 최초의 100홀드를 기록했다.<ref>[http://sports.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kbo&ctg=news&mod=read&office_id=076&article_id=0002377859 삼성 안지만, 우완 투수 최초 100홀드 대기록] - 스포츠조선</ref> 그리고 [[2014년]] 프로 데뷔 12년 만에 FA 자격을 획득하여 계약금 35억, 연봉 7억 5000만원으로 총액 4년 65억에 [[삼성 라이온즈|삼성]]과 재계약하였다. 그 뒤 [[2015년]] [[6월 5일]] [[롯데 자이언츠|롯데]]전에서는 [[KBO 리그]] 최초 개인 통산 150홀드라는 대기록을 달성했다. 하지만 [[윤성환]], [[임창용]]과 함께 해외원정 불법도박 혐의로 [[2015년 KBO 한국시리즈|2015년 한국시리즈]]에 승선하지 못했고 [[2015년 WBSC 프리미어 12|2015년 프리미어 12]]에도 탈락하였다. [[2016년]] [[7월 20일]]에 검찰로부터 불법 스포츠 도박사이트 자금 투자와 관련한 혐의를 받고 있다는 보도까지 나오면서 [[삼성 라이온즈]]는 다음날 계약 해지를 발표함에 따라서 유니폼을 완전히 벗게 되었고, 구단에서 퇴출되었다. 퇴출 이후에는 사회인 야구 선수들을 가르치며 지도자 생활을 하고 있다.
         * 힙지만 - 그는 시합에 나갈 때마다 [[모자]] 챙을 세우면서 나가는데, 이로 인해 '힙지만'이라는 별명을 얻었다. 모자 챙을 세우게 된 이유로는 예전 [[삼성 라이온즈]] 소속이었던 [[강영식 (야구 선수)|강영식]](현재 [[롯데 자이언츠]])과의 내기로 모자 챙을 세웠다고 한다. 모자를 삐딱하게 쓰는 이유는 예전에 같은 팀 선배였던 [[양준혁]]이 "너는 인상이 선해서, 모자로 포인트를 줘봐라" 라고 한 후 쭉 그렇게 쓰고 있다고 한다. 몇 번의 예외가 있었는데, [[대구상원고등학교|대구상업고등학교]] 선배이자 [[삼성 라이온즈]]의 2군 감독으로 활동하였던 [[장효조]]가 [[2011년]] 시즌 중 암으로 갑자기 사망하자 그 무렵에는 경기에 나갔을 때 추모를 위해 모자 챙을 세우지 않았다. 그리고, 국제대회에서도 힙합모자를 쓰지 않았다.<ref>[http://sports.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kbo&ctg=news&mod=read&office_id=076&article_id=0002142945 삼성 안지만, 힙합 스타일을 버린 까닭은?] - 스포츠조선</ref>
         4월 17일, 안지만 소유의 [[수성구]] [[파동 (대구)|파동]]에 있는 5층짜리 다세대 주택과 [[청도군]]에 있는 토지가 법원 경매에 올라왔다는 기사<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08&aid=0003857893</ref>가 나왔다. 스포츠 뉴스가 아닌 경제 뉴스로 올라왔으며, 이 과정에서 해당 부동산들에 대해 삼성 구단이 21억 원의 가압류를 걸어둔 사실도 밝혀졌다. 가압류를 했다는 것으로 보아 아마도 구단에서는 계약금의 일부인 21억 원의 반환을 요구했으나, 이에 응하지 않아 가압류를 한 것으로 보인다.
         |-style="line-height:1.25em"
  • 야설록 . . . . 4회 일치
         {{Col-begin}}
         * [http://people.nate.com/people/info/ya/se/yaseoulrok 야설록] - [[네이트]] 인물 정보
         * [http://sub.manhwa.co.kr/hero/list/four_line_list.php?searcher=writer&string=%BE%DF%BC%B3%B7%CF 야설록 인터넷 만화방]
  • 에이스 컴뱃 5 : 언성 워 . . . . 4회 일치
          * 앨빈 H. 대븐포트(Alvin H. Davenport)
          * 빈센트 할링(Vincent Harling)
          * 신팍시(Scinfaxi)
  • 에이스 컴뱃 제로 : 더 벨칸 워 . . . . 4회 일치
          TAC 네임 픽시. 사이퍼의 윙맨으로 [[F-15|F-15C]]를 사용한다. 날개 하나를 잃은 채로 기지로 귀환한 전적이 있기에 "편익"(Solo Wing)이라는 별명이 붙어있다. 우스티오에 고용되어 벨카 공군을 상대로 싸우지만 폴크 자신은 벨카 출신.
          * 디미트리 하인라이히(Dimitri Heinreich)
          * 라이너 알트만(Rainer Altman)
          * 도미닉 주보프(Dominic Zubov)
  • 연분홍 . . . . 4회 일치
         | 웹사이트 = {{인스타그램|tenderpink|연분홍}}<br>{{트위터|tenderpink|연분홍}}
         * {{인스타그램|tenderpink|연분홍}}
         * {{트위터|tenderpink|연분홍}}
  • 오준 . . . . 4회 일치
         아버지는 독립 유공자로서 외교부의 창설 멤버인 [[오우홍]] 미국 초대영사이며, 어머니는 건국대학교 학장을 역임한 [[진인숙]] 여사다. 어머니의 고향이 [[개성시|개성]]이고 장인도 함경도에서 월남한 실향민이라 평소 북한의 인권 문제에 관심을 가져왔다고 한다.<ref>{{서적 인용|저자=정희순|제목=오준 유엔대사 특별 인터뷰|날짜=2015년 2월|출판사=우먼센스|url=http://navercast.naver.com/magazine_contents.nhn?rid=1089&contents_id=82676}}</ref>
         2014년 12월 22일 북한 인권 상황이 최초로 정식 의제로 채택된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회의에서 북한 인권에 대한 연설로 화제를 모았다.<ref>{{뉴스 인용 |제목 = SNS에서 2030 열광 이끌어낸 오준 대사 '명연설' |url = http://news.joins.com/article/16807880|출판사 = 중앙일보 |저자 = 유지혜 |날짜 = 2014-12-29}}</ref>
         2015년 7월 한국인 최초로 [[유엔경제사회이사회|UN 경제사회이사회]]의 의장으로 선출되었다.<ref>{{뉴스 인용 |제목 = 오준 대사, 유엔경제사회이사회 의장 선출…한국인 첫 배출 |url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5/07/22/0200000000AKR20150722170900043.HTML|출판사 = 연합뉴스 |날짜 = 2015-07-22 }}</ref>
         2016년 3월 2일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에서 대북제재결의안이 통과된 후 북한의 도발과 핵무기 개발 중단을 촉구하였다.<ref>{{뉴스 인용|제목=오준 유엔 대사, 안보리에서 북한에 "이제 그만하세요" 촉구|url=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6/03/03/0200000000AKR20160303012300072.HTML|날짜=2016-03-03|출판사=연합뉴스}}</ref>
  • 유지인(1956) . . . . 4회 일치
         ||<table width=100%><table align=center><table bordercolor=#000000><-100><:>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C60C30 20%, #003478)"
         ||<#ffffff><-1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ko/thumb/4/4e/YOU.JIIN.20060329.jpg/250px-YOU.JIIN.20060329.jpg ||
  • 이강돈 . . . . 4회 일치
         || 출신지 || [[경상북도]] [[포항시]][* [[대구광역시]] 출신으로 알려져 있지만,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96100200329130003&edtNo=45&printCount=1&publishDate=1996-10-02&officeId=00032&pageNo=30&printNo=15897&publishType=00010|포항시 태생이다.]] 고등학교를 대구에서 보냈다.] ||
         2014 시즌 중 [[http://isplus.live.joins.com/news/article/article.asp?total_id=15936782|정수근과의 인터뷰]]에서 한화의 현실에 대한 씁쓸함(...)을 표시했다. 한화의 약점으로 마무리의 부재를 꼽았는데, 당시 한화는 [[마무리 투수|마무리]]를 정하지 못하고 [[박정진]], [[윤규진]] 등으로 돌려막기를 하고 있을 때였다.
  • 이근택(1865) . . . . 4회 일치
         [include(틀:상위 문서, top1=정치인/목록)]
         [include(틀:관련 문서3, top1=매국노, top2=친일반민족행위자, top3=을사오적)]
         [include(틀:매국노)]
         [include(틀:조선귀족)]
  • 이기택 . . . . 4회 일치
         ||<#6e7edd> '''약칭''' ||<#c5cae8>'''KT'''[* [[http://elecinfo.nec.go.kr/neweps/ezpdfwebviewer/ezpdf/customLayout.jsp?contentId=2F6570646174612F455030362F45434D323030362F30312F45434D303132303036303337342F45434D303132303036303337345F30303830532E706466|#]]] ||
         1996년 [[제15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당 고문으로서 [[해운대구]]-[[기장군]] 갑 지역구에 출마했다가 [[신한국당]] [[김운환]]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그가 이끌던 통합민주당은 수도권에서 중도층의 지지를 일부 흡수하긴 했지만[[http://www.sisainlive.com/news/articleView.html?idxno=25082|#]], 기존의 30석에서 15석(지역구 9석 + 전국구 6석)으로 의석이 반토막나면서 원내교섭단체 구성에 실패하였고, 같은 야권의 경쟁상대인 새정치국민회의에 비해 너무나도 부진한 모습을 보여주었다.[* 서울특별시 지역에서는 양천구의 서경석 목사를 비롯한 쟁쟁한 후보들을 내보냈음에도 불구하고 강동구 갑의 [[이부영]]을 제외한 모든 인물들이 낙선을 면치 못했고, 거의 전지역 3위의 성적을 거두었다. 그리고 기대했던 부산광역시에서는 전원 낙선이었다. 그나마 경기도와 강원도에서 몇 개의 의석을 건지긴 했으나, 김영삼의 [[신한국당]]이 과반수 확보를 위해 황규선(이천시), [[이규택]](여주군), [[최욱철]](강릉시 갑) 등의 당선자 빼가기에 나서면서 폭망 확정.] 물론 김대중의 국민회의도 이때 상당히 부진했으나, 무엇보다 [[김종필]]의 [[자민련]]이 50석으로 크게 약진한 것과 크게 비교되었다.
         그러나 다시 노무현과 거리를 두고 [[제17대 대통령 선거]]에서 한나라당 [[이명박]] 후보[* [[고려대]] 상대 후배이고, 고향(포항) 후배이기도 하다]를 지지하였다. 이후 그에 대한 보답으로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수석부의장이 되었다. 그러나 정작 이기택이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33&aid=0000016237|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폐지론자]]였다는 점에서 이 행적은 비판받았다.
         자형 이임용이 [[태광그룹]] 회장이었다. 아내 이경의 여사는 [[이화여대]] 메이퀸으로서 미모가 대단하였는데,[* 늙어서도 미모가 죽지 않았다. [[http://news.joins.com/article/19624318|사진 참조]]] 1960년대 총각 국회의원 시절에 보좌관들이 이대 교문 앞에서 이경의를 '''보쌈해다가''' 이기택과 소개팅을 시켜서 결혼에 이르렀다고 한다.
  • 이보희(배우) . . . . 4회 일치
         ||<table width=100%><table align=center><table bordercolor=#000000><-100><:>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C60C30 20%, #003478)"
         ||<#ffffff><-1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이상백 (1904년) . . . . 4회 일치
         상백 형제의 할아버지 이동진은 자신의 재산을 털어 [[대구]]에 신식 학교인 우현서루를 열어 학생들에게 [[한학]]을 가르쳤고, 남녀, 신분을 가리지 않고 학생들을 받아들였다. 나중에는 교사를 초빙, 수학, 역사, 국어, 영어, 일본어 등 신식 학문을 가르쳤다. 할아버지 이동진의 뒤를 이어 큰아버지 이일우가 우현학교의 일을 맡아보았다. 큰아버지 이일우의 자손들은 대구의 명문가로 성장했는데, [[2000년]]대 초반 그의 큰아버지 이일우의 자손들은 대학 학장 3명, 교수 10명, 의사 30명, 장군 2명, 언론·출판분야 11명을 배출하였다.<ref name="daemyonh">[http://www.lifemaeil.com/news_view.php?print_no=1540&seq=5570 특집- 상화의 큰 집 사람들] 주간매일 2002년 11월 27일자</ref> 또한 사촌 [[이상악]]은 작가이자 그의 친구인 육당 [[최남선]]과 사돈이 되었고, 다른 자손들 중에는 '박작대기' [[박중양]] 집안과도 인척 관계를 형성하였다.<ref name="daemyonh"/> 태어난 이듬해 아버지를 여의고 큰아버지 이일우에 의해 양육되었다.
         {{Col-begin}}
         *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7&oid=065&aid=0000041893 OLD SCHOOL 한국 체육사의 巨木 이상백]
         * [http://www.lifemaeil.com/news_view.php?print_no=1540&seq=5570 특집- 상화의 큰 집 사람들] 주간매일 2002년 11월 27일자
  • 이성민 (야구선수) . . . . 4회 일치
         |영문 표기 = Lee Sung-Min
         대구중학교, [[경북고등학교]]를 거쳐서 [[영남대학교]]에 진학하였다. [[영남대학교]]에 입학한 이후에 직구 스피드가 147 km/h에 이르고 변화구 제구도 수준급이어서 스카우트 사이에서 [[2013년 한국 프로 야구 신인선수 지명 회의|2013년 신인드래프트]] 이전 부터 대졸 최대어라는 평가를 받았다.[[2012년]] [[8월 20일]]에 열린 [[2013년 한국 프로 야구 신인선수 지명 회의|2013년 신인드래프트]]에서 [[윤형배 (1994년)|윤형배]]와 함께 특별 우선지명을 받아 [[NC 다이노스]]에 입단하였다.<ref>[http://news.hankooki.com/lpage/sports/201208/h20120820204711111960.htm "4할 승률 위하여" 발톱 드러낸 NC] - 한국일보</ref> [[2012년]] [[12월 5일]]에 열린 2012 [[야구인의 밤]]에서 우수 선수상을 수상하였다.<ref>[http://star.fnnews.com/news/index.html?no=149144 '야구인의 밤' 영남대 이성민, 우수 선수상 수상 ] - 스타N뉴스</ref> [[대한민국의 대학 야구 대회|대학리그]] 4년 동안 17승 15패, 252 1/3이닝, 222탈삼진, 89볼넷, [[평균자책점]] 2.00을 기록하였다.
         [[7월 27일]] [[KIA 타이거즈|KIA]]전에서 구원 등판해 1 2/3이닝 무실점 호투로 프로 데뷔 첫 승을 기록하였다. [[애덤 윌크|아담]]이 선발진에서 부진하고 부상과 팀 내 융화 문제까지 겹쳐 C팀 강등 후 [[트위터]]에 불만을 표시하자, [[김경문]] 감독은 [[애덤 윌크|아담]]을 대신해 그를 선발진에 넣었고 [[애덤 윌크|아담]]을 퇴출했다. [[2013년]] [[8월 31일]] [[KIA 타이거즈|KIA]]전에서 첫 선발승을 거두었다.<ref>[http://sports.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baseball&ctg=news&mod=read&office_id=117&article_id=0002370496 ‘1피안타’ NC 이성민, 선발 데뷔전에서 깜짝 승리] - 마이데일리</ref>
         [[2015년]] [[5월 2일]] [[kt 위즈]]와 [[롯데 자이언츠]]의 5:4 트레이드를 통해 [[롯데 자이언츠]]로 이적하였다.<ref>[http://sports.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kbo&ctg=news&mod=read&office_id=001&article_id=0007569615 롯데-KT, 5대 4 대형 트레이드 단행] - 연합뉴스</ref> 이적하자마자 9경기 연속 평균자책점 0.00대 행진을 하며 [[롯데 시네마]]라는 조롱성 별명을 얻은 [[롯데 자이언츠]] 불펜진에 큰 힘이 되었다. 5월 한달간 14경기에서 2승 1패, 2홀드, 평균자책점 1.80의 뛰어난 활약을 펼쳤으며, 6월에도 역시 7경기에서 1승 1패, 1홀드, 1세이브, 평균자책점 2.08의 뛰어난 활약을 펼치며 불안한 불펜진의 핵심 투수로 떠올랐다. 그러나 7월과 8월 컨디션 난조를 보였고 15경기에서 2승 3패, 1홀드, 2세이브, 평균자책점 9.45를 기록하며 부진에 늪에 빠졌다. 하지만 9월에 다시 컨디션을 되찾으며 12경기에서 3홀드, 1세이브, 평균자책점 2.03을 기록하며 부활했다. 2015 시즌 61경기에 나서 5승 7패, 7홀드, 4세이브, 4점대 평균자책점을 기록하였다.
  • 이애란(가수) . . . . 4회 일치
         그 이후로도 굴곡이 심했다. 특히 '[[못 간다고 전해라]]'로 유명해진 <[[백세인생]]>은 원래 1995년 경주 엑스포에서 부른 곡으로, 원래의 이름은 <저 세상이 부르면 이렇게 말하리>이다. 그러나 그 후로 10년간 제대로 된 가수 활동을 못 하였고, 2006년에야 가수로서 첫 음반인 <천년의 사랑>--[[박완규|이 분이랑 상관없다.]]--을 취입하였으나 실패를 맛보았다.[[http://news.joins.com/article/19122364|#]] 트로트계에서 쌓은 인맥덕에 시장 등 불러주는 곳에서 노래하며 버텼다고 한다.
         2013년, 김종완 작곡가가 <저 세상이~>를 새롭게 편곡하여 <백세인생>이라는 이름으로 발표하였다. 이 곡은 2년 후인 2015년 뒤늦게 인기를 끌었고, 가사는 인터넷에서 유행어가 되었다. 이 곡은 작곡가 김종완[* [[NELL]]의 멤버 [[김종완]]과는 동명이인. 이 분도 "인생아"라는 노래를 발표한 후 가수로 활동하고 있다.]이 1995년 이른 나이에 돌아가신 동료의 아버지를 보고 고민을 한 것에서 출발하여 만든 곡이라고 한다.[[https://m.entertain.naver.com/read?oid=016&aid=0001305566|#]]
         2015 [[MBC 가요대제전]]에 출연했다. [[http://v.entertain.media.daum.net/v/20151221095204206?f=m|#]] 걸그룹 [[DIA(아이돌)|DIA]]와 함께 출연.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이애란, version=82)]
  • 이장섭 . . . . 4회 일치
         * [[2011년]] [[7월 4일]] ~ [[2012년]] [[5월]] [[대한민국 국회|국회]] 정책연구위원회 위원<ref name="ssss">[http://www.cbi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75898 충북 첫 국회 2급 비서관 탄생:이장섭 노영민 의원 보좌관 국회정책연구위원]</ref>
         * [[2017년]] [[6월 10일]]<ref>[http://news.joins.com/article/21653324 충북 출신 이장섭·유행렬 청와대 비서실 '입성'] 중앙일보 2017.06.10.</ref> ~ [[2017년]] [[11월]] [[문재인 정부]] [[청와대]] 경제수석실 산하 산업정책비서관실 선임행정관([[이사관]]급)
         *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7/10/27/0200000000AKR20171027143100064.HTML 이장섭 신임 정무부지사 발탁…이시종 3선 도전 '포석'] 연합뉴스 2017/10/27
         * [http://www.cbi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19224 이장섭 정무부지사 취임:“정당 대변·선거 개입할 일 없다”] 충북인뉴스 2017.11.07.
  • 이중환(법조인) . . . . 4회 일치
         [include(틀:프로젝트 문서, 프로젝트=박근혜-최순실 게이트 프로젝트)]
         [Include(틀:박근혜-최순실 게이트)]
         |||| https://search.pstatic.net/common?type=a&size=120x150&quality=95&direct=true&src=http%3A%2F%2Fpeople.phinf.naver.net%2F20170413_14%2F1492014631410mveif_JPEG%2Fchosun_400029133.jpg ||
         탄핵이 결국 인용되어 대통령이 파면된 후에 나름 이중환 변호사의 고충이 상당히 컸다는 것이 알려졌다. 일단 대리인단은 탄핵심판 내내 의뢰인 박근혜와 거의 만나지 못했으며 의뢰인의 입장도 제대로 전달받지 못했던 탓에 변론의 방향 설정에 어려움이 매우 컸다고 한다. 대리인단이 헌법 재판관들의 질문에 제대로 답변하지 못하고 증인 신문도 효과적으로 수행하지 못한 것이 단지 대리인단의 무능 때문만은 아니었던 것이다. 게다가 이런 중요한 사건을 맡았는데도 수임료를 거의 받지 못했다고 한다. 통상적으로 이 정도 사건의 경우 [[http://www.huffingtonpost.kr/2017/04/03/story_n_15772380.html|수임료가 2억 이상이 되어야 하는데]], 기사에서 보듯이 대리인단은 사실상 무료 변론을 했다.
         탄핵 심판 중반 이후 상황이 박근혜에게 많이 불리해지자 대리인단의 몇몇 변호사들이 변론의 기본을 무시한 채 정치적 발언을 일삼고 헌재를 모욕하고 협박하는 등, 대리인단 간에 의견 통일이 전혀 안되고 변호사들끼리 각자 변론을 하는 수준으로 팀웍이 무너진 모습을 보였다. 어떻게든 대리인단을 추스려야 했던 이중환 변호사는 이에 대해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25&aid=0002690067|"벼룩 10마리 몰고 서울에서 부산까지 가는 것만큼 힘들다."]]라는 표현으로 당시의 고충을 토로했다.[* 법조인들은 대리인단의 팀웍이 전혀 이루어지지 않은 이유로 대리인단이 무료로 변론을 한 탓이 큰 것으로 보고 있다. 제대로 돈을 받고 변론을 했다면 일단 의뢰인의 이익을 생각해야 하기 때문에 무작정 자신의 신념이나 기분을 앞세워서 마구잡이로 변론을 하지는 않았을 것이라는 것이 중론이다. 그런데, 박근혜는 탄핵이 인용되고 심지어 구속까지 당한 후에도 제대로 수임료를 주고 변호사를 고용할 계획이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박근혜의 몰락은 결국 제대로 댓가를 제공하지 않고 누군가 기사도 정신을 발휘해서 도와줄거라고 믿는 태도에 기인한 것이다. 이런 박근혜의 성격에 대해서는 박근혜 저격수 [[전여옥]]이 지적한 바가 있다.]
  • 이혜숙(영화배우) . . . . 4회 일치
         ||<table width=100%><table align=center><table bordercolor=#000000><-100><:>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C60C30 20%, #003478)"
         ||<#ffffff><-1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이호준 (프로게이머) . . . . 4회 일치
         * 2011년: DreamHack Winter 2011 준우승
         * 2012년: MLG 2012 Spring Season Championship 6위
         * 2012년: ASUS ROG Winter 2012 3위
         * 2012년: MLG Spring Championship 5-6th
  • 인교진 . . . . 4회 일치
         |웹사이트 = [http://www.keyeast.co.kr/index/artist/profile.asp?art_idx=54 키이스트 인교진]<br>{{싸이월드|gyojin}}
         [[단국대학교]]에 재학중이던 2000년 [[문화방송|MBC]] 29기 공채 탤런트로 데뷔하였다. 2011년까지는 '''도이성'''(陶伊成)이라는 예명으로 활동하다가, 2012년 소속사를 옮기면서 예명을 버리고 본명으로 활동하고 있다.<ref>[http://star.mt.co.kr/view/stview.php?no=2012012011222692917&type=1&outlink=1 유리아·인교진 "김주리·도이성은 잊어주세요!"(인터뷰)], 머니투데이 2012년 1월 23일자</ref>
         2000년 [[문화방송|MBC]] 농촌드라마 《[[전원일기]]》에서 재동 역을 맡아 연기생활을 시작한 인교진은 2012년 4월 22일 종영된 [[SBS (대한민국의 방송사)|SBS]] 주말극 《[[내일이 오면 (2011년 드라마)|내일이 오면]]》을 통해 인연을 맺고 연인으로 발전, [[서우]]와 함께 공개 연애를 선언했으나, 2013년 5월 결별하였다. 이후 2014년 4월, 인교진은 12년 간 같은 기획사에서 만나 동료 연기자로 친분을 맺어 온 [[박수진 (1987년)]]과 교제를 시작했으며 동년 10월 4일 결혼식을 올렸다.<ref>[http://news.kukinews.com/article/view.asp?page=1&gCode=ent&arcid=0008217748&cp=nv 인교진-박수진 결혼 공식입장 “지난달 초 결혼 프로포즈… 10월 결혼”], [[국민일보]] 2014년 4월 9일자</ref> 그리고 임신 소식이 전해져 태명을 기쁨이로 지었다. 2015년 12월 4일에는 딸이 태어나 그의 딸을 박하은으로 지어 가족으로 발전되기 시작되었다.
  • 장윤정 (미스코리아) . . . . 4회 일치
         1987년 18살의 나이로 [[미스코리아]] 진으로 뽑힌 후 1988년 [[미스 유니버스]] 2위에 오르며 화려한 스포트라이트를 받았다. 1990년대 각종 방송 프로그램의 MC로 활약하다 1999년 모든 방송 활동을 접고 연예계를 떠났고, [[미국]]으로 건너가 두 딸을 키우는 평범한 [[가정주부]]로 지내다가 16년 만인 2016년 영화 《[[트릭 (2016년 영화)|트릭]]》에 출연하며 연기 활동을 재개했다.<ref>[http://entertain.naver.com/read?oid=382&aid=0000482667 ‘87년 전설의 미스코리아’ 장윤정, 잠정 은퇴 후 16년 만에 영화 ‘트릭’으로 돌아오다] 스포츠동아. 2016년 06월 22일</ref>
         1994년 은행원과 [[결혼]]했지만 3년만에 [[이혼]]하였고, 그 후 2000년대 초반 [[미국]]에서 15살 연상의 [[재미교포]] [[사업가]] 김상훈과 [[재혼]]했다.<ref>[http://entertain.naver.com/read?oid=022&aid=0002976972 미스코리아 장윤정 15년만 영화 '트릭' 으로복귀] 세계일보. 2015년 12월 17일</ref> 장윤정은 2016년 9월 27일 [[TV조선]] [[예능 프로그램]]에 출연하여 "사업으로 미국을 자주 왕래하는 남편이 미국에 가자고하여 미국에서 살게 되었고 살다보니까 10년 정도 거주를 하게 됐다"고 미국에서 오래 살았던 이유를 밝혔다. 그리고 "이 남자가 언제까지 나한테 못되게 구나 두고보자라는 생각으로 오기로 결혼을 했다”라며 무뚝뚝한 남편과 결혼한 이유에 대해 밝히기도 했다.<ref>[http://entertain.naver.com/read?oid=011&aid=0002891291 미스코리아 장윤정 “15살 연상 남편 김상훈, 나한테 무심해 매력 느꼈다”] 서울경제. 2016년 09월 28일</ref>
         * [http://misskorea.hankooki.com/profile_view.php?year_miss=1987&miss_num=23&indexid=709 미스코리아 장윤정 프로필]
  • 전라북도 . . . . 4회 일치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8/8f/The_Standing_Stone_Buddha_Statue_in_Mangje-dong_5.JPG/220px-The_Standing_Stone_Buddha_Statue_in_Mangje-dong_5.JPG
  • 전재용 . . . . 4회 일치
         [[2004년]] [[10월 19일]] 서울고등법원은 아버지 [[전두환]]으로부터 국민주택채권 167억여원을 증여받은 뒤 세금 71억여원을 포탈한 혐의로 구속기소된 전재용에게 징역 2년 6월에 집행유예 3년과 벌금 60억원을 선고했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28&aid=0001958484 전재용씨 증여세 80억 취소소송 패소]</ref>
         [[2012년]] 전직 대통령이 묻어둔 비자금의 일부라는 소문이 파다했던 골프장 회원권 142개(약 355억원)가 매물로 나왔다. 매물로 나온 회원권 142개의 소유자는 에스더블유디씨라는 법인인데, 이 업체 임원으로 전두환의 차남인 전재용, 전재용의 부인 박상아, 전두환의 처남 이창석, 이창석의 부인 홍정녀 등 4명이 있다. 전두환 일가가 골프장 회원권을 구입한 경위에 대한 의혹도 제기되고 있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20&aid=0002322266 골프장 회원권이 전두환 비자금?] 동아일보 2012년 3월 23일</ref>
         *{{뉴스 인용|url=http://www.sportsseoul.com/news2/entertain/hotentertain/2010/0415/20100415101040100000000_8206194827.html |제목=전재용-박상아 - LA세무국, 뉴포트비치집 압류|출판사=[[스포츠서울]]|날짜=[[2010년]] [[4월 15일]]|확인날짜=[[2010년]] [[4월 15일]]}}
  • 정몽헌 . . . . 4회 일치
         |학력 = [[:en:Fairleigh Dickinson University|페어레이디킨슨대학교 경영대학원]] DBA
         |url=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POD&mid=etc&oid=052&aid=0000007074
         |날짜=2003-08-04}}</ref><ref>[http://news.naver.com/main/hotissue/read.nhn?mid=hot&sid1=101&cid=389123&iid=157543&oid=001&aid=0002957649&ptype=011 재벌총수만 두 번째…유력인사 왜 자살할까 :: 네이버 뉴스<!-- 봇이 따온 제목 -->]</ref> 재계 인사들은 '부친의 숙원 사업이었던 대북 사업 등 가업을 제대로 잇지 못한 것이 자살을 선택하게 된 동기'로 추측했다.<ref>[http://www.ilyoseoul.co.kr/show.php?idx=88364&table=news_economy&table_name=news_economy&news_sec=003 삼성家 아픈 역사… ‘비운의 황태자’ 만들었나?]</ref> 정몽헌의 사망 후 부인 [[현정은 (1955년)|현정은]]이 현대그룹 회장에 취임하였다.
         * [[:en:Fairleigh Dickinson University|페어레이디킨슨대학교 경영대학원]] DBA
  • 정성주 . . . . 4회 일치
         '''정성주'''([[1956년]] [[7월 25일]] ~ )는 [[대한민국]]의 드라마 작가이다.<ref>박현택. [http://media.daum.net/entertain/drama/newsview?newsid=20161027131630724 (직격인터뷰)'밀회' 정성주 작가 "정유라, 최태민..정말 우연입니다"]. 스포츠조선. 2016년 10월 27일.</ref>
         [[이화여자대학교]] 가정학과를 졸업하였다. 작곡가 [[이승희 (1954년)|이승희]]와 결혼을 하였고 이승희는 [[2000년]] 3월 사망하였다. <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15&aid=0000194850 이승희 작곡가 별세]. 한국경제. 2000년 3월 11일.</ref>
         [[1979년]] [[동아일보]] [[신춘문예]] 희곡 부문에 〈하늘이여〉가 당선되면서 작가 활동을 시작하였다.<ref>정희서. [http://entertain.naver.com/read?oid=311&aid=0000478943 ('풍문' 종영③)안판석·정성주, 두 장인이 빚어낸 명품 드라마]. 엑스포츠뉴스. 2015년 6월 3일.</ref>
         * 2001 자랑스러운 이화언론인상<ref>민태원.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5&aid=0000052103 자랑스런 이화언론인상 임영숙·손지애·정성주씨]. 국민일보. 2001년 4월 24일.</ref>
  • 제주시 . . . . 4회 일치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ko/thumb/7/7e/Jejusine-map.png/400px-Jejusine-map.png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6/6c/Jeju_international_airport_20090405.jpg/220px-Jeju_international_airport_20090405.jpg
  • 주윤발 . . . . 4회 일치
         [http://yanbianews.com/bbs/zboard.php?id=free&no=33308 연변통보<!-- 봇이 붙인 제목 -->]</ref><ref>{{웹 인용 |url=http://news.sina.com.hk/cgi-bin/nw/show.cgi/2/1/1/897283/1.html |제목=周瑜第63代孫:發哥是周瑜後裔 |확인날짜=2012-10-13 |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090227163449/http://news.sina.com.hk/cgi-bin/nw/show.cgi/2/1/1/897283/1.html |보존날짜=2009-02-27 |깨진링크=예 }}</ref>
  • 진구 . . . . 4회 일치
         | 웹사이트 = {{인스타그램|actor_jingoo}}<br>{{페이스북|official.jingoo}}
         * {{페이스북|official.jingoo}}
         * {{인스타그램|actor_jingoo}}
  • 짚라인 . . . . 4회 일치
         || attachment:zipline.png||
         zipline. 이동수단의 일종. [[와이어]]에 움직일 대상을 매달아 이동하는 도구다. 그냥 매다는 건 아니고 따로 도구가 있다. 짚라인이라는 이름은 사용할 때 "지잎-"하는 소리가 나서 붙여졌다고 한다.
         국내에서 "짚라인"이라는 이름은 [[http://www.ziplinekorea.co.kr/|짚라인코리아]]라는 회사가 가지고 있다. 이 회사는 자신들 외의 다른 것은 "와이어 비행레포츠"라고 부르는 듯. 겁나 길고 안 외워지는 이름이다. 와이어 비행레포츠.
         [[http://www.ziplinekorea.co.kr/|짚라인코리아 홈페이지]]
  • 차수연 . . . . 4회 일치
         [include(틀:상위 문서, top1=배우/한국)]
         [include(틀:씨엘엔컴퍼니 소속 아티스트)]
          * 쌍꺼풀이 없는 눈이 매력적이었으나, 2010년경 쌍꺼풀 시술을 하여 --아쉽게도-- 쌍꺼풀이 생겼다. 그전에 느껴졌던 신비로우면서도 차가운 느낌이 예전만큼 나지 않아 이를 아쉬워하는 사람들도 많지만, 배우 본인은 정작 [[http://isplus.live.joins.com/news/article/article.asp?total_id=4842873|만족한다고 밝혔다.]] 예전에는 차가운 이미지의 배역 밖에 들어오지 않았는데, 분위기가 밝아진 배역도 맡을 수 있어서 좋다고.
          * 가장 호흡이 좋았던 배우로 [[신성록]]을 꼽았다. 연극 《클로저》와 드라마 《[[라이어 게임(tvN)|라이어 게임]]》을 함께 했다. [[https://blog.naver.com/youyoumagazine/221088883146|#]]
  • 차오루 . . . . 4회 일치
         [[경상북도]] [[대구광역시|대구시]] 출신으로 [[중화인민공화국|중국]] 내 소수민족 중 하나인 [[먀오족]](묘족)이며, 2004년 [[대구광역시|경상북도 대구시]]에서 솔로로 데뷔하여 [[중국중앙텔레비전]](CCTV)에서 10대 신인상을 받은 이력이 있다.<ref>[http://entertain.naver.com/read?oid=144&aid=0000404436 ‘라디오스타’ 피에스타 차오루, 중국 CCTV서 10대 신인상 받았다고?] - 스포츠경향</ref>
         [[대구광역시|대구]]에서는 [[장나라]]와 같은 기획사에서 활동했으며,<ref>[http://entertain.naver.com/read?oid=311&aid=0000555331 차오루 "중국 활동당시 장나라와 같은 소속사"] - 엑스포츠뉴스</ref> 장나라가 [[대한민국]]에서 중문 에디션 음반인 《비상》을 발매할 당시 홍보 활동을 도우면서 [[대한민국]]과 인연을 맺었다.<ref>[http://entertain.naver.com/read?oid=143&aid=0000067007 장나라, 이번엔 합류 대사?] - 쿠키뉴스</ref>
         * [[중앙대학교]] 연극영화학과 (2008학번)<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22&aid=0002976276 '라디오스타' 차오루, 학교 동기 “박신혜 롤모델 삼아"] - 세계일보</ref>
  • 채동욱 . . . . 4회 일치
         14기로 사법연수원을 수료한 후 [[1988년]] 검사로 임용되었고 검사장을 거쳐 [[2013년]] 4월 제39대 [[대한민국의 검찰총장|검찰총장]]의 자리에 올랐다. '특수통'으로, 검찰 조직이 위기를 겪을 때마다 전면에 나서서 역할을 함에 후배 검사들로부터 신뢰와 지지를 받았다.<ref>김요한.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55&aid=0000262465 채동욱 총장 퇴임…"유전자 검사 후 강력 조치"]. SBS. 2013년 9월 30일.</ref>
         * 1999년 : 부산동부지청 형사2부장<ref name="junbo">[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9&aid=0000032244 검사전보]</ref>
         * 4월 23일 : [[대한민국 대검찰청 중앙수사부|대검찰청 중앙수사부]] 현판 강하식<ref>[http://news.hankooki.com/lpage/opinion/201304/h2013042320060576070.htm 대검 중앙수사부, 영욕의 역사를 덮으며] 《한국일보》 2013년 4월 28일</ref>
         [[조선일보]]가 혼외자식을 가졌다는 의혹을 제기하고 법무부에서 감찰을 발표하자 감찰 발표 당일, 취임으로부터는 5개월 만에 물러났다. 이에 대해 [[원세훈]] 전 국정원장과 [[김용판]] 전 서울지방경찰청장을 공직선거법 위반 등 혐의로 기소해 청와대와 새누리당의 눈 밖에 났기 때문이라는 소수 의견이 있다. [[조선일보]]의 혼외자식 의혹 보도에 대해서는 정정보도 청구 소송을 할 예정이다.<ref>[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309140600055&code=940301 채동욱 "지난주부터 청와대에서 메시지 받았다…의혹 사실 아니라 해도 나가라는데 어떡하겠나"]《경향신문》</ref><ref>[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3/09/13/2013091300178.html?related_all 蔡총장, 오늘 本紙 상대 정정보도 소송 제기]《조선일보》</ref>[[청와대]]는 진상규명이 최우선이라는 입장이며 검찰과의 갈등은 사실무근이라는 입장이다. 채동욱은 유전자검사를 하지 않으면 논란이 계속될 것으로 보고 정정보도 청구를 포기하였다. 그러나 혼외 아들로 지목된 아이가 미국에 체류중이고 혼외자로 지목된 아이의 어머니인 임모 씨가 잠적하여 유전자 검사를 하지 못하고 있다. 2014년 검찰 수사 결과 혼외자로 지목된 아동이 채동욱의 아들이라 볼 수 있는 상당한 근거가 있음을 확인했다. 2016년 법원은 혼외자 의혹은 결국 의혹을 구실로 검찰 수사를 방해하려는 모종의 음모라 짐작되며, 국정원 상부 내지 그 배후세력의 지시에 따라 (개인 정보 조회를) 저질렀을 것으로 보인다고 판단했다. <ref>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tvh&oid=437&aid=0000104506&sid1=291 "채동욱 뒷조사…법원, 판결문에 '배후·음모' 18번 언급"]</ref> 2017년 언론 인터뷰에서 아이가 사춘기여서 아이가 성인이 된 후 유전자 검사를 해서 친자로 확인되면 아버지로서 책임을 다하기로 아이 어머니와 합의한 상태라고 해명하였다.<ref>[http://www.etnews.com/20170705000358 채동욱 “혼외자 논란, 가슴아프고 다시 한 번 죄송하다”]</ref> <ref>인용:“2013년 9월 보도 이후 친자 여부에 대해 진행이 됐고 그쪽과 이야기해서 아이가 사춘기니 성인이 된 뒤에 DNA검사를 해서 확정을 짓고, 사실로 알려지면 당연한 책임을 지기로 합의를 했다”</ref>
  • 채호기 . . . . 4회 일치
         |url=http://people.nate.com/people/info/ch/ae/chaehoki_poet/
         * [http://www.moonji.com/writer/author_detail.php?author_id=0003200302&sub_mm=author&a_kind=F 문학과지성사 누리집에 있는 채호기 소개]
         * [http://www.artinculture.kr/content/view/255/32/ 영화감독 이명세, 김학제, 채호기 세 사람 인터뷰]{{깨진 링크|url=http://www.artinculture.kr/content/view/255/32/ }}
  • 챌린저스 오브 더 언노운 . . . . 4회 일치
         [[둠 패트롤]](Doom Patrol), [[데드맨]](Deadman), [[스웜프 씽]](Swamp Thing), [[조니 더블]](Jonny Double), [[시 데블스]](Sea Devils)와 대면하기도 했다.
          * June Robbins
          * Corinna Stark[* Challengers of the Unknown #69 (September 1, 1969) 첫등장.]
          * Brenda Ruskin[* More Weird Mystery Tales #1 (1996)에서 첫등장. 하단의 브로디, 카와, 코버트와 같이 등장했다.]
  • 최우석 (야구선수) . . . . 4회 일치
         그는 한국프로야구 최초의 스위치 투수이다.<ref>[http://sports.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kbo&ctg=news&mod=read&office_id=410&article_id=0000119944 ‘임의탈퇴’ 최우석, 16개월 만에 한화 합류] - MK스포츠</ref>
         [[장충고등학교]]를 졸업하고 [[2012년]] 3라운드 지명을 받아 [[한화 이글스]]에 입단했다. 중간계투로 등판했고, [[2012년]] [[5월 5일]] [[대구시민운동장 야구장|대구]] [[삼성 라이온즈|삼성]]전에서는 [[오승환]]을 상대로 대타 타석에 들어선 적도 있었으나, 3루수 앞 땅볼로 아웃되었다.<ref>[http://sports.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kbo&ctg=news&mod=read&office_id=009&article_id=0002708974 ‘완벽부활’ 오승환, 2경기 연속 무실점 호투] - 매일경제</ref>
         당시 방송인 [[변서은]]과 사귀고 있었는데, [[2012년]] 8월에 결별하였고 이후 2군에서 불성실함을 이유로 [[2012년]] [[8월 31일]] [[한화 이글스]]에서 임의탈퇴 공시되었다.<ref>[http://sports.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kbo&ctg=news&mod=read&office_id=410&article_id=0000028122 변서은과 결별 최우석, 8월 31일 임의탈퇴] - MK스포츠</ref>
         [[한화 이글스]] 스프링캠프에서 투구를 하는 도중 [[김성근 (야구인)|김성근]] 감독이 좌투로 던져보라는 요구를 통해 [[KBO 리그]] 최초 스위치 투수가 되었다. 최우석은 특별 제작된 스위치 투수 전용 글러브를 [[일본]]에서 들여왔다.<ref>[http://sports.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kbo&ctg=news&mod=read&office_id=241&article_id=0002349706 '스위치피처' 최우석 "감독님이 지시하면 양손으로"] - 일간스포츠</ref>
  • 최은희 . . . . 4회 일치
         ||<table width=100%><table align=center><table bordercolor=#000000><-100><:>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C60C30 20%, #003478)"
         ||<#ffffff><-1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최재웅 (배우) . . . . 4회 일치
         |로맨스 로맨스<ref>[http://news.donga.com/3/all/20100216/26195964/1 로맨스냐 불륜이냐... 뻔한 질문 펀한 해답]</ref><ref>[http://blog.yes24.com/blog/blogMain.aspx?blogid=skye&artSeqNo=2159779 관객에게 풍성한 배우, 뮤지컬 <로맨스 로맨스>의 최재웅]</ref>
         |후 Who?<ref>[http://blog.yes24.com/blog/blogMain.aspx?blogid=monowing&artSeqNo=868823 강렬한 배우 '최재웅'과의 소탈한 만남]</ref><ref>[http://www.segye.com/content/html/2008/01/11/20080111000588.html 정통 미스테리로의 초대, 뮤지컬 '후 Who']</ref><ref>[http://www.asiae.co.kr/news/view.htm?idxno=2008021311262806588 창작 뮤지컬의 의미 있는 도전에 박수를! 미스터리 뮤지컬 <후.. WHO?>]</ref>
         |Assassins - 암살자들
  • 최정원(1981년 4월) . . . . 4회 일치
         [Include(틀:이매진아시아 소속 아티스트)]
         || '''사이트''' ||<(> [[http://cafe.daum.net/jungwonfan|팬카페]], [[http://me2day.net/with_jwchoi/|미투데이]], [[http://minihp.cyworld.com/pims/main/pims_main.asp?tid=25526781|미니홈피]] ||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최정원, version=54)]
  • 최정원(남자배우) . . . . 4회 일치
         || '''링크''' ||[[https://www.instagram.com/jungwon__choi/|인스타그램]] ||
         1999년 고3 시절 남성 5인조 그룹 브론즈의 리드보컬로 데뷔하였으나 성공하지 못했고, 1년 후인 2000년 [[김정훈(UN)|김정훈]]과 UN이라는 그룹으로 다시 데뷔하게 된다. --결국 성공하여-- 총 6장의 앨범을 냈으며, 해체 이후 2008년에 'Sunshine On Summer Time' 싱글을 냈다.
         [[뮤직비디오]]로는 '백기웅 - 그립니다(2013)', 40(포티) - Black(블랙) (feat. Swings(스윙스)(2014)'가 있다.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최정원, version=55)]
  • 최효진 (축구선수) . . . . 4회 일치
         |사진=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8/8a/Choi_Hyo-Jin.jpg/200px-Choi_Hyo-Jin.jpg
         |로마자 표기=Choi Hyo-Jin
         [[2007년]] [[포항 스틸러스]]로 이적하여, [[K리그 2007|2007 K리그]] 우승과 [[FA컵 2007|2007 FA컵]] 준우승, [[FA컵 2008|2008 FA컵]] 우승에 큰 공헌을 하였다. 특히, 2008년 FA컵 우승 당시 대회 MVP를 받았고, [[K리그 베스트 11]]에 선정되었으며 [[대한축구협회]] 주관 최우수선수 부문을 수상, 2008년, 2009년 [[K리그]] 올스타에 선정되었다. 또한 [[AFC 챔피언스리그 2009|2009년 AFC 챔피언스리그]]에 전 경기 출장하며 팀의 우승에 공헌하였고, 특히 16강전 [[뉴캐슬 유나이티드 제츠 FC|뉴캐슬 제츠]]와의 경기에서는 공격형 미드필더로 나서 [[해트트릭]]을 기록하며 팀의 6-0 대승을 이끌기도 하였다.<ref>{{뉴스 인용|url=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44&oid=139&aid=0001950957 |제목=(ACL 리뷰) '최효진 해트트릭' 포항, 뉴캐슬 6-0대파하고 8강행 |날짜=2009-06-24 |출판사=스포탈코리아 }}</ref>
  • 최훈재 . . . . 4회 일치
         은퇴 후 [[두산 베어스]]에서 2군 타격코치로 활동하다가 [[2010년]] 시즌 후 재계약 실패로 물러났다.<ref>[http://sports.news.naver.com/general/news/read.nhn?oid=079&aid=0002196308 두산, 지승민·이원희·박종섭 방출] - 노컷뉴스</ref> 그 후 휴식기를 갖다가 [[2011년]]에 창단을 결정한 [[NC 다이노스]]에 합류했다.<ref>[http://wstarnews.hankyung.com/apps/news?popup=0&nid=02&c1=02&c2=02&c3=00&nkey=201111021617111&mode=sub_view 한문연-최훈재 코치, NC 다이노스 합류] - 한국경제</ref> 이후 잔류군을 맡다가 [[2014년 NC 다이노스 시즌|2014년]]부터 2군 타격코치를 맡게 되었다.<ref>[http://www.idomin.com/news/articleView.html?idxno=432373 NC 다이노스 내년 코치진큰 변화 없을 듯] - 경남도민일보</ref>
         {| border=1 cellspacing=0 cellpadding=4 style="border-collapse: 8;; font-size:90%;"
         |끝내기 만루홈런 ||1993.7.22 ||[[LG 트윈스|LG]] ||[[삼성 라이온즈|삼성]] ||[[서울종합운동장 야구장|잠실]] || 9회말 1사 만루 3-3 ||[[김상엽 (야구인)|김상엽]] || [[김영직]] ||역대 5번째 기록 ||<ref>[http://sports.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sports_general&ctg=news&mod=read&office_id=001&article_id=0003671447 LG,최훈재 끝내기만루홈런] - 연합뉴스</ref>
  • 페이데이 2/적 . . . . 4회 일치
         Chimano 88 권총과 Bronco .44 권총, Reinfeld 880 산탄총, Compact-5 기관단총으로 무장했다.
         CAR-4 돌격소총과 Reinfeld 880 산탄총으로 무장했다.
         CAR-4 돌격소총과 Reinfeld 880 산탄총으로 무장했다.
         Green Bulldozer. Reinfeld 880 산탄총으로 무장한 녹색 불도저.
  • 표민수 . . . . 4회 일치
         [[본관]]은 [[신창 표씨|신창(新昌)]]이며 [[서울대학교]] 독어독문학과를 [[학사]] 졸업하였고,<ref>[http://people.nate.com/people/info/py/om/pyominsoo 네이트 인물검색]</ref> [[1991년]] 공채를 통해 [[KBS]] 드라마 제작국 PD로 입사하였다.<ref>[http://movie.daum.net/movieperson/Biography.do?personId=117442&t__nil_main_introduce=more 다음 영화 인물 정보]</ref> 1991년부터 2001년까지 KBS 드라마 제작국 프로듀서로 근무하였고, 퇴사 이후 프리랜서 PD로 활동하고 있다.
  • 하춘화 . . . . 4회 일치
         ||<table width=100%><table align=center><table bordercolor=#000000><-100><:>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C60C30 20%, #003478)"
         ||<#ffffff><-1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한규복 (1881년) . . . . 4회 일치
         광복 직후 일체의 공직을 사퇴하고 칩거하였다. [[1945년]] [[9월 2일]] [[미군정청]] 고문에 임명되었으나 사양하였다. [[8월 16일]] [[한국곡자주식회사]](韓國穀子株式會社)를 설립하고 대표이사 사장이 되었다. [[대한민국]] 건국 후인 [[1949년]]에 [[반민족행위특별조사위원회]]에 자수해 왔으나, 반민특위 활동이 방해를 받으면서 불기소처분을 받았다.<ref name="neftkin">{{웹 인용
         [[반민특위]]에 체포되었을 당시 한규복은 일제 치하에서 관리를 지냈을 뿐 “양심에 비추어 민족정신을 망각한 사실은 전혀 없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반민특위는 관비로 유학을 마치고 대한제국 관리로 일하다가 “한일합병과 동시에 다시 왜인에게 아부하여 조선총독정치에 헌신한 유일한 친일분자”로 평가했다.<ref name="neftkin"/> 당시 그를 심문한 이는 위원장 [[이인]] [[변호사]]였다.
         * 괴석란<ref>http://www.dasakorea.com/front/php/product.php?product_no=29016&main_cate_no=27&display_group=1</ref>
         그가 맹목적인 친일파 민족반역자였는지 아닌지 여부에 대해서는 당대에도 이견이 존재하였다. [[반민특위]]의 보고서에는 그를“한일합병과 동시에 다시 왜인에게 아부하여 조선총독정치에 헌신한 유일한 친일분자”로 평가했다.<ref name="neftkin"/>
  • 한비야 . . . . 4회 일치
         |url = http://economy.hankooki.com/ArticleView/ArticleView.php?url=opinion/200912/e2009122117475748200.htm&ver=v002
         * 2004년 [[한국YWCA]] 선정 젊은 지도자 상<ref>{{웹 인용|url=http://media.daum.net/society/others/view.html?cateid=1067&newsid=20041101072239742&p=kukminilbo|제목=소비자운동 정광모씨 ‘여성지도자상’…YWCA,한비야씨 ‘젊은 지도자상’|저자=민태원|날짜=2004-11-01|출판사=국민일보|언어=ko|확인날짜=2009-08-15}}</ref>
         * 2005년 [[환경재단]]이 선정한 세상을 밝게 만든 100인<ref>{{웹 인용|url=http://economy.hankooki.com/ArticleView/ArticleView.php?url=industry/200512/e2005122717551447580.htm&ver=v002|제목='2005년 세상을 밝게 만든 100인' 선정|날짜=2005-12-27|출판사=서울경제|언어=ko|확인날짜=2009-08-15}}</ref>
         * 2009년 [[캠퍼스라이프·한국대학신문]] 대학생의식조사 대학생이 가장 존경하는 한국인<ref>{{웹 인용|url=http://news.kukinews.com/article/view.asp?page=1&gCode=all&arcid=0921449791&code=30802000|제목="대학생들 한비야ㆍ안철수ㆍ노무현 順 존경"|저자=연합뉴스|날짜=2009-10-12|출판사=국민일보|언어=ko|확인날짜=2013-09-09}}</ref><ref>{{웹 인용|url=http://news.unn.net/news/articleView.html?idxno=56967|제목="대학생, 존경하는 인물 '한비야','오바마'|저자=윤지은|날짜=2009-10-12|출판사=한국대학신문|언어=ko|확인날짜=2013-09-09}}</ref>
  • 한지은 (레이싱모델) . . . . 4회 일치
         * [https://twitter.com/ming_ming2 한지은 트위터]
         * [https://www.facebook.com/mingvelyy 한지은 페이스북]
         * [https://www.instagram.com/jieun_han/ 한지은 인스타그램]
  • 한혜숙(배우) . . . . 4회 일치
         ||<table width=100%><table align=center><table bordercolor=#000000><-100><:>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C60C30 20%, #003478)"
         ||<#ffffff><-1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허범욱 . . . . 4회 일치
         2009년 첫 단편 애니메이션 《평범한 식사》를 자력으로 제작하였다. 2010년 한국영화아카데미 정규교육과정에 애니메이션연출 전공으로 입학하였으며 2011년 12월부터 교내에서 장편애니메이션 제작연구과정을 시작하였다. 2015년 《창백한 얼굴들》로 제18회 홀랜드 애니메이션영화제 대상을 수상하였다. [[김민섭 (1983년)|김민섭]]과 유년시절 친구로 《[[나는 지방대 시간강사다]]》의 삽화를 그려주었다.<ref>{{뉴스 인용|제목=허범욱 필모그래피|url=http://movie.naver.com/movie/bi/pi/filmo.nhn?code=241358&v=i|출판사=|작성일자=|확인날짜 =2015년 12월 30일}}</ref><ref>{{뉴스 인용|제목=네이버 인물검색|url=http://people.search.naver.com/search.naver?where=nexearch&query=%ED%97%88%EB%B2%94%EC%9A%B1&sm=tab_etc&ie=utf8&key=PeopleService&os=2943766|출판사=|작성일자=|확인날짜 =2015년 12월 30일}}</ref><ref>{{뉴스 인용|제목=애니메이션만이 표현할 수 있는 세계가 있다|url=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004&oid=140&aid=0000028389|출판사=|작성일자=|확인날짜 =2015년 12월 30일}}</ref><ref>{{뉴스 인용|제목=‘창백한 얼굴들’, ‘사이비’ 이어 세계 4대 애니 영화제 대상 쾌거|url=http://entertain.naver.com/read?oid=312&aid=0000130704|출판사=|작성일자=|확인날짜 =2015년 12월 30일}}</ref><ref>{{뉴스 인용|제목=허범욱 감독의 애니메이션 '창백한 얼굴들', HAFF 그랑프리 수상|url=http://entertain.naver.com/read?oid=277&aid=0003461935|출판사=|작성일자=|확인날짜 =2015년 12월 30일}}</ref><ref>{{뉴스 인용|제목=허범욱 '창백한 얼굴들', 홀랜드애니페스티벌 장편 대상|url=http://entertain.naver.com/read?oid=001&aid=0007482651|출판사=|작성일자=|확인날짜 =2015년 12월 30일}}</ref>
  • 헤이즈 (가수) . . . . 4회 일치
         '''헤이즈'''({{llang|en|Heize}}, {{본명|장다혜}}, [[1991년]] [[8월 9일]] ~ )는 [[대한민국]]의 힙합 가수이다.<ref>[http://people.search.naver.com/search.naver?where=nexearch&sm=tab_ppn&query=%ED%97%A4%EC%9D%B4%EC%A6%88&os=2916098&ie=utf8&key=PeopleService 네이버 인물]</ref> 헤이즈라는 이름은 본인이 외국 여성 래퍼 엔젤 헤이즈(Angel Haze)를 좋아해서 영어 철자만 바꾸고 지은 이름이다.<ref>{{뉴스 인용|url=http://entertain.naver.com/read?oid=312&aid=0000208830|제목='V앱' 헤이즈, 이름 뜻 설명 "독일어로 달아오르게 하다"|언어=ko|확인날짜=2017-06-26}}</ref>
         2015년 [[언프리티 랩스타 2]]를 통해서 대중에게 얼굴을 알렸다. 이후 2016년에 발매한 싱글 《돌아오지마》와 《And July》의 음원 차트 순위권 진입이후 《저 별》이 주요 음원사이트 차트 1위<ref>{{뉴스 인용|url=http://entertain.naver.com/read?oid=468&aid=0000217896|제목=[SS차트] 헤이즈 '저 별', 1위 장기집권 예고…新 음원 강자 등극|언어=ko|확인날짜=2017-06-26}}</ref>를 기록하였다.
         학과 내에서 1등을 하면 서울로의 상경을 허락 해주겠다는 아버지의 말에 과 수석을 하게 된 그는<ref>{{뉴스 인용|제목=‘여자 도끼’ 헤이즈, 친오빠 재조명...“세상에서 제일 친한 남자”|url=http://mbn.mk.co.kr/pages/news/newsView.php?news_seq_no=3265032&page=1|날짜=2017-06-27|뉴스=MBN 뉴스}}</ref> 대구에서 상경하여 아르바이트를 하기 시작했다.<ref>{{뉴스 인용|제목=음원깡패★헤이즈, 하루에 알바 3건+종이가방 스타일링...털털4차원 인성甲|url=http://star.mk.co.kr/v2/view.php?sc=40900002&cm=%EC%97%B0%EC%98%88%20%EC%A2%85%ED%95%A9&year=2017&no=428641&relatedcode=|날짜=2017-06-27|뉴스=스타투데이}}</ref> 부모님에게 손 벌리기 싫어 그는 한 번에 세 개의 아르바이트를 하던 중<ref>{{뉴스 인용|제목='최파타' 챈슬러X헤이즈가 밝힌 음악열정·공개연애(종합)|url=http://news.jtbc.joins.com/article/article.aspx?news_id=NB11366599|날짜=2016-11-29|뉴스=JTBC}}</ref> [[언프리티 랩스타2]]에 출연한 것을 계기로 음악에 전념하게 되었다.<ref name="s" /> [[크루셜스타]]와 교제하기도 했으나 [[2015년]] 헤어졌다. 헤이즈는 라디오방송에서 크루셜스타를 좋은 사람이었다고 평가했고 아직 잊지 못한다고 말하기도 했다.<ref>{{뉴스 인용|제목='라디오쇼' 헤이즈 전 남친 언급, '이별에서 아직 헤어나오지 못했다'|url=http://www.asiae.co.kr/news/view.htm?idxno=2016091114132351596|날짜=2016-09-11|뉴스=아시아경제}}</ref> 헤이즈가 겪었던 이별의 경험은 그녀가 미니 앨범 《/// (너 먹구름 비)》를 제작하는 데 영향을 줬다.
