팝업레이어 알림

팝업레이어 알림이 없습니다.
E D R , A S I H C RSS

"The Men Who Built America"을(를) 전체 찾아보기

The Men Who Built America


역링크만 찾기
검색 결과 문맥 보기
대소문자 구별
  • Hunting the Hun . . . . 21회 일치
         Over in France there's a game that played
         by all the soldier boys in each brigade
         It's called Hunting the Hun
         First you get the gun
         Then you look for a Hun
         Then you start on the run
         for the son of a gun
         You can capture them with ease
         They come out with a yell
         Then your work is done
         When they start to advance
         Shoot'em in the pants
         That's the game called Hunting the Hun!
         First you get the gun
         Then you look for a Hun
         Then you start on the run
         for the son of a gun
         You can capture them with ease
         They come out with a yell
         Then your work is done
  • 어쌔신 크리드 III/아이템 . . . . 20회 일치
          700 파운드. 시퀀스 5 The Hard Way 임무 이후 해금.
          3,955 파운드. 시퀀스 5 The Hard Way 임무 이후 해금.
          3,500 파운드. 시퀀스 5 The Hard Way 임무 이후 해금.
          1,250 파운드. 시퀀스 5 The Hard Way 임무 이후 해금.
          1,575 파운드. 시퀀스 5 The Hard Way 임무 이후 해금.
          4,100 파운드. 시퀀스 5 The Hard Way 임무 이후 해금.
          2,650 파운드. 시퀀스 5 The Hard Way 임무 이후 해금.
          3,850 파운드. 시퀀스 5 The Hard Way 임무 이후 해금.
          0 파운드. 시퀀스 3 The Braddock Expedition 임무 이후 해금.
          2,475 파운드. 시퀀스 5 The Hard Way 임무 이후 해금.
          450 파운드. 시퀀스 5 The Hard Way 임무 이후 해금.
          2,450 파운드. 시퀀스 5 The Hard Way 임무 이후 해금.
          3,750 파운드. 시퀀스 5 The Hard Way 임무 이후 해금.
          3,650 파운드. 시퀀스 5 The Hard Way 임무 이후 해금.
          750 파운드. 시퀀스 5 The Hard Way 임무 이후 해금.
          기본 무장. 시퀀스 5 The Hard Way 임무 이후 해금.
          5,999 파운드. 시퀀스 5 The Hard Way 임무 이후 해금. 다섯개의 총열이 달려서 동시에 다섯 발을 쏠 수 있는 권총. 그 모양 때문에 오리발(Duckfoot)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폭동을 진압하는데 효과적이라 간수나 해군 장교들이 즐겨 썼다고 한다.
          시퀀스 5 The Hard Way 임무 이후 해금되는 의상. 기본적인 암살단 복장이다. 염색할 수 있다.
          20 파운드. 순수 흑단나무로 만든 튼튼한 망치 손잡이. 완벽한 그립감을 자랑한다고 한다. 대번포트 농지 임무인 The Proper Tools 임무 때 사게 된다.
          30 파운드. 세상에서 제일 단단한 금속도 손볼 수 있다는 경화강으로 된 망치 대가리. 전문 대장장이를 위한 필수품이라고 한다. 대번포트 농지 임무인 The Proper Tools 임무 때 사게 된다.
  • 페이데이 2 . . . . 19회 일치
          * The Big Bank Heist
          X나 큰 은행을 터는 The Big Bank 하이스트와 돌격소총(Falcon)이 들어있는 DLC.
          * The Diamond Heist
          박물관에서 저주받은 다이아몬드를 훔치는 The Diamond 하이스트가 들어있는 DLC.
          * The Bomb Heists
          폭탄을 훔치는 The Bomb 하이스트(의 2개 버전)와 권총(LEO)이 들어있는 DLC.
          * The OVERKILL Pack
          * The Butcher's AK/CAR Mod Pack
          * The Butcher's BBQ Pack
          * The Butcher's Western Pack
          * The Alesso Heist
          스웨덴 DJ 알레소와의 콜라보 DLC. 알레소의 공연이 벌어지는 틈을 타 금고를 따는 The Alesso Heist 하이스트와 권총(Matever .357), 마이크, 톤파, 금속탐지기, 마이크 스탠드가 들어있다.
          * The Golden Grin Casino Heist
          * The Point Break Heists
          영화 [[포인트 브레이크]]와의 콜라보 DLC. 산 지하의 PMC 기지를 털어먹는 Beneath the Mountain 하이스트와 수송기로 운송중인 현금을 털어먹는 Birth of Sky
          * The Goat Simulator Heist
          * The Biker Heist
          러스트가 전에 속해있던 폭주족들을 털어먹는 The Biker Heist 하이스트, 기관단총(CR 805B), 투척용 도끼가 들어있는 DLC.
          * The Official Soundtrack
          * PAYDAY 2: The OVERKILL B-Sides Soundtrack
  • 어쌔신 크리드 III/임무일람 . . . . 15회 일치
         ==== Burglar on the Homestead ====
         ==== The Fight ====
         ==== The Bowls Beginner ====
         ==== The Whittler's Weapons ====
         ==== Tools of the Trade ====
          * 시퀀스 5 The Hard Way 임무 이후 수행 가능
          * 시퀀스 5 The Hard Way 임무 이후 수행 가능
         ==== The Brawler ====
          * 시퀀스 5 The Hard Way 임무 이후 수행 가능
         ==== The Proper Tools ====
         ==== The Comeback ====
         ==== The Final Straw ====
         ==== Room at the Inn ====
         ==== The Wedding ====
         === The Chase ===
         === The Rescue ===
         === French Involvement ===
         ==== Paving the Way ====
         ==== Raiding the Prospector ====
         ==== Search for the Somerset ====
  • Darkest Hour: A Hearts of Iron Game/디시전 . . . . 13회 일치
          * Purge the Army(군대 내부 숙청)
          * Women Work(여성 노동)
          * Create the Wehrmacht(국방군 창설)
          * Re-occupation of the Rhineland(라인란트 재점령)
          * Repudiate the Locarno Treaties(로카르노 조약 파기)
          * The Treaty of Munich(뮌헨 조약)
          * The End of Czechoslovakia(체코슬로바키아의 최후)
          * The Molotov-Ribbentrop Pact(몰로토프-리벤트로프 조약)
          * Unternehmen Barbarossa(바르바로사 작전)
          * The Sacred Union(신성 동맹)
          * The Escape of SMS Goeben and SMS Breslau(SMS 괴벤과 SMS 브레슬라우의 탈출)
          * Agricultural Adjustment Act(농업조정법)
          * The Pitman Act - Chinese Currency(피트만법 - 중국의 자금)
          * The Americans Control Chinese army(미국의 중국군 지휘)
          * The Americans Control French army(미국의 프랑스군 지휘)
          * Land Lease Program for the United Kingdom(영국 랜드리스 지원)
          * Land Lease Program for the Soviet Union(소련 랜드리스 지원)
          * Land Lease Program for the Free France(자유 프랑스 랜드리스 지원)
          * Quincy Agreement(퀸시협정)
          * Interventionist speech at the Congress(간섭주의자의 국회 연설)
  • Darkest Hour: A Hearts of Iron Game/장관 . . . . 13회 일치
         == Head of Government(정부수반) ==
          * Chairman of the Council of the People's Commissars(인민위원평의회 의장) - 소련의 뱌체슬라프 M. 몰로토프
          * The Brown Eminence(갈색 명성) - 독일의 마르틴 보어만
          * The Fixer(해결사) - 중국 공산당의 저우언라이(주은래)
          * The Pacifier(조정자) - 영국의 네빌 체임벌린
          * The Cloak-and-Dagger Schemer(베일에 싸인 책략가)
          * Ambassador to the United Nations(주 UN 대사) - 미국의 에드워드 스테티니어스
          * Father of United Nations(국제연합의 아버지) - 미국의 코델 헐
          * The Appeaser(타협가) - 영국의 핼리팩스 경
          * The Salesman of Deception(기만의 외판원) - 독일의 요하임 폰 리벤트로프
         == Armaments Minister(군수부 장관) ==
          * Theoretical Scientist(이론 과학자)
          * Secretary of the Interior(내무장관) - 미국의 해럴드 익스
          * Secretary of the War(전쟁부장관) - 미국의 헨리 루이스 스팀슨
          * The Orthodox Economist(정통 경제학자) - 미국의 헨리 모겐소
          * Man of the People(인민의 사람)
          * Opposer of the Far Right(극우 반대자) - 프랑스의 막스 도모이
          * The Ruthless Organizer(냉혹한 조직자) - 독일의 빌헬름 프리크
          * The Cryptographer(암호학자) - 미국의 윌리엄 F. 프리드먼
          * The Hangman(교수인) - 독일의 라인하르트 하이드리히
  • Darkest Hour: A Hearts of Iron Game/기술 . . . . 12회 일치
          * ASW Equipment
          전략폭격기에 대한 연구. Tactical Bombers 트리의 Experimental Bomber 연구가 선행되어야 한다.
          유닛의 생산 시간을 줄여주는 연구들. Manufacturing 트리의 Assembly Line Experimentation 연구가 선행되어야 한다.
          * Synthetic Oil
          공업력과 보급품 생산에 보너스를 더해주는 연구들. Advanced Synthetic Oil Plant 연구가 선행되어야 한다.
          * Custom Equipment
          Secret Weapons 탭의 Rocket Test and Research Facility 테크를 해금하기 위해 있는 연구. 있는 연구래봤자 Experimental Rocket Engine 연구 뿐이다. 처음부터 연구할 수 있다.
          로켓과 터보제트엔진의 개발에 관련된 트리. 해금 이벤트를 위해서는 Industry 탭의 Experimental Rocket Engine 연구가 선행되어야 한다.
          * Experimental Tank
          공중폭탄과 로켓을 생산할 수 있게 해주는 트리. 해금 이벤트를 위해서는 Flying Bomb Development 연구가 선행되어야 한다. 로켓을 생산할 수 있게 하는 Strategic Rocket 연구를 위해서는 Rocket Test and Research Facility 트리의 Flying Rocket Development 연구를 추가적으로 한 후 연구 해금 이벤트를 봐야 하며, 로켓을 업그레이드 시키는 Ballistic Missile 연구와Intercontinental Ballistic Missile 연구를 위해서는 또다시 연구 해금 이벤트를 기다려야 한다.
          대공포의 연구와 대공포 부속의 업그레이드를 지원하는 연구. 이외에 여러가지 연구를 위해 필요하다. 해금 이벤트를 위해서는 Armor & Artillery 탭의 Semi-modern Static Anti-Air Artillery 연구와 Industry 탭의 Experimental Rocket Engine 연구가 선행되어야 한다.
          공군 편대의 대함 공격력을 올려주는 연구. 해금 이벤트를 위해서는 Aircraft 탭의 Turbojet Close Air Support Aircraft 1948 연구와 Industry 탭의 Experimental Rocket Engine 연구가 선행되어야 한다.
          * Engagement Theories
          * Engagement Tactics
          해군 유닛 전반의 효율을 올려주는 연구들. Engagement Theories 트리 중 Naval Firepower 연구가 선행되어야 한다. Fleet-in-being과 Indirect Approach 두 테크로 분리되었다가 Modern Firepower를 통해 통합된다. 보통 해군이 빠방한 나라는 Fleet-in-being을, 해군이 적은 나라는 Indirect Approach를 선택한다.
          수송대의 효율과 대잠전의 효율을 올려주는 연구들. Engagement Theories의 Geo-Strategic Theories - Mahanian Theory 연구와 Naval Logistics 연구가 선행되어야 한다.
          잠수함의 능력과 통상파괴활동의 효율을 중점으로 한 연구들. Engagement Theories의 Geo-Strategic Theories - Mahanian Theory 연구와 Naval Logistics 연구가 선행되어야 한다.
          항공모함 계열 유닛들의 효율을 중점으로 한 연구들. Engagement Theories의 Carrier Integration 연구가 선행되어야 한다.
          상륙작전과 해양수송의 패널티를 줄여주고 패널티 없이 상륙 가능한 사단수를 늘려주는 연구들. Engagement Theories의 Naval Logistics 연구가 선행되어야 한다.
          해군 유닛의 행동범위를 늘려주는 연구들. Engagement Theories의 Naval Logistics 연구가 선행되어야 한다.
  • Victoria II/디시전 . . . . 12회 일치
         ==== Restore the Academia(학계의 회복) ====
         ==== Sea power & The Merchant Marine(해군력과 상선대) ====
         === Build the Suez Canal(수에즈 운하 건설) ===
         ==== Encourage The Ruhr Boom(루르 붐 조장)
         ==== The North German Confederation(북독일연방) ====
         ==== The Peasant Reform(농노 개혁) ====
         ==== The Trail of Tears(눈물의 길) ====
         ==== Confiscations of Mendizabal(멘디자발의 몰수) ====
         ==== Repel The Corn Law(곡물법 폐지) ====
         ==== The Empress of India(인도 여제) ====
         ==== The South German Confederation(남독일연방) ====
         ==== The 'Tanzimat' Reforms(탄지마트 개혁) ====
         ==== Build the Palais Garnier(가르니에 궁 건설) ====
         ==== The Lambert Charter(램버트 헌장) ====
         ==== The Left Bank(라인강 왼쪽 강변) ====
  • FortuneCookies . . . . 11회 일치
          * "It seems strange to meet computer geeks who're still primarily running Windows... as if they were still cooking on a wood stove or something." - mbp
          * "Heck, I'm having a hard time imagining the DOM as civilized!" -- Fred L. Drake, Jr.
          * Some men are discovered; others are found out.
          * He who spends a storm beneath a tree, takes life with a grain of TNT.
          * Take care of the luxuries and the necessities will take care of themselves.
          * Words are the voice of the heart.
          * Advancement in position.
          * You will soon meet a person who will play an important role in your life.
          * He who has a shady past knows that nice guys finish last.
          * The universe is laughing behind your back.
          * The best prophet of the future is the past.
          * It is a poor judge who cannot award a prize.
          * Even the boldest zebra fears the hungry lion.
          * Money will say more in one moment than the most eloquent lover can in years.
          * Expect a letter from a friend who will ask a favor of you.
          * You have a will that can be influenced by all with whom you come in contact.
          * You will overcome the attacks of jealous associates.
          * You have the power to influence all with whom you come in contact.
          * You will step on the soil of many countries.
          * You are secretive in your dealings but never to the extent of trickery.
  • 포스탈 리덕스 . . . . 10회 일치
          * The Truckstop
          * The Outskirts
          * The Bridge
          * The Mine
          * The Junk Yard
          * The Trailerpark
          * The Train Station
          * The Farm
          * The Construction Site
          * The Ghetto
  • Crusader Kings 2/종교 . . . . 8회 일치
          * 단의론(Monothelite)
          * '''플레이에 The Old Gods DLC 필요'''
          * '''플레이에 The Old Gods DLC 필요'''
          * '''플레이에 The Old Gods DLC 필요'''
         === 수오메누스코 종교(Suomenusk) ===
          * '''플레이에 The Old Gods DLC 필요'''
          * '''플레이에 The Old Gods DLC 필요'''
          * '''플레이에 The Old Gods DLC 필요'''
          * '''플레이에 The Old Gods DLC나 Jade Dragon DLC 필요'''
          * '''플레이에 The Old Gods DLC 필요'''
  • 어쌔신 크리드 III/임무일람/주요임무 . . . . 8회 일치
         === Journey to the New World ===
         attachment:AC3Title.jpg
         === The Surgeon ===
         === The Soldier ===
         === The Braddock Expedition ===
         === Feathers and Trees ===
         몇년 후. 성장한 라둔하게둔과 카나도곤이 숲에서 만난다. 이들은 오늘밤 쓸 물건을 모아오라는 부족 어머니(Clan Mother)의 요구에 따라 숲으로 온 것.
         === Stop the Presses ===
         === The Hard Way ===
         === The Angry Chef ===
         === The Tea Party ===
         === The Midnight Ride ===
         === Something on the Side ===
         === Father and Son ===
         === The Foam and the Flames ===
         ==== Battle of the Chesapeake ====
          * 해당 임무를 완수하면 저택 2층에 채서피크 전투 지도(Map of the Battle of Chesapeake)가 생긴다.
  • 최재만 . . . . 8회 일치
         |소속사=[[플럭서스뮤직]]|관련활동=[[어반자카파]], [[The Nucleus]]
         최재만(崔載晩, [[1988년]] [[5월 19일]] ~ )은 [[대한민국]]의 [[가수]]이다. [[2009년]] 7월 2일 [[대한민국]]의 [[음악 그룹]] [[어반 자카파]]의 EP 앨범 '커피를 마시고'로 데뷔하여 [[2010년]] 3월까지 [[어반 자카파]]의 멤버로 활동하였고, [[2014년]]과 [[2015년]]에 [[대한민국]]의 [[음악 그룹]] [[The Nucleus]]에서 활동하였다. [[2017년]] 4월 25일에 솔로로 데뷔하였다.
