팝업레이어 알림

팝업레이어 알림이 없습니다.
E D R , A S I H C RSS

"1980년"에 대한 역링크 찾기

1980년의 역링크


역링크만 찾기
검색 결과 문맥 보기
대소문자 구별
  • TV문학관
         당초 《'''TV 문학관'''》<small>(1기)</small>이 유명한 소설 작품을 드라마 형태로 제작 · 방송하여 호평을 받았는데, [[1980년]] [[12월 18일]] [[김동리]]의 소설 〈[[을화 (드라마)|을화]]〉을 첫 회를 시작으로 마지막 회인 [[1987년]] [[10월 3일]] [[유홍종 (소설가)|유홍종]]의 소설 〈프랑소아즈 김〉까지 수많은 문학 작품을 극화하여 최종 277편이나 제작되었다.<ref>KBS 아카이브 소장 자료 볼 수 없기 때문에, [[유튜브]] 서비스가 풀버전 영상 무료로 최초 공개입니다.</ref>
         2019년 [[KBS디지털미디어국]]에서는 1980년 1기 1화 부터 [[유튜브]]채널 [[옛날티비]]를 통해 풀영상을 순차적으로 공개하고있다.
         | 1980년 12월 18일 ~ 1987년 10월 3일 ||align="right"| 277편 ||1기로 표시
         ==== 1980년 ====
  • 강성곤 (아나운서)
         * [[1980년]] : [[서울]] [[신일고등학교]] 졸업
  • 강의석 (동음이의)
         * '''[[강의석 (1980년)|강의석]]'''([[1980년]] - )은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이다.
  • 강타
         * 그의 실제 출생일은 [[1979년]] [[11월 29일]]([[음력 10월 10일]])이지만, 호적에 등록된 그의 출생날짜는 [[1980년]] [[11월 29일]]이다. 이는 그의 부모님이 출생신고를 1년 늦게 해서 생긴 일이라고 한다.
  • 경주시
         |align="center"|[[1980년]] [[7월 23일]]
  • 고건
         [[1980년]] 국토개발연구원 고문에 선임되었으나, [[1980년]] [[5월 17일]] 신군부가 [[5·17 쿠데타|비상계엄 확대조치]]를 내리자 5.17을 군정으로 간주하고, 군정하에서 일하는 것이 부적절하다고 생각해 사표를 냈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47&aid=0000070611 고건의 반격 "군정 반대해 사표낸 나를..."]</ref>
         [[1980년]] [[9월]] [[전두환]] 정권이 들어선 후 고건은 교통부 장관과 이듬해 농수산부 장관을 지내고, [[미국]]으로 유학, 1983년 미국 [[하버드대학교]] 객원연구원으로 있다가 이듬해 [[1984년]] 미국 M.I.T. 국제문제연구소 객원교수로 임명되었으나 곧 귀국한다. [[1985년]] [[민주정의당]] 소속 국회의원으로 당선됐으며, 민정당 지방자치제특별위원회 위원장, [[1987년]] [[민주정의당]] 전북도 지부장, 내무부 장관을 지냈다.
         한편 격동의 순간마다 잠적하여 위기를 모면했다는 의혹이 있다. 고건은 [[1979년]] [[10월]] 박정희 대통령 피습 서거 당시 3일 간 모습을 나타내지 않았고<ref name="ds11"/>, 1980년 [[5월]] 5·17 비상계엄확대 조치 당시 청와대 정무수석으로 1주일 간 잠적했다는 의혹을 받아왔다. 특히 이 부분은 2003년 2월 국무총리 인사청문회에서 집중적으로 의혹이 부각됐다. 그 의혹의 제기의 속내는 “당시 국가위기 때 처신은 국가지도자에 어울리지 않는다.<ref name="ds11"/>”는 것이다.
         |임기 = [[1980년]] [[9월 2일]] ~ [[1981년]] [[3월 10일]]
  • 고은채
         '''고은채'''([[1980년]] [[8월 28일]] ~ )는 [[대한민국]]의 [[가수]] 겸 배우이다. [[2000년]] 5인조 걸그룹 [[파파야 (음악 그룹)|파파야]]의 1집 데뷔곡 '내 얘길 들어봐'로 활동했다.
         [[분류:1980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로마 가톨릭교도]]
  • 고지용
         '''고지용'''(高志溶, [[1980년]] [[7월 1일]] ~ )은 [[대한민국]]의 전 [[가수]]이자 사업가이다.<ref>[http://music.daum.net/artist/main?artist_id=25877 고지용,다음]</ref> [[젝스키스]]의 해체 후 몇차례 [[드라마]]와 [[영화]] 등의 복귀설이 있었으나 무산되었다. 또한 잡지 [[에스콰이어]]의 화보모델 촬영도 했으나 그 이후 연예계에서 완전히 은퇴했고 [[미국]] 유학 이후 광고대행사 애디티브의 사내이사로 활동했다. 2017년 1월 1일부터 ~ 2019년 6월 2일까지 [[KBS 2TV|KBS2]] 《[[슈퍼맨이 돌아왔다]]》에 출연했다.
         고지용은 1980년 7월 1일 [[서울특별시|서울]]에서 태어났다. 그는 절친한 사이였던 [[강성훈]]이 [[젝스키스]] 멤버로 발탁되어 한국으로 귀국하던 당시 [[강성훈]]을 마중나갔다가 소속사 사장에게 픽업되어 함께 데뷔하게 되었다는 일화가 있다. 고지용은 1997년 4월 15일 6인조 댄스 음악 그룹인 [[젝스키스]]로 데뷔했는데 2000년 [[젝스키스]]가 해체하던 당시까지 잘생긴 외모와 노래로 큰 사랑을 받았다. 해체 이후 타 멤버들과 달리 솔로가수로 활동을 이어가지 않고 연기자로 변신하여 드라마와 영화에 캐스팅 됐다는 기사가 나오기도 했으나, 최종적으로는 취소되었다. 이후 군입대와 유학 등의 이유로 연예계에서 은퇴를 선언했다.
         [[분류:1980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서울특별시 출신]][[분류:서울신용산초등학교 동문]][[분류:용강중학교 (서울) 동문]][[분류:안양예술고등학교 동문]]
  • 고호경
         '''고호경'''([[1980년]] [[4월 13일]] ~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분류:대한민국의 여자 영화 배우]][[분류:대한민국의 여자 텔레비전 배우]][[분류:대한민국의 방송인]][[분류:대한민국의 마약범]][[분류:1980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서울예술대학 동문]][[분류:20세기 대한민국 사람]][[분류:21세기 대한민국 사람]][[분류:1996년 데뷔]][[분류:대한민국의 여자 가수]][[분류:대한민국의 작사가]][[분류:비디오 자키]][[분류:아이돌 가수]][[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
  • 고흥문
         기업인 출신으로 [[조병옥]] 계열에서 정치를 시작하였으며, [[유신체제]] 하에서 5선 의원이 되어 국회부의장을 지냈다. [[1980년]]에 신군부 등장으로 정치인 활동 규제에 묶이면서 정계에서 은퇴하였고, 이후 복귀하지 않았다.
         * 1979년 ~ 1980년 : 제10대 국회의원 (신민당)
         |임기 = [[1979년]] [[3월 12일]] ~ [[1980년]] [[8월 27일]]
  • 곽상훈 (국회의원)
         '''곽상훈'''(郭尙勳, [[1896년]] [[10월 21일]] ~ [[1980년]] [[1월 19일]])은 [[한국]]의 독립운동가이자 1~5대 국회의원을 지낸 [[대한민국]]의 정치인이다. 본관은 [[현풍 곽씨|현풍]]. 호는 삼연(三然).<ref name="동아">{{뉴스 인용 |제목 = 統代運營委長 郭尙勳씨 별세 |url = http://dna.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80012100209207014&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80-01-21&officeId=00020&pageNo=7&printNo=17935&publishType=00020 |형식 = |뉴스 = |출판사 = 동아일보 |쪽 = 7|날짜 = 1980-01-21 |확인날짜 = 2009-05-05 }}</ref>
         [[1979년]] [[10월]] [[10·26 사태]] 이후 [[통일주체국민회의]] 운영위원장 재직 당시인 [[1980년]] [[1월 19일]] [[서울특별시]] 도봉구 우이동 118의 7 자택에서 노환으로 별세하였다. [[대한민국 정부]]는 그의 장례를 [[사회장]](社會葬)으로 치렀고, [[서울특별시]] 동작동 국립묘지에 안치되었다.<ref name="동아"/> 상훈으로는 [[1969년]]에 [[국민훈장]] 무궁화장을 수여 받았다.
         [[분류:1896년 태어남]][[분류:1980년 죽음]][[분류:반일 감정]][[분류:대한민국의 반공주의자]][[분류:조선의 사회 운동가]][[분류:대한제국의 사회 운동가]][[분류:일제 강점기의 사회 운동가]][[분류:일제 강점기의 언론인]][[분류:한국의 독립운동가]][[분류: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분류:대한민국의 별정직공무원]]
  • 구성애
         7년을 그 곳에서 일하는 동안 틈틈이 농민 운동에 참가했으며, 1980년부터 1986년까지 가톨릭여성농민회, 부산여성회 간사를 맡았다.
         [[1980년]]에는 [[가톨릭 농민회]] 활동가인 [[송세경]]과 결혼하였다. 송세경은 [[서울대학교]] 원예학과를 졸업한 농민 운동가였다. 구성애와 결혼하던 해에는 [[국가보안법]], [[집시법]] 등의 혐의로 징역을 살기도 했다.
  • 구자운 (야구 선수)
         '''구자운'''(具滋雲, [[1980년]] [[6월 19일]] ~ )은 전 [[KBO 리그]] [[삼성 라이온즈]]의 선수이다. [[두산 베어스]]의 고졸 우선 지명을 받아 [[1999년]]에 입단하여 데뷔하게 되었고, 이후 꾸준한 활약을 보이다가 [[2004년]]에 병역비리 사건에 휘말려 [[공익근무요원]]으로 군 복무를 마쳤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001&oid=001&aid=0001619273& 돌아온 구자운, 4년 만의 선발승] - 연합뉴스</ref> [[2007년]]에 복귀하고 선발승을 기록하기도 했지만 2007 시즌 후 어깨 수술을 받았고 연봉 마찰을 겪으면서 [[두산 베어스]]에서 [[2008년]] 자유계약 공시되어 [[삼성 라이온즈]]에 이적하게 되었다. 그러나 어깨 부상으로 이적 이후에도 오랫동안 재활군에 머물렀다. [[2009년]] 한화 2군 경기에 컨디션 점검차 등판했고,<ref>[http://osen.freechal.com/news/view.asp?code=G0909070121 '856일만에 실전' 구자운, "등판 자체가 행복"]{{깨진 링크|url=http://osen.freechal.com/news/view.asp?code=G0909070121 }} - OSEN</ref> [[2010년]] 1군에 복귀했다. 그 해 [[7월 9일]] [[문학야구장|문학]] SK전에 구원 등판했고<ref>[http://osen.mt.co.kr/news/view.html?gid=G1007080407 '재활 끝' 구자운, 3년만에 등판 '3이닝 2실점'] - OSEN</ref> [[2010년 한국시리즈]]에도 출전했다. 그러나 삼성 이적 후 1군 등판은 페넌트레이스 1경기, [[2010년 한국시리즈]] 등판이 전부였고, 이후에는 계속 재활군을 전전하다가 [[2011년]] 시즌 후 방출되었다. 현역 은퇴 후 [[서울특별시|서울]]로 돌아와 현재는 [[송파구]] [[문정동 (서울)|문정동]]에서 베이스볼 아카데미를 운영하고 있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7&oid=109&aid=0002343063 전 삼성 투수 구자운, 송파구에 야구교실 개장] - OSEN</ref>
         [[분류:삼성 라이온즈 선수]][[분류:두산 베어스 선수]][[분류:KBO 리그 투수]][[분류:서울특별시 출신]][[분류:1980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서울고등학교 동문]][[분류:강남중학교 (서울) 동문]][[분류:서울강남초등학교 동문]][[분류:능성 구씨]]
  • 구자운 (야구선수)
         '''구자운'''(具滋雲, [[1980년]] [[6월 19일]] ~ )은 전 [[KBO 리그]] [[삼성 라이온즈]]의 선수이다. [[두산 베어스]]의 고졸 우선 지명을 받아 [[1999년]]에 입단하여 데뷔하게 되었고, 이후 꾸준한 활약을 보이다가 [[2004년]]에 병역비리 사건에 휘말려 [[공익근무요원]]으로 군 복무를 마쳤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001&oid=001&aid=0001619273& 돌아온 구자운, 4년 만의 선발승] - 연합뉴스</ref> [[2007년]]에 복귀하고 선발승을 기록하기도 했지만 2007 시즌 후 어깨 수술을 받았고 연봉 마찰을 겪으면서 [[두산 베어스]]에서 [[2008년]] 자유계약 공시되어 [[삼성 라이온즈]]에 이적하게 되었다. 그러나 어깨 부상으로 이적 이후에도 오랫동안 재활군에 머물렀다. [[2009년]] 한화 2군 경기에 컨디션 점검차 등판했고,<ref>[http://osen.freechal.com/news/view.asp?code=G0909070121 '856일만에 실전' 구자운, "등판 자체가 행복"]{{깨진 링크|url=http://osen.freechal.com/news/view.asp?code=G0909070121 }} - OSEN</ref> [[2010년]] 1군에 복귀했다. 그 해 [[7월 9일]] [[문학야구장|문학]] SK전에 구원 등판했고<ref>[http://osen.mt.co.kr/news/view.html?gid=G1007080407 '재활 끝' 구자운, 3년만에 등판 '3이닝 2실점'] - OSEN</ref> [[2010년 한국시리즈]]에도 출전했다. 그러나 삼성 이적 후 1군 등판은 페넌트레이스 1경기, [[2010년 한국시리즈]] 등판이 전부였고, 이후에는 계속 재활군을 전전하다가 [[2011년]] 시즌 후 방출되었다. 현역 은퇴 후 [[서울특별시|서울]]로 돌아와 현재는 [[송파구]] [[문정동 (서울)|문정동]]에서 베이스볼 아카데미를 운영하고 있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7&oid=109&aid=0002343063 전 삼성 투수 구자운, 송파구에 야구교실 개장] - OSEN</ref>
         [[분류:삼성 라이온즈 선수]][[분류:두산 베어스 선수]][[분류:KBO 리그 투수]][[분류:서울특별시 출신 인물]][[분류:1980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서울고등학교 동문]][[분류:강남중학교 (서울) 동문]][[분류:서울강남초등학교 동문]][[분류:능성 구씨]]
  • 국기봉
         '''국기봉'''(鞠基奉, [[1980년]] [[3월 19일]] ~ )은 [[대한민국]]의 회사원이다. 전직 [[스타크래프트]] [[프로게이머]]. [[울산광역시]] 출신이며, 종족은 [[저그]]였고, '''[B&G]TheBOy'''라는 아이디를 사용했다.
         [[분류:1980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e스포츠 선수]][[분류:울산광역시 출신 인물]][[분류:담양 국씨]][[분류:저그 선수]][[분류:스타크래프트 프로게이머]][[분류:온게임넷 스파키즈의 선수]]
  • 권람
         세조는 바로 조회를 파하고 3일간 애도하였으며, 바로 익평의 시호를 내렸다. [[충청북도]] [[음성군]] 생극면 방축리(현 충청북도 음성군 생극면 방축리 산 7)의 아버지 [[권제]]의 묘소 아래에 안장되었다. 그의 묘소 주변에는 아버지 권제의 묘소와 할아버지 [[권근]]의 묘소가 있으며, 묘역 일대는 [[1980년]] [[1월 9일]] [[충청북도]] 기념물 제32호로 지정되었다. [[1471년]] 세조 묘(世祖廟)에 배향되었다. 아들 권걸(權傑)도 [[자헌대부]] 행[[동지중추부사]]에 올라 봉군되어 길창군(吉昌君)을 습봉받았다. [[1467년]](세조 13년) [[신도비]]가 세워졌으며 신도비문은 [[신숙주]]가 짓고 글씨는 권반(權攀)이 썼다.
  • 권승렬
         '''권승렬'''(權承烈, [[1895년]] [[5월 14일]] ~ [[1980년]] [[9월 30일]])은 [[대한민국]]의 법률가, 행정관료이다. 대한민국 제2, 10대 [[대한민국의 법무부 장관|법무부 장관]]을 역임하였다. [[경상북도]] [[안동시|안동]]에서 출생하였으며, 일본 [[주오대]]를 졸업하고, 초대 [[검찰총장]],<ref name="www.spo.go.kr">{{웹 인용 | 저자=대검찰청 | 웹사이트=대검찰청 | 제목=역대총장 | url=http://www.spo.go.kr/spo/intro/general/former.jsp?mode=list&board_no=297&pager.offset=30 | 날짜=n.d. | 확인날짜=2017-07-09 | 보존url=http://megalodon.jp/2017-0709-1707-23/www.spo.go.kr/spo/intro/general/former.jsp?mode=list&board_no=297 | 보존날짜=2017-07-09 }}</ref> 법무부 차관, 한국법학원 원장을 역임하였다.
         [[분류:1895년 태어남]][[분류:1980년 죽음]][[분류:일제 강점기의 법조인]][[분류:대한민국의 변호사]][[분류:대한민국의 검찰총장]][[분류:대한민국의 법무부 차관]][[분류:자유당]][[분류:대한민국의 법무부 장관]][[분류:이승만 정부의 국무위원]][[분류:주오 대학 동문]][[분류:안동시 출신]][[분류:안동 권씨]]
  • 권재진
         * [[1980년]]~[[1983년]]공군 법무관
  • 권정달
          | 복무 기간 = [[1959년]] ~ [[1980년]]
         [[12·12 군사반란]] 이후 [[보안사령부]] 정보처장으로서 언론 통폐합과 검열을 주도하고 [[광주 민주화 운동]]을 불러온 [[1980년]] [[5월 17일]]의 [[5.17 비상계엄 확대]] 조치에 깊숙이 관여했다. [[국가보위입법회의]] 입법의원으로서 민주정의당 창당 작업을 주도하고 [[민주정의당]] 초대 사무총장을 지내는 것으로 시작하여 [[1981년]]부터 [[1988년]]까지 [[대한민국 제11대 국회|제11대 국회]], [[대한민국 제12대 국회|제12대 국회]] 의원을 지냈으며 [[국제의회연맹]] 준비위원장, 남북고위급회담 수석대표, 민정당 중앙집행위원, 국책조정위원장을 역임한 [[대한민국 제5공화국|제5공화국]]의 핵심 인물이었다.
  • 권중동
         * 1980년 : 노동청장
         |임기 = [[1980년]] [[7월 19일]] ~ [[1981년]] [[4월 7일]]
  • 권필 (희극인)
         '''권필'''(본명 : 권필균)([[1980년]] [[10월 15일]] ~ )은 [[대한민국]]의 [[희극 배우]]이다.
         [[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1980년 태어남]][[분류:서울특별시 출신]][[분류:대한민국의 방송인]][[분류:대한민국의 남자 희극인]][[분류:대진대학교 동문]]
  • 귀귀
         | 출생일 = [[1980년]]
         '''귀귀'''(본명: 김성환, [[1980년]] ~ )는 대한민국의 만화가이자 화가이다. 대표 작품으로는 《해피엔딩》 《[[야심작 정열맨]]》, 《드라곤볼》, 《귀귀 갤러리》, 《전학생은 외계인》,《김치맨》,《낚시신공》,《뉴 바이블》이 있다.
         [[분류:1980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웹툰 작가]][[분류:대한민국의 화가]][[분류:포항시 출신]]
  • 금노상
         [[서울특별시|서울]] 에서 성장하였으며 [[서울예술고등학교]]와 [[한양대학교]] 음악대학에서 [[피아노]]를 전공했다. 대학 재학 중이던 [[1975년]]에 영 필하모니 오케스트라를 지휘해 데뷔했다. [[1980년]] [[오스트리아]]로 유학, 빈 국립 음악원에서 오트마 주이트너에게 지휘를 배웠다. [[1985년]]에 귀국 후 국내 각지의 관현악단과 공연했으며, [[1989년]] [[광주 시립 교향악단]]의 상임 지휘자로 부임해 악단 발전에 크게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1994년]]에는 [[인천 시립 교향악단]]의 상임 지휘자로 발탁되어 악단 규모를 확대하고, [[안톤 브루크너|브루크너]]의 교향곡과 [[리하르트 슈트라우스]], [[말러]], [[스트라빈스키]] 등의 근현대 난곡을 적극적으로 다루어 화제가 되기도 했다.
  • 금보라
         || '''수상''' ||<(> [[1980년]] 제19회 대종상 영화제 신인여우상 ||
          골드퍼플, 본명은 손미자. 1962년 1월 7일, 충청남도 당진시에서 가구제조업을 하는 손철씨와 가정주부인 최선분씨 슬하 3남 2녀중 둘째(장녀)로 태어났다. [[1979년]] 영화 <밤이면 내리는 비>에서 조연으로 데뷔[* 당시 겨우 19세였다.]했다. 이듬해인 1980년 영화 <물보라>[* 종래에는 위의 데뷔 부분에 이 영화가 기재되어 있었는데, 방송 프로그램 출연이나 인터뷰 때에 금보라 본인이 곧잘 <물보라>를 데뷔작으로 지칭하기에 충분히 그렇게 생각할 만 했다.]에서 주연을 맡았는데, 이 영화로 제19회 [[대종상]] 신인여우상을 수상하는 등 본격적인 배우의 길을 걷게 된다. 더불어 이 때를 계기로 <물보라>에서 '보라'를 따온 뒤, 보라에 잘 어울릴 성씨로 '금'을 골라 예명으로 삼으며 현재 우리가 아는 금보라로 활동하게 된다.
         || [[1980년]] || 《물보라》 || ||
  • 김경원 (1936년)
         [[1980년]] [[국가보위비상대책위원회]] 위원이 되었고, 같은 해 9월 [[전두환]]이 11대 대통령으로 취임하면서 대통령 비서실장이 되었으며, [[1982년]] 주[[유엔]] 대사, [[1985년]] 주[[미국]] 대사를 역임하였다. 1985년 10월 14일, 정부는 김경원을 주미 대사로 임명하였다. 같은 날, 주일 대사도 [[최경록]]에서 [[이규호 (1926년)|이규호]]로 교체하였는데, 핵심외교관들이 동시에 바뀌었다는 점 외에도 새로 기용된 인물들이 학계등 민간인 출신이라는 점에서 관심을 끌었다. 이들은 제5공화국 출범기인 1980년 이후 대통령비서실장을 지내며 통수권자를 보좌해온 측근인물들이라는 점에서 기능과 역할이 주목되었다. 이날 교체된 최경록 주일대사와 류병현 주미대사가 각각 원로 군출신이었던 반면 신임 대사들은 모두 학계 및 직업 외교관 출신이라는 점이 인사의 특징을 두드러지게 대변해 주었다.<ref>{{뉴스 인용 |url = http://dna.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85101400329201006&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85-10-14&officeId=00032&pageNo=1&printNo=12323&publishType=00020| 제목 = 駐日대사에 李奎浩씨 | 번역제목=주일대사에 이규호씨 | 날짜 = 1985-10-14| 저자=u.a. | 출판사 =경향신문 |인용=駐美(주미) 金瓊元(김경원) }}</ref>
         |임기 = [[1980년]] [[8월 27일]] ~ [[1981년]] [[12월 30일]]
  • 김광삼
         '''김광삼'''(金光三, [[1980년]] [[8월 15일]] ~ )은 [[KBO 리그]] [[LG 트윈스]]의 전 투수였고, 현재 [[LG 트윈스]]의 재활군 코치이다.
         [[분류:1980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김해 김씨]][[분류:서울특별시 출신]][[분류:서울쌍문초등학교 동문]][[분류:신일중학교 (서울) 동문]][[분류:신일고등학교 동문]][[분류:KBO 리그 투수]][[분류:KBO 리그 외야수]][[분류:LG 트윈스 선수]][[분류:대한민국의 개신교도]][[분류: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 김도창
         |임기 = [[1979년]] [[12월 14일]] ~ [[1980년]] [[5월 21일]]
  • 김동영 (육상선수)
         '''김동영'''([[1980년]] [[3월 6일]] ~ [[부산광역시]])은 [[대한민국]]의 [[육상]] 선수이다. 2004년 5월 [[독일]] [[나움부르크]]에서 열린 제21회 세계 경보컵 대회 남자 [[경보 (육상 경기)|경보]] 50km에 참가해 17위를 하며 [[남자 50km 경보 대한민국 기록 추이|대한민국 최고 기록]]을 세웠다.<ref>[http://www.iaaf.org/history/wrw/season=2004/eventCode=3230/results/sex=M/discCode=50KR/combCode=hash/roundCode=f/results.html#det 경기 기록]{{깨진 링크|url=http://www.iaaf.org/history/wrw/season=2004/eventCode=3230/results/sex=M/discCode=50KR/combCode=hash/roundCode=f/results.html }}</ref>
         [[분류:1980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남자 경보 선수]][[분류:부산광역시 출신 인물]][[분류:부산체육고등학교 동문]][[분류:2002년 아시안 게임 육상 참가 선수]][[분류:2010년 아시안 게임 육상 참가 선수]][[분류:2004년 하계 올림픽 육상 참가 선수]][[분류:2008년 하계 올림픽 육상 참가 선수]][[분류:2012년 하계 올림픽 육상 참가 선수]]
  • 김동우 (야구인)
         '''김동우'''([[1980년]] [[4월 14일]] ~ )는 [[KBO 리그]] [[고양 히어로즈]]의 배터리코치이다.
         [[분류:1980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서울특별시 출신]]
  • 김동진 (1938년)
         * [[1980년]] [[제20기계화보병사단 (대한민국)|육군 제20사단 예하]] [[연대 (군사)|제61연대장]] 재직 시에 [[대한민국 육군|육군]] [[1성 장군|준장]] 진급.
  • 김두환
         [[1979년]] 정년 퇴직할 때까지 등에서 미술 교사로 재직했다. 미술 교사로 재직 중이던 [[1960년]]부터 [[1980년]]까지는 꾸준히 개인전을 개최했다.
  • 김미숙(1959)
          * [[1980년]] [[KBS 1TV]] 《[[전설의 고향(드라마)|전설의 고향]] - 상사초》
  • 김사율
         '''김사율'''(金思律, [[1980년]] [[4월 17일]] ~ )은 전 [[KBO 리그]] [[kt 위즈]]의 [[투수]]이다. 그의 사촌 동생은 [[KBO 리그]] [[롯데 자이언츠]]의 [[포수]]이다.<ref>[http://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baseball&ctg=news&mod=read&office_id=109&article_id=0002266584 김사율, "늘 고맙고 미안한 내 동생 사훈이"] - OSEN</ref>
         [[분류:1980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부산광역시 출신 인물]][[분류:KBO 리그 투수]][[분류:대한민국의 야구 선수]][[분류:롯데 자이언츠 선수]][[분류:KT 위즈 선수]][[분류:감천초등학교 (부산) 동문]][[분류:부산대신중학교 동문]][[분류:경남상업고등학교 동문]]
  • 김상기
         * [[김상기 (1980년)|김상기]]([[1980년]] ~ )는 대한민국의 배구 선수이다.
  • 김상기 (1980년)
         '''김상기'''([[1980년]] [[5월 2일]] [[충청북도]] [[제천시]] ~ )는 [[대한민국]]의 전 [[배구]]선수이다. [[수원 KEPCO 빅스톰]]의 주전 세터로서 활동하였으나, [[2012년]] 소속 팀의 [[V-리그 승부조작 사건]]에 연루되어 KOVO로부터 영구 제명되었다.<ref>{{뉴스 인용
         [[분류:1980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수원 한국전력 빅스톰 선수]][[분류:제천산업고등학교 동문]]<!--한국광산공업고등학교-->[[분류:한양대학교 동문]][[분류:승부조작에 관여한 스포츠인]][[분류:제천시 출신]]
  • 김선옥
         '''김선옥'''([[1980년]] [[9월 4일]] ~ )은 [[대한민국]]의 여자 [[봅슬레이]] 선수이다. 포지션은 파일럿이다. [[2014년 동계 올림픽]]에 한국 여자 봅슬레이 사상 첫 출전하였다.
         [[분류:1980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서울특별시 출신]][[분류:대한민국의 봅슬레이 선수]][[분류:대한민국의 올림픽 봅슬레이 참가 선수]][[분류:2014년 동계 올림픽 봅슬레이 참가 선수]]
  • 김선옥 (1980년 육상선수)
         '''김선옥'''([[1980년]] [[9월 4일]] ~ )은 [[대한민국]]의 여자 [[봅슬레이]] 선수이다. 포지션은 파일럿이다. [[2014년 동계 올림픽]]에 한국 여자 봅슬레이 사상 첫 출전하였다.
         [[분류:1980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서울특별시 출신 인물]][[분류:대한민국의 봅슬레이 선수]][[분류:대한민국의 올림픽 봅슬레이 참가 선수]][[분류:2014년 동계 올림픽 봅슬레이 참가 선수]]
  • 김선정 (1980년)
         '''김선정'''([[1980년]] [[3월 28일]] ~ )는 [[대한민국]]의 [[희극 배우]]이자 [[연극배우]]이다.
         [[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1980년 태어남]][[분류:부산광역시 출신]][[분류:2001년 데뷔]][[분류:서일대학교 동문]][[분류:대한민국의 여자 연극 배우]][[분류:대한민국의 여자 배우]][[분류:대한민국의 여자 희극인]][[분류:광산 김씨]][[분류:대한민국의 개신교도]]
  • 김선화 (1957년)
         [[1974년]] [[연극]][[배우]]로 첫 데뷔하였고 [[1980년]] [[한국방송공사|KBS 한국방송공사]] 공채 7기 [[배우|탤런트]]로 정식 데뷔하였으며 [[1983년]]부터 [[1986년]]까지 [[광주광역시|광주]]에 있는 증권보험회사에서 말단 사원으로 근무하며 짬짬이 [[연극]][[배우]] 활동을 하다가 [[1986년]] 증권보험회사 사원직을 사직하고 본격 [[배우|연기자]] 활동을 재개하였으며 아울러 [[만화가]] [[박재동 (만화가)|박재동]] 과 결혼 이후 [[1989년]] [[영화]] 《서울 무지개》의 단역으로 [[영화 배우|영화배우]] 데뷔하였는데 남편 [[박재동 (만화가)|박재동]] 은 본인이 출연한 영화 [[신부수업]]에서 김규식 역으로 출연한 권상우의 대부를 맡았으나<ref>{{뉴스 인용
  • 김성곤 (1980년)
         '''김성곤'''([[1980년]] [[2월 19일]] ~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다.<ref>[http://100.daum.net/encyclopedia/view/33XXXX534043 김성곤-다음인물정보]</ref>
         [[분류:1980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남자 배우]][[분류:대한민국의 남자 텔레비전 배우]][[분류:대한민국의 남자 영화 배우]][[분류:대한민국의 남자 연극 배우]][[분류:의왕시 출신]]
  • 김성곤(배우)
         '''김성곤'''([[1980년]] [[2월 19일]] ~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ref>[http://100.daum.net/encyclopedia/view/33XXXX534043 김성곤-다음인물정보]</ref>
         [[분류:1980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남자 배우]][[분류:대한민국의 남자 텔레비전 배우]][[분류:대한민국의 남자 영화 배우]][[분류:대한민국의 남자 연극 배우]][[분류:의왕시 출신 인물]]
  • 김성균 (1980년)
         '''김성균'''([[1980년]] [[5월 25일]] ~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분류:대한민국의 남자 연극 배우]][[분류:대한민국의 남자 배우]][[분류:대한민국의 남자 뮤지컬 배우]][[분류:대한민국의 남자 영화 배우]][[분류:대한민국의 남자 텔레비전 배우]][[분류:2001년 데뷔]][[분류:의왕시 출신]][[분류:1980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판타지오 소속]]
  • 김성균(배우)
         ||<#878787> '''{{{#ffffff 출생}}}''' ||<(> [[1980년]] [[7월 5일]][* 프로필에서는 1980년 [[5월 25일]]이라고 적혀있지만, 실제 생일은 [[음력]] 1980년 [[5월 23일]], 즉, 양력으로 환산 하면 1980년 [[7월 5일]]이다.], [[경기도]] [[의왕시]][* 출생 당시에는 경기도 의왕시와 . 1년 뒤에 의왕가 직할시로 승격되었다.] ||
         본래는 연극 무대에서 활동해 오다가 2012년 영화 데뷔작인 [[범죄와의 전쟁 : 나쁜놈들 전성시대|범죄와의 전쟁]]에서 최형배([[하정우]])의 오른팔 박창우 역할로 출연했는데, 2:8 가르마 장발과 은갈치 양복으로 마치 1980년대에서 튀어나온 듯한 비주얼로 주목받기 시작한다. 이 당시 [[윤종빈]] 감독이 회고하기를, 주변 사람들이 영화를 보고 나서 하는 소리가 '''"아니 감독님, 진짜 조폭을 섭외하면 어떡합니까?"''' 였다고(....) [[박중훈]]도 트위터에 비슷한 소리를 썼던 걸 보면 어지간히 연기가 인상깊었던 듯. [[http://sports.donga.com/3/02/20120215/44074248/3|#기사]]
         [[분류:한국 남배우]][[분류:의왕시 출신 인물]][[분류:1980년 출생]][[분류:2012년 데뷔]][[분류:라디오 스타의 역대 게스트]]
  • 김성수 (1891년)
         김성수 사후 바로 인촌김성수기념사업회가 출범했고, [[1965년]] 재단법인 인촌기념회로 재창립되었다. [[1965년]] 그를 추모하는 인촌기념상이 수립되었고, [[1973년]]에는 각계 문화인사들을 대상으로 한 인촌문화상이 제정되었다. 그러나 [[1980년]]대 이후 교내 [[민족 해방]] 계열 학생들에 의해 친일 자본가로 매도당하면서 [[고려대학교]] 경내에 안장되었던 그의 묘소와 [[고려대학교|고려대]] 경내에 세워진 그의 동상은 수난을 당하기도 한다.
         [[1989년]] 4월 [[고려대학교]] 경내에 세워진 김성수 동상에 [[민족 해방]] 계열 학생들이 올라가 하얗고 굵은 광목 끈으로 칭칭 동여맸고, 100여 명의 학생들이 동상에 매단 줄을 잡아당겼다. [[1980년]]대 이후 학생운동계에서 김성수의 친일행적 의혹이 제기되었고, 교내 운동권을 탄압하는 재단과의 물리적인 갈등의 성격이 있었다. 이전에도 김성수의 동상은 [[친일파]]라 하여 민족고대에 있으면 안 된다며 학생들이 쓰러뜨리려 시도했으나 재단과 [[일제 강점기]]에 졸업한 선배들의 제지로 실패하였다. 그 때마다 재단측이 창립자의 동상을 훼손하면 엄벌에 처하겠다고 하여 시도하였으나 미수에 그쳤다.