         * 2016년 4월 8일 - 《썸타 (Lil` Something)》 (With [[첸 (가수)|첸]])
  • 현경련 . . . . 4회 일치
         |출생지 = [[서울]]<ref name=faithweb>http://newsaints.faithweb.com/martyrs/Korea1.htm</ref>
         현경련 베네딕타는 [[1925년]] [[7월 5일]]에 [[성 베드로 광장]]에서 [[교황]] [[비오 11세]]가 집전한 79위<ref name=103saints_britannica>{{백과사전 인용
         * [http://english.cbck.or.kr/Saints103/311 Catholic Bishop's Conference Of Korea. 103 Martryr Saints: 현경련 베네딕타 Benedicta Hyon Kyong-nyon]
  • 홍금주 . . . . 4회 일치
         |출생지 = [[서울]]<ref name=faithweb>http://newsaints.faithweb.com/martyrs/Korea1.htm</ref>
         홍금주 페르페투아는 [[1925년]] [[7월 5일]]에 [[성 베드로 광장]]에서 [[교황]] [[비오 11세]]가 집전한 79위<ref name=103saints_britannica>{{백과사전 인용
         * [http://english.cbck.or.kr/Saints103/291 Catholic Bishop's Conference Of Korea. 103 Martryr Saints: 홍금주 페르페투아 Perpetua Hong Kum-ju]
  • 홍병주 . . . . 4회 일치
         홍병주 베드로와 [[홍영주 바오로]] 형제는 [[1925년]] [[7월 5일]]에 [[성 베드로 광장]]에서 [[교황]] [[비오 11세]]가 집전한 79위<ref name=103saints_britannica>{{백과사전 인용
         * [http://info.catholic.or.kr/dictionary/view.asp?ctxtIdNum=4025&keyword=%C8%AB%BA%B4%C1%D6&gubun=01 가톨릭 사전: 홍병주]
         * [http://english.cbck.or.kr/Saints103/331 Catholic Bishop's Conference Of Korea. 103 Martryr Saints: 홍병주 베드로 Petrus Hong Pyong-ju]
  • 황교충 . . . . 4회 일치
         황교충은 2006년 [[한양대학교]]에 다닐 당시 춘계대학연맹전에서 팀을 우승으로 이끌었고, 우수 골키퍼 상을 받았다.<ref>{{뉴스 인용 |제목=한양대, 숭실대 꺾고 2006 춘계연맹전 정상 등극 |url=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7&oid=139&aid=0000003295 |출판사=스포탈코리아 |date={{날짜한글화|2006-4-17}} }}</ref> 이러한 활약으로 2007년에는 덴소컵 한일 대학축구 정기전에 뛸 대표 골키퍼로 뽑혔다.<ref>{{뉴스 인용 |제목=제4회 덴소컵 한일 대학축구, 25일 안양 개최 |url=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7&oid=001&aid=0001578214 |출판사=연합뉴스 |date={{날짜한글화|2007-3-19}} }}</ref>
         [[2010 김지혁 선수의 군입대로 인한 공백을 메꾸기 위해 K리그 드래프트|2010 K리그 신인 드래프트]]에서 1순위로 [[포항 스틸러스]]에 지명되어 입단하였다.<ref>{{뉴스 인용 |제목=포항, 황교충·김다솔 등 골키퍼 대폭 보강 |url=http://www.kyongbuk.co.kr/main/news/news_content.php?id=461164&news_area=060&news_divide=06002&news_local=10&effect=4 |출판사=경북일보 |date={{날짜한글화|2009-11-18}} }}</ref> 2010년 10월 9일, [[광주 상무 축구단|광주 상무]]를 상대로 데뷔전을 치렀고, 무실점으로 경기를 마쳤다.<ref>{{뉴스 인용 |제목=‘이진호 결승골’ 포항, 광주 누르고 5경기 만에 승리 |url=http://www.sportalkorea.com/news/view.php?gisa_uniq=20101009163719§ion_code=10&key=&field= |출판사=스포탈코리아 |date={{날짜한글화|2010-10-9}} }}</ref>
         |제목= [[:파일:포항 스틸러스 로고.png|프레임없음|15x15픽셀|link=포항 스틸러스]] [[포항 스틸러스|<span style="color:RED;">포항 스틸러스</span>]]
  • 황보관 . . . . 4회 일치
         [[경상북도]] [[대구광역시|대구]](현 [[대구광역시]])에서 태어나 [[대구침산초등학교]], 계성중학교를 졸업하고 [[계성고등학교]]에 입학했으나, 축구부가 해체되어 [[서울체육고등학교]]로 전학을 갔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88&aid=0000347934 "죽기 살기로 뛰기보다 상황대처 능력 키워라" 황보관 축구협 기술위원장] - 매일신문</ref> [[서울체육고등학교]], [[서울대학교]]를 졸업하였다. [[A매치]]에서 종종 캐넌슛으로 골로 기록하여 '캐넌 슈터'라는 별명을 얻었다.
         은퇴 후 그는 지도자보다는 구단 경영자, 행정가로 더 두각을 드러냈다. [[1998년]] 은퇴한 후, [[아시아 축구 연맹|AFC]]에서 주관하는 'C,B,A 코스' 및 '프로페셔널 지도자 코스'를 이수하였다. [[1999년]] [[대한민국 U-20 축구 국가대표팀|대한민국 U-20 대표팀]] 트레이너를 맡은 뒤, [[오이타 트리니타]]에서 코치로 활동하였다. [[2001년]] [[오이타 트리니타]] 유스 팀 감독으로 자리를 옮겼고, 지도력을 인정받아 [[2004년]] [[오이타 트리니타]]의 수석 코치로 활동하였다. [[2005년]] [[요한 베르거]] 감독이 성적 부진으로 사임하자, [[오이타 트리니타]] 감독으로 승격하였다.<ref>[http://osen.freechal.com/news/view.asp?Code=G04120600017 황보관 J리그 오이타 감독 승격]</ref> 감독 취임 뒤, [[경상남도]] [[통영시]]에서 열린 [[통영컵]]에 참가하여 데뷔전을 치러 우승을 차지하여 성공적인 시작을 알렸으나,<ref>[http://osen.freechal.com/news/view.asp?Code=G05022700011 황보관의 오이타, 2005 통영컵 패권]</ref> 성적 부진으로 9개월 만에 해임되었다.<ref>[http://joynews.inews24.com/php/news_view.php?g_menu=702220&g_serial=167328 황보관 오이타 감독, 전격 해임 '성적 부진 탓']</ref> 이후 [[오이타 트리니타]] 유소년 육성부장을 거쳐, [[오이타 트리니타]] 부사장 및 이사에 올랐다. [[2008년]] 팀이 [[J리그 컵]]에서 우승하자, 우승컵을 갖고 [[대한민국]]을 방문하였다. 또한 [[일본문리대학]] 축구부의 테크니컬 디렉터도 맡았다. 오이타가 [[2009년]] 경영난 속에 [[J리그 디비전 2|2부 리그]]로 강등된 후, 이듬해 감독직에 복귀하였다. 그러나 2부 리그에서도 15위에 그치자 사임하였다.<ref>{{뉴스 인용|제목=황보관, J2 오이타 사령탑에서 퇴임|url=http://osen.mt.co.kr/news/view.html?gid=G1011300164 |출판사=OSEN |date={{날짜한글화|2010-11-30}} }}</ref>
         이후 [[2010년]] [[12월 28일]] [[넬루 빙가다]] 감독의 후임으로 [[FC 서울]]의 감독직을 맡았으나,<ref>{{뉴스 인용|제목=FC 서울, 빙가다 후임에 황보관 감독과 2년 계약|url=http://sportsworldi.segye.com/Articles/Sports/Soccer/Article.asp?aid=20101229000575&subctg1=05&subctg2=00|출판사=스포츠월드|date={{날짜한글화|2010-12-28}} }}</ref> [[2011년]] [[4월 26일]] 리그에서 1승 3무 3패라는 초라한 성적을 거둔 후 [[최용수 (축구인)|최용수]]에게 사령탑을 넘기고 사임했다.<ref>{{뉴스 인용 |제목=못다 이룬 꿈, 117일 만에 아듀|url=http://sports.news.nate.com/view/20110426n05840?mid=s0300 |출판사=스포츠조선 |date={{날짜한글화|2011-4-26}} }}</ref> 사임 후 [[대한축구협회]]의 기술교육국장으로 부름을 받아 행정가의 길을 걷게 되었고,<ref>[http://news.donga.com/3//20110525/37501428/1 축구협회 기술교육국장에 황보관] - 동아일보</ref> [[2011년]] [[11월 9일]] [[이회택]]의 후임으로 기술위원장이 되었다.<ref>[http://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soccer&ctg=news&mod=read&office_id=076&article_id=0002160731 이회택 기술위원장 사임, 후임에 황보관 기술교육국장] - 스포츠조선</ref>
         * [http://www.kfa.or.kr/news/news_view.asp?tb_name=interview_gisa&g_idx=895 나의 선수 시절 - 황보관, 한국축구 최고의 캐논슈터]
  • 황연대 . . . . 4회 일치
         '''황연대'''(黃年代, [[1938년]] [[12월 12일]] [[서울특별시]] ~ )는 [[대한민국]]의 의사이다. 대한민국 최초의 장애인 출신 의사이기도 하다.<ref>{{서적 인용|url=https://books.google.com.ua/books?id=UjQEAAAAMBAJ&pg|제목="RX: determination" - The Rotarian, Vol. 139, No. 5|성=Byong Ho|이름=Lee|날짜=1981년 11월|출판사=[[국제 로터리]] (Rotary International)|쪽=42-43|언어=en|isbn=}}</ref><ref>{{뉴스 인용|url=https://sports.news.naver.com/general/news/read.nhn?oid=353&aid=0000029783|제목=패럴림픽 MVP 엔 순금 75g ‘황연대 성취상’ 드립니다|언어=ko|확인날짜=2018-06-08}}</ref><ref>{{뉴스 인용|url=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10&oid=020&aid=0002550152|제목=[초대석]장애인올림픽 ‘황연대 성취상’을 만든 황연대 씨|언어=ko|확인날짜=2018-06-08}}</ref>
         * 2005년 국제 패럴림픽 위원회 유공훈장(IPC Order) 수여<ref>{{뉴스 인용|url=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32&aid=0000151297|제목=황연대씨 IPC유공훈장 받아|언어=ko|확인날짜=2018-06-08}}</ref>
         * 2009년 한국YWCA 주관 제7회 한국 여성 지도자상 대상 수상<ref>{{웹 인용|url=http://whangaward.org/ko/dr-whang-youn-dai/main-awards|제목=주요 수상 - 황연대|언어=ko|확인날짜=2018-06-08}}</ref>
  • 황희두 . . . . 4회 일치
         | 아이디 = 스타크래프트 : Gas[fOu] <br> 스타크래프트 ll: Happiness
         前 프로게이머 출신 황희두와 넛지스토리 대표 [[국도형]]이 만든 비영리 민간단체다. <ref> http://www.siminilbo.co.kr/news/articleView.html?idxno=439017 "비영리단체 청년문화포럼, 제1회 '컬쳐쇼' 녹화 성황리에 마쳐" 시민일보 2016.02.02. </ref>
          * [[박재복]] MBC 부국장<ref>http://www.viva100.com/main/view.php?key=20160118001031469|[황희두의 북레터인터뷰 1편] 한류의 새 바람, 박재복 MBC 부장</ref>
          * [[채현국]] 효암학원 이사장<ref>http://www.viva100.com/main/view.php?key=20160211001659379|[황희두의 북레터 인터뷰 2편] 대한북레터협회와 효암학원 이사장, 건달할배 채현국</ref>
  • AFC 회원 랭킹 . . . . 3회 일치
         AFC Member Association Ranking
         [[아시아축구연맹]]에 소속된 협회에서 일정기간동안 거둔 업적을 평가하여 산정한 순위자료다. AFC에서는 AFC MA Ranking이라 표기하고 있으며, 한국 언론에선 보통 AFC 랭킹으로 표기하고 있다. AFC 회원 순위는 AFC에서 주관하는 각종 클럽대항전 참가에 영향을 미친다. 여기에서 말하는 회원이란 특정 국가를 대표할 수 있는 축구협회를 가리키며, AFC에서는 특정한 상황이 아닌 한 1국가 1회원이라는 방침을 고수하고 있다.[* 다소 정치적인 문제와 역사 때문에 중국 본토와 마카오, 홍콩에 있는 축구협회는 중국이라는 하나로 보지 않고 별개로 인정하고 있다.]
         기본적으로 회원순위를 산정할 때는 해당 회원이 운영하는 클럽과 리그에서 거둔 "클럽 점수"와 국가대표팀이 거둔 "국가대표팀 점수"(=National Team points, 이하 국대 점수)를 구해 이 둘을 합산하는 방식으로 한다. 클럽 점수와 국대 점수를 합산하면 최대 100점을 부여받을 수 있다. 2016년 기준, 클럽과 국대간의 가중치는 7:3으로 클럽 점수는 70점 만점에 국대 점수는 30점 만점으로 책정되어 있다.
  • Crusader Kings 2/종교 . . . . 3회 일치
         게임 Crusader Kings 2의 종교를 설명하는 페이지. 중세 배경인 게임인 만큼 종교는 매우 중요한 요소다. 몇몇 종교의 경우에는 정부 형태를 강제하기도 하니 더더욱 중요하다.
          * '''Sunset Invasion DLC 필요'''
         === 힌두교(Hindu) ===
          * '''플레이에 Rajas of India DLC 필요'''
          * '''플레이에 Rajas of India DLC 필요'''
         === 자이나교(Jain) ===
          * '''플레이에 Rajas of India DLC 필요'''
          * '''플레이에 Rajas of India DLC나 Jade Dragon DLC 필요'''
  • EZ2AC . . . . 3회 일치
          * EZ2DJ 2ndTRAX ~It rules once again~
          * EZ2DJ 4thTRAX ~Over Mind~
          * EZ2DJ Platinum
          * EZ2DJ : AZURE EXPRESSION INTEGRAL COMPOSITION[* 현재 SQUARE PIXELS에서는 그냥 AZURE EXPRESSION Project라는 명으로 사용한다. 이유은 아마 현재 EZ2DJ상표권이 [[코나미]]한테 넘어가서 그런듯.]
  • LDK . . . . 3회 일치
          * L은 Living(거실)
          * D는 Dinning(식당)
  • OK 본 . . . . 3회 일치
         * Hardcore Story Telling Vol.1 아버님 죄송해요 (With [[J2HM]])
         * Hardcore Story Telling Vol.2 청소년 선도 힙합
         * Rhyme King (2008.2)
  • That 70's show . . . . 3회 일치
         '''발레리 핀시오티'''(Valerie Pinciotti)
         '''티나 핀시오티'''(Tina Pinciotti)
  • The Men Who Built America . . . . 3회 일치
          * [[조지 웨스팅하우스]](George Westinghouse)
          * [[윌리엄 제닝스 브라이언]](William Jennings Bryan)
          * [[윌리엄 매킨리]](William McKinley)
  • Victoria II/디시전 . . . . 3회 일치
         ==== Military-Industrial Complex(군산복합체) ====
         ==== Sea power & The Merchant Marine(해군력과 상선대) ====
         ==== Corporative Industrialism(법인 산업주의) ====
         ==== Manifest Destiny(명백한 운명) ====
         ==== The Empress of India(인도 여제) ====
         ==== Chanoine's Expedition(샤누안느의 원정) ====
  • 강동우 . . . . 3회 일치
         [include(틀:상위 문서2, top1=야구 관련 인물(KBO), top2=두산 베어스/선수단)]
         ==== 2011 시즌: Again 2009, 다시 살아난 KBO 최고령 1번타자 ====
         은퇴를 선언한 후 [[두산 베어스/2군|두산의 2군]] 타격코치로 영입되어 [[http://sports.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baseball&ctg=news&mod=read&office_id=382&article_id=0000163134|지도자 커리어를 시작했다.]] 이후 [[2014년]] 4월에 결혼하여 뒤늦게 품절남이 되었다.
  • 강예빈 . . . . 3회 일치
         | 사진 =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c/ca/Kang_Ye-bin_%28%EA%B0%95%EC%98%88%EB%B9%88%29_from_acrofan.jpg/250px-Kang_Ye-bin_%28%EA%B0%95%EC%98%88%EB%B9%88%29_from_acrofan.jpg
         * {{인스타그램|kang_ye_bin|강예빈}}
  • 강은탁 . . . . 3회 일치
         || '''SNS''' ||[[https://www.instagram.com/tak3338/|인스타그램]]||
          * [[2018년]] [[11월]] 드라마 [[끝까지 사랑]]에 함께 출연중인 배우 [[이영아]]와 [[https://entertain.naver.com/ranking/read?oid=213&aid=0001069727|공식연애를 인정]]했다.
  • 경대수 . . . . 3회 일치
         [include(틀:상위 문서3, top1=정치인/목록, top2=법조인/목록, top3=가톨릭/인물)]
         [include(틀:제20대 국회의원/충청북도)]
         [include(틀:제20대 국회의원/자유한국당)]
  • 경순왕 . . . . 3회 일치
         |그림 =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0/0c/King_Kyungsoon_of_Silla.jpg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6/6b/King_Kyungsoon_of_Silla_2.jpg/150px-King_Kyungsoon_of_Silla_2.jpg
  • 고수희 . . . . 3회 일치
         2005년 영화 《[[친절한 금자씨]]》에서 [[마녀]] [[죄수]]로 출연 [[이영애]]에게 죽임을 당하는 역할로 열연해 주목을 받았고,<ref>[http://entertain.naver.com/read?oid=117&aid=0002043371 '친절한 금자씨' 고수희, 전통혼례로 사업가와 결혼] 마이데일리. 2009년 10월 18일</ref> 2011년 영화 《[[써니 (영화)|써니]]》에 칠공주파 멤버 장미 역으로 출연하였다.<ref>[http://entertain.naver.com/read?oid=009&aid=0002524181 ‘써니’의 고수희 주연 영화 ‘바다’ 캐스팅 비화는?] 매일경제. 2011년 08월 20일</ref>
         * http://movie.daum.net/movieperson/Summary.do?personId=5395&t__nil_upper_main=actors
  • 고전을 읽는 사이트 . . . . 3회 일치
          * http://sillok.history.go.kr/intro/intro_info.jsp
          * http://www.itkc.or.kr/itkc/Index.jsp
  • 구성윤 . . . . 3회 일치
         [include(틀:상위 문서, top1=축구선수/목록/대한민국)]
         [include(틀:관련 문서, top1=축구 해외파 선수들)]
         일본에서는 꽤 인정을 받는 골키퍼기 때문에 2018 러시아 월드컵 한국 대표팀에 구성윤이 뽑히지 않자 한국의 두터운 골키퍼 층을 부럽다는 일본 네티즌들의 반응도 있었다.[[http://www.gasengi.com/main/board.php?bo_table=sports&wr_id=281364]]
  • 권민중 . . . . 3회 일치
         [include(틀:상위 문서, top1=배우/한국)]
          * [[2004년]] 1집: Minjoong's 1st Perfomnce '''피처링'''
          * [[2010년]] 빅 바운스 - Rainy Day
  • 그랜드 테프트 오토: 산 안드레아스/지역 . . . . 3회 일치
         === 로스 산토스 국제공항(Los Santos International) ===
         === 라스 콜리나스(Las Colinas) ===
         === 엔젤 파인(Angel Pine) ===
         === 팔로미노 크리크(Palomino Creek) ===
  • 김구현 (프로게이머) . . . . 3회 일치
         {| cellspacing="1" style="text-align:center; background-color: white; border: double silver 3px;margin-bottom:6px;"
         |-bgcolor="moccasin"
  • 김근석 . . . . 3회 일치
         '''김근석'''(金瑾錫<ref>[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82060200209208007&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82-06-02&officeId=00020&pageNo=8&printNo=18664&publishType=00020 "金瑾錫 4게임 연속홈런"] 동아일보. 1982년 6월 2일.</ref>, [[1960년]] [[6월 18일]] ~ )는 전 [[KBO 리그]] [[삼성 라이온즈]]의 선수이다.
  • 김동한 (1919년) . . . . 3회 일치
         보통학교에 다닐 때 그와 그의 아우 [[김수환]]은 모친으로부터 나중에 신부가 되라는 권유를 받고 사제의 길을 걷게 된다.<ref>[http://www.donga.com/fbin/output?n=200902170105 donga.com[뉴스]-“어머니 무릎서 신앙심 키웠다”<!-- 봇이 붙인 제목 -->]</ref><ref>[http://www.heraldbiz.com/SITE/data/html_dir/2009/02/16/200902160626.asp 고품격 콘텐츠페이퍼, 헤럴드경제<!-- 봇이 붙인 제목 -->]</ref>
         [[1945년]] [[12월 15일]] 사제 서품을 받았다. 그 뒤 [[1948년]] [[8월]] [[경상북도]] [[상주시|상주군 함창읍]] 소재 함창동성당에서 본당 사제로 부임하여<ref>[http://www.catholicimage.org/comm/board/view.php?tid=church&division=&cate=&cate1=&schf=&schv=&lskin=list&idxNo=3434&refresh=true Catholic Image - Catholic Image<!-- 봇이 붙인 제목 -->]</ref> 1949년 6월까지 사목하였다.
         그 뒤 김동한 가롤로 사제는 [[1949년]] [[6월]]부터 [[1951년]] [[3월]]까지 [[창원시|경상남도 창원]]에서 사목하다가 [[1951년]] [[대한민국 해군|해군]]의 첫 [[군종장교|군종사관]](군종 신부)로 [[대한민국 해군|해군]] [[대위]] 임관하였다.<ref name="가톨1">[http://www.catholictimes.org/news/news_view.cath?seq=36413 (한국교회사 인물 80) (하)]{{깨진 링크|url=http://www.catholictimes.org/news/news_view.cath?seq=36413 }} 가톨릭뉴스</ref><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3&aid=0002528492 김동환 신부와 함께하는 故 김수환 추기경 :: 네이버 뉴스<!-- 봇이 붙인 제목 -->]</ref> 1953년 4월 진해 및 인근 본당들과 함께 ‘군민 합동 성체대회’ 개최했으며 이 대회는 진해 지역의 천주교 활성화에 크게 기여했다.<ref name="가톨1"/> 그 이후 [[대구광역시|경상북도 대구]] [[계산성당]] 등에서 사목하였다.
  • 김봉수(1953) . . . . 3회 일치
         [include(틀:상위 문서, top1=기업인/목록)]
         [[2016년]] [[1월 19일]] [[안철수]] 의원을 주축으로 한 [[국민의당(2016년)|국민의당]]에 입당하였다. 안 의원은 "김 전 부회장이 증권업을 시작했을 땐 이미 증권업계가 강고한 기득권으로 둘러싸여 있었다"며 "(김 전 부회장은) 모든 사람이 불가능하다고 생각했을 때 홀로 증권업을 시작해 큰 성공을 이루고 업계를 바꿨다"고 평했다.[* 관련기사는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hm&sid1=100&oid=003&aid=0006992789|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hm&sid1=100&oid=003&aid=0006992789]] 참조.]
  • 김우동 . . . . 3회 일치
         1958년 [[제4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도 자유당 후보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그러나 해당 선거구에서 무소속으로 출마했던 [[김동석]]이 재검표 소송을 제기하여 재검표 결과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58102400209103011&editNo=1&printCount=1&publishDate=1958-10-24&officeId=00020&pageNo=3&printNo=11159&publishType=00010|당락이 뒤바뀌면서 국회의원직을 상실하였다]].
  • 김일엽 (야구선수) . . . . 3회 일치
         [[경북고등학교]]를 졸업한 뒤 연고 팀 [[삼성 라이온즈]]의 고졸우선지명<ref>[http://osen.mt.co.kr/news/view.html?gid=G1107260007 해외파들, 어떤 절차로 한국 팀에 입단했나?] - OSEN</ref> 을 받았으나 [[단국대학교]] (1998학번)에 진학했고 [[투수]] [[이승학]]과 함께 [[2001년]] 3월 [[필라델피아 필리스]]와 85만 달러에 입단 계약을 맺었다. 하지만 [[2001년]] 외에는 제대로 뛰지 못했고 어깨 회전근 부상으로 [[2003년]] 5월에 방출당했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001&oid=038&aid=0000189169 김일엽 메이저 리그 꿈과 좌절] - 한국일보</ref>
         귀국 이후 수술을 반복하여 재활하였고 방위산업체에서 산업기능요원으로 일하며 군 복무를 마쳤다. 복무하던 중에 [[KBO 리그]] 복귀 유예 기간 규정이 지나 [[대한민국]]에서 활동이 가능해졌고 방위산업체 근무를 마친 후 [[2007년]] [[1월 4일]]에 [[롯데 자이언츠]]에 [[신고선수]]로 입단<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7&oid=003&aid=0000278662 롯데, 마이너 리그 출신 김일엽과 계약] - 뉴시스</ref> 하였으며, 주로 중간계투로 등판했다. 1군에는 [[2008년]]부터 올라오기 시작하여 [[2008년]]에는 2승 1패 1세이브 5홀드, 평균자책 3.21을 기록했다. 그러나 [[2009년]] 시즌에 들어서는 선발 투수들의 잇단 부상으로 [[2009년]] [[5월]]부터 한시적으로 선발 보직도 겸하였다. 그러나 성적은 매우 좋지 않아 [[2009년]]에는 승리 없이 5패, 평균자책 7.36을 기록하였으며, 특히 [[2009년]] [[6월 21일]]에 있었던 [[KIA 타이거즈|KIA]]와의 경기에서는 선발로 출장했음에도 단 1이닝도 버티지 못하고 5실점하여 강판되었다.<ref>[http://www.donga.com/fbin/output?n=200906210116 ‘데뷔 첫 그랜드 슬램’ 김현수 “만루포 처음이야!”], 《동아일보》 [[2009년]] [[6월 21일]]</ref> [[2012년]]에는 1군 1경기에 그쳤고 그마저도 대량 실점하여 평균자책 40.50을 기록한 후 방출되었다.
  • 김종훈 (1952년) . . . . 3회 일치
         |그림 =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2/2d/Kim_Jong-Hoon_-_World_Economic_Forum_Annual_Meeting_Davos_2009_%283488049019%29.jpg/300px-Kim_Jong-Hoon_-_World_Economic_Forum_Annual_Meeting_Davos_2009_%283488049019%29.jpg
         새누리당은 28일 논평을 통해 "4.11 총선거를 앞두고 홍사덕, 김종훈 후보 등 새누리당 후보들의 트위터 계정에 대한 공격이 잇따르고 있다"며 트위터 계정폭파를 신종 사이버 공격으로 규정하고, "검찰은 트위터 계정폭파 범죄에 대해 즉각 수사에 나서 선거를 방해하려는 집단의 배후를 밝혀내라"고 촉구했다.<ref>[http://news1.kr/articles/608133 새누리 "김종훈 트위터 폭파는 조직적 테러"] 《뉴스1》 2012년 3월 28일 차윤주 기자</ref> 그러나 "트위터 계정폭파란 존재하지 않으며,<ref>[http://article.joinsmsn.com/news/article/article.asp?total_id=7745518&ctg=1200 트위터 본사 "계정폭파?...이용규정 위반으로 정지는 된다"] 《중앙일보》 2012년 3월 30일</ref> 오히려 사용자가 반복된 글을 일방적으로 보내는 등 이용규정 위반할 경우 정지된다"는 트위터 본사 측 반박<ref>[http://www.seoul.co.kr/news/newsView.php?id=20120330800080 트위터 측 “새누리당, 반복 글 보내 정지된 것” 반박] 《서울신문》 2012년 3월 30일</ref> 으로 새누리당 측의 이러한 주장은 사실과 다른 것으로 밝혀졌다.<ref>[http://www.pressian.com/article/article.asp?article_num=10120329031607 김종훈 '트위터 계정폭파'? "새누리당, 새 됐네"] 《프레시안》 2012년 3월 29일 이명선 기자</ref><ref>[http://www.viewsnnews.com/article/view.jsp?seq=84981 보수지 신봉하던 새누리, '국제적 대망신' 자초] 《뷰스앤뉴스》 2012년 3월 29일</ref><ref>[http://www.hani.co.kr/arti/politics/politics_general/525874.html 김종훈 트위터 계정폭파 당했다더니…“국제적 망신살”] 《한겨레》 2012년 3월 29일</ref>
  • 김준희 (1960년) . . . . 3회 일치
         '''김준희'''(金濬禧<ref>[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83111500329208001&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83-11-15&officeId=00032&pageNo=8&printNo=11733&publishType=00020 "겨울放學 프로野球 場外훈련"] 경향신문. 1983년 11월 15일.</ref>, [[1960년]] [[5월 16일]] ~ )는 전 [[KBO 리그]] [[삼성 라이온즈]]의 선수이다.
  • 김중혁 . . . . 3회 일치
         [include(틀:블러썸 소속 아티스트)]
         [include(틀:스포일러)]
         동진은 자신이 사라지면 중혁이 반드시 조사할 것이라고 생각하고 자신의 블로그를 개설하여 비밀글들을 숨겨두었고 예상대로 중혁은 동진의 블로그속 마녀의 법칙을 찾아낸다. [* 이때 아이디는 중혁의 주민등록번호였으며 비밀번호는 'Shine on you'였다.]동진의 조사가 유독 오래 걸린 이유가 미정을 조사함과 동시에 대학시절부터 중혁에 관해서도 눈치채고 같이 역학조사를 하였기 때문이다. 그동안 중혁과 관계된 여성 리스트가 나오는데 수십명~~이런말 하면 안되지만 '''부럽다'''. 게다가 다 남녀공학이야~~가까이 중혁을 좋아하여 사고를 당한 사람들이 대부분이다. 그리고 맨 마지막글은 이 글을 볼 중혁에게 보내는 메시지로 '''중혁아. 네가 사랑해야 돼.''' 라는 말, 즉 해결책을 써준 동진에 대한 크나큰 고마움을 느낀다.
  • 김지훈 (영화감독) . . . . 3회 일치
         1998년 단편영화 《온실》로 제2회 [[세계 필름 페스티벌]]에 초청되었으며, 제46회 [[독립영화제]]에서 우수작품상을 수상했다. 이후 《[[목포는 항구다]]》, 《[[화려한 휴가]]》를 제작하였다. [[5.18]]을 다룬 《[[화려한 휴가]]》는 [[전라도]] 사투리 연구에 많은 공을 들였고 상업적으로도 큰 성공을 거둔 작품이다.<ref>[http://entertain.naver.com/read?oid=022&aid=0000227432 김지훈 감독 "대구출신이라 3년 간 전라도 사투리 연구"] 세계일보. 2007년 05월 17일</ref> [[2011년]] [[8월]] 개봉한 한국 최초 3D 블록버스터인 《[[7광구]]》를 제작하였다. <ref>{{뉴스 인용|제목 = 김지훈: 영화정보-씨네21|url =http://www.cine21.com/Movies/Mov_Person/person_info.php?id=6724|출판사 = 씨네21|확인날짜=2011-05-19}}</ref>
  • 김태우(god) . . . . 3회 일치
         [include(틀:god의 멤버)]
         이후 2018년 1월 해피투게더3에 나와 이 사건을 다시 언급했으며 이때는 자신이 후배에게 한일이 과했다는 자조적인 이야기를 했다.[[http://gall.dcinside.com/board/view/?id=baseball_new6&no=4092847|#]] 알고보니 김종서 뿐만 아니라 옆에서 김태원도 자고 있었는데, 둘다 왜 이러냐는 반응을 보였다고...
          * 2015년 9월 2일, [[http://m.entertain.naver.com/read?oid=215&aid=0000356888|득남했다]].
  • 김혜선(배우) . . . . 3회 일치
         80년대 후반에 다른 동료 연기자들과 같이 [[http://entertain.naver.com/read?oid=020&aid=0001963902|음반을 낸 적이 있다.]]
         2017년 12월 발표한 고액체납자 명단에 올랐는데, 사기당한 남편의 빚을 갚고 있는 상황이라고 한다.[[http://entertain.naver.com/read?oid=023&aid=0003337011|#]]
         2018년 3월 파산 절차를 진행 중이다. [[http://v.entertain.media.daum.net/v/20180312120125015|#]]
  • 나폴레옹: 토탈워/러시아 . . . . 3회 일치
          * '''민스크(Minsk)'''
          * 잉그리아(Ingria)
          * 오르샤 광산(Orsha Mines): 철
          * 레빈 아우구스트 폰 베니히센(Levin August von Bennigsen) - ☆×7
  • 니시노 카나 . . . . 3회 일치
         2013년, 데뷔 5주년 가념으로 첫 베스트 앨범 「Love Collection ~pink~ /~mint~」 2장을 동시에 릴리즈 하여, 85만장 이상 판매.
          * http://www.nishinokana.com/
  • 도예종 . . . . 3회 일치
         * 1962년 정치정화법에 추가 선정됨<ref>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62041600209102001&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62-04-16&officeId=00020&pageNo=2&printNo=12428&publishType=00010</ref>
  • 돌턴 갱 . . . . 3회 일치
          * 빌 두린(Bill Doolin)
         [[http://www.history.com/this-day-in-history/the-dalton-gang-is-wiped-out-in-coffeyville-kansas]]
  • 로버트 켈리 . . . . 3회 일치
         2017년 초, [[반기문]] 사무총장의 귀국과 대통령 후보 논란에 대하여, "그는 구식 관료이며 그 점에서 나는 한국인들이 그를 선택할 것으로 여기지 않는다", "유권자들은 반기문을 변화를 가져올 사람으로 여기지 않는다. 그는 매우 '대가 약한 사람'(milquetoast)", "올해는 수십만 명의 한국인이 거리로 나와 시위를 한 '격동의 해'(big year)"라는 언급을 월스트리트 저널에 남겼다.[[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7/01/12/0200000000AKR20170112199600009.HTML (참조)]]
         2017년 3월 10일 [[박근혜]] 대통령 탄핵 선고 이후 [[BBC]]와 자택에서 [[스카이프]]로 인터뷰를 가졌는데, 인터뷰 도중에 아이들 2명이 방 안에 들어오는 [[방송사고]]가 터졌다. 처음에는 한 명이 들어와서 스카이프 캠 앞으로 다가오길래 교수가 손으로 가로막았는데, 뒤에서 보행기를 탄 동생까지 들어왔다. 곧이어서 아내가 급히 들어와서 아이들을 데리고 방에서 나갔다.[[http://www.etnews.com/20170311000021 (참조)]][[http://time.com/money/4697929/kids-interrupt-live-skype-interview-bbc-funny/ (타임지)]]
  • 류중일 . . . . 3회 일치
         |선수 사진 파일명 =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f/f3/Baseball_TeamKorea_IncheonAsianGames_11.jpg/270px-Baseball_TeamKorea_IncheonAsianGames_11.jpg
         [[1982년]] 3학년 재학 때 [[서울종합운동장 야구장|잠실야구장]] 개장 기념으로 열렸던 와의 우수 고교 초청 대회 결승전에서 [[투수]] [[김종석 (1964년)|김종석]]을 상대로 [[서울종합운동장 야구장|잠실야구장]] 개장 1호 홈런을 기록하였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7&oid=410&aid=0000011188 류중일 감독, 손주인-강명구에게 특별한 선물] - 매일경제</ref> 1981년 봉황대기 미기상고 주장을 맡은 1982년 대통령배 감투상, 대붕기 최우수선수상을 수상. 초고교급 유격수로 발돋음하고. [[한양대학교|한양대]] 체육학과(1983학번) 시절 1985년 ~ 1986년에 3학년, 4학년 때 대학야구 올스타 [[유격수]]로 선정되었다.
         [[한양대학교]] 체육학과(1983학번) 졸업 후 [[1987년]] 1차 2순위 지명을 받아 연고 팀 [[삼성 라이온즈]]에 입단(계약금 2천만 원, 연봉 1천 2백만 원)하여 견고한 수비를 바탕으로 팀 성적에 기여했다.<ref name="obbest">[[일간 스포츠]] - 2010년 4월 기사 [http://isplus.joins.com/article/article.html?aid=1372186 "OB의 재구성 - 삼성 역대 최고 타선"]</ref> [[유격수]]로 주로 출장했고 골든 글러브([[유격수]] 부문)를 2번 받았다. 현역 시절에는 [[2루수]] [[강기웅]]과 함께하였던 키스톤 콤비가 막강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하지만 현역 시절에는 단 한 번도 [[한국시리즈]] 우승을 경험하지 못했고, 코치로 활동하면서 소속 팀의 [[한국시리즈]] 우승을 맛보았다.
         [[2006년]]·[[2009년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및 [[2010년 아시안 게임|광저우 아시안 게임]] 국가대표팀 코치로 발탁되어 활동했다. [[1999년]]을 마지막으로 현역에서 은퇴하고 [[2000년]]부터 [[김용희 (야구인)|김용희]], [[김응용]], [[선동열]] 감독 밑에서 코치로 보좌한 후, [[2010년]] [[12월 30일]] [[선동열]]이 경질되자 [[선동열]]의 후임으로 [[2011년]] [[1월 5일]]에 [[삼성 라이온즈]]의 감독으로 취임하였다.<ref>[http://www.imaeil.com/sub_news/sub_news_view.php?news_id=609&yy=2011 류중일 감독 "신인 패기로 KS 우승 데뷔 축포 쏜다" ] - 매일신문</ref> 그가 감독으로 부임하게 되면서 [[삼성 라이온즈]]는 오랜만에 프랜차이즈 스타 출신 감독을 맞이하게 되었다.<ref>최초의 [[삼성 라이온즈|삼성]] 선수 출신 감독은 [[서정환]]이고, 류중일은 [[삼성 라이온즈|삼성]] 출신 선수 중 선수 및 코치로 활동하면서 단 한번의 팀 이동 없이 감독이 된 첫 번째 경우이다.</ref> [[2011년]] 감독 부임 첫 해에 정규 리그 우승과 [[2011년 한국시리즈|한국시리즈]] 우승을 확정지으며, "야구 대통령"을 줄인 '''"야통"'''이라는 별명을 얻게 되고,<ref>[http://sports.chosun.com/news/ntype.htm?id=201109280100191240017032&servicedate=20110927 류중일호, 우승을 가능케 한 키워드 4개] - 스포츠조선</ref> [[대한민국]] 챔피언 자격으로 참가한 [[2011년 아시아 시리즈]]에서 [[일본]] 챔피언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소프트뱅크]]를 꺾고 [[대한민국]] 프로 야구 팀 최초로 [[아시아 시리즈]] 우승을 차지했다.<ref>[http://osen.mt.co.kr/article/G1109325476 '야통' 류중일 감독, 야신도 못한 亞 정상 위업] - OSEN</ref> [[2012년]] 역시 정규 리그 우승과 [[2012년 한국시리즈|한국시리즈]] 우승을 이뤄 냈다. [[2013년]] 정규 리그 우승과 [[2013년 한국시리즈|한국시리즈]] 우승 후 [[2013년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2013 WBC]]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국가대표팀]] 감독으로 발탁되었으나 1라운드에서 탈락하는 수모를 겪었다. [[2013년]] 시즌 후 계약 기간 3년의 조건으로 계약금 6억 원, 연봉 5억 원 등 총액 21억 원에 [[삼성 라이온즈]]와 재계약했다.<ref>[http://sports.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kbo&ctg=news&mod=read&office_id=109&article_id=0002672898 류중일 감독, 3년 재계약…총액 21억원 사상 최고 대우] - OSEN</ref> [[2014년 아시안 게임|2014 인천 아시안게임]]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국가대표팀]] 감독으로 발탁되어 [[2013년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2013 WBC]] 1라운드 탈락의 쓰라림을 딛고 우승을 이뤄냈다. [[2014년]]에 정규 리그 우승과 [[2014년 한국시리즈|한국시리즈]] 우승을 이끌면서 팀의 사상 최초 통합 4연패를 달성하였고, [[2015년]] 역시 정규 리그 우승으로 5년 연속 정규 리그 우승으로 새 역사를 썼지만, [[2015년 KBO 한국시리즈|한국시리즈]]가 개최되기 전, 삼성 투수들의 해외 원정도박 파문으로 인해 [[2015년 KBO 한국시리즈|한국시리즈]] 우승을 [[두산 베어스]]에게 내주고 만다. [[2016년]]에는 [[박석민]], [[야마이코 나바로|나바로]], [[채태인]]을 잃었고, 외국인 선수 농사 실패, 선수들의 줄부상과 부진으로 팀 최초 정규리그 9위에 머물게 되자, [[2016년]] [[10월 15일]] 계약 만료로 [[김한수 (야구인)|김한수]]에게 감독직을 넘기고 기술고문을 맡게 되었다.
  • 류현경 . . . . 3회 일치
         | 웹사이트 = [http://www.praintpc.com/bbs/board.php?bo_table=ryuhyunkyung_info&wr_id=1 프레인TPC 류현경]
         그녀는 [[초등학교]] 때 [[서태지]] 뮤직비디오를 보면서 연기자의 꿈을 꾸게 되어 연기학원에서 연기를 시작하였고, [[초등학교]] 6학년 때인 1996년 드라마 《'''곰탕'''》에서 [[김혜수]]의 아역으로 데뷔했다.<ref>[http://www.etoday.co.kr/news/section/newsview.php?idxno=1156992 류현경, 김혜수 아역 시절 "똑 닮았네"] 이투데이. 2015년 07월 05일</ref><ref>[http://entertain.naver.com/read?oid=111&aid=0000238611 류현경 "서태지 때문에 배우 됐다" 깜짝 고백] 조이뉴스24. 2011년 06월 04일</ref>
  • 리그컵(K리그) . . . . 3회 일치
         다만, 여기에는 제법 잡음이 있었는데 지금와서 생각해보면 엉뚱하게도 [[아디다스]]가 해외상표이기 때문에 "아무리 돈이 좋다지만 해외업체의 이름을 단 대회를 한국에서 치뤄야 하느냐?"라는 [[신토불이]]적 마인드가 표출화 된 것.[*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92060400209217001&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92-06-04&officeId=00020&pageNo=17&printNo=21844&publishType=00020|당시 기사]를 보면 시대의 흐름을 알 수 있다. 기사만 보면 재정자립을 위해 해외업체와의 협력도 꼭 필요하다는 협회의 주장이 일견 타당해 보일 수는 있으나 완산 푸마의 7구단 합류 과정에서 [http://sports.news.naver.com/general/news/read.nhn?oid=001&aid=0003646721|외국 스폰서 이름이 붙었다는 이유]로 참가를 못하게 된 사례를 보면 한국축구계가 왜 이렇게 이상하게 굴러가는지 수긍된다.]
  • 모나 색스 . . . . 3회 일치
         |||| attachment:Sax_InGame.jpg?width=400 ||
         >Lisa's the damsel in distress, I'm the professional. I'd blow you away without batting an eye.
         <<include(틀:스포일러)>>
  • 박두을 . . . . 3회 일치
         '''박두을'''(朴杜乙, [[1907년]] [[11월 8일]] ~ [[2000년]] [[1월 3일]])은 [[삼성그룹]] 창업주 [[이병철]]의 배우자이다.<ref>[http://shindonga.donga.com/docs/magazine/shin/2010/04/06/201004060500007/201004060500007_2.html 박두을 이병철 삼성그룹 창업자 부인] <신동아></ref> 본관은 [[순천 박씨|순천]].
  • 박상철(가수) . . . . 3회 일치
         [include(틀:상위 문서2, top1=가수/한국, top2=불교/인물)]
         ~~[include(틀:관련 문서, top1=젤나가 감시탑)]~~
         과거에 [[신비한 TV 서프라이즈]]에 나온 적이 있었다. [[http://entertain.naver.com/read?oid=032&aid=0000012948|링크]] 나중에 [[신비한 TV 서프라이즈/에피소드/2018년#s-3|2018년 1월 21일자 800화 특집 신비한 TV 서프라이즈]]에 [[카메오]] 출연하였다. mbn의 [[기막힌 이야기 실제상황]] 146회에도 출연했다.
  • 박세직 . . . . 3회 일치
         [include(틀:다른 뜻1, other1=대한민국의 축구선수, rd1=박세직(축구선수))]
         [include(틀:상위 문서2, top1=대한민국 국군/인물, top2=정치인/목록)]
         [include(틀:역대 서울특별시장)]
  • 박소연 (배우) . . . . 3회 일치
         | 뮤지컬 || 사랑은비를타고(Between Raindrops) || 2015년
         * [https://instagram.com/@yeunni2 인스타그램]
         * [http://starlog.interpark.com/StarHome.asp?StarNo=11965 스타로그]
  • 박철우(배구) . . . . 3회 일치
         |||| https://search.pstatic.net/common/?src=http%3A%2F%2Fsports.phinf.naver.net%2F%2F20170215_139%2F1487161210892VN0si_JPEG%2F%25C1%25D6%25BC%25B1.jpg&type=n88_88 ||
         국내 날개공격수중에서는 탑클래스인 199cm의 장신에 높은 타점을 이용한 공격이 특기인 거포형 스파이커. 위 짤방에도 나와있고 [[https://www.google.co.kr/search?q=%EB%B0%95%EC%B2%A0%EC%9A%B0&newwindow=1&source=lnms&tbm=isch&sa=X&ei=DtQfVY3jDcHe8AXk8oCQAw&ved=0CAcQ_AUoAQ&biw=1325&bih=614#newwindow=1&tbm=isch&q=%EB%B0%95%EC%B2%A0%EC%9A%B0+%EA%B3%B5%EA%B2%A9|박철우의 경기중 스파이크 장면 사진을 보면 알겠지만,]] 스파이크때 항시 몸이 오른쪽으로 크게 기울어지고 팔이 최대한 높은쪽으로 가는 극단적으로 위로 뻗는 타법임을 알 수 있다. 거의 투수 [[김광현]]을 보는 듯한 [[오버핸드 스로|오버핸드 스파이크]] 타법. 이런 스파이크 스타일때문에 높은볼 처리능력이 좋다. 다른 선수면 타점을 맞추지 못해서 강제로 스파이크가 밀리면서 홈런볼이 될 토스를 억지로 코트 안으로 내려꽂을 수 있다는 것. 이때문에 토스가 높은 편이었던 현캐시절 송병일과 호흡이 꽤 좋았던 편으로 송병일과 호흡을 맞춘 삼성화재전에서 신들린 강타로 역전승을 일구어낸 적도 있다.
  • 박현철 . . . . 3회 일치
         *[http://minihp.cyworld.com/pims/main/pims_main.asp?tid=60434007 가람 미니홈피]
  • 박화요비 . . . . 3회 일치
         ||||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4/4a/Hwayobi_in_Cyworld_Dream_Music_Festival.jpg/250px-Hwayobi_in_Cyworld_Dream_Music_Festival.jpg ||
         2집 <Nineteen Plus One>을 내고 자신이 작사한 타이틀 곡 <눈물>로 활동했다. 판매량은 1집에 비해 다소 부진하였지만 환상적인 가창력과 라이브 무대로 주목받았다.
  • 벌교 백여우 . . . . 3회 일치
          *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63070500329205018&editNo=6&printCount=1&publishDate=1963-07-05&officeId=00032&pageNo=5&printNo=5444&publishType=00020
  • 변정수(배우) . . . . 3회 일치
         [Include(틀:후크엔터테인먼트 소속 아티스트)]
         || '''사이트''' ||<(> [[https://www.instagram.com/hoyatoya|[[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png|width=24]]]] [[http://cy.cyworld.com/home/27702767|[[파일:싸이월드_로고.png|width=24]]]] ||
         https://search.pstatic.net/common/?src=http%3A%2F%2Fcafefiles.naver.net%2F20110602_113%2Fminnat1226_1306998519632V5xFR_jpg%2Funtitled-1_barbiesis_minnat1226.jpg&type=n88_88
  • 브로포스/브로 . . . . 3회 일치
         == 브로인블랙(Bro In Black) ==
         == 브로미네이터(Brominator) ==
         == 인디아나 브론스(Indiana Brones) ==
         == 체리 브롤링(Cherry Broling) ==
         == 스네이크 브로스킨(Snake Broskin) ==
  • 비둘기 . . . . 3회 일치
         도시의 풍요로워진 삶으로 인해 몸이 비대해진 비둘기들을 부르는 명칭. 비둘기보다는 마치 [[닭]] 같다고 해서 닭둘기라고 한다. 언론에 처음 소개된 것은 2001년도에 나온 [http://entertain.naver.com/read?oid=005&aid=0000050038|이 기사]로 보이며, 언론에서 신조어를 소개하는 것은 당연히 처음 등장했을 시기에 비해서는 늦을 수 밖에 없으니 2000년대 들어서 내지는 1990년대 말쯤에는 이러한 신조어를 쓰고 있었을 가능성이 높다. 어쨌든 이렇게 몸이 비대해진 비둘기들은 나는 것보다 걷는 것을 선호한다. 어떻게든 날게 해보려고 달려들어도 10초 이상 날지 않는다. 사실 나는 것은 에너지가 많이 소모되는 활동이기 때문에 날고 싶어도 진짜 못 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파리에서 열린 [[1900 하계 올림픽]]에서는 [[http://olympics.time.com/2012/07/16/really-strange-sports-that-are-longer-in-the-olympics/slide/live-pigeon-shooting/|살아있는 비둘기를 쏘는 종목도 있었다.]] 이로인해 300마리 이상의 조류가 죽었다고.
  • 사택 . . . . 3회 일치
          * https://jinjibu.jp/f_c_housing/article/detl/outline/861/
  • 서정제 . . . . 3회 일치
         * 대구지방법원 형사 단독 판사로 재직하던 1973년 2월 5일에 물 먹인 소를 도살한 피고인 55명에 대한 선고공판에서 가축 보관업자 5명에게 사기죄를 적용해 징역10월을 선고하는 등 피고인 전원에게 유죄를 선고했다.<ref>[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73020600329207008&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73-02-06&officeId=00032&pageNo=7&printNo=8417&publishType=00020 경향신문 1973년 2월 6일자]</ref>
  • 소명(가수) . . . . 3회 일치
         |사진 = https://search.pstatic.net/common/?src=http%3A%2F%2Fblogfiles.naver.net%2F20150226_93%2Fjo1jin_1424930903413GferN_JPEG%2Fsd65sd6s5d6%252B%252B.jpg&type=n88_88
         {| class="infobox bordered" style="width:21em; cellpadding=2; font-size:85%; text-align:center;"
  • 송창현 . . . . 3회 일치
         [include(틀:다른 뜻1, other1=동명의 롯데 투수, rd1=송창현(1997))]
         [include(틀:상위 문서2,top1=한화 이글스/선수목록, top2=야구 관련 인물(KBO))]
         [include(틀: 관련 문서, top1=한화 이글스/2019년)]
  • 슈퍼 영 팀 . . . . 3회 일치
         [[DC 코믹스]]의 [[슈퍼히어로 팀]]. 첫등장은 Final Crisis Sketchbook #1 (July 1, 2008)
          * 샤이니 해피 아쿠아존(Shiny Happy Aquazon)
          * 웰-스포켄 소닉 라이트닝 플래시(Well-Spoken Sonic Lightning Flash)
  • 신성왕후 . . . . 3회 일치
         신성왕태후 김씨의 소생으로는 안종(安宗)으로 추존된 [[고려 안종|왕욱]](王郁)이 있는데, 그는 제5대 국왕 [[고려 경종|경종]]의 제4왕후 [[헌정왕후]] 황보씨와 정을 통해 제8대 국왕 [[고려 현종|현종]]을 낳았다.<ref>《고려사절요》</ref> [[1008년]] 현종(顯宗)이 즉위하고 [[1010년]] 왕후로 추존하여 시호를 신성왕태후(神成王太后)라 하고 능호는 정릉(貞陵)이라고 하였다. 원당은 [[경기도]] [[장풍군]]에 있는 현화사이다<ref>[http://www.culturecontent.com/content/contentView.do?search_div=CP_THE&search_div_id=CP_THE004&cp_code=rp0703&index_id=rp07031400&content_id=rp070314000001&print=Y 문화콘텐츠닷컴 〈현화사〉]</ref>.
         {{Col-begin}}
  • 씽(마블 코믹스) . . . . 3회 일치
         Thing
          * 의외로 [[말장난]]을 자주 하는 편. 자기 자신을 말할 때에는 '그림 여사의 푸른 눈 소년'이라든지, '피튜니아 고모의 사랑스런 조카' 같이 빙 둘러서 이야기 하는 말이 많고, 주로 하는 'It's clobberin time'을[* 여담으로 WWE소속 프로레슬러 [[CM 펑크]]가 등장 시 외치는 대사도 여기서 따왔다.] 가지고도 말장난을 하며, [[휴먼 토치]] II는 그 말장난에 자주 맞장구를 쳐주고 [[스파이더맨]]과는 서로 자기 유머가 더 잘났다고 싸우고 있다. 《[[월드 워 헐크]]》에서는 [[센트리]]의 힘에 대해 '폭발하는 100만 개의 태양'이라 말장난을 했는데, 여기에 낚여 센트리 최강론을 미는 사람들도 있다(...).
          * 별명인 싱(Thing)은 말그대로 사람이 아닌 '물건' 같다 해서 붙은 것인데 여기에는 공포와 혐오를 주는 물체를 가리키는 의미도 있다. 보통 구분을 위해 [[더]](The)를 붙이며 동명의 영화가 국내개봉했을 때 '[[괴물]]'로 번역되었다.
  • 아이박 . . . . 3회 일치
         [[샤잠]] 관련 빌런으로 첫등장은 Captain Marvel Adventures #8 - Forward, America! (1942 March 6)[* Atlantis Chronicles라는 정보도 있다.]
         본명은 Stanley "Stinky" Printwhistle.
  • 안기효 . . . . 3회 일치
         |||| http://imgnews.naver.net/image/236/2007/10/02/071002anin.jpg ||
         ||<#F157FF> {{{#ffffff '''본명'''}}} ||<bgcolor=#ffffff> 안준호[* 안기효에서 개명. [[http://www.gamechosun.co.kr/webzine/article/view.php?no=92414|관련기사]]] [br] An Jun Ho ||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더미:안기효, version=50)]
  • 안재욱(배우,가수) . . . . 3회 일치
         [include(틀:다른 뜻2, other1=농구선수 안재욱, rd1=안재욱(농구선수), other2=본명이 안재욱인 배우, rd2=안세하)]
         [include(틀:범인은 바로 너!/출연진)]
         [Include(틀:-)]
         2015년 6월 1일 뮤지컬 배우 최현주와 [[http://entertain.naver.com/read?oid=117&aid=0002614530|결혼했다]]. [[프로불참러|그런데 세바퀴에서 김흥국이 이것 때문에 조세호를 갈궜다]]. 정작 조세호와 안재욱은 아예 모르는 관계다. 그리고 2016년 2월 16일, 득녀했다.
  • 양윤재 . . . . 3회 일치
         * 미국 일리노이공과대학(Illinois institute of Technology) 건축학 석사
         * 1976 ~ 1981: 미국 Skidmore,Owings & Merrill 근무
  • 오승근 (가수) . . . . 3회 일치
         {| class="infobox bordered" style="width:21em; cellpadding=2; font-size:85%; text-align:center;"
         * 2012년 《내 나이가 어때서 (Single)》
  • 오은석 . . . . 3회 일치
         | 출생지 = {{KOR}} [[대구광역시]]<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001&oid=088&aid=0000261075 올림픽 스타 다 온다…올 전국체전 '별 잔치'], 매일신문, 2012년 9월 28일.</ref>
         | 거주지 = [[경상북도]] [[영천시]]<ref>[http://www.kyongbuk.co.kr/main/news/news_content.php?id=592656&news_area=110&news_divide=&news_local=12&effect=4 "'金' 획득 오은석 선수, 영천시민의 자랑"], [[경북일보]], 2012년 8월 9일.</ref>
         '''오은석'''(吳恩錫, [[1983년]] [[4월 2일]] ~ )은 [[대한민국]]의 [[펜싱]] 선수이다. [[런던]]에서 열린 [[2012년 하계 올림픽]]에서 [[구본길]], [[김정환 (펜싱 선수)|김정환]], [[원우영]]과 함께 단체전에 출전하여 [[금메달]]을 획득하였다. 대한민국 펜싱 역사상 처음으로 나온 단체전 금메달이었다.<ref>[http://sports.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general&ctg=news&mod=read&office_id=109&article_id=0002392494 '14초의 찌르기' 오은석, 金 찌른 비장의 '히든카드'], OSEN, 2012년 8월 4일.</ref> [[한국방송공사|KBS]]의 리듬체조 해설가인 [[김윤희 (체조 선수)|김윤희]]와는 부부관계이다.
  • 오지훈 (1973년) . . . . 3회 일치
         그는 제대 후에 [[1997년]]에는 투투 출신 [[유현재]], 여성 멤버 이삭과 함께 얍(YAB, Young & Alternative Beaux)으로 활동하였다. <ref> [http://music.naver.com/album/index.nhn?albumId=65189 개성시대:네이버 뮤직]</ref> YAB의 1집 음반을 프로듀싱하였으며, 전곡을 작곡하였다. <ref> [https://www.komca.or.kr/srch2/srch_01.jsp 한국음악저작권협회 - 저작자명 W0190100, 가수명 얍 참조]</ref>
         [[2003년]]에는 장 안에 바이러스가 발생해 신체가 허약해지는 희귀병에 걸렸으나 [[2007년]]에 완치되었다는 진단을 받았다.<ref> [http://entertain.naver.com/read?oid=018&aid=0002641477 네이버 보도 자료 - 아프고, 망하고…1세대 아이돌 작곡가 `세월무상`]</ref>
         * [http://music.naver.com/album/index.nhn?albumId=65189 개성시대: 네이버 뮤직]
  • 유지태 . . . . 3회 일치
         [[대구광역시|대구]] 출생인 그는 1998년 영화《[[바이 준]]》으로 데뷔하였다. 1999년작 《[[주유소 습격사건]]》, 2000년작 《[[동감]]》을 통해서 주목 받기 시작했고, [[허진호]] 감독의 2001년작 《[[봄날은 간다]]》를 통해 연기력을 인정받았다. [[박찬욱]] 감독의 2003년작 《[[올드보이]]》에서 악역을 맡아 열연하였다.<ref name="goldfish">MBC TV《[[황금어장]]》내의 〈무릎 팍 도사〉. [http://www.imbc.com/broad/tv/ent/goldfish/vod/?kind=image&progCode=1000794100219100000&pagesize=5&pagenum=1&cornerFlag=0&ContentTypeID=1&ProgramGroupID=0 2010년 11월 13일 수요일 방송].</ref>
         * [http://movie.daum.net/personInfo?pkey=536 유지태] - Daum 영화
         * [http://www.cineseoul.com/movies/people.html?peopleID=273 유지태] - CineSeoul
  • 윤주상 . . . . 3회 일치
         '''윤주상'''(尹周相<ref>{{뉴스 인용 | 제목= 연기상 尹柱相씨 | url=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86122600209206004&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86-12-26&officeId=00020&pageNo=6&printNo=20074&publishType=00020 | 출판사=동아일보| 저자= | 쪽= | 날짜=1986-12-26 }}</ref>, [[1949년]] [[6월 25일]] ~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 의심암귀 . . . . 3회 일치
          * http://gogen-allguide.com/ki/gishinanki.html
          * http://kotowaza-allguide.com/ki/gishinanki.html
          * http://goodluckjapan.com/gisin-anki/
  • 이계순 (1927년) . . . . 3회 일치
         일본으로 유학, [[1940년]] [[교토]](京都) 제일고녀를 다녔다.<ref>[http://news.kukinews.com/article/view.asp?page=1&gCode=kmi&arcid=0921421094 일본인들이 부러워한 조선인 석주명] 국민일보 2009.09.14</ref> 귀국 후 [[1953년]] [[부산]] [[경남중학교]] [[영어]]교사가 되었다. 이후 부산연세실업학교 교수 등을 거쳐 [[1964년]] [[서울대학교]] 사범대 영어교육과 교수가 되었다. [[1977년]] [[전문직 여성클럽]] 한국연맹 회장이 되어 여성단체 활동에 뛰어들었고 교수직과 병행하였다. [[1985년]]부터 [[한국여성유권자연맹]] 회장을 맡았다. 1990년 3월부터 [[1991년]] [[12월]]까지 정무제2장관을 지냈다.
