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rkest Hour: A Hearts of Iron Game/기술 . . . . 51회 일치
== Infantry ==
* Regular Infantry
* Light /Mountain
* Marines
해병 사단에 관련된 연구. 1916 Infantry Division 연구와 1916 Light Infantry Division 연구가 선행되어야 한다.
* Motorized Infantry
차량화보병 사단에 관련된 연구. 1931 Infantry Division 연구가 선행되어야 한다.
* Mechanized Infantry
기계화보병 사단에 관련된 연구. 1942 Motorized Infantry 연구가 선행되어야 한다.
* Combat Engineers
* Airborne Infantry
공수부대에 관련된 연구. 1926 Infantry Division 연구가 선행되어야 한다.
* Supply
* Field Artillery Supports
포탑달린 전함부터 현대식 전함까지의 전함에 대한 연구. 외전격으로 Super Heavy Battleship 연구와 Improved Super Heavy Battleship 연구가 있다. 처음부터 연구할 수 있다.
* Submarines
잠수정부터 현대식 잠수함까지의 잠수함, 기본 대형 잠수함에서 개선된 대형 잠수함까지의 대형 잠수함에 대한 연구. 외전격인 Super Heavy Submarine 외에는 잠수함을 연구하면 대형 잠수함도 함께 해금된다. 처음부터 연구할 수 있다.
* Torpedo
어뢰 부속의 성능 및 차세대 어뢰 개발에 대한 연구. 중간에 있는 Airdropped Torpedo 연구는 함재기 계열 부속들과 해군폭격기의 효율도 증가시켜 준다.
* Close Air Support
- 스틸오션/사령관 . . . . 51회 일치
* 주포 관통력 강화 II(Enhanced Main Penetration II) - 주포 관통력 2% 증가.
* 주포 조준 강화 III(Enhanced Main Aim III) - 주포 조준 속도 5% 증가.
* 토마스 킨케이드(Thomas Kincaid)
태평양 전쟁 당시 미국 제독. 정확한 스펠링은 Kinkaid지만 넘어가자.
* 주포 안정성 강화 I(Enhanced Main Stability I) - 포탑 회전을 떨어진 주포 정확도 2% 보완.
* 방뢰 구획(Torpedo Compartment) - 측면 방뢰구획 8% 증가.
* 엔진 강화 I(Enhanced Engine I) - 최대 속도 1노트 상승.
* 후지와라 마코토(Fujiwara Makoto)
* 물탱크 강화 I(Enhanced Water Storage I) - 잠수함 잠항 소요 시간 0.1초 감소.
* 교활함(Cunning) - 함포 사격시 55%의 확률로 위장 손실을 15% 감소.
* 주포 장전 강화 IV(Enhanced Main Reload IV) - 포수로 배치했을 때에만 발생. 주포 장전 속도 10% 증가.
* 주포 관통력 강화 II(Enhanced Main Penetration II) - 주포 관통력 2% 증가.
* 강인함 I(Toughness I) - 최대 내구력 1% 증가.
* 주포 보정 부스트(Main Artillery Adjust Boos) - 포수로 배치해야만 발동. 주포를 발사 할 때마다 조준 정확도 0.7% 증가.
* 라인하르트 셰어(Reinhard Scheer)
* 엔진 강화 I(Enhanced Engine I) - 최대 속도 1노트 상승.
* 바다의 기사(Marine Knight) - 함장으로 배치했을 때만 발생. 정확도, 갑판 장갑, 측면 장갑, 방뢰 장갑 5% 증가.
* 크루프의 기술력(Krupp Craft) - 순양함이나 전함에 배치했을 때만 발생. 조타가 주포 정확도에 주는 영향 5% 감소. 정확도 5% 증가.
* 주포 장전 강화 III(Enhanced Main Reload III) - 주포 장전 속도 3% 증가.
* 전투 본능(Battle Instinct) - 액티브. 2CP 소모. 사용한지 90초내에 적함에게 감지되면 경고 표시.
- 어쌔신 크리드 III/아이템 . . . . 26회 일치
700 파운드. 시퀀스 5 The Hard Way 임무 이후 해금.
3,955 파운드. 시퀀스 5 The Hard Way 임무 이후 해금.
3,500 파운드. 시퀀스 5 The Hard Way 임무 이후 해금.
1,250 파운드. 시퀀스 5 The Hard Way 임무 이후 해금.
1,575 파운드. 시퀀스 5 The Hard Way 임무 이후 해금.
* Cuttoe Sword
4,100 파운드. 시퀀스 5 The Hard Way 임무 이후 해금.
* Washington's Battle Sword (Replica)
2,650 파운드. 시퀀스 5 The Hard Way 임무 이후 해금.
* Stonehead War Club
3,850 파운드. 시퀀스 5 The Hard Way 임무 이후 해금.
* Gunstock War Club
* Assassin Tomahawk
* Stone Tomahawk
0 파운드. 시퀀스 3 The Braddock Expedition 임무 이후 해금.
* Iron Tomahawk
2,475 파운드. 시퀀스 5 The Hard Way 임무 이후 해금.
* War Tomahawk
* Stone Dagger
450 파운드. 시퀀스 5 The Hard Way 임무 이후 해금.
- Darkest Hour: A Hearts of Iron Game/장관 . . . . 25회 일치
* Autocratic Charmer(매력적인 독재자)
* Barking Buffoon(울부짖는 어릿광대)
* Insignificant Layman(하찮은 비전문가)
* Benevolent Puppet Kaiser(자애로운 꼭두각시 카이저) - 독일의 빌헬름 2세
* Charming Opportunist(매력적인 낙관론자) - 중화민국의 위안스카이(원세개)
* Despotic Autocrat(횡포한 전제 군주) - 러시아의 니콜라이 2세
* Puppet Emperor(꼭두각시 황제) - 일본의 히로히토
* Flamboyant Tough Guy(대담한 터프가이)
* Smiling Oilman(미소짓는 석유기업가)
* Chairman of the Council of the People's Commissars(인민위원평의회 의장) - 소련의 뱌체슬라프 M. 몰로토프
* The Brown Eminence(갈색 명성) - 독일의 마르틴 보어만
* The Fixer(해결사) - 중국 공산당의 저우언라이(주은래)
* The Pacifier(조정자) - 영국의 네빌 체임벌린
== Foreign Minister(외무부 장관) ==
* Apologetic Clerk(변명하는 사무원)
* Biased Intellectual(편향적인 지식인)
* The Cloak-and-Dagger Schemer(베일에 싸인 책략가)
* Ambassador to the United Nations(주 UN 대사) - 미국의 에드워드 스테티니어스
* Father of United Nations(국제연합의 아버지) - 미국의 코델 헐
* Supporter of Friendly Relations(우호적 관계 지지자) - 프랑스의 이본 델보스
- Darkest Hour: A Hearts of Iron Game/디시전 . . . . 24회 일치
* Invest in National Infrastructures(국가주도 기반시설 투자)
* Invest in National Research(국가주도 연구 투자)
* Purge the Army(군대 내부 숙청)
* Convert Convoys to Transports(화물선을 수송선으로 개장)
* Pass Enabling Act(수권법 통과)
* Attempt a Coup in Austria(오스트리아 쿠데타 시도)
* Create the Wehrmacht(국방군 창설)
* Re-occupation of the Rhineland(라인란트 재점령)
* Repudiate the Locarno Treaties(로카르노 조약 파기)
* Anti-Comintern Pact(반 코민테른 조약)
* Spanish Civil War - Intervention(스페인 내전 - 간섭)
* The Treaty of Munich(뮌헨 조약)
* The End of Czechoslovakia(체코슬로바키아의 최후)
* Claiming Klaipeda(클라이페다 요구)
* The Molotov-Ribbentrop Pact(몰로토프-리벤트로프 조약)
* The Sacred Union(신성 동맹)
* The Escape of SMS Goeben and SMS Breslau(SMS 괴벤과 SMS 브레슬라우의 탈출)
* Emergency Banking Act(긴급은행법)
* National Industrial Recovery Act(전국산업부흥법)
* Philippines Independence(필리핀 독립)
- Hunting the Hun . . . . 21회 일치
Over in France there's a game that played
by all the soldier boys in each brigade
It's called Hunting the Hun
This is how it is done!
First you get the gun
Then you look for a Hun
Then you start on the run
for the son of a gun
You can capture them with ease
They come out with a yell
Then your work is done
When they start to advance
Shoot'em in the pants
That's the game called Hunting the Hun!
First you get the gun
Then you look for a Hun
Then you start on the run
for the son of a gun
You can capture them with ease
They come out with a yell
- 어쌔신 크리드 III/임무일람 . . . . 21회 일치
<<include(틀:스포일러)>>
==== Burglar on the Homestead ====
==== The Fight ====
==== The Bowls Beginner ====
==== The Whittler's Weapons ====
==== Tools of the Trade ====
* 시퀀스 5 The Hard Way 임무 이후 수행 가능
* 시퀀스 5 The Hard Way 임무 이후 수행 가능
==== The Brawler ====
* 시퀀스 5 The Hard Way 임무 이후 수행 가능
==== Norris Goes Courting ====
==== Norris Tries Again ====
==== Get Me a Doctor! ====
==== The Proper Tools ====
==== The Comeback ====
==== Cutting Ties ====
==== The Final Straw ====
==== Room at the Inn ====
==== Finding His Flock ====
==== The Wedding ====
- WikiSlide . . . . 18회 일치
* a technology for collaborative creation of internet and intranet pages
=== Principles ===
* '''Fast''' - fast editing, communicating and easy to learn
* '''Open''' - everybody may read ''and'' edit everything
* '''Uncomplicated''' - everything works in a standard browser
* '''Simple''' - ''Content over Form'' (content counts, not the super-pretty appearance)
* '''Secure''' - every change is archived, nothing gets lost
* '''Interlinked''' - Links between pages are easy to make
* 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Knowledgebases, Brainstorming
* Collaboration, Coordination and Communication platform
* Creating documentation and slide shows ;)
== The First Steps ==
* Email address for subscribing to page change emails and retrieving a lost login/password
* Link with User-ID ( (!) ''in any case, put a bookmark on that'')
* Navigation: Quicklinks, Icons link to system actions (HelpOnNavigation)
== How do I navigate? ==
Searching and Navigation:
* Backlinks (click on title)
* Icons at top right (HelpOnNavigation)
* Title search and full text search at bottom of page
- FortuneCookies . . . . 16회 일치
* "It seems strange to meet computer geeks who're still primarily running Windows... as if they were still cooking on a wood stove or something." - mbp
* "Perl is executable line noise, Python is executable pseudo-code."
* "Heck, I'm having a hard time imagining the DOM as civilized!" -- Fred L. Drake, Jr.
* Good fortune in love, as well as a better position.
* Some men are discovered; others are found out.
* By failing to prepare, you are preparing to fail.
* He who spends a storm beneath a tree, takes life with a grain of TNT.
* You attempt things that you do not even plan because of your extreme stupidity.
* Take care of the luxuries and the necessities will take care of themselves.
* Words are the voice of the heart.
* Your mind understands what you have been taught; your heart, what is true.
* A king's castle is his home.
* Advancement in position.
* You will soon meet a person who will play an important role in your life.
* He who has a shady past knows that nice guys finish last.
* The universe is laughing behind your back.
* The best prophet of the future is the past.
* Even the boldest zebra fears the hungry lion.
* Money will say more in one moment than the most eloquent lover can in years.
* Might as well be frank, monsieur. It would take a miracle to get you out of Casablanca.
- Darkest Hour: A Hearts of Iron Game . . . . 14회 일치
* The Great War(1914)
* The Road to Another War(1936)
* Burning Europe(1940)
* A World in Flames
* Enemy at the Gate
* The Turning Tide(1943)
* Fall Weiss: Invasion of Poland
* Comintern(코민테른)
* Supplies(보급품)
* Factory(공장)
* Infrastructure(기반시설)
* Nuclear Reactor(원자로)
* Free Market↔Central Planning
* Interventionism↔Isolationism
==== Total Mobilization(총동원령) ====
전쟁을 벌이는 국가와 할 수 있는 행동. 해당 국가만 평화협상에 참가하는 Separate Peace와 해당 국가의 동맹 모두가 평화협상에 참가하는 For the Alliance가 있다. 전황이 좋다면 무장 해제, 군사적 통행권, 괴뢰국화, 영토 요구와 같은 굴욕적인 조건을 상대가 받아들일 확률이 높아지지만 전황이 나쁘다면 이와 같은 조건을 내걸어야 상대가 받아들인다. 물론 그 정도까지 가면 전에 세이브한 데이터를 불러오자. 평화협상이 체결되면 평화협상으로 변동이 생긴 국토 외의 모든 국토는 전쟁 전 상태로 돌아온다. 또한 평화협상 이후 일정 기간은 선전포고가 불가능하다.
* Demand Territory(영토 할양 요구)
* Influence Nation(영향력 행사)
* Bring to Alliance(동맹 초대)
* Guarantee Independence(독립 보장)
- Victoria II . . . . 14회 일치
[[스웨덴]]의 게임회사 [[Paradox Interactive]]에서 제작한 실시간 [[대전략]] 게임. [[제국주의]]와 [[민족주의]], [[혁명]]의 시기인 빅토리아 시대를 배경으로 하고있다.
* The Grand Campaign
각 국가는 한개 이상의 주(State)로 구성되어 있다. 플레이어는 각 주마다 "내셔널 포커스"라고 불리는 정책을 지정해 철도 건설, 특정 상품의 생산, 직업, 이주, 정당 지지율 등을 장려할 수 있다. 국가가 한번에 지정할 수 있는 내셔널 포커스의 양은 해당 국가가 [[Victoria II/기술 및 발명 목록/문화#s-5|정치 사상 연구]]를 얼마나 연구했는지에 따라 달라진다. 또한, 전쟁으로 할양받을 수 있는 영토의 단위는 기본적으로 주다.
각 주는 여러개의 프로빈스(Province)로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서 서울 주는 서울, 강릉, 원주, 대전, 인천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자의 프로빈스는 다음과 같은 요소를 가지고 있다.
* 부도덕한 사업(Immoral Business): RGO 생산량 -20%
* 기구 정치(Machine Politics): 여당의 지지도 +200%
* Factory(공장): 원자재를 소모해 다른 상품들을 생산하는 건물. 같은 종류의 공장은 한 주에 돌아가기 위해서는 해당 지방에 기능공들이 있어야한다. 같은 종류의 공장은 한 주에 하나밖에 지을 수 없다.
상품의 목록은 [[Victoria II/상품]] 문서 참조.
* Military-Industrial Complex(군산복합체): 육군 기술 연구 +15%, 해군 기술 연구 -5%, 문화 기술 연구 -10%, 산업 기술 연구 +10%
* Sea power & The Merchant Marine(해군력과 상선대): 육군 기술 연구 -5%, 해군 기술 연구 +15%, 상업 기술 연구 +10%, 문화 기술 연구 -10%
* Business Schools & Tycoon Capitalism(경영대학과 재벌자본주의): 육군 기술 연구 -10%, 해군 기술 연구 -10%, 상업 기술 연구 +10%, 문화 기술 연구 -10%, 산업 기술 연구 +5%
* Avantgarde Intelligentsia(아방가르드 지식계층): 해군 기술 연구 -25%, 문화 기술 연구 +5%, 산업 기술 연구 -5%
* Corporative Industrialism(법인 산업주의): 육군 기술 연구 -5%, 해군 기술 연구 -10%, 상업 기술 연구 +5%, 산업 기술 연구 +15%
기술과 발명의 목록은 [[Victoria II/기술 및 발명 목록]] 페이지 참조.
* Presidential Dictatorship(대통령 독재) : 반동주의 반란으로 뒤집어진 국가들은 이 정부 체제가 된다. 여당은 무정부 자유주의 정당으로 고정되며 반란이나 전쟁으로만 정부 체제를 바꿀 수 있다.
* Bourgeois Dictatorship(부르주아 독재) : 무정부 자유주의 반란으로 뒤집어진 국가들은 이 정부 체제가 된다. 여당은 무정부 자유주의 정당으로 고정되며 반란이나 전쟁으로만 정부 체제를 바꿀 수 있다.
* Proletarian Dictatorship(프롤레타리아 독재) : [[소련]]과 같은 체제. 공산주의 반란으로 뒤집어진 국가들은 이 정부 체제가 된다. 여당은 공산주의 정당으로 고정되며 반란이나 전쟁으로만 정부 체제를 바꿀 수 있다.
* Fascist Dictatorship(파시스트 독재) : 파시스트 반란으로 뒤집어진 국가들은 이 정부 체제가 된다. 여당은 파시스트 정당으로 고정되며 반란이나 전쟁으로만 정부 체제를 바꿀 수 있다.
정당과 개혁에 대해서는 [[Victoria II/정당]], [[Victoria II/개혁]] 페이지를 참조.
[[Victoria II/디시전]] 페이지 참조.
- Oh! How I Hate To Get Up In The Morning . . . . 13회 일치
[[https://youtu.be/s6Dof3UPCmA|들으러 가기]]
[[제1차 세계대전]] 말기인 1918년 미국에서 만들어진 노래. 작사 작곡 어빙 벌린(Irving Berlin).
The other day I chanced to meet a soldier friend of mine,
He'd been in camp for sev'ral weeks and he was looking fine;
I asked him how he liked the life, and this is what he said:
"Oh! how I hate to get up in the morning,
Oh! how I'd love to remain in bed;
For the hardest blow of all, is to hear the bugler call;
You've got to get up, you've got to get up
You've got to get up this morning!
Some day I'm going to murder the bugler,
Some day they're going to find him dead;
I'll amputate his reveille, and step upon it heavily,
And spend the rest of my life in bed."
A bugler in the army is the luckiest of men,
He wakes the boys at five and then goes back to bed again;
He doesn't have to blow again until the afternoon,
If ev'ry thing goes well with me I'll be a bugler soon.
"Oh! how I hate to get up in the morning,
Oh! how I'd love to remain in bed;
- 맥스 페인 2: 맥스페인의 몰락/줄거리 . . . . 12회 일치
== 파트 1: The Darkness Inside(내면의 어둠) ==
이야기는 한 저택에서 시작된다. [[모나 색스]]는 "맙소사! 내가 위기에 빠진 공주님이 되었네."[* God! I turned out to be such a damsel in distress. 맥스와 모나가 [[맥스 페인]]에서 처음 만났을 때 맥스가 모나의 쌍둥이 자매인 리사와 헷갈려했다. 이에 모나는 리사는 위기에 빠진 공주님이고 자신은 눈 깜빡 안하고 사람을 죽이는 전문가라고 대답했다.]라고 읊조린다.