  • 김성주 (1922년)
         |임기 = [[1978년]] [[12월 26일]] ~ [[1980년]] [[7월 9일]]
  • 김세윤
         * [[1980년]] [[TBC]] 《[[달동네]]》
  • 김소운
         김소운의 친일 혐의에 대해서는, 친일 작품 발표 시기가 강압적인 분위기가 조성된 [[일제 강점기]] 말기에 몰려있고 편수도 적은 점, 평생에 걸친 주요 관심사가 한국 문학의 번역 소개였고 일본에 한국의 문화를 알리는 데 일조한 공으로 [[1980년]] 은관 [[문화훈장]]을 받았다는 점, 보통학교 재학 중 밀항으로 도일한 김소운에게는 일본이 문학적인 고향이었다는 점 등 여러 요소로 인해 유가족의 부당하다는 항변이 있었다.<ref>《연합뉴스》 (2007.8.29) [http://www.yonhapnews.co.kr/society/2007/08/29/0701000000AKR20070828197000005.HTML "母는 민주투사 父는 친일작가?"] {{웨이백|url=http://www.yonhapnews.co.kr/society/2007/08/29/0701000000AKR20070828197000005.HTML# |date=20070930033522 }}</ref> [[2008년]] 발표된 [[민족문제연구소의 친일인명사전 수록예정자 명단]]에서는 제외되었다.
  • 김시진(야구감독)
         전 [[롯데 자이언츠]], [[넥센 히어로즈|히어로즈]], [[현대 유니콘스]] 감독. '''[[KBO 리그|한국프로야구]] 최초의 통산 100승 투수[* 역대 최단기 기록이기도 하다. 다만 당시 최강이던 삼성 타선의 지원을 받은 기록이라는 점은 감안해야 한다.]'''. [[삼성 라이온즈]]의 첫 에이스이자 [[1980년대]] [[선동열]], [[최동원]]과 함께 한국프로야구를 지배했던 우완 특급 대투수이기도 하다.
          * [[이만수]] 前 감독과 특별한 사이이다. 대구상고 동문, 한양대 동문, 삼성 라이온즈 동문이자 고교 배터리, 대학 배터리, 프로팀 배터리의 관계이다. 이따금씩 방송에서 김시진이 [[이만수]]에 대한 일화를 말하는데 이게 꽤 웃기다. [[정동진|선생님]] 빠따 사건이라던지[* 대구상고 [[정동진]] 감독 취임날에 선수들이 하라는 훈련은 안하고 놀러다녔고, 이 소식을 들은 정동진 감독이 '''내 불찰이니 나를 때려라''' 라고 했다. 그래서 김시진이라든가 여러 사람이 대부분 말렸는데, 뜬금없이 [[이만수]]가 감독이 자신을 때리라고 하니까 진짜로 감독을 배트로 때리는 일이 일어나고 말았다. 뭐.. 다들 울먹이면서 잘못했다고 감독에게 사과하는 훈훈한 일로 끝났지만, 하필 이 소식이 쫙 퍼지는 바람에 전국의 대구상고 동문들이 들고 일어나서 정 감독이라던가 여러 사람이 일을 수습하느라 애먹었다고 한다.], 손바닥 성냥사건이라던지, [[1980년]] 일본에서 세계야구선수권대회에 김시진이 차출됐다가 어깨 부상으로 출국 전날 엔트리에서 빼고 [[이만수]]가 대타로 갔다가 병역특례를 받았고 김시진은 그 해 현역으로 입대했다는 에피소드 등이 많다.[* 여기에 더해서 김시진은 앞서 서술한 것과 같이 [[1982년]] 세계야구선수권대회에 육군 경리단 신분으로 참가하고 대회 우승을 하나 군인 신분이기에 다른 멤버들과 달리 병역특례를 받지 못한다.] 그런데 이 배터리는 2014 시즌이 끝나자 무능한 삼성 출신 감독들로 남고 말았다. [[안습]].
          * 엄청난 불운의 인물로 유명하다. [[1980년]] 세계야구선수권대회에 차출되었으나 어깨부상으로 하차, 병역특례를 받지 못한 것을 시작으로 [[1982년]]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1982년|세계야구선수권대회]]에서 우승했음에도 당시 군인 신분이라 병역특례를 받지 못하고, 한국시리즈에서의 졸전으로 인한 패전에 버금가는 불운으로 인한 패전[* 주로 야수진의 실책 퍼레이드, 부상투혼 등.] 횟수에 이로 인한 [[새가슴]] 이미지, 결국은 이 때문에 트레이드되는데 마침 리빌딩 시기라 기회도 못 받고 은퇴... 게임에서는 이름값에 걸맞지 않게 능력치가 짠 편이기도 하다. 감독으로의 커리어를 보자면 감독이 된 것도 불운이 아닐까 싶다.
          * 1980년에 당한 어깨 부상의 여파로 당초 입단할 예정이었던 [[포스틸 야구단|포항제철]] 행이 무산된 후 육군(경리단) 야구팀에 들어갔는데 이 과정에서 신병 훈련 면제라는 혜택을 받았다. 그러나 전역을 앞두고 프로 입단에 대비한다는 말이 육군 고위층에게 안 좋게 들리면서 혜택을 받은 사실이 들통나 말년병장 때 훈련소에서 굴렀다고.
  • 김신 (1957년 3월)
         어린 시절 소아마비를 앓아 오른쪽 다리에 보조기를 해야 걸을 수 있는 사정 때문에 학창시절 주변의 차별과 냉대로 마음고생이 심했지만 고교 재학 때 신문에서 ‘장애인 판사 탄생’이란 기사를 우연히 접하고 판사의 꿈을 키워 나갔다. 이후 각고의 노력 끝에 1976년 서울대 법대에 진학한 데 이어 1980년 22회 사법시험에 합격하고 사법연수원을 수료했지만 "법관이 법정에서 주로 재판을 하지만 현장검증 등 활동성이 요구되기 때문에 장애인은 판사 임용이 어렵다"는 이유로 판사 임용에 실패한 전력이 있는 가운데<ref>[http://news.donga.com/3/all/20120606/46790258/1 장애인이라 판사 탈락했던 그가 대법관에 오른다]</ref> 부산지역의 향판으로 근무한 자신이 대법관에 임명 제청된 점에 대해“물론 기쁘지만 책임감으로 마음은 무겁다. 장애인과 약자, 소수자들을 위한 재판을 할 수 있는 사람으로 판단하고 나를 선택한 것 같다.”<ref>[http://news1.kr/articles/?693230 대법관 제청 김신 울산지법원장 “장애인·약자 위한 재판 할 것”]</ref>라는 제청 소감을 밝히면서“자신이 판사로서 자격을 갖췄다 하더라도 그 결재권자는 하나님이었습니다.”<ref>[http://news.kukinews.com/article/view.asp?page=1&gCode=kmi&arcid=0006131938&cp=nv 대법관 후보에 제청된 ‘소아마비 鄕判’ 김신 울산지방법원장, “결재권자는 하나님이었습니다”]</ref>라고 말한 것을 두고 종교 편향성 시비가 불거졌고 대한불교청년회는 특정종교 편향성으로 논란이 일고 있는 김신 대법관 후보와 관련, "19대 국회는 특정종교 재판장 역할수행과 헌법적 가치에 반하는 김신 대법관 후보에 관한 임명 동의에 반대할 것을 요구한다"며 낙마를 주문하기도 했다.<ref>[http://www.viewsnnews.com/article/view.jsp?seq=88544 불교단체 "종교편향적 김신 대법관 후보 임명 반대"]</ref> 이와 관련하여 인사청문회에서 "2001년경 '지진은 하나님의 경고'라는 취지의 내용이 포함된 글을 작성해 '평등과 참여'라는 장애인전도협회 소식지에 기고한 사실이 있고, 2002년에 펴낸 '다시 시작할 수 있는 용기'라는 소책자에도 실렸는데, 지진 피해자들의 아픈 심정을 제대로 헤아리지 못하고 미숙한 표현을 사용한 것에 대해 매우 송구스럽게 생각한다"며 고개를 숙였다.<ref>[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1754440 김신 대법관 후보 "'지진은 하나님 경고'는 미숙한 표현"]</ref>
         * [[1980년]] 제22회 사법시험 합격
  • 김양 (1953년)
         * [[1980년]] : [[연세대학교]] 행정대학원 행정학 석사 ([[외교|외무]][[행정학]] 전공)
  • 김여진 (아나운서)
         '''김여진'''([[1980년]] [[11월 22일]] ~ )은 [[대한민국]] [[YTN]] 아나운서다. [[서울특별시]] 출신이다.
         [[분류:1980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서울특별시 출신]][[분류:대한민국의 방송인]][[분류:대한민국의 아나운서]][[분류:2004년 데뷔]][[분류:YTN의 아나운서]][[분류:서울대학교 사범대학 동문]]
  • 김연자
         * [[1980년]] 알잖아요 내 마음 / 둘이서
  • 김영옥 (배우)
         * [[1980년]] [[MBC]] 농촌드라마 《[[전원일기]]》 ... 응삼의 어머니외 각종 단역
         * [[1980년]] 《[[달려라 만석아]]》
         * [[1980년]] [[MBC 연기대상]] 라디오부문 주연상
  • 김영준 (1980년)
         '''김영준'''([[1980년]] [[5월 20일]] ~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다.<ref>[http://movie.daum.net/movieperson/Biography.do?personId=79152&anchor=filmography 김영준-다음인물정보]</ref>
         [[분류:1980년 태어남]][[분류:1997년 데뷔]][[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남자 배우]][[분류:대한민국의 남자 텔레비전 배우]][[분류:대한민국의 남자 영화 배우]][[분류:대한민국의 남자 모델]][[분류:서울특별시 출신]]
  • 김영한 (1900년)
         '''김영한'''(金永漢, [[1900년]] ~ [[1980년]]<ref>《한국일보》 (1987.12.18) [http://www.kinds.or.kr/imgdata8/1987/12/18/19871218HKM07.pdf 알뜰살림 속에 숨은 內助... "보통 부인"]</ref>)은 [[대한민국]] 제13대 대통령 [[노태우]]의 장인이다.
         [[분류:일제 강점기의 교육인]][[분류:1900년 태어남]][[분류:1980년 죽음]][[분류:경상북도 출신 인물]][[분류:안동 김씨 (신)]][[분류:노태우 가]]
  • 김완섭
         한때 [[오스트레일리아]] [[캔버라]]에서 거주하기도 한 그는 1993년 대한민국에 귀국을 하였고 [[1980년대]] 후반 이후 PC통신과 [[1995년]] [[대한민국]]에 인터넷이 보급된 이후 칼럼니스트로도 활동했다.
         [[1980년]] [[5월]] [[5·18 광주 민주화 운동|광주 민주화 운동]] 당시 시민군으로 민주화 운동에 참가했다. 당시 정부 계엄군은 김완섭이 나이가 어리고 계엄군에게 적극적으로 대적하지 않았기 때문에 그에게 총격을 가하지는 않았다.<ref name="서울대1">[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3&oid=143&aid=0000015716 <nowiki>[</nowiki>김완섭을 만나다 2<nowiki>]</nowiki> "나를 아는자,나를 욕하라!"] 국민일보 2006년 2월 24일자</ref>
         그는 [[대한민국|한국]] 사회 내부의 [[전체주의]]적, [[파시즘]]적 요소를 비판하는 책을 출간하였다가 송사와 비판을 받았다. 그는 곧 기자생활을 그만두고 [[1980년]]대 후반부터 PC통신에서 논객으로 활동했다. 이는 [[1995년]] [[대한민국]]에 [[인터넷]]이 보급된 이후 [[인터넷 논객]]으로 자리잡았다.
  • 김윤경(1949)
         * 《미워도 다시 한 번 '80》 ([[1980년]]) - 주연
  • 김윤규
         '''김윤규'''(金胤奎, 필명 : '''다치하라 마사아키'''({{llang|ja|立原正秋}}), [[1926년]] [[1월 6일]] ~ [[1980년]] [[8월 12일]])는 [[일본]]의 [[소설가]]이다.
         [[경상북도]] [[안동시|안동군]]에서 태어났다. [[와세다 대학교]] 국문과를 중퇴했다(입학시에는 법률학과). 아버지가 병으로 세상을 떠난 뒤, 어머니와 함께 일본으로 건너가서 거기서 거주했으며, 1947년에는 일본으로 [[귀화]]하며 아내의 성을 따 '''요네모토 마사아키'''({{lang|ja|米本正秋}})로 이름을 고쳤다. 1980년 6월 필명인 '''다치하라 마사아키'''로 개명했다. 두 달 뒤인 8월에 [[식도암]]으로 사망했다.
         [[분류:1926년 태어남]][[분류:1980년 죽음]][[분류:일본의 소설가]][[분류:한국계 일본인]][[분류:안동시 출신]][[분류:와세다 대학 동문]][[분류:나오키상 수상자]][[분류:일본으로 귀화한 사람]][[분류:식도암으로 죽은 사람]]
  • 김자옥
         [[1980년]]에 [[최백호]]와 결혼하여 연예계를 은퇴했지만 1982년 KBS 《[[사랑의 조건 (1982년 드라마)|사랑의 조건]]》으로 복귀했다. 1983년 최백호와 성격차이로 이혼했으며 1년 후 노래 '있을 때 잘해'를 히트시킨 가수 [[오승근 (가수)|오승근]]과 재혼했다.
         * 1980년 MBC 주간연속극 《[[종점 (드라마)|종점]]》 ... 장연희 역
         * 1980년 《[[낯선 곳에서 하룻밤]]》
         * 1980년 《[[그 여자 사람잡네 (영화)|그 여자 사람잡네]]》
         * 1980년 《[[스킨푸드]]》
  • 김장호 (1929년)
         [[1957년]] [[시 (문학)|시인]]으로 등단했고 그 후 [[1980년]] [[극작가]]로 등단했으며 [[1983년]] [[연극]][[평론|평론가]]로 등단했고 [[1984년]] [[문학평론|문학평론가]]로 등단했으며 [[1985년]] [[번역]][[문학|문학가]]로 첫 입문했고 이어 [[1986년]]에는 자신의 등산 기행담을 기록하고 발표를 하여 기행 [[작가]]로 등단했으며 [[1993년]]에는 [[수필|수필가]]로 등단했다. 또한 자신의 모교인 [[동국대학교]]의 교수로도 재직한 바 있는 그는 국내 [[산]]을 등산 기행하는 등산가와 산악인으로도 유명하다.
  • 김재규
         ||<:> '''생몰년도''' ||<:> [[1926년]][* 최후진술을 들어보면 알겠지만, 김재규 자신은 1926년생이 아닌 1924년 생이라고 밝혔다.이 부분에 대해 자세히 아는분은 추가바람] [[3월 6일]] ~ [[5.18 민주화운동|1980년 5월 24일]] (54세 총 19804일) ||
         김재규(金載圭, [[1926년]] [[3월 6일]] ~ [[1980년]] [[5월 24일]])는 [[대한민국]]의 [[군인]]·[[정치가]]이다. 호는 덕산(德山)이고, 본관은 [[김녕 김씨]]. [[경상북도]] [[구미시]] 출신. [[유신정권]] 당시 [[중앙정보부]]장을 재임했으며, [[10.26 사건]] 당시 대통령 [[박정희]]를 암살하고, 사건 다음날 새벽 [[육군본부]]에서 검거되어 이후 내란목적살인 및 내란미수에 대하여 유죄판결을 받고 사형을 언도받아 교수형에 처해졌다. 김재규의 육성이나 말투를 들어보고 싶으면 [[http://www.youtube.com/watch?v=5YItsPrAcq8|본 육성녹음을 참고]]. 이것은 1979년 12월 8일의 보통군법회의 최후진술 녹음 중 하나다.
         > - 1980년 5월 23일 사형집행이 내려지기 전날 유서에서.
         사건에 대한 합동수사본부장이 된 [[전두환]]은 알려진 바와 같이 [[12.12 군사반란]] 때 계엄사령관인 [[정승화]]를 긴급체포하여 군을 장악하게 되었고, 김재규는 육군 고등군법회의에서 내란목적 살인 및 내란미수죄로 [[사형]]을 선고받고, 1980년 5월 20일 대법원에서 상고가 기각되어 박선호, 유성옥, 김태원과 같이 사형이 확정되어 기각 4일 만인 5월 24일에 [[교수형]]에 처해졌다.
         그리고 8:6으로 내란목적 살인죄가 적용되 사형판결을 받는다. [[http://glaw.scourt.go.kr/wsjo/panre/sjo100.do?contId=2173227&q=80%EB%8F%84306&nq=&w=yegu§ion=yegu_tot&subw=&subsection=&subId=&csq=&groups=&category=&outmax=1&msort=&onlycount=&sp=&d1=&d2=&d3=&d4=&d5=&pg=0&p1=&p2=01&p3=&p4=&p5=&p6=&p7=&p8=&p9=&p10=&p11=&p12=&sysCd=&tabGbnCd=&saNo=&joNo=&lawNm=&hanjaYn=N&userSrchHistNo=&poption=&srch=&range=&daewbyn=N&smpryn=N&tabId=|80도306]][* 민문기, 양병호, 임항준, 김윤행, 정태원, 서윤홍 이렇게 6명은 그냥 살인이라고 소수의견을 냈다. 적극적인 의견을 개진하지 않은 정태원 대법관을 제외한 나머지 5명은 고초를 겪다가 사표를 써야했다. 특히 양병호 대법관은 서빙고문실로 끌려가 고문까지 받았다. 그 당시 법원행정처장 서일교가 당시 이영섭 대법원장에게 대법원장이 사표를 수리해 주셔야만 양병호가 풀려날 수 있다면서 친필 사표를 내밀었고 결국 사표를 수리할 수 밖에 없었다. 그 후 한 시간 정도만에 양병호 판사가 대법원장실에 나타났고 양병호는 정말 아무 일도 없었다면서 커피를 마셨지만 커피가 입으로 들어가지 않고 가슴과 와이셔츠를 적시는데도 그것을 모른 채, 정신나간 사람처럼 눈에 초점이 풀려있었다고...] 사형 판결을 받은 김재규는 1980년 5월 24일에 [[교수형]]으로 숨진다. 사형집행일 김재규는 아침을 먹지 않고 냉수마찰을 한 뒤 새 옷으로 갈아입고 길을 나섰는데, 이는 이승에 남기고 갈 마지막 흔적을 더럽히지 않기 위함이였다고 한다.[[http://www2.donga.com/docs/magazine/new_donga/9810/nd98100020.html|#]] 당시 교도관의 증언에 의하면 김재규는 사형집행 직전까지 목숨을 구걸하지 않고 의연한 모습을 보였으며 "남길 말이 있으면 하라"는 참관 검사의 말에 아무런 말을 하지 않은 채 조용히 죽음을 받아들였다고 한다. 이때가 향년 54세. [[http://blog.naver.com/aa6753/220795466265|사형 집행 장면]] 그 비극은 김재규의 남은 가족들에게도 이어져, 부인 김영희와 동생 김항규는 무자비한 고문을 당하고 재산까지 빼앗기는 비극을 당했으며 '3족을 멸한다'는 말이 나올 정도로 주변인들 역시 갖은 고초에 시달려야 했다.
         한국 [[미술]]계의 대형 스캔들인 [[천경자 미인도 위작 사건]]과 직간접적으로 연관되어 있다. 미인도는 한때 김재규의 개인 소장품이었는데, [[10.26 사건]] 후 김재규의 재산을 몰수하는 과정에서 이 그림이 국가로 귀속되어 1980년 국립현대미술관에 소장된 이후 위작논란이 시작되었다. 즉, 김재규가 이 작품의 위작 여부를 알고 있었는지, 작품을 소장하게 된 경위가 어떤 지를 밝히는 게 위작논란의 중요한 단서가 될 것이다. 일단은 김재규의 남동생에 의하면 "형수가 그 그림이 진품인지는 알지못하고 걸었다"라고 인터뷰한 바가 있고 검찰에 의하면 김재규의 부인이 친한 오모 대령의 부인에게서 받은 그림이라고 한다. 처음 이 논란이 시작되었을 때는 단순히 전 소유주라는 사실 이상의 관심을 받지 못했지만, 2016년 [[박근혜-최순실 게이트|그 사건]]이 터지고 그것이 알고 싶다에서도 다루면서 '''김재규의 업적을 깎아내리기 위한 신군부와 미술계의 결탁'''이라는 가설이 힘을 얻고 있다. 자세한 내용은 해당 문서 참고.
         [[분류:일본군/조선인]][[분류:대한민국의 군인]][[분류:한국전쟁/군인]][[분류:대한민국의 정치인]][[분류:구미시 출신 인물]][[분류:1926년 출생]][[분류:1980년 사망]]
  • 김재화 (배우)
         '''김재화'''([[1980년]] [[9월 1일]] ~ )는 [[대한민국]]의 [[배우]]이다.<ref>[http://100.daum.net/encyclopedia/view/33XXXX516625 김재화-다음인물정보]</ref>
         [[분류:1980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20세기 대한민국 사람]][[분류:21세기 대한민국 사람]][[분류:부산광역시 출신 인물]][[분류:중앙대학교 동문]][[분류:대한민국의 텔레비전 배우]][[분류:대한민국의 영화 배우]][[분류:창극 배우]][[분류:1999년 데뷔]][[분류:대한민국의 연극 배우]][[분류:대한민국의 뮤지컬 배우]]
  • 김재황
         '''김재황'''(金載晃, [[1912년]] [[7월 3일]] [[경성부]] ~ [[1980년]] [[4월 8일]])은 제3대 국회의원을 지낸 대한민국의 정치인이다.
         [[분류:1912년 태어남]][[분류:1980년 죽음]][[분류:서울특별시 출신]]
  • 김정렬 (1917년)
         [[국회의원]] 임기를 마친 후 1971년부터 [[삼성물산]] 사장(三星物産)으로 초빙된 뒤 경제동우회(經濟同友會) 회장, [[대한상공회의소]] 부회장, 주식회사 정우개발(正友開發) 회장 등을 역임하면서 실업계에서 활동하다가, 1980년 [[최규하]] 대통령을 찾아가 하야를 종용하는 등 일정한 역할을 한 것을 계기로 [[전두환]] 정권에서 [[1980년]] [[8월]] [[국정자문회의]] 위원이 되었다. 이어 [[대한민국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平和統一諮問會議) 수석부의장으로 공직에 복귀하여 전두환 정권 말기에는 [[대한민국 제5공화국|제5공화국]]의 마지막 [[국무총리]]를 지냈다.
  • 김정렴
         [[1946년]] [[한국은행]]의 전신인 [[조선은행]]에 입행하였다. 그 후 [[한국은행]] 조사부 차장과 [[대한민국 기획재정부|재무부]] 이재국장을 거쳐 [[1966년]] [[대한민국의 기획재정부 장관|재무부 장관]], [[1967년]] [[대한민국의 지식경제부 장관|상공부 장관]], [[1969년]] [[10월]]부터 [[1978년]] [[12월]]까지 [[대한민국의 대통령비서실장|대통령 비서실장]]을 지냈고 그 후 [[1979년]] [[2월|1월]]부터 [[1980년]] [[9월|89월]]까지 [[일본]] 주재 [[대한민국]] 대사를 역임하였다. 화폐 개혁, [[새마을 운동]], 산림 녹화 등에 직접 관여하기도 하였다.
         |임기 = [[1979년]] [[1월]] ~ [[1980년]] [[8월]]
  • 김정미 (가수)
         * [[1980년]] 스타SHOW쇼 제1집
  • 김정수 (1949년)
         [[경상북도]] [[울릉군|울릉]]에서 출생하였고 한때 [[경기도]] [[서울특별시|서울]]에서 잠시 유년기를 보낸 적이 있는 그는 [[1967년]] [[록 음악]] [[음악 그룹|밴드]] '미키스(Mickeys)'의 [[베이스 기타|베이스 기타리스트]] 겸 [[보컬|보컬리스트]]로 가요계에 데뷔하였고, [[1978년]]에 '급행열차'라는 록 음악 밴드에서 보컬리스트 겸 [[기타 연주자|기타리스트]]로 활동하였으며 [[1980년]]에는 '급행열차'의 [[보컬|보컬리스트]]로서 [[기타 연주자]]이자 [[오르가니스트|오르간 연주자]] 겸 [[작곡가]]인 김기표에게 받은 《내 마음 당신 곁으로》를 발표하여 히트하였는데 [[1985년]]에 [[가수]] [[민해경]]도 이 곡을 [[리메이크]]하였다.
  • 김정욱 (1980년)
         '''김정욱'''([[1980년]] [[4월 10일]] ~ )은 [[대한민국]]의 [[남성]] [[배우]]이다. 1996년 [[MBC TV|MBC]] [[드라마]] 《[[나 (드라마)|나]]》로 데뷔하였으며, [[KBS]]의 《[[학교 (드라마)|학교]]》 등에 출연하였다. 방송연예과를 졸업하였으며, 현재 [[키이스트]] 소속이다<ref>[http://people.search.naver.com/search.naver?sm=tab_txc&where=people_profile&ie=utf8&query=%EA%B9%80%EC%A0%95%EC%9A%B1&os=161277 네이버 인물검색 - 김정욱]</ref>.
         [[분류:1980년 태어남]][[분류:대한민국의 남자 텔레비전 배우]][[분류:대한민국의 남자 영화 배우]][[분류:1996년 데뷔]][[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고성군 (경상남도) 출신]]
  • 김정환 (시인)
         [[서울특별시|서울]]에서 출생하였고, [[서울대]] 영문과를 졸업하였다. [[1980년]] 《[[창작과 비평]]》에 시 〈마포강변 동내에서〉 등이 추천되어 등단하였다. 주요 작품으로 〈해방 서시〉,〈유채꽃밭〉 등이 있으며 시집으로 《황색예수》,《지울 수 없는 노래》,《좋은 꽃》 등이 있다. 시대의 진실을 밝혀내려는 결의와 열린 감성으로 우리 시대의 언어에 일대 변혁을 몰고 왔다는 평가를 받는다. “시를 폭포처럼 쏟아”낸다는 평<ref>{{뉴스 인용 |제목 = 〈고종석 칼럼〉 김정환 생각 |url = http://news.hankooki.com/lpage/opinion/200711/h2007110718345739780.htm |저자 = [[고종석]] |출판사 = 한국일보 |날짜 = 2007-11-07 |확인날짜 = 2009-07-24 |보존url = https://web.archive.org/web/20071108205131/http://news.hankooki.com/lpage/opinion/200711/h2007110718345739780.htm# |보존날짜 = 2007-11-08 |깨진링크 = 예 }}</ref> 을 받을 정도로 다작하는 시인이다.
  • 김정훈 (1980년)
         '''김정훈'''(金楨勳, [[1980년]] [[1월 20일]] ~ )은 [[대한민국]]의 [[가수]], [[배우]]이다. [[2000년]]에 남성 듀오 그룹 [[UN (음악 그룹)|UN]]('''U'''nited '''N'''-generation)의 멤버로 데뷔하였다. [[중국]]에서는 '찐쩡쒼', [[일본]]에서는 '존훈(John-Hoon)'이라는 이름으로 활동하고 있다.
         [[분류:1980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방송인]][[분류:대한민국의 남자 가수]][[분류:대한민국의 작사가]][[분류:비디오 자키]][[분류:대한민국의 남자 모델]][[분류:대한민국의 남자 영화 배우]][[분류:2000년 데뷔]][[분류:중앙대학교 동문]][[분류:선산 김씨]][[분류:진주시 출신]][[분류:진주동명고등학교 동문]][[분류:진주중학교 동문]][[분류:더 지니어스 참가자]][[분류:미스터리 음악쇼 복면가왕 참가자]][[분류:대한민국의 발라드 음악가]][[분류:대한민국의 불교 신자]][[분류:대한민국의 남자 텔레비전 배우]][[분류:대한민국의 남자 뮤지컬 배우]]
  • 김정훈(UN)
         || '''출생''' ||<(> [[1980년]] [[1월 20일]]([age(1980-01-20)]세) [[경상남도]] [[진주시]] ||
         [[1980년]] 1월 20일 생. 전 듀엣그룹 [[UN(가수)|UN]]의 멤버. 다른 멤버로는 [[최정원(남자배우)|최정원]]이 있었는데, 최정원이 남자다움과 의외의 느끼함으로 예능계에서 대활약하며 인기를 끌었다면 김정훈은 당시 선호하던 꽃미남 & 부드러운 남자와 엘리트 이미지로 인기를 끌었다. 그가 속해있던 그룹 UN은 [[플라이 투 더 스카이]]만큼 독자적인 팬층을 확보하며 2000년대 초반 잘 나가는 그룹이었다.
         [[분류:한국 남배우]][[분류:진주시 출신 인물]][[분류:2000년 데뷔]][[분류:1980년 출생]][[분류:미스터리 음악쇼 복면가왕 역대 출연자]][[분류:투유 프로젝트 - 슈가맨 시리즈 역대 출연자]]
  • 김종성 (성우)
         [[1964년]] [[동양방송|TBC]](동양방송) 공채 1기 성우로 입사하였으며, 1969년 [[동아방송|DBS]](동아방송) 성우로 이적하였으나 구조조정 문제로 인한 실직 후 성우 활동을 중단하고 [[1979년]]부터 [[문화방송|MBC]]에서 활동을 재시작했다.<ref name="서울신문">[http://www.seoul.co.kr/news/newsView.php?id=20061120022002 (김문기자가 만난사람) 정치·사극 명해설 성우 김종성] [[서울신문]] 2006년 11월 20일 작성</ref> 이듬해 [[1980년]] [[언론통폐합]]으로 인하여 자연히 소속이 [[한국방송공사|KBS]]로 바뀌게 되었으며, [[한국방송공사|KBS]]에서는 그가 동양방송에 입사했던 [[1964년]]에 7기 공채가 있었기 때문에, 현재는 [[한국방송공사|KBS]] 7기 성우로 표기되는 경우가 많다.
         * [[1980년]] [[한국방송공사|KBS 한국방송공사]] 성우
  • 김종완 (음악가)
         '''김종완'''([[1980년]] [[12월 24일]] ~ )은 대한민국의 [[대중 음악|음악가]], [[싱어송라이터]]이다.
         이후 [[스위스]]로부터 귀국을 한 고등학교 3학년 무렵, 기타를 연주하던 [[이재경 (1980년)|이재경]]과 [[드럼 셋|드럼]]을 연주하던 [[정재원 (1980년)|정재원]]과 친해졌고 1998년 무렵엔 초보 베이시스트였던 [[이정훈 (1980년)|이정훈]]을 만나<ref>{{웹 인용 |url =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6&oid=420&aid=0000000045|제목 = 넬 1부. 우리에게 콘서트란? |저자 = 김종완|날짜 = 2012-12-20|확인날짜 = }}</ref> 후에 아일럿(ilot)을 결성, [[1999년]] [[7월 31일]] 밴드명을 '''[[넬 (음악 그룹)|넬]]'''로 바꾸고 본격적인 활동을 시작하였다.
         [[1999년]]부터 활동을 시작한 그는 넬에서 프론트맨으로 보컬, 기타, 키보드를 담당한다. 밴드 내 모든 악기를 다룰 수 있고, 현재도 프로듀싱과 같은 것들을 공부하고 있다고 한다. 음악에 대한 열정이 뛰어나며 백지연의 피플인사이드에서는 [[이재경 (1980년)|이재경]]이 “김종완은 앨범 후반부 작업 중 하나인 ‘믹스 작업’을 할때면 30시간 동안 화장실을 가지 않는다”라고 언급한 바 있다. 또한, 넬의 전곡을 작사, 작곡하였다. 넬의 모든 멤버들이 작사와 작곡을 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자신이 작사, 작곡을 한 이유로서, 노래를 부르는 사람이기에 직접 가사와 멜로디를 만들었을때 가사 전달력이 좋고 사람들에게 좀 더 와닿기 때문이라 언급하였다. 곡 작업을 할땐 갑자기 떠오른 이미지 혹은 스토리로 만든 곡들도 있지만 대부분은 일상의 메모나 일기에서 시작되며 90% 정도는 경험에서 나온 얘기이다. 인터뷰에 따르면 가장 하기 어려운 이야기를 가사로 써서 더 많은 사람들이 알게 된다는 게 어떻게 보면 모순이나 내게는 마음 속에 쌓여 있는 이야기를 사람들에게 크게 소리 지르듯 표현하고 싶은 욕구가 있고([[2007년]] Ceci 인터뷰), 실제로도 주변 상황이 안 좋은 방향으로 흘러가거나 깊이 생각해야 할 일이 있을때 주로 음악 작업을 하게 되는 것 같고 곡이나 가사가 잘 나온다고 한다.<ref>{{영상 인용 |언어 = |인물= |제목= 120905 Nell(넬) - Interview Cut |url= https://www.youtube.com/watch?v=CEHrsZ5IJ_U|형식= |매체= |출판사= |장소= |확인날짜=2014-02-14 |시간= |인용= }}</ref> 특히 ‘[[팔세토]] 창법’을 구사하며 이는 성악에서 흉성과 두성 사이에 있는 팔세토라는 성구를 이용해 내는 소리를 말한다. [[조관우]], [[나얼]] 등의 가수들이 이와 같은 창법을 사용한다고 알려져 있다.
         [[넬 (음악 그룹)|넬]] 멤버들인 [[이재경 (1980년)|이재경]], [[정재원 (1980년)|정재원]]과는 중학교 동창이고 [[이정훈 (1980년)|이정훈]]과는 같은 동네 친구이다. [[에픽하이]](특히 [[타블로]]), [[피아]], [[하동균]] 등과 절친 사이이다. ‘[[넬 (음악 그룹)|넬]]의 제 5의 멤버’라 불리는 조재우와 박아셀과도 친분이 있다.
         [[분류:1980년 태어남]][[분류:서울특별시 출신]][[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남자 가수]][[분류:대한민국의 가수]][[분류:대한민국의 남자 싱어송라이터]][[분류:대한민국의 음악 프로듀서]][[분류:대한민국의 록 음악가]][[분류:2001년 데뷔]]
  • 김종율
         * [[1973년]] ~ [[1980년]] : [[성균관대학교]] 영어영문학과 학사(1973학번)
  • 김주승
          * 데뷔 [[1980년]] 연극배우
         [[대한민국]]의 [[배우]]. 1980년에 연극배우로 먼저 데뷔하였으며, 그 이후 [[1983년]], [[MBC]] [[공채]] 16기 탤런트가 되었다. [[1990년]], [[장영자·이철희 금융사기 사건|5공비리]]의 큰 손 [[장영자]]의 [[사위]]가 되면서 화제가 되었었다. 그러나 [[2007년]] 초에 [[이혼]]하면서 그 이후로는 장영자와는 남남이 되었다. [[딸]]이 한명 있었으며, 딸은 전 부인이 데려갔다. 그리고 동년 [[여름]], 지병이던 [[췌장암]]이 악화되면서 결국 [[사망]]하였다.