         * '''[[The Nucleus]]: Heaven (Digital Single)''' <2012.03.05 발매> (보컬, 작사, 작곡, 편곡, 공동 프로듀싱)
         * '''[[The Nucleus]]: The Nucleus (1집)''' <2012.03.09 발매> (보컬, 공동 프로듀싱)
         * '''[[The Nucleus]]: 가까이 (Digital Single)''' <2014.01.29 발매> (보컬)
         * '''[[The Nucleus]]: 갓길 (Digital Single)''' <2015.09.25 발매> (보컬)
         * '''[[The Nucleus]]: 친구 (Digital Single)''' <2015.11.11 발매> (보컬, 편곡)
  • Victoria II/기술 및 발명 목록/상업 . . . . 7회 일치
          * Multitude of Financial Instruments(많은 양의 금융 기관)
         === Investment Banks(투자 은행) ===
          * Industrial R&D Investments(산업 R&D 투자)
          * Industrial Production Investments(산업 생산 투자)
          * Industrial Distribution Investments(산업 분배 투자)
         === Early Classical Theory and Critique(초기 고전주의학파 이론과 비평) ===
         === Late Classical Theory(후기 고전주의학파 이론) ===
         === Collectivist Theory(집산주의 이론) ===
         === The Historical Theory(역사학파 이론) ===
         === Neoclassical Theory (신고전주의학파 이론) ===
          * Carl Menger(카를 멩거)
         === Government Interventionism(정부 개입주의) ===
          * Priming the Pump(마중물 붓기)
         === Scientific Management(과학적 경영) ===
         === Management Strategy(경영 전략) ===
         === Organizational Development(조직 개발) ===
          * Scientific Management(과학적 경영)
          * Human Resource Development(인적자원개발)
  • 맥스 페인 2: 맥스페인의 몰락/줄거리 . . . . 7회 일치
         == 파트 1: The Darkness Inside(내면의 어둠) ==
         === 챕터 3: The Depths of My Brain(내 뇌의 깊숙한 곳) ===
         === 챕터 7: The Million Dollar Question(백만불짜리 질문) ===
         === 챕터 2: In the Middle of Something ===
         === 챕터 5: Out of the Window ===
         === 챕터 6: The Genius of the Hole ===
         == 파트 3: Waking Up from the American Dream ==
         === 챕터 6: There Are No Happy Endings(여기에 행복한 결말은 없어) ===
         === 챕터 8: The Old Familiar Feeling ===
  • 아이유 . . . . 7회 일치
         | style="text-align:center;"| <ref>{{웹 인용|url=http://koreajoongangdaily.joins.com/news/article/article.aspx?aid=2955114|title=IU and Gikwang head under the sea|date=June 27, 2012|first=Carla|last=Sunwoo|work=Korea JoongAng Daily|accessdate=October 25, 2019}}</ref>
         | style="text-align:center;"| <ref>{{웹 인용|url=http://kpopherald.koreaherald.com/view.php?ud=201611011729481116652_2|title=Suzy, IU to cameo in 'Real'|date=November 1, 2016|work=The Korea Herald|first=Ji-hyoung|last=Son|accessdate=October 25, 2019}}</ref>
         | style="text-align:center;"| <ref>{{웹 인용|url=http://eng.jeonjufest.kr/db/movieView.asp?idx=4075&reUrl=%2Fticket%2FtimeTable_day%2Easp%3FdayNum%3D3#|title=Jeonju Cinema Project 2019: Shades of the Heart|publisher=Jeonju International Film Festival|accessdate=October 25, 2019}}</ref>
         | style="text-align:center;"| <ref>{{뉴스 인용|url=http://english.chosun.com/site/data/html_dir/2011/01/22/2011012200347.html|title=Teenage Singer IU Is Open to Surprises|date=January 22, 2011|work=The Chosun Ilbo|accessdate=October 25, 2019}}</ref>
         | style="text-align:center;"| <ref>{{뉴스 인용|url=http://www.edaily.co.kr/news/read?newsId=01125046596184304&mediaCodeNo=258|script-title=ko:아이유·닉쿤 교제,설리·슬옹 뽀뽀…'웰컴 투 더 쇼'|trans-title=IU, Nichkhun, Sully Kissing 'Welcome to the Show'|date=March 17, 2011|work=E-Today|accessdate=October 25, 2019|language=ko}}</ref>
         | style="text-align:center;"| <ref>{{뉴스 인용|url=http://www.edaily.co.kr/news/read?newsId=01216886599435440&mediaCodeNo=258|script-title=ko:문화 연예 스포츠 이슈기획 오피니언 포토 스냅타임 검색 아이유, SBS '도롱뇽 도사와 그림자 조작단' 카메오 출연|trans-title=IU has a cameo appearance at SBS' Salamander Guru and The Shadows|work=E-Today|date=February 29, 2012|first=Seo Yoon|last=Jang|accessdate=October 25, 2019|language=ko}}</ref>
         | style="text-align:center;"| <ref>{{뉴스 인용|url=http://www.koreaherald.com/view.php?ud=20180412000881|title=Comforting life through meeting 'My Mister'|first=Eun-byel|last=Im|date=April 12, 2018|website=The Korea Herald|accessdate=October 25, 2019}}</ref>
         | style="text-align:center;"| <ref>{{웹 인용|last1=Park|first1=Jin-hai|url=http://www.koreatimes.co.kr/www/art/2019/03/398_266154.html|title=K-pop singer IU to make film debut through Netflix|date=March 27, 2019|website=The Korea Times|accessdate=March 29, 2019}}</ref>
         | style="text-align:center;"| <ref>{{뉴스 인용|url=https://entertain.naver.com/read?oid=009&aid=0002285438|script-title=ko:아이유 '영웅호걸' 예능 첫도전 "막내답게, 야무지게"|trans-title=IU Hero girl, the youngest first entertainment challenge|via=Naver|date=July 5, 2010|work=MK|language=ko|accessdate=October 26, 2019}}</ref>
         | style="text-align:center;"| <ref>{{뉴스 인용|url=http://www.koreatimes.co.kr/www/news/art/2011/06/201_88456.html|title=Reality TV gets a spin as stars challenge skating, dancing|date=June 7, 2011|work=The Korea Times|last=Kwon |first=Mee-yoo|accessdate=October 26, 2019}}</ref>
         | style="text-align:center;"| <ref>{{뉴스 인용|url=http://www.kpopherald.com/view.php?ud=201705191711592667419_2|title=IU joins Lee Hyo-ri’s guesthouse as staff|date=May 19, 2017|work=The Korea Herald|accessdate=October 26, 2019|last=Lim|first=Jeong-yeo}}</ref>
  • 정찬성 . . . . 7회 일치
         ||<#000002> '''{{{#white 링네임}}}''' || '''The Korean Zombie''' ||
         ||<#000002> '''{{{#white 테마곡}}}''' || The Cranberries - Zombie ||
         >'''The Korean Zombie(코리안 좀비)'''
         결국 5월 15일 UFC on FUEL TV 3의 메인이벤트에서 [[더스틴 포이리에]]를 상대로 멋진 다스 초크 서브미션 승을 거두었다. 3라운드까지의 심사위원들의 스코어카드를 공개했는데 전부 정찬성의 승리였다. 그 정도로 압도적이었던 상황. 1라운드는 의외로 정찬성이 발전된 레슬링 기량과 정확한 타격을 선보이며 포이리에를 밀어붙였다. 포이리에는 얼굴에 커팅까지 나긴해도 스윕을 성공하며 선전했지만 스탠딩 상태에서 정찬성과 주고받으면서 대미지를 받은 상황. 그리고 이어지는 2라운드에는 무에타이 스탠스에서 '''플라잉 니킥과 트레이드마크인 넥클린치 니킥''', 그리고 어퍼컷으로 화끈하게 난타전을 벌이다가 포이리에가 더블렉을 시도하자 몽키 플립을 시전해 탑 포지션을 점유하며 암바와 트라이앵글초크를 연속적으로 시도하며 오히려 포이리에를 빠져나오지 못하게 했다. 사실 2라운드 마지막에 걸린 트라이앵글 초크로 피니시를 할 수도 있었지만, 공이 울리며 아쉽게도 경기는 계속 진행되었다. 2라운드 이후부터 관중들의 'Zombie!' 챈트가 기하급수적으로 늘기 시작했다. 3라운드 에서는 두 선수 모두 어느정도 지친 모습을 보였고, 포이리에가 아웃복싱으로 정찬성을 견제했지만 정타수는 정 선수가 위였다. 다소 정찬성이 많이 맞은 정도로 보인것. Fuel TV 중계진도 포이리에가 영리하게 타격을 선보였다고 평가했다. 이때 체력이 저하되는 조짐이 보인 것. 사실 경기 후 인터뷰에서 기자가 물어보니 2라운드인가 3라운드 중반에 무릎을 다쳐서 페이스를 조절해야 했다고 했다. 본인은 지친 기색이 별로 없었던 모양. 그리고 이어지는 4라운드에서 초반 상황을 살피다가 어퍼컷과 레프트 스트레이트를 포이리에의 턱에 적중시켜서 케이지로 몰아 붙인 뒤 이어지는 '''플라잉 니킥'''에 포이리에는 타격을 입었고, 반사적으로 정찬성에게 테이크다운을 시도했지만, 정찬성은 침착하게 포이리에에게 다스 초크 그립을 완성시키며 경기를 마무리 지었다. 그리고 경기 후 인터뷰에서는 "I want Jose Aldo"라는 코멘트로 정식으로 챔피언에게 도전장을 내밀었다. 마크 호미닉전을 시작으로 2경기 연속 언더독으로 평가받으며 싸웠는데, 모두 승리로 마무리 지었으니 선수 자신에게도 감격이 클 듯. 대회가 끝나고 이 경기는 Fight of The Night과 Submission of The Night에 선정되어 보너스만 미화 10만 불을 받았다. 참고로 이 보너스는 병세로 인해 현장에 없던 데이나 화이트 대표가 직접 관계자에게 전화를 걸어 즉시 주라고 했다고 한다. --역시나 각별한 사장님의 코리안 좀비 사랑--
         레오나르도 가르시아와는 WEC 데뷔전과 UFC 데뷔전에서 만나며 매번 명승부를 펼친 사이다. 판정 논란으로 시끄러웠던 적도 있지만 정작 두 선수는 꽤 친하다고 알려져 있다. Fight of The Night 보너스만 수 만 달러를 받았으니 그럴 수밖에. 본봉에 Submission of The Night까지 포함하여 가르시아전에서 짭짤한 수익을 올렸으며 보너스는 세금조차 없다.
  • 손담비 . . . . 6회 일치
         이후 [[플레디스 엔터테인먼트]]에서 한국 데뷔를 준비했는데, 데뷔 전 바람의 〈사랑하다〉, [[메이비 (가수)|메이비]]의 〈다소〉와 같은 뮤직비디오와 [[삼성전자]], [[SK 텔레콤]]과 같은 대기업 광고에 출연했다.<ref>{{뉴스 인용|제목=[담비가 온다1]MSN 재팬이 주목한 거물 신인|url=http://joynews.inews24.com/php/news_view.php?g_menu=700300&g_serial=260493|출판사=조이뉴스24|날짜=2007-05-04|확인날짜=2014-05-15}}</ref><ref>{{뉴스 인용|제목=손담비, 데뷔전부터 잇달아 대기업 모델 '톱스타 예약'|url=http://star.mt.co.kr/view/stview.php?no=2007050507444112344&type=1&outlink=1|출판사=머니투데이|저자=김원겸|날짜=2007-05-05|확인날짜=2014-05-15}}</ref> 또한 비보이 대회 'R16 코리아 스파클링 서울'에 출전했다.<ref name="seg1"/> 그리고 2007년 6월 14일, 손담비는 데뷔 싱글 〈[[Cry Eye]]〉를 발매했다. 〈Cry Eye〉는 손담비의 뛰어난 춤실력을 보여주는데는 충분했지만, 대중적으로 성공하지는 못했다. 〈Cry Eye〉의 안무 중 [[크럼핑]]이라는 장르를 안무로 삼아 이 때문에 '여자 비'라고 불렸다.<ref name="seg1">{{뉴스 인용| url = http://www.segye.com/Service5/ShellView.asp?TreeID=1052&PCode=0007&DataID=200707091012000004| 제목 = '여자비' 손담비, 댄스로 뜨고 가창력까지 장착| 날짜 = 2007-07-08| 저자 = 한준호 기자| 확인날짜 = 2007-08-07| 뉴스 = 세계일보| 보존url = https://web.archive.org/web/20070930152416/http://www.segye.com/Service5/ShellView.asp?TreeID=1052&PCode=0007&DataID=200707091012000004#| 보존날짜 = 2007-09-30| 깨진링크 = 예}}</ref> 또한 크럼핑은 고난이도 댄스로 꼽혀 아시아에서도 몇 안되는 춤꾼으로 인정받았다. 한국에서 3개월 동안 활동한 뒤, 미국으로 떠나 L.A 밀레니엄 스쿨에서 발레, 재즈, 크럼핑 댄스 등을 배우고 보컬 트레이닝을 받는 등 연습에 매진했다.<ref>{{뉴스 인용|제목=손담비 “이효리 여름 컴백 환영. 내 인생 최대의 도전” |url=http://www.newsen.com/news_view.php?uid=200805191720201002|출판사=뉴스엔|저자=이현우, 정유진|날짜=2008-05-20}}</ref>
         2008년 2월 29일 게임 [[프리스톤테일2]]의 주제가 "Change the World"를 불렀다.<ref>[http://music.naver.com/album/index.nhn?albumId=136656 네이버 뮤직 - Change The World (프리스톤테일 2) O.S.T] 《[[네이버]]》</ref> 같은 해 4월 29일 손담비는 첫 미니 앨범 ''[[Mini Album Vol.1]]''을 발매하며 컴백 했다. 앨범의 타이틀 곡 "Bad Boy"로, 전 에스블러쉬 멤버로 함께 활동했던 [[가희]]가 피처링으로 참여했다. 이 때 손담비는 주로 여성스러운 이미지로 활동했다. "Bad Boy"는 발표한지 2주만에 음원 사이트 1위를 차지했고, 지상파 음악 프로그램에 출연할때마다 검색어 순위는 1위를 차지하는 등 관심을 모았다.<ref>{{뉴스 인용|제목=손담비 '배드 보이', 29일 미니앨범 공개 후 '대박 조짐' |url=http://joynews.inews24.com/php/news_view.php?g_menu=700100&g_serial=327079|출판사=조이뉴스24|저자=박재덕|날짜=2008년 4월 20일|확인날짜=2011-02-06}}</ref> 뮤직비디오가 공개된 후에는 조회수가 20만 건이 넘었고, 무대에서 입고나온 코르셋 스타일의 파격적인 의상도 많은 관심을 받아 홈페이지가 폭주하기까지 했다.<ref>{{뉴스 인용|제목= 손담비 코르셋패션 "열기"...홈페이지 또 "혼수상태" |url=http://www.hkn24.com/news/articleView.html?idxno=13163|출판사= 깜뉴스|저자=신명희 기자|날짜=2008년 5월 25일|확인날짜=}}</ref>
