팝업레이어 알림

팝업레이어 알림이 없습니다.
E D R , A S I H C RSS

"1985년"을(를) 전체 찾아보기

1985년


역링크만 찾기
검색 결과 문맥 보기
대소문자 구별
  • 김시진 . . . . 11회 일치
         * [[1985년]]·[[1987년]] 골든 글러브
         }}</ref> 순수신인 최초 2완봉승 도달 투수가 됐고 결국 그 해 5완봉승으로 마감했는데(당시 전구단 상대 완봉승) 이 기록은 아직까지 순수신인 최다 완봉승 기록으로 남아 있다. 프로 데뷔 이후 5년 만에 [[KBO 리그]] 사상 최초로 개인 통산 100승을 올렸다. [[1985년]] 25승(21선발승으로 최다 선발승이었는데 전년도(15선발승)에 이어 2년 연속 최다 선발승 1위) 5패, 10세이브, 201탈삼진으로 소속 구단 [[삼성 라이온즈]]의 전·후기 통합 우승을 이끄는 등 [[삼성 라이온즈]]에서만 111승을 올렸다.<ref name="ohmynews" />
         특히, [[1985년]]에 방어율 2.00을 기록했는데 이 기록은 역대 선발 20승 이상 투수 중 최저 방어율 기록<ref>{{뉴스 인용
         하지만, [[1985년]]에는 본인 뿐 아니라 같은 팀 [[장효조]] [[이만수]] 등에게 던져진 표가 분산된 점<ref>{{뉴스 인용
         * [[한국 프로 야구 골든 글러브 수상자 (투수)|한국 프로 야구 골든 글러브 투수 부문]] (1985년, 1987년)
         * 한국 프로 야구 다승 1위 (1985년, 1987년)(두 해 모두 21선발승으로 본인의 선발 최다승 타이)(1984년에는 15선발승으로 최다 선발승)
         * 한국 프로 야구 승률 1위 (1985년)
         * [[한국 프로 야구 올스타전]] - 최우수 선수 (1985년)
         |style="text-align: center;"|[[1985년 한국프로야구|1985]]
         {{s-ttl | title = 제4대 [[한국 프로 야구 골든글러브]] 투수| years =[[1985년]]}}
         {{1985년 삼성 라이온즈}}
  • 이선희 . . . . 10회 일치
         1985년 첫 음반 《[[아! 옛날이여]]》가 발매되었고 그를 스타덤에 오르게 한 <J에게>와 록 스타일이 가미된 <아! 옛날이여>, <갈등>, <소녀의 기도> 등의 곡도 히트하여 KBS 가요 톱텐에 자신의 노래 7곡을 진입시키는 등 큰인기를 끌었다. <아! 옛날이여>로 1985년 가요부문 통합 1위를 차지하였다.
         1985년 11월 2집 《[[갈바람]]》이 발매되면서 <갈바람>, <괜찮아>, <연인의 눈물>, <가난한 연인을 위하여>, <그래요, 잘못은 내게 있어요> 등의 곡이 인기를 모았다. TV가이드, 뮤직박스 1위로 선정되고 [[일간스포츠]] 골든 디스크상, KBS 방송 가요대상, MBC 10대 가수상을 수상했다.
         * 1985년 1집《[[아! 옛날이여]]》
         * 1985년 2집《[[갈바람]]》
         * 1985년 《[[이선희의 캐롤]]》
         * [[1985년]] [[해태제과]] 노노껌 (Feat. [[이용식 (희극인)|이용식]])
         * [[1985년]] ~ [[1986년]] [[보령제약]] 용각산
         ! 1985년
         ! 1985년
  • 이민우(배우) . . . . 8회 일치
         ||<|2> 1985년 || 은빛 여울 || 차돌 || [* 상당히 인기 있었던 역할이라고 한다.] ||
          * 1985년 옥시레킷벤키저 옥시크린
          * 1985년 동일레나운 아놀드파머
          * 1985년 동아제약 미니막스 (Feat.전양자)
          * 1985년 롯데칠성 델몬트
          * 1985년 ~ 1986년 롯데제과 (롯데 스카치 캔디, 롯데 빠다 코코낫 비스켓, 롯데 홀리데이 아이스크림)
          * 1985년 동원F&B 새코미
          * 1985년 제21회 [[백상예술대상]] (당시 한국 연극 영화 TV 예술상) 아역상 《TV 문학관 '저승새'》
  • 김용국 (야구인) . . . . 7회 일치
         |프로 입단 연도 = [[1985년]]
         |드래프트 순위 = [[1985년 한국프로야구 신인 드래프트|1985년]] 1차 5순위([[삼성 라이온즈]])
         |첫 출장 = [[KBO (야구)|KBO]] / [[1985년]]
         * [[삼성 라이온즈]] (1985년 ~ 1993년)
         [[한양대학교]] 졸업 후 [[삼성 라이온즈]]에 입단한 [[1985년 한국프로야구]]부터 주전 [[3루수]]로 뛰었지만 [[1987년 한국프로야구]]에는 [[류중일]]의 입단으로 설 자리를 잃어 [[유격수]]에서 전향했던 [[오대석]]과 병용으로 출전했다.
         {{1985년 삼성 라이온즈}}
  • 현이와 덕이 . . . . 7회 일치
         |활동 시기 = [[1975년]] ~ [[1985년]]
         | style="width:20%;" | [[1985년]]
         이후 1980년 장덕은 [[안양예고]] 졸업 후 [[미국]] [[테네시 주립 대학교]]에서 작곡을 전공하였다. 1983년 미국생활을 마치고 귀국한 장덕은 솔로앨범 발표와 함께 본격적으로 솔로 활동을 시작하였으며, 장현 또한 《현이와 거룩한 성》으로 음악활동 계속 하고 있었다. 그렇다가 [[1985년]] 현이와 덕이가 재결합하여 《너나 좋아해 나너 좋아해》, 《이젠 안녕, 《뒤늦은 후회》등이 수록된 정규2집을 발표하였다. 하지만 앨범이 크게 [[히트]]하였음에도<ref>{{뉴스 인용 |제목 = 남매듀엣 <현이와 덕이> 7년만에 재결합|url =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85090500099212016&editNo=1&printCount=1&publishDate=1985-09-05&officeId=00009&pageNo=12&printNo=6003&publishType=00020|출판사 = 매일경제|날짜 = 1985년 9월 5일}}</ref> 얼마 뒤 다시 해체하였고, 각자의 길을 걷게 되었다. 이후 1986년 장덕은 자신이 작곡하고 가수 [[이은하]]가 부른 《미소를 띄우며 나를 보낸 그 모습처럼》이 크게 히트가 되었고, 연이어 장덕 솔로 정규4집이 빅히트 되어 그 해 가장 성공한 여성스타로 합류하게 된다(님떠난 후- 골든컵 수상, 어른이 된 후에 사랑은 너무 어려워 - 빅히트 등). 1987년 [[장덕]]은 [[아시아 태평양 방송 연합|ABU]] 가요제에 [[한국대표]]로 나가게 되는 등 한국음악계에서 인정을 받고 있었으며, 오빠 [[장현]] 또한 코아기획을 설립하여 [[엔터테인먼트]]사 [[대표이사]]로 일하게 된다.
         * 1985년 : 정규 2집 - [[너나 좋아해 나너 좋아해 (음반)|너나 좋아해 나너 좋아해]] (12곡) - 대표곡 : 너나 좋아해 나너 좋아해, 이젠 안녕, 뒤늦은 후회, 잠깐, 해바라기 사랑 등
         1984년 10월 [[이미례]] [[감독]], [[김진아]] · [[남궁원]] [[주연]]의 개봉 [[영화]] <[[수렁에서 건진 내딸]]>에서 장덕은 [[음악감독]]을 맡았다. 11월에는 타이틀곡 <[[사랑하지 않을래]]>를 비롯 <사랑의 꿈>, <사랑과 인생> 등의 곡들이 수록된 정규 2집을 발표한다. 하지만 대중의 반응은 조용한 편이었다. 이에 장덕은 솔로 활동에의 어려움을 느끼고 대부분의 시간을 방에 틀어박혀 우울히 보냈고 식음을 전폐하며 세상에서 버려진 아이처럼 혼자만의 세계에서 신음하게 된다. 어린 시절 뭣 모르고 음반을 내고 노래를 불렀던 그 때와 한 동안 공백기를 가졌다가 성인이 되어 복귀, 겪게 되는 지금의 연예계는 너무도 달랐다. 혼자 라는 점, 그리고 모든 것을 혼자 해내야 한다는 점 또한 그녀를 힘들게 만들었다. 방송국에서 전화가 와도 "장덕이 없어요" 한 마디만 던지고 전화를 끊을 정도였다. 동생의 이런 안타까운 소식에 현이와 거룩한 성의 리더이자 보컬로서 활동하고 있던 오빠 [[장현]]이 1985년 4월 울산에서 서울로 상경, 장덕에게 현이와 덕이의 재결성을 제안하게 된다. 장덕의 볼 위에 장현의 눈물이 흘러내렸다. 장덕은 오빠가 너무 고마웠다. 결혼해서 가정을 꾸려나가고 있는 오빠에게 차마 부탁도 못하고 있는 처지였기 때문이다.
         1985년 6월 [[장현]] · 장덕 남매는 7년만에 재결합, 현이와 덕이를 결성하며 타이틀곡 <너너 좋아해 나너 좋아해>를 비롯 <이젠 안녕>, <그대의 투정>, <해바라기 사랑> 등의 곡들이 수록된 정규 2집 《[[너나 좋아해 나너 좋아해]]》를 발표한다. 그리고 이 앨범의 타이틀곡 <너나 좋아해 나너 좋아해>가 단숨에 가요순위 10위권 내에 들며 인기를 끌었고 장덕에게 막힌 숨통을 트게 해주었다. 이 앨범에서는 장현 또한 작사/작곡에 많은 참여를 하였다. 현이와 덕이의 정규 1집 《순진한 아이》에서는 모든 곡들을 장덕이 작사/작곡했지만 이 앨범에서는 B면 3번 트랙 <그댄 없지만>과 그들의 정규 1집 《순진한 아이》에 실린 버전들의 재편곡 버전인 B면 4번 트랙 <소녀와 가로등>, B면 5번 트랙 <순진한 아이>를 제외하고는 모든 작품을 [[장현]] · 장덕 남매가 함께 만들었다.
  • 주현미 . . . . 6회 일치
         [[분류:남원시 출신 인물]][[분류:한국 여가수]][[분류:1961년 출생]][[분류:중화민국계 한국인]][[분류:히든 싱어 역대 출연자]][[분류:1985년 데뷔]]
         솔로 데뷔 전인 [[1984년]] 무렵에 김준규랑 같이 부른 메들리 앨범 '쌍쌍파티'는 공전의 히트를 기록했는데, 같이 듀엣으로 녹음한 게 아니라 따로 따로 녹음한 걸 편집에서 합친 앨범이지만 편집한 둘의 호흡이 워낙에 대단했기에 80년대 중반 돌풍을 일으켰고, 이때의 흥행을 발판으로 솔로로 독립할 수 있었다. 그 기세를 타 [[1985년]] 1집 앨범 ≪비내리는 [[영동대교|영동교]]≫로 데뷔하여 단번에 트로트 탑 그룹에 올랐으며, 그 후에도 연이은 성공으로 히트곡이 상당히 많다. [[1988년]]에는 '신사동 그 사람'의 대 히트에 힘입어 MBC, KBS 연말 가요대상을 동시에 석권하는 기염을 토했으며 [[1989년]]에도 '짝사랑'으로 MBC 연말 가요 대상을 2년 연속 제패하기도 했다.