=== 챕터 1: Elevator Doors(엘레베이터 문) ===
=== 챕터 2: A Criminal Mastermind(범죄의 흑막) ===
=== 챕터 3: The Depths of My Brain(내 뇌의 깊숙한 곳) ===
=== 챕터 4: No 'Us' in This(여기에 '우리'라는건 없어) ===
=== 챕터 6: A Linear Sequence of Scares(공포의 연속) ===
=== 챕터 7: The Million Dollar Question(백만불짜리 질문) ===
== 파트 2: A Binary Choice(양자택일) ==
=== 챕터 1: That Things that I Want ===
=== 챕터 2: In the Middle of Something ===
건물 최상층에 도착한 맥스는 어떤 방에 도착한다. 그곳에는 엄청난 양의 시체들이 보관되어 있었다. 맥스는 이것들 모두가 청소부들이 저지른 살인 사건의 증거가 될 수 있다고 생각했다. 맥스는 모나에게 경찰을 불러달라고 요청했지만, 오늘 경찰서에서 탈출한 도망자인 모나는 "뒈져, 맥스"[* Go to hell, Max.]라며 무전을 끊어버린다.
=== 챕터 3: Blowing Up ===
=== 챕터 4: Routing Her Synapses ===
=== 챕터 5: Out of the Window ===
=== 챕터 6: The Genius of the Hole ===
== 파트 3: Waking Up from the American Dream ==
=== 챕터 1: Too Stubborn to Die(죽기에는 너무 완고하다) ===
경비실에 도착한 맥스는 병원 CCTV를 확인한다. 다행히 [[짐 브라부라]]는 살아남아 수술을 받고 있었다. 맥스는 브라부라가 "죽기에는 너무 완고하다"[* Too Stubborn to Die]고 평한 후, 자신은 청소부들을 피해 도망쳐야겠다고 한다.
=== 챕터 5: A Losing Game ===
- InterWikiIcons . . . . 11회 일치
The InterWiki Icon is the cute, little picture that appears in front of a link instead of the prefix established by InterWiki. An icon exists for some, but not all InterMap references.
You can set InterWikiIcon to InterMap entries by putting an icon file of name lowercased InterWiki entry name, e.g; meatball for MeatBall, under imgs directory.
* MoinMoin:MoinMoinDiscussions
* Wiki:WardCunningham
* Others?
InterWikiIcon also used in the Unreal:Unreal Wiki.
Only lovel-16.png included, while you WkPark arguing to rename it LovolNet. :P
What about copy gentoo-16.png to gentookorea-16.png for InterMap entry 'GentooKorea'?
Any recommendations on what software to use to shrink an image to appropriate size?
The gimp :)
Some update proposals --PuzzletChung
* [[Icon(moin-new.gif)]]Amazon - http://puzzlet.org/imgs/amazon-16.png
* [[Icon(moin-new.gif)]][http://www.worrynet.com/jandi/wiki.cgi/%C0%DC%B5%F0%B9%E7 Jandi] - http://puzzlet.org/imgs/jandi-16.png (16x16x16M)
* [[Icon(moin-new.gif)]][http://ko.wikipedia.org/ KoWikipedia] - http://puzzlet.org/imgs/kowikipedia-16.png (16x16x16M)
* Freefeel - http://freefeel.org/upload/freefeelz16.png (as recommended at Freefeel:FreeFeelZone 16x15x256) or http://puzzlet.org/imgs/freefeel-16-new.png (16x16x16)
* NoSmoke - http://puzzlet.org/imgs/nosmoke-16.png (adjusted color-resolution down to 16col: 16x16x16)
For more information, check http://puzzlet.org/plots/InterWikiIcons
- 토탈워: 쇼군 2/유닛 . . . . 10회 일치
* 재장전 기술(Reloading Skill): 원거리 공격을 하는 부대의 재장전 속도. 이 수치가 높을수록 더 빨리 사격할 수 있다.
===== 야리 로닌(Yari Ronin) =====
===== 나기나타 사무라이(Naginata Samurai) =====
* 나기나타 도장(Naginata Dojo) 필요.
===== 나기나타 승병(Naginata Warrior Monks) =====
* 사찰(Monastery), 나기나타 도장(Naginata Dojo) 필요.
* 새로운 활력(Second Wind) - 자신과 근처 아군 3부대의 피로도를 회복시킨다.
* '''The Ikko Ikki Clan Pack DLC 필요'''
* '''Saints and Heroes Unit Pack DLC 필요'''
===== 고젠의 온나부시 영웅(Gozen's Hime Heroines) =====
* '''Saints and Heroes Unit Pack DLC 필요'''
* 불화살(Flaming Arrows) - 궁도(Way of Bow) 기예 연구 요구. 짧은 시간동안 일반 화살 대신 불화살을 사용한다. 공격력이 상승하며 선박이나 성문같은 나무로 된 것에 불을 붙일 수 있게된다.
===== 유미 로닌(Bow Ronin) =====
* 명적화살(Whistling Arrows) - 일반 화살 대신 소리를 내는 화살을 적의 머리 위로 쏘아날린다. 해당 화살의 영향범위에 있는 부대는 피아 구분 없이 사기와 전투능력이 감소한다.
* 명적화살(Whistling Arrows) - 일반 화살 대신 소리를 내는 화살을 적의 머리 위로 쏘아날린다. 해당 화살의 영향범위에 있는 부대는 피아 구분 없이 사기와 전투능력이 감소한다.
===== 카나타 로닌(Katana Ronin) =====
* '''Saints and Heroes Unit Pack DLC 필요'''
* '''Saints and Heroes Unit Pack DLC 필요'''
===== 도키타카의 타네가시마(Tokitaka's Tanegashima) =====
* '''Saints and Heroes Unit Pack DLC 필요'''
- 포스탈 리덕스 . . . . 10회 일치
* The Truckstop
* The Outskirts
* The Bridge
* The Mine
* The Junk Yard
* The Trailerpark
* The Train Station
* The Farm
* The Construction Site
* The Ghetto
- Darkest Hour: A Hearts of Iron Game/유닛 . . . . 9회 일치
Early Construction Engineering(초기 건축 공학)을 연구했다면 한 프로빈스에서 움직이지 않는 육군 부대는 참호를 파기 시작한다. 참호는 해당 부대의 방어 능력에 보너스를 준다. 하지만 부대가 이동을 시작하면 지금까지 판 모든 참호가 사라진다.
* Support Attack(공격 지원): 근처 적이 점령한 프로빈스에 내릴 수 있는 임무. 다른 부대가 지정된 프로빈스에서 전투를 벌이면 자동적으로 전투에 참가한다. 하지만 승리한다고 해도 해당 프로빈스로 진격하지 않고 원래 있던 곳에 머물러 있는다.
* Support Defense(방어 지원): 근처 아군이 점령한 프로빈스에 내릴 수 있는 임무. 적 부대가 지정된 프로빈스를 공격하면 자동적으로 해당 프로빈스로 이동, 전투에 참가한다.
==== Infantry(Inf, 보병) ====
==== Mountain(Mtn, 산악병) ====
==== Marines(Mar, 해병) ====
==== Motorized(Mot, 차량화보병) ====
==== Super Heavy Artillery(SH Art, 초중포병) ====
==== Engineer Brigade(Eng, 공병 여단) ====
==== Super Heavy Armored(SH Arm, 초중전차) ====
* Air Superiority(제공권 확보): 목표 지역에서 초계 비행을 벌이다가 적 편대를 발견하면 공격한다.
* Ground Support(지상 지원): 1916년 연구인 "근접 항공 지원 발상"을 연구하면 해금. 목표 지역의 적 육군 부대를 공격, 조직력을 깎는다. 공격 대상은 목표 지역 내 제일 적은 적군이 주둔한 프로빈스다.
* Runway Cratering(활주로 타격): 1916년 연구인 "전술 폭격기 발상"을 연구하면 해금. 목표 지역의 적 활주로를 폭격해 공군기지 레벨을 일시적으로 떨어뜨린다.
* Installation Strike(시설 타격): 1916년 연구인 "전술 폭격기 발상"을 연구하면 해금. 목표 지역의 대공포, 레이더 기지, 원자로, 로켓 시험소를 폭격해 레벨을 일시적으로 떨어뜨린다. 공격 대상은 목표 지역 내 제일 적은 적군이 주둔한 프로빈스다.
* Air Supply(항공 보급): 1938년 연구인 "1938년 항공 수송기"를 연구하면 해금. 목표 지역의 보급이 끊긴 아군 부대에게 보급품을 전달한다.
==== Interceptors(Int F, 요격기) ====
==== Rocket Interceptor(R Int, 로켓 요격기) ====
==== Close Air Support(CAS, 근접항공지원기) ====
==== Flying Bomb(V1, 비행폭탄) ====
* Convoy Raiding(호송선단 습격): 목표 지역에서 초계 활동을 벌이며 적의 호송선단을 공격한다.
- WikiSandBox . . . . 9회 일치
Please feel free to experiment here....
'''Tip:''' Shift-click "HelpOnEditing" to open a second window with the help pages.
== The First Section ==
=== The first subsection ===
Here is a link to the page titled: BizarStructuredText
And here is another line of text. Incidentally, you might want to do one
of the following:
If not, then just sit back, [[relax]], and [[enjoy]] the flight.
=== Can You Believe There's a Second Subsection? ===
They were surprised about the first subsection on this page. Imagine the complete astonishment when they discovered that there was a ''second'' subsection! An important part of this section is its reference to the MissionStatement. Be ''sure'' to check it out.
== What to Do When You're Getting Bored with the First Section ==
1. Check for loose change in the sofa cushions.
1. Clip your fingernails.
1. Have another beer.
1. Check out, http://www.halfbakery.com, for instance http://www.halfbakery.com/idea/Jehovah_27s_20Witness_20Delivery#979686222-5-1
1. Go right ahead and read the Second Section.
'''''Please Note:''''' ''There has been considerable controversy about several of the above listed alternatives to reading the First Section. Some people think they are silly. Some people think they are offensive. And some people just think that they are a waste of time. All of these may be true. However, we stand by them, as we firmly believe that they are '''all''' more interesting than the First Section.''
Please feel free to experiment here, after the four dashes below... and please do '''NOT''' create new pages without any meaningful content just to try it out.
'''Tip:''' Shift-click "HelpOnEditing" to open a second window with the help pages.
== Formatting ==
- 어쌔신 크리드 III/임무일람/주요임무 . . . . 9회 일치
=== Journey to the New World ===
=== Welcome to Boston ===
=== The Surgeon ===
처치의 집을 찾아간 두 사람. 처치의 집에는 아무도 없었다. 난장판이 된 집과 핏자국만이 있었을 뿐. 헤이덤은 집 구석에 걸려있던 처치의 초상화를 잘라내 몽타주를 만들고는 처치의 행방을 찾아 나선다. 찰스 리가 초상화 쪼가리를 가지고 삽질하고 있을 때 높은 곳에 올라가야 뭔가 잡을 수 있겠다고 생각한 헤이덤. 헤이덤은 뉴 사우스 웨일스 예배당(New South Wales Meeting House)에 올라가 주변을 둘러보고는 예배당 주변 사람들의 대화를 도청한다.
=== The Soldier ===
=== Infiltrating Southgate ===
=== Unconvinced ===
=== Execution is Everything ===
=== The Braddock Expedition ===
1760년, 카나다세둔(Kanatahséton). 책을 읽다가 카니에티오에게 들킨 그녀의 아들. 그때 같은 마을에 사는 카나도곤(Kanen'tó:kon)과 아이들이 같이 놀자며 찾아온다. 카니에티오는 그녀의 아들인 라둔하게둔에게 언덕 너머로 나가지 말라고 당부하면서 놀러 나가게 한다. 아이들은 "곰 만큼 큰 늑대"나 "[[총기|손에서 불을 쏘는]] 낯선 사람들"에 대한 소문을 이야기하며 숲으로 놀러나간다.
=== Feathers and Trees ===
몇년 후. 성장한 라둔하게둔과 카나도곤이 숲에서 만난다. 이들은 오늘밤 쓸 물건을 모아오라는 부족 어머니(Clan Mother)의 요구에 따라 숲으로 온 것.
=== Hunting Lessons ===
=== Something to Remember ===
=== A Trip to Boston ===
=== Boston's Most Wanted ===
=== Lying Low ===
=== Stop the Presses ===
=== Training Begins ===
=== The Hard Way ===
- IncludeMacro . . . . 8회 일치
{{{[[Include(Page name[,heading[,level]])]]}}}
* {{{[[Include(Page Name)]]}}} 혹은 {{{[[Include("Page Name")]]}}}라고 입력하면 문서이름 "Page Name"의 내용을 문서에 삽입하게 됩니다.
* 예를 들어 {{{[[Include(Page Name, "포함되는 문서 제목", 2)]]}}}라고 입력하면 Page Name 문서를 포함시키고, 해당 문서가 포함되는 위치에 제목줄을 {{{== 포함되는 문서 제목 ==}}}이라는 제목줄을 함께 포함하여 출력합니다.
{{{[[Include(HelloWorld,"Hello, World!!",3)]]}}}
[[Include(HelloWorld,"Hello, World!!",3)]]
{{{[[Include(틀:이름,foobar="어쩌구, 저쩌구", bar=저쩌구)]]}}}
* {{{[[Include(틀:이름,foobar="hello",foobar2="world",,"hello world",bah)]]}}}
- MoniWikiPlugins . . . . 8회 일치
Ko:MoniWikiPlugins
모니위키는 MoinMoin과 호환하는 Macro를 가지고 있으며, 그 매크로에 상응하는 action을 각각 가지고 있는 경우 혹은 액션만 있고 매크로는 없는 경우가 있습니다.
* GetText
* [Include]
* SystemInfo
* WordIndex
* print
* goto
* UploadFile
* UploadedFiles
* theme
* login
* minilogin
* quicklinks
* sendping
* restore
* backup
* Admin
* Gallery 간단한 갤러리(UploadFile매크로 이용)
* TwinPages
- UploadedFiles . . . . 8회 일치
{{{UploadFile}}}은 업로드 폼(매크로)을 보여주고 업로드를 하는(액션) 플러그인이며,
{{{UploadedFiles}}}플러그인은 이미 업로드 된 파일 목록을 보여주는 플러그인이다.
{{{[[UploadedFiles]]}}} : 현재 페이지에 첨부된 파일 목록을 보여준다. pds/현제페이지이름/* 하위의 모든 파일 목록을 보여주게 된다.
{{{[[UploadedFiles(top)]]}}} : 최상위 디렉토리를 보여준다. 즉, {{{pds/}}} 디렉토리를 보여준다.
{{{[[UploadedFiles(페이지이름)]]}}} : 지정된 페이지에 첨부된 파일 목록을 보여준다.
/!\ UploadedFiles 플러그인은 액션과 매크로를 동시에 지원하므로, 주소창에 {{{?action=uploadedfiles}}}를 덭붙여 주면 그 페이지에 첨부된 파일을 보여줍니다.
[[UploadedFiles]]
See also UploadFileMacro
- 어쌔신 크리드 III/아이템/대번포트 농지 . . . . 8회 일치
* 트립마인(Trip Mines)
* 영국제 플린트락 권총(English Flintlock Pistol)
* 프랑스제 코트 권총(French Coat Pistol)
* 이탈리아제 플린트락(Italian Flintlock)
* 지상 수송대 용량 업그레이드(Land Convoy Capacity Upgrade)
* 워싱턴의 전투용 검(모조품)(Washington's Battle Sword(Replica))
* 독다트 파우치 업그레이드 1(Poison Dart Pouch Upgrade 1)
* 왕립해군 해상근무 플린트락(Royal Navy Sea Service Flintlock)
UPlay에서 MP로 패키지를 구매해야 사용 가능.빅 데이브 레벨4, 엘렌 레벨3 부터 제작 가능. 재봉실+구리 광석. 말에게서 총알 같은걸 보급할 수 있게 된다.
* 연막탄 파우치 업그레이드 1(Smoke Bomb Pouch Upgrade 1)
* 이중 권총집(Twin Holster)
* 전투 토마호크(War Tomahawk)
* 트립마인 파우치 업그레이드 1(Trip Mine Pouch Upgrade 1)
* 채소(Vegetables)
* 불쏘시개(Kindling)
* 소나무 목재(Pine Lumber)
== 사냥(Hunting) ==
* 단추(Buttons)
* 살균제(Disinfectant)
* 부싯돌(Flint)
- MoniWikiOptions . . . . 7회 일치
초기값은 최초 모니위키 셋업을 할 때 [[monisetup.php]]에 의해서 `config.php.default`값이 복사되고, 일부 값은 [[monisetup.php]]에 의해서 자동으로 선택된다.
* [[도쿠위키]] [[미디어위키]] 모두 이러한 세밀한 옵션을 손쉽게 바꿀 방법을 제공하지 않고 있지만 모니위키는 [[monisetup.php]]를 통해 옵션 조정이 어느정도 가능하다.
`'''$theme='테마이름';'''` 테마
* 테마를 지정한다. See also MoniWikiTheme
`'''$theme_css'''`
* 기본 css의 경로를 설정한다. 기본값은 `$url_prefix.'/css/default.css'` `$theme`를 설정한 경우는 이 값의 초기 설정치가 자동 설정되며, $theme_css=0으로 세팅된 경우에만 CSS를 변경할 수 있다.
`'''$logo_string= '<img src="'.$logo_img.'" alt="" border="0" align="middle" />';'''`
`'''[[$menu]]'''=array('MoniWiki'=>1,'FindPage'=>4,'TitleIndex'=>3,'BlogChanges'=>'','RecentChanges'=>2,'http://kldp.org KLDP'=>9);`
`'''[[$auto_linebreak]]'''`
* nolink: 아무표시도 하지 않음
* forcelink:무조건 전체 링크
* Email Notification을 활성화 한다. 이 기능을 키면 SubscribePlugin을 사용할 수 있다.
`'''[[$use_twinpages]]'''`
`gethostbyaddr()`의 사용여부 결정. RecentChangesMacro에서 사용된다.
`'''$external_target = '_blank';'''`
* ClipPlugin 활성화, 파일 첨부시 클립보드 이미지 첨부를 쉽게할 수 있다.
`'''[[wiki:SectionFolding $use_folding]]'''`
* 모니위키 1.2.0부터는 단순히 $javascripts=array("folding.js",... 추가하여 사용하며, 모바일을 함께 지원합니다.
* 섹션별 폴딩이 아닌, 본문 내에서 폴딩을 사용하고자 할 때는 FoldingProcessor 를 참조
`'''[[$inline_latex]]'''`
- 건포인트/도전과제 . . . . 7회 일치
* '''Ding'''
* '''Breaking And Entering'''
* '''Low Flying Doors'''
* '''Title Finally Relevant'''
* '''On The QT'''
* '''Might As Well Have An Achievement For That Too'''
* I Am Better At This Than Tom Francis
<<include(틀:스포일러)>>
* Cover Up
* Alright, Have One! Just Stop!
