팝업레이어 알림

팝업레이어 알림이 없습니다.
E D R , A S I H C RSS

"1979년"에 대한 역링크 찾기

1979년의 역링크


역링크만 찾기
검색 결과 문맥 보기
대소문자 구별
  • MC 스나이퍼
         [[분류:힙합 래퍼]] [[분류:1979년 출생]] [[분류:2002년 데뷔]][[분류:제천시 출신 인물]]
         || '''생년월일''' ||[[1979년]] [[2월 8일]]||
         본명 김정유. 1979년생. 충청북도 제천시 출생. 대한민국의 힙합 가수.
  • 강민철 (1979년)
         '''강민철''' (姜旼澈,[[1979년]] [[2월 18일]])은 NC 다이노스의 트레이닝 코치이다.
         [[분류:1979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부산광역시 출신 인물]][[분류:대광공업고등학교 동문]][[분류:동명대학교 동문]]
  • 강상욱 (국회의원)
         |임기 = [[1973년]] [[3월 12일]] ~ [[1979년]] [[3월 11일]]
  • 강성민 (1979년)
         '''강성민'''(康泰星, [[1979년]] [[7월 23일]] ~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1997년 [[KBS]] 프로그램《[[슈퍼 선데이]]》로 연기자 데뷔하였고 같은 해 1997년에서 이듬해 1998년까지 그룹 '[[Uno (음악 그룹)|Uno]]'의 멤버로 [[가수]] 활동을 한 적이 있다. 기존 이름이었던 강성민에서 강태성으로 개명하였다. 2019년 6월 15일 배우 출신 정아라와 결혼식을 올린다.
         [[분류:1979년 태어남]][[분류:신천 강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서울예술대학교 동문]][[분류:1990년대 가수]][[분류:1997년 데뷔]][[분류:한국어 가수]][[분류:아이돌 가수]][[분류:비디오 자키]][[분류:대한민국의 남자 영화 배우]][[분류:대한민국의 남자 텔레비전 배우]][[분류:대한민국의 남자 연극 배우]][[분류:대한민국의 남자 뮤지컬 배우]][[분류:대한민국의 텔레비전 진행자]][[분류:대한민국의 남자 가수]][[분류:남해군 출신]]
  • 강우제
         '''강우제'''([[1979년]] [[10월 30일]] ~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분류:1979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텔레비전 배우]][[분류:대한민국의 영화 배우]][[분류:서울특별시 출신 인물]]
  • 강인원 (가수)
         | 활동시기 = [[1979년]] ~ 현재
         [[서울특별시|서울]] 출생으로 [[배재고등학교|서울 배재고등학교]]를 졸업하고 [[1979년]]에 프로젝트 [[포크송|포크 팝]] [[보컬]] [[음악 그룹]] "따로 또 같이"의 [[보컬|보컬리스트]] 겸 [[기타|기타리스트]]로 데뷔하여 음악 활동을 시작하였으며, [[1984년]] 《우리노래전시회》라는 프로젝트 옴니버스 앨범에 [[최성원]]이 작사, 작곡을 한 《매일 그대와》라는 곡으로 참여하여 솔로 가수 데뷔하였다. 이 곡은 1년 후인 [[1985년]]에 [[최성원]]이 활동한 포크 록 밴드 [[들국화 (음악 그룹)|들국화]]도 리메이크하였고 이 또한 공전의 히트를 거두었다. [[1985년]]에 자신의 자작곡인 《제가 먼저 사랑할래요》라는 노래로 본격 솔로 가수 활동을 하였다. [[1986년]] 《영어 선생님》을 발표했고 [[1987년]]부터 [[민해경]]의 히트곡 《그대는 인형처럼 웃고 있지만》, 《그대 모습은 장미》, 《존대말을 써야 할지 반말로 얘기해야 할지》, 《사랑은 세상의 반》, 《성숙》 등 다수의 히트곡을 발표하여 싱어송라이터로 유명해졌으며 [[1988년]]부터 [[1990년]]까지 코리아 뮤직 제작실장을, [[1990년]]부터 [[1999년]]까지 코리아 뮤직 이사장을 역임했고, [[1989년]]에 개봉한 영화 《비 오는 날의 수채화》의 음악을 담당하였으며, 같은 제목의 주제곡을 [[권인하]], [[김현식]]과 함께 불렀다. [[1992년]]부터 《금잔화》, 《모래 위의 욕망》, 《바람의 아들》 등의 드라마 음악가로 활동, [[1999년]]부터 [[2000년]]까지 숭실음악학원(콘서바토리) 교회음악학과에서 전임강사로 전공 실기 특강을 하였으며, [[2000년]] 3월부터 [[2004년]] 3월까지 [[주성대학교|주성대학]] 실용음악학과 전임교수를 역임하였다.
  • 강주형 (배우)
         '''강주형'''([[1979년]] [[8월 7일]] [[서울특별시]] ~ )은 [[대한민국]]의 [[배우|연기자]]이다. [[1996년]] EBS 드라마 [[감성세대]]로 첫 데뷔하였다.
         [[분류:대한민국의 텔레비전 배우]][[분류:1979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1996년 데뷔]][[분류:서울특별시 출신 인물]]
  • 강지우 (1979년)
         '''강지우'''(본명 : '''강용석''', [[1979년]] [[1월 20일]] ~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분류:1979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서울특별시 출신]][[분류:대한민국의 남자 텔레비전 배우]][[분류:1996년 데뷔]][[분류:대한민국의 남자 연극 배우]][[분류:대한민국의 남자 배우]][[분류:세종대학교 동문]][[분류:대한민국의 남자 영화 배우]][[분류:대한민국의 남자 뮤지컬 배우]]
  • 강타
         '''강타'''({{본명|안칠현 (安七炫)}}, [[1979년]] [[10월 10일]] ~ )는 [[대한민국]]의 [[싱어송라이터]] 겸 방송인이다. [[보이 그룹]] [[H.O.T.]]의 메인보컬이었으며 [[SM 엔터테인먼트]]의 미등기 임원(이사)이기도하다.
         * [[이지훈 (1979년)|이지훈]], [[신혜성]]과는 데뷔 초부터 친하게 지냈으며 이후 그룹 [[S (음악 그룹) |S]]라는 프로젝트 그룹으로 활동한다.
         * 그의 실제 출생일은 [[1979년]] [[11월 29일]]([[음력 10월 10일]])이지만, 호적에 등록된 그의 출생날짜는 [[1980년]] [[11월 29일]]이다. 이는 그의 부모님이 출생신고를 1년 늦게 해서 생긴 일이라고 한다.
         [[분류:강타]][[분류:H.O.T.의 일원]][[분류:SM 엔터테인먼트 소속]][[분류:골든디스크 본상 수상 음악가]][[분류:1996년 데뷔]][[분류:대한민국의 작사가]][[분류:대한민국의 작곡가]][[분류:대한민국의 남자 가수]][[분류:대한민국의 가수]][[분류:대한민국의 방송인]][[분류:대한민국의 텔레비전 진행자]][[분류:대한민국의 라디오 진행자]][[분류:순흥 안씨]][[분류:대한민국의 남자 싱어송라이터]][[분류:SBS 인기가요 뮤티즌송 수상자]][[분류:SBS 인기가요 1위 수상자]][[분류:1979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광주시 (경기도) 출신]][[분류:대한민국의 발라드 음악가]]
  • 강태성(배우)
         ||<#151B54> '''{{{#ffffff 출생}}}''' ||<(> [[1979년]] [[7월 23일]]([age(1979-07-23)]세) [[경상남도]] [[남해군]] ||
         [[분류:한국 남배우]][[분류:1979년 출생]][[분류:1997년 데뷔]][[분류:남해군 출신 인물]]
  • 강호동(1970)
         아내인 이효진과는 나이차가 큰 편이다. 강호동은 [[1970년]] 생이고, 이효진은 [[1979년]] 생이다. 9살 차이. 그런데 [[유재석]]도 똑같이 [[아내]]인 [[나경은]]과 9살 차이가 난다. 유재석은 [[1972년]] 생, 나경은은 [[1981년]] 생. --역시 이 둘은 공통점이 한두가지가 아니다??-- [[신서유기]]2에서 [[본인]]이 밝힌 바에 따르면 '''지금의 아내분은 유재석과 2:2 소개팅 도중 만난 상대라고 한다(!)'''[* 당시 유재석과 둘이 자주 놀러다녔다고 한다. 강호동이 타인과 사적으로 연락처를 거의 주고받지 않던 시절임을 생각하면 둘이 상당한 절친임을 알 수 있다. 2005년과 2006년에 2년 연속으로 당시 [[정선희]]가 진행하던 [[정오의 희망곡]] 신년특집 게스트로 출연했는데 거기서 풀어놓은 썰만 봐도 둘이 상당히 붙어다녔음을 알 수 있다. 강호동이 수상스키 타는데도 유재석을 데리고 다니고 언론 인터뷰 자리에도 데리고 다니고 아침에 영덕 대게 삶아놨으니 유재석에게 집에 와서 아침 먹으라고 부르기도 하고....] 아내분을 보고 첫눈에 이 사람은 가정을 같이 꾸릴 반려자라는 생각이 들었고, 유재석이 이를 눈치채고 두 사람을 엮어주기 위해 바람을 잡아줬다고 한다. ~~강호동 왈 "재석이가 바람잡는데 누가 빠져나가!"~~ --그리고 나경은과 결혼한 걸로 봐서 정작 본인의 소개팅 상대와는 잘 안된 듯(...) 2대 2에서 바람잡고 있는데 잘 되는 게 더 신기한 거 아닌가-- 그러면서 자기는 윤종신과 전미라사이에서 바람 잡이로 둘을 결혼에 골인 시켰다.
  • 고가령
         '''고가령'''([[1979년]] [[8월 31일]] ~ )은 [[대한민국]]의 [[여자|여성]] [[배우]]이다.
         [[분류:1979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여자 영화 배우]][[분류:서울특별시 출신]][[분류:대한민국의 여자 배우]][[분류:대한민국의 여자 연극 배우]][[분류:대한민국의 여자 어린이 배우]][[분류:1995년 데뷔]][[분류:대한민국의 여자 텔레비전 배우]][[분류:대한민국의 영화 분장사]][[분류:중앙대학교 동문]][[분류:추계예술대학교 동문]][[분류:대한민국의 불교 신자]]
  • 고건
         대학 재학 중 1959년 서울대 총학생회장을 지냈으며, [[서울대학교|서울대]]를 졸업하고 [[1961년]] 제13회 [[행정고시|고등고시 행정과]]에 합격하였다. 고시에 합격한 아들에게 아버지 [[고형곤]]은 공무원으로 지켜야 할 3계명을 줬다. "줄서지 마라, 돈받지 마라, 술 잘 먹는다는 소문을 내지 마라."이다.<ref name="ds11">http://newsmaker.khan.co.kr/khnm.html?mode=view&code=113&artid=13271&pt=nv</ref> 후일 고건은 [[경향신문]]과의 인터뷰에서 "아버님의 말씀대로 살려고 노력했다. 그러나 술은 어쩔 수 없었다."고 회상했다.<ref name="ds11"/> 지방행정사무관에 임용된 뒤 1962년 내무부 수습사무관, 이후 여러 보직을 거쳐 1965년 내무부 행정과 기획계장, 1968년 서기관으로 승진, [[전라북도청]] 식산국장과 내무국장을 거쳐, 1971년부터 1973년까지 [[대한민국 내무부|내무부]] 지방국 지역개발담당관, 새마을담당관 등을 지냈다. 행정관리관으로 승진, 1973년 [[강원도 (남)|강원도]] 부지사, 내무부 지방국장, 1975년 [[전라남도지사|전남지사]]를 거쳐 1979년 대통령 정무제2수석비서관, 정무수석비서관을 지냈다.
         한편 격동의 순간마다 잠적하여 위기를 모면했다는 의혹이 있다. 고건은 [[1979년]] [[10월]] 박정희 대통령 피습 서거 당시 3일 간 모습을 나타내지 않았고<ref name="ds11"/>, 1980년 [[5월]] 5·17 비상계엄확대 조치 당시 청와대 정무수석으로 1주일 간 잠적했다는 의혹을 받아왔다. 특히 이 부분은 2003년 2월 국무총리 인사청문회에서 집중적으로 의혹이 부각됐다. 그 의혹의 제기의 속내는 “당시 국가위기 때 처신은 국가지도자에 어울리지 않는다.<ref name="ds11"/>”는 것이다.
         |임기 = [[1975년]] [[11월 13일]] ~ [[1979년]] [[1월 9일]]
  • 고민정
         '''고민정'''(高旼廷, [[1979년]] [[10월 13일]] ([[음력 8월 23일]]) ~ )은 [[대한민국]]의 별정직공무원, 전 아나운서이다.
         [[분류:1979년 태어남]][[분류:서울중마초등학교 동문]][[분류:서울특별시 출신]][[분류:제주 고씨]][[분류:수내중학교 동문]][[분류:분당고등학교 동문]][[분류:중국에 거주한 대한민국인]][[분류:경희대학교 동문]][[분류:칭다오 대학 동문]][[분류:한국방송공사의 아나운서]][[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프리랜서 아나운서]][[분류:대한민국의 텔레비전 진행자]][[분류:대한민국의 라디오 진행자]][[분류:대한민국의 여자 대변인]][[분류:대한민국의 별정직공무원]][[분류:친문]][[분류:살인당 당원]][[분류:이영학 정부]]
  • 고정일
         '''고정일'''(본명 : '''고승후''', [[1979년]] [[4월 12일]] ~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다.<ref>[http://100.daum.net/encyclopedia/view/33XXXXX68826 고정일-다음인물정보]{{깨진 링크|url=http://100.daum.net/encyclopedia/view/33XXXXX68826 }}</ref>
         [[분류:1979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영화 배우]][[분류:대한민국의 텔레비전 배우]][[분류:서울특별시 출신]][[분류:고려대학교 동문]][[분류:대종상 수상자]][[분류:청룡영화상 수상자]][[분류:춘사영화상 수상자]]
  • 고정일 (배우)
         '''고정일'''(본명 : '''고승후''', [[1979년]] [[4월 12일]] ~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다.<ref>[http://100.daum.net/encyclopedia/view/33XXXXX68826 고정일-다음인물정보]</ref>
         [[분류:1979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영화 배우]][[분류:대한민국의 텔레비전 배우]][[분류:서울특별시 출신 인물]][[분류:고려대학교 동문]][[분류:대종상 수상자]][[분류:청룡영화상 수상자]][[분류:춘사영화상 수상자]]
  • 고흥문
         * 1973년 ~ 1979년 : 제9대 국회의원 (신민당)
         * 1979년 ~ 1980년 : 제10대 국회의원 (신민당)
         * 1979년 : 국회부의장
         |임기 = [[1979년]] [[3월 17일]] ~ [[1979년]] [[12월 17일]]
         |임기 = [[1973년]] [[3월 12일]] ~ [[1979년]] [[3월 11일]]
         |임기 = [[1979년]] [[3월 12일]] ~ [[1980년]] [[8월 27일]]
  • 공유 (배우)
         '''공유'''({{본명|공지철}}, [[1979년]] [[7월 10일]] ~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분류:1979년 태어남]]
  • 곽상훈 (국회의원)
         정치생활을 하는 동안 뇌물수수와 부패행위를 하지 않았고, 직위를 구하는 엽관운동도 하지 않는 등의 처신을 보였다. [[1979년]] 정계를 은퇴하였다.
         [[1979년]] [[10월]] [[10·26 사태]] 이후 [[통일주체국민회의]] 운영위원장 재직 당시인 [[1980년]] [[1월 19일]] [[서울특별시]] 도봉구 우이동 118의 7 자택에서 노환으로 별세하였다. [[대한민국 정부]]는 그의 장례를 [[사회장]](社會葬)으로 치렀고, [[서울특별시]] 동작동 국립묘지에 안치되었다.<ref name="동아"/> 상훈으로는 [[1969년]]에 [[국민훈장]] 무궁화장을 수여 받았다.
  • 구성애
          | 활동 기간 = [[1979년]] ~ 현재
         1979년 졸업과 동시에 그녀는 [[부산광역시|부산]] [[일신기독병원]]에서 [[조산원]]이 되는 훈련을 받는다. 서울보다 비교적 의료 조건이 열악한 농촌 여성의 출산을 돕기 위한 목적이었다. 여기서 그녀는 "누군가를 위해 보탬이 되도록 산다"는 인생철학을 배웠다고 한다.<ref>구성애, 〈젊은 날의 선택 - '남에게 보탬되도록 살자'〉, 《[[시사저널]]》, 1998년 10월 29일, p90</ref>
  • 권상하
         사망 직후 [[1721년]] [[노론]]의 영수로 지목되어 [[소론]] 신치운(申致雲)의 상소로 관작이 삭탈되었다가 [[1724년]] [[영조]] 즉위 후 복관되고 치제(致祭)하도록 하였으며, 그해 시장(諡狀)을 심의하지 않고 바로 문순(文純)의 시호를 내렸다. [[1979년]] 그의 저서 《한수재집》이 양장으로 영인, 간행되었다.
  • 권성민
         '''권성민'''([[1979년]] [[9월 10일]] ~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다.<ref>[http://100.daum.net/encyclopedia/view/33XXXX218107 권성민-다음인물정보]</ref>
         [[분류:1979년 태어남]][[분류:대한민국의 남자 배우]][[분류:대한민국의 남자 영화 배우]][[분류:대한민국의 남자 텔레비전 배우]][[분류:대한민국의 남자 연극 배우]][[분류:서울특별시 출신]][[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개신교도]]
  • 권성민 (1979년)
         '''권성민'''([[1979년]] [[9월 10일]] ~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ref>[http://100.daum.net/encyclopedia/view/33XXXX218107 권성민-다음인물정보]</ref>
         [[분류:1979년 태어남]][[분류:대한민국의 남자 배우]][[분류:대한민국의 남자 영화 배우]][[분류:대한민국의 남자 텔레비전 배우]][[분류:대한민국의 남자 연극 배우]][[분류:서울특별시 출신 인물]][[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개신교도]]
  • 권영수
         * [[1975년]] ~ [[1979년]] [[서울대학교]] [[경영학과]]
         * [[1979년]] ~ [[1981년]] [[KAIST]] [[대학원]] [[산업공학]]
         * [[1979년]] 1월 : 금성사(현 [[LG전자]]) 입사
  • 권영수 (1957년)
         * [[1975년]] ~ [[1979년]] [[서울대학교]] [[경영학과]]
         * [[1979년]] ~ [[1981년]] [[KAIST]] [[대학원]] [[산업공학]]
         * [[1979년]] 1월 : 금성사(현 [[LG전자]]) 입사
  • 권오원
         '''권오원'''(權五元<ref>한국야구위원회, 2012 가이드북</ref>, [[1979년]] [[8월 16일]] ~ )은 전 [[KBO 리그]] [[삼성 라이온즈]]의 [[투수]]이자, 현 [[KBO 리그]] [[삼성 라이온즈]]의 트레이닝 코치이다.
         [[분류:KBO 리그 투수]][[분류:동아대학교 동문]][[분류:부산상업고등학교 동문]][[분류:사직중학교 동문]][[분류:연천초등학교 (부산) 동문]][[분류:부산광역시 출신 인물]][[분류:1979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안동 권씨]][[분류:삼성 라이온즈 선수]]
  • 금보라
         [[분류:당진시 출신 인물]][[분류:한국 여배우]][[분류:1대 100 역대 1인]][[분류:1961년 출생]][[분류:1979년 데뷔]]
         || '''데뷔''' ||<(> [[1979년]] 영화 《밤이면 내리는 비》 ||
          골드퍼플, 본명은 손미자. 1962년 1월 7일, 충청남도 당진시에서 가구제조업을 하는 손철씨와 가정주부인 최선분씨 슬하 3남 2녀중 둘째(장녀)로 태어났다. [[1979년]] 영화 <밤이면 내리는 비>에서 조연으로 데뷔[* 당시 겨우 19세였다.]했다. 이듬해인 1980년 영화 <물보라>[* 종래에는 위의 데뷔 부분에 이 영화가 기재되어 있었는데, 방송 프로그램 출연이나 인터뷰 때에 금보라 본인이 곧잘 <물보라>를 데뷔작으로 지칭하기에 충분히 그렇게 생각할 만 했다.]에서 주연을 맡았는데, 이 영화로 제19회 [[대종상]] 신인여우상을 수상하는 등 본격적인 배우의 길을 걷게 된다. 더불어 이 때를 계기로 <물보라>에서 '보라'를 따온 뒤, 보라에 잘 어울릴 성씨로 '금'을 골라 예명으로 삼으며 현재 우리가 아는 금보라로 활동하게 된다.
  • 금잔디
         가수 금잔디([[본명]] 박수연, [[1979년]] [[5월 15일]] ~ ) 은 [[대한민국]]의 [[트로트]] 가수다. 소속사는 올라엔터테인먼트. [[강원도]] [[홍천군]] 출신이다.
         [[분류:동명이인/ㄱ]][[분류:트로트]][[분류:한국 여가수]][[분류:1979년 출생]][[분류:2000년 데뷔]][[분류:홍천군 출신 인물]]
  • 길건
         '''길건'''([[1979년]] [[4월 19일]] ~ )은 [[대한민국]]의 [[가수]]이다.
         [[분류:1979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여자 가수]][[분류:2004년 데뷔]][[분류:대한민국의 댄스 음악가]][[분류:대한민국의 개신교도]][[분류:칠곡군 출신]]
  • 김강근
         |출생일 = 1979년 8월 28일
         '''김강근'''(金江根, [[1979년]] [[8월 28일]] ~ )은 [[대한민국]]의 [[바둑 기사]]이다.
         [[분류:대한민국의 바둑 기사]][[분류:1979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충청북도 출신 인물]][[분류:주성중학교 동문]]
  • 김광석(1964년 1월)
         [[중학교]] 때부터 [[바이올린]], 오보에, 플루트 등의 다양한 악기를 배우며 악보 보는 법을 익히며 [[1979년]] [[대광고등학교]]에 입학해서는 합창단에서 활동하기도 한다. 1992년 6월 13일, 충남 예산에서 책마당 운영기금 마련을 위한 초청공연에서 안치환과 함께 나와 노래 부르는 유튜브 영상들이 있는데 안치환이 '마른 잎 다시 살아나'를 부를 때 김광석은 바이올린을 주섬주섬 꺼내들고 연주한다.([[http://youtu.be/IrS1ZUx8lg4|#]])
  • 김광한
         <ref>[http://joongang.joinsmsn.com/article/aid/2013/05/31/11275874.html?cloc=olink|article|default 중앙일보, 명DJ 이종환 씨 별세]{{깨진 링크|url=http://joongang.joinsmsn.com/article/aid/2013/05/31/11275874.html?cloc=olink%7Carticle%7Cdefault }}</ref>[[1979년]]에 방송작가 [[최경순 (작가)|최경순]]과 결혼을 하였다.
  • 김광한 (방송인)
         <ref>[http://joongang.joinsmsn.com/article/aid/2013/05/31/11275874.html?cloc=olink|article|default 중앙일보, 명DJ 이종환 씨 별세]{{깨진 링크|url=http://joongang.joinsmsn.com/article/aid/2013/05/31/11275874.html?cloc=olink%7Carticle%7Cdefault }}</ref>[[1979년]]에 방송작가 [[최경순 (작가)|최경순]]과 결혼을 하였다.
  • 김나나 (기자)
         '''김나나''' ([[1979년]] [[5월 23일]] ~ ) [[대한민국]]의 [[한국방송공사|KBS]] [[기자 (직업)|기자]] 겸 [[앵커]]이다.
         [[분류:1979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방송인]][[분류:대한민국의 기자]][[분류:대한민국의 텔레비전 기자]][[분류:2003년 데뷔]][[분류:서울특별시 출신]][[분류:신동중학교 (서울) 동문]][[분류:서울신동초등학교 동문]][[분류:현대고등학교 (서울) 동문]][[분류:이화여자대학교 동문]]
  • 김다혜 (1979년)
         '''김다혜'''(金多慧, [[1979년]] [[4월 20일]] ~ )은 [[대한민국]]의 아역배우 출신이자, 연기자이다.
         [[분류:1979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1984년 데뷔]][[분류:1985년 데뷔]][[분류:1991년 데뷔]][[분류:대한민국의 여자 어린이 배우]][[분류:대한민국의 여자 텔레비전 배우]][[분류:대한민국의 라디오 진행자]][[분류:대한민국의 여자 영화 배우]][[분류:대한민국의 방송인]][[분류:서울특별시 출신]]
  • 김달호(1912)
         '''김달호'''(金達鎬, <small>일본식 이름: </small>金橋 健, [[1912년]] [[3월 26일]] [[경상북도]] [[상주시]] ~ [[1979년]] [[3월 4일]]<ref>{{뉴스 인용
         [[분류:1912년 태어남]][[분류:1979년 죽음]][[분류:일제 강점기의 법조인]][[분류:대한민국의 법조인]][[분류:친일인명사전 수록자]][[분류:상주시 출신 인물]][[분류:고등문관시험 합격자]][[분류:상주초등학교 (경북) 동문]]
  • 김대중
         [[1979년]] [[4월 4일]]에는 윤보선, 함석헌, 문익환 등과 함께 ‘민주주의와 민족통일을 위한 국민연합’ 결성 주도하여 공동의장으로 반유신 운동에 참여, 3차례 연행당하였다.
         [[10·26 사건]]으로 박정희가 [[김재규]]에게 암살당한 후 긴급조치 9호가 해제되고 1979년 [[12월 8일]] 가택연금에서 해제 되었다.<ref>[http://www.theveritas.co.kr/contents/article/sub_re.html?no=4081 민주주의·평화통일에 평생 바친 김대중 전 대통령 추모]{{깨진 링크|url=http://www.theveritas.co.kr/contents/article/sub_re.html?no=4081 }} 베리타스 2009.08.22</ref> 그 뒤 재야인사들과 함께 신민당에 재입당하려 했으나 김영삼 총재는 입당 때 심사하겠다며 사실상 받아들이지 않았고, 재입당을 포기한다.
         김대중은 [[1979년]] [[12·12 군사 반란]] 발생 이후 [[12월 14일]] 아침에 [[강원룡]] 목사와 만났다. 강원룡은 김대중에게 당신 이번에 대통령 할 생각 절대로 하지 마라며 대통령을 김영삼에게 양보할 것을 노골적으로 요구하였다. 그러나 그는 강원룡에게 "이미 끝났다. 강 목사님이 군(軍)이란 세계를 모르고 하는 말씀인데, 군은 통수권자에게 절대 복종한다. 박정희가 (살아) 있을 때는 박정희가 통수권자니까 거기에 충성했지만 이제 박정희는 죽었다. [[장군]]들이 그 다음엔 내가 된다는 걸 잘 알기 때문에 내게 충성하고 들어올 것이다"라며 거절했다고 한다.<ref>[http://shindonga.donga.com/docs/magazine/shin/2004/03/02/200403020500004/200403020500004_6.html 강원용 목사의 체험 한국 현대사 ④] {{웨이백|url=http://shindonga.donga.com/docs/magazine/shin/2004/03/02/200403020500004/200403020500004_6.html |date=20111124050148 }} 신동아 2004년 3월호</ref>
         ***** 손녀 : 김정화 ([[1979년]] ~ )
  • 김도연 (1952년)
         * [[1979년]] [[프랑스]] 클레르몽페랑 제1대학교 대학원 공학 박사
         * [[1976년]] 9월 ~ [[1979년]] 5월 : 프랑스 르노 자동차 중앙연구소 연구원
         * [[1979년]] 5월 ~ [[1982년]] 8월 : [[아주대학교]] 공과대학 조교수
  • 김도창
         * 1976년 ~ 1979년 : 제9대 국회의원 ([[유신정우회]])
         |임기 = [[1979년]] [[12월 14일]] ~ [[1980년]] [[5월 21일]]
  • 김동완 (가수)
         '''김동완'''(金烔完, [[1979년]] [[11월 21일]] ~ )은 [[대한민국]]의 [[가수]], [[배우]]이며, [[보이 그룹]] [[신화 (음악 그룹)|신화]]의 멤버이다.
