팝업레이어 알림

팝업레이어 알림이 없습니다.
E D R , A S I H C RSS

"BR"에 대한 역링크 찾기

BR의 역링크


역링크만 찾기
검색 결과 문맥 보기
대소문자 구별
  • 강영식
         || '''프로입단''' || [[한국프로야구/2000년/신인드래프트|2000년 2차지명 2라운드]] [br] (전체 10순위, [[해태 타이거즈|해태]]) ||
         || '''소속팀''' || [[해태 타이거즈]] (2000) [br] [[삼성 라이온즈]] (2001~2006) [br] [[롯데 자이언츠]] (2007~2017) ||
         6월 28일 [[사직 야구장]]에서 열린 [[NC 다이노스]]와의 경기에서 1:4로 앞선 8회 2사후에 등판하여 9회 2사까지 무실점으로 틀어막으면서 세이브를 눈앞에 두었지만 [[에릭 테임즈]]와 [[이호준]]에게 연속안타를 맞아 --[[머나먼 다리|a bridge too far]]-- [[정대현(1978)|정대현]]에게 마운드를 넘겼다. 8회 올라오자마자 병살타를 잡아내 이닝을 끝냈기에 그리 까이지는 않다. 다행히 정대현은 대타로 나선 [[조영훈]]을 투수 앞 땅볼로 아웃시켜 세이브를 올렸다.
         || 2008 || '''64'''[br](3위) || 56⅓ || 6 || 2 || 2 || '''16'''[br](3위) || 0.750 || 2.88 || 35 || 6 || 14 || 41 || 4 || 0.85 ||
         || 2011 || '''64'''[br](5위) || 41 || 2 || 1 || 1 || 16 || 0.667 || 3.51 || 35 || 5 || 24 || 39 || 5 || 1.39 ||
         ||<-2><bgcolor=#FFFF99> '''[[KBO리그|KBO]] 통산[BR](17시즌)''' ||<rowbgcolor=#FFFFFF> 746 || 676⅔ || 32 || 31 || 11 || 116 || 0.508 || 4.31 || 611 || 71 || 338 || 649 || 56 || 1.47 ||
  • 고유민
         ||||<#0033a0> {{{#ffffff '''고유민'''[BR]( Ko Yu-Min ) }}} ||
         || '''학력''' || 포항동부초등학교[BR]포항여자중학교[BR][[대구여자고등학교]] ||
         || '''응원가''' || 마이티마우스 - Energy(2015-16 전반기)[br]The Fox - Ylvis(2015-16 후반기 ~ ) ||
  • 권정웅(야구선수)
         ||||<rowbgcolor=#ffff99><:> '''[[KBO]] 통산'''[BR](3시즌) || 69 || 108 || .204 || 22 || 3 || 0 || 6 || 11 || 12 || 0 || 9 || .398 || .265 ||
  • 김동은(야구선수)
         || '''소속팀''' || [[삼성 라이온즈]] (2010~2011)[br][[고양 원더스]] (2014)[br][[kt wiz]] (2015~2017) ||
         ||||<rowbgcolor=#ffff99><:> '''[[KBO]] 통산'''[BR](2시즌) || 55 || 85 || .306 || 26 || 2 || 0 || 0 || 5 || 9 || 4 || 13 || .329 || .394 ||
  • 김상진(1970)
         || '''프로입단''' || 1989년 [[육성선수|신고선수]] 입단 ([[두산 베어스|OB]])[BR][[한국프로야구/1990년/신인드래프트|1990년 2차 3라운드 지명(OB)]][* 1989년에 연습생 신분으로 입단하여 1990년 지명을 받음으로써 정식 선수가 되었다] ||
         || '''소속팀''' || '''[[OB 베어스]] (1989~1998)'''[br][[삼성 라이온즈]] (1999~2001)[br][[SK 와이번스]] (2002~2003) ||
         || '''지도자''' || [[SK 와이번스]] 1군 투수코치 (2005~2011)[br][[SK 와이번스 2군]] 투수코치 (2012~2014)[br]SK 와이번스 1군 투수코치 (2015)[br]SK 와이번스 2군 투수코치 (2015~2016)[br][[삼성 라이온즈]] 1군 투수코치 (2017) [br] 삼성 라이온즈 육성군 투수코치 (2018) ||
         || 1992 || 33 || 168⅔ || 11 || '''13'''[br](공동 3위) || 1 || - || 0.458 || 3.63 || 131 || 11 || '''95'''[br](4위) || 96 || 79 || 68 || 1.30 ||
         || 1993 || 33 || '''187⅓'''[br](5위) || 11 || 11 || 0 || - || 0.500 || 3.07 || 156 || 6 || 63 || '''142'''[br](3위) || 75 || 64 || 1.13 ||
         || 1994 || 34 || '''194'''[br](4위) || 14 || 10 || 7 || - || 0.583 || '''2.37'''[br](3위) || '''170'''[br](5위) || 4 || 52 || '''148'''[br](2위) || 64 || 51 || 1.12 ||
         || 1995 || 27 || '''209'''[br](2위) || '''17'''[br](2위) || 7 || 0 || - || '''0.708'''[br](3위) || '''2.11'''[br](3위) || '''174'''[br](2위) || 6 || 52 || '''159'''[br](3위) || 58 || 49 || 1.04 ||
         || 1999 ||<|3> [[삼성 라이온즈|삼성]] || 31 || 179⅓ || 12 || 7 || 0 || - || 0.632 || 4.67 || '''195'''[br](2위) || 22 || 64 || 136 || '''104'''[br](4위) || '''93'''[br](4위) || 1.42 ||
         || 2002 ||<|2><:>[[SK 와이번스|SK]]|| 32 || 116⅔ || 6 || 5 || 0 || 2 || 0.545 || 4.71 || 122 || '''21'''[br](공동 5위) || 35 || 95 || 62 || 61 || 1.29 ||
         ||||<rowbgcolor=#ffff99><:> '''[[KBO]] 통산'''[BR](13시즌) || 359 || 1787⅔ || 122 || 100 || 14 || 5 || 0.550 || 3.54 || 1656 || 127 || 679 || 1237 || 814 || 704 || 1.26 ||
         || 1994년 || '''9완투'''[br](공동 3위) || 2완봉 ||
         || 1995년 || '''{{{#red 13완투}}}'''[br](1위) || '''{{{#blue 8완봉}}}'''[br](1위)[* 선동열의 86년 8완봉과 함께 유이한 한 시즌 최다 완봉이다] ||
  • 김성갑(야구선수)
         || '''소속팀''' || [[삼성 라이온즈]](1985) [br] [[빙그레 이글스]](1986~1990) [br] [[태평양 돌핀스]](1991~1995) ||
         || '''지도자 경력''' || [[현대 유니콘스]] 1군 수비코치 [br](1996~1998, 2000~2005) [br] [[현대 유니콘스]] 2군 수비코치(2006) [br] [[현대 유니콘스]] 1군 수비코치(2007) [br] [[넥센 히어로즈|우리-서울 히어로즈]] 1군 수비코치 [br](2008~2009) [br] 넥센 히어로즈 1군 작전•주루코치 [br](2009~2010) [br] 넥센 히어로즈 1군 수비코치(2011) [br] 넥센 히어로즈 2군 감독(2011) [br] 넥센 히어로즈 1군 수석코치(2012) [br] 넥센 히어로즈 감독대행(2012) [br] 넥센 히어로즈 2군 감독(2013) [br] [[화성 히어로즈]] 감독(2014~2015) [br] [[SK 와이번스]] 1군 수석코치(2016~2018) ||
         ||||<rowbgcolor=#ffff99><:> '''[[KBO]] 통산'''[BR](11시즌) || 942 || 2416 || .235 || 567 || 90 || 11 || 14 || 218 || 296 || 78 || 304 || .298 || .318 ||
  • 김연경(배구선수)
         ||<-2><#FFFFFF> {{{#000000 '''김연경'''[BR]( 金軟景 / Kim Yeon-Koung ) }}} ||