         5달 후인 2008년 9월 17일 두 번째 미니 앨범 ''[[Mini Album Vol.2]]''의 타이틀곡 〈미쳤어〉의 티저 영상을 온오프라인을 통해 공개하였는데, 티저 영상은 공개후 각종 동영상 사이트, 실시간 검색어 1위를 차지하는 등 관심을 받으며 컴백을 알렸다.<ref>{{뉴스 인용|제목= 손담비 '미쳤어' 티저 영상에 팬들의 반응 뜨겁네~ |url=http://www.consumernews.co.kr/news/view.html?gid=main&bid=news&pid=111539|출판사= 소비자가 만드는 신문 연예|저자=스포츠연예팀|날짜=2008-09-19|확인날짜=}}</ref> 이어 18일에는 음반을 발매하였다. 타이틀곡인 〈미쳤어〉 열풍이 한국에 불었는데, 특히 처음 후렴구부분의 의자춤이 인기를 끌었다. 각종 연예인들은 의자춤 패러디를 했는데, 재일 먼저 배우 [[허이재]]가 패러디를 했고,<ref>{{뉴스 인용|제목= 허이재, 손담비 ‘미쳤어’ 의자춤 깜짝공개 눈길 확~|url=http://www.newsen.com/news_view.php?uid=200810191843251001 |출판사= 뉴스엔 연예|저자=이현우|날짜=2008-10-20|확인날짜=}}</ref> 계속해서 김효진, 신봉선, 양정아, 현영, 노홍철 등이 예능에서 따라했으며, 《[[내 사랑 금지옥엽]]》의 유인영, 《[[수상한 삼형제]]》의 오지은 등 드라마에서도 패러디를 했다. 또한 일반인들도 UCC를 통해 많은 패러디 동영상을 올렸다. 너도나도 다 따라한탓에 급기야 예능 프로그램에서는 〈미쳤어〉 금지령까지 내려졌다.<ref>{{뉴스 인용|제목= 방송가, 손담비 '미쳤어' 이제 그만! |url= http://joynews.inews24.com/php/news_view.php?g_menu=700100&g_serial=380986|출판사= 조이뉴스24 연예|저자=박재덕 기자|날짜=2008년 12월 22일}}</ref> 2008년 11월 17일에는 [[마이티 마우스 (음악 그룹)|마이티 마우스]]의 싱글 〈[[Family (Special Edition)|패밀리]]〉에 피처링으로 참여했다.<ref>{{뉴스 인용|제목=마이티마우스, 이번에는 손담비‥'패밀리'|url=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6&oid=003&aid=0002372273|출판사=네이버|저자=유상우|날짜=2008-11-11|확인날짜=2012-05-20}}</ref> 가수 활동 이외에 MBC 예능 《[[우리 결혼했어요|우리결혼했어요]]》에 [[마르코 (배우)|마르코]]와 함께 가상 부부로 나와 [[MBC 방송연예대상]] 특별상/베스트커플상 수상했다.<ref name="2008MBC"/> 또한 각종 CF에서도 러브콜이 쇄도했는데, 1년만에 몸값이 3배가 올라 화제가 되기도 했다.<ref>{{뉴스 인용|제목= 손담비 몸값, 1년만에 3배 이상 높아져 '미쳤어' |url= http://www.maxmovie.com/movie_info/ent_news_view.asp?mi_id=MI0080966034|출판사= 조이뉴스24 연예|저자=|날짜=2008-11-12|확인날짜=}}</ref>
         === 2010~현재: The Queen, 연기 ===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b/bd/Son_Dam-bi_at_the_press_conference_of_MBC_Music_Son_Dam-bi%27s_Beautiful_Days_from_acrofan.jpg/200px-Son_Dam-bi_at_the_press_conference_of_MBC_Music_Son_Dam-bi%27s_Beautiful_Days_from_acrofan.jpg
         손담비는 2010년 5월 컴백을 앞두고 준비해왔지만, 같은 소속사 그룹인 [[애프터스쿨]]이 [[천안함 침몰 사건]]으로 인하여 활동을 제대로 하지 못해 활동이 미뤄졌다.<ref>{{뉴스 인용|제목= 손담비 컴백 연기..애프터스쿨 때문?|url=http://www.asiae.co.kr/news/view.htm?idxno=2010042809051209710|출판사=아시아 경제|저자=조범자 기자|날짜=2010-04-28|확인날짜=}}</ref> 한달 뒤인 2010년 6월 25일 손담비는 공식 사이트를 통해 컴백을 알렸다.<ref>{{뉴스 인용|제목='섹시디바' 손담비, 1년 3개월만의 컴백…움직임 포착!|url=http://autotimes.hankyung.com/article_view.php?id=81096|출판사=오토타임즈|저자=연예취재팀|날짜=2010-06-25|확인날짜=}}</ref> 7월 2일에는 음반의 수록곡 중 하나인 "Can't u see"를 공개해 많은 관심을 받았다.<ref>{{뉴스 인용|제목=손담비, '그림자댄스'로 서버다운까지? '히트예감'|url=http://ntn.seoul.co.kr/main.php?cmd=news/news_view&idx=39797|출판사=서울신문NTN|저자=오영경 인턴기자|날짜=2010-07-03|확인날짜=}}{{깨진 링크|url=http://ntn.seoul.co.kr/main.php?cmd=news%2Fnews_view&idx=39797 }}</ref> 음반 발매 하루 전 날에는 전곡이 유출되는 사고가 일어났다.<ref>{{뉴스 인용|제목=허무한 손담비, 컴백 하루전 음원유출|url=http://sportsworldi.segye.com/Articles/EntCulture/Article.asp?aid=20100708004612&subctg1=10&subctg2=00|출판사=스포츠월드|저자=김용호 기자|날짜=2010-07-09|확인날짜=2010-12-06}}</ref> 그리고 2010년 7월 8일 ''The Queen''을 발매했다. 이후 《[[뮤직뱅크]]》를 시작으로 《[[음악중심]]》, 《[[인기가요]]》에서 "Can't u see"와 "queen"을 선보이며 컴백 무대를 펼쳤다. 한편, 7월 결산 차트에서 손담비는 "Can't U See"와 "queen"이 20위권에 들면서 7월 상위 20위권 차트에서 유일하게 2곡 이상을 진입시킨 가수가 됐다.<ref>{{뉴스 인용|제목=손담비, 7월 음원 톱20 멀티히트 가수 '유일'|url=http://star.mt.co.kr/view/stview.php?no=2010080215133583882&type=1&outlink=1|출판사=머니투데이|저자=김관명 기자|날짜=2010-08-02|확인날짜=}}</ref> 이렇게 초반에는 좋은 출발을 했지만, 얼마 안 되어 "queen"의 MR을 제거한 영상이 올라오면서 처음으로 가창력 논란이 일어났다.<ref name="아츠">{{뉴스 인용|제목='표절논란' 손담비 '퀸(Queen)' MR제거, 무엇이 문제일까?|url=http://www.artsnews.co.kr/news/89424|출판사=아츠뉴스|저자=박진영 기자|날짜=2010-07-12}}</ref> 또한 "queen"의 뮤직비디오 일부분이 미국 드라마 《엘리스》의 장면과 매우 흡사하다는 표절논란을 빚어 소속사는 논란이 된 장면들을 모두 삭제키로 결정했다.<ref>{{뉴스 인용|제목=손담비, 뮤비 표절 논란 일부 장면 삭제|url=http://www.todaykorea.co.kr/news/articleView.html?idxno=116279|출판사=투데이코리아|저자=김민철 기자|날짜=2010-07-12}}{{깨진 링크|url=http://www.todaykorea.co.kr/news/articleView.html?idxno=116279 }}</ref> 2010년 8월, 손담비는 타이틀곡 활동을 마무리했다.<ref>{{뉴스 인용|제목=손담비 ‘퀸’ 활동 끝 ‘잠시만 안녕’ 모두다 이뤄졌나?|url=http://www.newsen.com/news_view.php?uid=201008201835291002|출판사=뉴스엔|저자=이언혁 기자|날짜=2010-08-20}}</ref> 이후 후속곡인 "[[dB Rider]]"로 9월부터 10월 초까지 활발하게 활동했지만, 크게 히트치지는 못했다.<ref>{{뉴스 인용|제목=‘라이더 변신’ 손담비, 파워풀한 섹시美 돋보인 후속곡 첫 무대 |url=http://www.mydaily.co.kr/news/read.html?newsid=201009171909341131&ext=na|출판사=마이데일리|저자=강선애 기자|날짜=2010-09-17|확인날짜=2010-10-12}}</ref>
         한편, 손담비가 무대에서 특유의 표정을 지어 '업신담비'로 불리며 인터넷상에서 큰 화제가 되었다.<ref>{{뉴스 인용|제목= 손담비 업신 표정 화제 "니가?" … 본인도 쿨하게 인증|url=http://www.hkn24.com/news/articleView.html?idxno=57743|출판사=이슈프리즘 깜뉴스|저자=인터넷뉴스팀|날짜=2010-10-16|확인날짜=2010-12-22}}</ref> 2010년 10월부터는 MBC의 새 예능 프로그램 《여우의 집사》에 출연하기도 했지만, 저조한 시청률로 인해 방영된지 2개월만에 폐지되었다.<ref>{{뉴스 인용|제목 = 여우의 집사 폐지…불과 2개월만, 잘나가던 뉴스후 폐지하더니|url = http://www.newsprime.co.kr/news/articleView.html?idxno=177604|출판사 = 프라임 경제|날짜 = 2010-12-17|확인날짜 = 2010-12-29|보존url = https://web.archive.org/web/20140729055321/http://www.newsprime.co.kr/news/articleView.html?idxno=177604#|보존날짜 = 2014-07-29|깨진링크 = 예}}</ref> 한편 손담비는 대만에서 큰 인기를 얻었는데, 〈미쳤어〉와 《드림》의 인기로 '2010 [V] CHINESE TOP 연도 시상식 콘서트'에서 아시아 최고 아티스트상을 수상했다.<ref name="대만">{{뉴스 인용|제목=‘섹시 퀸’ 손담비, 대만진출 나선다|url=http://news.donga.com/3//20110117/33997010/1|출판사=donga.com|저자=김원겸 기자|날짜=2011-01-17|확인날짜=2011-01-17|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140728204248/http://news.donga.com/3//20110117/33997010/1|보존날짜=2014-07-28|깨진링크=예}}</ref> EP 음반 ''The Queen''역시 대만에서 음반 차트 등 각종 차트 정상을 차지했다.<ref name="대만"/> 한편, 2011년 1월에 제20회 서울가요대상에서 본상을 수상하며 3년연속 본상을 수상받았다.<ref name="20회 서가대">{{뉴스 인용|제목=손담비, '서울가요대상' 3년 연속 본상 수상|url=http://www.newsway.kr/news/articleView.html?idxno=101847|출판사=뉴스웨이|저자=최가람 기자|날짜=2011-01-21|확인날짜=2011-01-21}}</ref> 이어 아시아모델시상식에서도 BBF 인기가수상을 수상했다.<ref name="BBF">{{뉴스 인용|제목=권상우ㆍ소녀시대ㆍ옌청쉬, '아시아 스타상'|url=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6&oid=001&aid=0004878908|출판사=네이버뉴스|저자=연합뉴스 임은진 기자|날짜=2011-01-21|확인날짜=2011-01-22}}</ref> 2011년 5월부터는 피겨스케이팅 예능 프로그램 《[[김연아의 키스 & 크라이]]》에 출연했고, TOP4에 진출했다.<ref>[http://wizard2.sbs.co.kr/w3/template/tpl_freetype.jsp?vVodId=V0000349432&vProgId=1000708&vMenuId=1014807 김연아의 키스앤크라이 출연진 및 MC 소개] 《[[SBS]]》. 2011-05-21 확인.</ref> 2011년 11월부터는 MBC의 드라마 《빛과 그림자》에서 가수 유채영 역으로 출연했고, 미디엄 템포 장르의 드라마 OST "Everything"을 불렀다.<ref>{{뉴스 인용|제목=손담비, ‘빛과 그림자’ OST 참여 ‘호소력 짙은 목소리 뽐내’|url=http://artsnews.mk.co.kr/news/188777|출판사=아츠뉴스|저자=김세영|날짜=2012-01-04|확인날짜=2012-01-05}}</ref> 《빛과 그림자》는 동시간대 드라마 시청률 1위를 유지했고, 손담비는 연기력을 인정받았다.<ref>{{뉴스 인용|제목='발연기'한다던 손담비, 어느덧 '배우'가 됐다|url=http://news.sportsseoul.com/read/entertain/1047784.htm|출판사=[[스포츠서울]]|저자=오영경|날짜=2012-06-12|확인날짜=2012-06-18|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120616025258/http://news.sportsseoul.com/read/entertain/1047784.htm#|보존날짜=2012-06-16|깨진링크=예}}</ref> 2011년 12월 1일에는 [[애프터스쿨]]과 함께 해피 플레디스 2012 시리즈인 ''[[Happy Pledis 2012 'Love Letter']]''를 발매했고, 수익금 일부를 [[유니세프]]의 "아우인형" 프로젝트에 기부했다.<ref>[http://music.naver.com/album/index.nhn?albumId=304689 네이버 뮤직 - Happy Pledis 2012 `Love Letter`] 《네이버》. 2012-01-05 확인.</ref> 2012년 8월, 《빛과 그림자》가 종영되었고, 손담비는 가수로서 컴백을 준비했다.<ref>{{뉴스 인용|제목=손담비, 런던올림픽과 한판|url=http://sports.donga.com/3/all/20120612/46956635/3|출판사=[[스포츠동아]]|저자=김원겸|날짜=2012-06-13|확인날짜=2012-06-18}}</ref>
         손담비는 연습생 시절, 비의 어록들을 연습실에 붙여놓고 활동했다고 한다. 또한 "퍼포먼스 할 때 동작 하나하나가 느껴진다. 어떤 걸 표현하는지를 제대로 보여준다. 과감한 몸짓, 사람을 빨아들일 듯한 표정 등 많은 부분에서 닮고 싶다"고 말하며 [[비욘세 놀스]]를 존경한다고 밝혔다.<ref>{{뉴스 인용|제목=손담비 "비 어록, 연습실에 붙여놨다"|출판사=조이뉴스24|url=http://joynews.inews24.com/php/news_view.php?g_menu=700100&g_serial=268832|저자=박재덕|날짜=2007-06-27 |확인날짜=2011-02-01}}</ref> 또한 손담비는 "배우의 색깔과 가수의 색깔이 공존하는 분이다. 배우로서도 훌륭하고 가수로서도 뛰어난 역량을 발휘하는 스타라고 생각한다. 나 역시 그렇게 되고 싶다"며 [[엄정화]]를 롤모델로 꼽았다.<ref>{{뉴스 인용|제목=손담비, 원래 배우가 꿈, 연기 욕심 많다|출판사=뉴스엔|날짜= 2009-04-17 |url=http://www.newsen.com/news_view.php?uid=200904161748501002}}</ref> 이 외에 [[김완선]]과 [[마돈나]]에게 영향을 받았다.<ref>{{뉴스 인용|제목=손담비 “토요일밤에? 집에서 혼자 춤춰요”(인터뷰①)
         2009년 데뷔한 [[NS윤지]]는 비슷한 장르와 외모때문에 제2의 손담비라고 불리기도 했는데, NS윤지는 직접 "더 많이 노력해 무대를 압도하는 카리스마나 연기력 등을 배우고 싶다"고 말했고,<ref>{{뉴스 인용|제목=NS윤지 "제2의 손담비? 다양한 모습 보여드릴게요"(인터뷰)|url=http://joynews.inews24.com/php/news_view.php?g_menu=700100&g_serial=495794|출판사=조이뉴스24|저자=박재덕|날짜=2010-06-02|확인날짜=2011-08-13}}</ref> 프로듀싱을 맡은 [[용감한 형제]]는 "프로듀서로서 제2의 손담비, 차세대 섹시디바로 만들 수 있겠다는 자신감을 갖게 만든 가수이다"라고 했다.<ref>{{뉴스 인용|제목=용감한형제, ‘제2의 손담비’로 NS윤지 찜!|url=http://www.eto.co.kr/news/outview.asp?Code=20101020181020513&ts=163735|출판사=경제투데이|저자=심재걸|날짜=2010-10-20|확인날짜=2011-08-13|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140808194946/http://www.eto.co.kr/news/outview.asp?Code=20101020181020513&ts=163735#|보존날짜=2014-08-08|깨진링크=예}}</ref> 같은 플레디스 소속이었던 [[헬로비너스]]는 "저희 롤 모델은 손담비 선배님이에요. 일본 등 해외 활동도 하고 계시고, 무대 위에서 카리스마와 퍼포먼스가 정말 멋지세요. 선배님들의 장점만을 모아 저희 것으로 만들고 싶어요"라며 롤모델로 꼽았다.<ref>{{뉴스 인용|제목=헬로비너스 “머리가 불에 타도 족발이 먼저!”…신개념 ‘털털 아이돌’ 등장|url=http://news.donga.com/3/all/20120615/47030992/2|출판사=[[동아닷컴]]|저자=박영욱, 오세훈|날짜=2012-06-15|확인날짜=2012-06-15}}</ref>
         * 2010: 《[[The Queen]]》
  • Suicide is Painless . . . . 5회 일치
         Visions of the things to be
         The pains that are withheld for me
         || 2절 ||The game of life is hard to play
         The losing card I'll someday lay
         || 3절 ||The sword of time will pierce our skins
         The pain grows stronger watch it grin||
  • WikiSandBox . . . . 5회 일치
         Please feel free to experiment here....
         '''Tip:''' Shift-click "HelpOnEditing" to open a second window with the help pages.
         == The First Section ==
         === The first subsection ===
         Here is a link to the page titled: BizarStructuredText
         And here is another line of text. Incidentally, you might want to do one
         of the following:
         If not, then just sit back, [[relax]], and [[enjoy]] the flight.
