팝업레이어 알림

팝업레이어 알림이 없습니다.
E D R , A S I H C RSS

"Darkest Hour: A Hearts of Iron Game"을(를) 전체 찾아보기

Darkest Hour: A Hearts of Iron Game


역링크만 찾기
검색 결과 문맥 보기
대소문자 구별
  • FortuneCookies . . . . 50회 일치
          * He who spends a storm beneath a tree, takes life with a grain of TNT.
          * You attempt things that you do not even plan because of your extreme stupidity.
          * Take care of the luxuries and the necessities will take care of themselves.
          * Words are the voice of the heart.
          * The best prophet of the future is the past.
          * Might as well be frank, monsieur. It would take a miracle to get you out of Casablanca.
          * Expect a letter from a friend who will ask a favor of you.
          * You will overcome the attacks of jealous associates.
          * Alimony and bribes will engage a large share of your wealth.
          * You will step on the soil of many countries.
          * Mind your own business, Spock. I'm sick of your halfbreed interference.
          * You are secretive in your dealings but never to the extent of trickery.
          * You are tricky, but never to the point of dishonesty.
          * Of all forms of caution, caution in love is the most fatal.
          * You are dishonest, but never to the point of hurting a friend.
          * The Tree of Learning bears the noblest fruit, but noble fruit tastes bad.
          * Mistakes are oft the stepping stones to failure.
          * Beware of friends who are false and deceitful.
          * Promptness is its own reward, if one lives by the clock instead of the sword.
          * Today is a good day to bribe a high ranking public official.
  • Darkest Hour: A Hearts of Iron Game . . . . 49회 일치
         <<TableOfContents>>
         [[http://www.darkest-hour-game.com/|홈페이지]]
         [[패러독스 인터랙티브]]의 [[제2차 세계대전]] 대전략 게임인 [[Hearts of Iron II]]을 인디 개발자들이 뜯어고친 게임. 보통 DHR이라고 줄여 부른다. 국내 팬덤에서 부르는 애칭은 "데찰" 또는 "데챨".
         === [[Hearts of Iron II]]과의 차이점 ===
          * Day of Decision(1933)
          * Fall Weiss: Invasion of Poland
         [[Darkest Hour: A Hearts of Iron Game/유닛]] 페이지 참조
         [[Darkest Hour: A Hearts of Iron Game/기술]] 페이지 참조.
         [[Darkest Hour: A Hearts of Iron Game/연구진]] 페이지 참조.
         [[Darkest Hour: A Hearts of Iron Game/디시전]] 페이지 참조.
         인력 증가량이 0이므로 정상적으로는 군대를 꾸릴 수 없다. 1936년 코스타리카가 이 상태로 시작한다. Establish a Professional Army(전문직업군 창설) 디시전을 통해 Fully Professional Army(완전한 전문직업군) 상태가 될 수 있다.
         ==== Fully Professional Army(완전한 전문직업군) ====
         인력이 엄청 느리게 늘어서 없는 것으로 치는게 낫다. 이 단계에서 생산이 완료된 모든 유닛들은 숙련도 80을 달고 나온다. 1936년 미국이 이 상태로 시작한다. 일반적으로는 Prolong Terms of Service(복무 기간 연장)디시전을 통해 징병제를 시행할 수 있다.
         [[Darkest Hour: A Hearts of Iron Game/장관]] 페이지 참조.
          * Offer Trade Agreement(무역 제안)
          * Offer Negotiations(협상 제안)
          * Offer Non-Aggression Pact(불가침조약 제안)
         [[Darkest Hour: A Hearts of Iron Game/이벤트]] 페이지 참조.
          * Free State of Danzig(단치히 자유시)
  • Darkest Hour: A Hearts of Iron Game/장관 . . . . 40회 일치
         <<TableOfContents>>
         게임 [[Darkest Hour: A Hearts of Iron Game]]에 등장하는 장관들의 종류를 설명하는 페이지.
         == Head of State(국가원수) ==
         == Head of Government(정부수반) ==
          * Chairman of the Council of the People's Commissars(인민위원평의회 의장) - 소련의 뱌체슬라프 M. 몰로토프
          * Iron-Fisted Brute(무정한 짐승)
          * Father of United Nations(국제연합의 아버지) - 미국의 코델 헐
          * Persuader of Democracies(민주국가들의 설득자) - 소련의 막심 M. 리트비노프
          * Supporter of Friendly Relations(우호적 관계 지지자) - 프랑스의 이본 델보스
          * The Salesman of Deception(기만의 외판원) - 독일의 요하임 폰 리벤트로프
          * Iron Lazar(강철의 라자르) - 소련의 라자르 M. 카가노비치
          * Secretary of the Interior(내무장관) - 미국의 해럴드 익스
          * Secretary of the War(전쟁부장관) - 미국의 헨리 루이스 스팀슨
          * Support of Devaluation(화폐절감 지원자) - 프랑스의 빙생 오리오
         == Minister of Security(치안부 장관) ==
          * Chief of Secret Police(비밀경찰 수장)
          * Man of the People(인민의 사람)
          * Prince of Terror(공포의 왕자)
          * Director of FBI(FBI 국장) - 미국의 J. 에드가 후버
          * Master of Propaganda(선전의 제왕) - 독일의 요제프 괴벨스
  • 토탈워: 쇼군 2/세력 기술 . . . . 33회 일치
         <<TableOfContents>>
         === 방어 전략(Strategy of Defence) ===
         === 공격 전략(Strategy of Attack) ===
         === 창도(Way of the Spear) ===
          * 방어 전략(Strategy of Defence) 세력 기술 연구 요구
         === 해도(Way of the Sea) ===
          * 방어 전략(Strategy of Defence), 공격 전략(Strategy of Attack) 세력 기술 연구 요구
         === 궁도(Way of the Bow) ===
          * 공격 전략(Strategy of Attack) 세력 기술 연구 요구
         === 검도(Way of the Sword) ===
          * 공격 전략(Strategy of Attack) 세력 기술 연구 요구
          * 방어 전략(Strategy of Defence) 세력 기술 연구 요구
          * 공격 전략(Strategy of Attack) 세력 기술 연구 요구
          * 창도(Way of the Spear), 천지(Heaven and Earth) 세력 기술 연구 요구
          * 해도(Way of the Sea) 세력 기술 연구 요구
          * 궁도(Way of the Bow), 대형(Formation) 세력 기술 연구 요구
          * 대형(Formation), 검도(Way of the Sword) 세력 기술 연구 요구
         === 해상 지배력(Mastery of the Waves) ===
         === 치도(Way of Chi) ===
          * 치도(Way of Chi) 세력 기술 요구
  • WikiSlide . . . . 31회 일치
          * a technology for collaborative creation of internet and intranet pages
          * Structure of pages
          * Title search and full text search at bottom of page
          * SiteNavigation: A list of the different indices of the Wiki
          * TitleIndex: A list of all pages in the Wiki
          * WordIndex: A list of all words in page titles (i.e. a list of keywords/concepts in the Wiki)
         To edit a page, just click on [[Icon(edit)]] or on the link "`EditText`" at the end of the page. A form will appear enabling you to change text and save it again. A backup copy of the previous page's content is made each time.
         You can check the appearance of the page without saving it by using the preview function - ''without'' creating an entry on RecentChanges; additionally there will be an intermediate save of the page content, if you have created a homepage ([[Icon(home)]] is visible).
         (!) You can subscribe to pages to get a mail on every change of that page. Just click on the envelope [[Icon(subscribe)]] at top right of the page.
         Headlines are placed on a line of their own and surrounded by one to five equal signs denoting the level of the headline. The headline is in between the equal signs, separated by a space. Example: [[BR]] `== Second Level ==`
         Preformatted text (e.g. a copy of an email) should be placed inside three curly braces `{{{ ... }}}`: {{{
         Tables appear if you separate the content of the columns by  `||`. All fields of the same row must be also on the same line in the editor.
          * `TableOfContents` - show a local table of contents
          * `PageList` - generates lists of pages with titles matching a pattern
         This brings up a page with a variety of possibilities to create the new page:
          * click on one of the listed templates to base your page on the content of the selected template.
         Below the list of templates you will also find a list of existing pages with a similar name. You should always check this list because someone else might have already started a page about the same subject but named it slightly differently.
          * `LocalSiteMap`: List of all pages that are referred to, up to a maximum of 4 levels
          * If you want to edit a page without being disturbed, just write a note to that effect ''at the top'' of the page and save that change first.
          * Personal Homepages: normally only changed by their owner, but you may append messages at the end of the page
  • Darkest Hour: A Hearts of Iron Game/디시전 . . . . 17회 일치
         <<TableOfContents>>
         [[Darkest Hour: A Hearts of Iron Game]]에서 플레이어가 발동 가능한 디시전을 설명하는 페이지.
          * Wargames(워게임)
          * Offensive Chit
          * Withdraw of League of Nation(국제연맹 탈퇴)
          * Re-occupation of the Rhineland(라인란트 재점령)
          * The Treaty of Munich(뮌헨 조약)
          * The End of Czechoslovakia(체코슬로바키아의 최후)
          * German Diplomatic Offense(정치적 공세)
          * The Escape of SMS Goeben and SMS Breslau(SMS 괴벤과 SMS 브레슬라우의 탈출)
          * US Occupation of Greenland and Iceland(미국의 그린랜드와 아이슬란드 점령)
          * Occupation of Haiti(아이티 점령)
          * Occupation of Dominican Republic(도미니카 공화국 점령)
          중화민국의 입장에는 청두 프로빈스에 공군 기지가 하나 지어지고, 그곳에 요격기 비행단 하나와 전술폭격기 비행단 하나가 생긴다. 강경파로 정치 슬라이더가 한칸 이동하며, 소련에게서 빠져나간 보급품 1500과 석유 250을 가지게 된다. 소련과 관계도가 10 상승하며, 소련에서 파견된 공군 지휘관 [[https://en.wikipedia.org/wiki/Timofey_Khryukin|흐류킨]]을 사용할 수 있게된다. 또한 몇몇 청사진을 획득한다.
          * Annexation of Albania(알바니아 합병)
  • Darkest Hour: A Hearts of Iron Game/연구진 . . . . 16회 일치
         <<TableOfContents>>
         [[Darkest Hour: A Hearts of Iron Game]]에서 사용 가능한 연구진을 설명하는 페이지. 이들 연구진은 기술을 연구하는데 사용된다.
          * Max Hoffmann(막스 호프만)
          * Standard Oil of California(캘리포니아 스탠다드 오일)
          * Moscow Institute of Railway Engineering(모스크바철도기술원)
          * Fosters of Lincoln(링컨의 포스터)
          * Republic of China Air Force(중화민국공군)
          * Republic of China Navy(중화민국해군)
          * Central Bank of China(중화민국중앙은행)
          * Private University of Nanjing(진링대학)
          * Reggiane Officine Meccaniche Italiane(이탈리아 레지아네 기계제작소)
          * Joseph Joffre(조세프 조프레)
          * Maurice Gamelin(모리스 가멜린)
  • 박승효 . . . . 15회 일치
         * [[1957년]] [[대한전선]] 입사<ref name="daeghanj">[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78082900099206006&editNo=1&printCount=1&publishDate=1978-08-29&officeId=00009&pageNo=6&printNo=3840&publishType=00020 ]</ref>
         * [[1969년]] [[선경합섬]] 창립 초에 입사<ref>[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74091200099204003&editNo=1&printCount=1&publishDate=1974-09-12&officeId=00009&pageNo=4&printNo=2625&publishType=00020 ]</ref>, 평사원으로 근무하였다.
         * [[선경합섬]] 이사<ref>[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73111500329203008&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73-11-15&officeId=00032&pageNo=3&printNo=8658&publishType=00020 ]</ref>
         * 1974년 6월 25일 정부에서 11개 대기업의 무허가 [[독극물]]제조를 적발, 11개 기업체 대표를 소환할 때 그는 사주 [[최종건]]을 대신하여 소환, 조사에 응하였다.<ref>[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74062500329207009&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74-06-25&officeId=00032&pageNo=7&printNo=8844&publishType=00020 ]</ref>
         * [[1974년]] [[7월 2일 [[선경합섬]] 상무<ref>[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74070300209202012&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74-07-03&officeId=00020&pageNo=2&printNo=16232&publishType=00020 ]</ref><ref>[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74070200099204010&editNo=1&printCount=1&publishDate=1974-07-02&officeId=00009&pageNo=4&printNo=2563&publishType=00020 ]</ref>
         * [[1974년]] [[4월 3일]] 선경합섬 전무이사([[폴리에스테르]][[원사]]판매부, SF판매부, 판매촉진부담당 부문 겸임<ref>[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75040300099204017&editNo=1&printCount=1&publishDate=1975-04-03&officeId=00009&pageNo=4&printNo=2796&publishType=00020 ]</ref>)
         * [[1975년]] [[11월 1일]] [[건설공제조합]] 검사역<ref>[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75110100099204015&editNo=1&printCount=1&publishDate=1975-11-01&officeId=00009&pageNo=4&printNo=2974&publishType=00020 ]</ref>
         * [[1976년]] [[4월 1일]] [[선경합섬]] 상무, 폴리에스테르원사, [[원면]] 판매및 판촉담당<ref>[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76033000209202021&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76-03-30&officeId=00020&pageNo=2&printNo=16766&publishType=00020 ]</ref>
         * [[1976년]] [[10월 1일]] 선경합섬 판매사업본부 본부장<ref>[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76100100099207012&editNo=1&printCount=1&publishDate=1976-10-01&officeId=00009&pageNo=7&printNo=3255&publishType=00020 ]</ref>
         * [[1978년]] [[1월 27일]] 선경합섬 전무이사<ref>[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78012800099206011&editNo=1&printCount=1&publishDate=1978-01-28&officeId=00009&pageNo=6&printNo=3662&publishType=00020 ]</ref>, 판매본부 본부장
         * [[1978년]] [[5월 22일]] [[선경머린]]요트 대표이사 사장<ref>[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78082900099206006&editNo=1&printCount=1&publishDate=1978-08-29&officeId=00009&pageNo=6&printNo=3840&publishType=00020 ]</ref>
         * [[1979년]] [[6월 22일]] [[동국전자|동국종합전자]] 대표이사 사장<ref>[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79062200099203019&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79-06-22&officeId=00009&pageNo=3&printNo=4089&publishType=00020 ]</ref>
         * [[1981년]] [[7월 21일]] [[한국전자진흥회]] 이사<ref>[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81072300099208009&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81-07-23&officeId=00009&pageNo=8&printNo=4732&publishType=00020 ]</ref>
         * [[1990년]] [[7월 27일]] [[엔씨에스시스템]] 공동대표<ref>[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90072700099208007&editNo=1&printCount=1&publishDate=1990-07-27&officeId=00009&pageNo=8&printNo=7520&publishType=00020 ]</ref>
  • 스틸오션/사령관 . . . . 15회 일치
         <<TableOfContents>>
          * 전시 상태(State of War) - 적함이 발견되면 10% 확률로 발생. 45초간 주포 장전 속도 10% 증가.
          * 전시 상태(State of War) - 적함이 발견되면 10% 확률로 발생. 45초간 주포 장전 속도 10% 증가.
          * 생나제르의 유령(Phantom of Saint-Nazaire) - 함포 회전 속도, 어뢰발사관 회전 속도, 위장 3% 증가.
          * 전시 상태(State of War) - 적함이 발견되면 10% 확률로 발생. 45초간 주포 장전 속도 10% 증가.
          * 복수의 여신(Goddess of Vengeance) - 적에게 피격시 75% 확률로 발동. 30초간 함포와 어뢰의 데미지 15% 상승.
          * 볼프 호펜슈타인(Wolf Hoffenstein)
          * 복수의 여신(Goddess of Vengeance) - 적에게 피격시 75% 확률로 발동. 30초간 함포와 어뢰의 데미지 15% 상승.
          * 강철의 의지(Iron Will) - 적함을 격침시킬 시 1CP 획득.
          * 강철의 의지(Iron Will) - 적함을 격침시킬 시 1CP 획득.
          * 전시 상태(State of War) - 적함이 발견되면 10% 확률로 발생. 45초간 주포 장전 속도 10% 증가.
          * 전시 상태(State of War) - 적함이 발견되면 10% 확률로 발생. 45초간 주포 장전 속도 10% 증가.
          * 강철의 의지(Iron Will) - 적함을 격침시킬 시 1CP 획득.
          * 왕립해군의 정신(Soul of the Royal Navy) - 구축함에 배치시 발동. 내구력과 복원력 8% 증가. 각 파트의 피해 저항 상승.
          * 전시 상태(State of War) - 적함이 발견되면 10% 확률로 발생. 45초간 주포 장전 속도 10% 증가.
          * 함대의 영혼(Soul of the Fleet) - 함장으로 배치시 발동. 최대 내구력 10% 증가.
  • 토탈워: 쇼군 2/건물 . . . . 14회 일치
         <<TableOfContents>>
          * 시노비 교장(School of Shinobi) 기술 연구 필요.
