팝업레이어 알림

팝업레이어 알림이 없습니다.
E D R , A S I H C RSS

"1999년"을(를) 전체 찾아보기

1999년


역링크만 찾기
검색 결과 문맥 보기
대소문자 구별
  • 이승엽 . . . . 24회 일치
         * [[1999년]] [[KBO 리그|KBO]] 홈런왕, 타점왕, 득점왕, 최고 장타율, 최고 출루율, MVP
         * [[1999년]]에 홈런(54), 타점(123), 득점(128), 출루율(0.458), 장타율(0.733)을 기록하며 타격 5관왕에 올랐고, 대한민국 프로야구 최초로 50홈런을 넘어서는 대기록을 수립했다.
         * [[한국 프로 야구 최우수 선수|MVP]] 5회 (1997년, 1999년, 2001년, 2002년, 2003년)
         * [[한국 프로 야구 골든 글러브 상|골든글러브]] 10회 (1997년, 1998년, 1999년, 2000년, 2001년, 2002년, 2003년, 2012년, 2014년, 2015년)
         * [[KBO 홈런상|홈런왕]] 5회 (1997년, 1999년, 2001년, 2002년, 2003년)
         * [[한국 프로 야구 최다 타점|타점왕]] 4회 (1997년, 1999년, 2002년, 2003년)
         * 득점왕 5회 (1998년, 1999년, 2000년, 2002년, 2003년)
         * 최고 출루율 1회 (1999년)
         * 최고 장타율 3회 (1998년, 1999년, 2002년)
         * 스포츠조선 레간자 대상 (1999년)
         * 한국스포츠연맹 선정 올해의 남자프로선수상 (1999년)
         * 일간스포츠001 최고타자상 (1999년)
         * 스포츠투데이 매일우유상 대상 (1999년)
         ** [[성공시대]] - 홈런왕 이승엽 (1999년 10월 23일)
         ** [[PD수첩]] - 이승엽 신드롬 (1999년 8월 24일)
         ** 밀레니엄특집 아듀 20세기 웰컴 21세기 - 스포츠 100년 손기정에서 이승엽까지 (1999년 12월 31일)
         ** [[서세원쇼]] (1999년 8월 17일)
         ** [[작전타임 스포츠쇼]] - 집중탐구 (1999년 9월 29일)
         ** 줌인 내인생의 특종 (1999년 8월 17일)
         * [[1999년]] [[삼성그룹]]
  • 김석훈(탤런트) . . . . 16회 일치
         || 1999년 || SBS || [[청춘의 덫#s-3|청춘의 덫]] || 강동철
         || 1999년 || SBS || [[토마토(드라마)|토마토]] || 차승준 ||
         || 1999년 || 북경반점 || 양한국 ||
          * 연극 《[[아큐정전]]》 (1999년)
          * 연극 《무의도기행》 (1999년)
          * 연극 《아베고보의 친구들》 (1999년)
          * [[김범수]]: 약속 (1999년)
          * 1999년 대현패션 도니라이크
          * 1999년 [[켈로그]] 뉴트리 그레인 바
          * 1999년 [[베르나]] 센스
          * 1999년 KBS2 《심혜진의 파워인터뷰》
          * 1999년 iTV《최화정,김원희의 3일간의 사랑》
          * 1999년 KBS2 《서세원쇼》
          * 1999년 SBS 《토요스타클럽 - 남과여》
          * 1999년 SBS 《김혜수 플러스 유 - 토크쉐이크》
          * [[1999년]] [[SBS 연기대상]] 10대 스타상, 남자 우수연기상 《토마토》
  • 황정미 . . . . 13회 일치
         * [[1999년]] [[SBS]] 아침드라마 《[[지금은 사랑할 때]]》
         * [[1999년]] [[SBS]] 일요드라마 《[[카이스트 (드라마)|카이스트]]》
         * [[1999년]] [[SBS]] 주말극장 《[[젊은 태양]]》
         * [[1999년]] [[SBS]] 아침드라마 《[[그녀의 선택]]》
         * [[1999년]] [[SBS]] 청춘시트콤 《[[행진 (시트콤)|행진]]》
         * [[1999년]] [[SBS]] 수목 드라마스페셜 《[[토마토 (드라마)|토마토]]》
         * [[1999년]] [[SBS]] 주말극장 《[[파도 (드라마)|파도]]》
         * [[1999년]] [[SBS]] 수목드라마 《[[해피투게더 (드라마)|해피투게더]]》
         * [[1999년]] [[SBS]] 드라마스페셜 《[[고스트 (드라마)|고스트]]》
         * [[1999년]] [[SBS]] 아침드라마 《[[첼로 (드라마)|첼로]]》
         * [[1999년]] [[SBS]] 일일연속극 《[[당신은 누구시길래 (1999년 드라마)|당신은 누구시길래]]》
         * [[1999년]] [[SBS]] 일요아침드라마 《[[달콤한 신부]]》
  • 이민우(배우) . . . . 10회 일치
         드라마 [[카이스트(드라마)|카이스트]]([[1999년]])에서 공대생 이민재 역은 그야말로 '''공대생 1'''이라고 할 정도의 포스를 보여 주었다. 소심한 듯 꼼꼼하고 수더분한 인상에 "저는 성실합니다"라고 외치는 듯한 연기 하며... 한 마디로 머리부터 발끝까지 그냥 공대생 그 자체. --근데 이때 이미 연기경력이 20년-- 평생지기라고 할 만한 동료 배우 [[김정현(1976)|김정현]]과의 인연도 여기에서 쌓게 된다.[* 2009년 둘이 함께 《절친노트》에 출연하기도 했고, [[2013년]] 라디오스타에도 함께 출연했다.]
         1999년 윤석호 PD가 연출한 '초대'에서 이영애, 추상미, 김민, 김상경, 이창훈과 함께 나와 좋은 결과를 얻었다. 이 드라마의 성공으로 주목받으며 성인 연기자로 순조롭게 안착하는 것처럼 보였다. [[http://m.isplus.joins.com/news/article/article.aspx?total_id=474652&cloc=|관련기사]]
         이민우는 일찍이 영화판에도 진출했었는데 의외로 아는 이가 드물다. 출연작이 죄다 '''쫄딱 망했기 때문'''이다(...). 1994년 《삘구》[* 신인시절의 [[배용준]]이 단역으로 나온다.], 1998년 《[[건축무한육면각체의 비밀]]》, 1999년 《질주》에 모두 주연으로 나왔으나 영화 퀄리티나 흥행면이나 모두 [[안습]] 수준. TV 드라마에 최적화 되어있는 배우들은 스크린에선 제 능력을 발휘못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민우도 그런 케이스. 본인도 그걸 잘 아는지 이후로 영화 출연은 하지 않고 드라마에만 충실하고 있다.
         ||<|3> 1999년 || A+삶 || 용준 || ||
         || 1998년~1999년 || KBS1 || 내 사랑 내 곁에 || 허세찬 || ||
         || 1999년~2000년 || SBS || [[카이스트(드라마)|카이스트]] || 이민재 || ||
         ||<|3> 1999년 || KBS2 || 초대 || 김현태 || ||
          * 1999년 롯데칠성 델몬트 꼬마 콜드 (Feat.채림)
          * 1999년 농심 신라면 큰사발
          * 1999년 [[SBS 연기대상]] 특별상 《카이스트》
  • 정웅인 . . . . 10회 일치
         |제목= 첫딸 공개한 정웅인 “코미디는 피같은 존재다” 연기열정 고백 |url= http://www.newsen.com/news_view.php?uid=200807100023121001 |출판사=뉴스엔|날짜= 2008-07-10 }}</ref> 이후, 정웅인이 본격 두각을 나타내며 주목을 받았던 작품으로 [[1998년]] 38.5%의 시청률을 기록한 《은실이》에 의리 있는 깡패 춘식 역할에 이어, [[1999년]] 53.1%의 시청률을 기록한 《국희》에서 강하고 신념있는 자본가 김상훈 역할로 많은 사랑을 받았고 그 해 신인상을 수상했다.
         |제목= 배우 정웅인, 띠동갑 연하 신부 맞아 |url=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6&oid=001&aid=0001316507 |출판사=연합뉴스|날짜= 2006-06-03 }}</ref> 두 사람에게는 현재 장녀 정세윤([[1999년]] 출생),<ref>{{뉴스 인용 |제목= 유웅인, 3kg 첫 딸 얻고 싱글벙글 |url= http://www.segye.com/Service5/ShellView.asp?TreeID=1052&PCode=0007&DataID=200705220842000009 |출판사= 세계일보 |날짜= 2007-05-21 |확인날짜= 2014-08-24 |보존url= https://web.archive.org/web/20070520221239/http://www.segye.com/Service5/ShellView.asp?TreeID=1052 |보존날짜= 2007-05-20 |깨진링크= 예 }}</ref> 차녀 정소윤([[1998년]] 출생),<ref>{{뉴스 인용
         |align="center"| 1999년
         |align="center"| 1999년
         |align="center"| 1998년 ~ 1999년
         |align="center"| 1999년
         * 1999년 [[서울방송|SBS]] 《좋은 친구들 - 심리학개론 흑과 백》
         * 1999년 3월 31일 [[SBS]] 《김혜수 플러스 유 - 토크 쉐이크》
         | [[1999년]] || || 《신용협동조합연합회》 || 금융 이미지 광고 || 드라마 《은실이》 출연진
         | [[1999년]] || [[농심]] || 《농심 콩라면》 || 라면 식품 || [[박수홍]]
  • 조성모(가수) . . . . 9회 일치
         ||<width=24%><rowbgcolor=#fcc122><:>'''{{{#000000 1998년}}}'''||<:> → ||<width=24%><:>'''{{{#000000 1999년}}}'''||<:> → ||<width=24%><:>'''{{{#000000 2000년}}}'''||<:> → ||<width=24%><:>'''{{{#000000 2001년}}}'''||
         '''대한민국 최후의 음반 황제이자 90년대 말~2000년대 초반 압도적 인기를 누린 솔로 가수.'''[* 당시 괴물 같던 1세대 아이돌들의 팬덤과 인기를 단독으로 상대 가능했던 거의 유일한 솔로 가수이자 심지어 음반 판매량, 수상 경력 등 커리어로는 그 당시 가요계를 통틀어 압도적이었다. 1990년대 말~2000년대 초반 발라드 가수로서 아이돌을 제치고 대상을 탄 원톱 가수이다. (아래 수상 경력을 보면 알겠지만) 지상파 3사의 [[연말 가요제]], [[골든디스크 시상식]], [[서울가요대상]]을 모두 휩쓴 것뿐만 아니라 [[엠넷 아시안 뮤직 어워드]]의 전신인 엠넷 뮤직비디오 페스티벌에서도 대상 부문인 최우수 뮤직비디오 작품상도 수상했으니 MAMA에서도 사실상 대상을 받은 것이나 다름없다. --유일하게 받지 못한 건 [[멜론 뮤직 어워드]] 뿐이다. 근데 멜론 뮤직 어워드는 조성모의 전성기가 지난 2005년에 온라인 형태로 시작해서 2009년이 되어서야 오프라인 시상식이 되었다.--][* 조성모가 최전성기 때 대상을 받은 1999년과 2000년을 기준으로 보면 먼저 1999년 같은 경우 그 전 해인 1998년에는 [[H.O.T.]]가 지상파 3사 [[연말 가요제]]에서 모두 대상을 석권하였고, 그 외에 [[서울가요대상]]도 같은 아이돌 그룹인 [[젝스키스]]와 함께 공동으로 대상을 수상하고, KMTV 가요대전도 단독으로 대상을 수상할 정도였다. 그 다음해인 1999년 같은 경우 조성모는 [[KBS 가요대상]], [[MBC 가요대제전|MBC 10대 가수 가요제]], [[골든디스크 시상식]]은 단독으로 대상을 수상하였지만, [[서울가요대상]]은 [[핑클]]과 함께 공동으로 대상을 수상하였고, [[SBS 가요대전]] 대상은 [[핑클]]이 조성모를 제치고 수상할 정도였다. 이후 2000년 같은 경우 조성모는 [[MBC 가요대제전|MBC 10대 가수 가요제]], [[SBS 가요대전]], [[골든디스크 시상식]], [[서울가요대상]], [[MKMF|엠넷 뮤직비디오 페스티벌]]에서 단독으로 대상을 수상하였지만 [[KBS 가요대상]]은 [[god]]가 조성모를 제치고 대상을 수상하였다. 그 다음해인 2001년에는 [[god]]가 지상파 3사 [[연말 가요제]]에서 모두 대상을 석권하였고, 그 외에 [[골든디스크 시상식]], [[MKMF|엠넷 뮤직비디오 페스티벌]]에서는 단독으로 대상을 수상할 정도였다. 그만큼 1세대 아이돌의 팬덤과 인기는 상상을 초월하였다.]
         ▲ 조성모의 최고의 순간 중 하나인 1999년 [[KBS 가요대축제|KBS 가요대상]] 대상 수상 순간이다. 조성모는 그해 KBS와 MBC에서 대상을 수상했고 서울가요대상과 골든디스크에서도 대상을 수상하며 4관왕을 달성했다.
          - [[http://youtu.be/C9CMZ35vTYs|아시나요 (3집)]][* 영화 '플래툰'의 촬영지인 [[필리핀]] [[마닐라]] 올로케로 촬영되었으며 2000년 당시 총 제작비로 15억원이 들어간 드라마타이즈 뮤직비디오 사상 전무후무한 대작 스케일을 내뿜는다. 스토리 내용은 주인공 조성모가 월남전쟁에 파병되어 베트남 소녀와 사랑에 빠졌다가 결국 함께 죽는 슬픈 결말로 구성된다. 극중 파병 부대로 마크까지 등장하는 [[제9보병사단]]으로부터 베트콩에게 전멸당하는 전투장면 및 얼차려 등의 병영생활 등이 나오는 장면들과 관련하여 거센 항의를 받고 법정공방까지 가기도 했다. 한편 [[천국의 눈물|이를 바탕으로 한 뮤지컬]]도 만들어진 바 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참조.]([[http://www.youtube.com/watch?v=oB4oCDXFXhE|수정판]][* [[제9보병사단]]으로부터 항의로 인해 부대마크를 모자이크 처리 및 전반부 국군이 베트콩에 전멸하는 전투장면을 삭제하고 후반부 전투에서도 주인공 조성모가 베트콩 수장을 죽이는 장면을 추가 삽입하는 등의 수정작업을 거쳤다.]) : [[신민아]][* 1999년 이승환의 당부 뮤직비디오로 데뷔하였고, '아시나요'는 그녀가 출연한 두 번째 뮤직비디오 작품이자 실질적으로 자신의 얼굴을 제대로 알린 첫 작품이라 할 수 있다. 뮤직비디오에서 주연으로 열연한 조성모의 히로인이라 할 수 있는 민간인 베트남 소녀 역할을 맡았으며, 전투를 떠나는 부대원의 지리정보를 주기위해 겁도 없이 총도 안가지고 전투에 참여했다가 결국 베트공의 총에 맞아 죽는다.], [[허준호]][* 주인공 조성모가 소속된 월남파병 부대의 [[말년병장]] 쯤으로 추정된다. 방탄모도 안쓰고 지멋대로 두건을 하고 다니는 등 군기가 제대로 빠져있는데, 중간에 민간인 구출 작전 과정에서 베트공에게 포로로 붙잡히게 되고, 베트공 대장의 살해 협박에 아군의 부대 위치를 알려주는 병크를 저지르고 결국 살해 당한다.], [[정준호]][* 조성모가 있는 파병부대의 소대장으로 계급은 중위. 민간인 구출 작전에서 구해낸 현지 월남 주민인 신민아가 현지 지리에 밝은 것을 활용해 도움을 받기도 한다. 마지막 부분 전투에서 숲속에 [[네이팜탄]]을 뿌리며 불을 지르다가 베트공의 습격에 폭사당한다.], [[신지수]][* 극중에서 신민아의 여동생으로 연기한다.], ~~[[오상훈]]~~[* To Heaven에 출연했던 악역 전문 배우와 동일 인물이며, 뮤직비디오에서 한국군과 대치하는 베트콩의 대머리 수장 역할로 거의 주연급 악역으로 출연한다.], ~~[[김대진]]~~[* '여름아 부탁해'를 부른 그룹 인디고의 멤버 맞다. 그 이전에는 지오에서 활동했다. 조연급 배우로 활동중이며, 아시나요 뮤직비디오에서 조성모의 동료 병사로 출연하는데, 극중에서 전투중에 아역배우였던 신지수를 비롯한 월남 민간인들을 구출하려다 총상을 입고 전사한다.]. ~~[[한나나]]~~[* 가을동화에서 송승헌의 약혼자로 나왔던 그 배우 맞다. 뮤직비디오에서 간호장교로 간간히 등장한다.]
         === 1999년 ===
          * 1999년 10월 26일 - 11월 4일 (2주 연속) KBS 뮤직뱅크 <For Your Soul>
         1999년에는 '''조성모 [[다키마쿠라]](...)'''도 나온 적이 있다 ~~시대를 앞서갔다~~ ~~사실 저 종류의 물건치곤 상당히 싼 편이다.~~
  • 장수원 . . . . 8회 일치
         * 1999년 3월 1일 《Sechskies Live Concert》
         * 1999년 9월 9일 4집 《[[Com'Back]]》
         * 1999년 - 대한민국 영상음반 대상 골든 디스크부문 본상
         * 1999년 - [[MBC]] 가요제전 본상, 가수상
         * 1999년 - [[KBS]] 가요대상 본상, 가수상
         * 1999년 - [[SBS]] 가요대전 본상, 가수상
         * 1999년 - KMTV 가요대전 본상
         * 1999년 - 제10회 서울가요대상 본상
  • 문근영 . . . . 7회 일치
         ||<#f08080><:> {{{#ffffff '''데뷔'''}}} ||<(><#ffe4e1> [[1999년]] [[영화]] '얏타맨' ||
         === 1999년~2004년 ===
         [[1999년]] 대역배우로 처음 연기에 발을 디뎠고[* 첫 출연은 [[TV는 사랑을 싣고]]에서 [[박재홍(야구)|박재홍]]의 첫사랑 역할이었다. [[http://entertain.naver.com/read?oid=032&aid=0000012966|관련 기사]].], 1999년작 [[어린이 드라마]]《누룽지 선생님과 감자 일곱 개》에서 깍쟁이 소녀로 등장한 것이 본격적인 출연이다. 그 외에도 몇 편의 단역을 맡았으나, 본격 출세작은 [[2000년]] [[가을]]에 방영된 [[가을동화]]에서 [[송혜교]]의 [[아역]]. 성인 역할로 바뀐 [[송혜교]]보다도 역에 훨씬 어울린다는 이야기를 들었다.
         || [[1999년]] || 길 위에서 || || || 다큐멘터리 영화 ||
         ||<|2> [[1999년]] ||<|2> [[KBS]] || [[누룽지 선생님과 감자 일곱 개]] || 한미소 || ||
         [[분류:한국 여배우]][[분류:1987년 출생]][[분류:남원시 출신 인물]][[분류:1999년 데뷔]][[분류:아역배우]]
  • 안석환 . . . . 7회 일치
         * 1999년 [[SBS]] 주말극장 《[[젊은 태양]]》 ... 한재수 역
         * 1999년 [[SBS]] 주간시트콤 《[[LA아리랑]]》
         * 1999년 [[KBS2]] 주말연속극 《[[사랑하세요?]]》
         * 1999년 [[SBS]] 특별기획 미니시리즈 《[[고스트 (드라마)|고스트]]》 ... 축구하다 죽은 귀신 허봉구 역
         * 1999년 《[[닥터 K]]》 ... 위편호 역(특별출연)
         * 1999년 《[[텔 미 썸딩]]》 ... 구 검사 역
         * 1999년 《[[세기말]]》 ... 요요 사내 역
  • 이정재(영화배우) . . . . 7회 일치
         ||<width=30%><#E0FFFF><:> '''제19회 [br] ([[1998년]])''' ||<:><#E0FFFF> {{{+1 →}}} ||<#E0FFFF><:><width=30%> '''제20회 [br] ([[1999년]])''' ||<:><#E0FFFF> {{{+1 →}}} ||<width=30%><:><#E0FFFF> '''제21회 [br] ([[2000년]])''' ||
         1973년 3월 15일에 태어나 [[군산초등학교]], [[군산중학교(전북)|군산중학교]], [[군산고등학교]]를 졸업하고 1999년 뒤늦게 [[동국대학교]] [[연극영화과]]에 입학하여 졸업하였다. 졸업 후 동국대 문화예술대학원 공연영상예술학과에 입학하여 2008년 석사를 수료하였다. 석사논문명은 '영화 태풍의 강세종 역할에 대한 연기 접근방법 연구'이며 RISS에도 등록되어 있다.[[http://www.riss.kr/link?id=T11361644|논문사이트]]
         1999년 제19회 한국영화평론가협회상 남우주연상, 1999년 [[청룡영화상]] 남우주연상, 2006년 제29회 황금촬영상 연기대상, 2013년 제34회 청룡영화상 남우조연상, 2014년 제5회 올해의 영화상 남우조연상 등 다수의 영화제에서 수상하였으며,[* 자세한 것은 수상 경력 항목 참고.] 2007년 3월 [[국가정보원]] 명예요원, 2012년 [[국립현대미술관]] 홍보대사 등을 역임하였다. [[장동건]]과 더불어 유이하게 '''청룡영화상에서 신인상, 조연상, 주연상을 모두 석권한 배우이기도 하다.'''
         진짜로 연기가 즐겁다고 느낀 건 90년대 말 [[정우성]]과 《[[태양은 없다]]》를 찍으면서부터였다고 한다. 여태까지 맡았던 캐릭터들과 많이 다른 쌈마이 역할이었고 영화 자체도 다소 독특한 느낌이 있었다. 이후 정우성과는 평생을 같이 하는 친구사이가 된다. 이 영화로 1999년 [[청룡영화제]] 남우주연상을 수상한다. 당시 후보로는 [[최민식]], [[한석규]], [[박중훈]], [[최민수]]와 함께 쟁쟁한 배우들. 이 때 나이가 27세였는데, '''최연소 남우주연상''' 수상자로 지금도 이 기록은 깨지지 않고 있다.[* 청룡영화상 한정이고, 전체 영화상을 따지만 1995년 '아름다운 청년 전태일'로 남우주연상을 수상한 [[홍경인]]이 최연소 수상자이며, 이 기록은 안깨지는 중.]
         우습게도 청룡영화상의 저주인양 거의 10년간 암흑기가 지속된다. 물론 이영애랑 작품했던 선물도 잘되고[* 무려 [[김태희]]가 이영애의 아역으로 나온 영화다] 태양은 없다의 홍기역의 연장선상에 있는 [[오! 브라더스]]는 [[이범수]]와 함께하면서 잘된작품이 아예 없는 것도 아니지만 둘다 아주 크게 대박난 작품은 아니었다. 문제는 이 동안에도 활동을 활발히 했다. 물론 90년대 중후반에 비해서 줄어들긴 했지만 꽤나 많은 일을 했는데 청룡영화상을 받은 해에 개봉했던 [[이재수의 난]]은 배우들 모두가 고생은 고생대로 했음에도 흥행 참패. 당대의 여배우였던 [[심은하]]의 은퇴작 인터뷰도 망했다. 장진영과 함께한 오버더레인보우, 이미연과 함께한 [[흑수선]], 곽경택 감독이 천만을 노리고 [[장동건]], 이정재를 캐스팅해 만들었던 [[태풍]]은 대대적인 홍보 및 밀어주기까지 했으나 500만에 그쳤다. 문제는 제작비가 어마어마한 작품이라 500만도 적자였다는 것. 이 후 [[에어시티]]로 복귀하면서 드라마에서라도 재기를 꿈꿨으나 [[최지우]]-[[이진욱]]만 연결해주고 끝났고 [[커피프린스 1호점]]의 감독이 각잡고 만든 [[트리플]]에 출연했으나 역시 보기 좋게 망했다. 1999년 청룡영화상 남우주연사의 이정재는 흥행부도수표라는 평가를 받으며 2009년에는 거의 퇴물급의 배우가 되어갔다.
