팝업레이어 알림

팝업레이어 알림이 없습니다.
E D R , A S I H C RSS

"2011년"에 대한 역링크 찾기

2011년의 역링크


역링크만 찾기
검색 결과 문맥 보기
대소문자 구별
  • Can
         * 눈부신 너에게 ([[2011년]])
         * 내 사랑 간장게장 ([[2011년]])
         * 한춘상 일미 간장게장 ([[2011년]])
  • EXO
         === [[2011년]] ===
  • 강기석
         '''강기석'''([[1978년]] [[9월 10일]] [[경상북도]] [[안동시]] ~ [[2011년]] [[10월 18일]])은 [[대한민국]]의 산악인이다.
         [[1997년]] [[안동대학교]] [[기계공학]]부에 입학, [[2006년]]에 졸업하였다. 그는 [[박영석]], [[신동민]]과 함께 [[2011년]] [[안나푸르나]] 남벽 '코리아 신루트'를 개척하다가 동년 [[10월 18일]]에 '안나푸르나 남벽 5800m 부근에서 A.B.C로 하산하겠다.'는 마지막 교신을 남긴 채 실종, 고국으로 돌아오지 못하고 죽었다. [[대한산악연맹]]은 국내에서 2차로 구조대를 파견하는 등 수색·구조작업에 총력을 기울였지만 끝내 이들의 흔적을 찾지 못했다. 합동 영결식은 동년 [[11월 3일]], [[서울대학교병원]]에서 열렸으며,<ref>[http://www.mydaily.co.kr/news/read.html?newsid=201111031344112272&ext=na 故 박영석-신동민-강기석, 눈물바다가 된 합동 영결식] 마이데일리 스포츠에서</ref> [[문화체육관광부]]에서는 그에게 체육훈장 거상장을 수여했다.<ref>[http://korea.kr/newsWeb/pages/brief/partNews2/view.do?dataId=155795090&call_from=extlink&call_from=extlink 산악인 故 신동민, 강기석 대원 체육훈장 추서] 공감코리아 대한민국 정책포털에서</ref>
         * [[2011년]] 체육훈장 거상장
         [[분류:1978년 태어남]][[분류:2011년 죽음]][[분류:대한민국의 산악인]][[분류:체육훈장 거상장 수훈자]][[분류:안동시 출신]][[분류:안동영가초등학교 동문]][[분류:안동중학교 동문]][[분류:안동고등학교 동문]][[분류:안동대학교 동문]][[분류:등산 사고로 죽은 사람]]
  • 강기웅
         * [[삼성 라이온즈]] 타격코치 (2011년 ~ 2012년)
         2루수 부문 [[한국 프로 야구 골든 글러브 수상자 (2루수)|골든 글러브]]를 세 차례(1989, 1990, 1993) 차지했다. [[유격수]] [[류중일]] - 2루수 강기웅의 키스톤 콤비는 [[KBO 리그]] 역사상 가장 좋았던 콤비 중 하나로 인정받고 있다. 거꾸로 쳐도 3할이라는 천재적 타격을 자랑했으나, 약한 체력이 단점이었다.<ref>[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0366872 5연타석 홈런의 천재 2루수 강기웅] - 오마이뉴스</ref> 통산 타율 0.292로 선수 생활을 마감하였다. 실업야구팀 한국화장품에서 선수 생활을 하고 있었던 [[1988년]] [[10월 25일]]에 [[우리은행|상업은행]]과의 경기에서 세계 최초 5연타석 홈런을 기록한 적이 있다. [[1995년]] [[5월 13일]] 대전에서 [[한화 이글스]]와의 대구에서 1루수 [[이승엽]]과 충돌하여 입은 발목부상이 악화되어 내리막길을 걸었고, 부상 등의 이유로 [[백인천]] 감독과 불화를 일으켜 [[백인천]] 감독이 그를 [[1996년]] 시즌 후 외야수 이희성, 투수 최광훈을 상대로 [[현대 유니콘스]]에 트레이드했으나, 그는 삼성이 아닌 다른 팀에서는 뛸 이유가 없다고 의사를 밝혀 트레이드를 전격 거부하고 [[1997년]] 2월에 현역에서 물러났다.<ref>[http://news.hankooki.com/ArticleView/ArticleViewSH.php?url=baseball/201102/sp2011020917031657360.htm&cd=2101&ver=v002 명품 2루수 강기웅] - 한국일보</ref> 은퇴 후 유통업에 종사했다. 은퇴 때 그는 “심장에 푸른 피가 도는데 어떻게 유니콘스 옷을 입을 수 있었겠느냐”라는 말을 남겼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7&oid=295&aid=0000000356 천재 강기웅의 인생 유전] - 박동희 칼럼</ref> [[2011년]] [[8월 10일]]에 타격코치로 선임되어 친정 팀에 돌아왔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7&oid=001&aid=0005206016 삼성, 2군 타격코치로 강기웅 씨 영입] - 연합뉴스</ref>
  • 강기화
         * [[2011년]] [[MBC]] 월화드라마 《[[짝패 (드라마)|짝패]]》
         * [[2011년]] 《[[체포왕]]》 ... 혜진 역
  • 강다솜 (1986년)
         * [[2011년]] ~ [[2013년]] : [[MBC TV|MBC]] 《[[MBC 뉴스투데이]]》 스포츠투데이 주말 앵커
         * [[2011년]] ~ [[2012년]] : [[MBC TV|MBC]] 《[[MBC 뉴스투데이]]》 머니&트렌드 주말 앵커
  • 강민경
         * [[2011년]] [[매일방송|MBN]] 일일시트콤 《[[뱀파이어 아이돌]]》 ... 강민경 역
  • 강병우 (야구선수)
         * [[넥센 히어로즈]] (2010년 ~ 2011년)
         '''강병우'''(姜秉友<ref> 한국야구위원회, 2014 가이드북 </ref>, [[1986년]] [[12월 26일]] ~ )은 전 [[KBO 리그]] [[NC 다이노스]]의 [[외야수]]이다. 상무에서 군 복무 중 [[이택근]]을 상대로 트레이드되었다. 트레이드된 후 상무에서 제대하고 [[2010년]] 1군에 처음으로 올라왔다. 시즌 후반기에 [[대주자]]나 [[대타]]로 나가면서 팀 득점에 도움을 줬고, [[9월 24일]] [[두산 베어스]] [[투수]] [[오현택]]에게 번트로 프로 데뷔 첫 안타를 기록했다. [[2011년]] [[6월 7일]]에 [[조재호 (야구 선수)|조재호]], [[박민주]]와 함께 웨이버 공시되었다. 이후 [[2012년]] 가을 [[NC 다이노스]]에 신고 선수로 입단하였다.
  • 강산에
         * 《Kiss》 ([[2011년]] 4월)
         * [[2011년]] 《[[평양성 (영화)|평양성]]》 ... 음악부분
         * [[2011년]] 《[[핑크 (영화)|핑크]]》 ... 방랑객 역
  • 강성민 (1979년)
         |SBS||[[뿌리깊은 나무 (2011년 드라마)|뿌리깊은 나무]]||[[윤필]]||
         * 《[[스펀지 제로]]》 ([[KBS2]], [[2011년]])
         * 《슈퍼 앱 코리아》 ([[온게임넷]], [[2011년]])
  • 강성연
         * [[2011년]] [[ELLE atTV]] 《F.B.I》 ... MC
         * [[2011년]] [[MBC]] 《찾아라 맛있는 TV》 ... MC
  • 강성연(배우)
         ||<|2> [[2011년]] || ELLE atTV[* 2009년에 개국했다가 2012년에 폐국] || F.B.I || MC || - ||
  • 강성진 (배우)
         * [[2011년]] 《[[사랑이 무서워]]》 - 조감독 역
  • 강성호 (1966년)
         | 임기 = [[2011년]] [[10월 27일]] ~ [[2014년]] [[6월 30일]]
         * 2011년 10월 27일 ~ 2014년 6월 30일:제23대 대구 서구청장(민선,[[새누리당]],대구의 최연소(46세) 기초단체장)
         |[[2011년 대한민국 재보궐선거|10·26 재보궐선거]]||[[서구 (대구광역시)|대구광역시 서구청장]]||23대 (민선 5기)||[[한나라당]]||{{막대|한|5|5|0|1}} 55.01%||22,624표||1위||[[파일:대구당선.png|25px|대구 서구청장 당선]]
         |임기 = [[2011년]] [[10월 27일]] ~ [[2014년]] [[6월 30일]]
  • 강소라(배우)
         이후 [[2010년]] [[tvN]] 드라마 '막돼먹은 영애씨'에서 영애의 남동생 영민의 아내 역으로 출연했다. 시가(媤家) 식구들 눈치를 보면서 "제가 뭐라구..."가 단골 대사였다. 다음 해인 [[2011년]]에는 전국 관객수 770만을 동원한 영화 '[[써니(영화)|써니]]'에서 극중 무리를 이끄는 터프한 여고생 하춘화 역을 맡아 훌륭히 소화하면서 신인 배우로 큰 주목을 받게 된다.
         || [[2011년]] || [[써니(영화)|써니]] || 어린 하춘화 || 주연 ||
         || [[2011년]] || [[KBS1]] || [[웃어라동해야]] || 봉희 친구역 || ||
         || [[2010년]]~[[2011년]] || [[tvN]] || [[막돼먹은 영애씨|막돼먹은 영애씨 시즌8]] || 강소라 || ||
         ||<|2> [[2011년]] ||<|2> [[허각]] || Hello ||
         || [[2011년]] [[10월 8일]] ~ [[2012년]] [[9월 8일]] || [[MBC]] || [[우리 결혼했어요|우리 결혼했어요 시즌3]] || 참가커플(with.[[이특(슈퍼주니어)|이특]]) || ||
         || [[2011년]] [[12월 31일]] || [[MBC]] || [[MBC 가요대제전]] || 진행자 || ||
         || [[2011년]] [[10월 8일]] || [[XTM]] || [[탑기어 코리아 시즌 1|탑기어 코리아 시즌1]] || 꼭지출연 || ||
         || [[2011년]] [[6월 21일]] ~ [[2011년]] [[7월 5일]] || [[SBS]] || [[강심장]] || 게스트 || ||
         ||<|4> [[2011년]] || [[CJ그룹]] || [[TVING]] || ||
         ||<|3> [[2011년]] || 제4회 스타일 아이콘 어워즈 || Concerts of the Year ||<|3> 써니 ||
  • 강수진 (발레무용수)
         |소속 = [[국립발레단]] (前)<br />現 [[슈투트가르트 발레단]] (수석 발레리나)<br />(前) [[2014년]] 제7대 대한민국 국립발레단 단장<br />(現) [[2013년]] 2018 평창동계올림픽 홍보대사<br />(前) [[2011년]] 로잔국제콩쿠르 대회 심사위원<br />(前) [[2007년]] 독일 캄머 탠처린<br />(前) [[2006년]] 제3회 [[서울국제무용콩쿠르]] 발레부문 심사위원
  • 강승조 (축구선수)
         [[2011년]] [[7월 28일]], [[김영우 (축구 선수)|김영우]]와 트레이드되어 [[경남 FC|경남]]으로 이적하였다.<ref>{{뉴스 인용 |제목=경남, 전원근-강승조 차례로 영입 |url=http://www.gyeongnamfc.com/board_/view.asp?f_gbn=sportalnews&idx_key=1445 |출판사=경남 FC |날짜=2011년 7월 28일 }}{{깨진 링크|url=http://www.gyeongnamfc.com/board_/view.asp?f_gbn=sportalnews&idx_key=1445 }}</ref>
  • 강신일
         * [[2011년]] [[MBC]] 《[[짝패 (드라마)|짝패]]》 ... 성 초시 역
         * [[2011년]] [[SBS]] 《[[내게 거짓말을 해봐]]》 ... 공준호 역
         * [[2011년]] [[JTBC]] 《[[발효가족]]》 ... 이기찬 역
         * [[2011년]] 《[[심장이 뛴다 (영화)|심장이 뛴다]]》 ... 최 원장 역
         * [[2011년]] 《[[글러브 (영화)|글러브]]》 ... 교감 역
         * [[2011년]] 《[[오직 그대만]]》 ... 최 관장 역
  • 강연재
         * [[2011년]] : 사회복지공동모금회 모금분과위원회 위원
         * [[2011년]] ~ [[2012년]] : 국회 입법지원단 위원
  • 강영숙 (농구인)
         '''강영숙'''([[1981년]] [[9월 16일]] ~ )은 [[대한민국]]의 전 여자 [[농구]] 선수다. 키 186cm로 포지션은 [[센터 (농구)|센터]]다. [[동주여자고등학교|동주여자상업고등학교]]를 졸업하고 [[2000년]] [[춘천 우리은행 한새|한빛은행]]에 입단하여 데뷔했다. [[2004년]] [[9월 13일]] [[가드]] 김영옥을 상대로 이연화와 김나연과 함께 트레이드되어 [[안산 신한은행 에스버드|신한은행]]에 이적했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7&oid=001&aid=0000761813 신한은행, 김영옥 1:3 트레이드] - 연합뉴스</ref> [[2009년]] [[1월 31일]] [[용인 삼성생명 블루밍스|삼성생명]]과의 [[안산시|안산]] 홈 경기에서 데뷔 10년 만에 1,000 리바운드 기록을 세운 선수이다.<ref>[http://news.jumpball.co.kr/news/view/cd/03/seq/3531 강영숙, 통산 19번째 1,000리바운드 달성] {{웨이백|url=http://news.jumpball.co.kr/news/view/cd/03/seq/3531# |date=20140222041732 }} - 점프볼</ref> [[2011년]] 정규 리그 MVP에 선정되어 첫 개인 타이틀을 거머쥐었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7&oid=065&aid=0000046402 정규 리그 MVP 강영숙 '올 시즌 최고의 신데렐라'] - 점프볼</ref> [[2013년]] [[1월 8일]] 조은주, 곽주영, 애슐리 로빈슨을 상대로 이연화, [[캐서린 크라예펠트]]와 함께 [[구리 KDB생명 위너스]]에 트레이드되었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7&oid=001&aid=0006029149 여자농구 신한은행-KDB생명, 3:3 대형 트레이드] - 연합뉴스</ref> 이후 [[2014년]] [[2월 11일]]에 이정현과 2015 드래프트 1순위 지명권과 바꾸는 조건으로 다시 트레이드되어 친정 팀 [[춘천 우리은행 한새]]에 복귀했다.<ref>[http://sports.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basketball&ctg=news&mod=read&office_id=065&article_id=0000081059 강영숙, 우리은행으로 깜짝 이적…이정현과 트레이드] - 점프볼</ref>
  • 강유이
         * [[2011년]] - 서울모터쇼 스바루 모델
         * [[2011년]] - 지스타 레드파이브 모델
  • 강의석
         [[7월]]에 고등학교 복학 이후에도 학교 측의 [[종교 선택의 자유]]를 요구하며 두 차례에 걸쳐 학교측에 [[종교의 자유]]를 요구하는 단식 농성을 벌였다. [[서울대학교]] 법과대학을 휴학하며 [[시민 사회 운동]]에 투신하였고 대학은 중퇴하였다. 그밖에 그는 [[대한민국 헌법]]상 병역의 의무를 폭력으로 규정하고 [[평화주의|군대 반대 퍼포먼스]]와 각종 집회 등을 주도하였으며, [[2008년]] [[9월 30일]]에는 [[군대]] 폐지론을 주장하는 무언 [[퍼포먼스]]를, [[10월 1일]]에는 군대의 폭력성을 지적하고자 [[국군의 날]] 기념 행사장에 누드로 [[퍼포먼스]]를 벌이기도 했다. [[서울대학교]] 법과 대학에 진학하였으나 사회 문제에 관심을 두다가 [[2011년]] 미등록제적 형식으로 그만두었다.
         그는 군대의 폭력성과 [[인권침해]]를 비판하여 군대 폐지론을 주장하기도 했다. [[2011년]] [[6월 2일]] [[병역법]] 위반혐의로 징역 1년 6개월의 실형을 선고받아 법정 구속 수감됐으며, 실형을 받은지 1년 2개월인 [[2012년]] [[8월 15일]] [[가석방]]을 받았다. 투옥 중에는 [[수감자 처우 개선]]을 요구하며 [[단식투쟁]]을 벌였다.<ref name="trusts">[http://www.hani.co.kr/arti/society/society_general/518291.html 강의석, 구치소서 ‘단식투쟁’ 하다 쓰러져] 한겨레신문 2012년 02월 9일자</ref> 그는 또 일부 국가대표 체육 선수들의 병역면제(엄밀히는 [[예술체육요원]]) 혜택에 대해 서민 남성들은 군대 가야 하는데 체육 하나 잘한다는 이유로 부당하게 [[병역면제]]를 받는다며 모 국가대표 선수들을 비판하기도 했다. [[서울특별시|서울]] 출신이다.
         그는 전쟁은 폭력이라며 폭력 행위에 가담할 이유가 없다고 병역 거부의 취지를 밝혔다. 한편 [[2011년]] [[4월 18일]] [[서울중앙지검]] 형사6부(부장검사 차경환)는 [[공익근무요원]] 소집 입영통지서를 받고도 이행하지 않은 강의석을 병역법 위반 혐의로 불구속 기소했다고 밝혔다.<ref>[http://www.hankyung.com/news/app/newsview.php?aid=2011041908267 강의석 병역거부혐의 불구속 기소…'공익근무요원 입영통지서 거부'] 한국경제 2011.04.19</ref> 일각에서는 그에게 법정 투쟁을 해보라고 권고했지만, [[4월 20일]] 그는 저항하지 않고 따르겠다고 밝혔다.
         [[2011년]] 초에는 곧 있어야 할 곳이라는 이름으로 쇠파이프를 여러개 세워두고 그 안에서 자신이 갇혀 있는 형상의 무언 퍼포먼스를 벌였다. 그는 군대가 개인의 권리를 침해하는 것을 거듭 지적했다. [[2011년]] [[4월 18일]], 검찰은 강의석씨를 병역법 위반 혐의로 불구속 기소했다. 2010년 11월 논산 육군훈련소에 입소하라는 [[공익근무요원]]소집 입영통지서를 받고도 이행하지 않은 혐의를 받고 있다. 강씨는 대학 입학 이후 줄곧 병역 거부 입장을 밝혀 왔었다.<ref>[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104181007171&code=940301 검찰, 병역거부 강의석씨 불구속 기소] 경향신문 2011-04-18</ref> 그는 군대의 폭력성과 비인간적인 점, 군대 내에서 병사들의 인권과 처우가 존중되지 않는 점을 지적하며 자신의 병역 거부에 대한 소신을 밝혔다.
         [[4월]] 병역 거부를 선택하고, [[서울대학교]] 법과 대학에도 자퇴서를 제출하였다. [[2011년]] [[4월 20일]] 강의석은 머니투데이에 "당장은 감옥에 들어가야 하고, 나중에는 사업을 할 생각이라 굳이 학교를 계속 다닐 필요가 없다고 판단해 자진해서 제적을 택했다"고 자퇴이유를 밝혔다.<ref>[http://www.mt.co.kr/view/mtview.php?type=1&no=2011042013465726529&outlink=1 '병역거부' 강의석, MC몽과 비교한 비난여론에...(인터뷰)] 머니투데이 2011.04.20</ref> 그는 법원 결정이 나오더라도 항소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강씨는 “지금 상황에서 항소는 ‘액션’에 지나지 않는다고 본다. 주변에서는 대법원까지 가서 상황을 더 알리라고 권유하기도 했지만 지금으로서는 참고 힘을 더 모으는 일이 중요한 것 같다. 그래야 앞으로의 상황을 변화시킬 수 있다”고 말했다.<ref name="yangbyong">[http://star.mk.co.kr/new/view.php?mc=ST&no=251637&year=2011 강의석 끝내 군입대 거부… 감옥 가겠다] 머니투데이 2011.04.20</ref>
         [[2011년]] [[6월 2일]], [[서울중앙지방법원]]은 강의석을 [[병역법]] 위반으로 징역 1년 6개월의 실형을 선고하여 법정 구속 수감했다.<ref name="mcnom">[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POD&mid=sec&oid=001&aid=0005093765&isYeonhapFlash=Y `병역거부' 강의석 징역 1년6월…법정구속] 연합뉴스 2011-06-02</ref> 서울중앙지법 형사11단독 권기만 판사는 2일 종교수업 반대운동으로 알려진 강의석(25)씨에게 입영을 거부한 혐의(병역법 위반)를 인정, 징역 1년6월을 선고하고 법정구속했다.<ref>[http://news.hankooki.com/lpage/society/201106/h2011060218205721950.htm <nowiki>[</nowiki>입영 거부<nowiki>]</nowiki> 군대 폐지 주장 강의석씨 법정구속] {{웨이백|url=http://news.hankooki.com/lpage/society/201106/h2011060218205721950.htm# |date=20131102222105 }} 한국일보 2011.06.02</ref> 재판 과정에서 강의석은 군 법무관으로 복무하고 싶다는 등의 발언을 했으며 이로 인해 재판부는 강의석이 신념에 갈등이 있는지 의문이 있다고 하였다. 재판부는 '신념 형성의 자유는 절대적 자유이지만, 이를 실현할 자유는 제한될수 있다'고 판결했다.<ref name="mcnom"/> {{출처|날짜=2012-11-19|서울구치소에서 수감되는 중에 재소자 인권을 주장하면서 2번의 단식투쟁을 하다가 2번째 단식투쟁에서 쓰러지고, 2월 9일에 해남교도소로 이감되었다.}}
         [[2011년]] [[9월 14일]] 그는 구치소 내 '수용자들의 처우 개선'을 요구하며 단식 농성을 시작하였다.<ref name="jaedans">[http://news.mtn.co.kr/newscenter/news_viewer.mtn?gidx=2011092010580772079 강의석, 옥중 단식 돌입 ‘수용자 처우 개선요구’]</ref> 경기 의왕 서울구치소에 수감된 강씨는 '종이 재질인 간이책상을 플라스틱이나 나무 소재로 바꿔달라', '현행 격주 토요일만 가능한 운동을 매주 할 수 있게 해달라', '조명을 더 밝게 해달라'등의 수용자 처우 개선을 요구하며 지난 14일부터 일주일째 단식을 이어갔다.<ref name="jaedans"/> 투옥 이후 그는 차가운 감옥과 비위생적인 환경에 대해 꾸준히 문제 제기를 하였다. 비록 범죄를 짓고 감옥에 들어왔지만 인권을 가진 인간임에는 변함없다며 재소자 처우 개선을 요구하였다. 시중에서는 범죄자 주제에 무슨 인권이냐는 비아냥이 쏟아졌지만 그는 범죄자도 한 사람의 인간이라고 받아쳤다. 또, 범죄에 대한 대가는 처벌로서 치루고 있으며, 법적으로 처벌을 받는 중인데 다른 사람들이 왈거왈부할 필요가 없다고 주장했다. 또 형량을 사는 죄인도 한 사람의 인간이라 주장했다.
         그는 [[양심적 병역 거부]]가 존중되는 사회가 되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2011년]] [[4월]] 한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그는 “생각하면 답답하다. 많은 사람이 나와 같은 이유로 감옥에 가고 있지만 결국 아무것도 못하고 지는 것 같아 안타깝다. 역부족인 것을 느꼈다”<ref name="yangbyong"/> 고 양심적 병역 거부에 대한 소회를 밝히기도 했다. 그는 [[양심적 병역 거부]]권을 존중하지 않는 점을 [[한국]] 사회의 문제점으로 지적했다.
         그는 병역을 폭력으로 보고 병역 이행을 거부하기로 했다는 소신을 굽히지 않았다. 언론사들 인터뷰에서도 그는 같은 소신을 되풀이했다. [[2011년]] [[4월 20일]] [[경향신문]]과의 전화 인터뷰에서는 “군대 제도가 사라져야 한다는 생각에 변함이 없다. 여러 대안도 생각해봤지만 현실적으로 ‘감옥’에 들어가는 것 이외에는 달리 방도가 없어 긍정적으로 생각하기로 했다”고 밝혔다.<ref name="gungam"/>
         그는 감옥 재소자들 역시 하나의 사람이며, 비록 죄인의 신분이기는 하지만 인간답게 형벌을 받을 권리가 있음을 지적했다. 그는 차가운 감옥과 비위생적인 환경에 대해 꾸준히 문제 제기를 하였다. 비록 범죄를 짓고 감옥에 들어왔지만 [[인권]]을 가진 인간임에는 변함없다며 재소자 처우 개선을 요구하였다. [[2011년]] [[9월 14일]] 그는 [[구치소]] 내 '수용자들의 처우 개선'을 요구하며 단식 농성을 시작하였다.<ref name="jaedans"/> [[경기]] [[의왕]] [[서울구치소]] 수감 중 그는 '종이 재질인 간이책상을 [[플라스틱]]이나 나무 소재로 바꿔달라', '현행 격주 [[토요일]]만 가능한 운동을 매주 할 수 있게 해달라', '조명을 더 밝게 해달라'등의 수용자 처우 개선<ref name="jaedans"/> 을 요구하며 단식하였다. [[서울구치소]] 측에서 조치가 없자 그는 일주일간 [[단식]] 농성을 진행하였다.
  • 강의석 (영화감독)
         [[7월]]에 고등학교 복학 이후에도 학교 측의 [[종교 선택의 자유]]를 요구하며 두 차례에 걸쳐 학교측에 [[종교의 자유]]를 요구하는 단식 농성을 벌였다. [[서울대학교]] 법과대학을 휴학하며 [[시민 사회 운동]]에 투신하였고 대학은 중퇴하였다. 그밖에 그는 [[대한민국 헌법]]상 병역의 의무를 폭력으로 규정하고 [[평화주의|군대 반대 퍼포먼스]]와 각종 집회 등을 주도하였으며, [[2008년]] [[9월 30일]]에는 [[군대]] 폐지론을 주장하는 무언 [[퍼포먼스]]를, [[10월 1일]]에는 군대의 폭력성을 지적하고자 [[국군의 날]] 기념 행사장에 누드로 [[퍼포먼스]]를 벌이기도 했다. [[서울대학교]] 법과 대학에 진학하였으나 사회 문제에 관심을 두다가 [[2011년]] 미등록제적 형식으로 그만두었다.
         그는 군대의 폭력성과 [[인권침해]]를 비판하여 군대 폐지론을 주장하기도 했다. [[2011년]] [[6월 2일]] [[병역법]] 위반혐의로 징역 1년 6개월의 실형을 선고받아 법정 구속 수감됐으며, 실형을 받은지 1년 2개월인 [[2012년]] [[8월 15일]] [[가석방]]을 받았다. 투옥 중에는 [[수감자 처우 개선]]을 요구하며 [[단식투쟁]]을 벌였다.<ref name="trusts">[http://www.hani.co.kr/arti/society/society_general/518291.html 강의석, 구치소서 ‘단식투쟁’ 하다 쓰러져] 한겨레신문 2012년 02월 9일자</ref> 그는 또 일부 국가대표 체육 선수들의 병역면제(엄밀히는 [[예술체육요원]]) 혜택에 대해 서민 남성들은 군대 가야 하는데 체육 하나 잘한다는 이유로 부당하게 [[병역면제]]를 받는다며 모 국가대표 선수들을 비판하기도 했다. [[서울특별시|서울]] 출신이다.
         그는 전쟁은 폭력이라며 폭력 행위에 가담할 이유가 없다고 병역 거부의 취지를 밝혔다. 한편 [[2011년]] [[4월 18일]] [[서울중앙지검]] 형사6부(부장검사 차경환)는 [[공익근무요원]] 소집 입영통지서를 받고도 이행하지 않은 강의석을 병역법 위반 혐의로 불구속 기소했다고 밝혔다.<ref>[http://www.hankyung.com/news/app/newsview.php?aid=2011041908267 강의석 병역거부혐의 불구속 기소…'공익근무요원 입영통지서 거부'] 한국경제 2011.04.19</ref> 일각에서는 그에게 법정 투쟁을 해보라고 권고했지만, [[4월 20일]] 그는 저항하지 않고 따르겠다고 밝혔다.
         [[2011년]] 초에는 곧 있어야 할 곳이라는 이름으로 쇠파이프를 여러개 세워두고 그 안에서 자신이 갇혀 있는 형상의 무언 퍼포먼스를 벌였다. 그는 군대가 개인의 권리를 침해하는 것을 거듭 지적했다. [[2011년]] [[4월 18일]], 검찰은 강의석씨를 병역법 위반 혐의로 불구속 기소했다. 2010년 11월 논산 육군훈련소에 입소하라는 [[공익근무요원]]소집 입영통지서를 받고도 이행하지 않은 혐의를 받고 있다. 강씨는 대학 입학 이후 줄곧 병역 거부 입장을 밝혀 왔었다.<ref>[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104181007171&code=940301 검찰, 병역거부 강의석씨 불구속 기소] 경향신문 2011-04-18</ref> 그는 군대의 폭력성과 비인간적인 점, 군대 내에서 병사들의 인권과 처우가 존중되지 않는 점을 지적하며 자신의 병역 거부에 대한 소신을 밝혔다.
         [[4월]] 병역 거부를 선택하고, [[서울대학교]] 법과 대학에도 자퇴서를 제출하였다. [[2011년]] [[4월 20일]] 강의석은 머니투데이에 "당장은 감옥에 들어가야 하고, 나중에는 사업을 할 생각이라 굳이 학교를 계속 다닐 필요가 없다고 판단해 자진해서 제적을 택했다"고 자퇴이유를 밝혔다.<ref>[http://www.mt.co.kr/view/mtview.php?type=1&no=2011042013465726529&outlink=1 '병역거부' 강의석, MC몽과 비교한 비난여론에...(인터뷰)] 머니투데이 2011.04.20</ref> 그는 법원 결정이 나오더라도 항소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강씨는 “지금 상황에서 항소는 ‘액션’에 지나지 않는다고 본다. 주변에서는 대법원까지 가서 상황을 더 알리라고 권유하기도 했지만 지금으로서는 참고 힘을 더 모으는 일이 중요한 것 같다. 그래야 앞으로의 상황을 변화시킬 수 있다”고 말했다.<ref name="yangbyong">[http://star.mk.co.kr/new/view.php?mc=ST&no=251637&year=2011 강의석 끝내 군입대 거부… 감옥 가겠다] 머니투데이 2011.04.20</ref>
         [[2011년]] [[6월 2일]], [[서울중앙지방법원]]은 강의석을 [[병역법]] 위반으로 징역 1년 6개월의 실형을 선고하여 법정 구속 수감했다.<ref name="mcnom">[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POD&mid=sec&oid=001&aid=0005093765&isYeonhapFlash=Y `병역거부' 강의석 징역 1년6월…법정구속] 연합뉴스 2011-06-02</ref> 서울중앙지법 형사11단독 권기만 판사는 2일 종교수업 반대운동으로 알려진 강의석(25)씨에게 입영을 거부한 혐의(병역법 위반)를 인정, 징역 1년6월을 선고하고 법정구속했다.<ref>[http://news.hankooki.com/lpage/society/201106/h2011060218205721950.htm <nowiki>[</nowiki>입영 거부<nowiki>]</nowiki> 군대 폐지 주장 강의석씨 법정구속] {{웨이백|url=http://news.hankooki.com/lpage/society/201106/h2011060218205721950.htm# |date=20131102222105 }} 한국일보 2011.06.02</ref> 재판 과정에서 강의석은 군 법무관으로 복무하고 싶다는 등의 발언을 했으며 이로 인해 재판부는 강의석이 신념에 갈등이 있는지 의문이 있다고 하였다. 재판부는 '신념 형성의 자유는 절대적 자유이지만, 이를 실현할 자유는 제한될수 있다'고 판결했다.<ref name="mcnom"/> {{출처|날짜=2012-11-19|서울구치소에서 수감되는 중에 재소자 인권을 주장하면서 2번의 단식투쟁을 하다가 2번째 단식투쟁에서 쓰러지고, 2월 9일에 해남교도소로 이감되었다.}}
         [[2011년]] [[9월 14일]] 그는 구치소 내 '수용자들의 처우 개선'을 요구하며 단식 농성을 시작하였다.<ref name="jaedans">[http://news.mtn.co.kr/newscenter/news_viewer.mtn?gidx=2011092010580772079 강의석, 옥중 단식 돌입 ‘수용자 처우 개선요구’]</ref> 경기 의왕 서울구치소에 수감된 강씨는 '종이 재질인 간이책상을 플라스틱이나 나무 소재로 바꿔달라', '현행 격주 토요일만 가능한 운동을 매주 할 수 있게 해달라', '조명을 더 밝게 해달라'등의 수용자 처우 개선을 요구하며 지난 14일부터 일주일째 단식을 이어갔다.<ref name="jaedans"/> 투옥 이후 그는 차가운 감옥과 비위생적인 환경에 대해 꾸준히 문제 제기를 하였다. 비록 범죄를 짓고 감옥에 들어왔지만 인권을 가진 인간임에는 변함없다며 재소자 처우 개선을 요구하였다. 시중에서는 범죄자 주제에 무슨 인권이냐는 비아냥이 쏟아졌지만 그는 범죄자도 한 사람의 인간이라고 받아쳤다. 또, 범죄에 대한 대가는 처벌로서 치루고 있으며, 법적으로 처벌을 받는 중인데 다른 사람들이 왈거왈부할 필요가 없다고 주장했다. 또 형량을 사는 죄인도 한 사람의 인간이라 주장했다.
         그는 [[양심적 병역 거부]]가 존중되는 사회가 되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2011년]] [[4월]] 한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그는 “생각하면 답답하다. 많은 사람이 나와 같은 이유로 감옥에 가고 있지만 결국 아무것도 못하고 지는 것 같아 안타깝다. 역부족인 것을 느꼈다”<ref name="yangbyong"/> 고 양심적 병역 거부에 대한 소회를 밝히기도 했다. 그는 [[양심적 병역 거부]]권을 존중하지 않는 점을 [[한국]] 사회의 문제점으로 지적했다.
         그는 병역을 폭력으로 보고 병역 이행을 거부하기로 했다는 소신을 굽히지 않았다. 언론사들 인터뷰에서도 그는 같은 소신을 되풀이했다. [[2011년]] [[4월 20일]] [[경향신문]]과의 전화 인터뷰에서는 “군대 제도가 사라져야 한다는 생각에 변함이 없다. 여러 대안도 생각해봤지만 현실적으로 ‘감옥’에 들어가는 것 이외에는 달리 방도가 없어 긍정적으로 생각하기로 했다”고 밝혔다.<ref name="gungam"/>
         그는 감옥 재소자들 역시 하나의 사람이며, 비록 죄인의 신분이기는 하지만 인간답게 형벌을 받을 권리가 있음을 지적했다. 그는 차가운 감옥과 비위생적인 환경에 대해 꾸준히 문제 제기를 하였다. 비록 범죄를 짓고 감옥에 들어왔지만 [[인권]]을 가진 인간임에는 변함없다며 재소자 처우 개선을 요구하였다. [[2011년]] [[9월 14일]] 그는 [[구치소]] 내 '수용자들의 처우 개선'을 요구하며 단식 농성을 시작하였다.<ref name="jaedans"/> [[경기]] [[의왕]] [[서울구치소]] 수감 중 그는 '종이 재질인 간이책상을 [[플라스틱]]이나 나무 소재로 바꿔달라', '현행 격주 [[토요일]]만 가능한 운동을 매주 할 수 있게 해달라', '조명을 더 밝게 해달라'등의 수용자 처우 개선<ref name="jaedans"/> 을 요구하며 단식하였다. [[서울구치소]] 측에서 조치가 없자 그는 일주일간 [[단식]] 농성을 진행하였다.
  • 강인원 (가수)
         [[2011년]]에는 [[이치현]], [[권인하]], [[민해경]]과 함께 프로젝트 [[보컬]] [[음악 그룹]] "[[컬러스 (음악 그룹)|컬러스]]"(the Colors)를 결성하기도 하였다.
  • 강재형 (아나운서)
         * [[2011년]] 11월 ~ : 국립국어원 말다듬기위원회 위원
         * [[2011년]] 2월 : 블루터치 홍보대사
         * [[2011년]] [[9월 30일]] : 《F1의 모든 것》, 《최고 속도에 도전하는 인간과 머신의 만남》
  • 강정우 (프로게이머)
         *[[2011년]] 진에어 스타리그 2011 24강
  • 강지섭
         * [[2011년]] [[E채널]] 토요드라마 《[[여제 (드라마)|여제]]》 ... 정혁 역
         * [[2011년]] [[MBN]] 주말시트콤 《[[갈수록 기세등등]]》 ... 강인한 역
  • 강지영 (아나운서)
         |활동기간 = [[2011년]] ~ '''현재'''
         [[서울특별시|서울]]에서 훗날장을 역임한 세무공무원 강형원의 1남 2녀 중 둘째로 출생하였다. 2014년 12월 19일</ref> 중학교 3학년 재학 중 미국 유학하여 대학 졸업까지 마쳤다. [[2011년]] [[문화방송|MBC]] [[일밤]] - [[신입사원 (텔레비전 프로그램)|신입사원]]에서 첫 데뷔하였고 같은 해 [[2011년]] [[JTBC]] 특채 1기 아나운서 입사하였다.
         |2011||JTBC||[[퀴즈쇼 아이돌 시사회]]||[[2011년]] [[12월 16일]] ~ [[2012년]] [[4월 20일]]||
         [[분류:1989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아나운서]][[분류:JTBC의 아나운서]][[분류:코드 - 비밀의 방 참가자]][[분류:2011년 데뷔]][[분류:서울특별시 출신]][[분류:인디애나 대학교 동문]][[분류:미국에 거주한 대한민국인]]
  • 강지우 (1979년)
         * [[2011년]] 《[[부부클리닉 사랑과 전쟁|부부클리닉 사랑과 전쟁 시즌 2]]》 (KBS2)
  • 강풀
         [[2007년]] 4월에 연재를 시작하였다. 젊은이들이 주인공인 대부분의 만화와 달리 70대 후반이 된 어르신들의 사랑 이야기를 담고 있다. 이 만화를 원작으로 한 영화 《[[그대를 사랑합니다 (영화)|그대를 사랑합니다]]》가 2011년 2월 17일에 개봉되기도 하였다.
         어릴 적 사고의 죄책감과 후유증으로 통증을 느끼지 못하는 남자와 유전으로 인해 작은 통증조차 치명적인 여자에게 운명처럼 찾아온 강렬한 사랑을 그린 이야기이다. 원래는 만화로 기획하려 했지만, 방향을 바꿔 영화로 제작되었다. [[2011년]] 9월 7일 개봉했다.
         2011년 8월 8일 연재를 시작했다. 버스와 트럭의 충돌사고로 인해 코마상태에 빠진 현민, 지웅, 현주, 선해 이들을 살리기 위해 이미 죽었지만 이들이 저승에 오지 못하도록 죽지 못하도록 해서 생명을 관장하는 조명가게로 보내기위한 현민의 여자친구인 지영, 사고의 원인인 냉동탑차운전수 황중석, 현주의 엄마, 선해의 동성연인인 여자(이름은 나오지 않음)가 주요등장인물 이다. 그외에도 현민과 지영이 묵은적이 있는 팬션의 주인 부부, 병원의 간호사, 장의사, 가난한 서민, 사고당시 버스 운전기사, 현주의 친구들, 실종된 현주 학교의 여학생(정유희)등이 극을 전개하기 위해 나온다. 코마상태에 빠진이들은 자신의 이전 기억을 모두 잊어버리고 살면서 서서히 죽어가는 듯 한다. 그러나 서서히 각각의 사람들을 이미 죽은 사람들이 도와주면서 코마상태에 빠진이들은 서서히 기억을 되찾고 조명가게로 가게되어 코마상태에서 깨어난다.<ref>현민은 지영이 보낸 것이다 원래는 자신의 의지로 조명가게에 가서 전구를 사야 하지만 현민만은 예외로 전구를 받았다. 또한 지웅은 중석이 조명가게 앞까지 데려다 주었고 현주는 중석과 엄마의 설득으로 조명가게에 갔다. 선해의 애인은 중석에게 선해가 살 방법을 듣고 선해를 살리려 했지만 선해는 살지 않았다.</ref> 이러한 방법으로 현민, 지웅, 현주, 선해는 각각 지영, 황중석, 현주의 엄마, 선해의 애인의 도움으로 무사히 이승으로 돌아오나 선해만은 자신의 애인과 같이있고 싶어서 삶이 아닌 죽음을 택한다. 그 뒤 지영은 현민이 처음에 자신을 기억하지 못해서 그가 정말 나를 사랑했나 하는 마음에 이승으로 가서 현민을 만나려 했으나 현민은 코마상태일 때의 일을 기억하지 못했다. 정유희는 현주에게 접근했다. 현주역시 그곳에서의 일은 기억하지 못했다. 단 엄마는 너무 그립고 사랑하기 때문에 기억을 하고있었다. 조명가게의 마지막 장면은 현민이 손을 흔들자 지영은 옛생각이 나서 눈물을 흘린다.<ref>사실 현민은 센서등이 고장난 줄알고 손을 흔든 것이다</ref>
         [[분류:1974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서울특별시 출신]][[분류:대한민국의 웹툰 작가]][[분류:상지대학교 동문]][[분류:광남고등학교 (서울) 동문]][[분류:대한민국의 만화가]][[분류:20세기 대한민국 사람]][[분류:21세기 대한민국 사람]][[분류:대한민국의 장로교도]][[분류:신천 강씨]][[분류:새천년민주당 당원]][[분류:열린우리당 당원]][[분류:민주당 (대한민국, 2007년) 당원]][[분류:친노]][[분류:대통합민주신당 당원]][[분류:민주당 (대한민국, 2008년) 당원]][[분류:시민통합당 당원]][[분류:민주당 (대한민국, 2011년) 당원]][[분류:민주당 (대한민국, 2011년) 당원]][[분류:민주당 (대한민국, 2014년) 당원]][[분류:친문]][[분류:옛 더불어민주당의 정치인]]
  • 강하빈
         * [[2011년]] - 서울국제모터쇼 토요타부스 포즈모델
  • 강훈 (1968년)
         [[1992년]] [[신세계 그룹]] 공채 1기로 입사하여 [[1997년]] ~ [[1998년]] [[스타벅스]] 스타벅스 론칭팀에서 근무하였으며 외환위기로 [[스타벅스]] 브랜드 론칭이 연기되자 사표를 낸 뒤 [[1998년]] 김도균 [[탐앤탐스]] 대표와 할리스 커피를 공동 창업하였다. [[2003]] [[할리스 커피]] 경영권을 CJ [[플래너스]]에 매각하기 전까지 [[할리스 커피]] 대표이사를 지냈고, 이후 3년간 바이오 산업과 엔터테인먼트 등 여러 분야에서 활동을 시작했지만 모두 실패하게 된다. [[2008년]] [[카페베네]]로 입사하면서 다시 커피 업계로 돌아온 그는 [[카페베네]] 사장 역임 당시 매장이 2개밖에 안되었던 [[카페베네]]를 당시 업계 최초로 가맹점 500호점을 넘어서는 초고속 성장을 일궈내며 '커피왕'이라는 별명까지 얻었다. 이후 [[2010년]] [[KH컴퍼니]]를 세우고 [[2011년]] [[카페베네]]를 퇴사, [[망고식스]] 브랜드를 선보였다.
         * [[2011년|2016년]] ~ [[2017년]] KJ마케팅 대표이사
  • 개리 (래퍼)
         6집 활동이 끝나고, 개리는 [[SBS]] 《[[런닝맨]]》에 2010년 7월 11일 첫 방송부터 고정 출연자로 출연하게 되었다.<ref name="허니패밀리"/> 개리의 첫 예능 고정임에도 불구하고, 개리의 예능 출연은 호평을 받았으며,<ref name="이효리"/> 2010년 [[SBS 연예대상]]에서 뉴스타상을 수상하게 되었다.<ref name="뉴스타"/> 개리는 [[이효리]]의 노래 〈그네〉를 피처링하였으며, 이 노래는 2010년 4월 12일 공개된 후, 타이틀곡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각종 음악차트에서 1위를 하였다.<ref>{{웹 인용|url=http://www.imaeil.com/sub_news/sub_news_view.php?news_id=14134&yy=2010|제목=이효리 ‘그네’ 실시간차트 1위 ‘싹쓸이’|저자=매일신문|날짜=2010-04-02|확인날짜=2012-09-12}}</ref> 또한, 《런닝맨》에 같이 출연중인 [[김종국 (1976년)|김종국]]의 노래 〈다시 내게로 돌아와〉에도 피처링을 하였으며, 이 노래가 수록된 음반은 2010년 9월 29일 발매되었다.<ref>{{웹 인용|url=http://www.newsen.com/news_view.php?uid=201009291455061002|제목=‘런닝맨’ 식구 김종국-개리 입맞췄다 ‘리메이크 앨범 피처링’|저자=뉴스엔|날짜=2010-09-29|확인날짜=2012-09-12}}</ref> 리쌍의 7집 수록곡인 〈TV를 껐네〉가 2011년 8월 16일 선공개되었으며, 온라인에는 7집 음반인 《[[AsuRa BalBalTa]]》 8월 25일 전곡이 공개 및 발매되었다. 선공개한 〈TV를 껐네〉가 1위를 휩쓴데 이어, 정규 음반을 발매하자마자 타이틀곡 〈나란 놈은 답은 너다〉가 각종 음악 차트의 1위를 차지하고 10위 곡까지 전부 음반 수록곡으로 순위를 올리는 기염을 토한다.<ref>[http://tvdaily.mk.co.kr/read.php3?aid=1314250753194975003 리쌍, 7집 '아수라발발타' 각종 음원차트 1~10위 까지 올킬] {{웹아카이브|url=https://archive.is/20120719092418/http://tvdaily.mk.co.kr/read.php3?aid=1314250753194975003 |날짜=2012년 7월 19일 }}, 《티브이데일리》, 2011년 8월 26일</ref> 활동곡인 〈나란 놈은 답은 너다〉와 〈TV를 껐네〉가 심의에서 방송금지 판정을 받으면서 리쌍은 가요 무대에는 거의 오르지 못하였다.<ref>[http://wstarnews.hankyung.com/apps/news?popup=0&nid=07&c1=07&c2=07&c3=00&nkey=201109091607521&mode=sub_view "KBS 심의 걸린 리쌍 '유희열의 스케치북' 출연 "첫방이자 막방"", 문하늘 기자, Wstarnews, 2011년 9월 9일]</ref> 2011년 연말, 리쌍은 데뷔 이래 첫 단독 콘서트였던 《[[리쌍극장]]》을 전국 투어로 진행하여 좋은 반응을 얻었다.<ref>[http://www.hiphopplaya.com/magazine/article/view.html?category=rcmd&category2=&mode=basic&page=1&sort=&num=8738&keyfield=&key= "정글, 아메바컬쳐, 브랜뉴 '레이블 특집'", 힙합플레이야 인터뷰, 2012년 1월 28일]</ref><ref>{{웹 인용|url=http://sports.chosun.com/news/ntype.htm?id=201111100100058090005042&servicedate=20111109|제목=리쌍, 앙코르 공연 '리쌍극장 앙코르 스탠딩편' 개최|저자=스포츠조선|날짜=2011-11-09|확인날짜=2012-09-12}}</ref> 한편, 개리는 2011년 7월 16일부터 8월 20일까지 《[[무한도전의 스포츠 특집#2011년 : 조정|무한도전 조정 특집]]》에 객원 멤버로 출연하였다. 리쌍은 조정 주제가인 〈Grand Final〉를 불렀으며, [[유재석]]과 정인이 피처링을 하였다. 이 노래는 2011년 7월 28일 공개되었으며, 공개되자마자 각종 온라인 음악 차트 상위 랭크되었다.<ref>{{웹 인용|url=http://www.newsway.kr/news/articleView.html?idxno=126209|제목=무한도전 조정가 공개 "역시 리쌍이네요"|저자=NEWS WAY|날짜=2011-07-28|확인날짜=2012-09-21}}</ref> 10월 27일, 개리는 [[윤미래]]의 〈Get It In〉 뮤직비디오에 카메오로 출연하였다.<ref name="윤미래"/>
         라고 했으며, [[YTN]] 《뉴스앤이슈-이슈앤피플》에서도 “가끔 가사가 바닥에 떨어져 있어서 읽어보면 너무 멋있다. '이게 뭐냐'고 물어보니깐 개리 오빠 새 가사라고 하더라. 리쌍은 음악적으로 내 멘토다.”라고 발언하기도 했다.<ref>{{웹 인용|url=http://www.newsen.com/news_view.php?uid=201206071512160510|제목=정인 “개리가 쓴 가사 땅에 떨어져 있어도 읽어보면 감동”|저자=뉴스엔|날짜=2012-06-07|확인날짜=2012-09-11}}</ref> 《무한도전》의 [[김태호 (연출자)|김태호]] 프로듀서는 2011년 8월 25일 [[트위터]]에 “길&개리 음악 드럽게 잘하네.”라며 극찬하기도 했다.<ref>{{웹 인용|url=http://view.asiae.co.kr/news/view.htm?idxno=2011082607165202845&nvr=Y|제목=김태호PD, 리쌍 극찬…"길이 너란 놈은.." 뭐?|저자=아시아경제|날짜=2011-08-26|확인날짜=2012-09-12}}</ref> 개리는 양희은과 함께 코카콜라의 ''For Everyone'' 캠페인 내레이션에 참여하였는데, 코카콜라 측은 “매력적인 목소리로 사람들에게 행복과 기쁨을 주는 개리가 광고 콘셉트에 제격이라고 판단돼 이번 CF내레이션 모델로 발탁하게 됐다.”고 밝히기도 했다.<ref>{{웹 인용|url=http://view.asiae.co.kr/news/view.htm?idxno=2012021509165938385&nvr=Y|제목='그 제품에 어울리는 목소리' 개리는 콜라, 바비킴은 ?|저자=아시아경제|날짜=2012-02-19|확인날짜=2012-09-21}}</ref>
         * ''[[AsuRa BalBalTa]]'' (2011년)
         |align="center"| 2011년 4월 27일
         * 2011년 7월 16일 ~ 2011년 8월 20일 [[MBC TV|MBC]] 《[[무한도전]]》
         * [[2011년]] - 제53회 [[전국조정선수권대회]] 2000m 노비스 에이트 특별상<ref>{{웹 인용|url=http://www.nocutnews.co.kr/show.asp?idx=1874443|제목='무한도전' 조정대회, 8위로 마무리…'특별상' 수상|저자=노컷뉴스|날짜=2011-07-30|확인날짜=2012-09-21}}</ref>
  • 경헌호
         |마지막 경기 = [[KBO (야구)|KBO]] / [[2011년]] [[8월 23일]] <br /> [[서울종합운동장 야구장|잠실]] 대 [[넥센 히어로즈|넥센]]전 구원 <br/> 방어율 9.00 1이닝 1삼진 2실점 1자책점
  • 고무열 (축구선수)
         이후 [[2011 K리그 드래프트|2011년 신인 드래프트]]를 통해 [[포항 스틸러스]]에 입단했다.<ref>{{뉴스 인용 |제목=신인선수 드래프트 결과 |url=http://www.welfare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24103 |출판사=웰페어뉴스 |date={{날짜한글화|2010-11-9}} }}</ref> 고무열은 새롭게 부임한 감독이자 [[포항 스틸러스]]의 레전드인 황선홍의 번호인 18번을 받았고,<ref>{{뉴스 인용 |제목=포항 신예 고무열, 황 감독 눈도장 '꽝' |url=http://www.kyongbuk.co.kr/main/news/news_content.php?id=524768&news_area=060&news_divide=06002&news_local=&effect=4 |출판사=경북일보 |date={{날짜한글화|2011-1-26}} }}</ref> 시즌 전 13번의 연습 경기에서 11골을 터뜨리며 눈도장을 찍었다.<ref>{{뉴스 인용 |제목=‘경기당 3골’ 화끈한 공격력으로 재무장한 포항 |url=http://www.sportalkorea.com/news/view.php?gisa_uniq=2011021116545913§ion_code=10&key=&field= |출판사=스포탈코리아 |date={{날짜한글화|2011-2-11}} }}</ref> [[2011년]] [[3월 20일]], 고무열은 리그 데뷔전을 치렀다.<ref>{{뉴스 인용 |제목=포항, 수원 2-0 제압… 황선홍, ‘수원 징크스’ 깼다 |url=http://www.sportalkorea.com/news/view.php?gisa_uniq=2011032017120813§ion_code=10&key=&field= |출판사=스포탈코리아 |date={{날짜한글화|2011-3-20}} }}</ref> 2011년 5월 5일 [[K리그 컵 2011|K리그 컵]]에서 [[인천 유나이티드 FC|인천 유나이티드]]를 상대로 전반 8분 프로 데뷔 골을 기록했다.<ref>{{뉴스 인용 |제목=집중력 앞세운 포항, 인천 맹폭 3골차 완승 |url=http://sports.chosun.com/news/ntype2.htm?id=201105060100052500003755&ServiceDate=20110505 |출판사=스포츠조선 |date={{날짜한글화|2011-5-5}} }}</ref> 이어 10월 30일 [[성남 일화 천마]]와의 경기에서는 2골 1도움으로 팀의 3-1 승리를 이끄는 등,<ref>{{뉴스 인용 |제목=‘2골1도움’ 고무열, 최종전 맹활약으로 신인왕 찜|url=http://sports.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k_league&ctg=news&mod=read&office_id=139&article_id=0001978307 |출판사=스포탈코리아 |date={{날짜한글화|2011-10-30}} }}</ref> [[K리그 2011|2011 시즌]] 10골 3도움을 기록하며 그 해 신인 선수들 중 가장 많은 골을 기록하였다. 하지만 2011 K리그 시상식의 '신인선수상' 부문에서는 당시 [[광주 FC]] 소속의 이승기(57표)에 이은 2위(48표)를 기록하는 데 그쳤다.<ref>{{뉴스 인용 |제목=‘떠오르는 신예’ 이승기, 2011 K리그 신인왕 |url=http://sports.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k_league&ctg=news&mod=read&office_id=277&article_id=0002707353 |출판사=아시아경제 |date={{날짜한글화|2011-12-6}} }}</ref> 2012년에는 무릎 연골 수술을 받은 여파로 제대로 활약하지 못하였으나, 후반기 조금씩 되살아나 팀의 정규리그 3위와 [[FA컵 2012|FA컵]] 우승을 이끌었다. 2013년에는 정규리그 34경기에 나서 8골 5도움을 기록하며 팀의 [[K리그 클래식 2013|정규리그]] 우승과 [[FA컵 2013|FA컵]] 우승에 기여하였고, 2013 K리그 시상식에서는 [[K리그 영플레이어상|영플레이어상]]과 더불어 [[K리그 베스트 11]] 미드필더의 부문까지 수상하는 영예를 안았다. 2014 시즌에도 [[AFC 챔피언스리그 2014|AFC 챔피언스리그]] 16강전 [[전북 현대 모터스|전북]]과의 1차전에서 결승골을 기록하는 등 팀의 8강 진출을 이끄는 활약을 보였으나, 시즌 막바지에는 고질적인 발목 부상으로 수술대에 올라 시즌을 조금 일찍 마감하였다.
         [[2009년]] [[2월 25일]] [[대한민국 U-20 축구 국가대표팀|U-20 국가대표]]에 소집되었다.<ref>{{뉴스 인용 |제목=축구협회, 1차 소집명단 발표 '홍명보호 1기 출범' |url=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7&oid=003&aid=0002544348 |출판사=뉴시스 |date={{날짜한글화|2009-2-25}} }}</ref> 2011년 9월 21일 [[대한민국 U-23 축구 국가대표팀|U-23 국가대표]]팀에서 [[2012년 하계 올림픽 축구 남자|2012 런던올림픽]] 아시아 지역 최종예선 1차전 오만과의 경기에서 선발출전하였다.<ref>{{뉴스 인용 |제목=오만전 홍명보호, 윤빛가람 지휘 하에 오만 공략 |url=http://sports.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a_match&ctg=news&mod=read&office_id=343&article_id=0000012515 |출판사=베스트일레븐 |date={{날짜한글화|2011-9-21}} }}</ref>
  • 고민수
         * [[2011년]] 머슬맥 뷰티바디코리아챔피언쉽 여자부 -165cm 1위
  • 고민수 (1984년)
         * [[2011년]] 머슬맥 뷰티바디코리아챔피언쉽 여자부 -165cm 1위
  • 고성국
         2011년 들어 고성국은 친[[박근혜]] 정치평론가라는 평가를 받는다. 미디어오늘은 고성국의 친박 성향과 그의 동생이 2012년 총선에서 [[새누리당]] 후보들을 대상으로 한 정치기획사를 운영했다는 점을 연결지었다. 고성국은 자신의 동생이 설립한 정치기획사에 대해 "동생과 다른 사람이 합쳐 만든 회사로 나와 아무 관계가 없다"고 밝혔다.<ref name="mediatoday.co.kr"/>
         * [[2011년]] ~ [[2011년]] : [[OBS 초대석]] 진행
         * [[2011년]] ~ [[2013년]] : [[OBS 생방송 토론합시다]] 진행
  • 고세원
         * [[2011년]] [[SBS]] 주말 특별기획 《[[폼나게 살거야]]》 ... 조은걸 역
         * [[2011년]] 《[[퍼펙트 게임 (2011년 영화)|퍼펙트 게임]]》 ... 재석 역
  • 고수희
         2005년 영화 《[[친절한 금자씨]]》에서 [[마녀]] [[죄수]]로 출연 [[이영애]]에게 죽임을 당하는 역할로 열연해 주목을 받았고,<ref>[http://entertain.naver.com/read?oid=117&aid=0002043371 '친절한 금자씨' 고수희, 전통혼례로 사업가와 결혼] 마이데일리. 2009년 10월 18일</ref> 2011년 영화 《[[써니 (영화)|써니]]》에 칠공주파 멤버 장미 역으로 출연하였다.<ref>[http://entertain.naver.com/read?oid=009&aid=0002524181 ‘써니’의 고수희 주연 영화 ‘바다’ 캐스팅 비화는?] 매일경제. 2011년 08월 20일</ref>
         * [[2007년]], [[2009년]], [[2011년]] : 《경숙이, 경숙아버지》 - 어메 역
         * [[2011년]] : 《[[바다 (2011년 영화)|바다]]》 - 수희 역
         * [[2011년]] : 《[[써니 (영화)|써니]]》 - 장미 역
  • 고아라(1990)
          * 피부가 상당히 좋은 편이다. 실제로 2011년부터 화장품 브랜드 리리코스의 모델로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lirikosblog&logNo=150134191711&categoryNo=34&parentCategoryNo=0&viewDate=¤tPage=6&postListTopCurrentPage=&from=postList&userTopListOpen=true&userTopListCount=5&userTopListManageOpen=false&userTopListCurrentPage=6|활동]] 중이다. 또한 [[송재림]]과 함께 현대판 인어공주란 주제로 [[https://www.youtube.com/watch?v=JjL9iHwDekw|화장품 관련 뮤직비디오]]를 찍기도 했다.
         ||<|2> [[2011년]] || 동방신기 || 이것만은 알고 가 ||
         || 2011년 || [[런닝맨]] || with [[임수향]], [[효민]] ||<|10> 게스트 ||
         || 2011년 || [[캐논(기업)|캐논]] || 익서스 || [[김수현(배우)|김수현]] ||
  • 고원희
         | 활동기간 = [[2011년]] ~ 현재
         * 2011년 《[[섬집아기]]》
         * 2011년 [[B1A4]] - 못된 것만 배워서
         [[분류:1994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여자 텔레비전 배우]][[분류:대한민국의 여자 영화 배우]][[분류:대한민국의 여자 모델]][[분류:2011년 데뷔]][[분류:김천시 출신]][[분류:제주 고씨]]
  • 고윤
         | 활동기간 = [[2011년]] ~ 현재
  • 고윤 (배우)
         | 활동기간 = [[2011년]] ~ 현재
  • 고정아 (1987년)
         * [[2011년]] 서울모터쇼 르노삼성 부스 포즈모델
  • 고종욱
         |프로 입단 연도 = [[2011년]]
         |드래프트 순위 = [[2011년 한국프로야구 신인 드래프트|2011년]] 3라운드([[넥센 히어로즈]])
         |첫 출장 = [[KBO 리그|KBO]] / [[2011년]] [[4월 2일]] <br /> [[문학야구장|문학]] 대 [[SK 와이번스|SK]]전 대타
         * [[키움 히어로즈|넥센 히어로즈]] (2011년)
         |야구 월드컵 = [[2009년 야구 월드컵|2009년 유럽]] <br/> [[2011년 야구 월드컵|2011년 파나마]]
         [[2011년]]에 3라운드(전체 19순위) 지명을 받아 입단하였다. 데뷔 첫 해부터 1군에 출장했으며 54경기에 출장해 2할대 타율, 1홈런, 9타점, 12득점을 기록했다. 시즌 첫 해 3루타를 4개 기록하며 전체 7위를 기록했다. 2011 시즌 후 일찌감치 [[상무 야구단]]에 입대하였다.
         {{2011년 야구 월드컵 대한민국 선수 명단}}
  • 고창성 (야구선수)
         |[[2011년]]
  • 공라희
         | 유명 = [[2011년 미스코리아]] 미(美)
         | 활동기간 = [[2011년]] ~ 현재
         | 칭호기간 = [[2011년]] ~ [[2012년]]
         | 수상 = [[2011년 미스코리아]] 미(美)
         '''공평희'''(孔平姬, [[1989년]] [[1월 24일]] ~ )는 [[대한민국]]의 [[2011년 미스코리아]] 미(美) 출신 [[배우]]이다. [[2010년]] [[미스코리아 서울]] 대회에 출전했으나 입상에는 실패<ref>[https://www.youtube.com/watch?v=ATw06zwCOio 2010 미스 서울 선발대회]</ref>, 이후 이듬해인 [[2011년]] [[미스코리아 서울]]에서 선(善)에 당선되며 본선 진출, 2011년 미스코리아 미(美)에 당선되었다.
         * 수상: [[2011년 미스코리아]] 미(美) & 포토제닉, [[2011년]] [[미스코리아 서울]] 선(善), [[2011년]] 미스 투어리즘 퀸 오브 더 이어 인터내셔널 5위
         * [[KBS2]] 《[[1 대 100]]》 - 100인 ([[2011년]] [[10월 4일]], [[2012년]] [[1월 24일]])
         * [[2011년 미스코리아]]
         [[분류:1989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미스코리아 미]][[분류:대한민국의 방송인]][[분류:2011년 데뷔]][[분류:대한민국의 여자 배우]][[분류:서울특별시 출신]][[분류:대원외국어고등학교 동문]][[분류:연세대학교 문과대학 동문]][[분류:연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동문]][[분류:곡부 공씨]]
  • 공성진
         * [[2011년]] [[6월]] 18대 의원직 상실
         이후 2011년 6월 집유형이 확정되어 의원직을 상실했다. 한편 [[삼화저축은행]] 관련 비리에도 연루된 상태이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55&aid=0000206685]</ref>
         |임기 = [[2008년]] [[5월 30일]] ~ [[2011년]] [[6월 9일]]
  • 공지영
         '''공지영'''(孔枝泳, [[1963년]] [[1월 31일]] ~ )은 [[대한민국]]의 [[소설가]], 작가이다. 민주화운동이 한창이던 1980년대에 자유실천문인협의회, 출판사, 대학원, 번역직 등 여러 일을 하다가 노동운동에 가담하고 1987년 부정 개표 반대 시위에 참가했다가 구치소에 수감되기도 했다. 이때 자신이 진정으로 원하는 것은 소설작가임을 깨닫게 되고 1988년 구치소에서의 경험을 토대로 쓴 《동트는 새벽》을 내놓아 [[창작과 비평]]에 실리며 등단했다.<ref name=autogenerated1>[http://book.daum.net/detail/media/read.do?bookid=KOR9788992525350&seq=314800&revPageNo=1 윤민용, 경향신문 서평]{{깨진 링크|url=http://book.daum.net/detail/media/read.do?bookid=KOR9788992525350&seq=314800&revPageNo=1 }}</ref> 1994년에는 《[[고등어]]》, 《[[인간에 대한 예의]]》, 《[[무소의 뿔처럼 혼자서 가라]]》 세 권이 동시에 베스트셀러 10위권에 오르면서 대한민국 최고의 베스트셀러 작가로 등극했고 '공지영 신드롬'이라는 용어가 생겨나기도 했다.<ref name="이훈성 서평">[http://book.daum.net/detail/media/read.do?bookid=KOR9788992525350&seq=315368 이훈성, 한국일보 서평]{{깨진 링크|url=http://book.daum.net/detail/media/read.do?bookid=KOR9788992525350&seq=315368 }}</ref> 이후 자전적 성장 소설 《[[봉순이 언니]]》가 인기를 끌었고, 7년간의 공백 끝에 사형제 존폐 문제를 다룬 소설 《[[우리들의 행복한 시간]]》은 영화로도 제작되어 400만 관객을 돌파하면서 성공했다. 많은 인세 수입을 얻었으나 이혼 등의 시련과 개인 가치관으로 부를 이루지는 못했다. 본인의 경험담을 승화하여 실제 가족을 모델로 한 《[[즐거운 나의 집]]》에서 사생활을 당당하게 공개하면서 젊은 여성들에게 지지를 받아 '닮고 싶은 여성 4위'에 오르기도 했다. 2011년 [[이상문학상]] 대상을 수상했고 현재까지 내놓은 작품들은 모두 합해 900만부가 팔렸다. 2009년 출판한 《[[도가니 (소설)|도가니]]》 역시 [[도가니 (영화)|영화]]로 제작되어 누적 관객 수 460만을 돌파했다.
         공지영은 그의 자전적 소설 《[[봉순이 언니]]》의 배경이 되었던 [[서울특별시]] 마포구 에서 1남 2녀의 막내로 태어났다. 아버지는 국비 유학생으로 미국에 유학을 다녀 온 적이 있으며, 차와 기사가 있을 정도로 부유한 집안이었다.<ref>[http://artsnews.mk.co.kr/news/131801 공지영 고백, "부유했던 어린시절 난 왕따였다…"] 아츠뉴스 2011년 7월</ref> 1969년에 아버지가 일본으로 출장을 가게 됐는데 시골에 있는 친척들까지 김포공항으로 올라와 환송을 하며 단체 사진을 찍고 잔치를 벌이기도 했다. 아버지가 유학을 갔다오면서 공지영을 위해 핑크색 바바리와 키티 필통, 롤러스케이트까지 고가의 선물을 받으며 친구들 사이에서 주목을 받았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6&oid=213&aid=0000078741 공지영 "어린시절 유복하게 자란 탓에 가난 몰랐다"] TV리포트 2011년 7월</ref> 공부를 잘 하는 편이었던 공지영은 선생님에게 사랑도 받았다. 그러나 부모는 검소한 편이어서 용돈을 많이 주는 편은 아니었다. 잘 사는 친구들은 초등학생 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지갑에 지폐가 가득했고, 가까운 거리도 꼭 택시를 타고 다녔다. 그에 반해 다른 친구들은 풀빵조차 사먹을 돈이 없었다. 공지영은 저쪽에 가면 돈이 부족했고 이쪽에 오면 재수없는 왕따였다.<ref>[http://www.newsen.com/news_view.php?uid=201102100202201001 공지영 ‘커피숍 방문’ 여고시절 가장 큰 일탈 “공주맞네”] 뉴스엔 2011년 7월</ref>
         공지영은 초등학교 3학년때 MBC가 주최한 '어머니'를 주제로 한 글쓰기 대회에서 차상을 수상하고 상금 3만원을 받으면서 실력이 드러나기 시작했다. 이 때 입상한 글은 어머니가 오빠를 편애한다는 어린이다운 투정을 담은 내용이었다.<ref>[http://tvdaily.mk.co.kr/read.php3?aid=1297288557129822002 공지영, 처음 쓴 글이 엄마 욕? 독특했던 첫 작품 공개]{{깨진 링크|url=http://tvdaily.mk.co.kr/read.php3?aid=1297288557129822002 }} TV데일리 2011년 7월</ref>
         공지영 자신은 나름대로 하고 싶은 것을 하며 학창시절을 보냈다고 생각했으나, 나중에 생각해 보면 모범적인 학창시절을 보낸 것을 뒤늦게 알았다고 한다. 공지영은 학창시절 가장 큰 일탈로 "언니 코트를 입고 대학 도서관에 가서 공부하다가 커피숍을 가서 커피 마시다가 집에온게 가장 큰 일탈이었다"고 고백했다. 당시 고등학생이 커피숍에 가면 정학이었기 때문이다.<ref name="리포트">[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6&oid=213&aid=0000078720 공지영 "최동원 선수에게 훗날 사인해주겠다 호언장담"] TV리포트 2011년 7월</ref> 중학교 시절에 고등학교 야구부에서 활약하던 야구 선수 [[최동원]]을 좋아했다. 그러나 같은 학생에게 사인을 받는다는 게 자존심이 상했던 공지영은 최동원에게 "나중에 내가 사인을 해주겠다"라며 자신감을 보이기도 했다.<ref name="리포트"/>
         1981학번, [[386 세대]]의 첫 세대로 민주화 열기가 가득했던 시대에 대학교를 다녔다. [[연세대학교]] 방송국 아나운서로서 활동하다, 이후에는 문학회를 가게 됐다.<ref>[http://www.mystarnews.com/mystar/index.html?no=447457 공지영, 유복한 가정환경탓 가난 몰랐어…故 기형도 작품 보고 새삼 깨달아] 마이스타뉴스 2011년 7월</ref> 그곳엔 기형도 시인과, 성석제 소설가도 있었다.
         당시에는 학생 식당에서 밥먹을 돈이 없는 친구들이 많았다. 선배들이 곱게 자라온 공지영에게 싫은 내색을 하기도 했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6&oid=213&aid=0000078741 공지영 "어린시절 유복하게 자란 탓에 가난 몰랐다"] tv리포트 2011년 7월</ref> 서른살이 되어서야 기형도 시인의 책을 보면서 가난의 문제를 알게 됐다. 자신은 먹고 싶은대로 먹고 자랐는데, 친구들은 가난에 시달리고 있다는 점에 미안함을 느끼기도 했다.<ref>[http://www.newsen.com/news_view.php?uid=201102100930121001 무릎팍도사’ 공지영 ‘솔직함 vs 자기포장’ 네티즌 갑론을박] 2011년 7월</ref> 자신의 노력을 통해 얻은 부유한 가정이 아니었기 때문에 자신이 받은 것을 사회에 돌려줘야겠다는 생각을 하게 됐고, 책을 쓸때도 미안함을 갖고 쓰게 되었다. 공지영의 작품에는 동료 대학생들이 가졌던 신념과 자신의 성향이 자연스레 반영됐다. 공지영은 1980년대 민주화운동 시절에는 자신이 돈이 있는 것 자체가 부끄러웠던 시절이었다고 말했다. 공지영은 민주화운동에 참여하면서 아버지와 이념 갈등을 겪기도 했다. 1987년 대선 당시 구로구청 부정 개표 반대 시위에 갔다가 시위를 진압하러 온 경찰에 붙잡혀 1주일간 구치소에 수감됐다.<ref name="공지영 등단작 동트는 새벽’, 구치소 수감 중 탄생된 작품">[http://www.newsen.com/news_view.php?uid=201102100140211001 공지영 등단작 ‘동트는 새벽’, 구치소 수감 중 탄생된 작품] 뉴스엔 2011년 7월</ref>
         1988년 공지영은 《동트는 새벽》으로 등단했다. 같은 해 딸도 낳았다. 공지영은 결혼 후 딸을 키우며 교외의 작은 아파트에서 생활하고 있었다. 낮에는 시간이 없어 새벽에 글을 쓰면서 딸이 깰까봐 스탠드에 수건을 덮어놓고 쓰기도 했다. 이 때가 장편소설 《더이상 아름다운 방황은 없다》를 쓰던 때였다.<ref>[http://www.reviewstar.net/news/articleView.html?idxno=252724 '무릎팍도사' 공지영, "'무소의뿔' 가난한 시절, 생계비 위해 빨리 써서 나온 소설"]{{깨진 링크|url=http://www.reviewstar.net/news/articleView.html?idxno=252724 }} 리뷰스타 2011년 7월</ref>
         여성들의 지지를 받아 페미니스트의 대표가 됐다. 공지영은 이러한 관심이 부담스러웠다. 페미니스트 단체에서 행동을 같이 하자며 연락이 쇄도했으나 공지영은 거부했다.<ref name="무릎팍' 공지영 내가 페미니스트 대표라고?">[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6&oid=213&aid=0000078719 무릎팍' 공지영 "내가 페미니스트 대표라고?"] tv리포트 2011년 7월</ref> 《[[무소의 뿔처럼 혼자서 가라]]》는 80~90만부가 팔렸다. 비슷한 시기 내놓은 《[[고등어]]》, 《[[인간에 대한 예의]]》도 함께 베스트 셀러에 오르면서 더 많은 인지도를 얻었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6&oid=213&aid=0000078740 공지영 "인세 재벌? 그 인세만 다 모았어도..] tv리포트 2011년 7월</ref> 그러나 안좋은 일도 많이 생겼다. 곧 공지영 신드롬을 분석하는 평론이 나왔는데 "대중의 지지만을 얻기 위한 글을 쓴다", "얼굴로 책을 판다"는 등의 혹평이 나왔고 동료들마저 그런 이야기를 하면서 충격받고 정신과 치료를 받으러 다니기도 했다. 그러던중 《봉순이 언니》를 끝으로 7년동안 작품을 내놓지 않았다. 공지영은 "힘든 시기에 막내도 태어났고 이혼도 하면서 인생을 망쳤다. 돌이킬 수 없다'는 생각이 들어 작품을 쓰지 않았다"고 말했다.<ref>[http://www.kyongbuk.co.kr/main/news/news_content.php?id=526587&news_area=104&news_divide=10401&news_local=&effect=4 소설가 공지영 ‘무릎팍도사’ 찾았다] 경북일보 2011년 7월</ref>
         공지영은 7년간의 공백 끝에 복귀했다. 아이들의 학비 등을 벌어야 했기 때문이다.<ref name="사형">[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6&oid=108&aid=0002067918 공지영 작가 "사형수들과 보낸 시간이 인생바꿔"] 스타뉴스 2011년 7월</ref> 7년만에 펜을 잡자 문장이 머릿속에서 나오지가 많아 고민에 빠지기도 했다. 아들이 초등학교에 입학하던 시절이었는데 돈은 나올곳이 없어 어떻게든 글을 써야겠다는 강박관념을 갖고 썼다. 전에는 단편을 쓰는데 보름정도 걸렸으나 복귀 후에는 6개월이 걸릴정도로 힘들게 글쓰기를 시작했으나 아이들을 생각하며 글을 쓴 결과 차츰 이전의 페이스를 다시 유지했다. 공지영은 그 공포가 심해 앞으로는 펜을 놓지 않겠다고 다짐했다. 그리하여 나온 작품이 《[[우리들의 행복한 시간]]》이다. 사형수의 이야기를 다룬 이 소설은 사형수만이 공지영 자신을 이해한다고 생각하여 쓴 것이었다. 죽고 싶어도 죽지 못하는 자신과, 살고 싶어도 죽어야 하는 사형수를 작품에 투영한 것이었다. 공지영은 소설을 쓰면서 5개월정도 사형수들과 시간을 보내면서 인생이 바뀌었다고 고백했다.<ref name="사형"/> 공지영은 사형수를 처음 만나자마자 눈물을 마구 흘렸다. 그 눈물은 3년간 이어졌는데 그러한 눈물을 본 사형수가 마음을 서서히 열기 시작했다. 밥을 먹었느냐고 묻는 사소한 질문에서부터 시작된 교감으로 인해 사형수들이 변해가는 것을 보면서 이전까지 공지영이 품어왔던 인간에 대한 불신을 내려놓고 인간에 대한 신뢰가 싹트기 시작해 지금까지도 사형수들과의 우정을 이어가고 있다.<ref name="무릎팍">MBC 《[[황금어장]]》[http://www.imbc.com/broad/tv/ent/goldfish/attend/gue/index.html?list_id= 2011년 2월 9일 무릎팍도사] 2011년 7월</ref>
         《[[우리들의 행복한 시간]]》이 베스트셀러가 된 후 유력 일간지에 인터뷰가 실리게 됐다. 평소에 친하게 지내던 기자가 "국장이 바뀌어서 특집을 하려는데 공지영 인터뷰를 하고와라"는 지시가 내려져 공지영은 자신을 알아봐준다는 생각에 기쁜 마음으로 인터뷰를 나갔다. 그리고 가벼운 마음으로 "성이 다른 아이 셋을 키우고 있다"며 고백했다. 별다른 생각은 하지 않았으나 다음날 신문 가판대에서 1면에 '아이 셋, 이혼 셋'이라는 제목으로 나간것을 보며 놀랐으나 한편으로는 '이런것들 때문에 사람들이 손가락질을 할까봐 걱정했지만 오히려 통쾌하다'는 생각도 가졌다. 아버지는 공지영에게 전화해 "네가 세번 이혼하는 것은 싫지만, 네가 불행해지는 것은 더 싫다"라며 공지영을 걱정해줬고 많은 용기가 됐다. 소설가의 이미지가 중요했던 시기 공지영은 좌절했으나 "소설가 못하면 어떤가, 내 인생이 그것뿐은 아니다"라며 스스로 위안을 얻고 위대한 소설가보단 인생의 승리자가 되기로 마음먹었다. 기사가 나간 후 사람들에게 비난을 받을것을 우려하였으나 아픔을 뚫고 나온 것에 대해 사람들이 긍정적인 반응을 보내왔고 수많은 안티들도 사라졌다. 아이들에게도 솔직하게 알려줬다.<ref name="공지영 세번의 이혼경력 밝혀져 통쾌 눈물고백">[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6&oid=213&aid=0000078718 공지영 “세번의 이혼경력 밝혀져 통쾌” 눈물고백] tv리포트 2011년 7월</ref>
         자신의 경험담을 모티브로 삼아 자신의 가족을 모델로 《[[즐거운 나의 집]]》를 집필하였다. 이 소설에는 자신의 사생활도 일부 반영하여 당당하게 공개하였는데, 이는 젊은 여성들에게 많은 지지를 받아 '닮고 싶은 여성 4위'에 오르기도 했다. 2009년 《[[도가니 (소설)|도가니]]》를 출간하였고 이 소설은 실화를 바탕으로 장애인 학교의 비리를 다루어 많은 주목을 받았고 2011년 [[도가니 (영화)|영화]]로 제작되어 약 400만 명의 관객이 들었다.
         2011년 1월 7일, 문학사상이 주관하는 이상문학상 심사위원회는 공지영이 《맨발로 글목을 돌다》에서 이루어낸 소설적 성과를 높이 평가하여 이 작품을 2011년도 제 35회 이상문학상 대상 수상작으로 선정하였다. 이 작품은 공지영이 5년 만에 내놓은 단편 소설로 월간 '문학사상' 2010년 12월호를 통해 발표됐다. 북한 납치범, 위안부 경험자, 아우슈비츠 수용자 등 서로 다른 시공간 속에 존재하는 인물들이 역사적 폭력을 견디며 살아가는 과정을 그렸다. 심사위원으로 참여했던 문학평론가 권영민 서울대 교수는 이 작품에 대해 "개인에 대한 폭력이라는 주제를 진지하게 탐색하는 과정에서 독특한 구성법과 작품 세계를 드러낸다"라고 평했다.<ref>장영준. [http://www.tvreport.co.kr/cindex.php?c=news&m=newsview&idx=86195 소설가 공지영作 '맨발로 골목을 돌다' 이상문학상 대상 수상]. TV리포트. 2011년 1월 7일.</ref>
         1988년 작가 데뷔 이래 2011년까지 작품은 총 900만 부가 팔렸다.
         2011년 12월 22일, [[인터파크]]가 주최한 《제 6회 2011 최고의 책》 시상식에서 공지영은 득표율 39.7%를 기록해 '2011 최고의 작가' 부문에 선정됐다.<ref>임형빈. [http://tvdaily.mk.co.kr/read.php3?aid=1324594851248843008 '도가니' 공지영, '2011 최고의 작가' 선정]{{깨진 링크|url=http://tvdaily.mk.co.kr/read.php3?aid=1324594851248843008 }}. 티브이데일리. 2011년 12월 23일.</ref>
         2011년 12월 1일, JTBC, TV조선, 채널A, MBN 등 종합편성채널 4개사가 방송을 시작했다. [[전국언론노동조합]]은 이와 관련해 ‘조중동 방송 특혜 반대’를 주장하며 총파업에 들어가는 등 강하게 반발했다. 이런 사회 분위기 속에서 공지영도 [[트위터]]를 통해 종합편성채널의 개국에 대해 반감을 표현했다.<ref>김완. [http://www.mediaus.co.kr/news/articleView.html?idxno=21500 종편 개국을 언론 운동의 기회로]. 미디어스. 2011년 12월 2일.</ref><ref>김완. [http://www.mediaus.co.kr/news/articleView.html?idxno=21552 종편 출연 허지웅을 비난하는 건 해법이 아니다]. 미디어스. 2011년 12월 5일.</ref><ref>권순택. [http://www.mediaus.co.kr/news/articleView.html?idxno=21831 종편 출연은 십자가에 매달아야할 부역인가?]. 미디어스. 2011년 12월 16일.</ref>
         공지영은 "TV채널을 돌리다 보니 종편개국 축하쇼에 [[인순이]]가 나와 노래를 부른다. 우리 사회가, 우리 모두의 노력이 유명 연예인들에게 개념 연예인이 되어줄 것을 요구하는 것이 약간의 무리로 다가온다"라는 한 트위터러의 말에 "인순이님 개념 없는 거죠 머"라고 멘션을 달았고, "[[김연아]]가 그냥 인터뷰가 아니라 TV조선 9뉴스 프로그램을 하나하나 소개한다"라는 한 트위터러의 말에 "연아, 아줌마가 너 참 예뻐했는데 네가 성년이니 네 의견을 표현하는 게 맞다, 연아 근데 안녕"이라는 멘션을 달았다.<ref name="김현">김현아. [http://www.mt.co.kr/view/mtview.php?type=1&no=2011120416258232721&outlink=1 '종편 출연 비판' 공지영·진중권, 무엇이 다른가?]. 머니투데이. 2011년 12월 4일.</ref>
         이 발언으로 인해 공지영은 네티즌들로부터 공격을 받았다. 네티즌들은 공지영 또한 중앙일보나 동아일보에 소설을 연재한 적이 있다고 지적하였고 이에 공지영은 "나 욕참고 말할게 비슷 알바 다 꺼져라 응? 노무현 때였다"라고 트위터에 올리기도 했다.<ref>[http://www.hani.co.kr/arti/culture/culture_general/508251.html 공지영, 종편 출연 인순이·김연아에 “안녕”]. 한겨레신문. 2011년 12월 2일.</ref><ref>[http://live.joinsmsn.com/news/article/article.asp?total_id=6804829 공지영 "나 욕참고 말할께..꺼져라" ]{{깨진 링크|url=http://live.joinsmsn.com/news/article/article.asp?total_id=6804829 }} 한국경제TV 2011년 12월 2일</ref> 중 이에 대해 중앙일보는 논설위원의 칼럼을 통해서 "그녀의 언론활동을 보면 그녀는 '중앙일보의 친구'였으며, 중앙일보는 '노무현 정권의 가혹한 비판자'였다."라는 표현을 쓴바 있다.<ref>[http://article.joinsmsn.com/news/article/article.asp?total_id=6819041 공지영, 혼돈에 빠진 영혼]{{깨진 링크|url=http://article.joinsmsn.com/news/article/article.asp?total_id=6819041 }} - [[중앙일보]]</ref>
         2011년 12월 2일, 공지영은 자신의 발언과 관련한 논란을 정리하고자 트위터에 "내 딸이 거기 나갔어도 똑같이 이야기했을 것이다. 내가 내 사설 의견 공간인 SNS에 내 후배와 인순이를 이야기하면서 그녀(인순이)가 그렇게 노래하는 건 개념 없는 거니 너무 슬퍼마, 한 취지였고 연아는 아줌마와 의견이 다르니 내가 슬프다 하는 거였다. 나는 오늘 반성을 깊이 했다. 내가 당신들의 공격성을 이토록 이끌어낸 것을. 하루 종일 힘들었다. 두려워서는 아니다. 슬퍼서였다"라고 글을 남겼다.<ref name="김현"/>
         * 내래이션: 《[[MBC 스페셜]]》 - <지리산에서 행복을 배우다>(2011년 3월 4일)
         * 게스트: MBC 《[[황금어장]]》 - <무릎팍도사> [http://www.imbc.com/broad/tv/ent/goldfish/vod/index.html?kind=image&progCode=1000794100239100000&pageNum=1&pageSize=5&cornerFlag=0&ContentTypeID=1&ProgramGroupID=0 2011년 2월 9일]
  • 공현주
         | 사진설명 = 2011년 스타일 아이콘 어워즈 당시의 공현주
         * [[2011년]] [[서울특별시]] [[강남구]] [[디딤돌]] 사업 홍보대사
         * [[2011년]] 프레타포르테 [[부산]] 2012 S/S 컬렉션 홍보대사
         * [[2011년]] [[그린]] 프라미스 [[캠페인]] 홍보대사
         | [[2011년]]을 빛낸 여성
  • 공혜왕후
         * 《[[인수대비 (드라마)|인수대비]]》 ([[JTBC]], [[2011년]]~[[2012년]] 배우:[[이지우 (배우)|이지우]])
  • 곽동훈 (야구인)
         * [[삼성 라이온즈]] (2005년 ~ 2011년)
         [[2005년]] [[세한대학교|대불대학교]]를 졸업하고 [[삼성 라이온즈]]의 2차 5순위 지명을 받았으나 지명받은 후 병역 비리 사건에 연루되었다. 이로 인해 이듬해 입단 계약금이 삭감되면서 [[삼성 라이온즈]]에 입단하자마자 곧바로 현역(포병)으로 복무해야 했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7&oid=020&aid=0001995766 삼성 곽동훈의 해뜰날] - 동아일보</ref> 제대한 후 [[2008년]] 처음으로 1군 경기에 등판하게 되었으나, 1군 무대에서는 평균자책 4.91이라는 저조한 성적으로 7경기밖에 등판하지 못했다. 윤성환의 친구이기도 하다.<ref>[http://news.donga.com/fbin/output?n=200909020258 윤성환,“난, 선발 투수… 오직 승리 뿐이야”]{{깨진 링크|url=http://news.donga.com/fbin/output?n=200909020258 }} - 동아일보</ref> [[2009년]] 2군 남부리그 방어율 1위를 기록하였다.<ref>[http://osen.freechal.com/news/view.asp?code=G0909240057 롯데 오장훈, 막내린 2군 리그서 타격 3관왕]{{깨진 링크|url=http://osen.freechal.com/news/view.asp?code=G0909240057 }} - OSEN</ref> [[2010년]]에는 2군 남부리그 다승왕에도 올랐으나, 1군에는 모습을 드러내지 않았다. 직구 최고 구속이 140km 초반에 그쳐 1군에서는 좋은 모습을 보여 주지 못하고 있다.<ref>[http://osen.mt.co.kr/news/view.html?gid=G1102070122 퓨처스 다승왕 출신 곽동훈, "마지막 기회 반드시 잡고파"] - OSEN</ref> 그러다가 [[2011년]] 시즌 후 보류명단에서 제외된 뒤, [[2013년]]까지 팀에서 전력분석관으로 일했다.
  • 곽민석 (1970년 2월)
         * [[2011년]] [[MBC]] 《[[애정만만세]]》 - 변호사 역
         * [[2011년]] [[MBC]] 《[[글로리아 (드라마)|글로리아]]》 - 이 형사 역
         * [[2011년]] [[MBC]] 《[[계백 (드라마)|계백]]》 - 극중 은고(송지효 분)의 숙부 목한덕 역
         * [[2011년]] 《[[아이들...]]》 - 사체발굴 현장의 경찰서장 역 (특별출연)
         * [[2011년]] 《[[통증 (영화)|통증]]》 - 오프닝 신혼부부 남편 역
  • 곽승남
         * [[2011년]] [[KBS2]] 미니시리즈 《[[브레인 (드라마)|브레인]]》 ... 양범준 역
         * [[2011년]] 곽승남 솔로
  • 곽인준
         * [[2011년]] [[MBC]] 《[[애정만만세]]》 - 변호사 역
         * [[2011년]] [[MBC]] 《[[글로리아 (드라마)|글로리아]]》 - 이 형사 역
         * [[2011년]] [[MBC]] 《[[계백 (드라마)|계백]]》 - 극중 은고(송지효 분)의 숙부 목한덕 역
         * [[2011년]] 《[[아이들...]]》 - 사체발굴 현장의 경찰서장 역 (특별출연)
         * [[2011년]] 《[[통증 (영화)|통증]]》 - 오프닝 신혼부부 남편 역
  • 곽정환 (연출가)
         '''곽정환'''([[1972년]] 1월 ~ )은 [[대한민국]]의 [[프로그램 감독]]이다. [[1997년]] [[한국방송공사|KBS]] 24기 공채 프로듀서로 데뷔, KBS 드라마 제작국 PD로 활동하며 다수의 [[드라마]]를 연출했으며 [[2010년]] 드라마 [[추노]]를 연출하면서 일약 스타 PD로 발돋움하였다. 이후 능력을 인정받아 [[2011년]] [[CJ E&M]]으로 이직했다.
         * [[1997년]] ~ [[2011년]] : KBS 드라마 제작국 프로듀서
         * [[2011년]] ~ [[2017년]] : CJ E&M 프로듀서
         * [[2011년]] [[한국PD대상]] TV부문 작품상 - 《추노》
  • 곽현화
         * [[2011년]] [[온게임넷]] 《온게임넷 랭킹쇼 시즌 2》
         * [[2011년]] [[온게임넷]] 《황혼에서 새벽까지》
         * [[2011년]] [[온게임넷]] 《온게임넷 랭킹쇼 시즌 1》
         * [[2011년]] [[tvN]] 《런닝9》
         * [[2011년]] [[GTV]] 《드림메이커》
  • 곽희성
         * [[2011년]] [[KBS]] [[불후의 명곡 2 - 전설을 노래하다]]
  • 구본능
         *2011년 8월 ~ 2017년 12월 : 제19·20·21대 [[KBO (야구)|KBO]] 총재
         |임기 = [[2011년]] [[8월 22일]] ~ [[2017년]] [[12월 31일]]
  • 구자명 (가수)
         * [[2011년]] [[문화방송|MBC]] 《[[스타 오디션 위대한 탄생 2]]》
  • 구자운 (야구 선수)
         * [[삼성 라이온즈]] (2008년 ~ 2011년)
         '''구자운'''(具滋雲, [[1980년]] [[6월 19일]] ~ )은 전 [[KBO 리그]] [[삼성 라이온즈]]의 선수이다. [[두산 베어스]]의 고졸 우선 지명을 받아 [[1999년]]에 입단하여 데뷔하게 되었고, 이후 꾸준한 활약을 보이다가 [[2004년]]에 병역비리 사건에 휘말려 [[공익근무요원]]으로 군 복무를 마쳤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001&oid=001&aid=0001619273& 돌아온 구자운, 4년 만의 선발승] - 연합뉴스</ref> [[2007년]]에 복귀하고 선발승을 기록하기도 했지만 2007 시즌 후 어깨 수술을 받았고 연봉 마찰을 겪으면서 [[두산 베어스]]에서 [[2008년]] 자유계약 공시되어 [[삼성 라이온즈]]에 이적하게 되었다. 그러나 어깨 부상으로 이적 이후에도 오랫동안 재활군에 머물렀다. [[2009년]] 한화 2군 경기에 컨디션 점검차 등판했고,<ref>[http://osen.freechal.com/news/view.asp?code=G0909070121 '856일만에 실전' 구자운, "등판 자체가 행복"]{{깨진 링크|url=http://osen.freechal.com/news/view.asp?code=G0909070121 }} - OSEN</ref> [[2010년]] 1군에 복귀했다. 그 해 [[7월 9일]] [[문학야구장|문학]] SK전에 구원 등판했고<ref>[http://osen.mt.co.kr/news/view.html?gid=G1007080407 '재활 끝' 구자운, 3년만에 등판 '3이닝 2실점'] - OSEN</ref> [[2010년 한국시리즈]]에도 출전했다. 그러나 삼성 이적 후 1군 등판은 페넌트레이스 1경기, [[2010년 한국시리즈]] 등판이 전부였고, 이후에는 계속 재활군을 전전하다가 [[2011년]] 시즌 후 방출되었다. 현역 은퇴 후 [[서울특별시|서울]]로 돌아와 현재는 [[송파구]] [[문정동 (서울)|문정동]]에서 베이스볼 아카데미를 운영하고 있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7&oid=109&aid=0002343063 전 삼성 투수 구자운, 송파구에 야구교실 개장] - OSEN</ref>
  • 구자운 (야구선수)
         * [[삼성 라이온즈]] (2008년 ~ 2011년)
         '''구자운'''(具滋雲, [[1980년]] [[6월 19일]] ~ )은 전 [[KBO 리그]] [[삼성 라이온즈]]의 선수이다. [[두산 베어스]]의 고졸 우선 지명을 받아 [[1999년]]에 입단하여 데뷔하게 되었고, 이후 꾸준한 활약을 보이다가 [[2004년]]에 병역비리 사건에 휘말려 [[공익근무요원]]으로 군 복무를 마쳤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001&oid=001&aid=0001619273& 돌아온 구자운, 4년 만의 선발승] - 연합뉴스</ref> [[2007년]]에 복귀하고 선발승을 기록하기도 했지만 2007 시즌 후 어깨 수술을 받았고 연봉 마찰을 겪으면서 [[두산 베어스]]에서 [[2008년]] 자유계약 공시되어 [[삼성 라이온즈]]에 이적하게 되었다. 그러나 어깨 부상으로 이적 이후에도 오랫동안 재활군에 머물렀다. [[2009년]] 한화 2군 경기에 컨디션 점검차 등판했고,<ref>[http://osen.freechal.com/news/view.asp?code=G0909070121 '856일만에 실전' 구자운, "등판 자체가 행복"]{{깨진 링크|url=http://osen.freechal.com/news/view.asp?code=G0909070121 }} - OSEN</ref> [[2010년]] 1군에 복귀했다. 그 해 [[7월 9일]] [[문학야구장|문학]] SK전에 구원 등판했고<ref>[http://osen.mt.co.kr/news/view.html?gid=G1007080407 '재활 끝' 구자운, 3년만에 등판 '3이닝 2실점'] - OSEN</ref> [[2010년 한국시리즈]]에도 출전했다. 그러나 삼성 이적 후 1군 등판은 페넌트레이스 1경기, [[2010년 한국시리즈]] 등판이 전부였고, 이후에는 계속 재활군을 전전하다가 [[2011년]] 시즌 후 방출되었다. 현역 은퇴 후 [[서울특별시|서울]]로 돌아와 현재는 [[송파구]] [[문정동 (서울)|문정동]]에서 베이스볼 아카데미를 운영하고 있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7&oid=109&aid=0002343063 전 삼성 투수 구자운, 송파구에 야구교실 개장] - OSEN</ref>
  • 구하라
         [[1991년]] [[1월 13일]]<ref>[http://weibo.com/u/5509625679 1월 13일은 호적상 생일이며, 실제 생일은 1월 3일이다. 본인 웨이브 계정에 생일이 1월 3일이라고 나와있다.]</ref>,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종로구]] [[경운동]]에서 태어났다. 광주 출신으로 [[운현초등학교]], [[서울교동초등학교]]를 다닐 적에 2년 동안 육상부에서 활동한 경험이 있다.<ref>{{뉴스 인용|제목=구하라 달리기 괴력 이유 있었네‘초중시절 2년간 육상부 활동’|url=http://www.newsen.com/news_view.php?uid=200910061039561002|출판사=뉴스엔|저자=김형우 기자|날짜=2009-10-06}}</ref> [[서울경운학교]]를 다니다가 연예계 활동의 편의를 위해 전학한 [[서울경운학교]]를 졸업하고, [[성신여자대학교]] 미디어영상연기학과에 진학하였다.<ref>{{뉴스 인용 |제목 = 카라 성신여대 수시 합격…"운전면허 딴 것보다 기뻐"|url =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6&oid=018&aid=0002333851|출판사 = 이데일리 |저자 = 양승준|날짜 = 2010-11-02 |확인날짜 = 2010-11-03}}</ref> 학창시절 인터넷 의류 쇼핑몰 모델로 활동한 경력이 있다.<ref>{{뉴스 인용 |제목 = 구하라, 피팅모델때부터 '완벽미모'로 유명해|url = http://www.asiatoday.co.kr/news/view.asp?seq=268707|출판사 = 아시아투데이 |저자 = 인터넷뉴스팀|날짜 = 2009-07-20 |확인날짜 = 2010-01-11}}</ref> 2007년에 [[JYP 엔터테인먼트]]가 주최한 오디션에 참가해 결선까지 진출했으나, 최종 관문에서 탈락하였고,<ref>[https://www.youtube.com/watch?v=NlmiOxIDZBY [[JYP]]오디션 최종본선 26번], 《유튜브》, 2011년 06월 21일 확인.</ref><ref>{{뉴스 인용 |제목 = [스타의 모든것③] 구하라|url = http://isplus.joins.com/article/article.html?aid=1284463|출판사 = 일간스포츠 |저자 = 이경란 기자 |날짜 = 2009-12-08 |확인날짜 = 2010-01-11}}</ref> 이후 [[DSP 미디어]]의 오디션을 통해 [[카라 (음악 그룹)|카라]]의 구성원으로서, [[2008년]] [[7월 24일]]에 [[Mnet]] [[엠 카운트다운]]을 통해 데뷔하였다.
         데뷔 이후에는 《[[청춘불패]]》에서의 활약으로<ref>{{뉴스 인용|url=http://web.reviewstar.net/web_200806/view.php?code=1010&id=201824|제목=걸그룹 버라이어티 '청춘불패', 최종 출연진 확정|출판사=리뷰스타|날짜=2009-10-09}}{{깨진 링크|url=http://web.reviewstar.net/web_200806/view.php?code=1010&id=201824 }}</ref>, 2010년 《[[KBS 연예대상]]》에서 ‘쇼, 오락 MC 부문 여자 우수상’을 단독으로 수상하였고,<ref>{{뉴스 인용 |url=http://news.nate.com/view/20101226n03565|제목=<KBS 연예대상> 구하라, 우수상 수상에 눈물 펑펑|출판사=엑스포츠뉴스 |날짜=2010-12-26}}</ref><ref>{{뉴스 인용 |url=http://star.mt.co.kr/view/stview.php?no=2010122605082853878&type=1&outlink=1|제목='예능 우수상' 구하라의 눈물이 아름다운 이유|출판사=머니투데이 |날짜=2010-12-26}}</ref> SBS 드라마인 《[[시티헌터 (드라마)|시티헌터]]》에서의 최다혜 역으로, [[2011년]] 《[[SBS 연기대상]]》에서 ‘SBS 연기대상 뉴스타상’을 수상하였고,<ref>{{뉴스 인용 |url=http://www.newsen.com/news_view.php?uid=201201011030361001|제목=구하라 뉴스타상 수상 “예상못한 소중한 상, 영광스럽게 잠들게..”|출판사=뉴스엔 |날짜=2012-01-01}}</ref> 2015년 《[[SBS 연예대상]]》에서 [[주먹쥐고 소림사]]로 '베스트 챌린지상'을 수상하였다.<ref>{{뉴스 인용 |url=http://www.ccdaily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852184|제목=‘2015 SBS 연예대상’ 구하라, 베스트챌리지상 수상 "행복하고 영광스러워" |출판사=충청일보|날짜=2015-12-31}}</ref>
         * 발매일 : 2011년 7월 27일
         * 2011년 11월 20일 ~ 2012년 8월 19일 [[SBS TV|SBS]] 《[[SBS 인기가요]]》 MC
         * 2011년 소셜 커머스 '[[위메이크프라이스]](We Make Price)' 광고 모델
         * 2011년 [[성신여자대학교]] 학생 홍보대사
         * 2011년 '[[스와로브스키]](Swarovski)' 쥬얼리 광고 모델
         * 2011년 게임 '퍼즐버블' 전속 광고 모델
         * 2011년 '[[스니커즈]]' 광고 모델
         * 2011년 '[[네이처리퍼블릭]]' 화장품 광고 모델
         ! 2011년
  • 구혜령
         * 《[[가문의 수난|가문의 영광 4 - 가문의 수난]]》 ([[2011년]]) - 기내부부2 역
         * 《[[스파이 파파]]》 ([[2011년]]) - 가정부 역
         * 《[[커플즈]]》 ([[2011년]]) - 노처녀 역
  • 궁선영
         * [[롯데건설]] 롯데캐슬 지면광고 ([[2009년]] ~ [[2011년]])
  • 권민중
         || 2011년 || MBC || [[애정만만세]] || 문 이사 || ||
         [[2011년]] [[12월 7일]] 술을 마시고 차를 몰다가 교통사고를 낸 혐의(도로교통법상 음주운전 등)로 불구속 입건됐다.
  • 권소현(배우)
         ||<|2> [[2011년]] || 투란도트 || 팽 || 주연 ||
  • 권영규
         |임기 = [[2010년]] [[7월 1일]] ~ [[2011년]] [[10월 26일]]
         |임기 = [[2011년]] [[8월 27일]] ~ [[2011년]] [[10월 26일]]
  • 권영세 (1959년)
         |임기 = [[2011년]] [[12월 30일]] ~ [[2012년]] [[2월 12일]]
  • 권영수
         * [[2011년]] 글로벌 GWP 경영 컨퍼런스 최고 경영자 상
  • 권영수 (1957년)
         * [[2011년]] 글로벌 GWP 경영 컨퍼런스 최고 경영자 상
  • 권영준 (1986년)
         * [[경찰 야구단]] (2010년 ~ 2011년)
         [[2009년]] [[12월 17일]]부터 [[2011년]] [[10월 16일]]까지 [[경찰 야구단]]에서 군 복무를 마쳤고, 제대 후 1군에 처음 올라왔다.
  • 권오기 (1932년)
         '''권오기''' (權五琦, [[1932년]] [[12월 10일]], [[경상북도|경북]] [[안동시|안동]] ~ [[2011년]] [[11월 3일]] )는 [[대한민국]]의 [[언론인]], [[교수]]이다.<ref>[http://enc.daum.net/dic100/contents.do?query1=b02g3213a 브리태니커 '권오기' 항목] [[브리태니커]]</ref>
  • 권오을
         |임기 = [[2010년]] [[6월 15일]] ~ [[2011년]] [[12월 26일]]
  • 권오중
         * [[2011년]] 국제구호 NGO 기아대책 홍보대사
         * [[2011년]] [[경기도]] [[포천시]] 홍보대사
  • 권재진
         |임기 = [[2011년]] [[8월 12일]] ~ [[2013년]] [[3월 11일]]
         '''권재진'''(權在珍, [[1953년]] [[7월 27일]] ~ )은 [[대구]]에서 출생한 [[대한민국]]의 [[법조인]] 및 검사이다. 대검차장, 서울고검장, 청와대 민정수석을 역임했으며, [[2011년]] [[8월 12일]] 이명박 정부의 마지막 [[대한민국 법무부|법무부]] 장관을 맡아서, [[2013년]] [[3월 11일]] 법무부 장관 퇴임을 했다.<ref>[http://media.daum.net/economic/stock/others/newsview?newsid=20130311184903997 권재진 법무부 장관 퇴임], 뉴스토마토, 2013년 3월 12일</ref>
         * [[2011년]] [[8월 12일]] ~ [[2013년]] [[3월 11일]] 제62대 [[대한민국의 법무부 장관|법무부 장관]]
         * [[2009년]] ~ [[2011년]] 청와대 민정수석
         2011년 8월 8일 오전 청문회에서 큰아들이 경기도 포천의 국제나이론이라는 공장에서 실제로 일했다는 명백한 증거라며 지난 2003년 8월 12일부터 2004년 12월 29일까지 포천 농협에서 이뤄진 38번의 입출금 내역을 공개했다. 하지만 아들의 산업기능요원 근무 시기가 2002년 9월부터 시작됐음에도 불구하고 계좌 내역은 2003년 8월부터 제출한 것을 두고도 의혹이 증폭됐다.
         아들이 서울대 공익요원으로 배정을 받기위해 어머니와 봉천동으로 위장전입까지 한 상황에서 돌연 친구가 운영하는 포천의 회사로 근무지를 옮긴 것에 대해서도 의혹이 일었다. <ref>[http://media.daum.net/politics/assembly/view.html?cateid=1018&newsid=20110808163942816&p=nocut&RIGHT_COMM=R11 권재진, 아들 감싸려 제출한 계좌가 되레 '화근']《노컷뉴스》2011년 8월 8일</ref>
         |임기 = [[2009년]] [[9월 1일]] ~ [[2011년]] [[8월 5일]]
         |임기 = [[2011년]] [[8월 12일]] ~ [[2013년]] [[3월 11일]]
  • 권혁종
         * [[2011년]] 《[[고지전]]》 ... 춘천 국군 포로 1 역
  • 금난새
         수원시립교향악단과는 임기 말기에 악단과 심각한 갈등을 겪으며 불명예 퇴진해 구설수에 오르기도 했다. 수원시향을 나와 대한민국 최초의 민간 오케스트라인 ‘유라시안 필하모닉 오케스트라’(현, 뉴월드 필하모닉 오케스트라)를 창단했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6&oid=213&aid=0000035545 금난새, KBS 교향악단 퇴출? "내가 선택한 길"] TV리포트 2010년 7월</ref> 민간 오케스트라를 운영하려면 월급과 연습실 운영비 등 자금이 필요한게 많았다. 서울 [[테헤란로]]에 있는 [[포스코]] 본사를 가면 20미터 높이의 유리로 된 로비가 있는데 금난새는 이것이 마음에 들어 홍보팀에 연주를 제안했고 홍보팀은 승락했다. 1999년 1,000여석의 좌석을 놓고 [[교향곡 9번 (베토벤)|베토벤 9번 교향곡]] 합창을 연주하여 기립박수를 받았다. 큰 성공에 고무된 금난새는 포스코 홍보팀에 베토벤 교향곡 전곡 연주를 정기적으로 할 것을 제안했고 합의가 됐다. 9개의 교향곡 정기 연주가 모두 끝나고 다음해가 되어 차이콥스키 6개 교향곡 연주도 마쳤다. 이 곳에서 정기 연주회는 지금까지 연주가 이어지고 있다.<ref name="무릎팍"/> ‘뉴월드 필하모닉 오케스트라’는 [[2011년]]부터 [[충무아트홀]] 상주단체가 되어 해마다 충무아트홀에서 정기적으로 음악회를 열고 있다.
         * 2011년 : [[제주도]] 홍보대사
  • 금노상
         [[2011년]]부터 [[대전시립교향악단]] 제7대 예술감독 겸 상임지휘자로 취임하면서 관객들로부터 절대적인 호응을 이끌어내며 마스터즈 시리즈 시즌 전회 매진의 기록을 세우고 있고, 한국 오케스트라 최초 [[무지크페어라인]] 골드홀을 비롯한 체코 프라하 스메타나홀, 헝가리 부다페스트, 독일 뮌헨으로이어지는 유럽투어에서 유럽인들의 뜨거운 기립박수를 이끌어 냈다.
  • 금보라
         || [[2011년]] || 《써니》 || ||
  • 기리보이
         | 활동시기 = [[2011년]] ~ 현재
         '''기리보이'''(GIRIBOY, {{본명|홍시영}}, [[1991년]] [[1월 24일]] ~ )는 [[대한민국]]의 [[래퍼]] 및 [[예술가]] 겸 [[음악 프로듀서]]이다. 2011년, [[저스트뮤직]] 계약과 동시에 디지털 싱글 "《You Look So Good To Me》"로 데뷔를 하였다. 데뷔 이후 많은 화제를 불러일으키고 "I4P"라는 개인 옷 브랜드도 설립하여 많은 이익을 얻고있다.
         |align="left" style="font-size: 95%;"|2011년 11월 18일
         [[분류:1991년 태어남]][[분류:서울특별시 출신]][[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2011년 데뷔]][[분류:대한민국의 래퍼]][[분류:대한민국의 남자 래퍼]][[분류:대한민국의 힙합 음악가]][[분류:저스트뮤직 음악가]][[분류:Show Me The Money 참가자]]
  • 기은세
         * [[2011년]] [[SBS]] 미니시리즈 《[[더 뮤지컬]]》 ... 서라경 역
  • 기태영
  • 길은혜
         * [[2011년]] 《[[마이 블랙 미니드레스]]》 ... 서브작가 역
         * [[2011년]] 《[[마마 (2011년 영화)|마마]]》 ... 응급실 간호사 2 역
         [[분류:1988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2011년 데뷔]][[분류:대한민국의 여자 배우]][[분류:김천시 출신]][[분류:해평 길씨]][[분류:대한민국의 여자 텔레비전 배우]]
  • 길태기
         |임기 = [[2011년]] [[8월 22일]] ~ [[2013년]] [[3월 14일]]
         * 2010년 7월 ~ 2011년 8월 : 제9대 [[서울남부지방검찰청]] 검사장
         * 2011년 8월 ~ 2013년 3월 : 제54대 법무부 차관
         |임기 = [[2011년]] [[8월 22일]] ~ [[2013년]] [[3월 14일]]
  • 김가은(1989년 5월)
         || [[2011년]] || [[제국의 아이들]] || Here I Am || ||
  • 김같이
         | 데뷔일 = [[2011년]]
  • 김건모
         [[2011년 3월]] [[MBC TV|MBC]] [[나는 가수다 1|나는 가수다]]에 처음으로 출연했던 7명의 가수들 중 나이와 경력이 가장 많았던 선배가수로 첫 경연에서 탈락자로 호명이 되었다. 하지만 동료가수의 재도전 권유로 재도전을 수락하면서 많은 시청자들에게 비난을 받게 되고 이후 자진 사퇴를 하게 된다. 이후 [[2012년]] 시즌 2에도 출연을 했었지만, 스케줄 문제로 자진 하차하게 된다. 무엇보다 김건모의 시즌 1에서의 재도전과 시즌2의 하차는 본인이 처음부터 원했던 것이 아니었다.
         * 13집 《[[自敍傳(자서전) & Best]]》 (2011년 9월 27일 발매)
         * [[2011년]] 제2회 [[대한민국 대중문화예술상]] 대통령 표창
  • 김광규 (배우)
         * [[2011년]] 《[[마이 블랙 미니드레스]]》 ... 삼수녀 부 역(우정출연)
         * [[2011년]] 《[[챔프 (2011년 영화)|챔프]]》 ... 광규 역
         * [[2011년]] 《[[카운트다운 (2011년 영화)|카운트다운]]》 ... 박 형사 역
         * [[2011년]] [[SBS]] 단막시트콤 《[[웰컴 투 더 SHOW]]》
         * [[2011년]] [[MBC]] 미니시리즈 《[[내 마음이 들리니]]》 ... 식물원 소장 역
         * [[2011년]] [[SBS]] 주말특별기획 《[[여인의 향기 (드라마)|여인의 향기]]》 .. 람세스/윤봉길 역
         * [[2011년]] [[MBC]] 창사특별기획 《[[빛과 그림자 (2011년 드라마)|빛과 그림자]]》 ... 피에르 유 역
         * [[2011년]] [[MBN]] 주간시트콤 《[[갈수록 기세등등]]》 ... 고대로 역
         * [[2011년]] [[SBS]] 《[[정글의 법칙]]》
         * [[2011년]] [[하이마트]] (with 윤상현)
         * [[2011년]] [[삼성전자]] 아카데미선수촌
  • 김광수 (1959년)
         * [[두산 베어스]] 수석코치 (2003년 ~ 2011년)
         * [[두산 베어스]] 감독대행 (2011년)
         [[2008년 하계 올림픽]] 코칭스텝으로 선출되어 금메달을 이끌었다. [[류중일]]처럼 데뷔 때부터 단 한 팀에서만 활동한 야구인 중 한 명이며, [[2011년]] 6월 [[김경문]] 감독이 성적 부진으로 사임하자 1군 감독 대행을 맡아 시즌을 마무리한 후 [[김진욱]] 투수코치에게 감독직을 넘기고 물러났다. 시즌 직후 대한민국 최초의 독립리그 야구단 [[고양 원더스]]의 수석코치로 부임했다. 전 대한민국 국가대표팀 프리미어12 3루/주루코치를 맡았다. 김광수 수석코치는 지난 2012년 독립야구단 고양 원더스 때부터 2015년 한화로 넘어와 지금까지 6년간 김 감독을 수석코치로 지근거리에서 보좌했다.
         |임기 = [[2011년]] [[6월 13일]] ~ [[2011년]] [[10월 9일]]
  • 김광웅
         * 《서울대 리더십 강의》, [[2011년]]
  • 김광웅 (공무원)
         * 《서울대 리더십 강의》, [[2011년]]
  • 김광인
         * [[2011년]] [[SBS (대한민국의 방송사) |SBS]] 수목드라마 《[[싸인 (드라마)|싸인]]》 ... 문정기 역
         * [[2011년]] [[SBS (대한민국의 방송사) |SBS]] 아침연속극 《[[태양의 신부]]》 ... 김 실장 역
  • 김구라
         * 《부자의 탄생》 (tvN, 2011년 7월 8일 ~ 2011년 8월 5일)
         * 《부자의 탄생 시즌2》 (tvN, 2011년 11월 10일 ~ 2011년 12월 22일)
         * 《[[명 받았습니다]]》 (KBS2, 2011년 1월 1일 ~ 2011년 5월 28일)
         * 《퀴즈쇼 아이돌 시사회》 (JTBC, 2011년 12월 16일 ~ 2012년 4월 20일)
         * [[2011년]] : 《[[최고의 사랑]]》 - 세바퀴 진행자 역 (MBC)
         * [[2011년]] : 《이웃死촌》
         * [[2011년]] MBC 방송연예대상 MC부문 특별상
  • 김구현 (프로게이머)
         | 소속팀 = [[소울 (E스포츠)|STX SOUL]](2006 ~ 2011년 9월 11일)<br/>[[공군 ACE]](2011년 10월 24일 ~ 2013년 10월 23일)<br/> [[프라임 (E스포츠)|프라임]] (2013년 10월 31일 ~ 2014년 4월 10일)
         2011년 9월 22일, 단 한 명만을 모집하는 2011년 8회차 공군 e스포츠병 전형의 최종 합격자로 선정됐다. [[SK플래닛 스타크래프트 프로리그 시즌1]] 1R 중반부터 [[공군 ACE]] 유니폼을 입게 되었다.
         * 2011년 - 32전 16승 16패 (50.0%)
         * [[2011년]] 피디팝 MSL 2010 8강
         * [[2011년]] ABC마트 MSL 2011 32강
         * [[2011년]] 진에어 스타리그 2011 24강
  • 김기덕 (1960년)
         * [[2011년]] - 《[[풍산개 (영화)|풍산개]]》 (투자, 제작, 각본)
         * [[2011년]] - 《[[아리랑 (2011년 영화)|아리랑]]》 (주연, 제작, 연출, 각본)
         * [[2011년]] - 《[[아멘 (2011년 영화)|아멘]]》 (제작, 연출, 각본)
  • 김나나 (레이싱 모델)
         * [[2011년]] [[서울 모터쇼]] 폭스바겐 모델
         * [[2011년]] KF-1 라운드걸
         * [[2011년]] MFC M-1 라운드걸
         * [[2011년]] [[지스타]] [[넥슨]] 모델
         * [[2011년]] 중앙보훈병원 홍보대사
         * [[2011년]] [[한국대학생포럼]] 멘토 2호
         * [[2011년]] [[지스타]] 최고의 스타 부스걸 - 1위
         * [[2011년]] 제12회 [[대한민국문화연예대상]] - [[레이싱 모델]]부문 대상
  • 김나운
         * [[2011년]] [[MBC]] 미니시리즈 《[[미스 리플리]]》 ... 강시영 역
         * [[2011년]] [[MBC]] 미니시리즈 《[[지고는 못살아 (2011년 드라마)|지고는 못살아]]》 ... 이혼전문 변호사 역(특별출연)
         * [[2011년]] [[KBS2]] TV소설 《[[복희 누나]]》 ... 최점례 역
  • 김남주 (가수)
         | 활동시기 = [[2011년]] [[4월 19일]] ~ 현재
         [[분류:1971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배우]][[분류:2011년 데뷔]][[분류:대한민국의 여자 가수]][[분류:대한민국의 댄스 음악가]][[분류:아이돌 가수]][[분류:서울원명초등학교 동문]][[분류:서일중학교 (서울) 동문]][[분류:서울공연예술고등학교 동문]][[분류:2010년대 가수]][[분류:서울특별시 출신]][[분류:더퀸 소속]][[분류:루피나]]
  • 김대우 (1988년)
         |프로 입단 연도 = [[2011년]]
         |드래프트 순위 = [[2011년 한국프로야구 신인 드래프트|2011년]] 9라운드([[넥센 히어로즈]])
         |첫 출장 = [[KBO 리그|KBO]] / [[2011년]] [[6월 4일]] <br /> [[한밭종합운동장 야구장|대전]] 대 [[한화 이글스|한화]]전 구원
         * [[넥센 히어로즈]] (2011년 ~ 2015년)
         [[서울고등학교]] 입학 당시에는 포지션이 야수였으나, 3학년 때 투수로 보직을 바꿨다. 프로 진출 대신 대학 진학을 선택했고 늦게 보직을 바꿔 대학 진학에 어려움을 겪었다. 투구 폼은 [[이승엽]]이 [[일본]] [[지바 롯데 마린스]]에 진출해 있을 당시 팀 동료였던 [[와타나베 슌스케]]를 보고 따라했다.<ref>[http://isplus.live.joinsmsn.com/news/article/article.asp?total_id=5595004&cloc= 넥센 신인 김대우, 단 두 경기만에‘대물’예감]{{깨진 링크|url=http://isplus.live.joinsmsn.com/news/article/article.asp?total_id=5595004&cloc= }}《일간스포츠》, 2011년 6월 5일</ref>
         9라운드(전체 67순위) 지명을 받아 다소 낮은 계약금인 2,000만원의 조건으로 입단했다. 2군에서 주로 활동하다가 [[2011년]] [[6월 4일]]에 데뷔 첫 경기를 치렀다. [[한화 이글스|한화]]를 상대로 3타자 모두 삼진으로 돌려세우는 기막힌 데뷔 전을 치르고, 그 다음 날에는 1.2이닝동안 총 6타자를 상대해 4타자를 삼진으로 돌려 세웠다.<ref>[http://sports.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kbo&ctg=news&mod=read&office_id=005&article_id=0000463555 “전성기 BK가 나타났다”… 넥센 김대우 환상 어뢰투 8아웃 중 7명에 삼진 뺏아] - 국민일보</ref> 그러나 인상적인 데뷔 전 때의 모습은 오래가지 않았고 그 뒤로는 난타당했다. 제구 불안과 경기 운영 미숙으로 1군과 2군을 오고가다가 [[2011년]] 시즌 24경기에 등판해 2패, 6점대 평균자책점으로 마무리했다.
         [[2011년]] 시즌 후 [[고종욱]]과 함께 입대했다.<ref>[http://sports.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kbo&ctg=news&mod=read&office_id=382&article_id=0000022559 ‘10년 지기’ 김대우·고종욱 “군대도 함께!”]《스포츠동아》, 2011년 12월 12일</ref>
  • 김대우 (영화 감독)
         * [[2011년]] 《[[우유시대]]》감독, 각본
  • 김대중 (축구 선수)
         [[홍익대학교]] 재학 시절 [[2011년]] [[U리그]] 우승을 이끈바 있는 김대중은 [[2014년]] 자유선발로 [[인천 유나이티드]]에 입단했지만, 출전기회를 잡고자 시즌 중반 [[대전 시티즌]]으로 임대이적하였다.
  • 김대중 (축구선수)
         [[홍익대학교]] 재학 시절 [[2011년]] [[U리그]] 우승을 이끈바 있는 김대중은 [[2014년]] 자유선발로 [[인천 유나이티드]]에 입단했지만, 출전기회를 잡고자 시즌 중반 [[대전 시티즌]]으로 임대이적하였다.
  • 김덕현(배우)
         * [[한국방송공사|KBS1]] 대하드라마 《[[광개토태왕 (드라마)|광개토태왕]]》([[2011년]] [[6월 4일]] ~ [[2012년]] [[4월 29일]]) ... 거보 역
  • 김도연 (1952년)
         * [[2008년]] 9월 ~ [[2011년]] 2월 : [[울산대학교]] 제8대 총장
         * [[2011년]] 1월 ~ 3월 : [[한국공학한림원]] 회장
         * [[2011년]] 3월 ~ [[2013년]] : [[국가과학기술위원회]] 위원장
  • 김도현 (1993년 5월)
         | 활동시기 = [[2011년]] ~ 현재
         | 데뷔작(곡) =2011년 브레인 OST '달려갈 거야'
         * 《[[브레인 (드라마)|브레인]] OST Part 4》 (2011년)
         * [[드라마스페셜]] 〈영덕 우먼스 씨름단〉(2011년, KBS2) - 주영의 제자 역.
         * [[슈퍼스타K3]] (2011년, Mnet)
  • 김동건 (야구인)
         방출 후 아마추어 선수들을 위한 실내 연습장을 운영하다가, [[2011년]]에 [[NC 다이노스]]의 트라이아웃에 참가하여 합격하여 입단하였다. 입단하여 [[NC 다이노스]]의 첫 번째 주장으로 선임되어 [[2012년]]에 팀을 이끌었다.<ref>[http://sports.chosun.com/news/ntype.htm?id=201111070100039380003299&servicedate=20111106 NC 주장 김동건, 30대에 새로 여는 야구 인생] - 스포츠조선</ref> 하지만 [[2013년]] 시즌 기회를 잡지 못하고 퓨처스 리그에서도 성적 부진에 빠져 시즌 후 방출되었다.<ref>[http://www.idomin.com/news/articleView.html?idxno=432063 NC, 황덕균·한윤기·박정훈·김동건 방출] - 경남도민일보</ref>
  • 김동근 (1990년)
         '''김동근'''(金東槿, [[1990년]] [[1월 4일]] ~ )은 [[대한민국]]의 시민운동가이자 [[남성인권]] 운동가이다. 2014년 단체명을 [[양성평등연대]]로 변경한 [[남성연대]]의 3대 공동대표와 4대 대표로 선출되었으며, [[경희대학교]]를 휴학하고 양성평등운동에 참여, [[2011년]] [[남성연대]]의 자원봉사자, 홍보팀 대리, 홍보팀장, 기획팀장 등을 역임하였으며 [[2013년]] [[7월 26일]] BJ 로복(본명:정지복)과 인터뷰토크쇼를 진행한 [[남성연대]] 초대 대표 [[성재기 (1967년)|성재기]] 사후 장례식 자원봉사자와 비상대책위원을 역임하고, 남성연대 기획팀장 및 사무국원으로 활동하며 혼란을 수습하였으며, 남성연대 대변인 등을 역임했다. [[2013년]] [[11월 12일]] 김인석과 공동으로 [[남성연대]] 제3대 공동대표로 선출되었다. 싱글대디 반찬지원 운동, 남녀 차별 철폐운동, 여성부 폐지 운동을 추진하였으며, [[2014년]] [[3월 12일]] 김인석의 사퇴로 단독대표가 되었으며, [[대한민국청년대학생연합]]의 대표도 맡고있다.
         [[2009년]] [[7월]] 육군 11보병사단에 병사로 입대하였으며, [[2011년]] [[7월]] 병장으로 만기 전역하였다.<ref name="with">{{웹 인용 |url=http://www.wikitree.co.kr/main/news_view.php?id=117422 |제목=일베 캐릭터 상품화 '베츙이몰' 대표 일문일답 |확인날짜=2013-11-18 |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160605130100/http://www.wikitree.co.kr/main/news_view.php?id=117422 |보존날짜=2016-06-05 |깨진링크=예 }}</ref> 한때 사업하려고 음악을 그만두고, [[2011년]] [[11월]]부터 [[남성연대]]에 참여, [[남성연대]] 홍보팀 대리가 되었다. [[2012년]] [[7월]] 성재기, [[한승오 (1978년)|한승오]] 등과 함께 [[제천여성도서관]] 반대 운동을 펼쳤다. [[2012년]] 서울시 여성전용 임대아파트 정책에 대해, [[박원순]] [[서울특별시장]]과의 주말 데이트에서 면담하였다.<ref name="with"/>
  • 김동욱(배우)
         2011년 12월 말에 [[SNL 코리아]] 5화에 호스트로 출연했는데 [[JK김동욱]]의 밀리는 인지도를 비롯하여 곧 서른이 되는 것[* 당시 나이가 29살이었고 촬영 날짜가 12월 31일이였다.]과 단신~~단신 아닌데..~~[* 사실 175cm이면 단신도 그렇다고 장신도 아니다. 그저 애매한 수치다.], 탈모, 영화 흥행 실패[* 해당 영화는 로멘틱 헤븐으로 이 영화를 제작했던 장진 감독이 당시 크루다.]등 온갖 디스를 당했다. 또한 각종 분장과 성대모사로 큰 웃음을 뽑아냈다. 그 후 시즌 2 [[조여정]] 편에서 게스트로 나왔는데 오프닝 때는 조여정의 열성팬으로, '밤에 하는 요가' 코너에서는 조여정의 몸매를 보는 음흉한 수강생으로 출연했었다.
         ||<|2> 2011년 || [[고양이: 죽음을 보는 두 개의 눈]] || 준석 || ||
         ||<|2> 2011년 || [[MBC]] || [[남자를 믿었네]] || 문현수 || ||
         || [[2011년]] [[1월 8일]]~[[1월 15일]] || Olive || Olive it City 일본에서 놀자 || 게스트 || EP5~6 ||
         || [[2011년]] [[12월 31일]] || [[tvN]] || [[SNL 코리아]] || 호스트 || EP5 ||
  • 김동원 (1985년)
         |복무 기간 = [[2008년]] ~ [[2011년]]
         한화생명 전사혁신실 부실장(상무)인 김 회장의 차남 김동원은 [[2011년]] 교통사고를 낸 뒤 아무런 구호조치를 하지 않고 도주한 혐의로 적발돼 법원으로부터 벌금 700만 원의 약식 명령을 받았다.<ref>{{뉴스 인용|url=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20&aid=0003032662|제목=김승연 회장 셋째 아들 김동선 술집 난동, 한화家 사건사고 보니…보복폭행·대마초까지|이름=|날짜=2017-01-05|출판사=동아일보}}</ref>
  • 김동한 (야구 선수)
         |프로 입단 연도 = [[2011년]]
         |드래프트 순위 = [[2011년 한국프로야구 신인 드래프트|2011년]] 8라운드([[두산 베어스]])
         * [[두산 베어스]] (2011년 ~ 2016년)
         2011년 동국대를 졸업하고 8라운드로 입단했다. [[2012년]]에 데뷔 첫 경기를 치렀고, 당시는 군입대 예정이던 [[이원석 (1986년)|이원석]]과 [[오재원]]을 대신할 선수로 테스트할 예정이었으나 둘의 입대가 유보돼 [[2013년]] 시즌도 2군에서 시작했다. [[2012년]]에 좋은 모습을 보여 시즌 중반 종종 1군으로 콜업됐다가 다시 내려가는 과정이 반복됐고, 확대 엔트리가 되면서 주로 대주자나 대수비로 출장했다. [[2013년]] [[9월 12일]] [[SK 와이번스|SK]]전에서 대타로 나와 [[박희수]]를 상대로 역전 3점 홈런이자 결승 홈런을 쳐 내며, 팀의 역전 승을 이끌었다.<ref>[http://www.mydaily.co.kr/new_yk/html/read.php?newsid=201309122204482225&ext=na '김동한 9회 2아웃 역전 3점포' 두산, SK에 7점차 뒤집기] -마이데일리</ref>
  • 김뢰하
         * [[2011년]] 《[[푸른 소금]]》 ... 김기철 역
         * [[2011년]] [[KBS2]] 미니시리즈 《[[공주의 남자]]》 ... 조석주 역
         * [[2011년]] [[OCN]] TV무비 《[[소녀K]]》 ... 장세욱 역
         * [[2011년]] [[MBC]] 창사특별기획 《[[빛과 그림자 (2011년 드라마)|빛과 그림자]]》 ... 조태수 역
  • 김명성 (1988년)
         |프로 입단 연도 = [[2011년]]
         |드래프트 순위 = [[2011년 한국프로야구 신인 드래프트|2011년]] 5차 1라운드([[롯데 자이언츠]])
         |첫 출장 = [[KBO (야구)|KBO]] / [[2011년]] [[5월 8일]] <br /> [[잠실야구장|잠실]] 대 [[두산 베어스|두산]]전
         * [[롯데 자이언츠]] (2011년 ~ 2012년)
         [[2011년 한국 프로 야구 신인선수 지명 회의|2011년]] 1라운드(전체 5순위) 지명을 받아 [[롯데 자이언츠]]에 입단하였다. [[중앙대학교|중앙대]] 체육교육학과 시절 [[2010년]] 대학 야구 리그 11경기에서 6승 무패, 평균자책 1.72에 탈삼진 54개를 잡아내는 위력을 과시했다. 그러한 기량을 인정받아 [[2010년 아시안 게임|광저우 아시안 게임]]에 참가하여 금메달을 획득했다. 그러나 [[롯데 자이언츠]] 입단 이후에는 1군 4경기 1패에 그쳐 별 활약을 보여 주지 못하였고, [[2012년]] [[6월 17일]] 자신의 1군 첫 상대 팀이었던 [[두산 베어스]]에 [[포수]] [[용덕한]]을 상대로 트레이드되었다.
  • 김모아
         * [[2011년]] - 서울오토살롱 레이싱모델
         * [[2011년]] - 서울모터쇼 현대상용차 모델
  • 김모아 (레이싱모델)
         * [[2011년]] - 서울오토살롱 레이싱모델
         * [[2011년]] - 서울모터쇼 현대상용차 모델
  • 김무영 (1985년)
         |style="text-align:center;"|[[2011년]]
  • 김미경 (배우)
         * [[2011년]] [[SBS]] 주말극장 《[[내 사랑 내 곁에 (SBS 드라마)|내 사랑 내 곁에]]》 ... 최은희 역
         * [[2011년]] [[KBS2]] 단막극 《[[KBS 드라마 스페셜 연작 시리즈]] - [[헤어쇼]]》 ... 박정래 역
         * [[2011년]] [[KBS2]] 미니시리즈 《[[동안미녀]]》 ... 백 부장 역
         * [[2011년]] [[MBC]] 창사특별기획 《[[빛과 그림자 (2011년 드라마)|빛과 그림자]]》 ... 김금례 역
         * [[2011년]] [[MBN]] 미니시리즈 《[[왓츠업]]》 ... 양수정 교수 역
         * [[2011년]] 《[[글러브 (영화)|글러브]]》 ... 원장 수녀 역
         * [[2011년]] 《[[블라인드 (2011년 영화)|블라인드]]》 ... 원장 역
         * [[2011년]] 《[[오직 그대만]]》 ... 요안나 수녀 역
         * [[2011년]] 《[[그녀의 13월]]》 ... 여경 모 역
  • 김미숙(1959)
          * [[2011년]] [[SBS]] 《[[내사랑 내곁에(SBS 드라마)|내사랑 내곁에]]》 ... 봉선아 역
          * [[2011년]] [[SBS]] 《[[시티헌터(드라마)|시티헌터]]》 ... 이경희 역
          * [[2011년]] [[문화방송|MBC]] 《[[오늘만 같아라]]》 ... 윤인숙 역
          * [[2011년]] [[JTBC]] 《[[인수대비(드라마)|인수대비]]》 ... [[정희왕후]] 역
          * [[2011년]] [[한국가스안전공사]] (with [[조승우]], [[말아톤]] 영상 인용)
  • 김민석 (정치인)
         * [[2011년]] [[럿거스 대학교|럿거스대학교 법과대학원]] J.D
         [[분류:민주당 (대한민국, 2007년) 당원]][[분류:대통합민주신당 당원]][[분류:민주당 (대한민국, 2008년) 당원]][[분류:시민통합당 당원]][[분류:민주당 (대한민국, 2011년) 당원]][[분류:민주당 (대한민국, 2014년) 당원]][[분류:단국대학교 교수]][[분류:홍익대학교 교수]][[분류:숭실대학교 교수]][[분류:미국에 거주한 대한민국인]][[분류:한양대학교 교수]][[분류:중도참여개혁통합민주신정계파]][[분류:연세대학교 교수]][[분류:친문]][[분류:더불어민주당 당원]][[분류:서울특별시 출신]][[분류:동교동계]][[분류:경주 김씨]]
  • 김민성 (1988년 12월)
         [[2010년]] [[7월 20일]] 당시 [[넥센 히어로즈]] 소속이었던 황재균을 상대로 김수화와 함께 트레이드됐다. 이 때 [[2009년]]의 트레이드 파동으로 골머리를 앓았었던 [[넥센 히어로즈]]여서 그 파장이 컸으나, [[KBO 리그|KBO]]에서 최종 승인했다. 이적 후 [[2011년]] 시즌에 꾸준히 주전 2루수로 출장했다.
