팝업레이어 알림

팝업레이어 알림이 없습니다.
E D R , A S I H C RSS

"Hanging On The Old Barbed Wire"을(를) 전체 찾아보기

Hanging On The Old Barbed Wire


역링크만 찾기
검색 결과 문맥 보기
대소문자 구별
  • Hunting the Hun . . . . 21회 일치
         <<TableOfContents>>
         Over in France there's a game that played
         by all the soldier boys in each brigade
         It's called Hunting the Hun
         This is how it is done!
         First you get the gun
         Then you look for a Hun
         Then you start on the run
         for the son of a gun
         You can capture them with ease
         Give'em one little smell
         They come out with a yell
         Then your work is done
         When they start to advance
         Shoot'em in the pants
         That's the game called Hunting the Hun!
         First you get the gun
         Then you look for a Hun
         Then you start on the run
         for the son of a gun
  • 어쌔신 크리드 III/아이템 . . . . 20회 일치
         <<TableOfContents>>
          700 파운드. 시퀀스 5 The Hard Way 임무 이후 해금.
          3,955 파운드. 시퀀스 5 The Hard Way 임무 이후 해금.
          3,500 파운드. 시퀀스 5 The Hard Way 임무 이후 해금.
          1,250 파운드. 시퀀스 5 The Hard Way 임무 이후 해금.
          1,575 파운드. 시퀀스 5 The Hard Way 임무 이후 해금.
          5,000 파운드. 시퀀스 8 Public Execution 임무 이후 해금.
          4,100 파운드. 시퀀스 5 The Hard Way 임무 이후 해금.
          * Washington's Battle Sword (Replica)
          2,650 파운드. 시퀀스 5 The Hard Way 임무 이후 해금.
          * Stonehead War Club
          3,850 파운드. 시퀀스 5 The Hard Way 임무 이후 해금.
          6,500 파운드. 시퀀스 8 Public Execution 임무 이후 해금.
          * Stone Tomahawk
          0 파운드. 시퀀스 3 The Braddock Expedition 임무 이후 해금.
          * Iron Tomahawk
          2,475 파운드. 시퀀스 5 The Hard Way 임무 이후 해금.
          * Stone Dagger
          450 파운드. 시퀀스 5 The Hard Way 임무 이후 해금.
          * Iron Dagger
  • WikiSlide . . . . 19회 일치
          * a technology for collaborative creation of internet and intranet pages
          * '''Simple''' - ''Content over Form'' (content counts, not the super-pretty appearance)
          * 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Knowledgebases, Brainstorming
          * Collaboration, Coordination and Communication platform
          * Creating documentation and slide shows ;)
         == The First Steps ==
          * Help with problems or questions: HelpContents ([[Icon(help)]]) and HelpMiscellaneous/FrequentlyAskedQuestions
          * Name (appears on RecentChanges)
          * Personal preferences
          * Link with User-ID ( (!) ''in any case, put a bookmark on that'')
          * Navigation: Quicklinks, Icons link to system actions (HelpOnNavigation)
          * Content
          * Quick search and additional actions (HelpOnActions)
         Searching and Navigation:
          * Backlinks (click on title)
          * Icons at top right (HelpOnNavigation)
         Good places to start your Wiki exploration:
          * SiteNavigation: A list of the different indices of the Wiki
          * FindPage: Searching the Wiki by various methods
          * TitleIndex: A list of all pages in the Wiki
  • 페이데이 2 . . . . 19회 일치
         <<TableOfContents>>
          * Gage Weapon Pack #01
          * Gage Weapon Pack #02
          * The Big Bank Heist
          X나 큰 은행을 터는 The Big Bank 하이스트와 돌격소총(Falcon)이 들어있는 DLC.
          돌격소총 3개(Clarion, Gecko 7.62, Gewehr 3)와 주무기 유탄발사기(GL40), 칼 두개, 손도끼, 오함마가 들어있는 DLC.
          * The Diamond Heist
          박물관에서 저주받은 다이아몬드를 훔치는 The Diamond 하이스트가 들어있는 DLC.
          * The Bomb Heists
          폭탄을 훔치는 The Bomb 하이스트(의 2개 버전)와 권총(LEO)이 들어있는 DLC.
          전직 부패 경찰 드라간과 근거리 전투에 특화된 Infiltrator 퍽 덱, 돌격소총(Lion's Roar), 식칼이 들어있는 DLC.
          * The OVERKILL Pack
          * The Butcher's AK/CAR Mod Pack
          * The Butcher's BBQ Pack
          * The Butcher's Western Pack
          * The Alesso Heist
          스웨덴 DJ 알레소와의 콜라보 DLC. 알레소의 공연이 벌어지는 틈을 타 금고를 따는 The Alesso Heist 하이스트와 권총(Matever .357), 마이크, 톤파, 금속탐지기, 마이크 스탠드가 들어있다.
          * The Golden Grin Casino Heist
          카지노를 터는 Golden Grin Casino 하이스트와 돌격소총(Cavity 9mm), 슬롯머신 손잡이, 스위치블레이드, 칩 수거용 막대기, 전기충격기가 들어있는 DLC.
          * The Point Break Heists
  • Darkest Hour: A Hearts of Iron Game/장관 . . . . 18회 일치
         <<TableOfContents>>
         게임 [[Darkest Hour: A Hearts of Iron Game]]에 등장하는 장관들의 종류를 설명하는 페이지.
          * Barking Buffoon(울부짖는 어릿광대)
          * Pig-Headed Isolationist(고집 센 고립주의자)
          * Ruthless Powermonger(무자비한 권력 투쟁가)
          * Revolutionary Guerilla Fighter(게릴라 혁명 투사) - 사파티스타의 에밀리아노 사파타
          * Weary Old Emperor(지치고 늙은 황제) - 오스트리아-헝가리의 프란츠 요제프 1세
          * Ambitious Union Boss(야망있는 노조 두목)
          * Old Admiral(늙은 제독)
          * Old Air Marshal(늙은 공군원수)
          * Old General(늙은 장군)
          * Chairman of the Council of the People's Commissars(인민위원평의회 의장) - 소련의 뱌체슬라프 M. 몰로토프
          * Imperialist Buffoon(제국주의자 광대) - 이탈리아의 베니토 무솔리니
          * Revolutionary Leader(혁명 지도자) - 사파티스타의 에밀리아노 사파타
          * The Brown Eminence(갈색 명성) - 독일의 마르틴 보어만
          * The Fixer(해결사) - 중국 공산당의 저우언라이(주은래)
          * The Pacifier(조정자) - 영국의 네빌 체임벌린
          * Iron-Fisted Brute(무정한 짐승)
          * The Cloak-and-Dagger Schemer(베일에 싸인 책략가)
          * Ambassador to the United Nations(주 UN 대사) - 미국의 에드워드 스테티니어스
  • 어쌔신 크리드 III/임무일람 . . . . 17회 일치
         <<TableOfContents>>
         ==== Burglar on the Homestead ====
         ==== The Fight ====
         ==== The Bowls Beginner ====
         ==== The Whittler's Weapons ====
         ==== Tools of the Trade ====
          * 시퀀스 5 The Hard Way 임무 이후 수행 가능
         ==== Fool Me Once… ====
          * 시퀀스 5 The Hard Way 임무 이후 수행 가능
         ==== The Brawler ====
          * 시퀀스 5 The Hard Way 임무 이후 수행 가능
         ==== Happy Expectations ====
         ==== The Proper Tools ====
         ==== The Comeback ====
         ==== The Final Straw ====
         ==== Room at the Inn ====
          * 시퀀스 6 Hostile Negotiations 임무 이후 수행 가능
         ==== The Wedding ====
         === The Chase ===
         === The Rescue ===
  • Crusader Kings 2/종교 . . . . 16회 일치
         <<TableOfContents>>
          * 영주는 작위와 배우자가 없는 가신을 수도원으로 보낼 수 있음 - '''Sons of Abraham DLC 필요'''
          * 영주는 작위와 배우자가 없는 가신을 수도원으로 보낼 수 있음 - '''Sons of Abraham DLC 필요'''
          * 단의론(Monothelite)
          * 성상파괴주의(Iconoclast)
          * 영주는 작위와 배우자가 없는 가신을 수도원으로 보낼 수 있음 - '''Sons of Abraham DLC 필요'''
          * 단성론(Monophysite)
          * '''플레이에 The Old Gods DLC 필요'''
          * '''플레이에 The Old Gods DLC 필요'''
          * '''플레이에 The Old Gods DLC 필요'''
          * '''플레이에 The Old Gods DLC 필요'''
          * '''플레이에 The Old Gods DLC 필요'''
          * '''플레이에 The Old Gods DLC 필요'''
         === 본교(Bon) ===
          * '''플레이에 The Old Gods DLC나 Jade Dragon DLC 필요'''
          * '''Sunset Invasion DLC 필요'''
          * '''플레이에 The Old Gods DLC 필요'''
          * '''플레이에 Sons of Abraham DLC 필요'''
          * '''플레이에 Rajas of India DLC나 Jade Dragon DLC 필요'''
  • Darkest Hour: A Hearts of Iron Game/기술 . . . . 12회 일치
         <<TableOfContents>>
         [[Darkest Hour: A Hearts of Iron Game]]에서 연구 가능한 기술을 설명하는 페이지.
          해병 사단에 관련된 연구. 1916 Infantry Division 연구와 1916 Light Infantry Division 연구가 선행되어야 한다.
          차량화보병 사단에 관련된 연구. 1931 Infantry Division 연구가 선행되어야 한다.
          공수부대에 관련된 연구. 1926 Infantry Division 연구가 선행되어야 한다.
          운송력 보정, 전력 회복 보정, 전략적 재배치 효율, 공군기지 건설 보너스 등등에 관련된 연구. 상당히 복잡한 테크 구성을 띄고 있다. 전략적 재배치 명령을 내리기 위해 이곳에서 Mobilization 연구를 해야한다.
          제1차 세계대전 당시 사용되었던 극초기형 전차들을 연구하는 곳. Secret Weapons 탭의 Heavy Tank 연구와 Armor & Artillery의 Great War Heavy Field Artillery 연구가 선행되어야 한다.
          개장항모부터 초대형 항모까지의 항공모함에 대한 연구. Light Carriers 연구 중 Converted Light Carrier 연구가 선행되어야 한다.
          호위전투기 여단에 대한 연구. Early Fighters 트리의 Interceptor 1930 연구가 선행되어야 한다. Supersonic Escort Fighter 1954 연구를 마지막으로 Fighters 트리에 통합된다.
          수상기 부속에 대한 연구. Early Fighters 트리의 Unarmed Reconnaissance 연구가 선행되어야 한다.
          유닛의 생산 시간을 줄여주는 연구들. Manufacturing 트리의 Assembly Line Experimentation 연구가 선행되어야 한다.
          * Construction Engineering
          건설할 수 있는 건물 종류를 늘려주고 건설 속도에 보너스를 주는 연구들. 처음부터 연구할 수 있다. 이 트리의 Early Construction Engineering을 연구해야 건물을 지어보던가 할 수 있으며, 유닛들이 참호도 팔 수 있게 된다.
          * Synthetic Oil
          공업력과 보급품 생산에 보너스를 더해주는 연구들. Advanced Synthetic Oil Plant 연구가 선행되어야 한다.
          험지/동계/열대/사막과 같은 환경에 처한 육군 부대의 보너스를 주는 연구들. 솔직히 말하면 패널티를 깎는다는 느낌에 가깝다. Manufacturing 트리의 Product standardization 연구가 선행되어야 한다.
          Secret Weapons 탭의 Rocket Test and Research Facility 테크를 해금하기 위해 있는 연구. 있는 연구래봤자 Experimental Rocket Engine 연구 뿐이다. 처음부터 연구할 수 있다.
         육군 유닛에게 효율을 주는 기술들. 공격 임무를 가능하게 해주는 Tribal Warfare 연구부터 시작한다. 이후 19th Century tactics 연구를 거쳐 20th Century Military Concept 연구를 하면 사기를 올려주는 Leading by Task 연구와 조직력을 올려주는 Leading by Orders 연구 둘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게된다.
         그 다음에는 Great War Doctrine 트리를 타게 되는데, 이 중에도 공격 효율을 올려주는 Schwerpunkt Doctrine↔방어 효율을 올려주는 Defense in Depth의 선택지, 사기와 공격 효율을 올려주는 Forward Control↔사령부의 효율을 올려주는 Central Control의 선택지가 존재한다.
          1936년 기준으로 영국이 선택한 테크. Assault Concentration Doctrine 연구를 마지막으로 기본적인 현대 교리 밖에 연구할 수 없게된다.
  • Darkest Hour: A Hearts of Iron Game/디시전 . . . . 11회 일치
         <<TableOfContents>>
         [[Darkest Hour: A Hearts of Iron Game]]에서 플레이어가 발동 가능한 디시전을 설명하는 페이지.
          * Call General Election(총선 시행)
          * Money Devaluation(화폐절하)
          * Invest in National Infrastructures(국가주도 기반시설 투자)
          * Invest in National Research(국가주도 연구 투자)
          * Purge the Army(군대 내부 숙청)
          * Economic Recovery Policy(경제 회복 정책)
          * Unconventional Monetary Policy(특수 통화 정책)
          * Hold Major Campaign Rally(대규모 선거 유세)
          * 발동 조건: "Call General Election" 디시전 발동. 자금 100.
          Call General Election 디시전에서 지원하기로 한 정당의 선거운동을 벌이는 디시전. 이후 몇몇 이벤트가 랜덤하게 벌어진다. 섹스 스캔들이라던가, 부패 스캔들이라던가. 해당 이벤트들은 랜덤하게 불만도를 높이거나 낮춘다.
          * Convert Convoys to Transports(화물선을 수송선으로 개장)
          * National War Bonds(전시국채)
          * Ersatz Conversion(대용품 생산)
          * Economy Recovery Plan(경제 회복 계획)
          * Withdraw of League of Nation(국제연맹 탈퇴)
          * Create the Wehrmacht(국방군 창설)
          * Re-occupation of the Rhineland(라인란트 재점령)
          * Repudiate the Locarno Treaties(로카르노 조약 파기)
  • FortuneCookies . . . . 11회 일치
          * "Say it, don't spray it!"
          * "It seems strange to meet computer geeks who're still primarily running Windows... as if they were still cooking on a wood stove or something." - mbp
          * "Perl is executable line noise, Python is executable pseudo-code."
          * "Heck, I'm having a hard time imagining the DOM as civilized!" -- Fred L. Drake, Jr.
          * Good fortune in love, as well as a better position.
          * Some men are discovered; others are found out.
          * If you always postpone pleasure you will never have it. Quit work and play for once!
          * Take care of the luxuries and the necessities will take care of themselves.
          * Words are the voice of the heart.
          * Advancement in position.
          * You will soon meet a person who will play an important role in your life.
          * The universe is laughing behind your back.
          * The best prophet of the future is the past.
          * Even the boldest zebra fears the hungry lion.
          * Money will say more in one moment than the most eloquent lover can in years.
          * Money may buy friendship but money can not buy love.
          * Might as well be frank, monsieur. It would take a miracle to get you out of Casablanca.
          * You have a will that can be influenced by all with whom you come in contact.
          * You will overcome the attacks of jealous associates.
          * You have the power to influence all with whom you come in contact.
  • Victoria II/디시전 . . . . 11회 일치
         <<TableOfContents>>
         ==== Restore the Academia(학계의 회복) ====
         ==== Sea power & The Merchant Marine(해군력과 상선대) ====
         === Build the Suez Canal(수에즈 운하 건설) ===
         ==== Encourage The Ruhr Boom(루르 붐 조장)
         ==== The North German Confederation(북독일연방) ====
         ==== von Moltke's Reforms(폰 몰트케의 개혁) ====
         ==== The Peasant Reform(농노 개혁) ====
         ==== The Trail of Tears(눈물의 길) ====
         ==== Confiscations of Mendizabal(멘디자발의 몰수) ====
         ==== Repel The Corn Law(곡물법 폐지) ====
         ==== The Empress of India(인도 여제) ====
          * '''Ahmedabad(아마다바드), Bombay(봄베이), Chittagong(치타공), Coimbatore(코임바토르), Delhi(델리), Lahore(라호르), Vizagapatnam(비자가파트남)''' 프로빈스를 소유
         ==== Treaty of London(1864)(1864년 런던 조약) ====
         ==== Webster-Ashburton Treaty(웹스터-애슈버튼 조약) ====
         ==== The South German Confederation(남독일연방) ====
         ==== The 'Tanzimat' Reforms(탄지마트 개혁) ====
         ==== Build the Palais Garnier(가르니에 궁 건설) ====
         ==== Chanoine's Expedition(샤누안느의 원정) ====
         ==== La Légion étrangère(외인부대) ====
  • 어쌔신 크리드 III/임무일람/주요임무 . . . . 11회 일치
         <<TableOfContents>>
         === Journey to the New World ===
         === Welcome to Boston ===
         === Johnson's Errand ===
         === The Surgeon ===
         === The Soldier ===
         === Unconvinced ===
         === Execution is Everything ===
         === The Braddock Expedition ===
         1760년, 카나다세둔(Kanatahséton). 책을 읽다가 카니에티오에게 들킨 그녀의 아들. 그때 같은 마을에 사는 카나도곤(Kanen'tó:kon)과 아이들이 같이 놀자며 찾아온다. 카니에티오는 그녀의 아들인 라둔하게둔에게 언덕 너머로 나가지 말라고 당부하면서 놀러 나가게 한다. 아이들은 "곰 만큼 큰 늑대"나 "[[총기|손에서 불을 쏘는]] 낯선 사람들"에 대한 소문을 이야기하며 숲으로 놀러나간다.
         === Feathers and Trees ===
         몇년 후. 성장한 라둔하게둔과 카나도곤이 숲에서 만난다. 이들은 오늘밤 쓸 물건을 모아오라는 부족 어머니(Clan Mother)의 요구에 따라 숲으로 온 것.