         2번 적발됐다. 첫 번째 음주운전은 1999년 9월 13일, 자신의 [[자동차]]인 [[BMW]]를 혈중 알코올 농도 0.222% 만취 상태로 운전을 하다가 당시 23살 여성(회사원) 송모씨가 타고 있는 [[마티즈]] 옆 부분을 들이 박은 것이다. 당시 동료배우 정모씨와 있었던 걸로 알려져 있었고, 이씨는 사고 직후 술을 마신 것은 사실이지만 '''자신이 운전을 하지는 않았다고 주장'''하며 출동한 경찰과 실랑이를 벌이기도 했다. 이정재는 경찰에서 "내가 운전하지 않고 매니저가 대신했다"라고 혐의 사실을 부인을 했었다. ~~[[강정호|17년 뒤 똑같은 수법을 쓴 메이저리거가 등장하는데...]]~~ 경찰서에서는 시인하였다고 한다. 이 음주운전으로 인해 불구속 입건 및 면허 취소가 되었다.[[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99091400209122009&editNo=45&printCount=1&publishDate=1999-09-14&officeId=00020&pageNo=22&printNo=24301&publishType=00010#|기사]] 그리고 첫 번째 음주 운전 사고가 난 3년 뒤 또 한 번 2002년 7월 22일 [[강남구]] 청담동 청담초등학교앞에서 음주단속 중인 경찰에게 적발되었다.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20&aid=0000147301|기사]]
  • 함신영 . . . . 7회 일치
         * 《[[아름다운 선택]]》 (MBC, 1999년)
         * 《[[눈으로 말해요]]》 (MBC, 1999년) - 허인재 역
         * 《[[장미와 콩나물]]》 (MBC, 1999년)
         * 《[[점프 (시트콤)|점프]]》 (MBC, 1999년)
         * 《[[하나뿐인 당신]]》 (MBC, 1999년)
         * 《[[MBC 베스트극장]] - [[아빠 애인의 남자친구]]》 (MBC, 1999년)
         * 《[[흐르는 것이 세월뿐이랴]]》 (MBC, 1999년)
  • 김대환 (법조인) . . . . 6회 일치
         1942년에 [[경상북도]] 에서 태어나 [[서울대학교]] 법학과를 졸업하고 제8회 [[사법시험]]에 합격하여 육군 대위를 전역한 이후 판사에 임용되어 서울형사지방법원 [[서울고등법원]] 등에서 판사와 [[서울고등법원]] 등에서 부장판사를 하다가 [[서울고등법원]]에서 수석 부장판사로 재직하고 있을 때인 1999년 10월 11일에 [[수원지방법원]]장에 임명되었다. [[수원지방법원]]장에 임명된 직후인 11월 20일에 수원지역 주민들의 등기민원 불편을 해소할 목적으로 2000년까지 수원시내 택지개발지구에 2개 등기소 를 설립하였으며<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1&aid=0004559307]</ref> 2000년 6월에 [[최종영]] 대법원장이 제청하는 신임 대법관 후보로 거론되었으나<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5&aid=0000008261]</ref> 2000년 7월21일에 [[대전고등법원]]장으로 승진하였으며 2001년 2월 12일에 [[서울고등법원]]장으로 전보되면서 대법원장에 의해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위원에 지명되었다. 서울고등법원장을 끝으로 법관에서 물러났으며 이후 법무법인 율촌에서 송무 Group<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16&aid=0000189786]</ref> 변호사를 하다가 2004년 3월 2일에 박영철 고려대 교수와 함께 대법원장 추천으로 공적자금관리위원회 민간위원에 임명되었다. 2013년 4월에는 [[서울중앙지방법원]]과 [[서울고등법원]]을 관할하는 서울법원조정센터 상임조정위원과 센터장을 맡았다.<ref>[http://news1.kr/articles/?1087614]</ref>
         뇌물을 받아 1심에서 징역2년6월이 선고된 이강우 전 공정거래위원회 위원장에 대해 "공직생활 중에 성실히 근무한 점 등을 고려할 때 실형은 과중하다"며 원심판결을 파기하면서 징역2년6월 집행유예3년을 선고했다.<ref>동아일보 1998년 12월 9일자</ref> 12월 24일에 대학원 연구과정을 수료한 뒤 선거 인쇄물에 대학원 총동문회 이사라고 기재하여 허위사실공표죄로 기소된 피고인에 대해 벌금80만원을 선고했다.<ref>매일경제 1998년 12월 25일자</ref> 1999년 1월 22일에 윤홍준 기자회견, 오익제 편지사건 등 [[안기부]] 북풍공작을 주도한 [[권영해]]에 대해 원심대로 징역5년
         자격정지3년을 선고하면서 박일룡 전 안기부 1차장에게 징역2년 집행유예3년 자격정지2년, 임광수 전 101실장과 임경묵 전 102실장 등 전직 안기부 간부 4명에게 징역8월~1년6월 집행유예2~4년 자격정지1~2년을 선고하면서 [[김대중]] 후보를 비방하는 X파일 시리즈를 게재한 격주간지 인사이더월드 발행인 손충무에게 징역2년을 선고했다.<ref>한겨레 1999년 1월 23일자</ref> 4월 26일에 대통령과 함께 찍은 것처럼 합성한 사진을 선거공보에 실은 허위사실공표죄에 대해 벌금150만원을 선고했다.<ref>한겨레 1999년 4월 27일자</ref> 5월 20일에 [[자민련]] 후보가 시장 후보를 결정하자 무소속 후보로 출마하면서 [[새정치 국민회의]]의 추천을 받았다며 선거운동을 했던 경기 안성시장 [[한영식]]에게 원심대로 징역8월 집행유예2년을 선고했다.<ref>동아일보 1999년 5월 21일자</ref> 8월 31일에 성남시 지하상가 개발업자로부터 금품을 받은 [[오성수]] 전 성남시장에 대해 징역5년 추징금 1억6천만원을 선고하면서 공직선거법 위반에 대해 벌금100만원, 업무상 횡령에 대해 무죄를 선고했다.<ref>한겨레 1999년 9월 1일자</ref>
  • 이미연 (배우) . . . . 6회 일치
         1995년에는 배우 [[김승우]]와 결혼했지만, 2000년 5년간의 결혼 생활을 정리하고 이혼했다.<ref>{{뉴스 인용|제목 = 김승우-이미연 이혼 속사정은…|url = http://news.hankooki.com/lpage/culture/200710/h2007101115081484220.htm|출판사 = 한국일보|날짜 = 2007-10-11|확인날짜 = 2013-10-03|보존url = https://web.archive.org/web/20131005011044/http://news.hankooki.com/lpage/culture/200710/h2007101115081484220.htm|보존날짜 = 2013-10-05|깨진링크 = 예}}</ref> 이미연은 1990년대 중후반에는 영화 《[[넘버 3]]》, 《[[모텔 선인장]]》, 《[[여고괴담]]》, 《[[내 마음의 풍금]]》 등의 영화에만 주로 출연하다 1999년 단만극 《[[TV영화 러브스토리]]》로 3년여만에 드라마에 컴백했고, 이후 2001년 인기리에 방영되었던 드라마 《[[명성황후 (드라마)|명성황후]]》에서 젊은 명성황후 역으로 카리스마 넘치는 연기를 보여주어 많은 시청자들에게 강한 인상을 남겼으며, "내가 조선의 국모다"라는 유행어를 탄생시키기도 했다. 또한 당시 소속사였던 [[김광수 (1961년)|김광수]] 대표의 프로젝트로 《이미연의 연가》라는 [[컴필레이션 음반]]을 발매해 166만장이라는 엄청난 판매량을 기록했다.<ref>{{뉴스 인용|제목= PR비 파문 등 여파 가요계 ‘불황의 늪’…2002 한국 음반시장 결산 |url=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6&oid=005&aid=0000131324 |출판사= 국민일보|날짜= 2002-12-24 }}</ref>
         || 1999년
         || 1999년
         * [[1999년]] [[SBS]] 《김혜수의 플러스유 - 리얼토크》
         * 1999년 제36회 [[대종상]] 여우조연상 《여고괴담》
         * 1999년 제20회 [[청룡영화상]] 여우조연상 《여고괴담》
  • 한규식 . . . . 6회 일치
         |프로 입단 연도 = [[1999년]]
         |드래프트 순위 = [[1999년 한국프로야구 신인 드래프트|1999년]] 2차 2순위([[롯데 자이언츠]])
         |첫 출장 = [[KBO (야구)|KBO]] / [[1999년]]
         * [[롯데 자이언츠]] (1999년 ~ 2001년)
         1999년에 입단하였다.
  • 김민희(1982) . . . . 5회 일치
         ||<#0f0f3e><:>'''{{{#white 데뷔}}}'''||<(><#ffffff> [[1999년]] [[KBS]] [[청소년 드라마]] [[학교 2]] ||
         그리고, 다수의 잡지와 CF 등을 통해 활동하다 1999년 드라마 <[[학교 2]]>의 반항아 신혜원 역을 맡으면서 배우로도 자리잡게 된다. 여러모로 [[배두나]]와 닮은 경로다. [[1998년]] 길거리 캐스팅 → 1년간 [[모델]]로 성공 → [[학교 시리즈]]에 반항아 포지션으로 성공 → 이후 승승장구 테크를 탔다.[* 한 가지 차이라면 [[배두나]]의 이미지가 개성 있는 외모, 이단아 등이었던 것에 비해 김민희는 CF스타로서 어필이 가능한 비주얼적인 면 역시 가지고 있었다. 포지션에 있어 배두나와 좀 더 유사한 쪽은 [[공효진]], 양미라 등.]
         ||<|2> 1999년 ||<|2> [[KBS]] || [[학교 2]] || 신혜원 ||
         || 1999년 || [[KBS 연기대상]] || 청소년연기상 || [[학교 2]] ||
         [[분류:한국 여배우]][[분류:1982년 출생]][[분류:무주군 출신 인물]][[분류:1999년 데뷔]][[분류:모델 출신 배우]]
  • 김우중 . . . . 5회 일치
         |수상 = [[1999년]] 20세기 한국을 빛낸 30대 기업인
         그러나 [[1997년]] [[IMF 구제금융사건|IMF 구제금융]]으로 한국경제가 큰 타격을 받았고, 그로 인한 여파로 부채비율이 400% 이상이었던 [[대우그룹]]은 쌍용을 인수하는등 확장정책을 이어나갔지만 [[일본]] 노무라 증권이 [[1998년]] [[10월 25일]]에 발표한 '[[대우인터내셔널|대우]]에 비상벨이 울린다'는 보고서 1장으로 사실상 [[대우그룹]]이 위기를 맞게 된다. 후에 계열사를 41개에서 4개업종 10개 회사로 구조조정 단행과 [[삼성그룹]]과의 빅딜도 추진하나 둘다 실패했다. [[1999년]] [[8월 26일]] 이미 구조조정으로 회사 41개중 16개가 매각되었고 남은 25개 회사중 12개가 워크아웃을 신청하였다. 당시 부채는 500억 달러였다. 당시 [[대우그룹]]은 금융부문을 중점으로두고 사업확장을 하여 내부적으로 부채가 많았다. 사실상의 그룹 해체였다. [[1999년]] [[11월 1일]] 김우중은 13명의 [[대우그룹]] 사장단들과 함께 경영포기 및 회장직을 사퇴하였다. [[대한민국 검찰청|검찰]]의 수사를 피하기 위해 출국한 후 도피생활을 하였으며, [[중화인민공화국|중국]]에서 호화롭게 생활을 했다는 주장과, 반대로 [[유럽]] 등지의 3류 호텔에서 [[햄버거]]로 끼니를 때우며 어렵게 생활했다는 주장이 있다. 당시 [[대우그룹]]은 당시 [[김대중 정부]]가 정치적으로 탄압했다는 설과 단순한 [[구조조정]] 실패라는 의혹이 있다.
         |임기 = [[1982년]] [[1월]] ~ [[1999년 11월]]
         |임기 = [[1998년]] ~ [[1999년]]
  • 남명렬 . . . . 5회 일치
         * 《[[쉬리 (영화)|쉬리]]》 (1999년) - 관호 역
         * 용서 (1999년)
         * 제 6호실 (1999년)
         * 햄릿 프로젝트 (1999년)
         * 파티 (1999년)
  • 송진현 . . . . 5회 일치
         * 서울형사지방법원 형사항소6부 재판장으로 재직하던 1997년 10월 24일에 [[인천역]]에서 다른 승객이 놓고 간 35000원 상당의 공구함을 들고가다 붙잡힌 피고인에 대해 "지하철이 종착역에 도착한 순간부터 점유권이 지하철공사에 있으므로 피고인의 행위는 절도죄에 해당한다"며 징역10월을 선고했다.<ref>경향신문 1997년 10월 25일자</ref> 1998년 1월 10일에 일반음식점 영업 허가없이 통조림, 캔류 등 안주류를 파는 24시간 편의방을 운영해 1심에서 무죄가 선고된 피고인에 대해 식품위생법 위반으로 벌금 100만원을 선고했다.<ref>경향신문 1998년 1월 11일자</ref> 1999년 1월 10일에 폭행 혐의로 조사를 받다가 경찰관의 신분증 제시 요구에 다른 사람의 운전면허증을 보여줘 공문서 부정행사죄로 기소되어 1심에서 징역8월 집행유예2년을 선고받은 정모씨에 대한 항소심에서 "관련 법령에 따라 운전면허증을신분증으로 규정한 조항이 없다"며 일부 무죄를 선고했다.<ref>경향신문 1999년 1월 11일</ref> 4월 24일에 서울대 캠퍼스에서 집단 농성을 주도한 한국통신 서울본부 위원장에 대해 "서울대 총장이 한국통신 노조의 총파업에 대해 학내 출입을 금지했음에도 무단 진입했다"며 폭력행위 등 처벌에 관한 법률 위반과 업무방해죄를 적용해 벌금 700만원을 선고했다.<ref>동아일보 1999년 4월 26일자</ref> 5월 17일에 [[한총련]] 범민족통일대축전에 참가했다가 [[집시법]]위반과 건조물 침입죄로 1심에서 징역8월 집행유예1년이 선고된 노래패 '희망새에 대해 단장 조모씨(31세)에 대해 "당국의 허가를 받지 않은 집회라고 하더라도 공연의 목적으로 참석했고 구호를 외치거나 연설을 하는 등 집회,시위를 한 것이 아니다"는 이유로 원심을 깨고 [[집시법]]위반에 대해 무죄를 선고했다.<ref>한겨레 1999년 5월 18일자</ref> 10월 7일에 폭력배를 동원해 채무 해결사 노릇을 했던 [[홍수환]]에 대해 "평소 알고 지내던 사람 부탁으로 후배를 연결해준 점은 인정되지만 채권을 회수하기로 후배와 공모한 일은 그 뒤에 이뤄져 피고인이 개입됐다고 볼 수 없다"며 원심을 깨고 무죄를 선고했다.<ref>한겨레 1999년10월 8일자</ref>
  • 한성호 . . . . 5회 일치
         |활동기간 = [[1999년]] ~ 현재
         * [[1999년]] 한성호 1집 앨범 GOODBYEDAY
         * [[1999년]] [[11월 23일]] 한성호 1집 GOODBYEDAY
         ** [[1999년]] [[12월 25일]] [[MBC TV|MBC]] 《[[생방송 음악캠프]]》: 한성호 - Goodbye Day (슬픈 독백)
         ** [[1999년]] [[SBS]] [[예능 프로그램|예능]] 《[[호기심 천국]]》 게스트 출연
  • 현주엽 . . . . 5회 일치
         {{은메달|[[1999년 FIBA 아시아 선수권 대회|1999 후쿠오카]]|단체전}}
         1998년 3월 9일 힐튼호텔에서 열린 프로농구 신인 드래프트에서 현주엽은 전체 1순위로 청주 SK의 지명을 받았다. 당시 SK의 안준호 감독은 드래프트에서 구슬 뽑기로 1순위 지명권을 받게 되자 ‘우승이야’를 외쳤다고 한다. SK는 그 지명권으로 바로 현주엽을 지명했고 이렇게 해서 현주엽은 SK에 이미 영입돼 있던 [[서장훈]]과 한솥밥을 먹게 되었다. 그러나 SK의 운명은 안준호의 바람대로 흘러가지는 않았다. 또 다른 기대주였던 외국인 선수 토니 러틀랜드의 부진과 더불어, 현주엽과 서장훈은 미묘한 자존심 대결과 포지션의 중복으로 부조화를 보였고 이 때문에 SK는 우승은커녕 플레이오프조차 오르지 못하고 만다. 그 책임을 물어 1998년 11월 26일 안준호 감독은 시즌 도중 경질되고 기아의 기술고문이었던 최인선이 SK의 새 감독으로 부임하였다. 현주엽의 프로 첫해 개인성적은 뛰어났다. 34경기에 출전하여 평균 23.94 득점, 6.35 리바운드, 4.65 어시스트를 기록했다.<ref name=sports /> 이듬해 시즌에서 현주엽은 스몰포워드로의 성공적인 변신을 이루어내며 서장훈과 전년보다 나아진 팀웍을 보였다. 이에 SK는 정규시즌 1위를 달리고 있었으나, 시즌 트레이드 신청 마감일 하루전인 1999년 12월 24일 크리스마스 이브날 SK는 현주엽을 골드뱅크의 조상현 + 현금 4억원과 맞바꾸는 초대형 트레이드를 단행하며 대담한 승부수를 띄웠다.<ref>경향신문 1999년 12월25일 “현주엽=조상현+4억원'빅딜'”</ref><ref>[최창환의 백 투 더 KBL] [http://news.jumpball.co.kr/news/view/cd/82/seq/4.html ‘X-MAS 빅딜의 추억’ 현주엽-조상현 맞트레이드]</ref> 이는 최인선 감독이 이원재 단장에게 한 강력한 요청에 따른 것이었다. 최인선은 현주엽의 3번자리(스몰 포워드)가 불만이었다. 우승을 위해 3번에 올라운드 플레이어보다 기동력 좋고 확실한 슛터를 원했던 그는, 이대로라면 챔피언전에 진출하더라도 현대를 만나면 승산이 없을것이라고 내다봤다. 당시 SK는 창단 이후 현대에게 12전 전패를 기록하고 있었다. 트레이드 직후, SK는 곧바로 트레이드 효과를 보이면서 승승장구, 결국 챔피언전에서 만나게 된 현대를 4승 2패로 누르고 우승컵을 들어올렸다. 실패했으면 최악의 자충수로 기록됐을 이 트레이드는, SK의 우승으로 인해 ‘우승을 위한 마지막 퍼즐찾기’로 농구역사에 기록되었다.
         트레이드 소식을 최인선 감독이 아닌 신문기자에게서 처음 듣게 된 현주엽은 트레이드 직후 인터뷰를 통해 최인선 감독에게 대한 인간적인 실망을 토로하기도 했다. 애초에 현주엽의 트레이드는 현주엽과 최인선의 불화 때문이라는 주장이 한 매체를 통해 설득력있게 제기되었다.<ref>스포츠투데이 1999년 12월 27일 [http://blog.naver.com/einer6623/50015480828 “현주엽 트레이드 진짜 이유 .. 현주엽 항명과 최감독의 단죄”]</ref> 이에 따르면 1999년 12월 14일 현대와의 경기에서 역전패 당하고 난후 최인선은 패배의 책임이 현주엽에게 있다고 생각했고, 자존심이 강한 현주엽은 이에 항명하여 부상을 핑계로 다음 경기인 16일 LG전을 보이콧하였다고 한다. 그 다음 경기인 19일 신세기전에서 다시 현주엽은 워밍업까지 마치고 경기에 나설 준비를 하였으나 이번엔 최인선의 보복이 이어졌다. 현주엽을 고의로 출전시키지 않은 것이다. 그리고 그 다음 경기였던 23일 동양전은 현주엽에게 SK에서의 마지막 경기가 된다.
  • 김민서(배우) . . . . 4회 일치
         [[분류:한국 여배우]][[분류:전주시 출신 인물]][[분류:1984년 출생]][[분류:1999년 데뷔]]
         || '''데뷔''' ||[[1999년]] 민트 1집 "향기"(가수) [br] [[2008년]] [[SBS]] 드라마 '사랑해'(연기자)||
         원래는 1999년 12월 9일에 3인조 힙합 걸그룹 민트로 데뷔해 약 10개월 정도 활동했는데 대표곡으로는 'Passion', 'The End'가 있다. 당시 멤버구성은 오지선(1986년 1월 2일 생), 강혜경(1985년 8월 24일 생)으로 구성되었다. 현재 유튜브에 MBC 음악캠프의 Passion의 공연 영상이(2000년 8월 12일자와 10월 28일자의 두개.) 올라와 있다.
         중학교 3학년 때인 [[1999년]]에 '민트' 라는 3인조 [[걸그룹]]으로 데뷔했지만, 아는 사람이 없으니 그저 [[흑역사]]. [[2000년]]까지 활동한 후 해체했다. 김민서가 팀 내 큰언니였으며, 당시에는 "김세하"라는 예명으로 활동했다. 이 사실이 해품달로 한참 뜨던 때 밝혀진 일이라 "[[왕비|중전]]에게 이런 과거가?"라는 반응이 대부분이었다.
  • 류중일 . . . . 4회 일치
         |마지막 경기 = [[KBO (야구)|KBO]] / [[1999년]] [[10월 20일]] <br /> [[롯데 자이언츠|롯데]]전
         * [[삼성 라이온즈]] (1987년 - 1999년)
         [[2006년]]·[[2009년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및 [[2010년 아시안 게임|광저우 아시안 게임]] 국가대표팀 코치로 발탁되어 활동했다. [[1999년]]을 마지막으로 현역에서 은퇴하고 [[2000년]]부터 [[김용희 (야구인)|김용희]], [[김응용]], [[선동열]] 감독 밑에서 코치로 보좌한 후, [[2010년]] [[12월 30일]] [[선동열]]이 경질되자 [[선동열]]의 후임으로 [[2011년]] [[1월 5일]]에 [[삼성 라이온즈]]의 감독으로 취임하였다.<ref>[http://www.imaeil.com/sub_news/sub_news_view.php?news_id=609&yy=2011 류중일 감독 "신인 패기로 KS 우승 데뷔 축포 쏜다" ] - 매일신문</ref> 그가 감독으로 부임하게 되면서 [[삼성 라이온즈]]는 오랜만에 프랜차이즈 스타 출신 감독을 맞이하게 되었다.<ref>최초의 [[삼성 라이온즈|삼성]] 선수 출신 감독은 [[서정환]]이고, 류중일은 [[삼성 라이온즈|삼성]] 출신 선수 중 선수 및 코치로 활동하면서 단 한번의 팀 이동 없이 감독이 된 첫 번째 경우이다.</ref> [[2011년]] 감독 부임 첫 해에 정규 리그 우승과 [[2011년 한국시리즈|한국시리즈]] 우승을 확정지으며, "야구 대통령"을 줄인 '''"야통"'''이라는 별명을 얻게 되고,<ref>[http://sports.chosun.com/news/ntype.htm?id=201109280100191240017032&servicedate=20110927 류중일호, 우승을 가능케 한 키워드 4개] - 스포츠조선</ref> [[대한민국]] 챔피언 자격으로 참가한 [[2011년 아시아 시리즈]]에서 [[일본]] 챔피언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소프트뱅크]]를 꺾고 [[대한민국]] 프로 야구 팀 최초로 [[아시아 시리즈]] 우승을 차지했다.<ref>[http://osen.mt.co.kr/article/G1109325476 '야통' 류중일 감독, 야신도 못한 亞 정상 위업] - OSEN</ref> [[2012년]] 역시 정규 리그 우승과 [[2012년 한국시리즈|한국시리즈]] 우승을 이뤄 냈다. [[2013년]] 정규 리그 우승과 [[2013년 한국시리즈|한국시리즈]] 우승 후 [[2013년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2013 WBC]]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국가대표팀]] 감독으로 발탁되었으나 1라운드에서 탈락하는 수모를 겪었다. [[2013년]] 시즌 후 계약 기간 3년의 조건으로 계약금 6억 원, 연봉 5억 원 등 총액 21억 원에 [[삼성 라이온즈]]와 재계약했다.<ref>[http://sports.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kbo&ctg=news&mod=read&office_id=109&article_id=0002672898 류중일 감독, 3년 재계약…총액 21억원 사상 최고 대우] - OSEN</ref> [[2014년 아시안 게임|2014 인천 아시안게임]]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국가대표팀]] 감독으로 발탁되어 [[2013년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2013 WBC]] 1라운드 탈락의 쓰라림을 딛고 우승을 이뤄냈다. [[2014년]]에 정규 리그 우승과 [[2014년 한국시리즈|한국시리즈]] 우승을 이끌면서 팀의 사상 최초 통합 4연패를 달성하였고, [[2015년]] 역시 정규 리그 우승으로 5년 연속 정규 리그 우승으로 새 역사를 썼지만, [[2015년 KBO 한국시리즈|한국시리즈]]가 개최되기 전, 삼성 투수들의 해외 원정도박 파문으로 인해 [[2015년 KBO 한국시리즈|한국시리즈]] 우승을 [[두산 베어스]]에게 내주고 만다. [[2016년]]에는 [[박석민]], [[야마이코 나바로|나바로]], [[채태인]]을 잃었고, 외국인 선수 농사 실패, 선수들의 줄부상과 부진으로 팀 최초 정규리그 9위에 머물게 되자, [[2016년]] [[10월 15일]] 계약 만료로 [[김한수 (야구인)|김한수]]에게 감독직을 넘기고 기술고문을 맡게 되었다.
         * '1' (1987년 ~ 1999년, [[삼성 라이온즈]])
  • 박칠용 . . . . 4회 일치
         * [[1999년]] [[KBS]] 《[[왕과 비]]》 ... [[노사신|선성부원군 노사신]] 역
         * [[1999년]] [[서울방송|SBS]] 《[[토마토 (드라마)|토마토]]》
         * [[1999년]] [[서울방송|SBS]] 《[[해피투게더 (드라마)|해피투게더]]》
         * [[1999년]] [[KBS]] 《[[오 해피데이]]》
  • 백일섭 . . . . 4회 일치
         * [[1999년]] [[MBC]] 일일연속극 《[[하나뿐인 당신]]》 ... 장필선 역
         * [[1999년]] [[MBC]] 주말연속극 《[[사랑해 당신을 (1999년 드라마)|사랑해 당신을]]》
         * [[1999년]] [[롯데햄]] 떡갈비
  • 서정환 . . . . 4회 일치
         * [[삼성 라이온즈]] 감독 (1998년 ~ 1999년)
         [[1989년]]에 은퇴하여 [[해태 타이거즈]]에서 코치 생활을 하다가 [[1995년]]에 도일하여 [[요미우리 자이언츠]]에서 지도자 연수를 받았다. [[1996년]] 고향 팀 [[삼성 라이온즈]]로 복귀하여 수비코치로 일했다. [[1997년]] [[10월 30일]] [[삼성 라이온즈]]는 라이벌 팀 [[해태 타이거즈]]를 벤치마킹하려는 경영진의 결정으로 [[해태 타이거즈|해태]]에서 오랜 선수 생활을 했던 그를 [[백인천]]의 후임으로 [[삼성 라이온즈|삼성]] 선수 출신 최초의 감독에 임명하였다.<ref>[http://sports.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sports_general&ctg=news&mod=read&office_id=001&article_id=0004201661 삼성,제 9대 감독으로 서정환 코치 전격 발탁] - 연합뉴스</ref><ref>서정환 다음으로 [[삼성 라이온즈|삼성]] 선수 출신으로 감독이 된 경우는 [[류중일]]이며, 서정환과 달리 [[류중일]]은 원 클럽맨 출신으로 삼성의 감독이 된 첫 번째 경우이다.</ref> [[1998년]]에 정규 시즌 2위, [[1999년]](이 해에 잠깐 양대 리그제로 바뀌었다.) 드림리그 1위라는 좋은 성적을 거두지만, [[롯데 자이언츠]]에 패해 [[1999년 한국시리즈]] 진출에 실패하고 그 해 [[11월 1일]]에 사임하였다.<ref>[http://sports.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sports_general&ctg=news&mod=read&office_id=001&article_id=0004563593 프로야구 삼성, 서정환 감독 사의] - 연합뉴스</ref> [[2001년]] [[해태 타이거즈|해태]]로 돌아와 2군 감독을 맡았고 시즌 중 수비코치로 보직 변경되었다. 이후 구단주가 바뀐 [[KIA 타이거즈]]에서 [[김성한 (1958년)|김성한]], [[유남호]] 감독을 보좌하여 코치 생활을 하였다. [[2005년]] [[유남호]] 감독이 시즌 최하위의 책임을 지고 시즌 중 사임하자 [[KIA 타이거즈]]의 감독 대행을 맡았고 [[2006년]] 정식 감독에 취임하였다.
