팝업레이어 알림
팝업레이어 알림이 없습니다.
- 월드 인 컨플릭트/유닛 . . . . 25회 일치
[[미국]]은 M1A1 에이브람스, [[소련]]은 T-80U, [[NATO]]는 독일군 레오파르트2A4. 강력한 체력, 방어력, 공격력을 가진 유닛. 차량과 건물에는 주포를, 보병과 헬리콥터에는 기관총을 사용한다.
* 공격능력: 백린탄(미국, NATO)/파편고폭탄(소련) - 보병에게 치명적인 포탄을 발사한다. 백린탄보다는 파편고폭탄이 다루기 더 쉽다.
미국은 M60A3, 소련은 T-62, NATO는 영국군 치프틴 Mk.5.
* 공격능력: 실레일러 미사일(미국)/AT-4 스피곳 미사일(소련)/HESH탄(NATO) - 차량과 전차에게 강력한 대전차 미사일이나 점착유탄을 발사한다.
미국은 M551A1 셰리던, 소련은 PT-76, NATO는 영국군 FV101 스콜피온. 빠르지만 나약한 전차. 경전차 TA로 공수받을 수도 있다.
* 공격능력: TOW 미사일(미국)/AT-5 스팬드럴 미사일(소련) - 차량과전차에게 강력한 유선 미사일을 발사한다.
* 공격능력: 철갑탄(NATO) - 일정 시간동안 날탄을 사용한다. 기관포탄이 입히는 대미지가 증가한다.
미국은 M2A2 브래들리, 소련은 BMP-2, NATO는 영국군 FV510 워리어. 기관포로 무장한 장갑차. 보병 분대 하나를 탑승시킬 수 있다.
* 공격능력: 고폭소이탄(소련, NATO) - 일정 시간동안 고폭소이탄을 사용한다. 기관포탄에 폭발 효과와 화염 효과가 추가된다.
미국은 AAVP7A1, 소련은 BTR-80, NATO는 독일군 룩스. 기관포로 무장한 장갑차. 보병 분대 하나를 탑승시킬 수 있으며 물 위를 이동할 수 있다. 쓸모없다.
* 공격능력: 헬파이어 미사일(미국)/AT-6 스파이럴 미사일(소련)/HOT 미사일(NATO) - 먼 거리의 차량에게 큰 피해를 입힐 수 있는 대전차 미사일을 발사한다.
미국은 AH-64A 아파치, 소련은 Mi-24V 하인드, NATO는 이탈리아군 A129 망구스타. 로켓과 기관총으로 무장한 공격헬기.
* 공격능력: 사이드와인더 미사일(미국)/빔펠 R-73 미사일(소련)/미스트랄 미사일(NATO) - 적 헬리콥터에게 강력한 공대공 미사일을 발사한다. 플레어로 피할 수 있다.
미국은 AH-1W 슈퍼 코브라, 소련은 Mi-28 하보크, NATO는 SA-341 가젤.
미국은 OH-6A 카이유스, 소련은 Ka-25 호르몬, NATO는 BO-105 PAH-1. 로켓을 사용하는 소형 헬기.
미국은 UH-60 블랙호크, 소련은 Mi-8 힙, NATO는 SA-330 슈퍼 퓨마. 보병 분대 하나를 탑승시킬 수 있다.
소총수 두 명, 대전차병, 대공미사일 운용병, 위생병으로 구성된 분대. 모든 병과에 대처할 수 있는 화력을 가지고 있지만 보병의 나약함으로 인해 숲이나 건물에 짱박아두고 써야한다. 사족으로 NATO 보병은 프랑스군.
미국은 [[HMMWV]], 소련은 UAZ-469, NATO는 영국군 D-90. 기관총으로 무장한 고기동 차량. 보병 분대 하나를 탑승시킬 수 있으며, 손상된 차량을 수리할수도 있다.
미국은 M939, 소련은 우랄 4320, NATO는 TRM 4000. 보병 분대 하나를 탑승시킬 수 있다. 그게 끝.
미국은 M730A2, 소련은 SA-13 고퍼, NATO는 롤랑. 대공미사일로 무장한 대공차량.
- 육성재 . . . . 24회 일치
||<#42B4E6> '''학력''' ||<(> [[구리시|구리]] 서원초등학교 (졸업)[br][[구리시|구리]] [[서원중학교]] (졸업)[br][[창현고등학교]][* 육성재 본인은 창현고에 끝까지 남아있고 싶었다. 하지만 연습생 생활을 하며 염색이나 파마 등을 해야 했는데 당시 창현고가 남자는 스포츠머리, 여자는 귀밑 3cm로 교칙이 빡세기로 유명했던 학교라 '연습생이라서' 의 이유는 통하지 않았다고 한다. 그리고 당시 학년부장 선생님께서 쿨하게 '머리 그따구로 할거면 전학가' (...) 라고 하시고 전학을 적극 추진하셨다고 한다. 그래서 결국 한림예고로 전학갔다.] (전학) → [[한림연예예술고등학교]] 실용무용과 (졸업)[br][[동신대학교]] 실용음악학과[* 대입을 미뤄 21살에 2015학번으로 입학했다. [[서은광]]과 같은 동신대학교 실용음악과다.][* [[http://m.blog.naver.com/iluvbtob/220131626595|출처]]] ||
||<#42B4E6> '''소속그룹''' ||<(> [[BTOB]] ||
||<#42B4E6> '''링크''' ||<(> [[http://twitter.com/BTOB_6SJ|[[파일:트위터 아이콘.png|width=24]]]] [[https://instagram.com/yook_can_do_it|[[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png|width=24]]]] [[http://m.dcinside.com/list.php?id=ysj|[[파일:디시인사이드 아이콘.png|height=25]]]] ||
>'''Born to Beat! 안녕하세요! 비투비 절대 막내 육성재입니다!'''
'''[[K-POP]] 아이돌 그룹 대표 사기캐 BTOB를 대표하는 BTOB 의 복덩이 막내이자 대표 도른자.'''
7인조 보이그룹 [[BTOB]]의 멤버이며 서브보컬을 맡고 있는 한국의 가수, 배우.
1995년생으로 막내지만, 그룹 내 최장신이며 성숙한 얼굴이라 막내라는 느낌을 받을 수 없을 정도다. 하는 짓이 굉장히 밝고 명랑해서 온갖 BTOB 영상에서 지분이 높은 편.
팀내 [[이민혁(BTOB)|비주얼]][[정일훈(BTOB)|라인]]에 속한다. 같은 비주얼 라인인 이민혁과는 '인형'을 커버했다.
2015년 복면가왕에서 [[난 이제 지쳤어요 땡벌]]로 나와 놀라운 성적을 거두었다. 이후 [[후아유 - 학교 2015]]에 ~~서브남주~~ 공태광 역할로 나와 대중에게 확실하게 육성재와 BTOB를 각인시켰다. 실제로 후아유가 종영하고 연말에 발매된 BTOB의 <집으로 가는 길>과 이듬해 연초에 발매된 <봄날의 기억>이 케이블과 지상파 음악방송에서 1위를 거머쥐며 BTOB가 뒤늦게나마 빛을 보았다.
|| 2017년 || Piece of BTOB Vol.6 || 말해 || ||
BTOB의 활동 공백 시기에 진행하는 멤버들의 커버곡 프로젝트` 너의 멜로디가 되어줄게` 커버곡을 정리한 항목.
2014년 너의 멜로디가 되어줄게 시즌2 [[https://youtu.be/IvMvMUw0j_Y|이지훈, 신혜성 <인형>]][* [[이민혁(BTOB)|이민혁]]과 듀엣.]
* 2016년 [[BTOB]] NEW MEN 〈예지앞사〉 - 작사
* 2017년 [[솔로]] Piece of BTOB Vol.6 〈Paradise〉 - 작사, 작곡
* [[BTOB]]는 원래 아이돌이 아니라 5인조 밴드 그룹으로 데뷔하려고 했다고 한다. 그 때문인지 연습생 때 리더를 몰랐다고 라디오에서 밝히기도 했다.
* [[BTOB|비투비]] 멤버들은 다그렇지만 [[Apink|에이핑크]]와도 친하다. 에이핑크의 소속사가 비투비 소속사에서 파생되어서 그런지 연습생 시절부터 친하게지냈고, 동갑내기인 [[김남주(Apink)|김남주]]와 가장 친하다.에이핑크 막내인 [[오하영]]과도 친하다. ~~[[아이돌스타 육상 선수권대회|아육대]]에서 노는 모습도 많이 포착되었다.~~
* 2017년 8월 30일에 발매된 Piece of BTOB Vol.6의 수록곡인 <Paradise>를 작곡하며 작곡에도 흥미가 생겼다고 한다. 처음 하는 데 재밌어서 다음에도 또 해보고 싶었고, [[서은광]]에게 곡도 써주고 싶다고.
* 고등학교 시절 워너원의 [[옹성우]]와 같은 반이었다고 한다.추가로 [[VICTON]]의 [[허찬]]도 같은 반이었다.[* 옹성우와 허찬은 3년 동안 같은반이었다.]온앤오프의 [[와이엇]]도 같은 학교 실용무용과 출신이다.
[[아이돌스타 육상 선수권대회/2016년|2016 설날 아육대]]에서 [[주몽|육몽]] 코스프레(…)를 선보이며 혼성 양궁 경기에 출전해 금메달을 차지했다. ~~[[서은광|같은 팀 리더]]는 [[켄타우로스|말]] 코스프레를 했다~~ ~~타 팬들은 역시 [[BTOB|비투비]]라며 칭찬을, 멜로디들은 역시 내 새끼들(....)이라는 반응을 보였다~~
[[아이돌스타 육상 선수권대회/2016년|2016 추석 아육대]] 남자 양궁 단체전에서는 [[레골라스]]를 패러디한 육골라스(…) 분장을 하고 나왔으나, 개그만 일삼다가 [[몬스타엑스]]에게 18점 차로 KO패를 당해 광탈했다. 첫번째 사수로 나온 [[서은광|광피트]]가 부진한 상태에서 3번째 사수로 나오자마자 3점과 5점을 쏘는 치명적인 실수를 연발했고, 마지막 슈팅 후 오버하는 포즈를 취했는데 문제는 그 다음에 쏜 [[I.M|아이엠]]이 카메라 엑스텐을 기록한 후 육성재와 같은 포즈를 취했다는 것. [[서은광]]이 마지막 사수로 나왔을 때 [[레골라스]] 가발을 벗어던지고 말았다. 결국 [[서은광]]과 육성재의 어이없는 실수로 [[BTOB|비투비]]는 양궁 예선에서 [[광속 탈락|광탈]]했다.
- 신혜성 . . . . 21회 일치
虹の向こう, Gone today(Korea ver.)|
05. Gone today<br />
12. Gone today (Korea ver.)<br />
05. Gone today<br />
:Michael Learns To Rock 'All the best'
:Take Me To Your Heart(Duet With 신혜성)
=== DVD&PHOTO BOOK ===
:FIRST TOUR IN SEOUL
:FIRST TOUR IN SEOUL
:2008 SHIN HYE SUNG LIVE TOUR SIDE1
:PHOTO ESSAY BOOK
:TOUR IN SEOUL
:TOUR IN SEOUL
:SHIN HYE SUNG First Tour The Beginning, New Days...
:SHIN HYE SUNG First Tour The Beginning, New Days...
:SHIN HYE SUNG First Tour The Beginning, New Days...
:TOKYO
:Tokyo International Forum - A Hall
:SHIN HYE SUNG First Tour The Beginning, New Days...
:SHIN HYE SUNG First Tour The Beginning, New Days...
- 장재인 . . . . 8회 일치
[Include(틀:상위 문서, top1=가수/한국)]
[include(틀:슈퍼스타K TOP3)]
|| '''신체''' ||<(> 169cm, 48kg[* [[http://m.newstown.co.kr/news/articleView.html?idxno=209493|장재인, 몸매 망언…"48㎏ 넘으면 몸 무거워"]]], [[B형]] ||
결과는 김지수의 합격. 이 부분에서 많은 시청자들이 놀랐고, 몇몇 사람들은 장재인이 떨어지면 이 프로를 안 본다는 사람들도 나올 정도였다... 하지만 이렇게 떨어뜨릴 ---돈넷--엠넷이 아니지.. 결국 최종 고려자에서 뽑힌뒤, 심층 면접에서 허각과 함께 합격하면서 최종 TOP11에 들어가게 됐다.
=== TOP 11 ===
=== TOP 8 ===
=== TOP 6 ===
=== TOP 4 ===
=== TOP 3 ===
2010년 10월 26일, 이문세 미션에서 불렀던 '가로수 그늘 아래서면' 의 음원이 슈퍼스타k top 11 앨범 중 하나로 싱글커트되어 출시됐다.
2010년 11월 8일, 슈퍼위크 라이벌미션에서 불렀던 '신데렐라'와 엠카에서 강승윤과 부른 '이 세상 살아가다 보면'이 슈퍼스타K Up to 11 앨범의 수록곡으로 출시됐다.
[[파일:external/autotimes.hankyung.com/2011012158111.jpg]]
여담이지만, 프로그램 자체의 시청률도 3화에서 두 배 가까이 올랐다.[[http://www.gooddaysports.co.kr/news/?cset=star&bset=view&tot_code=47&code=37421&dn=20110124|#]]
* [[KBS]]에서 방영한 밴드 서바이벌 프로그램 [[TOP밴드]] 시즌1 우승밴드인 [[톡식]]과는 지인이자 음악적 동료인 관계라고 한다. 16강전때는 톡식을 응원하러 슬로건을 들고 나타나기도 했다.
- 도영(1996) . . . . 6회 일치
루키즈쇼에서 태용과 부른 미공개 곡이 몇 개 있다. 대표적인 곡이 [[https://www.youtube.com/watch?v=5SIOGkxd_B0|Piece of mind]]. 제목이 밝혀지기 전에는 가사에 나오는 단어인 '귓속말'로 알려지기도 했다. 사실 이 곡은 J.cole의 sideline story의 트랙을 빌려와 그 위에 멜로디와 랩을 붙인 곡으로 태용이 연습생 시절 힘들고 지칠때마다 힘이 되어주었던 노래였다고 방송에서 언급하기도 했다. Piece of mind 보다는 덜 알려졌지만 루키즈 쇼에서 두 사람이 부른 또다른 곡인 [[https://www.youtube.com/watch?v=HjMaLw-57qw|Switch off(가제:백열등)]] 또한 정식 발매되기를 원하는 팬들이 종종 있다.
NCT 2018 Empathy에 랩퍼라인인 태용, 마크, 루카스와 함께 참여한 [[https://www.youtube.com/watch?v=gUWDiXBNohY|Yestoday]]에서 장점인 음색이 제대로 발휘되었다. 본인이 밝히기를 쏟아내는 랩들 사이에서 보컬의 목소리가 어떤 식으로 나와야 매력적으로 들릴까를 고민했고 어떻게 하면 두개의 랩 verse 사이를 이어주는 좋은 이음새가 될수 있을까에 대한 생각을 하면서 불렀다고 한다. 마지막 후렴의 Sorry that I walked away는 해외팬들이 특히 좋아하는 부분.
|| 2018년 10월 4일 || [[Touch (Japanese Ver.)]] || NCT 127 || 디지털 싱글 ||
|| 2016년 12월 30일 || 너의 목소리 (Sound of Your Heart) || SMTOWN, Steve Barakatt || 너의 목소리 (Sound of Your Heart) || 이동우, 예성, 써니, 루나, 슬기, 웬디, 태일, Steve Barakatt와 공동 ||
* 손가락이 길고 예쁜 편이다. TOUCH 뮤직비디오에서 [[태일(NCT)|태일]]의 사진을 찍는 장면에 나오는 손의 주인공이 도영이라고. [[https://twitter.com/doyoung__21/status/1011677891447230465|#]]
* [[유타(NCT)|유타]]와는 127 합류 이후 첫 룸메이트였으며 SMTOWN 오사카 공연 당시에도 방을 함께 썼다. 유타가 말하길 도영은 룸메로서 조용하고 매너가 좋다고.
* 드림 멤버들 중 [[마크(NCT)|마크]]를 [[https://www.youtube.com/watch?v=MqWTOIJhTiE|특히 귀여워한다.]] 나중에 아들을 낳으면 민형, 딸을 낳으면 민영이라고 이름을 [[https://www.youtube.com/watch?v=yEydnEk0ubs|짓고 싶다고 할 정도.]] --쟈니, 재현:오바네요-- 그 외에도 마크의 포스터를 침대 위에 붙여놓거나 마크가 엔나나 임시 DJ를 하던 날 '이마크 넌 뭘하던 백점이야'이라며 문자를 보내는 등 여러 일화가 있다. 현재 룸메이트이기도 하다. 마크는 도영을 '나에 대해 잘 알고 있고 맞춰주는 고마운 형'이라고 이야기하였다.
* 전술했듯이 드림 최애는 [[제노(NCT)|제노]], U 최애는 [[정우(NCT)|정우]], 127 최애는 도영 본인(...)이어서 이 세 명의 조합을 최애즈, 또는 도영픽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SMTOWN 오사카 라이브에서 도영과 제노가 정우를 목마 태우고 등장하는 등 깨알 케미를 보여주고 있다. 정우를 내려주자마자 제노 팔이 아팠을까봐 쓰다듬어 주는 것은 덤.
* SMTOWN 콘서트에서 2년 연속으로 Sunday와 함께 '보여'라는 곡을 불렀다. 원곡은 선데이와 딕펑스 김태현의 듀엣곡.
- 승리(빅뱅) . . . . 6회 일치
||<#fde100> '''SNS''' ||<(> [[https://twitter.com/forvictori|트위터]] [[https://instagram.com/seungriseyo|인스타그램]] [[https://www.facebook.com/officialseungri|페이스북]] ||
2012년 9월, "Alive World Tour" 공연 중인 승리.
2012년 9월, "Alive World Tour" 공연 중인 승리.
[[Last Dance Tour]] 서울 막콘에서 이에 대해서 태양이 언급을 했는데, 막상 승리는 그에 대해 크게 상관쓰지 않는 듯 하다. 우리는 우리니까 괜찮다고.
|| '''2''' || '''어쩌라고''' || '''승리, G-DRAGON''' || '''승리, 최필강, BIG TONE''' || '''최필강''' ||
|| '''2''' || '''할 말 있어요 (Gotta Talk to U)''' || '''승리''' || '''승리, 함승천, 강욱진''' || '''함승천, 강욱진''' ||
|| '''4''' || 그 딴 거 없어 (Come to My) || 승리 || 승리, 최필강 || 최필강 ||
|| '''2''' || Gotta Talk to U[* 할말 있어요] -JP Ver.- || 승리, yamamoto chengmei || 승리, 함승천, 강욱진 || 함승천, 강욱진 ||
|| '''3''' || GG Be[* 지지베] -JP Ver.- || 승리, yamamoto chengmei || 강욱진, 승리, 최필강 || 최필강 ||
|| '''4''' || Come to My[* 그딴 거 없어] -JP Ver.- || 승리, yamamoto chengmei || 승리, 최필강 || 최필강 ||
|| '''11''' || White Love -JP Ver.- || 승리,Yamamoto Chengmei || 승리, 최필강 || 최필강 ||
|| '''12''' || The Feelings Painted The Sky || 승리, Yamamoto Chengmei || 승리, 최필강 || 최필강 ||
|| '''13''' || What Can I Do[* 어쩌라고]] -JP Ver.- || 승리, G-DRAGON || 승리, 최필강, BIG TONE || 최필강 ||
|| '''15''' || Gotta Talk to U(Hard Remix) -KR Ver.- || 승리 || 승리, 함승천, 강욱진 || 함승천, 강욱진 ||
|| '''9''' || GOOD LUCK TO YOU || 승리 || 승리, 서원진, R.Tee, 24 || R.Tee, 서원진, 24 ||
||||||<table align=center>[youtube(m2MtOeuCgh8, width=100%)]||||||
|| '''9''' || GOOD LUCK TO YOU || 승리, SUNNY BOY, TA-TROW || 승리, 서원진, R.Tee, 24 || R.Tee, 서원진, 24 ||
SEUNGRI 1ST SOLO TOUR 2018
2008년 5월 24일 빅뱅 [[Global Warning Tour]] 대구 공연이후 약 10년 3개월만에 서울이 아닌 다른 도시에서 열리는 한국 콘서트이다.
|| '''8''' ||<:>Good Luck To You || ||
- 월드 인 컨플릭트/줄거리 . . . . 6회 일치
== Into the Mountains ==
스토리는 4개월 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전역 후 통나무집에서 살고 있던 소여 대령에게 전화가 날아온다. 그에게 전화를 건 국방부 공무원은 소여가 다시 현역으로 전환되어서 유럽 전선에 보내질 것이라고 말한다. 소련군이 지중해에 있던 미해군 제6함대를 전멸시키고 독일에서 승승장구 하는 등 생각보다 선전하자 소여를 유럽으로 보내 NATO군과 연합 작전을 벌이게 하려던 것. 이 말을 들은 소여는 공무원에게 자신이 전역당한 이유를 알고 있냐고 물어본다. 공무원이 그 일은 면제되었다고 대답하자 소여는 면제를 바란게 아니라며 국방부와 관료들을 신나게 까고는 유럽으로 가겠다고 말한다.
1989년 4월, 소련은 협상이 진행되던 도중 서독을 침공해 제3차 세계 대전을 일으켰다. 소련군은 지중해와 대서양 동쪽을 관할하던 미해군 제6함대를 전멸시킨 다음 마르세이유 인근에 상륙했다. 소여가 이끄는 미군들은 그 해 늦가을 유럽에 도착했다. 이들의 임무는 NATO군과 연합해 해당 지역의 소련군을 다시 바다로 되돌려 보내는 것이었다
배넌 대위는 미군-NATO 연합 대대 간부들이 작전 계획을 짜는 현장에 나타난다. 배넌의 자기소개를 들은 소여는 배넌이 한시간이나 늦었다고 질책한 다음 파커 소위와 프랑스군 연락장교 장 사바티에 소령을 소개한다. 사바티에는 자신의 부하들을 만나러 자리를 뜨는 배넌을 보면서 저렇게 열렬한 것을 보니 오늘 내로 죽을 것이라고 평한다. 소여는 지휘관이 전사한 NATO 부대의 지휘를 파커에게 맡긴다. 이 이야기를 들은 사바티에는 "미국놈들은 뭐든지 자기 마음대로 하려한다"고 프랑스어로 불평하지만, "이기기 위해서 필요한 일을 하겠다"고 똑같이 프랑스어로 받아치는 소여를 보고 말문이 막힌다.
소여는 배넌의 전차 중대가 남쪽의 소련군을 막도록 하고, 파커의 NATO 중대가 등대 근처에 위치한 소련군 화력기지를 섬멸하도록 한다. 타국인 병사들을 지휘하는 것이니 잘 하라는 주의는 덤. 사바티에 역시 겁쟁이는 겁쟁이의 죽음을 맞을 것이라고 말하며 그 말을 잘 새겨두라고 말한다.
소여의 목표는 본격적인 NATO 공세가 시작되기 전 시가지에 있는 소련군 사령부를 괴멸시켜 아군의 피해를 최소화 하는 것이었다. 먼저 소여는 파커에게 마을로 향하는 두 다리를 확보하라 지시한 다음 배넌에게 한개 소대는 파커가 확보한 다리들을 방어하게 하고 나머지 부대는 남쪽에서 작전을 수행하는 사바티에를 보호하도록 한다. 배넌은 파커와 함께 작전을 수행하고 싶다며 투덜거리지만 소여는 시가지에서 전차는 무용지물이라며 거부한다. 마지막으로 사바티에는 소련군 사령부 근처의 교회는 12세기에 지어진 유적이니 주의하라고 한다.
- 김희철(1983) . . . . 5회 일치
2011년 9월 1일 입대. [[공익근무요원]]으로 2년 동안 복무하고 2013년 8월 30일에 [[소집해제]]되었다. 공익으로 군 복무를 이행하는 것에 대해 입소 당시 좀 난리였는데 2006년도에 같은 멤버인 [[동해(슈퍼주니어)|동해]]의 부친상에 조문하고서 상경하다 차가 중앙분리대에 충돌하는 사고로 큰 수술을 요하는 중상을 입어[* 대퇴부와 발목 부분 골절상으로 전치 12주의 중상을 입고 뼈에 철심 7개를 박는 대수술이었다.] 4급 판정을 받게 되었다. [* [[아이돌 연구소]]에서는 이렇게 말했다. "사실 방송이든 인터뷰든 저보다 아픈 분도 훨씬 더 많을텐데 제가 방송에서 아프다는 얘기 하면 안 될 것 같았어요. 핑계 대기 싫었거든요." 실제로 [[아는 형님]]에서 [[이승기]]의 훈련병 당시 중대장이자 희철의 중대장이었던 분의 제보에 따르면 희철이 다리가 아픔에도 불구하고 연예인은 군대에서 태만하다는 이미지를 떨치고 싶어서 다리가 죽을 듯이 아파도 훈련에 다 참여했다고 한다.] 다리가 점점 안 좋아지고 있다고. 실제로도 활동을 하면서 과격한 동작은 하지 못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기도 하다. 음악방송을 예로 들면 제대 후인 2014~15년에는 약하게라도 무대를 전부 소화할 수 있었으나,([[https://youtu.be/4y1yRNJ9iuk|#]]) 2017년 [[Black Suit]]에서는 후반부에만 등장했고,([[https://youtu.be/_PMkWwo6xaw|##]]) 반년 뒤 나온 리패키지 [[Lo Siento]]의 무대에는 아예 참여하지 못했다.[* 철심제거 수술을 [[2008년]]에 했는데도 불구하고 교통사고 후유증이 남아 있는 듯 하다. 밴드 오브 브라더스에서는 왼다리로 넘어졌다가 웃고 넘어갔지만 굉장히 아파했고, 아는 형님에서도 닭싸움이나 다리를 심하게 쓰는 코너에서는 제외된다.] 콘서트 무대는 아직까진 잘 소화하는 중이지만, 과격한 안무나 무대 퍼포먼스 후에는 아파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한다. 공익 활동 당시엔 트위터도 없애고 팬들에게 절대 찾아오지 말라며 신신당부를 했고, 성실히 복무했다.[* 성실히 복무를 한 공로로 상장도 받았다. [[파일:external/contents.dt.co.kr/2013083002019919794015.jpg]]] [[https://www.newdaily.co.kr/news/article.html?no=168819&imp=whot|관련기사]] 단, 공익근무시간에 LOL을 한 전적이 있었으며(당시 닉네임: 김기복), 이에 대해 해명하길 친구가 했다고~~대ㄹ..~~ 했다. 아무튼 군 문제에 관해서 대중들의 여론은 대체로 ‘안타깝다’는 의견이 많다. [[이민호(1987)|이민호]]와 같이 현역으로 복무할 수 없었던 명확한 사정이 있기 때문에, 그럼에도 모범적으로 사회복무를 마친 것에 대해 박수를 보내주는 편.
하지만, 결국 2018년 4월 12일에 발매되는 슈퍼주니어 정규 리패키지 앨범의 타이틀곡 '[[Lo Siento]]' 음악방송 방송 활동엔 건강 상의 이유로, 참여하지 못한다는 공식 입장이 발표됐다. 음악 방송 외 기타 홍보 활동에는 정상적으로 참여한다고.
싸이월드에서 서버를 따로 내준 것으로도 유명하다. 본인도 자주 사용했지만 투데이수도 엄청나다. 근데 트위터가 생긴 이후로는 거의 버려두고 있는 중. 트위터 팔로워 수 역시 국내에서 TOP10안에 들 정도. 2011년 11월 기준으로 국내 팔로워 순위 TOP10에서 슈주 멤버만 6명이다. 슈주 내에서 순위는 계속 바뀌는 편. 페이스북도 있었으나 삭제되었는 데, 후에 해킹 때문이라고 언급했다.
또한 와우도 준 [[폐인]] 수준이다. 물론 연예인이라는 직업상 진짜 폐인들과는 비교하기 힘들지만 말이다. 허나 그 많은 스케줄을 소화하면서 취미생활을 한다는걸 생각하면...(...) 또 한 가지 희철이 오덕이라는 증거를 보여주는 단적인 예로 언젠가 [[멍지아|지아]]의 핑크머리를 보컬로이드 [[메구리네 루카]]의 분홍머리와 닮았다면서 같이 트윗한 적이 있다. [[http://article.joins.com/news/article/article.asp?total_id=5128615&cloc=rss|관련기사]]. 돈돈 활동당시 엠 카운트다운에서 본인의 의상 컨셉을 '''[[야가미 이오리]]'''로 잡는다던가...(...) 우리 결혼했어요 세계 판에서는 자기 여자 친구라며 베개를 들고 와 당당하게 바람을 폈다.
2011년 6월 11일 'SMTOWN LIVE WORLD TOUR in PARIS' 공연에서 레이디희희로 또 한 번 분장했다. 여장남자 기믹을 국제적으로도 밀 생각? 이제는 본인도 적당히 즐기는 듯하다.