         === Hunting Lessons ===
         === A Trip to Boston ===
         코너는 자신들의 동의 없이 새로운 세금이 생기는데 불만을 표하는 시민들을 지나쳐 잡화점으로 들어간다. 계산을 끝낸 코너가 다시 아킬레스에게 돌아갈 때 쯤에는 시민들의 불만 사항이 "왜 우린 영국인으로써의 권리를 누리지 못하는가"로 바뀌어 있었으며 시민들과 군인들이 몸싸움을 벌이는 등 분위기가 흉흉해져 있었다. 코너가 아킬레스에게 무슨 일이냐고 물어보자 아킬레스는 알아보자며 사람들이 몰려있는 구 주청사(Old State House)로 코너를 데리고 간다.
         === Boston's Most Wanted ===
         === Stop the Presses ===
         === The Hard Way ===
          * 해당 임무를 완수하면 저택 2층에 첫 항해 그림(First Expedition Painting)이 생긴다.
         === On Johnson's Trail ===
  • 포스탈 리덕스 . . . . 10회 일치
         <<TableOfContents>>
          * The Truckstop
          * The Outskirts
          * The Bridge
          * The Mine
          * The Junk Yard
          * The Trailerpark
          * The Train Station
          * The Farm
          * The Construction Site
          * The Ghetto
  • WikiSandBox . . . . 9회 일치
         '''Tip:''' Shift-click "HelpOnEditing" to open a second window with the help pages.
         [[TableOfContents]]
         == The First Section ==
         Some section one text. More section one text. More section one text.
         More section one text.
         === '''bold''' title ===
         === The first subsection ===
         Here is a link to the page titled: BizarStructuredText
         And here is another line of text. Incidentally, you might want to do one
         of the following:
         If not, then just sit back, [[relax]], and [[enjoy]] the flight.
         === Can You Believe There's a Second Subsection? ===
         They were surprised about the first subsection on this page. Imagine the complete astonishment when they discovered that there was a ''second'' subsection! An important part of this section is its reference to the MissionStatement. Be ''sure'' to check it out.
         == What to Do When You're Getting Bored with the First Section ==
          1. Check for loose change in the sofa cushions.
          1. Have another beer.
          1. Go right ahead and read the Second Section.
         '''''Please Note:''''' ''There has been considerable controversy about several of the above listed alternatives to reading the First Section. Some people think they are silly. Some people think they are offensive. And some people just think that they are a waste of time. All of these may be true. However, we stand by them, as we firmly believe that they are '''all''' more interesting than the First Section.''
         Please feel free to experiment here, after the four dashes below... and please do '''NOT''' create new pages without any meaningful content just to try it out.
         '''Tip:''' Shift-click "HelpOnEditing" to open a second window with the help pages.
  • 맥스 페인 2: 맥스페인의 몰락/줄거리 . . . . 8회 일치
         <<TableOfContents>>
         == 파트 1: The Darkness Inside(내면의 어둠) ==
         === 챕터 3: The Depths of My Brain(내 뇌의 깊숙한 곳) ===
         === 챕터 7: The Million Dollar Question(백만불짜리 질문) ===
          * 2층에 있는 rec room(recreation room, 오락실) TV에서 "로드 앤 레이디즈"가 방영되고 있다. 남주인공 발렌타인의 형 잭이 발렌타인을 비천한 신분의 여주인공과 만나는 걸 막지 못했다고 어머니께 보고한다. 어머니는 잭에게 여주인공의 집을 습격해 그녀를 죽이라고 지시한다.
         === 챕터 2: In the Middle of Something ===
         === 챕터 5: Out of the Window ===
         === 챕터 6: The Genius of the Hole ===
         == 파트 3: Waking Up from the American Dream ==
         === 챕터 2: On a Crash Course ===
         === 챕터 6: There Are No Happy Endings(여기에 행복한 결말은 없어) ===
         === 챕터 8: The Old Familiar Feeling ===
  • 정형돈 . . . . 8회 일치
         | 사진 =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0/0d/Jeong_Hyeong-don_from_acrofan.jpg/220px-Jeong_Hyeong-don_from_acrofan.jpg
         * [[MTV]] 《MTV Dream Station - 도전 최고의 만찬 (1월 19일, 27일) : 게스트》
         * [[Mnet]] 《M Super Concert - 진주산업대학교에서 (9월 11일) : MC》
         * [[Mnet]] 《M Super Concert - CMB 대전시민 화합 한마당 (5월 31일) : MC》
         * [[Mnet]] 《M Super Concert - 제7회 스마트 모델 컨테스트 (2월 21일) : MC》
         * [[부산 MBC]] [https://www.youtube.com/watch?v=NaH-N-egl9k 《The GIANTS(더 자이언츠) 2013 (3월 23일) : 내레이션》]
         * 2009년 [https://www.youtube.com/watch?v=OEWlP7Lf-x4&feature=player_embedded 《전자깡패》] - [[Remixing the Human Soul]] : 삼자돼면 - with [[에픽하이]]
         * 2011년 8월 2일 [http://music.naver.com/album/index.nhn?albumId=203946 《Change The Game》] - Change The Game : [[무한도전]] 조정가 - with [[데프콘 (가수)|데프콘]], 제이디<ref>{{뉴스 인용|제목=정형돈-데프콘, ‘무한도전’ 조정가 ‘Change The Game’ 발표|url=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6&oid=213&aid=0000124490|출판사=TV리포트|저자=김예나 기자|날짜=2011-08-01}}</ref>
         * 2013년 11월 2일 [http://music.naver.com/album/index.nhn?albumId=401682 《해볼라고》] - [[무한도전]] 자유로 가요제 : 형용돈죵 - with [[G-DRAGON]]
         * 2013년 12월 11일 [https://web.archive.org/web/20160305083140/http://fifa3.vod.nexoncdn.co.kr/kart/%EB%98%90,%EB%9D%BC%EC%9D%B4%EB%8D%94.zip 《또, 라이더》] - 형돈이와 대준이
         * 2014년 8월 20일 [http://music.naver.com/album/index.nhn?albumId=447681 《Stress Come On!》] - 형돈이와 대준이의 히트제조기 : 빅병 / 작사 : 호랑이
         * 2011년 [https://www.youtube.com/watch?v=91tdkATnoQQ 《TV를 껐네...》] - [[리쌍]] / Teaser - 정형돈 Version
         * 2013년 1월 16일 [https://www.youtube.com/watch?v=kQwhjXE27XI 《'24/7'》] - 2YOON
         * 2014년 2월 12일 [https://www.youtube.com/watch?v=v0nKKYIrOb4 《Beep》] - 박지윤 / Teaser - 정형돈 Version
         * 2014년 8월 20일 [https://www.youtube.com/watch?v=_coVR9c3Fho 《Stress Come On!》] - 빅병
         * 2013년 11월 23일, 19시 30분, 서울 경희대 평화의 전당 [http://www.mcst.go.kr/web/s_culture/culture/cultureView.jsp?pSeq=6524&pRo=1 《아이유 두 번째 단독 콘서트 'Modern Times'》] - 게스트 : 가수 (형돈이와 대준이)<ref>{{뉴스 인용|제목=정형돈이와 대준이, 아이유 콘서트 게스트 “신곡 피처링 부탁하러 왔다”|url=http://sports.donga.com/3/all/20131123/59092491/2|출판사=동아닷컴|저자=오세훈 기자|날짜=2013-11-23}}</ref>
         * 2013년 12월 21일, 21시 00분, 쉐라톤그랜드워커힐호텔 비스타홀 (W Seoul - Walkerhill) [https://www.youtube.com/watch?v=RZayscbnElo 《원 힙합 파티 - One Hiphop X Party》] - 출연 : 가수 (형돈이와 대준이)<ref>{{뉴스 인용|제목='원 힙합 파티' 21일 열려…형돈이도 랩을 한다 '홍홍홍'|url=http://www.sportsworldi.com/Articles/EntCulture/Article.asp?aid=20131213023491&subctg1=20&subctg2=00&OutUrl=naver|출판사=스포츠월드|저자=연예팀|날짜=2013-12-13}}</ref>
         * 2013년 12월 23일, 20시 00분, 코엑스 Hall C [http://www.mcst.go.kr/web/s_culture/culture/cultureView.jsp?pSeq=6914 《스윗소로우 크리스마스 콘서트 '설전(雪戰)'》] - 게스트<ref>{{뉴스 인용|제목='정형돈·정준하, 스윗소로우 콘서트 게스트 ‘눈싸움’|url=http://www.segye.com/content/html/2013/12/18/20131218001348.html?OutUrl=naver|출판사=세계일보|저자=박민경 기자|날짜=2013-12-83}}</ref>
         * 2014년 9월 29일, 안성 중앙대학교 [https://www.facebook.com/caurun/photos/pcb.592424300883566/592424130883583/?type=1&theater 《2014 축제》] - 출연 : 가수 (형돈이와 대준이)
         * 2011년 [http://www.mlounge.co.kr/subscription/subscription_woman03.html 《우먼센스 3월호》]- 미친 존재감 정형돈, 결혼 후 달라진 나의 삶 : 인터뷰
  • Crusader Kings 2/특성 . . . . 7회 일치
         <<TableOfContents>>
          * 강인한 병사(Tough Soldier)
          * 전문 신학자(Scholarly Theologian)
          * 위대한 신학자(Mastermind Theologian)
          * 식중독(Food Poisoning)
          * 폐결핵(Consumption)
          * 폐렴(Pneumonic)
          * 감염(Infection)
          * 정직(Honest) 특성과 상극
          * 정직(Honest) 특성에 대한 의견 -5
          * 만족(Content)
          * 만족(Content) 특성과 상극
          * 정직(Honest)
          * 정직(Honest) 특성에 대한 의견 +5
          * 식탐(Gluttonous)
          * 매 사냥꾼(Falconer)
          * 신학자(Theologian)
          * 쾌락주의자(Hedonist)
          * 강인함(Strong)
          * 수도사(Monk)
  • Victoria II/기술 및 발명 목록/상업 . . . . 7회 일치
         <<TableOfContents>>
         == Financial Institution(금융 기관) ==
          * Liquidation of Assets(자산 청산)
          * Distribution Channels(유통 경로)
          * Industrial Production Investments(산업 생산 투자)
          * Industrial Distribution Investments(산업 분배 투자)
         === Bank Inspection Board(은행 검사판) ===
          * Private Bank Monitoring(개인 은행 감시)
          * Market Behaviour Monitoring(시장 행동 감시)
          * Buying on Margin(신용매입)
         == Money System(통화 체계) ==
         === Ad-Hoc Money Bill Printing(급조된 지폐 인쇄) ===
          * Decimal Monetary System(십진법 통화체계)
         === Private Bank Money Bill Printing(개인 은행 지폐 인쇄) ===
          * Fixed Intramonetary Exchange Rates
         === Central Bank Money Bill Printing(중앙 은행 지폐 인쇄) ===
          * Gold Standard(금본위제)
          * International Monetary Exchange Rates(국제 통화 환율)
          * State Bond Monetary Mechanism(주체권 통화 방식)
          * Interest-Inflation Weapon
  • 슈퍼맨 리벤지 스쿼드 . . . . 7회 일치
         [[DC 코믹스]]의 [[슈퍼 빌런]] 팀. 첫등장은 Superboy #94 - The Superboy Revenge Squad (January 1, 1962)
          본명 프레데릭 폰 프랑켄슈타인(Frederick von Frankenstein) 첫등장은 Superman: Man of Steel #61 (October, 1996)
          첫등장은 Action Comics #286 (March 1962). 마블 코믹스의 일렉트로와는 별개의 캐릭터다.
          외계인. 악당이며 Action Comics #271 표지에 비슷한 존재가 등장했다.
          The Hairies의 리더인 Jude와 Lucy Diamond Sky의 딸. 여담으로 창조자는 부모와 더불어 [[잭 커비]].
          첫등장은 Superman: The Man of Tomorrow #8 (April 1, 1997)
          * Dramx-One
          Dramx-One의 고문. 외계인.
          Dramx-One이 있는 버전의 팀원. 외계인.
          Dramx-One이 있는 버전의 팀원. 외계인.
          첫등장은 Action Comics #287 (April 1962).
  • 아이유 . . . . 7회 일치
         https://search.pstatic.net/common?type=a&size=120x150&quality=95&direct=true&src=http%3A%2F%2Fsstatic.naver.net%2Fpeople%2Fportrait%2F201911%2F20191119160822583-3294252.jpg
         | style="text-align:center;"| <ref>{{웹 인용|url=http://koreajoongangdaily.joins.com/news/article/article.aspx?aid=2955114|title=IU and Gikwang head under the sea|date=June 27, 2012|first=Carla|last=Sunwoo|work=Korea JoongAng Daily|accessdate=October 25, 2019}}</ref>
         | style="text-align:center;"| <ref>{{웹 인용|url=http://kpopherald.koreaherald.com/view.php?ud=201611011729481116652_2|title=Suzy, IU to cameo in 'Real'|date=November 1, 2016|work=The Korea Herald|first=Ji-hyoung|last=Son|accessdate=October 25, 2019}}</ref>
         | style="text-align:center;"| <ref>{{웹 인용|url=http://eng.jeonjufest.kr/db/movieView.asp?idx=4075&reUrl=%2Fticket%2FtimeTable_day%2Easp%3FdayNum%3D3#|title=Jeonju Cinema Project 2019: Shades of the Heart|publisher=Jeonju International Film Festival|accessdate=October 25, 2019}}</ref>
         | style="text-align:center;"| <ref>{{뉴스 인용|url=http://english.chosun.com/site/data/html_dir/2011/01/22/2011012200347.html|title=Teenage Singer IU Is Open to Surprises|date=January 22, 2011|work=The Chosun Ilbo|accessdate=October 25, 2019}}</ref>
         | style="text-align:center;"| <ref>{{뉴스 인용|url=http://www.edaily.co.kr/news/read?newsId=01125046596184304&mediaCodeNo=258|script-title=ko:아이유·닉쿤 교제,설리·슬옹 뽀뽀…'웰컴 투 더 쇼'|trans-title=IU, Nichkhun, Sully Kissing 'Welcome to the Show'|date=March 17, 2011|work=E-Today|accessdate=October 25, 2019|language=ko}}</ref>
         | style="text-align:center;"| <ref>{{뉴스 인용|url=http://koreajoongangdaily.joins.com/news/article/article.aspx?aid=2947590|title=IU to make a cameo appearance on 'Dream High 2' tonight|date=January 30, 2012|work=Korea JoongAng Daily|accessdate=October 25, 2019}}</ref>
         | style="text-align:center;"| <ref>{{뉴스 인용|url=http://www.edaily.co.kr/news/read?newsId=01216886599435440&mediaCodeNo=258|script-title=ko:문화 연예 스포츠 이슈기획 오피니언 포토 스냅타임 검색 아이유, SBS '도롱뇽 도사와 그림자 조작단' 카메오 출연|trans-title=IU has a cameo appearance at SBS' Salamander Guru and The Shadows|work=E-Today|date=February 29, 2012|first=Seo Yoon|last=Jang|accessdate=October 25, 2019|language=ko}}</ref>
         | style="text-align:center;"| <ref>{{뉴스 인용|url=http://koreajoongangdaily.joins.com/news/article/article.aspx?aid=2968058|title=IU to star in leading role in upcoming drama|work=Korea JoongAng Daily|last=Ahn|first=Joo-hee|accessdate=April 15, 2018|date=March 6, 2013}}</ref>
         | style="text-align:center;"| <ref>{{뉴스 인용|url=http://koreajoongangdaily.joins.com/news/article/article.aspx?aid=2979229|title=IU chooses a pretty man|last=Lee|first=Sun-min|website=Korea JoongAng Daily|accessdate=April 15, 2018|date=October 23, 2013}}</ref>
         | style="text-align:center;"| <ref>{{뉴스 인용|url=http://koreajoongangdaily.joins.com/news/article/article.aspx?aid=3001399|title=IU lands lead in 'Producers' drama|last=Sung|first=So-young|work=Korea JoongAng Daily|date=March 3, 2015|accessdate=October 25, 2019}}</ref>
         | style="text-align:center;"| <ref>{{뉴스 인용|url=http://koreajoongangdaily.joins.com/news/article/article.aspx?aid=3013499|title=IU to star in 'Moon Lovers' Korean remake|date=January 15, 2016|work=Korea JoongAng Daily|accessdate=October 25, 2019}}</ref>
         | style="text-align:center;"| <ref>{{뉴스 인용|url=http://www.koreaherald.com/view.php?ud=20180412000881|title=Comforting life through meeting 'My Mister'|first=Eun-byel|last=Im|date=April 12, 2018|website=The Korea Herald|accessdate=October 25, 2019}}</ref>
         | style="text-align:center;"| <ref>{{웹 인용|last1=Park|first1=Jin-hai|url=http://www.koreatimes.co.kr/www/art/2019/03/398_266154.html|title=K-pop singer IU to make film debut through Netflix|date=March 27, 2019|website=The Korea Times|accessdate=March 29, 2019}}</ref>
         | style="text-align:center;"| <ref>{{웹 인용|url=http://koreajoongangdaily.joins.com/news/article/Article.aspx?aid=3060216|title=IU, Yeo Jin-goo cast in tvN drama|date=March 7, 2019|work=Korea JoongAng Daily|last=Yeo|first=Ye-rim|accessdate=October 25, 2019}}</ref>
         | style="text-align:center;"| <ref>{{뉴스 인용|url=https://entertain.naver.com/read?oid=009&aid=0002285438|script-title=ko:아이유 '영웅호걸' 예능 첫도전 "막내답게, 야무지게"|trans-title=IU Hero girl, the youngest first entertainment challenge|via=Naver|date=July 5, 2010|work=MK|language=ko|accessdate=October 26, 2019}}</ref>
         | style="text-align:center;"| <ref>{{뉴스 인용|url=http://www.koreatimes.co.kr/www/news/art/2011/06/201_88456.html|title=Reality TV gets a spin as stars challenge skating, dancing|date=June 7, 2011|work=The Korea Times|last=Kwon |first=Mee-yoo|accessdate=October 26, 2019}}</ref>
         | style="text-align:center;"| <ref>{{뉴스 인용|url=http://www.kpopherald.com/view.php?ud=201705191711592667419_2|title=IU joins Lee Hyo-ri’s guesthouse as staff|date=May 19, 2017|work=The Korea Herald|accessdate=October 26, 2019|last=Lim|first=Jeong-yeo}}</ref>
  • 구미시 . . . . 6회 일치
         {{좌표|36.119469|128.344381|source:dewiki_region:KR_type:landmark|display=title}}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7/72/Gumicityhall.jpg/270px-Gumicityhall.jpg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a/a5/Map_Gumi-si.png/270px-Map_Gumi-si.png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ko/thumb/9/90/Old_gumi.png/220px-Old_gumi.png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ko/thumb/c/c3/Old_gumi_station.png/220px-Old_gumi_station.png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ko/thumb/7/7d/Oldseonsan.png/220px-Oldseonsan.png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7/7e/Gumirailway.jpg/250px-Gumirailway.jpg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7/72/Gumicityhall.jpg/250px-Gumicityhall.jpg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9/9c/Gumijungang.jpg/250px-Gumijungang.jpg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b/bc/Gumistation.jpg/250px-Gumistation.jpg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2/29/Gumicitybus.jpg/250px-Gumicitybus.jpg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c/c3/Dorisa.jpg/250px-Dorisa.jpg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b/ba/Park-Chunghee_Statue.jpg/250px-Park-Chunghee_Statue.jpg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9/95/Scale_model_of_%27Gumi%2C_Gyeongsangbuk-do%27_in_Seoul_Station%2C_1.jpeg/250px-Scale_model_of_%27Gumi%2C_Gyeongsangbuk-do%27_in_Seoul_Station%2C_1.jpeg
  • Crusader Kings 2/DLC . . . . 5회 일치
         <<TableOfContents>>
         === Sunset Invasion ===
         === The Republic ===
         === The Old Gods ===
         === Sons of Abraham ===
          * 다른 이에게 추파를 날릴 수 있는 유혹(Seduction)
          * 성지순례도 할 수 있고 사원의 봉신들과 친목친목을 할 수 있는 신학(Theology)
         === Conclave ===
         === The Reaper's Due ===
         === Monks and Mystics ===
  • Suicide is Painless . . . . 5회 일치
         <<TableOfContents>>
         Visions of the things to be
         The pains that are withheld for me
         It brings on many changes
         || 2절 ||The game of life is hard to play
         I'm gonna lose it anyway
         The losing card I'll someday lay
         || 3절 ||The sword of time will pierce our skins
         But as it works it's way on in
         The pain grows stronger watch it grin||
         || 4절 ||A brave man once requested me
         To answer questions that are key
  • 엔포서스 . . . . 5회 일치
         [[마블 코믹스]]의 빌런팀. 첫등장은 The Amazing Spider-Man #10 (March 1964)에서 처음 등장.