          * 1985년 4집 <울면서 후회하네/ 빗물이야>
          * 1985년 3집 <잊어야지/ 때로는 그리움이>
          * 1985년 2집 <님아 가지말아요/ 월미도를 아시나요>
          * 1985년 1집 <비내리는 영동교/ 길면 3년 짧으면 1년>
  • 최성관 (1925년) . . . . 6회 일치
         * 고래사냥 2 (1985년)
         * 피조개 뭍에 오르다 (1985년)
         * 마지막 여름 (1985년)
         * 월하의 사미인곡 (1985년)
         * 부나비는 황혼이 슬프다 (1985년)
         * 방황하는 별들 (1985년) - 박사
  • 김미숙(1959) . . . . 5회 일치
          * [[1985년]] [[KBS 1TV]] 《[[은빛 여울]]》
          * [[1985년]] [[KBS 2TV]] 《[[TV문학관]] - 노래여, 마지막 노래여》
          * [[1985년]] [[KBS 2TV]] 《[[TV문학관]] - 열하일기》
          * [[1985년]] UCC레귤러커피
          * [[1985년]] [[KBS 연기대상]] 방송연기상 대상
  • 이강돈 . . . . 5회 일치
         || 프로입단 || ~~[[한국프로야구/1985년/신인드래프트|1985년]] 1차 지명 ([[삼성 라이온즈|삼성]])~~ [br] [[한국프로야구/1985년/신인드래프트|1985년]] 지명권 양도 ([[빙그레 이글스|빙그레]]) ||
         || 1985년 당시 신인 시절의 이강돈.[* 왼쪽에 있는 선수는 현 [[kt wiz]] 코치인 [[이광길]], 가운데는 박상조 코치, 오른쪽이 이강돈.] ||
  • 최공웅 . . . . 5회 일치
         1980년에 [[대구지방법원]] 부장판사, 1981년에 서울민사지방법원 부장판사를 하다가 1982년에 사법연수원 교수를 하였으며 1983년에 [[대구고등법원]] 부장판사에 임명되어 민사부와 형사부를 번갈아 가며 재판장을 하다가 1985년에는 [[서울고등법원]]으로 전보되어 민사, 형사, 특별부 재판장을 하였다.
         * 1983년 ~ 1985년: [[대구고등법원]] 부장판사 (민사, 형사부 재판장)
         * 1985년 ~ 1991년: [[서울고등법원]] 부장판사 (민사, 형사, 특별부재판장)
         * 대구고등법원 제1형사부 재판장으로 재직하던 1985년 5월 18일에 내연의 남편을 살해하여 1심에서 징역12년이 선고된 신압찻집 여주인에 대해 "범인으로 인정할 직접적인 증거가 없고 공소사실을 인정할 정황 증거도 없다"는 이유로 원심을 깨고 무죄를 선고했다.<ref>동아일보 1985년 5월 18일자</ref>
  • 강정길 . . . . 4회 일치
         |프로 입단 연도 = [[1985년]]
         |드래프트 순위 = [[1985년 한국 프로 야구 신인선수 지명 회의|1985년]] 1차 1순위([[삼성 라이온즈]])
         [[1985년]] [[삼성 라이온즈]]의 1차 1순위 지명을 받았으나 지명권 양도로 [[이강돈]]과 함께 [[한화 이글스|빙그레 이글스]]의 창단 멤버로 입단했다. 주 포지션은 [[1루수]]였고, 정교한 타격을 선보이는 중거리형 타자였다. [[이정훈 (1963년)|이정훈]], [[이강돈]] 선수와 함께 [[한화 이글스|빙그레 이글스]] 타선의 중심 역할을 하였다.<ref>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7&oid=109&aid=0001995565 강정길, "삼성만 만나면 펄펄 날았다"] 《Osen》, 2008년 12월 10일</ref> [[2008년]]부터 [[2013년]]까지 모교인 [[경북고등학교]] 야구부 감독을 지냈다.
  • 김준희 (1960년) . . . . 4회 일치
         |프로 입단 연도 = [[1985년]]
         |첫 출장 = [[1985년]]
         * [[삼성 라이온즈]] (1985년 ~ 1987년)
         {{1985년 삼성 라이온즈}}
  • 백일섭 . . . . 4회 일치
         * [[1985년]] [[KBS2]] 주간연속극 《[[즐거운 우리집]]》 ... 할아버지 역
         * [[1985년]] [[대일화학]] (대일시프, 대일 샘 파스)
         * [[1985년]] [[동원F&B]] 동원참치
         * [[1985년]] [[대선산업]] 맛고 찰고추장
  • 유지인(1956) . . . . 4회 일치
         * [[1985년]] [[KBS2]] 주말연속극 《[[초원에 뜨는 별]]》
         * [[1985년]] [[KBS2]] 화요드라마 《[[태평무]]》
         * [[1985년]] [[라미화장품]] 라피네 이사벨
         * [[1985년]] [[논노패션]]
  • 이만섭 . . . . 4회 일치
         [[1980년]] [[민주공화당 (대한민국)|민주공화당]]이 [[신군부]]에 의해 강제로 해산당하자 과거 [[민주공화당 (대한민국)|민주공화당]] 출신과 [[유신정우회]] 출신 인사들을 주축으로 한 [[한국국민당 (1981년)|한국국민당]]의 창당에 참여하였다. 제11·12대 국회의원에 연속으로 당선되었고 [[1985년]]에 [[한국국민당 (1981년)|한국국민당]]의 총재를 지냈다.
         |임기 = [[1985년]] [[3월 23일]] ~ [[1987년]] [[12월 16일]]
         |임기 = [[1981년]] [[4월 11일]] ~ [[1985년]] [[4월 10일]]
         |임기 = [[1985년]] [[4월 11일]] ~ [[1988년]] [[5월 29일]]
  • 이소선 . . . . 4회 일치
         청계피복노조는 1972년에는 새마을노동교실을 열었고 1975년에는 노동시간 단축투쟁을 벌였으며 1980년 [[전두환]] 정권이 강제 해산 시켰지만 법외 노조로서 버텼다. 1985년 대우어페럴 노조에서 시작된 [[구로동맹파업]]에도 적극 참여하였고, 1986년에는 대통령 직선제를 요구하는 민주화 운동에 앞장섰다. 청계피복노조는 1988년 다시 합법화 되었다.<ref name="민족문화대백과" />
         * 1985년 9월 19일-10월 24일 청계노조 1,2차 합법성 쟁취 대회.
         * 1985년 11월 청계노조 해산 명령.
         * 1985년 12월 12일 민주화실천가족운동협의회 공동의장.
  • 홍은철 . . . . 4회 일치
         |활동기간= [[1985년]] ~ 현재
         [[1985년]] MBC에 입사하여, [[1993년]]부터 [[2003년]]까지 [[출발! 비디오 여행]]을 진행하면서 이름을 알렸다.
         * [[1978년]] ~ [[1985년]] 숭실대학교 전자공학과 학사
         [[분류:1959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문화방송의 아나운서]][[분류:숭실대학교 동문]][[분류:1985년 데뷔]][[분류:서울특별시 출신 인물]][[분류:대한민국의 방송인]][[분류:프리랜서 아나운서]][[분류:대한민국의 라디오 진행자]][[분류:대한민국의 개신교도]][[분류:감리교신학대학교 목회신학대학원 동문]]
  • 김기창 (법학자) . . . . 3회 일치
         |활동 기간 = 1985년 ~ 현재
         [[1981년]] [[서울대학교]] 법과대학에 입학하여 [[1985년]]에 학사 학위하였고, 그 후 1985년 9월부터 1986년 6월까지 [[시카고 대학교]] 로스쿨에 재학하여 법학 석사 학위를 취득하였고, 1988년 3월에 제19기로 [[사법 연수원]]에 입소하였으며, 1990년 3월부터 9월까지 세방 종합 법률사무소에서 변호사로 재직하였다. 1990년 10월부터 1994년 7월까지 [[캠브리지 대학교]] 퀸즈 컬리지에 재학하여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1994년 10월부터 1997년 9까지 [[캠브리지 대학교]] 퀸즈 컬리지에서 전임 연구 교원으로, 1997년 10월부터 2002년 9월까지 캠브리지 대학교 셀윈 컬리지에서 전임 강사로, 2000년 10월부터 2002년 9월까지 캠브리지 대학교 법과대학에서 노튼로즈 기금 교수로 재직하였다. 2003년 3월부터 [[고려대학교]] 법과대학 교수로 재직하고 있으며, 자유전공학부 학부장을 역임하였다.
  • 김도연(배우) . . . . 3회 일치
          * 1985년 MBC 엄마의 방
          * 1985년 MBC 백발의 청춘
          * 1985년 MBC 남자의 계절
  • 김범룡 . . . . 3회 일치
         [[1982년]] 연포가요제에서 [[보컬]] 듀오 빈 수레의 [[보컬]]리스트로 참가하여 자작곡 《인연》으로 우수상을 수상하여 첫 데뷔하였고 그 후 [[1985년]] 개인 음반 1집에 수록된 자작곡 《바람 바람 바람》으로 솔로 [[가수]] 데뷔하면서 많은 인기를 얻었다. [[1985년]] [[KBS 가요대상]] 신인가수상을 수상하였고 1986년에는 [[MBC]]와 [[KBS]]에서 10대 가수상을 수상하였다. 이후 잠시 영화배우와 뮤지컬배우로도 활동하였는데 히로뽕과 대마초를 흡입했다는 이유 때문에 [[1995년]] [[2월 21일]] 서울지검 강력부로부터 향정신성의약품관리법 위반 등의 혐의로 구속됐고<ref>{{뉴스 인용
         |1 집||[[1985년]]|| 《바람 바람 바람》, 《그순간》, 《별빛속의 님》
  • 김형철 (가수) . . . . 3회 일치
         |활동시기 = [[1985년]] ~ [[2007년]]
         1985년 언더그라운드 라이브 클럽에서 블루스 록 가수 첫 데뷔하였고 [[1988년]] [[신화창조 (음악 그룹)|신화창조]]라는 록 밴드에서 본격 록 음악가 활동을 시작하였으며, [[1991년]]에는 [[신촌블루스]]에서 활동하였다. 그는 이후 영화배우로도 활약을 하였다.
         [[분류:1961년 태어남]][[분류:2007년 죽음]][[분류:대한민국의 남자 가수]][[분류:대한민국의 작사가]][[분류:김현식]][[분류:유재하]][[분류:신해철]][[분류:김성재]][[분류:이승환]][[분류:김광석]][[분류:대한민국의 작곡가]][[분류:대한민국의 남자 싱어송라이터]][[분류:대한민국의 남자 영화 배우]][[분류:대한민국의 남자 뮤지컬 배우]][[분류:1985년 데뷔]][[분류:성균관대학교 동문]][[분류:영신고등학교 (대구) 동문]][[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캐나다에 거주한 대한민국인]][[분류:20세기 대한민국 사람]][[분류:21세기 대한민국 사람]][[분류:미국에 거주한 대한민국인]]
  • 박지일(배우) . . . . 3회 일치
         | 활동기간 = [[1985년]] ~ 현재
         [[1985년]] [[뮤지컬 배우]]로 데뷔하였고, 이듬해 [[1986년]] [[연극]] 《죽음의 푸가》를 통해 [[연극배우]]로도 활동하기 시작하였다. 연극배우 데뷔 초기에 같이 활약한 연기자는 [[조영진]]· [[김경룡]] 등이 있다.
         [[분류:1960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남자 뮤지컬 배우]][[분류:1985년 데뷔]][[분류:대한민국의 남자 영화 배우]][[분류:대한민국의 남자 연극 배우]][[분류:대한민국의 남자 배우]][[분류:대한민국의 남자 텔레비전 배우]][[분류:양평군 출신 인물]][[분류:동아대학교 동문]]
  • 박철우(배구) . . . . 3회 일치
         || 생년월일 || [[1985년]] [[7월 25일]] ([age(1985-07-25)]세) ||
         [[1985년]]생으로 [[김요한]]과 나이상 동기지만, 프로 데뷔가 엄청나게 빨랐던 것은 그가 고졸 자격으로 현대캐피탈에 입단했기 때문이다. [[대한민국]] 남자 배구판에서는 20년 전 경북사대부고에서 럭키금성(現 [[의정부 KB손해보험 스타즈|KB손해보험]])으로 직행한 김찬호 현 [[경희대학교|경희대]] 배구부 감독에 이어 2번째인 고졸 현역 데뷔 선수. 가난한 집안 사정과 [[이경수]] 드래프트 파동으로 인해 대학-실업 간 선수 수급에 대한 합의 등이 없던 상황을 이용해 당시 현대캐피탈 감독이자 ~~주로 부정적인 쪽으로~~[[스카우트]]의 귀재인 [[송만덕]]의 아이디어로 프로행을 선언, 초고교급 대어였던 박철우를 잡기 위해 삼성화재와 현대캐피탈이 모두 계약을 시도했고, 경쟁의 승리자는 현대캐피탈이 되었다. 학교 지원금(공식적으로 명지대에 일반 학생으로 입학한 케이스)을 포함해 총 '''계약금 8억 원'''을 받고 현대캐피탈에 입단했다. 이것이 대학연맹과 실업연맹 간 갈등 악화를 부채질했고, 결국 [[이경수]] 드래프트 파동이 정상화되었을 때 대학배구연맹은 '''고졸 선수의 프로 직행을 금지하는 조항'''을 프로 연맹에 요청해 공식적으로 명문화되었다.[* 이후 2013년 드래프트부터 이 조항이 삭제되어 고교졸업 예정 선수들도 드래프트에 응할 수 있게 되었다. 이 개정에 따라 지명된 선수가 송림고등학교 졸업 후 [[인천 대한항공 점보스|대한항공]]의 지명을 받아 입단한 [[정지석]]이다.] 아이러니한 것은 이런 중대한 결정을 주도한 당시 현대캐피탈 [[송만덕]] 감독은 그 해가 가기도 전에 [[방신봉]]의 항명 파동으로 인해 현대캐피탈 감독직에서 사실상 해임되었다는 것.[* 사실 박철우의 고졸 프로 진출보다 더 파격적인 사례가 있었다. 그 주인공은 1990년대 초반 중학교 졸업 후 [[구미 KB손해보험 스타즈|럭키화재]]에 입단했던 이상욱. 그러나 이상욱은 이렇다 할 활약을 보이지 못한 채 1994-1995 슈퍼리그 직전 슬그머니 방출되었다.]