          * 방어 전략(Strategy of Defence) 기술 연구 필요.
          * 검도(Way of the Sword) 기술 연구 필요.
          * 궁도(Way of the Bow) 기술 연구 필요.
          * 도도부현(Todofuken) 기술 연구 필요.
          * 공격 전략(Strategy of Attack) 기술 연구 필요.
          * 정신의 본질(Essence of the Spirit) 기술 연구 필요.
          * 정신의 본질(Essence of the Spirit) 기술 연구 필요.
          * 정신의 본질(Essence of the Spirit) 기술 연구 필요.
          * 정신의 본질(Essence of the Spirit) 기술 연구 필요.
          * 도도부현(Todofuken) 기술 연구 필요.
          * 시노비 교장(School of Shinobi) 기술 연구 필요.
          * 시노비 교장(School of Shinobi) 기술 연구 필요.
          * 철(Iron) 특산품 확보 필요.
  • Oh! How I Hate To Get Up In The Morning . . . . 11회 일치
         [[https://youtu.be/s6Dof3UPCmA|들으러 가기]]
         <<TableOfContents>>
         The other day I chanced to meet a soldier friend of mine,
         For the hardest blow of all, is to hear the bugler call;
         And spend the rest of my life in bed."
         A bugler in the army is the luckiest of men,
         For the hardest blow of all, is to hear the bugler call;
         And spend the rest of my life in bed."
         For the hardest blow of all, is to hear the bugler call;
         And spend the rest of my life in bed."
         For the hardest blow of all, is to hear the bugler call;
         And spend the rest of my life in bed."
  • Crusader Kings 2/종교 . . . . 9회 일치
         <<TableOfContents>>
          * 영주는 작위와 배우자가 없는 가신을 수도원으로 보낼 수 있음 - '''Sons of Abraham DLC 필요'''
          * 영주는 작위와 배우자가 없는 가신을 수도원으로 보낼 수 있음 - '''Sons of Abraham DLC 필요'''
          * 영주는 작위와 배우자가 없는 가신을 수도원으로 보낼 수 있음 - '''Sons of Abraham DLC 필요'''
          * '''플레이에 Sword of Islam DLC 필요'''
          * '''플레이에 Sons of Abraham DLC 필요'''
          * '''플레이에 Rajas of India DLC 필요'''
          * '''플레이에 Rajas of India DLC 필요'''
          * '''플레이에 Rajas of India DLC 필요'''
          * '''플레이에 Rajas of India DLC나 Jade Dragon DLC 필요'''
  • 대구광역시 . . . . 9회 일치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ko/thumb/3/32/Seal_of_Daegu.svg/110px-Seal_of_Daegu.svg.png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5/59/Flag_of_Daegu.png/110px-Flag_of_Daegu.png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5/59/Flag_of_Daegu.png/120px-Flag_of_Daegu.png
         Flag of Daegu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0/0e/Ceremony_of_Thanks_for_Constructing_City_Hall_in_Daegu.jpg/220px-Ceremony_of_Thanks_for_Constructing_City_Hall_in_Daegu.jpg
  • 4,000-lbs HC . . . . 8회 일치
         <<TableOfContents>>
         [https://books.google.co.kr/books?id=MuGsf0psjvcC&pg=PA420&lpg=PA420&dq=official+name+of+4,000lb+cookie+bomb&source=bl&ots=K6YyuiSBeE&sig=7_54tmhmUqD0-fFWzl_9zIEWX7c&hl=ko&sa=X&ved=0ahUKEwjDqoebgrjMAhWFMaYKHWi2BYwQ6AEIajAJ#v=onepage&q=official%20name%20of%204%2C000lb%20cookie%20bomb&f=false]
         [https://books.google.co.kr/books?id=XXuuCAAAQBAJ&pg=PT18&lpg=PT18&dq=official+name+of+4,000lb+cookie+bomb&source=bl&ots=3UlWowOwyW&sig=fRlrkY7UDcN4vFI84b-Ti_yZJcs&hl=ko&sa=X&ved=0ahUKEwjK36bIhLjMAhUJjJQKHfxeCVM4ChDoAQgpMAI#v=onepage&q=official%20name%20of%204%2C000lb%20cookie%20bomb&f=false]
  • Victoria II/기술 및 발명 목록/해군 . . . . 8회 일치
         <<TableOfContents>>
          * '''Offensive Attitude(공격적 태도)'''
         === Iron Steamers(철제 증기선) ===
          * '''Ironclads(철갑선)'''
          * '''[[Victoria II/기술 및 발명 목록/산업#s-4.3|Cheap Iron]] 기술 연구시 '''{{{#green +1%}}}'''
          * '''[[Victoria II/기술 및 발명 목록/산업#s-4.3|Cheap Iron]] 기술 연구시 '''{{{#green +2%}}}'''
          * '''Target Hit Profile Analysis'''
         === Naval Professionalism(해군 전문성) ===
          * '''Continuous Issuing of Orders(지속적인 명령 전달)'''
          * '''Continuous Issuing of Orders(지속적인 명령 전달)'''
  • WikiSandBox . . . . 8회 일치
         [[TableOfContents]]
         And here is another line of text. Incidentally, you might want to do one
         of the following:
         They were surprised about the first subsection on this page. Imagine the complete astonishment when they discovered that there was a ''second'' subsection! An important part of this section is its reference to the MissionStatement. Be ''sure'' to check it out.
          1. Check for loose change in the sofa cushions.
         '''''Please Note:''''' ''There has been considerable controversy about several of the above listed alternatives to reading the First Section. Some people think they are silly. Some people think they are offensive. And some people just think that they are a waste of time. All of these may be true. However, we stand by them, as we firmly believe that they are '''all''' more interesting than the First Section.''
  • 대전광역시 . . . . 8회 일치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ko/thumb/b/be/Seal_of_Daejeon.svg/100px-Seal_of_Daejeon.svg.png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3/30/South_Chungcheong_Provincial_Office.jpg/220px-South_Chungcheong_Provincial_Office.jpg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3/34/Cityscape_of_Daejeon_from_Gyejoksan.jpg/800px-Cityscape_of_Daejeon_from_Gyejoksan.jpg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8/85/Patent_Court_of_Korea.jpg/220px-Patent_Court_of_Korea.jpg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7/75/Chungcheong_Regional_Communication_Office.jpg/220px-Chungcheong_Regional_Communication_Office.jpg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7/71/Daejeon_Ministry_of_Patriots_and_Veterans_Affairs.jpg/220px-Daejeon_Ministry_of_Patriots_and_Veterans_Affairs.jpg
  • 맥스 페인 2: 맥스페인의 몰락/줄거리 . . . . 8회 일치
         <<TableOfContents>>
         === 챕터 3: The Depths of My Brain(내 뇌의 깊숙한 곳) ===
         === 챕터 5: A Sign of Her Passage([[모나 색스|그녀]]가 지나간 흔적) ===
         === 챕터 6: A Linear Sequence of Scares(공포의 연속) ===
         === 챕터 2: In the Middle of Something ===
         === 챕터 5: Out of the Window ===
         === 챕터 6: The Genius of the Hole ===
         === 챕터 4: Dearest of All My Friends(내 제일 친한 친구여) ===
         === 챕터 5: A Losing Game ===
  • Hunting the Hun . . . . 7회 일치
         <<TableOfContents>>
         Over in France there's a game that played
         for the son of a gun
         That's the game called Hunting the Hun!
         for the son of a gun
         That's the game called Hunting the Hun!
         It's the game that is new
         for the son of a gun
         That's the game called Hunting the Hun!
         for the son of a gun
         Offer them a little bit of hot sauerkraut
         Cut off their retreat
         That's the game called Hunting the Hun!
         for the son of a gun
         Let them know there's going to be a pinochle game
         That's the game called Hunting the Hun!
  • 김재규 . . . . 7회 일치
         1977년 박정희에게 [[직선제]]를 건의하기도 했다. 1979년에는 [[긴급조치]] 9호의 해제를 건의했다. 이때 김재규는 “긴급조치 9호는 효력을 다했으니 더 강력한 긴급조치 10호가 필요합니다.” 라며[[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3&oid=033&aid=0000007473&viewType=pc|긴급조치 10호를 건의했다가 반려당하기도 했는데]], 그 내용에는 노동및 종교의 추가탄압이 들어가있어 과격하기는 마찬가지였던지라 현재까지도 그에 대해 비판하는 이들이 존재한다. 다만 김재규는 훗날 법정에서 그 건에 대해 말하길 박정희의 눈을 속이고 긴급조치 9호의 독소를 제거하기 위해선 어쩔 수 없는 방법이었다고 해명했다.[* [[파일:walderppk-20161228-150640-001.jpg|width=600]][[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93102800209105001&edtNo=40&printCount=1&publishDate=1993-10-28&officeId=00020&pageNo=5&printNo=22327&publishType=00010|출처]] ] 김재규는 또한 당시 연금중이던 [[김대중]]의 외출을 눈감아주어서 [[김대중]]이 김영삼측 단합대회에 참석할 수 있게 해서 김영삼의 전당대회 당선을 도와주기도 했다.[* 그리고 여기에 책임을 진다는 구실로 중정부장 자리에서 물러나고 싶다고 사의를 표했으나 거절당했다.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2&aid=0002017191&viewType=pc|출처]] 이는 그가 권력욕에 취해 [[10.26 사태]]를 일으켰다는 주장에 대한 반박 논거로 쓰인다.] 당시 악화일로로 치닫고 있던 정국을 순리대로 풀기 위해서 나름대로 방법을 모색한 것. (물론 결과적으로는 남의 말을 들으려고도 하지 않는 박정희에게는 소귀에 경읽기였다.)
         유신정권의 크게 3개의 권력 축인 대통령 경호실, 중앙정보부[* 강직한 군인 유능한 건설부장관 무능하고 유약한 중정부장을 보면 알듯이 폭주하던 중정을 제어한 것을 보면 이런 비난도 무색하다], 국군보안사령부를 대표하고 있는 인물이 바로 [[차지철]], [[김재규]], [[전두환]]이었던 것이다. 이들은 서로 간에 치열하게 견제하고 있었다. [[http://www.usjournal.kr/News/6936|출처]] 바로 이러한 구도 속에서 파장이 일어난 것이 10.26이라는 것.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92081500209211001&editNo=1&printCount=1&publishDate=1992-08-15&officeId=00020&pageNo=11&printNo=21914&publishType=00020|출처]] 드라마 [[제5공화국(드라마)]], [[제4공화국(드라마)]] 등 공화국시리즈 등에서도 바로 이러한 관점에서 묘사되고 있다. 특히 경호실과 중앙정보부의 대립과 반목은 그 이전부터 지속되어 왔다. 대표적으로 이후락 중앙정보부장 - 박종규 대통령 경호실장 시절에도 이들은 사이가 몹시 좋지 못했다. 더군다나 이 무렵에 [[차지철]]계로 분류되고 있던 [[김치열]] 법무부장관이 차기 중앙정보부장으로 갈 것이라는 소문이 나돌았고, [[박정희]]가 야당문제와 [[부마항쟁]] 등에 대한 미흡한 대처에 대해서 김재규를 책망하는 일이 잦아지자 김재규 본인도 파워게임에서 밀릴 것이라는 직감을 하게 될 공산이 컸다는 주장이 있다. [[http://news.donga.com/3/all/20130906/57493166/1|출처]]
         김재규는 [[10.26 사태]] 직후 유신의 잔재를 5개월 내로 설거지하겠다는 생각으로 전국으로 비상계엄령확대를 구상했는데,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1&aid=0004475563|출처1]], [[http://www10.breaknews.com/sub_read.html?uid=64710|출처2]] 민주공화당은 이러한 구상안에 동의했을 가능성이 낮다. 10.26 직후 [[김종필]]이 [[민주공화당(1963년)|민주공화당]]의 총재로 만장일치 추대되었는데, [[김종필|JP]]는 [[김재규]] 중앙정보부장 시절 청구동 가택수색과 협박까지 당한터라 김재규에게 호의적이기도 어려웠다.[[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92080100209211001&edtNo=1&printCount=1&publishDate=1992-08-01&officeId=00020&pageNo=11&printNo=21900&publishType=00020|#]] 거기다 10.26 이후 [[김종필|JP]]는 [[김영삼|YS]], [[김대중|DJ]]과 함께 개헌과 민주회복 이행에 공감하고 협조해나가고 있었기 때문에, 민주공화당 역시도 김재규의 구상에 동의하기 어려웠을 것이다.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80022600329201017&edtNo=2&printCount=1&publishDate=1980-02-26&officeId=00032&pageNo=1&printNo=10586&publishType=00020|#1]],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80022600099201012&edtNo=1&printCount=1&publishDate=1980-02-26&officeId=00009&pageNo=1&printNo=4299&publishType=00020|#2]]
         김재규는 10.26이후 전국비상계엄령 확대 조치를 취하고, 군 지휘관들을 중심으로 혁명위원회를 구성해서 자신이 위원장을 맡고 육군참모총장이 부위원장을 맡은 뒤 유신의 잔재를 제거하겠다는 방안을 구상했다고 밝혔다. [[http://casenote.kr/%EB%8C%80%EB%B2%95%EC%9B%90/80%EB%8F%84306|출처1]],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93122800209105001&editNo=40&printCount=1&publishDate=1993-12-28&officeId=00020&pageNo=5&printNo=22384&publishType=00010|출처2]] 대법원 판결에서는 김재규가 계엄군을 장악하여 무력으로 사태를 제압하고, 입법, 사법, 행정 권력을 장악한 이후 대통령 출마까지 계획했다고 판결하였는데, 김재규 본인은 대통령 출마 의사나 사리사욕은 없다고 부인하였다.[* 김재규 본인은 소위 설거지론을 얘기하며 5개월간 유신의 잔재를 처리하려 했다고 밝혔다. 대통령이라는 직위를 자신이 담당하는건 생각조차 하지 않았으며, 다만 혁명위원회를 구성해서 권력을 인수하겠다는 정도를 생각했다고 밝혔다.] 그러나 [[김영삼]]이나 [[김대중]] 등 야당이 과연 김재규의 계획에 동의하거나 협조할 생각이 없었기 때문에 계획대로 이루어지기는 거의 어려웠을 것이다.
         이 사람이 세운 학교도 있다. 지금은 [[서울]] [[용산구]] [[이촌동]]에 있는 [[중경고등학교]]가 그 학교로, 원래는 서빙고동 지금의 [[한강중학교]] 위치가 학교 위치였다. 중경고등학교는 설립 당시에는 군 간부 자녀 전용학교였던 걸로 유명했는데, 최초의 [[특수목적고등학교]] 중에 하나이기도 했다.[[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73100100209204007&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73-10-01&officeId=00020&pageNo=4&printNo=16000&publishType=00020|#]] 덕분에 [[박정희]] 정권 당시 후덜덜한 빽을 지닌 자녀들의 총집합소(?) 비슷한 곳이 되었던 과거가 있다.
  • 다키스트 아워 . . . . 7회 일치
         <<TableOfContents>>
         Darkest Hour. 가장 어두운 시간.
         [[Darkest Hour: A Hearts of Iron Game]] 문서 참조.
  • 맥스 페인/줄거리 . . . . 7회 일치
         <<TableOfContents>>
         === 4장: Blood Veins of New York (뉴욕의 핏줄) ===
         === 9장: An Empire of Evil (악의 제국) ===
         === 2장: An Offer You Can't Refuse ([[대부|거부할 수 없는 제안]]) ===
         === 5장: Angel of Death (죽음의 천사) ===
         >Mr.Payne. It's time to show you the benefits of my brew. Be a good boy now.
         맥스는 미셸은 포옹한다. 미셸은 사무실에서 바이킹에 관한 이상한 메모를 봤다고 말한다. 맥스는 미셸에게 지금은 해야할 일이 있으니 저녁에 얘기하자고 말한다. 포옹을 나누는 둘 뒤에서 또다른 맥스가 나타나 "타락천사의 살"[* The flesh of fallen angel. 작중 극중국인 주소불명(Address Unknown)에서 등장하는 분홍색 플라밍고의 대사. 잭 루피노를 비롯한 발키리 중독자들이 읊조리는 소리이기도 하다.]이라는 말을 내뱉는다.