         === Can You Believe There's a Second Subsection? ===
         They were surprised about the first subsection on this page. Imagine the complete astonishment when they discovered that there was a ''second'' subsection! An important part of this section is its reference to the MissionStatement. Be ''sure'' to check it out.
         == What to Do When You're Getting Bored with the First Section ==
          1. Check for loose change in the sofa cushions.
          1. Have another beer.
          1. Go right ahead and read the Second Section.
         '''''Please Note:''''' ''There has been considerable controversy about several of the above listed alternatives to reading the First Section. Some people think they are silly. Some people think they are offensive. And some people just think that they are a waste of time. All of these may be true. However, we stand by them, as we firmly believe that they are '''all''' more interesting than the First Section.''
         Please feel free to experiment here, after the four dashes below... and please do '''NOT''' create new pages without any meaningful content just to try it out.
         '''Tip:''' Shift-click "HelpOnEditing" to open a second window with the help pages.
         someone@the.inter.net
         a MoniWiki python colorizer using the VimProcessor
         def print_element(bla):
  • WikiSlide . . . . 5회 일치
          * '''Simple''' - ''Content over Form'' (content counts, not the super-pretty appearance)
          * 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Knowledgebases, Brainstorming
          * Creating documentation and slide shows ;)
         == The First Steps ==
          * WikiSandBox: Sandbox page to play around and experiment with
          * SiteNavigation: A list of the different indices of the Wiki
          * FindPage: Searching the Wiki by various methods
          * TitleIndex: A list of all pages in the Wiki
          * WordIndex: A list of all words in page titles (i.e. a list of keywords/concepts in the Wiki)
         == Using the Editor ==
         To edit a page, just click on [[Icon(edit)]] or on the link "`EditText`" at the end of the page. A form will appear enabling you to change text and save it again. A backup copy of the previous page's content is made each time.
         You can check the appearance of the page without saving it by using the preview function - ''without'' creating an entry on RecentChanges; additionally there will be an intermediate save of the page content, if you have created a homepage ([[Icon(home)]] is visible).
         <!> After editing pages, please leave the edit form by "`Save Changes`" since otherwise your edits will be lost!
         == Tips on the Editor ==
         "`Check spelling`" examines the text for unknown words.
         Within the editor, the usual hotkeys work:
         (!) If you discover an interesting format somewhere, just use the "raw" icon to find out how it was done.
         (!) In UserPreferences, you can set up the editor to open when you double click a page.
         (!) You can subscribe to pages to get a mail on every change of that page. Just click on the envelope [[Icon(subscribe)]] at top right of the page.
         To add special formatting to text, just enclose it within markup. There are special notations which are automatically recognized as internal or external links or as embedded pictures.
  • 맥스 페인/줄거리 . . . . 5회 일치
         == 파트 1: American Dream (아메리칸 드림) ==
         === 2장: Live From the Crime Scene (범죄 현장에서 생중계) ===
         === 5장: Let the Gun Do the Talking ===
         === 6장: Fear That Gives Men Wings (공포는 날개를 달아준다) ===
         === 1장: The Baseball Bat (방망이) ===
         >Punchinello wanted Payne. He'd see the pain.
         >Mr.Payne. It's time to show you the benefits of my brew. Be a good boy now.
         맥스는 미셸은 포옹한다. 미셸은 사무실에서 바이킹에 관한 이상한 메모를 봤다고 말한다. 맥스는 미셸에게 지금은 해야할 일이 있으니 저녁에 얘기하자고 말한다. 포옹을 나누는 둘 뒤에서 또다른 맥스가 나타나 "타락천사의 살"[* The flesh of fallen angel. 작중 극중국인 주소불명(Address Unknown)에서 등장하는 분홍색 플라밍고의 대사. 잭 루피노를 비롯한 발키리 중독자들이 읊조리는 소리이기도 하다.]이라는 말을 내뱉는다.
         === 3장: The Deep Six (딥 식스) ===
         === 5장: In the Land of the Blind (장님들의 나라) ===
  • 어쌔신 크리드 III/부가요소 . . . . 5회 일치
          * 나인 멘즈 모리스(Nine Men's Morris)
          * 식스 멘즈 모리스(Six Men's Morris)
          * 트웰브 멘즈 모리스(Twelve Men's Morris)
          * 목제 선체 강화(Wooden Hull Reinforcements)
          * 철제 선체 강화(Iron Hull Reinforcements)
          * An Independent Government - 난이도 ★☆☆
          * The Powder Alarms - 난이도 ★★★
          * A New Regiment - 난이도 ★☆☆
          * Sound the Massage - 난이도 ★★☆
          * Another Tea Party - 난이도 ★★☆
          * The Swamp Fox - 난이도 ★☆☆
  • 엔포서스 . . . . 5회 일치
         [[마블 코믹스]]의 빌런팀. 첫등장은 The Amazing Spider-Man #10 (March 1964)에서 처음 등장.
          본명 Daniel Brito. 첫등장은 The Amazing Spider-Man #10 (March 1964). 3인 중 가장 단신이지만 뛰어난 무술가이다. 유도와 가라데를 익혔다.
          본명 Jackson W. Brice. 첫등장은 The Amazing Spider-Man #10 (March 1964). 특기는 올가미 던지기. 카우보이 모자를 쓰고 있다.
          본명 Raymond Bloch. 첫등장은 The Amazing Spider-Man #10 (March 1964). 큰 덩치에 걸맞게 괴력을 지녔다.
          본명 Roland Bloch. 첫등장은 The Spectacular Spider-Man #19-20 (June–July 1978). 옥스의 형제.
  • 전기의자 . . . . 5회 일치
         [[The Men Who Built America]]
  • 프랑켄슈타인(마블 코믹스) . . . . 5회 일치
         [[마블 코믹스]]의 캐릭터. 첫등장의 경우 60년대급인 상당히 오래된 캐릭터. 코믹 바인에 기재된 정보에 의하면 The X-Men #40(January 1, 1968), 위키피디아에는 아틀라스 코믹스 시절이 Menace #7(Sept. 1953), 마블 코믹스 시절이 The Silver Surfer #7(Aug. 1969)다.
         코믹스 The Frankenstein Monster에도 등장.
  • 프리덤 파이터즈 . . . . 5회 일치
         [[DC 코믹스]]의 [[슈퍼히어로 팀]]. 첫등장은 Justice League of America #107 (September 1973).
          * [[레이]](The Ray)
          * [[미스 아메리카]](Miss America)
          * [[네온 더 언노운]](Neon the Unknown)
          * [[레드 비]](The Red Bee)
          * [[앨리어스 더 스파이더]](Alias the Spider)
          * [[레드 비]](The Red Bee)[* 위쪽의 레드 비와는 별도의 캐릭터로 추정.]
  • Crusader Kings 2/DLC . . . . 4회 일치
         === The Republic ===
         === The Old Gods ===
          * 성지순례도 할 수 있고 사원의 봉신들과 친목친목을 할 수 있는 신학(Theology)
         === The Reaper's Due ===
  • Crusader Kings 2/특성 . . . . 4회 일치
          * 전문 신학자(Scholarly Theologian)
          * 위대한 신학자(Mastermind Theologian)
          * 신학자(Theologian)
          * 소승 불교도(Theravada)
          * 자줏빛 출생(Born in the Purple)
  • 정형돈 . . . . 4회 일치
         [[2009년]] [[9월 13일]] 서울 여의도 [[63빌딩]] 컨벤션센터에서 [[SBS TV|SBS]] 미스터리 특공대에서 만난 [[작가|방송작가]] [[한유라]]와 결혼하였다.<ref>{{뉴스 인용|제목=정형돈-한유라, 동료 연예인 축복 속 웨딩마치(종합)|url=http://joynews.inews24.com/php/news_view.php?g_menu=700100&g_serial=442470|출판사=조이뉴스24|저자=이미영 기자|날짜=2009-09-13}}</ref>
         * [[부산 MBC]] [https://www.youtube.com/watch?v=NaH-N-egl9k 《The GIANTS(더 자이언츠) 2013 (3월 23일) : 내레이션》]
         * 2009년 [https://www.youtube.com/watch?v=OEWlP7Lf-x4&feature=player_embedded 《전자깡패》] - [[Remixing the Human Soul]] : 삼자돼면 - with [[에픽하이]]
         * 2011년 8월 2일 [http://music.naver.com/album/index.nhn?albumId=203946 《Change The Game》] - Change The Game : [[무한도전]] 조정가 - with [[데프콘 (가수)|데프콘]], 제이디<ref>{{뉴스 인용|제목=정형돈-데프콘, ‘무한도전’ 조정가 ‘Change The Game’ 발표|url=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6&oid=213&aid=0000124490|출판사=TV리포트|저자=김예나 기자|날짜=2011-08-01}}</ref>
         * 2014년 9월 29일, 안성 중앙대학교 [https://www.facebook.com/caurun/photos/pcb.592424300883566/592424130883583/?type=1&theater 《2014 축제》] - 출연 : 가수 (형돈이와 대준이)
         * 제5회 에이 어워즈(A-Awards) '''이노베이션''' 부문 ([[무한도전]] 팀과 공동 수상)<ref>{{뉴스 인용|제목=장혁-유아인-'무한도전', 2010 최고의 남자|url=http://joynews.inews24.com/php/news_view.php?g_menu=700100&g_serial=532635|출판사=조이뉴스24|저자=이미영 기자|날짜=2010-11-30}}</ref>
  • 토탈워: 쇼군 2 - 사무라이의 몰락 . . . . 4회 일치
         Total War: Shogun 2 - Fall of the Samurai. 잉글랜드의 게임회사 [[http://www.creative-assembly.com/|크리에이티브 어셈블리]]가 제작하고 [[SEGA]]가 유통한 전략 게임. [[토탈워: 쇼군 2]]의 스탠드 얼론 확장팩이다.
          * The Sendai Faction Pack
          * The Tsu Faction Pack
          * The Obama Faction Pack
          * The Saga Faction Pack
  • 토탈워: 쇼군 2/세력 기술 . . . . 4회 일치
         === 창도(Way of the Spear) ===
         === 해도(Way of the Sea) ===
         === 궁도(Way of the Bow) ===
         === 검도(Way of the Sword) ===
          * 야영지(Encampment)를 건설할 수 있게 됨
          * 창도(Way of the Spear), 천지(Heaven and Earth) 세력 기술 연구 요구
          * 해도(Way of the Sea) 세력 기술 연구 요구
          * 궁도(Way of the Bow), 대형(Formation) 세력 기술 연구 요구
          * 대형(Formation), 검도(Way of the Sword) 세력 기술 연구 요구
         === 오행론(The Five Elements) ===
          * 창술 전문화(Spear Expertise), 오행론(The Five Elements) 세력 기술 연구 요구
          * 오행론(The Five Elements), 화약 공격(Attack by Fire) 세력 기술 연구 요구
         === 해상 지배력(Mastery of the Waves) ===
          * 오행론(The Five Elements), 바주츠 숙련화(Horse Mastery) 세력 기술 연구 요구
         === 정신의 본질(Essence of the Spirit) ===
         ==== 정신의 본질(Essence of the Spirit) ====
         오토모 가문 전용 세력 기술. 다른 가문이 연구하는 정신의 본질(Essence of the Spirit)을 대체한다.
          * 정신의 본질(Essence of the Spirit), 다례(Tea Ceremony) 세력 기술 요구
          * 정신의 본질(Essence of the Spirit) 세력 기술 요구
         === 스모 대회(Sumo Tournament) ===
  • 페이데이 갱 . . . . 4회 일치
          * 코끼리(The Elephant)
          * 치과의사(The Dentist)
          * 도살자(The Butcher)
          * 콘티넨탈(The Continental)
  • Darkest Hour: A Hearts of Iron Game . . . . 3회 일치
          * The Great War(1914)
          * The Road to Another War(1936)
          * Enemy at the Gate
          * The Turning Tide(1943)
          전쟁을 벌이는 국가와 할 수 있는 행동. 해당 국가만 평화협상에 참가하는 Separate Peace와 해당 국가의 동맹 모두가 평화협상에 참가하는 For the Alliance가 있다. 전황이 좋다면 무장 해제, 군사적 통행권, 괴뢰국화, 영토 요구와 같은 굴욕적인 조건을 상대가 받아들일 확률이 높아지지만 전황이 나쁘다면 이와 같은 조건을 내걸어야 상대가 받아들인다. 물론 그 정도까지 가면 전에 세이브한 데이터를 불러오자. 평화협상이 체결되면 평화협상으로 변동이 생긴 국토 외의 모든 국토는 전쟁 전 상태로 돌아온다. 또한 평화협상 이후 일정 기간은 선전포고가 불가능하다.
          * Offer Trade Agreement(무역 제안)
  • Good Morning, Mr Zip-Zip-Zip! . . . . 3회 일치
         To clear the way to freedom
         For the land we love the best.
         But when the going's rather rough,
         If the Cam-ls don't get you,
         The Fatimas must,
         If the Cam-ls don't get you,
         The Fatimas must,
         || You see them on the high-way,
         You meet them down the pike,
         Are soldiers on the hike;
         And as the column passes,
         The word goes down the line,
         [https://books.google.co.kr/books?id=lVJhIak171oC&pg=PR12&lpg=PR12&dq=robert+lloyd+army+song+leader&source=bl&ots=0lOnJHVBx-&sig=1RjQIGTTsWox8ZBdkcVlq-VyQNs&hl=ko&sa=X&ved=0ahUKEwjdvqr-tqvMAhXLopQKHfLoDT8Q6AEIHDAA#v=onepage&q=robert%20lloyd%20army%20song%20leader&f=false|"A Pretty Girl is Like a Melody": And Other Favorite Song Hits, 1918-1919]
  • Victoria II . . . . 3회 일치
         attachment:Vic2isGodGame.jpg
          * The Grand Campaign
          * Sea power & The Merchant Marine(해군력과 상선대): 육군 기술 연구 -5%, 해군 기술 연구 +15%, 상업 기술 연구 +10%, 문화 기술 연구 -10%
          * HM's Government(입헌군주정) : [[영국]]과 같은 체제. 여당을 플레이어가 바꿀 수 있지만 일정 주기마다 치뤄지는 총선에 따라서도 바뀐다. 자코뱅 반란으로 뒤집어지면 민주정이 된다.
         attachment:Crisis.png
          * American Civil War Spritepack : "남북전쟁 시기" 미합중국과 아메리카 연합국의 보병, 특수병, 기병, 포병, 공병, 근위대의 스프라이트를 고증에 따른 군복으로 바꿔주는 DLC. A House Divided DLC를 추가로 요구한다.
          * Songs of the Civil War : 남북전쟁 시기 만들어진 유명 음악 4개[* Battle Hymn of the Republic, Johnny Comes Marching Home, Marching Through Georgia, Oh I'm a Good ol' Rebel]를 OST에 추가해주는 DLC.
  • WikiWikiWeb . . . . 3회 일치
         The [wiki:Wiki:FrontPage first ever wiki site] was founded in 1994 as an automated supplement to the Wiki:PortlandPatternRepository. The site was immediately popular within the pattern community, largely due to the newness of the internet and a good slate of Wiki:InvitedAuthors. The site was, and remains, dedicated to Wiki:PeopleProjectsAndPatterns.
         Wiki:WardCunnigham created the site and the WikiWikiWeb machinery that operates it. He chose wiki-wiki as an alliterative substitute for quick and thereby avoided naming this stuff quick-web. An early page, Wiki:WikiWikiHyperCard, traces wiki ideas back to a Wiki:HyperCard stack he wrote in the late 80's.
         See also one of these links:
          * get some answers on the Wiki:WikiWikiWebFaq
          * get to know more about the Wiki:WikiHistory
  • 슈퍼맨 리벤지 스쿼드 . . . . 3회 일치
         [[DC 코믹스]]의 [[슈퍼 빌런]] 팀. 첫등장은 Superboy #94 - The Superboy Revenge Squad (January 1, 1962)
          The Hairies의 리더인 Jude와 Lucy Diamond Sky의 딸. 여담으로 창조자는 부모와 더불어 [[잭 커비]].
          첫등장은 Superman: The Man of Tomorrow #8 (April 1, 1997)
  • 스파이더 . . . . 3회 일치
         The Spider
         두편의 영화가 만들어졌는데 제목은 <The Spider's Web>(1938년), <The Spider Returns>(1941년)다. 시대가 시대이다보니 흑백 영화. 영화에서는 거미줄 문양같은 복면을 쓰고 있다. [[스파이더맨]]과 비슷. 다른 복장은 복면 대신 아이 마스크스러운 가면을 쓴 이미지도 있다.