* Coming Clean
* Sorry, Were You Using That?
* Intex Sympathiser
* Not Worth The Bullet
* Those Intex Models Jam
* Seven Story Takedown
- 페이데이: 더 하이스트 . . . . 7회 일치
|| 2 || Thick Skin || 체력 증가 ||
|| 4 || 새 장비 || Trip Mine ||
|| 6 || Trip Mine || 데미지 증가 ||
|| 8 || Thick Skin || 체력 증가 ||
|| 14 || Trip Mine || 소지량 증가 ||
|| 18 || Thick Skin || 체력 증가 ||
|| 22 || Trip Mine || 소지량 증가 ||
|| 1 || 플레이어 업그레이드 || Toolkit I || ||
* 체인스(Chains)
* 혹스턴(Hoxton)
* Reinbeck
attachment:Reinbeck.png
attachment:TripMine.png
* Thick Skin
attachment:ThickSkin.png
* Tool Kit
attachment:Toolkit.png
* More Blood To Bleed
* Protector
* PAYDAY™ The Heist: Wolfpack DLC - 2012년 8월 8일 발매
- MoniWikiTutorial . . . . 6회 일치
* FindPage(찾기) : 상단의 검색 폼 혹은 FindPage를 통해서 위키위키의 내용을 검색합니다.
* TitleIndex(목록) : 위키위키의 모든 페이지 목록을 보여줍니다.
* [[Icon(info)]] 페이지 변경 정보를 보여줍니다.
* '''[[GetText(Preview)]]''': 편집된 내용을 미리볼 수 있습니다.
* '''[[GetText(Save)]]''': 편집이 완료되면 저장을 합니다.
* '''[[GetText(GUI)]]''': 자바스크립트가 지원되는 환경에서 GUI 편집창을 보여줍니다.
* 자세한 내용은 [HelpOnEditing]을 참조하세요.
|| {{{''italic'' and '''bold''' and __underlined__ and ~~strikelined~~}}} || ''italic'' and '''bold''' and __underlined__ and ~~strikelined~~ ||
|| {{{^^super^^script and ,,sub,,script}}} || ^^super^^script and ,,sub,,script ||
|| {{{MoinMoin:HelpContents}}} || MoinMoin:HelpContents (InterWiki-Link) ||
{{{#!plain
* 매크로는 페이지내에 {{{[[GoTo]]}}}와 같은 형식으로 집어넣습니다.
- Suicide is Painless . . . . 6회 일치
|| 1절 ||Through early morning fog I see
Visions of the things to be
The pains that are withheld for me
|| 후렴 ||That suicide is painless
It brings on many changes
|| 2절 ||The game of life is hard to play
The losing card I'll someday lay
So this is all I have to say||
|| 3절 ||The sword of time will pierce our skins
It doesn't hurt when it begins
But as it works it's way on in
The pain grows stronger watch it grin||
To answer questions that are key
Is it to be or not to be
- UserPreferences . . . . 6회 일치
[[Theme]]
=== [[GetText(logout)]] ===
'''[[GetText(logout)]]'''을 누르면 쿠키가 지워지고, '''[[Gettext(Login)]]'''을 하시면 쿠키가 사용되며, 다른 곳에서도 같은 설정을 유지하며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공공의 PC에서 [필명]이 도용되는 것을 막기 위해서 '''[[GetText(Logout)]]'''을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설정을 변경한 후에 '''[[GetText(Save)]]'''를 누르면 그 설정이 저장됩니다.
- 트로피코 4 . . . . 6회 일치
>- [[http://store.steampowered.com/app/57690/|스팀 상점 페이지]]의 설명
>The times are changing and the island nation of Tropico is evolving. The Internet, a New World Order, terrorists, global financial markets and space exploration are on the rise and pose new challenges to El Presidente and his regime.
>Old buildings and structures are becoming obsolete and need to be upgraded or even replaced by their modern counterparts. Cars and transportation need modernization to meet the needs of a changing economy; and now El Presidente can even send people to the International Space Station! El Presidente and his ministers must now join the war against terror and control Internet regulation and freedom of speech on Tropico.
>-[[http://store.steampowered.com/app/205630/|스팀 상점 페이지]]의 설명.
* [[http://store.steampowered.com/app/57696/|Junta Military DLC]] - 2011년 11월 4일 발매
* [[http://store.steampowered.com/app/57695/|Plantador DLC]] - 2011년 11월 25일 발매
* [[http://store.steampowered.com/app/57697/|Quick-dry Cement DLC]] - 2012년 2월 8일 발매
* [[http://store.steampowered.com/app/205632/|Pirate Heaven DLC]] - 2012년 10월 24일 발매
* [[http://store.steampowered.com/app/205633/|Megalopolis DLC]] - 2012년 11월 6일 발매
* [[http://store.steampowered.com/app/205634/|Vigilante DLC]] -2012년 12월 9일 발매
* [[http://store.steampowered.com/app/205638/|Voodoo DLC]] - 2013년 7월 26일 발매
* [[http://store.steampowered.com/app/205637/|Propaganda!]]
* [[http://store.steampowered.com/app/205635/|The Academy]] - 2013년 9월 20일 발매
* [[http://store.steampowered.com/app/205636/|Apocalypse]] - 2013년 10월 8일 발매
- Good Morning, Mr Zip-Zip-Zip! . . . . 5회 일치
1918년 등장한 노래. 작사, 작곡은 [[http://adp.library.ucsb.edu/index.php/talent/detail/60590/Lloyd_Robert_composer|로버트 로이드]](Robert Lloyd)[* "Army Song Leader"라는 별칭이 있다.]
To clear the way to freedom
For the land we love the best.
We've left our occupations
But when the going's rather rough,
We raise this song in cheer:||
|| Good morning, Mister Zip-Zip-Zip,
With your hair cut just as short as mine,
Good morning, Mister Zip-Zip-Zip,
You're surely looking fine!
Ashes to ashes, and dust to dust,
If the Cam-ls don't get you,
The Fatimas must,
Good morning, Mister Zip-Zip-Zip,
your hair cut just as short as mine.
Good morning, Mister Zip-Zip-Zip,
With your hair cut just as short as mine,
Good morning, Mister Zip-Zip-Zip,
You're surely looking fine!
Ashes to ashes, and dust to dust,
- InterMap . . . . 5회 일치
# 이 파일은 기본 인터위키 파일 data/intermap.txt에 추가 혹은 변경을 위해 사용되는 기본 인터위키 맵 파일입니다.
# 파일 이름은 InterMap이며, 이 파일의 원본은 InterMapDefaultKo입니다.
# 아래 "Uploads" 인터위키 Uploads:는 노스모크 모인모인식 파일 연결을 지원하기 위함입니다.
##Uploads /pds/
Man ManPage?action=man_get&man=
AladdinMusic http://www.aladdin.co.kr/music/catalog/music.asp?ISBN=
KLE http://kle.kldp.org/main/$PAGE?action=urlencode&ie=UTF-8&oe=EUC-KR
# for Multilingual
- The Tyger . . . . 5회 일치
The Tyger BY WILLIAM BLAKE
Tyger Tyger, burning bright,
In the forests of the night;
In what distant deeps or skies.
Burnt the fire of thine eyes?
On what wings dare he aspire?
What the hand, dare seize the fire?
Could twist the sinews of thy heart?
And when thy heart began to beat,
What the hammer? what the chain,
In what furnace was thy brain?
What the anvil? what dread grasp,
When the stars threw down their spears
And water'd heaven with their tears:
Did he smile his work to see?
Did he who made the Lamb make thee?
Tyger Tyger burning bright,
In the forests of the night:
- WikiWikiWeb . . . . 5회 일치
The [wiki:Wiki:FrontPage first ever wiki site] was founded in 1994 as an automated supplement to the Wiki:PortlandPatternRepository. The site was immediately popular within the pattern community, largely due to the newness of the internet and a good slate of Wiki:InvitedAuthors. The site was, and remains, dedicated to Wiki:PeopleProjectsAndPatterns.
Wiki:WardCunnigham created the site and the WikiWikiWeb machinery that operates it. He chose wiki-wiki as an alliterative substitute for quick and thereby avoided naming this stuff quick-web. An early page, Wiki:WikiWikiHyperCard, traces wiki ideas back to a Wiki:HyperCard stack he wrote in the late 80's.
See also one of these links:
* get some answers on the Wiki:WikiWikiWebFaq
* get to know more about the Wiki:WikiHistory
* [http://news.mpr.org/programs/futuretense/daily_rafiles/20011220.ram Ward Cunningham Radio Interview]
- 슈퍼맨 리벤지 스쿼드 . . . . 5회 일치
Superman Revenge Squad
[[DC 코믹스]]의 [[슈퍼 빌런]] 팀. 첫등장은 Superboy #94 - The Superboy Revenge Squad (January 1, 1962)
본명 프레데릭 폰 프랑켄슈타인(Frederick von Frankenstein) 첫등장은 Superman: Man of Steel #61 (October, 1996)
본명 Floyd Barstow. 첫등장은 Adventures of Superman #539 (October 1, 1996)
첫등장은 Superman #115 (September 1, 1996)
The Hairies의 리더인 Jude와 Lucy Diamond Sky의 딸. 여담으로 창조자는 부모와 더불어 [[잭 커비]].
본명 Morris Edelstein. 첫등장은 Superman's Pal, Jimmy Olsen #133 (September 1970)
기업가 악당. 인터갱(Intergang) 관련 캐릭터다. 언론사도 가지고 있다.
첫등장은 Superman Annual #2 (August 1, 1988)
첫등장은 Superman #127 (September 1, 1997)
사이보그 여성. 메인프레임(Mainframe)의 멤버이기도 하다.
첫등장은 Superman's Girl Friend, Lois Lane #52 (October 1, 1964)
첫등장은 Superman: The Man of Tomorrow #8 (April 1, 1997)
본명 Micah Flint. 괴력을 지니고 있다.
첫등장은 Superman #366 (December 1981).
첫등장은 Superman #366 (December 1981).
첫등장은 Superman #366 (December 1981).
첫등장은 Superman #366 (December 1981).
첫등장은 Superman #367 (January 1982).
첫등장은 Superman #366 (December 1981).
- 시드 마이어의 에이스 패트롤 . . . . 5회 일치
* 날개에 피해를 입어 반전 기동(Inverted Maneuver)이 불가능 하게 된다.
* Stormrider
* The Eagle
* The Incinerator
* A View to the West
* Carpet Bombing
* Flying Circus
* Secret Supplies
* Sitting Ducks
* Train to Nowhere
* Vital Intelligence
- 엔포서스 . . . . 5회 일치
[[마블 코믹스]]의 빌런팀. 첫등장은 The Amazing Spider-Man #10 (March 1964)에서 처음 등장.
본명 Daniel Brito. 첫등장은 The Amazing Spider-Man #10 (March 1964). 3인 중 가장 단신이지만 뛰어난 무술가이다. 유도와 가라데를 익혔다.
본명 Jackson W. Brice. 첫등장은 The Amazing Spider-Man #10 (March 1964). 특기는 올가미 던지기. 카우보이 모자를 쓰고 있다.
본명 Raymond Bloch. 첫등장은 The Amazing Spider-Man #10 (March 1964). 큰 덩치에 걸맞게 괴력을 지녔다.
본명 Roland Bloch. 첫등장은 The Spectacular Spider-Man #19-20 (June–July 1978). 옥스의 형제.
* 스네이크 마스톤(Snake Marston)
본명 Sylvester Marston. 첫등장은 Machine Man #16 (August 1980). 전문 곡예사.
본명 Willard Harrison. 첫등장은 Machine Man #16 (August 1980). 금속 장갑을 착용. 권투 실력이 뛰어나다.
- 페이데이 갱 . . . . 5회 일치
* 체인스(Chains)
* 혹스턴(Hoxton)
* 휴스턴(Houston)
켈리 킹(Kelli King)이라는 이름의 [[오스트레일리아]]인. 어렸을 때는 [[멜버른]]에 있는 "딩고즈"(Dingos)라는 갱단 소속으로 깽판을 치고 다녔다. 이후 미국으로 건너가 페이데이 갱이 벌이던 [[은행강도]]에 난입, 돈가방을 들고 튄 적이 있다. 이 겁없는 미친 짓에 감명받은 베인이 페이데이 갱에 영입했다.
[[미국]]인. 본명은 톰 비숍(Tom Bishop). 배우 및 성우는 [[론 펄먼]]. 베인이 [[폭주족]] 단체인 오버킬 MC에 심어놓은 내부인이다. 정식 페이데이 갱단원이 되는 대가로 오버킬 MC의 동료들을 배신했다. 작중 나이는 61세. [[환갑]]을 넘었다.
미국 출신. 페이데이 갱에 들어가기 전까지 어거스트 린덴허스트(August Lindenhurst)라는 가명을 사용했다.
* 베인(Bain)
* 헥터(Hector)
* 코끼리(The Elephant)
* 치과의사(The Dentist)
* 도살자(The Butcher)
* 콘티넨탈(The Continental)
- 프리덤 파이터즈 . . . . 5회 일치
* [[팬텀 레이디]](Phantom Lady)
* [[레이]](The Ray)
* [[인비저블 후드]](Invisible Hood)
* [[네온 더 언노운]](Neon the Unknown)
* [[레드 토페도]](Red Torpedo)
* [[레드 비]](The Red Bee)
* [[앨리어스 더 스파이더]](Alias the Spider)
* [[레드 비]](The Red Bee)[* 위쪽의 레드 비와는 별도의 캐릭터로 추정.]
- 맥스 페인/줄거리 . . . . 4회 일치
<<include(틀:스포일러)>>
=== 2장: Live From the Crime Scene (범죄 현장에서 생중계) ===
* 기폭장치를 얻은 후 되돌아가다 보면 적들이 공격해오는 구간이 있다. 이때 적 하나가 수류탄을 가지고 있는데, 놈이 수류탄을 던지기 전에 죽여 빼앗을 수 있다. 이 수류탄을 시작구간에 있는 큰 구멍에 던진후 목표를 확인하면 "나는 쥐들에게 선전포고를 했다,"[* I had declared a war against rats.]라는 문구가 나오는데, 이후 폭탄이 설치된 문이 있는 방으로 가면 베레타와 데저트이글을 든 쥐들이 공격해온다.
=== 3장: Playing It Bogart ([[험프리 보가트|보가트]] 흉내) ===
=== 4장: Blood Veins of New York (뉴욕의 핏줄) ===
=== 5장: Let the Gun Do the Talking ===
=== 6장: Fear That Gives Men Wings (공포는 날개를 달아준다) ===
== 파트 2: A Cold Day in Hell (불지옥의 추운 날) ==
=== 1장: The Baseball Bat (방망이) ===
=== 4장: Put Out My Flames With Gasoline (내 불길을 휘발유로 끄려했다) ===
>Punchinello wanted Payne. He'd see the pain.
>Mr.Payne. It's time to show you the benefits of my brew. Be a good boy now.
== 파트 3: A Bit Closer to Heaven (천국에 좀 더 가까이) ==
맥스는 미셸은 포옹한다. 미셸은 사무실에서 바이킹에 관한 이상한 메모를 봤다고 말한다. 맥스는 미셸에게 지금은 해야할 일이 있으니 저녁에 얘기하자고 말한다. 포옹을 나누는 둘 뒤에서 또다른 맥스가 나타나 "타락천사의 살"[* The flesh of fallen angel. 작중 극중국인 주소불명(Address Unknown)에서 등장하는 분홍색 플라밍고의 대사. 잭 루피노를 비롯한 발키리 중독자들이 읊조리는 소리이기도 하다.]이라는 말을 내뱉는다.
=== 1장: Take Me to Cold Steel (날 콜드 스틸로 데려다 주게) ===
=== 3장: The Deep Six (딥 식스) ===
=== 4장: Backstabbing Bastard (뒷통수치는 새끼) ===
만나기로 한 날, B.B.는 맞춤 정장과 금시계, 금 커프스 단추를 끼고있었다. 모두 다 경찰 한명의 월급으로 살 수 있는게 아니었다. 배신을 직감한 맥스가 B.B.가 "뒷통수치는 새끼"[* Backstabbing Bastard]의 약자였냐고 따지자 B.B.는 지금 일이 어느 정도 규모인지 아냐며 맥스를 회유하려 든다. 하지만 맥스가 넘어오지 않자 B.B.는 미리 준비해둔 자동차에 올라타고 주차장 안으로 도망친다. 맥스는 덤벼오는 B.B.의 부하들을 해치우며 주차장 안으로 진입, 알렉스의 복수를 하기 위한 추격전을 시작한다.