         === 5장: In the Land of the Blind (장님들의 나라) ===
         === 6장: Byzantine Power Game (음침한 권력 투쟁) ===
  • 정형돈 . . . . 7회 일치
         | 사진 =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0/0d/Jeong_Hyeong-don_from_acrofan.jpg/220px-Jeong_Hyeong-don_from_acrofan.jpg
         * 2011년 8월 2일 [http://music.naver.com/album/index.nhn?albumId=203946 《Change The Game》] - Change The Game : [[무한도전]] 조정가 - with [[데프콘 (가수)|데프콘]], 제이디<ref>{{뉴스 인용|제목=정형돈-데프콘, ‘무한도전’ 조정가 ‘Change The Game’ 발표|url=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6&oid=213&aid=0000124490|출판사=TV리포트|저자=김예나 기자|날짜=2011-08-01}}</ref>
         * 2013년 4월 14일 [https://www.youtube.com/watch?feature=player_profilepage&v=ASO_zypdnsQ 《Gentleman》] - PSY
         | Taste of Harmony -
         | [http://funmobee.gamechosun.co.kr/board/news_view.php?bid=news&num=29870 쟁의 나라 선국]{{깨진 링크|url=http://funmobee.gamechosun.co.kr/board/news_view.php?bid=news&num=29870 }}
  • 토탈워: 쇼군 2 - 사무라이의 몰락/건물 . . . . 7회 일치
         <<TableOfContents>>
         ===== 시코요쿠 사옥(Shikoyoku Office) =====
         ==== 철공소(Iron Works) ====
          * 철(Iron) 특산품 확보 필요
          * 철(Iron) 특산품 확보 필요
          * 철(Iron) 특산품 확보 필요
         ==== 철광석 채취장(Iron Ore Mine) ====
         ==== 심층철광(Deep-seam Iron Mine) ====
         ===== 철 제련공장(Iron Smelting Plant) =====
         ==== 전신국(Telegraph Office) ====
  • 토탈워: 쇼군 2/유닛 . . . . 7회 일치
         <<TableOfContents>>
          * 불화살(Flaming Arrows) - 궁도(Way of Bow) 기예 연구 요구. 짧은 시간동안 일반 화살 대신 불화살을 사용한다. 공격력이 상승하며 선박이나 성문같은 나무로 된 것에 불을 붙일 수 있게된다.
          * 불화살(Flaming Arrows) - 궁도(Way of Bow) 기예 연구 요구. 짧은 시간동안 일반 화살 대신 불화살을 사용한다. 공격력이 상승하며 선박이나 성문같은 나무로 된 것에 불을 붙일 수 있게된다.
         ===== 시즈가타케의 창(The Spears of Shizugatake) =====
         ==== 다테 철갑 사무라이(Date Bulletproof Samurai) ====
          * 불화살(Flaming Arrows) - 궁도(Way of Bow) 기예 연구 요구. 짧은 시간동안 일반 화살 대신 불화살을 사용한다. 공격력이 상승하며 선박이나 성문같은 나무로 된 것에 불을 붙일 수 있게된다.
          * 불화살(Flaming Arrows) - 궁도(Way of Bow) 기예 연구 요구. 짧은 시간동안 일반 화살 대신 불화살을 사용한다. 공격력이 상승하며 선박이나 성문같은 나무로 된 것에 불을 붙일 수 있게된다.
          * 필요 기술: 해도(Way of the Sea)
  • Darkest Hour: A Hearts of Iron Game/기술 . . . . 6회 일치
         <<TableOfContents>>
         [[Darkest Hour: A Hearts of Iron Game]]에서 연구 가능한 기술을 설명하는 페이지.
          전투기로 적 영토를 휩쓸기 위한 Off Air Superiority와 요격기&로켓 요격기&대공포로 국토를 수호하기 위한 Defensive Air Superiority가 두 테크 중 하나를 선택하게 된다. 두 테크가 공유하는 연구는 Flexible Response Doctrine 하나 뿐이다.
  • Darkest Hour: A Hearts of Iron Game/유닛 . . . . 6회 일치
         <<TableOfContents>>
         [[Darkest Hour: A Hearts of Iron Game]]의 유닛을 설명하는 페이지.
  • Victoria II . . . . 6회 일치
         <<TableOfContents>>
         attachment:Vic2isGodGame.jpg
         ===== Heart of Darkness =====
         Crisis. Heart of Darkness에서 추가된 시스템.
          * Heart of Darkness : 두번째 확장팩 DLC. 제목은 서구의 제국주의를 비판한 소설 "암흑의 핵심"에서 따왔다.
          * Songs of the Civil War : 남북전쟁 시기 만들어진 유명 음악 4개[* Battle Hymn of the Republic, Johnny Comes Marching Home, Marching Through Georgia, Oh I'm a Good ol' Rebel]를 OST에 추가해주는 DLC.
  • Victoria II/기술 및 발명 목록/상업 . . . . 6회 일치
         <<TableOfContents>>
          * Multitude of Financial Instruments(많은 양의 금융 기관)
          * Regulated Buying and Selling of Stocks(통제되는 주식 거래)
          * Liquidation of Assets(자산 청산)
          * Capital of Investors(투자자의 자금)
         === Freedom of Trade(무역의 자유) ===
          * Working Board of Directors
  • 메탈슬러그 시리즈 . . . . 6회 일치
         <<TableOfContents>>
         [[http://game.snkplaymore.co.jp/official/ms5/english/ms5_top.html|메탈슬러그 5 공식 웹사이트(영어)]]
         [[http://game.snkplaymore.co.jp/official/ms/ms4_top.html|메탈슬러그 4 공식 웹사이트(일본어)]]
         [[http://game.snkplaymore.co.jp/official/ms5/ms5_top.html|메탈슬러그 5 공식 웹사이트(일본어)]]
         [[http://game.snkplaymore.co.jp/official/ms6/|메탈슬러그 6 공식 웹사이트(일본어)]]
         [[http://game.snkplaymore.co.jp/official/ms7/|메탈슬러그 7 공식 웹사이트(일본어)]]
         [[http://game.snkplaymore.co.jp/official/msxx/|메탈슬러그 XX 공식 웹사이트(일본어)]]
  • 박옥수 . . . . 6회 일치
         박옥수는 지난 45년간 딕욕 선교사를 통해 목사 안수를 받았다고 주장해 왔다. 하지만 딕욕 선교사는 “박씨에게 안수를 준 적 없으며 목사 제도를 반대하는 입장”이라 답했다. 그의 개인 홈페이지에는‘Shield of Faith Mission’ 선교학교에 입학(1962~1964년) - 딕욕, 말론 베이커 등 외국인 선교사들이 운영하는 신학교 졸업, 딕욕(Dick York) 선교사로부터 목사 안수(1971년)라고 게시되어 있다. 하지만 딕욕 측이 운영하는 ‘믿음의 형제들’ 홈페이지에는 박씨에게 “안수를 준 적이 없다”고 명시되어 있다. 또한 “자신(박옥수)이 자신에게 안수를 준 것”이라 덧붙였다.
         >I have heard it said that I ordained Pak Ok Soo as a pastor; and I think it even appears on his website. However, that is not the case, and I am not sure why he would make that claim. His title of “pastor”is something that he took upon himself in spite of my advising him to the contrary: there are no credentials behind his title, he basically ordained himself. My understanding of the church and its structure is quite different from his; and my view of what a pastor is is quite different from his. However, that is not the subject of this discussion; we can pursue that topic in another communication.
  • 브로포스 . . . . 6회 일치
         <<TableOfContents>>
         Broforce. 2015년 10월 15일 발매된 [[런앤건]] 슈팅게임. 액션 영화 주인공을 패러디한 집단인 "브로포스"가 세계 각지에서 테러리스트에 맞서 싸우는 게임이다.
         해당 적들의 이름은 [[http://broforce.wikia.com/wiki/Broforce_Wiki|브로포스 위키]]를 참조함. 쟤네 이름은 어디서 알아낸건지…….
          몸에 폭탄을 두르고 담배를 문 무크. 브로를 발견하면 폭탄에 불을 붙이고 달려온다. 죽이면 폭탄이 폭발한다. [[http://devolverdigital.limitedrun.com/products/572556-broforce-mook-plush|디볼버 웹스토어에서 인형도 팔고있다.]]
         [[http://broforce.wikia.com/wiki/Broforce_Wiki|브로포스 위키]]
  • 인천광역시 . . . . 6회 일치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ko/thumb/d/dc/Seal_of_Incheon.svg/100px-Seal_of_Incheon.svg.png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9/91/Mainhallofnewcampusinsongdo.jpg/220px-Mainhallofnewcampusinsongdo.jpg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d/d3/2014_Asian_Games_opening_ceremony_1.jpg/249px-2014_Asian_Games_opening_ceremony_1.jpg
  • Crusader Kings 2/DLC . . . . 5회 일치
         <<TableOfContents>>
         === Sword of Islam ===
         === Legacy of Rome ===
         === Sons of Abraham ===
         === Rajas of India ===
         === Way of Life ===
  • Crusader Kings 2/특성 . . . . 5회 일치
         <<TableOfContents>>
          * 게임의 달인(Game Master)
          * ''' Way of Life DLC 추가시 생활방식 특성이 아니게 됨'''
          * ''' Way of Life DLC 추가시 생활방식 특성이 아니게 됨'''
          * ''' Way of Life DLC 추가시 생활방식 특성이 아니게 됨'''
          * 첩의 자식(Child of Concubine)
  • Daisy Bell(Bicycle Built For Two) . . . . 5회 일치
         <<TableOfContents>>
         of beautiful Daisy Bell! ||
         all for the love of you
         of a bicycle built for two ||
         Peddling away down the road of life
         of beautiful Daisy Bell! ||
  • InterWikiIcons . . . . 5회 일치
         The InterWiki Icon is the cute, little picture that appears in front of a link instead of the prefix established by InterWiki. An icon exists for some, but not all InterMap references.
         You can set InterWikiIcon to InterMap entries by putting an icon file of name lowercased InterWiki entry name, e.g; meatball for MeatBall, under imgs directory.
          * Acronym:BoF
          * JoiWiki:SocialSoftware
         Any recommendations on what software to use to shrink an image to appropriate size?
  • 돌턴 갱 . . . . 5회 일치
         <<TableofContents>>
         [[http://www.legendsofamerica.com/we-dalton.html]]
         [[http://www.legendsofamerica.com/we-outlawgangslist3.html#Dalton Gang|http://www.legendsofamerica.com/we-outlawgangslist3.html#Dalton Gang]]
         [[http://www.history.com/this-day-in-history/the-dalton-gang-is-wiped-out-in-coffeyville-kansas]]
  • 블라디미르 렘 . . . . 5회 일치
         <<TableOfContents>>
         |||| attachment:Lem_InGame.jpg?width=400 ||
         맥스는 그를 "명예와 도덕을 지닌 구식 악당 중 하나"[* one off those old-time bad guys, with honor and morals]라고 평했다.
         맥스와 처음 만난 순간은 맥스가 프랭키 나이아가라를 죽이고 난 후였다. 블라드는 맥스의 차 앞을 자신의 벤츠로 가로막은 후 "[[대부|거부할 수 없는 제안]]"[* an offer you can't refuse]을 한다. 자신의 무기를 운송하다가 펀치넬로 쪽에 붙은 화물선 선장 보리스 다임을 죽이고 화물선을 탈환하면 운송하던 무기를 필요한 대로 가져갈 수 있게 해준다는 제안이었다.
         맥스가 다임을 죽이고 화물선을 탈환하자 필요한 일이 있으면 부르라며, "이게 아름다운 우정의 시작이 될 것 같군,"[* This could be beginning of a beautiful friendship.]이라는 대사를 친다.
         >Max, dearest of all my friends - I was supposed to be hero.
  • 어쌔신 크리드 III/임무일람/주요임무 . . . . 5회 일치
         <<TableOfContents>>
         === Battle of Bunker Hill ===
         === Battle of Monmouth ===
         ==== Battle of the Chesapeake ====
          * 해당 임무를 완수하면 저택 2층에 채서피크 전투 지도(Map of the Battle of Chesapeake)가 생긴다.
  • 챌린저스 오브 더 언노운 . . . . 5회 일치
         Challengers of the Unknown
         DC 유니버스에 속해있으나 [[저스티스 리그]]같은 [[슈퍼히어로 팀]]이 아니며 SF나 모험에 초점을 두고 있다. 복장도 보편적인 [[슈퍼히어로]] 코스튬과 동떨어진 느낌의 복장. 그러나 괴로봇 등 다수의 빌런들과 마주했으며 그중 [[멀티맨]]은 [[리그 오브 챌린저 해이터스]](League of Challenger-Haters) 소속이었다.
         [[아말감 코믹스]]에는 [[판타스틱 포]]와 융합된 <챌린저스 오브 더 판타스틱(Challengers of the Fantastic)>이 있다.
          * Walter Mark "Prof" Haley
          * Corinna Stark[* Challengers of the Unknown #69 (September 1, 1969) 첫등장.]
  • The Tyger . . . . 4회 일치
         <<TableOfContents>>
         In the forests of the night;
         Burnt the fire of thine eyes?
         Could twist the sinews of thy heart?
         In the forests of the night:
  • Victoria II/기술 및 발명 목록/육군 . . . . 4회 일치
         <<TableOfContents>>
         === Iron Muzzle-loaded Artillery(철제 전장식 화포) ===
         === Iron Breech-loaded Artillery(철제 후장식 화포) ===
         === Army Professionalism(육군 전문성) ===
          * '''Continuous Issuing of Orders(지속적인 명령 전달)'''
          * '''Wargames(기동 훈련)'''
  • Victoria II/디시전 . . . . 4회 일치
         <<TableOfContents>>
         ==== The Trail of Tears(눈물의 길) ====
         ==== Confiscations of Mendizabal(멘디자발의 몰수) ====
         ==== The Empress of India(인도 여제) ====
         ==== Treaty of London(1864)(1864년 런던 조약) ====
  • Y2K 버그 . . . . 4회 일치
         <<TableOfContents>>
         연도를 두글자로 기억하는 컴퓨터들이 2000년이 되면 연도를 1900년으로 인식, 오작동을 일으킬 것이라는 버그. 당시 1990년대만 해도 컴퓨터가 상당히 많은 곳에 퍼져 있었기에 이 버그는 회사나 국가의 전산 시스템, 병원의 의료기기 등에 심각한 결과를 가져올것이라고 예상되었다.[*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98122900099118001&editNo=15&printCount=1&publishDate=1998-12-29&officeId=00009&pageNo=18&printNo=10254&publishType=00010|매일경제 1998년 12월 29일 기사, 네이버 뉴스 라이브러리]]
         미국 연방준비의사회는 [[ATM]]이 작동하지 않을것을 우려하는 시민들이 99년 말에 대량으로 현금을 인출할 것이라 예상, 500억 달러를 추가 발행했다.[*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98112200209101007&editNo=45&printCount=1&publishDate=1998-11-22&officeId=00020&pageNo=1&printNo=24046&publishType=00010|동아일보 1998년 11월 22일 기사, 네이버 뉴스 라이브러리]]
         미국의 컴퓨터 관련 기업들은 Y2K에 대해 설명하는 사이트를 공동으로 개설하였으며[*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99051000099107012&edtNo=15&printCount=1&publishDate=1999-05-10&officeId=00009&pageNo=7&printNo=10363&publishType=00010|매일경제 1999년 5월 10일 기사, 네이버 뉴스 라이브러리]], 국내 컴퓨터 업계 또한 이에 대한 대비책을 마련하였다.[*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98060800329109001&edtNo=45&printCount=1&publishDate=1998-06-08&officeId=00032&pageNo=9&printNo=16453&publishType=00010|경향신문 1998년 6월 8일 기사, 네이버 뉴스 라이브러리]]
  • 경주시 . . . . 4회 일치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d/d1/View_of_Gyeongju-Korea-01.jpg/300px-View_of_Gyeongju-Korea-01.jpg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c/c1/Korea-Gyeongju-Gameunsa_temple_pagodas-01.jpg/120px-Korea-Gyeongju-Gameunsa_temple_pagodas-01.jpg|[[감은사지 삼층석탑]]
  • 권희동 . . . . 4회 일치
         |||| http://ncdinos.firstmall.kr/data/player/111_1551081008_25165006_profile.jpg ||
         2013 신인드래프트에서 신생 팀 [[NC 다이노스]]에 9라운드 전체 86순위로 입단하게 되었다.[* [[http://sports.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kbo&ctg=news&mod=read&office_id=400&article_id=0000000013|2012년 인터뷰]]][* 여기에 썰이 하나 있는데 권희동이 그날 당시 지명이 안 될 줄 알고 집에서 자고 있었다(...)는데 지명됐다는 소식을 듣고 나서 다시 잤다는(.....)썰이 있다.] NC에서 2군 시절 모교인 경남대랑 연습 경기를 하면서 [[박으뜸|찍은 선수 2명 중 하나]]이다. 사실 권희동의 경우 스카우터 사이에선 타격은 좋으나 수비력은 물음표다라는 말이 있었다. ~~그러나 현실은 공포의 1할 타자, SK만 만나면 수비요정~~
         7월 28일 [[KIA 타이거즈]]전에서 2번이나 홈런을 쳐내 4타점을 쌓았고 몸을 날리는 [[http://sports.news.naver.com/videoCenter/index.nhn?category=kbo&id=52913&gameId=20130728HTNC0&listType=game&date=20130728|호수비]]를 보여주는 등 공수 양면에서 활약했다. 그러나 팀은 4:8로 패배.