  • 김민성 (1988년)
         [[2010년]] [[7월 20일]] 당시 [[넥센 히어로즈]] 소속이었던 [[황재균]]을 상대로 [[김수화]]와 함께 트레이드됐다. 이 때 [[2009년]]의 트레이드 파동으로 골머리를 앓았었던 [[넥센 히어로즈]]여서 그 파장이 컸으나, [[KBO 리그|KBO]]에서 최종 승인했다. 이적 후 [[2011년]] 시즌에 꾸준히 주전 2루수로 출장했다.
  • 김민아 (아나운서)
         * [[2011년]] : [[MBC 라이프]] 《[[실험쇼 천재적인 생활]]》
         * [[2011년]] : [[MBC 라이프]] 《[[서바이벌! 천재적인 생활]]》
         * 2011년 토크 토크 야구 ({{ISBN|9788966210060}})
  • 김민하 (1997년)
         * [[2011년]] [[MBC]] 《[[하이킥! 짧은 다리의 역습]]》 ... 안종석 팬클럽 회원 역
         * 2011년 《[[링크 (2011년 영화)|링크]]》 ... 혜진 역
  • 김범수 (가수)
         [[2002년]], 김범수의 3집 앨범의 타이틀 곡인 〈보고싶다〉가 [[SBS TV|SBS]] 드라마 《[[천국의 계단 (서울방송 드라마)|천국의 계단]]》에 OST로 사용되면서 인기를 얻었다. 이후 [[2003년]]경부터 TV 등의 매체에 출연하기 시작하고, 발매 앨범에도 본격적으로 자신의 얼굴을 노출시키기 시작하였다. [[2006년]] [[4월 3일]] 현역으로 입대하여 운전병 및 연예 병사로 활동한 후 [[2008년]] [[3월 28일]]에 제대했다. 제대 후 6집 앨범을 발매하면서 가수 활동을 재개하였다. [[2011년]] 3월에는, [[MBC TV|MBC]] 《[[우리들의 일밤]]》 - [[나는 가수다]]에 참여하여 [[박정현]]과 함께 최장 생존 가수로 명예졸업을 하였고, 이 무렵부터 예능에 본격적으로 뛰어들어 인지도를 강화했다.
         *드라마 《[[뿌리깊은 나무 (2011년 드라마)|뿌리깊은 나무]]》 O.S.T - 〈말하지 않아도〉
         ! 2011년
         * [[2011년]]: [[MBC TV|MBC]] 《[[우리들의 일밤]]》 - [[서바이벌 나는 가수다]] 출연
         * [[현대자동차]] - 버스 콘서트 ([[2011년]])
         * [[2011년]] [[7월 2일]] [[잠실야구장]]에서 김범수가 애국가를 부른 적이 있었는데, "하느님이 보우하사" 부분을 "대한사람 대한으로" 부분과 헷갈려 "대느님"이라고 불렀다. 이후 김범수에게는 "대느님"이라는 별명이 붙여졌다.
  • 김범수 (기업인)
         1966년 [[서울특별시]]에서 부친 김진용과 모친의 2남 3녀 중 맏아들로 태어났으며 형제관계로는 누나 2명(김행자 김명희) 과 여동생 하나(김은정) 그리고 막내 남동생(김화영, 카카오톡 자회사 까페톡 운영)이 있다. 1990년 [[서울대학교]] 산업공학 학사, 1992년 서울대학교 대학원 산업공학 석사과정을 수료했다. 초기 PC 통신 시절 인터넷에 관심을 가졌고, PC통신 관련 논문으로 석사 학위까지 받았다.<ref>[http://www.etoday.co.kr/news/section/newsview.php?idxno=1103540 김범수 다음카카오 의장의 벤처 성공신화], 이투데이, 2015년 4월 6일</ref> 이후 몸담았던 [[삼성SDS]]에서 퇴사하고 한게임을 만들었다. 2000년 삼성SDS 동기 [[이해진]]이 이끄는 [[네이버컴]]과 합병하고 [[NHN]] 공동대표를 맡았으며, 2004년 NHN 단독대표를 거친 이후 해외사업을 총괄하는 대표를 맡았다. [[2007년]] [[8월]], 대표직을 사임하였으며, 가족들과 3년을 보낸 후 [[카카오톡]]을 만들었다.<ref>[http://news.mt.co.kr/mtview.php?no=2011101714343203791 '카카오톡' 김범수 "악착같이 살지마" 의외의 조언] 머니투데이, 2011년 10월 19일</ref>
         * [[2011년]] [[카카오]] 이사회 의장
         * [[2011년]] 7월 [[국가지식재산위원회]] 민간위원
  • 김범수 (방송인)
         * [[2011년]] [[OCN (방송)|OCN]] 금요드라마《[[신의 퀴즈 2]]》- 뉴스 앵커 역
         * [[2011년]] [[채널 뷰]] 《[[추적르포 사라진 가족]]》
         * [[2011년]] [[OBS 경인TV]] 《[[고교토론 판]]》
  • 김병기 (1948년)
         * [[2011년]] [[SBS]] 미니시리즈 《[[마이더스 (드라마)|마이더스]]》 ... 구성철 역
         * [[2011년]] [[MBC]] 대하드라마 《[[계백 (드라마)|계백]]》 ... 사택적덕 역
         * [[2011년]] [[MBC]] 대하드라마 《[[빛과 그림자 (2011년 드라마)|빛과 그림자]]》 ... 김재욱 역
  • 김병기(배우)
         * [[2011년]] [[SBS]] 미니시리즈 《[[마이더스 (드라마)|마이더스]]》 ... 구성철 역
         * [[2011년]] [[MBC]] 대하드라마 《[[계백 (드라마)|계백]]》 ... 사택적덕 역
         * [[2011년]] [[MBC]] 대하드라마 《[[빛과 그림자 (2011년 드라마)|빛과 그림자]]》 ... 김재욱 역
  • 김병세
         * [[2011년]] [[SBS]] 미니시리즈 《[[마이더스 (드라마)|마이더스]]》 ... 제임스 역
         * [[2011년]] [[KBS1]] 일일연속극 《[[우리집 여자들]]》 ... 차성주 역
         * [[2011년]] [[채널A]] 미니시리즈 《[[컬러 오브 우먼]]》 ... 남중근 역
  • 김병옥 (1960년 배우)
         * [[2011년]] 《[[로맨틱 헤븐]]》 ... 맨홀 사내 역
         * [[2011년]] 《[[퍼펙트 게임 (2011년 영화)|퍼펙트 게임]]》 ... 비서실장 역(특별출연)
  • 김병철 (1949년)
         '''김병철'''(金炳喆, [[1949년]] [[9월 22일]] ~ , [[서울특별시]])은 [[대한민국]]의 교육인이자 [[농학|농학자]]이다. 2011년 3월부터 2015년 2월까지 [[고려대학교]] 총장을 역임했다.
         * 2010년 3월 ~ 2011년 2월 : 고려대학교 식품생의학안전연구소 소장
         * 2011년 3월 ~ 2015년 3월 : 고려대학교 총장(제18대)
         * 2010년 3월 ~ 2011년 2월 : 한국축산식품학회 부회장
         * 2011년 4월 ~ 현재 : [[고려중앙학원]] 이사
         * 2011년 3월 ~ 현재 :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자문위원회 위원
         * 2011년 3월 ~ 현재 : 고려대학교 교우회 명예회장
         * 2011년 3월 ~ 현재 : 글로벌인재포럼 자문위원
         * 2011년 3월 ~ 현재 : 한러대화 조정위원장
         * 2011년 5월 ~ 2013년 5월 : 한러대화재단 이사
         * 2011년 7월 ~ 2013년 2월 : [[한국과학기술총연합회]] 부회장
         |임기 = [[2011년]] [[3월]] - [[2015년]] [[3월]]
  • 김보경(1990)
         || '''데뷔''' ||[[2011년]] 디지털 싱글 《Because Of You》||
         *'''2011년'''
          *2011년 1월 [[http://music.naver.com/album/index.nhn?albumId=188942|the First Day]]
          *2011년 9월 [[http://music.naver.com/album/index.nhn?albumId=207449|GroWing]]
          *2011년 1월 하루하루
          *2011년 3월 봄처럼
          *2011년 5월 잊어도 지워도
          *2011년 6월 Suddenly ([[시티헌터(드라마)|시티헌터]] OST)
          *2011년 11월 Without U
          *2011년 12월 메아리
         [[분류:한국 여가수]][[분류:아산시 출신 인물]][[분류:1990년 출생]][[분류:2011년 데뷔]][[분류:히든 싱어 역대 모창능력자]]
  • 김보름
         | 데뷔 = [[2011년]] [[11월 25일]]<br/>[[아스타나]] (3000m 20위)
         {{은메달|[[2011년 동계 아시안 게임|2011 아스타나/알마티]]|3000m}}
         {{금메달|[[2011년 세계 주니어 스피드 스케이팅 선수권 대회|2011 세이내요키]]|단체 추월}}
         {{은메달|[[2011년 세계 주니어 스피드 스케이팅 선수권 대회|2011 세이내요키]]|3000m}}
         [[대구광역시]] 출신이다. [[대구문성초등학교|문성초등학교]], [[성화중학교]], [[정화여자고등학교]]를 거치며 쇼트트랙 선수로 활동하다가 [[2010년]] 스피드 스케이팅으로 전향하여 장거리 국가대표로 선발되었다. 이후 [[한국체육대학교]]를 졸업하고 실업팀인 강원도청에서 활동하고 있다. 2010-11년 시즌부터 스피드 스케이팅 국가대표로 국내외 대회에 출전하기 시작했으며, [[2011년 동계 아시안 게임]] 3000m에서 은메달을 획득하며 주목받았다. 2011-12 시즌에도 다시 국가대표로 선발되었으며, 세계 주니어 선수권에서 종합 3위에 올랐고, 팀추월에서는 우승하였다.
         2011년 1월 14일 막을 내린 2011 전국남녀 주니어빙상선수권대회 1500m와 3000m에서 김보름은 각각 2분3초93과 4분21초30의 대회신기록을 찍으며 1위를 차지했고, 최종순위에서도 167.430포인트로 대회기록을 갈아치우며 정상을 밟았다.<ref name=":1" />
         카자흐스탄 아스타나실내스피드스케이팅경기장서 펼쳐진 제7회 아스타나-알마티 동계아시안게임 3000m에서 김보름이 4분10초54의 기록으로 은메달을 차지했다. 김보름은 3000m 결승전에서 3조로 출발해서 앞서 출발한 1,2조 선수들에 비해 기록차를 크게 벌리며 1위에 섰지만 곧바로 4조 일본의 호조미 마사코에 2.72초 뒤졌다. 3위에 오른 중국의 왕페이는 4분19초77을 기록했다. 함께 경기에 나선 박도영(17, 덕정고)은 컨디션 난조로 아쉽게 5위에 머물렀다.<ref>{{뉴스 인용|url=http://news.mt.co.kr/mtview.php?no=2011013118485662311&code=column91&vgb=column|제목=[동계AG]김보름, 스피드스케이팅 女3000m '깜짝'銀 - 머니투데이 뉴스|확인날짜=2017-03-06}}</ref> 2011년 2월 5일 열린 5000m에서는 한국의 박도영(18, 덕정고)이 3번째 조로 일본의 호즈미 마사코와 함께 레이스를 펼쳐 6초40 뒤진 기록으로 골인했으나, 전체 2위(7분15초63)를 차지했다. 김보름은 7분22초92의 기록으로 4위를 차지해 아쉽게 메달을 놓쳤다.<ref>{{웹 인용|url=http://m.cnbnews.com/m/m_article.html?no=128516|제목=[동계아시안게임] 박도영, 스피드스케이팅 5000m 은메달|확인날짜=2017-03-06}}</ref>
         2011년 2월 16일부터 18일까지 태릉국제스케이팅장에서 열린 제92회 전국동계체육대회 고등부 3000m에서 1위는 대회신기록인 4분17초42의 박도영(덕정고)이 차지했고 2위는 대회신기록인 4분22초21의 김보름이 차지했고 3위는 4분24초04의 임정수(청학고)가 차지했다. 1500m에서는 1위는 대회신기록인 2분4초37의 박도영이 차지했고 2위는 2분5초49의 김보름이 차지했고 3위는 2분7초16의 임정수가 차지했다.<ref name=":4">{{저널 인용|제목=제92회 전국동계체육대회 스피드 스케이팅|url=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EC%A0%9C92%ED%9A%8C_%EC%A0%84%EA%B5%AD%EB%8F%99%EA%B3%84%EC%B2%B4%EC%9C%A1%EB%8C%80%ED%9A%8C_%EC%8A%A4%ED%94%BC%EB%93%9C_%EC%8A%A4%EC%BC%80%EC%9D%B4%ED%8C%85&oldid=8386539|날짜=2012-03-11|언어=ko}}</ref>
         2011년 11월 18일 러시아 첼랴빈스크에서 열린 2011-2012 국제빙상경기연맹 스피드스케이팅월드컵 1차 대회 3000m 디비전B에서 김보름은 4분12초38로 2위를 차지했다. 19일 열린 1500m 디비전B에서는 김보름이 2분01초39로 4위를 차지했다. 20일 열린 팀추월에서는 이주연, 노선영, 김보름이 3분05초79로 4위를 차지했다. 2011년 11월 25일 카자흐스탄 아스타나에서 열린 2차 대회 3000m 디비전A에서 김보름은 4분13초61로 20위를 차지했다. 26일 열린 1500m 디비전A에서는 김보름이 2분02초58로 20위를 차지했다.<ref name=":24" /> 27일 열린 매스스타트에서는 김보름(한국체대)이 7분26초85의 기록으로 첫 동메달을 따냈다.<ref>{{뉴스 인용|url=http://news.sbs.co.kr/news/endPage.do?news_id=N1001033550|제목=이승훈, 매스스타트 금메달|날짜=2011-11-28|뉴스=SBS NEWS|언어=ko|확인날짜=2017-03-06}}</ref> 2011년 12월 2일 네덜란드 히렌빈에서 열린 월드컵 3차 대회 5000m 디비전B에서 김보름은 7분26초10으로 12위를 차지했다. 3일 열린 1500m 디비전B에서는 김보름이 2분01초39로 5위를 차지했다.<ref name=":24" /> 4일 열린 팀추월에서는 이주연(동두천시청)-노선영(한국체대)-김보름으로 구성된 대표팀이 3분03초18의 기록으로 캐나다(3분00초01)와 러시아(3분02초38)에 이어 3위에 올랐다. 한국 스피드스케이팅이 월드컵 시리즈 팀 추월에서 메달을 딴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ref name=":17">{{웹 인용|url=http://m.yeongnam.com/jsp/view.jsp?depth1=3&depth2=4&nkey=20111206.010260719320001|제목=한국 빙속 팀추월 사상 첫 메달|성=영남일보|확인날짜=2017-03-06}}</ref> 2012년 2월 12일 노르웨이 하마르에서 끝난 월드컵 5차 대회 팀추월 경기에서 이주연(25)과 노선영(23), 김보름(18)이 출전하여 3분05초65의 기록으로 폴란드(3분05초57)에 이어 동메달을 차지했다. 3000m에 출전한 김보름은 4분15초66의 기록으로 16위에 머물렀다.<ref name=":2">{{뉴스 인용|url=http://www.icenews.co.kr/entry/%EB%B9%99%EC%86%8D-%EC%9B%94%EB%93%9C%EC%BB%B5-5%EC%B0%A8%EB%8C%80%ED%9A%8C-%ED%8C%80-%EC%B6%94%EC%9B%94-%EB%82%A8%EB%85%80-%E9%8A%80-%E9%8A%85|제목=빙속 월드컵 5차대회, 팀 추월 남녀 銀, 銅|날짜=2012-02-13|뉴스=아이스뉴스|확인날짜=2017-03-06}}</ref> 1500m 디비전A에서는 김보름이 2분00초24로 10위를 기록했다. 디비전B에서는 이주연(동두천시청)과 노선영(한체대)이 각각 1위(2분01초53)와 3위(2분01초82)를 차지했다.<ref>{{뉴스 인용|url=http://www.icenews.co.kr/entry/%EC%9D%B4%EC%8A%B9%ED%9B%88-%EB%B9%99%EC%86%8D%EC%9B%94%EB%93%9C%EC%BB%B5-5000m-13%EC%9C%84-%EA%B9%80%EB%B3%B4%EB%A6%84-%EC%97%AC%EC%9E%90%EB%B6%80-1500m-10%EC%9C%84|제목=이승훈 '빙속월드컵' 5000m 13위... 김보름 여자부 1500m 10위|날짜=2012-02-12|뉴스=아이스뉴스|확인날짜=2017-03-11}}</ref> 2012년 3월 10일 독일 베를린에서 열린 월드컵 파이널 1500m에서 김보름은 1분59초52로 12위를 차지하며 73점 22위로 시즌을 마쳤다. 11일 열린 매스스타트에서는 김보름이 8분53초69로 7위를 차지하며 110점 7위로 시즌을 마쳤다. 팀추월에서는 김보름, 이주연, 노선영이 3분03초29로 은메달을 차지하며 320점 3위로 시즌을 마쳤다.<ref name=":24" />
         2011년 제66회 전국남녀 종합스피드스케이팅 선수권대회 3000m에서 김보름은 2위를 차지했다.<ref>{{뉴스 인용|url=http://m.blog.naver.com/woorikangsan/20201685972|제목=한국 빙상 유망주 - 김보름 선수,한국, 토렌티노 동계 U대회 종합 3위…빙속 김보름 최다 메달 획득,|뉴스=네이버 블로그 {{!}} 사진과 여행하기|언어=ko|확인날짜=2017-03-13}}</ref>
         2011년 아시아종목별선수권대회 3000m에서 김보름은 실격을 받았다.<ref name=":13">{{뉴스 인용|url=http://www.icenews.co.kr/entry/SKATER-STORY-%EA%B9%80%EB%B3%B4%EB%A6%84-%ED%8E%B8-%EC%87%BC%ED%8A%B8%ED%8A%B8%EB%9E%99-%EC%A1%B0%EC%97%B0%EC%97%90%EC%84%9C-%EC%8A%A4%ED%94%BC%EB%93%9C-%EC%A3%BC%EC%97%B0%EC%9C%BC%EB%A1%9C%E2%91%A1|제목=[SKATER STORY] 김보름 편 쇼트트랙 조연에서 스피드 주연으로②|날짜=2012-12-21|뉴스=아이스뉴스|확인날짜=2017-03-12}}</ref>
         2017년 2월 20일 오후 일본 오비히로의 오비히로 스피드스케이팅 오벌에서 열린 2017 삿포로 동계아시안게임 3000m에서 김보름은 4분7초80으로 2위를 기록했다. 김보름의 기록은 2011년 아스타나-알마티(카자흐스탄) 동계아시안게임에서 호즈미 마사코(일본)가 세웠던 4분7초82보다 0.02초 빨랐다. 하지만 4분05초76을 기록한 다카기 미호(일본)에 밀려 아쉽게 준우승에 그쳤다. 다카기의 기록은 아시아 기록으로 올라갔다. 3위는 4분10초07를 찍은 일본의 사토 아야노가 차지했다. 이로써 김보름은 2011년 대회에 이어 2연속 3000m에서 은메달을 획득하게 됐다. 5조의 인코스에 자리한 김보름은 타카바 마키(일본)와 레이스를 펼쳤다. 초반 400m 랩타임을 31초대로 찍으면서 좋은 출발을 보였다. 하지만 이후 속도가 떨어졌고 마지막 800m를 남겨두고는 400m 랩타임을 32초 후반대로 찍으면서 아쉽게 2위에 만족해야 했다. 김보름과 함께 출전한 박도영(24-동두천시청)은 4분17초76로 6위. 박지우는(19-의정부여고)는 4분21초02로 7위를 마크했다.<ref>{{뉴스 인용|url=http://www.fnnews.com/news/201702201641040417|제목=[동계AG] 김보름, 여자 스피드스케이팅 3000m 은메달 획득|날짜=2017-02-20|확인날짜=2017-03-31}}</ref> 22일 열린 5000m 경기에서는 김보름이 7분 12초 58의 기록으로 금메달을 획득했다. 3조에 출전한 김보름은 한 메이(중국)와 레이스를 펼쳤다. 김보름은 레이스 초반 33초 대로 달리다가, 중반에 접어들면서 33초와 34초의 랩타임을 번갈아가며 호흡을 이어갔다. 그리고 마지막 3바퀴를 남기고 스퍼트를 시작했다. 그리고 7분12초58의 기록으로 결승선을 통과해 금메달을 확정 지었다. 이 날 경기에서 김보름을 위협할 강력한 경쟁자로 꼽힌 다바카 마키(일본)는 레이스 후반에 접어들면서 크게 처져 결국 메달조차 따지 못했다. 김보름에 이어 은메달은 한 메이, 동메달은 키야마 마이가 차지했다. 김보름과 함께 출전했던 박도영(동두천시청)은 5위에 이름을 올렸다. 김보름은 20일 열렸던 3000m와 21일에 열렸던 팀추월 경기에서 모두 은메달을 획득한 데 이어, 자신의 세 번째 종목이었던 5000m에서 드디어 금메달을 목에 거는데 성공했다.<ref>{{웹 인용|url=http://star.ohmynews.com/NWS_Web/OhmyStar/at_pg.aspx?CNTN_CD=A0002301052|제목=빙속 김보름, 동계 아시안게임 5000m 금메달|날짜=2017-02-22|확인날짜=2017-03-29}}</ref> 23일 열린 매스스타트에서 김보름은 일본 선수들의 작전에 말려 자신의 기량을 제대로 발휘하지 못했다. 이날 다카기 미호와 사토 아야노가 먼저 치고 나섰고, 뒤에 있던 다카기 나나가 상대 선수들을 견제했다. 김보름은 선두를 따라 잡기위해 기회를 노렸지만 추월하지 못했다. 이후 김보름이 속한 2위그룹과 선두그룹은 12바퀴이후 한 바퀴까지 벌어졌다. 결국 김보름은 8분47초46을 기록 3위에 그쳤고, 다카기 미호는 8분21초81로 금메달, 사토 아야노는 8분21초88로 은메달을 차지했다.<ref>{{뉴스 인용|url=http://newspim.com/news/view/20170223000380?category_cd=0116|제목=김보름 “일본 작전에 알면서 당했다”... 매스스타트 1인자, 아쉬운 동메달(2017 삿포로 동계아시안게임)|뉴스=뉴스핌|언어=ko|확인날짜=2017-03-31}}</ref>
         [[분류:1993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스피드 스케이팅 선수]][[분류:대한민국의 쇼트트랙 선수]][[분류:대한민국의 올림픽 은메달리스트]][[분류:올림픽 스피드스케이팅 메달리스트]][[분류:2018년 동계 올림픽 메달리스트]][[분류:대한민국의 올림픽 스피드스케이팅 참가 선수]][[분류:2014년 동계 올림픽 스피드스케이팅 참가 선수]][[분류:2018년 동계 올림픽 스피드스케이팅 참가 선수]][[분류:대한민국의 아시안 게임 금메달리스트]][[분류:대한민국의 아시안 게임 은메달리스트]][[분류:대한민국의 아시안 게임 동메달리스트]][[분류:아시안 게임 스피드스케이팅 메달리스트]][[분류:2011년 동계 아시안 게임 메달리스트]][[분류:2017년 동계 아시안 게임 메달리스트]][[분류:대한민국의 아시안 게임 스피드스케이팅 참가 선수]][[분류:2011년 동계 아시안 게임 스피드스케이팅 참가 선수]][[분류:2017년 동계 아시안 게임 스피드스케이팅 참가 선수]][[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대구문성초등학교 동문]][[분류:성화중학교 (대구) 동문]][[분류:정화여자고등학교 동문]][[분류:한국체육대학교 동문]]
  • 김보민
         * [[2011년]] : [[KBS2]] 《[[체험 삶의 현장]]》
  • 김사율
         [[1999년]] 2차 1라운드 지명을 받아 입단했으며, 주로 셋업맨 및 마무리 [[투수]]로 등판했다. 그러나 프로 입단 초기에는 병역 비리 사건 등으로 별 활약을 보여 주지 못했다. [[제리 로이스터]]가 감독으로 부임한 이후 뒤늦게 두각을 드러냈고,<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7&oid=001&aid=0004678086 김사율, 감격의 가을잔치 첫 승] - 연합뉴스</ref> [[2011년]]에는 마무리로 좋은 활약을 보여 주어 5승 3패, 2홀드, 20세이브를 기록하였다. [[2004년]] 병역 비리 사건에 연루되어 일반사병으로 강원도 화천에서 155mm 견인포 운전병으로 복무를 마쳤다. [[롯데 자이언츠|롯데]]에서 마무리로 등판하였던 [[투수]] 중 외국인 선수인 [[존 애킨스|애킨스]]에 이어 20세이브대를 기록하였다.<ref>[http://joynews.inews24.com/php/news_view.php?g_menu=702100&g_serial=611286&rrf=nv 김사율, 든든한 신뢰감 유지한 롯데 마무리] - 조이뉴스24</ref> [[2012년]]에는 30세이브대를 달성하여 마무리 보직에 정착하였고, [[2012년]] [[9월 8일]]에는 [[한화 이글스|한화]] 상대 마무리로 등판해 1이닝 동안 1피안타, 1탈삼진을 기록하며 무실점으로 마무리, 32세이브를 기록하며 팀 역사를 새로 썼다.<ref>[http://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worldfootball&ctg=news&mod=read&office_id=073&article_id=0002170631 롯데 60승 안착, 김사율 32세이브 구단 신기록] - 스포츠서울</ref>
  • 김사훈 (야구선수)
         |프로 입단 연도 = [[2011년]]
         * [[롯데 자이언츠]] (2011년 ~ 현재)
         [[김사율]]의 소개로 2011년에 [[신고선수]]로 입단하였다. 2012년 사이판 훈련 직전에 정식 계약했다.
  • 김산호
         * [[2011년]] [[tvN]] 월화드라마 《[[꽃미남 라면가게]]》 ... 김산호 역
         * [[2011년]] 《[[완벽한 파트너]]》 ... 민수 역
         * [[2011년]] 《[[젊음의 행진]]》 ... 왕경태 역
         * [[2011년]] 《[[늑대의 유혹]]》 ... 반해원 역
  • 김산호 (만화가)
         * 제15회 서울국제만화애니메이션 페스티벌 코믹어워드([[2011년]])
  • 김산호(배우)
         ||<|3> 2011년 || 젊음의 행진 || 왕경태 ||
         ||<|3> [[2011년]] || [[tvN]] || [[꽃미남 라면가게]] || 김산호[* 카메오] ||
         || [[2011년]] || [[완벽한 파트너]] || 민수 ||
  • 김상기
         * [[김상기 (1918년)|김상기]](金相琪, [[1918년]] ~ [[2011년]])는 대한민국의 기업인, 언론인으로 [[김성수 (1891년)|김성수]]의 둘째 아들이다.
  • 김상기 (1918년)
         '''김동기'''(金相琪, [[1918년]] [[4월 14일]] - [[2011년]] [[7월 3일]])는 [[동아일보]]의 사장과 부회장, 회장을 역임한 [[대한민국]]의 언론인이다. [[대한민국]]의 제2대 [[대한민국의 부통령|부통령]]을 역임한 [[김성수 (1891년)|인촌 김성수]]와 그의 첫부인 [[고광석]]사망하시고 혼인 하신 이아주의 4남이시며 [[동아일보]] 제2~4대 명예회장을 지낸 [[김상만 (언론인)|김상만]]의 친 동생이다.
         사장(1981~82년)과 회장(83~89년) 재직 시 서울 여의도 사옥에 동아문화센터를 개설하고, '음악동아', '월간 멋' 등 2개의 월간지를 창간하는 등 사세를 키웠다.<ref>[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107032120045&code=100402 김상기 전 동아일보 회장 별세 ] 경향신문 2011년 07월 03일자</ref> 1981년 신년호부터 12면에서 16면으로 증면했다. 발행부수도 1979년 100만 부에서 5년 새 50만 부가 증가해 1984년에는 한국 일간신문 사상 최초로 발행부수 150만 부를 돌파<ref name="do001"/> 하기도 했다.
         * [http://www.seoul.co.kr/news/newsView.php?id=20110703500019 김상기 전 동아일보 회장 별세] 서울신문 2011년 07월 03일자
         *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1/07/04/2011070400036.html 80년대 동아일보 이끈 김상기 전 회장 별세] 조선일보 2011년 07월 04일자
  • 김상수 (1990년)
         ===2011년===
         팀의 주전 유격수로 완전히 정착했고, [[김선빈 (야구 선수)|김선빈]]과 함께 [[유격수]] 경쟁을 벌였다. [[2011년]] [[5월 8일]] [[LG 트윈스|LG]]전에서 프로 데뷔 첫 홈런을 기록했으며 이 홈런은 팀 통산 3500번째 홈런이었다. [[2011년]]에 기록한 2홈런은 모두 [[박현준 (야구 선수)|박현준]]을 상대로 기록했다.<ref>[http://joynews.inews24.com/php/news_view.php?g_menu=702100&g_serial=572047&rrf=nv 데뷔 3년차 김상수, 박현준 상대로 첫 홈런 신고!] - 조이뉴스24</ref> 주로 9번 타순에 배치됐으나 [[배영섭]]이 부상으로 출전하지 못했을 때는 1번 타순에도 배치됐다.<ref>[http://joynews.inews24.com/php/news_view.php?g_menu=702100&g_serial=605616&rrf=nv 삼진왕-병살왕-실책왕···불명예 기록 1위 누구?] - 조이뉴스24</ref>
         [[2012년]] 시즌 초반 부진에 빠진 팀 타선에서 쏠쏠한 활약을 보여줬다. 특히 [[4월 20일]] [[한화 이글스|한화]]전에서 [[안승민]]을 상대로 시즌 첫 홈런을 쳐 냈고, [[5월 8일]] [[롯데 자이언츠|롯데]]전에서 [[셰인 유먼]]을 상대로 시즌 2호 홈런을 쳐 냈다. 그러나 후반기 들어 페이스가 떨어지며 2011년 시즌과 거의 동일한 모습을 보여줬다. 그리고 2012년 한국시리즈에서 몇 차례 실책으로 실점 위기를 자초하는 등 불안한 모습을 노출하며 아쉬운 모습을 보여줬다.
         * '7' - (2011년 ~ 현재)
         {{2011년 삼성 라이온즈}}
         {{2011년 삼성 라이온즈 아시아 시리즈}}
  • 김상엽 (야구인)
         * [[오릭스 버펄로스]] 연수코치 (2011년)
         * [[NC 다이노스]] 투수코치 (2011년 ~ 2012년, 2017년 ~ 2018년)
         은퇴 후 [[삼성 라이온즈]]의 마무리 투수 출신 [[영남대학교]] [[권영호]] 감독의 제안으로 [[영남대학교]] 야구부의 투수코치로 활동했으며 [[2011년]] [[투수]] [[박찬호]]의 주선으로 [[오릭스 버펄로스]]에서 코치 연수를 받았다.<ref>[http://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worldbaseball&ctg=news&mod=read&office_id=380&article_id=0000000077 오릭스 김상엽 코치 “박찬호야말로 진정한 위너다”] - 이영미 칼럼</ref> 연수 후 [[NC 다이노스]]의 투수코치로 선임되었다.
  • 김상호 (1970년)
         * [[2011년]] 《[[심장이 뛴다 (영화)|심장이 뛴다]]》 ... 조 팀장 역
         * [[2011년]] 《[[적과의 동침 (2011년 영화)|적과의 동침]]》 ... 백씨 역
         * [[2011년]] 《[[모비딕 (2011년 영화)|모비딕]]》 ... 손진기 역
         * [[2011년]] 《[[챔프 (2011년 영화)|챔프]]》 ... 보안관 역
         * [[2011년]] 《[[완득이 (영화)|완득이]]》 ... 박두식 역
         * [[2011년]] [[SBS]] 미니시리즈 《[[시티헌터 (드라마)|시티헌터]]》 ... 배식중 (배만덕) 역
         * [[2011년]] [[MBC]] 주말연속극 《[[반짝반짝 빛나는]]》 ... 박중혁 역
         * [[2011년]] [[OCN]] 미니시리즈 《[[특수사건 전담반 TEN]]》 ... 백도식 역
         | rowspan=2|[[모비딕 (2011년 영화)|모비딕]]
  • 김상훈 (1963년)
         * [[2009년]] ~ [[2011년]] [[12월]] : 대구시청 경제통상국장
  • 김석동 (공무원)
         |임기 = [[2011년]] [[1월 3일]] ~ [[2013년]] [[2월 25일]]
  • 김석훈(탤런트)
         || 2011년 || MBC || [[반짝반짝 빛나는(드라마)|반짝반짝 빛나는]] || 송승준 ||
          * 2011년 11월 7일 ~ 2015년 8월 14일: CBS 음악FM 《김석훈의 아름다운 당신에게》 - DJ
          * 2011년 SBS 《힐링캠프, 기쁘지 아니한가》
          * [[2011년]] [[MBC 연기대상]] 연속극부문 남자 최우수연기상 《반짝반짝 빛나는》
  • 김선아
         * [[2011년]] 《[[투혼]]》 ... 오유란 역
         * [[2011년]] [[SBS]] 주말 특별기획 《[[여인의 향기 (드라마)|여인의 향기]]》 ... 이연재 역
         * [[2011년]] 아지노모토 보노 콘스프
         * [[2011년]] [[동아제약]] 모닝케어
         * [[2011년]] [[삼성카드]] 삼성S클래스카드
         * [[2011년]] [[동원F&B]] 순닭가슴살
         * [[2011년]] [[현대약품]] 더마화이트정 기미
         * [[2011년]] CETV 아시아 10대 인기스타상
         * [[2011년]] [[SBS 연기대상]] 10대스타상, 주말연속극부문 여자최우수연기상 《[[여인의 향기 (드라마)|여인의 향기]]》
  • 김선양
         * [[2011년]] 김선양 주말여행 메들리
  • 김선양 (가수)
         * [[2011년]] 김선양 주말여행 메들리
  • 김성배 (야구 선수)
         * [[두산 베어스]] (2003년 ~ 2011년, 2016년 ~ 2017년)
         시즌 후 [[두산 베어스]]의 보호 선수 명단에서 제외되어 [[2011년]] [[11월 22일]] 처음 실시된 2차 드래프트를 통해 [[롯데 자이언츠]]로 이적하였다. 때마침 [[FA]]로 영입한 [[투수]] [[정대현 (1978년)|정대현]]이 무릎 부상 재발로 수술을 받아 재활하게 되자, 그의 부상 공백을 잘 메우면서 [[롯데 자이언츠]]의 핵심 셋업맨으로 정착하게 되어<ref>[http://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baseball&ctg=news&mod=read&office_id=109&article_id=0002427825 ‘할 수 있다’ 김성배, 2차 드래프트 진정한 본보기] - OSEN</ref> 2차 드래프트의 모범 사례를 보여 주었다.<ref>[http://sports.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kbo&ctg=news&mod=read&office_id=241&article_id=0002140880 ‘탈 LG효과’만 있나… 마운드발 ‘탈두효과’도 있다] - 일간스포츠</ref> [[2013년]]에는 [[정대현 (1978년)|정대현]], [[김사율]]의 부진으로 인해 마무리로 전환했고, '1점차 세이브상황 리그 최다' 라는 최악의 상황에서 데뷔 후 첫 30세이브대를 기록했다.<ref>[http://joynews.inews24.com/php/news_view.php?g_menu=702100&g_serial=773999&rrf=nv 30세이브 김성배 "그러나 더 아쉽다"] -조이뉴스24</ref>
  • 김성수 (배우)
         * [[2011년]] [[CJ제일제당]] 컨디션 헛개수
  • 김성욱 (야구 선수)
         시절 팀의 주축 타자로 성장했으며, 3학년이던 [[2011년]] [[4월 20일]] [[KIA 타이거즈]] 3군과의 광주에서 [[김진우 (1983년 3월)|김진우]]를 상대로 솔로 홈런을 쳐 냈다.<ref>[http://osen.mt.co.kr/article/G1104200105 '첫 실전' 김진우, 고교생에 홈런 허용 '최고구속 145km' ] - OSEN</ref> 7월에는 [[2011년 아시아 청소년 야구 선수권 대회]]의 국가대표로 선발됐다.<ref>[http://www.xportsnews.com/jsports/?ac=article_view&entry_id=179266&_REFERER=http%3A%2F%2Fnews.search.naver.com%2Fsearch.naver%3Fie%3Dutf8%26where%3Dnews%26query%3D%25EC%25A7%2584%25ED%259D%25A5%25EA%25B3%25A0%2B%25EA%25B9%2580%25EC%2584%25B1%25EC%259A%25B1%26sm%3Dtab_pge%26sort%3D2%26photo%3D0%26field%3D0%26reporter_article%3D%26pd%3D0%26ds%3D%26de%3D%26docid%3D%26nso%3Dso%3Ar%2Cp%3Aall%2Ca%3Aall%26mynews%3D0%26start%3D11%26refresh_start%3D0 대한야구협회, 아시아 청소년대표 명단 발표] - 엑스포츠뉴스</ref> 2012년 3라운드 9순위(전체지명 32순위)으로 지명됐다.
         * [[2011년 아시아 청소년 야구 선수권 대회]] 국가대표
         {{2011년 아시아 청소년 야구 선수권 대회 대한민국 선수 명단}}
  • 김성제 (1984년)
         * [[2011년]] [[소니 에릭슨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리그 January]] Code S 16강
         * [[2011년]] 2세대 인텔® 코어™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리그 March Code-S 32강
  • 김성택
         '''김성택'''(金成澤, [[시코나]]({{lang|ja|四股名}})<ref>[[오즈모]]에 등록된 스모 선수가 사용하는, 일종의 링 네임</ref>: {{llang|ja|春日王 克昌|가스가오 가쓰마사}}, [[1977년]] [[7월 1일]] - )은 [[대한민국]]의 [[리시키]]이다. 가스가야마베야(春日山部屋)에 소속되어 있다. 동기동창인 [[김남일]]과 절친한 사이이다. 스모 승부 조작 파문이 일어났을 때 본인은 "승부 조작에 가담한 적이 없다"고 항변했지만 스승으로부터 스모협회의의 지시 대로 은퇴 권고를 받으면서 2011년에 은퇴하였다.
         * [[2011년]] [[4월]] 은퇴
  • 김성현 (1987년)
         [[2011년]]에 복귀하였다. [[2013년]] [[5월 8일]] [[두산 베어스|두산]]전에서 [[오현택]]을 상대로 데뷔 첫 끝내기 안타를 기록했다.<ref>[http://www.mydaily.co.kr/new_yk/html/read.php?newsid=201305082230442222&ext=na '김성현 끝내기 안타' SK, 두산에 10점차 뒤집기쇼… 4연승] -마이데일리</ref>
  • 김세현 (야구 선수)
         [[2007년]] 시즌을 끝으로 [[현대 유니콘스]]가 해체됐고, 선수단을 승계하여 새로 창단한 [[넥센 히어로즈]]에서 혹독한 2년차를 겪으면서 [[2008년]]과 [[2009년]]에 뚜렷한 활약이 없었다. [[2009년]] 18서울에 등판해 1승 3패, 5점대 평균자책점을 기록했다. 당시 감독이었던 [[김시진]]이 [[강윤구]]와 함께 선발진에 진입할 만한 선수로 꼽았고 당시 투수 코치였던 [[정민태]]도 가능성을 인정했다. 코칭 스태프들도 그에게 거는 기대가 컸으나, [[2010년]] [[1월 4일]]에 개인 훈련 중 무릎 십자 인대가 파열돼 [[2010년]] 시즌에는 1군에 올라오지 못하고 재활했으며,<ref>[http://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baseball&ctg=news&mod=read&office_id=003&article_id=0003031185 왼쪽 십자 인대 파열 김영민, 올 시즌 사실상 아웃] - 뉴시스</ref> 이로 인해 병역이 면제됐다. 재활 후 [[2011년]]에 복귀해 [[2011년]] [[6월 16일]] [[두산 베어스|두산]]전에서 데뷔 첫 선발 승을 기록했다.<ref>[http://osen.mt.co.kr/news/view.html?gid=G1106170002 무릎 부상 이겨낸 김영민의 값진 첫 선발승] - OSEN</ref> 그러나 무릎 부상이 재발해 8경기 출장에 그친 채 다시 엔트리에서 빠졌다.
  • 김수범 (축구선수)
         '''김수범'''([[1990년]] [[10월 2일]] ~ )은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다. 현재 [[제주 유나이티드 FC]]에서 [[수비수]]를 맡고 있다. [[부산광역시]]에서 태어난 김수범은 [[상지대학교]]를 졸업했다. [[2011년]]에 광주 FC에 입단하여 프로선수 생활을 시작하게 되었다.
         [[2011년]] [[광주 FC]]에 입단하였다. [[2014년]] [[1월 13일]] 과 맞트레이드 되어 [[제주 유나이티드]]에 이적했다.
  • 김수진 (1977년)
         * [[2011년]] [[문화방송|MBC]] 《[[기분 좋은 날]]》
         * [[2011년]] [[한국방송공사|KBS]] 《[[여유만만]]》
  • 김슬기 (1991년 10월)
         | 활동기간 = 2011년 ~ 현재
         |[[2011년]] [[12월 9일]] ~ [[2012년]] [[4월 8일]]
         |rowspan="2"|[[2011년]] [[2월 16일]] ~ [[2011년]] [[2월 20일]]
         |[[2011년]] [[6월 29일]] ~ [[2011년]] [[8월 18일]]||[[MBC]]|| 수목미니시리즈《[[넌 내게 반했어]]》||뮤지컬 단원
         | '''[[2011년]] [[12월 3일]] ~ [[2012년]] [[1월 21일]]''' || '''[[tvN]]''' || '''[[SNL 코리아]]''' || 시즌1 || || 크루
         !rowspan="5"|[[2011년]] [[12월 3일]]
         !rowspan="2"|[[2011년]] [[12월 10일]]
         !rowspan="4"|[[2011년]] [[12월 17일]]
         !rowspan="6"|[[2011년]] [[12월 24일]]
         !rowspan="5"|[[2011년]] [[12월 31일]]
         [[분류:1991년 태어남]][[분류:2011년 데뷔]][[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서울특별시 출신]][[분류:대한민국의 여자 텔레비전 배우]][[분류:대한민국의 여자 영화 배우]][[분류:대한민국의 여자 배우]][[분류:서울예술대학 연극과 동문]][[분류:대한민국의 여자 연극 배우]][[분류:대한민국의 장로교도]]
  • 김승용
         [[2011년]] [[12월]], [[K리그 2011|2011 K리그]] 준우승을 거두며 [[AFC 챔피언스리그 2012|2012 ACL]] 출전권을 획득하여 전력 강화를 꾀하는 [[울산 현대 축구단|울산 현대]]의 부름을 받아 K리그로 복귀하였고 2012 ACL 우승에 일조하였다.
         * [[2011년]] {{국기그림|일본}} [[감바 오사카]]
  • 김승우
         * [[2011년]] 《[[나는 아빠다]]》 - 한종식 역
         * [[2011년]] [[MBC]] 《[[미스 리플리]]》 - 장명훈 역
         * [[한일합섬]] 윈디클럽 ([[2011년]])
         * [[2011년]] [[KBS 연예대상]] 쇼, 오락 MC부문 우수상
  • 김승욱
         * [[2011년]] [[SBS]] 미니시리즈 《[[보스를 지켜라]]》 ... 박 상무 역
         * [[2011년]] [[SBS]] 대하드라마 《[[뿌리깊은 나무 (2011년 드라마)|뿌리깊은 나무]]》 ... [[심정 (1418년)|심정]] 역
         * [[2011년]] [[KBS2]] 미니시리즈 《[[영광의 재인]]》 ... 최 코치 역
         * [[2011년]] [[KBS2]] 단막극 《[[KBS 드라마 스페셜]] - 82년생 지훈이》 ... 지훈 부 역
         * [[2011년]] [[KBS2]] 단막극 《[[KBS 드라마 스페셜]] - 아내가 사라졌다》 ... 1인 5역 역
  • 김승욱(1963)
         * [[2011년]] [[SBS]] 미니시리즈 《[[보스를 지켜라]]》 ... 박 상무 역
         * [[2011년]] [[SBS]] 대하드라마 《[[뿌리깊은 나무 (2011년 드라마)|뿌리깊은 나무]]》 ... [[심정 (1418년)|심정]] 역
         * [[2011년]] [[KBS2]] 미니시리즈 《[[영광의 재인]]》 ... 최 코치 역
         * [[2011년]] [[KBS2]] 단막극 《[[KBS 드라마 스페셜]] - 82년생 지훈이》 ... 지훈 부 역
         * [[2011년]] [[KBS2]] 단막극 《[[KBS 드라마 스페셜]] - 아내가 사라졌다》 ... 1인 5역 역
  • 김승현 (1981년)
         신장은 184cm이고 체중은 74kg인 그는 1997년 잡지 '렛츠'의 모델로 활동하게 되면서 연예계에 데뷔하였다<ref>김민정.[http://news.donga.com/3//20110311/35475991/1 김승현 “진영이 형 하늘에서 지켜보시죠…형 몫까지 연기 잘 할게요”] {{웨이백|url=http://news.donga.com/3//20110311/35475991/1 |date=20170305114129 }}.동아일보.2011년 3월 11일.</ref><ref>박아름. [http://www.newsen.com/news_view.php?uid=201202021852081001 김승현 “동안이라고? 나이 그거밖에 안먹었냐던데”(인터뷰)]. 뉴스엔. 2012년 2월 9일.</ref><ref>최보란. [http://star.mt.co.kr/view/stview.php?no=2011030508402684023&type=1&outlink=1 김승현 "드라마서도, 인생서도 '반전'노려요"(인터뷰)]. 머니투데이. 2011년 3월 5일.</ref>. 어려서부터 미술을 전공하였는데, 2009년과 2010년 KASF코리아아트썸머페스티벌에 전시작가로서 참여하였다<ref>[http://news.mk.co.kr/newsRead.php?year=2011&no=491100 김승현 탤런트 ]. 매일경제. 2011년 7월 28일.</ref>. 배우로서의 첫 데뷔는 1998년 SBS 청춘시트콤 《[[나 어때 (시트콤)|나 어때]]》이다<ref>김민지. [http://www.newsen.com/news_view.php?uid=201507061733447410 김승현 “송혜교-조여정과 같은 시트콤 출연”(올드스쿨)].뉴스엔.2015년 7월 6일.</ref>.
         * [[2011년]] 옆방 웬수
  • 김승환(배우)
         ||<|2> [[2011년]] || SBS 일일연속극 [[내 딸 꽃님이]] || 주용필 ||
         || [[2011년]] || [[위도]] || 김 사장 ||
  • 김시연
         * [[2011년]] - F1 코리아 그랑프리 그리드걸
         * [[2011년]] - 지스타 CJ넷마블 모델
         * [[2011년]] - F1 코리아 그랑프리 그리드걸 은상
  • 김시진
         [[2011년]]에는 감독 부임 이후 처음으로 최하위인 8위를 기록한다.
  • 김신영
         ! 2011년
         ! 2011년
         * [[2011년]] [[MBC]] 일일시트콤 《[[몽땅 내 사랑]]》 - 청소도우미 샛별 역
         * [[2011년]] 노숙인 신종플루 홍보대사
         * 2011년 제19회 대한민국문화연예대상 예능대상
         * 2011년 [[MBC 방송연예대상]] 우정상
  • 김양 (1953년)
          | 임기 = [[2008년]] [[2월 29일]] ~ [[2011년]] [[2월 23일]]
         * [[2008년]] [[3월 8일]] ~ [[2011년]] [[2월 23일]] : 국가보훈처 처장
         * [[2011년]] [[3월 20일]] ~ [[2012년]] [[3월 30일]] : 창조한국당 보훈행정위원
         |임기 = [[2008년]] [[2월 29일]] ~ [[2011년]] [[2월 23일]]
  • 김어준
         2011년 [[나는 꼼수다]] 이후 부침이 있었지만 2016년 [[김어준의 뉴스공장]]으로 컴백해 다시 [[지상파]] 언론인으로 올라오면서 기존 기성 언론 매체 출신이 아닌 언론인으로서 성장해 [[시사저널]]의 연간 리서치, '누가 한국을 움직이는가' 의 2017년 영향력 있는 언론인 부문에서 [[손석희]] [[JTBC]] 보도 부문 사장에 이어 2위에 오를 정도로 거물급 언론인이 되었다.[* 둘을 동시에 칭하는 표현으로 '''주털야손'''이 있다. 아침에는 김어준의 뉴스공장, 저녁에는 [[손석희]]의 JTBC 뉴스룸.] 동시에 그러한 큰 영향력으로 인한 각종 사회 이슈 관련 논란을 가지고 있다.
         [[2011년]] 이후 [[나는 꼼수다]]의 인기에 힘입어 전국민적으로 폭풍적인 관심을 받았다.
          * 2011년 10월 24일 MBC 라디오 개편과 더불어 색다른 상담소가 폐지됨에 따라 해당 방송에서 하차하게 되었다. 이를 두고 [[나는 꼼수다]] 때문에 외압이 있었다는 의혹이 제기되고 있다. 색다른 상담소는 팟캐스트에서도 상위권에 포진해있는 나름대로 인기코너이기 때문에 그 의혹은 더 불거졌다. 허나 이러한 의혹에 대해 김어준 본인이 프로그램 시작 전부터 6개월만 찐하게 하고 끝내자고 제작진과 이야기 했다고 하며 일축했다...라고는 하는데, 이게 뭐 6개월만 하고 자기가 뜨겠다는 게 아니라 어차피 자신은 김미화 퇴출로 촉발된 진보 성향 연예인의 퇴출을 수습하기 위한 일종의 방패막이니 수명이 길지 않을 거라 예측했다는 것. 김어준의 인터뷰에서도 이런 표현이 나온다. 참고로 색다른 상담소가 사라지고 그 자리를 대신한 프로그램은 [[배한성, 배칠수의 고전열전]] '''재방송'''이다. 본인 왈 "내가 재방에 밀렸어!"
          * 2011년 10월 28일, '''열애설'''이 터졌다. 상대는 드라마 [[네 멋대로 해라]], [[아일랜드]]의 작가로 상당한 마니아층을 거느리고 있는 작가 인정옥. 이혼 후 2004년부터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6&oid=079&aid=0002300152|열애 중]]이었다고 한다.
          * 알아주는 [[골초]]인 데다가 [[비만]]기도 보이고 게다가 연일 계속되는 강행군으로 건강이 썩 좋아보이지 않는다. 나꼼수 지방 콘서트에다가 [[김어준의 뉴욕타임스]](1주일당 대충 2시간) 녹화까지 겹쳐 매일 지방과 서울을 직접 운전으로 왔다갔다 했다고 한다. 이는 지금도 마찬가지여서, 주말에는 건강이 좋지 않은 부모님의 간호를 위해 대전으로 내려간다고 한다. 그리고 언동으로 보건데 맨날 고기만 퍼먹는 듯하다. 야채는 가축이 먹는 거라며 고기만 찾는다. 이런데도 나꼼수 4인방이 건강검진 받은 결과는 멀쩡하다고. 자기 말로는 의사가 자기 폐를 보고는 담배를 안 피우는 사람 폐 같았다고 했단다. 결국 2011년 11월 28일, 가슴통증을 호소하며 쓰러졌으나 곧 회복하였다고 한다. 같이 있었던 탁현민 씨가 다음 날 병원에 데려가겠다고 트윗. 중앙일보의 홍혜걸 의학전문기자도 이 소식을 듣고 동영상까지 만들어 빨리 병원가라고 [[http://www.youtube.com/watch?v=8pdWFRYQmPY|충고해주기도 했다]].
         김어준은 '나는 꼼수다'와 2011년 5월 지승호와 가진 대담을 글로 옮긴 저서인 《[[닥치고 정치]]》(2011년 10월 출간)에서 향후 국내정치의 흐름에 대해 여러 가지 예측을 하였다. 한 치 앞을 내다보기 힘든 대한민국 정치지형 특성상 이런 류의 예측을 너무 진지하게 받아들이면 곤란하나, 김어준의 경우에는 간혹 예측이 적중하기도해 일부에선 인기를 모으기도 했다. 물론 빗나간 예언이 사실상 훨씬 많고 논란이 될 만한 이슈는 빗나가면 '아님 말고~' 식으로 발뺌해 안티팬도 엄청나게 많다. 자세한 건 논란 참조. 이 문단에서는 그가 했던 맞춘 예언(?)들을 살펴보겠다. ~~했다가 틀렸거나 애매모호한 예언들을 모으면 문서를 분리해야 할 만큼 길어질 테니~~
          * [[진보신당]]에서 노회찬과 심상정은 탈당할 것이다. (2011년 6월)
          * 한나라당 전당대회에서 대표는 홍준표가 될 것이다. (2011년 7월)
          * 오세훈은 무상급식 져서 사퇴할 것이다. (2011년 8월)
          * 2011년 10월 26일 서울시장 보궐선거 당시 모종의 세력 (한나라당) 이 선관위 홈피를 공격한다.
          * 민주노동당과 국민참여당은 합당할 것이다. (2011년 12월)
         민노당 국참당의 합당이나, 노심의 탈당과 같은 경우에는 진보정치에 관심이 있던 사람이라면 비슷한 인식은 지니고 있었다. 2011년 5월 있었던 연석회의의 결과가 발표되었을 때, 그걸 주도한 사람이 누구였는지, 그리고 진보신당 당원들이 얼마나 반대했는지, 그리고 그 이후 총선 국면이 다가오면서 이정희와 유시민이 함께 책을 내는 등, 징후는 많았으나 징후를 읽는 것과 입 밖으로 꺼내 구체화시키는 건 결이 다른 이야기라 하겠다.
         2011년 서울시장 보궐선거 당시 선관위 홈피를 공격한 건이나 2011년 김해을 보궐선거 당시 [[김태호(1962)|김태호]]의 터널 차량 통행방해 의혹(일명 터널 디도스 사건)을 제기한 것 등, 당시엔 소설이나 음모론으로 치부되었던 이야기를 공론화시킨 것도 감안해야 한다. 무엇보다 그가 [[이명박]] 대통령 재임시절부터 [[다스]]와 도곡동 부지 실소유자가 이명박이라고 줄기차게 주장했으며 결국 그의 주장이 대부분 사실로 드러났다는 것을 감안하면 그의 눈썰미는 충분히 인정할 수 있다.
         한편으론 2011년경부터 김어준은 [[문재인]]이라는 사람을 눈여겨 봐야 한다며 대통령감이라고 강력하게 주장했다. 심지어 문재인 본인에게도 강권에 가까울 정도로 대선출마를 요구하며 당시 정계에 뜻을 멀리하던 문재인을 강하게 푸쉬했다.[* 다만 이게 김어준이 문재인의 진가를 누구보다 먼저 알아보았다는 뜻은 전혀 아니다. 그에게 대선후보 권유를 해봤던 것은 사실이나 그 외에도 유시민, 조국 등 김어준이 찔러본 사람은 많다. 문재인 당시 노무현재단 이사장은 2011년에 이미 '국민이 원하는 국회의원' 투표에서 당시 안풍(安風)이라고 일컬어질 정도로 강력했던 안철수를 누르고 1위를 할 정도로 주목받는 인물이었다. 문재인이 정치에 뜻을 굳히게 된 이유는 김대중 대통령이 남긴 말 때문이다. 문재인이 그리 주목받지 못했다는 주장 역시 전혀 사실이 아니며, 김어준이 문재인을 사실상 발굴했다고 하는 것도 지나친 확대해석이다.][* 문재인이 그리 주목받지 못했다는 주장은 사실이다. 적어도 일반 국민들에게 문재인은 잘 알려진 사람이 아니었다. 문대통령의 성정상 정치인이라는 느낌을 주지도 않았었고, 대통령 비서실장 출신이라는 것 외에는 크게 알려진 것이 없었다. 하물며 대권후보로야...]
          * 2011년 [[딴지라디오]] 《[[나는 꼼수다]]》
          * 2011년 [[MBC 표준FM]] 《김어준의 색다른 상담소》
          * 2011년 제21회 민주언론상 본상
  • 김연우
         [[대한민국 공군|공군]]군악대에서 병사로 군 복무를 마치고 [[1995년]] 제7회 [[유재하 음악경연대회|유재하 가요제]]에서 〈다가오는 이별〉로 금상을 수상하면서 본격적인 가수 활동을 시작하였으며, [[1996년]] [[토이 (대한민국의 음악 그룹)|토이]] [[Youheeyeol|2집]]에 객원보컬로 참여하여 〈내가 너의 곁에 잠시 살았다는 걸〉을 부르면서 대중의 인지도를 얻었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6&oid=111&aid=0000004754 드림팩토리 뮤직스쿨, 김연우 우형윤 초빙] 《조이뉴스》, 2005년 2월 3일 작성</ref> 그 후 솔로 1집 《그대곁에 나밖에...》, [[2004년]]에 2집 《연인》, [[2006년]]에 3집 《사랑을 놓치다》, [[2011년]]에 4집 《MR.BIG》을 발표하였다.
         [[2011년]] MBC 《[[나는 가수다 1|나는 가수다]]》에 출연하여 본인의 곡이자 토이의 대표곡인 〈여전히 아름다운지〉와 [[김건모]]의 〈미련〉, [[김장훈]]의 〈나와 같다면〉(원곡 박상태)을 불렀다. 순위는 각각 6위, 6위, 4위였다. 그 이후, 가수 [[김경호 (가수)|김경호]]의 초대로 8라운드 1차 경연에서 듀엣으로 [[피노키오 (음악 그룹)|피노키오]]의 〈사랑과 우정사이〉를 불렀다. 순위는 2위였다.
         * 4집 《MR.BIG》 2011년 11월 24일 / 로엔엔터테인먼트
  • 김연자
         * 《情熱のバラ》 (정열의 장미, [[2011년]])
  • 김영 (1956년 7월)
         *[[2011년]] [[SBS]] 《[[뿌리깊은 나무 (2011년 드라마)|뿌리깊은 나무]]》 ... 상선 역
         *[[2011년]] [[KBS]] 《[[공주의 남자]]》 ... 어의 역
         *[[2011년]] [[MBC]] 《[[계백]]》 ... 어의 역
         *2011년 《[[리어왕]]》
         *2011년 《악극 모정의 세월》
         *2011년 《무어별》
         *2011년 《모노드라마 침묵》
         *2011년 《명배우 황금봉》
  • 김영나
         '''김영나'''(金英那, [[1951년]] [[4월 7일]] ~ )는 [[대한민국]]의 [[미술사학|미술사학자]]이다. 본관은 [[전주 김씨|전주]](全州)이다. 고고학자 [[김재원 (고고학자)|김재원]](金載元)의 셋째딸이며 [[고고학|고고]][[미술]][[역사학|사학자]] [[김리나 (1942년)|김리나]](金理那)는 큰언니이다. [[미국]] [[뮬렌버그 대학교]]와 [[오하이오 주립 대학교|오하이오 주립대학교]]에서 [[현대미술|현대미술사]]를 전공하였다. 한국근현대미술사학회 회장, 미술사와 시각문화학회 회장, 한국미술사교육학회 회장을 역임하였다. 2011년에서 2016년까지 [[국립중앙박물관]] 관장을 역임하였다.
         |임기 = [[2011년]] [[2월 8일]] ~ [[2016년]] [[3월 8일]]
  • 김영나 (1951년)
         '''김영나'''(金英那, [[1951년]] [[4월 7일]] ~ )는 [[대한민국]]의 [[미술사학|미술사학자]]이다. 본관은 [[전주 김씨|전주]](全州)이다. 고고학자의 셋째딸이며 [[고고학|고고]][[미술]][[역사학|사학자]] [[김리나 (1942년)|김리나]](金理那)는 큰언니이다. [[미국]] [[뮬렌버그 대학교]]와 [[오하이오 주립 대학교|오하이오 주립대학교]]에서 [[현대미술|현대미술사]]를 전공하였다. 한국근현대미술사학회 회장, 미술사와 시각문화학회 회장, 한국미술사교육학회 회장을 역임하였다. 2011년에서 2016년까지 [[국립중앙박물관]] 관장을 역임하였다.
         |임기 = [[2011년]] [[2월 8일]] ~ [[2016년]] [[3월 8일]]
  • 김영란 (1956년)
         '''김영란'''(金英蘭, [[1956년]] [[11월 10일]] ~ )은 [[대한민국]]의 법조인이자 [[대학 교수]]이다.<ref>이연우. [http://lady.khan.co.kr/khlady.html?mode=view&code=4&artid=201104071708041&pt=nv 강지원·김영란 부부 “이웃들이 더 잘 사는 세상을 만드는 데 보탬이 되고 싶습니다”]. 레이디경향. 2011년 4월호.</ref> 본관은 김해(金海), 호(號)는 찬수(鑽樹). 그녀는 대한민국 사법 역사상 여성으로서는 최초로 대법관이 되었다.
         [[2011년]] [[10월 27일]](현지시간), 김영란은 남아프리카공화국 수도 프리토리아에서 툴리 마돈셀라 국민권익보호원장을 만나 양 기관 간 우호협력 방안에 대해 협의했다.<ref>김윤희. [http://biz.heraldm.com/common/Detail.jsp?newsMLId=20111028000300 김영란 권익위원장, 남아공 권익위 방문]. 헤럴드경제. 2011년 10월 28일.</ref>
         * [[2011년]] 1월 ~ [[2012년]] 11월 : [[대한민국 국민권익위원회|국민권익위원회]] 위원장<ref name="민">민철. [http://polinews.co.kr/viewnews.html?PageKey=0101&num=119459 김영란 국민권익위원회 위원장]{{깨진 링크|url=http://polinews.co.kr/viewnews.html?PageKey=0101&num=119459 }}. 폴리뉴스. 2010년 12월 31일.
         |임기 = [[2011년]] [[1월 1일]] ~ [[2012년]] [[12월 11일]]
  • 김영아
         * 2011년 카오 아지엔스
         * 2011년 호토모토 야채비빔밥
         * 2011년 호토모토 한류디럭스도시락
         * 2011년 삿포로 CJ 오이시막걸리
         * 《Go! Go! Youn-a》([[2011년]] [[11월 30일]])
  • 김영옥 (배우)
         * [[2011년]] [[SBS]] 미니시리즈 《[[파라다이스 목장]]》
         * [[2011년]] [[KBS1]] 일일연속극 《[[우리집 여자들]]》 ... 최정옥 역
         * [[2011년]] [[MBC]] 주말특별기획 《[[애정만만세]]》 ... 남대문의 모 역
         * [[2011년]] [[SBS]] 드라마 스페셜 《[[보스를 지켜라]]》 ... 송 여사 역
         * [[2011년]] [[MBC]] 일일연속극 《[[오늘만 같아라]]》 ... 오갑분 역
         * [[2011년]] [[TV조선]] 주말연속극 《[[고봉실 아줌마 구하기]]》 ... 김금실 역
         * [[2011년]] [[KBS2]] 미니시리즈 《[[브레인 (드라마)|브레인]]》 ... 수다쟁이 할머니 역
         * [[2011년]] 《[[써니 (영화)|써니]]》 ... 나미 할머니 역
         * [[2011년]] [[KBS2]] 《[[다큐멘터리 3일]]》 216회 : 안반데기 고랭지 마을 첫 수확 - 내레이션
         * [[2011년]] [[SBS 연기대상]] 공로상
  • 김영준 (개그맨)
         | 데뷔일 = [[2011년]]
  • 김영철(배우)
         [[대한민국]]의 배우. 얼굴, 목소리에서 카리스마를 내뿜는다. 거기서도 '''광기 넘치는 악역 보스, 리더'''[* [[태조 왕건]]의 [[궁예]], [[야인시대]]의 [[김두한]], [[서울 1945]]의 문정관, [[대왕 세종과 장영실]]의 [[태종(조선)|이방원]], [[공주의 남자]]의 [[세조(조선)|수양대군]] 등.] 연기는 최상급으로 평가받는다.[* 비슷한 연배이면서 보스나 리더 역할을 주로 맡는 배우는 [[서인석]], [[이덕화]], [[유동근]] 등이 있는데, 서인석은 노태우 역할 등 겉으로 무른 역할을 맡기도 한 적도 있었으나 서인석과도 포지션이 비슷하다고 볼 수 있다. 이덕화는 용모의 특성상 대부분 배역이 악역 보스이거나 안티 히어로이며, 서인석이 2000년대 들어 원톱 주인공을 맡는 경우가 거의 없는 것을 보면, 유동근과 포지션이 가장 비슷하다고 볼 수 있다. 유동근이 드라마나 현대극보다 사극에서 더 두각을 드러낸다는 것까지 고려하면 남성적이고 강건한 보스 역할에서는 김영철이 단연 최고다.] 주로 맡는 캐릭터들도 남성미가 돋보인다. 특히 '[[태조 왕건]]'에서는 [[궁예(태조 왕건)|궁예]] 역할을 맡아 타이틀롤인 [[왕건]]을 제치고 광기와 카리스마의 완벽한 조합이 이루어진 연기로 극을 압도적으로 이끌며, 주인공이 아닌 역할로 연기대상을 수상하기도 하였다.[* 대상 수상자가 드라마에서 주인공 역할이 아니라는 사실이 당시 관례에서 보면 꽤나 파격적인 것이었으나 드라마 스토리상 실제 드라마를 보면 [[궁예]]가 주인공급이었다. 당시 김영철의 궁예 연기가 2000년 한 해 내내 전국민의 이슈였을 정도로 너무나 뛰어났기 때문에 예상외로 비난이나 논란이 전혀 없었다고 한다. 사실 2000년도 연기대상은 사람들 대부분 KBS는 김영철, MBC는 [[전광렬]]이 탈거라 예상했고 실제로 그렇게 되었다. --대상 줄 거야! 안 줄거야!--]당연히 젊었을때는 나이 때문에 이런 캐릭터를 할수는 없었고 그 외 다양한 역할을 맡으면서 성장해왔다. 중장년이 된 이후에도 카리스마 보스가 아닌 평범한 시민의 역을 연기하기도 한다. ~~남자 시리즈 전문 배우~~[* [[위기의 남자]], [[공주의 남자]], [[적도의 남자]], [[세상 어디에도 없는 착한남자]] 출연. 그 중 [[위기의 남자]]를 제외한 3편은 각각 2011년 하반기, 2012년 상반기, 2012년 하반기에 KBS에서 방송되었다.]
         2011년 여름에 방영한 KBS [[수목 드라마]] [[공주의 남자]]에서는 수양대군 역을 맡아 [[충공깽]]급 연기를 선보였다.[* 다만 연령 고증은 조금 아쉬운데 수양대군은 계유정난 당시에 36세이고 사망 당시에 52세였는데 김영철은 이 당시 이미 60을 바라보는 나이였다. 물론 연기력이 두말할 나위 없이 뛰어났기에 이 문제가 상쇄되기는 하지만.] 미화없는 실제 세조의 정체성에 가장 가까운 연기를 펼쳐, 2017년까지 제작된 영화 및 드라마 등 세조관련 모든 영상매체에서 '''역사상 최고의 세조 캐릭터'''라는 평가를 받고있다. 정적에 대한 처단에 망설이는 모습이 없고, 왕좌를 갖기 위해 또한 지키기 위해 냉혹한 모습을 보여주는 등... 가히 괴물같은 연기를 선보였다. 궁예나 이방원 역과는 묘하게 다른느낌을 주는 또 하나의 인생배역이다.
         한편 궁예와 김두한 이후 연기대상 시상식과 인연이 없었는데.. 2011년도 KBS 드라마들이 전체적으로 부진했던 묘한 대진운(?)에다가 인기와 호평을 동시에 잡은 역할이었기에 많은 네티즌들이 '이번만큼은 김영철이 최우수상 아니면 대상을 받을 수 있을 것이다!' 라고 생각했지만.. 결국 괴물같은 연기력에도 불구하고 연말 시상식에서는 무관에 그쳤다.[* 대상은 [[신하균]]에 돌아갔고 최우수상도 [[박시후]]가 탔다. 신하균의 연기력에는 이견이 없었고 박시후도 뭐 탈만하다는 의견도 있고해서 그냥 넘어갔다.]
         앞서 서술한 배역들과는 다르게 몇 몇 작품에서는 약간 모자란 역할을 연기하기도 했는데 조민수와 호흡을 맞춘 MBC 특집극 [[미끼와 고삐]][* 조선작의 원작이지만 윤미라가 나온 TV 문학관판과 다르게 완전히 코믹 시트콤화 되었다. 장모님을 조민수인줄 알고 '''까꿍'''하는 장면은 2011년이라면 플짤로 돌만한 개그.]도 그렇고 심지어 영화 [[그놈 목소리]]에서는 어리숙한 서민적인 형사로 등장해 '''나체'''를 선보였다.
         [[2002년]] [[16대 대선]]에서는 [[이회창]] 후보의 선거 CF에 출연했으며 [[2011년 상반기 재보궐선거]] [[분당구]] 을 지역구에 출마한 [[강재섭]] [[한나라당]] 대표를 지원하기도 했다. 또한 2014년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는 [[정몽준]] 새누리당 서울시장 후보, 2016년 [[20대 총선]]에서는 무소속 [[주호영]] 후보(공천탈락 후 무소속)와 새누리당 [[이상일(정치인)|이상일]] 후보(비례대표였으나 지역구 출마)의 지원유세도 했다. 이렇듯 주로 이회창, 정몽준, 주호영, 이상일처럼 중도 성향에 걸쳐지거나 그런 평가를 받았던 이들을 지지한 걸로 보아 성향은 중도우파로 보인다. 실제로 전두환, 박근혜 등에 비판적인 것을 보면 권위주의 우파보단 자유주의 우파 성향인듯.
         2011년 [[문화방송|MBC]]의 '댄싱 위드 더 스타'에 참가해 첫방송에서 1등까지 했다가 건강상의 이유로 하차하였다.
         [[2011년]] [[SBS]] 토크쇼 [[힐링캠프 기쁘지 아니한가]]의 '''첫 회''' 게스트로 출연했었다. --말 그대로 힐링캠프--[* 프로그램 제목대로 MC가 직접 출연자의 발을 씻겨주는 세족식이나, 출연자가 좋아하는 음식을 대접하는 등의 분위기였으나 지금은....]
         || 2011년 || '''[[공주의 남자]]''' || KBS2 || '''[[세조(조선)|세조]]''' 역 ||
  • 김영희 (희극인)
         * [[2011년]] 소방방재청 명예 여성민방위대장 및 홍보대사
         * [[2011년]] 산림청 홍보대사
         * [[2011년]] 행정안전부 개인정보보호 홍보대사
         * [[2011년]] 전라북도 익산시 홍보대사
  • 김예령
         * [[2011년]] SBS 《[[호박꽃 순정]]》
  • 김옥이
         * [[2011년]] 6월 : 한나라당 7.4 전당대회 선거관리위원
         * [[2011년]] ~ [[2012년]] : [[새누리당]] 중앙여성위원장
  • 김요한 (배구 선수)
         * [[2011년]] AVC컵 남자배구대회
  • 김용명
         **[[2011년]] 금산세계인삼엑스포 홍보대사
  • 김용준 (가수)
         [[2011년]] [[4월 29일]], 뺑소니 혐의로 결심공판을 받았으며<ref>[[이데일리]] - 2011년 4월 29일 기사 [http://starin.edaily.co.kr/news/NewsRead.edy?SCD=EA21&newsid=01640006596221040&DCD=A10202 "김용준 측 "뺑소니 맞지만..자진신고 후 합의""]</ref> 그 해 5월에 징역 8월, 집행유예 2년을 선고받았다.
  • 김원주(가수)
         [[2011년]] 하반기 포맨 신용재와 MIII의 노래인 '그남자 그여자'의 MV에 출연해 [[달샤벳]]의 [[지율]]과 함께 꽤 괜찮은 연기를 펼쳤다.데뷔 전 댄서 출신이어서 그런지 춤을 잘춘다.[* 지금도 단독 콘서트에서 솔로무대를 할때 가끔 춤을 보여주는데, 당시 댄서로 활동하던 댄스팀 이름은 레볼루션이었다고 한다.]
  • 김원중 (1993년)
         [[2012년]]에 1라운드 지명을 받아 입단했다. [[2008년]]에 대퇴골두 골단 분리증, 피로 골절이 있었으며 재활을 위해 [[2011년]] [[11월 6일]]부터 [[11월 25일]]까지 재활 훈련을 했다. 그러나 고질적인 팔꿈치 통증으로 입단 후에도 2군에 머물렀고, [[2013년]] 시즌 중 입대했다.<ref>[http://sports.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kbo&ctg=news&mod=read&office_id=396&article_id=0000081260 '롯데의 다르빗슈' 김원중 "군대 잘 다녀올게요"] - 스포츠월드</ref>
  • 김원중 (아이스하키 선수)
         {{동메달|[[2011년 동계 아시안 게임|2011 아스타나-알마티]]|[[2011년 동계 아시안 게임 아이스하키|단체전]]}}
         '''김원중'''(金元中<ref>{{웹 인용|url= https://www.sports.or.kr/download/nat_game/The_7th_Asian_Winter_Games.pdf|제목= 2011년 동계 아시아 경기대회 대한민국 선수단 편람|출판사=[[대한체육회]]|확인날짜=2016-12-06}}</ref>, [[1984년]] [[12월 18일]] ~ )은 [[대한민국]]의 [[아이스하키]] 선수이다. 재학 시절인 [[2001년]]에 아이스하키부에 입단하였고, [[2003년]]에 [[고려대학교]]로 진학하여 대학 선수로 활동하다가 졸업 후인 2006년에 [[아시아리그 아이스하키]]의 대한민국 프로 아이스하키팀인 [[안양 한라 아이스하키단|안양 한라]]에 입단하여 안양 한라의 주요 선수로 활동하였다. 이후 군 복무를 위해 대한민국 [[국군체육부대]]의 아이스하키팀인 대명 상무로 소속팀을 옮겼으며, [[아시아리그 아이스하키 2014-15|2014-15 시즌]]부터 안양 한라로 복귀했다.
         경복고등학교 재학 시절에 [[대한민국 U-18 아이스하키 국가대표팀]]의 일원으로 발탁되어 [[오스트리아]]와 [[이탈리아]]에서 열린 [[2002년 U-18 세계 아이스하키 선수권 대회]] 디비전 1에 참가했고, [[2004년]]에는 [[폴란드]]의 [[소스노비에츠]]에서 열린 [[2004년 세계 U-20 아이스하키 주니어 선수권 대회]] 디비전 2에 참가하였다. 이후 [[2008년]]에 [[대한민국 아이스하키 국가대표팀|성인 국가대표]]로 발탁되어 [[오스트리아]]와 [[일본]]에서 열린 [[2008년 세계 아이스하키 선수권 대회 디비전 1|2008년 세계 선수권 대회 디비전 1]]에 참가하였으며, A조의 모든 팀에게 패하여 디비전 2로의 강등을 피할 수 없었다. [[2009년]]에는 다시 대표팀의 디비전 1 승격을 위해 [[불가리아]]의 [[소피아]]에서 열린 [[2009년 세계 아이스하키 선수권 대회 디비전 2|2009년 세계 선수권 대회 디비전 2]]에 참가하여 B그룹에서 전승 우승하는 데에 기여했다. 이후 다시 디비전 1로 승격된 대표팀의 일원으로서 [[슬로베니아]]의 [[류블랴나]]에서 열린 [[2010년 세계 아이스하키 선수권 대회 디비전 1|2010년 세계 선수권 대회 디비전 1]]에 참가하여 [[크로아티아 아이스하키 국가대표팀|크로아티아]]와의 경기에서 [[박우상]]의 득점 어시스트를 돕고 골을 기록하여 팀의 5-2 승리에 기여했다. 이후 [[2011년]]에 [[카자흐스탄]]의 [[아스타나]]와 [[알마티]]에서 열린 [[2011년 동계 아시안 게임 아이스하키|2011년 동계 아시안 게임]]에서 [[카자흐스탄 아이스하키 국가대표팀|카자흐스탄]]과 [[일본 아이스하키 국가대표팀|일본]]의 뒤를 이어 동메달을 획득했으며, [[헝가리]]의 [[부다페스트]]에서 열린 [[2011년 세계 아이스하키 선수권 대회 디비전 1]]에 참가하였고 대한민국 국가대표팀은 A조 3위를 기록했다. 이후 [[2012년]]에 폴란드의 [[크리니차즈드루이]]에서 열린 [[2012년 세계 아이스하키 선수권 대회 디비전 1|2012년 세계 선수권대회 디비전 1]]에도 참가하여 개최국 [[폴란드 아이스하키 국가대표팀|폴란드]]와의 경기에서 [[김현중 (아이스하키 선수)|김현중]]과 [[신상우 (아이스하키 선수)|신상우]]의 어시스트로 골을 성공시켜 팀의 3-2 승리에 기여했다. 대한민국은 이 대회에서 전승 우승을 했다. [[2013년]]에는 헝가리의 부다페스트에서 열린 세계 선수권대회 디비전1에 참가하여, 개최국 [[헝가리]]를 상대로 신상우와 [[이승엽 (1984년)|이승엽]]의 어시스트로 골을 성공하여 5-4 승리에 기여했다.
         [[분류:대한민국 아이스하키 국가대표팀 선수]][[분류:대한민국의 올림픽 아이스하키 참가 선수]][[분류:2018년 동계 올림픽 아이스하키 참가 선수]][[분류:대한민국의 아시안 게임 은메달리스트]][[분류:대한민국의 아시안 게임 동메달리스트]][[분류:2011년 동계 아시안 게임 메달리스트]][[분류:2017년 동계 아시안 게임 메달리스트]][[분류:대한민국의 아시안 게임 아이스하키 참가 선수]][[분류:2011년 동계 아시안 게임 아이스하키 참가 선수]][[분류:2017년 동계 아시안 게임 아이스하키 참가 선수]][[분류:서울특별시 출신]][[분류:경희중학교 동문]][[분류:고려대학교 동문]]
  • 김원효
         '''김원효'''([[1981년]] [[7월 17일]] ~ )는 [[대한민국]]의 [[영화배우]] 겸 [[탤런트]]로 2011년 9월 [[SBS]] 출신 개그우먼 [[심진화]]와 결혼하였다.
         * [[2011년]] 남광사회복지회 홍보대사
         * [[2011년]] 제19회 [[대한민국 문화연예대상]] 개그맨부문 대상
         * [[2011년]] [[KBS 연예대상]] 코미디부문 남자 우수상
  • 김유리 (2000년)
         *[[2011년]] [[KBS2]] TV소설 [[복희 누나]] ... 어린 송은주 역
         *[[2011년]] [[EBS]] [[TV로 보는 원작동화]] ... 왕미미 역
  • 김유석
         * [[2011년]] [[MBC]] 대하드라마 《[[계백 (드라마)|계백]]》 ... [[흥수]] 역
  • 김유연 (1981년)
         * [[2011년]] - 서울모터쇼 재규어 부스 포즈모델
         * [[2011년]] - EXR팀106 전속 모델
         * [[2011년]] [[MBN]] 《[[개그공화국]]》
         * [[2011년]] [[MBN]] 《[[선샤인 가족]]》
  • 김윤서
         * [[2011년]] [[MBC]] 월화드라마 《[[짝패 (드라마)|짝패]]》 ... 다모 역
         * [[2011년]] [[KBS2]] 월화드라마 《[[포세이돈 (드라마)|포세이돈]]》 ... 홍지아 역
         * [[2011년]] [[SBS]] 특별기획 《[[폼나게 살거야]]》 ... 조신애 역
         * [[2011년]] [[하하]] - Rosa
         [[분류:1986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여자 연극 배우]][[분류:대한민국의 여자 영화 배우]][[분류:대한민국의 여자 배우]][[분류:청송군 출신]][[분류:2011년 데뷔]][[분류:대한민국의 여자 텔레비전 배우]]
  • 김윤아(1974)
         2004년에는 Mnet Km 뮤직비디오 페스티벌 심사위원 특별상과 KBS 바른언어상 아름다운 노랫말 부문을 수상하였다. 2011년에는 제8회 [[한국대중음악상]] 네티즌이 뽑은 올해의 음악인에 선정되었다. 그리고 김윤아의 3집 앨범 '315360'이 제8회 한국대중음악상 '최우수 팝 앨범' 후보에 노미네이트되었으나 아쉽게도 선정되지는 못하였다.
         2011년에는 송창식이 "김윤아가 노래를 잘한다는 건 알았지만 이 정도까지 잘할 줄 몰랐다. 기초가 아주 튼튼하더라"며 칭찬하였다. 물론, 김윤아가 송창식에게 칭찬을 듣는 것이 뭐가 대수냐는 반응도 있겠지만 한국 가요계에서 송창식에게 칭찬을 들을 정도면 이미 극찬이 울고 갈 수준이기 때문에 그낭 말 다한 거다.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3&oid=001&aid=0005424405|송창식 "나가수 통해 김윤아 다시 봤다"]]
         엄한 아버지께 답답할 정도로 가정교육을 받고 자라[* 초등학교 저학년 때 명절에 굴전을 부치다가 실수로 태워먹어 아버지께 뺨을 맞았다고 한다(...). 이 외에도 매를 굵기별로 목공소에 가서 맞추고, 대학 시절에도 통금이 8시였다고.] 지금도 '''예의범절을 매우 중요시하며,''' 어지간히 친하지 않으면 '''어린 후배들에게도 존댓말을 사용'''한다. 또 파격적인 가사들과는 달리, 규칙적인 바른생활을 한다고 한다. 2011년 라디오에서 '일탈'에 대해 말하면서 "나는 일탈을 싫어하고, 내가 한 일탈은 기껏해야 대학생 때 남자친구와 헤어지고 [[삭발]]한 정도"라고….~~응??~~[* 출처는 [[2011년]] [[9월 16일]] [[붐(연예인)|붐]]의 영스트리트.]
         2011년에는 비슷한 (약 10년의 세대차이는 있지만) '홍대 마녀'라는 별명을 가진 [[오지은(가수)|오지은]]과 한 음악프로그램에서 듀엣곡을 부른 적이 있다. 김윤아의 'Tango Of 2'[[http://www.youtube.com/watch?v=GRLEsw3amJI|링크]][* 김윤아 1집 수록. 본래는 [[유앤미블루]]의 방준석과의 듀엣곡이다. 1절은 [[한국어]], 2절은 [[스페인어]]로 된 곡인데, 오지은의 전공을 살려 고른 노래인 듯.][* 노래를 부르고 김윤아가 "역시 전공자는 뭐가 다르군요"라는 멘트를 치자 오지은이 "전국에 계실 진짜 전공자 분들께 미안하다"라고 하기도.]와 심수봉의 '사랑밖엔 난 몰라'. 따로따로 진행된 김윤아와 오지은의 무대는 각각의 음악 세계를 잘 보여주는 훌륭한 무대였다. 오지은은 아주 좋아하는 무대라며 트위터에 올렸을 정도. [[https://twitter.com/heaventomorrow/status/756530445878038528|링크]]
         남동생 김윤일도 잠시 가수 활동을 했었다. 1998년 O.N.SCHOOL이라는 그룹을 만들었는데 '빅뱅'이라는 노래가 그런대로 알려졌을 뿐 더 이상의 활동은 이어가지 못했지만 2001년 김윤아 1집 수록곡 'Blue Christmas (Korean version)'에서 김윤아와 듀엣을 하기도 하였고 2011년 자우림이 나는 가수다에서 경연을 할 때 '재즈 카페'나 '아브라카다브라'등의 무대에서 피처링을 하였다. 지금도 여러 자우림 무대에서 코러스와 기타를 맡아 도와주고 있는 중. --남동생도 잘생겼다--
         김윤아는 [[만화잡지]] [[르네상스]]-댕기 세대이자 [[PC통신]] 초기 세대로 덕력에 있어서 선배뻘이 된다. '자우림으로 데뷔하면서 포기해야 했던 가장 안타까운 것은 만화' 라는 발언도 한 적이 있다. 2011년에 있었던 자우림 비밀결사모임[* 8집 팬 이벤트로, 발매 당시 정식 CD앨범의 가사집에 있는 힌트를 가지고 공식홈에 접속하면 고난이도의 퀴즈가 나왔다. 앨범 가사집을 이용하여 풀 수 있는 문제가 많았으며 기간 내 다섯 관문의 퀴즈를 통과한 사람에게는 비밀결사단 가면파티의 초대권과 함께 비밀결사단 인증서 및 특별제작된 굿즈로 붉은 수건(일반 제작 굿즈는 검은 수건)이 지급되었다.]에서는 메이드 복장을 입고 나타나 [[모리 카오루]]의 [[엠마]]를 언급하며 메이드 덕후 인증을 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 또한 오덕들에 대한 김윤아의 충고는 '결혼하면 오덕질도 못합니다. 그러니까 그 전에 미리 하세요'(...)[* 하지만 본인은 바로 밑에 서술되어있듯 덕후 남편이랑 여전히 덕질중이다(…). 17년초 냉부 출연시 집안 가득 쌓인 만화책장을 공개.]
         실제로 2011년 MBC 프로그램 [[놀러와]]에서 가수 [[이하늘]]은 김윤아에게 "비주류가 되고 싶은 주류 아닌가요?" 라고 대놓고 [[디스]]를 걸기도 했다. 실제로 김윤아는 한국식 [[힙스터]]같이 적절히 쿨하며 주류를 쫓지 않는 독특한 자기 세계관과 문화취향을 갖으려는 삶의 스타일의 이미지로 본인을 설정하고 싶어하는 메인스트림의 모습을 보여왔기에, 본인만의 야인성(?)을 갖고 살아온 이하늘에게는 고깝게 보일 수도 있을 것이다. 거기다 한 술 더 떠서 방송인 [[김나영]]은 해당 프로그램에서 김윤아가 한 "저도 비주류고, 제 남편도 비주류다." 라는 말에 대해 "남편 잘 만나셨잖아요. 남편은 [[치과의사]]인데 주류 아닌가요?" 라고 2번씩이나 소리를 지르며 억지를 부렸고 김윤아는 굉장히 당황한 모습을 보였다. ~~다시 말하지만 취향 얘기였는데 김나영과 이하늘이 열폭~~
         2011년 7월 25일부터 [[자우림]]으로서 나가수에 합류한다고 하여 화제가 되고 있다. 락밴드인 [[YB]]와의 대결 구도 등 여려가지 흥미로운 모습을 기대하는 목소리 또한 높았다. 자우림이 출연하는 5차 경연은 31일 방영되었으며 비록 (처음 경연에 참가하는 관계로) 7번째 경연이라는 혜택이 있었지만 특유의 압도적인 카리스마와 중저음을 내뿜으며 1위에 등극했다. 이후 비밀번호 776이라는 최악의 코드 달성까지 하지만 '재즈카페' 라는 곡으로 다시금 1위를 달성하며 이후 원곡의 코드를 자우림화 시켜 시청자들의 대찬사 를 받은 '가시나무', 김덕수 사물놀이패와 함께 꾸민 조용필 특집의 '꿈' 퇴폐적인 술집 마담과 항구의 뱃사장의 끈적한 사랑을 연상시켜 곱디곱게 노래한 심수봉도 깜짝 놀랄 법한 무대를 꾸몄던 '사랑밖에 난 몰라' 실향민들의 감성을 자극하는 모던록 편곡의 '라구요' 그만 '자브라교'를 창시해 버린 '아브라카다브라' 깊은 감정몰입을 해 모두에게 진한 감동을 주었던 록발라드 표 '1994년 어느 늦은 밤'. 이 사람의 비주얼의 끝은 어디인가 하며 감탄을 자아내게 했던 '얘기할 수 없어요." 내마주교를 창시하며 산울림 특집 2위를 차지했던 '내 마음에 주단을 깔고'는 김윤아가 사랑하는 인디 친구들 후배들이 함께한 멋진 무대였고, 그 후 인디밴드 후배들과 함께 만든 신나고 유쾌한 무대인 '정신차려' 그리고 스페니쉬 리듬을 가미하여 초상집 복장으로 처연하게 부른 '하루 까지. 총 14곡의 팔색조 변신으로 모든 이들의 감탄을 자아냈다.
  • 김윤환 (1989년)
         *[[윤용태]] : 상대전적 공식전만 보면 5:5 타이, 그러나 비공식전까지 따지면 5:7로 열세. 윤용태는 2011년 1월 케스파랭킹 10위권 선수들에게 모두 상대전적에서 밀리고 있으나, 유독 김윤환만은 역으로 윤용태가 상대전적에서 앞서고 있다. 그러나 윤용태의 부진 이후로 김윤환이 내리 3연승을 거두며 상대전적 격차를 좁혔다.
         * [[2011년]] 피디팝 MSL 2010 8강
         * 2011년 ABC마트 MSL 2011 8강
         * 2011년 진에어 스타리그 2011 16강
  • 김은주 (한의사)
         * [[2011년]] [[로뎀미디어대표]]
  • 김은중
         [[중국]]에서의 2009 시즌을 끝내고 [[2009년 12월]], [[K리그]] [[제주 유나이티드 FC|제주 유나이티드]]로의 이적이 확정되어 K리그로 복귀하게 되었다. [[2010년]] [[8월 28일]] [[대전 시티즌]]과의 서울에서 어시스트를 기록하며 K리그 통산 10번째로 [[K리그 득점-도움 기록#40-40 클럽|40-40 클럽]]에 가입하였다. [[K리그 2010|2010 시즌]] 동안 정규리그에서만 13골 10도움, 컵대회 포함 17골 10도움으로 개인 통산 최다 공격포인트을 기록하며 [[제주 유나이티드]]의 정규리그 준우승에 큰 공헌을 하였고, [[2010년]] [[K리그 최우수선수상|K리그 최우수선수(MVP)]]로 뽑혔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7&oid=343&aid=0000007408 MVP 김은중 "다시 태어난 기분"]</ref> [[K리그 2011|이듬해]] [[7월 2일]] 강원과의 경기에서 두 골을 넣었는데, 각각 시즌 3, 4호 골이자 역대 K리그에서 7번째로 100호 골을 달성하는 선수로 기록되었다.<ref name="경남, 콜롬비아 출신 공격수 조르단 영입">{{뉴스 인용 |제목=김은중, 역대 7번째 개인통산 100호골 달성 |url=http://star.fnnews.com/news/index.html?no=13859 |출판사=파이낸셜뉴스 |저자=송영두 |날짜=2011년 7월 3일 |확인날짜=2011년 11월 8일 |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140817101137/http://star.fnnews.com/news/index.html?no=13859 |보존날짜=2014년 8월 17일 |깨진링크=예 }}</ref>
         [[2011년]] [[11월 21일]], 김은중은 [[서동현]]과 트레이드되어 [[강원 FC]]로 돌연이적하였다.<ref>{{뉴스 인용 |제목=강원FC, 제주에 서동현 주고 김은중 영입 |url=http://www.kwnews.co.kr/nview.asp?s=701&aid=211112100038 |출판사=강원일보 |저자=김상태 |날짜=2011년 11월 22일 }}</ref> 이적 후 두 경기만에 첫 득점을 기록하였고 그 경기에서 추가골까지 터뜨리며 멀티골을 기록하였고, 강원 소속으로 개인 통한 400경기 출장을 기록하였다.
         * '''18''' (2010년 ~ 2011년, {{국기그림|대한민국}} [[제주 유나이티드]])
         김은중은 [[제주 유나이티드]] 시절 [[AFC 챔피언스리그 2011|2011년 아시아 챔피언스리그]]에 출전해 [[멜버른 빅토리]]와의 조별리그 경기서 골을 성공한 뒤 경기 도중 쓰러졌던 [[신영록]]을 응원하기 위해 '일어나라! 영록아'라는 문구가 써있는 언더셔츠를 드러내는 세러머니를 펼치면 큰 화제가 되었다.<ref>[http://m.sports.naver.com/kfootball/news/read.nhn?oid=076&aid=0002107730/김은중 3연속골 도전, 신영록 쾌유 골세리머니 계속]{{깨진 링크|url=http://m.sports.naver.com/kfootball/news/read.nhn?oid=076&aid=0002107730%2F%EA%B9%80%EC%9D%80%EC%A4%91 }}</ref>
  • 김응수(배우)
          * [[2011년]] [[위험한 상견례]] - 세동 역
          * 2011년 [[근초고왕(드라마)|근초고왕]] - '''조불''' 역[* 이 캐릭터는 좀 특이한데, 역시 권신 캐릭터이긴 해도 자신의 권력을 나라를 위해서만 사용하고, 고국원왕에게도 늘 간언을 아끼지 않는 캐릭터이다. 고국원왕도 가끔 못마땅해 하기도 하지만 기본적으로는 그를 존중하고 의지하고 있다.][* 조불은 [[삼국사기]]에 나오는 실존인물로 [[창조리]]의 명으로 유랑 중인 [[을불]]을 찾았다. 이후로는 별다른 기록이 없지만 드라마에선 [[미천왕]]을 옹립한 공신으로 높은 벼슬에 이른 것으로 설정한 듯.]
          * [[2011년]] [[싸인(드라마)|싸인]] (SBS) - __부장검사__ 역
          * 2011년 [[뿌리깊은 나무(드라마)|뿌리깊은 나무]] (SBS) - 기제연 역
  • 김이나
         |rowspan="23" | [[2011년]] || [[1월 27일]] || [[쥬얼리]] || ''[[Back It Up]]'' || '''Back It Up'''
  • 김이슬 (1990년 5월)
         |활동기간 = [[2011년]] ~ 현재
         |수상 = [[2011년]] 제11회 미스어스 패션위크상
         [[2011년]] 제55회 미스코리아 선발대회 선
         * 수상 [[2011년]] [[미스코리아 경북]] 진(眞)
         [[분류:미스코리아 선]][[분류:2011년 데뷔]][[분류:경산시 출신]][[분류:1990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미스 어스 참가자]]
  • 김익태
         * [[2011년]] : 《[[싸인 (드라마)|싸인]]》 ([[SBS]])
         * [[2011년]] : 《[[마이더스 (드라마)|마이더스]]》([[SBS]]) - 7회 현진우와 시비붙은 등산객 역
         * [[2011년]] : 《[[49일]]》 ([[SBS]]) - 조 박사 역
         * [[2011년]] : 《[[공주의 남자]]》 ([[KBS]]) - [[조극관]] 역
         * [[2011년]] : 《[[애정만만세]]》 ([[MBC]])
         * [[2011년]] : 《[[해피앤드 101가지 부부이야기]] - 못 말리는 이혼전쟁》 ([[채널A]]) - 만호 역
  • 김인권
         * [[2011년]] 《[[퀵 (영화)|퀵]]》 .. 김명식 역
         * [[2011년]] 《[[마이웨이]]》 ... 종대 역
         * [[2011년]] 굿다운로더 선녀와 나무꾼 ([[박중훈]], [[안성기]]와 공동출연)
  • 김장훈
         | 그림설명 = 2011년의 김장훈
         2010년 12월에는 10억원의 거액을 기부하면서 김장훈의 선행이 다시금 주목을 받았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6&oid=108&aid=0002060918 또10억' 김장훈 "공개기부, 온기를 나누고파"] 스타뉴스 2010년 12월 16일</ref> 그는 "손가락질을 받더라도 연예인의 기부는 알리는 편이 낫다"라며 자신의 소신을 밝혔다.<ref>[http://news.nate.com/view/20101216n06840 김장훈 “손가락질 받아도 기부 공개하겠다”] 일간스포츠 2010년 12월 16일</ref> 2000년대 중반 이후로는 대한민국 홍보 전문가로 활동하고 있는 서경덕과 함께 독도를 지키고 광고하는데 많은 힘을 쏟고있다. 김장훈은 교과서에 독도를 자국의 영토라고 기재하려는 일본을 "얍삽하다"며 맹 비난했다.<ref>[http://news.nate.com/view/20110330n10811 김장훈 “얍삽한 일본, 문화적으로 독도 알려야” 반박 기자회견 입장표명] 뉴스엔 2011년 3월 30일</ref> 2011년 일본에서 있었던 [[동일본 대지진]]과 관련해 김장훈이 '일본을 돕지 않겠다'고 입장을 밝히자 2011년 4월 [[뉴라이트전국연합]]은 논평을 통해 김장훈을 비난했다.<ref>{{뉴스 인용 |제목 = 뉴라이트, 日돕지 않겠다는 김장훈 공개 비난…비판고조 |url = http://www.mydaily.co.kr/news/read.html?newsid=201104070842491111 |출판사 = 뉴미디어 마이데일리 |날짜 = 2011-04-07 }}</ref>
         *2011년 12금 프로젝트 《이별 참 나답다》
         * [[2011년]] [[대한민국 통계청|통계청]]
         * [[2011년]] [[새마을금고]]
  • 김재율 (야구선수)
         |프로 입단 연도 = [[2011년]]
         [[2011년 한국프로야구 신인 드래프트|2011년 5라운드]]([[LG 트윈스]])
         |첫 출장 = [[KBO 리그|KBO]] / [[2011년]] [[7월 21일]] <br /> [[목동야구장|목동]] 대 [[넥센 히어로즈|넥센]]전 대타
         * [[LG 트윈스]] (2011년 ~ 현재)
         광주일고와 고려대를 졸업했으며 [[2011년 한국 프로 야구 신인선수 지명 회의|2011년 신인 드래프트]]에서 5라운드 전체 34순위로 [[LG 트윈스]]에 지명됐다. 탄탄한 체격 조건의 거포형 유망주로 한 방이 있어 2군에서도 4번 타자로 나오며 기대를 한 몸에 받았다. 2군 경기에서 좋은 모습을 보였고 2011년 퓨처스 리그 올스타전 북부리그 대표로 선발돼 MVP에 선정됐다.<ref>[http://www.segye.com/Articles/SPN/SPORTS/Article.asp?aid=20110717001325&subctg1=&subctg2= 프로야구 LG 김남석, 퓨처스 올스타전 MVP] - 세계일보</ref> 이후 [[2011년]] [[7월 21일]] [[넥센 히어로즈|넥센]]전에서 대타로 출전하며 데뷔 첫 경기를 치렀고 안타와 타점을 기록했다.<ref>[http://osen.mt.co.kr/news/view.html?gid=G1107210341 '퓨처스 올스타 MVP' LG 김남석, 1군 데뷔전서 안타·타점] - OSEN</ref> [[2012년]]을 상대로 데뷔 첫 홈런을 기록했으나 타율은 1할도 되지 않았다. [[2012년]] 시즌 후 [[경찰 야구단]]에 지원하여 합격했다.
  • 김재희 (1971년)
         * [[2011년]] 김재희 싱글 Vol.1
         * [[2011년]] [[7월 1일]] ~ [[7월 1일]] 《김재희 콘서트 - 김재희 콘서트 - Story 1st》
         * [[2011년]] [[10월 14일]] ~ [[10월 14일]] 《김재희 콘서트 - Story 2nd》
         * [[2011년]] [[12월 30일]] ~ [[12월 30일]] 《김재희 콘서트 - Story 3rd》
  • 김정관 (1959년)
         |임기 = [[2011년]] [[5월 18일]] ~ [[2013년]] [[3월 13일]]
  • 김정균 (배우)
         * 2011년 《드림 헤어》 - 빽구두 역
         * 2011년 《[[신의 퀴즈 2|신의 퀴즈 시즌 2]]》 - [[OCN (방송)|OCN]], 이우혁 역 (특별출연)
         * [[2011년]] [[EBS FM]] 《EBS 라디오 FM 스페셜》
  • 김정남 (1972년)
         * [[2011년]] : [[SBS 플러스]] 《컴백쇼 톱 10》
  • 김정남 (1986년)
         |마지막 경기 = [[KBO 리그|KBO]] / [[2011년]] [[4월 20일]] <br /> [[문학야구장|문학]] 대 [[LG 트윈스|LG]]전
         * [[SK 와이번스]] (2009년 ~ 2011년)
         [[2009년 한국 프로 야구 신인 드래프트|2009년]]에서 SK 와이번스의 2차 4순위 지명을 받아 입단하였다. 양쪽 타석에서 타격을 하는 스위치 타자이다. 2011년 시즌 후 보류 선수 명단에서 제외되어 방출되었다.
  • 김정렴
         ** 아내: 강순자(姜順子, [[1928년]] [[3월 15일]] ~ [[2011년]] [[4월 23일]])
  • 김정태 (1973년)
         * [[2011년]] 《[[체포왕]]》 - 송형사 역
         * [[2011년]] 《[[완벽한 파트너]]》 - 정태 역
         * [[2011년]] 《[[특수본]]》 - 박경식 역
         * [[2011년]] 《[[소녀K]]》 - 유성호 역
         * [[2011년]] [[SBS]] 드라마 《[[싸인 (드라마)|싸인]]》 - 정차영 역
         * [[2011년]] [[MBC]] 드라마 《[[미스 리플리]]》 - 히라야마 역
         * [[2011년]] [[MBC]] 드라마 《[[지고는 못살아 (2011년 드라마)|지고는 못살아]]》 - 고기찬 역
         * [[2011년]] [[KBS]] 단막극 《[[KBS 드라마 스페셜|드라마 스페셜 - 휴먼 카지노]]》 - 풍 역
         * [[2011년]] [[KBS2]] 《[[김승우의 승승장구]]》
         * [[2011년]] [[KBS2]] 《[[해피선데이]] - [[1박2일]]》
         * [[2011년]] [[동서식품]] 포스트 라이트업
         * [[2011년]] 훌랄라 참숯바비큐치킨
         * [[2011년]] 디지털 싱글 앨범 - 날개, 찬찬찬
         * [[2011년]] 《소녀K》 OST PART2 - 잊어줘
         | ''[[미스 리플리]]''<br/>''[[지고는 못살아 (2011년 드라마)|지고는 못살아]]''
  • 김정혁
         || '''프로입단''' || [[2011년]] [[육성선수|신고선수]] 입단 ([[삼성 라이온즈|삼성]]) ||
         2011년 이후 이렇다 할 활약을 못하면서 [[육성선수|신고선수]]로 전환되었다.
         시즌 초반에는 3루수로 출장하다가 [[정현(야구선수)|정현]]의 3루 출장 비율이 늘면서 1루수로 출장했다. 8월 초반부터 결장하면서 2군 시즌을 마쳤지만, 0.302의 타율로 2011년 이후 3년 만에 3할대 타율을 기록했다. 10월 8일 [[조동찬]]이 허리 부상으로 1군 엔트리에서 제외되면서 정식선수로 재전환됨과 동시에 3년 만에 1군에 올라왔다.
  • 김정현 (1976년)
         * [[2011년]] [[KBS1]] 대하드라마 《[[광개토태왕 (드라마)|광개토태왕]]》 ... 돌비수 역
         * [[2011년]] [[MBC]] 아침드라마 《[[위험한 여자]]》 ... 김지원 역
  • 김정훈 (1987년)
         |첫 출장 = [[KBO 리그|KBO]] / [[2011년]] [[6월 30일]] <br /> [[문학야구장|문학]] 대 [[한화 이글스|한화]]전
  • 김종국 (1963년)
         * [[2011년]] SBS 《뿌리깊은 나무》 - 최 이사 역
  • 김종모
         * [[광주동성고등학교]] 야구부 감독 (2011년 ~ 2012년)
         '''김종모'''(金鍾模, [[1959년]] [[11월 1일]] ~ )은 전 [[KBO 리그]] [[해태 타이거즈]]의 [[외야수]]였다. [[해태 타이거즈]]의 원년 창단 멤버로, 초창기 [[해태 타이거즈]] 타선을 이끌었던 KKK포의 한 축을 형성하였다. 특히 통산 타율에서 계속 3할 이상을 기록할 만큼(통산 5차례 3할 타자) 정교한 타격이 돋보여 좌[[장효조|효조]], 우종모라는 별칭을 얻기도 했으나 [[장효조]]에게 밀려 2차례 타격 2위를 기록하였다. [[2009년 한국시리즈]] 우승 이후 재계약에 실패하여 [[KIA 타이거즈]]를 떠났다. [[2011년]] [[10월 27일]] 모교인 [[광주동성고등학교]]의 감독으로 선임되었고, 2012년 시즌 종료 후 [[김응용]] 감독의 부름을 받아 [[한화 이글스]]의 타격코치로 선임 되었다. [[김성한 (1958년)|김성한]] 한화 수석코치 자진사퇴 이후 한화 이글스의 수석코치로 취임하였다.
  • 김종완 (음악가)
         [[2009년]] [[8월 13일]] 군 입대하였고, [[2011년]] [[8월 23일]] 군 복무를 마쳤다. 그리고 이듬해 [[2012년]] [[4월 10일]], [[넬 (음악 그룹)|넬]] 5집 《[[Slip Away]]》로 복귀하였다.
  • 김종호 (1984년)
         |첫 출장 = [[KBO (야구)|KBO]] / [[2011년]] [[8월 27일]]<br />[[서울종합운동장 야구장|잠실]] 대 [[두산 베어스|두산]]전 대주자
  • 김주리(배우)
         || [[2011년]] || [[SBS]] || [[내일이 오면]] || 이지미 || ||
         || [[2011년]] [[2월 2일]] || [[KBS2]] || 아이돌 건강미녀 선발대회 || 참가자 || 설특집 ||
         || [[2010년]] [[11월 27일]]~[[2011년]] [[1월 29일]] || [[KBS2]] || [[백점만점(예능)|스쿨 버라이어티 백점만점]] || 고정출연 || ||
  • 김주영 (1987년)
         * [[2011년]] [[MBC]] 일일연속극 《[[남자를 믿었네]]》 ... 정선 역
         * [[2011년]] [[E채널]] 목요드라마 《[[빅히트 (드라마)|빅히트]]》 ... 김산 역
         * [[2011년]] [[OCN]] 일요드라마 《[[뱀파이어 검사]]》 ... 최동만 역
         * [[2011년]] [[채널A]] 월화드라마 《[[컬러 오브 우먼]]》 ... 이준상 역
  • 김주원 (발레무용수)
         * [[2011년]] [[MBC]] 《[[댄싱 위드 더 스타 (대한민국의 텔레비전 프로그램)|댄싱 위드 더 스타]] 시즌1》 심사위원
         * [[2011년]] [[KBS1]] 《[[낭독의 발견]]》 380회
  • 김주형
         [[2011년]]에 복귀하였다.
  • 김준규
         * [[2009년]] [[8월]] ~ [[2011년]] [[7월]] 대검찰청 검찰총장
         |임기 = [[2009년]] [[7월 28일]] ~ [[2011년]] [[7월 4일]]
  • 김준수(JYJ)
         ||<#FF0000> '''{{{#white SNS}}}''' ||<(> [[https://twitter.com/1215thexiahtic|트위터]][* [[https://twitter.com/0101xiahtic|@0101xiahtic]] 계정이 해킹을 당해 2011년 12월에 지금의 계정을 새로 만들었다. 구계정에서는 아직까지도 회자되고 있는 [[https://twitter.com/0101xiahtic/status/112043630188965888|알티가뭐예요??^^]]를 비롯한 풋풋한 트윗들이 많다.] [[https://www.instagram.com/xiaxiaxia1215|인스타그램]] ||
         2011년부터 연예인 축구단 [[FC MEN]]의 단장까지 ~~맡고 있다.~~ 맡았었다. 2016년 10월 씨제스관계자 인터뷰를 보면 스케쥴로 인해 단장직을 물러났다고 한다. 어시스트나 골 기록도 꽤 좋은 편이다. 왼발 킥이 그렇게 대단하다고 한다. 축구단 멤버 라인업에는 유천, 재중도 포함되어 있었으나 인터뷰에서 언급된 바로는 실질적인 활동은 준수만 하고 있다. [* 준수가 멤버들에게 축구하자고 제의를해도 안나왔었다고.] 2016 현재 FC MEN의 명단을 살펴보면 두 멤버는 빠져있는 상태다.
         2011년 6월 15일은 축덕인 그에게 있어서 역사적인 날이 되었다. 베트남에서 JS 파운데이션이 주최하여 열린 'Asian Dream Cup'의 축하 공연으로 JYJ가 참가했는데, JS 프렌즈의 코치 [[유상철]]의 의견으로 직접 자선 경기에까지 출전하게 된 것이다. 홍보대행사 프레인의 병크로 같이 욕은 먹었을지언정 [[박지성]] 외 국내외 내로라하는 축구 선수들과 같이 경기를 뛰었으니 [[성공한 덕후|최고로 성공한 축덕]]이라 불릴만 하다. 사실 이 날 몸이 굉장히 좋지 않아 경기를 뛰기 힘든 컨디션이었는데 [[박지성]]과 함께 뛸 수 있는 기회를 놓치고 싶지 않아 아픈 걸 꾹꾹 참으며 경기에 임했다고 한다.
         2011년까지는 [[패션요정|외모에 별로 신경을 쓰지 않아]] 헤어 색깔이 항상 검은색과 갈색 계열이었고, 2010년 즈음에는 심지어 '''[[민소매]]'''만을 종류별로 즐겨 입어 팬들은 안타까워 하고있다. 그런데 2011년 말, 뮤지컬 [[엘리자벳]]에 '[[죽음]]'역으로 캐스팅 된 이후 거울을 봤는데 이거 도무지 섹시하지가 않더란다. 그래서 [[백금발]]로 염색을 하고 손톱에 검은색 매니큐어[* 엘리자벳 재연 때는 버건디색 매니큐어. 죽음의 천사 역할을 맡았던 앙상블들은 매니큐어 대신 검은색 절연 테이프를 손톱에 붙이기도 했다. 여담으로 재연 때는 매니큐어가 벗겨지면 네일 아티스트 출신인 매니저가 네일을 해줬다. LINE에 매니저가 그의 손을 잡고 한땀한땀 매니큐어를 발라주는 [[http://cfile22.uf.tistory.com/image/2167824B5212F9C7091A6C|사진]]이 올라온 적 있다.]를 바르고 체중도 60kg까지 감량했는데 팬들의 반응이 정말 폭발적이었다. 그 이후로 외모를 가꾸는 것도 퍼포먼스의 일종으로 받아들이게 되었다고 한다. 패션센스도 이 즈음부터 좋아지기 시작했다.
         2011년에 [[고양이]]를 입양했는데 네 마리를 한꺼번에 입양했다. 게다가 거기서 점점 더 늘어서 종당엔 6마리에 육박하는 고양이들을 키웠다. 종도 각각 다르다. 고양이들은 몇 달 후 각성된 [[알러지]] 때문에 어쩔 수 없이 본가에서 운영하는 가게에서 키웠다. [[의문의 1승|팬들]]이 직접 만날 수 있게 되어 고양이들의 사진과 동영상이 급증하게 되었지만 지금은 그 가게도 문을 닫은 상태. 현재는 본인이 가장 아끼던 세 마리만 남아 있다. 남아 있는 고양이는 [[스코티쉬 폴드]]인 '레오', [[샴(고양이)|샴]]인 '바키라', [[아메리칸 쇼트헤어]]인 '티거' [[https://youtu.be/4-parZuvCTA|세 마리]]로 다른 고양이들은 입양간 것으로 추정된다.[* 여담으로 팬들끼리는 서로 이 렡등아(레오의 [[악성 개인팬]]) 팉등아 하고 남의 [[최애]] 고양이를 까내리며 심심찮게 ~~장난~~싸움을 벌이기도 한다.]
         2011년 6월-7월 뮤지컬 [[모차르트!]]의 앵콜공연을 했다. 초연시에 지적되었던 발음을 크게 보완하였고, 성장한 연기를 보여주어 일부 호평을 받았다. 뮤덕들과 본격적으로 화해가 시작된 것은 엘리자벳부터로, 이 때까지는 아직 뮤덕들에게서 악평이 압도적이었다.
         2011년 2월 뮤지컬 [[천국의 눈물]]에 베트남 전에 참전한 한국 청년 '준형' 역에 트리플 캐스팅 중 한 명으로 출연했다. 이 역할로 제 5회 더 뮤지컬 어워즈의 남우주연상에 노미네이트 되었다.
          * 2011년 SBS 여인의 향기 - 김준수 역(카메오)
          * 다른 [[김준수(JYJ)|김준수]] 멤버들과 달리 [[뮤지컬]]에 전념하고 있어서인지, 공중파 드라마에는 출연하지 않고 있다. 사실 평소 말할 때 육성이 쇳소리가 나는 허스키 보이스이기도 해서 드라마에 어울리는 스타일은 아니기도 하다. [[JYJ]] 활동기에 딱 한 번 드라마에 [[카메오]]로 나온 적이 있었는데, 바로 2011년 [[SBS]]에서 방영된 드라마 <[[여인의 향기]]>에 김준수 본인 역으로 출연한 것. 그러나 [[왕자병]] 캐릭터인데다가 대사도 연기도 심히 [[https://youtu.be/RacK8lU_7Y8|오그라들어서(...)]] 팬들이 [[OME]]를 외쳤다 [[카더라]]. 사실 TV 미니시리즈에 출연하기로 하고 배역까지 결정했었지만 [[http://news.joins.com/article/9251704|#]] 솔로 앨범 1집을 내기로 하면서 그 생각을 접었다고 한다.
          * '땡큐'라는 단어에 [[트라우마]]가 있다. 2011년 [[종근당]]의 [[https://www.youtube.com/watch?v=TRfOHJX1flE|펜잘큐 CF]] 이후로 [[트라우마]]가 생겼다고 한다. 2015년 11월 8일, 콘서트 도중에 팬들이 고맙다고 '''[[트라우마|땡큐! 땡큐!]]''' 라고 외쳤을 때[* 팬들도 반쯤은 노리고 한 것이다!] 본인이 밝힌 내용이다. 이에 팬들은 고마워! 고마워!로 바꾸어 외쳤다. 여담으로 이에 관한 유명한 썰 하나가 있는데, 어느 날 준수가 차를 타고 가다가 신호에 걸려 멈췄는데 옆의 버스에 있던 한 남학생이 준수를 가리키며 [[트라우마|'어! 펜잘큐 땡큐!']]라고 외쳤다고.
          여담으로 2011년 정전폭트 사건이 있다. 그의 집 일대가 정전이 되자 16개나 되는 폭트를 한 것. 정전이 돼서 무서운게 아니냐는 팬들의 놀림아닌 놀림에 무섭지 않다고 귀신도 믿지 않는다고 했으나 3주 정도 뜸하던 트위터가 정전이 되자 16개나 올라왔던 것을 보면 무섭지 않다고 한 것에 약간의 의심이 들기도 한다.
          * 금식에 관한 일화가 하나 있다. 쓰리보이스 2[* 2011년 연초에 촬영한, [[JYJ]]의 일상을 담은 DVD.] 온천 촬영이 끝나고 스탭들이 준수의 방에 모였고, 헤어디자이너 분이 머리를 말려주고 있었는데 갑자기 정전이 되어버렸다. 그리고 준수가 무서운 이야기를 해달라고 졸라 모두들 이것저것 이야기를 하다가 결국 전기가 들어왔는데.. 불이 켜지고 보니 매니저의 야식으로 준비해 두었던 주먹밥에 갉아먹은 듯한 흔적이 있었단다. ~~응? 준수의 입이 오물오물 움직이고 있었던 것은 착각인가?~~
          * 2011년 [[제주특별자치도|제주도]]에 2만 평 규모의 부지를 매입하고 '''129억 원'''을 들여 [[호텔]]을 짓기 시작했었고 이 호텔이 지금은 매각한 토스카나 호텔이다. 호텔을 짓고 있을 당시 완공되면 여기서 문화 사업의 일환으로 [[비보이]] 초청 공연이나 [[밴드]] 공연 등을 할 생각이었으며[[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421&aid=0000621174|#]], 완공 이후 실제로 호텔에서 여러 공연을 했다.
         || [[2011년]] || 뮤지컬 《[[천국의 눈물]]》 주연 (준형 역), [br]제5회 더 뮤지컬 어워즈 홍보대사,[br]뮤지컬 《Mozart!》 앵콜공연 (모차르트 역), [br]SBS 《[[여인의 향기(2011)|여인의 향기]]》 OST <You're so beautiful> ||
         ||<|4><:> [[2011년]] || 제 6회 Golden Ticket Awards 뮤지컬 남자배우상 ||
  • 김준현(코미디언)
         데뷔 초기에는 궁녀, 악단 멤버([[악성 바이러스]]), 유치원생 소망이([[워워워]]) 등 덩치에 맞지 않게 귀여운 연기를 하는 언밸런스한 배역을 하는 한편 [[DJ변]]의 광고성우, [[씁쓸한 인생]]의 김실장 등 중저음의 두꺼운 목소리를 살리는 배역도 소화하였으나 귀여운 역할은 [[2011년]] [[9시쯤 뉴스]]에서 유치원생 역을 한 것을 마지막으로[* 사실 9시쯤 뉴스에서의 유치원생 역할도 그리 귀여운 역할은 아니었다. 무엇보다도, 대사가 [[애늙은이]]스런 대사였기 때문.] 이후에는 [[비상대책위원회(개그 콘서트)|비상대책위원회]]의 [[소장(계급)|소장]], [[네가지]]의 뚱뚱한 사람 역 등 육중한 덩치에 알맞는 두꺼운 목소리를 잘 활용한 개그에 올인하고 있고 반응은 이 쪽[* 비상대책위원회의 소장 이후의 역할들.]이 더 좋다.
  • 김중우
         2005년 6월에 1집 앨범《''Tenderness''》를 발표하며 솔로 활동을 본격적으로 시작하였다. 2011년11월 2집 앨범 《''Perfect Experience''》를 발표하여 국내 색소폰 연주 관계자들 사이에서 케니 지와 데이브 코즈의 프로듀서인 제프 로버가 연주와 엔지니어링에 참여한 것이 알려져 화제가 됐다.<ref>[http://www.segye.com/Articles/SPN/ENTERTAINMENTS/Article.asp?aid=20111126000520&subctg1=&subctg2= 관련 기사]</ref> 미국 현지에서 완성된 이번 앨범 ‘Perfect Experience(퍼펙트 익스피리언스)’는 세계적인 색소포니스트로 유명한 Kenny G(케니 지)와 Dave Koz(데이브 코즈)의 프로듀서 Jeff Lorber(제프 로버)가 연주와 엔지니어링에 전격 참여, 국내에서 들을 수 없는 최상의 사운드와 그루브를 들려준다.
         그는 제이킴으로서의 솔로 아티스트의 모습과 [[커먼그라운드]], [[전영진 (음악가)|전영진]]과 함께한 [[얼바노]] 의 그룹 활동 외에 다른 가수들의 앨범 작업에도 참가했다. [[나얼]]의 "귀로"와 [[빅마마]]의 "여자", [[자우림]]의 "하하하쏭" 등의 곡에 연주로 참여 했으며, [[JK김동욱]]의 "너의 행복만", "우울한 편지", "자운영", [[변재원]]의 "Lonely People" 등을 작사, 작곡, 편곡하였고 (우울한 편지, ''Lonely People''은 편곡만)2011년 12월 미국의 대표 빅코미디쇼이자 뮤직쇼인 NBC 방송사의 [[Saturday Night Live]]를 차용한 프로그램 [[SNL 코리아|새터데이 나이트 라이브 코리아]]의 밴드 뮤직 디렉터로 발탁되었으며 현재까지 활동중이다.
         * [[2011년]] 제이킴 2집 《[[Perfect Experience (음반)|Perfect Experience]]》
  • 김지수(배우)
          * 가녀린 외모와 달리 좋아하는 스포츠는 [[스노보드]]. [[제트스키]], [[수상스키]]까지 즐긴다. 2000년대 초반부터 탔기 때문에 연예인 중에서는 보드를 잘 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사족으로, 배우 [[김혜리(배우)|김혜리]]는 김지수가 그랬던 것처럼 가녀린 외모와 달리 스포츠광이면서 두 번 이상 음주운전으로 구속된 전과[* 김지수는 [[KBS 1TV]] [[태조 왕건]]에서 김혜리가 맡았던 강비 역 물망에 한때 거론됐다.]가 있었다. 그러다가 2011년, [[백혈병]] 환자에게 조혈모세포를 기증하는 선행을 베풀었으며, 이 과정에서 어린이 환자들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는지 2013년, 소아암 환자 진료비를 위한 자선행사에도 기부했다.[[http://www.humanmp.co.kr/news/news_index.php?vDown=news_read&vKey=14910&vBid=02&vTable=BBS|#]] 이로 인해 이미지는 어느 정도 개선된 듯(...)
         || [[2011년]] || 사랑한다, 사랑하지 않는다 || 이웃집 여자 || 특별출연 ||
  • 김지혁 (축구선수)
         [[2006년]] 리그에서 19경기를 뛰었지만, [[2007년]] [[리그컵 (대한민국)|하우젠 컵]]을 포함하여 5경기를 뛰는데 그쳤다. [[2008년]] [[포항 스틸러스]]로 이적한 뒤<ref>[http://www.steelers.co.kr/news/steelers/view.asp?seq=1415 포항, 베테랑 골키퍼 김지혁 영입 ]{{깨진 링크|url=http://www.steelers.co.kr/news/steelers/view.asp?seq=1415 }}</ref> 그 해 리그에서 19경기를 뛰며 경기 출전횟수를 늘리고 있으며, [[2008년]] [[FA컵 (대한민국)|FA컵]] 우승에 공헌하였다. [[2010년]] 광주 상무 불사조([[상주 상무 피닉스]] 전신)에 입대하여 등과 경쟁을 하며 출장을 해갔으나 [[2011년]] [[K리그 승부조작 사건]]에 연루되어 혐의가 인정이 되면서 K리그에서 영구제명과 함께 퇴출되었다. 이후 2012년 승부조작 가담 혐의에 대해 무죄를 선고받았으나, 금품 수수 혐의는 그대로 인정되어 징계가 그대로 유지되었다.
         * [[2010년]] ~ [[2011년]] {{국기그림|대한민국}} [[상주 상무 피닉스]]
  • 김지혜 (1979년)
         * [[2011년]] [[MBC]] 《[[세바퀴]]》 93회
         * [[2011년]] [[SBS]] 《[[강심장]]》 88 ~ 89회
         * [[2011년]] [[SBS]] 《[[자기야 - 백년손님]]》 105 ~ 107회, 116회
         * [[2011년]] [[SBS]] 《[[추석특집 스타커플 최강전]]》
  • 김지호 (1974년)
         * [[2011년]] 《[[미안해 고마워]]》 ... 수영 역
         * [[사조해표]] 순창궁 햅쌀고추장 (2011년)
         * [[동국제약]] 마데카솔케어 (2011년)
         * [[롯데백화점]] 창립 32주년 인터뷰 (2011년 11월 18일, 23일, 24일)
         * [[라이나생명]] (2011년 ~ 2012년)
         * 2011년 환경재단 9주년 후원의밤 그린산타상
         * 2011년 그린산타상
  • 김지훈 (영화감독)
         1998년 단편영화 《온실》로 제2회 [[세계 필름 페스티벌]]에 초청되었으며, 제46회 [[독립영화제]]에서 우수작품상을 수상했다. 이후 《[[목포는 항구다]]》, 《[[화려한 휴가]]》를 제작하였다. [[5.18]]을 다룬 《[[화려한 휴가]]》는 [[전라도]] 사투리 연구에 많은 공을 들였고 상업적으로도 큰 성공을 거둔 작품이다.<ref>[http://entertain.naver.com/read?oid=022&aid=0000227432 김지훈 감독 "대구출신이라 3년 간 전라도 사투리 연구"] 세계일보. 2007년 05월 17일</ref> [[2011년]] [[8월]] 개봉한 한국 최초 3D 블록버스터인 《[[7광구]]》를 제작하였다. <ref>{{뉴스 인용|제목 = 김지훈: 영화정보-씨네21|url =http://www.cine21.com/Movies/Mov_Person/person_info.php?id=6724|출판사 = 씨네21|확인날짜=2011-05-19}}</ref>
         * 《[[7광구 (영화)|7광구]]》 - 연출 (2011년)
  • 김지훈(배우)
         || [[2011년]] || 국방 TV || [[행군]] || 나요한 || ||
  • 김진 (1973년)
         * [[2011년]] [[CMC TV]] 《Job Star 일단 맡겨! 시즌2》
  • 김진(배우)
         * [[2011년]] [[CMC TV]] 《Job Star 일단 맡겨! 시즌2》
  • 김진규 (1953년)
         * [[2011년]] 4월 ~ [[2012년]] 5월 : 한국거래소 파생상품시장본부장
         |임기 = [[2009년]] [[8월]] ~ [[2011년]] [[5월]]
  • 김진아 (희극인)
         | 데뷔일 = [[2011년]]
  • 김진우 (배우)
         | [[지고는 못살아 (2011년 드라마)|지고는 못살아]]
         * [[2011년]] [[웃어요, 엄마]] OST - 울다가 웃다가
         * 2011년 김진우 사랑나눔콘서트
         * 2011년 시온 - Superman
         * 2011년 [[SBS TV|SBS]] 《[[강심장]]》
         * 2011년 아큐브
         * 2011년 [[LGU+]]
  • 김진욱(스포츠해설가)
         은퇴 후 [[분당중앙고등학교|분당중앙고]] 감독, [[인창고등학교(경기)/야구부|구리 인창고]][* 이 과정에서 발굴한 선수로는 [[윤석민(타자)|타자 윤석민]]과 [[윤희상]]. [[윤석민(투수)|투수 윤석민]]은 인창고등학교를 다니다가 1학년 마치고 [[야탑고등학교 야구부|야탑고등학교]]로 전학을 갔다.] 창단 감독을 거쳤고 2007년부터 2011년까지 [[두산 베어스]]에서 2군 투수코치 및 재활코치, 1군 불펜 투수코치로 활동했다.
         김진욱의 괴상한 팀 운용은 어찌 보면 당연한 것이다. 전임 감독인 [[김경문]]은 비록 팀을 내내 상위권에 올려놓기는 했지만, 냉정하게 말해서 몇몇 야수들이 로또가 터지고 [[KILL 라인]]으로 대표되는 [[불펜#s-2|불펜]]을 마구 굴린 탓이 크다. 그 결과 김경문이 사임한 [[2011년]]에는 팀이 겉만 번지르르한 막장으로 치닫는 지경까지 이른다[* 당시 두산의 부진을 [[임태훈(야구선수)|임태훈]] 책임으로 돌리는 의견이 많은데, 임태훈이 아니더라도 얼마 안 있어 붕괴될 정도의 전력이었다. 불펜이든 선발이든 투수진이 폭삭 주저앉고, 야수진도 주전이 탄탄해서 그렇지 백업이 형편없었는데 뭘 기대할까? 그리고 2018년에 NC 다이노스에 이 결과를 다시 재연했다]. 그 여파로 인해, [[2013년]]에 정규시즌 팀 타율은 1위인데 팀 방어율은 7위라는 괴상한 스탯을 보여주었다. 애초에 팀이 정상이 아닌데, 정상적인 운용으로 팀이 제대로 굴러갈 수 있을까? 반대로 [[2012년]]에는 팀 방어율은 상위권이었지만 타율은 기아와 같이 최하위를 다투었고, 그럼에도 포스트시즌에 올라갔으며, 2013년에도 포스트시즌 진출을 확정지었다. 다만 이렇게 나타나는 전력 불균형은 단기전에선 약점 요소로 꼽히는데, 2012년 준플이 그 예.
         무엇보다 이러니저러니 말이 많아도 '''김진욱이 이 전력을 가지고 두산을 상위권에 올려놓았다는 사실만은 부정할 수 없다. 그것도 안정적으로.''' 상위권에 간 것만으로도 사실 기적에 가까운 일일진데, [[김경문]]이나 [[선동열]], [[김응용]] 같은 감독처럼 선수단을 마구 쥐어짜내 막장으로 만들지 않고 전력을 재건한 것은 두산 팬 입장에서는 기뻐해야 할 일이다. [[2011년]]의 대붕괴로 암흑기에 빠질 뻔한 [[두산 베어스]]를 다시 포스트 시즌의 단골 손님으로 만든 것은 김진욱의 관리 야구 전술이 통했기 때문이다.
         예전에는 '''제대로 감독 교육도 받은 적이 없는 [[무능]]한 감독이 2시즌째 앉아 있다는'''식의 서술도 위의 비판 문단에 있었는데 이것은 '''지극히 편향적인 서술'''이다. 그렇게 치면 [[2011년]] 이후의 대대적인 감독 경질 시기 이후에 데뷔한 타 팀의 [[염경엽|초보]][[김기태(1969)|감독]]들[* 삼성에서 오랫동안 코치를 한 [[류중일]]과 메이저리그와 SK에서 오랫동안 코치를 한 [[이만수]]는 해당이 안 된다. 그러나 염경엽과 김기태도 (김진욱처럼) 짧은 기간이지만 코치를 하다가 감독이 된 케이스라 초보라 하기엔 미묘한 편. ~~또한 만수는 SK팬들로부터 욕을 바가지로 얻어먹기 때문에 해당이 안된다~~]이 해당팀 팬들에게 호평을 받고 있는 것을 설명할 수 없다. 그리고 고교야구 감독 경력을 최소한의 감독 교육으로 인정 안한다는 식의 서술도 문제의 소지가 있다. 5달 전까지만 하더라도 '''돌[[커피]]'''라 그러며 무능하다고 까대던 감독은 '''악조건을 뚫고 [[한국시리즈]]에 올라가는 기적을 보여주었다.''' 그리고 그 두산은 '''[[김태형(1967)|또 다른 초보 감독]]으로 [[2015년 한국시리즈]] 우승을 차지한다!'''
         07, 08년 한국시리즈에서 우승을 못했기에 사실상 2009년부터는 선발 재건에 힘을 썼어야 했으나, 우승후보란 부담감에 [[KILL 라인]]으로 대표되는 불펜쪽에 무게가 실리고 부담이 증가하였다. 그 결과로 2011년에 무너진 것을 보면, 2012년에 선발진을 재건해냈고 여기에 2013년 악재가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그 삼성을 몰아붙이기도 하면서[* 13삼성의 투수진은 두산과 비교할 바가 못되었다. [[릭 밴덴헐크|밴덴헐크]] - [[윤성환]] - [[차우찬]] - [[장원삼]] - [[배영수]]의 막강한 선발진에, [[권혁]] - [[안지만]] - [[오승환]]의 필승조를 뚫을 수 있는 팀은 없다고 봐도 무방했다.] 한국시리즈 준우승을 일구어냈고, 덕분에 팬들은 2014년이 기대된다고 했다. ~~마무리 캠프에 장민익을 직접 잡고 코칭해주는 모습이 그립다.~~ 경험치를 많이 먹었기 때문에 종합적인 평가를 받을 수 있는 14년이었고 아쉽게 그것을 보진 못했지만, 그 역량은 재평가 받기엔 충분하다.