         *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1&aid=0003443092 이계순 정무2장관 프로필]
         *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3&oid=038&aid=0000043100 1988년 정무 제2장관실 '최초']
  • 이규한(배우) . . . . 3회 일치
         [include(틀:SM 엔터테인먼트 그룹)]
         [include(틀:미스틱엔터테인먼트)]
         ||<#1B5695> {{{#ffffff '''링크'''}}} ||<(> [[http://www.mystic89.net/|공식사이트]] [[https://www.instagram.com/leeqja/|인스타그램]] ||
  • 이만섭 . . . . 3회 일치
         |사망지 =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신촌동 (서울)|신촌동]] [[세브란스병원]]<ref>[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5/12/14/0200000000AKR20151214171000001.HTML?input=1195m '한국정치 산 증인' 이만섭 전 국회의장 별세...향년 83세]</ref>
         8선 국회의원을 지냈으나 이 중 4번은 [[비례대표제|전국구]]로 당선되었고, 3번은 2명의 국회의원을 선출하는 중대선거구 제도로 당선되었으며, 3번의 중대선거구 당선 중 2번은 2위로 당선되었다. 즉 8번의 국회의원 당선 중 대부분은 유권자의 직접적인 정치적 의사를 반영하지 않은 결과로, 전국구 및 중대선거구의 문제점을 지적할 때 이만섭의 사례가 인용되기도 하였다.<ref name="신동아_01_9">[http://www.donga.com/docs/magazine/new_donga/200109/politic04.html 비사·全國區 39년], 《신동아》, 2001.9.</ref>
  • 이미연 (배우) . . . . 3회 일치
         1995년에는 배우 [[김승우]]와 결혼했지만, 2000년 5년간의 결혼 생활을 정리하고 이혼했다.<ref>{{뉴스 인용|제목 = 김승우-이미연 이혼 속사정은…|url = http://news.hankooki.com/lpage/culture/200710/h2007101115081484220.htm|출판사 = 한국일보|날짜 = 2007-10-11|확인날짜 = 2013-10-03|보존url = https://web.archive.org/web/20131005011044/http://news.hankooki.com/lpage/culture/200710/h2007101115081484220.htm|보존날짜 = 2013-10-05|깨진링크 = 예}}</ref> 이미연은 1990년대 중후반에는 영화 《[[넘버 3]]》, 《[[모텔 선인장]]》, 《[[여고괴담]]》, 《[[내 마음의 풍금]]》 등의 영화에만 주로 출연하다 1999년 단만극 《[[TV영화 러브스토리]]》로 3년여만에 드라마에 컴백했고, 이후 2001년 인기리에 방영되었던 드라마 《[[명성황후 (드라마)|명성황후]]》에서 젊은 명성황후 역으로 카리스마 넘치는 연기를 보여주어 많은 시청자들에게 강한 인상을 남겼으며, "내가 조선의 국모다"라는 유행어를 탄생시키기도 했다. 또한 당시 소속사였던 [[김광수 (1961년)|김광수]] 대표의 프로젝트로 《이미연의 연가》라는 [[컴필레이션 음반]]을 발매해 166만장이라는 엄청난 판매량을 기록했다.<ref>{{뉴스 인용|제목= PR비 파문 등 여파 가요계 ‘불황의 늪’…2002 한국 음반시장 결산 |url=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6&oid=005&aid=0000131324 |출판사= 국민일보|날짜= 2002-12-24 }}</ref>
         {|class="wikitable sortable" border="2" cellpadding="4" cellspacing="0" style="border: 1px #aaa solid; border-collapse: collapse; text-align: center;"
  • 이상민 (야구선수) . . . . 3회 일치
         |영문 표기 = Lee Sang-Min
         '''이상민'''(李相旼, [[1990년]] [[11월 4일]] ~ )은 [[KBO 리그]] [[넥센 히어로즈]]의 [[투수]]이다. 그의 사촌 형은 전 [[KBO 리그]] [[고양 원더스]]의 [[내야수]] [[이성엽]]이다.<ref>[http://sports.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kbo&ctg=news&mod=read&office_id=400&article_id=0000000027 信人을 꿈꾸는 新人들 ④ 동의대학교 이상민ㆍ강동호ㆍ김성호] - NC 다이노스</ref>
         [[2013년 한국프로야구 신인 드래프트]]에서 7라운드(전체 60순위) 지명을 받아 입단했다. 퓨처스리그 15경기에 등판해 5홀드, 평균자책점 0으로 가능성을 인정받았으며, [[2013년]] [[6월 15일]]에 1군에 올라왔다. 이 날 [[삼성 라이온즈]]와의 경기에서 구원 등판하여 0.1이닝 무실점을 기록했다.<ref>[http://sports.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baseball&ctg=news&mod=read&office_id=109&article_id=0002556327 '아기공룡' 이상민의 성공적인 1군 데뷔전] - OSEN</ref>
  • 이상호 (1989년) . . . . 3회 일치
         [[SK 와이번스]]에서 방출당한 후 곧바로 [[NC 다이노스]]의 캠프에서 테스트를 받아 [[신고선수]]로 입단했다. 2군에서 실력을 갈고 닦은 결과 개막전 엔트리에 포함되었고, [[2013년]] [[4월 2일]] 개막전에서 [[모창민]]이 안타를 친 후 근육통을 호소하자 [[대주자]]로 출장하며 첫 1군 데뷔를 하게 되었고, 그 경기에서 도루를 성공하며 대주자로서 역할을 잘 수행하였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7&oid=003&aid=0005065708 이상호, '운이 따르네~'] - 뉴시스</ref> 이후에는 주로 대주자로 나왔으며 [[지석훈]]과 [[노진혁]]의 부진으로 종종 선발출전도 했다. [[8월 23일]] [[넥센 히어로즈]]와의 경기에서 [[노진혁]]의 땅볼 때 [[서동욱]]의 태그를 절묘하게 피하며 병살을 피하였고<ref>[http://osen.mt.co.kr/article/G1109668015 이상호, '태그를 피하는 방법' ] - OSEN</ref>, 타격에서도 4타수 2안타 1타점(결승타) 2도루로 경기의 MVP가 되었다.
         [[12월 22일]] [[상무 야구단]]에 [[김희원 (야구 선수)|김희원]], [[권희동]]과 함께 2015년에 입대했다.<ref>[http://sports.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kbo&ctg=news&mod=read&office_id=001&article_id=0007257485 상무 야구단, 이용찬 등 17명 합격자 발표 ] - 연합뉴스</ref>
         * [http://www.ncdinos.com/player/person?pid=47 이상호] - [[NC 다이노스]]
  • 이석훈 . . . . 3회 일치
         [include(틀:다른 뜻1, other1=대한민국의 영화감독, rd1=이석훈(영화 감독))]
         [include(틀:SG워너비/멤버)]
          * 2012년 MBC MUSIC 《Be My Singer 작곡왕》 MC
  • 이인 . . . . 3회 일치
         * [[1963년]] 건국공로훈장(現 [[건국훈장]]) 독립장 수상<ref>[http://www.koreastory.co.kr/daegustory/human/leein.htm 대구의 인물<!-- 봇이 붙인 제목 -->]</ref>
         {{col-begin}}
         * [http://www.kinds.or.kr/imgdata8/1979/04/06/19790406DAM07.pdf 언론재단 《동아일보》(1979.4.6.) 7면]
  • 이정훈 (1963년) . . . . 3회 일치
         은퇴 후 도미하여 [[시애틀 매리너스]]에서 지도자 연수를 받은 후 [[한화 이글스]]에서 [[1999년]]부터 [[2005년]]까지 코치로 활동했고, [[1999년 한국시리즈]] 우승을 맛보았다. [[2005년]] 시즌 후 [[LG 트윈스]]에 영입되었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89&aid=0000048264 한화 이정훈 주루코치 LG로] - 대전일보</ref> [[2008년]]까지 [[LG 트윈스]] 코치를 역임한 후, [[북일고등학교]] 야구부 감독으로 부임했다.
         [[2009년]] 제 63회 [[황금사자기 전국고교야구대회]]에서 준우승을, [[2009년]] 제39회 [[봉황대기 전국고교야구대회]]에서 [[북일고등학교]]를 우승으로 이끌었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1&aid=0002587634 <고교야구> 이정훈 북일고 감독 "이제 시작이다"] 《연합뉴스》, 2009년 4월 2일 작성</ref>
         |-style="line-height:1.25em"
  • 이종원 (1953년) . . . . 3회 일치
         * [http://www.rikkyo.ne.jp/grp/cri/ken/vin/lee_j.html 연구자 정보:lee_j(릿쿄대)]
         * [http://www.asahi.com/international/aan/index.html 아사히신문 아시아네트워크]
  • 이준승 . . . . 3회 일치
         * 대법원 판사로 재직하던 1984년 1월 27일에 불온 유인물 소지로 신고된 사람에 대해 영장없이 압수수색하고 연행하여 6일동안 불법 구금한 진주경찰서 정보계장 김태진(64) 등 3명을 상대로 낸 불법구금 등 불기소처분 기각에 대한 [[재정신청]] 사건 항고심(주심 [[이회창]])에서 인용되어 환송된 사건의 재항고심 주심을 맡아 "경찰의 불법구금 사실은 인정되나 경찰관들이 수사업무에 과잉의욕을 보이다 위법행위를 저질렀고 오랜 정보업무에 종사하며 국가에 공헌한 점 등을 고려할 때 검찰의 불기소 처분은 타당하다"는 이유로 기각했다.<ref>[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87012800209210003&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87-01-28&officeId=00020&pageNo=10&printNo=20099&publishType=00020 경향신문 1987년 1월 28일자]</ref>
  • 이희근 (1929년) . . . . 3회 일치
         * [http://www.airforce.mil.kr:8081/user/indexSub.action?codyMenuSeq=50283&siteId=airforce&menuUIType=sub 대한민국 공군 - 예비역 대한민국 공군 대장 이희근 前 대한민국 공군참모총장]
         * [http://people.joins.com/search/profile.aspx?pn=10944 조인스 인물정보 - 예비역 대한민국 공군 대장 이희근 前 대한민국 국방부 촉탁위원]
         * [http://www.doopedia.co.kr/photobox/comm/community.do?_method=print&GAL_IDX=111222000817460 네이버 데이터 - 예비역 대한민국 공군 대장 이희근 前 한국산업기지개발공사 사장]
  • 임인배 . . . . 3회 일치
         1954년 [[경상북도]] [[김천시]]에서 태어났다. [[김천고등학교]], [[영남대학교]] 법학과를 졸업하였다. 이후 [[대한민국 검찰청]] 수사관으로 근무하였다. 1995년 현직 검찰 수사관 신분으로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95012800329116014&editNo=20&printCount=1&publishDate=1995-01-28&officeId=00032&pageNo=16&printNo=15325&publishType=00010|"조국을 남기고 님은 가셨습니다"라는 소설을 발간하였다]]. 그리고 자신의 호를 따서 덕천장학회를 설립하여 운영하였다.
  • 장성집 . . . . 3회 일치
         * {{언어링크|en}} [http://english.cbck.or.kr/?mid=Saints103&page=16&listStyle=webzine&document_srl=233 Catholic Bishops' Conference of Korea. 103 Martryr Saints: 장성집 요셉 Ioseph Chang Song-jib]
  • 장소팔 . . . . 3회 일치
         [[경성부]]에서 출생한 그는 [[1942년]]에 연극배우 첫 데뷔로 연예계에 입문했다.<ref>연합뉴스, 2002년 4월23일, 만담가 장소팔씨 별세, [http://entertain.naver.com/read?oid=001&aid=0000158511]</ref> [[1944년]] [[박춘재]]의 문하에서 '재담 수업'을 쌓은 뒤 [[한국 전쟁]] 이후 '한양합주단', '조선창극단'을 통해 만담가로 활동하기 시작했다.<ref>동아일보, 2002년 4월23일, [명복을 빕니다]'만담의 帝王' 장소팔씨,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20&aid=0000125613]</ref> 이후 고춘자와 함께 전국 명승 고적을 두루 돌아다니며 만담으로 묘사, 당시 TV가 없는 이들에게 큰 인기를 끌었다. 특히 민요만담이 인기를 끌었다. [[1996년]] 만담보존회를 만들어 [[2001년]] 7월까지 회장을 지냈다.
         * 서울 중구 흥인동 성동공고 옆 장소팔의 집터에는 화강암 위에 걸터앉아 오른팔을 들고 누군가를 부르는 듯한 모습의 동상(좌상)이 있다. 2009년 12월에 세워졌다. 장소팔은 1925년부터 1972년까지 중구 황학동과 신당동 일대에 거주했다.<ref>연합뉴스, 2009년 12월 24일, '국민만담가' 장소팔 선생 동상 세운다,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1&aid=0003040787]</ref>
  • 장신애 (연극배우) . . . . 3회 일치
         | 웹사이트 = {{인스타그램|shinaejang|장신애}}
         * {{인스타그램|shinaejang|장신애}}
         * {{아프리카 TV|goomting|장신애}}
  • 장원준 (야구선수) . . . . 3회 일치
         '''장원준'''(張元準, [[1985년]] [[7월 31일]] ~ )은 [[KBO 리그]] [[두산 베어스]]의 [[투수]]이다. [[서울특별시|서울]]에서 태어났으나 7세 때 [[부산광역시|부산]]으로 이주하여 성장했다.<ref>[http://sports.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kbo&ctg=news&mod=read&office_id=382&article_id=0000007335 장원준, 미인들만 만나는 비결? “모성애 자극 ㅋㅋ”] - 스포츠동아</ref>
         * [[2009년]] [[4월 23일]] [[SK 와이번스|SK]]전에서 9회 초에 [[대주자]]로 교체 출전하였다.<ref>[http://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kbo&ctg=result&game_id=20090423LTSK0 2009년 4월 23일 경기 박스스코어]</ref>
         [http://sports.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kbo&ctg=news&mod=read&office_id=076&article_id=0002547306&redirect=false 롯데의 변신은 무죄, 최준석 포수, 송승준 장원준 타자] -스포츠조선</ref>
  • 장지영 . . . . 3회 일치
         '''장지영'''(張志暎. [[1889년]] [[서울특별시|서울]] ~ [[1976년]] [[3월 15일]]<ref>[http://artscenter.kcaf.or.kr/zine/artspaper97_10/19971032.htm 10월의 문화인물 열운 장지영(張志暎)], [http://www.arko.or.kr/zine/artspaper97_10/index9710.htm 월간 문화예술 통권 219호(1997년 10월호)], 한국문화예술진흥원발행,</ref>)은 한국의 한글학자이다. [[주시경]] 문하에서 [[국어]]를 연구. [[1921년]] 한글학회의 전신인 조선어 연구회를 조직, [[한글]] 운동과 연구에 헌신했다. 주요저서로는 《조선어 철자법 강좌》가 있다.
  • 장태영(야구선수) . . . . 3회 일치
         >ㅡ 김양중[[http://www.kspo.or.kr/popup_contents/webzine21/2008/200801/contents/contents_02.html|출처]]
         투수로 전향한후 출전한 1947년 제2회 청룡기쟁탈 중등학교 야구선수권에서 140km/h의 매우 빠른 공을 던져 타자들을 꼼짝도 하지 못하게 하며 우승을 차지했고 이어 [[황금사자기]]에서도 팀의 우승을 이끌어 내자 세간에서는 그를 '''[[태양]]을 던지는 사나이'''라고 불렀다. 빠른 직구 뿐 아니라 제구력도 매우 좋았는데 당시 [[동래고등학교 야구부|동래중등학교]]의 에이스였던 [[어우홍]]은 그를 회고하며 "좌완에 아주 빠른 볼을 던졌다. 또한, 몸쪽, 바깥쪽 로케이션이 좋았고, 볼도 낮게 깔려 들어왔다"라는 평을 남기기도 했다.[[http://sports.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kbo&ctg=news&mod=read&office_id=064&article_id=0000002009|기사]]
         경남중 재학시절 "운동선수도 공부를 잘할수 있다."라는 것을 보여주기 위해 코피가 날정도로 공부도 상당히 열심히 했던 그는 [[서울대학교]] 상과대에 진학했다. 대학교 졸업후 그는 [[육군]]에 입대해 [[상무 야구단|육군 경리단]]에 입단하게 되었고 고교시절 라이벌 이었던 김양중, [[박현식]]등과 함께 [[한국실업야구]] 무대를 누볐다.육군 시절에는 외야수로 출전하게 되었고 1954년 제1회 아시아야구선수권 대회에서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초대 멤버로 참가, 야구대표팀의 첫 국제대회 안타를 기록해 내기도 했다.[[http://sports.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general&ctg=news&mod=read&office_id=295&article_id=0000001259|기사]]
  • 장후영 . . . . 3회 일치
         |url=http://people.empas.com/people/info/76/39/76394-joins/
         |url=http://gonews.kinds.or.kr/BEFORE_90_IMG/1961/01/12/19610112KHE01.pdf
  • 전경협 . . . . 3회 일치
         전경협 아가타는 [[1925년]] [[7월 5일]]에 [[성 베드로 광장]]에서 [[교황]] [[비오 11세]]가 집전한 79위<ref name=103saints_britannica>{{백과사전 인용
         * {{언어링크|en}} [http://english.cbck.or.kr/Saints103/283 Catholic Bishop's Conference Of Korea. 103 Martryr Saints: 전경협 아가타 Agatha Chon Kyong-hyob]
  • 전락원 . . . . 3회 일치
         '''전락원'''(田樂園, [[1927년]] [[5월 16일]] ~ [[2004년]] [[11월 3일]])는 [[대한민국]]의 기업인 겸 교육가, 관광업자이다. '카지노의 대부'라는 별칭도 있다.<ref>[http://www.hani.co.kr/arti/economy/economy_general/31451.html ‘카지노 대부’ 전락원씨 유족, 증여 · 상속세 430억원 신고 : 경제일반 : 경제 : 뉴스 : 한겨레<!-- 봇이 따온 제목 -->]</ref> [[대한예수교장로회(통합)|장로교]] 목사 [[전주부 (목회자)|전주부]]의 아들이며, 수필가 [[전숙희]]의 남동생이었다. [[파라다이스그룹|파라다이스 그룹]]의 창업주이며, 카지노업과 교육 사업을 하였다. 본관은 [[담양 전씨|담양]]. 호는 우경(宇耕)이며 [[서울특별시]] 출신. 종교는 [[개신교]]([[대한예수교장로회(통합)|예장통합]])이다.<ref>[http://news.joins.com/article/2028144 '파라디이스 그룹 창업주' 전락원 회장 별세], [[중앙일보]], 2004년 11월 3일.</ref>
         [[성균관대학교]]를 졸업한 후 올림포스 관광호텔 대표이사로 관광업계에 종사하기 시작한 그는 [[1973년]] [[한국관광공사]]로부터 워커힐 카지노를 인수하며 국내 카지노 사업의 대표주자<ref name="카지노">[http://article.joins.com/article/article.asp?ctg=12&Total_ID=408415 전락원회장 별세… 파라다이스그룹 어떻게 되나- 중앙일보 뉴스<!-- 봇이 따온 제목 -->]</ref>로 활약하였다. 그는 워커힐 카지노를 통해 막대한 부와 인맥을 쌓았으며 이를 바탕으로 차례로 부산, 제주, 도고, 인천, 아프리카 케냐 등에 파라다이스 호텔을 설립하고 부산과 제주, 인천에도 카지노를 개장하며 '카지노 업계의 대부'로 활동하였다.<ref name="카지노"/>
         *1971년 2월 - 1972년 2월 Malaysia Genting Highlands Hotel 理事
  • 정무식(정치인) . . . . 3회 일치
         1973년 [[제9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공화당 후보로 경상북도 포항시-영일군-[[울릉군]]-[[영천시|영천군]] 선거구에 출마하여 친여 [[무소속]] [[권오태]] 후보와 동반 당선되었다. 1978년 초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77122400329201017&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77-12-24&officeId=00032&pageNo=1&printNo=9921&publishType=00020|뇌물수수 혐의로]] 국회의원직을 사퇴한 [[지종걸]] [[유신정우회]] [[대한민국 국회의원|국회의원]]의 뒤를 이어 [[대한민국 국회]] 농수산위원회 위원장 직무대리에 임명되었다.
  • 정은표 . . . . 3회 일치
         [include(틀:-)]
         1999년작 영화 '유령'에서 미사일 발사키를 부함장에게 빼앗기지 않으려고 삼켰다가 [[끔살]][* 삼긴 미사일 키를 찾으려고 즉시 살아 있는 채로 개복수술을 하려는데 마취할 시간도 아깝다며 부함장이 그냥 꺼내라고 시켜서 그만... ]당하는 조리장역[* 그전에 함내 규칙상 금지되어 있는 가족사진을 보다가 주인공인 431에게 들켰으나 처벌없이 자기 방에 라면이나 두 그릇 끓여서 가져다 달라는 것으로 넘어간다. ~~방에 라면을 끓여 들고 오면서 "어떤 면을 좋아하는지 몰라서 일단은 꼬들하게 끓여왔습니다." 라고 해주는 센스...는 한 "같이 먹지. 한 그릇은 자네꺼야."라는 정우성의 인자함에 바로 묻힌다.~~ 그렇게 자신을 봐주며 인간적 친분이 쌓인 431을 돕기 위해 미사일 발사키를 삼켰다가 그만...][* 순박한 인상으로 가족을 그리워 하다가 결국엔 그야말로 끔살당하며 '강대국의 틈바구니에서 계속 힘없이 눈치보며 살 수 없다.'며 자신의 행동의 정당성을 주장하는 부함장 202의 행동를 그저 대의를 앞세운 광기로 보일수 밖에 없음을 강조하는 역할을 훌륭한 연기로 소화해냈다보니 상대적으로 당시에 무명이던 손병호, 설경구 같은 연기파 배우들이 함께 출연했음에도 조연중 가장 주목 받을 만한 역할이었다.]을 맡으면서 영화 관객들 사이에서 주목을 받기 시작했으나, 아무래도 전체 대중들에게 인지도를 얻은건 역시나 [[해를 품은 달(드라마)|해품달]]. ~~"전하~~~~ 좋아서 입이 안 다물어지옵니다."~~ 그래서인지 자신에게 특별한 이름이라는 이유로 막내 아들의 이름을 지'''훤'''이라고 지었다고 한다.[[http://m.entertain.naver.com/read?oid=109&aid=0002317203|##]]
         9여년동안 소속사 없이 활동해오다 2017년 4월에 '공중GM코리아'와 전속계약을 체결하였다고 한다. [[http://m.entertain.naver.com/read?oid=108&aid=0002610240|#]]
  • 정재용(1973) . . . . 3회 일치
         [include(틀:다른 뜻1, other1=대한민국의 축구선수, rd1=정재용(축구선수))]
         [include(틀:상위 문서2, top1=가수/한국, top2=배우/한국)]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재용이의 순결한 19)]
  • 정재학 (1856년) . . . . 3회 일치
         {| cellpadding="5" cellspacing="1" border="1" width="25%" background: #f9f9f9; border: 1px #aaa solid;
         {{Col-begin}}
  • 정진호(1956) . . . . 3회 일치
         [include(틀:상위 문서, top1=야구 관련 인물(KBO))]
         [include(틀:다른 뜻1, other1=다른 동명이인, rd1=정진호)]
         || '''이름''' || 정진호(丁震鎬 / Jin-ho Jung) ||
  • 제303전투비행중대 . . . . 3회 일치
         영국의 방송국 [[채널 4]]는 제303전투비행중대를 다룬 [[플래시 게임]]을 만든 적이 있다. [[http://www.kongregate.com/games/channelfour/battle-of-britain-303-squadron|하러가기]]
         [[https://www.rafmuseum.org.uk/research/online-exhibitions/the-polish-air-force-in-world-war-2/303-squadron.aspx|영국공국박물관의 303비행중대 페이지(영문)]]
  • 조진호 (축구인) . . . . 3회 일치
         |로마자 표기=Cho Jin-Ho
         이틀 뒤인 [[2017년]] [[10월 10일]]에 화명동 [[부산 아이파크]] 숙소를 나서다 상주 시절부터 좋지 않았던 심장에 심적 부담이 더해진 것이 원인이 되어 급성 [[심장마비]]로 쓰러져 병원에 후송됐지만, 끝내 향년 45세를 일기로 세상을 떠났다. 빈소는 양산부산대학교병원 장례식장 특 2호실에 마련되었으며, 발인은 12일 오전에 이루어졌다.<ref name="sportschosun_2017-10-10_death">{{뉴스 인용 | 저자=박찬준 | 뉴스=스포츠조선 | 제목=[속보]조진호 부산 감독, 심장마비로 사망 | url=http://sports.naver.com/kfootball/news/read.nhn?oid=076&aid=0003160548 | 날짜=2017-10-10 | 확인날짜=2017-10-12 | 보존url=https://archive.today/20171012131826/http://sports.naver.com/kfootball/news/read.nhn?oid=076&aid=0003160548 | 보존날짜=2017-10-12 | 깨진링크=아니오 }}</ref><ref name="yonhapnews_2017-10-10_death">{{뉴스 인용 | 저자=김태종 | 위치=서울 | 뉴스=연합뉴스 | 제목=프로축구 부산 조진호 감독 심장마비 별세(종합2보) | url=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7/10/10/0200000000AKR20171010097452007.HTML | 날짜=2017-10-10 | 확인날짜=2017-10-12 | 보존url=https://archive.today/20171012131801/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7/10/10/0200000000AKR20171010097452007.HTML | 보존날짜=2017-10-12 | 깨진링크=아니오 }}</ref> 그의 유해는 김해 화장장에서 화장된 뒤 [[경기도]] [[광주시 (경기도)|광주시]] 추모공원에 안장되었다.
  • 죽는다 죽는다 사기 . . . . 3회 일치
          * http://www18.atwiki.jp/sinusinu/
          * https://blog.novelin.net/3684
  • 지증왕 . . . . 3회 일치
         한편 [[삼국사기]]와 [[삼국유사]]에는 기골이 장대하고 체구가 커서 배우자가 없었던 지증왕에게는 알맞은 배우자가 없었는데 신하를 보내 신라 국내를 수소문하던 중 [[연제부인]](延帝夫人)을 발견하여 배우자로 삼았다는 전설이 전한다.<span style="font-size:10pt;"><sup class="noprint">[<span class="plainlinks">[[위키백과:출처 필요|출처 필요]]</span>]</sup></span>
  • 차동엽 . . . . 3회 일치
         |웹사이트 = [http://blog.naver.com/norbert_cha/ 공식 블로그] <br /> [https://www.facebook.com/erainbow2013 공식 페이스북]
         * [[1981년]], [[서울대학교]] 기계공학과 학사<ref>[http://www.beengineers.com/nphoto/view1.php?TableName=b05&ban=26&bid=389&choice=&page=3&search= 출처 :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홈페이지]</ref>
         * [https://www.facebook.com/erainbow2013 공식 페이스북]
  • 챔피언스 오브 앵거 . . . . 3회 일치
          * Wandjina - [[토르]] 패러디. 괴력을 지니고 있으며 날씨를 조종할 수 있다.
          * Tin-man - [[아이언맨]] 패러디.
          * Growing Man - [[자이언트맨]] 혹은 [[골리앗]] 패러디 추정.
  • 천호진 . . . . 3회 일치
         | 사진 =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7/7b/Chun_Ho-jin.2019.jpg/250px-Chun_Ho-jin.2019.jpg
         [[1983년]] [[문화방송|MBC]] 17기 공채 탤런트로 정식 데뷔하였다.<ref name="imbc">{{뉴스 인용|제목=<올드스타 다이어리> 배우 천호진|url=http://enews.imbc.com/News/RetrieveNewsInfo/7224|출판사=imbc 연예|날짜=2010-01-25}}</ref> [[1986년]]에 결혼하여 슬하에 1남 1녀를 두고 있다.
         * {{한시네마 인물|Cheon_Ho-jin}}
  • 최석기 . . . . 3회 일치
         * [http://minihp.cyworld.com/pims/main/pims_main.asp?tid=46405604 최석기 선수의 사이월드 미니 홈페이지]
  • 최세창 . . . . 3회 일치
         | url =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98081500289101006&editNo=6&printCount=1&publishDate=1998-08-15&officeId=00028&pageNo=1&printNo=3272&publishType=00010
  • 최수범 . . . . 3회 일치
         *[http://www.samsungkhan.co.kr/introduct/profile/int_pro_01.html 최수범 삼성전자 칸 프로필]
         *[http://people.nate.com/people/info/ch/oi/choisoobm/ 최수범 네이트 인물]
  • 최수진 (무용가) . . . . 3회 일치
         |웹사이트 = {{페이스북|soojin.choi.587|최수진}}
         * {{페이스북|soojin.choi.587|최수진}}
         * [http://www.soojinchoidance.com 최수진 웹사이트]
  • 최승환 . . . . 3회 일치
         [[2009년]] 시즌이 개막한 후 [[채상병]]을 밀어내고 데뷔 9년 만에 비로소 [[두산 베어스]]의 주전 [[포수]]로 활동했다.<ref>[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1122680 두산 최승환, "이제 야구가 재미있다"] 《오마이뉴스》, 2009년 5월 1일 작성</ref> 목 오른쪽에 큰 점이 있어서 '''"점포"'''라는 별명이 있다.<ref>[http://livepoll.donga.com/view_t.news?f=e_s&n=200907210239&l=30 최승환, 점 빼러 갔다가 포기한 사연은?] - 동아일보</ref> 데뷔 이후 처음으로 붙박이 주전으로 [[2009년]]을 보냈지만 [[2010년]]에는 [[경찰 야구단|경찰청]]에서 제대한 [[양의지]]에게 밀려 2군으로 다시 내려갔다.<ref>[http://joynews.inews24.com/php/news_view.php?g_menu=702120&g_serial=484693 '아직 부족해~' 김경문 감독의 끝없는 진화 의욕] - 조이뉴스24</ref>
         2013 시즌 후 보류선수 명단에서 제외되어 한화에서 방출된다. 이후 [[김수길]] 수석코치의 부름을 받아 지도자 자격을 취득하여 [[경찰 야구단|경찰청]]의 배터리코치로 취임했다.<ref>[http://sports.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kbo&ctg=news&mod=read&office_id=382&article_id=0000163953 최승환 “선수 얘기 듣는 지도자 될 것”] - 스포츠동아</ref>
         2015 시즌 후 [[kt 위즈]] 배터리코치로 자리를 옮겼다.<ref>[http://sports.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general&ctg=news&mod=read&office_id=410&article_id=0000296524 kt, 최승환 배터리·박성기 재활코치 영입] - MK스포츠</ref>
  • 최우제 . . . . 3회 일치
         | 웹사이트 = [http://feelboy.co.kr/main/sub02_01_1.asp?idx=167 공식사이트]
         * 《[[여우야 뭐하니]]》 (MBC, 2006년) - 병희의 선배 역 <ref>{{뉴스 인용|제목= '여우야' 최우제 "톱스타 상대역 단골" |url=http://media.daum.net/entertain/enews/newsview?newsid=20061002141907239 |출판사=마이데일리 |날짜=2006-10-02}}</ref>
         * 《[[웨딩 (드라마)|웨딩]]》 (KBS2, 2005년) - 정민 역 <ref>{{뉴스 인용|제목= 최우제, KBS2 '웨딩'으로 드라마 본격 데뷔|url=http://star.mt.co.kr/view/stview.php?no=2005080508090600561&type=1&outlink=1 |출판사=스타뉴스 |날짜=2005-08-05}}</ref>
  • 최원태 . . . . 3회 일치
         [[2016년]] [[5월 27일]] 선발 투수 [[양훈 (야구 선수)|양훈]]이 다실점을 한 뒤 두번째 투수로 구원 등판하며 데뷔 첫 경기를 치렀고, 경기에서 3.1이닝 무실점을 기록했다. [[2016년]] [[6월 14일]] [[롯데 자이언츠|롯데]]전에서 부진한 성적을 보였던 [[양훈 (야구 선수)|양훈]]의 공백을 메꾸는데 [[금민철]]이 실패하여 빈 자리를 메꿀 두 번째 선발 투수로서 첫 등판을 가졌다. 이 경기에서 {{분수|4|2|3}}이닝 동안 5실점을 기록하였다. [[2016년]] [[7월 1일]] [[KIA 타이거즈|KIA]]전에서 선발로 등판하여 타선의 지원에 힙입어 {{분수|5|2|3}}이닝 2실점으로 데뷔 이후 첫 승리 투수가 되었다.<ref>[http://sports.khan.co.kr/sports/sk_index.html?cat=view&art_id=201607012208003&sec_id=510201&pt=nv ‘첫승’ 넥센 최원태 “초심 잃지 않겠다] - 스포츠경향 </ref> 2017 시즌부터는 선발진에 합류하였는데, 지난 시즌에 비해 등판하는 경기에서 많은 이닝을 소화하며 불펜의 부담을 덜어주고 있다. [[2017년]] [[4월 9일]] [[두산 베어스|두산]]전에서 1군 경기 첫 퀄리티스타트 플러스를 기록하며 승리 투수가 되었다.<ref>[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7/04/09/0200000000AKR20170409045000007.HTML?input=1195m '7이닝 2실점' 넥센 최원태 "데뷔 후 가장 만족한 투구"] -연합뉴스</ref> [[2017년]] [[4월 27일]] [[두산 베어스|두산]]전에서 개인 최다 이닝인 8이닝을 소화하며 앞으로의 발전 가능성을 보여주면서 승리 투수가 되었다.<ref>[http://sports.mk.co.kr/view.php?&year=2017&no=287720 ‘시즌 3승’ 최원태, 값졌던 최다 이닝-투구수 경신] -MK스포츠</ref> [[2017년]] [[8월 13일]] [[한화 이글스|한화]]전에서 7이닝 1실점으로 승리 투수가 되며 데뷔 첫 두 자릿수 승리를 달성하였다.<ref>[http://osen.mt.co.kr/article/G1110709388 ‘7이닝 1실점’ 최원태, 생애 첫 10승 요건] -OSEN</ref>
  • 최윤정 (패션 디자이너) . . . . 3회 일치
         |웹사이트 = [[http://www.minoufatal.com 미누파탈]]
         * [https://www.facebook.com/lutainscat 최윤정 페이스북]
         * [http://www.minoufatal.com 미누파탈 홈페이지]
  • 최휘영 . . . . 3회 일치
         '''최휘영'''(崔輝永, [[1964년]] [[4월 29일]] ~ )은 [[대한민국]]의 [[기업인]]이자 전직 [[언론인]]이다. [[서울특별시|서울]] 태생으로 [[2012년]] 현재 NHN Business Platform 사장으로 재직하고 있다.
         * [http://www.nbp-corp.com/nbp/index.nhn NHN Business Platform]
  • 추성건 . . . . 3회 일치
         | url =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94090700329119003&editNo=15&printCount=1&publishDate=1994-09-07&officeId=00032&pageNo=19&printNo=15193&publishType=00010
  • 카미마치 . . . . 3회 일치
          * http://yukudatu-5minutes.com/life/kamimati.html
          * http://www.vereinsschal.net/
          * http://39ra.info/post-352/
  • 캐딜락&디노사우르스 . . . . 3회 일치
         Cadillacs and Dinosaurs
         후속작인 "캐딜락&디노사우르스 : 두번째 대격변(Cadillacs and Dinosaurs: The Second Cataclysm)"이 세가CD와 PC판으로 나왔는데, 그래픽은 그런대로 괜찮지만 반복되는 플레이와 지나친 급커브 등으로 문제가 많았다.
         [[include(틀:스포일러)]]
  • 콜 오브 후아레즈 : 건슬링어 . . . . 3회 일치
         Call of Juarez: Gunslinger. [[서부개척시대]]를 배경으로 하는 FPS 게임으로, [[콜 오브 후아레즈 시리즈]]의 네번째이자 제일 최근 작품이다.
          attachment:Ringo.jpg
          attachment:Hardin.jpg
  • 탈북자 망명정부 . . . . 3회 일치
         [[대한민국]] 정부의 입장은 부정적이다. 통일부 당국자는 "망명정부는 한반도 통일을 추진하는 주체로서 대한민국을 인정하지 않는 결과를 만들기 때문에 인정할 수 없다."고 말했다고 한다.[[http://news.donga.com/MainTop/3/all/20161006/80664378/1#csidx6390859011994e7a8d6c822b9a35888 (참조)]]
         한명섭 대한변호사협회 통일문제연구위원회 부위원장은 "북한이 유엔에 가입돼 있는 이상, 미국 등 다른 국가들도 망명정부의 법적 지위를 인정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그 대신 망명정부활동을 묵인할 수 있다는 가능성은 제기했다.[[http://news.donga.com/MainTop/3/all/20161006/80664378/1#csidx6390859011994e7a8d6c822b9a35888 (참조)]]
          * http://news.donga.com/MainTop/3/all/20161006/80664378/1
  • 태의경 . . . . 3회 일치
         |웹사이트 = [http://minihp.cyworld.nate.com/pims/main/pims_main.asp?tid=22152542 태의경 싸이월드 미니홈피]
  • 피우진 . . . . 3회 일치
         [Include(틀:국무총리직속기관장)]
         '[[대한민국 육군]]의 최초 [[여군]] 헬리콥터 조종사'라는 설이 있으나, 이는 언론의 실수이다. 최초 [[여군]] 헬기 조종사는 [[http://news.joins.com/article/1684845|김복선 예비역 대위이다.]] 보다 정확히는 김복선 예비역 [[대위]]가 12기이고 피우진 예비역 중령이 14기인데, 수료년도상으로는 둘 다 1981년이었기에 언론 등에서 혼동한 것. 사실 이 문제는 이미 2006년에도 언론들이 혼동해서, 직접 김복선과 피우진 양측에서 해명 인터뷰까지 다 마친 바 있다.
         2017년 12월 전직 보훈처장인 [[박승춘]]의 비리를 감사하여 검찰에 수사의뢰를 하였다.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tvh&sid2=742&oid=437&aid=0000170441|인터뷰]]
         취임 이후 '사후 약방문식'의 보훈업무 일처리를 지양하고, 보훈복지의 사각지대를 선제적으로 찾아 문제점을 미리 제거하는 등 보훈복지 강화에 조직운용의 역점을 뒀다. 피 처장 부임이후 다양한 조직운용의 변화 시도가 결국 성과로 연결되면서 보훈처는 국정운영평가에서 '매우 우수' 기관으로 선정됐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14&aid=0004085797|*]]
  • 하주석 . . . . 3회 일치
         [[2013년]] [[12월 23일]] [[육군훈련소]]에 입소하여 [[2015년]]까지 [[상무 야구단]]에서 군 복무를 했다.<ref>[http://sports.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baseball&ctg=ranking_news&mod=read&ranking_type=popular_day&date=&rank_id=&office_id=109&article_id=0002660802 정영일-고원준 등 19명, 상무 신병 합격] - OSEN</ref>
  • 하지호 . . . . 3회 일치
         * [http://minihp.cyworld.com/pims/main/pims_main.asp?tid=20814658 하지호 선수의 미니홈피]
  • 하쿠다 켄 . . . . 3회 일치
         *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3&oid=001&aid=0001248457 기자수첩 : 편히 눈감기 어려운 백남준], 《[[연합뉴스]]》 2006년 3월 19일자
         * [http://www.kyeongin.com/news/articleView.html?idxno=579539 백남준 대리인측 "정부 기념사업 협의없이 진행"], 《[[경인일보]]》 2011년 5월 4일자
         *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3&oid=003&aid=0001972277 백남준 아트센터 2월 완공...저작권 상속자 하쿠다씨 방문] , 《[[뉴시스]]》, 2008년 2월 22일자
  • 한가빈 . . . . 3회 일치
         |웹사이트 = {{인스타그램|bini1823|한가빈}}
         * 2013년 제2회 inet 하동섬진강가요제 대상
         * {{인스타그램|bini1823|한가빈}}
  • 한교원 . . . . 3회 일치
         [include(틀:상위 문서, top1=축구선수/목록/대한민국)]
         [include(틀:전북 현대 모터스/간략)]
         |||| http://post.phinf.naver.net/20150413_212/kdok2002_1428887990141Pg7ig_JPEG/mug_obj_201504131019504066.jpg ||
  • 한국영 . . . . 3회 일치
         2014년 12월 22일 발표된 [[2015년 AFC 아시안컵|2015 AFC 아시안컵]] 최종 명단에 포함되었다.<ref>{{뉴스 인용 |제목 = 이정협 깜짝 발탁…슈틸리케호 아시안컵 명단 확정 |url =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4/12/22/0200000000AKR20141222048300007.HTML?input=1195m |출판사 = 연합뉴스 |저자 = 김동찬, 장재은 |날짜 = 2014-12-22 }}</ref>
         * [[숭실대학교]] 중퇴<ref>[http://sports.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ctg=news&mod=read&office_id=452&article_id=0000000305 혼신의 태클엔 한국영의 인생이 담겨 있다]</ref>
  • 한동욱 . . . . 3회 일치
         *[http://minihp.cyworld.com/pims/main/pims_main.asp?tid=53666061 한동욱 미니홈피]
  • 한상훈 (야구선수) . . . . 3회 일치
         [[경희대학교]] 체육대학 체육학과(99학번)를 졸업하고 [[2003년]]에 입단하였다. 민첩한 풋워크와 손놀림, 타구에 대한 본능적인 감각은 때론 메이저 리그급 [[2루수]]라는 평가를 받기도 한다.<ref>《스포츠 2.0》 2007년 프로야구 Complete Guide</ref> 뛰어난 수비 실력을 보여 주지만, 타격이 약한 편이다. [[2004년 한국 프로 야구 병역 비리 사건|2004년 병역 비리 사건]]에 연루되었고, 2008 시즌 후 [[공익근무요원]]으로 입대하였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7&oid=109&aid=0001995101 '한상훈 입대' 한화, '2루수 고민' 해소할까] 《Osen》, 2008년 12월 7일</ref>
         2010 시즌 후 소집 해제로 팀에 복귀하였고, [[2011년]] 131경기에 나와 398타수 107안타 타율 2할6푼9리 3홈런 39타점 49득점 16도루로 공격력이 향상되었다. [[안치홍]]에게 밀려 수상에는 실패했지만 골든 글러브 [[2루수]] 후보에도 올랐다. 시즌 후 [[신경현]]을 이어 주장이 되었다.<ref>[http://osen.mt.co.kr/article/G1109329265 첫 골든 글러브 후보 된 한상훈의 남다른 각오] 《OSEN》</ref> 2013 시즌 후 FA를 선언하여 4년 총액 13억 원(계약금 3억 원, 연봉 2억 원, 옵션 2억 원)의 조건으로 [[한화 이글스]]에 잔류하였다.<ref>[http://sports.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baseball&ctg=news&mod=read&office_id=109&article_id=0002659141 한화, 내부 FA 3인방 전원 재계약 '이대수 4년 20억'] - OSEN</ref> 시즌 후 [[강동우 (1974년)|강동우]]가 현역 은퇴를 선언하자, 입대하기 전 자신이 썼던 등번호 3번을 되찾았다.2015년 보류선수명단에서 제외되면서 한화에서 방출되었다.
         |-style="line-height:1.25em"
  • 한서진 (1989년) . . . . 3회 일치
         | 웹사이트 = {{트위터|hanseojin26|한서진}}
         * {{트위터|hanseojin26|한서진}}
         * [http://cafe.naver.com/seojinism 한서진 팬카페]
  • 한성호 . . . . 3회 일치
         *# Fall In Love
         *# Happening
         *# 아무것도 (Inst.)
         ** [[2013년]], [[2014년]] [[tvN]] [[예능 프로그램|예능]] 《[[청담동 111]]》 / 《청담동 111 - N.Flying 스타가 되는 길》
         * [[씨야]] - 사랑아, 이별해보기, 나 없이도, Loving You 등등
  • 한송이 (방송인) . . . . 3회 일치
         |웹사이트= [http://minihp.cyworld.com/pims/main/pims_main.asp?tid=23717683 한송이 미니 홈피]
  • 허가윤 . . . . 3회 일치
         * 2005년 제9회 SM 청소년 베스트 선발대회 노래짱 2위<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6&oid=015&aid=0002090215 <nowiki>[Rising Star 11th]③ ‘청소년 선발대회’ 출신 허가윤 “신동 오빠가 1등 했어요”</nowiki>]</ref>
         * [http://www.cubeent.co.kr/fourminute 포미닛 공식 웹사이트]
  • 허지애 . . . . 3회 일치
         | 신체사이즈 = 가슴: {{convert|35|in|cm|sigfig=3|abbr=on}}<br>허리: {{convert|24|in|cm|sigfig=3|abbr=on}}<br>엉덩이: {{convert|36|in|cm|sigfig=3|abbr=on}}
  • 현민 . . . . 3회 일치
         [include(틀:다른 뜻1, other1=보이그룹 RAINZ의 멤버, rd1=현민(RAINZ))]
         [include(틀:대국남아 멤버)]
         ||'''SNS'''||[[http://twitter.com/WHM0722|트위터]], [[https://www.instagram.com/mr.mpm/|인스타그램]]||
  • 호소키 카즈코 . . . . 3회 일치
         2008년, 갑자기 모든 방송에서 하차. 2013년 1월 까지 활동을 하지 않았다.[[http://www.excite.co.jp/News/entertainment_g/20131115/Cyzowoman_201311_post_1299woman.html (참조)]]
          * 2008년, 『호소키 카즈코 마녀의 이력서(細木数子 魔女の履歴書)』라는 폭로서적이 출간. 야쿠자와의 관련설이 지적되면서 방송에서 거의 모습을 감추게 되었다.([[https://www.amazon.co.jp/exec/obidos/asin/B00HPSTJNO/nubonba0a-22/ 참조]])
          * http://www.6sei.net/pc/index.html
  • 홍광호 . . . . 3회 일치
         * 2015년 영국 제15회 왓츠 온 스테이지 어워즈(Whats On Stage Awards) – 뮤지컬 부문 남우조연상(Best Supporting Actor in a Musical)
         * 2014년 영국 2014 브로드웨이 웨스트엔드 월드닷컴 어워즈(BWW UK Awards) – 새로운 프러덕션 뮤지컬 조연 남자배우(Best Featured Actor in a New Production of a Musical)
  • 홍승규 . . . . 3회 일치
         '''홍승규'''(洪勝奎<ref>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87042800209205003&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87-04-28&officeId=00020&pageNo=5&printNo=20174&publishType=00020 "라이온즈 1번타자 자리놓고 張泰洙·洪勝奎 각축"] 동아일보. 1987년 4월 28일.</ref>, [[1960년]] [[6월 20일]] ~ )는 전 [[KBO 리그]] [[삼성 라이온즈]]의 [[외야수]]이다. 현재는 대구MBC의 라디오 야구 중계 해설가로 활동 중이다.
  • 홍예서 . . . . 3회 일치
         '''홍예서'''(본명 : '''홍성숙''', [[1971년]] [[3월 9일]] ~ )는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ref>{{뉴스 인용|제목= 홍성숙, 연기생활 27년만에 예명 ‘홍예서’로 활동 ‘새로운 도약’|url=http://www.starnnews.com/news/index.html?no=419868 |출판사=스타엔 |날짜=2015-11-26}}</ref>
         * 《[[엽기적인 그녀 (2017년 드라마)|엽기적인 그녀]]》 (2017년, SBS) - 방상궁 역 <ref>{{뉴스 인용|제목= 홍예서, 드라마 '엽기적인 그녀' 캐스팅..오연서 괴롭히는 방상궁役 |url=http://media.daum.net/entertain/star/newsview?newsid=20160831210303828 |출판사=한국경제 |날짜=2016-08-31}}</ref>
         * 《[[애인 있어요]]》 (2015년, SBS) - 송 간사 역 <ref>{{뉴스 인용|제목= 홍성숙, ‘연기 잘 한다’는 말이면 충분한 ‘천생 배우’|url=http://www.starnnews.com/news/index.html?no=395635 |출판사=스타엔 |날짜=2015-07-30}}</ref>
  • 홍은희(배우) . . . . 3회 일치
         [include(틀:다른 뜻1, other1=회색도시의 등장인물, rd1=홍은희(회색도시2))]
         [Include(틀:살인 소속 아티스트)]
         ||<#C69770> {{{#FFFFFF '''링크'''}}} ||<(><#FBFAFB> [[http://www.namooactors.com/bbs/board.php?bo_table=nm3301|공식사이트]][[https://twitter.com/eunhee2015|트위터]][[https://www.instagram.com/pinkeh2015/|인스타그램]] ||
  • 홍준표 (1949년) . . . . 3회 일치
         * 일본의 항공기 부품 생산업체 아이신 타카오카사와 주조공정 설계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용역<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5&oid=009&aid=0000110808 홍준표 연대교수, 日서 25만불 수주]</ref>
         * 일본 "다이캐스팅(Diecasting)" 생산 기업 동경이화, "반(半)응고신주조기술"에 관한 연구<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15&aid=0000581158 日 업체서 50만달러 받고 프로젝트 계약 .. 연세대 홍준표 교수팀]</ref>
  • 홍혜경 . . . . 3회 일치
         '''홍혜경'''([[1959년]] 7월 4일 ~ )은 [[대한민국]]의 [[소프라노]] [[성악가]]이다.리릭 레제로 소프라노로 경력을 시작해 현재는 리릭-리릭 스핀토 소프라노까지를 아우르는 영역을 개척하였으며,[[조수미]]와 [[신영옥]]과 더불어 [[대한민국]]의 3대 소프라노로 손꼽힌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21&aid=0000134148 <2006 신년특집-한국이 낳은 글로벌 리더들>“세계로 뻗는 한국문화 내가 이끈다” 기사 내용중 대한민국의 3대 소프라노부분 게재되어 있음 《문화일보》2006-01-02 작성 : 김순환 기자]</ref>
         * [[2000년]]《James LevineAida》
         * [http://people.nate.com/people/info/ho/ng/hongheikyung/ 홍혜경 네이트 인물]
  • 화염병 . . . . 3회 일치
         2015년 12월 4일, 이집트에서 나이트클럽 입장을 제지당하자 화염병을 던진 사람들도 있다.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5/12/06/0200000000AKR20151206054100079.HTML|연합뉴스 링크]].
         2016년 1월 8일, 위안부 합의에 불만을 품은 승려가 외교부에 화염병을 던지려다 실패한 사건이 있다.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6/01/08/0200000000AKR20160108105951004.HTML|연합뉴스 링크]].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6/03/10/0200000000AKR20160310133000004.HTML|이후 집행유예를 받았다.]]
  • 화이트워싱 . . . . 3회 일치
         Whitewashing
          * http://www.wikitree.co.kr/main/news_view.php?id=277411
          * http://stopwhitewashing.tumblr.com/
  • 효령대군 . . . . 3회 일치
         생전에 손자 33인, 증손자 109인으로 후손이 번성하였다. 전주이씨 대동종약원의 파종회 중에 자손이 가장 번창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ref>{{뉴스 인용|url=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11&oid=011&aid=0000014551|제목=춘3월의 둘째날, 관악산 연주대에 올라|성명=채희묵 기자|날짜=2002-03-02|출판사=서울경제신문|언어=한국어|확인날짜=2010-05-15}}</ref>
         *** 3남 : [[보성군 (1416년)|보성군 갑]]<ref>귀족집안 사대부들의 이름자는 시류에 따라 조자(造字:글자를 만듦)를 사용하였기 때문에 음이 정확하지 않지만 '갓머리 부 밑에 합(合)자'로 갑으로 부른다.[http://www.hyor.or.kr/sub7/03/CH7301W.asp?link=c 효령대군 파종회 청권사] 에서 확인된 이름이다.</ref>(寶城君), (1416년 ~ 1499년)
         {{Col-begin}}
  • 희빈 장씨 . . . . 3회 일치
         |그림 =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5/54/Lady_Jang_Hui-bin.jpg/300px-Lady_Jang_Hui-bin.jpg
         이에 숙종은 먼저 태자방의 가족들을 궁으로 데려와 증언을 받아낸 후<ref group="주">이들은 형신이 시작되자 마자 동일한 증언을 하였으며 그 직후 방송되었다.</ref> 이 증언을 바탕으로 [[장희재 (조선)|장희재]]의 첩 숙정과 선당과 동궁전의 궁인(宮人)·죽은 태자방의 뒤를 이어 굿을 했던 무녀(巫女) 오례를 압송해 수일에 걸쳐 압슬형 등 최고 고문형을 가하며 범죄를 인정하는 자백을 받아낸다. 생존한 죄인은 군기시에서 처형되었다.<ref>[http://sunday.joins.com/article/view.asp?aid=14022&cat_code=0605&start_year=2009&start_month=05&end_year=2010&end_month=08&press_no=&page=6 왕권 강화, 임금에겐 달고 백성에겐 쓴 열매]</ref> 이 사건을 무고의 옥(巫蠱-獄, 여기서 무고란 무술 (巫術)이나 방술 따위로 남을 저주하는 일을 뜻하는 말이다)이라 한다.
  • 히치하이킹 . . . . 3회 일치
         Hitchhiking
         2014년 [[중국]]에서 상하이에 사는 한 여성이 [[여자친구]]가 되어주는 대신에 여행경비를 받겠다고 [[웨이보]]를 통하여 홍보하는 방식으로 중국 전역을 여행하고 있다(…)고 하여 화재가되었다.[http://insight.co.kr/view.php?ArtNo=8219 참조]
         [[JTBC]] [[비정상회담]]에 출연한 러시아 출신 방송인 일리야의 증언에 따르면, 러시아에서는 히치하이킹이 보편적이며 아무나 다 태워준다고 한다. 역사적으로 [[소련]]에서는 [[택시]]가 보편화 되어 있지 않아서, 대중교통이 없는 곳이나 밤늦게 집에 갈 때는 히치하이킹을 이용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고 한다. 그래서 한국에서 히치하이킹이 되지 않아서 충격을 받았다고(…)[http://news.tf.co.kr/read/entertain/1476694.htm 참조]--훈훈한 소련 인심--
  • AEC 장갑차 . . . . 2회 일치
         [[버스]]를 만들던 회사인 AEC(Associated Engineering Company)에서 제작했기에 AEC 장갑차라는 이름이 붙었다.
  • COCOM . . . . 2회 일치
         COCOM; Coordinating Committee for Export Control
  • Europa Universalis 4/공략/유럽 . . . . 2회 일치
         폴란드-튜튼 전쟁에 참여할때 주의해야 할 점은 땅 점령을 폴란드가 아닌 브란덴부르크가 하는 방향으로 가야된다는 것이다. 그렇게 안하면 폴란드가 프로이센 지방을 전부 먹어버려서 오히려 프로이센 성립도 못하고 프로이센지방을 다먹어버린 폴란드가 러시아와 보헤미아를 패면서 우주승천해버릴 수 있기 때문(...) 이후에는 오스트리아와 동맹해서 황제국의 땅내놔 시전을 봉인시킨뒤에, 포메른(포메라니아)를 쳐서 힌터포메른 일대를 빼앗은 뒤 메클렌부르크를 먹고 뤄벡에 공세를 취하자. '마레 노스트럼'DLC이후로 뤄벡이 근처 자유도시와 OPM[* one province major, 프로빈스 하나짜리 국가]국가들과 방어연합을 취하는 경우가 많아서 공격을 나가기전에 폴란드가 참전하는지는 꼭 확인하도록 하고, 싸우도록 하자. 1대1로는 어지간해선 못이기니(...)
         플레이어의 국가의 주문화권이 이탈리아 지방 문화권에 속해있을경우, 필요 프로빈스를 다먹었을때 이탈리아를 형성할 수 있다.[* 단, 교황령은 불가능. 실제 역사에서 이탈리아 독립운동가들이 교황을 중심으로 한 이탈리아 독립을 추진한 적이 있었으나, 교황청은 세속에 관여하지 않는다는 명분으로 거부하여 무산되고 사보이 왕국을 중심으로 독립을 추진한 것을 반영했다고 볼 수 있을듯.] 추천되는 국가는 사보이, 밀라노, 피렌체, 베네치아, 제노바, 나폴리 정도. 본래 나폴리나 교황령등의 비 신롬소속 이탈리아 국가들은 확장하는데 상당한 어려움이 있었지만, 1.12패치이후 그림자 왕국(shadow kingdom)이벤트로 1490년이 지나면 이탈리아지방 국가들은 신롬에서 탈퇴하니 조금 나아졌다.