         [[분류:한국 남배우]][[분류:1961년 출생]][[분류:2007년 사망]][[분류:장성군 출신 인물]][[분류:1980년 데뷔]]
  • 김준현(코미디언)
         || '''출생''' ||<(> [[1980년]] [[11월 16일]] ([age(1980-11-16)]세)[br][[대한민국]] [[강원도]] [[춘천시]][* [[한끼줍쇼]] 83회 춘천편에서 전화연결을 통해 춘천에서 태어나 세살 때까지 살다가 [[경기도]] [[광명시]]로 [[이사]]했다고 밝혔다.] ||
          * 하지만 이 검사에서 근육량이 높다고 나오기도 했지만 혈액검사 상에서는 확연한 당뇨[* 당화혈색소 8.2로 나왔는데 6.5이상이면 의학적으로 당뇨이고 7이상이면 어느정도 증상도 있는 당뇨이고 8이면 약을 먹지 않으면 안된다. 특히나 김준현이 1980년생임을 생각해본다면 꽤나 관리가 필요하다.]로 나왔다. 방송이라 그런지 의사가 관리하지 않으면 위험하다고만 했지만 사실 김준현의 상태는 약을 먹지 않으면 안되는 수준이었다. 방송에서 오히려 의사가 적나라하게 진단하기 그래서 그런지 오해하고 있는 사람도 많고 저정도는 정상이구나 여기는 사람도 많았다.
         [[분류:한국 남성 코미디언]][[분류:2007년 데뷔]][[분류:춘천시 출신 인물]][[분류:라디오 스타의 역대 게스트]][[분류:1980년 출생]][[분류:1대 100 역대 1인]][[분류:미스터리 음악쇼 복면가왕 역대 출연자]]
  • 김지혜 (1980년)
         '''김지혜'''([[1980년]] [[11월 3일]] ~ )는 [[대한민국]]의 [[가수]]이며 [[영화배우]]이다.
         [[분류:대한민국의 여자 가수]][[분류:1980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아이돌 가수]][[분류:1997년 데뷔]][[분류:대한민국의 여자 영화 배우]][[분류:양평군 출신]]
  • 김지혜(1980)
         '''김지혜'''([[1980년]] [[11월 3일]] ~ )는 [[대한민국]]의 [[가수]]이며 [[영화배우]]이다.
         [[분류:대한민국의 여자 가수]][[분류:1980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아이돌 가수]][[분류:1997년 데뷔]][[분류:대한민국의 여자 영화 배우]][[분류:대한민국의 여자 뮤지컬 배우]][[분류:대한민국의 여자 모델]][[분류:대한민국의 여자 텔레비전 배우]][[분류:대한민국의 기업인]][[분류:양평군 출신 인물]][[분류:단국대학교 동문]][[분류:양수초등학교 동문]][[분류:양수중학교 동문]][[분류:양서고등학교 동문]]
  • 김진
         * '''[[김진 (1980년)|김진]]'''([[1980년]] ~ )은 대한민국의 [[웹툰]] 작가이다.
  • 김진 (1980년)
         '''김진'''([[1980년]] [[11월 17일]] ~ [[경상북도]] [[청송군]])은 [[대한민국]]의 만화가이다. 소소한 일상의 이야기를 다이어리 형식으로 다룬 만화를 그리며, 대표작으로는 《나이스진타임》이 있다. 이 책은 [[2009년]] 단행본이 출시되었으며, 현재는 마감하였다. 2014년에는 같은 웹툰 작가 [[이윤창]]과 연애를 인정하였음15 년, 연애 중이던 이윤창과 결혼을 하였다.
         [[분류:1980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삽화가]][[분류:대한민국의 웹툰 작가]][[분류:청송군 출신]]
  • 김창겸 (축구선수)
         [[1980년]] [[명지대학교]]를 졸업하고 [[한국외환은행 축구단]]에 입단하였고, 이후 [[육군 축구단]]에서 군복무를 해결한 뒤 선수 생활을 일찌감치 끝냈다.
  • 김청태
         '''김청태'''(金清泰, [[1980년]] [[7월 6일]] ~ )는 [[대한민국]]의 전 [[양궁]] 선수이다.
         [[분류:1980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남자 양궁 선수]][[분류:양궁 감독]][[분류:대한민국의 올림픽 금메달리스트]][[분류:올림픽 양궁 메달리스트]][[분류:2000년 하계 올림픽 메달리스트]][[분류:대한민국의 올림픽 양궁 참가 선수]][[분류:2000년 하계 올림픽 양궁 참가 선수]][[분류:체육훈장 맹호장 수훈자]][[분류:서울특별시 출신]][[분류:관악중학교 동문]][[분류:서울체육고등학교 동문]][[분류:일본에 거주한 대한민국인]]
  • 김태라
         '''김태라'''([[1980년]] [[6월 27일]] ~ )은 [[대한민국]]의 [[연극배우]]이다.
         [[분류:1980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여자 연극 배우]][[분류:200O년 데뷔]][[분류:인천광역시 출신]][[분류:인하공전 동문]][[분류:인천대학교 동문]]
  • 김태희
         '''김태희'''(金泰希<ref>{{뉴스 인용|저자1=장주영|제목=[인터뷰①] ‘그랑프리’ 김태희, “서른은 나를 당당해지게 했다”|url=https://entertain.naver.com/read?oid=009&aid=0002315791|날짜=2010-09-03|확인날짜=2018-07-05|뉴스=매일경제}}</ref>, [[1980년]] [[3월 29일]] ~ )는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2000년 "화이트" 광고 모델로 연예계에 데뷔해서 2001년 영화 《[[선물 (영화)|선물]]》에 [[이영애]]의 아역으로 출연하면서 연기자로 입문하였고, 2002년 독립 영화 《[[신도시인]]》에 출연했다. 이후 시트콤 《[[해변으로가요]]》(2004), 《[[스크린 (드라마)|스크린]]》, 《[[천국의나무]]》(2006)와 같은 텔레비전 드라마에 출연했다. 2003년에는 《[[천국의 계단]]》에서 악역 한유리 역할로 얼굴을 알리며 인기를 얻기 시작했고, 이 드라마로 [[SBS 연기대상]]에서 뉴스타상을 수상했다. 2004년에는 드라마 《[[작은아씨들]]》과 《[[목련꽃아래서]]》에 출연했다. 하지만 이후 영화 《[[중천 (영화)|중천]]》(2006), 《[[싸움 (영화)|싸움]]》(2007)에 출연했으나, 모두 흥행에 실패했다. 2009년에는 시청률 30%대를 기록한 드라마 《[[아이리스]]》에서 최승희 역할을 연기해 [[KBS 연기대상]]에서 우수연기상을 수상하였다. 이후 드라마 《[[마이프린세스]]》(2011), 《[[나와 스타의 99일]]》(2012), 《[[장옥정 사랑에 살다]]》(2013)에서 주연으로 출연했고, 2015년 드라마 《[[용팔이 (드라마)|용팔이]]》로 [[SBS 연기대상]] 최우수연기상을 수상했다.
         1980년 대구에서 태어났다. 이후 경북 구미 으로 이사 하였다. 김태희 본인의 가족으로는 부모와 언니 김희원, 남편 [[이완 (1984년)|이완]]이 있다. 연예인 [[비 (가수)|비]]와 동료.<ref name="씨네21">{{웹 인용 |제목=천천히 밝게 빛나는 별, <중천>의 김태희|url=http://www.cine21.com/news/view/mag_id/43569|출판사=[[씨네 21]]|저자=이혜정|날짜=2006-12-22|확인날짜=2014-02-25}}</ref> 6학년에는 언니를 대신해 교복 모델로 활동했다.<ref name="씨네21"/> 졸업하고,<ref>{{뉴스 인용 |제목=김태희, 중학내내 전과목 100점…공주대접도 당연 |url=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6&oid=003&aid=0003771618|출판사=뉴시스|저자=김지은|날짜=2011-03-30|확인날짜=2014-02-25}}</ref> 이후 재학 시절 학원 홍보 전단지 모델로도 활동했다.<ref>{{뉴스 인용 |제목=경북 구미 에서 김태희 모르면 간첩? 학창시절 인기-성적표 공개!|url=http://www.hankyung.com/news/app/newsview.php?aid=2009091530327|출판사=[[한국경제]]|저자=김명신|날짜=2009-09-15|확인날짜=2014-02-25}}</ref>
         [[분류:1980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여자 텔레비전 배우]][[분류:대한민국의 여자 영화 배우]][[분류:2000년 데뷔]][[분류:대구광역시 출신]][[분류:SBS 연기대상 여자 최우수연기상 수상자]][[분류:KBS 연기대상 여자 우수연기상 수상자]]
  • 김하기
         [[경상남도|경남]] [[울산광역시|울산]]에서 출생하였고, [[1978년]] [[부산대]] 철학과 입학했으며, 재학 중 [[1980년]] 5월 계엄법 위반으로 구속, [[강제징집]]되었다. [[부림 사건]]으로 재구속되어 10년을 언도받고 복역 중 [[1988년]] 가석방으로 출소하였다.
  • 김현식
         | 활동시기 = [[1980년]] ~ [[1990년]]
         '''김현식'''(金賢植, [[1958년]] ~ [[1990년]] [[11월 1일]])은 [[대한민국]]의 [[가수]]이자 [[싱어송라이터]]이다. 대표곡으로 〈[[비처럼 음악처럼]]〉, 〈[[내 사랑 내 곁에 (노래)|내 사랑 내 곁에]]〉, 〈[[추억 만들기]]〉, 〈[[사랑했어요]]〉 등이 있다. 1980년대 언더그라운드의 대표적인 가수이다. 1990년 11월 1일 [[간경화]]로 인해 사망했다.
         1976년에 이장희의 주선으로 음반 제작에 들어갔다. 그러나 [[1978년]]에 녹음 작업이 끝나고 음반이 나오기 기다리던 중 이장희가 [[미국]]으로 여행을 갔다가 그곳에 매료되어 장기 체류를 하고 김현식이 [[대마초]] 사건까지 연루되어 정식 데뷔를 하지 못게 되었다. 그러다가 2년 후인 [[1980년]]에 서라벌 레코드사에서 '봄여름가을겨울'을 타이틀곡으로 한 1집 앨범을 발표하였는데, 그 때는 그의 음악적 노선이 정립되지 않았던 시기였다. 이 앨범에서 그는 맑은 미성을 바탕으로 소울 록 트로트 등 다양한 장르의 노래들을 선보였다.
         * 1집(1980년)
         [[분류:김현식]][[분류:1958년 태어남]][[분류:1990년 죽음]][[분류:1980년 데뷔]][[분류:1980년대 가수]][[분류:대한민국의 블루스 가수]][[분류:대한민국의 포크 록 가수]][[분류:20세기 대한민국 사람]][[분류:대한민국의 포크 록 음악가]][[분류:인천광역시 출신]][[분류:김성재]][[분류:골든디스크 대상 수상 음악가]][[분류:골든디스크 본상 수상 음악가]][[분류:대한민국의 남자 싱어송라이터]][[분류:대한민국의 록 기타 연주자]][[분류:대한민국의 베이스 기타 연주자]][[분류:대한민국의 하모니카 연주자]][[분류:간 질환으로 죽은 사람]][[분류:대한민국의 검정고시 통과자]]
  • 김형철 (1980년)
         '''김형철'''(金炯哲, [[1980년]] [[5월 26일]]~)은 [[KBO 리그]] 전 [[KIA 타이거즈]]의 [[내야수]]이다.
         [[분류:1980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서울특별시 출신]][[분류:KBO 리그 내야수]][[분류:SK 와이번스 선수]][[분류:KIA 타이거즈 선수]][[분류:건국대학교 사범대학 부속중학교 동문]][[분류:서울장안초등학교 동문]][[분류:성균관대학교 동문]]
  • 김혜옥
         '''김혜옥'''(金惠鈺, [[1958년]] [[5월 9일]] ~ )은 [[대한민국]]의 [[배우|연기자]]이다. 1978년 [[연극]][[배우]]로 첫 데뷔하였고 1980년 [[문화방송|MBC 문화방송]] 특채 탤런트로 정식 데뷔를 하였다. 대표작으로 [[시트콤]] 《[[올드미스 다이어리]]》가 있다.
         대학 진학후, 내성적인 성격탓에 연기가 아니라 분장이나 디자인쪽으로 바꾸라는 핀잔도 들었지만 오기가 생겨 욕을 먹으면서도 죽기살기로 무대에 올랐다고 한다. 연극무대에서 2년 남짓을 보낸 후, 생계를 위해 TV쪽으로 노선을 바꿔 1980년 MBC 특채 탤런트로 들어갔다. MBC 수사극 《[[수사반장]]》의 범인 역이나 조연으로 전전하다 MBC 드라마 《[[전원일기]]》의 서울댁으로 조금씩 얼굴을 알렸다.<ref name="월간조선"/>
         * [[1980년]] [[MBC]] 농촌드라마 《[[전원일기]]》 ... 서울에서 시집 온 기홍의 처 역
  • 김혜자
         광고에서 다진 ‘국민 엄마’ 이미지를 인연으로 1980년 인생작이자 최장기간 방영된 한국 대표 농촌드라마 《[[전원일기]]》에서 양촌리 김회장([[최불암]] 분) 부인 이은심 역을 맡아 오랜 기간 출연하였고, 이 드라마는 1980년 10월 21일 첫 방송되어 2002년 12월 29일로 종영되었다. 이후에도 '아버지 역을 가장 잘하는 인기인', '어머니 역을 가장 잘하는 인기인’ 설문조사에서도 함께 1위에 이름을 올렸으며 MBC의 이미지를 형성해온 연예인으로 인정받았다.<ref>{{뉴스 인용|url=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95112000209135001&editNo=45&publishDate=1995-11-20&officeId=00020&pageNo=35&printNo=23031&publishType=00010&from=news|제목=톱스타 「묶어놓기」보이지않는 전쟁|저자=김갑식|날짜=1995-11-20|출판사=동아일보|쪽=|확인날짜=2015-10-25}}</ref>
         | [[1980년]]~[[2002년]]
         | rowspan=3 | [[1980년]]
  • 김환 (방송인)
         '''김환'''([[1980년]] [[9월 25일]] ~)은 [[대한민국]]의 아나운서이다.
         [[분류:대한민국의 텔레비전 진행자]][[분류:SBS의 아나운서]][[분류:1980년 태어남]][[분류:서울특별시 출신]][[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2007년 데뷔]][[분류:경희대학교 동문]][[분류:대한민국의 개신교도]]
  • 나영희
         | 활동기간 = [[1980년]] ~ 현재
         [[1980년]] MBC 10기 공채 탤런트로 데뷔하여 다수의 드라마와 영화를 통해 활발한 활동을 이어가고 있는 연기파 중년 여배우.
         * [[1980년]] [[MBC]] 《[[홍변호사]]》
         [[분류:1961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인천광역시 출신]][[분류:대한민국의 여자 배우]][[분류:대한민국의 여자 텔레비전 배우]][[분류:대한민국의 여자 영화 배우]][[분류:1980년 데뷔]][[분류:안양예술고등학교 동문]]
  • 남성훈
         * [[1980년]] [[MBC]] 주간드라마 《[[전원일기]]》 ... 강성택 역
  • 남윤정
         * [[1980년]] [[동양방송|TBC]] 어린이드라마 《바람돌이 장영실》
  • 남윤정(탤런트)
         * [[1980년]] [[동양방송|TBC]] 어린이드라마 《바람돌이 장영실》
  • 노승환
         |임기 = [[1979년]] [[3월 12일]] ~ [[1980년]] [[10월 27일]]
  • 노영하
         * [[1980년]] 제1기 [[KBS 바둑왕전]] 준우승(대 0-2 [[조훈현]] 八단.)
  • 노우진
         '''노우진'''([[1980년]] [[6월 27일]] ~ )은 [[대한민국]]의 [[희극 배우]]이다.
         [[분류:개그콘서트]][[분류:대한민국의 남자 희극인]][[분류:대한민국의 방송인]][[분류:1980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1999년 데뷔]][[분류:동아방송예술대학교 동문]][[분류:부산광역시 출신]][[분류:대한민국의 개신교도]]
  • 노유민
         '''노유민'''([[1980년]] [[10월 12일]] ~ )은 [[대한민국]]의 [[보이 그룹]] [[NRG (음악 그룹)|NRG]]의 멤버이다. 역대 NRG 멤버중 유일하게 단 한번도 탈퇴없이 계속적으로 활동해온 멤버이다.
         [[분류:2010년대 가수]][[분류:2000년대 가수]][[분류:1990년대 가수]][[분류:1997년 데뷔]][[분류:아이돌 가수]][[분류:한국어 가수]][[분류:관화 가수]][[분류:인천광역시 출신]][[분류:대한민국의 댄스 음악가]][[분류:대한민국의 남자 뮤지컬 배우]][[분류:비디오 자키]][[분류:대한민국의 방송인]][[분류:경희대학교 동문]][[분류:1980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작사가]][[분류:대한민국의 로마 가톨릭교도]]
  • 노주현
         * [[1980년]] 《[[영원한 유산]]》
         * [[1980년]] [[TBC]] 일일연속사극 《[[의녀 미사]]》
         * [[1980년]] [[TBC]] 매일연속극 《[[달동네 (드라마)|달동네]]》
         * [[1980년]] [[12월 1일]] [[KBS1]] 일일연속극 《[[달동네 (드라마)|달동네]]》
         * [[1980년]] [[KBS2]] 일요아침드라마 《[[소망 (1980년 드라마)|소망]]》
  • 노찬엽
         재학 중이던 [[1980년]], 1학년으로 팀 내 주전 [[유격수]]를 맡아 제 10회 [[봉황대기 전국고교야구대회]]에서 팀의 준우승에 기여했다.
  • 달동네 (드라마)
         《'''달동네'''》는 [[1980년]] [[10월 1일]]부터 [[1981년]] [[9월 5일]]까지 방영된 일일연속극이다.
         당초 [[동양방송|TBC]]에서 인기리에 방영되던 드라마였으나, [[1980년]] [[12월 1일]] [[언론통폐합]]으로 인해 TBC가 KBS로 인수 합병되면서 [[KBS]]에서 그대로 이어 받아 방영하였으며, 채널은 TBC를 이어받은 [[KBS 2TV]]가 아닌 [[KBS 1TV]]에서 방영되었다. 또한 초창기에는 흑백으로 방영되었다가 [[1980년]] [[12월 1일]]부터, 컬러 방송이 시작되면서 컬러로 방영되었다.
         | 1980년 10월 1일 ~ 1980년 11월 30일
         | 1980년 12월 1일 ~ 1981년 1월 24일
  • 더 네임
         '''더 네임'''(The Name, [[1980년]] [[8월 4일]] ~ [[부산광역시|부산]])은 [[대한민국]]의 가수 겸 프로듀서로, 본명은 '''최민석'''이다. [[2002년]]에 1집 앨범 [The First Scene of 名字]로 데뷔하였다. 발매한 앨범으로는 1집 The First Scene Of 名字, 2집 Second Chance To Fly, 3집 This Is The Name, 사랑하나 (Single), 마리오네뜨(Digital Single), In The Name Of Love (The Name Best & New) 등이 있다.
         [[분류:1980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남자 가수]][[분류:2002년 데뷔]][[분류:대한민국의 발라드 음악가]][[분류:부산광역시 출신]]
  • 라종일 (1940년)
         * [[1980년]] [[경희대학교]] 정경대학 학장
         * [[1980년]] 5공헌법준비위원회 위원
         * [[1980년]] 유네스코주최 인권과 평화교육에 관한 태평양 지역회의 한국대표
  • 류재현 (가수)
         '''류재현'''([[1980년]] [[3월 14일]] ~ )은 [[대한민국]]의 작곡가 겸 가수이다. [[2002년]] [[바이브]] 1집 《Afterglow》으로 데뷔하였다. [[바이브 (음악 그룹)|바이브]]의 〈술이야〉, 〈그 남자 그 여자〉, [[F.T 아일랜드]]의 〈사랑앓이〉[[씨야]] 〈구두〉, [[SG워너비]]의 〈살다가〉 등 자신이 작곡한 곡들이 히트하였다. [[2007년]] 산업기능요원으로 대체 복무하여 [[2009년]]에 마쳤다. [[2010년]] 5월 중 바이브 4집을 발표하여 복귀했다.
         [[분류:1980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남자 가수]][[분류:대한민국의 작곡가]][[분류:대한민국의 작사가]][[분류:대한민국의 음악 프로듀서]][[분류:대한민국의 개신교도]][[분류:서울특별시 출신]]
  • 류정남
         '''류정남'''([[1980년]] [[10월 18일]] ~ )은 대한민국의 희극 배우다.
         [[분류:개그콘서트]][[분류:대한민국의 희극인]][[분류:대한민국의 연극 배우]][[분류:1999년 데뷔]][[분류:부산광역시 출신 인물]][[분류:1980년 태어남]][[분류:경남공업고등학교 동문]][[분류:부산과학기술대학교 동문]]
  • 리사(한국 가수)
         || '''출생''' ||[[1980년]] [[2월 25일]] ([age(1980-02-25)]세) [[강원도]] [[동해시]]||
         [[분류:한국 여가수]][[분류:1980년 출생]][[분류:2003년 데뷔]][[분류:미스터리 음악쇼 복면가왕 역대 출연자]][[분류:동해시 출신 인물]]
  • 마이키
         '''마이키'''([[1980년]] [[1월 30일]] ~ )는 남성 3인조 그룹 [[터보 (음악 그룹)|터보]]의 멤버이다.
         [[분류:1980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서울특별시 출신]][[분류:1997년 데뷔]][[분류:터보의 일원]][[분류:대한민국의 래퍼]][[분류:대한민국의 남자 래퍼]][[분류:대한민국의 힙합 음악가]][[분류:미국에 거주한 대한민국인]]
  • 마철준
         || 생년월일 || [[1980년]] [[11월 16일]] ||
         [[분류:1980년 출생]] [[분류:포항시 출신 인물]] [[분류:대한민국의 축구선수]] [[분류:제주 유나이티드/은퇴, 이적]] [[분류:상무 축구단/전역]] [[분류:전북 현대 모터스/은퇴, 이적]] [[분류:광주 FC/은퇴, 이적]]
  • 목진석 (바둑기사)
         |출생일 = 1980년 1월 20일
         '''목진석'''(睦鎭碩, [[1980년]] [[1월 20일]] [[서울특별시]] ~ )은 [[대한민국]]의 프로 [[바둑 기사]]이다.
         [[분류:1980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바둑 기사]][[분류:서울특별시 출신 인물]][[분류:사천 목씨]][[분류:서울신천초등학교 동문]]
  • 문석희
         '''문석희'''([[1980년]] [[12월 21일]])은 [[대한민국]]의 [[희극 배우]]이자 [[영화 배우]]이다.
         [[분류:1980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세종대학교 동문]][[분류:대한민국의 방송인]][[분류:대한민국의 희극인]]
  • 민복기
         [[1980년]] [[국정자문회의]] 위원에 위촉됐다. [[1981년]] [[4월 23일]] [[전두환]]에 의해 [[국정자문회의]] 위원에 선출되었다. [[1987년]] [[11월 4일]] 총리공관에서 열린 만찬에 [[국무총리]] [[김정렬 (1917년)|김정렬]]의 초청을 받았다.
  • 민복기 (1913년)
         [[1980년]] [[국정자문회의]] 위원에 위촉됐다. [[1981년]] [[4월 23일]] [[전두환]]에 의해 [[국정자문회의]] 위원에 선출되었다. [[1987년]] [[11월 4일]] 총리공관에서 열린 만찬에 [[국무총리]] [[김정렬 (1917년)|김정렬]]의 초청을 받았다.
  • 민해경
         |활동시기 = [[1980년]] ~ 현재
         [[경상남도]] [[통영시]] 출생이며 1979년 [[부산광역시|경상남도 부산시]] 국악경연대회에서 고전무용으로 입상한 경력이 있고 이듬해 1980년 [[동양방송|TBC 동양방송]]에서 주최한 제2회 "TBC세계가요제" 국내예선전에서 《누구의 노래일까》로 참가해 데뷔했다. 본선 진출에는 실패했지만 다음해인 1981년 정규 데뷔 앨범인 제1집 《누구의 노래일까》을 발표하여 그해 MBC 10대가수가요제에서 여자부분신인상을 수상했으며, 1983년 제1회 미국LA세계가요제에서 《그대는 나그네》란 곡으로 그랑프리와 최우수가창상을 수상했다. 1983년에 개인 스캔들로 일본으로 도피하여 일본에서 잠시 활동하다 1986년 초에 귀국하여 활동을 재개하였다. 1990년 제10회 ABU국제가요제에서 《보고 싶은 얼굴》로 한국가수로는 최초로 대상인 최우수가수상을 수상하였다. 1987년 이후로는 [[댄스 팝]] [[가수]]로써도 많은 사랑을 받았다. 《그대는 인형처럼 웃고 있지만》, 《그대 모습은 장미》, 《보고 싶은 얼굴》 등 다수의 히트곡이 있다 1986년터 1991년까지 골든디스크상 6회 수상을 했다.
  • 박경석 (1960년)
         [[경상북도]] [[대구시]](현 [[대구광역시]])에서 태어나 [[개신교]] 집안에서 자란 그는 학창 시절까지만 해도 [[스포츠]] 활동을 즐기는 활달한 성격이었다고 한다. [[영남대학교]] 재학중이던 [[1980년]] [[대한민국 해병대|해병대]]에 입대, [[대한민국 해병대 수색대|수색대]]로 복무하였고 복무 당시에도 스킨스쿠버, 수영, 낙하산을 매우 즐겼다고 한다.<ref name=park>[http://na-dle.hani.co.kr/arti/issue/501.html 니들의 잣대로 구별짓지 마라 - 손아람이 본 박경석], 《[[한겨레]]》, 2013년 11월 4일</ref> 전역 후 대학교 행글라이더 동호회에 들어가 활동 중이던 [[1983년]] 8월, [[경상북도]] [[경주시]] [[토함산]]에서 행글라이더를 타던 중 추락 사고로 하반신이 마비되어 지체장애 1급 판정을 받았다.<ref name=park /><ref>[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1976992 하루 '5억원짜리' 삶, 이 사람 부럽다], 《[[오마이뉴스]]》, 2014년 4월 6일</ref>
  • 박관수 (1897년)
         |사망일= [[1980년]] (84세)
         '''박관수'''(朴寬洙, <small>일본식 이름: </small>琴川寬, [[1897년]] ~ [[1980년]])는 [[일제 강점기]]의 교육자이자 [[대한민국]]의 교육자, 사회사업가, 보수주의 운동가이다. 박정희의 고등학교 시절 스승으로 잘 알려져 있으며 [[1960년]]대와 [[1970년]]대의 반공 우익 시민단체에서 활동하였다. [[한국반공연맹]] 제1대 이사장과 [[대한노인회]] 제3~4대 회장, [[공산권문제연구소]] 제2대 이사장 등을 지냈다. 본관은 [[밀양 박씨|밀양]](密陽)으로 호는 금계(琴溪). [[울산광역시|울산시]] 출신.
         공산권문제연구소 이사장 이후 [[1971년]] 현정회(顯正會) 이사, [[1972년]] 전북매일신문 회장, 1972년 [[8월]] 제3대 [[대한노인회]] 회장 등을 지냈다. 이후 여러 반공 우파 단체들을 지도하며 반공 강연활동을 하기도 했다. [[1978년]] [[8월]] 제4대 [[대한노인회]] 회장에 재선되었으나 1980년 9월 사퇴했다.
         저서로 《인간혁명론》, 《북한의 농민》, 《북한의 노동자》, 《북한의 가정과 부녀자》, 《위대한 시대에의 도전》, 《현대한국반공투쟁사》, 《국민독본》 등이 있다. 특히 1966년부터 [[1980년]]까지 14년 동안 [[반공연맹]] 이사장으로 계속 연임되면서, [[대한민국 제3공화국|제3공화국]]과 [[대한민국 제4공화국|제4공화국]] 정권의 통치원리인 안보논리의 이론적 근거를 제시하는 데 일정한 역할을 했다.
         [[분류:1897년 태어남]][[분류:1980년 죽음]][[분류: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분류:일제 강점기의 교육인]][[분류:대한민국의 철학자]][[분류:대한민국의 중등학교 강사]][[분류:대한민국의 사회 운동가]][[분류:민주당 (대한민국, 1955년) 당원]][[분류:민주공화당 (대한민국)]][[분류:대한민국의 대학 강사]][[분류:대한민국의 대학 교수]][[분류:친일인명사전 수록자]][[분류:대한민국 정부 발표 친일반민족행위자]][[분류:울산광역시 출신 인물]][[분류:국방대학교 동문]][[분류:도쿄 대학 동문]][[분류:경기고등학교 동문]][[분류:경기중학교 동문]][[분류:울산초등학교 동문]][[분류:대한민국의 반공주의자]][[분류:밀양 박씨]]
  • 박광재
         '''박광재'''([[1980년]] [[9월 10일]] ~ )는 전 [[농구 선수]]이자 [[배우]]이다.<ref>[http://people.search.naver.com/search.naver?where=nexearch&query=%EB%B0%95%EA%B4%91%EC%9E%AC&sm=tab_etc&ie=utf8&key=PeopleService&os=101673 박광재-네이버인물정보]</ref>
         [[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1980년 태어남]][[분류:대한민국의 남자 농구 선수]][[분류:2003년 데뷔]][[분류:서울특별시 출신]][[분류:대한민국의 남자 배우]][[분류:대한민국의 남자 뮤지컬 배우]][[분류:소사이어티 게임 참가자]]
  • 박광재 (농구선수)
         '''박광재'''([[1980년]] [[9월 10일]] ~ )는 전 [[농구 선수]]이자 [[배우]]이다.<ref>[http://people.search.naver.com/search.naver?where=nexearch&query=%EB%B0%95%EA%B4%91%EC%9E%AC&sm=tab_etc&ie=utf8&key=PeopleService&os=101673 박광재-네이버인물정보]</ref>
         [[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1980년 태어남]][[분류:대한민국의 남자 농구 선수]][[분류:창원 LG 세이커스 선수]][[분류:고양 오리온 오리온스 선수]][[분류:인천 전자랜드 엘리펀츠 선수]][[분류:2003년 데뷔]][[분류:서울특별시 출신 인물]][[분류:대한민국의 남자 배우]][[분류:대한민국의 남자 뮤지컬 배우]][[분류:소사이어티 게임 참가자]]
  • 박근혜
         이때 [[전두환]]에게서 아버지 박정희가 남긴 통치 자금 6억 원을 수령하였는데 이 사실은 박근혜의 정계 입문 이후 문제가 되기도 하였다. [[1980년]] [[한국문화재단]] 이사장을 지냈고, [[1982년]] [[육영재단]] 이사장, [[1994년]] [[정수장학회]] 이사장을 역임하였다.
         [[1980년]] 구 [[민주공화당 (대한민국)|민주공화당]] 인사들과 [[유신정우회]] 인사들이 [[한국국민당 (1981년)|한국국민당]]을 창당하였고, [[1987년]]에는 [[김종필]]을 중심으로 [[신민주공화당]]이 출범하였으나 박근혜는 참여하지 않았다.
         [[2007년]] 당시, 1979년 10.26 사태 직후 [[전두환]]으로부터 6억 원을 받은 사실이 논란거리가 되었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19&aid=0000145400 mbn 24시 주요뉴스] MBN 2006년 06월 27일자</ref> [[1980년]] 박근혜와 그의 형제들 앞으로 6억 원의 돈이 지급되었다. 박정희 전 대통령 서거 후 전 합수본부장에게서 9억원을 받은 뒤 김재규 사건 수사 격려금으로 3억 원을 되돌려 주었다는 것에 대한 의혹이 여러 번 제기되었다.<ref name="chung01">[http://news.hankooki.com/lpage/politics/200707/h2007071918312921060.htm 박근혜 "아이 있다는 말 천벌받을 일"] {{웨이백|url=http://news.hankooki.com/lpage/politics/200707/h2007071918312921060.htm# |date=20130928164050 }} 한국일보 2007년 07월 19일자</ref> 이 돈은 박근혜와 그의 두 동생에게만 지불되었다. 그리고 액수도 6억 달러 설, 9억 달러 설 등이 제기되어 왔으나 진상은 밝혀지지 않았다.
         * [[1980년]] [[한국문화재단]] 이사장
         * [[1980년]] ~ [[1988년]] [[영남대학교]] 이사
  • 박동룡
         [[부산광역시]] 태생이며, 청소년기를 보냈다. [[건국고등학교]]를 졸업하고, 1년 정도 외항선을 타고 일본을 오간 후 영화배우가 되기 위해 부산에서 서울로 올라왔다. 그 후로 영화 데뷔시작하였으나, [[1967년]] 신필름에서 배우로 일하던 친구 백영민의 소개로 편기영 감독의 《돌아온 팔도 사나이》에 출연하면서 영화 배우로 입문하게 되었다고 한다. 이후 고영남, 이혁수, 김효천 감독 등 액션 영화 전문 감독들로 알려진 이들이 연출한 [[1970년]]~[[1980년]]대의 거의 모든 액션 영화에 단역 내지는 조연으로 출연한 배우로 거듭났다.