         || '''학력''' || 안산서초등학교[BR]원곡중학교[BR][[수원전산여자고등학교]][* 옛 수원 한일전산여자고등학교. [[2013년]]에 개명했다.] ||
         || '''가족 관계''' || [[아버지]] 김동길, [[어머니]] 이금옥, [br] [[언니]] 김혜경^^(1982년생)^^, 김희경^^(1985년생)^^ ||
         || '''소속팀''' || [[인천 흥국생명 핑크스파이더스|천안 흥국생명 핑크스파이더스]] (대한민국) (2005~2009) [br] [[JT 마블러스]] (일본) (2009~2011) [br] [[페네르바흐체 SK]] (터키) (2011~2017)[* 2007년 이후 스폰서명을 팀명으로 붙인다. (아즈바뎀 보건 그룹(2007년~2011년)-유니버셜(2011년)-그룬디히(2014년~2015년))] [br] 상하이 브라이트 유베스트 (중국) (2017~2018) [br] 엑자시바시 비트라 (터키) (2018~) ||
         || [[황연주]] [br] ([[인천 흥국생명 핑크스파이더스|천안 흥국생명]]) || → || '''김연경''' [br] '''([[인천 흥국생명 핑크스파이더스|천안 흥국생명]])''' || → || [[한수지]] [br] ([[GS칼텍스 서울 KIXX|인천 GS칼텍스]]) ||
         || [[정대영]] [br] ([[수원 현대건설 힐스테이트|마산 현대건설]]) || → || '''김연경''' [br] '''([[인천 흥국생명 핑크스파이더스|천안 흥국생명]])''' || → || [[베타니아 데 라 크루스]] [br] ([[GS칼텍스 서울 KIXX|인천 GS칼텍스]]) ||
         || Wang Li[br](톈진 브리지스톤) || → || '''김연경''' [br] '''([[인천 흥국생명 핑크스파이더스|천안 흥국생명]])''' || → || [[김선영(배구선수)|김선영]] [br] ([[김천 한국도로공사 하이패스|성남 하이패스]]) ||
         || 해당부문 신설 || → || '''김연경''' 78km [br] '''([[인천 흥국생명 핑크스파이더스|천안 흥국생명]])''' || → || 카리나 94km [br] ([[인천 흥국생명 핑크스파이더스|천안 흥국생명]]) ||
         페네르바흐체에서의 첫 시즌인 2011-12시즌의 활약은 아래와 같이 요약 가능. [[http://sports.media.daum.net/volleyball/news/breaking/view.html?cateid=100033&newsid=20120326081105330&p=xportsnews|#]]
  • 김재박
         || '''소속팀'''[* 실업야구 시절 포함.] || [[한국화장품 야구단|한국화장품]] (1977~1981) [br] '''[[MBC 청룡]]-[[LG 트윈스]] (1982~1991)''' [br] [[태평양 돌핀스]] (1992) ||
         || '''지도자''' || [[태평양 돌핀스]] 수석코치 (1993~1995) [br] '''[[현대 유니콘스]] 감독 (1996~2006)''' [br]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감독 (2004, 2006) [br]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타격코치 (2006) [br] [[LG 트윈스]] 감독 (2007~2009) ||
          * 1998년 8월 26일, [[이승엽]]과 [[타이론 우즈]]가 치열하게 홈런경쟁을 펼칠 때[* 8월 26일 당시에는 이승엽 36홈런, 우즈 29홈런이었다. 이후 우즈는 9월에만 11홈런을 치며 역전하게 된다.] 현대가 삼성에 크게 이기고 있음에도 이승엽 타석에서 [[고의사구]] 지시. 수많은 삼성 관중들이 크게 지고 있는 상황에서도 이승엽의 홈런을 기대하며 자리를 지키고 있었는데 보란 듯이 이승엽을 고의4구로 걸렀고 경기장에는 빈병이 날아들었다. 당시 상황을 보면 19대 4로 점수차가 크게 난 상황에서 [[안병원(야구선수)|안병원]]이 초구 스트라이크를 던질 때 1루주자였던 [[양준혁]]이 도루를 성공하자 보복성으로 고의사구를 던진 것이다.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98082800329126008&editNo=40&printCount=1&publishDate=1998-08-28&officeId=00032&pageNo=26&printNo=16524&publishType=00010|<스포츠 기자석> 팬들을 죽이는 프로야구]] [[http://sports.news.naver.com/kbo/news/read.nhn?oid=109&aid=0002580212|[한국프로야구 난투사](29) 대구 관중들, 현대의 ‘이승엽 고의 볼넷’에 분노 폭발]] 당시 [[허구연]]은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98090200209126012&editNo=45&printCount=1&publishDate=1998-09-02&officeId=00020&pageNo=26&printNo=23976&publishType=00010|신문 기고]]를 통해 '우리 프로야구는 이승엽이란 슈퍼스타가 한 시즌 최다홈런 기록 경신이란 좋은 재료를 지니고 있음에도 상대 팀들의 지나친 견제로 축제에 찬물을 끼얹고 있어 안타깝다’고 말했다.
         ||<width=30%><:> [[이해창(1953)|이해창]] [BR] (1984) ||<:> {{{+1 →}}} ||<width=30%><#224488><:> '''{{{#FFFF00 김재박}}}'''[BR]'''{{{#ffFF00 (1985~1986)}}}''' ||<:> {{{+1 →}}} ||<width=30%><:> [[이광은]] [BR](1987) ||
  • 김재중(1986년 1월)
         ||<#FF0000> '''{{{#white 학력}}}''' ||<(> 공주중동초등학교[br][[공주대학교 사범대학]] 부설 중학교[br]공주정보고등학교(중퇴)[br]하남고등학교(졸업)[br][[경희사이버대학교]] 컴퓨터정보통신공학전공 ||
          [BR]한국인이지만 ~~여동생인 민하는 일본인 배우 키나미 하루카가 맡았으며~~ 부모님과의 불화와 갈등으로 [[일본]]으로 건너온 청년이라는 설정이 붙었는데, 드라마 상에서는 '닥터'라는 [[트위터]] 닉네임으로 불렸다. 이때의 인연으로 에이타가 방한했을 때 한국내 매체와의 인터뷰에서 "재중의 목소리는 여태껏 내가 들은 남성의 목소리 중 최고라고 생각한다. 남자의 목소리가 아름답다고 느낀 것은 처음이었다."는 감상을 말하며 최근 연락이 안 되니 연락을 바란다는 희망 사항을 피력한 바 있다. [[우에노 주리]]도 방한 인터뷰에서 "제가 볼 때 영웅재중은 배려심이 있는 친구다. 자신이 망가지면서까지 현장 분위기를 띄운다."면서 이야기했다.
          [br]일본 만화를 원작으로 하고, 일본에서 이미 드라마화 되어 호평을 얻은 바 있는 <닥터 진>에서 원작에는 없는 등장인물로 한국판의 오리지널 캐릭터인 '김경탁' 역은 아이러니하게도 일본 내에서 가장 뜨거운 반응을 얻으며 한국판 닥터진의 주목하여 볼 만한 곳으로 꼽히고 있으며, 최종화에서는 'ギョンタク(경탁)'의 이름이 일본 트위터의 핫워드 순위에까지 실시간 진출하는 등 희귀한 에피소드를 낳기도 했다. ~~그래서 그런가 일본 DVD 홍보도 경탁 중심으로~~
          [br]극중 [[홍영래]]([[박민영(배우)|박민영]] 분)에 일편단심 눈물 없이 볼 수 없는 ~~기본 쌀셔틀~~ ~~결국 목숨까지 셔틀.~~ 순애보를 펼침으로써 전작인 <솔직하지 못해서>와 <보스를 지켜라>에 이어 3연속 해바라기 같은 ~~짝사랑 전문 배우로 등극했다는 기사 다수~~ 외사랑 연기가 돋보였다. 하지만 [[JYJ|같은 그룹]]의 멤버 [[박유천]]과 비슷한, 너무 힘이 들어간 사극 톤으로 지적을 받아 연기 선생님이 같냐는 이야기를 들었다. ~~그럴 가능성이 크긴 하다~~
          [BR]또, 전작의 '차차 커플'에 이어 다시 한 번 남남 커플 이슈를 탄생시킨 것도 흥미롭다. 홍영래의 오빠이자 죽마고우인 [[홍영휘]]([[진이한]] 분)와는 원수와 다름없는 출신 배경과 정치적 대립 관계로 서로를 속이면서도 최후까지 서로를 지키려는 눈물겨운 우정을 보임으로써 남남 커플도 남녀 간의 애정 못지 않게 애절할 수 있음을 과시했다. '탁휘커플'로 불리는 이 둘은 ~~메인 커플인 닥터 진과 영래를 제치고~~ 닥터진의 멜로 담당으로 불리며 사랑을 받았으며, 결국 닥터진이 남긴 것은 베스트 커플 상을 노려봄직한 '탁휘 커플', [[김경탁]]과 [[홍영휘]]의 눈물겨운 우정이었다...라는 총평 기사로 언급되기도 했다.