          본명 Daniel Brito. 첫등장은 The Amazing Spider-Man #10 (March 1964). 3인 중 가장 단신이지만 뛰어난 무술가이다. 유도와 가라데를 익혔다.
          * 몬타나(Montana)
          본명 Jackson W. Brice. 첫등장은 The Amazing Spider-Man #10 (March 1964). 특기는 올가미 던지기. 카우보이 모자를 쓰고 있다.
          본명 Raymond Bloch. 첫등장은 The Amazing Spider-Man #10 (March 1964). 큰 덩치에 걸맞게 괴력을 지녔다.
          본명 Roland Bloch. 첫등장은 The Spectacular Spider-Man #19-20 (June–July 1978). 옥스의 형제.
          * 스네이크 마스톤(Snake Marston)
          본명 Sylvester Marston. 첫등장은 Machine Man #16 (August 1980). 전문 곡예사.
          * 햄머 해리슨(Hammer Harrison)
          본명 Willard Harrison. 첫등장은 Machine Man #16 (August 1980). 금속 장갑을 착용. 권투 실력이 뛰어나다.
  • Good Morning, Mr Zip-Zip-Zip! . . . . 4회 일치
         <<TableOfContents>>
         1918년 등장한 노래. 작사, 작곡은 [[http://adp.library.ucsb.edu/index.php/talent/detail/60590/Lloyd_Robert_composer|로버트 로이드]](Robert Lloyd)[* "Army Song Leader"라는 별칭이 있다.]
         To clear the way to freedom
         For the land we love the best.
         We've left our occupations
         But when the going's rather rough,
         We raise this song in cheer:||
         If the Cam-ls don't get you,
         The Fatimas must,
         If the Cam-ls don't get you,
         The Fatimas must,
         || You see them on the high-way,
         You meet them down the pike,
         Are soldiers on the hike;
         And as the column passes,
         The word goes down the line,
         [https://books.google.co.kr/books?id=lVJhIak171oC&pg=PR12&lpg=PR12&dq=robert+lloyd+army+song+leader&source=bl&ots=0lOnJHVBx-&sig=1RjQIGTTsWox8ZBdkcVlq-VyQNs&hl=ko&sa=X&ved=0ahUKEwjdvqr-tqvMAhXLopQKHfLoDT8Q6AEIHDAA#v=onepage&q=robert%20lloyd%20army%20song%20leader&f=false|"A Pretty Girl is Like a Melody": And Other Favorite Song Hits, 1918-1919]
  • 건포인트/도전과제 . . . . 4회 일치
         <<TableOfContents>>
          * '''So This Is Why People Don't Like Me'''
          리졸버의 총구(gunpont)로 적을 겨누어 개발 초기 게임 이름을 "건포인트"라고 지은 현명하지 못한 선택을 정당화하십시오.
          * '''On The QT'''
          * Acknowledged Ludonarrative Dissonance
          * Mission Architect
          * Alright, Have One! Just Stop!
          * Why Don't You Just Shoot Him?
          * I Just Really Don't Like Gessler
          * Not Worth The Bullet
          * Almost Honest
  • 문경시 . . . . 4회 일치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3/32/Mungyeong_City_Hall.JPG/270px-Mungyeong_City_Hall.JPG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b/b9/Map_Mungyeong-si.png/270px-Map_Mungyeong-si.png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d/dd/Daedongyeojido_%28Gyujanggak%29_15-03.jpg/500px-Daedongyeojido_%28Gyujanggak%29_15-03.jpg
         문경읍''' || 聞慶邑 || 3,439|| 9,900 ||156.68||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8/87/Gbmb1-map.png/400px-Gbmb1-map.png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d/d2/Saejae_third_gate_backside.jpg/120px-Saejae_third_gate_backside.jpg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ko/thumb/a/a0/Old_Gwanghwamun%2C_Mungyeongsaejae.jpg/120px-Old_Gwanghwamun%2C_Mungyeongsaejae.jpg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3/31/%EB%AC%B8%EA%B2%BD_%EA%B4%80%EC%9D%8C%EB%A6%AC_%EC%84%9D%EC%A1%B0%EB%AF%B8%EB%A5%B5%EB%B3%B4%EC%82%B4%EB%B0%98%EA%B0%80%EC%82%AC%EC%9C%A0%EC%83%81_03.jpg/120px-%EB%AC%B8%EA%B2%BD_%EA%B4%80%EC%9D%8C%EB%A6%AC_%EC%84%9D%EC%A1%B0%EB%AF%B8%EB%A5%B5%EB%B3%B4%EC%82%B4%EB%B0%98%EA%B0%80%EC%82%AC%EC%9C%A0%EC%83%81_03.jpg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3/30/%EB%AC%B8%EA%B2%BD_%EA%B4%80%EC%9D%8C%EB%A6%AC_%EC%84%9D%EC%A1%B0%EB%AF%B8%EB%A5%B5%EB%B3%B4%EC%82%B4%EB%B0%98%EA%B0%80%EC%82%AC%EC%9C%A0%EC%83%81_06.jpg/90px-%EB%AC%B8%EA%B2%BD_%EA%B4%80%EC%9D%8C%EB%A6%AC_%EC%84%9D%EC%A1%B0%EB%AF%B8%EB%A5%B5%EB%B3%B4%EC%82%B4%EB%B0%98%EA%B0%80%EC%82%AC%EC%9C%A0%EC%83%81_06.jpg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4/43/Museum_of_Old_Roads%2C_Mungyeong_%28%EB%AC%B8%EA%B2%BD_%EC%98%9B%EA%B8%B8_%EB%B0%95%EB%AC%BC%EA%B4%80%29_-_panoramio.jpg/120px-Museum_of_Old_Roads%2C_Mungyeong_%28%EB%AC%B8%EA%B2%BD_%EC%98%9B%EA%B8%B8_%EB%B0%95%EB%AC%BC%EA%B4%80%29_-_panoramio.jpg
  • 토탈워: 쇼군 2 - 사무라이의 몰락 . . . . 4회 일치
         <<TableOfContents>>
         Total War: Shogun 2 - Fall of the Samurai. 잉글랜드의 게임회사 [[http://www.creative-assembly.com/|크리에이티브 어셈블리]]가 제작하고 [[SEGA]]가 유통한 전략 게임. [[토탈워: 쇼군 2]]의 스탠드 얼론 확장팩이다.
          * The Sendai Faction Pack
          * The Tsu Faction Pack
          * The Obama Faction Pack
          * The Saga Faction Pack
  • 토탈워: 쇼군 2/세력 기술 . . . . 4회 일치
         <<TableOfContents>>
         한글명칭 등등은 스팀 창작 마당의 [[http://steamcommunity.com/sharedfiles/filedetails/?id=545973851&searchtext=korean|Full Korean Localization (Steam Edition)]]를 기반으로 했다.
         === 창도(Way of the Spear) ===
         === 해도(Way of the Sea) ===
         === 궁도(Way of the Bow) ===
         === 검도(Way of the Sword) ===
         === 대형(Formation) ===
          * 창도(Way of the Spear), 천지(Heaven and Earth) 세력 기술 연구 요구
          * 해도(Way of the Sea) 세력 기술 연구 요구
          * 궁도(Way of the Bow), 대형(Formation) 세력 기술 연구 요구
          * 대형(Formation), 검도(Way of the Sword) 세력 기술 연구 요구
         === 오행론(The Five Elements) ===
          * 대형(Formation) 세력 기술 연구 요구
          * 창술 전문화(Spear Expertise), 오행론(The Five Elements) 세력 기술 연구 요구
          * 오행론(The Five Elements), 화약 공격(Attack by Fire) 세력 기술 연구 요구
         === 해상 지배력(Mastery of the Waves) ===
          * 오행론(The Five Elements), 바주츠 숙련화(Horse Mastery) 세력 기술 연구 요구
          * 도로(Roads)를 역로와 역참(Post Roads and Stations)으로 업그레이드 할 수 있게 됨
         === 정신의 본질(Essence of the Spirit) ===
          * 신토-불교: 불당(Buddhist Temple)을 사찰(Monastery)로 업그레이드 할 수 있게 됨
  • 트로피코 4 . . . . 4회 일치
         <<TableOfContents>>
         [[불가리아]]의 게임회사 [[https://www.haemimontgames.com/|해미몬트 게임즈]](Haemimont Games)가 제작하고 [[독일]]의 게임회사 [[http://kalypsomedia.com/|칼립소 미디어]](Kalypso Media)가 유통한 [[국가]] 경영 시뮬레이션 게임. 2011년 9월 2일 출시되었다.
         >The times are changing and the island nation of Tropico is evolving. The Internet, a New World Order, terrorists, global financial markets and space exploration are on the rise and pose new challenges to El Presidente and his regime.
         >Old buildings and structures are becoming obsolete and need to be upgraded or even replaced by their modern counterparts. Cars and transportation need modernization to meet the needs of a changing economy; and now El Presidente can even send people to the International Space Station! El Presidente and his ministers must now join the war against terror and control Internet regulation and freedom of speech on Tropico.
          * [[http://store.steampowered.com/app/205635/|The Academy]] - 2013년 9월 20일 발매
  • 페이데이 2/하이스트/클래식 . . . . 4회 일치
         <<TableOfContents>>
          * Not Even Once
          * Keep Clear of the Windows
          * The Saviour
          Undercover 하이스트에서 창문, 철조망, 환기구에 10개의 널빤지를 덧댐. 완수시 "Trickster Demon" 가면과, "Mushroom Cloud" 재질, "Split" 무늬가 해금됨
          * Panic in the Projects
          * The Definition of Safe House is Changing
          * The Dentist Delight
          * Don't You Dare Miss
  • 페이데이 갱 . . . . 4회 일치
         <<TableOfContents>>
          * 혹스턴(Hoxton)
          * 휴스턴(Houston)
          * 보니(Bonnie)
          * 코끼리(The Elephant)
          * 치과의사(The Dentist)
          * 도살자(The Butcher)
          * 콘티넨탈(The Continental)
  • Darkest Hour: A Hearts of Iron Game . . . . 3회 일치
         <<TableOfContents>>
         [[패러독스 인터랙티브]]의 [[제2차 세계대전]] 대전략 게임인 [[Hearts of Iron II]]을 인디 개발자들이 뜯어고친 게임. 보통 DHR이라고 줄여 부른다. 국내 팬덤에서 부르는 애칭은 "데찰" 또는 "데챨".
         === [[Hearts of Iron II]]과의 차이점 ===
          * The Great War(1914)
          * Day of Decision(1933)
          * The Road to Another War(1936)
          * Enemy at the Gate
          * The Turning Tide(1943)
          * Fall Weiss: Invasion of Poland
          * Money(자금)
          * Convoy(화물선)
          * Radar Station(레이더 기지)
         [[Darkest Hour: A Hearts of Iron Game/유닛]] 페이지 참조
         [[Darkest Hour: A Hearts of Iron Game/기술]] 페이지 참조.
         [[Darkest Hour: A Hearts of Iron Game/연구진]] 페이지 참조.
         [[Darkest Hour: A Hearts of Iron Game/디시전]] 페이지 참조.
          * Mobilization↔Demobilization
          * Interventionism↔Isolationism
         인력 증가량이 0이므로 정상적으로는 군대를 꾸릴 수 없다. 1936년 코스타리카가 이 상태로 시작한다. Establish a Professional Army(전문직업군 창설) 디시전을 통해 Fully Professional Army(완전한 전문직업군) 상태가 될 수 있다.
         ==== Fully Professional Army(완전한 전문직업군) ====
  • InterWikiIcons . . . . 3회 일치
         The InterWiki Icon is the cute, little picture that appears in front of a link instead of the prefix established by InterWiki. An icon exists for some, but not all InterMap references.
         You can set InterWikiIcon to InterMap entries by putting an icon file of name lowercased InterWiki entry name, e.g; meatball for MeatBall, under imgs directory.
          * Acronym:BoF
          * Foldoc:FOAF
          * MoinMoin:MoinMoinDiscussions
          * SourceForge:projects/moniwiki
          * Others?
         == Discussions ==
         InterWikiIcon also used in the Unreal:Unreal Wiki.
         Only lovel-16.png included, while you WkPark arguing to rename it LovolNet. :P
         Any recommendations on what software to use to shrink an image to appropriate size?
          The gimp :)
          * [[Icon(moin-new.gif)]]Amazon - http://puzzlet.org/imgs/amazon-16.png
          * [[Icon(moin-new.gif)]][http://www.worrynet.com/jandi/wiki.cgi/%C0%DC%B5%F0%B9%E7 Jandi] - http://puzzlet.org/imgs/jandi-16.png (16x16x16M)
          * [[Icon(moin-new.gif)]][http://ko.wikipedia.org/ KoWikipedia] - http://puzzlet.org/imgs/kowikipedia-16.png (16x16x16M)
          * Freefeel - http://freefeel.org/upload/freefeelz16.png (as recommended at Freefeel:FreeFeelZone 16x15x256) or http://puzzlet.org/imgs/freefeel-16-new.png (16x16x16)
          * NoSmoke - http://puzzlet.org/imgs/nosmoke-16.png (adjusted color-resolution down to 16col: 16x16x16)
         For more information, check http://puzzlet.org/plots/InterWikiIcons
  • MoniWikiOptions . . . . 3회 일치
         #keywords moni wiki,기본값,설정
         config.php의 옵션.
         /!\ 새롭게 추가되는 다양한 옵션은 `config.php.default`에 들어있습니다.
         [[TableOfContents]]
         모니위키의 기본 설정값은 [[config.php]]에 저장되며,
         초기값은 최초 모니위키 셋업을 할 때 [[monisetup.php]]에 의해서 `config.php.default`값이 복사되고, 일부 값은 [[monisetup.php]]에 의해서 자동으로 선택된다.
          * [[도쿠위키]] [[미디어위키]] 모두 이러한 세밀한 옵션을 손쉽게 바꿀 방법을 제공하지 않고 있지만 모니위키는 [[monisetup.php]]를 통해 옵션 조정이 어느정도 가능하다.
         `'''$frontpage="페이지이름";'''` 대문 지정
          * 대문을 지정한다. 기본값은 FrontPage.
         `'''$theme='테마이름';'''` 테마
          * 테마를 지정한다. See also MoniWikiTheme
         `'''$theme_css'''`
          * 기본 css의 경로를 설정한다. 기본값은 `$url_prefix.'/css/default.css'` `$theme`를 설정한 경우는 이 값의 초기 설정치가 자동 설정되며, $theme_css=0으로 세팅된 경우에만 CSS를 변경할 수 있다.
         `'''$iconset'''`
          * 기본값은 `'moni2'`
          * 지정할 수 있는 값으로는 moni,moni2 등이 있다. 디렉토리를 추가하고 파일이름을 똑같게 하면 아이콘을 모두 변경할 수 있다.
         `'''[[$icon_list]]'''`
          * 로고를 클릭할 때 가는 페이지를 정한다. 기본값은 $frontpage.