또한 8집 리패키지 앨범 타이틀곡 '[[Lo Siento]]'는 후반부 랩 파트에 한해서만 참여했다. 2018년 7월 18일 웨이보 라이브를 통해 9월 발표 예정인 앨범 활동은 물론 뮤비 및 자켓 촬영에도 참여하지 못하였다고 밝힌 바 있다.
* [[네이버]] 지도에 찍힌 적이 있다. [[http://map.naver.com/?menu=location&mapMode=0&lat=33.5556595&lng=126.7968916&dlevel=13&tab=1&searchCoord=126.9818674%3B37.5642044&__fromRestorer=true&query=7JuU7KCV66as7ZW067OA&mpx=33.5555758%2C126.7961468%3AZ13%3A0.0038873%2C0.0031302&vrpanotype=3&vrpanoid=vJZepxQe2C85BXylytfkNg%3D%3D&vrpanopan=-179.45&vrpanotilt=-21.49&vrpanofov=120&vrpanolat=33.555659&vrpanolng=126.796892&street=on&vrpanosky=on&vrpanopoi=off&enc=b64|여기]]. 실은 [[올리브(CJ E&M)|올리브]]의 "Maps"라는 프로그램 촬영현장이다. 네이버 지도를 만드는 360도 카메라를 메고 돌아다니는 컨셉의 방송이기에 나온것. 카메라를 메고 있는 사람은 [[쌈디]].
* 이 바닥 13년 경력은 어디 안가는지 정말 압도적인 [[모창]] 실력을 자랑한다. 성대를 모사하는거 뿐만 아니라 포인트를 딱딱 찝어내서 표현하는지라 웃음도 유발하는 아주 좋은 모창머신. 표정, 손의 떨림, 특유의 호흡과 창법까지 똑같이 묘사하여 보이그룹 다 긁어모아도 TOP3 안에 들지 않을까 싶을 정도. 김장훈, 이승환, 조성모, 민경훈 등 여러 가수의 모창을 한다. [[http://tvcast.naver.com/v/456044|영상은 여기로]] 성대모사도 자주 하는데, 이상민의 크라잉랩과 배우 김영철의 궁예 대사를 주로 한다. 배우 김병옥과 닮은 쌍꺼풀 진한 눈 때문에 목소리가 아닌 얼굴에 초점을 맞춘 김병옥의 성대모사를 하기도.
- 태백석탄박물관 . . . . 5회 일치
https://postfiles.pstatic.net/MjAxODAxMTlfMTYw/MDAxNTE2MzA5MzI4Mjk4.pFo7AfQ0buzZX6UKHVX1qT35xmLx4c4BWcwOU09FpeUg.Nrq1D45wT_t-WB01y8tRTOg5hOphCcNQfowxzfYXuaEg.JPEG.kimsung7283/020180118_134134.jpg?type=w773
https://postfiles.pstatic.net/MjAxODAxMTlfMjcw/MDAxNTE2MzA5MzI4NDMy.basm5dZMENJ8XUjAELyLDRv9q6YOUQFqto5w24_f4sEg.Brg4kJ863p8gnElnFLKaAIf9h1epdVxrJnAe2E8-G2Ig.JPEG.kimsung7283/020180118_134156.jpg?type=w773
https://postfiles.pstatic.net/MjAxODAxMTlfMjcy/MDAxNTE2MzA5MzI4NDUz.QFxI8BKeD9FQeQ2NiUCNZzVtoq4D8arWOo7QybrrDIEg.r3IBnypyZt3-GOfokj8k9Bf6P09-znO7U7Eat5TNMB4g.JPEG.kimsung7283/020180118_134225.jpg?type=w773
https://postfiles.pstatic.net/MjAxODAxMTlfNTUg/MDAxNTE2MzA5MzI4NjE2.xblPeSbtyTa_hrN3YbC5PepNULB0Iwt5hkRMqtor0uMg.7e21vzBuC4ljB1IgjBCkPX0Vqn3N4HnaRT9yEMc55egg.JPEG.kimsung7283/020180118_134407.jpg?type=w773
https://postfiles.pstatic.net/MjAxODAxMTlfMTMz/MDAxNTE2MzA5MzI4OTMw.l14pjtEQnxvpbwTCwB395DFyj7DOLlPcjJMCqqMmLGYg.0mQlaWmexZO0wWe_0W2i7rBvYbEia1TO2SuOaSIi6Cgg.JPEG.kimsung7283/020180118_134612.jpg?type=w773
https://postfiles.pstatic.net/MjAxODAxMTlfMjc0/MDAxNTE2MzA5MzI4OTk3.bI7nxvSxVAmwiFteydyymdbQAh2Qm1o4AStedEFVaeUg.DTODbE_04CqbO48WvtTqYohIFfrCVNQdsQnvho6loEkg.JPEG.kimsung7283/020180118_134644.jpg?type=w773
https://postfiles.pstatic.net/MjAxODAxMTlfNSAg/MDAxNTE2MzA5MzI5MTM1.kvgfD2Vt2T6jdhrStWk1O8ODLykFMpYeltobchIDDoYg.ncBgdo3I2ZTFrfUP7wS9RrE7cQCa_wQs4lX-NFWDJ04g.JPEG.kimsung7283/020180118_134752.jpg?type=w773
https://postfiles.pstatic.net/MjAxODAxMTlfOTMg/MDAxNTE2MzA5MzI5MTc0.V7SzHRy0ej7tGkfMlll6NjZVyS85vctsuvMqW4qbUtog.p7N19kIhYJqs0a0CF11lDtVsM-yd0nMGolsnZCp-Ai8g.JPEG.kimsung7283/020180118_134819.jpg?type=w773
https://postfiles.pstatic.net/MjAxODAxMTlfMTk4/MDAxNTE2MzA5MzI5MzA2.XzjnB9aIDRYzLnWOxF7O6FpTIPzHuHj2ORA9CxXVm9Mg.cXaR_gPtogsj4iwq_S-tCLk8WonCShPQVqa-L4ZjYp8g.JPEG.kimsung7283/020180118_134909.jpg?type=w773
https://postfiles.pstatic.net/MjAxODAxMTlfMjIw/MDAxNTE2MzA5MzI5MzIy.pE2IC3cyKZvUQeocZyHETOKP9mFtR1QHo5vvckTgdacg.1R3_-5z_8wbNP00Wa2uVQVB5UGVmKc9owIcNDK8Uc3kg.JPEG.kimsung7283/020180118_134925.jpg?type=w773
https://postfiles.pstatic.net/MjAxODAxMTlfMjA0/MDAxNTE2MzA5Njg4NzU5.jt_1ZsVTXqmVEZjpnMdbktSOZwiBhVnnNTo3m4V70T8g.Ra6j9UbyRxwUofdxXcKqPeeUQpNV4jN8odtJDsjF6CMg.JPEG.kimsung7283/020180118_135510.jpg?type=w773
https://postfiles.pstatic.net/MjAxODAxMTlfMjIy/MDAxNTE2MzA5Njg4OTI0.YvCAhOrdHmx6BPp81u29UK5nCyo9Q2wwWfnz4Ty70dwg.WWDJp7L8Cw_EiMXlcQt0OCkwk6hijg6Oex4-oEbNdTog.JPEG.kimsung7283/020180118_135648.jpg?type=w773
https://postfiles.pstatic.net/MjAxODAxMTlfNjIg/MDAxNTE2MzA5Njg5MjI2.e6GO6E3mhnGc3zq9LqQVfgTTdHJClQFn4QAqWOHne2Ig.KrDKYy_nsA3VaRAptiTPlNtof2BhyaeGomTNAo9zniMg.JPEG.kimsung7283/020180118_135853.jpg?type=w773
https://postfiles.pstatic.net/MjAxODAxMTlfMjk0/MDAxNTE2MzA5NzgzODM4.TgDng3CpbP14O0UXcXhQUDMnNe-lO14CCgVWGpzy8HAg.n7L8UhWYVP_nR3Y-TO8cXoEvyQ0APzDOLo38q0yZoHgg.JPEG.kimsung7283/20180118_135209.jpg?type=w773
https://postfiles.pstatic.net/MjAxODAxMTlfMTcg/MDAxNTE2MzEwMDYzMDk4.5qd8xs5QSi35s0-3XlNhC_zwmserFCgp7gdS73LLXNYg.eymgT_h2bvd6JAo7pwKMkWhRJtOuJb8V61EaEym9xDsg.JPEG.kimsung7283/020180118_141658.jpg?type=w773
- 하이큐/268화 . . . . 5회 일치
* [[네코마 고교]]가 [[사루카와 공고]]의 전략을 눈치챈 시점은 1세트 중반. 첫 번째 TO에서 [[코즈메 켄마]]는 자신을 이용한 유인책을 입안한다.
* 1세트 중반. [[네코마 고교]]는 [[사루카와 공고]]의 부자연스러운 플레이를 눈치챘다. 첫 번째 TO는 그 위화감의 정체가 뭔지, 어떻게 대응할지에 대한 것. 우선 정체는 쉽게 알 수 있었다. 적은 네코마의 뇌이자 심장인 [[코즈메 켄마]]를 지치게 만들 심산이었다. [[야마모토 타케토라]]가 그렇게 상황을 정리했는데 [[하이바 리에프]]가 이해하지 못했다. [[시바야마 유우키]]가 적당히 설명. 그래도 그의 머리로는 알기 어려운 얘기였다.
리에프는 어느 시점부터는 역시 못 알아들었는지 아무튼 블록을 열심히 하겠다고 했고 그 이상을 바라는 사람도 없었다. 이렇게 첫 번째 TO 종료.
여기서 사루카와의 두 번째 TO. 네코마타 감독이 보기에도 적절한 타이밍이었다.
* 그러나 거기서도 경기는 쉽게 끝나지 않았다. 이제 추격자로 입장이 바뀌었지만 그들의 플레이는 변함이 없었다. 사루카와는 31 대 30까지 끈질기게 따라왔다. 코즈메는 짜증이 치밀었다. 야마모토는 첫 번째 TO때 코즈메가 "다들 근성있는 실력자"라고 말한 이유를 알고 있었다. 보나마나 "자기는 해당하지 않는다"고 여기겠지. 어느 정도 맞는 말이다. 악도 깡도 없고 금방 요령 피울 방법만 궁리하니까. 하지만 그것만은 아니었다.
- T.O. 모로우 . . . . 4회 일치
[[천재]] [[과학자]]. 본명은 Tomek Ovadya Morah. [[메탈멘]]을 만든 윌 매그너스의 멘토이기도 했으나 자기 재능을 악용한 악당 과학자이기도 해서 [[슈퍼히어로]]들과 대립하게 되었다.
[[프로페서 아이보]]와 함께 안드로이드인 [[투모로우 우먼]]을 만들기도 했으며 이 투모로우 우먼을 이용해 [[저스티스 리그]]를 공격했으나 실패했다.
애니메이션 [[영 저스티스]]에 등장. 이쪽에서도 레드 토네이도를 만들었으나 결국 그에게 패한다. 한편 극중에 먼저 등장했던 모로우는 진짜가 아니었고 진짜 모로우는 몸 상태가 정상이 아닌 판.
- 김보름 . . . . 4회 일치
| 종목 = [[파일:Speed skating pictogram.svg|25px]] [[스피드 스케이팅]] [[파일:Short track speed skating pictogram.svg|25px]] [[쇼트트랙]]
*2017 MBN 여성스포츠대상 우수상<ref>{{뉴스 인용|url=http://news.joins.com/article/22204353?cloc=rss%7Cnews%7Ctotal_list|제목=우수상 수상하는 김보름|날짜=2017-12-14|뉴스=중앙일보|언어=ko|확인날짜=2017-12-15}}</ref>
{{인용 상자|"초등학교 5학년 때 학교에서 스케이트장에 놀러갔었는데, 그 때 친구 타는 모습이 너무 멋있어 보여서 시작하게 됐어요"<ref name=":8">{{뉴스 인용|url=http://www.icenews.co.kr/entry/SKATER-STORY-%EA%B9%80%EB%B3%B4%EB%A6%84-%ED%8E%B8-%EC%87%BC%ED%8A%B8%ED%8A%B8%EB%9E%99-%EC%A1%B0%EC%97%B0%EC%97%90%EC%84%9C-%EC%8A%A4%ED%94%BC%EB%93%9C-%EC%A3%BC%EC%97%B0%EC%9C%BC%EB%A1%9C%E2%91%A0|제목=[SKATER STORY] 김보름 편 쇼트트랙 조연에서 스피드 주연으로①|날짜=2012-12-21|뉴스=아이스뉴스|확인날짜=2017-03-12}}</ref>}}
2007년 1월 4일 춘천의암실내빙상장에서 열린 제22회 회장배 전국남녀 쇼트트랙 스피드스케이팅대회 중학부 1500m 준결승 2조에서 김보름(성화중 2학년)은 2분27초20으로 5위에 그쳐 결승전 진출에 실패했다.<ref>{{웹 인용|url=http://result.sports.or.kr/sk/schedule_result.jsp?classCd=2&toCd=207001&detailClassCd=04&rhCd=5&page=17&gameDate=&baseClassName=1500M&rhName=%EC%A4%80%EA%B2%B0%EC%8A%B9&kindCd=07&kindNm=%EC%97%AC%EC%9E%90%EC%A4%91%ED%95%99%EB%B6%80&pcntGbn=I&useGbn=|제목=정보제공 _ 대한빙상경기연맹|확인날짜=2017-04-04}}</ref> 3000m 준결승 2조에서는 김보름이 5분38초25로 6위에 그쳐 결승전 진출에 실패했다.<ref>{{웹 인용|url=http://result.sports.or.kr/sk/schedule_result.jsp?classCd=2&toCd=207001&detailClassCd=05&rhCd=5&page=17&gameDate=&baseClassName=3000M&rhName=%EC%A4%80%EA%B2%B0%EC%8A%B9&kindCd=07&kindNm=%EC%97%AC%EC%9E%90%EC%A4%91%ED%95%99%EB%B6%80&pcntGbn=I&useGbn=|제목=정보제공 _ 대한빙상경기연맹|확인날짜=2017-04-04}}</ref>
2007년 2월 22일 고양어울림누리에서 열린 제88회 전국동계체육대회 1500m 준결승 3조에서 김보름은 3분05초02로 5위에 그쳐 결승전 진출에 실패했다.<ref>{{웹 인용|url=http://result.sports.or.kr/sk/schedule_result.jsp?classCd=2&toCd=207088&detailClassCd=04&rhCd=5&page=17&gameDate=&baseClassName=1500M&rhName=%EC%A4%80%EA%B2%B0%EC%8A%B9&kindCd=07&kindNm=%EC%97%AC%EC%9E%90%EC%A4%91%ED%95%99%EB%B6%80&pcntGbn=I&useGbn=|제목=정보제공 _ 대한빙상경기연맹|확인날짜=2017-04-04}}</ref> 23일 열린 3000m 준결승 1조에서는 김보름이 경기중 포기를 했다.<ref>{{웹 인용|url=http://result.sports.or.kr/sk/schedule_result.jsp?classCd=2&toCd=207088&detailClassCd=05&rhCd=5&page=17&gameDate=&baseClassName=3000M&rhName=%EC%A4%80%EA%B2%B0%EC%8A%B9&kindCd=07&kindNm=%EC%97%AC%EC%9E%90%EC%A4%91%ED%95%99%EB%B6%80&pcntGbn=I&useGbn=|제목=정보제공 _ 대한빙상경기연맹|확인날짜=2017-04-04}}</ref> 24일 열린 2000m계주에서는 김보름, 신아름, 김보라, 박연정으로 구성된 대구선발이 3분04초88로 동메달을 차지했다.<ref>{{웹 인용|url=http://result.sports.or.kr/sk/schedule_result.jsp?classCd=2&toCd=207088&detailClassCd=07&rhCd=9&page=17&gameDate=&baseClassName=2000M%EA%B3%84%EC%A3%BC&rhName=%EA%B2%B0%EC%8A%B9&kindCd=07&kindNm=%EC%97%AC%EC%9E%90%EC%A4%91%ED%95%99%EB%B6%80&pcntGbn=T&useGbn=|제목=정보제공 _ 대한빙상경기연맹|확인날짜=2017-04-04}}</ref>
2007년 12월 15, 16일 이틀간 대만에서 열린 2007 아시아쇼트트랙선수권대회에서 황현선(과천중), 송재원(연성중), 김보름(성화중)이 2000m릴레이 주니어부 1위를 차지했다. 1000m에서는 이소연(평촌중)이 1위를 김보름이 2위를 차지했다.<ref name=":3">{{뉴스 인용|url=http://hs1206.tistory.com/108|제목=2007 아시아 쇼트트랙 선수권 결과|날짜=2007-12-15|뉴스=hs1206|언어=ko|확인날짜=2017-03-03}}</ref>
2008년 2월 19일 탄천종합운동장빙상장에서 열린 제89회 전국동계체육대회 1500m에서 김보름(성화중 3학년)은 2분38초35로 동메달을 차지했다.<ref>{{웹 인용|url=http://result.sports.or.kr/sk/schedule_result.jsp?classCd=2&toCd=02G089&detailClassCd=04&rhCd=9&page=17&gameDate=&baseClassName=1500M&rhName=%EA%B2%B0%EC%8A%B9&kindCd=07&kindNm=%EC%97%AC%EC%9E%90%EC%A4%91%ED%95%99%EB%B6%80&pcntGbn=I&useGbn=|제목=정보제공 _ 대한빙상경기연맹|확인날짜=2017-04-04}}</ref> 20일 열린 3000m에서는 김보름이 5분34초04로 6위를 차지했다.<ref>{{웹 인용|url=http://result.sports.or.kr/sk/schedule_result.jsp?classCd=2&toCd=02G089&detailClassCd=05&rhCd=9&page=17&gameDate=&baseClassName=3000M&rhName=%EA%B2%B0%EC%8A%B9&kindCd=07&kindNm=%EC%97%AC%EC%9E%90%EC%A4%91%ED%95%99%EB%B6%80&pcntGbn=I&useGbn=|제목=정보제공 _ 대한빙상경기연맹|확인날짜=2017-04-04}}</ref>
2009년 2월 10일 탄천종합운동장빙상장에서 열린 제90회 전국동계체육대회 1500m에서 김보름(정화여고 1학년)은 2분35초64로 5위를 차지했다.<ref>{{웹 인용|url=http://result.sports.or.kr/sk/schedule_result.jsp?classCd=2&toCd=200902&detailClassCd=04&rhCd=9&page=16&gameDate=&baseClassName=1500M&rhName=%EA%B2%B0%EC%8A%B9&kindCd=08&kindNm=%EC%97%AC%EC%9E%90%EA%B3%A0%EB%93%B1%EB%B6%80&pcntGbn=I&useGbn=|제목=정보제공 _ 대한빙상경기연맹|확인날짜=2017-04-04}}</ref> 11일 열린 3000m에서는 김보름이 6분19초03으로 동메달을 차지했다.<ref>{{웹 인용|url=http://result.sports.or.kr/sk/schedule_result.jsp?classCd=2&toCd=200902&detailClassCd=05&rhCd=9&page=16&gameDate=&baseClassName=3000M&rhName=%EA%B2%B0%EC%8A%B9&kindCd=08&kindNm=%EC%97%AC%EC%9E%90%EA%B3%A0%EB%93%B1%EB%B6%80&pcntGbn=I&useGbn=|제목=정보제공 _ 대한빙상경기연맹|확인날짜=2017-04-04}}</ref>
2010년 2월 2일 탄천종합운동장빙상장에서 열린 제91회 전국동계체육대회 1500m 준결승에서 김보름(정화여고 2학년)은 실격을 당했다.<ref>{{웹 인용|url=http://result.sports.or.kr/sk/schedule_result.jsp?classCd=2&toCd=201001&detailClassCd=04&rhCd=5&page=16&gameDate=&baseClassName=1500M&rhName=%EC%A4%80%EA%B2%B0%EC%8A%B9&kindCd=08&kindNm=%EC%97%AC%EC%9E%90%EA%B3%A0%EB%93%B1%EB%B6%80&pcntGbn=I&useGbn=|제목=정보제공 _ 대한빙상경기연맹|확인날짜=2017-04-04}}</ref> 3일 열린 3000m에서는 김보름이 6분00초10으로 은메달을 차지했다.<ref>{{웹 인용|url=http://result.sports.or.kr/sk/schedule_result.jsp?classCd=2&toCd=201001&detailClassCd=05&rhCd=9&page=16&gameDate=&baseClassName=3000M&rhName=%EA%B2%B0%EC%8A%B9&kindCd=08&kindNm=%EC%97%AC%EC%9E%90%EA%B3%A0%EB%93%B1%EB%B6%80&pcntGbn=I&useGbn=|제목=정보제공 _ 대한빙상경기연맹|확인날짜=2017-04-04}}</ref>
2011년 아시아종목별선수권대회 3000m에서 김보름은 실격을 받았다.<ref name=":13">{{뉴스 인용|url=http://www.icenews.co.kr/entry/SKATER-STORY-%EA%B9%80%EB%B3%B4%EB%A6%84-%ED%8E%B8-%EC%87%BC%ED%8A%B8%ED%8A%B8%EB%9E%99-%EC%A1%B0%EC%97%B0%EC%97%90%EC%84%9C-%EC%8A%A4%ED%94%BC%EB%93%9C-%EC%A3%BC%EC%97%B0%EC%9C%BC%EB%A1%9C%E2%91%A1|제목=[SKATER STORY] 김보름 편 쇼트트랙 조연에서 스피드 주연으로②|날짜=2012-12-21|뉴스=아이스뉴스|확인날짜=2017-03-12}}</ref>
2013년 1월 7일 태릉국제스케이트장에서 열린 제43회 회장배 전국남녀 스피드스케이팅대회 1500m에서 김보름은 2분02초34의 대회신기록으로 1위를 차지했다.<ref>{{웹 인용|url=http://result.sports.or.kr/sk/schedule_result.jsp?classCd=1&toCd=201216&detailClassCd=03&rhCd=19&page=14&gameDate=&baseClassName=1500M&rhName=%EC%A2%85%ED%95%A9&kindCd=09&kindNm=%EC%97%AC%EC%9E%90%EB%8C%80%ED%95%99%EB%B6%80&pcntGbn=I&useGbn=|제목=정보제공 _ 대한빙상경기연맹|확인날짜=2017-04-04}}</ref> 8일 열린 1000m에서는 김보름이 1분20초37로 1위를 차지했다.<ref>{{웹 인용|url=http://result.sports.or.kr/sk/schedule_result.jsp?classCd=1&toCd=201216&detailClassCd=02&rhCd=19&page=14&gameDate=&baseClassName=1000M&rhName=%EC%A2%85%ED%95%A9&kindCd=09&kindNm=%EC%97%AC%EC%9E%90%EB%8C%80%ED%95%99%EB%B6%80&pcntGbn=I&useGbn=|제목=정보제공 _ 대한빙상경기연맹|확인날짜=2017-04-04}}</ref> 팀추월에서는 박도영, 김보름, 임정수로 구성된 한국체육대학교팀이 3분11초86으로 1위를 차지했다.<ref>{{웹 인용|url=http://result.sports.or.kr/sk/schedule_result.jsp?classCd=1&toCd=201216&detailClassCd=08&rhCd=19&page=14&gameDate=&baseClassName=6%EC%A3%BC%20%ED%8C%80%EC%B6%94%EC%9B%94&rhName=%EC%A2%85%ED%95%A9&kindCd=09&kindNm=%EC%97%AC%EC%9E%90%EB%8C%80%ED%95%99%EB%B6%80&pcntGbn=T&useGbn=S|제목=정보제공 _ 대한빙상경기연맹|확인날짜=2017-04-04}}</ref>
김보름은 2013년 1월 21일 태릉국제스케이트장에서 열린 2013 전국남녀 종별종합스피드스케이팅선수권대회 500m에서 41초33으로 3위,<ref>{{웹 인용|url=http://result.sports.or.kr/sk/schedule_result.jsp?classCd=1&toCd=201217&detailClassCd=01&rhCd=19&page=14&gameDate=&baseClassName=500M&rhName=%EC%A2%85%ED%95%A9&kindCd=09&kindNm=%EC%97%AC%EC%9E%90%EB%8C%80%ED%95%99%EB%B6%80&pcntGbn=I&useGbn=S|제목=정보제공 _ 대한빙상경기연맹|확인날짜=2017-04-04}}</ref> 22일 열린 1000m에서 1분20초38의 대회신기록으로 1위,<ref>{{웹 인용|url=http://result.sports.or.kr/sk/schedule_result.jsp?classCd=1&toCd=201217&detailClassCd=02&rhCd=19&page=14&gameDate=&baseClassName=1000M&rhName=%EC%A2%85%ED%95%A9&kindCd=09&kindNm=%EC%97%AC%EC%9E%90%EB%8C%80%ED%95%99%EB%B6%80&pcntGbn=I&useGbn=S|제목=정보제공 _ 대한빙상경기연맹|확인날짜=2017-04-04}}</ref> 1500m에서 2분00초94의 대회신기록으로 1위,<ref>{{웹 인용|url=http://result.sports.or.kr/sk/schedule_result.jsp?classCd=1&toCd=201217&detailClassCd=03&rhCd=19&page=14&gameDate=&baseClassName=1500M&rhName=%EC%A2%85%ED%95%A9&kindCd=09&kindNm=%EC%97%AC%EC%9E%90%EB%8C%80%ED%95%99%EB%B6%80&pcntGbn=I&useGbn=Q|제목=정보제공 _ 대한빙상경기연맹|확인날짜=2017-04-04}}</ref> 23일 열린 3000m에서 4분18초04의 대회신기록으로 1위를 하며 종합우승을 차지했다.<ref>{{웹 인용|url=http://result.sports.or.kr/sk/schedule_result.jsp?classCd=1&toCd=201217&detailClassCd=04&rhCd=19&page=14&gameDate=&baseClassName=3000M&rhName=%EC%A2%85%ED%95%A9&kindCd=09&kindNm=%EC%97%AC%EC%9E%90%EB%8C%80%ED%95%99%EB%B6%80&pcntGbn=I&useGbn=Q|제목=정보제공 _ 대한빙상경기연맹|확인날짜=2017-04-04}}</ref>
2013년 3월 21일 러시아 소치에서 열린 2013 국제빙상경기연맹 스피드스케이팅종목별세계선수권대회 3000m에서 김보름은 4분12초69로 9위를 차지했다. 22일 열린 1500m에서는 김보름이 1분59초15로 11위를 차지했다.<ref name=":24" /> 24일 열린 팀추월에서는 김보름-노선영(용인시청)-박도영(한국체대)로 구성된 팀추월 대표팀이 3분05초32의 기록으로 네덜란드(3분00초02), 폴란드(3분04초91)에 이어 3위에 올라 사상첫 팀추월 메달을 획득했다.<ref>{{뉴스 인용|url=http://sposworld.tistory.com/513|제목=2013 국제빙상경기연맹(ISU) 종목별 세계선수권대회 이상화,모태범 2연패 달성|날짜=2013-03-25|뉴스=스포츠 월드|확인날짜=2017-03-13}}</ref>