         * 1980년 《[[하늘이 부를 때까지]]》
         * 1980년 《[[팔불출]]》
         * 1980년 《매일 죽는 남자》
         * 1980년 《[[평양맨발]]》
         * 1980년 《별명붙은 사나이》... 도왕마 역
         * 1980년 《겨울사랑》
  • 박동진 (1922년)
         1951년 외무부에 들어와, 의전국장, 주 영국 참사관, 외무부차관, 주 월남 대사, 주 브라질 대사(1962년 10월~1968 2월)<ref>[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62082100329201006&editNo=6&printCount=1&publishDate=1962-08-21&officeId=00032&pageNo=1&printNo=5173&publishType=00020 브라질 大使에 朴東鎭氏] 《경향신문》1962년 8월 21일, 1면. <!--“最高會議 第63次 常任委員會는 21日 越南共和國駐箚大使 朴東鎭氏를 「브라질」合衆國特命全權大使로,...”--></ref><ref>{{서적 인용 |저자 = 외교통상부 |제목 = 한국 외교 60년 |url = http://www.mofat.go.kr/state/publication/history60/20100201/11369_file_2009%20dip60_appendix.pdf |장 = 부록 |확인날짜 = 2015년 2월 21일 |보존url = https://web.archive.org/web/20160303211841/http://www.mofat.go.kr/state/publication/history60/20100201/11369_file_2009%20dip60_appendix.pdf |보존날짜 = 2016년 3월 3일 |깨진링크 = 예 }}</ref>{{Rp|496}}, 페루 겸임대사<ref>〈[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64042900209201015&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64-04-29&officeId=00020&pageNo=1&printNo=13079&publishType=00020 朴東鎭브라질大使 駐『페루』大使兼任]〉 《동아일보》(1964년 4월 29일) 1면 <!--“政府는 駐「브라질」大使朴東鎭씨를 駐「페루」大使도 겸임토록 28일하오 國務會議에서 議決했다.”--></ref>, 주 제네바 대사, 주 유엔 대사, 1975년부터 1980년까지 외무부 장관, 국회의원(11대.12대), [[대한민국 통일부|국토통일원]] 장관을 역임했다. 외무부장관으로서, 1976년 3월 말레이시아를 방문하여, 리타우딘 말레이시아 외무부 장관과 양국간의 경제무역관계를 더욱 강화하기로 합의했다.<ref>{{뉴스 인용 |url =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76031900329201017&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76-03-19&officeId=00032&pageNo=1&printNo=9377&publishType=00020 |제목= 貿易強化에 합의...韓․말聯 공동성명 |출판사 = 경향신문 | 날짜 = 1976-03-19 |인용문=<!--朴東鎭외무부장관과 리타우딘 말레이시아외상은 19일 공동성명을 발표, 평화․자유․번영이라는 공동목표를 추진하기 위해 아시아 제국간의 협력의 중요성을 인정하고 양국간의 경제무역관계를 더욱 강화하기로 합의했다. 朴장관은 지난 17일부터 3일간 말레이시아를 공식 방문한 후 발표한 이 성명에서...--> }}</ref> 1988년 4월 22일 한국 정부는 박동진을 주미대사에 임명하였다.<ref>{{뉴스 인용 |url = http://dna.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88042200209201007&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88-04-22&officeId=00020&pageNo=1&printNo=20477&publishType=00020| 제목 = 駐美大使 朴東鎭씨| 날짜 = 1988-04-22| 출판사 = 동아일보}}</ref> 박동진은 당시 민정당의 전국구 국회의원이었으나, 주미대사로 부임함에 따라 의원직을 사퇴하였고, 민정당 전국구 예비후보 11번인 김종열이 5월 13일자로 의원직을 승계하였다.
         |임기 = [[1975년]] [[12월 19일]] ~ [[1980년]] [[9월 1일]]
  • 박서진
         '''박서진'''(본명 : '''박상태''', [[1980년]] [[1월 15일]] ~ )은 [[한국]]의 남자 [[성우]]로 [[대원방송 성우극회]] 소속 2008년 [[대원방송 성우극회]] 공채 1기로 입사했다.
         [[분류:대한민국의 남자 성우]][[분류:1980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서울특별시 출신]][[분류:2008년 데뷔]]
  • 박순천 (국회의원)
         [[1980년]] [[2월]] [[국정자문회의]] 위원에 선출되었고, [[1981년]] [[4월 23일]] [[전두환]]에 의해 [[국정자문회의]] 위원에 재선출되었다.
  • 박승무
         '''박승무'''(朴勝武, [[1893년]] ~ [[1980년]])은 한국의 화가로, 호는 심향(心香, 深香), 소하(小霞), 본관은 반남(潘南)이며 옥천출신이다.
         [[분류:일제 강점기의 화가]][[분류:대한민국의 화가]][[분류:1893년 태어남]][[분류:1980년 죽음]][[분류:반남 박씨]][[분류:서울특별시 출신]]
  • 박암 (배우)
         * 1980년 《[[괴시]]》
         * 1980년 《[[강변부인]]》
         * 1980년 《[[땅울림 (영화)|땅울림]]》
         * 1980년 《[[머저리들의 긴 겨울]]》
         * 1980년 《[[매일 죽는 남자]]》
         * 1980년 《[[그때 그사람 (영화)|그때 그사람]]》
         * 1980년 《[[망령의 곡]]》
         * 1980년 《[[깃발없는 기수]]》
         * 제19회 대종상 영화제 ([[1980년]])
  • 박영지
         * [[1980년]] [[문화방송|MBC]] 《[[전원일기]]》 ... 각종 단역
         * [[1980년]] [[문화방송|MBC]] 《고운님 여의옵고》
  • 박인환 (배우)
         * [[1980년]]~[[2002년]] [[MBC]] 농촌드라마 《[[전원일기]]》 ... 일용의 아내 친정아버지 역
         * [[1980년]] [[동아연극상]] 남자연기상
  • 박재현 (배우)
         '''박재현'''([[1980년]] [[7월 23일]] ~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분류:1980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남자 연극 배우]][[분류:대한민국의 남자 어린이 배우]][[분류:대한민국의 남자 뮤지컬 배우]]
  • 박정양
         [[대한제국 순종|순종]] 때 문익(文翼)의 시호가 내려졌다. 오랫동안 잊혀졌다가 [[1980년]]대부터 재조명되기 시작하였고, [[1984년]]에는 그의 문집을 한글로 간행한 박정양 전집 5권이 간행되었다.
  • 박종화
          | 활동 기간 = [[1920년]] ~ [[1980년]]
  • 박주아(1942년)
         * KBS 《벼랑위의 사람들》([[1980년]])
         * KBS 《[[전설의 고향]]》([[1980년]])
  • 박주원 (음악가)
         '''박주원'''([[1980년]] [[11월 24일]] ~ )은 [[대한민국]]의 집시 [[기타리스트]]이다.
         [[분류:SPACE 공감 헬로 루키]][[분류:1980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서울특별시 출신]][[분류:통기타 연주자]][[분류:대한민국의 작곡가]][[분류:대한민국의 록 기타 연주자]][[분류:대한민국의 포크 록 음악가]][[분류:대한민국의 하드 록 음악가]][[분류:한국대중음악상 수상 음악가]]
  • 박지우 (무용가)
         '''박지우'''([[1980년]] [[12월 6일]] ~ )는 [[대한민국]]의 [[댄스스포츠 선수]]이다.
         [[분류:1980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댄스스포츠 선수]][[분류:대한민국의 무용가]][[분류:서울특별시 출신]][[분류:서울예술고등학교 동문]][[분류:예원예술대학교 동문]][[분류:한양대학교 동문]]
  • 박지현 (1980년)
         '''박지현'''([[1980년]] [[2월 25일]] ~ [[강원도 (남)|강원도]] [[원주시]])은 [[대한민국]]의 [[아나운서]]이다.
         [[분류:1980년 태어남]]
  • 박찬환
         | 활동기간 = [[1980년]] ~ 현재
         [[1980년]] [[연극]][[배우]]로 첫 데뷔하였고 이듬해 [[1981년]] [[국립중앙극장|국립극장연수원]] 1기생으로 [[현대무용]]과 발레를 배웠으며 1년 후 [[1982년]] [[문화방송|MBC]] 15기 공채 탤런트로 정식 데뷔하였다. 텔레비전 드라마와 영화, 연극 배우로 활동했고 [[1992년]] 한때 [[미국]] 유학을 다녀왔다.
         [[분류:1957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남자 텔레비전 배우]][[분류:1980년 데뷔]][[분류:인천광역시 출신]][[분류:대한민국의 남자 영화 배우]][[분류:대한민국의 남자 연극 배우]][[분류:대한민국의 남자 뮤지컬 배우]][[분류:대한민국의 라디오 진행자]][[분류:로마 가톨릭교회 이탈자]][[분류:20세기 대한민국 사람]][[분류:반남 박씨]][[분류:21세기 대한민국 사람]]
  • 박홍 (신부)
         칼럼니스트로 간혹 언론에 글을 기고하기도 했다. [[1980년]]대부터 운동권 학생들과 논쟁을 하였다.
  • 박홍우
         * [[1980년]]~ [[1982년]], 사법연수원 제12기 수료
         * [[1980년]] 제22회 사법시험 합격
  • 박흥숙
         '''박흥숙'''(朴興塾, [[1957년]] ~ [[1980년]], [[광주광역시|전남 광주]])은 [[광주광역시|전라남도 광주]]에서 철거반원을 살해한 사건으로 체포되어 처형된 도시 빈민이다. '''[[무등산]] [[타잔]]'''이라는 별명으로 불렸다.
         범행을 참작할 만한 사정이 언론에 알려지자 [[사형]]만은 안된다는 구명운동이 일었지만 [[1980년]] [[5·18 광주 민주화 운동]]이 진압된지 얼마 안되어 사형 집행을 받았다.
         [[분류:1957년 태어남]][[분류:1980년 죽음]][[분류:광주광역시 출신]][[분류:교수형된 사람]][[분류:대한민국의 검정고시 통과자]][[분류:대한민국의 살인자]][[분류:대한민국의 범죄인]]
  • 방미
         [[1978년]] [[MBC]] 2기 공채 코미디언으로 데뷔했다. [[1980년]] '날보러 와요'로 가수 데뷔했다. [[1984년]] 동경음악제 은상, [[1985년]] [[KBS]] 방송가요대상 여자부문을 수상했다. 사업가로 변신해 방미컴케이알, 뱅요가 대표를 맡고 있다.
  • 배연정
         * [[1976년]] ~ [[1980년]] TBC 고전유모아극장
  • 배윤정
         '''배윤정'''([[1980년]] [[2월 18일]] ~ )은 [[대한민국]]의 [[안무가]]이며 야마앤핫칙스의 단장이자 방송인이다.
         [[분류:1980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서울포이초등학교 동문]][[분류:서울특별시 출신]][[분류:대한민국의 무용가]][[분류:무용 교육자]]
  • 배한성
         | 활동기간 = [[1966년]] ~ [[1980년]]([[동양방송|TBC]] 2기) <br/> [[1980년]] ~ 현재([[한국방송공사|KBS]] 8기)
  • 백년설
         [[분류:한국 남가수]][[분류:1915년 출생]][[분류:1980년 사망]][[분류:성주군 출신 인물]]
         白年雪, [[1915년]] [[5월 19일]] 출생 ~ [[1980년]] [[12월 6일]] [[사망]]
         [[8.15 광복]] 이후에는 가수로 활동하는 것보다 사업체 운영과 [[고아원]] 운영에 몰두했다. [[한국전쟁]] 발발 이후 다시 음반을 내기 시작했다. 그러나 이전보다는 가수 활동이 부진했다. 1963년 7월에 은퇴공연을 하며 공식적으로 가수 생활을 끝냈다.[* 은퇴공연 이후 1973년에, 오아시스레코드에서 부탁해서 <백년설 독집>을 냈다.] 1967년부터 1970년까지 경향신문 일본지사장을 맡았다. 1970년 이후 건강이 갑자기 악화되었다. 1978년, 자녀들이 있는 [[미국]]으로 가서 투병생활을 하다가 1980년 12월 6일에 타계했다. 2002년에 대한민국 문화훈장 보관장이 추서되었다.
  • 백일섭
         [[1969년]] [[신상옥]] 연출의 영화 《사녀》를 시작으로 [[영화배우]] 활동을 하기도 하였으나, 1990년대 이후로는 텔레비전 [[텔레비전 드라마|드라마]]에 주력하고 있는데 [[1980년대]] 말부터 영화제작에 뜻을 두기 위해<ref>{{뉴스 인용
         * [[1980년]] [[TBC]] 어린이드라마 《[[바람돌이 장영실]]》
         * [[1980년]] 《[[남자 가정부]]》
         * [[1980년]] 《[[팔불출]]》 ... 팔불출 역
         * [[1980년]] 《[[세번 웃는 여자]]》
         * [[1980년]] 《[[열번 찍어도 안 넘어진 사나이]]》
  • 백차승
         '''백차승'''(Cha Seung Baek, [[1980년]] [[5월 29일]] ~ )은 [[한국계 미국인]]으로, 전 [[일본]] [[퍼시픽 리그]] [[지바 롯데 마린스]]의 [[투수]]이다.
         [[분류:1980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부산광역시 출신 인물]][[분류:대한민국 출신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선수]][[분류:미국의 야구 선수]][[분류: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투수]][[분류:시애틀 매리너스 선수]][[분류:샌디에고 파드리스 선수]][[분류:오릭스 버펄로스 선수]][[분류:지바 롯데 마린스 선수]][[분류:부산고등학교 동문]][[분류:한국계 미국인]][[분류:미국으로 귀화한 사람]][[분류:일본 프로 야구 외국인 선수]]
  • 범택균
         * 1980년 8월 1일 ~ 1983년 12월 26일 : 제24대 전라남도 [[목포시장]]
         |임기 = [[1980년]] [[8월 1일]] ~ [[1983년]] [[12월 26일]]
  • 봉중근
         '''봉중근'''(奉重根, [[1980년]] [[7월 15일]] ~ )은 전 [[KBO 리그]] [[LG 트윈스]]의 [[투수]]이자 현재 [[KBS]] 야구 해설위원이다.
         [[분류:1980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야구 선수]][[분류: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투수]][[분류:KBO 리그 투수]][[분류:신시내티 레즈 선수]][[분류:애틀랜타 브레이브스 선수]][[분류:LG 트윈스 선수]][[분류: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선수]][[분류:대한민국의 올림픽 금메달리스트]][[분류:올림픽 야구 메달리스트]][[분류:2008년 하계 올림픽 메달리스트]][[분류:대한민국의 올림픽 야구 참가 선수]][[분류:2008년 하계 올림픽 야구 참가 선수]][[분류:2006년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참가 선수]][[분류:2009년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참가 선수]][[분류:대한민국의 아시안 게임 금메달리스트]][[분류:아시안 게임 야구 메달리스트]][[분류:2010년 아시안 게임 메달리스트]][[분류:2014년 아시안 게임 메달리스트]][[분류:대한민국의 아시안 게임 야구 참가 선수]][[분류:2010년 아시안 게임 야구 참가 선수]][[분류:2014년 아시안 게임 야구 참가 선수]][[분류:서울특별시 출신]][[분류:하음 봉씨]][[분류:서울수유초등학교 동문]][[분류:신일중학교 (서울) 동문]][[분류:성균관대학교 동문]][[분류:대한민국의 개신교도]][[분류:미국에 거주한 대한민국인]]
  • 빌스택스
         '''빌스택스'''(Bill Stax, {{본명|신동열}}, [[1980년]] [[12월 18일]] ~ )는 [[대한민국]]의 [[래퍼]]이다.
         [[1980년]] [[12월 18일]], [[서울특별시]] [[마포구]]에서 태어난 Vasco는 2000년 대학에 들어간 후 멤버들과 인연이 되어 '''PJ Peepz'''를 결성하게 되었다. 이들은 클럽 [[마스터플랜|MP]]에서의 공연을 중심으로 활동했으며, 몇 가지 컴필레이션 앨범에도 모습을 드러냈다. 이들은 Master Plan이 레이블화되면서 정식 계약을 맺었으나, 팀은 오래 가지 못했고, 서로간의 의견 차이와 솔로 활동에 대한 욕심 등으로 해체가 되었다. 이를 계기로 2002년 7월 솔로로 독립 후 Vasco는 자신의 솔로 데뷔를 알리는 곡으로 '''Hey Hey'''라는 곡을 작업, ''Who's the Man in the Masterplan'' 앨범에 수록시켰다. 이에 더불어 [[주석 (가수)|주석]] 2집 참여에 이어 [[데프콘 (가수)|Defconn]] 1집에 참여를 하면서 그의 강하고 직설적인 스타일이 주목을 받기 시작하였다. 그런 거침없는 스타일은 그에게 "Nasty"라는 별명을 붙여주기도 하였다. 2004년에는 자신의 첫 앨범인 ''The Genesis''를 발표하였다. 이 앨범에서는 [[JYP 엔터테인먼트]]와의 [[콜라보]]가 성사되어, [[노을 (음악 그룹)|노을]] 및 [[임정희]]가 앨범에 참여하였다.
         [[분류:1980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래퍼]][[분류:대한민국의 남자 래퍼]][[분류:대한민국의 힙합 음악가]][[분류:지기 펠라즈 음악가]][[분류:저스트뮤직 음악가]][[분류:마스터플랜 음악가]][[분류:서울특별시 출신]][[분류:서울대학교 동문]][[분류:Show Me The Money 참가자]][[분류:2000년 데뷔]]
  • 사정봉
         '''사정봉'''({{zh-cp|c=謝霆鋒|p=Xiè Tíng fēng}}, {{llang|yue|Tse Ting fung}}, {{llang|en|Nicholas Tse|'''니콜라스 체'''}}, [[1980년]] [[8월 29일]] ~ )은 홍콩의 가수, 배우, 작곡가이다.
         [[분류:1980년 태어남]][[분류:홍콩의 남자 배우]][[분류:서울특별시 출신]][[분류:홍콩의 남자 가수]][[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홍콩의 남자 영화 배우]][[분류:홍콩의 남자 텔레비전 배우]]
  • 서기원 (1930년)
         * [[1980년]] [[행정개혁위원회]] 상임위원.
  • 서엘
         '''서엘'''({{small|'''SEOEL 본명: 서동우'''}}, [[1980년]] [[12월 9일]] ~ )은 [[대한민국]]의 [[가수]] 겸 [[작곡가]]이자 [[음악가]]이자 [[싱어송라이터]]이다.
         [[분류:1980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2010년대 가수]][[분류:2000년대 가수]][[분류:2003년 데뷔]][[분류:대한민국의 남자 가수]][[분류:엔시피 음악가]][[분류:대한민국의 음악가]][[분류:대한민국의 남자 싱어송라이터]][[분류:대한민국의 작곡가]][[분류:대한민국의 작사가]][[분류:대한민국의 편곡가]]
  • 서정희 (1962년)
          | 활동 기간 = [[1980년]] - 현재
         [[분류:1962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이천 서씨]][[분류:1980년 데뷔]][[분류:서울특별시 출신]][[분류:대한민국의 여자 모델]][[분류:대한민국의 여자 배우]][[분류:대한민국의 여자 영화 배우]][[분류:대한민국의 여자 뮤지컬 배우]][[분류:대한민국의 수필가]][[분류:대한민국의 기업인]][[분류:대한민국의 작가]][[분류:대한민국의 개신교도]]
  • 서현진 (방송인)
         '''서현진'''([[1980년]] [[12월 13일]] ~ )은 [[2001년 미스코리아]] 선(善) 출신 [[대한민국]] 前 [[아나운서]]이자 방송인이다. [[대구광역시|대구]]에서 출생한 그녀는 [[부산광역시|부산]]에서 잠시 유년기를 보낸 적이 있다.
         [[분류:1980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프리랜서 아나운서]][[분류:대한민국의 무용가]][[분류:미스코리아 선]][[분류:미스 월드 참가자]][[분류:문화방송의 아나운서]][[분류:대한민국의 아나운서]][[분류:대한민국의 텔레비전 진행자]][[분류:대한민국의 라디오 진행자]][[분류:이화여자대학교 동문]][[분류:서울예술고등학교 동문]][[분류: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 동문]][[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
  • 성재 (1980년)
         |출생 = [[1980년]] [[1월 30일]]
         '''성재'''([[1980년]] [[1월 30일]] ~ )는 [[대한민국]]의 하드코어 밴드 [[비셔스글레어|비셔스글레어(Vicious Glare)]]와 언리시드앵거의 가수, 기타리스트이다. 본명은 '''박해진'''이며, [[경기도]] [[구리시]] 출신이다. 2008년 부터 ankind-Design'이라는 자신의 개인 디자인 브랜드를 운영, 음악 레코딩 [[프로듀서]] 및 [[작곡가]]로도 이름이 알려져 있으며, 한국의 하드코어 메탈 전문 레이블 [[GMC 레코드]]의 [[웹마스터]] / [[디자이너]]로도 활동하다가 2014년 중순부터 레이블을 인수 받아서 CEO가 되어 운영중이다. 1남 1녀의 자녀를 두었으며, [https://en.wikipedia.org/wiki/Straight_edge Straight Edge]라는 생활 방식을 추구하고 있다.
         [[분류:1980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가수]][[분류:구리시 출신]]
  • 성재(가수)
         |출생 = [[1980년]] [[1월 30일]]
         '''성재'''([[1980년]] [[1월 30일]] ~ )는 [[대한민국]]의 하드코어 밴드 [[비셔스글레어|비셔스글레어(Vicious Glare)]]와 언리시드앵거의 가수, 기타리스트이다. 본명은 '''박해진'''이며, [[경기도]] [[구리시]] [[교문동]] 출신이다. 2008년 부터 ankind-Design'이라는 자신의 개인 디자인 브랜드를 운영, 음악 레코딩 [[프로듀서]] 및 [[작곡가]]로도 이름이 알려져 있으며, 한국의 하드코어 메탈 전문 레이블 [[GMC 레코드]]의 [[웹마스터]] / [[디자이너]]로도 활동하다가 2014년 중순부터 레이블을 인수 받아서 CEO가 되어 운영중이다. 1남 1녀의 자녀를 두었으며, [https://en.wikipedia.org/wiki/Straight_edge Straight Edge]라는 생활 방식을 추구하고 있다.
         [[분류:1980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가수]][[분류:구리시 출신 인물]]
  • 소냐(가수)
         || '''출생일''' ||<(> [[1980년]] [[11월 19일]] ||
         [[분류:미스터리 음악쇼 복면가왕 역대 출연자]][[분류:한국 여가수]][[분류:김천시 출신 인물]][[분류:1980년 출생]][[분류:1999년 데뷔]]
  • 소망 (1980년 드라마)
         《'''소망'''》(所望)는 대한민국의 [[1980년]]부터 [[1983년]]까지 방송됐던 [[한국방송공사]]의 주간 드라마이다.
         * [[한국방송공사|KBS TV]] - 1980년 9월 21일부터 1980년 11월 30일까지 : 매주 일요일
         * [[KBS 1TV]] - 1980년 12월 7일부터 1983년 11월 16일까지 : 매주 일요일
  • 손보미 (소설가)
         |출생일=[[1980년]]
         '''손보미'''([[1980년]]~)는 대한민국의 [[소설가]]이다. [[서울특별시]]에서 태어났으며 32세에 동아일보 신춘문예에 《담요》가 당선되어 등단하였다. 등단한 이후 꾸준히 단편 소설과 에세이, 그리고 장편 소설을 쓰며 작가로 활동하고 있다. [[2013년]] 출간한 첫 소설집 ‘그들에게 린디합을’(문학동네)은 6쇄를 찍었고, [[2017년]] 첫 장편 소설 '디어 랄프 로렌'을 선보였다. [[2011년]] 데뷔 직후부터 2012 문학동네 젊은작가상 대상, 2013 [[한국일보문학상]] 등을 수상하며 단번에 한국 문학의 기대주로 떠올랐다. “소설가란 굉장히 좋은 망원경을 갖고 낯선 행성의 타인을 관찰하는 우주인”라고 생각한다는 그녀는 "'매우' '멀리' 존재하는 세계를, 그리고 그 세계를 살아가는 사람들의 얼굴을 단 한번이라도 제대로 보게 되기를" 바란다.
         추리소설과 미국드라마, [[SF소설]] 등 다양한 장르물의 세례를 받은 손보미의 작품 속 공간에서는 시대성이나 공간성이 모호하다. 번역투 문장의 의도적인 구사나 외국인 인물의 잦은 등장이 효과적인 도구로 활용된다. 작가는 시대성과 공간성을 거세한 공간 위에 인물들을 마치 틀린 철자법처럼 배치하고는 이들 사이의 불편하고 고통스러운 어긋남을 드러내는 데 주력한다. <ref>{{뉴스 인용|url=http://news.donga.com/3/all/20130817/57067030/1|제목=[문학예술]1980년생 작가의 재기발랄 상상력… 미드를 읽는 맛 : 뉴스 : 동아닷컴|날짜=2013-08-17|뉴스=동아닷컴|언어=ko|확인날짜=2017-06-01}}</ref>
         [[분류:1980년 태어남]][[분류:대한민국의 소설가]][[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황순원문학상 수상자]][[분류:한국일보문학상 수상자]][[분류:대산문학상 수상자]][[분류:경희대학교 대학원 동문]][[분류:서울특별시 출신 인물]]
  • 손세일
         [[동아일보]] 논설위원을 지내다가 [[1980년]] [[국가보위입법회의]]에 입법위원으로 참여한 것을 계기로 정계에 입문하였다. [[민주화추진협의회]] 시절부터 [[김영삼]] 계열로 분류되었으나, 김영삼의 [[통일민주당]]이 [[1990년]] 3당 합당으로 소멸했을 때 [[김대중]]의 권유에 따라 [[민주자유당]] 합류를 거부하고 [[평화민주당]]으로 옮긴 뒤 김대중 계열에서 활동했다. [[2003년 4월]], [[대한민국 제16대 국회]] 통상산업위원장 시절의 뇌물 수수 혐의로 구속된 바 있다.<ref>{{뉴스 인용
  • 손시헌
         '''손시헌'''(孫時憲<ref>{{서적 인용 |저자=[[KBO 리그|KBO]] |제목=한국 프로야구 기록대백과 |판=제4판 |쪽=692 |날짜=2009-03-10 }}</ref>, [[1980년]] [[10월 19일]] ~ )은 전 [[KBO 리그]] [[NC 다이노스]]의 [[내야수]]이자, 현재 [[KBO 리그]] [[고양 다이노스]]의 수비코치이다.
         * [[2004년]] [[이재영 (야구 선수)|이재영]], [[이재우 (1980년)|이재우]], [[채상병]] 등과 함께 병역 회피 혐의를 받았으나 [[2005년]] [[10월 13일]], 대법원에서 무죄를 선고받았다.<ref>[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0506201840501&code=980101 손시헌, ‘키작은 연습생’ 닦아보니 진주였네 - 밑에서 4번째 줄 '이후 법정에서 무죄 판결을 받기는 했지만'] -《경향신문》</ref> [[2006년]] 시즌 후 [[상무 야구단]]에 입대했다. 그가 [[상무 야구단]]에 있는 동안 [[이대수]]가 [[2007년]] [[SK 와이번스]]에서 [[나주환]]과의 트레이드로 [[두산 베어스]]에 와서 주전 유격수를 맡았다. [[2009년]]에 복귀해 다시 주전 자리를 잡았다.<ref>[http://osen.freechal.com/news/view.asp?code=G0908130012 '예비역 3종 세트', 두산의 2009 히트 상품]{{깨진 링크|url=http://osen.freechal.com/news/view.asp?code=G0908130012 }} - OSEN</ref>
         [[분류:1980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야구 선수]][[분류:서울특별시 출신]][[분류:두산 베어스 선수]][[분류:NC 다이노스 선수]][[분류:KBO 리그 내야수]][[분류:KBO 리그 유격수]][[분류:KBO 골든글러브 수상자]][[분류:2010년 아시안 게임 야구 참가 선수]][[분류:대한민국의 아시안 게임 야구 참가 선수]][[분류:2010년 아시안 게임 메달리스트]][[분류:아시안 게임 야구 메달리스트]][[분류:대한민국의 아시안 게임 금메달리스트]][[분류:2013년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참가 선수]][[분류:서울화곡초등학교 동문]][[분류:동의대학교 동문]][[분류:일직 손씨]]
  • 손영길 (1932년)
         * [[1980년]] 주미 대사 예하 보좌관 직무대리.
  • 손태영(미스코리아)
         || 출생일 ||[[1980년]] [[8월 19일]]([age(1980-08-19)]세)||
         [[분류:한국 여배우]][[분류:미스코리아 출신 배우]][[분류:1980년 출생]][[분류:태안군 출신 인물]][[분류:2000년 데뷔]]
  • 손헌수
         '''손헌수'''([[1980년]] [[3월 17일]] ~)은 [[대한민국]]의 [[희극인]]이자 [[배우]]이다. [[2000년]] [[MBC]] 11기 공채 개그맨로 데뷔하였다. 21살이라는 아주 이른나이에 데뷔하여 경력이 비교적 오래된 개그맨이다. 키는 180cm이다.
         [[분류:1980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희극인]][[분류:대한민국의 텔레비전 배우]][[분류:대한민국의 뮤지컬 배우]][[분류:대한민국의 배우]][[분류:대한민국의 가수]][[분류:인천광역시 출신]][[분류:개그야]][[분류:웃음을 찾는 사람들]]
  • 손호영
         '''손호영'''(孫昊永, [[1980년]] [[3월 26일]] ~ )은 [[대한민국]]의 [[보이 그룹]] [[god (음악 그룹)|god]]의 멤버로 데뷔하여 현재 솔로가수 및 에서 활동중이다.
         [[분류:1980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1999년 데뷔]][[분류:인천광역시 출신]][[분류:대한민국의 발라드 음악가]][[분류:대한민국의 방송인]][[분류:대한민국의 남자 뮤지컬 배우]][[분류:비디오 자키]][[분류:단국대학교 동문]][[분류:골든디스크 본상 수상 음악가]][[분류:골든디스크 인기상 수상 음악가]][[분류:Mnet 엠카운트다운 1위 수상자]][[분류:SBS 인기가요 뮤티즌송 수상자]][[분류:God의 일원]][[분류:MMO 엔터테인먼트 소속]][[분류:CJ ENM 음악가]][[분류:대한민국의 가수]]
  • 송경아 (모델)
         '''송경아'''([[1980년]] [[11월 3일]] ~ )는 [[대한민국]]의 [[모델 (직업)|모델]]이다.
         [[분류:1980년 태어남]][[분류:서울특별시 출신]][[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동덕여자대학교 동문]]<!--[[분류:홍익대학교 동문]]-->[[분류:대한민국의 여자 모델]][[분류:대한민국의 방송인]]
  • 송우혜
          | 활동 기간 = [[1980년]] ~ 현재
         [[서울대학교]] 간호학과 중퇴 이후 23세 때였던 [[1969년]] [[간호사|간호원]] 첫 입문을 하였으며 이후 [[연세대학교 의료원|서울 연세대학교 강남 세브란스 병원]] 소속 간호원을 역임하다가 [[1980년]] [[동아일보]]에 [[소설]] 《옛 야곱의 싸움》이 당선되어 [[소설|소설가]] 등단하였고 이후 [[1983년]]에 [[간호사]] 직위를 사직하였다.
  • 송준근
         '''송준근'''(宋峻根, [[1980년]] [[3월 18일]] ~ )은 [[대한민국]]의 [[희극 배우]]이다.
         [[분류:개그콘서트]][[분류:1980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방송인]][[분류:광주광역시 출신]][[분류:대한민국의 남자 희극인]][[분류:미국에 거주한 대한민국인]][[분류:대한민국의 개신교도]][[분류:은진 송씨]]
  • 슈가제이
         '''슈가제이'''(<small>본명:</small> '''장혜진''', [[1980년]] [[7월 3일]] ~ )는 [[대한민국]]의 [[가수]]이다.
         [[분류:1980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부산광역시 출신 인물]][[분류:대한민국의 여자 가수]][[분류:경희대학교 동문]][[분류:2011년 데뷔]]
  • 승효상
         승효상은 [[부산광역시|부산]]에서 태어나 [[경남고등학교]]를 졸업하였다. 당시 경남고등학교는 한강이남 최고의 명문고라 불리었으며 승효상이 고교를 입학 할 때 수석 입학자는 현재 대한민국 제 19대 대통령인 문재인이었다. 고교 시절 초기에는 '문과에 문재인, 이과에 승효상'이란 말이 있을 정도로 학업에 두각을 나타냈다. [[1971년]]부터 [[1975년]]까지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건축공학과<ref>1975년 졸업생까지는 건축공학과였으며, 1975년에 건축학과로 학과명을 바꾸었다.</ref>에서 공부하였다. 대학교 졸업 이후 [[1974년]] 부터 [[1980년]] 까지 [[김수근 (건축가)|김수근]]의 '공간연구소' 설계실에서 일하면서 마산 양덕성당, 경동교회 등을 설계하였으며 [[1979년]]에는 서울대학교 건축학과에서 석사 학위를 받았다. 그 뒤 [[1980년]] [[광주민주화운동]]이 일어나자 건축과 세상문제의 사이에서 방황하던 그는 잠시 2년 간의 유학길에 올라 [[오스트리아]] [[빈 공과 대학교]]에서 수학하였고 [[1981년]]에서 [[1982년]] 사이에 '마차트 뫼비우스 및 파트너 (Marchart Moebius und Partner)'에서 일하였다. 그러면서 [[:de:Adolf Loos|아돌프 로스]](1870~1933)의 [[:de:Looshaus|로스 하우스]]에 큰 영향을 받게 된다.<ref name="navercast">[http://navercast.naver.com/contents.nhn?rid=83&contents_id=8297 네이버캐스트 - '빈자의 미학'이라는 철학을 가진 건축가 승효상]</ref> 그리고 다시 귀국하여 [[1982년]] 부터 [[1989년]] 까지 공간연구소 대표이사직을 맡는다. [[1986년]]에는 김수근이 승효상과 장세양 두 제자에게 공간연구소를 맡긴다는 유언과 함께 30억의 빚을 남기고 타계한다.
  • 신구 (배우)
         * 《[[소망]]》 ([[KBS]], [[1980년]])
         * [[1980년]] 제16회 [[백상예술대상]] TV부문 남자 최우수연기상
  • 신기석
         [[1968년]] [[영남대학교]] 초대 총장을 역임하였다. [[10월 유신]] 성립 후인 [[1973년]]에서 출마하며 제9대 국회의원에 당선되면서 정계에도 본격적으로 진출했다. [[민주공화당 (대한민국)|민주공화당]] 국토통일위원장과 [[10·26 사건]] 이후 [[1980년]]에 조직된 헌법개정심의위원회 위원 등을 맡았다.
  • 신민기 (1980년)
         '''신민기'''(辛旼起, [[1980년]] [[12월 11일]] ~ )는 전 [[KBO 리그]] [[한화 이글스]]의 [[내야수]]이자, 현재 [[KBO 리그]] [[롯데 자이언츠]]의 잔류군 수비코치이다.
         [[분류:1980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부산광역시 출신 인물]][[분류:KBO 리그 내야수]][[분류:한화 이글스 선수]][[분류:경남고등학교 동문]][[분류:한양대학교 동문]][[분류:이영민 타격상 수상자]]
  • 신봉선
         '''신봉선'''(申奉仙 - [[1980년]] [[10월 6일]] ~ )은 [[대한민국]]의 [[희극 배우]] 겸 [[배우]]이다.
         [[분류:개그콘서트]][[분류:대한민국의 라디오 진행자]][[분류:대한민국의 텔레비전 진행자]][[분류:대한민국의 여자 희극인]][[분류:대한민국의 방송인]][[분류:서울특별시 출신]][[분류:1980년 태어남]][[분류:2005년 데뷔]][[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개신교도]]
  • 신영일 (1951년)
         한때 [[1976년]] [[영화]] 분야에서 물러나 [[1977년]]에서 [[1980년]]까지 [[동양정밀]]의 회사원으로 있다가 퇴직 후 [[1980년]] [[영화]] 분야에 복귀하였고 이듬해 [[1981년]] [[강신성일|신성일]](申星一)이 한때 [[정치]] 분야에 입문하자 그의 보좌관을 지냈다.