         {{삼성 라이온즈 역대 감독|삼성 라이온즈|(1998년 ~ 1999년)}}
  • 성시경 . . . . 4회 일치
         |활동시기 = [[1999년]] ~ 현재
         대입 입시생 시절이던 1999년 4월에 MBC 문화방송 시트콤 《[[남자 셋 여자 셋]]》에서 엑스트라 단역급으로 첫 출연한 적이 있고 이듬해 [[2000년]] [[2000년 9월|9월]]에 열린 제1회 드림뮤직 신인가수 선발대회 "뜨악 페스티벌" 인터넷 오디션 "발악"을 통해서 가수로 데뷔하였다. 첫 번째 싱글은 2000년 [[2000년 11월|11월]]에 발매된 "내게 오는 길"이었다. [[2001년]] [[2001년 4월|4월]]에는 데뷔 앨범인 "처음처럼"이 발매되었고, 신인상을 받았다. 지금까지 7개의 정규 앨범, 3개의 리메이크 및 스페셜 앨범, 1개의 베스트 앨범을 발매했다. 최근 [[일본]]에서 [[정규앨범]][[DRAMA]]발매 전 일본 4개도시 투어를 성공적으로 개최했으며 현재 일본과 서울을 오가며 왕성히 활동 중이다.<ref>{{뉴스 인용|url=http://star.mt.co.kr/stview.php?no=2018030715133349170&outlink=1&ref=https%3A%2F%2Fsearch.naver.com|제목=성시경, NHK 한국어 강좌 프로 출연 "일본어도 능통"|출판사=스타뉴스|날짜=2018-03-07}}</ref><ref>{{뉴스 인용|url=http://www.munhwa.com/news/view.html?no=2018040901032939179001|제목=성시경 ‘일본 본격 진출’ 7개 도시 투어|출판사=문화일보|날짜=2018-04-09}}</ref>
         |[[1999년]]
         [[분류:1979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1999년 데뷔]][[분류:대한민국의 남자 가수]][[분류:대한민국의 R&B 가수]][[분류:2000년대 가수]][[분류:2010년대 가수]][[분류:한국어 가수]][[분류:일본어 가수]][[분류:대한민국의 라디오 진행자]][[분류:대한민국의 텔레비전 진행자]][[분류:대한민국의 작사가]][[분류:대한민국의 작곡가]][[분류:대한민국의 발라드 음악가]][[분류:대한민국의 남자 텔레비전 배우]][[분류:고려대학교 정경대학 동문]][[분류:고려대학교 언론대학원 동문]][[분류:순창군 출신]][[분류:토이]][[분류:골든디스크 본상 수상 음악가]][[분류:골든디스크 신인상 수상 음악가]][[분류:하이원 서울가요대상 신인상 수상 음악가]][[분류:하이원 서울가요대상 본상 수상 음악가]][[분류:Mnet 아시안 뮤직 어워드 수상 음악가]][[분류:SBS 인기가요 1위 수상자]][[분류:SBS 인기가요 뮤티즌송 수상자]][[분류:Mnet 엠카운트다운 1위 수상자]][[분류:1박 2일]][[분류:대한민국의 불교 신자]][[분류:홍콩에 거주한 대한민국인]][[분류:젤리피쉬 엔터테인먼트 음악가]]
  • 성현아 . . . . 4회 일치
         * [[1999년]] [[SBS]] 드라마스페셜 《[[크리스탈 (드라마)|크리스탈]]》 ... 윤희 역
         * [[1999년]] [[MBC]] 미니시리즈 《[[눈물이 보일까봐]]》 ... 김지은 역
         * [[1999년]] [[MBC]] 대하드라마 《[[허준 (드라마)|허준]]》 ... 의녀 소현 역
         * [[1999년]] [[캐치원]] 《캐치원 영화세상》 MC
  • 소냐(가수) . . . . 4회 일치
         || '''데뷔''' ||<(> [[1999년]] [Sonya All Best] ||
         [[김천시|김천]]에서 태어났으나 태어난 지 일주일 만에 아버지가 [[미국]]으로 떠나고 어머니를 8세 때 잃는 아픔을 겪었다. 이후 [[김천시|김천]]에 있는 외할머니 슬하에서 성장했다. 고등학교 시절에는 공장에서 일하며 고학을 했고, 1998년 5월 <박상원의 아름다운 TV-얼굴>을 통해 사연이 소개된 뒤 1999년 5월에 가수로 데뷔했다.
         1999년 7월 뮤지컬 "페임"에 캐스팅되어 뮤지컬 배우 겸업을 시작했고, 뮤지컬에서 평가가 더 좋았는지 현재는 뮤지컬에 주력하고 있다.
         [[분류:미스터리 음악쇼 복면가왕 역대 출연자]][[분류:한국 여가수]][[분류:김천시 출신 인물]][[분류:1980년 출생]][[분류:1999년 데뷔]]
  • 송금식 . . . . 4회 일치
         * 1999년 SBS 《[[순풍산부인과]]》 ... 조폭 역(까메오)
         * 1999년 MBC 《[[국희]]》 ... 나카무라 이치로 역
         * 1999년 KBS2 《[[어사출두]]》
         * 1999년 KBS1 《[[왕과 비]]》 ... [[강순|신천부원군 태초 강순]](1390년 ~ 1468년) 역
  • 연정훈 . . . . 4회 일치
         |활동기간 = 1999년 ~
         '''연정훈'''([[1978년]] [[11월 6일]] ~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1999년 [[SBS TV|SBS]] [[드라마]] 《[[파도 (드라마)|파도]]》를 통해 [[배우|연기자]]로 데뷔하였다. 한때 [[가수]]로 활동한적이 있으며 싱글앨범을 발매한적이 있다.
         * 1999년 [[SBS]] 《[[파도 (드라마)|파도]]》
         * 1999년 [[SBS]] 《[[LA아리랑]]》
  • 원빈(배우) . . . . 4회 일치
         [[1997년]]의 [[KBS]]의 TV 드라마 '프로포즈'에서 비중 있는 조연[* 자주 개를 데리고 동네 산책을 다니며 여주인공 [[김희선]]의 이웃에 살면서 그녀를 짝사랑하며, 몽상적 성향을 보이기도 하는 약간 4차원스러운 청년역할이었다. 그래서 스토커라는 단어도 안 쓰이던 시절인데도 자기 주위를 자주 맴도는 그가 정신적으로 이상해 보였던 여주인공이 가족과 지인에게 상담도 하고 두려워하며 경계하는 장면이 많이 나왔다. 나중에는 여주인공 쪽에서 먼저 대화를 해봐야겠다고 결심하고 살짝 말을 거는 장면이 나오는데, 거기서도 몽상적인 대답만 한다. 직업도 대략 시인 비스무레한 사람인 듯이 말하는데 드라마 내용 자체에 자세한 부분이 나오지 않아 그냥 시를 좋아하는 청년인지 진짜 시인인지는 알 수 없다. 대신 여주인공은 그가 폭력적이라거나 그런 건 아니라는 걸 확인해서 다행이라 생각하고 자신은 좋아하는 남자(주인공)가 있다고 설득한 뒤 안심하며 좋게 마무리된다. 사실상 나쁘게 보면 스토커 같은 역할이라 원빈의 외모나 현재 이미지와 그렇게 많이 어울리지는 않지만, 워낙 심하게 잘생긴 외모라 역할 자체의 부정적 측면이 안 보일만큼 미화되어 보이기도 했고 아직도 그가 프로포즈에서 멋진 역할로 나왔다고 기억하는 팬이 있을 정도. 당시 남자주인공이자 김희선의 상대역이었던 배우는 [[류시원]].]으로 출연하여 주목을 받았고 그 이후에도 '레디, 고!'라는 드라마에서도 주연으로 나오면서 인기를 끌기 시작했다. 이후에도 [[1999년]] [[광끼]], [[2000년]] [[꼭지]], 단막극 '그가 간이역에 내렸다'를 찍은 뒤 드디어 [[가을동화]]를 통해 슈퍼스타가 된다. 2002년에는 한일합작 드라마 '프렌즈' 등에 출연했다. 프렌즈에는 [[일본]] 여배우 [[후카다 쿄코]]가 여주인공 역을 맡았다. 이후 드라마 대신 영화에만 출연하고 있으며 많은 작품에 출연하지 않는 것으로도 유명하다. 작품 횟수는 적으나 출연한 작품마다 좋은 평가를 받고 있다.
         || 1999년~2000년 || KBS || [[광끼]] || 강민 역 ||
         || 1999년 || [[MBC]] || 점프 || 원빈 역(특별출연) ||
          * 1999년 [[KBS 연기대상]] 신인상 《광끼》
  • 윤덕주 (농구인) . . . . 4회 일치
         * [[1999년]] [[2월 11일]] [[대한농구협회]] 명예회장<ref>[http://sports.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kbl&ctg=news&mod=read&office_id=001&article_id=0004425319 대한농구협회, 최희암감독 사면 복권]</ref>
         * [[1999년]] [[4월 27일]] ~ [[1999년]] [[6월]] 제18회 아시아여자농구선수권대회(5월2-9일, 일본 시즈오카) 한국 선수단 단장<ref>[http://sports.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kbl&ctg=news&mod=read&office_id=001&article_id=0004570997 한국 여자농구대표팀 28일 결단식]</ref>
         * [[1999년]] [[대한민국 체육훈장]] 맹호장
  • 윤종신 . . . . 4회 일치
         데뷔 당시 윤종신은 옥구슬같은 미성을 자랑했으나 솔로 1집(1991년)~3집(1993년) 사이에 맑은 음색이 사라지고, 4집(1995년) 전후로 [* 정확히 말하면 The Natural Live 앨범 (1994)에서부터] 목소리가 급격히 탁해지더니 [[1999년]]~[[2000년]] [[유희열|토이]] <[[A Night In Seoul]]>, 8집 <[[헤어진 사람들을 위한 지침서]]>를 마지막으로 '''목소리 자체가 바뀌어버렸다!!''' 당장 1999년에 나온 <[[후반]]> 때 목소리와 2001년 9집 <[[그늘(음반)|그늘]]>을 연달아 들어보면, 그 2년 사이에 많이 달라져 있다. [* 제대 이후 방황하던 7집의 발성에 비해 오히려 2000년 8집을 기점으로 현재와 같은 창법으로 안정화됐다고 봐야 할 듯.] 때문에 당시 같이 미성으로 이름을 날렸던 [[신승훈]]도 그의 목소리가 너무 변했다며 안타까워했다. [[이승환]]의 증언에 의하면 자신이 아는 가수 중 가장 단기간에 가장 많이 목소리가 변한 가수라고.
         군 복무 중 [[하림(가수)|하림]]이라는 인물을 찾아 내기도 했으나, 정작 [[전역]]한 후에는 음악 시장이 완전히 재편되어 있었다. 1999년 1월 17일에 발표한 복귀 앨범인 7집 '[[後半|후반]]'(TITLE : [[배웅(윤종신)|배웅]])은 평가가 괜찮았으나 이전에 거두었던 상업적 성공과는 거리가 멀었다. 자신만만해하며 거액을 투자하여 만들었는데, 흥행에 실패했다. 베스트앨범 격인 6집이 29만 장 팔렸는데 7집이 12만 장 팔렸으니 판매량이 거의 '''3분의 1'''로 준 것.
         29살에 늦게 군대에 들어간 윤종신은 30이 넘어 제대를 했는데, 자기 생각에 30살이 너무 많은것 같아서 미래를 준비하기 위해 무리를 하기 시작한다. 직접 제작에도 참여하면서 그동안 번돈을 모두 날려먹고 2004년엔 집도 없어지고 빚만 6억이 남았다. 본인왈 1999년부터 2005년 까지가 자신의 인생에서 가장 힘들었던 시기라고..[* 해피투게더에서 본인이 밝힌 내용]
  • 이동흡 . . . . 4회 일치
         * [[대전고등법원]] 형사부 재판장으로 재직하던 1999년 7월 30일에 1994년 2월부터 1998년 2월까지 퇴출된 [[충청은행]] 은행장으로 재직하면서 경영이 부실한 서우주택건영에 368억원, 경원건설에 40억원을 부당하게 대출하고 대지 200평과 현금 2000만원 등 1억 6천여만원을 사례금으로 받아 구속된 전 충청은행 은행장 윤은중에 대해 징역 3년 추징금 6천만원이 선고된 원심을 깨고 징역2년 6월 추징금 6000만원을 선고했다.<ref>동아일보 1999년 7월 31일자</ref>
         * [[대전고등법원]] 특별부 재판장으로 재직하던 1999년 12월 13일에 시영아파트를 분양받고 3년이 넘도록 소유권 이전 등기를 하지 않아 과징금을 부과받은 이모씨 사건에서 1995년 7월 1일부터 시행된 부동산 실명제법 제10조 제1항에 대해 "법률은 탈세 행위를 막아 부동산 거래를 정상화한다는 취지로 제정되었음에도 탈법의 의도가 전혀 없는 사람들에게 까지 과중한 금전적 부담을 주고 있다"며 [[헌법재판소]]에 [[위헌법률심판]]을 제청했다.<ref>[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99121400329126006&editNo=40&printCount=1&publishDate=1999-12-14&officeId=00032&pageNo=26&printNo=16930&publishType=00010 경향신문 1999년 12월 14일자</ref> 이에 대해 [[헌법재판소]]는 2001년 5월 31일에 합헌 결정했다.(99헌가18)
  • 이재황(배우) . . . . 4회 일치
         || '''데뷔''' ||<(> [[1999년]] [[SBS]] 드라마 '[[카이스트(드라마)|카이스트]]' ||
         1999년 3월 28일 SBS 일요드라마《[[카이스트(드라마)|카이스트]]》로 데뷔했으며 시트콤 단역으로 활동하며 루키로 주목을 받다가 2000년 [[SBS]] 시트콤 《[[웬만해선 그들을 막을 수 없다]]》에서 바람둥이 '권재황' 역으로 전성기를 맞았다. --아직도 권재황으로 기억하는 이가 많다.-- --유행어가 '''나 권재황이야'''이다 -- 그렇게 전성기를 구가하던 중 2002년 10월 31일에 군입대, 연예병사로 꾸준히 군 홍보드라마를 찍다가 2004년 11월 23일에 제대했다.
         ||<|5> 1999년 || [[SBS]] || [[카이스트(드라마)]] || 다크맨 || 데뷔작, 10회 ||
         [[분류:한국 남배우]][[분류:1976년 출생]][[분류:1999년 데뷔]][[분류:고창군 출신 인물]]
  • 이정훈 (1963년) . . . . 4회 일치
         * [[한화 이글스]] 코치 (1999년 ~ 2005년)
         은퇴 후 도미하여 [[시애틀 매리너스]]에서 지도자 연수를 받은 후 [[한화 이글스]]에서 [[1999년]]부터 [[2005년]]까지 코치로 활동했고, [[1999년 한국시리즈]] 우승을 맛보았다. [[2005년]] 시즌 후 [[LG 트윈스]]에 영입되었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89&aid=0000048264 한화 이정훈 주루코치 LG로] - 대전일보</ref> [[2008년]]까지 [[LG 트윈스]] 코치를 역임한 후, [[북일고등학교]] 야구부 감독으로 부임했다.
         {{1999년 한화 이글스}}
  • 장기오 (공무원) . . . . 4회 일치
         * [[1999년]] [[자유민주연합]] 특임촉탁위원(1999년 3월)
         * [[1999년]] [[자유민주연합]] 특임촉탁위원 직위 퇴임(1999년 6월)
  • 정몽규 . . . . 4회 일치
         | 소속 = [[현대산업개발]] 회장(1999년 ~ )
         1996년 1월부터 1998년 12월까지 [[현대자동차]] 회장을 역임했고, 1999년 3월부터 [[HDC현대산업개발]] 회장, 2018년 5월부터 [[HDC]]그룹 회장으로 재직 중이다.
         |임기 = [[1996년]] [[1월]] ~ [[1999년]] [[3월]]
         |임기 = [[1999년]] [[3월]] ~ [[2018]] [[4월]]
  • 최공웅 . . . . 4회 일치
         * 1977년 ~ 1999년: [[사법연수원]], 서울대학교법학연구소 사법발전과정, 연세대학교법무대학원, 경희대학교국제대학원 강사 (국제사법, 국제소송, 특허소송)
         * 1994년 ~ 1999년: 한국국제거래법학회 회장
         * 1998년 ~ 1999년: [[특허법원]]장 (초대)
         * 1999년 ~ 2003법: 무법인 우방 변호사
  • 최지우(영화배우) . . . . 4회 일치
          * 1999년 KBS 《유정》 - 은지수 역
          * 1999년 SBS 《러브스토리》
          * 1999년 《[[인정사정 볼 것 없다]]》- 김주연 역
         || 1999년 || [[골든디스크 시상식]] || 골든비디오 여자연기상 || [[조성모]] - For Your Soul [[뮤직비디오]] ||
  • 추자현 . . . . 4회 일치
         * [[1999년]] [[SBS]] 일요드라마 《[[카이스트 (드라마)|카이스트]]》 ... 추자현 역
         * [[1999년]] [[SBS]] 주간시트콤 《[[LA아리랑]]》
         * [[1999년]] [[KBS2]] 청춘드라마 《[[광끼]]》
         * [[1999년]] [[MBC]] 월화드라마 《[[마지막 전쟁]]》
  • 한상훈 (야구선수) . . . . 4회 일치
         |드래프트 순위 = [[1999년 한국프로야구 신인 드래프트|1999년]] 2차 6라운드([[한화 이글스]])
         [[1980년]] [[6월 3일]] [[서울특별시|서울]] 출신으로 [[서울화곡초등학교]]와 [[신일중학교]]를 거쳐 [[신일고등학교]]에 입학한다. [[신일고등학교]] 시절 투수로도 활동하였고, [[1999년 한국 프로 야구 신인선수 지명 회의|1999년 신인 드래프트]]에서 [[투수]]로 [[한화 이글스]]의 2차 6순위 지명을 받았다. 이후 [[경희대학교]] 체육대학 체육학과(99학번)에 진학하였다.
  • 허준호(배우) . . . . 4회 일치
          * 1999년 SBS 《러브 스토리》... 영만 역
          * 1999년 SBS 《맛을 보여드립니다》... 송연우 역
          * 1999년 MBC 《[[왕초]]》... 발가락 역
          * 1999년 MBC 《[[장미와 콩나물]]》... 호식 역
  • 현재원 . . . . 4회 일치
         * 1999년 [[한국교육방송공사|EBS]] 《컴퓨터는 내 친구》
         * 1999년 [[문화방송|MBC]] 《가족 캠프》
         * 1999년 [[KBS 2TV|KBS2]] 《[[행복채널]]》
         * 1999년 [[SBS TV|SBS]] 《[[좋은 친구들 (텔레비전 프로그램)|좋은 친구들]]》
  • 홍은희(배우) . . . . 4회 일치
         || 1999년 || MBC || 미찌꼬 || || [[광복절|8.15]] 특집극 ||
         || 1999년 || MBC || [[허준(드라마)|허준]] || [[인목대비]] || ||
         || 1999년 || MBC || [[베스트극장]] - 길 밖에도 세상은 있어 || || ||
         || 1999년 || MBC || 하나뿐인 당신 || || ||
  • 길은혜 . . . . 3회 일치
         | 활동기간 = [[1999년]] ~ 현재
         * [[1999년]] [[MBC]] 특별기획드라마 《[[허준 (드라마)|허준]]》... 예진을 뒤따르는 소녀 역
         * [[1999년]] 《[[텔 미 썸딩]]》 ... 어린 채수연 역
  • 김갑수(배우) . . . . 3회 일치
         1999년 동성애를 주제로 다룬, 당시로선 파격적인 KBS 드라마 '슬픈 유혹'에서 주진모와 연인 사이로 나오기도 했다.[* 키스신도 있었다!] 극중 자고있는 주진모의 등(그것도 헐벗은 상황)을 보고 '''무언가를 느껴야 하는''' 장면이 가장 연기하기 힘들었다 한다.~~[[감비노]]도 궁금해 하더라고 [[등짝을 보자]]~~ 무릎팍 도사와의 대화중, '쌍화점에서 주진모와 조인성이 동성간의 사랑을 연기했는데 봤느냐?'라는 질문에 '''[[오유가또|진모가 또]]?'''라는 발언으로 빵 터트리기도 했다.
         || 1999년 || [[세기말(영화)|세기말]] || 최두섭 || 주연 || ||
         ||<|2> 1999년 || KBS2 || 슬픈 유혹 || 서문기 || 주연 || [* [[주진모(1974)|주진모]](!!!)와 동성애 키스로 유명한 작품이다.] ||
  • 김상희 (가수) . . . . 3회 일치
         1999년에는 아들의 병역비리에 가담한 것으로 알려져 물의를 빚었다.<ref>[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99042800209123001&edtNo=45&printCount=1&publishDate=1999-04-28&officeId=00020&pageNo=23&printNo=24181&publishType=00010 돈으로 때운 국방의무] "1999년 4월 28일 동아일보 참조"</ref> <ref>[http://media.daum.net/breakingnews/newsview?newsid=19990427023100525 <초점> `有錢免除' 병역면제 비리 실태] "1999년 4월 27일 연합뉴스 참조"</ref>
  • 김정태(영화배우) . . . . 3회 일치
         ||<#66CDAA> '''{{{#ffffff 데뷔}}}''' ||<(> [[1999년]] 영화 '이재수의 난'||
         [[대한민국]]의 [[배우]]로 [[1973년]] [[1월 17일]]생. 본명은 [[김태욱]]으로 [[1999년]] 영화 "이재수의 난"을 통해 [[충무로(은어)|충무로]]에 데뷔하여 [[2001년]]작 영화 [[친구]]까지 본명으로 활동했다가, 영화 [[친구]]로 유명세를 타면서 이름이 알려지기 시작하자 선배 연예인인 가수 [[김태욱]][* 최근에는 연예인보다 사업가로 유명하며 배우 [[채시라]]의 남편이다.]을 의식했는지, [[2003년]] [[정우성]]과 출연한 "[[똥개]]"부터 지금의 예명인 김정태로 활동하기 시작했다.
         [[분류:한국 남배우]][[분류:라디오 스타의 역대 게스트]][[분류:미스터리 음악쇼 복면가왕 역대 출연자]][[분류:연천군 출신 인물]][[분류:1999년 데뷔]][[분류:1973년 출생]][[분류:리얼입대 프로젝트 진짜 사나이 역대 출연자]]
  • 김주승 . . . . 3회 일치
          * [[1999년]] [[MBC]] 단막극 《[[MBC 베스트극장]] - 이혼의 기술》 ... 윤호 역
          * [[1999년]] [[KBS]] 아침드라마 《당신》
          * [[1999년]] [[MBC]] 미니시리즈 《흐르는 것이 세월뿐이랴》 ... 김성수 역
  • 김진(배우) . . . . 3회 일치
         * [[1999년]] [[SBS]] 미니시리즈 《[[토마토 (드라마)|토마토]]》 … 윤호태(세라 오빠) 역
         * [[1999년]] [[SBS]] 일요아침드라마 《[[달콤한 신부]]》
         * [[1999년]] 《[[산전수전]]》
  • 김태우(god) . . . . 3회 일치
         ||<#878787> '''{{{#EEE156 데뷔}}}''' ||<(> 1999년 [[god]] 1집 앨범 Chapter 1 ||
         1999년 데뷔 당시 수능을 앞둔 고3 학생이었는데, 큰 덩치에 얼빵한 표정으로 당시 아이돌 중 유독 튀는 캐릭터였다...
         [[분류:god]][[분류:한국 남가수]][[분류:대한민국의 남성 방송인]][[분류:프로듀서]][[분류:미스터리 음악쇼 복면가왕 역대 출연자]][[분류:라디오 스타의 역대 게스트]][[분류:구미시 출신 인물]][[분류:1981년 출생]][[분류:아이돌 막내]][[분류:1대 100 역대 1인]][[분류:1999년 데뷔]][[분류:히든 싱어 역대 출연자]]
  • 김하은(1984) . . . . 3회 일치
         | 활동기간 = [[1999년]] ~ 현재
         [[1999년]] MBC 문화방송 [[텔레비전 드라마|드라마]]에서 [[배우|연기자]] 첫 데뷔하였고 [[2001년]] [[뮤지컬 배우]] 데뷔하였으며 이듬해 [[2002년]] [[영화 배우|영화배우]] 데뷔하였고 1년 후 [[2003년]] [[한국방송공사|KBS]] 공채 탤런트 20기로 정식 데뷔하였다.
         [[분류:대한민국의 여자 뮤지컬 배우]][[분류:대한민국의 여자 배우]][[분류:대한민국의 여자 어린이 배우]][[분류:대한민국의 여자 텔레비전 배우]][[분류:1984년 태어남]][[분류:1999년 데뷔]][[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여자 영화 배우]][[분류:무안군 출신 인물]]
  • 김형종(배우) . . . . 3회 일치
         * 《[[해뜨고 달뜨고]]》 (KBS1, 1999년)
         * 《[[광끼]]》 (KBS2, 1999년)
         * 《[[학교 (드라마)|학교]]》 (KBS2, 1999년) - 한원석 역
  • 박광정 . . . . 3회 일치
          * 1999년 자귀모
          * 1999년 [[학교 2]]
          * 1999년 [[마법의 성#s-4|마법의 성]]
  • 박상면(배우) . . . . 3회 일치
         1993년 [[뮤지컬]] [[아가씨와 건달들]]로 데뷔한 그는, 1997년 영화 [[넘버 3]]에서 [[재떨이]] 역을 맡으며 충무로계에서 본격적으로 얼굴을 알리기 시작한다. 1999년 MBC 드라마 [[왕초]]에서 하마 역을 맡으며 드라마 쪽에서도 유명세를 타기 시작하더니, 2000년에는 [[드라마]] 나쁜 친구들을 비롯해 ~~[[미생(선덕여왕)|미생]]~~[[정웅인]], [[윤다훈]] 등과 같이 MBC 시트콤 [[세 친구]]에서 공동 주연까지 따냈고, 2001년에는 영화 [[조폭 마누라]]에서 주인공 [[신은경(배우)|신은경]]의 남편 역으로 주연급 배역을 맡으며 화제가 되기도 했다. 이후 각종 [[드라마]] 및 [[영화]]에서 조연으로 꾸준히 활약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주유소 습격사건|주유소 습격사건 2]]에서 집단탈옥하는 폭력조직의 두목으로 나온 적이 있으며 [[제빵왕 김탁구]]에서는 주인공 김탁구를 여러모로 도와주는 역할을 한다.
         ||<|3> 1999년 || [[인정사정 볼 것 없다]] || 짱구 || 특별출연 ||
         ||<|3> 1999년 ||<|3> MBC || 점프 || || 단역 ||
  • 박윤경(가수) . . . . 3회 일치
         | [[1999년]]
         [[1996년]] 3집 음반을 발표하였으나 그다지 주목을 받지 못하였다. 이후 4집을 거쳐 [[1999년]]에 5집 음반을 발표하였다. 그 음반의 타이틀곡이자 신나는 성향의 트로트곡〈두리두리〉가 전파를 타기 시작하면서 박윤경은 또 한번의 전성기를 구가하게 되었다. [[2002년]], 6집 앨범까지 히트시키며 트로트 가수의 맥을 이어나갔다.