김보름은 2013년 12월 23일 태릉국제스케이트장에서 열린 제68회 전국남녀 종합스피드스케이팅선수권대회 500m에서 41초77로 2위,<ref>{{웹 인용|url=http://result.sports.or.kr/sk/schedule_result.jsp?classCd=1&toCd=201315&detailClassCd=01&rhCd=19&page=11&gameDate=&baseClassName=500M&rhName=%EC%A2%85%ED%95%A9&kindCd=22&kindNm=%EC%97%AC%EC%9E%90%EB%B6%80&pcntGbn=I&useGbn=S|제목=정보제공 _ 대한빙상경기연맹|확인날짜=2017-04-04}}</ref> 3000m에서 4분18초76으로 1위,<ref>{{웹 인용|url=http://result.sports.or.kr/sk/schedule_result.jsp?classCd=1&toCd=201315&detailClassCd=04&rhCd=19&page=11&gameDate=&baseClassName=3000M&rhName=%EC%A2%85%ED%95%A9&kindCd=22&kindNm=%EC%97%AC%EC%9E%90%EB%B6%80&pcntGbn=I&useGbn=S|제목=정보제공 _ 대한빙상경기연맹|확인날짜=2017-04-04}}</ref> 24일 열린 1500m에서 2분03초54로 1위,<ref>{{웹 인용|url=http://result.sports.or.kr/sk/schedule_result.jsp?classCd=1&toCd=201315&detailClassCd=03&rhCd=19&page=11&gameDate=&baseClassName=1500M&rhName=%EC%A2%85%ED%95%A9&kindCd=22&kindNm=%EC%97%AC%EC%9E%90%EB%B6%80&pcntGbn=I&useGbn=S|제목=정보제공 _ 대한빙상경기연맹|확인날짜=2017-04-04}}</ref> 5000m에서 7분26초06의 대회신기록으로 1위를 하며 종합 우승을 차지했다.<ref>{{웹 인용|url=http://result.sports.or.kr/sk/schedule_result.jsp?classCd=1&toCd=201315&detailClassCd=05&rhCd=19&page=11&gameDate=&baseClassName=5000M&rhName=%EC%A2%85%ED%95%A9&kindCd=22&kindNm=%EC%97%AC%EC%9E%90%EB%B6%80&pcntGbn=I&useGbn=S|제목=정보제공 _ 대한빙상경기연맹|확인날짜=2017-04-04}}</ref>
2014년 1월 7일 태릉국제스케이트장에서 열린 제44회 회장배 전국남녀 스피드스케이팅대회 1500m에서 김보름은 2분01초01의 대회신기록으로 1위를 차지했다.<ref>{{웹 인용|url=http://result.sports.or.kr/sk/schedule_result.jsp?classCd=1&toCd=201316&detailClassCd=03&rhCd=19&page=11&gameDate=&baseClassName=1500M&rhName=%EC%A2%85%ED%95%A9&kindCd=09&kindNm=%EC%97%AC%EC%9E%90%EB%8C%80%ED%95%99%EB%B6%80&pcntGbn=I&useGbn=|제목=정보제공 _ 대한빙상경기연맹|확인날짜=2017-04-04}}</ref> 8일 열린 1000m에서는 김보름이 1분19초94로 2위를 차지했다.<ref>{{웹 인용|url=http://result.sports.or.kr/sk/schedule_result.jsp?classCd=1&toCd=201316&detailClassCd=02&rhCd=19&page=11&gameDate=&baseClassName=1000M&rhName=%EC%A2%85%ED%95%A9&kindCd=09&kindNm=%EC%97%AC%EC%9E%90%EB%8C%80%ED%95%99%EB%B6%80&pcntGbn=I&useGbn=|제목=정보제공 _ 대한빙상경기연맹|확인날짜=2017-04-04}}</ref>
2014년 2월 9일 러시아 소치 아들레르 아레나서 열린 소치 동계올림픽 3000m 부문에서 김보름(21)은 4분12초08의 기록으로로 13위를 차지했다. 이날 3조로 경기를 치른 김보름은 21초05로 200m 구간을 통과한 후 2분31초34로 1800m 구간을 지났다. 이후 2200m 구간 통과 순간부터 스피드를 올리며 후반 들어 스퍼트를 올렸고, 결국 하위권이 아닌 중위권 기록을 남겼다. 김보름의 순위인 13위는 지난 2006 토리노 올림픽, 2010 밴쿠버 올림픽 당시 노선영(25-강원도청)이 기록한 19위를 넘어 한국 여자 3000m 부문의 가장 높은 순위다. 5조의 노선영은 4분19초02를 기록했다. 노선영은 200m 구간에서 21초32의 기록으로 지난 이후 속도를 올리지 못한 채로 결승점을 통과했다. 결국 노선영은 전체 26위의 성적을 남기며 경기를 마쳤다. 6조에서 경기를 소화한 양신영(24-전북도청)은 4분23초67을 기록해 이날 대회를 뛴 28명 중 최저의 기록을 남겼다. 한편 이날 대회는 4분00초34의 이레네 부스트(네덜란드)가 2006년 토리노 동계올림픽 이후 8년 만에 금메달을 다시 가져갔다. 대회 2연패를 노린 2위 마르티나 사블리코바(체코-4분01초95)와 3위 올가 그라프(러시아-4분03초47)에 앞선 기록이다.<ref>{{웹 인용|url=http://www.newstomato.com/readNews.aspx?no=441654|제목=(소치올림픽)김보름, 스피드스케이팅 여자 3000m 13위..금메달 부스트|확인날짜=2017-03-21}}</ref> 16일 열린 1500m에서는 네덜란드의 요리엔 테르모르스가 1분53초51의 올림픽 기록으로 금메달을 차지했다. 은메달과 동메달도 네덜란드 선수들이 휩쓸었다. 은메달은 이레인 뷔스트(1분54초09)에게 돌아갔고 동메달은 하를로터 판바이크(1분54초54)가 주인이 됐다. 심지어 4위도 네덜란드 선수인 마리트 리엔스트라(1분56초40)가 차지했다. 김보름은 1분59초78로 21위에 올랐다. 노선영(25-강원도청)은 2분01초07로 29위, 양신영(24-전북도청)은 2분04초13으로 최하위인 36위에 그쳤다.<ref>{{웹 인용|url=http://starin.edaily.co.kr/news/NewsRead.edy?SCD=EB33&newsid=01079126605991504&DCD=A20402|제목=[소치올림픽]테르모르스, 전날 쇼트트랙 뛰고 빙속1500m 올림픽新 금|성=포털|이름=Ⓒ 함께 만들고 함께 즐기는 엔터테인먼트|성2=무단전재|이름2=‘이데일리 스타in’-|날짜=2014-02-17|확인날짜=2017-03-21|성3=금지|이름3=재배포}}</ref> 김보름은 무릎 통증이 있어 5000m를 기권했다.<ref>{{뉴스 인용|url=http://www.segye.com/content/html/2014/02/19/20140219004640.html|제목=빙속 김보름, 女 5000m 기권…팀추월 집중|성=세계일보|날짜=2014-02-19|뉴스=빙속 김보름, 女 5000m 기권…팀추월 집중 - 세상을 보는 눈, 글로벌 미디어 - 세계닷컴 -|확인날짜=2017-03-13}}</ref> 22일 열린 팀추월 파이널D(7-8위 결정전)에서 김보름, 노선영(25, 강원도청), 양신영(24, 전북도청)이 나란히 달린 여자 팀추월 대표팀은 노르웨이에 져 8위로 대회를 마쳤다. 전날 8강전에서 일본에 져 준결승 진출에 실패한 여자 대표팀은 이날 3분11초54만에 마지막 주자가 결승선을 통과해 3분8초35를 기록한 노르웨이에 패했다.<ref>{{뉴스 인용|url=http://www.newsway.co.kr/view.php?tp=1&ud=2014022223322278172|제목=김보름·노선영·양신영 여자 스피드스케이팅 팀추월 8위에 그쳐|뉴스=뉴스웨이|확인날짜=2017-03-13}}</ref>
2014년 3월 8일 태릉국제스케이트장에서 열린 제49회 고빙상인추모 전국남녀 스피드스케이팅대회 1500m에서 김보름은 2분03초05의 대회신기록으로 1위를 차지했다.<ref>{{웹 인용|url=http://result.sports.or.kr/sk/schedule_result.jsp?classCd=1&toCd=201302&detailClassCd=03&rhCd=19&page=10&gameDate=&baseClassName=1500M&rhName=%EC%A2%85%ED%95%A9&kindCd=09&kindNm=%EC%97%AC%EC%9E%90%EB%8C%80%ED%95%99%EB%B6%80&pcntGbn=I&useGbn=Q|제목=정보제공 _ 대한빙상경기연맹|확인날짜=2017-04-05}}</ref> 9일 열린 3000m에서는 김보름이 4분21초75로 1위를 차지했다.<ref>{{웹 인용|url=http://result.sports.or.kr/sk/schedule_result.jsp?classCd=1&toCd=201302&detailClassCd=04&rhCd=19&page=10&gameDate=&baseClassName=3000M&rhName=%EC%A2%85%ED%95%A9&kindCd=09&kindNm=%EC%97%AC%EC%9E%90%EB%8C%80%ED%95%99%EB%B6%80&pcntGbn=I&useGbn=Q|제목=정보제공 _ 대한빙상경기연맹|확인날짜=2017-04-05}}</ref>
2014년 3월 13일 태릉국제스케이트장에서 열린 제47회 전국남녀 대학대항스피드스케이팅대회 3000m에서 김보름은 4분24초88로 1위를 차지했다.<ref>{{웹 인용|url=http://result.sports.or.kr/sk/schedule_result.jsp?classCd=1&toCd=201326&detailClassCd=04&rhCd=19&page=10&gameDate=&baseClassName=3000M&rhName=%EC%A2%85%ED%95%A9&kindCd=09&kindNm=%EC%97%AC%EC%9E%90%EB%8C%80%ED%95%99%EB%B6%80&pcntGbn=I&useGbn=Q|제목=정보제공 _ 대한빙상경기연맹|확인날짜=2017-04-05}}</ref> 14일 열린 1500m에서는 김보름이 2분03초49로 1위를 차지했다.<ref>{{웹 인용|url=http://result.sports.or.kr/sk/schedule_result.jsp?classCd=1&toCd=201326&detailClassCd=03&rhCd=19&page=10&gameDate=&baseClassName=1500M&rhName=%EC%A2%85%ED%95%A9&kindCd=09&kindNm=%EC%97%AC%EC%9E%90%EB%8C%80%ED%95%99%EB%B6%80&pcntGbn=I&useGbn=Q|제목=정보제공 _ 대한빙상경기연맹|확인날짜=2017-04-05}}</ref>
2014년 10월 29일 부터 31일 까지 서울 노원구 태릉국제스케이트장에서 열린 제49회 전국남녀 종목별스피드스케이팅선수권대회 3000m에서 김보름이 4분24초06으로 1위에 올랐고, 전예진(한국체대-4분24초29)이 뒤를 이어 국가대표가 되었다.<ref>{{뉴스 인용|url=http://m.kbmaeil.com/news/articleView.html?idxno=334413|제목=빙속여제 이상화 적수가 없다|언어=ko|확인날짜=2017-03-14}}</ref> 1500m에서는 노선영(강원도청)이 2분05초00으로 1위, 김보름이 2분06초75로 2위, 박초원(노원고등학교)이 2분06초99로 3위를 차지하며 국가대표가 되었다.<ref>{{뉴스 인용|url=http://giantorenge.tistory.com/269|제목=2014 제49회 전국남녀 종목별 스피드스케이팅 선수권대회|날짜=2014-11-01|뉴스=OOOOOOOOrenge|확인날짜=2017-03-14}}</ref>
2015년 1월 5일 태릉국제스케이트장에서 열린 제45회 회장배 전국남녀 스피드스케이팅대회 1500m에서 김보름은 2분02초49로 1위를 차지했다.<ref>{{웹 인용|url=http://result.sports.or.kr/sk/schedule_result.jsp?classCd=1&toCd=201416&detailClassCd=03&rhCd=19&page=8&gameDate=&baseClassName=1500M&rhName=%EC%A2%85%ED%95%A9&kindCd=09&kindNm=%EC%97%AC%EC%9E%90%EB%8C%80%ED%95%99%EB%B6%80&pcntGbn=I&useGbn=|제목=정보제공 _ 대한빙상경기연맹|확인날짜=2017-04-06}}</ref> 6일 열린 1000m에서는 김보름이 1분20초54로 3위를 차지했다.<ref>{{웹 인용|url=http://result.sports.or.kr/sk/schedule_result.jsp?classCd=1&toCd=201416&detailClassCd=02&rhCd=19&page=8&gameDate=&baseClassName=1000M&rhName=%EC%A2%85%ED%95%A9&kindCd=09&kindNm=%EC%97%AC%EC%9E%90%EB%8C%80%ED%95%99%EB%B6%80&pcntGbn=I&useGbn=|제목=정보제공 _ 대한빙상경기연맹|확인날짜=2017-04-06}}</ref> 팀추월에서는 전예진, 김보름, 박도여으로 구성된 한국체육대학교팀이 3분19초73으로 1위를 차지했다.<ref>{{웹 인용|url=http://result.sports.or.kr/sk/schedule_result.jsp?classCd=1&toCd=201416&detailClassCd=08&rhCd=19&page=8&gameDate=&baseClassName=6%EC%A3%BC%20%ED%8C%80%EC%B6%94%EC%9B%94&rhName=%EC%A2%85%ED%95%A9&kindCd=09&kindNm=%EC%97%AC%EC%9E%90%EB%8C%80%ED%95%99%EB%B6%80&pcntGbn=T&useGbn=|제목=정보제공 _ 대한빙상경기연맹|확인날짜=2017-04-06}}</ref>
- 부산광역시 . . . . 4회 일치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1/11/RENAULT_SAMSUNG_MOTORS.JPG/220px-RENAULT_SAMSUNG_MOTORS.JPG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5/5f/Busan_Lotte_town_4.jpg/220px-Busan_Lotte_town_4.jpg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6/64/Korea-Busan_Tower-01.jpg/90px-Korea-Busan_Tower-01.jpg|[[부산타워]]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c/ce/BUSAN_CITY_TOUR_BUS_BUSAN_SOUTH_KOREA_OCT_2012.jpg/220px-BUSAN_CITY_TOUR_BUS_BUSAN_SOUTH_KOREA_OCT_2012.jpg
- 서울특별시/인물 . . . . 4회 일치
* [[임현식(BTOB)|임현식]] - 도봉구
* [[이민혁(BTOB)|이민혁]] - 노원구
* [[임세준(VICTON)|임세준]] - 성동구
* [[정일훈(BTOB)|정일훈]] - 강남구
- 차선우 . . . . 4회 일치
||<:> '''10''' ||<:> WONDERFUL TONIGHT [br] (UNPLUGGED REMIX) ||
||<:> '''08''' ||<:> To my star ||
이후에도 [[아이돌스타 육상 선수권대회|아육대]]에서는 [[아이돌스타 육상 선수권대회/2014년|2014 설날]] 60m 은메달, [[아이돌스타 육상 선수권대회/2015년|2015 추석]] 60m 은메달을 획득하는 등 [[BTOB|비투비]]의 [[이민혁(BTOB)|이민혁]]과 어깨를 나란히 하며 육상 시상대를 씹어먹어 왔으나, 가장 최근에 출전한 [[아이돌스타 육상 선수권대회/2016년|2016 추석]] 육상 60m에는 결승전 때 새로운 육상 다크호스로 떠오른 [[스누퍼]] 우성의 등장으로 5위에 머무르며 영원한 라이벌 [[이민혁(BTOB)|이민혁]]과 함께 하위권으로 밀려나고 말았다.
* 생일 인터뷰에서 언급한 태몽이 2가지 이다. 하얀 강아지가 바로의 어머니를 계속 쫒아왔다는 것,[* 2012년 당시의 생일 인터뷰 참조 [[http://isplus.live.joins.com/news/article/article.asp?total_id=9244782&ctg=|#]] ] 그리고 바로의 어머니께서 엄청 크고 하얀 무를 뽑으셨다는 것[* 2016년 당시의 생일 인터뷰 참조 [[http://www.focus.kr/view.php?key=2016090500215226146|#]]]이다.
- 하이큐/238화 . . . . 4회 일치
점수는 20 대 18로 2점차. 여기서 츠바키하라가 두 번째 TO를 사용한다. [[오오사도 타츠미]] 감독은 적의 흐름을 끊고 자군 선수들을 격려하려고 하는데 TO에서도 선수들이 신경스는 건 마이너스 템포. 보고 반응은 할 수 있지만 아슬아슬하게 늦어버린다.
* 관중석에서도 히나타의 속공이 인기만점. "10번은 공중에서 멈춘 것 같다"고 말해진다. [[엔노시타 치카라]]는 TO 때 스기와라가 말한 "후방 마이너스"가 뭐냐고 묻는다. 그건 스가와라가 붙인 괴짜속공의 새로운 이름. 스기와라는 괜찮은 이름 아니냐며 으시댄다. 카게야마는 별로 신경 안 쓰지만 히나타는 엄청나게 감동. [[니시노야 유]]는 뒤에 "썬더"더 붙이자고 제안하지만 그럼 니시노야의 필살기 같아진다며 거절 당한다.
잡담과는 별개로 카게야마는 히나타에게 "TO 끝난 다음 서브 미스내지 마라"고 경고한다. 히나타는 당연하다고 말했지만, 막상 코트에 돌아갔을 땐 보라 듯이 서브 미스를 내고 카게야마의 눈총을 산다. 그리고 히나타가 나가고 니시노야가 들어온다.
- 하이큐/240화 . . . . 4회 일치
* 카라스노 진영에선 동점으로 따라잡히자 TO를 걸어서 견제한다. [[우카이 케이신]] 코치는 천장서브에 대한 대처법을 신속하게 전달하지만 선수들이 얼마나 빨리 적응할지는 모르는 일이다. 중계석에선 우카이 코치를 소개하며 그의 할아버지이며 명장이었던 [[우카이 잇케츠]] 감독에 대해 언급한다. 얼굴만큼은 할아버지와 확실히 닮았다는 듯.
* 히메카와의 2회차 서브. TO로 한 번 흐름이 끊겼지만 히메카와의 감각은 전혀 흐트러지지 않았다. 본래 천장서브란 천재적인 센터였던 "네코타 카츠토시"란 선수가 창안한 것이다. 리시브 시에 조명의 영향을 크게 받으며 낙하 속도가 빨라 정확한 위치를 잡기 까다로운 서브다.
* 천장 서브를 앞세워 흐름을 완전히 가져온 츠바키하라. 카라스노는 곧바로 두 번째 TO를 부른다. 1세트 이후 침채됐던 츠바키하라의 응원단이 불붙은 것처럼 살아나고 카라스노 진영의 사기는 꺾인다.
* 두 번째 TO. 카게야마는 리시브를 좀 더 높게 올려줄 것을 주문한다. 리시브에 계속 실패하는 사와무라와 아즈마네는 눈치가 보인다.
- 강타 . . . . 3회 일치
|웹사이트 = [http://kangta.smtown.com 공식사이트]
* 2012년 영화 《I AM.: SMTOWN LIVE WORLD TOUR in Madison Square Garden》
* {{공식 웹사이트|http://kangta.smtown.com}}
{{SM TOWN}}
- 던전스 & 드래곤스: 섀도우 오버 미스타라 . . . . 3회 일치
'''"Welcome to the D&D World!"'''
주사위 굴림에 대한 중요도가 전작에 비해 비중이 떨어졌다. 타워 오브 둠(이하 TOD)과 마찬가지로 모든 공격과 방어시에 피해를 입게 될때마다 주사위 굴림이 이루어지지만 전작만큼 엄청난 수준으로 차이가 나지 않는다. 똑같은 일반 공격인데 대미지가 2배이상 차이난다거나 하는 경우가 없다는 것.
커맨드 입력기술이 [[천지를 먹다]]와 마찬가지로 캡콤 커맨드로 바뀌었다. TOD에서는 돌진기의 경우 ↓J, A+J를 해야 하는 등 조작성이 과거 캡콤의 횡스크롤 액션게임보다 복잡할 뿐더러 빠른 반응을 기대하기 어려웠던 반면에 돌진기는 ↓↘→A, 대공커맨드는 ↓↑A 등으로 상당부분 변경점이 있었다. 또한 발악기(A+J)가 도입되었으며, 아무런 아이템이 없을 때 사용하던 효율성 제로로 평가받은 기술들은 삭제되었다.
장비품 개념이 확장되었고, 또 이걸 바로 체크할 수 있게 되었다. TOD에서 경험치 물품이었던 브레이슬릿 등은 장비품이 되었으며, 장비품은 "깨질 수 있는" 것외에 "깨지지 않는" 것도 생겼다.
- 서든어택 2/무기 . . . . 3회 일치
단지 모든 면에서 오리지널리티를 중시하는 프랑스군 전통 때문에 NATO 표준 5.56mm 규격 탄약을 쓰도록 설계되었으면서도 탄창도, 심지어 탄약도 NATO 표준과 완전히 호환되지는 않는다는 미묘한 단점이 있다.||
||1969년 오스트리아군의 제식 저격소총으로 채용되어 이후 한국의 707특임대를 포함한 세계 각국의 군경에게 널리 사용된 저격소총이다. 그러나 개발된 지 상당한 시간이 흐른 소총이고, 주력 탄종인 7.62 NATO 역시 신형 탄약이 다수 등장한 현대에 이르러서는 저격총 탄약으로는 다소 시대에 뒤떨어졌다는 평가를 받고 있어 사거리와 살상력이 부족한 편이다.||
- 세정(구구단) . . . . 3회 일치
SK텔레콤의 CF 연결의 힘 캠페인 [토닥토닥 라이브 X I.O.I] 네이버TV [[https://tv.naver.com/v/851393|영상]]에서 (16/05/29기준)조회수 200만을 [[http://gall.dcinside.com/board/view/?id=kimsejeong&no=232460&page=1&search_pos=-235517&s_type=search_all&s_keyword=200%EB%A7%8C|돌파]]했으며 2016년 4월 27일에 올라온 영상임에도 불구하고 7월 11일에 다시 100위권 안쪽으로 올라오기도 했다. --팬들은 토닥 좀비라고-- 이 영상이 업로드 됐을 당시 부끄러워하며 커튼 뒤로 숨는 장면은 뭇 남성 팬들의 심장을 움켜쥐게하며 늦잠을 절대 못 자게 했다고 --[[카더라]]--. 팬들이 뽑은 영상 중 손가락 안에 꼽는다. 또 생일을 맞이하여 팬들의 총공세로 [* 무한 [[스트리밍|스밍]]] 8월 27일 무한도전을 꺾고 TOP2까지 치고 올라왔고 8월 28일 생일 당일 새벽 2시부터 7시까지 1위를 했다.
* 세정이 설명한 구구단과 IOI의 차이점은 [[구구단]]의 경우 언니들이 많아(미미, 하나, 해빈, 나영 - 나이서열 5위) 귀여움을 받아 힐링이 되고 동생들이 많은 IOI(나이서열 3위)에서는 동생들이 많이 몰려와 언니하면서 안겨 엄마로서의 힐링을 느낀다고 했다. [[http://m.entertain.naver.com/read?oid=312&aid=0000230348|#]] 방송이 끝난 후 [[https://1.bp.blogspot.com/-ootuIEvL8EQ/WGuuwyPjEkI/AAAAAAAAUZs/8OHqkcPbFl84wbZtGr1VR5YGQjJCYIw_wCLcB/s1600/1483449475.png|실시간 검색어]]와 [[https://1.bp.blogspot.com/-h3GSBayy9M4/WGuuwefja0I/AAAAAAAAUZg/gVKC0aaNQtoBpXfvwJ3moVq9deoRrTo3gCLcB/s1600/1483448677.png|메인 기사]]를 장악했다.
* 2017년 2월 13일 [[구구단(아이돌)|구구단]] 멤버인 [[나영(구구단)|나영]]과 함께 [[KBS 2TV]] [[배틀 트립]]에 출연을 밝혔으며, [[프로듀스 101]] 게릴라 콘서트를 했던 [[대구광역시|대구]]로 내려가서 [[김광석]]길, 디아크문화관, [[이월드]], 안지랑네거리 곱창골목, 앞산전망대 일대를 투어했다. [[http://isplus.live.joins.com/news/article/article.asp?total_id=21252478&cloc=|#]] 결과는 여수로 내려간 [[김대성(코미디언)|김대성]] - [[박소영(개그우먼)|박소영]] - [[오나미]] 팀에게 2표 차로 석패했다.
* 2017년 10월 17일 2018 'S/S 헤라 서울패션위크'에 참석했다. 오랜만에 드레스를 입고 등장해 미모를 보여주었다.[[http://bntnews.hankyung.com/bntdata/images/photo/201710/97ef8996219aa95f6a6ef0cd03d8d438.jpg|사진]]
* 2017년 11월 17일 [[http://sports.chosun.com/news/ntype.htm?id=201711170100160400011531&servicedate=20171117|기사]]를 통해 [[SBS]] [[런닝맨 ]] '상속녀가 돌아왔다 레이스' 특집에 출연을 밝혔다. 11월 19일 방영. 방송 중 망설임 없이 한치의 오차도 보이지 않는 적극적인 [[Act.3 Chococo Factory|신곡]] 홍보에 'PR 로봇'이라는 별명이 붙기도 했다. 살아남은 최고 순위 커플이 상속자 후보가 되어 판정대 위로 올라가거나, 막내딸과 함께 올라가면 막내딸이 승리하는 최종 레이스 '서열 정리 이름표 뜯기'에서는 막내딸이었던 [[고성희]], [[송지효]]와 함께 우승했다.
||<#dddddd> '''1''' || '''만에 하나 ''' || kingMing, 김동휘 ||<:> 민연재, BIGTONE ||
||<#dddddd> '''2''' || '''만에 하나 (Inst.)''' || kingMing, 김동휘 ||<:> 민연재, BIGTONE ||
||<#dddddd> '''1''' || '''좋아한다 안 한다''' (Prod. [[박경]]) || [[박경]], SCORE, Megatone ||<:> [[박경]] ||
||<#dddddd> '''2''' || '''좋아한다 안 한다''' (Prod. [[박경]]) (Inst.) || [[박경]], SCORE, Megatone ||<:> [[박경]] ||
- 애로우 . . . . 3회 일치
부활 후에는 레전드 오브 토모로우로 전출되었다.
3시즌에서는 폭발 사고로 사망한 줄 알았으나, 4시즌에서 연구하던 기술의 부작용으로 몸이 축소되어 악당들에게 납치되어 있었다는 것이 밝혀지고 올리버 일행에게 구출된다. 자신이 사망하고 돌아왔으나 별로 세상에서는 아무도 신경 쓰지 않았던 것 때문에 자신의 이제까지의 삶에 회의를 느끼게 된다. 그리고 영웅으로서 자신의 위치에 대해서 고민하다가, 뭔가 큰 일을 해보고자 결심하고 타임마스터 립 헌터를 따라 시간여행에 나서면서, 레전드 오브 토모로우로 전출되었다.
레전드 오브 토모로우에서도 어째 고난의 연속이다. 미래 세계에서 아톰 기술이 반달 새비지가 후원하는 독재자에게 접수되어 아톰형 로봇이 독재자의 경찰로봇으로 쓰이질 않나, 자신의 업적이 몽땅 자신의 형편없는 동생이 이룬 것으로 잘못 알려져 있질 않나(…), 호크맨이 사망한 뒤 과거 세상에서 고립되었을 때 호크걸과 연인이 되지만 호크맨이 부활[* 엄밀히 말하면 미래에 환생한 호크맨]하면서 좌절(…)하질 않나.
- 하이큐/244화 . . . . 3회 일치
* [[후쿠로다니 학원]] 대 에이와 고교. 후쿠로다니는 1회전부터 예상치 못한 난관에 부딪혀 있다. 스코어는 10 대 7. 첫번째 TO를 사용한다. 에이스 [[보쿠토 코타로]]가 컨디션 난조. 관중석에서 보쿠토의 저조한 경기력을 비웃을 정도다. [[코미 하루키]]가 텐션 좀 올리라고 격려하는데, 보쿠토의 풀죽음 원인은 완전히 엉뚱한 것이었다.
* 고르게 활약하는 동료들. 그 와중에 미적거리는 보쿠토는 그걸로 보고 다시 네거티브해지는 악순환에 빠져있다. 이걸 캐치한 아카아시는 그의 안전부절이 피크에 오를 때가 기회라고 생각한다. 스코어는 15 대 15로 동점. 에이와 고교가 첫 번째 TO를 부르자 아카아시가 움직인다.
* 에이와의 TO 종료. 경기가 재개된다. 에이와의 서브를 코미가 리시브. 아카아시가 보쿠토에게 올린다. 블록이 세 명이나 따라 붙지만 보쿠토는 절묘하게 라인에 걸치는 스파이크로 블록을 농락, 역전을 성공시킨다.
- 하이큐/252화 . . . . 3회 일치
* 응원단의 전폭적인 지원 아래 이나리자키 고교는 [[오지로 알렝]]이 두 번째 서브 에이스를 달성한다. 스코어는 7 대 4. 관람석의 바보 커플은 이나리자키가 벌써 분위기를 가져갔다며 이미 끝난 게임인 것처럼 취급한다. 여기서 [[카라스노 고교]]가 첫 번째 TO를 쓴다.
* 취주악부를 내세운 이나리자키의 응원단은 TO 중에도 위세가 대단하다. 노헤비 학원의 전주장 [[다이쇼 스구루]]은 자기가 경기하는 것도 아닌데 굉장한 압박감을 받는다. 그 옆에 앉은 여친은 이런 사정은 눈치채지 못하고 취주악부의 연주에 빠져든다.
* 카라스노의 TO가 끝나고 오지로의 두 번째 서브로 재개. 서브는 타나카에게 향한다. 타나카가 조금 위태롭게 리시브한 공을 [[카게야마 토비오]]가 논스톱으로 세트업, 히나타의 속공으로 잇는다. 히나타는 미처 블록이 따라오기도 전에 스파이크를 꽂아넣으며 스코어는 7 대 5. 카라스노가 따라붙는다.
- 하이큐/258화 . . . . 3회 일치
* [[카라스노 고교]]의 두 번째 TO. 전황이 좋지 않다. 우카이 코치는 이나리자키의 블록이 자군이 괴짜 속공에 적응해 가는 상황을 우려했다. 그 대안으로 "섞음"을 해금한다. 근데 잠깐 어리둥절해하는 히나타. 알아들은 척 하지만 츠키시마의 눈썰미를 벗어나지 못했다.
* 두 번째 TO 이후론 공격도 풀리지 않는다. 이나리자키의 서브를 [[사와무라 다이치]]가 리시브, 그대로 [[아즈마네 아사히]]에게 세트업. 가로막힌다. 카라스노 진영으로 흘러오는 공을 히나타가 캐치. 다시 살려서 [[타나카 류노스케]]에게, 하지만 좌측에서 산지마에게 리시브 당한다.