         [[분류:배구 선수]][[분류:구미시 출신 인물]][[분류:1985년 출생]]
  • 신웅 . . . . 3회 일치
         | 활동시기 = [[1985년]] ~ 현재
         1985년에 첫 노래 "무효"를 발표했다.<ref name="신웅"/>
         [[분류:1953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남자 가수]][[분류:대한민국의 트로트 가수]][[분류:칠곡군 출신]][[분류:1985년 데뷔]]
  • 이선아 . . . . 3회 일치
         '''이선아''' ([[1985년]] [[7월 22일]] ~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이선아'''는 [[1985년]] [[7월 22일]] [[경상북도]] [[대구광역시|대구시]]에서 태어났고 [[1998년]]를 거쳐 [[2001년]]에를 거쳐
         [[분류:대한민국의 여자 영화 배우]][[분류:대한민국의 여자 텔레비전 배우]][[분류:1985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구광역시 출신]][[분류:2009년 데뷔]][[분류:한양대학교 동문]][[분류:전의 이씨]]
  • 장윤진 . . . . 3회 일치
         '''장윤진'''([[1985년]] [[11월 16일]] ~ )은 [[대한민국]]의 [[미스코리아]] 출신 기업인이다.<ref>http://www.go20.com/journal_detail.php?jid=33&cat=9&pg=26</ref>
         * 출생: [[1985년]] [[11월 16일]], [[서울특별시]]
         [[분류:미스코리아 선]][[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서울특별시 출신 인물]][[분류:1985년 태어남]][[분류:이화여자대학교 동문]]
  • 전민제 . . . . 3회 일치
         * 1983년 전엔지니어링 회장(1985년 퇴임)
         * 1983년 동남아태평양지역공학단체연합(FEISEAP) 부총재(1985년 퇴임)
         * 1985년 전인터내셔널 명예회장
  • 전재국 . . . . 3회 일치
         |복무 기간 = [[1985년]] [[3월]] ~ [[1985년]] [[9월]]
         *[[1985년]]: 육군 소위([[석사장교]]) 예편.
  • 정진(1941) . . . . 3회 일치
         | 수상 = 1985년 [[백상예술대상]] TV부문 연기상
         그는 [[동국대학교]] 연극영화학과를 중퇴하였으나 연극연출가 [[이해랑]](李海浪)에게 픽업되어 [[1962년]] [[연극배우]]로 첫 데뷔를 하였고 5년 후 [[1967년]] [[동양방송|TBC 동양방송]] 특채로 [[텔레비전 드라마]]에 첫 출연하였으며 [[영화배우]] 데뷔는 [[1973년]] [[영화|사극 영화]] 《오타 줄리아와 도꾸가와 이에야스》로 데뷔하였다. 이후 [[1984년]] [[문화방송|MBC 문화방송]] 사극 [[텔레비전 드라마|드라마]] 《[[설중매 (드라마)|설중매]]》에서 [[한명회]](韓明澮) 역을 배역하여 [[1985년]] 제23회 [[백상예술대상]]에서 TV부문 연기상을 수상하였다.
         * [[1985년]] [[MBC]]《[[임진왜란 (드라마)|임진왜란]]》 ... [[도요토미 히데요시]] 역
  • 채형석 . . . . 3회 일치
         1985년 애경산업 감사로 애경그룹에 입사한 후 애경유지공업 대표이사, 애경백화점 수원점 대표이사, 에이알디홀딩스 대표이사, 애경백화점 평택점 대표이사, AK면세점 대표이사 등을 지냈다.
         *1985년 [[보스턴 대학교]] 경영대학원 경영학 석사
         * [[1985년]] 애경산업 감사, 애경유지공업 감사
  • 최계훈 . . . . 3회 일치
         * [[삼미 슈퍼스타즈]] (1984년 ~ 1985년)
         * [[청보 핀토스]] (1985년 ~ 1986년)
         [[1985년]] [[3월 31일]] 롯데의 신인 [[투수]] 박동수에게 완봉패를 당한 것을 시작으로 [[삼미 슈퍼스타즈]]가 당한 18연패를 [[4월 30일]] [[MBC 청룡|MBC]]전에서 [[최계훈]]이 완봉승을 거두어 벗어났다.<ref>[http://sports.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kbo&ctg=news&mod=read&office_id=382&article_id=0000077896 금광옥 “월급은 현찰, 연패 때도 술판…삼미, 화끈했어”] - 스포츠동아</ref>
  • 최재성(배우) . . . . 3회 일치
          * [[1985년]] KBS 미니시리즈 《별을 쫓는 야생마》
          * [[1985년]] KBS 주말연속극 《초원에 뜨는 별》
          * [[1985년]] KBS 일일연속극 《고향》
  • 추미애 . . . . 3회 일치
         1985년, 같은 대학의 [[캠퍼스 커플]]이었던[[http://news.tf.co.kr/read/ptoday/1418527.htm|#]] 서성환 변호사[* 서성환은 추미애보다 3살 많지만, 대학을 늦게 입학한 까닭에 같은 과 같은 학번의 동기였다. 두 사람은 연애를 하며 사법시험 공부를 함께 하기도 했다고 한다.]와 7년 간의 연애 끝에 결혼하여 법조인 부부로 이름을 알렸다.[[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88&aid=0000457396|#]]
         관련하여 판사 재직 시절 이런 일도 있었다. 1985년 봄, 당시 [[전두환]] 정권은 공안 통치를 위해, 오늘날에는 명작으로 평가 받는 <[[난쏘공|난장이가 쏘아 올린 작은 공]]> 등 100권이 넘는 책을 불온서적이라는 딱지를 붙여가며 압수수색하였다. 전국 검찰에선 일제히 영장을 청구했고, 전국 법원은 예외 없이 영장을 발부했다.
          * [[1985년]] [[춘천지방법원]] [[판사]]
  • 한송이 (방송인) . . . . 3회 일치
         |출생일= [[1985년]] [[11월 16일]]
         '''한송이'''([[1985년]] [[11월 16일]] ~ )는 [[대한민국]]의 [[가수]], [[배우]], [[리포터]] 및 [[모델 (직업)|모델]]이다. 가수로서는 [[허니쉬]]라는 듀오로 활동했다. [[그리피스대학교]]에서 호텔경영학을 취득했다. [[2007년]] TV엔젤스 시즌 2에서 [[김시향]]을 물리치고 최종 우승을 차지했다.
         [[분류:대한민국의 방송인]][[분류:1985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모델]][[분류:서울특별시 출신 인물]][[분류:그리피스 대학교 동문]]
  • 고준희 . . . . 2회 일치
         '''고준희'''([[1985년]] [[8월 31일]] ~ )는 [[일본]]의 [[가수]]이다.
         [[분류:1985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여자 텔레비전 배우]][[분류:대한민국의 여자 영화 배우]][[분류:대한민국의 여자 모델]][[분류:2001년 데뷔]][[분류:YG 엔터테인먼트 소속]][[분류:경희대학교 동문]]
  • 김광석 . . . . 2회 일치
         | 가족 = 누나 2명(김광나,김광득) <br /> 형 2명(김광동(김광석 군입대중 1985년 작고),김광복) <br/> 슬하1녀(딸 김서연,1991년 출생, 2007년 사망 확인)
         [[1982년]]에 경영학과에 입학하였고, 이후 대학연합 동아리에 가입하면서 [[민중가요]]를 부르고 선배들과 함께 소극장에서 공연을 시작하였다. 1984년 12월 [[노래를 찾는 사람들]] 1집에 참여하여 활동하였다. 1985년 1월 입대하였으나 군 생활 중 큰형(김광동)이 사망함으로 인해 6개월 단기사병(방위병)으로 복무를 마치고 제대하였다. 복학해 다시 [[노래를 찾는 사람들]]에 합류하여 1, 2회 정기공연에 참여한다. 1987년 학창시절 친구들과 함께 [[동물원 (밴드)|동물원]]을 결성해 [[동물원 (밴드)|동물원]] 1집과 2집을 녹음하였다.
  • 김동호 (야구선수) . . . . 2회 일치
         '''김동호'''(金東昊<ref> 한국야구위원회, 2015 가이드북 </ref>, [[1985년]] [[9월 10일]] ~ )는 [[KBO 리그]] [[삼성 라이온즈]]의 [[투수]]이다.
         [[분류:1985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KBO 리그 투수]][[분류:대한민국의 야구 선수]][[분류:삼성 라이온즈 선수]][[분류:대구수창초등학교 동문]][[분류:성광중학교 동문]][[분류:대구고등학교 동문]][[분류:영남대학교 동문]][[분류:한화 이글스 선수]][[분류:고양 원더스 선수]]
  • 김민기(가수) . . . . 2회 일치
         1985년에 뮤지컬 사무실 직원으로 일하던 이미영과 결혼했고, 1987년에는 [[6월 항쟁]]으로 본격적인 [[민주화]] 열풍이 불자 6년 전 [[충청남도]] [[보령시]]의 [[탄광]]에서 잠시 광부 생활을 했을 때의 경험을 살려 탄광촌 아이들을 다룬 노래극 '아빠 얼굴 예쁘네요'를 만들었다. 하지만 아직 건재하던 공윤위의 꼬장 때문에 여러 대목의 가사를 고쳐서 출반해야 했다. 공윤위와의 마찰은 같은 해 12월에 노래일기 '엄마, 우리 엄마'와 훗날 록 오페라로 리메이크하게 되는 노래극 '개똥이'의 노래를 모은 음반을 낼 때도 똑같이 벌어졌다.
         요즘은 김민기가 무명 가수 취급을 받곤 하는데, 그런 사람은 '''1970~1980년대를 살아보지 못했거나 국내 가요의 역사를 수박겉핥기 식으로만 알고있는 사람'''이다. 국내 대중음악계에서 형식적인 면(연주, 편곡)에서 혁명을 가져온게 록과 흑인음악을 도입한 [[신중현]]이라면, 내용적인 면(노랫말, 감성, 메세지)에서 혁명을 가져온 것이 김민기이다.[* 그리고 이 두가지 흐름이 다시 만나는 지점이 바로 1985년 나온 [[들국화(밴드)|들국화]] 1집이다. 대중음악평론가들이 괜히 [[한국 대중음악 100대 명반]] 같은 순위에서 들국화 1집을 처음에 꼽는게 아니다.]
  • 김병기(배우) . . . . 2회 일치
         * [[1982년]]~[[1985년]] [[KBS1]] 반공드라마 《[[지금 평양에선]]》 ... [[김정일]] 역
         * [[1985년]] [[KBS2]] 대하드라마 《[[태평무 (드라마)|태평무]]》
  • 김승환(배우) . . . . 2회 일치
         ||<bgcolor=#BFFF00> '''데뷔''' || [[1985년]] 영화 '왜불러' ||
         [[분류:한국 남배우]][[분류:남양주시 출신 인물]][[분류:1964년 출생]][[분류:1985년 데뷔]]
  • 김영철(배우) . . . . 2회 일치
         || 1985년 || 고향 || KBS1 || ||
          * 1985년 먹다 버린 능금
  • 김정혁 . . . . 2회 일치
         || '''생년월일''' || [[1985년]] [[8월 3일]] ||
         [[분류:대한민국의 야구 선수]][[분류:포항시 출신 인물]][[분류:1985년 출생]][[분류:타자]][[분류:내야수]][[분류:우투우타]]
  • 김준영 (프로게이머) . . . . 2회 일치
         '''김준영'''(金俊永; [[1985년]] [[12월 5일]] ~ )은 [[대한민국]]의 전직 [[스타크래프트]] [[프로게이머]]로, 아이디는 '''GGPlay''' 또는 '''KT.MGW)Never'''이다.