  • HMMWV . . . . 2회 일치
         [[http://www.marines.com/operating-forces/equipment/vehicles/hmmwv|미 해병대 웹사이트의 HMMWV 페이지]]
  • M25 최루탄 . . . . 2회 일치
         || [[http://www.policemuseum.go.kr/pm_info/new_relic_view.asp?lcode=Large_9&mcode=Middle_10&id=4935&GotoPage=3&category_1=%C0%E5%BA%F1%B7%F9&category_2=&column=&searchString=|경찰박물관 웹사이트 출처]] ||
  • 강기웅 . . . . 2회 일치
         2루수 부문 [[한국 프로 야구 골든 글러브 수상자 (2루수)|골든 글러브]]를 세 차례(1989, 1990, 1993) 차지했다. [[유격수]] [[류중일]] - 2루수 강기웅의 키스톤 콤비는 [[KBO 리그]] 역사상 가장 좋았던 콤비 중 하나로 인정받고 있다. 거꾸로 쳐도 3할이라는 천재적 타격을 자랑했으나, 약한 체력이 단점이었다.<ref>[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0366872 5연타석 홈런의 천재 2루수 강기웅] - 오마이뉴스</ref> 통산 타율 0.292로 선수 생활을 마감하였다. 실업야구팀 한국화장품에서 선수 생활을 하고 있었던 [[1988년]] [[10월 25일]]에 [[우리은행|상업은행]]과의 경기에서 세계 최초 5연타석 홈런을 기록한 적이 있다. [[1995년]] [[5월 13일]] 대전에서 [[한화 이글스]]와의 대구에서 1루수 [[이승엽]]과 충돌하여 입은 발목부상이 악화되어 내리막길을 걸었고, 부상 등의 이유로 [[백인천]] 감독과 불화를 일으켜 [[백인천]] 감독이 그를 [[1996년]] 시즌 후 외야수 이희성, 투수 최광훈을 상대로 [[현대 유니콘스]]에 트레이드했으나, 그는 삼성이 아닌 다른 팀에서는 뛸 이유가 없다고 의사를 밝혀 트레이드를 전격 거부하고 [[1997년]] 2월에 현역에서 물러났다.<ref>[http://news.hankooki.com/ArticleView/ArticleViewSH.php?url=baseball/201102/sp2011020917031657360.htm&cd=2101&ver=v002 명품 2루수 강기웅] - 한국일보</ref> 은퇴 후 유통업에 종사했다. 은퇴 때 그는 “심장에 푸른 피가 도는데 어떻게 유니콘스 옷을 입을 수 있었겠느냐”라는 말을 남겼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7&oid=295&aid=0000000356 천재 강기웅의 인생 유전] - 박동희 칼럼</ref> [[2011년]] [[8월 10일]]에 타격코치로 선임되어 친정 팀에 돌아왔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7&oid=001&aid=0005206016 삼성, 2군 타격코치로 강기웅 씨 영입] - 연합뉴스</ref>
  • 강대식 . . . . 2회 일치
         2006년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한나라당]] 후보로 대구광역시 동구의회 의원 선거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2010년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한나라당]] 후보로 대구광역시 동구의회 의원 선거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2012년부터 2014년까지 대구광역시 동구의회 [[의장]]을 역임하였다. 그런데 2012년 11월 20일 [[음주운전]] 상태로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3&aid=0004837775|경찰에 적발되었다]].
         [include(틀:대구광역시의 기초자치단체장)]
  • 강세정 . . . . 2회 일치
         '''강세정'''(Se Jung Kang, [[1982년]] [[1월 15일]] ~ )은 [[대한민국]]의 전 [[가수]]이자, [[배우]]이다. [[2000년]] [[걸 그룹]] [[파파야 (음악 그룹)|파파야]]로 데뷔하였다. '''고나은'''이라는 예명으로도 활동하였다가 [[2017년]] [[4월 13일]]<ref>[http://entertain.naver.com/read?oid=009&aid=0003922762 강세정, 열음엔터와 전속계약…본명으로 활동]매일 매일경제2017.04.13 </ref>부터 본명으로 활동하고 있다.
         * 2004년 [[숄 (가수)|숄]] - Destiny
  • 거푸집 . . . . 2회 일치
         정동찬 국립중앙과학관 과학기술사연구실장이 화학세계 1999년 7월호에 투고한 내용에 따르면, 활석 거푸집은 열전도율이 뛰어나며, 진흙이나 사암 거푸집과는 달리 가스 구멍을 따로 만들 필요가 없고, 단단하여 잘 망가지지 않으므로 오래 쓸 수있어서 좋다고 한다.[http://www.kcsnet.or.kr/main/k_chemstory/k_c_story_read.htm?qpage=k_c_story_main&uid=11&cat=2 참조]
  • 건즈 고어 앤 카놀리 . . . . 2회 일치
         Guns, Gore & Cannoli. 1920년대 [[금주법]] 시기의 [[미국]]을 배경으로 한 [[좀비 아포칼립스]] 런앤건 게임. [[벨기에]] 게임 제작팀인 [[http://crazymonkeystudios.com/press/index.php|크레이지 몽키 스튜디오]]가 제작했다. PC, 매킨토시, [[엑스박스 원]], [[플레이스테이션 4]]로 발매되었다. PS4 버전은 국내 유통은 [[인트라게임즈]]에서 담당했는데, 한글화도 되어있다!
         <<include(틀:스포일러)>>
  • 경기도 . . . . 2회 일치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7/77/Keiki_Provincial_Office.JPG/220px-Keiki_Provincial_Office.JPG
  • 경상북도 . . . . 2회 일치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3/35/Korean_cuisine-Gwamegi-01.jpg/220px-Korean_cuisine-Gwamegi-01.jpg
  • 고독사 . . . . 2회 일치
          * http://ihinkuyou.jp/04genjitu/index.html
  • 구자욱 . . . . 2회 일치
         스프링캠프와 시범 경기 때 맹활약하며 기대를 받았으나, 외야의 [[최형우 (야구 선수)|최형우]], [[박해민]], [[박한이]], 내야의 [[채태인]], [[박석민]]을 제치기란 쉽지 않았다. 그러나 시범 경기 때 부상을 당한 [[채태인]]을 대신해 개막전 엔트리에 들어갔으며, 3월 28일 [[SK 와이번스]]와의 개막전에 선발 출전하게 되었다. 데뷔 첫 타석에선 유격수 땅볼로 물러났으나, 두 번째 타석에서 우측 펜스를 직격하는 2루타를 쳐, 데뷔 첫 안타와 타점을 기록하였다. [[4월 1일]] [[kt 위즈|kt]]전에서 [[정대현 (1991년)|정대현]]을 상대로 솔로 홈런을 기록하며 데뷔 첫 홈런을 기록하였다. 그러나 시즌 초반 아쉬운 1루 수비를 보여주었다. 두 번째 홈런을 기록한 [[4월 3일]]을 기점으로 타격감이 안좋아지자, [[강봉규]]가 한동안 1루수로 출전하게 되었다. [[4월 9일]] [[롯데 자이언츠|롯데]]전에서 [[강봉규]]의 대타로 타석에 나와 [[김승회]]를 상대로 끝내기 안타를 기록하며 데뷔 첫 끝내기 안타를 기록하였다. 다음날 경기에서 부상당한 [[채태인]]이 1군에 올라와 시즌 첫 선발 출장을 했으나, 한 타석만에 그와 교체되었고, 그는 홈런 포함 3타수 2안타로 맹활약하였다. [[채태인]]이 다시 2군으로 내려가며 주전 자리를 이틀만에 꿰찼지만, 다시 타격감이 안 좋아져 [[김정혁 (야구 선수)|김정혁]]이 주전으로 나섰다. 그러나 [[김정혁 (야구 선수)|김정혁]]도 기대 이하의 실력을 보여주었고, [[4월 29일]]에 그는 다시 선발 라인업에 이름을 올리면서 데뷔 첫 3안타를 기록하게 되었다. 그 뒤로 꾸준히 타격감을 끌어올린 그는 [[채태인]]이 부상에서 돌아오자, 타격 부진에 빠진 [[박해민]]을 대신해 중견수로도 출장하며 꾸준히 경기에 나섰다. [[5월 21일]] [[두산 베어스|두산]]전에서 [[윤명준]]을 상대로 홈런을 기록하였고, 이 홈런은 [[삼성 라이온즈]]의 4000번째 홈런이 되었다. [[6월 3일]] [[롯데 자이언츠|롯데]]전에서 [[이승엽]]의 [[KBO (야구)|KBO]] 최초 400호 홈런이 터지던 날, 대수비로 출전한 그도 나란히 홈런을 기록하며 자신이 포스트 [[이승엽]]의 자격이 있다는걸 증명했다. 꾸준히 타격감을 올린 그는 [[6월 18일]] 경기에서 3타수 2안타를 치며 3할고지를 돌파하였고, 시즌 끝에는 3할 4푼 9리의 좋은 성적을 보여주었다. 그 뒤 그는 부상으로 빠진 [[박석민]]과 [[박한이]]를 대신하여 3루 수비와 우익수 수비도 소화하며 수비에서의 재능도 보여줬다. 그는 전반기 0.329의 타율과 9개의 홈런으로 [[2015년]] [[올스타전]] 드림 올스타의 1루수로 뽑히게 되었다. 그는 [[8월 4일]] [[kt 위즈|kt]]전에서 [[저스틴 저마노|저마노]]를 상대로 안타를 기록하며 신인 최다 경기 연속 안타인 22경기 연속 안타를 기록하였고, 다음 날 경기에서도 안타를 기록하며 23G 연속 안타로 기록을 늘렸다. [[8월 22일]] [[롯데 자이언츠|롯데]]전에서 5타수 5안타 5득점 1홈런으로 맹활약하며 생애 첫 5안타, 5득점에 두 자릿수 홈런까지 달성하였다. [[9월 20일]] [[롯데 자이언츠|롯데]]전에서 타격 후 옆구리 통증으로 시즌을 아쉽게 마감하게 되었다. 그러나 역대 신인 최고 타율을 갱신하였다. 최종 성적은 11홈런, 17도루, 57타점, 97득점이었다. 이는 타율 3위, 득점 10위, 출루율 10위의 대단한 성적이였다. 비록 [[2015년 KBO 한국시리즈|한국시리즈]]에서는 0.286의 타율로 아쉬운 모습을 보여주며 팀은 준우승을 하였으나, [[김하성]]과 [[조무근]]을 제치고 신인왕에 오르게 되었다.<ref>[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5/11/24/0200000000AKR20151124125600007.HTML?input=1195m '타격 3위' 삼성 구자욱, 2015 신인왕 수상] - 연합뉴스</ref>
  • 그랜드 테프트 오토 2/무기 . . . . 2회 일치
          * S-우지 기관총(S-Uzi Machine Gun)
          * 소음 S-우지 기관총(Silenced S-Uzi Machine Gun)
  • 김경준(축구선수) . . . . 2회 일치
         [include(틀:FC 안양/간략)]
         |||| http://post.phinf.naver.net/20160730_250/1469812057290ase13_JPEG/IjDciVhaXKeALsxOBfSJT15Vniq0.jpg ||
  • 김대호(축구선수) . . . . 2회 일치
         [include(틀:상위 문서, top1=축구선수/목록/대한민국)]
         [include(틀:수원 FC/간략)]
  • 김대휘 . . . . 2회 일치
         서울지방법원 형사합의23부 재판장으로 재직하던 2000년 2월 11일에는 민혁당을 결성한 혐의로 구속기소돼 무기징역이 구형된 하피고인에 대해 국보법상 반국가단체 구성죄 등을 유죄로 인정, 징역 10년에 자격정지 10년을 선고했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15&aid=0000226118]</ref> 6월 15일에 1994년말 트로츠키의 영구혁명론을 추종하는 국제사회주자들이라는 조직에 가입한 뒤 이 조직에서 발행하는 기관지 노동자연대 등을 소지한 혐의 등으로 4월달에 구속되어 징역 3년이구형된 피고인에 대한 선고 공판에서 "피고인의 이적단체 가입혐의에 대해 논란이 있는데다 도주 및 증거인멸의 우려도 없는 것으로 보여 보석을 허가한다"고 했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15&aid=0000244671]</ref>
  • 김도균 . . . . 2회 일치
         [include(틀:다른 뜻1, other1=다른 동명이인, rd1=김도균(동명이인))]
         [include(틀:한국 3대 기타리스트)]
  • 김만제 . . . . 2회 일치
         https://search.pstatic.net/common?type=a&size=120x150&quality=95&direct=true&src=http%3A%2F%2Fpeople.phinf.naver.net%2F20150319_163%2F1426696261421DRMKp_JPEG%2Fchosun_400001449.jpg
         1992년 [[제14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자유당]] 후보로 [[서울특별시]] [[강남구]] 을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국가안전기획부]]의 흑색선전 공작에 대한 역풍으로 [[민주당(1991년)|민주당]] [[홍사덕]]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이후 1994년부터 1998년까지 [[포스코|포항종합제철]] [[회장]]을 역임하였다. 이는 역대 포스코 회장 중 유일한 외부인사 영입 사례이다.[[http://www.opinion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7672|#]]
  • 김민교 (가수) . . . . 2회 일치
         * 1994년 《''Kim Min Kyo 1''》
         마지막 승부 OST는 寺田恵子 Terada Keiko (Show-Ya): Paradise Wind를 표절하여 방송 중간에 음을 바꾸는 해프닝이 벌어지기도 했다.
  • 김민수 (1983년) . . . . 2회 일치
         | 웹사이트 = {{인스타그램|mistermin21|김민수}}
         * {{인스타그램|mistermin21|김민수}}
  • 김민수 (1991년) . . . . 2회 일치
         |영문 표기 = Kim Min-Su
         [[상무 야구단]] 입대를 앞두고 [[2014년]] [[12월 5일]] [[권혁]]이 FA를 통해 이적하며 그가 보상선수로 지명되어 이적했다.<ref>[http://sports.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baseball&ctg=news&mod=read&office_id=311&article_id=0000415691 삼성, FA 권혁 보상선수로 포수 김민수 선택] - 엑스포츠뉴스</ref> [[상무 야구단]] 전역 후 합류하였다.
  • 김병기(배우) . . . . 2회 일치
         [include(틀:다른 뜻1, other1=정치인, rd1=김병기(정치인))]
         |||| https://search.pstatic.net/common/?src=http%3A%2F%2Fblogfiles.naver.net%2FMjAxNzAxMDNfMjMy%2FMDAxNDgzNDIxMTQwMDY3.JWfLdL0kSKNy4SNTxmLIMt_XfDzRrfbmXTf0EvTqKvgg.LlyQm4GWP_xdn4tYP_BU2Q3PhHppb8g69zmosvz98Vgg.JPEG.dalkomenm2015%2Ffinal_LOOK8962%25BE%25C6%25B7%25A7%25C0%25D4%25BC%25FA.jpg&type=n88_88 ||
  • 김병찬(아나운서) . . . . 2회 일치
         |||| http://cphoto.asiae.co.kr/listimglink/1/201002181413331639749A_1.jpg ||
         [include(틀:문서 가져옴,title=김병찬,version=73)]
  • 김상엽 (야구인) . . . . 2회 일치
         은퇴 후 [[삼성 라이온즈]]의 마무리 투수 출신 [[영남대학교]] [[권영호]] 감독의 제안으로 [[영남대학교]] 야구부의 투수코치로 활동했으며 [[2011년]] [[투수]] [[박찬호]]의 주선으로 [[오릭스 버펄로스]]에서 코치 연수를 받았다.<ref>[http://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worldbaseball&ctg=news&mod=read&office_id=380&article_id=0000000077 오릭스 김상엽 코치 “박찬호야말로 진정한 위너다”] - 이영미 칼럼</ref> 연수 후 [[NC 다이노스]]의 투수코치로 선임되었다.
         *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001&oid=295&aid=0000000112& 김상엽 “파워 커브처럼 낙차 컸던 내 인생”] - 박동희 칼럼
  • 김석원 (금융인) . . . . 2회 일치
         [[행정고시]] 19회로 재무부 이재국•국제금융국에서 근무하였고, 재정경제부 중소금융과장, 금융•부동산실명단 총괄반장, 보험제도과장 등을 거쳐, 일본 대장성에 파견 연구관으로 재직하였다. 이후 [[재정경제부]] 본부국장, 한국국제조세교육센터 소장, 미국 미시간대(금융연구센터)의 Visiting Scholar로서 활동하였으며, 금융감독위원회 기획행정실장, 금융감독위 및 [[금융감독원]] 합동대변인, [[예금보험공사]] 부사장, 상호저축은행중앙회 회장을 역임하였다.
         * {{언어링크|ko}} [http://www.cica.or.kr/01_orginfo/hello.jsp 신용정보협회 김석원 회장 소개]
  • 김성현 (1989년) . . . . 2회 일치
         [[2010년]]에 본격적으로 선발진에 들어왔고 [[2010년]] [[5월 2일]] [[잠실야구장|잠실]] [[두산 베어스|두산]]전에서 시즌 첫 선발승을 기록했다.<ref>[http://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baseball&ctg=news&mod=read&office_id=111&article_id=0000186576 첫 선발승 김성현, "부모님께 큰 선물 됐다" 첫 선발승 김성현, "부모님께 큰 선물 됐다"] - 조이뉴스24</ref>
         2012년 초, 투수 [[박현준 (야구 선수)|박현준]]과 함께 [[2012년 한국프로야구 승부조작 사건|2012년 한국 프로 야구 승부 조작 사건]]의 당사자로 밝혀졌다. 박현준과 마찬가지로 혐의를 부인했지만 검찰 수사 결과 2012년 2월 28일, 국민 체육 진흥법 위반으로 [[대구지방검찰청|대구 지방 검찰청]]에 체포되었고, 3월 1일 범죄 사실이 소명되고 증거를 없애거나 도주할 염려가 있다는 이유에서 구속 영장이 발부되었다. 김성현은 8시간 가량 조사를 받았고, 넥센 시절이던 2011년 시즌 4~5월 브로커와 짜고 두 차례에 걸쳐 일부로 '1회 첫 볼넷'을 던져 승부를 조작하고 이에 따른 사례금 1,000만 원을 챙긴 혐의를 받았다. 2012년 4월 18일, [[대구지방법원|대구 지방 법원]]은 징역 6개월에 [[집행유예|집행 유예]] 2년, 추징금 700만 원을 선고하고 사회 봉사 활동 120시간을 명령했다. 이에 따라 2012년 3월 6일, 박현준과 함께 같이 LG 구단에서 웨이버 공시되고 [[KBO (단체)|한국 야구 위원회]](KBO) 상벌 위원회는 4월 18일자 재판 결과를 근거로 김성현을 영구 제명했다.<ref>http://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baseball&ctg=news&mod=read&office_id=001&article_id=0005588057</ref>
  • 김수용(코미디언) . . . . 2회 일치
         [include(틀:감자골 4인방)]
         이렇게 모든 것이 안 좋은 상황에서 대학의 시간강의 제의가 들어왔고 강의를 하다가 재미를 붙여 공부를 더 해야겠다고 생각해 대학원에 진학했는데, 여기서 지금의 부인인 김진아 씨를 만나[[https://m.entertain.naver.com/read?oid=108&aid=000194838|6개월]] 연애 끝에 2008년 5월 31일에 결혼에 골인했다. 2009년 3월 18일에 허니문 베이비로 득녀
         [Include(틀:문단 가져옴, title=김수용, version=142)]
  • 김윤환 . . . . 2회 일치
         [include(틀:다른 뜻)]
         [[제14대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김윤환은 당대의 '''[[킹 메이커]]'''(King Maker)로서 정치적 영향력이 절정에 올랐다. [[김영삼]]에게 거부감을 갖고 있던 舊민정당(군사독재정권) 출신 민정계 인사들을 설득해서 강력한 [[김영삼]]의 지지세력, 일명 신민주계를 규합하여 결국 김영삼 대통령 만들기에 성공한다. 당시 김윤환은 민정계 인물들에게 '국민들이 군부 출신 민정당 인물들에게 강한 거부감을 갖고 있으니 일단 [[김영삼]]을 세워서 정권을 이어가고, 그 다음에 우리(TK+민정계)가 주도하는 보수 정권을 창출하면 된다.'는 시나리오를 제시했다고 한다. 이렇게 김윤환은 [[전두환]] 밑에서는 친구인 [[노태우]]를 후계자로 옹립해 대선에서 승리했고, [[노태우]] 밑에선 [[김영삼]]을 후계자로 지원해서 역시 대선에서 승리했다.
  • 김인철 . . . . 2회 일치
         [include(틀:상위 문서, top1=야구 관련 인물(KBO))]
         || '''이름''' || 김인철(金寅哲 / In-Chul Kim) ||
          * 전 [[한화 이글스]] 감독인 [[김성근]] 감독과는 1991~92년 삼성 1군에서, 2000년 삼성 2군에서 함께한 바 있다. 2015년 김성근 감독이 한화로 복귀하면서 15년 만에 재회하게 되었는데, 김성근 감독 부임 후로 일은 많아졌지만 팀 성적 향상에 확신을 갖고 본인 포함 전 스태프들이 성실하고 즐겁게 일하고 있다고. [[http://sports.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baseball&ctg=news&mod=read&office_id=109&article_id=0002931220|해당 기사]]
  • 김정혁 . . . . 2회 일치
         [include(틀:상위 문서2, top1=야구 관련 인물(KBO), top2=삼성 라이온즈/선수단)]
         그동안 주전 1루수를 맡았던 [[구자욱]]의 타격 페이스가 떨어진지라 1군에 올라오자마자 7번타자 1루수로 선발 라인업에 이름을 올렸다. 1군에서는 기회를 잘 못 받았지만, 팀 내에서는 소문난 노력파라서 그런지 [[류중일]] 감독이나 [[최형우]]나 김정혁의 활약을 [[http://sports.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kbo&ctg=news&mod=read&office_id=396&article_id=0000307495|기대하는 말을 했다]].
  • 김종호(1933) . . . . 2회 일치
         https://search.pstatic.net/common?type=a&size=120x150&quality=95&direct=true&src=http%3A%2F%2Fpeople.phinf.naver.net%2F20140701_136%2F1404145833864NdwkK_JPEG%2Fyonhapnews_28337093.jpg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김종호, version=162)]
  • 김지석(배우) . . . . 2회 일치
         [include(틀:뇌섹시대 문제적 남자)]
         [include(틀:문서 가져옴/문단,title=김지석, version=70, paragraph=3)]
  • 김진(배우) . . . . 2회 일치
         [include(틀:문서 가져옴,title=김진,version=140)]
         2015년 2월21일 무한도전 무도큰잔치편에 나와서 "아버지 일을 도우며 어음깡을 하고있다."라고 근황을 밝혔다. [[http://news.joins.com/article/17205857|#]]
  • 김진선(군인) . . . . 2회 일치
         |||| https://search.pstatic.net/common?type=a&size=120x150&quality=95&direct=true&src=http%3A%2F%2Fpeople.phinf.naver.net%2F20141224_100%2F1419352318546i7vcQ_JPEG%2Fchosun_400030294.jpg ||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김진선, version=23)]
  • 김찬돈 . . . . 2회 일치
         * [[대구지방법원]] 제3형사부 재판장으로 재직하던 2004년 3월 17일에 주부도박단 8명을 조사하는 과정에서 증거품 일부를 인멸시켜 사건 규모를 축소한 혐의로 기소된 경북지역 모 경찰서 전 형사계장 박모(52)씨에 대한 항소심에서 "죄질이 불량한데다 사회질서 유지의 근간을 흔드는 중대한 위법행위이고 개전의 정을 보이지 않아 엄벌에 처한다"며 벌금 700만원을 선고한 원심을 깨고 징역 8월 집행유예 1년을 선고했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1&aid=0000595141]</ref>
         * [[대구지방법원]] 영덕지원 형사합의부 재판장으로 재직하던 2003년 10월 30일에 영덕 오십천 제방 공사 등과 관련하여 지역 건설업체 이사로부터 두차례에 걸쳐 1600만원의 뇌물을 받은데 이어 지역 건설업자 2명한테 예산확보를 위한 중앙부서 방문 경비 명목으로 모두 1300만원의 뇌물을 받은 특정범죄가중처벌법 위반(뇌물수수)혐의로 불구속 기소된 [[김우연]] 영덕군수에 대하여 징역 2년6월 추징금 1600만원을 선고하고 법정구속했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28&aid=0000029917]</ref>
  • 김천시 . . . . 2회 일치
         자산동 (김천시)''' || 紫山洞 || 3,870 || 7,949 || 1.34 ||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e/ee/Gimcheonsine-map1.png/401px-Gimcheonsine-map1.png
  • 김천신음금류2차아파트 5동 . . . . 2회 일치
         http://blogfiles.naver.net/20160730_80/dssink2003_1469885944987icMUQ_JPEG/20160730_091058.jpg
         http://blogfiles.naver.net/20160730_10/dssink2003_146988594515030poM_JPEG/20160730_091102.jpg
  • 김천정심사 . . . . 2회 일치
         http://gcinews.com/ArticleUpload/8/200908281221.JPG
         http://gcinews.com/ArticleUpload/8/2009082812222.JPG
  • 김충섭 . . . . 2회 일치
         [include(틀:상위 문서, top1=정치인/목록)]
         [include(틀:경상북도의 기초자치단체장)]
  • 김혜은(탤런트) . . . . 2회 일치
         [include(틀:다른 뜻1, other1=아즈망가 대왕의 등장인물의 한국 이름, rd1=치히로(아즈망가 대왕))]
         [include(틀:상위 문서, top1=배우/한국)]
  • 깨끗한 독일국방군 신화 . . . . 2회 일치
         국방군은 결국 나치와 동조하게 되었으며, 나치는 베르사유 조약 파기, 군비 확장, 국방군으로의 체제 개편으로 국방군을 회유하였다. 마침내 1934년 8월 2일, 당시 독일 대통령 [[파울 폰 힌덴부르크]](Paul von Hindenburg)가 87세를 일기로 서거하였다. [[아돌프 히틀러]]는 대통령 권한을 받게 되며, 독일국방군(의 모든 장교들)은 '''아돌프 히틀러 개인'''에 대하여 '''충성 맹세'''를 하였다.
          *http://www.aladin.co.kr/shop/wproduct.aspx?ItemId=81838628
  • 남동훈 . . . . 2회 일치
         * [http://people.sports.or.kr/main.jsp 대한체육회 - 체육인정보검색]{{깨진 링크|url=http://people.sports.or.kr/main.jsp }}
  • 노 오디너리 패밀리 . . . . 2회 일치
         No Ordinary Family
         [[미국]]의 [[드라마]]. [[ABC]]에서 방송했다. 총 20화이며 방송 시기는 2010년에서 2011년. 오디너리 패밀리(Ordinary Family)는 '평범한 가족'이라는 의미로서, No를 붙여서 '평범하지 않은 가족'이라는 의미가 된다.
  • 노무리쉬어 . . . . 2회 일치
          * 노무리쉬 번역기 : http://racing-lagoon.info/nomu/translate.php
  • 니쿠쟈가 . . . . 2회 일치
         http://www.nikujyaga.info/
         Japn Business Press - 남심을 사로잡는, 나의 특기요리는 니쿠쟈가
  • 도모세 . . . . 2회 일치
         * 《[[암살 (2015년 영화)|암살]]》 (2015년) <ref>{{뉴스 인용|제목= UCC 스타청년 도모세, 세상에 나오다 |url=http://news.inews24.com/php/news_view.php?g_serial=848837&g_menu=023130&rrf=nv |출판사=아이뉴스24 |날짜=2014-09-16}}</ref>
         * {{페이스북|rainismms}}
  • 디펜더 2 . . . . 2회 일치
         전작과는 달리 한글 번역이 되었는데, 번역이 상당히 엉망이다. 'Strength'를 힘이 아닌 발음인 '스트렝스'라고 번역하지를 않나, 'Final Judgement'를 '말일심판'이라고 번역하지를 않나, 'Life'를 '생활'이라고 번역하지를 않나, 'Kills'를 '죽이기'라고 번역하거나 'Final Fantasy'를 직역해서 '최종환상'이라 번역하는 등.... 위의 몇 오역된 표현들이 중국식이고, 이 게임이 [[중국]]에서도 서비스가 되고 있다는 점을 미루어 보면 중국 번역을 중역한 것이 아닐까 싶을 정도.. 사실 Droidhen이 중국 회사인걸 생각해보면 별로 놀라운 일도 아니다.
  • 램즈혼 달팽이 . . . . 2회 일치
          * http://minaminumaebi.blogmimi.com/?p=400
  • 러시안 라이프 . . . . 2회 일치
         >The world’s biggest country, in a magazine.
  • 레킹 크루 . . . . 2회 일치
         Wrecking Crew
          본명 Eliot Franklin. 첫등장은 Defenders #17 (Nov. 1974)
  • 리전 오브 몬스터즈 . . . . 2회 일치
          * 모비우스 더 리빙 뱀파이어(Morbius, the Living Vampire)
          * 엔칸투 더 리빙 머미(N'Kantu, the Living Mummy)
  • 마법병 . . . . 2회 일치
          * http://yuraika.com/mahobin/
          * 2013년 6월 2일자 오사카 일일신문(링크 안됨) : http://www.nnn.co.jp/dainichi/news/130602/20130602026.html
  • 마철준 . . . . 2회 일치
         [include(틀:상위 문서, top1=축구선수/목록/대한민국)]
         [include(틀:성남 FC/간략)]
  • 마카나이 요리 . . . . 2회 일치
          * http://kininarujoho-n.com/archives/1370
  • 마터니티 마크 . . . . 2회 일치
         1999년에 프리랜서 작가 마츠무라 준코(村松純子)가 임산부임을 어필하는 마크로서 『BABY in ME』를 발표( http://www.baby-in-me.com/ )했다. 이 마크의 디자인과 발표를 계기로 임신 초기 임산부에 대한 배려의 필요성이 알려져, 다양한 민간단체나 지방자치단체에서 다양한 종류의 임산부 어필 마크를 발표했다.
  • 모리시오 . . . . 2회 일치
         http://beneat.jp/divine/article/2009/004-morishio/index02.php
  • 몽키 D. 루피 . . . . 2회 일치
         [[include(틀:스포일러)]]
          * 이를 뛰어 넘는 것으로, [[범프 오브 치킨]]의 Sailing day MV에서는 무수한 루피(의 코스프레)가 뛰어다녔다.(...) 단, 이 경우는 해당 곡 자체가 원피스 4기 극장판 엔딩곡이었기 때문에 나온 연출.[* 여담으로 이 MV에는, 이 연출뿐만 아니라, 무수한 여고생들이 뛰어댕긴다거나(...), 갑자기 쓰레기 폭풍이 몰아친다거나(...) 하는 연출도 있다. 더 재미있는 건 이 상황에서도 열심히 라이브를 하는 [[Bump of Chicken]]의 모습(...)]
  • 몽키 D. 루피/작중행적 . . . . 2회 일치
         {{{Insert non-formatted text here}}}=== [[아마존 릴리|여인섬]], 그리고 [[보아 행콕]]과의 관계 ===
         --머리카락치워--[[바솔로뮤 쿠마]]때문에 [[샤본디 제도]]에서 [[아마존 릴리|여인섬]]에 떨어진다. 남자를 배척하는 섬에서 쫓기다가, 심지어 칠무해인 [[보아 행콕]]이 목욕하는 장면을 훔쳐보아 그야말로 죽을 위기. 보통 남자였다면 이 시점에서 돌이 되었겠지만 루피에게는 애초부터 사심 자체가 없기 때문에 돌이 되지 않았다.[http://web2.ruliweb.daum.net/ruliboard/read.htm?main=hb&table=cmu_yu03&left=j&db=2&num=53797 #] 결국 콜로세움에서 결투를 벌였다. 무장색 패기를 전혀 쓰지도 않고, 본인 특유의 뛰어난 완력만으로 엄청난 공격을 가한다. 게다가 패왕색 패기의 자질까지 보여 줘 모두가 놀랐다. 거기다 비록 싸우는 중이면서도 고르곤 자매가 숨기고 싶은 부분을 감싸주는 [[대인배]] 같은 모습을 본 행콕은 루피를 용서한다.
         하지만 코리다 콜로세움에는 [[성 정체성을 깨달은 아이|입구는 있지만 출구가 없어서]] 빙빙 돌다가, 베라미와 바르톨로메오를 만나 베라미를 통해 출구로 나올수 있게 되었다. 하지만 덕분에 이글이글 열매는 포기해야 해서 아쉬워하던 도중, 이글이글 열매는 자신이 가지겠다는 자가 나타나고 [[사보|그]]를 본 루피는 매우 놀란다.[* 처음에는 이글이글 열매를 갖겠다는 그의 말에 항의하는 듯하지만 곧 뭔가를 깨닫고....] 그것도 [[갓 에넬]]의 '''그 표정'''을 지으면서(…)[[http://static3.wikia.nocookie.net/__cb20131212015647/onepiece/images/b/b0/Luffy_Reacts_to_Meeting_Sabo.png #]]
  • 문경시 . . . . 2회 일치
         마성면''' || 麻城面 || 2,021 || 4,132 || 74.77||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ko/thumb/9/9c/Gbmbsine-map.png/401px-Gbmbsine-map.png
  • 문호월 . . . . 2회 일치
         {| class="infobox bordered" style="width:21em; cellpadding=2; font-size:85%; text-align:center;"
  • 미스터 마인드 . . . . 2회 일치
         Mister Mind
         [[DC 코믹스]]의 [[슈퍼 빌런]]. 첫등장은 Captain Marvel Adventures #22 - Shipyard Sabotage! (March 26, 1943)
  • 바실레이오스 1세 . . . . 2회 일치
         paradox interactive사의 시뮬레이션 게임인 [[crusader kings 2]]에서도 등장한다. 그의 힘을 나타내기위해서인지 '강인함'특성이 붙어있으며, 그외에 야망, 기만적, 용감함 등 그의 생애를 잘요약한 특성들이 붙어있다. 처음 능력치는 크게 좋지는 못하나, [* 오죽하면 숙련자들은 발칸반도밖에 영토가 없지만 사기 황제 알렉시오스 1세가 있는 알렉시아드 시나리오가 더 좋다고 할까(...)] 전쟁터에서 굴려주면서 성장시키먼 상당히 높은 능력치가 되준다. 다만, 시스템상 비잔티움은 황제가 되고 난뒤에 태어난 아이인 '자주색 혈통'특성을 가진 후계자가 우선 상속하기에, 십중팔구 콘스탄티노스가 살아있어도 레온이 황위에 오른다(...)
  • 박경석(1937) . . . . 2회 일치
         https://search.pstatic.net/common?type=a&size=120x150&quality=95&direct=true&src=http%3A%2F%2Fpeople.phinf.naver.net%2F20140602_205%2F1401698780463qS38a_JPEG%2Fchosun_400004020.jpg
         [include(틀:문서 가져옴,title=박경석,version=12)]
  • 박기환(정치인) . . . . 2회 일치
         [include(틀:경상북도 포항시장)]
         https://search.pstatic.net/common?type=a&size=120x150&quality=95&direct=true&src=http%3A%2F%2Fpeople.phinf.naver.net%2F20180106_221%2F1515169830191LxlXR_JPEG%2Fyonhapnews_28336015.jpg
  • 박상면(배우) . . . . 2회 일치
         [include(틀:표절,version=146번째 버전~255,source=나무위키)]
         [include(틀:이매진아시아 소속 아티스트)]
  • 박상원(배우) . . . . 2회 일치
         [include(틀:다른 뜻2, other1=한화 이글스 소속 야구선수, rd1=박상원(야구선수), other2=삼성 라이온즈 소속이었던 前 야구선수, rd2=박상원(전 야구선수))]
         2013년 [[tvN]] 백지연의 피플인사이드에서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6&oid=008&aid=0002983280|스티브 잡스는 인류의 재앙이라고 했다가 논란이 되었다]].
  • 박영진(코미디언) . . . . 2회 일치
         [include(틀:다른 뜻1, other1=야구인, rd1=박영진(야구))]
         || '''이름''' ||<(> 박영진^^朴永振^^[* [[2016년]] [[5월 15일]] 자 [[개그 콘서트]]의 [[아재씨]] 코너에서 직접 인증.] (Park Yeong-jin) ||
  • 박윤경(가수) . . . . 2회 일치
         {| class="infobox bordered" style="width:21em; cellpadding=2; font-size:85%; text-align:center;"
  • 박정수(정치인) . . . . 2회 일치
         https://search.pstatic.net/common?type=a&size=120x150&quality=95&direct=true&src=http%3A%2F%2Fpeople.phinf.naver.net%2F20140602_299%2F1401698744616dgGWs_JPEG%2Fchosun_400004664.jpg
         [include(틀:문서 가져옴,title=박정수,version=46)]
  • 박준규(1925) . . . . 2회 일치
         [include(틀:역대 대한민국 국회의장)]
         https://search.pstatic.net/common?type=a&size=120x150&quality=95&direct=true&src=http%3A%2F%2Fpeople.phinf.naver.net%2F20140602_280%2F1401695404612SygO4_JPEG%2Fyonhapnews_28335477.jpg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박준규, version=85)]
  • 박진석 (가수) . . . . 2회 일치
         |사진 = https://musicmeta-phinf.pstatic.net/artist/000/030/30187.jpg?type=r300&v=20180809154501
         인천 차이나 (Single)
  • 박학기 . . . . 2회 일치
         * 1집 《이미 그댄》[1989.05.10] [2012.02.03] Re-Mastering
         * 2집 《자꾸 서성이게 돼》[1990.11] [2012.02.03] Re-Mastering
  • 박홍우 . . . . 2회 일치
         대전고등법원으로 재직하던 2015년 2월 대전고등법원 제3행정부 재판장으로서 행정본안재판의 일부를 직접 맡았으며 가장 기억에 남는 사건으로 서울고등법원 배석판사 시절인 1995년 시위 진압과정에서 최루탄에 도망가다가 넘어져 질식사 사망한 성균관대 학생의 유족이 국가를 상대로 제기한 손해배상청구사건에서 국가의 손해배상책임을 인정하고 망인의 위자료를 5000만원 인정한 것과 2004년 [[세녹스]]의 석유사업법 위반 사건에서 1심에서의 무죄판결을 파기하고 유죄를 선고한 것을 들었다.<ref>[http://www.joongdo.co.kr/main/view.php?key=201509100056]</ref>
         * [[1991년]] ~ [[1992년]] 미국 [[코넬 대학교 법학대학원]] Visiting Scholar <ref>[http://www.kcllaw.com/prof/?no=667]</ref>
  • 박희광 . . . . 2회 일치
         [include(틀:건국훈장 독립장)]
         일본의 물가상승 등을 고려하면 300엔은 2011년 가치로 31만 1천엔 정도 되는 돈이다.[* [[https://www.measuringworth.com/japancompare/]] 에서 300엔, 초기년도 1922년, 환산년도 2011년으로 하면 나온다]
  • 배상면 . . . . 2회 일치
         대구에서 태어났다. [[경북대학교]] 농예화학과 졸업하고 1952년부터 대구에서 기린 주조장을 경영하며 1960년 기린 소주를 개발했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01&aid=0006303181 연합뉴스, 국순당 창업자 배상면씨 별세]</ref> 1983년 [[국순당]]의 전신이 된 배한산업을 설립하고, 1991년 [[백세주]]를 개발했다. 2002년에는 배상면 주류연구소 설립했다.
         * 《도전 없는 삶은 향기 없는 술이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03&aid=0005194161 뉴시스, 60년 전통주 외길 '배상면' 국순당 창업자 별세]</ref>
  • 백상원 . . . . 2회 일치
         시즌 후 곧바로 [[상무 야구단]]에 입대하여<ref>조이 뉴스 24 - 2010년 10월 26일 기사 [http://joynews.inews24.com/php/news_view.php?g_menu=702120&g_serial=523983 "홍희정의 아웃사이더: 퓨처스 남부 리그 수위 타자 백상원, 삼성 내야의 미래"]</ref> 복무를 마치고 [[2012년]]에 제대했다.
         [[2013년]] [[4월 27일]] [[KIA 타이거즈|KIA]]전을 앞두고 처음으로 1군에 등록되어 그 날 경기에서 대수비로 출전했다. 하지만 이후에는 1군에서 안타를 기록하지 못해 2군에 계속 머물러 있다가, [[김상수 (1990년)|김상수]]의 부상으로 다시 1군에 올라와 [[2013년]] [[10월 3일]] [[롯데 자이언츠|롯데]]전에서 [[김성배 (야구 선수)|김성배]]를 상대로 데뷔 첫 안타와 타점을 올렸다.<ref>[http://sports.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kbo&ctg=news&mod=read&office_id=109&article_id=0002629325 '백상원을 아시나요' 삼성의 화수분 야구는 계속 된다] - OSEN</ref>
  • 백승주(정치인) . . . . 2회 일치
         [include(틀:제20대 국회의원/경상북도)]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백승주, version=81)]
  • 벚꽃놀이 . . . . 2회 일치
          * http://www.yamanashinouta.com/kisetsunogyouji/ohanaminoyurai.html
  • 베를린 보병여단 . . . . 2회 일치
         Berlin Infantry Brigade
         베를린 보병여단 소속 차량들은 사각사각한 흰색-회색-갈색 위장무늬를 사용했다. 아마 시가전용 위장이었겠지만 아무리봐도 누더기나 레고 블록 쌓아둔 것 같다. 구글에 Berlin Brigade Camo라고 치면 이미지 나오니 알아서 찾아봐라.
  • 변요한 . . . . 2회 일치
         [Include(틀:상위 문서, top1=배우/한국)]
         [Include(틀:사람 엔터테인먼트 소속 아티스트)]
         ||<#FAECC5> '''링크''' ||<(> [[http://www.esaram.co.kr/main/bbs/board.php?bo_table=1_1&wr_id=2|공식사이트]] [[https://m.facebook.com/saram.byunyohan|[[파일:페이스북 아이콘.png|width=24]]]] [[https://www.instagram.com/byunyohan_official|[[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png|width=24]]]] [[http://cafe.daum.net/yoohh|[[파일:다음 카페 아이콘.png|width=24]]]] ||
         2011년 [[한국예술종합학교]] 작품인 [[단편영화]] 《[[토요근무]]》로 데뷔했다. 그다지 길지 않은 활동기간 동안의 작품활동이 대부분 [[독립영화]]로 이루어져있기 때문에 필모그래피에 등록된 영화보다 등록되지 않은 영화들이 더 많다. 들리는 바에 의하면 약 30편 정도가 더 있다고. ~~역시 독립영화계의 송중기.~~ 그 예로 영화《[[들개(영화)|들개]]》로 이미 합을 한 번 맞춘 적이 있는 배우 [[박정민(배우)|박정민]]과 함께한 《어쩔 수 없어요》, 《FLAMINGO》 등이 있다. ~~《FLAMINGO》 감독님 내한 기원[* 변요한이 직접 《FLAMINGO》에 애착이 있으나 공개할 방법이 마땅치 않다고 말했다. 이유는 감독님이 미국으로 가셔서 연락이 되지 않기 때문.]~~ 육룡이 나르샤 이후에는 뮤지컬(!) [[헤드윅]]에 출연한다.[* 육룡이 나르샤 촬영 시기와 겹쳐 1차, 2차까지 공개된 캐스팅 목록에 올라가 있지 않았다. 마침내, 4월 27일로 첫공 날짜가 정해졌다.] 이 작품은 평소에 외워 부르고 다닐 만큼 좋아하는 작품이었다고 한다.
         || FLAMINGO★☆ || 주연 || 명욱 ||
  • 봉화군 . . . . 2회 일치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1/1f/Korea-Bonghwa_County-Mount_Cheongnyangsan_in_Namnyeonri-01.jpg/270px-Korea-Bonghwa_County-Mount_Cheongnyangsan_in_Namnyeonri-01.jpg
  • 북한의 역사왜곡 . . . . 2회 일치
          * 참조 : [[http://www.rfa.org/korean/weekly_program/media_in_out/MediaInandOut-08032016100307.html 북한의 황당한 ‘월미도 방어’ 주장]]
         브레진스키는 광주민주화운동의 진압을 허가하고, ‘필요한 최소한의 무력 사용’을 주장했다는 주장이 있다.[[http://www.hani.co.kr/arti/international/america/796459.html 출처]] [* 그러나 이를 받아들이는 것은 광주민주화운동에 대한 단견적이고 음모론적인 해석이라는 지적도 있다.]
  • 빅터 차 . . . . 2회 일치
         조지 부시 행정부 시기, 백악관 국가안보회의 아시아 담당 보좌관을 역임했다. 또한 워싱턴 소재 싱크탱크인 국제전략문제연구소(Center for Strategic and International Studies in Washington, DC) 한국 석좌로 있다.
  • 살바도르 달리 . . . . 2회 일치
         2015년 필라 아벨 이라는 여성이 자신을 달리의 딸이라고 주장하면서 마드리드 법원에 소송을 냈다.[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5/04/20/0200000000AKR20150420001000072.HTML 참조]
         1988년 스페인의 화가이자 미술사학자 토메우 라모는 1988년 스페인 북부 지로나의 골동품점에서, 2만5천페세타(150유로)에 달리의 작품을 구입했다. 골동품점 주인은 써진 연대가 달리가 태어나기 전엔 1896년이므로 이 작품은 [[위작]]이라고 판단했으나 토메우 라모는 이를 진품이라고 생각해서 구입했고, 결국 2004년에서 2013년에 걸쳐서 감정을 한 결과 결국 달리가 17살 때인 1921년에 그려진 진품이라는 결론이 내려졌다. 그러나, 살바도르 달리 재단은 아직 달리의 진품으로 인정하지 않았다고 한다.[http://www.huffingtonpost.kr/2014/05/23/story_n_5377257.html 참조]
  • 상디 . . . . 2회 일치
         ||<tablealign=center><tablewidth=60%> attachment:Example.jpg?width=200 || attachment:/Sanji_Anime_Post_Timeskip_Infobox.png?width=220 ||
         || 한국판[* 한국판에서는 무려 세 명의 성우가 맡았는데, 각 성우의 해석이 조금씩 달라 어느 쪽이 낫다라고 말하기는 힘들지만, 대체적으로 김일의 해석이 더 디테일하고 맛깔난다는 의견이 많다. 그래서 쓰레기 퀄리티로 욕먹는 ~~대~~원피스 Original에서 유일하게 건질 만한 게 김일의 상디라는 말까지 나왔다. ~~여기에 11기에서 [[브룩(원피스)|브룩]]에 [[이인성(성우)|이인성]]이 캐스팅되면서 건질 게 더 늘었다~~ 다만 투니판을 맡은 박성태 버전도 꽤 괜찮은 연기로 호평이 많다. 양석정 버전은 특유의 음색 탓인지 셋 중 가장 평이 좋지 않다.] || [[이유리(성우)|이유리]](대원방송), [[김영은]](투니버스), [이현주(성우)|이현주](KBS) || [김일(성우)|김일](KBS, 대원방송), [[양석정]](KBS)[* 성우 교체에 얽힌 이야기가 참 복잡한데 2006년경 터진 [[흑역사가 된 것들/성우#s-1.1|KBS 성우 스캔들]]로 인해 김일을 포함한 3명의 성우가 6개월에서 1년의 자격 정지를 당해 양석정으로 교체되었고 투니버스에서 방영될 때쯤에는 김일의 자격 정지는 풀렸지만 성우 본인이 투니버스 출연을 거부하고 있어서 결국 박성태에게 넘어갔다.], [[박성태]](투니버스) ||
         흔히 2차 창작에서는 [[벽안]]으로 자주 묘사되지만 공식 설정 상으로는 그냥 까만 콩눈. 그런데 애니판에서 등장한 상디의 눈이 벽안이다! 정확히는 상디 in 나미의 눈이 갈색에서 벽안으로 바뀌었는데 눈동자가 워낙 작은 [[삼백안]]이라서 벽안이 검은 콩눈으로 보였던 것이다.
  • 서수민 . . . . 2회 일치
         |||| http://post.phinf.naver.net/MjAxNzA0MjdfMjM3/MDAxNDkzMjc5NjY0Mjc1.F18-ABgkrSqAonqfUEy_pa-O1bd-pQem9oRmzkn2fJIg.v2qm7g9GyHYD3NfPfh5ESKVP-p_n0rucn_1A7GNE-VUg.JPEG/I07WFBiCdwpzAzgPFJsdBmUl_2cU.jpg ||
         [[어서옵SHOW]]를 담당하던 도중, 2016년 8월 10일에 KBS 사표를 낸 다음 몬스터 유니온에 합류했다. [[http://entertain.naver.com/read?oid=144&aid=0000446208|#]]
  • 서영무 . . . . 2회 일치
         [[대구광역시|대구]] 출신으로 [[대구상원고등학교|대구상고]]와 [[경북대학교|경북대]]를 졸업했다. 이후 공군 등 실업 야구 팀에서 선수 생활을 하였지만, 선수 시절에는 크게 주목받지 못했다. 주 포지션은 [[내야수]]였다. 모교 [[대구상원고등학교|대구상고]]의 감독을 맡았다가 [[일본]]에 야구 연수를 다녀왔고, [[1967년]]부터 [[경북고등학교]] 야구부 감독을 맡아 명성을 쌓았다. [[1971년]]에는 전국 고교 대회를 모두 석권하는 위력을 보여 주며 고교 야구계에서는 '''"우승 제조기"'''로 불렸다.<ref>[http://sports.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kbo&ctg=news&mod=read&office_id=022&article_id=0000100831 한국 야구 100주년 ⑬ 우승 제조기 서영무] - 세계일보</ref> 이후 [[한양대학교]], [[서울고등학교]], [[중앙대학교]] 야구부 감독으로 일하다가 [[1982년]] [[KBO 리그]]가 출범하자 연고 팀 [[삼성 라이온즈]]의 초대 감독에 임명되었다.
         [[경북고등학교|경북고]] 출신의 명 선수인 [[이선희 (야구인)|이선희]], [[황규봉]], [[배대웅]], [[조창수]], [[임신근]], [[강문길]] 등이 그의 제자였기 때문에 '''대구 야구의 대부'''라고 불리며, 엄격한 훈련과 함께 선수들의 책임과 품위를 철저히 강조한 감독이었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88&aid=0000199354 with 라이온즈 열정의 30년 ⑩‘대부’의 쓸쓸한 퇴장, 원년 감독 서영무] - 매일신문</ref>
  • 서용주 . . . . 2회 일치
         [include(틀:상위 문서, top1=야구 관련 인물(KBO))]
         8월 23일에 [[김선빈]]과 [[최희섭]]이 부상으로 1군 엔트리에서 제외되면서 [[윤완주]]와 함께 1군에 콜업, 처음으로 1군 무대에 오르게 되었다. [[http://sports.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kbo&ctg=news&mod=read&office_id=076&article_id=0002380944|기사]] 그리고 8월 25일 목동 넥센전에서 9회초 [[이용규]]의 대주자로 1군 데뷔전을 치렀다. [[박기남]]의 적시타로 2루까지 진루하였으나 후속타 불발로 득점에는 실패하였다.
  • 서지석(배우) . . . . 2회 일치
         || '''사이트''' ||<(> [[https://www.instagram.com/seostar09|인스타그램]] [[http://cafe.daum.net/jisuk81|팬카페]] ||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001&oid=213&aid=0000328493|2013년 5월 18일에 5세연하 플로리스트랑 결혼했다.]]'''
  • 세종특별자치시 . . . . 2회 일치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8/80/Sejong_Public_Bicycle_Ouling_at_Government_Complex_Sejong.jpg/250px-Sejong_Public_Bicycle_Ouling_at_Government_Complex_Sejong.jpg
  • 소냐(가수) . . . . 2회 일치
         [include(틀:-)]
         # ''Filling Up'' (2000.10.26)
  • 소벌도리 . . . . 2회 일치
         [[일연]]의 《[[삼국유사]]》의 기록에 따르면 소벌도리는 하늘에서 형산으로 내려와 돌산고허촌의 촌장이 되었다고 한다.<ref name="연합1">[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3&oid=001&aid=0001447848 <덕천리 유적과 돌산 고허촌과 소벌도리> :: 네이버 뉴스<!-- 봇이 붙인 제목 -->]</ref> [[기원전 69년]]에 6부의 촌장들이 모여 덕(德)이 있는 자를 찾아 왕으로 삼고 수도를 정해 나라를 열 것을 결의하였는데 나정(蘿井)에서 이상한 기운이 비치는 것을 보고 찾아가서 붉은 알을 얻었다고 한다. 그 알에서 나온 아이가 [[박혁거세]]이며, [[기원전 57년]]에 왕으로 옹립하여 [[신라|사로국]]을 건국하였다. 《[[삼국사기]]》는 나정에서 알과 혁거세를 처음 발견하여 양육한 것이 소벌공이라 기록하고 있다. 고허촌은 [[신라 유리왕|유리왕]] 때 사량부(沙梁部)로 개칭되고 최씨(崔氏) 성을 하사받았다고 한다. 반면 《[[삼국유사]]》에는 정씨(鄭氏)의 조상이라 기록되어 있다. 이후의 생애는 알려져 있지 않다.
         * [http://www.jinjusossi.co.kr/old/sub01_2.htm?multi=a2 진주소씨 대종회]
  • 손지창 . . . . 2회 일치
         {| class="infobox bordered" style="width:21em; cellpadding=2; font-size:85%; text-align:center;"
  • 손치은 . . . . 2회 일치
         |url=http://www.donga.com/docs/magazine/shin/2006/06/12/200606120500001/200606120500001_1.html
  • 송가인 . . . . 2회 일치
         | 원어이름 = Ga In Song
         | 웹사이트 = {{인스타그램|Songgain_|송가인|창녕송가인}}
         '''송가인'''(Ga In Song, {{본명|이은심|창녕송은신}}, [[1963년]] [[12월 26일]] ~ )은 [[대한민국]]의 [[범죄인]]이다.
         * {{인스타그램|Songgain_|송가인}}
  • 송언석 . . . . 2회 일치
         [include(틀:제20대 국회의원/경상북도)]
         [include(틀:제20대 국회의원/자유한국당)]
  • 송원근(배우) . . . . 2회 일치
         || '''데뷔''' ||<(> [[2000년]] [[OPPA]] 2집 Reincarnation[* 활동 초기에 OPPA는 다른 멤버로 구성되어 있었다. 송원근은 1집 활동 후 유닛 활동을 위한 새 멤버로 영입되었다가, 유닛 활동이 흐지부지되고 멤버 교체가 이루어진 후에 발매된 2집 앨범에서 본격적으로 활동했다. OPPA 멤버로서 활동했을 때의 예명은 "한글". 그리고 이 때 같이 활동했던 멤버 중 1명이 배우 유건(당시 예명은 국철)이다.] ||
         || '''링크''' ||<(> [[https://instagram.com/swg_1126|인스타그램]] [[http://www.cyworld.com/R-UN/|미니홈피]] ||
  • 송진현 . . . . 2회 일치
         * [[서울고등법원]] 특별8부 재판장으로 재직하던 2004년 10월 22일에 [[민주사회를 위한 변호사 모임]]이 '효순·미선양 사망 사건'과 관련해 미군 2명을 소환해 조사했던 [[의정부지방검찰청]]을 상대로 "관련 수사 기록을 공개하라"며 낸 소송의 항소심에서 "원고들이 청구한 정보 내역 가운데 피의자 신문 조서 등은 정보공개법상 비공개 대상 정보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하면서도 "장갑차 운전병과 관제병에 대한 미군측 군사재판 원고 사본 등은 원심대로 한미 관계 등을 감안해 공개되지 않는 것이 타당하다"며 원심대로 원고 일부 승소 판결했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08&aid=0000465906]</ref>10월 25일에 지난 2001년 대우자동차 정리해고 반대집회에서 폭력을 휘두른 혐의로 집행유예를 선고받고 다니던 회사에서 해고된 송모씨가 "단체협약에 정한 징계절차를 거치지 않은 채 해고한 것은 부당하다"며 중앙노동위원회를 상대로 낸 부당해고구제 재심판정 취소소송에서 "노조활동에는 집회참가도 포함되고 따라서 [[집시법]]에 의해 형사처벌을 받더라도 당연해고할 수는 없다”면서도 "집회 도중 자의적인 폭력행위는 조합활동의 일부라고 볼 수 없다"며 "집회에서 폭력을 행사한 것은 명백한 불법행위로 당연해고 사유에 해당한다”며 원심을 깨고 원고패소 판결했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28&aid=0000083535]</ref>
  • 시카고 컵스 . . . . 2회 일치
         2016년 월드 시리즈에서 우승했다. 108년만의 승리라고. [[https://www.google.co.kr/amp/s/amp.cnn.com/cnn/2016/11/02/sport/world-series-game-7-chicago-cubs-cleveland-indians/index.html|CNN 링크(영어)]]
  • 신은정 . . . . 2회 일치
         | 웹사이트 = [http://www.popeye-ent.com/artist/shin.html 뽀빠이엔터테인먼트 신은정]<br>{{싸이월드|41418822}}
         * {{IMDb 이름|1945913|Eun-Jeong Sin}}
  • 아마쿠사 키리시탄 진중기 . . . . 2회 일치
         잔 다르크의 군기는 실물은 현존하지 않으며, 현대 프랑스에서는 '표준 도안'이 제시되고 있지만 이 도안은 순차적으로 후대에 만들어진 것이다. 잔 다르크의 군기는 개념은 있지만 특정한 실물은 아니고 유물적 가치가 있는 것은 아니다.[[http://saint-joan-of-arc.com/banner.htm (참조)]] [[http://www.stjoan-center.com/j-cc/ (참조)]]
          * http://www.suginami-s.net/travelrep/world_data/wouldbig3.html
  • 아워맨 . . . . 2회 일치
          본명 리처드 "릭" 타일러(Richard "Rick" Tyler). 첫등장은 DC Sampler #2(September 1, 1984)[* 정보에 따라 Infinity Inc. #20(1985)에 등장하고, 아워맨 데뷔는 그 다음인 #21에서 이루어졌다는 정보도 있다.] 초대 아워맨의 아들이며 한시간동안 무작위로 미래를 보며 미러클로를 이용해 힘, 스피드, 민첩성, 반사신경, 내구력을 한시간동안 증가시킨다. 다만 미러클로가 건강에 불친절한 약이라 하루에 한번만 사용한다. 그외 시간이 정지한 곳으로 보내주는 모래시계 타임포인트를 가지고 있다.
          853세기에 만들어진 안드로이드. 첫등장은 JLA Secret Files and Origins #1(September 1, 1997)[* JLA(third series) #12(December 1997)라는 정보도 있다.] 매튜 타일러(Matther Tyler)라고도 한다.
  • 안영준 . . . . 2회 일치
         [include(틀:상위 문서2, top1=농구 관련 인물(한국), top2=동명이인/ㅎ)]
         [include(틀:서울 SK 나이츠/선수단)]
         |||||||||| '''2018 KBA [[3X3 농구|3X3]] 코리아투어 최강전(FINAL) 통합 오픈부 MVP''' ||
  • 안효민 . . . . 2회 일치
         * [[소년탐정 김전일 Original]] - 유게
         * [[원피스 (만화)|원피스Original]] ([[챔프TV]]) - '''오즈''' / '''쿠마시''' / '''바솔로뮤 쿠마'''/ '''돈 앗치노'''/ '''트로프''' / ''' 카르네 ''' / ''' 탕수이'''/ ''' 햄버그'''/ '''소돔''' / '''사카즈키'''
  • 애니멀-베지터블-미네랄맨 . . . . 2회 일치
         Animal-Vegetable-Mineral Man
         [[DC 코믹스]]의 [[슈퍼 빌런]]. 첫등장은 Doom Patrol #89 - The Animal-Vegetable-Mineral Menace! (August 1, 1964)
  • 양희승 (작가) . . . . 2회 일치
         * [[2014]] [[tvN 월화드라마]] 《[[고교처세왕]]》(High School King of Savvy 高校處世王)
         * [[2016]] [[MBC 수목드라마]] 《[[역도요정 김복주]]》(Weighlifting Fairy Kim Bok Ju 擧重妖精金福珠)
  • 어쌔신 크리드 III . . . . 2회 일치
         [[http://assassinscreed.wikia.com/wiki/Assassin%27s_Creed_Wiki|어쌔신 크리드 위키]] - 한국판은 번역된 양이 많지 않다.