         [[분류:1979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상명대학교 동문]][[분류:국민대학교 대학원 동문]][[분류:1998년 데뷔]][[분류:신화의 일원]][[분류:신화컴퍼니 소속]][[분류:아이돌 가수]][[분류:대한민국의 남자 가수]][[분류:대한민국의 발라드 음악가]][[분류:대한민국의 남자 텔레비전 배우]][[분류:대한민국의 남자 영화 배우]][[분류:대한민국의 남자 뮤지컬 배우]][[분류:대한민국의 방송인]][[분류:비디오 자키]][[분류:대한민국의 기업인]][[분류:대한민국의 라디오 진행자]][[분류:상명대학교 교수]][[분류:경상남도 출신]][[분류:미스터리 음악쇼 복면가왕 참가자]]
  • 김동진 (1938년)
         * [[1979년]] [[국방대학교|대한민국 국방대학원]] [[행정학]] [[석사]]
         * [[1979년]] [[제20기계화보병사단 (대한민국)|육군 제20사단 예하]] [[연대 (군사)|제61연대장]].
  • 김두환
         [[1979년]] 정년 퇴직할 때까지 등에서 미술 교사로 재직했다. 미술 교사로 재직 중이던 [[1960년]]부터 [[1980년]]까지는 꾸준히 개인전을 개최했다.
  • 김미숙(1959)
         || '''데뷔''' ||<(> [[1979년]] [[KBS]] 6기 공채 탤런트 ||
          * [[1979년]] [[KBS 1TV]] 《[[전설의 고향(드라마)|전설의 고향]] - 홍살문》
          * [[1979년]] [[KBS 1TV]] 《[[전설의 고향(드라마)|전설의 고향]] - 사녀》
          * [[1979년]] [[삼성제약]] 판토P
         [[분류:한국 여배우]][[분류:1959년 출생]][[분류:순창군 출신 인물]][[분류:1979년 데뷔]]
  • 김범수 (가수)
         '''김범수'''(金範洙, [[1979년]] [[1월 26일]] ~ )는 [[대한민국]]의 [[가수]]이다.
         [[분류:대한민국의 팝 가수]][[분류:대한민국의 R&B 가수]][[분류:중부대학교 동문]][[분류:1979년 태어남]][[분류:1999년 데뷔]][[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한국어 가수]][[분류:대한민국의 남자 가수]][[분류:나는 가수다에 출연한 가수]][[분류:대구광역시 출신]][[분류:대한민국의 발라드 음악가]][[분류:대한민국의 라디오 진행자]][[분류:대한민국의 장로교도]]
  • 김성수 (1891년)
         *** 남동생: [[김연수 (1896년)|김연수]](金秊洙, [[1896년]] [[8월 25일]] ~ [[1979년]] [[12월 4일]]) - 삼양그룹 창업자
  • 김성주 (기업인)
         1975년 [[이화여자고등학교]]를 졸업하고, [[1979년]] [[연세대학교]] 신학 학사를 받았다. 이후 [[애머스트 대학교]], [[런던정치경제대학교]], [[하버드대학교]] 경영대학원 등에서 공부했다.
  • 김성희 (1979년)
         '''김성희'''([[1979년]] [[1월 29일]] ~ )은 [[대한민국]]의 [[리포터]]이다.
         [[분류:1979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방송인]][[분류:서울대학교 동문]][[분류:서울특별시 출신]]
  • 김세윤
         * [[1979년]] [[TBC]] 《[[비바람 참이슬]]》
         * [[1979년]] [[TBC]] 《[[불행한 여자의 행복]]》
         * [[1979년]] [[TBC]] 《[[사랑도 미움도 (TBC 드라마)|사랑도 미움도]]》
         * [[1979년]] TBC 연기대상 남자최우수연기상
  • 김수근 (1979년)
         '''김수근'''([[1979년]] [[6월 19일]] [[경상북도]] [[청도군]] 화양읍 (청화로) ~ )은 [[대한민국]]의 [[배우]]·[[가수]]이다. 그는 대한민국 해군 수병으로 복무하였다.
         [[1995년]] [[한국방송공사|KBS]] 청소년드라마 《[[신세대 보고 - 어른들은 몰라요|신세대 보고 어른들은 몰라요]]》로 데뷔했으며, [[1996년]] [[문화방송|MBC]] 청소년드라마 《[[나 (드라마)|나]]》의 주연을 맡으면서 주목을 받기 시작한다. 이 후 [[KMTV]] 《[[쇼 뮤직탱크]]》의 VJ 및 가수 데뷔로 [[이지훈 (1979년)|이지훈]], [[강타]], [[이기찬 (가수)|이기찬]]과 함께 10대 스타 Big 4로 주목받는다.
         [[분류:1979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남자 텔레비전 배우]][[분류:대한민국의 남자 영화 배우]][[분류:대한민국의 남자 가수]][[분류:대한민국의 팝 가수]][[분류:대한민국의 댄스 음악가]][[분류:대한민국의 작사가]][[분류:대한민국의 작곡가]][[분류:대한민국의 남자 뮤지컬 배우]][[분류:아이돌 가수]][[분류:1995년 데뷔]][[분류:청도군 출신]]
  • 김수근(1979)
         '''김수근'''([[1979년]] [[6월 19일]] [[경상북도]] [[청도군]] 화양읍 (청화로) ~ )은 [[대한민국]]의 [[배우]]·[[가수]]이다. 그는 대한민국 해군 수병으로 복무하였다.
         [[1995년]] [[한국방송공사|KBS]] 청소년드라마 《[[신세대 보고서 어른들은 몰라요]]》로 데뷔했으며, [[1996년]] [[문화방송|MBC]] 청소년드라마 《[[나 (드라마)|나]]》의 주연을 맡으면서 주목을 받기 시작한다. 이 후 [[KMTV]] 《[[쇼 뮤직탱크]]》의 VJ 및 가수 데뷔로 [[이지훈 (1979년)|이지훈]], [[강타]], [[이기찬 (가수)|이기찬]]과 함께 10대 스타 Big 4로 주목받는다.
         [[분류:1979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남자 텔레비전 배우]][[분류:대한민국의 남자 영화 배우]][[분류:대한민국의 남자 가수]][[분류:대한민국의 팝 가수]][[분류:대한민국의 댄스 음악가]][[분류:대한민국의 작사가]][[분류:대한민국의 작곡가]][[분류:대한민국의 남자 뮤지컬 배우]][[분류:아이돌 가수]][[분류:1995년 데뷔]][[분류:청도군 출신 인물]]
  • 김수련
         '''김수련'''([[1979년]] [[8월 17일]] ~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2000년]] SBS 9기 톱탤런트로 데뷔하였다.
         [[분류:1979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여자 배우]][[분류:대한민국의 여자 배우]][[분류:서울특별시 출신]][[분류:중앙대학교 동문]]
  • 김수환 (아나운서)
         | 출생일 = [[1979년]] [[3월 15일]]
         '''김수환(Kim Su Hwan)'''([[1979년]] [[3월 15일]]~ , [[서울특별시]])은 [[대한민국]]의 [[아나운서]]이다. 케이블 방송국 [[MBC 스포츠 플러스]]의 [[스포츠캐스터]]이며, [[야구]] 중계를 담당하고 있다.
         [[분류:1979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텔레비전 진행자]][[분류:서울특별시 출신]]
  • 김숙향
         * [[1979년]] [[혜화여자고등학교|혜화여자고등학교]] 졸업
  • 김양 (1979년)
         '''김양'''({{본명|김대진}}, [[1979년]] [[9월 23일]] ~ )은 [[대한민국]]의 [[가수]]이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6&oid=003&aid=0003459657 김양의 멋진무대]《뉴시스》</ref>
         [[분류:1979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2008년 데뷔]][[분류:구미시 출신]][[분류:대한민국의 여자 가수]][[분류:대한민국의 불교 신자]][[분류:대한민국의 트로트 가수]][[분류:전주 김씨]]
  • 김연자
         * [[1979년]] 두손을 잡아요 / 먼 훗날
  • 김영란 (1956년)
         [[1956년]] [[11월 10일]] [[부산광역시|부산]]에서 태어났다. [[1975년]] [[경기여자고등학교]]를 [[졸업]]하였다. 그 후 [[1978년]] 제20회 [[사법시험]]에 합격하였고 [[1979년]] [[서울대학교]] 법대를 [[학사]] 학위하였다. 어린 시절부터 문학을 좋아했고 대학교 1학년 때 쓴 단편소설이 '서울대'라는 교지에 실리기도 했다. 법률가 등이 대학 시절 친구였다. [[사법연수원]]생 시절 [[서울지방검찰청]] 검사시보로 일하게 되었을 때 서울지방검찰청에서 검사 생활을 하던을 만났고 둘은 후에 결혼하였으며 강지원과의 사이에 딸 둘을 두었다.<ref name="신동아"/><ref name="박이은"/>
  • 김영옥 (배우)
         * [[1979년]] 제15회 [[백상예술대상]] TV부문 여자 최우수연기상
         * [[1979년]] 제15회 [[백상예술대상]] TV부문 대상
         * [[1979년]] [[MBC 연기대상]] 조연상
  • 김영준 (1979년)
         '''김영준'''([[1979년]] [[2월 11일]] ~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다.<ref>[http://100.daum.net/encyclopedia/view/33XXXXX70356 김영준-다음인물정보]</ref>
         [[분류:1979년 태어남]][[분류:대한민국의 남자 배우]][[분류:대한민국의 남자 텔레비전 배우]][[분류:대한민국의 남자 뮤지컬 배우]][[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서울특별시 출신]]
  • 김예리 (1951년)
         **** 장남 : 이영덕 ([[1979년]] ~ )
  • 김원만
         |임기 = [[1973년]] [[3월 12일]] ~ [[1979년]] [[3월 11일]]
  • 김유미(1979)
         || '''출생''' ||<(> [[1979년]] [[10월 12일]]([age(1979-10-12)]세), [[강원도]] [[양양군]] ||
          * 데뷔 이후 출생년도가 1980년으로 알려졌으나, 2012년 강심장에서 실제 출생년도가 1979년생이라고 밝혔다.
         [[분류:한국 여배우]][[분류:1979년 출생]][[분류:양양군 출신 인물]][[분류:1999년 데뷔]]
  • 김유행
         그 뒤 [[1974년]] 감독 김효천의 '실록 김두한'으로 영화에 데뷔하였고, 그의 도장을 영화촬영 장소로 제공하고 그 자신도 출연하면서 우연히 영화에 출연하면서 데뷔하게 됐다. 그 뒤 우연한 기회에 무술 영화에도 출연했는데, 이혁수 감독의 [[1978년]]작 파천신권 등의 무술 영화와 여러 타이완 영화 등에 여러 번 단역과 조연 등으로 출연하였다. [[1979년]] [[중화민국]]과의 합작영화 촬영에 초청되어 [[타이완]]에 갔다가 4년간 10편 이상의 영화에 출연하였다. 이때 그가 출연한 영화는 신서유기, 복만천 등이다.
  • 김윤호
         * [[1979년]] [[제1군단 (대한민국)|육군 제1군단장]].
  • 김은중
         '''김은중'''(金殷中, [[1979년]] [[4월 8일]] ~ )은 [[대한민국]]의 은퇴한 [[축구]] 선수이자 축구 지도자이다. 선수시절 [[대전 시티즌]] 소속으로만 약 8년을 뛰었으며, [[최은성]]과 함께 대전 시티즌에서 등번호가 영구결번되었다.
         [[분류:1979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축구 선수]][[분류:대한민국의 축구 감독]][[분류:대한민국의 해외 진출 축구 선수]][[분류:일본의 외국인 축구 선수]][[분류:중국의 외국인 축구 선수]][[분류:대전 시티즌의 축구 선수]][[분류:베갈타 센다이의 축구 선수]][[분류:FC 서울의 축구 선수]][[분류:광저우 푸리의 축구 선수]][[분류:제주 유나이티드 FC의 축구 선수]][[분류:강원 FC의 축구 선수]][[분류:포항 스틸러스의 축구 선수]][[분류:K리그1의 축구 선수]][[분류:K리그2의 축구 선수]][[분류:J1리그의 축구 선수]][[분류:중국 슈퍼리그의 축구 선수]][[분류:1998년 아시안 게임 축구 참가 선수]][[분류:2002년 아시안 게임 축구 참가 선수]][[분류:2004년 AFC 아시안컵 참가 선수]][[분류:대한민국의 아시안 게임 축구 참가 선수]][[분류:2002년 아시안 게임 메달리스트]][[분류:아시안 게임 축구 메달리스트]][[분류:대한민국의 아시안 게임 동메달리스트]][[분류:축구 공격수]][[분류:서울특별시 출신]][[분류:서울성내초등학교 동문]]
  • 김이나
         '''김이나'''([[1979년]] [[4월 27일]] ~ )는 대한민국의 작사가이다. 대표작으로 《Lucky》([[EXO]]), 《좋은 날》([[아이유]]), 《아브라카다브라》([[브라운아이드걸스]]), 《피어나》([[가인]]), 《서두르지 마요》([[박정현]]), 《걷고 싶다》([[조용필]]), 《그중에 그대를 만나》([[이선희]]), 《어떤 날 너에게》([[임재범]]), 《Candy Jelly Love》([[러블리즈]])등이 있다. 2014년 작사가 저작권료 수입 1위에 오르기도 했다.<ref>[http://joongang.joins.com/article/638/17512638.html 박정호의 사람 풍경 - 저작권료 수입 1위 작사가 김이나] 중앙일보, 2015년 4월 4일</ref>
         |rowspan="3" | [[5월 13일]] ||rowspan="3" | [[이지훈 (1979년)|이지훈]] ||rowspan="3" | ''The Classic'' || 그대가 떠나갑니다
         [[분류:1979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2003년 데뷔]][[분류:대한민국의 라디오 진행자]][[분류:서울특별시 출신]][[분류:대한민국의 작사가]]
  • 김일엽 (야구선수)
         '''김일엽'''(金一燁<ref>{{서적 인용 |저자=[[KBO (야구)|KBO]] |제목=한국 프로야구 기록대백과 |판=제4판 |쪽=321 |날짜=2009-03-10 }}</ref>, [[1979년]] [[11월 15일]] ~ )은 [[KBO 리그]] 전 [[롯데 자이언츠]], [[한화 이글스]]의 투수이다.
  • 김재규
         김재규(金載圭, [[1926년]] [[3월 6일]] ~ [[1980년]] [[5월 24일]])는 [[대한민국]]의 [[군인]]·[[정치가]]이다. 호는 덕산(德山)이고, 본관은 [[김녕 김씨]]. [[경상북도]] [[구미시]] 출신. [[유신정권]] 당시 [[중앙정보부]]장을 재임했으며, [[10.26 사건]] 당시 대통령 [[박정희]]를 암살하고, 사건 다음날 새벽 [[육군본부]]에서 검거되어 이후 내란목적살인 및 내란미수에 대하여 유죄판결을 받고 사형을 언도받아 교수형에 처해졌다. 김재규의 육성이나 말투를 들어보고 싶으면 [[http://www.youtube.com/watch?v=5YItsPrAcq8|본 육성녹음을 참고]]. 이것은 1979년 12월 8일의 보통군법회의 최후진술 녹음 중 하나다.
         1977년 박정희에게 [[직선제]]를 건의하기도 했다. 1979년에는 [[긴급조치]] 9호의 해제를 건의했다. 이때 김재규는 “긴급조치 9호는 효력을 다했으니 더 강력한 긴급조치 10호가 필요합니다.” 라며[[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3&oid=033&aid=0000007473&viewType=pc|긴급조치 10호를 건의했다가 반려당하기도 했는데]], 그 내용에는 노동및 종교의 추가탄압이 들어가있어 과격하기는 마찬가지였던지라 현재까지도 그에 대해 비판하는 이들이 존재한다. 다만 김재규는 훗날 법정에서 그 건에 대해 말하길 박정희의 눈을 속이고 긴급조치 9호의 독소를 제거하기 위해선 어쩔 수 없는 방법이었다고 해명했다.[* [[파일:walderppk-20161228-150640-001.jpg|width=600]][[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93102800209105001&edtNo=40&printCount=1&publishDate=1993-10-28&officeId=00020&pageNo=5&printNo=22327&publishType=00010|출처]] ] 김재규는 또한 당시 연금중이던 [[김대중]]의 외출을 눈감아주어서 [[김대중]]이 김영삼측 단합대회에 참석할 수 있게 해서 김영삼의 전당대회 당선을 도와주기도 했다.[* 그리고 여기에 책임을 진다는 구실로 중정부장 자리에서 물러나고 싶다고 사의를 표했으나 거절당했다.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2&aid=0002017191&viewType=pc|출처]] 이는 그가 권력욕에 취해 [[10.26 사태]]를 일으켰다는 주장에 대한 반박 논거로 쓰인다.] 당시 악화일로로 치닫고 있던 정국을 순리대로 풀기 위해서 나름대로 방법을 모색한 것. (물론 결과적으로는 남의 말을 들으려고도 하지 않는 박정희에게는 소귀에 경읽기였다.)
         지금도 그렇지만 예전에는 [[인맥]]의 영향력이 더 컸다. [[박정희]]와 고향 후배이며 육사 동기라는 2중의 인맥인 김재규는 그야말로 심복이었다. 하지만 김재규는 [[1979년]] [[10월 26일]], [[종로구]] 궁정동 안가에서 [[박정희]] 대통령과 [[청와대]] [[대통령경호실]]장 [[차지철]]을 [[발터 PPK]] [[권총]]으로 저격하여 [[암살]]했다.[* 라고 알려져 있으나, 실제 박정희 암살에 성공한 총기는 [[M36 치프 스페셜]]이다.] 이것이 이른바 [[10.26 사건]]이다.
         2015년 박권흠 전 의원이 김영삼과 김재규가 단 둘이 나눈 대화 내용을 한 언론매체에 공개하였는데, 당시 현직 중앙정보부장이던 김재규가 야당 총재였던 김영삼을 지지하는 듯한 모습을 보여 큰 인상을 남기고 있다. 1979년 김영삼은 <뉴욕타임스>와의 기자회견에서 "한국정부의 민주화를 위해 미국이 나서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러자 박정희 정권과 공화당은 김영삼의 발언을 '사대주의적 망언'으로 규정하고 국회의원직 제명을 시도한다. 김재규 중앙정보부장은 양 측을 중재하고자 김영삼에게 만남을 요청하여 실제로 만남이 이루어지는데, 박권흠 전 의원이 공개한 둘의 대화는 다음과 같다.[[http://m.sisaon.co.kr/news/articleView.html?idxno=37876|#]]
         김재규는 10.26사건 이전인 1979년 봄부터 '자유 민주주의', '위대의', '민주민권자유평등' 등의 휘호 6점을 남겼다고 한다.
         1979년 12월 1일 변호인단과의 3차 면담에서 김재규가 털어놓은 이야기에 의하면 김재규는 1977년 감옥에 갇혀있는 김대중을 서울대병원으로 옮긴 뒤 모친에게 ''''어머니, 추운 감방에서 고생하는 한 분을 따뜻한 방으로 옮겨 모셨습니다''''라는 말을 하였다고 한다.
         김진우 전 판사의 증언에 의하면 김재규는 1979년 시베리아 철도사업의 위원장을 맡은 적이 있다. 당시 상공부 장관이 김재규에게 차관보를 보내 업체선정에 대한 로비를 하였으나 김재규는 "난 정책만 결정하지, 이권에는 개입 안 한다"며 로비를 거부하였다고 한다. 그외에도 김재규의 종친회 부회장이 삼양라면 상무이사로 재직하던 시절 김재규에게 삼양라면 한 박스를 선물했으나 바로 돌려준 적도 있고, 심지어 자신의 누이동생을 통한 로비조차 한번도 들어준 적이 없었다고 한다.
         [[1979년]] [[YH 사건|YH사건]]과
  • 김재우 (1979년)
         '''김재우'''(金在宇, [[1979년]] [[10월 14일]] ~ )는 [[대한민국]]의 [[희극 배우|개그맨]]이자 [[가수]]이다.
         1979년 10월 14일 [[경기도]] [[화성시]]에서 태어났다. 2001년 [[연극배우]] 첫 데뷔하였으며 이듬해 2002년 [[뮤지컬 배우]] 데뷔하였고 1년 후 2003년 [[SBS (대한민국의 방송사)|SBS]] 공채 7기 개그맨으로 정식 데뷔하였으며 이후 《[[웃음을 찾는 사람들]]》의 '여고시절', '나몰라 패밀리', '내사랑 콩깍지' 등의 코너들에 출연하였다.
         * [[최종훈 (1979년)|최종훈]]
         [[분류:1979년 태어남]][[분류:화성시 출신]][[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남자 가수]][[분류:대한민국의 작사가]][[분류:대한민국의 남자 래퍼]][[분류:코미디빅리그]][[분류:웃음을 찾는 사람들]][[분류:대한민국의 남자 희극인]][[분류:대한민국의 남자 뮤지컬 배우]][[분류:비디오 자키]][[분류:대한민국의 남자 영화 배우]][[분류:대한민국의 남자 연극 배우]][[분류:2001년 데뷔]][[분류:대한민국의 남자 텔레비전 배우]][[분류:대한민국의 남자 모델]][[분류:대한민국의 텔레비전 진행자]][[분류:대한민국의 방송인]]
  • 김재우(코미디언)
         ||<#154360> {{{#FFFFFF '''생년월일'''}}} ||<(><#FFFFFF> [[1979년]] [[10월 14일]]([age(1979-10-14)]세) ||
         [[대한민국]]의 [[코미디언]]. [[1979년]] [[10월 14일]] [[경기도]] [[화성시]] 출생. [[명지대학교]] [[연극영화과]]를 중퇴했다.
         [[분류:한국 남성 코미디언]][[분류:1979년 출생]][[분류:화성시 출신 인물]][[분류:미스터리 음악쇼 복면가왕 역대 출연자]][[분류:리얼입대 프로젝트 진짜 사나이 역대 출연자]]
  • 김정렴
         [[1946년]] [[한국은행]]의 전신인 [[조선은행]]에 입행하였다. 그 후 [[한국은행]] 조사부 차장과 [[대한민국 기획재정부|재무부]] 이재국장을 거쳐 [[1966년]] [[대한민국의 기획재정부 장관|재무부 장관]], [[1967년]] [[대한민국의 지식경제부 장관|상공부 장관]], [[1969년]] [[10월]]부터 [[1978년]] [[12월]]까지 [[대한민국의 대통령비서실장|대통령 비서실장]]을 지냈고 그 후 [[1979년]] [[2월|1월]]부터 [[1980년]] [[9월|89월]]까지 [[일본]] 주재 [[대한민국]] 대사를 역임하였다. 화폐 개혁, [[새마을 운동]], 산림 녹화 등에 직접 관여하기도 하였다.
         |임기 = [[1979년]] [[1월]] ~ [[1980년]] [[8월]]
  • 김종민
         '''김종민'''(金鍾旼, [[1979년]] [[9월 24일]] ~ )은 [[대한민국]]의 [[가수]], [[방송인]]이며, 혼성그룹 [[코요태]]의 멤버이다.
         [[분류:해피선데이]][[분류:경주 김씨]][[분류:1979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광주광역시 출신]][[분류:목원대학교 동문]][[분류:대한민국의 방송인]][[분류:대한민국의 남자 가수]][[분류:아이돌 가수]][[분류:2000년 데뷔]][[분류:1박 2일]]
  • 김종민 (동음이의)
         * '''[[김종민]]'''(金鍾旼, [[1979년]] [[9월 24일]] ~ )은 [[대한민국]]의 [[가수]], [[방송인]]이며, 혼성그룹 [[코요태]]의 멤버이다.
  • 김종성 (성우)
         [[1964년]] [[동양방송|TBC]](동양방송) 공채 1기 성우로 입사하였으며, 1969년 [[동아방송|DBS]](동아방송) 성우로 이적하였으나 구조조정 문제로 인한 실직 후 성우 활동을 중단하고 [[1979년]]부터 [[문화방송|MBC]]에서 활동을 재시작했다.<ref name="서울신문">[http://www.seoul.co.kr/news/newsView.php?id=20061120022002 (김문기자가 만난사람) 정치·사극 명해설 성우 김종성] [[서울신문]] 2006년 11월 20일 작성</ref> 이듬해 [[1980년]] [[언론통폐합]]으로 인하여 자연히 소속이 [[한국방송공사|KBS]]로 바뀌게 되었으며, [[한국방송공사|KBS]]에서는 그가 동양방송에 입사했던 [[1964년]]에 7기 공채가 있었기 때문에, 현재는 [[한국방송공사|KBS]] 7기 성우로 표기되는 경우가 많다.
         * [[1979년]] [[문화방송|MBC 문화방송]] 성우
  • 김준규
         * [[1979년]] [[서울대학교]] 법학과 졸업
         * [[1979년]] 제21회 사법시험 합격
  • 김중수
         * [[1974년]] ~ [[1979년]] : [[미국]] [[펜실베이니아대학교]] 대학원 경제학 박사
         * [[1979년]] ~ [[1983년]] : 미국 [[오하이오주립대학교]] 수석연구원(Senior Research Associate)
  • 김지혜 (1979년)
         '''김지혜'''([[1979년]] [[5월 25일]] ~ )는 [[대한민국]]의 [[희극 배우|희극인]] 겸 [[텔레비전 배우]]로 [[1999년]] [[KBS]] 14기 공채 [[희극 배우|개그맨]]으로 데뷔했다. [[2005년]] [[7월]] [[박준형 (가수)]]과 결혼했고 첫째 딸 박주니와 둘째 딸 박혜이가 있다.
         [[분류:개그콘서트]][[분류:1979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1999년 데뷔]][[분류:대한민국의 방송인]][[분류:대한민국의 여자 희극인]][[분류:대한민국의 여자 텔레비전 배우]][[분류:대한민국의 여자 영화 배우]][[분류:대한민국의 로마 가톨릭교도]][[분류:부산광역시 출신]][[분류:인하대학교 동문]]
  • 김진수 (1979년)
         '''김진수'''(金昣秀<ref>한국야구위원회, 2012 가이드북</ref>, [[1979년]] [[4월 19일]] ~ )는 전 [[KBO 리그]] [[두산 베어스]]의 [[포수]]이자, [[두산 베어스]]의 2군 배터리코치이다.
         [[분류:1979년 태어남]][[분류:부산광역시 출신 인물]][[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KBO 리그 포수]][[분류:롯데 자이언츠 선수]][[분류:두산 베어스 선수]][[분류:양정초등학교 동문]][[분류:부산개성중학교 동문]][[분류:경남고등학교 동문]][[분류:김씨]]
  • 김창완
         [[1977년]] 12월, 동생 [[김창훈 (가수)|김창훈]], [[김창익]]과 [[록 밴드]] [[산울림]]을 결성하고, 1집 앨범 《아니 벌써》를 발표해 정식 데뷔하였다. 김창완은 그룹 [[산울림]]의 [[리더]]로, [[보컬]]과 [[기타]]를 맡았다. 1집 《아니 벌써》로 선풍적인 인기를 구가하면서 대마초 파동으로 암울하던 70년대 후반 가요계에 큰 센세이션을 일으켰다. 아직 1집 관련 충격이 가시기도 전인 1978년 5월, 2집 《내 마음에 주단을 깔고》를 발표하여, 록의 예술성과 대중성을 모두 만족시킨 앨범이란 평가를 받았다. 《내 마음에 주단을 깔고》,《안개속에 핀 꽃》,《이 기쁨》 등은 산울림의 사이키델릭한 음악을 잘 보여준다. 1978년 11월 발표된 3집 《내 마음》은 실험성을 가지고 도전했던 작품이지만 상업적으로는 실패했다. 큰 인기를 얻던 산울림은 [[1979년]] [[김창훈 (가수)|창훈]], [[김창익|창익]]의 군입대로 그룹 활동이 잠정적으로 중단되었으나, 동생들의 입대전에 준비해둔 4, 5, 6집을 차례로 발표하면서 공백기간을 채워나갔다. 동생들이 제대하자 다시 모인 산울림은 7집 앨범으로 1981년 [[KBS 가요대상]] 중창부문 상을 수상하는 쾌거를 올렸다. 1983년 9집을 내고, 동생들의 취직으로 김창완만 전업 예술인으로 활동하기 시작횄다. 산울림은 1984년 7월 10집, 1987년 9월 산울림 11집, 1991년 1월 12집을 발표했다. 1997년 동생들을 다시 불러들여 산울림 13집 《기타로 오토바이를 타자》를 발표하였다.