  • 식극의 소마/198화 . . . . 3회 일치
          * 죠이치로는 정신적으로 극히 피폐해져 The BULE 대회가 끝난 것도 알지 못하고 자신이 어디에 있는 건지, 무엇을 하는지도 모르는 상태가 되고 만다.
         attachment:Example.jpg
          * 소문이 자자한 [[사이바 죠이치로]]가 나타나지 않자 The BULE 회장은 혼란의 도가니가 된다. 스텝들은 어떻게든 죠이치로를 찾기 위해 허둥대고 해외에서 그를 보러 왔던 요리사들은 어이가 없다며 "겁 먹고 사라졌다"는 소문이 돌게 된다. 토오츠키 학원에선 그의 실종 소식이 전달되면서 "맨날 수업을 빼먹더니 더 블루까지 빼먹은 건가"라며 경악해 한다. [[시오미 준]]은 그렇다쳐도 이유가 뭔지, 왜 참석 조차 하지 않은 건지 의아해한다. [[나키리 아자미]]는 아무 말도 하지 않지만 당혹스럽기는 마찬가지다. 급기야 [[에비사와 리코]]는 그가 적어도 새벽에는 모습을 감췄을 거라고 추론하며 "요즘 분위기가 심상치 않더니, 더 블루가 귀찮아서 그런게 아니면 괜한 생각을 한게 아니냐"고 불길한 소릴 한다. 처음엔 그게 무슨 소리냐는 반응이던 학생들도 진지하게 자해나 자살을 떠올리며 우려한다.
         attachment:Example2.jpg
          attachment:Example3.jpg
         attachment:Example4.jpg
         attachment:Example5.jpg
         attachment:Example6.jpg
          * 그는 죽은 생선 같은 눈으로 가을선발대회 때의 대결을 회상하며 즐거웠다고 말한다. 어쩐지 여기 오고 싶었는데 요즘 마음이 답답했기 때문이다. 그러다가도 The BULE를 떠올리며 "거기서도 결과를 내야 하는데"라고 마음에 걸려한다. 그는 "내일" 있을 대회를 준비하기 위해 조리대 앞에 서있었지만 아무 것도 떠오르지 않고 그렇다고 잠도 들 수 없었다. 그저 조리대 앞에 서서 "다음 도착점으로 가야 한다"는 일념만 남아 있었다. 가혹한 폭풍을 헤치고 걷는 죠이치로. 그의 마음 속에서 그 몸은 다리가 부러지고 등불도 꺼뜨린 채 홀로 절망적으로 거대한 폭풍 앞에 내동댕이 쳐져 있었다.
          attachment:Example7.jpg
         attachment:Example8.jpg
         attachment:Example9.jpg
         attachment:Example10.jpg
  • 이현 (1983년) . . . . 3회 일치
         * 8Eight 정규 3집 《The golden age》
         * 8Eight 3집 리패키지 《The golden age》
         * 이현 정규 1집 《The Healing Echo》
  • 젠 멘 . . . . 3회 일치
         Zen Men
         [[DC 코믹스]]에 등장하는 팀. 첫등장은 Countdown Presents: Lord Havok and the Extremists #1 (December 1, 2007)
         딱히 관련은 없어보이나 New 52 이후에 나온 멀티버시티(The Multiversity)에도 neo-humans의 팀인 G-Men이 등장한다. 전자는 뮤턴트, 후자는 엑스멘이나 선술한 것처럼 일단 젠 멘과 관련성은 없어보인다.
  • 트로피코 4 . . . . 3회 일치
         >The times are changing and the island nation of Tropico is evolving. The Internet, a New World Order, terrorists, global financial markets and space exploration are on the rise and pose new challenges to El Presidente and his regime.
         >Old buildings and structures are becoming obsolete and need to be upgraded or even replaced by their modern counterparts. Cars and transportation need modernization to meet the needs of a changing economy; and now El Presidente can even send people to the International Space Station! El Presidente and his ministers must now join the war against terror and control Internet regulation and freedom of speech on Tropico.
          * [[http://store.steampowered.com/app/57697/|Quick-dry Cement DLC]] - 2012년 2월 8일 발매
          * [[http://store.steampowered.com/app/205635/|The Academy]] - 2013년 9월 20일 발매
  • 페이데이 2/인벤토리 . . . . 3회 일치
          * The Butcher's BBQ Pack 필요
          * The Butcher's Western Pack 필요
          * The Biker Heist 필요
  • 페이데이 2/하이스트/블라드 . . . . 3회 일치
          * Shoot the Glass!
          * Now is the Nuclear Winter of Our Discontent
          * Pedal to the Metal
          * They Don’t Pay Us Enough
          * There Was a Car?!
          * Can You See The Light?
  • 페이데이 2/하이스트/클래식 . . . . 3회 일치
          * Keep Clear of the Windows
          * The Saviour
          * Panic in the Projects
          * The Definition of Safe House is Changing
          * The Dentist Delight
  • 페이데이: 더 하이스트 . . . . 3회 일치
         attachment:HP.png
         attachment:ASSAULT.png
          attachment:AMCAR-4.png
          attachment:Brenner21.png
          attachment:M308.png
          attachment:Reinbeck.png
          attachment:AK.png
          attachment:B9-S.png
          attachment:Bronco44.png
          attachment:Crosskill45.png
          attachment:STRYK.png
          attachment:Loco12G.png
          attachment:compact5.png
          attachment:Mark11.png
          attachment:GL40.png
          attachment:AmmoBag.png
          attachment:TripMine.png
          attachment:Medic_Bag.png
          attachment:Sentry.png
          attachment:ThickSkin.png
  • 표창원 . . . . 3회 일치
         [[대한민국]]의 [[형사]] 출신[* 1989년 임용.] 경찰학자[* 프로파일러, 범죄심리학자로 흔히 알려져있으나 일선에서 범죄심리분석관으로 근무한 적은 없다. 주 전공은 사회학이고 그걸로 학위를 받은 [[경찰학]] [[박사]]이다. 실제 일선에서 근무했던 범죄심리분석관들의 여러 인터뷰에서도 범죄학자이지 프로파일러는 아니라고 하고 있다. 그의 주 전공은 경찰학이다. "Doctor of Philosophy in Police Studies in the Faculty of Social Studies" [[RISS]]에서 검색하는 내용을 봐도 경찰학 전문가가 맞으며 표창원이 낸 교양책을 봐도 경찰학 중심이다.], 정치인.
         박사학위청구논문의[* 'The police and crimewatch UK : a study of the police use of crime reconstruction and witness appeal programmes in Britain'] 주제만 놓고 보면 봤을 때, 표창원의 원래 전공분야는 미디어 매체[* [[http://www.bbc.co.uk/programmes/b006ppmq|Crimewatch UK]]는 우리나라의 [[경찰청 사람들]], [[공개수배 사건25시]]와 비슷한 TV 프로그램이다.]와 경찰이라 할 수 있다. 물론 학위청구논문 이후의 연구 성과에 따라서 전공분야가 조금씩 바뀌기도 한다. 표창원 박사의 경우 형사사법분야의 전반에 걸쳐서 연구를 하는 편이었다.[* 그럴 수 밖에 없다. 지금도 그렇지만 경찰에서는 [[경찰대학]] 졸업생 중 유학한 경찰들을 통해서 내부역량을 높이고자 했기 때문이다. 유학을 갔다온 경찰대 졸업생들의 논문을 보면 쉽게 이해가 간다. 대개 집회시위법, 행정법, 형사절차 or 형사법에 관한 논문이 많다. 물론 표창원 박사도 마찬가지였다.] 세간에는 범죄심리학(criminal psychology)이나 프로파일링(Profiling) 전문가로 유명하지만 그가 이 분야에 대해 체계적인 교육을 받은 증거는 없고 이에 관한 전문적 연구 또한 미미하다.[* 여담으로 국내에서 활동하는 범죄심리학(Forensic psychology) 박사학위자는 [[숙명여자대학교]] 사회심리학과에 재직중인 [[박지선(교수)|박지선]] 교수가 있다.]
         정계 입문 이후 여러 [[종편]] 프로그램에 출연하면서 민주당 변호인을 활약했다. 특히 2015년 12월 30일 '[[문재인]] 대표가 [[일본]]이 숨긴 금괴 1,000톤을 갖고 있다'는 루머를 맹신했던 어느 60대 남성이 문 대표의 [[사상구]] 사무실에 난입해 인질극을 벌인 사건을 두고 [[MBN]]의 [[김형오(1972)|김형오]] 앵커가 '문재인 대표에게 잘못이 있는 것 아니냐'며 [[답정너]]식으로 질문을 하자 "그럼 2006년에 [[박근혜]] [[한나라당]] 대표가 커터칼 피습을 당한 건 (그 피습범이 정신병자였기 때문이지) 박근혜 당시 대표가 잘못해서 일어난 일인가요?"라는 반문~~이건 몰랐지?~~으로 앵커를 [[역관광]]시켜--사실 [[마마무|음오아예]]를 부르게 한 거라더라-- [[더불어민주당|더민주]] 지지층에게 강한 인상을 남겼다.([[http://tvcast.naver.com/v/676104|네이버]] [[http://tvpot.daum.net/v/73446472|다음]] [[http://www.gomtv.com/view.gom?contentsid=14150137|곰TV]])[* 보도 자막이 포함된 인터뷰 전체 영상은 [[http://www.mbn.co.kr/pages/vod/programView.mbn?bcastSeqNo=1114977|MBN 홈페이지]]와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57&aid=0000871698|네이버]], [[http://media.daum.net/society/others/newsview?newsid=20151231111239813|다음]], [[http://news.nate.com/view/20151230n53189|네이트]] 등에 올라와 있다.]
          * 2016년 3월 26일, 딴지일보와의 인터뷰에서 [[포르노]] 합법화에 대한 찬성의견을 던졌다. [[http://www.ddanzi.com/index.php?mid=ddanziNews&document_srl=84055456|기사]] 덕분에 당시 디씨 등 인터넷 일각에서는 표루노(...)라는 까는건지 찬양하는건지 묘한 느낌의 이명이 생겼다.
         >- [[http://www.riss.kr/search/detail/DetailView.do?p_mat_type=be54d9b8bc7cdb09&control_no=67eef1df113acf28#redirect|The police and crimewatch UK : a study of the police use of crime reconstruction and witness appeal programmes in Britain]]
         >영국사례의 검토를 통한 한국 경찰의 가정폭력 대응능력 제고방안 = A Critical Review on the Capabilities of Korean Society in Dealing With the Problem of Domestic Violence-Centering on the Area of Policing, 2000
         >외국의 경찰부패방지제도 고찰 = A review on the Police corruption control systems, 2001
         >영국경찰의 위상과 운영체계에 대한 고찰 = A Review on the British Policing System, 2002
         >CPTED(환경설계를 통한 범죄예방)이론과 Premises Liability(장소 소유ㆍ관리자의 법적 책임)에 대한 고찰 = CPTED(Crime prevention Through Environmental Design theories and the premises liability, 2003
         >범죄통제 목적 CCTV 운영에 대한 경찰관들의 인식 분석 및 개선방안 모색 = The Analysis of Policemen's Perceptions on the Closed Circuit Television and the pursuit of Utilization Improvement, 2008 (표창원, 박현호, 조준택 공저)
  • 프랑켄슈타인 안드로이드 . . . . 3회 일치
         The Frankenstein Android
         [[마블 코믹스]]의 캐릭터. 첫등장은 The X-Men #40(January 1, 1968).
  • Daisy Bell(Bicycle Built For Two) . . . . 2회 일치
         || There is a flower within my heart
         Whether she loves me loves me not
         Yet I am longing to share the lot
         all for the love of you
         upon the seat
         of a bicycle built for two ||
         Peddling away down the road of life
         When the night's dark
         There are bright lights in the dazzling eyes
  • Darkest Hour: A Hearts of Iron Game/연구진 . . . . 2회 일치
          * General Equipment(일반 장비): 아이콘은 드럼통 두개. 돌격소총 같은 소화기들은 Artillery가 아니라 이 전공과 관련있다.
          * Mathematics(수학): 아이콘은 수식. 주로 계산기 관련 기술에서 요구한다.
          * Management(경영): 아이콘은 별.
          * Siemens & Halske(지멘스 & 할스케)
          * Raytheon(레이시온)
          * American Medical Assn(미국 의학 협회)
          * North American Aviation(노스 아메리카 항공)
          * Short Brothers(쇼트 브라더스)
          * Domenico Cavagnari(도메니코 카바그나리)
  • EZ2AC . . . . 2회 일치
          * EZ2DJ The 1st TRACKS
          * EZ2DJ The 1st TRACKS Special Edition
  • I Didn't Raise My Boy to Be a Soldier . . . . 2회 일치
         who may never return again
         Ten millions mother's hearts must break
         for the ones who died in vain
         I heard a mother murmur thru' her tears ||
         Who dares to place a musket on his shoulder
         to shoot some other mother's darling boy?
         Let nations arbitrate their future troubles
         It's time to lay the sword and gun away
         There'd be no war today
         If mothers all would say
         || 2절 || What victory can cheer a mother's heart
         Let each mother answer In the years to be
  • InterWikiIcons . . . . 2회 일치
         The InterWiki Icon is the cute, little picture that appears in front of a link instead of the prefix established by InterWiki. An icon exists for some, but not all InterMap references.
          * Others?
         InterWikiIcon also used in the Unreal:Unreal Wiki.
         Any recommendations on what software to use to shrink an image to appropriate size?
          The gimp :)
          * Freefeel - http://freefeel.org/upload/freefeelz16.png (as recommended at Freefeel:FreeFeelZone 16x15x256) or http://puzzlet.org/imgs/freefeel-16-new.png (16x16x16)
  • 건포인트/도전과제 . . . . 2회 일치
          * '''On The QT'''
          * '''Might As Well Have An Achievement For That Too'''
          * Not Worth The Bullet
  • 김현정 (1979년) . . . . 2회 일치
         | 그림 =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7/7f/Kim_Hyeon-jeong_%28%EA%B9%80%ED%98%84%EC%A0%95%2C_painter%29_at_The_Exhibition_of_Three_Korean_Artists_at_Today_Art_Museum_in_Beijing%2C_China.jpg/220px-Kim_Hyeon-jeong_%28%EA%B9%80%ED%98%84%EC%A0%95%2C_painter%29_at_The_Exhibition_of_Three_Korean_Artists_at_Today_Art_Museum_in_Beijing%2C_China.jpg
  • 다멘즈 . . . . 2회 일치
         몹쓸 남자(ダメな男)라는 뜻. 몹쓸(ダメ)+남자들(Mens)라는 뜻이다.
         2000년에서 2013년 까지 연재된 『다멘즈 워커(だめんず・うぉ〜か〜)』라는 만화가 어원. 주로 몹쓸 남자를 만나서 고생을 하는 여자들의 체험담을 소개하는 내용을 그린 작품으로, 드라마화도 되었다. 이 만화의 제목은 카도가와 서점에서 발매하는 잡지 『Men's Walker』를 패러디 한 것이기도 하다.
         http://zokugo-dict.com/16ta/damens.htm
  • 랄프 알거 배그놀드 . . . . 2회 일치
         1939년, [[제2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자 배그놀드는 다시 현역이 된다. 그는 자신이 자신의 경험을 토대로 [[LRDG|장거리 사막 정찰대]](Long Range Desert Group, LRDG)라는 특수부대를 창설한다. LRDG는 기존의 자석을 이용한 [[나침반]]이 대원들이 타고다니는 트럭 등에 교란될 것을 우려해 태양을 이용한 나침반을 사용했는데, 이 나침반 또한 배그놀드가 설계한 것이었다. 그는 전쟁 도중이었던 1941년에도 또다른 책을 펴내었다. 모래의 이동에 대한 연구를 담은 《바람에 부는 모래와 사막 사구의 물리학》[* The Physics of Blown Sand and Desert Dunes. 국내 정발된 책이 아니기에 임의로 번역한 제목이다.]이 그것이었다.
          * The Physics of Blown Sand and Desert Dunes
         [[http://www.nytimes.com/1990/06/01/obituaries/ralph-bagnold-94-expert-on-physics-of-sand-in-the-desert.html|(영문)뉴욕타임즈의 랄프 배그놀드 사망 기사]]
  • 러시안 라이프 . . . . 2회 일치
         >The world’s biggest country, in a magazine.
         냉전이 진행중이었던 1956년 처음 발행되었다. 이때의 이름은 "더 USSR"(The USSR). 몇년 후 "소비에트 라이프"로 이름을 바꿨고, [[소련]]이 공중분해되자 현재의 이름으로 이름을 바꿨다.
  • 레킹 크루 . . . . 2회 일치
         애니메이션 [[The Avengers Earth's Mightiest Heroes]]에 등장. [[토르]]에게 패해 수감되었다가 브레이크 아웃 사태로 탈옥했다.