         [[분류:1985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e스포츠 선수]][[분류:스타리그 우승자]][[분류:대구광역시 출신]][[분류:스타크래프트 프로게이머]][[분류:저그 선수]][[분류:웅진 스타즈의 선수]]
  • 김진향 . . . . 2회 일치
         * 1982년 ~ [[1985년]]:[[다사중학교]]
         * 1985년 ~ [[1988년]]:[[영진고등학교]]
  • 김희애 . . . . 2회 일치
         ||<:><#cccccc> '''데뷔''' ||영화 [[1983년]] "스무해 첫째날"[br]드라마 [[1985년]] MBC 베스트셀러 극장||
         1966년 4월 23일 생. [[제주특별자치도|제주도]]에서 태어나 어린 시절 [[서울특별시|서울]]로 이사와서 자랐으며, 혜화여고 1학년 때 의류CF 모델로 연예계 활동을 시작했고 일 년 뒤인 1983년 영화 "스무해 첫째 날"로 데뷔했다. 10대 시절 하이틴 영화에서 주로 활동하다가 1985년 MBC 베스트셀러 극장 "알수없는 일들"로 브라운관에 데뷔했고, 이후로는 TV 쪽에 주력했다. 1986년에 KBS 일일드라마 "여심"의 주인공으로 캐스팅되었고 스무살 신인임에도 불구하고 10대부터 60대를 소화하는 연기력으로 센세이션한 반응을 일으키며 하이틴급 청순가련형은 아니지만 대학 동창 [[전인화]]와 신세대 스타로 급부상한다.
  • 노형욱(배우) . . . . 2회 일치
         '''노형욱'''(盧亨旭, [[1985년]] [[11월 21일]] ~ )는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분류:1985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안양시 출신 인물]][[분류:1998년 데뷔]][[분류:대한민국의 남자 연극 배우]][[분류:대한민국의 남자 텔레비전 배우]][[분류:대한민국의 남자 영화 배우]][[분류:대한민국의 남자 어린이 배우]][[분류:대한민국의 남자 뮤지컬 배우]][[분류:비디오 자키]]
  • 라늬 . . . . 2회 일치
         '''라늬'''({{본명|허선아}}, [[1985년]] [[3월 8일]] ~ )는 [[대한민국]]의 [[가수]]이다.
         [[분류:1985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계명대학교 동문]][[분류:대한민국의 여자 가수]][[분류:대한민국의 여자 배우]]
  • 박석민 . . . . 2회 일치
         || '''생년월일''' || [[1985년]] [[6월 22일]][* [[스포츠서울]] 창간일과 생년월일이 같다.] ([age(1985-06-22)]세) ||
         [[분류:대한민국의 야구 선수]][[분류:동구(대구) 출신 인물]][[분류:1985년 출생]][[분류:타자]][[분류:내야수]][[분류:우투우타]]
  • 박세직 . . . . 2회 일치
         [[육군사관학교]] 제12기 출신이다. [[박희도]][* 1979년 12월 [[12.12 군사반란]] 당시 제1공수여단장이었으며, 1985년 12월부터 1988년 6월까지 육군참모총장을 역임하였다] [[박준병]][* 1979년 12월 [[12.12 군사반란]] 당시 [[제20기계화보병사단]]장이었으며, 이후 국군보안사령관과 국회의원([[민주정의당]], [[민주자유당]], [[자유민주연합]] 소속)을 지냈다.]과 함께 [[하나회]] 회원이었다. 그리고 박희도, 박준병, 박세직 등을 가리켜 '''쓰리 박'''이라고 하였다.
         1985년 2월 노신영 내각이 출범하자 총무처(현 [[행정자치부]]) 장관 등을 지냈다. 1986년 제4대 체육부 장관으로 취임하고, '''제24회 [[1988 서울 올림픽]]대회 조직위원회 위원장'''을 지냈다.
  • 박진영 (야구선수) . . . . 2회 일치
         '''박진영'''(朴晋永<ref>한국야구위원회, 2009 가이드북</ref>, [[1985년]] [[3월 27일]] ~ )은 [[KBO 리그]] 전 [[고양 원더스]]의 [[내야수]]이다.
         [[분류:1985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KBO 리그 내야수]][[분류:KIA 타이거즈 선수]][[분류:고양 원더스 선수]][[분류:대구본리초등학교 동문]][[분류:경상중학교 동문]][[분류:대구고등학교 동문]][[분류:연세대학교 교육과학대학 동문]]
  • 박칠용 . . . . 2회 일치
         * [[1985년]] [[연성대학교|안양공업전문대학]] 연극영화학과 전문학사
         * [[1985년]] 《여자의 반란》
  • 박하나(배우) . . . . 2회 일치
         ||<#83C4C7> {{{#ffffff '''출생'''}}} ||<(> [[1985년]] [[7월 25일]] ([age(1985-07-25)]세), [[강원도]] [[춘천시]] 소양로3가 (소양로) ||
         [[분류:한국 여배우]][[분류:1985년 출생]][[분류:2003년 데뷔]][[분류:미스터리 음악쇼 복면가왕 역대 출연자]][[분류:춘천시 출신 인물]][[분류:1대 100 역대 1인]]
  • 박홍우 . . . . 2회 일치
         * [[1985년]] ~ [[1989년]] 수원지방법원 성남지원 판사
         * [[1982년]] ~ [[1985년]] 춘천지법 판사
  • 서효림 . . . . 2회 일치
         '''서효림'''([[1985년]] [[1월 6일]] ~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2007년]] KBS 드라마 《[[꽃피는 봄이 오면 (드라마)|꽃피는 봄이 오면]]》으로 데뷔하였다.
         [[분류:대한민국의 여자 텔레비전 배우]][[분류:대한민국의 여자 영화 배우]][[분류:대한민국의 여자 배우]][[분류:2007년 데뷔]][[분류:1985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여자 모델]][[분류:키이스트 소속]][[분류:서귀포시 출신]]
  • 안병근 . . . . 2회 일치
         {{금메달|[[1985년 세계 유도 선수권 대회|1985 서울]]|-71kg}}
         이후에도 [[1985년]] 세계 선수권 대회, [[1986년 아시안 게임]]에서도 같은 무게급 타이틀을 보유하였다. [[1988년 서울 올림픽]]에도 참가하였지만, 아깝게 탈락하고 말았다.
  • 오현근 . . . . 2회 일치
         '''오현근'''(吳賢根, [[1985년]] [[9월 12일]] ~ )은 전 [[KBO 리그]] [[롯데 자이언츠]]의 [[외야수]]이다.
         [[분류:1985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서울특별시 출신]][[분류:KBO 리그 외야수]][[분류:KBO 리그 중견수]][[분류:서울언북초등학교 동문]][[분류:성남중학교 (서울) 동문]][[분류:성남고등학교 (서울) 동문]][[분류:고려대학교 동문]][[분류:해주 오씨]][[분류:SK 와이번스 선수]][[분류:두산 베어스 선수]][[분류:롯데 자이언츠 선수]][[분류:경찰 야구단 선수]]
  • 윤선우 . . . . 2회 일치
         '''윤선우'''({{본명|윤민수}}, [[1985년]] [[9월 7일]] ~ )는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2019년 《[[왜그래 풍상씨]]》에 이어 KBS 1TV 일일드라마 《[[여름아 부탁해]]》에서 유학파 셰프 주상원 역을 맡았다.<ref>{{뉴스 인용|url=http://vertical.kbs.co.kr/index.html?sname=story&source=scoop&stype=magazine&contents_id=70000000324106|제목=KBS스토리매거진|성=|이름=|날짜=2019.4.29|뉴스=윤선우, “셰프 주상원을 부탁해”|출판사=|확인날짜=}}</ref>
         [[분류:대한민국의 남자 배우]][[분류:대한민국의 남자 텔레비전 배우]][[분류:대한민국의 남자 영화 배우]][[분류:1985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나주시 출신]][[분류:2003년 데뷔]]
  • 윤주희(배우) . . . . 2회 일치
         ||<#FF91AF> {{{#ffffff '''출생'''}}} ||<(> [[1985년]] [[2월 21일]] ([age(1985-02-21)]세), [[강원도]] [[동해시]] 효가동 (동해대로) ||
         [[분류:한국 여배우]][[분류:1985년 출생]][[분류:동해시 출신 인물]][[분류:2007년 데뷔]]
  • 이광수(배우) . . . . 2회 일치
         ||<#ACF3FF> '''{{{#000000 출생}}}''' ||<#ffffff><(> [[1985년]] [[7월 14일]] ([age(1985-07-14)]세), [[경기도]] [[남양주시]] ||
         [[분류:한국 남성 모델]][[분류:한국 남배우]][[분류:1985년 출생]][[분류:남양주시 출신 인물]][[분류:모델 출신 배우]][[분류:2008년 데뷔]]
  • 이보희(배우) . . . . 2회 일치
         80년대 활동한 여성 연기자들 중에서 보면 최전성기 기준으로 당대 최고로 평가받았으나 전성기가 짧은 편. 1984년 [[무릎과 무릎 사이]]에서 주연을 맡아 영화 흥행을 이끌어 낸 후 1985년에 [[어우동]]에서 원탑 주연을 맡아 그해 [[깊고 푸른 밤]] 다음으로 한국영화 최고 흥행을 이루면서 전성기를 맞았고, 그뒤 88년 초반까지 영화 흥행에도 성공을 거두면서 백상예술대상을 비롯한 주요 영화제 상도 휩쓸면서 흥행과 연기력 양쪽으로 인정을 받았으나, 88년에 결혼 후 잠정 은퇴하면서 전성기가 순식간에 꺾였다. 그러나 전성기라고 해도 영화에 한정되어 있다 보니 대중성이 좋은 드라마까지 흥행시킨 원미경이나 이미숙, 드라마만 흥행시킨 정애리보다는 인기의 등급이 떨어지는 편이었다.
         || 1985년 || [[어우동]] || 어우동 역 || 479,225명 || ||
  • 이승현 (1985년 7월) . . . . 2회 일치
         '''이승현'''([[1985년]] [[7월 25일]] ~ )은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로 포지션은 [[미드필더#윙어|윙어]]이다. 현재 [[수원 FC]] 소속으로 뛰고 있다.
         [[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1985년 태어남]][[분류:대한민국의 축구 선수]][[분류:부산 아이파크의 축구 선수]][[분류:전북 현대 모터스의 축구 선수]][[분류:상주 상무 축구단의 축구 선수]][[분류:수원 FC의 축구 선수]][[분류:K리그1의 축구 선수]][[분류:K리그2의 축구 선수]][[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청구고등학교 동문]][[분류:대구반야월초등학교 동문]][[분류:청구중학교 동문]][[분류:한양대학교 동문]][[분류:대한민국 U-20 축구 국가대표팀 선수]][[분류:대한민국 U-23 축구 국가대표팀 선수]][[분류: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선수]][[분류:대한민국의 개신교도]][[분류:축구 윙어]]
  • 이철우(1955) . . . . 2회 일치
         ||<height=40><bgcolor=#C9151E> {{{#FFFFFF ''' 직업 ''' }}} ||<(><bgcolor=#FCFEFE> [[공무원|교육공무원]] {{{-1 (''미상'')}}}[br][[공무원|정보공무원]] {{{-1 ([[1985년]] ~ ''미상'')}}}[br][[대한민국 국회의원]] {{{-1 ([[2008년]] ~ [[2018년]])}}}[br][[경상북도지사]] {{{-1 ([[2018년]] ~)}}} ||
         1955년 [[경상북도]] [[김천시]]에서 태어났다. 김천 곡송국민학교, 대구 [[영남중학교(대구)|영남중학교]], [[김천고등학교]], [[경북대학교]] [[사범대학]] 수학교육과를 졸업했다. 이후 상주 화령중학교, 의성 신평중학교와 단밀중학교 수학 [[교사]]를 역임하였다가 1985년 [[국가안전기획부]] 공채에 합격하여 정보공무원으로 근무했다. 이후 2005년 말부터 2008년 초까지 [[이의근]] 도지사와 [[김관용]] 도지사 밑에서 경상북도 정무부지사를 역임했다.