         * [[1999년]] 5집 - 두리두리
  • 서유정(배우) . . . . 3회 일치
          * 1999년 MBC 수목 드라마 햇빛 속으로
          * 1999년 [[SBS]] 일일 드라마 당신은 누구시길래
          * 1999년 MBC 단막극 [[MBC 베스트극장]] - 소영이 즈그 엄마
  • 손전 . . . . 3회 일치
         |활동기간 = [[1932년]] ~ [[1999년]]
         '''손전'''(孫全, [[1910년]] [[1월 27일]] ~ [[1999년]] [[9월 8일]], 본명: '''손병철''', 孫秉喆)은 [[대한민국]]의 [[남자]] [[배우]], [[제작자]], [[영화감독|감독]]이다. 손전, 손일포, 한일호 등의 예명을 사용하였다. [[1925년]] [[대구자연과학고등학교|대구공립농업학교]]를 졸업했으며, [[1930년]] [[니혼 대학]] 경제학과를 중퇴했다. 총 1천 5백여 편의 영화에 출연하였다.
         [[분류:일제 강점기의 연극 배우]][[분류:1932년 데뷔]][[분류:대구자연과학고등학교 동문]][[분류:대한민국의 남자 연극 배우]][[분류:대한민국의 남자 영화 배우]][[분류:대한민국의 남자 텔레비전 배우]][[분류:대한민국의 영화 감독]][[분류:대한민국의 영화 제작자]][[분류:대한민국의 연출가]][[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1910년 태어남]][[분류:1999년 죽음]][[분류:밀양 손씨]][[분류:청룡영화상 수상자]]
  • 손지창 . . . . 3회 일치
         * 1999년 SBS 《[[젊은 태양]]》 ... 박민 역
         * 1999년 [[삼성전자]] 손빨래 세탁기 수중강타 파워드럼 김치독 다맛 쎈청소기먼지따로
         * 1999년 [[아모레퍼시픽]] 메디덴트토탈
  • 송정현 . . . . 3회 일치
         [[1999년]] [[경북 드래곤즈]]에 입단하였으나, 그 해 발목 부상을 입어 재활 치료를 받다가 [[2000년]] 복귀하였다. 하지만 [[2001년]] 다리 부상을 입어 시즌이 끝난 뒤 방출되었고, 이후 1년 간 무적 신분으로 지내다 [[2003년]] 당시 신생 팀이자 연고 팀인 [[대구 FC]]에 창단 멤버로 입단하였다. [[2006년]] 친정 팀 [[전남 드래곤즈]]로 복귀하여,<ref>[http://www.dragons.co.kr/news/news.asp?mode=view&category=&boardcode=tb_board_news&idx=6157 송정현, 진순진 영입]</ref> [[2006년]] [[수원 삼성 블루윙즈]]와 결승전에서 결승골을 기록하였고,<ref>[http://www.segye.com/Articles/Spn/Sports/Article.asp?aid=20061203000144&cid=0101110300000&dataid=200612031710000231 전남, 9년 만에 FA컵 품었다…송정현·김태수 연속골]</ref> [[2007년]] [[포항 스틸러스]]와 결승전에서 2골을 기록하는 등<ref>[http://www.mydaily.co.kr/news/read.html?newsid=200712021657372235 '혼자 2골' 송정현, FA컵 2연패 가능케 한 전남의 영웅 ]</ref> [[FA컵 (대한민국)|FA컵]] 2연패에 큰 공헌을 하였다. [[2009년]] [[FA]]로 풀린 송정현은 [[울산 현대 호랑이]]로 이적하였으다.<ref>[http://www.mydaily.co.kr/news/read.html?newsid=200903221500532234 울산, FA 송정현 긴급 수혈…전반기 단발 계약]</ref>
         * [[1999년]] ~ [[2002년]] {{국기그림|대한민국}} [[전남 드래곤즈]]
         * [[아시안 컵 위너스컵]] 준우승 1회 (1999년)
  • 수애 . . . . 3회 일치
         | 활동기간 = [[1999년]] ~ 현재
         1999년 KBS 드라마《[[학교 2 (드라마)|학교 2]]》로 정식 연기자로 데뷔했고 그 뒤 MBC 주말연속극 [[맹가네 전성시대]]에서 베일 속의 여인 허주연 역을 맡으며 비중있는 조연으로 자리잡았다. 2달 후 MBC 월화드라마 [[러브레터 (드라마)|러브레터]]에서 여의사 역으로 첫 주연을 맡았다.
         [[분류:대한민국의 여자 영화 배우]][[분류:대한민국의 여자 텔레비전 배우]][[분류:대한민국의 여자 배우]][[분류:1999년 데뷔]][[분류:1979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구광역시 출신]][[분류:백상예술대상 수상자]][[분류:청룡영화상 여우주연상 수상자]][[분류:대종상 여우주연상 수상자]]
  • 신귀식 . . . . 3회 일치
         * [[1999년]] [[문화방송|MBC]] 《[[남자 셋 여자 셋|시트콤 남자 셋 여자 셋]]》 ... 문화대학교 중국어학과 신귀식 교수 역으로 단역
         * [[1999년]] [[KBS 1TV|KBS1]] 《[[누나의 거울]]》
         * [[1999년]] [[문화방송|MBC]] 《[[국희]]》
  • 신동주(야구) . . . . 3회 일치
         1991년 [[삼성 라이온즈]]에 입단해 1992년에 데뷔했으며, [[백인천]] 감독의 휘하에 삼성의 중심 타선으로 자리잡았다. 롯데의 [[8888577]]의 암흑기였던 [[백인천]]이었으나 젊은 시절의 [[백인천]]은 1990년 LG의 우승을 이끌었는데다 삼성 감독으로서 [[최익성]], 신동주, [[이승엽]]의 타격 실력을 대폭 향상시킨 장본인이다. 1997년에는 도루 2개가 모자라 20-20을 달성하지 못했으나 21홈런에 .326에 .581의 장타율로 타율-장타율에서 [[이종범]]과 맞먹는 스탯을 자랑했다.[* 한편으로는 아쉬운 해였다. 이 해 외야 부문 [[KBO 골든글러브]]는 [[양준혁]], [[박재홍(야구)|박재홍]], [[이병규]]가 탔는데, [[양준혁]], 박재홍이야 압도적인 실력이니 그렇다 쳐도 [[이병규]]와 비교해서는 타율, 홈런 등에서 압도적으로 우위를 점했음에도 골든글러브에서 떨어지며 결국 골든글러브는 인기투표임을 인증했다. ~~[[이병규]]도 2011년에 똑같이 당한 게 함정~~~~이병규는 그 해 신인왕인데 신인한테 인기에서 밀렸다고?~~] 게다가 그해 준플레이오프에서는 2개의 홈런을 쏘아올렸는데 1차전 전주경기에서는 결승홈런이었고 2차전 대구에서도 0:3에서 추격하는 홈런을 올렸다.[* 물론 그 준플레이오프는 선수생명의 마지막 불꽃을 태운 [[김상엽]]에게 mvp가 돌아갔다.] 1999년에는 .278 22홈런 26도루로 20-20을 달성하기도 하였다. 이 때 [[KBO 리그]] 역사상 전후무후한 기록을 세웠는데 이것은 1이닝 3도루이다.
         1999년 6월 24일 대구에서 벌어진 LG와의 더블헤더 2차전에서 2회말 볼넷으로 출루한 뒤 2,3루 도루와 홈 스틸을 잇달아 성공시키며 대기록을 작성했다. 게다가 그의 이미지는 찬스에 강하며 '만루홈런의 사나이'라는 이미지를 갖고 있었다. 그도 그럴것이 삼성에서 뛰었던 2000년까지 6개의 만루 아치를 그렸으며 그것은 [[김기태(1969)|김기태]](당시까지 8개)에 이은 2번째 기록이며 당시 한참 홈런을 많이 때리던~~먹튀의 [[흑역사]]로 상징되던~~ [[홍현우]](5개)보다도 많은 수치였다.[* 2000년 당시까지를 기준으로 [[김기태(1969)|김기태]]는 227홈런, [[홍현우]]는 173홈런을 때려냈다. 신동주의 홈런수는 82개에 불과했다. 그가 얼마나 만루에 강했는지 알려주는 지표다.] 그러나 [[김기태(1969)|김기태]]와 [[마해영]] 등 거포영입에 혈안을 기울이던 삼성프런트의 정책에 따라 장타력이 그들에비해 어정쩡(?)한[* 물론 당시로 따져도 평균이상의 호쾌한 타구를 날리던 그였다.] 장타력을 가진 선수로 각인되어 [[김응용]] 감독 부임 직후 2001년 초 [[강영식]]과의 트레이드로 [[해태 타이거즈]]로 이적하여 해태-KIA에서도 주전 외야수로 뛰다가 2003년 시즌 후 KIA로 이적한 FA [[마해영]]의 보상선수로 친정팀인 삼성에 복귀했다. 2005년 시즌 중 최용호와의 트레이드로 다시 KIA로 오고 이듬해인 2006년 시즌 중 [[웨이버 공시]]되어 은퇴했다.
         현역 시절 우승과는 인연이 없었다. 1999년 [[경기는 삼성쪽으로 기울고|롯데와의 플레이오프]] 당시 삼성의 주전 외야수였으나 팀은 7차전까지 간 접전 끝에 한국시리즈 진출에 실패했고, 그가 강영식과 트레이드되어 KIA에 있었을 때인 2002년에는 친정팀 삼성 라이온즈가 첫 한국시리즈 우승컵을 들어올린 해였다. 이후 2004년 다시 친정팀 삼성으로 돌아와 그해 한국시리즈 엔트리에 들며 생애 첫 한국시리즈 무대도 밟아봤으나 팀은 9차전까지 간 접전 끝에 준우승에 그쳤다. 이후 2005년 초 다시 KIA로 트레이드된 뒤 그해 한국시리즈에서 삼성이 우승하는 등 여러모로 현역 시절 우승과는 인연이 없었다.
  • 신은정 . . . . 3회 일치
         * [[1999년]] [[KBS2]] 납량특집드라마 《[[전설의 고향]]》〈재인의 아내〉 ... 솜솜이 역
         * [[1999년]] [[SBS]] 일요드라마 《[[카이스트 (드라마)|카이스트]]》 ... 신남희 역
         * [[1999년]] [[MBC]] 일일연속극 《[[날마다 행복해]]》 ... 공문자 역
  • 안숙선 . . . . 3회 일치
         * [[1999년]] 제48회 [[서울특별시 문화상]] 수상
         * [[1999년]] 올해의 국제적인 음악인상{{출처|날짜=2015-08-13}} 수상
         * [[1999년]] [[대한민국의 훈장|옥관문화훈장]](4등급) 수훈
  • 윤주상 . . . . 3회 일치
         * [[1999년]] 《[[링 (1999년 영화)|링]]》 ... 박 노인 역
         * [[1999년]] 《[[유령 (영화)|유령]]》 ... 함장 역
  • 이상훈 (1971년생 우완 투수) . . . . 3회 일치
         * [[삼성 라이온즈]](1990년 ~ 1999년)
         * [[두산 베어스]](1999년 ~ 2003년)
         1990년 고졸우선지명으로 삼성 라이온즈에 지명되어 주로 중간 계투로 뛰었다. 1999년 7월 31일, 트레이드 마감 기한에 포수 [[진갑용]]을 상대로 현금 4억원과 함께 [[두산 베어스]]로 트레이드 되었다.<ref>{{뉴스 인용|url=https://sports.news.naver.com/general/news/read.nhn?oid=001&aid=0004408061|제목=프로야구,진갑용-이상훈+4억 트레이드|날짜=1999-07-31|출판사=연합뉴스}}</ref> 2002년에 70경기 동안 133.2이닝을 소화하며 4승 10패 2세이브 6홀드와 93탈삼진 평균자책점 3.91의 커리어하이를 기록하였지만 2003년 기량 하락으로 방출되었다. 이후 2004년 롯데 자이언츠에 입단하였지만 단 2경기 출장에 그치고 시즌 후 은퇴하였다.
  • 이열희 (1924년) . . . . 3회 일치
         [[1946년]] [[서울대학교]] 치과대학 치의학과를 졸업하고 모교인 [[서울대]] [[치과]]대학 조교가 되었으며, [[1947년]] 대구의학전문학교 치과학교실 조교가 되었다. 그해 [[3월]] 다시 [[경북대학교]] 의과대학에 입학했다. 이후 [[국군수도병원|육군병원]]의 외과, 치과 의사로 근무하였다. 육군병원에 근무할 당시 구강외과를 설립하고 60년대초 구강외과내에 악안면 성형외과를 신설하였다.<ref name="imails">[http://www.imaeil.com/sub_news/sub_news_view.php?news_id=15733&yy=1999 지방 국립대 7곳 치대 설립 '산파역'] 대구매일신문 1999년 06월 08일자</ref> [[구강외과]]를 전공한 그는 구강성형 분야의 완전한 의술확립을 위해 다시 경북대의대에 입학, 다시 [[경북대학교]] 의과대학을 다녔다. 경북대 의대 재학 중에는 외과전문의 자격증을 취득하였다.<ref name="imails"/> 그 뒤 [[경북대학교]] 의과대학원에서 의학석사와 의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 [http://www.imaeil.com/sub_news/sub_news_view.php?news_id=15733&yy=1999 지방 국립대 7곳 치대 설립 '산파역'] 대구매일신문 1999년 06월 08일자
         * [http://www.imaeil.com/sub_news/sub_news_view.php?news_id=15733&yy=1999 지방 국립대 7곳 치대 설립 '산파역'] 대구매일신문 1999년 06월 08일자
  • 이영욱 (1980년) . . . . 3회 일치
         |드래프트 순위 = [[1999년 한국프로야구 신인 드래프트|1999년 2차 8라운드]]([[쌍방울 레이더스]])
         [[1999년]] [[쌍방울 레이더스]]의 2차 8라운드 59순위로 지명을 받은 후 [[홍익대학교]] (1999학번) 진학 후 재학 시절 [[차일목]]과 배터리를 이루었다.
  • 이종혁 (배우) . . . . 3회 일치
         * [[1999년]] 《[[쉬리 (영화)|쉬리]]》 - 북한 제8군단 특수요원 역
         * [[1999년]] 《[[주유소 습격 사건]]》 - 양아치 4, 용가리 수하 역
         * [[1999년]] 《라이어》 - 형사 트로우튼 역
  • 전상렬 . . . . 3회 일치
         * [[한화 이글스]] (1997년 ~ 1999년)
         * [[두산 베어스]] (1999년 ~ 2009년)
         [[대구상원고등학교|대구상업고등학교]]를 졸업하고 [[1992년]] [[삼성 라이온즈]]에 입단하여 프로 생활을 시작했다. [[1997년]] 삼성에서 방출된 뒤 [[한화 이글스]]로 옮겼고, 한화 시절부터 조금씩 존재감을 알렸다. [[1999년]]에 [[투수]] [[김경원 (야구인)|김경원]]을 상대로 [[내야수]] [[홍원기 (야구인)|홍원기]]와 함께 [[두산 베어스]]에 트레이드되었다. 늘 백업으로 뛰었지만 발이 빨라 [[2004년]]에는 [[도루]] 8위를 기록했으며, [[2005년]]에는 [[2004년]] 병역비리 사건으로 주축들이 대거 빠지게 되어 최하위를 예상하였던 두산의 [[한국시리즈]] 진출에 큰 기여를 하였다. [[2006년]]에는 FA 계약으로 2년에 총 4억원에 계약을 맺었다.<ref>{{뉴스 인용|url=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001&oid=109&aid=0000024857&|저자=박선양|출판사=OSEN|제목='늦깎이 스타' 전상렬, 두산과 2년 4억원에 FA 계약|날짜=2006-01-15}}</ref> [[2009년]]을 마지막으로 현역에서 은퇴하였다.<ref>[http://sportsworldi.segye.com/Articles/Sports/BaseBall/Article.asp?aid=20091029005501&subctg1=05&subctg2=00 두산, 이승학·정원석 등 방출] - 세계일보</ref> 보기보다 조숙한 얼굴로 '할매'라는 별명이 있어서,<ref>[http://joynews.inews24.com/php/news_view.php?g_menu=702120&g_serial=391182 최고참 전상렬, "은퇴는 사절, 불혹까지 뛴다"] - 조이뉴스24</ref> 김인식 감독이 "대타 할매" 라고 심판에게 대타 기용 사인을 전달할 때 심판들이 바로 그를 대타로 낸다고 알아차릴 정도였다.<ref>[http://osen.mt.co.kr/news/view.html?gid=G1009190045 '신할매' 정수빈, 이틀 연속 불 뿜은 본능] - OSEN</ref>
  • 정동기 . . . . 3회 일치
         * 1998년 3월 ~ 1999년 6월 : [[서울지방검찰청]] 형사3부, 형사5부 부장검사
         * 1999년 6월 ~ 2001년 6월 : [[서울지방검찰청]] 동부지청 차장검사
         * 1999년 3월 ~ 2002년 8월 : [[한양대학교]] 겸임교수
  • 정정아 . . . . 3회 일치
         * 1999년 [[KBS]] 감성채널 '대학 명물팀'
         * 1999년 <리투아니아> - 술집주인 역
         * 1999년 <락 애랑전> - 애랑 역
  • 최성관 (1925년) . . . . 3회 일치
         '''최성관'''(崔聖寬. [[1925년]] [[9월 5일]] ~ [[1999년]] [[7월 19일]])은 [[대한민국]]의 [[영화 배우]], [[영화 감독]], [[영화 편집자]]이다.
         [[1925년]] [[9월 5일]] [[서울]]에서 태어났으며, [[국학대학]] 국문학과를 졸업하였다. [[1957년]] 《선화 공주》를 감독하였다. 감독활동은 1959년 《남의 속도 모르고》, 1962년 <태양(太陽)을 등진 사람들>로 이어졌다. 김근자, 박귀희 주연의 <선화공주>는 흑백영화로 일관되다시피한 당시에 16미리이기는 했으나 모처럼 천연색 필름으로 촬영하여 큰 관심을 끌었다. 이는 홍성기 감독이 <여성의 일기>(1949)로 색채 화면을 선보인 이후 두 번째의 시도였다. 그는 배우로도 활동했다. [[1999년]] [[7월 19일]] 별세하였다.
         [[분류:1925년 태어남]][[분류:서울특별시 출신 인물]][[분류:대한민국의 영화 편집가]][[분류:대한민국의 영화 배우]][[분류:대한민국의 영화 감독]][[분류:1999년 죽음]][[분류:국학대학 동문]]
  • 최정원(남자배우) . . . . 3회 일치
         || '''데뷔''' ||1999년 그룹 브론즈의 멤버[* 타이틀곡은 <Tell Me Why>였으며, 그룹에서 [[리드보컬]]이었다.] ||
         1999년 고3 시절 남성 5인조 그룹 브론즈의 리드보컬로 데뷔하였으나 성공하지 못했고, 1년 후인 2000년 [[김정훈(UN)|김정훈]]과 UN이라는 그룹으로 다시 데뷔하게 된다. --결국 성공하여-- 총 6장의 앨범을 냈으며, 해체 이후 2008년에 'Sunshine On Summer Time' 싱글을 냈다.
         [[분류:라디오 스타의 역대 게스트]][[분류:1981년 출생]][[분류:한국 남배우]][[분류:1999년 데뷔]][[분류:미스터리 음악쇼 복면가왕 역대 출연자]][[분류:투유 프로젝트 - 슈가맨 시리즈 역대 출연자]][[분류:태백시 출신 인물]]
  • 추봉 (배우) . . . . 3회 일치
         [[1922년]] [[경성부]]에서 3남매 중 차남으로 태어났다(편집위원회). 이승학(李升學)의 문하에서 5년간 음악을 배웠으며, 1940년부터 극단 성군(星群)에서 활동했다. 영화데뷔는 1952년 손전 감독의 《공포의 밤》에 배우 양일민의 추천으로 출연하면서 이루어졌다고 한다(한국영상자료원). 이후 1960년대부터 2000년대 초반까지 꾸준히 조,단역으로 활발하게 활동을 펼쳐왔다. 1999년 제36회 대종상영화제에서 특별연기상을 수상했다(한겨레신문).
         * 1999년 《[[인정사정 볼 것 없다]]》
         * 1999년 제36회 [[대종상 영화제]] : 특별연기상(남)
  • 추성건 . . . . 3회 일치
         * [[두산 베어스]] (1999년~1999년)
         }}</ref> 이유 탓인지 구단으로부터 미움을 사 [[1999년]] 시즌 후 두산(전신 OB 포함)에서 방출된 뒤<ref>{{뉴스 인용
  • 홍경인 . . . . 3회 일치
         1996년 [[시트콤]] [[남자셋 여자셋]]에서 크게 활약을 보여 일약 스타덤에 오르고, 1999년 드라마 [[왕초]]에서 철없는 캐릭터인 '날파리'[* 대부분 철없는 캐릭터로 연기하지만 마지막회의 진지한 씬에서는 그의 연기 내공이 빛을 발한다.]로 유명해지는 동시에 바로 슬럼프를 겪게된다. 단신인데다가 [[동안]]인지라 개그역할을 맡아서[* 긴 바바리 코트를 입었는데 너무 길어서 코드 자락을 바닥에 질질 끌어 낙엽을 쓸며 노래부르는 장면이 특히 유명하다(...)] 크게 히트했으나 그 이후로 원래의 연기력에 맞는 역할을 얻지 못하는 비운을 산다. 괴리가 너무 컸던것. 1999년에는 가수로 활동하면서 앨범 《후애(後愛)》을 발표하지만 좋은 반응을 얻지 못한다.[* 사실 가창력은 꽤 좋은 편이다. 남자셋 여자셋에서도 노래를 하는 씬이 몇 번 등장한다. 그러나 이미지가 이미지라서 묻혔다...게다가 90년대 후반에는 비주얼과 퍼포먼스로 승부하는 비디오형 가수들의 범람이 절정을 이룬 시기였다. 심지어 음향장비가 좋지 못해서 뛰어난 가창력을 지닌 발라드 가수들까지 종종 방송에서 립싱크를 시키는 시절이고, 라이브를 하는 가수를 신기하게 보던 시절이었다. 즉, 젊은 가수들의 절대다수에게 가창력보다는 외모와 춤실력이 강조되던 시절. 오죽하면 가수는 커녕 일반인치고도 노래를 잘하는 편이 아닌 [[최창민]]같은 가수들이 '''솔로가수'''로 나왔을까... 이 상황에서 가창력만으로 승부하려면 가창력이 신승훈이나 김건모같이 본좌급으로 뛰어나거나 음악성이 윤종신처럼 탁월해야했는데, 그냥 평범하게 노래잘하고 외모는 떨어지던 홍경인이 발붙힐 자리는 없었다.]
         || [[1999년]] || [[왕초]] || 날파리 || ||
  • 황두성 . . . . 3회 일치
         |첫 출장 = [[KBO (야구)|KBO]] / [[1999년]] [[4월 3일]] <br /> [[숭의야구장|인천]] 대 [[현대 유니콘스|현대]]전 구원
         * [[KIA 타이거즈|해태 타이거즈]] (1999년 ~ 2000년)
         [[성균관대학교|성균관대]]를 중퇴하고 [[1997년]] [[포수]]로 [[삼성 라이온즈|삼성]]에 입단했다가 시력이 좋지 않아 당시 [[장호연]] 코치의 제안으로 [[투수]]로 전향했다.<ref>[http://sports.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kbo&ctg=news&mod=read&office_id=277&article_id=0002712347 황두성, "장례식장에서 받은 방출 통보 서러웠다"] - 아시아경제</ref> 그러나 눈에 띄는 모습을 보이지 못하고 [[1999년]] [[KIA 타이거즈|해태 타이거즈]]에 3:1 현금 트레이드([[양준혁]]·[[곽채진]]·황두성↔[[임창용]])되었다.<ref>[http://osen.freechal.com/news/view.asp?code=G0812300034 황두성-이재우, '늦깎이의 성공시대' 열 것인가] 《Osen》 2008년 12월 30일</ref>
  • Y2K 버그 . . . . 2회 일치
         미국의 컴퓨터 관련 기업들은 Y2K에 대해 설명하는 사이트를 공동으로 개설하였으며[*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99051000099107012&edtNo=15&printCount=1&publishDate=1999-05-10&officeId=00009&pageNo=7&printNo=10363&publishType=00010|매일경제 1999년 5월 10일 기사, 네이버 뉴스 라이브러리]], 국내 컴퓨터 업계 또한 이에 대한 대비책을 마련하였다.[*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98060800329109001&edtNo=45&printCount=1&publishDate=1998-06-08&officeId=00032&pageNo=9&printNo=16453&publishType=00010|경향신문 1998년 6월 8일 기사, 네이버 뉴스 라이브러리]]
         [[http://news.joins.com/article/15344931|중앙일보 - 지난 신문 보기-1999년 12월 31일 7면 - 'Y2K 종말론'과 꽃미남 밴드]]
  • 고세원 . . . . 2회 일치
         고세원은 [[박찬호]] 군대 조교를 했었다고 박찬호와의 인연을 들려줬다. [[1999년]]부터 [[2000년]] [[8월]]까지 충남 공주 육군 32사단 신병교육대에서 조교로 복무했고 그때 [[박찬호]]는 [[1998년]] 방콕아시안게임에서 우승을 해 병역면제 혜택을 받은 후 [[1999년]] [[10월]] 이곳에 입소해 4주간 군사 훈련을 받았다는 것이다. 어느 날은 라면 끓일 뜨거운 물로 라면을 포기하고 [[박찬호]]의 허리 찜질을 해 줬다는 얘기도 들려줬다.<ref>{{뉴스 인용|url=http://www.kyeongin.com/news/articleView.html?idxno=351904|제목=탤런트 고세원 "박찬호 軍조교가 바로 나"|성=|이름=|날짜=2007-10-30|출판사=경인일보|확인날짜=2010-04-20}}</ref>
  • 권민중 . . . . 2회 일치
         ||<|4> 1999년 || [[MBC]] [[베스트극장]] - 아빠 애인의 남자친구 || || ||
          * [[1999년]] [[KBS2]] [[퀴즈탐험 신비의 세계]] - 게스트
  • 권재진 . . . . 2회 일치
         * [[1997년]]~[[1999년]] 사법연수원 교수
         * [[1999년]]~[[2000년]] 서울지방검찰청 형사3부 부장검사
  • 그랜드 테프트 오토 시리즈 . . . . 2회 일치
          1999년 발매. 제목 그대로 [[런던]]을 배경으로 한다. 지금까지 나온 GTA 시리즈 중 유일하게 미국 배경이 아닌 작품.
          1999년 발매.
  • 기축통화 . . . . 2회 일치
         서독/독일의 마르크화는 1980년대 초반에서 1999년 유로화 출범까지 서유럽과 동유럽에서 비중을 늘려나갔다.
         1999년에 유럽 각국의 통화가 통합되고, 특히 서유럽에서 지배력을 가지는 독일 마르크화와 구 프랑스 식민제국이었던 서아프리카 경제권에 밀접한 프랑화가 핵심이 되어 유로화가 출범하였다.