         `'''[[$menu]]'''=array('MoniWiki'=>1,'FindPage'=>4,'TitleIndex'=>3,'BlogChanges'=>'','RecentChanges'=>2,'http://kldp.org KLDP'=>9);`
         `'''[[$actions]]'''=array('DeletePage', 'LikePage');`
  • MoniWikiTutorial . . . . 3회 일치
          * [[Icon(edit)]] 이 아이콘을 누르면 편집창이 뜨게 됩니다.
          * [[Icon(diff)]] 페이지가 다른 사람에 의해 고쳐졌을때 그 변화를 보여주는 3차원 입체안경 아이콘입니다.
          * [[Icon(info)]] 페이지 변경 정보를 보여줍니다.
          * [[Icon(rss)]] rss정보를 보여줍니다.
          * [[Icon(pref)]] 환경설정 혹은 로그인을 할 수 있는 폼을 보여줍니다.
         자세한 내용은 HelpOnNavigation을 참조하세요.
          * 자세한 내용은 [HelpOnEditing]을 참조하세요.
         || {{{''italic'' and '''bold''' and __underlined__ and ~~strikelined~~}}} || ''italic'' and '''bold''' and __underlined__ and ~~strikelined~~ ||
         || {{{MoinMoin:HelpContents}}} || MoinMoin:HelpContents (InterWiki-Link) ||
         || {{{http://moniwiki.kldp.org/imgs/moniwiki-logo.png}}} || http://moniwiki.kldp.org/imgs/moniwiki-logo.png ||
          * `!TableOfContents` - 페이지의 목차를 만들어줍니다.
         자세한 내용은 HelpOnMacros를 참고하세요
          * [wiki:NoSmoke:FrontPage 노스모크] : 한국 최고의 위키 커뮤니티
          * [wiki:KLDPWiki:FrontPage KLDP 위키] : 국내 오픈소스 개발자들을 위한 위키 사이트
          * [wiki:MoniWiki:FrontPage 모니위키] : 모니위키 사이트
          * [wiki:EnhaWiki:FrontPage 엔하위키] : 한국 최대 규모의 서브컬쳐 사전
         모니위키에 관련된 문제점은 http://kldp.net/projects/moniwiki 혹은 MoniWiki:MoniWiki 를 통해서 질문하시기 바랍니다.
  • Victoria II/기술 및 발명 목록/해군 . . . . 3회 일치
         <<TableOfContents>>
         === Post-Nelsonian Thought(넬슨 이후 사상) ===
          * '''Long Range Fire Tactic(원거리 사격 전술)'''
         == Ship Construction(선박 건조) ==
          * '''Building Station Shipyard'''
          * '''Steamer Automatic Construction Plants(증기선 자동 건조 공장)'''
          * '''Building Station Shipyard''' 발명 발견시 '''{{{#green +2%}}}'''
         === Iron Steamers(철제 증기선) ===
          * '''Ironclads(철갑선)'''
          * '''Monitors(모니터함)'''
         === Fire Control Systems(화력 통제 체계) ===
          * '''Gyrostabilized Fire Control(자이로 안정 화력 통제)'''
         === Weapon Platforms(무기 플랫폼) ===
          * '''[[Victoria II/기술 및 발명 목록/산업#s-4.3|Cheap Iron]] 기술 연구시 '''{{{#green +1%}}}'''
          * '''[[Victoria II/기술 및 발명 목록/산업#s-4.3|Cheap Iron]] 기술 연구시 '''{{{#green +2%}}}'''
          * '''On-Board Recon Aircraft(함상 정찰기)'''
          * '''Wireless(무선)'''
          * '''Advanced Fire Control(진보한 화력 통제)'''
          * '''Hit Evaluation Reports'''
          * '''Empirical Interdiction Reports(경험적 차단 보고)'''
  • WikiWikiWeb . . . . 3회 일치
         The [wiki:Wiki:FrontPage first ever wiki site] was founded in 1994 as an automated supplement to the Wiki:PortlandPatternRepository. The site was immediately popular within the pattern community, largely due to the newness of the internet and a good slate of Wiki:InvitedAuthors. The site was, and remains, dedicated to Wiki:PeopleProjectsAndPatterns.
         Wiki:WardCunnigham created the site and the WikiWikiWeb machinery that operates it. He chose wiki-wiki as an alliterative substitute for quick and thereby avoided naming this stuff quick-web. An early page, Wiki:WikiWikiHyperCard, traces wiki ideas back to a Wiki:HyperCard stack he wrote in the late 80's.
         See also one of these links:
          * http://www.c2.com/cgi/wiki or wiki:Wiki/FrontPage
          * get some answers on the Wiki:WikiWikiWebFaq
          * get to know more about the Wiki:WikiHistory
  • 맥스 페인/줄거리 . . . . 3회 일치
         <<TableOfContents>>
         === 1장: Roscoe Street Station (로스코 거리 역) ===
         === 2장: Live From the Crime Scene (범죄 현장에서 생중계) ===
         === 5장: Let the Gun Do the Talking ===
         == 파트 2: A Cold Day in Hell (불지옥의 추운 날) ==
         === 1장: The Baseball Bat (방망이) ===
         >Punchinello wanted Payne. He'd see the pain.
         >Mr.Payne. It's time to show you the benefits of my brew. Be a good boy now.
         맥스는 미셸은 포옹한다. 미셸은 사무실에서 바이킹에 관한 이상한 메모를 봤다고 말한다. 맥스는 미셸에게 지금은 해야할 일이 있으니 저녁에 얘기하자고 말한다. 포옹을 나누는 둘 뒤에서 또다른 맥스가 나타나 "타락천사의 살"[* The flesh of fallen angel. 작중 극중국인 주소불명(Address Unknown)에서 등장하는 분홍색 플라밍고의 대사. 잭 루피노를 비롯한 발키리 중독자들이 읊조리는 소리이기도 하다.]이라는 말을 내뱉는다.
         === 1장: Take Me to Cold Steel (날 콜드 스틸로 데려다 주게) ===
         === 3장: The Deep Six (딥 식스) ===
         === 5장: In the Land of the Blind (장님들의 나라) ===
  • 스파이더 . . . . 3회 일치
         The Spider
         두편의 영화가 만들어졌는데 제목은 <The Spider's Web>(1938년), <The Spider Returns>(1941년)다. 시대가 시대이다보니 흑백 영화. 영화에서는 거미줄 문양같은 복면을 쓰고 있다. [[스파이더맨]]과 비슷. 다른 복장은 복면 대신 아이 마스크스러운 가면을 쓴 이미지도 있다.
  • 식극의 소마/198화 . . . . 3회 일치
         <<TableOfContents>>
          * 죠이치로는 정신적으로 극히 피폐해져 The BULE 대회가 끝난 것도 알지 못하고 자신이 어디에 있는 건지, 무엇을 하는지도 모르는 상태가 되고 만다.
          * 소문이 자자한 [[사이바 죠이치로]]가 나타나지 않자 The BULE 회장은 혼란의 도가니가 된다. 스텝들은 어떻게든 죠이치로를 찾기 위해 허둥대고 해외에서 그를 보러 왔던 요리사들은 어이가 없다며 "겁 먹고 사라졌다"는 소문이 돌게 된다. 토오츠키 학원에선 그의 실종 소식이 전달되면서 "맨날 수업을 빼먹더니 더 블루까지 빼먹은 건가"라며 경악해 한다. [[시오미 준]]은 그렇다쳐도 이유가 뭔지, 왜 참석 조차 하지 않은 건지 의아해한다. [[나키리 아자미]]는 아무 말도 하지 않지만 당혹스럽기는 마찬가지다. 급기야 [[에비사와 리코]]는 그가 적어도 새벽에는 모습을 감췄을 거라고 추론하며 "요즘 분위기가 심상치 않더니, 더 블루가 귀찮아서 그런게 아니면 괜한 생각을 한게 아니냐"고 불길한 소릴 한다. 처음엔 그게 무슨 소리냐는 반응이던 학생들도 진지하게 자해나 자살을 떠올리며 우려한다.
          * 그는 죽은 생선 같은 눈으로 가을선발대회 때의 대결을 회상하며 즐거웠다고 말한다. 어쩐지 여기 오고 싶었는데 요즘 마음이 답답했기 때문이다. 그러다가도 The BULE를 떠올리며 "거기서도 결과를 내야 하는데"라고 마음에 걸려한다. 그는 "내일" 있을 대회를 준비하기 위해 조리대 앞에 서있었지만 아무 것도 떠오르지 않고 그렇다고 잠도 들 수 없었다. 그저 조리대 앞에 서서 "다음 도착점으로 가야 한다"는 일념만 남아 있었다. 가혹한 폭풍을 헤치고 걷는 죠이치로. 그의 마음 속에서 그 몸은 다리가 부러지고 등불도 꺼뜨린 채 홀로 절망적으로 거대한 폭풍 앞에 내동댕이 쳐져 있었다.
  • 페이데이 2/인벤토리 . . . . 3회 일치
         <<TableOfContents>>
         ==== Concussion Grenade ====
          * Gage Weapon Pack #01 필요
          * The Butcher's BBQ Pack 필요
          * The Butcher's Western Pack 필요
          * The Biker Heist 필요
          * John Wick Weapon Pack 필요
          * Enforcer - Tank - Iron Man Ace 스킬 필요
  • 페이데이 2/하이스트/블라드 . . . . 3회 일치
         <<TableOfContents>>
          * Yeah He's a Gold Digger
          * Shoot the Glass!
          * Now is the Nuclear Winter of Our Discontent
          * Pedal to the Metal
          * They Don’t Pay Us Enough
          * There Was a Car?!
          * Can You See The Light?
  • 페이데이: 더 하이스트 . . . . 3회 일치
         <<TableOfContents>>
          * 혹스턴(Hoxton)
          * Bronco. 44
          attachment:Bronco44.png
          * PAYDAY™ The Heist: Wolfpack DLC - 2012년 8월 8일 발매
          * PAYDAY: The Heist Soundtrack - 2012년 10월 19일 발매
         [[http://www.imfdb.org/wiki/Payday:_The_Heist|IMFDB의 페이데이: 더 하이스트 페이지]]
  • 프랑켄슈타인(마블 코믹스) . . . . 3회 일치
         [[마블 코믹스]]의 캐릭터. 첫등장의 경우 60년대급인 상당히 오래된 캐릭터. 코믹 바인에 기재된 정보에 의하면 The X-Men #40(January 1, 1968), 위키피디아에는 아틀라스 코믹스 시절이 Menace #7(Sept. 1953), 마블 코믹스 시절이 The Silver Surfer #7(Aug. 1969)다.
         코믹스 The Frankenstein Monster에도 등장.
  • 프리덤 파이터즈 . . . . 3회 일치
          * [[블랙 콘도르]](Black Condor)
          * [[레이]](The Ray)
          * [[네온 더 언노운]](Neon the Unknown)
          * [[레드 비]](The Red Bee)
          * [[앨리어스 더 스파이더]](Alias the Spider)
          * [[레드 비]](The Red Bee)[* 위쪽의 레드 비와는 별도의 캐릭터로 추정.]
          * [[아이언 먼로]](Iron Munro)
  • AliasPageNames . . . . 2회 일치
         # config.php 파일에 다음과 같은 설정을 넣어주시면 별명 기능이 활성화됩니다.
         MoniWiki,Moni위키,모니위키
         HelpOnProcessors,ProcessorPlugin,Processor,Processors,프로세서
         HelpOnMacros,MacroPlugin,매크로
         MoniWikiACL>MoniWiki:MoniWikiACL,SecurityPlugin
         MoniWiki>MoniWiki:MoniWiki
         모니위키>MoniWiki:MoniWiki
  • Crusader Kings 2 . . . . 2회 일치
         <<TableOfContents>>
          * '''The Old Gods DLC 필요'''
          6. 인물의 문화, 야망, 관심사, 능력치. 야망과 관심사는 Way of the Life DLC를 구매해야 나오는 기능이다. 예시의 무르하는 아일랜드인이며 전체적으로 암담한 능력치를 지니고 있다. 괄호 안의 능력치는 국가 능력치로, 이것이 실질적인 능력치이다. 국가 능력치는 군주 능력치+군주의 배우자 능력치+해당 능력치와 관련된 주요 직책의 능력치이다. 각 능력치에 대한 정보는 다음과 같다.
  • Daisy Bell(Bicycle Built For Two) . . . . 2회 일치
         <<TableOfContents>>
         || There is a flower within my heart
         Planted one day by a glancing dart
         Whether she loves me loves me not
         Yet I am longing to share the lot
         all for the love of you
         It won't be a stylish marriage
         upon the seat
         Peddling away down the road of life
         When the night's dark
         There are bright lights in the dazzling eyes
  • EZ2AC . . . . 2회 일치
          * EZ2DJ The 1st TRACKS
          * EZ2DJ The 1st TRACKS Special Edition
          * ~~EZ2DJ DANCE EDITION VOLUME ONE~~ (개발중단)
          * EZ2DJ 2ndTRAX ~It rules once again~
          * EZ2DJ 6thTRAX ~Self Evolution~
          * EZ2DJ 7thTRAX BONUS EDITION
          * EZ2DJ 7thTRAX BONUS EDITION revision A
          * EZ2DJ : AZURE EXPRESSION
          * EZ2DJ : AZURE EXPRESSION INTEGRAL COMPOSITION[* 현재 SQUARE PIXELS에서는 그냥 AZURE EXPRESSION Project라는 명으로 사용한다. 이유은 아마 현재 EZ2DJ상표권이 [[코나미]]한테 넘어가서 그런듯.]
          * EZ2AC : ENDLESS CIRCULATION
  • Hanging On The Old Barbed Wire . . . . 2회 일치
         <<TableOfContents>>
         || If you want to find the general
         If you want to find the general
         He's pinning another medal on his chest
         Pinning another medal on his chest
         Pinning another medal on his chest || 장군을 찾고 있다면
         || If you want to find the colonel
         If you want to find the colonel
         ||If you want to find the sergeant
         If you want to find the sergeant
         He's drinking all the company rum
         Drinking all the company rum
         Drinking all the company rum||[[병장]]을 찾고 있다면
         ||If you want to find the private
         If you want to find the private
         He's hanging on the old barbed wire
         Hanging on the old barbed wire
         Hanging on the old barbed wire || [[이병]]을 찾고 있다면
         [[http://www.azlyrics.com/lyrics/chumbawamba/hangingontheoldbarbedwire.html]]
  • The Tyger . . . . 2회 일치
         <<TableOfContents>>
         The Tyger BY WILLIAM BLAKE
         In the forests of the night;
         Burnt the fire of thine eyes?
         On what wings dare he aspire?
         What the hand, dare seize the fire?
         Could twist the sinews of thy heart?
         What the hammer? what the chain,
         What the anvil? what dread grasp,
         When the stars threw down their spears
         And water'd heaven with their tears:
         Did he who made the Lamb make thee?
         In the forests of the night:
         원문 출처 : http://www.poetryfoundation.org/poem/172943#poem
  • Victoria II . . . . 2회 일치
         <<TableOfContents>>
          * The Grand Campaign
         ==== 문명국(Civilized Nation) ====
         9~16위는 2등 열강(Secondary Power)으로 분류되는데, 이들은 자신의 영향권을 형성하지는 못하지만 식민지를 필 수 있다.
         ==== 비문명국(Uncivilized Nation) ====
         비문명국 사이에도 분류가 있지만 별다른 효과는 없다. 단지 서구화의 진척도 대충 알려줄 뿐이다. 서구화에 거의 손을 대지 않은 국가들은 원시 국가(Primitive nation)로 표시되며, 서구화를 어느정도 한 국가들은 비문명 국가(Uncivilized Nation)로 분류된다. 서구화가 막바지에 이르른 국가들은 부분적 서구화 국가(Partially Westernized Nation)로 분류된다.
         식민지를 개척하고 유지하는데는 식민력(Colonial Power)이 필요하다. 식민력은 코어가 박힌 영토에 있는 해군기지와 해군 유닛에게서 얻을 수 있다.
          * Traditional Academia(전통 학계): 모든 기술 연구에 아무 변화 없음.
          * Sea power & The Merchant Marine(해군력과 상선대): 육군 기술 연구 -5%, 해군 기술 연구 +15%, 상업 기술 연구 +10%, 문화 기술 연구 -10%
          * Business Schools & Tycoon Capitalism(경영대학과 재벌자본주의): 육군 기술 연구 -10%, 해군 기술 연구 -10%, 상업 기술 연구 +10%, 문화 기술 연구 -10%, 산업 기술 연구 +5%
          * Prussian Constitutionalism(프로이센식 입헌군주정) : 입헌군주제이긴 한데 사실상 국왕이 다 해먹는 유사 민주주의. 전제 군주정 국가에서 투표를 허가하면 이게 된다. 여당을 플레이어가 바꿀 수 있지만 일정 주기마다 치뤄지는 총선에 따라서도 바뀐다. 무정부 자유주의, 공산주의, 파시스트는 여당이 될 수 없다. 자코뱅 반란으로 뒤집어지면 민주정이 된다.
         국가를 이루는 사람들. 게임 내 정식 용어는 인구(Population)지만 패러독스 팬덤에서는 POP라고 부른다.
         관계도(Relations)는 해당 국가 정부와 얼마나 사이가 좋은가를 의미한다. 관계도가 높을수록 요청을 들어줄 확률이 쥐꼬리만큼 늘어난다. 만약 관계도가 음수라면 모든 요청에 "ㅗㅇㅅㅇ"라는 반응이 날아온다.
          * 관계도 증가(Increase Relations) : 2외교 점수를 소모해서 해당 국가와의 관계도를 살짝 올린다.
          * 관계도 감소(Decrease Relations) : 1외교 점수를 소모해서 해당 국가와의 관계도를 살짝 내린다.
          * 의견 하락(Decrease Opinion) - 영향력 50을 소모해 지정한 열강과 해당 국가 간의 의견을 하락시킨다.