  • 이현욱(배우) . . . . 2회 일치
         '''이현욱'''([[1985년]] [[6월 17일]] ~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분류:1985년 태어남]][[분류:2013년 데뷔]][[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배우]][[분류:대한민국의 텔레비전 배우]][[분류:영광군 출신 인물]]
  • 이홍렬(코미디언) . . . . 2회 일치
          * 1985년 <진주햄 줄줄이바나나소시지>
          * 1985년 <에바스화장품> (가수 나미[* 5인조 보이그룹 Q.O.Q로 활동했던 솔로가수 [[정철(동명이인)|최정철]]의 어머니.]와 함께 출연)
  • 임혁주 . . . . 2회 일치
         * 1985년 [[한국방송공사|KBS]] - 《[[새벽 (드라마)|새벽]]》
         * 1985년 [[한국방송공사|KBS]] - 《[[광장 (드라마)|광장]]》 - 이명준 역
  • 장원준 (야구선수) . . . . 2회 일치
         '''장원준'''(張元準, [[1985년]] [[7월 31일]] ~ )은 [[KBO 리그]] [[두산 베어스]]의 [[투수]]이다. [[서울특별시|서울]]에서 태어났으나 7세 때 [[부산광역시|부산]]으로 이주하여 성장했다.<ref>[http://sports.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kbo&ctg=news&mod=read&office_id=382&article_id=0000007335 장원준, 미인들만 만나는 비결? “모성애 자극 ㅋㅋ”] - 스포츠동아</ref>
         [[분류:1985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서울특별시 출신 인물]][[분류:KBO 리그 투수]][[분류:한국 프로 야구 100승 클럽]][[분류:롯데 자이언츠 선수]][[분류:두산 베어스 선수]][[분류:수영초등학교 (부산) 동문]][[분류:대동중학교 (부산) 동문]][[분류:부산고등학교 동문]][[분류:영남사이버대학교 동문]]
  • 장유환 . . . . 2회 일치
         '''장유환'''([[1985년]] [[12월 15일]] ~ )는 [[대한민국]]의 [[희극 배우]]이다.
         [[분류:1985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서울특별시 출신 인물]][[분류:2007년 데뷔]][[분류:2013년 데뷔]][[분류:장씨]][[분류:개그투나잇]][[분류:개그콘서트]]
  • 장현수 (영화감독) . . . . 2회 일치
         [[서울특별시|서울]]에서 태어났으며, [[중앙대학교]] 연극영화과를 졸업했다. [[1985년]] 조감독에서 경험을 쌓았다. [[1992년]] 《걸어서 하늘까지》라는 로맨스 영화로 감독 데뷔를 시작하였다. [[1994년]] 《[[게임의 법칙]]》으로 그 액션 영화로 성공을 이어갔다. 이후 영화 《[[엑스트라 (1998년 영화)|엑스트라]]》로 카메오 출연으로 그 화제작을 선보였다.
         * 1985년 《여왕벌》
  • 장후영 . . . . 2회 일치
         }}</ref> ~ [[1985년]] [[11월 7일]])은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의 법조인이다.
         [[분류:1909년 태어남]][[분류:1985년 죽음]][[분류:일제 강점기의 법조인]][[분류:대한민국의 법조인]][[분류:대한민국의 기업인]][[분류:친일인명사전 수록자]]
  • 전지수 . . . . 2회 일치
         '''전지수'''(全志秀, [[1985년]] [[12월 13일]] ~ )은 [[대한민국]]의 [[쇼트트랙]] 선수이다. 현재 [[전라북도|전북도청]] 소속이다.
         [[분류:1985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쇼트트랙 선수]][[분류:한국체육대학교 동문]][[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한국체육대학교 동문]][[분류:정화여자고등학교 동문]][[분류:덕화중학교 동문]][[분류:대구파동초등학교 동문]][[분류:아시안 게임 쇼트트랙 메달리스트]][[분류:2007년 동계 아시안 게임 메달리스트]][[분류:2007년 동계 아시안 게임 쇼트트랙 참가 선수]][[분류:대한민국의 아시안 게임 은메달리스트]]
  • 정서임 . . . . 2회 일치
         * 1985년 KBS2 tv문학관 《[[노래여 마지막 노래여]]》
         * 1985년 《아침마당》 - 63빌딩 개관시 아쿠아리움 소개
  • 정채진 . . . . 2회 일치
         |임기 = [[1982년]] [[5월 3일]] ~ [[1985년]] [[2월 20일]]
         |임기 = [[1985년]] [[2월 22일]] ~ [[1986년]] [[8월 28일]]
  • 정해창(정무직공무원) . . . . 2회 일치
         고등고시(제10회) 사법과 및 행정과에 합격하여 1962년부터 [[검사(법조인)|검사]]로 근무하였다. 1982년부터 1985년까지 [[대한민국 법무부|법무부]] [[차관]]을, 1985년부터 1986년까지 [[사법연수원]] [[원장]] 등을 지냈다. 1987년 5월 박종철 고문치사 사건의 수습 차원에서 [[김성기(1935)|김성기]] [[대한민국 법무부|법무부]][[법무부 장관|장관]]이 경질되자 후임 [[장관]]으로 임명되어 1988년 12월까지 역임하였다.
  • 조현근 . . . . 2회 일치
         '''조현근'''(趙賢根<ref>한국야구위원회, 2012 가이드북</ref>, [[1985년]] [[11월 21일]] ~ )은 전 [[KBO 리그]] [[삼성 라이온즈]]의 [[투수]]이다.
         [[분류:1985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KBO 리그 투수]][[분류:대구상원고등학교 동문]][[분류:경복중학교 동문]]
  • 차재욱 . . . . 2회 일치
         '''차재욱'''(車宰旭,[[1985년]] [[1월 1일]] ~ )은 [[대한민국]]의 전직 [[스타크래프트]] [[프로게이머]]출신 프로게임단 코치였다. 당시에는 [[CJ 엔투스]] 소속이었다.
         [[분류:1985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구광역시 출신]][[분류:대한민국의 e스포츠 선수]][[분류:대한민국의 불교 신자]][[분류:연안 차씨]][[분류:스타크래프트 프로게이머]][[분류:온게임넷 스파키즈의 선수]][[분류:공군 ACE의 선수]]
  • 천제훈 . . . . 2회 일치
         '''천제훈'''(千制訓, [[1985년]] [[7월 13일]] ~ )은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로서 포지션은 [[미드필더]]이다. 현재 [[내셔널리그 (대한민국)|내셔널리그]]의 [[목포시청 축구단|목포시청]] 소속으로 뛰고 있다. 정규리그에서는 골을 기록하지 못했으나 2006년 [[FC 서울]] [[리그컵 2006|컵대회]] 우승을 확정짓는 동점골을 기록하였다.
         [[분류:1985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축구 선수]][[분류:FC 서울의 축구 선수]][[분류:광주 상무 축구단의 축구 선수]][[분류:목포시청 축구단의 축구 선수]][[분류:포천 시민축구단의 축구 선수]][[분류:K리그1의 축구 선수]][[분류:내셔널리그의 축구 선수]][[분류:K3리그의 축구 선수]][[분류:승부조작에 관여한 스포츠인]][[분류:서울특별시 출신 인물]]
  • 최성원 (배우) . . . . 2회 일치
         '''최성원'''([[1985년]] [[1월 17일]] ~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분류:1985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남자 배우]][[분류:대한민국의 남자 텔레비전 배우]][[분류:대한민국의 남자 뮤지컬 배우]][[분류:서울특별시 출신 인물]][[분류:대한민국의 남자 영화 배우]][[분류:대한민국의 남자 연극 배우]]
  • 최성원(가수) . . . . 2회 일치
         1983년 들국화에 베이시스트로 합류하였다. 이후 잠시 빠졌다가 다시 합류하여 1985년 [[들국화(앨범)|들국화 1집]] 앨범작업에 참여하였는데, 이 앨범은 [[한국 대중음악 100대 명반]]리스트 1위를 차지한 전설적인 명반이 되었다. 최성원은 여기서 1집에서 가장 유명하며 아직도 명곡으로 회자되는 '[[그것만이 내 세상]]', '[[더 이상 내게]]', 1집에서 전인권과 최성원이 유일하게 듀엣으로 부른 노래인 '[[사랑일 뿐이야]]', 자신이 메인보컬이 되어 부른 노래이고 그것만이 내 세상과 함께 아직까지도 회자되는 명곡 '[[매일 그대와]]' 등의 노래를 작사, 작곡하였다.
         1990년 '어린 왕자'[* 1985년 우리노래전시회에서 강인원이 불렀던 곡을 리메이크했다.], '솔직할 수 있도록' 등이 수록된 2집을 발매하였다. 사실 이 음반도 잘 알려지지 않아서 그렇지 명곡들이 상당히 많다. 도입부의 나레이션과 몽환적인 분위기의 '어린왕자'와 낙관적인 그의 가치관을 엿볼 수 있는 '솔직할 수 있도록' 또한 자신의 어린 시절과 들국화 초기 시절의 추억을 담은 '생각이 나는지', ccm풍이 물씬 풍기는 '행복의 열쇠'와 최성원 특유의 음색과 곡의 멜로디가 잘 어울려져 있으며 손진태의 기타솔로가 인상적인 '네 눈 앞에만' 등 수록된 모든 곡들이 명곡이다
  • 최수진 (무용가) . . . . 2회 일치
         '''최수진'''([[1985년]] [[8월 6일]] ~)은 대한민국의 [[무용가]]이다
         [[분류:대한민국의 무용가]][[분류:1985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서울특별시 출신 인물]][[분류:서울예술고등학교 동문]][[분류:한국예술종합학교 동문]]
  • 추봉 (배우) . . . . 2회 일치
         * 1985년 《고래 사냥 2》
         * 1985년 《인간시장 2, 불타는 욕망》
  • 태의경 . . . . 2회 일치
         * [[1982년]] ~ [[1985년]] : [[숙명여자고등학교]]
         * [[1985년]] ~ [[1989년]] :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체육교육과
  • 한승엽 (1985년) . . . . 2회 일치
         '''한승엽'''([[1985년]] [[3월 23일]] ~ )은 [[한국]]의 남자 [[스타크래프트]] 전 [[프로게이머]] 출신 게임 해설자다. Yooi라는 아이디를 사용하며 종족은 스타크래프트 [[테란]]이다.
         [[분류:1985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e스포츠 선수]][[분류:서울특별시 출신 인물]][[분류:대한민국의 게임 해설자]][[분류:스타크래프트 프로게이머]][[분류:테란 선수]][[분류:SouL (e스포츠)의 선수]][[분류:웅진 스타즈의 선수]]
  • 한이서 . . . . 2회 일치
         '''한이서'''([[1985년]] [[7월 19일]] ~ )는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ref>[http://people.search.naver.com/search.naver?where=nexearch&query=%ED%95%9C%EC%9D%B4%EC%84%9C&sm=tab_etc&ie=utf8&key=PeopleService&os=2502691 한이서-네이버인물정보]</ref>
         [[분류:1985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세종대학교 동문]][[분류:대한민국의 여자 배우]][[분류:대한민국의 여자 텔레비전 배우]][[분류:서울특별시 출신 인물]][[분류:2007년 데뷔]]
  • 함가연 . . . . 2회 일치
         '''함가연'''([[1985년]] [[11월 23일]] ~)은 대한민국의 댄스스포츠 선수이다
         [[분류:댄스스포츠 선수]][[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1985년 태어남]][[분류:서울특별시 출신 인물]][[분류:한국체육대학교 동문]]
  • 홍인영 . . . . 2회 일치
         ||<#FF0000><:> {{{#FFFFFF '''출생''' }}} ||<:>[[1985년]] [[10월 27일]], [[전라남도]] [[영암군]] ||
         [[분류:한국 여배우]][[분류:1985년 출생]][[분류:영암군 출신 인물]]
  • 홍정욱 . . . . 2회 일치
         홍정욱은 1970년에 태어나 1985년 압구정중학교 재학 중 도미, 1989년 [[초트 로즈메리 홀]] 고등학교를 졸업했고, 1993년 [[하버드 대학교]]를 동아시아학 전공으로 [[마그나 쿰 라우데]]급의 우수한 성적으로 졸업했다. 1991년 하버드 대학 재학 시절 교환학생으로 [[서울대학교]] 정치학과에서 1년 간 수학했고, 대학 졸업 후 1994년 [[베이징 대학|북경대학교]] 대학원에서 장학생으로 잠시 정치학 석사과정을 수학했지만 곧 중퇴한 후 [[미국의 로스쿨|미국 로스쿨]] 입학을 선택했다. 1995년 [[스탠퍼드 로스쿨|스탠포드 로스쿨]]에 입학하였으며 1998년 법무박사 (J.D.) 학위를 취득하였고 [[뉴욕주]] 변호사 자격을 얻었다.