  • 신영일(배우)
         한때 [[1976년]] [[영화]] 분야에서 물러나 [[1977년]]에서 [[1980년]]까지 [[동양정밀]]의 회사원으로 있다가 퇴직 후 [[1980년]] [[영화]] 분야에 복귀하였고 이듬해 [[1981년]] [[강신성일|신성일]](申星一)이 한때 [[정치]] 분야에 입문하자 그의 보좌관을 지냈다.
  • 신정균 (영화 감독)
         [[1980년]] [[연극배우]] 첫 데뷔하였고 [[1983년]] [[영화]] 《0시의 호텔》로 영화 스크립터 감독 데뷔하였다.
         * [[1980년]] [[연극]][[배우]] 데뷔.
         * [[1980년]] 《[[햄릿]]》 ... 오즈리크 역(단역)
         [[분류:1963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영화 감독]][[분류:대한민국의 영화 제작자]][[분류:서울특별시 출신]][[분류:1980년 데뷔]][[분류:평산 신씨]][[분류:연극 감독]][[분류:미술 감독]][[분류:뮤지컬 감독]][[분류:대한민국의 남자 연극 배우]][[분류:20세기 대한민국 사람]][[분류:미국에 거주한 대한민국인]][[분류:21세기 대한민국 사람]][[분류:대한민국의 남자 뮤지컬 배우]][[분류:대한민국의 미술가]][[분류:대한민국의 연출가]][[분류:자유민주연합 당원]][[분류:대한민국의 기업인]][[분류:양자]][[분류:불교 이탈자]][[분류:개신교도 이탈자]][[분류:대한민국의 로마 가톨릭교도]]
  • 신충식
         * [[1980년]] ~ [[2002년]] [[문화방송|MBC]] 《[[전원일기]]》 - 박순만 역
  • 신현탁(영화배우)
         '''신현탁'''(申鉉卓, [[1980년]] [[3월 21일]] ~ 현재)은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분류:1980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남자 텔레비전 배우]][[분류:대한민국의 남자 영화 배우]][[분류:대한민국의 남자 배우]][[분류:대한민국의 남자 배우]][[분류:대한민국의 남자 연극 배우]][[분류:2000년 데뷔]][[분류:평산 신씨]][[분류:동해시 출신 인물]]
  • 심상우
         호남전기공업과 전남매일신문 등을 운영하다가 [[1980년]]에 정계에 입문, [[민주정의당]]에 참여하였다. 이후 [[민주정의당]] 총재 비서실장이 되었다가, 총리 비서실장직을 겸직했다. [[1983년]] 국무총리 비서실장으로 [[전두환]] 당시 대통령의 아시아 5개국 순방을 수행했다가 [[아웅 산 묘역 테러 사건]]으로 사망하였다.
         호남전기공업 사장<ref>매일경제 1966년 5월 31일 기사 참조(심상우 검색)</ref>, 전남매일신문(현재의 [[광주일보]]) 사장<ref>매일경제 1973년 3월 14일 기사 참조(심상우 검색)</ref>, [[광주일보]] 초대 회장<ref>동아일보 1980년 12월 1일 기사 참조</ref> 등을 거쳐, 1980년, 전두환 대통령이 취임하자, [[청와대]] 비서관으로 발탁되었고, 1981년 제11대 총선에서, 전남 광주 동구·북구 [[민주정의당]] 국회의원에 당선되어 [[민주정의당]] [[전두환]] 총재 비서실장(청와대 대통령실장)에 임명되었다. 당시에는 대통령이 집권 여당의 총재를 겸하였다.
  • 심수봉
         | [[1980년]]
         | [[1980년]]
         데뷔와 동시에〈그 때 그 사람〉으로 전국적으로 인기를 얻게 된 심수봉은 데뷔 전 청와대에 초청되었던 인연으로 [[박정희]]는 연회 때마다 심수봉을 초청하여 한동안 청와대 연회가 주무대가 되었다. 하지만 [[1979년]]에 궁정동 연회장에 초청되어 노래를 부르던 심수봉은 [[10.26 사건]]에 휘말렸다. 수사 진행에 참석하면서 무죄로 판결이 났지만 시대적 상황 때문에 방송금지조치를 당하고 정신병원에 끌려가는 등 갖은 핍박을 당해야만 하였다. 가수로 활동할 수 없었던 심수봉은 [[1980년]]에는 처음으로 영화《[[아낌없이 바쳤는데]]》에 주연으로 캐스팅되었고 영화 주제곡 OST도 직접 만들고 불렀다. 심수봉의 복귀작으로 화제의 중심이 된 영화《아낌없이 바쳤는데》는 개봉 이후 관객 5만명을 돌파하는 흥행몰이에 성공했고, 홍콩으로 수출까지 성사되었다.<ref>[http://weekly.hankooki.com/lpage/life/201110/wk20111018095417121480.htm 주간한국]</ref>
         또한, [[1979년]]에는 드라마《순자의 가을》주제곡 OST〈순자의 가을〉도 직접 만들어 불렀다.〈순자의 가을〉이라는 곡은 처음에는 문제가 없었지만, [[1980년]] 전두환정권이 출범하자, 노래 제목에 영부인의 이름 '순자'<ref>당시 영부인의 이름이 '이순자'였다.</ref>가 나온다는 이유로 방송 금지 조치를 당했다. [[1983년]] 후배 가수 방미가 이 노래의 제목을〈올 가을엔 사랑할거야〉로 변경하고 가사 일부를 수정해 인기를 모았다.
         * 1980년 1월 《심수봉 골든디럭스20곡 - 당신은 누구시길래/여자이니까》
         * 1980년 7월 《심수봉의 제3탄 - 아낌없이 바쳤는데》
         * 1980년 《[[아낌없이 바쳤는데]]》 - 심수봉(주연)
         * 1980년 《아낌없이 바쳤는데》 주제가 OST<ref>[http://weekly.hankooki.com/lpage/life/201110/wk20111018095417121480.htm 주간한국]</ref>
         [[분류:Mnet 아시안 뮤직 어워드 수상 음악가]][[분류:2010년대 가수]][[분류:2000년대 가수]][[분류:1990년대 가수]][[분류:1980년대 가수]][[분류:1970년대 가수]][[분류:1972년 데뷔]][[분류:1955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문경시 출신]][[분류:명지대학교 동문]][[분류:대한민국의 개신교도]][[분류:한국어 가수]][[분류:대한민국의 여자 가수]][[분류:대한민국의 여자 가수]][[분류:대한민국의 트로트 가수]][[분류:대한민국의 작사가]][[분류:대한민국의 작곡가]][[분류:대한민국의 여자 싱어송라이터]][[분류:대한민국의 여자 영화 배우]][[분류:대한민국의 방송인]][[분류:대한민국의 라디오 진행자]][[분류:대한민국의 음악가]][[분류:대한민국의 트로트 음악가]][[분류:청송 심씨]]
  • 심이영
         '''송이영'''([[1980년]] [[1월 31일]] ~ )은 [[대한민국]]의 [[배우]] [[모델]]이다.
         [[분류:1980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2000년 데뷔]][[분류:대한민국의 여자 텔레비전 배우]][[분류:대한민국의 여자 영화 배우]][[분류:대한민국의 여자 연극 배우]][[분류:이화여자대학교 병설 금란여자고등학교 동문]][[분류:부산광역시 출신]]
  • 심진화
         '''심진화'''(沈珍華, [[1980년]] [[6월 12일]] ~ )는 대한민국의 [[희극 배우|개그우먼]]이다.
         1980년 6월 12일, [[경상북도]] [[청송군]] 에서 태어나 2001년 연극배우 첫 데뷔하였고 2년 후 2003년 [[SBS (대한민국의 방송사)|SBS]] 7기 공채 개그맨으로 데뷔하였다. 2006년 웃음을 찾는 사람들에서 [[장경희 (희극인)|장경희]], [[김형은]]과 함께 [[미녀 삼총사]]를 결성하였다. 2006년 12월 17일경 장경희와 김형은 등과 함께 강원도 태백시 조트 행사에 가던 중 교통사고를 당했다. 그 이유로 인해 김형은을 떠나보냈다. 당찬 성격과 고운 심성을 두루 갖추어 많은 이들의 사랑을 받고 있다. 2011년 [[KBS]]의 개그맨 [[김원효]]와 결혼하였다.
         [[분류:1980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청송군 출신]][[분류:가야대학교 동문]][[분류:2001년 데뷔]][[분류:대한민국의 여자 희극인]][[분류:대한민국의 방송인]][[분류:대한민국의 여자 연극 배우]][[분류:대한민국의 여자 배우]][[분류:대한민국의 여자 뮤지컬 배우]][[분류:청송 심씨]][[분류:대한민국의 로마 가톨릭교도]][[분류:미스터리 음악쇼 복면가왕 참가자]]
  • 안소영 (배우)
         1979년 영화 《[[내일 또 내일 (영화)|내일 또 내일]]》로 데뷔했다. 1982년 영화 《[[애마부인]]》에 출연해 스타덤에 올랐고, 이 영화로 제18회 [[백상예술대상]] 여자신인연기상을 수상하면서 영화계의 기대주로 떠올라 《[[자유처녀]]》, 《[[여자가 두번 화장할 때 (영화)|여자가 두번 화장할 때]]》, 《[[달빛 멜로디]]》 등에 출연하면서 1980년대를 대표하는 [[성인영화]] 배우로 이름을 날렸다.<ref>[http://entertain.naver.com/read?oid=009&aid=0002888955 ‘애마부인’ 안소영의 후회 “누드로 말에 올라타서…”] 매일경제. 2013년 02월 06일</ref> 2017년 영화 《[[미옥]]》에서
         * [[1980년]] 《[[순악질여사]]》
  • 안승훈
          | 활동기간 = [[1980년]] ~ 현재
         [[1980년]] [[연극배우]] 첫 데뷔하였고 [[1983년]] [[한국방송공사|KBS 한국방송공사]] [[배우|10기 공채 탤런트]]로 정식 데뷔를 하였다.
         [[분류:1959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1980년 데뷔]][[분류:제주특별자치도 출신]][[분류:순흥 안씨]][[분류:대한민국의 남자 연극 배우]][[분류:창극 배우]][[분류:20세기 대한민국 사람]][[분류:21세기 대한민국 사람]][[분류:대한민국의 남자 영화 배우]][[분류:대한민국의 남자 텔레비전 배우]][[분류:대한민국의 남자 뮤지컬 배우]][[분류:서울예술대학 연극과 동문]]
  • 앙드레 김 (1935년)
         앙드레김은 [[1960년대]] [[영화 배우]] [[엄앵란]] 등의 [[옷]]을 만들며 알려지기 시작하였다. [[1980년]]에 [[미스유니버스]] 대회의 주디자이너로 뽑혔으며, [[1988년]] [[1988년 하계 올림픽|서울 올림픽]]에서는 대한민국 대표팀의 선수복을 디자인 하였다. [[2006년]]에는 [[서울특별시|서울]]에서 '문화재 환수 기금 마련을 위한 패션쇼'를 열어 해외 유출 문화재의 반환에 대한 관심을 나타내었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6&oid=109&aid=0000055791 '위대한 유산 74434', 해외 유출 문화재 환수 위한 패션쇼 '성공'앙드레]</ref> 특유의 한영 혼용체나 말투 등으로 인해 그의 [[성대모사]]가 사람들의 개인기 소재로 많이 쓰이기도 하였다. 닉쿤과 김태희와 같은 배우들이 한층 멋을 더해주었다. [[KD운송그룹]]의 유니폼은 그의 유일한 회사 유니폼 디자인이다.
  • 양가휘
         | 활동기간 = [[1980년]] ~ 현재
         서울에서 출생하였고 지난날 한때 [[서울특별시]] 에서 잠시 유아기를 보낸 적이 있는 그는 [[1980년]] 광고 모델로 첫 데뷔하였고 [[1983년]] [[영화]] 《화소원명원(火燒圓明園)》의 주연으로 [[영화 배우|영화배우]] 데뷔하였다. [[1984년]] [[홍콩]] [[TVB]] [[텔레비전 드라마]] 한 편에 처음이자 마지막으로 출연하면서 [[배우|텔레비전 연기자]]의 길을 잠시 걸었으며 [[1987년]] [[연극]]《아큐정전(阿Q正傳)》으로 [[연극]][[배우]] 데뷔하기도 하였고 [[1996년]] [[가수]]로 데뷔하기도 하였다.
         [[분류:1958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1980년 데뷔]][[분류:홍콩의 남자 뮤지컬 배우]][[분류:홍콩의 남자 영화 배우]][[분류:홍콩의 남자 모델]]
  • 양성제
         '''양성제'''([[1980년]] [[12월 16일]] ~)는 전 [[KBO 리그]] [[롯데 자이언츠]]의 투수이다.
         [[분류:1980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부산광역시 출신 인물]][[분류:롯데 자이언츠 선수]][[분류:부산고등학교 동문]][[분류:대신초등학교 (부산) 동문]][[분류:부산중앙중학교 동문]][[분류:동의대학교 동문]]
  • 양준모 (1980년)
         '''양준모'''([[1980년]] [[6월 4일]] ~ )는 [[대한민국]]의 [[뮤지컬 배우]]이다.<ref> [http://people.search.naver.com/search.naver?where=nexearch&query=%EC%96%91%EC%A4%80%EB%AA%A8&sm=tab_etc&ie=utf8&key=PeopleService&os=141853 양준모-네이버인물정보]</ref>
         [[분류:1980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부산광역시 출신 인물]][[분류:대한민국의 뮤지컬 배우]][[분류:대한민국의 텔레비전 배우]][[분류:대한민국의 영화 배우]][[분류:대한민국의 개신교도]]
  • 양찬우 (1926년)
         |임기 = [[1979년]] [[3월 12일]] ~ [[1980년]] [[10월 27일]]
  • 양철수
         '''양철수'''([[1980년]] [[8월 16일]] ~ )은 대한민국의 개그맨 겸 DJ이다.
         [[분류:1980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서울특별시 출신]][[분류:대한민국의 희극인]][[분류:서울예술대학 동문]]
  • 여운계
         [[1968년]]에는 [[최무룡]]이 감독하고 주연을 맡은 영화인 《정 두고 가지마》로 영화에 첫 출연을 하였으며, 그밖에 《엄마의 일기》(1968년), 《별난 여자》([[1970년]]), 《팔 며느리》(1970년), 《목소리》([[1972년]]), 《땅콩 껍질 속의 연가》([[1979년]]), 《순악질 여사》([[1980년]]), 《만추》([[1982년]]), 《산딸기2》([[1985년]]), 《그녀와의 마지막 춤을》([[1988년]]), 《[[마파도]]》([[2005년]]), 《[[마파도 2]]》([[2007년]]) 많은 영화에 출연하였으며, [[한국방송공사]]의 《[[오필승 봉순영|오! 필승 봉순영]]》, 《며느리 전성시대》, [[문화방송]]의 《[[대장금]]》, 《[[내 이름은 김삼순]]》, [[SBS]]의 《[[쩐의 전쟁]]》등 텔레비전 드라마에도 많이 출연하였다.<ref name="아시아경제"/>
  • 염홍
         * [[1980년]] [[MBC]] 대하드라마 《홍사초롱》 ... (극중 [[박원숙]]의 딸) 역
         * [[1980년]] [[10월 1일]] ~ [[1980년]] [[11월 30일]] [[동양방송|TBC]] 매일연속극 《[[달동네 (드라마)|달동네]]》 ... 똑순이 역
         * [[1980년]] [[12월 1일]] ~ [[1981년]] [[9월 5일]] [[KBS1]] 일일연속극 《[[달동네 (드라마)|달동네]]》 ... 똑순이 역 ([[언론통폐합]]으로 이어서 방송)
         * [[1980년]] 《미워도 다시 한 번》
  • 영원한 유산
         | 개봉 = [[1980년]] [[1월 10일]]
         《'''영원한 유산'''》은 [[1980년]]에 개봉한 [[대한민국 영화|대한민국]]의 영화이다.
  • 예천군
         ||<:> [[1980년]] ||<:> 120,196명 ||<-48><bgcolor=#01438F>||<-52>||
  • 예춘호
         이 후 [[대한민국 제10대 총선|10대 총선]]에서 무소속으로 당선된 뒤 [[신민당 (1967년)|신민당]]에 입당하면서 야당 정치인으로 변신했고, [[1980년]] [[서울의 봄]] 당시 신군부에 의하여 김대중 내란음모사건의 주모자로 지목되어 옥고를 치뤘다. 이후 재야를 대표하여 민추협 부의장을 맡아 동교동계와 상도동계 사이의 통합적인 민주화투쟁을 위해 전력을 다한다. 하지만 [[대한민국 제13대 대통령 선거|13대 대선]]을 앞두고 김대중이 불출마 약속을 뒤엎고 독자적으로 출마하자 [[조순형]], [[유인태]]와 함께 [[한겨레민주당]]을 창당해 자신이 3선을 쌓았던 [[부산 영도구의 국회의원|부산 영도]]에 출마했다가 낙선했다.
         |임기 = [[1979년]] [[3월 12일]] ~ [[1980년]] [[7월 4일]]
  • 오륭
         '''오륭'''([[1980년]] [[7월 31일]] ~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ref>[http://100.daum.net/encyclopedia/view/33XXX2104869 오륭-다음인물정보]</ref>
         [[분류:1980년 태어남]][[분류:대한민국의 남자 배우]][[분류:대한민국의 남자 텔레비전 배우]][[분류:대한민국의 남자 영화 배우]][[분류:서울특별시 출신]][[분류:살아있는 사람]]
  • 오승근 (가수)
         이후 〈금과 은〉이 공식 해체되고 나서는 [[1980년]] 쯤부터 솔로로 전향하였다. 솔로로 데뷔한 후에도 본인이 직접 작곡, 작사한 《사랑을 미워해》(오승근 작사/ 오승근 작곡)를 부르며 가수로 활동하였다. 그러나 이혼의 아픔을 겪었으며 [[1984년]], '눈물의 여왕' 으로 군림하며 드라마에서 주름잡던 배우 [[김자옥]]과의 재혼으로 한동안 스타덤에 올라 화제를 모았으며 건축 인테리어 사업을 물려받아 본격적으로 사업가로 활동하였고 [[1990년]]에 《그대가 나를》(박건호 작사/ 김종희 작곡)을 발표하고 나서는 한동안 여행사 업종의 사업가로 변신하여 사업에 전념하였다. 하지만 [[1997년]], [[대한민국의 IMF 구제금융 요청|IMF 구제금융사건]]에 휘말려 몇 년간 해오던 사업이 부도가 나면서 경제적으로 어려움을 겪었다.
  • 오주은
         '''오주은'''([[1980년]] [[7월 7일]] ~ )은 [[일본]]의 [[배우]]이다.
         [[분류:일본의 여자 배우]][[분류:1980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1995년 데뷔]][[분류:동덕여자대학교 동문]][[분류:대한민국의 개신교도]][[분류:광주광역시 출신]]
  • 오지명
         * [[1980년]] [[LG전자]] 백조 세탁기 - [[오미연]]과 함께 출연.
  • 왕재민
         * 어머니: [[이재은 (1980년)]] ({{출생년과 나이|1980|2|8}} [[경상북도 대구시]] 출생. [[1980년]] [[배우]] 데뷔. [[2003년]] [[가수]] 데뷔.)
  • 우연석
         '''우연석'''(禹然晳, [[1980년]] [[5월 13일]] ~ )은 [[가수]]이자 [[클릭비]]의 멤버이다.
         [[분류:1980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남자 가수]][[분류:클릭비의 일원]][[분류:1999년 데뷔]][[분류:서울특별시 출신]][[분류:미국에 거주한 대한민국인]][[분류:대한민국의 남자 래퍼]]
  • 원종배
         * [[1980년]] [[12월 1일]] ~ [[1995년]] : [[언론통폐합]]으로 [[한국방송공사|KBS]] 6기 공채 아나운서
  • 원흠
         '''원흠'''({{본명|조원흠}}<ref>{{뉴스 인용 |제목=노라조 시즌2 시작…조빈 "내가 아오이 소라 이겼다" |url=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8/08/21/0200000000AKR20180821130900005.HTML |저자=박수윤 |출판사=연합뉴스 |날짜=2018-08-21 |확인날짜=2018-08-28 }}</ref>, 趙元欽, [[1980년]] [[1월 13일]]<ref>{{뉴스 인용|url=http://www.xportsnews.com/jenter/?ac=article_view&entry_id=1022470|제목=[입덕가이드②] 노라조 원흠 "조빈, 사실 또.라이일 줄 알았는데…"|성=|이름=|날짜=2018-09-22|뉴스=|출판사=|언어=ko|확인날짜=2018-09-29}}</ref> ~ )은 [[중국]]의 가수, 배우이면서 [[대한민국]]의 가수로, 2017년에 락 그룹 [[노라조]]에서 [[이혁]]이 탈퇴한 이후 노라조에 새롭게 합류한 멤버로, 2018년 8월 신곡 발표와 함께 정식으로 영입되었다.
         [[분류:대한민국의 남자 가수]][[분류:중국의 남자 가수]][[분류:중국의 남자 배우]][[분류:중국에 거주한 대한민국인]][[분류:1980년 태어남]][[분류:2006년 데뷔]][[분류:미스터리 음악쇼 복면가왕 참가자]][[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20세기 대한민국 사람]][[분류:21세기 대한민국 사람]][[분류:대구광역시 출신]]
  • 유동근(배우)
          [[분류:1980년 데뷔]] [[분류:한국 남배우]] [[분류:1956년 출생]]
         ||<:><#cccccc> '''데뷔''' ||<(> [[1980년]] [[동양방송|TBC]] 23기 공채 탤런트[* [[동양방송|TBC]] 23기 공채 텔런트는 [[동양방송|TBC]]가 [[언론통폐합]]으로 인해 폐국되기 이전에 뽑은 마지막 기수이다.] ||
         이외에도 세간에 '''아내가 미인'''으로도 정평이 나 있는데, 바로 탤런트 [[김을동]]이다.[* 원래는 방송가 사람들 사이에서 돌던 말이었는데 여러 번 스포츠신문 연예란이나 예능 등에서 가볍게 언급되다 보니 어느 새 일반 대중들도 이 이미지를 받아들였다. 연예인 중에서는 [[남희석]]이 '자신의 이상형은 전인화'라며 이를 이용한 드립을 방송에서 많이 치고 다녔다. 심지어 결혼 이후에도 한동안...] 대표작으로는 '[[여인천하]]'를 들 수 있으며('''나 거성의 안주인이야'''라는 모습을 기억하는 시청자들이 많다), 여기서 [[문정왕후]] 역으로 출연했다. 1980년대로 거슬러 올라가면 '조선왕조 500년'의 '인현왕후'에서 [[장희빈]] 역으로 출연했다.
         1980년대까지만 해도 드라마에서 악역을 맡는 일이 많았다. 그런데 쌍꺼풀 수술을 하고 부드러운 이미지가 생기더니 드라마에서 맡는 역할도 좋은 쪽으로 바뀌었고 그러면서 큰 인기를 얻었다. 로맨틱한 역할의 포텐셜이 폭발한 것은 1996년 방영한 드라마 [[애인(드라마)|애인]]으로, 이 드라마에서 보여준 부드럽고 낭만적인 모습을 통해 기혼 여성들의 수퍼스타로 순식간에 자리매김했다. '''잉크블루''' 컬러 셔츠의 유행은 덤. [[불륜]]을 메인 소재로 삼은 이 드라마가 선풍적인 인기를 끌자 '''가정윤리를 파괴하는 저질 드라마'''라는 비난도 쇄도했지만[* 심지어 국회 문화체육상임위원회 국정감사장에서 공영방송 [[문화방송|MBC]]가 이런 막장드라마를 방영해서 되겠냐면서 논란이 되었다.], 아무렴 어떤가. 우리는 [[막장 드라마|그보다 더 자극적인 소재로 방영시간을 가득 채운 드라마들]]이 범람하는 시대를 살고 있다.
  • 유상무
         '''유상무'''(劉相務, [[1980년]] [[6월 12일]] ~ )는 [[대한민국]]의 [[희극 배우|개그맨]], [[교수]]이다.
         [[분류:1980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방송인]][[분류:대한민국의 남자 희극인]][[분류:대한민국의 남자 연극 배우]][[분류:대한민국의 남자 배우]][[분류:대한민국의 남자 뮤지컬 배우]][[분류:대한민국의 남자 영화 배우]][[분류:대한민국의 라디오 진행자]][[분류:대한민국의 대학 교수]][[분류:대한민국의 개신교도]][[분류:개그콘서트]][[분류:코미디빅리그]][[분류:동아방송예술대학교 동문]][[분류:동국대학교 동문]][[분류:팟캐스터]][[분류:강릉 유씨]][[분류:1999년 데뷔]][[분류:광양시 출신]]
  • 유재동
         '''유재동'''([[1980년]] [[2월 26일]] ~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다.<ref>[http://100.daum.net/encyclopedia/view/33XXXX921286 유재동-다음인물정보]</ref>
         [[분류:1980년 태어남]][[분류:대한민국의 배우]][[분류:대한민국의 남자 영화 배우]][[분류:대한민국의 남자 텔레비전 배우]][[분류:대한민국의 남자 연극 배우]][[분류:해남군 출신]][[분류:살아있는 사람]]
  • 유지수 (1980년)
         '''유지수'''([[1980년]] [[8월 18일]] ~ )는 [[대한민국]] [[CBS]] 소속 [[아나운서]]이다.
         [[분류:1980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서울특별시 출신]][[분류:대한민국의 로마 가톨릭교도]][[분류:대한민국의 아나운서]][[분류:연세대학교 문과대학 동문]]
  • 유지인(1956)
         ||<width=30%><#FFFFA1><:> ''' 제17회 [br] ([[1978년]]) ''' ||<#FFFFA1><:> {{{+1 → }}} ||<width=30%><#FFFFA1><:> ''' 제18회 [br] ([[1979년]]) ''' ||<#FFFFA1><:> {{{+1 → }}} ||<width=30%><#FFFFA1><:> ''' 제19회 [br] ([[1980년]]) ''' ||
         [[1980년]]에 제작된 이두용 감독의<피막>으로 한국영화사상 최초로 3대 국제 영화제 중 베니스국제영화제 본선에 진출하며 한국영화 세계화의 초석이 된다.
         유지인이 한창 활동할 당시에는 동시녹음이 아니라 촬영 이후에 녹음을 하는 후시녹음이 대세였다. 그래서 녹음 때 배우 대신 성우를 기용할 수가 있었는데 유지인은 상대적으로 성우 대신 자신의 목소리를 그대로 녹음에 활용한 경우가 많았다. 정윤희의 경우에는 대부분 성우를 대용했으며, 장미희는 1980년대에도 성우를 대용한 경우가 많았지만, 유지인의 경우에는 79년 영화인 [[가시를 삼킨 장미]]에서도 자기의 목소리를 그대로 썼다.
         정윤희와 동시대에 활동한 배우들 중에서 정윤희급의 인기를 누린 배우는 유지인, [[장미희]] 뿐이었다.[* 이외에 [[김자옥]], [[이영옥]]도 많은 인기를 누리기는 했다.] [[1980년대]]에는 [[3세대 여배우 트로이카]]도 가세하지만 아무래도 신인이다 보니 2세대만큼의 인기는 누리지는 못했다.[* 이들이 본격적으로 3세대 트로이카라고 불릴 만큼의 인기를 누리기 시작한 것은 정윤희의 은퇴 이후이다. 물론 이들의 인기는 2세대가 활동하던 시절에도 2세대 트로이카 다음일 정도로 나름 엄청난 인기가 있었다.] 그러나 [[장미희]]는 신성일이 혹평한 대로 외모에서는 이 2명에 밀리는 편이었고, 대통령과의 스캔들에 휘말려 이미지에 치명적인 타격을 입었다. 그에 따라 인기에서도 이들 2명에 비해 '''상대적으로''' 밀렸다. 그러나 유지인은 장미희와 달리 유일하게 정윤희와 외모에서 비견될만 했고, 인기 순위나 수입 순위에서 절정기의 정윤희와 여러 차례 엎치락 뒤치락 했다. [[2000년대]] 이후 [[김태희]]가 70년대 정윤희급의 타 배우를 압도하는 외모패권을 누릴 때 [[한가인]]만이 오똑한 콧날로 외모에서 김태희의 유일한 라이벌로 평가된거랑 비슷하다. 물론 2000년대 이후 여배우 외모의 승자가 한가인이 아니라 김태희인 것처럼 정윤희가 유지인보다는 예쁘다는 평이 많았다.
         * [[1980년]] [[KBS2]] 일요드라마 《[[달리는 사람들]]》
         * [[1980년]] 《[[갑자기 불꽃처럼]]》
         * [[1980년]] 《[[바람 불어 좋은 날 (영화)|바람 불어 좋은 날]]》 ... 명희 역
         * [[1980년]] 《[[피막]]》
         * [[1980년]] 《[[그 여자 사람잡네 (영화)|그 여자 사람잡네]]》
         * [[1980년]] 《[[그때 그사람 (영화)|그때 그사람]]》
         * [[1980년]] 《[[낯선 곳에서 하룻밤]]》
         * [[1980년]] 《[[마지막 밀애]]》
         * [[1980년]] 《[[매일 죽는 남자]]》
         * [[1980년]] 《[[아낌없이 바쳤는데]]》 ... 연하 역
         * [[1980년]] 《[[여자의 방]]》
         * [[1980년]] 《[[팔불출]]》
         * [[1980년]] 《[[화려한 경험]]》
         * [[1980년]] 《[[휴가받은 여자]]》
  • 유홍준
         |날짜=2003-10-16}}</ref> [[1980년]]이 되어서야 서울대를 나온 그는, [[1981년]] 동아일보 신춘문예에서 미술평론으로 등단한다.
         * ~ [[1967년]] ~ [[1980년]] [[서울대학교]] 미학과 학사
  • 유희경 (1980년)
         | 출생일 = [[1980년]]
         '''유희경'''([[1980년]] ~ )은 [[대한민국]]의 시인이다. [[1980년]] [[서울특별시]]에서 태어나 [[서울예술대학]] 문예창작과와 연극원 극작과를 졸업했다.
         [[분류:대한민국의 시인]][[분류:1980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서울특별시 출신]][[분류:서울예술대학 동문]]
  • 윤기선
         [[미국]] [[줄리어드 음악학교|줄리어드 음악대학원]]을 졸업한 뒤 한동안 미국에서 살았다. 그 뒤 잠시 귀국하여 [[서울예술고등학교]]의 교수, [[연세대학교]] 음대 교수, [[서울대학교]] 음대 교수 등으로 재직했으나 [[1980년]]대에 다시 도미, [[미국]]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로 이주하였다. 한국에서 잘 알려지지 않은 솔로 곡과 협주곡을 많이 소개 연주했으며 '서울 트리오'를 결성하여 실내악활동을 하기도 했다.
         ** 매형: [[정광현]](鄭光鉉, [[1902년]] - [[1980년]])
  • 윤문식
         || [[1980년]] || 나목 || ||
  • 윤미라
         * [[1980년]] 《[[여자의 이 아픔을]]》
  • 윤민수 (가수)
         '''윤민수'''(尹敏洙, [[1980년]] [[2월 27일]] ~ )는 [[대한민국]]의 [[가수]]이며, [[음악 그룹|그룹]] [[바이브 (음악 그룹)|바이브]]의 멤버이다.
         [[분류:1980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1998년 데뷔]][[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대구고등학교 동문]][[분류:대한민국의 남자 가수]][[분류:대한민국의 R&B 가수]][[분류:2010년대 가수]][[분류:2000년대 가수]][[분류:나는 가수다에 출연한 가수]][[분류:파평 윤씨]][[분류:대한민국의 작사가]][[분류:대한민국의 작곡가]][[분류:대한민국의 대학 교수]][[분류:대한민국의 음악 프로듀서]][[분류:대한민국의 개신교도]]
  • 윤삼륙
         * [[1980년]] [[영화]] 《[[피막 (1980년 영화)|피막]]》
         * [[1981년]] 제3회 영화인협회 시나리오대상 《[[피막 (1980년 영화)|피막]]》
         * [[1981년]] 제2회 [[한국영화평론가협회상]] 각본상 《[[피막 (1980년 영화)|피막]]》
  • 윤상원 (1950년)
         '''윤상원'''(尹祥源, [[1950년]] [[9월 30일]] ([[1950년]] [[음력 8월 19일]])<ref>[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3&oid=047&aid=0002153883 링크]</ref> - [[1980년]] [[5월 27일]])은 [[대한민국]]의 노동운동가이자 [[5·18 광주 민주화 운동]] 당시 시민군으로서 활약했다. 다른 이름으로는 윤개원도 있다.
         [[1980년]] [[5·18 광주 민주화 운동]] 때 ‘민주투쟁위원회’의 대변인과 광주시민의 눈과 귀와 입이었던 〈투사회보〉의 발행인으로 활동하다가 [[5월 27일]] [[전남도청 본관]] 2층 민원실에서 계엄군의 총에 맞아 사망했다. 윤상원의 사인을 두고 '자상', '화상', '총상'이라는 엇갈린 견해가 있었지만, 목격자들의 증언을 토대로 총상으로 밝혀졌다. 항쟁지도부 기획실장 김영철이 윤상원을 매트에 눕힌 뒤 최루탄 때문에 불이 붙은 커튼이 매트에 눕혀져 있던 윤상원에게 떨어지면서 윤상원의 시신에 화상 흔적이 남게 됐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1&aid=0002088731 김영철 열사가 전하는 윤상원 열사의 죽음] 연합뉴스 2008년 5월 16일자 기사</ref>
         [[분류:1950년 태어남]][[분류:1980년 죽음]][[분류:광주광역시 출신]][[분류:전남대학교 동문]][[분류:대한민국의 사회 운동가]][[분류:대한민국의 사회 운동]][[분류:5·18 광주 민주화 운동]][[분류:최규하 정부]][[분류:대한민국 제4공화국]][[분류:대한민국 제5공화국]][[분류:법집행관에게 사살된 사람]] [[분류:화기에 죽은 사람]][[분류:임곡초등학교 (광주) 동문]][[분류:광주북성중학교 동문]]
  • 윤석환
         [[서울봉천초등학교]]를 거쳐에 입학한다. [[1980년]] 선린상고 졸업 후 [[성균관대학교]] 체육교육학과(1980학번)에 진학한다.