  • 김한중
         |복무 기간 = [[1974년]] [[3월]] ~ [[1979년]] [[6월]]
  • 김현정 (1979년)
         '''김현정'''({{출처|날짜=2013-06-19|金賢靜}}, [[1979년]] [[3월 29일]] ~ )은 [[대한민국]]의 [[화가]]이다. [[1998년]] 스톰 4기 모델로 데뷔하였다.
         [[분류:1979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1998년 데뷔]][[분류:대한민국의 여자 모델]][[분류:대한민국의 여자 연극 배우]][[분류:대한민국의 여자 뮤지컬 배우]][[분류:비디오 자키]][[분류:대한민국의 여자 영화 배우]][[분류:배화여자대학교 동문]][[분류:한국방송통신대학교 동문]][[분류:대한민국의 여자 텔레비전 배우]][[분류:대한민국의 화가]][[분류:대한민국의 로마 가톨릭교도]][[분류:김천시 출신]]
  • 김현정(1979)
         '''김현정'''({{출처|날짜=2013-06-19|金賢靜}}, [[1979년]] [[3월 29일]] ~ )은 [[대한민국]]의 [[화가]]이다. [[1998년]] 스톰 4기 모델로 데뷔하였다.
         [[분류:1979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1998년 데뷔]][[분류:대한민국의 여자 모델]][[분류:대한민국의 여자 연극 배우]][[분류:대한민국의 여자 뮤지컬 배우]][[분류:비디오 자키]][[분류:대한민국의 여자 영화 배우]][[분류:배화여자대학교 동문]][[분류:한국방송통신대학교 동문]][[분류:대한민국의 여자 텔레비전 배우]][[분류:대한민국의 화가]][[분류:대한민국의 로마 가톨릭교도]][[분류:김천시 출신 인물]]
  • 김형인(코미디언)
         김형인은 [[대한민국]]의 [[개그맨]]이다. [[SBS]] [[공채]] 7기며, [[1981년]] [[2월 12일]],[* 헌데, [[네이버]]에는 [[1979년]] [[12월 12일]] 생으로 나온다. 1980년 생인 모 위키러의 말에 따르면 고등학교 1년 선배였다니, 1979년생이 맞을지도...] [[전라북도]] [[부안군]] 출생이다. 2남 2녀 중 [[차남|막내]]. [[종교]]는 [[개신교]]이다.
  • 김혜자
         1974년 MBC 제1회 탤런트 연기상에서 김혜자는 [[최불암]]과 나란히 최우수 연기상을 수상하였다으며 1975년 출연한 《[[신부일기 (드라마)|신부일기]]》로 제3회 대한민국 방송상 시상식에서 TV연기상과 제10회 방송윤리위원회상 시상식에서 TV드라마 부문 연기상을 수상했다. 이어 1977년 《당신》으로 1978년 제14회 [[백상예술대상]] TV부문 여자 최우수연기자상을, 이듬해 《행복을 팝니다》로 1979년 제15회 [[백상예술대상]] TV부문 대상을 차지하며 정상의 자리에 올랐다. 스타의 반열에 오른 뒤 수많은 광고를 찍었는데, 그 중 1975년부터 2002년까지 [[CJ제일제당]] 전속 모델로 27년동안 활동한 이력은 김혜자가 ‘국민 엄마’라는 타이틀을 거머쥐게한데 일조했다. 당시 제일제당의 대표 브랜드였던 다시다 광고 속에서 외쳤던 “그래 이맛이야”는 유행어가 될 정도였다.<ref>{{뉴스 인용 |제목 =[SS스페셜③]광고계 최장수모델 김혜자-화장품 최장수모델 채시라의 공통점은? |url =http://entertain.naver.com/read?oid=468&aid=0000124923|출판사 =스포츠서울 |저자 =조현정 |날짜 = 2016-03-12 |확인날짜 =2017-09-15 }}</ref>
         | [[1979년]]
         * 1979년, 1989년, 2009년, 2019년 [[백상예술대상]] TV부문 대상 수상자로 최다 대상 수상자이다.
  • 나유진
         '''나유진'''([[1979년]] [[10월 17일]]<ref>[http://www.ggoggo.com/ 꼬꼬닷컴]</ref> ~ )은 [[대한민국]]의 만화가이다. 아들은 '''천가람'''(2004년 9월 30일 ~ )으로, 어머니와 아들 이야기를 그린 《[[일상날개짓]]》 이라는 웃음이가득하고 따뜻한 웹툰으로 잘 알려져 있다.
         [[분류:1979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웹툰 작가]][[분류:광주광역시 출신]]
  • 남진(가수)
         [[1976년]]에 [[윤복희]]와 결혼하여 화제를 끌었지만 [[1979년]] 법적 [[이혼]]을 하고[* 윤복희가 이 이혼에 대해서 [[무릎팍도사]]에 나와서 사정을 털어놨는데 이게 전부 사실이라면 남진은 --[[정우성]]을 능가하는-- 엄청난 --[[호구]]-- [[대인배]]인 셈이다.[[http://m.entertain.naver.com/read?oid=011&aid=0002965726|#]]] [[1980년대]] 신군부의 등장으로 조직적으로 탄압받으며 [[미국]]으로 가게 된다. [[조용필]] 등 후진들이 치고 올라온 탓도 있다... 라고 하는 사람들도 있는데 이거는 한참 나중 일이고, [[김대중]]과 친분이 있는 집안 자손이라는 이유로 아예 방송 출연을 금지시킨 탓이 훨씬 크다. 김대중이 학생 때 남진 아버지가 운영하던 목포일보에서 사장상을 받았고, 그 외에도 남진 아버지 덕[* 대표적으로 국회의원 지역구를 물려받았다.]을 많이 봤다고 한다. 목포에 내려가면 항상 남진 아버지 집에 묵었다고. [[1990년대]]에 국내로 다시 복귀했다.
  • 넋업샨
         '''넋업샨'''({{본명|배한준}}, [[1979년]] [[9월 20일]] ~ )은 [[대한민국]]의 [[힙합 음악|힙합]] 음악가이다. '''기계치'''라는 4인조 팀의 형태로 클럽 [[마스터플랜]]에서 1999년 데뷔 후, [[I.F.]]의 멤버로 2007년 4월 해체할 때까지 활동하였다. 현재는 [[소울다이브]]의 멤버로 활발히 활동하고 있다. 소속 크루는 불한당이며, 2013년까지 [[스탠다트]] 소속이었다.
         [[1979년]] [[9월 20일]], [[서울특별시]]에서 태어난 넋업사니는 1999년 기계치의 멤버로 데뷔를 하였다. 처음 데뷔때는 본명인 '''한준'''으로 활동하였으며, [[1999 대한민국]] 앨범 수록곡 ''창'' 에 그의 8마디가 실리기도 하였다.
         [[분류:1979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래퍼]][[분류:대한민국의 남자 래퍼]][[분류:대한민국의 힙합 음악가]][[분류:서울특별시 출신]][[분류:2002년 데뷔]][[분류:대한민국의 남자 싱어송라이터]][[분류:대한민국의 음악 프로듀서]][[분류:대한민국의 힙합 프로듀서]]
  • 노승환
         |임기 = [[1973년]] [[3월 12일]] ~ [[1979년]] [[3월 11일]]
         |임기 = [[1979년]] [[3월 12일]] ~ [[1980년]] [[10월 27일]]
  • 노주현
         * [[1979년]] [[TBC]] 일일연속극 《[[야 곰례야]]》
  • 노현정
         '''노현정'''(盧賢貞,<ref>{{저널 인용 |저자= 李根美|날짜= 2006-02|제목= [화제의 인물] 20, 30代 남성들의 우상 盧賢貞 KBS 아나운서|url= http://monthly.chosun.com/client/news/viw.asp?nNewsNumb=200602100048|저널= 월간조선|출판사= 월간조선사|권= 311|호= |issn= 1228-2197|확인날짜= 2016-02-08}}</ref> [[1979년]] [[1월 14일]] ~ )은 [[KBS]]의 전 아나운서이다.
         [[분류:1979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한국방송공사의 아나운서]][[분류:경희대학교 동문]][[분류:대구초등학교 동문]][[분류:대구중학교 동문]][[분류:대구고등학교 동문]][[분류:프리랜서 아나운서]][[분류:대한민국의 텔레비전 진행자]][[분류:대한민국의 개신교도]][[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
  • 노홍철
         ||<#FE2E64> {{{#ffffff '''출생년도'''}}} ||<(><bgcolor=#ffffff> [[1979년]] [[3월 31일]] ([age(1979-03-31)]세) [[충청남도]] [[서천군]] ||
         이럼에도 영창은 한 번도 안 갔으며, 그 덕에 부모님이 아들 복무부대까지 불려 오셨단다. 군대에서 있었던 사건 중 위에 나오지 않은 사건을 노홍철 본인이 더 과거에 [[놀러와]]에 출연할 당시 직접 에피소드로 이야기한 적이 있었다. 노홍철이 군대에 있을 때 사귀던 여자친구가 있었는데, 헤어진 뒤 시간이 흘러 병장이 됐다고 한다. 그 때 점점 외로움이 쌓여 있어서, 본인이 위병소 근무를 하다 위에 나온 상황을 이용해 부대에 방문하러 온 젊은 여성들이 보일 때마다 그들의 번호를 따려고 한 것인데, 그들에게 "병장 노홍철! 움직이면 쏜다! 전화번호! 전화번호!" 이러면서 한 손을 내밀어 전화번호를 달라는 제스처를 했다고 한다. 처음에는 방문한 여성들이 장난인 줄 알고 웃었지만 노홍철은 계속 진지하게 소리를 높여 반복했고, 결국 이것도 여러 번 하자 부대 내에 알려져 간부가 "야, 노홍철! 너 이리 나와."이러고 나서 면담 뒤에 영창갈 뻔하다가 그냥 부모님을 모시고 오게 됐다고 한다. 당시 노홍철이 "나이가 25살이었는데, 부모님을 모시고 오라는 거야."라는 말을 한 걸로 보아서는 말년이었고, 제대를 얼마 앞둔 상황이었는데다가[* 당시 군복무 기간이 2년 2개월이었고, 노홍철이 과거 방송에서 2000년 겨울에 입대했다고 했으니 2년 2개월이라는 군복무를 마쳤으면 2003년 1~2월경 제대를 했을 것이다. 거기에 1979년생인 노홍철은 2003년에 25살이 됐기에 2년 넘게 복무하고 제대를 앞둔 시점이었을 것이다.] 노홍철이 원래 장난기가 많은 걸 알고 있던 간부들이 봐 준 걸로 보이는데, 실제로 충분히 [[영창]]에 가고도 남을 일이었다. 상식이 박힌 사람이면 절대 따라하지 말자.
         [[분류:대한민국의 남성 방송인]][[분류:무한도전의 멤버]][[분류:서천군 출신 인물]][[분류:1979년 출생]][[분류:2004년 데뷔]][[분류:MBC 연예대상 수상자]]
  • 라응찬
         *[[1979년]] 2월 - [[신한은행|제일투자금융]](현 신한은행) 상무이사
  • 로코 (래퍼)
         '''로드니 라몬 힐 주니어'''<ref name=MTV>{{웹 인용|url=http://www.mtv.com/music/artist/rocko/artist.jhtml#biographyEnd|title=Rocko - Music Videos, Songs, News, Photos and Lyrics|accessdate=December 19, 2011|publisher=MTV.com}}</ref>(Rodney Ramone Hill, Jr., [[1979년]] [[12월 28일]] ~ )는 흔히 '''로코 (Rocko)'''로 잘 알려진 [[미국]] [[서울특별시]] 출신의 [[랩 (음악)|래퍼]], [[배우]]이다. 2008년 3월 18일, 그는 첫 데뷔 정규 음반인 ''Self Made''를 발매하였고,<ref>{{웹 인용|url=https://www.amazon.com/Self-Made-Rocko/dp/B0013LL04A/ref=sr_1_1?ie=UTF8&qid=1324305451&sr=8-1|title=Self-Made: Rocko|accessdate=December 19, 2011|publisher=at [[Amazon.com]]}}</ref> [[빌보드 200]] 차트에서 21위를 기록하였고, 탑 R&B/힙합 앨범 차트에서 6위, 탑 랩 앨범 차트에서 3위를 기록하였다.<ref>{{웹 인용|url={{BillboardURLbyName|artist=rocko|chart=all}}|title= Self-Made - Rocko|accessdate=December 19, 2011|publisher=Billboard.com}}</ref> 이 음반의 수록곡인 "Umma Do Me"는 [[빌보드 핫 100]] 차트에서 66위를 기록하였다.<ref name=UmmaDoMe>{{웹 인용|url={{BillboardURLbyName|artist=rocko|chart=all}}|title=Rocko Album & Song Chart History|date=March 15, 2008|accessdate=December 19, 2011|publisher=Billboard.com}}</ref> 2013년에는 [[릭 로스 (래퍼)|릭 로스]]와 [[퓨처 (가수)|퓨처]]가 함께한 곡인 "U.O.E.N.O." 가 빌보드 핫 100 차트에서 20위를 기록하였으며, [[위즈 칼리파]], [[에이셉 라키]], [[켄드릭 라마]] 등 많은 뮤지션이 이 노래의 리믹스에 참여하였다.
         [[분류:1979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미국의 음악가]][[분류:미국의 래퍼]][[분류:미국의 기업인]][[분류:미국의 남자 배우]][[분류:아프리카계 미국인 래퍼]][[분류:서울특별시 출신]][[분류:데프잼 레코드 음악가]][[분류:미국의 남자 영화 배우]]
  • 류수영
         '''류수영'''({{본명|어남선}}, [[1979년]] [[9월 5일]] ~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함종 어씨]] [[어세공]](魚世恭)의 16대손이다.<ref>{{뉴스 인용|제목=엄친아 류수영, 父는 서경대 교수, 류수영은 서림대 교수! 父子 모두 교수네? |url=http://bntnews.hankyung.com/apps/news?popup=0&nid=04&c1=04&c2=04&c3=00&nkey=201101081656273&mode=sub_view|저자=민경자|출판사=한국경제|날짜=2011-01-08|확인날짜=2013-01-25}}</ref>
         [[분류:1979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함종 어씨]][[분류:안동시 출신]][[분류:호루라기 연극단]][[분류:1998년 데뷔]][[분류:대한민국의 남자 배우]][[분류:대한민국의 남자 영화 배우]][[분류:대한민국의 남자 텔레비전 배우]]
  • 메이비 (가수)
         '''메이비'''(MayBee, {{본명|김은지}}, [[1979년]] [[9월 10일]] ~ )는 [[대한민국]]의 [[가수]]이자 [[작사가]], [[싱어송라이터]]이다.
         [[분류:1979년 태어남]][[분류:2006년 데뷔]][[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부산광역시 출신]][[분류:양곡초등학교 (경남) 동문]][[분류:양곡중학교 (경남) 동문]]
  • 문제안
         [[1966년]]부터 서라벌예대를 시작으로 [[1974년]] 수도여사대, [[1979년]] 원광대 교수 등을 지냈다. 1987∼1999년에는 한글문화단체모두모임 사무총장을 역임했다.
  • 민경진(연극배우)
          | 활동기간 = [[1979년]] ~ 현재
         '''민경진'''(閔慶珍<ref>[http://kmdb.or.kr/actor/mm_basic.asp?person_id=00000376 민경진], 《KMDb》, 2011년 4월 8일 확인.</ref>, [[1955년]] [[5월 24일]] ~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1979년]] [[연극]][[배우]]로 첫 데뷔하였다.
         [[분류:1955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남자 텔레비전 배우]][[분류:대한민국의 남자 뮤지컬 배우]][[분류:대한민국의 연극인]][[분류:대한민국의 영화인]][[분류:음성군 출신 인물]][[분류:대한민국의 남자 영화 배우]][[분류:대한민국의 남자 연극 배우]][[분류:1979년 데뷔]][[분류:여흥 민씨]]
  • 박경림(MC)
         [[분류:1998년 데뷔]][[분류:한국 여배우]] [[분류:대한민국의 여성 방송인]] [[분류:1979년 출생]][[분류:1대 100 역대 1인]][[분류:라디오 스타의 역대 게스트]][[분류:순창군 출신 인물]][[분류:미스터리 음악쇼 복면가왕 역대 출연자]]
         || '''출생''' ||<(> [[1979년]] [[3월 30일]][* 주민등록상 생년월일이다. 실제 생년월일은 1978년 12월 8일생이다. 라디오 DJ 하던 시절 본인이 어릴 때 약하게 태어나 출생신고가 늦게 되었다는 이야기를 종종 했었고, 2002년 말띠해, 2014년 말띠해 당시에 본인을 [[https://entertain.v.daum.net/v/20140102191109515|말띠라고 소개했다.]] 심지어 2001년 1월 9일 뉴논스톱에서 생일로 사주를 보는 에피소드가 있었는데 이때 극중 박경림 스스로가 언급한 자기 생일이 12월 8일이었다. 물론, 학교는 1979년생들과 다녔다.] ([age(1979-03-30)]세), [[전라북도]] [[순창군]] 적성면 (관평길) ||
          * 대표적인 연예계 마당발이라 할 정도로 폭넓은 [[인맥]]을 자랑한다. 결혼식 당시 참석한 하객들이 ㅎㄷㄷ하다…[* [[강경준]], [[강수정]], [[강타]], [[강혜정#toc|강혜정]], [[강호동]], '''[[거스 히딩크]]''', [[김규리(1979년 6월)|김규리]], [[김기수(코미디언)|김기수]], [[김동완(신화)|김동완]], [[김민종]], [[김수미]], [[김아중]], [[김용만]], [[김을동]], [[김장훈]], [[김현철(가수)|김현철]], [[노홍철]], [[주종혁|라이언]], [[바다(가수)|바다]], [[박명수]], [[박상민]], [[박수홍]], [[박신혜]], [[별(가수)|별]], [[서경석]], [[솔비]], [[스윗소로우]], [[신혜성]], [[안재모]], [[양파(가수)|양파]], [[우승민]], [[유재석]], [[유진(배우)|유진]], [[윤다훈]], [[윤종신]] & [[전미라]] 부부, [[윤해영]], [[이루(가수)|이루]], [[이수영(가수)|이수영]], [[이지연(1975)|이지연]], [[이지훈(1979)|이지훈]], [[이혁재]], [[이효리]], [[임창정]], [[자두(가수)|자두]], [[장근석]], [[장나라]], '''[[정몽준]]''', [[정선희]], [[조인성]], [[조정린]], [[주영훈]] & [[이윤미]] 부부, [[지상렬]], [[차예련]], [[차태현]], [[채연]], [[하하(가수)|하하]], [[한효주]], [[현영]], [[환희(플라이 투 더 스카이)|환희]], [[황보라]]가 찾아왔다. 더불어 대표적인 하객들이 나무위키에 문서가 있는 사람들이다(...)''' 결혼식에 총 5000여명의 하객들이 왔다갔다.]
  • 박구일
         * [[1979년]] 1사단 7연대장
  • 박근식
         '''박근식'''([[1979년]] [[9월 15일]] ~ [[현재]])은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분류:1979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영화 배우]][[분류:대한민국의 텔레비전 배우]][[분류:대한민국의 연극 배우]][[분류:대한민국의 뮤지컬 배우]][[분류:서울특별시 출신]]
  • 박근식 (영화배우)
         '''박근식'''([[1979년]] [[9월 15일]] ~ [[현재]])은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분류:1979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영화 배우]][[분류:대한민국의 텔레비전 배우]][[분류:대한민국의 연극 배우]][[분류:대한민국의 뮤지컬 배우]][[분류:서울특별시 출신 인물]]
  • 박근혜
         제5·6·7·8·9대 대통령 [[박정희]]의 차녀<ref group="주">박정희의 전처소생 [[박재옥]]이 있으므로 박근혜는 차녀가 된다.</ref>이자 [[육영수]]의 장녀로 [[대구]]에서 태어나 1963년 박정희가 대통령에 취임한 이래 [[청와대]]에서 자랐다. 1970년에 [[서강대학교]]에 입학하여 1974년에 졸업했고, [[프랑스]] 그르노블 대학으로 유학길에 올랐다가 1974년 [[육영수 저격 사건|모친 사후]] 귀국하여 1979년 [[10.26 사건]] 이전까지 사실상 대통령 배우자 직무를 대행하였다. 아버지가 서거한 후에는 청와대에서 나와 [[육영재단]]과 [[정수장학회]]의 이사장을 지냈다.
         [[1979년]] [[10월 26일]] 아버지 박정희가 살해당하자 며칠 뒤 [[청와대]]를 떠나 동생들을 데리고 [[서울특별시]] [[서울 신당동 박정희 가옥|신당동 사저]]로 돌아갔다. [[박정희]] 피격 당시 슬퍼하지 않고 침착하게 대응하여 화제가 되기도 하였다.
         [[2007년]] 당시, 1979년 10.26 사태 직후 [[전두환]]으로부터 6억 원을 받은 사실이 논란거리가 되었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19&aid=0000145400 mbn 24시 주요뉴스] MBN 2006년 06월 27일자</ref> [[1980년]] 박근혜와 그의 형제들 앞으로 6억 원의 돈이 지급되었다. 박정희 전 대통령 서거 후 전 합수본부장에게서 9억원을 받은 뒤 김재규 사건 수사 격려금으로 3억 원을 되돌려 주었다는 것에 대한 의혹이 여러 번 제기되었다.<ref name="chung01">[http://news.hankooki.com/lpage/politics/200707/h2007071918312921060.htm 박근혜 "아이 있다는 말 천벌받을 일"] {{웨이백|url=http://news.hankooki.com/lpage/politics/200707/h2007071918312921060.htm# |date=20130928164050 }} 한국일보 2007년 07월 19일자</ref> 이 돈은 박근혜와 그의 두 동생에게만 지불되었다. 그리고 액수도 6억 달러 설, 9억 달러 설 등이 제기되어 왔으나 진상은 밝혀지지 않았다.
         * [[1979년]] 아버지인 [[박정희]] 대통령의 피살 소식을 접하였을 때, 슬퍼하기에 앞서 "휴전선은 이상 없습니까?"라고 말하였고, 지지자들은 이를 높이 평가한다.<ref>[http://media.daum.net/society/affair/newsview?newsid=20100115101913431] {{웨이백|url=http://media.daum.net/society/affair/newsview?newsid=20100115101913431 |date=20130928054018 }} 김운용 전 IOC 위원장, 김운용이 만난 거인들 제2화 박근혜 전 한나라당 대표, 일요신문, 2010.1.15.</ref>
         * 부 [[박정희]], 대통령 (朴正熙, [[1917년]] ~ [[1979년]])
         |임기 = 1974년 8월 16일 ~ 1979년 10월 26일
  • 박동혁 (축구인)
         '''박동혁''' ([[1979년]] [[4월 18일]] ~ )은 [[대한민국]]의 은퇴한 [[축구]] 선수로서, 선수 시절 포지션은 [[센터백]]이다. 현재 [[K리그2]] [[아산 무궁화 FC]]의 감독이다.
         [[분류:1979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축구 수비수]][[분류:대한민국의 축구 선수]][[분류:대한민국의 해외 진출 축구 선수]][[분류:일본의 외국인 축구 선수]][[분류:중국의 외국인 축구 선수]][[분류:전북 현대 모터스의 축구 선수]][[분류:울산 현대 축구단의 축구 선수]][[분류:감바 오사카의 축구 선수]]
  • 박상원(배우)
         ||<#5F9EA0> '''{{{#ffffff 데뷔}}}''' ||<(> [[1979년]] 연극 '지저스 크라이스트 슈퍼스타' ||
         [[대구광역시]] 출생이나 [[인천광역시]]로 이주해 동산고등학교를 졸업한 후 서울예대 연극과에 입학하였다. 1979년 연극 '지저스 크라이스트 슈퍼스타'로 데뷔한 후 연극 쪽에서 활동하다 1987년 MBC 공채 탤런트가 되었다. 이후 1988년의 [[인간시장]]을 통해 얼굴을 알리기 시작했으며 1989년 [[서울 시나위]]에서 [[변우민]], [[임미영]]과 같이 3명이 공동으로 주연을 맡아 활약하면서 인지도를 만들어가기 시작했고 [[여명의 눈동자]]는 그의 이름을 크게 알리는 계기가 되었다.
         [[분류:동명이인/ㅂ]][[분류:한국 남배우]][[분류:1959년 출생]][[분류:1979년 데뷔]][[분류:중구(대구) 출신 인물]]
  • 박승효
         * [[1979년]] [[4월 22일]] [[신풍제지]] 사장
         * [[1979년]] [[6월 22일]] [[동국전자|동국종합전자]] 대표이사 사장<ref>[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79062200099203019&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79-06-22&officeId=00009&pageNo=3&printNo=4089&publishType=00020 ]</ref>
  • 박시연
         '''박시연'''({{본명|박미선}}, [[1979년]] [[3월 29일]] ~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 이전명 = [[이혜원]], [[박성희 (1979년)|박성희]], [[한미진]]
         [[분류:1979년 태어남]][[분류:2000년 데뷔]][[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여자 텔레비전 배우]][[분류:대한민국의 여자 영화 배우]][[분류:대한민국의 여자 배우]][[분류:부산광역시 출신]][[분류:롱아일랜드 대학교 동문]][[분류:미스코리아 지역 대회 입상자]][[분류:대한민국의 여자 모델]]
  • 박연수 (1979년)
         '''박연수'''([[1979년]] [[4월 5일]] ~ )는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본명은 박근영이었으나 [[2005년]] '''박연수'''로 개명하였다.<ref>[http://media.daum.net/entertain/enews/view?newsid=20061128120815394 보도 관련 리스트]</ref>
         [[분류:1979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광주광역시 출신]][[분류:대한민국의 여자 배우]][[분류:대한민국의 여자 영화 배우]][[분류:2000년 데뷔]][[분류:대한민국의 개신교도]]
  • 박영지
         * [[1979년]] [[문화방송|MBC]] 《홀로서는 나무》
         * [[1979년]] [[문화방송|MBC]] 《우주탐험대》
  • 박용만 (1955년)
         **** 장남 : 박서원 ([[1979년]] ~ )
  • 박용택
         '''박용택'''(朴龍澤, [[1979년]] [[4월 21일]] ~ )은 [[KBO 리그]] [[LG 트윈스]]의 [[외야수]], [[지명타자]]이다.
         [[분류:1979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서울특별시 출신]][[분류:KBO 리그 외야수]][[분류:KBO 리그 좌익수]][[분류:KBO 리그 중견수]][[분류:KBO 리그 우익수]][[분류:KBO 리그 지명 타자]][[분류:LG 트윈스 선수]][[분류:KBO 골든글러브 수상자]][[분류:한국 프로 야구 200도루 클럽]][[분류:KBO 타율상 수상자]][[분류:KBO 도루상 수상자]][[분류:KBO 득점상 수상자]][[분류:서울고명초등학교 동문]][[분류:고려대학교 동문]][[분류:2006년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참가 선수]][[분류:밀양 박씨]][[분류:대한민국의 개신교도]][[분류: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 박은수 (1956년)
         * [[1979년]] 서울대학교 법학과 졸업
  • 박인천
         *** 손자 : 박철완 (朴哲完, [[1979년]] ~ , [[금호석유화학]] 상무)
         *** 손녀 : 박주형 ([[1979년]] ~ , [[금호석유화학]] 상무)
         *** 손녀 : 임상민 (林尚敏, [[1979년]] - , ([[대상그룹]] 전무)
  • 박지은 (골프 선수)
         '''박지은'''(朴祉垠<ref name=a>[http://www.klpgt.com/SUBmenu2/sub01_1.asp?SDcode=1215 KLPGA - 선수소개]{{깨진 링크|url=http://www.klpgt.com/SUBmenu2/sub01_1.asp?SDcode=1215 }}</ref>, {{llang|en|Grace Park}}, [[1979년]] [[3월 6일]] ~ )은 [[대한민국]]의 전 [[골프]] 선수이다.