=== 5장: In the Land of the Blind (장님들의 나라) ===
=== 6장: Byzantine Power Game (음침한 권력 투쟁) ===
- 브로포스/브로 . . . . 4회 일치
== 브로인블랙(Bro In Black) ==
== 브로미네이터(Brominator) ==
== 인디아나 브론스(Indiana Brones) ==
== 체리 브롤링(Cherry Broling) ==
== 더 브로드(The Brode) ==
== 브로데터(Brodator) ==
== 더 브로페셔널(The Brofessional) ==
== 스네이크 브로스킨(Snake Broskin) ==
- 스틸오션/영국 . . . . 4회 일치
||<bgcolor=#cccccc> '''소나 범위''' || 4,897 m ||<bgcolor=#cccccc> '''소나 빈도''' || 6.68 f/min ||
||<bgcolor=#cccccc> '''소나 범위''' || 4,995 m ||<bgcolor=#cccccc> '''소나 빈도''' || 6.89 f/min ||
>A/B-클래스 구축함의 설계는 영국 구축함사(史)의 이정표다. 소해임무에 중점을 둔 A-클래스와 대잠임무에 중점을 둔 B-클래스의 가장 큰 개선점은 파슨즈 기어드 증기 터빈이다. 제2차 세계대전 동안 A/B-클래스 구축함은 활동적이었다. 1940년, 여섯척의 A/B-클래스가 노르웨이 전역에 참전해 훌룡한 성과를 거뒀다. 코드링턴(Codrington)은 됭케르크 철수작전에 참가해 네덜란드 왕가를 구출했다. 아카스타(Acasta)와 아던트(Ardent)는 항공모함 글로리어스(Glorious)를 호위하던 중 독일 순양전함 샤른호르스트(Scharnhorst)와 그나이제나우(Gneisenau)를 격침시켰지만 독일군 어뢰에 피해를 입었다. 대서양 전역에서 불독(Bulldog)은 독일 잠수함 U-110을 나포해 처음으로 에니그마 암호 작성기를 확보하였다. A/B급에 의해 U-110외에도 7척의 주축군 잠수함이 최후를 맞았다.
||<bgcolor=#cccccc> '''소나 범위''' || 5,095 m ||<bgcolor=#cccccc> '''소나 빈도''' || 7.09 f/min ||
||<bgcolor=#cccccc> '''소나 범위''' || 5,197 m ||<bgcolor=#cccccc> '''소나 빈도''' || 7.3 f/min ||
||<bgcolor=#cccccc> '''소나 범위''' || 5,301 m ||<bgcolor=#cccccc> '''소나 빈도''' || 7.88 f/min ||
||<bgcolor=#cccccc> '''소나 범위''' || 5,407 m ||<bgcolor=#cccccc> '''소나 빈도''' || 8.12 f/min ||
||<bgcolor=#cccccc> '''소나 범위''' || 5,515 m ||<bgcolor=#cccccc> '''소나 빈도''' || 8.36 f/min ||
||<bgcolor=#cccccc> '''소나 범위''' || 5,738 m ||<bgcolor=#cccccc> '''소나 빈도''' || 8.87 f/min ||
||<bgcolor=#cccccc> '''소나 범위''' || 2,201 m ||<bgcolor=#cccccc> '''소나 간격''' || 2.5 f/min ||
>HMS Argus는 일반적인 항공모함이라고 부를 수 있을만한 최초의 왕립해군 소속 항공모함이었다. 원래는 콘테로소(Conte Rosso)라는 이름을 갖고 있었다. 1918년 9월, 콘테로소는 갑판 전체에 비행갑판을 두르고 Argus로 명명되었다. 제1차 세계대전 후반기에 Argus는 독일 함대의 공습을 받았다. 전간기에는 느린 속도로 인해 훈련 임무에만 머물러 있어야했다. 제2차 세계대전 당시, HMS Argus는 몰타와 지브롤터에 보급품을 보내는 하푼 작전(Operation Harpoon) 동안 H 기동부대의 항공 지원을 맡았다. 1942년, Argus는 횃불 작전(Operation Torch)에서 항공 지원을 맡았다. 이 함선은 주로 훈련용으로 사용되다가 1946년 퇴역했다.
||<bgcolor=#cccccc> '''소나 범위''' || 2,267 m ||<bgcolor=#cccccc> '''소나 간격''' || 2.58 f/min ||
||<bgcolor=#cccccc> '''소나 범위''' || 2,336 m ||<bgcolor=#cccccc> '''소나 간격''' || 2.65 f/min ||
||<bgcolor=#cccccc> '''소나 범위''' || 2,406 m ||<bgcolor=#cccccc> '''소나 간격''' || 2.86 f/min ||
||<bgcolor=#cccccc> '''소나 범위''' || 2,478 m ||<bgcolor=#cccccc> '''소나 간격''' || 2.95 f/min ||
||<bgcolor=#cccccc> '''소나 범위''' || 2,552 m ||<bgcolor=#cccccc> '''소나 간격''' || 3.04 f/min ||
||<bgcolor=#cccccc> '''소나 범위''' || 2,629 m ||<bgcolor=#cccccc> '''소나 간격''' || 3.13 f/min ||
||<bgcolor=#cccccc> '''소나 범위''' || 2,708 m ||<bgcolor=#cccccc> '''소나 간격''' || 3.22 f/min ||
=== Intrepid ===
||<bgcolor=#cccccc> '''소나 범위''' || 1,656 m ||<bgcolor=#cccccc> '''소나 빈도''' || 2.22 f/min ||
- 아워맨 . . . . 4회 일치
3명이 존재하며, 각자 1시간 동안의 초능력이란 공통점이 있다. 맨 오브 더 아워(Man of the Hour)라고도 불린다.
초대 아워맨. 첫등장은 Adventure Comics #48(March 1, 1940). 능력은 1시간 동안만 초인적인 힘과 내구력을 소유. 1913년생이며 본명은 렉스 "틱-탁" 타일러(Rex "Tick-Tock" Tyler).
히어로가 되기 전엔 화학자였으며 소박, 소심, 순한 성격에 시간에 강박관념을 가진 그는 동료들로부터 "똑딱(영어로 Tick-Tock)"이란 별명으로 불렸다.
본명 리처드 "릭" 타일러(Richard "Rick" Tyler). 첫등장은 DC Sampler #2(September 1, 1984)[* 정보에 따라 Infinity Inc. #20(1985)에 등장하고, 아워맨 데뷔는 그 다음인 #21에서 이루어졌다는 정보도 있다.] 초대 아워맨의 아들이며 한시간동안 무작위로 미래를 보며 미러클로를 이용해 힘, 스피드, 민첩성, 반사신경, 내구력을 한시간동안 증가시킨다. 다만 미러클로가 건강에 불친절한 약이라 하루에 한번만 사용한다. 그외 시간이 정지한 곳으로 보내주는 모래시계 타임포인트를 가지고 있다.
853세기에 만들어진 안드로이드. 첫등장은 JLA Secret Files and Origins #1(September 1, 1997)[* JLA(third series) #12(December 1997)라는 정보도 있다.] 매튜 타일러(Matther Tyler)라고도 한다.
- 어쌔신 크리드 III/부가요소 . . . . 4회 일치
* 나인 멘즈 모리스(Nine Men's Morris)
Peg Leg's Trinket. 맵 곳곳에 숨겨져 있는 보물. 이것을 모아서 대본포트 농지에 있는 나무다리에게 넘겨주면 키드 선장이 남긴 보물의 단서를 받을 수 있다.
* 사슬탄(Chain Shot): 두개의 구포탄을 사슬로 묶은 포탄. 상대의 돛과 돛대에 피해를 입힌다. 돛이 찢어지고 돛대가 부러진 선박은 움직일 수 없다.
* 목제 선체 강화(Wooden Hull Reinforcements)
* 철제 선체 강화(Iron Hull Reinforcements)
* 관통탄(Piercing Round)
* An Independent Government - 난이도 ★☆☆
* Stockpile - 난이도 ★☆☆
* The Powder Alarms - 난이도 ★★★
* War has come to Rhode Island - 난이도 ★☆☆
* Not Much to Fight About - 난이도 ★☆☆
* Impending Disaster at Paoli - 난이도 ★★★
* Trenton - 난이도 ★★☆
* Sound the Massage - 난이도 ★★☆
* Another Tea Party - 난이도 ★★☆
* Stono Ferry - 난이도 ★☆☆
* Valuable Informations - 난이도 ★☆☆
* The Swamp Fox - 난이도 ★☆☆
* Viper in Camden - 난이도 ★☆☆
* Sleeping in a Sugar Creek - 난이도 ★☆☆
- 크루세이더즈 . . . . 4회 일치
Captain Triumph
Libertine
The Invaders #14 (March 1, 1977)에서 첫등장. 제2차 세계대전 시절의 영국에서 활동한 팀이다. 코믹스에서도 알수 있듯이 [[인베이더즈]]와 대면.
Captain Wings
Tommy Lightnin
Dan the Dyna-mite
Villains and Vigilantes #1 (December 1, 1986)에서 첫등장. 인디애나 주의 팀이다.
* Comics Interview
Southern Knights #26 (April 1, 1988)에서 첫등장.
- AliasPageNames . . . . 3회 일치
#format plain
# InterMap에는 TwinPages가 정의되어 있는지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InterMap<InterWikiMap
WikiName,위키네임,위키이름
MoinMoin,모인모인
ExtendedWikiName,확장위키네임,확장위키이름
Linux,리눅스
WindowManager,창관리자
HelpOnProcessors,ProcessorPlugin,Processor,Processors,프로세서
HelpOnMacros,MacroPlugin,매크로
MoniWikiACL>MoniWiki:MoniWikiACL,SecurityPlugin
- I Didn't Raise My Boy to Be a Soldier . . . . 3회 일치
who may never return again
Ten millions mother's hearts must break
for the ones who died in vain
Head bowed down in sorrow In her lonely years
I heard a mother murmur thru' her tears ||
|| 후렴 || I didn't raise my boy to be a soldier
I brought him up to be my pride and joy
Who dares to place a musket on his shoulder
to shoot some other mother's darling boy?
Let nations arbitrate their future troubles
It's time to lay the sword and gun away
There'd be no war today
If mothers all would say
I didn't raise my boy to be a soldier ||
|| 2절 || What victory can cheer a mother's heart
What victory can bring her back
all she cared to call her own?
Let each mother answer In the years to be
Remember that my boy belongs to me ||
- 국부펀드 . . . . 3회 일치
설립목적에 따라서 안정화펀드(stabilization fund)와 저축펀드(savings fund)가 있다. 안정화펀드는 자원가격의 변동에 대응하여 재정적인 안정적을 추구한다. 자원 수출에 외환 수익을 의존하다보면, 자원 가격이 떨어지면서 외환 수익에 문제가 생길 수 있기 때문에 흑자일 때 모아두었다가 적자일 때 보전에 사용하는 목적이다. 저축펀드는 장래 자원이 고갈됐을 때, 미래세대들이 혜택을 볼 수 있도록 하는 목적이다.
이리하여 국부펀드의 영향력이 증가하였으나, 이들의 총자산 등 정보가 비공개 상태라는 점을 염려하여 [[IMF]]에서는 산티아고 원칙 (Santiago Principles)이라는 가이드 라인을 제시했다. 이를 바탕으로 하여 The International Forum of Sovereign Wealth Funds (IFSWF)가 International Working Group of Sovereign Wealth Funds(IWG)에 의하여 출범했다. 2009년 4월에 쿠웨이트에 설립된 IFSWF는 2009년 10월에 멤버들간 정기회의를 아제르바이잔의 바쿠에서 개최하였다. 한국투자공사를 비롯하여 24개 국부펀드가 가입하고 있다.
* http://news.joins.com/article/19043724
- 듄 2 . . . . 3회 일치
Dune II: The Building Of A Dynasty. [[웨스트우드]]에서 개발한 실시간 전략 [[게임]]. SF소설 [[듄 시리즈]]를 배경으로 하고 있다. 아트레이트, 오르도스, 하코넨의 3가문 가운데 1곳을 선택하여 미션을 플레이하여 듄 행성을 정복하는 전개를 가지고 있다.
유닛 가운데 보병(Soldier)는 업그레이드를 거쳐서 경보병(Light Infantry)로 생산할 수 있다. 보병은 1명 씩, 경보병은 3명 한 세트로 나온다. 경보병은 재미있는게 공격을 받아 죽으면 1명만 남는데 이 경우 유닛명이 솔져(병사)로 바뀐다(?!).
상징색은 붉은색. 기에디 프라임을 본거지로 하는 잔악하고 포악한 가문. 경보병(Light Infantry)을 사용하지 않는다.
- 스파이더 . . . . 3회 일치
The Spider
두편의 영화가 만들어졌는데 제목은 <The Spider's Web>(1938년), <The Spider Returns>(1941년)다. 시대가 시대이다보니 흑백 영화. 영화에서는 거미줄 문양같은 복면을 쓰고 있다. [[스파이더맨]]과 비슷. 다른 복장은 복면 대신 아이 마스크스러운 가면을 쓴 이미지도 있다.
- 식극의 소마/198화 . . . . 3회 일치
* 죠이치로는 정신적으로 극히 피폐해져 The BULE 대회가 끝난 것도 알지 못하고 자신이 어디에 있는 건지, 무엇을 하는지도 모르는 상태가 되고 만다.
* 소문이 자자한 [[사이바 죠이치로]]가 나타나지 않자 The BULE 회장은 혼란의 도가니가 된다. 스텝들은 어떻게든 죠이치로를 찾기 위해 허둥대고 해외에서 그를 보러 왔던 요리사들은 어이가 없다며 "겁 먹고 사라졌다"는 소문이 돌게 된다. 토오츠키 학원에선 그의 실종 소식이 전달되면서 "맨날 수업을 빼먹더니 더 블루까지 빼먹은 건가"라며 경악해 한다. [[시오미 준]]은 그렇다쳐도 이유가 뭔지, 왜 참석 조차 하지 않은 건지 의아해한다. [[나키리 아자미]]는 아무 말도 하지 않지만 당혹스럽기는 마찬가지다. 급기야 [[에비사와 리코]]는 그가 적어도 새벽에는 모습을 감췄을 거라고 추론하며 "요즘 분위기가 심상치 않더니, 더 블루가 귀찮아서 그런게 아니면 괜한 생각을 한게 아니냐"고 불길한 소릴 한다. 처음엔 그게 무슨 소리냐는 반응이던 학생들도 진지하게 자해나 자살을 떠올리며 우려한다.
* 그는 죽은 생선 같은 눈으로 가을선발대회 때의 대결을 회상하며 즐거웠다고 말한다. 어쩐지 여기 오고 싶었는데 요즘 마음이 답답했기 때문이다. 그러다가도 The BULE를 떠올리며 "거기서도 결과를 내야 하는데"라고 마음에 걸려한다. 그는 "내일" 있을 대회를 준비하기 위해 조리대 앞에 서있었지만 아무 것도 떠오르지 않고 그렇다고 잠도 들 수 없었다. 그저 조리대 앞에 서서 "다음 도착점으로 가야 한다"는 일념만 남아 있었다. 가혹한 폭풍을 헤치고 걷는 죠이치로. 그의 마음 속에서 그 몸은 다리가 부러지고 등불도 꺼뜨린 채 홀로 절망적으로 거대한 폭풍 앞에 내동댕이 쳐져 있었다.
- 월드 인 컨플릭트/유닛 . . . . 3회 일치
[[미국]]은 M1A1 에이브람스, [[소련]]은 T-80U, [[NATO]]는 독일군 레오파르트2A4. 강력한 체력, 방어력, 공격력을 가진 유닛. 차량과 건물에는 주포를, 보병과 헬리콥터에는 기관총을 사용한다.
* 공격능력: 백린탄(미국, NATO)/파편고폭탄(소련) - 보병에게 치명적인 포탄을 발사한다. 백린탄보다는 파편고폭탄이 다루기 더 쉽다.
미국은 M60A3, 소련은 T-62, NATO는 영국군 치프틴 Mk.5.
* 공격능력: 실레일러 미사일(미국)/AT-4 스피곳 미사일(소련)/HESH탄(NATO) - 차량과 전차에게 강력한 대전차 미사일이나 점착유탄을 발사한다.
미국은 M551A1 셰리던, 소련은 PT-76, NATO는 영국군 FV101 스콜피온. 빠르지만 나약한 전차. 경전차 TA로 공수받을 수도 있다.
* 공격능력: TOW 미사일(미국)/AT-5 스팬드럴 미사일(소련) - 차량과전차에게 강력한 유선 미사일을 발사한다.
* 공격능력: 철갑탄(NATO) - 일정 시간동안 날탄을 사용한다. 기관포탄이 입히는 대미지가 증가한다.
미국은 M2A2 브래들리, 소련은 BMP-2, NATO는 영국군 FV510 워리어. 기관포로 무장한 장갑차. 보병 분대 하나를 탑승시킬 수 있다.
* 공격능력: 고폭소이탄(소련, NATO) - 일정 시간동안 고폭소이탄을 사용한다. 기관포탄에 폭발 효과와 화염 효과가 추가된다.
미국은 AAVP7A1, 소련은 BTR-80, NATO는 독일군 룩스. 기관포로 무장한 장갑차. 보병 분대 하나를 탑승시킬 수 있으며 물 위를 이동할 수 있다. 쓸모없다.
* 공격능력: 헬파이어 미사일(미국)/AT-6 스파이럴 미사일(소련)/HOT 미사일(NATO) - 먼 거리의 차량에게 큰 피해를 입힐 수 있는 대전차 미사일을 발사한다.
미국은 AH-64A 아파치, 소련은 Mi-24V 하인드, NATO는 이탈리아군 A129 망구스타. 로켓과 기관총으로 무장한 공격헬기.
* 공격능력: 사이드와인더 미사일(미국)/빔펠 R-73 미사일(소련)/미스트랄 미사일(NATO) - 적 헬리콥터에게 강력한 공대공 미사일을 발사한다. 플레어로 피할 수 있다.
미국은 AH-1W 슈퍼 코브라, 소련은 Mi-28 하보크, NATO는 SA-341 가젤.
미국은 OH-6A 카이유스, 소련은 Ka-25 호르몬, NATO는 BO-105 PAH-1. 로켓을 사용하는 소형 헬기.
미국은 UH-60 블랙호크, 소련은 Mi-8 힙, NATO는 SA-330 슈퍼 퓨마. 보병 분대 하나를 탑승시킬 수 있다.
== 보병(Infantry) ==
* 보병 분대(Infantry Squad)
소총수 두 명, 대전차병, 대공미사일 운용병, 위생병으로 구성된 분대. 모든 병과에 대처할 수 있는 화력을 가지고 있지만 보병의 나약함으로 인해 숲이나 건물에 짱박아두고 써야한다. 사족으로 NATO 보병은 프랑스군.
* 대전차 보병 분대(Anti-Tank Infantry Squad)
- 월드 인 컨플릭트/줄거리 . . . . 3회 일치
<<include(틀:스포일러)>>
== Invasion! ==
핸슨은 킹돔[* King Dome. 시애틀에 있던 종합경기장. 안전 문제로 2000년에 철거되었다.]으로 대피한 민간인들의 구조를 주장한다. 배넌은 후퇴하는 것도 바쁘다며 이를 거부하지만 민간인을 죽게 놔둘 수 없다는 핸슨의 반발에 파커에게 구조를 맡긴다. 파커는 부대를 이끌고 킹 돔으로 향한다. 킹 돔 앞 주차장에서 다수의 소련군을 발견하지만 파커의 부대는 킹 돔을 확보하는데 성공한다. 이후 헬리콥터로 도착한 증원군이 포격으로 킹 돔이 무너지기 직전에 민간인들을 구출해낸다.
== Battle for Pine Valley ==
== Into the Mountains ==
== Insurgents ☆ ==
== Seeing the Elephant ==
스토리는 4개월 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전역 후 통나무집에서 살고 있던 소여 대령에게 전화가 날아온다. 그에게 전화를 건 국방부 공무원은 소여가 다시 현역으로 전환되어서 유럽 전선에 보내질 것이라고 말한다. 소련군이 지중해에 있던 미해군 제6함대를 전멸시키고 독일에서 승승장구 하는 등 생각보다 선전하자 소여를 유럽으로 보내 NATO군과 연합 작전을 벌이게 하려던 것. 이 말을 들은 소여는 공무원에게 자신이 전역당한 이유를 알고 있냐고 물어본다. 공무원이 그 일은 면제되었다고 대답하자 소여는 면제를 바란게 아니라며 국방부와 관료들을 신나게 까고는 유럽으로 가겠다고 말한다.