  • 윤순홍
         * [[1980년]] [[MBC]] 농촌드라마 《[[전원일기]]》 ... 각종 단역
  • 윤영선 (1896년)
         [[1970년]]대에는 서서히 아버지 [[윤치호]]의 일기 및 유품을 사회에 기증하였으며, [[1980년]]에는 김형찬과 함께 그동안 소장하고 있던 [[윤치호]]의 편지 서신을 학계에 기증하였다.<ref>"격동기 구한말 재조명 윤치호 미공개서신등 180여점 발견", 경향신문 1980년 9월 30일자 5면, 생활문화면</ref>
         ** 이복 매제: [[정광현]](鄭光鉉, 법의학자, 호는 설송(雪松), [[1902년]] - [[1980년]] [[12월 7일]])
  • 윤인선 (1944년)
         ** 어머니 : [[이은혜 (정치인)|이은혜]] (異恩惠, [[1902년]] [[4월 21일]] ~ [[1980년]] [[8월 23일]])
  • 윤인조
         '''윤인조'''([[1980년]] [[10월 21일]] ~ )는 [[대한민국]]의 [[배우]]이다.<ref>[http://people.search.naver.com/search.naver?where=nexearch&query=%EC%9C%A4%EC%9D%B8%EC%A1%B0&sm=tab_etc&ie=utf8&key=PeopleService&os=644552 윤인조-네이버인물정보]</ref>
         [[분류:1980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배우]][[분류:대한민국의 텔레비전 배우]][[분류:대한민국의 연극 배우]][[분류:대한민국의 영화 배우]][[분류:광양시 출신]]
  • 윤치영
         [[1945년]] 해방 이후, 이승만의 비서, [[민주의원]] 사무총장, [[1948년]] 정부 수립 이후에는 [[대한민국 내무부|내무부장관]], 국회 부의장 등을 역임하며 이승만 정권 초기 집권세력의 실세로 통했다.<ref name="윤치호 일기 p.617">윤치호, 《윤치호 일기(1916-1943)》 (김상태 편 번역, 역사비평사, 2001) 617-640페이지</ref> 이후 이승만의 외교특사로 활동하다 [[1948년]] 친이승만 성향인 [[대한국민당 (1948년)|대한국민당]]을 창당하여 최고위원을 역임했다. [[1956년]]과 [[1960년]] [[대한민국의 부통령|부통령]] 선거에 출마하였으나 낙선했다. [[대한민국 제2공화국|제2공화국]] 기간 중에는 야당 정치인으로 활동하다 [[5·16 군사 정변]] 이후 군정에 참여, [[1963년]]에는 [[박정희]] [[국가재건최고회의|최고희의]] 의장을 [[민주공화당 (대한민국)|공화당]] 대통령후보로 지명, 민정에 참여하였으며, [[대한민국 제3공화국|제3공화국]] 출범 이후 [[민주공화당 (대한민국)|민주공화당]] 당의장, [[서울특별시]]장, [[민주공화당 (대한민국)|민주공화당]] 당의장서리 등을 지냈다. [[1968년]] 이후 경제발전을 위해서 강력한 지도자가 필요함을 역설하여 박정희의 3선개헌을 적극 지지하였다. 종교는 [[개신교]]로 교회의 장로를 지냈다.<ref>{{웹 인용 |url=http://ducksoo.net/wp/greeting/history/ |제목=덕수교회 약력 |확인날짜=2016-09-10 |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160917154055/http://ducksoo.net/wp/greeting/history/ |보존날짜=2016-09-17 |깨진링크=예 }}</ref> [[1980년]] 정계에서 은퇴, 사회 원로로 활동하였다.
         [[윤보선]]은 사석에서 그를 만났을 때도 수인사 조차 거절하였다.<ref name="역사비평:1992 여름호 p.168"/> [[윤보선]]과의 관계는 [[1980년]]대 초반이 되어서야 개선되었다.
         [[1980년]]초 그는 [[민주공화당 (대한민국)|민주공화당]] 당의장 서리, [[대한민국헌정회]] 회장을 역임하였다. 그해 초 [[박창암]]이 [[이갑성]]의 밀정설을 주장했다가 소송당하자 [[박창암]]을 찾아가 아무도 해결못할 일을 해결하려 했다며 격려해주기도 했다. [[1980년]] [[4월 24일]] [[국정자문회의]] 운영위원에 위촉되어 [[국정자문회의]] 운영회의를 주관하였다. 그해 재혼한 아내 [[이은혜 (정치인)|이은혜]]와 사별하였다. 이후 윤치영은 재혼하지 않았다.
         [[1980년]] [[8월]] [[국정자문회의]] 위원에 위촉되었다. [[1981년]] [[국정자문위원회]] 위원에 재위촉되었다. 기타 안중근의사숭모회 이사장, 국회의원 동우회 회장 등을 지냈다. 63년과 68년 2차례에 걸쳐 민주공화당 의장을 역임하면서 그는 격동기 한국정치의 한가운데에 서왔다. [[1982년]] 건국포장을 수여받았다.
         이후 [[이승만]] 기념사업회와 [[이승만]] 재평가 운동, [[이승만]] 복권운동 등에 참여하였다. 정계은퇴 후에도 92년까지 [[서울특별시]] 직원들의 모임인 서울시 시우회장과 [[안중근]]의사 숭모회장을 맡아 활동했다.<ref name="조선19960210"/> 왕성한 사회활동을 계속하는 등 삶에 대한 강한 의욕을 보였다. [[1980년]]대 그는 학생운동권 중 [[민족해방]]계열로부터 [[친일파]]라는 비난을 받아왔다. [[민족해방]]파의 [[이승만]]의 정부 수립을 단독 정부로 보고, 단독정부 수립은 한국 분열의 원인이라는 주장을 하자 그는 [[미국]]에 의한 분단 주장을 반박하고, [[박용만 (1924년)|박용만]] 등과 함께 [[대한민국]] 정부 수립의 정당성을 역설하며 논쟁을 벌이기도 했다. [[1988년]] [[8월 18일]]의 [[경향신문]]과의 기자회견에서는 [[이승만]]과 [[박정희]]를 가리켜 "정치란 어떤 것인지 보여준 인물들"이라며 두둔하기도 했다.
         * 1980년 민주공화당 탈당
         윤치영은 [[1980년]]대의 한 인터뷰에서 [[대한민국|남한]]의 재벌들을 비판했다. 그는 재벌들이 시류에 잘 영합하는 것을 내심 아니꼽고 불쾌하게 바라봤다. 그는 '재벌들이 어디서 생겼소? 모두 [[이승만]]과 [[박정희]](정권) 한테서 생긴 것 아니요? 그런데 그들이 요즘 어떻게 합니까? [[이승만]]과 [[박정희]]를 어디 은인(恩人) 대접 합니까?<ref name="백사238">국무총리서리 백사 이윤영 회고록(사초, 1984) 214페이지</ref>'라며 재벌들을 비판하기도 했다. 윤치영은 대한민국 재벌의 대다수는 [[이승만]]과 [[박정희]]가 만든 결과물로 인식하였다.
         * 처: [[이은혜 (정치인)|이은혜]](異恩惠, [[1898년]] [[4월 21일]]~[[1980년]] [[8월 23일]], [[이화여자대학교|이화학당]] 여교사 역임)<ref>[http://cafe.naver.com/powergroup.cafe?iframe_url=/ArticleRead.nhn%3Farticleid=613 신호철의 한국사회혼맥 :: 네이버 카페<!-- 봇이 붙인 제목 -->]</ref>
         * 사돈 : [[손원일]](孫元一 , [[1909년]] [[5월 5일]] ~ [[1980년]] [[2월 15일]]) - 사촌동생 [[윤치창]]의 처남
  • 윤형빈
         | 배우자 = [[정경미 (1980년)|정경미]]
         '''윤형빈'''({{한자|尹亨彬}}, <small>{{본명| '''윤성호'''}}</small><ref>[[KBS 2TV|KBS2]] [[해피선데이]] [[남자의 자격]]의 '남자의 자격증 편'에서 취득한 손뜨개 자격증에는 본명인 윤성호로 되어있다.([[남자의 자격의 방영 목록]]을 참조)</ref>, [[1980년]] [[1월 3일]] ~ )은 [[대한민국]]의 [[코미디언]] 겸 [[리포터]]이자 [[종합격투기]] 선수이다. 본명은 '''윤성호'''이지만 선배 개그맨인 [[윤성호]]가 있어서<ref>{{뉴스 인용
         그는 [[한국방송공사|KBS]] 20기 공채 개그맨 동료 [[정경미 (1980년)|정경미]]와 공식적으로 교제하였다. 그가 연기하는 캐릭터 왕비호는 매 회마다 몇 명의 스타들을 겨냥한 독설적이고 위트 있는 말을 하는 캐릭터다. 개그계의 안티, 시청자의 안티, 네티즌의 안티이기도 하다. 개그콘서트의 봉숭아 학당 엔딩 부분에서 항상 정경미에게 '국민 요정 정경미 포에버(Forever)'이라는 말을 하였다. 그러나 개그 콘서트의 봉숭아 학당에서 하지만 "국민 요정 정경미 포에버"가 지겹다는 항의가 있어 2009년 9월부터 "국민 개그 프로그램 개콘 포에버"를 외쳤다. 이후 [[개그콘서트]] '희극 여배우들'코너에 [[정경미]]가 출연하여 윤형빈과의 결혼문제를 언급하여 결국 결혼까지 발표했다. 봉숭아학당 왕비호 하차 후 [[개그콘서트]]를 잠시 떠나 [[한국방송공사|KBS]] [[남자의 자격]] 등의 프로그램에 출연했다. 그리고 [[김준현 (1980년)|김준현]], [[김영민 (1981년)|김영민]] 등의 개그맨들 외 2명과 '오버액션'이란 그룹을 만들었다. 2013년 2월 22일에는 정경미와 결혼을 하게 되며 주례는 [[남자의 자격|남격]]의 [[이경규]]가 맡았다<ref>이경규의 주례사 중 일부 “행복이 가득한 ‘풀하우스’를 만들어서 집안이 ‘힐링’할 수 있는 ‘캠프’를 만들고 ‘붕어빵’ 같은 아이들을 낳아 ‘남자의 자격’을 갖추게 해 이 사회에 이바지 하는 인물이 되어야지 ‘화성인’이 되어선 안 된다.”
         2014년 9월 14일 오후 서울 강남에 위치한 산부인과에서 3.44kg의 건강한 아들 윤준(태명:튼튼이)을 낳았다. 원래 예정일은 23일이었지만 이른 진통에 병원을 찾았고, 가족들도 아이의 탄생을 함께 축하했다는 전언이다. 소속사 측은 현재 산모인 [[정경미 (1980년)|정경미]]와 아이는 모두 건강하다고 전해졌다.
         [[분류:해피선데이]][[분류:개그콘서트]][[분류:1980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남자 가수]][[분류:대한민국의 남자 희극인]][[분류:대한민국의 남자 연극 배우]][[분류:2003년 데뷔]][[분류:대한민국의 남자 배우]][[분류:명지대학교 동문]][[분류:대한민국의 남자 성우]][[분류:계룡시 출신]][[분류:대한민국의 남자 뮤지컬 배우]][[분류:대한민국의 종합격투기 선수]]
  • 윤휴
         [[1980년]]대까지도 언급이 기피되다가 [[1990년]]대 이후 재조명되어 각종 작품에도 등장하기 시작하였다. 시신은 당초 고향인 [[경기도]] [[여주시|여주군]] [[금사면]]에 안장되었다가, [[2000년]]대에 [[대전광역시|대전]] 선영으로 이장되었다.
  • 의친왕
         * [[1980년]] 《[[의친왕 (드라마)|의친왕]]》 (MBC 드라마)(배우: [[이정길 (1944년)|이정길]], [[김무생]], [[전운]], [[정욱 (1938년)|정욱]])
  • 이갑성
         [[1980년]] 다시 그의 밀정설이 제기되었다. 80년 임정 국무위원 출신 [[조경한]](曺擎韓)이 [[박창암]]을 불러 이갑성이 일제의 밀정이라 주장 '내가 이걸 밝혀야 되겠는데 자네 용기 있나'라고 했고, [[박창암]]은 [[조경한]]의 부탁을 수락했다. [[박창암]]은 [[조경한]]의 진술을 토대로 월간 <자유>에 발표했고 이갑성은 병석에서 [[박창암]]을 상대로 소송을 제기했으나 재판진행 중 소송의 결과를 보지 못하고 사망, 소송은 취소되었다. 뒤에 [[윤치영]]이 [[박창암]]을 찾아가 몇이 달라붙어도 해결못할 일을 해결했다며 치하하였다. 이갑성은 그해 [[3월 25일]]에 사망했다.
  • 이경숙 (1943년)
         * [[1980년]] : [[국가보위입법회의]] 입법의원
         * 1980년 [[국가보위입법회의]] 입법의원으로 활동하였다. 국가보위입법회의는 [[전두환]] 대통령이 국회와 정당을 해산시키고 국회를 대신해 입법기능을 담당할 기구로 만든 것으로 정치활동규제법, 언론기본법, [[국가보안법]]·노동법·집시법 개정안 등 악법 시비가 일었던 법안들을 통과시켰다.<ref>{{뉴스 인용
  • 이경영(1960)
         [[분류:충주시 출신 인물]][[분류:한국 남배우]][[분류:KBS 출연금지 연예인]][[분류:1960년 출생]][[분류:1980년 데뷔]][[분류:대한민국의 범죄자]][[분류:성매매]]
         || '''데뷔''' ||<(> [[1980년]] 연극배우 ||
  • 이경희 (1880년)
         그의 공적을 기려 [[대구광역시]] [[동구 (대구광역시)|동구]] 효목동 광복회 대구지회 회관 앞 [[망우공원]]에는 '애국지사 지오 이경희 공적비'가 설립되었다. [[1980년]] [[건국포장]]이 추서되고, [[1990년]] [[건국훈장|건국공로훈장 애국장]]이 추서되었다.
         * [[건국포장]]([[1980년]])
  • 이공주 (핸드볼선수)
         '''이공주'''([[1980년]] [[3월 25일]] [[부산광역시]] ~ )는 [[대한민국]]의 전 [[핸드볼]] 선수이다.
         [[분류:1980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여자 핸드볼 선수]][[분류:2004년 하계 올림픽 핸드볼 참가 선수]][[분류:2006년 아시안 게임 핸드볼 참가 선수]][[분류:대한민국의 올림픽 핸드볼 참가 선수]][[분류:2004년 하계 올림픽 메달리스트]][[분류:올림픽 핸드볼 메달리스트]][[분류:대한민국의 올림픽 은메달리스트]][[분류:대한민국의 아시안 게임 핸드볼 참가 선수]][[분류:2006년 아시안 게임 메달리스트]][[분류:아시안 게임 핸드볼 메달리스트]][[분류:대한민국의 아시안 게임 금메달리스트]][[분류:부산광역시 출신 인물]][[분류:부산진여자상업고등학교 동문]]
  • 이관훈 (모델)
         '''이관훈'''([[1980년]] [[10월 20일]] ~ )은 [[대한민국]]의 [[모델]], [[배우]]이다.<ref>[http://people.search.naver.com/search.naver?sm=tab_txc&where=people_profile&ie=utf8&query=%EC%9D%B4%EA%B4%80%ED%9B%88&os=209207 이관훈 - 네이버 인물]</ref><ref>[http://search.nate.com/search/all.html?q=%C5%C5%B7%B1%C6%AE+%C0%CC%B0%FC%C8%C6&psn=PR301009&nq=2 이관훈 - 네이트 인물]</ref><ref>[http://news.nate.com/view/20111110n04968 <nowiki>[인터뷰] '더킥' 이관훈, "특전사 시절 그의 한마디 내 인생을 바꿨다"</nowiki>]</ref> 특전사 출신으로 5년간 직업 군인으로 복무하다가, [[2004년]] [[중사]]로 전역하였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6&oid=038&aid=0002083928 '로드 넘버원' 이관훈, "특전사 출신 배우랍니다"].한국일보.2010년 8월 4일.</ref>
         [[분류:1980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부산광역시 출신 인물]][[분류:대한민국의 모델]][[분류:대한민국의 배우]][[분류:대한민국의 텔레비전 배우]][[분류:대한민국의 영화 배우]]
  • 이규한(배우)
         ||<#1B5695> {{{#ffffff '''출생'''}}} ||<(> [[1980년]] [[8월 4일]] ([age(1980-08-04)]세) [[전라남도]] [[완도군]] ||
         [[분류:1980년 출생]][[분류:한국 남배우]][[분류:1998년 데뷔]][[분류:라디오 스타의 역대 게스트]][[분류:리얼입대 프로젝트 진짜 사나이 역대 출연자]][[분류:완도군 출신 인물]]
  • 이나라 (탤런트)
         '''이나라'''({{본명|이유미}}, [[1980년]] [[8월 22일]] ~ )는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MBC TV|MBC]] 드라마 《[[검법남녀]]》 출연때부터 '''이나라'''로 활동하고 있다.
         [[분류:1980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여자 뮤지컬 배우]][[분류:대한민국의 여자 연극 배우]][[분류:비디오 자키]][[분류:대한민국의 여자 모델]][[분류:2002년 데뷔]][[분류:대한민국의 여자 영화 배우]][[분류:대한민국의 여자 텔레비전 배우]][[분류:덕성여자고등학교 동문]][[분류:삼육대학교 동문]][[분류:서울특별시 출신 인물]]
  • 이덕희 (1960년)
         * [[1980년]] [[KBS1]] 인간가족 《[[남숙이]]》
         * [[1980년]] [[KBS1]] 문예극장 《[[소년의 비애]]》
         * [[1980년]] [[KBS1]] 맥 《[[다섯뫼의 푸른솔은]]》
         * [[1980년]] [[KBS1]] 주간드라마 《[[소망 (드라마)|소망]]》 ... 정 간호원 역
  • 이덕희(배우)
         * [[1980년]] [[KBS1]] 인간가족 《[[남숙이]]》
         * [[1980년]] [[KBS1]] 문예극장 《[[소년의 비애]]》 ... 난수 역
         * [[1980년]] [[KBS1]] 문예극장 《[[도둑맞은 가난]]》 ... 순임의 친구 역
         * [[1980년]] [[KBS]] 역사드라마 항일투사 - 김정균 3부작 《[[승자와 패자 (드라마)|승자와 패자]]》 ... 마야꼬 역
         * [[1980년]] [[KBS1]] 맥 《[[다섯뫼의 푸른솔은]]》
         * [[1980년]] [[KBS1]] 주간 드라마 《[[소망 (1980년 드라마)|소망]]》 ... 정 간호원 역
         * [[1980년]] [[KBS1]] 일요 역사드라마 《[[파천무 (1980년 드라마)|파천무]]》 ... 삼월 역
  • 이동건(1980)
         ||<#8E7A6C> {{{#ffffff '''출생'''}}} ||<(> [[1980년]] [[7월 26일]] ([age(1980-07-26)]세)[br] [[경상북도]] [[영덕군]] ||
         [[분류:한국 남배우|일본 남배우]][[분류:한국 남가수|일본 모델]][[분류:1980년 출생]][[분류:영덕군 출신 인물]][[분류:1998년 데뷔]][[분류:FNC엔터테인먼트 소속 아티스트]][[분류:가톨릭 신자]]
  • 이동춘
         |프로 데뷔 = 1980년
         [[대구광역시]]에서 태어났다. [[1980년]] [[11월 18일]] [[대한민국]]에서 프로 무대에 데뷔했으며, [[1981년]] [[11월 18일]] [[OPBF]] 밴텀급 경기에서 [[오장균]]을 상대로 승리를 거두었다. [[1983년]] [[7월 26일]] 대한민국 밴텀급 챔피언에 올랐으며, [[1992년]] [[6월 6일]] [[일본]] 밴텀급 챔피언에 올랐다.
  • 이만섭
         [[1980년]] [[민주공화당 (대한민국)|민주공화당]]이 [[신군부]]에 의해 강제로 해산당하자 과거 [[민주공화당 (대한민국)|민주공화당]] 출신과 [[유신정우회]] 출신 인사들을 주축으로 한 [[한국국민당 (1981년)|한국국민당]]의 창당에 참여하였다. 제11·12대 국회의원에 연속으로 당선되었고 [[1985년]]에 [[한국국민당 (1981년)|한국국민당]]의 총재를 지냈다.
         |임기 = [[1979년]] [[3월 12일]] ~ [[1980년]] [[10월 27일]]
  • 이민우(배우)
         유아기 시절인 [[1980년]]부터 CF모델로 활동하다 6살 때 정식으로 드라마 데뷔를 하게 되는데 데뷔작이 MBC의 [[조선왕조 오백년]]([[1981년]])이다. 배우 경력이 벌써 '''30년이 넘는''' 본좌 중에 본좌. [[홍경인]]([[1988년]] 데뷔), [[김정현(1976)|김정현]]([[1994년]] 데뷔) 등 경력이 나름 길다는 동년배 배우들은 물론이거니와, 그 유명한 왕 전문 배우(...) '''[[최수종]]'''(1962년생, [[1987년]] 데뷔) 등 1960년대 초반 출생인 연기자들마저 이민우에게는 경력 때문에 어려워한다는 것이 [[라디오 스타]]에서 드러났다. [[http://m.news.nate.com/view/20130425n00128|#]] 이 정도 경력은 5살 때 데뷔했다는 [[안성기]]나 6살 때 데뷔했다는 [[하춘화]] 정도에서나 볼 수 있는 경력이다.
  • 이민우(신화)
         ||<:><#FFB914>{{{#white '''출생'''}}}||<(><#ffffff>[[1979년]][* 호적상 [[1980년]]생으로 되어있다고 한다. [[신화방송]]에 따르면 돌잔치 사진으로 [[1979년]]생임을 인증했다고 한다.] [[7월 28일]] ([age(1979-07-28)]세), [[경상남도]] [[창원시|성산구]] 가음정동||
  • 이사강
         '''이사강'''([[1980년]] [[10월 7일]] ~ )은 [[대한민국]]의 [[뮤직비디오]] 감독이자, CF 감독이다. 생산 회사 [[쟈니브로스|ZANYBROS (쟈니브로스)]] 소속이다. 2002년 단편 영화 《스푸트니크》 촬영으로 참여.
         [[분류:1980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영화 감독]][[분류:대한민국의 뮤직 비디오 감독]][[분류:경일여자고등학교 동문]][[분류:중앙대학교 동문]][[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
  • 이상화 (시인)
         사촌 매형인 윤홍열은 후일 [[남조선과도입법위원회]] 위원과 [[대구시보사]] 사장을 역임했는데, 사촌 매부 윤홍열의 소개로 바로 [[충청남도]] 공주 규수인 서순애 여사를 상화와 중매시켰다.<ref name="daemyonh"/> 몇 차례 연락이 오고가다가 [[1919년]] [[12월]] [[충청남도]] [[공주시|공주군]] 출신과 결혼하였다. 부인 서온순은 독립운동과 유학 등 경제적으로 불우한 환경에도 남편의 탓이나 원망을 하지 않았다 하며, 남편 사후에도 서온순은 재혼하지 않고 홀로 자녀를 키웠으며 [[1980년]]대에 사망하여 그의 묘소 근처에 안장되었다. [[1922년]] 이상화는 《[[백조 (잡지)|백조]]》1~2호에 시를 발표하면서 문단에 나왔다. 그해 프랑스에 유학할 기회를 얻으려고 일본으로 갸루 짱 예쁘다 같이놀래 예쁜니가 좋아좋아
         * 부인 : 서온순(徐溫順, 다른 이름은 서순애, ? ~ [[1980년]])
  • 이성미 (희극인)
         [[서울예술대학교]] 시절이던 [[1978년]]에 [[연극배우]]로 첫 데뷔하였고 이듬해 [[1979년]]에는 [[뮤지컬배우]]로 데뷔하였으며 1년 후 [[1980년]] 제2회 [[동양방송|TBC]] 개그콘테스트에서 [[김은우]]와 팀을 이뤄 대상을 수상한 후 연예계에 정식 데뷔했다.<ref>조선희.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93052400289107001&edtNo=5&printCount=1&publishDate=1993-05-24&officeId=00028&pageNo=7&printNo=1568&publishType=00010 달라진 여성 달라지는 사회(1)'잃어버린 이름'을 찾고싶다]. 한겨레. [[1993년]] [[5월 24일]].</ref><ref>조은별.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6&oid=079&aid=0002103493 ‘황금어장’ 이성미 솔직고백 힘입어 시청률 1위]. 노컷뉴스. [[2009년]] [[10월 29일]].</ref> 1980년대엔 가수 김학래의 아이를 가졌으나 아버지의 결혼반대로 인해 헤어진 뒤 홀로 아들을 잃고 미혼모로 살았다. [[1992년]] 잡지사 기자 을 만나[[조대원]]게 되었고 [[조대원]]은 취재차 이성미를 만났으나 이를 계기로 이성미와 가까워졌다. 이들은 [[1993년]] 결혼을 하였고 이후 딸 0명을 낳았다.<ref>[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93050500209125004&edtNo=40&printCount=1&publishDate=1993-05-05&officeId=00020&pageNo=25&printNo=22162&publishType=00010 개그우먼李(이)성미결혼 내달 19일 상대는 조대원씨]. 동아일보. [[1993년]] [[5월 5일]].</ref><ref>이준환.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6&oid=038&aid=0002304558 이성미, 남편과 4개월 만에 결혼 "확 당기니까, 끌려가더라"]. 한국일보. [[2012년]] [[9월 27일]].</ref> 조대원은 기자 생활을 그만둔 후에는 [[이매진아시아]] 대표이자 [[국제대학교 (경기)|국제대학교]] 방송학부 교수로 활동중이다. 연예계 데뷔 이후 왕성한 활동을 벌였고 [[1993년]] 희극 배우 [[박미선]]과 '쌍방울자매'를 결성하여 가수 활동을 하기도 했다. 세 자녀의 유학생활을 위해 [[2002년]] [[캐나다]]로 건너갔다가 아들만 캐나다에 남겨두고 딸 둘을 데리고 [[2009년]] [[대한민국]]으로 돌아와 연예계에 전격복귀했다.<ref>장은성. [http://navercast.naver.com/magazine_contents.nhn?rid=1089&contents_id=21667 이성미, 사춘기 아들과 화해하기까지 - 겪었던 갈등 고백]. 우먼센스. [[2013년]] [[2월]]호.</ref>
         * [[1980년]]: 제2회 TBC 개그콘테스트 대상
  • 이성복(작가)
         [[1980년]]에는 첫 시집 <뒹구는 돌은 언제 잠 깨는가>가 [[문학과지성사]]에서 나왔는데, 이것이 문단에 신선한 충격을 안겼다.
  • 이세은 (1980년)
         '''이세은'''([[1980년]] [[8월 31일]] ~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분류:1980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여자 텔레비전 배우]][[분류:대한민국의 여자 영화 배우]][[분류:대한민국의 여자 배우]][[분류:영주시 출신]][[분류:예안 이씨]][[분류:대한민국의 불교 신자]][[분류:대한민국의 여자 연극 배우]]
  • 이세은(배우)
         ||<:><bgcolor=#FFB6C1> '''출생''' ||<(><bgcolor=#FFFFF0> [[1980년]] [[8월 31일]]([age(1980-08-31)]세)[br][[경상북도]] [[영주시]] 안정면 ||
         [[분류:한국 여배우]][[분류:영주시 출신 인물]][[분류:1980년 출생]][[분류:1대 100 역대 1인]]
  • 이숙 (배우)
         * 《[[전원일기]]》 [[1980년]] - 쌍봉댁 역 (쌍봉댁 역 이외 다른 배역으로도 등장)
  • 이승효(탤런트)
         출생 [[1980년]] [[5월 5일]]([[전라북도]] [[김제시]])
  • 이연수(배우)
         [[분류:한국 여배우]] [[분류:1970년 출생]][[분류:1980년 데뷔]][[분류:아역배우]][[분류:불타는 청춘의 역대 출연자]]
         ||<#D4F4FA> {{{#000000 '''데뷔'''}}} || [[1980년]] [[MBC]] 어린이 합창단 단원 [[1981년]] [[MBC]] 드라마 '[[호랑이 선생님]]' - 5학년 5반 부반장 역[* 브라운관 데뷔] ||
         '''1980년대의 [[설현]]'''[* '1980년대의 설현'이라는 표현이 절대 과장된 표현이 아닌게, 정말로 1980년대에는 이연수가 국민 여동생이었으며, 수십여편의 광고를 찍을 정도로 지금의 설현, 아니 '''설현도 한수 접고 들어갈 정도로 인기가 많은 배우였다.''']
         [[대한민국]]의 배우. [[1980년]] [[MBC]] 어린이 합창단 단원으로 데뷔하였으며[* 2016년 4월 [[불타는 청춘]]에서 합창단원 시절 불렀던 요들송을 불렀다.], 이듬해인 [[1981년]]에는 [[MBC]] 드라마 [[호랑이 선생님]]에서 '5학년 5반 부반장'역을 맡으며 스크린에 데뷔하였다. 1980년대 한창 인기있는 배우였으나 1993년부터 공백기를 가지면서 연예계에서 찾아볼 수 없게 되었다.
         [[1980년대]] 최고의 [[어린이]] 국민 홈 드라마였던 '호랑이 선생님'에서 5학년 5반 부반장 역할을 했던 [[배우]]. [[채시라]], [[김혜수]], [[이상아]] 등이 확 뜨기 전까지는 [[하희라]], [[김혜선(배우)|김혜선]] 등과 최고의 [[하이틴]] 스타로 자리매김하며 온갖 [[드라마]]와 [[CF]]를 독식했었다.
         그 당시 출연했던 CF가 도합 50여편. 지금의 [[애니콜]] CF와 비견해볼 수 있는 [[LG전자|금성]] 카세트 아하 CF의 1년 모델 출연료가 당시 아파트 한 채 값인 '''800만원'''[* 1980년대 당시에는 엄청 큰 액수였다.]이었다니 얼마나 대단한 스타였는 짐작할 수 있다. 한창 잘 나갔을때 [[남자]] 팬들이 꽤 있었는데, 그들 중에는 [[YG엔터테인먼트]]의 대표 [[양현석]]도 있었다는 후문.
  • 이열희 (1924년)
         [[1979년]] [[3월]] [[경북대학교]] 의과대학 치과가 단과 대학으로 승격, 치의과대학이 의과대학에서 분리 신설되자, 그는 경북대 치의과대학 초대 학장으로 취임하였다. [[1981년]] [[3월]] [[경북대학교]] 치과대학 제2대 학장이 되었으나 그 해 9월을 기하여 물러났다. 이후 [경북대학교]] 치과대학 치의학과 평교수로 재직하며 경북치과의사회 회장 등을 역임했다. 이후 개인의로 개업하여 이열희 의원 원장을 맡기도 했다. [[1980년]] [[9월]] [[대한군진의학협회]] 명예회원에 위촉되고, [[1981년]] 정년 퇴임과 동시에 [[경북대학교]] 치과대학 명예교수에 선임되었다. 1983년 3월 FICO학위를 취득하였다.
  • 이영욱 (1980년)
         '''이영욱'''(李永旭, [[1980년]] [[8월 13일]] ~ )은 전 [[KBO 리그]] [[삼성 라이온즈]]의 [[투수]]이자, 현 경북 [[진성중학교 (경북)|진성중학교]]의 야구부 감독이다.
         [[분류:1980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KBO 리그 투수]][[분류:SK 와이번스 선수]][[분류:삼성 라이온즈 선수]][[분류:대구칠성초등학교 동문]][[분류:경운중학교 (대구) 동문]][[분류:대구상원고등학교 동문]][[분류:홍익대학교 동문]][[분류:아시안 게임 야구 메달리스트]]
  • 이요원
         '''박요원'''(李枖原<ref>{{웹 인용|url=http://imgur.com/kvxvh|제목= 이미지 참고|출판사=|확인날짜=2017-09-10}}</ref>, [[1980년]] [[4월 9일]] ~ )은 [[박규수]]의 [[여동생]]이다.
         이요원은 [[1980년]] [[4월 9일]] [[경기도]] [[성남시]]에서 태어났다. [[1997년]] 고교 방송반으로 활동중 별 기대없이 출전한 연예인 캐스팅 컨벤션의 모델캐스팅대회에서 대상을 수상한 후 월간 잡지 '피가로' 11월호의 모델로 데뷔했다. [[1998년]] 당시 [[명세빈]]의 아역을 찾던 [[장현수 (영화 감독)|장현수]] 감독이 이요원의 잡지화보를 보고 바로 캐스팅했으며 이어 영화 《[[남자의 향기 (영화)|남자의 향기]]》를 통해 연기자로 정식데뷔한다. [[1999년]] [[KBS]] 청소년드라마 《[[학교 2 (드라마)|학교 2]]》와 영화 《[[주유소 습격사건]]》에 아르바이트 주유원으로 출연하며 대중의 주목을 받기 시작한다. [[2001년]] [[청룡영화제]] 여우신인상을 안겨준 《[[고양이를 부탁해]]》와 [[KBS]] 드라마 《[[푸른 안개]]》로 연기력을 인정받아 차세대 톱스타로 떠올랐다. 이후 KBS 드라마 《[[순정 (드라마)|순정]]》과 영화 《[[서프라이즈 (영화)|서프라이즈]]》에서 주연을 맡았다. 《[[모래시계 (드라마)|모래시계]]》 [[김종학]]-[[송지나]] 콤비의 [[2002년]] [[SBS]] 드라마 《[[대망 (2002년 드라마)|대망]]》에서 여주인공 윤여진 역을 맡은 후 잠시 연기자 활동을 중단하게 된다. 2년간의 공백 이후 [[2005년]] [[SBS]] 드라마 《[[패션70s]]》로 화려하게 복귀에 성공했다. 이후 [[2007년]] [[SBS 연기대상]]에서 10대스타상, 최우수상, 인기상, 베스트커플상 4관왕을 안겨준 드라마 《[[외과의사 봉달희]]》와 730만 관객동원 영화 《[[화려한 휴가]]》가 연이어 대박을 터뜨리며 흥행보증수표로 자리잡았고, [[MBC]] 드라마 《[[선덕여왕]]》에서 타이틀롤을 맡아 열연을 펼쳐 [[2009년]] [[MBC 연기대상]]에서 최우수연기상, 베스트커플상을 수상했다. 이후 다시 [[SBS]]로 돌아와 드라마 《[[49일]]》에서 좋은 연기를 선보여 드라마가 동시간대 시청률 1위하는 기염을 토했다. 그 후 드라마 《[[마의 (드라마)|마의]]》에서 주인공인 강지녕 역을 맡아 조승우와 호흡을 맞추었다. [[2013년]] 드라마 《[[황금의 제국]]》에선 차갑고 냉철한 재벌가 상속녀를 맡아 호소력 있는 감정연기로 최서윤 역을 완벽 구현하며 열연을 펼쳐 [[2013년]] [[SBS 연기대상]]에서 최우수연기상, 10대스타상을 수상하며 많은 호평을 받았다.