         [[분류:1979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여자 골프 선수]][[분류:서울특별시 출신]][[분류:이화여자대학교 동문]][[분류:LPGA 투어 골프 선수]][[분류:미국에 이민온 사람]][[분류:대한민국에서 이민간 사람]][[분류:대한민국의 불교 신자]]
  • 박지은 (골프선수)
         '''박지은'''(朴祉垠<ref name=a>[http://www.klpgt.com/SUBmenu2/sub01_1.asp?SDcode=1215 KLPGA - 선수소개]{{깨진 링크|url=http://www.klpgt.com/SUBmenu2/sub01_1.asp?SDcode=1215 }}</ref>, {{llang|en|Grace Park}}, [[1979년]] [[3월 6일]] ~ )은 [[대한민국]]의 전 [[골프]] 선수이다.
         [[분류:1979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여자 골프 선수]][[분류:서울특별시 출신 인물]][[분류:리라초등학교 동문]][[분류:이화여자대학교 동문]][[분류:LPGA 투어 골프 선수]][[분류:미국에 이민온 사람]][[분류:대한민국에서 이민간 사람]][[분류:대한민국의 불교 신자]]
  • 박진섭 (가수)
         그는 [[서울특별시|경기도 서울]] 출생이며 [[부산광역시|부산]]에서 성장하였다. 그의 배우자는 [[포크송|포크 팝]] [[가수]]와 [[교수|대학 교수]]로 활약을 하고 있는 [[신형원]]이며 그녀와의 사이에 딸 하나를 두었다. 그는 [[1971년]] [[뮤지컬 배우]] 첫 데뷔하였고 [[1976년]] [[포크송|모던 포크 팝]] [[보컬]] [[음악 그룹]] [[아도니스 (음악 그룹)|아도니스]](Adonis)의 [[보컬|보컬리스트]] 겸 [[기타 연주자|기타리스트]]로 데뷔하였으며 그 후 [[1979년]] 솔로 [[가수]] 데뷔하였다. {{출처|날짜=2014-3-13|현재 그는 [[경희대학교]] 국제캠퍼스 학생지원처장직을 맡고 있다.}}
         * 1979년 《박진섭 1집》
  • 박찬현 (1917년)
         |임기 = [[1977년]] [[12월 20일]] ~ [[1979년]] [[12월 13일]]
  • 박창수 (1958년)
         [[1958년]] [[부산광역시|부산직할시]] 에서 태어났다. [[1979년]] [[부산기계공고]]를 졸업하고 공장 노동자가 되었다가, [[1981년]] [[대한조선공사]](현, 한진중공업)에 배관공으로 입사하였다. 이후 줄곧 한진중공업에서 근무하였다.
  • 박현석 (기자)
         '''박현석'''([[1979년]] [[4월 16일]] ~ )은 [[대한민국]]의 [[기자 (직업)|기자]]다. [[서울특별시]]의 출신이다.
         1979년 4월 16일 [[서울특별시]]에서 출생하여 졸업과 [[연세대학교]] 영어영문학과 학사 출신인 그는 2006년 10월 [[SBS (대한민국의 방송사)|SBS]]의 공채로 입사하여 사회부, 법조부 등에서 기자로 근무하고 있다.
         [[분류:1979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서울특별시 출신]][[분류:대한민국의 텔레비전 기자]][[분류:연세대학교 문과대학 동문]][[분류:대한민국의 언론인]]
  • 박홍우
         * [[서울대학교]] 대학원 헌법학 전공 석사 [[1979년]] <ref>[http://focus.chosun.com/people/people01.jsp?id=16747 조선 포커스]</ref><ref>[http://www.kcllaw.com/prof/?no=667]</ref>
  • 배금택
         * 거대한 손, 달리는 폭격기, 여고생 시리즈 ([[1979년]])
  • 배민희(배우)
         '''배민희'''(裵民熙, [[1979년]] [[5월 9일]] ~ )는 [[대한민국]]의 [[배우]]이다.<ref>남우정 기자[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6&oid=014&aid=0002766523 ‘대풍수’ 배민희, 이윤지에게 대리모 허락 ‘헌신적 사랑]파이낸셜뉴스 2012. 11. 23.작성</ref>
         [[분류:1979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여자 영화 배우]][[분류:1997년 데뷔]][[분류:하동군 출신 인물]][[분류:대한민국의 여자 텔레비전 배우]][[분류:대한민국의 여자 배우]][[분류:대한민국의 여자 어린이 배우]][[분류:대한민국의 여자 연극 배우]][[분류:중앙대학교 동문]]
  • 배성재 (축구인)
         '''배성재'''(裵城裁, [[1979년]] [[7월 1일]] ~ )은 [[대한민국]]의 전 [[축구]] 선수이자 현 지도자이다.
         [[분류:1979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K리그1의 축구 선수]][[분류:대한민국의 축구 선수]][[분류:태국의 외국인 축구 선수]][[분류:대전 시티즌의 축구 선수]][[분류:한양대학교 동문]][[분류:축구 수비수]][[분류:대한민국의 개신교도]][[분류:태국의 외국인 축구 감독]][[분류:대한민국의 축구 감독]][[분류:대한민국 국적의 축구 해설가]][[분류:서울특별시 출신]]
  • 배철수
          | 소속팀 = [[활주로 (밴드)|활주로]] ([[1978년]]~[[1979년]]) <br /> [[송골매 (밴드)|송골매]] ([[1979년]]~[[1991년]])
         1979년 [[송골매 (밴드)|송골매]]를 결성해서 보컬, [[드럼]]으로 활동하기 시작했으며, 1982년 [[구창모 (가수)|구창모]] 등 블랙 테트라 멤버들을 영입, 보컬 및 [[기타|기타 주자]]로 활동했다. 1983년 3월 20일 [[KBS 2TV]] [[젊음의 행진]] 생방송 도중 [[마이크로폰|마이크]]를 바로 잡으려 하다가 감전사고를 당해 방송이 중단되고 입원 치료를 받은 일화가 유명하다. 송골매에서 활동하며 9장의 음반을 내고, 이후 1990년 3월 19일부터 《[[배철수의 음악캠프]]》로 팝 전문 DJ 활동을 시작했고, 1991년 송골매가 활동 중단을 선언한 이후로는 DJ 활동에 전념하고 있으며 사실상 [[가수]] 분야 은퇴를 선언하였다. 최근엔 [[펜타포트 락 페스티벌]]의 자문위원으로도 참여했다. 현재까지는 [[MBC FM4U|MBC 라디오 FM4U]] 《[[배철수의 음악캠프]]》와 [[KBS1]] 《[[콘서트 7080]]》의 진행을 맡고 있다.
         * 1979년 - 활주로
  • 백승주(정치인)
         [[1961년]] [[3월 20일]] [[경상북도]] [[구미시|선산군]] 장천면에서 태어났다. 구미 오로초, 대구 성광중, 대구 [[심인고등학교]]를 졸업하고 [[1979년]] [[부산대학교]] 정치외교학과에 진학했다. 이후 [[경북대학교]]에서 [[정치학]]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한국정치학회와 [[한국국방연구원]]에서 근무했다. [[2009년]]부터 [[2012년]]까지 한국국방연구원 산하의 [[북한]]연구실장과 안보전략연구센터장을 지냈다. [[2013년]] [[3월]]에 국방차관으로 선임되었다. 보통 국방차관은 예비역 [[중장]]이나 드물게 재정 전문가가 보임되는데 비해서 순수하게 안보 연구(북한군사 전문)를 해온 [[민간인]]이 선임된 사례는 처음이라 주목을 받았다.역대 최연소 차관이며 [[육군사관학교]] 출신이 거의 독점하기 시작한 [[1970년대]] 이후 몇 안 되는 민간인[* 여기서 민간인은 비장성 출신.] 출신이다. 참고로 병역은 [[중위]]로 마쳤다.[* 아무래도 보직이 보직이다 보니 예비역 병장을 그 자리에 앉히기가 힘들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비직업군인 출신이라는 점이 파격적이다.]
  • 백승훈 (영화감독)
         | 출생일 = 1979년 3월 4일(음력)
         '''백승훈'''(白承勋, Baek Seung-Hoon, [[1979년]] ~ )는 [[대한민국]]의 [[영화 감독]]이자 [[각본가]], 영화 편집가다.
         [[분류:1979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부산광역시 출신 인물]][[분류:대한민국의 영화 감독]][[분류:대한민국의 영화 각본가]][[분류:대한민국의 영화 편집자]][[분류:동아방송예술대학교 동문]][[분류:베이징 영화 학원 동문]]
  • 백운택
         }}</ref>, 육군 제71방위사단장 당시 [[1979년]] 발생한 [[12.12 군사 반란]]에 가담했다. [[1982년]] [[11월 3일]] 경기도 육군 제1군단장으로 있던 중 사망하였다.
  • 백일섭
         * [[1979년]] 《[[하늘나라에서 온 편지]]》
         * [[1979년]] 《[[로맨스 그레이 (1979년 영화)|로맨스 그레이]]》
         * [[1979년]] 《[[O양의 아파트 2]]》
         * [[1979년]] 《[[느미]]》
         * [[1979년]] 《[[을화 (영화)|을화]]》
         * [[1979년]] 《[[병태와 영자]]》
         * [[1979년]] 《[[폭풍을 잡는 사나이]]》
  • 변희재
         [[2008년]] [[5월]] 탤런트이자 배우인 김민선(개명 이후의 이름은 [[김규리 (1979년 8월)|김규리]])이 자신의 미니홈피에 ‘미국산 쇠고기를 먹느니 차라리 청산가리를 입에 털어 넣겠다’는 발언을 했는데, 이후 [[2009년]] [[8월 10일]] 미국산 쇠고기 유통업체 에이미트가 [[MBC]] [[PD수첩]]의 광우병 관련 방송 프로그램과 김민선의 발언을 두고 MBC PD수첩 제작진 5명과 김민선 씨에게 3억대의 손해배상청구 소송을 냈다. 이에 대해 한나라당의 국회의원 전여옥은 연예인의 발언이 사회에 미칠 영향을 우려하며 이를 두고 연예인은 발언이 사실에 기초하는지 알아보아야 하며 발언에 사회적 책임을 가져야 한다고 비판했다. 전여옥의 주장에 대해 배우 [[정진영]]은 미니홈피에 올렸던 사회 현안에 관심을 가지고 의견을 표명하는 것은 정치 행위가 아닌 시민으로서의 기본적 권리라고 비판하였다.
         낸시 랭 본인은 자신이 [[1979년]] [[미국]] [[뉴욕 시|뉴욕]] 출생이라고 주장해 왔고 [[대한민국]]의 주요 [[포털사이트]] 프로필에도 [[1979년]] [[미국]] 출생으로 되어 있으나 가수 박상록의 누이(낸시 랭에게는 고모)는 그녀가 [[1976년]] [[대한민국]] [[서울특별시|서울]] 출생이라고 주장하고 있다고 하며,<ref>{{뉴스 인용 |제목 =고모의 폭로 "낸시랭, 미국 유학 간 적도 없다!" |url =http://www.newdaily.co.kr/news/article.html?no=151721 |출판사 =뉴데일리 |날짜 =2013-04-19 }}</ref> 변희재는 [[1976년]] [[서울특별시|서울]] 출생으로 되어있는 낸시 랭의 석사 논문 표지와 '박혜령'이라는 그녀의 한국 이름으로 기재된 졸업사진 및 1989년도 서울 구정초등학교 졸업 앨범 표지를 공개하면서 출생년도와 출생지를 속인 것이 아니냐는 의혹을 제기하였다.<ref>{{뉴스 인용 |제목 =낸시랭, '석사논문에는 76년 서울출생, 회사 등기부등본에는 미국인으로 표기' |url =http://www.mediawatch.kr/news/article.html?no=240035 |출판사 =미디어워치 |날짜 =2013-04-23 }}</ref><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6&oid=004&aid=0002195122 변희재 '낸시랭 실제나이' 뭐가 충격?‥"나이 안속인게 뉴스"] 한국경제 2013.05.21</ref>
  • 서기원 (1930년)
         생전 그의 신장은 165cm이고 체중은 62kg이었으며 [[1957년]] [[7월]] [[소설|단편 소설]] 《암사지도(暗射地圖)》로 문단에 첫 등단을 하였다. 그 후 [[언론|언론인]] 겸 [[기업가]]로도 활약을 하였으며 [[대한민국 국무총리실|국무총리]] [[대한민국 국무총리비서실|비서실]] 공보비서관과 [[대한민국 대통령실|대통령]] [[대한민국 대통령비서실|비서실]] 공보수석비서관([[1979년]] 사퇴) 등 [[정치가|정치]] 분야에서도 활동하였다.
         * [[1976년]] [[대한민국 국무총리실|국무총리 비서실]] 공보비서관([[1979년]] [[대한민국 대통령비서실|대통령 비서실]] 공보수석비서관 겸 [[청와대]] 대변인 이임).
         * [[1979년]] [[대한민국 대통령비서실|대통령 비서실]] 공보수석비서관 겸 [[청와대]] 대변인([[1979년]] 사퇴).
  • 서인석(1949)
         연기의 폭이 상당히 넓어서 [[태조 왕건]]의 [[견훤(태조 왕건)|견훤]]이나 [[무인시대]]의 [[이의방]] 등과 같은 배역에서는 호방하고 거친 성격의 호걸 연기를 능숙하게 해내는 반면 현대극에서는 비교적 부드러운 가장의 모습을 연기하는 경우도 있다. 또 의외로 젊을 때(?)에는 무관이 아닌 얌전한 배역도 연기했었다고 한다. [[1979년]]의 '[[토지]]'에서 길상 역이라든가 [[1991년]] '동의보감'의 [[허준]] 역이 그 예.[* 다만 이 버전의 허준은 이후의 전광렬 버전에 비하면 히스테리컬한 성격이었다. 물론 의술이 깊어지고 나이들면서 성격이 죽긴 한다. 의서 지고가다 왜군 만나 위기에 처했을때 전광렬 버전은 일행의 희생으로 빠져나오고 서인석 허준은 직접 조총들고 쏴죽여버리는 정도의 차이다.(다만, 서인석 버전은 허준과 의녀 한명. 단 2명이 의서를 지고오기에 훨씬 빡셌다.)] 요즘 세대들은 잘 모르겠지만 애초에 서인석이 공중파에서 포텐이 터진 것은 1988년 [[TV 손자병법]]에서 '유비'역을 맡으면서였다. ~~서인석도 [[최수종]]도 [[이덕화]]도 청춘스타이던 시절이 있었다~~ [[1998년]]에는 [[이영자]], [[홍진경]], [[윤다훈]] 등과 함께 [[시트콤]] '행복을 만들어 드립니다'에 출연해 코믹연기를 선보이기도 했다.
          * [[1979년]] 전설의 고향 이어도편.
  • 성시경
         '''성시경'''(成始璄, [[1979년]] [[4월 17일]] ~ )은 [[대한민국]]의 [[가수]]이자 [[방송인]]이다.
         성시경은 [[1979년]] [[4월 17일]]에 [[대한민국]] [[전라북도]] [[순창군]]에서 1남 2녀 중 셋째로 태어났다. 어린 시절, [[홍콩]]에서 산 적도 있었고, [[미국]]의 유명한 [[연예인]]인 [[머라이어 캐리]]의 [[음악]]을 듣기 위해서 [[영어]]를 열심히 공부한 적이 있었기 때문에, 영어를 별 어려움 없이 구사한다.
         [[분류:1979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1999년 데뷔]][[분류:대한민국의 남자 가수]][[분류:대한민국의 R&B 가수]][[분류:2000년대 가수]][[분류:2010년대 가수]][[분류:한국어 가수]][[분류:일본어 가수]][[분류:대한민국의 라디오 진행자]][[분류:대한민국의 텔레비전 진행자]][[분류:대한민국의 작사가]][[분류:대한민국의 작곡가]][[분류:대한민국의 발라드 음악가]][[분류:대한민국의 남자 텔레비전 배우]][[분류:고려대학교 정경대학 동문]][[분류:고려대학교 언론대학원 동문]][[분류:순창군 출신]][[분류:토이]][[분류:골든디스크 본상 수상 음악가]][[분류:골든디스크 신인상 수상 음악가]][[분류:하이원 서울가요대상 신인상 수상 음악가]][[분류:하이원 서울가요대상 본상 수상 음악가]][[분류:Mnet 아시안 뮤직 어워드 수상 음악가]][[분류:SBS 인기가요 1위 수상자]][[분류:SBS 인기가요 뮤티즌송 수상자]][[분류:Mnet 엠카운트다운 1위 수상자]][[분류:1박 2일]][[분류:대한민국의 불교 신자]][[분류:홍콩에 거주한 대한민국인]][[분류:젤리피쉬 엔터테인먼트 음악가]]
  • 손영길 (1932년)
         * [[1979년]] 도미.
  • 송대관
         * [[1979년]]《아내와 같이》
         * [[1979년]]《미야! 너는 어디에》
  • 송백경
         '''송백경'''([[1979년]] [[4월 12일]] ~ )는 [[대한민국]]의 힙합 그룹 [[원타임 (음악 그룹)|원타임]]의 전 리드 래퍼 겸 프로듀서이자 현 성우이며 [[한국방송 성우극회|KBS 성우극회]] 소속이다. 1998년 [[1TYM]] 정규 앨범 《1TYM》을 통해서 데뷔했고 2006년 1TYM으로 활동을 중단하자 프로젝트 그룹 무가당으로 활동하였다. 그러나 2007년 무가당마저 활동을 중단하면서 가수로서의 은퇴를 선언한 이후 계속 음악PD로 활동함과 동시에 1TYM 활동 당시 동료 멤버이기도 했던 [[오진환]]과 같이 에 위치한 맛집인 카레 전문점 아비꼬에서 일하다가 2019년 3월 6일 KBS 성우극회 공채 44기에 합격했다. 과거 발언들로 구설수에 다시 오르고 있다.
         [[분류:1979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인천광역시 출신]][[분류:YG 엔터테인먼트 소속]][[분류:골든디스크 신인상 수상 음악가]][[분류:대한민국의 남자 래퍼]] [[분류:대한민국의 래퍼]] [[분류:대한민국의 작곡가]][[분류:대한민국의 작사가]][[분류:대한민국의 힙합 음악가]][[분류:1998년 데뷔]]
  • 송새벽
         '''송새벽'''([[1979년]] [[12월 26일]] ~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분류:1979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안동시 출신]][[분류:1998년 데뷔]][[분류:대한민국의 남자 영화 배우]][[분류:대한민국의 남자 연극 배우]][[분류:대한민국의 남자 배우]][[분류:안동대학교 동문]][[분류:안동고등학교 동문]]
  • 송원국
         '''송원국'''(宋元國<ref name="kbo"/>, [[1979년]] [[10월 26일]] ~ )은 전 [[KBO 리그]] [[두산 베어스]]의 [[2루수]]이다.
         [[분류:1979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광주광역시 출신]][[분류:KBO 리그 내야수]][[분류:두산 베어스 선수]][[분류:광주제일고등학교 동문]]
  • 송재희 (배우)
         '''송재희'''(宋在熙, [[1979년]] [[12월 11일]] ~ )는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2016년 5월 그는 한국인터넷 전문가협회 홍보대사로 위촉되었다.<ref>{{뉴스 인용|성1=정민영|제목=배우 송재희, 한국인터넷전문가협회 홍보대사로 위촉|url=http://www.koreajn.co.kr/news/articleView.html?idxno=41320|날짜=2016-05-04|확인날짜=2016-05-04}}</ref>
         [[분류:1979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남자 배우]][[분류:대한민국의 남자 텔레비전 배우]][[분류:대한민국의 남자 영화 배우]][[분류:대한민국의 개신교도]][[분류:광주광역시 출신]]
  • 송창의 (배우)
         '''송창의'''(宋昶儀, [[1979년]] [[1월 24일]] ~ )는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분류:1979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2002년 데뷔]][[분류:대한민국의 남자 영화 배우]][[분류:대한민국의 남자 텔레비전 배우]][[분류:대한민국의 남자 뮤지컬 배우]][[분류:광주광역시 출신]][[분류:서울예술대학 연극과 동문]][[분류:대한민국의 로마 가톨릭교도]][[분류:대한민국의 남자 연극 배우]]
  • 숀 리 (보디빌더)
         '''숀리'''(Sean Lee, 본명: 이승환, [[1979년]] [[5월 29일]] ~ )는 대한민국의 [[CEO]], [[스포츠트레이너]]이다. 《[[다이어트 서바이벌 빅토리]]》 총감독을 하였으며, 《[[다이어트 워 2]]》에는 심사위원 및 디렉터로 출연하였다. 《[[다이어트 워 3]]》에도 출연하였다. 《숀리 다이어트》라는 책을 집필하기도 하였다. 2012년 3월 2일에는 싱글 〈Victory〉을 발표하기도 했다. 숀리바디스쿨의 대표이며, [[USPTA 코리아]] 트레이너 총괄 디렉터이다.
         [[분류:1979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보디빌더]][[분류:서울특별시 출신]]
  • 수애
         '''수애'''([[1979년]] [[9월 16일]] ([[음력 7월 25일]]) ~ )는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분류:대한민국의 여자 영화 배우]][[분류:대한민국의 여자 텔레비전 배우]][[분류:대한민국의 여자 배우]][[분류:1999년 데뷔]][[분류:1979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구광역시 출신]][[분류:백상예술대상 수상자]][[분류:청룡영화상 여우주연상 수상자]][[분류:대종상 여우주연상 수상자]]
  • 승효상
         승효상은 [[부산광역시|부산]]에서 태어나 [[경남고등학교]]를 졸업하였다. 당시 경남고등학교는 한강이남 최고의 명문고라 불리었으며 승효상이 고교를 입학 할 때 수석 입학자는 현재 대한민국 제 19대 대통령인 문재인이었다. 고교 시절 초기에는 '문과에 문재인, 이과에 승효상'이란 말이 있을 정도로 학업에 두각을 나타냈다. [[1971년]]부터 [[1975년]]까지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건축공학과<ref>1975년 졸업생까지는 건축공학과였으며, 1975년에 건축학과로 학과명을 바꾸었다.</ref>에서 공부하였다. 대학교 졸업 이후 [[1974년]] 부터 [[1980년]] 까지 [[김수근 (건축가)|김수근]]의 '공간연구소' 설계실에서 일하면서 마산 양덕성당, 경동교회 등을 설계하였으며 [[1979년]]에는 서울대학교 건축학과에서 석사 학위를 받았다. 그 뒤 [[1980년]] [[광주민주화운동]]이 일어나자 건축과 세상문제의 사이에서 방황하던 그는 잠시 2년 간의 유학길에 올라 [[오스트리아]] [[빈 공과 대학교]]에서 수학하였고 [[1981년]]에서 [[1982년]] 사이에 '마차트 뫼비우스 및 파트너 (Marchart Moebius und Partner)'에서 일하였다. 그러면서 [[:de:Adolf Loos|아돌프 로스]](1870~1933)의 [[:de:Looshaus|로스 하우스]]에 큰 영향을 받게 된다.<ref name="navercast">[http://navercast.naver.com/contents.nhn?rid=83&contents_id=8297 네이버캐스트 - '빈자의 미학'이라는 철학을 가진 건축가 승효상]</ref> 그리고 다시 귀국하여 [[1982년]] 부터 [[1989년]] 까지 공간연구소 대표이사직을 맡는다. [[1986년]]에는 김수근이 승효상과 장세양 두 제자에게 공간연구소를 맡긴다는 유언과 함께 30억의 빚을 남기고 타계한다.
  • 신기석
         |임기 = [[1973년]] [[3월 12일]] ~ [[1979년]] [[3월 11일]]
  • 신비 (1979년)
         '''신비'''([[1979년]] [[10월 19일]] ~ )는 [[대한민국]]의 [[가수]]이다.
         [[분류:1979년 태어남]][[분류:대한민국의 여자 가수]][[분류:숭의여자대학교 동문]][[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안양대학교 동문]][[분류:대한민국의 팝 피아노 연주자]][[분류:비디오 자키]][[분류:대한민국의 트로트 가수]][[분류:서울특별시 출신]]
  • 신윤희
         [[1965년]] [[육군사관학교 (대한민국)|육군사관학교]]를 제21기로 졸업했으며 [[1979년]] 12·12 군사 반란 때 육군 수도경비사령부 헌병단 부단장이었다. 12월 12일 [[전두환]] 보안사령관으로부터 [[장태완]] 수도경비사령관을 체포하라는 임무를 부여받았으며 새벽 3시경 헌병단 소속 무장 헌병 55명을 앞세워 수도경비사령부 외곽과 1, 2층을 포위한 뒤 사령관실로 진입해서 장태완 사령관을 체포했다.
  • 신혜성
         '''신혜성'''({{본명|정필교 (鄭弼教)}}, [[1979년]] [[11월 27일]] ~ )은 대한민국의 [[가수]]이며, 보이 그룹 [[신화 (음악 그룹)|신화]]의 멤버이다.
         [[분류:신화컴퍼니 소속]][[분류:대한민국의 남자 가수]][[분류:대한민국의 발라드 음악가]][[분류:비디오 자키]][[분류:천안대학교 동문]][[분류:1979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구광역시 출신]]
  • 심수봉
         데뷔와 동시에〈그 때 그 사람〉으로 전국적으로 인기를 얻게 된 심수봉은 데뷔 전 청와대에 초청되었던 인연으로 [[박정희]]는 연회 때마다 심수봉을 초청하여 한동안 청와대 연회가 주무대가 되었다. 하지만 [[1979년]]에 궁정동 연회장에 초청되어 노래를 부르던 심수봉은 [[10.26 사건]]에 휘말렸다. 수사 진행에 참석하면서 무죄로 판결이 났지만 시대적 상황 때문에 방송금지조치를 당하고 정신병원에 끌려가는 등 갖은 핍박을 당해야만 하였다. 가수로 활동할 수 없었던 심수봉은 [[1980년]]에는 처음으로 영화《[[아낌없이 바쳤는데]]》에 주연으로 캐스팅되었고 영화 주제곡 OST도 직접 만들고 불렀다. 심수봉의 복귀작으로 화제의 중심이 된 영화《아낌없이 바쳤는데》는 개봉 이후 관객 5만명을 돌파하는 흥행몰이에 성공했고, 홍콩으로 수출까지 성사되었다.<ref>[http://weekly.hankooki.com/lpage/life/201110/wk20111018095417121480.htm 주간한국]</ref>
         또한, [[1979년]]에는 드라마《순자의 가을》주제곡 OST〈순자의 가을〉도 직접 만들어 불렀다.〈순자의 가을〉이라는 곡은 처음에는 문제가 없었지만, [[1980년]] 전두환정권이 출범하자, 노래 제목에 영부인의 이름 '순자'<ref>당시 영부인의 이름이 '이순자'였다.</ref>가 나온다는 이유로 방송 금지 조치를 당했다. [[1983년]] 후배 가수 방미가 이 노래의 제목을〈올 가을엔 사랑할거야〉로 변경하고 가사 일부를 수정해 인기를 모았다.
         * 당질 - 이애리 1979년생 (고모 심화영의 외손녀)
         * 1979년 5월 《심수봉/최현군 스필릿 음반 - 그 때 그 사람/ 젊은 太陽》
         * 1979년 《순자의 가을》 주제곡 OST - 《순자의 가을》(나중에 《올 가을엔 사랑할거야》로 곡명 변경)<ref>[http://weekly.hankooki.com/lpage/life/201110/wk20111018095417121480.htm 주간한국]</ref>
         * 1979년 [[KBS 가요대상]] 올해의 신인가수상
         * 1979년 [[MBC 10대 가수 가요제]] 올해의 최고 인기 10대 가수상
  • 심화진
         * [[1979년]] [[건국대학교]] 의상학 학사
  • 안병소
         '''안병소'''(安炳昭 또는 安柄玿, [[1908년]] ~ [[1979년]] [[3월 6일]]<ref>{{뉴스 인용|url=http://dna.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79030600329207023&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79-03-06&officeId=00032&pageNo=7&printNo=10284&publishType=00020|제목=바이얼리니스트 安柄玿씨 별세|출판사=[[경향신문]]|날짜=1979-03-06}}</ref>)은 대한민국의 바이올리니스트이자 지휘자이다.