1989년 4월, 소련은 협상이 진행되던 도중 서독을 침공해 제3차 세계 대전을 일으켰다. 소련군은 지중해와 대서양 동쪽을 관할하던 미해군 제6함대를 전멸시킨 다음 마르세이유 인근에 상륙했다. 소여가 이끄는 미군들은 그 해 늦가을 유럽에 도착했다. 이들의 임무는 NATO군과 연합해 해당 지역의 소련군을 다시 바다로 되돌려 보내는 것이었다
배넌 대위는 미군-NATO 연합 대대 간부들이 작전 계획을 짜는 현장에 나타난다. 배넌의 자기소개를 들은 소여는 배넌이 한시간이나 늦었다고 질책한 다음 파커 소위와 프랑스군 연락장교 장 사바티에 소령을 소개한다. 사바티에는 자신의 부하들을 만나러 자리를 뜨는 배넌을 보면서 저렇게 열렬한 것을 보니 오늘 내로 죽을 것이라고 평한다. 소여는 지휘관이 전사한 NATO 부대의 지휘를 파커에게 맡긴다. 이 이야기를 들은 사바티에는 "미국놈들은 뭐든지 자기 마음대로 하려한다"고 프랑스어로 불평하지만, "이기기 위해서 필요한 일을 하겠다"고 똑같이 프랑스어로 받아치는 소여를 보고 말문이 막힌다.
소여는 배넌의 전차 중대가 남쪽의 소련군을 막도록 하고, 파커의 NATO 중대가 등대 근처에 위치한 소련군 화력기지를 섬멸하도록 한다. 타국인 병사들을 지휘하는 것이니 잘 하라는 주의는 덤. 사바티에 역시 겁쟁이는 겁쟁이의 죽음을 맞을 것이라고 말하며 그 말을 잘 새겨두라고 말한다.
소여의 목표는 본격적인 NATO 공세가 시작되기 전 시가지에 있는 소련군 사령부를 괴멸시켜 아군의 피해를 최소화 하는 것이었다. 먼저 소여는 파커에게 마을로 향하는 두 다리를 확보하라 지시한 다음 배넌에게 한개 소대는 파커가 확보한 다리들을 방어하게 하고 나머지 부대는 남쪽에서 작전을 수행하는 사바티에를 보호하도록 한다. 배넌은 파커와 함께 작전을 수행하고 싶다며 투덜거리지만 소여는 시가지에서 전차는 무용지물이라며 거부한다. 마지막으로 사바티에는 소련군 사령부 근처의 교회는 12세기에 지어진 유적이니 주의하라고 한다.
== Lightning Strike ☆ ==
- 탈북자 망명정부 . . . . 3회 일치
[[대한민국]] 정부의 입장은 부정적이다. 통일부 당국자는 "망명정부는 한반도 통일을 추진하는 주체로서 대한민국을 인정하지 않는 결과를 만들기 때문에 인정할 수 없다."고 말했다고 한다.[[http://news.donga.com/MainTop/3/all/20161006/80664378/1#csidx6390859011994e7a8d6c822b9a35888 (참조)]]
한명섭 대한변호사협회 통일문제연구위원회 부위원장은 "북한이 유엔에 가입돼 있는 이상, 미국 등 다른 국가들도 망명정부의 법적 지위를 인정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그 대신 망명정부활동을 묵인할 수 있다는 가능성은 제기했다.[[http://news.donga.com/MainTop/3/all/20161006/80664378/1#csidx6390859011994e7a8d6c822b9a35888 (참조)]]
* http://news.donga.com/MainTop/3/all/20161006/80664378/1
- 토탈워: 쇼군 2/건물 . . . . 3회 일치
* 석재(Stone) 특산품 확보 필요.
* 석재(Stone) 특산품 확보 필요.
==== 도박장(Gambling Hall) ====
==== 범죄조직체(Criminal Syndicate) ====
* 시노비 교장(School of Shinobi) 기술 연구 필요.
==== 나기나타 도장(Naginata Dojo) ====
* 목화(Cotton) 특산품 확보 필요.
* 검도(Way of the Sword) 기술 연구 필요.
* 궁도(Way of the Bow) 기술 연구 필요.
* 도도부현(Todofuken) 기술 연구 필요.
* 긴자 조폐국(Kinza Mint) 기술 연구 필요.
==== 공성 기술자의 작업장(Siege Engineer's Workshop) ====
* 정신의 본질(Essence of the Spirit) 기술 연구 필요.
* 정신의 본질(Essence of the Spirit) 기술 연구 필요.
* 정신의 본질(Essence of the Spirit) 기술 연구 필요.
==== 정토진종 불당(Jodo Shinshu Temple) ====
==== 정토진종 사찰(Jodo Shinshu Monastery) ====
* 정신의 본질(Essence of the Spirit) 기술 연구 필요.
==== 계단식 농장(Terrace Farming) ====
* 초닌도(Chonindo) 기술 연구 필요.
- 프랑켄슈타인(마블 코믹스) . . . . 3회 일치
Frankenstein
[[마블 코믹스]]의 캐릭터. 첫등장의 경우 60년대급인 상당히 오래된 캐릭터. 코믹 바인에 기재된 정보에 의하면 The X-Men #40(January 1, 1968), 위키피디아에는 아틀라스 코믹스 시절이 Menace #7(Sept. 1953), 마블 코믹스 시절이 The Silver Surfer #7(Aug. 1969)다.
코믹스 The Frankenstein Monster에도 등장.
- Daisy Bell(Bicycle Built For Two) . . . . 2회 일치
|| There is a flower within my heart
Planted one day by a glancing dart
Whether she loves me loves me not
Sometimes it's hard to tell;
Yet I am longing to share the lot
all for the love of you
upon the seat
Peddling away down the road of life
When the night's dark
There are bright lights in the dazzling eyes
- EZ2AC . . . . 2회 일치
* EZ2DJ The 1st TRACKS
* EZ2DJ The 1st TRACKS Special Edition
* EZ2DJ 2ndTRAX ~It rules once again~
* EZ2DJ 4thTRAX ~Over Mind~
* EZ2DJ Platinum
* EZ2DJ : AZURE EXPRESSION INTEGRAL COMPOSITION[* 현재 SQUARE PIXELS에서는 그냥 AZURE EXPRESSION Project라는 명으로 사용한다. 이유은 아마 현재 EZ2DJ상표권이 [[코나미]]한테 넘어가서 그런듯.]
- EditTextForm . . . . 2회 일치
[[EditToolbar]]
[[SWFUpload]]
[[EditHints]]
- FastSearchMacro . . . . 2회 일치
현재 모니위키는 페이지를 fulltext indexing하지 않고 그냥 텍스트 서치에 의존하고 있다. 이것을 다음의 링크를 통해 발견할 수 있는 perl 스크립트를 적용하여 FastSearchMacro를 구현하였다.
FastSearch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wiki_indexer.pl은 하루에 한번정도 실행시켜야 하며, 5천여 페이지에서 약 5분여 동안의 시간이 걸린다. 이것을 php로 간단히 바꾸어 보니 약 7분여 소요.
`wiki_indexer.pl`을 사용하지 않기 위해서는 페이지를 저장할때마다 fulltext 서치를 위한 인덱스를 생성시키면 될것이다. 단 하나의 페이지에 대한 인덱스를 업데이트하므로 속도 문제를 해결하게 된다.
=== FullTextIndexer ===
=== Dokuwiki Indexer와 비교 ===
1. 페이지를 생성할 때에 자동 인덱싱된다. 이와 별도로 `bin/indexer.php` (콘솔용), `lib/exe/indexer.php` (웹용) 인덱서가 따로 있다.
== TODO ==
$myplugins=array('fullsearch'=>'FastSearch'); # 앞에는 소문자로, 뒤에는 플러그인 파일 이름에 맞게 FastSearch.php 파일을 찾게되므로 대소문자 구분.
- T.O. 모로우 . . . . 2회 일치
[[DC 코믹스]]의 캐릭터. 첫등장은 The Flash #143(March 1, 1964).
[[천재]] [[과학자]]. 본명은 Tomek Ovadya Morah. [[메탈멘]]을 만든 윌 매그너스의 멘토이기도 했으나 자기 재능을 악용한 악당 과학자이기도 해서 [[슈퍼히어로]]들과 대립하게 되었다.
- The Men Who Built America . . . . 2회 일치
|| attachment:menwhobuiltamerica_group-E.jpeg ||
|| [[http://www.history.com/shows/men-who-built-america/about|이미지 출처]] ||
* [[토마스 스콧|톰 스콧]](Tom Scott)
* [[조지 웨스팅하우스]](George Westinghouse)
* [[윌리엄 제닝스 브라이언]](William Jennings Bryan)
* [[윌리엄 매킨리]](William McKinley)
* [[시어도어 루즈벨트]](Theodore Roosevelt)
[[http://www.history.com/shows/men-who-built-america|히스토리의 페이지]]
- 네드 켈리 . . . . 2회 일치
1887년 10월, 경찰은 켈리 갱을 체포하기 위해 무장한 경찰관 네명을 보냈다. 하지만 캘리 갱은 이 사실을 알고 있었고, 경찰 팀이 야영지를 차린 스트링이바크 크리크(Stringybark Creek)를 습격했다. 이들은 경찰관들을 습격해 세명[* 로니건 순경(Constable Lonigan), 스캔론 순경(Constable Scanlon), 케네디 경사(Sergeant Kennedy).]을 살해하고 한명[* 매킨타이어 순경(Constabel McIntyre).]을 붙잡았다. 이후 켈리 갱은 호주의 [[은행강도|은행을 털었다]]. 1889년 2월에 네드 켈리에게 걸린 현상금은 8,000 파운드로 올라갔지만 켈리 갱은 잡히지 않았다. 켈리 갱이 최후를 맞은건 1880년 6월이 되어서였다.
네드 켈리는 제릴더리(Jerilderie)의 은행을 털며 편지 하나를 남겼다. "제릴더리 편지[* Jerilderie Letter]"라고 불리는 이 편지는 1870년부터의 켈리 갱의 이야기를 담고 있으며 당시 호주의 경찰이 부패했다는 주장을 담고 있었다. 이 편지는 경매에 나와 빅토리아 주립 도서관이 사들였다. [[http://search.slv.vic.gov.au/primo_library/libweb/action/dlDisplay.do?vid=MAIN&search_scope=default_scope&docId=SLV_VOYAGER1636991&fn=permalink|전자책으로도 보게 해 주는 것 같으니 관심 있으면 클릭.]] 오른쪽의 View Online을 누르면 된다. 흘려쓴 영문을 읽을 수 있을지는 모르겠지만.
2003년 개봉된 영화 "네드 켈리"(Ned Kelly)는 네드 켈리를 주인공으로 삼고있다. 네드 켈리 역은 [[히스 레저]]. 그전에 나왔던 1970년작도 있다. 1906년에 나온 켈리 갱 이야기"(The Story of the Kelly Gang)이라는 영화도 있다!
호주의 소설가 피터 캐리(Peter Carey)는 "True History of Kelly Gang"이라는 소설을 썼다. [[맨부커상]]을 받았다고.
[[http://www.australia.gov.au/about-australia/australian-story/ned-kelly|호주 홈페이지 - 호주에 대해 - 호주 이야기 - 네드 켈리(영어)]]
[[https://www.slv.vic.gov.au/search-discover/explore-collections-theme/australian-history/ned-kelly/ned-kelly-fact-sheet|빅토리아 주립 도서관 홈페이지- 네드 켈리 자료표(영어)]]
[[http://www.nma.gov.au/exhibitions/irish_in_australia/bushrangers|호주 국립 박물관 홈페이지 - 호주의 아일랜드인 전시관 페이지(영어)]]
[[http://ergo.slv.vic.gov.au/explore-history/rebels-outlaws/bushrangers/capture-kelly-gang|빅토리아 주립 도서관 산하 ergo 웹사이트 - 켈리 갱의 체포(영어)]] - 켈리 갱 단원의 소사체 사진이 있으니 주의.
- 러시안 라이프 . . . . 2회 일치
>The world’s biggest country, in a magazine.
냉전이 진행중이었던 1956년 처음 발행되었다. 이때의 이름은 "더 USSR"(The USSR). 몇년 후 "소비에트 라이프"로 이름을 바꿨고, [[소련]]이 공중분해되자 현재의 이름으로 이름을 바꿨다.
[[http://store.russianlife.com/|러시안 라이프 웹사이트]]
[[http://store.russianlife.com/|러시안 라이프 상점 웹사이트]]
- 레킹 크루 . . . . 2회 일치
Wrecking Crew
애니메이션 [[The Avengers Earth's Mightiest Heroes]]에 등장. [[토르]]에게 패해 수감되었다가 브레이크 아웃 사태로 탈옥했다.
본명 Dirk Garthwaite. 첫 등장은 The Mighty Thor #148 (January 1968)
아들인 리키가 있는데 조부모 밑에서 자라다가 자기 아버지 정체를 알자 가출해서 레킹 크루에 가입했고, 엑스커베이터(Excavator)이라는 이름과 신비의 삽을 쓴다.
본명 Eliot Franklin. 첫등장은 Defenders #17 (Nov. 1974)
- 맥스 페인 . . . . 2회 일치
>NEW YORK. FUGITIVE UNDERCOVER COP. NOTHING TO LOSE.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com.rockstar.maxpayne&hl=ko|안드로이드 앱 버전]]도 있다. 3,400원에 구매 가능.
attachment:MP_Int.jpg
<<include(틀:스포일러)>>
Punchnello Family. 뉴욕에서 활동하는 마피아 조직. 맥스의 독백에 따르면 "뉴욕 최악의 마피아 패밀리"[* the worst mafia family in New York]. 해당 조직의 언더보스인 잭 루피노가 "발키리"를 밀거래하고 있었기에 맥스가 잠입 수사를 하게 되었다.
attachment:Lupino.png?width=200
Jack Lupino. 펀치넬로 패밀리의 언더보스. 매춘, 마약매매, 청부살인을 밥줄로 삼고있다. "발키리"를 밀거래하고 있었기에 맥스가 펀치넬로 패밀리에 잠입수사를 벌이는 이유가 되었다. 뇌가 벽에 튀긴 모습을 보려고 사람을 쏠 정도로 미쳐버린 상태로 펀치넬로 또한 이를 알고 있어서 개선하지 않으면 트리오를 보내겠다고 편지를 보낸다. 하지만 루피노는 인신공양을 할 정도로 미쳐버렸기에 효과가 없었다. 라그나록에 쳐들어 온 맥스를 죽이려고 했지만 맥스에게 죽는다. 맥스는 루피노가 죽은 후에도 그에게 총을 쏜다. 더블배럴 샷건과 화염병으로 무장했기에 짜증난다. 화염병 작작 던져라.
attachment:Finito.png?width=200
Finito Brothers. 조이 피니토(Joey Finito)와 비르질리오 피니토(Virgilio Finito). 누가 조이이고 누가 비르질리오인지는 모른다. 루피노 휘하의 부하들로 매춘이 벌어지는 낡은 호텔을 경영하고 있다. 경찰의 잠입수사 요원이라는걸 들킨 맥스를 죽이려고 했으나 맥스에게 역으로 죽는다.
Frankie "The Bat" Niagara. 펀치넬로 패밀리의 구성원. 모나가 먹인 약탄 위스키에 기절한 맥스를 의자에 묶어놓고 야구방망이로 두들겨 팼다. 펀치넬로 패밀리에 손해를 입힌 맥스를 개처럼 죽이라는 명령에 따른 것. 잠시 휴식시간을 가지러 바에 간 사이 탈출한 맥스에 의해 죽는다. 사용하는 무기는 듀얼 잉그램.
Lisa Punchinello. 모나 색스의 쌍둥이 자매로 안젤로 펀치넬로의 아내. 모나의 말에 따르면 "도움이 필요한 여자"[* damsel in distress].
Captain Baseballbat-boy. 신문에 연재되는 만화. 야구방망이를 사용하는 캡틴 베이스볼배트 보이가 주인공이다. 야구방망이에 맞아 죽은 피해자 옆 신문에서 첫 등장.
[[http://store.steampowered.com/app/12140/|스팀 상점 페이지]]
- 맥스 페인 2: 맥스페인의 몰락 . . . . 2회 일치
>'''A FILM NOIR LOVE STORY'''
Max Payne 2: The Fall of Max Payne. TPS 게임 시리즈인 [[맥스 페인 시리즈]]의 두번째 작품. 2003년 발매되었다.
attachment:MP2TFoMP_Int.jpg
<<include(틀:스포일러)>>
Valerie Winterson. 발레리라는 이름은 엔딩 크레딧에만 나온다. 처음부터 시체로 등장하며, 맥스는 자신이 그녀를 죽였다고 독백한다.
Annie Finn. 총기제작자 겸 총포상으로 블라드의 애인. 맥스가 발견 했을 때에는 [[스쿼키 청소회사]] 직원들에게 붙잡혀 살해당하기 직전이었다. 맥스는 그녀를 구하려고 했지만 결국 청소부들에게 살해당한다. 그런데 블라드는 윈터슨이라는 또다른 애인이 있었다.
Mike the Cowboy. 러시아 갱단의 일원. 맥스가 마피아들에게 습격당한 블라드의 식당을 찾아갔을 때 처음 만났다. 첫 등장부터 AK-47 한 자루로 네명의 펀치넬로 마피아를 처치하며 나타난다. 이후 맥스와 함께 마피아를 처리한다. 이 과정에서 죽을수도 있다.
Captain Baseballbat Boy. 야구방망이를 무기로 쓰는 캡틴 베이스볼배트보이의 이야기. 캡틴 베이스볼배트보이는 인정 안하지만 애인으로 바이시클 헬멧 걸이 있으며, 맥스웰의 악마라는 적이 있다.
[[http://store.steampowered.com/app/12150/|스팀 상점 페이지]]
- 맥시 제우스 . . . . 2회 일치
[[DC 코믹스]]의 빌런. 본명 Maximillian Zeus. 첫등장은 Detective Comics #483 - Terminus. (1979 May 1)
=== Batman : The Animated Series ===
=== The Batman ===
- 미래소년 코난 . . . . 2회 일치
원작이 있다. 알렉산더 케이의 SF소설인 <The Incredible Tide>. 이 소설은 이후 일본에 '남겨진 자들'이란 제목으로 소개되었다. 미야자키 하야오의 회고에 따르면, 당시 일본 애니메이션에서 원작이 없는 오리지널 작품을 만드는 것은 지극히 어려웠다고 한다.