  • 김정혁(1985)
         ||||<rowbgcolor=#ffff99><:> '''[[KBO]] 통산'''[BR](5시즌) || 99 || 215 || .237 || 51 || 6 || 1 || 2 || 25 || 33 || 4 || 17 || .302 || .291 ||
  • 김준수(JYJ)
         ||<#FF0000> '''{{{#white 취미}}}''' ||<(> 노래, 춤, 축구, 게임, 풍경 사진 검색, [br]트위터 프로필 바꾸기, 셀카 찍기 ||
         [[http://postfiles3.naver.net/20160403_82/brian1217_1459614638917nq8LW_PNG/Screenshot_2016-04-03-01-28-47.png?type=w1|뽕이]] [[http://postfiles14.naver.net/20121030_109/dhdhal89_1351559825808BBvpt_JPEG/20121029%C7%D1%B9%C2%B4%EB%C1%D8%BC%F6_(73).jpg?type=w1|들어간]] [[http://cfile5.uf.tistory.com/image/231C374951FE787D12E885|듯한]] 엉덩이가 특징이다. 일명 '''뽕동이'''. 오래 걸으면 항상 허리가 아팠는데 그게 다 뽕동이 때문에 허리가 중력을 다 받아 너무 긴장상태로 있어서 그런 것 같다고. 지니타임 시간에 한 팬이 3분 동안 [[https://youtu.be/U8q3xAuSU-U|자기PR]]을 해달라고 하자 '어 되게....... 으ㅓ 흑인 엉덩이', '네 엉덩이가 많이 좀..... 좀 업 돼있구요' [* 팬들: 보여줘! 보여줘! 보여줘! / 준수: 참나...! 엉덩이를 보여달라구요? 얼척이 없네. 무슨 엉덩이를 보여줘..ㅋㅋ 엉덩이 맨날 그 사진 컷해가지고 맨날 막 캡쳐해가지고 맨날 다 보잖아요! 나 다 알아~ ~~민간인 사찰~~]라고 소개한 것으로 보아 본인은 뽕동이를 장점으로 생각하고 있는 듯하다. 참고로 그의 [[태몽]]은 '''엄청 큰 [[복숭아]]'''이다. 그의 어머니가 꾼 태몽에 엄청 큰 [[포도]](쌍둥이 형)와 엄청 큰 복숭아(준수)가 나와서 남매일 줄 알았는데 낳고 보니 쌍둥이 '[[형제]]'(!)였다고. ~~태몽이 그대로 들어맞는다!~~
         2013년 [[엘리자벳]] 재연 전'''까지''' 끊임없이 지적되곤했던 발음 문제는 그의 예전 창법과도 직접적으로 관련이 있는데, 그가 사용했던 팝 창법과 뮤지컬에서 요구하는 정확한 발음의 [[벨팅]] 창법 사이에 큰 괴리가 있기 때문이다. 그는 노래할 때 숨소리를 많이 섞은 톤을(breathy voice) 즐겨 사용했는데, 이 톤은 팝 음악에서 감정을 전달하는데 최적화된 톤이지만 발음이 불분명해진다는 단점이 있다. 조금 더 자세하게 이야기하자면, 그가 사용했던 창법은 상인두, 비강, 경구개 공명이 중심이지만 뮤지컬의 벨팅 창법은 하인두, 구강, 연구개 공명에 중심점을 둔다.
         ||<|11> 2017년 || 2월 || 사랑숨,[br]Hello Hello || 22위 사랑숨[br]35위 Hello Hello ||
         || 3월 || 나비,[br]돌고 돌아도 || 12위 돌고 돌아도[br]21위 나비[br]54위 사랑숨[br]90위 Hello Hello ||
         || 4월 || Reach,[br]FUN 드라이브 || 14위 FUN 드라이브[br]20위 Reach[br]95위 돌고 돌아도 ||
         || 5월 || 사랑하나 봐,[br]..IS YOU || 19위 사랑하나봐[br]23위 ..IS YOU ||
         || 6월 || Sweet Melody,[br]Magic Carpet || 21위 Sweet Melody[br]27위 Magic Carpet ||
         || 7월 || Incredible,[br]Rainy Eyes || 26위 Rainy Eyes[br]29위 Incredible ||
         || 8월 || BREAK MY HEART, [br] 다른 누구도 대신 못할 너 || 25위 다른 누구도 대신 못할 너[br]34위 BREAK MY HEART ||
         || 9월 || 너무 아픈 사랑은 사랑이 아니었음을, [br] UNCOMMITTED, [br] 다른 누구도 대신 못할 너 || 14위 너무 아픈 사랑은 사랑이 아니었음을[br]30위 UNCOMMITTED ||
         || 10월 || 꼭 어제, [br] TONIGHT || 33위 꼭 어제[br]45위 TONIGHT ||
         || 11월 || LOVE YOU MORE, [br] 잊지는 마 || 32위 잊지는 마[br]38위 LOVE YOU MORE ||
         || 12월 || Thank U For, [br] 12월, [br] 우리도 그들처럼 || 21위 12월 [br] 25위 Thank U For [br] 36위 우리도 그들처럼 ||
         ||<|11> 2018년 || 1월|| CAKE LOVE, [br] 사랑은 눈꽃처럼, [br] 우리도 그들처럼 || 11위 우리도 그들처럼 [br] 26위 사랑은 눈꽃처럼 [br] 40위 CAKE LOVE ||
         || 2월 || 가지마, [br] 알면서도, [br] 우리도 그들처럼 || 15위 우리도 그들처럼 [br] 42위 알면서도 [br] 48위 가지마 ||
         || 3월 || TARANTALLEGRA, [br] 이슬을 머금은 나무 || 60위 이슬을 머금은 나무 [br] 95위 TARANTALLEGRA ||
         || 4월 || How Can I Love You, [br] Lisense To Love || 44위 How Can I Love You [br] 75위 Lisense To Love ||
         || 5월 || 널 사랑한 시간에, [br] OeO || 29위 널 사랑한 시간에 [br] 67위 OeO ||
         || 6월 || You Are So Beautiful, [br] Rock The World || 77위 You Are So Beutiful ||
  • 김효기
         ||<:> '''학력''' ||<:> 충주 교현초등학교 (1993~1999)[br] 충주 중앙중학교(1999~2002)[br] [[충주상업고등학교]] (2003~2006) [* 중학교 졸업이후 도르트문트 유스팀에서 뛰면서 1년 유예하였다.][br] [[조선대학교]] (2006~2009) ||
         || '''소속 클럽''' || [[울산 현대]] (2010~2015) [br] [[울산 현대미포조선 돌고래]] (2011) (임대) [br] [[울산 현대미포조선 돌고래]] (2012) (임대) [br] [[화성 FC]] (2013~2014) (공익 근무) [br] [[FC 안양]] (2015) (임대) [br] [[전북 현대 모터스]] (2016) [br] [[FC 안양]] (2016~2017) [br] [[경남 FC]] (2018~ ) ||
         ||<width=30%><:> [[김태호(1989)|김태호]][br][[정재용(축구선수)|정재용]][BR] (2016) ||<:> {{{+1 →}}} ||<width=30%><#cda55f><:> [[김태호(1989)|{{{#1f0419 김태호}}}]][br] '''{{{#1f0419 김효기}}}'''[br]'''{{{#1f0149 (2016)}}}''' ||<:> {{{+1 →}}} ||<width=30%><:> [[구대영(축구선수)|구대영]][br](2017) ||
         ||<width=30%><:> [[구대영(축구선수)|구대영]][BR] (2017) ||<:> {{{+1 →}}} ||<width=30%><#cda55f><:> '''{{{#1f0419 김효기}}}'''[br]'''{{{#1f0149 (2017)}}}''' ||<:> {{{+1 →}}} ||<width=30%><:> [[정재희]][br](2018~) ||
  • 문선엽
         ||||<rowbgcolor=#ffff99><:> '''[[KBO]] 통산'''[BR](2시즌) ||<:>7 ||<:>6 ||<:>.000 ||<:>0 ||<:>0 ||<:>0 ||<:>0 ||<:>0 ||<:>0 ||<:>0 ||<:>0 ||<:>.000 ||<:>.000 ||
  • 박명재
         ||<width=30%><:>제19대[br][[김형태(정치인)|김형태]][* 의원직 상실]||<width=5%><:>→||<width=30%><bgcolor=#FFFFA0><:>'''제19·20대[br]박명재'''||<width=5%><:>→||<width=30%><:>''현직''||