         [[분류:1908년 태어남]][[분류:1979년 죽음]][[분류:대한민국의 고전 바이올린 연주자]][[분류:대한민국의 지휘자]][[분류:서울특별시 출신]]
  • 안상미
         '''안상미'''([[1979년]] [[11월 12일]] ~ )는 [[대한민국]]의 전 여자 [[쇼트트랙]] 선수이다.
         [[분류:대한민국의 쇼트트랙 선수]][[분류:1979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대구고등학교 동문]][[분류:계명대학교 동문]][[분류:1998년 동계 올림픽 쇼트트랙 참가 선수]][[분류:올림픽 쇼트트랙 메달리스트]][[분류:대한민국의 올림픽 금메달리스트]][[분류:대한민국의 쇼트트랙 해설자]][[분류:아시안 게임 쇼트트랙 메달리스트]][[분류:대한민국의 올림픽 쇼트트랙 참가 선수]][[분류:1998년 동계 올림픽 메달리스트]][[분류:1996년 동계 아시안 게임 메달리스트]][[분류:1999년 동계 아시안 게임 쇼트트랙 참가 선수]][[분류:1999년 동계 아시안 게임 메달리스트]][[분류:대한민국의 아시안 게임 금메달리스트]][[분류:대한민국의 아시안 게임 은메달리스트]][[분류:1996년 동계 아시안 게임 쇼트트랙 참가 선수]]
  • 안소영 (배우)
         | 활동기간 = [[1979년]]~
         1979년 영화 《[[내일 또 내일 (영화)|내일 또 내일]]》로 데뷔했다. 1982년 영화 《[[애마부인]]》에 출연해 스타덤에 올랐고, 이 영화로 제18회 [[백상예술대상]] 여자신인연기상을 수상하면서 영화계의 기대주로 떠올라 《[[자유처녀]]》, 《[[여자가 두번 화장할 때 (영화)|여자가 두번 화장할 때]]》, 《[[달빛 멜로디]]》 등에 출연하면서 1980년대를 대표하는 [[성인영화]] 배우로 이름을 날렸다.<ref>[http://entertain.naver.com/read?oid=009&aid=0002888955 ‘애마부인’ 안소영의 후회 “누드로 말에 올라타서…”] 매일경제. 2013년 02월 06일</ref> 2017년 영화 《[[미옥]]》에서
         * [[1979년]] 《[[내일 또 내일 (영화)|내일 또 내일]]》
  • 안소희 (1979년)
         '''안소희'''(安少姬, [[1979년]] [[12월 12일]] ~ [[경기도]] [[파주시|파주군]])은 [[대한민국]]의 현직 경기도 파주시의원이다.
         [[분류:1979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파주시 출신]][[분류:봉일천초등학교 동문]][[분류:봉일천중학교 동문]][[분류:한신대학교 동문]][[분류:한국방송통신대학교 동문]][[분류:20세기 대한민국 사람]][[분류:21세기 대한민국 사람]][[분류:대한민국의 여자 정치인]][[분류:민주노동당 (대한민국) 당원]][[분류:통합진보당 당원]][[분류:민중당 당원]][[분류:대한민국의 지방의회의원]]
  • 안숙선
         현재까지 안숙선의 주요 공연 이력은 판소리에 더 가깝다. [[1979년]] [[국립창극단]]에 입단 이후 음악적 능력은 물론, 뛰어난 연기력을 바탕으로 대부분의 작품에 주역으로 섰으며, 특히 춘향역은 당대 최고의 평가를 받으며, '영원한 춘향'이라는 수식어를 받기도 하였다. 그 외에도 창극 수궁가에서의 토끼 역 또한 작은 체구를 십분 활용한 익살스러운 연기로 인해 큰 인기를 끌었다. 또 86년, 적벽가 완창으로 다섯 바탕 소리를 완창함으로써 전통 판소리의 연창과 전승에도 많은 영향을 미쳤다. 그 외에도 타 장르의 협업 작업을 진행하기도 하였는데, 특히 재즈 뮤지션들과 자주 협연을 펼쳤으며, 그 가운데에서도 사물놀이 창시자 [[김덕수]]와 독일의 재즈그룹 [[레드 선]](Red Sun)과 함께해 [[1995년]] 발표한 〈토끼 이야기〉는 한국 퓨전음악의 대표적인 성공사례 중 하나로 평가받는다.
  • 안승훈
         본관은 [[순흥 안씨|순흥(順興)]]이며 [[제주특별자치도|제주]]에서 출생한 그는를 졸업한 뒤 1년 재수 끝에 [[1979년]]에 [[서울예술대학교|서울예술전문대학(지금의 서울예술대학교) 연극학과]]에 입학을 하였으며 [[1985년]] 졸업하였다.
  • 안영민
         '''안영민'''(安泳敏, [[1979년]] [[7월 17일]] ~)는 [[대한민국]]의 작곡가 및 작사가이다.
         [[분류:1979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작곡가]][[분류:대한민국의 작사가]][[분류:인천광역시 출신]][[분류:대한민국의 개신교도]]
  • 안일권
         '''안일권'''(安一權, [[1979년]] [[7월 17일]] ~ )은 [[대한민국]]의 [[희극 배우]], [[배우]]이다.
         [[분류:1979년 태어남]][[분류:대구광역시 출신]][[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배우]][[분류:대한민국의 희극인]][[분류:대한민국의 텔레비전 배우]]
  • 안재모
         '''안재모''' ([[1979년]] [[9월 20일]] ~ ) 는 [[대한민국]]의 [[배우]] 이다.
         1979년 9월 20일 [[서울특별시|서울 금천]] 독산동 (시흥대로) 에서 4남 중 막내로 태어났다. 아버지의 사업 실패로 서울로 이사해 졸업했다. 중학교 3학년 때 배우의 진로를 정하고 연기학원에 등록했으나 산부인과, 성형외과 의사인 두 형에 따라 그도 의사가 되길 원했던 부모의 반대로 공사장 인부 아르바이트 등으로 학비를 벌며에 입학하였다.<ref name="성장">{{웹 인용|url=http://woman.donga.com/docs/magazine/woman/2002/11/10/200211100500006/200211100500006_2.html|제목=이 남자의 삶 : “아버지 사업 실패로 어려움 겪을 때도 저는 오직 연기만을 생각했어요”|출판사=여성동아|날짜=2002-11-01}}</ref>
         [[분류:1979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서울특별시 출신]][[분류:대한민국의 남자 영화 배우]][[분류:대한민국의 남자 텔레비전 배우]][[분류:대한민국의 남자 가수]][[분류:대한민국의 남자 뮤지컬 배우]][[분류:미스터리 음악쇼 복면가왕 참가자]][[분류:대한민국의 기업인]][[분류:대한민국의 자동차 경주 선수]]
  • 안치용 (야구인)
         '''안치용'''(安致溶, [[1979년]] [[2월 23일]] ~ )은 전 [[KBO 리그]] [[SK 와이번스]]의 [[외야수]]이자, 현 [[KBS N Sports]]의 야구 해설위원이다.
         [[분류:1979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서울특별시 출신]][[분류:KBO 리그 외야수]][[분류:KBO 리그 우익수]][[분류:LG 트윈스 선수]][[분류:SK 와이번스 선수]][[분류:연세대학교 교육과학대학 동문]][[분류:서울미성초등학교 동문]][[분류:신일중학교 (서울) 동문]][[분류:순흥 안씨]][[분류:대한민국의 야구 해설자]][[분류:대한민국의 불교 신자]]
  • 양재호 (바둑기사)
         |프로 입단 = [[1979년]]
         1979년 입단하였고 1989년 동양증권배에서 우승했다. 1990년 9단으로 승단하였으며 현재 [[한국바둑리그]] [[GS칼텍스|KIXX]]의 감독이다. [[2010년 아시안 게임]] [[아시안 게임 바둑|바둑 종목]]에서 감독을 맡았으며, 금메달을 획득하였다. 2011년에는 [[한국기원]]의 사무총장에 선임되었다.
  • 양진우
         '''양진우'''(楊鎭宇, [[1979년]] [[9월 3일]] ~ )는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초등학교 5학년 때 [[호주]]로 이민을 가서 대학교까지 마쳤다. [[퀸즐랜드 공과대학교]] 재학시절, [[일본]] 삿포로 대학에 교환학생을 한 경험이 있어 [[영어]] 뿐 아니라 [[일본어]]에도 능통하다. 영어 이름은 '테리(Terry)'이다.
         [[분류:1979년 태어남]][[분류:대한민국의 남자 배우]][[분류:2002년 데뷔]][[분류:광주광역시 출신]][[분류:대한민국의 영화 배우]][[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개신교도]]
  • 양찬우 (1926년)
         |임기 = [[1973년]] [[3월 12일]] ~ [[1979년]] [[3월 11일]]
         |임기 = [[1979년]] [[3월 12일]] ~ [[1980년]] [[10월 27일]]
  • 양파 (1979년 가수)
         '''양파'''(李銀瑨, {{본명|이은진}}, [[1979년]] [[3월 17일]] ~ )는 [[대한민국]]의 [[가수]], [[작사가]]이다.
         [[분류:1979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골든디스크 본상 수상 음악가]][[분류:골든디스크 신인상 수상 음악가]][[분류:하이원 서울가요대상 신인상 수상 음악가]][[분류:Mnet 엠카운트다운 1위 수상자]][[분류:SBS 인기가요 뮤티즌송 수상자]][[분류:나는 가수다에 출연한 가수]][[분류:미스터리 음악쇼 복면가왕 참가자]][[분류:1996년 데뷔]][[분류:2010년대 가수]][[분류:2000년대 가수]][[분류:1990년대 가수]][[분류:아이돌 가수]][[분류:한국어 가수]][[분류:영어 가수]][[분류:대한민국의 작사가]][[분류:대한민국의 여자 싱어송라이터]][[분류:대한민국의 여자 가수]][[분류:대한민국의 라디오 진행자]][[분류:대한민국의 R&B 가수]][[분류:20세기 대한민국 사람]][[분류:21세기 대한민국 사람]][[분류:버클리 음악 대학 동문]][[분류:대구대청초등학교 동문]][[분류:대구광역시 출신]][[분류:대한민국의 발라드 음악가]][[분류:대한민국의 장로교도]][[분류:미국에 거주한 대한민국인]]
  • 양형일
         * [[1979년]] [[조선대학교|조선대학교 대학원]] 법학 석사
  • 엄일영
         '''엄일영'''(嚴鎰永, [[1933년]] [[8월 5일]] ~ , [[울산광역시|울산]])은 [[대한민국]]의 언론인 출신의 경제분야 공직자이다.<ref>[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79070400099202014&edtNo=2&printCount=1&publishDate=1979-07-04&officeId=00009&pageNo=2&printNo=4099&publishType=00020 엄일영씨 조달청 차장] 《매일경제》 1979년 7월 4일</ref>
         |임기 = [[1979년]] [[7월 3일]] ~ [[1982년]] [[12월 23일]]
  • 엄주익 (1872년)
         ** 아들 : [[엄경섭]](嚴敬燮, [[1906년]] ~ [[1979년]] [[9월 6일]])
  • 에릭 (가수)
         '''에릭'''({{본명|문정혁}}, [[1979년]] [[2월 16일]] ~ )은 [[대한민국]]의 [[가수]], [[배우]]이며, [[보이 그룹]] [[신화 (음악 그룹)|신화]]의 멤버이다.
         에릭(Eric Moon, 문정혁)은 대구에서 1남 2녀중 막내로 1979년 2월 16일에 태어났다. 그는를 졸업하고 중학교에 입학은 했으나 바로 몇 개월 후 미국으로 이민을 간다. 미국에서를 졸업했다. 그는 미국에서 캐스팅되어 한국으로 귀국해 [[SM 엔터테인먼트]]의 연습생이 되었다. 그는 연습생이었을 때 [[앤디 (가수)|앤디]]와 같이 [[S.E.S.]] 1집 수록곡인 'I'm your girl' 랩 피쳐링을 하였으며, [[S.E.S.]]와 같이 무대에 오르기도 하였다. 에릭은 [[1998년]]에 [[신화 (음악 그룹)|신화]]에서 영어 랩을 담당하는 이국적인 외모 이미지로 데뷔를 하였다.
         [[분류:신화의 일원]][[분류:1998년 데뷔]][[분류:대한민국의 힙합 음악가]][[분류:대한민국의 작사가]][[분류:대한민국의 작곡가]][[분류:대한민국의 래퍼]][[분류:대한민국의 남자 래퍼]][[분류:대한민국의 배우]][[분류:대한민국의 텔레비전 배우]][[분류:대한민국의 영화 배우]][[분류:대한민국의 남자 텔레비전 배우]][[분류:대한민국의 남자 배우]][[분류:대한민국의 남자 영화 배우]][[분류:동국대학교 동문]][[분류:1979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구광역시 출신]][[분류:신화컴퍼니 소속]][[분류:미국에 거주한 대한민국인]]
  • 여욱환
         | 출생일 = [[1979년]] [[12월 23일]] ({{나이|1979|12|23}}세)
         '''여욱환'''([[1979년]] [[12월 23일]] ~ )은 [[대한민국]]의 [[배우]]다. [[대전광역시]]에서 출생했고 [[2002년]] KBS 드라마 《[[학교 4 (드라마)|학교 4]]》로 데뷔했다.
         * [[이지훈 (1979년)|이지훈]] & [[신혜성]] - 인형
         [[분류:1979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함양군 출신]][[분류:대한민국의 남자 영화 배우]][[분류:대한민국의 남자 연극 배우]][[분류:대한민국의 남자 텔레비전 배우]][[분류:대한민국의 남자 모델]][[분류:청운대학교 동문]][[분류:대한민국의 범죄인]]
  • 여운계
         [[1968년]]에는 [[최무룡]]이 감독하고 주연을 맡은 영화인 《정 두고 가지마》로 영화에 첫 출연을 하였으며, 그밖에 《엄마의 일기》(1968년), 《별난 여자》([[1970년]]), 《팔 며느리》(1970년), 《목소리》([[1972년]]), 《땅콩 껍질 속의 연가》([[1979년]]), 《순악질 여사》([[1980년]]), 《만추》([[1982년]]), 《산딸기2》([[1985년]]), 《그녀와의 마지막 춤을》([[1988년]]), 《[[마파도]]》([[2005년]]), 《[[마파도 2]]》([[2007년]]) 많은 영화에 출연하였으며, [[한국방송공사]]의 《[[오필승 봉순영|오! 필승 봉순영]]》, 《며느리 전성시대》, [[문화방송]]의 《[[대장금]]》, 《[[내 이름은 김삼순]]》, [[SBS]]의 《[[쩐의 전쟁]]》등 텔레비전 드라마에도 많이 출연하였다.<ref name="아시아경제"/>
  • 염홍
         * [[1979년]] [[MBC]] 일일연속사극 《[[안국동 아씨]]》
         * [[1979년]] [[MBC]] 어린이연속극 《오뚝이분대》 ... 금지 역
  • 영준 (1978년)
         '''영준'''({{본명|고영준}}, [[1979년|1978년]] [[12월 28일]] ~ )은 한국의 남자 가수로, [[브라운 아이드 소울]]의 일원이다.
  • 예춘호
         |임기 = [[1979년]] [[3월 12일]] ~ [[1980년]] [[7월 4일]]
  • 오세훈
         [[1978년]] 송상호와 짝이 되었다. 송상호는 오세훈보다 한 학년 위였지만 몸이 좋지 않아 한 해 학교를 쉰 뒤 3학년으로 복학했다. 수술 후유증으로 학교를 자주 빠지던 송상호의 숙제를 위해 그의 집을 자주 들르면서 송상호의 여동생인 [[송현옥]]과 만났다. 그 뒤 [[송현옥]]과 같은 대학 커플로 이어지고 후에 결혼하게 된다. [[1979년]]에 고등학교 졸업 후 [[고려대학교]] 영문학과에 지원했으나 낙방하고 [[한국외국어대학교]] 법정학부에 입학하였으며, 그 후 [[고려대학교]] 법대로 편입하였다.<ref>{{뉴스 인용|제목=강금실-오세훈 후보 스토리|url=http://www.koweekly.co.uk/news.php?code=&mode=view&num=3912&page=2|뉴스=코리안위클리|날짜=2006-05-18}}</ref>
  • 오승근 (가수)
         | [[1979년]]
         오승근은 고등학교 시절이었던 [[1968년]]에 17세의 나이로 홍순백과 함께 음악 그룹《투에이스(=금과 은)》를 결성하며 데뷔하였다. 데뷔 당시 4곡을 발표했는데 《빗속에서 울리라》, 《그 얼굴》, 《비둘기집》, 《두 마음》이다. 그 중에서 《비둘기집》(전우 작사/ 김인배 작곡)은 발표 당시 인기를 얻으며 [[1970년]]에 KBS 가수상을 받기도 하였다. [[1971년]] 약 3년 간 같이 활동한 홍순백과 결별하고 잠시〈영에이스〉라는 그룹사운드에서 최이철과 활동하다 입대를 하였으며 [[1974년]]에 복귀하면서 임용재와 함께 그룹 《금과 은》을 결성하게 되었다. 이 때부터 조금씩 [[트로트]] 느낌이 나는 《빗속을 둘이서》(김정호 작사/ 김정호 작곡)를 히트시키며 다시 인기가수로 등극하였다. 또한 옛노래 모음(Remake) 앨범을 발표하였는데 앨범 수록곡이었던 《처녀 뱃사공》(윤부길 작사/ 한복남 작곡)이 히트하여 MBC 10대 가수상, KBS 최우수 남자 가수상을 받으며 전성기를 누볐다. [[1979년]]에 해체될 때까지 각 방송사의 연말 시상식에서 중창부문을 독식하기도 하였다.
         * 1979년 《잊어야지》
         * 1979년 《떠나는 님아》
  • 오정희 (소설가)
         [[1979년]]에 《저녁의 게임》으로 [[이상문학상]], [[1982년]]에 《동경》으로 [[동인문학상]]을 수상했다.
  • 오지명
         *[[1979년]] [[MBC]] 일일드라마 《[[행복을 팝니다|행복을 팝니다》]]
         * [[1979년]] [[MBC]] 주말연속극 《[[엄마, 아빠 좋아]]》
         *[[1979년]] [[MBC]] 일일연속극 《[[안국동 아씨|안국동 아씨》]]
         *[[1979년]] [[MBC]] 대하드라마 《[[교동 마님]]》 ... [[윤원형]] 역
  • 오지헌
         '''오지헌'''(吳知憲<ref>[http://www.bobaedream.co.kr/board/bulletin/view.php?code=music&No=370581 오지헌 후덕 민증사진]</ref>, [[1979년]] [[4월 18일]] ~ )은 [[대한민국]]의 희극 배우이다. 오디션을 보러 갔다가 단번에 개그맨이 되었다는 일화가 있다. 현재 [[경상북도]] [[영천시]]에 거주하고 있다.
         [[분류:개그콘서트]][[분류:1979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부산광역시 출신]][[분류:대한민국의 남자 희극인]][[분류:대한민국의 방송인]][[분류:2003년 데뷔]][[분류:명지대학교 동문]][[분류:대한민국의 개신교도]][[분류:코미디빅리그]][[분류:하땅사]][[분류:개그야]]
  • 오태영 (1948년)
         [[1974년]] [[서울예술대학]] 연극과를 졸업하고, 같은 해 《보행연습》이라는 작품이 중앙일보 문예희곡부문에 당선된다. [[1979년]] 한국 희곡 작가 협회상을 수상하고, [[1980년대]]는 극단 76에서 활동하였다. 1987년 희곡집 《바람앞에 등을 들고》, 《전쟁》을 출판하였다. 《전쟁》은 제 32회 현대 문학 희곡 부문상을 받았다.
  • 원종배
         * [[1979년]] : [[동양방송|TBC 동양방송]] 15기 아나운서
  • 유걸
         [[1968년]] [[이화여자대학교]] 실내장식미술학과 강사를 지냈고 [[1979년]]부터 [[1995년]]까지 [[유걸건축연구소]] 소장을 지냈으며 그 와중에도 [[숭실대학교]] 건축학과 강사, [[성균관대학교]] 건축학과 강사, 모교인 [[서울대학교]] 건축학과 강사를 지냈고 [[1995년]]부터 [[아이아크]] 공동사장을 지내고 있으며 그 와중에도 [[건국대학교]] 건축학과 겸임교수와 [[경희대학교]] 건축전문대학원 교수를 지냈고 현재는 [[경일대학교]] 건축학과 석좌교수를 지내고 있기도 하다.
  • 유기홍
         * [[1979년]] : [[서울대학교]] 역사철학회 회장
         * [[1979년]] : [[서울대학교]] 국사학과 학생회장
  • 유명환
         * [[1979년]] 12월 대통령비서실 파견
  • 유민상(개그맨)
         || '''출생''' ||<(> [[1979년]] [[10월 9일]] ([age(1979-10-09)]세) ||
         2005년 [[한국방송공사|KBS]] 공채 20기 [[개그맨]]이자 [[유튜버]].[* 주로 게임 영상을 올린다. 특히 그가 즐겨하는 [[게임]]인 [[배틀그라운드]]를 녹화하여 업로드한다.--그런데 게임 녹화할 때 본인 얼굴이 아니라 [[개]]([[시바견]])의 얼굴이 나온다-- --그리고 지금은 캠없이 방송했다가 [[돼지]]얼굴이 나온다--] [[1979년]] [[10월 9일]] [[한글날]]에 태어났다. 187.9cm,[* 프로필상 키는 185cm이나, 실제로는 187.9cm이다.비타민에서 건강검진을 받았을때 187.9cm가 나왔었다. 본인이 방송에서 자기 키 얘기를 할때 어떤 때는 188이라고 했다가 어떤 때는 187이라고 했다가 하면서 약간 왔다갔다 하지만 그 외의 키를 말한 적은 없으므로 187~188 사이인 것은 확실하다. [[라디오 스타]]에서 185~6cm인 김구라와 대놓고 키로 비교했을때 더 컸으며, 개콘에서 대표 장신 개그맨 [[양상국]]과 서있을 때도 보면 약간 더 컸고, 이들보다 약간 더 큰 류근지와 있을때는 비슷해보이지만 몸매상 팔다리가 가는 류근지가 실제보다 더 커보이는 영향이 있어서 그런거지 유민상이 좀 더 크다. 이미 2010년에 달인에서 김병만이 유민상의 정수리 너머로 뛰어오를 수 있다고 하자, 류담이 "참고로 저 분 187cm입니다"~~[[김병만]] : 뭐? 몸무게가?~~ 라고 설명하는 장면이 나온다. 함께 뚱뚱한 개그맨으로 유명한 [[김준현]], [[류담]], [[문세윤]] 같은 개그맨들이 옆에 있어도 작아보이게 만들 만큼~~ 거대하다. 귀여운 의미의 뚱뚱함이라기보다 씨름선수, 그것도 백두급 선수들과 동급 체격이다.] 140kg에 육박하는 거구.
         [[분류:한국 남성 코미디언]][[분류:2005년 데뷔]][[분류:1979년 출생]][[분류:동두천시 출신 인물]][[분류:트위치 스트리머]][[분류:1대 100 역대 1인]][[분류:라디오 스타의 역대 게스트]]
  • 유시환
         '''유시환'''(柳時煥, <small>일본식 이름:</small> 柳時煥, [[1887년]] [[10월 2일]] ~ [[1979년]] [[10월 15일]])은 [[일제 강점기]]의 관료로, 본적은 [[경상북도]] [[안동시|안동군]] 이다.
         [[분류:1887년 태어남]][[분류:1979년 죽음]][[분류:일제 강점기의 관료]][[분류:친일파 708인 명단 수록자]][[분류:친일인명사전 수록자]][[분류:대한민국 정부 발표 친일반민족행위자]][[분류:안동시 출신]][[분류:풍산 류씨]]
  • 유영민 (기업인)
         * ~ [[1979년]] [[부산대학교]] 수학과 학사
         * [[1979년]] ~ [[1985년]] [[LG전자]] 전산실
  • 유재웅
         '''유재웅'''(俞在雄, [[1979년]] [[5월 20일]] ~ )은 전 [[KBO 리그]] [[두산 베어스]], [[SK 와이번스]]의 [[외야수]]이다.
         [[분류:1979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서울특별시 출신]][[분류:KBO 리그 외야수]][[분류:두산 베어스 선수]][[분류:SK 와이번스 선수]][[분류:서울길동초등학교 동문]][[분류:건국대학교 사범대학 부속중학교 동문]][[분류:건국대학교 동문]][[분류:대한민국의 불교 신자]][[분류: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 유지인(1956)
         ||<width=30%><#FFFFA1><:> ''' 제17회 [br] ([[1978년]]) ''' ||<#FFFFA1><:> {{{+1 → }}} ||<width=30%><#FFFFA1><:> ''' 제18회 [br] ([[1979년]]) ''' ||<#FFFFA1><:> {{{+1 → }}} ||<width=30%><#FFFFA1><:> ''' 제19회 [br] ([[1980년]]) ''' ||
         [[1975년]] TBC 드라마 님이 성공하고 <쥬단학화장품>(현<한국화장품>)의 전속 모델이 되면서 스타덤에 오른다.[* 전속 모델이 된 계기가 좀 슬프다. [[문경희]]라는 신인 여배우가 교통사고로 사망 후 유지인이 이 자리를 얻은 것. 당시 문경희는 정소영 감독이 발탁한 TBC 출신의 유망 신인이었으나 영화 촬영이 마치고 자신과 연애 중었던 유부남의 차에서 교통사고를 겪은 것.] 이후 [[1977년]]까지 매년 1~3편의 영화에 지속적으로 출연하였고 77년 TBC 드라마 <서울야곡>이 높은 시청률을 기록하면서 77년 같은 해 TBC 드라마 <청실홍실>의 주연인 장미희·정윤희와 함께 신트로이카를 구축하며 브라운관과 영화계를 이끄는 대스타로 성장하여 최고의 인기를 얻는 스타가 된다. 1978년 영화 <[[마지막 겨울]]>이 흥행에 성공하면서 흥행 배우로서의 입지를 다지고 [[1979년]] 흥행 1위를 기록한 <[[내가 버린 남자]]>를 비롯해 <[[26 x 365 = 0]]>,<[[청춘의 덫]]>[* 80년대 트로이카였던 [[원미경]]이 대형 신인으로 주목받던 영화이기도 했다.] , <[[불행한 여자의 행복]]>, <[[가시를 삼킨 장미]]> 등의 영화들을 히트시켰으며 그 해 <심봤다>로 트로이카 여배우들 중 처음으로 대종상 여우주연상을 수상하여 79년을 완전히 자신의 해로 만들었다.
         * [[1979년]] [[TBC]] 주말연속극 《[[사랑도 미움도 (1979년 드라마)|사랑도 미움도]]》
         * [[1979년]] [[TBC]] 주말연속극 《[[잃어버린 겨울]]》
         * [[1979년]] [[TBC]] 테마드라마 《[[종이달]]》
         * [[1979년]] 《[[경찰관 (영화)|경찰관]]》
         * [[1979년]] 《[[사랑의 조건 (1979년 영화)|사랑의 조건]]》
         * [[1979년]] 《[[내가 버린 남자]]》 ... 명숙 역
         * [[1979년]] 《[[심봤다]]》
         * [[1979년]] 《[[가시를 삼킨 장미]]》
         * [[1979년]] 《[[불행한 여자의 행복]]》
         * [[1979년]] 《[[26 X 365 = 0]]》
         * [[1979년]] 《[[청춘의 덫 (영화)|청춘의 덫]]》
         * [[1979년]] 《[[영녀]]》
         * [[1979년]] 《[[불행한 아이의 행복]]》
  • 유하준
         '''유하준'''([[1979년]] [[1월 30일]] ~ )는 [[대한민국]]의 [[배우]]이다.<ref>김은지 기자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6&oid=082&aid=0000367959 유하준 하차 "신돈 연기 할 수 있어서 영광이었다"]부산일보 2012.12.7. 작성</ref> [[대구대학교]] 연극학과 졸업 이후 2003년 영화 '[[써클 (2003년 영화)|써클]]'로 데뷔, '[[하류인생]]' '[[중천 (영화)|중천]]'에 출연했으며, 드라마 '[[어느 멋진 날 (2006년 드라마)|어느 멋진 날]]'에 출연하였다.