          본명 Dirk Garthwaite. 첫 등장은 The Mighty Thor #148 (January 1968)
  • 맥시 제우스 . . . . 2회 일치
         === Batman : The Animated Series ===
         === The Batman ===
  • 부산광역시 . . . . 2회 일치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9/95/The_Gwangan_Bridge-edit.jpg/120px-The_Gwangan_Bridge-edit.jpg|[[광안대교]]
  • 브로포스/브로 . . . . 2회 일치
         == 더 브로드(The Brode) ==
         == 더 브로페셔널(The Brofessional) ==
  • 세븐 솔저스 오브 빅토리 . . . . 2회 일치
         The Seven Soldiers of Victory
          * [[스터프 더 차이나타운 키드]](Stuff the Chinatown Kid)
          * 스터프 더 차이나타운 키드II(Stuff the Chinatown Kid II)
          * [[앨리어스 더 스파이더]](Alias the Spider)
          * 멘토(Mento)
          * 클라리온 더 위치보이(Klarion the Witch Boy)
  • 시드 마이어의 에이스 패트롤 . . . . 2회 일치
         attachment:AcePatrol.jpg
          * The Eagle
          * The Incinerator
          * A View to the West
  • 아메리카 퍼니스트 홈 비디오 . . . . 2회 일치
         America Funniest Home Video. 미국의 TV 프로. 시청자들이 보낸 홈비디오를 모아서 보여주는 프로그램이다.
         미국 애니메이션 [[사우스 파크]]에 American Stupidest Home Video라는 이름으로 등장한다.
  • 애니멀-베지터블-미네랄맨 . . . . 2회 일치
         [[DC 코믹스]]의 [[슈퍼 빌런]]. 첫등장은 Doom Patrol #89 - The Animal-Vegetable-Mineral Menace! (August 1, 1964)
  • 에이스 컴뱃 5 : 언성 워 . . . . 2회 일치
         Ace Combat 5: The Unsung War. 비행슈팅게임 [[에이스 컴뱃 시리즈]]의 다섯번째 작품.
          * 회색 남자들(Grey Men)
  • 윤흔 . . . . 2회 일치
         * [http://history.yj21.net/Theme/Theme.asp?BC_ID=b1600 윤양: 여주군사]
  • 이민호(1987) . . . . 2회 일치
         [include(틀:다른 뜻1, other1=NC 다이노스의 투수, rd1=이민호(야구선수))]
         ==== 《The Day》 ====
         ||<-5><tablewidth=100%><table bordercolor=#FFF8DC><table bgcolor=white><bgcolor=#FFF8DC><:>{{{#000000 '''The Day'''}}}||
  • 이선희 . . . . 2회 일치
         2016년에는 [[SBS]] "판타스틱 듀오"의 첫방송에 출연하여 5주연속 우승을 차지했다. 최고의 아이돌 가수들과 경쟁하는 모습에 "역시 이선희"라는 찬사가 쏟아졌다. 2016년 9월부터 2017년 3월까지 "The Great Concert LEESUNHEE" 전국 13개도시 23회 공연을 전회 매진으로 진행하였고 2017년 5월 미국 LA와 9월 호주 시드니 오페라하우스에서 해외투어 공연을 열었다.
         * 2006년 《[[The Musician Series]]》
  • 임효준 . . . . 2회 일치
         [[2018년]] [[2월 10일]]에 열린 [[2018년 동계 올림픽 쇼트트랙 남자 1500m|쇼트트랙 남자 1500m]] 예선과 준결승에서 무난히 통과했고, 결승에서는 2분 10초 485의 [[올림픽 기록]]으로 1위를 차지하였다. 이는 [[2018년 동계 올림픽 대한민국 선수단|대한민국 선수단]]의 첫 메달이자 금메달이기도 했다.<ref>http://www.hani.co.kr/arti/sports/sports_general/831734.html#csidxc20cd80bba1b97989951bed5ea919c0</ref> 또한 이번 기록으로 [[2010년 동계 올림픽|2010년 밴쿠버 동계 올림픽]]에서 [[이정수]]가 세웠던 2:10.949의 기록도 경신하게 되었다.<ref name="2018olympics-final">{{웹 인용|title=Short Track Speed Skating Results - Men's 1,500m Final A|url=https://www.pyeongchang2018.com/en/game-time/results/OWG2018/en/short-track-speed-skating/results-men-s-1500m-fnl-a00100-.htm|website=[[2018년 동계 올림픽|2018평창올림픽 공식사이트]]|publisher=[[국제올림픽위원회]]|accessdate=10 February 2018|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180210130015/https://www.pyeongchang2018.com/en/game-time/results/OWG2018/en/short-track-speed-skating/results-men-s-1500m-fnl-a00100-.htm|archivedate=10 February 2018|language=en|date=10 February 2018}}</ref>
         * {{언어링크|en}} [http://www.isu.html.infostradasports.com/cache/TheASP.asp@PageID%3D302037&SportID%3D302&Personid%3D1023295&TaalCode%3D2&StyleID%3D0&Cache%3D2.html?387081 임효준] - [[국제 빙상 연맹]]
  • 장우혁 . . . . 2회 일치
         * Mini 1집 《I Am The Future》([[2011년]])
         * Mini 2집 《Back To The Memories》([[2011년]])
  • 전라북도 . . . . 2회 일치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8/8f/The_Standing_Stone_Buddha_Statue_in_Mangje-dong_5.JPG/220px-The_Standing_Stone_Buddha_Statue_in_Mangje-dong_5.JPG
  • 진창현(음악인) . . . . 2회 일치
         1976년 12월에는 [[미국]]의 [[필라델피아]]에서 개최된 미국 현악기 제작자 협회(The Violin Society of America) 주최의 제2회 국제 현악기 제작자 경연대회에 참가해 여섯 개 부문 중 바이올린 세공 부문, 비올라 세공/음향 부문, 첼로 세공/음향 부문에서 [[http://www.vsaweb.org/Previous-Conventions|금메달을 수상]]하면서 세계구급 제작자로 명성을 확고하게 만들었고,[* Chang Heyern Jin이라고 표기된 수상자가 바로 진창현이다.] 1984년에는 미국 현악기 제작자 협회에서 무감사 현악기 제작자(Hors Concours)[* 다른 악기 제작자나 감정가의 감사 없이 자신의 이름을 내걸고 악기를 제작/판매할 수 있는 장인이라는 뜻.] 자격과 마스터 메이커(Master Maker) 칭호를 받았다.
  • 최두호 . . . . 2회 일치
         |별명 = The Korean Superboy
         |other-wins=0
         |other-losses=0
         | <small>Fight of the Night.</small>
         | <small>Fight of the Night.</small>
         | The Ultimate Fighter: Team Joanna vs. Team Cláudia Finale
         | <small>Performance of the Night.</small>
         | <small>Performance of the Night.</small>
  • 캐리 피셔 . . . . 2회 일치
         스타워즈(Star Wars) 시리즈에서 히로인 [[레아 오르가나 솔로]] 역할을 맡았다. 40여년간 배우로 활동하며 The Blues Brothers, Hannah and Her Sister, The ‘Burbs, When Harry Met Sally 등에 출연했다.
          * Postcards from the Edge : 자서전 적인 소설.
  • 토탈워: 쇼군 2 - 사무라이의 몰락/유닛 . . . . 2회 일치
          * 미국 무역지구(American Trading District) 필요
         ===== 토사 소총병(Tosa Riflemen) =====
          * 미국 무역지구(American Trading District) 필요
  • 토탈워: 쇼군 2/유닛 . . . . 2회 일치
          * '''The Ikko Ikki Clan Pack DLC 필요'''
         ===== 시즈가타케의 창(The Spears of Shizugatake) =====
          * Yari Drill Yard, Encampment 필요.
          * 필요 기술: 해도(Way of the Sea)
  • AEC 장갑차 . . . . 1회 일치
         The Encyclopedia of Weapons of World War II, Chris Bishop, 2002
  • Crusader Kings 2 . . . . 1회 일치
          * '''The Old Gods DLC 필요'''
         attachment:뉴비들의친구1.png
          6. 인물의 문화, 야망, 관심사, 능력치. 야망과 관심사는 Way of the Life DLC를 구매해야 나오는 기능이다. 예시의 무르하는 아일랜드인이며 전체적으로 암담한 능력치를 지니고 있다. 괄호 안의 능력치는 국가 능력치로, 이것이 실질적인 능력치이다. 국가 능력치는 군주 능력치+군주의 배우자 능력치+해당 능력치와 관련된 주요 직책의 능력치이다. 각 능력치에 대한 정보는 다음과 같다.
  • DC's Legends of Tomorrow . . . . 1회 일치
         [[DC 코믹스]] 기반 드라마이며 [[애로우버스]] 소속 드라마 중 하나다. 시즌 1이 끝나고, 시즌 2가 방송 중. 방송국은 [[애로우]], [[플래시(드라마)|플래시]]와 동일한 [[The CW]].
  • MoniWikiOptions . . . . 1회 일치
         `'''$theme='테마이름';'''` 테마
          * 테마를 지정한다. See also MoniWikiTheme
         `'''$theme_css'''`
          * 기본 css의 경로를 설정한다. 기본값은 `$url_prefix.'/css/default.css'` `$theme`를 설정한 경우는 이 값의 초기 설정치가 자동 설정되며, $theme_css=0으로 세팅된 경우에만 CSS를 변경할 수 있다.
         `'''[[$menu]]'''=array('MoniWiki'=>1,'FindPage'=>4,'TitleIndex'=>3,'BlogChanges'=>'','RecentChanges'=>2,'http://kldp.org KLDP'=>9);`
         `'''$menu_bra=""; $menu_cat="";'''`
         `'''$menu_sep'''`
         `'''$blog_comments'''`
          * 1로 설정하면, 블로그 아래 댓글(comment)이 함께 보인다. (기본값 0)
         {{{$extra_macros=array('Comment');}}}
          * CommentMacro 참고
  • Oh! How I Hate To Get Up In The Morning . . . . 1회 일치
         The other day I chanced to meet a soldier friend of mine,
         I asked him how he liked the life, and this is what he said:
         "Oh! how I hate to get up in the morning,
         For the hardest blow of all, is to hear the bugler call;
         Some day I'm going to murder the bugler,
         Some day they're going to find him dead;
         And spend the rest of my life in bed."
         A bugler in the army is the luckiest of men,
         He wakes the boys at five and then goes back to bed again;
         He doesn't have to blow again until the afternoon,
         "Oh! how I hate to get up in the morning,
         For the hardest blow of all, is to hear the bugler call;
         Oh! boy the minute the battle is over,
         Oh! boy the minute the foe is dead;
         And spend the rest of my life in bed."
         "Oh! how I hate to get up in the morning,
         For the hardest blow of all, is to hear the bugler call;
         Some day I'm going to murder the bugler,
         Some day they're going to find him dead;
         And spend the rest of my life in bed."
  • T.O. 모로우 . . . . 1회 일치
         [[DC 코믹스]]의 캐릭터. 첫등장은 The Flash #143(March 1, 1964).
  • The Men Who Built America . . . . 1회 일치
         || attachment:menwhobuiltamerica_group-E.jpeg ||
         || [[http://www.history.com/shows/men-who-built-america/about|이미지 출처]] ||
          * [[시어도어 루즈벨트]](Theodore Roosevelt)
         [[http://www.history.com/shows/men-who-built-america|히스토리의 페이지]]
  • The Tyger . . . . 1회 일치
         The Tyger BY WILLIAM BLAKE
         In the forests of the night;
         Burnt the fire of thine eyes?
         What the hand, dare seize the fire?
         Could twist the sinews of thy heart?
         What the hammer? what the chain,
         What the anvil? what dread grasp,
         When the stars threw down their spears
         And water'd heaven with their tears:
         Did he who made the Lamb make thee?
         In the forests of the night:
  • UserPreferences . . . . 1회 일치
         [[Theme]]
  • Victoria II/기술 및 발명 목록/문화 . . . . 1회 일치
         == Aesthetics(미학) ==
         === Mass Culture & the Avant-Garde(대중문화 & 아방가르드) ===
         === Enlightenment Philosophy(계몽사상) ===
         === Phenomenology & Hermeneutic(현상학 & 해석학) ===
         === The Rights of Man(인권) ===
         === State & Government(국가 & 정부) ===
         === Phenomenalism(현상주의) ===
         === Experimental Psychology(실험적 심리학) ===
  • Victoria II/기술 및 발명 목록/산업 . . . . 1회 일치
          * Rotherham Plough(로더럼 쟁기)
          * Industrialized Armament Industry(산업화된 무기 산업)
         === Experimental Railroad(실험적인 철로) ===
          * Chemotherapy(항암 화학요법)
          * Clinical Thermometers and Binaural Stethoscopes(체온계와 양이청진기)
          * Catalytic Fermentative Process(촉매 발효 공정)
          * Synthetic Dye(합성 염료)
          * Carbon Soil Enrichment(탄소 토지개량)
         === Synthetic Polymers(합성고분자) ===
  • Victoria II/기술 및 발명 목록/육군 . . . . 1회 일치
         attachment:육군기술.png
          * '''Signal Detachment(통신 파견대)'''
          * '''Tank Experiments(전차 실험)'''
         == Light Armament(소형 무기) ==
          * '''Flintlock Rifle Armament (수발식 소총 무장)'''
          * '''Muzzle-loaded Rifle Armament (전장식 소총 무장)'''
          * '''Breech-loaded Rifle Armament (후장식 소총 무장)'''
          * '''Machine Gun Armament (기관총 무장)'''
          * '''Bolt-action Rifle Armament (볼트액션 소총 무장)'''
         == Heavy Armament(대형 병기) ==
         === Heavy Armament(대형 병기) ===
          * '''Replenishment Transport Organisation(수송 조직 보충)'''
          * '''Local Military Government(지방 군사 정부)'''
         === The Command Principle(지휘원칙) ===
         === Army Risk Management(육군 위험관리) ===
  • Victoria II/기술 및 발명 목록/해군 . . . . 1회 일치
         attachment:배박기술.png
         === Main Armament(주무장) ===
          * '''15-inch Main Armament(15인치 주포)'''
          * '''Local Military Government(지방 군사 정부)'''
         === The Command Principle(지휘원칙) ===
         === Naval Risk Management(해군 위험관리) ===
  • 건포인트 . . . . 1회 일치
          루크 파이어암즈의 경쟁사인 인텍스의 CEO. 입이 상당히 험해서 Fuck이라는 말을 자주 한다. 콘웨이와 접선할 때 처음 한말이 "씨발 넌 뭐하는 놈이냐?"[* Who the fuck are you?]일 정도. 콘웨이에게 루크가 진행하는 비밀 프로젝트를 훔쳐올 것을 의뢰한다. 목격자를 살려두지 말라는 말은 덤.
  • 경골목구조 . . . . 1회 일치
          * Battle Cry of Freedom: The Civil War Era, James McPherson, 17p.
  • 고유민 . . . . 1회 일치
         || '''응원가''' || 마이티마우스 - Energy(2015-16 전반기)[br]The Fox - Ylvis(2015-16 후반기 ~ ) ||
  • 국부펀드 . . . . 1회 일치
         이리하여 국부펀드의 영향력이 증가하였으나, 이들의 총자산 등 정보가 비공개 상태라는 점을 염려하여 [[IMF]]에서는 산티아고 원칙 (Santiago Principles)이라는 가이드 라인을 제시했다. 이를 바탕으로 하여 The International Forum of Sovereign Wealth Funds (IFSWF)가 International Working Group of Sovereign Wealth Funds(IWG)에 의하여 출범했다. 2009년 4월에 쿠웨이트에 설립된 IFSWF는 2009년 10월에 멤버들간 정기회의를 아제르바이잔의 바쿠에서 개최하였다. 한국투자공사를 비롯하여 24개 국부펀드가 가입하고 있다.
  • 그랜드 테프트 오토 시리즈 . . . . 1회 일치
         Grand Theft Auto. [[락스타 게임즈]]가 발매하는 범죄 샌드박스 [[게임]] 시리즈. 보통은 GTA라고 줄여부른다. 도시에서 살아가는 범죄자을 주인공으로 한 시리즈.
  • 그랜드 테프트 오토: 산 안드레아스 . . . . 1회 일치
         Grand Theft Auto: San Andreas. 범죄 샌드박스 게임 [[그랜드 테프트 오토 시리즈]]의 시리즈 중 하나. [[캘리포니아]]와 [[라스베가스]]를 모티브로 한 가상의 지역 "산 안드레아스"를 배경으로, 갱단원 "칼 존슨"이 무너진 자신의 [[갱단]]을 다시 일으키는 내용을 담고있다.