         ||<width=30%><:>제8대[br][[이용섭]]||<width=5%><:> → ||<width=30%><:>'''제9대[BR]박명재'''||<width=5%><:> → ||<width=30%><:>^^행정안전부^^초대[br][[원세훈(1951)|원세훈]]||
         ||<bgcolor=#C9151E> '''{{{#FFFFFF 학력}}}''' ||<(> [[중동고등학교]][br][[연세대학교]] 행정학 학사[br][[연세대학교]] 행정대학원 행정학 석사[br][[네덜란드]] [[국립사회과학대학원]] 사회과학 석사 ||
         ||<bgcolor=#C9151E> '''{{{#FFFFFF 약력}}}''' ||<(> 제19~20대 국회의원[br]행정자치부 장관[br]새누리당 사무총장[br][[차의과학대학교]] 총장[br]경상북도 행정부지사[br]무임소 장관[br]중앙공무원교육원 원장[br]청와대 행정비서관 ||
  • 박석민
         || '''소속팀''' || '''[[삼성 라이온즈]] (2004~2015)'''[br][[NC 다이노스]] (2016~현재) ||
         || '''응원가''' || '''삼성 시절''': 하늘 - 웃기네[* 나! 나! 나나나나! 나나나나나 '''박석민 [[짱]]!'''. 전주부분을 개사한 것이다.][* [[로티플스카이|하늘]]이 사망한 이후부터 쓰이지 않고 있다...가 [[2014년 한국시리즈|한국시리즈]]부터 본인의 요청으로 부활했다.][* 롯데 [[김상호(1989)|김상호]]와 곡이 같다만 사용한 부분이 다르다. 김상호 항목 보고 가수와 곡 제목이 다른데 하는 사람이 있을 수 있겠지만, 웃기네가 Venus를 번안한 곡이며 Bananarama 곡 역시 중간에 박석민 응원가에 해당하는 멜로디가 있다.] [br] 타카피 - 케세라세라[* 날려버려 날려버려 삼성 박석민~ '''(어이!)''' 날려라 날려 삼성 박석민~ '''(어이!)''' 날려버려 날려버려 삼성 박석민~ '''(어이!)''' 날려라 삼성 박석민~ 워어~어어어~ 날려~라 박석민~ 워어~ 어어어~ 날려라 삼성 박석민~ 2014 시즌에 추가된 응원가. 현재는 앞에서 언급했던 웃기네의 원작자 로티플스카이가 사망한 이후 쓰이지 않으면서 이 응원가가 정식 응원가가 되었다가 현재는 웃기네와 같이 쓰이고 있다. 기존 응원가가 좋다보니 처음엔 반응이 좋지 못했으나 지금은 그럭저럭 호평을 받고 있다. 단적인 예로 이때 같이 바뀌었던 이승엽 응원가는 한시즌도 채 못가고 팬들의 반발로 용도폐기되고 흑역사화가 된것만 봐도..][br][[신해철]] - 슬픈 표정 하지 말아요[* 워어어어어 박석민 워어어어어어 최!강!삼!성! 승리요정 박석민] [BR] '''현재''': 하늘 - 웃기네 [br] 타카피 - 케세라세라[* 삼성때 응원가에서 삼성을 NC로 바꾼 것외에는 동일하다. 박석민 본인이 삼성 시절 응원가를 그대로 써 주기를 희망했고 삼성 구단도 흔쾌히 승낙. ~~유일하게 [[임태현|임가놈]]의 응원가를 피했다.~~ ] ||
         ||<width=30%><:> [[최형우]] [BR] (2013~2014) ||<:> {{{+1 →}}} ||<width=30%><#c0c0c0><:> '''{{{#074CA1 박석민}}}'''[BR]'''{{{#074CA1 (2015)}}}''' ||<:> {{{+1 →}}} ||<width=30%><:> [[박한이]] [BR] (2016) ||
         ||<width=30%><:> [[이종욱(야구선수)|이종욱]] [BR] (2015~2016) ||<:> {{{+1 →}}} ||<width=30%><#AF917B><:> '''{{{#00275a 박석민}}}'''[BR]'''{{{#00275a (2017)}}}'''[* 8월말 교체.] ||<:> {{{+1 →}}} ||<width=30%><:> [[손시헌]] [BR] (2017~2018)||
         ||<width=30%><:> [[손시헌]] [BR] (2017~2018) ||<:> {{{+1 →}}} ||<width=30%><#AF917B><:> '''{{{#00275a 박석민}}}'''[BR]'''{{{#00275a (2018~)}}}'''[* 6월 5일 교체.] ||<:> {{{+1 →}}} ||<width=30%><:>||
         >'''[[허구연]]: [[야구]] 잘하는 선수들이 참 영리한 선수가 많은데 그중에서도 저는 박석민--박속닌--이 정말로 영리한 선수인거 같아요[br] [[한명재]]: [[천재]]과에요[br][[허구연]]: 예. 그렇습니다. 예사로운 선수가 아니에요'''
         타순은 2008~2009년까지는 주로 4번, 가끔 5, 6번에 기용되다 [[최형우]]의 포텐셜이 폭발한 후로는 3번이나 5번으로 나온다. 포지션은 데뷔 초기에는 [[2루수]][* '''2004년 한국시리즈 9차전 선발라인업 키스톤이 조동찬-박석민(!)이었다'''. (참고로 아래 움짤에서 18번 투수는 박석민이 아니라 [[박석진]].) 물론 이 키스톤이 선발출장한 이유는 수비보다도 당시 상대 선발이었던 [[오주원|오재영]]을 겨냥한 좌투수 저격 라인업의 의미가 더 컸었고 결과적으로 이날 삼성의 수비는......[[더 이상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br][[파일:external/lh3.googleusercontent.com/2004%252520KS.gif]]]였지만 현재는 주로 [[3루수]]이며 가끔 [[1루수]]. 막 제대했을 때는 타격면에선 합격점이었지만 같은 포지션의 [[조동찬]]에 비해 떨어지는 수비가 문제였다.[* 사실 3루수에서도 그의 천재성이 엿보이는게, 원래 2루나 유격수를 보았다는 점에 주목해보자. 그냥 '아 포지션변경하기 힘든 것을 천재성으로 극복했구나'하고 넘어갈 것이 아니라, 2루와 유격수 수비와 3루수비는 '''스텝부터가 다르다.''' 유격수나 2루수는 좌우 양 옆으로 움직여야 하지만--[[박기혁|좌우로 스텝을 밟는 게 아니라 전력질주로 뛰어가서 잡아야 하는 유격수도 있었지만 말이다]]-- 3루수비는 앞뒤로 움직여야 한다. 당장에 [[알렉스 로드리게스|에이로드]]가 [[데릭 지터|절대 유격수만 고집하시는 분]]하고 양립이 안 되어서 3루로 전향했고, 그 때의 3루수비를 기억해보자. 멀리 갈 것도 없이 유격수에서 [[강정호|이 분]]을 제쳐내지 못하고 3루로 정착한 [[황재균|케이팝 모델 x스머신]]을 떠올리는 것도 있다. 황재균도 처음에 3루수비는 개판이었다. 다만 당시 수비코치이던 [[염경엽]]이 기초부터 다시 가르쳐 지금에 이르른 것.--물론 그 개판인 수비도 [[롯데 자이언츠|이 팀]] 팬들한테는 [[이대호|굉장히 예쁘게 보였을 거다]]-- 뭐 황재균을 사온 이유가 이대호의 수비를 감당못하고 1루로 보낸 거 였지만.]당시 수비력만으론 리그 하위권인데다 그전의 삼성 3루수는 역대 최강의 수비를 자랑하던 [[김한수]]였기 때문에 더욱 비교되는 측면이 있었다. 하지만 해를 거듭할수록 일취월장하여 3루 수비는 리그 최고 수준에 달하는 정도가 되었다.[* 3루수로서는 나무랄 데 없을 정도로 수비가 좋아졌지만, 1루수로서는 아직이라는 평가가 적지 않다. 특히 1루수로서 가장 중요한 포구에서 실수가 좀 잦은 편이다. 11년 [[채태인]], [[조영훈]], [[모상기]]가 부진할 당시에는 삼성의 차기 1루수 부분에 대한 우려가 크던 상황이었으나 12년은 국내복귀를 선언한 [[이승엽]]이, 13년과 14년은 각성한 [[채태인]]이 1루를 맡아 공수양면에서 좋은 모습을 보여주었으며, 15년 부터는 [[양준혁|어느 머리 큰 전설적인 신인왕의 컨택능력을 가진]] [[구자욱|중장거리 히터 스타일의 초대형 군필신인]]이 등장한 덕에 박석민이 억지로 1루를 맡을 필요가 없어졌다. 박석민의 아쉬운 수비와 원래 3루 대체제로 생각했던 [[조동찬]]이 시즌아웃 이후 경기를 전혀 뛰지 못하는 상황임을 생각할때 삼성입장에서는 천만다행인 셈.]아이러니하게도 어려운 수비는 잘하는데 쉬운 수비는 잘 못한다. 가끔 글러브에 공이 낄 때도 있다. 이 때문인지는 모르겠지만 한때 수비시 [[투수]]용 글러브를 끼고 경기에 나섰다. [[투수]]용 글러브와 [[내야수]]용 글러브의 크기 차이를 생각하면 참 희한한 일. 2015년 현재 웹이 막힌 큰사이즈의 내야수 글러브를 사용중이다. 사실 막힌 웹은 무조건 투수용이라는건 우리나라 사회인야구에 주로 있는 편견이고 일본의 경우는 내야수들도 막힌웹의 글러브를 많이 사용한다.은퇴한 양키스의 유격수 데릭 지터또한 커리어 내내 소위 바둑판웹이라고 불리는 디자인의 글러브를 사용한것으로 유명하다.