         [[분류:1979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구대학교 동문]][[분류:대구광역시 출신]][[분류:대한민국의 남자 배우]][[분류:대한민국의 남자 영화 배우]][[분류:대한민국의 남자 텔레비전 배우]][[분류:판타지오 소속]]
  • 유홍준
         * [[1979년]] ~ [[1983년]] [[중앙일보]] 계간미술 기자
  • 윤미라
         1979년 간통 스캔들에 휘말려 활동을 중단했다가, 1982년 TV 드라마로 선회하여 재기에 성공했다. TV 드라마 대표작으로는 《[[서울의 달]]》, 《[[정 때문에]]》, 《[[솔약국집 아들들]]》 등이 있다.
         * [[1979년]] 《엄마 없는 하늘 아래 4》
         * 1979년, 여자 영화배우 부문 <대중의 우상> 조사에서 27%로 1위를 차지하였다.<ref>{{뉴스 인용
  • 윤상무
         '''윤상무'''([[1979년]] [[7월 20일]] ~ )은 전 [[KBO 리그]] 야구 선수의 [[내야수]]이다.
         [[분류:1979년 태어남]][[분류:서울특별시 출신]][[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KBO 리그 내야수]][[분류:두산 베어스 선수]]
  • 윤상원 (1950년)
         [[1950년]]([[단군기원|단기]] [[1950년|4283년]], [[대한민국 (연호)|대한민국]] [[1950년|32년]]) [[광주광역시]] [[광산구]] (구 [[전라남도]] [[광주광역시|광산군]])에서 태어나 [[1978년]] [[전남대학교]] 정치외교학과를 졸업했고, [[1979년]]에 [[들불야학]] 1기에 일반 사회를 가르치며 참여했다.
  • 윤연선 (1936년)
         * [[1979년]] [[9월 18일]] 중앙해난심판원 서기과장<ref>동아일보 1979년 9월 18일자 인사</ref>
  • 윤원호 (국회의원)
         * [[1979년]] 부산안전종합상사 대표 (현재)
  • 윤종빈
         '''윤종빈'''([[1979년]] [[12월 20일]] ~ )은 [[대한민국]]의 [[영화 감독]], [[각본가]]이다. 본관은 [[칠원 윤씨|칠원]]이다. 1999년 연극배우로 데뷔하였고, 2000년 연극연출가로 데뷔하였다.
         [[분류:1979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칠원 윤씨]][[분류:부산광역시 출신 인물]][[분류:중앙대학교 동문]][[분류:대한민국의 남자 연극 배우]][[분류:1999년 데뷔]][[분류:대한민국의 남자 뮤지컬 배우]][[분류:대한민국의 영화 감독]][[분류:대한민국의 연출가]][[분류:연극 감독]][[분류:대한민국의 영화 각본가]][[분류:대한민국의 남자 영화 배우]][[분류:한국영화평론가협회상 수상자]][[분류:청룡영화상 수상자]]
  • 윤종호 (1949년)
         * [[1979년]] [[단국대학교|단국대학교 대학원 경제학과]] [[경제학]] [[석사]]
  • 윤지혜 (1979년)
         '''윤지혜'''(尹智慧, [[1979년]] [[11월 10일]]~)는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1998년]] 영화 《[[여고괴담]]》에서 [[최강희 (1977년)|최강희]], [[박진희 (1978년)|박진희]] 등과 함께 출연하며 첫 데뷔하였고, 그 후 2014년 영화 《[[군도: 민란의 시대|군도]]》에서 남자 배우들 15명 속에서 군도 패거리 홍일점으로 출연하였으며, 2016년 영화 《[[아수라 (영화)|아수라]]》에서 남자 배우들 틈에서 검찰 수사관 역할로 열연했다.<ref>[http://entertain.naver.com/movie/now/read?oid=112&aid=0002852338 윤지혜 "'아수라' 정우성 곽도원, 가만히 있어도 숨막힐 정도"] 헤럴드뉴스. 2016년 09월 28일</ref>
         [[분류:1979년 태어남]][[분류:대한민국의 불교 신자]][[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서울예술대학 연극과 동문]][[분류:대한민국의 여자 영화 배우]][[분류:대한민국의 여자 텔레비전 배우]][[분류:대한민국의 여자 연극 배우]][[분류:포천시 출신]]
  • 윤지혜(배우)
         ||<#F5DEB3> '''{{{#000000 출생}}}''' ||<(> [[1979년]] [[11월 10일]] [[경기도]] [[포천시]] ||
         [[분류:한국 여배우]][[분류:1979년 출생]][[분류:1998년 데뷔]][[분류:서울특별시 중랑구 출신]]
  • 윤치영
         [[1976년]]에는 [[이승만]]박사 기념사업회 회장이 되었고, [[안중근의사숭모회]] 이사장을 두 번 지냈다. [[1978년]] [[한국유신학술원]] 고문을 지냈다. 말년에는 덕수교회 [[장로]]로서 봉사하기도 했다. 그 밖에 [[이승만]] 기념사업회 일을 주관하였고, [[대한민국]] 정부 수립이 [[미국]]을 등에 업은 [[친일파]]가 세웠다는 주장에 반박, 학생운동가들과 논쟁을 벌이기도 했다. [[1979년]] [[12월 9일]] [[국정자문회의]] 자문위원에 위촉되었다.
         그는 1970년대부터 [[이승만]]이 독재자라는 주장은 낭설이며 우의마의라는 단어의 어원을 설명, [[이승만]]이 3선으로 퇴진하려 했으나, [[이승만]]을 등에 업고 권력을 행사하려는 [[자유당 (대한민국)|자유당]] 측근들의 간계로 관제 3선 출마 시위가 있었고, 이승만은 속은 것에 불과하다는 주장을 역설했다. [[1979년]] 이후부터는 공공연히 [[이승만]]의 3선 퇴진설과 [[우의마의]]라는 단어의 어원을 역설하며 학생 운동권의 [[이승만]] [[독재]]자설에 반론을 제기했다.
         ** 둘째 누나: [[윤정숙]](尹貞淑, [[1889년]] [[6월 14일]] - [[1979년]] [[11월 24일]], 아명은 노덕(老德)): 사학자 [[이병도]]의 6촌 형 이병림(李丙琳)과 결혼)
  • 윤치일
         ** 이복 누나: [[윤노덕]](尹老德, [[1889년]] [[6월 14일]] - [[1979년]] [[11월 24일]], 다른 이름은 윤정숙(尹貞淑), 정동교회 최초의 여성장로 역임.)
  • 윤혜경
         '''윤혜경'''([[1979년]] [[9월 11일]] ~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분류:1979년 태어남]][[분류:서울특별시 출신]][[분류:중부대학교 동문]][[분류:미스코리아 지역 대회 입상자]][[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1999년 데뷔]]
  • 윤희상 (가수)
         |활동시기 = [[1979년]] ~ [[2017년]]
         [[1979년]]에 노래 "칠갑산" 으로 데뷔 한 뒤 한동안 무명 생활을 해 오다가 [[2000년]]대 초반에 "카스바의 여인"과 "텍사스 룸바", "포옹" 등의 노래를 발표하고 이 노래들을 빅히트 시키며 대한민국의 트로트 스타 가수로 이름을 올렸다.
         * [[1979년]] 칠갑산
  • 은지원
         결국, 박근혜가 대통령에 당선되면서 태어나서 두번째[* [[10.26 사건|10.26]]이 [[1979년]], 은지원이 [[1978년]]생이므로 1년 동안 대통령의 친인척이였다.]로 대통령 친인척에 포함되었다. 이런 집안 환경 탓인지 철없이 보일지 몰라도 평소의 행실은 꽤 좋다고 한다. [[1박 2일]] 멤버들 중 유일하게 [[한복]]을 제대로 입은 멤버이기도. [[박근혜]]가 파면되면서 다시 대통령 친인척에서 지정해제되었다. 고모가 '''박근혜'''라서 그런지 최근에도 안티가 다시 많아졌다. 비록 자주 만나지 않았더라도 박근혜가 대통령이 된 이후에 출연료가 어느 정도 올랐다고 은지원이 직접 말했다. 같이 사진을 찍은 것도 있으며 특혜는 안 받았어도 가족이었던 만큼 특히 이것은 평생 지고갈 짐이기도 한다. 여담이지만 97년 은지원이 데뷔한 이후 1년뒤에 [[박근혜]]가 국회의원으로 당선되면서 정계에 입문을 했었다.
  • 이강우 (1938년)
         * [[1976년]] [[2월]] ~ [[1979년]] [[6월]] : 경제기획원 경제기획국 투자2과{{·}}투자3과 과장(서기관)
         * [[1979년]] [[7월]] ~ [[1981년]] [[10월]] : 경제기획원 외자관리국 관리2과{{·}}관리총괄과 과장(서기관)
  • 이경진
         * [[1979년]] [[KBS]] 일일연속극 《[[기러기 (드라마)|기러기]]》
         * [[1979년]] [[KBS]] 일일연속극 《[[장미의 거리]]》
  • 이규호 (축구선수)
         '''이규호'''([[1979년]] [[7월 13일]] ~ )는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로서 포지션은 [[미드필더]]이다. 현재 [[고양 국민은행]] 소속으로 뛰고 있다.
         [[분류:1979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축구 선수]][[분류:부산 아이파크의 축구 선수]][[분류:부산광역시 출신 인물]][[분류:연세대학교 교육과학대학 동문]]
  • 이근후 (1979년)
         '''이근후'''([[1979년]] [[12월 19일]] ~ )는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분류:1979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남자 영화 배우]][[분류:대한민국의 남자 연극 배우]][[분류:울산광역시 출신 인물]]
  • 이덕희 (1960년)
         | 활동기간 = [[1979년]] ~ 현재
         '''이덕희'''(李德姬, [[1960년]] [[1월 25일]] ~ )는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1979년]] [[한국방송공사|KBS]] 공채 탤런트 6기로 데뷔했다.
         * [[1979년]] [[KBS1]] 전설의고향 《[[홍살문]]》
         * [[1979년]] [[KBS1]] 전설의고향 《[[정선 아리랑]]》
  • 이덕희(배우)
         | 활동기간 = [[1979년]] ~ 현재
         '''이덕희'''(李德姬, [[1959년]] [[12월 27일]] ~ )는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1979년]] [[한국방송공사|KBS]] 공채 탤런트 6기로 데뷔했다.
         * [[1979년]] [[KBS1]] 전설의고향 《[[홍살문 (드라마)|홍살문]]》
         * [[1979년]] [[KBS1]] 전설의고향 《[[이어도 (드라마)|이어도]]》
  • 이동준 (1958년)
         |활동기간 = [[1979년]] ~ 현재
         [[1979년]]부터 [[1986년]]까지 [[태권도]] 선수 활약을 하였고 [[1986년]] [[영화 배우|영화배우]]로 데뷔하였다. 신장은 180cm이고 체중은 84kg이다.
         [[분류:대한민국의 스포츠인]][[분류:1958년 태어남]][[분류:과천시 출신]][[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남자 뮤지컬 배우]][[분류:동아방송예술대학교 교수]][[분류:대한민국의 남자 영화 배우]][[분류:1979년 데뷔]][[분류:대한민국의 남자 가수]][[분류:대한민국의 트로트 가수]][[분류:대한민국의 남자 텔레비전 배우]][[분류:대한민국의 작사가]][[분류:20세기 대한민국 사람]][[분류:대한민국의 무술가]][[분류:21세기 대한민국 사람]][[분류:대한민국의 태권도 선수]][[분류:한산 이씨]]
  • 이만섭
         그 해 11월에는 [[민주공화당 (대한민국)|민주공화당]] 소속으로 제6대 국회의원에 비례대표로 당선되어 정계에 입문하였고,<ref name="경향_6311">共和黨,過半數線넘어, 《경향신문》, 1963.11.27</ref> 그 후 제7·10대 국회의원에 당선되었다.<ref name="동아_67">當選確定者, 《동아일보》, 1967.6.9</ref><ref name="경향_78">10代總選당선154人의얼굴들, 《경향신문》, 1978.12.13</ref> [[1968년]]에 개최된 국제의원연맹 제5차 총회에 한국 대표로 참석하였다. 국회에 사사건건 간섭하던 [[대한민국 중앙정보부|중앙정보부]]장 [[김형욱]]과 갈등을 겪었고 [[대한민국 제4공화국|제4공화국]] 후반 [[대한민국 중앙정보부|중앙정보부]]장으로 권력을 휘두른 [[이후락]]과 [[김형욱]]을 연이어 탄핵하였고 [[박정희]]가 그의 의견을 수용하여 이들을 낙마시키기도 했다. [[1979년]] 제10대 총선에서 [[대구 중구의 국회의원|대구시 중구]]·[[대구 서구의 국회의원|서구]]·[[대구 북구의 국회의원|북구]]에서 당선되었고 그해 [[민주공화당 (대한민국)|민주공화당]]의 당무위원이 되었다.
         |임기 = [[1979년]] [[3월 12일]] ~ [[1980년]] [[10월 27일]]
  • 이미선 (농구 선수)
         '''이미선''' ([[1979년]] [[2월 19일]] ~ )은 [[대한민국]]의 前 여자 [[농구]] 선수이자 현 농구 지도자이다. 포지션은 가드이며, 신장은 173 cm이다. 오랜 선수 생활에도 불구하고 녹슬지 않은 기량을 보여서 팬들로부터 [[크리스 폴]]을 본뜬 "할미스 폴"이라는 별명으로 불리기도 했다.<ref>[http://sports.news.naver.com/kbl/news/read.nhn?oid=065&aid=0000083821 5000득점 이미선, “할미스폴 별명 감사하다”] - 점프볼</ref>
         [[분류:1979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여자 농구 선수]][[분류:용인 삼성생명 블루밍스 선수]][[분류:2000년 하계 올림픽 농구 참가 선수]][[분류:2002년 아시안 게임 농구 참가 선수]][[분류:2004년 하계 올림픽 농구 참가 선수]][[분류:2008년 하계 올림픽 농구 참가 선수]][[분류:2010년 아시안 게임 농구 참가 선수]][[분류:2014년 아시안 게임 농구 참가 선수]][[분류:대한민국의 올림픽 농구 참가 선수]][[분류:대한민국의 아시안 게임 농구 참가 선수]][[분류:2002년 아시안 게임 메달리스트]][[분류:2010년 아시안 게임 메달리스트]][[분류:2014년 아시안 게임 메달리스트]][[분류:아시안 게임 농구 메달리스트]][[분류:대한민국의 아시안 게임 금메달리스트]][[분류:대한민국의 아시안 게임 은메달리스트]][[분류:광주광역시 출신]][[분류:광주수피아여자고등학교 동문]][[분류:한국여자프로농구 영구 결번]]
  • 이민우 (가수)
         '''이민우'''(李珉雨, [[1979년]] [[7월 28일]] ~ )는 [[대한민국]]의 [[가수]]이며, [[보이 그룹]] [[신화 (음악 그룹)|신화]]의 멤버이다.
         [[분류:신화의 일원]][[분류:Mnet 엠카운트다운 1위 수상자]][[분류:SBS 인기가요 뮤티즌송 수상자]][[분류:골든디스크 본상 수상 음악가]][[분류:신화컴퍼니 소속]][[분류:1998년 데뷔]][[분류:대한민국의 남자 가수]][[분류:대한민국의 댄스 음악가]][[분류:대한민국의 작곡가]][[분류:대한민국의 작사가]][[분류:대한민국의 남자 뮤지컬 배우]][[분류:비디오 자키]][[분류:대한민국의 남자 영화 배우]][[분류:대한민국의 남자 텔레비전 배우]][[분류:대한민국의 남자 모델]][[분류:대한민국의 개신교도]][[분류:1979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창원시 출신]][[분류:전주 이씨]][[분류:미스터리 음악쇼 복면가왕 참가자]]
  • 이민우(신화)
         ||<:><#FFB914>{{{#white '''출생'''}}}||<(><#ffffff>[[1979년]][* 호적상 [[1980년]]생으로 되어있다고 한다. [[신화방송]]에 따르면 돌잔치 사진으로 [[1979년]]생임을 인증했다고 한다.] [[7월 28일]] ([age(1979-07-28)]세), [[경상남도]] [[창원시|성산구]] 가음정동||
         [[1979년]] [[7월 28일]]생으로, [[경상남도]] [[창원시|성산구]]에서 2남 1녀 중 막내로 태어났다. 데뷔 전부터 진주에서 이름을 날리던 유명한 춤꾼이었다. 집안 사정이 어려웠던 탓에 고등학교 때부터 댄스팀을 꾸려 공연을 하며 직접 생활비를 벌었다. 댄스팀 팀원들과 함께 부산에서 열린 댄스경연대회에 참가하였다가 [[SM엔터테인먼트]]로부터 캐스팅되었고 신화 연습생에 합류하였다.
         [[분류:신화(아이돌)]][[분류:1979년 출생]][[분류:성산구 출신 인물]][[분류:아이돌 댄서]][[분류:미스터리 음악쇼 복면가왕 역대 출연자]]
  • 이상숙
         |활동기간 = [[1979년]] ~ 현재
         '''이상숙'''([[1962년]] [[1월 15일]] ~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며, 학력은 의창대산신라갈비다. [[1979년]] [[문화방송|MBC]] 11기 공채 탤런트로 데뷔하였다.
         [[분류:1962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배우]][[분류:대한민국의 여자 배우]][[분류:1979년 데뷔]][[분류:창원시 출신]][[분류:대한민국의 영화 배우]]
  • 이상호 (1979년)
         '''이상호'''(李相昊, [[1979년]] [[7월 17일]] ~ ,[[부산광역시]])은 [[대한민국]]의 정당인이다.
         [[분류:1979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부산광역시 출신 인물]][[분류:양정초등학교 동문]][[분류:동의중학교 동문]][[분류:양정고등학교 (부산) 동문]][[분류:부경대학교 동문]][[분류:열린우리당 당원]][[분류:더불어민주당 당원]]
  • 이상훈 (법조인)
         * [[1979년]] 서울대 법대 졸업
  • 이성미 (희극인)
         [[서울예술대학교]] 시절이던 [[1978년]]에 [[연극배우]]로 첫 데뷔하였고 이듬해 [[1979년]]에는 [[뮤지컬배우]]로 데뷔하였으며 1년 후 [[1980년]] 제2회 [[동양방송|TBC]] 개그콘테스트에서 [[김은우]]와 팀을 이뤄 대상을 수상한 후 연예계에 정식 데뷔했다.<ref>조선희.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93052400289107001&edtNo=5&printCount=1&publishDate=1993-05-24&officeId=00028&pageNo=7&printNo=1568&publishType=00010 달라진 여성 달라지는 사회(1)'잃어버린 이름'을 찾고싶다]. 한겨레. [[1993년]] [[5월 24일]].</ref><ref>조은별.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6&oid=079&aid=0002103493 ‘황금어장’ 이성미 솔직고백 힘입어 시청률 1위]. 노컷뉴스. [[2009년]] [[10월 29일]].</ref> 1980년대엔 가수 김학래의 아이를 가졌으나 아버지의 결혼반대로 인해 헤어진 뒤 홀로 아들을 잃고 미혼모로 살았다. [[1992년]] 잡지사 기자 을 만나[[조대원]]게 되었고 [[조대원]]은 취재차 이성미를 만났으나 이를 계기로 이성미와 가까워졌다. 이들은 [[1993년]] 결혼을 하였고 이후 딸 0명을 낳았다.<ref>[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93050500209125004&edtNo=40&printCount=1&publishDate=1993-05-05&officeId=00020&pageNo=25&printNo=22162&publishType=00010 개그우먼李(이)성미결혼 내달 19일 상대는 조대원씨]. 동아일보. [[1993년]] [[5월 5일]].</ref><ref>이준환.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6&oid=038&aid=0002304558 이성미, 남편과 4개월 만에 결혼 "확 당기니까, 끌려가더라"]. 한국일보. [[2012년]] [[9월 27일]].</ref> 조대원은 기자 생활을 그만둔 후에는 [[이매진아시아]] 대표이자 [[국제대학교 (경기)|국제대학교]] 방송학부 교수로 활동중이다. 연예계 데뷔 이후 왕성한 활동을 벌였고 [[1993년]] 희극 배우 [[박미선]]과 '쌍방울자매'를 결성하여 가수 활동을 하기도 했다. 세 자녀의 유학생활을 위해 [[2002년]] [[캐나다]]로 건너갔다가 아들만 캐나다에 남겨두고 딸 둘을 데리고 [[2009년]] [[대한민국]]으로 돌아와 연예계에 전격복귀했다.<ref>장은성. [http://navercast.naver.com/magazine_contents.nhn?rid=1089&contents_id=21667 이성미, 사춘기 아들과 화해하기까지 - 겪었던 갈등 고백]. 우먼센스. [[2013년]] [[2월]]호.</ref>
  • 이수영
         '''이수영'''(李秀英, {{본명|이지연}}(李芝演), [[1979년]] [[4월 12일]] ~ )은 [[대한민국]]의 [[가수]]이다. [[1999년]]에 정규 1집 《[[I Believe (이수영의 음반)|I Believe]]》로 데뷔했다. 이후 최고의 인기를 얻었고, 2009년 정규 9집 음반 《[[Dazzle]]》을 발매하기까지 통산 판매량 300만 장을 기록하였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6&oid=108&aid=0000005579 이수영, 통산 음반 판매량 400만장 도전]《스타뉴스》</ref>
         === 1979년 ~ 1998년 : 어린 시절 및 초기 활동 ===
         [[분류:블루프린트 뮤직 소속]][[분류:골든디스크 대상 수상 음악가]][[분류:골든디스크 본상 수상 음악가]][[분류:대한민국의 발라드 음악가]][[분류:1999년 데뷔]][[분류:대한민국의 가수]][[분류:대한민국의 여자 가수]][[분류:대한민국의 작사가]][[분류:대한민국의 여자 싱어송라이터]][[분류:대한민국의 방송인]][[분류:대한민국의 라디오 진행자]][[분류:인천광역시 출신]][[분류:1979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침례교도]][[분류:나는 가수다에 출연한 가수]][[분류:SBS 인기가요 1위 수상자]][[분류:SBS 인기가요 뮤티즌송 수상자]][[분류:Mnet 엠카운트다운 1위 수상자]][[분류:미스터리 음악쇼 복면가왕 참가자]][[분류:전주 이씨]]
  • 이승학 (야구감독)
         '''이승학'''(李承學, [[1979년]] [[6월 2일]] ~ )은 전 [[KBO 리그]] [[두산 베어스]]의 [[투수]]이다.
         [[분류:1979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부산광역시 출신 인물]][[분류:KBO 리그 투수]][[분류:두산 베어스 선수]][[분류:부산공업고등학교 동문]][[분류:단국대학교 동문]][[분류:하단초등학교 동문]][[분류:경남중학교 동문]]
  • 이시영 (1882년)
         * 조카 : [[이인]](李仁, [[1896년]] [[10월 26일]](음력 [[9월 20일]]) ~ [[1979년]] [[4월 5일]], 독립운동가 겸 정치인, 법조인)
  • 이열희 (1924년)
         '''이열희'''(李烈熙, [[1924년]] [[12월 18일]] - [[2012년]] [[8월 9일]])는 [[대한민국]]의 의학 교육자, [[치과]] 의사, [[구강 성형외과]] 의사, 대학 교수 및 [[예비역]] [[대한민국 육군]] [[대위]]이자 [[경북대학교]] 치의과대학 창립 멤버의 한 사람이며, 치과, 악안면외과(악안면성형외과) 전문의였다. [[경북대학교]] 의과 대학의 치의학과 과장이자, 경북대학교 치의과대학 초대 학장이었다. [[1962년]] [[11월]] [[대한악안면성형재건외과학회]](大韓顎顔面成形再建外科學會)의 창립 멤버의 한 사람이기도 하다. 6.25 전쟁 당시에는 군의관으로 참전했고, [[1950년]]대부터 [[치과]]대학 부설의 필요성을 주장하여 [[1979년]] [[경북대학교]]에 치의과대학을 별도로 설치하고, 이후 치과대학이 의과대학에서 분리, 단설되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경북대 재직 초기 당시 그는 "치과대 설립을 허가해 주고는 예산을 제때 배정해주지 않아 교실없이 신입생을 모집, 강의실을 구하기 위해 우왕좌왕했던 일이 가장 기억에 남는다"고 한다.<ref name="imails"/> [[1957년]]부터 [[대한민국 문교부|문교부]]를 상대로 치과 관련 대학의 별도 단설을 주장, 설득한 끝에 [[1979년]] 경북대학교 치과 대학외 7개 대학교의 치과대학을 시범으로 설립하여 성과가 나타나자 각 대학의 치과대학 별도 설치를 허가받았다.
         [[1979년]] [[3월]] [[경북대학교]] 의과대학 치과가 단과 대학으로 승격, 치의과대학이 의과대학에서 분리 신설되자, 그는 경북대 치의과대학 초대 학장으로 취임하였다. [[1981년]] [[3월]] [[경북대학교]] 치과대학 제2대 학장이 되었으나 그 해 9월을 기하여 물러났다. 이후 [경북대학교]] 치과대학 치의학과 평교수로 재직하며 경북치과의사회 회장 등을 역임했다. 이후 개인의로 개업하여 이열희 의원 원장을 맡기도 했다. [[1980년]] [[9월]] [[대한군진의학협회]] 명예회원에 위촉되고, [[1981년]] 정년 퇴임과 동시에 [[경북대학교]] 치과대학 명예교수에 선임되었다. 1983년 3월 FICO학위를 취득하였다.
         * 대한치과의사협회 학술대상(1979년 11월)
  • 이인
         '''이인'''(李仁, [[1896년]] [[10월 26일]] ~ [[1979년]] [[4월 5일]])은 [[한국]]의 독립운동가이며 법률가, 정치인이다. 자(字)는 자옥(子玉), 호(號)는 애산(愛山). [[일본]] 유학 후, [[1923년]] 변호사시험에 합격, 변호사를 개업하고 이후 [[일제 강점기]] 당시 [[김병로]], [[허헌]]과 함께 독립운동가 및 애국자, 사회저명인사들을 상대로 무료변호를 하여 등과 함께 '''3대 민족 인권 변호사'''로서 명망을 날렸다. 일제 강점기 말기에는 창씨개명을 거절하였고, 해방 후 우익 정치인으로 활동하다가 [[이승만]]의 단독정부 수립론에 가담하였다. [[1948년]] [[5월]] [[제헌국회의원]] 선거에 출마하여 당선되었고, 정부수립 이후 국회의원과 법무부장관을 역임하였다. [[1949년]] 7월에 [[반민특위]] 위원장에 임명되어 반민특위를 와해, 해체시켰다.<ref>{{서적 인용
         [[분류:1896년 태어남]][[분류:1979년 죽음]][[분류:대한민국의 반일 감정]][[분류:대한민국의 반공주의자]][[분류:19세기 한국 사람]][[분류:20세기 대한민국 사람]][[분류:대한제국의 유학자]][[분류:유교 신자]][[분류:일제 강점기의 대학 교수]][[분류:일제 강점기의 법조인]][[분류:한국의 독립운동가]][[분류: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분류:조선어학회 사건]][[분류:한국의 군정기]][[분류:대한민국의 한국 전쟁 관련자]][[분류:대한민국의 저술가]][[분류:대한민국의 기업인]][[분류:대한국민당 (1948년) 당원]][[분류:한국독립당]][[분류:신민당]][[분류:대한민국의 법조인]][[분류:대한민국의 법무부 장관]][[분류:이승만 정부의 국무위원]][[분류:대한민국 제1공화국]][[분류:대한민국 제2공화국]][[분류:대한민국 제3공화국]][[분류:이범석 (1900년)]][[분류:대한민국 제4공화국]][[분류:이승만| ]][[분류:메이지 대학 동문]][[분류:니혼 대학 동문]][[분류:경주 이씨]][[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
  • 이인 (동음이의)
         * '''[[이인]]'''(李仁, [[1896년]] ~ [[1979년]])은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정치인이다. 호는 애산(愛山)이다.