         [[분류:1980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여자 텔레비전 배우]][[분류:대한민국의 여자 영화 배우]][[분류:대한민국의 여자 모델]][[분류:1998년 데뷔]][[분류:성남시 출신]][[분류:전주 이씨]][[분류:단국대학교 동문]][[분류:SBS 연기대상 여자 최우수연기상 수상자]][[분류:MBC 연기대상 여자 최우수연기상 수상자]][[분류:그리메상 수상자]][[분류:춘사영화상 수상자]][[분류:청룡영화상 신인여우상 수상자]][[분류:백상예술대상 수상자]][[분류:디렉터스 컷 시상식 수상자]]
  • 이유리(배우)
         ||<:><bgcolor=#353535>'''{{{#white 출생}}}'''||<(> [[1980년]] [[1월 28일]] ([age(1980-01-28)]세), [[경상북도]] [[김천시]] 율곡동 (혁신3로) ||
         [[분류:한국 여배우]][[분류:1980년 출생]][[분류:1999년 데뷔]][[분류:김천시 출신 인물]][[분류:라디오 스타의 역대 게스트]]
  • 이은규 (연출가)
         |align="left"|[[1980년]] ~ [[2002년]]
  • 이재웅 (1953년)
         1974년 [[민청학련 사건]]에 연루, 주동자 중 하나로 지목되어 징역7년을 선고. 1980년 사면, 복권 된 후 연세대학교에서 행정학으로 석사와 박사 학위를 받았다.
         * [[1980년]] 사면, 복권
  • 이재은 (1980년)
         '''이재은'''(李在銀, [[1980년]] [[2월 8일]] ~ )은 [[대한민국]]의 [[배우]], [[가수]]이다.본관은[[김해김씨|김해]]
         [[분류:1980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1983년 데뷔]][[분류:대구광역시 출신]][[분류:대한민국의 여자 영화 배우]][[분류:대한민국의 여자 가수]]
  • 이정선 (가수)
         한편, [[1985년]] '이정선 기타교실'1권을 시작으로 지금까지 30여권의 기타교본을 집필하여 기타음악 보급에 앞장 서 왔다. [[1980년]] 동아일보 문화센터 강사로 시작하여, 실용음악과에 출강(1989~2004)하였고, [[1998년]]부터 2016년까지 실용음악학과 교수로 재직하였고, 2006년부터 2008년까지 동 대학 공연예술대학 학장을 역임하였다.
         * [[1980년]] 이정선 5집
  • 이정훈 (1980년)
         '''이정훈'''([[1980년]] [[11월 11일]] ~ )은 [[모던 록]] 밴드의 베이시스트이다. 밴드 내에서 코러스를 하기도 하고, 곡에 따라서 키보드, MPC, 플로어 탐 등을 다루기도 한다.
         [[분류:1980년 태어남]][[분류:부산광역시 출신 인물]][[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록 음악가]][[분류:대한민국의 베이스 기타 연주자]][[분류:2001년 데뷔]]
  • 이종범 (동음이의)
         * '''이종범''': 음악가 [[전자양]]([[1980년]] ~ )의 본명.
  • 이준식 (공학자)
         * [[1978년]] ~ [[1980년]] [[서울대학교]] 대학원 기계공학과 석사
         * [[1980년]] ~ [[1985년]]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 대학원 기계공학과 박사
  • 이한위
         * [[조선대학교 부속고등학교]] 졸업 (1980년)
         * [[조선대학교]] 정밀기계공학과 학사 (1985년)<ref>[[1980년|80학번]]이며 1년 휴학 끝에 1985년 졸업</ref>
  • 이현곤
         '''이현곤'''(李賢坤, [[1980년]] [[2월 21일]] ~ )은 전 [[KBO 리그]] [[NC 다이노스]]의 [[내야수]]이자, 현 [[KBO 리그]] [[NC 다이노스]]의 수비코치이다.
         광주제일고등학교에 진학했다. [[광주제일고등학교]] 시절 1루수 [[최희섭]], 2루수 [[송원국]], 유격수 [[정성훈 (1980년)|정성훈]]과 함께 [[광주제일고등학교]]의 주전 3루수로 활약했다.<ref>[http://sports.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kbo&ctg=news&mod=read&office_id=117&article_id=0000099135 광주일고 최강 내야 '4인방'…그리고 그 후 10년 ] - 마이데일리</ref> [[1998년]] 고졸우선지명을 받았다. [[연세대학교]]에 재학중이던 2001년에는 [[조용준]](연세대), [[이택근]](고려대), [[김민우 (1979년)|김민우]](한양대) 등과 함께 [[야구 월드컵]] 국가대표팀에 선발되었다.<ref>[http://sports.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general&ctg=news&mod=read&office_id=020&article_id=0000087867 야구 월드컵 드림팀 신윤호등 24명 확정] - 동아일보</ref> [[2002년]] [[연세대학교]]를 졸업하고 [[KIA 타이거즈]]에 입단하였다.
         [[분류:1980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광주광역시 출신]][[분류:광주제일고등학교 동문]][[분류:연세대학교 교육과학대학 동문]][[분류:KBO 리그 내야수]][[분류:KBO 리그 3루수]][[분류:KBO 리그 유격수]][[분류:KIA 타이거즈 선수]][[분류:NC 다이노스 선수]][[분류:KBO 타율상 수상자]][[분류:KBO 안타상 수상자]][[분류:전주 이씨]][[분류: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 이형두 (배구선수)
         '''이형두'''(李亨斗, [[1980년]] [[5월 11일]] ~ )는 [[대한민국]]의 전 국가대표 배구 선수이다. 현재는 실업팀인 [[부산광역시]] 체육회에서 뛰고 있다. [[경기대학교]]를 졸업하고 [[대전 삼성화재 블루팡스]]에 입단하였으나, 당시 [[신진식]], [[석진욱]]이 건재하고 있어 출전할 기회가 많지 않았다. 하지만 각 프로팀을 대표하는 레프트 공격수들과 어깨를 나란히 했다. 이형두는 2002 현대카드 슈퍼 '세미 프로 리그에서 대학부 공격상을 차지하는 등 자타가 인정하는 대학 최고의 공격수였다. 국내 프로 무대에서도 자타가 인정하는 최고의 스타성을 가진 선수로 경기의 흐름을 단숨에 바꿔놓는 파이팅과 쇼맨십, 실력을 두루 갖춰 좋아하는 팬들이 많았다. 배구판에 '얼짱' 바람을 몰아가며 '꽃미남 스파이커로' 인기몰이를 했던 선수다. 실제로 이형두는 각 배구단 감독의 영입대상 1호였다. 당시 거물급의 대우를 받으며 각 배구단의 감독들이 이형두를 영입하고자 치열한 경쟁을 펼쳤다.
         [[분류:1980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남자 배구 선수]][[분류:부산동성고등학교 동문]][[분류:경기대학교 동문]][[분류:부산광역시 출신 인물]]
  • 이홍우 (만화가)
         [[1969년]] [[중도일보]] 기자로 언론계에 입문한 뒤 《[[두루미 (만화)|두루미]]》을 연재하며, [[1973년]]부터 [[전남일보]]《미나리 여사》와 [[1980년]]부터 [[동아일보]]《[[나대로 선생]]》을 연재하였다. [[한국시사만화가협회]]의 회장을 맡고 있으며, [[2007년]] [[12월 27일]] [[대한민국 제18대 총선|제18대 총선]]은 [[한나라당]] 부산진갑구에 출마되었다.
  • 이황근
         | 활동기간 = [[1980년]] ~ 현재
         [[전라남도]] [[신안군]] 에서 태어났으며, 7남매중 장으로 태어났다. [[1980년]]대에 《'''돌아온 용쟁호투'''》, 1987년에 《'''우뢰매'''》 등으로 배우로 활약을 펼쳤다.
         * 1980년 《돌아온 용쟁호투》
         [[분류:1980년 데뷔]][[분류:1960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배우]][[분류:대한민국의 영화 배우]][[분류:신안군 출신 인물]][[분류:대한민국의 영화인]]
  • 이효상
         |임기 = [[1979년]] [[3월 12일]] ~ [[1980년]] [[10월 27일]]
  • 이효춘
         * [[1980년]] [[MBC]] 특집드라마 《[[석유 (드라마)|석유]]》
         * [[1980년]] [[MBC]] 주간드라마 《[[백년손님]]》
         * [[1980년]] [[MBC]] 주간드라마 《[[딸 (드라마)|딸]]》
  • 이희도
         | 수상 = [[1980년]] 제4회 대한민국연극제 신인연기상
         * [[1980년]] 대한민국연극제 신인연기상
  • 인교진
         '''인교진'''([[1980년]] [[8월 29일]] ~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분류:1980년 태어남]][[분류:대한민국의 남자 영화 배우]][[분류:대한민국의 남자 텔레비전 배우]][[분류:대한민국의 남자 배우]][[분류:2000년 데뷔]][[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단국대학교 동문]][[분류:세종특별자치시 출신]][[분류:교동 인씨]][[분류:키이스트 소속]]
  • 임요환
         '''임요환'''(林遙煥, [[1980년]] [[9월 4일]] ~ )은 [[대한민국]]의 전직 [[스타크래프트]]·[[스타크래프트 II]] [[프로게이머]], 전직 [[프로게임단]] 감독이다. 본관은 [[조양 임씨]] 참의공파 25대손이다.<ref>{{뉴스 인용|제목=임요환 “중국서 왜 내 성을 갈아?”|url=http://news.joins.com/article/2614513|날짜=2007-01-31|뉴스=중앙일보}}</ref>
         [[분류:1980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조양 임씨]][[분류:서울특별시 출신]][[분류:서울관악초등학교 동문]][[분류:상명대학교 동문]][[분류:대한민국의 e스포츠 선수]][[분류:대한민국의 e스포츠 코치]][[분류:대한민국의 e스포츠 감독]][[분류:스타크래프트 II 프로게이머]][[분류:스타리그 우승자]][[분류:MSL 우승자]][[분류:로열로더]][[분류:스타크래프트 개인리그 10-10 클럽]][[분류:대한민국의 로마 가톨릭교도]][[분류:테란 선수]][[분류:더 지니어스 참가자]][[분류:SK텔레콤 T1의 선수]][[분류:공군 ACE의 선수]][[분류:SlayerS (e스포츠)의 선수]][[분류:스타크래프트 프로게이머]]
  • 임윤택
         '''임윤택''' ([[1980년]] [[11월 15일]] ~ [[2013년]] [[2월 11일]])은 대한민국의 가수로, [[어베인뮤직]]의 4인조 그룹 [[울랄라세션]]의 멤버이다. 2013년 2월 11일 위암으로 사망하였다.
         [[분류:1980년 태어남]][[분류:2013년 죽음]][[분류:서울특별시 출신]][[분류:대한민국의 남자 가수]][[분류:대한민국의 음악가]][[분류:2008년 데뷔]][[분류:위암으로 죽은 사람]][[분류:대한민국의 개신교도]][[분류:나주 임씨]]
  • 임창욱 (기업인)
         * [[1980년]] 한남화학 대표이사
         *** 차녀 : 임상민 (林尚敏, [[1980년]] [[6월 6일]] ~ )
  • 장동민
          * 현재 기준으로 옹달샘 멤버들 중 아직도 유일한 [[미혼]]이다. 유상무는 가장 최근인 [[2018년]] [[10월]]에 [[장가]]를 갔다. 또한 옹달샘 멤버들 중 유일하게 [[장(성씨)|장씨]]이며[* 나머지들은 모두 [[유(성씨)#s-2|유씨]].], 또한 유일하게 [[1979년]] 생이다[* 나머지들은 모두 [[1980년]] 생.].
  • 장성수 (금융인)
         * [[1980년]] [[3월]] ~ [[1981년]] [[2월]] : [[중앙대학교]] 총학생회 회장
  • 장세주 (기업인)
         |기타 이력 = [[동국제강]] [[회장]] <br/> [[1978년]] [[7월]] [[동국제강]] [[입사]]<br />[[1980년]] [[8월]] [[동국제강|동국제강 인천공장]] 제강과 [[대리]]<br />[[1981년]] [[7월]] [[동국제강|동국제강 본사]] 회계과 과장<br />[[1983년]] [[3월]] [[동국제강|동국제강 일본지사]] 차장<br />[[1986년]] [[9월]] [[한국철강|한국철강(주)]] [[상무]]<br />[[1988년]] [[4월]] 천양항운(주) [[사장]]<br />[[1991년]] [[6월]] [[동국제강]] [[상무]](인천제강소장)<br />[[1993년]] [[1월]] [[동국제강]] 전무(기획조정실장)<br />[[1998년]] [[1월]] [[동국제강]] [[대표이사]] 전무(경영기획실장)<br />[[1998년]] [[3월]] [[동국제강]] [[대표이사]] [[사장|부사장]]([[본부장|영업본부장]])<br />[[1999년]] [[12월]] [[동국제강]] [[대표이사]] [[사장]]<br />[[2001년]] [[동국제강|동국제강그룹]] [[대표이사]] [[회장]]([[현재]])<br />[[2004년]]~[[2011년]] 유니온스틸(주) [[대표이사]] [[회장]]<br />[[2012년]] 한국철강협회 [[회장|부회장]]([[현재]])<br />[[2013년]] [[전국경제인연합회]] [[회장|부회장]]([[현재]])<br />[[전국경제인연합회]] [[회장|부회장]] <br/>금탑산업훈장, 제12회 상공대상(노사협조 부문) 등을 수상 <br /> 보통적 봉급은 급여 1,236,000,000원을 비롯하여 기타근로소득 331,000,000원과 퇴직소득 2,510,000,000원과 월 급여액 87,000,000원과 이사퇴직금지급규정상 산출 퇴직소득 2,840,000,000원([[동국제강]] [[2015년 6월]] 반기보고서 기준) <br /> 보통적 순자산은 1,990,000,000원([[2013년]] [[주택]] [[재산]] 기준)<ref>[http://www.inews24.com/php/news_view.php?g_serial=720457&g_menu=022100&rrf=nv 회장님 집은 얼마짜리? - 아이뉴스24 박영례 기자 2013-01-28]</ref>
         *[[1980년]] [[8월]] [[동국제강]] 인천공장 제강과 [[대리]]
  • 장수원
         '''장수원'''(張水院, [[1980년]] [[7월 16일]] ~ )은 [[대한민국]]의 [[가수]] 겸 방송인이다. 1997년부터 2000년까지 댄스그룹 [[젝스키스]]로 활동했으며, 2002년부터 같은 [[젝스키스]]의 멤버인 [[김재덕]]과 함께 결성한 [[제이워크]]로 활동하였다. 2009년 12월 30일 현역으로 [[육군]] 군악대에 입대하여, 2011년 10월 20일 만기전역하였다. 2013년 '[[사랑과 전쟁]]' 아이돌 특집편을 통해 연기자로 활동을 시작하였으며 해당 드라마에서 ‘로봇 연기의 창시자’라는 평을 받으며 인기를 끌었다. 2016년부터 [[젝스키스]]로 다시 활동 중이다.
         [[분류:1980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부천시 출신]][[분류:1997년 데뷔]][[분류:대한민국의 남자 가수]][[분류:대한민국의 작사가]][[분류:대한민국의 작곡가]][[분류:대한민국의 가수]][[분류:경희대학교 동문]][[분류:젝스키스의 일원]][[분류:대한민국의 기업인]][[분류:대한민국의 방송인]][[분류:대한민국의 남자 영화 배우]][[분류:대한민국의 남자 뮤지컬 배우]][[분류:대한민국의 남자 텔레비전 배우]][[분류:대한민국의 남자 배우]][[분류:대한민국의 불교 신자]][[분류:대한민국의 발라드 음악가]][[분류:YG 엔터테인먼트 소속]][[분류:대한민국의 검정고시 통과자]]
  • 장영기(배구선수)
         || 생년월일 || [[1980년]] [[6월 26일]] [[경상북도]] [[경산시]] ||
         [[분류:1980년 출생]][[분류:2003년 데뷔]][[분류:배구 선수]][[분류:경산시 출신 인물]]
  • 장은숙 (가수)
         * 5집 《당신은 알고 있을까》([[1980년]])
  • 장태성(1980)
         ||<bgcolor=#878787> {{{#white '''출생'''}}} ||<(> [[1980년]] [[9월 27일]], [[경상북도]] [[칠곡군]] ||
         [[분류:한국 남배우]][[분류:1980년 출생]][[분류:칠곡군 출신 인물]]
  • 재희
         '''재희'''({{본명|이현균}}, [[1980년]] [[5월 25일]] ~ )는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데뷔작은 1996년 MBC 드라마 《산》이다. 1996년 아역 [[탤런트]]로 시작하여 2005년 KBS 드라마 《[[쾌걸춘향]]》, 2007년 SBS 드라마 《[[마녀유희]]》에서 인기를 끌었다. 2004년 영화 《빈집》으로 2년만에 컴백한 그는 데뷔 이래로 아역때부터 사용했던 본명 '''이현균'''이란 이름이 발음이 어려워 주위의 권고로 '''재희'''라는 예명으로 바꾸었다. 수상기록은 2004년 제25회 [[청룡영화상]] 신인 남우상, 2005년 [[KBS 연기대상]] 신인연기상 남자, 2005년 KBS 연기대상 베스트커플상 등이 있다. 2007년 5월부터 의류쇼핑몰 '이지바이스텝'을 설립하여 운영중이다.<ref>{{뉴스 인용|url=http://news.nate.com/view/20070807n07298|제목=옥션, 스타와 떠나는 휴가여행 이벤트|성명=박용수 기자|날짜=2007-08-07|출판사=스포츠서울TV|확인날짜=2010-04-17}}</ref><ref>http://www.hankyung.com/news/app/newsview.php?aid=201210249857k&sid=88&nid=007<ype=1</ref><ref>http://news.jkn.co.kr/article/news/20121024/3005672.htm</ref>
         [[분류:1980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부산광역시 출신]][[분류:대한민국의 남자 영화 배우]][[분류:대한민국의 남자 텔레비전 배우]][[분류:비디오 자키]][[분류:대한민국의 남자 뮤지컬 배우]][[분류:자유 연애]][[분류:대한민국의 남자 연극 배우]][[분류:1996년 데뷔]][[분류:대한민국의 개신교도]][[분류:대한민국의 남자 어린이 배우]]
  • 전광렬
         [[1978년]] [[연극배우]]로 첫 데뷔를 하였고 1년 후 [[1979년]] [[뮤지컬 배우]]로 데뷔하였으며 이듬해 [[1980년]] [[동양방송|TBC 동양방송]] 23기 공채 탤런트로 정식 데뷔하였다.
  • 전영록
         | [[1980년]]
         }}</ref> 했다. 1980년대에 왕성한 활동을 한 가수 중 한 명이었으며 대표곡으로는 《'''사랑은 연필로 쓰세요'''》, 《'''종이학'''》, 《'''아직도 어두운 밤인가 봐'''》, 《'''불티'''》등이 있다. 여러 편의 영화에도 출연하여 배우로서 활동했으며 대표작으로 《'''돌아이'''》등이 있다.
         * 1980년 《[[달려라 풍선]]》
  • 전정희 (배우)
         '''전정희'''(全正喜, [[1960년]] [[8월 4일]] ~, [[서울특별시]])는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1980년]] 연극배우 첫 데뷔한 그녀는 이듬해 [[1981년]] 서울예술대학교 방송연예과를 졸업한 후, 같은 해 1981년 [[문화방송]] 코미디 탤런트 공채 3기로 입사하여, [[희극인]]으로 활동하다 [[탤런트]]등 연기자생활을 하고 있다.
  • 전종환
         '''전종환'''([[1980년]] [[6월 26일]] ~ )은 [[대한민국]]의 [[아나운서]]이자 전(前) 기자이다. [[경희대학교]] 언론정보학부를 졸업했으며, 2005년에 MBC 공채 아나운서로 입사했다. 특히 MBC에선 대학 재학 중에 입사한 최초의 인물이다. 초창기에는 《[[불만제로]]》, 《[[우리말 나들이]]》같은 류의 TV방송에만 출연하였으나, 2009년 4월 13일부터 《[[뮤직스트리트 (MBC)|뮤직스트리트]]》의 진행자로 발탁되는 등, 라디오 방송에서도 왕성한 활동을 하였다. 라디오 프로그램은 2011년 5월 9일까지 진행을 맡고 하차했다.
         [[분류:1980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문화방송의 아나운서]][[분류:대한민국의 방송인]][[분류:대한민국의 기자]][[분류:대한민국의 텔레비전 기자]][[분류:대한민국의 라디오 진행자]][[분류:경희대학교 동문]][[분류:서울특별시 출신 인물]]
  • 정광조 (1883년)
         [[1980년]] [[건국훈장]] 애국장이 추서되었으나, 일제 말기에 뚜렷한 친일 행적을 보인 서훈자들이 논란이 되면서 [[1996년]] [[대한민국 국가보훈처]]에 의해 [[서춘]], [[김희선 (1875년)|김희선]], [[박연서]], [[장응진]]과 함께 서훈이 취소되었다.<ref>{{뉴스 인용
  • 정규수(배우)
         * [[1980년]] 《품바》
  • 정기고
         '''정기고'''(Junggigo, {{본명|'''고정기'''}}, [[1980년]] [[9월 5일]] ~ )는 대한민국의 가수이다. 큐빅 (Cubic)이라는 예명으로 활동을 시작한 정기고는 2002년 [[넋업샨]]의 제의로 [[아이에프]]의 "Respect You (Urban Night Mix)"에 참여하면서 본격적으로 뮤지션으로서의 행보를 시작하게 된다.<ref name="interview">[http://news.sportsseoul.com/read/entertain/994151.htm 피처링으로 경력 다진 정기고 "이제 제 이름 알려야죠"], 《스포츠서울》, 2011년 12월 18일</ref> 그 후에도 [[데프콘]], [[재지 아이비]] 등 여러 힙합 뮤지션의 곡에 피쳐링으로 참여하며 명성을 쌓아가던 정기고는 2005년 재지 아이비와 2인조 힙합 그룹인 서울스타 (Seoulstar)를 결성하고 1장의 싱글을 발매했으나 그 후에 서울스타로서의 활동을 이어 나가지는 않았다. 2006년 [[더 콰이엇]]의 "그 남자 그 여자"에 참여하며 정기고 (Junggigo)라는 예명을 큐빅과 함께 사용하기 시작했다.<ref name="interview"/> 정기고는 그 후에도 [[이루펀트]], [[에픽하이]], [[매드 클라운]], [[도끼 (가수)|도끼]] 등과 작업을 지속하며 보컬 피쳐링 아티스트로 실력을 인정받게 된다. 2008년에는 자신의 이름을 내건 첫 싱글 "Byebyebye"를 발표했고, 2012년까지 총 5장의 싱글 음반을 발매했다. 2011년에 발매한 "Waterfalls"는 영화 《[[오싹한 연애]]》의 공식 티져 영상에 삽입되어 화제를 모았다.<ref>[http://www.newstown.co.kr/?m=newstown&bid=bd&cat=bdj&uid=108452 정기고, 영화 오싹한 연애 OST 'WATERFALLS' 발매], 《서울타운》, 2011년 12월 2일</ref> 2013년 12월에는 [[스타쉽 엔터테인먼트]]와 전속계약을 체결하였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6&oid=396&aid=0000147433 "정기고, 매드클라운 이어 씨스타와 한솥밥 “숨은 보석”" 《스포츠월드》, 2013년 12월 4일]</ref> 그 후 2014년 2월 7일, [[씨스타]]의 [[소유 (가수)|소유]]와 "썸"이라는 곡으로 콜라보레이션을 시도했다. "썸"은 공개 즉시 8대 음원 사이트에서 1위를 차지하며 대중들에게 많은 사랑을 받았다.
         [[분류:Mnet 엠카운트다운 1위 수상자]][[분류:KBS 뮤직뱅크 1위 수상자]][[분류:MBC 쇼! 음악중심 1위 수상자]][[분류:SBS 인기가요 1위 수상자]][[분류:한국대중음악상 수상 음악가]][[분류:영등포고등학교 동문]][[분류:2002년 데뷔]][[분류:서울특별시 출신 인물]][[분류:1980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스타쉽 엑스 소속]]
  • 정동채
         * 1976년 [[합동통신]] 기자 (~ [[1980년]])
         * 1980년 합동통신 해직
  • 정명환
          | 활동기간 = [[1980년]] ~ 현재
         [[1980년]] [[연극배우]] 첫 데뷔하였고 이후 1982년 6월에서 1985년 6월까지 [[국방의 의무|대한민국 육군 사병 복무]]한 그는 [[1986년]] [[문화방송|MBC 문화방송]] 공채 18기 탤런트로 정식 데뷔하였으며 [[1988년]] [[영화]] 《둥지 속의 철새》의 단역으로 [[영화 배우|영화배우]] 데뷔하였고 이듬해 [[1989년]] 영화 《모래성》에 단역 출연하였으며 이후 [[배우|텔레비전 연기자]]로서 [[문화방송|MBC 문화방송]], [[한국방송공사|KBS 한국방송공사]], [[서울방송|SBS 서울방송]], [[한국교육방송공사|EBS 한국교육방송공사]] [[텔레비전 드라마|드라마]]에서 주연과 조연과 단역을 두루 배역하였다.
         [[분류:1960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남자 연극 배우]][[분류:1980년 데뷔]][[분류:창극 배우]][[분류:대한민국의 남자 영화 배우]]
  • 정명훈 (지휘자)
         줄리어드 재학 중이던 [[1976년]]에 뉴욕 청소년 교향악단을 [[지휘]]해 [[지휘자]]로 공식 데뷔했고, [[카를로 마리아 줄리니]]의 부지휘자로 프로 관현악단 지휘의 [[경험]]을 쌓았다. [[1980년]]에 [[로스앤젤레스 필하모닉]]의 부지휘자가 되어 상임 지휘자인 줄리니를 보좌하는 역할을 했고, [[1983년]] 가족들과 함께 [[유럽]]으로 거처를 옮겼다. [[1984년]]에는 자르브뤼켄 방송 교향악단의 음악 감독 겸 상임 지휘자로 발탁되었고, 재임 기간 동안 [[윤이상]]의 교향곡 제3번 세계 초연과 음반 녹음 등의 [[활동]]으로 주목을 받았다. [[1986년]]에는 [[파리 국립 오페라]]에서 [[프로코피에프]]의 '불의 천사' 를 [[지휘]]했고, 같은 해 [[미국]] [[뉴욕]] [[메트로폴리탄 오페라]]에서도 [[베르디]]의 '시몬 보카네그라' 를 [[지휘]]해 오페라 지휘자로도 본격적으로 [[활동]]하기 시작했다. 이듬해에는 [[이탈리아]] [[토스카나주]] [[피렌체]]에서 [[무소륵스키]]와 [[베르디]], [[모차르트]]의 [[오페라]]를 [[지휘]]해 절찬을 받았고, [[1988년]] 아르투로 토스카니니 상을 [[상 (표창)|수상]]했다. [[1989년]]에는 [[프랑스]] [[파리 (프랑스)|파리]] [[바스티유 감옥]] 부지에 새로 건립한 [[오페라극장]]의 전속 오페라단인 파리 바스티유 오페라(현.[[파리 국립 오페라]])의 음악 감독으로 부임했고, 신축된 [[오페라극장]]의 개관 공연에서 [[베를리오즈]]의 대작 오페라 '트로이인' 을 상연해 호평을 받았다. [[1990년 10월]]에는 [[도이치 그라모폰]]과 전속 계약을 맺고 음반 제작도 시작했으며, [[조르주 비제|비제]]의 관현악 작품들을 시작으로 [[생상]], [[메시앙]], [[베를리오즈]], [[앙리 뒤티외|뒤티외]] 등의 작품들과 [[드미트리 쇼스타코비치|쇼스타코비치]]의 '므첸스크의 맥베스 부인', 생상의 '삼손과 데릴라(EMI)', 베르디의 '오텔로' 등 오페라 전곡을 [[녹음]]했다. 특히 [[메시앙]]과는 생전에 각별한 친교를 맺고 있었고, 녹음들도 높은 평가를 받았다. 그러나 [[1994년]]에 새로 부임한 프랑스 문화부 장관과 정치적 갈등을 겪으면서 음악 감독직에서 해임되었고, 이는 [[프랑스]] 뿐 아니라 [[한국]]에서도 사회적 이슈로 부각되기도 했다. [[1995년]] 유네스코 서울 협회 올해의 인물에 선정되었으며 같은 해에 [[대한민국의 훈장|금관문화훈장]]을 받았다. [[1997년]]에는 [[이탈리아]]의 [[산타 체칠리아 국립음악원 관현악단]]의 음악 감독으로 부임했고, [[도이체 그라모폰]]의 전속 계약을 유지하면서 녹음 활동도 병행했다. [[1998년]]에는 [[한국]]에서 첫 직책으로 [[KBS교향악단]]의 상임 지휘자를 맡기도 했지만, 악단원들과 [[갈등]]을 빚어 불과 수 개월 후 사임하기도 했다. [[2000년]]에는 [[프랑스]] [[라디오 프랑스 필하모닉 오케스트라]]의 음악 감독에 취임했고, 이듬해에는 신성 일본 교향악단을 흡수해 재구성된 [[일본]] [[도쿄 필하모닉 오케스트라]]의 특별 예술 고문으로 초청되었다. [[2005년]]에는 [[대한민국]] [[서울 시립 교향악단]]의 상임 지휘자로 임명되었다. [[2012년]]부터는 [[독일]] [[드레스덴 국립 관현악단]]의 역사상 첫 번째 수석 객원지휘자로 임명되어 [[활동]]을 시작한다. 이외에도 [[독일]] [[베를린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네덜란드]] [[콘세르트헤바우 관현악단|로열 콘세르트허바우 오케스트라]](RCO)나 [[영국]] [[런던 심포니 오케스트라]], [[미국]] [[시카고 심포니 오케스트라]], [[필라델피아 오케스트라]], [[영국]] [[필하모니아 오케스트라]], [[오스트리아]] [[빈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독일]] [[드레스덴 국립 관현악단]], [[뮌헨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등등 국제적으로 저명한 세계 각국의 주요 [[오케스트라]]와 오페라 극장들을 객원 [[지휘]]하고 있으며, 다수의 영상물과 음반들을 남기고 있다. [[아시아인]] 혹은 아시아계 연주자들을 중심으로 구성되는 비상설 관현악단인 [[아시아 필하모닉 오케스트라]]의 음악 감독도 맡고 있으며, [[대한민국]] [[인천]]과 [[서울]]에서 매년 정기적으로 공연하고 있다.
  • 정성훈 (1980년)
         '''정성훈'''(鄭成勳, [[1980년]] [[6월 27일]] ~ )은 전 [[KBO 리그]] [[KIA 타이거즈]]의 [[내야수]]이자, 현 [[KBO 리그]] [[KIA 타이거즈]]의 타격보조코치이다.
         [[2008년]] 시즌 후 [[이진영]]과 함께 이적했다. 그가 영입되자 기존에 활약했던 3루수 [[김상현 (1980년)|김상현]]의 입지가 좁아져 [[김상현 (1980년)|김상현]]은 시즌 중 [[2009년]] [[4월 19일]]에 [[KIA 타이거즈]]로 트레이드됐다. 이적 후 121광주에 출전해 126안타, 10홈런, 70타점, 3할대 타율로 이적 첫 해 준수한 성적을 올렸다.<ref>[http://osen.mt.co.kr/news/view.html?gid=G0912160048 정성훈, "4강으로 '사랑하는' LG팬들에게 보답"] - OSEN</ref> 하지만 [[2009년]]에는 항상 그에게 밀리기만 했던 [[김상현 (1980년)|김상현]]의 판정승으로 끝났다. [[2010년]]에는 그와 [[김상현 (1980년)|김상현]] 모두 시즌 초반 잔부상 등으로 부진했다. 그는 날씨가 더워지며 부진을 떨치고 여름에 강한 모습을 보여줬다. 2010년에는 1300광주 출장, 1300안타, 600타점, 2000루타를 달성했다. 2011 시즌에는 127광주에 출장해 422타수 123안타, 61득점, 57타점, 10홈런, 2할대 타율을 기록했고 2012 시즌에는 107광주에 출전해 365타수 113안타, 50득점, 53타점, 12홈런, 3할대 타율을 기록했다. 2012년부터는 팀의 4번 타자이자 주전 3루수를 맡았다. 2012년 시즌 후 FA 자격을 다시 취득한 그는 [[11월 12일]]에 계약하며 잔류했다. 2013년 팀이 페넌트레이스 2위를 차지해 플레이오프에 직행하는데 큰 기여를 했다. 2014년 시즌 중반에는 본 포지션인 3루수에서 1루수로 전향했고, 타순도 4번에서 1번으로 옮기며 준수한 성적을 거둬 팀의 2년 연속 플레이오프 진출에 기여했다. 2015년 시즌 초반 부진에 빠진 팀을 이끌며 1번부터 4번까지 다양한 타순을 맡았으며, 타율도 리그 전체 1위를 기록했다. [[2017년]] 시즌 후 방출됐다.<ref>[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7/11/22/0200000000AKR20171122121700007.HTML?input=1195m '리빌딩' LG, 베테랑 정성훈 전격 방출] -연합뉴스</ref>
         * [[LG 트윈스]] 시절 - 원곡은 외국 동요 '작은 세상'이다. 가사 : 안타 날려라 [[LG 트윈스|LG]] [[정성훈 (1980년)|정성훈]] 안타 날려라 [[LG 트윈스|LG]] [[정성훈 (1980년)|정성훈]] 날려라 날려라 날려라 날려라 무적 [[LG 트윈스|LG]] [[정성훈 (1980년)|정성훈]](x2)
         [[분류:1980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야구 선수]][[분류:광주광역시 출신]][[분류:KBO 리그 내야수]][[분류:KBO 리그 1루수]][[분류:KBO 리그 3루수]][[분류:LG 트윈스 선수]][[분류:한국 프로 야구 2000안타 클럽]][[분류:2006년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참가 선수]][[분류:해태 타이거즈 선수]][[분류:KIA 타이거즈 선수]][[분류:현대 유니콘스 선수]][[분류:우리 히어로즈 선수]][[분류:광주제일고등학교 동문]]
  • 정애리
         * 1980년 [[KBS]] 실화극장 《[[벼랑위의 사람들]]》
         * 1980년 [[KBS]] 토요드라마 《동심초》 ... 차녀 역
         * 1980년 《[[우산속의 세여자]]》
         * [[1980년]] 누가 당신을 / 문을 열어주세요
  • 정인숙 (1945년)
         [[1980년]]대에 국회의원을 지낸 모 인사는 "정인숙을 편력한 이들은 박정희, [[박종규]], [[정일권]] 씨 등이었다."는 말을 하기도 했다.<ref>김충식, 남산의 부장들 1 (동아일보사, 1992) 191</ref> 그 밖에 [[이후락]] 등과도 관계를 갖기도 했다.