  • 나의 히어로 아카데미아/103화 . . . . 1회 일치
         [[나의 히어로 아카데미아]] No. 103. '''The 시험'''
         attachment:Example.jpg
         attachment:Example2.jpg
         attachment:Example3.jpg
         attachment:Example4.jpg
         attachment:Example5.jpg
         attachment:Example6.jpg
         attachment:Example7.jpg
         attachment:Example8.jpg
         attachment:Example9.jpg
         attachment:Example10.jpg
  • 네드 켈리 . . . . 1회 일치
         2003년 개봉된 영화 "네드 켈리"(Ned Kelly)는 네드 켈리를 주인공으로 삼고있다. 네드 켈리 역은 [[히스 레저]]. 그전에 나왔던 1970년작도 있다. 1906년에 나온 켈리 갱 이야기"(The Story of the Kelly Gang)이라는 영화도 있다!
         [[https://www.slv.vic.gov.au/search-discover/explore-collections-theme/australian-history/ned-kelly/ned-kelly-fact-sheet|빅토리아 주립 도서관 홈페이지- 네드 켈리 자료표(영어)]]
  • 눈에서 비늘이 떨어진다 . . . . 1회 일치
         "The scales fall from one's eyes."
  • 다크 유니버스 . . . . 1회 일치
          * [[미이라(2017년 영화)|미이라]](The Mummy)
          * 검은 산호초의 괴물(Creature from the Black Lagoon) (가칭)
          * 오페라의 유령(Phantom of the Opera) (가칭)
          * 사실 유니버설의 고전 괴물 콜라보는 이 다크 유니버스가 처음이 아니다. 1943년에 프랑켄슈타인의 괴물과 늑대인간이 등장하는 <Frankenstein Meets the Wolf Man>이 나왔으며 휴 잭맨 주연 영화 <반 헬싱>은 흡혈귀에 늑대인간, 프랑켄슈타인의 괴물이 한 스크린에 등장한다. 다만 배경 세계 연계는 아니었다.
  • 대부(소설) . . . . 1회 일치
         The Godfather
  • 더 선 . . . . 1회 일치
         [[https://www.thesun.co.uk|홈페이지 링크(영문)]]
         The Sun. 영국의 타블로이드 신문.
         축구 경기 도중 96명의 관중이 압사한 [[힐즈버러 참사]] 당시 리버풀 팬 일부가 사망자의 주머니를 털고, 경찰에게 오줌을 쌌으며 인공호흡을 시도하던 경찰관을 구타했다는 기사를 내보냈다. [[https://www.thesun.co.uk/archives/news/919113/we-are-sorry-for-our-gravest-error/|그리고 23년후 사과 기사를 냈다.]]
  • 데드맨 . . . . 1회 일치
         [[DC 코믹스]]의 캐릭터. 첫 등장은 The Strange Adventures #205. (1967)
  • 둠 패트롤 . . . . 1회 일치
          * 멘토(Mento)
         [[마블 코믹스]]의 [[X-MEN]], [[판타스틱 포]]와 관련하여 논쟁이 있다.
          * 둠 패트롤의 각본가 아널드 드레이크는 [[스탠 리]]의 [[X-MEN]]은 고의적으로 둠 패트롤을 도용한 것이라고 주장했다.다음과 같은 컨셉이 둠 패트롤의 도용이라는 것이다. 둠 패트롤은 1963년 6월에 시작했고, 엑스맨은 그해 9월에 시작했다.
  • 듄 2 . . . . 1회 일치
         Dune II: The Building Of A Dynasty. [[웨스트우드]]에서 개발한 실시간 전략 [[게임]]. SF소설 [[듄 시리즈]]를 배경으로 하고 있다. 아트레이트, 오르도스, 하코넨의 3가문 가운데 1곳을 선택하여 미션을 플레이하여 듄 행성을 정복하는 전개를 가지고 있다.
  • 마법병 . . . . 1회 일치
         이 이름을 명명한 것은 도쿄제국대학 교수로서, 동물학자이자 어류학자였던 이이지마 하지메(飯島 魁)로 알려져 있다. 다만 명명 과정에서 약간의 착각(!)이 있었는데, 1907년 10월 22일자 도쿄 아사히 신문 기사에 따르면, 이이지마 하지메는 "[[이솝 우화]]에 나오는, 뭐든지 바라는 대로 나오는 마법의 병(매직 보틀)"에서 따와서 이름을 붙였다고 하는데 그런 이야기가 이솝 우화에는 없다(…). 아마 다른 동화를 착각했을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 '착각'한 동화는 아마도 [[로버트 스티븐슨]]의 '[[병 속의 악마]](The Bottle Imp)'로 추측된다..
  • 맥스 페인 . . . . 1회 일치
         attachment:MaxPaynePart1.png
         attachment:MP_Int.jpg
          attachment:Max.png?width=200
          attachment:BB.png?width=200
          Punchnello Family. 뉴욕에서 활동하는 마피아 조직. 맥스의 독백에 따르면 "뉴욕 최악의 마피아 패밀리"[* the worst mafia family in New York]. 해당 조직의 언더보스인 잭 루피노가 "발키리"를 밀거래하고 있었기에 맥스가 잠입 수사를 하게 되었다.
          attachment:Lupino.png?width=200
          attachment:Finito.png?width=200
          Finito Brothers. 조이 피니토(Joey Finito)와 비르질리오 피니토(Virgilio Finito). 누가 조이이고 누가 비르질리오인지는 모른다. 루피노 휘하의 부하들로 매춘이 벌어지는 낡은 호텔을 경영하고 있다. 경찰의 잠입수사 요원이라는걸 들킨 맥스를 죽이려고 했으나 맥스에게 역으로 죽는다.
          attachment:Muerte.png?width=200
          attachment:Punchnello.png?width=200
          attachment:Candy.png?width=200
          attachment:Niagara.png?width=200
          Frankie "The Bat" Niagara. 펀치넬로 패밀리의 구성원. 모나가 먹인 약탄 위스키에 기절한 맥스를 의자에 묶어놓고 야구방망이로 두들겨 팼다. 펀치넬로 패밀리에 손해를 입힌 맥스를 개처럼 죽이라는 명령에 따른 것. 잠시 휴식시간을 가지러 바에 간 사이 탈출한 맥스에 의해 죽는다. 사용하는 무기는 듀얼 잉그램.
          attachment:Dime.png?width=200
         attachment:MPayne.png?width=200
         attachment:Vlad.png?width=200
         attachment:Silver.png?width=200
         attachment:Horne.png?width=200
  • 맥스 페인 2: 맥스페인의 몰락 . . . . 1회 일치
         Max Payne 2: The Fall of Max Payne. TPS 게임 시리즈인 [[맥스 페인 시리즈]]의 두번째 작품. 2003년 발매되었다.
         attachment:MP2TFoMP_Int.jpg
          Mike the Cowboy. 러시아 갱단의 일원. 맥스가 마피아들에게 습격당한 블라드의 식당을 찾아갔을 때 처음 만났다. 첫 등장부터 AK-47 한 자루로 네명의 펀치넬로 마피아를 처치하며 나타난다. 이후 맥스와 함께 마피아를 처리한다. 이 과정에서 죽을수도 있다.
  • 맨씽 . . . . 1회 일치
         늪지대의 괴물. 원래 인간 과학자였으며 본명은 시어도어 "테드" 샐리스(Theodore "Ted" Sallis). 슈퍼솔저 혈청을 연구하다가 연인인 [[엘렌 브란트]]가 자신의 연구를 노리는 [[A.I.M]]의 사람이라는 것을 알고서 도망쳤다가 그녀의 총격을 맞고 [[늪]]에 빠지게 되었다. 늪에서 그는 혈청을 마셨는데 그 혈청만이 아니라 늪 자체가 특수한 늪이라서 맨씽이 되었다.
  • 메탈멘 . . . . 1회 일치
         Metal Men
          * [[저스티스 리그]], [[아쿠아맨]], [[THE SANDMAN]] 등과 함께 워너 브라더스와 DC에서 영화화를 호시탐탐 노리는듯 하다.
  • 미래소년 코난 . . . . 1회 일치
         원작이 있다. 알렉산더 케이의 SF소설인 <The Incredible Tide>. 이 소설은 이후 일본에 '남겨진 자들'이란 제목으로 소개되었다. 미야자키 하야오의 회고에 따르면, 당시 일본 애니메이션에서 원작이 없는 오리지널 작품을 만드는 것은 지극히 어려웠다고 한다.
  • 미스터 아톰 . . . . 1회 일치
         [[DC 코믹스]]의 캐릭터. 첫등장은 Captain Marvel Adventures #78 (1947), 이후 The Power of Shazam! #23 (1996)
  • 미이라(2017년 영화) . . . . 1회 일치
         The Mummy
  • 반지닦이 . . . . 1회 일치
         참고로 이 망작 영화 때문에 그린랜턴 : 리버스, 시네스트로 군단의 역습 등, 코믹스 명작 시리즈의 흥행으로 인기가 치솟던 그린랜턴 프랜차일즈의 인기는 찬물을 뒤집어 썻으며, 영화 폭망의 악영향으로 잘 만들어서 평가도 좋던 그린랜턴 The Animated Series 마저 1시즌으로 취소 당하는 등 악재를 거듭 겪게 되었다..(…)
  • 병 속의 악마 . . . . 1회 일치
         The Bottle Imp
         1891년에 발표되었다. 뉴욕 헤럴드(New York Herald)에서 2월-5월, 블랙 앤 화이트 런던(Black and White London)에서 3월에서 4월에 걸쳐서 연재되었다. 1893년 발표된 단편집 Island Nights' Entertainments에 수록되었다.
  • 블러드와인드 . . . . 1회 일치
         [[DC 코믹스]]의 캐릭터. 첫등장은 Justice League America #61 (April 1992). [[뉴52]] 이전부터 존재한 캐릭터다.
  • 블리치/676화 . . . . 1회 일치
         [[블리치]] 676화. '''The Gift'''
         attachment:Example.png
         attachment:Example2.png
         attachment:Example3.png
         attachment:Example.jpg
         attachment:Example2.jpg
  • 블리치/677화 . . . . 1회 일치
         [[블리치]] 677화. '''The Princess Dissection'''
         attachment:Example.png
         attachment:Example2.png
         attachment:Example3.png
         attachment:Example4.png
         attachment:Example5.png
         attachment:Example6.png
         attachment:Example7.png
         attachment:Example8.png
  • 블리치/685화 . . . . 1회 일치
         [[블리치]] 685화. '''The father'''
         attachment:Example7.jpg
         attachment:Example1.jpg
         attachment:Example2.jpg
         attachment:Example3.jpg
         attachment:Example8.jpg
         attachment:Example4.jpg
         attachment:Example9.jpg
         attachment:Example5.jpg
         attachment:Example6.jpg
  • 블리치/686화 . . . . 1회 일치
         [[블리치]] 686화. '''The father 2'''
         attachment:Example.jpg
         attachment:Example2.jpg
         attachment:Example3.jpg
         attachment:Example4.jpg
         attachment:Example5.jpg
         attachment:Example6.jpg
         attachment:Example7.jpg
  • 블리치/690화 . . . . 1회 일치
         [[블리치]] 690화. '''The Future black'''
         attachment:Example.jpg
         attachment:Example2.jpg
         attachment:Example3.jpg
         attachment:Example4.jpg
         attachment:Example5.jpg
         attachment:Example6.jpg
         attachment:Example7.jpg
         attachment:Example8.jpg
         attachment:Example9.jpg
         attachment:Example10.jpg
  • 블리치/696화 . . . . 1회 일치
         [[블리치]] 696화. '''The Blade'''
         attachment:Example.jpg
         attachment:Example2.jpg
         attachment:Example3.jpg
         attachment:Example4.jpg
         attachment:Example5.jpg
         attachment:Example6.jpg
         attachment:Example7.jpg
         attachment:Example8.jpg
         attachment:Example9.jpg
         attachment:Example10.jpg
         attachment:Example11.jpg
  • 송병구 . . . . 1회 일치
         * 2014년 The Big One 8강
  • 스타 연구소 . . . . 1회 일치
         [[DC 코믹스]]에 등장하는 단체. 정식 명칭은 "The Scientific and Technological Advanced Research Laboratories"지만 흔히 스타 연구소로 줄여 쓴다. ~~절대 [[스타크래프트]] 연구소가 아니다!~~
  • 스틸오션/사령관 . . . . 1회 일치
         attachment:더들리_파운드.png
         attachment:토마스_킨케이드.png
         attachment:하라다_시로.png
          * 방뢰 구획(Torpedo Compartment) - 측면 방뢰구획 8% 증가.
         attachment:마이클_해먼드.png
         attachment:후지와라_마코토.png
         attachment:미카사_쇼타로.png
         attachment:레이프_산드레이.png
         attachment:알프레드_폰_티르피츠.png
         attachment:라인하르트_셰어.png
         attachment:칼_폰_뮐러.png
         attachment:펠릭스_폰_루크너.png
         attachment:스티븐_비티.png
         attachment:타케오_쿠리타.png
         attachment:리치몬드_터너.png
         attachment:루이스_마운트배튼.png
          * 방뢰 구획(Torpedo Compartment) - 측면 방뢰구획 8% 증가.
         attachment:랄프_물러.png
         attachment:루카스_슈나이더.png
         attachment:사토_지로.png
  • 시티락 . . . . 1회 일치
         The Sensational Spider-Man #13 (February 1, 1997) 첫등장.
  • 씽(마블 코믹스) . . . . 1회 일치
          * 별명인 싱(Thing)은 말그대로 사람이 아닌 '물건' 같다 해서 붙은 것인데 여기에는 공포와 혐오를 주는 물체를 가리키는 의미도 있다. 보통 구분을 위해 [[더]](The)를 붙이며 동명의 영화가 국내개봉했을 때 '[[괴물]]'로 번역되었다.
  • 아마조 . . . . 1회 일치
         [[DC 코믹스]]의 캐릭터. 첫등장은 The Brave and the Bold #30(July 1, 1960)
  • 아이박 . . . . 1회 일치
         [[샤잠]] 관련 빌런으로 첫등장은 Captain Marvel Adventures #8 - Forward, America! (1942 March 6)[* Atlantis Chronicles라는 정보도 있다.]
         아이박이라는 이름은 인류 역사의 악인들의 이름 첫글자로 구성된 것. 그 각각은 공포의 이반(Ivan the Terrible), 보르지아(Cesare Borgia), 훈족의 아틸라(Attila the Hun), 칼리귤라(Caligula).
  • 애니멘 . . . . 1회 일치
         Ani-Men
  • 애로우버스 . . . . 1회 일치
         The CW의 드라마들이 소속되어 있으며 고담은 회사가 다르기에 해당되지 않는다. 다만 콘스탄틴과 슈퍼걸은 현재 CW에 이전되었다.
  • 에이스 컴뱃 제로 : 더 벨칸 워 . . . . 1회 일치
         Ace Combat Zero: The Belkan War. 비행슈팅게임 [[에이스 컴뱃 시리즈]]의 6번째 작품.
  • 와일드캣 . . . . 1회 일치
         본명은 Theodore Grant. Ted Grant라고도 한다.
  • 울펜슈타인 : 뉴오더 . . . . 1회 일치
         Wolfenstein: The New Order. 머신게임즈가 제작하고 베데스다소프트웍스가 발매한 FPS 게임.