         || 2008 || 126 || 416 || .279 || 116 || '''27'''[br](2위) || 1 || 14 || 64 || 65 || 2 || 73 || .385 || .450 ||
         || 2010 || 112 || 356 || .303 || 108 || 18 || 0 || 15 || 64 || 58 || 3 || 91 || '''.440'''[br](2위) || .480 ||
         || 2011 || 128 || 457 || .278 || 127 || 24 || 3 || 15 || '''86'''[br](4위) || 74 || 3 || 72 || .374 || .442 ||
         || 2012 || 127 || 443 || '''.312'''[br](4위) || 138 || 19 || 3 || '''23'''[br](4위) || '''91'''[br](2위) || '''79'''[br](5위) || 2 || 99 || '''.433'''[br](2위) || '''.524'''[br](5위) ||
         || 2013 || 117 || 396 || .318 || 126 || 24 || 0 || 18 || 76 || 61 || 4 || 75 || '''.425'''[br](4위) || '''.515'''[br](4위) ||
         || 2014 || 110 || 356 || .315 || 112 || 21 || 0 || 27 || 72 || 77 || 0 || 66 || .419 || '''.601'''[br](5위) ||
         || 2015 || 134 || 448 || .321 || 144 || 25 || 0 || 26 || 116 || 90 || 3 || 102 || '''.441'''[br](3위) || .551 ||
         ||<-2><rowbgcolor=#ffff99> '''[[KBO]] 통산[br](13시즌)''' || 1357 || 4341 || .291 || 1264 || 228 || 9 || 225 || 853 || 736 || 22 || 851 || .404 || .503 ||
  • 박종근(1937)
         || 1996 || [[제15대 국회의원 선거]] (대구 달서 갑) || '''[[자유민주연합]]''' || '''32,057 (38.84%)''' || '''당선 (1위)''' || 1997.11.19 탈당[BR]1997.11.21 [[한나라당]] 입당 ||
         || 2004 || [[제17대 국회의원 선거]] (대구 달서 갑) || '''[[한나라당]]''' || '''47,635 (59.74%)''' || '''당선 (1위)''' || 2008.3.12 탈당[BR](공천불복)[BR]2008.3.25 [[미래희망연대|친박연대]] 입당 ||
         || 2008 || [[제18대 국회의원 선거]] (대구 달서 갑) || '''[[미래희망연대|친박연대]]''' || '''33,624 (49.80%)''' || '''당선 (1위)''' || 2008.7.16 친박연대 탈당[BR][[한나라당]] 복당 ||
  • 박주성(축구)
         || 클럽 || [[수원 삼성 블루윙즈]] (2003~2008) [br] [[상주 상무|광주 상무]] (입대) (2005~2006) [br] [[베갈타 센다이]] (2009~2012) [br] [[경남 FC]] (2013~2014) [br] [[구이저우 런허]] (2015) [br] [[경남 FC]] (2016~2017) [br] [[대전 시티즌]] (2017) ||
         ||<width=30%><:> [[이한샘]] [BR] (2014) ||<:> {{{+1 →}}} ||<width=30%><#050403><:> '''{{{#f2c91f 박주성}}}'''[BR]'''{{{#f2c91f (2014)}}}''' ||<:> {{{+1 →}}} ||<width=30%><:> [[진경선]] [BR] (2015) ||
  • 박진옥
         || 소속팀 || '''[[제주 유나이티드|부천 SK/제주 유나이티드]] (2005~2012)''' [br] [[상주 상무|광주 상무]] (군 복무) (2009~2010) [br] [[대전 시티즌]] (2013) [br] [[광주 FC]] (2014) [br] [[용인시청 축구단]] (2015~2016) [br] [[FC 의정부]] (2017) ||
         ||<width=30%><:> [[이정열]][BR](2012) ||<:> {{{+1 →}}} ||<width=30%><#041e42><:> '''{{{#ffe900 박진옥}}}'''[BR]'''{{{#ffd90f (2013)}}}''' ||<:> {{{+1 →}}} ||<width=30%><:> [[한덕희]][* 시즌 도중 교체][BR](2013) ||
  • 박창달
         ||<width=30%><:>''선거구 통합''[br][[강신성일]][* [[동구(대구)|동구]]]||<width=5%><:>→||<width=30%><:>'''제17대[br]박창달'''[* 의원직 상실]||<width=5%><:>→||<width=30%><:>제17~20대[br][[유승민]]||
         ||<:>제10대[br][[권정달]]|| → ||<:>'''제11~13대[br]박창달'''|| → ||<:>제14대[br][[김명환]]||}}}||
         || '''학력''' ||[[한국외국어대학교]] 행정학 학사[br][[영남대학교]] 행정학 석사||
         || 1996 || [[제15대 국회의원 선거]] (전국구 26번) || '''[[신한국당]]''' || - || 낙선→'''당선''' || 2000.3.8 승계[BR](윤원중 의원 탈당으로 승계) ||
         || 2004 || [[제17대 국회의원 선거]] (대구 동 을) || ~~'''[[한나라당]]'''~~ || ~~'''45,245 (55.09%)'''~~ || ~~'''당선 (1위)'''~~ || 2005.9.15 의원직 상실[BR](공직선거법 위반) ||
  • 박흥식(야구)
         ||<:> '''지도자''' || [[삼성 라이온즈]] 1군 타격코치 (1996~2006)[br][[삼성 라이온즈 2군]] 타격코치 (2007)[br][[KIA 타이거즈]] 1군 타격코치 (2008)[br][[넥센 히어로즈]] 1군 타격코치 (2010)[br][[넥센 히어로즈 2군]] 감독 (2011)[br][[넥센 히어로즈]] 1군 타격코치 (2012)[br][[롯데 자이언츠]] 1군 타격코치 (2013~2014)[br][[KIA 타이거즈]] 1군 타격코치 (2015~2017) [br] [[KIA 타이거즈 2군]] 감독 (2018~ ) ||
         ||<width=30%><:> [[정회열]] [BR] (2015~2017) ||<:> {{{+1 →}}} ||<width=30%><#1e376d><:> '''{{{#ffffff 박흥식}}}'''[BR]'''{{{#ffffff (2018~)}}}''' ||<:> {{{+1 →}}} ||<width=30%><:> ||
  • 배재민(프로게이머)
         ||||<table align=right><table bordercolor=#a00000><#a00000> '''{{{#white ROX Dragons[br]Knee}}}''' ||
         || ID || '''[[무릎]]''', Knee, [BR]Ravenda85[* 닉네임의 유래는 허브 식물중 하나인 라벤더. 철자가 틀렸으나 본인이 익숙해 그대로 사용하고 있다고 한다. 부계정을 만들때 'Lavenda85'를 닉네임으로 사용하기도 했다 ] ||
         ||||<:> [[http://www.afreeca.com/holyknee|아프리카 방송]][br][[https://go.twitch.tv/holyknee|트위치]][br][[https://twitter.com/holyknee|트위터]][br][[https://www.facebook.com/holyknee|페이스북]][br][[https://www.youtube.com/user/Tekkenknee|유튜브 채널]] ||
          * 2015 Brisbane Button Smash Tekken Tag Tournament 2 '''우승'''
          * 2018 Combo Breaker Tekken7 부문 '''우승'''
  • 백정현
         ||||<rowbgcolor=#ffff99><:> '''[[KBO]] 통산'''[BR](11시즌) || 299 || 460⅔ || 24 || 20 || 2 || 24 || 5.12 || 515 || 220 || 438 ||
  • 신명철(야구선수)
         || '''소속팀''' || [[롯데 자이언츠]] (2001~2006)[br][[삼성 라이온즈]] (2007~2013)[br][[kt wiz]] (2014~2015) ||
         || '''지도자''' || [[kt wiz]] 잔류군 야수코치 (2016~2017)[br][[kt wiz]] 1군 수비코치 (2018) [br] [[kt wiz]] 2군 주루코치 (2019~ ) ||
         || '''응원가''' || 삼성 시절 : Backstreet Boys 'We've got it goin' on'[* (라!이!온!즈! 신!명!철!) (×4)][br] KT 시절 : 더더 [[https://youtu.be/FCsIBDo1yTo|'내게 다시']][* (kt 워어 신명철 워어 신명철 kt wiz 신명철 워우어~) (x2) 신!명!철! ] ||
         [[http://sports.media.daum.net/baseball/news/breaking/view.html?cateid=1028&newsid=20060827144007224&p=SpoSeoul|#]]
         ||||<rowbgcolor=#ffff99><:> '''[[KBO]] 통산'''[BR](14시즌) || 1212 || 3198 || .241 || 771 || 127 || 21 || 54 || 334 || 396 || 130 || 313 || .345 || .307 ||
  • 심완구
         || 1985 || [[제12대 국회의원 선거]] (경남 울산/울주) || '''[[민주한국당]]''' || '''88,918 (27.41%)''' || '''당선 (1위)''' || 1985년 민한당 소멸[br][[신한민주당]] 창당[br]1987년 신민당 소멸[br][[통일민주당]] 창당 ||
         || 1998 ||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울산광역시장) || '''[[한나라당]]''' || '''160,491 (42.74%)''' || ''' 당선 (1위)''' || 1998.09.14 탈당[BR][[새정치국민회의]] 입당 ||
  • 심창민(야구선수)
         || 박주환 [br] ([[신일고등학교 야구부|신일고등학교]]) || → || '''심창민 [br] (경남고등학교)''' || → || [[김성민(1994)|김성민]] [br] ([[대구상원고등학교 야구부|대구상원고등학교]]) ||
         || 2016 || 62 || 72⅔ || 2 || 6 || '''25'''[br](공동 5위) || 4 || 0.250 || 2.97 || 59 || 6 || 30 || 76 || 29 || 24 || 1.17 ||
         ||||<rowbgcolor=#ffff99><:> '''[[KBO]] 통산'''[BR](7시즌) || 387 || 409⅔ || 25 || 22 || 51 || 61 || 0.532 || 3.80 || 328 || 47 || 213 || 474 || 185 || 173 || 1.24 ||
  • 유한식
         ||<:> 제35대 [br] 최준섭 [br] ,,,(권한대행 박영수),,, [br] ,,,(권한대행 남궁주),,, ||<:> → ||<:> 제36대~37대 [br] '''유한식'''[br] ,,,(권한대행 윤호익),,, ||<:> → ||<:> 연기군 소멸 [br],,,(세종특별자치시 출범),,, ||
         ||<height=40><bgcolor=#C9151E> {{{#FFFFFF ''' 학력 ''' }}} ||<(> [[대전고등학교]] {{{-1 ([[졸업]])}}}[br][[충북대학교]] {{{-1 (축산학 / [[학사]])}}}[br][[홍익대학교]] {{{-1 (경영정보학 / [[석사]])}}} ||
         ||<height=40><bgcolor=#C9151E> {{{#FFFFFF ''' 경력 ''' }}} ||<(> [[한국농어촌공사]] 감사[br][[새누리당]] 세종시당 위원장[br]제1대 [[세종특별자치시장]][br]제35~36대 [[연기군]]수[br]연기군청 농업기술센터 소장[br][[충청남도]]청 농촌진흥원 사회지도과장[br][[농촌진흥청]] 농촌지도관[br]농촌진흥청 기술공보담당관 ||
         || 2006년 ||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제4회 지방 선거]] [BR]충남도의원(연기군 제2선거구) || [[국민중심당]] || 6,048표 (31.41%) || 낙선(2위) || ||