- 소격서 . . . . 2회 일치
http://db.itkc.or.kr/index.jsp?bizName=MK&url=/itkcdb/text/nodeViewIframe.jsp?bizName=MK&seojiId=kc_mk_h018&gunchaId=av016&muncheId=01&finId=052&NodeId=&setid=3143222&Pos=85&TotalCount=103&searchUrl=ok
http://db.itkc.or.kr/index.jsp?bizName=MK&url=/itkcdb/text/nodeViewIframe.jsp?bizName=MK&seojiId=kc_mk_h010&gunchaId=av007&muncheId=01&finId=001&NodeId=&setid=3143222&Pos=60&TotalCount=103&searchUrl=ok
http://www.culturecontent.com/content/contentView.do?search_div=CP_THE&search_div_id=CP_THE010&cp_code=cp1012&index_id=cp10120039&content_id=cp101200390001&search_left_menu=
- 스틸오션/일본 . . . . 2회 일치
Minekaze의 어뢰를 연구하면 탈 수 있다.
||<bgcolor=#cccccc> '''소나 범위''' || 2,769 m ||<bgcolor=#cccccc> '''소나 빈도''' || 6.47 f/min ||
||<bgcolor=#cccccc> '''얕은 잠항''' || 0.43 %/min ||<bgcolor=#cccccc> '''깊은 잠항''' || 0.65 %/min ||
||<bgcolor=#cccccc> '''소나 범위''' || 2,880 m ||<bgcolor=#cccccc> '''소나 빈도''' || 6.73 f/min ||
||<bgcolor=#cccccc> '''얕은 잠항''' || 0.48 %/min ||<bgcolor=#cccccc> '''깊은 잠항''' || 0.69 %/min ||
||<bgcolor=#cccccc> '''소나 범위''' || 2,995 m ||<bgcolor=#cccccc> '''소나 빈도''' || 6.99 f/min ||
||<bgcolor=#cccccc> '''얕은 잠항''' || 0.4 %/min ||<bgcolor=#cccccc> '''깊은 잠항''' || 0.61 %/min ||
||<bgcolor=#cccccc> '''소나 범위''' || 3,115 m ||<bgcolor=#cccccc> '''소나 빈도''' || 7.27 f/min ||
||<bgcolor=#cccccc> '''얕은 잠항''' || 0.39 %/min ||<bgcolor=#cccccc> '''깊은 잠항''' || 0.6 %/min ||
||<bgcolor=#cccccc> '''소나 범위''' || 3,240 m ||<bgcolor=#cccccc> '''소나 빈도''' || 7.57 f/min ||
||<bgcolor=#cccccc> '''얕은 잠항''' || 0.42 %/min ||<bgcolor=#cccccc> '''깊은 잠항''' || 0.64 %/min ||
||<bgcolor=#cccccc> '''소나 범위''' || 3,369 m ||<bgcolor=#cccccc> '''소나 빈도''' || 7.87 f/min ||
||<bgcolor=#cccccc> '''얕은 잠항''' || 0.33 %/min ||<bgcolor=#cccccc> '''깊은 잠항''' || 0.51 %/min ||
||<bgcolor=#cccccc> '''소나 범위''' || 3,504 m ||<bgcolor=#cccccc> '''소나 빈도''' || 8.18 f/min ||
||<bgcolor=#cccccc> '''얕은 잠항''' || 0.35 %/min ||<bgcolor=#cccccc> '''깊은 잠항''' || 0.55 %/min ||
||<bgcolor=#cccccc> '''소나 범위''' || 3,644 m ||<bgcolor=#cccccc> '''소나 빈도''' || 8.51 f/min ||
||<bgcolor=#cccccc> '''얕은 잠항''' || 0.35 %/min ||<bgcolor=#cccccc> '''깊은 잠항''' || 0.42 %/min ||
=== Minekaze ===
||<bgcolor=#cccccc> '''소나 범위''' || 4,007 m ||<bgcolor=#cccccc> '''소나 빈도''' || 6.05 f/min ||
||<bgcolor=#cccccc> '''소나 범위''' || 4,087 m ||<bgcolor=#cccccc> '''소나 빈도''' || 6.23 f/min ||
- 애로우버스 . . . . 2회 일치
The CW의 드라마들이 소속되어 있으며 고담은 회사가 다르기에 해당되지 않는다. 다만 콘스탄틴과 슈퍼걸은 현재 CW에 이전되었다.
* [[DC's Legends of Tomorrow]] - 타임마스터 립 헌터를 중심으로 하여, 아톰, 파이어스톰, 화이트 카나리, 호크걸, 호크맨 등 애로우와 플래시에서 출연하던 캐릭터들이 한 자리에 모였다.--애로우와 플래시에서 남는 애들을 모아놓은 잡탕 드라마.--
- 월드 인 컨플릭트/전술지원 . . . . 2회 일치
=== 공수보병(Airborne Infantry) ===
=== 공대공 타격(Air-to-Air Strike) ===
=== 대규모 항공지원(Heavy Air Support) ===
== 무차별 공격(Indiscriminate Attacks) ==
=== 융단폭격(Carpet Bombing) ===
미국과 NATO 전용. 대형 수송기가 날아와 7.7t 짜리 폭탄을 투하한다. 보병, 숲, 경장갑 차량에 효과적이다.
- 전기의자 . . . . 2회 일치
[[코끼리]] 한마리도 이런 식으로 처형된 사례가 있다. 톱시(Topsy)라는 이름의 코끼리였는데 [[사육사]]를 죽여버린 사고를 친 것. 그 결과 6,600 볼트 전류로 사형당했다. [[https://youtu.be/NoKi4coyFw0|유튜브 동영상-충격적일 수도 있음.]] 위의 최초의 인간 사형집행과 함께 잔인하다고 욕을 바가지로 먹었고, 이와는 별개로 사보타주를 통해 교류를 밀던 웨스팅하우스를 파산시키기는 했으나 교류의 보급을 막는 데에는 실패했다.
[[The Men Who Built America]]
[https://books.google.co.kr/books?id=L_RlCwAAQBAJ&pg=PT330&lpg=PT330&dq=%EC%BD%94%EB%81%BC%EB%A6%AC+1903%EB%85%84&source=bl&ots=__nfas-rTp&sig=hj5GWfhKpn8ui_R2AnsfllTSk5w&hl=ko&sa=X&ved=0ahUKEwj0tuHZwOvNAhXBF5QKHZINARUQ6AEIMTAG#v=onepage&q=%EC%BD%94%EB%81%BC%EB%A6%AC%201903%EB%85%84&f=false|코끼리의 무덤은 없다 - 조디 피코]
- 전동휠 . . . . 2회 일치
미국 Inventist社의 솔로휠이 원조격이지만 거진 300만원대의 고가품이라 세계적으로도 중국산 짝퉁이 더 잘 나가고 있다.
* Inventist
- 캐리 피셔 . . . . 2회 일치
스타워즈(Star Wars) 시리즈에서 히로인 [[레아 오르가나 솔로]] 역할을 맡았다. 40여년간 배우로 활동하며 The Blues Brothers, Hannah and Her Sister, The ‘Burbs, When Harry Met Sally 등에 출연했다.
* Postcards from the Edge : 자서전 적인 소설.
- 토리스 위스키 . . . . 2회 일치
Tory's Wisky
[[일본]]의 주류회사 [[SUNTORY]]에서 판매하는 [[위스키]] 브랜드.
1946년에 "싸고 품질이 좋은 위스키"라는 모토로 발매되었다. 1950년에는 토리스 위스키를 취급하는 토리스 바(Tory's Bar)를 체인점으로 열게 되었다. 1956년에는 토리스 바를 위한 홍보용으로 약간 성인 대상 잡지 『양주천국』을 간행하기 시작했으며, 1958년에는 광고용 캐릭터 앙클 토리스가 선보였다. 2010년에는 토리스 하이홀이, 2015년에는 토리스 클래식이 발매되었다.
* http://www.suntory.co.jp/whisky/torys/historybook/index.html
- 토시코 막스 . . . . 2회 일치
Toshiko Marks
1936년 태생, 1971년 런던정치경제대학교를 졸업, 1976년 영국 귀족 블로톤 남작 마이클 막스(Baron Marks of Broughton)와 결혼하여 블로톤 백작 부인 마크스 토시코(Honourable Toshiko Marks, Baroness Marks of Broughton)가 되었다.
- 토탈워: 쇼군 2 . . . . 2회 일치
Total War: Shogun 2. 잉글랜드의 게임회사 [[http://www.creative-assembly.com/|크리에이티브 어셈블리]]가 제작하고 [[SEGA]]가 유통한 전략 게임. [[토탈워 시리즈]]의 7번째 작품이다.
* Hattori Clan Pack
* Rise of the Samurai Campaign
* The Ikko Ikki Clan Pack
* Saints and Heroes Unit Pack
* Otomo Clan Pack DLC
전투 도중 아군 부대가 패주하면 부관이 "Our men are running from the battlefield! A shameful display!"(우리 병사들이 전장에서 도망치고 있습니다! 부끄러운 모습입니다!)라는 대사를 치며 보고한다. [[https://youtu.be/U6zQ6ZqEqg0|그런데 일본풍 억양]] 때문에 "Shamefur Dispray"라고 불리며 [[밈]]이 된적이 있었다.
- 페어리 테일/512화 . . . . 2회 일치
* 라케이드는 영원한 잠을 내리는 마법 RIP(Rest In Peace)을 사용한다.
* 라케이드는 몇 명의 힘을 합치든 "최후의 욕망"에는 저항할 수 없다고 말한다. 그는 최후의 마법 R.I.P(Rest In Peace)를 사용한다. 사방으로 빛과 부적이 흩날리자 거부할 수 없는 졸음이 몰아닥친다. 스팅은 상처를 후벼파며 저항하지만 별 소용이 없다.
- 프랑켄슈타인 안드로이드 . . . . 2회 일치
The Frankenstein Android
[[마블 코믹스]]의 캐릭터. 첫등장은 The X-Men #40(January 1, 1968).
- 155밀리 롱 톰 . . . . 1회 일치
155mm Long Tom
* http://olive-drab.com/idphoto/id_photos_m2longtom.php
- AEC 장갑차 . . . . 1회 일치
[[버스]]를 만들던 회사인 AEC(Associated Engineering Company)에서 제작했기에 AEC 장갑차라는 이름이 붙었다.
The Encyclopedia of Weapons of World War II, Chris Bishop, 2002
- Crusader Kings 2 . . . . 1회 일치
* '''The Old Gods DLC 필요'''
6. 인물의 문화, 야망, 관심사, 능력치. 야망과 관심사는 Way of the Life DLC를 구매해야 나오는 기능이다. 예시의 무르하는 아일랜드인이며 전체적으로 암담한 능력치를 지니고 있다. 괄호 안의 능력치는 국가 능력치로, 이것이 실질적인 능력치이다. 국가 능력치는 군주 능력치+군주의 배우자 능력치+해당 능력치와 관련된 주요 직책의 능력치이다. 각 능력치에 대한 정보는 다음과 같다.
9. 특성. [[Crusader Kings 2/특성]] 문서 참조.
[[Crusader Kings 2/특성]] 문서 참조
[[Crusader Kings 2/종교]] 문서 참조
[[Crusader Kings 2/궁정]] 문서 참조
[[Crusader Kings 2/DLC]] 참조
- DC's Legends of Tomorrow . . . . 1회 일치
[[DC 코믹스]] 기반 드라마이며 [[애로우버스]] 소속 드라마 중 하나다. 시즌 1이 끝나고, 시즌 2가 방송 중. 방송국은 [[애로우]], [[플래시(드라마)|플래시]]와 동일한 [[The CW]].
- InterMapIcon . . . . 1회 일치
#redirect InterWikiIcons
- IsbnMap . . . . 1회 일치
WowBook http://www.wowbook.com/generic/book/info/book_detail.asp?isbn=ISBN$ISBN2 http://image.wowbook.com/book/large_image/$ISBN2.gif
AladdinMusic http://www.aladdin.co.kr/music/catalog/music.asp?ISBN= http://www.aladdin.co.kr/CDCover/$ISBN2_1.jpg
AladdinBook http://www.aladdin.co.kr/catalog/book.asp?ISBN= http://www.aladdin.co.kr/Cover/$ISBN2_1.gif
/!\ 일종의 InterWiki Map인 것이죠.
[[ISBN(8986190842,AladdinBook)]]
[[ISBN(8932905819,AladdinBook)]]
[[ISBN(9049741495,AladdinMusic)]] [[ISBN(9049740871,AladdinMusic)]]
http://www.aladdin.co.kr/music/catalog/music.asp?ISBN=9049741495
[http://www.aladdin.co.kr/CDCover/2452436078_1.jpg]
* 새책 : jpg {{{http://image.aladdin.co.kr/cover/cover/ISBN$_1.jpg}}}
* 이전책 : gif {{{http://image.aladdin.co.kr/cover/cover/ISBN$_1.gif}}}
IsbnMap 에서 map 을 분리해서 사용하는 방법이 있을 수 있고 - 이 경우 출판년도에 따라서 옵션을 달리 줘야 하는 불편함이 있습니다. - ISBN 매크로를 고쳐서 (가능하다면 jpg가 없을 때 gif를 찾는 어떤 로직을 넣는 방법이 있을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듭니다. 제가 coding에 능력이 전혀 없는지라, 이게 구현할 수 있는 방법인지는 모르겠지만 논리적 차원에서는 이게 사용자 정신건강에 이로운 해결책이 아닐까합니다. (제 위키에서 책목록을 관리하는데 수작업으로 바꿔 줄 생각을 하니 조금 끔직합니다. - 스크립트를 돌려도 되기는 하지만 ... )
AladdinBOOK http://www.aladdin.co.kr/shop/wproduct.aspx?ISBN= http://image.aladdin.co.kr/cover/cover/$ISBN2_1.gif
AladdinBook http://www.aladdin.co.kr/shop/wproduct.aspx?ISBN= http://image.aladdin.co.kr/cover/cover/$ISBN2_1.jpg
모니위키 1.1.3에서는 이와 관련된 버그가 고쳐졌고, 알라딘 같은 경우는 확장자가 jpg/gif인 경우를 자동으로 검출합니다. 이 경우 php.ini에 {{{'allow_url_fopen=1}}}같은 식으로 설정이 되어있어야 합니다. 또, config.php에 {{{$isbn_img_download=1;}}} 와 같이 옵션을 넣으면 이미지를 다운로드할 수도 있게 하여, 일부 referer를 검사하여 이미지를 보이지 않게 하는 사이트에서도 활용하기쉽게 하였습니다. -- WkPark [[DateTime(2009-01-13T07:14:27)]]
{{{[wiki:AladdinMusic:9049741495 http://www.aladdin.co.kr/CDCover/2452436078_1.jpg]}}}
[wiki:AladdinMusic:9049741495 http://www.aladdin.co.kr/CDCover/2452436078_1.jpg]
- MoniWiki/HotKeys . . . . 1회 일치
||I||action=info ||[[Icon(info)]] 파란색 i||
||P||action=print ||[[Icon(print)]] 프린터||
||R(not Safari)||action=show ||Refresh||
||Q, S, R(Safari only)[[BR]]또는 F3(Firefox only)|| ||[[Icon(search)]] FindPage ||
||T|| ||TitleIndex ||
||``<ESC>``||Go 'into'/'out of' the 'Go' form|| ||
||Z + ``<BACKSPACE>``||Go 'into' the 'Go' form|| ||
* MoinMoin:MoinMoinExtensions/Hotkeys
- PageListMacro . . . . 1회 일치
그렇군요. :) ToDo로 들어갑니다. 옵션에 meta 혹은 sister 라고 하면 되도록 하면 되려나... --WkPark
- SystemInfo . . . . 1회 일치
[[SystemInfo]]
- TitleIndex . . . . 1회 일치
<<TitleIndex>>
- WordIndex . . . . 1회 일치
[[WordIndex]]
[http://superiorpapers.com paper writing]
- 건담 동물원 . . . . 1회 일치
>Mami_Tomoe_TF 제대로 지켜 쓰레기 내가 뒤에서 티로 피날레 하고 있을 때는 제대로 지켜. 이러니까 [[자코]]는 싫어.
- 경골목구조 . . . . 1회 일치
* Battle Cry of Freedom: The Civil War Era, James McPherson, 17p.
- 고전을 읽는 사이트 . . . . 1회 일치
* http://sillok.history.go.kr/intro/intro_info.jsp
* http://www.itkc.or.kr/itkc/Index.jsp
- 국제복싱기구 . . . . 1회 일치
International Boxing Organization
- 그랜드 테프트 오토 시리즈 . . . . 1회 일치
Grand Theft Auto. [[락스타 게임즈]]가 발매하는 범죄 샌드박스 [[게임]] 시리즈. 보통은 GTA라고 줄여부른다. 도시에서 살아가는 범죄자을 주인공으로 한 시리즈.
- 그랜드 테프트 오토: 산 안드레아스 . . . . 1회 일치
>오 년 전, Carl Johnson은 갱단 간의 마찰과 마약, 부패로 얼룩진 San Andreas의 Los Santos에서 삶의 중압감을 이기지 못하고 도망쳤습니다. San Andreas. 그곳은 영화 스타나 백만장자들이 마약 거래상이나 폭력 패거리와 얽히지 않도록 몸을 사리는 곳입니다.
>-[[http://store.steampowered.com/app/12120/|스팀 상점 페이지]]의 소개문
Grand Theft Auto: San Andreas. 범죄 샌드박스 게임 [[그랜드 테프트 오토 시리즈]]의 시리즈 중 하나. [[캘리포니아]]와 [[라스베가스]]를 모티브로 한 가상의 지역 "산 안드레아스"를 배경으로, 갱단원 "칼 존슨"이 무너진 자신의 [[갱단]]을 다시 일으키는 내용을 담고있다.
- 그랜드 테프트 오토: 산 안드레아스/지역 . . . . 1회 일치
== 로스 산토스(Los Santos) ==
=== 갠톤(Ganton) ===
=== 로스 산토스 국제공항(Los Santos International) ===
=== 동 로스 산토스(East Los Santos) ===
=== 라스 콜리나스(Las Colinas) ===
=== 엔젤 파인(Angel Pine) ===
=== 팔로미노 크리크(Palomino Creek) ===
- 긴나라 . . . . 1회 일치
긴나라는 기원이 불확실하다. 산스크리트어 킴나라 자체도 ‘(어떤 종류의) 사람인가’를 뜻하는 말로서, 이들의 불확실한 정체를 가리키는 의문사가 곧 명칭으로 바뀐 것이다. 불교경전이 써질 당시에 이미 긴나라의 정체는 불확실해졌던 것으로 보인다. 일설로는, 옛날 인도의 히마찰 프라데시의 킨나우르(Kinnaur) 지역에 살았던 고대의 인도-티베트 종족의 일부를 가리키는 것으로 보기도 한다. 이 지역 사람들이 음악과 노래를 좋아하며 대승불교에 경도되면서 불교 경전에 나타나게 되었다는 것이다.--칠레가 아니었다니 실망이야...--
--긴 나라, [[칠레]]에서 거주한다.[[http://www.ojitour.com/inc/product/popInfo.asp?tp=SIGHT&link_list=563 (참조)]]--
* http://www.culturecontent.com/content/contentView.do?search_div=CP_THE&search_div_id=CP_THE006&cp_code=cp0215&index_id=cp02150051&content_id=cp021500510001&search_left_menu=2
* https://kotobank.jp/word/%E7%B7%8A%E9%82%A3%E7%BE%85-54421
- 나의 히어로 아카데미아/103화 . . . . 1회 일치
[[나의 히어로 아카데미아]] No. 103. '''The 시험'''
- 눈에서 비늘이 떨어진다 . . . . 1회 일치
"The scales fall from one's eyes."