         과거 [[김성근]]의 [[LG 트윈스]] 시절과 유사한 점이 많다. 2년차에 정규시즌 4위로 시작해 [[한국시리즈]]를 [[준우승]]을 했음에도 불구하고 프런트와의 갈등으로 인해 경질을 당함, 그 다음 해의 감독은 정규시즌 6위를 기록하고 경질을 당한것 등이 그 예다. 물론 좀 더 파고들면 다른 점이 많지만 10년이 지났음에도 불구하고 감독 2년차의 [[준우승]] [[감독]]이 경질당하는 사례가 일어났다는 것은 야구판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 물론 선동열이 [[2010년]] 준우승하고 2011년 류중일이 감독으로 통합 4연패를 이뤘기 때문에 이런 효과를 기대하고 김진욱을 경질했을 수도 있다. 하지만 다음 감독이 [[송일수]]이기 때문에...
  • 김진표 (가수)
         [[1999년]], [[김세황]] · [[김영석 (음악가)|김영석]] · [[이수용 (드러머)|이수용]]과 함께 [[노바소닉]]을 결성하여 3장의 음반을 발표하였다. 건강상의 문제로 2002년 탈퇴한 이후에는 잠시 휴식기를 거쳐 패닉과 솔로 활동을 병행하고 있으며, [[2004년]]에 [[카 레이서]]로 R-STARS에 입단하면서 국내 모터스포츠 계에 발을 들였고, [[2011년]]부터 [[2013년]]까지 [[쉐보레]] 레이싱팀에서 맹활약을 한 적이 있으며 현재 [[금호타이어 엑스타 레이싱팀]] 에서 감독 겸 선수로 활동하고 있다. 또한 [[탑기어 코리아]]의 MC를 맡으면서 포토그래퍼 활동을 하기도 한다. 그리고 [[2007년]]부터 [[2009년]]까지 [[tvN]]에서 뉴스 쇼 형태의 연예정보 프로그램 [[TVN E NEWS]]를 [[김흥국]]에 이어 후임으로 진행한 바가 있다. [[2003년]] [[배성은]]과 결혼 하였으나 2년 4개월 뒤 이혼 하였다. 이후 [[2008년]]에 [[윤주련]]과 혼인하였다.
         * 2011년 ~ 2016년 [[XTM]] [[탑 기어 코리아]] (시즌 1부터 시즌 7까지 고정)
  • 김진향
         * 2008년 2월 ~ [[2011년]] 7월:[[개성공업지구]]관리위원회 기업지원부 부장
  • 김진호 (1986년)
         * [[2011년]] 3월 25일: [[미지 (음악 그룹)|미지]] 〈Unbelievable〉 (Digital Single) - 《Unbelievable》 피쳐링
  • 김질 (1422년)
         * 《[[인수대비 (드라마)|인수대비]]》 ([[JTBC]], [[2011년]]~[[2012년]] 배우:정현석)
  • 김창완
         * [[2011년]] [[MBC]] 월화드라마 《[[미스 리플리]]》 ... 최 본부장 역
         * [[2011년]] [[MBC]] 주말연속극 《[[천 번의 입맞춤 (드라마)|천번의 입맞춤]]》 ... 장병식 역
         * [[2011년]] [[MBN]] 주말드라마 《[[왓츠업]]》 ... 박태이 아빠 역
         * [[2011년]] : 《소울푸드》 (청어람미디어)
         * [[2011년]] 제23회 한국PD대상 라디오 진행자 부문 출연자상
  • 김철기 (1974년)
         |align="center"|[[2011년]]~[[2012년]]
         * 2011년 《재즈 루나틱 : 서산》정상인 역
  • 김철기(배우)
         || [[2011년]] || [[KBS1]] || [[광개토태왕(드라마)|광개토태왕]] || 사갈현, 사갈웅 || ||
  • 김철민 (스피드 스케이팅 선수)
         {{금메달|[[2011년 세계 쇼트트랙 팀 선수권 대회|2011 바르샤바]]|단체전}}
         [[쇼트트랙]]으로 선수 생활을 시작했다. 2010-11 시즌 국가대표 예비선수로 선발되었으며, [[2010년 12월]] [[엄천호]]를 대신하여 출전한 [[쇼트트랙]] 월드컵 대회 1500m에서 우승하였다.<ref>[http://news.hankooki.com/lpage/sports/201012/h20101213212921111960.htm 쇼트트랙서 첫 남매 금메달리스트 탄생] {{웨이백|url=http://news.hankooki.com/lpage/sports/201012/h20101213212921111960.htm# |date=20140227172432 }} - 한국일보</ref><ref>[http://www.sportresult.com/federations/ISU/ShortTrack/Results.aspx?evt=11210300000005&gen=m&ref=7299&view=dcl ISU World Cup 2010/2011, CHN, Shanghai]</ref> [[2011년]]/[[2012년]] 시즌 스피드 스케이팅으로 전향하여 국가대표로 선발되어, 2012년 세계 주니어 선수권에 참가하여 5000m에서 3위를 했으며, 팀추월에서 2위를 했다. [[2012년]]/[[2013년]] 시즌에도 국가대표로 선발되어 중장거리와 팀추월 대회에 출전했으며, [[2013년 세계 종목별 스피드 스케이팅 선수권 대회]] 팀추월 은메달을 획득했다.
  • 김철수 (1956년 9월)
         |임기 = [[2011년]] [[6월 8일]] ~ [[2013년]] [[4월 12일]]
  • 김치곤 (축구선수)
         |국가대표팀 최신 업데이트 날짜 = [[2011년]] [[8월 15일]]
         * [[2011년]] ~ [[2012년]] {{국기그림|대한민국}} [[상주 상무 축구단]]
  • 김치우
         * [[2011년]] ~ [[2012년]] → {{국기그림|대한민국}} [[상주 상무 축구단]] (군복무)
  • 김태균 (1971년)
         * [[SK 와이번스]] 수비코치 (2007년 ~ 2011년)
         * [[SK 와이번스]] 재활코치 (2011년)
         은퇴 후 [[SK 와이번스]] 2군 수비 코치로 활동했다. [[2011년]] 시즌 후 친정 팀인 [[삼성 라이온즈]]로 이적했다. [[2015년]] 시즌 후 [[롯데 자이언츠]]의 수석 코치로 활동했다.
  • 김태술 (농구선수)
         * [[2011년]] ~ [[2014년]] [[안양 KGC인삼공사]]
  • 김태환 (1989년생 축구 선수)
         '''김태환''' (金太煥, [[1989년]] [[7월 24일]] ~ )은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로서 포지션은 [[미드필더]]이다. 우측 윙어가 주 포지션으로 현재 [[K리그1]] [[울산 현대 FC|울산 현대]]에서 뛰고 있다. [[2011년]]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성인 국가대표팀]]에 소집되어 [[대구 FC]]와의 연습광주에 출전하였다.
         2011년 3월 25일 온두라스, 29일 몬테네그로와의 친선광주에 나설 국가대표 27명의 명단에 포함되어 처음으로 국가대표팀에 선발되었다.<ref>[https://sports.news.naver.com/general/news/read.nhn?oid=112&aid=0002176867 조광래호, 박기동 등 발탁…‘젊은 피’ 능력검정 나섰다]>/ref>
  • 김태훈 (1975년)
         * [[2011년]] [[MBC]] 《[[당신 참 예쁘다]]》 박치영 역
         * [[2011년]] 《[[환상극장]]》 김감독 역
         * [[2011년]] 《[[조선명탐정: 각시투구꽃의 비밀]]》 임거선 역 (우정출연)
         * [[2011년]] 《[[시선 너머]]》 남편 인권 역
         * [[2011년]] 《[[사랑이 무서워]]》 박피디 역
         * [[2011년]] 제9회 《AISFF》 폐막식 사회자<ref>[http://star.mk.co.kr/new/view.php?mc=ST&no=695024&year=2011 차태현·김태훈, 제9회 AISFF 개·폐막 사회자 선정] 《매일경제》, 2011년 10월 26일</ref>
         * [[2011년]] 《인디포럼2011》<ref>[http://tenasia.hankyung.com/archives/8609 <인디포럼2011> 개막 전 ‘두근두근 독립영화’ 행사 개최…유지태,양익준 감독 참여] 《텐아시아》, 2011년 6월 28일</ref>
  • 김태훈 (음악 평론가)
         * [[2011년]] [[손바닥TV]] 《This Man Life!》 MC
  • 김하람
         * [[2011년]] 벨기에, 이탈리아, 브라질, 우루과이, 아르헨티나, 코스타리카, 일본, 국립극장, 용극장 외 다수 공연
  • 김하율
         * [[2011년]] 아시아모델 페스티벌 어워드 [[레이싱모델]]상<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3&oid=109&aid=0002290235 올해 가장 인기 좋은 '레이싱 모델'은 누구?]</ref>
  • 김하은(1984)
         * [[2011년]] [[트렌디 (방송사)|Trend E]] 《피아니시모》
         * [[2011년]] [[KBS2]] 《[[가시나무새 (드라마)|가시나무새]]》: 양미련 역
         * [[2011년]] 제5회 [[케이블TV 방송대상]] 스타상 ([[비밀기방 앙심정]])
  • 김하음
         * [[2011년]] - 세마쇼 한국타이어 모델
         * [[2011년]] - 지스타 위메이드 메인모델
         * [[2011년]] - 서울오토살롱 서울오토서비스 VIP 레이싱모델
         * [[2011년]] - 서울국제모터쇼 렉서스 메인모델
         * [[2011년]] - 코리아스피드페스티벌 레이싱모델
         * [[2011년]] - 한국 DDGT 챔피언십 레이싱모델
         * [[2011년]] - 코리안챌린지컵 바이크대회 Agip 레이싱모델
         * [[2011년]] - 코리아 GT 그랑프리 & SUV 스피드 챔피언십 레이싱모델
         * [[2011년]] - MK 레이싱팀
         * [[2011년]] - 제12회 대한민국 문화예술대상 레이싱모델부문 신인상
  • 김한수 (야구인)
         [[2009년]]에는 [[일본 프로 야구]] [[센트럴 리그]] 팀 [[요미우리 자이언츠]]에서 지도자 연수를 받으며 2군 타격 코치로 1년 간 몸담은 후 귀국했다. [[2010년]] 시즌부터 다시 [[삼성 라이온즈]] 2군 타격 코치를 맡았고<ref>[[일간 스포츠]] - 2010년 9월 기사 [http://isplus.joins.com/article/article.html?aid=1501719 "삼성, 프랜차이즈 스타 대접 ‘톡톡’"]</ref> [[2011년]] 시즌부터 1군 타격 코치를 맡았다. [[2016년]] [[10월 15일]]에는 [[류중일]]의 후임으로 [[삼성 라이온즈]]의 제 14대 감독으로 선임되었다. 그러나 김한수는 감독으로서의 기본 자질을 보여주지 못하고 비판을 받고 있다.
  • 김한중
         * [[일본]] [[게이오기주쿠 대학교]] 명예 의학박사 ([[2011년]])
         * 2011년 4월 ~ 2011년 8월 : 보건복지부 보건의료미래위원회 위원장
  • 김현수 (2000년)
         '''김현수'''([[2000년]] [[6월 23일]] ~ )는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2011년 영화 《[[도가니 (영화)|도가니]]》로 스크린에 정식 데뷔했고, 17세의 나이에 2016년 영화 《[[굿바이 싱글]]》에 중학생 [[미혼모]]로 출연하면서 이름을 알렸다.<ref>[http://entertain.naver.com/read?oid=108&aid=0002538918 '도가니' 꼬마가 '굿바이싱글' 미혼모로] 스타뉴스. 2016년 07월 07일</ref>
         * [[2011년]] [[SBS]] 드라마스페셜 《[[49일]]》 ... 어린 송이경 / 신지민 역 ([[이요원]] 아역)
         * [[2011년]] [[SBS]] 월화드라마 《[[뿌리깊은 나무 (2011년 드라마)|뿌리깊은 나무]]》 ... 어린 소이 역 ([[신세경]] 아역)
         * [[2011년]] 《[[도가니 (영화)|도가니]]》 ... 김연두 역
         * [[2011년]] [[CJ인터넷]] 마구마구
  • 김현영 (스피드 스케이팅 선수)
         *[[2011년]] KB금융 스피드스케이팅 챔피언십 여자 1000m 은메달
         *[[2011년]] KB금융 스피드스케이팅 챔피언십 여자 500m 은메달
  • 김현정 (1976년)
         1976년 대구에서 1남 2녀 중 차녀로 태어났다. 신장은 173cm이다. 고교시절 헤비메탈 밴드를 했던 이력에 걸맞는 강렬한 보컬과 안정된 라이브 실력 파워풀한 무대 매너를 보여주며 1집 《[[Legend (김현정의 음반)|Legend]]》, 2집 《[[A Seagull Of Dream]]》, 3집 《[[The 3rd Eye]]》, 4집 《[[Wild Beauty]]》, 5집 《[[Diet (김현정의 음반)|Diet]]》 등 줄줄이 정상에 올랐다. 가수로서 작사, 작곡, 프로듀싱을 하였으며, 라디오 DJ, CF 모델, 패션 모델 등으로도 활약, 현재 여자 솔로가수 누적 음반판매량 3위를 기록하고 있다.<ref name="김현정">{{웹 인용 |url=http://music.naver.com/artist/intro.nhn?artistId=50 |제목= 네이버 뮤직 - 아티스트 소개 |확인날짜=2011-09-11 |웹사이트= [[네이버]]}}</ref> 김현정은 [[2001년]] 홍콩, 대만에서 큰 인기를 얻었다. [[2000년]] 샤넬 패션쇼에 메인모델로 섰다. [[2003년]]에는 슈퍼앨리트모델 명예 홍보대사로 위촉되었다. [[1999년]]부터 <헤어광고 비바칼라>, <여성용품 쏘피>, <온세통신>, <코니카> 등 CF모델로 활약하였으며, [[1999년]]부터 [[2001년]]까지 MBC <[[정오의 희망곡]]> 라디오 DJ를 맡아 청취율 1위와 함께 라디오 DJ부문 최우수상을 수상하였다. [[2011년]] 창작뮤지컬 <드림헤어>에 여주인공으로 캐스팅되어 뮤지컬배우로 인정받았다. [[1999년]] SBS 시트콤 <[[행진]]>으로 연기자로 활동했다. [[2012년]] 10월부터 [[2013년]] 1월까지 KBS1 대하드라마 <[[대왕의 꿈]]>에서 묘랑역을 맡아 연기자로써 활동하였다. <청춘나이트콘서트 시즌2>에 합류하여 [[2013년]] 연말까지 전국투어 공연을 펼쳤다. [[2014년]] [[무한도전]] 토요일 토요일은 가수다에 출연하면서 과거 히트곡 <그녀와의 이별>, <멍>이 차트 역주행을 기록했고 [[2015년]] 2월엔 디지털 싱글 <빈말>과 데뷔 18주년 기념 음반 <Together Forever 18>을 발매하였다. [[2017년]] SBS 주말드라마 [[언니는 살아있다]] OST에 참여했다.
         [[2011년]] 4년간의 애견사업을 접고 가수로서 활동을 시작, 디지털 싱글 <1분 1초>를 발표하며 가수로서 2년 6개월의 공백을 깨고 컴백했으며, 인터뷰에서 실패와 성공을 모두 경험했고 열심히 활동하다가 잠시 나태해진 적도 있다고 고백, 앨범을 내고 활동하는 것만으로도 벅차다고 말하며, 앞으로 패티 김 선배님과 같은 가수가 되고싶다고 밝혔다.
         * ([[2011년]]) 디지털 싱글 - [[1 Minute 1 Second]]
         * [[2011년]] MBC 에브리원 《러브추격자》 <김현정 편>
         * [[2011년]] MBC 에브리원 《아이러브펫》 '스타 펫시터' <김현정 편>
         * [[2011년]] KBS2 《[[TOP밴드]]》 <심사위원>
         * [[2011년]] XTM 《라이벌 매치2》 <매니저>
         ! 2011년
         * [[2011년]] 창작 뮤지컬 드림헤어 (세종문화회관 대극장)
  • 김현주 (1977년)
          |url = http://sports.khan.co.kr/news/sk_index.html?cat=view&art_id=201105162135383&sec_id=540101&pt=nv |출판사 = 스포츠경향 |저자 = |날짜 = 2011년 5월 16일}}</ref>
         2007년 [[KBS2]] 드라마 《[[인순이는 예쁘다]]》에서 살인전과자가 되어 세상에 홀로 남겨진 주인공 박인순 역으로 또 한번 연기력을 인정받았고, 2011년 [[MBC 주말연속극]] 《[[반짝반짝 빛나는 (드라마)|반짝반짝 빛나는]]》에서는 어린 시절 뒤바뀐 운명으로 인해 두 집안 사이에서 갈등하는 주인공 한정원으로 열연하게 된다. 그러던 중 배우 커리어에서 유일하게 없었던 '악녀' 이미지에 도전하게 되는데, 2013년 [[JTBC]]에서 야심차게 선보인 드라마 《[[궁중잔혹사 - 꽃들의 전쟁]]》에서 [[조선 인조|인조]]대왕의 전폭적인 사랑을 받으며 세자 부부와 중전([[장렬왕후]])을 위협하는 희대의 악녀 [[귀인 조씨]]로 열연해 이미지 변신에도 성공한다. 이후 2014년 [[한국방송공사 주말연속극|KBS 주말드라마]] 《[[가족끼리 왜 이래]]》에서 이기적이지만 사랑에는 한없이 더딘 차강심 역으로 활약한다. 2015년 4년 전 함께 호흡을 맞췄던 [[배유미]] 작가의 신작《[[애인 있어요]]》에서 1인 2역(쌍둥이 도해강(독고온기)과 독고용기)으로 열연하며 그 해 [[SBS 연기대상|SBS 시상식]]에서 주요부문 상을 휩쓴다. 거의 매해 한 편 이상의 작품에 출연하며 노력하는 배우로 이름을 알렸고, 특히 출연한 작품은 꾸준히 높은 시청률을 기록했다.
         * [[2011년]] [[MBC]] 주말연속극 《[[반짝반짝 빛나는 (드라마)|반짝반짝 빛나는]]》 ... 한정원 역
         * [[2011년]] 《[[시선 너머]]》 ... 정희주 역
         * [[2011년]] [[MBC 드라마대상]] 연속극부문 여자 최우수상 《[[반짝반짝 빛나는]]》
  • 김형미
         * [[2011년]] ~ [[2011년]] [[KBS2]] 단막극 《[[KBS 드라마 스페셜 연작 시리즈]] - [[사백년의 꿈]]》 - 다슬 역
         * [[2011년]] ~ [[2012년]] [[KBS2]] TV 소설 《[[복희 누나]]》 - 단역
  • 김형범
         * [[2006년]] ~ [[2011년]] {{국기그림|대한민국}} [[전북 현대 모터스]]
  • 김혜리 (배우)
         * [[2011년]] [[SBS]] 아침연속극 《[[장미의 전쟁 (2011년 드라마)|장미의 전쟁]]》 ... 이해주 역
  • 김혜성 (배우)
         2011년 6월 14일에 현역으로 입대하여 2013년 3월 13일에 제대했다.
         |align="center"| [[2011년|2011]]
  • 김혜연
         | [[2011년]]
         최근 [[2007년]]에 발표한 곡이자 파워풀한 가창력과 댄스가 돋보인 〈토요일 밤에〉는 뮤직 비디오로도 제작되었으며 노래방 애창곡으로 선정되어 널리 불리고 있다. [[2008년]]에는 [[KBS2]] 《[[1박2일]] 시즌 1》에서 메들리 앨범에 수록되었던 〈참아주세요 (일명: 뱀이다)〉가 기상송으로 쓰이면서 여러 세대층들로부터 많이 불리자 새롭게 편곡하여 활동하며 최근까지도 왕성한 활동을 하고 있다. 불혹을 넘긴 [[2011년]]에는 《[[자기야 - 백년손님|스타 부부쇼 자기야]]》 에서 넷째를 임신했다고 밝혔고 이듬해 12월 초에 넷째를 출산하였다.
         * 2011년 제19회 대한민국 연예예술대상 여자성인가수상
  • 김혜옥
         * [[2011년]] [[MBC]] 미니시리즈 《[[로열 패밀리 (드라마)|로열 패밀리]]》 ... 서순애 역
         * [[2011년]] [[KBS2]] 미니시리즈 《[[동안미녀]]》 ... 소영 모 역
         * [[2011년]] [[MBC]] 일일시트콤 《[[몽땅 내 사랑]]》 ... 김혜옥 역
         * [[2011년]] [[SBS]] 주말특별기획 《[[여인의 향기 (드라마)|여인의 향기]]》 ... 연재 모, 김순정 역
         * [[2011년]] [[KBS2]] 단막극 《[[KBS 드라마 스페셜]] - 클럽 빌리티스의 딸들》 ... 최향자 역
         * [[2011년]] [[KBS1]] 일일연속극 《[[당신 뿐이야]]》 ... 홍인숙 역
         * [[2011년]] [[TV조선]] 주말연속극 《[[고봉실 아줌마 구하기]]》 ... 박원숙 역
         * [[2011년]] 《[[사랑한다, 사랑하지 않는다]]》 ... 엄마 역(특별출연)
         * [[2011년]] 《[[써니 (영화)|써니]]》 ... 나미 모 역
         * [[2011년]] 불자대상
         * [[2011년]] [[SBS 연기대상]] 주말연속극부문 여자 특별연기상 《여인의 향기》
  • 김혜자
         | [[2011년]]
         * [[2011년]] 《작은 지구촌(어른이 되기 전에 먼저 펼쳐보는 세상)》 (다림, {{ISBN|978-89-6177-051-4}})
  • 김호창
         |rowspan="3" align="center| [[2011년]]
         * 《산불》 (2011년)
  • 김홍성
         * [[2010년]] ~ [[2011년]] : [[KBS1]] 《[[행복한 교실]]》
         * [[2011년]] ~ [[2012년]] : [[KBS2]] 《[[체험 삶의 현장]]》
  • 김환희
         * [[2011년]] KBS2 주말연속극 《[[사랑을 믿어요]]》 ... 김란이 역 (2011년 1월 1일 ~ 7월 31일)
         * [[2011년]] KBS2 단막극 《[[KBS 드라마 스페셜]] - 기쁜 우리 젊은 날》 ... 달래 역 (2011년 8월 28일)
         * [[2011년]]~[[2012년]] [[KBS1]] 일일연속극 《[[당신 뿐이야]]》 ... 윤이랑 역 (2011년 11월 7일 ~ 2012년 5월 4일)
         * [[2011년]]~[[2012년]] [[MBN]] 일일시트콤 《[[왔어 왔어 제대로 왔어]]》 ... 주리 역 (2011년 12월 5일 ~ 2012년 3월 2일)
         * [[2011년]] KBS1 단막극 《[[HD TV문학관]] - 사랑방 손님과 어머니》 ... 옥희 역 (2011년 12월 8일)
  • 김회경
         * [[2011년]] 《위험한 상견례》 군대 고참들 역
  • 김효원(배우)
         * [[2011년]] [[KBS2]] 《[[브레인 (드라마)|브레인]]》 - 서준석 아버지 역
  • 김효진 (배우)
         | 고모부 = [[이영민]]([[2011년]] ~ 현재)
         2011년 12월에는 8살 연상의 배우 [[유지태]]와 5년여의 열애 끝에 웨딩마치를 올렸다. 2014년 7월 5일, 첫 아이인 아들 유수인을 출산했다.<ref>{{뉴스 인용 |제목 = 김효진 유지태 부부 5일 득남 "가슴 벅차다"|url =http://entertain.naver.com/read?oid=421&aid=0000906672|출판사 =뉴스1 |저자 =권수빈 |날짜 = 2014-07-05 |확인날짜 =2017-09-29 }}</ref>
         * [[2011년]] 《[[창피해]]》 ... 윤지우 역
         * [[2011년]] [[온스타일]] 《러브 트리 36.5》
         * [[2011년]] [[소울스타]], [[원티드 (음악 그룹)|원티드]] - 〈사랑을 끊을 수 없다〉
         * 2011년 ELCA코리아 에스티로더 (화장품)
  • 김흥수 (1983년)
         * 《[[완벽한 스파이]]》 ([[2011년]], [[KBS2]]) - 김혁범 역.
  • 김흥수(배우)
         || [[2011년]] || [[KBS2]] || 완벽한 스파이 || 김혁범 || ||
  • 김희수 (1973년)
         * [[KBS1]] 《KBS 뉴스 5 첫번째》([[2011년]] [[1월 3일]] ~ [[2013년]] [[4월 5일]])
  • 나도현
         [[2010년]] 군에서 전역하였으며 [[스타테일]]에 입단 후 스타크래프트 II 게이머로 활동. [[2011년]] [[5월]] 은퇴하였다.
  • 나르샤
         [[2010년 7월]], 첫 솔로 앨범 《NARSHA》를 발매해 타이틀곡 〈삐리빠빠〉로 활동하였다. [[2011년]] [[2011년 5월|5월]]엔 고정 패널이었던 프로그램의 종영 및 브라운 아이드 걸스의 4집 앨범 준비로 인해 활동을 쉬었고, 4집 《Sixth Sense》로 컴백하였고, 후속곡 《클렌징 크림》으로 활동하다 휴식기를 가졌다. 그후 [[MBC]] 드라마《[[빛과 그림자 (2011년 드라마)|빛과 그림자]]》에서 이정자 역을, [[KBS]] 드라마 《[[울랄라 부부]]》에서 무산신녀 역을 맡아 [[배우]]로도 활동하였다.
         [[2009년]] [[10월 20일]], 나르샤는 [[SBS]] 《[[강심장]]》에서 본인의 나이를 [[1983년]]생이 아닌 [[1981년]]생이라고 고백한데에 이어<ref>[http://www.asiae.co.kr/news/view.htm?idxno=2009102023115689114 나르샤 "실제나이 81년생, 서인영보다 언니" 솔직 고백] 아시아경제, 2009년 10월 21일 작성.</ref> [[2010년]] [[2월 2일]], 포털 사이트의 본인 프로필 중 키가 164cm가 아닌 158cm라고 솔직하게 고백하기도 하였다.<ref>[http://www.etoday.kr/news/section/newsview.php?TM=news&SM=5102&idxno=287207 나르샤, 신체사이즈 비밀 공개 "164cm는 꿈의 키"] 이투데이 2010년 2월 3일 작성.</ref> 나르샤는 [[2010년]] [[4월]]부터 라디오 DJ를 맡기도 했다. 예능 프로그램에서의 보여준 끼와 똑부러지는 말솜씨를 바탕으로 하여 [[2010년]] [[4월 19일]]부터 [[KBS]] [[쿨FM]]의 라디오 《[[볼륨을 높여요]]》의 메인 DJ를 맡았다. 《[[볼륨을 높여요]]》는 2010년 하반기 라디오 청취율 조사에서 동시간대 프로그램 1위를 차지하는 등 (전체 KBS FM 프로그램 중에서는 2위)<ref>[http://news.nate.com/view/20110104n13945 박철의 야무진 꿈 “나는 라디오 대통령 된다”] TV리포트 2011년 1월 4일 작성.</ref> 큰 인기를 얻었는데, [[브라운 아이드 걸스]]의 일본 진출 및 4집 활동을 앞두고 그해 [[12월 31일]]을 끝으로 하차하였다.<ref>[http://ntn.seoul.co.kr/?c=news&m=view&idx=67575 나르샤, ‘볼륨’ DJ 하차…후임 최강희 ‘4년만의 복귀']{{깨진 링크|url=http://ntn.seoul.co.kr/?c=news&m=view&idx=67575 }} 서울신문 2010년 12월 18일 작성.</ref><ref>[http://star.mt.co.kr/view/stview.php?no=2010123121335314955&outlink=2&SVEC 나르샤, '볼륨' 막방에 눈물 "백발 되도 못 잊어"] 2010년 12월 31일 작성.</ref>
         * [[2011년]] - [[KBS2]] 《[[아이돌 건강미녀 선발대회]]》
         * [[2011년]] - [[KBS2]] 《[[대국민 토크쇼 안녕하세요]]》 26회
         * [[2011년]] - [[KBS2]] 《[[위기탈출 넘버원]]》 특별 MC (10월 24일 방송분)
         * [[2011년]] - [[온스타일]] 《[[스타일쇼 필]]》 고정 MC
         * [[2011년]]~[[2012년]] [[MBC]] 《[[빛과 그림자 (2011년 드라마)|빛과 그림자]]》 : 이정자 역
         * [[2011년]] - 단편영화 '초대받지 못한 손님' (감독: 나르샤)
         * [[2011년]] 제1회 [[올레TV|olleh]]·[[롯데]] 스마트폰 영화제 '특별상'<ref>[http://osen.mt.co.kr/news/view.html?gid=G1102220254 나르샤 연출·유인나 극본 '초대받지...', 스마트폰 영화제 특별상] Osen 2011년 2월 22일 작성.</ref>
  • 나성범
         |야구 월드컵 = [[2011년]] 파나마
         [[2012년 한국프로야구 신인 드래프트|2012년 신인 드래프트]]에서 2라운드 1순위(전체 10순위) 지명을 받아 창단 멤버로 입단했다.<ref>[http://view.asiae.co.kr/news/view.htm?idxno=2011082515001504606&nvr=Y 나성범 '2라운드 1순위로 NC에 갑니다'] - 아시아경제</ref> 뒤이어 [[2011년 야구 월드컵]]에 국가대표로 발탁됐다.<ref>[http://www.asiae.co.kr/news/view.htm?idxno=2011091916450328780 NC 왼손 원투펀치, 파나마 야구월드컵 출격]</ref>
         투수로 입단했으나, 당시 감독이었던 [[김경문]]의 권유로 [[2011년]] 가을 마무리 캠프를 통해 외야수로 전향했다. [[2012년]]에는 2군 94광주에 출전해 타율 0.303, 16홈런, 67타점, 29도루, 33사구를 기록했다. 시즌 중에는 4할 타율을 기록했으나 손바닥 부상과 체력 저하로 인해 페이스가 떨어졌다. [[2012년]] 남부리그 최다 홈런, 최다 타점을 기록했고 팀 내에서 유일하게 3할 타율을 기록했다.<ref>[http://osen.mt.co.kr/article/G1109533849 '잘 피하고 잘 맞아라'…나성범, 긍정적 사구 대책] - OSEN</ref> 시즌 후 [[2012년 아시아 야구 선수권 대회]] 국가대표에 발탁됐으나 오른쪽 손등 부상으로 인해 [[박정준 (1984년)|박정준]]으로 교체됐다.<ref>[http://sports.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kbo&ctg=news&mod=read&office_id=001&article_id=0005948706 <亞야구선수권대회> 임찬규·나성범 불참…대표팀 '비상'] - 연합뉴스</ref>
         * [[2011년 야구 월드컵]] 대회 대표
         {{2011년 야구 월드컵 대한민국 선수 명단}}
  • 나성용
         |프로 입단 연도 = [[2011년]]
         |드래프트 순위 = [[2007년 한국프로야구 신인 드래프트|2007년]] 2차 6라운드([[LG 트윈스]])<br>[[2011년 한국프로야구 신인 드래프트|2011년]] 3라운드([[한화 이글스]])
         |첫 출장 = [[KBO 리그|KBO]] / [[2011년]] [[4월 2일]] <br /> [[롯데 자이언츠|롯데]]전 대타
         * [[한화 이글스]] (2011년)
         [[광주진흥고등학교|진흥고]] 시절 투수 [[정영일]]과 함께 배터리를 이루며 [[2006년]] [[무등기 전국고교야구대회]]에서 소속 팀을 우승으로 이끄는 등 뛰어난 활약을 보였다.<ref>[http://news.hankooki.com/lpage/sports/200607/h2006073118135122920.htm '野! 한여름 명 승부' 고교지존 가린다]{{깨진 링크|url=http://news.hankooki.com/lpage/sports/200607/h2006073118135122920.htm }} 《한국일보》, 2006년 7월 31일</ref> [[2007년]] [[LG 트윈스]]의 2차 46순위 지명을 받았지만, [[연세대학교]] 체육교육학과에 진학했다.<ref>[http://joynews.inews24.com/php/news_view.php?g_menu=702120&g_serial=484054 프로 꿈꾸는 대학 4년 유망주 - 스카우팅 리포트 포수] 《조이뉴스》, 2010년 4월 1일</ref> [[연세대학교|연세대]] 체육교육학과 재학 시절 장타력을 지닌 포수로 대학 리그에서 뛰어난 활약을 보였고, 세계 대학 야구 선수권 대회에 국가대표 선수로 선출됐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7&oid=001&aid=0002126473 세계 대학야구 선수권 국가대표 확정] 《연합뉴스》, 2008년 6월 12일</ref> [[2011년]]에 [[한화 이글스]]의 3라운드 지명을 받았다.<ref>[http://osen.mt.co.kr/news/view.html?gid=G1008160141 '최대어' 유창식, 한화행 공식 확정…지명률 11%] 《OSEN》, 2010년 8월 16일</ref>
         [[2011년]] 신인 드래프트에서 3라운드 지명을 받은 후, 계약금 9,000만원, 연봉 2,400만원의 조건으로 입단했다.<ref>[http://osen.mt.co.kr/news/view.html?gid=G1009150181 한화, 2011 신인 선수 입단 계약 완료] 《OSEN》, 2010년 9월 15일</ref> [[2011년]] 시즌 후 FA를 선언한 투수 [[송신영]]의 보상 선수로 [[연세대학교]] 체육교육학과 입학 전에 지명을 받았던 [[LG 트윈스]]로 이적하게 됐다.
  • 나영희
         * [[2011년]] [[SBS]] 월화드라마 《[[파라다이스 목장]]》 ... 이복심 역
         * [[2011년]] [[KBS]] 월화 미니시리즈 《[[동안미녀]]》 ... 현 이사 역
         * [[2011년]] [[KBS]] 일일연속극 《[[우리집 여자들]]》 ... 김진숙 역
  • 남경민(배우)
         신장은 166cm이고 체중은 48kg인 그녀는 2009년 6월, '''서지은'''이라는 [[예명]]으로써 [[모델 (직업)|패션 모델]] 첫 [[데뷔]]를 하였고, 2010년 2월에는 [[모바일 게임]] 《[[리듬스타 2|리듬 스타 2]]》의 [[사운드트랙|OST]]에 수록된 [[강철 (1972년)|Rion Project]]의 《Shiny day》의 [[뮤직 비디오]]에 출연하였다. 이 해(2010년) 3월 [[KBS 2TV|KBS]] [[텔레비전 드라마]] 《[[신데렐라 언니]]》에 출연하였고, 2011년 4월 '''남경민'''이라는 예명으로 연기자 활동을 시작하였다. 이후 [[영화]], [[연극]], [[뮤지컬]] 등에 출연하였다.
         * 《[[천일의 약속]]》([[서울방송|SBS]], 2011년)
         * 《[[적과의 동침 (2011년 영화)|적과의 동침]]》(2011년) ... 젊은 여자 역
         * 《마지막 주방 상궁 한희순》([[2011년]]) ... [[김명길 (1894년)|김명길 상궁]] 역(조연)
         * 《마지막 어린 상궁 성옥염》([[2011년]]) ... 홍정순 역
         * 《대한제국 조선 융희양제 이왕 순종》([[2011년]]) ... [[순정효황후]] 역(주연)
         * 《진짜 진짜 좋아해》([[2011년]])
         * 《[[타임 (텔레비전 프로그램)|MBC 창사 50주년 특별기획 - 타임 : 새드 무비를 아시나요?]]》([[문화방송|MBC]], 2011년)
  • 남보라(배우)
         그 후에도 드라마, 영화의 조연 및 [[독립영화]]의 주연으로 꾸준히 출연하며 연기 내공을 쌓았다. 그러나 연예계에서 큰 존재감이 있는 위치는 아니였...으나 2011년 영화 [[써니(영화)|써니]]를 통해 대중들의 주목을 받기 시작했다. 2012년 1월 [[해를 품은 달(드라마)|해를 품은 달]]의 [[민화공주]] 역할로 [[한가인]]과 [[윤승아]]의 뒤를 잇는 [[발연기]]로 실컷 까이다가 막판에 호평을 받으면서 유명 연예인 대열에 합류하였다.
         || [[2011년]] || KBS 2TV || [[영광의 재인]] || 김진주 || ||
         || [[2011년]] || [[써니(영화)|써니]] || 어린 서금옥 ||
         || [[2011년]] || 제19회 대한민국문화연예대상 || 드라마부문 여자 신인상 || ||
  • 남상미(배우)
         || [[2011년]] || [[MBC]] || [[빛과 그림자]] || [[이정혜(빛과 그림자)|이정혜]] || ||
  • 남윤정
         * [[2011년]] [[MBC]] 아침드라마 《[[위험한 여자]]》 ... 남지숙 역
  • 남윤정(탤런트)
         * [[2011년]] [[MBC]] 아침드라마 《[[위험한 여자]]》 ... 남지숙 역
  • 남정미
         * [[2008년]] ~ [[2011년]] : 서울종합예술전문학교 연기예술학부 겸임교수
         * [[2011년]] ~ : 글로벌사이버대학교 방송연예전공 겸임교수
  • 남진(가수)
         [[2011년]] [[9월 12일]], [[추석]] 특집 프로그램 [[나는 트로트 가수다]]에 나와서 1위를 차지했다.
  • 노영국
         * [[2011년]] [[ETN]] 드라마 《[[여제 (드라마)|여제]]》 ... 오명석 의원 역
  • 노영하
         * [[2011년]] 제13기 맥심커피배 본선(대 백성호 패)
  • 노주현
         * [[2011년]] [[SBS]] 주말특별기획 《[[폼나게 살거야]]》 ... 조용팔 역
         * [[2011년]] [[KBS2]] 《[[청춘불패 2]]》
         * [[2011년]] [[KBS1]] 《[[스카우트]]》
         수상 2011년 제23회 인쇄문화의 날 기념식 국무총리 표창
  • 노준형
         * [[2007년]] [[10월 16일]] ~ [[2011년]] [[10월 15일]] : 제9대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총장
         |임기 = [[2007년]] [[10월 16일]] ~ [[2011년]] [[10월 15일]]
  • 노진혁
         |야구 월드컵 = [[2009년 야구 월드컵|2009년 유럽]]<br />[[2011년 야구 월드컵|2011년 파나마]]
         [[광주동성고등학교]] 시절 [[김선빈 (야구 선수)|김선빈]], [[서건창]]과 함께 [[광주광역시|광주]] 3대 유격수로 불리며 기대를 모았지만, 신인 지명을 받지 못하고 [[성균관대학교]]에 진학했다. [[성균관대학교]] 1학년부터 주전 유격수로 출장했고 4학년이었던 [[2011년]]에는 [[대통령기 전국대학야구대회]] [[중앙대학교]]와의 결승전에서 동점 적시타를 쳐 내고 결승 득점을 하며 팀의 우승에 기여해 대회 수훈상을 수상했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7&oid=111&aid=0000244710 성균관대, 681일만에 감격의 우승] - 조이뉴스</ref>
         {{2011년 야구 월드컵 대한민국 선수 명단}}
  • 노현희
         * 《뉴 씨저스패밀리》 ([[2011년]])
  • 늘해랑
         | 활동시기 = [[2011년]] ~ 현재
         * [[2011년]] 오지혜 The First Single Album
  • 도모세
         * [[2011년]] 전국성경고사대회 2등
  • 동후
         * [[2011년]] 한 번만 / 화려한 인생 / 하늘눈물
  • 라미란
         || [[2011년]] || [[아이들…]] || 무당(특별출연) || - ||
         || 2011년 || [[짝패(드라마)|짝패]] || 업득네 ||
  • 라종일 (1940년)
         [[2000년]] [[9월 4일]]에는 1년 계약직 국정원장 외교특보에 임명되었다.<ref>[http://www.yeongnam.com/mnews/newsview.do?mode=newsView&newskey=20000909.00000002.000150&newsType=old 국정원장 외교특보 나종일씨..] 영남일보 2000.09.04</ref> 2004~2007년 [[주일본 대한민국 대사관]] 대사 등을 지냈다. 2007~2011년 [[우석대학교]] 총장. 2011년 [[한양대학교]] 석좌교수가 되었다.
         * [[2011년]] [[한양대학교]] 석좌교수
         [[분류:1940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나주 나씨]][[분류:서울특별시 출신]][[분류:김대중 정부]][[분류:노무현 정부]][[분류:서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동문]][[분류:서울대학교 대학원 동문]][[분류:케임브리지 대학교 동문]][[분류:대한민국의 로마 가톨릭교도]][[분류:경희대학교 교수]][[분류:숭실대학교 교수]][[분류:민주당 (대한민국, 1991년) 당원]][[분류:민주당 (대한민국, 1995년) 당원]][[분류:새정치국민회의]][[분류:새천년민주당 당원]][[분류:민주당 (대한민국, 2007년) 당원]][[분류:대통합민주신당 당원]][[분류:민주당 (대한민국, 2008년) 당원]][[분류:시민통합당 당원]][[분류:민주당 (대한민국, 2011년) 당원]][[분류:대한민국의 정치학자]][[분류:영국 주재 대한민국 대사]][[분류:일본 주재 대한민국 대사]][[분류:대한민국의 국가안전기획부 차장]][[분류:대한민국의 국가정보원 차장]][[분류:통합신당 당원]][[분류:국민의당 당원]]
  • 로티플 스카이
         * [2011년] Manny (매니) (tvN) <small>'''EP5'''</small>
  • 루이 (가수)
         | 활동시기 = [[2011년]] ~ 현재
         [[분류:1990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래퍼]][[분류:대한민국의 남자 래퍼]][[분류:대한민국의 힙합 음악가]][[분류:서울특별시 출신]][[분류:2011년 데뷔]][[분류:서울장평초등학교 동문]][[분류:장평중학교 (서울) 동문]][[분류:동국대학교 사범대학 부속고등학교 동문]][[분류:숭실사이버대학교 동문]]
  • 류덕환(배우)
         ||<|4> [[2011년]] || 검지손가락 || 덕환 || 주연 ||
         || 2011년 || [[신의 퀴즈|신의 퀴즈 시즌 2]] ||
         || 2011년 || RASPBERRY FIELD || 있잖아 ||
          * 2011년 채선당
  • 류시원(배우)
          * [[2011년]] [[일본]] 동북 [[대지진]] 때 고액의 [[기부]]와 [[자원봉사]]를 행했다.
  • 류연철
         '''류연철'''([[1912년]] ~ [[2011년]] [[10월 3일]])는 [[대한민국]]의 [[비전향 장기수]]이다.
  • 류중일
         * [[삼성 라이온즈]] 감독 (2011년 - 2016년)
         [[2006년]]·[[2009년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및 [[2010년 아시안 게임|광저우 아시안 게임]] 국가대표팀 코치로 발탁되어 활동했다. [[1999년]]을 마지막으로 현역에서 은퇴하고 [[2000년]]부터 [[김용희 (야구인)|김용희]], [[김응용]], [[선동열]] 감독 밑에서 코치로 보좌한 후, [[2010년]] [[12월 30일]] [[선동열]]이 경질되자 [[선동열]]의 후임으로 [[2011년]] [[1월 5일]]에 [[삼성 라이온즈]]의 감독으로 취임하였다.<ref>[http://www.imaeil.com/sub_news/sub_news_view.php?news_id=609&yy=2011 류중일 감독 "신인 패기로 KS 우승 데뷔 축포 쏜다" ] - 매일신문</ref> 그가 감독으로 부임하게 되면서 [[삼성 라이온즈]]는 오랜만에 프랜차이즈 스타 출신 감독을 맞이하게 되었다.<ref>최초의 [[삼성 라이온즈|삼성]] 선수 출신 감독은 [[서정환]]이고, 류중일은 [[삼성 라이온즈|삼성]] 출신 선수 중 선수 및 코치로 활동하면서 단 한번의 팀 이동 없이 감독이 된 첫 번째 경우이다.</ref> [[2011년]] 감독 부임 첫 해에 정규 리그 우승과 [[2011년 한국시리즈|한국시리즈]] 우승을 확정지으며, "야구 대통령"을 줄인 '''"야통"'''이라는 별명을 얻게 되고,<ref>[http://sports.chosun.com/news/ntype.htm?id=201109280100191240017032&servicedate=20110927 류중일호, 우승을 가능케 한 키워드 4개] - 스포츠조선</ref> [[대한민국]] 챔피언 자격으로 참가한 [[2011년 아시아 시리즈]]에서 [[일본]] 챔피언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소프트뱅크]]를 꺾고 [[대한민국]] 프로 야구 팀 최초로 [[아시아 시리즈]] 우승을 차지했다.<ref>[http://osen.mt.co.kr/article/G1109325476 '야통' 류중일 감독, 야신도 못한 亞 정상 위업] - OSEN</ref> [[2012년]] 역시 정규 리그 우승과 [[2012년 한국시리즈|한국시리즈]] 우승을 이뤄 냈다. [[2013년]] 정규 리그 우승과 [[2013년 한국시리즈|한국시리즈]] 우승 후 [[2013년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2013 WBC]]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국가대표팀]] 감독으로 발탁되었으나 1라운드에서 탈락하는 수모를 겪었다. [[2013년]] 시즌 후 계약 기간 3년의 조건으로 계약금 6억 원, 연봉 5억 원 등 총액 21억 원에 [[삼성 라이온즈]]와 재계약했다.<ref>[http://sports.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kbo&ctg=news&mod=read&office_id=109&article_id=0002672898 류중일 감독, 3년 재계약…총액 21억원 사상 최고 대우] - OSEN</ref> [[2014년 아시안 게임|2014 인천 아시안게임]]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국가대표팀]] 감독으로 발탁되어 [[2013년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2013 WBC]] 1라운드 탈락의 쓰라림을 딛고 우승을 이뤄냈다. [[2014년]]에 정규 리그 우승과 [[2014년 한국시리즈|한국시리즈]] 우승을 이끌면서 팀의 사상 최초 통합 4연패를 달성하였고, [[2015년]] 역시 정규 리그 우승으로 5년 연속 정규 리그 우승으로 새 역사를 썼지만, [[2015년 KBO 한국시리즈|한국시리즈]]가 개최되기 전, 삼성 투수들의 해외 원정도박 파문으로 인해 [[2015년 KBO 한국시리즈|한국시리즈]] 우승을 [[두산 베어스]]에게 내주고 만다. [[2016년]]에는 [[박석민]], [[야마이코 나바로|나바로]], [[채태인]]을 잃었고, 외국인 선수 농사 실패, 선수들의 줄부상과 부진으로 팀 최초 정규리그 9위에 머물게 되자, [[2016년]] [[10월 15일]] 계약 만료로 [[김한수 (야구인)|김한수]]에게 감독직을 넘기고 기술고문을 맡게 되었다.
         {{삼성 라이온즈 역대 감독|삼성 라이온즈|(2011년 ~ 2016년)}}
         {{2011년 삼성 라이온즈}}
         {{2011년 삼성 라이온즈 아시아 시리즈}}
  • 류지혜 (레이싱모델)
         * 2011년 서울모터쇼 현대자동차 부스 포즈모델
         * [[2011년]] [[XTM]] 남자공감 랭크쇼 M16 진행
  • 류진(배우)
         ||<|2> [[2011년]] || [[KBS]] || [[동안미녀]] || 지승일 || ||
  • 류효영
         류효영은 [[2010년 4월]] 제80회 [[전국춘향선발대회]]에 참가해 춘향 진을 수상했으며 이후 《[[놀라운 대회 스타킹]]》에 동생 [[류화영]] [[유밴드]]과 출연하였고, 이로 인해 김광수 사장의 눈에 띄여 [[류화영]] [[유밴드]]과 함께 코어콘텐츠미디어(현 [[MBK 엔터테인먼트]])에 들어가게 되었다. [[2010년]] [[KBS2]] 드라마 《[[정글피쉬 2]]》에 출연하였고, [[2010년|같은 해]] 혼성 아이돌 그룹 [[남녀공학 (음악 그룹)|남녀공학]]에서 한빛효영이라는 예명으로 데뷔했으며, [[2011년]]부터 [[2015년]]까지 [[남녀공학 (음악 그룹)|남녀공학]]의 여성 유닛 그룹인 [[파이브돌스]]의 멤버로 활동했다. [[파이브돌스]]로 활동하던 [[2011년]]에는 [[MBC]] 드라마 《[[최고의 사랑]]》에 [[파이브돌스]] 맴버들과 함께 출연하였고, [[2012년]] [[KBS2]] 드라마 《[[학교 2013]]》에 이강주 역으로 출연해 호평을 받았으며, [[2015년]]에 [[파이브돌스]]가 해체된 이후부터는 현재 소속사인 비에이엠컴퍼니와 전속계약해 배우로 전향하였다.
  • 리엄 헴스워스
         그는 [[2009년]] [[6월]] [[영화]] 《라스트 송》 촬영하는 동안 상대역 [[마일리 사이러스]]와 데이트를 시작했다. [[2010년]] [[8월]] 두 사람 관계가 끝난 것으로 알렸지만 한 달 후 보도에 따르면 재결합하였고, [[2011년]] 초 다시 결별했고, 그해 [[11월]] 2번째 재결합하였다.<ref>{{웹 인용 |url=http://www.showbizspy.com/article/229653/miley-cyrus-and-liam-hemsworth-back-together-2.html |title=Miley Cyrus and Liam Hemsworth: Back Together? | Showbiz Spy – celebrity news, rumors & gossip |publisher=Showbiz Spy |date=2011-04-01 |accessdate=2011-08-07 |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111125030022/http://showbizspy.com/article/229653/miley-cyrus-and-liam-hemsworth-back-together-2.html |보존날짜=2011-11-25 |깨진링크=예 }}</ref> 이후, [[2012년]] [[6월]] 리엄은 마일리와 약혼을 발표했다.<ref>{{웹 인용|url=http://www.people.com/people/article/0,,20601230,00.html|title=Miley Cyrus, Liam Hemsworth Are Engaged|publisher=People Magazine |date=2012-06-06 |accessdate=2012-06-06}}</ref> [[2013년]] [[9월]] 두 사람은 결별하였지만, 2016년 재결합한 뒤 2018년 12월에 결혼식을 올렸다. 그러나 두 사람은 결혼 8개월 만에 이혼했다.
         * [[2011년]] 《노던 라이츠》
  • 릴보이
         | 활동시기 = [[2011년]] ~ 현재
         [[분류:1991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래퍼]][[분류:대한민국의 남자 래퍼]][[분류:대한민국의 힙합 음악가]][[분류:Show Me The Money 참가자]][[분류:서울특별시 출신]][[분류:2011년 데뷔]][[분류:서울휘경초등학교 동문]] [[분류:동국대학교 사범대학 부속고등학교 동문]] [[분류:숭실사이버대학교 동문]]
  • 마이키
         * [[2011년]]에는 [[터보 (음악 그룹)|터보]] 출신 김종국의 지원사격으로 싱글 ALL FOR YOU 로 다시 컴백하였으나, 이 후 그는 미국에서 보험일을 하며 보험왕에 도전중이었었다.
  • 마일리 사이러스
         마일리는 내슈빌에서 2.0 km2 떨어진 테네시 주의 프랭클린의 농장가에서 자라며 웹스턴 초등학교에 다녔다.<ref>{{뉴스 인용|언어=영어|이름=Baruffi|성=Kathy|url=http://www.nydailynews.com/travel/2008/07/20/2008-07-20_star_treks_trace_miley_cyrus_roots_near_.html|제목=Star Treks: Trace Miley Cyrus' roots near Nashville|출판사=Mortimer Zuckerman|뉴스=[[데일리 뉴스 (뉴욕)|데일리 뉴스]]|날짜=2008년 7월 19일|확인날짜=2010년 5월 30일|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101107080635/http://www.nydailynews.com/travel/2008/07/20/2008-07-20_star_treks_trace_miley_cyrus_roots_near_.html#|보존날짜=2010-11-07|깨진링크=예}}</ref><ref>{{웹 인용|url=http://wcs.edu/InFocus/infocus0708/Issue_10/hannah_montana.htm|title=WCS Teacher Surprises Hannah Montana|publisher=Williamson County Schools|work=Wcs.edu|accessdate=2010년 5월 30일|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110929040533/http://wcs.edu/InFocus/infocus0708/Issue_10/hannah_montana.htm|보존날짜=2011년 9월 29일|깨진링크=예}}</ref>
         2007년 4월 23일부터 2008년 10월 12일까지 《한나 몬타나》의 두 번째 시즌이 방영되었다.<ref>{{웹 인용|url=http://www.tvguide.com/tvshows/hannah-montana/episodes-season-2/278865|title=Hannah Montana Episodes ? Hannah Montana Full Episode Guides from Season 2 on Disney|work=[[TV Guide]]|accessdate=2010-05-30|언어=영어}}</ref> 직후 마일리는 디즈니 소유의 [[할리우드 레코드]]와 계약을 체결했다.<ref>{{웹 인용|url=http://www.contactmusic.com/news-article/cyrus-daughter-signs-record-deal_28_04_2006 |title=Cyrus' Daughter Signs Record Deal |publisher=Contactmusic.com |date= |accessdate=2013-04-29|언어=영어}}</ref> 2007년 6월 26일에는 더블 디스크로 구성된 한나 몬타나 두 번째 시리즈의 첫 사운드트랙이자 사이러스의 데뷔 [[정규 앨범]] ''[[Hannah Montana 2: Meet Miley Cyrus]]''를 발매했다.<ref>{{웹 인용|url=https://itunes.apple.com/us/album/hannah-montana-2-meet-miley/id257915495 |title=iTunes - Music - Hannah Montana 2 - Meet Miley Cyrus by Hannah Montana & Miley Cyrus |publisher=Itunes.apple.com |date=2007-06-27 |accessdate=2013-04-29|언어=영어}}</ref> 앨범은 발매 첫 주 326,000만 장이 팔려 빌보드 200 1위로 데뷔했다.<ref>{{웹 인용|url=http://www.billboard.com/articles/news/1051137/cyrus-sidesteps-clarkson-to-debut-at-no-1 |title=Cyrus Sidesteps Clarkson To Debut At No. 1 |work=Billboard |date=2007-07-04 |accessdate=2013-04-29|언어=영어}}</ref> 이후 300만 장 이상 팔리면서 [[미국 음반 산업 협회]]로부터 트리플 플래티넘 인증을 받았다.<ref name="autogenerated1">{{웹 인용|url=http://www.riaa.com/goldandplatinumdata.php?table=SEARCH_RESULTS&artist=Miley%20Cyrus&format=ALBUM&go=Search&perPage=50 |title=Gold & Platinum Searchable Database - April 29, 2013 |publisher=RIAA|accessdate=2013-08-29|언어=영어}}</ref> 데뷔 싱글 "[[See You Again]]"은 빌보드 핫 100 10위권에 진입하면서 첫 10위권 진입 노래가되었다.<ref>{{웹 인용|url=http://new.music.yahoo.com/blogs/chart_watch/39922/week-ending-july-19-2009-daughtry-makes-idol-history|title=Week Ending July 19, 2009: Daughtry Makes "Idol" History|publisher=Chart Watch|accessdate=2009-07-22|언어=영어}}</ref> 또 RIAA로부터 처음으로 플래티넘 인증을 받은 싱글이다.<ref>{{웹 인용 |url=http://riaa.com/goldandplatinumdata.php?resultpage=1&table=SEARCH_RESULTS&action=&title=&artist=Miley&Cyrus&format=SINGLE&debutLP=&category=&sex=&releaseDate=&requestNo=&type=&level=&label=&company=&certificationDate=&awardDescription=&catalogNo=&aSex=&rec_id=&charField=&gold=&platinum=&multiPlat=&level2=&certDate=&album=&id=&after=&before=&startMonth=1&endMonth=1&startYear=1958&endYear=2009&sort=Artist&perPage=25 |title=Gold & Platinum Searchable Database - April 29, 2013 |publisher=RIAA |date= |accessdate=2013-04-29 |언어=영어 |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140907035818/http://riaa.com/goldandplatinumdata.php?resultpage=1&table=SEARCH_RESULTS&action=&title=&artist=Miley&Cyrus&format=SINGLE&debutLP=&category=&sex=&releaseDate=&requestNo=&type=&level=&label=&company=&certificationDate=&awardDescription=&catalogNo=&aSex=&rec_id=&charField=&gold=&platinum=&multiPlat=&level2=&certDate=&album=&id=&after=&before=&startMonth=1&endMonth=1&startYear=1958&endYear=2009&sort=Artist&perPage=25 |보존날짜=2014-09-07 |깨진링크=예 }}</ref> 이 외에 오스트레일리아, 캐나다에서도 10위권에 진입하면서 성공을 거뒀다.<ref name="billboard1">{{웹 인용|url={{BillboardURLbyName|artist=hannah montana|chart=all}} |title=Hannah Montana - Chart history |work=빌보드 |date= |accessdate=2013-04-29|언어=영어}}</ref><ref>{{웹 인용|author=Steffen Hung |url=http://australian-charts.com/showitem.asp?interpret=Miley+Cyrus&titel=See+You+Again&cat=s |title=Miley Cyrus - See You Again |publisher=australian-charts.com |date= |accessdate=2013-04-29|언어=영어}}</ref> 후속 싱글 "[[Start All Over]]"는 2008년 초에 발매되었고, 빌보드 핫 100 68위에 그치면서 이전보다 덜한 성과를 거뒀다.<ref name="billboard" /><ref name="acharts">{{웹 인용|url=http://acharts.us/song/31413|title=Miley Cyrus - Start All Over - Music Charts|accessdate= 2009년 9월 13일|publisher=aCharts.us}}</ref> 2007년에 앨범의 홍보를 위해 [[Best of Both Worlds Tour]]를 시작했다. [[조나스 브라더스]], [[78바이얼릿]], [[에버라이프]]가 오프닝 게스트로 섰으며, 미국과 캐나다를 순회하는 투어로 2007년 10월 17일부터 2008년 1월 31일까지 진행되었다.<ref>{{웹 인용|last=Nudd |first=Tim |url=http://www.people.com/people/article/0,,20165807,00.html |title=Miley Mania Continues: Cyrus Extends Her Tour |publisher=People.com |date= 2007년 12월 12일 |accessdate= 2010년 8월 27일}}</ref> 티켓은 몇 분에 매진되었다.<ref>{{웹 인용|last=Kaufman|first=Gil|url=http://www.mtv.com/news/articles/1571314/20071005/cyrus__miley.jhtml|title=Hannah Montana Ticket Bonanza Spurs Officials To Investigate Resellers |work=Mtv.com|date= 2007년 10월 8일|accessdate= 2010년 5월 30일}}</ref> [[티켓마스터]]의 말에 따르면 "[[비틀즈]]와 [[엘비스 프레슬리]] 이후로 음악계에서 이런 수준의 수요는 없었다고"한다.<ref>{{뉴스 인용|url=http://www.latimes.com/entertainment/news/music/la-et-montana6oct06,1,2223991.story|title='Hannah Montana' stirs a U.S. tizzy|author=Geoff Boucher and Chris Lee|publisher=[[The Los Angeles Times]]|date= 2007년 10월 6일|accessdate= 2007년 10월 7일}}{{깨진 링크|date=August 2010}}</ref> 2008년 1월 투어가 끝나고나서 2월 1일 [[월트 디즈니 픽처스]]는 일주일동안 투어 실황을 담은 3D 콘서트 영화 《[[한나 몬타나 & 마일리 사이러스: 베스트 오브 보스 월드 콘서트]]》를 개봉했다. 영화는 3,100만 달러의 수익을 거둬들였다.<ref>{{웹 인용|url=http://www.boxofficemojo.com/movies/?id=hannahmontanaconcert.htm |title=Hannah Montana/Miley Cyrus: Best of Both Worlds Concert Tour (2008) |publisher=Box Office Mojo |date= |accessdate= 2011년 8월 7일}}</ref> [[Hannah Montana & Miley Cyrus: Best of Both Worlds Concert|영화의 사운드트랙]]은 2008년 3월 11일 월트 디즈니 레코드와 할리우드 레코드를 통해 발매되었고, 빌보드 200 3위로 데뷔했다.<ref>{{웹 인용|work=[[Billboard.com]]|title=Artist Chart History ? Miley Cyrus|publisher=[[Nielsen Company]]|year=2008|url={{BillboardURLbyName|artist=hannah montana|chart=all}}|accessdate= 2008년 12월 18일}}{{깨진 링크|date=June 2010|bot=DASHBot}}</ref>
         2008년 2월 마일리와 친구 맨디 지루스와 [[유튜브]]에 ''The Miley and Mandy Show''라고 하는 비디오를 올렸는데, 유튜브에서 많은 인기를 얻었고 이 둘은 재미를 위해서 촬영한 동영상이라고한다.<ref>{{웹 인용|last=Tan|first=Michelle|title=Behind the Scenes of Miley Cyrus' YouTube Hit|work=People.com|date= 2008년 3월 8일|url=http://www.people.com/people/article/0,,20183035,00.html|accessdate= 2009년 8월 21일}}</ref> 2008년 5월에는 마일리의 연기 경력에 있어서 지원이 더 필요하다고 판단해 유나이티드 탤런트 에이전시와 계약을 맺었다.<ref name="hollywoodreporter">{{뉴스 인용|last=Swertlow|first=Frank|url=http://www.hollywoodreporter.com/hr/content_display/film/news/e3ifc258f6318477ab07a346c93c847b2ab?pn=1|title=Showbiz Kids|work=The Hollywood Reporter|publisher=Global Media|date= 2009년 10월 26일|accessdate= 2010년 6월 1일}} {{깨진 링크|date=October 2010|bot=H3llBot}}</ref><ref>{{웹 인용|last=Borys|first=Kit|url=http://www.backstage.com/bso/esearch/article_display.jsp?vnu_content_id=1003798813|title=Miley Cyrus' agent moves to UTA|work=[[The Hollywood Reporter]]|date=2008년 5월 4일|accessdate=2011년 1월 19일|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120121160923/http://www.backstage.com/bso/esearch/article_display.jsp?vnu_content_id=1003798813|보존날짜=2012년 1월 21일|깨진링크=예}}</ref> 2008년 4월에는 10대 해커가 마일리의 [[G메일]] 계정을 해킹하면서 속옷과 수영복 착용 사진이 유출되었다.<ref>{{뉴스 인용|url=http://articles.latimes.com/2008/apr/25/business/fi-disney25|title=Cyrus photos may taint image|work=[[로스앤젤레스 타임스]]|accessdate= 2010년 5월 28일|author=Chmielewski, Dawn C. | date= 2008년 4월 25일}}</ref><ref>{{웹 인용|author=Davies, Shawn|url=http://news.ninemsn.com.au/article.aspx?id=595152|title=Hacker leaks racy Miley Cyrus pics|work=[[ninemsn]]|accessdate=2010년 5월 29일|date=2008년 7월 14일|archiveurl=https://archive.today/20120703152720/http://news.ninemsn.com.au/article.aspx?id=595152|archivedate=2012년 7월 3일|깨진링크=예}}</ref><ref>{{뉴스 인용|url=http://a.abcnews.com/TheLaw/Technology/Story?id=6948781&page=1|title=Hacker Claims He Used Celeb E-mail, MySpace Accounts to Send Spam|확인날짜=2013-10-10|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130818162209/http://a.abcnews.com/TheLaw/Technology/Story?id=6948781&page=1|보존날짜=2013-08-18|깨진링크=예}}</ref><ref>{{뉴스 인용|url=http://www.wired.com/threatlevel/2009/02/miley-cyrus-hac-2|title=Miley Cyrus Hacker Raided by FBI|work=[[Wired News]]|accessdate= 2010년 5월 29일|author=Zetter, Kim|date= 2009년 2월 23일}}</ref> 마일리는 2008년 《타임》에서 선정한 [[타임 100]]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인물 100인 중 한 명으로 올랐다. 목록에서 이전 어린이 스타 [[도니 오즈몬드]]는 "세계를 넘은 15살의 아이돌 가수이자 배우 마일리 사이러스는 자신 커리어의 정점에서 거대한 해일에 올라탔다. 이것은 훌륭하며 사이러스가 그것을 즐기길 바란다. 3~5년이 지나면 마일리는 성인이 되어야한다. 그때가 되면 이미지를 바꾸고 싶어 할 것인데, 그 과정에서 역경과 직면 할 것이다"라고 소개했다.<ref>{{뉴스 인용|authorlink=Donny Osmond|last=Osmond|first=Donny|url=http://www.time.com/time/specials/2007/article/0,28804,1733748_1733752_1734628,00.html#ixzz0pT6GawvW|title=Miley Cyrus ? The 2008 TIME 100|work=[[타임 (잡지)|Time]]|date= 2009년 4월 30일|accessdate= 2010년 6월 4일}}</ref> 또 2009년 《빌보드》에서 가장 많이 음반을 판매한 여자 가수 4위에 올랐고,<ref>{{웹 인용|url=http://www.billboard.com/articles/news/266426/taylor-swift-kanye-west-named-top-female-and-male-artists-of-2009|title=Taylor Swift, Kanye West Named Top Female and Male Artists of 2009|work=Billboard.com|date= 2009년 9월 14일|accessdate= 2010년 3월 8일}}</ref> 가수 전체에서는 5위에 해당한다.<ref>{{웹 인용|url=http://www.billboard.com/articles/news/266432/2009-artists-of-the-year|title=2009 Artists Of The Year|publisher=[[빌보드|Billboard]]|date=2009년 12월 10일|accessdate=2010년 6월 4일|보존url=https://www.webcitation.org/5mW9hgHyq?url=http://www.billboard.com/|보존날짜=2010년 1월 4일|깨진링크=예}}</ref> 16살인 2009년 사이러스는 빌보드 200 1위 앨범을 네 장이나 보유한 가장 젊은 아티스트였다.<ref>{{웹 인용|url=http://www.nbc.com/news/2011/02/28/snl-roars-into-march-with-host-miley-cyrus-and-musical-guest-the-strokes-on-march-5/|title=SNL Roars Into March with Host Miley Cyrus and Musical Guest the Strokes on March 5|date= 2011년 2월 28일|publisher=[[NBCUniversal]]|accessdate= 2011년 4월 4일}}</ref> 2008년 7월 22일 사이러스의 두 번째 정규 앨범 ''[[Breakout]]''이 발매되었다.<ref name="billboard">{{웹 인용|url=http://www.billboard.com/articles/news/1044960/exclusive-miley-cyrus-grows-up-on-breakout|title=Miley Cyrus grows up on 'Breakout'|work=[[Billboard.com]]|publisher=[[Nielsen Company]]|author=Cortney Harding|date= 2008년 6월 27일|accessdate= 2008년 6월 27일}}</ref> 앨범에 실린 12곡은 사이러스가 공동 작업으로 참여했다.<ref name="billboard"/> ''Breakout''은 발매 첫 주 371,000만 장을 팔아 빌보드 200 1위로 데뷔했다.<ref>{{웹 인용|url=http://www.billboard.com/articles/news/1044636/miley-trumps-sugarland-to-lead-billboard-200|title=Miley Trumps Sugarland to Lead Billboard 200|author=Caulfield, Keith|author2=Katie Hasty|date= 2008년 7월 31일|publisher=Billboard|accessdate= 2010년 2월 14일}}</ref> 앨범은 100만 장 이상 팔리며 플래티넘 인증을 받았다.<ref name="autogenerated1"/> ''Breakout'' 발매에 앞서 리드 싱글 "[[7 Things]]"는 핫 100 10위권에 진입하며 10위권에 진입한 두 번째 노래가 되었다.<ref name="acharts_2">{{웹 인용|url=http://acharts.us/song/36150|title=7 Things|work=aCharts.us|accessdate= 2008년 6월 26일}}</ref><ref>{{웹 인용|url=http://www.people.com/people/article/0,,20199628,00.html?xid=rss-topheadlines|title=Miley Cyrus debuts her new single|work=[[People (magazine)|People.com]]|publisher=[[Time Inc.]]|date= 2008년 5월 13일|accessdate= 2008년 5월 13일}}</ref> 두 번째 싱글 "[[Fly on the Wall]]"은 핫 100 84위로, 리드 싱글보다 못한 성적을 보였다.<ref>{{웹 인용|url={{BillboardURLbyName|artist=miley cyrus|chart=Hot 100}} |archiveurl=http://web.archive.org/web/20080822150806/http://www.billboard.com/artist/311278/miley+cyrus/chart?f=379 |archivedate= 2008년 8월 22일 |title=Miley Cyrus - Chart history | Billboard |publisher=Web.archive.org |date= |accessdate= 2013년 4월 29일}}</ref> 그러나 영국에서는 16위까지 올라갔다.<ref name="chartarchive1"/> 2008년 4월에는 아빠와 함께 CMT 뮤직 어워드 진행자로 나섰고,<ref>[http://www.cmt.com/news/country-music/1582299/billy-ray-cyrus-and-miley-cyrus-to-host-cmt-music-awards.jhtml "Billy Ray Cyrus and Miley Cyrus to Host CMT Music Awards"] at CMT.com. Retrieved March 6, 2008.</ref> 8월에는 혼자서 [[틴 초이스 어워드]] 진행을 맡았다.<ref>{{뉴스 인용|url=http://www.foxnews.com/story/0,2933,395884,00.html|title=Miley Cyrus to Host Sunday's Teen Choice Awards ? Celebrity Gossip | Entertainment News | Arts And Entertainment|work=[[Fox News Channel]]|publisher=[[News Corporation]]|date=2008년 8월 1일|accessdate=2010년 6월 4일|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100602194039/http://www.foxnews.com/story/0,2933,395884,00.html#|보존날짜=2010-06-02|깨진링크=예}}</ref> 같은 해 《[[볼트 (2008년 영화)|볼트]]》에서 페니 성우 역을 맡았고, 이 영화는 비평가들의 호평을 받으며 2008년 11월 21일 개봉되었다.<ref>{{웹 인용|url=http://www.rottentomatoes.com/m/bolt|title=Bolt Movie Reviews, Pictures|publisher=[[Rotten Tomatoes]]|accessdate=November 23, 2008}}</ref> [[존 트라볼타]]와 함께 부른 영화의 사운드트랙 "[[I Thought I Lost You]]"는 [[골든 글로브]] 후보로 오르기도했다.<ref>{{웹 인용|accessdate= 2008년 12월 11일|url=http://www.people.com/people/article/0,,20245120_2,00.html|title=Angelina Jolie, Brad Pitt Score Golden Globe Nods|publisher=[[People (magazine)|People]]|author=Silverman, Stephen|date= 2008년 12월 11일}}</ref>
         2009년 마일리는 《[[한나 몬타나: 더 무비]]》에 출연했다. 12곡이 수록된 사운드트랙<ref>{{웹 인용|url={{올뮤직|class=album|id=r1479519|pure_url=yes}}|work=[[Allmusic]]|publisher=[[Macrovision Corporation]]|accessdate= 2009년 10월 8일|title=Hannah Montana: The Movie [Soundtrack]> Review|first=Heather|last=Phares}}</ref> 과 영화 모두 상업적 성공을 거뒀다.<ref>{{뉴스 인용|url=http://goldderby.latimes.com/awards_goldderby/2009/04/hannah-montana-the-movie-miley-cyrus-news-36285-.html|title='Hannah Montana: The Movie' bolsters Miley Cyrus' Oscar dreams|work=[[The Los Angeles Times]]|date= 2009년 4월 2일|accessdate= 2010년 6월 4일}}</ref><ref>{{뉴스 인용|first=Keith|last=Caulfield|title='Hannah Montana' Takes Top Spot On Billboard 200|url=http://www.billboard.com/articles/news/268841/hannah-montana-takes-top-spot-on-billboard-200|work=Billboard|publisher=Nielsen Business Media, Inc|date= 2009년 4월 22일|accessdate= 2009년 10월 9일}}</ref> 사운드트랙의 리드 싱글 "[[The Climb]]"은 12개 국가에서 40위권에 진입했고<ref>{{웹 인용|url=http://acharts.us/song/42195|title=Miley Cyrus ? The Climb ? Music Charts|work=aCharts.us|accessdate= 2009년 10월 9일}}</ref> 전형적인 틴 팝 팬들 뿐 아니라 일반 대중 팬들도 끌어들였다.<ref>{{웹 인용|url=http://kidsmusic.about.com/od/musicreviews/fr/hmmovie.htm|title=Miley Cyrus ? Hannah Montana: The Movie Soundtrack|work=[[About.com]]|first=Warren|last=Truitt|accessdate= 2009년 10월 8일|publisher=[[The New York Times Company]]}}</ref> 2009년 6월 5일 《한나 몬타나》 세 번째 시리즈 제작을 끝내고나서 하차를 고려했으나,<ref>{{웹 인용|author=Ryan, Joal|url=http://www.eonline.com/uberblog/b126865_hannah_montana_staying_jonas_moving.html|title=Hannah Montana Staying, Jonas Moving|publisher=[[E!]]|date= 2009년 6월 1일|accessdate= 2010년 6월 4일}}</ref> 몇가지 조건을 추가하고 네 번째 시리즈를 제작하기로 했다.<ref>{{웹 인용|author=Rice, Lynette|url=http://news-briefs.ew.com/2009/06/13/miley-cyrus-season-four-was-her-choice-dad-insists/|title=Miley Cyrus: Season 4 was her choice, dad insists|publisher=[[Entertainment Weekly]]|date= 2009년 6월 13일|accessdate= 2010년 6월 4일}}</ref> 2009년 9월 항암제 캠페인 Stand Up to Cancer를 지원하는 자선 싱글 "[[Just Stand Up!]]"과<ref>{{뉴스 인용|author=Tim Saunders|title=Female Stars Unite For New Charity Single|work=looktothestars.org|date= 2008년 8월 20일|url=http://www.looktothestars.org/news/1142-female-stars-unite-for-new-charity-single|accessdate= 2008년 12월 14일}}</ref> 암 연구와 훈련 프로그램을 지원하는 자선 콘서트 City of Hope에 참여했다.<ref>{{웹 인용|url=http://www.cityofhope.org/about/publications/news/Pages/walt-disney-company-presenting-miley-cyrus-jonas-brothers-demi-lovato-in-a-special-concert-to-benefit-city-of-hope-sept-14.aspx|title=The Walt Disney Company is presenting Miley Cyrus, Jonas Brothers and Demi Lovato in a special concert to benefit City of Hope on September 14|date=2008년 8월 11일|publisher=[[City of Hope National Medical Center]]|accessdate=2010년 6월 4일|format=[[Microsoft Word|DOC]]|archiveurl=https://archive.today/20120524134932/http://www.cityofhope.org/about/publications/news/Pages/walt-disney-company-presenting-miley-cyrus-jonas-brothers-demi-lovato-in-a-special-concert-to-benefit-city-of-hope-sept-14.aspx|archivedate=2012년 5월 24일|깨진링크=아니오}}</ref> 또한 환경 운동 단체 디즈니 프랜즈 포 체인지의 일환으로 다른 디즈니 채널 스타들과 함께 자선 싱글 "[[Send It On]]" 녹음에 참여했다.<ref>{{웹 인용|url=http://www.disneychannelmedianet.com/DNR/2009/doc/Send_It_On_Disneys_Friends_for_Change%20_081909.doc|title="Send It On," an Anthem by the World's biggest Teen Stars, Miley Cyrus, Jonas Brothers, Selena Gomez and Demi Lovato, for Disney's "Friends for Change: Project Green," Will Debut on Radio Disney, Disney Channel, Disney.com and iTunes|date=2009년 8월 6일|publisher=[[Disney Channel]]|accessdate=2009년 8월 20일|format=[[Microsoft Word|DOC]]|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110511155245/http://www.disneychannelmedianet.com/DNR/2009/doc/Send_It_On_Disneys_Friends_for_Change%20_081909.doc|보존날짜=2011년 5월 11일|깨진링크=예}}</ref> 그런 후 [[Hannah Montana 3|세 번째 한나 몬타나 사운드트랙]]을 발매해 첫 주 137,000만 장을 팔아 빌보드 200 2위로 데뷔했다.<ref>{{웹 인용|url=http://content.usatoday.com/communities/idolchatter/post/2009/07/68494541/1#.UXwbhMrNS1c |title=What's Hannah Montana doing in the American Idol sales report? |publisher=Content.usatoday.com |date= 2009년 7월 15일 |accessdate= 2013년 4월 29일}}</ref> 이 앨범은 전의 앨범에 비해 훨씬 낮은 첫 주 판매량을 기록했으며 마일리의 앨범 중 최초로 RIAA 인증을 받지 못했다. 그러나 싱글 "[[He Could Be the One]]"은 핫 100 10위권에 진입했다.<ref name="billboard1" /> 2009년 3월 16살이 되는 지금까지의 삶을 책으로 담은 ''[[Miles to Go]]''를 힐러리 리프틴과 공동으로 출간했다.<ref>{{뉴스 인용|first=Hillel|last=Italie|title=Miley Cyrus becomes author with upcoming memoir|work=[[Seattle Times]]/[[Associated Press]]|date= 2009년 2월 23일|accessdate= 2009년 3월 24일|url=http://seattletimes.nwsource.com/html/books/2008767856_zboo23miley.html}}</ref>
         2008년 말부터 마일리는 이전보다 성숙해진 이미지를 추구하기 시작했다. 노벨 수상자 [[니콜라스 스파크스]]와 제프 반 위가 공동으로 만들어낸 영화 《[[라스트 송]]》에 출연한다.<ref name="valong">{{뉴스 인용|last=Fleming|first=Michael|title=Miley Cyrus to star in Disney film|work=[[Variety (magazine)|Variety]]|publisher=[[Reed Business Information]]|date=2008년 9월 16일|url=http://www.variety.com/article/VR1117992306.html?categoryid=1236&cs=1|accessdate=2009년 6월 18일|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090628170912/http://www.variety.com/article/VR1117992306.html?categoryid=1236&cs=1|archivedate=2009년 6월 28일|깨진링크=예}}</ref> 마일리는 가수로써 맞는 배역은 아니였다며 다음과 같이 말했다: "나는 또 다른 영화에서 가수가 되고싶지 않다. 더 이상 원하지도 않는다. 사람들은 내가 얼마나 많은 음악 쇼들을 했는지 모를 것이다. 난 좀 더 진지하고 심각한 역할을 맡고싶다."<ref>{{웹 인용|author=Dawson, Angela|url=http://www.philly.com/philly/entertainment/20100329_Miley_s__Last_Song_.html#ixzz0pTWj2FuO|title=Miley's {{'}}Last Song{{'}}|work=[[The Philadelphia Inquirer]]|date=2010년 3월 29일|accessdate=2010년 6월 4일|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100505020634/http://www.philly.com/philly/entertainment/20100329_Miley_s__Last_Song_.html#ixzz0pTWj2FuO|보존날짜=2010년 5월 5일|깨진링크=예}} </ref> 《라스트 송》 제작은 2009년 6월 15일부터 8월 18일까지 진행되었다.<ref>{{웹 인용|last=Mach|first=Tuquyen|title=Filming for New Miley Cyrus Movie Starts Monday|work=[[WSAV-TV]]|publisher=[[Media General]]|date=2009년 6월 8일|url=http://www.wsav.com/sav/news/local/article/filming_for_new_miley_cyrus_movie_starts_monday/13251|accessdate=2009년 6월 18일|archiveurl=https://archive.today/20130105080502/http://www2.wsav.com/news/2009/jun/09/filming_for_new_miley_cyrus_movie_starts_monday-ar-131349/|archivedate=2013년 1월 5일|깨진링크=예}}</ref> 2010년 3월 31일 《라스트 송》이 개봉되었고, 대부분 평론가들은 마일리의 연기력에 부정적인 평가를 했다.<ref>{{웹 인용|url=http://www.metacritic.com/film/titles/lastsong?q=the%20last%20song|title=Last Song, the reviews at Metacritic.com|publisher=Metacritic.com|accessdate= 2010년 6월 4일}}</ref> 연기력에서는 비판을 받았을지라도 세계적으로 박스오피스 8,800만 달러의 수익을 거두면서 상업적인 성공을 했다.<ref>{{웹 인용|url=http://www.boxofficemojo.com/movies/?id=lastsong.htm|title=The Last Song (2010)-Box Office Mojo|accessdate=2010년 5월 27일|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100528063755/http://www.boxofficemojo.com/movies/?id=lastsong.htm|archivedate=2010년 5월 28일|deadurl=예}}</ref> 박스오피스 분석기관 이그지비터 릴레이션스는 "영화의 흥행 요인은 마일리의 성숙한 역할"이라고 분석했다.<ref>{{웹 인용|author=Bible, Karie|url=http://www.ercboxoffice.com/index.php?section=news&subsection=show_news_details&news_id=283|title=Box Office Obits|publisher=Exhibitor Relations Co. Inc.|date= 2010년 5월 12일|accessdate= 2010년 6월 4일}}</ref> 영화 작업을 끝내기 전 마일리는 그동안 9달 동안 사귀어왔던 모델 [[저스틴 가스톤]]과 헤어졌고,<ref>{{웹 인용|last=Heldman|first=Breanne L.|title=Miley Cyrus and Justin Gaston are Totally Dunzo|work=Eonline.com|date= 2009년 6월 9일|url=http://www.eonline.com/uberblog/b128212_miley_cyrus_justin_gaston_are_totally.html|accessdate= 2009년 8월 21일}}</ref> 오스트레일리아 출신의 배우 [[리엄 헴스워스]]와 영화 촬영 중에 연인관계로 발전했다.<ref>{{웹 인용|url=http://www.mtv.com/news/articles/1634665/20100325/cyrus__miley.jhtml|title=Miley Cyrus Discusses Her Chemistry With Liam Hemsworth On 'Ellen'|publisher=MTV|work=[[MTV News]]|date= 2010년 3월 25일|accessdate= 2010년 3월 25일}}</ref> 이후 "처음으로 진지하게 만나는 남자친구"라고 소개했다.<ref>{{웹 인용|url=http://www.accesshollywood.com/miley-cyrus-on-the-end-of-hannah-montana-and-her-first-serious-boyfriend_article_30260|title=Miley Cyrus On The End Of 'Hannah Montana' & Her 'First Serious Boyfriend'|work=[[Access Hollywood]]|date= 2010년 3월 17일|accessdate= 2010년 6월 4일}}</ref> 영화가 개봉되고 나서는 결별을 선언했으나,<ref>{{웹 인용|url=http://www.usmagazine.com/celebritynews/news/miley-cyrus-liam-hemsworth-split-2010258|title=Miley Cyrus, Liam Hemsworth Split|work=[[US Magazine]]|date= 2010년 8월 25일|accessdate= 2010년 8월 25일}}</ref> though they later reconciled.<ref>{{웹 인용|url=http://www.people.com/people/article/0,,20425223,00.html|title=Miley Cyrus & Liam Hemsworth Are Back Together|work=[[People Magazine]]|date= 2010년 9월 12일|accessdate= 2010년 9월 12일}}</ref> 《한나 몬타나》 마지막 시즌을 촬영하고 있을 시기 다시 재결합을 했다.<ref>{{웹 인용|author=Alwill, Cara|url=http://hollywoodcrush.mtv.com/2010/01/08/hannah-montana-series-will-end-after-a-fourth-season/|title='Hannah Montana' Series Will End After A Fourth Season|publisher=MTV|date= 2010년 1월 8일|accessdate= 2010년 6월 4일}}</ref> 마지막 시즌은 디즈니 채널에서 2010년 7월 11일부터 2011년 1월 16일까지 방영되고 끝났다.<ref>{{웹 인용|url=http://www.disneychannelmedianet.com/DNR/2010/doc/HMA_011510.doc|title=Hannah Montana Season 4|publisher=Disney Channel Media Net|date=2010년 1월 15일|accessdate=November 3, 2010|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130819000624/http://www.disneychannelmedianet.com/DNR/2010/doc/HMA_011510.doc#|보존날짜=2013-08-19|깨진링크=예}}</ref>
         이러한 배우 활동을 하던 중 마일리는 세 번째 정규 앨범 ''[[Can't Be Tamed]]'' 녹음을 진행하고 있었고, [[2010년 아이티 지진]]을 후원하기 위한 자선 싱글 "[[We Are the World: 25 for Haiti]]"와 "[[Everybody Hurts]]"에 참여했다.<ref>{{뉴스 인용|url=http://www.usatoday.com/life/music/news/2010-02-02-we-are-the-world-list_N.htm|title=Complete list of 'We Are the World' artists|date= 2010년 2월 2일|work=[[USA Today|USAToday.com]]|publisher=Gannett Co. Inc|accessdate= 2010년 2월 17일|first=Edna|last=Gundersen}}</ref><ref>{{웹 인용|url=http://music-mix.ew.com/2010/02/02/simon-cowell-haiti-song-everybody-hurts/|title=Hear Simon Cowell's Haiti benefit single, 'Everybody Hurts': Miley, Mariah, Susan Boyle, and more sing the R.E.M. classic|accessdate= 2010년 2월 7일|publisher=ew.com}}</ref> 세 번째 정규 앨범은 할리우드 레코드에서 발매하는 마지막 앨범으로 2010년 6월 21일 발매되었다.<ref>{{웹 인용|url=https://itunes.apple.com/us/album/cant-be-tamed/id375866638 |title=iTunes - Music - Can't Be Tamed by Miley Cyrus |publisher=Itunes.apple.com |date= 2010년 6월 21일 |accessdate= 2013년 4월 29일}}</ref> 앨범은 발매 첫 주 106,000만 장을 팔면서 빌보드 200 3위로 데뷔했는데, 지금까지 정규 앨범중 가장 낮은 첫 주 판매량을 기록함녀서 처음으로 빌보드 200 1위를 놓치게 되었다. 또 미국에서 총 판매량 343,000만 장을 기록해 RIAA 인증을 받지 못했다.<ref>{{웹 인용|url=http://www.mstarz.com/articles/9365/20130306/miley-cyrus-breaks-up-twitter-signs-britney-spears-manager-larry.htm |title=Miley Cyrus Breaks Up from Twitter and Signs with Britney Spears Manager; Can Larry Rudolph Orchestrate Another Comeback? : News |publisher=Mstarz |date= 2013년 3월 6일 |accessdate= 2013년 4월 29일}}</ref> 리드 싱글 "[[Can't Be Tamed]]"은 2010년 5월 18일 발매했고 빌보드 핫 100 최고 8위까지 올랐다.<ref>{{웹 인용|first=Silvio|last=Pietroluongo|title=Usher's 'OMG' Stands Pat Atop Hot 100, Miley Tames Top 10|url=http://www.billboard.com/articles/news/958016/ushers-omg-stands-pat-atop-hot-100-miley-tames-top-10|publisher=Nielsen Business Media, Inc|work=Billboard|date= 2010년 5월 27일|accessdate= 2010년 5월 28일}}</ref> 두 번째 싱글이자 앨범의 마지막 싱글 "[[Who Owns My Heart]]"는 유럽 국가에서만 발매되었다.<ref>{{웹 인용|url=http://www.amazon.de/dp/B00410C1OS|title=Who Owns My Heart: Miley Cyrus: Amazon.de: Musik|work=''Amazon.de''|publisher=[[Amazon.com]]|accessdate= 2010년 10월 15일}}</ref><ref>{{웹 인용|url=https://www.amazon.com/dp/B00410C1OS|title=Amazon.com: Who Owns My Heart (2-Track): Miley Cyrus: Amazon.com: Music|publisher=Amazon.com|accessdate= 2010년 10월 15일}}</ref> 2011년 2월 사이러스는 [[Gypsy Heart Tour]]를 시작한다고 발표했다.<ref>{{웹 인용|url=http://www.cambio.com/news/miley-cyrus-is-heading-back-to-music |title=Miley Cyrus Back to Music |publisher=Cambio.com |date= 2011년 2월 14일 |accessdate= 2011년 8월 7일}}</ref> 투어는 총 21회로 이루어져 2011년 4월 29일 시작해 7월 2일 끝냈다. 사이러스는 이번 활동을 하면서 이전보다 자극적이고 선정적인 의상과 안무를 선보여 대중들로부터 비판을 받았다.<ref>{{웹 인용|author=5/7/10 |url=http://www.mtv.com/news/articles/1640765/20100604/cyrus__miley.jhtml |title=Miley Cyrus (Sorta) Kisses A Girl On 'Britain's Got Talent'|publisher=MTV |date= 2010년 6월 4일 |accessdate=November 1, 2011}}</ref>
         ''Can't Be Tamed'' 발매한 이후 마일리는 배우로서 활동에 더 집중하기위해 가수 활동은 잠시 접었다.<ref>{{웹 인용|url=http://www.pasadenastarnews.com/ci_14773276|title=Miley Cyrus ready to sing a new tune|publisher=Pasadena Star-News|date=2010년 3월 28일|accessdate=2010년 4월 3일|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100330192550/http://www.pasadenastarnews.com/ci_14773276|archivedate=2010년 3월 30일|깨진링크=예}}</ref> 또 연예인 활동을 위해 대학은 갈 수 없다고 말하며 지금 이자리를 지키고 즐기고 싶다고 말했다.<ref>{{뉴스 인용|url=http://marquee.blogs.cnn.com/2010/05/25/miley-cyrus-nothing-i-do-is-for-shock-value|title=Miley Cyrus: Nothing I do is for shock value|work=Marquee.blogs.cnn.com|date= 2010년 5월 25일|accessdate= 2010년 5월 27일}}</ref><ref>{{뉴스 인용|url=http://voices.washingtonpost.com/celebritology/2010/05/miley_cyrus_opts_out_of_colleg.html|title=Miley Cyrus opts out of college|work=Voices.washingtonpost.com|date= 2010년 5월 25일|accessdate= 2010년 5월 27일}}</ref><ref>{{웹 인용|url=http://thebertshow.com/2010/05/24/miley-cyrus-joins-the-bert-show|title=Miley Cyrus Joins The Bert Show!|work=Thebertshow.com|date=2010년 5월 24일|accessdate=2010년 5월 27일|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100527091502/http://thebertshow.com/2010/05/24/miley-cyrus-joins-the-bert-show/|보존날짜=2010년 5월 27일|깨진링크=예}}</ref> 2011년 3월 5일 마일리는 《[[섀터데이 나이트 라이브]]》의 호스트로 출연했다. 평론가들은 에피소드가 꽤 재미있었다며 대체로 긍정적인 평가를 했다.<ref>[http://www.people.com/people/article/0,,20465513,00.html "Miley Cyrus to Host SNL"], ''[[People magazine|People]]'', February 11, 2011</ref><ref>[http://www.huffingtonpost.com/2011/02/11/miley-cyrus-hosting-snl-march-5_n_821851.html "Miley Cyrus Hosting 'SNL' March 5th"] {{웨이백|url=http://www.huffingtonpost.com/2011/02/11/miley-cyrus-hosting-snl-march-5_n_821851.html |date=20110213034027 }}, ''[[The Huffington Post]]'', February 11, 2011</ref><ref>{{웹 인용|last=McGee |first=Ryan |url=http://www.hitfix.com/blogs/monkeys-as-critics/posts/recap-saturday-night-live-miley-cyrus-and-the-strokes#~ojw2g1z3oxbKRa |title=Recap: Saturday Night Live - Miley Cyrus and The Strokes |publisher=Hitfix.com |date=2011-03-06 |accessdate=2013-10-07}}</ref><ref>{{웹 인용|last=Strecker |first=Erin |url=http://watching-tv.ew.com/2011/03/06/saturday-night-live-miley-cyrus-strokes/ |title='Saturday Night Live' review: Miley Cyrus and a show better than 'pretty cool': It was pretty funny | Ken Tucker's TV | EW.com |publisher=Watching-tv.ew.com |date=2011-03-06 |accessdate=2013-10-07}}</ref> 이후 [[MTV]]의 《[[펑크드]]》에 [[켈리 오스본]], [[클로에 카다시안]]과 함께 출연했다.<ref>{{웹 인용|last=Kaufman |first=Gil |url=http://www.mtv.com/news/articles/1678777/punkd-premiere-justin-bieber-miley-cyrus.jhtml |title='Punk'd' Taps Justin Bieber, Miley Cyrus For Comeback ? Music, Celebrity, Artist News |publisher=MTV |date= 2012년 2월 8일 |accessdate= 2012년 2월 13일}}</ref><ref>{{웹 인용|url=http://www.eonline.com/news/How_Did_Khlo_eacute__Kardashian_Odom_Get_Punk_d_by_Miley_Cyrus___Hint__It_s_Pretty_Gross_/283585 |title=How Did Khloe Kardashian Odom Get Punk'd by Miley Cyrus? (Hint: It's Pretty Gross) |publisher=E! Online |date= 2012년 1월 3일 |accessdate= 2012년 2월 13일}}</ref> 2012년 마일리는 [[데미 무어]]와 함께 영화 《LOL》에 출연했다.<ref>https://www.imdb.com/title/tt1592873/</ref> 영화에서 롤라 역을 맡았는데,<ref>{{웹 인용|url=http://abcnews.go.com/Entertainment/wireStory?id=10201600|title=Miley, Less Smiley, Grows up and Into Film Career ? ABC News|work=Abcnews.go.com|date=2010년 3월 25일|accessdate=2010년 4월 3일|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100329204134/http://abcnews.go.com/Entertainment/wireStory?id=10201600|보존날짜=2010년 3월 29일|깨진링크=예}}</ref> 내용은 10대 소녀의 술, 마약, 성적경험 등에 대한 이야기이다.<ref>{{뉴스 인용| url=http://www.huffingtonpost.com/2010/08/23/miley-cyrus-new-movie-lol_n_691488.html | title=Miley Cyrus' New Movie 'LOL': Virginity Loss, Pot Smoking, Lesbian Kisses | work=Huffington Post|date= 2010년 8월 23일 | accessdate= 2010년 12월 21일 | first=Katy | last=Hall}}</ref> 개봉은 몇몇 지역에서만 이루어졌고 대중성, 작품성 모두 인정받지 못했다.<ref>{{웹 인용|url=http://www.rottentomatoes.com/m/lol_2011/ |title=LOL |publisher=Rotten Tomatoes |date= |accessdate= 2013년 4월 29일}}</ref> 이후 FBI에 고용된 마일리가 대학 여학생 클럽에 위장잠입하는 내용의 코미디 영화 《[[소 언더커버]]》에 출연했다.<ref>{{웹 인용| url=http://www.mtv.com/news/articles/1651859/20101109/cyrus__miley.jhtml | title=Miley Cyrus Is Learning 'Street Fighting' For 'So Undercover' | work=MTV News | date=November 9, 2010 | accessdate= 2010년 12월 21일 }}</ref> 영화는 2013년 2월 5일 미국에서 디렉트-투-비디오 로 발매되었다.<ref>{{IMDb 제목|1766094|So Undercover}}</ref>
         [[2009년]] [[6월]] [[영화]] 《라스트 송》 촬영하는 동안 2살 연상 상대 배우인 [[리엄 헴스워스]]와 연인으로 발전해, [[2010년]], [[2011년]] 두 차레 이별과 재결합을 반복하였고,<ref>{{웹 인용 |url=http://www.showbizspy.com/article/229653/miley-cyrus-and-liam-hemsworth-back-together-2.html |title=Miley Cyrus and Liam Hemsworth: Back Together? | Showbiz Spy ? celebrity news, rumors & gossip |publisher=Showbiz Spy |date=2011-04-01 |accessdate=2011-08-07 |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111125030022/http://showbizspy.com/article/229653/miley-cyrus-and-liam-hemsworth-back-together-2.html |보존날짜=2011-11-25 |깨진링크=예 }}</ref>[[2012년]] [[6월]] 두 사람은 약혼하였다.<ref>{{웹 인용|url=http://www.people.com/people/article/0,,20601230,00.html|title=Miley Cyrus, Liam Hemsworth Are Engaged|publisher=People Magazine |date=2012-06-06 |accessdate=2012-06-06}}</ref> 2013년 9월 약혼을 파기했지만, 2016년 재결합한 뒤 2018년 12월에 결혼식을 올렸다. 그러나 결국 두 사람은 결혼 8개월 만에 이혼했다.
         * 2011년 틴 아이콘 어워드 - 아이코닉 커플상 (with [[리엄 헴스워스]])
         * 2011년 틴 아이콘 어워드 - 아이코닉 트위터상
         * 2011년 글로벌 액션 어워드 - 글로벌 액션 어린 리더쉽상
         * [[2011년]] 키즈 초이스 어워드 - 영화부분 : 좋아하는 여자배우상 (마일리 사이러스)
         * 2011년 틴 초이스 어워드 - 초이스 뮤직:러브 송 ("Can't Be Tamed")
  • 메이비 (가수)
         * [[2011년]] [[KBS 2TV|KBS2]] 추석특집극 《[[노리코, 서울에 가다]]》 ... 준코 역
         * [[2011년]] Goodbye Valentine
         * [[2011년]] [[SG워너비]] 7집 - 다시 사랑할 수 있다면
  • 모상기
         * 첫 안타·첫 홈런·첫 타점 : 2011년 6월 17일, 대 [[KIA 타이거즈]] 6차전([[광주무등경기장 야구장|무등야구장]]), 2회초에 [[트래비스 블래클리]]로부터 중견수 뒤 솔로 홈런
         * '''49'''(2011년 ~ 2014년)
         |style="text-align:center;"|[[2011년]]
  • 모철민
         |임기 = [[2010년]] [[8월 16일]] ~ [[2011년]] [[11월 16일]]
         |임기 = [[2010년]] [[8월 16일]] ~ [[2011년]] [[11월 16일]]
  • 목영준
         * [[2011년]] 4월 ~ [[2012년]] : 법을 통한 민주주의 유럽위원회 정위원
  • 문무왕
         * 《[[계백 (드라마)|계백]]》([[MBC]], [[2011년]] 배우:[[박주형 (1982년)|박주형]])
         * 《[[평양성 (영화)|평양성]]》[[2011년]], 배우:[[황정민 (1970년)|황정민]]
  • 문선민
         [[2011년]] 고등학교 졸업 이후. [[2011년]] 초, 나이키가 후원하는 '''더 찬스'''에 참여했다. 그곳에서 상위 8인에 들어서 [[잉글랜드]]의 [[나이키 아카데미]]에 입학했다.<ref>{{웹 인용|title= Moons debut: ett väldigt positivt intryck |url=http://www.op.se/sport/fotboll/moons-debut-ett-valdigt-positivt-intryck |publisher=[[Östersunds-Posten]] |language=스웨덴어 |accessdate=13 August 2015}}</ref><ref>{{웹 인용|title= "The Chance" Final Eight Players Announced |url=http://news.nike.com/news/the-chance-final-eight-players-announced |publisher=[[나이키]] |accessdate=13 August 2015}}</ref>
  • 문선재
         * [[상무 야구단]] (2011년 ~ 2012년)
         2011년에 입단하였다. [[2011년]]에는 퓨처스 북부리그 홈런왕을 기록했으며, 제대 후 [[2013년]]부터 1군에서 활동했다.
  • 문성현
         프로 첫 해인 [[2010년]]에는 주로 중간 계투로 등판했다. 선발로는 총 6번 등판해 승리 없이 3패만 기록하고 있었다. 32번의 등판 중 30번째 등판까지 승리 없이 5패만 안고 있었는데, 31번째 등판인 [[두산 베어스|두산]]을 상대로 프로 데뷔 첫 승을 기록했다. [[2011년]] 들어 역시 중간 계투로 시즌을 시작했다가 [[김세현 (야구 선수)|김세현]]의 부진, [[금민철]]의 부상, [[김성현 (1989년)|김성현]]의 트레이드로 인해 선발로 전환했다. 그는 [[5월 5일]]에 프로 데뷔 첫 선발 승을 기록했고, 그 후 선발 로테이션을 거르지 않고 꾸준히 활약해 팀 내에서 [[브랜던 나이트 (야구인)|나이트]] 다음으로 많은 이닝을 소화했다. [[2011년]] [[9월 18일]] [[이숭용]]의 은퇴식 때 선발 등판해 인상적인 투구를 보이며 승리 투수가 됐다.
  • 문성현 (야구선수)
         프로 첫 해인 [[2010년]]에는 주로 중간 계투로 등판했다. 선발로는 총 6번 등판해 승리 없이 3패만 기록하고 있었다. 32번의 등판 중 30번째 등판까지 승리 없이 5패만 안고 있었는데, 31번째 등판인 [[두산 베어스|두산]]을 상대로 프로 데뷔 첫 승을 기록했다. [[2011년]] 들어 역시 중간 계투로 시즌을 시작했다가 [[김세현 (야구 선수)|김세현]]의 부진, [[금민철]]의 부상, [[김성현 (1989년)|김성현]]의 트레이드로 인해 선발로 전환했다. 그는 [[5월 5일]]에 프로 데뷔 첫 선발 승을 기록했고, 그 후 선발 로테이션을 거르지 않고 꾸준히 활약해 팀 내에서 [[브랜던 나이트 (야구인)|나이트]] 다음으로 많은 이닝을 소화했다. [[2011년]] [[9월 18일]] [[이숭용]]의 은퇴식 때 선발 등판해 인상적인 투구를 보이며 승리 투수가 됐다.
  • 문세림
         * [[2011년]] - 아시아모델협회 운영위원
  • 문승원
         |야구 월드컵 = [[2011년]] 파나마
         [[고려대학교]] 초반에는 동기인 [[임치영]]과 [[윤명준]]에게 밀렸지만 2학년 때인 [[2009년]]부터 대학 야구에서 본격적으로 활동했다. 고려대가 우승한 [[대통령기 전국대학야구대회]]와 [[고려대학교-연세대학교 정기전|고연전]]에서 준수한 활약을 하는 등 15서울에 나와 22.1이닝동안 3.27의 평균자책점을 기록해 고려대 마운드에 힘을 보탰다. 4학년 때인 [[2011년]]에는 140km 초반에서 150km까지 구속이 오르고 들쑥날쑥했던 제구까지 안정되며 [[임치영]], [[윤명준]]과 함께 고려대 선발 트로이카의 한 축을 이뤘다. 그 해 6월 열렸던 [[KBA회장기 전국대학야구대회|대학야구 하계리그]] [[건국대학교|건국대]]전에 선발 등판해 4피안타, 8탈삼진 완봉승을 기록했고 4일 뒤 [[경희대학교|경희대]]전에서도 선발 등판해 14탈삼진을 기록하며 2경기 연속 완봉승을 달성했다. 이를 통해 고려대의 하계리그 우승에 기여함과 동시에 대회 우수 투수상까지 수상했다. 졸업을 앞두고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대한민국 국가대표팀]]에 선발돼 [[2011년 야구 월드컵|야구 월드컵]]에 출전했다.
         {{2011년 야구 월드컵 대한민국 선수 명단}}
  • 문양식 (야구인)
         |프로 입단 연도 = [[2011년]]
         |드래프트 순위 = [[2011년 대한민국 프로 야구 신인선수 지명 회의|2011년]] 5차 8라운드([[롯데 자이언츠]])
         |연봉 = 2400만원(2011년)
         * [[롯데 자이언츠]] (2011년 ~ 2012년)
  • 문용식
         * [[2001년]] ~ [[2011년]] [[나우콤]](현 [[아프리카TV]]) 대표이사
         * [[2011년]] [[민주당]] [[유비쿼터스]]위원회 위원장
         * [[2011년]] ~ [[2012년]] [[나우콤]](현 [[아프리카TV]]) 이사회 의장
         * [[2011년]] ~ [[2012년]] [[민주당]] [[인터넷]][[소통]]위원회 위원장
  • 문재현
         |프로 입단 연도 = [[2011년]]
         |드래프트 순위 = [[2011년 한국프로야구 신인 드래프트|2011년]] 1차 9라운드([[한화 이글스]])
         * [[한화 이글스]] (2011년 ~ 현재)
  • 문재현 (야구선수)
         |프로 입단 연도 = [[2011년]]
         |드래프트 순위 = [[2011년 한국프로야구 신인 드래프트|2011년]] 1차 9라운드([[한화 이글스]])
         * [[한화 이글스]] (2011년 ~ 현재)
  • 문정호
         |임기 = [[2010년]] [[3월 23일]] ~ [[2011년]] [[7월 21일]]
  • 문정호 (1956년)
         |임기 = [[2010년]] [[3월 23일]] ~ [[2011년]] [[7월 21일]]
  • 문정희(배우)
         || 2011년 || 미안해, 고마워 - ep.내동생 || 수의사 || 특별출연 ||
         ||<|3> [[2011년]] || [[KBS1]] || [[당신뿐이야]] || 차도영 || ||
  • 문주란 (가수)
         * 《시절인연 (Single)》([[2011년]])
  • 문희준
         * 현재 문희준이 살고 있는 파주 소재의 저택은 문희준이 H.O.T. 활동을 해서 번 돈으로 구매했다. 그러나 2011년 2월 28일 《밤이면 밤마다》 방송에서 한 발언 때문에, 그 집을 1996년 당시 1억 2천만원을 주고 샀으나 10억원으로 인상됐다고 잘못 알려져, 이 점을 근거로 HOT의 1집 정산금액이 1억 2천이라고 잘못 알려졌다. 하지만 해당 방송을 정확히 보면 자막을 잘못 썼음을 알 수 있다. 문희준은 1996년에 샀다고 말한 적이 없는데, 방송 자막이 15년전이라고 잘못 쓰여있었다. 당시 방송 내용을 보면, HOT 시절 15억원짜리 광고를 했는데 지금 시가로 치면 40억 정도 할거라면서, 왜냐하면 그때 내가 1억 2천 짜리 집을 샀는데 그것이 10억이 됐다고 말하고 있다. 즉 그 집은 HOT 시절 15억원짜리 광고를 했을때 산 집이지, 1996년에 산 집이 아니다. 또한 2013년 5월 29일 《라디오스타》에서 해명하길, 그 파주 집이 1억 2천에서 10억 오른 것이 아니라, 다른 집이 그렇게 오른 것이라고 밝혔다.
         * [[2011년]] 제19회 [[대한민국문화연예대상]] 예능부문 대상
  • 민경수 (1981년)
         * [[LG 트윈스]] (2004년 ~ 2011년)
         '''민경수'''(閔庚樹<ref>한국야구위원회, 2010 가이드북</ref>, [[1981년]] [[5월 19일]] ~ )은 [[KBO 리그]] 전 [[SK 와이번스]]의 [[투수]]이다. [[2011년]] [[11월 25일]] [[서승화]], [[지승환]]과 함께 [[LG 트윈스]]로부터 방출당한다. 이후 [[최익성]]이 운영하는 저니맨 야구 육성 사관학교를 거치고 [[SK 와이번스]]에 이적했으나 다시 방출된다.
  • 민경진(연극배우)
         '''민경진'''(閔慶珍<ref>[http://kmdb.or.kr/actor/mm_basic.asp?person_id=00000376 민경진], 《KMDb》, 2011년 4월 8일 확인.</ref>, [[1955년]] [[5월 24일]] ~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1979년]] [[연극]][[배우]]로 첫 데뷔하였다.
         * [[2011년]] 《[[다슬이]]》 - 등대아저씨 역
         * [[2011년]] 《[[캐릭터 (영화)|캐릭터]]》 - 남자 아버지 / 평론가 역
         * [[2011년]] 《[[스파이 파파]]》 - 임방원 역
         * [[2011년]] 《[[오직 그대만]]》 - 관리실남 역
         * [[2011년]] 《[[적과의 동침 (2011년 영화)|적과의 동침]]》 - 남 주사 역
         * [[2011년]] 《[[달빛 길어올리기]]》 - 오경민 역
         * 《노인과 바다》(2011년) - 노인 역<ref>김민주 기자 [http://www.newsprime.co.kr/news/articleView.html?idxno=192063 연극 ‘노인과 바다’ 연장 공연 돌입]{{깨진 링크|url=http://www.newsprime.co.kr/news/articleView.html?idxno=192063 }}, 《프라임경제》, 2011년 3월 29일 작성, 2011년 4월 8일 확인.</ref>
         * 1995년 동아연극상 연기상(연극 '오동동')<ref> 김민호 기자 [http://www.todaykorea.co.kr/news/contents.php?idxno=138815 화제의 연극 '노인과 바다', 4월 5일부터 연장공연 돌입!], 《투데이코리아》, 2011년 3월 29일 작성, 2011년 4월 8일 확인.</ref>
  • 민경훈
         2011년 6월 27일 솔로 정규 2집 《소풍》을 발매하였지만 큰 성과는 보이지 못했다. 기존의 민경훈의 락 발라드에서 변화한 경쾌하고 빠른 템포의 곡을 넣는 등 새로운 시도를 많이 한 앨범이었지만 같은 소속사였던 신정환의 필리핀 도박논란과 MC몽의 입영기피논란이 앨범 홍보에 악영향을 미치고 음악적으로 지나친 변화가 독이 되어 기존 팬층이 일부 이탈, 음원 판매 수익도 지난 앨범보다 도리어 떨어지는 모습을 보였다.
         바뀐 창법과 퇴보한 노래 실력 때문에 사람들에게 잊혀지던 중 2011년 10월 1일 [[불후의 명곡: 전설을 노래하다]]에서 <바람이 전하는 말>을 그로울링과 함께 2옥타브 시까지 찍으며 아직 건재한 실력을 과시했다. 고정출연은 아니어서 반짝 떴을 뿐이었지만 그래도 아직 충분히 부활 가능성이 남아있다는 점을 보여주어 잔류한 팬들은 환호했다.
         * '''발매일: [[6월 27일]] , [[2011년]] '''
  • 민승규
         |임기 = [[2010년]] [[8월 16일]] ~ [[2011년]] [[12월 31일]]
  • 민시아
         * [[2011년]] - F1 코리아 그랑프리 그리드걸
         * [[2011년]] - 서울모터쇼 폭스바겐 모델
  • 민영원
         * [[2011년]] [[SBS]] 드라마스페셜 《[[시티헌터 (드라마)|시티헌터]]》 ... 김민희 역 ([[특별출연]])
         * [[2011년]] [[한국전기안전공사]] 홍보대사
  • 민지 (가수)
         * [[2011년]] 한 눈 팔지 마
  • 박경
         | 활동시기 = [[2011년]] [[4월 15일]] ~ 현재
         [[분류:1992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힙합 음악가]][[분류:대한민국의 남자 래퍼]][[분류:대한민국의 래퍼]][[분류:대한민국의 아이돌]][[분류:블락비의 일원]][[분류:2011년 데뷔]][[분류:서울특별시 출신]][[분류:대한민국의 싱어송라이터]][[분류:대한민국의 음악 프로듀서]][[분류:대한민국의 힙합 프로듀서]][[분류:미스터리 음악쇼 복면가왕 참가자]][[분류:대한민국의 장로교도]][[분류:대한민국의 개신교도]][[분류:멘사 회원]]
  • 박공주
         | 데뷔일 = [[2011년]]
  • 박공주 (희극인)
         | 데뷔일 = [[2011년]]
  • 박광준 (1953년)
         |임기 = [[2010년]] [[3월 5일]] ~ [[2011년]] [[4월 26일]]
  • 박광현 (1977년)
         * [[2011년]] [[SBS]] 시트콤 《[[웰컴 투 더 쇼]]》
         * [[2011년]] [[성유리]] - 한 사람
         * 《승부차기쇼 심장이 뛴다》 ([[KBS2]], [[2011년]])
  • 박근영 (야구인)
         [[2011년]] [[6월 8일]] [[한화 이글스]] 대 [[LG 트윈스]] 경기에서 박근영 심판이 주심으로 경기를 진행하였다. 9회초 2아웃 주자 3루로 5:6으로 LG가 앞서고 있는 상황에서 3루 주자가 [[홈스틸]]을 시도하자 당황한 [[투수]] [[임찬규]]는 홈에 송구하여 주자를 아웃시켜 경기를 종료시켰으나 이는 [[보크]]에 해당하는 행동이었다. 그러나 보크 선언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박근영은 9경기 출장 정지의 징계를 받는다.
  • 박근혜
         2011년 12월부터는 [[새누리당]] 비상대책위원장을 지내며 당 혁신 작업을 지휘하였고 2012년 [[대한민국 제19대 국회의원 선거|제19대 총선]]을 승리로 이끌었다. 이후 새누리당의 대통령 선거 후보로 선출되어 2012년 12월 19일 실시된 [[대한민국 제18대 대통령 선거|제18대 대선]]에서 득표율 51.6%로 48.0%를 득표한 [[민주통합당]]의 [[문재인]] 후보를 누르고 당선,<ref>[18대 대통령 박근혜] 박근혜 득표율 51.6%, 조선일보 2012.12.21</ref> 2013년 2월 25일 대한민국의 제18대 대통령으로 취임하였다. 이로써 대한민국 최초의 여성 대통령이자 1987년 [[대한민국 헌법]] 개정 이후 최초 과반 득표 대통령, 최초 이공계 출신 대통령, 최초 독신 대통령, 최초 부녀 대통령으로 기록되었다.<ref>[http://www.asiatoday.co.kr/news/view.asp?seq=743473 박근혜 대통령 당선인의 신기록들] 아시아투데이 (2012년 12월 20일)</ref>
         이명박이 대통령에 당선된 이후, 한나라당에는 친이명박 계열과 친박근혜 계열의 갈등이 있었다. 한나라당 내에서 친박계 의원들의 숫자는 2008년 5월 18대 총선 직후에는 당내외를 합쳐 50여명 정도였고, 2011년 6월 비공식적으로 90 ~ 100명 정도 되는 것으로 추산되었다.<ref>[http://www.sisapress.com/news/articleView.html?idxno=55182 '월박' 바람, 수도권까지 흔든다] 시사저널</ref> 이명박 정부 출범 이후 이명박의 대통령 선거를 직접적으로 도와준 [[이재오]], [[이방호]] 등이 한나라당의 주요 직책을 맡았으며, 상대적으로 박근혜 계열의 정치인들은 홀대를 받았다.
         박근혜 (2011년)
         [[2011년]] [[12월 9일]] [[홍준표]] 한나라당 대표가 디도스 파문을 못 이기고 사퇴하자, 한나라당은 한나라당 전 대표인 박근혜를 당 비상대책위원장으로 선출하였다. 박근혜 비대위원장은 수락 연설에서 “집권 여당으로서 국민의 아픈 곳을 보지 못하고 삶을 제대로 챙겨드리지 못한 데 대해 진심으로 사죄한다”며 “이제 바꿔야 한다. 그동안 한나라당과 우리 정치권 모두 국민만 바라보지 않고, 정치를 위한 정치를 해왔다”며 “정치권 전체가 국민의 불신을 받는 이런 상황이 계속된다면, 앞으로 더 큰 국가적 위기를 맞게 될 것”이라고 말해 위기의 심각성을 강조하였다.
         아테네에서 찍은 사진(2011년)
         2019년 4월 11일 통계청이 새롭게 공개한 소득분배지표에서 2011~2017년 한국의 분배 상황이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과거 보수정권에서 소득분배가 지속적으로 악화됐기 때문에 소득주도성장이 필요하다는 문재인 정부의 주장과 상반되는 결과가 나온 것이다. 2019년 4월 11일 통계청이 처음 공개한 가계금융복지조사 소득분배 부문 추가 지표에 따르면 한국의 팔마비율(Palma ratio·처분가능소득 기준)은 2011년 1.74배에서 2017년 1.44배까지 하락했다. 팔마비율은 호세 가브리엘 팔마 영국 케임브리지대 교수가 개발한 소득 불평등 지표로 소득 상위 10% 인구의 소득 점유율을 하위 40% 인구의 소득 점유율로 나눈 값이다. 숫자가 낮아졌다는 것은 소득 불평등이 개선됐다는 의미다. 또 다른 분배지표인 소득 10분위 경곗값 비율(P90/P10)도 2011년 6.42에서 2017년 5.79까지 떨어졌다. `소득 10분위 경곗값 비율`은 처분가능소득 기준 가계소득 상위 10% 경곗값을 하위 10% 경곗값으로 나눈 수치다. 이날 공개한 다른 2개의 소득분배지표(P90/P50, P50/P10) 모두에서도 역시 2011~2017년 소득분배가 개선된 것으로 집계됐다. 이 기간은 이명박 정권 중반기인 2011년부터 약 6년 반 동안 보수 정권이 이어진 후 마지막 반년 가량 동안에는 진보 정권인 문재인정부 집권기에 해당한다. 민주당 이해찬 대표는 2018년 8월 19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소득주도 성장을 내세우면서 최저임금을 급속도로 인상해 일어난 '고용 참사'의 책임이 이명박·박근혜 정부에 있다고 주장했다. 이 대표는 "지난 10년간 이명박·박근혜 정부 때 성장잠재력이 매우 낮아져서 그 결과가 지금 나타나고 있는 것"이라고 말한 바 있다. 노무현 정부에서 부총리 겸 재정경제부 장관을 지낸 김진표 더불어민주당 의원도 역시 2018년 8월 24일 "양극화가 유례없이 심화된 것은 이명박·박근혜 정권의 경제정책이 역주행한 것에 근본 원인이 있다"고 말한 바 있고 그 근거를 묻는 질문에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한국의 소득불평등이 최근 10년간 악화됐다는 보고서를 본 기억이 있어 그렇게 말했다"고 설명했다.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2018년 12월 인사청문회에서 “박근혜 정부에서 양극화가 지속됐다”고 말했다.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 1월 신년회견에서 "우리는 부의 양극화와 경제적 불평등이 세계에서 가장 극심한 나라"라고 언급하는 등 진보 진영에서는 지난 두 차례의 보수 정권 집권기간에 분배 상황이 악화됐다고 주장해 왔다. 이두원 연세대 경제학과 교수는 "한국에서는 보수와 진보 정권을 가리지 않고 복지 확대 정책을 펼쳐 왔다. 보수 정권에서 불평등이 심화될 것이라는 진보 세력의 주장은 이 같은 정책 요인을 전혀 감안하지 못한 것"이라고 설명했다.<ref>https://www.hankyung.com/economy/article/2019041161511</ref><ref>https://www.mk.co.kr/news/economy/view/2019/04/224437/</ref>
         2011년 9월 정치권을 강타한 '[[안철수]] 열풍'과 관련해 기자들이 박근혜에게 '안철수의 지지율이 자신을 넘어섰는데 어떻게 생각하느냐'는 반복된 질문에 대해 "병 걸리셨어요?"라는 반응을 보이면서 비판을 받기도 했다. 민주당은 사과를 요구했고 이후 박근혜는 "지나가는 식으로 농담을 했는데, 표현이 부적절 했던 것 같다"라며 유감을 표명했다.<ref>[http://www.hani.co.kr/arti/politics/politics_general/495481.html 박근혜, 기자에 “병 걸리셨어요?” 받아친 이유는?] 한겨레 2011-09-08</ref> 박근혜는 2004년 MBC 라디오 프로그램 '손석희의 시선집중'에서도 진행자가 경제 살리기에 대하여 질문하자 '지금 저하고 싸움하시는 거예요?'라고 언급한 것을 비롯해 올해 1월 복지 문제와 관련된 기자들의 질문에 '한국말 모르세요?'라고 대답한 것 등이다. 서울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조국 (1965년)|조국]] 교수는 "박근혜 전 대표는 불편한 질문과 비판을 참지 못한다. 영애 박근혜님이 '평민'들과 겸허히 소통하는 법을 배우기 전까지 새로운 별호를 지어 올리고자 한다. '발끈해'"고 말했다.<ref>(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109091122131&code=910100 조국 "박근혜님의 새로운 별명…'발끈해'") 경향신문 2011년 9월</ref>
         [[이명박 정부]] 시절 박근혜는 [[이명박]]과 거리를 두었으나 완전히 돌아서지는 않았다. 대통령과 면담을 하면서 대통합의 의지를 담고 활동하였다. 과거 정책상 본질적으로는 [[이명박]]과 크게 다를바 없다는 의견도 있었다. 근거로는 [[2007년]] 한나라당 대선 후보 경선 때 박근혜가 내세웠던 '줄푸세'나 당시 경쟁 후보였던 [[이명박]]이 내세웠던 '747' 둘다 공통적으로 감세 기조를 내세운 정책이라는 점이다. 또한 박근혜가 2008년 12월 국회의 감세 법안, 2009년 3월 [[금산분리]]완화법안, 2009년 12월 예산안 ─ 4대강 예산이 포함되었고 이른바 날치기 통과로 논란이 되었음 ─ 에 찬성해 [[이명박]] 정부 정책에 협조한 것도 있다.<ref>[http://media.daum.net/politics/others/newsview?newsid=20120404181704062] 기사 내 박용진 민주통합당 대변인 발언 인용 ─ 최이락 기자, 민주 "불법사찰 가해자는 새누리·박근혜", 연합뉴스, 2012.4.4.</ref> 이를 빗대어 정치권과 인터넷 상에서 '이명박근혜'로 표현하기도 한다. 그러나 [[이명박]]과 다르다고 볼 수 있는 것들도 있다. 대표적으로 [[이명박]] 대통령이 주도했던 '[[세종시]] 수정안'을 부결되게 만든 것이다. 또한 [[서울시의 무상 급식 정책 논란]] 때 바쁜 일정 속에 부재자 투표까지 참여해 [[오세훈]] 전 서울시장을 지원했던 [[이명박]]과는 달리 관련 사안에 입장을 밝히지 않았다. 2011년 말 비상대책위원장을 맡은 후 당명, 당 상징색, 강령 등을 변경하면서 [[MB]]정권과 기존 [[한나라당]]과의 차별화를 시도했다. 2012년 4월 [[총선]]을 앞두고 불거진 [[국무총리실의 민간인 사찰 사건]] 악재 속에서도 "어느 정권에서나 민간인 사찰은 일어나며 나도 피해자"라며 논란을 피하기도 했다.<ref>[http://media.daum.net/politics/assembly/newsview?newsid=20120401174821598] 임진수 기자, 역공 들어간 새누리 "어느 정권이나 불법사찰, 노컷뉴스, 2012.4.1.</ref>
         [[2010년]] 12월, 새해 예산안이 국회의장의 직권상정으로 통과되어 여야간의 갈등이 극화된 상황에서 박근혜가 복지 정책을 강조하며 나타나자 민주당 [[박지원]] 원내대표는 "박 전 대표는 날치기로 그 많은 복지 예산이 완전히 삭감될 때 아무말도 하지 않았다"고 지적하며 "유리할때만 고개를 든다"며 박근혜의 행보에 비판을 제기했다.<ref>(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012161130111&code=910402 박지원 "박근혜 유리할 때만 고개 쳐들고…" 직격) 경향신문 2010년 12월 16일</ref> 조선일보도 사설에서 "박 전 대표는 왜 내키는 주제에 대해 하고 싶은 말만 하고, 국민이 박 전 대표에 대해 궁금한 일을 물을 기회는 만들지 않느냐는 것이다. 그래서 거북한 주제를 피하려 한다는 느낌을 준다."고 지적했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10&oid=023&aid=0002233462 박근혜, 이젠 내키지 않는 질문에도 답할 때) 조선일보 2011년 2월 13일</ref> 박근혜의 이러한 미지근한 행보에도 높은 지지율을 유지하고 있는데 대한 비판도 있다. 서울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조국 (1965년)|조국]] 교수는 "박근혜 이 사람이 무슨 얘기를 하는지 사람들이 잘 모르는데도 지지하는 사람은 삼십몇 %나 된다"라며 "내용도 모르고 좋아하는 것은 감성의 정치일 것"이라고 비판하였다.<ref>(http://news.nate.com/view/20110312n01193 조국 교수 “박근혜 인기, 환장할 노릇”) 동아일보 2011년 3월 12일</ref> 그러나 박근혜의 지지자들은 박근혜의 말에 신뢰를 보낸다. "박근혜의 신중함은 미래의 불확실성으로 불안감에 젖어있는 국민에게 위로와 신뢰를 준다"는 평가가 있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03&aid=0003693084 박근혜는 왜 말하지 않을까) 뉴시스 2011년 2월 16일</ref>
         박근혜 캠프의 국민대통합위원장인 [[김종인]]은 [[1993년]] 동화은행에서 2억여 원을 뇌물로 받아서 의원직을 상실하고 2년 징역을 산 일이 있다는 점이 논란이 되었다.<ref>[http://view.asiae.co.kr/news/view.htm?idxno=2012010616455135397&nvr=Y 돌아온 전여옥의 '독설'] 아시아경제, 2012년 1월 6일</ref> [[한광옥]]은 나라종금으로부터 퇴출 무마 청탁과 함께 금품을 수수한 혐의로 2005년 유죄 판결을 받았다. 이러한 비리인사 영입은 당 안팎으로부터 반발을 불러 일으켰다. [[전여옥]]은 2011년 영입 당시 김종인의 비리 전력을 지적하며 비판했고, [[안대희]]는 2012년 10월 8일 [[한광옥]]이 국민대통합위원장에 임명될 경우 자신이 맡고 있는 정치쇄신위원장직을 사퇴하겠다는 기자 회견을 했다.<ref>[http://news.hankooki.com/lpage/politics/201112/h2011122902350021000.htm "김종인은 수뢰·철새… 이준석은 김종인 들러리"] {{웨이백|url=http://news.hankooki.com/lpage/politics/201112/h2011122902350021000.htm# |date=20111230104015 }} 한국일보, 2011년 12월 29일</ref><ref>[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2/10/08/0200000000AKR20121008127551001.HTML?did=1179m 안대희 "한광옥 국민대통합위원장 임명땐 사퇴"(종합)] 연합뉴스, 2012년 10월 8일</ref> 중앙일보의 김진 논설위원은 칼럼을 통하여 재벌과 은행의 투명경영을 유도해야 할 청와대 경제수석의 자리에 있으면서 오히려 그들로부터 뇌물을 받은 것은 중대한 일이라면서, 그런 김종인을 공동선대위원장에 임명한 것은 "국민을 무시하는 것"이라고 비판하고, "이게 박근혜의 원칙인가"라고 물었다.<ref>[http://article.joinsmsn.com/news/article/article.asp?total_id=8696499 <김진의 시시각각> 뇌물 망각증]{{깨진 링크|url=http://article.joinsmsn.com/news/article/article.asp?total_id=8696499 }}중앙일보, 2012년 7월 9일</ref>
         국회에서 세종시 수정안이 폐기되고 원안이 통과되고 나서 한동안 박근혜와 친이계와의 갈등은 잠시 가라앉았다. 그러나 2010년 말부터 한나라당은 개헌 논의를 시작했는데 차기 대통령 후보 지지율 1위였던 박근혜는 개헌에 부정적인 입장을 보이면서 친이계와의 갈등이 다시금 드러나기 시작했다. 2011년 2월까지 한나라당이 추진한 개헌 논의 대부분은 친이계가 주도하였으며 그 중심에는 [[이재오]]가 있었다. 이재오는 박근혜가 비협조적인 모습을 보였는데 이에 대해 "대통령이 다 된듯이 행동한다"며 비판하기도 하였다.<ref>(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102111625381&code=910100 이재오 "대통령 다 된 듯…" 朴 때리기 본격화) 경향신문 2011년 1월 11일</ref>
         * 2007년 대선 이후로 박근혜는 차기 대선 후보 지지율 1위를 내준적이 한 번도 없으나 2011년 9월 이후로 정치권을 강타한 '[[안철수]] 열풍'에 힘입어 차기 대선 후보 여론조사에서 안철수 59.0%, 박근혜 32.6%로 안철수가 압도적인 지지율을 나타내면서 '박근혜 대세론'이 끝났다는 평가가 나오기도 하였다.<ref>[http://www.media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97327 MBC 여론조사, 안철수 59%, 박근혜 33%] 미디어오늘 2011년 9월</ref>
         * [[2011년]] [[12월 19일]] ~ [[2012년]] [[5월 15일]] [[새누리당]] 비상대책위원장
         * [[2011년]] [[1월 23일]] "한국말 못 알아들으세요?" <small>(국회 헌정기념관 바자회에서 "복지를 돈으로만 보지 말고, 사회적 관심이 중요하다고 했는데 무슨 의미냐"는 기자의 질문에)</small><ref>[http://www.pressian.com/article/article.asp?article_num=10120628193401] 김주언 언론인, 박근혜, '언론 사태' 대선까지 가길 바라나?, 프레시안, 2012.6.29.</ref>
         * [[2011년]] [[9월 7일]] "병 걸리셨어요?" <small>(인천고용센터 방문 도중 한 기자의 '[[안철수]]의 지지율'에 관한 질문에)</small><ref name="아시아경제 이경호기자" />
         |임기 = 2011년 12월 19일 ~ 2012년 5월 15일
  • 박기량 (치어리더)
         * 2010년 ~ 2011년 [[LIG 손해보험 그레이터스]] 치어리더
         * 2010년 ~ 2011년 [[원주 동부 프로미]] 치어리더
         * 2011년 ~ 2013년 [[창원 LG 세이커스]] 치어리더
         === 2011년 ===
         [[2011년]]부터 박기량은 본격적으로 주목을 받기 시작했는데, [[원주 동부 프로미]]를 떠나 [[창원 LG 세이커스]]로 옮겼고 회사도 지금의 회사인 RS Company로 옮기게 되었다. 하지만 이 때까지만 해도 박기량은 크게 주목받거나 방송에서 알려진 인물은 아니었다.
         [[2012년]], 박기량은 2011년을 끝으로 은퇴한 최현진 팀장의 뒤를 이어 롯데 자이언츠의 새로운 팀장이 된다. 이것은 역대 구단 치어리더 팀장 중 최연소다. 그러면서 박기량은 당시 [[한화 이글스]]에서 나와서 새로운 팀을 찾고 있던 [[김연정]]을 스카우트 해간다. 당시 김연정은 박기량보다 방송에 더욱 알려지면서 사람들에게 알려진 상태였다. 두 사람이 2012년 한 해동안 롯데 자이언츠의 치어리더로 활약하며 엄청난 인기와 방송출연을 하게 되었고, 몸값이 엄청나게 뛰어올라 한 사람의 몸값이 몇 천만원 때를 넘나들었다. 창원 LG 세이커스 치어리더로 활동하면서 두 사람은 신화방송에 출연하는 등 전성기를 가졌다.
  • 박기원 (배구감독)
         }} </ref> 이후 [[한국배구연맹]] 경기위원을 거쳐 [[2011년]]부터 [[대한민국 배구 국가대표팀|남자 배구 국가대표팀]]의 전임 감독을 역임했다.
  • 박남정
         * [[2011년]] 영화 《[[위험한 상견례]]》 ... 박남정 역(특별출연)
  • 박대성 (1978년)
         * [[2010년]] [[12월 28일]] 박대성에게 적용된 전기통신기본법 제47조 제1항 "공익을 해칠 목적으로 전기통신설비를 이용해 공공연히 허위의 통신(인터넷)을 하면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5천만원 이하의 벌금에처한다"라는 내용은 위헌이라는 [[헌법재판소]]의 판결이 나왔다.<ref>[http://news.nate.com/view/20101228n14059 인터넷 허위글 처벌 조항 위헌] 매일경제 2010년 12월 28일</ref> 이 판결로 인해 해당 조항은 즉시 무효가 되었으며 같은 혐의로 입건된 모든 이들은 무혐의로 풀려나게 되었다. 결국 [[2011년]] [[1월 4일]] 검찰은 박대성의 무죄 판결에 항소한것을 취하하며 무죄가 확정됐다.<ref>[http://news.nate.com/view/20110104n00517 검찰, 미네르바 항소 취하…무죄 확정] 뉴시스 2011년 1월 4일</ref>
  • 박명환 (1977년)
         [[2010년]] [[4월 24일]] [[한화 이글스]]전에서 역대 22번째로 통산 100승을 거두었다.<ref name=autogenerated1>[http://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kbo&ctg=news&mod=read&office_id=018&article_id=0002244960 '개인통산 100승' 박명환 "팔이 아파 10m도 공 못 던졌는데…"] - 이데일리</ref> 그러나 이후 어깨 부상 재발 등으로 부진하여 중간에 시즌을 마감했고 4승 6패, 6점대 평균자책점으로 부진한 성적을 거뒀다. 게다가 [[LG 트윈스]]의 새로운 연봉제 방식이 도입되면서 무려 90%나 삭감된 5,000만원에 계약하였다. 이는 역대 [[KBO 리그]] 최대 연봉 삭감이다. [[2011년]]에는 재활로 1군에 올라오지 못했고, 결국 [[2012년]]에 방출되었다.
         |[[2011년]]
  • 박민
         [[2009년]] [[경남 FC]]에 입단하였다. 데뷔 서울였던 [[리그컵 2009|2009 K리그 컵]] [[전북 현대 모터스]]와의 서울에서 2골을 기록하며 화려한 데뷔전을 치른 후 첫 시즌 리그 17서울에 출전하며 준수한 활약을 펼쳤다. [[K리그 2010|2010 시즌]]부터 주전 경쟁에서 밀려나기 시작하여 [[2011년]]까지 2시즌 간 리그 11서울 출전에 그쳤다.