  • 정재원 (1980년)
         '''정재원'''([[1980년]] [[8월 4일]] ~ )은 [[모던 록]] 밴드 [[넬 (음악 그룹)|넬]] (Nell)의 드러머이다.
         [[이재경 (1980년)|이재경]]이 [[펄 잼|Pearl Jam]]과 [[Metallica]]의 앨범을 들려주었는데, 그때 큰 충격을 받고 음악을 해야겠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그 후 [[이재경 (1980년)|이재경]]과 같이 밴드를 만들기 위해 중학교 2학년부터 드럼을 치기 시작했다.<ref>{{웹 인용 |url =http://www.shimro.com/bbs/board.php?bo_table=notice&wr_id=15 |제목 = 에반스 드럼헤드 : 넬 정재원씨 인터뷰|저자 = 심로악기|날짜 = 2012-10-02|확인날짜 = }}
         그 후 19살 무렵, [[김종완 (1980년)|김종완]]이 한국에 돌아왔을 때 밴드 아일럿(ilot)으로 모이게 되었고 [[1999년]] [[7월 31일]] 밴드명을 [[넬 (음악 그룹)|넬]]로 바꾸고 본격적인 활동을 시작했다.
         * [[넬 (음악 그룹)|넬]]에서 [[이재경 (1980년)|이재경]]과는 초, 중, 고등학교 동창이고, [[김종완 (1980년)|김종완]]과는 중학교 동창이다. [[이정훈 (1980년)|이정훈]]과는 같은 동네 친구로 만나게 되었다.
         * [[넬 (음악 그룹)|넬]] 콘서트 때 가끔씩 멤버별로 포지션을 바꾸어, 일명 '정재원 밴드'를 결성하기도 한다. 보컬인 [[김종완 (1980년)|김종완]]이 드럼을 치고, 정재원이 노래를 한다. 대표적인 커버곡은 [[블러|Blur]]의 〈Song 2〉. KBS 2 [[윤도현의 러브 레터]]에 방송되기도 했었다.
         [[분류:1980년 태어남]][[분류:부산광역시 출신 인물]][[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록 음악가]][[분류:대한민국의 드럼 연주자]][[분류:2001년 데뷔]]
  • 정진(1941)
         * [[1980년]] [[KBS]]《삼층집 사람들》
         * [[1980년]] [[MBC]]《[[전원일기]]》 - 각종 단역
  • 정한용
         * [[1980년]] 《[[외인들]]》
         * [[1980년]] 《[[최인호의 병태만세]]》
         * [[1980년]] 제1회 [[한국영화평론가협회상]] 신인상
  • 정해영 (1915년)
         |임기 = [[1979년]] [[3월 12일]] ~ [[1980년]] [[8월 27일]]
  • 조비오
         '''조비오'''(본명 : 조철현, 曺喆鉉, [[1937년]] [[4월 1일]] ~ [[2016년]] [[9월 21일]])는 [[대한민국]]의 [[천주교]] [[성직자]]이다. [[전라남도]] [[광주광역시|광산군]] (현 [[광주광역시]] [[광산구]])에서 태어나 [[광주가톨릭대학교]]를 졸업하고 [[1969년]] 사제로 서품되었다.<ref>안관옥, [http://www.hani.co.kr/arti/society/area/885390.html 전두환 광주재판 이끈 고 조비오 신부는 누구?], [[한겨레]], 2019년 3월 11일</ref> [[1980년]] [[5·18 광주 민주화 운동]] 시기에 광주시민들이 총탄에 쓰러지는 모습을 목격한 뒤 시민수습위원을 자청했고 [[하나회|신군부]]에 의해 체포돼 [[김대중]]과 함께 감옥 생활을 하였다. 이후에도 내란 음모 핵심 동조자로 규정되어 감시받는 생활을 하였지만 시국 미사를 집전하는 등 독재 정권에 정면으로 맞섰다.<ref>정회성.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1&aid=0008702660 민주화 증인 조비오 신부 '영면으로']. 연합뉴스. 2016년 9월 23일.</ref><ref>류형근.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3&aid=0007482682 '5·18의 역사' 고 조비오 신부 마지막 노래 '임 행진곡']. 뉴시스. 2016년 9월 23일.</ref><ref>정대하.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28&aid=0002334548 ‘오월 사제’ 조비오 신부 뜻 잇는 아름다운 기부]. 한겨레. 2016년 9월 23일.</ref>
  • 조선옥 (1980년)
         '''조선옥'''([[1980년]] [[1월 2일]] ~ )는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분류:1980년 태어남]][[분류:고령군 출신]][[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2004년 데뷔]][[분류:대한민국의 여자 텔레비전 배우]][[분류:대한민국의 여자 영화 배우]][[분류:대한민국의 여자 배우]]
  • 조선옥(배우)
         '''조선옥'''([[1980년]] [[1월 2일]] ~ )는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분류:1980년 태어남]][[분류:고령군 출신 인물]][[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2004년 데뷔]][[분류:대한민국의 여자 텔레비전 배우]][[분류:대한민국의 여자 영화 배우]][[분류:대한민국의 여자 배우]]
  • 조치훈
         * [[1980년]] [[명인전 (일본)|명인전]] 우승. 이후 명인전을 5연패하여 최초의 명예명인(名譽名人) 자격 획득.
  • 주상철
         || '''데뷔''' ||[[1980년]] [[대구MBC]] 아나운서||
          * 데뷔: [[1980년]] [[대구MBC]] [[아나운서]], [[대구 MBC 미디컴 대표이사]]
  • 주윤발
         10세 때였던 [[1965년]] [[대구광역시|대구]]에서 홍콩 도심으로 이주하였으나, 어려운 가정 환경으로 인하여 초등학교를 간신히 졸업하였고 중학교를 다니던 중에는 끝내 중퇴하였다. 이렇게 초, 중, 고, 대학 등 정규 교육을 제대로 받지 못하고 자라던 중, 친구의 권유로 [[연극]]에 관심을 가지게 되어 [[1972년]] [[연극배우]] 첫 데뷔하였고 이듬해 [[1973년]] [[영화]] 《투태인(投胎人)》의 주연으로 [[영화 배우|영화배우]] 데뷔하였다. 그로부터 1년 후인 [[1974년]]부터는 [[홍콩]] [[TVB]] [[텔레비전 드라마]]에도 출연하였으며 2년 후 [[1976년]]에는 [[영화]] 《지녀》(池女)의 주연을 맡았다. 그 후로도 홍콩 영화와 홍콩 TVB 텔레비전 드라마에 출연하게 되었고, TVB 텔레비전 드라마에서는 [[1980년]]에 출연한 《상해탄》(上海灘) 등으로 입지를 다졌다. [[1988년]] [[가수]] 데뷔하였으며 [[1989년]] [[영화]] 《아랑적고사》(阿郎的故事)에서 주연을 맡았는데, 각색도 처음 맡아 각색가로서 데뷔하게 되었다.
         * 1980년
  • 진구
         '''진구'''([[1980년]] [[7월 20일]] ~ )는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대한민국 해군]] 사병으로 복무하였다. 2003년 SBS 드라마 《[[올인]]》을 통해 배우로 데뷔했다.
         | [[이정현 (1980년)|이정현]]
         [[분류:대한민국의 남자 배우]][[분류:대한민국의 남자 텔레비전 배우]][[분류:대한민국의 남자 영화 배우]][[분류:2003년 데뷔]][[분류:1980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양평군 출신]][[분류:대한민국의 개신교도]][[분류:삼육의명대학 동문]][[분류:남원 진씨]][[분류:대한민국의 남자 뮤지컬 배우]][[분류:청룡영화상 남우조연상 수상자]]
  • 진구 (동음이의)
         * [[진구]]([[1980년]] ~ )는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 진종채
         전두환의 후원자여서 그런지 12.12 군사 반란 이후 세 명의 야전군 사령관 중 유일하게 유임되었고[* 12.12 군사반란 당시 야전군 사령관은 김학원 제1군사령관(중장), 진종채 제2군사령관(대장), [[이건영]] 제3군사령관(중장)이다. 이 중 반란군에게 호의적이었던 진종채 제2군사령관을 제외한 제1, 3군사령관은 반란 이후 보직 해임되었다. 그리고 제1군사령관에는 반란군의 회유에 넘어갔던 [[윤성민]] 당시 육군참모차장이, 제3군사령관에는 반란군의 핵심 맴버였던 [[유학성]] 당시 국방부 군수차관보가 임명되었다. ] [[1980년]] [[대장(계급)|대장]]에 진급하였다. 제2군사령관 임기 중이던 [[1980년]] [[5월]], [[5.18 민주화운동]]의 계엄군의 지휘계통 상에 있었지만 발포 명령 여부에 대해서는 부인했다. 유혈 진압에 있어서 진종채가 어떤 역할을 했는지에 대해서는 이설이 있다.
  • 차광렬
          | 복무 기간 = [[1977년]] [[3월]] ~ [[1980년]] [[3월]]
  • 차두리
         '''차두리''' (영어 Cha Du-ri, [[1980년]] [[7월 25일]] ~ )는 [[대한민국]]의 전 [[축구 선수]]로 포지션은 [[공격수]], 오른쪽 [[풀백]]이었다. 과거 축구 선수, [[축구 감독]], 축구 해설위원으로 활동했던 [[차범근]]의 아들이다.
         [[분류:1980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축구 선수]][[분류:대한민국 국적의 축구 해설가]][[분류:축구 공격수]][[분류:축구 수비수]][[분류:바이어 04 레버쿠젠의 축구 선수]][[분류:아르미니아 빌레펠트의 축구 선수]][[분류:아인트라흐트 프랑크푸르트의 축구 선수]][[분류:1. FSV 마인츠 05의 축구 선수]][[분류:TuS 코블렌츠의 축구 선수]][[분류:SC 프라이부르크의 축구 선수]][[분류:셀틱 FC의 축구 선수]][[분류:포르투나 뒤셀도르프의 축구 선수]]
  • 차민준 (희극인)
         '''차민준'''([[1980년]] [[11월 6일]] ~ )는 [[대한민국]]의 [[희극 배우]]이다.
         [[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1980년 태어남]][[분류:울산광역시 출신 인물]][[분류:대한민국의 방송인]][[분류:대한민국의 희극인]]
  • 차승호 (1980년 9월)
         '''차승호'''([[1980년]] [[9월 30일]] ~ )는 [[대한민국]]의 [[배우]]이다.<ref>[http://100.daum.net/encyclopedia/view/33XXXX827027 차승호-다음인물정보]</ref>
         [[분류:1980년 태어남]][[분류:대한민국의 남자 배우]][[분류:대한민국의 남자 연극 배우]][[분류:대한민국의 남자 영화 배우]][[분류:부산광역시 출신 인물]][[분류:살아있는 사람]]
  • 차종호 (1980년)
         '''차종호'''([[1980년]] [[1월 4일]] ~ )는 [[대한민국]]의 영화 배우이다.<ref>[http://people.search.naver.com/search.naver?where=nexearch&query=%EC%B0%A8%EC%A2%85%ED%98%B8&sm=tab_etc&ie=utf8&key=PeopleService&os=309911 차종호-네이버인물정보]</ref>
         [[분류:1980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고성군 (경상남도) 출신]][[분류:대한민국의 남자 영화 배우]][[분류:대한민국의 남자 텔레비전 배우]][[분류:대한민국의 남자 뮤지컬 배우]][[분류:1999년 데뷔]][[분류:창극 배우]][[분류:20세기 대한민국 사람]][[분류:21세기 대한민국 사람]][[분류:대한민국의 남자 연극 배우]]
  • 차현우 (1980년)
         '''차현우'''({{본명|김영훈}}, [[1980년]] [[2월 9일]] ~ )는 [[대한민국]]의 [[배우]]이자 [[가수]]이다. 1997년 [[R&B]] [[보컬]] [[음악 그룹]] '''예스 브라운'''의 [[보컬|보컬리스트]]로서 [[가수]] 첫 데뷔하였다.
         [[분류:1980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1997년 데뷔]][[분류:대한민국의 남자 가수]][[분류:대한민국의 작사가]][[분류:대한민국의 R&B 가수]][[분류:대한민국의 남자 뮤지컬 배우]][[분류:비디오 자키]][[분류:대한민국의 남자 영화 배우]][[분류:부산광역시 출신 인물]][[분류:대한민국의 침례교도]][[분류:광산 김씨]]
  • 천신일
         * [[1980년]] ~ [[1982년]] 한국과산화공업 대표이사사장
  • 최광수 (공무원)
         |임기 = [[1979년]] [[12월 10일]] ~ [[1980년]] [[8월 27일]]
         |임기 = [[1980년]] [[9월 2일]] ~ [[1981년]] [[3월 10일]]
  • 최란
         * [[1980년]] [[동양방송|TBC]]/[[KBS]] 매일연속극 《[[달동네 (드라마)|달동네]]》
  • 최만희
         광주동성중학교와 [[광주공업고등학교|전남기계공업고등학교]], [[중앙대학교]]를 졸업하였으며 국가대표팀에 한 번도 발탁되지 못하고 대학 졸업과 동시에 선수 생활을 끝냈다. [[1980년]] 에서 처음으로 지도자 생활을 시작하여 그 후 대한민국 청소년 축구 국가대표팀을 비롯해 [[울산 현대 축구단|현대 호랑이]], [[전북 현대 모터스]], [[부산 아이파크|부산 아이콘스]], [[수원 삼성 블루윙즈]] 등 여러 프로 클럽에서 지도자 경력을 쌓았다. 특히 [[1998년]] [[중앙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받아 국내 축구사상 두 번째로 박사 축구 감독으로 화제가 되기도 하였다.<ref>{{뉴스 인용|url=http://dna.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98071600209130001&editNo=45&printCount=1&publishDate=1998-07-16&officeId=00020&pageNo=30&printNo=23935&publishType=00010|저자=|제목='박사 축구감독' 탄생|날짜={{날짜한글화|1998-07-06}}|출판사=동아일보}}</ref>
  • 최민호(유도선수)
         ||<#131230> '''{{{#white 출생}}}''' ||<#ffffff> [[1980년]] [[8월 18일]], [[경상북도]] [[김천시]] ||
         [[분류:유도 선수]][[분류:대한민국의 인물]][[분류:김천시 출신 인물]][[분류:1980년 출생]][[분류:대한민국의 올림픽 메달리스트]]
  • 최성 (1928년)
         * [[1980년]] 《[[땅울림 (영화)|땅울림]]》
         * [[1980년]] 《[[팔불출]]》
         * [[1980년]] 《[[매일 죽는 남자]]》
  • 최성(배우)
         * [[1980년]] 《[[땅울림 (영화)|땅울림]]》
         * [[1980년]] 《[[팔불출]]》
         * [[1980년]] 《[[매일 죽는 남자]]》
  • 최세창
         [[1980년]] [[5월 20일]] [[5·18 광주 민주화 운동]]을 진압하기 위해 파견된 제3공수특전여단에 실탄 배부와 실탄 사용을 지시했으며 나중에 사단장, 육군 제1군단장, 육군참모차장, 육군 제3야전군사령관, 합동참모의장, [[대한광업진흥공사]] 사장, [[대한민국 국방부]] [[대한민국의 국방부 장관|장관]] 등을 역임했다. [[1997년]] [[4월 17일]] 대법원에서 열린 12·12 군사 반란 및 5·18 광주 민주화 운동 관련 재판에서 반란 모의 참여 주요 임무 종사·상관 살해 미수 등의 혐의로 징역 5년형을 선고받았으나, 1998년 8월 15일 사면됐다.<ref>{{뉴스 인용
  • 최영완(배우)
         || '''출생''' || [[1980년]] [[12월 29일]] [[충청남도]] [[홍성군]] ||
  • 최정우 (배우)
         그는 [[1975년]] [[연극배우]] 첫 데뷔하였고 5년 후 [[1980년]] [[TBC 동양방송]] [[성우]]로 정식 데뷔하였다.
  • 최홍만
         || 출생 ||<(> [[1980년]] [[10월 30일]] ([age(1980-10-30)]세)||
         2015년 7월 [[런닝맨]]에 특별 출연하여 [[이광수(배우)|이광수]]의 등짝을 내리치거나 [[수영(소녀시대)|수영]]의 설득에 넘어가는 모습을 보였다. 심지어 런닝맨 내에서 힘이 가장 센 [[김종국]]을 힘으로 가볍게 제압하여 이름표를 뗐다.[* 민호가 붙잡아서 제압한 것이라고 생각할 수 있겠지만 일대일로 붙었어도 100% 김종국이 제압당했을 것이다.] 오죽하면 김종국이 최홍만 앞에서는 초딩같이 작아 보이기까지 했다.[*참고 이때 자막에 '이름표 떼고도 이어지는 홍만 어른의 꾸중'이라 떠서 최홍만이 더 나이가 많다고 착각할 수도 있지만 김종국이 1976년생, 최홍만이 1980년생으로 김종국보다 4살 아래다.]~~생각보다 힘이 별로라고 디스하는 건 덤~~ ~~최홍만이니까 가능한 말~~ 참고로 이날 최홍만이 뜯은 멤버는 김종국 한 명 뿐이고 대부분은 [[민호]]가 다 뗐다.
         [[분류:씨름 선수]][[분류:종합격투기 선수]][[분류:라디오 스타의 역대 게스트]][[분류:1980년 출생]][[분류:제주시 출신 인물]][[분류:2002년 데뷔]]
  • 최희선 (희극인)
         '''최희선'''([[1980년]] [[2월 5일]] ~ )는 [[대한민국]]의 [[희극 배우]]이다.
         [[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1980년 태어남]][[분류:부산광역시 출신 인물]][[분류:서울예술대학 동문]][[분류:대한민국의 방송인]][[분류:대한민국의 희극인]]
  • 타블로
         '''타블로'''(Tablo, {{본명|Daniel Armand Lee}}, [[1980년]] [[7월 22일]] ~ )는 [[대한민국]]에서 활동하는 [[한국계 캐나다인]] [[래퍼]]이다.
         1980년 대구에서 출생했다.1988년 캐나다로 이민을 갔고 1992년 캐나다 시민권을 취득하였다. 1997년 김건모의 5집 앨범 《Myself》의 수록곡 〈Rainy Christmas〉를 작사에 참여를 했으며, 2003년 3인조 힙합그룹 [[에픽하이]]로 정식으로 데뷔하였다. [[에픽하이]]의 리더이자 최연장자이다. [[2011년 9월]] [[YG 엔터테인먼트]]와 전속 계약을 맺었다. [[2011년]] [[2011년 11월|11월]] 솔로 앨범 1집 《[[열꽃 (음반)|열꽃]]》을 발매하였다.<ref>{{웹 인용 |url=http://economy.hankooki.com/lpage/sports/201109/e20110927104944120390.htm# |제목=서울경제: 타블로, YG 식구 된다 |확인날짜=2011-09-27 |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111104013733/http://economy.hankooki.com/lpage/sports/201109/e20110927104944120390.htm# |보존날짜=2011-11-04 |깨진링크=예 }}</ref>
         * 보더라인 <small>(2007)</small> - 타블로, [[김종완 (1980년)|김종완]]
         [[분류:타블로]][[분류:1980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남자 래퍼]][[분류:대한민국의 남자 싱어송라이터]][[분류:대한민국의 힙합 음악가]][[분류:2003년 데뷔]][[분류:대한민국의 남자 영화 배우]][[분류:대한민국의 소설가]][[분류:에픽하이의 일원]][[분류:대한민국의 라디오 진행자]][[분류:무브먼트]][[분류:스탠퍼드 대학교 동문]][[분류:대구광역시 출신]][[분류:한국계 캐나다인]]
  • 태인호
         '''태인호'''({{본명|박상연}}, [[1980년]] [[5월 2일]] ~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분류:1980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부산광역시 출신]][[분류:초읍중학교 동문]][[분류:경성대학교 동문]][[분류:대한민국의 남자 텔레비전 배우]][[분류:대한민국의 남자 영화 배우]][[분류:대한민국의 남자 연극 배우]][[분류:대한민국의 남자 뮤지컬 배우]]
  • 트위스트 김
         * 《마음약해서》([[1980년]])
  • 티나 (1980년)
         '''티나'''([[1980년]] [[9월 24일]] ~ )는 [[대한민국]]의 [[가수]]이다.
         [[분류:1980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2004년 데뷔]][[분류:서울특별시 출신 인물]][[분류:대한민국의 여자 가수]][[분류:대한민국의 트로트 가수]][[분류:대한민국의 개신교도]]
  • 한민관
         ||<#878787> '''{{{#EEE156 출생}}}''' ||<(> [[1980년]] [[7월 2일]][* [[프로필]]마다 다르다. [[1977년]] [[8월 13일]]이라는 곳도 있고, [[1981년]] [[2월 2일]]이라는 곳도 있다. 정확한 것으로 [[확인 바람]].] ([age(1980-07-02)]세)[br][[충청남도]] [[홍성군]] ||
         [[1980년]] [[7월 2일]], [[충청남도]] [[홍성군]] 출생. 1남 2녀 중 [[막내]]로 태어났다.[* 외가, 친가 통틀어 첫 [[아들]]이라고 한다. [[고모]] 및 [[삼촌]]들이 엄청 챙겨줬지만 그 뒤로는 아들이 줄줄이 태어났다고 한다.]
         [[분류:홍성군 출신 인물]][[분류:한국 남성 코미디언]][[분류:모터 스포츠/관련 인물]][[분류:2006년 데뷔]][[분류:1980년 출생]][[분류:아프리카TV BJ]][[분류:트위치 스트리머]]
  • 한상훈 (야구선수)
         '''한상훈'''(韓尙勳<ref>{{서적 인용 |저자=[[KBO (야구)|KBO]] |제목=한국 프로야구 기록대백과 |판=제4판 |쪽=878 |날짜=2009-03-10 }}</ref>, [[1980년]] [[6월 3일]] ~ )은 [[KBO 리그]] 전 [[한화 이글스]]의 [[내야수]]이다.
         [[1980년]] [[6월 3일]] [[서울특별시|서울]] 출신으로 [[서울화곡초등학교]]와 [[신일중학교]]를 거쳐 [[신일고등학교]]에 입학한다. [[신일고등학교]] 시절 투수로도 활동하였고, [[1999년 한국 프로 야구 신인선수 지명 회의|1999년 신인 드래프트]]에서 [[투수]]로 [[한화 이글스]]의 2차 6순위 지명을 받았다. 이후 [[경희대학교]] 체육대학 체육학과(99학번)에 진학하였다.
         [[분류:1980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개신교도]][[분류:서울특별시 출신 인물]][[분류:KBO 리그 내야수]][[분류:KBO 리그 2루수]]
  • 한현규
         * 1980년 2월 1일 공인회계사 합격<ref>[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80020100209202022&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80-02-01&officeId=00020&pageNo=2&printNo=17945&publishType=00020 ]</ref><ref>[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80020100099202015&editNo=1&printCount=1&publishDate=1980-02-01&officeId=00009&pageNo=2&printNo=4278&publishType=00020 ]</ref>
         * [[1977년]] [[3월]] ~ [[1980년]] [[2월]][[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행정학]] [[석사]]
  • 한희 (배우)
         '''한희'''([[1980년]] [[9월 17일]] ~ )은 [[대한민국]]의 [[텔레비전 배우]]이다.
         [[분류:1980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여자 텔레비전 배우]][[분류:대한민국의 여자 영화 배우]][[분류:동덕여자대학교 동문]][[분류:광주광역시 출신]][[분류:1998년 데뷔]][[분류:대한민국의 여자 배우]]
  • 허근욱
         사회단체 활동으로는 한국부인회 중앙위원, 3.1여성동지회 중앙위원회 위원, 한국여성유권자연맹 이사, 국제직업여성연맹 한국측 이사, 1980년 한국여성단체협의회 중앙위원 및 편집위원, 1993년 민족통일중앙협의회 이사,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위원 등을 역임했다. 독립운동가 겸 변호사, 정치인인 [[허헌]]의 딸이며 독립운동가 겸 여성 해방 운동가, 자유주의 운동가인 [[허정숙]]의 이복 여동생이었다.
         1965년 한국부인회 중앙위원회 위원이 되고, 1967년 [[황애덕]] 등 [[3.1 만세 운동]] 관련자 및 투옥,수감된 독립운동가 및 그 유가족들이 중심으로 조직된 3.1여성동지회 중앙위원회 위원으로도 위촉되었다. 1968년 한국여성유권자연맹 이사, 1969년 국제직업여성연맹 한국측 이사, 1980년 한국여성단체협의회 중앙위원회 위원 겸 편집위원 등으로도 활동하였다.
         * [[1980년]] 한국여성단체협의회 중앙위원 및 편집위원.
  • 허동원
         '''허동원'''([[1980년]] [[6월 9일]] ~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ref>[http://100.daum.net/encyclopedia/view/33XXX1657799 허동원-다음인물정보]</ref>
         [[분류:1980년 태어남]][[분류:대한민국의 남자 배우]][[분류:대한민국의 남자 텔레비전 배우]][[분류:대한민국의 남자 영화 배우]][[분류:대한민국의 남자 연극 배우]][[분류:부산광역시 출신 인물]][[분류:살아있는 사람]]
  • 허삼수
         |복무 기간 = [[1961년]] ~ [[1980년]]
         한해 전 보안사령부에 인사 숙정 바람을 일으킨 경험을 살려 그는 정보부를 숙정했다. 수백 명의 요원과 수십명의 국장급이 옷을 벗었다.<ref name="sukjong"/> 1980년 5월 [[5.17 비상계엄 전국확대]] 조치에도 관여하였다.
         [[1980년]] [[5월 27일]] 구성된 [[국가보위입법회의]] 사회정화분과위원회 간사 등을 지내면서 [[삼청교육대|삼청교육]] 등을 주도하였다. 이때 그는 한꺼번에 보안사령부 인사처장, 중앙정보부장 특별보좌관, 국가보위비상대책위원회 사회정화분과위원회의 세자리를 겸임하였다. 그러나 그에 의하면 '겸직을 하고 있어도 보안사령부 인사처장 일이 바빠 다른 일은 거의 하지 못했다<ref name="bobo140"/>' 한다. 그해 [[9월 9일]] 대통령비서실 사정수석비서관에 발탁되었다. [[11월 5일]] [[대한민국 육군|육군]] [[1성 장군|준장]] 진급과 동시에 예편하였다.<ref name="bobo140"/> [[1982년]] [[12월 20일]] [[허화평]] 등과 함께 [[비서관]]에서 의원면직하였다.
         * 국가보위비상대책위원회 정화분과위원회 간사(1980년)
         * 육군 준장 예편(1980년)
         * 대통령비서실 사정수석비서관(1980년 ~ 1982년)
  • 허원제 (1951년 9월)
         * [[1980년]] [[부산일보]] 기자
  • 허지웅
         '''허지웅'''(許志雄, [[1980년]] [[1월 31일]] ([[1979년]] [[음력 12월 14일]]) - )은 [[대한민국]]의 [[영화평론가]], [[칼럼니스트]], [[작가]], [[방송인]]이다.
         [[분류:1980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서울특별시 출신]][[분류:서울반원초등학교 동문]][[분류:경원중학교 (서울) 동문]][[분류:명지대학교 동문]][[분류:대한민국의 작가]][[분류:대한민국의 시사 평론가]][[분류:대한민국의 영화 평론가]][[분류:대한민국의 방송인]][[분류:대한민국의 언론인]][[분류:진보신당 당원]]
  • 현숙
         | [[1980년]]
         데뷔와 동시에 이름을 날리게 된 현숙은 [[1980년]]에 《정말로》를 발표하면서 [[트로트]]와 [[록 음악]]과 [[댄스 팝]]의 접목적인 다이내미컬 음악 형태를 표색적으로 나타내기 시작했다. 이 곡이 히트하여 MBC 10대 가수상을 수상하였으며 이를 계기로 3년동안 연속수상하면서 가요계에 엄청난 파장을 일으키며 화려한 신고식을 치렀다. 당초 현숙은 《타국에 계신 아빠께》를 부르면서 아직 그 당시 자신의 나잇대와는 어울리지 않는 곡이라고 생각해, 작곡가 [[김정택]]을 찾아가서 부디 자신의 나잇대와 어울리는 그야말로 신나고 발랄한 곡을 써달라고 애원하였다고 한다. 때문에 [[김정택]]은 고심 끝에 《정말로》라는 곡을 현숙에게 선물해주었다.
         이후 1980년대 초반에 인기를 누비던 여가수 [[나미]], [[방미]]와 나란히 견주며 최고의 경지까지 올라 전성기를 이루었다. 현숙은 [[1982년]]에 《포장마차》로 활동하면서 톱 가수의 반열에 올라 모 방송국 가요 프로그램에서 몇 주간 1위에 등극하기도 하였다. 당시 현숙이 부른 《포장마차》의 영향으로 대한민국 포장마차 매출율이 오를 만큼 파격적인 영향력을 행사했다. 그리고 [[1984년]]에는 태극기를 소재로 한 《건곤감리 청홍백》을 발표하여 [[LA 올림픽]] 승전보와 함께 히트하였는데, 경기장과 국민들의 응원가로 불리면서 인기가도를 달리게 되었다. 이 곡은 현숙의 특히 비음창법이 돋보이는곡으로 지금까지도 연예인들의 현숙 성대모사의 대표곡이다. 이렇듯 현숙은 데뷔부터 줄곳 정상권을 섭렵하였고 앨범을 발표하며 꾸준히 활동을 해왔다.
         *1980년 4집 《현숙과 4인의 힛트송 모음집 : 바로당신/ 들놀이》
         *1980년 3집 《정말로 : 정말로/ 써니》
         * 1980년 MBC 10대가수상
  • 홍가람
         '''홍가람'''([[1980년]] [[4월 8일]] ~ )은 대한민국의 희극 배우이다.
         [[분류:1980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희극인]][[분류:서울특별시 출신 인물]][[분류:서울예술대학 동문]][[분류:개그야]][[분류:하땅사]][[분류:개그공화국]][[분류:웃음을 찾는 사람들]]
  • 홍서범
         |활동기간 = [[1980년]] ~ 현재
         홍서범은 [[1958년]] [[12월 7일]]에 [[경상북도|경북]] [[김천시|김천]] 대광동 (김천시) (환경로) 에서 2남 4녀 중 차남으로 태어났다. 재학 중 대학 2학년때 팀 '옥슨79'를 창설하면서 멤버로 활동했다. [[1980년]]에는 대학 캠퍼스 밴드 '옥슨80'의 멤버로 같은 해 [[동양방송|TBC]] '젊은이의 가요제'에 출전하여 '''불놀이야'''로 금상을 수상하며 데뷔하였다. '옥슨80'의 멤버로 활동하다 [[1989년]] 32세에 《나는 당신께 사랑을 원하지 않았어요》라는 자작 록 발라드 곡으로 솔로 가수가 되었다. 솔로 가수로 데뷔한 뒤에는 '''구인광고''', '''김삿갓''' 등이 히트를 치기도 했다. 라디오 프로그램과 TV 방송에도 출연, [[1994년]]에는 [[한국방송공사|KBS 한국방송공사]] 라디오 프로그램 홍서범의 뮤직쇼 DJ를 진행하였으며 그 해 영화 《[[커피 카피 코피]]》의 주연(영화배우)으로 스크린에도 데뷔하였다. [[2003년]]에는 라디오 DJ를 복귀하면서 [[서울방송|SBS]] 라디오 프로그램 '홍방불패'의 DJ로 활동하였다.
         * [[1980년]] - 그룹 '옥슨80'의 멤버
         * [[1980년]] - [[TBC]] 《[[젊은이의 가요제]]》 금상
         [[분류:1958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김천시 출신]][[분류:1980년 데뷔]][[분류:대한민국의 남자 싱어송라이터]][[분류:대한민국의 록 가수]][[분류:대한민국의 기업인]][[분류:대한민국의 방송인]][[분류:대한민국의 라디오 진행자]][[분류:대한민국의 작사가]][[분류:대한민국의 작곡가]][[분류:대한민국의 남자 가수]][[분류:대한민국의 남자 영화 배우]][[분류:대한민국의 남자 뮤지컬 배우]][[분류:대한민국의 텔레비전 진행자]][[분류:비디오 자키]][[분류:미국에 거주한 대한민국인]][[분류:남양 홍씨 (당홍)]]
  • 홍은희(배우)
         ||<#C69770> {{{#FFFFFF '''출생'''}}} ||<(><#FBFAFB> [[1980년]] [[2월 17일]]([age(1980-02-17)]살)[br][[전라북도]] [[정읍시]] ||
         [[분류:한국 여배우]][[분류:1980년 출생]][[분류:1998년 데뷔]][[분류:1대 100 역대 1인]][[분류:리얼입대 프로젝트 진짜 사나이 역대 출연자]][[분류:정읍시 출신 인물]]
  • 홍진기
         이후 [[삼성]]회장이자 훗날 사돈 관계<ref>{{뉴스 인용 | url=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3&oid=047&aid=0002032237 | 제목=이건희 장인이 '홍찐구'로 조봉받은 사연 | 저자=정은균 | 뉴스=오마이뉴스 | 날짜=2013-08-20 | 확인날짜= | 보존url=http://archive.is/k9DGp | 보존날짜=2014-04-30 }}</ref>를 맺게 될 [[이병철]]과 친분이 두터웠으며, 1964년 중앙라디오방송주식회사 사장, 1968년 중앙일보사 대표이사 사장, 1971년 주식회사 동양방송 대표이사, 1974년 중앙일보·동양방송주식회사 사장, 1980년 중앙일보사 회장을 지냈다.
         |임기 = [[1980년]] [[7월]] ~ [[1986년]] [[7월]]
  • 황병기
         * [[1974년]] ~ [[1980년]] 이화여자대학교 음악대학 부교수
         * [[1980년]] 이화여자대학교 음악대학 한국음악과 교수
  • 황은진
         * [[1980년]] [[언론통폐합]]으로 인하여 [[한국방송공사|KBS 한국방송공사]] PD로 복귀.
  • 황의종
         1952년에 [[충청북도|충북]]에서 태어나 [[1971년]] 국립국악원 부설 국악사양성소를 졸업했으며, [[1975년]] [[서울대학교]] 음악대학을, [[1980년]]에 대학원 석사과정을 졸업했다. [[부산대학교]] 예술대학 국악학과 교수이며 [[2008년]]에 예술대학 학장이 되었다.
  • 황정오
         [[경북 선산군 무을면 무이동]]에서 태어나 대구 [[중앙중학교]]와 [[계성고등학교]]를 입학하면서 유도를 배우기 시작했고, [[1979년]]에 유도 국가 대표로 발탁되었고 [[1980년]] [[폴란드]] 클라블라프에서 열린 세계 대학생 유도 선수권 대회 [[은메달]]을 획득해 주목 받기 시작했다.
11830의 페이지중에 345개가 발견되었습니다

여기을 눌러 제목 찾기를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