         게임을 하다보면 두 국가가 지방이나 식민지의 소유권을 두고 분쟁을 벌이게 된다. 분쟁이 일어나면 긴장(Tensions)라는 수치가 올라가는데, 이 긴장 수치를 유발할 수 있다. 위기가 발생하면 두 국가는 자국의 입장을 대변해 줄 주요 열강을 찾게 된다.[* 위기의 당사자가 주요 열강일 경우에는 자국이 대표자가 된다.] 어느 한쪽만 지지자가 생기거나 두 국가 모두 주요 열강의 관심을 받지 못하면 그대로 위기는 사그라든다. 하지만 두 국가 모두 주요 열강의 지지를 받게 될 경우에는 위기가 본격적으로 시작된다.
          * Songs of the Civil War : 남북전쟁 시기 만들어진 유명 음악 4개[* Battle Hymn of the Republic, Johnny Comes Marching Home, Marching Through Georgia, Oh I'm a Good ol' Rebel]를 OST에 추가해주는 DLC.
  • 김천추풍령할매갈비 본점 . . . . 2회 일치
         https://img1.daumcdn.net/thumb/R1920x0.q100/?fname=http%3A%2F%2Fpostfiles9.naver.net%2FMjAxODA0MjFfOTMg%2FMDAxNTI0Mjk5OTg0ODY5.kWY1-10QXMIpmmLQ_NYP0xZP50l-euM_LOzIS3QMt9og.Yyx53KiS4Ea8qVfR3hn_tM6R7sONcFwYauicugJbdvcg.JPEG.qlwlel2%2FIMG_2399.JPG%3Ftype%3Dw580
         https://img1.daumcdn.net/thumb/R1920x0.q100/?fname=http%3A%2F%2Fpostfiles7.naver.net%2FMjAxODA0MjFfMTcw%2FMDAxNTI0Mjk4ODgxMTYy.k2q7XcOn9sN044TUdPo2Ub8bmNk-uXcUbYZRgauxhN4g.i9n_KxYksJqotaIT5IQtOKSI13K9l7go8z-LYVy1I0kg.JPEG.qlwlel2%2FIMG_2385.JPG%3Ftype%3Dw580
         https://img1.daumcdn.net/thumb/R1920x0.q100/?fname=http%3A%2F%2Fpostfiles14.naver.net%2FMjAxODA0MjFfMTk0%2FMDAxNTI0Mjk4MzI4MTA4.gnVWcFhI_r5APU9hIRqui4ua9Uf-aGonGa1dtbwkJAcg.55Qx2CdVAKrSYn5lt4fY9WUrhucFV9KV0y7mZYBoxC8g.JPEG.qlwlel2%2FIMG_2375.JPG%3Ftype%3Dw580
         https://img1.daumcdn.net/thumb/R1920x0.q100/?fname=http%3A%2F%2Fpostfiles10.naver.net%2FMjAxNzA5MzBfMTky%2FMDAxNTA2NzgxNzU5NDQ3.kDl9hzmEspU8u0KtHYOnz19BcirXEKPvIMg9aO1uF-Yg.JnXsQpDVtWBXxeCZ0mAd9v-Y7mNR3-aZv4prAxfnqu4g.JPEG.sjh5418%2Fimage_5667812011506781683271.jpg%3Ftype%3Dw966
         https://blogfiles.pstatic.net/MjAxNzA5MDdfNzUg/MDAxNTA0NzUxMTY4MDQ2.GHiFKmFS1pWiTiTUPCfYijuXai1HWTB9TB8rANvIc-Ig.gzvqreLxsEoztVVkQmmFgSHXXWjyYgeG1V8IoOsIyp8g.JPEG.goldbok07/image_7188162201504751139877.jpg
         https://blogfiles.pstatic.net/MjAxNzA5MDdfMTQ4/MDAxNTA0NzUxMjEzODU3.LYBI47uxfxEeBxquxASoU0bah6zz1k3BqIUgyEH1b9Ig.DG_3dV3LS2uNhi5NJnHTFpnU0bCm2tTnEk5cYiAkmHwg.JPEG.goldbok07/image_5334503391504751139899.jpg
         https://blogfiles.pstatic.net/MjAxNzA5MDdfMTQ3/MDAxNTA0NzUxMjQ2NTIy.gKfzBJZNbZXIzRdLa-RpBVco7vI-eeB0nu18dJwPkNUg.FoaHTB29rEh3naH_Wq5aVkJcO_mNnAO1xoB7kSZpJFIg.JPEG.goldbok07/image_4518110871504751139902.jpg
         https://blogfiles.pstatic.net/MjAxNzA5MDdfNjYg/MDAxNTA0NzUxMjcxNDYz.SmQRtoQcZ49nconVtG4JDh0LLMRIrye6wEDN5EVGTLkg.gfQzkjCX_dpoQJXMNWt5uq7V7XzfwOPvNd-FGyVofsUg.JPEG.goldbok07/image_7850476421504751139903.jpg
         https://blogfiles.pstatic.net/MjAxNzA5MDdfMjA0/MDAxNTA0NzUxMzExMTQw.RYsP_u0V0cooc-KdXGQ2vITSc2cU7J2vZXY97BKuGmMg.pI78GWt3qmrr-bf_Y98M6bu-SqxRAsUosOwWQ6uGPu8g.JPEG.goldbok07/image_2072857011504751139904.jpg
         https://blogfiles.pstatic.net/MjAxNzA5MDdfMjAx/MDAxNTA0NzUxNDI4MDMy.akKoGQc5IPLHxaE8hM9F5Kmyz14YwrHeLdDYxgvL49cg.hH7beI_ruyzPqyldWkqxrytbm2wHpfkU6dB8Te-BpkIg.JPEG.goldbok07/image_1511792291504751139906.jpg
         https://blogfiles.pstatic.net/MjAxNzA5MDdfMTIy/MDAxNTA0NzUxNDY5MDMx.Z9uxgKwJWEHUbQdB3I29xT5FwAMe1R3SoCOhaFhejN4g._J67unz4I8WMCnYZA8-BWVuiJScRpRe0rg7s8F9isBIg.JPEG.goldbok07/image_3934012051504751139908.jpg
         https://blogfiles.pstatic.net/MjAxNzA5MDdfMzEg/MDAxNTA0NzUxNDk5NTU3.J1UxBie5d0H57u01gs7Rv04AR7vmlz-7uEh60bHUCIcg.bBqwMKyhwfH5Ug7HfJHLldQbsc5A4cE9KVMikLGWvoYg.JPEG.goldbok07/image_640192001504751139909.jpg
         https://blogfiles.pstatic.net/MjAxNzA5MDdfMjMg/MDAxNTA0NzUxNTQyODg0.j40dYkFcicPzTJOK7E0xccX9Tak3gbhNZe8xisfMxtMg.aXJRsQpV_ugGgyeslI13VWKhiBJXs6iZ3hlxhog7UZ4g.JPEG.goldbok07/image_4929581581504751139911.jpg
  • 김현정 (1979년) . . . . 2회 일치
         | 그림 =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7/7f/Kim_Hyeon-jeong_%28%EA%B9%80%ED%98%84%EC%A0%95%2C_painter%29_at_The_Exhibition_of_Three_Korean_Artists_at_Today_Art_Museum_in_Beijing%2C_China.jpg/220px-Kim_Hyeon-jeong_%28%EA%B9%80%ED%98%84%EC%A0%95%2C_painter%29_at_The_Exhibition_of_Three_Korean_Artists_at_Today_Art_Museum_in_Beijing%2C_China.jpg
         * "서도무문 - 한국서법예술교류전"<ref>[http://www.korea.net/NewsFocus/People/view?articleId=133814 Her evolution has no end], 코리아넷, 2016년 3월 16일 작성.</ref>
         * "선물"<ref>[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6/09/21/0200000000AKR20160921175700005.HTML '배우 화가' 김현정 "내 그림이 누군가에게 선물이었으면"], 연합뉴스, 2016년 9월 22일 작성.</ref>
         * [http://www.kmdb.or.kr/actor/mm_basic.asp?person_id=00013948&keyword=김현정 한국 영화 데이터베이스]
         * [http://www.hancinema.net/korean_Kim_Hyeon-jeong-III.php 한시네마]
  • 네드 켈리 . . . . 2회 일치
         <<TableOfContents>>
         1878년 4월, 피츠패트릭 순경(Constable Fitzpatrick)이라는 [[경찰]]이 켈리 가족에게 찾아온다. 피츠패트릭은 네드의 동생인 댄 켈리(Dan Kelly)를 말도둑 혐의로 체포하려고 했다. 피츠패트릭은 총에 맞았고[* 죽었다는 이야기도 있지만 이후 피츠패트릭의 주장이 있는걸로 보아 죽지는 않은 것 같다.], 켈리 가족의 어머니인 엘렌 켈리(Ellen Kelly)는 이 일을 사주한 혐의로 체포되었다. 유력한 용의자인 네드와 댄은 도주했다. 훗날 네드의 친구인 조 번(Joe Byrne)과 댄의 친구인 스티브 하트(Steve Hart)가 합류, 켈리 갱(Kelly Gang)이라고 불리는 범죄 조직을 만들었다.
         1887년 10월, 경찰은 켈리 갱을 체포하기 위해 무장한 경찰관 네명을 보냈다. 하지만 캘리 갱은 이 사실을 알고 있었고, 경찰 팀이 야영지를 차린 스트링이바크 크리크(Stringybark Creek)를 습격했다. 이들은 경찰관들을 습격해 세명[* 로니건 순경(Constable Lonigan), 스캔론 순경(Constable Scanlon), 케네디 경사(Sergeant Kennedy).]을 살해하고 한명[* 매킨타이어 순경(Constabel McIntyre).]을 붙잡았다. 이후 켈리 갱은 호주의 [[은행강도|은행을 털었다]]. 1889년 2월에 네드 켈리에게 걸린 현상금은 8,000 파운드로 올라갔지만 켈리 갱은 잡히지 않았다. 켈리 갱이 최후를 맞은건 1880년 6월이 되어서였다.
         네드 켈리는 제릴더리(Jerilderie)의 은행을 털며 편지 하나를 남겼다. "제릴더리 편지[* Jerilderie Letter]"라고 불리는 이 편지는 1870년부터의 켈리 갱의 이야기를 담고 있으며 당시 호주의 경찰이 부패했다는 주장을 담고 있었다. 이 편지는 경매에 나와 빅토리아 주립 도서관이 사들였다. [[http://search.slv.vic.gov.au/primo_library/libweb/action/dlDisplay.do?vid=MAIN&search_scope=default_scope&docId=SLV_VOYAGER1636991&fn=permalink|전자책으로도 보게 해 주는 것 같으니 관심 있으면 클릭.]] 오른쪽의 View Online을 누르면 된다. 흘려쓴 영문을 읽을 수 있을지는 모르겠지만.
         19세기에는 사형된 범죄자의 얼굴로 [[데스마스크]]를 만들었다. [[골상학]]에 근거해 분석하기 위한 용도였는데, 그 이유로 네드 켈리의 데스마스크도 만들어졌다. 현재 이 데스마스크는 [[http://www.nma.gov.au/collections-search/display?app=tlf&irn=76705|국립 호주 박물관에서 보관하고 있다.]]
         2011년에 [[http://www.yonhapnews.co.kr/special/2011/09/01/1431000000AKR20110901175200009.HTML|네드 켈리의 유해가 발굴되었다.]]
         2003년 개봉된 영화 "네드 켈리"(Ned Kelly)는 네드 켈리를 주인공으로 삼고있다. 네드 켈리 역은 [[히스 레저]]. 그전에 나왔던 1970년작도 있다. 1906년에 나온 켈리 갱 이야기"(The Story of the Kelly Gang)이라는 영화도 있다!
         [[https://www.slv.vic.gov.au/search-discover/explore-collections-theme/australian-history/ned-kelly/ned-kelly-fact-sheet|빅토리아 주립 도서관 홈페이지- 네드 켈리 자료표(영어)]]
         [[http://www.nma.gov.au/exhibitions/irish_in_australia/bushrangers|호주 국립 박물관 홈페이지 - 호주의 아일랜드인 전시관 페이지(영어)]]
  • 랄프 알거 배그놀드 . . . . 2회 일치
         <<TableOfContents>>
         Ralph Alger Bagnold
         1939년, [[제2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자 배그놀드는 다시 현역이 된다. 그는 자신이 자신의 경험을 토대로 [[LRDG|장거리 사막 정찰대]](Long Range Desert Group, LRDG)라는 특수부대를 창설한다. LRDG는 기존의 자석을 이용한 [[나침반]]이 대원들이 타고다니는 트럭 등에 교란될 것을 우려해 태양을 이용한 나침반을 사용했는데, 이 나침반 또한 배그놀드가 설계한 것이었다. 그는 전쟁 도중이었던 1941년에도 또다른 책을 펴내었다. 모래의 이동에 대한 연구를 담은 《바람에 부는 모래와 사막 사구의 물리학》[* The Physics of Blown Sand and Desert Dunes. 국내 정발된 책이 아니기에 임의로 번역한 제목이다.]이 그것이었다.
          * The Physics of Blown Sand and Desert Dunes
         [[https://www.egu.eu/awards-medals/portrait-ralph-alger-bagnold/|(영문)유럽 지구과학 협회의 랄프 배그놀드 설명]]
         [[http://www.nytimes.com/1990/06/01/obituaries/ralph-bagnold-94-expert-on-physics-of-sand-in-the-desert.html|(영문)뉴욕타임즈의 랄프 배그놀드 사망 기사]]
         [[https://www.iwm.org.uk/collections/item/object/30028094|(영문)제국전쟁박물관의 배그놀드 태양 나침반 설명]]
  • 러시안 라이프 . . . . 2회 일치
         <<TableOfContents>>
         >The world’s biggest country, in a magazine.
         냉전이 진행중이었던 1956년 처음 발행되었다. 이때의 이름은 "더 USSR"(The USSR). 몇년 후 "소비에트 라이프"로 이름을 바꿨고, [[소련]]이 공중분해되자 현재의 이름으로 이름을 바꿨다.
  • 레킹 크루 . . . . 2회 일치
         애니메이션 [[The Avengers Earth's Mightiest Heroes]]에 등장. [[토르]]에게 패해 수감되었다가 브레이크 아웃 사태로 탈옥했다.
          본명 Dirk Garthwaite. 첫 등장은 The Mighty Thor #148 (January 1968)
  • 맥시 제우스 . . . . 2회 일치
         === Batman : The Animated Series ===
         === The Batman ===
  • 부산광역시 . . . . 2회 일치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0/08/Busan_montage.png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8/89/Symbol_of_Busan.svg/110px-Symbol_of_Busan.svg.png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d/d2/Slogan_of_Busan_Dynamic_Busan_Asian_Gateway.svg/110px-Slogan_of_Busan_Dynamic_Busan_Asian_Gateway.svg.png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6/65/Map_Busan-gwangyeoksi.svg/300px-Map_Busan-gwangyeoksi.svg.png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b/b2/South_Korea_location_map.svg/300px-South_Korea_location_map.svg.png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7/75/Daedongyeojido_%28Gyujanggak%29_18-02.jpg/500px-Daedongyeojido_%28Gyujanggak%29_18-02.jpg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3/30/Busan_port.jpg/220px-Busan_port.jpg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4/4b/Benten-Cho_in_Fuzan.JPG/220px-Benten-Cho_in_Fuzan.JPG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3/31/Busan-Administrative_divisions-ko.svg/500px-Busan-Administrative_divisions-ko.svg.png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3/33/Busan_City_Hall.jpg/200px-Busan_City_Hall.jpg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1/11/RENAULT_SAMSUNG_MOTORS.JPG/220px-RENAULT_SAMSUNG_MOTORS.JPG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5/5f/Busan_Lotte_town_4.jpg/220px-Busan_Lotte_town_4.jpg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7/72/Jagalchi_Market%2C_Busan%2C_South_Korea.jpg/220px-Jagalchi_Market%2C_Busan%2C_South_Korea.jpg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7/77/Lotte_Hotel_Busan.jpg/220px-Lotte_Hotel_Busan.jpg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8/85/National_Center_for_Korean_Traditional_Performing_Arts_in_Busan.jpg/150px-National_Center_for_Korean_Traditional_Performing_Arts_in_Busan.jpg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9/95/The_Gwangan_Bridge-edit.jpg/120px-The_Gwangan_Bridge-edit.jpg|[[광안대교]]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a/a2/Oryuk-do.jpg/120px-Oryuk-do.jpg|[[오륙도]]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1/1b/Korea-Busan-Taejongdae-05.jpg/120px-Korea-Busan-Taejongdae-05.jpg|[[태종대]]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1/14/Korea-Busan-Beomeosa-01.jpg/120px-Korea-Busan-Beomeosa-01.jpg|[[범어사]]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6/64/Korea-Busan_Tower-01.jpg/90px-Korea-Busan_Tower-01.jpg|[[부산타워]]
  • 브로포스/브로 . . . . 2회 일치
         <<TableOfContents>>
         == 인디아나 브론스(Indiana Brones) ==
         == 분닥 브로즈(Boondock Bros) ==
         == 브로난(Bronan) ==
         == 브로니버설 솔져(Broniversal Soldier) ==
         == 더 브로드(The Brode) ==
         == 더 브로페셔널(The Brofessional) ==
  • 스틸오션/사령관 . . . . 2회 일치
         <<TableOfContents>>
          * 복수 주파수 소나(Multi-frequency Sonar) - 소나 탐지 쿨타임 0.3초 감소.
          * 주포 관통력 강화 II(Enhanced Main Penetration II) - 주포 관통력 2% 증가.
          * 태풍(Typhoon) - 액티브. 3CP 소모. 8초간 함선의 최대 속도 4노트 상승.
          * 마이클 해먼드(Michael Hammond)
          * Z대형(Z Formation) - 선회중 적에게 맞았을 경우 60% 확률로 15초간 포탑 회전 속도 5% 상승. 조타 능력 10% 상승.
          * 환기체계(Ventilation System) - 조타수로 배치했을 때에만 발생. 잠수함 산소 소모량 10% 감소.