  • 김국진(MC) . . . . 2회 일치
         아무튼, 최전성기이던 [[1999년]] 갑자기 방송을 그만두고 1년 가까이 휴식을 취했다.[* 휴식기를 가지기 직전, [[에디 머피]] 주연의 영화 [[닥터 두리틀]]에서 에디 머피를 연기하며 성우로도 활약을 잠깐 했는데 평은 극악이었다. 결국 나중에 MBC에서 더빙 방영할때 에디 머피 전문 성우인 [[이인성(성우)|이인성]]이 재더빙을 맡았다.] 이후 김국진은 휴식 기간 중 접한 [[골프]]에 빠져서 [[프로]]골퍼에 도전했지만[* 1990년대에도 골프를 취미로 했었다는 말을 [[박수홍]]이 라스에서 언급하긴 했었다.] 프로 등단 시험마다 탈락하면서 막대한 돈을 잃었다.[* 그나마 골퍼로서 입지가 안정된 후에는 [[http://youtu.be/e2CLgocjSco|집중력 향상 드링크제 광고]]를 찍기는 했다.] 사실 턱걸이로 계속 프로 골퍼 시험에 떨어졌다고 한다. 작년이었으면 될 성적인데 올해는 합격이 어려운 성적이었다던지... 이후 [[2000년]] MBC 시트콤 <연인들>에 출연, 같이 호흡을 맞춘 [[이윤성(배우)|이윤성]]과 2002년 10월 17일 결혼했다.[* 여담으로 이 시트콤에 [[이선균]]이 이윤성의 동생으로 분했다.] . 이윤성과 김국진은 [[2003년]] [[7월]]부터 돌연 별거를 시작하다가, [[2004년]] [[3월 15일]]에 이혼했고 이윤성 측에 막대한 위자료까지 지불하게 된다.[* 이윤성의 외도설이 있지만, 사실이라면 과연 김국진이 위자료를 지불했을까? 아마 결혼 후 임신한 아이를 유산하는 등의 사연이 있어서일 수도 있겠으나, 이혼 후 김국진은 가급적 그 당시 일을 언급하기 꺼리고 조용히 혼자 외롭게 산다는 이미지면(물론 가끔씩 개그소재로 쓰긴 한다), 이윤성은 기다렸다는듯이 재혼한데다가(더구나 남편 홍모 의사 또한 이혼 경력이 있는 돌싱이었다) 방송에서 잊을만하면 김국진과 결혼 생활고,이혼 경력을 끄집어낸 것을 보면 여자도 그리 좋은 사람은 아닌 것으로 보인다.] 거기다 이 때 시도한 골프의류 사업과 주식투자 모두 망했다. 또한 후배든 친구든 돈 빌려달라는 사람에게 돈을 내줘 파산 직전까지 갔었다고 한다. 물론 그에게 돈을 빌려갔던 사람들 중 돈을 제대로 갚은 사람은 몇 없다고 한다. 거기다 절친했던 인물에게 사기도 당했다고...
         전성기 때의 [[인기]]에 비해서 [[연예대상]](당시 코미디대상) 수상은 2번밖에 없다. [[김용만]], [[이경규]], 김국진 이렇게 돌아가면서 받았다는 게 김국진의 기억이다.[* 부연하자면, 김국진은 전성기가 1996년~1999년 초 정도로 길지 않았고, 그 중간인 1997년에는 [[양심냉장고]]로 초대박을 터뜨린 이경규가 받았기 때문.] 대신 MBC 다큐멘터리 '21세기 대중문화 대장정'에 [[http://ko.wikipedia.org/wiki/%EA%B9%80%EA%B5%AD%EC%A7%84|'''20세기를 빛낸 한국 코미디언 1위''']]에도 올라 있을 정도로 영향력은 컸다.
  • 김미숙(1959) . . . . 2회 일치
          * [[1999년]] [[KBS 2TV]] 《[[슬픈 유혹]]》 ... 정혜 역
          * [[1999년]] [[애경그룹|애경]] 셀퓨어
  • 김상엽 (야구인) . . . . 2회 일치
         * [[삼성 라이온즈]] (1989년 ~ 1999년)
         [[1999년]] 12월 [[삼성 라이온즈]]가 [[LG 트윈스]] [[포수]] [[김동수 (야구인)|김동수]]를 FA로 영입하면서 보상 선수로 [[LG 트윈스]]로 이적하였으나 부상이 지속되어 별다른 활약을 펼치지 못하고 2경기 동안 6.2이닝, 2패만 기록한 후 [[2001년]]에 현역에서 은퇴하였다. 통산 78승 56패, 3점대 평균자책점을 기록했다. 현역으로 활동할 때 홀수 해에 성적이 좋고 짝수 해에는 성적이 부진한 징크스가 있었다.
  • 김상조 . . . . 2회 일치
         또 두 번째 사례인 1999년 2월 서울 양천구 목동 현대아파트를 거쳐 2002년 강남구 대치동의 은마아파트로 주소지를 변경했다. 아들이 초등학교 6학년으로 중학교 입학을 앞둔 시점이었다. 김 후보자는 이후 가족과 함께 미국 예일대 연수를 가면서 2004년 8월부터 다시 7개월간 목동 현대아파트로 주소지를 옮겼다. 이어 귀국한 2005년 2월 은마아파트로 주소지를 다시 변경했다. 중3 아들이 고교 진학을 앞둔 시기였다. 김 후보자 측은 “후보자가 해외연수 중 전세로 살던 은마아파트를 비워두고 우편물 등을 받아두기 위해 목동의 세입자에게 양해를 구해 주소지만 잠시 옮겨놓았던 것”이라고 설명했다.
         목동의 아파트를 매입하면서 다운 계약서를 작성한 것이 아닌가 하는 의혹도 제기되었다.[[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20&aid=0003068512|관련기사1]][[http://news.tvchosun.com/site/data/html_dir/2017/05/29/2017052990167.html|관련기사2]][[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57&aid=0001129568|관련기사3]] 김 후보자가 제출한 자료에는 1999년 3월 양천구 목동의 현대 2차 아파트를 1억 7천 550만 원에 매입한 것으로 되어 있는데 국토 교통부가 제출한 부동산 거래 내역에는 5천만 원에 매입한 것으로 신고되어 있다는 것.
  • 김선길(국회의원) . . . . 2회 일치
         1996년 [[제15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자유민주연합]] 후보로 충청북도 충주시 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1998년 3월부터 1999년 3월까지 [[해양수산부]] [[장관]]을 역임하였다. 1999년 [[한일어업협정]]이 문제가 되어 경질되었다.
  • 김세윤 (1999년) . . . . 2회 일치
         '''김세윤'''([[1999년]] [[4월 29일]] ~ )는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이며 포지션은 [[공격수]]이다. 현재 [[대한민국]] [[K리그2]] [[대전 시티즌]]에서 활약하고 있다.
         [[분류:1999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축구 공격수]][[분류:대한민국의 축구 선수]][[분류:대한민국 U-17 축구 국가대표팀 선수]][[분류:대한민국 U-20 축구 국가대표팀 선수]][[분류:대전 시티즌의 축구 선수]][[분류:K리그2의 축구 선수]][[분류:충남기계공업고등학교 동문]][[분류:무산중학교 동문]][[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
  • 김운용 . . . . 2회 일치
         * 1995년 11월 : [[1999년 동계 아시안 게임|1999년 강원 동계 아시안 게임]] 조직위원회 위원장으로 임명됨.
  • 김유미(1979) . . . . 2회 일치
         || '''데뷔''' ||<(> [[1999년]] CF 뉴트로지나 ||
         [[분류:한국 여배우]][[분류:1979년 출생]][[분류:양양군 출신 인물]][[분류:1999년 데뷔]]
  • 김정난 . . . . 2회 일치
         || 1999년 || SBS || 지금은 사랑할 때 || || ||
         || 1999년 || KBS1 || 해뜨고 달뜨고 || || ||
  • 김지수(배우) . . . . 2회 일치
         ||<|2> [[1999년]] || MBC || [[베스트극장]] - 한번쯤 || || ||
         || 1999년 || [[진주(가수)|진주]] || 가니 ||
  • 김태연(배우) . . . . 2회 일치
         || '''데뷔''' ||[[1999년]] [[영화]] [[거짓말(영화)|거짓말]] ||
         [[대한민국]]의 [[여성]] [[배우]]. 원래는 [[1996년]]부터 [[모델]]로 활동했던 모델라인 40기 공채 [[패션 모델]] 출신이다. 1999년 영화 [[거짓말(영화)|거짓말]]로 데뷔했고 [[히로인]](?) Y 역을 연기하면서 일약 ~~[[발연기]]로~~ 유명해졌다.
  • 깨끗한 독일국방군 신화 . . . . 2회 일치
         냉전이 종식되는 기미가 보이기 시작하던 1986~1987년에 걸쳐서 사학계에서는 나치 독일의 전쟁 범죄에서 국방군의 역할을 추궁하기 시작했으며, 1995년에 열린 '함부르크사회조사연구소'에서 주최한 "인종 말살 전쟁. 1941~1945년 독일군 범죄 전시회"가 열리면서 이 같은 연구 결과가 대중에 밝혀졌다. 전시회는 1999년에 일시 중단되기도 했으나, 1999년 까지 90개 가량의 도시에서 열리면서 독일 사회에 커다란 타격을 주었다.
  • 박명수(MC) . . . . 2회 일치
         이로 인해 이승철은 박명수에게 꽤나 고마워하고 있다. 두 사람은 그 인연으로 지금도 친한 사이를 유지하고 있다. 특히 1999년 발매된 박명수의 1집에서 박명수가 이승철의 대표곡 중 하나인 <친구의 친구를 사랑했네> 를 듀엣곡으로 부르자는 제안에 이승철이 흔쾌히 승락해서 화제가 되기도 했었다.
          * 1999년 빙그레 초코사만코&왕붕어사만코 (박경림과 함께 출연)
  • 박승호 (야구인) . . . . 2회 일치
         * [[삼성 라이온즈]] 타격 코치 (1993년 ~ 1999년)
         [[삼성 라이온즈]]에서만 현역 생활을 하다가 은퇴한 박승호는 [[1993년]]부터 [[1999년]]까지 친정 팀에 계속 머무르며 타격코치로 일했다. 그는 5년 코치 생활을 하는 동안 [[1995년]] [[투수]]로 입단한 [[이승엽]]에게 타자로 전향할 것을 권유하기도 했는데 당시 [[백인천]] 감독, [[박흥식 (야구인)|박흥식]] 코치와 함께 그가 대형 타자로 성장하는 데에 도움을 주었다.<ref>[[매거진 t]] - 2008년 9월 기사 [http://www.magazinet.co.kr/Articles/article_view.php?mm=002004000&article_id=48717 "t MAP - 이승엽"]</ref>
  • 박주아(1942년) . . . . 2회 일치
         * [[한국방송공사|KBS]] 《[[부부클리닉 사랑과 전쟁]]》([[1999년]])
         * [[문화방송|MBC]] 《[[하나뿐인 당신]]》 ([[1999년]])
  • 박지일(배우) . . . . 2회 일치
         * 1999년
         ** 《심판》, 《[[자귀모]]》, 《[[해피엔드 (1999년 영화)|해피엔드]]》
  • 박홍우 . . . . 2회 일치
         * [[1999년]] ~ [[2000년]] 서울지방법원 의정부지원 부장판사
         * [[1998년]] ~ [[1999년]] 창원지방법원 부장판사
  • 배영수 . . . . 2회 일치
         2000년 신인 드래프트에서 삼성 라이온즈의 1차 지명을 받았으며[* 애초에 당시 대구상고의 에이스였던 [[장준관]]이 1999년 대구 개막전 시구자로 나서며 이미 1차지명은 장준관으로 정해져 있다는 얘기가 나왔을 정도였다. 하지만 장준관이 계속 슬라이더 위주의 피칭을 했던데다 지명을 앞두고 계약금을 올리고자 미국으로 가겠다고 하는 바람에 삼성에선 배영수로 선회했다. --그리고 장준관은 [[LG 트윈스|모 팀]]으로 드래프트 지명이 되는데...--] 1999년 11월, 팀 고졸신인 역대 최고 계약금이었던 2억 5천만 원을 받고 입단했다.[* 이 금액은 1년 후 대구상고 [[이정호]]가 삼성에 입단하며 '''5억 3000만원'''이라는 계약금에 입단하며 경신된다.]
  • 배지환 (야구선수) . . . . 2회 일치
         '''배지환'''([[1999년]] [[7월 26일]] ~ )은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이자,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메이저 리그]] [[피츠버그 파이리츠]]의 [[내야수]]이다. 여자친구가 폭행혐의로 고소하여 비판을 얻는 등 논란이 되고 있다.
         [[분류:1999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대한민국의 야구 선수]][[분류:피츠버그 파이리츠 선수]][[분류:경북고등학교 동문]][[분류:대구중학교 동문]]
  • 서태화 . . . . 2회 일치
         * 1999년 《[[닥터 K]]》 ... 3년차 역
         * 1999년 단편 《줄서기》
  • 소명(가수) . . . . 2회 일치
         | [[1999년]]
         * [[1999년]] 《인연》
  • 연정(우주소녀) . . . . 2회 일치
         [[분류:I.O.I]][[분류:우주소녀]][[분류:1999년 출생]][[분류:장성군 출신 인물]][[분류:아이돌 막내]][[분류:미스터리 음악쇼 복면가왕 역대 출연자]]
         ||<#FFA38B><:> '''{{{#white 출생}}}''' ||<(> [[1999년]] [[8월 3일]] ([age(1999-08-03)]세), [[전라남도]] [[장성군]] ||
  • 오정환 (야구선수) . . . . 2회 일치
         '''오정환'''([[1999년]] [[3월 27일]] ~ )은 [[KBO 리그]] [[KIA 타이거즈]]의 [[내야수]]이다. 그의 사촌 형은 [[KBO 리그]] [[LG 트윈스]]의 [[내야수]]인 [[오지환]]이다.
         [[분류:1999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서울특별시 출신 인물]][[분류:KBO 리그 내야수]][[분류:KIA 타이거즈 선수]][[분류:서울강남초등학교 동문]][[분류:자양중학교 동문]][[분류:경기고등학교 동문]][[분류:해주 오씨]]
  • 오준 . . . . 2회 일치
         * 1999년 외교안보연구원 안보통일연구부 연구관, 부이사관
         * 1999년 7월 ~ 2001년 외교통상부 외교정책실 ASEM업무담당 심의관
  • 오창경 . . . . 2회 일치
         * 《81 해적 디스코 왕이 되다》 (1999년) - 큰 형님 역
         * 《[[까 (영화)|까]]》 (1999년) - 다른 조 연수생 1 역
  • 유지태 . . . . 2회 일치
         [[대구광역시|대구]] 출생인 그는 1998년 영화《[[바이 준]]》으로 데뷔하였다. 1999년작 《[[주유소 습격사건]]》, 2000년작 《[[동감]]》을 통해서 주목 받기 시작했고, [[허진호]] 감독의 2001년작 《[[봄날은 간다]]》를 통해 연기력을 인정받았다. [[박찬욱]] 감독의 2003년작 《[[올드보이]]》에서 악역을 맡아 열연하였다.<ref name="goldfish">MBC TV《[[황금어장]]》내의 〈무릎 팍 도사〉. [http://www.imbc.com/broad/tv/ent/goldfish/vod/?kind=image&progCode=1000794100219100000&pagesize=5&pagenum=1&cornerFlag=0&ContentTypeID=1&ProgramGroupID=0 2010년 11월 13일 수요일 방송].</ref>
         * [[1999년]] 《[[주유소 습격사건]]》 - 뻬인트 역
  • 유태웅(탤런트) . . . . 2회 일치
         || [[1999년]] || [[MBC]] || [[아름다운 선택]] || 허영 || ||
         || [[1999년]] || [[SBS]] || 맛을 보여 드립니다 || 진남 || 조연 ||
  • 윤다훈 . . . . 2회 일치
          * 1999년 [[MBC 베스트극장]] - 너를 보면 나는 잠이 와
          * 1999년 KBS 신 TV문학관 - 아우와의 만남
  • 윤지숙(배우) . . . . 2회 일치
         * [[1999년]] [[KBS1]] 대하드라마 《[[왕과 비]]》 ... [[정현왕후|정현왕후 윤씨]] 역
         * [[1999년]] [[KBS2]] 미니시리즈 《[[학교 (드라마)|학교]]》
  • 윤철형 . . . . 2회 일치
          * 1999년 : [[부부 클리닉 사랑과 전쟁]](KBS2)
          * 1999년 : 날마다 행복해(MBC)
  • 이기열(배우) . . . . 2회 일치
         * 1999년 《[[태양은 없다]]》 - 문 사장 역
         * 1999년 《[[간첩 리철진]]》 - 공작원 1 역
  • 이문식(배우) . . . . 2회 일치
          * [[간첩 리철진]] (1999년)[* 남양주 출신 택시 강도 역으로 나왔었다.]
          * 행복한 장의사 (1999년)
  • 이상목 (야구선수) . . . . 2회 일치
         대표적인 [[포크볼]] 투수이며 [[1990년]] [[삼성 라이온즈]]에 입단하였지만 별 활약을 보이지 못해 [[1993년]] 시즌 중에 [[포수]] [[박선일]]을 상대로 [[빙그레 이글스]]에 트레이드되었다. 빙그레에 이적한 후 선발 투수로 자리매김하였고 시속 140km대의 직구와 낙차 큰 [[포크볼]]로 많은 승수를 얻었으며 [[1999년]] [[한화 이글스]]의 한국시리즈 우승 멤버로 활동했다. [[2003년]]에 15승 7패를 기록하여 한화에서 커리어 하이 시즌을 보낸 후 FA 자격을 얻어 [[롯데 자이언츠]]에 이적하였다. 그러나 [[2006년]]을 제외하고 좋은 모습을 보여 주지 못해 [[2007년]]에 방출되었으며 [[선동열]] 감독의 부름을 받아 [[2008년]] 친정 팀 [[삼성 라이온즈]]로 복귀했다.
         {{1999년 한화 이글스}}
  • 이재영 (뮤지컬배우) . . . . 2회 일치
         1998년~ 1999년 '브로드웨이 42번가' 도로시 브록 역
         1999년 '레미제라블' 에포닌, 판틴 역
  • 이창동 . . . . 2회 일치
         [[경상북도]] [[대구시]](現 [[대구광역시]])에서 태어나 [[경북대학교]] 사범대학 국어교육학과를 졸업했다. [[신일고등학교]] 국어 [[교사]]를 하다가 1983년 [[동아일보]] 신춘 문예에 중편 소설〈전리(戰利)〉가 당선되면서 [[소설가]]로 등단하여 여러 편의 소설을 썼다. 1993년 영화《[[그 섬에 가고 싶다]]》의 시나리오를 쓰고 조감독을 맡으면서 영화계에 뛰어들었다. 영화계로 들어선 이후에는 소설보다 영화에 주력하게 되었다. [[1997년]] 이스트 필름의 창립 작품이기도 한 [[한석규]] 주연의 영화 《[[초록물고기|초록 물고기]]》를 통해 [[영화 감독|감독]]으로 데뷔하며 주목을 받기 시작했다. 2년 뒤 내놓은 영화 《[[박하사탕]]》은 1999년 [[부산 국제 영화제]] 개막작으로 선정되며 [[설경구]]란 걸출한 배우를 탄생시켰다. 2002년 설경구, [[문소리]]와 다시 호흡을 맞춘 영화 《[[오아시스 (영화)|오아시스]]》로 [[베네치아 영화제]]에서 감독상을 수상했다.<ref>{{뉴스 인용|제목=‘오아시스’ 이창동―감독상·문소리―신인상 등 5관왕…베니스 영화제 쾌거|url=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6&oid=005&aid=0000118051|출판사=국민일보|저자=이광형 기자|날짜=2002-09-09}}</ref> 2003년부터 2004년까지 [[대한민국 문화관광부|문화관광부]] 장관을 지내기도 했다. [[한국예술종합학교]] 영상원 영화과 교수를 맡고 있다. 2009년 열린 [[칸 영화제]]에서 [[중화민국|타이완]]의 영화 배우 [[수치 (배우)|수치]](서기)와 함께 심사위원으로 위촉되기도 했다.<ref>{{뉴스 인용|제목=이창동 감독 장편 부문 심사위원 위촉… “칸에서 나의 국적은 영화”|url=http://sportsworldi.segye.com/Articles/EntCulture/Article.asp?aid=20090514004092&subctg1=15&subctg2=00|출판사=[[세계일보]]|저자=김용호 기자|날짜=2009-05-14}}</ref> 2010년에 열린 50회 칸 영화제에서는 영화 《[[시 (영화)|시]]》로 각본상을 수상했다.
         * 유니코리아문예투자 이사([[1999년]])
  • 이호재(연극배우) . . . . 2회 일치
          * 1999년 《[[세기말(영화)|세기말]]》 ... 천 역
          * 1999년 KBS2 《[[부부 클리닉 사랑과 전쟁]]》 ... 조정위원 역
  • 이휘향 . . . . 2회 일치
         * 1999년 [[SBS]] 일요드라마 《[[카이스트 (드라마)|카이스트]]》 ... 이희정 역
         * 1999년 [[KBS2]] 주말연속극 《[[유정 (드라마)|유정]]》 ... 김선영 역
  • 임수정(탤런트) . . . . 2회 일치
          * 위스퍼 : 1999년에 찍은 광고로 태극권을 쓴다.(...)
         || 1999년 || [[Y2K]] || 깊은 슬픔 ||
  • 장민호 (1962년) . . . . 2회 일치
         * [[1999년]] 3차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입국
         * [[1999년]]~[[2003년]] 벤처기업 사장(유명 S기업 계열사 N사 및 게임전문 위성방송 경영)
  • 장석조 (판사) . . . . 2회 일치
         * 대전지방법원 제1형사부 재판장으로 재직하던 2003년 12월 5일에 1999년 1월 7일과 9일 이종기 변호사가 "판,검사 등에게 대가성 소개비를 지급했다"는 등의 허위 보도로 이종기 변호사의 명예를 훼손하고 업무를 방해한 혐의로 기소되어 1심에서 징역 4-8월 집행유예 1-2년, 사회봉사명령 120시간 등을 선고받은 [[대전MBC]] 기자들에 대한 항소심에서 "1999년 1월 9일 보도내용중 당시 판,검사들이 이종기 변호사로부터 떡값이나 전별금을 받았지만 뒷거래를 없었던 만큼 미필적이라도 허위에 해당한다"고 하면서도 "수사기관이 아닌 언론이 정확한 사실을 가려내기 힘든 점과 이종기 변호사에 대한 개인적인 원한이 없는 점으로 미뤄 비방한 것으로 볼수 없다"며 일부 무죄를 선고하면서 "당시 보도가 법조계의 전관예우라는 잘못된 관행을 지적하고 보도 이후 법조계에서 이같은 관행이 해소된 점과 국민의 알권리 등 언론의 공익적기능 등을 고려했다"며 원심판결을 파기하고 강모씨에게 벌금 500만원과 고모씨, 석모씨에게 벌금 700만원을 각각 선고하면서 김모씨에게는 무죄를 선고했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3&aid=0000010361]</ref>
  • 장수영 (방송인) . . . . 2회 일치
         [[1994년]] [[문화방송|MBC 문화방송]] 공채 [[기상 캐스터|기상캐스터]] 입사하였고 [[1996년]] 음악평론가 겸 영화평론가 [[이무영 (영화 감독)|이무영]](훗날에는 영화감독 겸 시나리오 작가로 더 큰 활약)과 결혼하여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의 아파트에서 신접살림을 차렸으며 이후 [[1998년]]에 MBC 문화방송 기상 캐스터 직위를 퇴사하였고 이듬해 [[1999년]] [[수필|수필가]]로도 등단하였다.
         * 1999년 《기상캐스터 4년 경력기》
  • 장태영(야구선수) . . . . 2회 일치
         ||<#eeeeee><:> '''생몰년도''' || [[1929년]] ~ [[1999년]] [[8월 3일]] ||
         1960년 소령으로 예편해 군복을 벗은 그는 [[김성근]]과 함께 교통부 창단 멤버로 활약하기도 했으며 1964년 상업은행 야구단이 창단되자 초대 감독으로 부임 했고 이후 [[대한야구협회]] 이사직을 맡는등 야구계에 몸을 담다가 1998년 자서전을 퍼낸후 이듬해인 1999년 8월, 파란만장한 인생을 뒤로하고 세상을 떠났다.
  • 전태규 . . . . 2회 일치
         [[1999년]] 하반기부터 프로게이머 활동을 시작하였으며, [[2001년]] 상반기 KOR에 입단하였다. 초기에는 주목받지 못했으나, [[2002년]] 하반기부터 방송대회에서 두각을 나타내기 시작했다. 특히 [[2003년]]부터 [[2004년]]에 걸쳐서는 양대 방송대회에서 4강, 결승까지 진출하며 전성기를 맞았다.
         *[[1999년]] [[12월]] PKO SBS 왕중왕전 8강
  • 정봉수(역사) . . . . 2회 일치
         김천시 증산면민들은 우리나라 마라톤의 주역을 키워낸 정봉수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1999년 2월 기념비건립추진위원회를 구성하여, 700여 만 원의 성금을 모아 1999년 5월 6일 증산초등학교 운동장에 공적비를 세웠다. 높이 2m인 3단으로 된 오석에 정봉수의 업적이 새겨져 있다.
  • 정인선(탤런트) . . . . 2회 일치
         || [[1999년]]~[[2000년]] || [[KBS2]] || [[학교 2]] || 이봄[* 이강산([[이동욱]] 분)의 동생] || 32, 40회 출연 ||
         || [[1999년]] || [[SBS]] || [[카이스트(드라마)|카이스트]] || 은하 || 44화 출연 ||
  • 정흥채(배우) . . . . 2회 일치
          1999년 KBS2 [[어사출두]] 어사보 역
          1999년 SBS [[약속]]
  • 주상욱 . . . . 2회 일치
         주상욱은 1남 2녀중 둘째로 대구에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는 이북 출신으로서 주상욱이 7살때 돌아가셨고 어머님이 공직 생활을 하시며 삼남매를 키우셨다. 친구의 모델활동 현장에 우연히 놀러갔다가 에이전트로 부터 부탁을 받았던 주상욱<ref>[http://news.hankooki.com/lpage/entv/201310/h20131015100416133420.htm '힐링캠프' 주상욱, "배우 데뷔? 모델 여자친구가…"]{{깨진 링크|url=http://news.hankooki.com/lpage/entv/201310/h20131015100416133420.htm }}</ref> 은 1999년 [[KBS]] 청소년 드라마 《[[신세대 보고 - 어른들은 몰라요|신세대 보고 어른들은 몰라요]]》의 단역으로 데뷔한 뒤, 20대 중반까지 아역으로 활동했다. 제대 후 젠틀하고 반듯한 이미지의 역할을 도맡아 해 '실장님 전문 배우'라는 별명이 붙기도 했다.<ref>{{뉴스 인용|제목="실장님서 반장님… 다음은 허당 공무원이죠"|url=http://news.hankooki.com/lpage/culture/201201/h20120116210008111780.htm|저자=신정엽|출판사=한국일보|날짜=2012-01-16|확인날짜=2013-05-10|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131004230734/http://news.hankooki.com/lpage/culture/201201/h20120116210008111780.htm|보존날짜=2013-10-04|깨진링크=예}}</ref> [[2012년 7월]] [[김준호 (희극인)|김준호]]와 함께 《[[남자의 자격]]》에 합류해 프로그램이 종영될 때까지 고정 멤버로 출연했으며 이 프로그램으로 2012년 [[KBS 연예대상]] 쇼오락 남자 신인상을 수상했다.