         || 2007년 || [[2007년 재보궐선거 #s-3|12·19 재보궐선거]][BR]충남 연기군수 34대 (민선 4기) || 무소속 || 4,695표 (11.3%) || 낙선(3위) || ||
         || 2008년 || '''[[2008년 재보궐선거 #s-3.1.1|10·29 재보궐선거]] [BR]충남 연기군수 35대 (민선 4기)''' || [[자유선진당]] || '''14,444표 (51.94%)''' || '''당선(1위)''' || '''초선''' ||
         || 2010년 ||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제5회 지방 선거]] [BR]충남 연기군수 36대 (민선 5기)''' || 자유선진당 || '''19,542표 (52.96%)''' || '''당선(1위)''' || '''재선''' ||
         || 2012년 || '''[[2012년 상반기 재보궐선거 #s-3.1|4·11 재보궐선거]] [BR]세종특별자치시장 1대 (민선 5기)''' || 자유선진당 || '''19,387표 (41.73%)''' || '''당선(1위)''' || '''초선'''[* 초대 세종시장^^[세종시 교육감]^^의 임기는 ''세종특별자치시 설치 등에 관한 특별법^^(세종시법)^^''의 부칙 제2조에 따라 2014년 6월 30일까지로 한정하고 있다.(약 2년)] ||
         || 2014년 ||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제6회 지방 선거]] [BR]세종특별자치시장 2대 (민선 6기) || [[새누리당]] || 26,451표 (42.21%) || 낙선(2위) || ||
  • 이강돈
         || 출신지 || [[경상북도]] [[포항시]][* [[대구광역시]] 출신으로 알려져 있지만,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96100200329130003&edtNo=45&printCount=1&publishDate=1996-10-02&officeId=00032&pageNo=30&printNo=15897&publishType=00010|포항시 태생이다.]] 고등학교를 대구에서 보냈다.] ||
         || 프로입단 || ~~[[한국프로야구/1985년/신인드래프트|1985년]] 1차 지명 ([[삼성 라이온즈|삼성]])~~ [br] [[한국프로야구/1985년/신인드래프트|1985년]] 지명권 양도 ([[빙그레 이글스|빙그레]]) ||
         || 소속팀 || '''[[빙그레 이글스]] (1985[* 1985 시즌은 빙그레 창단 첫 해라 2군 리그 참가.]~1993)'''[br] '''[[한화 이글스]] (1994~1997)''' ||
         || 지도자 || [[후쿠오카 다이에 호크스]] 연수코치 (1998) [br] [[한화 이글스]] 2군 타격코치 (1999) [br] [[한화 이글스]] 2군 주루코치 (2002~2003) [br] [[롯데 자이언츠]] 2군 타격코치 (2004) [br] [[청주기계공업고등학교 야구부|청주기계공업고등학교]] 감독 (2006~2008) [br] [[청주고등학교 야구부|청주고등학교]] 감독 (2008~2009) [br] [[롯데 자이언츠]] 2군 타격코치 (2010~2012) [br] [[천안 북일고등학교 야구부|북일고등학교]] 감독 (2013~2016) ||
         || [[이광은]]([[MBC 청룡]]) [br] [[김종모]]([[해태 타이거즈]]) [br] [[장효조]]([[삼성 라이온즈]]) || → || [[이순철]]([[해태 타이거즈]]) [br] '''이강돈'''([[빙그레 이글스]]) [br] [[이정훈(1963년생)|이정훈]]([[빙그레 이글스]]) || → || [[김일권]]([[태평양 돌핀스]]) [br] '''이강돈'''([[빙그레 이글스]]) [br] [[고원부]]([[빙그레 이글스]]) || → || [[이정훈(1963년생)|이정훈]]([[빙그레 이글스]]) [br] '''이강돈'''([[빙그레 이글스]]) [br] [[이호성]]([[해태 타이거즈]]) || → || [[이순철]]([[해태 타이거즈]]) [br] [[이정훈(1963년생)|이정훈]]([[빙그레 이글스]]) [br] [[이호성]]([[해태 타이거즈]]) ||
         ||<width=30%><:> [[유승안]] [BR] (1991) ||<:> {{{+1 →}}} ||<width=30%><#000000><:> '''{{{#ffffff 이강돈}}}'''[BR]'''{{{#ffffff (1992~1993)}}}''' ||<:> {{{+1 →}}} ||<width=30%><:> [[강정길]] [BR] (1994~1995) ||
         [[http://sports.news.naver.com/general/news/read.nhn?oid=410&aid=0000048405|[전설을 찾아] 빙그레 캡틴 이강돈, “원래 나는 삼성 선수였다” 上]][br][[http://sports.news.naver.com/general/news/read.nhn?oid=410&aid=0000048612|[전설을 찾아] 이강돈, “준우승만 네 번, 선동열 못 넘었다” 中]][br][[http://sports.news.naver.com/general/news/read.nhn?oid=410&aid=0000048731|[전설을 찾아] 이강돈, “한화는 언젠가는 돌아갈 고향” 下]]
         ||1986||<|8><:> [[빙그레 이글스|빙그레]] || 104 || 347 || .297 || 103 || 14 || '''6'''[br](2위) || 10 || 36 || 42 || 11 || 41 || .458 || .370 ||
         ||1988|| 103 || 377 || .313 || '''118[br]'''(3위) || '''{{{#red 26}}}'''[br](1위) || 3 || 4 || 56 || 57 || 8 || 27 || .430 || .355 ||
         ||1989|| 120 || 464 || .295 || '''{{{#red 137}}}'''[br](1위) || '''24'''[br](3위) || 4 || 9 || '''66'''[br](3위) || '''67'''[br](2위) || 12 || 35 || .422 || .342 ||
         ||1990|| 117 || 436 || '''.335'''[br](2위) || '''{{{#red 146}}}'''[br](1위) || 20 || '''6'''[br](3위) || '''16'''[br](4위) || '''84'''[br](3위) || '''{{{#red 81}}}'''[br](1위) || 12 || 51 || '''.518'''[br](3위) || '''.400'''[br](5위) ||
         ||1992|| 121 || 403 || '''.320'''[br](5위) || 129 || '''27'''[br](5위) || '''8'''[br](4위) || 13 || 60 || 73 || 7 || 42 || .524 || .379 ||
  • 이동수(야구선수)
         ||<tablewidth=100%><table align=center><#315288> [[KBO 퓨처스리그#s-6|[[파일:external/66.media.tumblr.com/tumblr_o72v3jpgxR1sqk8veo5_r6_250.png|height=30]]]][br] '''{{{#fff 1994 KBO 퓨처스 남부리그 홈런왕}}}''' ||
         ||<tablewidth=100%><table align=center><#315288> [[KBO 퓨처스리그#s-6|[[파일:external/66.media.tumblr.com/tumblr_o72v3jpgxR1sqk8veo5_r6_250.png|height=30]]]][br] '''{{{#fff 1994 KBO 퓨처스 남부리그 타점왕}}}''' ||
         ||<tablewidth=100%><#151B54> [[KBO 리그 신인왕 역대 수상자#s-3|[[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280px-KBO_League.svg.png|width=150]]]][br] '''{{{#ffffff 1995 KBO 리그 신인왕 }}}''' ||
         ||<:> '''소속팀''' || [[삼성 라이온즈]] (1992~1997) [br] [[롯데 자이언츠]] (1997~1998) [br] [[쌍방울 레이더스]] (1998~1999) [br] [[SK 와이번스]] (2000~2001) [br] [[KIA 타이거즈]] (2001~2003) [br] [[두산 베어스]] (2003) ||
         ||1995|| 125 || 420 || .288 || 121 || 17 || 3 || '''22'''[br](2위) || '''81'''[br](4위) || 70 || 2 || 54 || '''.500'''[br](5위) || .368 ||
         ||||<rowbgcolor=#ffff99><:> '''[[KBO]] 통산'''[BR](10시즌) || 674 || 1813 || .269 || 487 || 82 || 9 || 89 || 328 || 257 || 8 || 291 || .471 || .367 ||
  • 이성희(배구감독)
         || '''소속팀''' || [[서울시립대학교|서울시청]][* [[서울시립대학교]] 학생으로 구성된, 겉과 달리 '''실질은 대학 팀이었다.'''] (1986~1990) [br] [[고려증권 배구단|고려증권]](1990~1998) [br] 바이어 04 부퍼탈 (독일) (1998~2000) [br] [[인천 대한항공 점보스|대한항공]] (2000~2002) ||
         ||'''지도자'''|| [[수원 현대건설|현대건설]] 코치 (2002~2003) [br] [[GS칼텍스 서울 KIXX|GS칼텍스]] 수석코치 (2003~2008) [br] [[GS칼텍스 서울 KIXX|GS칼텍스]] 감독 (2008~2010) [br] [[대한민국 여자 배구 국가대표팀]] 감독 (2008~2009) [br] [[대전 KGC인삼공사|KGC인삼공사]] 수석코치 (2011~2012) [br] [[대전 KGC인삼공사|KGC인삼공사]] 감독 (2012~2016) [br] [[원곡고등학교]] 코치 (2016~2017) [br] 고창흥덕초등학교 감독 (2018~) [br] AVC(아시아배구연맹)컵 여자배구대표팀 코치 (2018) ||
         ||<width=30%><:> [[이희완(배구)|이희완]][* 시즌 중 건강상의 문제로 중도 사임.] [BR] (2006~2008) ||<:> {{{+1 →}}} ||<width=30%><#2c3d47><:> '''{{{#e8581b 이성희[* 다만 실질적으로는 이미 2007-08 시즌이 한창 진행중이던 2008년 1월부터 위암 발병으로 자리를 비운 이희완 감독을 대신하여 팀을 이끈 상황이었다.]}}}'''[BR]'''{{{#e8581b (2008~2010)}}}''' ||<:> {{{+1 →}}} ||<width=30%><:> [[조혜정(배구인)|조혜정]] [BR] (2010~2011) ||
         ||<width=30%><:> [[박삼용]] [BR] (2007~2012) ||<:> {{{+1 →}}} ||<width=30%><#f00c12><:> '''{{{#ffffff 이성희}}}'''[BR]'''{{{#ffffff (2012~2016)}}}''' ||<:> {{{+1 →}}} ||<width=30%><:> [[서남원]] [BR] (2016~ ) ||
  • 이세창(배우)
         || '''소속''' ||알스타즈 (감독, 대표)[br][[경기공업대학]] (교수)||
         || '''가족''' ||배우자 [[김지연]] (2003~2013), 정하나[* 1983년 3월 23일 출생.] (2017~현재)[BR]딸 이가윤[* 2005년 1월 28일 출생.], 동생 이세원||
  • 이수민(2001)
         ||<width=30%><:> [[이지은(1999)|이지은]][BR](2013.03~2014.08) ||<:> {{{+1 →}}} ||<width=30%><bgcolor=#FF9900><:> '''{{{#ffffff 이수민}}}'''[BR]'''{{{#ffffff (2014.09~2016.08)}}}'''||<:> {{{+1 →}}} ||<width=30%><:> [[이진솔]][BR](2016.09~2017.09) ||
         ||<bgcolor=#FF9900> {{{#ffffff '''학력'''}}} ||<(> 울산 염포초등학교[br][[도곡중학교|서울 도곡중학교]](졸업)[br][[한림연예예술고등학교]] 연예과(재학) ||
         과즙상이라고 불리는 상큼한 [[외모]]뿐만이 아닌 [[http://everyea.tistory.com/9?srchid=BR1http://everyea.tistory.com/9|또랑또랑한 목소리와 전달력이 좋은 발음]]이 매력적인 배우다.