* 스코어는 20 대 19. 1점 차를 유지했지만 안심할 상황이 아니다. 두 번째 TO를 전후로 명백히 기세가 꺾였다. 이런데다 이나리자키의 사령탑은 채찍질을 그치지 않았다. 아츠무가 오사무의 플레이에 트집을 잡았다. "꾀를 부린다"는 것. 방금 전 아츠무의 눈에 걸린게 그거였다. 오사무가 "일단 미끼할게요" 식의 불성실하게 들어왔다. 오사무도 그걸 부정하진 못하고 "전력으로 뛰면 어떻게 끝까지 뛰냐"고 투덜댄다. 그러다 아츠무는 "치면 들어간다"며 일단 전력을 다하라고 질책했다. 그렇지 않으면 "저 작은 블록"이 두렵냐는 것. 당연히 그렇지 않다고 항변하는 오사무. 그런데 이 논쟁은 뜻밖의 상대에게 상처를 준다.
- 하이큐/259화 . . . . 3회 일치
경기 시작 후 처음으로 제대로 블록 당한 오사무는 "배가 꺼지는 기분"이라 투덜댄다. 여기서 [[이나리자키 고교]]의 두 번째 TO.
* 이나리자키의 감독 [[쿠로스 노리무네]]. 가족관계가 심란해 보이는 41세다. 그는 선수들이 자꾸 10번, 히나타에게 정신 팔자 탐탁지 않아한다. TO 중에도 선수들이 10번의 움직임에 지나치게 연연했다. 쿠로스 감독은 "10번에 정신 팔리기 시작하면 카라스노에 먹힌다"고 지적한다. 그는 히나타를 개에 비유하며 "개한테도 무시가 제일 잘 먹힌다"고 주장했다. 이 개에 비유하는 버릇은 이미 유명한지 선수들은 "또 개에 비유한다"고 속으로 투덜거렸다. 아마도 가족 중 그나마 친한게 개인 모양이다.
어찌됐든 틀린 말은 하나도 없었다. 쿠로스 감독은 임기응변할 때와 우직하게 밀고 갈 때를 구분하라는 말로 TO를 종료한다.
- 홍서범 . . . . 3회 일치
그 후 [[2005년]]부터 [[2007년]]까지는 라디오 DJ로 복귀하면서 wbs 라디오 홍서범의 wbs 가요 TOP 10 DJ와 [[2007년]]부터 [[2008년]]까지는 wbs 라디오 홍서범의 노래 하나 추억 둘 DJ를 진행하였다. [[2006년]]에 대학원에서 석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그는 다재다능한 예능 감각으로 인하여 종합예술인이라고 불렸다. 그리고 탤런트 [[강남길]]하고 중학교 동창이다.
* [[2005년]] - wbs 라디오 홍서범의 wbs 가요 TOP 10 DJ
* 홍서범 5집 RETURN TO ROCK (그래, 영희야 놀자, 그대 떠난 이밤에)(2008)
- 강구열 . . . . 2회 일치
정작 이슈를 불러일으킨 이후엔 1년 가까이 부진한 모습으로 이렇다할 성적을 내지 못했으나, 최근 [[BATOO 스타리그 08-09]] 오프라인 예선에서 [[변형태]](CJ 엔투스)를 꺾는 이변을 일으키며 36강 본선에 진출했으나 조기탈락했다. 여담으로, 그무렵에 [[신한은행 프로리그 09-10]]을 벼르고 있다고 인터뷰를 하기도 했으나, 정작 그렇게는 못 됐다. 그 후, 프로리그와 개인리그에서 이렇다할 성적을 크게 내지 못한 채로 [[2009년]] [[9월 10일]] 소위 '날일' 에 날카롭게 은퇴를 선언했다.
* [[2008년]] BATOO 스타리그 08~09 36강
- 니쿠쟈가 . . . . 2회 일치
좋아하는 어머니의 맛 TOP10 好きな「おふくろの味」TOP10
http://togetter.com/li/627236
- 명탐정 코난 . . . . 2회 일치
* 아오야마의 다른 만화인 [[MAGIC KAITO]]의 주인공인 괴도 키드가 등장하나 코난 세계와 MAGIC KAITO가 동일 세계인 것은 아니라고 한다. 일단 이와 별개로 괴도 키드의 인기는 수준급.
- 소지섭 . . . . 2회 일치
* 1995년, 소지섭은 청바지 브랜드 스톰(STORM) 전속모델 1기로 발탁되며 연예계에 데뷔했다. 당시 청바지 브랜드 스톰의 메인 모델은 [[듀스 (음악 그룹)|듀스]]의 [[김성재 (가수)|김성재]]였다. 평소 김성재의 팬이였던 소지섭은 단지 그를 직접 만나기 위해 청바지 브랜드 스톰 모델선발대회에 지원했으며, 1위로 선발되었다. 2위는 송승헌이었다. 그러나 김성재의 갑작스러운 죽음으로 인하여 김성재 대신 소지섭이 청바지 브랜드 스톰의 메인 모델이 되었다.<ref>[http://www.newsen.com/news_view.php?uid=201004231456121001 소지섭, 故김성재와 과거 인연에 소야앤썬 뮤비출연 흔쾌히 OK - 뉴스엔<!-- 봇이 따온 제목 -->]</ref>
! scope=row|"So Love"<ref>{{웹 인용|url=http://koreatimes.co.kr/www/news/nation/2014/11/113_167532.html|title=Heartthrob actor So Ji-sub branches out to hip-hop|date=4 November 2014|work=The Korea Times}}</ref>
! scope=row |"콜라병 BABY(Prod. DJ JUICE) (Feat. SOUL DIVE)"<ref>{{웹 인용|url=http://koreajoongangdaily.joins.com/news/article/article.aspx?aid=3007590|title=So Ji-sub to debut new hip-hop track|date=7 August 2015|work=중앙일보}}</ref>
| 스톰(STORM)
- 손담비 . . . . 2회 일치
손담비는 2010년 5월 컴백을 앞두고 준비해왔지만, 같은 소속사 그룹인 [[애프터스쿨]]이 [[천안함 침몰 사건]]으로 인하여 활동을 제대로 하지 못해 활동이 미뤄졌다.<ref>{{뉴스 인용|제목= 손담비 컴백 연기..애프터스쿨 때문?|url=http://www.asiae.co.kr/news/view.htm?idxno=2010042809051209710|출판사=아시아 경제|저자=조범자 기자|날짜=2010-04-28|확인날짜=}}</ref> 한달 뒤인 2010년 6월 25일 손담비는 공식 사이트를 통해 컴백을 알렸다.<ref>{{뉴스 인용|제목='섹시디바' 손담비, 1년 3개월만의 컴백…움직임 포착!|url=http://autotimes.hankyung.com/article_view.php?id=81096|출판사=오토타임즈|저자=연예취재팀|날짜=2010-06-25|확인날짜=}}</ref> 7월 2일에는 음반의 수록곡 중 하나인 "Can't u see"를 공개해 많은 관심을 받았다.<ref>{{뉴스 인용|제목=손담비, '그림자댄스'로 서버다운까지? '히트예감'|url=http://ntn.seoul.co.kr/main.php?cmd=news/news_view&idx=39797|출판사=서울신문NTN|저자=오영경 인턴기자|날짜=2010-07-03|확인날짜=}}{{깨진 링크|url=http://ntn.seoul.co.kr/main.php?cmd=news%2Fnews_view&idx=39797 }}</ref> 음반 발매 하루 전 날에는 전곡이 유출되는 사고가 일어났다.<ref>{{뉴스 인용|제목=허무한 손담비, 컴백 하루전 음원유출|url=http://sportsworldi.segye.com/Articles/EntCulture/Article.asp?aid=20100708004612&subctg1=10&subctg2=00|출판사=스포츠월드|저자=김용호 기자|날짜=2010-07-09|확인날짜=2010-12-06}}</ref> 그리고 2010년 7월 8일 ''The Queen''을 발매했다. 이후 《[[뮤직뱅크]]》를 시작으로 《[[음악중심]]》, 《[[인기가요]]》에서 "Can't u see"와 "queen"을 선보이며 컴백 무대를 펼쳤다. 한편, 7월 결산 차트에서 손담비는 "Can't U See"와 "queen"이 20위권에 들면서 7월 상위 20위권 차트에서 유일하게 2곡 이상을 진입시킨 가수가 됐다.<ref>{{뉴스 인용|제목=손담비, 7월 음원 톱20 멀티히트 가수 '유일'|url=http://star.mt.co.kr/view/stview.php?no=2010080215133583882&type=1&outlink=1|출판사=머니투데이|저자=김관명 기자|날짜=2010-08-02|확인날짜=}}</ref> 이렇게 초반에는 좋은 출발을 했지만, 얼마 안 되어 "queen"의 MR을 제거한 영상이 올라오면서 처음으로 가창력 논란이 일어났다.<ref name="아츠">{{뉴스 인용|제목='표절논란' 손담비 '퀸(Queen)' MR제거, 무엇이 문제일까?|url=http://www.artsnews.co.kr/news/89424|출판사=아츠뉴스|저자=박진영 기자|날짜=2010-07-12}}</ref> 또한 "queen"의 뮤직비디오 일부분이 미국 드라마 《엘리스》의 장면과 매우 흡사하다는 표절논란을 빚어 소속사는 논란이 된 장면들을 모두 삭제키로 결정했다.<ref>{{뉴스 인용|제목=손담비, 뮤비 표절 논란 일부 장면 삭제|url=http://www.todaykorea.co.kr/news/articleView.html?idxno=116279|출판사=투데이코리아|저자=김민철 기자|날짜=2010-07-12}}{{깨진 링크|url=http://www.todaykorea.co.kr/news/articleView.html?idxno=116279 }}</ref> 2010년 8월, 손담비는 타이틀곡 활동을 마무리했다.<ref>{{뉴스 인용|제목=손담비 ‘퀸’ 활동 끝 ‘잠시만 안녕’ 모두다 이뤄졌나?|url=http://www.newsen.com/news_view.php?uid=201008201835291002|출판사=뉴스엔|저자=이언혁 기자|날짜=2010-08-20}}</ref> 이후 후속곡인 "[[dB Rider]]"로 9월부터 10월 초까지 활발하게 활동했지만, 크게 히트치지는 못했다.<ref>{{뉴스 인용|제목=‘라이더 변신’ 손담비, 파워풀한 섹시美 돋보인 후속곡 첫 무대 |url=http://www.mydaily.co.kr/news/read.html?newsid=201009171909341131&ext=na|출판사=마이데일리|저자=강선애 기자|날짜=2010-09-17|확인날짜=2010-10-12}}</ref>
한편, 손담비가 무대에서 특유의 표정을 지어 '업신담비'로 불리며 인터넷상에서 큰 화제가 되었다.<ref>{{뉴스 인용|제목= 손담비 업신 표정 화제 "니가?" … 본인도 쿨하게 인증|url=http://www.hkn24.com/news/articleView.html?idxno=57743|출판사=이슈프리즘 깜뉴스|저자=인터넷뉴스팀|날짜=2010-10-16|확인날짜=2010-12-22}}</ref> 2010년 10월부터는 MBC의 새 예능 프로그램 《여우의 집사》에 출연하기도 했지만, 저조한 시청률로 인해 방영된지 2개월만에 폐지되었다.<ref>{{뉴스 인용|제목 = 여우의 집사 폐지…불과 2개월만, 잘나가던 뉴스후 폐지하더니|url = http://www.newsprime.co.kr/news/articleView.html?idxno=177604|출판사 = 프라임 경제|날짜 = 2010-12-17|확인날짜 = 2010-12-29|보존url = https://web.archive.org/web/20140729055321/http://www.newsprime.co.kr/news/articleView.html?idxno=177604#|보존날짜 = 2014-07-29|깨진링크 = 예}}</ref> 한편 손담비는 대만에서 큰 인기를 얻었는데, 〈미쳤어〉와 《드림》의 인기로 '2010 [V] CHINESE TOP 연도 시상식 콘서트'에서 아시아 최고 아티스트상을 수상했다.<ref name="대만">{{뉴스 인용|제목=‘섹시 퀸’ 손담비, 대만진출 나선다|url=http://news.donga.com/3//20110117/33997010/1|출판사=donga.com|저자=김원겸 기자|날짜=2011-01-17|확인날짜=2011-01-17|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140728204248/http://news.donga.com/3//20110117/33997010/1|보존날짜=2014-07-28|깨진링크=예}}</ref> EP 음반 ''The Queen''역시 대만에서 음반 차트 등 각종 차트 정상을 차지했다.<ref name="대만"/> 한편, 2011년 1월에 제20회 서울가요대상에서 본상을 수상하며 3년연속 본상을 수상받았다.<ref name="20회 서가대">{{뉴스 인용|제목=손담비, '서울가요대상' 3년 연속 본상 수상|url=http://www.newsway.kr/news/articleView.html?idxno=101847|출판사=뉴스웨이|저자=최가람 기자|날짜=2011-01-21|확인날짜=2011-01-21}}</ref> 이어 아시아모델시상식에서도 BBF 인기가수상을 수상했다.<ref name="BBF">{{뉴스 인용|제목=권상우ㆍ소녀시대ㆍ옌청쉬, '아시아 스타상'|url=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6&oid=001&aid=0004878908|출판사=네이버뉴스|저자=연합뉴스 임은진 기자|날짜=2011-01-21|확인날짜=2011-01-22}}</ref> 2011년 5월부터는 피겨스케이팅 예능 프로그램 《[[김연아의 키스 & 크라이]]》에 출연했고, TOP4에 진출했다.<ref>[http://wizard2.sbs.co.kr/w3/template/tpl_freetype.jsp?vVodId=V0000349432&vProgId=1000708&vMenuId=1014807 김연아의 키스앤크라이 출연진 및 MC 소개] 《[[SBS]]》. 2011-05-21 확인.</ref> 2011년 11월부터는 MBC의 드라마 《빛과 그림자》에서 가수 유채영 역으로 출연했고, 미디엄 템포 장르의 드라마 OST "Everything"을 불렀다.<ref>{{뉴스 인용|제목=손담비, ‘빛과 그림자’ OST 참여 ‘호소력 짙은 목소리 뽐내’|url=http://artsnews.mk.co.kr/news/188777|출판사=아츠뉴스|저자=김세영|날짜=2012-01-04|확인날짜=2012-01-05}}</ref> 《빛과 그림자》는 동시간대 드라마 시청률 1위를 유지했고, 손담비는 연기력을 인정받았다.<ref>{{뉴스 인용|제목='발연기'한다던 손담비, 어느덧 '배우'가 됐다|url=http://news.sportsseoul.com/read/entertain/1047784.htm|출판사=[[스포츠서울]]|저자=오영경|날짜=2012-06-12|확인날짜=2012-06-18|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120616025258/http://news.sportsseoul.com/read/entertain/1047784.htm#|보존날짜=2012-06-16|깨진링크=예}}</ref> 2011년 12월 1일에는 [[애프터스쿨]]과 함께 해피 플레디스 2012 시리즈인 ''[[Happy Pledis 2012 'Love Letter']]''를 발매했고, 수익금 일부를 [[유니세프]]의 "아우인형" 프로젝트에 기부했다.<ref>[http://music.naver.com/album/index.nhn?albumId=304689 네이버 뮤직 - Happy Pledis 2012 `Love Letter`] 《네이버》. 2012-01-05 확인.</ref> 2012년 8월, 《빛과 그림자》가 종영되었고, 손담비는 가수로서 컴백을 준비했다.<ref>{{뉴스 인용|제목=손담비, 런던올림픽과 한판|url=http://sports.donga.com/3/all/20120612/46956635/3|출판사=[[스포츠동아]]|저자=김원겸|날짜=2012-06-13|확인날짜=2012-06-18}}</ref>
2009년 데뷔한 [[NS윤지]]는 비슷한 장르와 외모때문에 제2의 손담비라고 불리기도 했는데, NS윤지는 직접 "더 많이 노력해 무대를 압도하는 카리스마나 연기력 등을 배우고 싶다"고 말했고,<ref>{{뉴스 인용|제목=NS윤지 "제2의 손담비? 다양한 모습 보여드릴게요"(인터뷰)|url=http://joynews.inews24.com/php/news_view.php?g_menu=700100&g_serial=495794|출판사=조이뉴스24|저자=박재덕|날짜=2010-06-02|확인날짜=2011-08-13}}</ref> 프로듀싱을 맡은 [[용감한 형제]]는 "프로듀서로서 제2의 손담비, 차세대 섹시디바로 만들 수 있겠다는 자신감을 갖게 만든 가수이다"라고 했다.<ref>{{뉴스 인용|제목=용감한형제, ‘제2의 손담비’로 NS윤지 찜!|url=http://www.eto.co.kr/news/outview.asp?Code=20101020181020513&ts=163735|출판사=경제투데이|저자=심재걸|날짜=2010-10-20|확인날짜=2011-08-13|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140808194946/http://www.eto.co.kr/news/outview.asp?Code=20101020181020513&ts=163735#|보존날짜=2014-08-08|깨진링크=예}}</ref> 같은 플레디스 소속이었던 [[헬로비너스]]는 "저희 롤 모델은 손담비 선배님이에요. 일본 등 해외 활동도 하고 계시고, 무대 위에서 카리스마와 퍼포먼스가 정말 멋지세요. 선배님들의 장점만을 모아 저희 것으로 만들고 싶어요"라며 롤모델로 꼽았다.<ref>{{뉴스 인용|제목=헬로비너스 “머리가 불에 타도 족발이 먼저!”…신개념 ‘털털 아이돌’ 등장|url=http://news.donga.com/3/all/20120615/47030992/2|출판사=[[동아닷컴]]|저자=박영욱, 오세훈|날짜=2012-06-15|확인날짜=2012-06-15}}</ref>
- 송병구 . . . . 2회 일치
| 아이디 = Stork
'''송병구'''(宋炳具, [[1988년]] [[8월 4일]] ~ )는 [[대한민국]]의 [[스타크래프트]], [[스타크래프트 II]] [[프로게이머]]이자 [[프로게임단]] 코치로, 전 [[삼성 갤럭시 (프로게임단)|삼성 갤럭시]] 소속의 [[프로토스]] 유저이다. 아이디는 '''Stork''' 이다.
[[BATOO 스타리그 08-09]]에서 8강에 진출한 송병구는 이제동에게 1:2 역전패를 당하며 탈락하였다. 반면 로스트사가 MSL에서는 4강까지 올랐으나 허영무에게 0:3으로 탈락하였다. 이런 부진은 1년 내내 지속되었다. 박카스 스타리그 2009 16강에서 1승 2패로 탈락하였으며 EVER 스타리그 2009에서도 8강에서 이영한에게 1:2로 탈락하며 부진을 거듭하였다. 하지만 2009 WCG에서 결승에 올라 3연속 결승진출이라는 대기록을 작성하며 WCG 명예의 전당을 노렸으나 이제동에게 1:2로 패하며 준우승에 그쳤다. 곧이어 대한항공 스타리그 2010 16강에서 탈락하며 이 부진은 2010년까지 계속되는 듯 싶었다.
{| cellspacing="1" style="text-align:center; background-color: white; border: double silver 3px;margin-bottom:6px;"
|+'''스타크래프트1 통산 전적''' (2012년 8월 25일까지 공식전 기준)<ref>{{웹 인용|url=http://www.ygosu.com/reports/?m2=person&m3=stats_star&page=1&idx=72&newwindow=&search=YToyOntzOjExOiJzX2tleXdvcmRfdCI7czo0OiJuYW1lIjtzOjk6InNfa2V5d29yZCI7czo5OiLshqHrs5HqtawiO30%3D|title=송병구의 2012년 8월 1일까지 공식 전적|publisher=와이고수|accessdate=2015-04-24}}</ref><ref>{{웹 인용|url=http://www.teamliquid.net/tlpd/korean/players/59_Stork/games|title=송병구의 2012년 8월 25일까지 비공식 포함 전적|publisher=Teamliquid.net|accessdate=2015-04-24}}</ref>
{| cellspacing="1" style="text-align:center; background-color: white; border: double silver 3px;margin-bottom:6px;"
* [[2009년]] BATOO 스타리그 08~09 8강 ( 1:2 이제동)
* 2014년 HomeStory Cup IX 16강
**'''스타리그 100승 달성''' - [[임요환]], [[홍진호]] 다음 역대 세번째이며 프로토스 유일<ref>{{뉴스 인용|title='사령관' 송병구, 역대 3번째 스타리그 100승 대기록 달성|url=http://article.joins.com/news/article/article.asp?total_id=8259548&ctg=1601|newspaper=중앙일보|date=2012-05-22}}{{깨진 링크|url=http://article.joins.com/news/article/article.asp?total_id=8259548&ctg=1601 }}</ref><ref>{{뉴스 인용|title=삼성전자 송병구, 레전드의 반열에 오르다. 임요환-홍진호에 이어 세 번째 온게임넷 개인리그 100승 점령|url=http://esports.dailygame.co.kr/view.php?ud=201205222119450060784|newspaper=데일리e스포츠|date=2012-05-22}}</ref>
* [http://www.esportsearnings.com/players/1581/stork 송병구 e-Sports 어닝스]
- 시장경제지위 . . . . 2회 일치
중국은 2001년, 세계무역기구(WTO)에 가입하였다. 이 때 가입 조건을 놓고 회원국들과 협상을 거쳤는데, 시장경제지위 부여는 WTO 가입 15년 뒤로 연기되었다. 이후 2016년 까지 한국, 러시아, 브라질, 뉴질랜드, 스위스, 호주 등이 시장경제지위를 인정하였으나, 유럽연합, 미국, 일본, 캐나다는 인정하지 않게 된다.
- 신지애 . . . . 2회 일치
2010년에는 한국인으로는 처음으로 에비앙 마스터스 클래식[* 이 대회는 5번째 메이저라고 불리울 만큼 규모가 큰 대회였으며, 2013년에는 정말로 '5번째 메이저 대회'로 승격되었다.] 에서 우승을 차지했다. 한국 선수들이 이 대회에서 줄줄이 준우승 아니면 TOP 10에만 드는 징크스가 있었는데, 그것을 신지애가 시원하게 깨 버린 것. 그 외에도 JLPGA 대회도 우승하였다. 그리고 2010년 첫 '''세계 랭킹 1위'''의 자리에 올랐다. 그 전까지 [[아니카 소렌스탐]]의 뒤를 이어 여제로 군림하던 [[로레나 오초아]]가 결혼으로 인하여 은퇴하고 본인 또한 좋은 모습을 보이며 쟁취해 낸 결과이다.
2017년 전반기에는 아직 JLPGA 승전보가 없었다. 꾸준한 경기력으로 상금 순위 TOP 10급의 경기력을 보여 주고 있으나 본인의 목표 중 하나인 JLPGA 상금왕은 올해도 쉽지 않을 전망.
2007 KLPGA 투어 2007 KB 국민은행 Star Tour 3차대회[* 3주 연속 우승]
2007 KLPGA 투어 2007 KB 국민은행 Star Tour 4차대회
2008 KLPGA 투어 '''KB국민은행 Star Tour 4차 대회'''
- 유키히라 소마 . . . . 2회 일치
무수한 미식 경험으로 엄청나게 깐깐한 심사위원[* 이들 중 대표는 센다와라 쌍둥이 자매로 각각 A,B블록 심사위원장을 맡았다. 이 자매는 작중 대기업인 카레를 주로 생산하는 하우비 식품을 운영하고 있으며, 언니인 나츠메는 CEO, 동생인 오리에는 COO를 맡고 있다. 둘 다 '''고금동서의 카레를 전부 다 알고 있어서''' 예선 주제인 '''카레'''로는 진입장벽이 굉장히 높다. 뿐만 아니라 다른 심사위원들도 전세계의 요리들을 거의 다 알고 있는 일류 미식가들이다.]에 좌절하는 사람[* 심사위원들의 기준이 어찌나 높은지 자신들의 말로는 '''50점 이상''' 받으면 훌륭한 요리라고 하는 데 각 블록 TOP8에 든 16명을 제외하고는 전부 '''40점도 못 넘었다.(...)''' 특히 A블록 심사위원장인 나츠메는 [쿠로키바 료|료]의 프렌치 왕새우 카레를 먹기 전까지 어느 누구에게도 '''단 1점도 주지 않았다.''' [흠좀무].]과 그럼에도 감탄사를 끌어내는 실력자들[* 앞서 얘기한 각 블록 TOP8에 든 16명으로 전부 이 까다로운 심사위원들한테서 '''80점 이상'''을 받았다. 점수가 높은 순서대로 A블록은 '''아키라''', '''소마''', '''료''', '''스바루''', 슌, 젠지, 니쿠미, 료코 / B블록은 '''아리스''', '''히사코''', '''타쿠미''', '''메구미''', 미요코, 이사미, 유우키, 나오이다. 강조처리한 애들은 본선 진출자들.]이 등장하는 예선에서 후반부에 드디어 요리를 완성. 직접 만든 망고 처트니를 숨김 맛으로 쓴 카레 리조또 오므라이스로 심사위원의 감동을 이끌어내는데 성공, 하야마가 날카로운 창이라면 소마는 맛의 파상공격이라는 극찬을 받았지만 아쉽게도 아키라의 홀리 바질 카레에 1점 못미치는[* 단 하야마보다 높은 점수를 준 사람이 심사위원 5인 중 3명이었다. 즉 이게 점수 합산 방식이 아닌 식극처럼 다수결 방식이라면 오히려 소마가 이겼다. 이 때문에 심사위원들이 서로 다투기까지 했다.] 93점으로 [쿠로키바 료|료]와 함께 공동 2위로 본선 진출 성공.
- 이승엽 . . . . 2회 일치
2013 시즌 올스타전 홈런 레이스에서는 결승전에서 [[KIA 타이거즈]]의 [[나지완]]과의 대결에서 6-2로 이기며, 데뷔 이후 첫 올스타전 홈런 레이스 우승을 맛봤다. [[2013년]] [[8월 28일]] [[NC 다이노스|NC]]와의 대구에서 3,000루타를 달성<ref>[http://www.newstomato.com/ReadNews.aspx?no=395864 삼성 이승엽, 역대 6번째 3,000루타 달성]</ref>했으며, 이는 가장 적은 대구 수로 달성한 기록<ref>[http://www.yeongnam.com/mnews/newsview.do?mode=newsView&newskey=20130829.010220731320001 이승엽 최소 대구 3,000루타]</ref>이다.
* 제2회 카스포인트 어워즈 카스모멘트 TOP3 (2012년)
* 제6회 카스포인트 어워즈 카스모멘트 TOP3 (2016년)
- 임현식(배우) . . . . 2회 일치
[include(틀:다른 뜻1,other1=아이돌 그룹 'BTOB'의 멤버,rd1=임현식(BTOB))]
||<table width=100%><table align=center><table bordercolor=#000000><-100><:>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C60C30 20%, #003478)"
- 장진수 (프로게이머) . . . . 2회 일치
* 2002 KPGA TOUR 2차 리그 8강
* 2002 KPGA TOUR 3차 리그 16강
- 정용화 . . . . 2회 일치
| 그림 =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7/76/Jung_Yong-hwa_-_Cook_Up_a_Storm_meet_and_greet_5.jpg/250px-Jung_Yong-hwa_-_Cook_Up_a_Storm_meet_and_greet_5.jpg
* [[2010년]] [[1월 14일]] 락밴드 씨엔블루(CNBLUE)의 리더로 팀 안에서 보컬과 기타와 랩을 맡아, [[bluetory]]<ref name="album1">[http://starin.edaily.co.kr/news/NewsRead.edySCD=EA31&newsid=01315286592871176&DCD=A10102 씨엔블루, '씨엔블루토리'서 1집 전곡 첫 라이브 연주]{{깨진 링크|url=http://starin.edaily.co.kr/news/NewsRead.edySCD%3DEA31%26newsid%3D01315286592871176%26DCD%3DA10102 }}《이데일리스타in》, 2010년 2월 16일 작성.</ref> 음반 발매와 함께 가수 활동을 시작하였다. 수건남 효과에 힘입어 첫 방송후 각종 차트를 올킬하였으며,<ref name="all">[http://news.jkn.co.kr/article/news/20100117/6857237.htm “블루돌풍” CNBLUE, 첫 방송후 각종 차트 ‘올킬’]《재경일보》2010.01.17 작성.</ref> 한국 가요계에서 신인이 데뷔 후 14일만에 1위를 하는 기록을 세웠다.<ref name="chleks">[http://news.jkn.co.kr/article/news/20100129/7708991.htm 씨엔블루, 최단기간 1위 기록 세우며 정상 등극! ]《재경일보》2010.01.29 작성.</ref> 이는 지상파 데뷔 최단 기간 1위 기록이었지만 위너 이후에 기록이 깨졌다.* [[2010년]] [[5월 19일]], 씨엔블루는 두 번째 미니 앨범 《[[Bluelove]]》를 발매하였다.<ref>{{뉴스 인용
|url=http://www.todaykorea.co.kr/news/contents.php?idxno=109805|출판사 = 투데이코리아 |날짜 = [[2010년]] [[5월 19일]]}}</ref> [[5월 20일]], [[Mnet]] 《[[엠카운트다운]]》을 통해 컴백하였는데,역시 큰 인기를 얻으며 각종 음원차트에서 1위는 물론, 음악프로그램에서도 1위를 차지하였다.<ref>{{뉴스 인용|제목 = 씨엔블루 ‘Love’, 포털사이트 점령… ‘올킬’ 시동|url=http://breaknews.com/sub_read.html?uid=133629§ion=sc4|출판사 = 프레이크뉴스 |날짜 = [[2010년]] [[5월 19일]]}}</ref><ref>{{뉴스 인용|제목 = 씨엔블루, ‘LOVE’ M카운트다운 1위 수상!