  • 박민 (축구선수)
         [[2009년]] [[경남 FC]]에 입단하였다. 데뷔 경기였던 [[리그컵 2009|2009 K리그 컵]] [[전북 현대 모터스]]와의 경기에서 2골을 기록하며 화려한 데뷔전을 치른 후 첫 시즌 리그 17경기에 출전하며 준수한 활약을 펼쳤다. [[K리그 2010|2010 시즌]]부터 주전 경쟁에서 밀려나기 시작하여 [[2011년]]까지 2시즌 간 리그 11경기 출전에 그쳤다.
  • 박민영
         2011년 6월 17일, 영화 《고양이: 죽음을 보는 두 개의 눈》 제작보고회에 참석한 박민영.
         2011년 《[[고양이: 죽음을 보는 두 개의 눈]]》으로 첫 영화 출연하였다. 이후 2011년 말에 방송된 [[KBS]] 수목 드라마 《[[영광의 재인]]》에 출연하였고, 2012년 5월 26일부터 일본의 만화가 무라카미 모토카의 만화 《[[타임슬립 닥터 진]]》을 원작으로 한 TBS 드라마 《JIN-仁-》 를 리메이크 한 MBC 주말드라마 《[[닥터 진]]》에 출연하였다.<br>
         * [[2011년]] 핑크 윙즈 캠페인 홍보대사
  • 박병선 (역사학자)
         | 사망일 = [[2011년]] [[11월 22일]] (88세)
         '''박병선'''(朴炳善, [[1923년]] [[3월 25일]] ~ [[2011년]] [[11월 22일]]<!-- 문서의 인물이 있던 지역의 시간대 -->)은 [[대한민국]]의 [[역사학자]]이다. [[직지심체요절]](直指心體要節)이 현존하는 세계 최초의 금속활자임을 밝혀 내었다. [[프랑스]] [[파리 (도시)|파리]]에서 현존하는 세계 최고(最古)의 금속활자본인 직지심체요절을 발견해 내 [[2001년]]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에 등재시킨 1등 공신이다.<ref name="김문">김문.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81&aid=0001960092 ‘직지심경 대모’ 在佛 사학자 박병선박사]. 서울신문. 2008년 6월 30일.</ref><ref>박상현.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3&oid=001&aid=0009191523 佛국립도서관에 '직지'보다 앞선 고서 있다…유일본 여럿 확인]. 연합뉴스. 2017년 4월 16일.</ref>
         박병선은 [[1923년]] 서울에서 삼녀 중 셋째로 태어났다.<ref>박원기. [http://www.mt.co.kr/view/mtview.php?type=1&no=2011112806008296771&outlink=1 '직지대모' 고 박병선 박사의 고향은 '전주']. 머니투데이. 2011년 11월 28일.</ref><ref>이상언. [http://article.joins.com/news/article/article.asp?total_id=6737746&cloc=olink%7Carticle%7Cdefault 외규장각 145년 만의 귀환 일등공신 박병선 박사]. 중앙일보. 2011년 11월 24일.</ref> [[1950년]]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사회교육과를 졸업<ref>서울대인명록(서울대학교총동창회, 2012) 확인</ref>했고, [[1955년]] 대한민국 여성으로서 최초로 [[프랑스]] 유학을 떠났다. 서른 세 살의 나이에 프랑스 유학길에 올랐던 것은 [[병인양요]] 때 프랑스 군이 약탈해 간 외규장각 의궤를 꼭 찾아보라는 대학교 시절 스승 [[이병도]]의 당부가 있었기 때문이었다.<ref name="김문"/><ref name="한윤"/>
         [[1975년]]에는 외규장각 의궤의 행적을 밝혀 내었는데, 20년 동안 찾아 헤매던 이 의궤는 [[프랑스 국립도서관]]의 베르사유 분관 폐지 창고에 버려지다시피 방치돼 있었다. 이 사실을 한국에 알리자 프랑스는 외규장각 의궤의 존재를 한국에 알렸다는 이유로 그를 권고 사직시키고 ‘한국의 스파이’라는 오명을 씌우기까지 했다. 박병선의 적극적인 노력 끝에 [[2011년]] [[5월 27일]] 297책의 외규장각 의궤가 145년 만에 대한민국 땅으로 돌아왔다.<ref name="한윤">한윤조.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88&aid=0000285830 잃어버린 역사를 찾아낸 故 박병선 박사의 삶]. 매일신문. 2013년 3월 29일.</ref><ref>박길자.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310&aid=0000009454 재불 사학자 박병선 박사]. 여성신문. 2011년 4월 22일.</ref>
         [[2011년]] [[11월 22일]](프랑스시각), 프랑스 파리에서 향년 88세로 사망했고<ref>{{뉴스 인용 |url=http://news.kbs.co.kr/world/2011/11/23/2393189.html |제목=‘외규장각 도서 반환 기여’ 박병선 박사 타계 |출판사=KBS |날짜=2011-11-23 |확인날짜=2011-11-26 |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140203074035/http://news.kbs.co.kr/world/2011/11/23/2393189.html# |보존날짜=2014-02-03 |깨진링크=예 }}</ref><ref>{{뉴스 인용 |url=http://news.sbs.co.kr/section_news/news_read.jsp?news_id=N1001031375 |제목=외규장각에 몸바친 30년…박병선 박사 타계 |출판사=SBS |날짜=2011-11-23 |확인날짜=2011-11-26}}</ref>, [[국립서울현충원]]에 안장되었다.<ref>{{뉴스 인용 |url=http://www.ktv.go.kr/ktv_contents.jsp?cid=407614 |제목=故 박병선 박사, 현충원에 안치 |출판사=KTV |날짜=2011-12-01 |확인날짜=2011-12-14}}</ref>
         *[[2011년]]: 국민훈장 모란장, 제7회 경암학술상 특별공로상<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1&aid=0005356577 박병선 박사 등 제7회 경암학술상 수상]</ref>
         [[분류:1923년 태어남]][[분류:2011년 죽음]][[분류:대한민국의 역사가]][[분류:경암학술상 수상자]][[분류:서울특별시 출신]][[분류:외규장각 도서]][[분류:대한민국의 로마 가톨릭교도]][[분류:서울대학교 사범대학 동문]][[분류:밀양 박씨]][[분류:직장암으로 죽은 사람]]
  • 박상민 (1970년)
         * [[2011년]] [[문화방송|MBC]] 《[[남자를 믿었네]]》 ... 김남기 역
         * [[2011년]] [[SBS]] 《[[시티헌터 (드라마)|시티헌터]]》 ... 박무열 역
  • 박서준
         | 활동기간 = [[2011년]] ~ 현재
         2011년 [[방용국]]의 "I Remember" 뮤직 비디오에 출연하며 연예계에 첫 발을 딛었으며, 2012년 [[KBS 2TV|KBS2]] 드라마 《[[드림하이 2]]》로 본격적인 연기 활동을 시작했다. 2013년 방영 된 [[SBS TV|SBS]] 드라마 《[[따뜻한 말 한마디]]》와 《[[마녀의 연애]]》에서 주연을 꿰차며 연기활동을 이어나갔다.
         | 《[[퍼펙트 게임 (2011년 영화)|퍼펙트 게임]]》
  • 박석진 (야구선수)
         *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스]] 투수코치 (2010년 ~ 2011년)
         * [[삼성 라이온즈]] 스카우트 (2011년)
         은퇴한 후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스]]에서 뛰고 있었던 [[투수]] [[임창용]]의 도움을 받아 [[2009년]]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스|야쿠르트]]에서 지도자 연수를 받았으며,<ref>[http://sports.khan.co.kr/news/sk_index.html?cat=view&art_id=200811282115033&sec_id=510101 박석진, 임창용 도움으로 야쿠르트에서 코치 연수] - 스포츠칸</ref> [[2010년]]에는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스|야쿠르트]]의 2군 [[투수]] 코치가 되었고,<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39&oid=020&aid=0002100540 박석진, 日 야쿠르트 정식 코치 됐다] - 동아일보</ref> [[2011년]] [[삼성 라이온즈]]의 스카우트로 복귀했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7&oid=003&aid=0004014438 삼성, 2군 타격코치 및 스카우트 충원] - 뉴시스</ref> [[2011년]] 종료 후 [[LG 트윈스]] 2군 투수코치에 부임했다. [[차명석]] [[LG 트윈스]] 1군 투수코치는 [[LG 트윈스]] 마운드 안정화에 대해 "100% 김기태 감독님과 박석진 2군 투수코치 덕분" 이라고 언급한 적이 있다.<ref>[http://sports.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kbo&ctg=news&mod=read&office_id=311&article_id=0000130425 '무서운 5할 본능' LG, '지키는 힘' 생겼다] - 엑스포츠뉴스</ref>
  • 박세영 (1988년)
          | 활동기간 = [[2011년]] ~ 현재
         ![[2011년]]
         |rowspan="1"|[[SBS (대한민국의 방송사)|SBS]]||주말극장 《[[내일이 오면 (2011년 드라마)|내일이 오면]]》||서유진 역
         [[분류:1988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여자 텔레비전 배우]][[분류:대한민국의 여자 영화 배우]][[분류:2011년 데뷔]][[분류:칠곡군 출신]]
  • 박세영(배우)
         ||<#DDA0DD> '''{{{#FFFFFF 데뷔}}}''' ||<(> [[2011년]] [[SBS]] 드라마 '[[내일이 오면]]'[* 원래 [[2002년]]에 데뷔했으나, 학업상의 이유로 [[2011년]]까지 연기 활동을 하지 않았다.] ||
         [[대한민국]]의 배우. [[2011년]]작 드라마 [[내일이 오면]]에서 서유진[* [[2009년]]작 드라마 [[신데렐라맨]]에서 [[윤아(소녀시대)|임윤아]]가 연기한 배역과는 동명이인이다.] 역할로 데뷔하여 [[신의(드라마)|신의]]의 [[노국대장공주]] 역할로 알려지기 시작했다. 이후 [[학교 2013]]의 [[송하경]], [[지성이면 감천]]의 [[최세영]], [[기분 좋은 날(드라마)|기분 좋은 날]]의 정다정 역을 맡았으며, [[뮤직뱅크]]의 MC로 진행하기도 했다.
         || [[2011년]] || [[SBS]] || [[내일이 오면]] || 서유진 || ||
         [[분류:한국 여배우]][[분류:칠곡군 출신 인물]][[분류:1988년 출생]][[분류:2011년 데뷔]][[분류:라디오 스타의 역대 게스트]]
  • 박소유
         * [[2011년]] - 지스타 네오위즈게임즈 모델
  • 박소유 (레이싱모델)
         * [[2011년]] - 지스타 네오위즈게임즈 모델
  • 박승민 (야구인)
         * [[키움 히어로즈|우리 히어로즈·<br />넥센 히어로즈]] (2008년, 2010년 ~ 2011년)
         [[2008년]]에는 34서울에 출전하여 승리없이 3패, 2세이브, 7홀드, 3점대 평균자책점을 기록하며 구위가 하락했다. [[2009년]]에는 부상 악화로 임의탈퇴돼 단 1서울도 출장하지 못하고 재활했다. 그의 공백으로 인해 [[2010년]] 3월 시범서울 기간 중 [[한화 이글스]]에 [[마일영]]을 보내고 [[한화 이글스]]의 사이드암 불펜 투수였던 [[마정길]]이 트레이드로 영입됐다. [[2010년]]에 재활을 마치고 42서울에 등판해 42.1이닝동안 3승 3패, 8홀드, 2점대 평균자책점을 기록했다. 그러나 [[2011년]] [[11월 25일]]에 방출됐다.<ref>{{뉴스 인용|url=http://osen.mt.co.kr/article/G1109324099|제목='자유계약 공시' 박준수, 타팀에서 새 기회 얻을까|저자=고유라|날짜=2011-11-26|확인날짜=2012-02-05|출판사=OSEN}}</ref>
         [[넥센 히어로즈]]에서 방출된 후 [[2011년]] [[12월 2일]]에 이적했지만 2서울에 등판해 1홀드를 올리는 데 그치고 시즌 후 방출됐다. 이후 현역에서 은퇴했다.
  • 박승호 (야구인)
         * [[NC 다이노스]] 수석코치 (2011년 ~ 2013년)
         * [[두산 베어스]] 2군 감독 (2011년)
         [[2011년]] [[10월 4일]] [[두산 베어스]] 2군 감독직에서 물러나고 [[NC 다이노스]]의 수석코치로 선임되었다.
         * '''85'''(2011년)
  • 박신아
         | 활동 기간 = [[2011년]] ~ 현재
         | 데뷔일 = [[2011년]]
         * 《[[기적의 오디션]]》 (SBS, 2011년)
         [[분류:1988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2011년 데뷔]][[분류:대한민국의 여자 배우]][[분류:대한민국의 여자 텔레비전 배우]][[분류:서울특별시 출신]]
  • 박영규 (1953년)
         캐나다에서 6년간을 보내며 2번의 이혼, 이때 만난 3번째 아내의 격려와 아내의 전 남편의 2명의 자녀들에서 이전에 잃었던 자신의 자식의 모습을 비추어보며 아픔과 상처를 치유했으며 2010년, 5년 여의 공백을 딛고 《[[주유소 습격 사건 2]]》로 재기에 성공하였다.<ref>{{뉴스 인용|제목=박영규, ‘주유소 습격 사건 2’로 4년 만에 컴백|url=http://sports.khan.co.kr/news/sk_index.html?cat=view&art_id=200905291855413&sec_id=540401|출판사=스포츠 칸|저자=최재욱 기자|쪽=|날짜=2009-05-29|확인날짜=2009-09-04}}</ref><ref>[http://www.newsen.com/news_view.php?uid=201001202336151001 박영규 5년만에 지상파 출연 설렘 “떨려서 잠도 못 잤다” - 손에 잡히는 뉴스 눈에 보이는 뉴스 - 뉴스엔<!-- 봇이 따온 제목 -->]</ref><ref>[http://www.maxmovie.com/movie_info/ent_news_view.asp?mi_id=MI0087255873 박영규 “목소리 지친 강호동, 끝날 때 된 것 같다”<!-- 봇이 따온 제목 -->]</ref> 2011년부터는 본격적으로 드라마에 출연하였고 [[보스를 지켜라]], [[백년의 유산]] 등에서 특유의 재치 있고 활기찬 이미지로 팬들의 많은 사랑을 받았다. [[2014년]] 방영된 드라마 [[정도전]]에서는 고려 말 수구파이자 실세인 [[이인임]] 역에 캐스팅, 그간 배우로서 코믹한 이미지가 부각된 탓에 초반 우려를 샀던 것과는 달리, 극 초-중반을 발군의 연기력으로 완벽하게 이끌며 [[정도전]]의 실질적인 주인공으로 활약했다. 많은 명 대사를 낳으며 [[정도전]]에서 가장 빛난 배우로 꼽힌다.
         * [[2011년]] [[SBS]] 미니시리즈 《[[보스를 지켜라]]》 - 차봉만 회장 역
         * [[2011년]] [[SBS]] 미니시리즈 《[[천일의 약속]]》 - 노홍길 역
         * [[2011년]] [[SBS 연기대상]] 드라마스페셜부문 남자 특별연기상
  • 박영록 (1927년)
         * [[2011년]] 원더풀론<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73&aid=0002052918 대부금융 업체 이미지 변신 '원더풀론' 이석우 상무]</ref>
  • 박영민 (지휘자)
         2011년부터 2014년까지 [[원주시립교향악단]]의 초대 상임지휘자를 지냈다.
         임기=[[2011년]] ~ [[2014년]]}}
  • 박영수 (배우)
         * [[2011년]] 《[[강철대오 : 구국의 철가방]]》 - <미국 문화원 점거 학생들> 만수 역
         * [[2011년]] 《[[7광구 (영화)|7광구]]》 - 장치순 역
         * [[2011년]] 《[[러브픽션]]》 - 영식 / 조사장 역
  • 박영지
         * [[2011년]] [[JTBC]] 《[[인수대비 (드라마)|인수대비]]》 ... [[전균]] 역
         * [[2011년]] [[한국방송공사|KBS2]] 《[[오작교 형제들]]》 ... 김홍 역
         * [[2011년]] [[문화방송|MBC]] 《[[미스 리플리]]》
         * [[2011년]] [[서울방송|SBS]] 《[[싸인 (드라마)|싸인]]》 ... 강중혁 역
  • 박영진 (1981년)
         * [[2011년]] 《빨간 모자의 진실 2》 성우 역
         * [[2011년 7월]] 행정안전부 개인정보보호 홍보대사
  • 박용수 (배우)
         * [[2011년]] : [[KBS]] 드라마 《[[강력반 (2011년 드라마)|강력반]]》 - 박용석 청장 역
         * [[2011년]] : [[SBS]] 드라마 《[[폼나게 살거야]]》 - 신문석 역
         * [[2011년]] 《[[아테나: 더 무비]]》
  • 박용운 (1977년)
         *[[2011년]] 신한은행 프로리그 10-11 정규시즌 감독상 (SK텔레콤 T1)
  • 박웅(연극배우)
         * [[2011년]] [[JTBC]] 《[[인수대비 (드라마)|인수대비]]》 [[양녕대군]] 역
  • 박원종
         * 《[[인수대비 (드라마)|인수대비]]》 ([[JTBC]], [[2011년]]~[[2012년]], 배우:박수일)
  • 박은선 (축구 선수)
         이후 [[2008년]] 2년여만에 국가대표팀에 발탁되었으나 부상을 이유로 3번 연속으로 차출이 불발되어 복귀가 미뤄졌으며,<ref>{{뉴스 인용 |url=http://sports.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a_match&ctg=news&mod=read&office_id=001&article_id=0001988229 |제목=박은선 무릎 부상..여자축구대표 복귀 무산 |출판사=연합뉴스 |날짜={{날짜한글화|2008-03-05}} }}</ref><ref>{{뉴스 인용 |url=http://sports.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a_match&ctg=news&mod=read&office_id=001&article_id=0002054553 |제목=박은선, 여자축구대표 복귀 또 무산 |출판사=연합뉴스 |날짜={{날짜한글화|2008-04-21}} }}</ref><ref>{{뉴스 인용 |url=http://sports.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a_match&ctg=news&mod=read&office_id=001&article_id=0002082689 |제목=여자축구 박은선, 부상으로 대표팀서 또 낙마 |출판사=연합뉴스 |날짜={{날짜한글화|2008-05-13}} }}</ref> 소속팀에서도 [[2009년]] 다시 무단 이탈했다가 1년여 뒤인 [[2010년]] 소속팀에 복귀하면서 정상적인 훈련을 받지 못했다.<ref>{{뉴스 인용 |url=http://sports.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k_league&ctg=news&mod=read&office_id=001&article_id=0002621142 |제목=박은선, 또 선수단 이탈..선수생명 위태 |출판사=연합뉴스 |날짜={{날짜한글화|2009-04-22}} }}</ref><ref>{{뉴스 인용 |url=http://sportalkorea.mt.co.kr/news/view_sub.php?gisa_uniq=20100315125418 |제목=여자 축구천재 박은선, 방황 접고 서울시청 복귀 |출판사=스포탈코리아 |날짜={{날짜한글화|2010-03-15}} }}</ref> 그 뒤 [[2010년]] 여름 개인 사정으로 인해 또다시 소속팀에서 무단 이탈한 뒤 잠적했다가 [[2011년]] 다시 소속팀에 복귀했으며,<ref>{{뉴스 인용 |url=http://sports.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k_league&ctg=news&mod=read&office_id=001&article_id=0003361307 |제목=여자축구 박은선 또 팀 이탈 |출판사=연합뉴스 |날짜={{날짜한글화|2010-07-01}} }}</ref><ref>{{뉴스 인용 |url=http://sportalkorea.mt.co.kr/news/view.php?gisa_uniq=2012031913483824 |제목=‘여자 박주영’ 박은선이 돌아온다 |출판사=스포탈코리아 |날짜={{날짜한글화|2010-03-15}} }}</ref> [[WK리그 2012|2012 시즌]]에 10골을 기록하며 득점 공동 2위로 녹슬지 않은 기량을 보여준 뒤 [[WK리그 2013]] 시즌에서는 19골로 득점왕과 함께 소속팀을 준우승으로 이끌었다.<ref>{{뉴스 인용 |url=http://sports.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k_league&ctg=news&mod=read&office_id=411&article_id=0000000098 |제목=확 달라진 박은선 ‘2013년 기대하라’ |출판사=포포투 |날짜={{날짜한글화|2012-12-07}} }}</ref><ref>{{뉴스 인용 |url=http://sportalkorea.mt.co.kr/news/view.php?gisa_uniq=2013092413071679 |제목=‘득점기계’ 박은선, WK리그 역대 최다골로 득점왕 |출판사=스포탈코리아 |날짜={{날짜한글화|2013-09-24}} }}</ref><ref>{{뉴스 인용 |url=http://www.besteleven.com/Country/news_01_view.asp?iBoard=43&iIDX=59825 |제목=박은선, ‘풍운아’에서 어엿한 ‘영웅’으로 |출판사=베스트일레븐 |날짜={{날짜한글화|2013-10-15}} }}</ref> 이후 [[2014년]] 4년여만에 국가대표팀에 복귀했으며,<ref>{{뉴스 인용 |url=http://sportalkorea.mt.co.kr/news/view.php?gisa_uniq=2014041515340913 |제목=女아시안컵, 출전 명단 확정… 박은선 4년 만에 복귀 |출판사=스포탈코리아 |날짜={{날짜한글화|2014-04-15}} }}</ref> [[2014년 AFC 여자 아시안컵]]에 출전해 [[태국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태국]]과의 경기에서 [[해트트릭]]을 기록하는 등 대회 총 6골을 넣어 득점상을 차지함과 동시에 국가대표팀이 4위에 올라 [[2015년 FIFA 여자 월드컵]] 진출을 확정하는 것에 공헌하였다.<ref>{{뉴스 인용 |url=http://sportalkorea.mt.co.kr/news/view.php?gisa_uniq=2014051723435013 |제목=‘박은선 해트트릭’ 女대표팀, 12년 만에 여자월드컵 출전! |출판사=스포탈코리아 |날짜={{날짜한글화|2014-05-18}} }}</ref><ref>{{뉴스 인용 |url=http://sports.chosun.com/news/ntype.htm?id=201405270100251380016885&servicedate=20140526 |제목='박라탄'박은선의 클래스, 6골 아시안컵 최다득점상 |출판사=스포츠조선 |날짜={{날짜한글화|2014-05-26}} }}</ref>
  • 박은선 (축구선수)
         이후 [[2008년]] 2년여만에 국가대표팀에 발탁되었으나 부상을 이유로 3번 연속으로 차출이 불발되어 복귀가 미뤄졌으며,<ref>{{뉴스 인용 |url=http://sports.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a_match&ctg=news&mod=read&office_id=001&article_id=0001988229 |제목=박은선 무릎 부상..여자축구대표 복귀 무산 |출판사=연합뉴스 |날짜={{날짜한글화|2008-03-05}} }}</ref><ref>{{뉴스 인용 |url=http://sports.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a_match&ctg=news&mod=read&office_id=001&article_id=0002054553 |제목=박은선, 여자축구대표 복귀 또 무산 |출판사=연합뉴스 |날짜={{날짜한글화|2008-04-21}} }}</ref><ref>{{뉴스 인용 |url=http://sports.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a_match&ctg=news&mod=read&office_id=001&article_id=0002082689 |제목=여자축구 박은선, 부상으로 대표팀서 또 낙마 |출판사=연합뉴스 |날짜={{날짜한글화|2008-05-13}} }}</ref> 소속팀에서도 [[2009년]] 다시 무단 이탈했다가 1년여 뒤인 [[2010년]] 소속팀에 복귀하면서 정상적인 훈련을 받지 못했다.<ref>{{뉴스 인용 |url=http://sports.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k_league&ctg=news&mod=read&office_id=001&article_id=0002621142 |제목=박은선, 또 선수단 이탈..선수생명 위태 |출판사=연합뉴스 |날짜={{날짜한글화|2009-04-22}} }}</ref><ref>{{뉴스 인용 |url=http://sportalkorea.mt.co.kr/news/view_sub.php?gisa_uniq=20100315125418 |제목=여자 축구천재 박은선, 방황 접고 서울시청 복귀 |출판사=스포탈코리아 |날짜={{날짜한글화|2010-03-15}} }}</ref> 그 뒤 [[2010년]] 여름 개인 사정으로 인해 또다시 소속팀에서 무단 이탈한 뒤 잠적했다가 [[2011년]] 다시 소속팀에 복귀했으며,<ref>{{뉴스 인용 |url=http://sports.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k_league&ctg=news&mod=read&office_id=001&article_id=0003361307 |제목=여자축구 박은선 또 팀 이탈 |출판사=연합뉴스 |날짜={{날짜한글화|2010-07-01}} }}</ref><ref>{{뉴스 인용 |url=http://sportalkorea.mt.co.kr/news/view.php?gisa_uniq=2012031913483824 |제목=‘여자 박주영’ 박은선이 돌아온다 |출판사=스포탈코리아 |날짜={{날짜한글화|2010-03-15}} }}</ref> [[WK리그 2012|2012 시즌]]에 10골을 기록하며 득점 공동 2위로 녹슬지 않은 기량을 보여준 뒤 [[WK리그 2013]] 시즌에서는 19골로 득점왕과 함께 소속팀을 준우승으로 이끌었다.<ref>{{뉴스 인용 |url=http://sports.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k_league&ctg=news&mod=read&office_id=411&article_id=0000000098 |제목=확 달라진 박은선 ‘2013년 기대하라’ |출판사=포포투 |날짜={{날짜한글화|2012-12-07}} }}</ref><ref>{{뉴스 인용 |url=http://sportalkorea.mt.co.kr/news/view.php?gisa_uniq=2013092413071679 |제목=‘득점기계’ 박은선, WK리그 역대 최다골로 득점왕 |출판사=스포탈코리아 |날짜={{날짜한글화|2013-09-24}} }}</ref><ref>{{뉴스 인용 |url=http://www.besteleven.com/Country/news_01_view.asp?iBoard=43&iIDX=59825 |제목=박은선, ‘풍운아’에서 어엿한 ‘영웅’으로 |출판사=베스트일레븐 |날짜={{날짜한글화|2013-10-15}} }}</ref> 이후 [[2014년]] 4년여만에 국가대표팀에 복귀했으며,<ref>{{뉴스 인용 |url=http://sportalkorea.mt.co.kr/news/view.php?gisa_uniq=2014041515340913 |제목=女아시안컵, 출전 명단 확정… 박은선 4년 만에 복귀 |출판사=스포탈코리아 |날짜={{날짜한글화|2014-04-15}} }}</ref> [[2014년 AFC 여자 아시안컵]]에 출전해 [[태국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태국]]과의 경기에서 [[해트트릭]]을 기록하는 등 대회 총 6골을 넣어 득점상을 차지함과 동시에 국가대표팀이 4위에 올라 [[2015년 FIFA 여자 월드컵]] 진출을 확정하는 것에 공헌하였다.<ref>{{뉴스 인용 |url=http://sportalkorea.mt.co.kr/news/view.php?gisa_uniq=2014051723435013 |제목=‘박은선 해트트릭’ 女대표팀, 12년 만에 여자월드컵 출전! |출판사=스포탈코리아 |날짜={{날짜한글화|2014-05-18}} }}</ref><ref>{{뉴스 인용 |url=http://sports.chosun.com/news/ntype.htm?id=201405270100251380016885&servicedate=20140526 |제목='박라탄'박은선의 클래스, 6골 아시안컵 최다득점상 |출판사=스포츠조선 |날짜={{날짜한글화|2014-05-26}} }}</ref>
  • 박은실
         | 활동 기간 = [[2011년]] ~ 현재
  • 박은실 (앵커)
         | 활동 기간 = [[2011년]] ~ 현재
  • 박은영 (배우)
         * [[2011년]] 《[[퀵 (영화)|퀵]]》 ... 조개구이 아줌마 역
  • 박이소
         *[[2011년]] 개념의 여정 (Lines of Flight) ([[아트선재센터]])<ref>[http://www.samuso.org/wp/yiso-bahc/ 박이소 개인전: 개념의 여정 (Yiso Bahc – Lines of Flight)]</ref>
         *[[2006년]], [[2011년]] 재간 《이것은 미술이 아니다》
  • 박이영
         |국가대표팀 최신 업데이트 날짜=[[2011년]] [[1월 1일]]
  • 박인권
         * [[2011년]] 《[[잔혹한 게임]]》
         * [[2011년]] 《[[도둑놈 (만화)|도둑놈]]》
         * [[2011년]] 《[[악인종결자]]》
         * [[2011년]] 《[[들개 (만화)|들개]]》
         * [[2011년]] 《[[살 떨리는 수어지교]]》
         * [[2011년]] 《[[국수의 신]]》
  • 박인권 (만화가)
         * [[2011년]] 《[[잔혹한 게임]]》
         * [[2011년]] 《[[도둑놈 (만화)|도둑놈]]》
         * [[2011년]] 《[[악인종결자]]》
         * [[2011년]] 《[[들개 (만화)|들개]]》
         * [[2011년]] 《[[살 떨리는 수어지교]]》
         * [[2011년]] 《[[국수의 신]]》
  • 박인천
         * 배우자 : 이순정 (李順貞, [[1910년]] - [[2011년]])
  • 박인환 (배우)
         '''박인환'''(朴仁煥<ref>[http://focus.chosun.com/people/people01.jsp?id=1207 포커스 인물], 《조선닷컴》, 2011년 5월 30일 확인.</ref>, [[1945년]] [[1월 6일]] ~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1965년]] TV 드라마 《긴 귀항 항로》로 데뷔하였다.
         * [[2011년]] [[KBS2]] 주말연속극 《[[사랑을 믿어요]]》 ... 김수봉 역
         * [[2011년]] [[MBC]] 아침드라마 《[[당신 참 예쁘다]]》 ... 고만석 역
         * [[2011년]] [[MBC]] 주말연속극 《[[애정만만세]]》 ... 변춘남 역
         * [[2011년]] [[KBS1]] 일일연속극 《[[당신 뿐이야]]》 ... 이필용 역
         * [[2011년]] 《[[비내리는 고모령]]》
         * [[2011년]] 《토스카 인 서울》
  • 박재홍 (1978년)
         [[2010년]], [[중국 슈퍼리그]] [[장쑤 슌톈]]로 이적하여 2010 시즌 동안 뛰었다. 1년만인 2011년 1월 12일 [[경남 FC]]가 다시 박재홍의 영입을 발표하였다.<ref>{{뉴스 인용 |제목=경남FC, 전 국가대표 수비수 박재홍 영입 |url=http://www.asiatoday.co.kr/news/view.asp?seq=439252 |출판사=아시아투데이 |date={{날짜한글화|2011-1-13}} }}</ref>
         * [[2011년]] {{국기그림|대한민국}} [[경남 FC]]
  • 박정민(배우)
         ||<#4682b4> {{{#white '''데뷔'''}}} ||<(> [[2011년]] [[영화]] [[파수꾼(영화)|파수꾼]] ||
         ||<|6> 2011년 || 붉은 손 || 주연 || 리철오 || ||<|2>단편영화||
         ||<|2> 2011년 || [[KBS2]] || [[드라마 스페셜]] - 휴먼 카지노 || 조연 || 차태오 ||
         || 2011년 || || 제5회 상록수다문화국제단편영화제 홍보대사 ||
         [[분류:한국 남배우]][[분류:1987년 출생]][[분류:충주시 출신 인물]][[분류:2011년 데뷔]]
  • 박정철
         * [[2011년]] [[KBS1]] 대하드라마 《[[광개토태왕 (드라마)|광개토태왕]]》 ... [[아신왕]] 역
  • 박정환 (1977년)
         |마지막 경기 = [[KBO 리그|KBO]] / [[2011년]] [[10월 6일]] <br/> [[KIA 타이거즈|KIA]]전 대타
         * [[SK 와이번스]] (2007년 ~ 2011년)
         [[2011년]] 시즌 후 은퇴하고 [[SK 와이번스]]의 전력분석원으로 활동했다. 이후 2014년 부터 2군 수비코치를 맡다가 2015 시즌 후 팀을 떠났다.
  • 박종구 (1958년)
         |임기 = [[2010년]] [[3월 22일]] ~ [[2011년]] [[1월 17일]]
  • 박종진 (1967년)
         * [[2011년]] ~ [[2014년]] : [[쾌도난마]] 진행
  • 박주아 (배우)
         '''박주아'''(<small>본명</small>: '''박경자''', [[1942년]] [[9월 20일]] ~ [[2011년]] [[5월 16일]])는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1962년에 [[한국방송공사|KBS]] 1기 공채 탤런트로 데뷔했으며, 평생 독신으로 살았다. 신우암 초기 판정을 받고 2011년 4월 17일 수술한 후 중환자실에서 회복 중, 5월 14일 급작스런 다발성 장기 부전에 빠져 투병하다가 16일 오전 향년 68세로 별세했다.
         * [[문화방송|MBC]] 《[[남자를 믿었네]]》 (2011년)
         [[분류:1942년 태어남]][[분류:대한민국의 여자 텔레비전 배우]][[분류:대한민국의 여자 연극 배우]][[분류:대한민국의 여자 배우]][[분류:2011년 죽음]][[분류:1962년 데뷔]][[분류:대구광역시 출신]]
  • 박주아(1942년)
         '''박주아'''(<small>본명</small>: '''박경자''', [[1942년]] [[9월 20일]] ~ [[2011년]] [[5월 16일]])는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1962년]]에 [[한국방송공사|KBS]] 1기 공채 탤런트로 데뷔했으며, 평생 독신으로 살았다. 신우암 초기 판정을 받고 [[2011년]] [[4월 17일]] 수술한 후 중환자실에서 회복 중, [[5월 14일]] 급작스런 다발성 장기 부전에 빠져 투병하다가 16일 오전 향년 68세로 별세했다.
         * [[문화방송|MBC]] 《[[남자를 믿었네]]》 ([[2011년]])
         [[분류:1942년 태어남]][[분류:대한민국의 여자 텔레비전 배우]][[분류:대한민국의 여자 연극 배우]][[분류:대한민국의 여자 배우]][[분류:2011년 죽음]][[분류:1962년 데뷔]][[분류:달성군 출신 인물]]
  • 박주원 (음악가)
         [[2009년]] 첫 앨범《집시의 시간》과 [[2011년]] 《슬픔의 피에스타》를 발매하면서 대중의 주목을 받았고, 이 두 앨범은 [[한국대중음악상]] 시상식에서 최우수 크로스오버 부문을 수상했다.<ref>[http://www.sisainlive.com/news/articleView.html?idxno=15106 들어나 봤나, 집시 기타] 《시사인》, 2012년 12월 12일</ref>
  • 박준우 (기자)
         [[조각]]을 배웠다. 그러나 [[요리]]에 관심을 보이면서 조각을 그만두고 5개월 간 요리 공부를 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미식평론을 전문으로 하는 프리랜서 기자로 활동하였다. [[2011년]]에 [[대한민국]]으로 돌아왔고, [[2013년]]에는 대한민국의 방송 채널인 [[올'리브]]의 텔레비전 프로그램인 [[마스터셰프 코리아]]에 출연하여 준우승을 하면서 본격적으로 방송 출연을 시작하였다. 현재는 [[벨기에]] 국적을 그대로 유지한 채로 [[대한민국]]에 거주하고 있다.
  • 박준태 (축구 선수)
         |국가대표팀 최신 업데이트 날짜=[[2011년]] [[12월 31일]]
         울산 현대미포조선에서의 임대 기간을 마친 후인 2011년 1월 [[인천 유나이티드]]로 이적하였다. 인천에서의 첫 시즌, 5월까지 리그에서만 3골을 넣으며 활약하였고 이후에도 꾸준히 조커로 출장하며 활약하였다.
         [[2011년]] [[5월 6일]] 사망한 고 [[윤기원 (축구 선수)|윤기원]] 선수의 룸메이트였다. 이후 [[5월 8일]] 대전 시티즌과의 서울에서 후반 교체 출장해 팀의 동점골을 넣었고 인천은 역전승을 거두었다. 서울가 끝난 후, 미디어와의 인터뷰에서 윤기원 선수한테 보답하는 마음으로 뛰었다는 소감을 밝혔다.
  • 박준형 (1973년)
         그가 그리 많은 코너를 히트 시킬수 있었던 원동력은 그가 개발한 "대학로 극장시스템"에서 찾을수 있는데 방송을 위한 개그를 미리 소극장에서 실험해보고 첨삭하는 과정을 계속 반복하는 형식이었다. 훗날 이 시스템은 많은 개콘후배들에게도 도움을 주었고 또 다른 공개코미디 《[[웃찾사]]》가 발전하는데도 크게 일조한다. 그러나 그는 콤비였던 정종철이 당시 개콘PD와의 불화로 출연정지를 당하게되고 3개월뒤 《[[개그콘서트]]》를 떠나게되자 동생을 혼자 보낼수는 없다며 새로운 도전을 감행. 2009년 [[정종철]], [[오지헌]]과 함께 《[[개그콘서트]]》를 떠나 [[MBC 문화방송]] 《[[개그야]]》, 《[[하땅사]]》등의 프로그램에 출연하였다. 2011년에는 [[SBS]]의 신설 개그프로그램인 《[[개그투나잇]]》에서 [[강성범]]과 함께 공동 MC 역할을 맡아 소위 개콘이 아닌 다른 방송의 [[코미디]]를 살리기 위해 노력한다 . 2012년 《[[코미디빅리그]]》로 다시 둥지를 옮기고 새로운 개그실험을 하고 있는그는 현재 공개방송 [[코미디]]를 하고있는 모든 [[개그맨]] 중 유일하게 방송삼사 [[코미디]]를 다 경험한 [[개그맨]]이고 동기이자 절친인 [[개그맨]] [[박성호]]와 함께 공개 코미디 서열 1위에 올라있다.
         * [[2011년]] [[tvN]] 《[[코미디 빅리그]]》
         * [[2011년]] ~ [[2013년]] [[SBS]] 《[[개그 투나잇]]》
         * [[2011년]] ~ [[2012년]] [[SBS 러브FM]] 《[[박준형의 시사갈갈]]》
  • 박지만
         [[2005년]] 1월 영화 《[[그때 그사람들]]》이 아버지 [[박정희]]의 명예를 훼손했다며 상영금지 가처분 신청을 냈으며, 법원은 일부 장면을 삭제하라고 판결을 내렸다. 그러나 같은 해 2월 MK픽처스는 가처분 이의신청소송을 냈으며, 박지만은 영화상영금지 및 손해배상 청구소송을 제기했다. [[2006년]] 서울중앙지방법원은 손해배상 소송 금액 5억원 중 1억원을 박지만에게 제출하라고 원고 일부승소 판결을 내렸지만, 상영금지 청구에 대해서는 기각하였다.<ref>〈영화 ‘그때 그사람들’,박 前대통령 명예훼손 …1억 배상 판결〉, 경향신문, 2006년 8월 10일</ref> [[2011년]] [[8월 19일]] [[서울강남경찰서]]는 박지만의 누나인 [[박서영|박근령]]의 남편 [[신동욱 (정치인)|신동욱]]에 대해 '[[2010년]] [[9월]] 박지만의 5촌 조카와 비서실장이 자신을 [[중국]]으로 납치했고, 자신이 중국에서 [[마약]]을 했다는 소문 등을 퍼뜨렸다며, 두 사람을 [[고소]]하는 등'의 무고 혐의로 [[구속]]하였다. 신동욱은 '박지만의 비서실장 등이 [[2007년]] 자신을 중국으로 납치하여 살해하려 하였고, 박지만이 이를 뒤에서 교사했다'는 주장도 제기하였으며,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박지만이 죽이려했다는 녹취록이 있다고 주장했기 때문이다.<ref>{{뉴스 인용
         |제목=경찰 '박지만 무고혐의' 신동욱씨 영장(종합)|url=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01&aid=0005220023|출판사=연합뉴스 정치|날짜=2011년 8월 19일}}</ref>
  • 박지윤 (가수)
         * [[2011년]] [[SBS (대한민국의 방송사)|SBS]] 미니시리즈 《[[내게 거짓말을 해봐]]》 ... 박 매니저 역
  • 박지일 (1960년)
         * [[2011년]] KBS 수목드라마 《[[가시나무새 (드라마)|가시나무새]]》 - 최종달 역
  • 박지일(배우)
         * [[2011년]] [[KBS 수목드라마]] 《[[가시나무새 (드라마)|가시나무새]]》 - 최종달 역
  • 박진섭
         |클럽팀 최신 업데이트 날짜=[[2011년]] [[7월 20일]]
         2011년 7월 20일, 실업 축구단인 [[울산 현대미포조선 돌고래 축구단|울산 현대미포조선 돌고래]]로 이적하였고,<ref>{{뉴스 인용|제목=둘리 박진섭, 실업축구 무대에서 뛴다 |url=http://sports.media.daum.net/soccer/news/k_league/breaking/view.html?cateid=1171&newsid=20110719183930990&p=SpoChosun |출판사=스포츠조선 |저자=노주환 |날짜=2011년 7월 20일}}</ref> 2012년에 은퇴하였다.
  • 박진섭 (1977년)
         |클럽팀 최신 업데이트 날짜=[[2011년]] [[7월 20일]]
         2011년 7월 20일, 실업 축구단인 [[울산 현대미포조선 돌고래 축구단|울산 현대미포조선 돌고래]]로 이적하였고,<ref>{{뉴스 인용|제목=둘리 박진섭, 실업축구 무대에서 뛴다 |url=http://sports.media.daum.net/soccer/news/k_league/breaking/view.html?cateid=1171&newsid=20110719183930990&p=SpoChosun |출판사=스포츠조선 |저자=노주환 |날짜=2011년 7월 20일}}</ref> 2012년에 은퇴하였다.
  • 박진수 (1985년)
         * [[2011년]] [[KBS2]] 아침드라마 《[[두근두근 달콤]]》 ... 김강산 역
  • 박찬민
         [[1998년]] [[KBS청주방송총국]] 아나운서로 입사하여 [[2000년]] [[SBS (대한민국의 방송사)|SBS]] 공채 8기 아나운서로 입사했다. [[2002년]] 《[[모닝와이드|일요특집 생방송 모닝와이드]]》·《스타 GoGo》, [[2003년]] 《미소가 있는 TV》, [[2006년]] 《오! 열풍 코리아》등을 진행하였다. [[2007년]]에는 《[[백세 건강스폐셜]]》을 맡았고, [[2002년]]부터 [[2011년]]에 [[김환 (방송인)|김환]] 아나운서에게 자리를 넘겨 주기 전까지 매주 토요일《[[SBS 8 뉴스]]》와《[[SBS 스포츠뉴스]]》종료 후마다 방송하는 《[[나눔로또 6/45|로또]] 추첨방송》을 맡았고, 이후 2016년 8월 27일에 [[김환 (방송인)|김환]] 아나운서가 물러난 뒤 같은 해 9월 3일에 《[[나눔로또 6/45|로또]] 추첨방송》의 진행자로 다시 복귀하였다.
  • 박찬민 (아나운서)
         [[1998년]] [[KBS청주방송총국]] 아나운서로 입사하여 [[2000년]] [[SBS (대한민국의 방송사)|SBS]] 공채 8기 아나운서로 입사했다. [[2002년]] 《[[모닝와이드|일요특집 생방송 모닝와이드]]》·《스타 GoGo》, [[2003년]] 《미소가 있는 TV》, [[2006년]] 《오! 열풍 코리아》등을 진행하였다. [[2007년]]에는 《[[백세 건강스폐셜]]》을 맡았고, [[2002년]]부터 [[2011년]]에 [[김환 (방송인)|김환]] 아나운서에게 자리를 넘겨 주기 전까지 매주 토요일《[[SBS 8 뉴스]]》와《[[SBS 스포츠뉴스]]》종료 후마다 방송하는 《[[나눔로또 6/45|로또]] 추첨방송》을 맡았고, 이후 2016년 8월 27일에 [[김환 (방송인)|김환]] 아나운서가 물러난 뒤 같은 해 9월 3일에 《[[나눔로또 6/45|로또]] 추첨방송》의 진행자로 다시 복귀하였다.
  • 박찬욱
         [[2011년]] 1월에는 세계 최초로 [[아이폰 4]]만으로 촬영한 단편 영화 《파란만장》을 개봉하여 다시 한 번 주목을 받았다.
         * 2011년 《[[파란만장]]》- 단편영화
         * 2011년 [[KT]] 올레-스마트폰으로 영화찍기
         * 2011년 [[KT]] 올레-스마트폰으로 영화찍기
         ;'''파란만장(2011년작)'''
         * 2011년 제61회 [[베를린국제영화제]] 단편영화부문 황금곰상
         * 2011년 제44회 [[시체스 영화제]] 오피셜 놉스 비젼 최우수 작품상
         * 2011년 스파이크 아시아 광고제 필름크래프트부문 은상
         * 2011년 제11회 [[대한민국청소년영화제]] 감독상
  • 박찬욱 (영화감독)
         [[2011년]] 1월에는 세계 최초로 [[아이폰 4]]만으로 촬영한 단편 영화 《파란만장》을 개봉하여 다시 한 번 주목을 받았다.
         * 2011년 《[[파란만장]]》- 단편영화
         * 2011년 [[KT]] 올레-스마트폰으로 영화찍기
         * 2011년 [[KT]] 올레-스마트폰으로 영화찍기
         ;'''파란만장(2011년작)'''
         * 2011년 제61회 [[베를린국제영화제]] 단편영화부문 황금곰상
         * 2011년 제44회 [[시체스 영화제]] 오피셜 놉스 비젼 최우수 작품상
         * 2011년 스파이크 아시아 광고제 필름크래프트부문 은상
         * 2011년 제11회 [[대한민국청소년영화제]] 감독상
  • 박철민 (배우)
         * [[2011년]] 《[[마당을 나온 암탉]]》 ... 달수 역(목소리)
         * [[2011년]] 《[[7광구 (영화)|7광구]]》 ... 도상구 역
         * [[2011년]] 《[[위험한 상견례]]》 ... 대식 역
         * [[2011년]] 《[[수상한 고객들]]》 ... 오상열 역
         * [[2011년]] 《[[Mr. 아이돌]]》 ... 방송국CP 역(우정출연)
         * [[2011년]] 《[[투혼]]》 ... 박채문 역
         * [[2011년]] 《[[오직 그대만]]》 ... 방코치 역
         * [[2011년]] 《[[오싹한 연애]]》 ... 필동 역
         * [[2011년]] 《[[가문의 영광 시리즈|가문의 영광 4 - 가문의 수난]]》 ... 스키모토 역
         * [[2011년]] [[SBS]] 미니시리즈 《[[무사 백동수]]》 - 인 역
         * [[2011년]] [[KBS]] 미니시리즈 《[[동안미녀]]》 - 선남 역
         * [[2011년]] [[MBC]] 《[[세바퀴]]》 96회
         * [[2011년]] [[MBC]] 창사 50주년 특별기획 《타임》 내레이션
         * [[2011년]] [[SBS]] 《[[일요일이 좋다]] - [[런닝맨]]》 70회
         * [[2011년]] 3D 한국국제영화제 홍보대사
  • 박철우 (1964년)
         * [[서울 해치]] 감독 (2010년 ~ 2011년)
         이후 [[광주진흥고등학교]] 야구부 감독을 맡았고 [[2010년]]에는 [[일본]] 독립 리그 팀인 [[서울 해치]]의 감독을 맡았다가 팀이 해체된 후 [[2011년]] 10월 친정 팀 [[KIA 타이거즈]]의 타격코치로 복귀했다. 그러나 팀의 부진으로 [[2013년]] 재계약 불가 통보를 받아 다시 친정 팀을 떠났다. 그 후 독립야구 팀인 [[고양 원더스]]의 타격/수비코치를 맡았다. [[고양 원더스]]가 해체되고 [[두산 베어스]]에서 타격 코치로 활동했다.
  • 박철우(배구)
         [[2011년]] [[9월 3일]], [[신치용]] 감독의 딸로 알려진 신혜인[* 前 여자농구 선수였다.]과 결혼하게 됐다. 스포츠 판 [[로미오와 줄리엣]]이 해피엔딩으로 결말졌다. ~~하지만 시즌 중에는 [[신치용|장인어른]]한테 주구장창 깨지겠지.~~ 그런데 [[신치용]] 감독에게 [[홍길동|장인을 장인이라 부르지 못하고 감독님이라 부르는]] [[안습]]한 모습을 보여야 한다. 적어도 박철우가 은퇴하기 전까지 아니면 신치용이 삼성 감독을 그만둘 때까지는... 그런데 그렇게 된 건 신치용 감독이 박철우에게 장인이라 부르지 못하게 해서 그런다고. 사실 이건 [[신치용]] 감독이 잘 한 것이다. 사석에서야 장인-사위지만, 선수단에서 있을 때는 공적인 자리인만큼 되도록이면 서로의 지위에 맞게 대하는 것이 당연하다.[* 비슷한 예로, 최고참급 현역선수가 코치보다도 나이가 많으면 코치를 존중해주는 것처럼 말이다. (예. [[김병지]], [[박찬호]])]
         또한 소속 팀에서의 안습한 위치뿐만 아니라 국가대표팀에서도 서서히 발탁되는 경우가 줄어들고 있다. 2011년 [[박기원]] 감독이 국가대표를 맡은 이후 박철우보다 더 젊고 더 유용한 [[김정환(배구)|김정환]]이 발탁되는 경우가 많아졌고[* 김정환은 소속 팀과 국가대표팀에서 거의 노예급으로 굴리긴 하지만 아직까지 큰 부상이 없다. --다만 [[V-리그]]의 대표적인 [[노안]] 선수라 얼굴이 폭삭 늙고 있어서 팬들이 안타까워한다 카더라.-- 또한 라이트 치고 서브 리시브 능력까지 출중해 당장에 리시버가 아쉬운 국가대표팀으로서는 정말 중요한 자원이다.] 현재는 아예 김정환이 국가대표 주전 라이트윙으로 고정된 상태나 다름없다. --아니 사위가 어찌 그렇게 됐는고?--
  • 박철호 (1960년)
         * 《[[근초고왕 (드라마)|근초고왕]]》([[2010년]]~[[2011년]], [[KBS1]]) - 고치수 역
         * 《[[공주의 남자]]》([[2011년]], [[KBS2]])
         * 《[[브레인 (드라마)|브레인]]》([[2011년]], [[KBS2]]) - 박인범 역
         * 《[[당신 뿐이야]]》([[2011년]], [[KBS1]]) - 조상태 역
  • 박치왕
         * [[상무 피닉스 (야구)|상무 피닉스]] 코치 (1994년 ~ 2011년)
         * [[상무 피닉스 (야구)|상무 피닉스]] 감독 (2011년 ~ 현재)
         * [[2011년]] 야구월드컵 코치
         졸업하고 잠시 모교에서 코치를 맡은 것 외에는 자신이 복무했던 [[상무 피닉스 (야구)|상무]]에서 지도자 생활을 하고 있다. [[1994년]]부터 줄곧 [[상무 피닉스 (야구)|상무]]의 코치를 맡으면서 [[상무 피닉스 (야구)|상무]]의 [[KBO 퓨처스리그|퓨쳐스 리그]] 8회 우승(2002년 ~ 2010년)과 전국체전 5회 우승 등에 공헌하였다. 그 후 [[2011년]] 전임 [[김정택 (1953년)|김정택]] 감독이 정년을 맞아 퇴임하게 되어 그의 후임으로 [[상무 피닉스 (야구)|상무]]의 감독에 취임한다.
         |임기 = 2011년 - 현재
         {{2011년 야구 월드컵 대한민국 선수 명단}}
  • 박태환
         {{금메달|[[2011년 세계 수영 선수권 대회|2011 상하이]]|자유형 400m}}
         |1:46.73<ref>{{웹 인용 |url=http://www.omegatiming.com/swimming/racearchives/2007/melbourne2007/F73_ResByHeat_110_Finals_Men_200_Free.pdf |제목=보관 된 사본 |확인날짜=2011년 11월 13일 |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110928232843/http://www.omegatiming.com/swimming/racearchives/2007/melbourne2007/F73_ResByHeat_110_Finals_Men_200_Free.pdf |보존날짜=2011년 9월 28일 |깨진링크=예 }}</ref>
         | [[2011년]] [[7월 24일]]
         | [[2011년 세계 수영 선수권 대회|세계 수영 선수권 대회]]
         | [[2011년]] [[7월 26일]]
         | [[2011년 세계 수영 선수권 대회|세계 수영 선수권 대회]]
  • 박태환 (수영선수)
         {{금메달|[[2011년 세계 수영 선수권 대회|2011 상하이]]|자유형 400m}}
         |1:46.73 <ref>{{웹 인용 |url=http://www.omegatiming.com/swimming/racearchives/2007/melbourne2007/F73_ResByHeat_110_Finals_Men_200_Free.pdf |제목=보관 된 사본 |확인날짜=2011년 11월 13일 |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110928232843/http://www.omegatiming.com/swimming/racearchives/2007/melbourne2007/F73_ResByHeat_110_Finals_Men_200_Free.pdf |보존날짜=2011년 9월 28일 |깨진링크=예 }}</ref>
         | [[2011년]] [[7월 24일]]
         | [[2011년 세계 수영 선수권 대회|세계 수영 선수권 대회]]
         | [[2011년]] [[7월 26일]]
         | [[2011년 세계 수영 선수권 대회|세계 수영 선수권 대회]]
  • 박팽년
         * 《[[공주의 남자]]》 ([[KBS]], [[2011년]]~[[2011년]] 배우: [[이용진]])
         * 《[[뿌리깊은 나무 (2011년 드라마)]뿌리깊은 나무]]》 ([[SBS]], [[2011년]]~[[2011년]] 배우: [[김기범]])
  • 박한철 (1953년)
         |임기 = [[2011년]] [[2월 1일]] ~ [[2017년]] [[1월 31일]]
         2011년 2월 1일부터 헌법재판관으로 지내다가 2013년 3월 [[박근혜]] 대통령에 의하여 헌법재판소장 후보로 지명되었으며 동년 4월 12일에 소장으로 취임하였다.<ref name="court">{{뉴스 인용 |url = http://www.kihoilbo.co.kr/news/articleView.html?idxno=504208|제목 = 박한철 지명자는 인천서 중·고교 시절… 법리 밝은 학구파|저자 = 강봉석|날짜 = 2013년 3월 21일|확인날짜 = 2013년 3월 21일}}</ref><ref>헌법재판소공보 제 171호.</ref><ref>헌법재판소공보 제 198호.</ref> 검찰 출신으로는 첫 헌재소장으로 기록되었다.<ref name="court" />
         * 2010년 9월 ~ 2011년 1월 : 김&장 법률사무소 변호사
         * 2011년 2월 ~ 2017년 1월 : 헌법재판소 재판관
  • 박해미
         대표작으로는 [[텔레비전 드라마|TV 드라마]] 《[[거침없이 하이킥!|거침없이 하이킥]]》,《[[오로라 공주]]》, 《[[학교 2013]]》 등이 있고 여러 방송 광고에도 출연하였으며, 2007년부터는 케이블 텔레비전 방송국 [[올리브 네트워크]] '판도라의 상자'를 진행하고 있으며 2011년 4월 17일 방영된 MBC 《[[섹션TV 연예통신]]》'별별랭킹-'연예계 최강 기 센 여자스타 베스트 12' 코너에서 강한 카리스마로 인해 3위에 랭크됐는데<ref>{{뉴스 인용
         * [[2011년]] [[MBN]] 《[[갈수록 기세등등]]》 - 박해미 역
         * [[2011년]] [[SBS 러브FM]] 《행복한 주말 박해미입니다》
  • 박해민
         |야구 월드컵 = [[2011년 야구 월드컵|2011년 파나마]]
         4학년 때인 [[2011년]]에는 [[고종욱]]이 졸업해 공석이 된 리드오프 자리에서 활약했고, [[KBA회장기 전국대학야구대회|대학야구 하계리그]]에서는 타율 0.452(31타수 14안타)를 기록하며 타격상을 수상했다. 대학 리그 전체 1위인 타율 0.429, 11타점, 7도루를 기록하며 대학 마지막 시즌을 마쳤다.
         '수위타자' 성적을 인정받아 한양대 졸업을 앞두고 생애 첫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에 선발돼 [[2011년 야구 월드컵]]에 출전했다. 첫 서울인 [[베네수엘라]]전에서 4타수 3안타의 깜짝 활약을 펼치며 프로 선수들 사이에서 주전 중견수로 낙점됐고, [[도미니카 공화국|도미니카]]전에서는 9회 승부를 원점으로 돌려놓는 동점 쓰리런 홈런을 쳐 내며 주목받았다.
         {{2011년 야구 월드컵 대한민국 선수 명단}}
  • 박헌도
         |첫 출장 = [[KBO 리그|KBO]] / [[2011년]] [[9월 23일]]<br>[[대구시민운동장 야구장|대구]] 대 [[삼성 라이온즈|삼성]]전
         * [[상무 야구단]] (2010년 ~ 2011년)
         [[2011년]]에 처음 1군에 출장했으나 7경기 동안 10타수 무안타에 그쳤다. 하지만 2군 경기에서는 92경기동안 0.329의 고타율과 9홈런, 40타점을 기록하는 등 크게 활약했다.
  • 박현범
         [[2011년]] [[7월 19일]], 1년 반에 [[수원 삼성 블루윙즈]]로 이적하였다.<ref>{{뉴스 인용|제목=제주 MF 박현범, 전격 수원 이적 |url=http://mbn.mk.co.kr/pages/news/newsView.php?category=mbn00011&news_seq_no=1086280 |출판사=매일경제 |저자=전광열 |날짜=2011년 7월 19일}}</ref>
  • 박현빈
         | [[2011년]]
         [[2009년]]에는 세 번째 싱글 앨범의 수록곡 〈대찬인생〉을 발표하였는데 이 곡은 [[1997년]] 영화 《[[할렐루야 (영화)|할렐루야]]》주제곡으로 당시에는 [[신철 (1964년)|신철]]이 불렀지만 이것을 박현빈이 트로트 스타일로 재편곡하여 활동을 했다. 트로트 버전으로 탈바꿈한 박현빈의 〈대찬인생〉은 작곡가 [[윤일상]]이 재편곡했고 원곡을 불렀던 신철이 프로듀서를 비롯해 랩 피처링을 맡아 많은 화제를 모은바 있다. [[대한민국 제5회 지방선거]]에 박현빈의 〈앗! 뜨거〉가 선거 로고송 시장의 핫 아이콘으로 자리잡았다. 그리고 데뷔 후 처음으로 《박현빈의 전국 투어콘서트》를 개최했다. [[2011년]]에는 최근 트로트 가수 중에서 일본에 진출하였던 [[태진아]], [[오은주]] 다음으로 일본에 진출하여 자신의 곡 〈샤방샤방〉을 일본어로 번안시킨 곡으로 된 앨범을 제작해서 발매했고 새로운 트로트 한류 스타로서 본격적인 활동에 돌입했다. 일본에 진출해 일본 가요 차트에서도 상위권을 기록했다.
  • 박호언
         }}</ref> 하였다. [[2011년]] [[대한민국 국가인권위원회|국가인권위원회]] 설립 10주년 기념, [[대한민국 10대 차별시정]] 3번째로 선정된 바 있으며, [[2013년]] [[대한민국인권상]]을 받는 등, 아동, 청소년 권리 증진을 위해 여러 사회 활동을 벌이고 있다.
         }}</ref>. {{출처|더 나아가 해당 공적은 [[2011년]] [[대한민국 국가인권위원회|국가인권위원회]] 설립 10주년 기념, [[대한민국 10대 차별시정]] 3번째로 선정된 바 있다.|날짜=2016-07-12}}
  • 박홍섭
         * [[2011년]] 한국지역신문협회 기초단체장부문 행정대상
  • 박홍우
         * [[2011년]] [[5월 25일]]~ [[2012년]] [[9월 4일]] 의정부지방법원 법원장
         * [[2010년]] [[2월 2일]]~[[2011년]] [[5월 14일]] 서울중앙지법 형사수석부장판사
         2007년 서울고등법원 재판장 시절 [[김명호 (1957년)|김명호]] [[성균관대학교]] 전 조교수의 재임용 불복 소송 항소심에서 패소 판결을 했다가 결과에 불만을 품은 [[김명호 (1957년)|김명호]] 전 교수로부터 집 앞에서 석궁 테러를 당했다. 이 사건을 소재로 [[2011년]] 영화 《[[부러진 화살 (2012년 영화)|부러진 화살]]》이 제작되었다.
  • 박휘순
         * [[2011년]] [[임정희]] - Golden Lady
  • 박흥렬 (공무원)
         * [[2011년]] [[3월]]~[[2013년]] [[2월]] : 단국대학교 교양학부 교수
  • 박희순
         * [[2011년]] 《[[혈투]]》
         * [[2011년]] 《[[의뢰인 (2011년 영화)|의뢰인]]》
  • 방준서
         * [[2011년]] [[SBS]] 미니시리즈 《[[시티헌터 (드라마)|시티헌터]]》 ... 미진 역
  • 배민희(배우)
         |align="center"| [[2011년]]
  • 배슬기(배우)
         뜻밖에도 월드컵 당시를 배경으로 한 한국, 독일 합작영화 Finale에 킬러 역으로 캐스팅, 영화를 찍어버렸다. 과연 그녀에게도 도약의 기회가 올 것 인가....영화는 개봉연기 끝에 2011년에 나올 예정이긴 하다. 참고로 그 영화 참가진 중 음악은 조영욱[* [[올드보이]]의 음악가로 유명하다.](...), 무술감독은 [[정두홍]](...).
         [[2011년]] [[8월 27일]] 사건이 하나 터졌다. 배슬기 소유인 핑크색 [[아우디 A4]]를 몰던 모친은 교차로에서 먼저 주행 진입 중이던 [[싼타페]]를 들이받아 피해를 입히고 나서, 본인 과실임에도 불구하고 자신을 피해자로 신고했을 뿐만 아니라 보험사 직원이 도착하기 전까지 차에서 내리지도 않아 비난을 받고있다. 먼저 진입한 차량 싼타페는 수리비 60만 원가량이 청구되었는데 과실 비율 40% 적용으로 인해 6:4로 하면서 보상금으로 피해자는 자기 차량 수리비의 6배 가까운 360만 원 상당을 지불해야 한다는 사실이 세간에 알려지면서 더욱 [[어그로]]를 끌고 있다. 이로 인해 쌍방 과실의 비율을 묻는 현행 [[도로교통법]]에 대한 논란이 불거졌다.
         2011년 [[박시후]]와 경찰서에서 만든 안보 동영상을 찍었는데, 동영상의 나레이터가 [[촛불시위]]를 [[친북]]행위로 규정지어 논란이 되었다.[[http://news.sportsseoul.com/read/ptoday/933111.htm|#]]
         || 2011년 || [[파이널]] || || ||
         || 2011년 || 커플즈 || || ||
         || 2011년 || MBC || [[심야병원]] || || ||
         || 2011년 || Trend E || [[피아니시모]] || || ||
         || 2011년 || MBC || [[최고의 사랑]] || 한미나 || ||
  • 배용준
         |제목= 배용준 여행서, 중국서 우수도서 후보 올라 |url=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3&oid=038&aid=0002119892 |출판사=한국일보|날짜= 2011-01-10|확인날짜 = 2017-09-08}}</ref> 이후, [[MBC LIFE]]에서 2011년 1월 8일부터 3월 12일까지 동명의 제목의 다큐멘터리가 방송되었다.
         |제목= 동갑내기 배용준·박진영, 드라마서 ‘아이돌’ 키운다 |url= http://www.khan.co.kr/kh_news/art_view.html?artid=201012272134405&code=960801 |출판사= 경향신문 |날짜= 2010-12-27|확인날짜 = 2017-09-08}}</ref> 이 드라마는 2011년 1월 첫방송 되었고 20%에 육박하는 시청률을 기록하는 등 선전하며 인기를 끌었고, 배용준은 학교 이사장 역할로 특별출연하였다.<ref>{{뉴스 인용
         * [[2011년]] [[2011년 도호쿠 지방 태평양 앞바다 지진|동일본 지진]] 피해 복구를 위해 10억원을 기부했다.<ref>{{뉴스 인용 |제목= 日언론 "배용준, 지진 피해자 위로 10억 기부" 대서특필 |url= http://ntn.seoul.co.kr/?c=news&m=view&idx=83181 |출판사= 세계일보 |날짜= 2011-03-15 |확인날짜= 2017-09-08 }}{{깨진 링크|url=http://ntn.seoul.co.kr/?c=news&m=view&idx=83181 }}</ref><ref>{{뉴스 인용|제목=배용준, 10억 기부 "일본 지진, 돕는 최선의 방법 찾을터"|url=http://ntn.seoul.co.kr/?c=news&m=view&idx=83087|출판사=서울신문|날짜=2011-03-14|확인날짜=2017-09-08}}{{깨진 링크|url=http://ntn.seoul.co.kr/?c=news&m=view&idx=83087 }}</ref><ref>{{뉴스 인용
  • 배종옥
         * [[2011년]] [[MBC]] 주말 미니시리즈 《[[애정만만세]]》 ... 오정희 역
         * [[2011년]] [[MBC 드라마대상]] 미니시리즈부문 여자 황금연기상 《[[애정만만세]]》
  • 배지현
         |2011||[[SBS 스포츠]]||[[베이스볼 S]]||[[2011년]] [[4월 4일]] ~ [[2013년]] [[11월 1일]]||
  • 배철수
         * [[2011년]] [[SK에너지]] 엔크린
         * [[2011년]] [[일동제약]] 메디폼 (클레이 애니메이션 및 내레이션으로 출연)
         * [[2011년]] [[에플컴퓨터코리아]] 아이패드2
  • 배칠수
         * [[배철수의 음악캠프]]([[MBC FM4U]], [[2005년]] ~ [[2011년]] [[5월 5일]], '철수와 칠수'코너 게스트)
         * MBC 창사 50주년 특집 포토다큐멘터리 ‘Do They Know?(그들은 알까요?)’([[MBC]], [[2011년]] [[11월 13일]], 내레이션)
         *[[이재오]](정치인) - 2011년부터 잠시 중단
  • 백상원
         * [[상무 야구단]] (2011년 ~ 2012년)
         |야구 월드컵 = [[2011년]] 파나마
         {{2011년 야구 월드컵 대한민국 선수 명단}}
  • 백선기(1955)
         ||<bgcolor=#C9151E> '''{{{#FFFFFF 임기}}}''' ||<(> [[2011년]] [[10월 26일]] ~ ||
         순심고등학교 졸업 후 [[경상북도청]] 소속 공무원으로 근무하였다. 2011년 1월부터 같은 해 8월까지 경상북도 [[청도군]] 부군수를 지냈다.
         전임자 [[장세호]] 군수의 [[공직선거법]] 위반으로 치러진 [[2011년 하반기 재보궐선거]]에서 [[한나라당]] 후보로 칠곡군수 선거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2014년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새누리당]] 후보로 칠곡군수 선거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2016년 [[THAAD]] 배치에 반대하여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607091819001&code=940100|삭발하였다]]. 2018년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자유한국당]] 후보로 칠곡군수 선거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 2011 || [[2011년 하반기 재보궐선거|10·26 재보선]] (칠곡군수) || [[한나라당]] || '''11,543 (34.47%)''' || '''당선''' || '''초선''' ||
  • 백성현(1989)
         ||<|3> [[2011년]] || [[KBS 2TV]] || [[화이트 크리스마스(드라마)|화이트 크리스마스]] || [[박무열]] || ||
          * 연기력은 아역부터 시작해서인지 안정적이며, 2011년 KBS에서 방영한 화이트 크리스마스에서는 배우들이 거의 모델 출신이라 연기의 미숙함을 안고 있는 상황에서도 같은 아역 출신 배우인 [[곽정욱]]과 함께 극을 매끄럽게 이끌어가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 백승도 (배우)
         * [[2011년]] [[JTBC]] 대하드라마 《[[인수대비 (드라마)|인수대비]]》 ... [[진성대군]] 역
  • 백은영
         백은영은 [[1973년]] [[10월 22일]], [[서울특별시|서울]]에서 출생하였고 [[1996년]] [[아리랑 TV]] 입사를 데뷔하고 [[2011년]] 프리랜서 방송인이 되었다.
  • 백일섭
         * [[2011년]] [[KBS2]] 주말연속극 《[[사랑을 믿어요]]》 ... 김수봉의 친구, 백일섭 역(특별출연)
         * [[2011년]] [[KBS2]] 주말연속극 《[[오작교 형제들]]》 ... 황창식 역
         * [[2012년]] [[MBC]] 창사특별기획 《[[빛과 그림자 (2011년 드라마)|빛과 그림자]]》 ... 김풍길 역
         * [[2011년]] 살맛나는 임플란트 이야기
  • 백진우 (야구선수)
         |프로 입단 연도 = [[2011년]]
         * [[두산 베어스]] (2011년 ~ 2017년)
         2011년에 입단하였다.
  • 백진희
         |[[2011년]]
  • 백차승
         * [[오렌지 카운티 플라이어스]] (2010년 ~ 2011년)
         [[2011년]] 11월 일본 프로 야구 팀 [[오릭스 버펄로스]]에 입단했지만 [[2012년]] 시즌 1군 등판이 한 번도 없었고 [[2012년]] [[10월 5일]]에 방출됐다. 이후 [[2015년]]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스]]의 스프링 캠프장에 찾아가 입단 테스트를 받았지만 불합격했다.
  • 백창주
         * [[2011년]] [[5월 30일]]~[[2011년]] [[7월 19일]] [[MBC]]《[[미스 리플리]]》(공동 제작)
         * [[2011년]] [[8월 3일]]~[[2011년]] [[9월 29일]] [[SBS]]《[[보스를 지켜라]]》(공동 제작)
         * [[2011년]] [[JYJ]]는 [[씨제스엔터테인먼트]] 백창주 [[대표이사]] [[회장]]에게 3억 원 이상의 승용차를 선물하여 화제가 된 바 있다.<ref>[http://www.tvreport.co.kr/?c=news&m=newsview&idx=183716 JYJ 통큰선물, 소속사 대표에 3억 원 상당 승용차 안겨 “감사의 뜻” - TV리포트] 2011-12-26 전선하 기자</ref>
  • 백춘희
         * [[2011년]] [[자유선진당]] 대전시지구당 여성위원장
  • 백현진
         * [[2011년]] 《[[영원한 농담]]》(단편)
         * [[2011년]] 《[[북촌방향]]》 ... 작곡가 역
         * [[2011년]] 《[[영원한 농담]]》(단편)
         * [[2011년]] 《[[영원한 농담]]》(단편)
         * [[2011년]] 《[[찰라의 기초]]》: 타이틀곡 오후만 있던 일요일
         * [[2011년]] 《[[여기까지]]》: 타이틀곡 여기까지
         * [[2011년]] 《[[아편굴 처녀가 들려준 이야기]]》: 타이틀곡 태평양
         * [[2011년]] 《[[나는 가수다 경연 10-1. '듀엣곡 부르기']]》: 타이틀곡 사랑밖에 난 몰라 (With 자우림, 원곡 심수봉)
  • 베니 (대한민국의 가수)
         * [[2011년]] 레이싱퀸2 OST Part 2
  • 베이비소울
         | 활동시기 = [[2011년]] ~ [[현재]]
         2011년 11월 28일 울림 걸그룹 프로젝트 첫 번째 음반이자 데뷔 음반인 <남보다 못한 사이(Feat.휘성)>을 발매하였다.
         * [[2011년]] 《남보다 못한 사이 (Feat. [[휘성]])》
         [[분류:러블리즈의 일원]][[분류:1992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아이돌 가수]][[분류:대한민국의 여자 가수]][[분류:의왕시 출신]][[분류:대한민국의 가수]][[분류:2011년 데뷔]][[분류:울림엔터테인먼트 소속]]
  • 변요한
         ||<#FAECC5> '''데뷔''' ||<(> [[2011년]] [[단편영화]] '[[토요근무]]' ||
         2011년 [[한국예술종합학교]] 작품인 [[단편영화]] 《[[토요근무]]》로 데뷔했다. 그다지 길지 않은 활동기간 동안의 작품활동이 대부분 [[독립영화]]로 이루어져있기 때문에 필모그래피에 등록된 영화보다 등록되지 않은 영화들이 더 많다. 들리는 바에 의하면 약 30편 정도가 더 있다고. ~~역시 독립영화계의 송중기.~~ 그 예로 영화《[[들개(영화)|들개]]》로 이미 합을 한 번 맞춘 적이 있는 배우 [[박정민(배우)|박정민]]과 함께한 《어쩔 수 없어요》, 《FLAMINGO》 등이 있다. ~~《FLAMINGO》 감독님 내한 기원[* 변요한이 직접 《FLAMINGO》에 애착이 있으나 공개할 방법이 마땅치 않다고 말했다. 이유는 감독님이 미국으로 가셔서 연락이 되지 않기 때문.]~~ 육룡이 나르샤 이후에는 뮤지컬(!) [[헤드윅]]에 출연한다.[* 육룡이 나르샤 촬영 시기와 겹쳐 1차, 2차까지 공개된 캐스팅 목록에 올라가 있지 않았다. 마침내, 4월 27일로 첫공 날짜가 정해졌다.] 이 작품은 평소에 외워 부르고 다닐 만큼 좋아하는 작품이었다고 한다.
         ||<|3> [[2011년]] || 재난영화★☆ || 주연 || 변요한 ||
         [[분류:한국 남배우]][[분류:1986년 출생]][[분류:진안군 출신 인물]][[분류:2011년 데뷔]]
  • 변정수
         * [[2011년]] [[tvN]] 미니시리즈 《[[MANNY]]》 ... 제니스 역
         * [[2011년]] [[문화방송|MBC]] 주말연속극 《[[애정만만세]]》 ... 변주리 역
         * [[2011년]] 《[[화이트: 저주의 멜로디]]》 ... 여대표 역
  • 변창립
         * [[MBC 표준FM]] : [[2011년]] 《[[창사특집 MBC와 나]]》
  • 변희재
         2011년 11월 5일 보수인터넷매체 [[뉴데일리]] 논설실장을 겸하게 되었다. 언론 활동 외에도 《실크로드 CEO포럼》의 대표, 청년창업가포럼 대표, [[포털사이트 피해자 모임]] 등으로도 활동하였다.
         * [[2011년]] 뉴데일리 논설실 실장
         먼저 낸시 랭의 아버지 생존 여부가 논란이 되었다. 그간 낸시 랭은 방송 및 언론에서 자신의 아버지가 교통사고로 사망했다고 밝혀왔기 때문이다. [[2013년]] [[1월]] 낸시 랭은 [[이데일리]]와의 인터뷰에서 '대학원 졸업할 당시 아버지를 교통사고로 보냈고, 17년 동안 암 투병하시던 어머니는 지난 2009년 2월 세상을 떠났다. 외할머니마저 그 후로 1년 돌아가셨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6&oid=018&aid=0002714155 <nowiki>[</nowiki>이 사람<nowiki>]</nowiki> 뇌가 섹시한 낸시랭, "천재란 소문, 들어보셨죠?"] 이데일리 2013.01.14</ref>'라고 밝힌 바 있다. 그러나 변희재는 동년 [[4월 16일]] 낸시 랭의 아버지 박상록은 생존해 있으며, 2012년 3월 종로에서 공연을 했다는 주장을 트위터에 올려놓은 데 이어 "대학원 졸업 후 교통사고로 돌아가셨다는 낸시 랭의 부친 박상록의 2011년 안산 자원봉사 공연이다. 인간성 좋기로 유명한 분이다. 하여간 한국에 팝을 최초로 보급하고, 인성 좋아 후배 가수들 챙기는 걸로 유명한 분"이라며 관련 동영상을 공개하면서<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6&oid=404&aid=0000028146 변희재, "낸시랭 부친 멀쩡히 살아 있는데" 패륜 논란] 뉴스24 2013.04.16</ref> 논란을 일으켰다.
         [[분류:변희재]][[분류:진중권]][[분류:1974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기업인]][[분류:대한민국의 범죄인]][[분류:대한민국의 기자]][[분류:프리랜서 아나운서]][[분류:대한민국의 방송인]][[분류:대한민국의 사회 운동가]][[분류:대한민국의 사회 운동]][[분류:대한민국의 언론인]][[분류:대한민국의 작가]][[분류:대한민국의 시사 평론가]][[분류:대한민국의 유튜버]][[분류:대한민국의 정치 평론가]][[분류:대한민국의 보수주의자]][[분류:대한민국의 무신론자]][[분류:대한민국의 칼럼니스트]][[분류:대한민국의 뉴라이트]][[분류:서울대학교 인문대학 동문]][[분류:서울반포초등학교 동문]][[분류:반포중학교 (서울) 동문]][[분류:서울특별시 출신]][[분류:인터넷 활동가]][[분류:조선일보]][[분류:남성운동가]][[분류:친노]][[분류:새천년민주당 당원]][[분류:열린우리당 당원]][[분류:평화민주당 (2010년)]][[분류:국민행복당 (2011년)]][[분류:옛 자유한국당의 정치인]][[분류:새누리당 (2017년) 당원]][[분류:대한애국당 당원]][[분류:친박]]
  • 보람
         * [[KBS2]] 《[[드라마스페셜]] - [[보라색 하이힐을 신고 저승사자가 온다]]》 ([[2010년]]) ... 우아미 역(주연)<ref>문태경 기자 [http://www1.mydaily.co.kr/news/read.html?newsid=201008071546231112&ext=na 'KBS 드라마 스페셜 '보라색 하이힐~'서 깜찍 저승사자 역'] {{웨이백|url=http://www1.mydaily.co.kr/news/read.html?newsid=201008071546231112&ext=na |date=20160305070427 }}, 《마이데일리》, 2010년 8월 7일 작성, 2011년 3월 1일 확인.</ref>
         [[2011년]] [[3월 3일]] [[전영록]]은 [[문화방송]] 《[[추억이 빛나는 밤에]]》에 출연하여 "딸(전보람)의 이름은 [[람보]]를 거꾸로 하여 지은 이름"이라고 밝혔다<ref>강경록 기자, "[http://www.asiae.co.kr/news/view.htm?idxno=2011030323555167454 전영록 "딸 '전보람' 이름이 '전람보'될 뻔 했다"]", 《스포츠투데이》, 2011년 3월 4일 작성. 2011년 10월 21일 확인.</ref>. 전보람의 별칭은 "람뽀"이다.
  • 봉만대
         * [[2011년]] [[채널CGV]] 《TV 방자전》 - 연출
  • 봉준호
         영화 《[[마더 (2009년 영화)|마더]]》가 한국 영화 최초로 [[미국]] 비평가 협회에서 받은 외국어 영화상만 무려 7개로 보스톤평론가협회, 남동부비평가협회, 샌프란시스코 영화비평가협회 등에서 수상했다. 뿐만 아니라, 여주인공인 [[김혜자]]는 헐리우드 톱배우들을 제치고 LA 평론가협회 여우주연상을 수상하며 해외에서 큰 주목을 받았다. 봉준호 감독은 2011년 미국 최고 독립영화제인 [[선댄스영화제]]의 심사위원으로 위촉되기도 했다.
         [[프랑스]] 만화를 각색한 《[[설국열차]]》를 준비한후,<ref>[http://book.naver.com/bookdb/book_detail.nhn?bid=6050627 네이버 책 '설국열차'], 뱅자맹 르그랑, 장 마르크 로셰트, 자크 로브 저, 김예숙 역, 현실문화, 2009년 8월 5일</ref> 2012년 초 크랭크인하여 2013년 7월 31일에 개봉하였다.<ref name="설국열차">[http://news.naver.com/main/hotissue/read.nhn?mid=hot&sid1=106&cid=307165&iid=364668&oid=020&aid=0002268463&ptype=011 프랑스 만화 각색한 ‘설국열차’ 400억대작 이끄는 봉준호 감독], 동아일보, 2011년 8월 16일</ref>
         | {{small|*}} 《[[이키]]》||단편영화||2011년
         | {{small|*}} 《인류멸망보고서 - 멋진 신세계》||옴니버스영화||2011년||특별출연(멋진 신세계 - 패널 (이준호) 역)
         * [[2011년]] 미국 여성영화비평가협회 최우수 외국영화상
         * [[2011년]] 미국 온라인영화비평가협회 최우수 외국영화상
         * [[2011년]] 미국 캔자스시티비평가협회 최우수 외국영화상
         * [[2011년]] 미국 센트럴오하이오비평가협회 최우수 외국영화상
         * [[2011년]] 미국 남동부영화비평가협회 최우수 외국영화상
         * [[2011년]] 미국 샌프란시스코영화비평가협회 최우수 외국영화상
         * [[2011년]] 미국 보스톤영화비평가협회 최우수 외국영화상
  • 봉중근
         [[2010년]]에는 시즌 초 당시 감독이었던 [[박종훈 (1959년)|박종훈]]과 마찰이 생겨 문책성으로 2군에 내려갔고, 이 사건으로 그의 부인이 미니홈피에 [[박종훈 (1959년)|박종훈]]을 비난하는 발언을 하여 물의를 일으키기도 했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7&oid=003&aid=0003174162 김성근 감독 "박종훈 감독, 용기 있네"] - 뉴시스</ref> 1군 복귀 후 에이스로의 기질을 다시 보이며 꾸준히 성적을 이어 나갔다. 그는 선발진이 약했던 팀] 마운드를 묵묵히 지켰고 사실상 팀의 살림꾼 역할을 했다. 그로 인해 무리가 와 [[2010년 아시안 게임|광저우 아시안 게임]]에 출전하던 중 팔꿈치 통증을 느꼈고, [[2011년]]에 팔꿈치 부상으로 인해 1승 2패로 부진했다. 2군으로 내려간 후 도미하여 조브 클리닉에서 검사를 받은 결과 팔꿈치 부상이 발견되어, 토미 존 수술을 받아 시즌을 마감했다.<ref>[http://osen.mt.co.kr/news/view.html?gid=G1105260293 봉중근, 왼쪽 팔꿈치 토미 존 수술 결정…시즌 아웃] - OSEN</ref> 재활 후에는 [[송신영]]의 FA 이적 및 [[레다메스 리즈|리즈]]의 제구난으로 [[레다메스 리즈|리즈]]를 대신하여 마무리로 등판, [[대한민국]] 무대 복귀 이후 세이브를 기록하기 시작하였고 마무리로 완전히 전업하였다. [[2013년]] [[8월 17일]] [[KIA 타이거즈|KIA]]전에서 30세이브를 기록하였으며, [[2007년]] [[우규민]] 이후 [[LG 트윈스]]에서 30세이브대를 기록하게 되었다.<ref>[http://sports.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baseball&ctg=news&mod=read&office_id=117&article_id=0002365953 봉중근, LG 마무리 30세이브 시대 다시 열었다] - 마이데일리</ref>
         처음으로 출전한 아시안 게임에서 그는 대표팀의 주장을 맡았으며, 불펜으로 등판했다. 이 대회 때부터 그는 팔꿈치 통증을 느꼈고, [[2011년]] 토미 존 수술을 받게 되었다.
         |style="text-align: center;"|[[2011년 한국프로야구|2011]]
  • 비니 (레이싱 모델)
         * [[2011년]] - F1 코리아 그랑프리 그리드걸 선발대회 목포MBC상
  • 빅토르 안
         |국가 = 대한민국(2011년 이전)<br />러시아(2011년 이후)
         '''빅토르 안'''({{llang|ru|Виктор Ан}}, [[1985년]] [[11월 23일]] ~ )은 [[대한민국]] 출신의 [[러시아]] [[쇼트트랙]] 선수이다. 귀화 전 이름은 '''안현수'''(安賢洙)였으며, 대한민국 국적일 당시 [[2006년 동계 올림픽]]에서 대한민국 쇼트트랙 국가대표 선수로 출전하여 [[금메달]] 3개, [[동메달]] 1개를 획득하고, 2003년부터 2007년까지 [[세계 쇼트트랙 선수권 대회]]를 5연속 제패하였으며, [[2003년]] 쇼트트랙 남자 1500m와 3000m에서 세계신기록을 수립하였다.(이 기록들은 모두 2011년 대한민국의 쇼트트랙 선수 [[노진규]]로부터 깨지게 된다.) 2011년 대한민국 국적을 포기하고 [[러시아]]로 귀화하여<ref>[http://news.sportsseoul.com/read/sports/963114.htm 안현수, 러시아 대표? 유럽 언론 "한국의 별, 러시아 입성] {{웨이백|url=http://news.sportsseoul.com/read/sports/963114.htm# |date=20110820011644 }} 2011년 8월 17일 스포츠서울</ref><ref>[http://www.mydaily.co.kr/news/read.html?newsid=201108170953172271&ext=na 안현수 심경 고백 "러시아 국적 선택 후회없게 올림픽서 좋은 모습"] 2011년 8월 17일 마이데일리</ref><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4&oid=001&aid=0005442037 쇼트트랙 안현수 러시아 국적 취득], 2011년 12월 29일, 연합뉴스</ref> 러시아 국가대표로 활동 중이다. [[2014년 동계 올림픽]]에서 러시아 국가대표 선수로 출전하여 금메달 3개, 동메달 1개를 획득하여 토리노 대회 이후 다시 한 번 3관왕에 오른데 이어 2014년 세계 쇼트트랙 선수권 대회에서 우승을 하게 되며 총 여섯 번의 우승을 차지했다. 따라서 빅토르 안은 현재 올림픽에서만 8개의 메달을 따 쇼트트랙에서는 미국의 [[아폴로 안톤 오노]]와 메달 수에서 타이 기록을 세웠다.
         [[2010년 동계 올림픽]] 후 [[대한빙상경기연맹]]의 파벌과 관련된 잡음으로 논란이 이어졌고, 부친은 [[러시아]]행을 권유하였다.<ref name="russia">[http://news.donga.com/3/all/20110418/36485743/4 안현수 父 "막내도 크면 러시아로 보낼 것"], 동아일보, 2011년 4월 18일</ref> 일단 안현수는 [[2010년]] 4월에 치러질 국가대표 선발전을 준비하고 있었으나, 대한빙상경기연맹은 갑자기 국가대표 선발전 연기를 발표하여 훈련 계획에 차질을 빚었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7&oid=001&aid=0003230510 안현수 팬 모임 "쇼트트랙 선발전 연기 반대"], 연합뉴스 2010년 4월 18일</ref><ref>[http://news.mk.co.kr/newsRead.php?year=2010&no=204999 쇼트트랙 '짬짜미' 논란, 어디까지 왔나] {{웨이백|url=http://news.mk.co.kr/newsRead.php?year=2010&no=204999 |date=20131202233344 }}, 매일경제, 2010년 4월 22일</ref> 안현수는 [[2010년]] 5월 기초 군사훈련을 이수하기로 되어 있었기 때문에 선발전 연기 결정이 안현수를 견제하기 위한 것이었다는 의혹이 제기되었다. 또한 국가대표 선발전을 쇼트트랙에서는 드문 타임레이스 방식으로 치르기로 하여 경기방식도 그에게 불리하게 바꾼 것이라는 의혹도 제기되었다. 결국, 2010년 9월 타임레이스 방식으로 치러진 국가대표 선발전에서 탈락하여 [[2010년]]부터 [[2011년]]까지 시즌 국가대표로 선발되지 못했다. 이후 대한빙상경기연맹은 [[2011년]]부터 [[2012년]]까지 시즌 국가대표 선발전은 다시 4월에 치를 것이라고 하여, 그는 이에 대한 대비를 하였다. 그러던 중 소속팀인 [[성남시]]는 [[2010년]] [[7월 12일]] 판교특별회계에서 악화된 지방 재정으로 인해 [[지급 유예|모라토리엄]]을 선언하였고, 그것의 여파로 [[2010년]] [[12월 30일]] 부로 소속 15개 체육팀 중 하키, 펜싱, 육상 3종목을 제외한 모든 팀을 해체하면서 빙상팀을 해체하기로 결정하였다. 안현수는 새로 옮길 소속팀을 찾지 못한 채 소속팀 없이 훈련하는 어려운 상황을 맞게 되었다.<ref>[http://news.donga.com/3/all/20110412/36339973/4 '쇼트트랙 황제'가 청년백수로…"안현수를 원하는 곳이 없었다"], 동아일보 2011년 4월 12일</ref> 결국 [[2011년]] 4월에 열린 국가대표 선발전에서는 5위를 하여, 4위까지 주어진 국가대표 자격을 얻지 못했다.<ref>[http://www.seoul.co.kr/news/newsView.php?id=20110418029012 안현수 '아쉬운 고별 무대' 곽윤기·이정수 '어색한 만남'], 서울신문 2011년 4월 18일</ref> 그리고 안현수는 [[러시아]]행을 결심한다.<ref>[http://joongang.joins.com/article/aid/2014/02/15/13490501.html 박 대통령이 부조리 지적한 빙상연맹 무슨 일이], 중앙일보, 2014년 2월 15일</ref>
         [[대한빙상경기연맹]]과의 갈등 및 파벌 논란, 소속 팀 해체, 국가대표 선발전 탈락 등으로 어려운 처지에 빠진 안현수는 새로운 여건에서 운동할 수 있는 [[러시아]]로 귀화하기로 결정하였다.<ref name="russia"/> [[2011년]] [[6월]] [[러시아]]로 이주하였고,<ref>[http://sports.khan.co.kr/news/sk_index.html?cat=view&art_id=201106011408113&sec_id=530101&pt=nv 안현수의 도전은 끝나지 않았다, 러시아 진출위해 오늘 출국], 스포츠경향, 2011년 6월 1일</ref> [[러시아]] 국적까지 취득하여 [[러시아]] 국가대표로 국제대회에 출전할 계획도 세웠다.<ref>[http://news.donga.com/3/all/20110817/39582346/1 쇼트트랙 안현수, 러시아 대표로 뛸 듯], 동아일보, 2011년 8월 17일</ref> 귀화에 앞서 2011년 7월, 국민체육진흥공단에서 자신의 남은 연금을 일시불로 수령하였다.<ref>[http://www.dailian.co.kr/news/view/419760/?sc=naver 러시아 귀화’ 안현수…연금혜택 받을 수 있나], 데일리안, 2014년 2월 7일</ref> [[2011년]] [[12월 28일]] [[러시아]] [[드미트리 메드베데프]] 대통령은 안현수의 [[러시아]] 국적 취득을 인정하는 대통령령에 서명하여, 그는 정식으로 [[러시아]] 국적을 취득했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4&oid=001&aid=0005442037 쇼트트랙 안현수 러시아 국적 취득], 연합뉴스, 2011년 12월 28일</ref> 귀화와 동시에 [[러시아]]에서 명성을 떨친 [[우크라이나]]-고려인 혼혈 록 가수 [[빅토르 초이]]처럼 유명해졌으면 좋겠다는 생각에 빅토르 안({{lang|ru|Виктор Ан}})으로 개명하였다고 한다.<ref>[http://news.naver.com/sports/index.nhn?ctg=ranking_news&mod=read&ranking_type=popular_day&date=2011-12-29&rank_id=34593966&office_id=001&article_id=0005442090 러시아 국적 취득한 빅토르 안 인터뷰], 연합뉴스 2011년 12월 29일</ref><ref>{{언어링크|ru}} [http://sport.ria.ru/other_sport/20111228/528481521.html Мастер шорт-трека Ан Хен Су хочет догнать по популярности Виктора Цоя], [[리아 노보스티]] 2011년 12월 28일</ref> [[러시아]] 국적 취득으로 [[대한민국 국적법]]에 의해 그의 [[대한민국]] 국적은 자동 소멸되었다.
  • 살찐 고양이
         | 활동시기 = [[2011년]] [[9월 24일]] ~ 현재
         [[2011년]] 8월 [[데프콘 (가수)|데프콘]]의 노래 〈래퍼들이 헤어지는 방법 Part.2〉에 뮤직비디오에 출연했으며, 무대에서 피쳐링을 하며 알려졌다. 같은 해 [[9월 29일]] 데뷔 싱글 〈내사랑 싸가지〉를 발매해 가요계에 데뷔했다. 이후 [[2012년]] 싱글 〈예쁜게 다니〉, 〈꿈만 같아요〉를 발매해 활동했다. 그러나 얼마 뒤 신장에서 수분·염분의 재흡수에 관여하는 호르몬 증가로 인한 특발성 부종이라는 진단을 받아 활동을 중단하기도 했다.<ref>[http://media.daum.net/entertain/enews/view?cateid=1033&newsid=20120321112114803&p=newsis 가수 살찐고양이 입원, 싱글 '꿈만 같아요' 끝]</ref><ref>[http://news.mtn.co.kr/newscenter/news_viewer.mtn?gidx=2012032111125732431 살찐 고양이 신곡 활동 종료 ‘특발성부종’ 때문...피로, 스트레스 누적]</ref> 2013년 드라마 《[[야왕 (드라마)|야왕]]》 OST 〈눈물비〉에 참여하며 재기했으며, 7월에는 일본 데뷔도 하였다.
         * [[2011년]] 9월 29일 〈내사랑 싸가지〉
         [[분류:1990년 태어남]][[분류:한양여자대학교 동문]][[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서울특별시 출신]][[분류:대한민국의 여자 가수]][[분류:2011년 데뷔]]
  • 서갑숙
          * [[2011년]] [[KBS2]] 《[[KBS 드라마 스페셜|드라마 스페셜]] - 불이문》- 정림 역
  • 서기수
         2010년 5월 이스트로의 코치직에서 물러난 후, 스타크래프트 II 게이머로 전향하였다. 스타크래프트 II 게이머로 전향한 서기수는 GSL 무대에서 꾸준한 활약을 펼치는 선수 중 한명으로 꼽힌다. 처음에 입단에 [[TSL]]팀에서 이적하여 현재는 [[스타테일]] 소속이다. 2011년 12월 20일 육군 현역으로 입대하였다. 그 뒤 2013년 9월 17일에 제대하였다.
         * [[2011년]] 소니 에릭슨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리그 Jan. Code S 8강
         * [[2011년]] 인텔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리그 Mar. Code S 16강
         * [[2011년]] LG 시네마 3D, 인텔코리아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리그 May Code S 32강
         * [[2011년]] LG 시네마 3D, 인텔코리아 슈퍼 토너먼트 32강
         * [[2011년]] PEPSI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리그 July Code S 8강
         * [[2011년]] PEPSI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리그 Aug. Code S 32강
         * [[2011년]] 소니 에릭슨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리그 Oct. Code A 32강
  • 서동환
         [[KBO 리그]] [[2005년]] 드래프트에서 와 함께 큰 기대를 받아 [[두산 베어스]]에 2차 1순위로 지명되었지만 기대에 부응하지 못했고, [[2008년]] 팔꿈치 부상으로 임의탈퇴되었다가 [[2009년]]에 복귀하여 교육 리그에 참가했다. [[2011년]] SK전에서 첫 선발 승을 거두었다. [[2012년]] 초반 불펜에서 잠깐 활약하였지만 이후에는 별다른 활약을 보여 주지 못해 [[2013년]] [[11월 22일]]에 열린 [[2014년 KBO 리그 2차 드래프트]]를 통해 [[삼성 라이온즈]]로 이적하였다.
  • 서상기 (1946년)
         * [[2011년]] [[2월 24일]] ~ : [[한국우주소년단]] 총재
  • 서신애
         || [[2011년]] [[12월 16일]]~[[2011년]] [[12월 25일]] || 동탄복합문화센터 반석아트홀 || 악역배우 남달구 || 남지원 || 연극 ||
         || [[2011년]] [[4월 28일]]~[[2011년]] [[5월 5일]] || [[세종문화회관]] 대극장 || 알라딘 || 라나 || 뮤지컬 ||
  • 서우(배우)
         2010년 10월부터 2011년 4월까지 [[문화방송|MBC]] 드라마 [[욕망의 불꽃]]에서 여배우 [[백인기]] 역으로 출연하였다. 안티팬이 많은 극중 역할과 비슷하다며 아픔을 토로했다.
         2011년 10월부터 [[SBS]] [[내일이 오면]]에서 윤은채 역으로 출연했다.
         || [[2011년]] || [[SBS]] || [[내일이 오면]] || 윤은채 || ||
         || 2011년 || 제6회 아시아모델시상식 || 패셔니스타상 || ||
  • 서지희
         * [[2011년]] [[MBC]] 주말연속극 《[[욕망의 불꽃]]》 ... 어린 윤정숙 역 ([[김희정 (1970년)|김희정]] 아역)
         * [[2011년]] [[SBS]] 미니시리즈 《[[무사 백동수]]》 ... 어린 장미소 역 ([[지유]] 아역)
  • 서진원
         [[2011년]] [[한국예술종합전문학교]] 방송콘텐츠프로듀서. 현재 소속사는 bob스타컴퍼니 이다.
         * 《[[량강도 아이들]]》 (2011년) - 인민군 중사 역
         * 《[[짐승 (영화)|짐승]]》 (2011년) - 오 형사 역
         * 《[[무산일기]]》 (2011년) - 전단지 사장 역
         * 《[[서유기 리턴즈]]》 (2011년) - 일본대표 역
         * [[2011년]] 출판사 케나즈 “큐브” 각본, 장태산 그림 준비중
         * [[2011년]] 출판사 케나즈 “런 2” 각본 작업중
         * [[2011년]] 나는 행복합니다
         * [[2011년]] 한국영화기성작가 시나리오 공모전 우수상
  • 서현철(배우)
         ||<|5> [[2011년]] || KBS1 || [[우리집 여자들]] || 최두호 || ||
          * 2011년 연극열전3 어워즈 배우상
          * 2011년 제6회 골든티켓어워즈 연극 남자배우상
  • 서호진
         대구교대부설초등학교 재학 중에 쇼트트랙을 시작했으며, 이후 국가대표로 선발되었다.<ref name=et>[http://www.imaeil.com/sub_news/sub_news_view.php?news_id=19543&yy=2011 토리노 동계올림픽 金 쇼트트랙 서호진 은퇴], 매일신문, 2011년 4월 21일 작성.</ref>
         [[2011년]] [[4월 16일]] 쇼트트랙 선수에서 은퇴했다.<ref name=et /> 현재는 동아종합인쇄사의 부장을 맡고 있으며 2010년부터 가업을 잇기위한 경영수업을 듣고 있다. 최근 논란이 되고 있는 [[안현수]] 선수 폭행 논란 및 금메달 양보 의혹에 대해서는 "말도 안 되는 소문이기에 시간이 흐르면 자연히 사라질 줄 알고 침묵했다" 라며 부인했고, 관련 루머를 퍼뜨린 유포자에 대해서 경찰 수사의뢰하겠다며 강력한 조치 의사를 밝혔지만, 소식이 없다.<ref>[http://sports.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sochi2014&ctg=news&mod=read&office_id=001&article_id=0006761293 서호진씨 "안현수 선수 구타한 적 없다…억울하다"], 연합뉴스, 2014년 2월 18일 작성.</ref>
  • 서홍석
         * [[2011년]] 《영웅》
  • 서홍석 (1982년 2월)
         * [[2011년]] 《영웅》
  • 선동열
         [[2011년]] [[10월 18일]] [[조범현]]의 후임으로 친정 팀 [[KIA 타이거즈|KIA]]의 감독으로 부임했다. 등번호는 자신의 영구 결번 18번이 아닌 90번을 달았다. 하지만 기대와 달리 2012 시즌 5위, 2013 시즌 8위, 2014 시즌 8위의 초라한 성적을 남겼다. 그럼에도 [[KIA 타이거즈]]와 2년 재계약에 성공하며 엄청난 정치적 역량을 발휘했으나 팬들의 안 좋은 여론이 일었고, 결정적으로 당시 [[경찰 야구단|경찰청]] 입대를 선언한 내야수 [[안치홍]]에게 임의탈퇴 공시하겠다는 발언을 한 사실이 드러나 [[2014년]] [[10월 25일]] 재계약을 발표한 지 6일 만에 사퇴했다.<ref>[http://entertain.naver.com/read?oid=081&aid=0002477078 선동열 안치홍 사태 후폭풍, 감독 재계약 6일만에 사퇴..임의탈퇴 협박?] - 서울신문</ref> 그의 후임으로는 [[김기태 (1969년)|김기태]]가 선임되었다.
         * [[양동근]] - [[퍼펙트 게임 (2011년 영화)]]
         {{s-ttl | title = 제7대 [[KIA 타이거즈]] 감독 | years = [[2011년]] [[10월 18일]] ~ [[2014년]] [[10월 25일]]}}
  • 선주아
         * [[2011년]]《[[써니 (영화)|써니]]》 ... 현재 음악감상실 종업원 역
         * [[2011년]]《엔틱카메라》
  • 설운도
         | [[2011년]]
         2004년에는 《춘자야》(작사: 이수진/ 작곡: 설운도)가 인기를 얻으며 당시 혜성처럼 나타나 전국에 일명 "어마나 열풍"을 일으켜 트로트의 세대 교체를 이룬 [[장윤정]]을 제치고 성인가요 프로그램 ITV 성인가요 《베스트 30》, 《전국 TOP 10 가요쇼》에서 1위를 하였다. 2010년에는 [[부산광역시|부산]] [[금정구]]를 찬양하는 곡인 《내 사랑 금정》(금정구 구민들/설운도) 을 발표하였고 2011년에 〈추억 속으로〉([[이수진]]/설운도) 를 발표하였는데 이 노래 역시 즐거운 노래로 크게 인기를 얻었다. 2013년에는 지난 1992년에 발표된 〈미련의 블루스〉([[이수진]]/[[정원수]]) 가 인터넷과 SNS를 통해 전파되어 전국 노래교실 신청곡이 쇄도하여 리메이크해서 다시 녹음하였다.
         * 발매일 : [[2010년|2011년]] [[4월]]
         *2011년: [[하동진]] - 《나니까》(작사: 설운도/ 작곡: 설운도)
         *2011년: 설운도 - 《추억속으로》(작사: 이수진/ 작곡: 설운도)
         * 2011년 제1회 대한민국 다문화예술대상 10대 예술인상
         * 2011년 제1회 한국음악저작권대상 싱어송라이터상
  • 성승
         * 《[[인수대비 (드라마)|인수대비]]》 ([[JTBC]], [[2011년]]~[[2012년]] 배우:[[이석구]])
  • 성시경
         |[[2011년]] [[6월 1일]] ~ [[2014년]] [[4월 13일]]
  • 성의준
         |야구 월드컵 = [[2011년]] 파나마
         {{2011년 야구 월드컵 대한민국 선수 명단}}
  • 성훈(배우)
         || '''데뷔''' || [[2011년]] [[SBS]] 드라마 [[신기생뎐(드라마)|신기생뎐]] ||
         연예계 데뷔 전에는 수영선수로 활동하다 부상으로 그만두고 [* 《[[우리동네 예체능]]》에서의 활약상을 보면 실력이 후덜덜한 편이다. 국가대표 상비군 출신과 붙어서도 이기고, 은퇴한 지 10년이 다 되어가는데도, 현역 선수랑 거의 대등한 성적을 내는 걸 보면 사람이 아니라 돌고래 수준(...) 실제로도 현역 시절 대회에서 매우 좋은 기록을 세우는 등 촉망받는 선수였다고 한다. 본인의 말에 따르면, 부상으로 인해 전신마취만 6번, 수술만 약 10번 가까이 했고, 결국 기록이 떨어져 은퇴했다고 한다. 하지만 예체능에서 거의 날아다니고 있어 영 설득력이(...) 워낙 예체능에서 보여준 활약이 인상 깊었던지라, 각종 커뮤니티에선 사람 맞냐는 반응이 많다. ~~수중로보트~~ 최근 인터뷰에 의하면, 허리 통증 때문에 예체능에서 제대로 기량을 내지 못했다고 한다. ~~그게 기량을 못 낸 거라니 그럼 전성기땐 어땠단거냐...~~ ~~인간의 신체능력을 뛰어넘은 듯~~] [* MBC [[나 혼자 산다]]에서 28세까지 실업팀 소속으로 수영 선수 생활을 했다고 밝혔다(2018년 10월 5일 방영분).] 2011년, SBS 드라마 《[[신기생뎐(드라마)|신기생뎐]]》의 남자주인공 아다모 역으로 1000:1의 경쟁률을 뚫고 데뷔했다. '''처음으로''' 본 오디션에서 합격한 거라 본인도 많이 놀랐다고 한다. 같은 작품에 출연한 [[임수향]]이나 한혜린 등은 연기 경험이 어느 정도 있던 신인이었지만, 본인은 연기경력이 하나도 없는 일반인이었다. 하지만 사진에서도 보다시피, 마스크나 신체조건이 상당히 우월한 편이라, 붙을 만했다는 의견이 많았다.
         ||<|2> 2011 ||<|2> [[SBS]] || 《달콤한 고향 나들이, 달고나》[* 13회 2011년 07월 29일 방송. 대구에 계시는 부모님과 집이 공개되었다. 성훈 어릴적 아버지가 벌을 주려고 로잉기구를 시키시고 깜빡하시고 나갔다 오셨는데 5시간 넘게 하고 있었다고 한다. 나중에 큰일 내겠다고 아버지가 생각하셨다고.] ||<|3> 게스트 ||
         || 《[[강심장]]》[* 92~93회 2011년 08월 23일 30일 방송. 데뷔전 수영선수 였다가 잦은 부상과 잇몸에 종양이 생겨 잇몸 드러낸 이야기.. 허리디스크 수술로 인해 선수생활을 접고 배우를 하려고 바로 군대에 갔다고 하자 스튜디오가 빵 터졌다..군 제대 후 오디션 경험을 쌓으러 다니다가 소속사 동생이 [[신기생뎐(드라마)|신기생뎐]] 오디션 가는걸 따라갔다가 [[아다모]]역에 뽑혔고 그 동생은 어찌되었냐는 [[강호동]]의 질문에 "군대갔어요"에 또 빵 터졌다. ~~2017년 [[나 혼자 산다]]에서 모습들이 이때부터~~] ||
         [[분류:한국 남배우]][[분류:1983년 출생]][[분류:광명시 출신 인물]][[분류:2011년 데뷔]]
  • 세븐 (가수)
         | 설명 = 2011년 니콘 & YG ''A Shot A Day''캠페인에 참석한 세븐.
         * [[2011년]] 《2011 YG패밀리 콘서트》 - 본인 역
         ! 2011년
  • 세진이
         * [[2011년]] 대한민국 오늘문화대상 가요발전상
         * [[2011년]] 사랑하는 이를 위한 가요제 가요발전대상
         * [[2011년]] 대한민국 연예예술상 사회봉사상
  • 소냐(가수)
          * [[2011년]] [[SBS]] [[드라마]] 《[[더 뮤지컬]]》- 추정원 역
  • 소연 (1987년)
         * [[2011년]] 널 위해 부르는 노래(with, 안영민)
         * [[2011년]] 페이지원(옥주현, sg워너비, 티아라)
         * [[2011년]] [[KBS2]] 《[[스쿨 버라이어티 백점만점]]》
  • 소연 (1994년)
         * [[2011년]] [[Mnet]] [[슈퍼스타K 3]]》
  • 소울다이브
         * [[2011년]] [[4월 12일]] - 미니앨범 ''Bad Habits''** 수록곡
  • 손나은
         | 활동시기 = [[2011년]] [[4월 19일]] ~ 현재
         [[분류:1971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2011년 데뷔]][[분류:에이핑크의 일원]][[분류:대한민국의 여자 가수]][[분류:대한민국의 여자 텔레비전 배우]][[분류:동국대학교 동문]][[분류:일본 출신]][[분류:플랜에이 엔터테인먼트 소속]][[분류:서울공연예술고등학교 동문]]
  • 손민한
         * [[롯데 자이언츠]] (1997년 ~ 2011년)
         그러나 그는 [[2009년]]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WBC]] 때부터 안 좋은 어깨 때문에 [[2009년]] [[10월 2일]] [[미국]] [[로스앤젤레스 다저스|LA 다저스]] 지정병원인 조브 클리닉에서 감바델라 박사의 집도로 오른쪽 어깨 관절경 수술을 받았다. 수술 후 [[미국]]에서 1차 재활을 마친 뒤 귀국해 2010 시즌까지 계속 재활 훈련을 했다. 그러나 재활 훈련 도중 통증이 재발되어 복귀가 무산됐고 [[2011년]]에도 시범 경기에 등했으나 또 다시 악순환을 거듭하여 결국 회복하지 못하고 시즌 후 방출됐다.<ref>[http://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baseball&ctg=news&mod=read&office_id=109&article_id=0002271770 손민한, 롯데 떠난다…자유계약 공시 신청] - OSEN</ref>
         하지만 [[2011년]] 말 [[선수협]] 간부가 한 온라인게임업체와 선수 초상권 사용 계약을 맺는 과정에서 브로커로부터 뇌물을 받으면서, 8개구단 고참급 선수들이 손그의 퇴진을 요구하였고,<ref>[http://joynews.inews24.com/php/news_view.php?g_menu=702100&g_serial=616701&rrf=nv 비리혐의 얼룩진 선수협 쇄신 위해 이종범-홍성흔 등 선수들 나서] - 조이뉴스</ref> 결국 선수협 회장직에서 물러났다.
  • 손병호
         * [[2011년]] 《[[나는 아빠다]]》 ... 나상만 역
         * [[2011년]] 《[[퍼펙트 게임 (2011년 영화)|퍼펙트 게임]]》 ... [[김응용]] 역
         * [[2011년]] [[SBS]] 드라마 스페셜 《[[49일]]》 ... 오해원 역
         * [[2011년]] [[SBS]] 아침드라마 《[[태양의신부|태양의 신부]]》 ... 박태호 역
         * [[2011년]] [[JTBC]] 대하드라마 《[[인수대비 (드라마)|인수대비]]》 ... 한명회 역
  • 손병호(배우)
          * [[2011년]] [[OCN]] [[야차]] - 강치순 역
          * 2011년 SBS [[49일]] - 오해원 역
          * 2011년 영화 [[나는 아빠다]] - 나상만 역
          * 2011년 [[JTBC]] [[인수대비(드라마)|인수대비]] - [[한명회]] 역
          * 2011년 영화 [[퍼펙트 게임(2011)|퍼펙트 게임]] - [[김응용]] [[해태 타이거즈]] [[감독]] 역
  • 손보미 (소설가)
         |등단=[[2011년]] 동아일보 신춘문예
         |상훈=[[2009년]] 21세기문학 단편소설 부문 신인상 <br /> [[2011년]] 동아일보 신춘문예 단편소설 부문 <br /> [[2012년]] 제3회 문학동네 젊은작가상 대상 <br /> [[2013년]] 제4회 문학동네 젊은작가상 <br /> [[2013년]] 제46회 한국일보문학상 <br /> [[2014년]] 제21회 김준성문학상 <br /> [[2014년]] 제5회 문학동네 젊은작가상 <br /> [[2015년]] 제6회 문학동네 젊은작가상
         '''손보미'''([[1980년]]~)는 대한민국의 [[소설가]]이다. [[서울특별시]]에서 태어났으며 32세에 동아일보 신춘문예에 《담요》가 당선되어 등단하였다. 등단한 이후 꾸준히 단편 소설과 에세이, 그리고 장편 소설을 쓰며 작가로 활동하고 있다. [[2013년]] 출간한 첫 소설집 ‘그들에게 린디합을’(문학동네)은 6쇄를 찍었고, [[2017년]] 첫 장편 소설 '디어 랄프 로렌'을 선보였다. [[2011년]] 데뷔 직후부터 2012 문학동네 젊은작가상 대상, 2013 [[한국일보문학상]] 등을 수상하며 단번에 한국 문학의 기대주로 떠올랐다. “소설가란 굉장히 좋은 망원경을 갖고 낯선 행성의 타인을 관찰하는 우주인”라고 생각한다는 그녀는 "'매우' '멀리' 존재하는 세계를, 그리고 그 세계를 살아가는 사람들의 얼굴을 단 한번이라도 제대로 보게 되기를" 바란다.
         손보미는 정작 스스로를 “평범한 사람”이라 정의한다. “습작 시절부터 1인칭 소설을 잘 안 썼다. 스스로의 경험을 소설화할 만큼 특별한 경험이나 특이한 삶의 이력 같은 게 없으니.” 단지 많이 읽고, 많이 봤다. 어릴 적부터 [[지구공동설|지구공동체설]] 등을 다룬 미스터리 문고를 섭렵했고, 고등학생 때는 [[시미즈 레이코]]의 <달의 아이> 등을 탐독하며 만화 스토리작가를 꿈꿨고, 국문과에 진학해선 국내외 작가들의 소설을, 방황하던 이십대 중후반에는 무수한 영화와 미국 드라마들을 봤다. “너무 평범해 작가가 된다는 생각은 하지 못했던” 그녀는 국문과의 글 쓰는 분위기에 익숙해져 창작 동아리에 들어갔고, 습작을 시작했다. 대학원에 진학해 앞날을 고민하던 시절, “정면 돌파를 해야겠다”는 생각으로 응모한 두 번째 신춘문예에 당선되는 결과를 얻었다. <ref>{{웹 인용|url=http://www.cine21.com/news/view/?mag_id=82406|제목=중력에서 이탈하기|언어=ko-KR|확인날짜=2017-06-01}}</ref><blockquote>"소설을 쓰고 싶어 국문과에 간 건 아니었어요. 읽는 걸 좋아해서 친구 따라 소설 쓰기 학회에 간 적이 있는데 특별히 잘 쓴다는 소리를 듣지는 못했죠. [[2009년]]에 소설을 발표하고 긴 슬럼프를 겪었는데, 오래 전에 쓴 '담요'라는 제일 좋아했던 소설을 한 달 내내 고쳐서 투고를 했어요. 그게 [[2011년]] 신춘문예에 당선이 된 거죠. 스스로가 프로의식을 가지고, 소설을 쓸 원동력을 그때 얻었어요."<ref>{{뉴스 인용|url=http://news.mk.co.kr/newsRead.php?year=2014&no=485693|제목=[Art & Culture] 젊은 글쟁이 4인, 봄을 만나다|뉴스=mk.co.kr|언어=ko|확인날짜=2017-06-01}}</ref></blockquote>
         * 《담요》 - [[2011년]] '신춘문예 당선소설집' (한국소설가협회)
         * 《피코트》 [[2011년]] '신춘문예 당선자 새소설' (문학나무)
         * 《그들에게 린디합을》 - [[2011년]] '현대문학' 4월호, [[2012년]] '신예 작가' (한국소설가협회), [[2012년]] '젊은 소설' (문학나무), [[2013년]] '그들에게 린디합을' (문학동네)
         * 《육 인용 식탁》 - [[2011년]] '문장 웹진' 8월호, [[2012년]] '제2회 웹진문지문학상 이달의 소설' (문학과지성사)
         * 《폭우》 - [[2011년]] 계간 ‘문학동네’ [가을] 통권 68호, [[2012년]] '제2회 젊은작가상 수상작품집' (문학동네), [[2013년]] '그들에게 린디합을' (문학동네)
         * 《달콤한 잠 ㅡ 팽 이야기》 - [[2011년]] '21세기 문학' [겨울] 통권 55호
         * 《여자들의 세상》 - [[2011년]] '문학들' [겨울] 통권 26호, [[2013년]] '제3회 웹진문지문학상 이달의 소설' (문학과지성사)
         * [[2011년]] 동아일보 신춘문예 단편소설 부문, 단편 소설 《담요》
  • 손비야
         * [[2011년]] [[채널CGV]] 《TV방자전》<ref>[http://media.daum.net/entertain/enews/view?cateid=1032&newsid=20111005155955283&p=newsen 김진선-여민정 ‘TV방자전’ 섹시코믹 시스터즈 활약 예고]</ref>
         [[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인천광역시 출신]][[분류:2011년 데뷔]][[분류:대한민국의 여자 배우]][[분류:대한민국의 여자 영화 배우]][[분류:대한민국의 여자 텔레비전 배우]]
  • 손성희
         [[2003년]] '''[[버즈 (대한민국의 밴드)|버즈]]'''의 멤버로 데뷔 하였으며, [[2011년]] [[12월 2일]]부터 [[4th Floor]]라는 밴드로 활동 하며 팀에서 작곡, 보컬, 기타를 맡고 있다. 《Monologue》, 《겁쟁이》, 《가시》, 《나에게로 떠나는 여행》, 《사랑은 가슴이 시킨다》, 《남자를 몰라》, 《My love》등의 여러 히트곡들을 지닌 가수다. 버즈의 노래 중 《Tomorrow》, 《Go Away!》, 《떠나》, 《Rock'N'Roll》을 작곡했으며 4th Floor의 노래 《안녕》, 《유리창》, 《Tonight》, 《Burn》을 작곡, 작사했다.
         * 2011년 《4th Floor》<small> 안녕, 유리창</small>
         * 2011년 ~ 그룹 [[4th Floor]] 보컬, 기타
  • 손성희 (가수)
         [[2003년]] '''[[버즈 (대한민국의 밴드)|버즈]]'''의 멤버로 데뷔 하였으며, [[2011년]] [[12월 2일]]부터 [[4th Floor]]라는 밴드로 활동 하며 팀에서 작곡, 보컬, 기타를 맡고 있다. 《Monologue》, 《겁쟁이》, 《가시》, 《나에게로 떠나는 여행》, 《사랑은 가슴이 시킨다》, 《남자를 몰라》, 《My love》등의 여러 히트곡들을 지닌 가수다. 버즈의 노래 중 《Tomorrow》, 《Go Away!》, 《떠나》, 《Rock'N'Roll》을 작곡했으며 4th Floor의 노래 《안녕》, 《유리창》, 《Tonight》, 《Burn》을 작곡, 작사했다.
         * 2011년 《4th Floor》<small> 안녕, 유리창</small>
         * 2011년 ~ 그룹 [[4th Floor]] 보컬, 기타
  • 손세빈
         * [[2011년]] 《[[너는 펫 (영화)|너는 펫]]》 ... 김지영 역
         * [[2011년]] 《도시의 풍년》 ... 한미유 역
  • 손승연
         * [[2011년]] [[KBS]] [[TOP 밴드]]
  • 손영길 (1932년)
         본관은 [[밀양 손씨|밀양]](密陽)이고 [[울산광역시|울산]] 출생이다. 1960년 1월 당시 [[대한민국 육군|육군]] [[대위]] 시절 박정희(朴正熙)의 전속부관을 지내며 [[1961년]] [[5.16 군사정변]] 당시 [[국가재건최고회의|최고회의]] 의장 전속부관으로 근무하였고 1962년 1월에는 육군 소령 특진도 하였다. 그 후 민정이양 시 군에 복귀하여 훗날에는 육군 수도경비사령부 예하 포병여단 제30대대장으로 근무하였으며 육군대학교 졸업 후 월남 파월 맹호부대 작전참모로 근무하였다가 귀국하였다. 육군 제26사단 예하 제75연대장 근무를 마치고 육군 수도경비사령부 부사령관으로 근무 중 [[윤필용 사건]](수도경비사령관 독직 사건)에 연루되어 군법회의 군사재판에서 징역 12년형을 받고 경기도 안양교도소에서 복역 중 1976년에 형집행정지로 출소되었으며 1978년 사면을 받았다. 그 후 도미하였다가 귀국 후 [[동주산업주식회사]](미ppg 합작회사)를 설립하여 회장으로 경영하였다. 2006년 회사를 정리하고 합작회사로 이양하여 퇴임하였다. 2011년 [[육군고등군사법원]] 육군본부 법무보에 재심청구 재심결정 후 [[서울고등법원]]으로 이첩, [[서울고등법원형사부]]에서 재심 무죄판결 선고 후 [[대한민국 대법원|대법원]]에서 2012년 1월 무죄 확정 판결되었다. 이후 2012년 4월 하순 [[대한민국 국방부|국방부]] 행정명령으로 원계급복귀와 동시에 1981년 1월 1일을 기하여 육군 준장으로 퇴역 조치 처분되었다.
         * [[2011년]] 재심 [[서울고등법원]]에서 무죄 판결되어 육군 준장 계급으로 복권 후 [[1981년]] [[1월 1일]]부를 기한 군사법적 예편 조처됨.
  • 손용석 (야구선수)
         [[2006년]] 1차 지명을 받아 입단했으나 1군 4경기에만 나왔고 [[2007년]] 시즌 주로 대타로 출전해 근성있는 플레이로 롯데 팬들에게 인기가 많다. 그러나 이후 1군에 올라오지 못하고 [[공익근무요원]]으로 복무를 마친 후 [[2011년]] 1군에 복귀했다. [[2007년]] [[6월 16일]] 한화전에서 결승 2타점 2루타를 날리며 롯데 팬들에게 많은 주목을 받았다. 주로 대타로 많이 나오며 대타로 나오면서도 좋은 활약을 보여줬지만 주전으로는 확실하게 자리잡지 못하고 있다. 그의 아버지는 [[2010년]]까지 [[롯데 자이언츠]] 선수단 버스 운전기사로 재직했고, 현재 개인택시를 운행 중인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2016년]] [[4월 12일]] [[서울종합운동장 야구장|잠실]] [[LG 트윈스|LG]]전에서 [[강민호]], [[안중열]]이 대타로 교체되는 바람에 포수가 소진되어 9회말부터 11-11 동점상황에서 포수로 나섰다.<ref>[http://joynews.inews24.com/php/news_view.php?g_menu=702100&g_serial=952210&rrf=nv 롯데 내야수 손용석, 포수 마스크 써] -조이뉴스24</ref>
         |2011년||49 ||57 ||0.263 ||11 ||15 ||3 ||1 ||0 ||20 ||12 ||1 ||0 ||10 ||1 ||9 ||1 ||0
  • 손은서
         * [[2011년]] [[KBS2]] 월화드라마 《[[스파이 명월]]》 ... 유다해 역
         * [[2011년]] [[SBS]] 일일드라마 《[[내 딸 꽃님이]]》 ... 은채경 역
         * [[2011년]] [[KBS2]] 추석특집극 《[[노리코, 서울에 가다]]》 ... 라디오 DJ 역
         * [[2011년]] [[박재범]] - 별
  • 손종범
         * [[2011년]] [[서울방송|SBS]] 주말연속극 《[[폼나게 살거야]]》 ... 조진상 역
         * [[2011년]] [[KBS2]] 미니시리즈 《[[포세이돈 (드라마)|포세이돈]]》 ... 오 경감 역
         * [[2011년]] [[JTBC]] 대하드라마 《[[인수대비 (드라마)|인수대비]]》 ... [[신숙주]] 역
  • 손지환 (야구인)
         [[2011년]] ~ [[2012년]]에는 [[SK 와이번스]]의 SQ(Sports Quotient·스포츠지수)전담 코치로 발탁되어 사회 공헌 활동을 하였고, [[2013년]] 루키팀 코치에 선임되었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7&oid=318&aid=0000000028 저니맨에서 SK루키팀 코치로, 손지환 코치의 끝없는 도전] - SK와이번스 공감 W</ref>
  • 손태영(미스코리아)
         || [[2011년]] || [[FashionN]] || 여배우하우스 시즌2 || 진행 || ||
  • 손헌수
         * [[2011년]] 《[[시크릿]] 오! 허니 뮤직비디오》
         * [[2011년]] 《[[시크릿]] 샤이보이 뮤직비디오》
         * [[2011년]] 《[[시크릿]] 별빛달빛 뮤직비디오》
  • 손호영
         * [[2011년]] [[3월 20일]] 손호영 생일파티
         * [[2011년]] [[6월 29일]] ~ [[7월 3일]] Hoyoung 2 Ocean <H2O Season2> Concert - 손호영(5회공연)
         * [[2011년]] [[11월 4일]] 손호영 1st Mini Album 쇼케이스
         * [[2011년]] [[12월 23일]] ~ [[12월 24일]] 손호영 Midnight Christmas Show 2011(부제:Coming SON) - 손호영
         * [[2011년 8월]] Hoyoung 2 Osaka 일본 오사카 라이브 팬미팅 (오사카)
         * [[2011년]] 《FAME》 - 닉 피아자 역
         * [[2008년]] [[트렌디]] 《[[피아니시모 (드라마)|피아니시모]] (Black City)》 - 민욱 역(방송일은 2011년 10월 31일)
         * [[2011년]] [[스토리온]] 《[[수퍼키즈]]》 MC
         * [[2011년]] [[M.net]] 《[[Secret T]]》 MC
         * [[2011년]] [[올'리브]] 《[[푸드 에세이]]》 MC
         * [[2011년]] [[SBS funE]] 《[[K-STAR news]]》 MC
         * [[2011년]] [[SBS (대한민국의 방송사)|SBS]] 《[[강심장]]》
         * [[2011년]] [[KBS 2TV|KBS2]] 《[[대국민 토크쇼 안녕하세요]]》
         * [[2011년]] [[스카이 엔터]] 《빌보드 K-POP 차트쇼》 MC
         * [[2011년]] 유니세프 친선대사
         * [[2011년]] AIDS 예방 캠페인 홍보대사(with 호란, 정엽, 조PD)
  • 송기윤
         * 《[[오작교 형제들]]》 ([[2011년]])
  • 송대관
         송대관은 가수 외에도 배우로도 활동하여 2009년 [[KBS]] 드라마 《공주가 돌아왔다》, 2011년 [[SBS]] 드라마 《신기생뎐》이라는 두 편의 드라마에 조연으로 출연하면서 연기실력을 뽐냈다. 또한 2009년 10월 31일에는 정읍시 출신의 국민가수이자 정읍시 홍보대사이기도 한 송대관의 명성을 통해 정읍시와 내장산을 전국에 알리고 가요제의 명품화를 통해 정읍시의 이미지 향상을 꾀한다는 취지로 마련된 《정읍 송대관 가요제》가 처음 개최되어 차세대 트로트 유망주의 등용문이 되기도 하였다.
         * [[2011년]] [[YTN]] [[뉴스N이슈]] : 이슈&피플 출연 (With. [[태진아]])
         * 2011년 [[SBS (대한민국의 방송사) |SBS]] 주말 특별기획드라마 《[[신기생뎐 (드라마)|신기생뎐]]》 - 서생강 역
         * 2011년 《황토코리아 돌침대》
         * 2011년 SBS 예능프로그램《[[강심장]]》
         * 2010년, 2011년 MBC 예능프로그램《[[세바퀴]]》
         * 2011년 트로트 대축제 우수 커플상
         * 2011년 제19회 대한민국 문화연예대상 가요부문 가요대상
  • 송민호
         | 활동시기 = [[2011년]] ~ 현재
         * 2011년 싱글 《니가 없이》
         * 2011년 EP 《Burning Rose (타오르는 장미)》
         [[분류:위너의 일원]][[분류:1993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용인시 출신]][[분류:YG 엔터테인먼트 소속]][[분류:대한민국의 남자 래퍼]][[분류:대한민국의 힙합 음악가]][[분류:대한민국의 래퍼]][[분류:2011년 데뷔]][[분류:Show Me The Money 참가자]][[분류:용인백현중학교 동문]][[분류:대한민국의 음악 프로듀서]][[분류:대한민국의 힙합 프로듀서]]
  • 송민호(가수)
         [[분류:1993년 출생]][[분류:WINNER]][[분류:2011년 데뷔]][[분류:용인시 출신 인물]][[분류:무한도전의 역대 게스트]][[분류:라디오 스타의 역대 게스트]][[분류:아이돌 래퍼]]
         || '''데뷔''' ||<(> [[2011년]] BoM 싱글 '니가 없이'[br][[2014년]] [[WINNER]] 정규 1집 <[[2014 S/S]]>||
  • 송병구
         2011년 1월 16일, MBC game Hero와의 경기에서 [[김재훈 (프로게이머)|김재훈]]이 3킬을 달성했으나 대장으로 나온 송병구가 '[[김재훈]], [[염보성]], [[고석현]], [[박수범]]'을 모두 잡아내는 괴력을 발휘하며 역올킬을 달성했다.
         [[MBC 게임]]의 프로그램인 [[유저의 취향]]에 2011년 8월부터 추석특집까지 출연하였다. MBC 게임의 중계진인 [[박상현 (1981년)|박상현]], [[유대현]]과 함께 진행을 맡았으며, 멋진 스타 실력과, 재미있는 입담으로 시청자들에게 인기를 끌었다. 커뮤니티 사이트에서는 '예능왕 송병구답다.' 라고 평가 받고 있다.
         * 2011년 12월 17일 SK플래닛 프로리그 11~12 시즌1 1R 삼성전자 vs SK텔레콤 1세트 송병구 승
         * 2011년 10월 9일 IEF 2011 결승전 5경기 김택용 승
         * 2011년 10월 9일 IEF 2011 결승전 4경기 송병구 승
         * 2011년 10월 9일 IEF 2011 결승전 3경기 김택용 승
         * 2011년 10월 9일 IEF 2011 결승전 2경기 김택용 승
         * 2011년 10월 9일 IEF 2011 결승전 1경기 송병구 승
         * 2011년 2월 28일 신한은행 프로리그 10~11 4R 삼성전자 vs SK텔레콤 5세트 송병구 승
         * 2011년 1월 30일 신한은행 프로리그 10~11 3R 삼성전자 vs SK텔레콤 6세트 송병구 승
         * 2011년 1월 13일 피디팝 2010 16강 H조 2경기 송병구 승
         * 2011년 1월 6일 피디팝 2010 16강 H조 1경기 송병구 승
         * 2011년 03월 05일 신한은행 프로리그 10~11 4R 화승 vs 삼성전자 2세트 이제동 승
         * 2011년 01월 12일 신한은행 프로리그 10~11 3R 삼성전자 vs 화승 6세트 송병구 승
         * 2011년 2월 15일 신한은행 프로리그 10-11 3라운드 KT vs 삼성전자 4세트 송병구 승
         * 2011년 3월 13일 신한은행 프로리그 10-11 4라운드 삼성전자 vs KT 7세트 이영호 승
         * 2011년 7월 22일 진에어 스타리그 2011 16강 B조 4경기 이영호 승
         * 2011년 5월 8일 신한은행 프로리그 10~11 5R SK텔레콤 vs 삼성전자 7세트 정명훈 승
         * 2011년 1월 30일 신한은행 프로리그 10~11 3R 삼성전자 vs SK텔레콤 7세트 송병구 승
         * 2011년 1월 29일 박카스 2010 결승 3경기 정명훈 승
  • 송보람 (야구인)
         |프로 입단 연도 = [[2011년]]
         * [[롯데 자이언츠]] (2011년)
  • 송세현 (배우)
         | 활동기간 = [[2011년]] ~ 현재
         * [[2011년]] [[문화방송|MBC]] 수목드라마 《[[넌 내게 반했어]]》
         [[분류:1994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배우]][[분류:대한민국의 남자 텔레비전 배우]][[분류:부산광역시 출신 인물]][[분류:2011년 데뷔]]
  • 송승헌
         | rowspan=2 | [[2011년]]
         |2008~2011년||(주)[[파크랜드]]||파크랜드||남성정장||
  • 송승헌(1976)
         [[2011년]] MBC 드라마 《[[마이 프린세스]]》에서 대한민국 최고, 최대, 최강의 재벌 기업 대한종합그룹 박회장의 손자이자 외교관인 '박해영' 역으로 [[김태희]]와 함께 출연하였다.
         || 2011년 || 자각몽 || || 주연 ||
         || 2011년 || MBC || [[마이 프린세스]] || 박해영 ||
          * 2011년 [[일본]] 동일본 대지진때 [[구세군]]을 통해 2억원의 성금을 기부한 바 있다. [[http://www.newsen.com/news_view.php?uid=201103150005361001|#]]
          * 2011년 [[대만]]에서 개인소장품을 경매로 내놓아 약 1200만원 상당의 모금액을 대만 적십자사에 기부한 바 있다.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29&aid=0002077472|#]]
         === 2011년 캐스팅 논란 ===
         2011년 KBS 2TV 드라마 브레인(드라마) 캐스팅에 관련된 구설수가 있다. 제작 초기의 기사들에 따르면, 원래이 드라마는 이상윤과 윤승아 주연으로 정해져 있었고 대본 리딩이 끝난 상태였으며, 심지어 회식까지 있었다고 한다. 그런데 갑작스럽게 남자 주연이 송승헌으로 교체되면서, 이것이 한류를 의식한 제작사의 무리수라는 이야기가 흘러나왔다.