          * 태풍(Typhoon) - 액티브. 3CP 소모. 8초간 함선의 최대 속도 4노트 상승.
          * 주포 관통력 강화 II(Enhanced Main Penetration II) - 주포 관통력 2% 증가.
          * 알프레드 폰 티르피츠(Alfred von Tirpitz)
          * 집중(Concentration) - 적함이 함포에 맞으면 60% 확률로 발동. 30초간 조타가 주포 정확도에 주는 영향을 15% 감소.
          * 칼 폰 뮐러(Karl von Muller)
          * 약점 인식(Weakness Recognition) - 액티브. 3CP 소모. 15초간 주포 관통력 15% 증가.
          * 펠릭스 폰 루크너(Felix von Luckner)
          * 태풍(Typhoon) - 액티브. 3CP 소모. 8초간 함선의 최대 속도 4노트 상승.
          * 리치몬드 터너(Richmond Turne)
          * 고출력 소나(Hi-Power Sonar) - 소나 탐지 범위 450m 증가.
          * 주포 관통력 강화 II(Enhanced Main Penetration II) - 주포 관통력 2% 증가.
          * 포화(Cannonfire) - 액티브. 2CP 소모. 10초간 주포 정확도 10% 증가.
          * 주포 관통력 강화 II(Enhanced Main Penetration II) - 주포 관통력 2% 증가.
  • 시드 마이어의 에이스 패트롤 . . . . 2회 일치
         <<TableOfContents>>
          * Grease Monkey
          * Strong Heart
          * The Eagle
          * The Incinerator
          * A View to the West
          * Lonesome Road
  • 어쌔신 크리드 III/부가요소 . . . . 2회 일치
         <<TableOfContents>>
          * 라쿤(Raccoon)
          * 스쿠너(Schooner)
          * 철제 선체 강화(Iron Hull Reinforcements)
          * 추가 대포(Extra Cannon)
          * Action at Trois-Rivières - 난이도 ★☆☆
          * The Powder Alarms - 난이도 ★★★
          * Quiet Connecticut - 난이도 ★★☆
          * Action at Long Island - 난이도 ★★★
          * Trenton - 난이도 ★★☆
          * Sound the Massage - 난이도 ★★☆
          * Another Tea Party - 난이도 ★★☆
          * Stono Ferry - 난이도 ★☆☆
          * Valuable Informations - 난이도 ★☆☆
          * The Swamp Fox - 난이도 ★☆☆
          * Evacuation of Savannah - 난이도 ★☆☆
          * Frederica Naval Action - 난이도 ★☆☆
  • 윤흔 . . . . 2회 일치
         [[경력]]으로 재직 중 [[1595년]](선조 28년) [[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승문원]]에 선발되었고, 얼마 뒤 [[승문원]][[정자]](承文院正字)가 되었다. 이때까지도 이름은 윤양이었는데 뒤에 흔으로 개명한다.<ref>[http://people.aks.ac.kr/front/tabCon/exm/exmView.aks?exmId=EXM_MN_6JOb_1595_004467 윤양]</ref> 향시에는 장원했지만 중앙의 과거에 낙방하였는데, 이때 비로소 굴욕을 펴게 되었다 한다. 그는 과거 급제 후에도 자신의 스승의 한사람인 우계 [[성혼]]과 송강 [[정철]]의 문하에 출입하며 가르침을 청하였으며, [[임진왜란]] 중에는 [[조선 선조|선조]] 임금을 따라 [[의주]]로 피난갈 때 수행하였다. 그 뒤 할아버지와 아버지의 공으로 [[성균관]][[전적]](典籍)으로 특진하였다.
         * [http://history.yj21.net/Theme/Theme.asp?BC_ID=b1600 윤양: 여주군사]
  • 이보림 . . . . 2회 일치
         ||<#FBB30F> {{{#202020 '''곡명'''}}} || Gee || Problem || Cherry On Top ||
         [[아이돌 리부팅 프로젝트 - 더 유닛/23~24회|음원 발매 미션]]에서는 노랑팀에서 'Cherry On Top'을 공연하게 되었다. [[의진(소나무)|의진]]과는 3번째 같은 팀인데 의진은 개인 인터뷰에서 언니가 하면 하더라며, 이번에도 함께하면 더 발전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으로 데리고 왔다고 이야기했다. 포인트 안무를 배울 때는 이보림이 계속해서 김화영에게 지적을 받았고, 의진에게 그만 의존하라는 소리도 들었다. 이보림은 개인 인터뷰에서 요즘 화영 선생님 그림자만 봐도 떨린다며, 그래서 화영 선생님한테 칭찬 들을 때까지 열심히 해야 할 것 같다고 이야기했다. 마지막 점검에서는 김화영이 이보림에게 다리를 들어 쭉 뻗는 동작을 추가하자고 했고, 본 경연에서도 이를 멋지게 성공시켰다. 현장 투표에서는 팀 내 3위를 기록했지만, 팀은 아쉽게 2위에 그쳤다.
  • 전라북도 . . . . 2회 일치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ko/thumb/d/da/Symbol_of_Jeonbuk.svg/100px-Symbol_of_Jeonbuk.svg.png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9/93/South_Korea-North_Jeolla.svg/227px-South_Korea-North_Jeolla.svg.png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8/8f/The_Standing_Stone_Buddha_Statue_in_Mangje-dong_5.JPG/220px-The_Standing_Stone_Buddha_Statue_in_Mangje-dong_5.JPG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ko/thumb/4/4f/Jeonbuk-map.png/520px-Jeonbuk-map.png
  • 캐리 피셔 . . . . 2회 일치
         <<TableOfContents>>
         데비 레이놀즈(Debbie Reynolds)와 에디 피셔(Eddie Fisher)의 딸이며, 1956년 캘리포니아 비버리힐즈에서 태어났다. 1975년 10대 시절에 영화 샴푸(Shampoo)로 데뷔했다.
         스타워즈(Star Wars) 시리즈에서 히로인 [[레아 오르가나 솔로]] 역할을 맡았다. 40여년간 배우로 활동하며 The Blues Brothers, Hannah and Her Sister, The ‘Burbs, When Harry Met Sally 등에 출연했다.
          * Postcards from the Edge : 자서전 적인 소설.
  • 콜 오브 후아레즈 : 건슬링어/스킬 . . . . 2회 일치
         <<TableOfContents>>
         === Concentrated ===
          * Concentrated 요구
         === On the Run ===
          * Guns Blazing: Gunslinger나 On the Run 요구
         >Long Distance Sharpshooter
  • 토탈워: 쇼군 2/유닛 . . . . 2회 일치
         <<TableOfContents>>
         한글명칭 등등은 스팀 창작 마당의 [[http://steamcommunity.com/sharedfiles/filedetails/?id=545973851&searchtext=korean|Full Korean Localization (Steam Edition)]]를 기반으로 했다.
          * 돌격 보너스(Charge Bonus): 말 그대로 돌격을 했을 때 받는 보너스. 부대를 선택하고 적 부대에게 달리게 하면 돌격이 된다. 기병 부대가 높다. 적 보병들이 치여서 날아가는거 개꿀.
          * 대 기병 보너스(Bonus vs Cavalry): 기병과 근접전을 벌일 때 받는 보너스. 창을 사용하는 부대에게 달려있다.
          * 탄약&화살(Ammunition): 원거리 공격을 하는 부대가 소지하고 있는 탄약 수. 높을수록 더 많이 쏠 수 있다.
         ===== 야리 로닌(Yari Ronin) =====
         ===== 나기나타 승병(Naginata Warrior Monks) =====
          * 사찰(Monastery), 나기나타 도장(Naginata Dojo) 필요.
          * 창방진(Yari Square Formation) - 기병이 측면과 후면을 치지 못하게 모든 방향에 창을 겨누는 사각형 진형을 짠다.
          * 새로운 활력(Second Wind) - 자신과 근처 아군 3부대의 피로도를 회복시킨다.
          * 확고한 방어(Hold Firm) - 자신과 근처 아군 3부대에게 짧은 시간동안 적용. 방어력을 올려주고 사기 감소를 막는다.
          * '''The Ikko Ikki Clan Pack DLC 필요'''
          * 확고한 방어(Hold Firm) - 자신과 근처 아군 3부대에게 짧은 시간동안 적용. 방어력을 올려주고 사기 감소를 막는다.
          * 확고한 방어(Hold Firm) - 자신과 근처 아군 3부대에게 짧은 시간동안 적용. 방어력을 올려주고 사기 감소를 막는다.
         ===== 유미 로닌(Bow Ronin) =====
         ===== 유미 승병(Bow Warrior Monks) =====
          * 사찰(Monastery), 유미 교련장(Foot Archery Range) 필요.
          * 확고한 방어(Hold Firm) - 자신과 근처 아군 3부대에게 짧은 시간동안 적용. 방어력을 올려주고 사기 감소를 막는다.
         ===== 카나타 로닌(Katana Ronin) =====
          * 확고한 방어(Hold Firm) - 자신과 근처 아군 3부대에게 짧은 시간동안 적용. 방어력을 올려주고 사기 감소를 막는다.
  • 프랑켄슈타인 안드로이드 . . . . 2회 일치
         The Frankenstein Android
         [[마블 코믹스]]의 캐릭터. 첫등장은 The X-Men #40(January 1, 1968).
  • AEC 장갑차 . . . . 1회 일치
         <<TableOfContents>>
         The Encyclopedia of Weapons of World War II, Chris Bishop, 2002
  • DC's Legends of Tomorrow . . . . 1회 일치
         [[DC 코믹스]] 기반 드라마이며 [[애로우버스]] 소속 드라마 중 하나다. 시즌 1이 끝나고, 시즌 2가 방송 중. 방송국은 [[애로우]], [[플래시(드라마)|플래시]]와 동일한 [[The CW]].
  • DateTimeMacro . . . . 1회 일치
         @SIG'''''' 혹은 @DATE''''''@ 같은 [[HelpOnVariables|위키변수]]는 페이지가 저장될 때에 다음과 같은 DateTimeMacro로 자동 변환됩니다.
  • FrontPage . . . . 1회 일치
         [[TableOfContents]]
          * HelpContents
          * HelpOnEditing
          * [[SlideShow(MoniWikiTutorial)]] 위키 배우기!
  • I Didn't Raise My Boy to Be a Soldier . . . . 1회 일치
         <<TableOfContents>>
         || 1 절 || Ten millions of soldier war have gone
         Ten millions mother's hearts must break
         for the ones who died in vain
         Head bowed down in sorrow In her lonely years
         I heard a mother murmur thru' her tears ||
         || 후렴 || I didn't raise my boy to be a soldier
         Who dares to place a musket on his shoulder
         to shoot some other mother's darling boy?
         Let nations arbitrate their future troubles
         It's time to lay the sword and gun away
         There'd be no war today
         If mothers all would say
         I didn't raise my boy to be a soldier ||
         || 2절 || What victory can cheer a mother's heart
         Let each mother answer In the years to be
         Remember that my boy belongs to me ||
  • MoniWikiACL . . . . 1회 일치
         /!\ since MoniWiki 1.1.2
         [[TableOfContents]]
         `config.php`에 다음을 넣으면 ACL SecurityPlugin이 활성화됩니다.
         @Guest Anonymous # priority를 지정하지 않으면 기본값 2
         /!\ 여기서 Anonymous 사용자는 @Guest로 지정되어 있으며, @Guest는 미리 정의된 그룹이 아닙니다.
         HelpOn.* @ALL deny edit,savepage
         @Guest Anonymous // @Guest 사용자 그룹 정의
         # Please don't modify the lines above
         # A sample Access Control Lists file for Moniwiki
         @Guest Anonymous // @Guest 사용자 그룹 정의
         # some POST actions support protected mode using admin password
         # some actions allowed to @ALL
         # some pages have restrict permission
         MoniWiki @ALL deny edit,uploadfile,diff
         // MoniWiki 페이지를 @ALL 모든 사용자에게 edit,upload,diff등의 일부 액션을 거부
         @Guest Anonymous # @ALL을 제외한 모든 그룹의 priority는 그 값이 지정되지 않으면 2 이다.
         @Group2 simon,soo # default group priorty = 2
          * Anonymous (@Guest): {{{deny *}}}: 모두 거부 (@Guest그룹의 priority가 높으므로 @ALL에 대해 허용된 것과 무관하게 거부된다)
         config.php에 {{{$acl_debug=1}}} 옵션을 넣으면, 어떤 식으로 적용될지를 보여줍니다.
  • NavigationMacro . . . . 1회 일치
         /!\ 버전 1.0.8 이전에는 {{{TrailMacro}}} 라는 이름이였다가 {{{NavigationMacro}}}로 이름이 바뀌었습니다.
         {{{[[Navigation(문서이름)]]}}}
         /!\ 매크로를 사용할 때에 주의할 점은, 각 문서의 목록 하단에 {{{[[Navigation(목록문서이름)]]}}}을 삽입해야 한다는 점입니다.
          * MoniWiki - 모니위키
          * MoniWikiFeatures - 모니위키 기능
          * HelpOnEditing - 편집 설명
         또한 NavigationMacro는 편리한 액션을 지원합니다.
         목록문서를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지정해주면 문서 상/하단에 Navigation 링크가 자동으로 추가됩니다.
         {{{?action=navigation&value=목록문서}}}
         예) Self:MoniWiki?action=navigation&value=NavigationMacro
         [[Navigation(NavigationMacro)]]
  • Oh! How I Hate To Get Up In The Morning . . . . 1회 일치
         <<TableOfContents>>
         The other day I chanced to meet a soldier friend of mine,
         I asked him how he liked the life, and this is what he said:
         "Oh! how I hate to get up in the morning,
         For the hardest blow of all, is to hear the bugler call;
         Some day I'm going to murder the bugler,
         Some day they're going to find him dead;
         I'll amputate his reveille, and step upon it heavily,
         And spend the rest of my life in bed."
         A bugler in the army is the luckiest of men,
         He wakes the boys at five and then goes back to bed again;
         He doesn't have to blow again until the afternoon,
         If ev'ry thing goes well with me I'll be a bugler soon.
         "Oh! how I hate to get up in the morning,
         For the hardest blow of all, is to hear the bugler call;
         Oh! boy the minute the battle is over,
         Oh! boy the minute the foe is dead;
         And spend the rest of my life in bed."
         "Oh! how I hate to get up in the morning,
         For the hardest blow of all, is to hear the bugler call;
  • T.O. 모로우 . . . . 1회 일치
         [[DC 코믹스]]의 캐릭터. 첫등장은 The Flash #143(March 1, 1964).
  • TableOfContentsMacro . . . . 1회 일치
         [[TableOfContents]]
         [[TableOfContents]]
         Please see HelpOnHeadlines
         TableOfContentsMacro를 페이지의 상단에 {{{[[TableOfContents]]}}} 와 같이 넣으면,
          * TableOfContentsMacro를 쓰지 않으면 제목줄에 번호가 붙지 않고, 이 매크로를 쓰면 제목에 번호가 붙습니다.
          * ''toggle'' : 목차를 보여주거나 감출 수 있게 한다. {{{[[TableOfContents(toggle)]]}}}
          * ''title'' : 목차의 제목을 다르게 바꿀 수 있다. {{{[[TableOfContents(title=차례)]]}}}
  • The Men Who Built America . . . . 1회 일치
         <<TableOfContents>>
          * [[토마스 에디슨]](Thomas Edison)
          * [[시어도어 루즈벨트]](Theodore Roosevelt)
  • UserPreferences . . . . 1회 일치
         [[Theme]]
  • Victoria II/기술 및 발명 목록/문화 . . . . 1회 일치
         <<TableOfContents>>
         == Aesthetics(미학) ==
         === Impressionism(인상주의) ===
         === Expressionism(표현주의) ===
         === Mass Culture & the Avant-Garde(대중문화 & 아방가르드) ===
         === Anti-Rationalism(반 합리주의) ===
         === Functionalism(기능주의) ===
         === Social Alienation(사회적 소외) ===
         === The Rights of Man(인권) ===
         === Nationalism & Imperialism(제국주의 & 인종주의) ===
         === Revolution & Counterrevolution(혁명 & 반혁명) ===
         === Introspectionism(내성주의) ===
         === Association(연대) ===
  • Victoria II/기술 및 발명 목록/산업 . . . . 1회 일치
         <<TableOfContents>>
          * Rotherham Plough(로더럼 쟁기)
         === Combustion Engine(연소기관) ===
         === Electrical Power Generation(전력 발전) ===
         == Mechanization(기계화) ==
         === Mechanical Production(기계적 생산) ===
          * Mechanical Precision Saw(기계정밀톱)
          * Precision Work(정밀 작업)
         === Semi-Automatization(반 자동화) ===
          * Ammunition Production(탄약 생산)
          * Small Arms Production(소화기 생산)
          * Explosives Production(폭발물 생산)
          * Artillery Production(화포 생산)
         === Cheap Iron ===
         === Iron Railroad(철제 철로) ===
          * Vaccination(예방접종)
          * Chemotherapy(항암 화학요법)
          * Clinical Thermometers and Binaural Stethoscopes(체온계와 양이청진기)
          * Rubber Vulcanization(고무 가황)
          * Synthetic Dye(합성 염료)
  • Victoria II/기술 및 발명 목록/육군 . . . . 1회 일치
         <<TableOfContents>>
         === Post-Napoleonic Thought(나폴레옹 이후 사상) ===
          * '''Post Napoleonic Army Doctrine(나폴레옹 이후 육군 전술)'''
          * '''Field Fortifications(야전축성)'''
          * '''Synchronize Heavy Support(동시적인 강력한 지원)'''
         === Infiltration(침입) ===
          * '''Low Echelon Fire Support(하급 제대 화력지원)'''
          * '''Colonial Negotiations(식민지 협상)'''
         === Bolt-action Rifles(볼트액션 소총) ===
          * '''Bolt-action Rifle Armament (볼트액션 소총 무장)'''
         === Modern Divisional Structure(근대 사단 구조) ===
         === Bronze Muzzle-loaded Artillery(청동제 전장식 화포) ===
         === Iron Muzzle-loaded Artillery(철제 전장식 화포) ===
         === Iron Breech-loaded Artillery(철제 후장식 화포) ===
          * '''Dragoons(용기병)'''
          * '''Telegraph Coordination(전보 조직화)'''
          * '''Mobilization Time Tables(동원령 시간계획표)'''
          * '''Personal Category Tables(개인 분류표)'''
          * '''Ammunition Area Effect Calculations(탄약 지역 효과 계산)'''
          * '''Combat Loss Evaluation Schemata(전투 손실 계산 도식)'''
  • 건포인트 . . . . 1회 일치
         <<TableOfContents>>
          * 와이어잭(Wirejack)
          * 롱샷(Longshot)
          루크 파이어암즈의 경쟁사인 인텍스의 CEO. 입이 상당히 험해서 Fuck이라는 말을 자주 한다. 콘웨이와 접선할 때 처음 한말이 "씨발 넌 뭐하는 놈이냐?"[* Who the fuck are you?]일 정도. 콘웨이에게 루크가 진행하는 비밀 프로젝트를 훔쳐올 것을 의뢰한다. 목격자를 살려두지 말라는 말은 덤.