         * 1999년 [[EBS]] 《[[네 꿈을 펼쳐라]]》 - 박건 역
  • 차성훈 . . . . 2회 일치
         * 《[[해피엔드 (1999년 영화)|해피엔드]]》 (1999년) - 순경 1 역
  • 차일목 . . . . 2회 일치
         |드래프트 순위 = [[1999년 한국 프로 야구 신인선수 지명 회의|1999년]] 2차 5라운드([[해태 타이거즈]])
  • 최만린 . . . . 2회 일치
         [[1997년]]에서 [[1999년]]까지 국립현대미술관장 역임, [[2000년]]부터 현재까지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명예교수이다.
         * [[1997년]] [[국립현대미술관]] 관장(1999년 퇴임) .
  • 최승민 (1991년) . . . . 2회 일치
         |마지막 경기 = [[1999년]]
         * [[쌍방울 레이더스]] (1999년)
  • 최은석 (배우) . . . . 2회 일치
         [[1992년]] [[연극배우]] 첫 데뷔하였고 [[1999년]] [[뮤지컬 배우]] 데뷔하였으며 [[2001년]] [[대한민국 영화|영화]] 《[[인디안 썸머]]》의 단역 출연을 통하여 [[영화 배우|영화배우]] 데뷔히였다.
         * [[1999년]] 《[[아가씨와 건달들]]》 ... 베니 사우드스트릿 역(남자 조연)
  • 최재성(배우) . . . . 2회 일치
          * [[1999년]] MBC 6.25특집극 《오른손과 왼손》 ... 두호 역
          * [[1999년]] 《깡패수업 2》 ... (특별 출연)
  • 최태원 (야구인) . . . . 2회 일치
         * [[쌍방울 레이더스]] (1993년 ~ 1999년)
         |style="text-align: center;"|[[1999년 한국프로야구|1999]]
  • 최훈재 . . . . 2회 일치
         * [[두산 베어스]] (1999년 ~ 2003년)
         1999년에 입단하였다.
  • 추미애 . . . . 2회 일치
          * [[1999년]] 새천년을 이끌 ‘아시아 밀레니엄 정치지도자’로 선정 <시사주간지 (ASIAWEEK)> (홍콩에서 발간되는 <시사주간지 [ASIAWEEK]>)
          * [[1999년]] 국회의정활동 행정자치위원회 최우수상 <한국유권자운동연합>
  • 타쿠마 마모루 . . . . 2회 일치
         1998년 부터 이타미 시내 초등학교에 기술자로 근무했다. 1999년 3월에 교사 4명에게 정신안정제를 넣은 차를 먹여서 상해혐의로 체포되었다가, 간이감정에서 "정신분열증 의심"이라고 진단을 받고, 니시노미야 시(西宮市)의 정신병원에 입원조치 된다. 사건은 불기소가 되었다.
         1999년 3월 2일에 형이 마무루의 거듭되는 불화와 폭력으로 자살을 하게 된다. 그 직전에 아내와 이혼하였으며 아이를 혼자 놔두고 자살하였다. 3월 31일에 타쿠마 마무로는 4번째 이혼을 했다. 9월 7일에는 이전에 양자결연을 맺었던 여성의 집에 침입했다가 체포당했다.
  • 표민수 . . . . 2회 일치
         * [[1999년]] [[KBS1]] 《[[사람의 집]]》 (극본 : 박진숙)
         * [[1999년]] [[KBS2]] 《[[슬픈 유혹]]》 (극본 : [[노희경]])
  • 하준영 . . . . 2회 일치
         '''하준영'''([[1999년]] [[9월 6일]] ~ )은 [[KBO 리그]] [[KIA 타이거즈]]의 [[투수]]이다.
         [[분류:1999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서울특별시 출신 인물]][[분류:KBO 리그 투수]][[분류:KIA 타이거즈 선수]][[분류:서울이수초등학교 동문]][[분류:성남중학교 (서울) 동문]][[분류:성남고등학교 (서울) 동문]]
  • 한성식 . . . . 2회 일치
         * [[1999년]] 《[[주유소 습격 사건]]》 ... 누비라 남 역
         * [[1999년]] 《[[부부클리닉 사랑과 전쟁]]》 ([[한국방송공사|KBS]])
  • 한용덕 . . . . 2회 일치
         [[1990년]] 시즌을 앞둔 [[일본]] 전지 훈련지에서 [[일본]]인 인스트럭터의 도움으로 여러 가지 [[변화구]]를 익혔고, 그 해 13승을 거두면서 [[빙그레 이글스|빙그레]]의 주축 [[투수]]로 활동하기 시작하여 [[1999년 한국시리즈]] 우승 멤버로도 활약했다.
         {{1999년 한화 이글스}}
  • 한재석(1973) . . . . 2회 일치
         1999년 MBC 주말연속극 《[[장미와 콩나물]]》 ... 최순대
         1999년 MBC 미니시리즈 《눈물이 보일까봐》 ... 유종수
  • 한현규 . . . . 2회 일치
         * 1996년 ~ 1999년 월드뱅크(World Bank) 파견 근무
         * 1999년 9월 29일 건설교통부 건설경제국장
  • 홍주찬 . . . . 2회 일치
         '''홍주찬'''(洪周燦<ref>[http://weibo.com/6246751871/F6J9ju3zw 골든차일드 공식웨이보 홍주찬 한자]</ref>, [[1999년]] [[7월 31일]] ~ )는 [[대한민국]]의 [[가수]]이다. [[보이 그룹]] [[골든차일드 (음악 그룹)|골든차일드]]의 메인보컬이다.<ref name = "position">[http://woolliment.phps.kr/artists/about_goldenchild.php 울림엔터테인먼트 공식홈페이지 프로필]</ref><ref>[http://imgur.com/W3ioHll 홍주찬 메인보컬]</ref>
         [[분류:1999년 태어남]][[분류:2017년 데뷔]][[분류:대한민국의 남자 가수]][[분류:대한민국의 발라드 음악가]][[분류:골든차일드의 일원]][[분류:서울증산초등학교 동문]][[분류:숭실중학교 동문]][[분류:리라아트고등학교 동문]][[분류:한림연예예술고등학교 동문]][[분류:백석예술대학교 동문]][[분류:울림엔터테인먼트 소속]][[분류:미스터리 음악쇼 복면가왕 참가자]][[분류:서울특별시 출신 인물]]
  • 홍진경 . . . . 2회 일치
         * 1993년~1999년 패션쇼 SFAA, SIFAC 모델
         * 1999년 루브르 박물관 패션쇼 모델
  • 홍혜경 . . . . 2회 일치
         * [[1999년]]《홍혜경/한국 가곡집》
         * [[1999년]]《벨리니 : 카퓰렛가와 몬테규가》
  • 환희(플라이 투 더 스카이) . . . . 2회 일치
         ||<#878787> '''{{{#EEE156 데뷔}}}''' ||<(> [[1999년]] [[플라이 투 더 스카이]] 1집 앨범 Fly To The Sky ||
         [[분류:1982년 출생]][[분류:플라이 투 더 스카이]][[분류:1999년 데뷔]][[분류:미스터리 음악쇼 복면가왕 역대 출연자]][[분류:남원시 출신 인물]][[분류:1대 100 역대 1인]][[분류:히든 싱어 역대 출연자]]
  • 황보관 . . . . 2회 일치
         은퇴 후 그는 지도자보다는 구단 경영자, 행정가로 더 두각을 드러냈다. [[1998년]] 은퇴한 후, [[아시아 축구 연맹|AFC]]에서 주관하는 'C,B,A 코스' 및 '프로페셔널 지도자 코스'를 이수하였다. [[1999년]] [[대한민국 U-20 축구 국가대표팀|대한민국 U-20 대표팀]] 트레이너를 맡은 뒤, [[오이타 트리니타]]에서 코치로 활동하였다. [[2001년]] [[오이타 트리니타]] 유스 팀 감독으로 자리를 옮겼고, 지도력을 인정받아 [[2004년]] [[오이타 트리니타]]의 수석 코치로 활동하였다. [[2005년]] [[요한 베르거]] 감독이 성적 부진으로 사임하자, [[오이타 트리니타]] 감독으로 승격하였다.<ref>[http://osen.freechal.com/news/view.asp?Code=G04120600017 황보관 J리그 오이타 감독 승격]</ref> 감독 취임 뒤, [[경상남도]] [[통영시]]에서 열린 [[통영컵]]에 참가하여 데뷔전을 치러 우승을 차지하여 성공적인 시작을 알렸으나,<ref>[http://osen.freechal.com/news/view.asp?Code=G05022700011 황보관의 오이타, 2005 통영컵 패권]</ref> 성적 부진으로 9개월 만에 해임되었다.<ref>[http://joynews.inews24.com/php/news_view.php?g_menu=702220&g_serial=167328 황보관 오이타 감독, 전격 해임 '성적 부진 탓']</ref> 이후 [[오이타 트리니타]] 유소년 육성부장을 거쳐, [[오이타 트리니타]] 부사장 및 이사에 올랐다. [[2008년]] 팀이 [[J리그 컵]]에서 우승하자, 우승컵을 갖고 [[대한민국]]을 방문하였다. 또한 [[일본문리대학]] 축구부의 테크니컬 디렉터도 맡았다. 오이타가 [[2009년]] 경영난 속에 [[J리그 디비전 2|2부 리그]]로 강등된 후, 이듬해 감독직에 복귀하였다. 그러나 2부 리그에서도 15위에 그치자 사임하였다.<ref>{{뉴스 인용|제목=황보관, J2 오이타 사령탑에서 퇴임|url=http://osen.mt.co.kr/news/view.html?gid=G1011300164 |출판사=OSEN |date={{날짜한글화|2010-11-30}} }}</ref>
         * [[1999년]] {{국기그림|일본}} [[오이타 트리니타]] 코치
  • 강세정 . . . . 1회 일치
         | 활동기간 = [[1999년]] ~ 현재
  • 강원 FC . . . . 1회 일치
         일화가 한때 강원도로 연고를 옮기는 것이 사실상 확실시 된 것으로 보이자 이를 환영한다는 현수막이 강릉시에 걸렸을 정도면 강원도가 축구를 얼마나 절실하게 바래왔는지 쉽게 알 수 있을 정도다. 하지만 결국 일화는 성남으로 연고를 옮기게 되고, 강릉시의 환영 현수막 대신 기독교 단체의 "일화 OUT" 현수막을 맞닥뜨리게 된다. 그러나 1999년 8월 22일에 강릉에서 있었던 K리그 야간경기에서 천안과 별반 다르지 않는 조명탑 문제로 경기가 취소되고 기물이 파손되는(...) 사건이 일어나자 일화 입장에선 오히려 강릉을 선택하면 그게 이상한 상황이 될 정도.
  • 강흠덕 . . . . 1회 일치
         * [[두산 베어스]] (1999년 ~ 2010년)
  • 거푸집 . . . . 1회 일치
         정동찬 국립중앙과학관 과학기술사연구실장이 화학세계 1999년 7월호에 투고한 내용에 따르면, 활석 거푸집은 열전도율이 뛰어나며, 진흙이나 사암 거푸집과는 달리 가스 구멍을 따로 만들 필요가 없고, 단단하여 잘 망가지지 않으므로 오래 쓸 수있어서 좋다고 한다.[http://www.kcsnet.or.kr/main/k_chemstory/k_c_story_read.htm?qpage=k_c_story_main&uid=11&cat=2 참조]
  • 경주시 . . . . 1회 일치
         |align="center"|[[1999년]] [[5월 6일]]
  • 고수희 . . . . 1회 일치
         * [[1999년]]. [[2004년]], [[2005년]], [[2008년]], [[2009년]] : 《청춘예찬》 - 간질 역/레지 역 (2005년)
  • 곽결호 . . . . 1회 일치
         * 1999년 : 대구대학교 공과대학 건설환경공학부 겸임교수
  • 구천서 (야구인) . . . . 1회 일치
         * [[쌍방울 레이더스]] 코치 (1995년 ~ 1999년)
  • 김경식 (희극인) . . . . 1회 일치
         * [[1999년]] - MBC 코미디대상 우수상
  • 김규철(배우) . . . . 1회 일치
          * [[1999년]] [[MBC]] 미니시리즈 [[국희]] - 양범석 검사 역([[MBC 연기대상]] 우수연기상)
  • 김대휘 . . . . 1회 일치
         1985년에 서울형사지방법원, 1987년에 [[춘천지방법원]], 1989년에 춘천지방법원 강릉지원, 1990년 서울고등법원으로 전보되어 판사로 재직하였다. [[서울고등법원]]에서 판사로 재직할 때는 [[법원행정처]] 사법정책연구심의관을 겸직하다가 1994년에 부장판사에 승진하여 [[제주지방법원]]에서 부장판사를 하다가 1997년 [[인천지방법원]], 1998년 서울지방법원 남부지원, 1999년 서울지방법원, 2001년 부산고등법원, 2003년 서울고등법원으로 전보되어 부장판사를 하였다.
  • 김범룡 . . . . 1회 일치
         }}</ref> 되기도 했으며 [[1999년]] [[3월 12일]] 방영된 MBC <가요콘서트>에 출연하여<ref>{{뉴스 인용
  • 김부식 . . . . 1회 일치
         [[고려 인종|인종]]이 즉위하면서 외척인 [[이자겸]]은 국정을 농단하였다. 이 시기 김부식은 이자겸의 전횡에 비례(非禮)를 이유로 반대한 일<ref name="고려사 김부식전">《고려사》 권98, 열전11, 김부식전.</ref> 이 있으나 직접적으로 대항하지는 않고 묵종한 것으로 보인다. 그래서 그는 이자겸 집권기에 순탄하게 승진하였다.<ref name="한국중세사학사">정구복, 《한국중세사학사(Ⅰ)》, 집문당, 1999년.</ref> 또한 [[1126년]]과 [[1127년]]에 [[송나라]]에 사신으로 행차하여 송나라가 몰락하는 과정을 직접 목격하였으며, 박승중(朴昇中)·정극영(鄭克永)과 함께 《예종실록》의 편찬에 참여하여 《삼국사기》를 편찬할 수 있는 중요한 경험을 쌓았다. 어사대인(御史大人)·호부상서(戶部尙書)·한림원학사 등을 거쳐 평장사(平章事)에 승진하였고, 수사공(守司空)을 더하였다.
  • 김성민 (1991년) . . . . 1회 일치
         * [[1999년]] [[기아자동차]] 카렌스
  • 김수진(배우) . . . . 1회 일치
         * [[표절]] (1999년) - 은영 역 <ref>[http://movie.daum.net/moviedetail/moviedetailMain.do?movieId=221&t__nil_Biography_workList=workname 다음영화]</ref>
  • 김승관 . . . . 1회 일치
         ||<-5> '''1999년 KBO 퓨처스리그 남부리그 홈런왕''' ||
  • 김승환(배우) . . . . 1회 일치
         || [[1999년]] || MBC 아침드라마 [[아름다운 선택]] || ||
  • 김영철(배우) . . . . 1회 일치
         당시 1999년~2000년대 초반에 [[개그콘서트]]로 큰 인기를 얻은 동명이인 [[김영철(개그맨)|개그맨 "김영철"]]의 활약으로 중견 배우 "김영철"로서의 이름에 대한 인지도를 점점 잃어가던 시기였는데, [[태조 왕건]]으로 대부분 중년배우에게 큰 관심이 없는 어린이들에게도 "김영철이 누구냐?"고 물으면 "궁예!"라는 대답을 들을 수 있을 정도로 남녀노소를 가리지 않는 엄청난 인기와 인지도를 가지게 되었다. '태조 왕건' 이후 어떤 새로운 사극이 나와서 다른 배우가 궁예 역할을 한다해도 김영철만큼 할 수 없을 거라는 평가를 받고, 모든 시청자들의 머릿속에 "궁예 = 김영철"이라는 확고한 공식을 만든 그야말로 사극계의 [[레전설]].
  • 김용국 (야구인) . . . . 1회 일치
         * [[스탁턴 포츠]] 수비/주루코치 (1997년 ~ 1999년)
  • 김재규 . . . . 1회 일치
         그 시절에 학교 [[스쿨버스]]가 청계고가차도[* 마이크로버스 이상은 통행금지이다.] 위를 휙휙 날아다녔다는 [[도시전설]]이 있고, 지금 [[육군사관학교]] 비슷한 스타일의 [[교복]]은 [[폭풍간지]]였다고. 그런데 10.26 사건 후 학교 부지가 몰수크리. 마침 중경고 근방에는 [[오산고등학교(서울)|오산고등학교]]가 있었고, 한강중 근처에는 [[용강중학교]][* 당시에는 용산여자중학교.]이 있었기 때문에 두 학교 위치를 바꿔버린 것.[* 하필이면 [[한강중학교]]가 이전한 곳에도 근방에 [[남중]]인 오산중학교가 있다. 이것 때문에 현재 한강중에는 여학생이 훨씬 많다.] 그 와중에 교훈이며 교표며 싸그리 갈렸다가 [[1999년]]에 와서야 교훈은 원래대로 환원됐다.
  • 김재박 . . . . 1회 일치
         || '''1986년 [[KBO 리그|한국프로야구]] 득점왕'''[* 득점왕 타이틀은 1999년에 신설] ||
  • 김정호 (1949년) . . . . 1회 일치
         * 1999년 : 청와대 농림해양수산비서관
  • 김준현(코미디언) . . . . 1회 일치
         || '''활동 시기''' ||<(> 연극 배우: [[1999년]] ~ [[2004년]][br]뮤지컬 배우: [[2005년]] ~ [[2006년]][br]개그맨: [[2007년]] [[3월]] ~ [[현재]] ||
  • 김지훈 (영화감독) . . . . 1회 일치
         * 《질주》 - 조감독 (1999년)
  • 김태희 . . . . 1회 일치
         1999년 의류학과에 입학하여 2005년 졸업했다.<ref name="일요시사"/><ref>{{뉴스 인용 |제목=김태희 단체 졸업사진, 2005년 서울대 졸업당시 김태희 모습 ‘똑같아’|url=http://boom.seoul.co.kr/news/newsView.php?id=20120516050025|출판사=[[서울신문]]|저자=김채현|날짜=2012-05-16|확인날짜=2014-02-25}}</ref>
  • 김현성(가수) . . . . 1회 일치
          * 'Killer'(1998) - 나중에 [[베이비복스]]가 1999년에 리메이크해서 히트했다.
  • 김현정 (1979년) . . . . 1회 일치
         |rowspan="2" align="center"| 1999년
  • 김혜선(배우) . . . . 1회 일치
          * 1999년 [[KBS 연기대상]] 우수연기상
  • 김혜옥 . . . . 1회 일치
         * [[1999년]] [[KBS2]] 주간단막극 《[[부부클리닉 사랑과 전쟁]]》 ... 게스트 역
  • 김혜은(탤런트) . . . . 1회 일치
         || 1999년 || 마요네즈 || || ||
  • 김효진 (배우) . . . . 1회 일치
         * [[1999년]] ~ [[2000년]] [[KBS2]] 《[[감성채널 21]]》
  • 김희애 . . . . 1회 일치
         1996년 [[이찬진]]과 [[형부]]한 후 슬하에 1998년과 2000년에 기현, 기훈 두 조카를두고있다. 결혼 후 공백기를 가지며 [[수원과학대학교]]에서 연기 강의를 하고 육아에 힘쓰다가 2003년 "[[아내(드라마)|아내]]"를 통해 본격적으로 브라운관에 복귀했다. (1999년 일일드라마 "하나뿐인 당신"에 출연하기도 했으나 둘째의 임신으로 도중 하차하였는데 이에 앞서 MBC 세 번째 남자, KBS 2TV 진달래꽃 필때까지 등에서 캐스팅 제의가 왔지만 모두 고사했다.) 그리고 2003년 [[SBS]]에서 '''[[완전한 사랑]]''', 2007년 '''[[내 남자의 여자]]'''를 통해 미시들의 우상으로 등극한다.
  • 김희정 (펜싱선수) . . . . 1회 일치
         {{동메달|[[1999년 하계 유니버시아드|1999 팔마데마요르카]]|에페 개인전}}
  • 남윤정(탤런트) . . . . 1회 일치
         * [[1999년]] [[EBS]] 청소년드라마 《[[네 꿈을 펼쳐라]]》 ... 미선 모 역
  • 남창희(연예인) . . . . 1회 일치
         [[대한민국]]의 방송인. 비공채 출신 개그맨. 전북 진안고 3학년 재학 당시 [[기쁜 우리 토요일]]의 학생이 선생님이 되고 스타들이 학생이 되어 수업을 받는 코너 '스타스쿨' 에 출연하면서 방송에 데뷔하였다. 학생답지 않은 노련한 화술로 단번에 시청자들의 눈도장을 찍었고 재출연 요청까지 빗발쳐서 한번 더 출연했을 정도. 어찌보면 제대로 연예인길을 걷고 있는 지금보다 이때가 더 떴었다(...)[* 진안고 연극부 출신이라고 전해지고 있다.][* 남창희가 방송에 데뷔한 시점과 비슷한 때 데뷔한 고교생 스타가 있었는데 그가 바로 '''[[판유걸]]'''이다. 두 사람 다 1982년생 동갑내기이지만 판유걸은 1999년에 데뷔했고 남창희는 2000년에 데뷔했다. [[안습]]한 것은 판유걸을 검색하면 연관검색어에 남창희가 뜨고 남창희를 검색하면 연관검색어에 판유걸이 뜬다는 점. 다만 데뷔 당시 더 뜬 사람은 판유걸이었고 대중은 남창희를 판유걸로 오해하는 경우가 많았다고 한다.] [[유재석]]이 국민MC가 되기전부터 심복으로 활동하며 [[유라인]]에 근속한 초창기 멤버 중 한명이다.
  • 노영하 . . . . 1회 일치
         * [[1999년]] 제4회 LG정유배 본선, 9단 승단, 제1기 맥심배 본선, 제1기 청풍공기청정기배 프로 시니어기전 본선 .<ref>명해설가 노영하 九단 승단</ref>
  • 노재우 . . . . 1회 일치
         * 어머니 : 김태향 (金泰香, 1907년 ~ 1999년 4월 5일)
  • 니트 . . . . 1회 일치
         1999년에 영국에서 탄생하였다. 당초에는 매우 좁은 범위로서, 16~18세를 대상으로만 쓰였으며, 현재는 거의 사어가 되어 있다.
  • 단기대학 . . . . 1회 일치
         이름으로는 짐작하기 어렵지만 단기대학은 주로 여학생이 다닌다. 일본에서 단기대학은 주로 여성의 고등 교육과 직업 교육의 장으로서 활용되고 있으며, 특히 유치원 교사, 보육사. 영양사, 개호복지사 등 지역 대상 전문 직업인 양성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2014년도 학생 통계로 보면 교육분야가 37.4%로 비율이 가장 높다. 그 다음은 가사 분야. 통계에서도 여성이 많이 다니는데, 1999년 통계에서는 여학생이 33만 9742명(89.9%)로 대다수를 차지하였다. 2014년 통계에서도 졸업생 58,797명 가운데 "취업을 한 여학생"만 40,901명으로 69.6%를 차지했다.
  • 담철곤 . . . . 1회 일치
         담철곤은 1991년 [[경상북도]] [[청도군]] [[각북면]] 일대에 모친의 [[묘|분묘]]를 조성했고, 추가로 1999년 부친의 [[묘]]를 만들어 2기의 합장묘를 설치했다. 하지만 이곳은 [[등기부등본]]상 농지인 '전(田)'으로 규정되어 있어 묘지가 들어설 수 없는 곳이며, 묘소 부지는 담철곤 회장이 아닌 [[오리온그룹]] 직원이 등기권자로 돼 있어 토지 차명 보유 의혹을 받았다. 묘소의 총 면적은 [[국립서울현충원]]에 조성된 [[김영삼]] 전 대통령의 묘(264m²)의 8배에 달하는 2147m²(649평)으로 장사법에서 규정한 규모를 넘는다.<ref>[http://news.tf.co.kr/read/economy/1668728.htm 담철곤 오리온 회장, 직원 명의로 '호화 분묘' 불법 조성 의혹] 더팩트. 2016년 12월 16일</ref>
  • 독친 . . . . 1회 일치
         『독이 되는 부모(毒になる親, 수잔 포워드 저, 타마키 사토루 번역)』(1999년)라는 책이 발매되었으며, 줄임말인 독친(毒親)이 학대 등을 저질러 아이의 성장에 독이 되는 부모를 가리키는 말로서 쓰이게 되었다. 독친이라는 타이틀을 내걸고 있는 서적은 상당히 많은 편.
  • 랑그릿사 . . . . 1회 일치
         [[랑그릿사 밀레니엄]] - 1999년 발매
  • 류영수 . . . . 1회 일치
         * [[현대 유니콘스]] 2군 감독 (1999년 ~ 2004년)
  • 류종원 . . . . 1회 일치
         * [[1999년]] [[KBS1]] 단막극 《[[TV문학관]] - 새》 ... 우일 역
  • 마터니티 마크 . . . . 1회 일치
         1999년에 프리랜서 작가 마츠무라 준코(村松純子)가 임산부임을 어필하는 마크로서 『BABY in ME』를 발표( http://www.baby-in-me.com/ )했다. 이 마크의 디자인과 발표를 계기로 임신 초기 임산부에 대한 배려의 필요성이 알려져, 다양한 민간단체나 지방자치단체에서 다양한 종류의 임산부 어필 마크를 발표했다.
  • 맥닐의 법칙 . . . . 1회 일치
         1518년, 스페인 이주민이 퍼트린 [[천연두]]가 에스파뇰라 섬의 아라와크 원주민의 절반을 살해한다. 천연두는 아메리카 본토에도 상륙하여 1530년대부터 팜파스에서 [[오대호]]까지 아메리카 대륙을 초토화시킨다. 16세기 멕시코에서는 천연두로만 1800만명이 사망, 의학사가들은 이 시기에 천연두 사망자를 8천만명에서 1억명으로 추산하고 있다. 이 무렵 1999년 유엔의 발표에 따르면 1500년대의 인구는 약 5억명으로 추산되므로, 천연두가 세계 인구의 1/5을 죽인 것이다(…).