  • 송신영
         * [[넥센 히어로즈]] (2008년 ~ 2011년, 2013년 ~ 2015년)
         * [[LG 트윈스]] (2011년)
         [[현대 유니콘스]]가 해체되고 센테니얼 인베스트먼트의 주도로 [[히어로즈]]가 창단되면서, 그의 소속 팀도 인계됐다. 주로 셋업맨으로 활동하여 좋은 성적을 기록했으며, [[LG 트윈스]]를 비롯한 다른 팀이 그를 탐냈다. [[2011년]] 세이브와 홀드 부문 순위에 이름을 올리는 등 초반에 활약했고 그 해 처음으로 2점대의 평균자책점을 기록했다. 하지만 트레이드로 인해 시즌 중 [[LG 트윈스]]로 이적했다.
         [[2011년]] [[7월 31일]]에 트레이드로 이적하여, 마무리 투수로 등판했다. [[LG 트윈스]] 이적한 후 [[2007년]]보다 더 많은 세이브, 더 낮아진 평균 자책점을 기록하는 등 좀 더 좋은 성적을 냈지만, 이적 초기에 블론 세이브도 많이 기록했다. 시즌 후 FA를 선언했지만, [[LG 트윈스]]와 크게 이견을 보여 결별했다. 이후 그가 [[한화 이글스]]로 이적했고, [[김성현 (1989년)|김성현]]이 서울 조작 사건으로 방출돼 이 트레이드는 [[LG 트윈스]]가 실패한 트레이드가 됐다.
         [[2011년]] [[11월 20일]] [[투수]] [[박정진]]을 뒷받침할 셋업맨이 필요했던 [[한화 이글스]]와 3년 간 FA 계약금 4억원, 연봉 3억원, 총액 13억원에 계약을 맺고 이적했다. 이 때 [[LG 트윈스]]는 보상 선수로 [[나성용]]을 받았다.<ref>[http://osen.mt.co.kr/article/G1109321535 한화, FA 송신영 영입…3년간 총액 13억원] - 《OSEN》</ref> 그 해 그는 24서울에 등판해 1승 3패를 기록하고 2군까지 오가는 등 부진하여 결국 시즌 후 보호선수 명단에서 제외됐다.
         |style="text-align: center;"|[[2011년 한국프로야구|2011]]
  • 송영길 (1984년)
         * [[2011년]] 제5회 Mnet 20's Choice 핫 개그종결자상
  • 송유걸
         2011년 11월 28일 [[강원 FC]]의 [[유현]]과 트레이드 되었다. <ref>[http://sports.news.naver.com/kleague/news/read.nhn?oid=076&aid=0002165627 인천-강원, 유현-송유걸 트레이드 합의] - 스포츠조선 </ref> 2013 시즌을 앞두고 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산 경찰청 축구단]]에 입단하였다. 군 복무를 마친 후 원 소속팀인 강원으로 복귀하였다.
         * [[2007년]] ~ [[2011년]] {{국기그림|대한민국}} [[인천 유나이티드 FC|인천 유나이티드]]
         * [[2011년]] ~ [[2014년]] {{국기그림|대한민국}} [[강원 FC]]
  • 송정현
         * [[2009년]] ~ [[2011년]] {{국기그림|대한민국}} [[전남 드래곤즈]]
  • 송종호 (1956년)
         * 2011년 : 한국경영교육학회 한국인경여대상
         |임기 = [[2011년]] [[12월 7일]] ~ [[2013년]] [[3월 15일]]
  • 송지은 (1990년)
         2009년 첫 솔로 싱글 〈어젠〉을 발매했고, 2011년에는 두 번째 싱글 〈미친거니〉를 발매해 [[가온 디지털 차트]] 1위에 올랐다. 2013년 세 번째 싱글 〈희망고문〉을 발매해 활동했다. 2014년 9월 24일에는 미니앨범 〈25(스물 다섯)〉의 선공개곡이자 디지털 싱글인 "쳐다보지마"의 뮤비와 음원을 발표했고, 10월 초 첫 미니앨범인 〈25(스물 다섯)〉을 발매하고 그 타이틀곡인 〈예쁜 나이 25살〉로 활동하였다. 2015년에는 슬리피와 함께 〈쿨밤〉으로 활동 하였다. 2015년 하반기에는, [[KBS]] 일일드라마 《[[우리집 꿀단지]]》에 주연으로 캐스팅되며, 본격적인 배우로도 활동 중이다. 2016년 9월 20일에는 2년 만에 발매되는 솔로 앨범 《BOBBY Doll》을 발매했다. 이번 새 앨범은 9월 20일 《더 쇼》에서 새 앨범 무대를 선보였다. 그러나 이번 새 앨범 《bobby doll》은, 10월 9일 [[SBS]] 《[[인기가요]]》를 끝으로, 활동을 마무리 하였다.
         * 발매일 : [[2011년]] [[3월 3일]]
         * 발매일 : [[2011년]]
         | [[2011년|2011]]
  • 송지은(1990)
         <Shy Boy> 활동 종료 후 2011년 3월 3일, 솔로곡인 <미친거니>를 공개했다. [[Rap|랩]] 피처링을 맡은 [[방용국]]의 [[얀데레]] 랩이 압권... ~~츤츤누나랑 작업해서 그렇다.~~ 하지만 랩의 맞춤법이 꽤나 엉망이라 듣고 있으면 좀 거슬린다. 특히 클라이맥스 때의 방용국의 랩 가사 중에 나오는 "나'''를''' 도망치지 마"가 압권.[* 이를 맞춤법에 맞게 [[김대기|적절하게]] 고치면 "나'''에게서''' 도망치지 마."]
         || [[2011년]] [[6월 11일]]~[[2011년]] [[6월 25일]] || [[KBS 2TV|KBS2]] || [[불후의 명곡 전설을 노래하다]] || 참가자 || ||
  • 송지효
         | 《[[강력반 (2011년 드라마)|강력반(強力班)]]》
         * [[2010년]] [[4월 29일]] ~ [[2011년]] [[2월 24일]] [[SBS]] 《생방송 [[한밤의 TV연예]]》 진행자 ([[서경석 (희극인)|서경석]]과 함께)
         * [[2011년]] [[3월 3일]], [[2013년]] [[4월 18일]] [[KBS]] 《[[해피투게더 (텔레비전 프로그램)|해피투게더]]》 187회, 295회 게스트
         * 리스피아르 조사 연구소 - 2011년 하반기 여자 탤런트/영화배우 부문 10위
         * 2011년 송파구청 일자리 홍보대사
         * 2011년 교육과학기술부 학교문화 바꾸기 온라인 홍보대사
  • 송채환
         * [[2011년]] [[MBC]] 주말특별기획 《[[애정만만세]]》 ... 수녀 역
         * [[2011년]] 《아내라는 직업의 여인》
         * [[2011년]] [[교통방송|TBS FM]] 《송채환의 첫사랑》 ... DJ
  • 송하윤
         데뷔 부터 2011년까지 '김별'이라는 이름으로 활동 하였으나 [[SBS]] [[수목 드라마]] '유령'에 출연을 시작으로 개명해 지금의 이름으로 활동하고 있다. 이에 대해 어린아이 같아 보이기 싫어서 라고 개명한 이유를 밝혔다.
         || [[2011년]] || [[KBS2]] || [[드라마 스페셜]] - 수호천사 김영구 || 최나영 || ||
  • 송해나
         |활동기간 = [[2011년]] ~ 현재
         * [[2011년]] [[타이거JK]] - 두두두왑바바루
         [[분류:1987년 태어남]][[분류:2011년 데뷔]][[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여자 모델]][[분류:서울신학대학교 동문]][[분류:서울특별시 출신]]
  • 숙희 (가수)
         * [[2011년]] 디지털 싱글 〈긴 사랑〉
         * [[2011년]] 《[[싸인 (드라마)|싸인]]》 OST - 좋은 사람, 좋은 사람 (Drama Ver.) (With. [[김진표 (가수)|김진표]])
         * [[2011년]] 파스텔블루 싱글 〈기저귀를 갈다가 2〉 - 기저귀를 갈다가 2 (어머니) 피쳐링
         * [[2011년]] 우먼파워 싱글 〈미워미워〉
  • 슈가제이
         | 활동시기 = 2011년 ~
         * [[2011년]] 4월 14일 《프렌치 키스》<ref>[http://music.cyworld.com/album.asp?aid=15098132 French Kiss]</ref>
         [[분류:1980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부산광역시 출신 인물]][[분류:대한민국의 여자 가수]][[분류:경희대학교 동문]][[분류:2011년 데뷔]]
  • 승효상
         그는 김수근 문화상, [[한국건축문화대상]] 등 여러 건축상을 수상하였으며 [[:en:American Institute of Architects|미국 건축가협회]]에서 명예상(Honorary Fellowship)을 수상하였다. 또한 건축가로서는 최초로 [[국립현대미술관]]에서 주관하는 ‘2002 올해의 작가’로 선정되어<ref>[http://news.donga.com/3/all/20140403/62220917/1 건축가 승효상이 말하는 ‘貧者의 미학’] 《동아일보》2014년 4월 3일 작성. 2014년 8월 23일에 확인.</ref> '건축가 승효상 전'을 가졌다. 한국정부는 그의 한국문화예술에 대한 공헌을 기려 2007년 그에게 “대한민국예술문화상”을 수여했으며, [[2008년]] [[베네치아 비엔날레|베니스비엔날레]] 한국관 커미셔너, [[2011년]] 광주디자인비엔날레의 총감독으로 활약한 그는 [[2014년]] 서울시 총괄건축가로 선임되어 활동하고 있다. <ref>[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409102115105&code=620101 건축가 승효상, 서울시 첫 '총괄건축가'로 임명] 《경향신문》, 2014년 9월 11일</ref>
  • 신경식 (야구인)
         * [[두산 베어스]] 타격코치 (2009년 ~ 2011년)
         은퇴 후 [[쌍방울 레이더스]] 2군에서 타격코치를 맡았다가 잠시 프로 야구계를 떠나 학원 스포츠에 전념하였다. [[분당중앙고등학교]], [[경기고등학교]] 코치, 자양중학교 감독을 거쳤다.<ref>[http://www.ajnews.co.kr/view_v2.jsp?newsId=20110510000287 "10일 두산 마운드 신경식 코치 등판?"…신경식 코치는 어떤 야구인?] - 아주경제</ref> [[2007년]] 전력분석원으로 친정 팀으로 돌아와 [[2009년]] 타격코치로 승격되었다.<ref>[http://joynews.inews24.com/php/news_view.php?g_menu=702120&g_serial=456060 두산, 코칭스태프 구성 완료... 2군 감독은 김광림 코치] - 조이뉴스24</ref> [[2003년]] 자양중학교 감독으로 있었을 때 진학 문제로 군산에서 야구를 그만둘 뻔했던 [[오지환]]을 상경시켜 자양중학교로 옮기게 하여 키워 내었고 그의 권유로 좌타자로 전향했다.<ref>[http://isplus.joins.com/article/article.html?aid=1453235 신경식 코치 “포지션상 포수 양의지가 유리”] - 일간스포츠</ref> 어수선했던 [[2011년]] 시즌 후 [[고양 원더스]]의 타격코치로 옮겼다.
         [[2011년]] 시즌 직후 [[두산 베어스]]를 떠나 [[대한민국]] 최초의 독립 야구단 [[고양 원더스]]의 타격코치로 부임했다. [[2013년]]부터 [[LG 트윈스]]에서 타격코치로 활동하고 있다.
         * [[2011년]] [[5월 10일]] [[KIA 타이거즈]]전에서 [[투수]] [[더스틴 니퍼트]]가 원정 유니폼을 깜빡하고 가져오지 않아 자신과 체구가 거의 비슷한 그의 유니폼을 입고 등판했다.
  • 신고은(가수)
         [[1986년]] [[4월 7일]]에 태어나 [[2011년]]에 데뷔한 [[대한민국]]의 가수. 소속사는 인사이드 엔터테인먼트, [[경기도]] 출신. [[http://instagram.com/shinggoni|인스타그램]]
         [[2011년]] [[3월]] [[드라마]] [[욕망의 불꽃]] OST의 타이틀곡인 '그대여 언제까지나'에 참여해 대중에게 처음 목소리를 알렸으며, 그 해 [[6월 30일]] 미니앨범 'Love pop'을 발매하면서 공식적인 데뷔가 이루어졌다. 노래가 대중들에게 사랑을 받으면서 팬덤이 생기기 시작했고, 같은 해 9월 어쿠스틱 버전으로 편곡된 Love pop을 발매하면서 아티스트로서의 능력을 인정받기 시작한다.
         [[분류:한국 가수]][[분류:미스터리 음악쇼 복면가왕 역대 출연자]][[분류:1986년 출생]][[분류:2011년 데뷔]][[분류:경기도 출신 인물]]
  • 신구 (배우)
         * 《[[넌 내게 반했어]]》 ([[MBC]], [[2011년]]) - 이동진 역
  • 신노열
         2011년 8월 22일 위메이드 폭스의 해체로 해체 게임단 공개 포스팅으로 [[삼성 갤럭시 칸]]으로 영입되었다.
         * [[2011년 1월]] 피디팝 MSL 2010 16강
         * [[2011년 4월]] ABC마트 MSL 2011 32강
         * [[2011년]] 진에어 스타리그 2011 24강
  • 신동 (가수)
         * [[2011년]] [[KBS2]] 《[[해피선데이]] - [[남자의 자격]]》
         * [[2011년]] [[KBS2]] 《[[출발 드림팀 시즌 2]]》
         * [[2011년]] [[KBS2]] 《[[1 대 100]]》
         * 2011년 《[[알파 앤 오메가]]》(더빙)
         * 2011년 《[[SUPER SHOW 3 3D]]》
         * 2011년 [[MBC]] 《[[몽땅 내사랑]]》 - 황금지의 맞선남 역
         * 2011년 [[SBS 연예대상]] 토크쇼부문 베스트엔터테이너상
  • 신면
         * 《[[공주의 남자]]》 ([[KBS]], [[2011년]]~[[2011년]] 배우:[[송종호]])
         * 《[[인수대비 (드라마)|인수대비]]》 ([[JTBC]], [[2011년]]~[[2012년]] 배우:박용연)
  • 신민기 (1980년)
         * 양산 원동중학교 야구부 코치 (2011년 ~ 2014년)
         은퇴한 후 [[2011년]]에 창단된소재의 [[원동중학교]] 야구부 코치로 활동했다. 본래는 창단 감독을 맡았으나, 학부모와의 이견으로 인해 아버지인 [[신종세]] 씨<ref>[[이대호]]의 부산 대동중학교 시절 은사로 알려져 있다.</ref> 에게 감독직을 넘기고 잠시 물러났다가 코치로 돌아와 [[2014년]]까지 맡았다.<ref>[http://sports.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kbo&ctg=news&mod=read&office_id=295&article_id=0000001038 '전교생 51명' 야구부의 영화같은 기적] - 박동희 칼럼</ref> 2014 시즌 후 고향 팀 [[롯데 자이언츠]]의 3군 수비코치로 선임되었다.
  • 신보라(개그우먼)
         || [[2011년]] || [[생활의 발견(개그 콘서트)|생활의 발견]] || || ||
         ||<|2> 2011년 || 제12회 대한민국영상대전 || 포토제닉상 개그부문 || [[개그 콘서트]] ||
  • 신비 (1979년)
         * [[2011년]] 안녕하세요
  • 신상문 (프로게이머)
         :테란에서 상위권을 달리는 2명의 경기는 사람들에게 관심을 보이고 있다. 상대전적은 공식전만으로는 5:11, 비공식전까지 포함하면 6:13으로 밀리고있다. 2010년 3월 13일 펼쳐진 [[신한은행 프로리그 09-10]] 3라운드에서 신상문이 역전승을 이뤄냈다. 그러나 [[WCG 2010]] 국가대표 선발전 16강과 [[대한항공 스타리그 2010 시즌2]] 8강에서 신상문이 이영호에게 각각 2:0으로 완패했다. 최근에는 [[ABC마트 MSL 2011]] 8강에서 3:1로 패배했다.그러나 2011년 7월 24일에 열린 [[신한은행 프로리그 10-11]] 플레이오프 2차전 5세트에서 배틀과 레이스 싸움끝에 이영호를 물리쳤다. 이들의 라이벌 이름을 이영호의 꼼딩의 꼼 신상문의 신상눈에 눈을 따서 '''꼼눈록''' 이라고 한다. [[SK플래닛 스타크래프트 프로리그 시즌1]] 3라운드에서도 이영호를 만났으나 패배하였다. 전적은 많이 밀리고 있지만, 이영호를 상대로는 뛰어난 경기력을 여러번 선보였었다.
         :상대전적은 4:2로 앞서나갔다. [[신한은행 프로리그 09-10]]시즌 초반 다승순위 3위를 달리고있는 박상우 상대로 하루 2번을 잡는 기염을 토해냈고 이스트로 킬러로 명성을 쌓아나갔지만 최근에는 한판 잡히게 됐다. 그러나 2011년 박상우의 갑작스러운 은퇴로 두 사람은 이제 만날 수 없게 되었다.
         *[[2011년]] ABC마트 MSL 2011 8강
  • 신선우
         1990년대 현대전자(현재의 [[전주 KCC 이지스]])감독에서 2005년 [[창원 LG 세이커스]] 감독으로 부임했지만, 2008년에 경질되고 LG는 [[강을준]] 감독(현재 MBC 스포츠+ 해설위원)이 취임하고 신선우는 KBL 위원장으로 취임하다가, 2009년 12월 25일 SK 나이츠의 감독으로 부임하였다. 2011년 4월 5일, 감독자리에서 자진 사임하였고, 그 후 [[KBL]] 기술위원장을 거쳐 여자프로농구(WKBL)의 전무이사로 일하고 있다. [[2014년]] [[최경환 (1955년)|최경환]] 총재가 사퇴함에 따라 총재 직무대행이 됐다. 2015년 7월 1일 제7대 여자프로농구(WKBL) 총재로 취임했다.
         * [[2009년]] ~ [[2011년]] [[서울 SK 나이츠]]
         |임기 = [[2009년]] [[12월 25일]] ~ [[2011년]] [[4월 5일]]
  • 신소연 (기상캐스터)
         * [[2006년]] ~ [[2011년]] [[숭실대학교]] 언론홍보학과 학사
         * 2011년 [[미스코리아 서울]] 참가
         * 2011년 ~ 2015년 [[SBS]] 기상 캐스터
         * 2011년 ~ 2012년 [[SBS 12 뉴스]]
         [[분류:1987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기상 캐스터]][[분류:2011년 데뷔]][[분류:프리랜서 아나운서]][[분류:대한민국의 여자 모델]]
  • 신수근
         * 《[[인수대비 (드라마)|인수대비]]》 ([[JTBC]], [[2011년]]~[[2012년]] 배우:[[유정석]])
  • 신승환
         * [[2011년]] [[SBS TV|SBS]] 월화미니시리즈 《[[마이더스 (드라마)|마이더스]]》 ... 재복 역
         * [[2011년]] [[KBS2]] 월화미니시리즈 《[[스파이 명월]]》 ... 방극봉 역
         * [[2011년]] [[SBS TV|SBS]] 대기획드라마 《[[뿌리깊은 나무 (2011년 드라마)|뿌리깊은 나무]]》 ... 박포 역
         * [[2011년]] 《[[마이 블랙 미니드레스]]》 ... 조감독 역
         * [[2011년]]~[[2013년]] 《예수와 함께한 저녁식사》
  • 신승환 (배우)
         * [[2011년]] [[SBS TV|SBS]] 월화미니시리즈 《[[마이더스 (드라마)|마이더스]]》 ... 재복 역
         * [[2011년]] [[KBS2]] 월화미니시리즈 《[[스파이 명월]]》 ... 방극봉 역
         * [[2011년]] [[SBS TV|SBS]] 대기획드라마 《[[뿌리깊은 나무 (2011년 드라마)|뿌리깊은 나무]]》 ... 박포 역
         * [[2011년]] 《[[마이 블랙 미니드레스]]》 ... 조감독 역
         * [[2011년]]~[[2013년]] 《예수와 함께한 저녁식사》
  • 신영록 (1987년)
         [[2011년]] [[1월 28일]] [[제주 유나이티드]]로 이적하였다. [[2011년]] [[5월 8일]] [[대구 FC]]와의 서울에서 서울 종료 직전 부정맥에 의한 급성 심장마비로 쓰러졌다.<ref>{{웹 인용|url=http://www.hankyung.com/news/app/newsview.php?aid=201105096824g |제목=신영록 선수, 부정맥 의한 급성 심장마비 |확인날짜=2011-05-09 |출판사=한경 스포츠 }}</ref> [[2011년]] [[6월 27일]], 50일 만에 의식을 회복하였다.<ref>{{웹 인용 |url=http://app.yonhapnews.co.kr/YNA/Basic/article/new_search/YIBW_showSearchArticle.aspx?searchpart=article&searchtext=%EC%8B%A0%EC%98%81%EB%A1%9D&contents_id=AKR20110627127500056 |제목=제주 신영록 50일 만에 의식 되찾아 |확인날짜=2011-06-27 |출판사=연합뉴스 }}{{깨진 링크|url=http://app.yonhapnews.co.kr/YNA/Basic/article/new_search/YIBW_showSearchArticle.aspx?searchpart=article&searchtext=%EC%8B%A0%EC%98%81%EB%A1%9D&contents_id=AKR20110627127500056 }}</ref>
         * [[2011년]] {{국기그림|대한민국}} [[제주 유나이티드]]
  • 신영일 (방송인)
         * [[2011년]] : [[tvN]] 《[[코리아 갓 탤런트]]》
         * [[2011년]] : [[tvN]] 《런닝9》
         * [[2011년]] ~ '''현재''' : [[tvN]] 《[[코미디빅리그]]》 진행
         * [[2011년]] : [[OBS경인TV]] 《[[고교토론 판]]》
         * [[2011년]] 제3대 원자력 홍보대사
  • 신윤주
         * [[2009년]] ~ [[2011년]] [[KBS 제1FM]] [[출발 FM과 함께]] 진행
  • 신은경 (배우)
         * 《그 여자 그 남자》 ([[2011년]] ~ [[2012년]], 채널A)
  • 신은경 (아나운서)
         * [[2011년]] 국민대학교 정치대학원 초빙교수
  • 신은미
         [[2011년]] 10월부터 2012년 5월까지 3차례에 걸쳐 40여 일 동안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을 여행했으며 대한민국의 인터넷 신문 《[[오마이뉴스]]》에 여행기 〈재미동포 아줌마, 북한에 가다〉를 연재했다. [[2013년]]에는 2차례에 걸쳐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을 여행했고 《오마이뉴스》에 여행기 〈재미동포 아줌마, 또 북한에 가다〉를 연재했다.
  • 신은정
         * [[2011년]] [[MBC]] 월화드라마 《[[계백 (드라마)|계백]]》 ... [[선화황후]] 역
  • 신은정 (영화 감독)
         신은정은 대학 졸업 후 [[한국방송공사|KBC]](광주방송), KBS광주총국 등에서 10여 년 동안 방송작가로서 활동하며 영상 제작을 익혔고, 광주인권영화제 기획자(프로그래머)로 활동하였다. [[2010년]]에는 [[광주민주화운동]]의 현재적 계승을 주제로 한 《광주항쟁의 유산》을 제작하였고, [[2011년]]에는 《VERITAS(베리타스) : 하버드 그들만의 진실>(부제 : 하버드의 역사와 전 세계적 영향력에 대한 비평적 분석)을 제작해 사회적 파장을 일으켰다. 세계 최초로 [[하버드대학]]의 어두운 역사를 비평적 시각으로 드러낸 [[다큐멘터리]] 《VERITAS(베리타스) : 하버드 그들만의 진실》은 뉴욕국제독립영화제(NYIFF)에서 다큐멘터리 부문 감독상을 수상했다.<ref>김태성. [http://news1.kr/articles/879889 '베리타스 : 하버드 그들만의 진실' 신은정 감독 심장마비로 사망]. 뉴스1. 2012년 11월 4일.</ref><ref>김미리. [http://www.mydaily.co.kr/news/read.html?newsid=201211050847341121&ext=na '베리타스' 신은정 감독, 심장마비로 별세 ]. 마이데일리. 2012년 11월 5일.</ref>
  • 신재은
         * 2011년 제5회 [[케이블TV 방송대상]] 스타상
         * [[2011년]] 제5회 [[케이블TV 방송대상]] 스타상
  • 신정균 (영화 감독)
         * [[2011년]] [[뮤지컬]] 《창공에 사는 우리의 빨간 머플러》로 뮤지컬 연출가 겸 뮤지컬 감독 데뷔.
  • 신정민
         2011년 12월 29일, 공익근무요원으로 소집되어 입대하였으며 2013년 12월 28일 소집해제하였다.
         * [[2011년]] Sony Ericsson GSL Oct. Code A 16강
         * [[2011년]] Sony Ericsson GSL Nov. Code A 48강
  • 신정환
         [[2011년]] [[1월 20일]] 11시 30분, 그동안 수차례 귀국을 미뤄오던 신정환은 잠적 4개월만에 귀국했다. 신정환은 공항에서 "많은 분이 많은 사랑을 주셨는데 실망으로 갚아드린 것에 대해 너무 죄송한 마음이고요. 많이 혼나겠습니다"라고 사과했다. 귀국 당일 신정환은 8시 반까지 경찰 수사를 받은 후 귀가했으며 1억 2천만원을 빌려 바카라 도박을 한 사실을 시인했다. 신정환은 국외에 있는 동안 정강이 수술을 받을 때 박은 철심이 부러져 발목이 돌아가는 등 건강상태가 좋지 않아 발을 절뚝거리는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ref>[http://www.newsen.com/news_view.php?uid=201101241118061001 신정환 다리 재수술 병원결정, 수술날짜 조율중] 뉴스엔 2011년 1월 24일</ref>
         신정환은 이전부터 언론에서 소문으로 나돌았던 이른바 '연예인 도박 리스트'에 대해서는 없다고 진술한 것으로 알려졌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6&oid=001&aid=0004877281 '원정도박' 신정환 귀가…불구속 수사] 연합뉴스 2011년 1월 20일</ref> 경찰은 신정환을 불구속 입건하기로 결정하고 도박자금 출처와 함께 이전에 해명했던 뎅기열 등에 대해서도 수사하였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6&oid=001&aid=0004877804 신정환 귀국…"원정도박 혐의 시인한다] 연합뉴스 2011년 1월 21일</ref> 신정환의 귀국은 많은 이들의 관심을 끌었으며, 9시 주요 뉴스에 보도되기도 했다. 또한 신정환이 공항에 입고 온 옷이 수십만원 이상 하는 고가 제품이라는 것이 밝혀지면서 누리꾼들 사이에서 논란이 벌어지기도 했다.<ref>[http://mystar.mdtoday.co.kr/mystar/index.html?no=434862 신정환, 300만원대 고가 패딩 점퍼에 100만원대 청바지까지?…"이해불가" 비난] 메디털투데이 2011년 1월 21일</ref> 도박 파문을 일으킨 신정환에 대한 비판이 많았으나, 신정환의 죄가 너무 크게 부풀려졌다는 지적이 제기되기도 했다. [[진중권]]은 신정환의 도박은 다른 사람에게 해를 끼치는 범죄가 아니라 질병이며, 입고 온 옷도 비판의 대상이 될 수 없다는 취지의 발언을 했고,<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6&oid=015&aid=0002375841 문화평론가 진중권, 신정환 명품논란에 입장 밝혀…] 한국경제 2011년 1월 20일</ref> 만화가 [[강풀]]도 자신의 트위터에서 "비니 쓰고 입국한 게 그렇게 큰 잘못인가"라며 우회적으로 누리꾼들을 비판했다.<ref>[http://ens.vop.co.kr/A00000356122.html 진중권 신정환 공항패션 발언에 윤종신.강풀도 한마디..."그렇게 잘못인가] 민중의 소리 2011년 1월 20일</ref>
         2011년 6월 2일 신정환의 필리핀 도박 혐의에 대한 재판이 있었다. 재판부는 징역 8개월의 실형을 선고했다. 신정환은 법원에서 "현재 건강상태도 좋지 않은 상황에서 재활 치료도 꾸준히 받고 있기에 선처를 바란다", "앞으로 사회에 봉사하며 살아가겠다"라며 선처를 호소하고 항소했으며 [[2011년]] [[12월 23일]] 성탄절 사면으로 [[이성진 (가수)|이성진]]과 함께 가석방 출소하였다.<ref>[http://media.daum.net/entertain/enews/view?cateid=100030&newsid=20110603101518513&p=starnews 해외도박혐의' 신정환, 징역 8개월 실형 선고] 스타뉴스 2011년 6월 2일</ref>
  • 신제윤
         | 임기 = [[2011년]] [[9월 7일]] ~ [[2013년]] [[3월 22일]]
         | 서훈 = 2011년 황조근정훈장<br/> 2015년 청조근정훈장
         * 2011년 황조근정훈장<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18&aid=0002489710 <nowiki>[프로필]신제윤 기획재정부 제1차관 내정자</nowiki>]</ref>
         |임기 = [[2011년]] [[3월 28일]] ~ [[2011년]] [[9월 7일]]
         |임기 = [[2011년]] [[9월 7일]] ~ [[2013년]] [[3월 22일]]
  • 신종령
         * [[2011년]] [[KBS 연예대상]] 코미디부문 최우수코너상
  • 신주아
         * [[2011년]] ~ [[2012년]] [[채널A]] 《[[해피앤드 101가지 부부이야기]]》
  • 신준기
         [[2003년]] '''[[버즈 (대한민국의 밴드)|버즈]]'''의 멤버로 데뷔 하였으며, [[2011년]] [[12월 2일]]에 발매된 [[4th Floor]]의 음반 《4th Floor》<small> 《안녕》, 《유리창》</small>에 베이시스트로 참여했다. 《Monologue》, 《겁쟁이》, 《가시》, 《나에게로 떠나는 여행》, 《사랑은 가슴이 시킨다》, 《남자를 몰라》, 《My love》등의 여러 히트곡들을 지닌 가수다. 버즈 해체 후 [[민경훈]]의 솔로 2집 활동에 함께 하였으며 민경훈의 노래 중 《너니깐》, 《Happy Time》을 [[민경훈]]과 공동작곡 하였으며, 인디밴드 [[프리마켓]]의 곡 《연애다반사》를 자곡했고, 밴드 [[노라조]]의 곡 《Gaia》를 작사하였다. 뮤지션으로서의 활동 뿐만 아니라 음악강사, 줄줄이꿀닭 신당점 대표로도 활동했으나 정리하였고 현재는 버즈의 멤버로 활동하고 있다.
         * 2011년 《4th Floor》<small> 안녕,유리창</small>
         * 2011년 12월 그룹 [[4th Floor]] 베이스
  • 신준배
         [[2011년]] [[4월 6일]] 승부조작에 가담한 사실이 적발되면서 선수 자격 및 지도자 자격이 영구 박탈되었다.
  • 신지호 (정치인)
         * [[2011년]] [[6월 2일]] [[민주당]] [[김진표 (정치인)|김진표]]의원이 부산저축은행의 캄보디아 PF대출사업에 연루되어있다는 의혹을 국회 대정부질문에서 제기하였다. 이에 대해 김진표 의원은 "터무니없는 거짓말"이라고 반박하였으며,신지호 의원이 증거로 제시한 2007년 캄보디아 방문은 한국-캄보디아 친선협회 차원의 일이라고 해명하였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3&aid=0003889570 김진표 "캄보디아 PF 연루의혹, 터무니없는 거짓말] <뉴시스> 2011-06-02</ref> 김진표 의원이 국회 윤리의원회 제소로 대응하자<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03&aid=0003896931 김진표, '저축은행 의혹제기' 신지호 윤리위에 제소] <뉴시스> 2011-06-07</ref> 신지호 의원은 6월 13일에 다시 김진표 의원이 2007년 7월 부산저축은행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진행 중인 씨엠립의 신공항 공사장을 방문하였다며 의혹을 제기하였고, 이 방문의 목적과 누구를 만났는지 해명할 것을 요구했다. 민주당은 당 차원에서 씨엠립 방문은 여야 의원이 모두 동행한 문화재 관람과 지역 부지사와의 오찬 일정 뿐이었다고 해명하고, 명백한 사실을 음해하려는 신지호 의원의 행위에 대해 민사상, 형사상 책임을 물을 것이라고 경고했다.<ref>[http://www.dailian.co.kr/news/news_view.htm?id=250767&sc=naver&kind=menu_code&keys=1 민주당, 신지호 추가폭로 "형사상 책임 묻겠다"] <데일리안> 2011-06-13</ref>
         * [[2011년]] [[8월 5일]], 평화방송 라디오에 출연하여 최근 3500만명의 개인정보가 유출된 네이트-싸이월드 해킹사건과 관련, “북한과 관련됐을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ref>{{뉴스 인용
  • 신창호
         * [[서울 해치]] (2011년)
         [[2011년]] [[10월 2일]] [[KIA 타이거즈]]에 [[신고선수]]로 입단하였다.<ref>{{뉴스 인용
  • 신충식
         * [[2011년]] ~ [[2012년]] [[TV조선]] 《[[고봉실 아줌마 구하기]]》 - 이만득 역
         * [[2010년]] ~ [[2011년]] [[KBS 제2TV|KBS2]] 《[[프레지던트 (드라마)|프레지던트]]》 - 조태호 역
         * [[2011년]] 문화관광부 콘텐츠진흥원 이사
         * [[2011년]] 대한민국 대중예술상 심사위원
  • 신해림
         * [[2011년]] - 서울모터쇼 닛산 모델
         * [[2011년]] - 구미S모터쇼 모델
         * [[2011년]] - 서울오토살롱 임포트카 모델
         * [[2011년]] - 코리아스피드페스티벌 HK 레이싱모델
  • 신해수
         * [[한화 이글스]] (2006년 ~ 2011년)
         2006년 신인 드래프트에서 [[한화 이글스]]의 2차 4순위 지명을 받고 입단하였으나, 1군에는 [[2010년]] 2광주에만 등판했고 [[2011년]] [[6월 25일]] 웨이버 공시되었다.
  • 신해철
         [[2011년 3월]]에는 대중가수들이 오페라에 도전하는《오페라스타》에 출연하여 경연을 펼쳤고(2주차에서 탈락), [[MBC 에브리원]]의 프로그램 《부엉이 시즌 2》에 출연해 가족을 공개하기도 했다. 그리고 [[2011년 5월]]부터 MBC [[FM4U]] 봄 개편으로 신설된 《[[Ghoststation]] (고스트스테이션)》의 DJ를 맡게 되었다. 7월에는 [[KBS 2TV]]의 오디션 프로그램 [[TOP 밴드]]에 합류해 1~2개월간 출연하며 S1과 번아웃하우스의 코치를 맡기도 했다. [[2011년|같은 해]] 11월부터는 KBS 2TV의 토크쇼 프로그램 《[[이야기쇼 두드림]]》에 합류 및 출연하였으며, [[2012년]] 4월에 하차했다.<ref>{{뉴스 인용|출판사=스타뉴스|제목='두드림' 송승환·신해철 "6개월간 좋은시간" 하차소감|저자=김성희|url=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6&oid=108&aid=0002142950|날짜=2012-04-29}}</ref>
         [[2006년]] 체벌 금지를 주제로 토론을 펼친 MBC 100분 토론에 출연해 "폭력은 전염되면 점점 강해지고 그 효과는 약해진다. 폭력 이외의 대안을 먼저 모색해야 한다"라고 말했다. 그의 이러한 운동은 [[2010년]] 10월 경기도교육청이 '경기학생인권조례'를 공포하면서 일정 부분 성과를 거뒀다. 이후 광주광역시교육청([[2011년]] 10월), 서울특별시교육청([[2012년]] 1월), 전라북도교육청([[2013년]] 7월)이 차례로 [[학생인권조례]]를 공포했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6&oid=008&aid=0003358020 故 신해철 과거 체벌금지 운동 "눈 감을 때 음악보다..."]</ref>
  • 신현준(배우)
         매 진행마다 의미없는 농담따먹기(자기야), 지나치게 오버하는 웃음소리(연예가 중계) 등등...2011년 [[미스코리아]] 선발대회에서는 대본을 하나도 숙지하지 않아 2시간 내내 대본에서 눈을 떼지 못하고 미숙한 진행솜씨로 여론의 도마 위에 올랐다. 그 외에도 [[서울가요대상]], [[대종상]] 시상식 등등 굵직한 행사 진행을 하면서 매번 진행을 못해 구설수에 올랐고, 여전히 상대방을 함부로 대하는 막말 진행에 대한 문제가 꾸준히 뒤따른다. 시간대가 심야지만 비속어 사용이 너무 잦다는 비판도 있고, 그때문인지 진행하는 프로그램들의 시청률이 떨어져 '자기야'는 2014년 7월에 하차되었다.
          * 심각한 [[골초]]였다가 [[금연]]을 결심하고 금연껌을 씹다가 '''금연껌에 중독'''되었다고 한다. [[http://www.instiz.net/pt/1125810|#]] --금연껌은 뭘로 끊어-- --금연껌(15000원 ㄷㄷ)이 담배보다 비싸다며 담배 피우는게 낫다고 한 건 덤--7년 동안 금연껌을 매일 한 통씩 비웠다고 하며 다행히 2011년에 겨우 끊었지만 그 후 [[http://entertain.naver.com/read?oid=111&aid=0000229410|인터뷰]]에서 이제는 2년째 은단 중독이라고 한다. 이제 가격대야 금연껌은 물론이오 담배 한갑보다도 훨씬 싸겠지만.... --이 정도면 고질병이 아닌가 싶다.--
         ||<|3> [[2011년]] || 조지와 봉식[* 정준호와 제시카 고메즈가 출연한 코믹영화로 한국에서는 아직 개봉하지 않았다.] || ||
  • 신형원
         * [[2011년]] 광주시 인권헌장 제정위원
  • 신혜성
         | 소속사 = [[신화 (음악 그룹)|신화컴퍼니]]([[2011년]] ~ 현재)<br/>라이브웍스컴퍼니
         === 2011년 ===
  • 심규선 (가수)
         [[부산광역시]]에서 태어나고 자랐으며, [[2005년]] 제29회 《[[MBC 대학가요제]]》에서 [[부산예술대학교]]와 [[동의대학교]]의 연합 [[음악 그룹|밴드 그룹]]인 [[아스코]](ASCORBIC ACID)의 [[보컬]]로 활동하며 금상을 수상하였다.<ref name="asco">{{뉴스 인용|제목=아스코 원더우먼 코리아소리, 'MBC대학가요제' 금은동 영예|url=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6&oid=117&aid=0000026179|출판사=마이데일리|저자=안지선 기자|날짜=2005-10-16|확인날짜=2012-04-24}}</ref> [[2010년]] [[에피톤 프로젝트]]의 객원보컬로 활동하였고, [[2011년]] 첫 정규 음반 《[[자기만의 방 (음반)|자기만의 방]]》을 발매하였다.<ref name="album">{{뉴스 인용|제목=루시아, 1집 '자기만의 방' 발표|url=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6&oid=001&aid=0005256624|출판사=연합뉴스|저자=이은정 기자|날짜=2011-09-07|확인날짜=2012-04-20}}</ref> [[2016년]] 소속사인 [[파스텔뮤직]]과의 재계약을 하지 않고,<ref>{{뉴스 인용|제목=에피톤프로젝트·루시아, 파스텔뮤직 떠난다‥계약 만료(공식입장 전문)|url=http://entertain.naver.com/read?oid=112&aid=0002889694|출판사=헤럴드POP|저자=박수인 기자|날짜=2017-02-01|확인날짜=2017-02-01}}</ref> 1인 레이블인 '헤아릴 규'를 설립하였다. 이후 본명인 심규선으로 활동하고 있다. Lucia(루시아)라는 예명은 자신의 [[로마 가톨릭교회|천주교]] [[세례명]]이다.<ref name="interview">{{뉴스 인용|제목=루시아, ‘불후의 명곡2’ 김건모 사로잡아 (인터뷰)|url=http://www.ilyoseoul.co.kr/news/articleView.html?idxno=57337|출판사=일요서울|저자=이창환 기자|날짜=2012-03-19|확인날짜=2012-04-21}}</ref>
         * [[2011년]] [[9월]] 첫 번째 정규 음반 《[[자기만의 방 (음반)|자기만의 방]]》 발표
         * 2011년 1집 《[[자기만의 방 (음반)|자기만의 방]]》 (파스텔뮤직, 케이티뮤직).<ref name="album" />
         * 발매일: [[2011년]] [[5월 19일]]
         | [[2011년]] || [[센티멘탈 시너리]] || 《Soundscape》 ||
  • 심동섭
         === 2011년 시즌 ===
         데뷔 이듬해인 [[2011년]]에는 데뷔 2년차가 아니라고 해도 믿을 정도로 활약하였다. 57광주에 등판하여 55.1이닝 동안 2점대 평균자책점, 3승 1패, 7홀드, 2세이브를 거두면서 기대를 매우 충족시켰고 미래 좌완 불펜 파이어볼러라는 희망감을 안겨주었다. 특히 준플레이오프에서도 2광주에 등판하여 무실점을 거두었다. 덕분에 5,000만원 인상된 7,500만원으로 상승하였다.
         [[2014년]] 시즌에는 전성기였던 [[2011년]] 시즌과 같은 인 57광주에 등판하였지만 수술로 인해 부진을 겪었다. [[2011년]]에 버금가는 45.2이닝을 소화하면서 5점대 평균자책점, 28볼넷을 허용하면서 제구에 기복이 있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 심보선
         [[1994년]] 《[[조선일보]]》 신춘문예에 시 〈풍경〉이 당선되어 등단했다. [[2009년]] 제16회 [[김준성문학상]], [[2011년]] 제4회 올해의 좋은 시상, 제11회 [[노작문학상]]을 수상했다. '21세기 전망' 동인이다.
  • 심소헌
         |대표작(곡) = 《[[뿌리깊은 나무 (2011년 드라마)|뿌리깊은 나무]]》
         [[2008년]] [[Mnet]]의 방송 《[[아주 수상한 캐스팅]]》으로 데뷔하여, [[2009년]] [[농심]] [[너구리]], [[2010년]] [[하이트진로]] 복분자, 캐쥬얼 의류 브랜드 화보 〈리트머스〉, [[프록터 앤드 갬블|P&G]] [[위스퍼]], [[메이플스토리]] 메이플걸, [[니콘]]카메라, [[미투데이]], [[2011년]] [[옥션 (웹사이트)|옥션]]의 광고 모델로 발탁되었다.<ref>[http://www.e2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47772 이투뉴스 - 신인배우 심소헌, 광고 모델 블루칩으로 급부상]</ref> 또, [[2010년]] 일본의 공중파 채널인 [[도쿄 방송 홀딩스|TBS]]의 드라마 《K 프로젝트》에 주연급으로 캐스팅되었다.<ref>[http://www.e2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47772 이투뉴스 - 신인배우 심소헌, 광고 모델 블루칩으로 급부상]</ref> [[2011년 3월]] 프로야구단 [[SK 와이번스]]의 제3대 '와이번스 걸' 로 발탁되어, 홍보모델로 활동하였다. 또, [[2011년]] [[9월 28일]]부터 방영한 드라마 《[[뿌리깊은 나무 (2011년 드라마)|뿌리깊은 나무]]》에서 '주인공을 도와주는 궁녀' 로 출연하였다.
         * [[2011년]] [[SBS]] 《[[뿌리깊은 나무 (2011년 드라마)|뿌리깊은 나무]]》 - 덕금 역
         * [[2011년]] 《[[옥션 (웹사이트)|옥션]]》
         * [[2011년]] 《[[SK 와이번스]] 제3대 〈와이번스 걸〉》
  • 심수봉
         | [[2011년]]
         * 2011년 6월 4일 [[KBS 2TV]] 《[[불후의 명곡 전설을 노래하다]]》 초대(제1대) 전설
  • 심수창
         * [[LG 트윈스]] (2004년 ~ 2011년, 2019년)
         * [[넥센 히어로즈]] (2011년 ~ 2013년)
         순탄하지만은 않았던 절차 끝에 [[KBO 리그]] 입단 첫 해인 [[2004년]] 9월에 있었던 병역 비리 사건에 연루돼 구속됐고, 그 해 11월 [[조진호 (야구인)|조진호]], [[윤현식]] 등과 함께 징역 8개월을 선고받아 복역했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2&aid=0000014357 법원, 병역 비리 프로야구 선수들 "수형 후 복무"] 《프레시안》, 2004년 11월 3일 작성</ref> 출소 후 재검에서 면제받아 [[2005년]]에 복귀해 [[2006년]]에는 10승을 거뒀다.<ref>[http://www.mydaily.co.kr/news/read.html?newsid=200904072224522223&ext=na '얼굴만큼 빛난 호투' 심수창 "강약 조절 효과 봤다"] 《마이데일리》, 2009년 4월 7일 작성</ref> 그는 [[2009년]] [[6월 14일]] [[SK 와이번스]]전 이후 승리를 기록하지 못했다. 그리고 [[2009년]] [[8월 6일]] [[KIA 타이거즈|KIA]]전에서 선발 포수였던 [[조인성 (야구인)|조인성]]과 내분이 폭발해 말다툼하는 장면이 방송에 나왔다.<ref>[http://sports.media.daum.net/nms/baseball/news/general/view.do?cate=23789&newsid=1467741&cp=SpoSeoul 'LG 배터리' 심수창-조인성 내분] {{웨이백|url=http://sports.media.daum.net/nms/baseball/news/general/view.do?cate=23789&newsid=1467741&cp=SpoSeoul# |date=20150619160922 }} - 스포츠서울</ref> 이 사건으로 2군에 내려간 뒤, 당시 감독이었던 [[김재박]]은 다시는 1군에 올리지 않겠다고 해 사실상 2009 시즌을 마무리했다.<ref>[http://news.donga.com/fbin/output?n=200908190374 LG “남은 시즌 조인성-심수창 복귀 없다”]{{깨진 링크|url=http://news.donga.com/fbin/output?n=200908190374 }} - 동아일보</ref> 당시 [[박종훈 (1959년)|박종훈]]이 감독으로 부임 후 [[조인성 (야구인)|조인성]]과 배터리를 이뤄 다시 출장을 재개했다. 하지만 2009 시즌부터 이어 오던 부진의 늪에서 쉽사리 빠져 나오지 못한 그는 호투에도 불구하고 계속 승리를 기록하지 못하며 [[2011년]] [[7월 31일]] [[넥센 히어로즈]]로 트레이드될 때까지 [[KBO 리그]]에서 단일 투수로는 통산 최다 연패인 17연패를 기록해 트레이드의 원인이 됐다.
         ====[[2011년]] 시즌====
         [[2011년]] [[7월 31일]] 트레이드 마감 시한을 앞두고 [[LG 트윈스]]와의 2:2 트레이드에 포함돼 내야수 [[박병호 (1986년)|박병호]]와 함께 이적했다.<ref>[http://osen.mt.co.kr/news/view.html?gid=G1107310188 '송신영↔심수창' LG, 넥센과 2:2 트레이드 단행] - OSEN</ref> [[8월 3일]] [[삼성 라이온즈|삼성]]전에서 이적 후 첫 선발 등판해 6이닝 3실점을 기록했으나 패전 투수가 되며 선발 연패 기록을 18경기로 늘렸으나, QS를 기록했다. [[2011년]] [[8월 9일]] [[롯데 자이언츠|롯데]]전에서 이적 후 2번째 선발 등판해 6.1이닝동안 1실점 호투를 펼쳐 786일 만에 선발 승을 기록하며 긴 연패를 끊었다.<ref>[http://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baseball&ctg=news&mod=read&office_id=109&article_id=0002239048 '심수창 786일만에 선발승' 넥센, 롯데 꺾고 연승 휘파람]</ref> 마무리로 등판한 [[손승락]]은 세이브를 거둘 때 그를 가리키며 포효했고 서울 후 그는 인터뷰에서 눈물을 보였다.<ref>[http://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baseball&ctg=news&mod=read&office_id=311&article_id=0000104801 2011시즌, 가장 감동적이었던 넥센의 경기] - 엑스포츠뉴스</ref> 이후, [[롯데 자이언츠|롯데]]전에서 다시 승리를 거둬 [[2011년]] 선발로 나와 거둔 2승을 모두 [[롯데 자이언츠|롯데]]를 상대로 기록했다. 2011 시즌 후 그의 786일 만의 선발 승 장면이 '카스 포인트 어워즈'에서 카스 모멘트 MVP에 선정됐다.<ref>[http://www.mydaily.co.kr/news/read.html?newsid=201112071931242225&ext=na '카스 모멘트 MVP' 심수창 "넥센 선수들과 영광 함께하겠다"] 《마이데일리》, 2011년 12월 7일</ref>
         후반기 첫 선발 등판이었던 [[2016년]] [[7월 30일]] [[두산 베어스|두산]]전에서 5.1이닝 6피안타, 3탈삼진, 3실점(2자책)으로 호투해 [[넥센 히어로즈]] 소속이던 지난 2011년 8월 27일 [[롯데 자이언츠]]전 이후 1,799일만의 선발 승을 거뒀다.<ref>[http://www.seoul.co.kr/news/newsView.php?id=20160730500063 한화 심수창, 우여곡절 끝 1799일 만에 선발승] - 서울신문</ref> [[2016년 KBO 리그|2016시즌]]에 5승을 거뒀는데, 한 시즌에 5승 이상을 거둔 것은 [[2009년]] 이후 7년 만이었다.
  • 심윤조
         |임기 = [[2008년]] [[5월]] ~ [[2011년]] [[3월]]
  • 심재명 (1963년)
         * [[2011년]] 《[[마당을 나온 암탉 (영화)|마당을 나온 암탉]]》
         * [[2011년]] 올해의 여성문화인상
         * [[2011년]] 제31회 [[한국영화평론가협회상]] 특별상
         * [[2011년]] 〈대한민국 콘텐츠어워드〉 애니메이션 부문 대통령상(대상) 《[[마당을 나온 암탉 (영화)|마당을 나온 암탉]]》<ref>{{웹 인용 |url=http://tvdaily.mk.co.kr/read.php3?aid=1323771429244615008 |제목=티브이데일리 - '마당을 나온 암탉', 韓 콘텐츠어워드 대통령상 '애니메이션계 한 획' |확인날짜=2013-05-25 |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140416181831/http://tvdaily.mk.co.kr/read.php3?aid=1323771429244615008 |보존날짜=2014-04-16 |깨진링크=예 }}</ref>
  • 심진보
         2002년 뮤지컬배우로 첫 데뷔하였고 2007년에 연극 무대에 오른 그는 [[2011년]] tvN드라마 [[막돼먹은 영애씨]] 시즌9로 정식 텔레비전 연기자로 데뷔하였다. [[막돼먹은 영애씨]] 시즌11까지 출연하였다. 데뷔전부터 독립영화 현장에서 연기 경험을 쌓으며 [[안녕?허대짜수짜님!]] 등 출연하며 배우로서 활동 중에 있었으나, 2018년 3월 5일 심장마비로 갑작스럽게 사망했다.
         | 2011년 ~ 2012년
  • 심현섭
         * [[2011년]] 《SK 핸드볼 코리아컵》객원 해설자
         * [[2011년]] 《[[세대공감 토요일]]》[[KBS]]<br>《[[개그시대]]》[[채널A]]
  • 심현섭(코미디언)
         [[2011년]] [[종합편성채널|종편]]행을 선택, [[채널A]]의 [[개그시대]]에 출연했으며 해당 프로의 다른 OB 3인방인 [[최양락]]이나 [[남희석]]에 비해 비중이 매우 적었다. 코미디 프로그램 외에 채널A의 뉴스 및 시사프로그램에 수차례 패널로 출연하며 주요 [[정치인]]의 성대모사를 선보이기도 했다.
         브라운관에는 자주 나타나지 않았지만 몇 년째 라디오 프로그램에 전념하며 활동 자체는 계속하고 있다. 2010년 [[박준형(코미디언)|박준형]]과 함께 KBS 라디오에서 '신나는 오후4시'를 진행하였으며, 2011년부터 2012년까지는 EBS라디오에서 '대한민국 성공시대'를 진행하기도 했다. 2013년 4월부턴 TBN한국교통방송에서 평일 오후 2시에 [[아나운서]] 선우경과 함께 '심현섭 선우경의 신나는 운전석'을 진행하고 있다.
         [[2018년]] 3월, 그에게서 성추행을 당했다는 글이 [[디시인사이드]] 예능 프로그램 갤러리에 올라왔다. 글을 올린 L씨는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2011년 가을, 심현섭과 소개팅을 했고, 첫 만남에 간 영화관에서 계속 허벅지를 주무르는 심현섭에게 불쾌감을 표현했으나 그는 L씨를 차에 태운 후 CCTV가 없는 장소를 찾아갔고, L씨가 차에서 내리려 하자 문을 잠그고, 자신을 애무할 것을 요구했고 "만지기 싫으면 이것만 봐달라"며 바지를 벗고 자위행위를 했다고 설명했다. [[http://news.jtbc.joins.com/article/article.aspx?news_id=NB11599831|JTBC]]
  • 아웃사이더 (래퍼)
         * [[2011년]] [[1월 22일]] 애니메이션 [[고스트 메신저]] O.S.T 오프닝 곡 - CONNEXION
  • 아이비 (1982년)
         한편, 아이비는 2009년 초 [[폴라리스 엔터테인먼트]]로 소속사를 이적할 예정이었지만, 전속권은 [[스톰이앤에프]]에게 있다는 이유로 이전 소속사측에서 법정 분쟁을 일으켰고, 그 결과 [[2011년]] 9월 승소하며 소속사를 옮겼다.<ref>{{뉴스 인용|제목=아이비, 소속사와 전속계약 무효소송 승소|url=http://www.naeil.com/News/politics/ViewNews.asp?nnum=625456&sid=E&tid=C|출판사=데일리뮤직|저자=신경진|날짜=2009-11-06|확인날짜=2013-06-23}}{{깨진 링크|url=http://www.naeil.com/News/politics/ViewNews.asp?nnum=625456&sid=E&tid=C }}</ref> 이와는 별개로 2012년 2월, 아이비는 2008년 3월부터 만났던 작곡가 김태성과 2011년 말에 결별했다고 밝혔다.<ref>{{뉴스 인용|제목=아이비, 컴백 앞두고 김태성 작곡가와 결별설|url=http://news.sportsseoul.com/read/entertain/1006185.htm|출판사=스포츠서울닷컴|저자=심재걸|날짜=2012-02-02|확인날짜=2012-02-02}}{{깨진 링크|url=http://news.sportsseoul.com/read/entertain/1006185.htm }}</ref> 아이비는 소속사와 분쟁이 끝난 후, 2012년 4월 27일 첫 미니 음반 ''[[INTERVIEW (아이비의 음반)|INTERVIEW]]''를 발매했다. 이번 앨범은 이전의 앨범들과 달리 타이틀곡 〈찢긴 가슴〉을 포함해 다섯 곡 모두 발라드와 미디엄 템포 노래들로 이루어졌다.<ref>{{뉴스 인용|제목=아이비, 새 앨범은 ‘all 발라드’…27일 미니앨범 발매|url=http://news.kukinews.com/article/view.asp?page=1&gCode=ent&arcid=1334053496&cp=nv|출판사=쿠키뉴스|저자=두정아|날짜=2012-04-10|확인날짜=2012-04-29|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150613224632/http://news.kukinews.com/article/view.asp?page=1&gCode=ent&arcid=1334053496&cp=nv|보존날짜=2015-06-13|깨진링크=예}}</ref> 단기간의 음반 활동을 마치고 2012년 여름에는 뮤지컬 《[[시카고 (뮤지컬)|시카고]]》에서 주연 '록시 하트'를 맡아 연기했다.<ref>{{뉴스 인용|제목=최정원·아이비, 우리는 뮤지컬에 미쳤다|url=http://www.fnn.co.kr/content.asp?aid=9a367459c7414159a923b8a0d8d910d3|출판사=포커스|저자=안소연|날짜=2012-07-16|확인날짜=2013-06-23}}{{깨진 링크|url=http://www.fnn.co.kr/content.asp?aid=9a367459c7414159a923b8a0d8d910d3 }}</ref> 이어서 [[6월 19일]]에는 추적자 SBS 드라마 《[[추적자 THE CHASER]]》의 OST 〈좋은 사람〉을 발매했다.<ref>{{뉴스 인용|제목=아이비 '추적자'OST Part.3 '좋은 사람' 참여 "애절한 가사로 감동 전할 것"|url=http://bntnews.hankyung.com/apps/news?popup=0&nid=04&c1=04&c2=04&c3=00&nkey=201206191338493&mode=sub_view|출판사=한경닷컴but뉴스|저자=민경자|날짜=2012-06-19|확인날짜=2013-06-23}}</ref> 9월부터는 SBS의 오디션 프로그램 《[[내 생애 마지막 오디션]]》의 심사위원으로 발탁돼 고정으로 출연했다.<ref>{{뉴스 인용|제목=아이비, '내생애 마지막 오디션' 여성 심사위원 발탁|url=http://tvdaily.mk.co.kr/read.php3?aid=1346225994379223019w|출판사=티브이데일리|저자=전아람|날짜=2012-08-29|확인날짜=2013-06-26}}{{깨진 링크|url=http://tvdaily.mk.co.kr/read.php3?aid=1346225994379223019w }}</ref> 또한 KBS 예능 《[[남자의 자격]]》 패밀리 합창단 편에 어머니와 함께 성악단 단원으로 출연했다.<ref name="티브이데일리"/>
  • 안규영
         |프로 입단 연도 = [[2011년]]
         |드래프트 순위 = [[2011년 한국프로야구 신인 드래프트|2011년]] 4라운드([[두산 베어스]])
         |첫 출장 = [[KBO (야구)|KBO]] / [[2011년]] [[8월 30일]] <br /> [[한화 이글스|한화]]전 구원
         * [[2011년]] 퓨처스 올스타전 우수 투수상
         * [[두산 베어스]] (2011년 ~ 2017년)
         [[2011년]] 퓨처스 올스타전 우수 [[투수]]상<ref>[http://sports.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kbo&ctg=news&mod=read&office_id=109&article_id=0002232013 안규영,'우수 투수상 수상!'] - OSEN</ref> 을 받은 이후 1군에 처음 올라왔다. 그의 주 무기는 140 km/h대 후반에 이르는 빠른 속구와 슬라이더이며, 퓨처스 리그에서 좋은 활약을 펼치며 종종 1군에도 얼굴을 비쳤다. [[2012년]] [[롯데 자이언츠]]전에 첫 선발 등판해 지나치게 긴장하여 제구가 안되는데도 상대 타자들이 지나치게 빠른 승부를 하며 3이닝을 무실점으로 막았다.
  • 안규영 (야구선수)
         |프로 입단 연도 = [[2011년]]
         |드래프트 순위 = [[2011년 한국프로야구 신인 드래프트|2011년]] 4라운드([[두산 베어스]])
         |첫 출장 = [[KBO (야구)|KBO]] / [[2011년]] [[8월 30일]] <br /> [[한밭종합운동장 야구장|대전]] 대 [[한화 이글스|한화]]전 구원
         * [[2011년]] 퓨처스 올스타전 우수 투수상
         * [[두산 베어스]] (2011년 ~ 2017년)
         [[2011년]] 퓨처스 올스타전 우수 [[투수]]상<ref>[http://sports.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kbo&ctg=news&mod=read&office_id=109&article_id=0002232013 안규영,'우수 투수상 수상!'] - OSEN</ref> 을 받은 이후 1군에 처음 올라왔다. 그의 주 무기는 140 km/h대 후반에 이르는 빠른 속구와 슬라이더이며, 퓨처스 리그에서 좋은 활약을 펼치며 종종 1군에도 얼굴을 비쳤다. [[2012년]] [[롯데 자이언츠]]전에 첫 선발 등판해 지나치게 긴장하여 제구가 안되는데도 상대 타자들이 지나치게 빠른 승부를 하며 3이닝을 무실점으로 막았다.
  • 안근영
         '''안근영'''(安根榮<ref>{{웹 인용|url= https://www.sports.or.kr/download/nat_game/The_7th_Asian_Winter_Games.pdf|제목= 2011년 동계 아시아 서울대회 대한민국 선수단 편람|출판사=[[대한체육회]]|확인날짜=2016-12-06}}</ref>, [[1991년]] [[9월 16일]] ~ )는 [[대한민국]]의 은퇴한 여자 [[아이스하키]] 선수이다. 중학교 졸업을 앞둔 2007년에 [[창춘 시|창춘]]에서 열린 [[2007년 동계 아시안 게임|동계 아시안 게임]]을 통해 국가대표로 데뷔하였으며, 이후 대한민국 여자 국가대표팀의 일원으로 활약했으며, 2013년에 여자 선수로는 최초로 [[광운대학교]] 남자팀에 합류했다.
         [[서울특별시]] 출신으로 동생인 안성근도 아이스하키 선수이다. [[강북중학교 (서울)|강북중학교]] 3학년 졸업을 앞두고 [[중국]]의 [[창춘 시]]에서 열린 [[2007년 동계 아시안 게임]]을 통해 대한민국 국가대표로 데뷔했으며, [[대한민국 여자 아이스하키 국가대표팀|대한민국]]은 [[중국 여자 아이스하키 국가대표팀|중국]]에게 0-20, [[일본 여자 아이스하키 국가대표팀|일본]]에게 0-29, [[카자흐스탄 여자 아이스하키 국가대표팀|카자흐스탄]]에게 0-14,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여자 아이스하키 국가대표팀|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게 0-5으로 대패하며 단 하나의 득점도 올리지 못하고 전패를 기록하여 최하위인 5위를 기록하였다. 이후 [[2011년]]에 [[카자흐스탄]]의 [[아스타나]]와 [[알마티]]에서 열린 [[2011년 동계 아시안 게임]]에 다시 국가대표로 발탁되었으며, 대한민국은 일본에게 0-10, 카자흐스탄에게 0-11, 중화국에게 0-10,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게 1-6으로 패하여 5위를 기록하였다.
         * 2011년 세계여자아이스하키 선수권대회 2부리그 2위
         [[분류:1991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여자 아이스하키 선수]][[분류:대한민국 여자 아이스하키 국가대표팀 선수]][[분류:대한민국의 아시안 게임 아이스하키 참가 선수]][[분류:2007년 동계 아시안 게임 아이스하키 참가 선수]][[분류:2011년 동계 아시안 게임 아이스하키 참가 선수]][[분류:서울특별시 출신]][[분류:강북중학교 (서울) 동문]][[분류:광운대학교 동문]]
  • 안상수(창원)
         이후 [[2011년]] 4.27 재보궐 선거의 패배에 책임을 지고[* 한나라당 텃밭인 분당구 을에서 민주당 대표인 손학규가 당선되는 일종의 참사가 터졌다.] 2011년 5월 당 대표에 사퇴했으며, 2012년 [[19대 총선]]에서는 자신의 지역구인 의왕시-과천시가 전략공천 지역으로 선정되면서 컷오프를 당했는데, 정권 재창출을 위해 자신이 희생하겠다는 변을 밝히며 컷오프를 받아들이고 불출마하였다.
  • 안숙선
         * [[2011년]] 제21회 동리대상 수상
  • 안연홍
         * [[2011년]] [[MBC]] 특별기획드라마 《[[짝패 (드라마)|짝패]]》 ... 작은년 역
  • 안재모
         배우 [[이세창]]과 인연으로 2002년 [[카레이싱]]에 입문하여 활약하였다.<ref>[http://foto.sportschosun.com/news/ntype2_o.htm?ut=1&name=/news/entertainment/200603/20060328/63812006.htm 이세창-안재모, 코리안GT 챔피언쉽 '합작 우승'] {{웨이백|url=http://foto.sportschosun.com/news/ntype2_o.htm?ut=1&name=%2Fnews%2Fentertainment%2F200603%2F20060328%2F63812006.htm |date=20160309001605 }} 2006년 3월 27일 스포츠조선</ref><ref>[http://foto.sportschosun.com/news/ntype2_o.htm?ut=1&name=/news/entertainment/200707/20070702/77b76121.htm 안재모, "꼴찌에서 일등까지...시즌 첫 우승"] {{웨이백|url=http://foto.sportschosun.com/news/ntype2_o.htm?ut=1&name=%2Fnews%2Fentertainment%2F200707%2F20070702%2F77b76121.htm |date=20131203003952 }} 2007년 7월 1일 스포츠조선</ref><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7&oid=001&aid=0001757697 탤런트 안재모, CJ슈퍼레이스 투어링 A 선두 탈환] 2007-09-16 연합뉴스</ref> 2006년 [[SBS]] 드라마《[[연개소문]]》으로 다시 연기 활동에 복귀하여 2007년 [[SBS]]《[[왕과 나]]》에서 김재형 감독으로부터 [[조선 성종]]의 제의를 받았으나 악역 역할인 가상인물 정한수 역을 맡아 데뷔이래 연산군에 이어 악역 연기를 하였다.<ref>[http://news.hankooki.com/ArticleView/ArticleView.php?url=culture/200711/h2007110705264986330.htm&ver=v002 주인공 인기 위협하는 사극 속 악역들] 2007년 11월 7일 한국일보</ref> 2008년 《[[전설의 고향]]》의 시리즈에 4편 "귀서"<ref>[http://www.newsen.com/news_view.php?uid=200808142338311001 ‘전설의 고향- 귀서’ TV 장르물의 진화를 보여준 수작 호평] 2008년 8월 15일 뉴스엔</ref>,《[[자유인 이회영]]》<ref>[http://www.mdtoday.co.kr/mystar/index.html?no=340775 ‘자유인 이회영’, ‘야인시대’ 명콤비 부활 예고]{{깨진 링크|url=http://www.mdtoday.co.kr/mystar/index.html?no=340775 }} 2010년 8월 30일 스타뉴스</ref>, 《[[근초고왕 (드라마)|근초고왕]]》 등에서 호연하였다.<ref>[http://mystar.mdtoday.co.kr/mystar/index.html?no=420097 ‘근초고왕’ 정웅인-이종수-안재모, 사극 ‘미친 존재감’ 3인 관심 집중]{{깨진 링크|url=http://mystar.mdtoday.co.kr/mystar/index.html?no=420097 }} 2010년 12월 31일 스타뉴스</ref> 2010년에 결혼하여 슬하에 1남 1녀를 두었다.<ref>[http://www.newsen.com/news_view.php?uid=201106071132171001 안재모 득녀 “가족 분만했다, 큰형님이 딸 직접 받아”] 2011년 6월 7일 뉴스엔</ref><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6&oid=001&aid=0005910208 안재모 "아들이 태어났어요"] 연합뉴스 2012-11-01</ref> 연기활동 외에 2010년 4월에 아버지의 [[홍삼]]사업인 안가홍삼의 CEO로 유지를 받아 사업가로도 활동하고 있다.<ref>[http://www.안가홍삼.kr/index.html 안가홍삼 CEO 대표인사말]{{깨진 링크|url=http://www.xn--o39a660bzjd89v.kr/index.html }}</ref><ref>[http://economy.hankooki.com/lpage/industry/201204/e20120412172226120180.htm "한류 수출, 겸손한 접근·고가 전략 필요] {{웨이백|url=http://economy.hankooki.com/lpage/industry/201204/e20120412172226120180.htm |date=20131203005223 }} 2012년 4월 12일 서울경제</ref>
         * [[2011년]] 대구불로막걸리
         * [[2011년]] 12월 이태석기념사업회 명예홍보대사
         * [[2011년]] 12월 이태석기념사업회 명예홍보대사
  • 안재욱
         |제목= [현장] 뮤지컬 <잭 더 리퍼> 안재욱 “좋은 연기로 후배들에게 모범 되고파” |url= http://www.maxmovie.com/movie_info/news_read.asp?idx=MI0096369728 |출판사= 맥스무비 |날짜= 2012-07-25 }}</ref> 그러던 중 [[2009년]]에 출연한 예능 토크쇼 《무릎팍도사》에서 처음 겪는 사람들의 무관심에 우울증을 겪을 정도로 힘든 시기를 보냈다고 고백했다. [[2011년]]에는 오랫동안 러브콜을 해온 [[최완규]] 작가의 드라마 《빛과 그림자》를 통해 3년만에 브라운관에 복귀하였고, 극중 강기태의 성공 스토리를 담은 이 작품에서 열연을 펼치며 20%가 넘는 높은 시청률을 기록하고 당초 50부작에서 14회 연장되어 64부작으로 연장 방송하는 등 드라마의 인기를 이끌며 대상 수상이 유력했다. 하지만 안재욱은 연말 [[MBC 연기대상]]에서 대상 후보에도 오르지 못하고 무관에 그쳐 많은 시청자들 사이에서는 많은 논란이 되었다.<ref>{{뉴스 인용
         |align="center"| 2011년~2012년
         |align="center"| 월화 특별기획 《[[빛과 그림자 (2011년 드라마)|빛과 그림자]]》
         * 2011년 [[소울스타]], [[원티드 (음악 그룹)|원티드]] - 사랑을 끊을 수 없다
  • 안재현 (1981년)
         * [[2011년]] 《대한제국 조선 융희양제 이왕 순종》 ... [[의친왕|의친왕 이강]] 역(주연)
  • 안지만
         [[2002년 한국프로야구 신인 드래프트|2002년]] [[삼성 라이온즈]]의 2차 5순위(전체 40순위) 지명을 받아 입단하였다. [[2005년]]에 [[오승환]]과 함께 불펜에서 두각을 드러내기 시작하였다. [[2010년]]에 뛰어난 모습을 보여 주며 [[2010년 아시안 게임|광저우 아시안 게임]]에 참가하여 금메달을 획득했다. [[권혁]], [[정현욱]]과 함께 불펜의 '안정권' 트리오라는 별칭이 있다.<ref>[http://osen.mt.co.kr/news/view.html?gid=G1008200005 오치아이 코치가 바라보는 안정권 트리오] - OSEN</ref> [[2011년 한국시리즈]]에서 4홀드로 맹활약하며 [[한국시리즈]] 우승에 기여했다. [[2013년]] [[8월 17일]] [[넥센 히어로즈|넥센]]전에서 우완 [[투수]]로써 최초의 100홀드를 기록했다.<ref>[http://sports.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kbo&ctg=news&mod=read&office_id=076&article_id=0002377859 삼성 안지만, 우완 투수 최초 100홀드 대기록] - 스포츠조선</ref> 그리고 [[2014년]] 프로 데뷔 12년 만에 FA 자격을 획득하여 계약금 35억, 연봉 7억 5000만원으로 총액 4년 65억에 [[삼성 라이온즈|삼성]]과 재계약하였다. 그 뒤 [[2015년]] [[6월 5일]] [[롯데 자이언츠|롯데]]전에서는 [[KBO 리그]] 최초 개인 통산 150홀드라는 대기록을 달성했다. 하지만 [[윤성환]], [[임창용]]과 함께 해외원정 불법도박 혐의로 [[2015년 KBO 한국시리즈|2015년 한국시리즈]]에 승선하지 못했고 [[2015년 WBSC 프리미어 12|2015년 프리미어 12]]에도 탈락하였다. [[2016년]] [[7월 20일]]에 검찰로부터 불법 스포츠 도박사이트 자금 투자와 관련한 혐의를 받고 있다는 보도까지 나오면서 [[삼성 라이온즈]]는 다음날 계약 해지를 발표함에 따라서 유니폼을 완전히 벗게 되었고, 구단에서 퇴출되었다. 퇴출 이후에는 사회인 야구 선수들을 가르치며 지도자 생활을 하고 있다.
         * 힙지만 - 그는 시합에 나갈 때마다 [[모자]] 챙을 세우면서 나가는데, 이로 인해 '힙지만'이라는 별명을 얻었다. 모자 챙을 세우게 된 이유로는 예전 [[삼성 라이온즈]] 소속이었던 [[강영식 (야구 선수)|강영식]](현재 [[롯데 자이언츠]])과의 내기로 모자 챙을 세웠다고 한다. 모자를 삐딱하게 쓰는 이유는 예전에 같은 팀 선배였던 [[양준혁]]이 "너는 인상이 선해서, 모자로 포인트를 줘봐라" 라고 한 후 쭉 그렇게 쓰고 있다고 한다. 몇 번의 예외가 있었는데, [[대구상원고등학교|대구상업고등학교]] 선배이자 [[삼성 라이온즈]]의 2군 감독으로 활동하였던 [[장효조]]가 [[2011년]] 시즌 중 암으로 갑자기 사망하자 그 무렵에는 경기에 나갔을 때 추모를 위해 모자 챙을 세우지 않았다. 그리고, 국제대회에서도 힙합모자를 쓰지 않았다.<ref>[http://sports.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kbo&ctg=news&mod=read&office_id=076&article_id=0002142945 삼성 안지만, 힙합 스타일을 버린 까닭은?] - 스포츠조선</ref>
         * '28' (2003년 ~ 2011년, 2012년 ~ 2016년)
         |style="text-align: center;"|[[2011년 한국프로야구|2011]]
         {{2011년 삼성 라이온즈}}
  • 안지호 (축구 선수)
         그러나 안현식은 선후배들의 승부조작을 논의하는 회식자리서 입막음용으로 200만 원을 받은 것이 화근이 되어 [[2011년]] [[K리그 승부조작 사건]]에 연루되어 [[K리그]] 선수로서의 활동 및 모든 자격이 영구히 상실되는 중징계를 받게 되었으며, 자진신고한 점이 참작되어 2년간 보호관찰 후 복귀 심사를 거치기로 했다. [[경남 FC]]는 안현식에 대한 처벌로 팀에서 방출했다. [[한국프로축구연맹|프로축구연맹]]의 징계 감경으로 예정보다 6개월 일찍 징계가 해제되었고 2014년 [[고양 자이크로 FC|고양 Hi FC]]에 입단하였다. [[고양 자이크로 FC|고양]]의 서포터스 알타이르는 이에 반발하여 성명서를 발표하고 서명 운동을 진행하였다.<ref>{{뉴스 인용 |제목 = ‘승부조작 연루’ 고양 안현식, “속죄하는 마음으로…” |url = http://www.interfootball.co.kr/news/view.php?gisa_uniq=2014040417285660§ion_code=99&cp=se&gomb=1 |출판사 = 인터풋볼 |저자=한재현 |날짜 = 2014-04-04 }}</ref><ref>{{웹 인용 |url=http://m.bbs3.agora.media.daum.net/gaia/do/mobile/petition/read?bbsId=P001&articleId=151198&objCate1=1&pageIndex=1 |제목=고양 Hi FC와 계약을 체결한 안현식 선수 방출 요구 서명 |확인날짜=2014-05-25 |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181211131318/http://m.bbs3.agora.media.daum.net/gaia/do/mobile/petition/read?bbsId=P001&articleId=151198&objCate1=1&pageIndex=1 |보존날짜=2018-12-11 |깨진링크=예 }}</ref> 2015 시즌을 앞두고 [[대전 시티즌]]으로 이적하려고 했으나 많은 [[대전 시티즌]] 팬들의 반발로 결국은 무산되었다.<ref>{{뉴스 인용 |제목= 영입 취소-사장 퇴진…어수선한 대전 |url=http://sports.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k_league&ctg=news&mod=read&office_id=436&article_id=0000013771|출판사=풋볼리스트 |날짜=2015-01-12 }}</ref>
         * [[2011년]] {{국기그림|대한민국}} [[경남 FC]]
  • 안지호 (축구선수)
         그러나 안현식은 선후배들의 승부조작을 논의하는 회식자리서 입막음용으로 200만 원을 받은 것이 화근이 되어 [[2011년]] [[K리그 승부조작 사건]]에 연루되어 [[K리그]] 선수로서의 활동 및 모든 자격이 영구히 상실되는 중징계를 받게 되었으며, 자진신고한 점이 참작되어 2년간 보호관찰 후 복귀 심사를 거치기로 했다. [[경남 FC]]는 안현식에 대한 처벌로 팀에서 방출했다. [[한국프로축구연맹|프로축구연맹]]의 징계 감경으로 예정보다 6개월 일찍 징계가 해제되었고 2014년 [[고양 자이크로 FC|고양 Hi FC]]에 입단하였다. [[고양 자이크로 FC|고양]]의 서포터스 알타이르는 이에 반발하여 성명서를 발표하고 서명 운동을 진행하였다.<ref>{{뉴스 인용 |제목 = ‘승부조작 연루’ 고양 안현식, “속죄하는 마음으로…” |url = http://www.interfootball.co.kr/news/view.php?gisa_uniq=2014040417285660§ion_code=99&cp=se&gomb=1 |출판사 = 인터풋볼 |저자=한재현 |날짜 = 2014-04-04 }}</ref><ref>[http://m.bbs3.agora.media.daum.net/gaia/do/mobile/petition/read?bbsId=P001&articleId=151198&objCate1=1&pageIndex=1 고양 Hi FC와 계약을 체결한 안현식 선수 방출 요구 서명]{{깨진 링크|url=http://m.bbs3.agora.media.daum.net/gaia/do/mobile/petition/read?bbsId=P001&articleId=151198&objCate1=1&pageIndex=1 }}</ref> 2015 시즌을 앞두고 [[대전 시티즌]]으로 이적하려고 했으나 많은 [[대전 시티즌]] 팬들의 반발로 결국은 무산되었다.<ref>{{뉴스 인용 |제목= 영입 취소-사장 퇴진…어수선한 대전 |url=http://sports.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k_league&ctg=news&mod=read&office_id=436&article_id=0000013771|출판사=풋볼리스트 |날짜=2015-01-12 }}</ref>
         * [[2011년]] {{국기그림|대한민국}} [[경남 FC]]
  • 안현호
         |임기 = [[2010년]] [[3월 23일]] ~ [[2011년]] [[5월 18일]]
  • 애프터스쿨
         2011년 대한민국대중문화예술상에서 애프터스쿨
         2011년 4월 29일 애프터스쿨은 첫 정규 음반 《[[Virgin (애프터스쿨의 음반)|Virgin]]》을 발매하였다. 타이틀곡 〈Shampoo〉는 [[가온 디지털 차트]] 4위까지 진입하였다.<ref>[http://www.gaonchart.co.kr/main/section/search/list.gaon?Search_str=shampoo 가온 차트 - shampoo] [[가온 차트]]. 2011년 6월 4일 확인.</ref> 발매일과 같은 날 《[[뮤직뱅크]]》를 통해 첫 컴백 무대를 펼쳤다. 이날 무대에서 〈Let's Step Up〉과 〈Shampoo〉무대를 선보였는데, 〈Let's Step Up〉 안무인 탭댄스를 추다 무대 일부가 내려 앉는 사고가 발생했다.<ref>{{뉴스 인용|제목 =애프터스쿨, 컴백 무대서 바닥 무너지는 사고… '가슴 철렁'|url =http://mystar.mdtoday.co.kr/my/index.html?no=510803|출판사 =My스타뉴스|저자 =강민경|날짜 =2011-04-29|확인날짜 =2011-05-13}}{{깨진 링크|url=http://mystar.mdtoday.co.kr/my/index.html?no=510803 }}</ref> 세계적인 탭댄서 조셉 위건은 애프터스쿨의 탭댄스를 보고 "애프터스쿨의 탭댄스 뮤직비디오를 봤는데 엄청난 매력을 지닌 그룹인 것 같다. 한국을 넘어 세계에 내놓아도 손색없을 것"이라고 평했다.<ref>{{뉴스 인용|제목 =애프터스쿨 탭댄스, 세계적 탭댄서들도 `호평`|url =http://spn.edaily.co.kr/entertain/newsRead.asp?sub_cd=EA21&newsid=01161126596247280&DirCode=0010201|출판사 =이데일리 SPN|저자 =김은구|날짜 =2011-05-09|확인날짜 =2011-05-13}}{{깨진 링크|url=http://spn.edaily.co.kr/entertain/newsRead.asp?sub_cd=EA21&newsid=01161126596247280&DirCode=0010201 }}</ref> 이 외에 세계적인 탭댄서들이 호평을 했다.<ref>{{뉴스 인용|제목 =애프터스쿨, 탭댄스 '완벽해!'…세계 탭퍼들 극찬 릴레이|url =http://sportsworldi.segye.com/Articles/EntCulture/Article.asp?aid=20110509003158&subctg1=10&subctg2=00|출판사 =sportsworldi.com|저자 =최정아|날짜 = 2011-05-09|확인날짜 =2011-05-13}}</ref> 한편, 애프터스쿨의 1기 멤버 [[베카 (가수)|베카]]가 학업을 이유로 2011년 6월 애프터스쿨을 졸업해 탈퇴를 한 [[유소영|소영]]과 다르게 1기 졸업생이 되었다.<ref>[http://n.newswave.kr/sub_read.html?uid=143201§ion=sc11 베카 그룹 탈퇴, “에프터스쿨 졸업 디자인 공부 하고싶어”] [[뉴스웨이브]]. 2011년-06-17 작성. 2011년 6월 17일 확인.</ref> 이에 따라 애프터스쿨은 8인조가 되었고, 2011년 7월 11일 베카의 자작곡이 수록된 디지털 싱글 〈[[Take Me To The Place]]〉을 끝으로 베카는 음악 활동을 중단하였다.
         애프터스쿨은 2011년부터 일본 진출을 계획하였다. 2011년 6월 17일 일본 아카사카브리츠에서 데뷔 쇼케이스를 펼쳐 3,000명이 넘는 관객을 모았으며, "뛰어난 미각 그룹", "환상의 퍼포먼스 그룹"이라는 평을 들었다.<ref name="스포츠서울닷컴">{{뉴스 인용|제목 =애프터스쿨 日 평정 합류, 3천 팬과 뜨거운 쇼케이스|url =http://news.sportsseoul.com/read/entertain/956347.htm|출판사 =스포츠서울닷컴|저자 =문다영|날짜 =2011-07-18|확인날짜 =2011-07-20|보존url =https://web.archive.org/web/20140222010335/http://news.sportsseoul.com/read/entertain/956347.htm|보존날짜 =2014-02-22|깨진링크 =예}}</ref> 8월 17일 대한민국에서 발매했던 〈Bang!〉을 약간 편곡한 일본 데뷔 싱글 〈[[Bang! (Japan ver.)]]〉을 발매하였다. 발매 당일 오리콘 데일리 싱글차트 6위에 올랐다.<ref>{{웹 인용|url=http://www.gaonchart.co.kr/main/section/hotnews/kpop/view.gaon?idx=438|제목=애프터스쿨 ‘뱅’, 日 오리콘차트 6위 진입하며 순항|웹사이트=[[가온 차트]]|날짜=2011-08-18|확인날짜=2011-08-19}}{{깨진 링크|url=http://www.gaonchart.co.kr/main/section/hotnews/kpop/view.gaon?idx=438 }}</ref> 이후 첫 주 23,760만 장의 판매량을 기록해 오리콘 위클리차트 7위에 올랐고, 이는 대한민국 걸 그룹의 데뷔 싱글 첫 주 판매량으로는 세 번째로 높은 판매량이다.<ref>{{뉴스 인용|url=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6&oid=001&aid=0005231414|제목=애프터스쿨 日데뷔싱글, 오리콘 주간 7위|저자=이태문|출판사=연합뉴스|날짜=2011-08-26|확인날짜=2011-08-26}}</ref> 11월 23일에는 두 번째 일본 싱글 〈[[Diva (Japan ver.)]]〉를 발매하였으나, 오리콘 데일리 차트 11위, 오리콘 위클리 차트 12위에 오르며 전작에 비하여 성과는 저조하였다. 12월 1일에는 [[플레디스 엔터테인먼트]] 연습생, [[손담비]]와 함께 〈[[Happy Pledis 2012 'Love Letter']]〉를 발매하였다. 2012년 1월 25일 세 번째 일본 싱글 〈[[Rambling girls/Because of you]]〉를 발매해 오리콘 데일리 차트 6위에 올랐으며, 18,000장 이상의 판매고를 올렸다.<ref>{{웹 인용|url=http://www.oricon.co.jp/ |title=Info: Oricon Charts Official Website|언어=일본어}}</ref> 2월 29일에는 일본 정규 음반 발매에 앞서 디지털 싱글 〈Just in time〉을 발매했고, 전속 모델로 계약되어 있는 가방 브랜드 사만타 타바사의 CM송으로 사용되었다.<ref>{{뉴스 인용|url=http://www.tvreport.co.kr/?c=news&m=newsview&idx=202584|제목=애프터스쿨, 日 가방 브랜드 상큼 CM 공개 '아이돌 최초 발탁'|저자=최민지|출판사=TV리포트|날짜=2012-03-01|확인날짜=2014-01-17}}</ref> 3월 14일에는 첫 번째 일본 정규 음반 《[[PLAYGIRLZ]]》를 발매하였다. 이 음반은 오리콘 데일리 앨범 차트에 6위, 위클리 앨범 차트에는 8위에 올랐다. 2012년 4월 17일부터는 첫 일본 콘서트 투어 “[[Playgirlz (콘서트)|Playgirlz]]”를 시작하였다. 6월 17일까지 도쿄 2회, 나고야, 오사카 각각 1회 총 4회로 이루어졌다.<ref>{{뉴스 인용 | title=Zepp Tokyo Schedule (April 2012) | url=http://www.zepp.co.jp/tokyo/schedule.html?year=2012&month=04 | language=일본어 | 확인날짜=2014-01-17 | 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120523022329/http://www.zepp.co.jp/tokyo/schedule.html?year=2012&month=04 | 보존날짜=2012-05-23 | 깨진링크=예 }}</ref><ref>{{뉴스 인용 | title=Zepp Nagoya Schedule (April 2012) | url=http://www.zepp.co.jp/nagoya/schedule.html?year=2012&month=04 | language=일본어 | 확인날짜=2014-01-17 | 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120523033944/http://www.zepp.co.jp/nagoya/schedule.html?year=2012&month=04 | 보존날짜=2012-05-23 | 깨진링크=예 }}</ref><ref>{{뉴스 인용 | title=Namba Hatch Schedule (April 2012) | url=http://www.namba-hatch.com/schedule.html | language=일본어 | 확인날짜=2014-01-17 | 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140128111537/http://www.namba-hatch.com/schedule.html | 보존날짜=2014-01-28 | 깨진링크=예 }}</ref> 이후 콘서트 실황을 담은 《AFTERSCHOOL First Japan Tour 2012 -PLAYGIRLZ-》라는 DVD 음반이 2013년 3월 27일 발매되었다.
         애프터스쿨은 브런치 파티를 할 적에 3명, 3명, 1명이 나뉘어 유닛활동을 한다고 밝혔으며 제일 처음에 발표한 유닛그룹은 '오렌지 캬라멜'로 [[2010년]] [[6월 7일]] 첫 멤버 [[나나 (가수)|나나]]의 스틸컷을 공개하였고, 9일에는 두 번째 멤버 [[레이나 (가수)|레이나]]가 뽑혀 스틸컷을 공개하였다.이후 마지막 멤버인 [[박수아|리지]]의 공개를 끝으로 모두 공개하였고 14일 티저사진에서는 이전의 파워풀하고 섹시한 이미지와는 반대로 핑크빛 의상의 재킷 커버가 공개되어 화제가 되었기도 하였으며<ref>{{뉴스 인용|제목 =애프터스쿨, 첫 유닛그룹 ‘오렌지캬라멜’ 재킷 공개|url =http://news.kukinews.com/article/view.asp?page=1&gCode=ent&arcid=1276532647&cp=nv|출판사 =국민일보 쿠키뉴스|저자 =유명준 기자|쪽 =|날짜 =2010-06-14|확인날짜 =|보존url =https://web.archive.org/web/20131214064900/http://news.kukinews.com/article/view.asp?page=1&gCode=ent&arcid=1276532647&cp=nv|보존날짜 =2013-12-14|깨진링크 =예}}</ref> 2010년 6월 18일 처음으로 [[뮤직뱅크]]에서 컴백무대를 가졌는데, 초록빛 드레스 와 깜찍발랄한 안무 등으로 팬들에게 충격을 안겨주었으며<ref>{{뉴스 인용|제목 =‘파격변신‘ 오렌지캬라멜 첫방송 후 팬들 충격 빠져 ‘도대체 어떻길래’|url =http://www.newsen.com/news_view.php?uid=201006181933151001|출판사 =뉴스엔|저자 =뉴스엔 엔터테인먼트부|날짜 =2010-06-18}}</ref> 깜찍한 컨셉 덕분인지 초등학생들에게 특히 인기가 많았다고 UFO타운 관계자가 말하기도 하였다. 현재까지도 오렌지 캬라멜은 초등학생에게 인기가 많다고 하여 "초통령" 이라고 불리고 있다.<ref>{{뉴스 인용|제목= 애프터스쿨 유닛 ‘오렌지 캬라멜’ 초등학생에 인기|url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006241028201&code=960801|출판사 =경향뉴스|날짜 =2010-06-24}}</ref> 이후 2010년 11월 18일 오렌지 캬라멜은 두 번째 EP 음반 《[[아잉♡]]》을 발매하고, 19일 뮤직뱅크에서 컴백해 동명의 타이틀곡 〈아잉♡〉으로 활동을 시작했다.<ref>{{뉴스 인용|제목 ='컴백' 오렌지캬라멜, 신곡 '아잉♡' 첫무대…중독성 최고|url =http://ntn.seoul.co.kr/?c=news&m=view&idx=62842|출판사 =서울신문NTN|저자 =강서정 기자|날짜 =2010-11-19|확인날짜 =2010-11-20}}{{깨진 링크|url=http://ntn.seoul.co.kr/?c=news&m=view&idx=62842 }}</ref> [[오렌지 캬라멜]]은 중화권 그룹 명인 등자초당으로 본격적인 활동을 하기 위해 아시아 프로젝트를 기획하였고, 2011년 3월 30일 새 음반의 자켓 사진을 공개하면서 컴백을 예고했다.<ref>{{뉴스 인용|제목=가요계, '보이' VS '걸' 4月 대접전 예고··풍성함 '눈길'|url =http://www.asiae.co.kr/news/view.htm?idxno=2011032909051348045|출판사 =아시아경제|저자=최준용|날짜 =2011-03-30|확인날짜=2011-04-06}}</ref> 자켓 속의 오렌지 캬라멜은 펑키한 헤어스타일과 몽환적인 배경으로 관심을 받았고, 이어 31일날 〈방콕 시티〉 음원을 공개했다.<ref>{{뉴스 인용|제목=오렌지카라멜, 신곡 '방콕시티' 31일 자정 공개|url =http://star.mt.co.kr/view/stview.php?no=2011033108103103066&type=1&outlink=1|출판사 =머니투데이|저자=전형화|날짜 =2011-03-31|확인날짜=2011-04-06}}</ref> 원래 이 노래는 방송 활동을 할 계획이 없었지만, 팬들의 요청으로 4월 1일 《[[뮤직뱅크]]》에서 첫 무대를 선보였다. 이 날 무대에서 오렌지캬라멜은 의상이 노출은 없지만, 너무 타이트해 선정적이라고 지적을 받았다.<ref>{{뉴스 인용|제목 =오렌지캬라멜 ’방콕시티’ 선정성 논란…″너무 민망″|url =http://news.cnbnews.com/category/read.html?bcode=146481|출판사 =CNB뉴스|날짜 =2011-04-03|확인날짜 =2011-04-06}}{{깨진 링크|url=http://news.cnbnews.com/category/read.html?bcode=146481 }}</ref> 일본에서의 "Bang!" 활동이 끝난 후, 2011년 10월 8일 유닛 [[오렌지 캬라멜]]이 세 쌍둥이의 컨셉으로 앨범 자켓 사진을 공개하였고,<ref>{{뉴스 인용|url=http://www.kyeongin.com/news/articleView.html?idxno=610045|제목=애프터스쿨 세 쌍둥이 '아잉'에 이어 '샹하이 로맨스'도 기대해 주세요~|저자=강효선|출판사=경인일보|날짜=2011-10-08|확인날짜=2011-10-08}}</ref> 2011년 10월 11일에는 티저를 공개하였으며, 2011년 10월 13일 12시에 오렌지 캬라멜의 아시아 프로젝트 2탄인 미니 앨범 [[샹하이 로맨스]]를 발매하였고,<ref>{{뉴스 인용|url=http://www.eto.co.kr/news/outview.asp?Code=20111013195222260&ts=224309|제목=오렌지캬라멜 ‘샹하이 로맨스’ 음원차트 싹쓸이 ‘독보적 행진’|저자=곽민구|출판사=경제투데이|날짜=2011-10-03|확인날짜=2011-10-13|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140427201929/http://www.eto.co.kr/news/outview.asp?Code=20111013195222260&ts=224309|보존날짜=2014-04-27|깨진링크=예}}</ref> 2011년 10월 14일 KBS2 [[뮤직뱅크]]에서 중국 전통의상인 치파오를 입고 컴백하였다. 또 오렌지 캬라멜의 3번째 미니 앨범 [[샹하이 로맨스]]의 동명의 타이틀곡 "샹하이 로맨스"의 작사가가 [[슈퍼주니어]]의 멤버 [[김희철 (가수)|희철]]이라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관심을 받았다.
         2011년 7월 20일에는 [[가희]], [[정아]], [[유이 (가수)|유이]], [[나나 (가수)|나나]]로 이루어진 [[애프터스쿨 레드]], [[이주연 (1987년)|주연]], [[레이나 (가수)|레이나]], [[박수아|리지]], [[이영 (가수)|이영]]으로 이루어진 [[애프터스쿨 블루]]로 나눠 유닛을 결성하였고, 2011년 7월 25일에는 "[[RED (애프터스쿨 레드의 음반)|The 4th Single Album - Red]]"와 "[[BLUE (애프터스쿨 블루의 음반)|The 4th Single Album - Blue]]"를 발매하였다. 레드는 싱글의 타이틀 곡인 〈[[RED (애프터스쿨 레드의 음반)|밤 하늘에]]〉로, 블루는 1990년대 걸 그룹의 감성을 표방한 〈[[BLUE (애프터스쿨 블루의 음반)|원더보이 (Wonder Boy)]]〉로 활동하였다. 또한 두 싱글에 각각 수록곡으로 실린 〈Hollywood〉와 〈Lady〉는 애프터스쿨 전원이 부른 곡이다.
         * 포지션: 메인보컬<ref>{{뉴스 인용 |제목 = 레이나, ‘불후2’서 가창력 폭발 “아이돌에 대한 편견 깼다” |url = http://interview365.mk.co.kr/news/8426 |출판사 = 인터뷰365 |저자 = |날짜 = 2011년 10월 2일 |확인날짜 = 2016년 5월 14일}}</ref>
         * 출생지: [[대한민국]] [[강원도 (남)|강원도]] [[춘천시]]<ref name = "이영">{{뉴스 인용 |제목 = [스타인터뷰]춘천 출신 `애프터스쿨' 이영 |url = http://www.kwnews.co.kr/nview.asp?s=801&aid=211042100033 |출판사 = 강원일보 |저자 = |날짜 = 2011년 4월 22일 |확인날짜 = 2016년 5월 14일}}</ref>
         * 활동기간: [[2011년]] [[4월 28일]] ~
         * 활동기간: [[2009년]] [[1월 15일]] ~ [[2011년]] [[6월 20일]]
         ! colspan=2 align="center" |2011년
  • 애프터스쿨의 수상 및 후보 목록
         ! 2011년
         * [[2011년]] [[Mnet]] 연간 결산 Top100 차트 93위 "[[Shampoo]]"
         * [[2011년]] [[가온 차트]] 연간 결산 TOP200 - 디지털 종합 차트 56위 "Shampoo"
         * [[2011년]] [[가온 차트]] 연간 결산 TOP200 - 스트리밍 차트 37위 "Shampoo"
  • 양승진
         * [[한화 이글스]] (2006년 ~ 2011년)
         * [[LG 트윈스]] (2011년 ~ 2015년)
         [[2011년]] [[7월 11일]] [[투수]] [[김광수 (1981년)|김광수]]를 상대로 [[유원상]]과 함께 [[LG 트윈스]]에 트레이드되었고, 주로 원포인트 릴리프로 등판한다.
  • 양승진 (야구선수)
         * [[한화 이글스]] (2006년 ~ 2011년)
         * [[LG 트윈스]] (2011년 ~ 2015년)
         [[2011년]] [[7월 11일]] [[투수]] [[김광수 (1981년)|김광수]]를 상대로 [[유원상]]과 함께 [[LG 트윈스]]에 트레이드되었고, 주로 원포인트 릴리프로 등판한다.
  • 양양 (1982년)
         * [[2011년]] 못난이
         * [[2011년]] 제19회 [[대한민국문화연예대상]] 가요부문 성인가요 신인상
  • 양영동
         삼성에서 방출된 후 [[경찰 야구단]]에서 병역을 마치고 [[2010년]] [[LG 트윈스]]에 이적했다. [[2011년]] 시범 서울 때 박종훈 감독의 주목을 받아 두각을 드러내고 있다.<ref>[http://osen.mt.co.kr/news/view.html?gid=G1105270111 양영동, 만년 2군에서 1군 선수가 되다] - OSEN</ref> [[2014년]] 시즌 후 보류명단에서 제외된 후 은퇴를 선언하고 2군 작전 및 3루 코치로 새로운 인생을 시작한다.
  • 양영은
         * [[2011년]] 슈퍼스타 ({{ISBN|9788932112473}})
  • 양요섭
         양요섭은 [[JYP 엔터테인먼트]]등에서 연습생시절을 거쳤으며, 데뷔 전 AJ (이기광)의 백업댄서로 활동하기도 했다. 이후 [[2009년]] 10월 [[비스트 (음악 그룹)|비스트]]의 멤버로 데뷔하게 된다. [[2011년]] 뮤지컬 《광화문연가》에 캐스팅 되며 뮤지컬 배우 로 데뷔 하였고, [[2012년]]에는 첫 솔로 앨범 ''The First Collage''를 발매 하였다. [[2013년]]에는 《엠넷 보이스 키즈》에서 심사위원을 맡기도 했다. [[2018년]] [[2월 19일]] 두 번째 솔로 앨범 ''白''로 솔로로는 6년만에 컴백 하였다.
         * 2011년 2월 7일 《[[마이 프린세스]]》 “그 사람을 아껴요” 발표
         * 2011년 9월 27일 《[[포세이돈]]》 “안돼” 발표
         * 2011년 8월 12일 [[방용국]] “I Remember” 피쳐링
         * 2011년 [[KBS 2TV|KBS2]] 《[[스쿨 버라이어티 백점만점]]》
         * 2011년 [[KBS 2TV|KBS2]] 《[[불후의 명곡 - 전설을 노래하다]]》
         * 2011년 《광화문 연가》 - 지용 역
  • 양익준
         * 2011년 《애정만세》
         * 2011년 《Departure》
         * 2011년 《미성년》
         * [[2011년]] 《[[돼지의 왕]]》 ... 정종석 역
         * [[2011년]] 《[[Departure]]》
         * [[2011년]] 제3회 일본 영화관대상 2위
  • 양일환
         * [[삼성 라이온즈]] 2군 감독 대행 (2011년)
         '''양일환'''(梁日煥, [[1961년]] [[6월 10일]] ~ )은 전 [[KBO 리그]] [[삼성 라이온즈]]의 [[투수]]이자, 전 [[KBO 리그]] [[삼성 라이온즈]]의 2군 투수코치이다. [[1990년]]부터 잠깐의 휴식기였던 [[1999년]] ~ [[2000년]]과 [[2009년]]을 제외하고 단 한 번의 팀 이동 없이 [[삼성 라이온즈]]에서 [[투수]]코치로 재임 중이다. [[2011년]] 시즌 중 암으로 입원하여 시즌을 마감한 [[장효조]] 2군 감독을 대신해 후반기 [[한국 야구 퓨처스리그|퓨처스 리그]]를 이끌었다.
  • 양지원
         | 2011년~2012년
         * 노기태 - 못된 남자 (Feat. [[H-유진]]) ([[2011년]])<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6&oid=015&aid=0002393522 노기태 '못된남자' 절친 H-유진 지원사격 '남다른 우정 과시']</ref>
  • 양진성(배우)
         [[2010년]] 영화 웨딩 드레스를 통해 배우 활동을 시작한 양진성은 2011년부터는 주로 드라마에 출연하고 있다. [[2014년]] [[TV조선]] [[주말 드라마]] '백년의 신부'에서 [[1인 다역|1인 2역]]의 주인공을 맡으면서 화제가 되기도 했다.^^[[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6&oid=109&aid=0002721159|관련 기사]]^^
         ||<|2> [[2011년]] || [[MBC]] || [[오늘만 같아라]] || 문효진 || 조연 ||
         || [[2011년]] || [[유한킴벌리]] || 좋은느낌 || [[https://youtu.be/ZybBzMV55mU|메이킹 영상]] [[https://youtu.be/yB9LZa8x4xI|인터뷰 영상]] [[https://youtu.be/EtRuJx6B_2U|영상]] ||
  • 양진우
         * [[2011년]] [[SBS]] 월화드라마 《[[마이더스 (드라마)|마이더스]]》 ... 이정도 역
         * [[2011년]] [[KBS2]] 단막극 《[[KBS 드라마 스페셜]] - 미련》 ... 민장휘 역
         * [[2011년]] [[KBS1]] 단막극 《[[KBS TV 문학관|HDTV 문학관]] - 광염소나타》 ... 백성수 역
         * [[2011년]] 《감》
  • 양파 (1979년 가수)
         * [[2011년]] 3월 EP Elegy Nouveau - 스페셜
         * [[2011년]] 8월 드라마 《[[계백 (드라마)|계백]]》 O.S.T Part.1 - 알고 있나요
         * [[2011년]] 11월 드라마 《[[뿌리깊은 나무 (2011년 드라마)|뿌리깊은 나무]]》 O.S.T Part. 2 - 기억할께요
         * [[2011년]] 10월 [[Astro Bits]] - 어디선가 (Feat. 양파)
         * [[2011년]] 1월 [[G.NA]] 1집 <Black & White> - Black & White, 이제 그만 화풀어요
         * [[2011년]] 11월 [[서인영]] EP <웃기셔> - 웃기셔, Oh My Gosh
  • 양현석
         [[YG엔터테인먼트]]의 수장으로써(그의 동생 [[양민석]]과 함께 법인 공동 대표이사) 연 100억대의 매출 규모의 음반 제작 이외에, 방송영상물, 음반제작사인 팬엔터테인먼트의 신규상장으로 26억원에 달하는 수익을 남겼으며, 자회사인 [[YG엔터테인먼트]] 역시 2011년 말 우회상장이 아닌 직상장에 성공함으로써 막대한 수익을 올렸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08&aid=0002669005 '전광판도 멈칫'...YG엔터, 곡절 딛고 화려한 상장]</ref>.
         * [[2011년]] 제2회 《[[대한민국 대중문화예술상]]》 대통령 표창<ref>[http://star.mt.co.kr/view/stview.php?no=2011112118580420896&type=1&outlink=1 양현석, '대한민국대중문화예술상' 대통령표창] [스타뉴스] [[2011년]] [[11월 21일]]</ref>
  • 양현종
         }}</ref>였다. 시즌 20승 6패, 3점대 평균자책점을 기록했다. 포스트 시즌에서는 한국시리즈 2차전에서 완봉승을 거뒀는데 이는 좌완 두 번째이자 한국시리즈 최초 1-0 완봉승, PS 세 번째 1-0 완봉승이었다. 5차전에서는 팀의 우승을 확정하기 위해 마무리로 등판해 세이브를 거두며 팀의 11번째 우승에 공헌했고, [[한국시리즈 MVP]]에 올랐다. 이는 투수로는 [[2011년]] 이후 6년만의 수상이었다. 또 정규 시즌 MVP로 선정되며 [[KBO 리그]] 최초 한국시리즈-정규 시즌 MVP를 동시에 석권했다.<ref>{{뉴스 인용|url=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7/11/06/2017110601895.html|제목=KIA 양현종 사상 첫 정규시즌-한국시리즈 MVP 동시 석권|언어=ko|확인날짜=2017-11-06}}</ref>
         |style="text-align: center;"|[[2011년 한국프로야구|2011]]
  • 어경준
         |클럽팀 최신 업데이트 날짜=[[2011년]] [[8월 15일]]
         |국가대표팀 최신 업데이트 날짜=[[2011년]] [[8월 15일]]
         [[2011년 K리그 승부조작 사건]]에 연루되어 징계를 받고 팀에서 퇴출되었다.
         [[2011년]] 승부조작으로 B등급 판정을 받아 사회봉사를 선고받았다.
         2011년 8월 15일 기준
  • 엄정욱
         |마지막 경기 = [[KBO 리그|KBO]] / [[2011년]] [[10월 31일]] <br/> [[서울종합운동장 야구장|잠실]] [[삼성 라이온즈|삼성]]전 구원
         [[2000년]] 신인 드래프트에서 [[쌍방울 레이더스]]의 2차 2순위(전체 9위) 지명을 받아 입단했고 [[SK 와이번스]]에 곧바로 인계됐다. 하지만 부상으로 [[2007년]]에는 [[이승호 (1981년)|이승호]]와 함께 임의탈퇴 공시됐으며 [[2008년]]까지 재활해 [[2009년]]에 복귀했다. 부상으로 인해 전보다 구속이 줄었다. [[2011년]] 중반까지 선발이었다가 후반기부터는 마무리로 활동했다. [[2012년]]에는 [[박희수]], [[정우람]]과 함께 필승조로 활동해 4승 4패, 12홀드, 4세이브를 기록했다.
  • 엔(빅스)
         || [[2011년]] || 광화문 연가 || ||
  • 엘 (가수)
         |[[2011년]]
         |[[2011년]] [[12월 27일]] ~ [[2012년]] [[3월 27일]]
         |[[2011년]]
  • 여연희
         | 활동기간 = [[2011년]] ~ 현재
         [[분류:1992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여자 모델]][[분류:2011년 데뷔]][[분류:서울종합예술실용학교 동문]][[분류:서울특별시 출신]][[분류:YG케이플러스 소속]]
  • 여운계
         * [[2011년]] - 제38회 [[한국방송대상]] 특별 공로상
  • 여효진
         [[2006년]] [[FC 서울]]에 입단하여 [[K리그]]에 데뷔했으나,<ref>[http://joynews.inews24.com/php/news_view.php?g_menu=702210&g_serial=169667 안태은-여효진 등 내년 신인선수 입단 계약 체결]</ref> 잇단 부상으로 인하여 그 해 단 한차례의 리그 경기에도 뛰지 못했다. [[2007년]] [[광주 상무 축구단|상무]]에 입대해 그 해 리그에서 19경기를 뛰었지만, [[2008년]] 리그 2경기와 [[하우젠 컵]] 4경기를 포함하여 뛰는데 그쳤다. [[2009년]] 군 복무를 마치고 [[2010년]] [[도치기 SC]]로 임대 이적하였고, [[2011년]]에 [[FC 서울]]에 복귀하였다.
         2011년 11월 21일, [[부산 아이파크]]로 이적했고,<ref>{{뉴스 인용 |제목=박희도 FC 서울, 방승환-여효진과 1대2 트레이드|url=http://sports.news.nate.com/view/20111121n13588?mid=s0301 |출판사=스포츠조선 |저자=김진회 |날짜=2011년 11월 21일}}</ref> [[2013년]]에 [[고양 Hi FC]]로 이적하였다.
  • 연갑수
         '''연갑수'''(延甲洙, [[1961년]] ~ [[2011년]] [[3월 4일]])는 [[대한민국]]의 [[사학자]]이자 대학 교수이다. [[조선]] 말기 특히 [[흥선대원군]] 연구에 큰 기여를 남겼다. [[2011년]] 화재 사고로 사망했다.<ref>{{뉴스 인용|제목=서울대, 화재로 숨진 교수 자녀에 희망 장학금|url=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19&aid=0002170422|출판사=MBN|저자=갈태웅|쪽=|날짜=2011-03-23|확인날짜=2017-03-22}}</ref>
         [[분류:1961년 태어남]][[분류:2011년 죽음]][[분류:대한민국의 역사가]][[분류:대한민국의 대학 교수]][[분류:서울특별시 출신]][[분류: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문학부 동문]][[분류:서울대학교 교수]][[분류:화재로 죽은 사람]]
  • 연경 (1994년)
         [[2011년]]에 [[브라운 아이드 소울]]의 [[성훈]]과 [[연]]이라는 예명으로 [[라리라]]를 발매하였다.
  • 연지후
         * [[2011년]] [[MBN]] 일일시트콤 《[[뱀파이어 아이돌]]》
         * [[2011년]] 미니앨범 1집 - [[언니가 간다 (연지후의 음반) |언니가 간다]]
  • 염혜선
         * [[2011년]] [[V-리그 2010-11|NH농협 2010~2011 V-리그]] 여자 세터상
  • 염홍
         * [[2011년]] [[KBS2]] 단막극 《[[KBS 드라마 스페셜]] - 올레길 그 여자》 ... 박 편집장 역
         * [[2011년]] [[KBS1]] 일일연속극 《[[당신 뿐이야]]》 ... 기복찬 역
         * [[2012년]] [[MBC]] 창사50주년 특별기획드라마 《[[빛과 그림자 (2011년 드라마)|빛과 그림자]]》
         * [[2009년]] ~ [[2011년]] 《엄마들의 수다》
  • 예학영
         '''예학영'''(芮學永, [[1983년]] [[2월 8일]] ~ )은 대한민국의 모델이다. [[2001년]]부터 러브 모델로 활동을 데뷔했으며, [[2003년]]에는 [[MBC TV|문화방송]]의 시트콤 《[[논스톱 4]]》에 출연해 배우활동도 시작했고, [[2011년]] [[12월 14일]]에 새롭게 방송에 컴백했으나 현재 [[대마초]] 흡연 혐의로 지상파에 출연 정지가 된 상태이다.
  • 오경수
         * [[2011년]] [[문화방송|MBC]] 일일시트콤 《[[하이킥! 짧은 다리의 역습]]》 ... 방송편집장 역
         * [[2011년]] 《[[완벽한 파트너]]》 ... 오대표 역
  • 오경태
         * [[2010년]] ~ [[2011년]] [[농식품부]] 녹색성장정책담당관
  • 오달수
         * [[2011년]] 《해님지고 달님안고》 ... 황 노인 역
  • 오대규
         * [[2011년]] [[SBS]] 아침연속극 《[[장미의 전쟁 (2011년 드라마)|장미의 전쟁]]》 ... 박대성 역
         * [[2011년]] [[SBS]] 주말특별기획 《[[폼나게 살거야]]》 ... 신기한 역
         | ''[[장미의 전쟁 (2011년 드라마)|장미의 전쟁]]''
  • 오민우
         | 데뷔일 = [[2011년]]
  • 오세훈
         |임기 = [[2006년]] [[7월 1일]] ~ [[2011년]] [[8월 26일]]
         [[사법연수원]]을 16기로 수료한 후 [[변호사]] 생활을 하다가 16대 총선에서 서울 강남을에 출마하여 정계에 입문했다. 제16대 국회의원 시절 4년 연속 시민단체 주관 국정감사 우수위원으로 선정되었고, 정치개혁특위 간사를 맡아 깨끗하고 투명한 선거를 목적으로 한 소위 ‘오세훈 선거법’으로 불리는 3개 정치관계법 개정을 주도했다.<ref>{{뉴스 인용|제목=오세훈 서울시장- ‘시프트’ 건설 강력 추진 100대1 인기|url=http://www.munhwa.com/news/view.html?no=20100603010714431290020|날짜=2010-06-03|출판사=문화일보}}</ref> 2006년 서울시장에 당선되어 2011년까지 [[서울특별시장]]을 연임하며 창의시정과 [[디자인 서울]]을 주요 정책으로 하면서, 청렴도 향상, 강남북 균형발전, 복지 정책 [[희망드림 프로젝트]], 대기환경 개선 등에 주력하였고, [[다산 콜 센터]]와 [[장기전세주택]] [[시프트 (정책)|시프트]]를 도입하였다. 2011년 저소득층을 대상으로 선별적 복지를 주장하며 [[서울시의 무상 급식 정책 논란|서울시 무상 급식 정책]]에서 주민 투표를 제안하고, 투표율이 미달되자 시장직을 사퇴하였다. [[바른정당]] 상임고문을 지내다가 [[국민의당]]과의 합당에 반대하며 2018년 2월 5일 바른정당을 탈당했었고, 11월 29일에 다시 [[자유한국당]]에 복당하였다.
         중국 사회과학원이 매년 발표하는 세계 주요도시 경쟁력 순위에서 2006년 27위였던 서울시가 2010년 9위로 올랐고,<ref>[http://www.asiae.co.kr/news/view.htm?idxno=2011041915280806263 오세훈 서울시장 "서울 경쟁력 위해 테크아트 마케팅 필요"] 《아시아경제》, 2011년 4월 19일</ref> 영국계 컨설팅그룹 Z/Yen이 매년 3월과 9월 발표하는 국제금융센터지수(GFCI) 조사에서 서울시의 국제금융 경쟁력은 2007년 43위에서 2011년 11위로 상승했다.<ref>[http://www.asiae.co.kr/news/view.htm?idxno=2011092614231939233 서울시, 국제금융경쟁력 세계 11위 달성] 《아시아경제》, 2011년 9월 26일자</ref> 국제협회연합(UIA)이 발표한 컨벤션 순위에서 서울은 2006년 세계 11위에 불과했으나, 2010년과 2011년에는 5대 도시에 선정되었다.
         서울시는 2007년부터 대중교통 브랜드 홍보 및 어린이 교통안전 강화를 위한 애니메이션을 구상했다. (주)아이코닉스, EBS와 3자 파트너쉽을 맺고 개발에 착수하여 2010년 EBS를 통해 《[[꼬마버스 타요]]》가 방영되기 시작했다. [[꼬마버스 타요]]의 캐릭터 번호인 120은 다산콜센터 번호이고, 02번은 서울 시내전화 지역번호이며, 1000번은 서울의 천만 시민을 의미한다. 국제 만화박람회 출품과 해외에서 프로모션으로 큰 호응을 얻었다.<ref>{{뉴스 인용|url=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3&aid=0003706080|제목=서울시 "대중교통 홍보 만화 호응 커"|날짜=2011-02-23|뉴스=뉴시스}}</ref> 2011년 서울시는 어린이들을 대상으로 '타요와 함께하는 어린이 교통안전교육'을 실시했다.<ref>{{뉴스 인용|url=http://news.donga.com/3/all/20110817/39607396/1|제목=[수도권]‘꼬마버스 타요’와 함께 어린이 교통안전 배워요|뉴스=동아일보|날짜=2011-08-18}}</ref> 2014년 실제 [[타요버스]]가 등장했는데, 선풍적인 인기로 상시 운행 및 노선 확대가 이루어졌다.<ref>{{뉴스 인용|url=http://www.etoday.co.kr/news/section/newsview.php?idxno=893957|제목=타요버스 '폭풍' 인기, 노선 정보 '찾자' 열풍…어디서 확인할 수 있나요?|뉴스=이투데이|날짜=2014-04-01}}</ref>
         오세훈 시장은 민선 5기 핵심 공약으로 GRDP(지역내총생산) 4만불 달성을 내세웠으며, 마곡지구에 바이오 산업 클러스터를 조성하여 세계 유수의 대학과 기업의 연구소를 유치하고, 바이오 벤처 육성을 위한 펀드를 조성하는 계획을 발표했다.<ref>{{뉴스 인용|url=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38&aid=0002150459|제목=吳시장 "2020년 1인당 GRDP 4만달러 목표"|뉴스=한국일보|날짜=2011-05-12}}</ref> 2011년 오세훈 시장은 산업통상자원부 및 외국기관과 합작하여 약 700억원 규모의 '서울 글로벌 바이오 펀드'를 조성하였는데, 2015년 투자금을 회수하는 과정에서 429%의 높은 수익률을 기록하였다.<ref>{{웹 인용|url=http://news.mk.co.kr/newsRead.php?no=1176578&year=2015|제목=官製 펀드에서도 이런 대박이?|뉴스=매일경제|날짜=2015-12-14}}</ref>
         2011년 유엔 경제사회처(UNDESA)는 서울특별시의 '공개세무법정'과 '가출위기 10대여성 자립지원' 이 각각 유엔 공공행정상 우수상으로 선정되었다고 밝혔다. 2008년 사이버정책토론방(우수상), 2009년 아리수 실시간 수질공개서비스(대상), 천만상상 오아시스(우수상), 2010년 여성이 행복한 서울 프로젝트(대상), 희망플러스통장(우수상)에 이어 4년 연속으로 수상하는 세계 최초의 기관으로 이름을 알렸다. 또한 3개년 연속으로 2개 이상의 정책이 수상하는 신기록도 달성하였다.<ref>{{뉴스 인용|제목=서울시, 4년 연속 유엔 공공행정상 수상|url=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1&aid=0005041647}}</ref>
         {{참고|2011년 7월 한국 중부 집중호우}}
         2011년 7월 서울에 [[2011년 서울 폭우|폭우]]가 내려 큰 피해를 입혔는데 오세훈의 디자인 서울이 원인으로 제기됐다. 빗물을 지하로 보내는 빗물받이가 1m는 돼야 하는데 대부분 40cm이고, 이마저도 관리가 안 돼 오물이 끼어 악취가 나며 디자인에 신경을 쓰다 보니 구멍이 좁아져서 피해를 불렀다는 주장이다.<ref>[http://media.daum.net/society/nation/seoul/newsview?newsid=20110812033123095 29.5mm 비에도 '물바다'되는 도로… 빗물받이가 문제였다] 조선일보 2011년 8월</ref> 또한 서울시는 보도블록과 간판에 디자인을 도입한다며 디자인거리와 르네상스거리에 2133억 원을 투입했으나 30곳의 디자인거리 중 26곳은 물 빠짐 기능이 거의 없는 화강판석을 사용한 점도 문제로 지적됐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32&aid=0002153369 콘크리트 서울’ 물 빠질 곳이 없다] 경향신문 2011년 8월</ref> 수해 방지 예산도 오세훈의 취임 이래 매년 줄더니 1/10 규모가 됐다는 주장이 나왔다. 이에 서울시는 올해 수해방지 예산이 3436억으로 2007년에 비해 두 배 늘었다고 주장했다. 서울시는 민선 1기부터 5기가 시작된 올해까지 풍수해 관련 예산을 분석한 결과, 특별회계를 포함한 예산 규모가 매년 지속적으로 증가한 것으로 파악됐다고 반박했다. 수방관련 예산이 일반회계와 특별회계·재난관리기금으로 이뤄져 있는데 이를 다 합친 규모가 아니라 일반회계만 보고 오해했다는 것이다. 이에 대해 민주당은 "이전까지 수해방지 예산 항목에 없었던 하수도 특별회계를 이번에 끼워넣었다. 게다가 서울시가 수해방지 예산에 집어넣은 재난관리기금 항목에 보면 수해방지와 무관한 제설자재구입·복구비 등 약 900억원이 포함돼 있어 수해예산관련 부분들은 수방예산으로 보기는 힘들다"고 반박했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28&aid=0002104491 작년엔 1492억이라더니 올핸 3436억으로 급증서울시 수해방지 예산 뻥튀기?] 한겨레 2011년 8월</ref><ref>[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1/07/31/2011073101121.html 특별회계·기금 포함하면 수해방지 예산 오히려 늘어]</ref>
         한나라당 소속인 오세훈 서울시장은 소외 계층을 대상으로 선별적인 무상 급식을 시행 중에 있었으나, 야당이 다수인 서울시의회 및 [[곽노현]] 교육감은 보편적 복지를 위한 전면 무상급식을 주장하였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8%에 불과한 무상급식 대상을 30%로 확대하고, 2014년까지 50%까지 단계적으로 확대하는 선택적 복지를 제시했다.<ref>[http://www.asiatoday.co.kr/news/view.asp?seq=409023 ‘친환경 무상급식’ 해결기미 가물가물] 2010.10.22 아시아투데이</ref><ref>[http://news.kukinews.com/article/view.asp?page=1&gCode=kmi&arcid=0004542874 추경 편성’ 카드 꺼낸 오세훈 서울시장 “무상급식 마지노선 50%… 물러설 수 없어”]{{깨진 링크|url=http://news.kukinews.com/article/view.asp?page=1&gCode=kmi&arcid=0004542874 }} 국민일보 2011년 1월 16일</ref> 2011년 1월 6일, 서울시의회는 오세훈 서울시장과 한나라당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의장 직권으로 오전 0시 30분에 본회의를 열어 민주당 단독으로 무상급식조례안을 처리하였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서울시의회 민주당 의원들이 단독으로 처리시킨 무상급식조례안에 대해 공포를 거부함과 동시에 법원에 무효소송을 내기로 했고,<ref>[http://www.ytn.co.kr/_ln/0103_201101051801424197 서울시 무상급식조례 공포 거부...소송 전망] YTN</ref> 서울시의회는 오세훈 서울시장의 공포 거부에 따라 익일 시의회 의장 직권으로 공포했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5&aid=0000442981 서울시의회, 무상급식조례 의장직권 공포] 쿠키뉴스 2011년 1월 7일</ref> 이에 대해 오세훈 서울시장은무상급식 조례안에 대해 무효 소송을 제기했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14&aid=0002385551 서울시,무상급식 조례 대법원 제소] 파이넨셜뉴스 2011년 1월 18일</ref> 논란이 커지자 오세훈 서울시장은 무상급식과 관련한 시민들의 의사를 직접 묻기 위해 주민투표를 서울시의회에 제안하였다. 민주당은 전체 무상급식에 들어가는 비용이 1년에 695억원인데, 주민투표를 위해 182억을 낭비하는건 무리수라고 주장하였다.<ref>[http://news.nate.com/view/20110111n15660 695억 막으려고 182억 써버린다?... 오세훈의 ‘무리수’] 헤럴드경제 2011년 1월 11일</ref> 그러나 오세훈 서울시장은 유권자의 판단비용일 뿐이며 오히려 전면무상급식에는 최소 4000억이 들고 복지정책은 한번 시행하면 중단할 수 없는 불가역성 등을 고려하면 비용이 더 늘어난다고 주장했다. 또한 대중영합주의 정치를 넘어서야 진정한 민주주의가 성장할 수 있다며 주민투표의 추진은 충분한 가치가 있다고 반박했다.<ref>[http://www.mt.co.kr/view/mtview.php?type=1&no=2011071311554302078&outlink=1] 헤럴드경제 2011년 7월 13일</ref> 오세훈 서울시장은 무상급식 주민투표를 사흘 앞두고 실패할 경우 사퇴하겠다고 말했다. 오 시장은 기자회견에서 "아무리 험난해도 이번 주민투표를 통해 대한민국 복지 방향을 정립하지 않으면 우리 서울의 미래가, 대한민국의 미래가 이대로 주저앉아 버릴 수도 있다"고 강조했다.<ref>{{웹 인용 |url=http://news.hankooki.com/lpage/society/201108/h2011082113160221950.htm |제목=오세훈, 주민투표에 왜 시장직 걸었나 |확인날짜=2011년 8월 21일 |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110822074307/http://news.hankooki.com/lpage/society/201108/h2011082113160221950.htm |보존날짜=2011년 8월 22일 |깨진링크=예 }}</ref>
         2011년 8월 24일 [[무상급식 지원범위에 관한 서울특별시 주민투표|주민투표]]의 최종 투표율은 25.7%로 투표함을 개봉할 수 있는 투표율 33.3%에 미달하였다. 오세훈 서울시장의 하위 50% 지원 정책은 폐기되고 [[곽노현]]과 서울시교육청이 추진하는 전면 무상급식이 시행되었으며 오세훈 서울시장은 8월 26일 사퇴했다.
         * 2007년 7월 ~ 2011년 8월 : WK리그 서울시청 아마조네스 구단주
         * 2010년 7월 ~ 2011년 8월 : 제34대 서울특별시장
         * 2011년 3월 : 제8회 국제장애인기능올림픽대회 공동위원장
         |임기 = [[2006년]] [[7월 1일]] ~ [[2011년]] [[8월 26일]]
  • 오아린
         '''오아린'''([[2011년]] [[5월 2일]]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2015년 CF '웰키즈'로 데뷔했다.<ref>[http://csearch.naver.com/content/eprender.nhn?where=m&key=PeopleMobileDetailEndPage&pkid=1&q=%EC%98%A4%EC%95%84%EB%A6%B0&os=5741630&ro= 오아린 네이버 인물 정보]</ref>
         [[분류:2011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인천광역시 출신]][[분류:2015년 데뷔]][[분류:대한민국의 여자 어린이 배우]][[분류:대한민국의 여자 텔레비전 배우]][[분류:대한민국의 여자 영화 배우]][[분류:대한민국의 여자 배우]][[분류:싸이더스HQ 소속]]
  • 오연수
         * [[2011년]] [[MBC]] 《[[계백 (드라마)|계백]]》 ... [[사택왕후|사택비]] 역
         * [[2011년]] [[SBS]] 《[[힐링캠프]]》 20회 ... 게스트
         * [[2011년]] [[SBS]] 《[[일요일이 좋다]] - [[런닝맨]]》 71회 ... 게스트
  • 오재원
         * [[2011년]] [[KBO (야구)|KBO]] 도루왕
         2011년에 이어 2년 연속 1루수로 선발 출장하였다. [[4월 13일]] 서울까지 무안타로 침묵했고, [[4월 14일]] [[롯데 자이언츠|롯데]]전에서 [[최준석 (야구 선수)|최준석]]의 대주자에 이어 대수비로 나왔으나, [[강민호]]의 타구를 수비하는 도중 [[강민호]]와 다리가 충돌하였고, 두 명 모두 고통을 호소하였다. 그는 [[윤석민 (1985년)|윤석민]]과 교체되었으며, 다음 날 엔트리에서 제외되었다. 5월 말에 엔트리에 복귀했는데, 다시 또 부상이 겹치면서 한 번 더 엔트리 말소가 되었다. 부상이 겹치면서 20도루도 성공시키지 못하였다.
         3년 연속으로 개막전에 선발 출장하였다. 1루수로 선발 출장해서 [[배영수]]를 상대로 만루 홈런을 쳐 내면서, 2013 시즌 첫 홈런, 첫 타점을 기록하였다. 이 날 [[김현수 (야구 선수)|김현수]]도 [[배영수]]를 상대로 만루 홈런을 치면서 [[배영수]]에게는 '개만두'라는 달갑지 않은 별명이 생겼다. 첫 타석부터 만루 홈런을 친 것이 동기 부여가 되어 만루에서 강점을 보였다. 스토브 리그때 체중을 10kg 정도 찌웠는데, 덕분에 [[2011년]] 시즌보다 1개 더 많은 7홈런을 기록했고, 장타력도 많이 늘은데 이어 빠른 발도 여전히 유지 중이라는 평을 받았다. 이해 준플레이오프 5차전에서 [[이정훈 (1977년)|이정훈]]을 상대로 3점 쐐기 홈런을 날리면서 플레이오프 진출에 큰 기여를 하였다.
         유독 다른 선수들에 비해 벤치클리어링이 많다. 2011년 시즌 막판 [[유원상]]이 던진공이 자신의 머리를 지나 자신의 배트를 맞자 욕설을 하며 [[유원상]]에게 달려들었고 당시 [[LG 트윈스]]의 1루수였던 [[이택근]]이 밀치면서 벤치클리어링이 일어났다. 2013년 [[윤희상]]과도 벤치클리어링이 있었다. 2015년 [[우규민]]에게 위협구를 당하고 그냥 1루 베이스로 걸어가는 듯 하였으나, [[우규민]]이 "안 맞았잖아"라는 말을 하자마자 달려들어가 벤치클리어링을 일으켰고 [[NC 다이노스]] 투수인 [[에릭 해커|해커]]에게 베이스 커버로 아웃을 당하자마자 "Get in the box"를 그가 오해하여 말싸움으로 번져 벤치클리어링을 일으켰고 준플레이오프에서도 [[서건창]]과 어이없는 말싸움을 하다가 벤치클리어링을 일으며 많은 팬들의 비난을 받았다.
  • 오재일
         [[이숭용]], [[조중근]], [[장영석]]과 번갈아 가며 1루수를 맡았다. [[목동야구장]]에서 장외 홈런을 칠 정도로 파워와 클러치 능력이 있었지만 자신의 기량을 마음껏 뽐내지 못했고, [[2011년]] 시즌 중 [[이숭용]]이 현역 은퇴를 선언하자 주전 1루수로 낙점되나 싶었으나 [[LG 트윈스]]에서 트레이드돼 입단한 [[박병호 (1986년)|박병호]]가 당시 감독이었던 [[김시진]]의 눈에 확 들어오면서 그는 지명타자로 밀렸다. [[2012년]] 개막전이었던 [[4월 7일]] [[두산 베어스|두산]]전에서 4타수 3안타 맹타를 휘둘렀다. 타율은 2할 초반과 1할 후반을 오가면서 6월 말에 1군에서 제외됐고, 때마침 [[최준석 (야구 선수)|최준석]]의 병역 문제로 인해 당시 [[두산 베어스|두산]]의 감독이었던 [[김진욱]]의 요청으로 외야수 [[이성열 (야구 선수)|이성열]]을 상대로 트레이드됐다.<ref>[http://www.mydaily.co.kr/new_yk/html/read.php?newsid=201207091430152224 두산-넥센, 오재일-이성열 맞트레이드] - 마이데일리</ref>
  • 오정규
         * 2009 ~ 2011년 : 대통령 정책기획관실 지역발전비서관
         * ~ 2011년 : 대통령직속 지역발전위원회 기획단장
         * 2011년 6월 ~ 2013년 3월 : 제51대 농림수산식품부 제2차관
         |임기 = [[2011년]] [[6월 7일]] ~ [[2013년]] [[3월 13일]]
  • 오종혁
         [[2011년]] [[4월 18일]] [[대한민국 해병대]] 병 1140기로 입대하여 [[대한민국 1해병사단|해병대 제1사단]] 수색대대에서 사병으로 복무하였으며 [[2013년]] [[2월 22일]] 전역하였다.
         * [[2011년]] 오종혁 디지털앨범 'Run To You, Fly With Cloud'
         * [[2011년]] 클릭비 싱글앨범 'To Be Continued'
         * [[2011년]] 오종혁 싱글앨범 '시간은...'
         * [[2011년]] 클릭비 싱글앨범 '빈 자리'
  • 오주원
         [[2008년]] 2군 북부 리그에서 11승의 성적으로 다승왕에 올랐고, [[2008년]]에 제대해 자신의 전 소속 팀이었던 [[현대 유니콘스]] 선수단을 승계받은 [[넥센 히어로즈]]에 복귀하였다. 복귀 후 불펜으로만 등판하며 좌타자 상대 원포인트 릴리프로 등판했다. [[2011년]]에는 20홀드를 기록해 [[정우람]], [[정현욱]]에 이어 홀드 3위를 기록하며 예전의 명성을 조금씩 찾는가 했지만 [[2012년]] 26서울에 등판해 1승 3패, 4홀드, 1세이브, 5점대 평균자책점으로 비교적 부진했고 8월에 팔꿈치 인대 접합 수술을 받아 시즌을 마감했다. 재활 후 복귀하자 당시 감독이었던 [[염경엽]]이 부진했던 [[강윤구 (야구 선수)|강윤구]]와 [[김세현 (야구 선수)|김세현]]을 내리고 그를 선발로 올렸다. 2,672일 만에 [[2013년]] [[8월 22일]] [[NC 다이노스|NC]]전에 선발 등판해 [[2006년]] [[4월 18일]] [[두산 베어스]]전 이후 7년(2,683일) 만에 선발 승을 거뒀다.<ref>[http://sports.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kbo&ctg=news&mod=read&office_id=144&article_id=0000213192 2683일만의 승리 오재영, "2004년의 기억을 다시 한 번"] - 스포츠경향</ref> 이어 [[2014년]]에도 선발로 여러 번 등판했으나 안 좋은 모습을 보였다. 하지만 포스트 시즌에서의 호투로 평가는 점점 좋아졌다. [[2015년]] 1월 중순에 발생한 고관절 통증으로 인해 재활했고, 시즌 중반에 복귀했지만 썩 만족스러운 성적을 거두지 못했다. [[2015년]] 시즌 9서울에 등판해 9점대 평균자책점을 기록했다. [[2016년]] [[9월 4일]] [[한화 이글스|한화]]전에서 1.1이닝 1실점으로 첫 세이브를 기록했다.<ref>[http://osen.mt.co.kr/article/G1110490043 시즌 2세이브 달성하는 넥센 마물 오주원] -OSEN</ref>
  • 오주은
         * [[2011년]] 《온에어 초콜릿》 ... 김순정 역
         * [[2011년]] 생명사랑문화운동본부 명예대사
  • 오태곤
         |첫 출장 = [[KBO (야구)|KBO]] / [[2011년]] [[9월 22일]]<br>[[사직야구장|사직]] 대 [[SK 와이번스|SK]]전 대타
         [[2011년]] 시즌 후에 입단하였다.