  • 경골목구조 . . . . 1회 일치
         <<TableOfContents>>
         Balloon Frame
         [[비평가]]들은 이 건축법을 보고 바람이 불면 [[풍선]]처럼 날아갈 것 같다며 "Balloon Frame"라고 깠지만, 이 건축법으로 만들어진 집은 상당히 튼튼했다고 한다.
          * Battle Cry of Freedom: The Civil War Era, James McPherson, 17p.
  • 국부펀드 . . . . 1회 일치
         <<TableOfContents>>
         자원수출을 바탕으로 한 국부펀드를 상품펀드(commodity fund)라고 하며, 그 외의 수익을 종자돈으로 하는 펀드를 비상품펀드(non-commodity fund)라고 하여 구분한다.
         설립목적에 따라서 안정화펀드(stabilization fund)와 저축펀드(savings fund)가 있다. 안정화펀드는 자원가격의 변동에 대응하여 재정적인 안정적을 추구한다. 자원 수출에 외환 수익을 의존하다보면, 자원 가격이 떨어지면서 외환 수익에 문제가 생길 수 있기 때문에 흑자일 때 모아두었다가 적자일 때 보전에 사용하는 목적이다. 저축펀드는 장래 자원이 고갈됐을 때, 미래세대들이 혜택을 볼 수 있도록 하는 목적이다.
         이리하여 국부펀드의 영향력이 증가하였으나, 이들의 총자산 등 정보가 비공개 상태라는 점을 염려하여 [[IMF]]에서는 산티아고 원칙 (Santiago Principles)이라는 가이드 라인을 제시했다. 이를 바탕으로 하여 The International Forum of Sovereign Wealth Funds (IFSWF)가 International Working Group of Sovereign Wealth Funds(IWG)에 의하여 출범했다. 2009년 4월에 쿠웨이트에 설립된 IFSWF는 2009년 10월에 멤버들간 정기회의를 아제르바이잔의 바쿠에서 개최하였다. 한국투자공사를 비롯하여 24개 국부펀드가 가입하고 있다.
  • 그랜드 테프트 오토 시리즈 . . . . 1회 일치
         <<TableOfContents>>
         Grand Theft Auto. [[락스타 게임즈]]가 발매하는 범죄 샌드박스 [[게임]] 시리즈. 보통은 GTA라고 줄여부른다. 도시에서 살아가는 범죄자을 주인공으로 한 시리즈.
  • 그랜드 테프트 오토: 산 안드레아스 . . . . 1회 일치
         <<TableOfContents>>
         >오 년 전, Carl Johnson은 갱단 간의 마찰과 마약, 부패로 얼룩진 San Andreas의 Los Santos에서 삶의 중압감을 이기지 못하고 도망쳤습니다. San Andreas. 그곳은 영화 스타나 백만장자들이 마약 거래상이나 폭력 패거리와 얽히지 않도록 몸을 사리는 곳입니다.
         Grand Theft Auto: San Andreas. 범죄 샌드박스 게임 [[그랜드 테프트 오토 시리즈]]의 시리즈 중 하나. [[캘리포니아]]와 [[라스베가스]]를 모티브로 한 가상의 지역 "산 안드레아스"를 배경으로, 갱단원 "칼 존슨"이 무너진 자신의 [[갱단]]을 다시 일으키는 내용을 담고있다.
          * 칼 존슨(Carl Johnson)
          * 켄들 존슨(Kendl Johnson)
  • 나의 히어로 아카데미아/103화 . . . . 1회 일치
         <<TableOfContents>>
         [[나의 히어로 아카데미아]] No. 103. '''The 시험'''
  • 눈에서 비늘이 떨어진다 . . . . 1회 일치
         <<TableOfContents>>
         "The scales fall from one's eyes."
          * http://www.senju.co.jp/consumer/resteye/zatsugaku/001.html
  • 다크 유니버스 . . . . 1회 일치
          * [[미이라(2017년 영화)|미이라]](The Mummy)
          * 검은 산호초의 괴물(Creature from the Black Lagoon) (가칭)
          * 오페라의 유령(Phantom of the Opera) (가칭)
          * 본 게시물은 정식 명칭이 나오기 전까지 '유니버설 몬스터즈(Universal Monsters)'라 표기되었다. 영문 위키에서도 마찬가지라서 유니버설 픽처스의 괴물 영화 목록 페이지인 유니버설 몬스터즈에도 링크되어있다. 정식 명칭 공개 후에는 별도의 명칭을 가지게 되었으며 물론 영문 위키의 유니버설 몬스터즈 항목에서도 다크 유니버스를 찾을 수 있다.
          * 사실 유니버설의 고전 괴물 콜라보는 이 다크 유니버스가 처음이 아니다. 1943년에 프랑켄슈타인의 괴물과 늑대인간이 등장하는 <Frankenstein Meets the Wolf Man>이 나왔으며 휴 잭맨 주연 영화 <반 헬싱>은 흡혈귀에 늑대인간, 프랑켄슈타인의 괴물이 한 스크린에 등장한다. 다만 배경 세계 연계는 아니었다.
  • 대부(소설) . . . . 1회 일치
         <<TableOfContents>>
         The Godfather
  • 대한민국 FA컵 . . . . 1회 일치
         <<TableOfContents>>
         == One Star(★) system ==
  • 더 선 . . . . 1회 일치
         <<TableOfContents>>
         [[https://www.thesun.co.uk|홈페이지 링크(영문)]]
         The Sun. 영국의 타블로이드 신문.
         축구 경기 도중 96명의 관중이 압사한 [[힐즈버러 참사]] 당시 리버풀 팬 일부가 사망자의 주머니를 털고, 경찰에게 오줌을 쌌으며 인공호흡을 시도하던 경찰관을 구타했다는 기사를 내보냈다. [[https://www.thesun.co.uk/archives/news/919113/we-are-sorry-for-our-gravest-error/|그리고 23년후 사과 기사를 냈다.]]
  • 데드맨 . . . . 1회 일치
         <<TableOfContents>>
         [[DC 코믹스]]의 캐릭터. 첫 등장은 The Strange Adventures #205. (1967)
         본명은 보스턴 브랜드(Boston Brand). 본래 [[서커스]]의 곡예사였으나 [[공중그네]] 공연 도중 저격당해 죽었다. 하지만 [[유령]]으로 남은 상태.
  • 듄 2 . . . . 1회 일치
         <<TableOfContents>>
         Dune II: The Building Of A Dynasty. [[웨스트우드]]에서 개발한 실시간 전략 [[게임]]. SF소설 [[듄 시리즈]]를 배경으로 하고 있다. 아트레이트, 오르도스, 하코넨의 3가문 가운데 1곳을 선택하여 미션을 플레이하여 듄 행성을 정복하는 전개를 가지고 있다.
         유닛 가운데 보병(Soldier)는 업그레이드를 거쳐서 경보병(Light Infantry)로 생산할 수 있다. 보병은 1명 씩, 경보병은 3명 한 세트로 나온다. 경보병은 재미있는게 공격을 받아 죽으면 1명만 남는데 이 경우 유닛명이 솔져(병사)로 바뀐다(?!).
          * 하코넨 가문(House Harkonen)
  • 레이프 . . . . 1회 일치
         <<TableOfContents>>
         [[라틴어]] rapere 에서 왔다. 이 단어는 제압하다, 유괴하다, 뭔가를 강제로 끌고 가다는 뜻을 가지고 있으며, 드물게 현재와 같은 뜻으로 사용되었다. 다만 라틴어에서는 이러한 의미로는 stuprare라는 단어가 더 많이 쓰였다. 원시 프랑스어(Old French) rapir를 거쳐서, 영국식 프랑스어(Anglo-French) raper 를 거쳐, 중세 영어에서는 rapen, rappen으로 쓰였고, 현대 영어로 rape가 된다. 노르만어, 스웨덴어, 저지 독일어 등에도 유사한 단어가 있어 이들과의 연관관계도 있을 수 있다고 여겨진다.
  • 마법병 . . . . 1회 일치
         <<TableOfContents>>
         이 이름을 명명한 것은 도쿄제국대학 교수로서, 동물학자이자 어류학자였던 이이지마 하지메(飯島 魁)로 알려져 있다. 다만 명명 과정에서 약간의 착각(!)이 있었는데, 1907년 10월 22일자 도쿄 아사히 신문 기사에 따르면, 이이지마 하지메는 "[[이솝 우화]]에 나오는, 뭐든지 바라는 대로 나오는 마법의 병(매직 보틀)"에서 따와서 이름을 붙였다고 하는데 그런 이야기가 이솝 우화에는 없다(…). 아마 다른 동화를 착각했을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 '착각'한 동화는 아마도 [[로버트 스티븐슨]]의 '[[병 속의 악마]](The Bottle Imp)'로 추측된다..
  • 맥스 페인 . . . . 1회 일치
         <<TableOfContents>>
          Punchnello Family. 뉴욕에서 활동하는 마피아 조직. 맥스의 독백에 따르면 "뉴욕 최악의 마피아 패밀리"[* the worst mafia family in New York]. 해당 조직의 언더보스인 잭 루피노가 "발키리"를 밀거래하고 있었기에 맥스가 잠입 수사를 하게 되었다.
          Finito Brothers. 조이 피니토(Joey Finito)와 비르질리오 피니토(Virgilio Finito). 누가 조이이고 누가 비르질리오인지는 모른다. 루피노 휘하의 부하들로 매춘이 벌어지는 낡은 호텔을 경영하고 있다. 경찰의 잠입수사 요원이라는걸 들킨 맥스를 죽이려고 했으나 맥스에게 역으로 죽는다.
          Frankie "The Bat" Niagara. 펀치넬로 패밀리의 구성원. 모나가 먹인 약탄 위스키에 기절한 맥스를 의자에 묶어놓고 야구방망이로 두들겨 팼다. 펀치넬로 패밀리에 손해를 입힌 맥스를 개처럼 죽이라는 명령에 따른 것. 잠시 휴식시간을 가지러 바에 간 사이 탈출한 맥스에 의해 죽는다. 사용하는 무기는 듀얼 잉그램.
          Aesir Corporation. 성공한 회사. 얼마나 성공했는지 해당 회사의 채권을 노린 은행강도가 일어날 지경이다.
          Cold Steel. 뉴욕 외곽에 위치한 제철소. 지하에는 미 육군의 벙커가 위치해 있으며, 해당 시설에서 "발할라 계획"을 진행하였었다. 인체실험도 했는지 사람들을 가두는 감옥도 있다. 맥스가 침입한 것을 안 에이저 코퍼레이션이 증거 인멸을 위해 자폭시켜버렸다.
  • 맥스 페인 2: 맥스페인의 몰락 . . . . 1회 일치
         <<TableOfContents>>
         Max Payne 2: The Fall of Max Payne. TPS 게임 시리즈인 [[맥스 페인 시리즈]]의 두번째 작품. 2003년 발매되었다.
          Valerie Winterson. 발레리라는 이름은 엔딩 크레딧에만 나온다. 처음부터 시체로 등장하며, 맥스는 자신이 그녀를 죽였다고 독백한다.
          Mike the Cowboy. 러시아 갱단의 일원. 맥스가 마피아들에게 습격당한 블라드의 식당을 찾아갔을 때 처음 만났다. 첫 등장부터 AK-47 한 자루로 네명의 펀치넬로 마피아를 처치하며 나타난다. 이후 맥스와 함께 마피아를 처리한다. 이 과정에서 죽을수도 있다.
  • 맨씽 . . . . 1회 일치
         늪지대의 괴물. 원래 인간 과학자였으며 본명은 시어도어 "테드" 샐리스(Theodore "Ted" Sallis). 슈퍼솔저 혈청을 연구하다가 연인인 [[엘렌 브란트]]가 자신의 연구를 노리는 [[A.I.M]]의 사람이라는 것을 알고서 도망쳤다가 그녀의 총격을 맞고 [[늪]]에 빠지게 되었다. 늪에서 그는 혈청을 마셨는데 그 혈청만이 아니라 늪 자체가 특수한 늪이라서 맨씽이 되었다.
  • 미래소년 코난 . . . . 1회 일치
         <<TableOfContents>>
         원작이 있다. 알렉산더 케이의 SF소설인 <The Incredible Tide>. 이 소설은 이후 일본에 '남겨진 자들'이란 제목으로 소개되었다. 미야자키 하야오의 회고에 따르면, 당시 일본 애니메이션에서 원작이 없는 오리지널 작품을 만드는 것은 지극히 어려웠다고 한다.
  • 미스터 아톰 . . . . 1회 일치
         [[DC 코믹스]]의 캐릭터. 첫등장은 Captain Marvel Adventures #78 (1947), 이후 The Power of Shazam! #23 (1996)
  • 미이라(2017년 영화) . . . . 1회 일치
         The Mummy
  • 반지닦이 . . . . 1회 일치
         참고로 이 망작 영화 때문에 그린랜턴 : 리버스, 시네스트로 군단의 역습 등, 코믹스 명작 시리즈의 흥행으로 인기가 치솟던 그린랜턴 프랜차일즈의 인기는 찬물을 뒤집어 썻으며, 영화 폭망의 악영향으로 잘 만들어서 평가도 좋던 그린랜턴 The Animated Series 마저 1시즌으로 취소 당하는 등 악재를 거듭 겪게 되었다..(…)
  • 병 속의 악마 . . . . 1회 일치
         <<TableOfContents>>
         The Bottle Imp
         지킬박사와 하이드로 유명한 로버트 루이스 스티븐슨(Robert Louis Stevenson)의 소설. 안에 악마(Imp)가 들어있는 마법의 병을 소재로 한 이야기이다.
         1891년에 발표되었다. 뉴욕 헤럴드(New York Herald)에서 2월-5월, 블랙 앤 화이트 런던(Black and White London)에서 3월에서 4월에 걸쳐서 연재되었다. 1893년 발표된 단편집 Island Nights' Entertainments에 수록되었다.
  • 블리치/676화 . . . . 1회 일치
         <<TableOfContents>>
         [[블리치]] 676화. '''The Gift'''
  • 블리치/677화 . . . . 1회 일치
         <<TableOfContents>>
         [[블리치]] 677화. '''The Princess Dissection'''
  • 블리치/685화 . . . . 1회 일치
         <<TableOfContents>>
         [[블리치]] 685화. '''The father'''
  • 블리치/686화 . . . . 1회 일치
         <<TableOfContents>>
         [[블리치]] 686화. '''The father 2'''
  • 블리치/690화 . . . . 1회 일치
         <<TableOfContents>>
         [[블리치]] 690화. '''The Future black'''
  • 블리치/696화 . . . . 1회 일치
         <<TableOfContents>>
         [[블리치]] 696화. '''The Blade'''
  • 빗치 . . . . 1회 일치
         <<TableOfContents>>
         이 말의 어원은 고대 북구어 bikkja로 추정된다. 고대 영어(Old English)에서는 bicce 라고 쓰며 의미는 같다.
         bitch는 적어도 14세기에서 15세기에는 이미 여성을 모욕하는 욕설로서 쓰이고 있었다. 프란시스 그로스(Francis Grose)의 저속한 혀의 사전(Dictionary of the Vulgar Tongue, 1785)에 따르면 이는 여성에게 할 수 있는 가장 저속한 욕설로서, 창녀(whore)보다도 나쁘다고 언급된다.
         http://www.nytimes.com/2007/08/07/nyregion/07bword.html?_r=0
         http://library.duke.edu/digitalcollections/wlmpc_wlmms01012/
  • 서울특별시/인물 . . . . 1회 일치
         * [[Zion.T]] - 강서구(서울)
         * [[김채원(IZ*ONE)|김채원]] - 강남구
         * [[김재환(Wanna One)|김재환]] - 강서구(서울)
         * [[임세준(VICTON)|임세준]] - 성동구
         * [[장원영(IZ*ONE)|장원영]] - 용산구
         * [[환웅(ONEUS)|환웅]] - 양천구
  • 성현아 . . . . 1회 일치
         * [[2004년]] 에이원(A.One) - 《Turn It Up》
         * {{IMDb 이름|1234301|Hyeon-a Seong}}
  • 세븐 솔저스 오브 빅토리 . . . . 1회 일치
         <<TableOfContents>>
         The Seven Soldiers of Victory
          * [[크림슨 어벤저]](Crimson Avenger)
          * [[스터프 더 차이나타운 키드]](Stuff the Chinatown Kid)
          * 스터프 더 차이나타운 키드II(Stuff the Chinatown Kid II)
          * [[앨리어스 더 스파이더]](Alias the Spider)
          * 클라리온 더 위치보이(Klarion the Witch Boy)
  • 스타 연구소 . . . . 1회 일치
         [[DC 코믹스]]에 등장하는 단체. 정식 명칭은 "The Scientific and Technological Advanced Research Laboratories"지만 흔히 스타 연구소로 줄여 쓴다. ~~절대 [[스타크래프트]] 연구소가 아니다!~~
         스타 연구소는 [[과학자]] 개리슨 슬레이트(Garrison Slate)가 설립했으며, '''정부와 기업의 간섭을 받지 않는, 국경을 초월한 연구소'''를 목표로 삼았다.