  • 유병수 . . . . 1회 일치
         |사진=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a/a8/Yoo_Byung-SooAugust_19%2C_2013_as_part_of_FC_Rostov_in_match_of_the_Russian_football_championship_of_2013.jpg/220px-Yoo_Byung-SooAugust_19%2C_2013_as_part_of_FC_Rostov_in_match_of_the_Russian_football_championship_of_2013.jpg
         홍익대학교를 휴학한 유병수는 [[K리그 2009|2009 K리그]] 신인 드래프트에서 1순위로 [[인천 유나이티드 FC|인천 유나이티드]]에 지명되며 프로리그에 데뷔했다. 시즌 시작전, [[인천 유나이티드 FC|인천 유나이티드]]는 창단멤버인 [[방승환]]을 팔게 되는데, 이는 주 공격수이자 프랜차이즈 스타인 선수의 이적이므로 팬들의 걱정을 야기시켰으나 오히려 대표이사인 안종복 사장은 "신인 유병수가 그의 자리를 메꿔 줄거라 의심치 않는다" 라는 발언으로 유병수에 대한 믿음을 나타내었다. 또한 인천의 새 감독 [[일리야 페트코비치]] 역시 앞으로 인천을 대표하는 선수로 클 가능성이 높다고 평가했다. 기대를 저버리지 않고, 그는 개막전에서 데뷔골을 성공시키고 무회전 프리킥을 선보이는 등 인상적인 활약을 펼쳤다.<ref>{{웹 인용|url=http://www.newsis.com/article/view.htm?cID=&ar_id=NISX20090308_0001583942 |제목='유병수 데뷔골' 인천, 부산에 1-0 승리 |확인날짜=2010-08-15 |출판사=뉴시스}}</ref> [[2009년]] [[11월]], [[잉글랜드]] [[프리미어리그]]의 [[볼턴 원더러스 FC|볼턴 원더러스]]가 유병수의 영입에 관심이 있다는 이야기가 볼턴 뉴스를 통해 보도되었다.<ref>{{뉴스 인용|제목=Wanderers line up another raid on South Korea |url=http://www.theboltonnews.co.uk/sport/4734025.Wanderers_line_up_another_raid_on_South_Korea/ |출판사=The Bolton News |저자=Marc Iles |날짜=2009년 11월 12일| 확인날짜=2011년 6월 25일}}</ref> 그러나 유병수는 사실무근이라며 기사에 반박했다.<ref>{{웹 인용|url=http://xportsnews.hankyung.com/?ac=article_view&entry_id=107817 |제목=유병수 "볼턴行? 금시초문, 오직 인천 우승이 목표" |확인날짜=2010-08-15 |출판사=엑스포츠뉴스}}</ref> [[K리그 2009|2009 시즌]]이 끝날 때까지 [[김영후]]와 [[K리그 신인선수상|신인왕]] 대결을 펼쳐 많은 주목을 받았다.<ref>{{웹 인용|url=http://sports.khan.co.kr/news/sk_index.html?cat=view&art_id=200910122224013&sec_id=520101&pt=nv |제목=‘유병수 vs 김영후’ K리그 신인왕 경쟁 후끈 |확인날짜=2010-08-15 |출판사=스포츠칸}}</ref> 결국 김영후가 간발의 차로 신인왕의 자리에 올랐지만<ref>{{웹 인용|url=http://xportsnews.hankyung.com/?ac=article_view&entry_id=108762 |제목=김영후, K-리거가 뽑은 2009년 '최고 신인' |확인날짜=2010-08-15 |출판사=엑스포츠뉴스}}</ref> 유병수는 프로 데뷔 첫 시즌만에 자신의 이름을 사람들의 뇌리에 각인시키는데 성공하였다.
         [[K리그 2010|2010 시즌]]이 시작된 후에는 7라운드까지 무득점으로 일관하다가 8라운드 [[포항 스틸러스]]전에서 네 골을 터뜨린 것부터<ref>{{웹 인용|url=http://www.kyeongin.com/news/articleView.html?idxno=513432 |제목=유병수 4골 '펄펄' 6년 만에 진기록 |확인날짜=2010-08-15 |출판사=경인일보}}</ref> 시작해, 강원전까지 네 경기에서 아홉 골을 몰아쳤다. 비슷한 시기에 [[김영후]] 또한 득점포를 터뜨려 언론은 이들의 관계를 다시 한 번 재조명했다.<ref>{{웹 인용|url=http://osen.mt.co.kr/news/view.html?gid=G1008080011 |제목=유병수-김영후는 전생에 부부?...득점 사이클 '비슷' |확인날짜=2010-08-15 |출판사=OSEN}}</ref><ref>{{웹 인용|url=http://joynews.inews24.com/php/news_view.php?g_menu=702210&g_serial=508870 |제목='찰떡궁합(?)' 김영후-유병수, 올해도 경쟁은 계속된다 |확인날짜=2010-08-15 |출판사=아이뉴스24}}</ref> 이후 유병수는 대전전 헤트트릭을 기록하며 리그 20골을 기록, K리그 최연소 한국인 득점왕과 최연소 20골을 달성했다. 마지막 라운드까지 22골을 기록하며 17골을 기록한 [[호세 오르티고사]]를 5골로 따돌리고 [[K리그 2010|2010 시즌]] 득점왕을 차지하였다.<ref>{{뉴스 인용|url=http://www.mydaily.co.kr/news/read.html?newsid=201011071805472239&ext=na |제목=유병수, 올시즌 정규리그 득점왕 |출판사=마이데일리 |날짜=2010-11-07}}</ref> 2011년 2월 22일 유병수는 인천 유나이티드와 2013년 12월까지 계약 연장에 성공했다.<ref>{{뉴스 인용|url=http://osen.mt.co.kr/news/view.html?gid=G1102230096 |제목=유병수, 인천과 2013년까지 계약 연장 |출판사=OSEN |날짜=2011-02-23}}</ref>
  • 이사강 . . . . 1회 일치
         * 2011년 [[UV (음악 그룹)|UV]] - Who Am I
  • 이웃집 잔디는 푸르게 보인다 . . . . 1회 일치
         The grass is always greener on the other side of the fence.
  • 이장훈(배우) . . . . 1회 일치
         * 뮤지컬 《명성황후》 (LA Shubert Theatre)
  • 이케멘 . . . . 1회 일치
         1999년에 잡지에서는 "이케테루 멘즈(Mens)"라는 뜻으로 소개되었다. 2000년 전후에 젊은이들의 유행어로 널리 쓰였다.
  • 이현우 (가수) . . . . 1회 일치
         * 1998년 5집 《Both Sides Of The Story》- Missing You, Just Friends
  • 이호준 (프로게이머) . . . . 1회 일치
         * 2011년: '''2011 North American Star League Season 1 우승'''
  • 이희근 (1929년) . . . . 1회 일치
         * [http://www.airforce.mil.kr:8081/user/indexSub.action?codyMenuSeq=50283&siteId=airforce&menuUIType=sub 대한민국 공군 - 예비역 대한민국 공군 대장 이희근 前 대한민국 공군참모총장]
  • 정인숙 (1945년) . . . . 1회 일치
         * [http://wizard2.sbs.co.kr/w3/template/tp1_review_detail.jsp?vVodId=V0000010101&vProgId=1000082&vMenuId=1001376&cpage=18&vVodCnt1=00750&vVodCnt2=00&vSection=V5&vCompressCode=T1 “나는 여동생을 쏘지 않았다”- 정인숙 피살 사건 - 그것이 알고 싶다]
  • 주다영 . . . . 1회 일치
         * 피아노 - And The Last Kiss (2004년)
  • 창작:치킨교 . . . . 1회 일치
         치킨교는 치킨을 치느님(Chi-nunim, The Chicken God)으로 신격화 하며, 이를 성스러운 존재로 본다. 치킨을 먹는 것을 하나의 신성한 행위로 보며, 신도들은 주기적으로 치킨을 섭취해야 한다고 본다. 그들은 치킨을 섭취하는 의식을 벌이면서 치킨=우주=신과 일체가 되는 행복과 기쁨을 얻는다.
  • 챔피언스 오브 앵거 . . . . 1회 일치
         [[DC 코믹스]]의 [[슈퍼히어로 팀]]. 첫등장은 Justice League of America #87, February (1971)
  • 최운정 . . . . 1회 일치
         ! Tournament !! 2009 !! 2010 !! 2011 !! 2012
         ! Tournament !! 2013 !! 2014 !! 2015
         CUT = missed the half-way cut(2라운드 후 컷 탈락)<br>
         * {{트위터|TheChellaChoi}}
  • 최재혁 (음악가) . . . . 1회 일치
         '''최재혁'''([[1975년]] [[4월 1일]] ~ )은 대한민국의 록 밴드 [[옐로우 몬스터즈]]의 드러머이다. 1998년 [[델리스파이스]] 정규 2집 《[[Welcome To The Delihouse|델리의 집으로 오세요]]》로 데뷔했으며, 2006년 [[델리 스파이스]] 정규 6집 《[[Bombom|BomBom]]》이 발매될때까지 [[델리스파이스]]의 드러머로 활동하였다. 2005년에는 [[윤준호 (음악가)|윤준호]], [[고경천]]과 함께 [[오메가 3 (음악 그룹)|오메가 3]]를 결성해 활동했다. [[2010년]] 록 밴드 [[옐로우 몬스터즈]]에서 드럼을 연주하고 있다.
  • 카네다 쇼타로 . . . . 1회 일치
         태양의 사자의 더빙판인 'The New Adventures of Gigantor'에서의 이름은 'Jimmy Sparks'.[* 다른 캐릭터들도 더빙판에서는 다른 이름이다. 시키시마 박사는 'Bob Brilliant', 오오츠카는 'Inspector Blooper'.]
  • 캐딜락&디노사우르스 . . . . 1회 일치
         후속작인 "캐딜락&디노사우르스 : 두번째 대격변(Cadillacs and Dinosaurs: The Second Cataclysm)"이 세가CD와 PC판으로 나왔는데, 그래픽은 그런대로 괜찮지만 반복되는 플레이와 지나친 급커브 등으로 문제가 많았다.
  • 캡틴 아메리카 . . . . 1회 일치
         Captain America
  • 콜트 M4 카빈 . . . . 1회 일치
         >'''Colt M4.''' The name says it all.
  • 크루세이더즈 . . . . 1회 일치
          The Invaders #14 (March 1, 1977)에서 첫등장. 제2차 세계대전 시절의 영국에서 활동한 팀이다. 코믹스에서도 알수 있듯이 [[인베이더즈]]와 대면.
          Dan the Dyna-mite
          Southern Knights #26 (April 1, 1988)에서 첫등장.
  • 크립토나이트 . . . . 1회 일치
         [[슈퍼맨]]의 대표적인 약점. 본래는 1943년도 슈퍼맨의 라디오 드라마 '슈퍼맨의 모험(The Adventures of Superman)'에 처음으로 등장했다고 한다. 라디오 드라마에서 슈퍼맨을 맡은 배우가 쉬고 싶을때를 위해 만든 물질로 배우가 휴가를 간 사이엔 대역이 크립토나이트 때문에 슈퍼맨이 끙끙대는 것만 연기하면 되었기 때문. 사실 원작자인 제리 시겔이 K-메탈이라는 이름으로 속성이 완전히 같은 물질이 나오는 이야기를 썼었는데 무슨 이유인지 기각되고 시겔이 아이디어를 라디오에 대신 썼다.
  • 템포라 . . . . 1회 일치
         [[https://www.theguardian.com/uk/2013/jun/21/gchq-cables-secret-world-communications-nsa|The Guardian - GCHQ taps fibre-optic cables for secret access to world's communications(영문)]]
  • 토리코/360화 . . . . 1회 일치
         [[토리코]] 360화. '''The smells true identity'''
         attachment:Example.png
         attachment:Example2.png
         attachment:Example3.png
         attachment:Example4.png
         attachment:Example5.png
  • 토리코/363화 . . . . 1회 일치
         [[토리코]] 363화. '''The don gets serious'''
         attachment:Example.png
         attachment:Example2.png
         attachment:Example3.png
         attachment:Example4.png
         attachment:Example5.png
         attachment:Example6.png
         attachment:Example7.png
         attachment:Example8.png
         attachment:Example9.png
         attachment:Example10.png
         attachment:Example.jpg
  • 토이 솔져스: 콜드 워 . . . . 1회 일치
          미국은 (Describe here). 소련은 Red Menace(적색 위협). 스프레이를 이용한 급조 화염방사기.
          미국은 (Describe here). 소련은 Mother Motherland(어머니 모국). 폭죽. 부무장으로 로만 캔들을 사방에 흩뿌릴 수 있다.
  • 토탈워: 쇼군 2 . . . . 1회 일치
          * Rise of the Samurai Campaign
          * The Ikko Ikki Clan Pack
         전투 도중 아군 부대가 패주하면 부관이 "Our men are running from the battlefield! A shameful display!"(우리 병사들이 전장에서 도망치고 있습니다! 부끄러운 모습입니다!)라는 대사를 치며 보고한다. [[https://youtu.be/U6zQ6ZqEqg0|그런데 일본풍 억양]] 때문에 "Shamefur Dispray"라고 불리며 [[밈]]이 된적이 있었다.
  • 토탈워: 쇼군 2 - 사무라이의 몰락/건물 . . . . 1회 일치
         ===== 미국 무역지구(American Trading District) =====
  • 트로피코 4/건물 . . . . 1회 일치
          * The Academy 필요
          * Quick-dry Cement DLC 필요
  • 특이한 세금 . . . . 1회 일치
          * https://www.efile.com/unusual-strange-funny-taxes-throughout-the-world-and-history/
          * http://www.deseretnews.com/top/2311/0/14-weird-taxes-across-America.html
  • 판타스틱 포(1994년 실사영화) . . . . 1회 일치
         The Fantastic Four
  • 판타스틱 포: 실버 서퍼의 위협 . . . . 1회 일치
         Fantastic Four: Rise Of The Silver Surfer
  • 퍼키 팻의 전성시대 . . . . 1회 일치
         The Days Of Perky Pat
  • 페이데이 2/하이스트/베인 . . . . 1회 일치
         == The Alesso Heist ==
  • 프로페서 아이보 . . . . 1회 일치
         [[DC 코믹스]]의 캐릭터. 첫등장은 The Brave and the Bold #30(July 1, 1960).
  • 플래시(DC 코믹스) . . . . 1회 일치
         과거에 드라마가 나왔으며 국내에서도 방송되었다. 또한 The CW에서 만든 드라마 [[플래시(드라마)|플래시]]도 나왔다.
  • 플래시(드라마) . . . . 1회 일치
         [[The CW]]에서 방송하는 [[DC 코믹스]] 기반 드라마이며 [[플래시(DC 코믹스)|플래시]] 주연 드라마다. 동사에서 방송하는 드라마 [[애로우]]의 스핀오프이며 내용이 연계된다. 이는 다른 [[애로우버스]]와도 마찬가지.
  • 핑커톤 . . . . 1회 일치
         || attachment:Pinkerton.png ||
         드라마 [[The Pinkertons]]는 핑커톤의 창립자인 앨런 핑커톤과 그의 아들인 윌리엄 핑커톤, 그리고 핑커톤 소속 탐정인 케이트 와르네[* 밑에 있는 여담에 써진 걔.]를 다룬 드라마다.
  • 허드슨 대학교 . . . . 1회 일치
          * 허드슨 대학 캠퍼스는 '''지구상에서 가장 위험한 곳이다''' http://previously.tv/law-and-order-svu/the-hudson-university-campus-is-the-most-dangerous-place-on-earth/
         DC 코믹스의 허드슨 대학은 1969년에 배트맨(The Batman) 코믹스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다. [[딕 그레이슨]](로빈, 나이트윙)이 이 학교에 다녔던 것으로 묘사된다. 1984년 New Adventures of Superboy 코믹스에서는 슈퍼맨 클락 켄트가 이 학교에 다닐 것을 고려하는 묘사가 있다. 즉, '''[[슈퍼맨]]도 거부한 대학'''이다(…).
         하도 자주 등장하다보니까 허드슨 대학은 로 앤 오드 팬들에게는 그야말로 악명 높은 장소로 찍혔다. 심지어 제작진도 이걸 알고 있어서, 프로듀서가 "당신이 절대로 배우거나 가르치러 가고 싶지 않은 곳이다. 엄청나게 높은 범죄율(It is the one place you never want to go to school or teach at. Very high crime rate.)"라고 발언했을 정도.
  • 황치열 . . . . 1회 일치
         * 2008년 7월 15일 - 싱글 《PS영준 - The Romantic Story》 - 〈너 때문에〉 with PS영준(가수)
         * 2016년 2월 5일 - 중국 나는 가수다 시즌4 4회 '''1위''' 《[http://www.hunantv.com/v/1/290525/c/2975595.html# 뱅뱅뱅 무대영상]》[http://weibo.com/p/10151501_60084672?from=page_101515&mod=home_hotsong&coflag=page_home_remen weibo 음원]
         * 2016년 2월 12일 - 중국 나는 가수다 시즌4 5회 '''6위''' 합산 '''종합3위''' 《[http://www.hunantv.com/v/1/290525/c/2978373.html# 묵(默)무대영상]》[http://www.weibo.com/p/10151501_60114266?from=page_101515&mod=home_hotsong&coflag=page_home_remen weibo 음원]
         * 2015년 11월 19일 [http://www.pikicast.com/#!/menu=landing&content_id=159422 매거진 STELLA] 패션화보 촬영 및 인터뷰
  • 히토데나시 . . . . 1회 일치
          * [[사우스파크]]에서 케니가 죽었을 때 카일과 스탠이 무조건 하는 대사 「Oh my god! They killed Kenny!!」「You bastard!!」에서 'You bastard'가 일본판에서는 '히토데나시'로 번역되었다.
11533의 페이지중에 175개가 발견되었습니다 (3570개의 페이지가 검색됨)

여기을 눌러 제목 찾기를 할 수 있습니다.

Valid XHTML 1.0! Valid CSS! powered by MoniWiki
last modified 2016-07-25 22:05:15
Processing time 3.4164 se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