         미국 영주권자인 어머니를 통해 1985년 미국에 가게 되었으며, 미국 영주권자로 [[1987년]] 군면제 판정을 받았지만, 2001년 영주권을 포기하고 귀국해 군복무를 하였다. 30세를 넘긴 나이로 부모가 모두 환갑을 넘겼고 누나가 모두 분가한 이유로 2001년 12월 17일부터 공익근무요원으로 복무, 육군 제30사단에 입대해 4주간의 신병훈련을 마치고 6개월간 서울용산초등학교에서 전산요원으로 공익근무를 한 후 2002년 제대하였다.
  • 황교충 . . . . 2회 일치
         '''황교충'''(黃敎忠, [[1985년]] [[4월 9일]] ~ )은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이며, 포지션은 [[골키퍼]]이다.
         [[분류:1985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축구 선수]][[분류:김해시청 축구단의 축구 선수]][[분류:포항 스틸러스의 축구 선수]][[분류:강원 FC의 축구 선수]][[분류:용인시청 축구단의 축구 선수]][[분류:K리그1의 축구 선수]][[분류:K리그2의 축구 선수]][[분류:내셔널리그의 축구 선수]][[분류:서울특별시 출신 인물]][[분류:문일고등학교 동문]][[분류:한양대학교 동문]][[분류:황씨]]
  • 거유 . . . . 1회 일치
         1985년 극장공개 된 미국 성인영화의 일본 타이틀이 최초라고 알려져 있다. 1980년대 후반에는 성인잡지, 비디오의 자막에서 자주 쓰이게 되어 일반적으로 쓰이게 되었다. AV여배우 마쓰자카 키미코(松坂季実子)의 등장으로 폭발적으로 확산되었다.
  • 경주시 . . . . 1회 일치
         |align="center"|[[1985년]]
  • 권은희 (1959년) . . . . 1회 일치
         * 1984년 1월 ~ 1985년 12월: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데이터통신실 연구원
  • 김근석 . . . . 1회 일치
         {{1985년 삼성 라이온즈}}
  • 김남조 . . . . 1회 일치
         * 서울시문화상(1985년)
  • 김대휘 . . . . 1회 일치
         1985년에 서울형사지방법원, 1987년에 [[춘천지방법원]], 1989년에 춘천지방법원 강릉지원, 1990년 서울고등법원으로 전보되어 판사로 재직하였다. [[서울고등법원]]에서 판사로 재직할 때는 [[법원행정처]] 사법정책연구심의관을 겸직하다가 1994년에 부장판사에 승진하여 [[제주지방법원]]에서 부장판사를 하다가 1997년 [[인천지방법원]], 1998년 서울지방법원 남부지원, 1999년 서울지방법원, 2001년 부산고등법원, 2003년 서울고등법원으로 전보되어 부장판사를 하였다.
  • 김만제 . . . . 1회 일치
         한국개발연구원장 퇴임 후 잠시 [[한미은행]]장을 지내다가, 1983년부터 1985년까지 재무부(현 [[기획재정부]]) [[장관]], 1986년부터 1987년까지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부총리 겸 경제기획원(현 기획재정부) 장관]]을 역임하면서 [[제5공화국]]의 경제정책을 주도하였다. 그의 경제부총리 재임 시절은 소위 3저(低)[* 낮은 물가, 금리, 석유가격을 뜻한다.]로 대표되는 경제 호황기로 수출 증대, 무역 흑자를 기록하며 국내외적으로 한국 경제에 대한 평가가 우호적이었던 시기로 기록되고 있다. 그러나 후임 [[노태우]] 정부의 출범 후, 이 때의 부실기업 처리 과정이 문제가 되어 구설수에 오르기도 하였다.
  • 김민서(배우) . . . . 1회 일치
         원래는 1999년 12월 9일에 3인조 힙합 걸그룹 민트로 데뷔해 약 10개월 정도 활동했는데 대표곡으로는 'Passion', 'The End'가 있다. 당시 멤버구성은 오지선(1986년 1월 2일 생), 강혜경(1985년 8월 24일 생)으로 구성되었다. 현재 유튜브에 MBC 음악캠프의 Passion의 공연 영상이(2000년 8월 12일자와 10월 28일자의 두개.) 올라와 있다.
  • 김성곤 . . . . 1회 일치
         >1985년 발간 '성곡 일화집' 제목[* 김성곤이 생전 자주 쓰던 말이다.]
  • 김승목 . . . . 1회 일치
         1981년 [[제11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한국당]] 후보로 부산직할시 [[해운대구]]-남구 선거구에 출마하여 [[민주정의당]] [[이흥수(1928)|이흥수]] 후보와 동반 당선되었다. 1985년 [[제1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한국당 후보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신한민주당]] [[이기택]] 후보와 민주정의당 [[유흥수]]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 김연경(배구선수) . . . . 1회 일치
         || '''가족 관계''' || [[아버지]] 김동길, [[어머니]] 이금옥, [br] [[언니]] 김혜경^^(1982년생)^^, 김희경^^(1985년생)^^ ||
  • 김영준(1941) . . . . 1회 일치
         1985년 [[제1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한국당 후보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민주정의당 [[이춘구]] 후보와 [[신한민주당]] [[이택희]]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 김윤환 . . . . 1회 일치
         [[전두환]] 정권 후반기인 1985년 2월 [[노신영]] 국무총리 내각이 출범할 때 문화공보부(현 [[문화체육관광부]]) 차관으로 입각하였다. 문화공보부 차관으로 있던 1986년 여름, [[미국]]에서 열린 국제 공보관 회의에 참석하려 갔다가 외신 기자들로부터 "[[대한민국]]의 차기 대통령은 누가 유력하냐"라는 말에 사견임을 전제로 "[[노태우]] 민주정의당 대표가 유력하다"는 발언을 한 게 문제가 되어 귀국길에 [[국가안전기획부]]에 소환되어 조사를 받았는데[* 말 그대로 조사만 받았다. 고문을 했다거나 강압적인 수사를 한 게 아니라, 왜 그런 발언을 하게 된 것인지에 대해서만 집중적으로 질문했다고. 김윤환 본인은 기자들이 하도 귀찮게 물어서 그냥 대충 둘러댄 거라는 식의 답을 했고 당시 특별히 수상한 뒷일 같은 것도 없었던지라 금방 풀려났다.] 1년 뒤의 일을 예언한 셈이니 훗날 붙게 될 '킹메이커'라는 별명이 진짜인 셈.
  • 김재박 . . . . 1회 일치
         || '''1985년 [[KBO 리그|한국프로야구]] 도루왕''' ||
  • 김종호(1935) . . . . 1회 일치
         1981년 [[제11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정의당]] [[전국구]] 국회의원에 당선되었다. 같은 해부터 1983년까지 [[대한민국 국회]] 내무위원장을 역임하였다. 1985년 [[제1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정의당 후보로 충청북도 진천군-음성군-괴산군 선거구에 출마하여 [[한국국민당(1981년)|한국국민당]] [[김완태(정치인)|김완태]] 후보와 동반 당선되었다. 같은 해 대한민국 국회 예산결산특별위원장을 역임하였다. 1986년 내무부[[장관]]에 임명되었으나 1987년 1월 [[박종철 고문치사 사건]]에 따른 민심 수습책으로 경질되었다. 내무부 장관으로 민주화운동세력, 학생운동권에 대한 강경대응을 지시해서 [[박종철]] 사건을 촉발시켰다는 비판도 받고 있다. 경찰관계자들의 증언으론 김종호 장관이 '‘대통령 임기가 1년밖에 안 남았다. 정치일정이 있으니까 3월 개학 때까지 모든 사건을 끝내라’'는 지시를 내렸고, 일선 경찰들은 장관이 제시한 일정에 맞추기 위해서 즉 개학전까지 그럴싸한 결과물을 만들어내기 위해서 무차별적인 연행과 무리한 강압수사(=[[고문(범죄)|고문]])을 했다는 것이다.
  • 김종훈 (1952년) . . . . 1회 일치
         * 1985년 : 서울올림픽조직위원회 파견
  • 김창규 (작가) . . . . 1회 일치
         작가로서는 [[1984년]]《분단시대》동인지로 등단하고 1985년《창작과 비평》16인신작시집에《그대가 밟고 가는 모든 길위에》 작품을 발표하면서 [[한국작가회의|민족문학작가회의]] 회원으로 활동했다. 충북작가회의를 만들었고 충북민예총을 건설하였으며 회장과 부지회장을 지냈다.
  • 김태룡(정치인) . . . . 1회 일치
         1985년 [[제1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신한민주당]] 후보로 [[충청남도]] [[대전광역시|대전시]] [[중구(대전)|중구]] 선거구에 출마하여 [[민주정의당]] [[강창희]] 후보와 동반 당선되었다. 1987년 1월 [[홍사덕]]의 뒤를 이어 신한민주당 대변인에 임명되었다. 같은 해 4월 신한민주당을 탈당하여 [[통일민주당]]에 입당하였고 통일민주당에서도 대변인을 역임하였다.
  • 김형렬 (1959년) . . . . 1회 일치
         * 경북대학교 대학원 행정학 석사(1985년)
  • 남명렬 . . . . 1회 일치
         * 물새야, 물새야 (1985년)
  • 남윤정(탤런트) . . . . 1회 일치
         * [[1985년]] [[KBS]] 일일연속극 《꽃반지》
  • 노영하 . . . . 1회 일치
         * [[1985년]] MBC 제왕전 본선
  • 단신부임 . . . . 1회 일치
         단신부임은 본인이나 가족에게 경제적, 정신적 부담이 크기 때문에, 별거 수당이나 귀가 교통비 같은 경제적 원조를 해주는 회사도 있다. 1984년에 단신 부임으로 남겨진 처자가 가족동반자살한 사건이 있었으며, 1985년에는 구 국철 간부가 종교적 이유로 단신 부임 명령을 거부하고 퇴직하는 사건이 있어, 단신부임의 문제점이 일본 사회에서 널리 주목받았다.
  • 담철곤 . . . . 1회 일치
         1980년 장인의 회사인 동양그룹에 입사해 동양시멘트 구매부서에서 일했다. 1년 후 동양제과로 자리를 옮겨 1983년 상무, 1984년 전무에 오르고 1985년 부사장으로 승진했다. 부사장으로 근무하다가 이 창업주가 타계하자 동양제과 대표이사 사장을 맡아 경영권을 물려 받았다. 동양제과를 동양그룹과 계열분리하고 사명을 오리온으로 바꾸면서 오리온그룹 회장에 올랐다. 이후 제과사업뿐 아니라 유통, 미디어, 영화, 외식 등으로 사업을 다각화하다 2013년 부인 이화경 부회장과 함께 오리온그룹 등기이사에서 물러났다.
  • 류중일 . . . . 1회 일치
         [[1982년]] 3학년 재학 때 [[서울종합운동장 야구장|잠실야구장]] 개장 기념으로 열렸던 와의 우수 고교 초청 대회 결승전에서 [[투수]] [[김종석 (1964년)|김종석]]을 상대로 [[서울종합운동장 야구장|잠실야구장]] 개장 1호 홈런을 기록하였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7&oid=410&aid=0000011188 류중일 감독, 손주인-강명구에게 특별한 선물] - 매일경제</ref> 1981년 봉황대기 미기상고 주장을 맡은 1982년 대통령배 감투상, 대붕기 최우수선수상을 수상. 초고교급 유격수로 발돋음하고. [[한양대학교|한양대]] 체육학과(1983학번) 시절 1985년 ~ 1986년에 3학년, 4학년 때 대학야구 올스타 [[유격수]]로 선정되었다.
  • 몽고귀신 . . . . 1회 일치
          * 1985년 경향신문 기사에서는 "손금을 보면 잡아먹는 귀신"이라고 채록되어 있다. 피하는 방법은 "주먹을 꼭쥐고 다니는 것"이다.--귀신치고는 허망하다.--
  • 박경석(1937) . . . . 1회 일치
         1981년 초 민주정의당 대변인에 임명되었다. 같은 해 3월 치러진 [[제11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정의당]] [[전국구]] [[대한민국 국회의원|국회의원]]으로 당선되었다. 1985년 [[제1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이진우(1934)|이진우]] 대신 민주정의당 후보로 경상북도 포항시-영일군-[[울릉군]] [[선거구]]에 출마하여 [[민주한국당]] [[서종렬]] 후보와 동반 당선되었다.