* [[2010년]] [[7월 31일]]에는 서울에서 「Listen to the CNBLUE」이란 타이틀로 한국에서의 첫 단독콘서트를 진행하였다.<ref>{{뉴스 인용|제목=씨엔블루, 데뷔 첫 단독 콘서트 `Listen to the CNBLUE` 개최|url=http://www.hankyung.com/news/app/newsview.php?aid=2010061670037|출판사=한국경제|날짜=[[2010년]] [[6월 16일]]}}</ref>
* [[2010년]] [[9월 15일]]에는 [[일본]]에서 두 번째 싱글 ''[[I don't know why]]''를 발매하였는데, 정용화의 자작곡 "I don't know why"는 [[오리콘]] 싱글차트 데일리 8위,<ref>{{뉴스 인용|제목 = 씨엔블루, 정용화 자작곡 싱글 日 오리콘 8위 진입 ‘쾌거’|url=http://www.newsen.com/news_view.php?uid=201009170942221002|출판사 = 뉴스엔 |날짜 = [[2010년]] [[9월 17일]]}}</ref> [[오리콘]] 인디즈 차트 주간 1위를 하며 큰 인기를 얻었다.<ref>{{뉴스 인용|제목 = 씨엔블루, 새 싱글 'I don't know why'로 오리콘 차트 1위|url=http://autotimes.hankyung.com/apps/news.sub_view?popup=0&nid=81&nkey=90590|출판사 = 오토타임즈 |날짜 = [[2010년]] [[9월 30일]]}}</ref>
* [[2011년]] [[1월 9일]], 일본에서 세 번째 싱글 ''[[RE-MAINTENANCE]]''를 발매하였다. 타이틀 "Try again, Smile again"을 작곡 및 작사하였고 오리콘 싱글차트 데일리 2위에 올랐다.<ref>{{뉴스 인용 |제목 = '씨엔블루' 日 투어 전석 매진 신기록…오리콘 챠트 2위 겹경사 |url = http://mystar.mdtoday.co.kr/mystar/index.html?no=426803 |출판사 = 마이스타뉴스 |날짜 = [[2011년]] [[1월 10일]] |확인날짜 = 2012년 8월 19일 |보존url = https://archive.today/20130111191550/http://mystar.mdtoday.co.kr/mystar/index.html?no=426803 |보존날짜 = 2013년 1월 11일 |깨진링크 = 예 }}</ref>
* [[2011년]] [[3월 21일]], 첫 정규 음반 발매 및 게릴라 라이브 콘서트를 열었으며,<ref>{{뉴스 인용|제목 = 컴백 씨엔블루 오늘(21일) 앨범발매→쇼케이스→게릴라콘서트 3단콤보|url=http://www.newsen.com/news_view.php?uid=201103211126181002|출판사 = 뉴스엔 |날짜 = [[2011년]] [[3월 21일]]}}</ref><ref>{{뉴스 인용|제목 = 씨엔블루, 컴백과 함께 게릴라 콘서트…팬들 “역시 실력파 밴드는 달라”|url = http://mystar.mdtoday.co.kr/mystar/index.html?no=479272|출판사 = 마이스타뉴스|날짜 = [[2011년]] [[3월 21일]]}}{{깨진 링크|url=http://mystar.mdtoday.co.kr/mystar/index.html?no=479272 }}</ref> 선주문 10만장이 넘은 이 앨범은 발매 직 후 실시간차트와 일간차트 등에서 1위를 하였고, 컴백 일주일 후 [[3월 31일]] [[Mnet]] 《[[엠카운트다운]]》에서 1위를 시작으로 하여 공중파인 [[KBS]] 《[[뮤직뱅크]]》, [[SBS]] 《[[인기가요]]》에서 1위를 하였으며,<ref>{{뉴스 인용|제목 = 씨엔블루, 컴백 1주 만에 '엠카' 1위··"초심 잃지 않겠다"|url=http://www.asiae.co.kr/news/view.htm?idxno=2011033115421314776|출판사 = 아시아경제 |날짜 = [[2011년]] [[3월 31일]]}}</ref><ref>{{뉴스 인용|제목 = 씨엔블루 '직감' 잇따른 1위, 'FIRST STEP'의 놀라운 '직감'|url=http://bntnews.hankyung.com/apps/news?popup=0&nid=04&c1=04&c2=04&c3=00&nkey=201104021400073&mode=sub_view|출판사 = 한경닷컴 |날짜 = [[2011년]] [[4월 2일]]}}</ref> 데뷔 후 처음으로 [[Mnet]] 《[[엠카운트다운]]》과 [[KBS]]《[[뮤직뱅크]]》에서 트리플크라운을 달성하였다.
* [[2011년]] [[9월 1일]]에 일본에서 인디즈 마지막 앨범인 《[[392(Thank you too(much))]]》를 발매하여 오리콘 데일리 앨범 3위와 인디즈 위클리 1위를 차지 하였다.<ref>{{뉴스 인용|제목 = 씨엔블루 日 앨범 ‘392’, 오리콘 데일리 앨범 차트 3위 |url=http://www.maxmovie.com/movie_info/ent_news_view.asp?mi_id=MI0093705691|출판사 = 맥스뉴스 |날짜 = [[2011년]] [[9월 2일]]}}</ref> 또한, [[2011년]][[9월 10일]]에 일본에서 열린 일본 마쿠하리 멧세(MAKUHARI MESSE)에서 열리는 [[린킨파크]](Linkin Park) 단독 공연의 오프닝 무대에 서게 됐다.<ref>{{뉴스 인용|제목= 씨엔블루(CNBLUE), 린킨파크(Linkin Park)와 '오프닝 무대' 가져|url= http://www.topstarnews.net/n_news/news/view.html?no=3065|출판사= 톱스타뉴스|날짜= [[2011년]] [[9월 9일]]|확인날짜= 2012년 8월 19일|보존url= https://web.archive.org/web/20130120220518/http://topstarnews.net/n_news/news/view.html?no=3065|보존날짜= 2013년 1월 20일|깨진링크= 예}}</ref>[[9월 17일]]~[[9월 18일]]에는 서울에서 열린 콘서트 "BLUE STORM"을 이틀에 걸쳐 진행하고,<ref>{{뉴스 인용|제목 = 씨엔블루, 아시아투어 콘서트…9월 제주에서 출발한다.|url=http://sportsworldi.segye.com/Articles/EntCulture/Article.asp?aid=20110801001713&subctg1=10&subctg2=00|출판사 = 스포츠월드 |날짜 = [[2011년]] [[8월 1일]]}}</ref> [[9월 25일]]에는 인디즈그룹으로는 유례없이 1만 5천석의 Yokohama Arena에서 인디즈 마지막 콘서트를 진행하였다.<ref>{{뉴스 인용|제목 = 씨엔블루 단독 콘서트, 요코하마의 밤을 불태운 ‘열정의 무대’|url=http://sstv.tvreport.co.kr/index.html?page=news/flypage&cid=24&nid=119144|출판사 = SSTV |날짜 = [[2011년]] [[9월 26일]]}}</ref><ref>{{뉴스 인용|제목 = 이것이 밴드다…'씨엔블루' 日콘서트,1만 5천 팬 열광 |url=http://www.nocutnews.co.kr/Show.asp?IDX=1927290|출판사 = 노컷뉴스 |날짜 = [[2011년]] [[9월 26일]]}}</ref>
* [[2011년]] [[10월 19일]]에 2년여 시간의 인디즈 생활을 마감하고 《[[In My Head]]》로 메이저 데뷔를 하였다.<ref>{{뉴스 인용|제목 = 씨엔블루, 워너 뮤직 재팬과 계약 체결…日 메이저 사냥 나선다|url = http://tvdaily.mk.co.kr/read.php3?aid=1314836363197901011|출판사 = 티브이데일리|날짜 = [[2011년]] [[9월 1일]]|확인날짜 = 2012년 8월 19일|보존url = https://archive.today/20120720005549/http://tvdaily.mk.co.kr/read.php3?aid=1314836363197901011|보존날짜 = 2012년 7월 20일|깨진링크 = 예}}</ref><ref>{{뉴스 인용|제목 = 씨엔블루, 10월19일 'In my head' 발매 日정식데뷔 |url=http://star.mt.co.kr/view/stview.php?no=2011090609394071723&type=1&outlink=1|출판사 = 스타뉴스 |날짜 = [[2011년]] [[9월 6일]]}}</ref>《[[In My Head]]》의 타이틀 "In My Head" 를 작곡 하였고 "Mr.K.I.A(Know It All)" 작사 및 작곡, "In My Head(Inst.)" 작곡하였다. 이 앨범은 첫 날 오리콘 싱글 데일리 차트 3위를 하였다.<ref>{{뉴스 인용|제목= `씨엔블루, 日메이저 데뷔곡 '인 마이 헤드' 오리콘 3위 '쾌거' |url=http://www.mydaily.co.kr/news/read.html?newsid=201110200945231137&ext=na|출판사 = 마이데일리|날짜 = [[2011년]] [[10월 20일]]}}</ref> 메이저 음반 발매 기념으로 한 이벤트에 1만4000여명이 참가했다.<ref>{{뉴스 인용|제목= 씨엔블루 이벤트 1만4000명 동원 ‘日 메이저 데뷔 성공적’|url= http://news.donga.com/Culture/Music/3/0710/20111025/41382723/1|출판사= 스포츠동아|날짜= [[2011년]] [[10월 25일]]}}{{깨진 링크|url=http://news.donga.com/Culture/Music/3/0710/20111025/41382723/1 }}</ref>
* 오리콘 싱글 위클리 차트에 일주일 만에 7만 1200장을 팔아 치우고 일본 메이저 데뷔를 했다.<ref>{{뉴스 인용|제목= 씨엔블루, 日 데뷔싱글 일주일 만에 7만장 판매|url=http://sports.chosun.com/news/utype.htm?id=201110270100197960017298&ServiceDate=20111026|출판사 = 스포츠조선|날짜 = [[2011년]] [[10월 26일]]}}</ref><ref>{{뉴스 인용 |제목= 씨엔블루 '인 마이 헤드', 日 오리콘 주간 차트 4위 랭크 |url= http://tvdaily.mk.co.kr/read.php3?aid=1319589921221164011 |출판사= 티브이데일리 |날짜= [[2011년]] [[10월 26일]] |확인날짜= 2012년 8월 19일 |보존url= https://archive.today/20120715225340/http://tvdaily.mk.co.kr/read.php3?aid=1319589921221164011 |보존날짜= 2012년 7월 15일 |깨진링크= 예 }}</ref> 《[[In My Head]]》는 [[2011년]][[11월 10일]]에 일본 레코드 협회에서 선정하는 골드 레코드가 되었다.<ref>{{뉴스 인용|제목= 씨엔블루 일본 데뷔싱글 10만장 넘겨, 日 '골드 레코드' 선정|url= http://tvdaily.mk.co.kr/read.php3?aid=1321064770229443011|출판사= 티브이데일리|날짜= [[2011년]] [[11월 12일]]|확인날짜= 2012년 8월 19일|보존url= https://archive.today/20130112003527/http://tvdaily.mk.co.kr/read.php3?aid=1321064770229443011|보존날짜= 2013년 1월 12일|깨진링크= 예}}</ref>
* [[2011년]][[12월 28일]]에 일본에서 매년 연말 개최되는 Music Festival 'COUNTDOWN JAPAN'에 외국인 최초로 출연하였다.<ref>{{뉴스 인용 |제목= 씨엔블루(CNBLUE), 일본 락 페스티벌 'COUNTDOWN JAPAN' 외국인 최초 출연 |url= http://www.topstarnews.net/n_news/news/view.html?no=4208 |출판사= TOP스타 뉴스 |날짜= [[2011년]] [[11월 18일]] |확인날짜= 2012년 8월 19일 |보존url= https://web.archive.org/web/20130120220609/http://topstarnews.net/n_news/news/view.html?no=4208 |보존날짜= 2013년 1월 20일 |깨진링크= 예 }}</ref><ref>{{뉴스 인용|제목= 씨엔블루, 日 연말 최대 록축제 외국인 최초 출연|url=http://sports.hankooki.com/lpage/music/201111/sp2011111809264695510.htm|출판사 = 스포츠한국|날짜 = [[2011년]] [[11월 18일]]}}</ref>
* [[2012년]] [[1월 31일]] 일본 MTV '언플러그드' 출연하였다. 이 프로그램은 어쿠스틱한 연주와 청중과의 가까운 거리를 유지한 무대 등 라이브를 진행하는 것으로 유명하다.<ref>{{뉴스 인용|제목= 씨엔블루, 韓 가수 최초로 日 MTV '언플러그드' 출연|url=http://joynews.inews24.com/php/news_view.php?g_menu=700300&g_serial=634129&rrf=nv|출판사 = 조이뉴스24|날짜 = [[2012년]] [[2월 1일]]}}</ref> 또한, 수용인원 150명에 응모인원만 1만 5천여명이 응모하여 100배의 응모 수를 기록했다.<ref>{{뉴스 인용|제목= 씨엔블루, 日MTV ‘언플러그드’ 출연…티켓 응모 ‘정원의 100배’ 기염|url= http://www.eto.co.kr/news/outview.asp?Code=20120201170502960&ts=95729|출판사= 경제투데이|날짜= [[2012년]] [[2월 1일]]|확인날짜= 2012년 8월 19일|보존url= https://web.archive.org/web/20160304124520/http://www.eto.co.kr/news/outview.asp?Code=20120201170502960&ts=95729|보존날짜= 2016년 3월 4일|깨진링크= 예}}</ref>
* [[2012년]] [[2월 13일]] 일본 전국투어를 시작했다. 오사카를 시작으로 나고야, 도쿄, 요코하마 등지에서 이뤄진 이번 투어는 두 번째 메이저 음반 발매 기념으로 팬클럽 회원 한정의 전국 투어 콘서트를 개최하게 되었는데, 지난 2009년부터 일본에서 인디밴드로 활동할 당시 공연했던 클럽에서 이루어졌으며, 인디즈 활동 당시 공연했던 장소에서 다시 공연하는 것을 테마로 이뤄진 이번 공연은 9회에 걸쳐 이뤄졌다.<ref>{{뉴스 인용|제목= 씨엔블루, 인디밴드 활동 당시 공연했던 日클럽서 라이브공연|url=http://www.newsen.com/news_view.php?uid=201202251028531002|출판사 = 뉴스엔|날짜 = [[2012년]] [[2월 25일]]}}</ref><ref>{{뉴스 인용|제목= 씨엔블루, 日 전국투어 1만명 팬 열광…티켓 전쟁 |url=http://www.asiatoday.co.kr/news/view.asp?seq=602306|출판사 = 아시아투데이|날짜 = [[2012년]] [[2월 25일]]}}</ref><ref>{{뉴스 인용|제목= 씨엔블루, 초심으로 돌아가 日 전국투어 라이브… 폭발적인 반응 |url=http://www.etoday.co.kr/news/section/newsview.php?TM=news&SM=4101&idxno=550042|출판사 = 이투데이|날짜 = [[2012년]] [[2월 25일]]}}</ref>
* 같은 소속사 가수 [[주니엘]]의 데뷔앨범에 작곡가로 참여하고 듀엣곡과 뮤직비디오 출연소식이 연이어 들리면서 팬들의 기대감을 상승시켰으며, 직접 출연한 선공개곡 ‘바보’라는 곡의 뮤직비디오의 티저가 공개되었다.<ref>{{뉴스 인용|제목= 씨엔블루 정용화 팔에 키운 완두콩, 주니엘 뮤비서 공개 |url=http://starin.edaily.co.kr/news/NewsRead.edy?newsid=01275926599530232|출판사 = 이데일리|날짜 = [[2012년]] [[5월 18일]]}}</ref> [[2012년]] [[5월 22일]]에 음원과 뮤직비디오가 공개되었다.<ref>{{뉴스 인용|제목= 씨엔블루 정용화와 주니엘의 듀엣곡 ‘바보’ 22일 선공개 |url=http://www.segye.com/Articles/SPN/ENTERTAINMENTS/Article.asp?aid=20120521022078&subctg1=&subctg2=|출판사 = 세계일보|날짜 = [[2012년]] [[5월 21일]]}}</ref><ref>{{뉴스 인용|제목= 주니엘-정용화 듀엣곡 '바보', 실시간 차트 2위로 기분좋은 출발 |url=http://www.etoday.co.kr/news/section/newsview.php?TM=news&SM=4101&idxno=587637|출판사 = 이투데이|날짜 = [[2012년]] [[5월 22일]]}}</ref>
* [[2012년]] [[7월]]부터 [[2011년]] [[6월]]부터 [[8월]]까지 방영된 [[문화방송 수목 미니시리즈|MBC 수목 미니시리즈]] 《[[넌 내게 반했어]]》가 일본 공중파 후지TV에 방영을 시작하게 되었다.<ref>{{뉴스 인용|제목= 정용화, 일본 인기 파워 실감- ‘넌 내게 반했어’ 일본 공중파 입성 |url=http://nanumnews.com/sub_read.html?uid=42246§ion=sc208|출판사 = 나눔뉴스|날짜 = [[2012년]] [[5월 16일]]}}</ref><ref>{{뉴스 인용|제목= 정용화 출연작 '넌 내게 반했어' 日 후지TV 진출 '경사났네' |url=http://www.tvreport.co.kr/?c=news&m=newsview&idx=226944TM=news&SM=4101&idxno=587637|출판사 = TV리포트 |날짜 = [[2012년]] [[5월 16일]]}}</ref> 또한, 공중파 방영 전에 [[2012년]] [[7월 16일]]에 일본에서 공식적인 팬미팅을 개최하였으며,<ref>{{뉴스 인용|제목= 정용화 박신혜, 日 '넌 내게 반했어' 방영 앞두고 팬미팅 개최 |url=http://www.etoday.co.kr/news/section/newsview.php?TM=news&SM=4101&idxno=595980|출판사 = 이투데이|날짜 = [[2012년]] [[6월 13일]]}}</ref><ref>{{뉴스 인용 |제목= 정용화-박신혜, '넌 내게 반했어' 日 팬미팅 성료 |url= http://thestar.chosun.com/site/data/html_dir/2012/07/17/2012071701006.html |출판사= 조선일보 |날짜= [[2012년]] [[7월 17일]] }}{{깨진 링크|url=http://thestar.chosun.com/site/data/html_dir/2012/07/17/2012071701006.html }}</ref> 티켓이 모두 매진되는 기염을 토했다.<ref>{{뉴스 인용|제목= 정용화·박신혜, ′넌 내게 반했어′ 日팬미팅 1만석 매진 ″현지 열기 후끈″ |url=http://www.asiatoday.co.kr/news/view.asp?seq=667085|출판사 = 아시아투데이|날짜 = [[2012년]] [[7월 11일]]}}</ref>
* [[2012년]] [[8월 1일]]에 일본에서 세 번째 싱글앨범인 ''[[Come On]]''를 발매하였고 타이틀인 "Come On"를 작사하고 "Wake up"를 작사 및 작곡하고 "My miracle"을 작사하였다.<ref>{{뉴스 인용|제목= 씨엔블루, 日 싱글 ′Come on′ 8월 1일 발매|url=http://www.asiatoday.co.kr/news/view.asp?seq=667993|출판사 = 아시아투데이|날짜 = [[2012년]] [[7월 12일]]}}</ref> 또한, [[2012년]] [[7월 30일]]부터 [[8월 5일]]까지 일본 전국에 걸쳐 팬사인회를 진행하였다.<ref>{{뉴스 인용 |제목= 씨엔블루, 세 번째 日 싱글 'Come on' 발매 기념 팬사인회 '성료' |url= http://thestar.chosun.com/site/data/html_dir/2012/08/02/2012080201321.html |출판사= 조선일보 |날짜= [[2012년]] [[8월 2일]] |확인날짜= 2012-11-26 |보존url= https://web.archive.org/web/20160125165532/http://thestar.chosun.com/site/data/html_dir/2012/08/02/2012080201321.html |보존날짜= 2016-01-25 |깨진링크= 예 }}</ref>
* [[2012년]] [[10월 2일]]부터 [[10월 21일]]까지 일본 전국 6개지역을 돌며 아레나 투어《Arena Tour 2012 Come On~》를 실시하여 10만명을 동원하였으며, 마지막은 사이타마 슈퍼아레나에서 마무리지었다.
* [[2012년]] [[12월 5일]] 일본 음원 사이트 드완고(www.dwango.jp)에서 케이팝 OST 부분 휴대 전화 벨소리 차트에서 드라마 ‘넌 내게 반했어’ OST가 2012년 연간 랭킹에서 1위를 차지했다.<ref>{{뉴스 인용|제목= 정용화 '넌 내게 반했어', 일본 OST 벨소리차트 정상 |url=http://www.etoday.co.kr/news/section/newsview.php?idxno=662558|출판사 = 이투데이|날짜 = [[2012년]] [[12월 5일]]}}</ref>
</ref> 또한, 한국방송사 음악프로그램의 특성상 밴드의 라이브는 불가능한 것으로 되었지만, 컴백무대를 시작으로 2주간 씨엔블루는 음향설비와 무대장치 설치 비용을 부담하여 밴드 올라이브를 선보였다.<ref>{{뉴스 인용 |제목= 씨엔블루, 지상파 컴백 무대 ‘올 라이브’ 구현 ‘기대 만발’ |url= http://www.eto.co.kr/news/outview.asp?Code=20130114092106167&ts=130407 |출판사= 경제투데이 |날짜= [[2013년]] [[1월 14일]] |확인날짜= 2013-04-25 |보존url= https://web.archive.org/web/20160304191548/http://www.eto.co.kr/news/outview.asp?Code=20130114092106167&ts=130407 |보존날짜= 2016-03-04 |깨진링크= 예 }}</ref>
* 앨범발매로 바쁜 와중에 [[2013년]] [[1월 15일]] 말레이시아에서 진행된 제27회 골든디스크시상식의 MC를 맡아 진행했다.<ref>{{뉴스 인용|제목= 정용화-니콜, 이홍기-다솜 ‘골든디스크 시상식’ MC 확정|url= http://isplus.live.joinsmsn.com/news/article/article.asp?total_id=10392989&cloc=|출판사= 일간스포츠|날짜= [[2013년]] [[1월 11일]]}}{{깨진 링크|url=http://isplus.live.joinsmsn.com/news/article/article.asp?total_id=10392989&cloc= }}</ref><ref>{{뉴스 인용|제목= 말레이시아 팬들, ‘골든 MC’ 정용화-니콜 “환상의 커플” 극찬
- 정찬성 . . . . 2회 일치
2008년 8월 [[일본]]으로 건너간 그는 DEEP에서 오미가와 미치히로를 상대로 만장일치 판정승을 거두었다. 오미가와는 유도가 출신으로 [[UFC]]와 [[PRIDE]]를 모두 경험했던 베테랑 파이터였으나 정찬성의 공세에 밀려 패배하고 말았다. 훗날 오미가와는 Dream 15회 대회 이후 인터뷰에서 이 경기를 회상하며 '그 때는 정찬성의 정보를 알지 못하고 있었다. 다시 붙으면 꼭 이기겠다'는 말을 했다. 그러자 정찬성 선수는 블로그에 '오미가와에 대해 매우 실망했다. 다시 붙는다면 그 때는 변명을 대지 못 하게 이기겠다.'며 재대결을 강력하게 희망했다. 이후 오미가와는 센고쿠 토너먼트에서 수많은 페더급 강자들을 쓰러뜨리고 페더급 토너먼트에서 준우승을 하면서 TOP 10급 파이터로 부상하게 된다.
버뮤데즈의 레슬링을 의식했는지 가드를 꽤 아래로 내리는 스타일로 경기를 시작했고 초반 버뮤데즈의 테이크다운 시도를 성공적으로 방어하며 경기를 괜찮게 풀어갔다. 하지만 펀치가 대부분 빗나가면서 확실히 경기감각을 채 끌어올리지 못했다는 느낌을 지울 수가 없었고 버뮤데즈의 큰 라이트 펀치를 맞으면서 위태위태한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 그러나 버뮤데즈의 왼손 셋업을 피하고 날린 어퍼가 그대로 턱에 꽂히면서 1R 2분 30초 만에 경기를 끝냈다.[* 언제나 그렇듯 너무 빨리 말렸다고 주장하는 사람들이 있으나, 저 상태에서 안말릴 경우 맞던 사람은 후유장애를 가질 확률이 매우 높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정찬성을 언더독으로 평가했지만 코리안 좀비의 부활을 전세계에 알렸다. 경기 후 인터뷰에서 경기 내용을 말하면서 연습했던 대로 잘 안됐다고 밝히거나 질문 내용을 못알아들으면서 웃음을 주기도 했다. 그리고 울먹거리며 주변 사람들에게 감사를 표하며 현재 대한민국의 상황을 걱정하는 발언을 남기면서 팬들에게 감동을 주었다. [[http://sports.news.naver.com/general/vod/index.nhn?category=fight&listType=total&date=&gameId=&teamCode=&playerId=&keyword=&id=272392&page=1|영상링크]]
2011년 12월 MMA 위클리 랭킹에서 페더급 10위에 랭크되었다. 한국인 파이터가 체급별 랭킹 TOP 10 안에 진입한 것은 2007년 김종만 선수가 랭킹 8위에 랭크된 이후 두 번째다. 2013년 2월 만들어진 [[http://sports.news.naver.com/general/news/read.nhn?oid=410&aid=0000355574|UFC 첫 공식 랭킹]]에서 '''페더급 3위'''에 올랐다.
- 프로페서 아이보 . . . . 2회 일치
비슷한 매드 사이언티스트인 [[T.O. 모로우]]와는 친구. 다투기도 하나 이런 판임에도 일종의 우정을 유지하고 있다.
애니메이션 저스티스 리그에 등장하긴 하는데.. 이미 죽은 모습만이 등장한다. 용건이 있어서 렉스 루터가 찾아왔을 때는 그의 시체와 그가 만든 아마조만이 있었다. 영 저스티스에서는 살아서 등장. 멀쩡하게 생겼으며 코믹스에서처럼 모로우와 구면이다.
- 하이큐/241화 . . . . 2회 일치
* [[히메카와 아오이]]의 서브 득점이 끊긴 이후 [[카라스노 고교]]는 무서운 기세로 추격한다. [[타나카 류노스케]]가 서브로 득점. 점수를 17 대 17 동점으로 만든다. 츠바키하라 고교는 여기서 2세트 첫 번째 TO. 타나카는 첫 봄고 서브를 깔끔하게 넣지 못했다고 아쉬움을 보인다.
* 아테마는 에치고와 함께 블록하려 하는데 순간 라이트 측에서 뛰어오르는 히나타를 보고 망설인다. 하지만 그게 함정. 진짜는 레프트에서 뛰어오르던 아즈마네였다. 깨끗하게 꽂히는 아즈마네의 스파이크. 히나타를 너무 의식한 결과였다. 이 시점에서 츠바키하라는 두 번째 TO. [[오오사토 타츠미]] 감독은 다음 로테이션에 10번(히나타)가 내려가고 상대측 블록은 그렇게 위협적이지 않으니 눈 딱 감고 강하게 치라고 지시한다.
- 하이큐/256화 . . . . 2회 일치
* 점수는 17 대 16. 1점 차. 아즈마네의 2회차 서브를 앞두고 이나리자키의 첫번째 TO 신청. 벤치로 돌아가면서 타나카는 츠키시마가 "든든하다"고 칭찬한다. 하지만 맹활약한 츠키시마는 들뜬 기분이 아니다.
* TO 종료. 아즈마네의 2회차 서브. 그러나 물리적인 흐름이 끊긴 탓에 감을 잃어 버렸다. 네트에 걸리는 공. 스코어는 18 대 16으로 다시 2점차. 추격세가 주춤한다. 한참 기세를 올리던 카라스노 응원단에서 실망한 한숨이 막 터지려고 하는데, [[타나카 사에코]]가 한 발 먼저 "한숨 금지"를 선언하면서 풀죽음을 방지한다.