  • 오하영 (1996년)
         | 활동시기 = [[2011년]] ~ 현재
         * 2011년 [[트렌디 (방송사)|Trend E]] 《에이핑크 뉴스 시즌 1》
         * 2011년 [[트렌디 (방송사)|Trend E]] 《에이핑크 뉴스 시즌 2》
         [[분류:1996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서울특별시 출신]][[분류:2011년 데뷔]][[분류:유용근밴드리즈15의 일원]][[분류:서울공연예술고등학교 동문]][[분류:대한민국의 발라드 음악가]][[분류:플랜에이 엔터테인먼트 소속]][[분류:대한민국의 가수]][[분류:대한민국의 여자 가수]][[분류:대한민국의 무신론자]]
  • 오현경 (1936년)
         * 2011년 MBC 《[[절정 (드라마)|절정]]》... 이중직 역. 이육사의 조부
         * 2011년 KBS2 《[[가시나무새 (드라마)|가시나무새]]》... 이영조의 조부 역
         * [[2011년]] 올해의 서울시 문화상 연극부문<ref>[http://www.asiae.co.kr/news/view.htm?idxno=2011112013141498532&sec=sisa5 연극배우 오현경 등 11명 '서울시 문화상' 수상], 《아시아 경제》, 2011.11.20</ref>
  • 오현경 (1970년)
         * [[2011년]] [[SBS]] 아침드라마 《[[미쓰 아줌마]]》 ... 강금화 역
         * [[2011년]] [[tvN]] 미니시리즈 《[[버디버디 (드라마)|버디버디]]》 ... 민세화 역
         * [[2011년]] [[tvN]] 《뮤직토크쇼 러브송》 ... MC
  • 오현경(1970)
          * [[2011년]] [[SBS]] 아침드라마 《[[미쓰 아줌마]]》 ... 강금화 역
          * [[2011년]] [[tvN]] 미니시리즈 《[[버디버디]]》 ... 민세화 역
          * [[2011년]] [[tvN]] 《뮤직토크쇼 러브송》 ... MC
  • 오현종
         |align="left"|[[2011년]] ~ [[2012년]]
  • 오현택
         * [[2011년 야구 월드컵]] 올스타
         * [[상무 야구단]] (2011년 ~ 2012년)
         |야구 월드컵 = [[2011년 야구 월드컵|2011년 파나마]]
         [[2011년]]에 [[유희관]]과 원투 펀치를 구축하며 12승 3패. 2홀드. 평균자책점 3.12를 기록해 15승을 올린 당시 [[경찰 야구단]] 소속의 [[우규민]]과 함께 군 팀 잠수함 에이스로 명성을 얻었다.<ref name="sangmu" /> 시즌 후 [[2011년 야구 월드컵|야구 월드컵]]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국가대표]]로 뽑혀 생애 최고의 활약을 펼쳤다. [[10월 5일]] 호주전에서는 7이닝 10탈삼진, 2피안타, 무실점, [[10월 9일]] 이탈리아전에서는 7⅔이닝 14탈삼진, 5피안타, 무실점하는 등 선발과 롱릴리프를 가리지 않고 5서울에 등판해 22⅔이닝동안 2승 1패, 35탈삼진, 1실점, 평균자책점 0.40을 기록하며 탈삼진왕 및 대회 올스타에 선정됐다.
         {{2011년 야구 월드컵 대한민국 선수 명단}}
  • 오형엽
         '''오형엽'''([[1965년]] ~ )은 [[대한민국]]의 문학평론가, 교수이다. [[1965년]] [[부산광역시]]에서 태어나 [[고려대학교]] 영문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 국문학과에서 석사학위와 박사학위를 받았다. [[2002년]] 제3회 「[[젊은 평론가상]]」, [[2008년]] 제6회 「[[애지문학상]]」(평론부문), [[2011년]] 제21회 「[[편운문학상]]」(평론부문)을 수상하였다. 《[[현대시]]》 편집위원으로 활동하면서, [[수원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2003~2013)를 거쳐 현재 [[고려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2013~)로 재직 중이다.
         [[1994년]] 《[[현대시]]》에 평론을 발표하고, [[1996년]] 《[[서울신문]]》 신춘문예 평론부문에 당선되면서 평단에 등장했다. [[2002년]] 제3회 「[[젊은 평론가상]]」, [[2008년]] 제6회 「[[애지문학상]]」(평론부문), [[2011년]] 제21회 「[[편운문학상]]」(평론부문), [[2013년]] 제24회 「[[김달진문학상]]」(평론부문)을 수상하였다.
         * 2011년 제21회 「[[편운문학상]]」(평론부문)
  • 온희정
         * [[2011년]] 만원 한장
  • 왕리훙
         | 사진설명 = 2011년 하얼빈 영화제에서의 왕리훙
         2011년에 베스트 모음인 <화력전개>를 발표하면서 소니와 해약하였다.
         * [[2011년]] 《건당위업》
  • 왕빛나
         * [[2011년]] [[MBC]] 일일연속극 《[[남자를 믿었네]]》 ... 오경주 역
         * [[2011년]] [[MBC]] 토요드라마 《[[심야병원]]》 ... 한재희 역 (특별출연)
         * [[2011년]] : 《[[박신양]] 콘서트 - [[서울]]》(2011.12.31)
  • 왕재민
          | 활동기간 = [[2011년]] ~ 현재
         아나운서 [[김석원 (기업인)]]과 배우 이재은의 아들이다. [[2011년]] [[한국교육방송공사|EBS 한국교육방송공사]] [[텔레비전 드라마|드라마]]에서 [[배우]]로 데뷔하였고, [[2012년]] [[뮤지컬]] 《[[라이온 킹 (뮤지컬)|라이온 킹]]》으로 [[뮤지컬 배우]] 데뷔에 이어 같은 해 [[2012년]] [[연극]] 《[[햄릿]]》으로 [[연극]][[배우]]로 데뷔하였다.
         * [[2011년]] [[한국교육방송공사|EBS]] 드라마 《[[꾸러기 천사들]]》 ... 단역
         [[분류:1995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개성 왕씨]][[분류:대구광역시 출신]][[분류:대한민국의 남자 연극 배우]][[분류:대한민국의 남자 뮤지컬 배우]][[분류:2011년 데뷔]][[분류:대한민국의 남자 텔레비전 배우]][[분류:비디오 자키]][[분류:대한민국의 개신교도]]
  • 우동균
         * [[경찰 야구단]] (2010년 ~ 2011년)
         [[2009년]] [[12월 17일]]에 입대<ref>[http://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baseball&ctg=news&mod=read&office_id=076&article_id=0002009770 우규민-연경흠-우동균 등 24명 경찰청 입대] - 스포츠조선</ref> 하여 [[2011년]]에 제대했다.
         2011년에 복귀하였다.
  • 우병걸
         |프로 입단 연도 = [[2011년]]
         |드래프트 순위 = [[2011년 한국프로야구 신인 드래프트|2011년]] 8차 4라운드([[KIA 타이거즈]])
         * [[KIA 타이거즈]] (2011년)
         2011년에 입단하였다.
  • 우지희
         | 활동기간 = [[2011년]] ~ 현재
         2011년 뮤지컬 (사랑을 이루어 드립니다 - 광주)로 데뷔하였고 2014년부터 2016년 중반기까지 [[모여라 딩동댕]]에 출연해왔다.
         * [[2011년]] 《사랑을 이루어 드립니다 - 광주》
         * [[2011년]] 《사랑을 이루어 드립니다 - 창원》
         [[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1986년 태어남]][[분류:부산광역시 출신 인물]][[분류:경성대학교 동문]][[분류:2011년 데뷔]][[분류:대한민국의 여자 뮤지컬 배우]][[분류:대한민국의 뮤지컬 배우]][[분류:대한민국의 여자 배우]]
  • 우희진
         * [[2011년]] [[한국교육방송공사|EBS]]라디오 《EBS FM 스페셜》 ... DJ
         * [[2011년]] [[MBC]] 《놀러와》 ... 게스트
  • 원미연
         * [[2011년]] [[SBS (대한민국의 방송사) |SBS]] 《[[자기야 백년손님]]》
  • 원우(가수)
         중학생 시절, 막연히 기타를 배우고 싶다는 생각에 취미 삼아 친구와 실용음악학원을 다녔었다. 그런데 [[플레디스엔터테인먼트]]가 그곳에서 우연히 공개 오디션을 개최했고, 단순히 경험 삼아 참가했다가 덜컥 합격해 [[2011년]] 연습생 생활을 시작한다. 공개 오디션을 보고 입사한 세 멤버 중 한 명으로 약 3년 8개월간의 오랜 연습생 기간을 보냈다. 각종 선배 그룹들의 뮤직비디오에 출연하거나 백댄서로 무대에 올라 데뷔 전부터 조금씩 얼굴을 비쳐왔다. 자세한 내용은 [[세븐틴TV]] 항목의 [[세븐틴TV#s-3.1.3|원우]] 문단 참조.
         '''2011년 - 2014년'''
  • 유강남
         |프로 입단 연도 = [[2011년]]
         |드래프트 순위 = [[2011년 한국프로야구 신인 드래프트|2011년 7라운드]]([[LG 트윈스]])
         |첫 출장 = [[KBO 리그|KBO]] / [[2011년]] [[9월 22일]] <br /> [[서울종합운동장 야구장|잠실]] 대 [[넥센 히어로즈|넥센]]전 대타
         * [[LG 트윈스]] (2011년 ~ 현재)
         [[2011년]]에 입단하였다.
  • 유기홍
         2008년 [[대한민국 제18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통합민주당]] 후보로 출마해 45.3%를 얻어 48.1%를 얻은 [[한나라당]] [[김성식 (1958년)|김성식]] 후보에 2,765표차로 패배했다. 낙선 이후에도 민주당 관악갑 지역위원장직을 유지했다. 2010년 전국동시지방선거 [[서울특별시장]] [[한명숙]] 후보와 2011년 [[서울특별시장]] 보궐선거의 [[박원순]]후보의 선거대책본부장으로 활동했다. 2011년 [[노무현재단]] 기획위원에 임명됐다.
         * [[2011년]] : [[박원순]] [[서울특별시장]] 후보 선거대책본부장
         * [[2013년]] : [[민주당 (대한민국, 2011년)|민주당]] 친일독재 미화왜곡 대책위원회 위원장
         *[[2011년]] 교육에서 희망찾기 시즌2
         |소속정당 = [[민주통합당]] → [[민주당 (대한민국, 2011년)|민주당]] → [[새정치민주연합]] → [[더불어민주당]]
         [[분류:1958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전주 류씨]][[분류:서울특별시 출신]][[분류:서울수송초등학교 동문]][[분류:양정고등학교 (서울) 동문]][[분류:서울대학교 인문대학 동문]][[분류:대한민국의 학생운동가]][[분류:대한민국의 사회 운동가]][[분류:민주당 (대한민국, 2011년)의 정치인]][[분류:더불어민주당의 정치인]][[분류:대한민국의 개신교도]]
  • 유남석 (1982년)
         * [[2011년]] [[금산군|금산]]세계인삼엑스포 홍보대사
  • 유다인
         이후 아침드라마와 조연, 광고 쪽을 돌며 주로 활동을 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자신의 배우로서의 주가를 높여준 작품을 만나게 되는데, 바로 2011년 여주인공 혜화 역으로 출연한 [[독립영화]] '혜화, 동'이다. 이 영화를 통해 각종 영화제 신인여우상에 노미네이트되었고, 2011년 제31회 한국영화평론가협회상 신인여우상을 수상하면서 배우로서의 존재감을 인식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 [[2011년]] || [[의뢰인#s-2]] || 서정아 || ||
         || [[2011년]] || [[KBS2]] || [[드라마 스페셜]] - 기쁜 우리 젊은 날 || 순남 || ||
         || [[2011년]] [[12월 12일]]~[[2011년]] [[12월 13일]] || [[채널A]] || [[너는 내 운명]] - 'J의 첫사랑'편 || 내레이션 || ||
         || [[2011년]] || 제31회 한국영화평론가협회상 || 신인여우상 || 혜화, 동 ||
  • 유덕화
         ||2011년||샤오린 : 최후의 결전 (新少林寺)||후걸(侯傑;호우지에)||
         ||2011년||아지여인심 (我知女人心)||손자강(孫子剛)||
         ||2011년||건당위업 (建黨偉業)||차이어(蔡锷)||
         ||2012년||[[심플 라이프]] (桃姐)||로저(Roger, 본명 : 梁羅傑)||2011년 9월 5일에 베니스 영화제에서 상영, 국가별 정식 상영은 2012년 시작. 2012년 제13회 전주국제영화제의 폐막작이며, 한국 개봉은 2012년
         ||[[2011년]]||[[홍콩 영화 금상장|제30회 홍콩 영화 금상장]]||올해의 영화상||권법 : 쿵푸의 신(打擂台)||프로듀서 참여
         ||[[2011년]]||[[금마장|제48회 금마장]]||남우주연상||[[심플 라이프]]||
  • 유동훈 (야구인)
         [[2009년]] [[10월 24일]] [[2009년 한국시리즈|한국시리즈]] 1~7차전 등판 상황에 완벽투를 보여주며 입단 이후 처음으로 우승했고, 7차전에서는 [[나지완]]의 끝내기 홈런에 힘입어 승리 투수가 되었다. 그의 한국시리즈 성적은 3.2이닝동안 1피안타, 1피홈런, 1실점, 1자책, 1사사구, 2K, 1승, 2세이브, 평균자책점 2.45이다. [[2010년]]에는 블론 세이브가 많아져 2점대 평균자책점을 기록했다. [[2011년]]에는 3점대 평균자책점을 기록했지만 높은 피안타율(.283)과 승계주자 실점율을 기록했다. 하지만 [[심동섭]], [[손영민]]과 함께 팀의 계투를 책임졌다.
  • 유병수
         |국가대표팀 최신 업데이트 날짜= [[2011년]] [[1월 18일]]
         홍익대학교를 휴학한 유병수는 [[K리그 2009|2009 K리그]] 신인 드래프트에서 1순위로 [[인천 유나이티드 FC|인천 유나이티드]]에 지명되며 프로리그에 데뷔했다. 시즌 시작전, [[인천 유나이티드 FC|인천 유나이티드]]는 창단멤버인 [[방승환]]을 팔게 되는데, 이는 주 공격수이자 프랜차이즈 스타인 선수의 이적이므로 팬들의 걱정을 야기시켰으나 오히려 대표이사인 안종복 사장은 "신인 유병수가 그의 자리를 메꿔 줄거라 의심치 않는다" 라는 발언으로 유병수에 대한 믿음을 나타내었다. 또한 인천의 새 감독 [[일리야 페트코비치]] 역시 앞으로 인천을 대표하는 선수로 클 가능성이 높다고 평가했다. 기대를 저버리지 않고, 그는 개막전에서 데뷔골을 성공시키고 무회전 프리킥을 선보이는 등 인상적인 활약을 펼쳤다.<ref>{{웹 인용|url=http://www.newsis.com/article/view.htm?cID=&ar_id=NISX20090308_0001583942 |제목='유병수 데뷔골' 인천, 부산에 1-0 승리 |확인날짜=2010-08-15 |출판사=뉴시스}}</ref> [[2009년]] [[11월]], [[잉글랜드]] [[프리미어리그]]의 [[볼턴 원더러스 FC|볼턴 원더러스]]가 유병수의 영입에 관심이 있다는 이야기가 볼턴 뉴스를 통해 보도되었다.<ref>{{뉴스 인용|제목=Wanderers line up another raid on South Korea |url=http://www.theboltonnews.co.uk/sport/4734025.Wanderers_line_up_another_raid_on_South_Korea/ |출판사=The Bolton News |저자=Marc Iles |날짜=2009년 11월 12일| 확인날짜=2011년 6월 25일}}</ref> 그러나 유병수는 사실무근이라며 기사에 반박했다.<ref>{{웹 인용|url=http://xportsnews.hankyung.com/?ac=article_view&entry_id=107817 |제목=유병수 "볼턴行? 금시초문, 오직 인천 우승이 목표" |확인날짜=2010-08-15 |출판사=엑스포츠뉴스}}</ref> [[K리그 2009|2009 시즌]]이 끝날 때까지 [[김영후]]와 [[K리그 신인선수상|신인왕]] 대결을 펼쳐 많은 주목을 받았다.<ref>{{웹 인용|url=http://sports.khan.co.kr/news/sk_index.html?cat=view&art_id=200910122224013&sec_id=520101&pt=nv |제목=‘유병수 vs 김영후’ K리그 신인왕 경쟁 후끈 |확인날짜=2010-08-15 |출판사=스포츠칸}}</ref> 결국 김영후가 간발의 차로 신인왕의 자리에 올랐지만<ref>{{웹 인용|url=http://xportsnews.hankyung.com/?ac=article_view&entry_id=108762 |제목=김영후, K-리거가 뽑은 2009년 '최고 신인' |확인날짜=2010-08-15 |출판사=엑스포츠뉴스}}</ref> 유병수는 프로 데뷔 첫 시즌만에 자신의 이름을 사람들의 뇌리에 각인시키는데 성공하였다.
         [[K리그 2010|2010 시즌]]이 시작된 후에는 7라운드까지 무득점으로 일관하다가 8라운드 [[포항 스틸러스]]전에서 네 골을 터뜨린 것부터<ref>{{웹 인용|url=http://www.kyeongin.com/news/articleView.html?idxno=513432 |제목=유병수 4골 '펄펄' 6년 만에 진기록 |확인날짜=2010-08-15 |출판사=경인일보}}</ref> 시작해, 강원전까지 네 경기에서 아홉 골을 몰아쳤다. 비슷한 시기에 [[김영후]] 또한 득점포를 터뜨려 언론은 이들의 관계를 다시 한 번 재조명했다.<ref>{{웹 인용|url=http://osen.mt.co.kr/news/view.html?gid=G1008080011 |제목=유병수-김영후는 전생에 부부?...득점 사이클 '비슷' |확인날짜=2010-08-15 |출판사=OSEN}}</ref><ref>{{웹 인용|url=http://joynews.inews24.com/php/news_view.php?g_menu=702210&g_serial=508870 |제목='찰떡궁합(?)' 김영후-유병수, 올해도 경쟁은 계속된다 |확인날짜=2010-08-15 |출판사=아이뉴스24}}</ref> 이후 유병수는 대전전 헤트트릭을 기록하며 리그 20골을 기록, K리그 최연소 한국인 득점왕과 최연소 20골을 달성했다. 마지막 라운드까지 22골을 기록하며 17골을 기록한 [[호세 오르티고사]]를 5골로 따돌리고 [[K리그 2010|2010 시즌]] 득점왕을 차지하였다.<ref>{{뉴스 인용|url=http://www.mydaily.co.kr/news/read.html?newsid=201011071805472239&ext=na |제목=유병수, 올시즌 정규리그 득점왕 |출판사=마이데일리 |날짜=2010-11-07}}</ref> 2011년 2월 22일 유병수는 인천 유나이티드와 2013년 12월까지 계약 연장에 성공했다.<ref>{{뉴스 인용|url=http://osen.mt.co.kr/news/view.html?gid=G1102230096 |제목=유병수, 인천과 2013년까지 계약 연장 |출판사=OSEN |날짜=2011-02-23}}</ref>
         [[K리그 2011|2011 시즌]]에는 3월 한 달까지 골이 없었지만 유병수는 4월 달이 되면 좋은 모습을 보여줄 것이라 했다.<ref>{{뉴스 인용|url=http://www.sportalkorea.com/news/view.php?gisa_uniq=2011033015114813§ion_code=10&key=&field= |제목=유병수, “잔인한 4월? 내겐 기분 좋은 4월 될 것이다” |출판사=스포탈코리아 |날짜=2011-03-30}}</ref> 얼마후 곧바로 4라운드 [[경남 FC|경남]]전에서 리그 첫 골을 터뜨렸고,<ref>{{뉴스 인용|url=http://sports.chosun.com/news/ntype2.htm?id=201104030100032850001980&ServiceDate=20110403 |제목='뜨거운 감자' 유병수, K-리그 첫 골에도 감독들 의견은 분분 |출판사=스포츠조선 |저자=이건 |날짜=2011-04-03}}</ref> 다음 라운드 [[포항 스틸러스]]와의 경기에서 연속 골을 터뜨렸다.<ref>{{뉴스 인용|url=http://osen.mt.co.kr/news/view.html?gid=G1104090104 |제목='유병수 극적 동점골' 인천, 포항과 2-2 |출판사=OSEN |날짜=2011-04-09}}</ref> 2011년 5월 발목 골절로 2주 간 출전하지 못하게 되었다.<ref>{{뉴스 인용|url=http://sports.chosun.com/news/ntype2.htm?id=201105090100072070005718&ServiceDate=20110508 |제목=인천 유병수, 발목 피로골절로 2주 아웃 |출판사=스포츠조선 |날짜=2011-05-08}}</ref> 예상과는 다르게 유병수는 2달 동안 출전하지 못하였고, 2011년 6월 25일 [[FC 서울|서울]]과의 원정 경기에서 복귀전을 치렀다.<ref>{{뉴스 인용|제목=유병수, FC서울전서 2개월 여만에 1군 복귀 |url=http://sports.media.daum.net/soccer/news/k_league/breaking/view.html?cateid=1171&newsid=20110625200613306&p=SpoChosun |출판사=스포츠조선 |저자=김진회 |날짜=2011년 6월 25일| 확인날짜=2011년 6월 25일}}</ref>
         [[2011년]] [[7월 23일]], [[알힐랄 (리야드)|알힐랄]]이 유병수의 영입을 공식 발표하였다.<ref>{{뉴스 인용|제목=알 힐랄, 유병수와 3년 계약 공식 확인 |url=http://sports.chosun.com/news/ntype.htm?id=201107250100208830017535&servicedate=20110724 |출판사=스포츠조선 |저자=박상경 |날짜=2011년 7월 24일}}</ref> 입단 초반 부상으로 고전하였으나 부상에서 회복한 이후 2011-12 시즌 크라운 프린스 컵에서 4골을 기록하며 대회 득점왕에 올라 팀의 우승에 공헌하였고, [[AFC 챔피언스리그 2012|2012 ACL]] 16강 경기에서는 무려 4골을 몰아치며 팀을 8강으로 이끌었다.
         이후 [[2011년 AFC 아시안컵]]을 앞두고 예비 명단에 소집되었고, 연습 경기에서 해트트릭을 기록하는 등 활약을 펼쳤다.<ref>{{뉴스 인용|url=http://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soccer&ctg=news&mod=read&office_id=139&article_id=0001969448 |제목='유병수 해트트릭' 조광래호, 단국대와 연습경기서 8-0 대승 |출판사=스포탈코리아 |날짜=2010-12-19}}</ref><ref>{{뉴스 인용|url=http://www.ibest11.com/Country/news_01_view.asp?iBoard=5&iIDX=32713 |제목=유병수, 아쉬움 떨치고 ‘조광래호 병기’로 거듭나나 |출판사=베스트 일레븐 닷컴 |날짜=2010-12-24}}</ref> 또한, 시리아와의 평가전에서 지동원에게 완벽한 찬스를 제공해주는 어시스트를 기록하였다.<ref>{{뉴스 인용|url=http://www.mydaily.co.kr/news/read.html?newsid=201012302056282239&ext=na |제목=지동원 골-유병수 AS, 박주영 공백은 없다 |출판사=마이데일리 |날짜=2010-12-30}}</ref>
         [[2011년 AFC 아시안컵]] 최종 명단에도 포함되었고, 몇몇 경기에 조커로 출전하면서 대표팀이 3위 성적을 거두는데 일조했다.
         {{2011년 AFC 아시안컵 대한민국 선수 명단}}
         [[분류:1988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언남고등학교 동문]][[분류:수서중학교 동문]][[분류:대구신암초등학교 동문]][[분류:K3리그의 축구 선수]][[분류:둔촌중학교 동문]][[분류:홍익대학교 동문]][[분류:대한민국의 축구 선수]][[분류:대한민국의 해외 진출 축구 선수]][[분류:인천 유나이티드 FC의 축구 선수]][[분류:알힐랄 (리야드)의 축구 선수]][[분류:FC 로스토프의 축구 선수]][[분류:K리그1의 축구 선수]][[분류:러시아 프리미어리그의 축구 선수]][[분류:2011년 AFC 아시안컵 참가 선수]][[분류: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선수]][[분류:러시아의 외국인 축구 선수]][[분류:사우디아라비아의 외국인 축구 선수]][[분류:김포 시민축구단의 축구 선수]][[분류:K리그1 득점상 수상자]][[분류:사우디아라비아에 거주한 대한민국인]][[분류:러시아에 거주한 대한민국인]][[분류:사우디 프로리그의 축구 선수]]
  • 유빈
         ;[[2011년]]
  • 유상무
         * [[2011년]] [[8월 17일]] 새벽 경기도 일산의 한 술집에서 술값 문제로 유흥업소 사장과 유상무의 일행 등과 주먹다짐을 벌인 것으로 알려졌다.
         * 《[[코미디 빅리그|코미디 빅리그 시즌 2]]》([[tvN]]) [[2011년]] ~ [[2012년]]
         * 《[[코미디 빅리그|코미디 빅리그 시즌 1]]》([[tvN]]) [[2011년]]
         * 《[[꿈꾸는 라디오|옹달샘과 꿈꾸는 라디오]]》DJ (MBC FM4U, 2010년 10월 18일 ~ 2011년 5월 8일)
  • 유상철
         2009년 [[춘천기계공업고등학교]]의 감독직을 맡으면서 첫 지도자 생활을 시작하였고, 2011년 7월 [[왕선재]]의 후임으로 [[대전 시티즌]]의 감독으로 부임하면서 첫 프로 감독직을 수행하게 되었으나 2012년 시즌 후 재계약에 실패한 후 팀을 떠났다. 2014년 초 [[울산대학교]] 축구부 감독으로 임명된 후 2014년과 2015년 1, 2학년 대학 축구대회에서 2년 연속 팀을 준우승으로 이끌었다. 또한 2015년 전국체육대회 남자 축구 대학부에서도 준우승을 기록했으며 2017년 48회 추계대학축구연맹전에서도 팀을 준우승으로 이끌었다. 2017년 12월 4일 [[전남 드래곤즈]]의 감독으로 정식 임명되면서 5년만에 K리그로 돌아왔다. 종교는 [[개신교]]이다.
         그리고 2011년 시즌 중반 [[왕선재]] 감독이 승부조작 사태에 대한 책임을 지고 사퇴한 후 [[대전 시티즌]]의 감독직에 취임하였고,<ref> [http://sports.news.naver.com/general/news/read.nhn?oid=343&aid=0000011683/ 대전 시티즌, 유상철 감독 신임 사령탑 선임] </ref> 승부조작 사태로 어수선한 팀 분위기를 추슬러 리그 최하위를 면하는데 성공하였다. 총 2시즌 동안 대전에서 감독 생활을 하며 2012 시즌 1부 리그 잔류를 성공시켰지만, 재계약 제안을 받지 못하고 팀을 떠났다.<ref> [http://osen.mt.co.kr/article/G1109507722/ 대전, 유상철 감독과 결별...김인완-최윤겸 후보 물망] </ref>
         * 2009년 ~ 2011년 {{국기그림|대한민국}} [[춘천기계공업고등학교]] 축구부 감독
         * 2011년 ~ 2012년 {{국기그림|대한민국}} [[대전 시티즌]] 감독
         |임기 = [[2011년]] [[7월 20일]] - [[2012년]] [[12월 1일]]
  • 유석현 (1994년)
         | 활동기간 = [[2011년]] ~ 현재
         2011년, 청소년들의 성(性)이야기를 다룬 [[다큐멘터리 영화]] 《불편한 시선, 불편한 진실》을 연출하여 영화계에 데뷔했으며, 두 번째 다큐멘터리 영화 《회상》등을 연출하기도 했다. 특히 《불편한 시선, 불편한 진실》은 제3회 DMZ국제다큐멘터리영화제 등에서 청소년 부문에서 최우수상 등을 수상했으며 [[KBS]] 시청자참여프로그램 열린채널(2012년 5월 18일)에 방영되기도 했고 서울대학교 청소년학과의 수업자료로 활용되기도 했다.
         2011년 9월에는 청소년 영화인들의 재능기부 활동 단체인 YDP(Young Directors Party)를 만들어 재능기부 활동을 이어 갔다.
         * 《불편한 시선, 불편한 진실》- 다큐멘터리 (2011년)
         * 《회상》- 다큐멘터리 (2011년)
         * 2011년 "불편한 시선, 불편한 진실" DMZ국제다큐멘터리영화제 최우수
         * 2011년 "불편한 시선, 불편한 진실" 청소년성평등영화제 우수
         * 2011년 "불편한 시선, 불편한 진실" 부천시민영화제 청소년 부문
         * 2011년 "불편한 시선, 불편한 진실" 부산영상제 일반부 대상
  • 유수영
         * [[2011년]] [[KBS2]] 《[[해피투게더]]》 - 운동선수 아내 특집》 - 게스트 출연
         * [[2011년]] [[Food TV]] 《슈퍼 와이프》
  • 유승안
         이후 [[한화 이글스]]의 코치를 맡았고, [[1999년 한국시리즈]] 우승을 맛보았다. 부인과 사별 후 두 아들과 함께 잠시 미국으로 건너가 지도자 연수를 받고 귀국했다. [[이광환]]의 후임으로 [[2002년]] 11월부터 [[2004년]] 10월까지 [[한화 이글스]]의 감독을 역임했으나, 2년 연속 포스트 시즌에 오르지 못하고 계약이 만료돼 [[김인식 (1947년)|김인식]]에게 감독직을 넘기고 물러났다. 이후 [[KBO 리그|KBO]] 운영위원을 거쳐 [[경찰 야구단]]의 감독으로 취임했다. [[경찰 야구단]] 재임 중 [[2011년]]에는 창단 첫 퓨처스 북부 리그 우승을 차지했다. [[2012년]] 시즌 후 차남 [[유민상 (야구 선수)|유민상]]이 군 복무를 위해 입단해 같은 팀에서 함께 활동했다.
  • 유승호
         유승호는 [[경상남도]] [[거제시]] 고현동 (계룡로) 에서 1남 1녀 중 막내로 태어났다.<ref name="Vogue">{{웹 인용|title=다세포 소년|url=http://www.vogue.co.kr/2012/07/31/%EB%8B%A4%EC%84%B8%ED%8F%AC-%EC%86%8C%EB%85%84/|website=[[보그]] Korea|accessdate=2015-11-27|date=2012-07-31|language=한국어}}</ref> 유승호는 에서로 전학을 가 2012년를 졸업했다. 유승호는 지난 2011년 대학 진학을 앞두고 있었지만, 그는 연기 활동에 집중하기 위해 대학 진학을 하지 않겠다고 밝히며, 한 대학 측의 특례 입학 제안을 거절했다.<ref>{{웹 인용|title=Yoo Seung-ho to forgo college|url=http://koreajoongangdaily.joins.com/news/article/article.aspx?aid=2943249|website=[[중앙일보]]|accessdate=2014-06-23|date=26 October 2011}}</ref><ref>{{웹 인용|last1=Jung|first1=Min-ho|title=Showbiz lowdown|url=http://www.koreatimes.co.kr/www/news/culture/2014/01/141_130689.html|website=The Korea Times|accessdate=2014-06-23|date=28 February 2013}}</ref> 이에 유승호는 자신의 소신을 밝히기도 했다.{{인용문2|연기에 집중하기 위해 당연한 일이라며 '이미지 좋게 해야지'라고 생각했던 적은 없다. 중·고등학교 때 '나중에 무식하다는 소리 듣기 싫으면, 공부해야 해'라는 말을 많이 들어 학교에서 최선을 다하긴 했다. 잘 하지는 않았지만, 중간 정도는 했는데 같은 양을 공부할 수도 없으니 공평하지 않다고 느꼈다. 그래서 의무 교육이 끝났을 때, 공부를 그만하겠다고 말했다. 지금도 후회는 없다. 대학에 진학했으면, 출석도 잘 못하고 성실히 다니지 못했을 것 같다. 그러니 여러모로 안 가길 잘했다는 생각이다.|톱스타뉴스 2016년 11월 18일<ref>{{뉴스 인용 |제목 =[스타포커스] 대학 진학 포기하고 꿈 선택한 스타 보아-유승호-아이유 |url =http://www.topstarnews.net/detail.php?number=224934|출판사 =톱스타뉴스 |저자 =박혜미|날짜 = 2016-11-18|확인날짜 =2017-09-07}}</ref>}}
         2011년, 유승호는 만화가 [[이재헌]]의 ‘야뇌 백동수’를 원작으로 한 [[SBS]] 액션 사극 드라마 《[[무사 백동수]]》에서 살성을 타고난 여운 역을 맡아 남성미를 발산했다. 방송 초기에는 악역을 여린 이미지의 유승호가 해낼 수 있을까 우려도 있었지만, 유승호는 훌륭히 소화해냈고 또 다른 매력을 발견했다는 반응을 얻으며 호의적인 평을 얻었다.<ref>{{웹 인용|last1=Kim|first1=Hee-ju|title=On the set of SBS TV series ''The Warrior, Baek Dong-soo''|url=http://www.asiae.co.kr/news/view.htm?idxno=2011062013512898768|website=10Asia|accessdate=2014-06-23|date=20 June 2011}}</ref> 그는 또한, [[황선미]]의 베스트 셀러 아동소설을 각색한 애메이션 영화 《[[마당을 나온 암탉]]》으로 더빙 연기를 하였다.<ref>{{웹 인용|last1=Elley|first1=Derek|title=Leafie|url=http://www.filmbiz.asia/reviews/leafie|website=Film Business Asia|accessdate=2014-06-23|date=28 December 2011|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120107095807/http://www.filmbiz.asia/reviews/leafie|보존날짜=2012-01-07|깨진링크=예}}</ref> 그는 스릴러 영화 《[[블라인드 (영화)|블라인드]]》에서 [[김하늘]]과 공연하였다.<ref>{{웹 인용|last1=Lee|first1=Hyo-won|title=''Blind'' sees promising potential|url=http://www.koreatimes.co.kr/www/news/art/2011/08/135_93020.html|website=The Korea Times|accessdate=2014-06-23|date=18 August 2011}}</ref> 2012년, 유승호는 일본에서 인기리에 방영 된 [[프러포즈 대작전|동명]]의 청춘 로맨스 드라마를 리메이크한 [[TV조선]] 드라마 《[[프로포즈 대작전 (2012년 드라마)|프로포즈 대작전]]》에 출연했다.<ref>{{웹 인용|last=Hong|first=Lucia|title=Actor Yoo Seung-ho: It feels like I learned how to love from words|url=http://www.asiae.co.kr/news/view.htm?idxno=2012013118390570991|work=10Asia|accessdate=2014-06-23|date=31 January 2012}}</ref><ref>{{웹 인용|last1=Lee|first1=Jin-ho|title=Are Yoo Seung Ho and Park Eun Bin Dating?|url=http://mwave.interest.me/enewsworld/en/article/4310/yoo-seung-ho-and-park-eun-bin-for-operation-proposal|website=enewsWorld|accessdate=2014-06-23|date=14 March 2012|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140205210829/http://mwave.interest.me/enewsworld/en/article/4310/yoo-seung-ho-and-park-eun-bin-for-operation-proposal|보존날짜=2014-02-05|깨진링크=예}}</ref> 이후 그는 판타지 사극 드라마 [[MBC]] 《[[아랑 사또전]]》에서 옥황상제 역으로 특별출연하였다.<ref>{{웹 인용|last=Ho|first=Stewart|title=Yoo Seung Ho's and Park Jun Gyu's Stills for ''Arang and the Magistrate'' Released|url=http://mwave.interest.me/enewsworld/en/article/10351/yoo-seung-hos-and-park-jun-gyus-stills-for-arang-and-the-magistrate-released|work=enewsWorld|date=20 July 2012|accessdate=2012-10-15|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140714194948/http://mwave.interest.me/enewsworld/en/article/10351/yoo-seung-hos-and-park-jun-gyus-stills-for-arang-and-the-magistrate-released|보존날짜=2014-07-14|깨진링크=예}}</ref>
         | [[2011년]]
         | rowspan=2| [[2011년]]
         | 2011년
         | 2011년
         | 2011년
  • 유열 (가수)
         직접 제작한 어린이 뮤지컬 《브레멘 음악대》는 현재까지 70만명 관객돌파 흥행뮤지컬로 자리매김하고 있고 2009년에는 [[독일]] [[브레멘]]주정부 초청공연,2011년 8월[[중국 상해]] [[국제 아동극 페스티벌]]에 개막작으로 선정된 바 있다.
         * [[2011년]] -> 現 뮤지컬<수궁 Fantasy> 기획중.
  • 유영민 (기업인)
         * [[2011년]] [[포스코경영연구소]] 선임연구위원(사장급)
  • 유원상
         * [[한화 이글스]] (2006년 ~ 2011년)
         * [[LG 트윈스]] (2011년 ~ 2017년)
         === 2011년 ===
         [[2011년]] 시즌 승리 없이 1패, 3홀드, 6점대 평균자책점으로 부진하다 그 해 [[7월 11일]] [[투수]] [[양승진]]과 함께 [[김광수 (1981년)|김광수]]를 상대로 [[LG 트윈스]]에 트레이드됐다.
  • 유재웅
         * [[두산 베어스]] (2002년 ~ 2011년)
         [[2011년]] [[11월 22일]] 국내 처음으로 실시된 2차 드래프트를 통해 [[SK 와이번스]]로 이적하게 되었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7&oid=001&aid=0005383294 조평호 2차 드래프트 1순위로 NC행] - 연합뉴스</ref> 하지만 1군 9서울에만 출장하여 타율 .154(13타수 2안타) 1타점에 그쳤다. 2군에서도 17서울에서 타율 .250 7타점만을 기록하며 별 활약을 보여 주지 못한 채 시즌 후 임의탈퇴되었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7&oid=117&aid=0002294156 SK 유재웅, 임의탈퇴 신분… 사실상 은퇴] - 마이데일리</ref> 그리고 현역에서 은퇴했다. 현재는 스포츠제국이라는 회사에서 일하고 있다.<ref>[http://sports.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kbo&ctg=news&mod=read&office_id=109&article_id=0002527265 ‘뺀질이’ 오현택? 이제는 미스터 제로] - OSEN</ref> [[KT]]의 IPTV [[두산 베어스]] 해설가로도 활동 중이다.<ref>[http://sports.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kbo&ctg=news&mod=read&office_id=003&article_id=0005424585 SPOTV2, 포스트시즌 편파중계 실시] - 뉴시스</ref>
  • 유재호 (야구선수)
         해병대 출신 [[윤요섭]]의 영향을 받아 [[2011년]] 시즌 후 해병대에 입대하여 사병으로 복무하였다.
  • 유준상(배우)
         ||<|3> [[2011년]] ||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이별(영화)|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이별]] || 김근덕 || ||
          *[[2010년]]~[[2011년]] 삼총사
          *[[2011년]] 잭 더 리퍼
          *[[2011년]] 삼총사
          * 2011년 SBS 《[[힐링캠프(SBS)|힐링캠프, 기쁘지 아니한가]]》
         || 2011년 || 제12회 부산영화평론가협회상 || 남자우수연기상 || 북촌방향 ||
  • 유지원 (아나운서)
         |2009 ~ 2013 ||KBS2||[[KBS 8 아침 뉴스타임]]||진행||<ref>휴가로 인하여, [[2011년]] [[10월 17일]] ~ [[10월 21일]] 방송분은 [[오정연]] 前 아나운서가 대신 진행하였다.</ref>
  • 유지인(1956)
         * [[2011년]] [[SBS]] 드라마 스페셜 《[[49일]]》 ... 지현 모, 정미옥 역
         * [[2011년]] [[SBS]] 아침연속극 《[[미쓰 아줌마]]》 ... 이미옥 역
         * [[2011년]] [[KBS2]] 월화 미니시리즈 《[[스파이 명월]]》 ... 리옥순 역
         * [[2011년]] [[KBS]] 《상상오락관》 패널
  • 유지태
         * [[2011년]] 4월 제 3회 국제 DMZ다큐멘터리 영화제 부집행위원장
  • 유철용
         |align="left"| [[2011년]]
  • 유태웅
         * [[2011년]] [[KBS2]] 《[[동안미녀]]》 ... 김준수 역
         * [[2011년]] 《[[사물의 비밀]]》 ... 기자 역 (우정출연)
  • 유태웅(탤런트)
         || [[2011년]] || [[KBS2]] || [[동안미녀]] || 김준수 || ||
         || [[2011년]] || [[TRENDY]] || 피아니시모 || || ||
         || [[2011년]] || [[KBS2]] || 드라마 스페셜 - 82년생 지훈이 || 사장 || ||
         || [[2011년]] || [[사물의 비밀]] || 기자 || 우정출연 ||
  • 유하은
         * [[2011년]] [[문화방송|MBC]] 월화드라마 《[[빛과 그림자 (2011년 드라마)|빛과 그림자]]》
  • 유하준
         * [[2011년]] 《[[적과의 동침 (2011년 영화)|적과의 동침]]》 ... 인민군 소대장 역
         * [[2011년]] 《[[시선 너머]]》 ... 박무영 역
         * [[2011년]] 《[[의뢰인 (2011년 영화)|의뢰인]]》 ... 감식반 역
         * [[2011년]] KBS 특별기획 드라마 《[[공주의 남자]]》 ... 임웅 역
  • 유해진(배우)
         ||<|2>2011년||[[적과의 동침]]||재춘||243,094||실패||
         [[2010년]] 벽두부터 [[김혜수]]와의 교제 때문에 연예계 최고의 사건 주인공으로 [[http://m.entertain.naver.com/read?oid=079&aid=0002120158|등극했다]]. --오오 [[인생의 승리자]] 오오-- [[http://www.cc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592808|광고로 확인 사살]].[* [[대우증권]] CF에 김혜수를 닮은 꼴로 알려졌던 배우 [[이엘]]과 함께 출연했다.] [[공형진]] 왈 [[김혜수]]가 유해진에게 먼저 반했다고 한다. 유해진이 그렇게 다식해 대화가 안 끊길 정도로 매력적이라고... 그렇게 그러나 [[2011년]] [[4월 4일]], 3년만에 결별 소식이 보도되었다. --초콜릿 복근도 다 필요 없어!-- 함께 [[건강검진]]만 받아도 [[결혼]]설이 나도는 수준이었으나 연기에 매진하면서 자연히 멀어졌다고 한다.
  • 유혜리
         * [[2011년]] [[SBS]] 미니시리즈 《[[천일의 약속]]》
  • 유희경 (1980년)
         [[2008년]] 《[[조선일보]]》 신춘문예에 〈티셔츠에 목을 넣을 때 생각한다〉가 당선되어 등단했다. [[서울예술대학]] 문예창작과와 연극원 극작과를 졸업했다. [[2011년]] 동료들이 뽑은 '올해의 젊은 시인'에 선정되어 솔뫼창작지원금을 수여받았다. 작란(作亂) 동인으로 활동 중이다.
  • 유희열
         |[[2011년]]
         |[[2011년]]
         |2011년
  • 윤경신
         [[2011년]] 6월에 계약이 만료된 후 [[두산 핸드볼|두산]]에서 8개월 단기 계약을 제시했으나, 이 계약 조건에 의견을 보여 재계약에 합의하지 않고 팀을 떠났다. 이후에는 국가대표팀 플레잉 코치로만 활동하며 선수 생활의 마지막을 보냈다.<ref>[http://sports.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sports_general&ctg=news&mod=read&office_id=001&article_id=0005154983 핸드볼 윤경신, 두산과 계약 만료..챔프전 불참] - 연합뉴스</ref>
  • 윤기원 (축구선수)
         '''윤기원'''(尹基源, [[1987년]] [[5월 20일]] ~ [[2011년]] [[5월 6일]])은 [[대한민국]]의 전 [[축구]] 선수이다.
         [[2011년]] [[5월 6일]], [[경부고속도로]] 하행선 만남의 광장 휴게소 주차장의 자가용 안에서 숨진 채 발견되었다. 이때 그는 겨우 25세였다. 차 안에는 [[번개탄]]과 100만원 상당의 현금봉투가 있었다.
         [[분류:1987년 태어남]][[분류:2011년 죽음]][[분류:대한민국의 축구 선수]][[분류:인천 유나이티드 FC의 축구 선수]][[분류:K리그1의 축구 선수]][[분류:축구 골키퍼]][[분류:부산광역시 출신 인물]][[분류:거제고등학교 동문]][[분류:아주대학교 동문]][[분류:자살한 축구 선수]][[분류:대한민국의 자살한 사람]][[분류:일산화탄소 중독으로 자살한 사람]]
  • 윤동환 (배우)
         * [[2011년]] : [[MBC]] 《[[내 마음이 들리니]]》
         * [[2011년]] 《[[최종병기 활]]》
  • 윤명준
         |야구 월드컵 = [[2011년]] 파나마
         {{2011년 야구 월드컵 대한민국 선수 명단}}
  • 윤미라
         * [[2011년]] 《[[써니 (영화)|써니]]》 ... 과거사진 역(특별출연)
         * [[2011년]] [[KBS2]] 주말연속극 《[[사랑을 믿어요]]》 ... 윤화영 역
         * [[2011년]] [[SBS]] 아침드라마 《[[장미의 전쟁 (2011년 드라마)|장미의 전쟁]]》 ... 유 여사 역
  • 윤민수 (가수)
         [[1998년]] [[R&B]] [[보컬]] 그룹 [[포맨]](1기)으로 데뷔했으며, [[포맨]] 1기 해체 이후 [[2002년]] [[류재현]], [[노블레스 (가수)|유성규]]([[노블레스 (가수)|노블레스]])와 함께 [[바이브 (음악 그룹)|바이브]]를 결성했다. 1집 〈미워도 다시 한 번〉, 〈Promise U〉([[2006년]] [[씨야]] 1집에서 리메이크) 등의 곡으로 [[바이브 (음악 그룹)|바이브]]라는 이름을 대중들에게 각인시킨 후<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6&oid=003&aid=0000010498 '브라운 아이드 소울' , '바이브' 전성 시대] 《뉴시스》, 2003년 12월 5일</ref>, [[2003년]] 2집 〈오래 오래〉, 〈사진을 보다가〉에 이어 [[2006년]]에 발표한 3집 〈술이야〉와 〈그 남자 그 여자〉는 방송 활동 없이 10만 장 이상의 앨범 판매와 각종 음반 차트에서 1위 및 각종 수상을 받는 등 대중들에게 사랑을 받았다. 3집 활동을 끝내고 [[2006년]] 말 [[산업기능요원]]으로 대체 복무를 시작하여 [[2009년]]에 끝내고 잠시 공백 기간을 가졌으며, 가수 활동을 하며 경험할 수 없었던 ‘직장 생활’ 이야기를 소재로 한 곡을 만들어 복무를 끝낸 후 발표한 4집 수록곡에 싣기도 했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6&oid=079&aid=0002161570 바이브 "예능에서 망가질 자신 없다"] 《노컷뉴스》, 2010년 6월 16일</ref> [[2010년]] 4집 《Vibe in Praha》를 발매해 다시 한 번 많은 사랑을 받았다. 현재 [[바이브 (음악 그룹)|바이브]]의 멤버이면서 그룹 [[포맨]]([[신용재]], [[김원주 (가수)|김원주]])이 소속된 와이후엔터프라이즈의 대표이자 [[음악 프로듀서|프로듀서]], [[작곡가]]로 활동 중이다. [[2011년]] [[MBC TV|MBC]] [[우리들의 일밤]]의 코너 [[나는 가수다]]에 출연해 명예 졸업했으며, [[2013년]] 1월부터 장남 윤후와 함께 [[MBCTV|MBC]] [[우리들의 일밤]]의 코너 [[아빠! 어디가?]]에 출연했었다. 그가 출연한 [[2011년]]의 "[[나는 가수다]]" 코너가 대상을 받았고, [[2013년]]에는 "[[아빠! 어디가?]]" 코너가 대상을 받아 가수로는 드물게 방송연예대상을 2회 수상하였다.<ref>[http://www.newsen.com/news_view.php?uid=201312300054041210 MBC연예대상 진짜 승자는 윤민수 ‘3년간 대상 2연패’] - 뉴스엔</ref>
         * [[2011년]] [[문화방송|MBC]] 《[[일밤]] - [[나는 가수다]]》
  • 윤병호 (1989년)
         * [[고양 원더스]] (2011년 ~ 2013년)
         [[2011년]]에 입단하였다.
  • 윤보라
         2011년 5월과 2013년 2월엔 같은 팀의 [[효린]]과 함께 '[[씨스타 19]]'이라는 이름의 유닛으로 활동했다.
         2011년 라디오 스타에서 효린과 함께 출연. 천진난만하고 순수한 모습으로 본의 아니게 MC 김국진을 멘붕시키며 라디오 스타 레전드 장면을 만들었다. --보라曰:결혼하면 이별 안하잖아용-- --김구라曰: 국진이 형 앞에서 뭐하는 얘기야-- 자신이 무슨말을 했는지 깨닫고 덩달아 멘붕해 얼굴이 토마토가 되어 버린 보라의 모습은 덤.
         2011년 8월 12일 [[KBS 2TV]] [[뮤직뱅크]] 촬영 중 사고로 화상을 입어서 이후로는 다리에 넓은 반창고를 붙이고 활동하고 있다. 그 뒤로도 잘 보면 다리에 화상 흉터가 약간 남아 있다.
         2013년 1월 31일에 같은 팀의 [[효린]]과 함께 씨스타의 유닛인 '씨스타 19'으로 컴백했다. 2011년 5월에 이어 2번째 유닛 활동이다.
         ||<|2> [[2011년]] || [[MBC]] || 야구 읽어주는 남자 ||<|2> 출연 ||<|2> ||
         || [[2011년]] || [[보이프렌드]] || 보이프렌드 ||
  • 윤상구 (1949년)
         [[2004년]]부터 [[2011년]]까지 수십 차례에 걸쳐 [[몽골]] 고비사막 현장을 방문, 로타리의 방풍림 조성사업을 추진했으며 [[몽골]] 선천성 심장병 어린이 수술사업 등에도 참여하였다.<ref name="dommss">[http://www.seoul.co.kr//news/newsView.php?code=&id=20041109058003 국제로타리 윤상구 총재 인터뷰]</ref>
  • 윤상호 (배우)
         * [[2011년]] 《키사라기 미키짱》
         * [[2011년]] 《템프파일》
  • 윤서 (가수)
         * [[2011년]] 3집 - 윤서 3집
  • 윤서진
         | 활동기간 = [[2011년]] ~ 현재
         * [[2011년]] [[박기영 (가수)|박기영]] - The christmas time
         [[분류:1988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전광역시 출신]][[분류:경희대학교 동문]][[분류:2011년 데뷔]][[분류:대한민국의 배우]][[분류:대한민국의 텔레비전 배우]]
  • 윤석환
         * [[두산 베어스]] 투수코치 (2004년 ~ 2011년)
         [[2002년]]부터 [[2003년]]까지 [[원음방송]]의 라디오 야구 해설위원으로 활동하다가, [[2004년]] [[두산 베어스]]에서 그를 다시 투수코치로 기용한다. [[2004년]] [[두산 베어스]]의 팀 평균자책점은 꽤나 좋아졌으며, [[2005년]], [[2007년]], [[2008년]] 팀의 준우승을 이끄는 데 활약을 한다. 평소 장점을 중심으로 하는 코칭을 하고 있으며, [[김경문]] 감독과 맞게 믿음의 야구를 중점으로 두고 있다. [[다니엘 리오스]]와 [[2008년]] [[김선우 (1977년)|김선우]]가 후반기에 부활을 할 수 있게 해준 장본인이기도 하며, [[후안 세데뇨]]를 지도하기도 했다. 팀이 어수선해졌던 [[2011년]] 시즌 후 다시 팀에서 물러났다. [[2012년]]과 [[2014년]]에는 [[SBS Sports|SBS ESPN]]의 야구 해설위원으로 활동하였고, [[2013년]]에는 잠시 [[일간스포츠]]로 옮겨 해설위원으로 활동했다.
  • 윤성환 (야구선수)
         [[2011년]] 14승 5패로 부활해 [[2011년 한국시리즈]] 4차전을 통해 데뷔 후 첫 [[한국시리즈]]에 등판했고, 5차전 때 [[김연아]]에게 시구를 지도했다.<ref>[http://sports.chosun.com/news/ntype.htm?id=201111010100007890000360&servicedate=20111101 윤성환 "김연아 시구 지도, 떨려서 혼났다"] - 스포츠조선</ref>
         {{2011년 삼성 라이온즈}}
  • 윤세인
         | 활동기간 = [[2011년]] ~ [[2015년]]
         * [[2011년]] [[SBS]] 특별기획 《[[폼나게 살거야]]》 ... 나아라 역
         [[분류:1987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여자 텔레비전 배우]][[분류:2011년 데뷔]][[분류:김해 김씨]]
  • 윤송아
         * [[2011년]] [[KBS2]] 월화드라마 《[[스파이 명월]]》 ... 리포터 역
         * 2011년 《퍼포머》
  • 윤아정
         || [[2011년]] || [[KBS1]] || [[우리집 여자들]] || 홍주미 ||
  • 윤영구 (1928년)
         '''윤영구'''(尹鑅求, Alice Yun, [[1928년]] [[7월 10일]] - [[2011년]] [[5월 9일]])는 [[대한민국]]의 음악가, 인류학자이자 [[미국]]의 인류학자, 여성학자이다. 하와이대 여성학과 (Department of Womens Studies) 교수이다. [[하와이 대학교]]에 [[여성학]]과 창립을 주도하였다. [[경성부]](현 [[서울특별시]] [[서대문구]])출신.
         [[2011년]] [[5월 9일]]에 [[하와이주]] Manoa Cottage care home 양로원에서 병으로 사망하였다.<ref>[http://koreatimeshawaii.com/detail.php?number=1322&thread=22r01 <nowiki>[</nowiki>부고<nowiki>]</nowiki>앨리스 윤 최 교수] 한국일보 2011.05.11</ref> 장례 예배는 [[5월 11일]] 오전 10시~11시, [[하와이주]] [[호놀룰루]]의 성 키아모쿠 거리 1639번지에 있는 크리스트 유나이티드 감리교회에서 거행되었다.
         [[분류:1928년 태어남]][[분류:2011년 죽음]][[분류:대한민국의 음악가]][[분류:대한민국의 인류학자]][[분류:미국의 인류학자]][[분류:여성학]][[분류:대한민국의 대학 교수]][[분류:미국의 대학 교수]][[분류:대한민국의 여성주의자]][[분류:해평 윤씨]][[분류:한국계 미국인]][[분류:서울대학교 음악대학 동문]][[분류:서울특별시 출신]]
  • 윤영삼
         |프로 입단 연도 = [[2011년]]
         |드래프트 순위 = [[2011년 한국프로야구 신인 드래프트|2011년]] 2라운드([[삼성 라이온즈]])
         * [[삼성 라이온즈]] (2011년)
         [[2011년]]에 2라운드 지명을 받아 입단했으나, 2군에서 부진한 모습을 보여 1군에 오르지 못했고 시즌 후 2차 드래프트를 통해 [[NC 다이노스]]로 이적했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7&oid=405&aid=0000000050 NC 2차 드래프트로 본 분배의 중요성] - 배지헌 칼럼</ref>
  • 윤요섭
         [[2010년]] [[7월 28일]]에 4:3 트레이드로 이적하였다. 장타력에 재능이 있어서 프로 입단 이후에도 [[포수]]보다는 주로 대타 혹은 [[지명타자]]로 출전하며, 한때 좌완 스페셜리스트로 불릴 만큼 좌투수를 상대로 타율이 높았다. [[2011년]] 시즌 후 현재의 이름으로 개명했고, [[포수]]로는 [[2012년]]에 많이 출장했다. [[2015년]] [[4월 20일]] 내야수 [[박용근]]과 함께 투수 [[이준형 (야구 선수)|이준형]]을 상대로 [[kt 위즈]]로 트레이드됐다.<ref>[http://www.mydaily.co.kr/new_yk/html/read.php?newsid=201504201436892228&ext=na kt, LG와 이준형↔윤요섭‧박용근 1:2 트레이드 단행] -마이데일리</ref>
  • 윤정환
         [[2011년]] [[사간 도스]]의 감독으로 부임하였고 부임 첫 해 팀을 [[J리그 디비전 2]] 2위로 이끌며 팀 역사상 처음으로 [[J리그 디비전 1]]에 진출시켰다.
         * [[2011년]] ~ [[2014년]] {{국기그림|일본}} [[사간 도스]] 감독
  • 윤종신
         [[http://mlbpark.donga.com/mlbpark/b.php?b=bullpen&id=459698&|한 엠팍커가 2011년에 분석한 윤종신의 작곡법]]
          * 43살 : [[나이]] (13집, 2011년) [[https://www.youtube.com/watch?v=TAfITcsgheI|링크]]
         2010년 문제가 많던 기존의 소속사와 결별했고, 2011년 하림, 정석원 등과 함께 기획사 [[미스틱89]]를 설립했다.
         [[2011년]] 10월에는 블루스퀘어 삼성카드홀 개관기념으로 'Just Melody'라는 제목의 콘서트를 열었다.
         2011년 [[나는 가수다]]에 가수가 아니라 3대 MC로 출연했는데 시즌1이 마무리되면서 하차했다.
          * 2011년
          * 2011년 2월에 [[라디오 스타(황금어장)|라디오 스타]]에서 정관수술을 했음을 고백했다. [[http://www.youtube.com/watch?v=aAKYzwbg95c|이미 조치를 취했다고 한다.]]
          * 2011년, [[http://gall.dcinside.com/board/lists/?id=jongshin|디씨인사이드 윤종신 갤러리]](약칭 깐갤)가 개설된 직후, 갤러리에 출몰 및 인증한 적이 [[http://gall.dcinside.com/board/view/?id=jongshin&no=18442&page=1|있다]]. 닉네임은 '''왕왕왕...''' [* 아마도 음악왕이란 표현을 변형한 듯. 혹은 강아지가 짖는 소리일수도...?] 최근 컴퓨터 화면이 캡처되었을 때 즐겨찾기에 디씨 갤러리의 아이콘이 등장한 적이 있다. 아마도 종종 눈팅하는 듯. 2017년 현재에도 계속 갤을 눈팅하고있다. 갤에서 만든 움짤을 퍼가서 인스타에 출처 ; DC 윤종신 갤러리라고 당당하게(?) 올렸다.
  • 윤주상
         * [[2011년]] 《[[회초리]]》 ... 대훈장 역
         * [[2011년]] [[SBS]] 드라마 스페셜 《[[싸인 (드라마)|싸인]]》 ... 정문수 역(특별출연)
         * [[2011년]] [[KBS2]] 단막극 《[[KBS 드라마 스페셜 연작 시리즈]] - MSS 특별수사대》 ... 영등포 경찰서장 역
         * [[2011년]] [[KBS2]] 미니시리즈 《[[동안미녀]]》 ... 진욱 부 역
         * [[2011년]] [[KBS2]] 주말연속극 《[[오작교 형제들]]》 ... 박인국 역
         * [[2011년]] [[KBS2]] 단막극 《[[KBS 드라마 스페셜|드라마 스페셜]] - 늦어서 미안해》 ... 영환 역
         * [[2011년]] [[JTBC]] 미니시리즈 《[[빠담빠담… 그와 그녀의 심장박동소리]]》 ... 김 교위 역
  • 윤지웅 (1988년)
         |프로 입단 연도 = [[2011년]]
         |드래프트 순위 = [[2011년 한국프로야구 신인 드래프트|2011년 1라운드]]([[넥센 히어로즈]])
         |첫 출장 = [[KBO 리그|KBO]] / [[2011년]] [[5월 13일]] <br /> [[목동야구장|목동]] 대 [[LG 트윈스|LG]]전 구원
         * [[넥센 히어로즈]] (2011년)
         |야구 월드컵 = [[2009년 야구 월드컵|2009년 유럽]] <br />[[2011년 야구 월드컵|2011년 파나마]]
         1라운드(전체 3순위) 지명을 받아 입단하였다. 좌타자 상대 원포인트 릴리프로 등판해 2승, 9홀드를 기록했다. [[2011년]] 시즌 후 야구 월드컵에 [[고종욱]]과 함께 출전했다. 일찌감치 군 복무를 결정하고, [[경찰 야구단]]에 지원해 합격했다.
         입대하기 전 [[2011년]] [[12월 6일]] FA를 통해 [[넥센 히어로즈]]에 복귀한 [[이택근]]의 보상 선수로 이적하였다.<ref>[http://osen.mt.co.kr/article/G1109327894 'LG행' 윤지웅, "그냥 기분이 묘하다"] - OSEN</ref> [[2018년]] [[10월 25일]]에 방출됐다.<ref>[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8/10/25/0200000000AKR20181025060000007.HTML?input=1195m 프로야구 LG, 좌완 불펜 윤지웅 등 12명 방출] - 연합뉴스</ref>
         * '29' (2011년, 2013년 ~ 2015년, 2017년 ~ 2018년)
         {{2011년 야구 월드컵 대한민국 선수 명단}}
  • 윤지혜 (1979년)
         * [[2011년]] [[MBC]] 8.15특집극 《[[절정 (드라마)|절정]]》 ... 노윤희 역
         * [[2011년]] [[OCN (텔레비전 채널)|OCN]] 금요드라마 《[[특수사건 전담반 TEN]]》 - 서유림 역
  • 윤진솔
         * [[2011년]] : 에이나린 - 눈물난다 생각난다
  • 윤찬수
         '''윤찬수'''는 [[KBO 리그]] 전 [[LG 트윈스]]의 선수이다. [[2009년]] 4분기 [[상무 야구단]]에 합격하여 2년간 병역의무를 이행한 후 원 소속팀인 [[LG 트윈스]]로 복귀하였고 [[2011년]] 가을 방출되었다. [[2012년]] [[5월 26일]] 새벽 [[국군체육부대]] 소속 시절 친분을 쌓은 승부조작의 장본인이자 전 프로 축구 선수인 [[김동현 (1984년)|김동현]]과 함께 [[서울특별시|서울]] [[강남구]] 청담동의 한 빌라 주차장에서 귀가하던 부녀자를 납치한 혐의로 구속되었다. 현재 윤찬수는 공범인 [[김동현 (1984년)|김동현]]과 [[국민참여재판]]을 받을 예정이다. [[2013년]] [[1월 17일]], 징역 2년 6월에 집행유예 3년이 선고됐다. 같은 날 김동현도 징역 3년이 선고됐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1&aid=0006045507 `특수강도' 前국가대표 축구선수 김동현 법정구속]</ref>
  • 윤탁구
         * 할머니 : [[윤고려]](尹高麗, 다른 이름은 윤고라, [[1891년]] [[4월 14일]] ~ [[1913년]] [[12월 28일]]) - [[김윤정 (1869년)|김윤정]](金潤晶)의 딸<ref>{{웹 인용 |url=http://leekcp.new21.org/zb41/zboard.php?id=rmswjs&no=267 |제목=이경찬의 국사교실 |확인날짜=2011년 9월 4일 |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160414022939/http://leekcp.new21.org/zb41/zboard.php?id=rmswjs&no=267 |보존날짜=2016년 4월 14일 |깨진링크=예 }}</ref>윤고려는 본래 김씨이나 남편을 따라 성을 바꾸었다.<ref>다른 이름으로 윤고라 라는 이름도 있다.</ref><ref>《뉴스플러스》 (1999.4.1) [http://www.donga.com/docs/magazine/news_plus/news177/np177gg030.html 20세기 한국의 풍물 풍속사⑫ 옷 - '미니스커트 단속' 그 때를 아시나요 ]</ref>
         * 누나 : [[윤영구]] (다른 이름으로는 남편 최희창의 성을 따라 Alice Yun Chai 또는 앨리스 최, [[1928년]] [[7월 10일]] - [[2011년]] [[5월 9일]], [[하와이 대학교]] 여성학과 (Department of Womens Studies) 교수)
  • 윤태영 (1974년)
         * [[2011년]] [[MBC]] 《[[심야병원]]》 ... 외과 전문의 허준 역
         * [[2011년]] [[MBC 드라마대상]] 특별상
  • 윤태진(아나운서)
         ||<#FFCC66> '''{{{#000000 데뷔}}}''' ||<(> [[2011년]] [[KBS N SPORTS]] 공채 아나운서 ||
         前 KBS N SPORTS의 [[아나운서]]. 2011년부터 2015년까지 주 중의 알럽베를 책임졌었다. [[최희]], [[정인영(방송인)|정인영]] 등과 함께 KBS N SPORTS의 여성 아나운서 3대장이라고 불렸다. 단아한 이미지의 [[최희]]와 모델급 몸매를 가진 [[정인영(방송인)|정인영]]에 비해 윤태진은 --정반대로-- 아담하고 귀여운 이미지 담당. [[정인영(방송인)|정인영]]과는 입사 동기이다. 입사했을 때부터 지금껏 같이 붙어다닌다고 한다. 나이는 [[정인영(방송인)|정인영]]이 2살 더 많다. 의지할 수 있는 언니 같은 스타일이란다. 그런 [[정인영(방송인)|정인영]]을 보고 윤태진은 '대나무 숲' 이라고 한다.
          * 2011년 아나운서 시절부터 시작해 프리랜서까지 했던 야구잡지 더그아웃 매거진의 더그아웃 스토리 1호 ~ 87호까지를 담당하였다. 88호부터는 SBS Sports [[김세연(아나운서)|김세연]] 아나운서가 담당한다.
         [[분류:아나운서 출신 방송인]][[분류:충주시 출신 인물]][[분류:1987년 출생]][[분류:2011년 데뷔]][[분류:동명이인/ㅇ]][[분류:맥심의 역대 표지 모델]]
  • 윤해영 (1972년)
         [[1998년 1월]] 결혼, [[2003년]] 딸을 낳았다. [[2005년 1월]] 이혼하고 [[2011년 9월]]에 비밀리에 재혼을 하였다.
         * [[2011년]] [[KBS2]] 단막극 《[[KBS 드라마 스페셜 연작 시리즈]] - 특별수사대 MSS》 ... 비비안 역
         * [[2011년]] [[Story On]] 《토크 & 시티 5》 ... MC
  • 윤형빈
         [[연극]](2003년), [[뮤지컬]](2004년) 등을 하다가 [[2005년]] [[한국방송공사|KBS]] 20기 공채 개그맨으로 정식 데뷔했고《[[개그 콘서트]]》의 '특종! 나불나불' 코너를 통해 자신의 이름을 알렸다. 2008년 4월 《[[개그콘서트]]》의 '[[봉숭아 학당]]' 코너에서 '''왕비호''' 역을 맡아 맹활약, 큰 인기를 끌었다. '안 웃기는 개그맨'이란 평가에 나도 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려고 독하게 준비한 역이었다. 하지만 얼마 후 식상하다는 지적에 하차하고 말았다.<ref>[http://entertain.naver.com/read?oid=108&aid=0002280253 윤형빈, 개그맨 '왕비호'부터 '핵주먹 파이터'까지], 스타뉴스. 2014.02.10.</ref> 당시 [[한국방송공사|KBS]] 《[[연예가 중계]]》의 '윤형빈의 조금 불편한 인터뷰'라는 코너에서 [[리포터]]로도 활동했는데 이 마저도 곧 하차했다. 2013년 5월 19일 《[[개그콘서트]]》로 다시 복귀, '살아있네' 코너에서 활약했지만 이렇다 할 주목을 받지 못한 채 코너는 조기 폐지됐다. 그래서 새로운 도전을 했다. [[종합격투기]]에의 도전이었다. 2009년 종합격투기를 시작, 2011년부터 선수 데뷔를 준비해 오던 그는 "두려움에 맞서는 순간을 만나고 싶었다."며 2013년 10월 30대의 늦은 나이에 본격적으로 [[로드 FC]]와 계약을 맺고 종합격투기 데뷔를 선언했다. 그리고 2014년 2월 9일 [[Road FC 014]] 대회에 출전, [[일본]]의 [[츠쿠다 다카야]]를 상대로 1라운드 4분 19초 만에 TKO<ref>[http://imnews.imbc.com/replay/2014/nwtoday/article/3414666_13495.html <nowiki>[연예 투데이]</nowiki>윤형빈 종합격투기 데뷔전, 통쾌한 KO승]</ref>로 승리했다.
         * [[2011년]] 산림청 홍보대사
         * [[2011년]] 나눔홀씨 1호 홍보대사
  • 윤혜경
         * [[2011년]] [[KBS TV 문학관|HDTV 문학관]] 《[[사랑손님과 어머니|사랑방 손님과 어머니]]》 ... 혜림 역
  • 윤호 (1424년)
         * 《[[인수대비 (드라마)|인수대비]]》 ([[JTBC]], [[2011년]]~[[2012년]] 배우:조승연)
  • 윤희상
         [[2004년]]에 2차 1순위 지명을 받아 계약금 2억원, 연봉 2,000만원의 조건으로 입단했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7&oid=001&aid=0000411579 SK, 윤희상과 입단 계약] 《연합뉴스》, 2003년 7월 15일</ref> 입단 초기에는 동기였던 투수 [[정우람]] 등에 비해 어깨 부상 등으로 별 활약이 없이 [[2005년]]까지 3패만 기록하고 일찌감치 공익근무요원으로 대체 복무하며 병역을 마쳤다.<ref>[http://sports.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kbo&ctg=news&mod=read&office_id=076&article_id=0002152904 철부지였던 윤희상, 잠재력 폭발시킨 원동력] - 스포츠조선</ref> 중간 계투로 주로 등판하다가 [[2011년]] 팀의 선발진이 무너져 [[박희수]]와 더불어 1군에 자주 올라왔다. 그 해 몇 차례 임시로 선발 등판했고, [[2011년]] [[9월 7일]] 선발 등판해 데뷔 첫 승을 거뒀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7&oid=001&aid=0005256632 SK 윤희상, 생애 첫 승 감격] - 연합뉴스</ref> [[2011년]]에 거둔 3승은 모두 선발 승이었다. [[2011년]] 준플레이오프 4차전에 선발 등판해 팀의 플레이오프 진출에 기여해 그 해 한국시리즈에도 출전했다.<ref>[http://sports.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kbo&ctg=news&mod=read&office_id=117&article_id=0002178935 '상대도 안 되는' 윤희상·윤석민의 희비, 2007 KS 4차전의 재판] - 마이데일리</ref> 이듬해 선발로 완전히 전업했고, 전 구단 상대 승리 투수가 돼 팀의 선발진을 꾸준히 지켰다. [[2012년 한국시리즈]] 1차전에 등판해 데뷔 첫 완투를 기록했으나, [[이승엽]]에게 허용한 홈런의 여파를 이겨내지 못했고, 팀 타선의 침묵과 맞물려 완투패를 당했다.<ref>[http://sports.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kbo&ctg=news&mod=read&office_id=109&article_id=0002431544 윤희상, 불운했지만 아름다운 완투패] - OSEN</ref> 5차전에서도 7이닝 2실점(1자책점)으로 호투했으나 역시 타선의 침묵으로 패전 투수가 됐고, 그 여파로 결국 6차전에서 대패하며 준우승에 머물렀다. [[2013년]] [[6월 20일]] [[삼성 라이온즈|삼성]]전에서 [[이승엽]]의 개인 통산 홈런(352호) 신기록을 허용했다.<ref>[http://sports.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baseball&ctg=news&mod=read&office_id=410&article_id=0000082648 이승엽 통산 352호 홈런볼은 어떻게 될까] - MK스포츠</ref>
  • 윤희상 (가수)
         * [[2011년]] 나의 하나님 아버지 앞에
  • 윤희석
         * [[2011년]] [[KBS2]] 월화드라마 《[[동안미녀]]》 ... 노용준 역
         * [[2011년]] [[MBC]] 주말연속극 《[[반짝반짝 빛나는]]》 ... 남성우 역
         * [[2011년]] 《[[수상한 이웃들]]》 ... 조민기 역
         * [[2011년]] 《[[챔프 (2011년 영화)|챔프]]》 ... 인권 역
  • 윤희석(배우)
         ||<|2> [[2011년]] || [[챔프]] || 인권 || ||
         ||<|2> [[2011년]] || [[MBC]] || [[반짝반짝 빛나는(드라마)|반짝반짝 빛나는]] || || ||
  • 은미희
         * [[2011년]] 장편소설 《18세, 첫경험》(중국어판)<ref>[http://m.blog.daum.net/gsj2020/12418083 중국어로 번역 출간된 은미희씨의 소설 '18세, 첫 경험']</ref>
         * [[2011년]] 장편소설 《흑치마 사다코(배정자)》(이룸)<ref>[http://www.vop.co.kr/A00000514174.html 이토히로부미 양녀, 조선인이면서 조선을 증오의 땅으로 여겼던 역적]</ref>
         * [[은미희의 마실]](2009년~ 2011년), [[국민일보]] 고정 수필 컬럼 연재
  • 은전군
         * [[2011년]] [[SBS TV|SBS]] 드라마 《[[무사 백동수]]》 - ?
  • 음성직
         [[2011년]] [[3월 2일]]자로 서울특별시 도시철도공사 사장직을 사퇴하였다.
  • 이건무
         |임기 = [[2008년]] [[3월 8일]] ~ [[2011년]] [[2월 8일]]
         *[[2008년]] [[3월 8일]] ~ [[2011년]] [[2월 8일]] : [[문화재청]] 청장
         *2011년 2월 ~ 2013년 : [[용인대학교]] 문화재대학원 대학원장
         |임기 = [[2008년]] [[3월 8일]] ~ [[2011년]] [[2월 8일]]
  • 이경석 (배구인)
         '''이경석'''(李京錫, [[1961년]] [[3월 8일]] ~ )은 [[대한민국]]의 전 배구 선수이자 감독이다. [[고려증권 배구단|고려증권]]의 세터 출신이다. [[1994년]]부터 [[2011년]]까지 모교 [[경기대학교]]에서 감독을 했으며, 2011-12시즌 [[김상우 (배구인)|김상우]] 감독이 경질된 후 [[구미 LIG손해보험 그레이터스|LIG]]의 감독에 부임했다. [[2012년]]에는 KOVO컵에서 우승을 차지하여 LIG의 KOVO 주관 대회 첫 우승을 안겼다. 그러나 2012-13시즌 성적이 부진하여 시즌 도중 경질당했다. <ref>{{뉴스 인용
  • 이경영(1960)
         이경영은 미성년자 성매매 사건 이후 2005년부터 간간이 영화에 조연으로 출연하다가 2011년 이후에는 영화계에서 활발한 활동을 하기 시작하였다. 이에 따라 언론과의 인터뷰가 자주 있었는데, 미성년자 성매매 사건이 어떻게 마무리 됐냐는 기자들의 질문이 나오면, 유죄판결 받은 부분은 숨기고, "무죄판결 받았다"고만 답하였다. 그리고 언론들은 이경영의 말을 검증없이 그대로 내보냈다. 그중 두 건의 인터뷰를 예로 들면 아래와 같다.
         오랜 자숙 기간을 거쳐 [[2011년]] 이후 영화 등장이 늘었다. 여자문제로 출연금지당했으나 영화로 재기한 선배 [[송영창]]의 전철을 고스란히 밟고 있는 셈. 《[[부러진 화살]]》에서 악역으로 판사역을 맡았고, 2012년엔 같은 감독의 《[[남영동1985]]》에서 [[이근안]]을 모티브로 한 고문경찰 이두한을 연기했다. 같은 시즌에 함께 개봉한 《[[26년(영화)|26년]]》, 《[[베를린(영화)|베를린]]》에도 모두 출연, 인상 깊은 연기를 보여주었다. 심지어 일본 영화인 《외사경찰》(外事警察 その男に騙されるな)에서 까메오이면서 악역인 북한군 장교로 등장한다. 주로 주인공의 든든한 조력자 ~~그리고 사망~~[* 악역, 최종보스 역도 많이 맡기 때문에 그만큼 많이 죽는다. 당당 [[사망전대]].] 혹은 카리스마 있는 악역을 맡아 이경영을 모르는 신세대들에게도 깊은 인상을 주고 있다. 2013년에는 《[[더 테러 라이브]]》에서 [[하정우]]와의 연기 호흡을 선보였다. 그 이후에도 [[장준환]] 감독의 《[[화이: 괴물을 삼킨 아이]]》에서도 화이의 친아버지인 임형택으로 출연하면서 악역이 아닌 무고하고 불쌍한 피해자도 연기했다. 이렇듯 자신만이 가진 유니크함으로 여러 영화에 캐스팅되며 (비록 공중파는 못 나오지만)완벽히 재기한 상태.
  • 이경우 (야구 선수)
         |프로 입단 연도 = [[2011년]]
         |드래프트 순위 = [[2011년 한국프로야구 신인 드래프트|2011년]] 5차 3라운드([[롯데 자이언츠]])
         * [[롯데 자이언츠]] (2011년 ~ 2016년)
         2011년에 입단하였다.
  • 이경자 (1944년)
         * 2009년 9월 ~ 2011년 3월 : 방송통신위원회 부위원장
         |임기 = [[2009년]] [[9월 26일]] ~ [[2011년]] [[3월 25일]]
  • 이경진
         * [[2011년]] [[KBS]] 4부작드라마 《[[KBS 드라마 스페셜]] - 특별수사대 MSS》 ... 강경희 역
         * [[2011년]] [[SBS]] 미니시리즈 《[[내게 거짓말을 해봐]]》 ... 심애경 역
         * [[2011년]] [[SBS]] 주말극장 《[[내일이 오면 (2011년 드라마)|내일이 오면]]》 ... 윤원자 역
  • 이관우
         |클럽팀 최신 업데이트 날짜 =[[2011년]] [[2월 19일]]
         |국가대표팀 최신 업데이트 날짜 =[[2011년]] [[2월 19일]]
  • 이관훈 (모델)
         * [[2011년]] [[tvN]] 미니시리즈 《[[로맨스가 필요해]]》 ... 서준이 역
         * [[2011년]] 《[[더 킥]]》 ... 석두 역
  • 이규석 (1964년)
         * 《생각이 난다 (EP)》([[2011년]])
  • 이규형 (1951년)
         * 2011년 ~ 2013년 : 주 중화인민공화국 대사
         |임기 = [[2011년]] [[5월 19일]](취임) ~ 2013년 5월
  • 이다희(배우)
         ||<|4> [[2011년]] || [[TV조선]] || [[고봉실 아줌마 구하기]] || 오은미 || 2화 특별출연 ||
         || 2011년 || 엠스트리트(M.Street) || 넥타이를 풀고 ||
         || [[2011년]] [[9월 28일]]~[[2011년]] [[10월 28일]] || [[올리브(CJ E&M)|O'live]] || 푸드에세이 - 이다희의 장맛 레시피 || 진행자 || ||
  • 이대진 (프로게이머)
         * [[2011년]] 2011 PEPSI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리그 July Code A 8강
         * [[2011년]] 2011 PEPSI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리그 Aug. Code S 32강
         * [[2011년]] 2011 소니 에릭슨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리그 Oct. Code S 16강
         * [[2011년]] 2011 소니 에릭슨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리그 Nov. Code S 32강
  • 이대형
         [[광주제일고등학교]]를 졸업하고 2차 2라운드 지명을 받아 입단했다. 내야 땅볼을 안타로 만들 정도로 빠른 발과 공격적인 주루 플레이로 상대 팀의 배터리와 내야수들을 곤혹스럽게 하는 능력을 지녔지만 컨택 능력과 타격 센스는 테이블 세터로서 부족하다는 비판의 목소리도 있었다.<ref>[http://isplus.joins.com/article/article.html?aid=1164194 대도 이대형, 비판에 귀닫고 빠른 발을 살린다] - 《일간스포츠》</ref> 도루 능력이 매우 뛰어나, [[2007년]] 53도루로 도루왕을 수상했고, 또한 [[외야수]] 부문 [[한국 프로 야구 골든 글러브 상|골든 글러브]]도 수상했다. 이후 [[2010년]]까지 계속 도루왕 타이틀을 얻었으며, [[2010년]] [[9월 26일]] [[KBO 리그]] 최초로 '3년 연속 60도루'를 달성했다. 그러나 [[2011년]]에는 6월에 복사뼈 부상과 슬라이딩 중 당한 어깨 부상으로 인해 [[오재원]]에게 도루왕 타이틀을 넘겨줬다. [[2012년]] [[1월 11일]] 연봉 1억 4,000만원에서 8,000만원으로 삭감돼 [[KBO 리그|KBO]]에 [[연봉조정신청]]을 했으나, 이틀 만에 철회해 [[2012년]] 8,500만원에 연봉 계약을 했다. [[2013년]]에는 데뷔 첫 포스트 시즌에 출전했다.
  • 이덕희 (1960년)
         * [[2011년]] [[SBS]] 일일연속극 《[[당신이 잠든 사이]]》 ... 신숙희 역
         * [[2011년]] [[JTBC]] 대하드라마 《[[인수대비 (드라마)|인수대비]]》 ... 최 상궁 역
  • 이덕희(배우)
         * [[2011년]] [[SBS]] 일일연속극 《[[당신이 잠든 사이]]》 ... 신숙희 역
         * [[2011년]] [[JTBC]] 토일 드라마 《[[인수대비 (드라마)|인수대비]]》 ... 최 상궁 역
  • 이도경 (배우)
         * [[2011년]] [[SBS]] 뮤지컬드라마 《[[더 뮤지컬]]》 ... 은비부 역
         * [[2011년]] 《[[퍼펙트 게임 (2011년 영화)|퍼펙트 게임]]》 ... 성기영 역
  • 이동욱 (배우)
         '''이동욱'''(李棟旭, [[1981년]] [[11월 6일]] ~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1999년 V-NESS 전속 모델 선발 대회에서 대상을 수상하며 연예계에 입문했고 같은 해 단막극 《[[베스트극장]] - 길 밖에도 세상은 있어》를 통해 연기자로 정식 데뷔했다. 2001년까지 드라마 《[[학교 2 (드라마)|학교 2]]》와 《[[학교 3 (드라마)|학교 3]]》에 연이어 출연하였고 2002년 드라마 《[[러빙유 (드라마)|러빙유]]》로 얼굴을 알리기 시작했다. 2005년 첫 브라운관 주연을 맡은 드라마 《[[마이걸 (드라마)|마이걸]]》이 국내를 넘어 아시아권까지 한류 인기를 얻으며 대세 반열에 올랐으며 2006년 첫 스크린 주연을 맡은 영화 《[[아랑 (영화)|아랑]]》도 흥행하며 주연 배우로 확실히 자리매김 하였다. 2008년 드라마 《[[달콤한 인생 (드라마)|달콤한 인생]]》으로 연기 변신에 성공한 그는 2009년부터 [[국방홍보원|연예 병사]]로 군 복무를 하였고 2011년 전역 후 바로 출연한 드라마 《[[여인의 향기 (드라마)|여인의 향기]]》가 국내외로 인기를 끌며 성공적인 복귀를 하였다. 이후 2015년 드라마 《[[풍선껌 (드라마)|풍선껌]]》과 2016년 드라마 《[[도깨비 (드라마)|도깨비]]》에 출연하여 연기에 대한 호평을 받았다.
         === 2008년-2011년 (군 복무)===
         [[2011년]] [[6월 20일]], 이동욱은 제대를 하였는데, 그 해 [[국회 국방위]] [[국정감사]]에서 일반 사병의 휴가 일수를 훨씬 초과한 91일의 휴가를 받아 연예 사병 특혜 논란 중 하나로 언급되기도 했다.<ref>{{뉴스 인용|제목=[시사칼럼] 연예사병은 신의 아들인가?|url=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hm&sid1=110&oid=079&aid=0002289241&viewType=pc|출판사=노컷뉴스|날짜=2011-09-21}}</ref>
         === 2011년-2015년 ===
         전역을 한 2011년, 이동욱은 시한부를 선고받은 여성과 그녀를 사랑하는 남자의 이야기를 담은 SBS 드라마 《[[여인의 향기 (드라마)|여인의 향기]]》에서 여행 기업 오너의 아들로서 편한 인생이지만 자신의 삶을 재미없어 하는 강지욱이라는 인물을 맡게 되었다.<ref>{{뉴스 인용|제목=이동욱, '여인의 향기'로 화려한 컴백|url=http://entertain.naver.com/read?oid=108&aid=0002083952|출판사=머니투데이 스타뉴스|날짜=2011-06-08}}</ref> 이 드라마는 동시간대 드라마 1위와 최고 시청률 18.8%를 기록하는 등 큰 호응을 얻었으며,<ref>{{뉴스 인용|제목=올해 군제대 스타, 누구 활약이 제일 컸을까?|url=http://entertain.naver.com/read?oid=109&aid=0002281541|출판사=OSEN|날짜=2011-12-01}}</ref> 이동욱의 '나요~'라는 대사와 함께한 꽃받침 제스처가 유행어로 되기도 하고,<ref>{{뉴스 인용|제목=이동욱 '나요~' 탄생비화, 심하게 거부하다 대박난 꽃받침 애교|url=http://v.entertain.media.daum.net/v/20120523083123390|출판사=뉴스엔|날짜=2012-05-23}}</ref> 드라마 속 '버킷 리스트'가 화제가 되기도 했다.<ref>{{뉴스 인용|제목=당신의 버킷 리스트는?|url=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18&aid=0002475573|출판사=이데일리|날짜=2011-08-05}}</ref> 이 드라마는 방영 도중에 해외로 수출되는 등 해외에서의 반응 역시 뜨거웠으며,<ref>{{뉴스 인용|제목=‘여인의 향기’ 해외 배급사 문의 쇄도, 필리핀·홍콩 등 8개국 수출 ‘쾌거’|url=http://entertain.naver.com/read?oid=015&aid=0002535665|출판사=한국경제|날짜=2011-09-05}}</ref> 이동욱은 이 드라마의 한류 인기로 대중문화 교류에 이바지함을 높이 평가받아 한일문화대상에서 '문화외교부문 대상'을 수상하였다.<ref>{{뉴스 인용|제목=이동욱, '한일문화대상 문화외교부문 대상 수상'|url=http://v.entertain.media.daum.net/v/20111111192117468|출판사=TV Daily|날짜=2011-11-11}}</ref> 《[[마이걸 (드라마)|마이걸]]》에 이어 《[[여인의 향기 (드라마)|여인의 향기]]》의 아시아권 인기로 드라마 속 이동욱의 로맨틱한 이미지가 해외에서 사랑받으며,<ref>{{뉴스 인용|제목=이동욱, '여인의 향기'로 亞 정복..한류스타 굳히기|url=http://entertain.naver.com/read?oid=109&aid=0002293046|출판사=OSEN|날짜=2012-01-05}}</ref> 이 작품은 이동욱에게 한류 인기를 굳히는 작품이 되었다.<ref>{{뉴스 인용|제목=한류스타 이동욱 보자…중화권 매체 인민일보와 인터뷰 가져|url=http://entertain.naver.com/read?oid=079&aid=0002578501|출판사=노컷뉴스|날짜=2014-03-27}}</ref> 이 작품으로 드라마에서 열연한 결과 그 해 [[SBS 연기대상]]에서 연속극부문 남자 최우수연기상을 수상하기도 하였다.<ref>{{뉴스 인용|제목=이동욱 김선아 SBS 연속극 최우수연기상 수상 '여향커플 올킬' (SBS 연기대상)|url=http://v.entertain.media.daum.net/v/20120101000124557|출판사=뉴스엔|날짜=2012-01-01}}</ref> 이동욱은 이 작품으로 그동안 드라마에 익숙했던 재벌 2세가 아닌 꿈도 의욕도 없고 냉소적인 재벌 2세를 완벽하게 표현하며 호평을 받았으며,<ref>{{뉴스 인용|제목='여인의 향기', 불치병 소재 불구 팬심 잡은 이유|url=http://entertain.naver.com/read?oid=108&aid=0002096231|출판사=스타뉴스|날짜=2011-08-29}}</ref> 기존에 맡았던 캐릭터와 연기적으로 차별점을 둔 지점을 설명하기도 하며 극에 완벽히 녹아있는 모습을 보여주었다.<ref>{{뉴스 인용|제목=이번엔 이동욱 앓이?|url=http://entertain.naver.com/read?oid=382&aid=0000004931|출판사=스포츠동아|날짜=2011-08-02}}</ref> {{인용문2|'마이걸'을 찍은 후 비슷한 류의 작품 제의가 꽤 있었는데 독에 있는 물을 다 퍼내면 마를 것 같아서 일부러 안했다. 이때쯤이면 물이 다시 채워졌겠다고 생각해서 다시 시작한 건데 차도남이나 까도남이 아니어서 좋았다. 그런 면이 연재와 잘 맞물린 것 같다. 서로 아프고 힘들어서 의지할 수 있는 캐릭터다. 너무 스트레이트하고 직진으로만 치닫는 역할은 '달콤한 인생' 때 너무 심하게 하기도 했고. 통속적인 이야기를 덜 통속적으로 보이는데 있어서 지욱이 캐릭터가 중요할거라고 생각했다. 반쯤 풀려있는 눈, 만사가 귀찮은 모습, 아무 의욕없는 행동..처음에는 남자주인공이 뭐 저러냐는 말을 많이 들었는데 시간이 흐르고 나니 제 캐릭터를 새롭게 봐주시는거 같다. 보통의 재벌남 캐릭터와 다르게 보이는게 중요할거라 생각했다. 디테일이라면 디테일인데 귀찮은 걸음거리도 내 평소 걸음거리에 조금 더 가미해서 만든거다.|뉴스엔 2011년 9월 5일 인터뷰<ref>{{뉴스 인용|제목=이동욱 "'여인의향기' 새드엔딩이 좋을 것 같지만.." (인터뷰)|url=http://v.entertain.media.daum.net/v/20110905152950061|출판사=뉴스엔|날짜=2011-09-05}}</ref> 중}}
         2011년 9월 이동욱은 ‘맨발의 청춘전’ 캠페인에 참여해 재능 기부로 모델이 되어 사진 촬영을 했다. 전시 및 바자를 통해 얻어진 수익금으로 비영리 자선단체인 ‘아름다운 가게’를 통해 신발을 신지 못하는 베트남 산간 지역 어린이들에게 신발을 기부하는 캠페인이다.<ref>{{뉴스 인용|제목=싱글즈 맨발의 청춘전, '이 발'은 누구의 발?|url=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3&oid=015&aid=0002535688|출판사=한국경제|날짜=2011-09-05}}</ref>
  • 이동욱 (야구인)
         * [[LG 트윈스]] 수비코치 (2007년 ~ 2011년)
         보류선수 명단에서 제외된 뒤 곧바로 팀에서 코치 제의를 받아 이른 나이에 지도자의 길로 들어서 [[2005년]]까지 [[롯데 자이언츠]]에서 수비코치로 활동했고, [[2006년]]에는 [[롯데 자이언츠|롯데]]의 원정 기록원(전력분석관)으로 자리를 옮겼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7&oid=076&aid=0000017972 이동욱, 선수-코치에서 기록원으로...야구인생 '장외 2막'] 《스포츠조선》</ref> [[2007]]년부터 [[2011년]]까지 [[LG 트윈스]]의 수비코치<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7&oid=001&aid=0001515201 LG, 새 구단주 대행에 구본준 부회장] - 연합뉴스</ref>를 담당했고 2011 시즌 후 [[2011년]] [[10월 9일]]부터 [[NC 다이노스]]의 수비코치로 활동했다.
  • 이동준 (1958년)
         * [[SBS]] [[2011년]] [[신기생뎐]]
         * [[2011년]] [[XTM]] [[주먹이 운다 시즌 2 - 싸움의 고수]]
         * [[2011년]] [[KBS]] [[비타민]]
         * [[2011년]] [[알리코제약]] 아이락 루테인
         * [[2011년]] [[알리코제약]] 티로서겔
         * [[2011년]] 제19회 대한민국 문화연예대상 드라마부문 우수연기상
  • 이동하 (배우)
         * [[2011년]] 《[[내 이름은 김삼순]]》 ... 장도영 역
         * [[2011년]] 《스페셜레터》 ... 정은희 역
         * [[2011년]] 《[[옥탑방 고양이]]》 ... 이경민 역
         * [[2011년]] 《폴링 포 이브》 ... 아담 역
  • 이루마
         * 드라마 《[[시크릿 가든 (드라마)|시크릿 가든]]》 OST - Various Artists - [[2011년]]
         * 《The Best - Reminiscent 10th Anniversary》 - [[2011년]] [[11월 24일]]
         * 《The Very Best Of Yiruma: Yiruma & Piano》 - [[2011년]] [[11월 30일]]
  • 이만섭
         * [[2011년]] 제3회 대한민국 법률대상 입법부문 수상
         * [[2011년]] 제6회 자랑스러운 한국인상
  • 이민기(배우)
         ||<#5D5D5D> '''{{{#ffffff 소속}}}''' ||<(> Go_od MANAGEMENT [* 2011년 당시 대형기획사 웰메이드 스타엠에서 처음부터 함께 일해왔던 매니저와 1인기획사로 독립했다.] ||
         ||<|2> 2011년 || [[오싹한 연애]] || 마조구 || ||
         2011년 11월 27일 SBS 예능프로 [[런닝맨]]에 출연하였다.
          *[[2011년]] 더 클래스
  • 이민우(배우)
         한 마디로 [[사극]]으로는 만렙을 찍은 [[정태우]], [[안재모]]보다 먼저 만렙을 찍어놓은 30대 배우이며 [[2011년]] 8월에 방송한 [[공주의 남자]]~~극중 주인공이 바뀐 듯한 포스~~에서 그 포스를 유감없이 발휘했다.
         본인은 사극 이미지를 탈피하고 싶어하지만[* 하지만 사극을 아예 하기 싫어하는 것은 아니며 캐스팅 제의를 받았을 때도 배역에 대한 흥미를 따라간다고 한다.] 2011년 또 사극 [[공주의 남자]]에 출연하게 되면서 이제 사극이 아닌 현대극에서의 이민우는 기약이 없게 되었다. 그의 예전 사극연기를 보지 못했던 10대~20대 초반에게는 사극에서의 이민우가 깊이 각인되었고, 30대 이상에게는 이민우의 기존 사극 이미지가 더욱 단단히 굳어지게 되었기 때문. [[거열형]]씬도 허리가 안 좋음에도 불구하고 찍었다고 한다.
         ||<|2> 2011년 ||<|2> KBS2 || 강력반 || 이동석 || 특별출연 ||
          * 2011년 [[KBS 연기대상]] 베스트 커플상 (with [[홍수현]]) 《공주의 남자》
  • 이민호 (1987년)
         '''이민호'''(李敏鎬,<ref>[http://www.leeminho.kr/ Minho Profile] LEE MIN HO 2011년 8월 19일 확인.</ref> [[1987년]] [[6월 22일]] ~ )는 [[경상북도]] [[포항시]] 우현동 (소티재로) 에서 태어난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이민호는 《[[성장드라마 반올림|반올림]]》 (2003), 《[[논스톱5]]》 (2005), 《[[사랑찬가]]》 (2005)와 같이 본격적인 연예계 데뷔 전 단역으로 출연했었다. 이후 2006년 [[EBS]]의 청소년 드라마 《[[비밀의 교정]]》에 출연하면서 정식으로 데뷔한다. 하지만 비슷한 시기 큰 교통사고가 나면서 오랜 기간 동안 배우 활동을 할 수 없었다. 그러다가 2007년 SBS 청소년 드라마 《[[달려라 고등어]]》에서 처음으로 주연을 맡았다. 이후 여러 드라마에 출연했고, 2008년에는 《[[강철중: 공공의 적 1-1]]》에 출연하면서 영화 데뷔를 했다.
         이민호는 [[1987년]] [[6월 22일]] [[대한민국]] [[경상북도]] [[포항시]] 우현동 (소티재로) 에서 태어났다. 형제로는 위로 누나가 한명 있다.<ref name="dddd"/> 이민호는 어렸을적 축구선수가 꿈이었기 때문에 [[차범근]]의 축구교실에 다녔다.<ref name="기분좋은날">[http://www.imbc.com/broad/tv/culture/goodday/vod/index.html?kind=image&progCode=1000832101140100000&pagesize=5&pagenum=2&cornerFlag=1&ContentTypeID=1&ProgramGroupID=0 MBC 다시보기] [[MBC]] 《[[기분좋은날]]》 1109회 2011년 1월 19일 방영분.</ref> 하지만 축구 연습중 부상을 당해 할 수 없이 꿈을 접어야 했다.<ref name="기분좋은날"/> 학창시절 많은 길거리 캐스팅 제안을 받았는데, 고등학교 1학년 무렵부터 연기에 관심을 갖기 시작했다.<ref name="아시아경제1">{{뉴스 인용|제목 =[스타일기]이민호① "올 겨울은 스키에 빠져 살았죠"|url =http://www.asiae.co.kr/news/view.htm?idxno=2010032308125450096|출판사 =아시아경제|저자=고재완|날짜 = 2010-03-25|확인날짜=2014-05-12}}</ref> 이후 잡지 모델 일을 하다가 우연히 소속사 사장을 만나 연기자의 길에 들어섰다.<ref name="기분좋은날"/><ref name="아시아경제1"/> 2006년에 입학하고 나서 본격적으로 오디션을 보러 다녔다.
         이후 2010년에는, [[MBC]] 《[[개인의 취향]]》의 가짜 게이 전진호 역으로 출연했다.<ref name="기분좋은날"/><ref name="기분좋은날"/><ref>{{뉴스 인용|출판사 =뉴스엔|제목 =‘개인의 취향’ 이민호 완벽변신 “구준표가 안보인다” |url = http://www.newsen.com/news_view.php?uid=201003312346361001|저자=박선지|날짜 = 2010-04-01|확인날짜=2011-01-27}}</ref> 이 작품을 통해 더이상 고교생 이미지가 아닌 성숙되고 새로운 이미지로 거듭나며 [[MBC 연기대상]]에서 남자 우수상을 수상했다.<ref name="MBC">http://www.imbc.com/broad/tv/ent/event/2010mbc/winner/index.html [[MBC 연기대상]]</ref> 《개인의 취향》은 방영이 되기도 전에 아시아 각지에서 판권문의가 들어와 [[홍콩]], [[태국]] 등에 선판매 되었고, 아시아를 비롯해 [[미국]] 및 [[유럽]], [[이스라엘]], [[예멘]] 등 총 80개국에 수출되었다.<ref>{{뉴스 인용|출판사 =재경일보|제목 =개인의취향, 홍콩-태국 등 동남아서 선판매 완료.. ‘한류드라마’ 입성|url =http://news.jkn.co.kr/article/news20100401/5238229.htm|날짜 =2010-04-01|확인날짜 =2011-02-25|보존url =https://web.archive.org/web/20131113163742/http://news.jkn.co.kr/article/news20100401/5238229.htm|보존날짜 =2013-11-13|깨진링크 =예}}</ref> 또한 이민호가 드라마상에서 입었던 의상들도 완판되며, 이로써 차세대 한류 스타로 각광받기 시작했다.<ref name="ddd">{{뉴스 인용|출판사 =아츠뉴스|제목 =이민호, 해외에서도 인기 대박 행진 |url =http://www.artsnews.co.kr/news/127537|저자=김송이|날짜 = 2011-01-14|확인날짜=2011-02-25}}</ref> [[2011년]] 5월, [[SBS]] 《[[시티헌터]]》의 주연 이윤성 역을 맡았다.<ref>{{뉴스 인용|출판사 =프런티어타임스|제목 ='시티헌터', 시청률 나홀로↑…압도적 인기|url =http://www.frontiertimes.co.kr/news/news/2011/07/14/71681.html|저자=이수아|날짜 = 2011-07-14|확인날짜=2011-11-16}}</ref> 《시티헌터》는 [[중국]], [[러시아]] 등 아시아 각지에서 인기를 얻었다. 특히, [[중국]]에서 좋은반응을 얻어, 이민호는 중국의 인기 예능프로그램인 '쾌락대본영' 에 출연하기도 했다.<ref>{{뉴스 인용|출판사 =아시아투데이|제목 =이민호, 아시아 넘어 러시아에서도 인기 ″전 세계 한류의 최고봉″|url =http://www.asiatoday.co.kr/news/view.asp?seq=543831|저자=우남희|날짜 = 2011-10-20|확인날짜=2011-11-16}}</ref> 2011년 이민호는 《시티헌터》를 통해 [[코리아드라마페스티벌]] 남자 최우수상, 한류스타 특별상, [[SBS 연기대상]] 드라마스페셜부문 남자 최우수 연기상, 네티즌 최고 인기상, 10대 스타상을 수상했다. 2012년에는 [[SBS]]의 퓨전사극 드라마 《[[신의 (드라마)|신의]]》에 [[김희선]]과 함께 주연으로 캐스팅되었고, 8월부터 방영되어 같은 해 10월 30일 종영했다.<ref>{{웹 인용|출판사 = [[씨네21]]|제목 = (캐스팅) 이민호·김희선 外|url = http://www.cine21.com/do/article/article/typeDispatcher?mag_id=69543&page=1&menu=&keyword=&sdate=&edate=&reporter=|날짜 = 2012-04-09|확인날짜 = 2012-06-04}}{{깨진 링크|url=http://www.cine21.com/do/article/article/typeDispatcher?mag_id=69543&page=1&menu=&keyword=&sdate=&edate=&reporter= }}</ref> 2012년 이민호는 《[[신의]]》를 통해 [[SBS 연기대상]]에서 미니시리즈부문 남자 최우수 연기상, 10대 스타상을 수상했다. 다음해인 2013년에는 중국 싱샹대전에서 아시아 최고 인기상을 수상했다. 싱샹대전은 중국 상하이 방송이 매년 개최하는 패션어워드로 음악, 영화, 스포츠, 패션 등 각종 분야를 총망라해 인기있는 인물을 선정하는 중국의 권위있는 시상식이다.
         2011년 8월 23일 이민호가 배우 [[박민영]]과 한 달 전부터 데이트 중이라는 기사가 보도됐다.<ref>{{뉴스 인용|저자=이금준|제목=이민호 박민영 열애, ‘시티헌터’ 실제 커플 탄생… “대박 소식!”|url=http://sstv.hankyung.com/?c=news&m=v&nid=116357|출판사=SSTV|날짜=2011-08-23|확인날짜=2014-05-12|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140512223119/http://sstv.hankyung.com/?c=news&m=v&nid=116357|보존날짜=2014-05-12|깨진링크=예}}</ref> 그러나 이민호의 소속사는 "단 두 번 개인적인 만남을 한 것으로 안다"<ref>{{뉴스 인용|저자=김수진|제목 ='열애설' 이민호·박민영 "두번 만났다"|url =http://star.mt.co.kr/stview.php?no=2011082308273827439|출판사=스타뉴스|날짜 = 2011-08-23|확인날짜=2014-10-18}}</ref> 고 밝혔으며, 몇 달 후 결별 기사가 보도된 후에는 "이렇다 할 연인 사이는 아니었다"라며 "사실상 결별이라고 말 할 수도 없는 사이였다"고 말했다.<ref>{{뉴스 인용|저자=한지윤|제목 =이민호 측 “박민영과 사귀지 않는 것 맞다” 공식 인정|url =http://news.kukinews.com/article/view.asp?page=1&gCode=ent&arcid=1327495374&code=41181111|출판사=쿠키뉴스|날짜 = 2012-01-25|확인날짜=2014-10-18}}</ref> 2015년 3월 24일에는 가수 겸 배우 [[수지 (대한민국의 가수)|수지]]와 2월 초부터 만나기 시작했다는 기사가 보도 되었고 두 사람측은 열애를 인정했다.<ref>{{뉴스 인용|url=http://www.obs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878100|제목=
  • 이병규 (1983년)
         왼쪽 무릎 십자인대 파열로 병역이 면제되었으며, 고질적인 무릎 부상으로 [[2011년]]에는 재활군에 머무르다가 후반기에 복귀하여 33경기에 출전했다.<ref>[http://sports.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kbo&ctg=news&mod=read&office_id=109&article_id=0002295995 LG는 왜 최희섭에 관심이 없을까?] - OSEN</ref>
  • 이병욱 (1974년)
         * [[2010년]]~[[2011년]] [[KBS]] 《[[근초고왕 (드라마)|근초고왕]]》 ... 부여휘 역
  • 이병훈 (1976년)
         * [[2011년]] [[KBS2]] 수목드라마 《[[가시나무새 (드라마)|가시나무새]]》
  • 이병훈(배우)
         * [[2011년]] [[KBS2]] 수목드라마 《[[가시나무새 (드라마)|가시나무새]]》
  • 이봉원
         * [[2010년]]~[[2011년]] [[SBS 러브FM]] 《[[와와쇼|이봉원 박미선의 와와쇼]]》
  • 이삼걸
         |임기 = [[2008년]] [[12월 30일]] ~ [[2011년]] [[6월 9일]]
         |임기 = [[2011년]] [[9월 9일]] ~ [[2013년]] [[3월 13일]]
  • 이상민 (야구선수)
         [[동의대학교]] 3학년 때인 [[2011년]]에 [[대학야구 춘계리그]]에서 호투하여 최우수 선수에 선정됐다.
  • 이상백(야구선수)
         프로 입성 후에도 스프링캠프에서는 인상적인데, 막상 시즌에 들어가면 그리 좋은 모습을 보이지 못하면서 다소 잊혀진 유망주가 되었다. 무엇보다 [[2011년]] [[8월]] 팔꿈치 수술을 받으면서 그대로 전력에서 이탈하며 [[사회복무요원|공익근무요원]]으로 바로 입대하고 병역 문제를 해결하면서 자연히 사람들에게 잊혀졌다.
  • 이상인(1983)
         * [[2011년]] [[KBS2]] 월화드라마 《[[강력반 (2011년 드라마)|강력반]]》 - 유리 역
         * [[2011년]] [[MBC]] 월화드라마 《[[계백]]》 - 신녀 천단향 역
  • 이상호 (1989년)
         * [[SK 와이번스]] (2011년)
         [[2011년]] [[롯데 자이언츠]]에서 방출당한 후 [[SK 와이번스]]에 입단했으나 1년 만에 다시 방출당했다.<ref>[http://osen.mt.co.kr/article/G1109300524 SK, 임성헌-김대유 포함 7명 방출] - OSEN</ref>
  • 이상훈 (법조인)
         * [[2011년]] [[2월 28일]] ~ [[2017년]] [[2월 27일]] 대법원 대법관
         * [[2010년]] ~ [[2011년]] 대법원 법원행정처 차장
         * [[2011년]] 6월 허위 경력을 기재한 혐의로 기소된 민주당 [[채인석]] 화성시장에게 벌금을 선고한 원심 파기환송
         * [[2011년]] 7월 [[오세훈]] 서울시장의 명예훼손 혐의로 기소된 정인대 씨에게 무죄 선고
         * [[2011년]] 12월 BBK 관련 허위 사실을 유포한 혐의) 등으로 불구속 기소된 [[정봉주]] 전 민주당 의원에 대한 상고심에서 상고를 기각하고 징역 1년을 선고한 원심 확정
         * [[2011년]] [[2월 23일]] 대법관 인사청문회 중, [[2006년]] 11월 [[론스타]] 경영진에 대한 영장이 기각될 당시 서울중앙지법 부장판사이던 이 후보자가 영장전담판사, 검찰 측 인사들과 사적으로 4인 회동을 한 것이 알려졌다. 다운계약서 작성이나, 6개월 만에 형질 변경되면서 10배가량의 시세 차익을 남기는 등 부인의 부동산 투기 의혹도 논란이 됐다.<ref>[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112221549141&code=940301 정봉주에 유죄 확정한 이상훈 대법관, 론스타 영장은], 경향신문</ref>
         * [[2011년]] 12월 [[정봉주]] 전 의원 판결과 관련, [[민주통합당]]은 “아직 비비케이(BBK) 관련 실체적 진실은 드러나지도 않았고 온갖 의혹은 현재진행형”이라며 “온전한 실체가 드러날 때까지 거짓과 위선과의 싸움을 계속할 것”이라고 공언했다. [[통합진보당]]도 논평을 내 “(재판 과정에서) 대통령과 비비케이(BBK)와의 연관을 보여주는 증거들은 철저히 무시되었고 검찰 쪽은 진실의 규명보다는 이 대통령과 비비케이(BBK) 사이의 무관함을 증명하기에 바빴다”며 “심각한 정치 재판이고 실망스러운 판결 내용”이라고 주장했다.<ref name="hani">{{뉴스 인용|url=http://www.hani.co.kr/arti/society/society_general/511363.html |제목=정봉주 유죄 판결, 한나라에 사형 선고 될 것 |출판사=[[한겨레]] |날짜=2011년 12월 22일}}</ref>
  • 이서영 (아나운서)
         [[울산방송]] 아나운서와 [[대구방송]] 아나운서 앵커 출신이며, [[SBS 골프]], [[YTN]], [[WOW TV]], [[ETN]], [[MBC ESPN]], [[XPORTS]], [[동아TV]], [[NATV]] 등 프리랜서 아나운서로 활동중이다. 국제 행사 및 대형 컨퍼런스의 영어 MC를 주로 담당한다. [[2010년]]에 대한민국과 [[인도]]간에 체결된 CEPA(Comprehensive Economic Partnership Agreement)협정의 '우호의 밤' 공식 행사의 영어 MC와 [[서울 G20 정상회의]]에서 전 세계 언론을 대상으로한 외신 기자회견 영어 MC를 담당했다. [[미스코리아]] 선발대회와 [[SBS]] [[슈퍼모델 선발대회]], 세계모델대회 MC를 많이 봐서 '미인 대회 전문 MC'라는 별칭이 있다.<ref>{{웹 인용|제목=미인대회전문MC|url=http://joynews.inews24.com/php/news_view.php?g_menu=700100&g_serial=284825}}</ref>,<ref>{{웹 인용|제목=미인대회전문MC |url=http://m.segye.com/view/20071128001937}}</ref> [[협성대학교]] 및 [[국민대학교]], [[한양대학교]], [[서울종합예술학교]] 등에서 광고홍보학과 및 신문방송학과 전공과목 교수를 겸하고 있다. [[2011년]] 한양대학교 겸임 교수를 역임했다. [[2010년]]에 《아나운서 이서영의 스피치불변의 법칙 공감스피치》를 출간하였다.<ref>{{웹 인용|제목=공감 스피치|url=http://book.interpark.com/product/BookDisplay.do?_method=Detail&sc.shopNo=0000400000&sc.dispNo=&sc.prdNo=205116184&bsch_sdisbook|출판사=인터파크도서|확인날짜=2010-07-26}}</ref>
         * 2011년 : 투르드코리아 홍보대사
         * 2011년 : 한양대학교 지식경영 CEO 과정 겸임교수
         * 2011년 : 서울종합예술학교 방송연예과 겸임교수
         * 2011년 : 국민대학교 정치대학원, 언론정보학과 출강
         * 2011년 : 22ND WORLD CONGRESS OF DERMATOLOGY 영어 MC
         * 2011년 : 보령 머드축제 홍보대사
         * 2011년 : 세계 대구 육상 선수권대회 폐막식 영어 MC
         * 2011년 : LPGA HANA BANK OPEN 영어 MC
  • 이석준 (1959년)
         * [[2010년]] 7월 ~ [[2011년]] 4월 : 기획재정부 정책조정국 국장
         * [[2011년]] 4월 ~ [[2012년]] 1월 : [[대한민국 금융위원회|금융위원회]] 상임위원
  • 이석훈
          * 2011년 KBS 《스쿨 버라이어티 백점만점》 출연
          * 2011년 MBC 설특집 《두근두근 사랑의 스튜디오》 출연
          * SBS 파워FM 《이석훈의 텐텐클럽》 DJ (2011년 4월 4일 ~ 2012년 4월 29일)
         ||<tablebordercolor=#87C1E7><rowbgcolor=#87C1E7> '''{{{#07A37B 방송 날짜}}}''' || '''{{{#07A37B 특집}}}''' || '''{{{#07A37B 곡명}}}''' || '''{{{#07A37B 경연 순서}}}''' || '''{{{#07A37B 결과, 득표수}}}'''[* 이석훈이 고정출연하던 2011년은 득표수가 공개되지 않았다.] ||
         || [[2011년]] [[7월 23일]] || 남자 보컬리스트 특집 || 봄날은 간다 (원곡자: 백설희) || 1번 || 1승 ||
         || [[2011년]] [[9월 24일]] || 보컬리스트 특집 3탄 || 이 밤을 다시 한 번 (원곡자: 조하문) || 2라운드 7번 || 0승 ||
         || [[2011년]] [[11월 26일]] || 이광조 편 || 사랑을 잃어버린 나 (원곡자: 이광조) || 2번 || 1승 ||
         || [[2011년]] [[12월 3일]] || 최백호 편 || 낭만에 대하여 (원곡자: 최백호) || 5번 || 0승 ||
         || [[2011년]] [[12월 10일]] || 7080 영화음악 특집 || 눈물로 쓴 편지 (원곡자: 김세화) || 7번 || 0승 ||
         || [[2011년]] [[12월 17일]] || 정훈희·김태화 편 || 바보처럼 살았군요 (원곡자: 김태화) || 7번 || 1승, '''우승''' ||
         || [[2011년]] [[12월 31일]] || 슈퍼빅매치 || 봄날은 간다 (원곡자: 백설희) || 1라운드 5번 || 0승 ||
         2011년 불후의 명곡 에 고정출연했고 군복무를 마친 후 복귀 무대를 가질 정도로 애착을 갖고 있는듯 한데, 생각보다 결과는 좋지 않다.
         남자 보컬리스트 특집에 2번 참여했으며, 1승 했다. 이 때 타 남자가수들 평이 '첫 무대부터 이러면 어쩌자는 거임?' 이후 2011년 11월 말부터 불후의 명곡 2에 고정 출연하게 되었다.[* [[최백호]] 편에서 「낭만에 대하여」를 불렀는데... 예전에 [[유희열의 스케치북]]에서 이적이 「낭만에 대하여」를 불렀을 때와 편곡의 방향이 아주 묘하게 비슷하다. 착각이거나 혹은 [[아코디언]]과 [[반도네온]]의 차이 때문일 수도...][* 참고로 이 「낭만에 대하여」 무대는 이석훈 불후의 명곡 무대 탑 중 하나다.] 여러 번 참여했으나 번번히 좋은 결과를 내지 못했다. 우리나라 서바이벌 음악 프로그램의 특징상 풍부한 중저음보단 높고, 개성있고, 자극적인 무대를 선호하기 때문인듯 하다.
  • 이선아
         * [[2011년]] [[드라마]] 《[[신기생뎐 (드라마)|신기생뎐]]》 - 이지향 역
         * [[2011년]] [[드라마]] 《[[미쓰 아줌마]]》
         * [[2011년]] [[드라마]] 《[[내일이 오면]]》
  • 이선희
         [[2011년]] [[2월 3일]]에 세계적인 가수들만 설 수 있다는 뉴욕 카네기홀 중에서도 가장 큰 메인공연장인 '아이작 스턴 오디토리움'에서 대한민국 대중가수로는 3번째로 단독 공연을 가졌다.<ref>{{뉴스 인용
         }}</ref> 2800여 석에 이르는 좌석이 모두 매진이라는 큰 기록을 세우며 한인으로서는 최다 관객 동원을 기록하였다. [[2011년]] [[9월]]부터 방송된 [[문화방송|MBC]] 《[[스타 오디션 위대한 탄생]]》시즌 2의 멘토로 출연하였고, 멘티 구자명이 우승하였다.
         ! 2011년
  • 이선희 (1964년)
         [[2011년]] [[2월 3일]]에 세계적인 가수들만 설 수 있다는 뉴욕 카네기홀 중에서도 가장 큰 메인공연장인 '아이작 스턴 오디토리움'에서 대한민국 대중가수로는 3번째로 단독 공연을 가졌다.<ref>{{뉴스 인용
         }}</ref> 2800여 석에 이르는 좌석이 모두 매진이라는 큰 기록을 세우며 한인으로서는 최다 관객 동원을 기록하였다. [[2011년]] [[9월]]부터 방송된 [[문화방송|MBC]] 《[[스타 오디션 위대한 탄생]]》시즌 2의 멘토로 출연하였고, 멘티 구자명이 우승하였다.
         ! 2011년
  • 이설주
         광복 이후인 [[1947년]]부터 [[1951년]]까지 대구여자상업학교(현재의 [[대구제일중학교]]), [[경북여자고등학교]]에서 국어 교사로 근무했으며 문고판형 전집 《설주문학(雪舟文學)》을 비롯한 여러 시집을 출간했다. [[2011년]] [[3월 24일]] [[한국문인협회]]는 그의 문학 정신을 기리고 한국 현대 시문학과 시조문학의 발전을 도모하기 위한 차원에서 이설주문학상을 제정했다.
  • 이성민 (1968년)
         * [[2011년]] 《[[체포왕]]》 ... 조 형사 역
         * [[2011년]] 《[[고양이: 죽음을 보는 두 개의 눈]]》 ... 비단파파 역(특별출연)
         * [[2011년]] 미쟝센 단편영화제 《[[로맨스를 원해]]》 ... 승환 역
         * [[2011년]] [[MBC]] 미니시리즈 《[[마이 프린세스]]》 ... 대통령 이영찬 역
         * [[2011년]] [[MBC]] 미니시리즈 《[[내 마음이 들리니]]》 ... 이명균(승철 부) 역
         * [[2011년]] [[KBS]] 단막극 《[[KBS 드라마 스페셜]] - 동일범》 ... 강대우 역
         * [[2011년]] [[SBS]] 미니시리즈 《[[천일의 약속]]》 ... 1회 (특별출연)
         * [[2011년]] [[KBS]] 미니시리즈 《[[브레인 (드라마)|브레인]]》 ... 천하대학교병원 신경외과 고재학 과장 역
  • 이성열 (가수)
         |[[2011년]] [[5월 16일]] ~ [[2011년]] [[11월 9일]]
         * [[2011년]] - 2011~2014 교복 [[엘리트]] 광고모델
  • 이성운 (축구선수)
         [[2011년]] [[7월]] [[안익수 (축구인)|안익수]] 감독의 부름을 받고 [[부산 아이파크]]로 이적하였다.
  • 이성종
         * [[2011년]] - 2011~2014 교복 [[엘리트]] 광고모델
  • 이세라
         |활동기간 = [[2011년]] ~ [[2019년]]
         [[분류:1987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2011년 데뷔]][[분류:대한민국의 기상 캐스터]][[분류:한국방송공사의 기상 캐스터]][[분류:동국대학교 동문]][[분류:서울특별시 출신]]
  • 이세미
         * [[2011년]] [[드라마]] 《도깨비 뚜구닥》 - 아쵸융역
  • 이세영 (희극인)
         | 데뷔일 = [[2011년]]
         [[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1989년 태어남]][[분류:대한민국의 방송인]][[분류:대한민국의 여자 희극인]][[분류:대한민국의 여자 배우]][[분류:울산광역시 출신]][[분류:덕성여자대학교 동문]][[분류:코미디빅리그]][[분류:2011년 데뷔]][[분류:개그공화국]]
  • 이세영(배우)
         [[2011년]] [[걸그룹]] [[카라(아이돌)|카라]]의 멤버 [[구하라]]와 함께 성신여자대학교에 입학한 이세영은 구하라 덕분인지 원래 받았어야 한 건진 모르겠지만 언론에게 많이 관심을 받기도 하였다. 미디어영상연기 학과에 들어간 이세영은 학업에 열중하는 모습을 보여주면서 지도교수에게 수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다고 칭찬을 받기도 했다.^^[[http://www.starnnews.com/news/index.html?no=1019|관련 기사]]^^ 일각에선 구하라와 민지원과 함께 [[성신여대]] 3대 퀸카로 불리기도 했다.
         [[2011년]] 후반기 시점부터 이세영은 '''더 이상 아역배우가 아닌 여배우로서 변화를 시도'''한다.
         ||<|2> [[2011년]] || [[채널A]] || [[총각네 야채가게(드라마)|총각네 야채가게]] || 한태인 || 조연 ||
         || [[2011년]] || [[보이프렌드]] || 내 여자 손대지 마 ||
         || [[2011년]] [[4월 1일]] || [[KBS2]] || 여유만만 || 출연자 || [* 이세영에 대한 주변인들의 얘기와 친언니와 함께 있는 이세영의 화목한 자매의 모습을 보여주었다.^^[[https://www.youtube.com/watch?v=g5fpRPCA12o|관련 영상]]^^] ||
         ||<|2> [[2011년]] || [[LG유플러스]] || LTE || ||
         ||<|2> [[2011년]] || [[성신여자대학교]] || 학생 홍보대사 ||
  • 이세은(배우)
         || [[2011년]] || [[KBS2]] || [[드라마 스페셜]] - 아내가 사라졌다 || 수진 || ||
  • 이소라 (가수)
         2001년 4월부터 2006년 4월까지 [[MBC FM4U]] 《[[FM 음악도시|이소라의 음악 도시]]》의 DJ를 맡았고, [[2008년]] 4월부터 [[2009년]] 4월까지 [[MBC FM4U]] 《[[오후의 발견]]》을 진행했다. [[2011년]] [[3월 6일]]부터 [[2011년]] [[6월 12일]]까지 [[MBC]] 《[[우리들의 일밤]]》의 코너 〈[[나는 가수다 1|나는 가수다]]〉에 출연했다. 또 [[2011년]] [[4월 26일]]부터 [[2012년]] [[8월 7일]]까지 [[KBS Joy]] 채널에서 《[[이소라의 두 번째 프로포즈]]》를 진행하였다.
         * [[MBC TV]] 《[[우리들의 일밤]] - [[나는 가수다]]》 ([[2011년]] [[3월 6일]] ~ [[2011년]] [[6월 12일]])
         * [[KBS Joy]] 《[[이소라의 두 번째 프로포즈]]》 ([[2011년]] [[4월 26일]] ~ [[2012년]] [[8월 7일]])
         |임기 = [[2011년]] [[3월 6일]] ~ [[2011년]] [[6월 12일]]
  • 이소선
         |활동기간 = 1970년 11월 13일 - 2011년 9월 3일
         '''이소선'''(李小仙, [[1929년]] [[12월 30일]] ~ [[2011년]] [[9월 3일]])은 대한민국의 [[노동운동|노동운동가]]이자 민주화 운동가이다. 1970년 11월 13일 아들인 [[전태일]]이 [[평화시장]] 노동조건 향상을 위해 활동하다 분신하자 이를 계기로 노동운동에 투신하였다. 노동운동가들을 자신의 자식처럼 대해 "노동자들의 어머니"라는 별칭을 얻었다.<ref>[http://www.hani.co.kr/arti/society/society_general/494717.html 노동자의 대모 이소선씨 별세], 한겨레, 2011년 9월 3일</ref> 민주화 운동 중에 희생된 사람들의 가족 모임인 [[전국민족민주유가족협의회]]를 만들고 초대 회장을 역임하였다.
         이소선은 80세의 고령에도 계속하여 부르는 곳이면 마다 않고 참석하였다. 그러나 부른 사람들의 귀에 듣기 좋은 소리만을 하지는 않았다. 2006년 11월 전국노동자대회에서 전태일노동상의 시상을 마치고 내려가다 다시 마이크를 붙잡고 "입으로만 노동자는 하나라고 외치면 뭐 하냐. 가장 밑바닥에서 소외받고 고통당하는 비정규직을 나 몰라라 해서 어찌 민주노총이라 할 수 있냐 …… 손잡고 싸우지 않으면 얼마 못 가 정규직도 비정규직 신세가 될 것"이라고 소리쳤고<ref>[http://www.hani.co.kr/arti/culture/book/325965.html 노동자 어머니 이소선 “지금 정규직이라고 천년만년 할것 같냐”], 한겨레, 2008년 12월 5일</ref> 늘 노동자의 하나된 단결을 강조했다. 2009년 전태일 39주기 추모식에 민주노총과 한국노총이 함께 플래카드에 이름을 올리자 이제 되었다며 무척 기뻐하였다.<ref name="연합_전순옥">[http://klsi.org/content/%EC%9D%B4%EC%86%8C%EC%84%A0-%EC%96%B4%EB%A8%B8%EB%8B%88%EC%99%80-%EB%85%B8%EB%8F%99%EC%9A%B4%EB%8F%99 이소선 어머니와 노동운동], 한국노동사회연구소</ref> 1997년 외환위기 이후 이소선은 늘 일자리 나누기와 노동시간 단축으로 위기를 고용문제를 극복하자고 주장하였다.<ref>[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1/09/03/0200000000AKR20110903057900004.HTML "이소선 여사는 따뜻한 마음의 노동운동가"], 연합뉴스, 2011년 9월 3일</ref>
         이소선은 2011년 7월 18일 심장마비로 입원하였다. 바로 그 때까지도 이소선은 [[김진숙]]의 고공농성을 지지하기 위한 [[희망버스]]를 타고 창원으로 내려가려고 하였다. 그해 1월에는 김진숙에게 보내는 영상 편지를 통해 살아서 싸워야지 죽으면 안된다고 당부하기도 하였다. 2011년 9월 3일 이소선은 결국 회복되지 못하고 별세하였다.<ref>[http://worknworld.kctu.org/news/articleView.html?idxno=240677 이소선 어머니 3일 오전 한일병원서 별세], 노동과 세계, 2011년 9월 3일</ref> 장례는 9월 7일 유가족과 노동계를 비롯한 많은 시민이 함께 하는 가운데 민주사회장으로 치러졌으며<ref>[http://nodong.org/statement/642547 노동자의 어머니 이소선 민주사회장 장례위원회], 민주노총, 2011년 9월 4일</ref> 마석 모란공원에 있는 전태일 묘소의 뒷편에 묻혔다.<ref>[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1623409 이소선, 41년 만에 아들 전태일과 함께 잠들다], 오마이뉴스, 2011년 9월 7일</ref> 이소선의 민주사회장에는 민주노총과 한국노총 모두가 장례위원으로 참여하였다.<ref>[http://labor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106263 양대 노총 “어머니 마지막 길, 노동자들이 함께”], 매일노동뉴스, 2011년 9월 6일</ref>
         국회의원이 된 딸 [[전순옥]]은 어머니를 10대에서 70대까지 누가 찾아와도 반갑게 맞이하던 따듯한 사람으로 기억하면서 스스로도 민주화 운동 시절 경찰서에서 취조 받으며 존경하는 인물을 물으면 늘 어머니라고 대답했다고 회고하였다.<ref name="연합_전순옥" /> 《가톨릭 신문》은 이소선의 삶을 아들 예수를 잃은 성모 마리아의 삶에 비견하였으며<ref>[http://www.catholic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5863 아름다운 청년, 전태일 아름다운 어머니, 이소선], 가톨릭뉴스 지금여기, 2011년
          9월 6일</ref> 노제에 참석한 [[박원순]] 당시 희망제작소 상임이사는 "이소선 어머니는 비가 오나 눈이 오나 약자들 편에 서셨다"고 추모하였다.<ref>[http://news1.kr/articles/?11109 이소선 여사 마지막 길엔 노동자들이 함께 해], 뉴스1, 2011년 9월 7일</ref>
         * 2011년 7월 18일 심장이상으로 병원 이송.
         * 2011년 9월 3일 별세.
         * [[어머니 (2011년 영화)]]
         [[분류:대한민국의 노동 운동가]][[분류:2011년 죽음]][[분류:전태일]][[분류:1929년 태어남]][[분류:대한민국의 인권 운동가]][[분류:대한민국의 사회 운동가]]
  • 이소연 (공학자)
         [[2007년]] [[2월]] SBS 명예특파원을 맡기도 했고, [[2011년]] [[1월]]부터는 출신학교인 [[한국과학기술원]](KAIST)의 겸임교수를 맡았다.
         * 2011년 1월 한국과학기술원 겸임[[교수]]
  • 이수민(2001)
         ||<bgcolor=#FF9900> {{{#ffffff '''소속사'''}}} ||<(> [[http://www.jkent.kr/pages/page_1.php|J&K엔터테인먼트]][* 2011년 설립된 매니지먼트 회사로, 2016년 현재는 이수민이 당당히 메인으로 자리 잡아있다.] ||
         [[2011년]]경 [[드라마]] 단역으로 데뷔했다. [[YTN]] • [[KFC]] • [[켈로그]] 등 각종 광고모델로도 활약했으며, 여러 드라마에서 아역과 단역을 거치며 경력을 쌓아간다.
  • 이수영
         이수영은 2010년 4월 19일부터 [[KBS 2FM]] 《[[이수영의 뮤직쇼]]》의 DJ로 활동하기 시작했다. 2003년 《감성시대》 이후 줄곧 라디오 DJ에 욕심을 내비추었던 이수영은 갈망하던 자리인만큼 열정적이고 즐겁게 진행하며 입지를 굳혀갔으며, 덕분에 《이수영의 뮤직쇼》 청취율이 방송 3사를 통틀어 상위권에 랭크되었다. 이수영은 결혼발표도 라디오를 통해 알렸다. 2010년 10월 5일, 10살 연상의 회사원 조재희씨와 결혼하였다. 결혼 후에도 《이수영의 뮤직쇼》의 DJ로 활발하게 활동하다가 2011년 2월 23일 임신을 알리는 기사가 나왔고 많은 팬과 라디오 청취자들에게 축하를 받았다. 그 후로도 DJ활동을 이어갔지만, 라디오 진행 1주년이 되기 일주일 전인 4월 10일, 태교와 출산에 전념하기 위해 하차하였다. 이후 7월 27일 아들을 출산했다. [[2012년]] [[5월 6일]]부터 이수영은 [[MBCTV|MBC]] 《[[나는 가수다 시즌2]]》를 통하여 3년만에 방송에 복귀하였다. [[2013년]] [[2월 19일]]부터는 [[SBS MTV]]에서 《더 스테이지 빅 플레저》의 MC를 맡고 있으며, [[2013년]] [[3월 28일]] 《[[클래식 : 더 리메이크 두번째]]》로 약 4년만에 앨범발매를 하였다. 그 이후에 《[[히든싱어]]》에도 출연을 하여 최종우승을 차지하기도 하였고, 《[[불후의 명곡 - 전설을 노래하다|불후의 명곡]]》에도 출연하는 등 많은 활동량을 보이고 있다.
         * [[2010년]] ~ [[2011년]] [[KBS 쿨FM]] 《[[뮤직쇼]]》
  • 이숙 (배우)
         * 《[[신기생뎐]]》 [[2011년]] - 지화자 역
  • 이순재(1935년 10월)
         정치적 성향은 전반적으로 보수이다. [[2011년]] [[10월 22일]] [[KBS 1TV]]에서 진행한 [[4대강 정비 사업]] 홍보 방송 '특별생방송 4대강 새물결맞이'에 출연하여 5분 50초간 4대강 사업을 지지하는 입장을 표명했다. '산에 나무가 무성하고 강에 물이 풍부하게 흐르면 우리 삶도 풍부해진다'라며, 4대강 사업을 '새로운 문화가 생기고 새로운 행복이 만들어지게 하는 사업'이라고 주장하였다. 한편 그는 2012년 대선에서도 박근혜를 지지했다.