         * '''[[이인 (기업인)|이인]]'''([[1979년]] ~ )은 대한민국의 기업인이다.
  • 이정선 (가수)
         이후 [[1974년]]에 '이정선-이리저리'라는 데뷔 앨범을 발표하였으나, 한국 최초로 모든 곡을 작사, 작곡, 편곡, 노래, 연주까지 하여 [[1974년]]에 발표한 앨범 '이정선(섬소년)'을 공식적인 1집 앨범으로 인정하고 있다. [[1975년]]에 이정선, 이주호, 한영애, 김영미의 4인조 포크 그룹 '해바라기'를 결성하여 활동을 시작하였고, 군입대로 빠진 이주호 대신에 이광조를 영입하여 [[1979년]]까지 활동하였다. [[1986년]]에 외국에서 잠시 귀국한 김영미를 포함해서 해바라기 멤버들은 '해바라기 3집'앨범을 발표하였다.
         [[1979년]]에 이광조, 엄인호와 함께 3인조 포크록 그룹 '이정선과 풍선'을 결성하여 1년간 활동하였고, [[1986년]]~[[1997년]] 엄인호와 함께 블루스 록 밴드 [[신촌 블루스]]를 결성, 활동을 하면서 한영애, 김현식, 김동환, 정서용, 정경화, 이은미, 강허달림 등의 멤버가 밴드의 싱어로 참여하였다.
         * [[1979년]] 이정선 4집 봄, 여름
         * [[1979년]] 이정선과 풍선
  • 이제니 (배우)
         '''이제니'''(<small>미국명: </small>'''제니퍼 리'''(Jennifer Lee, 제니퍼 리), [[1979년]] [[7월 20일]] ~ )는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분류:1979년 태어남]]
  • 이헌일
         '''이헌일'''(李憲一, [[1917년]] [[3월 25일]] ~ [[1979년]] [[4월 17일]])은 [[한국의 독립 운동|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이다. 본관은 [[경주 이씨|경주]](慶州), 호(號)는 창록(蒼綠). 경상북도 대구(慶尙北道 大邱) 출생이다.
         [[분류:1917년 태어남]][[분류:1979년 죽음]][[분류:대륜고등학교 동문]][[분류:경북고등학교 동문]][[분류:연희전문학교 동문]][[분류:연세대학교 문과대학 동문]][[분류:육군 장교]][[분류:국방대학교 동문]][[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경주 이씨]][[분류:대한민국의 반일 감정]][[분류:대한민국의 반공주의자]][[분류:김구]][[분류:이범석 (1900년)]][[분류:유교 이탈자]][[분류:대한민국의 장로교도]][[분류:광복군]][[분류:제2차 세계 대전 참전 군인]][[분류:한국독립당]][[분류: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
  • 이홍렬(코미디언)
         ||<#595959><:> {{{#FFFFFF ''' 데뷔 ''' }}} ||<(> [[1979년]] [[TBC]] 라디오 가요대행진 ||
          * [[주병진]](1977년 데뷔) - [[강석(코미디언)|강석]](1978년 데뷔) - 이홍렬(1979년 데뷔) 순으로 선후배 사이다. 이 시점 이후로 MBC의 개그맨은 [[공채]]를 하기 시작하여 기수대로 표시하고 있다. 즉, 이 세 사람은 특기수에 해당. 알다시피 개그맨계는 선후배 사이를 철저히 따지는 쪽이라....
         [[분류:대한민국의 남성 방송인]][[분류:한국 남성 코미디언]][[분류:화천군 출신 인물]][[분류:1954년 출생]][[분류:1979년 데뷔]][[분류:1대 100 역대 1인]]
  • 이홍열 (바둑기사)
         아마추어 시절 [[1979년]] 13기 아마국수전에서 우승하여 [[1983년]]에 입단하였고, 2001년 8단을 거쳐 [[2005년]] 11월에 9단으로 승단하였다. [[2007년]]에 한국바둑리그 제일화재 감독, [[2009년]] KB국민은행 한국바둑리그 감독(신안 태평천일염)을 맡았다.
  • 이효상
         1963~1971년 6, 7대 국회의원, 국회의장을 역임하고 IPU․APU 한국위원회 위원장을 겸직하였다. [[1973년]], 9대 국회의원에 당선되었으며 같은해 3월에는 공화당 의장서리 겸 당무위원이 되고, 1979년 10대 국회의원에 당선되어 공화당총재 상임고문에 취임하였다. 상훈으로는 [[서독]] 1급 대십자훈장, 교황청 대십자기사훈장, [[말레이시아]] 판쿠안네가라 최고훈장 등을 받았다.
         |임기 = [[1973년]] [[3월 8일]] ~ [[1979년]] [[2월 19일]]
         |임기 = [[1973년]] [[3월 12일]] ~ [[1979년]] [[3월 11일]]
         |임기 = [[1979년]] [[3월 12일]] ~ [[1980년]] [[10월 27일]]
  • 이효춘
         * [[1979년]] [[MBC]] 신년특집극 《[[까치골의 봄]]》
         * [[1979년]] [[MBC]] 주말연속극 《[[봄비 (드라마)|봄비]]》 ... 윤세화 역
         * [[1979년]] [[MBC]] 일일연속극 《[[소망 (1979년 드라마)|소망]]》
         * [[1979년]] [[MBC]] 8.15특집극 《[[한국인 (드라마)|한국인]]》
         * [[1979년]] [[MBC]] 주말연속극 《[[산이 되고 강이 되고]]》
         * [[1979년]] [[MBC]] 추석특집극 《[[먼길도 아닌데]]》
  • 이희준
         '''이희준'''([[1979년]] [[6월 29일]] ~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분류:1979년 태어남]][[분류:대한민국의 남자 연극 배우]][[분류:1998년 데뷔]][[분류:대한민국의 남자 영화 배우]][[분류:창극 배우]][[분류:불교 이탈자]][[분류:대한민국의 남자 뮤지컬 배우]][[분류:대한민국의 남자 텔레비전 배우]][[분류:서울특별시 출신]][[분류:살아있는 사람]]
  • 임동규 (1979년)
         '''임동규'''(任洞珪<ref>한국야구위원회, 2010 가이드북</ref>, [[1979년]] [[6월 3일]] ~ )는 전 [[KBO 리그]] [[삼성 라이온즈]]의 투수이다.
         [[분류:1979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광주광역시 출신]][[분류:KBO 리그 투수]][[분류:삼성 라이온즈 선수]][[분류:광주동성중학교 동문]][[분류:광주동성고등학교 동문]][[분류:동국대학교 동문]][[분류:풍천 임씨]]
  • 임수정(탤런트)
         || '''출생''' ||<(> [[1979년]] [[7월 11일]]([age(1979-07-11)]세), [[전라북도]] [[임실군]] ||
          * 나이 : 그녀의 프로필은 1980년 7월 11일 생으로 되어있다. 그런데 그녀가 본격적으로 알려질때부터 사실은 그보다 나이가 더 많다는 주장이 있었다. 그리고 그녀와 친한것으로 알려진 공효진이 그녀를 언니라고 부른다. 공효진은 프로필상 1980년 4월 4일생으로 되어있어 생일도 더 빠르고 방송이나 영화데뷔도 공효진이 더 빠른데 그녀를 언니라고 부르는것이다. 2008년 10월 13일 놀러와 215회에서 공효진이 그녀를 지칭할때 언니라고 불렀다. [[http://ent.jknews.co.kr/article/news/20081014/0087269.htm|#]] 또한 소속사 홈페이지가 새 개장을 했을때 그녀의 영문 프로필에 출생년이 1979년으로 나왔다가 소속사가 다시 수정했다. 그런데 2011년 10월, 소속사를 옮기면서 아무런 언급도 없이 기습적으로 포털사이트에 있는 프로필에 '''1979년생으로 출생년도를 바꿨다.''' 아마 1980년은 전 소속사에서 고집하던 나이인듯.
         [[분류:한국 여배우]][[분류:1979년 출생]][[분류:임실군 출신 인물]][[분류:2001년 데뷔]]
  • 임주리
         |활동시기 = [[1979년]] ~ 현재
         임주리는 데뷔전 [[1977년]], 미8군 스테이지에서 [풀케치]의 리드싱어로 활약하면서 2년후 [[1979년]]에 당시 TBC 인기드라마 [[야 곰례야]]의 주제가를 부르면서 가요계에 데뷔했다. 이 주제가는 크게 히트했지만 무대에서는 알릴 길이 없어 얼굴없는 가수로 떠올랐다. [[1981년]]에 <야 곰례야>라는 곡이 히트하여 한국일보사에서 준 한국연극영화 TV 예술상의 주제가부문 대상을 수상하였다. 하지만 [[1987년]], 새 앨범이 그다지 성공하지 못하자 미국으로 떠났다. 이후 [[1993년]]에 <립스틱 짙게 바르고>라는 곡을 배우 [[김혜자]]가 MBC 연속극 <엄마의 바다>에서 불러 인기를 끌면서 대중들에게 널리 알려져 한국으로 귀국하여 [[1994년]]에 각종 인기차트에서 1위를 하며 상승세를 이어갔다. 그리고 한국노랫말 대상 등 여러가지 상을 수상하였고 영화, 드라마에서 출연하며 전성기를 누볐고 그 후 <사랑할 때 용서할 때>, <사랑의 기도>를 연달아 히트시키며 90년대 최고의 가수로 자리매김했다. 특히 임주리는 서정적이고 차분한 노래를 주로 불렀고 자신의 곡 대부분의 작사를 본인이 맡았다. 그리고 <립스틱 짙게 바르고>라는 곡은 노래방애창곡으로도 선정될 만큼 대중들에게 널리 알려져 있다. 최근에는 신곡을 발표하면서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 1979년 <야! 곰례야/ 이대로 떠나렵니다>
         * 1979년 <떠나간 님아/ 내마음 흔들려>
         [[분류:대한민국의 여자 가수]][[분류:대한민국의 트로트 가수]][[분류:1958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1979년 데뷔]][[분류:부산광역시 출신]][[분류:서울간호전문대학 동문]]
  • 임진숙
         * [[1979년]] ~ [[1982년]] : [[대구여자고등학교]]
  • 임창욱 (기업인)
         * [[1979년]] ~ [[1987년]] 미원그룹 부회장
  • 임현성
         || '''출생''' ||<(> [[1979년]] [[4월 21일]] [[전라북도]] [[부안군]] ||
         [[대한민국]]의 배우. 1979년
         [[분류:한국 남배우]][[분류:1979년 출생]][[분류:부안군 출신 인물]]
  • 장동민
         || '''출생''' ||[[1979년]] [[7월 20일]] ([age(1979-07-20)]세), [[충청남도]] [[아산시]] ||
         1979년, 아버지 장광순과 어머니 나명자 사이에서 3남매 중 [[고명아들|막내아들]]이자 [[장손]]으로 출생했다. 대학 재학 시절 같은 학교 동기인 [[유상무]], [[유세윤]]을 만나, 2004년 [[한국방송공사|KBS]] 공채 개그맨 19기로 데뷔하였다.
          * 현재 기준으로 옹달샘 멤버들 중 아직도 유일한 [[미혼]]이다. 유상무는 가장 최근인 [[2018년]] [[10월]]에 [[장가]]를 갔다. 또한 옹달샘 멤버들 중 유일하게 [[장(성씨)|장씨]]이며[* 나머지들은 모두 [[유(성씨)#s-2|유씨]].], 또한 유일하게 [[1979년]] 생이다[* 나머지들은 모두 [[1980년]] 생.].
  • 장은숙 (가수)
         * 3집 《회심곡/인간백세》([[1979년]])
         * 4집 《영원한 사랑/이대로 떠나지만》([[1979년]])
  • 장인한
         * [[1979년]]
         * 1979년 《[[물도리 동]]》, 《[[아니벌써]]》, 《[[장마 (영화)|장마]]》
  • 장재식
         |임기 = [[1973년]] [[5월 1일]] ~ [[1979년]] [[5월 7일]]
  • 장희진 (1944년)
         '''장희진'''(張僖辰, [[1944년]] [[8월 16일]] [[서울특별시]] ~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1979년]] [[KBS]] [[드라마]] 동심초로 데뷔하였다.
  • 전광렬
         [[1978년]] [[연극배우]]로 첫 데뷔를 하였고 1년 후 [[1979년]] [[뮤지컬 배우]]로 데뷔하였으며 이듬해 [[1980년]] [[동양방송|TBC 동양방송]] 23기 공채 탤런트로 정식 데뷔하였다.
  • 전초아
         '''전초아'''([[1979년]] [[9월 19일]] [[음력]] ~ )는 [[대한민국]]의 가수이다.<ref>[http://people.search.naver.com/search.naver?sm=tab_txc&where=people_profile&ie=utf8&query=%EC%B4%88%EC%95%84&os=165574 초아-네이버 인물]</ref><ref>[http://search.nate.com/search/all.html?q=%BF%B9%C0%CE&hi=PR299911&ht=h_pf&csn=12&dsn=4&asn=001200294 초아-네이트 인물]</ref>
         [[1979년]] [[9월 19일]] [[음력]] 출생, 성악을 전공하였고, [[2004년]] 란으로 데뷔하였으나 소속사 문제로, [[2007년]] 예인으로 활동하였다. 란때 대표곡으로는 《어쩌다가》, 《사랑해서 더 슬픈일》, 《널 사랑해》 등이 있다.
         [[분류:대한민국의 여자 가수]][[분류:부산광역시 출신 인물]][[분류:경남여자고등학교 동문]][[분류:1979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경성대학교 동문]][[분류:2004년 데뷔]][[분류:보이스 코리아 참가자]]
  • 정규수(배우)
         |활동기간 = [[1979년]] ~ 현재
         1979년 연극《장군멍군》으로 데뷔 한 후, 1대《품바》멤버로 이름이 높았고, 그 후 수많은 연극에 출연하였고 영화《[[킬러들의 수다]]》,《[[박수칠 때 떠나라]]》,《[[청춘만화]]》에도 출연하였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3&oid=119&aid=0000009681 연극계의 대부들이 뭉쳤다] 데일리안. 2006년 07월 06일</ref><ref>[http://entertain.naver.com/read?oid=382&aid=0000000780 1998년 ‘품바’ 4000회 공연] 스포츠동아. 2011년 06월 27일</ref>
         * [[1979년]] 《장군멍군》
         [[분류:1957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텔레비전 배우]][[분류:대한민국의 영화 배우]][[분류:대한민국의 연극 배우]][[분류:1979년 데뷔]][[분류:대한민국의 배우]][[분류:무안군 출신 인물]]
  • 정명재
         | 활동기간 = [[1979년]] ~ 현재
         [[1979년]] [[동양방송|TBC 동양방송]] 특채 [[희극 배우|코미디언]]으로 첫 데뷔하였다.
         [[분류:대한민국의 남자 영화 배우]][[분류:대한민국의 남자 배우]][[분류:하동 정씨]][[분류:대한민국의 남자 연극 배우]][[분류:대한민국의 남자 희극인]][[분류:1979년 데뷔]][[분류:1958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서울특별시 출신 인물]][[분류:성동고등학교 동문]]
  • 정명훈 (1979년)
         '''정명훈'''([[1979년]] [[9월 25일]] ~ )은 [[대한민국]]의 [[희극 배우|희극인]]이다.
         정명훈은 [[1979년]] [[9월 25일]], [[경기도]] [[포천시|포천]]에서 태어났다. 그는 2001년 KBS 공채 16기 개그맨으로 데뷔하였고, 2001년 신인상을 받아 그후로 개그콘서트에서 《짠짠극장》, 《웃겨버릴꺼야~》, 《키컸으면》, 《뜬금뉴스》, 《점점 브라더스》, 《타락토비》, 《풀옵션》 등으로 인기를 얻었으며, 2010년 7월 5세 어린이에게 골수를 기증하여 천사 연예인으로 등극하면서 상당히 일찍 데뷔를 하여 개그콘서트 내에서 서열 3위에 들 정도이다.
         [[분류:개그콘서트]][[분류:대한민국의 희극인]][[분류:2001년 데뷔]][[분류:1979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포천시 출신]][[분류:인덕대학교 동문]][[분류:경주 정씨]]
  • 정명훈 (지휘자)
         정명훈은 19세 때부터 누나 [[정명화]]의 시누이로 다섯 살 연상의 구순열을 짝사랑했고, [[가족]]에게 숨긴 채 교제를 했다. [[차이콥스키 국제 콩쿠르]]에서 받은 상금 3000루블로 비행기 티켓을 사서 [[카리브 해]]로 밀월여행을 떠나기도 했다. [[1979년]] [[부모]]의 허락을 받지 못한 채 [[미국]]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LA]]에서 [[결혼식]]을 올렸고 식에는 어머니 이원숙 여사만이 참석했으나 나중에는 [[부모]]에게도 인정받았다.<ref>황호택, 《신동아》 [[2004년 2월]]호</ref> 부인과의 사이에서 세 아들 정진, 정선, 정민을 두고 있다.
  • 정성주
         [[1979년]] [[동아일보]] [[신춘문예]] 희곡 부문에 〈하늘이여〉가 당선되면서 작가 활동을 시작하였다.<ref>정희서. [http://entertain.naver.com/read?oid=311&aid=0000478943 ('풍문' 종영③)안판석·정성주, 두 장인이 빚어낸 명품 드라마]. 엑스포츠뉴스. 2015년 6월 3일.</ref>
  • 정소영 (배우)
         '''정소영'''([[1979년]] [[1월 6일]] ~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분류:1979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여자 영화 배우]][[분류:1997년 데뷔]][[분류:대한민국의 여자 텔레비전 배우]][[분류:대한민국의 여자 뮤지컬 배우]][[분류:대한민국의 여자 연극 배우]][[분류:서울특별시 출신]][[분류:서울대학교 동문]][[분류:세종대학교 문화예술콘텐츠대학원 동문]]
  • 정승화(육군)
         ||<#2e8b57><:> {{{#ffffff '''기간'''}}} ||<#8fbc8f> 1948년 ~ 1979년 ||
         5.16 쿠데타 이후 군사정권, 3공화국, 4공화국을 거치면서 계속 승승장구했다. [[제7보병사단]][[사단장|장]], [[대한민국 국방부|국방부]] 인사국장, [[제3군단]][[군단장|장]], 육군사관학교 [[교장]], [[제1야전군사령관]]을 역임한 이후에 [[1979년]] [[2월]] [[육군참모총장]]으로 영전했다. 여담으로 당시 정승화는 [[김대중]]에게 부정적이라 그가 당선되어도 용인하지 않겠다는 편파적 발언을 하기도 했으나 여하간 직접적으로 정치에 개입하는 시도는 없었다.
         그리고 그의 인생에서 큰 사건이 터지는데 1979년 [[10.26 사건]](김재규의 박정희 전 대통령 시해사건)이다. 당시 육군참모총장이였던 정승화에게는 인생의 전환점이 된다. 자세한 사항은 [[10.26 사건]] 문서로.
  • 정애리
         * 1979년 [[KBS]] 일일연속극 《기러기》 ... 민지희 역
         * 1979년 [[KBS]] 일일연속극 《어떤 여자》
         * 1979년 [[KBS]] 6.25특집극 《레만호에 지다》 ... 북한 여간첩 하마리 역
         * 1979년 [[KBS]] 납량특집극 《[[전설의 고향]]》〈정선 아리랑〉
         * [[1979년]] 퇴계로의 밤 / 그리운 당신<ref>[http://www.lp25.com/shop/shopdetail.html?branduid=11397 lp25 앨범정보] "2014년 8월 11일 확인"</ref><ref>[http://www.maniadb.com/album/205303 maniadb 앨범정보] "2014년 8월 11일 확인"</ref>
  • 정우(배우)
         ||<#FE2E64> {{{#ffffff '''가족'''}}} ||<(> 어머니, 형, 누나[br]배우자 [[김유미(1979)|김유미]][* [[1979년]] 생 배우.], 슬하 1녀 ||
  • 정준 (1979년)
         '''정준'''([[1979년]] [[3월 6일]] ~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분류:총신대학교 동문]][[분류:대한민국의 남자 배우]][[분류:대한민국의 남자 영화 배우]][[분류:대한민국의 남자 텔레비전 배우]][[분류:대한민국의 남자 어린이 배우]][[분류:대한민국의 남자 모델]][[분류:문경시 출신]][[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1979년 태어남]][[분류:1991년 데뷔]][[분류:대한민국의 장로교도]]
  • 정진
         * '''[[정진 (1979년)|정진]]'''([[1979년]] ~ )은 [[대한민국]]의 전 야구선수이다.
  • 정진 (1979년)
         '''정진'''(<ref>[http://www.ncdinos.com/player/person?playerId=23 NC 다이노스 선수단 정보]</ref>, [[1979년]] [[6월 8일]] ~ )는 [[KBO 리그]] [[NC 다이노스]]의 전 우완 사이드암 [[투수]]이자, 현 야구부 코치이다. 개명전 이름은 '''[[정성기]]''' (鄭城基)이다.
         [[분류:1979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여수시 출신]][[분류:KBO 리그 투수]][[분류:동의대학교 동문]][[분류:NC 다이노스 선수]]
  • 정채진
         |임기 = [[1976년]] [[10월 22일]] ~ [[1979년]] [[1월 14일]]
  • 정태섭 (1954년)
         그는 연세대학교 의과대학(1973-1979년)를 학사 학위하였으며 연세의료원 영상의학과에서 전공의 과정후 전문의를 취득하였다(1980-1983년). 1987년 군예편후 연세대학교 강남세브란스병원 영상의학과 전임강사발령 및 현재 교수로 재직중이다. 도중에 미국 펜실베니아의과대학(1992-1993년)에 연구교수로 있었다. 그후 그는 과학의 일반화, 과학과 예술의 융합및 과학과 인문학의 교류에 대한 시도를 하고 있다.
         * [[1979년]]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의학]][[학사|사]]
  • 정한용
         * [[1979년]] [[동양방송]] (현.[[KBS]]) 22기 공채 탤런트
  • 정한용(배우)
         [[분류:대한민국 국회의원]][[분류:고령군 출신 인물]][[분류:한국 남배우]][[분류:1954년 출생]][[분류:1979년 데뷔]]
         ||데뷔||[[1979년]] [[동양방송]] 22기 공채 탤런트||
  • 정해영 (1915년)
         |임기 = [[1973년]] [[3월 12일]] ~ [[1979년]] [[3월 11일]]
         |임기 = [[1979년]] [[3월 12일]] ~ [[1980년]] [[8월 27일]]
  • 정현수
         '''정현수'''([[1979년]] [[2월 25일]] ~ )는 [[대한민국]]의 [[희극 배우]], [[MC]]이다.
         [[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1979년 태어남]][[분류:대한민국의 방송인]][[분류:대한민국의 희극인]][[분류:광주광역시 출신]][[분류:코미디빅리그]]
  • 조상구
         그는 대학 2학년 시절 아버지를 여윈 충격에 1학기를 마치고 곧바로 해병대에 지원하여 [[대한민국 해병대|해병대 283기]]로 사병 복무하였으며, 1978년 군 제대 후 [[연극배우]] 첫 데뷔하였고, 이듬해 [[1979년|79년]] [[영화]] 《병태와 영자》의 단역으로 정식데뷔하였다. 본명은 '''최재현'''이지만, [[1986년|86년]] 영화 《공포의 외인구단》이라는 작품에서 '''조상구''' 역할을 맡아 많은 인기를 얻게되어 그 이후 예명으로 활동하였다. 대표작으로 [[텔레비전 드라마|드라마]] 《[[야인시대]]》, 《[[연개소문 (드라마)|연개소문]]》, 《공포의 외인구단》, 《[[연개소문 (드라마)|연개소문]]》, 《[[징비록 (드라마)|징비록]]》, 《[[장영실 (드라마)|장영실]]》 등이 있다.
  • 조세희(소설가)
         출생 [[1942년]] [[8월 20일]] [[경기도]] [[가평군]] 출신.[* 이 지역에는 양주 조씨의 집성촌이 있다. 조세희 역시 양주 조씨이다.] [[보성고등학교(서울)|보성고등학교]], [[중앙대학교]] 문예창작과(구 서라벌예대), 경희대 국문과 졸업. 그의 스승이 바로 [[황순원]]이다. 대표작은 [[난장이가 쏘아올린 작은 공]]([[1975년]] ~ [[1978년]], [[1979년]] [[동인문학상]] 수상)이다.
  • 조우진 (배우)
         '''조우진'''([[1979년]] [[1월 16일]] ~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분류:1979년 태어남]][[분류:1999년 데뷔]][[분류:대한민국의 남자 배우]][[분류:대한민국의 남자 영화 배우]][[분류:대한민국의 남자 텔레비전 배우]][[분류:대한민국의 남자 연극 배우]][[분류:대한민국의 남자 뮤지컬 배우]][[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서울특별시 출신]][[분류:서울예술대학 동문]][[분류:함안 조씨]]
  • 지선(가수)
         || '''출생''' || [[1979년]] [[10월 18일]], [[충청남도]] [[홍성군]] ||
         [[분류:한국 여가수]][[분류:1979년 출생]][[분류:홍성군 출신 인물]][[분류:2003년 데뷔]][[분류:투유 프로젝트 - 슈가맨 시리즈 역대 출연자]]
  • 진종채
         대대장 월북 거짓 보고 사건의 여파로 [[1979년]] [[제2작전사령관|제2군사령관]]으로 보직 이동했다. 보안사령관 후임자로 전두환을 적극 추천하였고, 갓 소장에 진급한 전두환이 핵심 요직인 보안사령관에 임명되면서, 이 결정은 나비효과처럼 12.12 군사반란으로 이어지게 된다. 10.26 사태 후 규정에 의거하여 보안사령관이 대통령 시해 합동수사본부장이 됨으로써 전두환의 권력 장악 시나리오가 시작되었기 때문이다.
  • 차남규
         |경력 = [[1979년]] [[한화그룹]] 공채 입사<br />[[1997년]] [[한화기계]] 재직<br />[[2005년]] [[대한생명보험|대한생명]] [[중국]]주재 임원 역임 등
         |활동기간 = [[1979년]] ~
         [[1954년]] [[1월 1일]] [[부산광역시|부산]]에서 태어났으며 부산고등학교와 고려대학교 법학과를 졸업했다. [[1979년]] 한화생명에 공채로 입사하여 [[한화기계]], [[한화정보통신]], [[여천NCC]] 등의 한화그룹 계열사에서 일했다. 한화그룹이 대한생명을 인수했던 [[2002년]]부터 보험업 분야에서 일하게 되었으며<ref>{{뉴스 인용|저자1=이규연 |저자2=이승용 |제목=[Who Is ?] 차남규 한화생명 사장|url=http://www.businesspost.co.kr/news/articleView.html?idxno=24063|날짜=2016-02-29|뉴스=비즈니스 포스트}}</ref><ref>{{뉴스 인용|저자=공희정 |제목=한화그룹의 대한생명 인수 '논란'|url=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0088629|날짜=2002-09-24|뉴스=오마이뉴스}}</ref> [[2013년]] [[5월 3일]] 신은철 한화부회장이 물러나면서 대표이사를 맡게 되었다.<ref>{{뉴스 인용|저자=최일권 |제목=신은철 한화생명 부회장 퇴진|url=http://www.asiae.co.kr/news/view.htm?idxno=2013050306282821562|날짜=2013-05-03|뉴스=야경e}}</ref>
  • 차범근
         |설명=1979년의 차범근
         [[1976년]] 10월 [[공군 축구단|공군]]에 입대해 사병으로 복무 중인, [[1978년]] 12월에 [[독일]] [[푸스발-분데스리가|분데스리가]] [[SV 다름슈타트 98]]로 이적하였지만 병역 관련 문제로 계약이 파기되었다. (당시 차범근은 [[공군 축구단|공군]] 팀 전력 강화를 꾀하던 참모총장의 권한으로 2년 뒤 전역을 약속받고, [[공군 축구단|공군]]에 입대하였다. 약속된 [[1978년]] 12월 복무 기간을 마쳤다고 생각하고, 특별 휴가를 받아 [[독일]]로 떠나 [[SV 다름슈타트 98]] 입단 계약을 체결하였고 12월 30일 [[VfL 보훔]]과의 리그 화성에 출전해서 77분을 소화했고, 키커 평점 3점을 받는 등 좋은 활약을 펼치며 [[분데스리가]] 데뷔전을 성공적으로 끝마쳤다. 그러나 [[공군 축구단|공군]]의 입장 변화로 [[1979년]] 1월 5일 다시 귀국한 후, 복귀해서 독일로 다시 나가지 못하고 [[1979년]] [[5월 31일]] 만기 전역하였다.