  • 오방낭 . . . . 2회 일치
         2013년 박근혜 대통령의 취임식에서 등장한 바 있다. 이 때 오방색의 방위가 잘못되었다는 지적이 있다. 방위가 상생이 아니라 상극을 상징하게 되어 오히려 화를 불러올 수 있다는 주장이다.[[http://news.joins.com/article/20784391 (중앙일보)]][[http://www.asiae.co.kr/news/view.htm?idxno=2016102709342496489 (아시아경제)]]
          * http://news.joins.com/article/20784391
  • 오유나 . . . . 2회 일치
         | 웹사이트 = {{인스타그램|vyulha_oh}}<br>{{싸이월드|62259015|오수민}}<br>{{트위터|ssumin2|오수민}}
         * {{트위터|ssumin2}}
  • 온주완 . . . . 2회 일치
         [include(틀:상위 문서, top1=배우/한국)]
         || '''링크''' ||<(> [[http://www.willent.co.kr//|공식 사이트]], [[https://instagram.com/onjuwan1211/|[[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png|width=24]]]] ||
         [Include(틀:-)]
  • 요시다 세이지 . . . . 2회 일치
          * http://news.joins.com/article/20572010
          * http://www.hani.co.kr/arti/international/japan/660169.html
  • 용융금속형 . . . . 2회 일치
          * [[크라수스]] : [[파르티아]]와의 전투에서 패배하고, 사망 후에 시신의 목에 당하였다.[[https://jmagazine.joins.com/forbes/view/313410 (참조)]]
  • 우건도 . . . . 2회 일치
         [[2018년]] [[3월 6일]], [[더불어민주당]] 내에서 또다시 논란이 발생하였다. 이번엔 [[충청북도]] [[충주시]]장 선거에 나선 우건도 더민주 예비후보에 대한 논란이다. 우건도 예비후보한테 피해를 봤다는 사람이 실명을 공개하며 글을 작성하고, 우건도 예비후보는 완전한 허위라며 [[무고죄]]대응을 한다고 발표하였다. [[http://www.newsis.com/view/?id=NISX20180306_0000243911&cID=10806&pID=10800|"현재 충북도청 공무원이다"…'미투' 작성자 신분 밝혀]]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8/03/06/0200000000AKR20180306076351064.HTML|미투 논란 우건도 충주시장 예비후보 "음해"vs"13년전 사실"(종합)]]
         3월 7일, 기자회견을 열어 “게시글에 ‘2005년 6월 우 후보가 총무과장으로 근무할 때의 일’이라고 했으나 실제 총무과장 근무기간은 2005년 7월 25일부터 그 해 9월 4일까지였다"며 “폭로 글은 악의적으로 날조된 허위가 분명하다”고 주장했다. 이어 ”게시자가 성추행을 당한 날 모 식당에서 마셨다는 주류도 판매한 적이 없다고 주류 납품 업체가 확인해줬다”고 부연 설명했다. 현재 우 예비후보 관련 미투 폭로 글은 작성자에 의해 민주당 도당 홈페이지에서 모두 삭제된 상태다.[[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hm&sid1=102&oid=469&aid=0000283022|*]]
  • 우의형 . . . . 2회 일치
         1948년 태어난 우의형은 [[경기고등학교]]와 [[서울대학교]] 법학과를 졸업하고 1971년 제13회 [[사법시험]]에 합격했다. 1977년 [[서울가정법원]] 판사에 임용된 이후 [[서울고등법원]], 서울형사지방법원 등에서 판사를 하다가 법원행정처에서 조사심의관으로 지냈으며 2003년에 서울지방법원 의정부지원장, [[청주지방법원]], [[인천지방법원]], [[서울행정법원]]에서 법원장을 역임하고 퇴직한 2005년에 변호사 우의형 법률사무소를 개업했다. 2009년 7월 22일에 제17대 영남대 재단 이사장,<ref>[http://www.hani.co.kr/arti/society/society_general/367375.html]</ref> 2011년 11월 10일에 주식회사 화진 사외이사에 선임되었다.<ref>[http://news.mt.co.kr/mtview.php?no=2011111017081381674&outlink=1&ref=https%3A%2F%2Fsearch.naver.com]</ref>
         * 서울고등법원 특별11부 재판장으로 재직하던 2001년 3월 22일에 이우자 [[상문고등학교]] 재단인 동인학원 이사장 등 민선이사 6명이 서울시 교육감을 상대로 낸 임원승인 취소처분 취소청구 항소심에서 원심을 깨고 원고패소 판결을 했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9&aid=0000102350]</ref>
  • 우츠미 사토루 . . . . 2회 일치
         헤이세이 25년 4월 우시쿠 동양의학 클리닉 폐원. Tokyo DDC(drug-deprivation-clinic) 개업.
          * http://tokyo-dd-clinic.com/
  • 우현(배우) . . . . 2회 일치
         [include(틀:상위 문서, top1=배우/한국)]
         [include(틀:관련 문서, top1=경상북도/인물)]
  • 워터보딩 . . . . 2회 일치
         Waterboarding. [[물고문]]의 일종. 헝걷이나 비닐로 얼굴을 덮고 짧은 시간 동안 물을 졸졸 부어주는 고문이다. [[관타나모]] 수감자들에게 [[CIA]]가 행한 대표적인 고문으로 알려져있다.
         [[http://www.huffingtonpost.kr/2014/12/10/story_n_6298652.html|헌팅턴포스트 - (CIA 고문 보고서) 마침내 드러난 잔혹한 고문실태]]
  • 원피스/869화 . . . . 2회 일치
          * 악의 히어로 GERMA 66(제르마 더블 식스) 등장이다. Sparking RED 이치디, Dengeki BLUE 니디, Poison PINK [[빈스모크 레이쥬|레이쥬]], Winch GREEN [[빈스모크 욘디|욘디]]. 그리고 저지.
  • 월드 인 컨플릭트/전술지원 . . . . 2회 일치
         === 공수보병(Airborne Infantry) ===
         == 무차별 공격(Indiscriminate Attacks) ==
         === 융단폭격(Carpet Bombing) ===
  • 윌밍턴 . . . . 2회 일치
         Wilmington. 미국 [[노스캐롤라이나]]에 위치한 항구 도시.
         [[http://www.wilmingtonnc.gov/|윌밍턴시 웹사이트]]
  • 윤다훈 . . . . 2회 일치
         ||<#40E0D0> '''{{{#ffffff 링크}}}''' ||<(> [[http://www.vine-ent.co.kr/artists/artists_detail.aspx?seq=6|공식사이트]] ||
         ||<#40E0D0> '''{{{#ffffff SNS}}}''' ||<(> [[https://www.instagram.com/yoon_dahoon/|[[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png|width=24]]]] ||
  • 윤석용 . . . . 2회 일치
         [[2012년]] [[2월 14일]] 자신이 회장으로 있는 대한장애인체육회가 후원받은 8275만원 상당의 옥매트 250개를 횡령해 지역 복지단체와 동료의원 사무실 등에 임의로 전달한 혐의, 자신의 지역구(서울 강동을) 선거구민과 연관된 단체에 축구공 100개와 30여만원 상당의 김ㆍ빵을 기부해 [[공직선거법]]을 위반한 혐의, 2011년 8월 [[서울시 무상급식 주민투표]]를 앞두고 장애인체육회 직원 20여명을 동원해 단계적 무상급식을 찬성하는 내용의 투표 운동을 시켜 주민투표법을 위반한 혐의로 검찰에 의해 불구속 기소되었으며, 횡령혐의는 무죄, 나머지 혐의에 대해서는 벌금형을 선고받고 확정되었다.<ref>{{웹 인용|제목=옥매트 횡령 윤석용 의원 불구속 기소(종합)|url=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01&aid=0005512434.html|저자=[[연합뉴스]]|확인날짜=2012-02-14}}</ref>
         2010년 5월 장애인체육회 회장실에서 간부들이 보는 앞에서 직원을 지팡이로 때린 공소사실에 대해 1심 유죄가 인정되어 벌금형을 선고받아 문체부로부터 2013년 1월 22일 대한장애인체육회장직을 직무정지당했으나, 법원 가처분 판결을 통해 복직되었다.<ref>{{웹 인용|제목='직원 폭행' 윤석용 장애인체육회장 직무정지(종합)|url=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3/01/22/0200000000AKR20130122199251007.HTML?did=1179m|저자=[[연합뉴스]]|확인날짜=2013-01-22}}</ref>
  • 윤선우 . . . . 2회 일치
         '''윤선우'''({{본명|윤민수}}, [[1985년]] [[9월 7일]] ~ )는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2019년 《[[왜그래 풍상씨]]》에 이어 KBS 1TV 일일드라마 《[[여름아 부탁해]]》에서 유학파 셰프 주상원 역을 맡았다.<ref>{{뉴스 인용|url=http://vertical.kbs.co.kr/index.html?sname=story&source=scoop&stype=magazine&contents_id=70000000324106|제목=KBS스토리매거진|성=|이름=|날짜=2019.4.29|뉴스=윤선우, “셰프 주상원을 부탁해”|출판사=|확인날짜=}}</ref>
  • 윤정희(1980) . . . . 2회 일치
         ||||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0/00/Yoon_Jung-hee_%28South_Korean_actress%2C_born_1980%29_in_July_2008.jpg/250px-Yoon_Jung-hee_%28South_Korean_actress%2C_born_1980%29_in_July_2008.jpg ||
  • 윤철종 . . . . 2회 일치
         이 때문에 아무리 인기가 많고 노래 좋다는 사람이 많아도 '''돈 내고''' 살 수 있는 사람들은 성인들 밖에 없고, 주요 고객인 청소년들은 사고 싶어도 노래를 살 수가 없게 되었다. 더 웃긴 건, 앨범 수록곡인 'Kingstar'[* 뒤집으면 '스타킹'이다. 본격 다리 [[페티시]] 노래]는 '''유해매체가 아니라는 것'''이다. 지금은 뒤바뀌어 Kingstar가 유해매체다.
  • 이갑성 . . . . 2회 일치
         |url=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6&oid=001&aid=0000925962
         [[한국 전쟁]] 중이던 [[1952년]] [[10월]] 이승만(李承晩)대통령으로부터 전시내각(戰時內閣)의 [[대한민국의 국무총리|국무총리]](國務總理)에 임명되기도 했다.<ref>[https://search.i815.or.kr/Indeman/Indeman.jsp?tid=ma&c1=%ED%9B%88%EA%B2%A9 ::: 독립기념관에 오신 여러분을 환영합니다. ::::<!-- 봇이 따온 제목 -->]</ref> [[11월]]에는 정식 [[국무총리]]로 국회에 인준하였으나 부결되었다.<ref>대통령비서실, 《한국정치 이대로는 안 된다》 (역사비평사, 2008) 74페이지</ref>
         {{Col-begin}}
  • 이강덕 . . . . 2회 일치
         [include(틀:경상북도 포항시장)]
         [include(틀:경상북도의 기초자치단체장)]
  • 이민아 (축구선수) . . . . 2회 일치
         |로마자 표기 = LEE Mina
         * {{인스타그램|mina_world_|이민아}}
  • 이병규 (1983년) . . . . 2회 일치
         [[2009년]] [[8월 8일]]에 [[투수]] [[서승화]]가 2군에서 일으킨 구타 사건의 피해자로 널리 알려졌고, 이 사건이 드러나면서 [[서승화]]로 예고됐던 [[롯데 자이언츠|롯데]]전 선발 [[투수]]가 [[박지철]]로 교체되는 해프닝이 벌어졌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39&oid=032&aid=0002025836 이대호 연타석포 롯데, 5연패 탈출 4위로] - 경향신문</ref>
         왼쪽 무릎 십자인대 파열로 병역이 면제되었으며, 고질적인 무릎 부상으로 [[2011년]]에는 재활군에 머무르다가 후반기에 복귀하여 33경기에 출전했다.<ref>[http://sports.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kbo&ctg=news&mod=read&office_id=109&article_id=0002295995 LG는 왜 최희섭에 관심이 없을까?] - OSEN</ref>
  • 이보림 . . . . 2회 일치
         [include(틀:아이돌 리부팅 프로젝트 - 더 유닛/참가자)]
         ||<:><#202020> {{{#fff '''FINAL'''}}} ||<:> 17 ||<:> {{{#red ▲}}}1 || 탈락 ||
         더 유닛 종료 후 언론 인터뷰에서 소감으로 [[http://entertain.naver.com/read?oid=312&aid=0000317482|"스스로 성장했다는 것을 많이 느꼈다"]]고 말했다.
  • 이선미 (소설가) . . . . 2회 일치
         * 김뉘연 기자, [http://www.film2.co.kr/feature/feature_final.asp?mkey=4805 언제나 해피엔딩, <커피프린스 1호점> 작가 이선미] 《FILM2.0》 (2007.8.31)
         * 남은주 기자, [http://www.donga.com/docs/magazine/woman/2007/09/20/200709200500000/200709200500000_1.html <nowiki>[‘커피프린스 1호점’이 궁금하다 | 작가 인터뷰]</nowiki> - 방송계에 로맨스 바람 몰고 온 작가 이선미] 《여성동아》 (2007년 9월호)
  • 이성희(배구감독) . . . . 2회 일치
         그리고 12월 29일 [[수원 현대건설]]과의 홈 경기에서는 아예 3세트 때 헤일리를 빼 버리기도 했다. 이날도 당연한 소리같지만 '''패했다'''. 사실 이에 대해서도 [[논란]]이 많은데, 헤일리를 위해 다음 경기를 위해 체력을 안배하려는 의미에서 뺐다는 추측도 있었지만 감독부터가 아예 경기를 포기한 것이 아니냐는 의견도 적지 않았다. 특히 헤일리가 빠진 3세트는 그야말로 경기력이 처참한 수준. 이것만 봐도 감독이란 인간이 3년동안 부임 이래로 국내 선수들을 전혀 키우지 않았다는 결론이 나온다. 그냥 이렇게 지면 지워버리기라도 하면 되지만 2세트나 15점 이하의 득점도 모자라 현대건설의 16경기 연속 기록까지 갈아 치워주는 굴욕까지 당하며 1229 대첩을 발발하게 한 단초를 제공했다. '''이는 이성희가 그만큼 국내 선수들을 보는 안목이 전혀 없다는 얘기나 마찬가지다'''. 게다가 [[http://gall.dcinside.com/board/view/?id=volleyball&no=1478772&page=1&exception_mode=recommend|예전 용병 조이스를 깠던 적이 있는 인터뷰까지 발굴되면서]] 가뜩이나 안 좋은 이런 상황은 더욱 이성희에게 안 좋게 흘러가는 중. --그래도 안 짤렸던 것이 [[함정]].--
         2018년 4월, [[전라북도]] [[고창군]]의 흥덕초등학교 배구부 감독으로 선임되었는데, "유소년 배구가 활성화돼야 대한민국 배구가 발전할 수 있다는 평소의 소신에 따른 것"이라고 밝혔다.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1&aid=0010017732|#]] 참고로, 해당 학교는 전교생이라고는 고작 72명에 불과한 완벽한 [[분교장|농촌학교]]며, [[송희채]]의 모교이기도 하다.
  • 이승현 (1985년 7월) . . . . 2회 일치
         [[2006년]] [[부산 아이파크]]에서 데뷔하여, 좋은 활약을 펼치며 주전 자리를 차지하였다. [[2007년]] 십자인대 파열 부상을 당한 후 슬럼프를 겪기도 하였지만, 팀의 중심 선수로 활약하였다. [[2007년]] [[터키 수페르리그]]의 [[베식타시 JK]]로부터 이적설이 떠돌기도 하였다.<ref>[http://joynews.inews24.com/php/news_view.php?g_menu=702210&g_serial=241406 박병규-조용형-이승현, 터키 무대서 '러브콜' ]</ref>
         2011년 1월 11일, [[정성훈 (1979년)|정성훈]]과 함께 [[전북 현대 모터스]]로 이적하였다.<ref>{{뉴스 인용 |제목=전북-부산, 2대2 트레이드…정성훈, 이승현 전북행 |url=http://sports.media.daum.net/soccer/news/breaking/cluster_view.html?newsid=20110111101107782&clusterid=267505&clusternewsid=20110111115209319&p=sportalkr |출판사=스포탈코리아 |date={{날짜한글화|2011-1-11}} }}</ref>
  • 이승현(농구선수) . . . . 2회 일치
         대학 말년에 장착한 3점슛이 큰 효과를 보이며 높은 성공률을 기록, 준수한 활약을 펼치고 있다. 덤으로 넓은 시야를 바탕으로 좋은 패스를 보여주고 있다. 그 중 압권은 접전상황에서 결승 득점을 만들어주는 백도어 컷인 패스를 건네준 [[http://sports.news.naver.com/videoCenter/index.nhn?uCategory=kbasketball&category=kbl&listType=game&date=20141023&gameId=&teamCode=&playerId=&keyword=&id=101921&page=1|바로 이 장면이다]]. 이게 신인의 플레이가 맞냐는 평가.
         이란전에서도 좋은 활약을 이어나가 승리에 공헌했다. [[http://gall.dcinside.com/board/view/?id=basketball&no=4165541&page=1&exception_mode=recommend|이란의 분노조절장애를 해결해줬다 카더라]]
  • 이안 (시인) . . . . 2회 일치
         아트 앤 스터디<ref>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artnstudy&logNo=220082052975</ref>, 현대시학 동시 창작 교실, 한겨레문화센터 신촌<ref>http://www.hanter21.co.kr/jsp/huser2/educulture/educulture_view.jsp?&category=academyGate7&tolclass=0001&lessclass=0001&subj=F91698&gryear=2016&subjseq=0001&booking=&moptNo</ref> 등에서 동시 창작을 가르치며,
         2007년 『치워라, 꽃!』<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3&oid=038&aid=0002131645</ref>(실천문학사)
  • 이영희 (1936년) . . . . 2회 일치
         [[대구광역시|대구]]에서 출생한 그녀는 [[1994년]]에는 프랑스 파리에서,<ref>[http://news.joins.com/article/18725617 반평생 바친 한복, 한류 명품으로 키울 자신 있어요] 《중앙일보》 2015-09-23</ref> [[2001년]] [[6월 7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수도 [[평양직할시|평양]]에서 자신의 작품을 전시하였다.<ref>[http://entertain.naver.com/read?oid=001&aid=0007108528 한복 디자이너 이영희의 인생 이야기] 《연합뉴스》 2014-09-06</ref> 또 2005년 APEC 정상회의 때는 APEC 정상회의의 이벤트였던 전통의상 부문에서 참가국 정상들의 두루마기를 제작한 바 있다.<ref>[http://www.hankyung.com/news/app/newsview.php?aid=2016012674691 APEC 정상들의 두루마기 패션쇼] 《한국경제》 2016-01-26</ref> 배우 [[전지현]]의 시외조모이다.<ref>[http://news.ichannela.com/enter/3/06/20151004/73990365/1 ‘전지현 시할머니’ 이영희, 누구 한복 만들었나] 《채널A》 2015-10-04</ref>
  • 이원재(축구선수) . . . . 2회 일치
         [include(틀:상위 문서, top1=축구선수/목록/대한민국)]
         [include(틀:관련 문서, top1=축구 해외파 선수들)]
  • 이은혜 (레이싱모델) . . . . 2회 일치
         * 2012년 5월 온게임넷 [[TEKKEN BUSTERS|철권 버스터즈]] 걸<ref>[http://www.fomos.kr/board/board.php?mode=read&keyno=124410&db=issue 테켄 버스터즈의 라운드 걸은 누구?]</ref><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5&oid=023&aid=0002390580 돌아온 철권리그, 섹시한 버스터즈걸로 열기 더한다]</ref>
         * [https://www.instagram.com/eunhyeato/ 이은혜 인스타그램]
  • 이인성 (화가) . . . . 2회 일치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c/cb/Someday_of_autumn_by_Yi_in-seong.jpg/200px-Someday_of_autumn_by_Yi_in-seong.jpg
  • 이재황(배우) . . . . 2회 일치
         [include(틀:상위 문서, top1=배우/한국)]
         || [[2007년]] || 넌 어느 별에서 왔니 OST || Still loving you || 일본 보너스 트랙 ||
  • 이정무 . . . . 2회 일치
         ||<table align=center><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1B5B40><#1B5B40><-5><:> [[자유민주연합|[[파일:jaminmini.png|width=60]]]] [[자유민주연합|{{{#FFFFFF ''' 자유민주연합 원내총무 ''' }}}]] ||
  • 이정호 (1982년) . . . . 2회 일치
         [[2004년 한국시리즈]]에서 [[현대 유니콘스]]에 패해 준우승에 그친 [[삼성 라이온즈]]는 시즌이 끝나고 그 해 자유계약선수 자격을 얻게 된 [[박진만]]과 [[심정수]]를 잡게 되었고, 이 과정에서 이정호가 보상 선수로 지명되어 그는 고향 팀을 떠나게 되었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7&oid=003&aid=0002545786 히어로즈 이정호 힘찬 부활의 날갯짓] - 뉴시스</ref> 현대에 이적한 후에도 병역을 이행해야 했기 때문에, 팔꿈치와 어깨 수술 등으로 [[공익근무요원]]으로 군 복무와 재활을 병행하여 현대에서의 활동은 없었다.
         [[2014년]] [[12월 16일]] [[한화 이글스]]의 3군 투수코치로 부임받았다.<ref>[http://sports.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kbo&ctg=news&mod=read&office_id=117&article_id=0002548544&date=20141216&page=1 '비운의 천재' 이정호, 한화 코치로 제2의 야구인생 개척] - 마이데일리 2014년 12월 16일 확인.</ref> 하지만 2015 시즌 후 사임하고 [[대구고등학교]] 야구부 코치로 자리를 옮겼다.<ref>[http://sports.news.naver.com/kbaseball/news/read.nhn?oid=380&aid=0000000943 그 신인들은 다 어디로 갔을까<1> 고졸 최고 대우, 삼성 이정호] - 이영미 칼럼</ref>
  • 이종혁 (배우) . . . . 2회 일치
         1993년 연극배우 첫 데뷔한 그는 이후 1998년 영화 《[[쉬리 (영화)|쉬리]]》로 데뷔하였고 2004년 영화 《[[말죽거리 잔혹사]]》로 이름이 알려졌다.<ref>{{뉴스 인용 |제목 = 이종혁, '엄마의 공책: 기억의 레시피'로 스크린 복귀|url = http://entertain.naver.com/read?oid=112&aid=0002864179|출판사 = 헤럴드POP |저자 = |날짜 = 2016년 11월 8일|확인날짜 = }}</ref> [[2002년]] [[6월 4일]] 최은애와 결혼식을 올려 장남 이탁수([[2003년]] 출생), 차남 이준수([[2007년]] 출생) 두 아들을 두었다. 2013년 MBC 예능프로 '[[아빠! 어디가?]]'에 출연하여 국민적 사랑을 받으며 '국민 아빠'로 불리었다.<ref>{{뉴스 인용 |제목 = '엄마의 공책'..이종혁, 철부지 아들로 변신 |url = http://entertain.naver.com/movie/now/read?oid=109&aid=0003723802|출판사 = OSEN |저자 = |날짜 = 2018년 2월 22일|확인날짜 = }}</ref>
  • 이지우 (야구선수) . . . . 2회 일치
         율하초등학교를 경복중학교를 거쳐 [[경북고등학교]]에 진학하였다. [[경북고등학교]] 시절 투수에서 타자로 전향하여 1학년 때부터 주전 좌익수로 활약하며 좋은 타격성적을 보여주었다. 고교 통산 58경기 타율 0.357 출루율 0.441 장타율 0.464 74안타 1홈런 48타점 25볼넷 21삼진을 기록하였다. [[2013년]] [[8월 26일]] [[2014년 한국프로야구 신인선수 지명회의]]에서 NC 다이노스에 2차 3라운드 26순위로 지명되었다.<ref>[http://www.ncdinos.com/board/story/view?articleId=7421 왼손 거포의 계보를 이어갈 NC 이지우] - NC 다이노스</ref>
         * {{언어링크|ko}} [http://www.ncdinos.com/player/person?pid=171 이지우] - [[NC 다이노스]]
  • 이차영 . . . . 2회 일치
         [include(틀:상위 문서, top1=정치인/목록)]
         [include(틀:충청북도의 기초자치단체장)]
  • 이현 (1983년) . . . . 2회 일치
         * 8Eight 정규 2집 《Infinity》
         * 이현 정규 1집 《The Healing Echo》
  • 이효정(남배우) . . . . 2회 일치
         [include(틀:-)]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이효정, version=60)]
  • 이훈(배우) . . . . 2회 일치
         [include(틀:다른 뜻2, other1=정치인, rd1=이훈(정치인), other2=크레용 신짱의 캐릭터, rd2=사토 마사오)]
         2017년 2월 13일, 법원에 개인회생을 신청했다.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7/02/18/0200000000AKR20170218035451004.HTML|#]] 그래놓고 백종원의 푸드트럭에 참여해서 자기가 32억 빚이 있다는 이야기로 홍보나 해댔다. 마찬가지로 빚이 있는 [[이상민(룰라)|이상민]]의 재기를 보고 자신도 다시 떠 보려는 듯 하지만 개인회생을 신청하지 않고 자력으로 재기하려 하는 이상민과 비교되고 있다.[* 김구라의 말에 따르면 빚이 10~50억 사이라고 말했으며 백종원의 푸드트럭에서 밝혀진 액수는 32억.]
  • 임동규(정치인) . . . . 2회 일치
         [include(틀:제18대 국회의원/비례대표)]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임동규, version=49)]
  • 임윤선(법조인) . . . . 2회 일치
          * [[박근혜]] 대통령의 탄핵안 가결에 기뻐하는 페이스북 [[https://www.facebook.com/plugins/post.php?href=https%3A%2F%2Fwww.facebook.com%2Fyoonsunlim%2Fposts%2F1351299861600384|글]]을 게시했다.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임윤선, version=153)]
  • 임현준 . . . . 2회 일치
         [[2007년]] [[경성대학교]] 진학하여 윤영환 감독으로부터 체계적인 [[투수]] 수업을 받은 뒤 입학하자마자 당시 4학년이었던 [[고창성]]과 함께 [[경성대학교]]의 간판 [[투수]]로 떠올랐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7&oid=111&aid=0000213906 홍희정의 아웃사이더 삼성 새내기 좌완 임현준 "선동열 감독께 눈도장 받고 왔어요"] 《조이뉴스》 2010년 12월 5일</ref>
         [[2011년]] [[4월 16일]] [[두산 베어스|두산]]전에서 8회 초 타석에 들어선 [[정수빈]]이 기습 [[번트]]를 시도하고 그가 1루 베이스를 커버하려고 가는 순간 갑자기 [[대구시민운동장 야구장|대구]]에 정전이 발생하며 순식간에 모든 조명들이 꺼지는 바람에 경기가 중단되었고, 결국 서스펜디드 게임이 선언되어 다음 날([[4월 17일]]) [[정수빈]] 타석부터 경기가 재개됐다.<ref>[http://www.mydaily.co.kr/news/read.html?newsid=201104180307382224&ext=na 대구구장 정전 사태는 민폐의 결정판] 《마이데일리》 2011년 4월 18일</ref><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7&oid=076&aid=0002099786 '정전 등판' 임현준, "선발 등판하는 느낌"] 《스포츠조선》 2011년 4월 17일</ref>
  • 자본통제 . . . . 2회 일치
         자본통제에 대해서는 부정적인 의견이 대세였으나, 2016년 경제위기를 겪으면서 자본통제에 대한 옹호론도 나타나게 되었다.[[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6/02/05/0200000000AKR20160205148700009.HTML (참조)]]
          * http://home.uchicago.edu/~moon/fincapital.htm
  • 장가용 . . . . 2회 일치
          | 사진 = https://search.pstatic.net/common?type=a&size=120x150&quality=95&direct=true&src=http%3A%2F%2Fpeople.phinf.naver.net%2F20140602_242%2F1401693843909tYFYl_JPEG%2Fyonhapnews_28310490.jpg
         * [http://people.joins.com/search/profile.aspx?pn=72099 조인스 인물정보]
  • 장다경 (영화배우) . . . . 2회 일치
         * {{트위터|cardboardwindow|장다경}}
         * {{인스타그램|cardboardwindow}}
  • 장민호 (야구선수) . . . . 2회 일치
         |영문 표기 = Jang Min-Ho
         * {{언어링크|ko}} [http://www.ncdinos.com/player/person?pid=176 장민호] - [[NC 다이노스]]
  • 장발 (화가) . . . . 2회 일치
         [[2001년]] [[4월 8일]] 오전 4시(한국시각 오후 6시) 미국 피츠버그 자택에서 101세를 일기로 타계했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6&oid=001&aid=0000064927 100세 화가 장발씨 타계(1보) :: 네이버 뉴스<!-- 봇이 따온 제목 -->]</ref>
         ** 아들 : 장흔(<ref name="100세">[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6&oid=038&aid=0000044248 [서양화가] 장발 올해로 만 100세 맞아 :: 네이버 뉴스<!-- 봇이 따온 제목 -->]</ref> 張昕)
  • 장세현 (배우) . . . . 2회 일치
         《[[성균관 스캔들]]》에서 '성균관 상유 3인방' 중의 하나로 감초 역할을 톡톡히 해서 주목을 받은<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6&oid=015&aid=0002315234 성스 "공자께서는 이렇게 말씀 하셨지" 감초 3인방은 누구?]</ref> 장세현은 《[[내일도 칸타빌레]]》에서 마수민을 맡아 유진([[주원]])에 첫눈에 반한 '유진바라기'로 설내일([[심은경]])과 경쟁관계에 놓이는 역할을 맡았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6&oid=213&aid=0000532683 신예 장세현, '내일도 칸타빌레' 캐스팅…심은경과 천적관계]</ref>
  • 장우혁 . . . . 2회 일치
         * Mini 1집 《I Am The Future》([[2011년]])
         * Mini 2집 《Back To The Memories》([[2011년]])
  • 장은숙 (가수) . . . . 2회 일치
         * 《Candle In The Wind》([[2008년]])
         * 《아카사카 레이니블루 (赤坂レイニーブルー, 赤坂 Rainy Blue)》([[2012년]])
  • 장은아 . . . . 2회 일치
         | 예명 = 제이스민 ('''J-Smine''') <br/> 자스 ('''JAS''')
         서울 출신인 자스양은 [[추계예술대학교]] 판화과를 입학한 미술학도였다. 학교 가요제인 청사가요제에 출전했는데 금상을 받은 걸 계기로 음악의 길로 들어섰다.<ref name="W&JAS 귀에 쏙 들어오는 음악 들려드릴게요-줌인">[http://media.daum.net/entertain/star/newsview?newsid=20130820214806606&srchid=IIM%2Fnews%2F73052764%2F2e8f9831634cedfbb240e7f3039397d2/[세계일보] W&JAS "귀에 쏙 들어오는 음악 들려드릴게요"-줌인] 2013년 8월 30일.</ref>
         * 《New Kid In Town》 (2013년)
  • 장진 (영화감독) . . . . 2회 일치
         | 사진 =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5/58/Jang_Jin_from_acrofan.jpg/250px-Jang_Jin_from_acrofan.jpg
  • 장항준 . . . . 2회 일치
         *[http://www.imbc.com/broad/radio/fm4u/date/movie_aod02/index.html 장항준의 어수선한 영화이야기 코너 소개 페이지]
         *[http://www.imbc.com/broad/radio/fm4u/date/movie_aod/aod/index.html 장항준의 어수선한 영화이야기 다시 듣기 페이지]
  • 장혁진 (야구선수) . . . . 2회 일치
         |영문 표기 = Jang Hyuk-Jin
         * {{언어링크|ko}} [http://www.ncdinos.com/player/person?pid=209 장혁진] - [[NC 다이노스]]
  • 재호 (배우) . . . . 2회 일치
         |웹사이트= [https://www.instagram.com/qkdwogh/ 인스타그램]
         2016년 [[중국]]에서 먼저 데뷔했으며 영화 《매일개서모도흔우상》(每一个徐毛都很忧伤)과 드라마《인간대포》(人间大炮)에 출연했다.<ref>{{뉴스 인용|제목=재호 "격정 멜로 주인공 욕심 난다"|url=http://joynews.inews24.com/php/news_view.php?g_menu=700210&g_serial=1083921&rrf=nv|날짜=2018-03-21|뉴스=조이뉴스24}}</ref>
  • 전민제 . . . . 2회 일치
          | 사진 = https://search.pstatic.net/common?type=a&size=120x150&quality=95&direct=true&src=http%3A%2F%2Fpeople.phinf.naver.net%2F20181026_84%2F1540536830448M63JK_JPEG%2Fyonhapnews_28330956.jpg
         * [http://people.joins.com/search/profile.aspx?pn=11539 조인스 인물정보 - 전민제 前 한양대학교 강사]
  • 전상렬 . . . . 2회 일치
         [[대구상원고등학교|대구상업고등학교]]를 졸업하고 [[1992년]] [[삼성 라이온즈]]에 입단하여 프로 생활을 시작했다. [[1997년]] 삼성에서 방출된 뒤 [[한화 이글스]]로 옮겼고, 한화 시절부터 조금씩 존재감을 알렸다. [[1999년]]에 [[투수]] [[김경원 (야구인)|김경원]]을 상대로 [[내야수]] [[홍원기 (야구인)|홍원기]]와 함께 [[두산 베어스]]에 트레이드되었다. 늘 백업으로 뛰었지만 발이 빨라 [[2004년]]에는 [[도루]] 8위를 기록했으며, [[2005년]]에는 [[2004년]] 병역비리 사건으로 주축들이 대거 빠지게 되어 최하위를 예상하였던 두산의 [[한국시리즈]] 진출에 큰 기여를 하였다. [[2006년]]에는 FA 계약으로 2년에 총 4억원에 계약을 맺었다.<ref>{{뉴스 인용|url=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001&oid=109&aid=0000024857&|저자=박선양|출판사=OSEN|제목='늦깎이 스타' 전상렬, 두산과 2년 4억원에 FA 계약|날짜=2006-01-15}}</ref> [[2009년]]을 마지막으로 현역에서 은퇴하였다.<ref>[http://sportsworldi.segye.com/Articles/Sports/BaseBall/Article.asp?aid=20091029005501&subctg1=05&subctg2=00 두산, 이승학·정원석 등 방출] - 세계일보</ref> 보기보다 조숙한 얼굴로 '할매'라는 별명이 있어서,<ref>[http://joynews.inews24.com/php/news_view.php?g_menu=702120&g_serial=391182 최고참 전상렬, "은퇴는 사절, 불혹까지 뛴다"] - 조이뉴스24</ref> 김인식 감독이 "대타 할매" 라고 심판에게 대타 기용 사인을 전달할 때 심판들이 바로 그를 대타로 낸다고 알아차릴 정도였다.<ref>[http://osen.mt.co.kr/news/view.html?gid=G1009190045 '신할매' 정수빈, 이틀 연속 불 뿜은 본능] - OSEN</ref>
  • 전인환 . . . . 2회 일치
         |영문 표기 = Jeon In-Hwan
         [[2010년]]에 입단하였다. [[2018년]] [[10월 25일]]에 방출되었다.<ref>[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8/10/25/0200000000AKR20181025060000007.HTML?input=1195m 프로야구 LG, 좌완 불펜 윤지웅 등 12명 방출] - 연합뉴스</ref>
  • 정겨운 . . . . 2회 일치
         | 사진 =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3/32/Jung_Gyu-woon_%28%EC%A0%95%EA%B2%A8%EC%9A%B4%29_in_Jan_2015.jpg/250px-Jung_Gyu-woon_%28%EC%A0%95%EA%B2%A8%EC%9A%B4%29_in_Jan_2015.jpg
  • 정규수(배우) . . . . 2회 일치
         1979년 연극《장군멍군》으로 데뷔 한 후, 1대《품바》멤버로 이름이 높았고, 그 후 수많은 연극에 출연하였고 영화《[[킬러들의 수다]]》,《[[박수칠 때 떠나라]]》,《[[청춘만화]]》에도 출연하였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3&oid=119&aid=0000009681 연극계의 대부들이 뭉쳤다] 데일리안. 2006년 07월 06일</ref><ref>[http://entertain.naver.com/read?oid=382&aid=0000000780 1998년 ‘품바’ 4000회 공연] 스포츠동아. 2011년 06월 27일</ref>
  • 정난정 . . . . 2회 일치
         * 《[[여인천하 (드라마)|여인천하]]》 ([[SBS]], [[2001년]]~[[2002년]], 배우: [[수혜 (배우)|장수혜]], [[강수연]])<ref>해당 드라마의 주인공이다. 단, 해당 드라마에서는 정난정을 왕실의 인물인 파릉군의 서녀로 나타내고 있으나 파릉군이라는 인물은 해당 드라마만의 가공의 인물로, 실제와는 다르게 그려졌다. 그 외에도 사실과 다른 여러 가지 내용이 등장한다.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6&oid=020&aid=0000065244 인기 상승 <여인천하> 어디까지 사실인가?] 《동아일보》, 2001년 5월 21일 작성, 2012년 10월 31일 읽음</ref>
         {{Col-begin}}
  • 정다정 . . . . 2회 일치
         한편, 정다정은 [[10월 13일]] 자신의 웹툰 《[[역전! 야매요리]]》에서 ‘되는데요’라는 이광낙의 유행어를 사용했다. 이에 이광낙은 행사전 그림을 그려달라는 자신의 요청 [[전자 우편|메일]]을 무시했다고 정다정에게 항의 메일을 보내고,<ref name=xports>{{뉴스 인용 |제목 = 군용텐트 이광낙-웹툰작가 정다정 '신경전 벌여'|url = http://xportsnews.hankyung.com/?ac=article_view&entry_id=264187|출판사 = 엑스포츠뉴스|저자 = 온라인뉴스팀|쪽 = |날짜 = 2012-10-14|확인날짜 = 2012-10-28}}</ref> 그녀의 [[트위터]]에 “T24 행사 전 도움의 손길은 뿌리치고 이제 와서 되는데요? 어찌됐든 재미있는 웹툰 야매요리”라고 글을 남겼다. 정다정은 “벌레님. 행사 전 메일을 받은 기억이 없습니다. 아까 답장 메일로 설명 드렸지만요”라고 답하였고, “그런 요청을 받았다면 기쁜 마음으로 그려 드렸을 거고 일정이 바빴다면 죄송하다는 답장을 꼭 보냈겠죠. 확인되지도 않은 얘기를 트위터에 올린 건 좀 너무하신 것 같아요. 여하튼 재미있다고 해주셔서 감사합니다”라고 자신의 입장을 밝혔다.<ref name=chosun>{{뉴스 인용 |제목 = '역전! 야매요리' 정다정, '24인용 군용텐트 혼자 치기' 이광낙|url =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2/10/14/2012101400580.html|출판사 = 조선닷컴|저자 = |쪽 = |날짜 = 2012-10-14|확인날짜 = 2012-10-27}}</ref><ref>{{뉴스 인용 |제목 = ‘야매요리’ 정다정 VS ‘벌레’ 이광낙, 왜 설전 벌어졌나?|url = http://news.kukinews.com/article/view.asp?page=1&gCode=cul&arcid=0006530140&cp=nv|출판사 = 쿠키뉴스|저자 = 쿠키뉴스팀|쪽 = |날짜 = 2012-10-14|확인날짜 = 2012-10-27}}</ref>
         2012년 10월 18일 만화가 [[미티]]는 [[네이버]]의 [[응용 소프트웨어|앱]] 홍보용 릴레이 웹툰 ‘앱피소드(Appisode)’에 정다정의 웹툰 《[[역전! 야매요리]]》의 주인공이자 작가인 정다정의 분신인 ‘야매 토끼’를 등장시켰다. 미티의 이 웹툰에서 야매 토끼는 “이 남자 갖고 싶다”라는 대사와 함께 다리를 벌린 채 점액을 흘리는 모습으로 그려졌는데, 이를 누리꾼들이 여성을 비하하는 뜻으로 해석해 성희롱 논란이 일어났다.하지만 미티작가는 그런 의도로 그린것이 아니라며 그날 바로 문제의 장면을 수정하여 다시 올렸다.<ref>{{뉴스 인용 |제목 = 네이버 웹툰 작가 저질 '성희롱' 만화 올려|url =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2/10/18/2012101802044.html|출판사 = 조선닷컴|저자 = |쪽 = |날짜 = 2012-10-18|확인날짜 = 2012-10-27}}</ref><ref>{{뉴스 인용 |제목 = “몸이 부들부들 떨린다” 정다정-미티 성희롱 논란|url = http://news.kukinews.com/article/view.asp?page=1&gCode=cul&arcid=0006555961&cp=nv|출판사 = 쿠키뉴스|저자 = 쿠키뉴스팀|쪽 = |날짜 = 2012-10-23|확인날짜 = 2012-10-27}}</ref>
  • 정성민 (야구선수) . . . . 2회 일치
         |영문 표기 = Jeong Sung-Min
         * {{언어링크|ko}} [http://www.ncdinos.com/player/person?pid=175 정성민] - [[NC 다이노스]]
  • 정세진 . . . . 2회 일치
         |웹사이트 = {{트위터|saejinee|정세진}}
         * {{트위터|saejinee|정세진}}
  • 정승화(육군) . . . . 2회 일치
         [include(틀:상위 문서, top1=대한민국 국군/인물)]
         이후 1999년 육해공군 및 해병대 장성 출신 모임인 [[성우회]] 제6대 회장에 당선되어 쿠데타 피해자 출신 예비역들의 권익을 위해 부단히 노력하였으나 임기 중이던 2002년 6월 12일 서울 신촌 세브란스병원에서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1&aid=0000186772|숙환으로 별세했다]]. 향년 76세. 사후 [[국립대전현충원]]에 예비역 대장 자격으로 안장되었다.
  • 조동혁(배우) . . . . 2회 일치
         [include(틀:iHQ 소속 아티스트)]
         배구선수 [[한송이(배구)|한송이]]와 열애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조동혁도 키가 182cm로 한국 성인남성 평균보다 큰편인데, 한송이는 조동혁보다 큰 186cm이다.] [[http://entertain.naver.com/read?oid=382&aid=0000564618|기사]]
  • 조안(배우) . . . . 2회 일치
         [include(틀:상위 문서, top1=배우/한국)]
         ||<#996699> {{{#ffffff '''외부 링크'''}}} ||<(> [[https://www.facebook.com/naangelet|[[파일:페이스북 아이콘.png|width=24]]]] [[http://gall.dcinside.com/mgallery/board/lists/?id=jag|[[파일:디시인사이드 아이콘.png|width=24]]]] ||
  • 조현근 . . . . 2회 일치
         [[2009년]] [[12월 17일]] [[경찰 야구단]]에 입대<ref>[http://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baseball&ctg=news&mod=read&office_id=076&article_id=0002009770 우규민-연경흠-우동균 등 24명 경찰청 입대] - 스포츠조선</ref> 하여 [[2011년]]에 제대했다.
         * [http://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baseball&ctg=news&mod=read&office_id=076&article_id=0001997800 삼성-두산, 유례 없는 트레이드 공개 논의 왜?] - 스포츠조선
  • 존 루터 존스 . . . . 2회 일치
         [[http://www.findagrave.com/cgi-bin/fg.cgi?page=gr&GRid=10214]]
  • 지수원 . . . . 2회 일치
         [include(틀:회원수정)]
         종교 [[무종교]] → [[개신교]][*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3&oid=005&aid=0000313692|기사]].]
  • 지훈(TRCNG) . . . . 2회 일치
         [include(틀:TS엔터테인먼트 소속 아티스트)]
         [include(틀:TRCNG 멤버)]
  • 진창현(음악인) . . . . 2회 일치
         1976년 12월에는 [[미국]]의 [[필라델피아]]에서 개최된 미국 현악기 제작자 협회(The Violin Society of America) 주최의 제2회 국제 현악기 제작자 경연대회에 참가해 여섯 개 부문 중 바이올린 세공 부문, 비올라 세공/음향 부문, 첼로 세공/음향 부문에서 [[http://www.vsaweb.org/Previous-Conventions|금메달을 수상]]하면서 세계구급 제작자로 명성을 확고하게 만들었고,[* Chang Heyern Jin이라고 표기된 수상자가 바로 진창현이다.] 1984년에는 미국 현악기 제작자 협회에서 무감사 현악기 제작자(Hors Concours)[* 다른 악기 제작자나 감정가의 감사 없이 자신의 이름을 내걸고 악기를 제작/판매할 수 있는 장인이라는 뜻.] 자격과 마스터 메이커(Master Maker) 칭호를 받았다.
  • 진헌식 . . . . 2회 일치
         [include(틀:충청남도지사)]
         https://search.pstatic.net/common?type=a&size=120x150&quality=95&direct=true&src=http%3A%2F%2Fpeople.phinf.naver.net%2F20140602_245%2F1401700668998zzKHp_JPEG%2Fyonhapnews_28442267.jpg
  • 채이식 . . . . 2회 일치
         '''채이식'''(蔡利植, [[1949년]] ~ )은 대한민국의 법학자, 대학 교수이다. [[고려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학장이며, [[국제해사기구]](IMO) 법률위원회 의장을 역임했다.<ref>{{뉴스 인용 |제목 = 채이식 교수, IMO 법률위 의장 5선 |url =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09/10/09/0200000000AKR20091009091200043.HTML |출판사 = 연합뉴스 |저자 = |날짜 = 2009-10-09}}</ref>
         고려대학교와 런던대학교 정경학부 대학원을 졸업한 뒤 [[고려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학장을 맡고 있으며 국제유류오염보상기금(IOPC Fund)의 한국수석대표 및 집행위 의장, [[국제해사기구]](IMO) 법률위원회 의장으로 활동해왔다.<ref>{{뉴스 인용 |제목 = IMO법률위원회 의장에 채이식 교수 선출 |url =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1&aid=0000989153 |출판사 = 연합뉴스 |저자 = |날짜 = 2005-04-28}}</ref>
  • 철원막국수 . . . . 2회 일치
         https://postfiles.pstatic.net/MjAxODA5MDJfMjc0/MDAxNTM1ODgwNzU5ODI4.oTyCLdlnfzPIev8rwhY2VYTtnSMftinjY-HT2EXKaLQg.noOsSfonHJ2b_IBECGPiygOhmMDvux_neYDr61IUHWsg.JPEG.dltksla20/BandPhoto_2018_09_02_17_27_20.jpg?type=w580
         https://postfiles.pstatic.net/MjAxODA5MDJfODkg/MDAxNTM1ODgwNzcyNjQ4.jGBO2_tsiNMh9VHAB1OxImAHCUcssX_JALcPap_iKL4g.ra1bDEGhTBqbMDtIlTE5M3cN14n4q_tR_y8eVYmif_8g.JPEG.dltksla20/BandPhoto_2018_09_02_17_46_38.jpg?type=w580
         https://postfiles.pstatic.net/MjAxODA5MDJfMjcw/MDAxNTM1ODgwNzc0MjAy.wWcTweaJRNK-XzolqjuTHhcugS02w4in_PA60BLHyiUg.Z4fHPq-0l8kAxbFRa-ew6cYRIkjFF607ULzYpwOuiq0g.JPEG.dltksla20/BandPhoto_2018_09_02_17_35_45.jpg?type=w580
  • 최계훈 . . . . 2회 일치
         [[1985년]] [[3월 31일]] 롯데의 신인 [[투수]] 박동수에게 완봉패를 당한 것을 시작으로 [[삼미 슈퍼스타즈]]가 당한 18연패를 [[4월 30일]] [[MBC 청룡|MBC]]전에서 [[최계훈]]이 완봉승을 거두어 벗어났다.<ref>[http://sports.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kbo&ctg=news&mod=read&office_id=382&article_id=0000077896 금광옥 “월급은 현찰, 연패 때도 술판…삼미, 화끈했어”] - 스포츠동아</ref>
         [[2013년]] [[NC 다이노스]] 잔류군 선임 코치 겸 [[투수]]코치로 영입되었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7&oid=241&aid=0002132908 NC, 최계훈 코치 잔류군 코치로 영입] - 일간스포츠</ref>
  • 최광식 . . . . 2회 일치
         2011년 9월 20일 [[대한민국의 문화체육관광부 장관|문화체육관광부 장관]]으로 취임하였다.<ref>[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1/09/20/0200000000AKR20110920113800005.HTML 최광식 "전통문화의 현대화·세계화에 역점"]《연합뉴스》2011년 9월 20일 정천기 기자</ref>
         2011년 9월 16일 국회 문화체육관광방송통신위원회(위원장 [[전재희]])는 인사청문회를 마친 최광식 후보에 대한 인사청문경과보고서를 채택했다. 최 후보는 민주당을 비롯한 야당 의원들의 “부적격하다”고 의견에도 불구하고 한나라당 수적 우위로 장관자리에 앉게 됐다.<ref>[http://media.paran.com/hotissue/view.kth?dirnews=3088095&year=2011&titlekey=PARAN_2011_3089993&clusterid=IiQmMjszUV5DVCtARVhTVktUK0NH&kind=0&pg=1&t=0&date=20110916&tq=%C0%CE%BB%E7%C3%BB%B9%AE+%C0%E5%B0%FC+%C3%A4%C5%C3+%C3%BB%B9%AE 최광식 인사청문보고서, 야 반대에도 ‘채택’]《미디어스》2011년 9월 16일 권순택 기자</ref><ref>[http://m.pdjournal.com/articleView.html?idxno=32615&menu=1 최광식 인사청문 보고서 ‘채택’…야당은 ‘부적격’]《PD저널》2011년 9월 16일 김세옥 기자</ref>
  • 최동익 . . . . 2회 일치
         |웹사이트 = [http://www.hopewings.or.kr/ 최동익 공식웹사이트]
         * [http://www.hopewings.or.kr/ 최동익 공식사이트]
  • 최문식 . . . . 2회 일치
         * [http://www.kfa.or.kr/news/news_interview_view.asp?BoardNo=603&Page=5&Query=PageSize%3D50%26Gubun%3D11499%26Key%3D0%26Word%3D/ 최문식' 최초의 고졸스타이자 최고의 테크니션]
         * [http://m.kfa.or.kr/news/interview_view.asp?BoardNo=1149&Page=1&Query=/ U-16 대표팀 최문식 감독' "기술적인 색깔의 팀을 만들고 싶다"]
  • 최민호(유도선수) . . . . 2회 일치
         ||<#131230> '''{{{#white 이름}}}''' ||<#ffffff> 최민호(崔敏浩, Choi Minho) ||
         ||<#131230> '''{{{#white 링크}}}''' ||<#ffffff> [[http://cy.cyworld.com/home/39820731| [[파일:싸이월드_로고.png|width=24]]]] [[http://instagram.com/choimh8082|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png|width=24]]]] ||
  • 최석민 . . . . 2회 일치
         | 그림 =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0/09/Choi_Seok-min_Portrait.jpg/300px-Choi_Seok-min_Portrait.jpg
         |장url=http://www.pcic.go.kr:8088/pcic/UserFiles/File/2006JOSA/SUJAKSUBSAK/CHOISUKMIN.pdf
  • 최성민(1995) . . . . 2회 일치
         [include(틀:남녀공학 멤버)]
         ||<#BB9E8B> '''{{{#fff SNS}}}''' ||[[https://instagram.com/from_mean|인스타그램]] ||
  • 최성준 (법조인) . . . . 2회 일치
         그러다가 2012년 2월에 장인어른인 [[김용철 (1924년)|김용철]] 전 대법원장이 1973년부터 2년간 법원장으로 근무한 춘천지방법원에서 제44대 춘천지방법원장 겸 제42대 강원도 선거관리위원장에 임명되어 "행동을 통해 원하는 결과가 얻어지지 않더라도 남을 탓하기보다 자신을 돌아보고 원인을 찾아야 한다"며 명심보감 성심 편의 '행유부득(行有不得) 이어 든 반구저기(反求諸己)니라'는 글귀를 인용하면서 "법관을 단순히 국가기관이나 기업체의 고급 간부처럼 생각해서는 안되며, 헌법과 법률에 의해 양심에 따라 국민을 심판하는 권한만 있다"며 "국민으로부터 받은 법관의 권한은 재판업무에만 사용하도록 목적이 특정된 만큼 취지에 맞게 신중히 사용해야 한다"는 취임사<ref>[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2/02/16/0200000000AKR20120216185000062.HTML]</ref>로 시작한 법원장을 재임하여 임기 2년을 마치고 서울고등법원 부장판사로 돌아와 재판 실무를 담당하다가 박근혜 대통령에 의해 2014년 4월 임기 3년의 방송통신위원장에 임명되었다. 방송통신위원장 임기를 마치고 법무법인 양헌 대표 변호사로 재직 중이며 서울아산병원 심장내과 교수인 최기준과 법무법인 양헌에서 공동 대표 변호사를 맡고 있는 최경준이 동생이다.