  • 이승기 (축구 선수)
         * 이승기는 [[광주광역시]] 출신으로를 졸업하였다.<ref>{{뉴스 인용|제목=‘승기야~’ 광주가 키우는 스타 축구 선수 이승기|url=http://isplus.live.joinsmsn.com/news/article/article.asp?total_id=5431246&cloc=|출판사=일간스포츠|저자=김환|날짜=2011년 5월 2일}}{{깨진 링크|url=http://isplus.live.joinsmsn.com/news/article/article.asp?total_id=5431246&cloc= }}</ref>
         * [[전남대학교]] 진학 후에는 주장으로 활약하며 전국 대학 축구대회에서 6광주 11골을 넣으며 득점왕에 오르기도 하였다.<ref name="축구 선수 이승기의 무산된 K-리그 데뷔전">{{뉴스 인용|제목=축구 선수 이승기의 무산된 K-리그 데뷔전|url=http://isplus.live.joinsmsn.com/news/article/article.asp?total_id=5110194&cloc=|출판사=일간스포츠|저자=김환|날짜=2011년 2월 25일}}{{깨진 링크|url=http://isplus.live.joinsmsn.com/news/article/article.asp?total_id=5110194&cloc= }}</ref>
         * 시즌 전 [[상주 상무 축구단|상무]]와의 연습 광주에서 부상을 당해<ref name="축구 선수 이승기의 무산된 K-리그 데뷔전" /> [[K리그 2011|K리그]] 개막 후 약 한 달 후인 [[2011년]] [[4월 6일]]에서야 [[부산 아이파크]]와의 [[K리그 컵 2011|리그컵]] 광주에서 데뷔.<ref>{{뉴스 인용|제목='한지호 결승골' 부산 시즌 첫 승, 광주 1-0 제압 |url=http://osen.mt.co.kr/news/view.html?gid=G1104060412 |출판사=OSEN |저자=허종호|날짜=2011년 4월 6일}}</ref>
         * 3일 후 [[4월 9일]] [[상주 상무 축구단|상무]]와의 광주에서 K리그 데뷔전을 치렀다.<ref>{{뉴스 인용|제목=광주-상주, 득점 없이 무승부...김정우, 5G 연속골 무산 |url=http://www.sportalkorea.com/news/view.php?gisa_uniq=2011040916321827§ion_code=10&key=&field= |출판사=스포탈코리아 |저자=이경헌 |날짜=2011년 4월 9일}}</ref> 그리고 약 한 달 만인 [[5월 1일]] [[대전 시티즌]] 전에서 데뷔 골을 터뜨림<ref>{{뉴스 인용|제목=-프로축구- 광주 첫 2연승..대전 2-1 제압 |url=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7&oid=001&aid=0005041804 |출판사=연합뉴스 |저자=배진남 |날짜=2011년 5월 1일}}</ref>
         * 그는 [[K리그 2011|K리그]]에서 25광주 출장 8골 2도움을 기록하며 [[K리그 2011|2011년 K리그]] 신인상을 수상.
         * [[2011년]] [[9월 26일]], [[폴란드 축구 국가대표팀|폴란드]]와 [[아랍에미리트 축구 국가대표팀|아랍에미리트]] 전을 앞두고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성인 국가대표]]에 처음으로 발탁되었다.<ref>{{뉴스 인용|제목=손흥민 복귀…조광래호, 폴란드전·UAE전 25명 명단 발표 |url=http://www.sportalkorea.com/news/view.php?gisa_uniq=2011092609572748§ion_code=10&key=&field= |출판사=스포탈코리아 |저자=안기희 |날짜=2011년 9월 26일}}</ref>
         * 그 뒤 [[2011년]] [[11월 15일]] [[레바논 축구 국가대표팀|레바논]] 전에서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대한민국 국가대표]]로 선발출장하여,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으로 A매치에 선발 출장한 첫 번째 [[광주 FC]]의 선수가 되었다.<ref>{{뉴스 인용|url=http://starin.edaily.co.kr/news/NewsRead.edy?newsid=01469446596445720|제목=신예 이승기, 박주영 대신 레바논전 왼쪽 MF 선발|저자=이석무 기자|출판사=이데일리 스타|날짜=2011년 11월 14일}}</ref>
         |기간='''[[K리그 2011|2011년]]'''
  • 이승엽
         |마지막 경기 = [[KBO 리그|KBO]] / [[2017년]] [[10월 3일]] <br /> [[대구삼성라이온즈파크|대구]] 대 [[넥센 히어로즈|넥센]]전 <br /> [[일본 야구 기구|NPB]] / [[2011년]] [[10월 18일]] <br /> [[오사카 돔]] 대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스|세이부]]전
         * [[오릭스 버펄로스]] (2011년)
         ===== 2011년 =====
         [[2011년]] [[10월 21일]] 기자 회견을 열어 8년 간의 일본 생활을 정리한다는 의사를 밝히고 영구 귀국했다.<ref>{{뉴스 인용|제목='국내 복귀' 이승엽, 日서 기자회견 '굿바이, 오릭스'|url=http://news.sportsseoul.com/read/baseball/979943.htm|출판사=스포츠서울|날짜=2011-10-21|확인날짜=2012-11-26|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131007070317/http://news.sportsseoul.com/read/baseball/979943.htm#|보존날짜=2013-10-07|깨진링크=예}}</ref> 이후 자녀 교육을 위해 서울로 이사했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7&oid=076&aid=0002218871 이승엽, 와이프에게 어쩔 수 없는 경상도 남자인가 보다] - 스포츠조선</ref> [[2011년]] [[12월 5일]] 연봉 8억원, 플러스 옵션 3억원에 계약을 체결하며 복귀했다.
         * '3' (2011년, [[오릭스 버펄로스]])
         |style="text-align: center;"|[[2011년|2011]]
  • 이승현 (1985년 7월)
         |국가대표팀 최신 업데이트 날짜=[[2011년]] [[6월 4일]]
         2011년 1월 11일, [[정성훈 (1979년)|정성훈]]과 함께 [[전북 현대 모터스]]로 이적하였다.<ref>{{뉴스 인용 |제목=전북-부산, 2대2 트레이드…정성훈, 이승현 전북행 |url=http://sports.media.daum.net/soccer/news/breaking/cluster_view.html?newsid=20110111101107782&clusterid=267505&clusternewsid=20110111115209319&p=sportalkr |출판사=스포탈코리아 |date={{날짜한글화|2011-1-11}} }}</ref>
         * [[2006년]] ~ [[2011년]] {{국기그림|대한민국}} [[부산 아이파크]]
         * [[2011년]] ~ [[2015년]] {{국기그림|대한민국}} [[전북 현대 모터스]]
  • 이아현
         * [[2011년]] [[MBC]] 주말연속극 《[[반짝반짝 빛나는]]》 ... 황태란 역
         * [[2011년]] [[CGV]] TV영화 《[[TV 방자전]]》 ... 월매 역
         * [[2011년]] [[채널A]] 미니시리즈 《[[컬러 오브 우먼]]》 ... 오미래 역
         * [[2011년]] [[SBS]] 《[[김연아의 키스 & 크라이]]》
         * [[2011년]] [[스토리온]] 《엄마, 영어에 미치다 시즌2》 MC
         * [[2011년]] [[MBC]] 《코이카의 꿈》
  • 이여상
         [[2011년]]에는 [[송광민]]을 6월에 [[공익근무요원]]으로 대체 복무시켰고, 일본에서 복귀한 [[이범호]]가 [[KIA 타이거즈]]로 이적해 구단이 팬들의 질타를 받았다. 그리고 [[한상훈 (야구인)|한상훈]]도 [[공익근무요원]] 소집이 해제돼 2루수로 복귀했다. 원래 3루수를 맡기려 했던 [[정원석]]마저도 어깨가 약해 마땅한 3루수를 구하지 못하자 그에게 3루를 맡겼다. 이 해 처음으로 100경기 이상을 소화했다. 그는 3루에서 비교적 안정적인 수비를 보여줬고 타격도 원래의 기대치를 뛰어넘으며 주전 3루수로 많이 출장했다.
         [[2008년]] [[8월 3일]] [[2008년 하계 올림픽|베이징 올림픽]] 브레이크로 인해 휴식차 한화 팀 동료인 외야수 [[연경흠]]과 함께 고향인 부산의 [[해운대해수욕장]]에 갔다. 그 때 [[KBS 뉴스 9]]에서 인터뷰를 했는데, 인터뷰 자막에 자신의 이름이 '이영상'으로 잘못 나왔다. 그 화면이 나온 이후, [[한화 이글스]] 팬들은 그에게 '대전시 [[용전동 (대전)|용전동]] 이영상 씨'라는 별명을 붙여줬다([[대전광역시]] [[동구 (대전광역시)|동구]] [[용전동 (대전)|용전동]]은 [[한화 이글스]]의 사무실과 숙소가 있는 곳이다).<ref>[http://osen.mt.co.kr/news/view.html?gid=G0809120015 '무명' 이여상, 존재감 알린 데뷔 첫 홈런] - OSEN</ref> 당초 이 인터뷰가 알려진 후 옆에 있던 여성이 '헌팅녀', '여자 친구'라는 말이 많았으나 [[2011년]] 8월 그의 결혼 발표가 나오며 그의 팬이었던 여자 친구로 밝혀졌다. [[2011년]] [[12월 7일]]에 결혼했다. 결혼식을 했던 예식장 역시 [[용전동 (대전)|용전동]] 소재였다.
  • 이연수(배우)
         || [[2011년]] || [[KBS]] || 영도다리를 건너다 || 나혜수 役 || [* 설 특집으로 편성된 단막극이었으며 극중에서 [[정진영(배우)|정진영]]의 첫 사랑으로 나왔다.] ||
         || [[2011년]] || [[KBS]] || [[산 너머 남촌에는(드라마)]] || 유리 役 || 166화 <바람부는날엔> 특별출연 ||
  • 이연희(배우)
         (2011년 드라마 <파라다이스 목장>에서 이연희가 부른 --그 유명한 귀염터지는 발걸음과 말투와-- 콧노래.[* [[존박]]이 [[방송의 적]]에서 했던 [[https://www.youtube.com/watch?v=eMTTt3Hxblw|니나니뇨]]의 원본(...)이다. 사실, 여기서는 [[최강창민]]도 발연기에 한몫했는데 이연희의 발연기 때문에 그냥 묻혀버렸다. 그래서 반응이 "누가누가 더 발연기 하냐?"였다. '''그러나 아이러니하게도 이 부분만큼은 연기를 비롯해서 대사 전달이 그럭저럭 자연스럽다. 그래서 최강창민이 더 연기를 못했다는 의견도 많다.''' ])
         2011년에 [[동방신기]]의 [[최강창민]]이 남주연을 맡은 드라마 '파라다이스 목장'에서 여주인공 역을 맡았다. 그런데 애초에 감독과 작가가 이름난 사람들도 아니고 최강창민이나 이연희가 무슨 [[송강호]], [[전도연]]급도 아니고 소재 자체도 어디서 본 거 같은 소재인지라 [[공중파]] 3사 어느곳에서도 편성을 받지 못했다. SM이 강하다는 건 어디까지나 가요계에서 강하다는 거지 드라마 쪽에선 힘을 못 쓴다. SM 출신 아이돌 배우들이 나온 드라마들은 작품성이나 흥행 결과나 시원찮아서 드라마 덕후들에게도 기피대상.
         원래 편성 받은 뒤 방송이 나가면서 계속 촬영하려고 한 드라마이나 공중파에서 죄다 외면하는 바람에 본의 아니게 100% 사전제작 된 작품이다. 케이블에서나 틀어줘도 다행이 될 뻔 했는데 SM 프렌들리 방송국 [[SBS]]에서 편성이 잡혔다. 마지막 방송인 2011년 03월 15일 AGB닐슨 기준 8.4%.2011년 초에 한자릿수면 결코 좋은 시청률이 아니다. 하지만 이 드라마는 골든타임인 10시가 아닌 9시에 방영된 드라마이며, 무려 KBS의 9시 뉴스가 경쟁작이 만큼 10시타임 드라마와 시청률을 비교하는 것은 무리. 8.4%의 시청률은 그 시간대에 방영한 드라마로선 안정적인 시청률을 기록한 것이 맞다.
         || [[2011년]] || [[마이웨이]] || 은수 || 특별출연 ||
         || 2011년 || SBS || [[파라다이스 목장]] || 이다지 || ||
          * SBS 《강심장》 61회 게스트 (2011년 1월 25일)
          * SBS 《강심장》 62회 게스트 (2011년 2월 1일)
          * SBS 《일요일이 좋다 - 런닝맨》 61회 게스트 (2011년 9월 18일)
          * SBS 《일요일이 좋다 - 런닝맨》 62회 게스트 (2011년 9월 25일)
          * 2011년~2013년 아웃도어 《노스페이스》
          * 2011년 맥주 《하이트진로 하이트맥주》
          * 2011년 커피 《서울우유 "도토루"》
          * 2011년 여성복 《인디에프 "조이너스"》
  • 이영범
         * [[2011년]] 《[[위험한 상견례]]》 ... [[박남정]] 매니저 역
  • 이영수 (야구인)
         * [[KIA 타이거즈]] (2005년 ~ 2011년)
         팬들의 바람에도 불구하고 1군에서 모습을 잘 보이지 못했으며 1군에서는 외야수나 대타로 간간히 모습을 드러냈다. 2011 시즌에는 부상으로 1군과 2군에 모습을 보이지 못한 채 재활군(3군)에서 시즌을 마쳤고 결국 [[2011년]] 시즌 후 보류 선수 명단에서 제외되면서 방출됐다.
  • 이영욱 (1980년)
         [[홍익대학교]]를 졸업하고 [[2003년]]에 입단했다. [[2004년]]까지만 해도 2군을 벗어나지 못했으나 본격적으로 1군에 올라온 [[2005년]]에 64.2이닝동안 1승 1홀드, 2점대 평균자책점을 기록하면서 주전 중간 계투 자리를 굳히고, [[2007년]]에는 투수 조장에 발탁됐다. [[2008년]] 시즌 후 공익근무요원으로 입대하여 [[2011년]]에 복귀했다.
  • 이예린 (1974년)
         * [[2011년]] [[SBS (대한민국의 방송사)|SBS]] 《[[강심장]]》
         * [[2011년]] [[문화방송|MBC]] 《[[세상을 바꾸는 퀴즈|세바퀴]]》
  • 이완 (1984년)
         * 《[[행군 시즌 1]]》 ([[국군방송]]) ([[2011년]]) - 공혁 상병 역
  • 이외수(소설가)
         장외인간을 펴낸 이후로 6년간 에세이나 아포리즘집만 펴내다가 2011년 이금희의 특별한 만남 방송을 통해 신작을 집필중, 그리고 그리고 마지막으로 써낼 5권의 장편소설 역시 기획중이라고 시사했다.
         이외수는 인터넷이 대중적으로 갓 보급되는 여명기부터 [[개인 홈페이지]] [[http://www.oisoo.co.kr/|OISOO]]를 개설하고 방문객과 활발하게 소통했다. [[싸이월드]]가 뜨니까 [[http://minihp.cyworld.com/pims/main/pims_main.asp?tid=16154918|미니홈피]] 또한 개설했으며 [[트위터]]가 뜨니까 과연 [[http://twitter.com/oisoo|트위터]] 역시도 재깍 만들어서 단박에 수많은 팔로워를 보유한 인기 트위터리언이 되었다.[* 2011년 11월 3일 오후 3시 42분에 트위터 팔로워가 100만명을 돌파했다. [[http://twitpic.com/7a83aj|이외수가 직접 캡쳐한 인증샷]].] [[환갑]]이 넘은 [[나이]]가 무색하게 인터넷의 각종 변화와 새로이 보급되는 문물에 대한 적응이 대단히 빠르다.[* 앞의 말이 반은 맞고 반은 틀린것이 이외수는 항상 앞서나갔다. 국내에 SNS가 별로 흥하지 않던 시절에 플레이톡, 미투데이도 활용하였고 트위터도 지금처럼 페이스북 트위터가 양분하기 되기 한참 전부터 이용하였다.]
         [[2011년]] [[셧다운]]제도를 신랄하게 깠다. 트위터에서 몇번 의견을 피력하였고 [[온게임넷]] [[켠김에 왕까지]]의 출연 에피소드에서는 초기 취재진과의 대담에서도 역시 [[셧다운]]제를 신랄하게 깠다.
  • 이우민 (야구선수)
         [[2001년]]에 2차 2라운드 지명을 받아 입단하였다. [[2001년]] ~ [[2006년]]까지 주로 백업과 2군에서 많이 활동했다. [[2007년]]은 그의 커리어 하이 시즌으로 처음이자 마지막으로 3할 타율을 기록했다. [[2008년]] 이후에는 여러 차례 기회를 얻었으나 활약이 미미했고, [[2011년]]에는 개막전 시작부터 5월 24일까지 무안타를 기록했다. 이후 2군에 갔다온 뒤 5월 29일에 [[유동훈 (야구인)|유동훈]]을 상대로 시즌 첫 안타를 기록했다. 이 시즌 타율은 1할대였다. 이후 매 시즌마다 타격 능력이 안 좋았고, 찬스를 무산시켜 백업 및 2군에서 선수 생활을 했다.
  • 이우석(배우)
         * 《[[근초고왕 (드라마)|근초고왕]]》 [[KBS]] ([[2010년]] [[11월 6일]] ~ [[2011년]] [[5월 29일]]) ... 백제 왕궁 내시 역
         * 《[[광개토태왕 (드라마)|광개토태왕]]》 [[KBS]] ([[2011년]] [[6월 4일]] ~ [[2012년]] [[4월 29일]]) ... 고진 역
  • 이원종(1966)
         ||<|2> [[2011년]] || [[나는 아빠다]] || 장기밀매 의사 || 우정출연 ||
         ||<|5> [[2011년]] || [[KBS2]] || [[드라마 스페셜]] - 터미널 || 클리너 || ||
  • 이유리(배우)
         2011년 MBC 주말드라마 《[[반짝반짝 빛나는]]》 '황금란'으로 본격적으로 독보적인 악녀연기의 신호탄을 쏘아 올린다. 사실 깍쟁이 같은 이미지의 캐릭터는 종종 맡은 적이 있어도 본격적인 악녀 연기는 2002년 《러빙유》이후 9년만이었다. 극 중 부잣집 막내딸로 태어났지만 운명의 장난으로 인해 산부인과에서 부모가 뒤바뀌는 바람에 가난하기 그지 없는 집안의 둘째딸로 살아가던 중 출생의 비밀을 알게 되고 자신과 운명이 뒤바뀐 '정원([[김현주]])'과 라이벌 구도를 형성하며 정원을 향해 열등감과 분노를 표출하는 인물로 열연해 강렬한 존재감을 드러냈다. 출생의 밝혀지기 전 초라한 모습과 정반대로 부잣집에 입성하면서 매 회 화려한 스타일을 선보였다. 드라마의 성공과 함께 이유리도 큰 주목을 받았으며 이 작품으로 MBC 연기대상에서 우수상을 수상한다.
         ||<|2> 2011년 || MBC || [[반짝반짝 빛나는(드라마)|반짝반짝 빛나는]] || 황금란 || ||
         || 2011년 4월 23일 || QTV || 수미옥 || ||
         || [[2011년]]~[[2013년]] || [[농심그룹]] || [[안성탕면]](with.[[강부자]], [[이상윤(배우)|이상윤]]) || [[https://youtu.be/1Nhjeg_3swY|1편]][[https://youtu.be/Sj7pujq7PRw|2편]] ||
         ||<|2> [[2011년]] || [[MBC 연기대상]] || 연속극 부문 여자 우수상 ||<|2> 반짝반짝 빛나는 || ||
  • 이윤열
         * [[2011년]] 소니 에릭슨 GSL Jan. Code S 8강
         * 2011년 2세대 인텔® 코어™ GSL Mar. Code S 8강
         * 2011년 LG 시네마 3D GSL 월드 챔피언십 16강
         * 2011년 LG 시네마 3D GSL May. Code S 4강
         * 2011년 LG 시네마 3D, 인텔코리아 슈퍼 토너먼트 16강
         * 2011년 PEPSI GSL July Code S 16강
         * 2011년 PEPSI GSL Aug. Code S 16강
         * 2011년 MLG Raleigh 4위
         * 2011년 소니 에릭슨 GSL Oct. Code S 32강
         * 2011년 소니 에릭슨 GSL Nov. Code S 32강
         * 2011년 2011 MLG Pro Circuit Raleigh 4위
  • 이윤지
         * [[2011년]] [[KBS2]] 월화드라마 《[[드림하이|드림 하이]]》 ... 시경진 역
         * [[2011년]] [[KBS2]] 단막극 《[[KBS 드라마 스페셜]] - 터미널》 ... 지연수 역
         * [[2011년]] 《[[커플즈]]》 ... 애연 역
         * [[2011년]] 《에피소드 X3》 ... 레이 역
         * [[2011년]] : [[동아TV]] 《스타 도네이션 프로젝트 이윤지의 쇼콜라티에》
         * [[2011년]] 《[[커플즈]]》 OST - 빛나라 우리 사랑아 ([[공형진]] & [[김주혁]] & [[이시영 (배우)|이시영]] & [[오정세]] & 이윤지)
         * [[2011년]] 제7회 [[제천국제음악영화제]] 홍보대사
  • 이은규 (연출가)
         |align="left"|[[2011년]]
  • 이일민
         * [[2011년]] [[KBS2]] 주말연속극 《[[사랑을 믿어요]]》 ... 고영수 역
         * [[2011년]] 《[[웨스트 사이드 스토리]]》
  • 이일화
         * [[2011년]] [[SBS]] 미니시리즈 《[[마이더스 (드라마)|마이더스]]》 ... 강인숙 역
         * [[2011년]] [[KBS2]] [[장애인의 날]]특집극 《그대로도 괜찮아》 ... 김 선생님 역
         * [[2011년]] [[OCN]] 미니시리즈 《[[신의 퀴즈 2|신의 퀴즈 시즌 2]]》〈5화 사이코패스의 정의〉 ... 황규리 역
         * [[2011년]] [[MBC]] 미니시리즈 《[[넌 내게 반했어]]》 ... 송지영 역
  • 이장섭
         * [[2011년]] [[7월 4일]] ~ [[2012년]] [[5월]] [[대한민국 국회|국회]] 정책연구위원회 위원<ref name="ssss">[http://www.cbi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75898 충북 첫 국회 2급 비서관 탄생:이장섭 노영민 의원 보좌관 국회정책연구위원]</ref>
         * [[2011년]] 겸 [[노영민]] [[민주당]] 원내수석부대표의 정무 특보<ref name="ssss"/>
  • 이장우(배우)
         [[2010년]] [[KBS 1TV]] [[웃어라 동해야]]의 ~~박스 맞은 애[* [[https://www.youtube.com/watch?v=pgQDpvdi4BI|참조]].], [[쿠사카 마사토]], 악당~~ [[김도진(웃어라 동해야)|김도진]] 역으로 출연하면서 더 유명해졌다. 후에 [[2011년]]에 [[인지도]]가 본격적으로 많이 높아지면서 [[우리 결혼했어요]]에도 출연하기 시작했으며, [[2012년]] [[1월 6일]]부터 [[2013년]] [[3월 29일]]까지 [[애프터스쿨]]의 [[유이(배우)|유이]]와 함께 [[KBS 2TV]] [[뮤직뱅크]] [[MC]]를 맡았었다. [[2013년]] [[4월 5일]]엔 [[본인]]도 MC 자리에서 하차했다. --5년 후 두 사람은 드라마로 재회합니다.--
         || [[2010년]]~[[2011년]] || [[KBS2]] || [[웃어라 동해야]] || [[김도진(웃어라 동해야)|김도진]] || ||
         ||<|2> [[2011년]] ||<|2> [[KBS2]] || [[드라마 스페셜]] - 휴먼카지노 || 이재성 || ||
         || 2010년~2011년 || KBS2 || [[뮤직뱅크]] || MC || ||
         ||<|2> [[2011년]] || [[환희(플라이 투 더 스카이)|환희]] || 죽을 것만 같아 ||
         || 2011년 || [[KBS 연기대상]] || 남자 신인상 || [[영광의 재인]] ||
  • 이재호 (프로게이머)
         [[2005년]]부터 프로게이머 활동을 시작하였으며, [[2006년]]에 상반기 드래프트에서 POS(현 MBC게임 히어로)의 1차 지명으로 입단하여 프로리그와 개인리그에서 활약하였고 [[2011년]] [[2월 28일]]자로 웅진 스타즈로 소속팀을 옮겼다. 소속팀을 웅진으로 옮긴 이후 웅진의 주장 자리를 맡았다. 저그전은 매우 강했으나, 테란전과 프로토스전은 많이 약했다.
         * [[2011년]] [[4월]] ABC마트 MSL 2011 16강
         * [[2011년]] [[12월]] 2011 대한민국 e스포츠대상 우정상
  • 이재황(배우)
         || [[2010년]]~[[2011년]] || [[SBS]] || [[웃어요 엄마]] || 신머루 || ||
         ||<|3> [[2011년]] || 02월 10일 || [[문화방송|MBC]] || [[일밤]] [[뜨거운 형제들]] [[아바타]] || 게스트 || 1098회 ||
         || 2011년 || 제3회 Asia 주얼리 어워드 || 사파이어상 || ||
          * 2011년엔 《일밤- 뜨거운 형제들 아바타》에 출연해 《[[선덕여왕]]》에 나왔던 사람이냐며 굴욕을 당했다. 이재황은 《선덕여왕》 방송될 때 그 높은 시청률로 인해 동시간대 시청률 사망을 경험했었던 작품[* 《공주가 돌아왔다》]의 출연자였다.
  • 이정민 (1977년)
         * 《[[MBC 뉴스데스크]]》 평일 ([[2009년]] [[4월 27일]] ~ [[2011년]] [[4월 6일]])
         * 《[[여성토론 위드]]》 ([[2011년]] [[11월 28일]] ~ [[2013년]])
  • 이정호 (1982년)
         * [[대구상원고등학교]] 야구부 코치 (2010년 ~ 2011년)
         이후 잠시 모교인 [[대구상원고등학교]] 야구부의 투수코치로 생활을 이어가다가, [[2011년]] 말 독립 야구단 [[고양 원더스]]의 프런트로 입사하였다. 프런트로 꾸준히 활동하던 중 [[2014년]] [[9월 11일]] 구단주의 요구를 들어주지 않는 KBO에 의해 구단 해체를 선언한 후, 그 날 프런트직에서 물러났다.
  • 이정훈 (1977년)
         * [[넥센 히어로즈]] (2011년 ~ 2016년)
         시즌 초 4월 ~ 5월에는 매우 좋은 모습을 보였다. [[4월 28일]]에 [[한화 이글스]]를 상대로 1 1/3이닝을 무실점으로 막아 내며 시즌 첫 승과 동시에 팀의 4연승을 이어 나가는 데 도움을 주었다.<ref>[http://joynews.inews24.com/php/news_view.php?g_menu=702100&g_serial=569595&rrf=nv '김민성 결승타' 넥센, 시즌 첫 4연승…한화 5연패 수렁] - 《조이뉴스24》, 2011년 4월 28일</ref> [[5월 12일]] [[롯데 자이언츠]]와의 경기 이후 컨디션 난조로 2군에 내려가게 되었는데, 이후 1군에 복귀한 [[5월 29일]]에 [[LG 트윈스]]와의 경기에서 1 2/3동안 투구하여 시즌 2승을 거두었다.<ref>[http://joynews.inews24.com/php/news_view.php?g_menu=702100&g_serial=577695&rrf=nv '2승째' 이정훈, "최고의 컨디션 찾아 가고 있는 중"] - 《조이뉴스24》, 2011년 5월 29일</ref> 그러나 그 이후 등판시마다 실점하는 모습을 보였다. 특히 [[6월 7일]] ~ [[6월 9일]] 열린 [[SK 와이번스]]와의 3연전에서 3경기 모두 등판하여 최악의 투구 내용을 보였으며, 이후 다시 2군으로 강등되었다. 이 때까지 총 24 1/3이닝을 투구하여 5.55의 평균 자책점을 기록하였다. 7월에는 1군 마운드를 밟지 못하였으며, 2달 가까이 지난 [[8월 3일]]에야 1군 마운드를 다시 밟을 수 있었다. [[8월 3일]] 이후부터 시즌이 끝날 때 까지 등판한 25경기에서는 2.25의 평균 자책점을 기록하여 시즌 평균자책점을 3점대로 낮추었다. 이정훈은 [[2011년]] 시즌, 52 1/3이닝을 투구하는 동안 단 1개의 피홈런만 허용하였는데, 그 홈런은 [[5월 12일]] [[사직야구장|사직]]에서 열린 친정 팀 [[롯데 자이언츠]]와의 경기에서 이전 팀 동료인 [[강민호]]에게 맞은 솔로 홈런이다.
         |style="text-align:center"|[[2011년]]
  • 이제니 (시인)
         [[2008년]] 《[[경향신문]]》 신춘문예에 〈페루〉가 당선되어 작품 활동을 시작했다. [[2011년]] 제21회 「[[편운문학상]]」(우수상)에 당선되었다. 텍스트 실험집단 루 동인으로 활동하고 있다.
         * 2011년 제21회 「[[편운문학상]]」(우수상)
  • 이종구 (성우)
         * [[2011년]] [[KBS 드라마 스페셜]] 《[[휴먼카지노]]》 ... 한회장 역
         * [[2011년]] [[SBS]] 《[[인수대비 (드라마)|인수대비]]》 ... [[황수신]] 역
         * [[2011년]] 《[[고양이: 죽음을 부르 두 개의 눈]]》 - 요양원 의사 역
         * [[2011년]] 《[[너는 펫 (영화)|너는 펫]]》 - 지은 부 역
         * [[2011년]] 《[[카운트다운 (2011년 영화)|카운트다운]]》 - 원로 의사 역
  • 이종남(배우)
         * [[2011년]] [[SBS]] 주말특별기획 《[[신기생뎐 (드라마)|신기생뎐]]》 ... 장주희 역
  • 이종범
         |마지막 경기 = [[KBO 리그|KBO]] / [[2011년]] [[10월 12일]]<br />[[광주무등경기장 야구장|광주]] 대 [[SK 와이번스|SK]]전 <br /> [[일본 야구 기구|NPB]] / [[2001년]]
         * [[KIA 타이거즈]] (2001년 ~ 2011년)
         |style="text-align: center;"|[[2011년 한국프로야구|2011]]
  • 이종빈 (레이싱모델)
         * [[2011년]] - G-star 레드파이브 모델
         * [[2011년]] - 서울오토살롱 Car&Model 모델
         * [[2011년]] - 서울모터쇼 폭스바겐 모델
  • 이종석 (1989년)
         * [[2011년]] ~ [[2015년]] [[건국대학교]] 예술디자인대학 영화예술학과 학사
         배우 활동을 하면서 틈틈이 시험을 준비해 2011년 [[건국대학교]] 예술학부 영화전공 정시에 합격하여 늦깎이 대학생으로 입학했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6&oid=081&aid=0002159065 11학번 연예인 주목…구혜선·이종석·서우 ‘늦깎이’ 대학생들] 서울신문 2011-02-08</ref> 이후 [[MBC]]《[[하이킥! 짧은 다리의 역습]]》, [[대한민국 영화|영화]] 《[[코리아 (영화)|코리아]]》, [[KBS 2TV|KBS2]] 단막극 《[[KBS 드라마 스페셜]] : 내가 가장 예뻤을 때》등 다양한 장르의 작품들을 거치며 배우로서의 입지를 꾸준히 넓혔다.
  • 이종원 (1969년)
         * [[2011년]] [[문화방송|MBC]] 창사특별기획 《[[빛과 그림자 (2011년 드라마)|빛과 그림자]]》 ... 조명국 역
  • 이종혁 (배우)
         * [[2011년]] 《[[푸른소금]]》 - 백경민 역
         * [[2011년]] [[KBS2]] 단막극 《[[KBS 드라마 스페셜]] - 영덕우먼스 씨름단》 - 박주영 (박복구) 역
         * [[2011년]] [[KBS2]] 미니시리즈 《[[강력반 (2011년 드라마)|강력반]]》 - 정일도 역
         * [[2011년]] 《[[미녀는 괴로워 (뮤지컬)|미녀는 괴로워]]》 - 한상준 역
  • 이주실
         * [[2011년]] [[SBS (대한민국의 방송사) |SBS]] 드라마스페셜 《[[49일]]》 ... 민호 모
         * [[2011년]] [[KBS 2TV|KBS2]] 미니시리즈 《[[포세이돈 (드라마)|포세이돈]]》 ... 차명주 역
         * [[2011년]] [[채널A]] 주말연속극 《[[천상의 화원 곰배령]]》 ... 소팔복 역
  • 이지 (1986년)
         * [[2011년]] 《[[퀵 (영화)|퀵]]》 ... 춘심동창 2 역
         * [[2011년]] 《코요테 어글리》 ... 미아 역
  • 이지민 (레이싱모델)
         * [[2011년]] - 서울모터쇼 레이싱모델
  • 이지아
         | 사진설명 = 2011년 당시 이지아.
         2007년 [[문화방송|MBC]] 드라마 《[[태왕사신기]]》의 수지니 역을 통해 공식 데뷔했다. 2008년 화제의 드라마 [[문화방송|MBC]] 《[[베토벤 바이러스]]》에서 두루미 역을 맡아 연기를 하였으며, 2009년 [[서울방송|SBS]] 드라마 《[[스타일 (드라마)|스타일]]》에서는 이서정 역을, 영화 부분에서는 한일 합작 텔레시네마 2009년 《[[내 눈에 콩깍지]]》에 출연해 왕소중 역을 연기 했다. 2010년 [[서울방송|SBS]] 드라마 《[[아테나: 전쟁의 여신]]》에서는 한재희 역으로 출연하였다. 그리고 2011년 《[[나도, 꽃!]]》에 차봉선 역으로 출연하였고, 2013년에는 《[[세 번 결혼하는 여자]]》에 오은수 역으로 출연 했다. 2016년 스크린 데뷔작인 《[[무수단 (영화)|무수단]]》에 신유화 [[중위]] 역으로 출연하였다.<ref>[http://entertain.naver.com/read?oid=108&aid=0002504065 이지아 "'무수단' 스크린 데뷔작..특별하고 남다르다"] - 네이버뉴스</ref>
         |align="center"| [[2011년]]
         * [[2011년]] 《[[아테나: 더 무비]]》 - 한재희 역
  • 이지아(배우)
         스캔들 5개월 후 [[2011년]] [[문화방송|MBC]] 드라마 [[나도 꽃]]의 여주인공 순경 차봉선 역을 맡았다. 아래 후술된 스캔들의 여파를 고려하면 생각보다 빨리 현장에 복귀한 셈이다. 이때까지 드라마에서 이지아와 함께 출연한 배우는 배용준-김명민-김혜수-정우성으로 죄다 연기대상 수상자이고 정우성 또한 둘째가라면 서러울 정도의 미남 배우로 이름을 알렸었다. [* 다만 정우성과 출연할 당시엔 드라마의 메인 히로인은 아니었다.] 하지만 상대역은 [[윤시윤]]. 다행인지 불행인지 경쟁작인 [[뿌리깊은 나무]]의 임팩트가 워낙 독보적이라서 예상보다 그렇게 화제를 모으진 못했다. 배우의 연기나 드라마 자체는 그럭저럭 입소문이 나쁘지 않은 편이었으나 [[영광의 재인]]과 [[뿌리깊은 나무]]와의 경쟁에서 시청률 참패를 당하면서 조기 종영되었다.
         2011년 12월 19일 이지아의 집안이 육영사업을 하던 재력가이며 '''덕망 있는 명문가'''라는 [[언플]] 기사가 떴다. [[정대철]] 당시 민주당 상임 고문은 이지아의 조부가 재력은 물론 남다른 인품의 소유자였고 자손인 이지아 부친에 이어 이지아 역시 유복하고 뼈대 있는 가정환경 속에서 바르게 자랄 수 있었다고 인터뷰했다.
         2011년 3월 20일 마침내 열애설이 공식 인정되면서 [[정우성]]을 남자친구로 둔 인생의 승리자가 되었다. 결혼까지 가면 레알 승리 입증. [[장동건]]을 잃은 데 이어 여성들은 뒷목잡고 쓰러졌다.
         2011년 4월 21일 [[서태지]]와 비밀 결혼했다가 이혼 후 위자료 및 재산분할 청구 소송을 걸었다는 사실이 <[[스포츠서울]]>을 통해 [[http://m.entertain.naver.com/read?oid=001&aid=0005025394|보도]]되었다. 대한민국은 연예계 소식으로 완전히 뒤집혔다. 어느 정도였냐면 당일 KBS 9시 뉴스에 나왔고, 다음 날 조선일보 2면을 가득 채우는 위엄을 달성.
         신문에서 나온 이야기로는, 서태지와 아이들이 93년 미국 공연에서 이지아의 언니 소개로 인해 두 사람은 처음 서로를 알게 되었고, 그 후 편지를 주고 받다가 96년 서태지와 아이들 해체 후 미국으로 건너 간 서태지는 이지아와 재회하고 97년 결혼. 당시 혼인신고에서는 서태지의 본명인 정현철과, 이지아의 본명이었던 김상은으로 나와 있었다. [[서태지]]와 부부로 산지가 2년 7개월, 이후 별거에 들어갔다. 2000년에 서태지 복귀 후 2006년에 이지아 측에서 홀로 이혼소장을 캘리포니아 법원에 냈다.. 그러므로 2011년에 낸 소송은 이혼소송이 아니라 위자료 청구소송.
         2011년에 했던 소송은 이혼소송이 아닌 위자료 및 재산 분할소송으로 이지아는 국내법에 따라 2009년 이혼 성립을 주장, 서태지는 미국법에 따라 2006년 이혼이 성립되었다고 주장했다.. 이지아측 발표에 따르면, 이지아가 만 15세 때(1993년) 팬과 스타의 만남으로 서태지와 만난 인연을 가지고 있었으며 서태지가 은퇴 후 미국으로 건너갔을 때 미국에서 서태지를 만나 친언니의 증인참석으로 결혼에 골인한다. 어쨌든 그녀와 연관성이 짙은 남자만 해도 [[서태지|한국 굴지의 대중 뮤지션]], [[배용준|전설적인 한류 탤런트이자 사업가]], [[정우성|연예계에서 둘째 가라면 서러울 미남 배우]]이다.
         [[2011년]] [[4월 24일]] 기사에서 이지아가 정우성에게 사과했다는 측근의 이야기가 보도되었다.[[http://media.daum.net/entertain/enews/view?newsid=20110424090316739|#]]
         [[2011년]] [[6월 9일]], 결국 정우성은 이지아와 결별하였다.[[http://m.entertain.naver.com/read?oid=311&aid=0000073509|#]]
         || 2011년 || 아테나:더 무비 || [[한재희(아테나:전쟁의 여신)|한재희]] || [* 드라마 <아테나 - 전쟁의 여신>의 극장판이다. [[아이리스(단체)|아이리스]] 시리즈는 모두 드라마 종영 후, 압축된 버전의 영화가 제작되었다.] ||
         || 2011년 || MBC || [[나도 꽃]] || 차봉선 || ||
  • 이창동
         * 제64회 [[칸 영화제]] 비평가주간 심사위원장([[2011년]])
         * 2011년 제5회 [[아시안 필름 어워드]] 각본상
         * 2011년 제5회 [[아시안 필름 어워드]] 감독상
         * 2011년 제25회 프리부르 국제영화제 금시선상
         * 2011년 제25회 프리부르 국제영화제 비평가상
         * 2011년 제47회 [[백상예술대상]] 영화부문 감독상
         * 2011년 미국 시카고 트리뷴 최고의 영화상
  • 이창훈 (1966년)
         * [[2011년]] SBS 《[[당신이 잠든사이]]》 ... 채혁진 역
         * [[2011년]] [[케이지에셋]] 매직스탁론
  • 이창훈 (1985년)
         * [[2011년]] [[장애인문화진흥회]] [[2011년]]을 빛낸 장애문화예술인
  • 이켠
         * [[2011년]] : [[KBS 2TV|KBS2]] 《[[스파이 명월]]》 - 이대강 역
  • 이태곤(배우)
         1살 연하의 연기자 오승현을 [[임예진]]의 소개로 만나 열애 중이었으나, [[2011년]] [[5월]] 결별을 인정했다. 그리고 오승현은 [[2016년]] 1살 연하남과 결혼했다.
         [[문화방송|MBC]]의 일일 드라마 [[황금 물고기]]에서 다시 주연을 맡았지만, 역시나 발연기의 수렁에서 벗어나지 못한지라 대차게 까였다. 당시 [[디시인사이드]]의 MBC 드라마 갤러리에서는 황금 물고기의 방영시간을 '왕모타임'으로 지칭하며 모두가 한마음이 되어 왕모의 발연기를 깠다고 한다.(…) 여기에서 우리는 그가 데뷔한 지 6년이 지났음에도 불구하고 시청자들이 그를 본명을 알지 못하며 여전히 왕모라고 부른다는 안습한 사실을 알 수 있다. 애초에 CF모델 출신인지라 제대로 연기를 배운 경험이 없고[* 무릎팍도사에 출연했을 때 첫 드라마 촬영 이야기를 들으면 '''촬영감독이 얼마나 속이 터졌을지 알 수 있다.'''(...)] 중년 주부층에게 인기가 좋다고 하지만 젊은 층의 반응은 인터넷 검색만 해도(...) 차라리 차근차근 연기를 다지는 게 나을 듯 한데 무리수를 둔다는 의견도 많다.--당최 노력은 하는 거냐고 까기도 한다.-- 2011년 [[광개토태왕(드라마)|광개토태왕]]에서도 그의 약점은 여전하다. 대사가 2줄만 넘어가는, 즉 대사가 조금만 길어지면 국어책 읽기가 나온다.
         마침내 2011년 6월 첫 방송을 시작한 [[광개토태왕(드라마)|광개토태왕]]의 담덕역으로 캐스팅 되었다. 그리고 이 사실이 알려지자 시청자들은 경악했다. 자세한 내용은 드라마 참조. 졸지에 [[연개소문(드라마)|환빠]] [[광개토태왕(드라마)|드라마]]에 2연속 출연하는 불명예를 안았으니...[[지못미]].
         || 2011년~2012년 || KBS || [[광개토태왕(드라마)|광개토태왕]] || 담덕 ||
  • 이하율
         | 활동기간 = [[2011년]] ~ 현재
         [[분류:1987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배우]][[분류:대한민국의 영화 배우]][[분류:대한민국의 텔레비전 배우]][[분류:2011년 데뷔]][[분류:화순군 출신 인물]]
  • 이헌승
         * [[2009년]] ~ [[2011년]] : [[한국해양대학교]] 대학원 무역학과 무역학 박사 과정 수료
         * [[2011년]] [[9월]] : 한나라당 부대변인
  • 이혁
         * 2011년 8월 19일 디지털 싱글 〈[[Steelheart|She's gone]]〉 (리메이크)
         * [[2011년]] [[KBS2]] 《[[불후의 명곡 - 전설을 노래하다]]》 8회, 16회, 17회, 31회
  • 이현 (1983년)
         * [[2011년]] [[MBC]] [[세바퀴]]
         * [[2011년]] [[MBC]] [[세바퀴]]
  • 이현보
         * 《[[인수대비 (드라마)|인수대비]]》 ([[JTBC]], [[2011년]]~[[2012년]] 배우:한동환)
  • 이현우 (가수)
         * [[2011년]] 《맘마미아》 - 해리 역
  • 이현욱(배우)
         * [[2011년]] 《어깨나사》
  • 이현재 (1988년)
         * [[2011년]] [[메이트 (음악 그룹)|메이트]] 싱글앨범 Transform
         * [[2011년]] 영화 플레이 OST
         * [[플레이 (2011년 영화)|플레이]] ([[2011년]]) - 현재 역
  • 이현재(1988)
         * [[플레이 (2011년 영화)|플레이]] ([[2011년]]) - 현재 역
  • 이현정 (희극인)
         | 활동기간 = 2011년 ~
         | 데뷔일 = [[2011년]]
         [[분류:1987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부산광역시 출신 인물]][[분류:경성대학교 동문]][[분류:2011년 데뷔]][[분류:개그콘서트]][[분류:이씨]][[분류:웃음을 찾는 사람들]]
  • 이현진 (1985년)
         * [[2011년]] 《[[Mr. 아이돌]]》 ... 김지훈 역
         * [[2011년]] 《[[오싹한 연애]]》 ... 기우 역
  • 이형주 (프로게이머)
         * [[2011년]]
         * ([[2010년]] ~ [[2011년]]) CheckPrime
  • 이형철 (1971년)
         * [[2011년]] [[SBS]] 아침연속극 《[[장미의 전쟁 (2011년 드라마)|장미의 전쟁]]》 ... 황동탁 역
  • 이형철(배우)
         || [[2011년]] || [[SBS]] || [[장미의 전쟁]] || 황동탁 || ||
  • 이혜리 (배우)
         * [[2011년]] : [[JTBC]] 일일드라마 《[[여자가 두번 화장할 때]]》
  • 이혜은
         * [[2011년]] [[SBS]] 아침드라마 《[[장미의 전쟁 (2011년 드라마)|장미의 전쟁]]》 ... 민아리 역
  • 이호재(연극배우)
          * [[2011년]] [[대한민국의 훈장|보관문화훈장]](3등급)
  • 이호준 (1976년)
         무릎 부상으로 인해 1루수보다는 지명타자로 자주 출전하였다. 이 부상이 계속되어 첫 FA 기간이 끝난 [[2011년]] 시즌 후 50% 삭감된 연봉 2억 5,000만원에 재계약하였다.
         NC 이호준, 2800루타 달성…통산 10번째] - 스포츠경향</ref> [[5월 5일]] [[KIA 타이거즈]]와의 광주에서 [[필립 험버|험버]]를 상대로 역대 16번째 300번째 2루타를 기록하였다.<ref>[http://sports.chosun.com/news/ntype.htm?id=201505050100041990002608&servicedate=20150505 NC 이호준, 역대 16번째 300 2루타 달성] - 스포츠조선</ref> [[5월 16일]] [[삼성 라이온즈]]와의 광주에서 [[차우찬]]을 상대로 홈런을 기록했는데 이 홈런은 시즌 10호 홈런이었고, [[2011년]]부터 [[2015년 KBO 리그|2015년]]까지 5년 연속 두 자릿수 홈런을 기록하게 됐다.<ref>[http://sports.chosun.com/news/ntype.htm?id=201505160100180840012568&servicedate=20150516 NC 이호준 두번째 5년 연속 두자릿수 홈런] - 스포츠조선</ref> 5월 한 달 동안 25광주에 출장해 타율 0.355(93타수 33안타), 9홈런, 34타점을 기록해 [[NC 다이노스]]의 월간 최다승(20승)에 기여하면서 [[2015년 KBO 리그]] 5월 MVP에 선정됐다.<ref>[http://sports.chosun.com/news/ntype.htm?id=201506040100036370002275&servicedate=20150603 NC 이호준 5월 MVP 선정, 생애 두번째 수상] - 스포츠조선</ref> [[6월 18일]] [[kt 위즈]]와의 광주에서 [[정성곤]]을 상대로 시즌 15호 홈런이자 역대 8번째 개인 통산 300홈런을 기록했다.<ref>[http://www.hankookilbo.com/v/e58e227438584e7183326317fbe84bf2 39세 4개월10일 이호준 역대 최고령 300홈런] - 한국일보</ref> [[6월 19일]] [[한화 이글스]]와의 광주에서 [[배영수]]를 상대로 홈런을 기록하면서 역대 4번째 개인 통산 1100타점을 기록하게 됐다.<ref>[http://osen.mt.co.kr/article/G1110181973 이호준, 16호 홈런 폭발 '통산 1100타점 돌파'] - OSEN</ref> [[6월 26일]] [[LG 트윈스]]와의 광주에서 [[루카스 하렐]]을 상대로 안타를 기록했고 이 안타로 역대 9번째 통산 2900루타를 기록했다.<ref>[http://www.mydaily.co.kr/new_yk/html/read.php?newsid=201506261902332229&ext=na NC 이호준, 역대 9번째 통산 2900루타 달성] - 마이데일리</ref> [[2015년 한국프로야구 올스타전]] 팬 투표에서 1,245,737표, 선수단 투표에서 215표를 얻어 총점 55.95점으로 나눔팀 올스타 1루수에 선정됐다.<ref>[http://news20.busan.com/controller/newsController.jsp?newsId=20150707000039 국민타자 이승엽 최다 득표… 롯데 강민호 9년 연속 올스타] - 부산일보</ref>
         | 통산 2000루타 || [[2011년]] [[4월 15일]] || [[SK 와이번스|SK]] || [[넥센 히어로즈|넥센]] || || [[목동야구장|목동]] || 역대 29번째
  • 이호진 (기업인)
         [[태광그룹]]의 창업주인 고 [[이임용]] 전 회장의 3남으로 태어났다. [[흥국생명]] 상무이사, 태광산업 대표이사 사장, [[대한화섬]] 대표이사 사장 등을 거쳐 2004년부터 2012년까지 태광그룹 회장을 지냈다. 1천400억원대 횡령과 배임 혐의로 [[2011년]] [[1월 31일]] 모친과 함께 구속 기소되었고, 3월 24일 구속집행정지결정으로 석방됐다. 1심에서 징역 4년 6월, 항소심에서도 모친과 함께 1심과 같은 형을 선고받았다. 항소심 중 병보석으로 풀려났으며 실제로 구치소 수감기간은 63일이다.
  • 이효춘
         * [[2011년]] [[MBC]] 아침드라마 《[[당신 참 예쁘다]]》 ... 김순이 역
         * [[2011년]] [[SBS]] 주말 특별기획 《[[폼나게 살거야]]》 ... 모성애 역
         * [[2011년]] [[웅진코웨이]] 리홈 쿠첸 압력밥솥
  • 이희도
         * [[2011년]] [[KBS1]] 일일연속극 《[[우리집 여자들]]》 ... 이용호 역
         * [[2011년]] [[KBS2]] 미니시리즈 《[[공주의 남자]]》 ... [[한명회]] 역
  • 이희성 (1988년)
         |프로 입단 연도 = [[2011년]]
         |드래프트 순위 = [[2011년 한국 프로 야구 신인선수 지명 회의|2011년]] 3차 4라운드([[넥센 히어로즈]])
         * [[넥센 히어로즈]] (2011년)
         [[2011년]]에 입단하였다. 1군에 오르지 못하고 방출되었다.
  • 이희준
         군 입대를 앞두고 환송회를 하다가 교통사고를 당해 큰 수술을 받게 되어 [[군대]] 면제가 됐고, 그로 인한 공백기에 [[서울특별시]]에서 연극을 시작했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6&oid=117&aid=0002235586 꽉 찬 연기력을 품고 넝쿨째 굴러온 배우 이희준] 《마이데일리》, 2012년 5월 22일</ref> 2002년 [[이윤택]]을 알게 되면서 연희단거리패에서 연기를 배웠다.<ref>{{뉴스 인용 |제목 = 오달수가 밝힌 연희단거리패 3대 원칙|url =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3&oid=081&aid=0002894749|출판사 = 서울신문 |저자 = |날짜 = 2018년 2월 21일|확인날짜 = }}</ref> [[2010년]] 연극 《B언소》에 출연 당시 [[KBS 드라마 스페셜]] PD의 눈에 띄어 단막극에 여러차례 출연하면서 이름을 알리기 시작하였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6&oid=001&aid=0005234898 '드라마 스페셜'의 발견..배우 이희준] 《연합뉴스》, 2011년 8월 29일</ref> 2012년 [[KBS 2TV]]의 《[[넝쿨째 굴러온 당신]]》에 출연하여 2013년 백상예술대상 TV부문 남자신인연기상을 수상했다.
         * [[2011년]] [[KBS2]] 4부작드라마 《[[KBS 드라마 스페셜 연작 시리즈]] - 완벽한 스파이》 ... 이상준 역
         * [[2011년]] [[KBS2]] 미니시리즈 《[[공주의 남자]]》 ... 공칠구 역
         * [[2011년]] [[KBS2]] 단막극 《[[KBS 드라마 스페셜]] - 큐피드 팩토리》 ... 유소준 역
         * [[2011년]] [[KBS2]] 단막극 《[[KBS 드라마 스페셜]] - 동일범》 ... 정종두 역
         * [[2011년]] 《[[모비딕 (2011년 영화)|모비딕]]》 ... 현덕 역
         * [[2011년]] 《[[퀵 (영화)|퀵]]》 ... 대망실장 역
         * [[2011년]] 《[[특수본]]》 ... 근수 역
  • 인수대비 (드라마)
         | 방송 기간 = [[2011년]] [[12월 3일]] ~ [[2012년]] [[6월 24일]]
         | 2011년 12월 3일 ~ 2012년 4월 29일 || 토요일, 일요일 오후 8시 45분 ~ 9시 55분
         ! colspan="4" | [[2011년]]
         | 작품명 = [[인수대비 (드라마)|인수대비]] <br /> ([[2011년]] [[12월 3일]] ~ [[2012년]] [[6월 24일]])
         [[분류:2011년 드라마]][[분류:2012년 드라마]][[분류:조선 역사 드라마]][[분류:JTBC 주말연속극]][[분류:조선 세조 시기를 배경으로 한 작품]][[분류:조선 문종 시기를 배경으로 한 작품]][[분류:조선 단종 시기를 배경으로 한 작품]][[분류:조선 예종 시기를 배경으로 한 작품]][[분류:조선 성종 시기를 배경으로 한 작품]][[분류:조선 연산군 시기를 배경으로 한 작품]][[분류:드라마하우스의 텔레비전 프로그램]][[분류:한성부를 배경으로 한 작품]][[분류:정하연 시나리오 작품]]
  • 임상규
         '''임상규'''(任祥奎, [[1949년]] [[7월 4일]] ~ [[2011년]] [[6월]], [[광주광역시|광주]])는 [[대한민국]]의 공무원이다.
         * 2010년 7월 ~ 2011년 6월 : 제6대 순천대학교 총장
         [[분류:1949년 태어남]][[분류:2011년 죽음]][[분류:대한민국의 과학기술부 차관]][[분류:대한민국의 국무조정실장]][[분류:대한민국의 농림부 장관]][[분류:노무현 정부의 국무위원]][[분류:광주제일고등학교 동문]][[분류:서울대학교 법과대학 동문]][[분류:시러큐스 대학교 동문]][[분류:광주광역시 출신]][[분류:장흥 임씨]]
  • 임세미(1987)
         || [[2011년]] || [[문화방송|MBC]] || [[넌 내게 반했어]] || 차보운 || ||
  • 임요환
         [[2011년]]에는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리그|GSL]]에서 Code A 리거로 활동하고 있으며 슬럼프에 빠져있다가 MLG 3위, Code A 예선을 전승으로 통과하였다.
         연기자 [[김가연]]과 교제하였고, 2011년에 혼인 신고를 마쳤다. 2015년 1월 21일 배우자 김가연이 임신소식이 전해졌다. 아이의 태명은 마린이라 하여 같은 해 2015년 딸 하령을 득녀하였으며 이듬해 2016년 5월 [[김가연]]과 정식으로 결혼식을 올렸다.
         [[스타크래프트]]에서 숙명의 라이벌 관계를 형성하며 수많은 명서울를 연출하며 '''임진록'''이라고 불리었던 임요환과 홍진호의 서울가 2011년 8월 5일 22:00시에 부산 해운대에서 펼쳐졌다. 세기의 대결로 주목받으며 많은 관중이 몰렸고 3전 2선승제로 펼쳐진 경기에서 임요환이 2:1로 승리하였다. 이 서울에서의 화제는 단연 '벙커'였는데 1set에서 임요환은 벙커를 연이어 짓는 '벙커레이터'를 선보였다. 또 2Set에서 홍진호는 대군주로 여왕과 바퀴를 드랍하는 새로운 전략을 선보이며 임요환을 혼란에 빠지게 했다. 그리고 이벤트전인 만큼 공식전에서는 할 수 없는 채팅을 하면서 또다른 즐거움을 주었다. 이 서울에서 홍진호가 [[스타크래프트 II]]를 통해 복귀를 선언할 가능성이 제기되었으나 홍진호는 확실한 답변을 하지 않았다. 홍진호는 결국 스타크래프트 II로 전향을 하지 않음을 선언하면서 둘의 임진록은 이로써 역사 속으로 완전히 사라지게 되었다.
         === 2011년 GSL에서의 활약과 2012년 감독으로의 전환 ===
         2011년 1월 4일 새해에 펼쳐진 소니에릭슨 GSL 시즌 Jan.에서는 첫 임요환의 경기는 출발이 좋았다. 첫 서울 [[김유종]]과의 서울에서 15병영과 5궤도 사령부로 자원에 우세해짐으로써 3/3불곰으로 승리를 장식했다. 다음 서울에서 [[박상익]]과의 서울에는 저그전에 약한 모습을 버리고 맹독충의 피해를 줄이는 의료선에 불곰을 태워서 맹독충이 있는 곳에 드랍하는 놀라운 전술을 보여줬다. 2승을 한 임요환은 16강에 진출했다.
         그러나 또 한번의 난관에 도착했다. 16강전에서 임요환은 [[서기수]]와의 서울에서 패하였고, 2서울에서는 공교롭게도 1서울 승자인 [[임재덕]]과 다시 한번 리벤지 매치를 펼쳤으나 또 한번 임재덕에게 패배하고 Code S에 잔류로 만족해야만 했다. 시즌 Jan.이 끝난 두달이 지나 시즌 Mar.에서는 임요환이 김상철과 강초원에게 연패를 하였고 3,4위전에서 임재덕과의 리벤지 매치를 펼쳤으나 3연패를 하며 아쉽게도 승격강등전을 치루었고 [[2011년]] [[3월 15일]]에 치루어진 승격강등전에서 [[최정민 (프로게이머)|최정민]]과의 대결 끝에 패해 코드 A로 강등되었다
         [[2011년]] [[12월 22일]] 코드 S 진출에 성공하였다.
         * [[2011년]] 소니 에릭슨 글로벌 스타크래프트II 리그 시즌 Jan. - Code S 16강
         * 2011년 인텔 글로벌 스타크래프트II 리그 시즌 Mar. - Code S 32강(코드A로 강등)
         * 2011년 LG 시네마 3D 글로벌 스타크래프트II 리그 시즌 May. - Code A 16강
         * 2011년 펩시 글로벌 스타크래프트II 리그 시즌 July. - Code A 32강 (코드B로 강등)
         * 2011년 소니 에릭슨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리그 시즌 Nov. - Code A 24강 (코드S로 승격)
         * 2011년 MLG Anaheim 3위
         * [[2011년]] 글로벌 스타크래프트II 팀 리그 시즌 Feb. 8강 (SlayerS)
         * 2011년 글로벌 스타크래프트II 팀 리그 시즌 Mar. 우승 (SlayerS)
         * 2011년 글로벌 스타크래프트II 팀 리그 시즌 May. 우승 (SlayerS)
         *E-스포츠의 올림픽이라고 할 수 있는 [[WCG]] 2회 연속 우승 기록(2001, 2002) 보유자로, WCG 명예의 전당에 헌액된 스타크래프트 게이머다. (2011년부터 스타크래프트2로 종목이 변경되어 유일한 헌액자로 남게되었다.)
  • 임우일
         | 데뷔일 = [[2011년]]
         | 데뷔작(곡) = KBS 《개그콘서트》<br />KBS 공채 26기 개그맨(2011년)
         [[분류:2011년 데뷔]]
  • 임원희
         * 《[[KBS 드라마 스페셜|드라마스페셜]] - 필살기》 ([[KBS2]]) ([[2011년]]) - 종만 역
         * 《[[Mr. 아이돌]]》 ([[2011년]]) - 박상식 역
         * 《[[체포왕]]》 ([[2011년]]) - 고 박사 역
         * 《[[로맨틱 헤븐]]》 ([[2011년]]) - 김 형사 역
         * 2011년 [[굿다운로더캠페인본부]] 굿다운로더캠페인
  • 임원희(영화배우)
         [[2011년]] 10살 연하의 여성과 결혼했으나, 성격 차이로 별거한 후 [[2013년]] 12월 이혼했다.
  • 임익준
         * [[삼성 라이온즈]] (2007년 ~ 2011년)
         [[2011년]]에는 1군에 올라오지 못했고, 그 해 [[11월 22일]] 2차 드래프트를 통해 [[삼성 라이온즈]]에서 [[한화 이글스]]로 이적하였다. 이후 육성선수로 활동했다. 2015년 6월 28일 [[정민혁]]을 웨이버 공시하고 정식으로 등록되었다. [[2015년]] 시즌 후 웨이버 공시가 된후 육성선수로 신분이 전환됐다가 [[2016년]] 7월 29일 [[고동진]]을 웨이버 공시하고 하고 정식으로 등록되었다.
         * '3' (2010년 ~ 2011년)
  • 임재범
         1983년 언더그라운드 라이브 클럽에서 록 음악 가수로 활동한 이력이 있는 그는 그는 이후 [[1986년]] [[부산고등학교]] 동문인 [[신대철]]과 함께 [[시나위 (밴드)|시나위]] 1집에 참여하여 〈크게 라디오를 켜고〉를 부르면서 대중 음악계에 데뷔를 했다. 그러나 군대 문제로 인하여 탈퇴를 하게 되지만 결국 병역 면제를 받은 그 후, 록 밴드 [[부활 (밴드)|부활]]의 이지웅 등과 함께한 [[외인부대 (음악 그룹)|외인부대]]와, 대한민국 록 프로젝트 [[록 인 코리아]](Rock in Korea)를 거쳐 [[김도균 (음악가)|김도균]]과 함께한 [[아시아나 (밴드)|아시아나]]를 끝으로 밴드 생활을 접었다. 1991년 솔로로 전향하여 1집 타이틀곡 <이 밤이 지나면> 으로 큰 인기를 얻었으나 표절 판정을 받고 방송 출연 정지를 당했고 이후 앨범 발표와 잠적을 되풀이하고, 방송 활동이 거의 없었음은 물론 인터뷰, 공연조차 하지 않고 앨범만 내다가 2004년에 처음으로 단독 콘서트를 열었다. 대표곡으로는 2집의 〈사랑보다 깊은 상처〉, 3집의 〈고해〉, 4집의 〈너를 위해〉 등이 있다. [[2010년]] KBS 드라마 《추노》의 메인 타이틀 곡인 〈낙인〉으로 다시 한 번 세간의 주목을 끌었다. [[2011년]]에는 [[SBS TV|SBS]] 드라마 스페셜 《싸인》 의 타이틀 곡인 〈독종〉을 불렀고, 5월에 MBC 《나는 가수다》에 출연이후 제2의 전성기를 맞았다.
         *1963년생으로 알려져 있으나, 여러 번 본인이 범띠(1962년생)라고 말해왔다. 하지만 정확한 나이는 알 수 없다. 중학교 시절의 동창들은 "쾌활하고 명랑했다"라고 기억한다고 한다. 참고로 학교는 66-67년생들과 다녔다.<ref>[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1/05/24/2011052400830.html 임재범의 학창시절 첫 공개...] 2011년 5월 24일 조선일보</ref>
         *[[손지창]]이 이복동생이라는 사실은 2001년 언론에 밝혀졌고, 임재범의 결혼식 무렵 3부자 상봉이 이루어졌다. 임재범 역시 혼외자식으로 보육원에서 크다가 뒤늦게 호적에 입적된 사실이 몇 년 후에 밝혀지고, 1967년생인 신대철과 고등학교 동창인 이유가 이로써 설명되기도 했다. 손지창은 이후 인터뷰에서 아버지보다 형을 얻어서 더 기쁘다고 말한 바 있고, 임재범은 2011년 토크쇼 [[승승장구]]에 출연하여 동생에 대한 애정을 드러낸 바 있다.
         *1986년 록월드에서 부산고 동창인 신대철과 만나 [[시나위 (밴드)|시나위]] 보컬로 들어갔다<ref>[http://ntn.seoul.co.kr/?c=news&m=view&idx=105121 신대철, 임재범 학창시절 공개]{{깨진 링크|url=http://ntn.seoul.co.kr/?c=news&m=view&idx=105121 }} 2011년 7월 9일 서울신문</ref>. 1986년에 시나위에 앨범 제의가 들어오면서 1집 녹음에 참여, <크게 라디오를 켜고>가 라디오에 나오면서 공식 데뷔했다. 신대철에 따르면 당시 2주만에 곡을 만들어야 했고 레코드사에서도 록, 헤비 메탈 녹음을 해본 경험이 없었던 데다가 임재범은 감기에 걸린 상태였다고 한다<ref>[http://book.daum.net/detail/book.do?bookid=BOK00009739572AL] {{웨이백|url=http://book.daum.net/detail/book.do?bookid=BOK00009739572AL |date=20180903215457 }} 음악 또라이들(2010년 2월 18일 출간) 중에서 인용</ref>. 신대철은 완성도 부족을 토로했으나 시나위 1집은 한국 최초의 헤비메탈 음반으로 평가받고 10만장 이상을 판매했고 후에 [[한국대중음악 100대 명반]]으로 꼽히기도 했다. 임재범은 시나위를 두고 자신의 뿌리라고 표현했다<ref>[http://www.tvreport.co.kr/?c=news&m=newsview&idx=133493 임재범, "시나위는 잊을 수 없는 뿌리"] TV리포트 2011년 7월 8일</ref>
         *시나위 1집 녹음 직후 영장이 나오면서 활동을 제대로 하지 못하고 탈퇴<ref>[http://www.tvreport.co.kr/?c=news&m=newsview&idx=133942 DJ 김광한 “데뷔 전 임재범은 될 성싶은 떡잎였다”] 2011년 7월 11일</ref>, 1988년에는 기타리스트 이지웅, [[손무현]]과 함께 외인부대를 결성했고, 1989년 당시에 활동하던 여러 록 밴드가 모인 프로젝트 록 인 코리아(Rock In Korea)에 참여했다. 이때 함께 호흡을 맞춘 [[김도균 (음악가)|김도균]]의 부름에 영국으로 건너가서 사랑(Sarang)이라는 밴드로 활동, 호평에 힘입어 한국으로 돌아와서 다시 함께 [[아시아나 (밴드)|아시아나]]를 결성했다.<ref>[http://ntn.seoul.co.kr/?c=news&m=view&idx=104715 임재범 영국진출 사진 "22년 전 사자머리 록커" 첫 공개]{{깨진 링크|url=http://ntn.seoul.co.kr/?c=news&m=view&idx=104715 }} 서울신문 2011년 7월 7일</ref> 1990년 발표된 아시아나 1집은 해외를 겨냥하여 거의 전곡을 영어로 만들고 영국에서 녹음을 하는 등 상당히 공을 들였지만 당시 국내의 반응과 여건이 좋지 못했다. 아시아나는 일본의 록 밴드 라우드니스의 콘서트 오프닝에 선 이후 제대로 된 활동을 하지 못하고 해체되었다. 아시아나 1집은 한국 헤비메탈 명반 중의 하나로 꼽힌다.
         *1997년에 2집을 냈으나 여전히 다른 활동은 거의 없이 심야 음악프로그램인 수요예술무대에만 몇 번 출연했다. 가수 [[박정현]]이 1집을 준비하면서 임재범 2집에 수록된 <사랑보다 깊은 상처>를 듀엣으로 재수록했는데, 녹음은 따로 했다고 한다. 박정현은 당시 임재범과 같은 소속사로서 "첫인상은 키도 크고 멋있었다"라면서도 "머리가 길고 수염이 덥수룩해 처음엔 무섭기도 했다"라고 말하였다. 박정현은 팬이었지만 앞에서 팬이라는 말도 못 하였다. <사랑보다 깊은 상처>를 녹음할 때 처음으로 이야기를 나누었는데 임재범이 1980년대 후반 영국에서 음악 활동을 한 적이 있었기 때문에 영어를 잘했고 임재범은 박정현에게 어려우면 영어로 말하라며 독려했고 영어로 디렉팅을 해주기도 했다고 했다.<ref>[http://star.mt.co.kr/view/stview.php?no=2011081800045551719&type=1&outlink=1 박정현 "윤종신과 아파트 주차장에서 첫 만남"] 스타뉴스 2011년 8월</ref>. 이 듀엣곡은 다시 CF 배경음악으로 삽입되면서 큰 인기를 끌었고 나중에 <비상>이 인기를 얻기도 했다.
         *[[2011년]] 5월부터 MBC 《나는 가수다》에 출연하여 화제를 불러일으켰다. 첫 방송에서 임재범은 '너를 위해'를 불러 1위를 차지했다. 이후 임재범의 음원도 1위를 차지했고, 과거의 노래로는 이례적으로 KBS 《[[뮤직뱅크]]》에서도 2위를 했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6&oid=020&aid=0002236826 나가수’ 1위 임재범, 음악차트도 1위로 올킬] 동아일보 2011년 5월</ref> 2번째 경연에서는 [[남진]]의 '빈잔'을 불러 4위를 차지했다. 3번째 경연에서는 [[윤복희]]의 '여러분'을 불러 1위를 차지했다. 이 방송에서 임재범은 《나는 가수다》최초로 기립 박수를 받아 화제가 됐다. 높은 가창력을 바탕으로 임재범은 《나는 가수다》에 출연한 이후로 연일 콘서트가 매진되는 등 큰 인기를 얻었다.<ref>[http://news.kukinews.com/article/view.asp?page=1&gCode=ent&arcid=1306237662&cp=nv“지금은 임재범 시대”…음원 이어 콘서트 ‘올킬’] 국민일보 2011년 5월</ref>
         * [[2011년]] 12월에는 KBS [[승승장구]]에 2회에 걸쳐 출연했다. 데뷔 이후 최초의 토크쇼 출연이다.
         * [[2011년]] [[매일유업]] 카페라떼
         * [[2011년]] [[위비스]] 지센
  • 임지은
         * [[2011년]] [[KBS2]] 월화드라마 《[[브레인 (드라마)|브레인]]》 ... 홍은숙 역
  • 임지호
         * [[2011년]] [[대한민국]] 산채박람회 홍보 대사
  • 임창용
         * 일본 통산 100세이브 달성 : 2011년 [[5월 4일]], 대 주니치 드래곤즈([[메이지 진구 구장]]) 9회 등판, 1이닝 1실점(시즌 4세이브)
         |style="text-align: center;"|[[2011년|2011]]
  • 임창정
         영화에 매진하던 임창정은 [[2008년]]에는 계약했던 영화가 무기한 제작 연기되며 1년간 공백기를 가지기도 했으나, [[2009년]] [[3월 10일]] 6년 만에 정규 11집 《Return To My World》를 발<ref>[http://star.moneytoday.co.kr/view/stview.php?no=2007020109540021606&type=1&outlink=1], 임창정 "다시 노래하고 싶다"..가수복귀 의사 밝혀</ref>하 복귀 명랑씨어터 수박의 뮤지컬 <[[빨래]] >에 솔롱고 역으로 뮤지컬에 출연하기도 했다. 같은 해에 [[김창렬]], [[이하늘]]과 함께 창단멤버로써 KBS [[천하무적야구단]] 출연하였으나, [[2010년]] [[6월]] 최종 하차하였다. [[2009년]] 영화 《[[청담보살]]》이 개봉되었고 [[2010년]] 베스트 앨범&리메이크 앨범인 《Remind》를 발매하였다. [[2010년]]에는 가수 故 김현식의 추모 영화로 기획, 제작한 《[[비처럼 음악처럼]]》은 촬영을 마친 뒤 후반 작업 중 故 김남경 감독의 갑작스런 사망<ref>[http://nownews.seoul.co.kr/news/newsView.php?id=20100713603158],'비처럼 음악처럼' 김남경 감독, 향년 47세 나이로 별세</ref>으로 개봉이 미뤄지다 2012년 4월 개봉<ref>[http://eto.co.kr/common/Result.asp?sCode=20120329104938393] {{웨이백|url=http://eto.co.kr/common/Result.asp?sCode=20120329104938393 |date=20160105021057 }},임창정-유인영 주연 ‘비처럼 음악처럼’ 4월 26일 개봉</ref>하려 했으나 무기한 연기되었다. 같은 해 11월에는 [[엄지원]]과 함께 주연한 영화《[[불량남녀]]》가 개봉되었다. [[2011년]] 《[[사랑이 무서워]]》, [[2012년]] 《[[공모자들]]》에 출연 하였으며 또한 영화 《[[창수]]》의 주연을 맡았다. 해당 작품은 2012년 제17회 [[부산국제영화제]]에 초청 및 상영<ref>[http://joynews.inews24.com/php/news_view.php?g_menu=701100&g_serial=693293&rrf=nv], 韓 최대 영화 축제 BIFF, 오늘(4일) 개막</ref>되었으며 이후 [[2013년]] 11월 정식 개봉하였다. 2015년에는 《치외법권》이 개봉했지만 좋은 성적을 거두지는 못하였다.
         * [[2011년]] :《[[사랑이 무서워]]》 ... 유상열 역
         * 2010년-2011년 :《[[라디오스타]]》 - 매니저 박민수 역 / 서울 공연 [[우리금융아트홀]], 전국공연 (2010/11/16 ~ 2011/01/02)
         * 2010년-2011년 :《[[라디오스타]]》 - 매니저 박민수 역 / 수원 공연 경기도문화의전당 행복한대극장 (2011/02/18 ~ 2011/02/20)
         * 2010년-2011년 :《[[라디오스타]]》 - 매니저 박민수 역 / 부산 공연 부산시민회관 대극장 (2011/02/25 ~ 2011/02/27)
         * 2010년-2011년 :《[[라디오스타]]》 - 매니저 박민수 역 / 대구 공연 대구 오페라하우스 (2011/03/11 ~ 2011/03/13)
         * 2010년-2011년 :《[[라디오스타]]》 - 매니저 박민수 역 / 대전 공연 대전예술의전당아트홀(2011/04/01 ~ 2011/04/03)
         * 2010년-2011년 :《[[라디오스타]]》 - 매니저 박민수 역 / 의정부 공연 정부예술의전당 대극장 (2011/05/14 ~ 2011/05/15)
  • 임채원
         * [[2011년]] [[MBC]] 특별기획드라마 《[[짝패 (드라마)|짝패]]》 ... 권씨 역
         * [[2011년]] [[SBS]] 주말극장 《[[내사랑 내곁에 (2011년 드라마)|내 사랑 내 곁에]]》 ... 김현주 역
  • 임현정 (1970년)
         * [[2011년]] 사랑아
  • 임현준
         |프로 입단 연도 = [[2011년]]
         |드래프트 순위 = [[2011년 한국프로야구 신인 드래프트|2011년]] 4라운드([[삼성 라이온즈]])
         |첫 출장 = [[KBO (야구)|KBO]] / [[2011년]] [[4월 2일]] <br /> [[광주무등경기장 야구장|광주]] 대 [[KIA 타이거즈|KIA]]전 구원
         * [[삼성 라이온즈]] (2011년 ~ 현재)
         * [[상무 야구단]] (2011년 ~ 2013년)
         |야구 월드컵 = [[2011년]] 파나마
         [[2011년 한국프로야구 신인 드래프트|2011년]] [[삼성 라이온즈]]의 4라운드 지명을 받아 입단했고, [[2011년]] [[4월 2일]] [[KIA 타이거즈|KIA]]와의 개막전에서 데뷔 첫 구원 등판하여 첫 구원 승을 기록하였다.<ref>[http://osen.mt.co.kr/news/view.html?gid=G1104020266 '채태인 역전 만루포' 삼성 첫 승…KIA, 개막전 7연패] 《OSEN》</ref>
         [[2011년]] [[4월 2일]] 시즌을 마치고 곧바로 입대하여 복무를 마쳤으나, 제대를 앞두고 팔꿈치 부상으로 수술을 받게 되었다.
         [[2011년]] [[4월 16일]] [[두산 베어스|두산]]전에서 8회 초 타석에 들어선 [[정수빈]]이 기습 [[번트]]를 시도하고 그가 1루 베이스를 커버하려고 가는 순간 갑자기 [[대구시민운동장 야구장|대구]]에 정전이 발생하며 순식간에 모든 조명들이 꺼지는 바람에 경기가 중단되었고, 결국 서스펜디드 게임이 선언되어 다음 날([[4월 17일]]) [[정수빈]] 타석부터 경기가 재개됐다.<ref>[http://www.mydaily.co.kr/news/read.html?newsid=201104180307382224&ext=na 대구구장 정전 사태는 민폐의 결정판] 《마이데일리》 2011년 4월 18일</ref><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7&oid=076&aid=0002099786 '정전 등판' 임현준, "선발 등판하는 느낌"] 《스포츠조선》 2011년 4월 17일</ref>
         {{2011년 야구 월드컵 대한민국 선수 명단}}
  • 장동직
         * [[2011년]] [[KBS]] 《[[포세이돈 (드라마)|포세이돈]]》 ... 강주민 역
  • 장미인애
         * [[2011년]]: [[복희 누나]] (한복희 역, [[KBS 2TV]]), 복불복쇼 ([[MBC 에브리원]]), 지금 그곳에서 살아보기 (호주편, [[MBC]])
  • 장발 (화가)
         ** 조카 : [[장진]](張震, [[1927년]] [[2월 10일]] ~ [[2011년]] [[9월 30일]], [[서강대학교]] 부총장 역임)
  • 장범준
         | 활동시기 = [[2011년]] ~ 현재
         '''장범준'''([[1989년]] [[5월 16일]] ~ )은 [[대한민국]]의 [[가수]]이자 그룹 [[버스커 버스커]]의 리더이다. 그가 속한 그룹 버스커 버스커는 [[2011년]] [[엠넷]] 오디션 《[[슈퍼스타K3]]》에 참가해 결승까지 진출했지만, 준우승에 그쳤다. 그는 편안한 목소리와 감성을 자극하는 음악으로 주목받았다. [[2012년]] [[3월 29일]] 첫 번째 앨범 《[[버스커 버스커 1집]]》으로 데뷔했다. '''장범준'''은 버스커 버스커로 데뷔하기 전에 [[다큐 3일]] 청춘의 봄날 홍대거리 편에 출연한 적이 있다. [[2014년]] [[8월 19일]] 솔로 가수로 데뷔하였다.
  • 장세주 (기업인)
         |기타 이력 = [[동국제강]] [[회장]] <br/> [[1978년]] [[7월]] [[동국제강]] [[입사]]<br />[[1980년]] [[8월]] [[동국제강|동국제강 인천공장]] 제강과 [[대리]]<br />[[1981년]] [[7월]] [[동국제강|동국제강 본사]] 회계과 과장<br />[[1983년]] [[3월]] [[동국제강|동국제강 일본지사]] 차장<br />[[1986년]] [[9월]] [[한국철강|한국철강(주)]] [[상무]]<br />[[1988년]] [[4월]] 천양항운(주) [[사장]]<br />[[1991년]] [[6월]] [[동국제강]] [[상무]](인천제강소장)<br />[[1993년]] [[1월]] [[동국제강]] 전무(기획조정실장)<br />[[1998년]] [[1월]] [[동국제강]] [[대표이사]] 전무(경영기획실장)<br />[[1998년]] [[3월]] [[동국제강]] [[대표이사]] [[사장|부사장]]([[본부장|영업본부장]])<br />[[1999년]] [[12월]] [[동국제강]] [[대표이사]] [[사장]]<br />[[2001년]] [[동국제강|동국제강그룹]] [[대표이사]] [[회장]]([[현재]])<br />[[2004년]]~[[2011년]] 유니온스틸(주) [[대표이사]] [[회장]]<br />[[2012년]] 한국철강협회 [[회장|부회장]]([[현재]])<br />[[2013년]] [[전국경제인연합회]] [[회장|부회장]]([[현재]])<br />[[전국경제인연합회]] [[회장|부회장]] <br/>금탑산업훈장, 제12회 상공대상(노사협조 부문) 등을 수상 <br /> 보통적 봉급은 급여 1,236,000,000원을 비롯하여 기타근로소득 331,000,000원과 퇴직소득 2,510,000,000원과 월 급여액 87,000,000원과 이사퇴직금지급규정상 산출 퇴직소득 2,840,000,000원([[동국제강]] [[2015년 6월]] 반기보고서 기준) <br /> 보통적 순자산은 1,990,000,000원([[2013년]] [[주택]] [[재산]] 기준)<ref>[http://www.inews24.com/php/news_view.php?g_serial=720457&g_menu=022100&rrf=nv 회장님 집은 얼마짜리? - 아이뉴스24 박영례 기자 2013-01-28]</ref>
         *[[2004년]]~[[2011년]] 유니온스틸(주) [[대표이사]] [[회장]]
  • 장수만
         |임기 = [[2010년]] [[8월 17일]] ~ [[2011년]] [[2월 16일]]
  • 장우람 (가수)
         * [[2011년]] Dream Tea Story Part 3 원스 《사랑이야》
         * [[2011년]] 2010 Familia 展 《사랑했던 추억마저》
  • 장우혁
         * Mini 1집 《I Am The Future》([[2011년]])
         * Mini 2집 《Back To The Memories》([[2011년]])
         * [[2011년]] [[문화방송|MBC]] 《[[세상을 바꾸는 퀴즈|세바퀴]]》
         * [[2011년]] [[KBS 2TV|KBS2]] 《[[해피투게더 (텔레비전 프로그램) |해피투게더]]》
         * [[2011년]] [[SBS (대한민국의 방송사) |SBS]] 《[[강심장]]》
         * [[2011년]] [[KBS 2TV|KBS2]] 《[[시크릿 (텔레비전 프로그램) |시크릿]]》
         * [[2011년]] [[KBS 2TV|KBS2]] 《[[대국민 토크쇼 안녕하세요]]》
         * [[2011년]] [[문화방송|MBC]] 《[[황금어장 라디오스타]]》
  • 장은숙 (가수)
         * 《눈물의 강을 건널 수 없는 (涙の河を渡れない)》([[2011년]])
         * [[2011년]] [[경상남도]] [[산청군]] 홍보대사, 서울관광대사
  • 장익 (1933년)
         ** 형 : [[장진 (1927년)|장진]] (張震, 요셉, [[1927년]] [[2월 10일]] ~ [[2011년]] [[9월 30일]], [[서강대학교]] 생물학과 명예교수)
  • 장지연(언론인)
         >이명박 정부는 2011년 위암이 친일파라는 시민 단체의 주장을 받아들여 서훈을 박탈했다. 그러나 생각해보라. 어느 누가 그 엄혹한 시절에 통분의 문장을 남겼는가? 누가 위암을 욕할 수 있단 말인가? 나는 국무 회의에서 서훈 박탈을 막지 못하고 동조하여 위암을 모욕한 자들 중에 '시일야방성대곡'을 제대로 읽은 자가 단 한 명도 없다는 데 내 명예를 걸겠다.
         [[1962년]] 대한민국 행정부 측이 건국 [[대한민국 훈장|훈장]]을 추서했으나 1990년대부터 현 [[부산대학교]] 한문학과 교수 강명관과 재야 사학자 이이화 등이 한 연구 덕분에 친일 의혹이 제기되어 [[2009년]] [[친일인명사전]]에 수록되었다. 이에 [[2010년]] 12월에는 국가 보훈처에서 건국 훈장 서훈 취소를 결정했고 [[2011년]] 4월 5일 확정되었는데 후손들의 제소로 서울 행정 법원, 서울 고등 법원에서 서훈을 취소한 기관이 서훈 처분권자인 대통령이 아닌 국가 보훈처라는 이유로 서훈 취소가 무효라고 판결하였다. 그러나 결국 [[2014년]] 10월 13일 대법원이 국가 보훈처의 서훈 취소 표명은 대통령이 처분을 대외적으로 표명한 것으로 볼 수 있고, 피고를 국가 보훈처가 아닌 대통령으로 지정했어야 한다는 등의 이유로 서울 고등 법원 판결을 파기 환송하였다.
  • 장채근
         * [[홍익대학교]] 야구부 감독 (2011년 ~ 현재)
         [[1986년]] [[성균관대학교]] 체육교육학과(1982학번)를 졸업하고 [[해태 타이거즈]]에 입단했다. [[해태 타이거즈]]의 주전 포수로 활동하면서 [[해태 타이거즈]]의 한국시리즈 우승에 기여하였으나 [[1994년]] 시즌 중 [[최해식]]과 트레이드되어 [[쌍방울 레이더스]]에서 은퇴했다. [[2008년]]에는 [[넥센 히어로즈|우리 히어로즈]]의 배터리 코치로 활동하였다. [[1991년 한국시리즈]]에서 맹활약하며 한국시리즈 MVP에 선정되기도 했다. 1988년, 1991년, 1992년에 포수 부문 골든 글러브를 수상하였다. [[2011년]] [[홍익대학교]] 야구부 감독에 선임되었다.
         * [[차현우]] - [[퍼펙트 게임 (2011년 영화)]]
  • 장포크
         * [[2011년]] [[8월]]~[[2012년]] [[1월]] 밴드 [[이모양밴드]] 기타,보컬
         * [[2011년]] [[8월 26일]] 장포크 《My name is JANGFOLK》 (EP)
         * [[2011년]] [[11월 24일]] 장포크 《한잔의 소주야》
         * [[2011년]] [[12월 14일]] 이모양밴드 《오늘밤》
  • 장하진
         * [[2011년]] 혁신과 통합 추진위원
         * [[2011년]] 한국어린이도서관협회 이사장
         * [[2011년]] 국민시대 공동대표
         * [[2011년]] 올해의 명가(名家)상
  • 장현성
         * [[2011년]] [[SBS]] 드라마스페셜 《[[싸인 (드라마)|싸인]]》 ... 장만석 역
         * [[2011년]] [[OCN]] 미니시리즈 《[[뱀파이어 검사]]》 ... 장철오 역
         * [[2011년]] [[KBS2]] 4부작드라마 《[[KBS 드라마 스페셜 연작 시리즈]] - [[아들을 위하여]]》 ... 태수 역
         * [[2011년]] 《[[진통제 (영화)|진통제]]》 ... 목소리 역
         * [[2011년]] 《[[오직 그대만]]》 ... 원안 역
  • 장혜진 (가수)
         [[상명대학교]] 체육학과 재학 시절 체조 선수로 활동하다가 부상으로 선수 생활을 중단했다.<ref>[http://biz.heraldm.com/common/Detail.jsp?newsMLId=20110920000876 ‘그 여자’ 장혜진]《헤럴드경제》, 2011년 09월 22일</ref> 이후 [[1987년]]에는 MBC 합창단에 입단하였고, 가수로 전향하여 [[1991년]] 1집 앨범 《꿈속에선 언제나》로 가요계에 데뷔했으며<ref>표절문제로 인해 방송은 금지되었다.</ref>, [[1993년]] 2집 《Whiteism》을 발표하면서 대중들에게 자신의 이름을 알리기 시작했다.<ref>[http://star.mt.co.kr/view/stview.php?no=2005122116075844784&type=1&outlink=1 장혜진, 5년 만에 '컴백' 내달 새 앨범] 《스타뉴스》, 2005년 12월 21일</ref> 타이틀곡 〈키 작은 하늘〉은 매력적인 허스키 보이스와 넓은 음역을 과시하며 가창력 있는 가수로 인정받게 할 수 있었던 곡이기도 하다.
         * [[2011년]] - 제18회 대한민국 연예예술상 발라드가수상
         * [[2011년]] `눈물을 움켜쥐고`, 보이스원 디지털싱글
         * [[2011년]] 《사랑했나봐》(비타민/로엔 엔터테인먼트), 리메이크 앨범
         * [[2011년]] [[MBC TV|MBC]] 《[[우리들의 일밤]] - [[서바이벌 나는 가수다]]》 출연<ref name="miss">당시 매니저는 [[지상렬]]이었는데, 이후 지상렬이 판정단 멤버였을때 복면가왕에 나온 '''우아한 석고부인'''이 장혜진이란 사실을 알지 못했다.</ref>
  • 장효인
         * [[2011년]] 《[[SBS 생활경제]]》 ([[SBS]])
  • 장희수
         * [[2011년]] [[KBS2]] 월화드라마 《[[드림하이]]》 ... 강희선 역
         * [[2011년]] [[KBS1]] 일일연속극 《[[당신 뿐이야]]》 ... 오 여사 역
  • 장희진 (1944년)
         * [[2011년]] 《[[광개토태왕 (드라마)|광개토태왕]]》 ([[KBS]])
  • 재희
         * [[2011년]]~[[2012년]] 채널A 《[[컬러 오브 우먼]]》 ... 윤준수 역
  • 적우
         [[2010년]] [[예술의전당]]에서 단독콘서트 <적우, The Greatest>를 개최하며 꾸준히 활동을 해오던 중, [[2011년]] 11월 20일 MBC '우리들의 일밤-[[나는 가수다]]'(이하 나가수)에 출연<ref>조은별,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6&oid=079&aid=0002306527 적우,‘나가수’ 출연까지], 노컷뉴스.</ref> 하며 큰 화제를 모았고, [[2012년]] 2월 12일 나가수 종영 때까지 개성있는 허스키 보이스로 대중들의 주목을 받으며 가수로서의 인지도를 크게 높였다<ref>이혜린, "[http://osen.mt.co.kr/article/G1109324774 루머 휩싸였던 적우 '나가수가 날 살렸다']", OSEN.</ref>.
         * [[2011년]] [[우리들의 일밤]] - [[나는 가수다]]
         * [[2011년]] 바람의 노래를 들어라 (장사익, JK김동욱, 주현미, 최백호, 적우 등)
         * [[2011년]] 김승일의 내생애 첫번째 공연 (게스트 출연)
  • 전광렬
         * [[2011년]] [[SBS]] 드라마 스페셜 《[[싸인 (드라마)|싸인]]》 ... 이명한 역
         * [[2011년]] [[SBS]] 월화드라마 《[[무사 백동수]]》 ... 김광택 역
         * [[2011년]] [[MBC]] 창사 50주년 특별기획드라마 《[[빛과 그림자 (2011년 드라마)|빛과 그림자]]》 ... 장철환 역
         | [[빛과 그림자 (2011년 드라마)|빛과 그림자]]
  • 전병두 (야구선수)
         그러나 [[2011년]] [[10월 6일]] [[KIA 타이거즈]]전에 등판한 이후 왼쪽 어깨 회전근 수술을 받아 기약없는 재활에 들어갔고, 이후 2015년까지 1군 경기에 등판하지 못했다. 당시 감독이었던 [[김성근 (야구인)|김성근]] 밑에서 모든 힘을 쏟아낸 그는 결국 재활에 실패해 2016년 8월 말 구단에 은퇴 의사를 밝혔고, 현역 은퇴를 선언했다.<ref>[http://sports.news.naver.com/kbaseball/news/read.nhn?oid=109&aid=0003391274 전병두의 비극, 리그에 남긴 뚜렷한 교훈] - OSEN</ref> 그는 정규 시즌 최종전인 2016년 10월 8일 [[삼성 라이온즈|삼성]]전에 선발 등판했고,<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004&oid=015&aid=0003652535 전병두, 5년 재활 끝 은퇴…야구팬들 "누가 너의 어깨를 망가뜨렸냐"] - 한국경제</ref> 첫 타자인 [[김상수 (1990년)|김상수]]를 범타 처리하며 교체돼 은퇴 경기를 마무리지었다.
  • 전상렬
         [[두산 베어스]]의 원정 기록원으로 활동하다 [[2011년]] [[10월 15일]] [[두산 베어스]]의 타격 코치로 부임하였다. [[2012년]] 시즌 팀의 2군 타격코치직을 맡았다가 [[2013년]]에는 2군 주루 및 작전 코치직을 맡았었다. [[2014년]]에는 1군 주루코치, [[2015년]]부터는 2군 주루코치직을 맡았다.
  • 전지수
         * [[2011년]] 제 92회 전국동계체육대회 쇼트트랙 여자 일반부 500m 4위, 1000m 3위
         * [[2011년]] 제 25회 동계 유니버시아드 대회 여자 1000m, 1500m 6위, 500m 7위, 3000m 계주 1위
  • 전진영 (아나운서)
         * [[2011년]] [[11월 14일]] ~ [[2014년]] [[4월 25일]] [[YTN라디오|YTN NEWS FM]] : 뉴스&뮤직 전진영입니다 진행
  • 전초아
         [[2009년]] 본명을 전애영에서 전초아로 개명하였다. [[2011년]]부터는 본명인 전초아로 활동하고있다.
         * [[2011년]] [[4월]] 'PS영준 - 어떻게 잊어요' 피쳐링 참여
         === 전초아 활동 (2011년~) ===
         * [[2011년]] [[2월]] 좀 더 잘해볼 것을 하죠(single)
         * [[2011년]] [[2월]] 'PD블루 - 안되겠니 (내가 참 밉다)' 피쳐링 참여
         * [[2011년]] [[2월]] 'PD블루 - 잔소리 (New Ver.)' 피쳐링 참여
  • 전태규
         [[2011년]] [[9월]], [[대한민국 해병대|해병대]]로 입대하여 복무하였고, [[2013년]] [[6월]] 전역하였다.
  • 전태일
         * 어머니 [[이소선]](李小仙, [[1929년]] [[12월 30일]] ~ [[2011년]] [[9월 3일]])
  • 전혜빈
         || [[2011년]] || [[SBS]] || [[내사랑 내곁에(SBS 드라마)|내사랑 내곁에]] || [[조윤정(내사랑 내곁에)|조윤정]] || ||
         || 2011년 || 제4회 코리아 드라마 어워즈 || 케이블TV상 || 야차 ||
  • 전혜진 (1970년)
         * 《[[새롭게 하소서]]》 ([[2011년]], [[기독교 방송]])
  • 정겨운
         * [[2011년]] [[SBS]] 드라마 스페셜 《[[싸인 (드라마)|싸인]]》 ... 최이한 역
         * [[2011년]] [[KBS2]] 수목드라마 《[[로맨스 타운 (드라마)|로맨스 타운]]》 ... 강건우 역
         * [[2011년]] 제7회 제천국제음악영화제 홍보대사
         * [[2011년]] 한국청소년육성회 홍보대사
         | [[2011년]]
  • 정경호(1972)
          * [[2011년]] [[문화방송|MBC]] [[짝패(드라마)|짝패]] .. 껄떡 역
          * [[2011년]] [[문화방송|MBC]] [[넌 내게 반했어]] ... 구정은 역
  • 정경호(1987)
         [[2010년]], 군복무를 위해 [[상주 상무 축구단|상주 상무]]에 입단하였다. [[2011년]], 군 복무가 끝나고 원 소속팀인 [[전남 드래곤즈]]로 돌아왔다.
  • 정규수(배우)
         1979년 연극《장군멍군》으로 데뷔 한 후, 1대《품바》멤버로 이름이 높았고, 그 후 수많은 연극에 출연하였고 영화《[[킬러들의 수다]]》,《[[박수칠 때 떠나라]]》,《[[청춘만화]]》에도 출연하였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3&oid=119&aid=0000009681 연극계의 대부들이 뭉쳤다] 데일리안. 2006년 07월 06일</ref><ref>[http://entertain.naver.com/read?oid=382&aid=0000000780 1998년 ‘품바’ 4000회 공연] 스포츠동아. 2011년 06월 27일</ref>
         * [[2011년]] [[MBC]] 미니시리즈 《[[최고의 사랑]]》 ... 의사 역(특별출연)
         * [[2011년]] [[SBS]] 드라마스페셜 《[[보스를 지켜라]]》 ... 노봉만 역
         * [[2011년]] [[SBS]] 일일연속극 《[[내 딸 꽃님이]]》 ... 은천만 역
         * [[2011년]] 《[[글러브 (영화)|글러브]]》 ... 파출소장 역
         * [[2011년]] 《[[평양성 (영화)|평양성]]》 ... 고구려 [[보장왕]] 역
         * [[2011년]] 《[[로맨틱 헤븐]]》 ... 지욱 의사 역
         * [[2011년]] 《우어 파우스트》
  • 정다흰
         |프로 입단 연도 = [[2011년]]
         |드래프트 순위 = [[2011년 한국프로야구 신인 드래프트|2011년]] 2차 3라운드([[LG 트윈스]])
         * [[LG 트윈스]] (2011년 ~ 2015년)
         2011년 신인지명회의에서 3라운드 전체 18번째로 LG트윈스에 지명되어, 계약금 8천만원, 연봉 2400만원에 계약하였으나, 1군 무대를 밟아보기 전에 공익근무요원으로 입대하여, 2014년에 소집 해제 되었다. 2014년에 신고선수로 전환되었다.
  • 정링컨
          | 활동기간 = [[2011년]] ~ 현재
         2011년 [[tvN]] 《[[리얼키즈 스토리 레인보우]]》에서 첫 데뷔한 그는 [[대한민국]] [[국적]]과 [[터키]] [[시민권]]을 소지, 즉 [[이중 국적]]을 소지하였다.
         [[분류:2007년 태어남]][[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2011년 데뷔]][[분류:대한민국의 남자 모델]][[분류:비디오 자키]][[분류:대한민국의 남자 뮤지컬 배우]][[분류:21세기 대한민국 사람]][[분류:21세기 미국 사람|램버트, 링컨]][[분류:21세기 터키 사람|람베르트, 파울]][[분류:미국의 남자 모델]][[분류:대한민국의 남자 어린이 배우]][[분류:한양초등학교 동문]][[분류:대한민국의 남자 텔레비전 배우]][[분류:미국의 침례교도]][[분류:미국계 터키인]][[분류:한국계 터키인]][[분류:미국계 한국인]][[분류:미국에 거주한 대한민국인]][[분류:캐나다에 거주한 대한민국인]][[분류:터키에 거주한 대한민국인]][[분류:뉴질랜드에 거주한 대한민국인]][[분류:브루나이에 거주한 대한민국인]][[분류:대한민국의 침례교도]]
  • 정명훈 (프로게이머)
         2011년 1월 29일 [[박카스 스타리그 2010]] 결승전에서 송병구를 꺾고 생애 첫 메이저 개인리그 우승을 차지했다. 2011년 04월 KeSPA랭킹 1위를 달성하였다. [[김택용]]과 송병구 모두를 유일하게 5전제에서 3:0으로 격파한 선수이다. (김택용을 3:0으로 격파한 것은 바투 스타리그 2008 4강에서였고 팀킬 대진이었다.)
         *'''정라덴'''은 [[인크루트 스타리그 2008]]에서 뛰어난 에이스들을 꺾어 흥행을 망쳐 리그 테러리스트라는 뜻이 담겨있었다. 하지만, 뛰어난 경기력을 보여줌과 함께 테러리스트라는 별명을 본인이 긍정적으로 받아들이면서, 최근에 벌처로 끝내주게 테러를 한다는 개념으로 순화되었다. 스타리그 2연속 결승진출을 하였으나, 최연성이 짜주는 전략(저그전 메카닉)을 실행에만 옮기는 메뉴얼, 최연성의 아바타에 불과하다는 말도 있다. 하지만 2010년과 특히 최연성이 없던 2011년 개인리그에서 좋은 성적을 내며 좋은 기량을 지속적으로 보여주었다.
         2011년 4월 1일, 생애 최초로 KeSPA 랭킹 1위에 올랐다. 하지만 생애 처음 1위를 해서 그런지 MSL 32강 탈락 등 4월에는 별다른 성적을 거두지 못한채 1달만에 1위 자리를 [[이제동]]에게 반납했다. 이로 인해 '''역대 최고로 포스없는 1위'''였다고 회자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2012년 8월 1일, 1년 4개월 만에 이영호를 제치고, 다시 랭킹 1위를 탈환하면서 이러한 이미지를 없애는가 싶었으나, 스타리그 준우승으로 포인트를 쌓지 못해, 2012년 9월에 다시 1위 자리를 1달만에 이영호에게 내줌으로 1달 천하, 반짝 1위에 불과하다는 말이 사실이 되었다.
         비록 대 저그전에선 바이오닉 컨트롤의 미숙함으로 크게 성적을 내진 못했지만, 프로토스전에서만큼은 주특기인 메카닉을 잘 살려 좋은 성적을 내고 있다. 대 프로토스전 첫 경기였던 박종수와의 신한은행 프로리그 2007 전기리그에서 승리한 데 이어 비공식 포함 2007년 64%, 2008년 62%, 2009년 62%, 2010년 66%%, 그리고 2011년 3월 현재는 66%의 승률을 달리고 있다.
         두 선수는 홍진호에 이은 콩라인으로 잘 알려져있다. [[인크루트 스타리그 2008]] 16강에서 처음 만난 경기에서는 [[송병구]]가 승리했고 한 달 뒤 펼쳐진 결승전 경기에서 송병구가 승승패패승이라는 짜릿한 스코어로 로열로더를 노리던 정명훈을 꺾고 스타리그 2회 준우승 이후 첫 우승을 하게 되었다. [[박카스 스타리그 2009]] 16강에서 정명훈이 송병구를 꺾으며 스타리그 결승전에서의 패배를 설욕했으나 이후 송병구에게 비공식전 포함 4연패를 당하며 정명훈의 천적으로 굳어졌다. 그러나 2011년 1월 29일에 사상 처음으로 결승전 리매치가 성사된 [[박카스 스타리그 2010]] 결승전에서 정명훈이 송병구를 3:0으로 완벽하게 셧아웃시키고 콩라인을 탈출하며 스타리그에서의 한을 풀었다. 하지만 바로 다음날 펼쳐진 신한은행 위너스리그 10-11에서 송병구가 승리하여 전날의 패배를 복수했다. 최근에는 [[SK플래닛 스타크래프트 프로리그 시즌1]]에서 만나 정명훈이 송병구를 제압하여 공식전 전적에서는 앞서게 되었다. 하지만 [[SK플래닛 스타크래프트 프로리그 시즌2]] 1라운드에서 또 설욕당했다. 이후 [[SK플래닛 스타크래프트 II 프로리그 12-13]] 1라운드에서도 또 패했다. 2라운드에서도 또 패하며 현재 송병구전 3연패 중. 현재는 상대전적은 비공식전까지 포함하여 8:13으로 밀리고 있으며 공식전만 봐도 8:10으로 두경기 밀린다.
         * [[2011년]] '''박카스 스타리그 2010 우승''' (3:0 [[송병구]])
         * 2011년 ABC마트 MSL 2011 32강
         * 2011년 진에어 스타리그 2011 준우승 (2:3 [[허영무]])
  • 정몽규
         2011년 제9대 한국프로축구연맹 총재로 선출돼 당시 선수들의 승부조작 사건 등을 단호하게 처리한 바 있으며 2013년에는 52대 대한축구협회 회장으로 선출됐고, 2016년 제53대 대한축구협회장으로 연임에 성공했다. FIFA 클럽월드컵조직위원회 위원(2013-2016), AFC 집행위원회 위원(2015-2017), AFC 아시안컵 조직위원회 부위원장(2015~현재), 발전위원회 위원(2015~현재), FIFA 20세월드컵 조직위원회 위원장(2016~현재), [[2016리우올림픽]] 선수단 단장(2016), [[AFC심판위원회]] 위원장(2016~현재), [[AFC]] 부회장(2016~현재), [[대한체육회]] 부회장(2017~현재), [[FIFA 평의회]] 위원(2017~현재), [[동아시아축구연맹]] 회장(2018~현재)로 활동하고 있다. 2017년 [[FIFA평의회]] 위원으로 선출된 후 중국, 일본, 북한과의 ‘2030 월드컵 공동개최’ 프로젝트에 대한 의지를 밝혔다.
         |임기 = [[2011년]] [[1월 26일]] ~ [[2013년]] [[1월 7일]]
  • 정민 (배우)
         * [[2011년]] SBS 《[[내일이 오면 (2011년 드라마)|내일이 오면]]》 ... 지호 역
  • 정민(1977)
         * [[2011년]] SBS 《[[내일이 오면 (2011년 드라마)|내일이 오면]]》 ... 지호 역
  • 정범균
         [[2007년]] [[KBS]] 22기 공채 [[개그맨]]으로 입사하였고 [[2009년]] [[11월 17일]] 군에 입대하였다가 [[2011년]] [[9월 9일]]에 제대하여 [[개그콘서트]]에 복귀하였다.
  • 정상교
         |프로 입단 연도 = [[2011년]]
         |드래프트 순위 = [[2011년 대한민국 프로 야구 신인선수 지명 회의|2011년]] 5라운드([[KIA 타이거즈]])
         |첫 출장 = [[KBO (야구)|KBO]] / [[2011년]] [[8월 10일]]<br>[[광주무등경기장 야구장|광주]] 대 [[LG 트윈스|LG]]전
         * [[KIA 타이거즈]] (2011년 ~ 2017년)
         2011년에 입단하였다.
  • 정성철 (야구 선수)
         * [[KIA 타이거즈]] (2009년 ~ 2011년)
         [[2009년]] 연고 팀 [[KIA 타이거즈]]의 1차 지명을 받아 계약금 2억 원, 연봉 2천만 원의 조건으로 입단하였다. 하지만 [[2009년]]에만 1군에 올라오고 1군 11광주에 등판하여 승리 없이 1패, 평균자책 7.94에 그쳤다. 이후에는 허리 부상으로 재활을 반복하게 되어 1군에 오르지 못해 [[2011년]] [[11월 22일]] 2차 드래프트에 올라가게 된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7&oid=405&aid=0000000050 NC 2차 드래프트로 본 분배의 중요성] - 배지헌 칼럼</ref>
         [[2011년]] [[11월 22일]] 2차 드래프트에서 [[NC 다이노스]]의 지명을 받아 이적하였다. 하지만 활약을 보여 주지 못하고 시즌 후 보류 명단에서 제외되어 방출되었다.
  • 정소영 (배우)
         * [[2011년]] [[MBC]] 월화드라마 《[[계백 (드라마)|계백]]》 ... 명주 역
         * [[2011년]] 《상계동 덕분이》 ... 기숙 역
  • 정수성 (야구인)
         |style="text-align:center"|[[2011년]]
  • 정아랑 (배우)
         | 활동기간 = [[2011년]] ~ 현재
  • 정영일
         * [[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LA 에인절스]] 산하 마이너 (2007년 ~ 2011년)
         * [[고양 원더스]] (2011년 ~ 2012년)
         진흥고 시절 혹사의 후유증으로 [[미국]]에서는 별 활약을 보여주지 못하고 귀국했다. 부상으로 인해 [[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LA 에인절스]] 입단 이후에도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MLB]]에 승격되지 못했고, [[2007년]] 오른쪽 팔꿈치 부상을 당했으나 재활에 실패해 [[2008년]] 6월 토미 존 수술을 받았다. 그러나 회복하지 못하고 [[2011년]] [[5월 27일]]에 방출됐다.<ref>[http://sports.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mlb&ctg=news&mod=read&office_id=076&article_id=0002112359 LAA 정영일, 부상 극복 못하고 방출] - 스포츠조선</ref>
         [[2011년]] [[12월 24일]] [[미국]] 복귀를 포기하고 독립 [[야구]] 팀 [[고양 원더스]]에 입단했으나, [[KBO 퓨처스리그|퓨처스 리그]] 출전마저 제한되자 팀을 떠났다.
  • 정용준 (소설가)
         [[2009년]] 《현대문학》 신인추천에 단편소설 〈굿나잇, 오블로〉가 당선되어 등단했다. [[조선대학교]] 러시아어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 문예창작학과에서 석사학위를 받았으며, [[고려대학교]] 대학원 문예창작학과 박사과정에서 공부했다. 단편소설 〈떠떠떠, 떠〉로 [[2011년]] 제2회 젊은작가상 본상에, 단편소설 〈가나〉로 [[2011년]] 제1회 [[웹진 문지문학상]] 이달의 소설에 선정되었다. 2011년 제2회 문학동네 젊은작가상, [[2013년]] 제4회 문학동네 젊은작가상, [[2016년]] 제7회 문학동네 젊은작가상, 제5회 소나기마을문학상, 제16회 [[황순원문학상]]을 받았다. 현재 [[서울예술대학교]] 문예창작과에서 강의하고 있으며, 텍스트 실험집단 루 동인으로 활동 중이다.
  • 정용화
         === 2009년 ~ 2011년: 씨엔블루 데뷔와 배우 활동 ===
         * [[2009년]] [[12월 6일]]부터 [[2010년]] [[3월]]까지 [[문화방송|MBC]] 《[[우리들의 일밤|일요일 일요일 밤에]] - [[헌터스]] : [[헌터스|에코하우스]]》를 시작으로 예능활동을 시작하였다. [[2010년]] [[2월]]부터 [[2011년]] [[4월]]까지 [[문화방송|MBC]] 《[[우리 결혼했어요]] 시즌 2》에 고정출연하였고, [[2010년]] [[7월]]부터 [[2011년]] [[3월]]까지는 [[SBS]] 《[[인기가요]]》 [[사회자|MC]]를 맡았다.<ref name="ingi">[http://seoulntn.com/cindex.php?c=news&m=view&idx=41989 정용화-조권, '인기가요' 새 MC 발탁..'관심집중'], 《서울신문NTN》, 2010년 7월 18일 작성.</ref> 또한, [[2009년]], [[2010년]] 2년 연속 《[[SBS 가요대전]]》 MC로 활동하였다.<ref name="gayo1" /><ref name="gayo2" /> 이러한 고정 출연 외에도 [[황금어장]], [[런닝맨]] -게스트로 최다출연기록을 세웠다, [[강심장]], [[명받았습니다]], [[승승장구]], [[놀러와]], [[해피투게더 (텔레비전 프로그램)|해피투게더]], [[청춘불패]], [[대국민 토크쇼 안녕하세요]] 등 여러 예능 프로그램에 게스트로 출연하였다.
         * [[2011년]] [[1월 9일]], 일본에서 세 번째 싱글 ''[[RE-MAINTENANCE]]''를 발매하였다. 타이틀 "Try again, Smile again"을 작곡 및 작사하였고 오리콘 싱글차트 데일리 2위에 올랐다.<ref>{{뉴스 인용 |제목 = '씨엔블루' 日 투어 전석 매진 신기록…오리콘 챠트 2위 겹경사 |url = http://mystar.mdtoday.co.kr/mystar/index.html?no=426803 |출판사 = 마이스타뉴스 |날짜 = [[2011년]] [[1월 10일]] |확인날짜 = 2012년 8월 19일 |보존url = https://archive.today/20130111191550/http://mystar.mdtoday.co.kr/mystar/index.html?no=426803 |보존날짜 = 2013년 1월 11일 |깨진링크 = 예 }}</ref>
         * [[2011년]] [[3월 21일]], 첫 정규 음반 발매 및 게릴라 라이브 콘서트를 열었으며,<ref>{{뉴스 인용|제목 = 컴백 씨엔블루 오늘(21일) 앨범발매→쇼케이스→게릴라콘서트 3단콤보|url=http://www.newsen.com/news_view.php?uid=201103211126181002|출판사 = 뉴스엔 |날짜 = [[2011년]] [[3월 21일]]}}</ref><ref>{{뉴스 인용|제목 = 씨엔블루, 컴백과 함께 게릴라 콘서트…팬들 “역시 실력파 밴드는 달라”|url = http://mystar.mdtoday.co.kr/mystar/index.html?no=479272|출판사 = 마이스타뉴스|날짜 = [[2011년]] [[3월 21일]]}}{{깨진 링크|url=http://mystar.mdtoday.co.kr/mystar/index.html?no=479272 }}</ref> 선주문 10만장이 넘은 이 앨범은 발매 직 후 실시간차트와 일간차트 등에서 1위를 하였고, 컴백 일주일 후 [[3월 31일]] [[Mnet]] 《[[엠카운트다운]]》에서 1위를 시작으로 하여 공중파인 [[KBS]] 《[[뮤직뱅크]]》, [[SBS]] 《[[인기가요]]》에서 1위를 하였으며,<ref>{{뉴스 인용|제목 = 씨엔블루, 컴백 1주 만에 '엠카' 1위··"초심 잃지 않겠다"|url=http://www.asiae.co.kr/news/view.htm?idxno=2011033115421314776|출판사 = 아시아경제 |날짜 = [[2011년]] [[3월 31일]]}}</ref><ref>{{뉴스 인용|제목 = 씨엔블루 '직감' 잇따른 1위, 'FIRST STEP'의 놀라운 '직감'|url=http://bntnews.hankyung.com/apps/news?popup=0&nid=04&c1=04&c2=04&c3=00&nkey=201104021400073&mode=sub_view|출판사 = 한경닷컴 |날짜 = [[2011년]] [[4월 2일]]}}</ref> 데뷔 후 처음으로 [[Mnet]] 《[[엠카운트다운]]》과 [[KBS]]《[[뮤직뱅크]]》에서 트리플크라운을 달성하였다.
         * [[2011년]] [[6월]]부터 [[8월]]까지 [[문화방송 수목 미니시리즈|MBC 수목 미니시리즈]] 《[[넌 내게 반했어]]》에서 주인공인 이신 역을 맡았으며 정용화 효과로 《[[넌 내게 반했어]]》가 일본 정규방송에 편성되었다.
         * [[2011년]] [[9월 1일]]에 일본에서 인디즈 마지막 앨범인 《[[392(Thank you too(much))]]》를 발매하여 오리콘 데일리 앨범 3위와 인디즈 위클리 1위를 차지 하였다.<ref>{{뉴스 인용|제목 = 씨엔블루 日 앨범 ‘392’, 오리콘 데일리 앨범 차트 3위 |url=http://www.maxmovie.com/movie_info/ent_news_view.asp?mi_id=MI0093705691|출판사 = 맥스뉴스 |날짜 = [[2011년]] [[9월 2일]]}}</ref> 또한, [[2011년]][[9월 10일]]에 일본에서 열린 일본 마쿠하리 멧세(MAKUHARI MESSE)에서 열리는 [[린킨파크]](Linkin Park) 단독 공연의 오프닝 무대에 서게 됐다.<ref>{{뉴스 인용|제목= 씨엔블루(CNBLUE), 린킨파크(Linkin Park)와 '오프닝 무대' 가져|url= http://www.topstarnews.net/n_news/news/view.html?no=3065|출판사= 톱스타뉴스|날짜= [[2011년]] [[9월 9일]]|확인날짜= 2012년 8월 19일|보존url= https://web.archive.org/web/20130120220518/http://topstarnews.net/n_news/news/view.html?no=3065|보존날짜= 2013년 1월 20일|깨진링크= 예}}</ref>[[9월 17일]]~[[9월 18일]]에는 서울에서 열린 콘서트 "BLUE STORM"을 이틀에 걸쳐 진행하고,<ref>{{뉴스 인용|제목 = 씨엔블루, 아시아투어 콘서트…9월 제주에서 출발한다.|url=http://sportsworldi.segye.com/Articles/EntCulture/Article.asp?aid=20110801001713&subctg1=10&subctg2=00|출판사 = 스포츠월드 |날짜 = [[2011년]] [[8월 1일]]}}</ref> [[9월 25일]]에는 인디즈그룹으로는 유례없이 1만 5천석의 Yokohama Arena에서 인디즈 마지막 콘서트를 진행하였다.<ref>{{뉴스 인용|제목 = 씨엔블루 단독 콘서트, 요코하마의 밤을 불태운 ‘열정의 무대’|url=http://sstv.tvreport.co.kr/index.html?page=news/flypage&cid=24&nid=119144|출판사 = SSTV |날짜 = [[2011년]] [[9월 26일]]}}</ref><ref>{{뉴스 인용|제목 = 이것이 밴드다…'씨엔블루' 日콘서트,1만 5천 팬 열광 |url=http://www.nocutnews.co.kr/Show.asp?IDX=1927290|출판사 = 노컷뉴스 |날짜 = [[2011년]] [[9월 26일]]}}</ref>
         * [[2011년]] [[10월 19일]]에 2년여 시간의 인디즈 생활을 마감하고 《[[In My Head]]》로 메이저 데뷔를 하였다.<ref>{{뉴스 인용|제목 = 씨엔블루, 워너 뮤직 재팬과 계약 체결…日 메이저 사냥 나선다|url = http://tvdaily.mk.co.kr/read.php3?aid=1314836363197901011|출판사 = 티브이데일리|날짜 = [[2011년]] [[9월 1일]]|확인날짜 = 2012년 8월 19일|보존url = https://archive.today/20120720005549/http://tvdaily.mk.co.kr/read.php3?aid=1314836363197901011|보존날짜 = 2012년 7월 20일|깨진링크 = 예}}</ref><ref>{{뉴스 인용|제목 = 씨엔블루, 10월19일 'In my head' 발매 日정식데뷔 |url=http://star.mt.co.kr/view/stview.php?no=2011090609394071723&type=1&outlink=1|출판사 = 스타뉴스 |날짜 = [[2011년]] [[9월 6일]]}}</ref>《[[In My Head]]》의 타이틀 "In My Head" 를 작곡 하였고 "Mr.K.I.A(Know It All)" 작사 및 작곡, "In My Head(Inst.)" 작곡하였다. 이 앨범은 첫 날 오리콘 싱글 데일리 차트 3위를 하였다.<ref>{{뉴스 인용|제목= `씨엔블루, 日메이저 데뷔곡 '인 마이 헤드' 오리콘 3위 '쾌거' |url=http://www.mydaily.co.kr/news/read.html?newsid=201110200945231137&ext=na|출판사 = 마이데일리|날짜 = [[2011년]] [[10월 20일]]}}</ref> 메이저 음반 발매 기념으로 한 이벤트에 1만4000여명이 참가했다.<ref>{{뉴스 인용|제목= 씨엔블루 이벤트 1만4000명 동원 ‘日 메이저 데뷔 성공적’|url= http://news.donga.com/Culture/Music/3/0710/20111025/41382723/1|출판사= 스포츠동아|날짜= [[2011년]] [[10월 25일]]}}{{깨진 링크|url=http://news.donga.com/Culture/Music/3/0710/20111025/41382723/1 }}</ref>
         * 오리콘 싱글 위클리 차트에 일주일 만에 7만 1200장을 팔아 치우고 일본 메이저 데뷔를 했다.<ref>{{뉴스 인용|제목= 씨엔블루, 日 데뷔싱글 일주일 만에 7만장 판매|url=http://sports.chosun.com/news/utype.htm?id=201110270100197960017298&ServiceDate=20111026|출판사 = 스포츠조선|날짜 = [[2011년]] [[10월 26일]]}}</ref><ref>{{뉴스 인용 |제목= 씨엔블루 '인 마이 헤드', 日 오리콘 주간 차트 4위 랭크 |url= http://tvdaily.mk.co.kr/read.php3?aid=1319589921221164011 |출판사= 티브이데일리 |날짜= [[2011년]] [[10월 26일]] |확인날짜= 2012년 8월 19일 |보존url= https://archive.today/20120715225340/http://tvdaily.mk.co.kr/read.php3?aid=1319589921221164011 |보존날짜= 2012년 7월 15일 |깨진링크= 예 }}</ref> 《[[In My Head]]》는 [[2011년]][[11월 10일]]에 일본 레코드 협회에서 선정하는 골드 레코드가 되었다.<ref>{{뉴스 인용|제목= 씨엔블루 일본 데뷔싱글 10만장 넘겨, 日 '골드 레코드' 선정|url= http://tvdaily.mk.co.kr/read.php3?aid=1321064770229443011|출판사= 티브이데일리|날짜= [[2011년]] [[11월 12일]]|확인날짜= 2012년 8월 19일|보존url= https://archive.today/20130112003527/http://tvdaily.mk.co.kr/read.php3?aid=1321064770229443011|보존날짜= 2013년 1월 12일|깨진링크= 예}}</ref>
         * [[2011년]] [[12월 4일]]을 시작으로 일본에서 겨울투어를 실시하여, [[12월 4일]] 센다이, [[12월 6일]] 나고야, [[12월 14일]] 오사카, 그리고 [[12월 16일]] 도쿄에서 일본 전국 투어를 실시하였다.<ref>{{뉴스 인용|제목= 씨엔블루, 日 전국투어 마지막 공연 13000명 동원 ‘1분 만에 티켓 매진'|url=http://wstarnews.hankyung.com/apps/news?popup=0&nid=01&c1=01&c2=01&c3=00&nkey=201112191637321&mode=sub_view|출판사 = 한국경제연예|날짜 = [[2011년]] [[12월 19일]]}}</ref>
         * [[2011년]][[12월 28일]]에 일본에서 매년 연말 개최되는 Music Festival 'COUNTDOWN JAPAN'에 외국인 최초로 출연하였다.<ref>{{뉴스 인용 |제목= 씨엔블루(CNBLUE), 일본 락 페스티벌 'COUNTDOWN JAPAN' 외국인 최초 출연 |url= http://www.topstarnews.net/n_news/news/view.html?no=4208 |출판사= TOP스타 뉴스 |날짜= [[2011년]] [[11월 18일]] |확인날짜= 2012년 8월 19일 |보존url= https://web.archive.org/web/20130120220609/http://topstarnews.net/n_news/news/view.html?no=4208 |보존날짜= 2013년 1월 20일 |깨진링크= 예 }}</ref><ref>{{뉴스 인용|제목= 씨엔블루, 日 연말 최대 록축제 외국인 최초 출연|url=http://sports.hankooki.com/lpage/music/201111/sp2011111809264695510.htm|출판사 = 스포츠한국|날짜 = [[2011년]] [[11월 18일]]}}</ref>
         * [[2012년]]은 첫 주부터 아시아투어를 하였다. [[2012년]] [[1월 7일]]~[[1월 8일]]을 시작으로 홍콩에서 씨엔블루의 아시아투어 첫 콘서트가 열렸다.<ref>{{뉴스 인용|제목= 씨엔블루, 일본 이어 홍콩도 녹였다 '8000 구름팬 운집'|url= http://tvdaily.mk.co.kr/read.php3?aid=1326249160257638011|출판사= 티브이데일리|날짜= [[2012년]] [[1월 11일]]|확인날짜= 2012년 8월 19일|보존url= https://web.archive.org/web/20120119163458/http://tvdaily.mk.co.kr/read.php3?aid=1326249160257638011|보존날짜= 2012년 1월 19일|깨진링크= 예}}</ref><ref>{{뉴스 인용|제목= 씨엔블루, 홍콩에서 아시아투어 화려한 출발|url=http://sportsworldi.segye.com/Articles/EntCulture/Article.asp?aid=20120111001281&subctg1=10&subctg2=00|출판사 = 스포츠월드|날짜 = [[2012년]] [[1월 11일]]}}</ref> 이번 홍콩콘서트는 1회를 추가하여 총 이틀에 걸쳐 콘서트가 진행되었다.<ref>{{뉴스 인용|제목= 씨엔블루 홍콩콘서트, 1시간만에 매진|url=http://sportsworldi.segye.com/Articles/EntCulture/Article.asp?aid=20111021001089&subctg1=10&subctg2=00|출판사 = 스포츠월드|날짜 = [[2011년]] [[10월 21일]]}}</ref>
         * [[2012년]] [[7월]]부터 [[2011년]] [[6월]]부터 [[8월]]까지 방영된 [[문화방송 수목 미니시리즈|MBC 수목 미니시리즈]] 《[[넌 내게 반했어]]》가 일본 공중파 후지TV에 방영을 시작하게 되었다.<ref>{{뉴스 인용|제목= 정용화, 일본 인기 파워 실감- ‘넌 내게 반했어’ 일본 공중파 입성 |url=http://nanumnews.com/sub_read.html?uid=42246§ion=sc208|출판사 = 나눔뉴스|날짜 = [[2012년]] [[5월 16일]]}}</ref><ref>{{뉴스 인용|제목= 정용화 출연작 '넌 내게 반했어' 日 후지TV 진출 '경사났네' |url=http://www.tvreport.co.kr/?c=news&m=newsview&idx=226944TM=news&SM=4101&idxno=587637|출판사 = TV리포트 |날짜 = [[2012년]] [[5월 16일]]}}</ref> 또한, 공중파 방영 전에 [[2012년]] [[7월 16일]]에 일본에서 공식적인 팬미팅을 개최하였으며,<ref>{{뉴스 인용|제목= 정용화 박신혜, 日 '넌 내게 반했어' 방영 앞두고 팬미팅 개최 |url=http://www.etoday.co.kr/news/section/newsview.php?TM=news&SM=4101&idxno=595980|출판사 = 이투데이|날짜 = [[2012년]] [[6월 13일]]}}</ref><ref>{{뉴스 인용 |제목= 정용화-박신혜, '넌 내게 반했어' 日 팬미팅 성료 |url= http://thestar.chosun.com/site/data/html_dir/2012/07/17/2012071701006.html |출판사= 조선일보 |날짜= [[2012년]] [[7월 17일]] }}{{깨진 링크|url=http://thestar.chosun.com/site/data/html_dir/2012/07/17/2012071701006.html }}</ref> 티켓이 모두 매진되는 기염을 토했다.<ref>{{뉴스 인용|제목= 정용화·박신혜, ′넌 내게 반했어′ 日팬미팅 1만석 매진 ″현지 열기 후끈″ |url=http://www.asiatoday.co.kr/news/view.asp?seq=667085|출판사 = 아시아투데이|날짜 = [[2012년]] [[7월 11일]]}}</ref>
         | 넌 내게 반했어 (노래)|넌 내게 반했어<ref name="test">[http://music.naver.com/album/index.nhn?albumId=200171 넌 내게 반했어 OST Part 1 발매], 《네이버 뮤직》, 2011년 6월 29일 발매.</ref>
         | [[그리워서]]<ref name="t3">[http://music.naver.com/album/index.nhn?albumId=201206 넌 내게 반했어 OST Part 3 발매], 《네이버 뮤직》, 2011년 7월 13일 발매.</ref>
          |확인날짜 = 2011년 1월 13일
         |rowspan=2|2010년 ~ 2011년
         |align="center"|[[2010년]] [[2월 27일]] ~ [[2011년]] [[4월 2일]]
         |align="center"|[[2010년]] [[7월 17일]] ~ [[2011년]] [[3월 13일]]<ref name="ingi" />
         |2010년 ~ 2011년
         |align="center"|[[2010년]] [[11월 15일]] ~ [[2011년]] [[7월 4일]]<ref name="night">[http://news.mk.co.kr/v3/view.php?sc=50500004&cm=%B9%E6%BC%DB%A1%A4%BF%AC%BF%B9&year=2010&no=555407&relatedcode=000100050&sID=505 정용화-유이-대성 `밤이면 밤마다` MC 낙점‥아이돌라인 형성], 《매일경제 & mk.co.kr》, 2010년 10월 13일 작성.</ref>
  • 정은우
         * [[2011년]] [[KBS1]] 일일연속극 《[[웃어라 동해야]]》 ... 김선우 역
         * [[2011년]] [[SBS]] 아침연속극 《[[태양의 신부]]》 ... 최진혁(제임스) 역
  • 정은지
         | 활동시기 = [[2011년]] ~ 현재
         [[분류:정은지]][[분류:에이핑크의 일원]][[분류:1993년 태어남]][[분류:2011년 데뷔]][[분류:대한민국의 여자 가수]][[분류:대한민국의 가수]][[분류:대한민국의 배우]][[분류:대한민국의 방송인]][[분류:대한민국의 여자 뮤지컬 배우]][[분류:대한민국의 여자 배우]][[분류:서울특별시 출신]][[분류:대한민국의 발라드 음악가]][[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플랜에이 엔터테인먼트 소속]][[분류:동래 정씨]][[분류:대한민국의 개신교도]]
  • 정은채(배우)
         || [[2011년]] || 플레이 || 은채 || [* 그룹 [[메이트]] 멤버의 자전적 이야기를 담은 논픽션 영화로, 20대 중반 아이들의 흔들리는 일상, 청춘을 담고 있는 영화다.] ||
         ||<|2> [[2011년]] || [[KBS1]] || [[우리집 여자들]] || 고은님 || ||
         || [[2011년]] || [[휘성]] || 가슴 시린 이야기(Feat.[[용준형]] of [[BEAST]]) ||
         || [[2011년]] || [[삼성생명]] || 인터넷보험 가입센터(with.[[박태환]]) || ||
         || [[2011년]] || 제6회 아시아 모델상 시상식 || CF 모델상 || ||
  • 정종철
         * [[2011년]] 《[[뿌리깊은 나무 (2011년 드라마)|뿌리깊은 나무]]》([[SBS]]) - 옥떨이 역
  • 정준 (1979년)
         * [[2011년]] [[SBS]] 수목드라마 《[[시티헌터 (드라마)|시티헌터]]》 ... 김상국 역
         * [[2011년]] [[SBS]] 월화드라마 《[[천일의 약속]]》 ... 차동철 역
  • 정지원 (1968년)
         2004년 말 경인방송의 폐업 이 후 재개국 추진위원회인 '경인방송 희망조합'에서 활동하다가 [[2005년]] [[3월 25일]]에 엑스포츠 개국멤버로 자리를 옮겨 엑스포츠가 폐국되는 2009년까지 아나운서 실장 대우의 캐스터로 활동했다.<ref>[http://www.donga.com/fbin/output?n=200908140104 “선수보다 파김치… 그래도 천직”], 《동아일보》 [[2009년]] [[8월 14일]]</ref> [[2009년]] 12월, [[CJ미디어]] 대외협력팀장을 거친 뒤 [[2011년]] [[10월]] 동아일보의 종합편성채널인 [[채널 A]] 개국멤버로 스포츠부장을 맡게 되면서 현재는 야구 캐스터 활동을 중단한 상태이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7&oid=295&aid=0000000346 프로야구 시청률 1위팀과 방송사는?], 《[[네이버]] [[박동희 (야구블로거)|박동희]] [[칼럼]]》[[2009]] [[12월 23일]]</ref> [[2013년]] [[11월 19일]] [[채널 A]]가 독점 생중계한 [[WBA]] 밴텀급 챔피언전을 중계하며, 오랜만에 [[스포츠캐스터|캐스터]]로 복귀하였다.
  • 정진영
         2011년의 정진영.
         * 《[[평양성 (영화)|평양성]]》 ([[2011년]]) - [[김유신]] 장군 역
         * 《[[특수본]]》 ([[2011년]]) - 황두수 역
         * 《[[영도다리를 건너다]]》([[KBS2]], [[2011년]]) - 백익덕 역
         * 《[[브레인 (드라마)|브레인]]》 ([[KBS2]], [[2011년]]) - 김상철 역
         * 《[[휴먼서바이벌 도전자]]》([[KBS]]) ([[2011년]] [[6월 24일]] ~ [[2011년]] [[10월 7일]])
         * 《[[MBC 스페셜]]》([[MBC]]) ([[2011년]]) - 마음의 근육을 만들다 내레이션
         | rowspan="3"| 2011년
  • 정창영 (공무원)
         |임기 = [[2009년]] [[12월 16일]] ~ [[2011년]] [[7월 21일]]
  • 정태섭 (1954년)
         * 대한신경두경부영상의학회 회장 (2009-2011년)
         * [[2011년]] New Horizons of X-ray Art, AUP Gallery, Paris, France
  • 정태우
         * [[2011년]] [[MBC]] 《[[반짝반짝 빛나는 (드라마)|반짝반짝 빛나는]]》 ... 윤승재 역
         * [[2011년]] [[KBS1]] 《[[광개토태왕 (드라마)|광개토태왕]]》 ... 담망 역
  • 정한용
         * [[2011년]] [[KBS1]] 일일연속극 《[[당신 뿐이야]]》 ... 기부남 역
  • 정형식 (1991년)
         [[2011년]]부터 본격적으로 1군에서 많은 출전 기회를 받은 그는 [[2011년 아시아 시리즈]] 결승전에서 [[박한이]]가 부상을 당해 교체 출장하여 2타점 역전 적시타를 기록해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를 상대로 승리하는데 크게 기여하며<ref>[http://sports.chosun.com/news/ntype.htm?id=201112010100007910000285&servicedate=20111201 소프트뱅크 무너뜨린 정형식 "최고로 짜릿했던 순간"] - 스포츠조선</ref> 야구 팬들 사이에 널리 알려졌다. [[아시아 시리즈]]를 통해 이름을 알린 이후 실력이 성장했다.<ref>[http://sports.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kbo&ctg=news&mod=read&office_id=414&article_id=0000000058 S스토리-라이징 스타(5) 정형식② 인터뷰] - 삼성스포츠단</ref>
         {{2011년 삼성 라이온즈 아시아 시리즈}}
  • 정혜림 (육상선수)
         {{은메달|[[2011년 아시아 육상 선수권 대회|2011 고베]]|허들 100m}}
         '''정혜림'''(鄭蕙林, [[1987년]] [[7월 1일]] ~ )은 [[대한민국]]의 [[육상]] 선수이다. [[광주광역시청]] 육상팀 소속이며, 주종목은 100m 허들이다. [[2011년]] 제19회 아시아 육상 선수권 대회 여자 100m 허들 종목에서 준우승했다.