         루키 시즌(2013년 시즌)때는 타율과 출루율은 심각하게 낮았지만 장타력은 여전히 좋았던 타자였다. 1군 데뷔 시즌 맞이한 397타석에서 '''15개'''의 홈런을 쏘아 올렸을 정도로 힘이 있는 선수. 특히 2사 후 타점이 [[http://sports.donga.com/3/all/20130913/57652988/1|많고]], 홈런 상당수가 2점차 이내의 접전에서 [[http://www.hani.co.kr/arti/sports/baseball/599691.html|나오는]] 등, 타점의 영양가가 높아 [[공갈포]] 논란이 거의 없다. 이런 장점을 갖고 있기에 2013 시즌은 뎁스가 얇은 신생 팀에서 기회를 놓치지 않고 시즌 내내 주전으로 뛰었었다.[* 사실 2013년의 타격이 공갈성이 있긴 했지만 [[BABIP]]이 0.214에 불과할 정도로 운도 따라주지 않던 시즌이었다. 이는 압도적인 리그 꼴지의 기록. 그 이후에는 3할 초중반 대의 기록을 유지하고 있다.] 스포츠동아에서는 1할 타율을 가지고 있던 당시 공포의 1할 타자, 숫자만으로 평가해서는 안 되는 [[http://sports.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kbo&ctg=news&mod=read&office_id=382&article_id=0000132146|타자로 소개했다.]] 힘있는 타자는 상당히 귀하고 귀하기 때문. 2013 시즌에는 팀의 뎁스가 워냑 얇았고, 일발 장타력이 있었기 때문에 심각하게 낮은 타율과 출루율에도 불구하고 꾸준한 출장 기회를 부여받았다.
          * 본인의 응원가를 매우 싫어했다. [[http://youtu.be/ofid9L1pI6k|이게 충격과 공포의 권희동 응원가]]. 개막전부터 선발로 출장했지만 2경기 동안 안타 하나 치지 못했다. 그런데 본인 부탁으로 응원가를 끄고 나서는 2루타 폭발!! 참고로 이 안타는 NC의 순수 신인이 친 첫 안타다. 이후 다른 응원가로 바꿨으나 인기가 워낙 좋아서 결국 원래 응원가를 쓰게 되었다. 급기야 해설자들도 따라할 정도. [[KBO 리그 응원가 저작권 사태|그러나 저작권 문제 때문에 2017년 들어서 쓰지 않는다]]. 현재는 미국으로 떠난 [[에릭 테임즈]]의 응원가를 받아 쓰고 있다.
  • 김시진 . . . . 4회 일치
         | url =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83061600209208010&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83-06-16&officeId=00020&pageNo=8&printNo=18984&publishType=00020
         | url =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83071100329208013&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83-07-11&officeId=00032&pageNo=8&printNo=11625&publishType=00020
         | url =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87101000329208004&editNo=3&printCount=1&publishDate=1987-10-10&officeId=00032&pageNo=8&printNo=12934&publishType=00020
         [[롯데 자이언츠]]에서 은퇴하고 [[1993년]] [[태평양 돌핀스]]의 투수 코치로 지도자 생활을 시작했다. 이후 오랫동안 [[김재박]]과 같이 활동하였으며, [[2007년]] [[현대 유니콘스]]의 마지막 감독이 되기 전까지 투수 코치로 계속 활동했다. [[1996년]]부터 [[1997년]]까지 아마추어 실업 야구 팀 [[현대 유니콘스|현대 피닉스]]에서 잠깐 코치 생활을 하기도 했었으나, 이내 곧 [[1998년]]에 [[현대 유니콘스]]의 투수 코치로 임명되어 프로에 복귀했고, 그 해 지도자 생활을 시작한 이래 첫 우승을 거두었다. [[현대 유니콘스]]의 투수 코치를 맡으면서 그는 [[김수경 (야구인)|김수경]], [[임선동]], [[조용준]], [[오주원]], [[황두성]], [[박준수]], [[장원삼]] 등 뛰어난 투수들을 조련하고 육성하는 데에 뛰어났으며 [[투수]]를 보는 안목이 탁월했다. 투수 코치를 맡은 기간 동안 그는 '명 조련사'로 불렸는데, [[1998년]] [[김수경 (야구인)|김수경]], [[2002년]] [[조용준]], [[2003년]] [[이동학]], [[2004년]] [[오주원]] 등이 [[한국 프로 야구 신인왕|신인왕]]을 수상했던 것을 예로 들면 그는 투수 코치로서 선수들을 키우는 데에 있어서 일가견이 있었다는 것을 엿볼 수 있다. 이는 감독 생활에도 이어져 [[키움 히어로즈|넥센 히어로즈]] 최초 1차 지명으로 선발한 좌완 투수 [[강윤구 (야구 선수)|강윤구]] 역시 [[2009년 한국 프로 야구|2009 시즌]]에 옥석으로 평가받았다.<ref>[[스포츠 서울]] - [http://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baseball&ctg=news&mod=read&office_id=073&article_id=0002013951 "히어로즈가 끝까지 지킨 강윤구는 누구?"]</ref> 시즌 전 트레이드로 홍역을 앓았음에도 불구하고 [[2010년]]에는 걸출한 신인 우완 투수 [[고원준]]을 배출하였으며, 트레이드로 영입한 [[금민철]]을 선발 투수로 자리매김하도록 했다. 그가 투수 코치로 있는 동안 [[태평양 돌핀스]]와 [[현대 유니콘스]]에서 뛰어난 [[투수]]들이 많이 배출되어 '투수 왕국'이라는 별칭이 붙었다.
  • 김효원 . . . . 4회 일치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4/4f/Workbook_of_Sungam_Kim_Hyowon.jpg/220px-Workbook_of_Sungam_Kim_Hyowon.jpg
         생원시를 거쳐 [[1565년]] 알성 [[과거 제도|문과]]에 [[장원]]으로 급제하였다.<ref name=autogenerated1>[http://www.wa-bu.net/bbs/zboard.php?id=news&page=11&sn1=&divpage=1&category=5&sn=off&ss=on&sc=on&select_arrange=headnum&desc=asc&no=2145 윤종일교수의 남양주역사기행(26)- 동인(東人) 김효원(金孝元)(남양주타임즈, 2007.01.26자] </ref> 그는 퇴계 [[이황]]의 문하와 남명 [[조식]]의 문하에서 수학했다. [[이황]]의 제자들 중의 한사람이며 [[김종직]]의 학통으로, 남명 [[조식]]의 문하에도 찾아가서 배웠다. 스승 중 한사람인 조식이 죽었을 때는 "방향 모르는 날 가르쳐주셨고(誘掖回迷走)/ 날 채워서 옳은 사람 되게 했다네(充盈見實歸)/ 인문이 이제는 끝나고 말았구나(人文今已矣)/ 이제 우리 도를 누구에게 의지할꼬(五道竟何依)?"라는 만사를 짓기도 했다. 그는 학문상으로는 [[김종직]]-[[이황]]의 학맥과 [[조식]]의 학맥을 두루 계승하였다.
         * [http://www.wa-bu.net/bbs/zboard.php?id=news&page=11&sn1=&divpage=1&category=5&sn=off&ss=on&sc=on&select_arrange=headnum&desc=asc&no=2145 윤종일교수의 남양주역사기행(26)- 동인(東人) 김효원(金孝元)(남양주타임즈, 2007.01.26자]
  • 랄프 알거 배그놀드 . . . . 4회 일치
         <<TableOfContents>>
         1939년, [[제2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자 배그놀드는 다시 현역이 된다. 그는 자신이 자신의 경험을 토대로 [[LRDG|장거리 사막 정찰대]](Long Range Desert Group, LRDG)라는 특수부대를 창설한다. LRDG는 기존의 자석을 이용한 [[나침반]]이 대원들이 타고다니는 트럭 등에 교란될 것을 우려해 태양을 이용한 나침반을 사용했는데, 이 나침반 또한 배그놀드가 설계한 것이었다. 그는 전쟁 도중이었던 1941년에도 또다른 책을 펴내었다. 모래의 이동에 대한 연구를 담은 《바람에 부는 모래와 사막 사구의 물리학》[* The Physics of Blown Sand and Desert Dunes. 국내 정발된 책이 아니기에 임의로 번역한 제목이다.]이 그것이었다.
          * The Physics of Blown Sand and Desert Dunes
          * Sand, Wind, and War: Memoirs of a Desert Explorer
         [[http://www.nytimes.com/1990/06/01/obituaries/ralph-bagnold-94-expert-on-physics-of-sand-in-the-desert.html|(영문)뉴욕타임즈의 랄프 배그놀드 사망 기사]]
  • 부산광역시 . . . . 4회 일치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8/89/Symbol_of_Busan.svg/110px-Symbol_of_Busan.svg.png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d/d2/Slogan_of_Busan_Dynamic_Busan_Asian_Gateway.svg/110px-Slogan_of_Busan_Dynamic_Busan_Asian_Gateway.svg.png
  • 슈퍼맨 리벤지 스쿼드 . . . . 4회 일치
          본명 프레데릭 폰 프랑켄슈타인(Frederick von Frankenstein) 첫등장은 Superman: Man of Steel #61 (October, 1996)
          본명 Floyd Barstow. 첫등장은 Adventures of Superman #539 (October 1, 1996)
          본명은 Illena of Kromal. 외계인이다.
          첫등장은 Superman: The Man of Tomorrow #8 (April 1, 1997)
  • 아웃 오브 안중 . . . . 4회 일치
         <<TableOfContents>>
         Out of 眼中
         안중은 눈 안, 혹은 관심이나 의식의 범위 내에 있다는 뜻이다. [[무관심]]을 뜻하는 말로 '안중에 없다'는 말이 본래 있었는데, 이것을 [[영어]]로 '벗어나 있다'는 뜻인 'Out of-'를 붙여서 강조한 것이다.
          * http://zokugo-dict.com/01a/outofgancyu.htm
          * http://moto-neta.com/other/out-of-ganchu/
  • 어쌔신 크리드 III/임무일람 . . . . 4회 일치
         <<TableOfContents>>
         ==== Tools of the Trade ====
         ==== Dread of Night ====
         ==== One of a Kind ====
         === 북부 보스턴: Gangs of Boston ===
  • 토탈워: 쇼군 2 - 사무라이의 몰락/유닛 . . . . 4회 일치
         <<TableOfContents>>
         ==== 고테츠급 철갑함(Ironclad - Kotetsu) ====
         ==== 로어노크급 철갑함(Ironclad - Roanoke class) ====
         ==== 로세앙급 철갑함(Ironclad - L'ocean class) ====
         ==== 워리어급 철갑함(Ironclad - Warrior class) ====
  • 트로피코 4 . . . . 4회 일치
         <<TableOfContents>>
         [[불가리아]]의 게임회사 [[https://www.haemimontgames.com/|해미몬트 게임즈]](Haemimont Games)가 제작하고 [[독일]]의 게임회사 [[http://kalypsomedia.com/|칼립소 미디어]](Kalypso Media)가 유통한 [[국가]] 경영 시뮬레이션 게임. 2011년 9월 2일 출시되었다.
         >The times are changing and the island nation of Tropico is evolving. The Internet, a New World Order, terrorists, global financial markets and space exploration are on the rise and pose new challenges to El Presidente and his regime.
         >Old buildings and structures are becoming obsolete and need to be upgraded or even replaced by their modern counterparts. Cars and transportation need modernization to meet the needs of a changing economy; and now El Presidente can even send people to the International Space Station! El Presidente and his ministers must now join the war against terror and control Internet regulation and freedom of speech on Tropico.
  • 페이데이 2/하이스트/블라드 . . . . 4회 일치
         <<TableOfContents>>
         출처: [[http://fbi.overkillsoftware.com/]]
         출처: [[http://fbi.overkillsoftware.com/]]
          * Now is the Nuclear Winter of Our Discontent
         출처: [[http://fbi.overkillsoftware.com/]]
  • 페이데이 2/하이스트/클래식 . . . . 4회 일치
         <<TableOfContents>>
          * Keep Clear of the Windows
         출처: [[http://fbi.overkillsoftware.com/]]
          * The Definition of Safe House is Changing
         출처: [[http://fbi.overkillsoftware.com/]]
  • 현실문화사 . . . . 4회 일치
         <<TableofContents>>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90100900329215007&editNo=3&printCount=1&publishDate=1990-10-09&officeId=00032&pageNo=15&printNo=13859&publishType=00020|네이버 뉴스 라이브러리 - 경향신문 1990년 10월 9일자 - 정보수집 위해 잡지사 도 운영]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90100900209211007&edtNo=2&printCount=1&publishDate=1990-10-09&officeId=00020&pageNo=11&printNo=21263&publishType=00020|네이버 뉴스 라이브러리 - 동아일보 1990년 10월 9일자 - 보안사 잡지사 운영]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90100900289115001&edtNo=4&printCount=1&publishDate=1990-10-09&officeId=00028&pageNo=15&printNo=743&publishType=00010|네이버 뉴스 라이브러리 - 한겨례 1990년 10월 9일자 - 보안사서 잡지사도 경영]
  • Suicide is Painless . . . . 3회 일치
         <<TableOfContents>>
         Visions of the things to be
         || 2절 ||The game of life is hard to play
         || 3절 ||The sword of time will pierce our skins
  • WikiWikiWeb . . . . 3회 일치
         The [wiki:Wiki:FrontPage first ever wiki site] was founded in 1994 as an automated supplement to the Wiki:PortlandPatternRepository. The site was immediately popular within the pattern community, largely due to the newness of the internet and a good slate of Wiki:InvitedAuthors. The site was, and remains, dedicated to Wiki:PeopleProjectsAndPatterns.
         See also one of these links:
  • World Of Guns: Gun Disassembly . . . . 3회 일치
         <<TableOfContents>>
         === Game ===
         === Super Game ===
         틀리는 즉시 끝장나는 Game. 그런고로 Sniper 보너스는 없다.
  • 경순왕 . . . . 3회 일치
         |그림 =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0/0c/King_Kyungsoon_of_Silla.jpg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6/6b/King_Kyungsoon_of_Silla_2.jpg/150px-King_Kyungsoon_of_Silla_2.jpg
  • 국가원수 . . . . 3회 일치
         <<TableOfContents>>
         國家元首 / head of state / chief of state
         중화인민공화국에서는 [[주석]], 동독이나 쿠바 등에서는 평의회 의장(Chairman of State Council)이 맡게 된다.