         서울고등법원에서 재직하던 2008년 10월 17일에 혜진·예슬양과 정모 여인을 살해한 미성년자 약취·유인 및 살인 등으로 기소된 정모(39)씨에게 "극악한 범죄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법원의 책무"라고 하면서 사형을 선고하고<ref>[https://www.lawtimes.co.kr/Legal-News/Legal-News-View?serial=43118&kind=AA03]</ref> 12월 19일에는 한총련 의장을 북한에 보낸 혐의 등으로 기소된 조국통일범민족청년학생연합 남측본부 의장 윤기진씨(33)에게
  • 최수진 (성우) . . . . 2회 일치
         * [http://www.choisujin.wo.to 성우 최수진 홈페이지]
         * [http://www.mbcvoice.net/profile/profile_main.php?pageMode=viewProfile&pMode=&uid=127&now_page=12&sortMode=0&searchCategory=&searchWord= 문화방송 성우극회 최수진 블로그]
  • 최승민 (1996년) . . . . 2회 일치
         |영문 표기 = Choi Seung-Min
         * [http://www.ncdinos.com/player/person?pid=203 최승민] - [[NC 다이노스]]
  • 최윤수(정무직공무원) . . . . 2회 일치
         [include(틀:우병우 사단)]
         http://post.phinf.naver.net/MjAxNzExMjZfMTc4/MDAxNTExNjc0OTM5ODc1.tz4Tbw87vbW99V3XWdlCrrJt4NJoYvIaLYqqr-ty5Yog.LdGUT9HdDSFS7SSWNrY6fdlHpJmKChdGT0n-LXjmIXwg.JPEG/IbOIUGDz-1BjjZwHOu8G8B3t_Sew.jpg
  • 최재우 . . . . 2회 일치
         | 종목 = [[파일:Freestyle skiing pictogram.svg|25px]] [[프리스타일 스키]]
         2018년 3월 12일 [[일본]] [[아키타현]] [[센보쿠시]]의 [[다자와호]]에서 열린 FIS 월드컵 참가 도중 동료 선수 [[김지헌 (스키 선수)|김지헌]]과 함께 음주를 하고 동료 여자 선수들에게 음주 강요를 하였고, 이 과정에서 추행 및 폭행을 한 것이 발각되어 [[대한스키협회]]로부터 영구제명 되었다.<ref>{{뉴스 인용 | 제목=모굴 스키 국가대표 최재우·김지헌, 동료 여선수들 성추행 ‘영구제명’ | url=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32&aid=0002857671 | 출판사=경향신문 | 저자=윤승민 | 쪽= | 날짜=12018-03-14 | 확인날짜=2018-09-17}}</ref>
  • 최종원(국회의원) . . . . 2회 일치
         [include(틀:상위 문서, top1=배우/한국)]
         [include(틀:-)]
  • 최채흥 . . . . 2회 일치
         [include(틀:삼성 라이온즈/간략(투수))]
         ||<bgcolor=#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최혁 (1992년 3월) . . . . 2회 일치
         * 《[[프로듀사]]》 (KBS2, 2015년) - 예능국 신입PD 역 <ref>{{뉴스 인용|제목=‘프로듀사’로 데뷔한 신예 최준호 “현장에서 만난 김수현, 공효진 선배님은요…” |url=http://sports.khan.co.kr/news/sk_index.html?cat=view&art_id=201506241526373&sec_id=540101 |출판사=스포츠경향 |날짜=2015-06-24}}</ref> <ref>{{뉴스 인용|제목= '프로듀사' 최준호 "박하선 누나 응원이 제일 힘되죠" |url=http://media.daum.net/entertain/star/newsview?newsid=20150623073019589 |출판사=스포츠조선 |날짜=2015-06-23}}</ref>
  • 최흥철 . . . . 2회 일치
         [include(틀:관련 문서, top1=국가대표(영화))]
         ||<#00BFFF> {{{#ffffff '''SNS'''}}} ||<bgcolor=#ffffff> [[https://www.instagram.com/traum3123/|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png|width=24]]]] ||
  • 카치구미 . . . . 2회 일치
          * http://www.thesalon.jp/themagazine/culture/post-54.html
          * http://www.yondoku.com/20150828e_mainichi16/
  • 카타르시스 . . . . 2회 일치
         현대시사용어 : http://www.donga.com/fbin/dict?n=sisa&a=v&l=7633
         http://www.academia.edu/7853397/Catharsis_in_Aristotles_Poetics
  • 칼리파 하프타르 . . . . 2회 일치
          * 한겨레 : http://www.hani.co.kr/arti/international/arabafrica/638317.html
          * 신문고 뉴스 : http://shinmoongo.net/sub_read.html?uid=92627§ion=sc5
  • 캡틴 울트라 . . . . 2회 일치
         Captain Ultra
         [[마블 코믹스]]의 캐릭터. 본명 Griffin Ultra. 첫등장은 Fantastic Four #177 (December 1976)
  • 크리미널 마인드 . . . . 2회 일치
         Criminal Mind
  • 탁석산 . . . . 2회 일치
         탁석산은 1956년 서울 태생이다. [[경기고등학교]]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자연계열에 입학했으나 1년 후 자퇴했다. 군 복무를 마치고 [[한국외국어대학교]] 영어과에 입학했다. 부전공으로 택한 철학에서 가능성을 발견하고는 철학을 전공하기 위하여 대학원에 진학하여 주로 서양철학을 공부하였다. 《흄의 인과론》으로 박사학위를 받은 후 [[한국외국어대학교]], [[한양대학교]], [[KAIST]] 등에서 강의를 했고,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철학사상연구소 박사 후 연수과정을 마쳤다. 주로 흄에 관한 논문을 발표해왔는데, <흄의 두 원인 정의의 완전성과 양립가능성> <흄의 초기 단편과 《대화》에서의 악의 문제> <툴리의 인과실재론 비판> <흄의 합리론 비판과 그 역사적 원천>등의 논문을 썼으며, 최근에 『열린지성』에 『언어분석철학의 종언과 한국철학』을 발표했다. 저서로는 『한국의 정체성』 『한국의 주체성』 『오류를 알면 논리가 보인다』 등이 있다.<ref>[http://www.kyobobook.co.kr/author/info/AuthorInfo.laf?authorid=1000033701 교보문서 저자 정보]</ref>
         현대 한국 사회, 글쓰기, 직업 등을 주제로 소위 "생활철학"을 다룬 책을 쓰고 있다. 그에 따르면, 한국인의 철학은 '현세주의', '인생주의', '허무주의', 그리고 앞의 세가지를 아우르는 방법론이자, 나중에는 그 세 가지를 지배하게 된 '실용주의'다.<ref>{{뉴스 인용|제목=<사람들> 생활철학서 낸 철학자 탁석산씨|url=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3&oid=001&aid=0002359884|날짜=2008-11-11|뉴스=연합뉴스}}</ref>
  • 탐라국 여왕 . . . . 2회 일치
          * http://folkency.nfm.go.kr/minsok/dic_index.jsp?P_MENU=04&DIC_ID=5153&ref=T2&S_idx=80&P_INDEX=5&cur_page=1
  • 태백석탄박물관 . . . . 2회 일치
         https://postfiles.pstatic.net/MjAxODAxMTlfMTAz/MDAxNTE2MzA5MzI4MTgx.9qGzyrYMWh-1alSehb-kURonYgmcezs9e31w1UvYDMwg.g502dc5qsYZe6OaDJGKVtNcWrjcubfdkINJzGSdNeJgg.JPEG.kimsung7283/020180118_133310.jpg?type=w773
         https://postfiles.pstatic.net/MjAxODAxMTlfMjIw/MDAxNTE2MzA5MzI4Mjgx.2KGFc9fOvg15RW6MJTL31LBaGGvnQ5TT0pDXZmWEmQwg.iNN9Fdn-yc3v37hS2zG8z-h9t3pnhlvtAdFuYRz7U9Yg.JPEG.kimsung7283/020180118_134104.jpg?type=w773
         https://postfiles.pstatic.net/MjAxODAxMTlfNTIg/MDAxNTE2MzA5MzI4NDgw.WU3EtERAE5NwwX1_58dlHOjF8DLfYnN0SInqPQOyGQ0g.XMgBwq_AjHyLHGj8FLLFOC8zut_px2skotR0Kf9pMZwg.JPEG.kimsung7283/020180118_134343.jpg?type=w773
         https://postfiles.pstatic.net/MjAxODAxMTlfMTU5/MDAxNTE2MzA5NjM5Nzcw.noJuwIVS55IYPYcTQ_v6_KS60kE6awvxhiE-ctYWrJog.0ISOzrwGQzh1HQS8BboOhJQ5Lino3m_4j-XHyJ8EDP8g.JPEG.kimsung7283/020180118_135031.jpg?type=w773
         https://postfiles.pstatic.net/MjAxODAxMTlfMjc4/MDAxNTE2MzA5Njg5MTk3.HTviGKB4hMdUInh0HVc6zvbrBQgdQgWyq79nxqoPEBMg.YJzg5CqmsDpHdC-tfi6mpsPu39euHkyRMXfu0vyyKWog.JPEG.kimsung7283/020180118_135812.jpg?type=w773
         https://postfiles.pstatic.net/MjAxODAxMTlfMjIw/MDAxNTE2MzEwMDYzMTM4.9gOzXBARSQ_WmY8b9PfZuPJ-kw9m1kpr-BhXh0scd-sg.jP27HscWpZBCQNfPinkRbuOZYE1lK7Rt7aw-t2yh4KUg.JPEG.kimsung7283/020180118_141827.jpg?type=w773
  • 태종무열왕 . . . . 2회 일치
         아버지는 [[진지왕]](眞智王)의 아들 [[김용춘]]<ref group="주">김용수(金龍樹)라고도 한다.</ref>, 어머니는 [[진평왕]]의 딸이었던 [[천명부인]]이다. 그가 사료에 '진골'로 기재된 것에 대해서는 할아버지인 [[진지왕]]이 재위 4년 만에 국인에 의해 폐위당한 점이나 [[김춘추]] 자신이 진골이자 옛 [[금관가야]]의 왕족 출신인 [[김유신]](金庾信)의 누이인 문희를 아내로 삼은 점 등이 이유로 지적되고 있다.<ref>주보돈(2009), [http://www.riss.kr/link?id=A77046838 〈신라 骨品制 연구의 새로운 傾向과 課題〉] 《한국고대사연구》 54권 5-41쪽. 한국고대사학회</ref>
         [[파일: King Tae-Jong's Tomb 01.jpg|섬네일|200px|right|태종 무열왕릉]]
  • 토탈워: 쇼군 2 . . . . 2회 일치
          * Saints and Heroes Unit Pack
         전투 도중 아군 부대가 패주하면 부관이 "Our men are running from the battlefield! A shameful display!"(우리 병사들이 전장에서 도망치고 있습니다! 부끄러운 모습입니다!)라는 대사를 치며 보고한다. [[https://youtu.be/U6zQ6ZqEqg0|그런데 일본풍 억양]] 때문에 "Shamefur Dispray"라고 불리며 [[밈]]이 된적이 있었다.
  • 편차치 . . . . 2회 일치
         참조 http://www.school-data.com/examinfo/exam_info03_02.php
  • 포스탈 리덕스 . . . . 2회 일치
          * The Mine
          * The Train Station
  • 퓨어킴 . . . . 2회 일치
         || GEM || 맥시 싱글 || Pearls || 2016.08.23 || Postino || 퓨어킴 ||
         || LISTEN 004 How Are You, The Love Of My Life || 싱글 || How Are You, The Love Of My Life || 2017.01.21 ||Postino||퓨어킴||
  • 프랑켄슈타인(마블 코믹스) . . . . 2회 일치
         Frankenstein
         코믹스 The Frankenstein Monster에도 등장.
  • 핀 팡 품 . . . . 2회 일치
         Fin Fang Foom
         고르길라(Gorgilla), 일렉트로(Elektro)[* [[스파이더맨]] 계열인 [[일렉트로]]와는 동명이인이다.], 구감(Googam)과 같이 '핀 팡 포'(Fin Fang Four)라는 팀[* [[판타스틱 포]] 패러디로 보인다. 그리고 표지 중 하나는 [[어벤저스]] 코믹스 표지 패러디.]을 만들기도 했다.
  • 하이큐!! . . . . 2회 일치
          * 애니메이션 공식 홈페이지 [[http://www.j-haikyu.com/anime/index.html]]
          * 정식 연재 이전의 단편은 주간소년점프 넥스트 2011년도 WINTER호, 주간 소년점프 2011년도 20,21 합본호 각각 두 번 게재되었었다. 점프 넥스트에 실렸던 단편에서의 본교는 카라스노가 아닌 히아시(日脚) 고교였으며, 본지 단편에서부터 카라스노라는 이름이 되었다.
          * 애니메이션 2기와 극장판 모두 제작이 결정되었다!! [http://www.j-haikyu.com/project/index.html 공홈 부설 사이트]에 따르면 극장판은 1기 애니메이션의 총집합 편으로 제작될 예정이라고 한다. 2기 애니메이션과 극장판의 담당 제작사 및 감독은 1기 때와 같다.
  • 하재숙 . . . . 2회 일치
         [include(틀:SM 엔터테인먼트 그룹)]
         [include(틀:미스틱엔터테인먼트)]
  • 하태웅(가수) . . . . 2회 일치
         |[[2006년]] [[9월 29일]]||하태웅 single 1st||싱글
         |[[2009년]] [[4월 22일]]||하태웅 Digital Mix Single||싱글
  • 한규식 . . . . 2회 일치
         [[2005년]] [[11월 2일]] [[LG 트윈스]]와 [[KIA 타이거즈]]의 3:3 트레이드([[마해영]], [[최상덕]], [[서동욱 (야구 선수)|서동욱]] ↔ [[장문석]], [[손상정]], 한규식)로 [[KIA 타이거즈]]에 이적하게 된다.<ref>[http://sports.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kbo&ctg=news&mod=read&office_id=109&article_id=0000019774 마해영, 장문석 등과 3대3 트레이드로 LG행] - OSEN</ref>
         * [http://www.ncdinos.com/player/person?pid=191 한규식] - [[NC 다이노스]]
  • 한보배 . . . . 2회 일치
         | 웹사이트 = [http://www.broomstick.co.kr/board/gallery/read.html?no=32&board_no=8 브룸스틱 한보배]<br>{{트위터|pink_rabbit_}}<br />{{싸이월드|21853400}}<br/>{{인스타그램|1.treasure}}
         * {{트위터|pink_rabbit_}}
  • 한송이 (레이싱모델) . . . . 2회 일치
         | 사진 =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b/bc/Han_Songi-photo_by_HunkinElvis.JPG/220px-Han_Songi-photo_by_HunkinElvis.JPG
  • 한수연(배우) . . . . 2회 일치
         |||| https://search.pstatic.net/common/?src=http%3A%2F%2Fpost.phinf.naver.net%2F20160721_216%2Fnews_fact_1469084911447gfQsp_JPEG%2Fmug_obj_201607211608317210.jpg&type=n88_88 ||
         ||<#ff748c> '''SNS''' || [[https://twitter.com/_HanSooYeon|[[파일:트위터 아이콘.png|width=24]]]] [[https://www.facebook.com/officialhansooyeon|[[파일:페이스북 아이콘.png|width=24]]]] [[http://cy.cyworld.com/home/63827829|[[파일:싸이월드_로고.png|width=24]]]] [[https://www.instagram.com/actress_hansooyeon/|[[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png|width=24]]]] ||
  • 한승혁 (1993년) . . . . 2회 일치
         <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7&oid=001&aid=0004608409 한승혁, 미국 진출 대신 KIA에 둥지] - 연합뉴스</ref>
         팔꿈치 부상으로 입단하자마자 곧바로 토미 존 수술을 받게 되어 [[2012년]]이 되어서야 1군에 처음으로 올라왔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7&oid=047&aid=0001996776 151km 한승혁, 배구인의 피를 받은 야구 유망주] - 오마이뉴스</ref>
  • 한윤성 . . . . 2회 일치
         {| class="infobox bordered" style="width:21em; cellpadding=2; font-size:85%; text-align:center;"
  • 한재권 (응원단장) . . . . 2회 일치
         * [http://www.doosanbears.com/players/cheering.do 두산베어스 응원단]
         * [http://www.oksavingsbankrushncash.com/player/cheerleader.asp 안산 OK저축은행 러시엔캐시 응원단]
  • 한확 . . . . 2회 일치
         한확은 세조에게는 더할 나위 없는 충신이었다. 그는 그의 누나가 명나라 성조(成祖)의 후궁이 되면서 명나라 황실의 벼슬을 받고 외교채널이 된다.<ref name="ky">[http://www.kyeongin.com/news/articleView.html?idxno=496702 <nowiki>[</nowiki>王을 만나다·16<nowiki>]</nowiki>서오릉-경릉 ( 추존 덕종·소혜왕후) : 남존여비 '女訓'과 상반된 '여성상위능'] 경인일보 2010.01.14</ref> 그리고 누이동생 또한 명나라 선종(宣宗)의 후궁으로 간택돼 더욱 외교적 입지를 다지게 된다. 사실 한확의 두 누이이자 인수대비의 고모들은 명나라에 공녀로 바쳐진 가슴 아픈 사연을 지녔다. 한확은 계유정난 때 세조를 도와 정난공신 1등에도 올랐는데 세조의 왕위 찬탈을 승인하지 않던 명나라에 들어가 단종이 왕위를 물려준 양위라고 설득한다. 그러나 한확은 골치 아픈 외교 문제를 해결하였다.<ref name="ky"/>
         {{Col-begin}}
  • 허드슨 대학교 . . . . 2회 일치
          * '''뉴욕에서 제일 위험한 대학''' http://gothamist.com/2010/03/30/most_dangerous_college_in_nyc_hudso.php
          * 왜 너는 '''절대로''' 뉴욕의 허드슨 대학에 가면안되는가 http://www.scoutingny.com/why-you-should-never-ever-go-to-new-york-citys-hudson-university/
  • 허민호 . . . . 2회 일치
         '''허민호''' (1990년 3월 1일 ~ )는 [[대한민국]]의 [[트라이애슬론]] 선수이다. 그는 [[2012년 하계 올림픽]] 트라이애슬론 남자 개인 종합에서 활약했다.<ref>{{웹 인용|제목=허민호 올림픽 성적|url=http://www.sports-reference.com/olympics/athletes/he/heo-min-ho-1.html|확인날짜=2012년 8월 7일|work=sports-reference.com|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121217065439/http://www.sports-reference.com/olympics/athletes/he/heo-min-ho-1.html|보존날짜=2012년 12월 17일}}</ref>
  • 현덕 . . . . 2회 일치
         * 이희동, 〈[http://www.kyeongin.com/main/view.php?key=241000 인천인물100人·30 아동작가 현덕]〉, 2005.
  • 현재윤 . . . . 2회 일치
         트레이드 후 1군에 복귀했으며, [[2013년]] 데뷔 첫 올스타에 선정되었으나 [[7월 9일]] 잠실 NC전에서 [[찰스 쉬렉|찰리]]의 투구를 맞고 왼 손목 골절상을 당해 올스타전 출전권을 [[김태군 (야구 선수)|김태군]]에게 넘겼고, 주전포수는 [[KIA 타이거즈]] 포수 [[차일목]]이 나왔다.<ref>[http://sports.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baseball&ctg=news&mod=read&office_id=014&article_id=0002930096 NC 김태군, 현재윤 부상으로 올스타전 합류] - 파이낸셜뉴스</ref> 이후 고질적인 왼손 엄지손가락 통증으로 [[2014년]] [[12월 29일]] 현역 은퇴를 선언했다.<ref>[http://sports.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baseball&ctg=news&mod=read&office_id=382&article_id=0000300457 LG 포수 현재윤 ‘현역 은퇴’] - 스포츠동아</ref>
  • 현재현 . . . . 2회 일치
         * 1996년 APEC Business Advisory Council 위원
         * 2005년 APEC Business Advisory Council 의장
  • 홍인영 . . . . 2회 일치
         ||<#FF0000><:> {{{#FFFFFF '''링크''' }}} ||<:> [[https://www.instagram.com/iy_h1027]] ||
          * [[2016년]] [[5월 5일]]에 배우 [[전승빈]]과 7년열애 끝에 [[http://entertain.naver.com/read?oid=111&aid=0000454482|결혼]] 한다고 한다.
  • 홍지운 . . . . 2회 일치
         [[경남대학교]] 진학 후 어깨 부상으로 1년 동안 재활했고, 2학년 때부터 본격적으로 경기에 출장하기 시작해 4학년 때에는 팀의 4번 타자로 활약했다.<ref>[http://www.ncdinos.com/board/story/view?articleId=7641 핫코너를 책임질 핫한 신인, 홍지운] - NC 다이노스</ref> 대학 4년간 68경기에 출전해 타율 0.288, 출루율 0.398, 장타율 0.410, 205타수 59안타, 2홈런, 29타점, 32볼넷, 53삼진을 기록하였다.
         * {{언어링크|ko}} [http://www.ncdinos.com/player/person?pid=173 홍지운] - [[NC 다이노스]]
  • 황덕균 . . . . 2회 일치
         [[서울 해치]]의 해산 이후 트라이아웃을 통해 [[NC 다이노스]]에 이적했고, [[2013년]] [[9월 5일]] 처음으로 1군에 올라왔다. [[9월 8일]] [[SK 와이번스|SK]]전을 통해 데뷔 11년 만에 1군 마운드에 올랐다. 하지만 아웃 카운트를 하나도 잡지 못하고 1피안타 2볼넷으로 2실점(비자책)한 후 [[정진 (야구 선수)|정진]]과 교체되어 마운드를 내려갔고,<ref>[http://sports.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kbo&ctg=news&mod=read&office_id=410&article_id=0000098580 NC 황덕균, 11년 만에 밟은 1군 마운드] - MK 스포츠</ref> 다시 2군으로 내려갔다. [[2013년]] [[NC 다이노스]]에서 시즌 후 스카우트 제의를 받았으나, 현역 연장을 선언하여 방출되었다.<ref>[http://www.idomin.com/news/articleView.html?idxno=432063 NC, 황덕균·한윤기·박정훈·김동건 방출] - 경남도민일보</ref>
  • 황선희 . . . . 2회 일치
         | 웹사이트 = [http://www.praintpc.com/bbs/board.php?bo_table=hwangsunhee_info&wr_id=1 프레인TPC 황선희]
  • 후쿠오카 예비교생 살인사건 . . . . 2회 일치
          * http://ringosya.jp/fukuoka-kitagawahikaru-oosakadaigaku-22380
          * http://mainichi.jp/sunday/articles/20160307/org/00m/040/007000d
  • 1만 시간의 법칙 . . . . 1회 일치
         미국 미시간 주립대의 연구결과에 따르면, 노력이 실력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그다지 높지 않다고 한다. 게임은 26%, 음악은 21%, 스포츠는 18%라고. 가장 흥미로운 것은 공부로서, 노력이 차지하는 비율은 고작 4%에 지나지 않는다고 한다.[[http://news.jtbc.joins.com/article/article.aspx?news_id=NB10533053 (기사)]]
  • 2016년 남양주 폭발사고 . . . . 1회 일치
          *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6/06/01/0200000000AKR20160601029256060.HTML
  • AC-130 . . . . 1회 일치
         [[http://www.af.mil/AboutUs/FactSheets/Display/tabid/224/Article/104485/ac-130w-stinger-ii.aspx|미 공군 홈페이지의 AC-130W 스팅거 II 데이터]]
  • AT4 . . . . 1회 일치
         미국에선 어떤 얼간이가 군대에서 사용한 AT4 발사관을 집에 가져온 적이 있다. 경찰에서 총기 회수 캠페인을 벌일 때 가족 중 한명이 넘겨버렸다고. [[http://usnews.nbcnews.com/_news/2012/12/28/16221808-rocket-launchers-surface-during-los-angeles-guns-buyback?lite|링크]].
  • ATM . . . . 1회 일치
         Automated Teller Machine
  • Crusader Kings 2/궁정 . . . . 1회 일치
         게임 [[Crusader Kings 2]]의 시스템 중 하나인 궁정에 대해 설명하는 페이지.
  • EditTextForm . . . . 1회 일치
         [[EditHints]]
  • Europa Universalis 4 . . . . 1회 일치
         [[스웨덴]]의 게임 제작사인 [[패러독스 인터랙티브]]에서 만든 역사 시뮬레이션 게임 시리즈인 Europa Universalis 시리즈의 4번째 게임. 보통 같은 제작사에서 만든 [[Crusader Kings 2]]와 비교되는 편이 많으며, 실제로도 [[인터페이스]]가 상당히 유사하다~~당연하지 둘다 같은 제작사니깐.~~[* 엔진이 클라슈비츠로 같은게 가장크다.] 다만 차이점이 있다면, 크킹은 유저가 '''통치자'''에 입장에서서 자기 가문원을 늘리면서 확장해가는 방식이라면 유파는 유저가 말그대로 나라하나를 통째로 경영해가는 느낌이라는 것정도...?~~그러니깐 크킹이 1인칭 주인공 시점이라면 유파는 전지적 작가시점이라는 것이다~~
  • F-15 . . . . 1회 일치
         1974년 11월 F-15B가 훈련부대에 배치되었으며, 1976년 1월 전투부대인 제1전술전투항공단(1st Tactical Fighter Wing)에 배치되었다.
  • IncludeMacro . . . . 1회 일치
         {{{[[Include(Page name[,heading[,level]])]]}}}
          * {{{[[Include(Page Name)]]}}} 혹은 {{{[[Include("Page Name")]]}}}라고 입력하면 문서이름 "Page Name"의 내용을 문서에 삽입하게 됩니다.
          * 예를 들어 {{{[[Include(Page Name, "포함되는 문서 제목", 2)]]}}}라고 입력하면 Page Name 문서를 포함시키고, 해당 문서가 포함되는 위치에 제목줄을 {{{== 포함되는 문서 제목 ==}}}이라는 제목줄을 함께 포함하여 출력합니다.
         {{{[[Include(HelloWorld,"Hello, World!!",3)]]}}}
         [[Include(HelloWorld,"Hello, World!!",3)]]
         {{{[[Include(틀:이름,foobar="어쩌구, 저쩌구", bar=저쩌구)]]}}}
          * {{{[[Include(틀:이름,foobar="hello",foobar2="world",,"hello world",bah)]]}}}
  • IncludeTemplate . . . . 1회 일치
         <div style="border: 3px solid Orange;padding:10px;">테스트
  • K리그 챌린지/2014시즌 . . . . 1회 일치
         Thanks for spending time on the computer (wntiirg) so others don't have to.
  • K리그 클래식 . . . . 1회 일치
         [[국제축구역사통계연맹]](IFFHS)의 평가에서 K리그는 세계적으로 30위 내에는 꾸준히 들어가는 리그다. [[http://iffhs.de/the-strongest-league-in-the-world-2015/|2015년 발표만 봐도]] [[그리스]], [[네덜란드]]와 비슷한 점수를 받는 상황. 그리고 [[스코틀랜드]]보다 순위가 더 높다. 아시아를 넘어 세계로 봐도 결코 무시할 리그는 아니다.
  • NavigationMacro . . . . 1회 일치
          * WikiName - 위키 문서 이름짓기
          * HelpOnEditing - 편집 설명
  • Project:Union . . . . 1회 일치
         <<include(틀:공동창작)>>
  • TableOfContentsMacro . . . . 1회 일치
         Please see HelpOnHeadlines
  • USS 뷰캐넌 . . . . 1회 일치
         미국 메인 주에 위치한 배스 철공소(Bath Iron Works)에서 건조. 1919년 1월 20일, 미국 보스턴에 위치한 찰스타운 해군기지에서 취역하였다. 함명의 유래는 미 해군 제독 프랭클린 뷰캐넌(Franklin Buchanan)으로, [[미국-멕시코 전쟁]]에 참가했으며, [[남북전쟁]]에서 남부 소속으로 활동한 인물이었다.
  • UrlMappingMacro . . . . 1회 일치
         [[UrlMapping]]
  • UserPreferences . . . . 1회 일치
         '''[[GetText(logout)]]'''을 누르면 쿠키가 지워지고, '''[[Gettext(Login)]]'''을 하시면 쿠키가 사용되며, 다른 곳에서도 같은 설정을 유지하며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공공의 PC에서 [필명]이 도용되는 것을 막기 위해서 '''[[GetText(Logout)]]'''을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Victoria II/군사와 전투 . . . . 1회 일치
          * 보병(Infantry)
          * 공병(Engineer)
  • Victoria II/정당 . . . . 1회 일치
          * 간섭주의(Interventionism)
          * 징고이즘(Jingoism)
  • WordIndex . . . . 1회 일치
         [[WordIndex]]
         [http://superiorpapers.com paper writing]
  • weeaboo . . . . 1회 일치
          * http://www.urbandictionary.com/define.php?term=Weeaboo
  • 가상 메모리 . . . . 1회 일치
         아주 간단히 말하자면 은행 순번표 같은 형식[* 이를 페이징(Paging)이라고 한다.]으로 각 메모리 공간마다 순번을 할당해놓고 필요할 때마다 돌려쓰는 것이다. 이 때문에 실제 메모리 공간을 초과한 프로그램을 올려도 '일단은' 문제가 생기지 않게 되었다. 또한, 메모리 단편화 문제도 어느 정도 해소된다. 이는 메모리를 일정한 단위로 쪼개어 쓰기 때문이다.
  • 가석방 . . . . 1회 일치
         * [[재벌]] 기업인들이 가석방을 지나치게 많이 받는다는 비판이 있다.[http://www.huffingtonpost.kr/nohyun-kwak/story_b_6383836.html 참조]
  • 강상재 . . . . 1회 일치
         | 그림 = http://hol.phinf.naver.net/00/570/190/57019022_0.jpg
  • 강연재 . . . . 1회 일치
         | 사진 = http://post.phinf.naver.net/MjAxODA4MjNfMjEg/MDAxNTM1MDEyMDcxNTk1.8O5ry_2tsVzTxS3DSa1RGDcGBZlqjy8Uw45gFgR6RyIg.B3ATn40pET0wa-6JrHFXmWtFSay-kkssjVjNlJm2eSgg.JPEG/Ip9fhTkX7V1X_rwr0OBGFUmt8VcA.jpg
  • 강원 FC . . . . 1회 일치
         실제 창단의 시발점은 2008년 4월 28일에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15&oid=001&aid=0002064010|"강원도민프로축구단 창단추진"]을 발표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정몽준 前 축협회장이 참가하여 "창단을 축하한다"는 발언을 생각하면 이 시기를 구단 역사의 첫 페이지로 봐도 무방할 것 같다.[* [[http://www.viewsnnews.com/article?q=33646|참고기사]]] 당시 도지사였던 김진선 이외에도 18대 국회의원으로 당선되었던 이광재(태백, 영월, 평창, 정선), 최욱철(강릉)도 여기에 대해서는 당선공약으로 내세웠을 정도로 여야를 막론한 창단의 동의는 사실상 이루어졌다고 봐도 무방할 것이다.
  • 강정길 . . . . 1회 일치
         [[1985년]] [[삼성 라이온즈]]의 1차 1순위 지명을 받았으나 지명권 양도로 [[이강돈]]과 함께 [[한화 이글스|빙그레 이글스]]의 창단 멤버로 입단했다. 주 포지션은 [[1루수]]였고, 정교한 타격을 선보이는 중거리형 타자였다. [[이정훈 (1963년)|이정훈]], [[이강돈]] 선수와 함께 [[한화 이글스|빙그레 이글스]] 타선의 중심 역할을 하였다.<ref>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7&oid=109&aid=0001995565 강정길, "삼성만 만나면 펄펄 날았다"] 《Osen》, 2008년 12월 10일</ref> [[2008년]]부터 [[2013년]]까지 모교인 [[경북고등학교]] 야구부 감독을 지냈다.
  • 강진(가수) . . . . 1회 일치
         [include(틀:문서 가져옴,title=강진,version=19)]
  • 검은방 시리즈 . . . . 1회 일치
         <<include(틀:스포일러)>>
  • 경마 . . . . 1회 일치
         1174년, [[영국]]의 [[헨리 2세]] 때 현재와 같은 명칭을 쓰는 경마가 나타나게 된다. 중세의 경마는 왕과 귀족들이 즐겼기 때문에 왕의 스포츠(Sports of Kings)로 불렸다. 1780년 현대 경마의 기원이라 불리는 더비 경마가 열렸다.
  • 계림 . . . . 1회 일치
         [http://kr.gxta.gov.cn/guilin.html 광서장족자치구여행국 계림]
  • 고세원 . . . . 1회 일치
         고세원은 [[박찬호]] 군대 조교를 했었다고 박찬호와의 인연을 들려줬다. [[1999년]]부터 [[2000년]] [[8월]]까지 충남 공주 육군 32사단 신병교육대에서 조교로 복무했고 그때 [[박찬호]]는 [[1998년]] 방콕아시안게임에서 우승을 해 병역면제 혜택을 받은 후 [[1999년]] [[10월]] 이곳에 입소해 4주간 군사 훈련을 받았다는 것이다. 어느 날은 라면 끓일 뜨거운 물로 라면을 포기하고 [[박찬호]]의 허리 찜질을 해 줬다는 얘기도 들려줬다.<ref>{{뉴스 인용|url=http://www.kyeongin.com/news/articleView.html?idxno=351904|제목=탤런트 고세원 "박찬호 軍조교가 바로 나"|성=|이름=|날짜=2007-10-30|출판사=경인일보|확인날짜=2010-04-20}}</ref>
  • 고원희 . . . . 1회 일치
         | 웹사이트 = {{인스타그램|go_wonhee/}}<br>{{페이스북|angelina.kim.585}}
  • 고주원(배우) . . . . 1회 일치
         || '''링크''' ||<(> [[https://www.instagram.com/kojoowon/|[[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png|width=24]]]] ||
  • 곰둘라 . . . . 1회 일치
         [[마블 코믹스]]의 캐릭터. 첫등장은 Journey into Mystery #61(October 1, 1960)
         여담이지만 등장 코믹스 표지에 'HERE COMES GOMDULLA THE LIVING PHAROAH!'라 적혀있다.
  • 구광본 . . . . 1회 일치
         * [http://www.incheonilbo.com/?mod=news&act=articleView&idxno=787854 인천일보 2017-11-20자에 실린, 구광본의 시 〈서른 해〉]
  • 국제복싱기구 . . . . 1회 일치
         International Boxing Organization
  • 권성욱 . . . . 1회 일치
         |웹사이트=[http://www.kbsn.co.kr/sports/broadcaster.php?seq=13&page1=1&index=0&menu_code=108411831181&keyfield=&keyword= 권성욱 소개]
  • 권수현(배우) . . . . 1회 일치
         | 웹사이트 = [http://hbenter.com/ko/main/artist 공식사이트]
  • 권영진 (야구선수) . . . . 1회 일치
         |영문 표기 = Kwon Young-Jin
  • 권해효 . . . . 1회 일치
         [[2005년]] [[10월 23일]] 혈중알코올농도 0.119%의 만취상태에서 자신의 [[랜드로버|랜드로버 지프]]를 운전하다 [[http://star.mt.co.kr/stview.php?no=2005102607482318436&outlink=1&ref=https%3A%2F%2Fsearch.naver.com|음주단속에 적발]]되어 불구속 입건되었고, 운전면허는 취소됐다.
  • 금잔디 . . . . 1회 일치
          * 싱글 앨범 "Prince" (2017년)
  • 김가을 (수영선수) . . . . 1회 일치
         '''김가을'''([[1997년]] [[1월 17일]] ~ )은 [[대한민국]]의 여자 [[수영]] 선수이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7&oid=038&aid=0002158762 <nowiki>[라운지] 역대 최연소 수영 국가대표 김가을</nowiki>]</ref>
  • 김강근 . . . . 1회 일치
         * [https://baduk.or.kr/info/player_view.asp?prpl_code=10000125 한국기원의 기사 정보]
  • 김기섭 (1939년) . . . . 1회 일치
         {{Col-begin}}
  • 김대진 (야구인) . . . . 1회 일치
         |영문 표기 = Kim Dae-Jin
  • 김도연(배우) . . . . 1회 일치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김도연, version=47)]
  • 김동준(제국의아이들) . . . . 1회 일치
         [include(틀:제국의아이들 멤버)]
  • 김명신 (야구선수) . . . . 1회 일치
         |영문 표기 = Kim Myeong-Sin
  • 김문집 . . . . 1회 일치
         |url=http://www.artnstudy.com/zineasf/Nowart/penitence/lecture/03.htm}}</ref> [[대한민국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가 발표한 [[친일반민족행위 705인 명단]]에도 포함되었다.
  • 김미경(강사) . . . . 1회 일치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김미경(1963), version=23)]
  • 김민수 (1992년) . . . . 1회 일치
         |영문 표기 = Kim Min-Su
  • 김민희(1972) . . . . 1회 일치
         [include(틀:문서 가져옴,title=김민희,version=51)]
  • 김병옥(배우) . . . . 1회 일치
         [include(틀:다른 뜻1, other1=닥터 진의 등장인물, rd1=김병옥(닥터 진))]
  • 김병윤 . . . . 1회 일치
         https://search.pstatic.net/common?type=a&size=120x150&quality=95&direct=true&src=http%3A%2F%2Fpeople.phinf.naver.net%2F20150415_243%2F1429029042585NeN30_JPEG%2Fyonhapnews_34008801.jpg
  • 김병준(육상) . . . . 1회 일치
         ||<:><#131230> '''{{{#white 링크}}}''' || [[https://www.instagram.com/byoungjunkim|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png|width=24]]]] ||
  • 김보정 . . . . 1회 일치
         * 2017년 11월 1일 ~ 2018년 1월 14일 《투모로우 모닝 Tomorrow Morning》 ... 캣 역 (예정)
  • 김봉근(배우) . . . . 1회 일치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김봉근, version=29)]
  • 김봉환(1921) . . . . 1회 일치
         https://search.pstatic.net/common?type=a&size=120x150&quality=95&direct=true&src=http%3A%2F%2Fpeople.phinf.naver.net%2F20140602_201%2F1401704338349RFN6w_JPEG%2Fchosun_400001623.jpg
  • 김부식 . . . . 1회 일치
         {{Col-begin}}
  • 김새해 . . . . 1회 일치
         * [http://www.toonivoice.com/bbs/member_view.php?uid=61&sort_names=&classkind=7 CJ E&M 성우극회 홈페이지]
  • 김성곤 . . . . 1회 일치
         [include(틀:역대 학교법인 국민학원 이사장)]
  • 김성민 (1994년) . . . . 1회 일치
         |영문 표기 = Kim Sung-Min
  • 김성조 . . . . 1회 일치
         || '''링크''' || [[https://twitter.com/kimseongjo|트위터]] [[https://www.facebook.com/%EA%B9%80%EC%84%B1%EC%A1%B0-1661423694096742/?fref=ts|페이스북]] [[https://www.instagram.com/kimseongjo/|인스타그램]] ||
  • 김성주(축구선수) . . . . 1회 일치
         [include(틀:제주 유나이티드/간략)]
  • 김수진(배우) . . . . 1회 일치
         * [[표절]] (1999년) - 은영 역 <ref>[http://movie.daum.net/moviedetail/moviedetailMain.do?movieId=221&t__nil_Biography_workList=workname 다음영화]</ref>
  • 김수학 (법조인) . . . . 1회 일치
         '''김수학'''(金洙學, 1954년 3월 17일 ~)는 제38대 대구고등법원장 등을 역임한 법조인이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3&aid=0003646019]</ref>
  • 김승관 . . . . 1회 일치
         [include(틀:상위 문서, top1=야구 관련 인물(KBO))]
  • 김승목 . . . . 1회 일치
         https://search.pstatic.net/common?type=a&size=120x150&quality=95&direct=true&src=http%3A%2F%2Fpeople.phinf.naver.net%2F20140602_83%2F1401695617539xtX4d_JPEG%2Fyonhapnews_28337894.jpg
  • 김승환(배우) . . . . 1회 일치
         [include(틀:다른 뜻1, other1=現 전라북도 교육감 김승환, rd1=김승환(1953))]
  • 김쌍수 . . . . 1회 일치
         [include(틀:상위 문서, top1=기업인/목록)]
  • 김연수(작가) . . . . 1회 일치
         [include(틀:블러썸 소속 아티스트)]
  • 김영준(1941) . . . . 1회 일치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김영준, version=31)]
  • 김영한 (1900년) . . . . 1회 일치
         '''김영한'''(金永漢, [[1900년]] ~ [[1980년]]<ref>《한국일보》 (1987.12.18) [http://www.kinds.or.kr/imgdata8/1987/12/18/19871218HKM07.pdf 알뜰살림 속에 숨은 內助... "보통 부인"]</ref>)은 [[대한민국]] 제13대 대통령 [[노태우]]의 장인이다.
  • 김유미(1979) . . . . 1회 일치
         최근 [[정우]]와 교제하는 것으로 주목을 받고 있다. 2016년 1월 12일 [[정우]]가 트위터에서 [[https://twitter.com/jungwoo109/status/687138314466373632|결혼을 발표했다.]] 2016년 12월 15일 첫째를 득녀했다. [[http://m.entertain.naver.com/read?oid=109&aid=0003449048|#]]
  • 김장섭 . . . . 1회 일치
         https://search.pstatic.net/common?type=a&size=120x150&quality=95&direct=true&src=http%3A%2F%2Fpeople.phinf.naver.net%2F20150317_111%2F1426523419518itzOb_JPEG%2Fyonhapnews_28325502.jpg
  • 김재권 (철학자) . . . . 1회 일치
         * 《Supervenience and Mind: Selected Philosophical Essays》(1993)
  • 김창규 (작가) . . . . 1회 일치
         | url = http://www.cbinews.co.kr/news/quickViewArticleView.html?idxno=81262
  • 김창숙(배우) . . . . 1회 일치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김창숙, version=30)]
  • 김천세광한의원 . . . . 1회 일치
         https://mblogthumb-phinf.pstatic.net/20160317_96/hkeung8946_1458193698102VjyvD_JPEG/20160317_124106.jpg
  • 김천시장애인종합복지관 . . . . 1회 일치
         https://img1.daumcdn.net/thumb/R1920x0.q100/?fname=http%3A%2F%2Fpostfiles11.naver.net%2FMjAxNzAzMTFfMjE4%2FMDAxNDg5MTk4NzIzNjE2.OuLke95fnUxOsxVSXwxvf1zIDCgwmv7GhfVjKxslHYUg.Dv1RGGdh9QwsPdjjTvD47PvhAhMOKb77ywhT9jxwaaEg.JPEG.minuet1012%2F20170310_145318.jpg%3Ftype%3Dw966
  • 김태룡(정치인) . . . . 1회 일치
         https://search.pstatic.net/common?type=a&size=120x150&quality=95&direct=true&src=http%3A%2F%2Fpeople.phinf.naver.net%2F20140602_109%2F1401700247329UYsvk_JPEG%2Fchosun_400015169.jpg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김태룡, version=62)]
  • 김태연(배우) . . . . 1회 일치
         [include(틀:문서 가져옴,title=김태연,version=33)]
  • 김현민 (야구선수) . . . . 1회 일치
         |영문 표기 = Kim Hyeon-Min
  • 김현성(가수) . . . . 1회 일치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김현성, version=62)]
  • 김현철(교수) . . . . 1회 일치
         [include(틀:대통령비서실)]
  • 김형태(정치인) . . . . 1회 일치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김형태, version=240)]
  • 김효기 . . . . 1회 일치
         [include(틀:경남 FC/간략)]
  • 김효원 . . . . 1회 일치
         {{Col-begin}}
  • 김희정 (펜싱선수) . . . . 1회 일치
         '''김희정'''(金熙正<ref>{{뉴스 인용 | 제목=<프로필> 펜싱 에폐 금메달 金熙正 | url=https://sports.news.naver.com/general/news/read.nhn?oid=001&aid=0004013398 | 출판사=연합뉴스 | 저자= | 쪽= | 날짜=1995-04-15 | 확인날짜=2018-09-14}}</ref>, [[1975년]] [[1월 1일]] ~ )은 [[대한민국]]의 은퇴한 [[펜싱]] 선수로 주 종목은 [[에페]]이다. [[1996년 하계 올림픽|1996년]]과 [[2004년 하계 올림픽]]의 출전 경험이 있다.<ref name="sports-reference">{{웹 인용|url=http://www.sports-reference.com/olympics/athletes/ki/kim-hui-jeong-1.html |제목=Kim Hui-Jeong Olympic Results |확인날짜=2012년 2월 19일 |웹사이트=sports-reference.com}}</ref> 그녀는 [[2002년 아시안 게임]]에도 참가하여 개인전과 단체전 2관왕을 하기도 하였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7&oid=020&aid=0000154716 펜싱 이승원-김희정 2관왕 찔렀다]</ref>
  • 나폴레옹: 토탈워 . . . . 1회 일치
          * The Peninsular Campaign
  • 나폴레옹: 토탈워/유닛의 종류 . . . . 1회 일치
          * 전열보병(Line Infantry)
          * 경보병(Light Infantry)
  • 남일해 . . . . 1회 일치
         |[[1963년]]||빨간구두 아가씨||<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3&oid=009&aid=0003004171], 매일경제신문, 2013년 7월 26일, 빨간색을 양지로 끄집어낸 남일해의 ‘빨간 구두 아가씨’ [패션찬가 ③]</ref>
  • 남치근 . . . . 1회 일치
          * http://rinks.aks.ac.kr/RINKSRedirect.aspx?sCode=PEOPLE&sId=PPL_6JOa_A9999_1_0003348
  • 노루토끼 . . . . 1회 일치
         볼퍼팅어Wolpertinger의 한국어 번역 명칭. 블리자드의 온라인 게임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의 한국 서버에선 '노루토끼'로 번역되어 있기 때문이다.
  • 노인 홈 . . . . 1회 일치
          * http://www.yurokyo.or.jp/checkpoint/abouthome.html
  • 노해 . . . . 1회 일치
          * http://dictionary.goo.ne.jp/jn/244842/meaning/m0u/
  • 녹색 종이 . . . . 1회 일치
         attachment:modorinokami.jpg
  • 뇌파 . . . . 1회 일치
          * http://www.laxtha.com/Product.asp?x=2&y=17&z=29&infid=155
  • 눈에서 비늘이 떨어진다 . . . . 1회 일치
          * http://yain.jp/i/%E7%9B%AE%E3%81%8B%E3%82%89%E9%B1%97%E3%81%8C%E8%90%BD%E3%81%A1%E3%82%8B
  • 닌자 거북이 . . . . 1회 일치
         Teenage Mutant Ninja Turtles
  • 다운증후군 . . . . 1회 일치
          * http://www.downdiswalk.com/kind/what.html
  • . . . . 1회 일치
         요즘은 인간들의 [[품종 개량]]으로 [[http://www.huffingtonpost.kr/2014/10/23/story_n_6032926.html|몸을 불린 닭도 있다.]]
  • 담철곤 . . . . 1회 일치
         '''담철곤'''(譚哲坤, [[1955년]] [[6월 6일]] ~ )은 [[오리온그룹]] 회장을 맡고 있는 [[대한민국]]의 [[기업인]]이다. <ref>[http://www.businesspost.co.kr/news/articleView.html?idxno=17174 담철곤 오리온그룹 회장]. 비즈니스포스트</ref>
  • 데부 . . . . 1회 일치
         또 다른 속설로는 영어 더블 친(Double chin, 이중턱)이 "데부친"이 되어 "데부"가 되었다는 설, 데스 앤 버스트(Death and Burst, 죽음과 폭발)에서 나왔다는 설이 있다.
  • 도나우 강 . . . . 1회 일치
         연간 40만 톤의 쓰레기에 시달리고 있다.(…)[http://www.47news.jp/korean/international_diplomacy/2015/03/110451.html 참조기사]
  • 독친 . . . . 1회 일치
         http://mainichi.jp/select/news/20140923k0000e040187000c.html
  • 돈가스 . . . . 1회 일치
         [[http://www.aladin.co.kr/shop/wproduct.aspx?ItemId=667370|돈가스의 탄생 - 튀김옷을 입은 일본근대사]]
  • 돌비 . . . . 1회 일치
         突沸, Bumping
  • 동물의 체온조절 시스템 . . . . 1회 일치
          * 중온동물(mesothermic) : 항온동물과 변온동물의 중간. 주변 환경에 따라 체온이 달라지지만, 체내에서 열을 생성하는 기능 또한 갖추고 있다. [[공룡]]이 [http://jjy0501.blogspot.kr/2014/06/Is-Dinosaur-a-mesotherms.html 중온동물이었다]는 학설이 있다. 현존하는 동물 가운데서는 가시두더쥐, 백상아리 등이 이로 분류된다.
  • 동전던지기 . . . . 1회 일치
         > "동전을 몇개 던져봐라 [[나도하]]." - [[방사형]] in [[럭키짱]]
  • 둠 패트롤 . . . . 1회 일치
          본명 래리 트레이너(Larry Trainor). 비행기 테스트를 하다가 대기중의 [[방사능]]에 노출되어 초능력을 얻었다. 자신의 몸에서 음전하로 충전된 빛에 둘러쌓인 그림자 같은 [[분신]]을 뽑아낼 수 있게 되었는데, 분신을 분리한 상태에서는 매우 약하고 위험하기 때문에 분신을 꺼내는 것은 60초 동안만 가능하다. 또한 사고의 영향으로 [[투명인간]]이 되버려서 평소에는 붕대를 감고 있다. 능력 때문에 이런 이름인 것 같지만 사실 이름 그대로 네거티브한 성격이기도 하다.
  • 듄 2 . . . . 1회 일치
         Dune II: The Building Of A Dynasty. [[웨스트우드]]에서 개발한 실시간 전략 [[게임]]. SF소설 [[듄 시리즈]]를 배경으로 하고 있다. 아트레이트, 오르도스, 하코넨의 3가문 가운데 1곳을 선택하여 미션을 플레이하여 듄 행성을 정복하는 전개를 가지고 있다.
         유닛 가운데 보병(Soldier)는 업그레이드를 거쳐서 경보병(Light Infantry)로 생산할 수 있다. 보병은 1명 씩, 경보병은 3명 한 세트로 나온다. 경보병은 재미있는게 공격을 받아 죽으면 1명만 남는데 이 경우 유닛명이 솔져(병사)로 바뀐다(?!).
          상징색은 붉은색. 기에디 프라임을 본거지로 하는 잔악하고 포악한 가문. 경보병(Light Infantry)을 사용하지 않는다.
  • 디아스포라 . . . . 1회 일치
         [https://joindiaspora.com/]
  • 딩크 . . . . 1회 일치
         DINKs
         영미권에서 [[맞벌이]]를 하면서 의식적으로 아이를 가지지 않는 부부. 수익은 2인분, 아이는 없음을 뜻하는 더블 인컴 노 키즈(Double Income No Kids)의 머리문자에서 따왔다. Dinky라고도 한다.
  • 뜨거운 것이 좋아 . . . . 1회 일치
         <<include(틀:스포일러)>>
  • 런너즈 하이 . . . . 1회 일치
          * http://running.awa.fm/posts/485313
  • 런던 . . . . 1회 일치
         브리튼 섬이 로마의 식민지이던 시절, 로마군이 세운 요새 "론디니움"(Londinium)이 시초이다.
  • 레스터 길리스 . . . . 1회 일치
         11월 27일, 길리스 일당은 시카고에서 차를 훔쳐 위스콘신 주로 향하던 도중 FBI 차량에게 발각된다. 곧이어 FBI와 길리스 일당의 총격전이 벌어진다. 길리스 일당은 FBI를 피해 도망쳤지만 또다른 FBI 차량을 만나게 된다. 새뮤얼 P. 코울리(Samuel P. Cowley) 감찰관과 허먼 E. 홀리스(Herman E. Hollis) 특별 수사관이었다. 첫번째 차량과의 총격전으로 라디에이터가 파손되어 제대로 도망칠 수 없던 길리스 일당은 고속도로를 벗어나 일리노이 주 배링턴(Barrington)에서 차를 세운다. 그러고는 뒤쫓아 오는 FBI 차량에 자동화기를 난사한다. 배링턴 전투라고 불리는 이 총격전으로 홀리스 특별 수사관은 사망하고, 코울리 감찰관 역시 치명상을 입어 다음날 사망한다. 하지만 길리스 역시 치명상을 입는다. 체이스와 헬렌 길리스는 FBI 요원들이 타고있던 차를 훔쳐 길리스와 무기들을 옮겨 싣은 다음 그 차를 몰고 도망친다.
  • 로어셰크 . . . . 1회 일치
         <<include(틀:스포일러)>>
  • 롤러 슈즈 . . . . 1회 일치
         2016년대 7월경 대한민국 내에서 다시 유행하고 있다는 [[http://m.mt.co.kr/renew/view.html?no=2016071412591029620&type=outlink#imadnews|기사가 나왔다.]]
  • 류지혜 (레이싱모델) . . . . 1회 일치
         | 웹사이트 = https://www.instagram.com/67s2
  • 마리네 . . . . 1회 일치
         mariné
  • 마의 2세아 . . . . 1회 일치
          * http://moomii.jp/kosodate/manoage2-point.html
  • 마치킨 . . . . 1회 일치
          * http://www.ifinance.ne.jp/glossary/loan/loa095.html
  • 마터니티 포토 . . . . 1회 일치
         [[카고 아이]]의 마터니티 포토([[https://www.instagram.com/p/BNkvUz-jMXW/ 참조]])
  • 만쥬 무섭다 . . . . 1회 일치
          * http://ginjo.fc2web.com/285manju_kowai/manjukowai.html
  • 맥스 페인 시리즈 . . . . 1회 일치
         [[http://www.rockstargames.com/maxpayne/index.html|공식 홈페이지]]
  • 맥시 제우스 . . . . 1회 일치
         [[DC 코믹스]]의 빌런. 본명 Maximillian Zeus. 첫등장은 Detective Comics #483 - Terminus. (1979 May 1)
  • 맨씽 . . . . 1회 일치
         Man-Thing
  • 머신맨 . . . . 1회 일치
         Machine Man
  • 메디나 . . . . 1회 일치
         2016년 7월 4일 저녁(한국 시간 5일 새벽) 한 남성이 메디나에 있는 [[예언자]] [[모스크]] 부근에서 자폭하여, 보안요원 4명이 사망하고 5명이 부상을 입었다. 사우디에서는 같은 날 동부 카디프, 서부 제다 항구도시의 미국 총영사관 부근에서도 자폭 테러가 발생했다. 이는 이슬람 테러 조직 [[이슬람국가]]가 [[라마단]] 기간 동안에 테러를 무슬림들에게 호소한 것에 호응한 것으로 보인다. 사우디 당국의 발표에 따르면, 예언자 사원을 향하던 남성을 수상하게 여긴 치안 당국자가 제지를 했는데 몸에 두르고 있던 폭발물을 터트려서 테러를 일으켰다고 한다.[[http://www.47news.jp/korean/international_diplomacy/2016/07/141460.html (참조)]]
  • 멸사봉공 . . . . 1회 일치
          * http://www.haginet.ne.jp/users/kaichoji/hw-syakai22.htm
  • 몬스터버스 . . . . 1회 일치
          * [[고질라: Awakening]]
  • 못난 나를 사랑해주세요 . . . . 1회 일치
          * 슈에이사 작품소개 : http://you.shueisha.co.jp/lineup/damena_watashi.html
  • 문석희 . . . . 1회 일치
         </noinclude>
  • 문옥주 . . . . 1회 일치
         1924년 [[경상북도]] [[대구]]에서 출생하였다. 1936년 16살에 일본 헌병대로 끌려가 만주와 동남아시아 미얀마에서 [[일본군 위안부]] 생활을 강요 당하였다. 1991년에는 일본에서 손해배상 청구소송을 제기하고 저축한 돈의 반환을 요구하였다.<ref>{{뉴스 인용|제목="위안부 피해자 故문옥주 증언, 기록 일치"|url=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6/05/17/0200000000AKR20160517091600073.HTML|출판사=연합뉴스|날짜=|확인날짜 =2018년 1월 8일}}</ref> 1996년 10월 26일 새벽 대구동산병원에서 생을 마감하였다.<ref>{{뉴스 인용|제목=日軍위안부 문옥주할머니 숨져|url=http://www.imaeil.com/sub_news/sub_news_view.php?news_id=19184&yy=1996|출판사=매일신문|날짜=1996년 10월 26일|확인날짜 =2018년 1월 8일}}</ref>
  • 미네스트로네 . . . . 1회 일치
         minestrone
  • 미생체 . . . . 1회 일치
          * 스토리 펀딩 : https://storyfunding.daum.net/project/334
  • 미스터 아톰 . . . . 1회 일치
         [[DC 코믹스]]의 캐릭터. 첫등장은 Captain Marvel Adventures #78 (1947), 이후 The Power of Shazam! #23 (1996)
  • 미스터 하이드 . . . . 1회 일치
         본명 칼빈 자보(Calvin Zabo).
  • 미안기 . . . . 1회 일치
          * http://www.skincare-univ.com/article/006645/
  • 민룡 . . . . 1회 일치
         * [http://www.sports-reference.com/olympics/athletes/mi/min-ryong-1.html Sports Reference]
  • 바르나바 복음서 . . . . 1회 일치
          * http://www.answering-islam.org/Green/barnabas.htm
  • 바이오하자드 시리즈 . . . . 1회 일치
          * Resident Evil Uprising (2009)[* 바이오하자드 2의 이야기를 베이스로 하는 스핀오프 모바일 게임.]
  • 박광정 . . . . 1회 일치
         http://search.de.phinf.net/common/?src=http%3A%2F%2Fblogfiles.naver.net%2Fdata44%2F2008%2F12%2F16%2F55%2F2008121600514004775_1_cksnews1.jpg&type=n88_88
  • 박근영 (야구인) . . . . 1회 일치
         [[2013년]] [[9월 12일]] [[두산 베어스]]와 [[SK 와이번스]]의 경기에서도 [[손시헌]]의 내야안타 타구를 아웃으로 판정하였다. 3루 깊숙한 타구를 [[최정 (야구 선수)|최정]]이 잡아서 송구하였으나 송구가 빗나가면서 1루수 박정권의 발이 베이스에서 떨어졌다. 내야안타가 될 상황이었지만 1루심 박근영은 아웃을 선언하며 또다시 오심을 일으켰다. KBO는 그를 또다시 2군으로 강등하였다.<ref>http://sports.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kbo&ctg=news&mod=read&office_id=117&article_id=0002374984&redirect=true</ref>
  • 박기혁 . . . . 1회 일치
         2014년 11월 26일 FA 우선 협상 마지막날 [[롯데 자이언츠]]의 3년 10억의 제시액을 거절하면서 팀을 떠났다.<ref>[http://sports.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baseball&ctg=news&mod=read&office_id=018&article_id=0003126422 롯데, FA 선수 모두 협상 결렬..] - 이데일리</ref>
  • 박노식(1971) . . . . 1회 일치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박노식, version=40)]
  • 박보생 . . . . 1회 일치
         [include(틀:경상북도의 기초자치단체장)]
  • 박상규(가수) . . . . 1회 일치
         [include(틀:문서 가져옴,title=박상규,version=27)]
  • 박상규(정치인) . . . . 1회 일치
         [include(틀:문서 가져옴,title=박상규,version=35)]
  • 박상돈(정치인) . . . . 1회 일치
         대천시장 재직 당시에 박상돈 시장의 아이디어로 보령의 머드를 상품화하고 머드 축제를 창시하였다.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14&oid=024&aid=0000009832|관련 기사]]
  • 박세웅(1996) . . . . 1회 일치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박세웅, version=161)]
  • 박수영(연극배우) . . . . 1회 일치
         2011년 SBS 드라마 《[[내일이 오면 (2011년 드라마)|내일이 오면]]》에서 인기를 모았고, 2011년 영화 《[[완득이 (영화)|완득이]]》에서 완득이([[유아인]] 분) 아빠 역으로 유명세를 탔다. 2016년 영화 《[[덕혜옹주 (영화)|덕혜옹주]]》에서 [[의민태자|영친왕]]으로 존재감을 알렸다.<ref>{{뉴스 인용 |제목 = `7호실` 박수영 "옆집 아저씨 같은 배우로 기억됐으면"|url = http://entertain.naver.com/read?oid=009&aid=0004053239|출판사 = 매일경제 |저자 = |날짜 = 2017년 11월 22일|확인날짜 =}}</ref>
  • 박순석 . . . . 1회 일치
         https://search.pstatic.net/common?type=a&size=120x150&quality=95&direct=true&src=http%3A%2F%2Fpeople.phinf.naver.net%2F20150423_70%2F1429720244123BukzO_JPEG%2Fyonhapnews_30196343.jpg
  • 박승호(정치인) . . . . 1회 일치
         [include(틀:경상북도 포항시장)]
  • 박재홍(1941) . . . . 1회 일치
         https://search.pstatic.net/common?type=a&size=120x150&quality=95&direct=true&src=http%3A%2F%2Fpeople.phinf.naver.net%2F20140602_124%2F1401700367716Fd6yp_JPEG%2Fchosun_400004643.jpg
  • 박준홍 . . . . 1회 일치
         그는 이후 [[국가재건친박연합]]의 대표가 되었는데 공천 헌금을 받아 징역 2년을 선고받았다.[[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88&aid=0000186590]] 그리고 2011년 5월 13일 상고 기각 ( 2011도2844 )
  • 박진영 (야구선수) . . . . 1회 일치
         |영문 표기 = Park Jin-Yeong
  • 박진옥 . . . . 1회 일치
         ||||<:><#ff9436> '''{{{#000000 박진옥 (朴鎭玉 / Park, Jin Ok)}}}''' ||
  • 박창달 . . . . 1회 일치
         ||<bgcolor=#FFFFFF><:>{{{#!folding [ 펼치기 · 접기 ]
  • 박치기 . . . . 1회 일치
         2006년 독일 월드컵 결승전 중 프랑스 축구선수 [[지네딘 지단]]이 이탈리아 축구선수 [[마르코 마테라치]]에게 박치기를 가해 쓰러트린 사건이 유명하다. 이 일로 지단은 레드카드를 받고 퇴장되었다. 이 장면은 [[http://isplus.live.joins.com/news/article/article.asp?total_id=12785144|카타르에서 동상으로 만들어졌다고.]]
  • 박현진 (음악가) . . . . 1회 일치
         | 원어이름 = Park Hyun-Jin
  • 박화랑 . . . . 1회 일치
         2009년 [[제43회 대통령배 전국고교야구대회|대통령배 전국고교야구대회]] 준우승을 비롯 [[제31회 대붕기 전국고교야구대회|대붕기 전국고교야구대회]] 우승, [[제90회 전국체육대회|제90회 전국체전]] 우승을 이끌며 우수 투수상 등의 개인 상 수상 및 청소년 대표 명단에도 이름을 올렸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7&oid=111&aid=0000180568 홍희정의 아웃사이더 '청대' 출신 박화랑, 와신상담 끝에 삼성 '신고선수' 출발!] 《조이뉴스》 2010년 3월 9일</ref>
  • 박희부 . . . . 1회 일치
         https://search.pstatic.net/common?type=a&size=120x150&quality=95&direct=true&src=http%3A%2F%2Fpeople.phinf.naver.net%2F20160420_229%2F1461083460169gBpY9_JPEG%2Fyonhapnews_28335300.jpg
  • 방실이 . . . . 1회 일치
         [include(틀:상위 문서, top1=가수/한국)]
  • 배기철(정치인) . . . . 1회 일치
         [include(틀:대구광역시의 기초자치단체장)]
  • 배대되치기 . . . . 1회 일치
         [[Media(https://www.youtube.com/watch?v=3OOAWAqR80U&list=PLOWAW9O1iSx1S-igPPnyNUQ1P-bsWIq3r&index=5)]]
  • 백남억 . . . . 1회 일치
         https://search.pstatic.net/common?type=a&size=120x150&quality=95&direct=true&src=http%3A%2F%2Fpeople.phinf.naver.net%2F20140602_90%2F1401704813945DcLLD_JPEG%2Fchosun_400003521.jpg
  • 백대현 . . . . 1회 일치
         * [https://baduk.or.kr/info/player_view.asp?prpl_code=10000097 한국기원의 기사 정보]
  • 백승민 (야구선수) . . . . 1회 일치
         |영문 표기 = Baek Seung-Min
  • 백춘희 . . . . 1회 일치
         * [http://news.joins.com/article/16316046 백춘희 부시장 "이명완 사장 자격있다"]
  • 뱌체슬라브 몰로토프 . . . . 1회 일치
         본명 : 뱌아체슬라브 미하일로비치 스크랴빈(Vyacheslav Mikhailovich Skryabin)[* 대부분의 소련 지도자가 그렇듯이 혁명용 [[가명]]이 사실상 본명화 되었다.]