- 한승원 (만화가) . . . . 2회 일치
| 《빅토리 비키》(VICTORY VIKI) || || 1992년 북토피아 전7권<br />2002년 대원씨아이 전7권 ||
| 《그대의 연인》 || 《TO YOU》 || 1995년 대원 전3권<br />2000년 대명종 전4권 ||
- Darkest Hour: A Hearts of Iron Game/기술 . . . . 1회 일치
* Motorized Infantry
기계화보병 사단에 관련된 연구. 1942 Motorized Infantry 연구가 선행되어야 한다.
* Torpedo
어뢰 부속의 성능 및 차세대 어뢰 개발에 대한 연구. 중간에 있는 Airdropped Torpedo 연구는 함재기 계열 부속들과 해군폭격기의 효율도 증가시켜 준다.
* Interceptors
본격적인 요격기에 대한 연구. Early Fighters 트리의 Interceptor 1930 연구가 선행되어야 한다.
호위전투기 여단에 대한 연구. Early Fighters 트리의 Interceptor 1930 연구가 선행되어야 한다. Supersonic Escort Fighter 1954 연구를 마지막으로 Fighters 트리에 통합된다.
연구 시간을 줄여주고 사격통제장치를 업그레이드 해주는 연구들. Cryptography 트리와 매우 밀접한 관련이 있다. 처음부터 연구할 수 있다.
* Cryptography
* Custom Equipment
1936년 기준으로 미국이 선택한 테크. 이후 Air-Land Battle 연구를 거쳐 Unified NATO Doctrine 연구로 끝을 맺는다.
* Surface-to-Air Missiles(SAM)
기병 사단의 최종 테크인 공중 기병을 생산할 수 있게 해주는 연구. 해금 이벤트를 위해서는 Infantry 탭의 1951 Mountain Infantry Division 연구와 Aircraft 탭의 Modern Air Transport 1950 연구, Secret Weapons 탭의 Surface-to-Air Missiles(SAM) 연구, Air-to-Surface Missiles(ASM) 연구, Practical Turbojet Engine 연구가 선행되어야 한다.
* Air-to-Surface Missiles(ASM)
* Rocket Interceptors
행동 반경은 짧지만 빠르고 강한 로켓 요격기를 생산할 수 있게 해주는 트리. 해금 이벤트를 위해서는 Aircraft 탭의 Interceptor 1940 연구와 Rocket Test and Research Facility 트리의 Rocket Engine 연구가 선행되어야 한다.
- FastSearchMacro . . . . 1회 일치
== TODO ==
- HMMWV . . . . 1회 일치
수많은 바리에이션이 존재한다. 구급차 버전, 픽업트럭 버전, TOW 탑재 버전……. 이외에도 추가 장갑을 야전에서 탈부착할 수 있다.
- MC메타 . . . . 1회 일치
2015년 여성 래퍼 최삼과 같이 뉴스타파 설파에 출연하여 힙합씬에 만연해 있는 잘못된 문화를 꼬집는 '쇼미더힙합'을 불렀다. [[https://www.youtube.com/watch?v=RVP_UN-Zrj8&feature=youtu.be&app=desktop|영상]] 여기서 블랙넛을 간접적으로 디스한다. 이 곡은 이후 [[블랙넛]]이 인디고 차일드에서 그를 디스하는 계기가 되었다.
* 2015년 5월 양팔에 풀슬리브 [[문신]]을 했다.[* 2013년 가슴에 했던 가리온 로고 이후로 2번째 인듯 [[http://ink361.com/app/users/ig-5329142/mc_meta/photos/ig-993261501991140958_5329142|#]]]
그리고 굉장히 여러가지 새로운 시도를 많이 한다. 무까끼하이[* 대구 사투리, 대구 토박이들도 잘 모르는 희귀한 사투리라 한다. 뜻은 뭔가 고지식하고 뭔가 무식해 보이는 어떤 사람 혹은 상황이라 한다.]처럼 [[경상도 사투리]]로 랩을 한다든지 심지어는 다큐멘터리 <사투리의 눈물>에서는 21분간 랩으로 사투리 나레이션을 시도하기도 했다. 뿐만 아니라 재즈와 힙합을 합친 개념인 재즈합이라는 프로젝트 밴드 활동도 하고, 프로듀서 [[돕플라밍고]]의 'Hellevator'에서도 새 스타일을 시도 하였고, 2016년 최근에 발표된 Heritage 싱글에서는 끝말잇기 랩을 시도하기도 했다.
프리스타일에서도 일가견이 있다. [[허클베리피]]가 티비에서 MC 메타의 프리스타일을 보고 래퍼가 되겠다고 결심했다고도 한다. [* 여담으로 [[마이크 스웨거]]에서 한 헉피의 프리스타일을 보고 [[올티]]가 래퍼가 되기로 결심했다고 한다.] 실제 마스터플랜 클럽 시절 당시, 예정공연이 전부 끝나고 MC 메타의 프리스타일 타임이 관객들 사이에서 꽤 유명했다고 한다. 2014년 총 세 편의 [[싸이퍼]]를 기획하고 참여하기도 하였다.--[[치타]] 학살-- 그리고 프리스타일을 할 때마다 '연결고리'를 많이 외치기로 유명하다. [[https://youtu.be/r4h1cHTOCJI|증거자료]] 일리네어레코즈에서 본인이 피쳐링한 '연결고리'라는 곡의 유래도 엄밀히 따지면 저 멘트이다.
Nuol - Factory In Nuol/ I Need A Beat (per. [[마이노스]], Bizzy-B, MC Meta)
[[투게더 브라더스]] - RADIO STATION/ Together Brothers (feat. 가리온 & [[노이즈맙]][* [[마이노스]]와 [[라임어택]]이 이룬 팀])
4WD - The Sign Of 4/ 4개의 서명 (feat. [[Paloalto]], MC Meta & DJ Wreckx)
[[이승환]] - Fall to Fly 前/ 내게만 일어나는 일 (feat. MC Meta)
[[일리네어 레코드]] - 11:11/ 연결고리 (feat. MC Meta),〈A Better Tomorrow〉 (feat. MC Meta & [[Sean2slow]])
[[넉살]] - 작은 것들의 신/ Do It For (feat. MC Meta & Paloalto)
- TILTOWAIT . . . . 1회 일치
TILTOWAIT
- 거미(가수) . . . . 1회 일치
* [[마음의 소리]] 922화 4번째 컷에 [[http://comic.naver.com/webtoon/detail.nhn?titleId=20853&no=926|거미라도 될 걸 그랬어 친구]]라고 조석이 진짜 '[[거미]]'를 보면서 말 하고 있다(...)
|| 10라운드 2차 경연 || 거미 || 김신영 || 개구쟁이 - [[산울림]][* Feat.[[빅뱅(아이돌)|빅뱅]] [[TOP]].] || '''1위''' ||
- 구미산타페 . . . . 1회 일치
https://img1.daumcdn.net/thumb/R1920x0.q100/?fname=http%3A%2F%2Fpostfiles15.naver.net%2FMjAxODA1MDJfMTc3%2FMDAxNTI1MjQwOTY2NzEz.gV487-OPw52rJYjUI3JLzIaXp31SR-tYTOaWrI8v8jsg.kMv2R-S1hJDbKca290VUgPkBQVK-lbkSXDyzz-3Wx8Qg.JPEG.jungrhdwn90%2FR0015580.JPG%3Ftype%3Dw966
- 김가은(1989년 5월) . . . . 1회 일치
[include(틀:상위 문서, top1=트위치 스트리머)]
|| [[2007년]] || [[걸프렌즈]] || My Love Story || ||
* 2018년 2월 27일 제 7회 트위치 배틀그라운드 스트리머 랜덤 팀 대전에 참가했었다. 처음 참가했는데도 불구하고 TOP 10에 진입했다.
- 김경준(축구선수) . . . . 1회 일치
[[중국]] [[쿤밍]]으로 간 [[http://www.daegufc.co.kr/board_story_clubnews01/view.php?tn=board_story_clubnews01&list_count_s=6&G_state=Y&pm=4.2.1&part_part_s=&subject_s=&content_s=Y&name_s=&writedate_s=&search_word_s=%EA%B9%80%EA%B2%BD%EC%A4%80&sid=2934&gid=&cpage=1&spage=1|전지훈련]]에 참가했다. 전지훈련 기간 동안 4골을 기록하면서, 팀원들 중 가장 많은 골을 기록하여 이번 시즌 시작을 기대하게 했다.
시즌을 앞두고 [[https://www.youtube.com/watch?v=NidaO6eTO2c|신인선수인터뷰]]를 올렸다. 시즌을 앞두고 ~~분명 인터뷰에선 시즌이 시작됐고라고 했는데?~~ 경기장에 많은 팬들이 찾아오고 활약을 기대해달라는 내용이다.
4월 15일 토요일 [[포항 스틸러스]]와의 [[K리그 클래식]] 6라운드[[ http://www.daegufc.co.kr/board_story_clubnews01/view.php?tn=board_story_clubnews01&list_count_s=6&G_state=Y&pm=4.2.1&part_part_s=&subject_s=&content_s=Y&name_s=&writedate_s=&search_word_s=%EA%B9%80%EA%B2%BD%EC%A4%80&sid=2964&gid=&cpage=1&spage=1|원정 경기에 후반 교체 출전]]했다. 오광진과 교체되어 들어갔는데, 김경준의 투입으로 공격라인을 끌어올렸다. 참고로 이 경기가 김경준의 리그 처녀 출전이다. 팀은 1:2로 패배했다.
4월 22일 토요일 [[제주 유나이티드]]와의 [[K리그 클래식]] 7라운드 [[http://www.daegufc.co.kr/board_story_clubnews01/view.php?tn=board_story_clubnews01&list_count_s=6&G_state=Y&pm=4.2.1&part_part_s=&subject_s=&content_s=Y&name_s=&writedate_s=&search_word_s=%EA%B9%80%EA%B2%BD%EC%A4%80&sid=2968&gid=&cpage=1&spage=1|원정 경기에 교체 출전]]했다. 팀은 2:4로 패배했다.
5월 6일 토요일 [[전북 현대]]와의 [[K리그 클래식]] 10라운드 [[http://www.daegufc.co.kr/board_story_clubnews01/view.php?tn=board_story_clubnews01&list_count_s=6&G_state=Y&pm=4.2.1&part_part_s=&subject_s=&content_s=Y&name_s=&writedate_s=&search_word_s=%EA%B9%80%EA%B2%BD%EC%A4%80&sid=2981&gid=&cpage=1&spage=1|홈 경기에 교체 출장]]했다. 전반 15분에 에반드로의 부상으로 최전방 공격수로 교체되어 들어갔다. 최전방 공격수로서 활발히 움직이며 슛을 날리고, 돌파를 시도했지만, 골은 기록하지 못하고 0:3으로 패배했다.
- 김구현 (프로게이머) . . . . 1회 일치
{| cellspacing="1" style="text-align:center; background-color: white; border: double silver 3px;margin-bottom:6px;"
* [[2008년]] BATOO 스타리그 08~09 16강
- 김민제 (프로게이머) . . . . 1회 일치
* [[2008년 12월]] BATOO 스타리그 08~09 36강
- 김보정 . . . . 1회 일치
* 2017년 11월 1일 ~ 2018년 1월 14일 《투모로우 모닝 Tomorrow Morning》 ... 캣 역 (예정)
- 김석훈(탤런트) . . . . 1회 일치
|| 김석훈의 CLASSIC TOUR (classic compilration) || 2014.03.07 || 2014.03.11 ||
- 김준영 (프로게이머) . . . . 1회 일치
{| cellspacing="1" style="text-align:center; background-color: white; border: double silver 3px;margin-bottom:6px;"
* [[2008년]] BATOO 스타리그 08~09 16강
- 김태우(god) . . . . 1회 일치
실제로 2009년에 출연한 [[라디오 스타(황금어장)|라디오 스타]]에서도 자신이 가장 존경하는 가수가 스티비 원더며 세상에서 그렇게 노래를 잘하는 가수는 본 적이 없다고 했다. 다만 주위 사람들 말을 들어보면 세계 최고 보컬 TOP 10에 자신을 빼놓지 않는다고. 한 예능에서 직접 세상에서 열 손가락에 든다고 말한 적도 있다. [[해피투게더(KBS 2TV)|해피투게더]]에선 그마저도 철회. [[문희준]]과 [[은지원]]이 그 발언을 가지고 놀리자, 그때는 자기가 군대에서 나온지 얼마 안돼서 군대 수준으로 생각하고 있을 때라는 말을 했다.
- 김현정 (1979년) . . . . 1회 일치
| 그림 =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7/7f/Kim_Hyeon-jeong_%28%EA%B9%80%ED%98%84%EC%A0%95%2C_painter%29_at_The_Exhibition_of_Three_Korean_Artists_at_Today_Art_Museum_in_Beijing%2C_China.jpg/220px-Kim_Hyeon-jeong_%28%EA%B9%80%ED%98%84%EC%A0%95%2C_painter%29_at_The_Exhibition_of_Three_Korean_Artists_at_Today_Art_Museum_in_Beijing%2C_China.jpg
* '''전속''' STORM/ 클라이드/ VIKI 외 다수
* [http://www.kmdb.or.kr/actor/mm_basic.asp?person_id=00013948&keyword=김현정 한국 영화 데이터베이스]
- 김형준(배우,가수) . . . . 1회 일치
* 6월 20일 월드컵 특집으로 SS501 전원과 함께 Red’s go together 출연했다.
* 2012년 3월 29일 ~ 4월 7일까지 일본 오사카, 나고야, 도쿄 순으로 총 6회에 걸쳐 ‘KIMHYUNGJUN 2012 1st Story in Japan’이란 타이틀로 일본 단독 콘서트를 개최했다.
* 2014년 10월 10일 일본에서 단독 콘서트 '2014 LIVE TOUR - Endless Story'를 개최했다.
* 2017년 3월 11일, 12일 반디앤루니스 신세계 강남점 이벤트 존, 영풍문고 종각종로본점 지하 2층 이벤트존에서 세번째 미니앨범 AM to PM 5-11-3 발매기념 팬사인회를 개최했다. 이번 팬사인회는 4월 6일 군입대 전 마지막 팬사인회으로서 국내팬은 물론 수많은 해외 팬들도 찾아와 글로버한 인기를 실감케 했다. 팬들 한 명 한 명과 눈을 맞추고 다정한 대화를 나누며 악수를 나누는 등 팬 서비스를 선사해 팬들과 특별한 시간을 보냈다.
|| 미니 3집 || [[AM to PM 5-11-3]] || 2017.03.08 || '''기대''' || ||
|| 미니 3집 리패키지 || [[AM to PM 7-5-11-3]] || 2017.04.06 || '''7 O’CLOCK''' || ||
* 2017년 4월 6일 군 입대를 앞두고 3월에 한일 동시에 발매하는 세번째 미니앨범 [[AM to PM 5-11-3]] 티저 이미지를 공개했다. 김형준이 직접 작사, 작곡뿐만 아니라 프로듀싱에 참여해 앨범의 완성도를 높였다고 한다. [[http://entertain.naver.com/read?oid=111&aid=0000478456|#]]
* 경기남부지방경찰청 의무경찰 특기병에 합격해 2017년 4월 6일 충남 논산의 육군훈련소에 입소했다. [[http://entertain.naver.com/read?oid=108&aid=0002604342|#]] 군 입대와 동시에 세번째 미니앨범 리패키지 [[AM to PM 7-5-11-3]]를 발매했다.
- 남양주올터쭈꾸미 본점 . . . . 1회 일치
https://blogfiles.pstatic.net/MjAxODA4MjhfMTE5/MDAxNTM1NDYyMjE2MTI0.gUlWOZIlt9LkOeZ1j_a7bBpWFbgc62TJqh2RyLYP3-sg.zE-yJ62wzUY6xsJsZNBhLGyFthD-KH52XSTOR3OUSZ4g.JPEG.march1402/3-1.jpg
- 니엘(가수) . . . . 1회 일치
[[틴탑]]의 메인보컬로 데뷔곡인 '박수'에서는 거의 혼자 노래를 다 부르다시피 했다.[* 니엘:천지:나머지 멤버의 파트비율이 약 70:20:10 정도로 차이가 났다 개인파트가 있었던 멤버는 니엘, 천치 ,캡 밖에 없었다.] 그러나 갈수록 파트가 줄어 '향수 뿌리지마' 활동 때는 천지와 파트를 나눈 수준이었으나, 미치겠어부터 후렴구 담당이 되더니 To You에서는 [[창조(틴탑)|창조]]에게 파트를 많이 빼앗겼다. 데뷔 때에 비해서 파트가 많이 줄었다고 해도 곡의 비중은 상당하다.
심지어 [[http://stoo.asiae.co.kr/news/stview.htm?idxno=2012062811204393949|먹고 자면 입술이 붓는다고 한다]]. 2014년 SBS 정글의 법칙에 출연해 내추럴한 모습을 선보여 '못생겼다'는 악플 집중 포화를 받기도 했다.[* 니엘이 출연한 뒤 몇 달 후 [[2AM]]의 [[이창민]]이 출연해 '니엘아, 여기 오니까 못생겨질 수 밖에 없구나. 니 마음을 알겠다'라고 언급하는 바람에, 다음 날 창민과 니엘의 사진이 나란히 기사에 나와 또 한 번 악플 집중 포화를 받았다.] 세바퀴에서 [[T-800]] [[http://tvcast.naver.com/v/581148/|엔도스켈레톤 얼굴모사를 개인기로 선보였다.]]
NATURAL BORN TEENTOP에서 [[https://youtu.be/sJ5KdBRpxYI|그 전화 받지마]]를 공개했다. 짝사랑하는 여자가 바람둥이 남자친구에게 미련을 못 버리는 모습을 곁에서 지켜보며 가슴아파하며 제발 그 남자 전화 받지말아라, 안 받아도 뻔하다며 속타는 마음을 잘 표현했다. 그러면서도 정작 남자답게 붙잡을 수 없어 안타까워하는 모습까지도 잘 표현해 냈다.
2011년 2월 6일, supa luv 공연을 하던중 센터에서 안무실수를 하면서 실시간 검색어 상위에 오른적이 있다.[[http://1004haniel.com/473|2분 30초부터]] 이후 공식SNS에 인디안밥(...)을 하는 사진이 올라온건 덤[[https://m.blog.naver.com/teen_top__6/110102446125|##]]
- 레드 토네이도 . . . . 1회 일치
Red Tornado
로봇 [[슈퍼히어로]]. 개발자는 [[T.O. 모로우]]. 적색 컬러링에 망토, 적색 소용돌이가 특징이다. 소속은 [[저스티스 리그]].
- 마재윤 . . . . 1회 일치
이후에 [[인크루트 스타리그 2008]]에 이어 [[BATOO 스타리그 08~09]]에서도 예선전에서 떨어졌고, [[클럽데이 온라인 MSL 2008]]에서는 [[온게임넷 스파키즈]]의 신예 [[임원기]]를 잡고 복귀했지만, 32강 최종전에서 이윤열에게 또다시 패배하면서 16강 진출에 분루를 삼켜야 했다. 하지만 이후 [[로스트사가 MSL 2009]]에서 다시 32강에 진출, 사상 유례없는 MSL 11연속 진출을 달성했다<ref>[http://www.fomos.kr/board/board.php?mode=read&keyno=90893&db=news [[포모스]], 2008년 12월 18일]</ref>(KPGA시절까지 포함하면 이윤열, 조용호등이 있으나 순수 MSL만 따질 경우 마재윤이 최초이다). 2008년 10월 11일에 펼쳐진 블리즈컨 2008에서는 [[박지수]]와 [[허영무]]를 잡고 결승 진출에 성공했고, 12일에 치러진 결승전에서 이윤열을 만나 2:0으로 승리를 거두고 블리즈컨 2연속 제패에 성공했다.
** 2007년 12월 30일 이성은 승 vs 마재윤 패 - 신한은행 프로리그 2007 후기리그 In Blue Storm
- 맥스 페인 . . . . 1회 일치
>NEW YORK. FUGITIVE UNDERCOVER COP. NOTHING TO LOSE.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com.rockstar.maxpayne&hl=ko|안드로이드 앱 버전]]도 있다. 3,400원에 구매 가능.
attachment:Finito.png?width=200
Finito Brothers. 조이 피니토(Joey Finito)와 비르질리오 피니토(Virgilio Finito). 누가 조이이고 누가 비르질리오인지는 모른다. 루피노 휘하의 부하들로 매춘이 벌어지는 낡은 호텔을 경영하고 있다. 경찰의 잠입수사 요원이라는걸 들킨 맥스를 죽이려고 했으나 맥스에게 역으로 죽는다.
[[http://store.steampowered.com/app/12140/|스팀 상점 페이지]]
- 맥스 페인 2: 맥스페인의 몰락 . . . . 1회 일치
>'''A FILM NOIR LOVE STORY'''
[[http://store.steampowered.com/app/12150/|스팀 상점 페이지]]
- 박홍 (신부) . . . . 1회 일치
[[1994년]] [[서강대학교]] 총장으로 재직중, 주사파 관련 발언으로 화제가 되었다.<ref>[http://www.daejonilbo.com/news/newsitem.asp?pk_no=767077 1등신문 대전일보 59년 정통언론<!-- 봇이 붙인 제목 -->]</ref> 민주평통 자문위원으로 종교분과위원장을 지냈으며, '주사파'발언 이후 경찰관 2명이 그를 밀착하며 신변을 보호하기도 하였다.<ref name=autogenerated1>[http://www.hani.co.kr/h21/data/L000626/1pau6q2f.html 한겨레 21<!-- 봇이 붙인 제목 -->]</ref> [[1997년]] 총장직에서 퇴임하였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001&oid=015&aid=0000004186& 네이버 뉴스<!-- 봇이 붙인 제목 -->]</ref>
[[1997년]] [[5월]] 박홍이 제소되자 언론인 [[이도형 (1933년)|이도형]]은 [[노재봉]], 변호사 [[오제도]] 등 보수인사 70여명이 후원회를 꾸렸는데 이때 당시 후원인단 대표를 맡았던 그는 '대표적인 반좌익인사인 박 전 총장에 대한 탄압을 물리치기 위해 후원회를 만들었다'고 설명하였다.<ref name=autogenerated1 />
박홍 총장의 발언 이후 공안정국이 조성되며 [[우루과이라운드]] 반대 시위는 소강상태에 접어들고 그해 12월 국회에서 [[WTO]] 비준안이 국회를 통과한다.
- 베이식 (가수) . . . . 1회 일치
*2009년 Double Trouble(Basick & InnoVator)-''Troublemakerz''발매
*2007년 InnoVator(이노베이터) EP 《Time Travel》의 〈Listen remix〉, 〈유리병〉 참여
*2009년 B-Free - True Story(Feat. Kickaflo, Basick)/One Nation
*2009년 VON (본) - 내 아이팟(Feat. BASICK, PENTO, MAD CLOWN & 어니)/CREAM
*2010년 [[더 콰이엇]] - ''[[Quiet Storm: a Night Record]]'' - "Airplane Music"
*2011년 InnoVator(이노베이터) 믹스테잎 - Lab #2 - Robot Die
- 블랙 블록 . . . . 1회 일치
아나키스트 웹사이트 A-Infos에 따르면, 1980년대 유럽에서 아나키스트 활동으로서 확산되었다. 미국에서는 1999년 시애틀에서 있었던 WTO(세계무역기구)에 대한 항의 폭력 시위 이후로 2001년 무렵 부터 이 전술이 시작되었으며, 이는 경찰의 공격을 피하고 체포당하여 탄압받는 것을 피하기 위한 전술이다.
* http://www.usatoday.com/story/news/nation-now/2017/02/02/what-black-bloc/97393870/
- 서강준 . . . . 1회 일치
| 웹사이트 = [http://www.fantagio.kr/actors/%EC%84%9C%EA%B0%95%EC%A4%80/ 판타지오 서강준]<br>{{인스타그램|seokj1012}}
| [[정글의 법칙|정글의 법칙 in TONGA]]
- 신화용 . . . . 1회 일치
[include(틀:상위 문서, top1=축구선수/목록/대한민국)]
대한민국 [[K리그1]] 수원의 주전 골키퍼이자 '''한때 K리그1 TOP 3 안에 드는 골키퍼였고 2015 시즌 최고의 골키퍼''' 포철동초-포철중-포철공고를 모두 거친 --포스텍에 갔다면 그랜드슬램-- '''포항의 성골 중 성골'''이었다. 거기에 포항 태생으로 '''팀 내의 단 1명 뿐인 [[로컬 보이]]'''였으나 2016 시즌 이후 수원으로 이적했다.
- 아이린(레드벨벳) . . . . 1회 일치
||||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8/8e/Irene_Bae_at_Asia_Song_Festival_2018_in_October_03%2C_2018_%286%29.jpg/250px-Irene_Bae_at_Asia_Song_Festival_2018_in_October_03%2C_2018_%286%29.jpg ||
랩은 전형적인 SM 스타일이며 Ice Cream Cake의 공개 당시 멜론 리뷰창에 랩에 대한 호평이 많았다. Dumb Dumb에서도 [[마이클 잭슨]]의 곡 제목들[* You need to 'Beat It' / That boy Michael Jackson 'Bad' / 난 너의 'Billie Jean'이 아냐 / Don't you 'Leave Me Alone' / 하지만 애매한 반응 난 원해 'Black Or White' / 포기 못 해 나의 'Man In The Mirror'. Ice Cream Cake와 Dumb Dumb의 랩은 [[XXX(가수)|XXX]]의 [[김심야]]가 작사하였다.][[https://www.youtube.com/watch?v=RrojDCT9ZIM|#]]을 활용해 인상적인 랩을 보여줬다. 이후로도 레드컨셉의 곡에선 꾸준히 메인래퍼로서 랩 파트를 많이 받고 있다. 대부분의 음악방송에서도 안정적인 랩 실력을 보여주는 편이다. 최근에 컴백한 빨간 맛에서는 빠른 랩으로 다시 한번 메인래퍼의 실력을 검증하였다.
팀에서 [[슬기(레드벨벳)|슬기]]와 함께 춤을 잘 추는 멤버로 꼽힌다.[* 함께 레드벨벳 안무의 메인을 잡고 이끌어 간다. 퍼포먼스는 둘 다, 댄스브레이크 시, 슬기와 아이린이 센터에 많이 선다.] 그러나 각자 소화하는 스타일이 다른데 아이린은 Automatic 등 동작이 부드러운 벨벳 스타일의 노래나 '행복', 'Huff n Puff' 등 가볍고 통통 튀는 안무에서 춤추는 스타일이 유연하고 부드러워서 더 눈에 띄는 편이다. 격한 춤을 출 때는 날카로운 춤선이 돋보인다. 신장이 작은 점을 보완하기 위해 더 파워풀하게 추기 때문에 안무가 꽉 찬 느낌을 준다.
2016년 멜론뮤직어워드 TOP10 수상소감 중 전광판에 원샷이 잡히자 객석에서 사람들이 환호성을 질렀다. 그리고 사람들이 갑자기 웅성거리자 아이린이 ''응?''이라고 놀랐는데 환호성이 더 커진 것은 덤. [[https://youtu.be/t0VoN-Ho4pE|관객들의 반응에 놀라는 아이린]]
* 2014년 디지털 싱글 2집 Be Natural 활동을 위해 [[흑발]]을 했다. 그리고 2015년 미니 1집 Ice Cream Cake와 더블 타이틀곡 Automatic 활동에서는 금발로 염색했다. Ice Cream Cake 활동이 중반을 넘어갔을 때, 다른 멤버들과 함께 다시 흑발로 돌아왔다.
우선 이제까지 아이린을 가까이서 많이 보아 온 같은 소속사 선배이자 라디오 스타 MC인 규현이 [[http://i.imgur.com/WkOZlpk.jpg|녹화 당시 한 말]]처럼 최대한 말을 많이 하려 노력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양남자쇼에서의 모습과 대비된 이유는 양남자쇼는 레드벨벳 멤버들이 함께 출연했던 만큼 아이린이 어울릴 사람이 있었지만 라디오 스타에서는 레드벨벳 멤버 중 혼자서 게스트로 출연한 첫 토크쇼였고, 아이린이 워낙 낯을 많이 가리는 성격은 둘째치더라도, 소속사 SM엔터테인먼트의 직속이자 아이돌 가수 세계에서 하늘같은 대선배였고 SM 서열 순위 1위 강타와 친하고 같은 동료였던 문희준과 토니안, 그리고 SM 선배인 규현과 대선배가수 윤종신과 김구라, 김국진[* 더군나나 김국진은 아이린이 어렸을 때인 1990년대 중후반에 인기대스타였다! 위축되는게 당연한것이다!!!] 그리고 배우로 오래 활동했던 서지혜 사이에서 있었던 만큼 위축될 수밖에 없었다는 의견이다. 더군다나 서지혜와 서유리는 80년대 중반 생으로 방송에서 '초등학생 때 토니 부인, 칠현 부인이라고 자칭했다.'고 할 정도로 과거 H.O.T.의 열렬한 팬이었고, 문희준과 토니는 H.O.T. 멤버였던 만큼 공감대가 확실히 형성되는 네 사람 사이에서 91년생인 아이린이 할 수 있었던 행동이나 토크에 참여할 여지가 극히 제한적이었다는 의견 또한 있다. 아이린이 신인이고 낯을 많이 가리는 성격이라고 해도 데뷔한 지 2년은 된 상황이었고, 낯을 좀 가리는 성격이라 해도 연예활동을 하는데 문제가 있을 정도라면 SM이라는 국내 최대 대형 기획사를 통해 연예인이 되었을 수가 없다. 따라서 라디오스타 논란은, 아이린 개인의 문제라기보다는 (아이린을 제외한 다른 라디오스타 출연 게스트들을 알았다는 전제하에서) 스케줄을 잡은 사람의 잘못이라고 보는 것이 더 합리적이다. 그리고 말만 적었을 뿐 아이린은 방송 내내 [[http://cfile23.uf.tistory.com/image/2645454E584906A32885C5|90도로 허리를 펴고 앉은 채로 박수를 치거나 잘 웃는 등 리액션을 계속하였고]] 다른 게스트의 과거 사진에 놀라고 비웃는 와중에도 동조하지 않는 모습을 보여 타팬들의 의견마저도 말주변이 없었을 뿐 오히려 태도가 좋았다는 의견도 있다.