  • 김대환 (법조인) . . . . 3회 일치
         광주고등법원에서 재직하던 1991년 12월 20일에 성폭행한 남자를 보복 상해한 피고인에 대한 항소를 기각하면서 집행유예와 치료감호를 선고한 원심대로 선고하자 성폭행 사건 대책위원회와 전남여성회 등이 재판장과 면담을 요구하며 재판장실을 점거 농성한 사건이 일어났으나 경찰에 강제연행됐다.<ref>[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91122100209215009&editNo=1&printCount=1&publishDate=1991-12-21&officeId=00020&pageNo=15&printNo=21685&publishType=00020 동아일보 1991년 12월 21일</ref>
          1993년 2월 27일자</ref> 4월 2일에 [[박종철]] 고문치사 사건으로 기소돼 2심에서 무죄를 선고받고 대법원에서 파기환송된 치안본부장 강민창(60세)에 대해 징역8월 집행유예2년을 선고하면서 직권남용에 대해 "부검의가 직책상 피고인의 지시를 받을 위치에 있지 않다"는 이유로 무죄판결했다.<ref>한겨레 1993년 4월 3일자</ref> 8월 23일에 [[김근태]]에 대한 고문한 혐의로 법원에서 재정신청을 인용하여 공판에 회부된 치안본부 대공수사국 소속 김수현 경감에 대해 특정범죄가중처벌법 불법체포,감금, 형법 독직 폭행죄를 적용해 징역3년 자격정지2년, 그외 백남은 경정과 김영두, 최상남 경위에 대해 징역2년~1년6월을 선고하면서 법정구속했다.<ref>[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93082400289101004&editNo=5&printCount=1&publishDate=1993-08-24&officeId=00028&pageNo=1&printNo=1655&publishType=00010 한겨레 1993년 8월
         징역15년을 선고받고 1988년 가석방되었으나 1995년 보안관찰 처분을 갱신하자 낸 소송에서 "재범 위험성을 인정할 충분한 이유가 없다"며 원고 승소 판결했다.<ref>한겨레 1997년 1월 22일자</ref> 5월 20일에 1994년 인천 북구청 세무계장으로 있으면서 지방세 55억여원을 횡령하여 1심에서 징역22년6월 벌금40억원 선고받자 전재산 사회 헌납 약속으로 2심에서 벌금없이 징역22년6월만 선고된 안영휘의 가족이 "가족 명의의 재산을 압류한 것은 부당하다"며 청구한 소송에서 "구청은 안씨 명의의 부동산을 처분해 20억여원을 환수하라"는 원심을 깨고 원고패소 판결했다.<ref>[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97052100329123005&editNo=45&printCount=1&publishDate=1997-05-21&officeId=00032&pageNo=23&printNo=16110&publishType=00010 경향신문 1997년
  • 다크 유니버스 . . . . 3회 일치
          * 프랑켄슈타인의 신부(Bride of Frankenstein)
          * 오페라의 유령(Phantom of the Opera) (가칭)
          * 노틀담의 꼽추(Hunchback of Notre-Dame) (가칭)
  • 류중일 . . . . 3회 일치
         |선수 사진 파일명 =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f/f3/Baseball_TeamKorea_IncheonAsianGames_11.jpg/270px-Baseball_TeamKorea_IncheonAsianGames_11.jpg
         [[2006년]]·[[2009년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및 [[2010년 아시안 게임|광저우 아시안 게임]] 국가대표팀 코치로 발탁되어 활동했다. [[1999년]]을 마지막으로 현역에서 은퇴하고 [[2000년]]부터 [[김용희 (야구인)|김용희]], [[김응용]], [[선동열]] 감독 밑에서 코치로 보좌한 후, [[2010년]] [[12월 30일]] [[선동열]]이 경질되자 [[선동열]]의 후임으로 [[2011년]] [[1월 5일]]에 [[삼성 라이온즈]]의 감독으로 취임하였다.<ref>[http://www.imaeil.com/sub_news/sub_news_view.php?news_id=609&yy=2011 류중일 감독 "신인 패기로 KS 우승 데뷔 축포 쏜다" ] - 매일신문</ref> 그가 감독으로 부임하게 되면서 [[삼성 라이온즈]]는 오랜만에 프랜차이즈 스타 출신 감독을 맞이하게 되었다.<ref>최초의 [[삼성 라이온즈|삼성]] 선수 출신 감독은 [[서정환]]이고, 류중일은 [[삼성 라이온즈|삼성]] 출신 선수 중 선수 및 코치로 활동하면서 단 한번의 팀 이동 없이 감독이 된 첫 번째 경우이다.</ref> [[2011년]] 감독 부임 첫 해에 정규 리그 우승과 [[2011년 한국시리즈|한국시리즈]] 우승을 확정지으며, "야구 대통령"을 줄인 '''"야통"'''이라는 별명을 얻게 되고,<ref>[http://sports.chosun.com/news/ntype.htm?id=201109280100191240017032&servicedate=20110927 류중일호, 우승을 가능케 한 키워드 4개] - 스포츠조선</ref> [[대한민국]] 챔피언 자격으로 참가한 [[2011년 아시아 시리즈]]에서 [[일본]] 챔피언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소프트뱅크]]를 꺾고 [[대한민국]] 프로 야구 팀 최초로 [[아시아 시리즈]] 우승을 차지했다.<ref>[http://osen.mt.co.kr/article/G1109325476 '야통' 류중일 감독, 야신도 못한 亞 정상 위업] - OSEN</ref> [[2012년]] 역시 정규 리그 우승과 [[2012년 한국시리즈|한국시리즈]] 우승을 이뤄 냈다. [[2013년]] 정규 리그 우승과 [[2013년 한국시리즈|한국시리즈]] 우승 후 [[2013년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2013 WBC]]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국가대표팀]] 감독으로 발탁되었으나 1라운드에서 탈락하는 수모를 겪었다. [[2013년]] 시즌 후 계약 기간 3년의 조건으로 계약금 6억 원, 연봉 5억 원 등 총액 21억 원에 [[삼성 라이온즈]]와 재계약했다.<ref>[http://sports.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kbo&ctg=news&mod=read&office_id=109&article_id=0002672898 류중일 감독, 3년 재계약…총액 21억원 사상 최고 대우] - OSEN</ref> [[2014년 아시안 게임|2014 인천 아시안게임]]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국가대표팀]] 감독으로 발탁되어 [[2013년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2013 WBC]] 1라운드 탈락의 쓰라림을 딛고 우승을 이뤄냈다. [[2014년]]에 정규 리그 우승과 [[2014년 한국시리즈|한국시리즈]] 우승을 이끌면서 팀의 사상 최초 통합 4연패를 달성하였고, [[2015년]] 역시 정규 리그 우승으로 5년 연속 정규 리그 우승으로 새 역사를 썼지만, [[2015년 KBO 한국시리즈|한국시리즈]]가 개최되기 전, 삼성 투수들의 해외 원정도박 파문으로 인해 [[2015년 KBO 한국시리즈|한국시리즈]] 우승을 [[두산 베어스]]에게 내주고 만다. [[2016년]]에는 [[박석민]], [[야마이코 나바로|나바로]], [[채태인]]을 잃었고, 외국인 선수 농사 실패, 선수들의 줄부상과 부진으로 팀 최초 정규리그 9위에 머물게 되자, [[2016년]] [[10월 15일]] 계약 만료로 [[김한수 (야구인)|김한수]]에게 감독직을 넘기고 기술고문을 맡게 되었다.
  • 바르나바 복음서 . . . . 3회 일치
         <<TableOfContents>>
         Gospel of Barnabas
          * http://y-jesus.com/more/gbs-the-gospel-of-barnabas-secret-bible/
          * http://www.arabicbible.com/for-muslims/barnabas-gospel/180-gospel-rejected-by-christianity-why/1573-the-gospel-of-barnabas.html
  • 어쌔신 크리드 III/부가요소 . . . . 3회 일치
         <<TableOfContents>>
          * 철제 선체 강화(Iron Hull Reinforcements)
          * 레벨 4: 사관 후보생(Officer Cadet)
          * Battle of Quebec - 난이도 ★☆☆
          * Evacuation of Savannah - 난이도 ★☆☆
  • 어쌔신 크리드 III/아이템 . . . . 3회 일치
         <<TableOfContents>>
          * Officer's Sword
          * Iron Tomahawk
          * Iron Dagger
          시퀀스 7 Battle of Bunker Hill 임무 이후 주어짐. 존 핏케언이 가지고 있던 권총의 레플리카. 원본은 핏케언이 타고있던 말이 총에 맞아 죽었을 때 잃어버렸고, 이걸 후에 이즈라엘 퍼트넘이 습득했다고 한다.
  • 이수민(야구선수) . . . . 3회 일치
         이 영향 때문이었을까, 2013년에 창단한 KT 위즈의 신인 우선 지명 대상자로도 잠시 거론되었으나, [[kt wiz]]가 [[개성고등학교 야구부|개성고]] [[심재민]]과 [[천안 북일고등학교 야구부|북일고]] 류희운을 지명함으로서 [[삼성 라이온즈]] 및 삼성 팬들은 한숨을 놓을 수가 있었으며--그리고 [[한화 이글스]]와 한화 팬들은 울었다--, 경북고 박세웅과 함께 누가 삼성의 1차지명 대상자가 될 것인가에 대한 선택만이 남게 되었다. 그리고 2013년 7월 1일 [[삼성 라이온즈]]의 1차 지명 대상자로 최종 선택되었다.[[http://sports.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kbo&ctg=news&mod=read&office_id=109&article_id=0002566963|#]]. 지명 이후 [[대한민국 U-18 야구 국가대표팀/2013|2013 IBAF U-18 대회]] 대표팀에 발탁되어 활약하기도 했다.
         프로필상 180cm, 82kg의 투수치고는 다소 작은 체격에, 탈삼진 신기록을 세운 10이닝 완투 경기 이외에도 경기가 있을 때마다 선발 투수로 나서서 거의 모든 경기를 책임지며 2013년 5월 21일 당시 7경기에 나서서 평균 139개의 공을 던지는 등 혹사에 대한 우려도 적지 않았으나, 경기를 마치고 난 이후 '''[[삼성 라이온즈]]의 지정 병원'''인 세명 병원에서 마사지 및 회복 치료를 받는 등[[http://sports.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kbo&ctg=news&mod=read&office_id=109&article_id=0002539640|#]], 상원고 및 삼성에서도 관리를 해 주고 있는 점으로 볼 때, 삼성이 이수민에 대한 관심과 기대가 얼마나 큰 지 잘 알 수 있는 부분일 것이며, 많은 삼성팬 역시 [[http://sports.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kbo&ctg=news&mod=read&office_id=109&article_id=0002566981|지명 이후 인터뷰]]를 통해 알 수 있는 이수민의 각오를 보고 난 이후 많은 관심과 활약에 대한 기대를 가지고 있는 중이다.--뭐 그래도 불안하면 우리에겐 [[삼성 트레이닝 센터]]가 있잖아?--
  • 황선필(1939년) . . . . 3회 일치
         '''황선필'''(黃善必,<ref>[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86021500329202015&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86-02-15&officeId=00032&pageNo=2&printNo=12427&publishType=00020 文化放送 사장에 黃善必씨를 선임] - 경향신문, 1986년 2월 15일</ref><ref>[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82060400209201008&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82-06-04&officeId=00020&pageNo=1&printNo=18666&publishType=00020 靑瓦臺 대변인에 黃善必씨를 任命] - 동아일보, 1982년 6월 4일</ref> [[1939년]] ~ , [[경상북도]] [[김천시|김천]])은 [[문화방송]] 사장을 역임한 [[대한민국]]의 [[언론인]]이자 공무원이다.
         * [[아시아 태평양 방송 연합]] 이사<ref>[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86110500329202004&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86-11-05&officeId=00032&pageNo=2&printNo=12650&publishType=00020 黃善必 문화방송사장 亞太放送聯이사에 再選] - 경향신문, 1986년 11월 5일</ref>
  • 1986년 에드먼드 우체국 총기난사 . . . . 2회 일치
         <<TableOfContents>>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86082100329204013&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86-08-21&officeId=00032&pageNo=4&printNo=12586&publishType=00020|당시 경향신문 기사]]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86082100209204009&edtNo=2&printCount=1&publishDate=1986-08-21&officeId=00020&pageNo=4&printNo=19966&publishType=00020|당시 동아일보 기사]]
  • AEC 장갑차 . . . . 2회 일치
         <<TableOfContents>>
         The Encyclopedia of Weapons of World War II, Chris Bishop, 2002
  • Victoria II/기술 및 발명 목록/산업 . . . . 2회 일치
         <<TableOfContents>>
         === Cheap Iron ===
         === Iron Railroad(철제 철로) ===
  • Victoria II/상품 . . . . 2회 일치
         <<TableOfContents>>
         === Iron(철) ===
         === Coffee(커피) ===
  • 경상북도 . . . . 2회 일치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ko/thumb/d/df/Seal_of_North_Gyeongsang.svg/100px-Seal_of_North_Gyeongsang.svg.png
  • 구미시 . . . . 2회 일치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9/95/Scale_model_of_%27Gumi%2C_Gyeongsangbuk-do%27_in_Seoul_Station%2C_1.jpeg/250px-Scale_model_of_%27Gumi%2C_Gyeongsangbuk-do%27_in_Seoul_Station%2C_1.jpeg
  • 국부펀드 . . . . 2회 일치
         <<TableOfContents>>
         이리하여 국부펀드의 영향력이 증가하였으나, 이들의 총자산 등 정보가 비공개 상태라는 점을 염려하여 [[IMF]]에서는 산티아고 원칙 (Santiago Principles)이라는 가이드 라인을 제시했다. 이를 바탕으로 하여 The International Forum of Sovereign Wealth Funds (IFSWF)가 International Working Group of Sovereign Wealth Funds(IWG)에 의하여 출범했다. 2009년 4월에 쿠웨이트에 설립된 IFSWF는 2009년 10월에 멤버들간 정기회의를 아제르바이잔의 바쿠에서 개최하였다. 한국투자공사를 비롯하여 24개 국부펀드가 가입하고 있다.
  • 김지석(배우) . . . . 2회 일치
         ||||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d/d8/Kim_Ji-seok_from_acrofan.jpg/250px-Kim_Ji-seok_from_acrofan.jpg ||
  • 김현정 (1979년) . . . . 2회 일치
         | 그림 =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7/7f/Kim_Hyeon-jeong_%28%EA%B9%80%ED%98%84%EC%A0%95%2C_painter%29_at_The_Exhibition_of_Three_Korean_Artists_at_Today_Art_Museum_in_Beijing%2C_China.jpg/220px-Kim_Hyeon-jeong_%28%EA%B9%80%ED%98%84%EC%A0%95%2C_painter%29_at_The_Exhibition_of_Three_Korean_Artists_at_Today_Art_Museum_in_Beijing%2C_China.jpg
  • 네드 켈리 . . . . 2회 일치
         <<TableOfContents>>
         2003년 개봉된 영화 "네드 켈리"(Ned Kelly)는 네드 켈리를 주인공으로 삼고있다. 네드 켈리 역은 [[히스 레저]]. 그전에 나왔던 1970년작도 있다. 1906년에 나온 켈리 갱 이야기"(The Story of the Kelly Gang)이라는 영화도 있다!
         호주의 소설가 피터 캐리(Peter Carey)는 "True History of Kelly Gang"이라는 소설을 썼다. [[맨부커상]]을 받았다고.
  • 동군연합 . . . . 2회 일치
         ㅡ<<TableOfContents>>
         여담으로, 브란덴부르크가 핵심지였지만, 이후의 국명은 '프로이센'이 되는데 이는 프로이센이 당시 '독일 바깥'으로 인식되었기 때문이다. 신성로마제국 황제는 '독일왕'을 겸하므로 독일영역 내부의 영주는 별도의 왕위를 주장할 수 없다. 프로이센은 본래 독일인의 영역이 아닌 발트계 민족 프루사 족의 땅이라서 별도의 왕위로서 '프로이센 왕'이라는 칭호를 내세우는게 가능했던 것이다.(마찬가지로 체코 지역도 본래의 독일 지역이 아니었으므로 '보헤미아 왕'을 칭할 수 있다.) 다만, 역시 프로이센 공작위도 엄밀히 말하자면 본래 폴란드 왕의 봉신인 신세라 이걸로 트집이 잡힐걸 우려해서인지 'King of Prussia'(프로이센 왕)이 아닌 'King in Prussia'(프로이센 안의 왕)이라는 일종의 외왕내제식 편법을 썼다. 이후 프리드리히 대왕시기에 'King of Prussia'라는 칭호를 쓰게 됀다.
  • 레드 오케스트라 2: 스탈린그라드의 영웅들 . . . . 2회 일치
         <<TableOfContents>>
         Red Orchestra: Heroes of Stalingrad. [[제2차 세계대전]] 당시 [[스탈린그라드 전투]]를 배경으로 한 FPS 게임. [[킬링 플로어]]를 제작했던 게임 제작사 [[트립와이어 인터랙티브]]가 제작 및 유통했다.
          * Bridge of Druzhina
  • 렉스 더 원더독 . . . . 2회 일치
         [[DC 코믹스]]의 [[동물]] 캐릭터. 첫등장은 Adventures of Rex the Wonder Dog #1 (January-February 1952)
         [[디텍티브 침프]]와는 친구. 나이가 들어 은퇴했을 때에 디텍티브 침프와 같이 젊음의 샘에 빠졌는데 이로서 젊음을 얻고, 미 육군 중력이 된 대니와 모험을 했다. 확대동물국(Bureau of Amplified Animals), [[플래시(DC 코믹스)|플래시]]III, 레이버스(Ravers), 워리어(Warrior) 등과도 대면하고 섀도팩트에 협력하기도 했다.
  • 리그컵(K리그) . . . . 2회 일치
         <<TableofContents>>
         다만, 여기에는 제법 잡음이 있었는데 지금와서 생각해보면 엉뚱하게도 [[아디다스]]가 해외상표이기 때문에 "아무리 돈이 좋다지만 해외업체의 이름을 단 대회를 한국에서 치뤄야 하느냐?"라는 [[신토불이]]적 마인드가 표출화 된 것.[*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92060400209217001&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92-06-04&officeId=00020&pageNo=17&printNo=21844&publishType=00020|당시 기사]를 보면 시대의 흐름을 알 수 있다. 기사만 보면 재정자립을 위해 해외업체와의 협력도 꼭 필요하다는 협회의 주장이 일견 타당해 보일 수는 있으나 완산 푸마의 7구단 합류 과정에서 [http://sports.news.naver.com/general/news/read.nhn?oid=001&aid=0003646721|외국 스폰서 이름이 붙었다는 이유]로 참가를 못하게 된 사례를 보면 한국축구계가 왜 이렇게 이상하게 굴러가는지 수긍된다.]
  • 모나 색스 . . . . 2회 일치
         <<TableOfContents>>
         |||| attachment:Sax_InGame.jpg?width=400 ||
         >Lisa's the damsel in distress, I'm the professional. I'd blow you away without batting an eye.