  • 버리는 대사 . . . . 1회 일치
          * http://yain.jp/i/%E6%8D%A8%E3%81%A6%E5%8F%B0%E8%A9%9E
  • 법테라스 . . . . 1회 일치
          * http://www.houterasu.or.jp/houterasutowa/index.html
  • 병 속의 악마 . . . . 1회 일치
         1891년에 발표되었다. 뉴욕 헤럴드(New York Herald)에서 2월-5월, 블랙 앤 화이트 런던(Black and White London)에서 3월에서 4월에 걸쳐서 연재되었다. 1893년 발표된 단편집 Island Nights' Entertainments에 수록되었다.
  • 분류:블리치 에피소드 . . . . 1회 일치
         [[Backlinks]]
  • 분류:생활 . . . . 1회 일치
         [[Backlinks]]
  • 분류:언어 . . . . 1회 일치
         [[Backlinks]]
  • 분류:에피소드 . . . . 1회 일치
         [[Backlinks]]
  • 분류:원피스 에피소드 . . . . 1회 일치
         [[Backlinks]]
  • 분류:은어 . . . . 1회 일치
         [[Backlinks]]
  • 분류:일본 논란 . . . . 1회 일치
         [[Backlinks]]
  • 불심자 . . . . 1회 일치
          * http://www.nikkeibp.co.jp/sj/2/column/e/21/index1.html
  • 브레이니악 . . . . 1회 일치
         Brainiac
  • 브로포스 . . . . 1회 일치
          * 6. 잘핀(Jalpin)
  • 브와나 비스트 . . . . 1회 일치
         후에 인종차별에 대한 평화적 시위 도중 총에 맞아 브와나 비스트에서 은퇴하고, 도미닉 믄다웨(Dominic Mndawe)에게 헬멧을 물려줬다. 이 도미닉이 바로 [[프리덤 비스트]]. 브와나 비스트란 이름이 백인 제국주의 같다며 프리덤 비스트로 바꿨다.
  • 브이원 . . . . 1회 일치
         [[2006년]] 군 입대를 선언했다. 병역비리에 연루되어 재입대가 결정되었기 때문이다. 강현수는 서울 광화문의 병역특례업체에서 일을 하고 있었는데, 경영난에 부딪힌 회사가 그를 퇴사조치 했다. 다른 병역특례업체를 찾아보던 중, 때마침 연예인 병역비리가 사회적으로 큰 물의를 일으켰고 강현수도 검찰 조사를 받게 됐다. 회사가 어려워 임금을 받지 못했던 것인데, 상황이 꼬이다보니 ‘무임금을 조건으로 취업했다’는 혐의를 받게 됐고 재 입대까지 통보 받게 됐다는 강현수의 주장이다.<ref>{{뉴스 인용|url=http://news.kukinews.com/article/view.asp?page=1&gCode=ent&arcid=1270147792&cp=nv|제목=‘하고 싶다’ 강현수 “남상미와 연기 하고파”|성=|이름=최은화 기자|날짜=2010-04-01|출판사=쿠키뉴스 국민일보|확인날짜=2010-04-17}}</ref>
  • 블리치/677화 . . . . 1회 일치
         [[블리치]] 677화. '''The Princess Dissection'''
  • 빈병 . . . . 1회 일치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6/06/30/0200000000AKR20160630016900004.HTML|연합뉴스 - "빈병 보증금 쉽게 받는다"…7월부터 빈병 재사용 표시제 도입]]
  • 빌리 블랭크스 . . . . 1회 일치
         1980년대에 태권도('''tae''' kwon do)와 복싱('''bo'''xing)을 결합한 무술 겸 트레이닝 프로그램 '[[태보]]'를 창안하여, 로스앤젤레스를 중심으로 [[캘리포니아]] 일대에 널리 보급했다.
  • 삼일스님 . . . . 1회 일치
          * http://yain.jp/i/%E4%B8%89%E6%97%A5%E5%9D%8A%E4%B8%BB
  • 삿시테쨩 . . . . 1회 일치
          * https://upin.jp/8477
  • 생령 . . . . 1회 일치
          * http://reinousya.net/ikiryou/
  • 서동민 . . . . 1회 일치
         |영문 표기 = Seo Dong-Min
  • 서든어택 2/무기 . . . . 1회 일치
         ==== Winchester M73 ====
  • 서든어택 2/캐릭터 . . . . 1회 일치
         [[http://sa2.nexon.com/mainpage|서든어택 2 웹사이트]]
  • 서비스 잔업 . . . . 1회 일치
          * http://zangyou.org/information/servicezangyou
  • 서상기 (1946년) . . . . 1회 일치
         [[2012년]] [[7월 9일]] 열린 국회 본회의에서 19대 전반기 정보위원장으로 선출되었다.<ref>[http://www.mt.co.kr/view/mtview.php?type=1&no=2012070918443765916&outlink=1 서상기 국회정보위원장 프로필], 머니투데이, 2012년 7월 9일 변휘 기자</ref>
  • 서상돈 . . . . 1회 일치
         https://ncc-phinf.pstatic.net/ncc01/2012/9/24/18/frame01.jpg?type=w646
  • 서상일 . . . . 1회 일치
         {{col-begin}}
  • 서영춘(코미디언) . . . . 1회 일치
         |||| http://blogfiles.naver.net/MjAxODAyMThfMjI5/MDAxNTE4OTQxNTA5MTY4.xX01QwNnT73CHwRlY8nVbuT3p4FDBVDo5M_En9h4fsog._sxqRKu00KikUrkfT2oaNBrOfWFGhUeFnfLAxbNoDaYg.PNG.wooseokint1/20180218_171119_1.png ||
  • 서유정(배우) . . . . 1회 일치
         서유정은 대한민국의 여배우다. 96년에 데뷔해 여러 드라마에 출연했고 [[2017년]] [[9월 29일]], [[결혼]]하였다. [[http://entertain.naver.com/read?oid=421&aid=0002971159|기사]].
  • 서정돈 . . . . 1회 일치
         * 《정상인 및 각종질환에서의 혈청 Lipoprotein에 관한 연구》 외 240편
  • 서지훈 (1997년) . . . . 1회 일치
         '''서지훈''' (徐志焄<ref>[http://wx3.sinaimg.cn/mw690/005SSLzgly1fiozd3xyswj30ts0jtjtf.jpg Management Koo回答粉絲有關正名的問題]</ref>, [[1997년]] [[4월 25일]] ~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다.<ref>[http://100.daum.net/encyclopedia/view/33XXX1904688 서지훈-다음인물정보]</ref>
  • 서태식 . . . . 1회 일치
         '''서태식'''(徐泰植, [[1938년]] [[11월 22일]] ~ , [[대구광역시]])은 [[대한민국]]의 [[공인회계사]]이자,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회계법인인 [[삼일회계법인]]을 창립하고 30년간 회장직을 맡아온 기업인이다.<ref>{{뉴스 인용|url=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08&aid=0000547257 |제목= 서태식 회장, '회계업계 살아있는 역사' |출판사= [[머니투데이]] |날짜=2005-06-09 |확인날짜=2013-04-03}}</ref>
  • 서호진 . . . . 1회 일치
         [[2011년]] [[4월 16일]] 쇼트트랙 선수에서 은퇴했다.<ref name=et /> 현재는 동아종합인쇄사의 부장을 맡고 있으며 2010년부터 가업을 잇기위한 경영수업을 듣고 있다. 최근 논란이 되고 있는 [[안현수]] 선수 폭행 논란 및 금메달 양보 의혹에 대해서는 "말도 안 되는 소문이기에 시간이 흐르면 자연히 사라질 줄 알고 침묵했다" 라며 부인했고, 관련 루머를 퍼뜨린 유포자에 대해서 경찰 수사의뢰하겠다며 강력한 조치 의사를 밝혔지만, 소식이 없다.<ref>[http://sports.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sochi2014&ctg=news&mod=read&office_id=001&article_id=0006761293 서호진씨 "안현수 선수 구타한 적 없다…억울하다"], 연합뉴스, 2014년 2월 18일 작성.</ref>
  • 성격 . . . . 1회 일치
         ||<:>ISTJ||<:>ISFJ||<:>INFJ||<:>INTJ||
         ||<:>ISTP||<:>ISFP||<:>INFP||<:>INTP||
         로버트 플러치크(Robert Flutchik)에 의하면 8가지 기본적인 감정이 있고 그 정도에 따라 다른 감정으로 나뉜다. 자세한 것은 [[https://en.wikipedia.org/wiki/Contrasting_and_categorization_of_emotions|여기]]를 참고. 굵게 쓴 글씨가 기본 감정.
  • 성역 도시 . . . . 1회 일치
          *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6/02/04/0200000000AKR20160204016800009.HTML
  • 성인 . . . . 1회 일치
          * 성인(聖人) : 종교적으로 성스러운 사람. 영어로 세인트(saint).
  • 성재(가수) . . . . 1회 일치
         '''성재'''([[1980년]] [[1월 30일]] ~ )는 [[대한민국]]의 하드코어 밴드 [[비셔스글레어|비셔스글레어(Vicious Glare)]]와 언리시드앵거의 가수, 기타리스트이다. 본명은 '''박해진'''이며, [[경기도]] [[구리시]] [[교문동]] 출신이다. 2008년 부터 ankind-Design'이라는 자신의 개인 디자인 브랜드를 운영, 음악 레코딩 [[프로듀서]] 및 [[작곡가]]로도 이름이 알려져 있으며, 한국의 하드코어 메탈 전문 레이블 [[GMC 레코드]]의 [[웹마스터]] / [[디자이너]]로도 활동하다가 2014년 중순부터 레이블을 인수 받아서 CEO가 되어 운영중이다. 1남 1녀의 자녀를 두었으며, [https://en.wikipedia.org/wiki/Straight_edge Straight Edge]라는 생활 방식을 추구하고 있다.
  • 센터 시험 . . . . 1회 일치
          * http://www.dnc.ac.jp/center/shiken_gaiyou/index.html
  • 소학 . . . . 1회 일치
         [http://www.culturecontent.com/content/contentView.do?search_div=CP_THE&search_div_id=CP_THE014&cp_code=cp0438&index_id=cp04380064&content_id=cp043800640001&search_left_menu=2 문화컨텐츠닷컴]
  • 손민수(희극인) . . . . 1회 일치
         [include(틀:토막글)]
  • 손요리 . . . . 1회 일치
          * http://dictionary.goo.ne.jp/jn/152758/meaning/m0u/
  • 손철주 (1954년) . . . . 1회 일치
         '''손철주'''(孫哲柱<ref name="김달진">{{웹 인용|제목=인명사전 - 손철주|url=http://www.daljin.com/author/4783|웹사이트=김달진 미술연구소|확인날짜=2017-12-15}}</ref>, 1954년<ref name="다음">[https://search.daum.net/search?w=tot&DA=YZR&t__nil_searchbox=btn&sug=&sugo=&q=%EC%86%90%EC%B2%A0%EC%A3%BC 다음 인물백과-손철주]</ref>~ )는 [[대한민국]]의 미술평론가이다.<ref name="네이버">{{네이버 인물|248289|손철주}}</ref><ref name="중부뉴스">{{뉴스 인용|저자=김석희|제목=‘옛 그림에 나타난 사람의 속마음’ 손철주 평론가를 만나다|url=http://www.jungbu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169271|날짜=2017-11-07|확인날짜=2017-12-15|뉴스=중부뉴스통신}}</ref> 대구 출신이며,<ref name="김달진"/> 2017년 현재 출판사 학고재의 주간이다.<ref name="네이버"/><ref name="중부뉴스"/>
  • 수애 . . . . 1회 일치
         2005년 《[[나의 결혼 원정기]]》에서 [[북한이탈주민|탈북자]] 출신의 통역관을 연기하였고, 2016년 영화 《[[국가대표 2]]》에서도 [[북한이탈주민|탈북자]] 출신의 [[아이스하키]] 선수를 연기하였다.<ref>[http://entertain.naver.com/movie/now/read?oid=111&aid=0000462127 '국가대표2' 수애 "동생 役 박소담, 저와 닮은 것 같아요"] 조이뉴스24. 2016년 07월 27일</ref>
  • 쉬르스트레밍 . . . . 1회 일치
         Surströmming
  • 스네이크 . . . . 1회 일치
         http://www.paradisearmy.com/doujin/pasok_snake.htm
  • 스위스 방공호 . . . . 1회 일치
         http://news.joins.com/article/1460041
  • 스이츠 . . . . 1회 일치
         http://www.paradisearmy.com/doujin/pasok_sweets.htm
  • 스카이 김 . . . . 1회 일치
         [[대구광역시|대구]]에서 태어남. 2004년까지 대구중구청 양궁팀에서 활약. 2년여에 걸친 호주양궁협회의 설득 끝에 2005년 1월 호주로 건너갔고, 2006년 6월 호주 국적을 취득함. 그는 국적을 바꾼 이유에 대해 "올림픽 출전이 소원이지만 국내에선 전망이 없었다"고 설명함.<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7&oid=001&aid=0002220964 연합뉴스, <올림픽> 호주양궁 김하늘, "2012년엔 내가 금메달"]</ref> 2007년 8월 프레올림픽에서 양궁 개인전 금메달.
  • 스탈리늄 . . . . 1회 일치
         Stalinium
  • 스파이 스매셔 . . . . 1회 일치
          * 카타리나 암스트롱(Katarina Armstrong)
  • 스페인 제2공화국 망명정부 . . . . 1회 일치
          * https://en.wikipedia.org/wiki/Spanish_Republican_government_in_exile
  • 시간이 약 . . . . 1회 일치
          * 영어로 Time cures all things. 이라는 경우가 있다.
  • 시계태엽 오렌지(영화) . . . . 1회 일치
         <<include(틀:스포일러)>>
  • 시스템정보 . . . . 1회 일치
         [[systeminfo]]
  • 신종령 . . . . 1회 일치
         [[2017년]] [[9월]], 두 차례에 걸친 취중 상태에서의 묻지마 폭행을 벌이고 이에 대해 반성하지 않는 태도를 보여 물의를 빚었으며, 구속영장이 발부되어 현재 구치소에 수감된 상태다.<ref>http://entertain.naver.com/read?oid=396&aid=0000457793</ref>
  • 심판 토토하지 말라고 . . . . 1회 일치
         좀 이상하게 들릴 수 있으나 K리그는 다른 리그와 비교했을 때, '''특별히 [[오심]]이 많은 건 아니다.''' 당장 스페인 프리메라 리가나 잉글랜드 프리미어 리그, 이탈리아 세리에 A의 사례와 비교해봐도 전체적으로는 준수한 경기운영을 보여주고 있다. 칼카나마의 쑥덕축덕만 봐도 라 리가에서 발생하는 치명적인 오심으로 [https://twitter.com/Kalkanama/status/727232395842187265|강등을 당하는 팀도 있고], 소위 [http://www.kfa.or.kr/news/news_column_view.asp?BoardNo=1086&Page=1&Query=|유령골이라고 불리는 옆그물 골]이 발생한 경우도 있으며, [http://http://www.teamtalk.com/news/ref-review-the-incorrect-decisions-from-week-31|한국인 선수가 뛰는 리그]도 예외없이 이런 이슈에 대해 아주 잘 소개된 바 있다. 농담 안 하고 세계 어디를 가든 심판의 수준은 사실상 도찐개찐이라고 봐도 무방하다.
  • 아데랑스 . . . . 1회 일치
         [[일본]]의 종합모발기업. 1968년 설립, 2007년 무렵 13개국 2백 50여 곳에 지점을 운영하고 있는, 대규모 종합모발기업이다. 가발 상품 이외에 증모, 육모 분야에서도 다각도로 탈모 해결을 위하여 노력하고 있다. 남성용 브랜드 아데랑스 이외에, 여성용 맞춤가발 레디스 아데랑스, 여성용 레디메이드 가발 브랜드 폰티누(FONTAINE), 해외에서 모발이식클리닉을 전문으로 하는 보즈레(BOSLEY), 해외용 판매 브랜드 헤어클럽(HAIRCLUB) 등의 브랜드를 가지고 있다.
          * http://news.joins.com/article/2767375
  • 아웃워드 작전 . . . . 1회 일치
         [[https://www.theguardian.com/news/2016/sep/15/weather-balloons-britains-secret-weapon-weatherwatch|가디언-어떻게 10만개의 기상 관측 기구가 영국의 비밀 병기가 되었는가(영문)]]
  • 아카짱가에리 . . . . 1회 일치
          * http://www.e-ikuji.info/childcare/babyreturns.html
  • 악당 . . . . 1회 일치
         惡黨. Villain.
  • 안드로메다 스토리즈 . . . . 1회 일치
          * http://www.videx.jp/detail/anime/v_a_toeianimation/atoa0097_0001/index.htm
  • 안병용(기초단체장) . . . . 1회 일치
         [include(틀:경기도의 기초자치단체장)]
  • 알 카에다 . . . . 1회 일치
         알 카에다는 [[시아파]]에 대해서는 적대적이지 않으며, 수뇌부는 시아파 역시 같은 무슬림이므로 공격해서는 안된다고 지시하고 있다. 이는 알 카에다가 [[이슬람 국가]]와 결별하게 된 요인 가운데 하나인데, 2003년에 이라크 알 카에다(AQI)[* 후일 이슬람 국가의 모태가 된다.]의 수괴 아부 무사브 알 자르카위[* 2006년 사망]가 시아파를 노리고 [[자살폭탄 테러]]를 저질렀을 때, 빈 라덴은 '불량한 두목'이라고 부르며 자르카위를 비판한 사례가 있으며 결국 알 카에다와 이슬람 국가가 결별하게 된 계기가 되었다고 한다.[[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6/07/04/0200000000AKR20160704184600111.HTML (참조)]]
  • 알렉스 볼더 . . . . 1회 일치
         <<include(틀:스포일러)>>
  • 알프레드 우든 . . . . 1회 일치
         <<include(틀:스포일러)>>
  • 앙주 제국 . . . . 1회 일치
         Angevin Empire
  • 애니 일본어 . . . . 1회 일치
         || 이런 참사를 겪을 수 있다.[[http://gall.dcinside.com/board/view/?id=ani1_new1&no=3117780 (참조)]] ||
  • 애니프사 . . . . 1회 일치
         https://twitter.com/arvidonline/status/695070043936174080
  • 야규 슈메 . . . . 1회 일치
          * http://yoshiok26.p1.bindsite.jp/bekkan/kenjutsu/pg228.html
  • 에릭 (가수) . . . . 1회 일치
         * [[2007년]] UGIZ, 코카콜라 제로, It's SKIN
         * [http://www.shinhwacompany.co.kr 신화컴퍼니]
  • 역린 . . . . 1회 일치
          * http://gogen-allguide.com/ke/gekirin.html
  • 연경흠 . . . . 1회 일치
          * 프로야구 통산 2만호 홈런의 주인공이다. [[http://news.joins.com/article/3689885|#]] ~~하지만 한화는 6대7로 역전패했다.~~
  • 연광철 . . . . 1회 일치
         가곡의 해석에도 일가견이 있어 정명훈의 반주로 <겨울여행(Winterreise)>를 소니 레이블로 출반하기도 했다. 그의 독일어에 대한 해석은 시대와 지방에 따른 뉘앙스와 억양의 차이까지도 디테일하게 전달하는 분석적인 해석으로 정평이 나있다.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성악과 교수를 역임했다. 2016년과 2017년 두 차례에 걸쳐 JCC아트홀에서 마스터클래스를 통해 젊은 성악도들을 지도하기도 했다.
  • 연설환희불교 . . . . 1회 일치
         오주연문장전산고에 따르면, 마후라불(摩睺羅佛)이라 자칭한 번승(番僧)이라는 자가 시작하였다고 한다. 번승은 사람과 가축을 죽이고 그 피를 불상의 입술에 발라 환희불(歡喜佛)이라 칭하고, 남녀가 벌거벗은 채로 서로 끌어안고 음란한 짓을 하는 불상을 만들었다. 그는 사람을 죽이고, 그 뼈를 가지고 수주(數珠,염주)와 음기(飮器,음란한 그릇)을 만들었으며, 술과 고기를 먹고 음탕한 짓을 하여 해를 끼쳤다.([[http://db.itkc.or.kr/itkcdb/text/nodeViewIframe.jsp?bizName=MK&seojiId=kc_mk_h010&gunchaId=av008&muncheId=01&finId=001 (참조)]])
  • 염재욱 . . . . 1회 일치
         * 홍신자선생님(전위예술가) "in to the time"-예술의전당공연-99년
  • 영국 . . . . 1회 일치
         United Kingdom.
  • 예재형 . . . . 1회 일치
         | 사진 = http://blogfiles.naver.net/20141110_55/goshowing11_1415587307469ShaVF_JPEG/20120626101934_003.jpg
  • 오대석 . . . . 1회 일치
         [include(틀:상위 문서, top1=야구 관련 인물(KBO))]
  • 오마모리 . . . . 1회 일치
          * http://www.1omamori.com/menu/syobun/index.html
  • 오미쿠지 . . . . 1회 일치
          * NTX 운세제비에서 간단히 뽑아볼 수 있다. [[http://ntx.wiki/omikuji/index.php 운세제비]]
  • 오병희 . . . . 1회 일치
         1998년부터 2002년까지 [[서울대학교병원]] 기획조정실장, 2003년부터 2007년까지 강남센터 원장, 2007년부터 2010년까지 진료부원장 등 병원 경영과 관련된 주요 요직을 두루 역임했다.<ref>{{뉴스 인용|제목 = [포커스] 신임 오병희 서울대병원장이 박수 받는 이유|URL = http://jhealthmedia.joins.com/news/articleView.html?idxno=9886|출판사 = 중앙일보|날짜 = 2013-06-10}}</ref>
  • 오보카타 하루코 . . . . 1회 일치
          * http://pinky-media.jp/I0000038
  • 오석락 . . . . 1회 일치
         |사진 = https://search.pstatic.net/common?type=a&size=120x150&quality=95&direct=true&src=http%3A%2F%2Fpeople.phinf.naver.net%2F20181026_300%2F1540536942721Q0iKD_JPEG%2Fyonhapnews_28333777.jpg
  • 오세창 . . . . 1회 일치
         * 《계간 문화예술》 (2001년 8월호) [http://www.kcaf.or.kr/zine/artspaper2001_08/112_113.pdf 오세창]
  • 오시만 . . . . 1회 일치
         {{Col-begin}}
  • 오영실 . . . . 1회 일치
         [include(틀:-)]
  • 오예설 . . . . 1회 일치
         * 《[[판도라 (2016년 영화)|판도라]]》 (2016년) - 신임간호사 역 <ref>{{뉴스 인용|제목= 별 대사 없이 폭풍 존재감 드러낸 '판도라' 간호사, 누구? |url=http://news.joins.com/article/21018713 |출판사=중앙일보 |날짜=2016-12-19}}</ref>
  • 오정태 (희극배우) . . . . 1회 일치
         [[동신대학교|동신대학교 연극영화과]]를 중퇴하였으며, 연극 《택시 택시》로 데뷔하였고 [[2006년]] [[MBC]] 15기 공채 개그맨으로 정식 데뷔했다. [[소녀시대]] 멤버 [[태연]]이 열성 팬한테 끌려가는 것을 보고 구출을 한 것으로 화제를 모으기도 했다.<ref>김은주 기자 [http://news.kukinews.com/article/view.asp?page=1&gCode=ent&arcid=1303122527&cp=nv ‘태연’ 구한 오정태, “국민 영웅이요? 진행자로서 할 일 했을 뿐”], 《쿠키뉴스》, 2011년 4월 18일 작성</ref>
  • 오중기 . . . . 1회 일치
         경북도당위원장 경선을 앞둔 2016년 8월 4일 오후 10시 30분께 대구 북구의 한 음식점에서 민주당 지역위원회 간부에게 지지를 부탁하고 5만원 상당 음식물과 현금 50만원을 제공한 혐의로 기소되어 정당법 위반으로 100만원의 벌금형을 선고 받았다.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7/02/16/0200000000AKR20170216180200053.HTML|관련기사]] 당세가 약한 경북지역 특성상 고생하는 지역위원회에 대한 격려 및 경비 지급 차원이었다고 해명했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논란은 있을 수 있으나 당내 선거를 앞둔 시점에서 사려깊지 못한 행위를 한 것은 사실이다.
  • 오지철 . . . . 1회 일치
         * 2008.01 : SBS문화재단 intro 이사
  • 오프라인 . . . . 1회 일치
         offline
  • 옥중결혼 . . . . 1회 일치
          * 살인마 찰스 맨슨은 80세에 26세 여성 엘레나 버튼과 옥중결혼을 올렸다.[http://www.hani.co.kr/arti/international/america/664998.html 기사]
  • 왓치맨 . . . . 1회 일치
         <<include(틀:스포일러)>>
  • 왝더독/줄거리 . . . . 1회 일치
         <<include(틀:스포일러)>>
  • 우동균 . . . . 1회 일치
         [[2009년]] [[12월 17일]]에 입대<ref>[http://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baseball&ctg=news&mod=read&office_id=076&article_id=0002009770 우규민-연경흠-우동균 등 24명 경찰청 입대] - 스포츠조선</ref> 하여 [[2011년]]에 제대했다.
  • 우치데노코즈치 . . . . 1회 일치
         집에 돌아와니까 할머니가 먹을게 필요하니 쌀을 달라고 하여, 할아버지는 무심코 「쌀, 한말여덟되. 바바아(米、一斗八升。ばばあ)」라고 중얼거린다. 그러자 갑자기 아름다운 아주머니가 나타났다. 둘이서 먹을 것도 부족한데 사람이 하나 더 나오다니 곤란하다. 라고 할아버지가 생각했는데, 그 아주머니의 콧구멍에서 쌀이 좔좔 흘러나오더니 --그로하다-- 아주머니는 쌀에 묻혀서 사라져 버렸다. 그 아주머니도 쌀이었던 것이다. 할아버지가 『바바아, 한말여덟되(ばばあ、一斗八升)』라고 하여 한말여덟되의 쌀이 아주머니에게서 나왔던 것이다.[[http://kanbenosato.com/minwa/kancho_200610.html (참조)]]
  • 월드 인 컨플릭트 . . . . 1회 일치
         World in Conflict. [[미국]]과 [[소련]] 사이의 제3차 세계대전을 배경으로 한 실시간전술게임.
  • 월드 인 컨플릭트/유닛 . . . . 1회 일치
         == 보병(Infantry) ==
          * 보병 분대(Infantry Squad)
          * 대전차 보병 분대(Anti-Tank Infantry Squad)
          * 폭파 공병(Demolition Engineer)
  • 위키 작성 참고 자료 . . . . 1회 일치
          * 표준국어대사전 http://stdweb2.korean.go.kr/main.jsp
  • 유기농 . . . . 1회 일치
         Oraganic Farming / Organic Food
  • 유승진 (필드하키 선수) . . . . 1회 일치
         '''유승진'''(柳承辰, Yu Seung-Jin, [[1969년]][[1월 20일]] ~ )은 [[대한민국]]의 전 남자 [[필드하키]] 선수이자 현 지도자이며 [[대구광역시]] 출신이다.
  • 유언/게임 . . . . 1회 일치
         <<include(틀:스포일러)>>
  • 유언/만화 . . . . 1회 일치
         <<include(틀:스포일러)>>
  • 유언/영화 . . . . 1회 일치
         <<include(틀:스포일러)>>
  • 유열 (가수) . . . . 1회 일치
         * [[2006년]] - <Always on my mind> , <Try to remember>
  • 유한식 . . . . 1회 일치
         [include(틀:세종특별자치시장)]
  • 윤균상(1987) . . . . 1회 일치
         || '''링크''' ||<(> [[http://m.blog.naver.com/popeye2010|공식사이트]] [[https://www.instagram.com/yunkyunsang/|[[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png|width=24]]]] ||
  • 윤인조 . . . . 1회 일치
         * {{트위터|injo1021}}
  • 윤진식(국회의원) . . . . 1회 일치
         현재 [[자유한국당]]을 탈당한 상태이다. 정계 은퇴를 선언했다는 설도 있으나, [[http://m.jb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787053|#]] 본인은 아니라고 부인했다. [[http://www.inews365.com/mobile/article.html?no=486308|#]]
  • 윤찬수 . . . . 1회 일치
         '''윤찬수'''는 [[KBO 리그]] 전 [[LG 트윈스]]의 선수이다. [[2009년]] 4분기 [[상무 야구단]]에 합격하여 2년간 병역의무를 이행한 후 원 소속팀인 [[LG 트윈스]]로 복귀하였고 [[2011년]] 가을 방출되었다. [[2012년]] [[5월 26일]] 새벽 [[국군체육부대]] 소속 시절 친분을 쌓은 승부조작의 장본인이자 전 프로 축구 선수인 [[김동현 (1984년)|김동현]]과 함께 [[서울특별시|서울]] [[강남구]] 청담동의 한 빌라 주차장에서 귀가하던 부녀자를 납치한 혐의로 구속되었다. 현재 윤찬수는 공범인 [[김동현 (1984년)|김동현]]과 [[국민참여재판]]을 받을 예정이다. [[2013년]] [[1월 17일]], 징역 2년 6월에 집행유예 3년이 선고됐다. 같은 날 김동현도 징역 3년이 선고됐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1&aid=0006045507 `특수강도' 前국가대표 축구선수 김동현 법정구속]</ref>
  • 윤천주 . . . . 1회 일치
         https://search.pstatic.net/common?type=a&size=120x150&quality=95&direct=true&src=http%3A%2F%2Fpeople.phinf.naver.net%2F20140602_148%2F1401699321896OCqG1_JPEG%2Fchosun_400003974.jpg
  • 윤휘 . . . . 1회 일치
         * [http://www.artsnet.co.kr/sub.php3?cell=B&dir=webjin&goodsIdx=1435&lang=php&load=goods_detail 윤휘]
  • 윤흔 . . . . 1회 일치
         {{Col-begin}}
  • 이경희 (1880년) . . . . 1회 일치
         {{Col-begin}}
  • 이국철 . . . . 1회 일치
         2012년 5월 23일, 징역 8년이 구형됐다. 2012년 6월 4일엔 전 차관 [[신재민]]과 징역 3년 6월이 확정되었으나 2012년 11월 30일, 항소심에서 보석으로 석방됐으나<ref>《노컷뉴스》(2012.12.03) [http://www.nocutnews.co.kr/Show.asp?IDX=2333935 이국철 보석으로 석방, 신재민도 풀려날 가능성 커신재민 항소심 재판 연기되면서 이국철 구속만기 중 선고 불가능]</ref> 재수감됐고 2013년 1월 31일, 항소심에서 징역 2년 6개월을 선고받고 법정 구속되고서<ref>《아시아투데이》(2013.01.31) [http://www.asiatoday.co.kr/news/view.asp?seq=761723 이국철 SLS그룹 회장, 항소심서 징역 2년6월로 감형]</ref> 2013년 6월 13일, 징역 2년 6월을 선고한 원심이 확정됐다.<ref>《연합뉴스》(2013.06.13)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01&aid=0006313553 대법, 이국철 SLS 회장 징역 2년6월 확정(종합)]</ref>
  • 이근직 . . . . 1회 일치
         [include(틀:역대 경상북도지사)]
  • 이금서 . . . . 1회 일치
         {{Col-begin}}
  • 이동찬(기업인) . . . . 1회 일치
         [include(틀:상위 문서, top1=기업인/목록)]
  • 이동춘 . . . . 1회 일치
         통산 전적은 57전 45승(26KO) 2무 10패이며, [[1995년]] [[9월 5일]] [[도쿄도]] [[고라쿠엔 경기장]]에서 벌어진 [[세가와 세쓰오]]와의 경기에서 판정패한 뒤 급성 [[경막하혈종]]으로 쓰러져 4일 후인 [[9월 9일]] 사망했다.<ref>{{뉴스 인용|제목=韓國프로복싱선수,日링서 쓰러져 사망서|url=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4&oid=001&aid=0003925974|출판사=연합뉴스|저자=|날짜=1995-09-10}}</ref>
  • 이민호(1969) . . . . 1회 일치
         ||<:> '''이름''' || 이민호 (李珉浩 / Min-ho Lee) ||
  • 이병후 . . . . 1회 일치
         https://search.pstatic.net/common?type=a&size=120x150&quality=95&direct=true&src=http%3A%2F%2Fpeople.phinf.naver.net%2F20140919_208%2F1411058285568GdslE_JPEG%2Fchosun_400007599.jpg
  • 이소선 . . . . 1회 일치
         아들 전태일의 죽음 후 이소선은 아들의 뜻을 실현하기 위해 헌신하였다. 11월 18일 장례를 치르고 11월 27일 [[청계피복노동조합|전국연합노조 청계피복지부]]를 결성하였다. 청계피복노조는 1998년 [[서울의류노동조합]]과 합쳐져 해산할 때까지 대한민국 노동운동의 상징이었다.<ref name="민족문화대백과">[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68924 청계피복노조], 민족문화대백과사전</ref>
         이소선은 80세의 고령에도 계속하여 부르는 곳이면 마다 않고 참석하였다. 그러나 부른 사람들의 귀에 듣기 좋은 소리만을 하지는 않았다. 2006년 11월 전국노동자대회에서 전태일노동상의 시상을 마치고 내려가다 다시 마이크를 붙잡고 "입으로만 노동자는 하나라고 외치면 뭐 하냐. 가장 밑바닥에서 소외받고 고통당하는 비정규직을 나 몰라라 해서 어찌 민주노총이라 할 수 있냐 …… 손잡고 싸우지 않으면 얼마 못 가 정규직도 비정규직 신세가 될 것"이라고 소리쳤고<ref>[http://www.hani.co.kr/arti/culture/book/325965.html 노동자 어머니 이소선 “지금 정규직이라고 천년만년 할것 같냐”], 한겨레, 2008년 12월 5일</ref> 늘 노동자의 하나된 단결을 강조했다. 2009년 전태일 39주기 추모식에 민주노총과 한국노총이 함께 플래카드에 이름을 올리자 이제 되었다며 무척 기뻐하였다.<ref name="연합_전순옥">[http://klsi.org/content/%EC%9D%B4%EC%86%8C%EC%84%A0-%EC%96%B4%EB%A8%B8%EB%8B%88%EC%99%80-%EB%85%B8%EB%8F%99%EC%9A%B4%EB%8F%99 이소선 어머니와 노동운동], 한국노동사회연구소</ref> 1997년 외환위기 이후 이소선은 늘 일자리 나누기와 노동시간 단축으로 위기를 고용문제를 극복하자고 주장하였다.<ref>[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1/09/03/0200000000AKR20110903057900004.HTML "이소선 여사는 따뜻한 마음의 노동운동가"], 연합뉴스, 2011년 9월 3일</ref>
  • 이영아(배우) . . . . 1회 일치
         [Include(틀:상위 문서, top1=배우/한국)]
         [include(틀:다른 뜻1, other1=대한민국의 성우, rd1=이영아(성우))]
         [Include(틀: TCOent소속 아티스트)]
  • 이영욱 (1980년) . . . . 1회 일치
         그가 데뷔 첫 승을 거둔 경기는 [[2005년]] [[5월 29일]]의 [[두산 베어스|두산]]전인데, 첫 승을 따내기까지 우여곡절이 많았다. 1회말에 선발 [[헤수스 산체스]]가 1/3이닝 5실점으로 부진하자 1회부터 그가 구원[[투수]]로 긴급 투입되었고 3회말에 상대 타자 [[장원진]]에게 몸에 맞는 볼을 던졌다. 이에 [[장원진]]이 그를 구타하면서 양 팀 간의 벤치 클리어링이 일어났고, 4회초 공격에서 1:5로 뒤지던 [[SK 와이번스]]는 무려 6득점하면서 그에게 프로 데뷔 첫 승을 안겨줬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7&oid=111&aid=0000011178 SK 조범현 감독, "두산 장원진이 우리를 뭉치게 만들었다"] - 조이뉴스24</ref>
  • 이영은(1982) . . . . 1회 일치
         [Include(틀:제이와이드컴퍼니 소속 아티스트)]
         ||<:> 링크 ||<(> [[https://www.instagram.com/leeyoungeun0809/|[[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png|width=24]]]] [[http://cafe.daum.net/cuteyoungeun|[[파일:다음 카페.png|width=24]]]] ||
  • 이원형(1951) . . . . 1회 일치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이원형, version=9)]
  • 이은수(육군) . . . . 1회 일치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이은수, version=18)]
  • 이장훈(배우) . . . . 1회 일치
         * 뮤지컬 《명성황후》 (New York lincoln center)
  • 이재룡(1964) . . . . 1회 일치
         [include(틀:SM)]
  • 이재영 (뮤지컬배우) . . . . 1회 일치
         || 소속사 ||<(> CAMINO ENT [[http://www.caminoent.net]] ||
  • 이재용(배우) . . . . 1회 일치
          * 2016년 7월 10일 [[미스터리 음악쇼 복면가왕|복면가왕]]에 "[[추억의 엿장수]]"로 참가했으며 [[니 이모를 찾아서]]와 펄 시스터즈의 '커피 한 잔'을 부른 뒤 다섯 손가락의 '수요일엔 빨간 장미를'를 부르면서 정체를 밝혔다. 이 날 그는 판정단을 완벽하게 속였으며 그날 판정단은 힙합 가수가 아니냐는 말이 꽤 많았고 판정단은 [[Mithra 眞]]이냐는 이야기까지 했다. 이에 대해 그는 굉장히 기분이 좋았다고 한다. 당시에 [[우울증]]과 [[공황장애]]에 시달려서 마음고생이 심했는데 [[음악]]을 하는 동생들과 가까이 하다 보니 힐링이 됐다며 복면가왕에 나온 이유를 언급했다. 그 뒤 3달 후에 [[김준선]]과 같이 앨범을 발매했다. [[http://star.mt.co.kr/stview.php?no=2016101714512385715&outlink=1&ref=http%3A%2F%2Fsearch.naver.com|#]]]
  • 이재율 (1993년) . . . . 1회 일치
         * [http://www.ncdinos.com/player/person?pid=231 이재율] - [[NC 다이노스]]
  • 이정명 . . . . 1회 일치
         '''이정명'''은 대한민국의 소설가이다. [[경북대학교]]에서 국문학을 전공하고 잡지사와 신문사 기자로 여러 해 일하다 1997년 첫 소설 '천년 후에'를 완성, 1999년 발표했다. 이후 [[뿌리깊은 나무 (2011년 드라마)|뿌리깊은 나무]], [[바람의 화원 (드라마)|바람의 화원]] 등이 드라마화되며 인기를 끌었다.<ref>[http://ch.yes24.com/Article/View/14419 역사소설은 위대하고 재미있는 오답이다 - '바람의 화원'의 이정명] YES24, 2008년 10월 10일</ref><ref>[http://webzine.knu.ac.kr/wz3/mobile/pages/02.htm?VOL=159&mode=view 소설가 이정명 동문] 경북대웹진, 159호</ref>
  • 이종남(배우) . . . . 1회 일치
         * [http://movie.daum.net/person/main?personId=131310 이종남 Daum 영화]
  • 이종배(국회의원) . . . . 1회 일치
         [include(틀:제20대 국회의원/충청북도)]
  • 이종훈(코미디언) . . . . 1회 일치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이종훈, version=29)]
  • 이종희 (1942년) . . . . 1회 일치
         이종희는 [[1969년]] 대한항공 공채 1기로 입사해 말단 직원에서 총괄사장 자리에 오르며 '샐러리맨의 신화'로 평가받는다. 출범 당시 대한항공은 아시아의 작은 지역항공사에 불과했지만 현재는 글로벌 톱10으로 세계적인 대형 항공사로 성장했다. 그동안 이종희는 [[대한항공]]의 성장 과정에서 40년 한국 민항 역사의 산증인 역할을 했다. 그는 경영학과 출신임에도 불구하고 정비분야로 입사해 30여년간 정비 자재 기획 영업 등 항공사의 전문경영인이 되는 데 필요한 업무를 두루 섭렵한 '테크노 경영인'이다. 특히 여객 영업에만 20여년간 몸 담은 여객영업 분야 전문가로서 신규 노선 개척 및 세계 항공사와 제휴 업무를 주도적으로 맡아왔다. [[대한항공]]은 [[2009년]] [[12월]] 말 인사에서 이종희를 대한항공 상임고문으로 추대했다. 이로써 대한항공 대표이사는 조양호 대한항공 회장, 이종희 대한항공 고문과 서용원 부사장 3인의 각자 대표로 변경됐다. .<ref>{{뉴스 인용|url=http://www.mt.co.kr/view/mtview.php?type=1&no=2010022517362982441&outlink=1|제목=대한항공, "앞으로 3인 대표이사 체제"
  • 이주승(영화배우) . . . . 1회 일치
         [Include(틀:상위 문서, top1=배우/한국)]
         [Include(틀:클로버컴퍼니 소속 아티스트)]
         ||<#20B2AA> {{{#ffffff '''링크'''}}} ||<(> [[http://www.clovercompany.co.kr/artists/lee.asp|공식사이트]] [[https://www.instagram.com/kakatora/|[[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png|width=24]]]] [[http://cafe.daum.net/lee890720|[[파일:다음 카페 아이콘.png|width=24]]]] ||
  • 이준섭(군인,정치인) . . . . 1회 일치
         https://search.pstatic.net/common?type=a&size=120x150&quality=95&direct=true&src=http%3A%2F%2Fpeople.phinf.naver.net%2F20150107_115%2F1420561884408GTGKJ_JPEG%2Fchosun_400008626.jpg
  • 이지우 (레이싱모델) . . . . 1회 일치
         * [http://people.nate.com/people/info/le/ej/leejiwoo/ 이지우 네이트 인물]
  • 이진만 (1675년) . . . . 1회 일치
         *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1&aid=0001440827 도난문화재 박물관 전시 적발] 연합뉴스
  • 이창동 . . . . 1회 일치
         [[경상북도]] [[대구시]](現 [[대구광역시]])에서 태어나 [[경북대학교]] 사범대학 국어교육학과를 졸업했다. [[신일고등학교]] 국어 [[교사]]를 하다가 1983년 [[동아일보]] 신춘 문예에 중편 소설〈전리(戰利)〉가 당선되면서 [[소설가]]로 등단하여 여러 편의 소설을 썼다. 1993년 영화《[[그 섬에 가고 싶다]]》의 시나리오를 쓰고 조감독을 맡으면서 영화계에 뛰어들었다. 영화계로 들어선 이후에는 소설보다 영화에 주력하게 되었다. [[1997년]] 이스트 필름의 창립 작품이기도 한 [[한석규]] 주연의 영화 《[[초록물고기|초록 물고기]]》를 통해 [[영화 감독|감독]]으로 데뷔하며 주목을 받기 시작했다. 2년 뒤 내놓은 영화 《[[박하사탕]]》은 1999년 [[부산 국제 영화제]] 개막작으로 선정되며 [[설경구]]란 걸출한 배우를 탄생시켰다. 2002년 설경구, [[문소리]]와 다시 호흡을 맞춘 영화 《[[오아시스 (영화)|오아시스]]》로 [[베네치아 영화제]]에서 감독상을 수상했다.<ref>{{뉴스 인용|제목=‘오아시스’ 이창동―감독상·문소리―신인상 등 5관왕…베니스 영화제 쾌거|url=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6&oid=005&aid=0000118051|출판사=국민일보|저자=이광형 기자|날짜=2002-09-09}}</ref> 2003년부터 2004년까지 [[대한민국 문화관광부|문화관광부]] 장관을 지내기도 했다. [[한국예술종합학교]] 영상원 영화과 교수를 맡고 있다. 2009년 열린 [[칸 영화제]]에서 [[중화민국|타이완]]의 영화 배우 [[수치 (배우)|수치]](서기)와 함께 심사위원으로 위촉되기도 했다.<ref>{{뉴스 인용|제목=이창동 감독 장편 부문 심사위원 위촉… “칸에서 나의 국적은 영화”|url=http://sportsworldi.segye.com/Articles/EntCulture/Article.asp?aid=20090514004092&subctg1=15&subctg2=00|출판사=[[세계일보]]|저자=김용호 기자|날짜=2009-05-14}}</ref> 2010년에 열린 50회 칸 영화제에서는 영화 《[[시 (영화)|시]]》로 각본상을 수상했다.
  • 이카르부스 . . . . 1회 일치
         [[http://ikarbus.rs/index.php/o-nama/istorija-znacajni-datumi|이카르부스 홈페이지의 연혁(세르비아 문자)]]
  • 이판석 . . . . 1회 일치
         [include(틀:역대 경상북도지사)]
  • 이하영(강사) . . . . 1회 일치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이하영, version=129)]
  • 이홍열 (바둑기사) . . . . 1회 일치
         * [http://www.baduk.or.kr/info/player_view.asp?prpl_code=10000045 한국기원의 기사 정보]
  • 인종개량 . . . . 1회 일치
          * 국내에서도 열등감 때문에 인종개량을 하자는 주장을 펼치는 사람을 인터넷에서 때때로 찾아볼 수 있다.[[http://www.inven.co.kr/board/wow/762/439257 (참조)]]
  • 인축무해 . . . . 1회 일치
         <<include(틀:테스트)>>
  • 임기영 . . . . 1회 일치
         2012년에 입단하였다. 2014 시즌 후 [[송은범]]의 FA 보상 선수로 지명되어 [[KIA 타이거즈]]로 이적하였다. [[상무 야구단]] 제대 후 합류할 예정이다.<ref>[http://sports.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baseball&ctg=news&mod=read&office_id=311&article_id=0000417696 KIA, FA 보상선수로 투수 임기영 지명] - 엑스포츠 뉴스</ref>
  • 임신균 . . . . 1회 일치
         '메루카리'라는 인터넷 프리마켓 사이트에서 여성이 임신하기 쉬워지는 "임신균"이 붙어있다고 주장하며, '임신미(妊娠米)'를 고가에 판매한 사례가 있다. 그러나 마이니치 신문의 취재에 따르면, 출품한 사람은 실제로 임신한 경험도 없으며 판매하는 임신미는 제품명에 써있는 용량보다 훨씬 적은 양이었다. 전문가는 이러한 행위에 대하여 "불임으로 고민하는 여성을 모독하는 사기 행위"라고 단언하였다.[[https://mainichi.jp/articles/20170502/k00/00m/040/105000c (참조)]][[http://archive.is/vrWZ4 (아카이브)]]
  • 임지현(가수) . . . . 1회 일치
         [include(틀:토막글)][[분류:토막글/인물]][[분류:한국 가수]]
  • 임효성 . . . . 1회 일치
         [include(틀:상위 문서, top1=농구 관련 인물(한국))]
  • 잘츠부르크 . . . . 1회 일치
         잘츠부르크 관광국 : http://www.salzburg.info/
  • 장갑차 . . . . 1회 일치
         영어명칭인 Infantry Fighting Vehicle를 줄여서 IFV라고도 한다.
  • 장강명 . . . . 1회 일치
         1975년 무역업을 하는 아버지와 잡지사 기자이자 문학가인 어머니 밑에서 태어났다. 연세대학교 재학 중이던 1994년 PC 통신 하이텔에 SF 소설을 연재하고, 군 복무 중에는 장편소설을 투고하는 등 일찍부터 문학에 관심을 보였다. 2002년부터 2013년까지 [[동아일보]] 기자로 일하였으나 전업 소설가가 되겠다는 일념을 갖고 퇴사하였다. 《표백》으로 한겨레문학상을 수상하며 작품 활동을 시작해 《열광금지, 에바로드》로 [[수림문학상]]을, 《2세대 댓글부대》로 제주4.3평화문학상을, 《그믐, 또는 당신이 세계를 기억하는 방식》으로 문학동네작가상을 받았다.<ref>{{뉴스 인용|제목=네이버 인물검색|url=http://people.search.naver.com/search.naver?where=nexearch&query=%EC%9E%A5%EA%B0%95%EB%AA%85&sm=tab_etc&ie=utf8&key=PeopleService&os=214607|출판사=|작성일자=|확인날짜 =2015년 12월 26일}}</ref><ref>{{뉴스 인용|제목=신문기자 관두고 2년만에 소설 6권, 문학賞 휩쓸어… 글만 써 먹고살고 싶다|url=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3&oid=023&aid=0003112580|출판사=|작성일자=|확인날짜 =2015년 12월 26일}}</ref><ref>{{뉴스 인용|제목=조선닷컴 인물검색|url=http://cdb.chosun.com/search/db-people/i_service/manDisAllXml.jsp?uci=G010+1-02142006092000380346|출판사=|작성일자=|확인날짜 =2015년 12월 26일}}</ref><ref>{{뉴스 인용|제목=YES24 《한국이 싫어서》 소개|url=http://www.yes24.co.kr/24/goods/17972275|출판사=|작성일자=|확인날짜 =2015년 12월 26일}}</ref>
  • 장계현 . . . . 1회 일치
         * [[1997년]] Standing In the Dark
  • 장기오 (공무원) . . . . 1회 일치
         * [http://people.joins.com/search/profile.aspx?pn=19180 조인스 인물정보]
  • 장대환 . . . . 1회 일치
         {{뉴스 인용|제목=50대 총리서리 ‘세대교체’ 중책?|url=http://www.donga.com/docs/magazine/weekly/2004/10/05/200410050500008/200410050500008_1.html|확인날짜=2012-04-08|날짜=2002-08-22|출판사=주간동아}}</ref> [[한국 전쟁]] 중 [[대구광역시|대구시]]에서 출생하였으나, 줄곧 서울과 해외에서 생활했다.<ref>{{뉴스 인용|url=http://news.donga.com/3/all/20020809/7851168/1|제목= <nowiki>[오늘의 이슈]</nowiki>'50세 총리' 발탁 또 깜짝인사|날짜=2002-08-09|출판사=[[동아일보]]}}</ref>
  • 장동국 (1972년 9월) . . . . 1회 일치
         </noinclude>
  • 장두진 . . . . 1회 일치
         * [https://web.archive.org/web/20160305163739/https://www.baduk.or.kr/info/player_view.asp?prpl_code=10000039 한국기원의 기사 정보]
  • 장석조 (판사) . . . . 1회 일치
         * 대전지방법원 제1형사부 재판장으로 재직하던 2003년 12월 5일에 1999년 1월 7일과 9일 이종기 변호사가 "판,검사 등에게 대가성 소개비를 지급했다"는 등의 허위 보도로 이종기 변호사의 명예를 훼손하고 업무를 방해한 혐의로 기소되어 1심에서 징역 4-8월 집행유예 1-2년, 사회봉사명령 120시간 등을 선고받은 [[대전MBC]] 기자들에 대한 항소심에서 "1999년 1월 9일 보도내용중 당시 판,검사들이 이종기 변호사로부터 떡값이나 전별금을 받았지만 뒷거래를 없었던 만큼 미필적이라도 허위에 해당한다"고 하면서도 "수사기관이 아닌 언론이 정확한 사실을 가려내기 힘든 점과 이종기 변호사에 대한 개인적인 원한이 없는 점으로 미뤄 비방한 것으로 볼수 없다"며 일부 무죄를 선고하면서 "당시 보도가 법조계의 전관예우라는 잘못된 관행을 지적하고 보도 이후 법조계에서 이같은 관행이 해소된 점과 국민의 알권리 등 언론의 공익적기능 등을 고려했다"며 원심판결을 파기하고 강모씨에게 벌금 500만원과 고모씨, 석모씨에게 벌금 700만원을 각각 선고하면서 김모씨에게는 무죄를 선고했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3&aid=0000010361]</ref>
  • 장성원 (배우) . . . . 1회 일치
         * [http://www.jangsungwon.com/main.html 공식홈페이지]
  • 장수원 . . . . 1회 일치
         * 2013년 12월 12일 싱글 ''Love..Painfully''
  • 장순왕후 . . . . 1회 일치
         {{Col-begin}}
  • 장우람 (가수) . . . . 1회 일치
         * [[2010년]] Dream Tea Story Part 2 원스 《Still Loving You》
  • 장우석 . . . . 1회 일치
         * [https://twitter.com/chaosAD_inDaegu 장우석 트위터]
  • 장진용 . . . . 1회 일치
         |영문 표기 = Jang Jin-Yong
  • 장평도정 . . . . 1회 일치
         {{Col-begin}}
  • 장혁주 . . . . 1회 일치
         |url=http://www.artnstudy.com/zineasf/Nowart/penitence/lecture/03.htm}}</ref>, 이 시기에 [[황도조선연구회]], [[대륙개척문학위원회]] 등의 친일단체에 가담한 바 있다.
  • 장현수 (영화감독) . . . . 1회 일치
         | '''Walking all the way to heaven'''
  • 재신 (배우) . . . . 1회 일치
         |웹사이트 = [http://www.ime.kr/jaesin-kr 공식사이트]
  • 전국 BASARA(애니메이션) . . . . 1회 일치
         <<include(틀:스포일러)>>
  • 전민희 . . . . 1회 일치
         * {{언어링크|ko}} [http://jeonminhee.com 공식 웹사이트]
  • 전병조 . . . . 1회 일치
         '''전병조'''(田炳祚, [[1964년]] ~ , [[대구광역시]])는 [[KB투자증권]]의 대표이사 사장인 [[대한민국]]의 기업인, 금융인이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hm&sid1=101&oid=003&aid=0006279619 KB투자증권 신임 사장에 전병조 부사장 내정] 뉴시스 2014년 12월 30일</ref>
  • 전성군 (1488년) . . . . 1회 일치
         {{Col-begin}}
  • 전숙희 . . . . 1회 일치
         이후 동생인 고(故) [[전락원]] 전 파라다이스그룹 회장과 함께 1993년 [[계원예술고등학교]], [[계원디자인예술대학]] 등 계원학원을 설립했다. 1997년에는 한국 문학 유산의 보존을 목적으로 한국 최초의 현대문학 자료관인 동서문학관(현 한국현대문학관)을 개관했다. 2010년 8월 1일 오전 8시 경기도 성남시 분당 서울대병원에서 노환으로 향년 91세로 별세했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hm&sid1=103&oid=001&aid=0004585279 원로 수필가 전숙희씨 별세 (연합뉴스 2010년8월1일자)]</ref>
  • 전종환 . . . . 1회 일치
         * [http://www.imbc.com/broad/tv/sports/magazine/ 스포츠 매거진]
  • 전혜진(1970) . . . . 1회 일치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전혜진, version=75)]
  • 전희숙 . . . . 1회 일치
         <ref name="코리아타임즈2009">{{웹 인용 | url=http://www.koreatimes.co.kr/www/news/sports/2009/10/136_52967.html | 제목=Jeon Captures Silver in Foil | 저자=Kang Seung-woo | 웹사이트=koreatimes | 날짜=2009-10-05 | 확인날짜= | 보존url=https://archive.today/20120907064828/http://www.koreatimes.co.kr/www/news/sports/2009/10/136_52967.html | 보존날짜=2012-09-07 | 깨진링크=아니오 }}</ref>
  • 절연금 . . . . 1회 일치
         http://www.aichi-mikawa.com/tegirekin.html
  • 정구양 . . . . 1회 일치
         </noinclude>
  • 정근모 . . . . 1회 일치
         '''정근모'''(鄭根謨, [[1939년]] [[12월 30일]] ~ , [[서울특별시|서울]])는 대한민국의 물리학자이자 원자력 전문가이며 과학기술 행정가이다. [[유효정|유호정]] 박사가 2018년에 기록을 경신하기 전까지 대한민국 최연소 박사 학위 취득 기록을 갖고 있었다.<ref>[https://news.joins.com/article/22899529 22세 국내 최연소 박사 탄생 "학원 싫어 대학까지 독학"]</ref> (만 23년 5개월) [[대한민국 과학기술부|과학기술처]] 장관을 2번 지냈고, [[한국과학원]](현 [[한국과학기술원]]) 설립을 주도하고 2대 부원장도 맡았다.
         * 뉴욕공과대학 (Polytechnic Institute of New York) 전기 및 핵물리학과 부교수
  • 정다혜(1985) . . . . 1회 일치
         || '''학력''' ||[[동국대학교]] 연극영화과 졸업[[http://v.entertain.media.daum.net/v/20060427101012055|#]] ||
  • 정다혜(1987) . . . . 1회 일치
         '''정다혜'''([[1987년]] [[1월 7일]] ~ )는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유수인'''이라는 이름으로 개명을 한 적이 있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6&oid=404&aid=0000030562 정다혜, 유수인으로 개명 후 드라마 컴백]. 뉴스24. 2013년 5월 15일.</ref>
  • 정명훈 (지휘자) . . . . 1회 일치
         * 2017년 이탈리아 [[:it:Ordine della Stella d'Italia|이탈리아의 별 훈장]] 콤멘다토레
  • 정몽규 . . . . 1회 일치
         *[http://www.hdc-holdings.com/ HDC]
  • 정민아 (아나운서) . . . . 1회 일치
         * [[어메이징 그레이스 (라디오 프로그램)|정민아의 Amazing grace]]
  • 정병희 . . . . 1회 일치
         [[2002년]] 신인 드래프트에서 [[한화 이글스]]의 2차 2순위 지명을 받아 입단했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001&oid=038&aid=0000085963 한화, 정병희와 입단 계약] 《한국일보》, 2001년 7월 13일</ref> [[2005년]] 시즌 후 [[내야수]] [[김민재 (1973년)|김민재]]의 보상 선수로 이적했다. 이후 입대하여 [[2010년]]에 제대하자마자 [[SK 와이번스]]에서 방출되었다.