- 안기효 . . . . 1회 일치
2008년 [[BATOO 스타리그 2008]] 36강 2차전 (VS[[박명수(1987)|박명수]] 0:2)
- 울진군 . . . . 1회 일치
[include(틀:상위 문서, top1=경상북도)]
울진군은 [[진천군]], [[영동군]], [[홍성군]], [[무안군]], [[울주군]]과 함께 군인데도 불구하고 [[TOEIC]] 시험장이 있는 동네 여섯 곳 중 하나이다. 그래서 [[영양군]], [[영덕군]], [[봉화군]] 등 인근 군에 사는 토익 응시생들이 시험을 보러 원정을 오는 동네이기도 하다.
- 원빈(배우) . . . . 1회 일치
[include(틀:상위 문서, top1=배우/한국)]
||<table width=100%><table align=center><table bordercolor=#000000><-100><:>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C60C30 20%, #003478)"
서울로 올라와 아르바이트로 생계를 유지하며 틈틈히 오디션에 도전해 케이블의 제일방송 3기 공채 탤런트로 데뷔하게 된다.[* 지금은 [[MBC 드라마넷]]이 되었다.] 누구나 그렇듯 어렸을 적부터 드라마와 영화를 보고 배우의 꿈을 키웠던 것 같은데 영화 [[아저씨(영화)|아저씨]]와 관련한 인터뷰에서 [[최민수]] 주연의 [[테러리스트(영화)|테러리스트]]를 보고 액션 배우의 꿈을 키웠다고 한다. 그래서인지 액션에도 일가견이 있는 배우다.[* 실제로 [[태권도]] 유단자라고 한다. 90년대에 예능 프로에서 [[안재모]]와 태권도 대련을 하는 방송도 있었다.] [[http://todayhumor.com/?star_225458|#]]
* 맥심 TOP[* [[이나영]]도 [[동서식품|같은 회사]] 제품인 [[맥심(커피)|맥심]] 모카골드 광고에 출연중.]
* 제디게임즈 짐의 강산[* [[성 상품화]] [[http://www.n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60277|광고]]로 알려져 있는 모바일 게임이다. 실제 게임 상에서는 이런 장면이 나오지 않는다.]
- 월드 인 컨플릭트 . . . . 1회 일치
=== NATO ===
- 월드 인 컨플릭트/전술지원 . . . . 1회 일치
=== 공대공 타격(Air-to-Air Strike) ===
미국과 NATO 전용. 대형 수송기가 날아와 7.7t 짜리 폭탄을 투하한다. 보병, 숲, 경장갑 차량에 효과적이다.
- 유승민(정치인) . . . . 1회 일치
[include(틀:상위 문서3, top1=정치인/목록, top2=불교/인물, top3=대구광역시/인물)]
한일 군사정보 포괄보호협정(GSOMIA)도 절차상의 하자와 국민동의 미흡을 지적했지만, 근본적으로는 찬성입장을 보이고, 사드 조기배치 및 추가 2~3포대 설치를 주장했다. 그리고 독자 핵무장은 반대하지만, '공포의 균형'을 근거로 전술핵무기의 재배치는 찬성하는 입장이다. 이미 [[유럽]]에서 시행되고 있는 NATO식 핵공유를 모티브로 삼고,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NCND(Neither Confirm Nor Denied) 즉 전술핵무기의 존재에 대해 긍정도 부정도 하지않는 전략을 사용할 것이라 토론에서 밝혔다.
* 2005년 12월 사학법 개정안 처리를 두고 국회가 난장판이 된 와중에 [[정봉주]] 당시 열린우리당 의원과 몸싸움이 빚어졌다. 아무래도 체격 차이도 있고 정 의원이 어릴 때부터 무술을 연마한 전적이 있다보니 상당히 밀리는 모양새다. [[http://imnews.imbc.com/20dbnews/history/2005/1980921_19610.html|MBC 뉴스]]
- 유승옥 . . . . 1회 일치
||||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7/7c/130330_%EC%84%9C%EC%9A%B8%EB%AA%A8%ED%84%B0%EC%87%BC_-_toyota_%EC%9C%A0%EC%8A%B9%EC%98%A5.jpg/220px-130330_%EC%84%9C%EC%9A%B8%EB%AA%A8%ED%84%B0%EC%87%BC_-_toyota_%EC%9C%A0%EC%8A%B9%EC%98%A5.jpg ||
2014년 머슬매니아 세계대회에서 동양인 최초로 TOP 5 안에 들었다. 머슬퀸 열풍을 본격적으로 불러일으킨 장본인.
2015년 1월경 [[정아름]]이 유승옥을 간접적으로 암시하는 비판을 올렸던 일이 조명된 바 있다. [[http://www.sportsseoul.com/news/read/195170|링크]] 정아름은 뒤늦게 논란이 되자 [[http://mbn.mk.co.kr/pages/news/newsView.php?category=mbn00012&news_seq_no=2318991|이는 디스나 폄하가 아니며]] 유승옥에 대해선 오히려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으며 자기 비판에 인용하게 되었을 뿐이란 입장을 [[http://news.tf.co.kr/read/entertain/1577514.htm|밝혔으나,]] 나중에 [[박근혜-최순실 게이트]]과 연관되게 되자 다시금 안 좋은 쪽으로 거론되기도 한다. 이 태도를 비판하는 입장에선 유승옥 디스 건이 논란이 되었을 당시부터도 정아름이 골프 선수 시절 '''누드 화보를 찍었던 당사자가 남 말하듯 비난할 자격이 있느냐는 반응을 보였었다.'''[* 일단 [[정아름]] 본인은 자신의 건강한 모습을 보여주기위해 찍었더고는 하지만[[http://news.topstarnews.net/detail.php?number=119901]] 그 사진들이 모바일 서비스로 유통된 것이라(...) 논란이 좀 있다[[http://www.koreatimes.com/article/199436.]] ]
- 윤종신 . . . . 1회 일치
[[2001년]] 여름 콘셉트 앨범인 9집 '그늘'을 내놓았다. [[이규호(음악인)|이규호]]가 작곡한 '''팥빙수'''가 들어간 앨범. [[이한철]] 등의 동료 가수들이 호평했다. 2010년 백비트 김봉현과의 인터뷰에서 본인의 베스트 앨범으로 9집을 [[http://hyunjiwoon.tistory.com/1331|꼽은 바 있다]].[* 윤종신 曰, "9집이(나의 베스트 앨범이)다. 제일 창의적인 작품이었다. 수목원에서 같은 곡은 우리나라에서 나만 할 수 있다. 버릴 곡이 하나도 없었다. ... 음악을 해 본 사람은 알겠지만 팥빙수가 그렇게 만만한 노래가 아니다. [[이규호(음악인)|이규호]]가 곡을 호락호락하게 쓰지 않았다. 어렵게 만들었는데 쉽게 들리는 노래가 멋있는 노래다. 9집은 전곡이 어쿠스틱 모양새가 나온다."]
2010년 윤종신의 음악활동은 월간 윤종신 프로젝트로 요약될 수 있다. 이 프로젝트의 시작은 M.net에서 방영한 디렉터스 컷(Director's cut)이라는 프로그램인데, 당시 윤종신이 아끼는 인물들(하림, 조정치, 정지찬 등)이 많이 나왔었다. 디렉터스 컷에서는 출연진들이 특정 지역을 여행하면서, 윤종신이 미리 만들어둔 멜로디에 함께 가사를 붙였다. 여기서 만들어진 수많은 노래 중에 단 두 곡, '새로고침'과 '빈 고백'이 Director's Cut이라는 앨범으로 2010년 1월에 [[http://music.naver.com/album/index.nhn?albumId=167802|발매]]되었는데...
[[http://serviceapi.nmv.naver.com/flash/convertIframeTag.nhn?vid=6FA21910FB821F00A2864304CA058CC3AD52&outKey=V12799c51402e8afe0b999d6a553fbf3dd2bf243daf86913e96659d6a553fbf3dd2bf|윤종신 역대급 드립 TOP 7]]
- 은지원 . . . . 1회 일치
||<#FFFFFF>||<#FFFFFF> '''[[PLATONIC]]''' ||<#FFFFFF> 2009.12.14. ||<#FFFFFF> '''싸이렌 (feat. [[미스터 타이푼|타이푼]])''' ||<#FFFFFF> ||
* [[츤데레]]다. 문제는 팬들도 오해하는 사람이 많을 정도로 엄청난 츤데레라는 점(...). [[http://www.asiatoday.co.kr/view.php?key=20160425001447491|젝키 시절 사생팬들에게 쓴 손편지]] 멤버들 중 유독 [[이재진(젝스키스)|이재진]]과 티격태격대는 모습을 많이 보이고 도시락 때문에 싸웠다거나 이재진이 반항을 많이 했다는 언급도 몇번 해서 사이가 나쁘다는 오해를 받기도 하는데, 실제로는 친하다. 애초에 이재진이 코가 크다는 이유로(...) 젝키 멤버가 되지 못할 위기에 처했을 때 막 합류한 김재덕이 이재진을 두둔했는데[* 이재진과 김재덕은 부산에서부터 아는 사이였다. 김재덕에게 처음으로 춤을 가르쳐준 사람이 이재진이고 같은 댄스팀에서 활동했으며 함께 상경해서 연습생 생활을 했었다.], 이 때 은지원이 춤도 잘 추지만 생각이 깊은 아이라면서 회사를 설득하여 무사히 젝키 멤버가 되었다. 해체 후 각자 솔로활동을 하던 시절에 이재진이 라디오 출연했을 때 [[https://youtu.be/BZ2QCgkw_pg|은지원이 전화연결]]을 하기도 했고, 이재진이 군대 전역 후 인터뷰에서 '입대 전까지 지원이 형, [[강성훈|성훈이]]랑 연락했다. 이제 나왔으니 또 연락할거다.'라고 밝히기도 했다.[* 실제로 이 둘이 같은 예능에 출연하면(대표적으로 무한도전) 서로를 까면서 티격태격하다가도 어느 순간 죽이 맞거나, 남들이 까면 은근히 편을 들어주거나 서로 챙기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잡지 인터뷰에서 좋아하는 뮤지션으로 은지원을 꼽기도 했다. 젝스키스 무대나 예능에서도 은지원이 동생들을 계속 모니터링하며 챙기는 모습을 볼 수 있다. --그냥 프로 츤데레일 뿐-- 해체 직후에 총알받이가 되어가며 황급히 솔로로 나온 것 자체가 동생들이 최대한 편히 솔로 활동을 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주기 위함이었다. 누가 먼저 나오든 엄청난 욕을 먹을 것이라 나서서 총대를 맨 것. 재결합 전까지 젝스키스 언급을 자제하거나 상징색을 노랑이 아닌 은색을 써서 팬들에게 젝스키스를 부끄러워한다, 싫어한다는 오해를 사기도 했다. 하지만 한창 오해받을 당시의 발언만 봐도 알 수 있듯이 젝스키스가 너무 소중해서 함부로 하지 못한 것에 가깝다. --그 당시 현실적인 문제를 직설적으로 발언해 어린 팬들이 이해하지 못하고 등 돌린 부분도 크다.-- 젝키가 다시 뭉쳤을 때 일개 추억팔이가 되어 과거의 추억까지 격하당할 것을 염려한 흔적이 많다. 게다가 그동안 리더로서 지켜내지 못했다는 죄책감과 책임감을 가지고 살았다. 재결합 후 반응이 좋자 마치 용서받은 것 같다고 하기도 했다. 노란색 관련해서는 예능에서 남들이 다 싫다는 샛노란 체육복을 젝키는 노랑이라며 좋아하거나, 우비를 노란 우비 위주로 입는 모습만 봐도 알 수 있을 것이다. 문희준이 방송에서 은지원은 오해하기 쉬운 성격이라고 발언했을 정도다. 문제는 오해받더라도 해명하지 않는다는 것.
- 의성군 . . . . 1회 일치
[include(틀:상위 문서, top1=경상북도)]
[[https://story.kakao.com/ch/uiseong-gun|[[파일:카카오스토리 아이콘.png|width=15]]의성군 공식 카카오 스토리]]
TK 안에서도 보수정당이 강세를 보이는 지역이다. 생활권이 비슷한 이웃 [[군위군]], [[영덕군]]과 함께 '''대한민국에서 가장 보수성향이 강한 TOP3''' 지역으로, [[18대 대선]]에서 [[박근혜]] 후보가 86.1%를 득표하여 군위, 영덕에 이어 전국 3위를 기록했을 뿐만 아니라, 그가 최순실 게이트를 일으키고 결국 탄핵이 된 이후에 치뤄진 [[19대 대선]]에서도 [[홍준표]] 후보가 63.3%를 득표하여 군위 다음으로 전국 2위를 기록했다. 또한 대선 한 달전에 있었던 [[2017년 4월 재보궐선거]]에서도 의성 출신+강성친박 성향의 김재원 후보 역시 67.13%의 몰표로 가볍게 당선되는 데에 일조했을 정도로,[* 합산 득표율은 47.5%] 새누리당-자유한국당 외의 다른 정당은 발을 붙이지 못할 수준이었다.
- 이광수(배우) . . . . 1회 일치
||||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a/ad/Lee_Kwang-Soo_at_Malaysia_for_Running_Man_Fan_Meeting_Asian_Tour_2014_-_1.jpg/220px-Lee_Kwang-Soo_at_Malaysia_for_Running_Man_Fan_Meeting_Asian_Tour_2014_-_1.jpg ||
||<#ACF3FF> '''{{{#000000 SNS}}}''' ||<#ffffff><(> [[https://twitter.com/masijacoke85|[[파일:트위터 아이콘.png|width=24]]]] [[http://minihp.cyworld.com/pims/main/pims_main.asp?tid=20556494|[[파일:싸이월드_로고.png|width=24]]]] [[https://instagram.com/masijacoke850714|[[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png|width=24]]]] [[http://weibo.com/actorleekwangsoo?is_hot=1|[[파일:시나 웨이보_로고.png|width=24]]]] ||
'''아시아 프린스, [[런닝맨]]의 최대 수혜자[* 런닝맨 고정 7인 중 프로그램 시작 당시 인지도가 낮은 편이었으나, 현재는 런닝맨의 실세가 되었다. 특히 해외 팬들의 인기는 가히 압도적. 그에 걸맞게 중국 최대의 SNS인 [[웨이보]] 팔로워 수만 봐도 약 830만 명인데, 웨이보 한류 스타 순위 TOP 100명 중에 12등이다. 런닝맨 내에서도 팔로워가 두 번째로 많은 송지효와 200만 이상 차이가 난다.][* 런닝맨이 시작하던 2010년 7월 기준, [[유재석]]-[[지석진]]은 이미 십수년간 대중에게 인정받은 톱 개그맨이자 MC였고, [[김종국]]은 가수로서 정점을 찍은 상황에서 [[X맨을 찾아라]]과 [[패밀리가 떴다]] 등 예능에서도 맹활약한 스타였다. [[하하(가수)|하하]] 역시 X맨, [[무한도전]] 등 예능에서 잔뼈가 굵었고, [[송지효]]는 배우 경력이 꽤 길고 패밀리가 떴다 등의 예능 출연 경험 등이 있었다. 이들에 비해 [[개리(리쌍)|개리]]와 이광수는 비교적 인지도가 낮은 상황이었다. 개리의 경우 그룹 [[리쌍]]은 많은 히트곡과 힙합계에서 오랫동안 쌓아올린 명성, [[길(리쌍)|길]]의 무한도전 출연 등으로 그룹 자체는 유명했지만 개리 개인의 인지도는 그다지 높지 않았고, 이광수는 시청률 20%를 넘겼던 [[지붕 뚫고 하이킥]]에서 주요 조연으로 나와 갓 이름을 알렸던 때이다. 지붕 뚫고 하이킥의 화제성이 워낙 대단했기 때문에 이광수도 적지 않은 인지도를 자랑했지만 아무래도 다른 멤버들에 비해서는 덜 알려진 상태였던 것.]'''
- 이수진(치어리더) . . . . 1회 일치
2015년 9월 1일부터, 매주 화요일 삼성 토모로우와 맨즈헬스의 콜라보레이션 기사의 주인공으로 활약하고 있다.
* 9월 1일자 기사 (삼성 라이온즈 치어리더 이수진, 레벨 U로 하루 컨디션 Up) [[http://samsungtomorrow.com/NRJ9h|기사 링크]]
* 9월 8일자 기사 (이수진, 레벨 온 와이어리스로 영화 같은 데이트를 꿈꾸다) [[http://samsungtomorrow.com/uJMkb|기사 링크]]
* 9월 15일자 기사 (치어리더 이수진이 말하는 삼성 페이의 매력) [[http://samsungtomorrow.com/nQciD|기사 링크]]
* 9월 22일자 기사 (“야구장서 써먹기 딱!” 치어리더 이수진에게 배우는 응원 동작 3) [[http://samsungtomorrow.com/4YC3i|기사 링크]]
* 9월 29일자 기사 ('야구장 여신'의 변함없는 인기 비결은? 삼성 라이온즈 치어리더 이수진과의 데이트) [[http://samsungtomorrow.com/8Tm1q|기사 링크]]
* 10월 7일자 기사 (치어리더 이수진, 그와 함께한 시간들)[[http://samsungtomorrow.com/8OoLn|기사 링크]]
- 이지아(배우) . . . . 1회 일치
[include(틀:상위 문서, top1=배우/한국)]
||||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7/72/Lee_Ji-ah_on_October_31%2C_2011.jpg/250px-Lee_Ji-ah_on_October_31%2C_2011.jpg ||
|| '''출생''' ||<(> [[1978년]] [[8월 6일]][* 소속사에서 페이스북으로 [[https://www.facebook.com/bhent/photos/a.585333484885496.1073741827.113828472036002/1450363311715838/?type=3&theater|알려주었다.]]], [[대구광역시]] [[서구(대구)|서구]] ||
그러나 위에 '정리된 것'을 클릭해 보면 알 수 있듯이, 김순흥이 '''친일인명사전'''에 등재된 사실을 지적하는 글이 대형 카페에서 아무런 이유 없이 삭제되기도 했고, 블로그에 올라온 글도 명예훼손으로 신고를 당해 게시 중단된 사실이 있다. [[http://nila.tistory.com/133|*]]
2007년에 이지아 본인이 직접 디자인한 드레스를 입고 레드카펫을 밟은 적이 있는데, 허리춤에 수놓아진 자수를 두고 'Leejiatoes'--이지아 발가락--라고 해석해 이것을 거꾸로 읽으면 seotaijeeL이 된다는 설이 퍼졌으나, 소속사에서 이 글자는 'irresistible'이라고 밝혔다. 자세히 들여다보면 irresistible이 맞는다.[* '저항 할 수 없는' 이라는 뜻과 함께 '거부할 수 없을 정도로 매력적인'이라는 뜻도 있는 단어다][* ~~그런데 irresistible은 2004년 발매된 서태지 7집 issue의 앨범커버에 나오는 단어이기 때문에, 본인은 힘든 기간을 가졌다고 하면서 여전히 서태지를 따라다니는 아이러니한 모습을 보였다.~~ 앨범커버 왼쪽 하단에 잘려져서 쓰여져 있고, irresistible이라는 단어 자체가 흔하게 쓰이는 단어이기 때문에 이는 그냥 끼워맞추기식 추측에 가깝다고 볼 수 있다.]
드레스 투 킬 (DRESSED TO KILL)
- 이지은(2000) . . . . 1회 일치
|||| http://photo.jtbc.joins.com/prog/enter/mixnine/Img/20171124_155409_2148.jpg ||
이미 탈락자이지만, 장용준 사건으로 인해 강동지역에 TO가 나게되고 조민욱, 조니와 함께 선발 후보군으로 잡히게 된다. 결국 조민욱이 나가기로 했다.
- 전태규 . . . . 1회 일치
*[[2002년]] [[12월]] 2002 스타우트 & 배스킨라빈스배 KPGA TOUR 4차리그 6강
*[[2003년]] [[7월]] Stout MSL 3위
- 전효성 . . . . 1회 일치
연습생 시절 중에 결성된 3인조 [[걸그룹]]으로 데뷔할 예정이었지만 중간에 기획이 취소되어, 5인조 걸그룹 [[오소녀]]의 연습생으로 발탁되어 다시 1년간 연습생 생활을 하게 된다. [[http://stoo.asiae.co.kr/news/view.htm?idxno=2010042213140875889|#]]
상세 상황은 [[http://gums.tistory.com/22|시크릿 데뷔일기]]를 참조.
[[http://eto.co.kr/Data/2014/12/02/N2014120217175935701.jpg]] 2014년 12월 2일 [[피파 온라인 3]] CF에 [[홍진호]]와 함께 출연하였다. [[http://www.youtube.com/watch?v=WzdM6hCTIr8|광고1]] [[http://www.youtube.com/watch?v=NW1P6pNnr9c|광고2]] ~~여기서도 콩은 2등이다(...)~~
2015년 3월 15일 영등포 타임스퀘어에서 열린 리복 'Z펌프 런 첼린지' 이벤트에 [[제국의아이들]] [[김동준(제국의아이들)|김동준]]과 함께 참여하였다. [[https://twitter.com/Secretimehs/status/576959780264144897|~~그리고 기레기에게 테러를 당했다~~]][[http://news1.kr/photos/view/?1271255|~~덤으로 이런 꼴도...~~]]
==== Top Secret (Good-Night Kiss) ====
연초 <처용> 방송 직후에 가진 인터뷰를 통해 솔로 떡밥을 던지곤 했는데 2014년 4월 17일 [[이단옆차기]]의 곡으로 솔로앨범을 발표한다는 것이 공식적으로 확인되었다. [[http://star.mt.co.kr/view/stview.php?no=2014041708135750788&type=1&outlink=1|앨범 작업이 거의 다 끝나가며 큰 변수가 없는 한 5월 12일에 음반과 음원이 발표될 예정이라고 한다.]] [[http://www.tvreport.co.kr/?c=news&m=newsview&idx=493077|그런데 세월호 침몰 사건으로 인해 음악프로가 결방함에 따라 발매가 연기될 것으로 보였으나]] 5월 2일 소속사가 공식 SNS를 통해 [[https://m.facebook.com/story.php?story_fbid=712240712173658&substory_index=0&id=181948985202836|티저 이미지를 공개함에 따라 컴백이 확정되었다.]]
앨범 이름은 <Top Secret>, 트랙은 3개로, <여자를 몰라>, '''<Good-night Kiss>''', <밤이 싫어요>. ~~그 [[탑시]]가 아니다~~
5월 12일 [[https://youtu.be/HbNqVJdHlr8|뮤직비디오]]와 음원이 공개되었고 같은 날 [[http://www.melon.com/musicstory/inform.htm?mstorySeq=1551|쇼케이스]]가 열렸다. 앨범 공개 당일날 각종 포털사이트에 전효성의 이름이 검색어 상위권에 오르며 뜨거운 반응을 받았다.
3월 11일 시크릿 공식 페이스북에 전효성의 솔로앨범 티저 이미지와 자세한 컴백 일정이 떴다.[[https://www.facebook.com/SECRET2009/photos/a.185586928172375.49069.181948985202836/1087586711305721/?type=3&theater|#]][[http://www.xportsnews.com/jenter/?ac=article_view&entry_id=701833&_REFERER=http%3A%2F%2Fsearch.naver.com%2Fsearch.naver%3Fwhere%3Dnexearch%26ie%3Dutf8%26sm%3Dtab_etc%26os%3D169117%26pkid%3D1%26mra%3Dbjky%26query%3D%25EC%25A0%2584%25ED%259A%25A8%25EC%2584%25B1%26noq%3D%25EC%258B%259C%25ED%2581%25AC%25EB%25A6%25BF%26url%3Dhttp%253A%252F%252Fwww.xportsnews.com%252F%253Fac%253Darticle_view%2526entry_id%253D701833%26ucs%3DcHpXLxI8tOLE|기사]] ~~그리고 [[물망초]]와 관련된 떡밥도 해소되었다.~~
18일에 뮤직비디오 티저 사진과 타이틀곡 제목이 공개되었다. 타이틀곡 제목은 <나를 찾아줘>.[[http://entertain.naver.com/topic/999390/999390/read?oid=144&aid=0000422762|기사]]
[[블락비]]랑 [[BTOB]]와 발표 시기가 곂쳐진 불운을 감안 하더라도 심각한 수준.
2013년 8월 7일 언론을 통해 [[OCN]] 사전 제작 [[드라마]]인 [[처용]]에 [[http://star.mk.co.kr/new/view.php?mc=ST&no=684703&year=2013|여고생 귀신 한나영 역으로 캐스팅 되어]] 본격적으로 첫 연기에 도전하게 되었다. 2014년 2월 9일에 첫 방송 예정이라고 하며 캐스팅 되자마자 [[http://www.eto.co.kr/news/outview.asp?Code=20140204222522947&ts=180211|제작진에게 본인의 캐릭터를 분석한 편지를 보내 열정을 드러내기도 했다고 한다.]] 여담으로 시사회에서 극 후반부에 [[http://www.youtube.com/watch?v=3-R4yPUdgvY|고통을 표현해야 하는 부분이 있는데 본인의 연기가 마음에 안들자 감독이 직접 목을 졸라줬다고 한다.]]ㅎㄷㄷ 첫방 이후 대다수 대중들의 평은 꽤 좋은 편.[* 이번에 맡은 한나영이라는 배역의 캐릭터가 귀신이지만 밝고 명랑한 캐릭터인데 그것이 전효성 특유의 발랄한 매력과 잘 어울리는듯 하다.] 드라마도 첫방 이후로도[* 첫방은 역대 OCN 오리지널 드라마 중 첫 방송으로는 최고 시청률이라고 한다 오오!!!][[http://news.hankooki.com/lpage/entv/201402/h20140210114728133440.htm|기사]] 동시간대 시청률 1위를 계속 사수하면서 좋은 반응을 이어갔으며 [[http://blog.naver.com/ocnblog/120210963668|결국 최종회 까지 단 한번도 동시간대 1위를 놓치지 않고 종영하였다.
8월 5일에 약 15분 가량 시범방송을 선보이기도 했다.[[http://www.vlive.tv/video/1138/JUN-HYO-SEONGs-Trailer|#]] [[http://www.vlive.tv/video/1322/JunHyoSeong-TopSecret|8월 17일]]과 [[http://www.vlive.tv/video/1756/JunHyoSeong-TopSecret|9월 8일]]~~텀이...~~에 다시 한번 시범방송을 하였다. 9월 11일에 [[http://www.vlive.tv/video/1843/전효성의-불금|시범방송]]을 한 차례 더 하고는 3시간 뒤 드디어 [[http://www.vlive.tv/video/1827/JunHyoSeongs--TGIF1화장대공개|첫방송]]을 시작했다. 첫방송 주제는 본인의 방과 화장대를 공개하여 자신만의 화장법 등을 알려주는 내용.~~그런데 이런건 뷰바에서도 해도 되는데...~~
여자 [[아이돌]]에겐 보기 드문 '''선홍빛 [[잇몸]]'''을 선보이는데다 각종 방송 활동에서 ~~하라는 예능은 안하고~~내숭 없이 잘 웃는 모습을 자주 노출해 현재까지 남성팬들이 꽤 많다. 그래서 [[박명수]], [[신봉선]]과 함께 [[http://www.artsnews.co.kr/news/105890|연예계 3대 잇몸으로 꼽히기도 했다.]][* 다만 [[한국방송공사|KBS]] [[백점만점(예능)|백점만점]]에서 본인이 매력 포인트라며 어필한 그 잇몸 때문에 CF 감독한테 까였고(...) 결국에는 꼴등으로 뽑히고 말았다. [[안습]]. 근데 어느 날부터 자연스레 고정멤버가 된 듯하다. 이제까지 팀내에서 예능을 담당한 선화 빼고는 시크릿 멤버 중 처음으로 예능프로 고정을 획득한 것이다. 오오.~~다만 예능감은 미달수준~~ ~~그래서 별명이 다큐효성(...)~~] 사실 이 잇몸으로 주목받는 것이 유명해지고 나서의 이야기가 아니라 원래 어릴때부터 주변사람들에게 인지가 많이 되어 있었던 특징이었는데, 이미 [[오소녀]] 시절에도 팀 내에서 별명이 '잇몸'이었다고 한다.[* 그래서 그런지 2013년 MBC 파일럿 프로그램 화수분에서 [[원더걸스]] [[유빈]]을 대신해서 출연한 [[김신영]]이 전효성에게 잇몸이라고 부르는 장면이 나오기도 한다.] 여담으로 [[http://www.tagstory.com/video/100646262|무대 직전에 확인하는 부위가 잇몸(...)이라고 한다.]][* 여가수들이 웃을때 립스틱이 앞니에 묻는 경우가 있는데 본인은 특히 그런 경우가 많아서 그렇다고 한다.]