  • 몽고귀신 . . . . 2회 일치
         <<TableOfContents>>
          *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84092000329207016&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84-09-20&officeId=00032&pageNo=7&printNo=11995&publishType=00020
          *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85052400329205001&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85-05-24&officeId=00032&pageNo=5&printNo=12201&publishType=00020
  • 문경시 . . . . 2회 일치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4/43/Museum_of_Old_Roads%2C_Mungyeong_%28%EB%AC%B8%EA%B2%BD_%EC%98%9B%EA%B8%B8_%EB%B0%95%EB%AC%BC%EA%B4%80%29_-_panoramio.jpg/120px-Museum_of_Old_Roads%2C_Mungyeong_%28%EB%AC%B8%EA%B2%BD_%EC%98%9B%EA%B8%B8_%EB%B0%95%EB%AC%BC%EA%B4%80%29_-_panoramio.jpg
  • 문무왕 . . . . 2회 일치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c/c1/Korea-Gyeongju-Gameunsa_temple_pagodas-01.jpg/250px-Korea-Gyeongju-Gameunsa_temple_pagodas-01.jpg
  • 박경석(1933) . . . . 2회 일치
         입교 보름만에 [[6.25 전쟁]]이 발발하자, 박경석 생도를 포함한 생도 2기생들은 [[채병덕]] 당시 [[육군참모총장]]의 어이없는 명으로 윗 기수인 육사 10기생과 육사 생도대대로 편성되어 포천 방면으로 이동, 첫 전투를 치렀다. 졸업 및 임관이 머지않은 육사 10기와 달리 박경석 생도를 포함한 육사 11기는 입교한 지 보름째로 기껏 소총 영점을 맞추었을 뿐이라 실전에 투입될 처지가 아니었다.[* 육군본부 작전국장이었던 [[장창국]] 대령은 태평양 전쟁 시기 일본에서는 전쟁 수행인력이 부족하여, 교육중인 사관생도들을 교육 단축을 시켜 졸업, 임관을 시켜 전쟁에 내보내 전쟁임무 수행의 전례를 들어, 졸업, 임관이 얼마 남지 않는 육사 10기와 11기에 해당하는 생도 2기생들을 교육 중에 투입할 수 없다고 항변했지만 [[채병덕]]에게는 그런 말이 조언으로 들리지 않았다.] 그러나 이들은 채병덕 장군의 오판으로 전투에 투입되었고, 결국 애꿎은 생도 절반이 이 포천 전투에서 전사했다. 박경석 생도를 비롯한 생존자들은 끊어진 한강 다리를 구사일생으로 넘어 후퇴, 임시 수도인 대전 원동 국민학교에서 1기 선배인 육사 10기생들의 철모에 일명 반창고 소위 계급장을 붙여 주며 눈물의 소위 임관식을 치러 주었다.[[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93072900209105001&edtNo=40&printCount=1&publishDate=1993-07-29&officeId=00020&pageNo=5&printNo=22242&publishType=00010|육사 10기생의 눈물겨운 반창고 임관식과 비운의 육사 생도 2기생의 비화.동아일보1993년 軍 어제와 오늘 편]]
         1972년 10월, 육군본부 인사운영감실 대령과장으로 있던 박경석 대령에게 당시 실세 중에 실세 육군 수경사령관 [[윤필용]] 사령관의 참모장 [[손영길]] 대령이 찾아왔다. 육사 12, 13기 출신의 신참 대령들의 연대장 가용 청탁 쪽지였는데, 박경석 대령은 이 쪽지의 명단의 인물들을 대차게 거절했다. 그에 대한 대가는 참혹했다. 한달 뒤, 박경석 대령은 거의 확실시 되던 준장 진급에서, 진급에 한참 밀리던 윤필용 사령관의 직속인 김성배 대령 준장 진급자 명단이 바뀌었다. 그후 2번이나 연거푸 준장 진급 누락끝에 진급이 된 박경석 준장의 첫 보직은 [[6사단]] [[부사단장]] 겸 [[DMZ]] 내에서 발견된 땅꿀 특수개척팀장이었다.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93092300209105001&editNo=45&printCount=1&publishDate=1993-09-23&officeId=00020&pageNo=5&printNo=22296&publishType=00010|박경석 장군의 준장 진급 비화]][* 여기에서 잠깐 짚고 넘어가야 할 부분이 있다면 창군 및 초창기 한국군의 고질적인 병폐 중 하나였던 진급문제에 관해서다. 물론 후자에 기술하겠지만, 이 고질적인 진급문제가 [[5.16]]과 [[12.12]] 일어났던 원인이기도 했다. 창군과 한국전쟁으로 군은 양적 성장에 힘입어 장교들의 진급이 빠른편이었다. 소위 달고 몇개월 후에 대위, 소령 더구나 전쟁으로 인해 단숨에 영관급에서 장성으로 진급하는 일이 많았는데, 전쟁이 끝나자 이러한 초고속 진급은 멈춰졌으며, 특히나 [[군사영어학교]] 출신 70여명 대부분이 장성으로 진급했고, 육군참모총장, 합참의장 자리를 계속하여 번갈아 앉는 사태가 생겼다.--대표적인 인간들이 [[정일권]]과 [[백선엽]]이다. 이들은 대장 진급 후에 육군 참모총장과 합참의장 자리를 번갈아 2번씩 그 자리에 앉았다. 이러니 아래 후배 장교들의 불만과 원성이 쌓여갔으며, 특히나, [[육사 5기]]의 대령급과 [[육사 8기]]의 중령급에서 그 불만이 많았다.--특히나 이런 경향은 1970년대 이후 정규 육사 출신들과 단기 육사 및 비육사 출신간의 진급문제가 두드러졌다. 박경석 장군 같은 경우에도 1950넌에 소위 임관후 전쟁이 끝나자 대위로 있었는데. 1955년 갓 소위 임관한 정규 육사 11기생들이 1970년 후반 영관급 대 장성급으로 진급이 역전되었다. 이 같은 내용은 이등병에서 장군까지 지낸 [[최갑석]] 장군의 증언과 그의 회고록에도 잘 나타나고 있다.]
  • 박정근 (법조인) . . . . 2회 일치
         1942년에 경상북도 에서 태어나 1950년 서울대학교 농과대학을 졸업하고 1955년 제7회 고등고시 사법과에 합격했다. 1959년에 임용된 대구지방법원 등에서 판사를 하다가 1979년 법원장으로 승진하여 춘천지방법원, 1980년 전주지방법원 1980년 대구지방법원 1981년 광주고등법원 1982년 9월 1일대구고등법원, 1984년 서울고등법원에서 법원장을 역임했다.<ref>[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84072100099211002&editNo=1&printCount=1&publishDate=1984-07-21&officeId=00009&pageNo=11&printNo=5656&publishType=00020 매일경제
         * 서울고등법원 형사부에서 배석판사로 있던 1968년 12월 5일에 [[동백림 사건]] 항소심에서 정규명 정하용에 대해 대법원이 파기환송하기 전의 서울고등법원 판결대로 반공법 잠입,탈출죄 등을 적용해 사형을 선고했다.<ref>[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68120500209201019&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68-12-05&officeId=00020&pageNo=1&printNo=14509&publishType=00020]</ref>
  • 백승주(정치인) . . . . 2회 일치
         [[카운터파트]]가 누구인지로 국방 차관의 위상을 짐작해볼 수 있는데, [[미국]]에 방문했을 때는 국방부장관[* United States Deputy Secretary of Defense. 국방부 장관이 아니라 국방 부장관이다.]인 [[로버트 워크]]와 군수차관[* Under Secretary of Defense for Acquisition, Technology and Logistics. 언론에서는 획득차관이란 표현을 많이 쓴다.]인 [[프랭크 켄달]]을 만났다. 일본 [[방위성]]과 만날 때는 [[카운터파트]]로 사무차관[* [[의원내각제]]라 국회의원이 임명되는 방위대신, 방위부대신, 대신정무관과 달리 방위성 [[내부승진]].] [[니시 마사노리]]를 만난다.
  • 백일섭 . . . . 2회 일치
          | 사진 =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8/8d/Baek_Il-Seob_from_acrofan.jpg
         | url =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93031400209210014&editNo=1&publishDate=1993-03-14&officeId=00020&pageNo=10&printNo=22113&publishType=00020&from=news
  • 서울대공원 구미호 . . . . 2회 일치
         <<TableOfContents>>
          *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84092000329207016&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84-09-20&officeId=00032&pageNo=7&printNo=11995&publishType=00020
          *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84092000209210008&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84-09-20&officeId=00020&pageNo=10&printNo=19375&publishType=00020
  • 성현아 . . . . 2회 일치
         | 웹사이트 = {{인스타그램|sunghyunah_official}}
         그 이후 [[2018년]] KBS 2TV 아침 TV 소설 [[파도야 파도야]]로 안방극장에 복귀했는데 KBS 정극으로 치자면 1997년 월화 미니시리즈 [[열애 (1997년 드라마)|열애]]<ref>{{뉴스 인용| 제목= '제주 초원'서 그리는'사랑의 수채화' KBS 새미니시리즈 '열애'6일 첫방송 박상민·성현아·이정길·정애리등 열연| url=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97100300329127006&editNo=45&printCount=1&publishDate=1997-10-03&officeId=00032&pageNo=27&printNo=16233&publishType=00010| 출판사= 경향신문| 저자= 오광수| 쪽= | 날짜= 1997-10-03| 확인날짜= 2018-09-25}}</ref> 이후 21년 만이었으며 그 이후 [[내사랑 누굴까|내 사랑 누굴까]] 등의 KBS 정극에서 섭외가 왔지만 이런저런 사정으로 거절했다.
  • 스쿼키 청소회사 . . . . 2회 일치
         <<TableOfContents>>
         [[모나 색스]]가 맥스가 사는 아파트로 찾아오자 둘을 죽이기 위해 아파트를 습격하지만 실패한다. 맥스에게서 해당 사건을 보고받은 [[짐 브라부라]]는 "다음엔 뭔가? 가방엔 총을 가득 담고 머리는 비디오 게임으로 가득 찬 아이가 집을 사격장으로 바꿔놓는건가? 가슴이 아프군,"[* What next? A Kid with a bag full of guns and a head full of videogames turns the house into a shooting gallery, breaks my heart.]라는 반응을 보였다.
  • 싱가포르 고릴라 유령 . . . . 2회 일치
         <<TableOfContents>>
          *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64040300329203020&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64-04-03&officeId=00032&pageNo=3&printNo=5677&publishType=00020
          *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64040300209203014&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64-04-03&officeId=00020&pageNo=3&printNo=13058&publishType=00020
  • 울산광역시 . . . . 2회 일치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ko/thumb/1/18/Symbol_of_Ulsan.svg/100px-Symbol_of_Ulsan.svg.png
  • 이영은(1982) . . . . 2회 일치
         ||||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9/99/Lee_Young-eun_from_acrofan.jpg/220px-Lee_Young-eun_from_acrofan.jpg ||
  • 이유리(배우) . . . . 2회 일치
         ||||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e/e5/Lee_Yoo-ri_from_acrofan.jpg/250px-Lee_Yoo-ri_from_acrofan.jpg ||
  • 장태영(야구선수) . . . . 2회 일치
         투수로 전향한후 출전한 1947년 제2회 청룡기쟁탈 중등학교 야구선수권에서 140km/h의 매우 빠른 공을 던져 타자들을 꼼짝도 하지 못하게 하며 우승을 차지했고 이어 [[황금사자기]]에서도 팀의 우승을 이끌어 내자 세간에서는 그를 '''[[태양]]을 던지는 사나이'''라고 불렀다. 빠른 직구 뿐 아니라 제구력도 매우 좋았는데 당시 [[동래고등학교 야구부|동래중등학교]]의 에이스였던 [[어우홍]]은 그를 회고하며 "좌완에 아주 빠른 볼을 던졌다. 또한, 몸쪽, 바깥쪽 로케이션이 좋았고, 볼도 낮게 깔려 들어왔다"라는 평을 남기기도 했다.[[http://sports.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kbo&ctg=news&mod=read&office_id=064&article_id=0000002009|기사]]
         경남중 재학시절 "운동선수도 공부를 잘할수 있다."라는 것을 보여주기 위해 코피가 날정도로 공부도 상당히 열심히 했던 그는 [[서울대학교]] 상과대에 진학했다. 대학교 졸업후 그는 [[육군]]에 입대해 [[상무 야구단|육군 경리단]]에 입단하게 되었고 고교시절 라이벌 이었던 김양중, [[박현식]]등과 함께 [[한국실업야구]] 무대를 누볐다.육군 시절에는 외야수로 출전하게 되었고 1954년 제1회 아시아야구선수권 대회에서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초대 멤버로 참가, 야구대표팀의 첫 국제대회 안타를 기록해 내기도 했다.[[http://sports.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general&ctg=news&mod=read&office_id=295&article_id=0000001259|기사]]
  • 전라남도 . . . . 2회 일치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ko/thumb/6/65/Seal_of_South_Jeolla.svg/100px-Seal_of_South_Jeolla.svg.png
  • 전라북도 . . . . 2회 일치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ko/thumb/d/da/Symbol_of_Jeonbuk.svg/100px-Symbol_of_Jeonbuk.svg.png
  • 제주특별자치도 . . . . 2회 일치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ko/thumb/c/cc/Seal_of_Jeju.svg/100px-Seal_of_Jeju.svg.png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e/e5/Central_Government_Office-Jeju.JPG/220px-Central_Government_Office-Jeju.JPG
  • 주다영 . . . . 2회 일치
         | 사진 =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a/a6/Joo_Da-young_from_acrofan.jpg/200px-Joo_Da-young_from_acrofan.jpg
  • 짐 브라부라 . . . . 2회 일치
         <<TableOfContents>>
         |||| attachment:Bravura_InGame.jpg?width=400 ||
         맥스는 그를 "수상쩍은 식습관과는 별개로 브라부라는 좋은 사람이라고 생각한다,"[* Apart from his suspicious food habits I figured Bravura to be one of the good guys.]라고 평했다.
  • 창작:왕국 . . . . 2회 일치
         <<TableOfContents>>
         || 국가원수 || 오드리 톤턴 여왕(Audrey Olivia of Taunton) ||
         || 정부수반 || 엘리엇 입스위치 총리(Elyot William of Ipswich) ||
  • 챔피언스 오브 앵거 . . . . 2회 일치
         Champions of Angor
         [[DC 코믹스]]의 [[슈퍼히어로 팀]]. 첫등장은 Justice League of America #87, February (1971)
  • 콜 오브 듀티 . . . . 2회 일치
         <<TableOfContents>>
         [[http://callofduty.wikia.com/wiki/Call_of_Duty|콜 오브 듀티 위키아]]
  • 콜 오브 후아레즈 : 건슬링어 . . . . 2회 일치
         <<TableOfContents>>
         Call of Juarez: Gunslinger. [[서부개척시대]]를 배경으로 하는 FPS 게임으로, [[콜 오브 후아레즈 시리즈]]의 네번째이자 제일 최근 작품이다.
          * 소드오프 산탄총(Sawed-off Shotgun)
  • 크립토나이트 . . . . 2회 일치
         <<TableOfContents>>
         [[슈퍼맨]]의 대표적인 약점. 본래는 1943년도 슈퍼맨의 라디오 드라마 '슈퍼맨의 모험(The Adventures of Superman)'에 처음으로 등장했다고 한다. 라디오 드라마에서 슈퍼맨을 맡은 배우가 쉬고 싶을때를 위해 만든 물질로 배우가 휴가를 간 사이엔 대역이 크립토나이트 때문에 슈퍼맨이 끙끙대는 것만 연기하면 되었기 때문. 사실 원작자인 제리 시겔이 K-메탈이라는 이름으로 속성이 완전히 같은 물질이 나오는 이야기를 썼었는데 무슨 이유인지 기각되고 시겔이 아이디어를 라디오에 대신 썼다.
          * [[Happy Tree Friends]]의 <Gen of Break>에서는 이를 패러디한 크립토너트가 등장한다.
  • 토시코 막스 . . . . 2회 일치
         <<TableOfContents>>
         1936년 태생, 1971년 런던정치경제대학교를 졸업, 1976년 영국 귀족 블로톤 남작 마이클 막스(Baron Marks of Broughton)와 결혼하여 블로톤 백작 부인 마크스 토시코(Honourable Toshiko Marks, Baroness Marks of Broughton)가 되었다.
  • 토탈워: 쇼군 2 - 사무라이의 몰락/번 . . . . 2회 일치
         <<TableOfContents>>
         스팀판에서는 아이즈 번으로 플레이 하며 한 캠페인에서 신선조를 이용한 장군 암살을 3회 하는 Wolves of Mibu 도전과제가 있다.
         스팀판에서는 토사 번으로 플레이 하며 한 캠페인에서 해군 포격을 5회 하는 Father of the Imperial Navy 도전과제가 있다.
  • 트로피코 4/인물 . . . . 2회 일치
         <<TableOfContents>>
         attachment:Van_Hoof.png
         Brunhilde Van Hoof. UN 사무국장. 각하를 적대한다.
  • 페이데이 2/인벤토리 . . . . 2회 일치
         <<TableOfContents>>
         ==== Ace of Spades ====
          * Enforcer - Tank - Iron Man Ace 스킬 필요
  • 페이데이 2/하이스트/로크 . . . . 2회 일치
         <<TableOfContents>>
         == Birth of Sky ==
         출처: [[http://fbi.overkillsoftware.com/]]
  • 포항시 . . . . 2회 일치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5/57/Hand_of_Coexistence-edit.jpg/90px-Hand_of_Coexistence-edit.jpg
  • 프리덤 파이터즈 . . . . 2회 일치
         [[DC 코믹스]]의 [[슈퍼히어로 팀]]. 첫등장은 Justice League of America #107 (September 1973).