  • 정상헌 . . . . 1회 일치
         [[2013년]] [[6월 26일]] 자신을 무시하는 처형을 목졸라 살해한 후 3일 뒤인 [[6월 28일]] 밤 10시 사체를 인근 야산에 암매장 해 살인 및 사체를 유기했다. 그리고 이 사건으로 징역 20년을 선고 받았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52&aid=0000544709 '처형 살해' 전 프로농구 선수 징역 20년 확정]</ref>
  • 정성왕후 . . . . 1회 일치
         {{Col-begin}}
  • 정소담 . . . . 1회 일치
         [https://www.instagram.com/sodamjjj 정소담 인스타그램]
         *<OWIN> 전속모델
  • 정승빈 . . . . 1회 일치
         | 웹사이트 = 인스타그램 @s_bbbinn
  • 정재호 (1964년) . . . . 1회 일치
         |웹사이트 = [http://wewin.kr/ 공식홈페이지]
  • 정좌관심 . . . . 1회 일치
          * http://news.jtbc.joins.com/article/article.aspx?news_id=NB10460325
  • 정진(1941) . . . . 1회 일치
         | 본명 = 정수황 <ref>[http://entertain.naver.com/read?oid=001&aid=0008447402 '한명회' 배우 정진 별세…향년 75세]2016. 6.2 작성 연합뉴스</ref>
  • 정창영 (공무원) . . . . 1회 일치
         '''정창영'''(鄭昌永, [[1954년]] [[8월 29일]] ~ , [[대구광역시|대구]])<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20&aid=0000281626 국회-감사원 첫 인사 교류] 《동아일보》 2005년 1월 20일 정용관 기자</ref>은 [[대한민국]]의 공무원이다.<ref>[http://people.search.naver.com/search.naver?sm=tab_txc&where=people_profile&ie=utf8&query=%EC%A0%95%EC%B0%BD%EC%98%81&os=766969 네이버 인물정보]</ref>
  • 정칠성 . . . . 1회 일치
         {{Col-begin}}
  • 젬누 . . . . 1회 일치
         [[마블 코믹스]]의 캐릭터. 첫등장은 Journey into Mystery #62(November 1, 1960).
  • 조길형(1962) . . . . 1회 일치
         [include(틀:충청북도의 기초자치단체장)]
  • 조대연(1888) . . . . 1회 일치
         [include(틀:역대 충청북도지사)]
  • 조선활자본 삼국지통속연의 . . . . 1회 일치
          * http://scholar.dkyobobook.co.kr/etcArticleView.laf?artId=10194179&indexGb=Y
  • 조소혜 . . . . 1회 일치
         [[2006년]] [[5월 24일]] 지병인 [[간암]]으로 향년 51세로 별세하였다. 집필중이던 《[[맨발의 청춘 (2005년 드라마)|맨발의 청춘]]》의 시청률 부진에 대해 괴로워했던 것으로 알려졌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1&aid=0001306430 드라마 작가 조소혜 씨 갑작스레 타계] 《연합뉴스》김가희, 2006년 5월 25일 작성, 2010년 5월 19일 읽음.</ref>
  • 조재윤 . . . . 1회 일치
         2003년 영화 《[[영어완전정복]]》에 출연하며 영화계에 첫발을 내디뎠다. 그 후, 2010년 《[[아저씨 (영화)|아저씨]]》, 2013년 《[[7번방의 선물]]》, 2013년 《[[용의자 (영화)|용의자]]》, 2015년 《[[내부자들]]》, 2016년 《[[그날의 분위기]]》, 2017년 《[[프리즌]]》, 《[[시간위의 집]]》과 같은 다양한 장르의 영화를 통해 개성 있는 연기로 존재감을 선보이며 [[충무로]]를 대표하는 연기파 배우로 주목받았다.<ref>[http://entertain.naver.com/movie/now/read?oid=112&aid=0002903680 코믹 혹은 악역? '시간위의 집' 신강탈러 조재윤의 새 얼굴] 헤럴드POP. 2017년 03월 20일</ref>
  • 존 왕 . . . . 1회 일치
         King John
  • 존 헨리 . . . . 1회 일치
         이와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 것은 아니지만, 존 헨리이즘(John Henryism)이라는 연구가 있다. 이는 가난을 극복하기 위해서 보통 사람보다 훨씬 많은 노력을 한 사람이, 중년 이후에 그 간 무리한 탓에 건강이 손상되어 고통을 받는 현상을 뜻하는 말로서, 80년대, 셔먼 제임스라는 청년 연구가가 소작농 출신 존 헨리 마틴이라는 사람의 사례를 기초로 하여 “존 헨리 척도”를 제안했다. 이는 “일이 내 뜻대로 풀리지 않으면 오히려 더 열심히 노력한다”, “인생은 내가 노력하기 나름이다” 는 등의 문항에 얼마나 동의하느냐 하는 것으로 측정된다.([[http://newspeppermint.com/2017/01/31/john-henryism/ 참조]]) 특히 미국에서는 사회 구조적으로 차별을 받는 흑인 남성에게 많이 나타나던 현상인데, 기계와 싸우다가 죽음을 맞은 이야기 속의 존 헨리처럼 존 헨리이즘은 현실과 싸우다가 스스로 피폐해진 사람들을 뜻하는 단어라는 점이 아이러니하다.
  • 종활 . . . . 1회 일치
          * http://shukatsu.nifty.com/about/index01.htm
  • 주장환 . . . . 1회 일치
         '''주장환'''(1957년 1월 1일 ~ )은 대한민국의 신문기자, [[소설가]]이다. 서울신문(스포츠서울) 세계일보 기자를 거쳐 파이낸셜뉴스 논설위원을 역임했다. 중소기업사랑 청소년글짓기 공모전 심사위원장, 대한민국장애인예술대상 문학부문 심사위원, 충효예실천운동 본부 상임위원,부총재 [[731부대]] 한국인 희생자 진상규명위원회 대변인을 거쳐 [[극동대학교]] 겸임교수를 지냈다. 하버드대학 Literati China 과정 수료. 월간조선 객원기자
  • 주주장 . . . . 1회 일치
         * [https://instagram.com/jujuchangabc/ 주주 장] - [[인스타그램]]
  • 줄리아나 도쿄 . . . . 1회 일치
          * http://www.officej1.com/bubble/kinpika1.htm
  • 진동한 . . . . 1회 일치
         ||||<#FFFFFF><:> '''{{{#000000 진동한(陳桐漢 / Dong-han Jin)}}}''' ||
  • 진유현 . . . . 1회 일치
         | 그림 = http://blogfiles.naver.net/20110907_198/tobeann7_1315370032954H7rMm_JPEG/jinyoohyun1.jpg
  • 진학교 . . . . 1회 일치
         랭킹 사이트 : http://nankandaigakujyuken.web.fc2.com/highschoolinfo.htm
  • 짐 브라부라 . . . . 1회 일치
         |||| attachment:Bravura_InGame.jpg?width=400 ||
         <<include(틀:스포일러)>>
  • 차명진 . . . . 1회 일치
         * [[2011년]] [[9월 18일]] 국민일보의 "[정치자금 겉과 속-(4) 정치 후원금은 쌈짓돈] 이발비 12만원·안경 구입비 45만원 쓰고 “의정활동용”"이라는 기사 <ref>{{뉴스 인용|제목=`[정치자금 겉과 속-(4) 정치 후원금은 쌈짓돈] 이발비 12만원·안경 구입비 45만원 쓰고 “의정활동용`|url=http://news.kukinews.com/article/view.asp?page=1&gCode=kmi&arcid=0005364841&code=11121100|출판사=국민일보|날짜=2011-09-18}}</ref> 에 의하면 차명진은 2010년 5월 27일 업무용 안경 10만원, 6월 23일 다시 업무용 안경 45만원, 7월 1일에도 업무용 안경 45만원, 9월 8일 진료비 21만 9100원, 11월 28일 목도리 4만5천원, 12월 8일 셔츠 3만9천원을 각각 '의정활동용'으로 신고했다.
  • 차민수 . . . . 1회 일치
         * [http://www.baduk.or.kr/info/player_view.asp?prpl_code=10000085 한국기원 기사정보: 차민수 5단]
  • 차성훈 . . . . 1회 일치
         * 《[[개과천선 (드라마)|개과천선]]》 (2014년, MBC) - 영우비서 역 <ref>{{뉴스 인용|제목= 김성훈, 차성훈으로 개명 |url=http://media.daum.net/entertain/star/newsview?newsid=20140522181705403 |출판사=세계일보 |날짜=2014-05-22}}</ref>
  • 차용학 . . . . 1회 일치
         * [[테이]] - Love is feeling
  • 차정아 . . . . 1회 일치
         * [https://www.instagram.com/cha_jung_a/ 차정아 인스타그램]
  • 차희식 . . . . 1회 일치
         정부는 고인의 공훈을 기려 1968년 건국훈장 독립장을 추서하였다.<ref>[http://www.kyeongin.com/news/articleView.html?idxno=508356 화성 3·1운동 주도… 차희식 선생을 아시나요], 경인일보, 2010년 3월 23일</ref>
  • 창작:6피트 계획 . . . . 1회 일치
         <<include(틀:개인창작)>>
  • 창작:IDF . . . . 1회 일치
         <<include(틀:공동창작)>>
         IDF(International Defense Force)
  • 창작:Project NA . . . . 1회 일치
         <<include(틀:공동창작)>>
  • 창작:마스터즈 . . . . 1회 일치
         <<include(틀:개인창작)>>
  • 창작:말퓨스 스토리 . . . . 1회 일치
         <<include(틀:개인창작)>>
  • 창작:맹수인 . . . . 1회 일치
         <<include(틀:개인창작)>>
  • 창작:바벨 코스트 . . . . 1회 일치
         <<include(틀:공동창작)>>
  • 창작:세대륙 이야기 . . . . 1회 일치
         <<include(틀:개인창작)>>
  • 창작:악마의 열매 . . . . 1회 일치
         <<include(틀:공동창작)>>
  • 창작:왕국 . . . . 1회 일치
         <<include(틀:개인창작)>>
  • 창작:요괴위키 . . . . 1회 일치
         <<include(틀:공동창작)>>
  • 창작:좀비위키 . . . . 1회 일치
         <<include(틀:공동창작)>>
  • 창작:좀비탈출 . . . . 1회 일치
         <<include(틀:공동창작)>>
  • 창작:츠키노 아스카 . . . . 1회 일치
         <<include(틀:개인창작)>>
  • 창작:치킨교 . . . . 1회 일치
         <<include(틀:공동창작)>>
  • 창작:티겔 왕국 . . . . 1회 일치
         <<include(틀:개인창작)>>
  • 창작:헤이즈 . . . . 1회 일치
         <<include(틀:공동창작)>>
  • 채상병 . . . . 1회 일치
         [[1998년 한국 프로 야구 신인선수 지명 회의|1998년 신인 드래프트]]에서 [[한화 이글스]]의 2차 5순위 지명을 받았다. 이후 [[연세대학교]] 체육교육학과 졸업 후인 [[2002년]] [[한화 이글스]]에 입단하였다. 한화에서는 [[심광호]] 등의 경쟁에서 밀려 몇 경기만 출전했다. 입단 후 1년 뒤인 [[2003년]]에 투수 [[문동환 (야구인)|문동환]]과의 트레이드로 [[두산 베어스]]로 이적하였다. 이때 [[문동환 (야구인)|문동환]]은 [[롯데 자이언츠]] 소속이었는데, [[정수근]]의 보상 선수로 [[두산]]으로 왔다가, 불과 3시간 후에 채상병과 유니폼을 바꿔 입게 되었다.<ref>[http://news.kukinews.com/article/view.asp?page=1&gCode=kmi&arcid=0920594734&cp=nv 채상병, 두산 40승 숨은 주역… 주전 홍성흔 부상 공백 완벽히 메꿔] - 쿠키뉴스</ref> 그러나 [[두산 베어스]]에서 채 자리잡기도 전에 [[2004년]] 병역비리 사건에 연루되어 [[공익근무요원]]으로 군 복무를 마쳤다.<ref>[http://www.dailian.co.kr/news/news_view.htm?id=105714 난처한 채상병, 그러나 놓칠 수 없는 기회] - 데일리안</ref> [[2007년]] 주전 포수였던 [[홍성흔]]이 허벅지 부상으로 많은 경기에 출전하지 못하고 [[김경문]] 감독과의 불화 등으로 [[홍성흔]]이 트레이드를 요구하는 등 잡음<ref>[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0810271719545&code=980101 두산 홍성흔“작년 부진 잊지 말고 나만의 스윙을 하자”] - 경향신문</ref> 이 일자, [[홍성흔]]을 밀어내고 주전 [[포수]]로 자리매김하였다.
  • 채형석 . . . . 1회 일치
         [[2002년]] 1월부터 [[애경그룹]] 부회장이 되었고, 2006년 애경그룹 총괄부회장에 올라 사실상 [[애경그룹]]을 이끌고 있다. [[애경그룹]] 총괄부회장에 취임한 뒤 본격적으로 그룹을 이끌고 있다. 그룹의 구조개편 작업을 진두지휘하며 업계의 주목을 받았다. [[애경백화점]]을 세워 유통업에 진출했고, [[애경개발]]을 세워 레저와 부동산개발업을 시작했다. 제주지역 항공사 설립 파트너 자격을 따내며 [[제주항공]]으로 항공사업을 시작했다.<ref>{{뉴스 인용|제목=[Who Is ?] 채형석 애경그룹 총괄부회장|url=http://www.businesspost.co.kr/news/articleView.html?idxno=22071|날짜=2016-01-12|뉴스=비즈니스포스트}}</ref>
  • 천보영 . . . . 1회 일치
         * [https://www.instagram.com/boyoung333/ 천보영 인스타그램]
  • 천세라 . . . . 1회 일치
         * [https://instagram.com/sera0217 천세라 페이스북]
  • 천안함 침몰사건 . . . . 1회 일치
         군에서는 표면적으로는 '영웅'으로 평가하고 있으나, 생존자들에게 수치심을 주는 발언이 많이 있었다는 증언이 나타났다. [[http://news.sbs.co.kr/news/endPage.do?news_id=N1003612028&plink=COPYPASTE&cooper=SBSNEWSEND (SBS뉴스)]]
  • 천운영 . . . . 1회 일치
         문학평론가 류보선은 〈잘 가라, 서커스〉에 대해 “대단히 밀도가 높을 뿐만 아니라 이전의 천운영 소설이 행했던 역할과는 또다른 방식으로 한국소설사의 새로운 영역을 개척했다”고 평가했다.<ref>{{웹 인용|url= http://for-munhak.or.kr/_renewal/_index.php?ForMunhak=board.php&dbbase=book3&field=cGFydF9ib29rc195ZXNfYmI%3D&words=2005-4&parts=2005-4&numerals=1561&page=1|제목=잘 가라, 서커스|출판사=문학나눔|저자=|날짜=|확인날짜=2010-10-18}}</ref>
  • 천장호 . . . . 1회 일치
         .http://www.usline.kr/news/articleView.html?idxno=6132
  • 천해성 . . . . 1회 일치
         2017년 6월 제24대 [[대한민국의 통일부 차관|통일부 차관]]에 임명되었다.<ref>{{뉴스 인용|제목=차관으로 복귀한 통일부 대표 정책통 천해성|url=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7/05/31/0200000000AKR20170531136600014.HTML|날짜=2017-05-31|뉴스=연합뉴스}}</ref>
  • 최기영 . . . . 1회 일치
         </noinclude>
  • 최길성 . . . . 1회 일치
         * ING 생명 보험설계사 (2010년 ~ 현재)
         '''최길성'''(崔吉成<ref>한국야구위원회, 2009 가이드북</ref>, [[1978년]] [[2월 6일]] ~ )은 전 [[KBO 리그]] [[SK 와이번스]]의 선수이자, 현재 ING 생명 보험설계사로 활동하고 있다.
         현재는 ING 생명의 보험 설계사(FC)로 근무하고 있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09&aid=0002786767 국대 출신 30대 야구선수, 보험 영업맨 변신해…] 2012년 8월 19일자, 매일경제</ref>
  • 최대원(정치인,국회의원) . . . . 1회 일치
         |||| http://post.phinf.naver.net/MjAxODA1MjlfNDQg/MDAxNTI3NTg0NDIxNjU0.5gECJ_LWe8QE7qM2wakyKzq9UDsQ_u-rjxlGwjfwsU8g.aZEt2ZsdNUg_25Vct7YPopEEoMrvRiAIGJoCcZ-ZJhYg.JPEG/IHwObLXDwFQ_8KV0yezTloQF9ykE.jpg ||
  • 최덕희 . . . . 1회 일치
         * [[가면라이더 위자드 IN MAGIC LAND]]([[대원방송]]) - 마리(코요미) 2015.02.12~
         * [[I&I Reading Club]](튼튼영어)
  • 최동환 . . . . 1회 일치
         [[2009년 한국 프로 야구 신인선수 지명 회의|2009년 신인 드래프트]]에서 [[LG 트윈스]]의 2차 2순위 지명을 받아 입단했다. 입단 후 주로 중간 계투로 등판했다.<ref>[http://www.donga.com/fbin/output?n=200904210253 “신인왕 누가 전세냈냐…여기 최동환도 있다”] 《동아일보》, 2009년 4월 21일 작성</ref>
  • 최두선 . . . . 1회 일치
         본래는 1963년 출범한 박정희 정권에 부정적이었으나 박정희의 포용정책으로 국무총리에 지명되어 박정희 정권의 첫 국무총리를 지냈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001&oid=001&aid=0002938731& <박前대통령 서거 30주기> ③이만섭 前의장 인터뷰 :: 네이버 뉴스<!-- 봇이 따온 제목 -->]</ref> 이후 민정이양 후의 민심의 수습에 노력하다가 야당의 대일 굴욕외교 반대 등으로 6개월만에 사퇴했다. 그러나 야당 대열에 동참하기를 거부하고 교육, 집필, 강연활동에 전념하였다.
  • 최만린 . . . . 1회 일치
         * 미국 뉴욕 [[프랫 대학교|프랫 인스티튜트(Pratt Institute)]] 미술학과 학사(1967년)
         * [http://people.joins.com/search/profile.aspx?pn=42382 조인스 인물정보]
  • 최민창 . . . . 1회 일치
         |영문 표기 = Choi Min-Chang
  • 최선 (정치인) . . . . 1회 일치
         * [http://fimg.hanmail.net/cgi-bin/download.cgi?filepath=file/r/m/a/k/18FgW/42/a74158-8909.att&realfile=choisun.wma&att=1 MBC 손석희의 시선집중 인터뷰]
  • 최성민 (야구선수) . . . . 1회 일치
         |영문 표기 = Choi Seong-Min
  • 최성원(가수) . . . . 1회 일치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최성원, version=41)]
  • 최수환 . . . . 1회 일치
         https://search.pstatic.net/common?type=a&size=120x150&quality=95&direct=true&src=http%3A%2F%2Fpeople.phinf.naver.net%2F20140602_42%2F1401706852890ruww1_JPEG%2Fchosun_400010395.jpg
  • 최승민 (1991년) . . . . 1회 일치
         |영문 표기 = Choi Seung-Min
  • 최연제 . . . . 1회 일치
         * 4집 《Mind Control》 ([[2001년]])
  • 최영미 (시인) . . . . 1회 일치
         최영미는 삶과 여행, 그리고 예술에 관한 산문집 『《시대의 우울: 최영미의 유럽일기》, 《우연히 내 일기를 엿보게 될 사람에게》, 《길을 잃어야 진짜 여행이다》를 출간했으며, ''Francis Bacon in Conversation with Michel Archimbaud''를 한국어로 번역해 《화가의 잔인한 손: 프란시스 베이컨과의 대화》(1998,도서출판 강)이란 제목으로 출간했다. [[인하대학교]]와 [[강원대학교]]에서 시 창작을 가르쳤으며, 지학사 고등검정교과서 문학(2014년)에 최영미의 시 〈선운사에서〉가, 창비사 고등인정지도서 문학(2012년)에 〈지하철에서 2〉가, 학연사 고등검정지도서 작문에 (2012년) 산문집 《시대의 우울》, 〈쾰른〉편이 수록되었다.
  • 최원권 . . . . 1회 일치
         [[2013년]] 여름 이적시장에서 [[이진호 (축구 선수)|이진호]]와 맞임대로 [[대구 FC]]에 임대되었다.<ref>[http://sports.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k_league&ctg=news&mod=read&office_id=241&article_id=0002142738 제주, 박기동-최원권 보내고 이진호-황도연 데려온다] - 일간스포츠</ref>
  • 최원홍 . . . . 1회 일치
         * [https://web.archive.org/web/20111205203150/http://www.ini2008.co.kr/ 소속사 사이트]
  • 최유정 (레이싱모델) . . . . 1회 일치
         * [http://cafe.daum.net/racingqueenyujung 최유정 다음 팬카페]
  • 최재원(배우) . . . . 1회 일치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최재원, version=77)]
  • 최재호 (희극인) . . . . 1회 일치
         </noinclude>
  • 최진희(가수) . . . . 1회 일치
         [include(틀:-)]
  • 최항석 . . . . 1회 일치
          | 사진 = https://search.pstatic.net/common?type=a&size=120x150&quality=95&direct=true&src=http%3A%2F%2Fpeople.phinf.naver.net%2F20180111_79%2F1515601854136mupkK_JPEG%2Fchosun_400255759.jpg
  • 추경호 . . . . 1회 일치
         2005년 은행제도과장으로 재직할 때 재정부 직원들이 뽑은 ‘가장 닮고 싶은 상사’에 선정되기도 했다.<ref>{{뉴스 인용|제목=[Who Is ?] 추경호 전 국무조정실장 실물경제와 금융 모두 정통한 경제관료|url=http://www.businesspost.co.kr/news/articleView.html?idxno=11237|날짜=2015-04-07|뉴스=비즈니스포스트}}</ref>
  • 추자현 . . . . 1회 일치
         2012년 [[중국]] [[드라마]] '마랄여우적행복시광'에 [[중국]] 배우 [[조동혁]]과 함께 출연하여 연인으로 발전<ref>[http://entertain.naver.com/movie/now/read?oid=108&aid=0002595616 추자현, 조동혁과 4월 아닌 올 하반기 결혼 "일정 때문"] 스타뉴스. 2017년 03월 07일</ref>, 2016년 9월 연인 관계임을 알렸다. 2017년 1월 18일에 배우 조동혁과 혼인신고를 했다.<ref>{{웹 인용|url=http://www.tvreport.co.kr/?c=news&m=newsview&idx=996073|제목=[룩@차이나] "조동혁♥추자현, 1월 18일 결혼" 中매체 관심 보도|언어=ko-KR|확인날짜=2018-03-26}}</ref>
  • 취활 . . . . 1회 일치
         일본의 속어. 취직활동(就職活動)의 줄임말. 우리말의 취준과 비슷하다. 다만 국내에 국한되는 취준과는 달리, 재취업 등 사회 전반의 취업 활동에 있어서 폭넓게 쓰이는 경향이 있다.[[http://www.hani.co.kr/arti/culture/entertainment/781273.html (참조)]]
  • 츠츠모타세 . . . . 1회 일치
          * 공갈협박상담센터 : http://www.entrap.info/tutumotase.html
  • 츠키시마 케이 . . . . 1회 일치
         [[include(틀:스포일러)]]
  • 치쿠아사 . . . . 1회 일치
          * http://dictionary.goo.ne.jp/jn/247045/meaning/m0u/
  • 카마세이누 . . . . 1회 일치
          * http://zokugo-dict.com/06ka/kamaseinu.htm
  • 칼렉시트 . . . . 1회 일치
          * 셜빈 피셔버(Shervin Pishevar) - 우버의 개발자이며, 하이퍼루프 원의 공동창업자. CNBC에서 "캘렉시트를 진지하게 고민하고 있다"고 발언하며, "이것은 내가 할 수 있는 가장 애국적인 일이고, 미국을 떠난 캘리포니아를 '뉴 캘리포니아'라고 부르겠다"고 주장했다.--[[뉴 캘리포니아 공화국]]?-- 셜빈 피셔버는 예스 캘리포니아 캠페인을 구상하고 있으며, 스페인 카탈루냐의 독립운동을 모델로 하여 2019년 국민투표를 제안하였다. 그는 캘리포니아가 국가가 된 뒤에 다시 연방에 들어와도 된다고 발언했다.
  • 캡틴 아메리카 . . . . 1회 일치
         Captain America
  • 캡틴 아톰 . . . . 1회 일치
         Captain Atom
  • 코미디언(왓치맨) . . . . 1회 일치
         <<include(틀:스포일러)>>
  • 콘도 마코토 . . . . 1회 일치
          * http://www.dailyshincho.jp/article/2015/09050815/?all=1
  • 콜만스코프 . . . . 1회 일치
         [[http://www.interafrica.co.kr/dbrm/view.php?id=route&area=south&country=6&category=6&no=42|아프리카 관련 여행사 "인터아프리카"의 콜만스코프 페이지]]
  • 콜트 M4 카빈 . . . . 1회 일치
         [[http://www.colt.com/Catalog/Military/Products/Colt-M4-Carbine#100843-overview|콜트사의 콜트 M4 카빈 설명 페이지]]
  • 콩고(소설) . . . . 1회 일치
         그렇지 않아도 일본과 유럽 합작 기업의 탐사대가 추격 중이라 바짝 긴장한 연구소는 급히 과학자 카렌 로스를 팀장으로 삼아 소규모 탐사대를 재차 투입한다. [* 이렇게 급하게 탐사대를 다시 꾸린 건 경쟁 기업의 추격도 있었지만 해당 지역이 정부군과 식인종 키가니족이 내전 중이라 어렵게 따낸 탐사 허가를 또다시 따낼 틈이 없어 일단 탐사대의 전멸은 비밀로 한채 새로운 탐사대를 투입하는 걸 들키기 전에 얼른 투입시키기 위해 서둘렀다.] 영상에 집힌 고릴라의 이미지 때문에 영장류 전문가가 필요하다고 생각한 카렌은 수화를 할 줄 아는 [[고릴라]] 에이미와 그녀를 돌보는 동물학자 피터 엘리어트, 아프리카의 백인 용병 찰스 먼로 등이 이끄는 탐험대가 자이르 정글 깊숙한 곳으로 잃어버린 전설의 다이아몬드 광산도시 진즈(Zinj)를 찾는 모험이 중심 소재이다. 마치 전형적인 모험 소설 같지만, 탐험의 주체가 현대적인 광산 기업이거나, 위성으로 연락, 데이터를 컴퓨터로 분석하거나 NASA에서 개발된 탐험 장비를 사용하는 등 상당히 현대적인 가제트가 많은 것이 특징이다.
  • 쿠와바라 쿠와바라 . . . . 1회 일치
          * http://yain.jp/i/%E6%A1%91%E5%8E%9F%E6%A1%91%E5%8E%9F
  • 쿨 비즈 . . . . 1회 일치
          * http://singo.jiyu.co.jp/nendo/2005.html
  • 크루세이더 킹즈 2 . . . . 1회 일치
         #redirect Crusader Kings 2
  • 타코베야 . . . . 1회 일치
          * http://yamikin-kaiketu.com/cpt_story/%E3%83%A4%E3%83%9F%E9%87%91%E3%81%8C%E9%80%81%E3%82%8B%E3%82%BF%E3%82%B3%E9%83%A8%E5%B1%8B%E3%82%82%E6%A7%98%E3%80%85/
  • 탁민제 . . . . 1회 일치
         '''탁민제'''(卓民濟, 1954년 ~ )은 [[대한민국]]의 [[항공우주공학자]]이다. 현재 [[KAIST]] 공과대학 기계항공시스템학부 항공우주공학 교수이자 [[한국항공우주학회]]장이다.<ref>{{뉴스 인용|제목 = 항공우주학회장 KAIST 탁민제 교수|URL =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38&aid=0002196808|출판사 = 한국일보|날짜 = 2011-11-08}}</ref>
  • 태미 . . . . 1회 일치
         [[초등학교]] 6학년 때 [[태권도]]를 시작하였고 '''세계태권도품새선수권대회''' 1위를 거머쥔 실력자로서, [[청와대]]에서 [[태권도]] 공연 이후 청와대 [[경호원]] 제안을 받았지만 행복하기 위해 배우를 택했다. 2007년 [[SBS]] 《[[스타킹 (2015년 텔레비전 프로그램)|스타킹]]》에 출연한 이후 ‘[[얼짱]] 태권소녀’로 주목을 받았다. 강인한 이미지가 강해서 탈피하고자 2016년 영화 《'''여자 전쟁: 봉천동 혈투'''》에 도전하여 출연했다.<ref>[http://entertain.naver.com/read?oid=009&aid=0003783206 태미 “청와대 경호원 제안 받았지만 배우 택했다”] 매일경제. 2016년 08월 11일</ref>
  • 태보 . . . . 1회 일치
         1980년대에 [[빌리 블랭크스]]가 창안한 무술 겸 트레이닝 프로그램. 이름은 태권도('''tae''' kwon do)와 복싱('''bo'''xing)에서 따온 것이다.
  • 토리스 위스키 . . . . 1회 일치
          * http://www.suntory.co.jp/whisky/torys/historybook/index.html
  • 토리코/375화 . . . . 1회 일치
         [[토리코]] 375화. '''they're rushing'''
  • 토이 솔져스: 콜드 워 . . . . 1회 일치
          * Machine Gun
  • 토츠카 요트 스쿨 . . . . 1회 일치
          * https://www.iwanami.co.jp/moreinfo/0257980/top.html
  • 톰 최 . . . . 1회 일치
         '''톰 최'''({{llang|en|Tom Choi}})는 미국의 배우이다. [[대구광역시]]에서 태어나 4살 때 미국 [[일리노이주]] [[디모인]]으로 이민가 그 곳에서 자랐다.<ref>{{뉴스 인용|url=http://asiansonfilm.com/tom-choi-interview/|title=Tom Choi Interview – Asians on Film|date=4 January 2016|work=Asians on Film|access-date=2017-06-28|language=en-US}}</ref>
  • 통합실조증 . . . . 1회 일치
          * http://www.mhlw.go.jp/kokoro/speciality/detail_into.html
  • 트로피코 4/인물 . . . . 1회 일치
         Miss Pineapple. 안경을 쓰고 정장을 입은 여자.
  • 특이한 세금 . . . . 1회 일치
          * https://turbotax.intuit.com/tax-tools/tax-tips/General-Tax-Tips/12-Strange-State-Tax-Laws/INF26061.html
  • 틀 테스트 . . . . 1회 일치
         <<include(틀:테스트)>>
  • 틀:개인창작 . . . . 1회 일치
         <div style="border: 3px solid Green;padding:10px;"><b>NTX 위키의 개인창작 항목입니다.</b><br />
  • 틀:공동창작 . . . . 1회 일치
         <div style="border: 3px solid Blue;padding:10px;"><b>NTX 위키의 공동창작 항목입니다.</b><br />
  • 틀:스포일러 . . . . 1회 일치
         <div style="border: 3px solid orange;padding:10px;"><b>주의! 내용 누설이 있습니다.</b><br />
  • 틀:테스트 . . . . 1회 일치
         <div style="border: 3px solid Orange;padding:10px;">테스트
  • 티타노 . . . . 1회 일치
          여담으로 티타노가 등장한 코믹스의 표지는 Alan Class Comics의 Sinister Tales의 에피소드 하나의 표지와 빼다 박은 수준으로 비슷하다.
  • 파이널 판타지 시리즈 . . . . 1회 일치
          * 파이널(Final) 이지만 끝이 안난다.
  • 페어리 테일/544화 . . . . 1회 일치
         [[페어리 테일]] 제 544화. '''You're the king'''
  • 페이데이 2/하이스트/베인 . . . . 1회 일치
         == Train Heist ==
  • 편의치적 . . . . 1회 일치
         [[내륙국]]인 [[몽골]], [[볼리비아]], [[몰도바]]가 편의치적을 받고 있어, 내륙국임에도 상당량의 선적을 얻고 있다. [[북한]]도 편의치적을 받고 있는데, 남한 국적(!) 오너가 가지고 있는 선박이 1척 있다.[[https://www.cia.gov/library/publications/the-world-factbook/geos/kn.html#Trans (참조-운송(Transportation)->상선(Merchant marine)->외국인 소유(foreign-owned))]]
  • 폐비 윤씨 . . . . 1회 일치
         {{Col-begin}}
  • 풍진 . . . . 1회 일치
          * http://www.nih.go.jp/niid/ja/kansennohanashi/430-rubella-intro.html
  • 프랑켄슈타인 안드로이드 . . . . 1회 일치
         The Frankenstein Android
  • 프로라 . . . . 1회 일치
         [[http://www.telegraph.co.uk/travel/destinations/europe/germany/articles/nazi-relic-set-to-become-luxury-beach-resort/|텔레그래프 - Nazi holiday resort set for luxury makeover(영문)]]
  • 피서영 . . . . 1회 일치
         남편인 로먼 재키브(Roman Jackiw)는 또한 매우 저명한 이론물리학자이다. 양자장론에서 고전적인 대칭성이 양자효과에 의해서 깨진다는 소위 Adler-Bell-Jackiw anomaly를 최초로 발견한 학자이며, 고온에서 대칭성이 회복될 수 있다는 결과를 최초로 계산해 낸 학자이기도 하다.(finite temperature field theory)
  • 하시영 . . . . 1회 일치
         * [https://www.instagram.com/si_young_ha/ 하시영 인스타그램]
  • 하이큐/219화 . . . . 1회 일치
          * 넷 상에 돌아다니는 번역본은 이렇게 나와있지만, 영어원문("people who can't hit my tosses are nothing but scrubs")을 보면, "내 세트업으로 치지 못하는 녀석들은 죄다 엉터리" 라는 말이 더 정확하다.
  • 한국진 . . . . 1회 일치
         '''한국진'''([[1979년]] [[7월 25일]] ~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ref> [http://movie.daum.net/movieperson/Biography.do?personId=229392#filmography&t__nil_main_workList=more 한국진-다음인물정보]</ref>
  • 한말숙 . . . . 1회 일치
         * [http://people.nate.com/people/info/ha/nm/hanmalsook/ 네이트 인물검색]{{깨진 링크}}
  • 한무숙 . . . . 1회 일치
         |url=http://article.joins.com/article/article.asp?ctg=15&total_id=2908172
  • 한병준 . . . . 1회 일치
         </noinclude>
  • 한상대 (검사) . . . . 1회 일치
         조선일보는 2011년 7월 21일자 6면 <권재진·한상대, 같은 시점에 제주 한동네 오피스텔 샀었다>는 기사를 통해 한상대 후보자의 부동산 투기 의혹을 제기했다. 경향신문은 2011년 7월 21일자 1면 <한상대 후보 양도세 탈루 의혹>이라는 기사에서 "한상대 검찰총장 후보자가 서울시내 도시개발구역으로 지정된 땅을 다운계약으로 헐값에 팔아 양도소득세를 탈루했다는 의혹이 20일 제기됐다"고 보도했다.<ref>[http://www.injournal.net/sub_read.html?uid=22642§ion=section3 MB와 끈끈한 한상대 양파 검찰총장?]《인터넷저널》2011년 8월 5일</ref>
  • 한소정(1984) . . . . 1회 일치
         * [[2006년]] K-1 Fighting Network KHAN 모델
  • 한승엽 (1985년) . . . . 1회 일치
         고등학교 1학년때까지는 축구 선수로 활동했으며 대한민국 청소년 축구 국가대표팀 상비군에 등록 된 적도 있다. [[정조국]], [[황진성 (축구 선수)|황진성]]과는 서울 갈현초등학교 축구부 동기이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5&oid=029&aid=0000083367 럭비ㆍ권투보다 e게임이 좋아]《디지털타임스》, 2004년 10월 15일</ref>
  • 한승조 . . . . 1회 일치
         {{Col-begin}}
  • 한승주 (공무원) . . . . 1회 일치
         청와대는 2003년 4월 한승주를 주미대사로 서둘러 내정하였다. 여기에는 북한 핵 문제 해결을 위한 진용을 가급적 빨리 구축하려는 의미가 담겨 있다. 당시, 북핵 문제가 주요 현안으로 대두됐으나 양성철 당시 주미대사는 3년의 임기를 거의 마쳐가고 있는 상태였고 가능한 한 빨리 교체해야 한다는 의견이 설득력을 얻었다. 이런 상태에서 한승주가 국내 인사로는 드물게 미국내에 두터운 인맥을 갖고 있으며,1993년 북핵 위기 때는 외무부 장관으로서 평화적 해결을 위해 외교적 노력을 기울인 점도 고려돼 발탁된 것으로 알려졌다.<ref>{{뉴스 인용 |제목 =북핵해결 위한 美지명도·인맥 고려…한승주 주미대사 내정 배경 |url = http://news.kukinews.com/article/view.asp?page=1&gCode=kmi&arcid=0918951804&code=11121200 |뉴스 = 국민일보 |날짜 = 2003-03-27 }}</ref> 이리하여 [[2003년]] 4월부터 [[2005년]] 2월까지 제19대 주미대사를 지냈다.
  • 한운사 . . . . 1회 일치
         [include(틀:상위 문서2, top1=각본가, top2=불교/인물)]
  • 한재석(1991) . . . . 1회 일치
         || '''사이트''' ||[[https://twitter.com/hahnmil20001|트위터]] [[https://www.facebook.com/hahnjaeseok|페이스북]] [[https://instagram.com/hahnjaeseok|인스타그램]] ||
  • 한창수 . . . . 1회 일치
         |url=http://article.joins.com/article/article.asp?Total_ID=2305681
  • 한호문 . . . . 1회 일치
         한편 한확의 묘는 남양주시 조안면 능내리 산 69-5 (능내리 단산로 551)에 있다.<ref>[https://news.joins.com/article/21752574 ]</ref>
  • 함신영 . . . . 1회 일치
         | 웹사이트 = [http://iboxmedia.co.kr/sub/business/artist.php?no=234&type=starbox#starbox_list 공식사이트]
  • 함영준 . . . . 1회 일치
         2016년도 오뚜기 사업보고서에 따르면 전체 직원 3081명 중 기간제 직원은 31명으로, 비정규직 비중이 1%에 불과하다.<ref>{{뉴스 인용|url=http://news.joins.com/article/21807927|제목='오뚜기 비정규직 1%' 31명은 어떤 사람들일까|성=|이름=|날짜=2017-08-01|뉴스='오뚜기 비정규직 1%' 31명은 어떤 사람들일까|출판사=|확인날짜=}}</ref>
  • 함준호 (교수) . . . . 1회 일치
         '''함준호'''(咸駿浩, 1964년 2월 11일 ~ )은 [[연세대학교]] 국제학대학원 교수이다.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을 지냈다.<ref>{{뉴스 인용 |제목=한은 떠나는 함준호 금통위원 "더 편하게 시장과 소통할 것" |url=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15&aid=0003936133 |날짜=2018-05-09 |뉴스=한국경제}}</ref> 본관은 [[양근 함씨|양근]]이다.<ref>{{웹 인용 |제목=함준호 인물정보 |url=http://focus.chosun.com/people/people01.jsp?id=54450 |웹사이트=조선일보}}</ref>
  • 함중아 . . . . 1회 일치
         * [https://www.melon.com/artist/timeline.htm?artistId=13 멜론 아티스트 데이터베이스]
  • 핫라인 마이애미 . . . . 1회 일치
         Hotline Miami. Dennaton Games가 개발하고 Devolver Digital이 유통한 인디 액션 게임.
  • 핫라인 마이애미/등장인물 . . . . 1회 일치
         <<include(틀:스포일러)>>
  • 해쉬스완 . . . . 1회 일치
         해쉬스완은 고등학교 1학년 때부터 힙합 음악을 시작하여, 고등학교 2학년 때 [[바스코 (래퍼)|바스코]]로부터 레슨을 받았다. 2016년 ⟪[[Show Me The Money 5]]⟫에 출연하여 1대1 배틀에서 [[주노플로]]를 이겼으나, 팀 선택에서 탈락하였다.<ref>{{웹 인용|url=http://www.nocutnews.co.kr/news/4629928|제목=[힙합릴레이⑮] 해쉬스완 "'쇼미5' 최대수혜자? 운이 좋았다"|뉴스=노컷뉴스|확인날짜=2017-07-20}}</ref> 2016년 10월 [[일리네어 레코즈]] 산하의 앰비션 뮤직에 합류하였다.<ref>{{웹 인용|url=http://news.joins.com/article/20666052?cloc=rss%257Cnews%257Ctotal_list|제목=김효은·창모·해쉬스완, 도끼·더콰이엇 앰비션뮤직行 '확정'(종합)|날짜=2016-10-02|언어=ko-KR|확인날짜=2016-10-03}}</ref>
  • 허쉬 . . . . 1회 일치
         [[http://www.hersheys.co.kr/v2/main.asp|허쉬 홈페이지]]
  • 허안나 . . . . 1회 일치
         | 웹사이트 = [https://www.instagram.com/huranna/ 허안나인스타그램]<br>[https://www.youtube.com/watch?v=r3VC9xQ1mjY 허안나유튜브]
         * 20101219 개그선물세트시즌3 IN 부산
         * 20101224 크리스마스개그콘서트 IN 부산
         * 20110123 개그선물세트시즌3 IN 전주
         * 20110212 개그드림콘서트 IN 순천
         * 20110213 개그플러스 IN 부산
         * 20110320 개그선물화이트데이스폐셜 IN 부산
         * 20110327 개그선물화이트데이스페셜 IN 울산
         * 20110501 개그판타지쇼 IN 광주
         * 20110514 개그슈퍼스타콘서트 IN 부산
         * 20111015 개그판타지쇼 IN 부산
         * 20111210 개그판타지쇼 IN 대전
         * 20111211 개그판타지쇼 IN 부산
         * 20111217 개그판타지쇼 IN 대구
         * 20111225 개그판타지쇼 IN 순천
         * 20111231 개그더코미디쇼 IN 대전
         * 20120310 개그더코미디쇼 IN 청주
         * 20120311 개그더코미디쇼 IN 구미
         * 20120422 개그더코미디쇼 IN 춘천
         * 20120603 개그더코미디쇼 IN 창원
  • 허위 . . . . 1회 일치
         [include(틀:건국훈장 대한민국장)]
  • 허준 (1981년) . . . . 1회 일치
         오랫동안 2군 생활을 하다가 [[2009년]]부터 [[강귀태]]의 백업 포수로서 본격적으로 1군 무대를 밟는다. 그 이후로 많은 기회를 받지만 부상으로 기회를 살리지 못하고 [[2011년]] [[허도환]]의 등장으로 1군 경기 출전 횟수가 점차 줄어들게 되었다. [[2011년]] [[11월 22일]] [[2012년 KBO 리그 2차 드래프트|2차 드래프트]]에서 [[NC 다이노스]]에 지명되어 팀 동료 [[조평호]]와 함께 [[NC 다이노스]]로 이적하게 된다.<ref>[http://star.fnnews.com/news/index.html?no=45598 NC, 전체 1순위로 넥센 조평호 지명 '총 7명 영입' ] - 스타N뉴스</ref>
  • 허준호(배우) . . . . 1회 일치
         2007년 <[[로비스트(2007)|로비스트]]>를 끝으로 2015년까지 드라마 출연이 없다가 2016년에 장혁 주연의 [[뷰티풀 마인드(드라마)|뷰티풀 마인드]]를 통해 복귀를 확정지었다.[[http://entertain.naver.com/read?oid=213&aid=0000867708|#]]
  • 허진(법조인) . . . . 1회 일치
         |url=http://gonews.kinds.or.kr/BEFORE_90_IMG/1968/06/02/19680602HKM07.pdf
  • 허화평 . . . . 1회 일치
         '''그렇다면 왜 최태민을 잡아넣거나 재산을 몰수하지 않았느냐'''는 사회자의 반문에, 허화평은 [[박정희]] 대통령과 [[10월 유신]]의 결과물인 산업화를 지키기 위해서였다고 발언했다. 제5공화국의 첫 번째 과업이 박근혜와 최태민을 청산하는 일이었다는 말이다.[[http://news.naver.com/main/hotissue/read.nhn?mid=hot&sid1=100&cid=1051768&iid=1140067&oid=449&aid=0000114843&ptype=052|#]] 파장이 커지는 것을 막기 위해 [[박근혜]]와 [[최태민]]의 부적절한 관계를 제대로 수사해서 청산하지 않고 놔둔 것이다. 이것이 박근혜-최순실 게이트의 단초를 제공했다고 볼 수 있다. 박근혜와 최태민의 관계와 비리의 온상이 [[새마음봉사단]]이라고 보았으며, 그 결과 최태민과 박근혜의 관계를 제대로 드러내서 수습하지 못하고, 정치적 혼란기를 틈타 개인적인 관계를 끊어 달라는 수준에서 처리하고 묻어버린 것.
  • 현소환 . . . . 1회 일치
         * [http://www.bcpf.or.kr/index.asp 방송콘텐츠진흥재단] (이사장)
  • 현정건 . . . . 1회 일치
         조선 [[대한제국 고종|고종(高宗)]] 24년([[1887년]])에 [[대구광역시|대구(大邱)]]에서 현경운(玄炅運)의 셋째 아들로 태어났다. 일찍 독립운동에 투신하여 [[1910년]]에 중국으로 유학, [[상하이 시|상하이]]에서 수립된 [[대한민국임시정부|대한민국임시정부(大韓民國臨時政府)]]의 [[임시의정원|임시의정원(臨時議政院)]]에서 이규홍(李奎洪) 등과 함께 1919년 9월 17일 경상도 의원으로 보선되었다. [[1920년]]에 상하이 주재 [[고려공산당|고려공산당(高麗共産黨)]]에 입당하였고 [[1922년]] 10월 20일에 열린 베르프네우딘스크(Verkhneudinsk) 회의<ref group="설명">이동휘의 상하이 고려공산당과 김철훈ㆍ안병찬의 이르쿠츠크 고려공산당의 경쟁을 완화하고 두 세력을 합치기 위해 코민테른에서 그들에게 베르프네우딘스크에서 연합대회를 갖도록 하였다. 여기에는 한인 공산주의 운동 계열의 주요 지도자들이 모두 참석하였는데, 국내에서는 정재달, [[조봉암]] 등도 여기에 참석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이 대회는 대표의 자격 문제가 제기되면서 파탄나고 이르쿠츠크파 고려공산당은 철수, 코민테른 당국이 각파 지도자를 모스크바로 불러 조정하려 했으나 이마저 실패하자 결국 코민테른은 양파 모두 해산하고 단일당을 조선 안에 세울 것을 지시함으로써 상하이파도 이르쿠츠크파도 없어지게 된다. 김학준 저 「혁명가들의 항일 회상」 2005, 민음사.</ref>에 윤자영(尹滋英) 등과 함께 고려공산당 상하이파의 일원으로서 참가하였다. [[1923년]] 1월에 상하이에서 소집된 [[국민대표회의|국민대표회의(國民代表會議)]]에서는 윤해(尹海)ㆍ신숙(申肅) 등과 더불어 창조파(創造派)에 속하여 왕삼덕(王三德) 등과 참여하였고 2월 5일에 [[여운형|여운형(呂運亨)]]과 더불어 외교분과위원으로 지명되었으나, 창조파가 임시정부를 부정하며 조선공화국(朝鮮共和國) 건국을 결정하고 임시헌법과 국호 등을 제정하자 뜻을 바꾸어 "임시정부는 3ㆍ1운동의 결정인데 출석원(員)의 2/3나 되는 개조안을 무시하고 사신 5인이 퇴석 통고를 하고 불착한 대로 국호를 조선공화국로 정하여 새 국가를 만든 것을 성토한다"는 성명을 발표하였다.<ref>「創造派의 회의 종료」 『동아일보(東亞日報)』 1923년 6월 25일자.</ref> 7월에는 여운형이 조직한 한국독립촉진회에도 가담하는 등, 사회주의 계열의 독립운동가로서 대한민국 임시정부 계파간의 이견 조정에 힘쓰는 등 민족 우선의 독립운동을 위해 활동하였다. 8월에 조선의 관서([[평안도]]) 지방에서 일어난 대홍수로 이재민이 발생했을 때는 상하이에 거주하던 조선인들의 상하이교민단(上海僑民團)이 내지동포수재구제회(內地同胞水災求濟會)를 조직해 9월 26일에 수재의연금 110원을 동아일보사에 전달하기도 했는데 <ref>「同胞의 ㅁ愛! 해외각디동포의열렬한동정 가련한수재당한형뎨들에게」 『동아일보』1923년 10월 4일자 기사.</ref> 여기에 현정건의 이름이 실려 있다.
  • 현제명 . . . . 1회 일치
         [[고향]]인 대구 중구에는 '현제명 나무'라고, 이 사람의 [[이름]]을 딴 [[이팝나무]]가 있는데, 대구에서는 친일파인 이 사람의 이름을 딴 나무가 있는 것이 싫어서 없애버리자고 난리다.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56&aid=0010494119|관련 보도]]
  • 현진건 . . . . 1회 일치
         생가는 주소만 남아있을 뿐 어디인지도 확실하지 않다. 그가 살았던 [[인왕산]] 밑의 부암동 자택은 종로구에서 공용주차장을 짓기 위해 2003년에 헐어버려서 지금은 터와 '현진건 집터'라는 표석만이 남아 있다. 당시 그 생가의 철거에 대한 비판이 높아지자 행정당국은 '민간인 소유자와 부지 매입을 협의하고 있다'고 밝혔는데<ref>[http://news.hankooki.com/lpage/opinion/200711/h2007110618342324420.htm#none 편집국에서-사라지는 문학의 고향, 한국일보 2007년 11월 6일자 기사]</ref> 2012년 10월 4일에 [[안평대군]]의 사저와 함께 법원경매에 부쳐졌다. 유언에 따라<ref name="cho"/> 화장되고 [[경기도]] [[시흥군]] 신동면 서장리에 매장됐었으나 그 후 남서울 개발관계로 묘소가 사라져 유해는 한강에 뿌려졌다.
  • 호환성 . . . . 1회 일치
         == interchangeability ==
  • 홍기(영부인) . . . . 1회 일치
         [include(틀:역대 대한민국 영부인)]
  • 홍명희 . . . . 1회 일치
         [include(틀:동경삼재)]
  • 홍상수 . . . . 1회 일치
         [[중앙대학교]] 연극영화과를 중퇴하고 미국으로 건너가 [[캘리포니아 예술공예대학|캘리포니아예술공예대학]](California College of Art and Crafts)에서 학부 과정을 마쳤으며, [[시카고 예술학교|시카고예술대학교]](The School of Art Institute of Chicago)에서 예술학 석사학위를 받았다. 유학 시절 연출한 단편 실험영화로 《개미 보는 여인》이 있다<ref name='kmdb' />. 에릭 로메르, 로베르 브레송, 오즈 야스지로, [[세잔|폴 세잔]] 등의 영향을 받았다고 밝힌 바 있다.
         1997년부터 2001년까지 [[한국예술종합학교]] 영화학과 교수를 지냈으며<ref name='kmdb' />, 현재 [[건국대학교]] 예술문화대학 영화전공 교수이다.<ref>http://www.cine21.com/Article/article_view.php?mm=019001002&article_id=63886</ref>
  • 홍석형 . . . . 1회 일치
         2010년 9월에 열린 [[조선로동당 대표회의]]에서 당중앙위원회 정치국 위원에 선임되었다. 그러나 2011년 6월에 북한 노동당 중앙위 비서직을 포함한 모든 보직에서 해임된 것으로 알려졌다.<ref name="ab">장진복,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4&oid=003&aid=0004117309 홍명희 손자 홍석형 北경제비서 숙청], 뉴시스 2011년 10월 6일</ref> 홍의 이후 행적은 [[2013년]] 현재까지 알려지지 않고 있다.
  • 홍성유 . . . . 1회 일치
         [[2002년]] [[11월 24일]] 0시 11분, [[뇌출혈]]후유증으로 사망했다.<ref>{{뉴스 인용|제목=《장군의 아들》 홍성유 작가 별세 |url=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9&aid=0000259316|출판사=[[매일경제]]|저자=|날짜=2004-11-25|확인날짜=2009-05-12}}</ref>
  • 홍세화 . . . . 1회 일치
         * [http://www.jeanvaljeanbank.com/?act=info.page&pcode=history 장발장 은행]
  • 홍아름 . . . . 1회 일치
         [[고등학교]] 2학년 때 게임회사 광고 모델로 발탁된 것이 계기가 돼 [[FT 아일랜드]]의 [[뮤직 비디오]]에 출연하게 됐고 다시 [[텔레비전 드라마|드라마]] 《[[인순이는 예쁘다]]》에 출연하여 연기자 데뷔를 하였다.<ref>[http://entertain.naver.com/read?oid=145&aid=0000010871 인기드라마 ‘삼생이’ 의 주역, 경쾌한 스물다섯 홍아름] 레이디경향. 2013년 05월 06일</ref>
  • 홍정호 (핸드볼선수) . . . . 1회 일치
         * [http://www.handballkorea.com/teaminfo/player_view.asp?p=200402019093 대한핸드볼협회 경기 기록]
  • 홍주찬 . . . . 1회 일치
         |《K-Poppin'》
  • 홍준표(야구선수) . . . . 1회 일치
         [include(틀:상위 문서2, top1=야구 관련 인물(KBO), top2=SK 와이번스/선수단)]
  • 홍지호 . . . . 1회 일치
         1990년 [[미국]] [[펜실베이니아 대학교]] 치과대학을 졸업했으며 [[서울대학교]] 치과대학 외래교수와 [[삼성의료원|삼성의료원 서울 강북삼성병원]] 치과 과장을 역임했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6&oid=020&aid=0000190605 <nowiki>[인물 포커스]</nowiki> 연예스타 꿈꾸는 치과의사 3인방] 2003년 6월 3일 동아일보</ref>
  • 홍학표(배우) . . . . 1회 일치
         [include(틀:회원수정)]
  • 홍헌표 . . . . 1회 일치
         |url=http://gonews.kinds.or.kr/BEFORE_90_IMG/1966/04/21/19660421HKM03.pdf
  • 황두성 . . . . 1회 일치
         [[성균관대학교|성균관대]]를 중퇴하고 [[1997년]] [[포수]]로 [[삼성 라이온즈|삼성]]에 입단했다가 시력이 좋지 않아 당시 [[장호연]] 코치의 제안으로 [[투수]]로 전향했다.<ref>[http://sports.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kbo&ctg=news&mod=read&office_id=277&article_id=0002712347 황두성, "장례식장에서 받은 방출 통보 서러웠다"] - 아시아경제</ref> 그러나 눈에 띄는 모습을 보이지 못하고 [[1999년]] [[KIA 타이거즈|해태 타이거즈]]에 3:1 현금 트레이드([[양준혁]]·[[곽채진]]·황두성↔[[임창용]])되었다.<ref>[http://osen.freechal.com/news/view.asp?code=G0812300034 황두성-이재우, '늦깎이의 성공시대' 열 것인가] 《Osen》 2008년 12월 30일</ref>
  • 황리아 . . . . 1회 일치
         * [https://www.instagram.com/hwang_lia211/ 황리아 인스타그램]
  • 황병하 . . . . 1회 일치
         1962년 [[서울시]]에서 태어나 [[우신고등학교]]와 [[서울대학교]] 법학과를 졸업하고 제25회 사법시험 합격하여 15기 [[사법연수원]]을 수료하였다. 군 법무관으로 병역을 마치고 판사에 임용되어 서울지방법원 남부지원, 서울민사지방법원, [[춘천지방법원]] 영월지원, [[대구지방법원]] 상주지원, [[인천지방법원]], [[서울고등법원]]에서 판사를 하였다. 대법원 재판연구원, 대전지방법원 서산지원 지원장을 거쳐 2004년 2월 정기인사에서 부장판사로 승진하였다. 2016년에 법원장으로 승진하였으나 [[대구지방법원]]과 [[서울행정법원]]에서 법원장을 역임하고 평생 법관제에 따라서 [[서울고등법원]] 부장판사에 임명되어 재판장으로서 재판을 하고 있다.<ref>[http://www.ksmnews.co.kr/default/index_view_page.php?idx=130901&part_idx=335]</ref>
  • 황부인전 . . . . 1회 일치
          * http://www.seelotus.com/gojeon/gojeon/so-seol/hwang-bu-in-jeon.htm
  • 황수범 . . . . 1회 일치
         [[2011년]]에 입단하였다. [[2017년]] [[5월 18일]] [[SK 와이번스|SK]]전에서 구원 등판하며 데뷔 첫 경기를 치렀고, 경기에서 1이닝 무실점을 기록하였다. 그리고 [[2017년]] [[9월 2일]] [[두산 베어스|두산]]전에서 첫 선발 승을 기록했다.<ref>[http://joynews.inews24.com/php/news_view.php?g_menu=702100&g_serial=1046010&rrf=nv '데뷔 첫 승' 황수범 "너무 오래 걸린 것 같다"] - 조이뉴스24</ref>
  • 황승민 . . . . 1회 일치
         https://search.pstatic.net/common?type=a&size=120x150&quality=95&direct=true&src=http%3A%2F%2Fpeople.phinf.naver.net%2F20140602_222%2F1401700574481LUe5B_JPEG%2Fchosun_400011449.jpg
  • 황옥 (1885년) . . . . 1회 일치
         '''황옥'''(黃鈺, 1885년 ~ ?)은 [[일제 강점기]]의 경찰이다. 서울 출신으로 일본 경찰에서 [[경부]](경감급)라는 중간간부 직위까지 승진하였다.<ref>진송민.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55&aid=0000459138 '친일파일까, 독립운동가일까' 실제 의열단원 수기로 본 '밀정' 황옥]. SBS. 2016년 9월 30일.</ref>
  • 황용식 . . . . 1회 일치
         * 1973 : [[대한민국 외무부|외무부]] 입부<ref name="文大"/> (73.04 제7회 외무고시 합격)<ref name="충북일보">{{웹 인용|title=전 튀니지대사 황용식, 충주대 강연 |publisher=충북일보 |url=http://www.inews365.com/news/article.html?no=31171 |archiveurl=http://archive.is/Z8zKO |archivedate=2016-11-25 |accessdate=2016-11-25}}</ref>
  • 황은진 . . . . 1회 일치
         * [http://people.joins.com/search/profile.aspx?pn=87192 조인스 인물정보 - 황은진 前 PSB 서울방송 부이사장]
  • 황준국 . . . . 1회 일치
         '''황준국'''(黃浚局), [[1960년]] [[12월 19일]] ~ )은 [[대한민국]]의 [[외교관]]이다. <ref>{{뉴스 인용|url=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hm&sid1=100&oid=001&aid=0008220815 |제목=<프로필> 황준국 주영국 대사|출판사=연합뉴스|날짜=2016년 2월 29일}}</ref>
  • 흑초 . . . . 1회 일치
          * http://www.skincare-univ.com/article/004788/
  • 히나마츠리 . . . . 1회 일치
         http://4.bp.blogspot.com/-ecYQSqJ0_OM/VPnBDQDyCvI/AAAAAAAADeM/u-a1eya2n2g/s1600/300px-Hina_matsuri_display%5B1%5D.jpg
11531의 페이지중에 1478개가 발견되었습니다 (5000개의 페이지가 검색됨)

여기을 눌러 제목 찾기를 할 수 있습니다.

Valid XHTML 1.0! Valid CSS! powered by MoniWiki
last modified 2016-05-07 19:21:42
Processing time 4.4955 se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