         [[분류:1987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여자 허들 선수]][[분류:대한민국의 올림픽 육상 참가 선수]][[분류:2012년 하계 올림픽 육상 참가 선수]][[분류:2011년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 참가 선수]][[분류:대한민국의 아시안 게임 금메달리스트]][[분류:아시안 게임 육상 메달리스트]][[분류:2018년 아시안 게임 메달리스트]][[분류:대한민국의 아시안 게임 육상 참가 선수]][[분류:2010년 아시안 게임 육상 참가 선수]][[분류:2014년 아시안 게임 육상 참가 선수]][[분류:2018년 아시안 게임 육상 참가 선수]][[분류:부산광역시 출신 인물]][[분류:부산체육고등학교 동문]][[분류:조선대학교 동문]]
  • 정호근 (1964년)
         * [[2011년]] [[KBS2]] 《[[강력반 (2011년 드라마)|강력반]]》
         * [[2011년]] [[KBS1]] 《[[광개토태왕 (드라마)|광개토태왕]]》 ... 풍발 역
  • 정호근(배우)
         악역 전문 배우라서 대외 이미지가 썩 좋지는 않으나 생각외로 예능/코미디 출연이 잦다. [[2011년]] [[12월 7일]], [[12월 14일|14일]] 방영된 [[라디오 스타(황금어장)|라디오 스타]]에 [[박준금]], [[장광]]과 함께 악역배우 특집으로 출연했는데 게스트 중 막내였다. [[http://kingdomhiscot.tistory.com/category/%ED%82%B9%EB%8C%80%EB%A6%AC%E2%80%99s%20Fun-Fun/%EC%9D%B4%EC%8A%88%20%EC%95%8C%EB%A6%BC%ED%8C%90?page=550|#]] 세미 트로트 앨범 "함께"를 냈으나 망했고(...)
  • 제이 (1983년)
         * [[2011년]] [[KBS 1TV|KBS1]] 일일연속극 《[[우리집 여자들]]》 - 이세인 역
  • 제이 (가수)
         # SuperStar ([[2011년]] [[7월 11일]])
         # 악몽 ([[2011년]] [[9월 9일]]) - 디지털싱글
         # 둘이서 (with. 이재훈) ([[2011년]] [[11월 28일]])
  • 조동혁
         * [[2011년]] [[KBS]] 미니시리즈 《[[브레인 (드라마)|브레인]]》 ... 서준석 역
  • 조미령 (1973년)
         * [[2011년]] [[KBS2]] 단막극 《[[KBS 드라마 스페셜]] - 남자가 운다》 ... 영채 역
         * [[2011년]] [[KBS2]] 주말연속극 《[[오작교 형제들]]》 ... 정윤숙 역
         * [[2011년]] [[MBC]] 미니시리즈 《[[지고는 못살아 (2011년 드라마)|지고는 못살아]]》 ... 김영주 역
         * [[2011년]] [[MBC]] 창사특별기획 《[[빛과 그림자 (2011년 드라마)|빛과 그림자]]》 ... 순애 역
  • 조민희(배우)
          * [[2011년]]: KBS2 《[[여유만만]]》
          * [[2011년]]: MBC 《[[기분 좋은 날]]》
          * [[2011년]] ~ [[2013년]]: EBS 《[[생방송 60분 부모|부모]]》
  • 조병국 (축구선수)
         |국가대표팀 최신 업데이트 날짜=[[2011년]] [[10월 7일]]
         시즌이 끝난 후인 [[2010년]] [[12월 31일]], 자유 계약 자격을 획득하여 [[J리그]]의 [[베갈타 센다이]]로 이적하였다.<ref>{{뉴스 인용 |제목='FA' 조병국, J리그 베갈타 센다이 입단 |url=http://news.nate.com/view/20101231n06726?mid=s0301 |출판사=마이데일리 |date={{날짜한글화|2010-12-31}} }}</ref> [[2011년]] [[12월 30일]] [[주빌로 이와타]]로 이적했다.
  • 조상구
         * [[2011년]] SBS 《[[마이더스 (드라마)|마이더스]]》 - 고동춘 역
         * [[2011년]] KBS 《[[포세이돈 (드라마)|포세이돈]]》 - 박칠성 역
  • 조상기
         * [[2011년]] [[MBC]] 미니시리즈 《[[로열 패밀리 (드라마)|로열 패밀리]]》 ... 제임스 딘 역
         * [[2011년]] [[MBC]] 창사특별기획 《[[계백 (드라마)|계백]]》 ... 남조 역
  • 조선옥 (1980년)
         * [[2010년]] ~ [[2011년]] [[MBC]] 일일시트콤 《[[몽땅 내 사랑]]》 - 병원 간호사 역 (단역)
         * [[2011년]] [[KBS2]] 주말연속극 《[[사랑을 믿어요]]》 - 서혜진을 인터뷰한 기자 역 (단역)
         * [[2011년]] [[EBS]] 어린이드라마 《TV로 보는 원작동화》 - 단역 (단역)
         * [[2011년]] ~ [[2012년]] [[MBC]] 주말드라마 《[[천 번의 입맞춤]]》 - 커플메니저 역 (단역)
  • 조선옥(배우)
         * [[2010년]] ~ [[2011년]] [[MBC]] 일일시트콤 《[[몽땅 내 사랑]]》 - 병원 간호사 역
         * [[2011년]] ~ [[2011년]] [[KBS2]] 주말연속극 《[[사랑을 믿어요]]》 - 서혜진을 인터뷰한 기자 역
         * [[2011년]] ~ [[2011년]] [[EBS]] 어린이드라마 《TV로 보는 원작동화》 - 단역
         * [[2011년]] ~ [[2012년]] [[MBC]] 주말드라마 《[[천 번의 입맞춤]]》 - 커플메니저 역
  • 조성윤(뮤지컬배우)
          ||<|3> [[2011년]] || [[김종욱 찾기]] || 김종욱 / 첫사랑 ||
  • 조세희(소설가)
         폐기종 때문에 [[2011년]] 현재는 건강이 썩 좋지 못하다고 한다. [[병원]]을 출퇴근하는 기분으로 다닌다고...
  • 조송화
         | 입단년도 = 2011년
         [[2011년]] 1라운드(전체 4순위) 지명을 받아 흥국생명에 입단한 조송화는 거물급 세터이자 팀 선배인 [[김사니]]의 뒤를 이을 세터로 주목받았다. 입단 때부터 소녀같은 이미지로 시선을 끌었고 흥국생명의 미녀군단계보를 이어가는 선수중 한 명이다. 어린나이답지않는 완급조절에 앞으로가 더 기대되는 선수이다.
         * 2011년 춘계전국남녀중·고배구연맹전 여고부 최우수세터상
  • 조수빈
         |배우자 = [[김동근 (1990년)]] <br /> ([[2011년]] ~ '''현재''')
         * 2011년 12월 공명선거 홍보대사
         * 2011년 금융위원장 표창
  • 조승수 (국회의원)
         | 사진설명 = 2011년, 국회 의원회관에서 발언 중인 조승수
         '''조승수'''(趙承洙, [[1963년]] [[1월 22일]] [[울산광역시|울산]] ~ )는 [[북구(울산)|북구]] [[대한민국 제18대 국회의원 목록|18대 국회의원]]이다. [[진보신당]] 소속이었으나 2011년 [[10월 6일]] 민주노동당과 진보신당의 통합 실패에 책임을 지고 통합진보정당 건설에 매진하겠다는 의사를 밝히며 탈당했다.<ref>[http://www.edaily.co.kr/news/NewsRead.edy?SCD=DA32&newsid=02351766596410296&DCD=A01503&OutLnkChk=Y 조승수 진보신당 탈당.."통합진보정당 건설 매진" - 이데일리 2011.10.06]</ref> [[2010년]] [[진보신당]] 당원들이 참여한 당대표단 선거에서 96.1%의 찬성률로 제 3기 [[진보신당 연대회의]] 당대표직을 맡은 바 있다.
         진보신당 대표를 역임한 조승수는 민주노동당과 진보대통합을 추진했으나 2011년 9월 4일 진보신당 당대회에서 진보통합안이 부결됨으로써 좌절됨. 이에 조승수는 노회찬, 심상정과 함께 탈당 '새진보통합연대'를 결성하고 민주노동당, 국민참여당과 함께 '통합진보당 건설'에 참가. 2011년 12월 통합진보당 창당 후 2012년 3월 통합진보당으로 울산 남구갑 총선 후보로 출마. 울산 남구갑에서 심규명 민주당 후보와 야권단일화를 시도했으나 경선에서 패배하고 사퇴함.
         * 진보신당 대표 (2010년 10월 ~ 2011년 10월)
         |임기 = [[2010년]] [[10월 16일]] ~ [[2011년]] [[10월 6일]]
  • 조아영 (1991년)
         | 활동시기 = [[2011년]] ~ 현재
  • 조안(배우)
         || [[2011년]] || 바다 위의 피아노 || 은지 || ||
         ||<|2> [[2011년]] || [[OCN]] || [[특수사건전담반 TEN]] || 남예리 || ||
  • 조연우
         * [[2011년]] [[MBC]] 주말연속극 《[[애정만만세]]》4회 ... 박원장 역 (특별출연)
         * [[2011년]] [[MBC]] 아침드라마 《[[위험한 여자]]》 ... 강동준 역 (특별출연)
         * [[2011년]] [[KBS2]] 단막극 《[[KBS 드라마 스페셜]] - 아내의 숨소리》 ... 이준희 역
         * [[2011년]] [[JTBC]] 미니시리즈 《[[발효가족]]》5회 ... 한류스타 차용빈 역 (특별출연)
         * [[2011년]] [[채널A]] 단막극 《[[해피앤드 101가지 부부이야기]] - 내 아내의 아이》 ... 성욱 역
         * [[2011년]] [[MBC]] 《코이카의 꿈》
  • 조영민 (1981년)
         |마지막 경기 = [[KBO 리그|KBO]] / [[2011년]] [[9월 9일]] <br /> [[문학야구장|문학]] 대 [[롯데 자이언츠|롯데]]전
  • 조영철 (축구선수)
         축구 명문 울산 [[학성고등학교]]의 제35회 전국 고교 축구 선수권대회 우승에 기여했다. 고교 선수권 결승전을 본 J리그 스카우트의 권유로 [[2007년]] [[J1리그]] [[요코하마 FC]]에 입단하였다. 하지만 그 해 팀은 최하위를 기록하여 [[J2리그]]로 강등되었다. [[2009년]], [[알비렉스 니가타]]로 이적하며 다시 [[J1리그]] 무대로 복귀하였다. [[2011년]] 현금 1억엔으로 [[오미야 아르디자]]로 이적하였다.<ref>[http://sports.news.naver.com/general/news/read.nhn?oid=076&aid=0002172135 J-리그 오미야, 조영철 영입 공식 발표] </ref>
  • 조용기 (1936년)
         * [[2011년]] 재단법인 영산조용기자선재단 이사장 (현재)
         2011년 9월 19일 여의도순복음교회 장로 29명은 조용기 원로목사와 조 목사의 장남 조희준 전 국민일보 회장을 특정경제범죄가중처벌법상 배임 등의 혐의로 서울중앙지검에 고발했다. 이들은 "조 목사가 당회장 시절 교회 돈을 가져다 장남 조희준씨의 주식 투자에 200억원 넘게 사용하도록 했다"고 말했다.<ref>이태훈. [http://media.daum.net/culture/religion/view.html?cateid=100028&newsid=20110921032412345&p=chosun 조용기 목사, 배임혐의 고발 돼]. 조선일보. 2011년 9월 21일.</ref>
  • 조은숙
         * [[2011년]] [[KBS2]] 미니시리즈 《[[프레지던트 (드라마)|프레지던트]]》 ... 주일란 역
         * [[2011년]] [[스토리온]] 《따라하면 나도 부자! 2》 ... MC
  • 조치훈
         * [[2011년]] 제1회 일본 바둑 마스터즈 우승,9월 현재 일본 최다 통산 타이틀 획득(72회) 기록.
         * 2011년 9월 현재 일본 최다 통산 타이틀 획득(72회) 기록을 가지고 있다.
  • 조현근
         * [[경찰 야구단]] (2010년 ~ 2011년)
         [[2009년]] [[12월 17일]] [[경찰 야구단]]에 입대<ref>[http://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baseball&ctg=news&mod=read&office_id=076&article_id=0002009770 우규민-연경흠-우동균 등 24명 경찰청 입대] - 스포츠조선</ref> 하여 [[2011년]]에 제대했다.
  • 조혜련
         * [[2011년]] 채널A 《아트스쿨》
         * [[2011년]] MBN 《충무로 와글와글》
         * [[2011년]] MBC 《웃고 또 웃고》
         *[[2011년]] SBS 연예대상 토크쇼부문 우수상
         *[[2011년]] MBC 방송연예대상 우정상
  • 조홍규 (축구선수)
         |클럽팀 최신 업데이트 날짜= [[2011년]] [[12월 6일]]
  • 조희봉
         * [[2011년]] 《[[모비딕 (2011년 영화)|모비딕]]》 ... 임 찍사 역(특별출연)
         * [[2011년]] 《[[블라인드 (영화)|블라인드]]》 ... 조희봉 형사 역
         * [[2011년]] [[KBS2]] 미니시리즈 《[[드림하이]]》 ... 세계 음반 회사 EMI 직원 역 (우정출연)
         * [[2011년]] [[MBC]] 아침드라마 《[[당신 참 예쁘다]]》 ... 장대풍 역
         * [[2011년]] [[SBS]] 대기획 《[[뿌리깊은 나무 (2011년 드라마)|뿌리깊은 나무]]》 ... 한가놈/[[한명회]] 역
         * [[2011년]] [[KBS2]] 단막극 《[[KBS 드라마 스페셜]] - [[아내가 사라졌다]]》 ... 인호 역
  • 주다영
         * [[2011년]] [[MBC 에브리원]] 틴에이저 시트콤 《[[레알스쿨]]》 ... 주다영 역
         * [[2011년]] [[MBC]] 주말드라마 《[[반짝반짝 빛나는]]》 ... 주혜린 역
         * [[2011년]] [[MBC]] 일일시트콤 《[[하이킥! 짧은 다리의 역습]]》 ... 안종석 팬클럽 회장 역
         * 《작별들》 (2011년) - 명희 역
         * 《감》 (2011년) - 봄이 역
         * 태하 - 돌아와줘 (2011년)
  • 주민정
         '''주민정'''(본명 : '''팝핀 주민정''', [[1994년]] [[5월 28일]] ~ ) 2011년 6월 1일부터 방영된 [[TvN]] [[코리아 갓 탤런트]] 시즌 1에 출연하여 최종 우승하였다.
         * [[2011년]] [[TvN]] [[코리아 갓 탤런트]] 시즌 1' 우승<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6&oid=108&aid=0002095094 "주민정, 최성봉 꺾고 '코갓탤' 우승..'폭풍 눈물"], 스타뉴스, 2011년 8월 21일 기사</ref> [https://www.youtube.com/watch?v=zNgM_3V-Tko <동영상>]
         * [[2011년]] [[KIA 자동차]] DUBSTEP CONTEST 바이럴광고 촬영 [https://www.youtube.com/watch?v=XxxAO9RcLtE <동영상>]
         * [[2011년]] : [[tvN]] [[코리아 갓 탤런트]]
         * [[2011년]] : [[tvN]] 백지연의 피플 인사이드
         * [[2011년]] : [[tvN]] [[현장토크쇼 TAXI]]
  • 주서은
         * [[2011년]] 슈퍼걸콘테스트 뉴페이스상부분 대상
  • 주석 (1978년)
         * [[2011년]] 12월 28일 디지털 싱글 ''Sun & Star''
  • 주진모 (1974년)
         * 《비처럼 음악처럼》([[2011년]])
  • 지성 (1977년)
         !rowspan="2"|[[2011년]]
         !rowspan="3"|[[2011년]]
         !rowspan="5"|[[2011년]]
  • 지우 (1997년)
         * [[2010년]]~[[2011년]] [[SBS]] 일일드라마 《[[호박꽃 순정]]》
         * [[2011년]] [[SBS]] 아침연속극 《[[장미의 전쟁 (2011년 드라마)|장미의 전쟁]]》 ... 박준희 역
  • 지이수
         * [[2011년]] 서울패션위크 스티브제이앤요니피, 김서룡, 박승건, 곽현주, 진태옥 모델
         * [[2011년]] 잡지 Elle, 퍼스트룩, 나일론, 보그걸, 쎄씨, 코스모폴리탄 모델
         * [[2011년]] 잡지 싱글즈, 맵스, 마블 모델
  • 지진희
         * [[2011년]] ~ [[2014년]] 공예트렌드페어 홍보대사
         * [[2011년]] 《[[토마스와 친구들 - 극장판 3]]》 ... 나레이터
         * [[2011년]] 《훈데르트바서 한국 특별展》오디오 가이드 내레이션
         * [[2011년]] 《토마스와 친구들-극장판 3》애니메이션 내레이션
         * 2011년 [[동원F&B]] 천지인
  • 진선유
         | 은퇴 = 2011년
         이로 인해 [[2011년]] 2월에 참가한 동계체전이 현역 마지막 대회가 됐다. [[단국대학교]]를 졸업하면서 현역 은퇴를 선언했다. [[2011년]] [[4월 1일]] [[단국대학교]] [[쇼트트랙]] 코치로 발령받아 활동 중이다.<ref>[http://sports.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sports_general&ctg=news&mod=read&office_id=001&article_id=0005009306 쇼트트랙 진선유, 모교 단국대 코치로 새 출발] - 연합뉴스</ref>
  • 진유현
         * [[2011년]] : 케이웨더 기상캐스터
  • 차두리
         [[2011년]] [[7월 31일]]에 차두리는 [[FC 인테르나치오날레 밀라노]]와의 울산에서 [[마르코 파라오니]]에게 태클을 당해 넘어지자 파라오니에게 주먹을 휘두르는 등 폭력사건을 일으켜 물의를 빚었다.
         [[2002년 FIFA 월드컵]]에 최종 엔트리에 포함되었지만 본선 울산에서 주전 멤버로 기용되지는 않았고, 몇몇 울산에 조커로 출전하였다. [[2006년 FIFA 월드컵]]에는 당시 소속팀에서 풀백으로 뛰는 포지션의 문제로 [[딕 아드보카트]] 감독의 신뢰를 얻지 못하여, 결국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국가대표]]로 선발되지 못하였다.<ref>[http://joynews.inews24.com/php/news_view.php?g_menu=702210&g_serial=183390 아드보카트, "수비수 차두리는 함량 미달" ]</ref> 이후 [[핌 베어백]] 감독 체제에서도 기용되지 못하다가 소속팀인 코블렌츠, 프라이부르크에서의 활약을 바탕으로 [[2008년]]부터 새로 대표팀 지휘봉을 잡은 [[허정무]] 감독에 의해 [[2009년]] [[10월 14일]] [[세네갈 축구 국가대표팀|세네갈]]과의 친선전에 다시 소집되었고, 좋은 기량을 보여주며 남아공 월드컵 참가 가능성을 높였다. [[2010년 6월]] [[2010년 FIFA 월드컵|FIFA 월드컵]]에서 수비수로서 활약을 했는데 그는 대한민국에서 이른바 '차두리 로봇설'로 인기를 얻게 된다. [[2011년 AFC 아시안컵]] 3,4위전에서 결장한 [[박지성]] 대신 임시 주장을 맡았다.
         * [[2011년 AFC 아시안컵]] 대표
         : {{3위(메달)}} '''3위 (1)''': [[2011년 AFC 아시안컵|2011]]
         * [[2011년]] '''[[2011년 AFC 아시안컵#수상|AFC 아시안컵 베스트 11]]''' {{수비수}} 선정
         [[2008년 12월]], 서울 임페리얼 펠리스 호텔 회장 [[신철호]]의 장녀 신혜성과 결혼하였으며, 자녀로는 [[2010년]]에 태어난 딸 차아인과 [[2011년]]에 태어난 아들 차아일이 있다.<ref>{{웹 인용 |url=http://app.yonhapnews.co.kr/yna/basic/article/Search/YIBW_showSearchArticle.aspx?searchpart=article&contents_id=AKR20081222194900007 |제목='리틀 차붐' 차두리, 신혜성 양과 백년가약 |확인날짜=2009-06-03 |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140202093546/http://app.yonhapnews.co.kr/yna/basic/article/Search/YIBW_showSearchArticle.aspx?searchpart=article&contents_id=AKR20081222194900007 |보존날짜=2014-02-02 |깨진링크=예 }}</ref> [[2010년 12월]]과 [[2011년]] [[대웅제약]] [[우루사]] 광고에 출연했으며 특히 그가 부른 CM송 '간 때문이야'는 중독성 있는 가사 때문에 큰 화제를 모았다. 차두리는 [[2013년]] [[3월 12일]] 아내 신혜성을 상대로 이혼조정신청을 냈으나 [[2013년]] [[11월 18일]] 불성립됐다.<ref name="yi">[http://www.newsen.com/news_view.php?uid=201311221942084710 차두리 이혼조정 실패, 이혼 이유 뭐길래? ‘안타까워’]</ref> 이혼조정신청은 정식 재판을 하지 않고 부부가 합의를 통해 이혼하기 위한 절차로, 조정을 통해 합의가 이뤄지지 않으면 정식 재판이 열린다.<ref name="yi"/>
         {{2011년 AFC 아시안컵 대한민국 선수 명단}}
         [[분류:FC 서울의 축구 선수]][[분류: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선수]][[분류:분데스리가의 축구 선수]][[분류:2. 분데스리가의 축구 선수]][[분류:스코티시 프리미어리그의 축구 선수]][[분류:K리그1의 축구 선수]][[분류:대한민국의 해외 진출 축구 선수]][[분류:대한민국의 독일 진출 축구 선수]][[분류:대한민국의 스코틀랜드 진출 축구 선수]][[분류:독일의 외국인 축구 선수]][[분류:스코틀랜드의 외국인 축구 선수]][[분류:K리그1 베스트 11 수상자]][[분류:2002년 FIFA 월드컵 참가 선수]][[분류:2010년 FIFA 월드컵 참가 선수]][[분류:2004년 AFC 아시안컵 참가 선수]][[분류:2011년 AFC 아시안컵 참가 선수]][[분류:2015년 AFC 아시안컵 참가 선수]][[분류:2002년 CONCACAF 골드컵 참가 선수]][[분류:체육훈장 맹호장 수훈자]][[분류:울산광역시 출신]][[분류:연안 차씨]][[분류:고려대학교 동문]][[분류:대한민국의 장로교도]][[분류:독일에 거주한 대한민국인]][[분류:스코틀랜드에 거주한 대한민국인]]
  • 차명진
         * [[2011년 5월]] : 한나라당 비상 대책위원회 위원
         * [[2011년]] [[9월 18일]] 국민일보의 "[정치자금 겉과 속-(4) 정치 후원금은 쌈짓돈] 이발비 12만원·안경 구입비 45만원 쓰고 “의정활동용”"이라는 기사 <ref>{{뉴스 인용|제목=`[정치자금 겉과 속-(4) 정치 후원금은 쌈짓돈] 이발비 12만원·안경 구입비 45만원 쓰고 “의정활동용`|url=http://news.kukinews.com/article/view.asp?page=1&gCode=kmi&arcid=0005364841&code=11121100|출판사=국민일보|날짜=2011-09-18}}</ref> 에 의하면 차명진은 2010년 5월 27일 업무용 안경 10만원, 6월 23일 다시 업무용 안경 45만원, 7월 1일에도 업무용 안경 45만원, 9월 8일 진료비 21만 9100원, 11월 28일 목도리 4만5천원, 12월 8일 셔츠 3만9천원을 각각 '의정활동용'으로 신고했다.
         * 2011년 [[10월 11일]] 국회 본회의 대정부 질문에서 서울시장 박원순 후보를 "양아치", "삥" 등의 적절한을 총동원해 원색적이 비난해서 논란이 됐다. "박씨는 한 손으로 채찍을 들어 재벌들의 썩은 상처를 내리치면서 다른 한 손으로는 삥을 뜯는 식으로 사업을 운영해왔다. 이는 악어와 악어새의 동거"라며 "시민운동이 아니라 저잣거리 양아치의 사업방식"이라고 박원순 후보를 양아치로 규다했에 대해 투명하게 재정상태를 공개해온 시민운동단체의 활동을 양아치로 묘사한 것에 많은 공가이 어다
  • 차선우
         ||<:> '''B1A4''' 1st Mini Album 《'''Let's Fly'''》 ||<:><|2> [[2011년]] ||<:> [[4월 21일]] ||<:> '''04''' ||<:> Bling Girl ||
         <[[문화방송|MBC]] [[아이돌스타 육상 선수권대회/2011년|추석특집 제3회 아이돌 스타 육상선수권 대회]]>에서 '''남자 100m 은메달''' 수상했다. 이 기회로 [[B1A4]]는 몰라도 바로는 아는 사람이 늘었다. 본인은 한우를 사주신다는 사장님의 말씀에 열심히 뛰었다고.
          * 금발이 매우 잘 어울려 Beautiful Target 활동 때에는 금발을 했지만 정규 1집 BABY I'M SORRY 으로 컴백할 때 [[충공깽]]스러운 헤어스타일로 변신해 팬들에게 정말로 충공깽을 선사하였다. 하지만 정규 1집 리패키지 잘자요 굿나잇 활동시에는 다시 머리를 길러 금발로 염색했다. 팬들이 뽑은 바로의 금발 리즈는 누가 뭐래도 2011년 뷰타 활동 중 했던 바가지머리를 길러서 살짝 넘긴 머리.
  • 차선화
         * [[2011년]] - 지스타 레드블러드 모델
         * [[2011년]] - 서울오토살롱 레이싱모델
         * [[2011년]] - 서울모터쇼 르노삼성 레이싱모델
  • 차승원
         | 2011년
         | 2011년
         | rowspan=2 | 2011년
         | 제2회(2011년 12월 8일)
         | 2011년
         | rowspan=12| 2011년
         * [[2011년]] 서울 패션위크 F/W 11' 송지오 컬렉션
         * [[2011년]] 서울 패션위크 S/S 12' 송지오 컬렉션
  • 차영화
         그의 아들은 현재 [[KBO (야구)|KBO]] 소속 심판인 [[차정구]]이며, [[2011년]]에 KBO에서 교육을 받고 심판 자격을 취득했다.<ref>[http://sports.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kbo&ctg=news&mod=read&office_id=001&article_id=0004876033 <야구소식> 심판육성과정 수료식] - 연합뉴스</ref> [[2006년]] [[삼성 라이온즈]]에 [[신고선수]]로 입단하여 1시즌 간 활동했다.
  • 채상병
         [[2009년]] 시즌에 접어들어서는 [[최승환]], [[용덕한]] 등의 팀 내 다른 [[포수]]들의 경쟁에 밀려 1군 경기보다는 2군 경기에서의 출전이 잦아지게 되었고 1군에는 몇 경기에만 나와서 손가락 부상을 당하는 등 거의 출전하지 못했다.<ref>[http://www.mydaily.co.kr/news/read.html?newsid=200905231651142222&ext=na 두산 채상병-SK 채병용, 부상으로 1군 엔트리 말소] - 마이데일리</ref> 때마침 [[삼성 라이온즈]]의 주전 [[포수]]였던 [[진갑용]], [[현재윤]] 등이 잇따라 부상을 입으면서 남아 있는 포수는 1군 경험이 거의 없는 신고선수 출신 [[이지영 (야구 선수)|이지영]]뿐이라 [[포수]] 자원이 부족해진 상황에 놓이자, [[2009년]] [[7월 16일]] [[삼성 라이온즈]]의 좌완 투수인 [[지승민]]을 상대로 한 1:1 트레이드를 통해 [[삼성 라이온즈]]로 이적하였다.<ref>[http://osen.freechal.com/news/view.asp?code=G0907160125 두산, 삼성 좌완 지승민 영입] 《Osen》, 2009년 7월 16일 작성</ref> 하지만 [[2010년]]에는 [[진갑용]]과 [[현재윤]]의 회복, 그리고 [[이정식 (야구 선수)|이정식]]이 군에서 제대하여 다시 2군으로 밀렸다. [[2011년]]에 포수들이 대거 부상을 입어 주전 자리에 다시 앉게 되어 감각을 찾았고, [[2011년 한국시리즈]]에 출전하여 처음으로 우승을 맛보았다.그러나 2012년 이후 부터 경쟁에서 밀리며 경기에 출전하지 못하였고, 2014 시즌 후 구단과의 합의 끝에 은퇴를 결정하였고, 배터리 코치로서 새 출발을 하게 되었다.
         {{2011년 삼성 라이온즈}}
         {{2011년 삼성 라이온즈 아시아 시리즈}}
  • 채영인
          * [[2011년]] [[SBS]] [[폼나게 살거야]] ... 최소형 역
  • 채종국 (야구선수)
         * [[넥센 히어로즈]] 수비코치 (2011년 ~ 2014년)
         [[2011년]] 시즌 후 [[넥센 히어로즈]] 코치로 임명되었다.
  • 챈슬러 (음악가)
         |활동시기 = [[2011년]] ~ [[현재]]
         === 2011년 ===
  • 천제훈
         * [[2006년]] ~ [[2011년]] {{국기그림|대한민국}} [[FC 서울]]
  • 청송군
         교통은 [[당진영덕고속도로]], [[31번 국도]], [[34번 국도]], [[35번 국도]]가 군을 관통하지만, [[철도]][[철도가 지나지 않는 도시/대한민국|는 없다.]] 고속도로 나들목은 [[청송IC]]와 [[동청송·영양IC]]가 있다. 2011년 12월 27일 35번 국도 청송과 영천 사이의 고개인 노귀재를 관통하는 터널이 준공되어 영천 방면으로 접근성이 향상되었다.
         [[2011년]] 1월 7일~9일 3일간 청송군 부동면 내룡리 얼음골 빙벽장에서 [[2011 UIAA 아이스클라이밍 월드컵]]이 개최되었다. 이 대회는 아시아에서 처음으로 개최된 아이스클라이밍 월드컵으로, 앞으로도 [[2020년]]까지 청송에서 매년 개최될 예정이다.
  • 최계훈
         * [[LG 트윈스]] 투수코치 (2011년)
         2008년부터 2010년까지 모교인 [[인천고등학교]]에서 야구부 감독을 역임했고, [[2011년]] [[LG 트윈스]]의 [[투수]] 코치로 돌아왔으나, 그 해 [[LG 트윈스]]가 포스트 시즌 진출에 실패하자 [[박종훈 (1959년)|박종훈]] 감독이 사임했을 때 동반 사임하고 [[미국]]으로 건너가 야인으로 지냈다.
  • 최고은 (영화감독)
         | 사망일 = [[2011년]] [[1월 29일]] (33세)
         | 활동기간 = [[2002년]] ~ [[2011년]]
         '''최고은'''([[1979년]] ~ [[2011년]] [[1월 29일]])은 [[대한민국]]의 [[시나리오 작가]]이자 [[영화 감독]]이다. [[2002년]]에 개봉된 [[영화|단편 영화]] 《연애의 기초》로 데뷔했다. [[빈곤]] 속에서 [[갑상선암|갑상선 항진증]]과 [[췌장암|췌장염]]을 앓다가 2011년 [[1월]]에 사망했다 향년 33세<ref>{{뉴스 인용
         [[분류:1979년 태어남]][[분류:2011년 죽음]][[분류:대한민국의 영화 감독]][[분류:대한민국의 극작가]][[분류:서울특별시 출신 인물]][[분류:한국예술종합학교 동문]]
  • 최광식
         | 임기 = [[2011년]] [[9월 20일]] ~ [[2013년]] [[3월 11일]]
         2011년 [[대한민국의 문화재청장|문화재청장]]을 역임하였다.<ref>[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1/08/30/2011083002044.html 최광식 문화체육관광부 장관 내정자]《조선일보》2011년 8월 30일</ref><ref>[http://media.paran.com/news/view.kth?dirnews=3065334&year=2011 최광식 후보자, "영남·소망교회 출신 아니다"]《머니투데이》2011년 9월 15일</ref>
         2011년 9월 20일 [[대한민국의 문화체육관광부 장관|문화체육관광부 장관]]으로 취임하였다.<ref>[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1/09/20/0200000000AKR20110920113800005.HTML 최광식 "전통문화의 현대화·세계화에 역점"]《연합뉴스》2011년 9월 20일 정천기 기자</ref>
         민주당은 고려대 교수 재직 중 쓴 일부 논문의 자기표절 및 중복게재 의혹이 있다고 지적했으며 한나라당 [[심재철 (1958년)|심재철]] 의원 역시 “중복게재가 맞다”, “인정하라”고 말했다.<ref>[http://www.mediau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9667 야당, 최광식 문화부 장관 후보자는 “부적격”]《미디어스》2011년 9월 16일 권순택 기자</ref><ref>[http://news.sbs.co.kr/section_news/news_read.jsp?news_id=N1000987849 최광식·임채민 장관 후보자 자질·도덕성 검증]《SBS뉴스》2011년 9월 15일 김지성 기자</ref>
         이에 대해 최 후보자는 “인용부호를 하지 않은 것은 불찰이지만 30여 페이지 중 한 페이지를 인용한 것은 자기표절이 아니다”라고 해명하였다.<ref>[http://mbn.mk.co.kr/pages/news/newsView.php?news_seq_no=1105891 임채민·최광식 인사청문회…도덕성·'낙하산' 논란]《MBN뉴스》2011년 9월 15일 이상민 기자</ref><ref>[http://www.edaily.co.kr/news/NewsRead.edy?newsid=01781046596380448&SCD=&DCD=A01503 최광식, 논문 이중게재.."불찰이지만 이중게재는 아냐"]《이데일리》2011년 9월 15일 나원식 기자</ref><ref>[http://www.hani.co.kr/arti/society/society_general/495546.html 최광식 장관후보 ‘논문 이중게재’ 의혹]《한겨레》2011년 9월 8일 최성진 기자</ref><ref>[http://imnews.imbc.com/replay/nw1200/article/2926338_5786.html 임채민·최광식 인사청문회‥도덕성 집중 검증]《MBC뉴스》2011년 9월 15일 박찬정 기자</ref>
         [[김재윤]] 민주당 의원은 “2007년 최 후보자가 개설한 고려대 문화예술 최고위 과정에 이 대통령이 등록했고, 최 후보자는 이 대통령 대선캠프 자문위원이었다”며 “낙하산·보은인사”라고 비판했다.<ref>[http://www.vop.co.kr/V00000432536.html 최광식 후보자 '낙하산 인사' '제주 해군기지'에 '진땀']《민중의소리》2011년 9월 16일 김도균 기자</ref><ref>[http://www.newdaily.co.kr/news/article.html?no=91662 최광식 내정자, '초고속 승진' 도마 위]《뉴데일리》2011년 9월 15일 최유경 기자</ref>
         [[허원제]] 한나라당 의원은 “교수에서 장관 내정까지 걸린 시간은 3년 반에 불과하다”며 “능력이 뛰어나다는 반증일 수도 있지만, 대통령과 같은 대학 출신이라 발탁됐다는 말도 있다”고 지적했다.<ref>[http://www.ajnews.co.kr/view_v2.jsp?newsId=20110915000197 최광식 '초고속 승진', 임채민 '전문성 결여' 도마위]《아주경제》2011년 9월 15일 정경진 기자</ref>
         [[이경재]] 한나라당 의원은 “야당에선 낙하산 인사라고 하지만 국립중앙박물관장에서 문화재청, 문화부 장관에 임명된 것은 자연스러운 수순으로 말 그대로 승진일 뿐”이라고 주장했다.<ref>[http://www.pdjournal.com/news/articleView.html?idxno=32598 “최광식, ‘묻지마 청장’ 이어 ‘낙하산 장관’”]《PD저널》2011년 9월 15일 김세옥 기자</ref>
         [[이병석]] 한나라당 의원은 "특정 대학교를 운운하면서 거기다 화살을 쏟고 있는지 이해를 못하겠다"며 "공직사회에 K대보다 S대가 더 많은데 그럼 S대는 다 낙하산이냐"며 반대 의원들을 꼬집었다.<ref>[http://www.anewsa.com/detail.php?number=267560&thread=11r04 최광식 내정자=낙하산 인사 '종결자']《아시아뉴스통신》2011년 9월 15일 노호근 기자</ref>
         최 후보자는 “고려대 (출신) 30만명 중 한 명이고, 고대를 나왔다는 이유만으로 장관이 됐다고 생각하지 않는다”고 말했다.<ref>[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109152206025&code=910402 최광식 후보 ‘초고속 승진·해군기지 허가’ 도마에]《경향신문》2011년 9월 15일 임지선 기자</ref>
         공직에 있던 3년 6개월간 외부 강의를 통해 부수입이 총 4,486만원, 한 달 평균 106만이 넘는 것이 논란이 되었다.<ref>[http://www.newsje.com/news/articleView.html?idxno=14668 최광식 문광부장관 강의평가 하위권 맴돌아]《제주환경일보》2011년 9월 13일 김태홍 기자</ref><ref>[http://www.newsjeju.net/news/articleView.html?idxno=69001 "최광식 후보자, 공직재직 중 외부강의로 4,500만원 벌어"]《뉴스제주》2011년 9월 13일 고병택 기자</ref>
         [[김부겸]] 민주당 의원은 "최 후보자가 외부강의를 너무 많이 하는 등 경력관리에 너무 집착한다는 평이 있다"고 말했다.<ref>[http://www.idaegu.co.kr/new_gisa.html?uid=235241&part=%C1%A4%C4%A1http://www.idaegu.co.kr/new_gisa.html?uid=235241&part=%C1%A4%C4%A1 임채민 복지, 최광식 문체 청문회]《대구신문》2011년 9월 15일 장원규 기자</ref>
         이에 대해 최 후보자는 “중국의 역사 왜곡에 제대로 대응하기 위한 것이었으며, 일과 시간을 피해 특강했다”고 설명했다.<ref>[http://www.dailian.co.kr/news/news_view.htm?id=260581 최광식 ´초고속 엘리베이터 승진´ 논란]《스팟뉴스》2011년 9월 16일</ref>
         김제윤 민주당 의원은 최 후보자가 문화재청장 시절 제주해군기지 건설공사 승인과 관련‘매장문화재 보호 및 조사에 관한 법률’(이하 ’매장문화재보호법‘)을 위반했다고 주장했다. 제주해군기지 부지에서 문화재 발굴조사 과정에서, 수혈주거지(움집터), 유구 등이 잇따라 발견되고 있으나 문화재청이 해군 측의 공사를 중지시키지 않은 것은 물론 일부 조사완료구역에 대해서는 공사 시행을 승인까지 해주었다는 것이다.<ref>[http://www.newsjeju.net/news/articleView.html?idxno=69369 최광식 '제주해군기지 책임론' 유탄 맞을 듯]《뉴스제주》2011년 9월 14일 고병택 기자</ref><ref>[http://www.jejusori.net/news/articleView.html?idxno=104297 최광식 후보자 ‘제주해군기지 유탄’ 맞나?]《제주의소리》2011년 9월 14일 좌용철 기자</ref><ref>[http://www.ajnews.co.kr/view_v2.jsp?newsId=20110914000169 최광식 장관후보,‘제주해군기지 유탄’맞나 ?]《아주경제》2011년 9월 14일 박현주 기자</ref>
         매장문화재보호법에 의하면 시공사는 매장문화재를 발견한 때에는 즉시 공사를 중지해야 하고, 전체 문화재 발굴조사가 완료되기 전에는 공사를 시행할 수 없다.<ref>[http://www.ijejutoday.com/news/articleView.html?idxno=129194 최광식 문체부 장관 내정자, 제주해군기지 ‘유탄 맞나’]《제주투데이》2011년 9월 14일 강한성 기자</ref>
         이에 최 후보자는 “강의평가는 좋을 때도 있고 안 좋을 때도 있다”며 “점수가 안 좋으면 강의평가가 안 좋을 때도 있다”고 해명했다.<ref>[http://www.mediatoday.co.kr/news/quickViewArticleView.html?idxno=97370 "최광식 후보 MB캠프출신 쑥스럽지 않나"]《미디어오늘》2011년 9월 15일 조수경 기자</ref>
         하지만 최 씨가 수술 등 적극적인 치료를 했다는 기록이 없다는 점, 공익근무지 중 ‘가장 편한’ 곳으로 꼽히는 학교에서 근무했다는 점 등이 추가로 제기된 의혹이었다. 이에 최 후보자 측은 “수술을 받을 경우 오히려 악화될 수도 있다는 의견에 따라 수술을 보류했다. 체중감량, 슬링운동치료와 함께 가벼운 운동을 해 오고 있으며 현재도 과격하고 힘든 운동을 삼가면서 생활하고 있다”고 해명했다. 또 아버지가 재직 중인 고려대 안암병원에서 진단을 받게 된 것은 ‘교직원 자녀에게 진료비가 할인(40%)됐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공익근무지는 서울지방병무청에서 컴퓨터 무작위 배정 방식에 따라 서울시교육청으로 지정됐으며 당시 최 후보자 가족이 종로구 동숭동에 살고 있어 출퇴근 거리가 가까운 용산구의 학교에서 근무하게 됐다는 것이다.<ref>[http://news.donga.com/3/all/20110914/40286521/1 최광식 문화체육관광부장관 후보자 인사검증 리포트]《동아일보》2011년 9월 14일</ref><ref>[http://biz.heraldm.com/common/Detail.jsp?newsMLId=20110915000401 “최광식, MB정권서 3년여 초고속 승진”]《헤럴드경제》2011년 9월 15일 박정민·양대근 기자</ref>
         2011년 9월 16일 국회 문화체육관광방송통신위원회(위원장 [[전재희]])는 인사청문회를 마친 최광식 후보에 대한 인사청문경과보고서를 채택했다. 최 후보는 민주당을 비롯한 야당 의원들의 “부적격하다”고 의견에도 불구하고 한나라당 수적 우위로 장관자리에 앉게 됐다.<ref>[http://media.paran.com/hotissue/view.kth?dirnews=3088095&year=2011&titlekey=PARAN_2011_3089993&clusterid=IiQmMjszUV5DVCtARVhTVktUK0NH&kind=0&pg=1&t=0&date=20110916&tq=%C0%CE%BB%E7%C3%BB%B9%AE+%C0%E5%B0%FC+%C3%A4%C5%C3+%C3%BB%B9%AE 최광식 인사청문보고서, 야 반대에도 ‘채택’]《미디어스》2011년 9월 16일 권순택 기자</ref><ref>[http://m.pdjournal.com/articleView.html?idxno=32615&menu=1 최광식 인사청문 보고서 ‘채택’…야당은 ‘부적격’]《PD저널》2011년 9월 16일 김세옥 기자</ref>
         한편, 2011년 9월 5일 [[강운태]] 광주광역시장이 5ㆍ18민주화운동 기록물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등재 인증서 전달식에서 "최광식 문화재청장이 등재과정에서 많은 노력을 했다"며 "이 자리에 참석한 [[김진표 (정치인)|김진표]] 민주당 원내대표에게 최 내정자가 국회 청문회에서 무조건 통과되도록 해달라고 건의했다"고 밝혔다.<ref>[http://www.hankyung.com/news/app/newsview.php?aid=2011090506438&menu=0&sid=0001&nid=900&type=1 강운태 "최광식 내정자 청문회 통과시켜야"]《연합뉴스》2011년 9월 5일 전승현 기자</ref>
         |임기 = [[2008년]] [[3월 10일]] ~ [[2011년]] [[2월 7일]]
  • 최동석
         * [[KBS1]] 《[[바른 말 고운 말]]》([[2011년]] [[11월]] ~ [[2013년]] [[4월]])
  • 최동수 (야구인)
         * [[SK 와이번스]] (2010년 ~ 2011년)
         [[2010년]] 시즌 좀처럼 주전 기회를 잡지 못하던 그는 그 해 [[7월 28일]] 4:3 대형 트레이드로 [[SK 와이번스]]로 이적하였다. 주전 [[내야수]] [[박정권]], [[나주환]]이 부상으로 이탈하여 [[내야수]]가 필요하였던 [[SK 와이번스]]와 [[투수]]가 필요하였던 [[LG 트윈스]]의 이해 관계가 맞아 떨어져 그는 [[권용관]], [[안치용]], [[이재영 (야구 선수)|이재영]]과 함께 [[SK 와이번스]]로 이적하였고, [[LG 트윈스]]는 [[SK 와이번스]]로부터 [[투수]] [[박현준 (야구 선수)|박현준]], [[김선규 (야구 선수)|김선규]], [[포수]] [[윤요섭]]을 받았다. 그 때 [[SK 와이번스|SK]]와 [[LG 트윈스|LG]]는 [[서울종합운동장 야구장|잠실]] 3연전 중이어서, 트레이드 된 선수들은 [[서울종합운동장 야구장|잠실]]에서 유니폼을 바꿔 입었다. 트레이드가 성사된 [[7월 28일]] 당일, 트레이드 당사자인 [[LG 트윈스]]와 [[SK 와이번스]]가 맞대결하게 되었는데 그는 같이 이적한 [[안치용]]과 함께 선발 출장하였고 [[권용관]]은 도중에 대주자로 교체되어 출전하였다. 그리고 이적한 선수 중 [[윤요섭]]이 대타로 나서는 진풍경이 펼쳐졌다. [[SK 와이번스]] 이적 첫 경기에서 그는 3점 홈런을 쳐 내는 등 4타점을 쓸어담아 맹활약하였다. 그 날 [[SK 와이번스]]는 연장전에서 [[권용관]]이 [[정성훈 (1980년)|정성훈]]의 타구를 놓치는 실책을 범해 끝내기 안타를 허용하여 패했다. 특히 그에겐 프로에서 눈을 뜨게 해 준 [[김성근 (야구인)|김성근]]과의 재회여서 더 의미가 컸으며, 2차 드래프트가 있기 전 [[김성근 (야구인)|김성근]]이 감독직에서 경질된 것에 대해 아쉬움을 드러냈다. 하지만 [[2010년 한국시리즈]] 엔트리에는 들어가지 못했다. 그 해 시즌 후 32번을 쓰고 있었던 [[외야수]] [[박윤]]이 보류 선수에서 빠져 [[신고선수]]로 전환되자, 자신의 번호였던 '32'번을 되찾았다. [[2011년]]에는 [[박경완]]의 재활이 장기화되어서 10년 만에 그의 본업인 [[포수]]로 출전하기도 하였으며, [[2002년]] 이후 9년 만에 포스트 시즌에 복귀하여 [[2011년 한국시리즈|한국시리즈]]에도 출전했다.
         [[2011년 한국시리즈]]에 출전한 후 [[2011년]] [[11월 22일]] 2차 드래프트를 통해 친정 팀 [[LG 트윈스]]로 1년여 만에 복귀했다. 1차 드래프트인 신인 지명회의와 2차 드래프트를 통틀어 최연장자로 지명된 선수였다. [[2013년]] 개막전 명단에 올라 시즌 개막전을 통해 2경기에 출장하였으나 무안타에 그친 후, [[SK 와이번스]]와의 2연전이 끝나고 2군으로 내려갔다. 이후에는 지도자 수업을 받았고, 사실상 현역 은퇴를 선언하였다. [[2013년]] [[10월 5일]] [[두산 베어스]]전이 끝난 후 공식 은퇴식을 가졌으며, 이 경기에서 [[LG 트윈스]]가 [[두산 베어스]]를 이기고 정규 시즌 2위를 확정해, 플레이오프에 직행한 의미있는 경기가 되었다.<ref>[http://sports.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kbo&ctg=news&mod=read&office_id=109&article_id=0002630892 '은퇴' 최동수,'정든 그라운드를 떠납니다'] - OSEN</ref>
         |style="text-align:center"|[[2011년]]
  • 최란
         * [[2011년]] [[MBC]] 창사특별기획 《[[계백 (드라마)|계백]]》 ... 영묘 역
         * [[2011년]] [[KBS]] 단막극 《[[드라마스페셜]]-클럽 빌리티스의 딸들》 ... 박명희 역
         * [[2011년]] [[KBS]] 미니시리즈 《[[포세이돈 (드라마)|포세이돈]]》 ... 영란 역
         * [[2011년]] [[KBS]] 미니시리즈 《[[영광의 재인]]》 ... 간호부장 역
         * [[2011년]] 제 5회 대한민국나눔대상 특별대상 국가인권위원회 위원장상
         * [[2011년]] 제 6회 대한민국나눔대상 서울특별시장 대상
  • 최문식
         [[2011년]] 한 해동안 [[전남 드래곤즈]]의 수석 코치를 역임한 뒤 지도력을 인정받아 [[2012년]] [[대한민국 U-17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에 선임되었으며, [[2012년 AFC U-16 축구 선수권 대회]]에 출전하였으나 8강에 [[우즈베키스탄]]에 패해 대회 우승이 좌절되었다. 대회 직후 [[이광종]] 감독의 부름을 받아 [[대한민국 U-20 축구 국가대표팀]] 수석코치에 부임해 이광종을 보좌하여 [[2012년 AFC U-19 축구 선수권 대회]]에 출전, 한국의 12번째 우승과 더불어,[[2013년 FIFA U-20 월드컵]] 본선 진출에 기여하였으며, [[2013년 FIFA U-20 월드컵]] 8강 진출의 쾌거를 이루었다.
  • 최민 (1974년)
         * [[2011년]] : [[SBS]] 수목드라마 《[[싸인 (드라마)|싸인]]》 ... 노상민 역
         * [[2011년]] : [[KBS2TV|KBS2]] 월화드라마 《[[강력반 (2011년 드라마)|강력반]]》 ... 변상태 역
         * [[2011년]] : [[OCN (방송)|OCN]] 일요드라마 《[[뱀파이어 검사]]》 ... 남건욱 역'
         * [[2011년]] : [[KBS2]] 수목드라마 《[[영광의 재인]]》
         * [[2011년]] : [[SBS]] 수목드라마 《[[뿌리깊은 나무 (2011년 드라마)|뿌리깊은 나무]]》 ... 정득룡 역
         * [[2011년]] : [[오리온 시네마 네트워크|OCN]] 금요드라마 《[[특수사건 전담반 TEN#시즌1|특수사건 전담반 TEN]]》 ... 광수대 형사 역
         * [[2011년]] 《[[고지전]]》
  • 최민 (1987년)
         * [[2011년]] [[KBS1]] 일일연속극 《[[우리집 여자들]]》 ... 최준영 역
  • 최민(1987)
         || [[2011년]] || [[KBS1]] || [[우리집 여자들]] || 최준영 || ||
  • 최민식
         | [[2011년]]
         | [[2011년]]
  • 최별이
         * [[2011년]] - 넥센타이어 레이싱모델
         * [[2011년]] - 티빙 슈퍼레이스 챔피언십 킥스 레이싱모델
         * [[2011년]] - 서울모터쇼 스바루 모델
         * [[2011년]] - 지스타 레드파이브 모델
  • 최상학
         * [[2011년]] [[tvN]] 《[[재밌는 TV 롤러코스터]]》〈트위터극장〉
         * [[2011년]] [[OCN (방송)|OCN]] 오리지날드라마 《[[신의 퀴즈 2]]》 ... 이규혁 역 (특별출연)
  • 최성국 (축구선수)
         | 클럽팀 최신 업데이트 날짜 = [[2011년]] [[6월 25일]]
         [[2011년]] [[1월 10일]], [[수원 삼성 블루윙즈]]가 최성국의 영입을 공식 발표했다.<ref>{{뉴스 인용 |제목=수원, 공격수 최성국 영입 발표 |url=http://www.sportalkorea.com/news/view.php?gisa_uniq=2011011016004047§ion_code=10&key=%C3%D6%BC%BA%B1%B9&field=gisa_title&search_key=y |출판사=스포탈코리아 |date={{날짜한글화|2010-1-10}} }}</ref> 수원에 입단한 후, [[2011년]] [[3월 5일]] [[FC 서울|서울]]과의 [[K리그 2011|2011 시즌]] 개막전에서 데뷔전을 치렀다.<ref>{{뉴스 인용 |제목=‘게인리히 데뷔골’ 수원, K리그 슈퍼매치 완승 |url=http://www.sportalkorea.com/news/view.php?gisa_uniq=2011030614522512§ion_code=10&key=&field= |출판사=스포탈코리아 |저자=이민선 |날짜=2011년 3월 6일 }}</ref> [[2011년]] [[4월 15일]] [[강원 FC|강원]]전에서 데뷔골을 기록하였다.<ref>{{뉴스 인용 |제목=‘마토 4호골’ 수원, 2-0 완승…강원 시즌 6연패 수렁 |url=http://www.sportalkorea.com/news/view.php?gisa_uniq=2011041520291628§ion_code=10&key=&field= |출판사=스포탈코리아 |저자=홍재민 |날짜=2011년 4월 15일 }}</ref>
         [[2011년 5월]] [[K리그 승부조작 사건|승부조작 사건]]이 터진 후 최성국은 승부조작 근절을 위한 [[K리그]] 전 구단 전 선수가 참여하는 워크숍에서 "부끄러움이 있다면 이 자리에 있지 않는다. 솔직히 웃어 넘길 수 있었으나 계속 들으니 지치기도 했다"라며 또 "모르는 전화는 받지도 않는다. 부끄러움 없이 정직하게 살았다"라고 하면서 승부 조작을 극구 부인하였다.<ref>{{뉴스 인용 |제목=최성국∙유병수, “통장, 통화 내역 공개할 수 있다” |url=http://www.sportalkorea.com/news/view.phgisa_uniq=2011053117182513§ion_code=10&key=&field= |출판사=스포탈코리아 |저자=김성진 |날짜=2011년 5월 31일 }}</ref> 그러나 [[2011년]] [[6월 28일]] [[상주 상무 피닉스|광주 상무]] 소속 시절 승부조작에 참여했다고 자진 신고하였다.<ref>{{뉴스 인용 |제목=결백 주장하던 최성국, 승부조작 자진신고 |url=http://www.sportalkorea.com/news/view.php?gisa_uniq=2011062910214013§ion_code=10&key=&field= |출판사=스포탈코리아 |저자=김성진 |날짜=2011년 6월 29일 }}</ref> 게다가 브로커 역할까지 한 것으로 밝혀졌다.<ref>{{뉴스 인용 |제목='혐의 없다던' 최성국, 400만원 수수에 선수 섭외까지 |url=http://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soccer&ctg=news&mod=read&office_id=109&article_id=0002228785 |출판사=OSEN |저자=허종호 |날짜=2011년 7월 7일 }}</ref> 더 이상 축구계에 발을 딛을 수 없게 영구 제명되었으나,<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7&oid=241&aid=0002054535 승부조작 가담 선수 모두 “선수자격 영구박탈”] 일간 스포츠 김민규 기자 2011-08-25</ref> [[마케도니아]]의 [[FK 라보트니치키]]에 입단하여 축구 선수로서의 생명을 이어가고자 하였다. 그러나 [[2012년]] [[3월 16일]](한국시간), [[국제 축구 연맹|FIFA]]가 최성국의 모든 선수 활동을 세계적으로 정지시키는 영구제명을 결정함으로써<ref>{{뉴스 인용 |제목=FIFA, 최성국에 '선수 활동 정지' 징계 |출판사=OSEN |날짜=2012년 3월 16일 |url=http://sports.media.daum.net/soccer/news/a_match/breaking/view.html?cateid=1172&newsid=20120316073304526&p=poctan }}</ref> 축구 선수로서의 삶은 끝나게 된다.
  • 최성원 (배우)
         * [[2011년]] [[KBS2]] 단막극 《[[KBS 드라마 스페셜]] - 기쁜 우리 젊은 날》
  • 최성훈 (야구선수)
         |야구 월드컵 = [[2011년]] 파나마
         {{2011년 야구 월드컵 대한민국 선수 명단}}
  • 최수임
         |활동기간 = [[2011년]] ~ 현재
         * [[2011년]] 《[[써니 (영화)|써니]]》 ... 일진 여고생 역
         * [[2011년]] [[엑시즈]] - 날 안아줘
         * [[2011년]] [[SBS]] 《[[기적의 오디션]]》
         [[분류:1989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2011년 데뷔]][[분류:대한민국의 여자 배우]][[분류:대한민국의 여자 텔레비전 배우]][[분류:경산시 출신]]
  • 최승환
         * [[두산 베어스]] (2008년 ~ 2011년)
         [[2011년]] [[11월 22일]] 처음 실시된 2차 드래프트를 통해 [[한화 이글스]]로 이적하게 된다.
  • 최여진
         * [[2011년]] [[tvN]] 미니시리즈 《[[로맨스가 필요해]]》 ... 박서연 역
  • 최완규 (1964년)
         * [[SBS]] 《[[마이더스 (드라마)|마이더스]]》 ([[2011년]] [[2월 22일]] ~ [[2011년]] [[5월 3일]])
         * [[KBS2]] 《[[포세이돈 (드라마)|포세이돈]]》 ([[2011년]] [[9월 11일]] ~ [[2011년]] [[11월 8일]])
         * [[MBC]] 《[[빛과 그림자 (2011년 드라마)|빛과 그림자]]》 ([[2011년]] [[11월 28일]] ~ [[2012년]] [[7월 3일]])
  • 최웅
         | 활동기간 = [[2011년]] ~ 현재
         '''최웅'''([[1986년]] [[12월 28일]]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2011년 《'박카스-국군장병편'》 CF로 데뷔하였다.
         [[분류:1986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2011년 데뷔]][[분류:대경대학교 동문]][[분류:대한민국의 남자 배우]][[분류:대한민국의 남자 텔레비전 배우]][[분류:대한민국의 남자 영화 배우]]
  • 최원권
         * [[2011년]] ~ [[2013년]] {{국기그림|대한민국}} [[제주 유나이티드]]
  • 최유정 (레이싱모델)
         * [[2011년]] - 지스타 한게임 모델
         * [[2011년]] - 월드아이티쇼 삼섬 모델
         * [[2011년]] - 서울국제모터쇼 GM 대우 모델
  • 최윤소(배우)
         ||<|6> [[2011년]] || [[KBS2]] || 드라마 스페셜 - 82년생 지훈이 || 안서연 || ||
         || [[2011년]] [[10월 27일]]~[[2011년]] [[11월 17일]] || [[XTM]] || 여신밴드 || 고정출연 || ||
          * [[2011년]] 멜로 연기를 같이 해보고 싶은 상대역으로 배우 [[이병헌]]을 꼽았다. --지금은 아니겠지--
  • 최은희 (1926년)
         * [[2011년]] 제56회 대한민국예술원상 연극영화무용 부문
  • 최인영 (야구선수)
         |프로 입단 연도 = [[2011년]]
         |첫 출장 = [[KBO (야구)|KBO]] / [[2011년]] [[9월 22일]] <br /> [[잠실야구장|잠실]] 대 [[넥센 히어로즈|넥센]]전
         * [[LG 트윈스]] (2011년 ~ 현재)
  • 최일화 (1959년)
         * [[2011년]] [[KBS2]] 주말연속극 《[[사랑을 믿어요]]》 ... 승우 부, 한상복 역
         * [[2011년]] [[KBS2]] 미니시리즈 《[[드림 하이]]》 ... 진국 부, 현무진 역
         * [[2011년]] [[SBS]] 드라마 스페셜 《[[시티헌터 (드라마)|시티헌터]]》 ... 김종식 역(특별출연)
         * [[2011년]] [[tvN]] 미니시리즈 《[[버디버디 (드라마)|버디버디]]》 ... 제이 박 역
         * [[2011년]] [[KBS2]] 미니시리즈 《[[포세이돈 (드라마)|포세이돈]]》 ... 김선우 부 역
         * [[2011년]] [[KBS1]] 대하드라마 《[[광개토태왕 (드라마)|광개토태왕]]》 ... 타다르 역
         * [[2011년]] [[SBS]] 대기획 《[[뿌리깊은 나무 (2011년 드라마)|뿌리깊은 나무]]》 ... [[김종서 (1383년)|김종서]] 역
         * [[2011년]] [[TV조선]] 주말연속극 《[[고봉실 아줌마 구하기]]》 ... 서준석 역
         * [[2011년]] 《[[혈투]]》 ... 도영 부 역
         * [[2011년]] 《[[수상한 고객들]]》 ... 황우철 역
         * [[2011년]] 《[[퍼펙트 게임 (2011년 영화)|퍼펙트 게임]]》 ... 현수 부 역
  • 최재성(배우)
          * [[2011년]] SBS 주말연속극 《[[내사랑 내곁에(SBS 드라마)|내 사랑 내 곁에]]》 ... 고진국 역
          * [[2011년]] [[JTBC]] 미니시리즈 《[[발효가족]]》 ... 강도식 역
  • 최재환(배우)
         ||<|2> [[2011년]] ||<|2> [[SBS]] || [[싸인(드라마)|싸인]] || 안수현 || ||
         || [[2011년]] || [[위험한 상견례]] || 전라도 고참 || ||
  • 최제훈
         [[2007년]] 제7회 《[[문학과사회]]》 신인문학상에 단편소설이 당선되어 등단했다. [[연세대학교]] 경영학과와 [[서울예술대학]] 문예창작과를 졸업했다. [[2011년]] 제44회 「[[한국일보 문학상]]」을 수상했다.
  • 최주봉
         최주봉은 [[한국]]의 [[배우]]로, [[1945년]] [[9월 21일]]에 [[충청남도|충남]] [[예산군]] 에서 출생하였다. [[홍성중학교|홍성중학교]], 예산농업고등학교(現 [[공주대학교 예산캠퍼스]])를 거쳐 중앙대학교 문리대 연극영화과를 [[졸업]]하였다. [[1969년]]에 '퇴비탑의 기적'으로 연극배우로 데뷔하였다. 이후 극작가 김상열, 배우 박인환, 오길주 등과 극단 가교를 창단하였다. 서울시립극단 배우 겸 지도위원으로 활동하였고, [[2003년]], 서울시립뮤지컬단 단장을 역임하였다. 현재 한국연극배우협회 이사, 가톨릭연극협회 회장이다. [[종교]]는 원래는 [[개신교]]였으나, [[2011년]]에 [[천주교]]로 [[개종]]하여서 천주교이며, [[세례명]]은 요셉이다. 둘째 [[아들]] [[최규환]] 역시 배우로 활동 중이다. [[중앙대학교]] 연극영화과 입학 동기로는 [[윤문식]]과 [[박인환(배우)|박인환]] 등이 있다. [[http://www.newsen.com/news_view.php?uid=201010221009051001|#]]
  • 최주환
         * [[상무 야구단]] (2010년 ~ 2011년)
         |야구 월드컵 = [[2011년]] 파나마
         {{2011년 야구 월드컵 대한민국 선수 명단}}
  • 최진이 (가수)
         # [[신기생뎐]] OST Part 3 (2011년 4월 8일)
         # 사랑해요 사랑해요 (2011년 7월 13일)
         * [[2011년]] [[2012년]] [[2015년]] [[한국방송|KBS]] 《[[불후의 명곡 - 전설을 노래하다]]》
  • 최창엽
         경상북도 경주 출생이고 지난날 한때 에서 잠시 유아기를 보낸 적이 있는 그는 2006년 [[중앙대학교]] 신문방송학과 영상제 청소년부 대상을 수상하면서 [[데뷔]]하였다. 이후 [[2009년]] [[뮤지컬]]에 출연하였고, [[2011년]] [[한국방송공사|KBS 한국방송공사]] TV 드라마에 출연하였으며 이후 마약류관리에 관한 법률위반 혐의로 [[2016년]] [[9월]] 구속 수감되었고<ref>{{뉴스 인용
         * 2011년 [[문화방송|MBC]] 《[[일밤|일요일 일요일 밤에]] - [[뜨거운 형제들]]》
         * 2011년 [[KBS2]] 《[[휴먼 서바이벌 도전자]]》
         * 2011년 [[KBS2]] TV소설 《[[복희 누나]]》 ... 한복남(홍도진) 역
  • 최태수
         * [[2011년]] 살랑살랑
  • 최태수(가수)
         * [[2011년]] 살랑살랑
  • 최태원 (야구인)
         * [[KIA 타이거즈]] 2군 작전코치 (2009년 ~ 2011년)
         하지만 [[2011년]] [[KIA 타이거즈]]가 준 플레이오프에서 [[SK 와이번스]]에 1승 3패로 패하여 플레이오프 진출이 좌절되면서 [[조범현]]이 경질되었고, [[조범현]] 사단의 해체와 동시에 [[선동열]]이 새로 감독에 부임하자 옛 [[쌍방울 레이더스|쌍방울]] 선배였던 [[김기태 (1969년)|김기태]]가 감독으로 선임되어 부름을 받아 [[LG 트윈스]]로 이적했다.
  • 최필립 (배우)
         * [[2011년]] 《[[헤드 (영화)|헤드]]》 ... 사회자 역
         * [[2011년]] 《[[블라인드 (2011년 영화)|블라인드]]》 ... 정보과 형사 역
  • 최혁권
         * [[경찰 야구단]] (2010년 ~ 2011년)
         [[2009년]] [[12월 17일]]부터 [[2011년]] [[10월 8일]]까지 [[경찰 야구단]]에서 군복무를 하였다. [[2012년]] 신고 선수로 전환되었다.
  • 최현 (축구인)
         결국 2011년 [[대전 시티즌]]으로 이적하였으며, 2012 시즌을 끝으로 은퇴하였다.
         * [[2011년]] ~ [[2012년]] {{국기그림|대한민국}} [[대전 시티즌]]
  • 최효진 (축구선수)
         * [[2011년]] ~ [[2012년]] {{국기그림|대한민국}} [[상주 상무 피닉스]] (군 복무)
         {{2011년 AFC 아시안컵 대한민국 선수 명단}}
         [[분류:FC 서울의 축구 선수]][[분류:상주 상무 축구단의 축구 선수]][[분류:전남 드래곤즈의 축구 선수]][[분류:K리그1의 축구 선수]][[분류:2011년 AFC 아시안컵 참가 선수]][[분류:중동중학교 동문]][[분류:중동고등학교 동문]][[분류:아주대학교 동문]][[분류: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선수]][[분류:대한민국의 불교 신자]][[분류:서울특별시 출신 인물]][[분류:K리그1 베스트 11 수상자]]
  • 최훈재
         은퇴 후 [[두산 베어스]]에서 2군 타격코치로 활동하다가 [[2010년]] 시즌 후 재계약 실패로 물러났다.<ref>[http://sports.news.naver.com/general/news/read.nhn?oid=079&aid=0002196308 두산, 지승민·이원희·박종섭 방출] - 노컷뉴스</ref> 그 후 휴식기를 갖다가 [[2011년]]에 창단을 결정한 [[NC 다이노스]]에 합류했다.<ref>[http://wstarnews.hankyung.com/apps/news?popup=0&nid=02&c1=02&c2=02&c3=00&nkey=201111021617111&mode=sub_view 한문연-최훈재 코치, NC 다이노스 합류] - 한국경제</ref> 이후 잔류군을 맡다가 [[2014년 NC 다이노스 시즌|2014년]]부터 2군 타격코치를 맡게 되었다.<ref>[http://www.idomin.com/news/articleView.html?idxno=432373 NC 다이노스 내년 코치진큰 변화 없을 듯] - 경남도민일보</ref>
  • 추일승
         |임기 = [[2011년]] [[3월 28일]] ~ 현재
  • 추자현
         1996년 [[SBS]] 드라마 《성장느낌 18세》로 데뷔했고, 그 후 [[중국]]으로 진출하여 2011년 [[후난위성 TV]]의 《회가적 유혹》에 출연했다. 2011년 [[중국]]에서 [[한복]] 누드를 찍어 많은 화제를 모았다.
         * [[2011년]] 《[[환상극장]]》 ... 이서현 역
  • 치훈
         * [[2011년]] [[Y-STAR]] 《얼짱시대 5》
  • 클라라 (1985년)
         * [[2011년]] [[KBS2]] 월화드라마 《[[동안미녀]]》 ... 채슬아 역
         * [[서울방송|SBS]] 《[[놀라운 대회 스타킹]]》 - 고정 게스트 ([[2010년]] ~ [[2011년]])
  • 클라라(배우)
         || [[2011년]] || [[KBS2]] || [[동안미녀]] || 채슬아 ||
  • 타루
         * 발매일 : [[2011년]] [[4월 1일]]
         * 발매일 : [[2011년]] [[6월 15일]]
  • 타블로
         1980년 대구에서 출생했다.1988년 캐나다로 이민을 갔고 1992년 캐나다 시민권을 취득하였다. 1997년 김건모의 5집 앨범 《Myself》의 수록곡 〈Rainy Christmas〉를 작사에 참여를 했으며, 2003년 3인조 힙합그룹 [[에픽하이]]로 정식으로 데뷔하였다. [[에픽하이]]의 리더이자 최연장자이다. [[2011년 9월]] [[YG 엔터테인먼트]]와 전속 계약을 맺었다. [[2011년]] [[2011년 11월|11월]] 솔로 앨범 1집 《[[열꽃 (음반)|열꽃]]》을 발매하였다.<ref>{{웹 인용 |url=http://economy.hankooki.com/lpage/sports/201109/e20110927104944120390.htm# |제목=서울경제: 타블로, YG 식구 된다 |확인날짜=2011-09-27 |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111104013733/http://economy.hankooki.com/lpage/sports/201109/e20110927104944120390.htm# |보존날짜=2011-11-04 |깨진링크=예 }}</ref>
         * [[2011년]] [[10월 14일]] Digital Single ''[[Airbag (타블로의 노래)|Airbag]]''
         * [[2011년]] [[11월 1일]] 정규 1집 《[[열꽃 (음반)|열꽃]]》
  • 태민 (1955년)
         * [[2011년]] - Best (청춘사수)
  • 태양(빅뱅)
         [[2011년]] 7월 [[트위터#s-1|트위터]]를 통해 [[미국]]의 유명 프로듀서 그룹인 Underdogs와의 작업을 알렸다. 이후 활동에 대해선 아직 공개된 것은 없으나 평소 좋아하던 유명 프로듀서들과의 작업을 진행할 거라는 소식만 전해지고 있다.[* 하지만 이번에 발표된 정규2집 Rise에서 Underdogs의 참여곡은 실리지 않았다.]
         2011년 11월에 발표된 [[타블로]]의 새 솔로 앨범 타이틀곡의 피처링을 돕기도 했다.
  • 태종무열왕
         * 《[[계백 (드라마)|계백]]》([[MBC]], [[2011년]], 배우:[[이동규]])
  • 태진아
         || 일나겠네, 사랑했나요 |||| [[2011년]] [[2월 18일]] ||
  • 토니 안
         * [[2011년]] 4월 - 미니 앨범 《Top Star》
         * [[2011년]] 디지털싱글 [[레이디제인]] - '짝' (feat.토니안)
         * [[2011년]] 《[[M! Countdown]]》 MC ([[Mnet]])
         * [[2011년]] 《재미있는 퀴즈클럽》 ([[SBS TV|SBS]])
         * [[2011년]] [[7월 17일]] [[KBS 2TV|KBS2]] 《[[다큐멘터리 3일]]》 청춘의 가장 빛나는 순간 - 논산 육군훈련소
         * [[2011년]] [[8월 21일]] [[KBS 2TV|KBS2]] 《[[다큐멘터리 3일]]》 피서지에서 생긴 일 - 해운대 해수욕장
  • 폐비 윤씨
         일부 현대극이나 야사 등에서 그녀의 아버지 [[윤기견]]의 죽음으로 인해 집안의 생계가 어려워지자 궁녀로 입궁했다고 하지만<ref>[[2011년]] 방영된 [[JTBC]]의 드라마 《[[인수대비 (드라마)|인수대비]]》 등에서는 폐비 윤씨가 궁녀로 입궁한 것으로 그렸다.</ref> [[조선왕조실록]]에서는 [[정희왕후]](자성대왕대비)가 그녀를 훗날의 [[정현왕후]]가 되는 [[윤호]]의 딸과 함께 입궁시켜 숙의(淑儀)의 첩지를 내린 사실이 명백히 표기되어 있다.
         * 《[[인수대비 (드라마)|인수대비]]》 ([[JTBC]], [[2011년]] ~ [[2012년]], 배우 : [[진지희]] → [[전혜빈]])
  • 표민수
         * [[2011년]] [[MBC]] 《[[넌 내게 반했어]]》 (극본 : 이명숙)
  • 하리수
         [[2007년]] [[5월 19일]] [[한국]]의 가수, 래퍼인 미키 정(본명은 정영진)과 결혼하였다. [[2008년]] [[3월]] [[장안대학]] 엔터테인먼트과에 입학하였다가, 사회복지과로 전과 [[2011년]]에는 장안대학 사회복지과를 졸업했다.<ref>[http://news.naver.com/main/hotissue/read.nhn?mid=hot&sid1=106&gid=330818&cid=307105&iid=380870&oid=003&aid=0003899321&ptype=021 하리수, 학생된다] 뉴시스 2011.06.08</ref>
         [[2011년]] [[4월]] 《파주 Fantastic Show》<ref name="fanfan1">[http://www.newsen.com/news_view.php?uid=201104011540171001 최한빛 ‘이것이 슈퍼모델 각선미’(하리수 판타스틱쇼)] 뉴스엔 2011.04.01</ref> 를 기획하였다. 판타스틱쇼(Fantastic Show)는 하리수와 [[2009년]] 슈퍼모델출신의 [[최한빛]] 그리고 전국에서 끼와 재능으로 똘똘 뭉친 대한민국 최고의 트렌스젠더들이 모여 다년간 하루 10시간의 트레이닝을 통해 만들어낸 공연이었다.<ref name="fanfan1"/> 당시 하리수는 “태국의 대표적인 알카자쇼와 같은 공연들은 이미 오래전부터 국가적 지원 속에 문화 관광 상품을 넘어서 세계적인 쇼로 자리잡았다. 트렌스젠더들이 꿈의 무대를 이루어낸 것처럼 한국의 후배 동료들에게도 공연예술인으로서의 자긍심을 심어줄 수 있는 무대를 만들어 세상에 당당한 모습으로 나설 수 있는 자리를 마련해 주고 싶었다”고 소감을 밝혔다.<ref name="fanfan1"/> [[2012년]] [[12월 11일]] 서울 종로구 동숭동 컬처스페이스 엔유에서 열린 연극 키사라기 미키짱 VIP데이 포토타임 행사에 참여했다.<ref>[http://www.newspim.com/view.jsp?newsId=20121212000972 하리수 달라진 얼굴…또 성형 의혹?] {{웨이백|url=http://www.newspim.com/view.jsp?newsId=20121212000972# |date=20160305005647 }} 뉴스핌 2012.12.12</ref> [[2013년]] [[10월]]에는 제8회 [[서울국제문화축제]] 홍보대사로 위촉되었다.
         * [[2011년]] 《[[고봉실 아줌마 구하기]]》 TV조선 ... 여사장 리수 역
         * [[2011년]] 《SBS 스페셜 '하리수' 편》(04월10일자) SBS
         * [[2011년]] 《파주 Fantastic Show》<ref name="fanfan1"/>
  • 하석진
         | [[2010년|2010]] ~ [[2011년|2011]]
         | [[2010년|2010]] ~ [[2011년|2011]]
         | rowspan="2" | [[2011년|2011]]
         | 수목 미니시리즈 ㅡ《[[지고는 못살아 (2011년 드라마)|지고는 못살아]]》
         | rowspan="2" | 주말극장 《[[내일이 오면 (2011년 드라마)|내일이 오면]]》
         * [[KBS2]] 《[[1대100]]》 (2011년 1월 25일 : 185회)
         * [[tvN]] 《[[현장토크쇼 TAXI]]》(2011년 11월 21일, 2016년 4월 12일 : 423회)
  • 하시은
         * [[2011년]] [[KBS1]] 단막극 《[[KBS TV 문학관|KBS HDTV 문학관]] - 엄지네》 ... 정혜 역
  • 하연주
         * [[2011년]] [[MBC]] 수목드라마 《[[로열 패밀리 (드라마)|로열 패밀리]]》 ... 지은 역
         * [[2011년]] [[tvN]] 월화드라마 《[[로맨스가 필요해]]》 ... 윤강희 역
  • 하정우(영화감독)
         그 이듬해인 [[2009년]] 개봉 영화 《[[국가대표]]》에 주연으로 출연해 대박이 났으며 하정우의 주가 역시 급등했다. [[2010년]]에는 《추격자》의 [[나홍진]] 감독과 다시 호흡을 맞춘 《[[황해(영화)|황해]]》가 비록 흥행은 못했지만 호평을 받는 등, 이제는 완전히 흥행 배우 중 하나로 인정받는 중이다. [[2011년]]에는 《[[의뢰인]]》에서 범죄자가 아닌 변호사로 출연하여, 능글능글하고 매력적인 변호사의 모습으로 연기자로서 또 새로운 모습을 보여주었고, 주연 연기자 셋 중에서 가장 인상적인 연기를 보여주었다.
         [[2011년]] 연말, 말 한마디 잘못 했다가 국토대장정을 떠났다. [[2011년]] [[5월]]에 열린 제47회 [[백상예술대상]]에서 작년도 수상자로서 남우주연상 시상자로 나와서 2년 연속으로 수상하게 되면 국토대장정을 떠나겠다는 공약을 내세웠다. 그리고 ''''감사합니다. <[[황해(영화)|황해]]> 하정우.'''' 라고 발표하며 어색하게 웃었고 '''진짜로 갔다.'''[* 이 당시 그와 함께 시상자로 참가했던 [[하지원]]은 그 이후로 공약에 대해서 묻지 않는단다. ~~하정우처럼 했다 또 그러면?? 그 땐 하지원도 가야지.~~] 그리고 다른 배우들과 같이 국토대장정 하는 소재로 --반쯤 다큐인 영화-- '577 프로젝트'가 [[2012년]] [[8월 30일]]에 개봉했다. 제목이 지어진 배경은 이 프로젝트를 --작당-- 계획한 장소가 압구정의 '577술집'[* [[영화]]에서도 회의 장소로 나온다. 하정우의 단골집이기도 하다.]이기 때문.--577km 아니었어?--
  • 하주석
         [[2011년]] [[9월 20일]] 입단
         {{2011년 아시아 청소년 야구 선수권 대회 대한민국 선수 명단}}
  • 하지민 (요트선수)
         * [[2011년]] 제92회 전국체육대회 요트 일반부 국제레이저급 금메달
  • 하춘화
          * 하춘화는 [[2011년]]에는 '''57살의 나이로 데뷔 50주년'''을 맞아 '하춘화와 함께하는 콘서트'를 개최하였으며 이 콘서트에서 벌여 들인 200억 원을 불우 이웃 돕기에 기부하여 화제를 낳기도 했다.
  • 하현우
         2011년 3월 2일자 [[유희열의 라디오천국]]에 게스트로 출연하여 기타를 치며 '붉은 밭'을 불렀는데 상당한 기타 실력을 보여주었다.[* 여담으로 하현우의 솔로를 들은 후 함께 게스트로 나온 [[조정치]]는 "다시 태어나면 락커로 태어나고 싶다"고 말했으며, [[유희열]]은 "다시 태어나면 [[국카스텐]]으로 태어나고 싶다"라고 평할 정도로 감탄을 금치 못했다.] [[https://www.youtube.com/watch?v=wj5Ivn21mtA|당시 방송]].
         2011년 1월부터 2012년 11월까지 [[광주MBC]]에서 매주 토요일 저녁에 방영하는 라이브 공연 프로그램인 문화콘서트 난장의 MC를 맡았다. PD가 국카스텐의 'Sink Hole'을 들은 뒤 주변의 만류에도 불구하고 반드시 섭외를 해야겠다고 마음을 먹었다는 후문이 있다.
          * 2011년 FILA IB70 [[https://www.youtube.com/watch?v=HREwwmvBswQ|#]]
          * 한편 아이돌 판이 어느 정도 성숙해지고 실력파 아이돌들이 그 당시에 비해서 많아진 지금도 여전히 저런 생각인지는 따로 밝혀진 적이 없기 때문에 알 수 없다. 일단 하현우가 아이돌을 대하는 태도는 시간이 지나며 많이 누그러진 편으로 보인다. 애초에 짤방 자체가 2011년 5월 이야기다.[* 선술했지만 2000년대 말부터 양산형식으로 마구잡이로 쏟아져 나오던 아이돌에 대한 비판이 거셌었다.] 섹션 TV 연예통신에 나와서 걸그룹을 좋아한다며 가장 좋아하는 걸그룹으로 [[씨스타]]를 꼽기도 했었다. 때문에 복면가왕 때 [[봄처녀 제 오시네]]와 가왕전에서 만나게 되자 정말 좋아했으며, 이후 라디오 스타에서 동반 출연을 했을 때 그 당시 무대를 극찬하였다. 그걸 보면 어쩌면 지금의 본인은 흑역사로 여기고 있을지도... [[감기 조심하세요 성냥팔이 소녀|성냥팔이 소녀]]와는 냅다 포옹까지 했다.[* 다만 이 때는 그녀가 아이돌인 [[EXID]]의 [[하니(EXID)|하니]]라는 것이 밝혀지기 전이긴 했다. 하현우가 듣자마자 알았다기보단 정말로 그녀의 목소리에 반한 것이 컸다는 걸 감안할 필요가 있다.]
         [[2011년]] [[1월 7일]] [[유희열의 스케치북]]에 출연. 1집을 재녹음하며 거지가 된 사연과 '붉은 밭'을 작곡한 이유, [[국카스텐|팀명]]의 유래 등등을 이야기했는데, 늘 그렇듯 하현우 혼자 이야기하고 나머지 팀원들은 모두 침묵한다. 그나마 [[드러머]]인 이정길이 한두 마디 받쳐주긴 했다. 그리고 락을 모르는 일반 시청자들 사이에서 하현우의 이미지는 약장수가 되어 버렸다. 특히 이때 카메라가 점점 하현우의 얼굴에 줌인을 하면서 더욱 그런 이미지가 부각되었다. 그런데 후일담으로 사실 이 녹화를 할 당시에 하현우는 심한 감기에 걸려 고열에 시달리고 있었고, 약을 먹고 녹화에 임할 정도로 몸이 아팠다고 한다. '붉은 밭'을 부를 때를 잘 보면 고열로 인해 얼굴이 다소 울긋불긋해 보일 정도. 원래도 [[4차원]]스런 이미지의 하현우라지만, 이때의 멘트가 유난히 횡설수설한 느낌이 들던 이유가 그 때문이었다고 한다.[* 아이러니하게도 이 때 스케치북에서 불렀던 "붉은밭 어쿠스틱 ver"은 감기로 고열에 시달리는 상태라는 게 믿겨지지 않을 정도의 역대급 가창력을 보여줬다. [[https://www.youtube.com/watch?v=M09lPU8BF7c|#]]]
         그렇지만 하현우의 입담은 방송을 거듭할수록 다듬어졌다. [[2011년]] [[KBS 2FM]] <[[심야식당]]>의 임시 디제이를 맡은 후 담당인 윤성현 PD는 "하현우는 프로그램 제작자로서 탐나는 인물" 이라고 트위터를 통해 이야기했다. 인터뷰를 한 기자들도 그의 멘트가 [[섹시]]하다고 인정한다.
  • 하현정
         * 경력 : 연극 '우리 읍내' & '꽃마차는 달려간다' · 뮤지컬 '페임' & '유린타운' 등 출연, 2010년 한마음혈액원 홍보대사, [[2011년]] 세계 7대 자연경관선정 홍보대사
  • 한가은
         * [[2011년]] - 서울오토살롱 포즈모델
  • 한경인
         [[2011년]] [[경남 FC]]에 입단하여 시즌 초 [[수원 삼성 블루윙즈|수원]]과의 원정 경기에서 득점을 기록하며 주전 경쟁에서 우위를 점하는 듯하였으나 이후 득점 기록을 추가하지 못하면서 후반기엔 벤치로 밀려났다.
  • 한국영
         [[2011년]] [[대한민국 U-23 축구 국가대표팀|U-23 대표팀]] [[홍명보]] 감독의 눈에 들어 다시 대표팀에 선발되었다. 그러나 부상으로 [[2012년 하계 올림픽]] 대표팀에서 낙마하였고 [[정우영 (축구 선수)|정우영]]이 그를 대신하였다.
  • 한기주
         [[2009년]] 시즌 후 팔꿈치 수술을 받고 [[2011년]] 중순에 돌아왔으나 이후에도 잔부상이 재발했고 결국 어깨 회전근 부상으로 [[2013년]] 시즌을 다시 접었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7&oid=119&aid=0001973516 KIA, 뼈아픈 그림자 '신·한 카드'] - 데일리안</ref> 팀의 암흑기 때 중심에 있었던 대표적 두 불펜 투수인 [[신용운]]과 그를 신·한 카드라고 부르기도 했다.
  • 한길로 (영화 감독)
         * [[2011년]]《[[적과의 동침]]》(드라마, 코미디 / 프로듀서, 기획)
  • 한길로 (영화감독)
         * [[2011년]]《[[적과의 동침]]》(드라마, 코미디 / 프로듀서, 기획)
  • 한동민 (야구선수)
         |야구 월드컵 = [[2011년]] 파나마
         경성대 4학년 때인 [[2011년]]에는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대한민국 국가대표팀]]에 외야수로 [[한양대학교|한양대]] [[박해민]]과 함께 선발돼 [[2011년 야구 월드컵|제39회 야구 월드컵]]에 출전했다.
         {{2011년 야구 월드컵 대한민국 선수 명단}}
  • 한명회
         * 《[[공주의 남자]]》 ([[KBS]], [[2011년]]~[[2011년]] 배우: [[이희도]])
         * 《[[뿌리깊은 나무 (2011년 드라마)|뿌리 깊은 나무]]》 ([[SBS]], [[2011년]]~[[2011년]] 배우: [[조희봉]]<ref>극중에서는 '한가놈'이라는 이름으로 등장하다가, 최종회에서 한명회임이 밝혀졌다.</ref>)
         * 《[[인수대비 (드라마)|인수대비]]》 ([[JTBC]], [[2011년]]~[[2012년]] 배우: [[손병호]])
  • 한보름
         ||<#E0709B> {{{#ffffff '''데뷔'''}}} ||<(> [[2011년]] [[KBS2]] 드라마 '드림 하이' ||
         || [[2011년]] || [[결정적 한방]] || 진아 || ||
         || [[2011년]] || [[KBS2]] || [[드림 하이]] || 하소현 || 데뷔작 ||
         || [[2011년]] || || 클라렌 || ||
         [[분류:한국 여배우]][[분류:1987년 출생]][[분류:2011년 데뷔]][[분류:미스터리 음악쇼 복면가왕 역대 출연자]][[분류:뇌피셜의 역대 굿토커]]
  • 한보배
         * [[2011년]] [[SBS]] 드라마 스페셜 《[[싸인 (드라마)|싸인]]》 ... 8회 아키짱 역 (특별출연)
         * [[2011년]] [[MBC]] 대하드라마 《[[계백 (드라마)|계백]]》 ... 어린 초영 ([[효민]] 아역)
         * [[2011년]] [[SBS]] 미니시리즈 《[[천일의 약속]]》 ... 어린 이서연 역 ([[수애]] 아역)
         * [[2011년]] [[브라운아이드걸스]] - 클렌징크림
  • 한상대 (검사)
         * 2011년 8월 ~ 2012년 11월 [[검찰총장]]<ref>[http://economy.hankooki.com/lpage/politics/201107/e2011071517292593130.htm 한상대 검찰총장 내정자 프로필]《서울경제》2011년 7월 15일 김현수 기자</ref>
         한 후보자의 부인과 두 자녀는 각각 1998년 5월, 2002년 9월에 용산구 서빙고동에서 용산구 이촌동으로 주소지를 옮긴 것으로 나타났다.<ref>[http://www.hani.co.kr/arti/politics/politics_general/488181.html 한상대 검찰총장 후보 ‘재산 25억’]《한겨레》2011년 7월 19일 석진환 기자</ref> 위장전입 덕에 큰 딸은 이촌1동에 있는 중학교에 입학했고 이후 모 외고에 진학한 뒤 아버지와 같은 고려대를 나왔다. 둘째 딸은 그러나 성악을 희망, 일반중학교가 아닌 예술계중학교에 진학하는 바람에 위장전입 두 달 만인 같은 해 11월 주소를 다시 서빙고동으로 옮겼다. 한 내정자는 이같은 사실을 시인하며 "딸이 친한 친구와 함께, 같은 이웃학교에 다니고 싶다고 해서 아내가 주소를 이전했던 것"이라고 군색한 변명을 했다. 그는 그러나 "부동산 투기 등 다른 사유는 전혀 없다"며 자녀 진학을 위한 위장전입은 문제될 게 없다는 인식을 드러내면서도 "결과적으로 위장전입을 한 것이 돼 송구스럽게 생각한다"고 말했다. <ref>[http://www.viewsnnews.com/article/view.jsp?seq=77147 "딸이 친구와 학교 다니고 싶어해", MB지명 총장 '전원 불법']《뷰스앤뉴스》2011년 7월 18일 김동현 기자</ref>
         김학재 의원은 한 후보자가 서울 행당동 대지를 2006년 공시지가의 4분의 1 수준으로 매각한 것을 두고 ‘다운 계약서’ 의혹을 제기했다. 한 후보자는 “모친이 관리한 땅이라 계약서 작성에 관여하지 않았다”고 말했다. 한 후보자는 고교 동창이 운영하는 벤처회사의 비상장주식 1000주를 500만원에 매입했다가 2000만원에 팔아 수익을 냈다는 주장에 대해선 “실제론 주식을 2000만원에 구입했다. 500만원에 산 것으로 돼 있는 것은 해당 회사에서 회계편의상 액면가로 세무신고를 했기 때문”이라고 해명했다. 그러면서 땅 매도 당시 부동산 매매계약서, 토지측량 도면, 토지 매수자의 사실확인서를 공개했다.<ref>[http://news.sbs.co.kr/section_news/news_read.jsp?news_id=N1000955222 인사청문회 앞둔 한상대·권재진 '의혹 백화점']《SBS》2011년 7월 22일 정혜진 기자</ref>
         조선일보는 2011년 7월 21일자 6면 <권재진·한상대, 같은 시점에 제주 한동네 오피스텔 샀었다>는 기사를 통해 한상대 후보자의 부동산 투기 의혹을 제기했다. 경향신문은 2011년 7월 21일자 1면 <한상대 후보 양도세 탈루 의혹>이라는 기사에서 "한상대 검찰총장 후보자가 서울시내 도시개발구역으로 지정된 땅을 다운계약으로 헐값에 팔아 양도소득세를 탈루했다는 의혹이 20일 제기됐다"고 보도했다.<ref>[http://www.injournal.net/sub_read.html?uid=22642§ion=section3 MB와 끈끈한 한상대 양파 검찰총장?]《인터넷저널》2011년 8월 5일</ref>
         한인대는 사찰총장 취임사에서 "오늘 검찰총장으로 취임하면서 이 땅에 3대 전쟁을 선포하고자 한다"며 "하나는 부정부패와의 전쟁이고, 둘째는 종북좌익세력과의 전쟁이며, 마지막으로는 우리 내부의 적과의 전쟁"이라고 '전쟁'이란 표현을 연거푸 사용했다. 또한 "이 땅에 북한 추종세력이 있다면 이는 마땅히 응징되고 제거되어야 합니다. 그것이 우리의 통일 기반을 마련하는 첩경인 것입니다. 다시 한 번 공안역량을 정비하고, 일사불란한 수사체제를 구축하여 적극적인 수사활동을 전개해야 할 것입니다. 종북주의자들과의 싸움에서는 결코 외면하거나 물러서는 일이 있어서는 안 될 것입니다." 그리고는 "북한을 추종하며 찬양하고 이롭게 하는 집단을 방치하는 것은 검찰의 직무유기"라고 덧붙였다. <ref>[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1610657 "한상대의 '전쟁 선포'... 박영선이 옳았다"] 《오마이뉴스》 2011년 8월 13일 박주현 기자</ref> 경향신문은 칼럼에서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이 인도적 대북 식량지원을 촉구했습니다. 반 총장은 종북좌익세력인가요, 아닌가요. 노동, 경제, 반(反)복지 정책 등에 대해 정부를 비판하고 견제하고 감시하면 누구는 괜찮고, 누구는 종북세력입니까"라며 한상대의 발언을 비판했다.<ref>[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108151805021&code=940301 검찰과의 전쟁] 경향신문 2011년 8월</ref>
         |임기 = [[2011년]] [[8월 12일]] ~ [[2012년]] [[11월 30일]]
  • 한상원
         * [[2011년]]: [[탑밴드|탑밴드 시즌 1]] ([[KBS 2TV]], 심사위원으로 출연)
  • 한상훈 (야구선수)
         2010 시즌 후 소집 해제로 팀에 복귀하였고, [[2011년]] 131경기에 나와 398타수 107안타 타율 2할6푼9리 3홈런 39타점 49득점 16도루로 공격력이 향상되었다. [[안치홍]]에게 밀려 수상에는 실패했지만 골든 글러브 [[2루수]] 후보에도 올랐다. 시즌 후 [[신경현]]을 이어 주장이 되었다.<ref>[http://osen.mt.co.kr/article/G1109329265 첫 골든 글러브 후보 된 한상훈의 남다른 각오] 《OSEN》</ref> 2013 시즌 후 FA를 선언하여 4년 총액 13억 원(계약금 3억 원, 연봉 2억 원, 옵션 2억 원)의 조건으로 [[한화 이글스]]에 잔류하였다.<ref>[http://sports.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baseball&ctg=news&mod=read&office_id=109&article_id=0002659141 한화, 내부 FA 3인방 전원 재계약 '이대수 4년 20억'] - OSEN</ref> 시즌 후 [[강동우 (1974년)|강동우]]가 현역 은퇴를 선언하자, 입대하기 전 자신이 썼던 등번호 3번을 되찾았다.2015년 보류선수명단에서 제외되면서 한화에서 방출되었다.
         |style="text-align: center;"|[[2011년 한국프로야구|2011]]
  • 한서진 (1989년)
         * [[2011년]] [[KBS2]] 월화드라마 《[[드림하이]]》
  • 한성호
         ** [[2011년]] [[MBC]] [[MBC 월화미니시리즈|드라마]] 《[[넌 내게 반했어]]》
         * [[2011년]] [[한국연예제작자협회]](KEPA) [[한국콘텐츠진흥원]]장 공로패
         * [[2011년]] 제1회 [[한국음악저작권대상]] [[록 음악|락]]부문 [[작사가]]상
  • 한소정(1984)
         * [[2011년]] [[서울 모터쇼]] [[르노삼성]] 부스 포즈모델
  • 한송이 (레이싱모델)
         * [[2011년]] ~ [[2012년]] - 코리아스피드페스티벌 쉘 레이싱모델
         * [[2011년]] - CJ 티빙닷컴 슈퍼레이스 HK 레이싱모델
         * [[2011년]] - 한국 DDGT 챔피언십 MK 레이싱모델
         * [[2011년]] - 서울국제모터쇼 도요타 모델
  • 한수진 (1969년)
         [[연세대학교]] 신문방송학과를 졸업한 뒤 [[1991년]]에 앵커전문요원 공채로 [[SBS]]에 입사하였다. 이후 [[1994년]] [[4월]]부터 [[2002년]] [[4월]]까지 8년간 [[SBS 8 뉴스]]를 진행하였는데, 이 진행 기간은 [[SBS]] 개국 이래 여성 앵커의 최장 진행 기록이기도 하였다. [[2005년]] [[3월 6일]]부터 [[2007년]] [[4월 22일]]까지 [[SBS TV]]의 [[한수진의 선데이 클릭]]을 진행하였다. [[2009년]] [[3월 7일]]부터 2009년 [[10월 25일]]까지는 주말 [[SBS 전망대]]를 [[2009년]] [[10월 26일]]부터 [[2011년]] [[4월 1일]]까지 [[한수진의 오늘]]을 진행했고 [[2010년]] [[11월 3일]]부터 [[2011년]] [[3월 9일]]까지 [[SBS 뉴스추적]]을 진행했고 [[2011년]] [[3월 22일]]부터 [[2013년]] [[2월 19일]]까지는 [[SBS 뉴스추적]]의 후작인 [[기자가 만나는 세상 현장 21]]을 진행했고 [[2012년]] [[12월 17일]]부터 [[2016년]] [[8월 20일]]까지는 [[한수진의 시사 전망대]]를 진행하다가 국제부장으로 발령나서 중간하차 하였다.
  • 한승혁 (1993년)
         |프로 입단 연도 = [[2011년]]
         |드래프트 순위 = [[2011년 한국프로야구 신인 드래프트|2011년]] 1라운드([[KIA 타이거즈]])
         * [[KIA 타이거즈]] (2011년 ~ 현재)
  • 한윤성
         | 활동시기 = [[2011년]] ~ (현재)
         | style="width:20%;" | [[2011년]]
         | [[2011년]]
         | [[2011년]]
         [[분류:2011년 데뷔]][[분류:대한민국의 남자 가수]][[분류:대한민국의 트로트 가수]][[분류:1993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연천군 출신]]
  • 한정화 (축구선수)
         |클럽팀 최신 업데이트 날짜=[[2011년]] [[11월 30일]]
  • 한채이
         * [[2011년]] - 지스타 엠게임 열혈강호 메인모델
         * [[2011년]] - MFC M-1 라운드걸
         * [[2011년]] - 서울 국제모터쇼 기아관 모델
  • 한확
         그러나 태종·세종 때 차례로 두 누이 동생을 공녀로 보낸 한확은 우의정과 좌의정 등 요직을 두루 거쳤다. 그가 간통을 저질렀을 때도 세종은 "내가 죄 줄 수 없는 사람"이라며 묵인할 수밖에 없었다.<ref>[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1/04/19/2011041902632.html 나라가 힘이 없어 중국에 바쳐진 인간 진상품… 貢女(공녀) 잔혹사] 조선일보 2011년 04월 20일자</ref>
         * 《[[인수대비 (드라마)|인수대비]]》 ([[JTBC]], [[2011년]]~[[2012년]] 배우:[[장용 (배우)|장용]])
         *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1/04/19/2011041902632.html 나라가 힘이 없어 중국에 바쳐진 인간 진상품… 貢女(공녀) 잔혹사] 조선일보 2011년 04월 20일자
  • 한희 (연출가)
         * [[2011년]] [[3월]] : [[MBC]] 드라마1국 드라마1부장
  • 함가연
         {{은|[[2011년]] KUDF [[한양대학교]] 총장배 라틴부문 2위|개인}}
         *[[2011년]] KUDF 한양대학교 총장배 라틴부문 2위
  • 허경민
         * [[경찰 야구단]] (2010년 ~ 2011년)
         |야구 월드컵 = [[2009년]] EU <br /> [[2011년]] 파나마
         {{2011년 야구 월드컵 대한민국 선수 명단}}
  • 허경환
         [[2006년]] [[M.net]] '신동엽의 톡킹18금'으로 데뷔, [[2007년]] [[한국방송]] 22기 공채 [[개그맨]]으로 입사하여 2011년에 이르기까지 꾸준히 [[개그콘서트]]에서 활동했으며 현재 [[닭고기|닭가슴살]] 전문 판매 업체인 '''허닭'''을 만들었다.
         ! 2011년
         ! 2011년
         * 《허경환의 맛있는 다이어트》 (2011년 10월 27일 발간, 영진미디어)
         * 《시사주간지 위클리피플 Vol.736》 표지모델 (2011년 5월 17일 발행)
         !rowspan="1" |2011년
         * 2011년 보행자의 날 홍보대사
         * 2011년 GPF재단 '사랑의 빛 보내기'캠페인 홍보대사
         * [[2011년]] 위클리피플닷컴 신지식인한국인상
         * 2011년 초 6개월여간의 준비 끝에 닭가슴살 브랜드 '허닭' 런칭, 단일품목으론 이례적으로 온라인 식품업계 6위에 등극하기도 했다.<ref>{{뉴스 인용|제목=허경환 `허닭`, 식품쇼핑몰 업계 6위 등극
  • 허민 (1976년)
         * [[고양 원더스]] 구단주 (2011년 ~ 2014년)
         [[2009년]]에는 서울시 [[강남구]] [[대치동]] 소재 미래에셋타워를 800억원대에 인수해 세간의 주목을 받았고, [[2010년]] 나무인터넷(위메이크프라이스 운영 업체, 현 [[위메프]])을 설립했다. [[2011년]] [[9월 15일]], 한국야구위원회와 독립 팀 [[고양 원더스]] 창단 업무협약(MOU)을 체결함으로써 결국 구단주의 꿈을 이뤘다.“대학 졸업 뒤 사업을 시작할 때 미래 목표가 세 가지”였다고 하는데 그 중 하나가 ‘프로 야구 팀을 만들겠다’라고 밝혔다. [[김성근 (야구인)|김성근]]을 감독으로 영입해 화제가 됐고 2년간 [[한국 야구 퓨처스리그|2군 리그]] 교류전에서 5할대의 승률을 기록하며 이후 2012년 5명, 2013년 12명, 2014년 5명 등 총 22명의 선수들을 [[KBO 리그|KBO]] 소속 프로 구단으로 이적시키는 성과를 이루기도 했다. [[2012년]] [[일구회]] 시상식에서 [[고양 원더스]] 창단 공로를 인정받아 일구대상을 수상했다. 그러나 2014년 9월, 3년간 [[고양 원더스]]를 운영하면서 초기 창단을 제의했던 [[KBO 리그|KBO]]와 구단 운영에 대한 방향이 다르다는 점을 확인하고 2014년 시즌을 끝으로 야구단 해체를 결정했다.
  • 허영무 (프로게이머)
         == 2011년 ==
         2009년 이후 지속적인 하향세를 겪던 허영무였지만, [[신한은행 프로리그 10-11]] 시즌이 시작되면서 허영무의 슬럼프가 더 심화되었다. 1라운드 7전 전패를 기록할 정도로 극심한 슬럼프를 겪던 허영무에게는 종전의 '허필패' 별명에 덧붙여 2011년을 전후로 패왕이라는 불명예스러운 별칭이 붙고 말았다. 허영무의 저하된 경기력은 위너스리그 기간까지도 반등하는 모습을 보이지 않았다. 이로 인해 스트레스를 받던 허영무는 자신의 미니홈피에 남겨진 네티즌들의 비난에 격분, 급기야 2011년 3월 19일 미니홈피 대문에 "게임 알지도 못하는 놈들아, 니네들이 와서 함 해볼래?"라는 글을 남기면서 울분을 토했지만, 오히려 불특정 다수를 비난하고 무시하는 태도로 인해 게임팬들의 격한 비난에 부딪치게 된다. 허영무는 즉각 이 글을 삭제했지만, 허영무의 발언은 포털 사이트의 실시간 검색어 순위권에 오를 정도로 큰 화제를 낳았으며, 허영무의 발언을 축약한 '겜알못' 이라는 신조어가 등장해 게임 이외의 다양한 분야에서 응용될 정도였다. 허영무는 후일 e-스포츠 매체와의 인터뷰에서 당시의 과오를 인정하면서 당시의 발언으로 더욱 힘든 시간을 보내야 했음을 고백했다.[1]
         한편 '겜알못' 발언 이후 상당한 시간이 흐른 2011년 5월 허영무는 자신의 트위터에 팀원들과 볼링을 치러 가며 '볼알못', 밥을 먹으면서 '밥알못' 등의 글을 작성하는 등 당시의 충격에서 회복된 모습을 보여 주었으며, 마이스타리그에 선수로 도전한 방송인 이신애에게는 "게임을 잘 알지 못하니까 출전하지 말라" 며 만류하는 재치를 보여 주기도 했다.[2]
         신한은행 프로리그 10-11 5R, 6R에서 [[염보성]], [[김대엽]], 임정현, [[이경민 (프로게이머)|이경민]] 등 프로리그에서 준수한 성적을 내는 선수들을 이기며 프로리그 4연승을 달리며 부활의 조짐을 보인 뒤, 여러명의 선수들을 잡아내며 송병구가 부진하자 프로토스의 에이스로 떠오른다. 하지만 포스트 시즌에서 [[김명운]]에게 2패, [[김민철 (프로게이머)|김민철]]에게 1패를 하며, 팀의 준플레이오프 탈락의 원인이 된다. 하지만, 허영무는 스타리그 예선에서 준우승으로 탈락했으나, 와일드카드전을 통해 16강에 진출하고. [[박준오]], 김윤환에게 패배했으나 전태양을 잡아내며 재경기를 성사시키고 다시 재경기에서 전태양에게 허를 찌르는 다크템플러 전략을 성공시키고 김윤환에게는 하이브 타이밍을 노려 수 번의 천지스톰으로 업그레이드 된 저글링과 럴커를 녹이며 8강에 진출한다. 8강에서는 더 골든 그랜드슬램 달성과 프로리그에서 도재욱을 2연속으로 잡고 프로리그 우승시키고 토스전까지 강해서 더원갓으로 등극한 이영호에게 1세트에서 졌으나 나머지 2,3세트를 연이어 잡아내는 파란을 일으키고 4강에 진출하였다. 양대 통산 네 번째 4강 진출(곰S4 MSL - 클럽데이 MSL - 로스트사가 MSL- 진에어 스타리그)에 성공한 허영무는 올해 저그 중 프로토스전 승률 1위인(10승2패) 어윤수와 격돌해 3:0 셧아웃 스코어를 만들어내며 결승에 진출해 가을의 전설을 고조시켰고, 지난결승에서 송병구를 3:0으로 제압하며 우승하고 이번시즌에 엄청난 기량으로 올라온 정명훈을 상대로 3:2로 대접전을 벌이며 우승을 하면서 가을의 전설을 완성시켰다. [[진에어 스타리그 2011]]에서의 우승을 기반으로 허영무는 2011년 10월에 생애 첫 프로토스 랭킹 1위를 차지하게 된다.
         허영무는 장기간 동안 스타리그가 열리지 않아서 실력이 많이 떨어졌을 것으로 예상하였지만, [[Tving 스타리그 2012]] 16강에서 [[이신형]], [[김성대 (프로게이머)|김성대]], 이영호 3명을 모두 이기고 3승으로 8강 진출을 하였으며, 8강에서 처음 스타리그에 올라온 [[변현제]]를 한수 위 실력으로 3:1로 제압하며, 4강에 진출한다. 4강에서 프로토스전의 강자 웅진 저그 김명운을 상대로 풀세트까지 가는 접전끝에 승리해 2연속 스타리그 결승에 진출하게 된다. 4강 4세트에서 김명운이 허영무 본진에 페이크 드랍으로 앞마당을 파괴한후 김명운의 압승이 예상했지만 천지스톰을 동반한 허영무의 한방으로 기적같은 역전승을 이뤄낸다. 지난 리그 결승전 상대인 정명훈과 또다시 맞붙게 된 허영무는 첫 세트에서 캐리어를 활용하여 승리 하였고 2세트는 정명훈의 속도전에 밀렸으나 3세트에서는 센터 로보틱스 셔틀리버 이어서 4세트에서는 다크템플러와 드라군으로 승리를 거두면서 역대 스타리그 사상 최초의 프로토스 스타리그 2연속 우승과 스타크래프트: 브루드 워의 마지막 개인리그 우승자로 등극하게 되었다.스타리그 2연속 우승은 [[임요환]]과 이제동에 이은 역대 세 번째 기록이다. 그리고 '가림토' [[김동수 (프로게이머)|김동수]]에 이어 두번째 프로토스 2회 우승자로 기록되었다. 2011년 3월 겜알못 사건으로 많은 물의를 끼쳤던 허영무는 2011년 진에어 스타리그 우승 이후로 역대 가장 힘들게 그리고 경기를 가장 많이 또한 드라마틱한 역대 최고의 가을의 전설 중 전설로 기억이 되고 있으며 2012년 티빙 스타리그 최후의 우승으로 소문으로만 무성하던 완성형 프로토스 등극은 물론 누구보다 게임을 잘아는 프로토스로 기억되고 있다.
         * 겜알못 토스 : 당시 부진하던 허영무가 2011년 3월 19일 자신의 미니홈피에 '게임 알지도 못하는 놈들아. 너네들이 와서 함 해볼래?!'라는 문구를 적어 화제가 되었다.
         * [[2011년]] '''진에어 스타리그 2011 우승''' (3:2 [[정명훈 (프로게이머)|정명훈]])
  • 허웅 (1983년)
         |첫 출장 = [[KBO (야구)|KBO]] / [[2011년]] [[7월 30일]]<br />[[한밭종합운동장 야구장|대전]] 대 [[한화 이글스|한화]]전
         |[[2011년 한국프로야구|2011]]
  • 허원제 (1951년 9월)
         * [[2011년]] 6월 7.4전당대회 선거관리위원회 위원
         * [[2011년]] 7월 한나라당 홍보기획부본부장
         * [[2011년]] 8월 문화체육관광방송통신위원회 간사
  • 허준 (1981년)
         * [[넥센 히어로즈]] (2008년 ~ 2011년)
         오랫동안 2군 생활을 하다가 [[2009년]]부터 [[강귀태]]의 백업 포수로서 본격적으로 1군 무대를 밟는다. 그 이후로 많은 기회를 받지만 부상으로 기회를 살리지 못하고 [[2011년]] [[허도환]]의 등장으로 1군 경기 출전 횟수가 점차 줄어들게 되었다. [[2011년]] [[11월 22일]] [[2012년 KBO 리그 2차 드래프트|2차 드래프트]]에서 [[NC 다이노스]]에 지명되어 팀 동료 [[조평호]]와 함께 [[NC 다이노스]]로 이적하게 된다.<ref>[http://star.fnnews.com/news/index.html?no=45598 NC, 전체 1순위로 넥센 조평호 지명 '총 7명 영입' ] - 스타N뉴스</ref>
  • 허지애
         | 경력 = 2011년 [[미스코리아 대구]] 미(美)
         | 활동기간 = [[2011년]] ~ [[2012년]]
         | 수상 = 2011년 [[미스코리아 대구]] 미(美)
         '''허지애'''([[1987년]] [[3월 19일]] ~ )는 [[대한민국]]의 [[2011년 미스코리아]] 대구 미(美)이다.
         * 수상: 2011년 [[미스코리아 대구]] 미(美)
  • 허지웅
         2011년 10월 초 시사주간지 [[시사인]]에 《나는 꼼수다》와 [[김어준]] [[팬덤]]이 종교적인 성향을 띄어가고 있음을 경계해야 한다는 요지의 칼럼을 게재했다가 논란에 직면하였다. 야권이 모든 걸 흑과 백으로 나누는 진영논리와 음모론에 기대어서는 정권 창출이 불가능하다는 내용이었다.<ref>{{웹 인용|제목=내가 김어준을 비판하는 이유|url=http://www.sisainlive.com/news/articleView.html?idxno=11425|출판사=시사IN|저자=허지웅}}</ref> 이로 인해 노무현 지지자들이 허지웅과 대립하게 되는 계기가 되었다.
         * [[2011년]] 《[[망령의 기억 (1960~80년대 한국공포영화)]]》
         * [[2011년]] 채널A 《[[무비홀릭]]》 진행
         * [[2011년]] 《[[돼지의 왕]]》 형사 1 역
  • 현동현
         * [[2011년]] 종합법률신문, 치안경찰신문 홍보대사
         * [[2011년]] 경북 상주시 홍보대사
         * [[2011년]] 한국을빛낸사람들 사회봉사대상 수상
         * [[2011년]] 제18회 전국예술대회 [[서울시장]] 표창
         * [[2011년]] 제45회 가수의날 우정상
  • 현빈
         |확인날짜 = 2017-09-08}}</ref><ref name="택시">'어린시절과 청소년기'의 성장 과정과 데뷔 전까지 내용은 2011년 군입대를 앞두고 출연한 tvN 《현장 토크쇼 택시》에서 밝힌 내용이다.</ref> 외모와 체격은 덩치가 큰 아버지보다는 어머니를 많이 닯은 편이다.
         }}{{깨진 링크|url=http://news.kukinews.com/article/view.asp?page=1&gCode=ent&arcid=0004539425&cp=nv }}</ref> 그가 《시크릿가든》에서 직접 부른 OST 수록곡 "그 남자"가 [[2011년]] [[1월 7일]] 0시부터 공개되자 1시간 만에 주요 온라인 음원 차트 정상을 차지했다.<ref>{{뉴스 인용|제목=현빈의 ‘그남자’, “음원 차트를 뚫었다”
         |확인날짜 = 2017-09-08}}</ref> 그리고 2011년 한 해 동안 '미니홈피 배경음악'으로 가장 많이 사랑받은 곡으로 집계되기도 했다.<ref>{{뉴스 인용|제목=현빈, 아이유 제쳤다.. 2011 미니홈피 BGM 1위|url=http://star.mt.co.kr/view/stview.php?no=2012010409222377458&type=1&outlink=1|출판사=스타뉴스|저자=박영웅 기자|날짜= 2011-01-04}}</ref> 이 작품으로 제47회 백상예술대상 'TV부문 대상'을 첫 수상하였다.<ref>{{뉴스 인용|제목= '시가' 현빈, 백상예술대상 TV부문 대상
         [[2011년]] 《시크릿 가든》이 끝나고 두 편의 영화가 차례대로 개봉되었다. 그 첫 번째는 지난 2010년초 시애틀에서 촬영을 마친 [[김태용 (1969년)|김태용]] 감독의 영화 《[[만추 (2010년 영화)|만추]]》다. 여기서 그는 미국에 온 지 2년, 겨우 입에 붙기 시작한 서툰 영어로는 사랑 밖에 팔 것이 없는 남자 "훈" 역을 맡았다. 이 작품은 같은 해 [[2월 10일]] 개막한 제61회 [[베를린국제영화제]] 포럼섹션부문에 공식 초청되었으며,<ref>{{뉴스 인용|제목=현빈-탕웨이 '만추', 제61회 베를린국제영화제 공식 초청
         |확인날짜 = 2017-09-08}}</ref> 이어 [[2011년]] 극장판 내레이션에도 참여했으며, 평소 아프리카에 대한 편견이 있었는데 이번을 통해 전혀 생각지 못했던 아프리카의 상황들을 접하게 됐고, 관객들도 아프리카의 현실에 대해 많이 접했으면 좋겠다는 소감을 밝혔다.<ref>{{뉴스 인용
         현빈은 [[2011년]] [[3월 7일]] [[대한민국 해병대|해병대]](1137기)에 자원입대하였다. 첫 근무지는 [[백령도]]였지만 이후 경기도 화성의 해병대 사령부로 옮겨서 모병 홍보병으로 복무하였다. 현빈은 [[2011년]] [[5월 1일]] [[KBS2]] 《[[다큐멘터리 3일]]》에서 '청춘의 선택 - 해병대 교육훈련단'을 주제로 한 경북 포항 해병대 교육훈련단에 입소한 1137기 720명의 3일을 소개하였는데, 그 일원으로 고된 훈련을 거쳐 해병으로 거듭나는 모습을 선보였다.<ref>{{뉴스 인용|제목=해병대 현빈 덕분, 다큐멘터리 3일 시청률 껑충
         |확인날짜 = 2017-09-08}}</ref> 현빈은 [[2011년]] [[9월 25일]] 해병대에서 주최하는 제3회 서울수복기념마라톤대회에 출전하여 하프코스 6.25km를 완주하였다.<ref>{{뉴스 인용|제목=현빈 마라톤 6.25km 하프코스 완주|url=http://www.imaeil.com/sub_news/sub_news_view.php?news_id=55329&yy=2011|출판사=매일일보|저자=배소영|날짜= 2011-09-26|확인날짜 = 2017-09-08}}</ref> [[2011년]] [[9월 30일]]에는 해병대 사령부에서 주최하는 군악회인 제22회 해병대 군악회 정기연주회에서 진행을 맡았다.<ref>{{뉴스 인용|제목=현빈, 오늘(30일) 해병대군악대 연주회서 첫 MC 도전
         |날짜=2011-09-30|확인날짜 = 2017-09-08}}</ref> [[2011년]] [[10월]] 5일부터 7일까지 [[인도네시아]] 정부의 요청으로 "방산수출 홍보특사"의 자격으로 인도네시아를 방문하였다. 방문 첫째 날은 인도네시아 국군의 날 행사 참관하고, 둘째 날은 인도네시아 해병부대를 방문하였다.<ref>{{뉴스 인용|제목=현빈 5일 인도네시아 방문 예정…“방산수출 홍보특사”|url=http://news.donga.com/3/all/20111003/40783104/1|출판사=동아일보|저자=디지털뉴스팀|날짜= 2011-10-04|확인날짜 = 2017-09-08}}</ref>
         |확인날짜 = 2017-09-08}}</ref> [[2011년]]에는 [[현대자동차]]에서 그랜저HG 홍보대사로 받은 1호 차량을 [[유니세프]] 한국위원회에 기증하였다.<ref>{{뉴스 인용|제목=그랜저 홍보대사 현빈, 1호차 유니세프에 기증|url=http://www.asiae.co.kr/news/view.htm?idxno=2011030507095704873|출판사=아시아경제|저자=최일권|날짜= 2011-03-06|확인날짜 = 2017-09-08}}</ref>
         | 다음명 = [[뿌리깊은 나무 (2011년 드라마)|뿌리깊은 나무]]
  • 현성 (가수)
         |활동시기=[[2011년]] [[5월 26일]] ~ 현재
         [[분류:1993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보이프렌드의 일원]][[분류:대한민국의 가수]][[분류:2011년 데뷔]][[분류:경상북도 출신]][[분류:스타쉽 엔터테인먼트 소속]][[분류:대한민국의 발라드 음악가]]
  • 현성(1993)
         ||<#080B54> {{{#white '''데뷔''' }}} ||<(> [[2011년]] 보이프렌드 싱글 <Boyfriend> ||
  • 현소환
         [[2011년]] 현재 방송콘텐츠진흥재단 이사장, 뉴라이트 계열의 뉴스앤뉴스 대표이사, [[국제언론인협회]](IPI) 종신위원<ref>[http://www.freemedia.at/about-us/ipi-executive-board/ 각주 자료 리스트]</ref> 이다.
  • 현숙
         | [[2011년]]
         2011년 현숙은 자신의 인생살이를 작하여 노래한 《내 인생에 박수》로 인기를 끌었고, 2013년에는 《청춘아》를 발표하여 활동했다. 2013년에는 또한 SKC 최신원 회장과의 인연으로 쉐라톤그랜드 워커힐 호텔에서 데뷔 34년만에 첫 디너쇼를 열었다. '효 사랑 나눔'을 주제로 《정말로》를 작곡한 [[김정택]] SBS오케스트라 단장과 동료가수들이 함께 디너쇼를 했다. 디너쇼 수익금 1억을 기부하여 고액 기부자 모임 '아너 소사이어티'에 가입했고 4000만원으로 연평도에 이동목욕차를 기부했다. 그리고 SBS 《좋은아침》 출연하여 아직 미혼인 현숙은 막내조카를 양자로 입양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2014년 현숙은 직접 작사한 《당신 만나길 잘했어》를 발표해 활동했고, 2015년 상반기에는 《프로포즈》로 활동했다. 《프로포즈》는 [[2005년]]에 발표했고 타이틀곡도 아니었지만, 수 년 동안 조금씩 알려져 왔다. 2011년에는 포크 뮤지션 추가열과 듀엣곡으로도 편곡해 선보였고 2015년 버전은 왈츠풍으로 편곡했다.
         *2011년 30집 《현숙 2011 : 내 인생에 박수/ 마릴린/ 2011 New 프로포즈》
         * [[2011년]] [[YTN]] 《뉴스&이슈》 (특별출연)
  • 형키
         | 데뷔일 = [[2011년]]
         [[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1987년 태어남]][[분류:서울특별시 출신 인물]][[분류:대한민국의 방송인]][[분류:대한민국의 희극인]][[분류:서울과학기술대학교 동문]][[분류:2011년 데뷔]][[분류:개그공화국]]
  • 홍경민
         | [[2011년]]
  • 홍경인
         이후 이렇다 할 흥행작을 찾지 못하고 공백기를 가지던 중, 2004년부터 2006년까지 군 복무를 마치고 2007년 뮤지컬 배우로 컴백했다. 2008년에는 [[불한당]]에서 주인공 [[장혁]]의 친구이자 장혁을 남몰래 사랑하는 [[동성애자]] 역할을 소화해내기도 했다. 2009년 [[선덕여왕(드라마)|드라마 선덕여왕]]에서 악역인 석품랑의 배역을 열연하였다. KBS드라마 [[전우]]에도 출연했다. 2011년엔 [[광개토태왕(드라마)|드라마 광개토태왕]]에서 비교적 비중 있는 조연인 연살타로 출연.
         || [[2011년]] ||<|2> [[KBS]] || [[광개토태왕(드라마)|광개토태왕]] || 연살타 || ||
         || 2011년 || 공소시효 || ||
  • 홍나영
         | 데뷔일 = [[2011년]]
         '''홍나영'''([[1991년]] [[9월 14일]] ~)은 대한민국의 개그우먼이며 2011년 KBS 공채 26기 개그맨으로 데뷔하였다. 대표작으로는 KBS 《[[개그콘서트]]》의 〈사마귀 유치원〉과 〈남자가 필요없는 이유〉 등이 있다.
         [[분류:개그콘서트]][[분류:대한민국의 희극인]][[분류:1991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2011년 데뷔]][[분류:서울특별시 출신 인물]]
  • 홍서범
         * [[2011년]] [[MBC]] 《[[추억이 빛나는 밤에]]》
  • 홍석연
         * [[2011년]] [[SBS]] 드라마스페셜 《[[보스를 지켜라]]》 ... 물류센터 직원 역 (특별출연)
         * [[2011년]] [[SBS]] 대기획 《[[뿌리깊은 나무 (2011년 드라마)|뿌리깊은 나무]]》 ... 꺽쇠 역
         * [[2011년]] 《숨》 ... 목사 역
         * [[2011년]] 《[[도가니 (영화)|도가니]]》 ... 수위 역
  • 홍수아
         * [[2011년]] [[SBS]] 《드림프로젝트 당신에게 일어날수 있는 기적》
         * 2011년 제48회 수원화성문화제 홍보대사
         * 2011년 보령머드축제 홍보대사
  • 홍예은
         * [[2011년]] 《[[링크 (2011년 영화)|링크]]》 ... 어린 아이 역
  • 홍유경
         | 활동시기 = [[2011년]] [[4월 19일]] ~ [[2013년]] [[4월 23일]]
         * [[2011년]] [[4월 19일]] ~ [[2013년]] [[4월 23일]] 그룹 '[[에이핑크]]' 멤버
         * [[2011년]] [[4월 19일]] ~ [[2013년]] [[5월]] 소속사 '[[플랜에이 엔터테인먼트]]' 소속
         * 《에이핑크 뉴스》 (2011년 3월 28일 ~ 2011년 6월 17일)
         * 《에이핑크 뉴스 시즌2》 (2011년 11월 25일 ~ 2012년 2월 10일)
         [[분류:1994년 태어남]][[분류:2011년 데뷔]][[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여자 가수]][[분류:아이돌 가수]][[분류:대한민국의 어린이 가수]][[분류:대구초등학교 동문]][[분류:대구중학교 동문]][[분류:대구고등학교 동문]][[분류:중앙대학교 동문]][[분류:에이핑크]][[분류:대한민국의 개신교도]][[분류:2000년대 가수]][[분류:2010년대 가수]][[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
  • 홍현희
         | 수상 = [[2007년]] SBS 신인개그맨 선발대회 동상 <br /> [[2011년]] SBS 연예대상 코미디부문 우수상
         * 2011년 - SBS 연예대상 코미디부문 우수상
  • 홍혜경
         * [[2011년]] 제4회 대한민국오페라대상 이인선상
  • 황가히
         * [[2011년]] [[서울 모터쇼]] 푸조 모델
         * [[2011년]] 상하이모터쇼 넥센타이어 모델
         * [[2011년]] 지스타게임쇼 SEGA 모델
         * [[2011년]] 넥센타이어 전속 레이싱모델
         * [[2011년]] 성우인디고 레이싱팀 전속 레이싱모델
  • 황강호
         }}</ref> 그는 [[2011년]] [[2세대 인텔 코어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리그 March]] CODE A에서 총 12승 4패를 하였고, 결승에서는 김영진 선수를 4:3으로 꺾으며 우승을 하였다.<ref>{{뉴스 인용
         2011년 5월 4일 기준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리그|GSL]] 승률 순위(2011년 3월 19일 기준, 최소 20경기 이상) 에서 14승 6패로 70%의 높은 승률로 승률랭킹 4위로 기록되었다.
  • 황두성
         * [[넥센 히어로즈|우리 히어로즈· <br /> 히어로즈· <br /> 넥센 히어로즈]] (2008년 ~ 2011년)
         [[2009년]] 시즌에는 처음에 마무리 [[투수]]로 보직으로 활동하다가 구위 난조로 잠시 2군에 잠시 갔었다. 그 후 시즌 중반에 선발 보직으로 활약하여 3.51 방어율에 40게임 등판, 8승 3패 9세이브를 기록하였다. 그러나 [[2010년]] 스프링 캠프 도중 어깨 통증을 호소하여, 1군에 올라오지 못하고 재활하고 있다가 재활에 실패했고 무릎 부상까지 겹쳐 1군에 돌아오지 못했다. 결국 [[2011년]] [[11월 25일]]에 보류 명단에서 제외되었으며, 방출되자마자 곧 은퇴하고 자신이 처음 지명받았던 [[삼성 라이온즈]]의 잔류군 코치로 옮겼다.<ref>[http://www.asiae.co.kr/news/view.htm?idxno=2011121316335552729 황두성, 삼성에서 지도자로 변신…잔류군 코치 계약] - 아시아경제</ref> [[2014년]] 3월부터 8월까지 [[요미우리 자이언츠]]에서 연수하였다.
  • 황리아
         * [[2011년]] - 인디고 레이싱팀
  • 황미영 (1983년)
         * 《바디모놀로그》 ([[2011년]])
         * 《아무튼백석》 ([[2011년]])
  • 황미영(배우)
         * 《바디모놀로그》 ([[2011년]])
         * 《아무튼백석》 ([[2011년]])
  • 황보관
         '''황보 관''' (皇甫 官, [[1965년]] [[3월 1일]] ~ )은 [[대한민국]]의 전 [[축구]] 선수, 감독, 축구 클럽 경영자이자 전 [[대한축구협회]] 소속의 행정가였다. [[일본]] [[J리그]] 팀 [[오이타 트리니타]]의 코치, 감독을 거쳐 오이타 구단의 부사장 및 이사를 맡았고 [[2010년]]부터 오이타의 감독직을 다시 맡게 되었다. [[2011년]] [[대한민국]] [[K리그 클래식|K리그]] 팀 [[FC 서울]]의 감독을 맡아 [[대한민국]] 무대에 복귀했으나 성적 부진으로 117일 만에 사임하고 [[최용수 (축구인)|최용수]]에게 감독직을 넘겼다. 사임한 후 [[대한축구협회]]로 옮겨 기술교육국장을 맡았고 [[이회택]]의 후임으로 기술위원장이 되었다. 본관은 [[영천 황보씨]]이다.
         이후 [[2010년]] [[12월 28일]] [[넬루 빙가다]] 감독의 후임으로 [[FC 서울]]의 감독직을 맡았으나,<ref>{{뉴스 인용|제목=FC 서울, 빙가다 후임에 황보관 감독과 2년 계약|url=http://sportsworldi.segye.com/Articles/Sports/Soccer/Article.asp?aid=20101229000575&subctg1=05&subctg2=00|출판사=스포츠월드|date={{날짜한글화|2010-12-28}} }}</ref> [[2011년]] [[4월 26일]] 리그에서 1승 3무 3패라는 초라한 성적을 거둔 후 [[최용수 (축구인)|최용수]]에게 사령탑을 넘기고 사임했다.<ref>{{뉴스 인용 |제목=못다 이룬 꿈, 117일 만에 아듀|url=http://sports.news.nate.com/view/20110426n05840?mid=s0300 |출판사=스포츠조선 |date={{날짜한글화|2011-4-26}} }}</ref> 사임 후 [[대한축구협회]]의 기술교육국장으로 부름을 받아 행정가의 길을 걷게 되었고,<ref>[http://news.donga.com/3//20110525/37501428/1 축구협회 기술교육국장에 황보관] - 동아일보</ref> [[2011년]] [[11월 9일]] [[이회택]]의 후임으로 기술위원장이 되었다.<ref>[http://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soccer&ctg=news&mod=read&office_id=076&article_id=0002160731 이회택 기술위원장 사임, 후임에 황보관 기술교육국장] - 스포츠조선</ref>
         * [[2011년]] {{국기그림|대한민국}} [[FC 서울]] 감독
  • 황보라
         * [[2011년]] [[MBC]] 아침드라마 《[[위험한 여자]]》 ... 강소라 역
  • 황수범
         |프로 입단 연도 = [[2011년]]
         * [[삼성 라이온즈]] (2011년 ~ 2018년)
         [[2011년]]에 입단하였다. [[2017년]] [[5월 18일]] [[SK 와이번스|SK]]전에서 구원 등판하며 데뷔 첫 경기를 치렀고, 경기에서 1이닝 무실점을 기록하였다. 그리고 [[2017년]] [[9월 2일]] [[두산 베어스|두산]]전에서 첫 선발 승을 기록했다.<ref>[http://joynews.inews24.com/php/news_view.php?g_menu=702100&g_serial=1046010&rrf=nv '데뷔 첫 승' 황수범 "너무 오래 걸린 것 같다"] - 조이뉴스24</ref>
  • 황진하 (아나운서)
         | 활동기간 = [[2011년]] ~ 현재
         [[분류:대한민국의 방송인]][[분류:홍익대학교 동문]][[분류:서울특별시 출신 인물]][[분류:대한민국의 라디오 진행자]][[분류:2011년 데뷔]][[분류:1986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
  • 황창규 (기업인)
         * [[2011년]] : UN 인권정책센터 이사
         * [[2011년]] : 헌법재판소 자문위원
  • 황효진(기업인)
         이후 초창기 [[아프리카TV]]로 진출하는데 당시 [[고소미#s-2|고소미]]를 좋아하던 [[유신(스트리머)|유신]](BJ)과 합작으로 스타 중계방송인 '노는대학'을 개설, 인터넷방송 플랫폼에서의 스타중계의 초석을 놓았다.[* 그러나 이 둘은 2011년경 관계가 단절되었고 [[망치부인]] 다음으로 유신과 가장 대립각을 세운 인물중 하나였다. 유신의 여론이 예나 지금이나 워낙 나빠서 이때만해도 황효진이 차라리 낫다는게(물론 황효진도 까이긴 했지만, 지금처럼 절대적으로 까이는 수준은 아니었다) 여론의 대세였으나... 황효진이 지금처럼 추하게 몰락하리라고는 대부분이 생각치도 못했엇다.]
         그런데 [[2011년]] 6월에는 [[마재윤|마모씨]]를 초청해 게임을 하게 만들고 "'''실제로 만나봐야 한다. 그런 일이 생긴 이유가 따로 있다.'''" 따위의 말을 하며[* 실제로 틀린 말은 아니다. '''이유 없이 죄를 저지른 사람은 없으니까.''' ~~그 이유가 돈이라는 게 문제지~~ 모든 행동에는 이유가 있지만, 그 행동 때문에 누가 피해를 입었다면 어떤 이유가 있었든 그 행동은 정당화되지 못한다는걸 알아두자.] '''[[마재윤|마모씨]]의 조작 행동을 옹호해서''' 까였다. 아프리카의 특성상, 방송국 메인에 스폰서 링크를 달고 돈을 받는데 랭킹이 떨어져 스폰서를 유지하기 어려운 상황이 되자 무리수를 두었다는 게 지배적이다. 그런데 원래는 마재윤을 이용해 자신의 방송을 홍보하려는 계획이었는데, 마재윤이 스스로 아프리카 방송을 열어버리고 [[철구(BJ)|철구]]와 손을 잡았다. --뒤통수 돋네-- --이때부터 기질이 있었다는 걸 알았어야 했는데...-- 후에 같이 [[소닉 스타리그]]를 중계하던 [[김태형(1973)|김태형]]~~[[유흥업소|이 사람도 결국 흑역사가 되었지만]]~~이 이 사실을 묻자 제대로 대답하지 못하고 얼버무렸다고 한다.
11830의 페이지중에 1125개가 발견되었습니다

여기을 눌러 제목 찾기를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