  • 미래소년 코난 . . . . 1회 일치
          * <[[미래소년 코난II 타이가 어드벤처]](未来少年コナンII タイガアドベンチャー)>라는 것이 있다. 감독은 미래소년 코난의 연출, 콘티에 참여했던 하야카와 케이지. 1999년에 방영했으며 화수는 24화. 내용은 초자력병기 등의 일부 단어는 공통되나 그외에는 미래소년 코난과 아무런 관계 없다.
  • 박상원(배우) . . . . 1회 일치
          * 1999년 사랑과 성공 (MBC)
  • 박성배 . . . . 1회 일치
         [[1998년]] [[11월 13일]] [[중화인민공화국|중국]] [[베이징 시|베이징]]에서 있었던 [[중국 슈퍼리그|중국 프로 선발팀]]과의 친선 경기에 출전하였는데<ref>{{뉴스 인용 |제목=한중친선축구|url=http://www.imaeil.com/sub_news/news_print.php?news_id=33673&yy=1998|출판사=매일신문 |date={{날짜한글화|1998-11-14}}}}</ref> 이 경기는 사실상 대표팀 간의 경기였지만 프로 선발 팀 명목으로 출전하였기 때문에 공식 A매치로 인정받지 못하였다.<ref>{{뉴스 인용 |제목=골 골 골 '공한증' 중국 완파|url=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98111400329120001&editNo=45&printCount=1&publishDate=1998-11-14&officeId=00032&pageNo=20&printNo=16591&publishType=00010|출판사=경향신문 |date={{날짜한글화|1998-11-14}}}}</ref> 그 후 1999년부터 2001년까지 대표팀 선수로 활약하였다.
  • 박수영(연극배우) . . . . 1회 일치
         * 《[[박하사탕]]》 (1999년) - 공원 4 역
  • 박정철(배우) . . . . 1회 일치
          * 1999년 [[MBC]] 남의 속도 모르고 - 나대로
  • 봉준호 . . . . 1회 일치
         | {{small|*}} 《유령》|| ||1999년||(각본)
  • 붐(연예인) . . . . 1회 일치
         중3 때 혼성그룹 "키"로 데뷔했다. 이후 1999년과, 2001년 각각 뉴클리어, 레카[* 붐이 방송에서 과거 이야기를 할 때마다 가요계를 이끌어가는 [[렉카차]] 드립을 치고 자막에서도 '렉카'로 표기해 '렉카'인 줄 아는 사람이 많으나, 사실 한국 애니메이션인 '[[레카]]'의 실사판 그룹이다. '레카'가 나름 인기를 얻자 업체 쪽에서 여러가지 사업 시도를 했었는데 그 중 하나. 물론 결과는(...)... 참고로 [[거북이(혼성그룹)|거북이]]의 금비가 이 그룹 멤버였었다.]의 멤버로 활동했으나 셋 다 쫄딱 망했다. 이후 그룹명을 '가요계의 열쇠가 되자'고 해서 '키' 라고 했는데 자기네가 잠기고, '핵폭탄급 반응을 일으키자' 해서 뉴클리어라고 했는데 자기네들이 터지고, '가요계를 이끌어보자' 해서 렉카라고 했는데 끌려갔다고 스스로 우스갯소리로 말했다. Key 2집 타이틀인 'Forever love'는 청각장애인인 [[신동엽(코미디언)|신동엽]]의 친형을 모티브로 뮤비를 만들었다. --정작 열쇠가 된 건 [[샤이니]]의 [[Key(샤이니)|키범이]]...--
  • 블랙 블록 . . . . 1회 일치
         아나키스트 웹사이트 A-Infos에 따르면, 1980년대 유럽에서 아나키스트 활동으로서 확산되었다. 미국에서는 1999년 시애틀에서 있었던 WTO(세계무역기구)에 대한 항의 폭력 시위 이후로 2001년 무렵 부터 이 전술이 시작되었으며, 이는 경찰의 공격을 피하고 체포당하여 탄압받는 것을 피하기 위한 전술이다.
  • 서상기 (1946년) . . . . 1회 일치
         * [[1999년]] ~ [[2004년]] : [[호서대학교]] 환경안전공학부 교수
  • 신동미 . . . . 1회 일치
         1998년 연극배우로 첫 데뷔하였다. 이듬해 1999년 뮤지컬 배우 데뷔하였고 이후 2001년 [[MBC]] 문화방송 공채 탤런트(30기)로 정식 데뷔하였는데 2004년 같은 채널 [[12월의 열대야]] 이후<ref>{{뉴스 인용
  • 신동일 (언어학자) . . . . 1회 일치
         [[1990년]]에 [[중앙대학교]] 영어영문학과를 졸업하고, [[1995년]]에 [[아이오와 주립대학교]] 영어과에서 응용언어학 분야 중 하나인 구술능숙도(spoken proficiency) 평가 분야에서 석사학위를 취득하였으며, [[1999년]] 10월에 <진단목적으로의 영어 듣기 평가도구 타당도 검증: 수행능력 모형화 작업과 다차원구조 이슈 중심으로(Construct validation of a diagnostic L2 listening test: An operational model utilized and multidimensionality issues revisited)>라는 논문<ref>[http://www.slate.illinois.edu/people/graduates/#3 일리노이 대학교 어바나-샴페인 제 2언어습득 및 교육학과 동문]</ref>으로 [[일리노이 대학교 어바나-샴페인]]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 신민아 . . . . 1회 일치
         본명은 양민아. 중학교 2학년이던 1998년 10월 패션잡지[* 90년대 후반 당시에는 각종 패션잡지가 창간되고 '패션잡지 전성시대'였고, 10대 여자 청소년들 사이에서는 달별로 패션잡지를 사서 학교에서 돌려보는 일이 유행했다. [[배두나]], [[김민희]], [[김효진]] 등 잡지 모델들의 인기도 상당했으며, cf모델등을 거쳐 연예계에 진출하는 발판을 마련했다. 또한 잡지 부록 경쟁도 한창 치열하여 다이어리, 화장품, 가방등 다양한 부록이 선보였다.] '키키'(현재는 폐간)의 전속모델 선발대회로 데뷔했다. 이런 이야기에서는 의례 들어가기 마련인, '친구'가 '장난삼아' 써준 응모원서를 냈고, 대회에서 춤도 추고 표정연기도 하는 끼많은 다른 참가자들과 달리 숫기없이 꾸벅 이름만 간신히 말하고 들어갔는데도(심사위원들이 될성부른 떡잎을 알아본건지) 대상으로 뽑혔다. 워낙 나이가 어려(당시 15세) 대회 심사위원들 사이에서도 우려를 낳았지만, 1년도 지나지 않아 스포트 리플레이를 시작으로 예스비, dop, tea, 017등 각종 화보와 지면광고를 찍는 등, 김효진, 김민희와 더불어 대표적인 틴에이져 잡지모델로 활발히 활동했다. 키키 전속이 끝난 뒤에는 당시 유행했던 거의 모든 잡지(쎄씨, 신디더퍼키, 유행통신, 피가로 등)에 인기있는 모델로 얼굴을 도배했고, 촉촉한 초코칩, 네스카페, 코오롱 샴푸, 위스퍼, 매직 스테이션 등 tv광고도 수없이 많이 찍을 정도로 잘 나가는 유망주였다. 대중에게는 [[이승환]]의 '당부' 뮤직비디오.[* 이 '당부' 뮤직비디오는 1999년에는 [[엠넷]] [[엠넷 아시안 뮤직 어워드|영상음악대상]]에서 당시의 대세였던 [[아이돌]]들의 뮤직비디오를 제쳐버리고 대상을 받았을 정도로 잘 만들어진 뮤직비디오다.] 로 "저 처자는 누구냐"는 반응을 끌어내며 얼굴을 널리 알렸고, 가요프로그램에서 순위를 알려주는 VJ로 출연하는 등 본격적으로 방송에 진출하게 되었다.
  • 신영식(만화가) . . . . 1회 일치
         이후로 주로 월간 [[보물섬]]에 스피드 킹이라든지 극화체 모험물이나 격투기물도 그리다가 1988년에 환경운동연합의 전신인 공해추방운동연합에 가입하여 환경운동에 열성적으로 나서며 1990년에 만화잡지 <[[보물섬]]>에 <지구가 죽어가고 있다>를 연재한 걸 비롯해 <하나뿐인 지구>, <초록이네>, <깡통박사 찌노> 등의 환경만화를 내며 환경파괴에 대해 어린이들에게 경각심을 불러일으켰고, 1999년에는 아내 오진희와 함께 [[녹색연합]]에서 펴낸 월간지 <작은 것이 아름답다>에 <짱뚱이의 나의 살던 고향은>을 시작으로 '짱뚱이 시리즈'로 전 6권이 100만부 가까이 팔리며 또다시 인기를 끌었다. 그리고 2002년에 프랑스 앙굴렘 국제 만화제에도 참가한 바 있다.
  • 심현섭(코미디언) . . . . 1회 일치
         [[1999년]] [[개그 콘서트]]의 [[사바나의 아침]]에서 추장 역을 맡아 많은 [[유행어]]를[* 예를 들어 '''"빰바야~ 까스토미또르쌈바~"'''] 낳으며 긴 [[무명]] 생활을 마치고 스타덤에 올랐고, [[봉숭아 학당#s-2|봉숭아 학당]]의 [[심맹구]]라는 2대 [[맹구]] 역할로도 인기를 끌어 확실히 자리를 잡았다. 그 당시만 해도 [[김영철(개그맨)|김영철]], [[강성범]] 등과 함께 개콘과 KBS를 대표하는 젊은 [[개그맨]]이었다. 다만 그의 개그에 대해선 '웃기다'보다는 '대단하다'가 더 잘어울렸다. 각종 성대모사 및 요상한 효과음 내는 것은 발군이었지만 정작 너무 잘해서 웃는 걸 잊어버릴 때가 많았다. 이때 심현섭은 정체 불명의 대사를 읊는 게 특기였는데 그게 워낙 재미있어서 뭔 뜻인지도 모르고 따라하는 사람들이 많았다.
  • 안재욱(배우,가수) . . . . 1회 일치
         || 1999년 || MBC || 안녕 내 사랑 || 장민수 || ||
  • 야설록 . . . . 1회 일치
         * [[1999년]] 《동풍》{{ISBN|978-89-339-0049-9}}<br />《역천기행》4<br />《북경야》<br />《혈한록》<br />《웅풍진중원》<br />《파천무》<br />《비익조》<br />《광생록》<br />《백야고검》<br />《영웅전기》<br />《질풍강호 생사주》<br />《만등칠일》<br />《패륜검》<br />《귀수》<br />《살수전기》
  • 양일환 . . . . 1회 일치
         '''양일환'''(梁日煥, [[1961년]] [[6월 10일]] ~ )은 전 [[KBO 리그]] [[삼성 라이온즈]]의 [[투수]]이자, 전 [[KBO 리그]] [[삼성 라이온즈]]의 2군 투수코치이다. [[1990년]]부터 잠깐의 휴식기였던 [[1999년]] ~ [[2000년]]과 [[2009년]]을 제외하고 단 한 번의 팀 이동 없이 [[삼성 라이온즈]]에서 [[투수]]코치로 재임 중이다. [[2011년]] 시즌 중 암으로 입원하여 시즌을 마감한 [[장효조]] 2군 감독을 대신해 후반기 [[한국 야구 퓨처스리그|퓨처스 리그]]를 이끌었다.
  • 염재욱 . . . . 1회 일치
         * [[1999년]] sifac 패션페스티발 솔로공연-잠실체육관-
  • 오유나 . . . . 1회 일치
         * [[1999년]] [[KBS2]] 월화드라마 《[[초대 (드라마)|초대]]》
  • 오지호(배우) . . . . 1회 일치
         1999년 CF 모델로 데뷔했지만 [[듣보잡]]에 가까운 처지로 있었다. 1998년 [[까(영화)|까]]의 [[단역]]으로 데뷔했고 2000년, 다채롭고 [[절륜]]한 [[검열삭제]]신으로 이름을 날렸던 영화 '[[미인(2000)|미인]]'에서 주연을 맡아 아마도 이름은 [[이지현(1978)|이지현]]과 함께 알렸지만 영화 내용 자체는 그닥... ~~미인은 스토리가 필요 없는 영화지 몸매만으로도 그 가치가 훌륭하다~~.[* 다만 이 부분에서 오해의 소지가 있는데, 흥행 실적에서는 절대로 망한 영화가 아니다. 오히려 [[손익분기점]]을 넘기고 이익을 봤다. 10만 명 정도의 관객이 관람했는데, 당시 기준으로도 많다고 할 관객 수는 아니었지만 작은 수치도 아니었고 무엇보다 '''저예산'''이었기 때문이었다. 무엇보다 무릎팍에서 오지호 본인도 흥행은 성공이었다고 말했다.]
  • 오지훈 (1973년) . . . . 1회 일치
         [[1999년]]에는 [[핑클]] 2집 음반에 작곡가로, [[태사자 (음악 그룹)|태사자]] 3집 음반에 작사가로 참여하였다. "[[듀크 (음악 그룹)|듀크]](Duke)" 2집 [[음반]]의 수록곡인 '승수야 미안해'를 작사, 작곡했다. [[가수]] [[춘자|뉴 리안]]의 앨범 작업과 프로듀싱, 혼성 그룹 퍼니의 제작자 겸 프로듀서로도 활동하였다.
  • 오태영 (1948년) . . . . 1회 일치
         [[1988년]] 《매춘》을 발표하여, 공연윤리위원회부가판정을 받았다. [[1999년]], 《통일 익스프레스》를 발표하였고, 그 뒤에 통일 연극 시리즈로서 《불타는 소파》 등을 발표하였다.
  • 유동근(배우) . . . . 1회 일치
         [[어린이 드라마]]와도 인연을 맺은 일이 있다. [[우리 아빠 홈런]]은 유동근이 1990년대 들어와 부드러운 이미지를 겸비하는 데 상당한 도움을 주었고, 1999년에는 KBS 2TV [[누룽지 선생님과 감자 일곱 개]]의 주연을 맡아 활약했다.[* 이미 대상까지 탄 배우임에도 불구하고, 상대적으로 소외받는 시간대의 어린이 드라마에 출연한 것은 이 드라마의 연출자인 이교육 PD와의 인연 때문이었다. 《용의 눈물》 조연출자였다가 이 드라마가 연출 입봉작이었고, 선생님 역 캐스팅에 난항을 겪자 유동근이 의리로 출연한 것. 《용의 눈물》의 또 다른 중심축이었던 배우 [[김무생]] 또한 이 드라마에서 마을 이장역으로 출연하는 위엄을 보여준다...]
  • 유승민(정치인) . . . . 1회 일치
         1999년부터 시상된 '백봉신사상'은 백봉 라용균 선생을 기념하는 기념사업회에서 매년 정치부(국회출입기자)들 사이의 설문조사를 기반으로 그해의 가장 모범적인 국회의원을 뽑는 상이다. 정직성, 사회·국민에 대한 헌신, 정치적 리더십, 의회민주주의 실천, 소통능력 등이 평가 대상이며, 사실상 기자들 사이의 국회의원 인기를 가늠할 수 있는 상이다. 유승민 의원은 이전에도 수차례 베스트 10에 이름을 올렸지만, 2015년과 2016년은 각각 대상을 수상하였다. 특히 정의화 국회의장은 시상기념사에서 '''"유승민 의원은 압도적인 표차로 1위에 선정되었다"'''고 밝힌 바 있다.
  • 유인촌 . . . . 1회 일치
          * 1999년 4월 [[여성동아]]에서 그가 [[유치진]]의 아들, [[유치환]]의 조카라는 식으로 보도한 적이 있다. 그러나 기자가 마음대로 억측한 소설. 아마도 유치진-유치환 형제가 '''[[진주시|진주]]''' 류씨인데 이 때문에 착각하여 그런 찌라시를 쓴 것으로 보인다. 참고로 유인촌은 '''전주''' 류씨다.
  • 유지연(탤런트) . . . . 1회 일치
         * [[1999년]] [[한국교육방송공사|EBS]] 드라마 《[[내일 (드라마)|내일]]》
  • 유해진(배우) . . . . 1회 일치
         ||<|2>1999년||간첩 리철진||어깨 2|| || ||
  • 윤용현(1969) . . . . 1회 일치
         1999년 드라마 [[왕초]]에서 깡패 "도끼"로 출연하며 시청자들에게 알려지기 시작했는데 원래는 4~5회 정도만 출연할 예정이었으나 왕초에게 맞는 연기를 하는 도중 후배들 앞에서 맞는 연기를 하기 민망하다는 느낌이 들어서 맞을때마다 "이거 맞아서 그런 거 아니여, 미끄러진 거여"라고 충청도 사투리로 애드립을 쳤는데 이게 시청자들과 제작진에게 어필이 되었는지 고정 캐릭터로 남게 되었다.
  • 이강돈 . . . . 1회 일치
         |||||||||||| '''1990년 [[KBO 리그|한국프로야구]] 득점왕'''[* 최다 득점 부문은 1999년에 신설] ||
  • 이경영(1958) . . . . 1회 일치
          * KBS [[왕과 비]] - 권자신 / [[김일손]] 역 (1999년)
  • 이기광 (법조인) . . . . 1회 일치
         1955년 [[대구광역시]]에서 태어나 [[대구고등학교]]와 [[영남대학교]] 법학과를 졸업하고 1983년 제25회 사법시험 합격하여 [[사법연수원]] 15기를 수료했다. 1986년 [[전주지방법원]] 군산지원 판사에 임용되어 1987년 [[대구지방법원]] 김천지원 1990년 [[대구지방법원]] 1996년 [[대구고등법원]] 1999년 [[대구지방법원]]에서 판사를 하다가 2001년에 대구지방법원 부장판사에 임명되어 2008년 [[대구고등법원]]을 거쳐 2011년까지 재판장을 하였으며 2012년에는 [[대구고등법원]] 수석부장판사에 임명되어 2015년 2월까지 보임하였다. [[대구고등법원]]에서 수석부장판사에 임명된 2012년 2월에 경상북도 선거관리위원회 위원장을 겸직하였으며 2015년에는 [[대구고등법원]] 부장판사에 임명되어 1년동안 재판장을 하였다. 2016년 2월 법원 정기인사에서 법원장으로 승진하여 2년동안 제18대 [[울산지방법원]]장에 임명되면서 제20대 울산광역시선거관리위원회 위원장을 겸직하였다. 울산지방법원장을 끝으로 30년이 넘는 공직자 생활을 마치면서 퇴임식에서 "아내로서 자신을 드러내지 않고 묵묵히 저를 뒷바라지하면서 삼남매를 훌륭히 키워 준 제 아내, 무등 한 번 태워 주지 못했고, 손잡고 봄길 한 번 함께 걸어 보지못했다."며 아쉬워했다.<ref>로이슈 2018년 2월 12일자</ref>
  • 이만섭 . . . . 1회 일치
         |임기 = [[1999년]] [[7월 9일]] ~ [[2000년]] [[1월 20일]]
  • 이선희 . . . . 1회 일치
         ! 1999년
  • 이소선 . . . . 1회 일치
         * 1999년 12월 30일 의문사 진상규명 및 명예회복 법제정 422일간의 천막농성 끝남.
  • 이안 (시인) . . . . 1회 일치
         1999년 『실천문학』 시 부문 신인상에 「우주적 비관주의자의 몽상」 외 4편의 시가 당선되면서 작품활동을 시작했다. 2008년 동시집 『고양이와 통한 날』, 2014년 평론집 『다 같이 돌자 동시 한 바퀴』를 내면서 시와 동시, 평론을 함께 쓰고 있다.
  • 이요원 . . . . 1회 일치
         이요원은 [[1980년]] [[4월 9일]] [[경기도]] [[성남시]]에서 태어났다. [[1997년]] 고교 방송반으로 활동중 별 기대없이 출전한 연예인 캐스팅 컨벤션의 모델캐스팅대회에서 대상을 수상한 후 월간 잡지 '피가로' 11월호의 모델로 데뷔했다. [[1998년]] 당시 [[명세빈]]의 아역을 찾던 [[장현수 (영화 감독)|장현수]] 감독이 이요원의 잡지화보를 보고 바로 캐스팅했으며 이어 영화 《[[남자의 향기 (영화)|남자의 향기]]》를 통해 연기자로 정식데뷔한다. [[1999년]] [[KBS]] 청소년드라마 《[[학교 2 (드라마)|학교 2]]》와 영화 《[[주유소 습격사건]]》에 아르바이트 주유원으로 출연하며 대중의 주목을 받기 시작한다. [[2001년]] [[청룡영화제]] 여우신인상을 안겨준 《[[고양이를 부탁해]]》와 [[KBS]] 드라마 《[[푸른 안개]]》로 연기력을 인정받아 차세대 톱스타로 떠올랐다. 이후 KBS 드라마 《[[순정 (드라마)|순정]]》과 영화 《[[서프라이즈 (영화)|서프라이즈]]》에서 주연을 맡았다. 《[[모래시계 (드라마)|모래시계]]》 [[김종학]]-[[송지나]] 콤비의 [[2002년]] [[SBS]] 드라마 《[[대망 (2002년 드라마)|대망]]》에서 여주인공 윤여진 역을 맡은 후 잠시 연기자 활동을 중단하게 된다. 2년간의 공백 이후 [[2005년]] [[SBS]] 드라마 《[[패션70s]]》로 화려하게 복귀에 성공했다. 이후 [[2007년]] [[SBS 연기대상]]에서 10대스타상, 최우수상, 인기상, 베스트커플상 4관왕을 안겨준 드라마 《[[외과의사 봉달희]]》와 730만 관객동원 영화 《[[화려한 휴가]]》가 연이어 대박을 터뜨리며 흥행보증수표로 자리잡았고, [[MBC]] 드라마 《[[선덕여왕]]》에서 타이틀롤을 맡아 열연을 펼쳐 [[2009년]] [[MBC 연기대상]]에서 최우수연기상, 베스트커플상을 수상했다. 이후 다시 [[SBS]]로 돌아와 드라마 《[[49일]]》에서 좋은 연기를 선보여 드라마가 동시간대 시청률 1위하는 기염을 토했다. 그 후 드라마 《[[마의 (드라마)|마의]]》에서 주인공인 강지녕 역을 맡아 조승우와 호흡을 맞추었다. [[2013년]] 드라마 《[[황금의 제국]]》에선 차갑고 냉철한 재벌가 상속녀를 맡아 호소력 있는 감정연기로 최서윤 역을 완벽 구현하며 열연을 펼쳐 [[2013년]] [[SBS 연기대상]]에서 최우수연기상, 10대스타상을 수상하며 많은 호평을 받았다.
  • 이유리(배우) . . . . 1회 일치
         [[분류:한국 여배우]][[분류:1980년 출생]][[분류:1999년 데뷔]][[분류:김천시 출신 인물]][[분류:라디오 스타의 역대 게스트]]
  • 이재룡(1964) . . . . 1회 일치
         ||<|4> 1999년 || KBS || 만남 || 최연택 || ||
  • 이정명 . . . . 1회 일치
         '''이정명'''은 대한민국의 소설가이다. [[경북대학교]]에서 국문학을 전공하고 잡지사와 신문사 기자로 여러 해 일하다 1997년 첫 소설 '천년 후에'를 완성, 1999년 발표했다. 이후 [[뿌리깊은 나무 (2011년 드라마)|뿌리깊은 나무]], [[바람의 화원 (드라마)|바람의 화원]] 등이 드라마화되며 인기를 끌었다.<ref>[http://ch.yes24.com/Article/View/14419 역사소설은 위대하고 재미있는 오답이다 - '바람의 화원'의 이정명] YES24, 2008년 10월 10일</ref><ref>[http://webzine.knu.ac.kr/wz3/mobile/pages/02.htm?VOL=159&mode=view 소설가 이정명 동문] 경북대웹진, 159호</ref>
  • 이정무 . . . . 1회 일치
         1996년, [[제15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자유민주연합]] 후보로 [[대구광역시]] [[남구(대구)|남구]] [[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같은 해 자유민주연합 원내총무에 임명되었다. [[DJP연합]]에 따른 [[새정치국민회의]]-자유민주연합 [[연정|공동정부]]의 몫으로 1998년 3월부터 1999년 5월까지 건설교통부(현 [[국토교통부]]) [[장관]]을 역임하였다.
  • 이종남(배우) . . . . 1회 일치
         * [[1999년]] [[EBS]] 청소년드라마 《[[네 꿈을 펼쳐라]]》 ... 정민 모 역
  • 이종희 (1942년) . . . . 1회 일치
         * [[1999년]] 대한항공 여객영업담당 전무이사
  • 이케멘 . . . . 1회 일치
         1999년에 잡지에서는 "이케테루 멘즈(Mens)"라는 뜻으로 소개되었다. 2000년 전후에 젊은이들의 유행어로 널리 쓰였다.
  • 이홍렬(코미디언) . . . . 1회 일치
          * 1999년 <[[동원F&B]] 일품만두> (허영란과 함께 출연)
  • 임인배 . . . . 1회 일치
         1996년 [[제15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신한국당]] 후보로 경상북도 김천시 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같은 해 신한국당 원내부총무에 임명되었다. 1999년 한나라당 원내부총무에 임명되었다.