         그밖에 [[플래시(DC 코믹스)|플래시]]가 활동하는 키스톤(Keystone)시, [[샤잠]]이 활동하는 포셋(Fawcett) 시에도 있다. 물론 [[고담]]시에도 있는데, 이쪽 연구소는 '''무기''' 연구에 특화했다고(...).
  • 시티락 . . . . 1회 일치
         The Sensational Spider-Man #13 (February 1, 1997) 첫등장.
         관련 캐릭터는 스테그론(Stegron)이 있다. 스테그론은 새비지 랜드에서 일을 낸 록슨(Roxxon)을 저지하려 했고, 이때 헐크와 함께 스테그론을 도운 것. 한편 스테그론의 의도를 안 [[스파이더맨]]와 새비지 랜드의 관련 캐릭터인 [[카자르]](Ka-Zar)와 [[셰나]](Shanna)도 협력했다.
  • 씽(마블 코믹스) . . . . 1회 일치
          * 별명인 싱(Thing)은 말그대로 사람이 아닌 '물건' 같다 해서 붙은 것인데 여기에는 공포와 혐오를 주는 물체를 가리키는 의미도 있다. 보통 구분을 위해 [[더]](The)를 붙이며 동명의 영화가 국내개봉했을 때 '[[괴물]]'로 번역되었다.
  • 아마조 . . . . 1회 일치
         [[DC 코믹스]]의 캐릭터. 첫등장은 The Brave and the Bold #30(July 1, 1960)
  • 알프레드 우든 . . . . 1회 일치
         <<TableOfContents>>
         첫 언급은 의외로 이르다. 매춘부 캔디 던의 일기에서 언급되는 인물인 "외눈박이 알프레드"[* One-eyed Alfred]가 이 인물. 캔디 던은 자신과 그의 성관계 장면을 비디오로 찍어 정체불명의 여성에게 팔아넘기고 있었다.
  • 애니멀-베지터블-미네랄맨 . . . . 1회 일치
         [[DC 코믹스]]의 [[슈퍼 빌런]]. 첫등장은 Doom Patrol #89 - The Animal-Vegetable-Mineral Menace! (August 1, 1964)
  • 애로우버스 . . . . 1회 일치
         The CW의 드라마들이 소속되어 있으며 고담은 회사가 다르기에 해당되지 않는다. 다만 콘스탄틴과 슈퍼걸은 현재 CW에 이전되었다.
  • 에이스 컴뱃 5 : 언성 워 . . . . 1회 일치
         <<TableOfContents>>
         Ace Combat 5: The Unsung War. 비행슈팅게임 [[에이스 컴뱃 시리즈]]의 다섯번째 작품.
          * 오슨 페럴트(Orlson Perrault)
          * 앨런 C. 해밀턴(Allen C. Hamilton)
  • 에이스 컴뱃 제로 : 더 벨칸 워 . . . . 1회 일치
         <<TableOfContents>>
         Ace Combat Zero: The Belkan War. 비행슈팅게임 [[에이스 컴뱃 시리즈]]의 6번째 작품.
         스타일 미터 왼쪽 부분은 용병(Mercenery) 스타일, 오른쪽 부분은 기사(Knight) 스타일, 용병과 기사 사이의 중간 부분은 병사(Soldier) 스타일로 칭해진다.
          * 안톤 쿠프첸코(Anton Kupchenko)
          * 앤서니 파머(Anthony Palmer)
  • 와일드캣 . . . . 1회 일치
         [[DC 코믹스]]의 히어로 중 한명. 첫등장은 Sensation Comics #1 (January 1942. 리붓 이전에는 [[저스티스 소사이어티 오브 아메리카]]의 일원으로서 [[플래시(DC 코믹스)|플래시]] 제이 게릭과 [[그린 랜턴]] 앨런 스콧과 비슷한 연배다.
         본명은 Theodore Grant. Ted Grant라고도 한다.
  • 울펜슈타인 : 뉴오더 . . . . 1회 일치
         <<TableOfContents>>
         Wolfenstein: The New Order. 머신게임즈가 제작하고 베데스다소프트웍스가 발매한 FPS 게임.
          * 병사(Soldier)
          * 교도소 간수(Prison Guard)
          * 슈퍼솔다텐(Supersoldaten)
          * 런던 감시자(London Monitor)
          * 드론(Drone)
  • 유키히라 소마 . . . . 1회 일치
         http://img2.wikia.nocookie.net/__cb20130218200405/shokugekinosoma/images/4/4b/Mackerel_Onigiri.png
         http://img2.wikia.nocookie.net/__cb20130620192158/shokugekinosoma/images/c/c0/Beef_donburi.jpg
         http://img1.wikia.nocookie.net/__cb20130503233501/shokugekinosoma/images/3/3b/Soma_oneshot-1-.jpg
  • 이웃집 잔디는 푸르게 보인다 . . . . 1회 일치
         <<TableOfContents>>
         The grass is always greener on the other side of the fence.
  • 이장훈(배우) . . . . 1회 일치
         | 사진 = https://search.pstatic.net/common?type=a&size=120x150&quality=95&direct=true&src=http%3A%2F%2Fsstatic.naver.net%2Fpeople%2Fportrait%2F201110%2F20111015210007787-1276305.png
         * 뮤지컬 《명성황후》 (LA Shubert Theatre)
  • 전기의자 . . . . 1회 일치
         <<TableOfContents>>
         [[The Men Who Built America]]
         [https://books.google.co.kr/books?id=L_RlCwAAQBAJ&pg=PT330&lpg=PT330&dq=%EC%BD%94%EB%81%BC%EB%A6%AC+1903%EB%85%84&source=bl&ots=__nfas-rTp&sig=hj5GWfhKpn8ui_R2AnsfllTSk5w&hl=ko&sa=X&ved=0ahUKEwj0tuHZwOvNAhXBF5QKHZINARUQ6AEIMTAG#v=onepage&q=%EC%BD%94%EB%81%BC%EB%A6%AC%201903%EB%85%84&f=false|코끼리의 무덤은 없다 - 조디 피코]
  • 젠 멘 . . . . 1회 일치
         [[DC 코믹스]]에 등장하는 팀. 첫등장은 Countdown Presents: Lord Havok and the Extremists #1 (December 1, 2007)
         딱히 관련은 없어보이나 New 52 이후에 나온 멀티버시티(The Multiversity)에도 neo-humans의 팀인 G-Men이 등장한다. 전자는 뮤턴트, 후자는 엑스멘이나 선술한 것처럼 일단 젠 멘과 관련성은 없어보인다.
  • 주다영 . . . . 1회 일치
         | 사진 =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a/a6/Joo_Da-young_from_acrofan.jpg/200px-Joo_Da-young_from_acrofan.jpg
         * 피아노 - And The Last Kiss (2004년)
  • 진창현(음악인) . . . . 1회 일치
         1976년 12월에는 [[미국]]의 [[필라델피아]]에서 개최된 미국 현악기 제작자 협회(The Violin Society of America) 주최의 제2회 국제 현악기 제작자 경연대회에 참가해 여섯 개 부문 중 바이올린 세공 부문, 비올라 세공/음향 부문, 첼로 세공/음향 부문에서 [[http://www.vsaweb.org/Previous-Conventions|금메달을 수상]]하면서 세계구급 제작자로 명성을 확고하게 만들었고,[* Chang Heyern Jin이라고 표기된 수상자가 바로 진창현이다.] 1984년에는 미국 현악기 제작자 협회에서 무감사 현악기 제작자(Hors Concours)[* 다른 악기 제작자나 감정가의 감사 없이 자신의 이름을 내걸고 악기를 제작/판매할 수 있는 장인이라는 뜻.] 자격과 마스터 메이커(Master Maker) 칭호를 받았다.
  • 창작:치킨교 . . . . 1회 일치
         <<TableOfContents>>
         치킨교는 치킨을 치느님(Chi-nunim, The Chicken God)으로 신격화 하며, 이를 성스러운 존재로 본다. 치킨을 먹는 것을 하나의 신성한 행위로 보며, 신도들은 주기적으로 치킨을 섭취해야 한다고 본다. 그들은 치킨을 섭취하는 의식을 벌이면서 치킨=우주=신과 일체가 되는 행복과 기쁨을 얻는다.
  • 카네다 쇼타로 . . . . 1회 일치
         <<TableOfContents>>
         태양의 사자의 더빙판인 'The New Adventures of Gigantor'에서의 이름은 'Jimmy Sparks'.[* 다른 캐릭터들도 더빙판에서는 다른 이름이다. 시키시마 박사는 'Bob Brilliant', 오오츠카는 'Inspector Blooper'.]
  • 캐딜락&디노사우르스 . . . . 1회 일치
         후속작인 "캐딜락&디노사우르스 : 두번째 대격변(Cadillacs and Dinosaurs: The Second Cataclysm)"이 세가CD와 PC판으로 나왔는데, 그래픽은 그런대로 괜찮지만 반복되는 플레이와 지나친 급커브 등으로 문제가 많았다.
  • 콜 오브 후아레즈 : 건슬링어 . . . . 1회 일치
         <<TableOfContents>>
          attachment:OldMan.jpg
  • 콜 오브 후아레즈 : 건슬링어/줄거리 . . . . 1회 일치
         <<TableOfContents>>
         == Once Upon a Time in Stinking Springs ==
  • 콜트 M4 카빈 . . . . 1회 일치
         <<TableOfContents>>
         >'''Colt M4.''' The name says it all.
  • 크루세이더즈 . . . . 1회 일치
          The Invaders #14 (March 1, 1977)에서 첫등장. 제2차 세계대전 시절의 영국에서 활동한 팀이다. 코믹스에서도 알수 있듯이 [[인베이더즈]]와 대면.
          Dan the Dyna-mite
          Condor
          Southern Knights #26 (April 1, 1988)에서 첫등장.
  • 크립토나이트 . . . . 1회 일치
         <<TableOfContents>>
         Kryptonite
         [[슈퍼맨]]의 대표적인 약점. 본래는 1943년도 슈퍼맨의 라디오 드라마 '슈퍼맨의 모험(The Adventures of Superman)'에 처음으로 등장했다고 한다. 라디오 드라마에서 슈퍼맨을 맡은 배우가 쉬고 싶을때를 위해 만든 물질로 배우가 휴가를 간 사이엔 대역이 크립토나이트 때문에 슈퍼맨이 끙끙대는 것만 연기하면 되었기 때문. 사실 원작자인 제리 시겔이 K-메탈이라는 이름으로 속성이 완전히 같은 물질이 나오는 이야기를 썼었는데 무슨 이유인지 기각되고 시겔이 아이디어를 라디오에 대신 썼다.
         코믹스에 등장한건 1949년 슈퍼맨 61호에서라고. 슈퍼맨의 고향 행성인 [[크립톤]] 행성이 폭발할 때 행성의 중심핵에서 발생한 연쇄폭발로 인해 행성 내부의 광물들이 변화되어 강력한 방사능을 방출하는 새로운 광물 크립토니움(Kryptonium)이 된걸로 기원을 설명하고 있다.
  • 템포라 . . . . 1회 일치
         <<TableOfContents>>
         [[https://www.theguardian.com/uk/2013/jun/21/gchq-cables-secret-world-communications-nsa|The Guardian - GCHQ taps fibre-optic cables for secret access to world's communications(영문)]]
  • 토리코/360화 . . . . 1회 일치
         <<TableOfContents>>
         [[토리코]] 360화. '''The smells true identity'''
  • 토리코/363화 . . . . 1회 일치
         <<TableOfContents>>
         [[토리코]] 363화. '''The don gets serious'''
  • 토탈워: 쇼군 2 . . . . 1회 일치
         <<TableOfContents>>
          * Rise of the Samurai Campaign
          * The Ikko Ikki Clan Pack
          * Dragon War Battle Pack
         전투 도중 아군 부대가 패주하면 부관이 "Our men are running from the battlefield! A shameful display!"(우리 병사들이 전장에서 도망치고 있습니다! 부끄러운 모습입니다!)라는 대사를 치며 보고한다. [[https://youtu.be/U6zQ6ZqEqg0|그런데 일본풍 억양]] 때문에 "Shamefur Dispray"라고 불리며 [[밈]]이 된적이 있었다.
  • 트로피코 4/건물 . . . . 1회 일치
         <<TableOfContents>>
          * The Academy 필요
          * 괜찮은 한 해: 소형 비행선에 대통령 각하의 광고판을 만듭니다. 광고문의는 1-800-HAEMIMONT로 주십시오. 광고 수익은 국고에 보태집니다.
  • 판타스틱 포(1994년 실사영화) . . . . 1회 일치
         The Fantastic Four
  • 판타스틱 포: 실버 서퍼의 위협 . . . . 1회 일치
         Fantastic Four: Rise Of The Silver Surfer
  • 퍼키 팻의 전성시대 . . . . 1회 일치
         <<TableOfContents>>
         The Days Of Perky Pat
  • 페이데이 2/하이스트 . . . . 1회 일치
         <<TableOfContents>>
          * 원 다운(One Down)
  • 페이데이 2/하이스트/베인 . . . . 1회 일치
         <<TableOfContents>>
         === Bank Heist: Gold ===
         == Diamond Store ==
         == The Alesso Heist ==
  • 프로페서 아이보 . . . . 1회 일치
         [[DC 코믹스]]의 캐릭터. 첫등장은 The Brave and the Bold #30(July 1, 1960).
         본명은 Anthony Ivo.
  • 플래시(DC 코믹스) . . . . 1회 일치
         과거에 드라마가 나왔으며 국내에서도 방송되었다. 또한 The CW에서 만든 드라마 [[플래시(드라마)|플래시]]도 나왔다.
  • 플래시(드라마) . . . . 1회 일치
         <<TableOfContents>>
         [[The CW]]에서 방송하는 [[DC 코믹스]] 기반 드라마이며 [[플래시(DC 코믹스)|플래시]] 주연 드라마다. 동사에서 방송하는 드라마 [[애로우]]의 스핀오프이며 내용이 연계된다. 이는 다른 [[애로우버스]]와도 마찬가지.
  • 핑커톤 . . . . 1회 일치
         <<TableofContents>>
         [[https://www.pinkerton.com/|핑커톤 공식 홈페이지(영어)]]
         || attachment:Pinkerton.png ||
         Pinkerton.
         1850년 [[스코틀랜드]] 출신 이민자 앨런 핑커톤(Allan Pinkerton)에 의해 설립되었다. 이후 서부를 지나는 열차를 보호하거나 범죄자를 체포하는 일을 했다.
         드라마 [[The Pinkertons]]는 핑커톤의 창립자인 앨런 핑커톤과 그의 아들인 윌리엄 핑커톤, 그리고 핑커톤 소속 탐정인 케이트 와르네[* 밑에 있는 여담에 써진 걔.]를 다룬 드라마다.
         [[https://www.pinkerton.com/about-us/history|핑커톤 공식 홈페이지의 역사 부분(영문)]] - 홈스테드 철강소 파업 같은 치부는 빠져있다. 솔직히 빼는게 당연하겠지만.
         [[http://articles.chicagotribune.com/1993-05-30/travel/9305300394_1_allan-pinkerton-detective-agency-archie-samuel|시카고 트리뷴 - 제임스 저택에 대한 악명 높은 공격(영문)]]
  • 허드슨 대학교 . . . . 1회 일치
         Hudson University
         [[TableOfContents]]
          * '''미국 픽션의 5대 병신 대학'''. '''10/10으로 허드슨 1위.''' http://www.salon.com/2011/07/22/fictional_colleges/
          * 왜 너는 '''절대로''' 뉴욕의 허드슨 대학에 가면안되는가 http://www.scoutingny.com/why-you-should-never-ever-go-to-new-york-citys-hudson-university/
          * 허드슨 대학 캠퍼스는 '''지구상에서 가장 위험한 곳이다''' http://previously.tv/law-and-order-svu/the-hudson-university-campus-is-the-most-dangerous-place-on-earth/
         DC 코믹스의 허드슨 대학은 1969년에 배트맨(The Batman) 코믹스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다. [[딕 그레이슨]](로빈, 나이트윙)이 이 학교에 다녔던 것으로 묘사된다. 1984년 New Adventures of Superboy 코믹스에서는 슈퍼맨 클락 켄트가 이 학교에 다닐 것을 고려하는 묘사가 있다. 즉, '''[[슈퍼맨]]도 거부한 대학'''이다(…).
         하도 자주 등장하다보니까 허드슨 대학은 로 앤 오드 팬들에게는 그야말로 악명 높은 장소로 찍혔다. 심지어 제작진도 이걸 알고 있어서, 프로듀서가 "당신이 절대로 배우거나 가르치러 가고 싶지 않은 곳이다. 엄청나게 높은 범죄율(It is the one place you never want to go to school or teach at. Very high crime rate.)"라고 발언했을 정도.
         http://study.com/hudson_university_new_york.html
  • 휴먼 토치 . . . . 1회 일치
          * 캐치 프레이즈는 '''Flame On!''' 몸에 불을 붙히거나 화염을 쓸 때 자주 하는 말이다.
  • 히토데나시 . . . . 1회 일치
         <<TableOfContents>>
          * [[사우스파크]]에서 케니가 죽었을 때 카일과 스탠이 무조건 하는 대사 「Oh my god! They killed Kenny!!」「You bastard!!」에서 'You bastard'가 일본판에서는 '히토데나시'로 번역되었다.
11531의 페이지중에 163개가 발견되었습니다 (3240개의 페이지가 검색됨)

여기을 눌러 제목 찾기를 할 수 있습니다.

Valid XHTML 1.0! Valid CSS! powered by MoniWiki
last modified 2016-05-12 22:36:59
Processing time 3.4102 se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