         ||<|10> [[2016년]]~[[2017년]] || TV || [[현대약품]] || [[버물리|둥근머리 버물리겔]] || [[https://youtu.be/V9-32hSKlSE?list=PLDwwQ1HucbraRAOohjHVcmvNzSzsSOy0L|전편 영상]] • [[http://entertain.naver.com/read?oid=108&aid=0002527594|관련 기사]] ||
         || 퐁듀불금피자 || [[https://youtu.be/4bR7870KVNE|영상]] ||
         ||<|5> 인터넷 ||<|5> [[에이블씨엔씨]] || [[어퓨|A'PIEU]] - 홍당무, 베이비 톤업 크림 || [[https://youtu.be/1-95Nz8_pGg|1편]][[https://youtu.be/Kh7bRwA0f-k|2편]] ||
         || [[2017년]] [[4월 27일]] || [[서울]] [[고척 스카이돔]] || [[KBO 리그/2017년|타이어뱅크 KBO 리그]][br][[두산 베어스]] VS [[넥센 히어로즈]] || 시구자 || ||
         ||<|2> [[2016년]] [[4월 23일]] ||<|2> [[서울]] [[고척 스카이돔]] || [[미래엔|미래엔 DAY]] - 사인 이벤트 ~날 보러 와요 || ||<|2> [* 넥센 측 시구자로 나왔는데, 경기 결과 [[넥센 히어로즈/2016년/4월#s-7.2|넥센의 승]]으로 끝이 났다.[br][[파일:external/data.shootgoal.com/8228077672.gif|width=100%]]] • [[http://www.etoday.co.kr/news/section/newsview.php?idxno=1320717|관련 기사]] • [[http://m.sports.naver.com/video.nhn?id=187399&type=GAMEID|시구 영상]] • [[https://youtu.be/_Q7zPf6OYYY|비하인드 영상]] ||
         || [[KBO 리그/2016년|타이어뱅크 KBO 리그]][br][[LG 트윈스]] VS [[넥센 히어로즈]] || [[시구(야구)|시구자]] ||
  • 이원재(축구선수)
         || 소속팀 || [[포항 스틸러스]](2005~2007) [br] [[전북 현대]](2008) [br] [[울산 현대]](2009~2010) [br] [[포항 스틸러스]](2010~2014) [br] [[아산 무궁화|안산 경찰청]] (2013~2014, 군복무) [br] [[대구 FC]] (2015) [br] [[경남 FC]] (2016) [br] 마나마 FC (2017~ ) ||
         ||<width=30%><:> [[진경선]] [BR] (2015) ||<:> {{{+1 →}}} ||<width=30%><#050403><:> '''{{{#f2c91f 이원재}}}'''[BR]'''{{{#f2c91f (2016)}}}''' ||<:> {{{+1 →}}} ||<width=30%><:> [[배기종]] [BR] (2017~) ||
  • 이종석(법조인)
         || '''약력''' ||<(> [[인천지방법원]] 판사[br][[대구지방법원]] 부장판사[BR][[대전고등법원]] 부장판사[br][[수원지방법원]] 수석부장판사[br][[서울중앙지방법원]] 파산부 수석부장판사[br][[수원지방법원|수원지방법원장]][br][[서울고등법원]] 수석부장판사 ||
  • 장원삼(야구선수)
         ||<tablewidth=100%><#151B54> [[KBO 리그 역대 타이틀홀더/투수#s-1|[[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280px-KBO_League.svg.png|width=150]]]][br] '''{{{#ffffff 2012 KBO 리그 다승왕 }}}''' ||
         ||<:> '''소속팀''' || [[현대 유니콘스]] (2006~2007)[br][[히어로즈]] (2008~2009)[br] '''[[삼성 라이온즈]] (2010~2018)'''[br] [[LG 트윈스]] (2019~) ||
         || 2006 ||<|2><:> [[현대 유니콘스|현대]] || 29 || 183⅓ || 12 || 10 || 0 || 0 || 0.545 || '''2.85'''[br](5위) || 146 || 19 || 68 || '''142'''[br](4위) || 60 || 58 || 1.14 ||
         || 2007 || 30 || 168⅔ || 9 || 10 || 0 || 0 || 0.474 || 3.63 || 152 || 16 || 78 || '''132'''[br](5위) || 80 || 68 || 1.35 ||
         || 2008 || [[키움 히어로즈|우리]] || 27 || '''167⅓'''[br](5위) || '''12'''[br](4위) || 8 || 0 || 0 || 0.600 || '''2.85'''[br](5위) || 145 || 9 || 59 || '''126'''[br](4위) || 54 || 53 || 1.21 ||
         || 2010 ||<|9> [[삼성 라이온즈|삼성]] || 29 || 151 || 13 || 5 || 0 || 0 || '''0.722'''[br](4위) || 3.46 || 139 || 13 || 49 || 115 || 62 || 58 || 1.21 ||
         || 2012 || 27 || 157 || '''{{{#red 17}}}'''[br](1위) || 6 || 0 || 1 || '''0.708'''[br](4위) || 3.55 || 143 || 9 || 47 || 127 || 64 || 62 || 1.15 ||
         || 2013 || 27 || 154 || '''13'''[br](3위) || 10 || 1 || 0 || 0.565 || 4.38 || 165 || 21 || 51 || 104 || 85 || 75 || 1.34 ||
         || 2014 || 24 || 129⅓ || 11 || 5 || 0 || 0 || '''0.688'''[br](4위) || 4.11 || 149 || 16 || 42 || 63 || 70 || 59 || 1.44 ||
         || 2015 || 26 || 136⅔ || 10 || 9 || 0 || 0 || 0.526 || 5.80 || 151 || '''{{{#red 29}}}'''[br](1위) || 51 || 107 || 96 || 88 || 1.47 ||
         ||||<rowbgcolor=#ffff99><:> '''[[KBO]] 통산'''[BR](13시즌) || 345 || 1637 || 121 || 93 || 1 || 9 || 0.565 || 4.17 || 1694 || 190 || 550 || 1179 || 830 || 759 || 1.36 ||
         || 2008년 || '''2완투'''[br](2위) || '''2완봉'''[br](1위) ||
  • 장지훈(1997년 3월)
         ||||<rowbgcolor=#ffff99><:> '''[[KBO]] 통산'''[BR](2시즌) || 5 || 3⅓ || 0 || 0 || 0 || 0 || 0.00 || 3 || 1 || 6 ||
  • 전준호(1969)
         ||<tablewidth=100%><#151B54> [[KBO 리그 역대 타이틀홀더#s-1.5|[[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280px-KBO_League.svg.png|width=150]]]][br] '''{{{#ffffff 1995 KBO 리그 득점왕}}}''' ||
         ||<tablewidth=100%><#151B54> [[KBO 리그 역대 타이틀홀더#s-1.6|[[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280px-KBO_League.svg.png|width=150]]]][br] '''{{{#ffffff 1993,1995,2004 KBO 리그 도루왕 }}}''' ||
         ||<width=30%><:>[[이숭용]] [BR] (2002~2003) ||<:> {{{+1 →}}} ||<width=30%><#009900><:> '''{{{#ffff00 전준호}}}'''[BR]'''{{{#ffff00 (2004)}}}''' ||<:> {{{+1 →}}} ||<width=30%><:> [[김동수(야구선수)|김동수]] [BR] (2005) ||
         || '''소속팀''' || '''[[롯데 자이언츠]] (1991~1996)'''[br]'''[[현대 유니콘스]] (1997~2007)'''[br][[키움 히어로즈|히어로즈]] (2008~2009) ||
         || '''지도자''' || [[SK 와이번스]] 1군 주루코치 (2010)[br]투손 파드레스 타격 인스트럭터 (2011)[br][[NC 다이노스]] 주루코치 (2011~2012) [br] NC 다이노스 1군 주루코치 (2013~2018.7.13)[br][[고양 다이노스]] 주루코치 (2018.7.13~9.19)[br]NC 다이노스 1군 주루코치 (2019~) ||
         || 1992 || 120 || 466 || .300 || '''140'''[br](3위) || 17 || '''9'''[br](3위) || 5 || 49 || '''90'''[br](5위) || '''33'''[br](3위) || 58 || .408 || .376 ||