* http://kotowaza-allguide.com/me/mekarauroko.html
* http://yain.jp/i/%E7%9B%AE%E3%81%8B%E3%82%89%E9%B1%97%E3%81%8C%E8%90%BD%E3%81%A1%E3%82%8B
- 더 선 . . . . 1회 일치
[[https://www.thesun.co.uk|홈페이지 링크(영문)]]
The Sun. 영국의 타블로이드 신문.
축구 경기 도중 96명의 관중이 압사한 [[힐즈버러 참사]] 당시 리버풀 팬 일부가 사망자의 주머니를 털고, 경찰에게 오줌을 쌌으며 인공호흡을 시도하던 경찰관을 구타했다는 기사를 내보냈다. [[https://www.thesun.co.uk/archives/news/919113/we-are-sorry-for-our-gravest-error/|그리고 23년후 사과 기사를 냈다.]]
- 데드맨 . . . . 1회 일치
[[DC 코믹스]]의 캐릭터. 첫 등장은 The Strange Adventures #205. (1967)
본명은 보스턴 브랜드(Boston Brand). 본래 [[서커스]]의 곡예사였으나 [[공중그네]] 공연 도중 저격당해 죽었다. 하지만 [[유령]]으로 남은 상태.
- 딩크 . . . . 1회 일치
DINKs
영미권에서 [[맞벌이]]를 하면서 의식적으로 아이를 가지지 않는 부부. 수익은 2인분, 아이는 없음을 뜻하는 더블 인컴 노 키즈(Double Income No Kids)의 머리문자에서 따왔다. Dinky라고도 한다.
- 런던 맥주 홍수 사건 . . . . 1회 일치
1814년 10월 17일, [[영국]] [[런던]]에 위치한 토트넘 코트로드(Tottenham Court Road)의 모이쿠스 양조장에서 맥주를 저장한 통들이 일제히 폭발한 사건.
- 레드 토네이도 . . . . 1회 일치
Red Tornado
- 마법병 . . . . 1회 일치
이 이름을 명명한 것은 도쿄제국대학 교수로서, 동물학자이자 어류학자였던 이이지마 하지메(飯島 魁)로 알려져 있다. 다만 명명 과정에서 약간의 착각(!)이 있었는데, 1907년 10월 22일자 도쿄 아사히 신문 기사에 따르면, 이이지마 하지메는 "[[이솝 우화]]에 나오는, 뭐든지 바라는 대로 나오는 마법의 병(매직 보틀)"에서 따와서 이름을 붙였다고 하는데 그런 이야기가 이솝 우화에는 없다(…). 아마 다른 동화를 착각했을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 '착각'한 동화는 아마도 [[로버트 스티븐슨]]의 '[[병 속의 악마]](The Bottle Imp)'로 추측된다..
* http://yuraika.com/mahobin/
* 2013년 6월 2일자 오사카 일일신문(링크 안됨) : http://www.nnn.co.jp/dainichi/news/130602/20130602026.html
- 맨씽 . . . . 1회 일치
Man-Thing
늪지대의 괴물. 원래 인간 과학자였으며 본명은 시어도어 "테드" 샐리스(Theodore "Ted" Sallis). 슈퍼솔저 혈청을 연구하다가 연인인 [[엘렌 브란트]]가 자신의 연구를 노리는 [[A.I.M]]의 사람이라는 것을 알고서 도망쳤다가 그녀의 총격을 맞고 [[늪]]에 빠지게 되었다. 늪에서 그는 혈청을 마셨는데 그 혈청만이 아니라 늪 자체가 특수한 늪이라서 맨씽이 되었다.
- 모나 색스 . . . . 1회 일치
|||| attachment:Sax_InGame.jpg?width=400 ||
>Lisa's the damsel in distress, I'm the professional. I'd blow you away without batting an eye.
<<include(틀:스포일러)>>
이후 맥스와는 에이저 플라자에 쳐들어갔을 때 엘리베이터 안에서 재회한다. 이때 모나는 니콜 혼에게 맥스를 죽이기 위해 니콜 혼에게 고용된 상태였지만 맥스에게 호감을 느껴 그를 죽이지 않고 동행하기로 한다. 하지만 얼마 되지 않아 습격해온 혼의 경호원들에 의해 사망한다. 맥스는 엘레베이터 안에 쓰러진 그녀의 시체를 보며 "솔직히 그녀는 차디찬 킬러가 아니라 좋은 여자였다. 그리고 이제 그녀는 차디찬 시체였다,"[* She was a nice girl, not a stone-cold killer, and now she was stone-cold dead.]라고 독백한다.
- 몽키 D. 루피/작중행적 . . . . 1회 일치
{{{Insert non-formatted text here}}}=== [[아마존 릴리|여인섬]], 그리고 [[보아 행콕]]과의 관계 ===
--머리카락치워--[[바솔로뮤 쿠마]]때문에 [[샤본디 제도]]에서 [[아마존 릴리|여인섬]]에 떨어진다. 남자를 배척하는 섬에서 쫓기다가, 심지어 칠무해인 [[보아 행콕]]이 목욕하는 장면을 훔쳐보아 그야말로 죽을 위기. 보통 남자였다면 이 시점에서 돌이 되었겠지만 루피에게는 애초부터 사심 자체가 없기 때문에 돌이 되지 않았다.[http://web2.ruliweb.daum.net/ruliboard/read.htm?main=hb&table=cmu_yu03&left=j&db=2&num=53797 #] 결국 콜로세움에서 결투를 벌였다. 무장색 패기를 전혀 쓰지도 않고, 본인 특유의 뛰어난 완력만으로 엄청난 공격을 가한다. 게다가 패왕색 패기의 자질까지 보여 줘 모두가 놀랐다. 거기다 비록 싸우는 중이면서도 고르곤 자매가 숨기고 싶은 부분을 감싸주는 [[대인배]] 같은 모습을 본 행콕은 루피를 용서한다.
하지만 코리다 콜로세움에는 [[성 정체성을 깨달은 아이|입구는 있지만 출구가 없어서]] 빙빙 돌다가, 베라미와 바르톨로메오를 만나 베라미를 통해 출구로 나올수 있게 되었다. 하지만 덕분에 이글이글 열매는 포기해야 해서 아쉬워하던 도중, 이글이글 열매는 자신이 가지겠다는 자가 나타나고 [[사보|그]]를 본 루피는 매우 놀란다.[* 처음에는 이글이글 열매를 갖겠다는 그의 말에 항의하는 듯하지만 곧 뭔가를 깨닫고....] 그것도 [[갓 에넬]]의 '''그 표정'''을 지으면서(…)[[http://static3.wikia.nocookie.net/__cb20131212015647/onepiece/images/b/b0/Luffy_Reacts_to_Meeting_Sabo.png #]]
- 미스터 아톰 . . . . 1회 일치
Mister Atom
[[DC 코믹스]]의 캐릭터. 첫등장은 Captain Marvel Adventures #78 (1947), 이후 The Power of Shazam! #23 (1996)
- 바이오하자드 시리즈 . . . . 1회 일치
* Resident Evil Uprising (2009)[* 바이오하자드 2의 이야기를 베이스로 하는 스핀오프 모바일 게임.]
- 반지닦이 . . . . 1회 일치
참고로 이 망작 영화 때문에 그린랜턴 : 리버스, 시네스트로 군단의 역습 등, 코믹스 명작 시리즈의 흥행으로 인기가 치솟던 그린랜턴 프랜차일즈의 인기는 찬물을 뒤집어 썻으며, 영화 폭망의 악영향으로 잘 만들어서 평가도 좋던 그린랜턴 The Animated Series 마저 1시즌으로 취소 당하는 등 악재를 거듭 겪게 되었다..(…)
- 병 속의 악마 . . . . 1회 일치
The Bottle Imp
1891년에 발표되었다. 뉴욕 헤럴드(New York Herald)에서 2월-5월, 블랙 앤 화이트 런던(Black and White London)에서 3월에서 4월에 걸쳐서 연재되었다. 1893년 발표된 단편집 Island Nights' Entertainments에 수록되었다.
* http://www.enotes.com/topics/bottle-imp
- 북한의 역사왜곡 . . . . 1회 일치
평양지역에 살았던 구석기 시대 인류가 '조선민족'의 기원이 되었다고 주장하며, 따라서 조선민족의 고향은 [[평양]]이라고 주장한다. 그리고 세계고대문명 가운데, 이집트, 메소포타미아, 인더스, 황하 문명과 함께 '대동강 문명'이 고대 문명의 발상지라고 주장한다.[[http://www.rfa.org/korean/weekly_program/korean_history/history-01262010172151.html (참조)]]
[[http://www.rfa.org/korean/weekly_program/korean_history/history-01262010172151.html (참조)]]
[[http://www.rfa.org/korean/weekly_program/korean_history/right_history-01192010113907.html (참조)]]
[[제네럴 셔먼호]]를 '미국의 군함'이라고 주장하며, 김일성의 증조부 김응우가 결사대를 이끌고 공격하여 공적을 세웠다고 한다. 그러나 제네럴 셔먼호는 [[무장상선]]이었으며, 김일성의 증조부 김응우는 당시 어떤 기록에서도 제네럴 셔먼호 사건에 참여했음이 언급되지 않는다.[[http://www.rfa.org/korean/weekly_program/korean_history/sherman_ship-08032010161025.html (참조)]]
북한은 3.1 운동의 주역을 김일성의 아버지 김형직이라고 주장한다.[[http://www.rfa.org/korean/weekly_program/korean_history/sherman_ship-08032010161025.html (참조)]]
* 참조 : [[http://www.rfa.org/korean/weekly_program/media_in_out/MediaInandOut-08032016100307.html 북한의 황당한 ‘월미도 방어’ 주장]]
브레진스키는 광주민주화운동의 진압을 허가하고, ‘필요한 최소한의 무력 사용’을 주장했다는 주장이 있다.[[http://www.hani.co.kr/arti/international/america/796459.html 출처]] [* 그러나 이를 받아들이는 것은 광주민주화운동에 대한 단견적이고 음모론적인 해석이라는 지적도 있다.]
- 블라디미르 렘 . . . . 1회 일치
|||| attachment:Lem_InGame.jpg?width=400 ||
<<include(틀:스포일러)>>
맥스가 다임을 죽이고 화물선을 탈환하자 필요한 일이 있으면 부르라며, "이게 아름다운 우정의 시작이 될 것 같군,"[* This could be beginning of a beautiful friendship.]이라는 대사를 친다.
잭 루피노 소유였던 나이트클럽 "라그나 록"을 사들여 고급 레스토랑 "보드카"로 개조 중. 자신은 보드카가 뉴욕 최고의 레스토랑이 되고, 자신은 부유한 유명인이 될거라며 자신한다. 여전히 범죄조직의 관련자기에 형사인 페인과는 아름다운 우정을 나눌수는 없는 관계. 블라드 曰 "내전의 양편에 선 형제와도 같군,"[* Like brothers caught on the opposite side in a civil war.]
>Max, dearest of all my friends - I was supposed to be hero.
- 블랙 블록 . . . . 1회 일치
아나키스트 웹사이트 A-Infos에 따르면, 1980년대 유럽에서 아나키스트 활동으로서 확산되었다. 미국에서는 1999년 시애틀에서 있었던 WTO(세계무역기구)에 대한 항의 폭력 시위 이후로 2001년 무렵 부터 이 전술이 시작되었으며, 이는 경찰의 공격을 피하고 체포당하여 탄압받는 것을 피하기 위한 전술이다.
* http://www.usatoday.com/story/news/nation-now/2017/02/02/what-black-bloc/97393870/
- 블리치/676화 . . . . 1회 일치
[[블리치]] 676화. '''The Gift'''
- 블리치/677화 . . . . 1회 일치
[[블리치]] 677화. '''The Princess Dissection'''
- 블리치/685화 . . . . 1회 일치
[[블리치]] 685화. '''The father'''
- 블리치/686화 . . . . 1회 일치
[[블리치]] 686화. '''The father 2'''
- 블리치/690화 . . . . 1회 일치
[[블리치]] 690화. '''The Future black'''
- 블리치/696화 . . . . 1회 일치
[[블리치]] 696화. '''The Blade'''
- 비니 고그니티 . . . . 1회 일치
|||| attachment:Gognitti_InGame.jpg?width=400 ||
Vinnie Gognitti. 게임 [[맥스 페인 시리즈]]의 등장인물로 본명은 빈센트 고그니티(Vincent Gognitti). [[맥스 페인]] 한글 패치에서는 "비니 가그니티"로 표기되었다.
<<include(틀:스포일러)>>
|| attachment:Vinne_CBBB.png ||
- 빗치 . . . . 1회 일치
bitch는 적어도 14세기에서 15세기에는 이미 여성을 모욕하는 욕설로서 쓰이고 있었다. 프란시스 그로스(Francis Grose)의 저속한 혀의 사전(Dictionary of the Vulgar Tongue, 1785)에 따르면 이는 여성에게 할 수 있는 가장 저속한 욕설로서, 창녀(whore)보다도 나쁘다고 언급된다.
- 상디 . . . . 1회 일치
||<tablealign=center><tablewidth=60%> attachment:Example.jpg?width=200 || attachment:/Sanji_Anime_Post_Timeskip_Infobox.png?width=220 ||
|| 한국판[* 한국판에서는 무려 세 명의 성우가 맡았는데, 각 성우의 해석이 조금씩 달라 어느 쪽이 낫다라고 말하기는 힘들지만, 대체적으로 김일의 해석이 더 디테일하고 맛깔난다는 의견이 많다. 그래서 쓰레기 퀄리티로 욕먹는 ~~대~~원피스 Original에서 유일하게 건질 만한 게 김일의 상디라는 말까지 나왔다. ~~여기에 11기에서 [[브룩(원피스)|브룩]]에 [[이인성(성우)|이인성]]이 캐스팅되면서 건질 게 더 늘었다~~ 다만 투니판을 맡은 박성태 버전도 꽤 괜찮은 연기로 호평이 많다. 양석정 버전은 특유의 음색 탓인지 셋 중 가장 평이 좋지 않다.] || [[이유리(성우)|이유리]](대원방송), [[김영은]](투니버스), [이현주(성우)|이현주](KBS) || [김일(성우)|김일](KBS, 대원방송), [[양석정]](KBS)[* 성우 교체에 얽힌 이야기가 참 복잡한데 2006년경 터진 [[흑역사가 된 것들/성우#s-1.1|KBS 성우 스캔들]]로 인해 김일을 포함한 3명의 성우가 6개월에서 1년의 자격 정지를 당해 양석정으로 교체되었고 투니버스에서 방영될 때쯤에는 김일의 자격 정지는 풀렸지만 성우 본인이 투니버스 출연을 거부하고 있어서 결국 박성태에게 넘어갔다.], [[박성태]](투니버스) ||
흔히 2차 창작에서는 [[벽안]]으로 자주 묘사되지만 공식 설정 상으로는 그냥 까만 콩눈. 그런데 애니판에서 등장한 상디의 눈이 벽안이다! 정확히는 상디 in 나미의 눈이 갈색에서 벽안으로 바뀌었는데 눈동자가 워낙 작은 [[삼백안]]이라서 벽안이 검은 콩눈으로 보였던 것이다.
- 세븐 솔저스 오브 빅토리 . . . . 1회 일치
The Seven Soldiers of Victory
[[DC 코믹스]]의 [[슈퍼히어로 팀]]. 첫등장은 Leading Comics #1 (Winter, 1941). 이름답게 멤버 구성이 7명으로 되어있으며 추가 멤버가 있어도 초기 멤버는 7명에서 시작한다. 네번째 버전은 그냥 세븐 솔저스라 한다.
* [[샤이닝 나이트]](Shining Knight)
* [[윙]](Wing)
* [[스터프 더 차이나타운 키드]](Stuff the Chinatown Kid)
* 스터프 더 차이나타운 키드II(Stuff the Chinatown Kid II)
* [[앨리어스 더 스파이더]](Alias the Spider)
* 멘토(Mento)
* 아토믹 나이트(Atomic Knight)
* 샤이닝 나이트III(Shining Knight III)
* 클라리온 더 위치보이(Klarion the Witch Boy)
* 프랑켄슈타인(Frankenstein)
- 솔 인빅투스 . . . . 1회 일치
[[라틴어]] Sol Invictus / [[영어]] Unconquered Sun
- 스타 연구소 . . . . 1회 일치
[[DC 코믹스]]에 등장하는 단체. 정식 명칭은 "The Scientific and Technological Advanced Research Laboratories"지만 흔히 스타 연구소로 줄여 쓴다. ~~절대 [[스타크래프트]] 연구소가 아니다!~~
그밖에 [[플래시(DC 코믹스)|플래시]]가 활동하는 키스톤(Keystone)시, [[샤잠]]이 활동하는 포셋(Fawcett) 시에도 있다. 물론 [[고담]]시에도 있는데, 이쪽 연구소는 '''무기''' 연구에 특화했다고(...).
- 스틸오션/미국 . . . . 1회 일치
=== Gato ===
||<bgcolor=#cccccc> '''소나 범위''' || 4,229 m ||<bgcolor=#cccccc> '''소나 간격''' || 5.79 f/min ||
=== Gearing ===
=== Northampton ===
>뉴올리언스급 중순양함은 미해군이 운용한 마지막 "조약형" 순양함이다. 7척의 뉴올리언스급 함선이 산호해 해전과 미드웨이 해전에 참전했다. 살보섬 해전에서 3척의 뉴올리언스급이 침몰했다. 아스토리아(Astoria)는 65발의 포탄을 맞고 격침되었으며 퀸시(Quincy)와 빈센스(Vincennes)는 어뢰에 격침되었다.