2011년 8월 25일경 자신의 미투데이에 [[http://www.eto.co.kr/news/outview.asp?Code=20110826083809313&ts=212519|"제 남자친구 어때요?" 라는 말과 함께 남긴 사진]] 때문에 한동안 인터넷을 떠들썩하게 했으나 그냥 같은 [[힘찬|소속사 후배가수]]와 함께 찍은 사진이었다...~~소속사 동생이라고 밝힌건 씹히고(...) 남차친구라는 말만 부각돼서 그렇지...~~
다이어트로 인해 [[가슴]]이 작아져 많은 사람들이 살빨이었다며 안타까워하고 있다. --[[http://todayhumor.co.kr/board/view.php?kind=search&ask_time=&search_table_name=&table=humorbest&no=463310&page=1&keyfield=subject&keyword=%C8%BF%BC%BA&mn=&nk=%B3%EB%BD%C3%C6%C8&ouscrap_keyword=&ouscrap_no=&s_no=463310&member_kind=|빈유모에]]-- 단, 여자들의 가슴이 남자들 생각과는 달리 은근히 사이즈가 유동적인 데다가, 수술하지 않았다면 옷이나 컨디션 등에 따라서도 차이가 꽤 나 보이기 때문에 섣부른 판단은 금물. 2012년 4월의 사진에서는 ~~전성기만큼은 아니더라도~~ 절대 절벽은 아니다. [[http://news.nate.com/view/20120512n08848&mid=e0403&cid=350114|5월 12일 드림콘서트에서 보여준 사진으로 보면 여전히 훌륭하다.]] 그런데 비슷한 시기에도 계속 사진마다 모습이 달라보이는 걸로 보아, 남자들이 잘 모르는 [[브래지어]]의 힘이 작용 중인 것으로 보인다...[* [[남자]] [[위키러]]들은 잘 모르겠지만, 여자들의 브래지어가 가진 무기는 '''[[패드]]만이 아니다.''' 푸시업을 어느 정도 해 주느냐, 혹은 어떤 옷에 맞추느냐 등 활용 폭에 따라서 절벽이 글래머로, 글래머가 슬렌더로 변신하는 마법을 부리는 게 여자 속옷이다. 특히 드림콘서트 당시 사진에서 나온 사이즈는 단순히 패드만으로 나올 수 있는 형태가 아닌지라, 옷발과 컨디션발이 상당히 심하게 영향을 주는 듯하다. 그리고 결정적으로 가슴에 약간 여유를 두고, 즉 푸시업이 좀 덜한 브라를 착용하거나 폭에 여유가 있는 누브라, 혹은 브래지어를 착용하지 않는다면 어께걸이 등의 지지가 없어져서 유방이 약간 처지는데, 보형물을 넣은 게 아니라면 이때 가슴골이 퍼져서 볼륨이 줄어들어 보인다. [[박로미]]가 가슴이 작아보이게 한 방법이 바로 이 것.] 아이러니컬하게도 전효성은 다이어트 등으로 인해 몸매가 상당히 유동적으로 변하는 모습을 보여준 덕분에 섹시컨셉으로 활동하는 여자 연예인들이 숱하게 겪는 [[가슴성형]]에 대한 의혹만큼은 확실하게 없어진 것이 불행 중 다행이라고 볼 수 있다. 애초에 뭘 집어넣은 거라면 저렇게 자연스럽게 사이즈가 왔다갔다 할 수가 없으니...
[[이말년씨리즈]]에 [[http://comic.naver.com/webtoon/detail.nhn?titleId=103759&no=145&weekday=wed|출연하였다.]] --까나리 까나리 쓰며들어 내게 파고들어--
2016년 3월 2일 [[우석대학교]] 진천캠에 입학 예정이라고 한다.[[https://www.facebook.com/woosukU/photos/pb.131050636961089.-2207520000.1456819638./1073726916026785/?type=3&theater|#]] 본인은 오래 전부터 고민해왔던 일이고 도전을 해보고 싶어서 결심했다고 한다. 3월 2일에 정식으로 우석대학교 공연예술뮤지컬학과에 입학하였다.[[http://www.newsis.com/ar_detail/view.html?ar_id=NISX20160302_0013931269&cID=10601&pID=10600|#]] 사실 전효성은 연예인 신분이면서 대학생 신분이라 학업과 활동을 병행하는 상태이다. 그런데 집, 학교, 소속사를 왔다갔다해야 하는 입장이라 인하대학교 보다는 집에서 가까운 우석대학교 진천캠퍼스가 더 적합할 수 있다. 게다가 스타덤에 오른 연예인에게 [[학벌]]이란 별 의미가 없고 되려 해당 연예인이 입학하는 학교의 명성을 높이는 홍보효과가 있으므로 학교 간판은 별로 신경쓰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도 [[서태지]], [[Dok2]][* 이 사람은 아예 '''초졸'''이다!] 등 [[학벌]]따위 [[휴지통]]에 내다 버린 최고 스타급 연예인들은 세고 널렸다. 일례로 만에 하나, [[전소미]]가 [[청담중학교]]를 졸업하고 고등학교 진학을 안해버리고 최종학력을 중졸로 끝낸다 하더라도 전소미는 이미 '''[[프로듀스 101]] 우승자'''라는 호칭이 있기 때문에 고등학교 및 대학교 진학 여부는 인지도에 별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 만약 학벌이 좌우하는 연예계였다면 [[유재석]]이 있어야 할 자리에 [[서경석]]이 들어가야 한다. 하지만 서경석의 인지도는 유재석은커녕 [[이휘재]]에게도 밀리는 게 현실이다. 그런 즉 전효성은 '''간판 따위 때문에 학교에 다니는 게 아니라 자기가 배우고 싶은걸 배우기 위해 학교에 다니는, 대학교의 본래 목적에 완벽히 부합하는 대학생활을 하고 있는 것'''이다.
- 정소담 . . . . 1회 일치
*EXR TEAM 106 신인드라이버 양성 <슈퍼루키 프로젝트> 시즌3 TOP10
- 정승환(가수) . . . . 1회 일치
[include(틀:역대 K팝스타 TOP3)]
- 조성모(가수) . . . . 1회 일치
[include(틀:상위 문서, top1=가수/한국)]
||<table width=100%><table align=center><table bordercolor=#000000><-100><:>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C60C30 20%, #003478)"
|| '''데뷔''' ||<(> [[1998년]] 9월 4일 1집 'To Heaven' ||
1998년 9월 4일 첫 앨범 《To Heaven》[* 그런데 본래 조성모가 아닌 [[다른 가수가 부를 예정이었던 노래|다른 가수에게 가려고 했던 곡]]이었다고 한다. 원래 주인공은 현 [[FNC엔터테인먼트]] 사장인 한성호 대표이다.]으로 데뷔 후 줄곧 신비주의 컨셉을 고수했는데 [[이병헌]]과 [[김하늘]]이 주연한 뮤직 비디오만 공개[* 조성모의 말에 따르면 방송국에 홍보용으로 미리 돌린 것이 의도치 않게 송출되는 사고를 겪었는데 그것이 예상치 못하게 반응을 끌면서 본의 아니게 얼굴 없는 가수가 된 것이지 원래 의도한 것은 아니라고 한다.]한 후 얼굴 없는 가수로 활동하다가 폭발적인 인기를 끌자, 1998년 10월 17일 [[이소라(가수)|이소라]]의 프로포즈(99회)로 [[https://www.youtube.com/watch?v=doW-NQXoWgY|방송에 첫 출연하면서 얼굴을 공개했다.]] [* 이 장면은 드라마 [[응답하라 1997]]에서도 나온다. 방성재와 도학찬은 조성모의 외모를 가지고 내기를 걸었고 예상 외로 조성모의 얼굴이 매우 멀쩡하자 충격을 받는 모습이었다.] 이후 [[이수영(가수)|이수영]]과 함께 유명 발라드 가수로 이름을 날리게 된다.[* 엄밀히 말하면 둘을 동시대 가수로 보기에는 무리가 있다. 데뷔 초부터 전성기를 구가했던 조성모와는 달리 이수영은 2집의 실패 이후 3집 그리고 사랑해로 슬슬 뜨다가 2003~2006년을 전성기로 보낸 탓이다. 대신 조성모의 전성기를 2005년 6집 Mr.Flower까지로 보면, 이수영이 7집 Grace와 8집 단발머리까지 히트시키며 그만큼 더 롱런하기는 했다.]
전성기 당시에는 '''아름다운 미성'''이 그의 트레이드마크였으며 그 목소리에 맞는 애절한(또는 처절하기까지 한) 발라드 곡으로 엄청난 인기를 끌었다.[* 처절한 곡의 대표격으로 2집 화살기도를 들어보시라.] 대표 발라드 곡들로는 1집의 To Heaven, 불멸의 사랑, 2집의 For your soul(슬픈 영혼식), 2.5집 가시나무, 3집의 아시나요, 다음 사람에게는, 4집의 잘가요 내사랑 등이 있다.
병역을 마치고서 컴백한 후에 여태까지 발표해오던 슬픈 발라드 곡 대신 갑자기 <바람필래>를 발표하면서 많은 이들에게 충격과 공포를 선사했다. 사실 조성모는 예전부터 타이틀곡으로는 선정하지 않긴 했어도 댄스곡을 정규앨범에 한 두곡 씩 넣곤 했었다. 반응은 발라드보다는 좋지 않았다. 심지어는 To Heaven도 댄스 버전이 있다. 이건 그냥 리믹스 버전 정도로 조성모의 변신이라고 하기는 좀 무리였고, 1집 수록곡인 '후회'가 댄스 비트를 가진 첫 곡으로 나름 인기를 끌었으며, 2집 '상처'는 후회를 잇는 댄스곡으로 이 또한 인기를 끌었으며, 인기 절정이었던 3집 당시 후속곡으로 활동했던 '다짐'[* 원래는 비비 1집에 '최후의 선택'이라는 제목으로 실린 노래다. 리메이크곡이 원곡과 제목이 다른 경우가 매우 드물기에 이 사실이 한참 지나서야 알려지기도 했다.]이 수록곡 차원이 아닌 3집의 후속곡으로 선정되며 인기를 얻었던 바이다.[* 사실 '다짐'으로 활동했을 때에 조성모가 댄스곡을 잘 소화했기 보다는 당시의 인기가 하늘을 찌를듯 했었기에 그에 따른 후광효과가 컸다고 봐야 하며, 실제 댄스를 소화하는 조성모의 모습이 다소 어색하고 부담스러워 사실 이때마저도 일부 팬들로부터 어그로를 끌기도 했었다.]
드라마타이즈 뮤직비디오의 붐을 처음으로 그리고 완벽히 일으켜준 가수로서, 'To Heaven'을 시작으로 4집 타이틀곡 '잘 가요 내 사랑'까지, '''드라마 타이즈 뮤직비디오 붐'''을 일으켰다. 조성모가 가수로서 성숙기에 접어들 때인 4집까지의 뮤직비디오들은 조성모를 통해 드라마타이즈 뮤직비디오 장르를 개척했다는 평가를 받는 [[김세훈]] 감독이 전담했다.[* 그러나 2001년 9월 발매된 앨범의 곡 'Never'의 뮤직비디오 연출은 [[차은택]]이 맡았다. 그 차은택 맞다.] 하지만 일부 뮤직비디오는 수위가 좀 있는데, 조폭들을 주제로 하여 주인공이 배신당하거나 결말이 좋지 않게 끝나는 새드앤딩으로 나오는 경우가 있다.
- [[http://youtu.be/ynlG1-OQgxg|To Heaven (1집)]] : [[이병헌]], [[김하늘]], [[허준호]], [[조민수]], ~~꼽사리~~[[정웅인]][* 이병헌의 친구 역으로 연기하였음. 자동차 정비소에서 일하면서 탐문수사하는 형사 허준호한테 ~~X나게~~ 두들겨 맞고 멱살잡히는 장면이나, 이병헌의 도움요청에 이병헌과 김하늘이 악당들에게 기습당하는 곳에 쳐들어가 함께 싸워주는~~(별 도움은 되지 않았지만...)~~ 장면에서만 잠시 모습을 드러낸다.], [[최종원]][* 간주 중 회상씬에서 잠시 등장. 이병헌과 조민수의 아버지로 이들의 어린 시절에 경찰로 근무중 순찰을 돌다가 동네 양아치들의 집단 폭행으로 살해당한다. 누나와 함께 살해 현장을 직접 목격하게 된 어린 이병헌이 아버지를 죽인 원수인 양아치들을 기억해 두었다가 나중에 성장하여 복수하는 것이 뮤직비디오의 주요 스토리다.] ~~[[오상훈]]~~[* 명배우는 아니지만 그래도 영화계에서 조연급으로 얼굴이 익숙한 배우이며, 특히 조성모의 대표 뮤직비디오들에서 악역으로 인상깊게 각인된 배우다. 'To Heaven' 뮤직비디오에서는 김하늘을 승용차에 가둬놓고 석유를 뿌려대고 불붙이는 대머리 조폭 역으로 짧지만 상당히 인상 깊게 등장한다.]
- [[http://youtu.be/C9CMZ35vTYs|아시나요 (3집)]][* 영화 '플래툰'의 촬영지인 [[필리핀]] [[마닐라]] 올로케로 촬영되었으며 2000년 당시 총 제작비로 15억원이 들어간 드라마타이즈 뮤직비디오 사상 전무후무한 대작 스케일을 내뿜는다. 스토리 내용은 주인공 조성모가 월남전쟁에 파병되어 베트남 소녀와 사랑에 빠졌다가 결국 함께 죽는 슬픈 결말로 구성된다. 극중 파병 부대로 마크까지 등장하는 [[제9보병사단]]으로부터 베트콩에게 전멸당하는 전투장면 및 얼차려 등의 병영생활 등이 나오는 장면들과 관련하여 거센 항의를 받고 법정공방까지 가기도 했다. 한편 [[천국의 눈물|이를 바탕으로 한 뮤지컬]]도 만들어진 바 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참조.]([[http://www.youtube.com/watch?v=oB4oCDXFXhE|수정판]][* [[제9보병사단]]으로부터 항의로 인해 부대마크를 모자이크 처리 및 전반부 국군이 베트콩에 전멸하는 전투장면을 삭제하고 후반부 전투에서도 주인공 조성모가 베트콩 수장을 죽이는 장면을 추가 삽입하는 등의 수정작업을 거쳤다.]) : [[신민아]][* 1999년 이승환의 당부 뮤직비디오로 데뷔하였고, '아시나요'는 그녀가 출연한 두 번째 뮤직비디오 작품이자 실질적으로 자신의 얼굴을 제대로 알린 첫 작품이라 할 수 있다. 뮤직비디오에서 주연으로 열연한 조성모의 히로인이라 할 수 있는 민간인 베트남 소녀 역할을 맡았으며, 전투를 떠나는 부대원의 지리정보를 주기위해 겁도 없이 총도 안가지고 전투에 참여했다가 결국 베트공의 총에 맞아 죽는다.], [[허준호]][* 주인공 조성모가 소속된 월남파병 부대의 [[말년병장]] 쯤으로 추정된다. 방탄모도 안쓰고 지멋대로 두건을 하고 다니는 등 군기가 제대로 빠져있는데, 중간에 민간인 구출 작전 과정에서 베트공에게 포로로 붙잡히게 되고, 베트공 대장의 살해 협박에 아군의 부대 위치를 알려주는 병크를 저지르고 결국 살해 당한다.], [[정준호]][* 조성모가 있는 파병부대의 소대장으로 계급은 중위. 민간인 구출 작전에서 구해낸 현지 월남 주민인 신민아가 현지 지리에 밝은 것을 활용해 도움을 받기도 한다. 마지막 부분 전투에서 숲속에 [[네이팜탄]]을 뿌리며 불을 지르다가 베트공의 습격에 폭사당한다.], [[신지수]][* 극중에서 신민아의 여동생으로 연기한다.], ~~[[오상훈]]~~[* To Heaven에 출연했던 악역 전문 배우와 동일 인물이며, 뮤직비디오에서 한국군과 대치하는 베트콩의 대머리 수장 역할로 거의 주연급 악역으로 출연한다.], ~~[[김대진]]~~[* '여름아 부탁해'를 부른 그룹 인디고의 멤버 맞다. 그 이전에는 지오에서 활동했다. 조연급 배우로 활동중이며, 아시나요 뮤직비디오에서 조성모의 동료 병사로 출연하는데, 극중에서 전투중에 아역배우였던 신지수를 비롯한 월남 민간인들을 구출하려다 총상을 입고 전사한다.]. ~~[[한나나]]~~[* 가을동화에서 송승헌의 약혼자로 나왔던 그 배우 맞다. 뮤직비디오에서 간호장교로 간간히 등장한다.]
- [[http://www.youtube.com/watch?v=wsvC0aQiaCE|Ace of Sorrow (베스트)]][* 조성모와 GM을 떠나 소속사를 옮기면서 잡음이 많아지던 2002년 가을에, GM이 조성모와 체결한 계약기간 막바지에 당사자와 협의 없이 발매한 조성모 디스코그래피의 [[흑역사]]로 일컽는 베스트 앨범 'Best Of Best: Don't Forget To Remember'에 수록된 신곡이다. 이런 형태의 베스트 앨범은 조성모 뿐만 아니라 소속사를 바꾸는 가수들에게 비일비재했던 전 소속사의 횡포와 같은 것이라 볼 수 있는데, 조성모의 경우 새소속사를 통해 발매할 5집 활동을 방해할 목적과 더불어, 계약기간이 끝나기 전까지 조성모의 단물을 마지막까지 빨아먹어 보겠다는 속셈으로 발매한 앨범이었다. 하지만 앨범 구입하는 입장에서는 그래도 조성모의 역대 히트곡들이 모두 담기고 라이브 실황 음원까지 담은 4CD 구성으로 가요계를 평정했던 명가수의 베스트 앨범으로서는 괜찮은 것 같다.] : [[권상우]], [[신은경(배우)|신은경]], [[정준호]][* 이로써 정준호는 허준호를 한 표차로 따돌리고 역대 조성모 뮤직비디오들에서 최다 출연한 배우가 된다.]
조성모가 탈락하자 MC인 전현무부터 시작해 연예인 패널들, 관중석, 그리고 조성모 본인도 큰 충격에 휩싸였는지 잠시 스튜디오에 적막이 흘렀으며, 이후 전현무와 연예인 패널들이 각종 분석을 하면서 그를 위로하느라 정말 애썼다. 허나 원래 히든 싱어의 슬로건이 '숨은 가수 찾기'이기 때문에 이후 라운드에서 조성모에게 가는 표는 무효 처리하는 방식으로 진행하면서 결국 마지막에는 1등을 하였다. 비록 조기 탈락이라는 커다란 업적(?)을 세우긴 하였지만, 덕분에 조성모에 대한 대중들의 관심이 다시 집중되는 계기가 되었다. 뿐만 아니라 왕중왕전 및 TOP3 생방송에 걸쳐 임 군의 조성모 모창이 너무 뛰어났기에 이목이 집중되기도 하는 등 히든 싱어 출연의 결과가 마냥 안습이라고는 볼 수 없을 듯. 그리고 시즌 3종료후의 왕중왕중왕전(시즌1~3 통합전)에는 콘서트 종료 직후 달려와 약간의 농담을 던지며 호탕한 웃음을 보이는 등 아무렇지 않게 참석했기에 쎄한 느낌을 말끔히 지웠다.
[[무한도전 특별기획전/토요일 토요일은 가수다|무한도전 토토가]]에서 정준하와 박명수가 섭외를 하기 위해 노래방 기기로 테스트를 했는데,[* 자신의 곡을 불러 95점 이상 나와야 출전이 가능하다.] 'To Heaven'을 불러서 '''83점이 나왔다.''' 한 술 더 떠서, 곧바로 '''박명수가 같은 곡을 불렀는데 96점이 나왔다.''' 조성모 본인의 말에 의하면 어떻게 고득점을 받는지 방법을 알고 있다고 했는데, 그런 것을 아예 모르는 박명수보다도 점수가 낮았다.(...) 그러나 이후 '가시나무'를 불러 100점을 획득해 출연자격을 얻었다.[* 그 전에 '다짐'도 불렀는데 88점이 나왔다.]
* 1998년 11월 7일 - 11월 14일 (2주 연속) MBC 음악캠프 <To Heaven>
- 창작:IDF . . . . 1회 일치
IDF 조직은 UN과 NATO의 결합-축소판이라는 평가를 받는다. IDF의 중앙조직은 [[문민통제]]가 비교적 엄격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 콜트 M4 카빈 . . . . 1회 일치
||구경||5.56x45 NATO (.223 레밍턴)||
- 킹 오브 드래곤즈 . . . . 1회 일치
여기서 전사,성직자,드워프 간에는 차이점이 거의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파이터는 HP 성장이 뛰어나고 성직자는 방어가 조금 더 나은 차이가 있으며 드워프는 D&D TOD,SOM 에서 나온 것과 마찬가지로 창이나 화살을 날리는 적들의 공격을 가만히 있으면 맞지 않는다는 차이가 있다. 의외로 원거리 공격에 아차 하는 순간 맞는 경우가 있어서 드워프가 살짝 좋은 점도 있었던 셈. 게다가 다른 캐릭터는 슬라임이 점프할때만 타격되지만, 드워프는 그냥 쳐도 슬라임을 타격할 수 있다. 하지만 3인용 시 원거리 캐릭 두명+좀더 멋지게 생긴 파이터를 주로 고른다.
- 탐라국 여왕 . . . . 1회 일치
* http://story.busan.go.kr/board/view.busan?boardId=BUSAN_STORY&menuCd=DOM_000000106002000000&orderBy=register_dt%20desc&startPage=1&categoryCode1=&dataSid=3726&tabNum=1&searchOption=null&mystoryOption=null
- 토리스 위스키 . . . . 1회 일치
Tory's Wisky
[[일본]]의 주류회사 [[SUNTORY]]에서 판매하는 [[위스키]] 브랜드.
1946년에 "싸고 품질이 좋은 위스키"라는 모토로 발매되었다. 1950년에는 토리스 위스키를 취급하는 토리스 바(Tory's Bar)를 체인점으로 열게 되었다. 1956년에는 토리스 바를 위한 홍보용으로 약간 성인 대상 잡지 『양주천국』을 간행하기 시작했으며, 1958년에는 광고용 캐릭터 앙클 토리스가 선보였다. 2010년에는 토리스 하이홀이, 2015년에는 토리스 클래식이 발매되었다.
* http://www.suntory.co.jp/whisky/torys/historybook/index.html
- 토이 솔져스: 콜드 워 . . . . 1회 일치
[[스팀]]에서 구매하는 방법은 [[토이 솔져스]]와의 합본팩인 [[http://store.steampowered.com/app/262120/|Toy Soldiers: Complete]]를 사는 수 밖에 없다. 따로 살 수 있는 [[토이 솔져스]]는 한글화도 되어있지만 이건 안 되어있다.
미국은 BGM-71 TOW. 소련은 AT-4 스피곳. 발사키를 계속 누르고 있는 걸로 미사일의 방향을 조정할 수 있다.
- 하이큐/236화 . . . . 1회 일치
* [[카게야마 토비오]]의 파인 플레이로 관중석의 여론은 단숨에 카라스노 쪽으로 기운다. 스코어는 16 대 15. 위태로운 한 점차 리드. 츠바키하라는 침채된 분위기를 절감한다. 이때 첫 번재 TO.
- 하이큐/257화 . . . . 1회 일치
* 이나리자키의 첫 TO에서 코치가 이런 방침을 전원에게 전달한다. 카라스노의 괴짜 속공은 히나타의 기동력을 전제로 언제 어디서 어떤 각도로든 때려넣는게 장점. 하지만 미야 형제는 오사무의 원래 포지션인 우익에서만 가능하다. 그러므로 히나타가 아츠무를 전담마크하고 카게야마와 [[타나카 류노스케]]가 좌익과 센터를 리드 블록으로 막는 걸로 대응해본다. 히나타가 오사무를 얼마나 틀어막느냐가 관건인데, 히나타가 제대로 도움닫기만 하면 도달점이 팀내에서 가장 높고 반응도 빠르니 기대해볼만하다.
- 하이큐/261화 . . . . 1회 일치
이번에 아츠무의 목표는 분명하다. 사실 이나리자키 측에선 진작부터 5번, 타나카를 집중 공략했다. 오늘 두드러진 활약도 없고 컨디션도 어정쩡해 보이는 타나카를 두들겨서 카라스노를 끌어내릴 참이었다. 지난 TO에서도 그 얘기가 나왔고 그래서 그 뒤로 나오는 서버마다 줄줄이 타나카를 노렸다. 아츠무도 그 대열에 동참했다. 그가 서브 위치에 서자마자 타나카가 감을 잡았다.
- 하이큐/273화 . . . . 1회 일치
* [[카게야마 토비오]]의 "온화 모드" 발동으로 분위기가 반전됐다. 스코어는 20 대 12. 카게야마의 노 터치 서브 에이스 달성을 기점으로 [[이나리자키 고교]]가 첫 번째 TO를 쓴다. 중계진은 경기가 서브 경쟁으로 흐름이 바뀌는 걸로 보고 있고 과연 카게야마의 서브로 [[카라스모 고교]]의 반격이 시작될지 주목한다. 그렇게 카게야마의 2회차 서브. 이번에도 완벽한 서브. [[미야 오사무]]가 손을 뻗었지만 리시브 실패. 연속 서브 에이스. 거기서 그치지 않는다. 카게야마는 세 번째 서브에 임한다. 이번엔 긴지마 쪽. 리시브에는 성공했지만 자세가 좋지 않았다. 공은 [[오지로 아란]]에게 연결. 2세트부터 스트레스가 극에 달한 오지로. [[우카이 케이신]] 코치의 의도도 그것이다. 아주 조금씩 쌓인 스트레스, 피로감이 평소 플레이를 조금씩 뒤흔든다. 그리고 지금 미스로 이어진다. 이번에도 오지로의 스파이크엔 블록 세 장이 따라붙었다. [[사와무라 다이치]], [[히나타 쇼요]], [[타나카 류노스케]]. 오지로는 우카이 코치가 노린대로 평소보다 아주 조금 더 블록을 의식하게 됐고 우측으로 길게 찌른 스파이크가 라인을 벗어난다. 카라스노의 득점. 스코어는 20 대 14. 우카이 코치는 이것이 전환의 1점임을 단언한다. 관중석의 [[다이쇼 스그루]]와 여친 미카도 알 수 있었다. 방금 전 그 아웃은 오지로에겐 "꺼림직한 아웃"이다.
- 허안나 . . . . 1회 일치
# 로 To The 봇 (2016.04.03~2016.06.12)
* 2012 프로젝트런웨이코리아4파이널TOP3디자이너컬렉션 참석
- 헤이즈 (가수) . . . . 1회 일치
* 2017 헤이즈 캐나다 투어 (4월 21일 Toronto, 4월 22일 Vancouver)
* 제9회 멜론 뮤직 어워드 TOP 10
{{멜론 뮤직 어워드 - Top 10}}
- 홍준표 (마술사) . . . . 1회 일치
* 2012년 [[채널A]] 《[[이은결 김원준의 TOP 매직]]》
- 황진하 (아나운서) . . . . 1회 일치
* tbs FM [[배기성]]의 라디오킹- 라디오 가요 TOP 10(매주 토, 일요일 오전 10-12시, tbs FM 95.1MHz)
- 황치열 . . . . 1회 일치
* 2008년 7월 15일 - 싱글 《PS영준 - The Romantic Story》 - 〈너 때문에〉 with PS영준(가수)
|rowspan="2"| Music Radio중국Top음악시상식(MusicRadio中国TOP音乐盛典)
- 히노쿠니 . . . . 1회 일치
* [[NARUTO]]에서 [[나뭇잎 마을]]의 배경이 되는 [[불의 나라]]가 있다.
* https://kotobank.jp/word/%E7%81%AB(%E8%82%A5)%E5%90%9B-1399899
11531의 페이지중에 109개가 발견되었습니다 (0개의 페이지가 검색됨)
여기을 눌러 제목 찾기를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