         || 1993 || 120 || 393 || .282 || 111 || 3 || '''7'''[br](3위) || 1 || 31 || '''63'''[br](5위) || '''{{{#FF0000 75}}}'''[br](1위) || 52 || .333 || .363 ||
         || 1995 || 124 || 458 || '''.308'''[br](5위) || '''141'''[br](3위) || 13 || '''{{{#FF0000 12}}}'''[br](1위) || 1 || 42 || '''{{{#FF0000 93}}}'''[br](1위) || '''{{{#FF0000 69}}}'''[br](1위) || 68 || .395 || .393 ||
         || 1996 ||<:> [[롯데 자이언츠|롯데]] || 103 || 324 || .272 || 88 || 12 || '''{{{#FF0000 9}}}'''[br](1위) || 2 || 22 || 49 || 23 || 38 || .383 || .346 ||
         || 1997 ||<|11> [[현대 유니콘스|현대]] || 110 || 369 || .247 || 91 || 14 || '''7'''[br](3위) || 2 || 18 || 48 || 48 || 46 || .339 || .330 ||
         || 1998 || 126 || 446 || '''.321'''[br](2위) || '''143'''[br](5위) || 16 || '''7'''[br](3위) || 5 || 43 || 78 || '''35'''[br](4위) || 59 || .422 || '''.398'''[br](4위) ||
         || 1999 || 129 || 470 || .291 || 137 || 7 || 2 || 4 || 43 || 80 || '''38'''[br](3위) || 71 || .340 || .380 ||
         || 2001 || 125 || 400 || .325 || 130 || 18 || '''6'''[br](2위) || 4 || 35 || 85 || '''27'''[br](5위) || 75 || .430 || '''.426'''[br](5위) ||
         || 2002 || 126 || 420 || .300 || 126 || 15 || '''{{{#FF0000 8}}}'''[br](1위) || 3 || 28 || 83 || '''26'''[br](4위) || 66 || .395 || .394 ||
         || 2003 || 129 || 442 || .269 || 119 || 16 || '''{{{#FF0000 6}}}'''[br](1위) || 3 || 38 || 79 || 20 || 68 || .353 || .365 ||
         || 2004 || 132 || 487 || .292 || 142 || 10 || '''{{{#FF0000 7}}}'''[br](1위) || 4 || 48 || 88 || '''{{{#FF0000 53}}}'''[br](1위) || 68 || .366 || .377 ||
         || 2008 || [[키움 히어로즈|우리]] || 114 || 352 || .310 || 109 || 16 || '''5'''[br](3위) || 1 || 24 || 44 || 16 || 36 || .392 || .372 ||
         ||<-2><rowbgcolor=#FFFF88> '''[[KBO]] 통산[BR](19시즌)''' || 2091 || 6928 || .291 || 2018[br](9위) || 214 || '''{{{#red 100}}}'''[br](1위) || 42 || 577 || '''1171'''[br](3위) || '''{{{#red 550}}}'''[br](1위) || 962 || .369 || .375 ||
  • 진동규(정당인)
         ||<:> 제7~8대 [br] [[이병령]] [br],,권한대행 김상원,, ||<:> → ||<:> 제9~10대 [br] '''진동규'''||<:> → ||<:> 제11~12대 [br] [[허태정]] ||
         || 2002 ||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대전광역시의회 유성 2선거구) || '''[[한나라당]]''' || '''10,070 (41.75%)''' || '''당선 (1위)''' || 2004.3.6 사퇴[BR](재보궐선거 출마) ||
  • 최재원(야구선수)
         ||<:>'''소속팀''' || [[NC 다이노스]](2013 ~ 2015)[br][[삼성 라이온즈]](2016)[br][[LG 트윈스]](2017~) ||
         ||<:>'''응원가''' || 삼성 시절:[[Wham!]]-Wake me up before you go-go [* 최재원~ Before for you go go~당신의 모든 것을 보여 줘요~ 최재원~ Before for you go go (GO!!) 삼성의 승리 위해~ 최재원~ Before for you go go 당신의 모든 것을 보여 줘요~ 최↘재↗원↗ Before for you go go (GO!!) 삼성의 승리 위해~][br]LG 시절 : [[노브레인]]-미친 듯 놀자 [* LG 최재원 안타!(짝짝) LG 최재원 안타!(짝짝) 우리가 함께해 LG 최재원~x2][* 참고로 [[NC 다이노스|고향이자 친정팀]]에서도 해당 곡을 팀 응원가로 쓴다.] ||
         ||||<rowbgcolor=#ffff99><:> '''[[KBO]] 통산'''[BR](5시즌) || 265 || 354 || .246 || 87 || 17 || 1 || 7 || 44 || 76 || 22 || 46 || .348 || .359 ||
  • 최채흥
         || 연도 || 소속팀 || 경기수[* 투수로 나온 경기만] || 이닝 || 투구수 || 승 || 패 || 승률 || ERA || 피안타[br](피홈런) || 4구+사구 || 탈삼진 || 실점(자책점) || WHIP || 피안타율 || K/9 ||
         ||||<rowbgcolor=#ffff99><:> '''[[KBO]] 통산'''[BR](1시즌) || 8 || 28 || 4 || 1 || 0 || 0 || 0.800 || 3.21 || 30 || 5 || 9 || 25 || 11 || 10 || 1.36 ||
  • 황규봉
         ||<tablewidth=100%><#151B54> [[KBO 리그 역대 타이틀홀더/투수#s-7|[[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280px-KBO_League.svg.png|width=150]]]][br] '''{{{#ffffff 1982 KBO 리그 구원왕}}}''' ||
         ||<tablewidth=100%><#151B54> [[KBO 리그 역대 타이틀홀더/투수#s-6|[[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280px-KBO_League.svg.png|width=150]]]][br] '''{{{#ffffff 1984 KBO 리그 승률왕}}}''' ||
         ||<:> '''소속팀''' ||<:> [[한국화장품 야구단]] (1976~1981) [br] [[삼성 라이온즈]] (1982~1986) ||
         || 1982 ||<|5><:>[[삼성 라이온즈|삼성]] || {{{#ff0000 '''47'''}}}[br](1위) || '''222⅓'''[br](3위) || '''15'''[br](2위) || 11 || {{{#ff0000 '''11'''}}}[br](1위) || 0.557 || '''2.47'''[br](4위) || 188 || 11 || 40 || '''99'''[br](4위) || 78 || 61 || '''1.00'''[br](2위) ||
         || 1983 || 30 || 130 || 6 || 4 || 3 || '''0.600'''[br](5위) || 3.67 || 136 || 10 || 46 || 45 || 66 || 53 || 1.32 ||
         || 1984 || 34 || 108 || 10 || 2 || 4 || '''{{{#red 0.833}}}'''[br](1위) || 3.25 || 109 || 4 || 32 || 48 || 42 || 39 || 1.23 ||
         || 1985 || 34 || 165⅔ || '''14'''[br](4위) || 7 || 4 || '''0.667'''[br](4위) || 3.04 || 158 || 12 || 42 || 55 || 66 || 56 || 1.18 ||
         ||||<rowbgcolor=#ffff99><:> '''[[KBO]] 통산'''[BR](5시즌) || 154 || 676 || 48 || 29 || 24 || 0.623 || 3.08 || 639 || 41 || 181 || 257 || 278 || 231 || 1.17 ||
         ||||<rowbgcolor=#ffff99><:> '''[[KBO]] 통산'''[BR](1시즌) || 1 || 1 || .000 || 0 || 0 || 0 || 0 || 0 || 0 || 0 ||
11830의 페이지중에 40개가 발견되었습니다

여기을 눌러 제목 찾기를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