          * [[아이언 먼로]](Iron Munro)
  • 후카다 쿄코 . . . . 2회 일치
          * 오리콘 프로필 : http://www.oricon.co.jp/prof/222878/profile/
  • 155밀리 롱 톰 . . . . 1회 일치
         <<TableOfContents>>
          * [[팔라우 제도]] 페렐리우 섬 전투(Battle of Peleliu)에서 동굴 진지에 틀어박힌 [[일본군]]에게 직사탄을 퍼부었다.
  • COCOM . . . . 1회 일치
         <<TableofContents>>
  • Crusader Kings 2 . . . . 1회 일치
         <<TableOfContents>>
          6. 인물의 문화, 야망, 관심사, 능력치. 야망과 관심사는 Way of the Life DLC를 구매해야 나오는 기능이다. 예시의 무르하는 아일랜드인이며 전체적으로 암담한 능력치를 지니고 있다. 괄호 안의 능력치는 국가 능력치로, 이것이 실질적인 능력치이다. 국가 능력치는 군주 능력치+군주의 배우자 능력치+해당 능력치와 관련된 주요 직책의 능력치이다. 각 능력치에 대한 정보는 다음과 같다.
  • GHQ . . . . 1회 일치
         <<TableOfContents>>
         General Headquarters of the Supreme Commander for the Allied Powers
  • HelpOnEditing . . . . 1회 일치
         <<TableOfContents>>
         {{{[[목차]]}}}가 아니라 {{{<<TableOfContents>>}}}를 입력해야 합니다.
          * [[WikiPedia:Web_colors|웹컬러]]: HTML에서 정의한 16가지 색상 이름 및 [[WikiPedia:List_of_colors|색상코드]] : 확장 색상 이름 (X11 컬러 이름)
  • I Didn't Raise My Boy to Be a Soldier . . . . 1회 일치
         <<TableOfContents>>
         || 1 절 || Ten millions of soldier war have gone
         Ten millions mother's hearts must break
  • MoniWiki/HotKeys . . . . 1회 일치
          ||``<ESC>``||Go 'into'/'out of' the 'Go' form|| ||
  • OrganizationTemplate . . . . 1회 일치
         <<TableofContents>>
  • USS 뷰캐넌 . . . . 1회 일치
         <<TableOfContents>>
         미국 메인 주에 위치한 배스 철공소(Bath Iron Works)에서 건조. 1919년 1월 20일, 미국 보스턴에 위치한 찰스타운 해군기지에서 취역하였다. 함명의 유래는 미 해군 제독 프랭클린 뷰캐넌(Franklin Buchanan)으로, [[미국-멕시코 전쟁]]에 참가했으며, [[남북전쟁]]에서 남부 소속으로 활동한 인물이었다.
  • USS 피닉스 (CL-46) . . . . 1회 일치
         <<TableOfContents>>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82050400329201007&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82-05-04&officeId=00032&pageNo=1&printNo=11260&publishType=00020|네이버 뉴스 라이브러리 - 경향신문 - 피격 아르헨순양함 침몰 승무원 오백여명 사망(한국어)]
  • Victoria II/군사와 전투 . . . . 1회 일치
         <<TableOfContents>>
          * 철갑함(Ironclad)
  • Victoria II/기술 및 발명 목록/문화 . . . . 1회 일치
         <<TableOfContents>>
         === The Rights of Man(인권) ===
  • 경골목구조 . . . . 1회 일치
         <<TableOfContents>>
          * Battle Cry of Freedom: The Civil War Era, James McPherson, 17p.
  • 경마 . . . . 1회 일치
         <<TableOfContents>>
         1174년, [[영국]]의 [[헨리 2세]] 때 현재와 같은 명칭을 쓰는 경마가 나타나게 된다. 중세의 경마는 왕과 귀족들이 즐겼기 때문에 왕의 스포츠(Sports of Kings)로 불렸다. 1780년 현대 경마의 기원이라 불리는 더비 경마가 열렸다.
  • 고독의 요새 . . . . 1회 일치
         Fortress of Solitude
  • 그랜드 펜윅 공국 . . . . 1회 일치
         <<TableOfContents>>
         Duchy of Grand Fenwick. 소설 [[약소국 그랜드 펜윅 시리즈]]에 등장하는 가상의 국가.
  • 김우동 . . . . 1회 일치
         1958년 [[제4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도 자유당 후보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그러나 해당 선거구에서 무소속으로 출마했던 [[김동석]]이 재검표 소송을 제기하여 재검표 결과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58102400209103011&editNo=1&printCount=1&publishDate=1958-10-24&officeId=00020&pageNo=3&printNo=11159&publishType=00010|당락이 뒤바뀌면서 국회의원직을 상실하였다]].
  • 김천추풍령할매갈비 본점 . . . . 1회 일치
         https://img1.daumcdn.net/thumb/R1920x0.q100/?fname=http%3A%2F%2Fpostfiles1.naver.net%2FMjAxNzA5MzBfMTgw%2FMDAxNTA2NzgxNzU3Njkz.FIbKYMXxjjDcXF68dLRCn5o3Ght_RQZhFKz8RZJ8XCgg.ioFTNV1-2Hdd_2rpcb-T_fyMlNSZyJi9TJazrewumaMg.JPEG.sjh5418%2Fimage_5239971551506781683269.jpg%3Ftype%3Dw966
         https://blogfiles.pstatic.net/MjAxNzA5MDdfNjYg/MDAxNTA0NzUxMjcxNDYz.SmQRtoQcZ49nconVtG4JDh0LLMRIrye6wEDN5EVGTLkg.gfQzkjCX_dpoQJXMNWt5uq7V7XzfwOPvNd-FGyVofsUg.JPEG.goldbok07/image_7850476421504751139903.jpg
  • 디텍티브 침프 . . . . 1회 일치
         [[DC 코믹스]]의 캐릭터. 문자 그대로 [[침팬지]] [[탐정]]. 본명은 보보(Bobo). 첫등장은 Adventures of Rex the Wonder Dog #4 (July-August 1952).
  • 런던 맥주 홍수 사건 . . . . 1회 일치
         <<TableOfContents>>
         사건 직후 양조장에 대한 수사가 이뤄졌지만 도저히 인위적인 원인을 찾아낼 수가 없어서 결국 '불가항력'(Act of God)으로 결론이 났다.
  • 로버트 켈리 . . . . 1회 일치
         <<TableOfContents>>
         위의 방송사고 사건과 연관된 것. 위의 상황 비디오를 BBC가 업로드 하면서 인터넷에서 유머 영상으로 널리 퍼지게 됐는데 --이렇게 박근혜 탄핵은 딱히 관심없던 사람들에게도 알려졌다-- 영어권 언론매체나 인터넷에서 많은 사람들이 아이들을 데려가는 로버트 켈리 교수의 아내를 보고 "겁먹은 유모(horrified nanny)"라고 표현하거나, "저 유모/베이비시터는 해고당하겠다."는 댓글을 달았던 것이다. [[http://www.latimes.com/nation/la-na-bbc-professor-video-asian-wife-nanny-stereotypes-20170310-story.html (참조)]]
  • 류자키 레이카 . . . . 1회 일치
         <<TableOfContents>>
          * http://shirofvgt.hatenablog.com/entry/2015/09/24/%E3%80%8E%E3%82%A8%E3%83%BC%E3%82%B9%E3%82%92%E3%81%AD%E3%82%89%E3%81%88%EF%BC%81%E3%80%8F%EF%BC%9A%E3%81%8A%E8%9D%B6%E5%A4%AB%E4%BA%BA%E3%81%AF%E3%82%82%E3%81%AE%E3%81%99%E3%81%94%E3%81%8F%E3%81%84
  • 리전 오브 몬스터즈 . . . . 1회 일치
         Legion of Monsters
  • 맥스 페인 . . . . 1회 일치
         <<TableOfContents>>
         Max Payne. [[핀란드]] 회사 [[http://www.remedygames.com/games/|레미디 엔터테인먼트]]가 제작하고 [[미국]] 회사 [[http://www.rockstargames.com/|락스타 게임즈]]가 유통한 TPS [[게임]]. 마약 중독자에 의해 가족을 잃고, 동료 형사를 죽였다는 누명을 쓴 [[뉴욕]]의 [[형사]] [[맥스 페인(캐릭터)|맥스 페인]]이 사악한 음모를 밝혀낸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Ragna Rock. 잭 루피노의 개인 나이트클럽. 오래된 극장을 개조해서 만들었다. 맥스의 말로는 "마약굴"[* A den of drugs]이라고. 내부 인테리어가 상당히 기분 나쁘다. 이름의 유래는 [[북유럽 신화]]의 세상의 종말인 [[라그나로크]].
  • 맥스 페인 2: 맥스페인의 몰락 . . . . 1회 일치
         <<TableOfContents>>
         [[http://www.rockstargames.com/maxpayne2/|공식 홈페이지]]
         Max Payne 2: The Fall of Max Payne. TPS 게임 시리즈인 [[맥스 페인 시리즈]]의 두번째 작품. 2003년 발매되었다.
  • 몽키 D. 루피 . . . . 1회 일치
          * 이를 뛰어 넘는 것으로, [[범프 오브 치킨]]의 Sailing day MV에서는 무수한 루피(의 코스프레)가 뛰어다녔다.(...) 단, 이 경우는 해당 곡 자체가 원피스 4기 극장판 엔딩곡이었기 때문에 나온 연출.[* 여담으로 이 MV에는, 이 연출뿐만 아니라, 무수한 여고생들이 뛰어댕긴다거나(...), 갑자기 쓰레기 폭풍이 몰아친다거나(...) 하는 연출도 있다. 더 재미있는 건 이 상황에서도 열심히 라이브를 하는 [[Bump of Chicken]]의 모습(...)]
  • 미스터 마인드 . . . . 1회 일치
         겉모습은 그냥 벌레. 문자 그대로 보통 애벌레 크기다. 그런 이유로 [[블랙 아담]]이나 [[아이박]]처럼 괴력을 발휘하는 것은 아니나 [[닥터 시바나]]처럼 지능형 빌런인데다 정신계 능력을 써서 만만치않은 적이다. [[몬스터 소사이어티 오브 이블]](Monster Society of Evil)의 일원이기도 하다.
  • 미스터 아톰 . . . . 1회 일치
         [[DC 코믹스]]의 캐릭터. 첫등장은 Captain Marvel Adventures #78 (1947), 이후 The Power of Shazam! #23 (1996)
  • 박진성(시인) . . . . 1회 일치
         그러나 허위로 밝혀졌음에도 여전히 정신 못차리는 인간들이 오프라인과 온라인 가리지 않고 많다. [[아몰랑|조리돌림해놓고 사과 한 마디도 하지 않는 건]] 양반이고, 아직도 허위사실을 유포하고 있다. [[https://twitter.com/poetone78/status/934804441760350208|#1]][[https://archive.is/LXMJh|@1]][* 첫번째 예시에 나온 사람은 트위터와 인스타그램에서 리을과 시옷이라는 닉네임을 쓴 적 있고 김여선 또는 이선이라는 이름을 쓰고 있으며, 주점 레스토랑 Cooper Room(카퍼룸)([[https://twitter.com/Copper_Room_|#트위터 계정]][[https://store.naver.com/restaurants/detail?id=37996846|#네이버 플레이스 정보]])에서 일하는 요리사이자 시인 지망생[[https://twitter.com/satoy_0045/status/928626634474663936|#]][[https://archive.is/Nhple|@]]인데, 이 사건에서 [[https://twitter.com/poetone78/status/926453624502284288|박 시인에게 무고죄로 고소당한 2명 중 한 명]]([[https://archive.is/yofTZ|@]])이다. 무고죄로 기소유예를 받은 뒤에 트위터 계정을 완전히 삭제했다가 파란이 사그라들자 다시 계정을 복구하였다. 여러 문학 작품들만 인용하는 식으로 한동안 이 건에 대해 이야기하지 않았다가 [[탁수정]]과 박 시인 간의 설전에서 자극을 받았는지 2월에 갑자기 박진성 시인을 공격했었는데, 김여선의 전과를 아는 사람들이 있어서인지 반응은 대체로 싸늘한 편이었는데다 도리어 대중들이 자신의 죄를 역으로 캐묻기 시작하자 수세에 몰린 것을 직감했는지 다시 트윗들을 삭제했고, 사태가 다시 잠잠해지자 자신을 비판했던 이들을 고소할 것을 선언했다. 3월에 또 박 시인을 공격했지만 예전에 비해 호응해주는 사람이 없어서인지 며칠 후부터는 다른 일에만 전념하고 있는 듯했는데, 4월 16일에 [[https://twitter.com/poetone78/status/985887446482042883|'이후의 삶' 펀딩을 망치기 위해 다른 사람인 척해서 거금을 후원하겠다고 했다가 취소하려는 수작이 들켰다]]고 한다.][[https://twitter.com/poetone78/status/923667324225306624|#2]][[http://web.archive.org/web/20171127054338/https://twitter.com/poetone78/status/923667324225306624|@2]][* 유진목이라는 1인 영상 제작사 목년사를 운영하고 있는 작가다. [[http://www.yes24.com/24/AuthorFile/Author/171395|#]]] 심지어 이 중 [[https://twitter.com/poetone78/status/934776705218068482|송승언]]([[https://archive.is/HxWyl|@]])이라는 사람은 [[http://moonji.com/bookauth/9173/|월간 문예지 현대문학으로 등단한 시인]]인데 2017년 5월 17일 이후로 주로 트위터에서 박진성 시인을 성폭력 가해자로만 단정짓고 이야기했으며, 무혐의 처분 후에도 사과 한 마디도 하지 않았다! [[https://twitter.com/search?f=tweets&vertical=default&q=blanknoose%20박진성&src=typd|#]][[https://archive.is/286Iy|@]] 이후 박진성 시인의 무고가 확실해지면서 자신에게도 비난의 목소리가 이어지자 한동안 [[https://twitter.com/blanknoose|트위터 계정]]을 비공개로 전환하였다가 사태가 잠잠해지면 다시 공개로 전환하는 것을 반복하고 있다.[* 웃긴 것은 2017년 5월 24일부터 자신의 전 연인이자 후배 문학도에게 '문단창녀'라 성희롱한 사실을 숨기기 위해 박진성을 이용했다는 의혹을 받고 있으며, 송승언은 이에 대응하지 않고 자신에게 비판하거나 박진성 편을 드는 자들은 무시당해도 싸다는 정신승리로 침묵하고 있으며 박진성 시인을 모욕했다는 증거를 삭제하고 있다(증거 자체는 예전부터 삭제하고 있었다고 한다.). [[https://twitter.com/poetone78/status/867579611017658372|#1]][[https://archive.is/z5QTN|@1]][[https://twitter.com/blanknoose/status/936928452875186180|#2]][[https://archive.is/IMg8R|@2]][[https://twitter.com/poetone78/status/899014088801386496|#3]][[https://archive.is/IdmMq|@3]]]
  • 배경 세계 공유 . . . . 1회 일치
          장난감 회사인 하스브로와 관련이 있으며 준비 단계라 한다. <지 아이 조(G.I. Joe) 시리즈> 외에도 <M.A.S.K.>, <Micronauts>, <Rom>, <Visionaries: Knights of the Magical Light>가 등장한다는 정보가 있다. 또한 <트랜스포머(Transformers) 시리즈>가 리붓트되면서 이 프랜차이즈에 소속된다는 이야기도 있다. 다만, 이러한 것이 확정이라는 보장은 없다.
  • 백작 . . . . 1회 일치
         <<TableOfContents>>
         북게르만어에서 '족장'을 뜻하는 야를(jarl)에서 따온말이다. 바이킹들의 지속적인 브리튼으로의 침략과 그에 따른 교류로 인해 나온 칭호. 다만 브리튼 내부의 영지를 두고만 earl이라고 했던걸로 보이며, 섬외부 영지는 count of~식으로 구별해 뒀다.
  • 벌교 백여우 . . . . 1회 일치
         <<TableOfContents>>
          *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63070500329205018&editNo=6&printCount=1&publishDate=1963-07-05&officeId=00032&pageNo=5&printNo=5444&publishType=00020
  • 브로포스/브로 . . . . 1회 일치
         <<TableOfContents>>
         == 더 브로페셔널(The Brofessional) ==
  • 블리치/674화 . . . . 1회 일치
         <<TableOfContents>>
         [[블리치]] 674화. '''God of Thuender 3'''
  • 블리치/675화 . . . . 1회 일치
         <<TableOfContents>>
         [[블리치]] 675화. '''God of Thuender 4'''
  • 블리치/684화 . . . . 1회 일치
         <<TableOfContents>>
         [[블리치]] 684화. '''Son of Darkness'''
  • 블리치/689화 . . . . 1회 일치
         <<TableOfContents>>
         [[블리치]] 689화. '''Horn of Salvation 2'''
  • 비니 고그니티 . . . . 1회 일치
         <<TableOfContents>>
         |||| attachment:Gognitti_InGame.jpg?width=400 ||
  • 빗치 . . . . 1회 일치
         <<TableOfContents>>
         bitch는 적어도 14세기에서 15세기에는 이미 여성을 모욕하는 욕설로서 쓰이고 있었다. 프란시스 그로스(Francis Grose)의 저속한 혀의 사전(Dictionary of the Vulgar Tongue, 1785)에 따르면 이는 여성에게 할 수 있는 가장 저속한 욕설로서, 창녀(whore)보다도 나쁘다고 언급된다.