         병역 관련 문제를 해결한 후, [[1979년]] 7월 [[푸스발-분데스리가|분데스리가]] [[아인트라흐트 프랑크푸르트]]에 스카우트된다. 스카우트 후에는 곧바로 [[UEFA컵 1979-80|1980년]] 팀을 [[UEFA컵]] 챔피언 자리에 올려놓았고, 이듬해인 [[1981년]]에는 팀이 [[DFB-포칼]] 우승컵을 드는데 공헌하였다. [[1983년]] 7월에는 [[푸스발-분데스리가|분데스리가]] [[바이어 04 레버쿠젠]]으로 이적하여 [[UEFA컵 1987-88|1988년]]에 다시 한 번 [[UEFA컵]]에서 우승하였다.<ref>그리고 [[독일]]의 아벤트 포스트지 (Abend Post, 당시 서독의 지역 일간지)에서 선정한 1985-86 시즌 [[푸스발-분데스리가|분데스리가]] MVP로 선정되었다. 공식적인 [[1986년]] [[독일 올해의 축구 선수]]는 [[하랄트 슈마허]]였다.</ref> 이 우승으로 차범근은 각기 다른 두 팀에서 [[UEFA컵]] 우승을 차지한 9번째 선수가 되었다.
         * [[1976년]] 10월 ~ [[1979년]] 5월 {{국기그림 | 대한민국}} [[공군 축구단]] (군복무)
         * [[1978년]] 12월 ~ [[1979년]] 6월 {{국기그림 | 독일}} [[SV 다름슈타트 98]]
         * [[1979년]] 7월 ~ [[1983년]] 7월 {{국기그림 | 독일}} [[아인트라흐트 프랑크푸르트]]
         * [[1979년]] [[남양유업]] 남양 요구르트
  • 차승재
         *[[1979년]] [[배재고등학교]](졸업)
  • 차영화
         차영화는 [[광주제일고등학교|광주일고]]에 다니면서 고교야구 생활을 하는데 그는 2루수로 활동하면서 대통령배 고교야구 준준결승에서 역전 결승타를 때려내는 결정적인 역할<ref>[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74052400209208001&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74-05-24&officeId=00020&pageNo=8&printNo=16198&publishType=00020 대통령배 고교야구 「9회말의 건아들」광주일고팀], 동아일보, 1974년 5월 24일.</ref> 과 함께 많은 활동을 하다 [[1976년]] 실업 야구 팀 [[롯데 자이언츠]]로 진출한다.<ref>[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76100700329206010&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76-10-07&officeId=00032&pageNo=6&printNo=9547&publishType=00020 롯데, 한일은행 대파 4:1 실업야고 농협, 한전과 함께 공동선두], 경향신문 1976년 10월 07일.</ref> 실업 리그에 진출한 그 해 그는 실업 야구 추계리그 최우수상을 받게 되고 나서<ref>[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76102900209208012&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76-10-29&officeId=00020&pageNo=8&printNo=16946&publishType=00020 롯데, 한일은행 대파 4:1 실업야고 농협, 한전과 함께 공동선두], 경향신문, 1977년 3월 3일</ref> 그 다음 해인 [[1977년]] [[일본]] 전지훈련에서 [[일본 프로 야구]] 팀 롯데 오리온스 가네다 감독에게 관심을 보이기도 했다.<ref>[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77030300329208014&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77-03-03&officeId=00032&pageNo=8&printNo=9670&publishType=00020 最優秀 車榮華 新人王 辛鉉碩], 동아일보, 1976년 10월 29일</ref> 그 해 차영화는 실업·대학야구 올스타전에 내야수로 출전과 함께<ref>[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77052400209208010&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77-05-24&officeId=00020&pageNo=8&printNo=17118&publishType=00020 大學(대학)·實業(실업)올스타戰(전) 28일부터 3일동안], 경향신문, 1977년 5월 25일</ref> [[1978년]], [[1979년]] 실업야구 올스타전에 뽑히기도 하였으며 이후 국가대표로 세계선수권대회같은 국제대회에도 출전하면서 많은 활약을 펼쳤다.<ref>[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78062800209208004&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78-06-28&officeId=00020&pageNo=8&printNo=17455&publishType=00020 실업야구연맹 오올스타 56명뽑아], 동아일보, 1978년 6월 28일</ref><ref>[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79041200329208001&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79-04-12&officeId=00032&pageNo=8&printNo=10315&publishType=00020 韓美야구 實業선발,빅토리에 樂勝], 경향신문, 1979년 7월 9일</ref> [[1981년]] [[KBO 리그]] 출범준비와 함께 프로야구 구단들의 스카웃할 선수들의 명단의 윤곽이 밝혀지면서 차영화는 [[해태 타이거즈]]로 스카웃된다.<ref>[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81122500099212008&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81-12-25&officeId=00009&pageNo=12&printNo=4865&publishType=00020 三星,선수스카우트 매듭 롯데·해태·OB 도일부확정], 매일경제, 1979년 12월 25일</ref>
  • 채상병
         '''채상병'''(蔡尙秉<ref>한국야구위원회, 2012 가이드북</ref>, [[1979년]] [[12월 18일]] ~ )은 전 [[KBO 리그]] [[삼성 라이온즈]]의 [[포수]]이자, 현 [[KBO 리그]] [[삼성 라이온즈]]의 2군 배터리코치이다.
         [[분류:1979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서울특별시 출신 인물]][[분류:KBO 리그 포수]][[분류:한화 이글스 선수]][[분류:두산 베어스 선수]][[분류:삼성 라이온즈 선수]][[분류:서울효제초등학교 동문]][[분류:홍은중학교 동문]][[분류:연세대학교 교육과학대학 동문]][[분류:휘문고등학교 동문]][[분류:평강 채씨]][[분류:대한민국의 개신교도]]
  • 채인석
         * [[1979년]] 안용중학교 졸업
  • 최경훈
         '''최경훈'''(崔敬勳, [[1979년]] [[1월 22일]] ~ )는 현 [[KBO 리그]] [[LG 트윈스]]의 육성군 투수코치이다.
         [[분류:1979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서울특별시 출신 인물]][[분류:KBO 리그 투수]][[분류:두산 베어스 선수]][[분류:선린인터넷고등학교 동문]][[분류:고려대학교 동문]][[분류:선린중학교 동문]][[분류:서울내발산초등학교 동문]]
  • 최고은 (영화감독)
         | 출생일 = [[1979년]]
         '''최고은'''([[1979년]] ~ [[2011년]] [[1월 29일]])은 [[대한민국]]의 [[시나리오 작가]]이자 [[영화 감독]]이다. [[2002년]]에 개봉된 [[영화|단편 영화]] 《연애의 기초》로 데뷔했다. [[빈곤]] 속에서 [[갑상선암|갑상선 항진증]]과 [[췌장암|췌장염]]을 앓다가 2011년 [[1월]]에 사망했다 향년 33세<ref>{{뉴스 인용
         [[분류:1979년 태어남]][[분류:2011년 죽음]][[분류:대한민국의 영화 감독]][[분류:대한민국의 극작가]][[분류:서울특별시 출신 인물]][[분류:한국예술종합학교 동문]]
  • 최광수 (공무원)
         |임기 = [[1979년]] [[11월 7일]] ~ [[1979년]] [[12월 10일]]
         |임기 = [[1979년]] [[12월 10일]] ~ [[1980년]] [[8월 27일]]
  • 최란
         | 활동기간 = [[1979년]] ~ 현재
         '''최란'''({{출처|날짜=2010-10-5|崔蘭}}, [[1960년]] [[11월 30일]] ~ )은 [[대한민국]] [[경상북도]] [[김천시|김천]] 출신의 탤런트이다. 1979년 [[TBC]] [[동양방송]] 제21기 공채탤런트로 데뷔하였다. 전국가대표 농구선수·전 [[원주 동부 프로미]]감독 [[이충희]]의 아내이다.
         * [[1979년]] [[TBC]] 미스 춘향
         [[분류:대한민국의 여자 뮤지컬 배우]][[분류:1960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여자 연극 배우]][[분류:대한민국의 대학 교수]][[분류:대한민국의 여자 텔레비전 배우]][[분류:대한민국의 여자 영화 배우]][[분류:중앙대학교 동문]][[분류:김천시 출신]][[분류:1979년 데뷔]]
  • 최란(배우)
         ||<#878787> '''{{{#EEE156 데뷔}}}''' ||<(> [[1979년]] [[동양방송]] 21기 공채 탤런트 ||
  • 최병국(1956)
         한편 [[1979년]], 행정고시에 합격하였고 이후 [[공무원]]으로 근무하였다. 이후 [[경찰공무원]]으로 전직하여 경상북도 영천[[경찰서장]], 대구 북부경찰서장 등을 역임하였다.
  • 최성 (1928년)
         * [[1979년]] 《[[심봤다]]》
         * [[1979년]] 《[[수병과 제독]]》
  • 최성(배우)
         * [[1979년]] 《[[심봤다]]》
         * [[1979년]] 《[[수병과 제독]]》
  • 최성원 (음악가)
         졸업을 거쳐 [[고려대학교]] [[물리학|물리학과]]에서 학사 학위를 취득한 그는 [[1976년]] 언더그라운드 [[라이브 클럽]]에서 록 음악 가수로 첫 데뷔를 하였고 [[1979년]] 같은 [[고려대학교]] 동문 출신인 이영재(<small>[[고려대학교]] [[화학|화학과]] 졸업</small>), [[이승희 (1954년)|이승희]](<small>본명 이경희, [[고려대학교]] [[수학|수학과]] 졸업, [[1978년]] 솔로 [[가수]] 데뷔.</small>) 등과 함께 3인 [[가수]] 참여 프로젝트 앨범 《이영재, 이승희, 최성원》에 참여하여 솔로 가수로 처음 데뷔하였다<ref>이들 3명 가운데 [[이승희 (1954년)|이승희]](본명 이경희)는 [[포크 록]] [[가수]] [[이장희]]의 친동생이며, [[2000년]] [[2월 13일]] 병으로 사망하였다.</ref>. 그 후 [[1984년]] 《우리노래전시회》라는 프로젝트 앨범에도 솔로 가수로 참여하였으며, 이듬해 [[1985년]]부터 [[전인권]], [[조덕환]], [[허성욱]], 주찬권 등과 함께 [[포크 록]] [[음악 그룹|밴드]] [[들국화 (밴드)|들국화]]를 결성하여 베이시스트 겸 [[보컬리스트]]로 활동하였다. 들국화가 해체된 이후에는 [[1988년]] 개인 음반 《제주도의 푸른 밤》을 내며 솔로 가수 활동을 재개하였다.
  • 최성원(가수)
         || '''데뷔''' || [[1979년]] 프로젝트 앨범 '이영재, 이승희, 최성원' ||
         대학 재학 중이던 1979년 고려대 동문인 이영재, 이승희와 함께 프로젝트 앨범 '이영재, 이승희, 최성원'에 참여하며 데뷔하였다. 이후 '우리동네전시회'라는 프로젝트 앨범에도 솔로 가수로 참여하였다. 고대 동문이자 친구였던 조덕환[* [[들국화(앨범)|들국화 1집]]에 최성원과 함께 참여하였다. 1집에서 '[[세계로 가는 기차]]', '[[축복합니다]]', '[[아침이 밝아 올 때까지]]' 등이 그의 곡이다.]과 이영재는 1978년 [[대학가요제]]에 '고인돌(코리아스톤스)'이라는 밴드명으로 참가했지만, 최성원은 거기에 참가하지 않았다. 당시 생각으로 대학가요제는 그저 학예회일 뿐이며, '음악하는 장'은 아니라고 여겼기 때문이라고...
         [[분류:한국 남가수]][[분류:1954년 출생]][[분류:1979년 데뷔]][[분류:부천시 출신 인물]]
  • 최성조
         '''최성조'''([[1979년]] [[3월 23일]] ([[음력 2월 25일]]) ~ )는 스포츠 트레이너이. '''간코치''', '''간고등어 코치'''로도 불린다.
         [[분류:1979년 태어남]][[분류:서울특별시 출신 인물]][[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방송인]][[분류:대한민국의 남자 모델]][[분류:대한민국의 개신교도]]
  • 최세창
         [[1953년]] [[경동고등학교|서울 경동고등학교]]를 졸업했으며 [[1957년]]에 [[대한민국 육군사관학교]]를 졸업했다. 이후 [[1977년]] 육군 특전사령부 제3공수특전여단장으로 보임되었고 [[1979년]]에 일어난 [[12·12 군사 반란]] 당시 [[하나회]]의 핵심 인물 가운데 한 사람으로 제3공수특전여단을 지휘했다.
  • 최예진 (가수)
         '''최예진'''([[1979년]] [[6월 12일]] ~ )은 [[대한민국]]의 가수이다. 2003년에는 '''여우'''라는 예명으로 댄스 가수로 활동했고, 트로트 가수로 전향하면서 '''예진'''이라는 이름을 쓰다가 2012년 싱글앨범 《사랑에 미치면》부터 '''예진'''으로 활동하고 있다.
         [[분류:대한민국의 가수]][[분류:1979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부산광역시 출신 인물]]
  • 최은주(배우)
         출생 [[1979년]] [[2월 22일]] [[전라남도]] [[구례군]]
         [[분류:1979년 출생]][[분류:1996년 데뷔]][[분류:한국 여배우]][[분류:구례군 출신 인물]]
  • 최재웅 (배우)
         '''최재웅'''([[1979년]] [[6월 28일]] ~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분류:1979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텔레비전 배우]][[분류:대한민국의 영화 배우]][[분류:대한민국의 뮤지컬 배우]][[분류:대한민국의 연극 배우]][[분류:서울특별시 출신 인물]]
  • 최종훈 (1979년)
         '''최종훈'''(崔鍾訓, [[1979년]] [[5월 29일]] ~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분류:대한민국의 희극인]][[분류:대한민국의 방송인]][[분류:1979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문경시 출신]]
  • 최필립 (배우)
         '''최필립'''({{본명|최필순}}, [[1979년]] [[8월 18일]] ~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분류:1979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남자 영화 배우]][[분류:대한민국의 남자 연극 배우]][[분류:2001년 데뷔]][[분류:대한민국의 남자 텔레비전 배우]][[분류:광주광역시 출신]][[분류:성균관대학교 동문]]
  • 최희섭
         '''최희섭'''(崔希涉, [[1979년]] [[3월 16일]] ~ )은 [[KBO 리그]] 전 [[KIA 타이거즈]]의 내야수이자, 현 [[KIA 타이거즈]] 3군 코치 겸 [[MBC 스포츠플러스]]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메이저 리그]] 해설 위원이다. [[대한민국]] 선수로서는 최초의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메이저 리그]] 타자이다.
         | colspan="2" align="center" |[[1979년]] [[3월 19일]] - <br /> [[1루수]], 좌투좌타
         [[분류:KIA 타이거즈 선수]][[분류:로스앤젤레스 다저스 선수]][[분류:플로리다 말린스 선수]][[분류:시카고 컵스 선수]][[분류:KBO 골든글러브 수상자]][[분류:KBO 득점상 수상자]][[분류:KBO 리그 1루수]][[분류:KBO 리그 지명 타자]][[분류: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1루수]][[분류:광주제일고등학교 동문]][[분류:고려대학교 동문]][[분류:광주광역시 출신]][[분류:1979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전주 최씨]][[분류:대한민국의 개신교도]][[분류:2006년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참가 선수]][[분류:올스타 퓨처스 게임 참가 선수]][[분류: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 최희섭 (동음이의)
         * '''[[최희섭]]'''(崔熙燮, [[1979년]] - )은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이다.
  • 추자현
         '''추자현'''({{본명|추은주}}, [[1979년]] [[1월 20일]] ~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분류:1979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구광역시 출신]][[분류:대구인지초등학교 동문]][[분류:대한민국의 여자 영화 배우]][[분류:대한민국의 여자 배우]][[분류:대한민국의 방송인]][[분류:중국에 거주한 대한민국인]][[분류:대한민국의 여자 텔레비전 배우]][[분류:단국대학교 동문]][[분류:1996년 데뷔]][[분류:추계 추씨]]
  • 크라운 제이
         '''크라운 제이'''({{본명|김계훈}}, [[1979년]] [[11월 12일]] ~ )는 [[대한민국]]의 한국과 미국에서 활동하는 한국인 래퍼이다. 소속사는 플라이보이 엔터테인먼트이다.
         [[분류:1979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래퍼]][[분류:대한민국의 남자 래퍼]][[분류:대한민국의 힙합 음악가]][[분류:2006년 데뷔]][[분류:캘리포니아 주립 대학교 동문]][[분류:서귀포시 출신]][[분류:미국에 거주한 대한민국인]]
  • 킵루츠
         '''킵루츠'''(Keeproots, {{본명|이근수}}, [[1979년]] [[2월 8일]] ~ )는 [[대한민국]]의 작곡가, 앨범 프로듀서 및 가수이다. [[2004년]]에 1집 《Keepin' The Roots》로 데뷔하였다. 과거 [[다 크루|Da Crew]]가 주축으로 있었던 [[가라사대]]라는 레이블의 일원이었으며, [[2012년]]에는 한국 힙합 1세대들이 주축으로 모여 결성한 크루인 불한당의 창립 멤버로 들어갔고, [[2015년]]에는 Fascinating(MC 성천), [[DJ 스킵|DJ Skip]]과 '''LK2Muzic'''이라는 레이블을 설립하기도 하였으며,<ref>[http://hiphopplaya.com/magazine/article/view.html?category=news&category2=&mode=&page=2&sort=&num=16557&keyfield=&key= “킵루츠와 Fascinating, 레이블 런칭하며 첫 싱글 발표”, 힙합플레이야 뉴스, 2015년 3월 17일.]</ref> 현재는 MELODESIGN (김두현 & 서정진), Fascinating과 함께 '''NEWold'''라는 프로듀싱 팀을 꾸려 활동 중이며, 아울러 [[서울호서예술실용전문학교]]의 뮤직 프로덕션 계열 쪽에 교수로 출강 중이기도 하다.
         [[분류:1979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2004년 데뷔]][[분류:대한민국의 래퍼]][[분류:대한민국의 남자 래퍼]][[분류:대한민국의 음악 프로듀서]]
  • 탕웨이
         '''탕웨이'''({{zh|s=汤唯|t=湯唯|p=Tāng Wéi|hanja=탕유}}, [[1979년]] [[10월 7일]] ~ )는 일본의 [[살인자 가족]]이다.
         [[분류:1979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홍콩의 여자 영화 배우]][[분류:홍콩의 여자 배우]][[분류:중앙희극학원 동문]][[분류:중국의 여자 영화 배우]][[분류:중국의 여자 텔레비전 배우]][[분류:중국의 여자 연극 배우]]
  • 하길종
         '''하길종'''(河吉鍾, [[1941년]] [[4월 13일]] [[부산광역시]] ~ [[1979년]] [[2월 28일]])은 [[대한민국]]의 영화감독이다.
         * [[1979년]] [[병태와 영자]]
         [[분류:1941년 태어남]][[분류:1979년 죽음]][[분류:대한민국의 영화 감독]][[분류:20세기 대한민국 사람]][[분류: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문학부 동문]][[분류:캘리포니아 대학교 로스앤젤레스 동문]][[분류:서울예술대학교 교수]][[분류:부산광역시 출신 인물]][[분류:진주 하씨]]
  • 하리수
         데뷔 초기에 그녀는 [[1979년]]생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2001년]] [[7월]] 실제 나이는 네 살 많다고 스스로 밝혔다. 데뷔 초 실제 나이가 스스로 공개한 나이보다 많다는 ‘의혹’을 받아온 그녀는 진짜 나이를 공개했다.<ref name="naitge">[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6&oid=020&aid=0000074014 <nowiki>[</nowiki>연예<nowiki>]</nowiki> 하리수 "실제나이 26살 본명은 이경엽"] 동아일보 2001.07.10</ref> [[2001년]] [[7월 10일]] 당시 인터넷에서 논란이 되고 있는 자신의 신상과 관련해 “실제 나이는 75년생 26세,본명은 이경엽”이라고 밝혔다.그동안 그녀가 밝힌 나이는 23세, 본명은 이수였다.<ref name="yisuu">[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5&aid=0000064377 <nowiki>[</nowiki>여울목<nowiki>]</nowiki> 하리수 “26살에 본명 이경엽”] 국민일보 2001.07.10</ref>
  • 하재숙
         [[분류:한국 여배우]][[분류:1979년 출생]][[분류:남구(대구) 출신 인물]][[분류:라디오 스타의 역대 게스트]]
         || '''출생''' ||[[1979년]] [[1월 7일]], [[대구광역시]] [[남구(대구)|남구]]||
  • 하춘화
         그 뒤 [[1977년]] [[이리역 폭발사고]]가 발생할 때 하춘화는 하마터면 목숨을 잃을 뻔 했지만 이 때 이주일이 하춘화를 구출하여 병원까지 업고 뛰어가서 무사할 수 있었다. 오히려 하춘화를 구한 이주일이 두개골이 함몰되는 전치 4개월의 중상을 입었다고[* 2002년 이주일 장례식 때 조시를 맡을 예정이었으나 너무 가슴에 사무친다는 이유로 고사했다]. 이 때의 충격 탓인지 하춘화는 그로부터 2년 후인 [[1979년]]에 돌연 학업 및 결혼준비를 이유로 [[경남대학교]]에 입학한 뒤 은퇴를 선언했다.
  • 한국진
         '''한국진'''([[1979년]] [[7월 25일]] ~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ref> [http://movie.daum.net/movieperson/Biography.do?personId=229392#filmography&t__nil_main_workList=more 한국진-다음인물정보]</ref>
         [[분류:1979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서울특별시 출신 인물]][[분류:대한민국의 텔레비전 배우]][[분류:대한민국의 영화 배우]]
  • 함두영
         '''함두영'''(咸斗榮, [[1904년]] [[9월 26일]] [[한성부]] ~ [[1979년]] [[11월 7일]])은 제3대 국회의원을 지낸 대한민국의 정치인이다.
         [[분류:1904년 태어남]][[분류:1979년 죽음]][[분류:서울특별시 출신 인물]]
  • 허삼수
         [[대한민국 육군|육군]] [[대령]]으로 재직 중 [[1979년]] [[보안사령부]] 인사처장 발탁, 그해 [[10.26 사태]]가 발생하자 [[10월 27일]]부터 [[김재규]] 일파를 체포, 검거하는데 참여하였다. [[12월]] 보안사 인사처장으로서 [[전두환]]의 지시를 받아 [[노태우]]가 보낸 육군 제9보병사단 병력과 함께 당시 [[정승화]] 육군참모총장을 직접 체포하는 등 [[12·12 군사 반란]]의 주요 임무를 수행하였다.
         * 국군 보안사령부 인사처장(1979년)
  • 허일상
         '''허일상'''(許一相, [[1979년]] [[12월 21일]] ~ )은 전 [[KBO 리그]] [[SK 와이번스]]의 [[포수]]이자, 전 [[SK 와이번스]]의 배터리 코치이다.
         [[분류:1979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서울특별시 출신 인물]][[분류:KBO 리그 포수]][[분류:롯데 자이언츠 선수]][[분류:SK 와이번스 선수]][[분류:덕수정보산업고등학교 동문]][[분류:서울학동초등학교 동문]][[분류:휘문중학교 동문]][[분류:단국대학교 동문]][[분류:허씨]]
  • 허지웅
         '''허지웅'''(許志雄, [[1980년]] [[1월 31일]] ([[1979년]] [[음력 12월 14일]]) - )은 [[대한민국]]의 [[영화평론가]], [[칼럼니스트]], [[작가]], [[방송인]]이다.
  • 현숙
         | style="width:20%;" | [[1979년]]
         *1979년 2집 《현숙의 새노래모음 제2집 : 타국에 계신 아빠에게/ 답장》
  • 현우성
         '''현우성'''([[1979년]] [[3월 16일]] ~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분류:1979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남자 배우]][[분류:대한민국의 남자 텔레비전 배우]][[분류:대한민국의 남자 모델]][[분류:2010년 데뷔]][[분류:창녕군 출신]]
  • 현재윤
         '''현재윤'''(玄在潤<ref>한국야구위원회, 2012 가이드북</ref>, [[1979년]] [[7월 8일]] ~ )은 전 [[KBO 리그]] [[LG 트윈스]]의 [[포수]]이자, 현재 [[중국야구리그]] [[장쑤 페가수스]]의 배터리코치이다.
         [[분류:1979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서울특별시 출신 인물]][[분류:KBO 리그 포수]][[분류:대한민국의 야구 해설자]][[분류:삼성 라이온즈 선수]][[분류:LG 트윈스 선수]][[분류:서울수유초등학교 동문]][[분류:신일중학교 (서울) 동문]][[분류:신일고등학교 동문]][[분류:성균관대학교 동문]][[분류:대한민국의 개신교도]][[분류:연주 현씨]]
  • 혜은이
         | [[1979년]]
         * 1979년 03월 7집 《제3한강교》 《나는 너를》
         * 1979년 08월 8집 《새벽비》 《철새》
         * 1979년 12월 9집 《졸업》 《울지 않아요》
         * 《제3한강교》 (1979년) - 은영 역
         * 코닥 컬러 필름 (1979년)
  • 홍세화
         '''홍세화'''(洪世和, [[1947년]] [[12월 10일]] ~ )는 대한민국의 작가이자, 사회운동가, 언론인이다. [[서울대학교]] 외교학과 학사 학위 이후, [[1979년]] [[남민전 사건]]에 연루되어 프랑스로 망명했다가 [[2002년]] 한국으로 영구 귀국하여 언론인, 작가, 교육인 등으로 활동하였다. 프랑스 망명 생활 중에 쓴 책인 《[[나는 빠리의 택시운전사]]》의 저자로 유명하다. [[한겨레신문]] 기획위원, 아웃사이더 편집위원 등을 지냈으며 2013년 계간지 <[[말과활]]>을 창간했다. 2011년 [[진보신당 (대한민국)|진보신당]] ([[노동당 (대한민국)|노동당]]의 전신) 당대표를 역임하기도 했다.
         [[1977년]]부터 '민주투위' 조직과, '남민전' 조직에 가담하였고, 이후 무역회사에 입사, [[1979년]] [[3월]] 무역회사 해외지사 근무차 유럽으로 건너갔다.
  • 황정오
         [[경북 선산군 무을면 무이동]]에서 태어나 대구 [[중앙중학교]]와 [[계성고등학교]]를 입학하면서 유도를 배우기 시작했고, [[1979년]]에 유도 국가 대표로 발탁되었고 [[1980년]] [[폴란드]] 클라블라프에서 열린 세계 대학생 유도 선수권 대회 [[은메달]]을 획득해 주목 받기 시작했다.
  • 황해 (배우)
         * 《[[심봤다]]》 ([[1979년]])
         * 《[[골목대장]]》 ([[1979년]])
         * 《[[정조 (1979년 영화)|정조]]》 ([[1979년]])
  • 황현준 (음악가)
         '''황현준'''([[1979년]] [[5월 18일]] ~ )은 [[대한민국]]의 [[음악가]]이자 [[프로듀서]], [[공연기획자]], [[영상감독]]이다.
         [[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1979년 태어남]][[분류:부산광역시 출신 인물]][[분류:대한민국의 기타 연주자]][[분류:대한민국의 가수]][[분류:대한민국의 작곡가]]
11831의 페이지중에 311개가 발견되었습니다

여기을 눌러 제목 찾기를 할 수 있습니다.