  • 박동진 (1922년) . . . . 1회 일치
         |임기 = [[1985년]] [[8월 1일]] ~ [[1986년]] [[8월 26일]]
  • 박승호 (야구인) . . . . 1회 일치
         {{1985년 삼성 라이온즈}}
  • 박승호(정치인) . . . . 1회 일치
         용인대학교 졸업 후, 서울올림픽조직위원회 1기 공채로 입사하여 [[노태우]] 조직위원장의 비서관으로 활동하다가 1985년 [[민주정의당]] [[총재]]비서관으로 임명되었다. 노태우 정부 때 [[청와대]] [[대통령비서실]] 민정비서실 행정관으로 근무하다가 총무처(현 [[행정자치부]]) [[국가공무원]] 시험에 응시하여 합격하였다. [[김영삼]] 정부 때 관선 [[봉화군]]수를 지냈다. 이후 내무부, 행정자치부 등에서 근무하다가 2005년 경상북도공무원교육원 [[원장]]을 지냈다.
  • 박재홍(1941) . . . . 1회 일치
         1981년 [[제11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정의당]] 후보로 경상북도 구미시-[[선산]]군-[[칠곡군]]-[[군위군]] 선거구에 출마하여 [[민주한국당]] [[김현규]] 후보와 동반 당선되었다. 같은 해 민주정의당 원내부총무에 임명되었다. 1985년 [[제1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정의당 후보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여 [[무소속]] 김현규 후보와 동반 당선되었다.
  • 박정수(정치인) . . . . 1회 일치
         [[전두환]]의 신군부가 집권하고 나서도 정치규제를 당하지 않아서 1981년 [[제11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김천시-금릉군-상주군 지역구에 무소속으로 출마하여 민주정의당 정휘동 후보와 동반 당선되었다. 그러나 1985년 [[제1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무소속으로 같은 지역구에 출마하였다가 민주정의당 [[김상구]] 후보와 [[신한민주당]] 이재옥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 박주영 . . . . 1회 일치
         ||<:> '''생년월일''' ||<:> [[1985년]] [[7월 10일]] ([age(1985-07-10)]세) ||
  • 박진수(1985) . . . . 1회 일치
         출생 1985년 10월 6일 [[경기도]] [[안성시]]
  • 박화요비 . . . . 1회 일치
         || '''가족''' ||<(> 부모님, 여동생^^(1985년생)^^ ||
  • 박희부 . . . . 1회 일치
         1980년 [[전두환]] 정권이 출범하자 정치규제를 당하였다가 1984년 해금되었다. 1985년 [[제1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신한민주당]] 후보로 충청남도 연기군-[[대덕구|대덕군]]-[[금산군]]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민주정의당]] [[천영성]] 후보와 [[민주한국당]] [[유한열]]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1998년 [[제1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통일민주당]] 후보로 충청남도 연기군-대덕군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신민주공화당]] [[이인구]]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1990년 [[3당 합당]]으로 [[민주자유당]]이 출범할 때 합류하였다.
  • 봉화군 . . . . 1회 일치
         * [[이현진 (1985년)|이현진]] - 배우
  • 송진현 . . . . 1회 일치
         1981년 서울민사지방법원 판사에 임용되어 1983년 서울형사지방법원, 1985년 [[춘천지방법원]] 속초지원 지원장, 1987년 [[서울가정법원]], 1988년 [[서울고등법원]]에서 판사를 하다가 1991년 대법원 재판연구관을 거쳐 1992년 [[대구지방법원]] 1994년 서울지방법원 의정부지원, 1996년 서울지방법원 서부지원, 1997년 서울지방법원, 2000년 2월 [[대전고등법원]], 2001년 2월 [[서울고등법원]]에서 부장판사를 하였다. 2005년 11월에 [[서울중앙지방법원]] 민사수석 부장판사가 되었으며 2006년 6월에 법원장으로 승진하여 [[서울동부지방법원]], 2008년 2월 [[서울행정법원]]에서 법원장을 하다가 2009년 2월에 사직하고 법무법인 로고스에서 변호사를 하였다. 보건의료직능발전위원회 위원장 등을 하면서 변호사를 하고 있을 무렵인 2015년 8월 [[박근혜 정부]]에서 제10대 [[경찰위원회]] 위원장으로 선출되었다. 중앙행정심판위원회 자문위원을 겸직하였다.
  • 양일환 . . . . 1회 일치
         {{1985년 삼성 라이온즈}}
  • 예천군 . . . . 1회 일치
         ||<:> [[1985년]] ||<:> 98,532명 ||<-40><bgcolor=#01438F>||<-60>||
  • 오냥코 클럽 . . . . 1회 일치
         1985년, [[후지TV]]의 프로그램 「저녁놀 냥냥(夕やけニャンニャン,유우야케냥냥)」에서 등장했다.
  • 오대석 . . . . 1회 일치
         [[김영덕]] 감독의 삼성 이적으로 촉발된 [[OB 베어스]]와 삼성간의 신경전이 한창이던 1984년 전기리그 때 OB와의 경기 도중, 병살타를 처리하는 과정에서 OB의 1루주자 이홍범이 과격한 [[슬라이딩]]으로 유격수 오대석의 허벅지를 걷어찼고, 이때 큰 부상을 당한 오대석은 이후 기량이 하락세로 돌아섰다. 1987년 [[류중일]]이 입단한 후엔 1985년부터 주전 3루수였던 [[김용국]]과 3루 자리를 번갈아 맡았다.
  • 오소영 (조각가) . . . . 1회 일치
         1982년 조각가 첫 등단을 하였다. 1985년 영화배우 [[안성기]]와 결혼하여 그와의 사이에 2남을 두었다.
  • 오영식 (1967년) . . . . 1회 일치
         * [[1985년]] [[양정고등학교 (서울)|양정고등학교]] 졸업
  • 오준 . . . . 1회 일치
         * 1985년 2월 주유엔대한민국대표부 2등 서기관
  • 왓치맨 . . . . 1회 일치
         1985년 10월 12일, 에드워드 블레이크라는 남자가 고층 아파트에서 내던져져 사망한다. 그는 "코미디언"이라는 히어로로 활동해오던 사람이었다. 히어로 "로어셰크"는 코미디언을 죽인 자를 찾기위해 과거에 활동하던 히어로와 빌런을 찾아다닌다.
  • 윤주상 . . . . 1회 일치
         * [[1985년]] 제21회 [[동아연극상]] 남자연기상 《진짜 서부극》
  • 이경영(1958) . . . . 1회 일치
         백상예술대상 신인연기상(연극부문)(1985년)|}}
  • 이계순 (1927년) . . . . 1회 일치
         일본으로 유학, [[1940년]] [[교토]](京都) 제일고녀를 다녔다.<ref>[http://news.kukinews.com/article/view.asp?page=1&gCode=kmi&arcid=0921421094 일본인들이 부러워한 조선인 석주명] 국민일보 2009.09.14</ref> 귀국 후 [[1953년]] [[부산]] [[경남중학교]] [[영어]]교사가 되었다. 이후 부산연세실업학교 교수 등을 거쳐 [[1964년]] [[서울대학교]] 사범대 영어교육과 교수가 되었다. [[1977년]] [[전문직 여성클럽]] 한국연맹 회장이 되어 여성단체 활동에 뛰어들었고 교수직과 병행하였다. [[1985년]]부터 [[한국여성유권자연맹]] 회장을 맡았다. 1990년 3월부터 [[1991년]] [[12월]]까지 정무제2장관을 지냈다.
  • 이덕건 . . . . 1회 일치
         1985년 대학졸업 후 언론사 기자를 목표로 서울로 상경, 언론고시를 준비하였으나 신문기자보다는 향후 방송이 각광을 받을 것으로 판단하여 방송기자를 목표로 삼았다. 하지만 사투리를 쓴다는 결정적 핸디캡으로 기자 대신 PD쪽으로 선회하여 [[KBS]] 공채 11기로 방송사에 입사하였다.
  • 이동찬(기업인) . . . . 1회 일치
         스포츠에도 관심이 있었던지 1971년부터 1980년까지 한국실업농구연맹 회장, 1980년부터 1983년까지 [[대한농구협회]] 회장, 1985년부터 1996년까지 대한골프협회 회장을 지내기도 했다.
  • 이동흡 . . . . 1회 일치
         * 1985년 [[서울지방법원]] 동부지원 판사
  • 이신학 . . . . 1회 일치
         * 경북대학교 경영대학원 AMP과정(수료)(1985년)
  • 이윤열 . . . . 1회 일치
         |다음=[[김준영 (1985년)|김준영]]
  • 이정훈(배우) . . . . 1회 일치
         * [[1985년]] [[문화방송|MBC]] 드라마 《[[전원일기]]》 ... 현수 역
  • 이종희 (1942년) . . . . 1회 일치
         * [[1985년]] 대한항공 LA 여객지점장
  • 이주호 (1961년) . . . . 1회 일치
         * 1983년 ~ 1985년 [[서울대학교]] 국제경제학과 대학원 경제학 석사
  • 임진숙 . . . . 1회 일치
         * [[1985년]] ~ : [[KBS대구방송총국]] 11기 아나운서
  • 장기오 (공무원) . . . . 1회 일치
         * [[1985년]] [[대한민국 육군교육사령부|육군 교육사령부 사령관]].
  • 장남석 . . . . 1회 일치
         [[2008년]], [[이근호 (1985년)|이근호]], [[에니우 올리베이라 주니오르|에닝요]]와 함께 대구의 공격 축구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하였다. [[4월 6일]] [[울산 현대 축구단|울산 현대]]와의 홈 경기에선 40초만에 골을 넣어 2008 시즌 최단시간 골을 기록하기도 하였다.<ref>{{뉴스 인용|제목=대구FC 장남석 '40초 번개골' 올시즌 최단시간 골|url=http://www.mydaily.co.kr/news/read.html?newsid=200804061658272233|출판사=마이데일리|저자=윤신욱|날짜=2008-04-06}}</ref>
  • 장대환 . . . . 1회 일치
         * 1985년 2월 : 뉴욕대학교 대학원(New York University, 미국) 국제경영학 석사
  • 장은숙 (가수) . . . . 1회 일치
         * 《떠나는 남자》([[1985년]])
  • 장익 (1933년) . . . . 1회 일치
         * [[1978년]]부터 [[1985년]]까지 그는 [[교황청]] 종교평화평의회 자문위원과 비그리스도교평의회 자문위원으로 활동을 했는데, 활동을 하면서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의 친분이 두터웠다.
  • 전상우 (1953년) . . . . 1회 일치
         * 1985년 : [[피츠버그 대학교|피츠버그대학교]] 대학원 에너지자원 석사
  • 전재용 . . . . 1회 일치
         **** 조카딸 : 전수현(全修賢, [[1985년]] [[12월 19일]] ~)
  • 전태일 . . . . 1회 일치
         [[1972년]] 기독청년 전태일 1주기 추도식으로 시작된 이래 1980년대에 와서 노동운동가 전태일 추도식으로 제목이 바뀌었다. 그의 어머니 [[이소선]]은 아들의 유언에 따라 사망직전까지 청계천 노조 지원과 노동 운동 지원에 헌신하여 노동자들의 어머니 라는 별칭을 얻기도 했다. [[1984년]] [[서울]]에서 노동운동가들 중심으로 전태일기념사업회가 조직되었고, [[1985년]] 전태일기념관이 개관하였다. 이후 전태일재단이 조직되어 '전태일문학상'과 '전태일노동상'을 제정하여 수여하기 시작하였다. [[1987년]] [[6.10 항쟁]] 이후 노동단체들이 모여 그해 [[7월]]부터 [[8월]]까지 노동자 대회를 열었으며 7월 15일에는 그의 어록, 초안 등을 참고하여 '87 노동자계급 해방선언'이 개최되었다. [[1988년]] [[11월]] 전태일의 분신 자살을 기념하기 위한 '전태일 정신 계승 전국 노동자 대회'가 [[서울]]에서 개최되어 매년 [[11월]] 전국 노동자대회가 열리고 있다. [[2002년]] 민주화운동 관련자 명예회복 및 보상심의위원회에서 전태일을 민주화 운동 관련자로 승인하였다. [[1996년]] 9월 19일에는 서울 중구 을지로6가에서 '전태일 거리'를 선포하였고, 이를 기념하여 민예총 회원들이 전태일 열사가 분신하고 있는 모습을담은 걸개그림 앞에서 추모공연을 하였다.<ref>[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96092000289120003&edtNo=6&printCount=1&publishDate=1996-09-20&officeId=00028&pageNo=20&printNo=2680&publishType=00010 한겨레 1996,09.20]</ref> 이 '전태일 거리'에서는 전태일을 추모하기 위한 '전태일 거리문화제'가 진행되고 있다. 1999년부터는 민주열사를 비롯해 의롭게 숨진 시민의 기념표석을 세우는 서울시'유적지 사업'에 포함되어 평화시장 분신장소에 기념표석이 세워졌다. 하지만 2003년 청계천 복원공사로 철거되기도 하였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32&aid=0000043117 전태일 동판 철거 ‘물의’ 경향신문, 2003.12.01]</ref>
  • 정난정 . . . . 1회 일치
         * 《[[풍란 (드라마)|풍란]]》 4회 ([[MBC]], [[1985년]], 배우: [[김영란 (배우)|김영란]])
  • 정다혜(1985) . . . . 1회 일치
         || '''출생''' ||[[1985년]] [[6월 18일]] ([age(1985-06-18)]세)||
  • 정명환 . . . . 1회 일치
         [[1980년]] [[연극배우]] 첫 데뷔하였고 이후 1982년 6월에서 1985년 6월까지 [[국방의 의무|대한민국 육군 사병 복무]]한 그는 [[1986년]] [[문화방송|MBC 문화방송]] 공채 18기 탤런트로 정식 데뷔하였으며 [[1988년]] [[영화]] 《둥지 속의 철새》의 단역으로 [[영화 배우|영화배우]] 데뷔하였고 이듬해 [[1989년]] 영화 《모래성》에 단역 출연하였으며 이후 [[배우|텔레비전 연기자]]로서 [[문화방송|MBC 문화방송]], [[한국방송공사|KBS 한국방송공사]], [[서울방송|SBS 서울방송]], [[한국교육방송공사|EBS 한국교육방송공사]] [[텔레비전 드라마|드라마]]에서 주연과 조연과 단역을 두루 배역하였다.