=== Des Moines ===
||<bgcolor=#cccccc> '''소나 범위''' || 1,967 m ||<bgcolor=#cccccc> '''소나 간격''' || 2.54 f/min ||
=== Independence ===
=== Yorktown ===
=== Lexington ===
=== South Carolina ===
||<bgcolor=#cccccc> '''소나 범위''' || 1,505 m ||<bgcolor=#cccccc> '''소나 빈도''' || 2.34 f/min ||
||<bgcolor=#cccccc> '''소나 범위''' || 1,550 m ||<bgcolor=#cccccc> '''소나 빈도''' || 2.41 f/min ||
=== Wyoming ===
||<bgcolor=#cccccc> '''소나 범위''' || 1,656 m ||<bgcolor=#cccccc> '''소나 빈도''' || 2.65 f/min ||
=== Illinois ===
=== North Carolina Plan I ===
- 시티락 . . . . 1회 일치
The Sensational Spider-Man #13 (February 1, 1997) 첫등장.
- 씽(마블 코믹스) . . . . 1회 일치
Thing
* 의외로 [[말장난]]을 자주 하는 편. 자기 자신을 말할 때에는 '그림 여사의 푸른 눈 소년'이라든지, '피튜니아 고모의 사랑스런 조카' 같이 빙 둘러서 이야기 하는 말이 많고, 주로 하는 'It's clobberin time'을[* 여담으로 WWE소속 프로레슬러 [[CM 펑크]]가 등장 시 외치는 대사도 여기서 따왔다.] 가지고도 말장난을 하며, [[휴먼 토치]] II는 그 말장난에 자주 맞장구를 쳐주고 [[스파이더맨]]과는 서로 자기 유머가 더 잘났다고 싸우고 있다. 《[[월드 워 헐크]]》에서는 [[센트리]]의 힘에 대해 '폭발하는 100만 개의 태양'이라 말장난을 했는데, 여기에 낚여 센트리 최강론을 미는 사람들도 있다(...).
* 별명인 싱(Thing)은 말그대로 사람이 아닌 '물건' 같다 해서 붙은 것인데 여기에는 공포와 혐오를 주는 물체를 가리키는 의미도 있다. 보통 구분을 위해 [[더]](The)를 붙이며 동명의 영화가 국내개봉했을 때 '[[괴물]]'로 번역되었다.
- 아마조 . . . . 1회 일치
[[DC 코믹스]]의 캐릭터. 첫등장은 The Brave and the Bold #30(July 1, 1960)
- 애니멀-베지터블-미네랄맨 . . . . 1회 일치
Animal-Vegetable-Mineral Man
[[DC 코믹스]]의 [[슈퍼 빌런]]. 첫등장은 Doom Patrol #89 - The Animal-Vegetable-Mineral Menace! (August 1, 1964)
- 애니멘 . . . . 1회 일치
[[마블 코믹스]]의 빌런 팀. 첫등장은 Daredevil #10(October 1, 1965
본명 Townshend Horgan. 고양이 스타일이다.
- 어쌔신 크리드 III . . . . 1회 일치
* 포고자(Town Crier)에게 뇌물을 준다.
[[http://store.steampowered.com/app/208480/|스팀 상점 페이지]]
[[http://assassinscreed.wikia.com/wiki/Assassin%27s_Creed_Wiki|어쌔신 크리드 위키]] - 한국판은 번역된 양이 많지 않다.
- 에이스 컴뱃 5 : 언성 워 . . . . 1회 일치
Ace Combat 5: The Unsung War. 비행슈팅게임 [[에이스 컴뱃 시리즈]]의 다섯번째 작품.
* 앨런 C. 해밀턴(Allen C. Hamilton)
* 앨빈 H. 대븐포트(Alvin H. Davenport)
* 빈센트 할링(Vincent Harling)
* 신팍시(Scinfaxi)
- 에이스 컴뱃 제로 : 더 벨칸 워 . . . . 1회 일치
Ace Combat Zero: The Belkan War. 비행슈팅게임 [[에이스 컴뱃 시리즈]]의 6번째 작품.
TAC 네임 픽시. 사이퍼의 윙맨으로 [[F-15|F-15C]]를 사용한다. 날개 하나를 잃은 채로 기지로 귀환한 전적이 있기에 "편익"(Solo Wing)이라는 별명이 붙어있다. 우스티오에 고용되어 벨카 공군을 상대로 싸우지만 폴크 자신은 벨카 출신.
* 디미트리 하인라이히(Dimitri Heinreich)
* 라이너 알트만(Rainer Altman)
* 도미닉 주보프(Dominic Zubov)
* 안톤 쿠프첸코(Anton Kupchenko)
* 조슈아 브리스토(Joshua Bristow)
* 알베르토 로페즈(Alberto Lopez)
- 와일드캣 . . . . 1회 일치
본명은 Theodore Grant. Ted Grant라고도 한다.
- 우츠미 사토루 . . . . 1회 일치
헤이세이 25년 4월 우시쿠 동양의학 클리닉 폐원. Tokyo DDC(drug-deprivation-clinic) 개업.
* https://www.facebook.com/photo.php?fbid=825664310850657&_rdr
* http://tokyo-dd-clinic.com/
* http://touyoui.blog98.fc2.com/
- 울펜슈타인 : 뉴오더 . . . . 1회 일치
Wolfenstein: The New Order. 머신게임즈가 제작하고 베데스다소프트웍스가 발매한 FPS 게임.
* 캐롤라인 베커(Caroline Becker)
* 한스 빙클(Hans Winkle)
적을 은밀하게 처리할 수 있는 단검. Knife Throwing 퍽이 있으면 남는 단검을 던질수도 있다. 나무상자를 부수는데도 사용된다.
* Knife Throwing
* Assassin
* 스페이스 마린(Space Marine)
* 슈퍼솔다텐(Supersoldaten)
* 프로토타입 로봇(Prototype Robot)
* 런던 감시자(London Monitor)
[[http://neworder.wolfenstein.com/en-gb/|울펜슈타인 : 뉴오더 홈페이지(영어)]]
- 위키 템플릿 . . . . 1회 일치
* [[IncludeTemplate]] - 틀 템플릿
* [[GroupTemplate]] - 그룹 템플릿
* [[StoryTemplate]] - 설화 템플릿
- 이노센트 투어 . . . . 1회 일치
attachment:Innocent_tour.jpg
- 이웃집 잔디는 푸르게 보인다 . . . . 1회 일치
The grass is always greener on the other side of the fence.
- 인비저블 우먼 . . . . 1회 일치
Invisible Woman
[[판타스틱 포]]의 일원. 본명은 수전 "수" 스톰(Susan "Sue" Storm)이며 [[리드 리처즈]]와 결혼한 이후 수전 리처즈가 되었다.
- 장갑차 . . . . 1회 일치
영어명칭인 Infantry Fighting Vehicle를 줄여서 IFV라고도 한다.
- 젠 멘 . . . . 1회 일치
[[DC 코믹스]]에 등장하는 팀. 첫등장은 Countdown Presents: Lord Havok and the Extremists #1 (December 1, 2007)
딱히 관련은 없어보이나 New 52 이후에 나온 멀티버시티(The Multiversity)에도 neo-humans의 팀인 G-Men이 등장한다. 전자는 뮤턴트, 후자는 엑스멘이나 선술한 것처럼 일단 젠 멘과 관련성은 없어보인다.
- 짐 브라부라 . . . . 1회 일치
|||| attachment:Bravura_InGame.jpg?width=400 ||
맥스는 그를 "수상쩍은 식습관과는 별개로 브라부라는 좋은 사람이라고 생각한다,"[* Apart from his suspicious food habits I figured Bravura to be one of the good guys.]라고 평했다.
<<include(틀:스포일러)>>
- 창작:IDF . . . . 1회 일치
<<include(틀:공동창작)>>
IDF(International Defense Force)
IDF 조직은 UN과 NATO의 결합-축소판이라는 평가를 받는다. IDF의 중앙조직은 [[문민통제]]가 비교적 엄격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 창작:치킨교 . . . . 1회 일치
<<include(틀:공동창작)>>
치킨교는 치킨을 치느님(Chi-nunim, The Chicken God)으로 신격화 하며, 이를 성스러운 존재로 본다. 치킨을 먹는 것을 하나의 신성한 행위로 보며, 신도들은 주기적으로 치킨을 섭취해야 한다고 본다. 그들은 치킨을 섭취하는 의식을 벌이면서 치킨=우주=신과 일체가 되는 행복과 기쁨을 얻는다.
- 챌린저스 오브 더 언노운 . . . . 1회 일치
Challengers of the Unknown
[[DC 코믹스]]의 팀. 첫등장은 Showcase #6 (February 1957). 크리에이터는 [[잭 커비]], 대이브 우드 외.
DC 유니버스에 속해있으나 [[저스티스 리그]]같은 [[슈퍼히어로 팀]]이 아니며 SF나 모험에 초점을 두고 있다. 복장도 보편적인 [[슈퍼히어로]] 코스튬과 동떨어진 느낌의 복장. 그러나 괴로봇 등 다수의 빌런들과 마주했으며 그중 [[멀티맨]]은 [[리그 오브 챌린저 해이터스]](League of Challenger-Haters) 소속이었다.
[[둠 패트롤]](Doom Patrol), [[데드맨]](Deadman), [[스웜프 씽]](Swamp Thing), [[조니 더블]](Jonny Double), [[시 데블스]](Sea Devils)와 대면하기도 했다.
[[아말감 코믹스]]에는 [[판타스틱 포]]와 융합된 <챌린저스 오브 더 판타스틱(Challengers of the Fantastic)>이 있다.
하단의 멤버 중에서 모건, 라이안, 대이비스, 할리는 초대 멤버이며 로빈스는 Showcase #7 (April 1957)에 첫등장해 이후 추가멤버가 되었다.
* Matthew "Red" Ryan
* June Robbins
* Corinna Stark[* Challengers of the Unknown #69 (September 1, 1969) 첫등장.]
* Brenda Ruskin[* More Weird Mystery Tales #1 (1996)에서 첫등장. 하단의 브로디, 카와, 코버트와 같이 등장했다.]
- 캐딜락&디노사우르스 . . . . 1회 일치
Cadillacs and Dinosaurs
후속작인 "캐딜락&디노사우르스 : 두번째 대격변(Cadillacs and Dinosaurs: The Second Cataclysm)"이 세가CD와 PC판으로 나왔는데, 그래픽은 그런대로 괜찮지만 반복되는 플레이와 지나친 급커브 등으로 문제가 많았다.
[[include(틀:스포일러)]]
- 콜트 M4 카빈 . . . . 1회 일치
>'''Colt M4.''' The name says it all.
[[http://www.colt.com/Catalog/Military/Products/Colt-M4-Carbine#100843-overview|콜트사의 콜트 M4 카빈 설명 페이지]]
||구경||5.56x45 NATO (.223 레밍턴)||
- 크립토나이트 . . . . 1회 일치
Kryptonite
[[슈퍼맨]]의 대표적인 약점. 본래는 1943년도 슈퍼맨의 라디오 드라마 '슈퍼맨의 모험(The Adventures of Superman)'에 처음으로 등장했다고 한다. 라디오 드라마에서 슈퍼맨을 맡은 배우가 쉬고 싶을때를 위해 만든 물질로 배우가 휴가를 간 사이엔 대역이 크립토나이트 때문에 슈퍼맨이 끙끙대는 것만 연기하면 되었기 때문. 사실 원작자인 제리 시겔이 K-메탈이라는 이름으로 속성이 완전히 같은 물질이 나오는 이야기를 썼었는데 무슨 이유인지 기각되고 시겔이 아이디어를 라디오에 대신 썼다.
코믹스에 등장한건 1949년 슈퍼맨 61호에서라고. 슈퍼맨의 고향 행성인 [[크립톤]] 행성이 폭발할 때 행성의 중심핵에서 발생한 연쇄폭발로 인해 행성 내부의 광물들이 변화되어 강력한 방사능을 방출하는 새로운 광물 크립토니움(Kryptonium)이 된걸로 기원을 설명하고 있다.
Superman's Pal Jimmy Olsen 70화에 등장했고 지미 올슨을 늑대와 양치기소년으로 만들었다. 이후 Superman/ Batman 49화에서는 망상에 빠지는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바뀌었다.
- 템포라 . . . . 1회 일치
[[https://www.theguardian.com/uk/2013/jun/21/gchq-cables-secret-world-communications-nsa|The Guardian - GCHQ taps fibre-optic cables for secret access to world's communications(영문)]]
- 토리코/360화 . . . . 1회 일치
[[토리코]] 360화. '''The smells true identity'''
- 토리코/363화 . . . . 1회 일치
[[토리코]] 363화. '''The don gets serious'''
- 토이 솔져스: 콜드 워 . . . . 1회 일치
[[스팀]]에서 구매하는 방법은 [[토이 솔져스]]와의 합본팩인 [[http://store.steampowered.com/app/262120/|Toy Soldiers: Complete]]를 사는 수 밖에 없다. 따로 살 수 있는 [[토이 솔져스]]는 한글화도 되어있지만 이건 안 되어있다.
* Machine Gun
미국은 BGM-71 TOW. 소련은 AT-4 스피곳. 발사키를 계속 누르고 있는 걸로 미사일의 방향을 조정할 수 있다.
미국은 (Describe here). 소련은 Mother Motherland(어머니 모국). 폭죽. 부무장으로 로만 캔들을 사방에 흩뿌릴 수 있다.
- 트로피코 4/건물 . . . . 1회 일치
* The Academy 필요
- 티타노 . . . . 1회 일치
첫등장은 Superman #127 (February 1959)
거대한 [[원숭이]]로 눈에서 [[크립토나이트]] 비전을 발사. 원래 토토(Toto)라는 이름의 원숭이로 [[우주]]에 보내지면서 우라늄 운석과 크립토나이트 운석과 동시에 충돌해 킹콩처럼 거대한 유인원이 되었다.
Superman's Pal, Jimmy Olsen #84 (April 1, 1965)에선 지미 올슨의 괴물 영화 에피소드가 있는데 표지에서 Kryptonian Flame-dragon과 싸운다. 그런데 어째서인지 크립토나이트 비전은 슈퍼맨을 향하고 있다.
첫등장은 Tales to Astonish #10 - I Was Trapped By Titano the Monster That Time Forgot! (July 1, 1960)
여담으로 티타노가 등장한 코믹스의 표지는 Alan Class Comics의 Sinister Tales의 에피소드 하나의 표지와 빼다 박은 수준으로 비슷하다.
- 판타스틱 포(1994년 실사영화) . . . . 1회 일치
The Fantastic Four
- 판타스틱 포: 실버 서퍼의 위협 . . . . 1회 일치
Fantastic Four: Rise Of The Silver Surfer
- 프로페서 아이보 . . . . 1회 일치
[[DC 코믹스]]의 캐릭터. 첫등장은 The Brave and the Bold #30(July 1, 1960).
- 플래시(DC 코믹스) . . . . 1회 일치
과거에 드라마가 나왔으며 국내에서도 방송되었다. 또한 The CW에서 만든 드라마 [[플래시(드라마)|플래시]]도 나왔다.
- 플래시(드라마) . . . . 1회 일치
[[The CW]]에서 방송하는 [[DC 코믹스]] 기반 드라마이며 [[플래시(DC 코믹스)|플래시]] 주연 드라마다. 동사에서 방송하는 드라마 [[애로우]]의 스핀오프이며 내용이 연계된다. 이는 다른 [[애로우버스]]와도 마찬가지.
- 핑커톤 . . . . 1회 일치
[[https://www.pinkerton.com/|핑커톤 공식 홈페이지(영어)]]
|| attachment:Pinkerton.png ||
Pinkerton.
1850년 [[스코틀랜드]] 출신 이민자 앨런 핑커톤(Allan Pinkerton)에 의해 설립되었다. 이후 서부를 지나는 열차를 보호하거나 범죄자를 체포하는 일을 했다.
드라마 [[The Pinkertons]]는 핑커톤의 창립자인 앨런 핑커톤과 그의 아들인 윌리엄 핑커톤, 그리고 핑커톤 소속 탐정인 케이트 와르네[* 밑에 있는 여담에 써진 걔.]를 다룬 드라마다.
[[https://www.pinkerton.com/about-us/history|핑커톤 공식 홈페이지의 역사 부분(영문)]] - 홈스테드 철강소 파업 같은 치부는 빠져있다. 솔직히 빼는게 당연하겠지만.
[[http://articles.chicagotribune.com/1993-05-30/travel/9305300394_1_allan-pinkerton-detective-agency-archie-samuel|시카고 트리뷴 - 제임스 저택에 대한 악명 높은 공격(영문)]]
- 하이큐!!/등장인물 . . . . 1회 일치
[[Include(틀:스포일러)]]
- 하이큐/209화 . . . . 1회 일치
* 전국 Top3 스파이커 중 유일한 2학년으로 카게야마도 아는 유명한 선수.
- 허드슨 대학교 . . . . 1회 일치
* '''뉴욕에서 제일 위험한 대학''' http://gothamist.com/2010/03/30/most_dangerous_college_in_nyc_hudso.php
* 왜 너는 '''절대로''' 뉴욕의 허드슨 대학에 가면안되는가 http://www.scoutingny.com/why-you-should-never-ever-go-to-new-york-citys-hudson-university/
* 허드슨 대학 캠퍼스는 '''지구상에서 가장 위험한 곳이다''' http://previously.tv/law-and-order-svu/the-hudson-university-campus-is-the-most-dangerous-place-on-earth/
DC 코믹스의 허드슨 대학은 1969년에 배트맨(The Batman) 코믹스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다. [[딕 그레이슨]](로빈, 나이트윙)이 이 학교에 다녔던 것으로 묘사된다. 1984년 New Adventures of Superboy 코믹스에서는 슈퍼맨 클락 켄트가 이 학교에 다닐 것을 고려하는 묘사가 있다. 즉, '''[[슈퍼맨]]도 거부한 대학'''이다(…).
하도 자주 등장하다보니까 허드슨 대학은 로 앤 오드 팬들에게는 그야말로 악명 높은 장소로 찍혔다. 심지어 제작진도 이걸 알고 있어서, 프로듀서가 "당신이 절대로 배우거나 가르치러 가고 싶지 않은 곳이다. 엄청나게 높은 범죄율(It is the one place you never want to go to school or teach at. Very high crime rate.)"라고 발언했을 정도.
- 휴먼 토치 . . . . 1회 일치
Human Torch
- 히토데나시 . . . . 1회 일치
* [[사우스파크]]에서 케니가 죽었을 때 카일과 스탠이 무조건 하는 대사 「Oh my god! They killed Kenny!!」「You bastard!!」에서 'You bastard'가 일본판에서는 '히토데나시'로 번역되었다.
* https://kotobank.jp/word/%E4%BA%BA%E9%9D%9E%E4%BA%BA-593854
11531의 페이지중에 172개가 발견되었습니다 (0개의 페이지가 검색됨)
여기을 눌러 제목 찾기를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