  • 생리적으로 무리 . . . . 1회 일치
         <<TableOfContents>>
          * http://www.tokiomonsta.tv/hitomebo/column/article/235-hitomebo-oyamoya-of-women.html
  • 성격 . . . . 1회 일치
         <<TableOfContents>>
         로버트 플러치크(Robert Flutchik)에 의하면 8가지 기본적인 감정이 있고 그 정도에 따라 다른 감정으로 나뉜다. 자세한 것은 [[https://en.wikipedia.org/wiki/Contrasting_and_categorization_of_emotions|여기]]를 참고. 굵게 쓴 글씨가 기본 감정.
  • 세븐 솔저스 오브 빅토리 . . . . 1회 일치
         <<TableOfContents>>
         The Seven Soldiers of Victory
  • 송남헌 . . . . 1회 일치
         * [http://dna.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90090800329219001&edtNo=3&printCount=1&publishDate=1990-09-08&officeId=00032&pageNo=19&printNo=13833&publishType=00020 1990년 9월 8일자 경향신문]
  • 스틸오션/독일 . . . . 1회 일치
         <<TableOfContents>>
         >7형(Type VII)의 기본 시험형이었던 7A형(Type VIIA)은 독일 해군의 공격 잠수함으로 활동했다. 제1차 세계대전 당시 3형에 기술적 기반을 둔 VIIA형 유보트는 1933년 설계되었다. 7형은 뛰어난 성능과 빠른 잠항 속도를 자랑했다. 모두 합쳐 11대의 7A형 잠수함이 건조되었다. 이중에는 대서양 해전의 첫 희생양인 여객선 아테나(Athena)를 격침시킨 U-30도 있었다. 제2차 세계대전 당시, U-32는 배수량 42,348톤 정기선 엠프리스 오브 브리튼(Empress of Britain)을 격침시켰다. 제 2차 세계대전에서 손실된 7A형 잠수함은 U-29와 U-30 단 두척이었다. 살아남은 7A형 잠수함은 모두 자침되었다.
  • 시티락 . . . . 1회 일치
         마블 관련 게임에 등장. PS2, PSP인 Spider-Man: Web of Shadows에 등장했다.
  • 아데랑스 . . . . 1회 일치
         <<TableofContents>>
  • 아마쿠사 키리시탄 진중기 . . . . 1회 일치
         <<TableOfContents>>
         잔 다르크의 군기는 실물은 현존하지 않으며, 현대 프랑스에서는 '표준 도안'이 제시되고 있지만 이 도안은 순차적으로 후대에 만들어진 것이다. 잔 다르크의 군기는 개념은 있지만 특정한 실물은 아니고 유물적 가치가 있는 것은 아니다.[[http://saint-joan-of-arc.com/banner.htm (참조)]] [[http://www.stjoan-center.com/j-cc/ (참조)]]
  • 아워맨 . . . . 1회 일치
         3명이 존재하며, 각자 1시간 동안의 초능력이란 공통점이 있다. 맨 오브 더 아워(Man of the Hour)라고도 불린다.
  • 아이유 . . . . 1회 일치
         | style="text-align:center;"| <ref>{{웹 인용|url=http://eng.jeonjufest.kr/db/movieView.asp?idx=4075&reUrl=%2Fticket%2FtimeTable_day%2Easp%3FdayNum%3D3#|title=Jeonju Cinema Project 2019: Shades of the Heart|publisher=Jeonju International Film Festival|accessdate=October 25, 2019}}</ref>
  • 알프레드 우든 . . . . 1회 일치
         <<TableOfContents>>
         이후 니콜 혼을 죽인 맥스가 경찰에 체포되는걸 보고 승자의 미소를 짓는다. 그걸 본 맥스는 "우리 둘이 해낸 승리였다,"[* That made to of us.]라며 함께 미소를 짓는다.
  • . . . . 1회 일치
         [[TableofContents]]
  • 애로우버스 . . . . 1회 일치
          * [[DC's Legends of Tomorrow]] - 타임마스터 립 헌터를 중심으로 하여, 아톰, 파이어스톰, 화이트 카나리, 호크걸, 호크맨 등 애로우와 플래시에서 출연하던 캐릭터들이 한 자리에 모였다.--애로우와 플래시에서 남는 애들을 모아놓은 잡탕 드라마.--
  • 어쌔신 크리드 III . . . . 1회 일치
         <<TableOfContents>>
         2016년 12월, 유비소프트 30주년 기념 이벤트 Ubi30에 의해 무료로 풀렸다. [[https://club.ubisoft.com/en-en/ubi30|링크]].
  • 어쌔신 크리드 III/아이템/대번포트 농지 . . . . 1회 일치
         <<TableOfContents>>
          * 철광석(Iron Ore)
  • 오토하(연예인) . . . . 1회 일치
         <<TableOfContents>>
          * http://profile.ameba.jp/otohappy/
  • 오프라인 . . . . 1회 일치
         offline
         <<TableOfContents>>
  • 옴 진리교 . . . . 1회 일치
         <<TableofContents>>
  • 위저드리 6 . . . . 1회 일치
         <<TableOfContents>>
         위저드리 시리즈의 6번째 작품. 부제는 Bane of Cosmic Forge. 일본어판의 부제는 '금단의 마필'.
  • 유기농 . . . . 1회 일치
         현재 한국에서 유기농 제품은 (1) 3년 이상(다년생작물, 그외 작물은 2년) 화학비료/농약을 사용하지 않은 논/밭에서 재배되어야 함 (2) 농수산식품부에서 인정한 인증기관에서 인증을 받아야 함 이라는 두가지 조건을 만족해야 한다.[http://hyunsoolim.com/eco-friendly/holes-of-organic-food/ 참조]
  • 이별대행업체 . . . . 1회 일치
         <<TableOfContents>>
          * https://www.voiceofdance.com/
  • 이웃집 잔디는 푸르게 보인다 . . . . 1회 일치
         <<TableOfContents>>
         The grass is always greener on the other side of the fence.
  • 이윤열 . . . . 1회 일치
         2000년도 경 iTV 고수를 이겨라라는 프로그램에 출연해 최인규를 격파한 것이 데뷔전이었으며 이후 2001년 상반기, Game-i(이후 [[화승 OZ]]의 전신인 IS와 합병)에 입단하면서 프로게이머 활동을 시작하였다. 2002년 12월엔 KTF 매직엔스(현 [[KT 롤스터]])로 임대 이적했고, 이듬해 2003년 12월 24일 투나 SG(현 [[위메이드 폭스]])로 복귀한 이후 2010년까지 활동했다.
  • 이준승 . . . . 1회 일치
         * 대법원 판사로 재직하던 1984년 1월 27일에 불온 유인물 소지로 신고된 사람에 대해 영장없이 압수수색하고 연행하여 6일동안 불법 구금한 진주경찰서 정보계장 김태진(64) 등 3명을 상대로 낸 불법구금 등 불기소처분 기각에 대한 [[재정신청]] 사건 항고심(주심 [[이회창]])에서 인용되어 환송된 사건의 재항고심 주심을 맡아 "경찰의 불법구금 사실은 인정되나 경찰관들이 수사업무에 과잉의욕을 보이다 위법행위를 저질렀고 오랜 정보업무에 종사하며 국가에 공헌한 점 등을 고려할 때 검찰의 불기소 처분은 타당하다"는 이유로 기각했다.<ref>[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87012800209210003&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87-01-28&officeId=00020&pageNo=10&printNo=20099&publishType=00020 경향신문 1987년 1월 28일자]</ref>
  • 이철우(1955) . . . . 1회 일치
         2018년 8월 6일 청탁과 관련하여 의혹이 제기되었다. 당사자는 민원이라고 주장하고 있어 좀더 지켜보아야 될 것 같다. [[https://m.news.naver.com/read.nhn?oid=052&aid=0001178176&sid1=100&backUrl=%2Fhome.nhn&light=off|#]]
  • 인교진 . . . . 1회 일치
         |웹사이트 = [http://www.keyeast.co.kr/index/artist/profile.asp?art_idx=54 키이스트 인교진]<br>{{싸이월드|gyojin}}
  • 임인배 . . . . 1회 일치
         1954년 [[경상북도]] [[김천시]]에서 태어났다. [[김천고등학교]], [[영남대학교]] 법학과를 졸업하였다. 이후 [[대한민국 검찰청]] 수사관으로 근무하였다. 1995년 현직 검찰 수사관 신분으로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95012800329116014&editNo=20&printCount=1&publishDate=1995-01-28&officeId=00032&pageNo=16&printNo=15325&publishType=00010|"조국을 남기고 님은 가셨습니다"라는 소설을 발간하였다]]. 그리고 자신의 호를 따서 덕천장학회를 설립하여 운영하였다.
  • 전일본공수 . . . . 1회 일치
         <<TableofContents>>
  • 제303전투비행중대 . . . . 1회 일치
         <<TableOfContents>>
         영국의 방송국 [[채널 4]]는 제303전투비행중대를 다룬 [[플래시 게임]]을 만든 적이 있다. [[http://www.kongregate.com/games/channelfour/battle-of-britain-303-squadron|하러가기]]
  • 제너럴 우 . . . . 1회 일치
         [[마블 코믹스]]의 슈퍼 빌런. Tales of Suspense #61/2 (January 1965)
  • 줄리아나 도쿄 . . . . 1회 일치
         <<TableOfContents>>
          * http://www.officej1.com/bubble/kinpika1.htm
  • 진창현(음악인) . . . . 1회 일치
         1976년 12월에는 [[미국]]의 [[필라델피아]]에서 개최된 미국 현악기 제작자 협회(The Violin Society of America) 주최의 제2회 국제 현악기 제작자 경연대회에 참가해 여섯 개 부문 중 바이올린 세공 부문, 비올라 세공/음향 부문, 첼로 세공/음향 부문에서 [[http://www.vsaweb.org/Previous-Conventions|금메달을 수상]]하면서 세계구급 제작자로 명성을 확고하게 만들었고,[* Chang Heyern Jin이라고 표기된 수상자가 바로 진창현이다.] 1984년에는 미국 현악기 제작자 협회에서 무감사 현악기 제작자(Hors Concours)[* 다른 악기 제작자나 감정가의 감사 없이 자신의 이름을 내걸고 악기를 제작/판매할 수 있는 장인이라는 뜻.] 자격과 마스터 메이커(Master Maker) 칭호를 받았다.
  • 착취용 애완용 아이 . . . . 1회 일치
         <<tableofcontents>>
  • 청년 튀르크 당 . . . . 1회 일치
         [[파리]]에서 학생, 청년 사관, 지식인들이 비밀 결사인 '통일진보위원회(Committee of Union and Progress/CUP)'를 조직하여, 헌법의 부활과 전제 정치 폐지를 목적으로 활동하였다. 아메드 리자라는 지식인이 이 단체의 주대변인이 되었다. CUP는 [[자유주의]] 사상을 유포하고 고무하는데 주요한 역할을 하였다.
  • 카네다 쇼타로 . . . . 1회 일치
         <<TableOfContents>>
         태양의 사자의 더빙판인 'The New Adventures of Gigantor'에서의 이름은 'Jimmy Sparks'.[* 다른 캐릭터들도 더빙판에서는 다른 이름이다. 시키시마 박사는 'Bob Brilliant', 오오츠카는 'Inspector Blooper'.]
  • 칼리파 하프타르 . . . . 1회 일치
         <<TableOfContents>>
         2014년 2월, 하프타르는 TV를 통하여 서부지역을 중심으로 한 일반 국민회의에 반대하는 봉기를 일으키라고 선언했다. 하프타르는 리비아 수도 트리폴리에서 의회 의사당을 장갑차와 로켓포로 공격하여 의회 권한 정지를 선언했으며, 국민군은 벵가지에서 이슬람 무장단체 '안사르 알 샤리아' 등 이슬람계 세력에 공격을 퍼부었다. 이 사실상 [[쿠데타]]를 계기로 하여 리비아 국민군에는 세속주의 반군 세력이 모두 결집하게 된다. 2014년 6월 국민투표(유권자 중 18%, 약 63만 명 투표)를 거쳐 동부지역에서는 대표자 정부(the House of Representatives)가 2014년 8월 4일 창립되어 일반 국민회의를 대체했다. 하프타르는 리비아 국민군(the Libyan National Army)의 사령관으로 임명되었다.
  • 컴퍼니 오브 히어로즈 . . . . 1회 일치
         <<TableOfContents>>
         Company of Heroes. [[제2차 세계대전]], 그중에서도 서부전선을 배경으로 한 [[RTS]] 게임.
  • 콜 오브 후아레즈 : 건슬링어/줄거리 . . . . 1회 일치
         <<TableOfContents>>
         == A Fistful of Hot Lead ==
  • 크루세이더즈 . . . . 1회 일치
          Spirit of '76
  • 크림 전쟁 . . . . 1회 일치
         <<TableOfContents>>
         [[발라클라바 전투]] 도중 영국군 경기병대가 명령 착오로 인해 러시아군 대포 앞으로 돌진, 엄청난 피해를 입은 사건이 있었다. 이 사건은 "[[경기병 여단의 돌격]]"[* Charge of the Light Brigade]이라는 이름으로 역사에 기록되었다.
  • 토이 솔져스: 콜드 워 . . . . 1회 일치
         <<TableOfContents>>
          미국은 Fog of War(전장의 안개). 소련은 Red Scare(적색 공포). 살충제.
  • 토탈워: 쇼군 2 . . . . 1회 일치
         <<TableOfContents>>
          * Rise of the Samurai Campaign
  • 토탈워: 쇼군 2 - 사무라이의 몰락 . . . . 1회 일치
         <<TableOfContents>>
         Total War: Shogun 2 - Fall of the Samurai. 잉글랜드의 게임회사 [[http://www.creative-assembly.com/|크리에이티브 어셈블리]]가 제작하고 [[SEGA]]가 유통한 전략 게임. [[토탈워: 쇼군 2]]의 스탠드 얼론 확장팩이다.
  • 토탈워: 쇼군 2/요원 . . . . 1회 일치
         <<TableOfContents>>
          * 의지력(Strength of Will) - "주군을 위해 어떤 짓이든 할 수 있는 자의 마음속에는 확고함으로 가득 차 있다."
  • 특별고등경찰 . . . . 1회 일치
         <<TableofContents>>
  • 페이데이 2 . . . . 1회 일치
         <<TableOfContents>>
          영화 [[포인트 브레이크]]와의 콜라보 DLC. 산 지하의 PMC 기지를 털어먹는 Beneath the Mountain 하이스트와 수송기로 운송중인 현금을 털어먹는 Birth of Sky
          * The Official Soundtrack
  • 페이데이: 더 하이스트 . . . . 1회 일치
         <<TableOfContents>>
          * Big Game Hunters
  • 편의치적 . . . . 1회 일치
         <<TableOfContents>>
         便宜置籍, flag‐of‐convenience vessel
  • 포스탈 리덕스 . . . . 1회 일치
         <<TableOfContents>>
          * Parade of Diasters
  • 프로페서 아이보 . . . . 1회 일치
         Professor Ivo
  • 핑커톤 . . . . 1회 일치
         <<TableofContents>>
  • 하이모 . . . . 1회 일치
         <<TableofContents>>
  • 핫라인 마이애미 . . . . 1회 일치
         <<TableOfContents>>
         Hotline Miami. Dennaton Games가 개발하고 Devolver Digital이 유통한 인디 액션 게임.
  • 허드슨 대학교 . . . . 1회 일치
         [[TableOfContents]]
         DC 코믹스의 허드슨 대학은 1969년에 배트맨(The Batman) 코믹스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다. [[딕 그레이슨]](로빈, 나이트윙)이 이 학교에 다녔던 것으로 묘사된다. 1984년 New Adventures of Superboy 코믹스에서는 슈퍼맨 클락 켄트가 이 학교에 다닐 것을 고려하는 묘사가 있다. 즉, '''[[슈퍼맨]]도 거부한 대학'''이다(…).
  • 허쉬 . . . . 1회 일치
         <<TableofContents>>
  • 히어로즈 포 하이어 . . . . 1회 일치
         [[마블 코믹스]]의 [[슈퍼히어로 팀]]. 첫등장은 Power Man and Iron Fist #50 April 1, 1978
11531의 페이지중에 215개가 발견되었습니다 (3270개의 페이지가 검색됨)

여기을 눌러 제목 찾기를 할 수 있습니다.

Valid XHTML 1.0! Valid CSS! powered by MoniWiki
last modified 2021-04-08 19:24:12
Processing time 3.6607 se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