  • 장윤정 (미스코리아) . . . . 1회 일치
         1987년 18살의 나이로 [[미스코리아]] 진으로 뽑힌 후 1988년 [[미스 유니버스]] 2위에 오르며 화려한 스포트라이트를 받았다. 1990년대 각종 방송 프로그램의 MC로 활약하다 1999년 모든 방송 활동을 접고 연예계를 떠났고, [[미국]]으로 건너가 두 딸을 키우는 평범한 [[가정주부]]로 지내다가 16년 만인 2016년 영화 《[[트릭 (2016년 영화)|트릭]]》에 출연하며 연기 활동을 재개했다.<ref>[http://entertain.naver.com/read?oid=382&aid=0000482667 ‘87년 전설의 미스코리아’ 장윤정, 잠정 은퇴 후 16년 만에 영화 ‘트릭’으로 돌아오다] 스포츠동아. 2016년 06월 22일</ref>
  • 장은숙 (가수) . . . . 1회 일치
         * 《뭔지 모르겠지만.. (なんや知らんけど)》([[1999년]])
  • 전민희 . . . . 1회 일치
         [[분류:1975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판타지 작가]][[분류:휘경여자고등학교 동문]][[분류:건국대학교 동문]][[분류:서울특별시 출신 인물]][[분류:1999년 데뷔]][[분류:인터넷 작가]]
  • 전태일 . . . . 1회 일치
         [[1972년]] 기독청년 전태일 1주기 추도식으로 시작된 이래 1980년대에 와서 노동운동가 전태일 추도식으로 제목이 바뀌었다. 그의 어머니 [[이소선]]은 아들의 유언에 따라 사망직전까지 청계천 노조 지원과 노동 운동 지원에 헌신하여 노동자들의 어머니 라는 별칭을 얻기도 했다. [[1984년]] [[서울]]에서 노동운동가들 중심으로 전태일기념사업회가 조직되었고, [[1985년]] 전태일기념관이 개관하였다. 이후 전태일재단이 조직되어 '전태일문학상'과 '전태일노동상'을 제정하여 수여하기 시작하였다. [[1987년]] [[6.10 항쟁]] 이후 노동단체들이 모여 그해 [[7월]]부터 [[8월]]까지 노동자 대회를 열었으며 7월 15일에는 그의 어록, 초안 등을 참고하여 '87 노동자계급 해방선언'이 개최되었다. [[1988년]] [[11월]] 전태일의 분신 자살을 기념하기 위한 '전태일 정신 계승 전국 노동자 대회'가 [[서울]]에서 개최되어 매년 [[11월]] 전국 노동자대회가 열리고 있다. [[2002년]] 민주화운동 관련자 명예회복 및 보상심의위원회에서 전태일을 민주화 운동 관련자로 승인하였다. [[1996년]] 9월 19일에는 서울 중구 을지로6가에서 '전태일 거리'를 선포하였고, 이를 기념하여 민예총 회원들이 전태일 열사가 분신하고 있는 모습을담은 걸개그림 앞에서 추모공연을 하였다.<ref>[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96092000289120003&edtNo=6&printCount=1&publishDate=1996-09-20&officeId=00028&pageNo=20&printNo=2680&publishType=00010 한겨레 1996,09.20]</ref> 이 '전태일 거리'에서는 전태일을 추모하기 위한 '전태일 거리문화제'가 진행되고 있다. 1999년부터는 민주열사를 비롯해 의롭게 숨진 시민의 기념표석을 세우는 서울시'유적지 사업'에 포함되어 평화시장 분신장소에 기념표석이 세워졌다. 하지만 2003년 청계천 복원공사로 철거되기도 하였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32&aid=0000043117 전태일 동판 철거 ‘물의’ 경향신문, 2003.12.01]</ref>
  • 전형도 . . . . 1회 일치
         * [[두산 베어스]](1999년 ~ 2001년)
  • 전혜진(1970) . . . . 1회 일치
         || [[1999년]] ||<|2> MBC || [[장미와 콩나물]] || 애경 ||
  • 정규수(배우) . . . . 1회 일치
         * [[1999년]] 《[[간첩 리철진]]》 ... 택시 강도 대장 역
  • 정명환 . . . . 1회 일치
         * 1999년 MBC 《[[허준 (드라마)|허준]]》 ... [[포도청]] 종사관 배천수 역
  • 정몽원 . . . . 1회 일치
         그러나 무리하게 추진했던 조선사업이 걸림돌로 작용하면서 그룹 회장 취임 1년 만에 '그룹 해체'라는 비극적인 상황을 맞았다. 이 과정에서 정 회장은 계열사인 한라건설 회장으로 물러나기도 했다. 이후 1999년 만도를 매각한 뒤 8년 만에 되찾았다. 하지만 정 회장은 주식배당을 두고 정몽국 전 한라건설 부회장과 법정다툼을 벌인 바 있으며, 한라중공업 불법지원과 관련해 집행유예를 선고받기도 했다.
  • 정서임 . . . . 1회 일치
         * 1999년~2000년 미주방송 KBC 《라디오 2시뉴스》 - 진행
  • 정수성 (야구인) . . . . 1회 일치
         |style="text-align:center"|[[1999년]]
  • 정승우 (1973년) . . . . 1회 일치
         * 1999년 《[[쉬리 (영화)|쉬리]]》 - OP특공 역
  • 정승화(육군) . . . . 1회 일치
         이후 1999년 육해공군 및 해병대 장성 출신 모임인 [[성우회]] 제6대 회장에 당선되어 쿠데타 피해자 출신 예비역들의 권익을 위해 부단히 노력하였으나 임기 중이던 2002년 6월 12일 서울 신촌 세브란스병원에서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1&aid=0000186772|숙환으로 별세했다]]. 향년 76세. 사후 [[국립대전현충원]]에 예비역 대장 자격으로 안장되었다.
  • 정욱(1973) . . . . 1회 일치
         * 1999년 《[[아름다운 선택]]》 (MBC)
  • 정은표 . . . . 1회 일치
         1999년작 영화 '유령'에서 미사일 발사키를 부함장에게 빼앗기지 않으려고 삼켰다가 [[끔살]][* 삼긴 미사일 키를 찾으려고 즉시 살아 있는 채로 개복수술을 하려는데 마취할 시간도 아깝다며 부함장이 그냥 꺼내라고 시켜서 그만... ]당하는 조리장역[* 그전에 함내 규칙상 금지되어 있는 가족사진을 보다가 주인공인 431에게 들켰으나 처벌없이 자기 방에 라면이나 두 그릇 끓여서 가져다 달라는 것으로 넘어간다. ~~방에 라면을 끓여 들고 오면서 "어떤 면을 좋아하는지 몰라서 일단은 꼬들하게 끓여왔습니다." 라고 해주는 센스...는 한 "같이 먹지. 한 그릇은 자네꺼야."라는 정우성의 인자함에 바로 묻힌다.~~ 그렇게 자신을 봐주며 인간적 친분이 쌓인 431을 돕기 위해 미사일 발사키를 삼켰다가 그만...][* 순박한 인상으로 가족을 그리워 하다가 결국엔 그야말로 끔살당하며 '강대국의 틈바구니에서 계속 힘없이 눈치보며 살 수 없다.'며 자신의 행동의 정당성을 주장하는 부함장 202의 행동를 그저 대의를 앞세운 광기로 보일수 밖에 없음을 강조하는 역할을 훌륭한 연기로 소화해냈다보니 상대적으로 당시에 무명이던 손병호, 설경구 같은 연기파 배우들이 함께 출연했음에도 조연중 가장 주목 받을 만한 역할이었다.]을 맡으면서 영화 관객들 사이에서 주목을 받기 시작했으나, 아무래도 전체 대중들에게 인지도를 얻은건 역시나 [[해를 품은 달(드라마)|해품달]]. ~~"전하~~~~ 좋아서 입이 안 다물어지옵니다."~~ 그래서인지 자신에게 특별한 이름이라는 이유로 막내 아들의 이름을 지'''훤'''이라고 지었다고 한다.[[http://m.entertain.naver.com/read?oid=109&aid=0002317203|##]]
  • 정인숙 (1945년) . . . . 1회 일치
         [[1971년]]과 같은 해에 정일권을 만난 재미언론인 문명자는 정일권에게 "문 기자, 나는 정인숙과 딱 한번 같이 잤는데, 그 아이가 내 아들일 니가 없소. 나는 이미 불임수술을 해서 아이를 낳을 수가 없는 몸이오"라는 말을 들었다고 한다.<ref name="kum110"/> 그러나 정일권이 불임 수술을 한 상태였는지는 확실하지 않다. [[1977년]] 재혼한 부인 사이에 2남매가 출생했기 때문이다. [[문명자]]는 이 글에서 정일권에게 어떻게 된 거냐고 물어보고 싶었지만 정일권이 먼저 불임수술을 풀었다고 말해 그만두었다고 밝히고 있다.<ref>문명자, 문명자 회고록:내가 본 박정희와 김대중 (2), 대한매일 1999년 10월 6일자</ref>
  • 정혜선(배우) . . . . 1회 일치
         [[김희애]]와 [[전광렬]]하고 모자(녀) 관계로 수 차례 출연한 인연이 있다. 김희애의 경우 [[1991년]] 산너머 저쪽, [[1993년]] [[아들과 딸]], [[2003년]] [[완전한 사랑]]에서 모녀관계로 출연했으며, 전광렬의 경우 [[1999년]]판 [[허준(드라마)|허준]], [[2010년]] [[제빵왕 김탁구]], [[2017년]] [[당신은 너무합니다]]에서 모자관계로 출연했다.
  • 조소혜 . . . . 1회 일치
         * 《[[종이학 (드라마)|종이학]]》(1998년~1999년, KBS2)
  • 조안(배우) . . . . 1회 일치
         || [[1999년]] || [[MBC]] || 안녕 내 사랑 || || ||
  • 주다영 . . . . 1회 일치
         * [[1999년]] [[KBS1]] TV소설 《[[누나의 거울]]》
  • 지수원 . . . . 1회 일치
          * 1999년 MBC 베스트극장 - 유혹
  • 진도희(1971) . . . . 1회 일치
          * 1999년 옥문관
  • 차승재 . . . . 1회 일치
         *1999년 아이픽처스 공동대표
  • 창원시 . . . . 1회 일치
         우리나라 기후 특성상 '''강수량은 연도마다 들쭉날쭉하다'''.[* 이는 연강수량 대부분을 장마와 태풍에 의존하는 우리나라의 기후 특성 때문이다. 유달리 장마가 길고 태풍도 여러개씩 통과하는 해는 연 강수량이 2000mm 가까이 내리는 경우도 있는 반면에 장마가 짧게 끝나고 태풍이 통과하지 않는 해는 1000mm도 채 안내리는 경우도 있다. 당장 2016년만 하더라도 서울의 누적 강수량은 776mm(9월 20일 기준)로 평년의 66% 수주밖에 되지 않는다.] 1987년에는 최악의 겨울가뭄으로 저수지가 다 말라붙었고, 1999년에는 6월 중순부터 8월 말까지 거의 100일에 걸쳐 게릴라성 집중호우가 내리기도 했다. 그리고 2013년 여름 8월에는 제대로 된 비는 다섯 손가락에 꼽을 수 있을 정도로 땡볕이 쏟아졌다. 일기예보에서 전국(남부지방 포함) 비 예보를 할 때조차 땡볕이었다! 뉴스를 볼 때마다(일기예보에서만 윗 지방의 홍수를 얘기하는 것이 아니므로) 밥 먹다 숟가락 던지는 사람도 많다고. 경남 지역 뉴스의 일기예보조차 맞지 않아 각 개인이 날씨에 대비할 수밖에 없다. 단, 더위 관련은 예보를 뛰어넘는 찜통을 보여준다. 2016년 7월 31일을 기준으로 2016년 전국 최고기온을 달성한 적도 있으며, 대개 숫자상 최고기온은 내륙의 대구, 경산, 밀양이 갖고가지만 창원도 정말 만만찮게 덥다. 게다가 창원기상대는 마산합포구 해안가의 옛 마산측후소 자리에 그대로 있는데 구 창원 권역은 분지 지형이라 열섬현상에 분지 특성까지 얹어서 더 덥다.
  • 채동욱 . . . . 1회 일치
         * 1999년 : 부산동부지청 형사2부장<ref name="junbo">[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9&aid=0000032244 검사전보]</ref>
  • 채형석 . . . . 1회 일치
         * 1999년 12월 ~ 2004년 1월 평택 애경역사 대표이사
  • 청도군 . . . . 1회 일치
         경산시와 밀양시에 가려져 '청도'라고 하면 일단 어디 붙어있는지 모르는 사람도 상당수 있으나, '''[[소싸움]]'''하면 대부분 청도 소싸움대회를 떠올릴 정도로 [[나름]]의 인지도가 있는 고장이다. 한창 [[IMF]] 구제금융을 받던 시기인 1999년에 개최되어 매년 3월 말쯤에 이서면 서원천 옆에 가설 경기장을 지어놓고 개최되어 지금은 문화관광부가 10대 지역문화관광축제로 선정할 정도의 네임드로 성장했다.
  • 최계훈 . . . . 1회 일치
         * [[현대 유니콘스]] 2군 투수코치 (1996년 ~ 1999년)
  • 최덕희 . . . . 1회 일치
         * [[포켓몬스터|포켓몬스터]] ([[SBS]]) - [[지우 (포켓몬스터)]] '''한지우''' (1대)<ref>1999년 7월 ~ 2002년 11월</ref>
  • 최동수 (야구인) . . . . 1회 일치
         |style="text-align:center"|[[1999년]]
  • 최문식 . . . . 1회 일치
         [[1999년]] [[전남 드래곤즈]]로 이적한 최문식은 [[광양 축구 전용구장]] 개장 경기서도 첫골을 기록하며 포항에 이어 전남에서도 홈구장 개장 경기 첫골이라는 타이틀을 얻었으며, 2000시즌까지 2년 동안 65경기에 나서 11골, 8도움을 기록하며 팀의 주전으로 활약했으며,그 중 40경기을 90분 풀타임으로 뛰었다.
  • 최은주(배우) . . . . 1회 일치
          * [[1999년]] [[MBC]] [[월화 드라마|대하 드라마]] [[허준(드라마)|허준]] - 언년이 역
  • 최은희 . . . . 1회 일치
         그 후 북한에서도 영화 활동을 이어 나가면서 1985년에는 영화 <소금>으로 [[모스크바]] 영화제 여우주연상을 타기도 했다. 1986년 3월 13일, [[신상옥]]과 함께 [[오스트리아]] [[빈(오스트리아)|빈]]에 있던 도중, [[미국]] 대사관으로 탈출하여 극적으로 탈북에 성공해 10년 넘는 망명생활을 하다가 1999년에 영구 귀국했다.
  • 최진순 . . . . 1회 일치
         최진순은 [[1990년]]대 중반 PC통신 천리안에서 정기간행물을 표방한 [[보테저널]]을 발행하며 김어준 딴지일보 총수 등과 1세대 PC통신 논객 대열에 올랐다. [[1999년]] 7월 인터넷 최초의 독립 일간지인 <온라인 뉴스> '뉴스24' 창간을 주도했다. 여기서 최초의 유급기자를 둔 웹진 편집장으로 활동했다.
  • 최한경 . . . . 1회 일치
         1997년에는 어깨부상을 당했고, 1999년 타자 전향을 시도했으나 실패하고 삼성에서 방출되었다. 방출 후 [[LG 트윈스]]에서 다시 타자로 1군 복귀를 시도했으나 1년만에 방출되며 은퇴했다.
  • 최홍만 . . . . 1회 일치
         참고로 1999년도에 이미 병무청 신체검사에서 보충역 판정을 받았는데[* 키가 너무 큰 게 이유일 가능성이 크다. 2미터를 훌쩍 넘는 키이므로 규정상 당연하다. 1990년대 중반까지였다면 5급이 나왔겠지만 [[이회창|이 분]]의 아들 덕분(?)에 병역 판정 기준이 강화되면서......] 이 [[뇌하수체 종양]]으로 수술 후 아예 면제를 받았다. 여기서도 문제가 되었던 게 그가 면제가 된 시점이 공익근무요원으로 훈련소 입대를 이미 통지받고 나서 언론 주목까지 받은 뒤였다는 것이다. 사실 그냥 그 전에 수술하고 면제가 되었다면 그렇게 주목을 받지 않았을 텐데 입대가 결정되면서 그에게 맞는 특별 훈련복 제작이라던가 하는 여러 이슈들이 나오고, 최홍만 입대 후 생길 수 있는 문제[* 생활관 침상이 안 맞을 것이다. 화장실이 좁아서 볼일을 어떻게 볼 것이냐 등등]들에 대해서도 연예 정보프로그램 등에 얘기가 나오면서 많은 주목을 받게 된다. 그리고 최홍만 측도 이런 관심들에 "재밌고 색다른 경험을 하게 돼 기대된다. 누구나 하는 일이기 때문에 걱정하지 않고 즐거운 마음으로 군대 생활을 하고 나오겠다. 오히려 같이 생활할 훈련소 동료들에게 미안하다." 등 반응을 보이고 입대 일에도 연예정보 프로그램과 인터뷰를 하면서 입대를 하는데, 알고보니 이미 [[뇌하수체 종양]]에 대한 의사 진단서를 가지고 들어가서 제출할 준비가 되어 있던 상태였고 입소 후 사흘만에 그 진단서로 귀가 조치를 받고 귀가하여 한달 뒤 최종 재검으로 면제까지 받게 된다. 차라리 처음부터 훈련소 입소 같은 이슈를 만들지 말고 본인이 먼저 재검 신청을 했으면 훈련소 같은 곳 갈 일 없이 면제를 받을 수 있던 부분인데 관심을 끌고, 훈련소 생활을 할 마음 없이 자신이 가져온 진단서로 귀가 조치가 될 가능성이 높다는 걸 알면서도 입대할 것처럼 언론에 말한 부분에 대해 비난이 있었다.[* 실제로 나중에 재검에서 면제가 되건 다른 등급이 나오건, 귀가 자체는 이런 신경과 관련 진단서가 있으면 어렵지 않고 그 정도는 알았을 가능성이 높다.][* 특히 그의 훈련소 생활에 대해 상상하면서 응원하던 대중들이나 그의 입대를 위해 특별하게 준비하던 훈련소 관계자들은 그가 2박 3일만에 금방 귀가하여 면제 판정 받은 일로 인해 바보가 된 것과 다름없었다.] 아마 본인도 최대한 [[뇌하수체 종양]]으로 수술을 하거나 이슈가 되고 싶지 않아서 버티다가 군입대 및 면제를 통해 어쩔 수 없이 이슈화된 것으로 보이는데, 적어도 입소 전에 재검 신청으로 해결했다거나 훈련소를 가게 되더라도 진단서도 가져가면서 훈련소 생활을 할 것처럼 인터뷰하지 않고 귀가했다면 별다른 부정적인 반응은 없었을 것이라 아쉽다.
  • 추경호 . . . . 1회 일치
         * 1999년 6월: 세계은행(IBRD) 시니어 이코노미스트
  • 추일승 . . . . 1회 일치
         | 감독시작 = [[1999년]]
  • 표창원 . . . . 1회 일치
         아무튼 유학길을 마치고 돌아와 1998년 경찰청 제도개선기획단 연구담당관, 경찰대학 교관 등을 지내고 1999년 퇴직했다.
  • 피우진 . . . . 1회 일치
          * 앞서 말한 대로 2006년 건강검진 때 [[유방암]] 절제수술 건으로 강제 전역 당했다가 2년 뒤 소송을 통해 복귀한 경력이 있는데 [[카라 헐트그린]]의 동료였던 [[F-14]] 여성 파일럿 캐리 로런츠(Carey Lohrenz) [[미합중국 해군]] 대위의 행적과 비슷하다. 두 사람 다 [[여군]] 1세대 파일럿[* 캐리의 경우 정확히는 카라 헐트그린과 함께 여성 최초의 전투기 F-14 파일럿이다.]이며 억울하게 자리에서 쫒겨나[* 피우진의 경우 유방암 절제수술의 장애 판정으로 강제 전역, 캐리 로런츠의 경우 최소한의 재심사도 없이 강제 [[그라운딩]]을 당했다.] 2년간의 법정 소송을 통해 그 보직과 자격을 회복했다. 다만 피우진의 경우 소송에서 이기고 육군항공학교에서 중령으로 전역할 때까지(정년까지) 커리어를 이어갔던 반면[* 대신 앞전의 술자리에 여군을 보내라는 부당한 명령을 거부하는 등의 일로 미운털이 박혀서 진급이 막혔다.] 캐리 로런츠의 경우는 소송에서 이겼음에도 높으신 분들 때문에 끝내 함상 근무로 복귀하지 못하고 1999년 [[미 해군]]을 떠났다.
  • 핑커톤 . . . . 1회 일치
         리즈시절(?)인 19세기가 지난 후에도 미국에서 [[이탈리아]]로 되돌아가는 [[모나리자]]를 호위한다던가, [[홍콩]]에 지점을 세운다던가 하다가 1999년 스웨덴 보안회사인 세쿠리타스 AB(Securitas AB)의 소유가 되었다. 그리고 지금까지도 살아있다.
  • 하리수 . . . . 1회 일치
         [[1998년]]부터는 [[서울특별시|서울]]에서 모델로 활동하였다. [[1998년]]과 [[1999년]] 하리수는 [[문근영]], [[강동원]] 등과 동대문 쇼핑몰 모델로 활동했다.<ref>[http://star.mt.co.kr/view/stview.php?no=2006062310483090376 하리수 "2년 후쯤 결혼할 생각"] 머니투데이 2006.06.23</ref>
  • 하이모 . . . . 1회 일치
          * 1999년 하이모로 상호 변경.
  • 하주석 . . . . 1회 일치
         제대를 앞두고 [[타이완]] [[타이중 시]]에서 열린 [[2015년 아시아 야구 선수권 대회|제29회 아시아 야구 선수권 대회]]에 대한민국 국가대표로 선발되었다. 처음 성인 대표팀에 발탁된 이 대회에서 중심 타자로서의 활약이 기대되었으나 대회 내내 부진한 모습을 보여 가장 중요한 경기였던 4차전 일본전에서는 선발 명단에서 제외되었다. 그러나 대한민국이 1점차로 지고 있던 9회말에 [[윤영환]] 감독에 의해 [[오선진]]의 대타로 출전해 상대 투수 [[콘도 히로시]]를 상대로 끝내기 투런 홈런을 기록하였다. 일본전 승리와 함께 대한민국은 드림팀 2기가 활약했던 1999년 제 20회 대회 이후 16년 만에 아시아 정상 자리를 되찾았으며, 그는 이 홈런 한 방으로 대회 MVP에 선정되었다.
  • 한상원 . . . . 1회 일치
         * [[1999년]] 1집 《GIGS 01》
  • 한승원 (만화가) . . . . 1회 일치
         | 《LONG LONG LOVE》(롱 롱 러브) || || 1999년 혜등 전7권 || 한승원 글, 김동화 그림, 원제 《사랑의 에반제린》
  • 한태균 . . . . 1회 일치
         * [[두산 베어스]] (1999년`~2003년)
  • 허만하 . . . . 1회 일치
         * 1999년 제1회 [[박용래 문학상]]
  • 현재윤 . . . . 1회 일치
         * 1998년 ~ 1999년 : [[성균관대학교]] (1998학번)
  • 현재현 . . . . 1회 일치
         * 1999년 청소년희망재단 이사장
  • 홍성유 . . . . 1회 일치
         또한, 식도락가로도 유명해 [[1987년]] 전국 각지의 맛있는 [[음식점]]을 소개한 《[[한국 맛있는 집 666점]]》에 이어 [[1999년]] 《[[한국 맛있는 집 1234점]]》을 발간하였다. 그 밖의 저서로는 《[[수평선에 별 지다]]》《[[비극은 있다]]》《[[정복자]]》《[[홍건적]]》 등이 있다.
  • 홍세화 . . . . 1회 일치
         그 해 [[남민전 사건]]에 연루되어 [[프랑스]] 체류 중 [[망명]]하였다. 《나는 빠리의 택시운전사》에 따르면 프랑스 정부로부터 사상의 자유 침해에 따른 망명자로 인정받았고, [[1982년]] 이후 관광안내, [[택시]]운전 등 여러 직업에 종사하는 망명생활을 하며 집필, 기고활동에 종사하였다. [[1995년]] 자서적 고백인 《나는 빠리의 택시운전사》 발간하고, [[1997년]] 《[[르 몽드]]》에 실린 기사 묶음인 〈진보는 죽은 사상인가〉를 번역하여 출간했으며, [[1999년]] 문화비평 에세이 《[[쎄느강은 좌우를 나누고 한강은 남북을 가른다]]》를 펴냈다.
  • 홍예서 . . . . 1회 일치
         * 《[[부부클리닉 사랑과 전쟁|부부클리닉]]》(1999년, KBS2)
  • 홍지호 . . . . 1회 일치
         옛 교제녀와 1999년 동거하였다가 2001년에 결별한 전력이 있는 그는 이후 2005년 2월 배우 [[이윤성 (배우)|이윤성]]과 결혼하였다. 그의 첫째형 [[홍명호 (1939년)|홍명호]]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명예교수는 가정의학과 의사이며 둘째형인 홍성호 원장은 성형외과 의사이며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겸임교수 겸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전임강사를 지낸 경력이 있[[문화방송|MBC]]《[[타임머신 (MBC)|신]]》 [[한국방송공사|KBS]] 《야! 한밤에》, 《[[스펀지 (텔레비전 프로그램)|스펀지]] [[서울방송|SBS]] 프로그램 《[[솔로몬의 선택]]결혼 을 제
  • 홍학표(배우) . . . . 1회 일치
         * 1999년 : MBC 주말연속극 《[[남의 속도 모르고]]》- 전남도 역
  • 황병기 . . . . 1회 일치
         * [[1999년]] [[3월]] 유니세프 문화예술인클럽 회장
  • 황병일(1960) . . . . 1회 일치
         은퇴하자마자 빙그레의 타격코치로 부임해 한화 이글스로 바뀐 후에도 2002년까지 12년 간 [[한화 이글스]]에서 타격코치로 재임했으며, [[1999년 한국시리즈]] 우승도 경험했다. 이 때 [[장종훈]], [[송지만]], [[이영우]], [[김태균(1982)|김태균]], [[이범호]] 등을 발굴하거나 성장시켜 2000년대 초중반까지 삼성의 [[박흥식(야구)|박흥식]] 코치, 현대의 [[김용달]] 코치, 두산의 [[송재박]] 코치와 함께 [[대한민국]] 최고의 타격코치 중 하나로 손꼽혔다. 이후 LG, SK 타격코치를 거쳤는데 SK 시절에도 좋은 평가를 받았다.
  • 황용식 . . . . 1회 일치
         '''황용식'''(黃龍植, [[1944년]] [[5월 28일]] ~ )<ref name="사전">{{서적 인용|title=한국인명사전 (연합연감 1999년판 별책) |publisher=[[연합뉴스]] |page=840 |date=1999-04-30}}</ref>은 [[대한민국]]의 외무공무원이다.
  • 황의종 . . . . 1회 일치
         [[1999년]]에 세 번째 작곡집을 내면서 그는 "작곡은 신이 이 세상에 뿌려놓은 음들을 자신의 그릇에 담아내는 것"이라고 말했다.
  • 황인숙 . . . . 1회 일치
         * 1999년 제12회 [[동서문학상]]
  • 황정민(남자배우) . . . . 1회 일치
         1999년 개봉했던 영화 [[쉬리]] 에서는 후반부에 한석규를 추궁하는 정부 요원으로 잠깐 등장하는데, 미리 섭외된 것이 아닌, 그야말로 촬영 직전에 아는 선배의 전화 호출로 일감 생겼다고 달려가서 찍을 정도의 안습 시절을 겪었다.
  • 후지와라 노리카 . . . . 1회 일치
         1997년 종합격투기 『[[K1]]』의 메인 캐스터로 활약하였다. 1999년 [[후지테레비]]의 『나오미(ナオミ)』에서 첫 드라마 주연이 되었다.
11532의 페이지중에 307개가 발견되었습니다 (0개의 페이지가 검색됨)

여기을 눌러 제목 찾기를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