  • 정몽규 . . . . 1회 일치
         *~ 1985년 [[고려대학교]] 경영학 학사
  • 정몽원 . . . . 1회 일치
         현대그룹 창업주 정주영의 동생이자 한라그룹 명예회장을 지낸 정인영의 2남이다. 고려대학교 상대를 졸업하고 1979년 현대양행에 입사해 본격적으로 경영수업을 받았다. 1985년 만도기계 전무, 1989년 같은 회사 사장, 1992년 한라그룹 부회장을 거친 후 1997년 그룹 회장에 올랐다.
  • 정인숙 (1945년) . . . . 1회 일치
         정성일은 정인숙의 사망 이후 외가에서 살다가 고등학생 때인 [[1985년]] 미국으로 건너갔다 [[1990년]]에 귀국했다.<ref name="hp107">김환표 외, 《스캔들에 갇힌 영혼들:시사인물사전 16》 (인물과사상사, 2002) 107페이지</ref> 정인숙을 죽이고 희생양으로 오빠 정종욱을 내세워 이 사건의 수사를 졸속으로 처리하게 한 배경, 배후는 오리무중이다.
  • 정진호(1956) . . . . 1회 일치
         [[삼성 라이온즈]]와 [[청보 핀토스]], [[태평양 돌핀스]]에서 활동했던 야구선수. 그리고 범죄자. '''~~[[양승호]], [[이광은]]~~과 같은 입시비리의 대표주자'''. 현역 시절에는 그리 눈에 띄는 선수는 아니었고 주로 백업으로 활동하다[* [[1985년]]에는 부상으로 결장한 [[오대석]] 대신 2루수 [[김성래]]와 플래툰으로 유격수를 맡았지만(만약 김성래가 유격수를 맡으면 2루수는 [[배대웅]]이 대신했다.) 다음 해인 [[1986년]] [[4월 19일]] [[이승엽 야구장|대구]] [[빙그레 이글스|빙그레]]전에서 5회말 대타로 나섰다가 손문곤이 던진 공에 오른쪽 엄지손가락 부상을 당해 결국 그 해 6경기 밖에 출전하지 못했으며 [[유격수]] 자리는 부상에서 돌아온 오대석과 김성래가 번갈아 맡았다.] 청보로 이적한 다음 해인 1987년 주전 2루수를 맡았지만 그 이후 하락세를 걸어오다가 1990년 은퇴했다.
  • 조소혜 . . . . 1회 일치
         * [[TV문학관]] - 〈타인의 목소리〉 (1985년, KBS1) 외 다수
  • 주윤발 . . . . 1회 일치
         * 1985년
  • 차명진 . . . . 1회 일치
         * [[1985년]] [[서울대학교]] 정치학 학사
  • 채호기 . . . . 1회 일치
         * ~ 1985년 [[대전대학교]] 국어국문학 학사
  • 천호진 . . . . 1회 일치
         * [[1984년]] ~ [[1985년]] 《지저스 크라이스트 슈퍼스타》 ... 시몬 역
  • 최수환 . . . . 1회 일치
         1981년 [[제11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한국당]] [[전국구]] [[대한민국 국회의원|국회의원]](제13번)으로 당선되었다. 1984년 말 [[홍사덕]], [[김현규]], [[서석재]], [[허경만]], [[박관용]], 손정혁, [[김찬우(1933)|김찬우]] 등과 민주한국당 탈당 선언을 하고 [[신한민주당]]에 입당하였다. 그러나 1985년 [[제1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신한민주당 후보로 경상북도 포항시-영일군-[[울릉군]] [[선거구]]에 출마하였다가 [[민주정의당]] [[박경석(1937)|박경석]] 후보와 민주한국당 [[서종렬]]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 최유정 (레이싱모델) . . . . 1회 일치
         '''최유정'''([[1985년]] [[1월 30일]] ~ )은 [[대한민국]]의 [[레이싱모델]]이다.
  • 최은희 . . . . 1회 일치
         그 후 북한에서도 영화 활동을 이어 나가면서 1985년에는 영화 <소금>으로 [[모스크바]] 영화제 여우주연상을 타기도 했다. 1986년 3월 13일, [[신상옥]]과 함께 [[오스트리아]] [[빈(오스트리아)|빈]]에 있던 도중, [[미국]] 대사관으로 탈출하여 극적으로 탈북에 성공해 10년 넘는 망명생활을 하다가 1999년에 영구 귀국했다.
  • 추일승 . . . . 1회 일치
         | 경력시작 = [[1985년]]
  • 폐비 윤씨 . . . . 1회 일치
         * 《[[설중매 (드라마)|설중매]]》 ([[MBC]], [[1984년]] ~ [[1985년]], 배우 : [[이기선]])
  • 하정우(영화감독) . . . . 1회 일치
          * [[LG 트윈스|LG]] 팬이어서 [[두산 베어스|두산]]을 싫어한다는 루머가 있다. 러브픽션 시사회 당시 두산 팬이 "두산 경기에 시구하러 오세요"라고 했는데 하정우가 "죄송합니다, 저는 '''서울 팀'''만 시구할 겁니다." 라고 디스했다 [[카더라]]. 이유인 즉슨 두산과 LG의 오랜 연고지 다툼 때문이다. 한국프로야구 출범 당시 [[MBC 청룡|MBC]]가 서울, 두산(당시 [[OB 베어스|OB]])이 대전을 연고지로 했었는데, 두산은 3년 뒤 서울 이전을 조건으로 프로야구가 출범했던 터라 1985년부터 연고지를 공유했었다.[* 프로야구 출범 준비 시점 이전에 이미 [[문화방송|MBC]]는 창사 20주년 기념으로 1981년 6월 자체 프로야구단 창단을 준비하고 있었다. 이런 이유로 프로야구 창립 계획 준비시점에 MBC가 전북 연고 기업 1안으로 선정되고 두산은 구단주의 연고지가 전북인데도 2안으로 밀려 경남 연고지를 부여받는다. 이에 두산이 강력하게 반발하여 3년 뒤 [[연고지 이전]]을 약소하는 조건으로 프로야구가 출범하게 된 것. [[http://blog.naver.com/soonil39/|출처 : '홍순일(서울신문 주간스포츠 기자, 주간야구 창간편집장)의 야구이야기/프로야구 탄생비화']]] 비록 1990년 MBC가 [[LG그룹|럭키금성그룹]]에 구단을 매각했으나, LG 팬들은 원년부터 전북 연고였으므로 진짜 서울의 주인은 자신들이라고 주장하곤 한다.[* 두산 베어스도 원래는 서울로 팀을 하겠다 하고 안 된다니까 3년 뒤에 하겠다라고 했으니까, 실제로는 전북 연고지가 맞다. 어디까지나 진정한 주인이라는 거지 그렇다고 두산 보고 나가라고 하는 LG 팬들이 말하듯이 두산이 진짜 서울 밖으로 나갈 이유는 없는 것.]실제로 청룡의 역사를 계승한 팀이 맞고. 하지만 [[이범수]] 주연의 [[슈퍼스타 감사용]]에서는 [[OB 베어스]]의 외야수 [[김우열]] 역을 맡은 적이 있다(...) --LG 팬의 [[흑역사]]-- 그래서 그런지 출연 내내 못마땅힌 얼굴을 하고 있다.
  • 하춘화 . . . . 1회 일치
         그러나 [[1981년]]에 다시 가수로 복귀해서 '우리 사랑 가슴으로', '연인의 부르스' 등의 노래를 히트시켰으며 [[1983년]]에는 자신이 아끼는 무대의상 150벌을 후배 가수들에게 나눠줬다. [[1985년]]에는 남북 예술인 교환공연으로 대한민국과 북한에서 각각 최고의 가수들을 상대방에게 파견하여 공연을 하기로 했는데 이 때 하춘화가 대한민국 최고의 가수 자격으로 평양에 가서 3박 4일 동안 공연을 했다.
  • 한명진 (1426년) . . . . 1회 일치
         * 《[[설중매 (드라마)|설중매]]》 ([[MBC]], [[1984년]]~[[1985년]] 배우:[[문회원]])
  • 한명회 . . . . 1회 일치
         * 《[[설중매 (드라마)|설중매]]》 ([[MBC]], [[1984년]]~[[1985년]] 배우: [[정진 (1941년)|정진]])
  • 한선교 . . . . 1회 일치
         * 1985년 : [[성균관대학교]] 물리학 학사
  • 한인수(탤런트) . . . . 1회 일치
          * 1985년 깊은숲속 옹달샘
  • 허규옥 . . . . 1회 일치
         {{1985년 삼성 라이온즈}}
  • 혜은이 . . . . 1회 일치
         * 1985년 09월 16집 《열정》 《파란 나라》
  • 호소키 카즈코 . . . . 1회 일치
         1985년, 『운명을 읽는 육성점술 입문(運命を読む六星占術入門)』을 내놓고 히트한 것을 시작으로 육성점술을 출판하고 내놓고 있다.
  • 홍상수 . . . . 1회 일치
         | 배우자 = 조 모 氏 (1985년 ~)
  • 홍승규 . . . . 1회 일치
         {{1985년 삼성 라이온즈}}
  • 홍준표 (1949년) . . . . 1회 일치
         * 1985년 대한금속학회 청웅상
  • 황대봉 . . . . 1회 일치
         1985년 [[제1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한국당]] [[전국구]] [[대한민국 국회의원|국회의원]](제8번)으로 당선되었다. 그러나 당선 직후 [[김일윤]]과 민주한국당을 탈당하였고, [[무소속]]으로 당선된 [[김효영]], 김일윤 등과 같이 [[한국국민당(1981년)|한국국민당]]에 입당하였다. 1987년 [[제13대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한국국민당을 탈당하였으나 [[민주정의당]]에는 입당하지 않았다.
  • 황병기 . . . . 1회 일치
         1985년부터 1986년까지 미국 하버드 대학교에 객원교수로 지냈다. 1986년에는 뉴욕 카네기홀에서 가야금 독주회를 열기도 했다.
  • 황연대 . . . . 1회 일치
         * 1985년 5.16재단 주관 5.16 민족상 수상
  • 황정오 . . . . 1회 일치
         [[1985년]]에 은퇴한 황정오는 [[1987년]]에 미국의 마린 대학교로 유학을 가면서 미국 생활을 시작했고, [[1997년]]에는 테네시 대학교에서는 대학교수로 발탁되었으며 2010년에는 미국태권도고단자회 관장을 맡고 있다.
  • 효령대군 . . . . 1회 일치
         불교를 심오하게 믿어 조정의 숭유억불 정책하에서 불교 보호의 방패 역할을 감당하였다. 원각사 창건 때에는 조성도감 도제조를 맡았다. 이 때 주조되어 [[1985년]]까지 보신각에 달려 있던 큰종과 탑골공원의 10층 석탑은 그 제조기법이나 예술성이 뛰어났다는 평가를 받았다. 10층 석탑은 국보 제2호로, 원각사지 대종은 보물 제2호로 각각 지정되어 있다.
11531의 페이지중에 187개가 발견되었습니다 (5000개의 페이지가 검색됨)

여기을 눌러 제목 찾기를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